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ollocation}를 중심으로...

20
1. You shall know a word by the company it l rCobuild English Dictionary J 1998 (ISSN 0254-4474) 36 1 3), 161-180 161

Upload: others

Post on 22-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 {collocation}를 중심으로

    권 혁 스 。

    1. 서 론

    본 논문은 영어학습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사전, 문법서 둥-을 이용하는

    것보다 자연언어를 모은 코퍼스를 사용하면 훨씬 다양하고 효과적인 학습효과

    를 거둘 수 있음을 영어의 연관관계

  • 162 권 혁 숭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2절에서는 영어 단어 naked eye를 예로 들어

    여러 종류의 사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3절에서 본 논문에서 사용한 코퍼스인 The British Nationa1 Corpus(BNC)에서

    도출할 수 있는 정보의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한다.4절은 본 논문이 전달하려

    는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코퍼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2. 사전이 주는 정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사전을 이용하는 목적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

    지 않는 사람들이 사전을 이용하는 목적과 다르기 때문에 영어 사전도 사용자

    와 목적에 따라 그 구성과 내용이 크게 다르다. 그래서 사전 사용자들은 원하

    는 목적에 따라서 사전을 선택하여 참고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사

    전을 크게 원어 민을 위 한 사전(native-spe밟er’s c!ictionary), 기 술사전(descrip

    tive c1ictionary), 이중언어사전(bilingua1 c1ictionarγ) 중 영한사전(English -Korean

    c1icitonary) , 학습자사전Oeamer’s c1ictionary)으로 구별하여, 각 부류에 속하는

    몇몇 개별 사전들이 naked eye와 관련된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비교하여 보도록 하겠다.

    2.1. 원어민을 위한 사전 (native-speaker’s dictionary)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영어사전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철자를 확

    인하거나 단어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이들을 위한 사전은 흔히 쓰

    이는 어휘를 자세히 설명하기 보다는 많은 표제어와 함께 각 표제어의 주요한

    의미 갈래를 구분해서, 사전마다 다르지만 대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의미, 또

    는 가장 핵심이 되는 의미를 첫 번째로 하여 각 의미 갈래를 정의와 함께 나열

    한다. 영국과 미국에서 출판된 원어민을 위한 사전들은 naked eye를 어떻게 설

    명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Col1ins English Dictionary(991)

    naked a에. 1, 2, 3, 4 unaided by any optical instrument, such as a

    telescope or microsco야 (esp. in the phrase the naked eye) , 5, 6,

    7, 8, 9, 10, 11 Concise Oxford Dictionary(9th ec!ition)

    naked eye n. (prec. by the) unassisted vísíon, e.g. wíthout a telescope, microscope, etc.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oIlocation)를 중심으로 163

    Webster’s New World ColIege Dictionary(3rd e며tion)(1996)

    naked αij. 1, 2, 3, 4, 5, 6 without the aid of a microscope,

    telescope, etc. [the naked eye] 7, 8, 9.

    Random House Webster’s Concise ColIege Dictionary(l999) naked a대. 1, 2, 3, 4, 5, 6 [of the eye, sight, etc.] unassisted by a

    microscope, telescope, or other instrument. 7, 8, 9, 10, 11, 12.

    The American Heritage ColIege Dictionary(3rd edi다on)(1993)

    naked adj. 1, 2, 3, 4, 5, 6, 7, 8.

    Concise Oxford Dictionary만 naked eye를 독립된 표제어로 다루고 있으며

    나머지 사전들에는 naked eye란 표제어 항목이 없다. Collins English Dictio-

    nary는 naked eye를 독립된 표제어로 만들지 않고 표제어로 나온 naked의 4번

    의미갈래 항목에서 the naked eye가 의미기능상의 한 단위를 이루는 구로 쓰

    임을 언급하고 있다. Webster’s New World College Dictionary도 naked의 6번 의미갈래 항목에서 the naked eye가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구로 쓰임을 언급

    하고 있다. Random House Webster’s Concise College Dictionary는 naked의 6 번 의미갈래 항목에서 ‘눈, 시야’와 관련된 의미를 설명하지만 naked eye에 관

    한 언급은 없다. The American Heritage College Dictionary의 경우에는 다른

    사전들이 모두 설명하고 있는 ‘눈, 시야’와 관련된 의미갈래를 이 사전이 나눈

    8가지의 의미갈래에 아예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표제어

    선정과 우리가 찾고 있는 naked eye에 대한 설명은 사전마다 조금씩의 차이가 있지만 원어민을 위한 사전들의 공통점은 다루고 있는 항목에 대한 설명이 매

    우 간결하고 예문을 제시하지 않은 점이다. 원어민들이 사전올 찾아보는 가장

    큰 이유는 단어의 의미나 철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원

    어민을 위한 사전들이 용례를 싣고 있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2.2. 기술사전(descriPtive dictionary)

    다음으로 The Oxford English Dictíonary(OED)에서는 naked eye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자.OED는 영문학/영어학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

    에게 반드시 필요한 백과사전의 성격을 지난 참고서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사

    전은 모든 영어 단어의 역사-어원, 최초로 쓰인 연도, 시대별 이형태, 시대별/

    의미별 용례 등-를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단어의

    철자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 사전들과는 그 성격

    이 많이 다르다.

    OED는 naked의 15번 의미 항목에서 naked eye를 다루고 있다.OED의 원문 에는 용례의 연대와 용례 사이에 출전이 있으나 여기서는 지면 관계로 생략하

    기로한다.

  • 164 권 혁 숭

    15. a. naked eye, the eye itself, unassisted by the microscope, telescope,

    or other aid to vision. So naked sight.

    1664 Sma1ler than the sma1lest hair our naked eyes can discover. 1672 As the Tract of these Pores appears to the naked Eye. 1711 Such [creaturesJ as are bulky enough for the naked Eye to

    take hold of.

    1789 With my glass . .1 can see just as other 야ople see with the naked eye.

    1812 To the naked sight, or to unassisted vision. 1875 The naked eye cannot perceive them, but the power of the

    microscope revea1s them.

    b. attrib. Visible to the naked eye.

    1876 The naked-eye characters being .. characteristic. 1897 There was no naked-eye damage to the cord. 1908 The other naked-eye planets are too near the sun to be

    visible.

    1930 Within the limit of the naked-eye visibility. 1965 Another naked-eye cluster is pr æ sepe in Cancer, now well

    placed during the evenings.

    OED는 naked eye를 a와 b 두가지 용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OED에

    의하면 n와,ed란 단어가 최초로 쓰인 기록이 남아 있는 것은 약 9세기 중반이

    지만, naked eye는 1664년에 최초로 쓰이기 시작했다. 여기에서 특별히 주목할

    만한 사항은 b항목에 있는 부가어적으로 쓰인 naked eye의 용례들이다.a항목

    의 마지막 용례가 1875년이고 b항목은 1876년부터 1965년까지의 용례를 싣고

    있어서 독자들은 1876년부터 naked eye의 어법이 바뀐 것으로 파악하기 쉽다.

    OED는 1잃4년부터 첫권이 출판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주로 19세기말까지의 용

    례를 포함하고 있으며 20세기 용례는 후에 보충판(Supplements)을 통해 보완된

    것이다.2 위에 인용한 naked의 15번 의미 항목을 통해서는 단어의 현대적 어법

    2 1857년에 Phil이ogical Society에서 기존의 사전을 보완할 수 있는 사전을 계획하였으 나 1859년에 계획을 수정하여 영문학에 나오는 모든 단어에 대한 역사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사전을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1878에 옥스퍼드대학 출판사COxford University Press)는 편집장 James Murray9} 10년내에 사전을 출판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첫 권이 출판된 1잃4년부터 마지막 권이 출판된 1927년까지 계약부터 전체가 완성되는데에 약 50 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초판에 실린 용례는 대개 19세기말까지이고 이후에 출판된 보 충판CSupplements)에는 어휘에 대한 20세기의 용례를 선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보충판 을 통해서 보완된 용례는 1989년에 출판된 OED의 제 2판에 포함되었지만 OED가 현대 적 어법에 대한 정보를 많이 싣고 있지 못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olIocation)를 중심으로 165

    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또한 naked eye의 현대적 어법이 15.b에

    있는 1876년부터 1965년까지 naked eye가 부가어적으로만 쓰인 용례와는 상당

    히 다르다는 사실을 3절에서의 현대영어 코퍼스자료의 분석올 통해 알 수 있

    다.

    2.3. 영한사전 (English-Korean dicitonary)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영어학습자들이 영어사전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단어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이거나 단어나 어구의 어법 (usage)을 알기 위해서이

    다.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전은 아마도 이중언어사전

    (bilingual dictionary)인 영 한사전(English-Korean dictionary)일 것 이 다. 많은

    한국학생들이 영영사전(English -English dictionary)을 사용하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문독해나 문법학습에는 익숙치 않은 영영사전 보다는 익숙

    한 영한사전이 훨씬 더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뉴에이스영한사전(991)

    naked 1. … / the - eye 육안/ 엣센스영 한사전(1997)

    naked eye (the - ) 육안.opp. αηled eyes. 메 sæ a star with the -. 프라임 영 한사전(993)

    naked eye [the - ] 육안, 나안.

    현대영한사전(1994)

    naked eye [the - ] (안경 따위 를 쓰지 않은) 육안 (•• anned eyes).

    랜텀하우스영 한대사전(199이

    naked 1, 2, 3, ... 7. (안경, 망원경, 현미경 따위의) 광학 기계의 도움을 빌리지 않은, 육

    안의- visible to the naked eye 육안으로 보이는.

    다섯 종류의 영한사전 중 세 사전(엣센스영한사전, 프라임영한사전, 현대영한

    사전)은 naked eye를 독립된 표제어로 다루고 있지만 공통점은 표제어에 대한

    설명이 그다지 충실하지 않은 점이다. 나머지 두 사전(뉴에이스영한사전, 랜렵

    하우스영한대사전)은 naked eye를 독립된 표제어로 만들지 않고 표제어로 나

    온 naked의 항목내에서 naked eye를 다루고 있다. 두가지 방법 중 어떤 방식

    을 쓰던지 영한사전은 naked eye의 용례보다는 뜻풀이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다

    만 두 사전(엣센스영한사전, 랜덤하우스영한대사전)은 naked eye가 있는 간단 한 용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사전들과 구별이 된다. 한 가지 주목

    할 사항은 두 사전(엣센스영한사전, 현대영한사전)이 naked eye의 반대말로

    anned eyes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영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말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에서 출판된 많은 영한사전들이 단어의 어법 (us-

  • 166 권 혁 숭

    age)이나 용례를 위주로 한다기 보다는 사전의 한 권에 가능한 많은 표제어를

    싣고 어떤 영어단어가 한국어로 무엇인가를 풀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물

    론, 각 사전의 본래 목적이 무엇인지를 따지지 않고 이 한가지 사항을 놓고 사

    전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2 .4. 학습자사전 (Ieárner’s dictionary)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사전을 학습자사

    전이라고 하는데,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사전으로는 Oxford Advanced Leamer’s Dictionary,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Cobuild English Dictionary 등이 있다. 이 세 사전의 공통된 특정은 모두 최신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여 만들었다고 하는 점인데, 사전을 만들 때 코퍼스의 정보를 어

    느 정도로 반영하고 사용하였는가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세 사전이 크게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세 사전이 naked eye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자. 세 사전 모두

    naked eye를 독 립된 표제 어로 다루지 않고 표제 어 인 naked 항목 내 에서 naked eye를 설명한다. 학습자사전은 각 표제어 항목을 어법과 용례 중심으로 구성하

    고 있기 때문에 표제어의 숫자가 일반사전보다 훨씬 적고 그래서 naked eye를

    독립된 표제어로 만들기에는 무리가 있다.

    Oxford Advanced Leamer’s Dictionary(1995)

    naked 1, 2 IDM the naked eye the normal power of the eyes to see, without the use of a TELESCOPE, a MICROSCOPE, etc: Microbes are too small to be seen by the naked 잉le.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1995) naked 1, 2 with the naked eye without the help of any instrument: Bacteria cannot be seen ωith the naked eye.

    Cobuild English Dictionary(1995)

    naked 1, 2, 3, 4, 5, 6,

    7 If you say that something cannot be seen ++ by the naked eye, you mean that it cannot PlffiASE: be seen without the help of equipment such usu to/with/by as a telescope or microscope. The worms PHR

    cannot be seen by the naked eye... πJe planet

    Mars ωill be visible to the naked eye all ωeek.. There ’'s so much going on that you

    can’t see with the naked eye.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 col1ocation)를 중심으로 167

    같은 학습자사전이지만 세 사전이 단어를 설명하는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먼저 Oxford AdvancecI Leamer’s Dictionary는 the nakecI eye를 idiom으

    로 다루면서 뜻과 용례를 제시한다.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는 vñth the naked eye를 숙어 라고 명 시 하지는 않지 만 숙어 처 럼 다루면

    서 뜻과 용례를 제시한다. Cobuild English Dictionary는 the naked eye를 하나

    의 단위로 보고 전치사 to, with, by와 함께 쓰임을 문법란에 기술하고 각각의

    전치사와 함께 쓰인 용례를 싣고 있다. nakecI eye를 설명하는 방식은 모두 다

    르지만 세 사전이 공통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용례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국내에서 출판된 영영사전인 시사엘리트영영사전(999)에서는 nakecI eye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시사엘리트영영사전(1999)

    nak:ed adj. 1. 2. 3. 4. not helped by gIasses, a mÎcroscope, telescope,

    or other instruments: (with) the naked eye.

    이 사전이 nakecI를 정의하는 방식이나 내용에 있어서는 앞에서 언급했던 원어

    민을 위 한 사전(native-speaker’s dictionary)과 별다른 차이 점 이 없다. 다만 the

    nakecI eye가 with와 함께 쓰일 수 있음을 나타낼 뿐 예문도 제시하지 않고 있

    다. 이 항목이 시사하고 있는 바는 여러 가지인데 가장 심각하게 생각해야할

    문제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 출판된 영영

    사전이 원어민을 위한 사전(native-speaker’s dictionary)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

    점이다. 국내에서 영어사전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학습자임을

    감안할 때, 국내에는 그리 많지 않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원어민

    (native-spe하‘ers of English) 용 형식의 사전이 국내 독자의 영어학습에 얼마

    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2.5. 쿄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의 장점

    2.4에서 살펴본 영국에서 출판된 학습자사전은 모두 대규모의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전마다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는 정

    도가 다르기 때문에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이라고 할지라도 기술하는 내

    용과 방법은 사전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3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실

    제 사용되는 언어자료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코퍼스를 이용하지 않은 사전에 비 해 일반적으로 객관적인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코퍼스를

    3 지금과 같은 전산문헌자료는 아니지만 일종의 코퍼스를 이용하여 사전을 만들기 시 작한 것은 이미 250년 전의 일이다. Sarnuel Johnson은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를 1755년에 출판하였는데 유명한 작가의 글을 발훼하여 단어의 정의 및 용례 에 이용하였다.

  • 168 권 혁 숭

    어느 정도로 반영했는지에 따라 그 신뢰성의 정도는 사전마다 다르다. 코퍼스

    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표제어 선정에 빈도수를 객관적 기준

    으로 삼아 빈도수가 낮은 단어는 사전의 규모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코퍼스를 계속 최신 자료로 보완하면 새로 생겨나는 단어를 포착하고 새로 생

    긴 단어가 계속 사용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알아내어 표제어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기가 용이하다. 둘째,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표제어의

    빈도수와 관련된 정보를 사전에 포함하여 학습자가 해당 단어의 상대적 중요성

    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각각의 단어가 어느 것이 더 중요하

    고 어느 것이 덜 중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각 단어의 상대적 유용성에

    대한 정보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내용이다. 셋째,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수많은 실제 예문을 분석하여 표제어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연관어와 표제어

    의 가장 전형적인 구조와 보여주는 예문을 골라 수록할 수 있다. 학습자는 이 예

    문을 통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부자연스러운 예문이 아니라 표제어의 가장

    전형적인 실제 예문부터 익힐 수 있다. 넷째, 코퍼스를 이용하여 만든 사전은 그

    코퍼스가 어떤 자료에 의해 구성되었는지에 따라 표제어에 대한 구어체/문어체,

    미국영어/영국영어/호주영어 등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 쿄퍼스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3.1 연관관겨I(collocation)란 무엇인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코퍼스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The

    British National Corpus(BNC)를 사용한다.4 이 코퍼 스는 대 학, 출판사, 정 부,

    컴퓨터회사 등 여러 기관이 수년에 걸친 투자와 연구의 결과 탄생된 산물로서

    1억 단어의 규모로 약 5,000여 종류의 texts에서 각 20,000단어 정도의 샘플을

    모아 1995년에 완성되었다. 샘플을 수집한 문헌 및 자료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

    코퍼스를 분석한 결과가 영어를 대표할 수 있다(representative of English)고

    BNC측에서는 말한다.

    위에서 우리가 다루었던 naked eye를 코퍼스에서 그 어법을 찾아보자. 여기

    서 naked eye는 복합어가 아니라 naked와 eye가 연관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

    다. 먼저 연관관계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Sinclair(1991: 170)는 연관관계(collocation)를 다음과 같이 정 의 한다:

    4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The British Nationa1 Corpus(BNC)는 현재 유럽연합(European Union)내에서만 구입할 수 있으나 곧 세계 어디에서나 구엽이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BNC 보다 규모가 더 큰 코퍼스로는 Collins출판사의 자회사인 Cobuild출판사와 영국 버 멍엄대학 영어영문학과가 공동으로 개발한 The Bank of Eng!ish(약 3억 5천만 단어)가 있다.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 collocation)를 중심으로 169

    Collocation is the occwrence of two or more words within a short space

    of each other in a text. The usua1 measure of proximity is a maximum of four words intervening. Sinc1air(1991: 170)

    즉, 어떤 텍스트내의 근접 공간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어가 함께 쓰일

    경우 이들 단어들이 서로 연관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근접을 나타내는

    척도는 연관관계에 있는 단어 사이에 오는 단어의 숫자인데 최대로 네 단어까

    지를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연관관계는 주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어들 사

    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이해되는데, 이를 어휘관계를 넘어

    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확장하여 보면 연관관계는 어휘 뿐 아니라 의미나 문법

    관계에서도 찾을 수 있다.5

    3.2. naked의 연관관계 유형 (collocatìonal pattern)

    naked eye의 연관관계 유형

  • 170 권 혁 숭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and 또는 a가 어떤 특정한 위치에서 강력한 연관

    관계를 형성하며 naked와 함께 쓰이는 것이 아니라, 이들 단어는 원래 영어 어

    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어떤 다른 단어의 연관어를 찾더라도 항상 그

    총 빈도수는 높게 나올 것이다.

    표 1. naked의 연관어 (collocates)의 좌, 우 5단어 빈도수 분포

    1 the 1246 117 111 85 49 318 ----- 4 179 136 126 121 2 and 662 56 48 65 51 48 -----124 104 64 46 56

    a

    아 m m

    뼈 뼈 빼 빼 k

    m

    ”뼈 잃 E

    뺑 ·t

    빠 I

    s h

    뼈 廠뼈 뼈 따 뼈 뼈 빠 1W‘

    1야

    3

    4 5 6

    7 8 9

    m n

    mμ ηω MH

    rm

    mm

    η mω mm

    mω 긴 껑 %ω 장 Tω ?ω 낀 %∞ mω %

    이아

    515 44 44 21 29 145 ----- 0 57 79 46 50

    489 47 49 47 94 64 ----- 5 58 26 40 59 407 35 41 52 109 13 ----- 32 28 25 31 41 386 32 34 13 15 2 ----- 96 66 35 47 46 311 33 22 26 44 90 ----- 3 23 31 21 18 299 28 25 18 18 110 ----- 0 24 31 24 21 237 20 잃 39 52 0 ----- 5 41 25 16 11

    228 11 6 9 94 9 ----- 23 20 12 23 21 206 19 33 21 52 1 ----- 1 28 17 17 17 197 7 20 11 21 1 ----- 46 32 20 23 16

    189 15 24 19 12 45 ----- 0 20 18 15 21 161 16 24 10 14 17 ----- 27 13 14 7 19 156 31 21 8 17 11 ----- 2 18 12 20 16

    153 0 0 0 2 0 -----표Q 0 0 0 0 146 18 10 20 8 2 ----- 0 16 35 17 20

    133 27 20 22 4 5 ----- 2 16 15 14 8 131 16 18 18 13 0 ----- 1 22 20 10 13 126 11 19 8 22 25 ----- 0 4 8 17 12

    114 8 7 3 7 3 ----- 13 41 11 8 13 107 2 6 6 10 3 ----- 택 4 2 3 2

    107 8 12 14 18 26 ----- 0 4 6 10 9 105 7 14 35 9 0 ----- 1 4 11 12 12

    101 15 11 26 14 0 ----- 0 12 13 5 5 99 11 11 7 15 1 ----- 9 6 10 16 13 99 1 1 3 0 79 ----- 3 3 2 0 7 95 9 14 10 7 19 ----- 2 10 5 11 8 93 7 12 6 7 4 ----- 10 17 24 4 2

    90 13 6 11 22 5 ----- 10 7 5 5 6

    86 10 15 9 9 20 ----- 0 0 9 7 7

  • 171

    Q“ ?I

    1i

    ,。A*

    Aι1 q니 (b

    7l

    4‘

    Fb

    nJ

    ’’4

    ’l·4

    m 8

    8

    m 1 6

    4 3

    5 6

    7 0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 collocation)를 중심으로

    5

    9

    떠 퍼 4

    4 4 2

    7 4

    m 2

    6

    7 3

    4

    퍼 m 5 3

    5 8

    8

    8

    0

    1 2

    n 2 $-m

    o m o

    --…

    … … -…

    ~

    … … … …

    4

    ”u 5 m 7 7

    1 5

    때 1

    5 2

    m 9

    7

    9

    7

    n 5

    1 4 5 4

    4

    6

    n 7 7

    m 9

    4

    m 2

    1

    2 9

    M

    8

    m 6

    4 2

    8

    퍼 8

    3

    8

    3

    9 4

    9

    8

    3 8

    3

    5 4

    8

    9

    2

    이아 깨 껴 껴 U%

    잉ω 잉ω 잃 없 mw % mJ

    you

    him

    not

    there

    man

    when

    their

    from

    one

    or

    all

    잃 앓 잃 tω 잉ω 원 %ω m엉 때 쇠 쟁 경

    woman

    표 1에서 naked를 중심으로(‘-----’으로 표시된 부분) +1 위치에 있는 단어들,

    즉 naked의 바로 뒤에서 함께 쓰이는 단어가 어떤 것들인가에 초점을 두고 살

    펴보면 and, to, in, on, as, eye, body, man, woman 등이 빈도수가 높게 나타

    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여기서 eye의 경우를 보면, naked의 +1 위치에서 150번,

    그리고 -2 위치에서 2번 쓰였고 다른 위치에서는 한번도 나타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body, man, woman의 경우에도 이 단어들이 다른 위치보다 naked의

    +1 위치에서 현저하게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 naked와

    eye, body, man, woman의 사이에 어떤 특별한 관계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반면에 and, to, ìn, on, as의 경우는, 이 단어들이 naked의 +1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에서도 빈도수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이 단어들이 어떤 특정

    한 위치에서 naked와 특별한 관계를 갖는다고 말할 수 없다. 그래서 eye,

    body, man, woman 등의 단어들만이 naked의 +1 위치에서의 연관어 (collo

    cate)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영어가 모국어가 아년 사람(non-native

    speaker)들에게 약간 의외라고 할 수 있는 점은 위의 네 단어 중 eye의 빈도수

    가 가장 높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한가지 덧붙이자면, eye의 복수형인 eyes는

    naked와 함께 잘 쓰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3.3. naked eye의 연관관계 유형 Ccollocational pattern)

    다음으로 naked eye의 연관관계 유형 (collocationa1 pattem)을 조사하여 보자.

    표 2는 naked eye의 주위에서 쓰이는 단어들의 빈도수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우리가 중점을 두고 살펴보아야 할 내용은 naked eye의 왼쪽 위치에서, 즉

    naked eye의 앞에서 쓰이는 단어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 단어들이

    naked eye의 유의 한 연관어 (significant collocate)가 되 는지 의 여 부를 알아내고,

    연관어들이 있다면 어떤 연관관계 유형을 형성하는지를 밝혀내는 일이다.

  • 혁 권 172

    7 3

    1

    4 0

    0

    2 1

    0

    4-4-o

    1

    6-o

    1

    0

    O O

    O

    9

    3

    2 7 1

    2 5 4 1

    2 3

    0

    2 2 0

    1

    0

    0

    14

    2

    표 2. naked eye의 연관어 (collocates) 의 빈도수 분포

    업 3

    1 5 0

    m-。7-o

    4-2

    0

    1 2 o o g o --

    -0

    1

    2

    0

    객 2

    1

    0

    4 0

    0

    0

    0

    0

    0

    1

    0

    0

    0

    앨 。O

    O O

    O O O O

    O 36

    0

    o o o o 1 0

    0

    O

    꼬 윌 O o o o o o 1

    0

    0

    0

    0

    o o o g o l

    O O

    4 0

    쟁 O

    O 2

    1

    0

    0

    꼬 O

    O

    g

    괴 O

    O

    O 5-

    1

    o m n o 2 8--

    객 0

    1

    0

    3

    0

    4 0

    1

    0

    8-o

    0

    1

    5

    m-14

    2 5 4 3

    1

    0

    0

    6-2

    o o o o o 1

    펴 잃 %

    X%

    뼈 mω m“ mω η mm

    M

    퍼 퍼 mμ mμ mι H m m m

    1 the

    2 with

    3 to 4 is 5 visible

    6 and

    7 are 8 it

    9 be

    10 in

    11 a 12 invisible 13 not

    14 of

    15

    16 seen

    17 but

    18 by

    19 easily

    20 even

    see

    먼저 naked eye의 바로 앞(-1)에서 쓰이는 단어로는 the (빈도수 : 143), a (빈

    도수: 3), by (빈도수:1)가 있는데, 이들 중 the의 빈도수가 143으로 압도적으

    로 많으며, 부정관사인 a도 3번 쓰였다. 여기서 우리는 naked eye는 주로 정관

    사 the와 함께 쓰인다는 사실에서 정관사 the가 naked eye의 -1의 위치에서

    상당히 유의한 연관어 (significant coll∞ate)임을 알 수 있다.7

    다음은 naked eye의 두 단어 앞( -2)에서 쓰이는 단어를 알아보자. 위의 표에

    서 볼 수 있는 단어로는 with (빈도수 : 75), to (빈도수 : 54), in (빈도수 : 1),

    by (빈도수 :9)가 있는데, in의 경우에는 -2의 위치에서 한 번밖에 나타나지

    7 엄밀한 의미에서의 연관관계 (colIocation)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확률 을 통계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에 the, of, and와 같이 빈도수가 아주 높은 단어는 연관어 (collocate)로서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의 연관관계는 the naked eye 의 경우에서 처럼 naked eye가 the와 함께 주로 쓰이연 the와 naked eye는 연관관계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연관관계(collocation)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t-score, z-score, MI-score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인 WordSmith에는 위의 측정치를 보여주는 기능이 없어서 이 통계수치를 구할 수 없다.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oIlocation)를 중심으로 173

    않으므로 유의 한 연관어 (significant colIocate)가 되 지 않는다. With, to, by의 경우에는 이 단어들이 다른 위치보다-예를 들면, -1, -3, -4, +1 , +2--특별히 -2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naked eye와 상당히 유의한 연관

    어 (significant colIocate)가 된다. 그리고 세 단어의 품사가 모두 전치사라는 공

    통점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with!t이by the naked eye라는 연관관계(collocation)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은 naked eye의 세 단어 앞( -3)에서 쓰이는 단어를 알아보자. 위의 표에

    서 나타나는 단어로는 to (빈도수 : 4), visible (빈도수 : 43), it (빈도수 : 2), be

    (빈도수 1), invisible (빈도수 : 13), see (빈도수 : 8), seen (빈도수 : 10)가 있 는데, 이 중에서 -3의 위치에서 naked eye와 유의한 연관어 (significant colIo-

    cates)로는 visible, invisible, see, seen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네 단어들의 공통점은 의미가 지각현상과 관련있는 단어들이다. eye라는 단어

    가 지각현상과 관련있는 단어이므로 당연히 그와 관련있는 단어들과 함께 쓰일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코퍼스를 이용한 자료분석은 우리가 직관으

    로 알 수 있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게 해주거나 또는 직관만으로 알아내기

    어려운 많은 사실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지각현상과 관련있는

    단어 는 무수히 많은 데 naked eye의 -3 위 치 에 서 유독 visible, invisible, see,

    seen 등의 단어들이 가장 많이 쓰인다는 사실은 언어에 대한 지식이나 감각이 뛰어나지 않으면 직관만으로 알아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지금까지 위에서 분석한 naked eye의 -1 , -2, -3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연관

    관계 유형을 다음 표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3. naked eye의 연관관계 유형 (collocational pattern)

    3 -2 -1 node word

    visible to

    invisible by the naked eye

    sæ with

    sæn 」

    위의 표에서 정리된 naked eye의 연관관계 유형에서 문법적, 의미적으로 가능

    한 연 관관계 를 찾아보면 visible to the naked eye, visible with the naked eye,

    invisible to the naked eye, see with the naked eye, seen by the naked eye,

    seen with the naked eye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통계수치를 통해서

    naked eye의 연관관계를 추론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는데, 연관관계를 찾는

    다른 검색방법으로는 부록에 있는 naked eye의 어구색인(concordances)을 이용

    하는 것이다. 부록에서 볼 수 있듯이 naked eye의 어구색인은 쿄퍼스에서

    naked eye가 쓰인 예를 모두 검색하여 예문을 문맥과 함께 제시하여 주기 때

    문에 naked eye의 연관관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174 권 혁 숭

    3 .4. naked eye의 어구색인 (concordances)

    어구색인( concordance)이란 최근에 생긴 컴퓨터 용어가 아니다.8 이미 오래전

    부터 한 작가의 글이나 문학작품에서 주제별로 색인을 만들어 텍스트내에서 주

    제어와 관련된 어구를 모두 찾아 나열한 어구색인집이 만들어졌었다. 1736년에

    출판된 성경(흠정역성서)으로 만든 어구색인집이 가장 오래된 예이다.9 이후 셰

    익스피어의 작품으로 만든 어구색인집도 만들어졌다. 당시의 어구색인집은 모

    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컴퓨터는 전산문

    헌텍스트로부터 어구색인을 만드는 작업을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가

    능하게 만들었다.

    표 4는 naked eye의 어 구색 인(concordances)을 위 의 3.2의 표 3에 서 분석 한 유

    형별로 부록에서 선별한 것이다.

    표 4. naked eye의 어구색인 샘플

    r 빠 뼈 빠

    때 뼈 따

    떼 따 뻐

    r s N 없

    ‘m

    o e y

    m m “ 따 이 -띠

    따 때 빠

    ‘ ku “m n3

    e e e

    앙 앙 안

    해 .어 려

    때 때 뼈

    e e e

    대 애 m

    y y y

    LU

    ·b ’o 뼈

    없 없

    ι잉 Lm .R

    WF

    m

    ’ m

    때 뼈

    때 때 삐

    ’ m

    “ ·댐

    m “ 」m

    ”@

    R

    m

    샤ν

    %

    a i h

    *L

    Lu

    s

    ”이 야 야

    때 빼 빼

    ”U mm

    r y

    앓 떼

    p t ”

    a m 삐

    “ ’ ·l

    m h

    w” v-vt

    g

    때 빼

    r n 피 얹

    a

    때 y

    n n m

    % ‘m

    W a H

    e e e

    망 앙 망

    .얹 혀 .때

    때 빼 빼

    e e e

    m m m

    o o nv

    t t t

    e e e 빼

    빼 빼

    m m

    ’ m 뼈 써

    %

    ““ U

    짧 찌

    e p

    뼈 않 앉

    ’ m

    ι…

    뼈 %

    웠 빠 뼈

    “ M 때

    때 빼

    o d a

    q니 eo ’t

    3 3 3

    ‘떼

    m

    때 빠 뼈

    & ·m ““ 뼈

    뼈 때

    h

    앤 앙

    m

    대 k

    s e

    뼈 따 싸

    f

    앙 e

    」uLn

    L“ 때 T T

    e e e

    앙 앙 망

    셔야 ,잉 셔m

    뼈 뼈 뼈

    e e e

    대 m 배

    Q

    O o

    t t t

    e e e 빼

    빼 빼

    m …’ 빠

    ·j

    w j

    gu

    샤μ ’샤

    바 떼 W빼

    뻐 m

    e h

    a m e

    때 ’ 대

    바 빼 때

    ,

    …… %

    ιm

    e

    --

    …w v·s

    m

    뻐 ” 태 d ””

    % %

    m

    얘 m

    y %

    Lu

    ,‘”“ LU

    뻐 …m M

    o o y

    t W

    j대

    뼈 빠 뼈

    r‘ ‘ . nr

    따 짜 뼈

    : l

    뼈 때 뼈

    t l

    l um

    ‘ m

    e e e

    야 앙 앙

    여 ‘잉 .어

    때 빼 때

    e e e

    대 ι… 대

    빼 빼 빼

    댔 쨌 쨌

    t t t

    k t t

    ·떼버

    m *… @… f‘ 」uAu

    짧 뼈

    M

    뼈 m

    l u m

    nν 끼U

    .뻐

    ?μ 빼

    래 쩌 ’

    야 m 빼

    t… 원 떠

    ’l ga

    n y -o

    뼈 m 뼈

    ””따 빼

    ”때 」싫

    m%

    m h

    h Q

    m

    a 빠 뼈 뼈

    mu

    ·써 P

    터 내 없

    m

    ιM 잉

    A

    ιn π…

    e e e

    앤 앙 ””

    때 ,잉 .때

    뼈 빼 빼

    e e e

    대 애 애

    빼 빼 빼

    뼈 %

    ‘않 아

    L@

    m

    때 때

    ’빠

    때 때

    f

    빼 y

    때 %

    싫 빼

    nr 띠 e m

    b

    대 e

    ·r t o a

    s t

    e

    s

    % ·m

    샤ω “ e

    m

    빼 빠

    M m… …ω 앤

    ι”

    %

    m 타 a %

    b ’d

    t

    m %

    m

    3얘 따

    Ju

    r s 빼

    빼 빼

    au LU

    0-

    e ·o e

    m m n…

    ’ ’

    e e e

    잉 앙 앙

    .때 ,잉 ‘얹

    뼈 빼 때

    e e e

    샤씨 에 m

    빼 빼 써

    e e e

    베 베 페

    ωQ ‘대

    ‘”

    v v v

    v“ v-y

    l --원

    때 싸 때

    --a

    ) ι ) m

    4 6

    3 t

    e

    r

    (

    m 찌 뿜

    a l

    m

    ιr

    m

    이 O

    냐 ·이 띠

    ’ t

    m mM

    naked eye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어구색인을 이용하면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통계수치가 낮아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연관어들 사이의

    관계도 찾아낼 수가 있다. 즉, 본 논문의 부록에 있는 naked eye의 어구색인을

    자세히 조사하면 -3의 위치에 나타나는 단어들이 표 3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8 Sincl밍r(1991: 170)는 ‘어구색인이란 한 텍스트내에서 단어에 대한 색인이다(A concordance is an index to the words in a text.l’라고 정 의 한다.

    9 Alexander Cruden은 흠정역성서 (Authorized Version of the Bible)로 어구색인집인 αmplete Concordance to the Old α1d Neω Tes따ments를 1736년에 출판하였다. 이 어 구색인집은 성서의 주요한 내용어 (content words) 외에 how, he, between과 같은 기능 어 (function words)와 how long, how many, how often과 같은 연관관계(collocation)도 포함하고 있다.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 collocation)를 중심으로 175

    단어 (visible, invisible, see, seen) 외 에 도 detect, detectable, undetectable, dis

    cern, discernible, identified, identifiable, unnoticed, noticeable, obvious, viewed

    와 같은 단어들이 더 많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단어들은 모두 ‘시각’

    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10 여기에서 우리는 연관관계가 단지 특정한 어휘

    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의미선택(semantic preference)관계도 포함할 수 있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위에서 naked eye의 연관관계와 관련된 어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해 naked eye의 연관어(collocates)의 좌, 우 각 위치에 따른 빈도수 분포를 통

    한 통계적 기법과 어구색인을 사용하여 실제 문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방

    법을 이용하였다. 어휘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통계적

    수치를 먼저 파악한 다음 어구색인을 이용하여 실제 문장을 보면서 분석하는

    편이 효율적일 경우가 많다. 즉, 규모가 큰 코퍼스를 사용할 때 검색하는 단어

    에 따라서 수 천에서 수 만행에 이르는 어구색언을 컴퓨터가 출력해 낼 경우가

    있는데 이 단어의 연관관계를 어구색인만으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

    다 11 이 경우에는 어휘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능률적이다

    4. 결론

    위에서 아주 간단한 어구인 naked eye를 예로들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영

    어사전에서 얻올 수 있는 정보가 무엇이며 거기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사전을 이용하는 많은 영어학습자들이 사전을 맹신하는 경향이 있

    기 때문에 사전이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평변적이고 암기식으로 밖에 될 수 없는 사전이나 문법

    서에 의존하는 영어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코퍼스 사용의 장

    점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다루지 않았지만 영어교육에 있어서 코퍼스를 사용

    10 코퍼스를 이용하여 단어의 용례나 어법을 찾으면 우리의 영어에 대한 지식이나 직관 과 다름이 없은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코퍼스가 유용하지 않다는 결 론에 도달하기 쉽다. 코퍼스 분석의 결과를 보고 우리의 직관을 확인하는 일은 쉽지만 직관만으로 naked eye의 3 위치에서의 연관어를 모두 찾아내기는 쉽지 않다. 또 한가지 코퍼스 사용의 장점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언어에 대한 직관과 실제 용법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코퍼스 자료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1 예를 들어, eyes의 연관관계나 어법을 British Nationa1 Corpus를 통해 찾는다고 가 정하자. British Nationa1 Corpus에서 eyes의 빈도수가 29,700이므로 eyes의 어구색인 또 한 29,700행이 되는데 이를 통계수치의 도움없이 분석하는 일은 매우 비능률적이며 거의 불가능한 작업이다.

  • 176 권 혁 숭

    하면 그 교육 효과가 상당히 크다고 코퍼스를 이용한 영어교육을 연구하는 학

    자들은 말한다.12 코퍼스를 이용하여 찾는 단어나 어구에 관한 여러가지 통계

    자료 및 어구색인을 분석함으로써 영어학습을 좀 더 입체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장 시간은 더 걸릴지라도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이나 학

    습효과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코퍼스를 사용하는데에 가장 큰 걸림돌은 ‘어떻게 좋은 코퍼스를 구할 수 있 을까?’ 하는 문제인데 많은 코퍼스(예를들어 , The Bank of English)나 전산문

    헌자료(예를들어, 신문 또는 잡지)들은 적지않은 비용을 들여 구입하거나 사용

    료를 지불해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The British National Corpus는 인터넷

    에서 무료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을 사용하는데에 드는 비용만 지불

    하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또 인터넷에는 현재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전산

    문헌자료가 많이 있고 앞으로는 이 런 종류의 자료가 더 다양하고 풍부해질 것

    이므로 개인이 자료를 모아 코퍼스를 구축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12 코퍼스를 이용한 언어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자들의 학술모임인 Teaching and Lar땅uage Corpora 학술대회가 영국에서 1994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었다. 이 모임에서는 영어를 비롯한 세계 각 언어의 교육에 코퍼스률 이용하는 최신 기법, 교육 현장에서의 사례, 소프트웨어의 개발 퉁이 활발하게 논의된다.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coIIocation)를 중심으로 177

    참고문헌

    Aston, G. and L. Bumard (998) πze BNC Handbook,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Bambrook, G. 0앉}6) Langl.따'fJe and Computers,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Firth, ]. R. (1957) ‘A synopsis of linguistic theory 1930-1955,’ Studies in Linguistic Anaψsis (Specia1 volwne of the Philologica1 Society, 1957) in F. R. Pa1mer, ed. 0968: 168-205).

    Kennedy, G. (1998) An lntroduction to Corpus Linguistics, London an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Krishnamurthy, R. (1996) ‘The data Ís the dictionarγ Corpus at the cutting 려ge of lexicography', Papers in Computationa1 Lexicography COM-PLEX ’96, Budapest,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Leech, G. (1991) ‘The state of the art in corpus linguistics', English Corpus Linguistics: Studies in Honour cf Jan Svartvic, London, Longman.

    McEnery, T. and A. Wilson (996) Corpus, Linguistics, Edinburgh, Edinburgh U띠versity Press.

    Sinc1air, ]. (991) Corpus, Concordance, Collo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Corpus evidence in language description', Teaching and Langl.따!ge Corpora.

    Wichman, A., S. Fliegelstone, T. McEnery and G. Knowles, eds. (997) Teaching and Lan밍띠'fJe Corpora, Harlow, Addison Wesley Longman.

  • 178 권 혁 숭

    부록 1. naked eye의 어구색인 (자료: British National Corpus)

    h Ophiuchus in DUr morning sky , perhaps to become a naked eye object before it dips too far south t。2 me from the reception. so that was a na er that was a naked eye examination ? Well we know that from 3 hall and this row of shops and could read more wi th a naked eye. lt is I ikely that this 4 r &bquo new &equo stars , that flared up to just below naked eye visibi lity were being missed bν 5 single gland adenomas. which could oot be detected by naked eye , ‘ ere easi ly recognised under the 6 Saigon sometime after lunch tomorrow. &Quot With his naked eye Joseph had glimpsed onJy a faint 7 s 01 insect flesh 뼈dash no thicker than a hair to my naked eye , but obviously larger than life t。8 ges when it is eliminated? Technical problems To the naked eye the brain has a disturbingly 9 ight wi th 60000 t imes the Sun ’ s luminosity. With the naked eye , the colour-difference is very

    10 's Sword , containing the Great Nebula , M42 , With the naked eye M42 is visible as a misty patch , 11 me scale , the Sun IS magnitude is about -26. With the naked eye , or with hinoculars ‘ it is 12 rnell ’ s fingernails. Certainly it does as far as the naked eye is concerned. There are four 13 ition you ’ re looking at. If you can just look at the naked eye appearance and choose three 14 rocessor you ’ ve actually got. it ’ 5 hard to beat the naked eye on to your second question , 15 ze of smal1 1 ight sources is accurately gauged by the naked eYe. Modern theory can offer some 16 the distance. Soon it could no longer be seen by the nak:ed eye , but the professor continued to 17 e under high magnification and can not be seen by the naked eye. Most of the incisors remained 18 suckers , have a reddish colour and can be seen by the naked eye. Superfami Iy STRONGYLOIDEA There are 19 t an animal so small that i t could n ’ t be seen by the naked eye could die mi 11 ions of years ago 20 sms. that is zooplankton of a size easi Iy seen by the naked eye ‘ Above: An At 1 ant i c Trumpet 1 i sh 21 of petal format íon and patterns not often seen by the naked eye. Flowers such as the ox-eyed 22 ew the position of most stars that can be seen by the naked eye. Following the inroads made by 23 rs and the fact that Mars and Venus. as viewed by the naked eye , do not change size appreciably 24 f them are within the range of binoculars or even the naked eye. Probably the most famous of all 25 bacteria that inhabit worlds normally hidden from the naked eye. ln recent years first electrons 26 retentious pair of shades. I look her straight in the naked eye. And Iook again. And yet 27 s , at a n

  • 사전과 코퍼스: naked eye의 연관관계(coIlocation)를 중심으로 179

    76 i les. Most of the other stars that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1 ie within a few hundred 77 . A microscope. Vis , only visible. oot visible to the naked eye. Look 8t this. Eyes undressed 78 n. Th is blood-sucking abomasal parasite. which to the naked eye is indístinguishable from H. 79 look like miniature white maggots when viewed via the naked eye. it is a member of the Copepod 80 edy ). But the loss of these marine plants , which the naked eye may hardly perceive. would spel1 the 81 isen aloft , a mu Jt itude of doves &mdash And. with the naked eye , vouchsafed visions: W 82 er. The names of the shops can be read -some with the naked eye , others only under magnification. 83 the Greeks were certainly able to see Merope with the naked eye , whereas today this is virtually 84 ’ m now seeing detai I that 1 never saw before with the naked eye. At the moment it ’ s mainly gall 85 een-sighted people C3n di5tinguish them both with the naked eye. 1 am not sure that 1 can do 50. 86 seamless sliding doors , impossible to detect with the naked eye and only capable of being activated 87 s the magnitude is above 6. it is detectable with the naked eye under very good conditions , but it 88 0-3.0 cm long which are difficult to discern with the naked eye as they are embedded in lung 89 thern United States. It is dimly discernible with the naked eye between Eta and Zeta. 90 ave never seen any colour in Canopus. either with the naked eye or with optical aid; to me it looks 91 gh 1 have never seen any colour in it either with the naked eye or with binoculars. Algo l. the 92 rs , and the orange colour is noticeable even with the naked eye. 꺼1eta ( 3.6 ) and Eta make up a 93 elig are noticeable with binoculars. or even with the naked eye. at the time of eclipse; Eta 94 f the whole Cloud and can be identified even with the naked eye: it is the largest known diffuse 95 36 days. lts orange colour is Quìte evident wìth the naked eye. and strìking ìn binoculars. 96 Vulpecul&ael ig. 까le c1 uster is identifiable with the naked eye , and is clear with binoculars. 97 uch looser system. Some observers can see it with the naked eye under ídeal conditions. though 1 98 cluster M2. 1 have never been able to see it with the naked eye ( as some observers claim to have 99 underdrawing on the paint ing ’ s surface just wi th the naked eye ’ &eQuo One of Ai nsworth ’ 5 and

    100 type star. whose orange colour is noticeable with the naked eye and unmistakable in binoculars: 101 but we do not have to make our observations with the naked eye and there a

  • 180 권 혁 숭

    ABSTRACT

    Dictionaries and Corpora:

    a case study of the collocational pattern ‘ naked eye'

    Heok-Seung K won

    The p따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using a representative corpus of natura1 language can provide better answers to questions about specific 없19uage usage than any published dictionary-for example, bilingual dictionaries, native-speaker dictionaries, and learner’s dictionaries. With an example of the phrase ‘naked eye,’ the paper comI갱r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ictionary entry with that of a corpus, ca1led the

    British National Corpus (100 million words). Access to the corpus facilitates the statistica1 eva1uation of disputed usage and revea1s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concordance and collocation of the linguistic items being searched, and exposure to corpus data makes our línguistic knowledge about those items much richer and deeper. The paper wil1 머so show that the actual process of consuIting a corpus is in itself a language learning lesson

    of enormous va1ue.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전자우편 [email protected]

    사전과 코퍼스1. 서론2. 사전이 주는 정보3. 코퍼스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4. 결론참고문헌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