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2
27 2 , 113-133, 2009. * ** , . 1~2 , , . ’, ‘ , . , . , . , . ž 1 , , . : , , : 2009/09/14 : 2009/10/05 : 2009/10/06 * ** (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7-Ju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한국교육문제연구소

제27권 제2호, 113-133, 2009.

청소년의학교주변먹거리이용및

식품안전성교육실태

손 세 진* ․ 김 현 지**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실태와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청소년들은 주로 ‘주1~2회’ 하교 시간에 슈퍼와 편의점에서 친구와 함께 먹을거리를 구매하

고 있었으며, 주로 빵과 스낵, 아이스크림 등의 가공식품을 선호하고 있었다. 많은 청소년들

이 ‘배가 고파서’, ‘맛있어 보여서’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학교주변 먹거리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

고 있었고, 특히 문방구에서 불량식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을거리

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는 주로 친구들로부터 얻고 있었으며, 친구의 영향을 받아 먹을거리

를 구매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나, 많

은 청소년들은 식품 안전성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들은 주로 학교에서 가정ž기술

교사에 의해 ‘월 1회’ 정도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교육을 통해 먹을거리

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실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주제어: 식품 안전성 교육, 먹거리, 청소년

논문 접수: 2009/09/14 수정본 접수: 2009/10/05 게재 승인: 2009/10/06

*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박사수료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석사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14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I. 서 론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성장과 발달이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생애 어느 때보

다 에너지와 영양소 필요량이 높다 (Spear BA, 2002;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 2005). 또한

청소년기에 형성된 식습관과 기호도는 성인기의 식행동에 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기

에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과 올바른 식습관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경우 과중한 학업생활과 바쁜 학습일과로 인하여 학교와 학

원 등에서 지내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집 밖에서 또래들과 어울리며

스스로 먹을거리를 선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박인자 외, 2009). 또한 급속

한 경제 성장과 여성의 사회 활동으로 인한 가사기능의 약화,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청

소년들의 식습관 및 간식 섭취 행태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많은 연구들에 의하

면, 식사시간의 불규칙, 아침 결식, 편식, 과식, 외식,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증

가 등이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점으로 보고되었으며, 간식으로 과자류와 고열량 패스트푸드,

당질 위주의 탄산음료를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주원 외, 2001; 송윤주 외,

2006; 김복희 외, 2008). 여학생의 경우에는 외모와 체형에 대한 지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잘

못된 식이조절과 체중조절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김영신 외, 2004; 김지연

외, 2009).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영양섭취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단백질, 인, 나트륨, 티

아민 등은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는 반면, 성장에 중요한 칼슘과 철 등은 권장

섭취량 이하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7). 특히 칼슘은

권장섭취량의 49.3%에 불과해 심각하게 부족한 실정이었다. 청소년기의 잘못된 식행동은

영양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으며, 영양 불균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신체 발달이 이루어지

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조정인 외, 2008).

학교주변의 문구점, 소규모 상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먹을거리들은 냉장고나 식품 보

관대 등의 위생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채 조리되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위

생상태가 좋지 않으며, 값싸고 질이 낮은 원료를 사용하여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제품들이

유통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낮다 (하상도, 2006). 그러나 청소년들은 값싸고 화려한 색

상이나 독특한 모양, 외부적으로 예쁘게 포장된 제품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식

품표시나 식품 안전성과 관련된 사항들을 염두에 두지 않고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는 실

정이다 (이소희, 1999). 또한 학교주변에서 판매되고 있는 먹을거리들은 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지 않은 채 칼로리만 높기 때문에, 과량 섭취

시 체중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식욕을 감퇴시켜 정규 식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우려

Page 3: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15--------------------------------------------------

가 있다 (김동순, 2001).

최근에는 식품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식품 안전 관련법도 갈

수록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들을 부정ž불량식품으로부터 보호하고, 식품안전 의식

을 고취시키기 위해 2005년 ‘얘들아! 이런 것이 불량식품이래!’라는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어린이 다소비 식품 및 식사대응 식품을 중심으로 영양표시 대상 식품이 확대되었다. 또한

정부는 2007년을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의 해’로 정하여 어린이의 건강 및 식품안전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으며, 2008년에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여,

학교와 그 주변지역에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이 유통, 판매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식품과 단체급식 위생 및 영양수준을 철저히 관리하여 유해성분, 식

중독, 비만 등으로부터 어린이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과 정책은

아동들에게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며,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외식이나 패스트푸드 이용

실태 등 식생활 문제점을 파악하는 연구들 또한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

분이었다 (조정인 외, 2008; 최미자 외, 2007; 김인숙 외, 2005).

청소년들의 자율적인 의지에 의한 먹을거리 선택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바람직한 식습관 확립이 꼭 필요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식품 안전성 교육

이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주변의 먹을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

요성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식생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건전한 식생활을 실천하여 올바른 식습관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

다.

Ⅱ. 연구 방법

1. 조사대상자 및 기간

본 조사는 2008년 3월 17일에서 25일까지 서울 지역 8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ž녀 학생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2008년 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중학생 90명을 대

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설문지의 일부 문항을 수정ž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총 829부(남자 339부, 여자 49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Page 4: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16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성별남자 339(40.9)

여자 490(59.1)

학년

1학년 204(24.6)

2학년 320(38.6)

3학년 305(36.8)

2. 조사대상자 분포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표 1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이 40.9%(339명), 여

학생이 59.1%(490명)이었으며, 학년별 분포는 중학교 1학년이 24.6%(204명), 2학년이

38.6%(320명), 3학년이 36.8%(305명)이었다.

<표 1> 조사대상자 분포

N(%)

3.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 및 구매 이유, 먹을거리에 대

한 인식, 식품표시 확인 정도,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

요성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사항으로는 성별과 학년을 조사하였고,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

하여 먹을거리 구매 횟수, 구매 시간, 구매 장소, 먹을거리 구매 시 함께 이용하는 사람, 하

루 평균 먹을거리 구매비용, 학생들이 자주 구매하는 먹을거리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이유를 조사하였으며, 먹을거리에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먹을거리 안전성 여부, 학교주변 불량식품의 판매 정도 및 주된 판매처,

먹을거리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곳과 먹을거리 구매의 주된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

다. 또한 먹을거리의 식품 표시 확인 정도를 조사하였다.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육 실시 여부와 실시 횟수를 조

사하였으며,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을 실시

해야 하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품 안전성 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

하여 바람직한 식품 안전성 교육 기관, 교육 실시 시 적합한 담당자와 바람직한 횟수를 조

사하였다.

Page 5: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17--------------------------------------------------

4. 자료 처리

본 조사의 모든 자료는 SAS(ver.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설문의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통계적 유의

성에 대한 검증은 chi-square test를 통해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1.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

가.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

학교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2와 같다.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

매하는 횟수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33.4%가 ‘주 1-2회’ 구매하였으며, 26.6%가 ‘거의

구매하지 않는다’, 25.3%가 ‘주 3-4회’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거

의 구매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주5~6회’

구매한다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은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

구에서도 ‘주 3회 미만’으로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박송미, 2006; 이

은주, 2008)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시간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73.6%가 하교시간에

구매하였으며, 14.5%가 등ž하교 시간에, 11.9%가 등교시간에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학생의 경우 등교시간과 하교시간에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

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등ž하교 시간에 구매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도 청소년들의 경우 하교 후에 먹을거리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서지영, 2008; 오미란, 2005; 정혜진 2008; 홍승희, 2007).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주로 구매하는 장소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33.5%가 슈퍼라

고 응답하였으며, 편의점(26.2%), 분식집(16.6%), 문방구(12.3%), 노점상(3.3%). 패스트푸드

점(1.0%) 순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도 슈퍼에서 먹을거리를 구매 하는 청소년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지영, 2008; 이은주, 2008).

남학생의 경우, 슈퍼, 편의점, 노점상, 패스트푸드점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

으며, 여학생의 경우 분식집, 문방구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Page 6: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18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할 때 함께 이용하는 사람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92.1%

가 친구와 함께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였으며, 혼자서(4.0%), 형제ž자매와 함께(1.8%)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평균 먹을거리 구매에 사용하는 금액은 조사대상자의 56.4%가 학교주변 먹을거리

를 구매하기위해 ‘500~1000원 미만’의금액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30.2%가 ‘1000~2000원 미

만’의 금액을 사용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500원 미만’, ‘500~1000원

미만’의 금액을 사용하는 비율은 남학생이 더 높았으나, ‘1000~2000원 미만’과 ‘2000원 이상’

의 금액을 사용하는 비율은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도 중

학생의 68%가 일일 평균 먹을거리 구매에 1000원 미만의 비용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

어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하였다 (오미란, 2005).

나. 학교주변 먹을거리 선호도

조사대상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학교주변 먹을거리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24.3%가 빵을 자주 구매하고 있었으며, 스낵(16.5%), 아이스크림(16.5%), 떡

볶이(16.1%), 껌(10.9%), 사탕(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빵(25.3%), 아이

스크림(18.2%), 스낵(13.9%), 껌(13.3%), 떡볶이(10.5%) 등의 순으로 자주 구매하고 있었으

며, 여학생의 경우 빵(23.6%), 떡볶이(19.8%), 스낵(18.2%), 아이스크림(15.3%), 껌(9.3%)등

의 순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ž녀학생들이 각각 자주 구매하는 학교주변 먹을

거리 5가지의 종류는 같게 나타났으나, 남학생의 경우 아이스크림을 구매하는 비율이 여학

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떡볶이와 스낵을 구매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

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오미란 (2005)의 연구에서도 중학생들이 스낵, 아이스크

림, 떡볶이, 빵 등을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하였다.

빵과 스낵, 아이스크림 등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간식에는 당분과 염분, 지방이 많고, 특

히 트랜스지방이 많이 함유되어있다. 청소년들은 전체 에너지의 1/4~1/3 가량을 간식에서

섭취할 정도로 간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청소년들이 쉽게 구매하여 먹을 수 있는

먹을거리들은 주로 과자류, 스낵류, 청량음료류 등으로 당분이나 염분이 많고, 에너지 밀도

가 지나치게 높은 것들이다 (이연숙, 2007). 에너지 외에 다른 영양소의 밀도가 낮은 식품

을 자주 섭취하게 될 경우, 영양 과다섭취(비만)와 영양섭취 불량(영양 결핍) 등의 영양 불

균형이 초래 될 우려가 있다 (성미경 외, 2003).

Page 7: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19--------------------------------------------------

구분 남자 (n=339) 여자 (n=490) 전체 (n=829)

구매 횟수

거의 구매하지 않는다 107(31.8) 112(23.1) 219(26.6)

주 1~2회 먹는다 107(31.8) 168(34.6) 275(33.4)

주 3~4회 먹는다 93(27.6) 115(23.7) 208(25.3)

주 5~6회 먹는다 22(6.5) 62(12.8) 84(10.2)

매일 먹는다 8(2.4) 29(6.0) 37(4.5)

x2=31.811**

구매 시간

등교시간 39(12.8) 54(11.3) 93(11.9)

하교 시간 235(76.8) 342(71.6) 577(73.6)

등ž하교 시간 32(10.5) 82(17.2) 114(14.5)

x2=6.783*

구매 장소

슈퍼 134(41.5) 132(28.0) 266(33.5)

노점상 12(3.7) 14(3.0) 26(3.3)

문방구 38(11.8) 60(12.7) 98(12.3)

분식집 34(10.5) 98(20.8) 132(16.6)

편의점 84(26.0) 124(26.3) 208(26.2)

패스트푸드점 6(1.9) 2(0.4) 8(1.0)

기타 15(4.6) 42(8.9) 57(7.2)

x2=31.811***

혼자서 16(5.0) 16(3.4) 32(4.0)

먹을거리

구매 시

동반자

친구 286(89.7) 448(93.7) 734(92.1)

형제ž자매 8(2.5) 6(1.3) 14(1.8)

부모님 2(0.6) 6(1.3) 8(1.0)

기타 7(2.2) 2(0.4) 9(1.1)

x2=9.475

500원 미만 31(9.4) 26(5.4) 57(7.0)

하루 평균

먹을거리

구매비용

500~1000원 미만 205(61.9) 256(52.7) 461(56.4)

1000~2000원 미만 81(24.5) 166(34.2) 247(30.2)

2000원 이상 14(4.2) 38(7.8) 52(6.4)

x2=17.637**

<표 2> 학교 주변 먹을거리 이용 실태

*p<.05, **p<.01, ***p<.0001

Page 8: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20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표 3> 학생들이 자주 구매하는 학교주변 먹을거리

종류 남자 (n=339) 여자(n=490) 전체(n=829)

빵 82(25.3) 114(23.6) 196(24.3)

케이크 2(0.6) 2(0.4) 4(0.5)

비스켓 6(1.9) 10(2.1) 16(2.0)

스낵 45(13.9) 88(18.2) 133(16.5)

사탕 12(3.7) 31(6.4) 43(5.3)

초코렛 4(1.2) 4(0.8) 8(1.0)

국수 2(0.6) 4(0.8) 6(0.7)

우동 0(0.0) 2(0.4) 2(0.3)

라면 31(9.6) 8(1.7) 39(4.8)

튀김 0(0.0) 4(0.8) 4(0.5)

떡볶이 34(10.5) 96(19.8) 130(16.1)

핫도그 0(0.0) 0(0.0) 0(0.0)

꼬치 2(0.6) 2(0.4) 4(0.5)

아이스크림 59(18.2) 74(15.3) 133(16.5)

팥빙수 0(0.0) 0(0.0) 0(0.0)

껌 43(13.3) 45(9.3) 88(10.9)

오징어 2(0.6) 0(0.0) 2(0.3)

쥐포 0(0.0) 0(0.0) 0(0.0)

x2=52.432***

*p<.05 **p<.01 ***p<.0001

2. 학교주변 먹을거리 구매 이유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이유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58.6%가 ‘배가 고파서’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맛있어 보여서’(23.2%),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7.6%)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분한 영양소 섭

취가 필요한 청소년기에 영양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먹을거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영양가가 높아서’ 먹을거리를 구

매하는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여학생의 경우 ‘배가 고파서’, ‘맛있어 보여서’, ‘가격이

적당해서’ 먹을거리를 구매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중학생의 식품선택 및 식품구매 실태에 대한 오미란 (2005)의 연구에서도 ‘배가

고파서’ 간식을 섭취하는 비율이 50.3%, ‘맛이 있어서’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각각

Page 9: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21--------------------------------------------------

22.7%, 9.3%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보고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도 중학생들의

50%가 배가 고파서 간식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맛을 고려하여 먹을거리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박송미, 2006; 조정인, 2008; 홍승희, 2007). 식품

은 다른 제품과는 달리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먹을거리를 선택

할 때에는 안전성과 영양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먹을거리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

한 먹을거리 선택을 위해서는 맛이 아닌 영양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지속적인 먹을거

리 교육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38.3%가

‘용돈이 부족해서’라고 응답했으며, 20.7%가 ‘위생적이지 않아서’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표 4> 학교주변 먹을거리 구매 이유

구분 남자 (n=339) 여자(n=490) 전체(n=829)

구매 이유

배가 고파서 169(55.1) 289(61.0) 458(58.6)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35(11.4) 24(5.1) 59(7.6)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 6(2.0) 8(1.7) 14(1.8)

맛있어 보여서 64(20.9) 117(24.7) 181(23.2)

영양가가 높아서 24(7.8) 12(2.5) 36(4.6)

가격이 적당해서 9(2.9) 24(5.1) 33(4.2)

기타 0(0.0) 0(0.0) 0(0.0)

x2=25.575**

구매하지

않는 이유

용돈이 부족해서 89(37.2) 122(39.1) 211(38.3)

위생적이지 않아서 50(20.9) 64(20.5) 114(20.7)

부모님이 싫어하셔서 16(6.7) 8(2.6) 24(4.4)

먹을 기회가 부족해서 36(15.1) 42(13.5) 78(14.2)

기타 48(20.1) 76(24.4) 124(22.5)

x2=6.779

*p<.05 **p<.01 ***p<.0001

3. 학교주변 먹을거리 안전성에 대한 인식

학교주변 먹을거리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70.4%

가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29.6%가 안전하다고 응답하였다(표 5). 학교주변 불량식품

Page 10: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22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의 판매 정도를 묻는 문항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46.5%는 불량식품이 ‘많이 존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매우 많이 존재한다’(27.4%), ‘보통이다’(22.6%)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불량식

품의 주된 판매처를 묻는 문항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77.5%가 문방구라고 응답하였으며,

슈퍼(12.5%), 노점상(6.1%)에서 불량식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주변 먹을거

리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곳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74.6%가 친구들이라고

하였으며, 12.3%가 신문, 잡지, TV라고 하였다. 친구들, 인터넷, 학교 선생님을 통해 먹을거

리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다고 응답한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신문,

잡지, TV, 부모님이라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주변 먹을거리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59.0%는 친구라고 응답하였으며, 학교주변의 먹을거리 판매자(15.8%), 부모님(14.8%) 순으

로 나타나 먹을거리 구매 시 친구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교

교육이 먹을거리 선택이나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율은 5.9%에 불과하였다.

친구와 학교주변 먹을거리 판매자가 먹을거리 선택이나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부모님, 학교주변의 먹을거리 판매자, 학교

교육, 신문이나 잡지, 형제ž자매가 먹을거리 선택이나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연구에서 청소년기는 학업생활과

바쁜 학습일과로 인하여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고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

에 따라 식행동에 있어 부모 보다는 또래집단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이 청소년들의 영양지식이나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다고 하였다 (고혜란, 2001; 박민경, 2002; 이은주, 2008; 한영실, 2005). 그러므로 식생활

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생활 교육이 학교에서 또래와 함께 이루어진다면 보다 합

리적인 먹을거리 구매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Page 11: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23--------------------------------------------------

구분 남자 (n=339) 여자(n=490) 전체(n=829)

먹을거리

안전성

여부

안전하다 109(32.3) 134(27.4) 243(29.6)

안전하지 않다 226(67.1) 352(71.8) 578(70.4 )

x2=8.007

학교주변

불량식품의

판매 정도

매우 적게 존재한다 4(1.2) 2(0.4) 6(0.7)

적게 존재한다 8(2.4) 14(2.9) 22(2.7)

보통이다 63(18.9) 122(25.2) 185(22.6)

많이 존재한다 156(46.9) 224(46.3) 380(46.5)

매우 많이 존재한다 102(30.6) 122(25.2) 224(27.4)

x2=7.419

학교주변

불량식품의

주된 판매처

슈퍼 48(14.6) 54(11.1) 102(12.5)

노점상 26(7.9) 24(4.9) 50(6.1)

문방구 244(73.9) 388(79.8) 632(77.5)

분식집 6(1.8) 2(0.4) 8(1.0)

편의점 2(0.6) 8(1.7) 10(1.2)

패스트푸드점 2(0.6) 4(0.8) 6(0.7)

기타 2(0.6) 6(1.2) 8(1.0)

x2=12.130

먹을거리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곳

신문, 잡지, TV 44(13.4) 56(11.5) 100(12.3)

인터넷 13(4.0) 32(6.6) 45(5.5)

학교 선생님 4(1.2) 14(2.9) 18(2.2)

친구들 238(72.3) 370(76.1) 608(74.6)

부모님 20(6.1) 6(1.2) 26(3.2)

기타 10(3.0) 8(1.7) 18(2.2)

x2=22.009**

먹을거리

구매의 주된

영향 요인

친구 169(51.4) 308(64.2) 477(59.0)

부모님 62(18.8) 58(12.1) 120(14.8)

형제, 자매 8(2.4) 6(1.3) 14(1.7)

학교교육 32(9.7) 16(3.3) 48(5.9)

학교 주변의 먹을거리

판매자48(14.6) 80(16.7) 128(15.8)

신문, 잡지 10(3.0) 12(2.5) 22(2.7)

x2=27.203***

<표 5> 학교 주변 먹을거리에 대한 인식

*p<.05 **p<.01 ***p<.0001

4. 학교주변 먹을거리의 식품표시 확인 정도

학교주변 먹을거리의 식품표시 확인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포장지에 쓰인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6.3%였으며,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

이 63.7%로 나타나 많은 학생들이 먹을거리 포장지에 쓰인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

Page 12: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24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구분남자

(n=339)

여자

(n=490)

전체

(n=829)

식품표시

내용 확인

여부

확인한다 114(34.9) 172(37.4) 286(36.3)

확인하지 않는다 213(65.1) 288(62.6) 501(63.7)

x2=0.528

확인하지

않는 이유

식품표시에 관심이

없기 때문182(69.7) 235(63.5) 417(66.1)

식품표시가 없기 때문 6(2.3) 26(7.0) 32(5.1)

식품표시가 너무 작기

때문38(14.6) 71(19.2) 109(17.3)

식품표시가 찾기

어려운 위치에 있어서18(6.9) 20(5.4) 38(6.0)

기타 17(6.5) 18(4.9) 35(5.6)

x2=10.856*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70~80%가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것

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비해 많은 청소년들이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고 있었다 (박송미,

2006; 홍승희, 2007).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조사대상자의 66.1%가 식품표시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라고 하

였으며, 식품표시가 너무 작기 때문에(17.3%), 식품표시가 찾기 어려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6.0%), 포장지에 식품표시가 없기 때문에(5.1%)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식품표시에 관심이 없어서’, ‘식품표시가 찾기 어려운 위치에 있어서’ 확인하지 않는

다고 응답한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식품표시가 너무 작기 때문에’,

‘식품표시가 없기 때문에’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표시는 식품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제품명, 원재료 명, 유통기한, 보존방

법, 영양 성분 등 먹을거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식품표시는 자신

의 건강에 적합한 먹을거리를 소비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청소년들이

식품표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먹을거리 선택 시 포장지의 식품표시를 확인할 경우 보다

바람직한 먹을거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표 6> 교 주변 먹을거리의 식품표시 확인 정도

*p<.05 **p<.01 ***p<.0001

Page 13: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25--------------------------------------------------

구분 남자 (n=339) 여자 (n=490) 전체 (n=829)

교육 실시

여부

실시한다 79(23.7) 90(18.4) 169(20.7)

실시하지 않는다 250(75.1) 298(81.2) 648(79.3)

x2=5.433

교육 실시

횟수

매일 10(10.5) 4(4.2) 14(7.5)

주1회 14(14.7) 14(14.6) 28(15.0)

월 1회 25(26.3) 18(18.8) 43(23.0)

한 학기 한번 44(46.3) 58(60.4) 102(54.5)

x2=5.628

5.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

가.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교육 실태

조사 대상자의 20.7%가 학교에서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79.3%

가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표 7). 또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54.5%가 ‘한 학기에 1번’, 23.0%가 ‘월 1회’, 15.0%가 ‘주 1회’, 7.5%가 ‘매일’ 실시하고 있다

고 응답하였다. 중ž고등학생의 위생교육에 관한 이상진 (2005)의 연구 결과, 학교에서 위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식품 안전성과

관련된 위생 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결과는 표 8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34.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22.2%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필요하지 않

다’고 응답한 비율은 15.7%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 안전성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 7>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

*p<.05 **p<.01 ***p<.0001

학교에서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47.1%가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습득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36.5%가 실생

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12.9%가 학교 외에는 배울 곳이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남

학생의 경우 학교 외에는 배울 곳이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습득되기 때문에, 식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

Page 14: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26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구분 남자 (n=339) 여자 (n=490) 전체 (n=829)

교육의

필요성

매우 필요하다 86(26.0) 95(19.6) 181(22.2)

필요하다 92(27.8) 186(38.4) 278(34.1)

보통이다 87(26.3) 141(29.1) 228(28.0)

필요하지 않다 30(9.1) 42(8.7) 72(8.8)

전혀 필요하지 않다 36(10.9) 20(4.1) 56(6.9)

x2=23.705***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

실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96(33.5) 164(38.5) 260(36.5)

학교 외에는 배울 곳이

없기 때문42(14.6) 50(11.7) 92(12.9)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습득되기 때문

130(45.3) 206(48.4) 336(47.1)

기타 19(6.6) 6(1.4) 25(3.5)

x2=15.938**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TV나 대중 매체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34(18.3) 68(29.7) 102(24.6)

가정에서도 배울 수

있기 때문94(50.5) 103(45.0) 197(47.5)

인터넷을 통해 배울 수

있기 때문24(12.9) 26(11.4) 50(12.1)

기타 34(18.3) 32(14.0) 66(15.9)

x2=7.510

문에 학교에서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

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청소년들은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을

통해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천적인 내용의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표 8>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의 필요성

*p<.05 **p<.01 ***p<.0001

Page 15: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27--------------------------------------------------

구분 남자 (n=339) 여자 (n=490) 전체 (n=829)

바람직한

식품 안전성

교육 기관

학교 178(54.9) 309(64.4) 487(60.6)

가정 76(23.5) 95(19.8) 171(21.3)

TV 44(13.6) 54(11.3) 98(12.2)

책, 잡지 6(1.9) 8(1.7) 14(1.7)

인터넷 20(6.2) 14(2.9) 34(4.2)

x2=9.815*

식품 안전성

교육 실시 시,

적합한 담당자

담임교사 21(6.9) 36(7.7) 57(7.4)

보건교사 91(30.0) 114(24.5) 205(26.7)

체육교사 6(2.0) 3(0.6) 9(1.2)

가정ž기술 교사 127(41.9) 269(57.7) 396(51.5)

특수교사 58(19.1) 44(9.4) 102(13.3)

x2=27.033***

식품 안전성

교육 실시 시,

바람직한 횟수

매일 17(5.8) 6(1.3) 23(3.0)

주 1회 53(18.1) 84(18.0) 137(18.1)

월 1회 129(44.0) 208(44.6) 337(44.4)

한 학기에 한번 94(32.1) 168(36.1) 262(34.5)

x2=12.935***

학교에서 안전 먹을거리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조사대

상자의 47.5%가 가정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24.6%가 TV나 대중 매체에

서 배울 수 있기 때문에, 12.1%가 인터넷을 통해 배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학교주

변 먹을거리는 정규식사와는 달리 식품 선택과 섭취에 있어서 자신의 의사결정이 개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안전한 먹을거리 선택을 위한 교육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도

식품 안전성 교육에 적합한 기관을 묻는 문항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60.6%가 학교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정(21.3%), TV(12.2%), 인터넷(4.2%), 책,잡지(1.,7%) 순으로 나타났다. 학

교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

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 9>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 실시에 대한 요구도

*p<.05, ***p<.0001

Page 16: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28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학교에서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할 경우 적합한 담당자를 묻는 문항에서, 조사대상자

의 51.5%가 가정ž기술 교사라고 응답하였으며, 보건교사(26.7%), 특수교사(13.3%), 담임교사

(7.4%), 체육교사(1.2%) 순으로 응답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가정ž기술 교사, 담임교사가 담

당해야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

ž기술 교과에는 식생활 단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생활에서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교과이

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는 가정ž기술 교과를 통한 식생활 교육이 청소년들의 영양지식,

식태도 및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고혜란, 2001; 박민경,

2002; 안수연, 2006; 이은주, 2008).

학교에서 안전 먹을거리 교육을 실시할 경우 바람직한 횟수에 대한 질문에서 조사대상자

의 44.4%가 ‘월1회’, 34.5%가 ‘한 학기에 한번’, 18.1%가 ‘주 1회’라고 응답하였다. 매일 안전

먹을거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남학생과 주 1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고 응답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울 지역 8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339명, 여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학교주변 먹을거리의 이용 실태와 먹을거리에 대한 인식, 식품 안전성 교육 실태, 식품 안

전성 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의 33.4%가 ‘주 1~2회’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였으며, 주로 하교시간에

슈퍼에서 구매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분식집이나 문방구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친구와 함께 먹을거

리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 선택에 또래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좋아하는 먹을거리는 주로 빵과 스낵, 아이스크림, 떡볶이 등이었으며, 떡볶이와 스낵

을 좋아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배가 고파서’(58.6%), ‘맛있어 보여서’(23.2%) 학교주변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먹을거리를 선택하는 남학생의 비율이 높

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학교주변 먹을거리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학교주변에 불량식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고 하였다. 특히 문방구(77.5%)와 슈퍼(12.5%)에

Page 17: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29--------------------------------------------------

서 불량식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친구들로부터 먹을거리에 대한 지식

이나 정보를 얻고 있었으며, 친구(59.0%)와 학교주변의 먹을거리 판매자(15.8%), 부모님

(14.8%)의 영향을 받아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교육(5.9%)은

조사대상자들의 먹을거리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님과 학교교

육의 영향을 받아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있는 남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63.7%가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있었으며, 주로 관심이 없어 확인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실시하는 경우 한 학기에 한번 정도(54.5%) 실시하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은 학교에서의

식품 안전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남ž녀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들은 식품 안전성 교육을 통해 먹을

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과 식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식품 안

전성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기관은 학교(60.6%)와 가정(21.3%)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교육을

하기에 가정ž기술교사가 적합하다고 하였고, 월 1회(44.4%), 한 학기에 한번(34.5%) 교육하

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소년들은 빵과 스낵, 아이스크림, 떡볶이 등 당분과 염분, 지방 함유

량이 높은 가공식품을 좋아하고 있었으며, ‘배가 고파서’, ‘맛있어 보여서’ 먹을거리를 구매

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학교주변 먹을거리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

며, 학교주변 특히 문방구에서 불량식품을 많이 판매하고 있다고 하였다. 청소년들은 주로

친구들을 통해 먹을거리 정보를 얻고 있었고, 주로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 먹을거리를 구매

하고 있었다. 먹을거리 구매 시 많은 청소년들이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고 있었으며, 식품

표시에 관심이 가지고 있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식품 안전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

지 않았고,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한 학기에 1번 정도 실시하고 있었다. 많은 청소년들이

식품 안전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육을 통해 먹을거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식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교육이 이

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가정ž기술 교사가 ‘월 1회’ 혹은 ‘한 학기에 한번’ 정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먹을거리는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맛보다는 영양과 안전을

고려하는 먹을거리 구매 태도가 청소년기에 올바르게 습관으로 정착되어진다면, 성인이 되

어서도 건강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 식

품표시 교육을 비롯한 식품 안전성 교육이 기술ž가정교사에 의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퀴즈, 게임 등

Page 18: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30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의 방법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실습, 체험학습 등을 통하여 실생활에

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된다면, 청소년들의 안전한 먹을거리 구매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age 19: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31--------------------------------------------------

참 고 문 헌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 4기 1차년도 (2007).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고혜란 (2001). 식생활단원 교육이 중학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TV 식품 광고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순 (2001).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중학생과 학부모의 인지도와 이용실태. 충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복희, 박복천, 이소정 (2008). 광주지역 일부 청소년의 트랜스지방 함유 간식의 상대적 섭

취빈도에 따른 식행동, 체성분 조성 영양소 섭취량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

회지, 23(3), 410-419.

김영신, 공성숙 (2004). 여자 청소년의 체중조절행위, 섭식장애 증상, 우울에 관한 연구. 정

신간호학회지, 13(3), 304-314.

김인숙, 이윤희, 김희주(2005).. 익산시와 서울시 여고생의 식습관 및 영양 섭취 상태에 관

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1(2), 139-148.

김지연, 손세진, 이지은, 김정현, 정인경 (2009). 여자 중학생들의 체형 만족도에 따른 비만

스트레스, 체중 조절 태도, 식이장애 정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7(4),

49-59.

박민경 (2002).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ž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 내용분석 및 교육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송미 (2006).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도와 이용실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박인자, 박양원 (2009).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수면부족에 따른 간식 및 군것질 섭취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3), 256-266.

박주원, 안숙자 (2001). 서울지역 주민의 연령, 성별에 따른 식사행동 및 식품인식도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7(5), 441-455.

서지영 (2008). 청소년의 간식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성미경, 승정자, 류화춘, 박재년, 박동연, 최미경, 조경옥, 최선혜, 이윤신, 김유경, 이은주

(2003). 저체중 또는 과체중 청소년에서 캠프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양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4), 504-511.

송윤주, 정효지, 김영남, 백희영 (2006). 서울 지역 일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 및 식

생활 비교 연구: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2). 한국영양학회지, 39(1),

Page 20: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32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50-57.

안수염 (2006). 기술ž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 및 활용도. 한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진 (2005). 중ž고등학생의 위생교육에 따른 위생지식 및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희 (1999). 청소년들의 가공식품 구입행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 (2007). 생애주기 영양학. 파주: 교문사.

이은주 (2008). 중학교 가정교과 교육이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가공식품 이용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미란 (2005). 중학생의 식품선택 및 식품구매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진 (2008). 서울시 일부 중학생들의 식행동 인식 및 영양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 성

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정인, 김혜경 (2008). 울산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한국영양학회지,

41(8), 797-808.

최미자, 최수영 (2007). 대구지역 여자 중학교 운동선수의 영양소 섭취와 식습관. 한국운동

영양학회지, 11(2), 87-96.

하상도 (2006). 식품 안전 정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56-88.

한영실, 주나미 (2005).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2), 172-185.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 (2005). 한국영양학회.

홍승희 (2007). 식사 실태 및 가공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조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Spear, B. A. (2002). Adolescent Growth and Development. J Am Diet Assoc, 102(3),

23-29.

Page 21: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청소년의 학교주변 먹거리 이용 및 식품 안정성 교육 실태 133--------------------------------------------------

ABSTRACT

A Study on The Purchasing Practice of Snacks in School Zone and Status of

Food Safety Education in Adolescents

Say-Jin Son (Doctoral Student, Chung-Ang University)

Hyeon-Jee Kim (Master, Chung-Ang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cks intake behavior, actual conditions of

food safety education, and necessity and demand of food safet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 found that students purchase snacks one or two times per week after

school with friends. They prefer processed foods like breads and snacks. Most of students

purchase snacks because "they are hungry", and "snacks looks yummy", skipping to check

the food label. However, they think that snacks selling in school zone are not safe, and

stationary store sell a lot of unhygienic food. They get the information about snacks

through friends, and purchase the snacks referring to friends opinions. Most of schools

don't run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s, but students are in need of the education. They

demand the eduction program runs by home economics and manual training teacher once

per month. They expect that the education programs help the to get the right knowledge

of snacks.

Key words: food safety education, snacks, adolescent

Page 22: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8.pdf · 2010-07-05 · 27 2 , 113-133, 2009. !* ․ "#$** +,-./0 , 1 , 23 34 56789:8; ?. +@ 0‘ 1~2a’ 8

134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