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170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ddy water in the Imha Dam on the aquatic ecosystem 2004. 11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Upload: others

Post on 27-Jan-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ddy water in the Imha Dam on the

aquatic ecosystem

2004. 11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Page 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 -

제 출 문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위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총 연구기관: 2004년 2월~2004년 11월)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

니다.

2004년 11월

역무대행기관명 : 국립환경연구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연구기관명 : 안동대학교

연구책임자 : (안동대학교) 이종은

선임연구원 : (안동대학교) 서을원

: (영남대학교) 이종욱

: (서울여자대학교) 배연재

: (자연환경연수원) 심재헌

: (안동과학대학) 김명은

연 구 원 : (안동대학교) 박진영

: (영남대학교) 정종철

: (안동대학교) 김경호

: (안동대학교) 서정현

: (영남대학교) 백기열

: (안동대학교) 이지연

Page 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 -

요 약 문

Ⅰ. 제 목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Ⅱ. 조사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목적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탁수 정체 지역인 임하호와 임하호에

서 방류된 방류수가 하천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을 실험구간으로 설정하고, 탁수 비영향

지역인 안동호와 길안천을 대조지역으로 설정하여 각 수계별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상 및 군집변동, 우점도, 종다양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점수(ESB) 그리고 수계의 수

서환경 변화에 민감한 E.P.T. 분류군(Ephemeroptera=하루살이목, Plecoptera=강도래목,

Trichoptera=날도래목)의 점유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탁수가 조류의 종 조성 및 수서생물의 호흡기관 특히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기관아

가미와 어류의 아가미등에 미치는 영향 등 탁수가 임하호 및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수서 생태계의 변화추이를 예측하는 기초 정보자료를 제공

함과 동시에 향후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저감방안 및 대안 제시를 통해 수환경관리에 기여

하고자 한다.

2. 필요성

2002년의 태풍 “루사”와 2003년에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된 탁수는 임하댐 내에

서의 장기 정체로 인한 경관 및 미관적 측면과 하천수계로 장기간에 걸쳐 방류되고 있어서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탁수 발생의 원

인을 파악하고 나아가 탁수가 수서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물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장조사와 분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Ⅲ. 조사방법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이화학적 조사

조사항목은 수온, 용존산소, pH, 유속, 탁도, 수심 그리고 육안에 의하여 하상구조 및 암

석 조성을 측정, 조사하였다. 수온과 용존산소(DO)와 pH는 현장에서 MODEL HI 9145

Page 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 -

dissolved oxygen meter (HANNA instruments), DO-14P와 MODEL HI 991300 pH meter,

Orion 25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속은 MODEL 1100 digital flow indicator와 UC-2, 탁

도는 MODEL TB-IA Turbidity meter, TN-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생물학적 조사

․조사 방법

채집은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나누어서 행하였으며, 정성적인 방법은 주로

뜰채와 핀셋을 이용하여 돌이나 수초에 부착하는 서식형과 저질이나 부유물 등, 퇴적층에 서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또한 하상의 구조와 유속 등

을 고려하여 Suber net(30×30cm)로 4회씩 정량채집을 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Kahle`s fluid(D.W. 59%, ethyl alcohol 28%, formalin 11%,

acetic acid 2%)에 고정하여 2~3일 후 80% Ethanol에 옮겨 보존하였다(Merritt &

Cummins, 1985). 또한 탁수의 영향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실내 pilot plant를 설치하여 보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 동정 및 분류

채집된 종의 동정에는 윤(1988, 1995), 권(1990, 1993) 등을 참조하였으며, 표본은 안동

대학교 생명과학과 동물분류학연구실에 보관하였다. 또한 파리목의 깔다구과(Chironomidae)

에 속하는 종들은 외부형태가 뚜렷이 구별되는 것을 대상으로 Chironominae sp. 1처리하였

으며, 기타 종 동정이 불가능한 분류군의 경우에도 역시 sp. 처리하였다.

○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군집분석은 우선 채집된 표본을 윤(1988)을 참조하여 종류별로 동정하고 각 종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상기에서 동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각 조사지점별로 다음과 같이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점도 지수, 다양도 지수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는 정성

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채집된 모든 종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 우점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McNaughton's dominance index (DI)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McNaughton

1967).

┏ n1: 우점종의 개체수

DI = n1 + n2

┃ n2: 아우점종의 개체수N

┗ N: 총개체수

․ 다양도 지수

다양도 지수는 Margalef (1956, 1958)의 이론에 의하여 도출된 Shannon-Weaver function

Page 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 -

(H')을 Llyod and Ghelord가 변형한 공식(Pielou 1969)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ni: i종의 개체수

H' = -∑ [(ni/N)․log2(ni/N)] ┃

┗ N: 총개체수

․ 생물학적 수질평가

환경질의 평가와 생태환경 관리기준의 판정은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환경부, 2001)에

서 제안한 ESB지수를 적용하였다.

4ESB = ∑ ∑(Si․Qi) Kong(1997)

i=1

표. ESB의 구간에 따른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 평가표

환경질의 평가 오수생물계열의 평가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 오수생물계열

81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Ⅰ 51이상 빈부수성

61~80 양호 우선보호수역

41~60 다소양호 보호수역Ⅱ 21~50 β-중부수성

26~40 다소불량 개선수역

13~25 불량 우선개선수역 Ⅲ 9~20 α-중부수성

12이하 매우불량 최우선개선수역 Ⅳ-Ⅴ 8이하 강부수성

․ 생물지수(BI)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Qi) 중 환경질 점수가 4인 것은 Beck-Tsuda의 BI지수 산정 시 A군으

로, 그 외는 B군으로 분류하였다. 오염에 내성이 약한 종수의 합을 A, 내성이 강한 종수의 합

을 B라 할 때, BI = 2A + B이다.

2. 어류

본 연구는 탁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임하댐 유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

류의 아가미, 신장, 피부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SDS-PAGE에 의해 혈장단백질을

분석하였다.

○ 아가미, 신장 및 표피의 조직학적 연구

․ 광학현미경적 연구

Page 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 -

임하댐과 안동댐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직을 부위별로 절취하여 FAA로 24시간 고정한 후

일반적인 조직 제작 방법에 따라 조직을 포매였다. 이 후 microtome을 이용하여 7㎛

두께로 조직 절편(sectioning)을 만든 후 Hematoxylin과 eosin에 이중염색한 후 광학현

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였다.

․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실험수계(임하댐)와 대조수계(안동댐) 어류의 아가미를 절취하여 Glutaraldehyde(2.5%)에서

2시간 전고정을 시킨 후 PBS로 15분씩 3번 세척(washing)을 하였다. 후고정으로 OSO4에 1~

2시간 고정 후 탈수 과정을 거쳐 냉동실에서 보관 후 over-night 시켰다. 이후 조직을 stub에

고정한 후 ion coating하였으며, Hitachi S-2500C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아가미의 표면구조를

관찰하였다.

○ 혈장 단백질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탁수에 의한 어류의 혈장 내 단백질의 변화가 얼마나 일어났는지 조사하기위해 어류의 혈

장을 분석하였다.

․채혈

해부기구를 이용하여 어류의 배를 가른 다음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직접 혈액을 채

취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 한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SDS-PAGE

혈장을 채취 한 다음 SDS-PAGE법에 따라 단백질 패턴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의 측정을 위

해서는 Bio-Rad사의 표준 단백질을 병행 사용하였다.

․Ferritin의 확인

또한 각 어류의 혈장에 분포하는 ferritin(철 결합단백질)의 질적, 양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

해 Davis(1964)의 방법에 따라 5% native PAGE를 실시하였다. 전기영동한 후, ferritin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erene S 염색을 실시하였다(Chung, 1985).

Ⅳ.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내용

○ 임하호의 탁수발생 원인규명 및 기초수질 조사

○ 임하호 탁수로 인한 미세 입자 축적이 수서생물의 미소서식처 파괴와 생존에 미치는 영향

파악

○ 상시 탁수유출 수계인 임하댐 하류 수계와 대조 수계간의 종조성, 종다양도, 우점종, 우점

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 ;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

Page 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 -

invertebrate community) 조사

○ 탁수 수계와 대조 수계의 먹이사슬과 먹이망의 구조와 기능 비교분석

○ 생물학적 수질급수 판정의 중요 관건인 부착생물 분류군인 E.P.T. 분류군(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Plecoptera=강도래목, Trichoptera=날도래목)의 점유율 및 정착률 파악

○ 저서상태에 따른 서식처 유형별 선호 수서지표 생물종 목록 작성

○ 탁수의 미세입자가 저서성무척추동물의 호흡기관 및 어류 아가미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청정수계 지표종 및 탁수 생존종간의 특성 비교분석

○ 하상교란 및 탁수영향 지역에서의 종복원 과정 및 문제점 파악

○ 정수역과 유수역 등 탁수의 흐름 정도에 따른 서식생물상 파악

○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저감방안 및 대안 제시

○ 탁수가 호수 및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파악

2. 연구범위

○ 조사대상호수 : 임하호 및 임하호 영향수계(실험수계)

안동호와 길안천(대조수계)

○ 조사대상 구간 : 낙동강 (안동~고령)

○ 조사기간 : 2004. 2. ~ 2004. 11.

○ 조사지점 : 총 16개소(골재 영향지역 2개소 포함):

․실험수계 8개소(St. 1: 임하호 보조댐, St. 2: 불거리, St. 3: 선어대, St. 4: 생명과학고,

St. 5: 구담교, St. 6: 상풍교, St. 7: 낙단교, St. 8: 구미교)

․대조수계 6개소(St. 1: 송사교, St. 2: 묵계교, St. 3: 명덕교, St. 4: 금소교, St. 5: 신덕교,

St. 6: 법흥교)

※ 주요 비교지점: 실험수계(St. 1, 2, 3, 4), 대조수계(St. 1, 2, 4, 5)

․골재영향지역 2개소(St. 9: 성주대교, St. 10: 고령교)

○ 대상분류군: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어류

○ 조사시기: 3월, 5월, 8월, 9월 (4월, 6월 보완)

Page 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 -

Ⅴ. 조사연구결과

1. 본 조사기간 중 탁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실험지역에서 동정 분류된 종은 총 4문

5강 12목 40과 67종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대조지역에서 분류된 종은 총 4문 5강 13목 38과

77종으로 조사되었다.

2. 탁수가 방류된 5월 조사결과는 St. 2에서는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가 우점종으

로 나타났으며, 그 외 지점에서는 대부분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하였으며, 우

점도지수(DI)는 0.387~0.978의 범위로 나타났다.

대조지역에서에서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하였으며,

그밖에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네

점하루살이(Ecdyonurus levis),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우점도지수(DI)는 0.359~0.937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3. 종 다양도 지수(H')는 실험지역(탁수영향 수계)에서 평균 1.642, 대조지역(비탁수 수계)에

서 평균 2.81로 나타났으며, 탁수유발입자의 침전으로 인한 미소서식처 파괴로 인한 종다양

도 감소 및 서식 종조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는 실험지역에서 평균 37, 대조지역에서 평균 76으

로 실험지역과 대조지역간의 생태점수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탁수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의 호흡기관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

가미 세사의 두께, 간극 등에서 일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골재채취 등 탁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은 비 영향 지점보다 저서생물의 종수의 감소, 출

현종의 변화, 개체수의 감소 및 E.P.T. 분류군의 점유율의 저하 등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탁수가 어류의 형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신장, 아가미, 피부 조직

의 형태 변화 및 새로운 단백질의 생성 등에서 일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생물학적 수질판정 결과는 실험지역은 오수생물계열 ‘β-중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

등급 Ⅱ급수, 환경상태는 ‘다소불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개선수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지역의 오수생물계열은 ‘빈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등급 ‘I 급수’, 환경상태 ‘

양호’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Page 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 -

상기 연구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대조수계 및 실험수계의 각 항목별 결과

조사수계

항목대조수계 실험수계

분류군수(No. of taxa) 4문 5강 13목 38과 77종 4문 5강 12목 40과 67종

개체수(No. of Ind.) 18,782 7,859

우점도(DI) 0.609 0.779

우점종 깔따구류 깔따구류

아우점종 두점하루살이 옛하루살이

종다양도(H') 2.810 1.642

생태점수(ESB) 76 37

오수생물계열 빈부수성 β-중부수성

환경상태 양호 다소불량

수질등급 Ⅰ Ⅱ

지역판정 우선보호수역 개선수역

E.P.T. 분류군의 점유율

(종수, 개체수)61.0%, 44.1% 52.2%, 11.9%

어류의 형태 변화(신장) 변화없음 사구체의 수축

어류의 형태 변화(아가미) 변화없음 곤봉화, 부종

어류의 형태 변화(피부) 변화없음 표피가 두꺼워짐

어류의 생리적 변화(혈장) 정상새로운 단백질 생성

(40, 47, 48Kda)

어류의 생리적 변화(Ferritin) 정상새로운 밴드의 생성

(F1, F2)

Page 1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 -

Ⅵ.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첫째, 청정수계구간과 탁수영향수계구간에 대해 저서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오염현황

파악과 탁수의 영향에 대한 예찰 및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한다.

둘째, 조사구간인 낙동강상류수계 (안동-고령) 구간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정확한 구성종

수, 우점종(수생지표생물), 분포패턴, 지리적 변이, 종다양도 및 지역고유종을 파악하여 유역내

생물다양성관리와 자연형하천 정비 및 조성공사 시에 활용한다.

셋째, 실험구간(탁수영향)과 대조구간(비탁수) 선호종의 수서생물종을 파악하고 이들 종의

생존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하천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활용한다.

넷째, 지속적인 탁수유출이 하천생태계의 먹이사슬, 먹이망 및 종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친수공간조성계획 및 비오톱 등 수변공간개발 계획에 기중한 정보로 활용된

다.

다섯째, 지방자치 단체 및 시민환경 단체에 수서생물을 이용한 수질정보를 제공하여 수질오

염 방지 및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중장기 대책수립에 활용토록 한다.

여섯째, 탁수 및 비탁수 영향지역의 환경지표생물종 선발을 통한 정기적인 생물학적 모니터

링과 수환경 변화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 증가 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곱째, 초․중․고등학생 및 NGO 등의 수서생태 및 환경교육과 생태지도 작성 등 수환

경 생태교육 및 환경정책홍보, 제도개선의 자료로 활용한다.

여덟째, 낙동강 상류 수계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및 수서생태계의 장기적인 보존대책 수립

과 유역관리 대책수립의 설계인자 제공에 활용한다.

Page 1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 -

SUMMARY

Ⅰ. Title

The influence of muddy water in the Imha Dam on the aquatic ecosystem

Ⅱ.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1. Purpose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muddy water on the aquatic ecosystem, we set up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areas. The control area is defined to the Andong Lake and the

Giran stream which are not affected with the muddy water.

The experimental area is the Imha Lake, which is the muddy water, and the river,

which is discharge from Imha Lake.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fluctuation, dominance indices(DI), species diversity

index(H'),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ESB) and the

occupation rate of E.P.T.(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classification group which

is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aquatic ecosystem.

Further, we have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muddy water on the respiration

organ of the aquatic organism and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tried to offer the basic data in order to predict the

change and to contribute the management of the aquatic ecosystem by the reduction of

muddy water for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2. Necessity

The turbid water of the Imha Lake generated from Typhoon "Rusa" in 2002 and

Typhoon "Maemi" in 2003 have destroyed the scenic beauty and affected the ecosyst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alysis the factor of the muddy water and to study the affect

of the organism consisting of the aquatic ecosystem.

Page 1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 -

Ⅲ. Method

1. Macroinvertebrate

○ Physico-chemmical investigation

Water temperature, DO, pH, speed of running fluid, turbidity, depth of water,

structure of riverbed and rock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Water temperature, DO

and pH were measured by MODEL H1 9145 dissolved oxygen meter(HANNA

instruments), DO-14P and MODEL HI 991300 pH meter, Orion 250A respectively.

Speed of running fluid and turbidity were measured by MODEL 1100 digital flow

indicator and UC-2, MODEL TB-IA Turbidity meter, TN-100 respectively.

○ Biological investigation

(1) Method

Collecting method were done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Macroinvertebrate

which is attached stone surface, water weed, riverbed and river drift were collected by

pincette and handing net as qualitative method.

Also macroinvertebrate were collected 4 times in each site quantitatively by surber

net(30×30cm) in consideration of structure of riverbed and speed of running fluid.

(2)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We refered the pictorial book of Yoon(1988, 1995) and Kwon(1990, 1993) etc.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All specimen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preserved in animal

taxonomic laboratory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Larvae fixed with Kahle's fluid in the lab for about two days, and then preserved in

80% ethanol. an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muddy water, we set up the pilot plant.

○ Community analysis and biological water evaluation

Community analysis and biological water evaluation were done by collected species in

each surveyed sites. Dominance index, Diversity index and Macroinvertebrate ecological

score a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were calculated by collected species.

․ Dominance index

Dominance index(DI) was calculated by McNaughton(1967)

┏ n1: no. of dominant species

DI = n1 + n2

┃ n2: no. of subdominant speciesN

┗ N: tatal individuals

․ Diversity index

Page 1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 -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by Shannon-Weaver function(H') which followed by

Llyod and Ghelordy(Pielou, 1969)

┏ ni: no. of individual of i species

H' = -∑ [(ni/N)․log2(ni/N)] ┃

┗ N: tatal individuals

․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and judgment of ecology environment administration standard

were adapted by guide of natural environment investigation(Ministry of environment, 2002)

Evaluation of ESB degree and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Qi) were

followed by guide of natural environment investigation(Table).

4ESB = ∑ ∑(Si․Qi) Kong(1997)

i=1

Table. Environment condition and Saprobity valuation table of ESB

Environment quality evaluation Saprobic determination

ESBEnvironment

conditionArea determination

Water

qualityESB Saprobity

>81Very

satisfactoryFirst priority protection waters

Ⅰ >51 Oligosaprobic

61~80 Satisfactory Priority protection waters

41~60Some

satisfactoryProtection waters

Ⅱ 21~50 β-mesosaprobic

26~40Some

defectivenessImprovement waters

13~25 Defectiveness Priority improvement waters Ⅲ 9~20 α-mesosaprobic

<12Very

defectivenessFirst priority improvement waters Ⅳ-Ⅴ <8 Polysaprobic

․ Biological Index

Score of 4 in environmental quality degree of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 were classified A and B by Beck-Tsuda.

A is total sum of species which is low level tolerance of water pollution, B is total sum

of species which is high level tolerance of water pollution. BI=2A+B.

2. Fish

Present study is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ddy water on gill, kidney, and

external morphology of fish in Imha Dam. And blood plasma was analyzed by SDS-PAGE.

○ Histological observation of gill, kidney and integument

Page 1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 -

․ Light microscopic study

The tissues which were obtained from fishes of Andong Dam and Imha Dam were

fixed in FAA for 24hrs and then embedded by general preparation method. The embedded

tissues were sectioned by Leica microtome by 7 um in thickness and stained by

hematoxylene and eosin. The preparat were observed under Olympus microsope.

․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The gills taken from fishes of Andong Dam and Imha Dam were pre-fixed in 2.5%

glutaraldehyde for 2 hrs and then post-fixed in OsO4 for 1 hr. The tisuues were

dehydrated in freeze dryer and then coated in Hitachi ion coater. The gold coated tissues

were observed under Hitachi S-2500C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Analysis of blood proteins

Blood protein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ddy water on fishery blood

proteins and especially ferritin.

․ Bleeding

Bleeding were carried out directly from heart. Blood plasma were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nd freezed in -70'C before use.

․ SDS-PAGE

Plasma protein patters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standard marker protein

were purchased from Bio-Rad.

․ Identify of Ferritin

Native gel electrophoresis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ferritin in fish blood plasma. After electrophoresis, the gel were stained by

ferene S to detect the ferritin(Chung, 1985).

Ⅳ. Research contents

1. Contents

○ Trace the muddy water to its origin and basic water quality investigation

○ Influence for aquatic organism's microhabitat and survive by accumulation of fine soil

particle of muddy water from Imha Dam.

○ Comparision with experimental area and control area in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dominant species, dominant indices and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ESB).

○ Comparision with experimental area and control area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food

Page 1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 -

chain and food web.

○ Occupation and recovery ratio of E.P.T.(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taxa

in the judge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 Checklist of aquatic index organisms of habitat type by riverbed conditions.

○ Influence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es' respiratory organ by accumulation

of fine soil particle of muddy water.

○ Comparision of characteristics with organisms who survives in muddy water and

index organism in clear water.

○ The processing mechanism of species recovery in disturbance riverbeds and muddy

water system.

○ Macroinvertebrate's fauna in lentic and lotic area as a degree of water flow.

○ Propose mitigation and an alternative plan for conservation of fresh water ecosystem.

○ The influence of muddy water in the Imha Dam on the water quality of Imha Dam

and main river of Nakdong river.

2. Research range

○ Area : Imha Dam and affected water system from Imha Dam(Experimental

area)

Giran stream and Andong Dam(Control area)

○ Range : Kyungbuk Province, Andong ~ Koryung

○ Period : 2004. 2. ~ 2004. 11.

○ Sites : Total 16 (including 2 sites of gathering aggregates)

․Experimental water system: 8 sites (St. 1: Imha helper Dam, St. 2: Bulgeory, St. 3:

Sunuidae, St. 4: Biological science High school, St. 5: Kudam Bridge, St. 6: Sangpung

Bridge, St. 7: Nakdan Bridge, St. 8: Kumi Bridge)

․Control water system: 6 sites (St. 1: Songsa Bridge, St. 2: Mukgye Bridge, St. 3:

Myungduk Bridge, St. 4: Kumso Bridge, St. 5: Sinduk Bridge, St. 6: Bupung Bridge)

※ Major comparison sites: Experimental water system(St. 1, 2, 3, 4)

Control water system(St. 1, 2, 4, 5)

․Affected by gathering aggregates: 2 sites(St. 9: Sungju Bridge, St.10: Koryung

Bridge)

○ Object taxa: Macroinvertebrates and fishes

○ Investigation: March, May, August, September

Page 1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 -

Ⅴ. Results

1. During the term of this research, species which were classified by identification in

muddy water system of Imha Dam(Experimental area) were total 4 phyla, 5 classes, 12

orders, 40 families and 67 species. On the contrary, in Giran stream (control area) as not

muddy water system, were total 4 phyla, 5 classes, 13 orders, 38 families and 77 species.

2. As a result of research in May, dominant species was identified as Chironominae sp. 1

in almost all site, Siphonurus chankae in St. 2 and dominance index(DI) range was 0.387~

0.978 after discharge of muddy water from Imha Dam.

In control area, dominant species were identified as Chironominae sp. 1 in almost all

site, Ecdyonurus kibunensis, Choroterpes altioculus, Ecdyonurus levis, Cheumatopsyche

brevilineata in another site and DI range was 0.359~0.937.

3. Having the standard as the number of the total collected individuals, the average of

species diversity index(H') was 1.642 in experimental area(muddy water system). On the

contrary, the average of species diversity index(H') was 2.81 in control area (not muddy

water system). This results caused by reduction of species diversity from destroy

microhabitat and also species 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experimental area and control

area.

4. There is a big gap between in experimental area and control area. The average of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ESB) was 37 in experimental

area, 76 in control area.

5. There is a some possibility that respiratory organ of macroinvertebrates and fishes

was affected by muddy water in thickness and gap of gill plate.

6. The muddy water has affected the change of occurrence species, decrease of species,

individuals and E.P.T. taxa of macroinvertebrates that these result implies the valuable

expectancy

7. The muddy water has affecte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gill, kidney, integument

and physiological change of plasma protein, suggesting that these result implies the

valuable expectancy.

8. In the judge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experimental area proved to have β

-mesosaprobic and 2nd grade water. In the judgement of the administration criteria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ved to be "some defectiveness" and i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 quality, proved to be "Improvement water area".

On the contrary, in control area proved to have oligo-saprobic and 1st grade water. In

the judgement of the administration criteria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ved to be "

Page 1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 -

satisfactory" and i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 quality, proved to be "priority protection

water area".

The result table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

■ The result of each item to the control area and experimental area.

Sites

SubjectsControl area Experimental area

Number of Species 77 67

Number of Individual 18,782 7,859

Dominance index(DI) 0.609 0.779

Dominant species Chironominae sp. 1 Chironominae sp. 1

Subdominant species Ecdyonurus kibunensis Siphonurus chankae

Species Diversity(H') 2.810 1.642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ESB)

76 37

Saprobity oligo-saprobic β-mesosaprobic

Environmental condition satisfactory some defectiveness

Grade of water quality Ⅰ Ⅱ

Area determination Priority protection water area Improvement water area

Ratio of E.P.T. taxa

(No.Sp., No.Ind.)61.0%, 44.1% 52.2%, 11.9%

Morphological change

of fishes (kidney)not change reduction of glomerula

Morphological change

of fishes (gill)not change clubbing, edema

Morphological change

of fishes (integument)not change thickened epidermis

Physiological change

of fishes (serum)normal

Appearance of new protein

(40, 47, 48Kda) Physiological change

of fishes (Ferritin)normal

Occurrence of new ferritin

subunit (F1, F2)

Page 1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7 -

Ⅵ. Application plan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suggestion and monitoring data about the effect of

the turbid water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ater contaminant status using a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tween the clear water area and the muddy water area.

Second,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control of the organism diversity and

construction of the river from the data such as species composition of aquatic organism,

dominant species, pattern of distribution, geographical variation, species diversity and

endemic species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ird,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river

ecosystem by th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quality and the

existence of organism including the preference in both clear and muddy water.

Forth,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the consistent turbid water efflux on the food chain of

river ecosystem, food web, and species diversity will be used for the plan of biotope.

Fifth, this data will offer to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NGO to establish the plan

for the protection of water contamination an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Sixth, this results will increase the interesting about the change of aquatic ecosystem

and the monitoring of organism by the selection of the environmental biological indes

organism in the clear and muddy water areas.

Seventh,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class in students.

Eighth, the results will offer the informations about the management plan of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and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preservation plan.

Page 1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8 -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Purpose of the research ...............................................................................................28

2 Necessity .......................................................................................................................................28

Chapter 2. Present research condition of home and foreign

1. Research condition of home and foreign ......................................................................30

2. Importance .....................................................................................................................................31

Chapter 3. Research contents

1. Period ..............................................................................................................................................32

2. Surveyed sites .............................................................................................................................32

3. Progress scheme .........................................................................................................................39

4. Contents .........................................................................................................................................40

5. Method ...........................................................................................................................................41

Chapter 4. Results

1. Environmental factor .................................................................................................................48

2. Distribution and habitat condition .........................................................................................49

3. Correlation of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pecies number ...................................79

4. Comparison of food chain and food web between muddy water system and non

muddy water system ...............................................................................................................86

5. Species composition of macroinvertebrates in microhabitat .........................................93

6. Community fluctuation and biological water evaluation ...............................................95

7.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muddy water and not muddy

water occurred by construction work on the waterside and underwater ............105

8.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udies of gill on aquatic organisms ..................114

9. Summary ...................................................................................................................................131

Page 2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9 -

Chapter 5. Factor of muddy water occurrence and decrease plan.

1. Factor of muddy water and counter plan of the River Nakdong .........................134

2. Direct and indirect affect to the water quality on the Dam and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by muddy water ......................................................................................136

3. Muddy water decrease and alternative plan for conservation of freshwater

ecosystem .................................................................................................................................139

Chapter 6. Application plan of the research

1. Application plan of the other research ..............................................................................143

2. Necessity for additional research ........................................................................................144

Chapter 7. Reference ...........................................................................................................147

Appendix

Page 2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0 -

목 차

제1장 서론

제 1절 조사연구의 목적 .............................................................................................................28

제 2절 필요성 ............................................................................................................................28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제 1절 국내외 연구 현황 ...........................................................................................................30

제 2절 연구의 중요성 ...............................................................................................................31

제3장 조사연구수행 내용 및 범위

제 1절 조사기간 ..........................................................................................................................32

제 2절 조사지점 개요 ...............................................................................................................32

제 3절 추진체계 ........................................................................................................................39

제 4절 조사내용 ........................................................................................................................40

제 5절 조사방법 .........................................................................................................................41

제4장 연구결과

제 1절 환경요인 ...........................................................................................................................48

제 2절 분포 및 서식현황 ..........................................................................................................49

제 3절 이화학적 요인과 종수와의 상관관계 ....................................................................79

제 4절 실험 및 대조수계의 먹이사슬과 먹이망 비교 ......................................................86

제 5절 미소서식처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93

제 6절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95

제 7절 골재채취 영향 지점과 비영향 지점간의 종조성 비교 ...................................105

제 8절 수서생물의 아가미 형태 및 생리학적 연구 ..........................................................114

제 9절 연구 결과요약 ..............................................................................................................131

Page 2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1 -

제5장 탁수원인, 영향 및 저감방안

제 1절 탁수원인 및 유역대책 ............................................................................................ 134

제 2절 탁수가 호소 및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 ...........136

제 3절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탁수 저감방안 및 대안제시 .....................................139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제 1절 타 연구에의 응용 및 활용방안 ..............................................................................143

제 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내용 ..................................................................................144

제7장 참고문헌 .........................................................................................................................147

부록

Page 2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2 -

표 목 차

표 1. 조사지점 .................................................................................................................................33

표 2. 주요 비교 지점 ......................................................................................................................34

표 3. 각 조사지점별 서식 환경 조사표 .....................................................................................38

표 4. ESB의 구간에 따른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 평가표 ...............................................43

표 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개별 분류군 환경질점수(Qi) ...................................................44

표 6. 각 조사지점별 환경 요인 조사표 .....................................................................................48

표 7. 조사 지역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50

표 8. 조사시기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종 목록 .............................................................53

표 9. 조사지점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57

표 10. 월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58

표 11. E.P.T. 분류군의 점유율 ...................................................................................................60

표 12. E.P.T. 분류군의 정착률 ....................................................................................................63

표 13.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3월) ............................................................64

표 14.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3월) ............................................................66

표 15.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5월) ............................................................68

표 16.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5월) ............................................................70

표 17.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8월) ............................................................71

표 18.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8월) ............................................................72

표 19.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9월) ............................................................73

표 20.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9월) ............................................................75

표 2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 선호종의 비교 ..........................................................................77

표 22. 유속에 따른 종의 비교 ......................................................................................................79

표 23. 탁도에 따른 종수의 비교 ..................................................................................................81

표 24. 대표적 분류군(유충 또는 약충)과 먹이타입(섭식기능군) ........................................87

표 25. 생활형에 따른 대표종 ........................................................................................................92

표 26. 미소서식처 유형별 서식종 ................................................................................................93

표 27. 조사시기에 따른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ratio) .............................................97

표 28. 조사시기에 따른 조사지점별 각종 군집분석 .............................................................104

Page 2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3 -

표 29.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의 수환경 비교 .....................105

표 30.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

동물의 분류군 개요 .........................................................................................................106

표 31.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

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107

표 32.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와 영향수계의 E.P.T. 분류군의 점유율 ............................111

표 33. 골재채취 비영향수계 서식종과 영향수계 서식종의 비교 ....................................113

Page 2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4 -

그 림 목 차

그림 1. 실험수계 및 대조수계의 각 조사지점과 조사지 전경 .............................................37

그림 2. 탁도 측정 ..............................................................................................................................................47

그림 3. 유속 측정 ..............................................................................................................................................47

그림 4. DO, pH, 수온 측정 ............................................................................................................................47

그림 5. 정량 및 정성채집 ............................................................................................................................47

그림 6. 저서성무척추동물 pilot plant ..........................................................................................................47

그림 7. 저서성무척추동물 실내 실험 장치 ...............................................................................................47

그림 8. 어류 실내 실험 장치(근경) ............................................................................................................47

그림 9. 어류 실내 실험 장치(원경) ............................................................................................................47

그림 10. 대조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51

그림 11. 대조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비 ............................................51

그림 12. 실험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52

그림 13. 실험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비 ............................................52

그림 14.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57

그림 15. 조사시기에 따른 평균 종수와 개체수의 비교...........................................................59

그림 16.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59

그림 17.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점유율 ...................................................60

그림 18.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비 ..........................................................................61

그림 19.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비 ......................................................................61

그림 20.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비 ..........................................................................62

그림 21.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비 ......................................................................62

그림 22.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정착률 비교 .........................................63

그림 23.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개체수, 생물지수(BI)와 생태점수(ESB)의 비교 .......76

그림 24. 유수와 정수생태계에서의 ESB, BI의 비교 ............................................................80

그림 25.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탁도에 따른 종수의 변화 ................................................82

그림 26.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3월) ................................................................84

그림 27.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5월) ................................................................84

그림 28.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8월) ................................................................85

Page 2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5 -

그림 29.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9월) ................................................................85

그림 30. 대조수계에서의 C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88

그림 31. 대조수계에서의 F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89

그림 32. 실험수계에서의 C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90

그림 33. 실험수계에서의 F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91

그림 34.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3월) ............98

그림 35.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5월) ............98

그림 36.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8월) ............99

그림 37.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9월) ............99

그림 38.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101

그림 39.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월별 우점도 변화 .............................................................101

그림 40.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3월) ..............102

그림 4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5월) ..............102

그림 42.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8월) ..............103

그림 43.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9월) ..............103

그림 44. 비탁수영향수계와 탁수영향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106

그림 45.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108

그림 46. 골재 채취 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108

그림 47.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비 ...............109

그림 48. 골재 채취 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비 ....................109

그림 49.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

추동물분류군의 출현 종 수 비교 ............................................................................110

그림 50.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

추동물분류군의 출현 개체 수 비교 ........................................................................110

그림 5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 점유율 ....................................................................111

그림 52.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옛하루살이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114

그림 53.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옛하루살이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114

그림 54.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옛하루살이) ................................................................115

그림 55.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옛하루살이) ................................................................115

그림 56.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점박이부채하루살이) ...............................................115

그림 57.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점박이부채하루살이) ...............................................115

Page 2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6 -

그림 58.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무늬하루살이) ............................................................117

그림 59.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무늬하루살이) ............................................................117

그림 60. 대조수계에서의 Case(줄날도래 KUb) .....................................................................117

그림 61. 실험수계에서의 Case(줄날도래 KUb) .....................................................................117

그림 62. 실험수계에서의 줄날도래 KUb 성체 .....................................................................................117

그림 63. 실험수계에서의 줄날도래 KUb 번데기 .....................................................................................117

그림 64.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 2차 새변의 곤봉화(×400) ......................................................118

그림 65.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 이차 새변의 곤봉화(×400) ....................................................118

그림 66.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기생충(×200) ......................................................................119

그림 67.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기생충(×200) ......................................................................119

그림 68. 대조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2차새변(×400) ....................................................................120

그림 69.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2차새변(×400) ....................................................................120

그림 70.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새막판 간세포(×200) ......................................................120

그림 71.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의 부종(×100) ...............................................................................121

그림 72. 대조수계 잉어의 신장내 사구체(×400) ...........................................................................121

그림 73. 실험수계 잉어의 신장내 사구체(×400) ...........................................................................121

그림 74. 대조수계 붕어의 신장(×200) ...............................................................................................122

그림 75. 실험수계 붕어의 신장(×200) ...............................................................................................122

그림 76. 대조수계 누치의 표피(×100) ...............................................................................................122

그림 77. 실험수계 누치의 표피(×100) ...............................................................................................122

그림 78. 대조수계 잉어의 아가미(×1000) .........................................................................................123

그림 79. 실험수계 잉어의 아가미(×1000) .........................................................................................123

그림 80. 대조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3

그림 81. 실험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3

그림 82. 대조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1000) ........124

그림 83. 실험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1000) ........124

그림 84. 대조수계 누치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4

그림 85. 실험수계 누치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4

그림 86. 실험수계 치리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5

그림 87. 실험수계 치리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x1000) ....................................125

그림 88.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200) .................................125

Page 2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7 -

그림 89.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1000) ..............................125

그림 90. 누치의 혈장 ..............................................................................................................................127

그림 91. 백조어의 혈장 ..........................................................................................................................127

그림 92. 붕어의 혈장 .............................................................................................................................127

그림 93. 잉어의 혈장 ...............................................................................................................................127

그림 94. 백조어의 ferritin 활성 ..........................................................................................................128

그림 95. 누치의 ferritin 활성 ..............................................................................................................128

그림 96. 붕어의 Ferritin 활성 .............................................................................................................129

그림 97. 잉어의 Ferritin 활성 .............................................................................................................129

Page 2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8 -

제1장 서론

제 1절 조사연구의 목적

태풍 “루사”와 “매미”의 영향으로 임하호 상류지역 수계로부터 다량의 토사가 댐내로 유입

되었으며, 장기간에 걸쳐 토사의 미세입자가 정체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댐내는 물론

방류 시 댐 하류수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탁수 정체 지역인 임하호와 임

하호에서 방류된 방류수가 하천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을 실험구간으로 설정하고, 탁수

비영향지역인 안동호 수계의 법흥교 일대와 길안천을 대조지역으로 설정하여, 저서성대형무척

추동물의 분포상 및 군집변동, 우점도, 종다양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그리고 수환

경 변화에 민감한 E.P.T. 분류군(Ephemeroptera=하루살이목, Plecoptera=강도래목, Trichotera=

날도래목)의 점유율을 분석하여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분석을 통해 탁수로 인한 영향 등 탁수가 임하호 및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저

서성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 등의 수서생물의 호흡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수서 생태계의 변화추이를 예측하는 기초 정보자료 제공과

향후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저감방안 및 대안 제시를 통해 수환경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 2절 필요성

낙동강 상류 지류인 반변천에 건설된 임하다목적댐은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 중 다목적

수자원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축조되어 연간 497백만㎥에 달하는 농․공업용수 및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홍수방지는 물론 연간 5800만 kwh(양수발전량 포함)의 전력을 생산하는 등

이수, 치수 및 산업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임하호는 안동시 임하면․임동면․파천면․진보면 등에 걸쳐 있고, 또한 주변에는 각종 문

화재가 산재해 있으며, 경치가 뛰어나서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축산폐수, 화학

비료 및 농약, 생활하수 등 하천에 유입되는 오염원의 양적 증가로 인한 부영양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2002년의 태풍 “루사”와 2003년에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된 탁수는 임하댐

내에서의 장기 정체로 인한 경관 및 미관적 측면과 하천수계로 장기간에 걸쳐 방류되어 서식

처 파괴, 먹이사슬파괴 등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

다.

이처럼 임하댐은 홍수조절과 발전 및 용수공급이라는 이수와 치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도 있으나, 탁수유발 및 부영양화 등으로 인한 내수면 생물자원 감소, 하천생태계 교란과

Page 3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29 -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요인도 내포하고 있다.

임하호의 탁수문제는 이제 안동시와 수자원공사 만의 문제가 아닌, 낙동강 수계 및 낙동강

유역권은 물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탁수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탁수가 수서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물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도의 조사와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Page 3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0 -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제 1절 국내외 연구 현황

수질오염정도를 조사하는 방법은 이화학적 방법에 의한 것이 보다 정확하지만, 이러한 방법

으로는 각각의 오염물질의 함유량을 알 수 있어도 그 오염이 생물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알기 힘들다. 특히, 장기간에 걸쳐 호소내에 탁수가 정체되거나 탁수가 장

기간에 걸쳐 하천생태계로 유입되는 등 탁수로 인한 수환경의 변화가 생물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 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물지표가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즉, 생물의 서식유무, 미소서식지 구조, 섭식기능군 등 수서생물군에 나타나는 변화로 탁수

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수환경내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다(Vannote etc, 1980;

Williams, 1984).

그러나 생물지표를 이용한 경우에는 생물체의 변화는 감지 할 수 있어도 거기에 어떠한 오

염물질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따라서 오염을 대상으로 한 水환경

조사의 경우 오염물질의 정량을 목적으로 한 이화학적 방법과 생물체에 생기는 변화에 착목한

생물지표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객관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외국의 경우, 이화학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수생생물을 이용하여 수환경

평가 및 수질오염 방지 효과를 거두었으며, 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상태이다(Pantle & Buck,

1955; Takemon & Tanida, 1993; Tanida Takemon, 1993; Chilton, 1991; Merritt &

Cummins, 1996 ). 특히 특정 수역의 오염정도를 대변하는 수환경 지표생물을 선별하여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 등급을 판정하는데 이용하고 있으며 谷田(1997), 분석방법은 木元(1976)에

따르고 있다. Takahashi(1990)는 수서생물의 서식처에 관계되는 여울과 소의 구조에 대한

연구를 하여 서식처개념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하천의 연속성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생태적 지표종으로 그 유용성이 알려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탁수 및 비탁수 지역 수계의 먹이습성 및 먹이사슬을 확인하기 위

해 구기의 형태와 섭식 기능을 파악하여 수계생태계내의 이를 섭식기능군(Funtional feeding

group)으로 분석하는 조사 및 분석기법도 Merritt and Cummins(1996)과 Allen(1995) 등에 의

해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약 20여년 전 부터 김 등(1980)과 윤 등(1982a,b; 1986, 1987)에 의해 저서성무

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 측정방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최근 10여년 전부

터 좀 더 개선된 방법으로 하천생태계의 주체인 수서생물을 이용한 수질급수 판정과 급수별

지표생물 선별 그리고 이들 수환경 지표생물을 이용한 수질 오염 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연구

가 일부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이 등, 1997, 1998, 1999, 2000, 2003; 김 등 2003; 손과

이 1999; 이 등 2000a, 2000b, 2001a, 2001b, 2002; Kim & Lee 1998; Lee etc., 1996; Lee &

Page 3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1 -

Kim, 1995 1999, 2001, 2002; Bae etc., 2003; Hwang etc., 2003; Park etc., 1998; 배 등 1998,

2001, 2003a,b,c; 윤 등 1990, 1992a,b,c,d, 1998; 허 등 2000).

그러나 임하호와 같이 탁수가 장기간에 걸쳐 상시 정체된 수역과 이러한 탁수가 수계 하천

으로 지속적으로 방류되었을 때,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본인에 의한

임하댐에 인접된 불거리, 선어대, 용정교 지역에 대한 예비조사를 제외하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제 2절 연구의 중요성

임하댐의 경우, 국내의 다른 댐과는 달리 2002년에 발생한 태풍 “루사”와 연이어 2003년에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해 댐 상류지천으로부터 대량의 토사가 유입되었으며, 그 결과 임하댐

내에서의 탁수의 장기 정체로 인한 경관 및 미관적 측면은 물론 상류지역민들의 정서적인 측

면에서도 매우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고 있다. 심지어 안동시의 경우는 임하호 영향 수계

에 위치한 안동시 수도 정수장을 폐쇄하고 안동호가 위치한 낙동강 상류수계로의 이전계획까

지 수립한 상황이다.

특히 임하호내에 장기간 정체된 탁수는 하천수계로 장기간에 걸쳐 방류됨으로서 탁수유발

입자인 미세 토양입자의 침점 등으로 임하호내의 수서생물은 물론 수서생물의 미소서식처 파

괴가 예상되며, 극미세 토양입자로 인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기관아가미와 어류의 아가미

에 침착되어 수중생물의 호흡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는 등 하천생태계의 먹이사슬 파괴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또한 탁수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어류의 먹이탐색 능력이 저하되며, 빛의 투과력이 감소되

어 수중식물에 의한 광합성 능력도 저하되는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2002년 태풍 “루사” 이후부터 상시 탁수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방류 시에 상시적

으로 탁수가 유출되고 있는 임하다목적댐내의 탁수와 이의 영향을 받고 있는 하천수계에 서식

하는 수서생물 중 어류의 먹이는 물론 플랑크톤과 유기물을 섭식하면서 수서생태계의 1차 소

비자로서 먹이사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서성무척추동물에 대한 종조성, 우점도, 다양도,

E.P.T.분류군의 점유율,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점수(ESB), 탁도 등 이화학적 요인과 종

조성과의 상관관계 구명, 아가미의 형태 및 생리학적 연구와 미소서식처 등에 관한 연구가 절

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탁수가 하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탁수 발생이 예상되는 국내

의 다른 유사 댐에 대한 귀중한 생태학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와 유사한 성격의 하천공사

및 골재채취와 준설공사 시에 발생하는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용뿐만 아

니라 자연형 하천 조성 시에도 응용되어 이수, 치수는 물론 생물의 서식을 고려한 하천 만들기

등 친수적인 측면에 적용될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Page 3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2 -

제3장 조사연구수행 내용 및 범위

제 1절 조사기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조사하기 위해 임하댐에서 탁수가 유출되기 전과 후, 총 4회 조사

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임하댐의 탁수가 방류되기 전에 이루어졌으며, 2차 조사는 탁수가

방류된 후 17일째 이루어졌다. 4월과 6월에 각각 보완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법흥교

(대조수계 St. 6)의 1차 조사결과는 조사지점의 변동으로 4월 23일 조사하였으며 3, 4차 조사는

탁수가 방류된 후 실시하였다. 방류기간에 따른 조사일정은 아래와 같다.

1차 조사: 2004년 3월 27일

2차 조사: 2004년 5월 7, 15일

3차 조사: 2004년 8월 11, 16일

4차 조사: 2004년 9월 3일

보완조사: 2004년 4월, 6월

제 2절 조사지점 개요

1. 조사지점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탁수가 저류된 임하댐 내와

임하댐에서 유출되어 낙동강 상류수계로 유입되어 일정 수계 구간에 탁수가 영향을 미치는 구

간까지를 실험구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비탁수지역인 안동댐에서 낙동강 상류수계로 유입되는 수계 구간 및 인접한 길안천

지역을 탁수구간과 비교할 수 있는 대조 구간으로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표 1).

Page 3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3 -

표 1. 조사지점

비탁수 영향수계 탁수 영향수계

St. 1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 송사교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임하보조댐 *

St. 2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묵계교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불거리 *

St. 3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 명덕교 안동시 송천동 선어대 * 

St. 4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금소교 * 안동시 옥동 생명과학고앞 *

St. 5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 신덕교 *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 구담교

St. 6 안동시 용상동 법흥교 상주시 사벌면 매호리 상풍교

St. 7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단교

St. 8 구미시 임수동 구미대교

St. 9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 성주대교

St. 10 고령군 성산면 강정리 고령교

* 주요 비교 지점

2. 조사지점 개요

본 연구에서는 탁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대조수계 4지점과 탁수의 영향을 직접 받는

실험수계의 4지점을 주요 비교 분석 지점으로 선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수계인 길안천의 4지점은 조사기간 동안 탁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하상의 공

극 사이에 침적된 점토 입자가 거의 없어 비교적 깨끗한 하상 상태를 유지하였다. 반면 탁수의

영향을 받는 실험수계의 4지점은 임하댐 내와 임하댐의 하류 수계로서, 돌 사이에 미세한 점토

입자가 침적되어있다(표 2).

Page 3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4 -

표 2. 주요 비교 지점

대조수계 실험수계

St. 1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 송사교 St. 1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임하보조댐

St. 2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묵계교 St. 2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불거리

St. 3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금소교 St. 3 안동시 송천동 선어대

St. 4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 신덕교 St. 4 안동시 옥동 생명과학고앞

조사 시기는 탁수의 방류 중단 기간과 방류 기간을 고려하여 실시하였으며, 탁수의 영향뿐만

아니라 곤충의 우화시기를 고려하여 결과에 반영하였다. 탁수 방류 중단기간인 03년 8월부터

04년 4월 20일 중 3월에 1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탁수 방류기간인 4월 20일 이후에 2차, 3차,

4차 조사가 이루어졌다. 또한 수서곤충의 우화시기가 대부분 여름에 중점적으로 일어나기 때문

에 본 연구에서는 수서 곤충의 우화시기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3. 탁수방류시기 (2004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탁수방류중단기간

03. 8~04. 4. 20

탁수방류기간

04. 4. 21~04. 10 (현재), 04.8.4∼8.5 (방류중단)

하루살이류 우화

강도래류 우화

날도래류 우화

파리류 우화

Page 3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5 -

4. 조사지점별 현황분석

가. 대조수계

(1) St. 1(송사교)

길안천 수계의 상류에 위치하며 2003년 태풍 매미의 영향을 받은 과수원 및 도로 공사로

인해 3월 조사에서 하천 옆 토사유입의 영향을 일부 받고 있었으며, 돌에 조류가 많고 하천

주변에 수초가 다소 산재해 있었다. 2차 조사가 실시된 5월에는 하천 옆의 제방 공사가 완료

되어 토사 유입이 거의 없었다.

(2) St. 2(묵계교)

수생 식물은 거의 없으며 돌에 부착 조류가 많았다. 호박돌 이상의 돌과 자갈이 많았으며,

주변에 오염원이 없다.

(3) St. 3(명덕교)

명덕교 상류쪽에 하상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며, 그로 인해 탁수가 유입되었다. 조류가 많

았으며, 하천 주변에 수초가 있다.

(4) St. 4(금소교)

정수지역에 부유물질과 돌이끼가 많아 돌 표면이 미끄러웠으며, 유수지역에는 비교적 유속

이 빠르고 호박돌 이상의 큰 돌이 많이 산재해 있었다. 수생식물은 거의 없다.

(5) St. 5(신덕교)

길안천 수계의 하류쪽에 위치하며, 돌 표면에 부유물질이 많고, 수생식물은 거의 없었다.

호박돌 이상의 큰 돌이 많았으며, 주변에 오염원이 없다.

(6) St. 6(법흥교)

안동호 하류쪽에 위치하며, 임하호 수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으로 수폭이 100m 이상

이다. 주변에 밭농사가 행해지고 있으며, 수생식물이 다소 존재한다. 호박돌 이상의 크기의 돌

과 자갈이 혼재해 있으며 특히 수온이 낮은 지점이다.

나. 실험수계

(1) St. 1(임하보조댐)

보조댐 내에 수초가 다소 있었으며, 자갈과 같은 작은 크기의 돌이 대부분이었다. 이끼류

는 전혀 없었으며, 탁수의 영향으로 물 속이 전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수질이 탁했다.

(2) St. 2(불거리)

임하보조댐 하류쪽에 위치해 탁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으로 수생식물이 발달해 있었으며,

돌표면에 이끼가 많아서 미끄러웠다. 탁수 방류 전인 3월에는 수심이 얕고 돌 표면에 부착하

던 저서생물이 많았으나 탁수의 영향을 받은 5월에는 수심도 깊고 조류도 거의 볼 수 없었

다.

Page 3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6 -

(3) St. 3(선어대)

탁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으로 주변에 수초가 발달해 있으며, 돌에 이끼류가 부착되어 있어

미끄러웠다. 방류 후에는 수심이 매우 깊어졌으며, 부착 조류가 거의 없고 탁도가 높게 측정

되었다.

(4) St. 4(생명과학고 앞)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계가 합수된 지점으로 하천의 주변에 수변식물이 빈약하게 존재하고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악취가 심하였다. 주변에 도심이 조성되어 있어 오염원이 많았으며, 잔

자갈이 많고 돌 표면에 이끼류가 부착되어 있어 미끄러웠다. 탁수가 방류된 후 5월 조사에서

는 하천의 유량도 많아지고 악취도 다소 완화되었으나 돌 표면에 부착하던 저서생물의 출현

이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5) St. 5(구담교)

수생식물은 거의 없고, 수변에는 사초과의 초본식물이 발달해 있었다. 내외지의 이용은 하

천의 좌안으로 소규모 밭과 비닐하우스가 산재하고 있었다.

(6) St. 6(상풍교)

수생식물은 거의 없으며, 수변은 대부분 갈대로 덮여있으며, 부분적으로 갯벌들이 산재해

있다. 내외지 내 이용은 거의 없으며 현재 제방공사가 진행 중이다.

(7) St. 7(낙단교)

5월 이후부터 골재채취가 진행되고 있으며, 낙단교 주변으로 식당, 숙박업소들이 위치하고

있다. 수변 및 수생식물은 거의 없으며, 내외지의 우완은 큰 돌로 구성된 제방이 수변에 접

해 있으며 밭농사가 행해지고 있다. 좌완은 수변에서 100m 이상은 모래로 되어있으며, 이후

는 갈대 등의 초본 식물들이 발달해 있다.

(8) St. 8(구미대교)

구미 공단 내에 위치한 지점으로 우완은 고수부지를 조성하여 주차장 및 생활체육 시설로

활용하고 있으며, 좌완은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수생식물은 거의 없으며, 우완은 수변식물도

없고, 좌완은 수변식물이 다소 존재하지만 생활하수가 유입되어 주변이 오염되어 악취가 심

하게 풍기고 있었다.

(9) St. 9(성주대교)

금호강이 합류되기 이전 지점으로 상류지역에 여러 개의 골재채취장이 위치한다. 수변식물

과 수생식물이 매우 빈약하게 서식한다. 내외지는 매우 넓으며, 밭농사와 비닐하우스로 이용

되고 있다.

(10) St.10(고령교)

금호강이 합류된 이후의 지점으로 골재채취가 진행되고 있는 지점이다. 수변식물과 수생식

물은 거의 없으며, 내외지의 이용도 거의 없다.

Page 3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7 -

그림 1. 실험수계 및 대조수계의 각 조사지점과 조사지 전경.

그림 1. 실험수계 및 대조수계의 각 조사지점과 조사지 전경.

◉ 실험수계

▣ 대조수계

★ 주요 비교 지점

Page 3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38 -

표 3. 각 조사지점별 서식 환경 조사표

환경요인

조사지점하상구조 수심(cm) 수폭(m) 하폭(m)

St. 1 B 30 60-70 80

St. 2 B 25 20 110

St. 3 B 15 20-40 80

St. 4 B 30 30-40 120

St. 5 B 20 40 100

St. 6 B 20 20-30 120

St. 1 C 25 30-40 70

St. 2 B 10-40 40-80 80-130

St. 3 B 15-30 50-60 70-90

St. 4 B 20 90-100 170

St. 5 H 40-50 200-250 400-450

St. 6 J 40-55 250-300 600-650

St. 7 I 120-150 250-300 400-450

St. 8 I 50-55 150-200 450-500

St. 9 C 40-45 500-600 900-1000

St. 10 J 150-200 250-300 700-800

기 호 구 분 기 호 구 분

A

B

C

D

E

F

호 박 돌 이 상

호 박 돌 + 자 갈 (호 박 돌 >자 갈 )

자 갈 + 호 박 돌 (자 갈 >호 박 돌 )

자 갈

자 갈 + 잔 자 갈 (자 갈 >잔 자 갈 )

잔 자 갈 + 자 갈 (잔 자 갈 >자 갈 )

G

H

I

J

K

잔 자 갈

잔 자 갈 + 모 래 (잔 자 갈 >모 래 )

모 래 + 잔 자 갈 (모 래 >잔 자 갈 )

모 래

모 래 이 하

* 입경기준; 호박돌 이상(64mm 이상), 자갈(16-64mm),

작은자갈(2-16mm), 모래(0.25-2mm)

Page 4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E.P.T.분류군의

점유율 및

정착률

탁수 발생에

따른 미소서식처

유형 분석 및

종조성

환경질 평가 및 생태환경 관리기준 판정

조사데이터 비교 분석 및 종합 평가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담수생태계 보전방안 제시

실험구간(탁수수계) 및 대조구간(비탁수수계)

설정 및 수서생태계 조사

실험구간 및 대조구간의 각 인자별 특성파악

군집분석 및

생태점수(ESB)

산출

먹이망의 구조와

기능 비교분석

및 기관아가미에

미치는 영향

- 39 -

제 3절 추진체계

1. 추진체계

Page 4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0 -

제 4절 조사내용

1. 탁수의 미세 입자가 서식처 파괴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2.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의 종조성, 다양도, 생태점수(ESB) 및 우점종 조사

3.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의 먹이사슬과 먹이망 비교

4. 부착생물군(E.P.T.)의 점유율, 정착률

5. 미소서식처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6. 수서생물의 아가미 형태 및 생리학적 연구

7. 정수역과 유수역에서의 탁수 흐름에 따른 서식생물상

8. 탁수원인 및 현황

9. 하상교란 및 탁수가 종복원에 미치는 영향

10 탁수가 호소 및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11.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저감 및 대안

Page 4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1 -

제 5절 조사방법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가. 이화학적 조사

조사항목은 수온, 용존산소, pH, 유속, 탁도, 수심 그리고 육안에 의하여 하상구조 및 암

석조성을 측정, 조사하였다. 수온과 용존산소(DO)와 pH는 현장에서 MODEL HI 9145

dissolved oxygen meter (HANNA instruments), DO-14P와 MODEL HI 991300 pH meter,

Orion 25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속은 MODEL 1100 digital flow indicator와 UC-2, 탁

도는 MODEL TB-IA Turbidity meter, TN-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나. 생물학적 조사

(1) 조사 방법

채집은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나누어서 행하였으며, 정성적인 방법은 주로

뜰채와 핀셋을 이용하여 돌이나 수초에 부착하는 서식형과 저질이나 부유물 등, 퇴적층에 서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또한 하상의 구조와 유속 등

을 고려하여 Suber net(30×30cm)로 4회씩 정량채집을 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Kahle`s fluid(D.W. 59%, ethyl alcohol 28%, formalin 11%,

acetic acid 2%)에 고정하여 2~3일 후 80% Ethanol에 옮겨 보존하였다(Merritt &

Cummins, 1985). 또한 탁수의 영향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실내 pilot plant를 설치하여 보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2) 동정 및 분류

채집된 종의 동정에는 윤(1988, 1995), 권(1990, 1993) 등을 참조하였으며, 표본은 안동

대학교 생명과학과 동물분류학연구실에 보관하였다. 또한 파리목의 깔다구과(Chironomidae)

에 속하는 종들은 외부형태가 뚜렷이 구별되는 것을 대상으로 Chironominae sp. 1처리하였

으며, 기타 종 동정이 불가능한 분류군의 경우에도 역시 sp. 처리하였다.

다.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군집분석은 우선 채집된 표본을 윤(1988)을 참조하여 종류별로 동정하고 각 종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상기에서 동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각 조사지점별로 다음과 같이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점도 지수, 다양도 지수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는 정성적

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으로 채집된 모든 종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Page 4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2 -

(1) 우점도 지수

우점도는 각 지점의 군집의 단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여기서는 각 조사지점의 개체수

현존량에서 우점종과 아우점종을 선정하였으며, 우점도지수는 McNaughton's

dominance index (DI)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McNaughton 1967).

┏ n1: 우점종의 개체수

DI = n1 + n2

┃ n2: 아우점종의 개체수N

┗ N: 총개체수

(2) 다양도 지수

다양도 지수는 Margalef (1956, 1958)의 이론에 의하여 도출된 Shannon-Weaver function

(H')을 Llyod and Ghelord가 변형한 공식(Pielou 1969)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ni: i종의 개체수

H' = -∑ [(ni/N)․log2(ni/N)] ┃

┗ N: 총개체수

(3)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표군집지수는 개체수출현도(다양도지수 등)를 무시한 두 가지 유형의 단순지수를 사용

하였다. 이는 본 사업이 복잡한 지수는 자료해석 및 활용성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

이다. 환경질의 평가와 생태환경 관리기준의 판정은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환경부, 2001)에

서 제안한 ESB지수를 적용하였다.

4ESB = ∑ ∑(Si․Qi) Kong(1997)

i=1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Qi: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

Si: Species requency to i environmental quality

(i 환경질에 대한 총출현종수 합)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에 대한 ESB의 평가구간은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환경부, 2001)

에 제시한 기준표를 기초로 하였다(표 4).

Page 4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3 -

표 4. ESB의 구간에 따른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 평가표

환경질의 평가 오수생물계열의 평가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 오수생물계열

81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Ⅰ 51이상 빈부수성

61~80 양호 우선보호수역

41~60 다소양호 보호수역Ⅱ 21~50 β-중부수성

26~40 다소불량 개선수역

13~25 불량 우선개선수역 Ⅲ 9~20 α-중부수성

12이하 매우불량 최우선개선수역 Ⅳ-Ⅴ 8이하 강부수성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Qi)는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환경부, 2001)에 제시한 분류기준표를

일부분 수정 보완하여 표 5에 수록하였다.

(4) 생물지수(BI)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Qi) 중 환경질 점수가 4인 것은 Beck-Tsuda의 BI지수 산정 시 A군

으로, 그 외는 B군으로 분류하였다. 오염에 내성이 약한 종수의 합을 A, 내성이 강한 종수의

합을 B라 할 때, BI = 2A + B이다.

Page 4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4 -

표 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개별 분류군 환경질점수(Qi)

Taxa Qi Taxa Qi Taxa Qi

Dugesia japonica 3 Ecdyonurus dracon 4 Galerucella KUa 2

Semisulcospira libertina 4 Ecdyonurus kibunensis 4 Tipula KUb 3

Semisulcospira tegulata 3 Ecdyonurus levis 3 Antocha KUa 4

Koreanomelania nodifila 3 Epeorus latifolium 4 Psychodidae sp. 1 2

Lymnaea auricularia 1 Iron aesculus 3 Simulium sp. 1 4

Physa acuta 1 Choroterpes altioculus 3 Ceratopogonidae sp. 1 3

Gyraulus chinensis 2 Paraleptophlebia chocolata 4 Chironominae sp. 1 1

Batracobdella paludosa 2 Potamanthellus chinensis 3 Suragina KUb 4

Glossiphonia complanata 2 Potamanthus formosus 3 Ephydridae sp. 1 2

Toryx tagoi 2 Rhoenanthus coreanus 3 Muscidae sp. 1 2

Hirudo nipponica 2 Siphlonurus chankae 4 Psychomyia KUa 4

Whitmania pigra 2 Coenagrion sp. 1 2 Hydropsyche KUa 4

Erpobdella lineata 1 Anisogomphus maacki 3 Hydropsyche KUb 3

Gammarus sp. 1 4 Nemoura jezoensis 4 Hydropsyche KUc 4

Palaemon modestus 2 Perlodes stigmata 4 Hydropsyche KUd 4

Ameletus costalis 4 Neoperla quadrata 4 Hydropsyche KUe 4

Alainites muticus 2 Sweltsa nikkoensis 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3

Baetiella tuberculata 4 Micronecta sedula 2 Cheumatopsyche KUa 4

Baetiella japonica 4 Gerris latiabdominis 2 Cheumatopsyche KUb 4

Baetis fuscatus 2 Protohermes grandis 4 Apsilochorema KUa 4

Baetis thermicus 2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4 Rhyacophila articulata 4

Cloeon dipterum 2 Neonectes natrix 2 Rhyacophila shikotsuensis 4

Caenis KUa 2 Platambus fimbriatus 2 Rhyacophila brevicephala 4

Drunella triacantha 4 Platambus pictipennis 2 Glossosoma KUa 4

Ephemerella dentata 4 Helochares striatus 2 Hydroptila KUa 3

Ephemerella kozhovi 4 Cercyon aptus 2 Goera japonica 3

Serratella setigera 4 Elmidae sp. 1 4 Apatania KUa 4

Uracanthella rufa 3 Stenelmis vulgaris 4 Nothopsyche KUa 4

Ephemera orientalis 3 Stenelmis nipponica 4 Mystacides KUa 4

Ephemera strigata 4 Psephenoides KUa 4 Ceraclea KUb 4

Cinygmula grandifolia 4 Mataeopsephus KUa 3

Ecdyonurus bajkovae 4 Eubrianax KUa 4

개별 종의 환경질 등급(4 : very clean, 3 : clean, 2 : polluted, 1 : very polluted)

Page 4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5 -

2. 어류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의 영향으로 임하댐의 수질은 점토질(0.002mm이하)성

분이 가라앉지 않고 장기간 수중에 부유되어 있음으로 해서 지속되어 수질이 매우 탁하게 되

었다. 탁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수질환경이 극히 악화되는 과정에서 그곳에 서식하는 어

류와 많은 수중생물의 생존은 크게 위협받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폐사의 가능성도 갖게 된다.

수질오염은 어류의 아가미 및 신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초래 한다고 알려져 왔으나(Davis,

1946; Hickman and Trump, 1968; Sarig, 1971; Skidmore and Tovell, 1972; Cawley, 1975;

Landolt, 1975; Smith and Piper,1975 ; Molnar, 1979 ; Morrison, 1981) 국내에서는 오염수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직학 또는 생리학적 연구는 미흡하며, 또한 탁수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직

생리학적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탁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임하댐 유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류의 아가미, 신장, 피부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야외 및 실험실에서 채취된 어

류를 바탕으로 조직학적 방법과 전자현미경적 연구를 하였으며,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혈장단백질의 전기영동적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새로이 Biomarker로서 Ferritin(철 결합단백질)

의 질적, 양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 아가미, 신장 및 표피의 조직학적 연구

(1) 광학현미경적 연구

임하댐과 안동댐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직을 부위별로 절취하여 FAA로 24시간 고정한 후

일반적인 조직 제작 방법에 따라 조직을 포매였다. 이 후 microtome을 이용하여 7㎛ 두께로

조직 절편(sectioning)을 만든 후 Hematoxylin과 eosin에 이중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조직

을 관찰하였다.

(2)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실험수계(임하댐)와 대조수계(안동댐) 어류의 아가미를 절취하여 Glutaraldehyde(2.5%)에서

2시간 전고정을 시킨 후 PBS로 15분씩 3번 세척(washing)을 하였다. 후고정으로 OSO4에 1~

2시간 고정 후 탈수 과정을 거쳐 냉동실에서 보관 후 over-night 시켰다. 이후 조직을 stub에

고정한 후 ion coating하였으며, Hitachi S-2500C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아가미의 표면구조를

관찰하였다.

Page 4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6 -

나. 혈장 단백질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탁수에 의한 어류의 혈장 내 단백질의 변화가 얼마나 일어났는지 조사하기위해 어류의 혈

장을 분석하였다. 채혈은 보통 마취 하에서 미정맥(caudal), 복대동맥(ventral aorta), 새궁동맥

(branchial artery), 심장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나 본 실험에서는 심장에서 직접 채혈하였다.

해부기구를 이용하여 어류의 배를 가른 다음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직접 혈액을 채취

하여 사면배지에 30~60분, 36℃에 둔 다음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 한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혈장을 채취 한 다

음 SDS-PAGE법에 따라 단백질 패턴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의 측정을 위해서는 Bio-Rad사의

표준 단백질(phosphorylase B, MW 97,400; bovine serum albumin, MW 66,200; ovalbumin,

MW 42,699; carbonic anhydrase, MW 31,000; soybean trypsine inhibitor, MW 21,500;

lysozyme, MW 14,400)을 병행 사용하였다.

또한 각 어류의 혈장에 분포하는 ferritin(철 결합단백질)의 질적, 양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

해 Davis(1964)의 방법에 따라 5% native PAGE를 실시하였다. 전기영동한 후, ferritin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erene S 염색을 실시하였다(Chung, 1985).

Page 4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7 -

■ 현장조사 전경

그림 2. 탁도 측정 (위)

그림 3. 유속 측정 (아래)

그림 4. DO, pH, 수온 측정 (위)

그림 5. 정량 및 정성채집 (아래)

■ 실내조사 전경

그림 6, 7. 저서성무척추동물 pilot plant

(위), 실내 사육장치 (아래)

그림 8. 어류 실내 실험장치- 근경 (위)

그림 9. 어류 실내 실험장치- 원경 (아래)

Page 4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8 -

제4장 연구결과

제 1절 환경 요인

조사기간 동안 환경적인 요인으로 수온, pH, DO, 탁도, 유속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표 6).

표 6. 각 조사지점별 환경 요인 조사표

Month

Factor Sites

3월(1차) 5월(2차) 8월(3차) 9월(4차)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Water Temp.

(℃)

St. 1 9.4 18.6 17.1 13.1 28.8 28.6 23.0 23.3

St. 2 10.1 15.7 17.4 16.3 28.9 29.5 22.9 27.9

St. 3 11.3 13.6 18.3 13.6 29.6 27.2 23.2 23.3

St. 4 13.5 10.1 24.5 19.0 28.6 32.9 23.9 27.2

Mean 11.1 14.5 19.3 15.5 29.0 30.0 23.3 25.4

pH

(log 1/[H+])

St. 1 8.86 6.89 6.90 6.89 10.39 6.89 10.15 6.89

St. 2 10.04 6.90 6.89 6.89 10.32 6.89 9.90 6.89

St. 3 6.89 6.90 6.89 6.89 6.89 6.88 6.89 6.89

St. 4 6.89 6.90 6.89 6.89 6.89 6.89 6.89 6.89

Mean 8.17 6.90 6.89 6.89 8.62 6.89 8.46 6.89

DO

(ppm)

St. 1 7.49 8.48 7.40 8.22 7.67 8.32 9.50 8.15

St. 2 7.87 8.31 7.21 8.52 7.03 10.03 4.51 6.65

St. 3 8.08 8.41 7.02 7.93 7.87 8.14 8.90 6.90

St. 4 8.17 8.92 7.51 10.81 8.59 13.61 11.11 6.89

Mean 7.90 8.53 7.29 8.87 7.79 10.03 8.51 7.15

Turbidity

(NTU)

St. 1 1.5 57.5 3.0 50.0 3.5 69.0 0.5 70.0

St. 2 - 0.5 2.0 40.0 2.5 58.0 0.5 70.5

St. 3 0.5 7.0 0.5 46.0 2.5 55.0 1.0 62.0

St. 4 0.5 0.5 0.5 32.0 0.5 35.0 0.5 52.0

Mean 0.6 16.4 1.5 42.0 2.3 54.3 0.6 63.6

Flow

velocity

(m/s)

St. 1 0.11 0.03 0.14 0.03 0.03 0.03 0.50 0.50

St. 2 0.33 0.40 0.55 0.37 0.70 0.04 0.80 1.00

St. 3 0.18 0.48 0.33 0.70 0.22 1.14 0.50 1.30

St. 4 0.14 0.03 0.47 0.18 0.14 0.11 0.50 0.70

Mean 0.19 0.24 0.37 0.32 0.27 0.35 0.58 0.88

Page 5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49 -

제 2절 분포 및 서식 현황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본 조사를 통해 대조수계 4지점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5강 13목 38과

77종으로 조사되었다. 각각의 분류군을 살펴보면 편형동물문(Platyhelminathes) 1강 1목 1과 1

종, 연체동물문(Mollusca)은 1강 2목 3과 5종, 환형동물문(Annelida) 1강 2목 3과 6종, 절지동

물문(Arthropoda) 2강 8목 31과 65종이 채집되어 절지동물문(Arthropoda)이 가장 많은 분류군

을 차지하였다(표 7).

반면 실험수계 4지점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5강 12목 40과 67종으로

조사되었다. 각각의 분류군을 살펴보면 편형동물문(Platyhelminathes) 1강 1목 1과 1종, 연체동

물문(Mollusca) 1강 2목 4과 4종, 환형동물문(Annelida) 1강 1목 2과 2종, 절지동물문

(Arthropoda) 2강 8목 33과 60종이 채집되어 역시 절지동물문(Arthropoda)이 가장 많은 분류군

을 차지하였다(표 7).

또한,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에서의 저서생물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기간 중 탁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실험수계에서 동정 분류된 종은 총 4

문 5강 12목 40과 67종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대조수계에서 분류된 종은 총 4문 5강 13목 38과

77종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실험수계의 대부분의 지점에서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

며, 우점도지수(DI)는 0.387~0.978로 나타났다.

대조수계 역시 대부분의 지점에서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하였으며, 우점도지

수(DI)는 0.359~0.937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셋째, 종 다양도 지수(H')는 실험수계에서 평균 1.642, 대조수계에서 평균 2.810으로 나타났

으며, 탁수유발입자의 침전으로 인한 미소서식처 파괴로 인한 종다양도 감소 및 서식 종조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탁수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의 호흡기관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가미 세사의 두께, 간극 등에서 일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는 실험수계에서 평균 37, 대조수계에서 평균

76으로 실험수계와 대조수계간의 생태점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생물학적 수질판정 결과는 실험수계는 오수생물계열 ‘β-중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등급 Ⅱ급수, 환경상태는 ‘다소불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개선수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수계의 오수생물계열은 ‘빈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등급 ‘I 급수’, 환경상태 ‘매우

양호’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Page 5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0 -

표 7. 조사 지역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Phylum Class OrderFamily Species No. Ind.

대조 실험 대조 실험 대조 실험

Platyhelminathes Turbellaria Tricladida 1 1 1 1 31 1

Mollusca Gastropoda Mesogastropoda 1 1 3 1 54 1

Basommatophora 2 3 2 3 6 36

Annelida Hirudinea Rhynchobdellida 1 0 3 0 6 0

Arhynchobdellidae 2 2 3 2 6 2

Arthropoda

Crustacea Amphipoda 1 0 1 0 23 0

Decapoda 0 1 0 1 0 1

Insecta

Ephemeroptera 8 10 23 22 7,198 527

Odonata 2 0 2 0 3 0

Plecoptera 4 2 4 2 39 29

Hemiptera 2 2 2 2 9 17

Megaloptera 0 1 0 2 0 3

Coleoptera 3 5 8 11 41 73

Diptera 4 8 5 9 10,329 6,789

Trichoptera 7 4 20 11 1,037 380

Total 4 5(5) 13(12) 38 40 77 67 18,782 7,859

( ) : 실험지역

대조수계의 분류군별 출현종수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분류군은 하루살이목으로

8과 23종이 출현하여 약 29.87%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날도래목이 7과 20종으로 약 25.97%

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딱정벌레목 3과 8종(10.39%), 파리목 4과 5종(6.49%), 강도래목 4과 4

종(5.19%), 노린재목 2과 2종(2.60%), 잠자리목 2과 2종(2.60%)순으로 나타났으며, 곤충류를 제

외한 기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8과 13종으로 16.9%를 차지하였다.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

의 출현종수비가 높다는 점에서 이 지역의 전체 수계는 환경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그림

10).

Page 5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1 -

그림 10. 대조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Plecoptera5.19%

Ephemeroptera29.87%

Hemiptera2.60%

Diptera6.49%

Coleoptera10.39%

Odonata2.60%

Basommatophora2.60% Rhynchobdellida

3.90%

Mesogastropoda3.90%

Trichoptera25.97%

Tricladida1.30%

Arhynchobdellidae3.90%

Amphipoda1.30%

대조수계 전체 조사지점의 개체수현존량은 18,782마리로 이중 파리목 55.06%, 하루살이목

38.37%, 날도래목 5.53%, 딱정벌레목 0.22%, 강도래목 0.21%, 노린재목 0.05%, 잠자리목

0.02%, 곤충류를 제외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16.9%의 비율로 나타났다(그림 11).

그림 11. 대조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비.

Ephemeroptera38.37%

Diptera55.06%

Tricladida0.17%

Mesogastropoda0.29%

Basommatophora0.03%

Rhynchobdellida0.03%

Odonata0.02%

Coleoptera0.22%

Plecoptera0.21%

Arhynchobdellidae0.03%

Amphipoda0.01%

Trichoptera5.53%

Hemiptera0.05%

실험수계의 분류군별 출현종수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분류군은 하루살이목으로

10과 22종이 출현하여 32.84%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날도래목이 4과 11종으로 16.42%, 딱정

Page 5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2 -

벌레목이 5과 11종으로 역시 16.42%로 나타났다. 그리고 파리목이 8과 9종으로 13.43%, 강도

래목 2.99%, 노린재목 2.99%, 뱀잠자리목 2.9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곤충류를 제외한 기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8과 8종으로 11.94%를 차지하였다 (그림 12).

그림 12. 실험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Ephemeroptera32.84%

Coleoptera16.42%

Diptera13.43%

Trichoptera16.42%

Megaloptera2.99% Hemiptera

2.99%

Plecoptera2.99%

Basommatophora4.48%

Tricladida1.49%

Mesogastropoda1.49%

Arhynchobdellidae2.99%

Decapoda1.49%

실험수계의 전체 조사지점의 개체수현존량은 7,859마리로 이중 파리목 86.39%, 하루살이목

6.71%, 날도래목 4.84%, 딱정벌레목 0.93%, 강도래목 0.37%, 노린재목 0.22%, 뱀잠자리목

0.04%, 그리고 곤충류를 제외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0.52%를 차지하였다(그림 13).

그림 13. 실험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비.

Diptera86.39%

Tricladida0.01%

Mesogastropoda0.01%

Hemiptera0.22%

Ephemeroptera6.71%

Basommatophora0.46%

Arhynchobdellidae0.03%

Decapoda0.01%

Trichoptera4.84%

Plecoptera0.37%

Megaloptera0.04%

Coleoptera0.93%

Page 5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3 -

표 8. 조사시기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종 목록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1. Dugesia japonica 플라나리아 ◯ ● ◯ ◯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2. Semisulcospira libertina 다슬기 ◯ ● ◯ ◯ ◯ 3. Semisulcospira tegulata 좀주름다슬기 ◯ ◯ 4. Koreanomelania nodifila 염주다슬기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5. Lymnaea auricularia 물달팽이 ● ◯ ●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과 6.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 ● ●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7. Gyraulus chinensis 또아리물달팽이 ●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8. Batracobdella paludosa 연두넙적거머리 ◯ ◯ 9. Glossiphonia complanata 갈색넙적거머리 ◯10. Toryx tagoi 개구리넙적거머리 ◯ ◯ Order Arhynchobdellidae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11. Hirudo nipponica 참거머리 ◯ ◯ ●12. Whitmania pigra 말거머리 ◯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13. Erpobdella lineata 돌거머리 ◯ ◯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가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14. Gammarus sp. 1 옆새우류 ◯ ◯ ◯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15. Palaemon modestus 각시흰새우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5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4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16. Ameletus costalis 피라미하루살이 ◯ ●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17. Baetiella tuberculata 애호랑하루살이 ◯ ◯ ● ● ◯ ●18. Baetiella japonica 애하루살이 ◯ ● ◯ ◯ ◯19. Alainites muticus 길쭉하루살이 ◯ ● ◯ ● ◯ ● ◯ ●20.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 ● ◯ ● ◯ ● ◯ ●21. Baetis thermicus 꼬마하루살이 ◯ ◯ ● ◯22. Cloeon dipterum 두날개하루살이 ◯ Family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23. Caeni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 ◯ ◯ ● ◯ ●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24. Drunella triacantha 삼지창하루살이 ◯ ◯25. Ephemerella dentata 알락하루살이 ◯ ◯ ◯ ◯26. Ephemerella kozhovi 흰등하루살이 ● ●27. Serratella setigera 범꼬리하루살이 ◯ ◯28. Uracanthella rufa 등줄하루살이 ◯ ● ◯ ● ◯ ● ◯ ●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29. Ephemera orientalis 동양하루살이 ◯ ● ◯30.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 ◯ ● ◯ ●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31. Cinygmula grandifplia 봄처녀하루살이 ◯ ◯32. Ecdyonurus bajkovae 몽땅하루살이 ◯ ◯ ◯ ◯33. Ecdyonurus dracon 참납작하루살이 ◯ ● ◯ ◯34. Ecdyonurus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 ● ◯ ● ◯ ● ◯ ●35. Ecdyonurus levis 네점하루살이 ◯ ● ◯ ● ◯ ● ◯ ●36. Epeorus latifolium 점박이부채하루살이 ◯ ◯ ◯ ◯ ●37. Iron aesculus 중부채하루살이 ●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38. Choroterpes altioculus 세갈래하루살이 ◯ ● ◯ ● ◯ ● ◯ ●39. Paraleptophlebia chocolata 두갈래하루살이 ◯ ● ◯ ◯ Family Neoephemeridae 방패하루살이과40. Potamanthellus chinensis 방패하루살이 ● Family Potamanthidae 강하루살이과41. Potamanthus formosus 작은강하루살이 ●42. Rhoenanthus coreanus 강하루살이 ● Family Siphlonuridae 옛하루살이과43. Siphlonurus chankae 옛하루살이 ◯ ● ◯ ●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oidae 실잠자리과44. Coenagrion sp. 1 실잠자리속 ◯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45. Anisogomphus maacki 마이키측범잠자리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5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5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46. Nemoura jezoensis 꼬마민강도래 ◯ ● Family Perlodidae 그물강도래과47. Perlodes stigmata 점등무늬강도래 ◯ ● Family Perlidae 강도래과48. Neoperla coreensis 두눈강도래 ◯ ◯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49.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Corixidae 물벌레과50. Micronecta sedula 꼬마물벌레 ◯ ● ◯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51. Gerris latiabdominis 애소금쟁이 ● ◯ ● ◯ ● ●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과52. Protohermes grandis 뱀잠자리 ●53.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대륙뱀잠자리 ●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54. Neonectes natrix 노랑무늬물방개 ◯ ◯ ◯ ●55. Platambus fimbriatus 노랑테콩알물방개 ◯ ●56. Platambus pictipennis 콩알물방개 ●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57. Helochares striatus 좀물땡땡이 ●58. Cercyon sp. 1 모래톱물땡땡이류 ●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59. Elmidae sp. 1 여울벌레류 ◯ ● ● ◯ ●60. Stenelmis vulgaris 긴다리여울벌레 ◯ ◯ ◯ ● ◯61. Stenelmis nipponica 곰보긴다리여울벌레 ◯ ●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62. Psephenoides KUa 물삿갓벌레 KUa ● ◯63. Mataeopsephu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 ● ◯ ● ◯64.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과65. Galerucella KUa 딸기잎벌레 KUa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66. Tipula KUb 각다귀 KUb ◯ ●67.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 ● ◯ ● ◯ ● Family Psychodidae 나방파리과68. Psychodidae sp. 1 나방파리류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5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6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69. Simulium sp. 1 먹파리류 ◯ ● ◯ ● ●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과70. Ceratopogonidae sp. 1 등에모기류 ◯ ● Family Chironomidae 깔다구과71. Chironominae sp. 1 깔따구아과 ◯ ● ◯ ● ◯ ● ◯ ●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과72. Suragina KUb 긴개울등에 KUb ●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과73. Ephydridae sp. 1 물가파리류 ● Famiy Muscidae 집파리과74. Muscidae sp. 1 집파리류 ●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Psychomyiidae 통날도래과75. Psychomyia KUa 통날도래 KUa ◯ ●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76. Hydropsyche KUa 줄날도래 KUa ◯77. 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b ◯ ● ◯ ● ◯ ●78. Hydropsyche KUc 줄날도래 KUc ● ◯ ●79. Hydropsyche KUd 줄날도래 KUd ◯ ● ●80. Hydropsyche KUe 줄날도래 KUe ◯ ● ◯81.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 ● ◯ ◯ ◯ ●82.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a ◯ ● ◯ ◯ ● ◯ ●83. Cheumatopsyche KUb 꼬마줄날도래 KUb ◯ ● ◯ ● ◯ ● ◯ ● Family Rhycophilidae 물날도래과84.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85. Rhyacophila articulata 주름물날도래 ◯86. Rhyacophila brevicephala 넓은머리물날도래 ◯ ◯ ◯87. Rhyacophila shikotsuensis 민무늬물날도래 ◯ Family Glossososmatidae 광택날도래과88.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 ◯ Family Hydroptilidae 애날도래과89. Hydroptila KUa 애날도래 KUa ◯ ● ◯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90. Goera japonica 가시날도래 ◯ ◯ ◯91. Apatania KUa 애우묵날도래 KUa ◯ ◯92.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 ◯ ◯ Family Leptoceridae 나비날도래과93. Mystacides KUa 청나비날도래 KUa ◯ ●94. Ceraclea KUb 나비날도래 KUb ◯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5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7 -

2. 지점별 출현도

지점별 분류군을 살펴보면, 대조수계 4지점 중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낸 지점은 1지

점과 2지점으로 52종, 3지점 47종, 4지점 36종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수계 4지점 중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낸 지점은 4지점으로 43종, 3지점 33종, 2지점

이 31종, 그리고 1지점이 12종으로 나타났다(표 9).

표 9. 조사지점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Taxa

SitesPhylum Class Order Family Genus Species No. Ind.

St. 1 4 4 12 29 43 52 4,554

St. 2 4 5 10 30 35 52 5,860

St. 3 3 3 9 24 34 47 4,531

St. 4 3 4 10 21 25 36 3,837

Mean 4 4 10 26 34 47 4,696

St. 1 3 3 7 12 10 12 223

St. 2 3 4 9 20 22 31 2,790

St. 3 1 1 7 19 22 33 3,081

St. 4 3 3 8 27 34 43 1,765

Mean 3 3 8 20 22 30 1,965

그림 14.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0%

20%

40%

60%

80%

100%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대조수계 실험수계

St. 1 St. 2 St. 3 St. 4

Phylum Class Order Family Genus Species

Page 5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8 -

3. 조사시기별 변동사항

조사시기별 분류군을 살펴보면, 실험수계의 3월 조사결과 9목 23과 39종, 5월 조사결과 6목

24과 27종으로 나타났다. 3월 조사에 비해 5월 조사에서는 분류군이 단순화되었음을 알 수 있

는데, 이는 탁수의 방류가 이루어진 4월을 전후로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5월에 조사된 지

점에서는 탁수의 영향으로 종이 단순화 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수서 곤충의 우화시기에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8월 조사에서는 6목 16과 23종, 9월 조사에서는 9목 18과 28

종으로 8월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3월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표 10).

반면 대조수계 3월 조사결과 11목 30과 56종, 5월 조사결과 11목 25과 43종으로 나타났다.

3월 조사에 비해 5월 조사에서는 분류군이 역시 단순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강도래류와

날도래류의 출현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이들 분류군 중 일부 종의 우화에도 원인

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8월 조사에서는 11목 21과 36종, 9월 조사에서는 10목 21과 42종으

로 8월에 비해 증가하였다(표 10, 그림 15).

조사시기별 출현개체수는 실험수계 3월 5,430개체, 5월 1,615개체, 8월 489개체, 9월 325개체

이다. 3월의 경우 5월에 비해 출현개체수가 현저히 높고 8월과 9월에 더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탁수의 영향과 특정 종들의 우화시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반면

대조수계 3월 11,117개체, 5월 4,599개체로 조사되었으며, 8월 1,611개체, 9월 1,455개체가 조사

되었다. 이 또한 수서곤충의 우화시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파리목과 날도래

류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되었다(표 10, 그림 15).

표 10. 월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조성

Taxa

MonthPhylum Class Order Family Species No. Ind.

3월 4 5 11 30 56 11,117

5월 4 5 11 25 43 4,599

8월 4 5 11 21 36 1,611

9월 4 5 10 21 42 1,455

Mean 4 5 11 24 44 4,696

3월 3 3 9 23 39 5,430

5월 2 2 6 21 27 1,615

8월 3 3 6 16 23 489

9월 3 4 9 18 28 325

Mean 3 3 8 20 29 1,965

Page 6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59 -

그림 15. 조사시기에 따른 평균 종수와 개체수의 비교.

0

10

20

30

40

50

60

3월 5월 8월 9월

종수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개체수

종수 대조수계 종수 실험수계

개체수 대조수계 개체수 실험수계

수계별 분류군의 조성을 살펴보면, 대조수계는 평균 11목 24과 44종 4,696개체, 실험수계는

평균 8목 20과 2종 1,965개체로 대조수계와 실험수계가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그림 16).

그림 16.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11

8

24

20

44

29

4696

1965

0%

20%

40%

60%

80%

100%

목 과 종 개체수

대조수계 실험수계

Page 6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0 -

4. E.P.T. 분류군의 점유율 및 정착율

가. 점유율

생물학적 수질급수 판정의 중요 관건인 E.P.T. 분류군(Ephemeroptera=하루살이목,

Plecoptera=강도래목, Trichotera=날도래목)의 점유율을 파악한 결과 대조수계에서 하루살이목

의 개체수점유율이 38.3%로 E.P.T.분류군 중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날도래목5.5%, 강

도래목 0.2%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실험수계에서는 E.P.T.분류군 중 역시 하루살이목의 개

체수점유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날도래목 4.8%, 강도래목 0.4%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 점유율은 61.0%로 실험수계의 52.2%보다 높게 나타났

다(표 11, 그림 17).

표 11. E.P.T. 분류군의 점유율

Site

Taxa

대조수계 실험수계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non-insecta 16.9 0.67 11.9 0.5

Ephemeroptera 29.9

61.0

38.3

44.0

32.8

52.2

6.7

11.9 Plecoptera 5.2 0.2 3.0 0.4

Trichoptera 26.0 5.5 16.4 4.8

other-insecta 22.1 55.3 35.8 87.6

그림 17.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점유율.

0% 20% 40% 60% 80% 100%

non-insecta

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other-insecta

대조수계 종수점유율 대조수계 개체수점유율

실험수계 종수점유율 실험수계 개체수점유율

Page 6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1 -

그림 18.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비.

Plecoptera5.19%

Ephemeroptera29.87%Trichoptera

25.97%

other-insecta22.08%

non-insecta16.88%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비율은 하루살이목 29.87%, 날도래목 25.97%, 강도래목

5.19%로 전체분류군 중 61%를 차지하였다(그림 18).

그림 19.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비.

Ephemeroptera38.32%

other-insecta55.28%

Plecoptera0.21%Trichoptera

5.52%

non-insecta0.67%

대조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 비율은 하루살이목 38.32%, 날도래목 5.52%, 강도래목

0.21%로 전체 분류군 중 44%를 차지하였으며, 파리목을 비롯한 다른 곤충류가 55.28%로 가장

많은 개체수 비율을 나타냈다(그림 19).

Page 6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2 -

그림 20.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종수비.

non-insecta11.94%

Ephemeroptera32.84%

Plecoptera2.99%

Trichoptera16.42%

other-insecta35.82%

실험수계 E.P.T. 분류군의 종수비율은 하루살이목 32.84%, 날도래목 16.42%, 강도래목 2.99%

로 전체분류군 중 52.2%를 차지하였다(그림 20).

그림 21.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비.

other-insecta87.57%

Plecoptera0.37%

Ephemeroptera6.71%

non-insecta0.52%

Trichoptera4.84%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 비율은 하루살이목이 6.71%, 날도래목 4.84%, 강도래목

0.37%로 전체 분류군 중 11.9%를 차지하였으며, 파리목을 비롯한 다른 곤충류가 87.57%로 가

장 많은 개체수 비율을 나타냈다(그림 21).

Page 6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3 -

나. 정착률

탁수가 수질지표 분류군인 E.P.T. 분류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탁수 방류전인 3월

의 E.P.T. 분류군의 개체수와 탁수 방류후인 5월의 E.P.T. 분류군으로 산출된 개체수 정착률은

다음과 같다(표 12, 그림 22).

표 12. E.P.T. 분류군의 정착률

Site

Taxa

대조수계 실험수계

개체수 정착률(%) 개체수 정착률(%)

non-insecta 121 50

Ephemeroptera 111

56.3

52.8

27.5 Plecoptera 2.6 0

Trichoptera 55.3 29.7

other-insecta 20 3.2

Mean 62 27

그림 22.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 분류군의 정착률 비교.

0%

20%

40%

60%

80%

100%

E. P. T. 전체평균

개체수정착률

대조수계 실험수계

Page 6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4 -

표 13.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3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Dugesia japonica 3 2 3 1 3 2 14

2. Semisulcospira libertina 3 3 6

3. Semisulcospira tegulata 1 1

4. Physa acuta 1 2 3

5. Toryx tagoi 1 1 2

6. Erpobdella lineata 2 2

7. Gammarus sp. 1 3 2 5

8. Ameletus costalis 1 1

9. Baetiella tuberculata 5 5

10. Baetiella japonica 2 2 1 5

11. Baetis fuscatus 3 92 16 23 4 6 3 147

12. Alainites muticus 14 11 25

13. Beatis thermicus 2 1 1 1 5

14. Caenis KUa 6 4 10

15. Drunella triacantha 1 1

16. Ephemerella dentata 2 2

17. Uracanthella rufa 21 81 8 37 2 149

18. Ephemera strigata 14 2 9 25

19. Cinygmula grandifplia 20 20

20. Ecdyonurus bajkova 9 132 5 32 1 14 193

21. Ecdyonurus dracon 3 15 3 6 1 28

22. Ecdyonurus kibunensis 1 281 49 361 11 262 11 55 1,031

23. Ecdyonurus levis 18 12 53 4 23 12 1 27 150

24. Epeorus latifolium 2 6 109 16 10 2 145

25. Choroterpes altioculus 24 1 40 2 1 3 71

26. Paraleptophlebia chocolata 102 2 2 226 332

27. Siphonurus chankae 63 1 64

28. Nemoura jezoensis 17 2 3 4 2 28

29. Perlodes stigmata 1 2 1 2 6

30. Neoperla coreensis 1 1

31. Sweltsa nikkoensis 2 1 3

32. Elmidae sp. 1 3 3

33. Stenelmis vulgaris 2 2

34. Stenelmis nipponica 1 1

35. Mataeopsephus KUa 1 1

36. Euvrianax KUa 1 1

37. Tipula KUb 1 1

38. Antocha KUa 28 1 299 1 77 406

39. Simulium sp. 1 2 27 49 78

Page 6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5 -

표 계속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40. Chironominae sp. 1 35 1,960 185 1,764 388 1,334 264 1,789 7,719

41. Psychomyia KUa 4 4

42. Hydropsyche KUb 16 1 4 16 1 38

43. Hydropsyche KUd 2 5 7

44. Hydropsyche KUe 1 1

45.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5 91 35 42 5 188

46. Cheumatopsyche KUa 3 3

47. Cheumatopsyche KUb 5 1 6

48. Apsilochorema KUa 1 1

49. Rhyacophila brevicephala 1 13 14

50. Glossosoma KUa 1 1

51. Hydroptila KUa 67 27 4 4 102

52. Goera japonica 1 1 2 2 1 7

53. Apatania KUa 1 1

54. Nothopsyche KUa 1 1 2

55. Mystacides KUa 2 2

56. Ceraclea KUb 5 7 23 7 4 2 48

Total

개체수(No.Ind.) 2,880 3,292 2,683 2,262 11,117

우점도(DI) 0.791 0.717 0.744 0.937 0.787

종다양도(H') 1.899 2.321 2.144 0.725 2.034

생태점수(ESB) 112 119 116 72 195

종수(No.Sp.) 34 33 33 21 56

Page 6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6 -

표 14.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3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Dugesia japonica 1 1

2. Semisulcospira libertina 1 1

3. Ameletus costalis 4 3 7

4. Baetiella japonica 5 2 7

5. Baetis fuscatus 1 1

6. Alainites muticus 2 2

7. Ephemerella kozhovi 3 5 8

8. Uracanthella rufa 12 32 10 54

9. Ecdyonurus dracon 1 1

10. Ecdyonurus kibunensis 4 12 16

11. Ecdyonurus levis 1 2 3 6

12. Iron aesculus 1 1

13. Choroterpes altioculus 1 1

14. Paraleptophlebia chocolata 18 1 19

15. Siphonurus chankae 1 12 53 11 24 7 108

16. Nemoura jezoensis 1 1

17. Perlodes stigmata 5 3 6 14 28

18. Gerris latiabdominis 1 1

19. Protohermes grandis 2 2

20. Cercyon sp. 1 1 1

21. Elmidae sp. 1 1 25 1 27

22. Stenelmis nipponica 5 5

23. Psephenoides KUa 2 2

24. Mataeopsephus KUa 1 1 3 14 19

25. Galerucella KUa 1 1

26. Antocha KUa 7 6 13

27. Simulium sp. 1 1 1 1 3

28. Chironominae sp. 1 10 142 684 1,755 864 988 271 223 4,937

29. Psychomyia KUa 6 6

30. Hydropsyche KUb 15 12 2 5 2 36

31. Hydropsyche KUc 5 4 9

32. Hydropsyche KUd 8 14 1 6 2 31

33. Hydropsyche KUe 3 2 1 6

3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7 10 1 3 31

35. Cheumatopsyche KUa 1 9 10

36. Cheumatopsyche KUb 17 17

37. Hydroptila KUa 1 8 9

Page 6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7 -

표 계속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38. Mystacides KUa 1 1

39. Ceraclea KUb 1 1

Total

개체수(No.Ind.) 170 2,673 2,000 587 5,430

우점도(DI) 0.971 0.936 0.942 0.876 0.929

종다양도(H') 0.646 0.707 0.623 1.185 0.816

생태점수(ESB) 23 71 44 71 134

종수(No.Sp.) 7 20 15 19 39

Page 6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8 -

표 15.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5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Dugesia japonica 2 8 10

2. Semisulcospira libertina 1 6 3 2 12

3. Koreanomelania nodifila 1 1

4. Toryx tagoi 1 1

5. Hirudo nipponica 1 1

6. Erpobdella lineata 1 1

7. Gammarus sp. 1 14 14

8. Baetiella tuberculata 1 43 12 1 57

9. Baetiella japonica 1 11 1 2 15

10. Baetis fuscatus 2 114 25 75 12 140 12 49 429

11. Alainites muticus 23 10 3 6 42

12. Caenis KUa 3 38 1 6 5 1 54

13. Drunella triacantha 1 1

14. Ephemerella dentata 2 2

15. Serratella setigera 1 1 2

16. Uracanthella rufa 2 11 1 2 16

17. Ephemera orientalis 1 3 3 7

18. Cinygmula grandifplia 1 1 2

19. Ecdyonurus bajkova 2 2

20. Ecdyonurus dracon 4 12 16

21. Ecdyonurus kibunensis 55 67 64 343 74 255 56 75 989

22. Ecdyonurus levis 7 10 18 13 37 35 2 5 127

23. Epeorus latifolium 5 1 17 107 18 55 46 75 324

24. Choroterpes altioculus 27 46 9 136 7 289 5 79 598

25. Siphonurus chankae 1 1

26. Neoperla coreensis 1 1

27. Micronecta sedula 2 2

28. Aquaris paludum 2 2

29. Neonectes natrix 1 1 2

30. Platambus fimbriatus 1 1

31. Stenelmis vulgaris 1 1 2

32. Antocha KUa 5 4 42 2 34 1 45 133

33. Simulium sp. 1 19 1 3 1 24

34. Ceratopogonidae sp. 1 1 1 2 4

35. Chironominae sp. 1 29 540 27 208 9 233 37 386 1,469

36. Hydropsyche KUb 5 43 11 51 6 116

Page 7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69 -

표 계속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37.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 37 1 11 50

38. Cheumatopsyche KUa 6 15 11 13 3 48

39. Cheumatopsyche KUb 11 11

40. Glossosoma KUa 1 1

41. Hydroptila KUa 5 5

42. Goera japonica 2 2

43. Nothopsyche KUa 2 2

Total

개체수(No.Ind.) 972 1,377 1,257 993 4,599

우점도(DI) 0.711 0.466 0.497 0.558 0.534

종다양도(H') 2.052 3.423 2.800 2.759 3.072

생태점수(ESB) 51 95 73 61 137

종수(No.Sp.) 18 29 23 20 43

Page 7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0 -

표 16.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5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Lymnaea auricularia 1 1

2. Baetiella tuberculata 2 2

3. Baetis fuscatus 2 2 5 1 10

4. Alainites muticus 1 1 2 4

5. Ephemerella kozhovi 1 1

6. Uracanthella rufa 1 1

7. Ephemera orientalis 1 1

8. Ecdyonurus kibunensis 5 7 1 13

9. Ecdyonurus levis 5 1 6

10. Choroterpes altioculus 3 19 22

11. Potamanthellus chinensis 1 1 2

12. Potamanthus formosus 1 1

13. Rhoenanthus coreanus 1 1

14. Siphonurus chankae 1 7 8 13 28 1 58

15. Micronecta sedula 1 1 1 3

16. Gerris latiabdominis 2 1 5 1 1 10

17. Elmidae sp. 1 1 1 2

18. Tipula KUb 1 1

19. Antocha KUa 1 2 3

20. Psychodidae sp. 1 1 1

21. Simulium sp. 1 1 2 3

22. Ceratopogonidae sp. 1 3 3

23. Chironominae sp. 1 3 2 4 3 568 153 724 1,457

24. Suragina KUb 1 1

25. Ephydridae sp. 1 1 1

26. Muscidae sp. 1 2 2

27. Cheumatopsyche KUb 4 1 5

Total

개체수(No.Ind.) 10 44 644 917 1,615

우점도(DI) 0.600 0.477 0.950 0.977 0.938

종다양도(H') 2.171 2.756 0.790 0.381 0.796

생태점수(ESB) 10 26 43 54 79

종수(No.Sp.) 5 9 15 18 27

Page 7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1 -

표 17.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8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Dugesia japonica 5 1 6

2. Lymnaea auricularia 3 3

3. Semisulcospira libertina 13 5 2 20

4. Semisulcospira tegulata 1 1

5. Batracobdella paludosa 1 1

6. Whitmania pigra 1 1

7. Gammarus sp. 1 1 1

8. Baetiella japonica 1 1 2

9. Baetis fuscatus 4 6 6 21 2 1 40

10. Alainites muticus 56 1 57

11. Baetis thermicus 2 1 3

12. Caenis KUa 5 42 47

13. Ephemerella dentata 4 7 11

14. Serratella setigera 3 1 1 5

15. Uracanthella rufa 1 1 9 2 1 14

16. Ephemera strigata 7 1 8

17. Ecdyonurus bajkovae 3 3

18. Ecdyonurus kibunensis 7 5 42 45 30 14 66 73 282

19. Ecdyonurus levis 60 17 63 13 187 19 20 37 416

20. Epeorus latifolium 4 30 7 30 4 3 78

21. Choroterpes altioculus 12 25 33 155 4 5 2 6 242

22. Paraleptophlebia chocolata 7 5 1 13

23. Micronecta sedula 3 1 4

24. Gerris latiabdominis 1 1

25. Neonectes natrix 2 2

26. Stenelmis vulgaris 1 2 3

27. Psephenoides KUa 6 6

28. Mataeopsephus KUa 1 1 2

29. Chironominae sp. 1 27 133 10 98 1 6 1 2 278

30.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4 4 18

31. Cheumatopsyche KUa 5 5

32. Cheumatopsyche KUb 4 16 5 3 28

33. Rhyacophila articulata 1 1 1 3

34. Rhyacophila brevicephala 1 1 1 1 4

35. Goera japonica 1 1

36. Nothopsyche KUa 2 2

Total

개체수(No.Ind.) 410 650 331 220 1,611

우점도(DI) 0.578 0.455 0.755 0.891 0.433

종다양도(H') 2.936 3.139 1.998 1.552 3.238

생태점수(ESB) 68 73 55 31 113

종수(No.Sp.) 22 22 17 11 36

Page 7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2 -

표 18.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8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Lymnaea auricularia 2 2

2. Physa acuta 3 18 21

3. Gyraulus chinensis 1 2 1 4

4. Erpobdella lineata 1 1

5. Baetiella tuberculata 2 2

6. Baetis fuscatus 1 11 1 13

7. Alainites muticus 2 2

8. Baetis thermicus 7 19 26

9. Caenis KUa 2 2

10. Uracanthella rufa 1 1

11. Ephemera strigata 1 1

12. Ecdyonurus kibunensis 1 1 1 9 12

13. Ecdyonurus levis 3 1 1 5

14. Choroterpes altioculus 1 1 1 3 1 2 9

15. Gerris latiabdominis 1 1 2

16. Platambus pictipennis 1 1

17. Stenelmis vulgaris 1 3 4

18. Mataeopsephus KUa 1 1 2

19. Simulium sp. 1 10 10

20. Chironominae sp. 1 1 8 2 16 42 154 2 61 286

21. Hydropsyche KUb 4 13 17

22. Cheumatopsyche KUa 3 54 57

23. Cheumatopsyche KUb 1 3 5 9

Total

개체수(No.Ind.) 33 31 337 88 489

우점도(DI) 0.909 0.677 0.751 0.830 0.701

종다양도(H') 1.385 2.186 2.122 1.594 2.449

생태점수(ESB) 9 21 46 25 62

종수(No.Sp.) 5 9 15 10 23

Page 7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3 -

표 19. 대조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9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Dugesia japonica 1 1

2. Semisulcospira libertina 7 1 3 2 13

3. Batracobdella paludosa 1 1

4. Glossiphonia complanata 1 1

5. Hirudo nipponica 1 1

6. Gammarus sp. 1 3 3

7. Baetiella tuberculata 12 4 1 17

8. Baetiella japonica 20 38 5 7 70

9. Baetis fuscatus 12 5 30 28 7 8 8 98

10. Alainites muticus 1 7 2 10

11. Baetis thermicus 1 1 1 3 6

12. Cloeon dipterum 13 4 17

13. Caenis KUa 6 9 6 7 1 29

14. Ephemerella dentata 1 2 3

15. Uracanthella rufa 7 1 3 9 6 9 13 48

16. Ephemera orientalis 2 1 3

17. Ephemera strigata 1 6 1 1 9

18. Ecdyonurus bajkovae 1 1

19. Ecdyonurus dracon 1 1

20. Ecdyonurus kibunensis 28 29 5 14 18 18 33 34 179

21. Ecdyonurus levis 59 13 4 12 48 15 1 4 156

22. Epeorus latifolium 15 7 4 7 14 20 67

23. Choroterpes altioculus 26 18 1 62 4 29 8 17 165

24. Paraleptophlebia chocolata 1 4 5

25. Coenagrion sp. 1 2 2

26. Anisogomphus maacki 1 1

27. Neonectes natrix 1 1 1 3

28. Elmidae sp. 1 4 2 1 7

29. Stenelmis vulgaris 1 1 2

30. Mataeopsephus KUa 2 1 3

31. Antocha KUa 3 1 4

32. Chironominae sp. 1 26 14 41 90 4 19 10 9 213

33. Hydropsyche KUa 2 2

34. Hydropsyche KUb 1 14 21 2 8 18 64

35. Hydropsyche KUc 1 1 5 1 8

36. Hydropsyche KUe 2 2

37. Cheumatopsyche brevilineata 3 9 20 14 14 21 78 159

38. Cheumatopsyche KUa 11 17 1 3 4 36

39. Cheumatopsyche KUb 1 2 11 1 7 22

40. Rhyacophila brevicephala 4 13 1 3 21

Page 7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4 -

표 계속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41. Rhyacophila shikotsuensis 1 1

42. Hydroptila KUa 1 1

Total

개체수(No.Ind.) 292 541 260 362 1,455

우점도(DI) 0.442 0.359 0.381 0.459 0.269

종다양도(H') 3.186 3.702 3.469 3.421 3.968

생태점수(ESB) 68 88 65 76 137

종수(No.Sp.) 23 26 21 24 42

Page 7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5 -

표 20. 실험수계의 지점별 채집된 종과 개체수 (9월)

지점

종명

St. 1 St. 2 St. 3 St. 4Total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정성 정량

1. Physa acuta 7 7

2. Gyraulus chinensis 1 1

3. Hirudo nipponica 1 1

4. Palaemon modestus 1 1

5. Baetiella tuberculata 1 1 2

6. Baetis fuscatus 1 4 17 22

7. Alainites muticus 1 1 2

8. Caenis KUa 2 2 4

9. Uracanthella rufa 1 1 1 4 7

10. Ephemera strigata 1 1

11. Ecdyonurus kibunensis 4 6 10

12. Ecdyonurus levis 3 4 7

13. Epeorus latifolium 3 3

14. Choroterpes altioculus 1 5 20 17 43

15. Gerris latiabdominis 1 1 1 3

16.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1 1

17. Helochares striatus 1 1

18. Neonectes natrix 1 1

19. Platambus fimbriatus 1 1

20. Elmidae sp. 1 3 1 4

21. Antocha KUa 2 4 6

22. Chironominae sp. 1 1 1 2 13 15 17 13 62

23. Hydropsyche KUb 2 1 1 9 21 34

24. Hydropsyche KUc 4 1 5

25. Hydropsyche KUd 1 1 2

26. Cheumatopsyche brevilineata 3 10 2 2 1 18

27. Cheumatopsyche KUa 2 3 5 10

28. Cheumatopsyche KUb 3 3 23 30 3 4 66

Total

개체수(No.Ind.) 10 42 100 173 325

우점도(DI) 0.900 0.452 0.810 0.387 0.394

종다양도(H') 1.157 3.139 2.034 3.403 3.636

생태점수(ESB) 4 34 38 68 81

종수(No.Sp.) 3 13 12 22 28

Page 7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6 -

5.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주요 서식종

탁수의 영향을 받은 실험수계의 St.1(임하보조댐 내), St.2(불거리), St.3(선어대), St.4(생명

과학고 앞)의 4곳과 탁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조수계 St. 1(송사교), St.2(묵계교), St. 3(금소

교), St. 4(신덕교)에서 채집된 종 중 대표적인 종을 각각 15종씩 선정하였으며, 각 수계의 우

점종인 깔따구류의 개체수는 제외하여 개체수와 생태점수(ESB), 생물지수(BI)를 비교하였다.

두 수계의 비교를 위해 탁수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은 5월, 8월, 9월을 중심으로 각각의 수

계에서 선정된 종의 ESB와 BI를 산출한 결과 대조수계에서의 ESB는 58, BI는 28이 산출되었

으며, 실험수계에서는 ESB 39, BI 18이 산출되었다. 실험수계보다 대조수계의 ESB와 BI가 높

게 산출된 이유는 대조수계에서 서식하는 지표종의 Qi가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종의 Qi보다 높

은 수치로 나타났기 때문이다(그림 23).

대조수계에서의 대표종은 알락하루살이, 몽땅하루살이, 두점하루살이, 네점하루살이, 점박이

부채하루살이, 두갈래하루살이, 두눈강도래, 녹색강도래, 긴다리여울벌레, 명주각다귀 KUa, 꼬

마줄날도래 KUa, 주름물날도래, 광택날도래 KUa, 가시날도래, 갈색우묵날도래 KUa로 조사되

었다.

반면, 실험수계에서의 대표종은 왼돌이물달팽이, 또아리물달팽이, 길쭉하루살이, 개똥하루살

이, 흰등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세갈래하루살이, 작은강하루살이, 옛하루살이, 애소금쟁이, 나

방파리류, 물가파리류, 집파리류, 줄날도래 KUb, 꼬마줄날도래 KUb로 조사되었다(표 21).

대조수계에서 채집된 종 중에서 대표적인 15종의 개체수는 5,177로 나타났으며, 실험수계에

서는 606개체로 대조수계에 비해 매우 적게 출현하였다. 이는 탁수의 영향을 직접 받는 실험수

계의 서식 환경이 종이 서식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23.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개체수, 생물지수(BI)와 생태점수(ESB)의 비교.

0% 20% 40% 60% 80% 100%

생태점수(ESB)

생물지수(BI)

개체수

실험수계

대조수계

Page 7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7 -

표 2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선호종의 비교

수계조건

대표종대조수계 Qi 실험수계 Qi

1. 알락하루살이 4 왼돌이물달팽이 1

2. 몽땅하루살이 4 또아리물달팽이 2

3. 두점하루살이 4 길쭉하루살이 2

4. 네점하루살이 3 개똥하루살이 2

5. 점박이부채하루살이 4 흰등하루살이 4

6. 두갈래하루살이 4 등줄하루살이 3

7. 꼬마민강도래 4 세갈래하루살이 3

8. 녹색강도래 4 작은강하루살이 3

9. 긴다리여울벌레 4 옛하루살이 4

10. 명주각다귀 KUa 4 애소금쟁이 2

11. 꼬마줄날도래 KUa 4 나방파리류 2

12. 주름물날도래 4 물가파리류 2

13. 광택날도래 KUa 4 집파리류 2

14. 가시날도래 3 줄날도래 KUb 3

15. 갈색우묵날도래 KUa 4 꼬마줄날도래 KUb 4

개체수(No.Ind.) 5,177 606

생태점수(ESB) 58 39

생물지수(BI) 28 18

Page 7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8 -

가. 대조수계의 대표적인 서식종

대조수계의 대표적인 서식종 중 몽땅하루살이(Ecdyonurus bajkovae),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알락하루살이(Ephemerella dentata), 꼬마민강도래(Nemoura

jezoensis), 명주각다귀KUa(Antocha KUa), 광택날도래 KUa(Glossosoma KUa)는 실험수계에

서 출현하지 않았거나 대조수계에서의 개체수가 월등히 많은 종으로서 대조수계의 대표종이라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①; Ecdyonurus bajkovae

②; Ecdyonurus kibunensis

③; Ephemerella dentata

④; Nemoura jezoensis

⑤; Antocha KUa

⑥; Glossosoma KUa

나. 실험수계의 대표적인 서식종

실험수계에서 서식하는 대표종 중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등줄하루살이(Uracanthella

rufa),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옛하루살이(Siphlonurus chankae), 깔따구류

(Chironominae sp. 1), 줄날도래 KUb(Hydropsyche KUb)는 실험수계에서 출현빈도가 비교적

높은 종으로서 실험수계의 대표종이라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①; Baetis fuscatus

②; Uracanthella rufa

③; Choroterpes altioculus

④; Siphlonurus chankae

⑤; Chironominae sp. 1

⑥; Hydropsyche KUb

Page 8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79 -

제 3절 이화학적 요인과 종수와의 상관관계

조사시기별로 출현한 종수와 유속, 수온, DO, pH, 탁도 등 이화학적 원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탁수 및 다양한 이화학적 요인이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였다.

1. 유속에 따른 종조성 비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같은 장소에서도 미소서식처를 서로 달리한다. 담수생태계의 미소

서식처를 결정하는 환경요인 중 유속에 따라 저서생물을 분류할 수 있다. 크게 유수지역을 선

호하는 종과 정수지역에서도 적응하는 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몸의 구조도 이와 같은 서식형태에 따라 특이하게 적응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금번 조사

에서 파악된 실험수계와 대조수계별 유수지역과 정수지역 서식종의 목록이다(표 22).

표 22. 유속에 따른 종의 비교

Site

No.

실험수계 대조수계

유수 Qi 정수 Qi 유수 Qi 정수 Qi

1 피라미하루살이 4 왼돌이물달팽이 1 옆새우 4 플라나리아 3

2. 두점하루살이 4 또아리물달팽이 2 애호랑하루살이 4 왼돌이물달팽이 1

3. 네점하루살이 3 돌거머리 1 두날개하루살이 2 다슬기 4

4. 중부채하루살이 3 개똥하루살이 2 알락하루살이 4 참거머리 2

5. 세갈래하루살이 3 길쭉하루살이 2 두점하루살이 4 개똥하루살이 2

6. 뱀잠자리 4 옛하루살이 4 점박이부채하루살이 4 옛하루살이 4

7. 명주각다귀 KUa 4 꼬마물벌레 2 두갈래하루살이 4 실잠자리류 2

8. 먹파리류 4 소금쟁이 2 두눈강도래 4 마이키측범잠자리 2

9. 깔따구류 1 모래톱물땡땡이류 2 녹색강도래 4 꼬마물벌레 2

10. 긴개울등에 KUb 4 콩알물방개 2 긴다리여울벌레 4 노랑무늬물방개 2

11. 줄날도래 KUb 3 넓은물삿갓벌레 KUa 3 먹파리류 4 노랑테콩알물방개 2

12. 줄날도래 KUd 4 나방파리류 2 주름물날도래 3 각다귀 KUb 3

13. 꼬마줄날도래 KUa 4 깔따구류 1 광택날도래 KUa 4 애날도래 KUa 3

14. 꼬마줄날도래 KUb 4 집파리류 2 가시날도래 3 애우묵날도래 KUa 4

ESB 49 28 52 36

BI 23 15 25 17

Page 8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0 -

그림 24. 유수와 정수생태계에서의 ESB, BI의 비교.

0

10

20

30

40

50

60

유수 정수

ESB 실험수계 ESB 대조수계 BI 실험수계 BI 대조수계

실험수계와 대조수계 각각의 조사지점에서 여울이 있는 곳과 정수 지역에서 채집된 종 중

각각 대표적인 14종을 선정하여 생태점수(ESB)와 생물지수(BI)를 산출하였다. 실험수계의 유

수지역에서 채집된 종의 ESB는 49, BI는 23이 산출되었고, 정수지역에서 채집된 종의 ESB는

28, BI 15로 나타났다. 한편 대조수계의 유수지역에서 채집된 종의 ESB는 52, BI 25로 산출되

었다. 산출되었으며 정수지역에서 채집된 종의 ESB는 36, BI는 17로 산출되었다(표 22, 그림

24).

즉 정수지역 보다 유수지역에서 채집된 종의 ESB와 BI가 모두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

었다. 이것은 산소요구량이 많이 요구되는 종의 대부분이 유수지역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종들

이 Qi점수가 높아 Qi지수를 합산한 ESB와 오염에 대한 내성이 약한 종과 강한 종간의 합인

BI지수가 높게 산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험수계에서 채집된 종 보다 대조수계에서

채집된 종의 ESB와 BI지수가 높게 산출된 것은 저서 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산소의 공급

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서식환경이 실험수계보다 대조수계가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

다.

Page 8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1 -

2. 탁도에 따른 종수의 비교

물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형물질 입자의 크기가 0.1㎛~2mm이하의 유⋅무기의 고형물

질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탁도(turbidity)의 원인이 되고 있다.

탁도는 물 속의 부유물질에 의해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빛의 산란과 흡수는 부유입자의 크기와 표면 특성 및 색상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탁도는

부유물질의 직접적인 정량방법이 될 수 없고, 간접측정방법은 될 수 있다(탁, 2002). 따라서

탁도의 측정은 부유물질의 농도가 비교적 낮은 하천수에 간접측정 자료로 이용하며, 단위는

ppm을 사용하였다.

표 23. 탁도에 따른 종수의 비교

지점

월별

탁도와종수

대조수계 실험수계

St.1 St.2 St.3 St.4 평균 St.1 St.2 St.3 St.4 평균

3월탁도 1.5 - 0.5 0.5 0.6 57.5 0.5 7.0 0.5 16.4

종수 34 33 33 21 30 7 20 15 19 15

5월탁도 3.0 2.0 0.5 0.5 1.5 50.0 40.0 46.0 32.0 42.0

종수 18 29 23 20 23 5 9 15 18 12

8월탁도 3.5 2.5 2.5 0.5 2.25 69.0 58.0 55.0 35.0 54.3

종수 22 22 17 11 18 5 9 15 10 10

9월탁도 0.5 0.5 1.0 0.5 0.6 70.0 70.5 62.0 52.0 63.6

종수 23 26 21 24 24 3 13 12 22 13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의 탁도에 따른 종수를 비교한 결과 탁수 방류전인 3월과 탁수 방류후

인 5월의 종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St. 1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은 모두 5월의 탁도가 높았으며,

그에 따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3월보다 5월의 종수가 적어진 것을 볼 수 있다. 8월과 9월의 탁

도 역시 실험수계가 대조수계보다 매우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종수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

로 판단된다(표 23, 그림 25).

Page 8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2 -

그림 25.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탁도에 따른 종수의 변화.

0

10

20

30

40

50

60

70

3월 5월 8월 9월 3월 5월 8월 9월

대조수계 실험수계

탁도

0

5

10

15

20

25

30

35

종수

탁도 종수

3. DO, pH, 수온, 탁도와 종수의 관계

일반적으로 수온이 상승하면 DO(용존산소)는 감소하며, pH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DO는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위한 기본적인 필수요소로 대부분의 어류와 수서무척추동물은 수

중에 녹아있는 산소로 호흡한다. 생물종에 따라 용존산소량에 민감한 것과 다소 내성이 강한

종류들이 있으나 이들 역시 낮은 용존산소 상태에서 장기간 노출이 되면 생존에 치명적인 영

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볼 때 온도가 상승하면 DO는 감소한다. 또한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은

이것에 의해서 산화 분해 되기 때문에, 용존산소의 부족은 단지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 등이 잔류하여 물의 오탁을 가져오게 된다.

수서생물은 pH가 낮은 물에 계속 노출되면 삼투작용의 불균형으로 생육이 곤란해진다. pH

의 급속한 변화 또한 수서생물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산성상태는 하천 저질에 의해 축적된

독성화물질의 용해성을 증가시켜 오염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자연하천의 수온은 수계가 시작되는 발원지에서 가장 낮으며, 하류역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수계 내의 수온이 상승하면 용존산소 용해도가 반비례하여 감소하며,

온도가 높을수록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된 유기물의 분해에 많은 영향을 미친

다. 또한 하천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여러 생물들 온도의 변화에 민감한 종들은 수온의 변화에

따라 체내의 여러 가지 생리․생화학적 작용들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온이 올라갈

수록 먹이사슬 내에서 신진대사와 생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질은 토양의 침식작용에 의해 수계로 유입되는 토양입자로서 미세한 저질 입자들은 수서

생물의 군집을 심하게 변화시킨다. 이러한 미세한 저질 입자들은 물고기의 아가미를 막아 호흡

을 방해하며, 하천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저서성 생물의 호흡과 먹이활동을 방해하며, 물고기

Page 8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3 -

가 산란하거나 또는 산란한 바닥의 공극을 메워버린다. 또한 하천바닥의 자갈층에 유입되는 미

세 입자의 저질은 자갈층의 투과성과 자갈 사이의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산소가 풍부한 물의

공급을 제한하여 어류나 저서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전, 2004).

청정환경 지표종인 EPT 분류군(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은 장기간에 걸친 수환경 변

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류이다. 이들 지표종을 탁도, DO, pH 및 수온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면 그림 26~29와 같다. 일반적으로 수온이 상승하면 DO와 pH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

고 탁도가 증가하면 종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3월 경우, 이화학적인 요인, 즉 탁도, DO, pH,

수온에 따라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종수의 차이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다(그림 26). 특히

실험수계의 탁도가 대조수계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수온 또한 대조수계보다 높게 측정되

었다. 5월의 경우 실험수계의 탁도가 3월 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대

조수계와 실험수계간의 종수가 큰 차이를 보였다(그림 27). 또한 대조수계의 수온이 실험수계

보다 더 높게 측정됨에 따라 DO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역시 탁도에 있어서

두 수계간의 큰 차이를 보였으나 수서곤충류의 우화 등으로 인해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종수

의 차이가 3월, 5월보다는 적어진 것을 볼 수 있다(그림 28). 9월의 경우 평균 탁도가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수계의 수온이 높게 측정됨에 따라 pH, DO가 감소하였다(그림

29).

Page 8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4 -

그림 26.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3월).

0

5

10

15

20

25

30탁도(ppm)

pH(log 1/[H+])

DO(ppm)수온(℃)

종수

3월 대조수계 3월 실험수계

그림 27.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5월).

0

10

20

30

40

50탁도(ppm)

pH(log 1/[H+])

DO(ppm)수온(℃)

종수

5월 대조수계 5월 실험수계

Page 8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5 -

그림 28.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8월).

0

10

20

30

40

50

60탁도(ppm)

pH(log 1/[H+])

DO(ppm)수온(℃)

종수

8월 대조수계 8월 실험수계

그림 29. 종수와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9월).

0

20

40

60

80탁도(ppm)

pH(log 1/[H+])

DO(ppm)수온(℃)

종수

9월 대조수계 9월 실험수계

Page 8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6 -

제 4절 실험 및 대조 수계의 먹이사슬과 먹이망 비교

하천생태계는 생산자, 소비자 및 분해자의 각 영양단계(trophic level)가 서로 유기적 관계

로 연결되어 먹이사슬(food chain)을 이루고, 이들이 망처럼 얽혀서 먹이망(food web)을 형성

한다. 따라서 하천생태계의 다양성이나 단순성은 먹이사슬의 길이로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먹

이사슬은 하천생태계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주요 관심 사항일 뿐만 아니라 하천생태계의 환

경을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주 먹이자원의 차이에 따른 섭식기능군의 차이에 따라 먹이망의 안정성에 차이가 생겨난다.

복잡성 구성을 가지는 먹이망은 외부에 압력에 대하여 빠르게 회복하는 반면 단순한 구조의

먹이망은 작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도 생태계가 쉽게 파괴되기도 한다.

1. 섭식기능군

수서곤충은 담수생태계의 다양한 먹이자원(food resources)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의 이용

양상에 따른 섭식기능군(functional feeding group)의 분류가 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류수역에서는 낙엽(CPOM)을 먹는 무리(shredder)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55%), 이러한

낙엽 분쇄를 통하여 생겨난 작은 부식질(FPOM)을 주워먹는 무리(collector-gatherer)가 나머

지를 차지한다(30%). 이와는 다르게 중류수역에서는 작은 부식질을 주워 먹는 무리

(collector-gatherer; 59%)와 걸러먹는 무리(collector-filterer; 30%)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은 많은 환경 요인 중 하천에 공급되는 먹이의 형태에 따른 차이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러한 사실은 “River Continuum Concept"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표 24).

Page 8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7 -

표 24. 대표적 분류군(유충 또는 약충)과 먹이타입(섭식기능군)

분류군 섭식기능군 대표종 주요 출현장소

Trichoptera

Shredder, Collector-scraper광택날도래과, 가시날도래,

우묵날도래과, 애날도래, 상류역

Piercer, Predator 바수염날도래, 물날도래류 상류역

Filtering collector 줄날도래류 상류역

Ephemeroptera Collector, Scraper민하루살이, 삼지창하루살

이, 두갈래하루살이상, 중류역

Plecoptera Predator, CPOM Shredder두눈강도래, 녹색강도래,

꼬마민강도래상류역

Odonata

Megaloptera

Hemiptera

Coleoptera

Predator등검은실잠자리, 방울실잠

자리, 뱀잠자리중, 하류역

Diptera

Shredder,

Filtering collector각다귀류, 먹파리류 상, 중류역

Collector, FPOM filter 깔따구류, 집파리류 중, 하류역

Predator 등에과, 물가파리류, 중, 하류역

Lepidoptera Shredder, Collector, Scraper 명나방류 중, 하류역

* 섭식기능군(FFG=Functional Feeding Groups)에 의한 분류

- Shredder : 써는 무리

- Gathering collector: 줍는무리

- Filtering collector: 거르는무리

- Scraper(=Grazer): 긁는 무리

- Piercer: 식물을 뚫는 무리

- Predator: 잡아먹는 무리

Page 8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8 -

가. 대조수계

그림 30. 대조수계에서의 C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G. japonica N. jezoensis

Nothopsyche KUa Goerodes KUa (R. mahunkai)

CPOM

CPOM(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은 크기 1Cm 이상의 낙엽과 부스러기로서 이를

섭식하는 종은 대조수계의 경우 갈색우묵날도래 KUa(Nothopsyche KUa), 네모집날도래

KUa(Goerodes KUa), 가시날도래(G. japonica), 꼬마민강도래(N. jezoensis)등이 있으며, 꼬마

강도래(R. mahunkai)도 이에 해당한다(그림 30).

Page 9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89 -

N. coreensis S. nikkoensis

E. strigata E. dracon E. kibuensis A. muticus Chironominae sp. 1

A. costalis P. chocorata C. altioculus E. orentalis

FPOM

.

그림 31. 대조수계에서의 F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FPOM(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은 크기 1Cm 이하의 낙엽부스러기, 무척추동물 배

설물, 침전된 용해물로서 이를 이용하는 종으로는 피라미하루살이(A. costalis), 두갈래하루살이

(P. chocorata), 세갈래하루살이(C. altioculus), 동양하루살이(E. orentalis), 무늬하루살이(E.

strigata), 참납작하루살이(E.dracon), 두점하루살이(E. kibuensis), 길쭉하루살이(A. muticus),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등이 있으며, 또한 이들을 섭식하는 종으로 두눈강도래(N.

Page 9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0 -

coreensis)와 녹색강도래(S. nikkoensis)가 대표적인 고차소비자이다(그림 31).

나. 실험수계

그림 32. 실험수계에서의 C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Ceraclea KUb N. jezoensis

Hydroptila KUa Antocha KUa Tipula KUb

CPOM

실험수계의 경우 CPOM에 해당하는 대표종으로 꼬마민강도래(N. jezoensis), 나비날도래

KUb(Ceraclea KUb), 애날도래 KUa(Hydroptila KUa), 각다귀 KUb(Tipula KUb), 명주각다귀

KUa(Antocha KUa)가 있다. 대조수계에서 CPOM을 이루는 종으로 우묵날도래류, 네모집날도

래류, 가시날도래류가 해당하는 것에 반해 대조적으로 각다귀류나 날도래류 중에서도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32).

Page 9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1 -

그림 33. 실험수계에서의 FPOM과 먹이사슬 및 먹이망.

P. grandis P. continentalis

E. strigata E. dracon C. brevilineata A. muticus Chironominae sp. 1

A. costalis P. chocorata C. altioculus E. orentalis

FPOM

실험수계의 FPOM을 이루는 종으로는 피라미하루살이(A. costalis), 두갈래하루살이(P.

chocorata), 세갈래하루살이(C. altioculus), 동양하루살이(E. orentalis), 무늬하루살이(E.

strigata), 참납작하루살이(E. dracon),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 길쭉하루

살이(A. muticus),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등이 있으며, 또한 이들을 섭식하는 종으로

뱀잠자리류가 대표적인 고차소비자에 해당한다(그림 33).

Page 9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2 -

2. 수서곤충의 생활형과 대표종

수서곤충은 생활형에 따라 서식지의 선호를 달리한다. Net-spinning type은 그물을 치며 생

활하는 형으로 대표종으로는 줄날도래과가 있다. Attaching type은 부착형으로서 먹파류가 있

으며 Creeping type은 case를 짓지 않고 생활하는 형으로 물날도래와 뱀잠자리가 대표적이다.

Case-bearing type은 안장 형태로 집을 짓는 무리가 속하는데 대표종으로는 광택날도래과, 애

날도래과, 우묵날도래과, 바수염날도래과, 날도래과 등이 있다. Swimming type은 헤엄치는 무

리로서 대표종으로는 꼬마하루살이, 옛하루살이가 있으며 Burrowing type은 굴을 파서 생활하

는 유형으로 무늬하루살이가 대표적이며 깔따구류도 이에 해당한다(표 25).

표 25. 생활형에 따른 대표종

생활형 대표종 선호 서식지 타입

Net-spinning type 줄날도래과 R

Attaching type 먹파리류 R

Creeping type 물날도래, 뱀잠자리 R

Case-bearing type 광택날도래과, 애날도래과, 우묵날도래과,

바수염날도래과 등 P

Swimming type 꼬마하루살이, 옛하루살이 P

Burrowing type 무늬하루살이, 깔따구류 P

* R: Riffle, P: Pool

◎ 홍수 후,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의 천이

- 예, 길안천 2002:루사, 2003: 매미

․ 우점종 변화: 꼬마하루살이(4/23) 동양하루살이(5/22) 줄날도래(7/3)

줄날도래(8/114)

․ 현존량: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

․ 생활형: Creeping type Creeping & Net-Spinning type Net-spinning type

Page 9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3 -

제 5절 미소서식처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미소서식처 유형

별 출현종을 파악하였다. 웅덩이와 수초주변의 서식처에는 대부분 잠자리와 딱정벌레류 유충이

서식하였고 대부분의 하천에서 볼 수 있는 돌 표면에는 플라나리아, 다슬기류, 거머리류, 납작

하루살이류, 강도래류, 날도래류가 서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낙엽더미가 있는 서식처에는

옆새우류와 낙엽으로 case를 짓거나 서식하는 날도래류가 발견되었으며, 하천바닥에는 달팽이

와 다슬기류 그리고 동양하루살이, 깔따구류가 서식하였다. 저서상태에 따른 서식처 유형별 선호

수서지표 생물종은 대조수계 6지점과 실험수계 10지점에서 채집된 종을 고려하였으며, 목록은 아래

의 표와 같다(표 26).

표 26. 미소서식처 유형별 서식종

미 소 서 식 처

웅덩이 수초주변 돌 표면

Baetis fuscatus Lymnaea auricularia Dugesia japonica

Baetis thermicus Baetis fuscatus Semisulcospira libertina

Caenis KUa Siphlonurus chankae Lymnaea auricularia

Cercion calamorum Cercion calamorum Erpobdella lineata

Platycnemis phillopoda Platycnemis phillopoda Ecdyonurus kibunensis

Calopteryx japonica Calopteryx japonica Epeorus curvatulus

Micronecta sedula Micronecta sedula Nemoura tau

Hesperocorixa distanti Hesperocorixa distanti Neoperla quadrata

Chironominae sp. 1 Galerucella KUa Mataeopsephus KUa

Stratiomyiidae sp. 1 Antocha KUa

Dolichopodidae sp. 1 Simulium sp. 1

Ephydridae sp. 1 Cheumatopsyche brevilineata

Muscidae sp. 1 Apsilochorema KUa

Rhyacophila KUa

Glossosoma KUa

Page 9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4 -

표 계속

미 소 서 식 처

낙엽더미 하천바닥 하천 물표면

Gammarus sp. 1 Lymnaea auricularia Gerris latiabdominis

Cincticostella levanidovae Semisulcospira tegulata Hesperocorixa distanti

Drunella triacantha Physa acuta Micronecta sedula

Ecdyonurus dracon Gyraulus chinensis Neonectes natrix

Paraleptophlebia chocolata Baetis fuscatus Platambus fimbriatus

Perlodes stigmata Alainites muticus Helochares striatus

Perlodes KUa Baetis thermicus Cercyon sp. 1

Neoperla coreensis Ephemera orientalis

Sweltsa nikkoensis Ephemera strigata

Nothopsyche KUa Chironominae sp. 1

Nothopsyche KUb

Page 9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5 -

제 6절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1. 월별 및 지점별 우점종, 우점도 지수와 군집변동

가. 1차 조사(3월)

1차 조사가 실시된 3월의 경우 대조수계의 모든 지점에서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0.5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아우점종으로 모두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로 나타났다. 우점도 지수(DI)는 0.717~0.937의 범위로 매우 높게 나

타났다. 특히 St. 4에서는 깔따구류가 0.908의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우점도가 0.937로 나타났

다(표 27).

반면 실험수계의 대부분의 지점에서 우점종은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로 조사되었다.

아우점종은 오염에 내성이 강한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 St. 4에서 점등무늬강도래

(Perlodes stigmata)가 출현하였다. 우점도지수(DI)는 0.876~0.971로 높게 나타났다. (표 27).

나. 2차 조사(5월)

2차 조사가 실시된 5월에는 대조수계의 우점종이 3월보다 다양해지고, 우점도 지수도 많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우점종의 경우 3월에 전 지점에서 깔따구류가 출현한 것에 비해 5월에

는 St. 2, St. 3의 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두

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깔따구류(

Chironominae sp. 1)등이 조사되었다. 우점도 지수(DI)는 0.466~0.711의 범위로 3월에 비해 낮

게 나타났다(표 27).

반면 실험수계의 대부분의 지역의 우점종은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로 조사되었으며

St. 2은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로 조사되었다. 아우점종은 3월보다 다양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는데 역시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애소금쟁이(Gerris

latiabdominis),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 세갈래하루살

이(Choroterpes altioculus )가 조사되었다(표 27).

다. 3차 조사(8월)

3차 조사가 실시된 8월에는 대조수계의 우점종이 각 지점마다 다른 종으로 조사되었다. 우

점종의 경우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네점하루

살이(Ecdyonurus levis),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네점

하루살이,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로 조사되었다.

우점도 지수(DI)는 0.455~0.891의 범위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표 27).

반면 실험수계의 대부분의 지역의 우점종은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로 조사되었으며

Page 9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6 -

St. 1은 왼돌이물달팽이(Physa acuta)로 조사되었다. 아우점종은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네점하루살이(Ecdyonurus levis), 꼬마줄날도래 KUb(Cheumatopsyche KUb),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가 조사되었다(표 27).

라. 4차 조사(9월)

4차 조사가 실시된 9월에는 대조수계의 우점종은 각 지점마다 다른 종으로 조사되었다. 우

점종은 네점하루살이(Ecdyonurus levis),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로 조사되었다. 우점도 지수(DI)는 0.359~0.459의 범

위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표 27).

반면 실험수계의 우점종은 왼돌이물달팽이(Physa acuta),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KUb(Cheumatopsyche KUb),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로 조사되었으며, 아우점종은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깔따

구류(Chironominae sp. 1),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꼬마줄날도래

KUb(Cheumatopsyche KUb), 줄날도래 KUb(Hydropsyche KUb)가 조사되었다(표 27).

Page 9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7 -

표 27. 조사시기에 따른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ratio)

조사

시기

조사

지점우점종 점유율 아우점종 점유율

우점도

DI

3월

St. 1 Chironominae sp. 1 0.693 Ecdyonurus kibunensis 0.098 0.791

St. 2 Chironominae sp. 1 0.592 Ecdyonurus kibunensis 0.125 0.717

St. 3 Chironominae sp. 1 0.642 Ecdyonurus kibunensis 0.102 0.744

St. 4 Chironominae sp. 1 0.908 Ecdyonurus kibunensis 0.029 0.937

5월

St. 1 Chironominae sp. 1 0.585 Ecdyonurus kibunensis 0.126 0.711

St. 2 Ecdyonurus kibunensis 0.296 Chironominae sp. 1 0.171 0.466

St. 3 Ecdyonurus kibunensis 0.262 Choroterpes altioculus 0.235 0.497

St. 4 Chironominae sp. 1 0.426 Ecdyonurus kibunensis 0.132 0.558

8월

St. 1 Chironominae sp. 1 0.390 Ecdyonurus levis 0.188 0.578

St. 2 Choroterpes altioculus 0.289 Chironominae sp. 1 0.166 0.455

St. 3 Ecdyonurus levis 0.622 Ecdyonurus kibunensis 0.133 0.755

St. 4 Ecdyonurus kibunensis 0.632 Ecdyonurus levis 0.259 0.891

9월

St. 1 Ecdyonurus levis 0.247 Ecdyonurus kibunensis 0.195 0.442

St. 2 Chironominae sp. 1 0.242 Choroterpes altioculus 0.116 0.359

St. 3 Ecdyonurus levis 0.242 Ecdyonurus kibunensis 0.138 0.381

St. 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0.273 Ecdyonurus kibunensis 0.185 0.459

Mean Chironominae sp. 1 0.459 Ecdyonurus kibunensis 0.150 0.609

3월

St. 1 Chironominae sp. 1 0.894 Siphonurus chankae 0.076 0.971

St. 2 Chironominae sp. 1 0.912 Siphonurus chankae 0.024 0.936

St. 3 Chironominae sp. 1 0.926 Siphonurus chankae 0.016 0.942

St. 4 Chironominae sp. 1 0.842 Perlodes stigmata 0.034 0.876

5월

St. 1 Chironominae sp. 1 0.300 Gerris latiabdominis 0.300 0.600

St. 2 Siphonurus chankae 0.341 Chironominae sp. 1 0.136 0.477

St. 3 Chironominae sp. 1 0.887 Siphonurus chankae 0.064 0.950

St. 4 Chironominae sp. 1 0.957 Choroterpes altioculus 0.021 0.978

8월

St. 1 Physa acuta 0.636 Chironominae sp. 1 0.273 0.909

St. 2 Chironominae sp. 1 0.581 Ecdyonurus levis 0.097 0.677

St. 3 Chironominae sp. 1 0.582 Cheumatopsyche KUb 0.169 0.751

St. 4 Chironominae sp. 1 0.716 Ecdyonurus kibunensis 0.114 0.830

9월

St. 1 Physa acuta 0.700 Chironominae sp. 1 0.200 0.900

St. 2 Cheumatopsyche brevilineata 0.310 Choroterpes altioculus

Cheumatopsyche KUb0.143 0.452

St. 3 Cheumatopsyche KUb 0.530 Chironominae sp. 1 0.280 0.810

St. 4 Choroterpes altioculus 0.214 Chironominae sp. 1

Hydropsyche KUb0.173 0.387

Mean Chironominae sp. 1 0.646 Chironominae sp. 1 0.133 0.779

Page 9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8 -

그림 34.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3월).

0%

20%

40%

60%

80%

100%

St. 1 St. 2 St. 3 St. 4

대조수계 우점종점유율 대조수계 아우점종점유율

실험수계 우점종점유율 실험수계 아우점종점유율

그림 35.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5월).

0%

20%

40%

60%

80%

100%

St. 1 St. 2 St. 3 St. 4

대조수계 우점종 점유율 대조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Page 10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99 -

그림 36.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8월).

0%

20%

40%

60%

80%

100%

St. 1 St. 2 St. 3 St. 4

대조수계 우점종 점유율 대조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그림 37.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에서의 조사지점별 우점종의 점유율 비교 (9월).

0%

20%

40%

60%

80%

100%

St. 1 St. 2 St. 3 St. 4

대조수계 우점종 점유율 대조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우점종 점유율 실험수계 아우점종 점유율

Page 10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0 -

2. 월별 및 지점별 종다양도 지수

일반적으로 종 다양도가 낮으면 저서상태가 단순하거나 수질이 오염되었음을 의미한다

(Wilhm and Dorris, 1968)는 보고가 있은 후, 종 다양도 지수(H')에 의한 수질 판정이 많이 시

도되어 왔다. 종다양도 지수(H')는 동물군집의 종 풍부정도와 개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뜻하

며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객관적 생물지수로, 산출값이 클수록 군집의 종 구성이 복잡함을

나타낸다. 산출값이 낮을수록 종 구성이 단순함을 나타낸다. 조사결과 파악된 종다양도 산출값

은 표 28와 같으며, 조사시기별 종다양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1차 조사(3월)

1차 조사가 실시된 3월의 대조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0.725~2.321의 범위로 비교

적 낮게 나타났다. 4지점 모두 우점종으로 나타난 깔다구의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종다양도 지

수(H')는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St. 4의 종다양도가 0.7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는

데 이것은 이 지점의 상류쪽에서 하상공사가 이루어져 종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였고 깔따구의

점유율이 0.908으로 매우 높기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1차 조사가 실시된 3월의 실험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0.623~1.185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다. 비교적 적은 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의 편차로 인해 종다양도 지수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보인 지점은 St. 4로 이 지점은 있어, 출현종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우점종의 점유율도 0.481로 조사 지역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즉, 아우점종의 점

유율이 낮을수록 종다양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표 28).

나. 2차 조사(5월)

2차 조사가 실시된 5월의 대조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2.052~3.423의 범위로 나타

났다. 3월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H')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3월의 조사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던 깔따구류의 우화로 인하여, 우점종의 점유율이 줄어들고 출현 종들

의 개체수간에 편차가 줄어든데 그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반면 5월의 실험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0.381~2.756의 범위로 나타났다. 비교적 조사

지점의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각 조사지점마다 탁수의 농도에 따른 종수와 종조

성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표 28).

다. 3차 조사(8월)

3차 조사가 실시된 8월의 대조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1.552~3.139의 범위로 나타났다.

5월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H')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수서곤충의 우화가 이루어졌

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8월의 실험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1.385~2.186의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St. 1의

Page 10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1 -

종다양도 지수(H')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우점도가 0.909로 한 종의 구성이 단순하게 나타났

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표 28).

라. 4차 조사(9월)

4차 조사가 실시된 9월의 대조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3.186~3.702로 8월에 비해 종수

가 증가하고 우점도가 낮아지면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9월의 실험수계의 종다양도 지수(H')는 1.157~3.403의 범위로 나타났다(표 28).

그림 38.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0

0.5

1

1.5

2

2.5

3

3.5

4

3월 5월 8월 9월

0

20

40

60

80

100

120

대조수계 H' 실험수계 H' 대조수계 ESB 실험수계 ESB

그림 39.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월별 우점도 변화.

00.10.20.30.40.50.60.70.80.9

1

3월 5월 8월 9월

우점도

대조수계 실험수계

Page 10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2 -

그림 40.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3월).

0

0.5

1

1.5

2

2.5

St. 1 St. 2 St. 3 St. 40

20

40

60

80

100

120

140

대조수계 Mar. H' 실험수계 Mar. H'대조수계 Mar. ESB 실험수계 Mar. ESB

그림 4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5월).

0

0.5

1

1.5

2

2.5

3

3.5

4

St. 1 St. 2 St. 3 St. 40102030405060708090100

대조수계 May H' 실험수계 May H'대조수계 May ESB 실험수계 May ESB

Page 10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3 -

그림 42.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8월).

0

0.5

1

1.5

2

2.5

3

3.5

St. 1 St. 2 St. 3 St. 40

10

20

30

40

50

60

70

80

대조수계 Aug. H' 실험수계 Aug. H'대조수계 Aug. ESB 실험수계 Aug. ESB

그림 43.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지점별 종다양도와 생태점수의 비교 (9월).

0

0.5

1

1.5

2

2.5

3

3.5

4

St. 1 St. 2 St. 3 St. 40102030405060708090100

대조수계 Sep. H' 실험수계 Sep. H'대조수계 Sep. ESB 실험수계 Sep. ESB

Page 10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4 -

표 28. 조사시기에 따른 조사지점별 각종 군집분석

조사

시기

조사

지점

종수

No.

우점도

DI

종다양도

H'

생태점수

ESB

오수

생물계열환경상태

수질

등급지역판정

3

St. 1 34 0.791 1.899 112 빈부수성 매우양호 Ⅰ 최우선보호수역

St. 2 33 0.717 2.321 119 빈부수성 매우양호 Ⅰ 최우선보호수역

St. 3 33 0.744 2.144 116 빈부수성 매우양호 Ⅰ 최우선보호수역

St. 4 21 0.937 0.725 72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5

St. 1 18 0.711 2.052 51 빈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St. 2 29 0.466 3.423 95 빈부수성 매우양호 Ⅰ 최우선보호수역

St. 3 23 0.497 2.800 73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4 20 0.558 2.759 61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8

St. 1 22 0.578 2.936 68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2 22 0.455 3.139 73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3 17 0.755 1.998 55 빈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St. 4 11 0.891 1.552 31 β-중부수성 다소불량 Ⅱ 개선수역

9

St. 1 23 0.442 3.186 68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2 26 0.359 3.702 88 빈부수성 매우양호 Ⅰ 최우선보호수역

St. 3 21 0.381 3.469 65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4 24 0.459 3.421 76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Mean 24 0.609 2.810 76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3

St. 1 7 0.971 0.646 23 β-중부수성 불량 Ⅲ 우선개선수역

St. 2 20 0.936 0.707 71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St. 3 15 0.942 0.623 44 β-중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St. 4 19 0.876 1.185 71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5

St. 1 5 0.600 2.171 10 α-중부수성 매우불량 Ⅳ 최우선개선수역

St. 2 9 0.477 2.756 26 β-중부수성 다소불량 Ⅱ 개선수역

St. 3 15 0.950 0.790 43 β-중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St. 4 18 0.977 0.381 54 빈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8

St. 1 5 0.909 1.385 9 강부수성 매우불량 Ⅴ 최우선개선수역

St. 2 9 0.677 2.186 21 α-중부수성 불량 Ⅲ 우선개선수역

St. 3 15 0.751 2.122 46 β-중부수성 다소양호 Ⅱ 보호수역

St. 4 10 0.830 1.594 25 α-중부수성 불량 Ⅲ 우선개선수역

9

St. 1 3 0.900 1.157 4 강부수성 매우불량 Ⅴ 최우선개선수역

St. 2 13 0.452 3.139 34 β-중부수성 다소불량 Ⅱ 개선수역

St. 3 12 0.810 2.034 38 β-중부수성 다소불량 Ⅱ 개선수역

St. 4 22 0.387 3.403 68 빈부수성 양호 Ⅰ 우선보호수역

Mean 12 0.779 1.642 37 β-중부수성 다소불량 Ⅱ 개선수역

Page 10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5 -

제 7절 골재채취 영향 지점과 비영향 지점간의 종조성 비교

본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로 인해 발생한 탁수가 수계의 종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조사된 지점을 골재채취 영향권과 비영향권으로 구분하여 두 지점간의 수 환경 및 종 조

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사 지점은 탁수 영향 수계 중 비교적 골재채취 지점과 환경이 유사하고 골재채취의 영향

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2지점(구담교, 상풍교)과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의 영향을 받는 2지점

(성주대교, 고령교)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수온과 탁도는 비영향 수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pH, DO, 유속은 영향 수계가 높게 나

타났다.

특히 탁도가 골재 채취 영향 수계가 비영향 수계에 비해 5.4NTU가 높게 나타났고, 수계의

탁도와 밀접한 영향이 있는 유속이 비영향 수계가 0.2m/sec, 영향 수계가 0.09m/sec로 두 배

이상 느리게 나타나고 있다(표 29).

표 29.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의 수환경 비교

수온 (℃) pH 탁도 (NTU) DO (ppm) 유속 (m/sec)

비영향 수계 18.7 8 21.3 1.1 0.2

영향수계 21.1 7.84 26.7 1.03 0.09

두 수계의 종 출현 현황을 살펴보면, 골재 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에서는 3문 5강 16

목 52과 76속 97종이 출현하였고, 탁수 영향 수계에서는 3문 6강 17목 49과 63속 78종이 출현

하여 비영향 수계에 비하여 종수가 감소하였다(표 30).

Page 10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6 -

표 30.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

추동물의 분류군 개요

수계 분류군

비탁수 수계 탁수 수계

Phylum 3 3

Class 5 6

Order 16 17

Family 52 49

Genus 76 63

Species 82 68

Total Ind. 2,978 1,297

분류군별 현황을 살펴보면,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에서는 환형동물문이 2강 3목 4과 4종 5개

체, 연체동물문이 1강 2목 4과 4종 24개체, 절지동물문이 2강 11목 44과 90종이 출현하였고, 그

중 수서곤충은 9목 41과 70종 2910개체가 출현하였다. 골재 채취 영향수계에서는 환형동물문이

2강 3목 3과 4종 11개체, 연체동물문이 2강 4목 6과 9종 175개체, 절지동물문이 2강 10목 39과

71종 1188개체가 출현하였고, 그 중 수서곤충은 8목 35과 49종 957개체가 출현하였다(표 31).

그림 44. 비탁수영향수계와 탁수영향수계의 분류군별 조성의 비교.

0%

20%

40%

60%

80%

100%

Phylum Class Order Famaily Genus Species Ind.

비탁수영향수계 탁수영향수계

Page 10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7 -

표 31.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의 분류군별 조성

Phylum Class OrderFamily Species No. Ind.

비탁수 탁수 비탁수 탁수 비탁수 탁수

AnnelidaHirudinea

Arhynchobdellidae 2 1 2 1 3 5

Rhynchobdellida 1 1 1 2 1 4

Oligochaeta Archioligochaeta 1 1 1 1 1 2

Mollusca

BivalviaMytiloida 0 1 0 1 0 4

Unionoida 0 1 0 1 0 1

GastropodaBasomatophomra 3 3 3 3 23 93

Mesogastropoda 1 1 1 4 1 77

Arthropoda

Crustacea Decapoda 2 2 3 4 37 150

Isopoda 1 1 1 2 2 4

Insecta

Coleoptera 5 4 10 7 20 13

Diptera 9 9 11 9 1476 697

Ephemeroptera 8 7 18 14 1195 159

Hemiptera 5 4 7 5 13 37

Lepidoptera 1 1 1 1 1 1

Megaloptera 1 0 1 0 1 0

Odonata 5 5 9 8 29 44

Plecoptera 1 1 2 1 79 1

Trichoptera 6 4 11 4 96 5

Total 3 6 18 52 47 82 68 2,978 1,297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의 분류군별 출현종수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분류군은 하

루살이목으로 8과 19종이 출현하여 약 21.9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파리목이 9과 11종

(13.41%), 날도래목이 6과 11종으로 약 13.41%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딱정벌레목 5과 10종

(12.20%), 잠자리목 5과 9종(10.98%)순으로 나타났으며, 곤충류를 제외한 기타 저서성대형무척

추동물이 8과 8종으로 12.24%를 차지하였다.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의 출현종수비가 높다는

점에서 이 지역의 전체 수계는 환경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그림 45).

골재 채취 영향수계의 분류군별 종 출현 비율은 파리목이 26.5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였고, 비곤충류가 22.78%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루살이목은 17.72%, 잠자

리목이 10.13%, 딱정벌레목이 8.86%, 노린재목이 6.33% 순으로 나타났으며, 날도래목(5.06%)과

강도래목(1.27%)은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뱀잠자리목은 골재 채취 영향수계에서는 출현하지 않

는 등 수환경이 다소 오염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46).

Page 10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8 -

그림 45.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non-insecta14.63%

Coleoptera 12.20%

Diptera 13.41%

Ephemeroptera 21.95%

Hemiptera 8.54%

Lepidoptera 1.22%

Megaloptera 1.22%

Odonata 10.98%

Trichoptera 13.41%

Plecoptera 2.44%

그림 46. 골재 채취 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비.

Coleoptera 8.86%

Diptera 26.58%

non-insecta22.78%

Ephemeroptera 17.72%

Plecoptera 1.27% Trichoptera 

5.06%Odonata 10.13%Lepidoptera 

1.27%

Hemiptera 6.33%

골재채취 비영향수계 조사지점의 개체수현존량은 2,978마리로 이중 파리목 49.58%, 하루살이

목 40.14%, 날도래목 3.22%, 강도래목 2.65%, 잠자리목 0.97%, 딱정벌레목 0.67%, 노린재목

0.44%, 곤충류를 제외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2.25%를 차지하였다(그림 47).

골재 채취 영향수계 조사지점의 개체수 현존량은 1,297 마리가 출현하였으며, 파리목이

Page 11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09 -

53.82%로 개체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비 곤충류가 26.10%, 하루살이목이 12.28%, 잠자

리목이 3.40%, 노린재목이 2.86% 순으로 나타났다.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0.08%와 0.39%로

매우 빈약한 개체수를 나타내었다(그림 48).

그림 47.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비.

Megaloptera 0.03%

Lepidoptera 0.03%

non-insecta2.25%Coleoptera 

0.67%

Diptera 49.58%

Ephemeroptera 40.14%

Hemiptera 0.44%

Odonata 0.97%

Trichoptera 3.22%

Plecoptera 2.65%

그림 48. 골재 채취 영향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비.

Lepidoptera 0.08%

non-insecta26.10%

Coleoptera 1.00%

Diptera 53.82%

Ephemeroptera 12.28%

Hemiptera 2.86%

Odonata 3.40%

Trichoptera 0.39%

Plecoptera 0.08%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과 영향수계에 출현한 주요 분류군들의 종수를 비교하여 보면 비해 수

서곤충류의 파리목,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등 청정수역의 지표가 되는 E.P.T. 분류군의 종수가

Page 11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0 -

높게 나타났고, 골재 채취 영향수계에서는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 비 곤충류 분류군의 종수

만이 비영향수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그림 49).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와 영향수계에 출현한 주요 분류군들의 개체수를 비교하여 보면 비 곤

충류가 비영향수계에 비해 영향수계에서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

도래목 등은 비영향수계에서 월등하게 높은 개체수를 나타내었다(그림 50).

그림 49.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의 출현 종 수 비교.

0%

20%

40%

60%

80%

100%

non-

ins

Col Dip Eph  Hem Lep Meg Odo Ple Tri

비영향수계 영향수계

그림 50. 골재채취로 인한 탁수 비영향 수계와 영향 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의 출현 개체 수 비교.

0%

20%

40%

60%

80%

100%

non-ins Col Dip Eph  Hem Lep Meg Odo Ple Tri

비영향수계 영향수계

Page 11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1 -

골재 채취 비영향수계와 영향수계의 E.P.T. 분류군 (Ephemeroptera=하루살이목, Plecoptera=

강도래목, Trichotera=날도래목)의 점유율을 파악한 결과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에서 하루살이목

의 개체수점유율이 21.95%로 E.P.T. 분류군 중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날도래목과 강도

래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골재채취 영향수계에서는 E.P.T. 분류군 중 역시 하루살이목의 개

체수점유율이 17.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날도래목과 강도래목 순으로 나타났다. 골재채

취 영향수계에서는 비곤충류와 E.P.T. 분류군을 제외한 곤충류의 점유율이 골재채취 비영향수

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E.P.T. 분류군은 비영향수계가 모두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표 32).

표 32.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와 영향수계의 E.P.T. 분류군의 점유율

Site

taxa

비영향수계 영향수계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non-insects 14.63 2.25 22.78 26.10

Ephemeroptera 21.95

37.8

40.14

46.01

17.72

24.05

12.28

12.75 Plecoptera 2.44 2.65 1.27 0.08

Trichotera 13.41 3.22 5.06 0.39

other-insecta 47.57 51.74 53.17 61.15

그림 51. 대조수계와 실험수계의 E.P.T.점유율.

0 20 40 60 80 100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종수점유율

개체수점유율

비영

향수

계영

향수

non-insects 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other-insecta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와 영향수계의 15개 상위 우점분류군을 선정하여 두 지역간의 주요 서

Page 11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2 -

식종을 살펴보면,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에서는 깔따구류, 옛하루살이, 입술하루살이, 갈고리하루

살이, 등딱지하루살이, 흰줄깜장하루살이, 나도꼬마하루살이, 그물강도래붙이 KUa, 등줄하루살

이, 작은강하루살이, 줄날도래 KUb, 세갈래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 두날개하루살이, 동양하루

살이 순으로 우점하였으며, 골재채취 영향수계에서는 깔따구류, 중국새뱅이, 왼돌이물달팽이,

나도꼬마하루살이, 새뱅이, 주름다슬기, 입술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 물벌레,

큰논우렁이, 흰줄깜장하루살이, 방울실잠자리, 기수우렁이, 아시아실잠자리 순으로 우점하였다.

골재채취 비영향수계에서는 하루살이목이 12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파리목 1종, 강도래목

1종, 날도래목 1종으로 오염에 내성이 비교적 약한 종들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으나, 골재채취

영향수계에서는 하루살이목이 5종, 잠자리목이 2종, 파리목이 1종, 비 곤충류가 7종으로 대부분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들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ESB지수와 BI지수를 산출한 결과를 살펴보면, 비영향수계는 ESB지수가 43, BI지수가 18로

나타났으며, 영향수계는 ESB지수가 35, BI지수가 16으로 나타나 비영향수계가 모두 높게 나타

났다.

우점도 지수(DI)는 0.34와 0.32로 두 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우점종의 점유율은 0.26과

0.37로 나타나 골재채취 영향수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 지수는 비영향수계(4.52)가 영향

수계(4.4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표 33).

Page 11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3 -

표 33. 골재채취 비영향수계 서식종과 영향수계 서식종의 비교

수계

우점순위비탁수수계 서식종 Qi 탁수수계 서식종 Qi

1. 깔따구류 1 깔따구류 1

2. 옛하루살이 4 중국새뱅이 2

3. 입술하루살이 3 왼돌이물달팽이 1

4. 갈고리하루살이 3 나도꼬마하루살이 4

5. 등딱지하루살이 2 새뱅이 2

6. 흰줄깜장하루살이 3 주름다슬기 3

7. 나도꼬마하루살이 4 입술하루살이 3

8. 그물강도래붙이 KUa 4 등딱지하루살이 2

9. 등줄하루살이 3 개똥하루살이 2

10. 작은강하루살이 3 물벌레 2

11. 줄날도래 KUb 3 큰논우렁이 2

12. 세갈래하루살이 3 흰줄깜장하루살이 3

13. 개똥하루살이 2 방울실잠자리 3

14. 두날개하루살이 2 기수우렁이 3

15. 동양하루살이 3 아시아실잠자리 2

ESB 43 35

BI 18 16

DI

(우점종 점유율)

0.34

(0.26)

0.32

(0.37)

H' 4.52 4.44

Page 11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4 -

제 8절 수서생물의 아가미 형태 및 생리학적 연구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가. 기관아가미

곤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산소를 얻는데 많은 곤충이 기관아가미(tracheal gills)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관아가미는 온몸에 분포하고 있으나 흔히 배에 존재하며, 어떤 곤충에서는 배

의 말단에 존재한다. 즉 수서곤충은 기관아가미를 율동적으로 파동치거나 몸을 구비침으로써

가스교환을 증진시키는데 이와 같은 운동은 산소가 풍부한 물을 흡수부위로 가져온다.

기관아가미가 탁수 유발 물질인 토양입자에 의해 피복이 되면 가스교환 효율이 저하되어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서곤충 중 대표적인 종

인 하루살이류 3종과 날도래 1종을 선정하여 탁수 수계와 비탁수 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에 미

치는 영향을 외부 형태적으로 조사하였다.

(1)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

그림 52.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53.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옛하루살이의 기관아가미를 주사 전자현미경적으로 조사해 보면, 탁수에 서식하는 곤충의

표면에 이물질이 많이 붙어 있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었다(그림 52, 53).

옛하루살이는 중 · 하류하천의 유속이 완만하고 낙엽이 쌓인 가장자리에서 발견되며, 유영

능력이 뛰어난 몸길이 10~20mm의 중 〮 대형 종으로 몸은 유선형으로 제 1~7배마디에 나뭇잎

모양의 기관아가미를 가지고 있다(그림 54, 55)

Page 11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5 -

그림 54.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55.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55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는 대조수계의 기관아가미와 비교할

때, 기관아가미를 비롯해 몸 표면에 작은 토양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수계에

서 옛하루살이의 기관아가미는 가스교환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하기에 부족할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54, 55).

(2) 점박이부채하루살이(Epeorus latifolium)

그림 56.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57.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점박이부채하루살이는 납작하루살이과로서 몸의 형태가 납작하며, 배의 1~7배마디에 나뭇

잎 모양의 기관아가미에 갈색의 점이 산재한다. 하천 중․상류의 물살이 빠른 여울에서 돌 밑

이나 바위틈에 붙어서 생활하며 대체적으로 용존산소가 풍부한 청정지역의 계류에서 많이 서

식하므로 수질오염에 대한 훌륭한 지표종이 된다. 그림 57에서 실험수계에서 채집된 점박이부

채하루살이의 체 표면에 모래입자가 부착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종이 청정지역을 선호

Page 11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6 -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탁수수계에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받지 못하여 탁수 영향 수계에서

장시간 생존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56, 57).

(3) 무늬하루살이(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는 몸길이 15~25mm에 달하는 대형종으로 몸의 모양은 원통형이며 제 1배

마디가 작고, 제 2~7배마디의 것은 2쌍으로 깃털모양이며, 배의 등쪽을 덮는다. 하천이나 강에

서 흔히 발견되며 유속이 완만하여 모래가 쌓인 곳에서 서식한다. 또한 큰턱돌출기가 있어 모

래를 잘 파도록 적응 되어 있다(그림 58, 59).

상기 종들 중 점박이부채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는 하상공사로 인해 상당량의 탁수가 유입되

는 곳에서 채집된 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나. Case

(1) 줄날도래 KUb(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b는 세 가슴의 등판이 경화되어있으며, 배의 배면과 가운데 가슴 및 뒷가슴에

는 끝이 분지된 기관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서식지는 주로 강이나 하천 등의 유수이지만 물이

찰랑거리는 정수지역의 물가에서도 발견된다. 그림 61은 줄날도래의 case로서 탁수가 방류된

후 실험수계에서 채집된 것이다. 대조수계에 비해 작은 돌로 지어진 case 사이사이 즉 공극사

이에 미소 토양입자가 많이 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돌 사이의 접착성이 떨어져

case의 형태가 대조수계 보다 견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날도래는 입에서 silk를

꺼내어 집을 짓거나 net를 쳐서 물속 부유 유기물을 걸러서 먹는 섭식 방법을 가지는데 이 net

에 미소 토양입자가 침적되며, 먹이섭식에도 큰 지장을 받아 결국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

로 판단된다(그림 60, 61).

그림 62, 63은 실험수계에서 채집된 줄날도래 KUb가 case안에 들어있는 모습이다. 그림 62

는 줄날도래 KUb가 case 안에서 죽은 모습으로서 case와 몸의 기관 곳곳에 작은 토양입자가

매우 많이 끼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63은 case안에 있는 줄날도래의 번데기로서,

미세 토양입자로 인해 형체를 알아보기 어렵다(그림 62, 63).

Page 11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7 -

그림 58. 대조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59. 실험수계에서의 기관아가미.

그림 60. 대조수계에서의 Case. 그림 61. 실험수계에서의 Case.

그림 62. 실험수계에서의 줄날도래 KUb 성체. 그림 63. 실험수계에서의 줄날도래 KUb 번데기.

Page 11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8 -

2. 어류

어류의 아가미는 체조직 중에서도 가장 섬세하고도 미묘하게 적응된 조직학적 구조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수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의 각종 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유

해인자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아가미를 구성하는 조직성분 중에서도 특히

이차새변상피는 단층 내지 두층의 얇은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가스교환을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특수성이 오히려 각종 유해인자의 침입 또는 이들에 의한 손상을 쉽게

받을 수 있고 이물질의 부착으로 호흡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아가미는 호흡기능 뿐만 아니라,

장 및 신장과 함께 삼투압의 조절, 노폐물 배설의 기능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아가미의 조

직학적 생리학적 변화는 호흡, 분비 및 배설기능의 장애를 야기하므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

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비탁수 수계인 안동댐에서 서식하는 어류와 탁수 수계인 임하댐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아가미, 신장 및 피부 조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으며, 혈장을 이용하여

생리학적 변화도 조사하였다.

가. 아가미, 신장 및 피부의 조직학적 연구

(1) 광학현미경적 관찰

본 실험에 사용한 공시재료는 탁수로 오염된 실험수계(임하댐수계) 내에 서식하는 잉어, 붕

어, 백조어, 누치, 치리, 강준치와 비탁수 대조수계(안동댐수계) 내에 서식하는 잉어, 누치, 붕

어, 백조어를 재료로 이용하였다.

그림 64.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 2차 새변의

곤봉화 (×400).

그림 65.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 이차 새변의

곤봉화 (×400). 1-모세혈관 및 적혈구(capillary and erythrocyte), 2-벽주세포(pillar-cell)

3-상피세포(epithelial cell), 4-새박판 간세포(interlamellar cell)

5-일차새변(새박판, primary gill lamella), 6-곤봉화(clubbing)

Page 12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19 -

우선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어류 아가미의 조직학적 구조를 알아보고자 잉어의 아가미를 관

찰하였다. 탁수 수계인 임하댐에 서식하는 잉어의 아가미는 이차 새변의 끝부분이 부풀어져 보

이는 곤봉화(clubbing)가 관찰되었다(그림 64(6), 65(6)). 곤봉화가 나타난 새변은 두꺼운 상피

층을 이루고 있어 이차 새변의 유합, 새변간 공간의 소실, CO2 교환율 저하로 인해 호흡성 산

증(respiratory acidosis), 호흡면적의 손실과 호흡기능의 악화가 나타날 수 있어 어류의 수중생

활에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되어 있어 실험수계지역의 잉어 아가미에서 관

찰되는 곤봉화현상은 호흡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림 66.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기생충

(×200).

그림 67.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기생충

(×200). 1-일차새변(primary gill lamella), 2-이차새변(새박판, secondary gill lamella),

3-기생충.

실험수계 어류의 곤봉화 현상 이외에도 백조어의 경우 이차새변 사이에 타원형 혹은 구형

의 기생충이 관찰되었다(그림 66(3), 67(3)). 기생충의 감염은 조직의 파괴 및 괴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출혈, 빈혈증, 2차 감염을 일으키거나, 심할 경우 숙주의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실험수계의 어류는 조직의 변형 및 기생충 감염에 의해 호흡장애, 생리적 부조 현

상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Page 12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0 -

그림 68. 대조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2차새변

(×400).

그림 69.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2차새변

(×400).

Gf: Gill filament, Sc: Salt cell, Fl: filament lamella.

실험수계내 백조어 아가미의 2차새변(그림 69)은 대조수계에서 2차새변(그림 68)에 비해 두

꺼운 층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의 Salt cell를 가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차새변이

두꺼워지게 되면 새변사이의 공간이 소실되어 CO2교환에 지장을 주게 됨으로써 결국 호흡률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그림 70.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새막판 간세포 (×200).

1: 정상적인 새박판 간세포(interlamellar cell), 2: 비후된 새박판 간세포.

일반적으로 새박판 간세포는 이차새변 밑 부분에 위치하며 두께가 얇다. 그러나 본 실험의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에서 새박판 간세포가 현저하게 증식되어서 새박판 사이가 메워져 있

는 현상이 관찰되었다(그림 70). 이 현상은 대표적인 진행성병변(progressivede generation)중의

하나로서 어류의 호흡률을 저하시키게 된다.

Page 12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1 -

그림 71.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의 부종

(×100).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잉어의 아가미에서 일차새변의 끝부분이 불룩한 팽대부를 이루는 것

이 관찰되었다(그림 71). 이러한 팽대부는 일종의 부종(edema)으로서, 이러한 현상 역시 새변

간 공간을 축소하여, CO2 교환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호흡률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

하게 된다.

그림 72. 대조수계 잉어의 신장내 사구체

(×400).

그림 73. 실험수계 잉어의 신장내 사구체

(×400). BS: 보우만 공간, GL: 사구체.

신장은 아가미와 더불어 노폐물 제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데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잉어

의 신장(그림 73)은 대조수계보다 사구체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그림 72). 사구

체의 크기가 대조구에 비해 실험수계의 어류에서 작아지게 되면 표면적이 좁아져 노폐물을 걸

러주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는 포유류의 만성 사구체 신염(chronic glomerulonephritis)과

유사하며 어류의 2차 병변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Page 12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2 -

그림 74. 대조수계 붕어의 신장 (×200). 그림 75. 실험수계 붕어의 신장 (×200). BS: 보우만 공간, GL: 사구체 , N: 혈관

그러나 대조수계(그림 74)와 실험수계(그림 75)에 서식하는 붕어의 경우 사구체의 크기는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나 수축현상이 없는 것으로 보여, 오염에 강한 어종일수록 신장에서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림 76. 대조수계 누치의 표피 (×100). 그림 77. 실험수계 누치의 표피 (×100).

대조수계와 실험수계 어류의 표피의 조직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누치

의 표피는 약 130㎛인(그림 77) 반면 대조수계에 서식하는 누치의 표피는 약 75㎛로 약 2배 정

도 두꺼운 현상이 관찰되었다(그림 76). 이러한 현상은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누치가 생물학적

감염인자, 각종 탁수 및 수질오염원에 반응하여 대조수계보다 피부가 더 두꺼워진 것으로 생각

된다.

Page 12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3 -

(2)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그림 78. 대조수계 잉어의 아가미 (×1000). 그림 79. 실험수계 잉어의 아가미 (×1000).

Fl: filament lamella.

탁수에 의한 아가미 표면의 변화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주사현미경(SEM)으

로 관찰하였다. 우선 잉어의 아가미를 관찰해 보면 이차새변 표면의 틈이 대조수계 잉어의 아

가미에서는 약 8.4㎛의 크기를 갖는 틈이 확인되었지만(그림 78), 실험수계 잉어 아가미에서는

3.6㎛의 크기를 갖는 틈이 관찰되었다(그림 79). 이와 같이 새변사이의 틈이 좁아지는 것은 새

변을 통한 CO2교환이 억제될 수 있으며 세균이나 기타 원생동물과 기생충 등이 서식할 수 있

는 조건을 제공하게 되어 결국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산소의 원활한 공급이 저하되어 어류

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80. 대조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200).

그림 81. 실험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200).

Page 12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4 -

붕어 아가미를 관찰한 결과 대조수계(그림 80)에서 보다 실험수계의 아가미(그림 81)에 더

많은 점토질로 보이는 이물질이 붙어 있는 형태를 관찰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또한 CO2 교

환율 저하로 인해 호흡성 산증(respiratory acidosis), 호흡면적의 손실과 호흡기능의 악화가 나

타날 수 있어 어류의 수중생활에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되어 있어 호흡장애

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82. 대조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 (×1000).

그림 83. 실험수계 붕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 (×1000).

그림 82와 83을 고배율로 관찰한 결과 실험수계 아가미의 이차새변에서 이물질의 부착정도

가 훨씬 심한 것을 알 수 있다(그림 82, 83).

그림 84. 대조수계 누치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 (×1000).

그림 85. 실험수계 누치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2차새변 표면 (×1000).

Page 12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5 -

그림 84와 85을 확대한 사진에서는 일차새변에 좀더 많은 이물질이 붙어 있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다(그림 84, 85). 이차새변과 이차새변 사이의 거리가 대조수계 보다 실험수계의 아가

미에서 훨씬 좁아지는 형태를 관찰 할 수 있는데 이는 새변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어 CO2교환

에 지장을 주게 됨으로써 결국 호흡률의 저하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86. 실험수계 치리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200).

그림 87. 실험수계 치리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x1000).

탁수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아가미에는 점토성 이물질의 부착 이외에도 많은 기생충이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다.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치리의 일차새변과 이차새변에서

는 수많은 기생충이 관찰되는데(그림 86, 87) 이러한 기생충은 외상, 파열(rupture), 출혈

(haemorrhage)등을 가져와 결국에는 호흡장애를 일으켜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숙주의 죽음까지 가져 올 수 있게 한다.

그림 88.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200).

그림 89. 실험수계 백조어 아가미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구조 (×1000).

Page 12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6 -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백조어의 경우에서도 다량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며, 더불어 기생충

이 살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그림 88, 89). 새변과 새변 사이에 이물질과 기생충이 많이 있

게 되면 어류의 아가미 호흡률이 떨어지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하천은 어류의 성장과 번식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여러 가지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질이 오염될 경우 어류의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어류의 형태적 특성상 아가

미와 신장 등 어류의 조직은 수질의 변화에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수질이 탁수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될 경우 어류는 생존에 위협까지 받으며 폐사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탁수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곤봉화, 부종,

신장의 수축, 기생충의 침입 등으로 어류의 수중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다. 이는 2차 감염을 초래 할 수 있으며, 전신감염을 유발시킬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탁수에 대한 어류의 조직학적, 구조적 병변에 대한 보고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앞으

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정확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나. 혈장 단백질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탁수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에는 탁수라는 환경적 변화가 새로운 유전자의 발현 등을 가져

올 수 있는 일종의 스트레스 인자로 관여하여 새로운 단백질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적 변화는 우선적으로 혈장 단백질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의 변화를

SDS-PAGE 전기영동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새로운 biomarker로 이용될 수 있는 Ferritin(철결

합 단백질)의 양적, 질적 변화도 조사하였다.

(1) SDS 전기영동에 의한 혈장 단백질 분석

Page 12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7 -

그림 90. 누치의 혈장

(A:대조수계, B:실험수계).

그림 91. 백조어의 혈장

(A:대조수계, B:실험수계).

9~14 % SDS-gradient gel 전기영동에 의하여 어류 혈장의 단백질 패턴을 조사하였다. 누

치의 경우 30~50 Kda 사이에서 단백질 밴드가 나타났으며, 실험수계에서 대조수계에서는 나

타나지 않는 40 Kda 단백질 밴드가 확인되었다(그림 90). 백조어의 경우에는 30~70 Kda 사이

에서 단백질 밴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대조수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98 Kda와 47 Kda의

단백질 밴드가 실험수계에서 확인되었다(그림 91).

그림 92. 붕어의 혈장

(A:대조수계, B:실험수계).

그림 93. 잉어의 혈장

(A:대조수계, B:실험수계).

붕어의 경우에는 40~60 Kda 사이에서 단백질 밴드가 나타났으며 실험수계에서는 48 Kda

의 단백질 밴드가 추가로 확인되었지만 대조수계에서 고농도로 확인되는 단백질 밴드가 실험

수계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질적․양적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92).

Page 12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8 -

잉어에서는 30~100 Kda 사이에서 단백질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다른 종의 어류에서 보다 많

은 수의 단백질 밴드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실험수계에서는 48 Kda 단백질 밴드가 확인되

었다(그림 93).

어류 혈장 단백질은 대체로 30~70 Kda 사이의 분자량을 갖고 있으며, 실험수계의 경우 4

0~50 Kda 사이에서 대조수계에서 나타나지 않는 단백질 밴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대

체적으로 실험수계에서는 대조수계에서 보다 많은 단백질 밴드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는 탁

도로 인하여 생리적인 변화로 비탁수에는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Ferritin의 확인

어류의 혈장내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는 철(Fe) 분자와 결합하여 각 조직으로 운반된다. 이

러한 철 분자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철결합단백질(Ferritin)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혈장내 산소는 Ferritin과 결합하여 각 조직에 원활하게 산소를 공급해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산소나 철 농도의 결핍은 아가미의 손상,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 및 조직의 산소 소비

속도 저하 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혈장내 Ferritin의 활성을 조사해 보면 혈장내 산소나 철의

농도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Biomarker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탁수지역과 비탁수 지역 어류 혈장내의 Ferritin의 활성을 조

사함으로써 각종 어류의 호흡률을 조사하고자 한다.

혈장 단백질을 5% Native PAGE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한 후 Ferene S로 염색하여

Ferritin을 확인하였다. Ferritin은 혈장의 전기영동상에서 매우 소량이므로 band로 정확히 나타

나지 않기 때문에 Ferene S에 의한 특이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위치와 양적 변화를 확인하였

다.

그림 94. 백조어의 ferritin 활성

(A:대조수계, B:실험수계).

그림 95. 누치의 ferritin 활성

(A:대조수계, B:실험수계).

Page 13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29 -

백조어에서의 경우 대조수계에서는 여러 종류의 Ferritin이 높은 농도로 확인되었으나, 실험

수계에서는 Ferritin의 종류도 적었으며, 활성도 낮게 나타났다(그림 94). 또한 대조수계에서는

Fe-1가 확인되었으나 실험수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실험수계에서는 Fe-2가 대조수계에

비해 미약하게나마 활성을 띠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그림 94). 누치의 경우 실험수계에서는

대조수계에서 나타나지 않는 2개의 Ferritin 밴드가 나타났으며, Fe-1이 높은 활성을 띠고 있

다(그림 95).

그림 96. 붕어의 Ferritin 활성

(A:대조수계, B:실험수계).

그림 97. 잉어의 Ferritin 활성

(A:대조수계, B:실험수계).

붕어에서는 실험수계에서 단지 몇 종류의 Ferritin이 확인되었으며, 대조수계에서는 나타나

지 않는 Fe-1의 밴드가 실험수계에서 존재하였다(그림 96). 잉어의 경우에는 백조어와는 상반

된 결과로 실험수계에 서식하는 잉어의 혈장에서 여러 종류의 Ferritin이 확인되었으며, 이의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그림 97).

Ferritin 확인 실험의 경우 대체적으로 실험수계에서 Ferritin 밴드의 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대조수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Ferritin 밴드가 실험수계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잉어와 붕어의

경우에는 분자량이 48 Kda로 유사하였으며, Ferritin 확인에서도 대조수계에서 나타나지 않는

밴드가 실험수계에서 유사한 양으로 비슷한 위치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 96, 97).

백조어와 누치의 경우에는 대조수계에 존재하지 않는 2개의 밴드가 실험수계에 나타났으며 확

인된 위치 또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 94, 95).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실험수계에서는 대조수계에서 나타나지 않은 Ferritin 밴드가 존재

한 것으로 보아 탁도로 인하여 어류의 아가미가 점액질이나 이물질로 좁혀짐으로 산소의 교환

이 원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체내의 산소가 유리화 되어 대조수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Ferritin 밴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혈장 내에 존재하는 Ferritin의 양이 체내 저

Page 13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0 -

장철을 반영하는 지표가 됨으로써 대조수계에서 존재하지 않은 Ferritin 밴드가 실험수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탁도가 어류의 체내의 효소 및 호르몬과 혈청 단백질에 영향을 미침으로

해서 생리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이에 대한 보다 심조 있는 생리적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ge 13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1 -

제 9절 연구 결과요약

1. 본 조사기간 중 탁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실험지역에서 동정 분류된 종은 총 4문

5강 12목 40과 67종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대조지역에서 분류된 종은 총 4문 5강 13목 38과

77종으로 조사되었다.

2. 탁수가 방류된 5월 조사결과는 St. 2에서는 옛하루살이(Siphonurus chankae)가 우점종으

로 나타났으며, 그 외 지점에서는 대부분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하였으며, 우

점도지수(DI)는 0.387~0.978로 나타났다.

대조지역에서에서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깔따구류(Chironominae sp. 1)가 우점하였으며,

그밖에 두점하루살이(Ecdyonurus kibunensis),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네

점하루살이(Ecdyonurus levis),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우점도지수(DI)는 0.359~0.937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3. 종 다양도 지수(H')는 실험지역(탁수영향 수계)에서 평균 1.642, 대조지역(비탁수 수계)에

서 평균 2.81로 나타났으며, 탁수유발입자의 침전으로 인한 미소서식처 파괴로 인한 종다양

도 감소 및 서식 종조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는 실험지역에서 평균 37, 대조지역에서 평균 76으

로 실험지역과 대조지역간의 생태점수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탁수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의 호흡기관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

가미 세사의 두께, 간극 등에서 일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탁수가 조류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출현종수의 감소, 출현종의 변화,

현존량 감소 및 우점종의 변화 등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골재채취 등 탁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은 비 영향 지점보다 저서생물의 종수의 감소, 출

현종의 변화, 개체수의 감소 및 E.P.T. 분류군의 점유율의 저하 등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탁수가 어류의 형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신장, 아가미, 피부 조직

의 형태 변화 및 새로운 단백질의 생성 등에서 일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생물학적 수질판정 결과는 실험지역은 오수생물계열 ‘β-중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

등급 Ⅱ급수, 환경상태는 ‘다소불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개선수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지역의 오수생물계열은 ‘빈부수성’으로 판정되었고, 수질등급 ‘I 급수’, 환경상태 ‘

양호’로 나타났으며 지역판정은 ‘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age 13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2 -

■ 대조수계 및 실험수계의 각 항목별 결과

조사지

항목대조수계 실험수계

분류군수(No. of taxa) 4문 5강 13목 38과 77종 4문 5강 12목 40과 67종

개체수(No. of Ind.) 18,782 7,859

우점도(DI) 0.609 0.779

우점종 깔따구류 깔따구류

아우점종 두점하루살이 옛하루살이

종다양도(H') 2.810 1.642

생태점수(ESB) 76 37

오수생물계열 빈부수성 β-중부수성

환경상태 양호 다소불량

수질등급 Ⅰ Ⅱ

지역판정 우선보호수역 개선수역

E.P.T. 분류군의 점유율

(종수, 개체수)61.0%, 44.1% 52.2%, 11.9%

어류의 형태 변화(신장) 변화없음 사구체의 수축

어류의 형태 변화(아가미) 변화없음 곤봉화, 부종

어류의 형태 변화(피부) 변화없음 표피가 두꺼워짐

어류의 생리적 변화(혈장) 정상새로운 단백질 생성

(40, 47, 48Kda)

어류의 생리적 변화(Ferritin) 정상새로운 밴드의 생성

(F1, F2)

Page 13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3 -

0

10

20

30

40

50

60

3월 5월 8월 9월

종수

대조수계

실험수계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3월 5월 8월 9월

개체수

0

0.2

0.4

0.6

0.8

1

3월 5월 8월 9월

우점

도(D

I)

00.5

11.5

22.5

33.5

4

3월 5월 8월 9월

종다

양도

(H')

Page 13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4 -

제5장 탁수 원인, 영향 및 저감방안

제 1절 탁수원인 및 유역대책

1. 탁수원인

가. 상류지역 지질이 강우 시 쉽게 유실될 수 있는 점토성 풍화암질의 사암과 자색 셰일(혈

암)층으로 구성(전유역의 53% 분포)된 구조적인 문제가 상존

나. 토립자(탁질물질)가 미세(7~10㎛)한 콜로이드성으로 침강시간이 길고 색깔이 붉어 육안

상 고탁도로 보여짐

다. 특히 '02년, '03년 루사, 매미 태풍 시 집중강우로 하천 및 주변 경작지 유실로 최근에

탁수현상이 심하게 발생

2. 탁수현황

임하댐 내부 자료에 의하면 1996년부터 2004년 8월까지 조사된 임하호내의 탁도 관련 내용

은 다음과 같다.

가. '96년~'01년: 최고탁도 248NTU (30NTU이상: 평균 48일)

나. '02년 태풍루사시: 최고탁도 882NTU (30NTU이상: 170일)

다. '03년 태풍매미시: 최고탁도 1,221 NTU(30NTU이상: 315일)

라. '04년 8월 현재: 107NTU (기존 댐 탁도: 5~150NTU, 체류기간:1~2개월)

마. 수심별 탁수현황('04. 8. 16)

수심 표면 10m 20m 30m 40m

탁도(NTU) 4.5 148.8 262.6 115.3 -

바. 주요지점별 하류탁도현황('04. 9. 19)

구분(유하거리) 방류수 풍산(30km) 예천(65km) 상주(83km) 구미(113km)

탁도(NTU) 83 33 27 24 16

Page 13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5 -

3. 유역대책

가. 추진대책

(1) 사방댐(2개소)

(2) 저수구역내 토사저감 시범사업(조사 연구 및 모니터링)

(3) 소하천 정비 및 주변 농경지 유실방지 대책

(4) 작부체계 및 경운방식 개선

(5) 빗물우회수로, 저류지, 사면보강 및 토사유실대책

(6) 탁수 유발원인 임하댐 상류의 셰일층에 잔디 식재

나. 탁수저감대책별 시행주체(안)

구분 사업내용 추진기관(안)

유역대책

토사유실 저감대책 환경부, 건교부

소하천정비 및 주변농경지 유실방지 (수공), 경북도

작부체계 및 경운방식 개선 지자체

사방댐 산림청

댐내대책

터널식 보조 여수로

건교부 본댐 취수탑 시설개량

영천댐 탁수대책

탁수자동측정시스템구축 수공

하류하천 습지조성

하류대책

댐하류하천 습지조성 건교부(수공)

안동시 용상취수장 이전 건교부(수공) 환경부

안동시 경북도

하류 하천 수서생태 조사 수계관리위원회

※ 출처: 임하댐 내부자료

다. 협의체 구성

건교부, 산림청, 환경부, 3개 인접시군.

Page 13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6 -

제 2절 탁수가 호소 및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직․간접적

인 영향

1. 정수비용 증대 및 공업용수로 부적합

식수로 이용 할 경우 탁수를 정수하는 드는 비용이 비탁수를 정수할 때에 비해 정수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탁수를 정수하지 않고 공업용수로 그대로 사용할 경우, 반도체나 정밀기계나

등의 세척 등에는 부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 용수로서 부적합 것으로

판단된다. 안동의 경우, 상수도 취수원을 임하호 탁수의 영향을 받는 반변천 수계를 이용해 왔

으나, 정수비용 및 관리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현재 안동 보조댐 아래쪽에 위치한 낙동강 수계

로 이전 계획을 수립한 상태이다.

2. 저서생물의 서식처 훼손과 생물다양성 감소

탁수가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군집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탁수영향수계(실험

수계)의 St. 1인 임하보조댐에서 St. 4인 생명과학고 부근까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구간 사

이에는 저서하상의 자갈과 자갈, 자갈과 모래, 모래와 모래 등의 공극을 메우기 때문에 이들

공극사이에서 서식하는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서식공간이 감소되어 이 돌 틈과 바닥 및 표면에

부착해서 생활하는 종들의 생물다양성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자갈에 붙어 있는 규조류가

탁수 속에 포함된 미세토양입자로 피복되어 광합성 능력 저하와 저서성무척추동물을 비롯한

어류의 먹이원 감소로 이어져 수서생태계의 먹이사슬과 먹이망이 교란될 것으로 판단된다. St.

5 부터는 희석과 침전 등 자정작용에 의해 탁수가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종조성에 미치는 직접

적인 영향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탁수수계의 저서상태 (다공극 구조) 탁수수계의 저서상태 (공극의 매몰)

Page 13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7 -

3. 빛의 투과성 저하로 인한 수중생물의 생장저해

탁수 유발 물질인 미세토양입자가 수중의 저서 수조물에 부착 조류를 피복하여 조류에 의

한 광합성 저하 및 먹이원이 감소한다. 이는 먹이사슬 및 먹이망이 파괴되고 DO 및 어류의 산

란 장소를 훼손시킨다.

4. 탁도에 의한 어류의 먹이탐색 능력 저하

어류의 먹이탐색은 후각 및 시각에 의존하는데 이중 시각에 의한 먹이탐색능력이 탁수에서

는 시야가 좁아지므로 청정수계의 유수형 하천에 주로 서식하는 대표적인 E.P.T. 분류군 중

case를 짓고 사는 날도래의 case속에 탁수유발 입자가 매몰되어 생존율을 감소시킨다.

5. 수서생태계의 먹이사슬 교란과 수변 및 육상으로 이어지는 생태계에 영향 초래

탁수로 인해 조류(algae) 및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서식처 파괴는 하천생태계에 있어서 생산

자 및 1차 소비자의 대량 감소로 이어져 상위소비자인 어류 및 양서,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등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과 먹이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6. 경관 및 정서적 측면에서 부정적 이미지 각인

호소 및 하천에 탁수가 상시 고여 있거나 방류될 경우, 경관적 및 정서적 측면에서 이를 보

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유발 것으로 판단되어 수자원 이용 및 활용 측면에서 부정적인 이미

지를 심어줄 것으로 판단된다.

7. 수서곤충의 기관아가미 및 어류의 아가미 구조

기관아가미 및 어류의 아가미에 영향을 줌으로 호흡률 저하 및 우화율을 저하시킨다.

8. 청정수계 환경지표종인 날도래류의 생존율 저하

날도래는 물속에서 생존하는 유충시기에 작은 모래 입자 및 잔사물로 case를 지어 그 속에

서 생활하는 종류와 입에서 silk를 내어 저서와 돌이나 자갈에 그물을 쳐서 수중에 유하하는

유기물을 걸러서 먹는 종류가 있다. 그러나 탁수를 유발하는 미세한 토양입자가 cses 속이나

silk는 물론 유충의 몸과 조직의 틈새까지 끼어들어 먹이섭식 기능이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

라 생장을 방해하여 우화율을 저하시킨다.

9. 수서생태계 파괴

탁수입자 침전으로 인해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고, 저서성무척추동물을 비롯한 수서생

물의 개체수 저하와 종다양성을 감소시킨다.

Page 13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빛 투과성 저하

- 수중동물의 먹이탐색 능력 저하

- 수중식물의 광합성 능력 및 생존

력 저하

- DO 감소, 어류의 산란처 파괴

○ 수서생물의 생존율 저하

-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기관아가미 및

어류의 아가미에 영향

○ 다공질 구조 감소 및 매몰

- 서식처 감소 및 파괴

- 저서생물의 치사율 증가

- 하상단순화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 생물체 피복

- 부착조류 성장 불능

- 수서곤충의 기관아가미에 피복으로

인한 호흡률 저하 및 치사율 증가

- 먹이사슬 및 먹이망 파괴

탁수 유발원(토양미립자)

부유 침전

종다양성, 종조성 변화 및 개체수 감소

수서생태계 먹이사슬 및 먹이망 교란

(동․식물성 플랑크톤, 저서성무척추동물, 어류)

하천생태계의 생물상 단순화

수변 및 육상생태계 먹이사슬에 영향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 138 -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모식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모식도>

Page 14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39 -

제 3절 담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탁수 저감방안 및 대안제시

하천생태계 보존과 탁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한 생물다양성 확보와 자연형 하천조

성을 위해서는 먼저 수문학적 측면과 생물학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

련하여야 할 것이다.

댐, 하구둑, 수중보 등 많은 수문의 건설과 축조 등 인간의 이수 및 치수를 위해 시행되고

있지만 생물을 중심으로한 생태계의 입장에서는 자연적 흐름차단과 지형과 생태적 교란을 유

발하여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제 수문환경학적 측면에서도 이수와 치수는 물론 하천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중가

와 친수의 개념이 도입되고 접목시켜 수문환경 변화에 따른 수서생태계 변화를 최소화함과 동

시에 바람직한 하천정비사업이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도 하천을 이수와 치수의 관점에서만 접근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친수공간으

로서의 요구증대와 함께 하천생태계의 생물다양성 회복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

다. 수문환경변화 요인이 증대함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하천생태계 보전 차원에서 이제는 적극

적인 보전방안과 복원방법을 통해 하천의 원래 모습을 복원함과 동시에 생물다양성을 증대 시

키고 먹이사슬을 연결할 수 있는 생물서식처인 비오톱을 복원하고 창출하여야 할 것이다.

수문환경 변화는 하천의 수역 자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육역과 수역을 연결시

키는 생물이 이동하는 생태통로 역할을 하는 수변역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생

체량과 생산성이 매우 높은 하천생태계에서 준설 등 하천정비로 인한 미소서식처 훼손과 골재

채취 등으로 인한 습지제거와 탁수 입자의 침전에 의한 다공질 구조의 서식처 매몰, 그리고 오

염물질 유입 등으로 인해 하천은 하천이되 생물상이 매우 단순화 되어 하천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유전적 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 및 생물종 다양성이 급격히 해체되고 있는 실정이며, 하

천의 자정력과 복원력도 급격히 상실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문환경 분야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이 도약하기 위해서는 수리수

문, 환경, 조경은 물론 이와 함께 생물 및 생태학간의 학제간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외

형만 하천의 모양을 갖춘 구조적인 측면만이 아닌 생물이 살아 숨쉬고 다종다양한 생명체가

서로 먹이사슬로 연결되어 하나의 완벽한 에너지 순환시스템이 갖추어진 기능적인 측면을 고

려한 하천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기존의 하천정비사업에서 치수적 안전성을 담보하면서도 하천이

가진 생물다양성과 자연경관 그리고 자정력 등이 확보된 하천 가꾸기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복원하고자하는 하천의 특성, 즉 고유성, 개성, 역사성, 복원성과 생물다양성을 회복을 고려

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Page 14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0 -

1. 이수와 치수 및 제방의 안정성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필요하다.

첫째, 하천 고유의 환경 보전이 우선된 상태에서 하천정비계획 및 경관적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둘째, 각 하천마다 가진 해당 하천특유의 개성을 보전한다.

셋째, 자연의 힘에 의해 복원이 불가능한 부분은 한번 파괴하면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하

천의 복원성 즉, 침식운반퇴적 작용과 여울과 소의 반복 등 하천 고유의 기능과 다양성을 최대

한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하천생태계의 연속성을 고려한 생물의 먹이사슬 등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한 종적구조의

복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하천의 미지형 등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횡적구조의 복원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하천

은 역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울과 소 등의 다양한 형태와 구조변화 및 식생천이 등을 고려

한 계획이 필요기 때문이다.

여섯째, 생물서식처의 복원과 창출을 위한 수서생물의 습성과 생태를 고려한 생태공학적 방법

으로 복원해야 한다.

일곱째,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개발계획을 고려하고, 해당지역의 생태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자

연친화적이고 환경적으로 건전하며, 지속가능한 차원에서의 하천정비 및 비오톱 조성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한다.

여덟째, 유지용수는 곧 하천에 있는 수많은 생물의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하천-수변-육지로 연결되는 먹이사슬과 생태계의 순환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의 시발점이 되

므로 유지용수 확보를 위한 대책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향후, 전문가에 의한 정밀 생태조사 후, 하천생태계변화추이에 대한 모니

터링 계획 수립과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2. 골재채취 등에 의한 탁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

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골재채취 지점을 수중이 아닌 하전의 나대지로 제한한다.

둘째, 갈수기 또는 홍수기에는 적은 양의 탁수도 하류에 끼치는 영향이 크므로 채취를 제한하

여 하류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셋째, 탁수에 의한 하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생 및 수변식물의 서식 범위를 최대한

확대하여 하천의 자정작용을 극대화한다.

넷째, 탁수를 유발하는 공재채취를 지양하거나 부득이 한 경우에는 탁수 유입방지막이나 작은

흙더미를 쌓아 골재채취지역에서 수계로 흙탕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한 탁수를 저

류하여 침전시켜, 공사로 인해 유발된 탁수가 수서생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Page 14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1 -

다.

3. 수중보 건설을 최소화 한다.

수중보로 인한 이수, 치수 등 긍정적 측면보다 수서생태계 단절과 탁수입자 축적에 의한 수

중생물 서식처의 단순화와 먹이사슬 교란 등 부정적인 측면이 많으므로 수중보 건립을 최소화

하여 하천생태계의 자정력 및 복원력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4. 자연형 하천공법 도입 및 실시

하천관련 공사 계획 시 하천의 연속체 개념에서 접근하여 자연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생물다

양성이 확보된 자연형하천조성 공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5. 댐의 연계운영 및 탁수방류시기 조절

하천의 유지용수 확보와 경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계운영을 통해 탁수

방류시기를 조절하여 탁수가 지속적으로 방류되지 않도록 하여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6. 배후습지를 보존한다.

탁수가 직접 영향을 미치는 낙동강 상류역 구간에는 안동댐 및 임하댐으로 인해 생긴 배후습

지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배후습지는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보존되어야 한다.

첫째, 습지는 먹이사슬 측면에서 완벽한 하나의 독립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습지는 유기물이 퇴적되어 동․식물성플랑크톤이 풍부하며, 이를 먹이로 하는 모기나 각다귀,

깔따구, 하루살이 등 다양한 종류와 개체수가 풍부한 1차 소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먹이

사슬의 상층부에는 2차 소비자인 잠자리류, 강도래, 수서노린재와 수서딱정벌레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및 조류등 3차 소비자의 중요한 먹이원이 되고 있어서,

하나의 독립된 습지생태계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완벽히 수행하고 있다.

둘째, 습지는 유속이 완만하거나 고여있는 정수생태계로서 독특한 종조성을 하고 있다.

습지에는 다양한 수서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잠자리류와 수서 노린재류가 우점하고 있다. 특

히 잠자리류는 먹이사슬의 2차 소비자로서 유충과 성충 모두 깔따구, 모기, 각다귀 등 해충을

포식하는 익충의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습지는 철새나 각종 조류의 양호한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풍부한 영양분을 保持하고 있는 습지는 수서생물에 있어서 풍부한 먹이와 서식에 필요한 적당

한 온도 및 은신처등 양호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습지환경은 철새를 비

Page 14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2 -

롯한 각종 조류를 유인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넷째, 습지는 동물의 이동통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먹이사슬을 완벽하게 갖춘 하나의 독립된 생태계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하천생태계와 육지생

태계를 연결시켜 그곳에 서식하는 동물이 고립 또는 단편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켜 주는

생태통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다섯째, 습지는 생명체를 부양하는 보금자리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각종 유기물, 플랑크톤, 수서무척추생물, 양서류, 어류, 조류, 포유류 등으로 연결되는 먹이사슬

과 먹이망을 형성하여 안정되고 균형 잡힌 생태계의 보금자리 역할을 한다.

여섯째, 수변생태학습장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습지생태계의 기능적 측면을 활용하여 수환경 및 생태학습의 장과 생태관광의 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Page 14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3 -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제 1절 타 연구에의 응용 및 활용방안

1. 본 연구 수행시 환경제도적 및 직․간접 期待效果:

현재 탁수로 수생태계뿐만 아니라 경관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임하호에서

유출되는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다음 사항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조사구간인 낙동강상류수계 (안동-고령) 구간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정확한 구성종

수, 우점종(수생지표생물), 분포패턴, 지리적 변이, 종다양도 및 지역고유종을 파악하여 유역 내

생물다양성관리 및 자연형 하천 정비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과정을 통해 수서생물에 대한 연구원간의 상호정보 교류를 통해 담수생태계

보존에 대한 학술적 기반 조성과 유역의 수계 관리 측면에서 환경제도의 정비에 필요한 기초

정보는 물론 수서생물의 생태에 대한 기초정보의 축적 및 종의 동정 등 분류 및 생태학분야의

전문가 양성에 기여한다.

셋째, 탁수지역(실험수계) 서식종의 성충뿐만 아니라, 未成熟段階(egg, larva, pupa)생활사

전반에 대한 적응 및 번식상태를 대조지역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담수생태계의 중요 먹이원인

저서성무척추동물의 탁수에 대한 적응정도에 대한 학술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유속 및 탁수의 영향에 따른 수서곤충류의 특이한 적응형질을 파악을 통해 저서상태

및 수환경과 수생생물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축적한다.

다섯째, 탁수지역(실험수계)은 물론 비탁수영향지역(대조수계)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종조

성과 분포도 및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기관아가미와 어류의 아가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써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여섯째, 먹이망과 먹이사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준설, 골재채취 등 탁수 유발성 하천공사

시 저감방안 및 대안제시가 가능하다.

일곱째, 본 연구과정을 통해 수서생물을 이용한 수질판정 및 탁수 적응종 및 기피종 등에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유역수계관리, 환경제도정비 및 자연형 하천 조성 시 기초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여덟째, 안동시와 경북북부지역 등 낙동강 상류 주변 수계의 주민에 대한 탁수가 수서생태

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상에 대한 정보제공과 동시에 오해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불

식시킬 수 있는 근거 제시는 물론 수서생태정보 축적과 맑은 물 유지를 위한 유역 수계 주민

에 대한 대시(주)민 교육, 홍보 및 계몽효과를 얻을 수 있다.

Page 14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4 -

2. 본 연구 수행시 결과의 活用方案:

첫째, 청정수계구간과 탁수영향수계구간에 대해 저서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오염현황

파악과 탁수의 영향에 대한 예찰 및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한다.

둘째, 실험구간(탁수영향지역)과 대조구간(비탁수영향지역) 선호종의 수서 생물종을 파악하

고 이들 종의 생존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하천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활용한다.

셋째, 지속적인 탁수유출이 하천생태계의 먹이사슬, 먹이망 및 종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친수공간조성계획 및 비오톱 등 수변공간개발 계획에 기중한 정보로 활용된

다.

넷째,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기관아가미 및 어류의 아가미 등 호흡기관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

해 준설, 골재채취 등 탁수유발 공사에 대한 사전 대책 및 법적지침마련에 기준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섯째, 지방자치 단체 및 시민환경 단체에 대해 수서생물을 이용하여 측정한 생물학적 수

질정보를 제공하여 수질오염 방지 및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중장기 대책수립에 활용토록 한

다.

여섯째, 탁수 및 비탁수 영향지역의 환경지표 생물종 선발을 통한 정기적인 생물학적 모니

터링과 수 환경 변화에 대한 대시민 관심도 증가와 생물학적 수질모니터링에 활용한다.

일곱째, 초․중․고등학생 및 NGO 등의 수서생태 및 환경교육과 생태지도 작성 등 수환

경 생태교육 및 환경정책홍보, 제도개선의 자료로 활용한다.

여덟째, 낙동강 상류 수계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및 수서생태계의 장기적인 보존대책 수립

과 유역관리 대책수립의 설계인자 제공에 활용한다.

제 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내용

수서생태계는 비단 탁수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수

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유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1차년도 조사결과 유의성이

판명되는 수개의 조사지역을 선정하여 이에 대해 1차년도와 동일한 내용과 방법으로 장기적인

생태조사 LTER(Long Term Ecological Research)가 요구된다.

특히 수계의 먹이사슬의 고차소비자에 해당되는 어류의 소화관을 해부하여 실험수계(탁수

영향 지역)과 대조수계(비탁수영향지역)의 먹이를 확인하여 실험 및 대조 지역별 어류의 먹이

가 되며, 담수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의 종조성을 검

증하여 먹이사슬과 먹이망에 대한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탁수에 민감한 수서생물에 대한 목록 작성을 통해 수서생태계의 종조성 변화 추이

Page 14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5 -

와 양상 그리고 탁수에 대한 민감종과 내성종에 대한 추적조사를 위한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조사과정에서 실시된 실험수계와 대조수계에서 서식하는 잉어를 대상으로 한 외부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특히 비늘, 홍채, 비공내측의 무늬, 아가미세사의 가장자리의 형태와 색깔

등 일부 외부 형태적 형질에 대해서는 추후,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는 내용이다. 또

한 잉어의 경우에는 행동이 느리며, 적은 용존산소를 요구하는 종이므로 행동이 민첩하고 용존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는 종에 비해 아가미수도 적고 거칠며, 두꺼운 세사와 층판을 가지고 있

다.

따라서 향후, 움직임이 빠르고 용존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는 어종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상기에서 제기한 의문점에 대한 추가적인 정밀조사가 요구된다.

특히 탁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탁수의 영향을 직접 받을 것으로 예상되

는 행동이 민첩하며, 많은 용존산소를 요구하는 어종들은 물론 움직임이 둔감하며 용존산소를

많이 요구하지 않은 어종에 대해서도 어종별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 요구된다.

첫째, 아가미, 비늘, 눈, 지느러미, 비공 등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연구

둘째, 아가미세사의 폐쇄에 따른 가스교환율 저하에 의한 산소부족으로 인한 혈

액의 조성과 지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장 등에 관한 생리학적 연구

셋째, 아가미세사와 중격구조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적 조사 등 조직학적 연구

넷째, 탁수로 인한 먹이탐색 능력과 산란습성 변화 등 행동생태학적 연구 등 향후, 추가적

인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금회 연구과제에서 얻어진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추가로 연계하여할 연구내용

과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

가. 대조수계(비탁수영향수계) 및 실험수계(탁수영향수계)의 어류의 소화기관 해부를 통한

먹이원인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종조성 확인과 먹이사슬 확립 및 탁수의 영향 파악

나. 가의 조사결과를 통한 탁수에 적응력이 큰 어류 및 저서성무척추동물에 대한 구조 및

형태학적 연구, 생태적 습성과 행동학적 연구 및 생리학적 연구

다. 1차년도에 파악된 조사결과(임하호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 따른 향

후,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함.

라. 탁수가 수서생물의 호흡기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기관아가미, 어류의 아가미)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생리․생태적 실험 및 생리적 변화양상에 대한 조사.

마. 탁수영향이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골재채취는 물론 댐건설 입지

기초조사 시 활용을 위한 적용모델 개발.

Page 14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임하호(탁수, 실험수계) 및

안동호(대조수계) 어류 조사

형태학적 연구 해부학적 연구

조직학적 연구 생리학적 연구

탁수가 먹이원 탐색 능력과

외부 형태에 미치는 영향 파악

탁수가 어류의 아가미, 신장,

혈액에 미치는 영향 파악

탁수가 어류의 먹이원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파악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모니터링

- 146 -

<모식도>

Page 14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7 -

제7장 참고문헌

Allen, K.R.,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pp. 388

Chung, MC-M., 1985. A specific iron stain for iron binding proteins in polyacrylanide

gels:application to transferrin and lactoferrin. Anal Biochem 148: 498-502.

Chilton, E.W.,Ⅱ. 1991.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ree aquatic

macrophytes (Ceratophyllum derersum, Myriophyllumspicatum, and Vallisneria

americana) in lake Onalaska, Wiscosin [USA]. J. Freshwater Ecol. 5(4): 455-466.

Davis, B.J., 1964. Disc electrophoresis-II. Method and application to human

serum proteins. Annu. N.Y. Acad. Sci. 121: 404-427.

Davis, H.S. 1946. Care and disease of trout. Res. Rep. U. S. Fish Wildl. Serv., no. 12.

Ferguson, H.W. 1989. Gill and pseudobranchs In: Sysremic pathology of fish. Iowa State

University Press/Ames, p. 11~40.

Hickman, C.P. and B.F. Trump. 1968. The kidney. In: Hoar, W.S. and D.J. Randall(ed.),

Fish Physiology, Vol. 1. Academic Press, London. p. 91~239.

Laemmli, U.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7: 680-685.

Landolt, M.L. 1975. Visceral granuloma and rephrocalcinasis of trout. In: W.R. Ritelin and

G. Migaki(eds.), The pathology of fishes, Madison, Wi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793~801.

Landsberg, J,H. 1993. Myxosporean Parasites of Common Snook in Florida. Journal of

Aquatic Health, 5: 102-109.

Margalef, R., 1956. Informationy diversidad especifica en las communidades de organismos

Invest Resq., 3: 99~10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3: 36 ~ 71.

Matthias, L.J, I. Gotis-Graham, P.A. Underwood, H.P. McNeil and P.J. Hogg 1996.

Identific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hat recogenize different disulfide bonded

forms of thrombospondin 1. Biochim biophys Acta. Sep 5 ; 1296(2) : 138-44.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Merritt, R. W., and K. W. Cummins (eds.), 1978.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Kendall/Hunt, Dubuque. pp. 441.

Page 14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8 -

Merritt, R. W. and K. 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Hunt Publ. Co., Dubuque, lowa. pp. 882

Molnar, K. 1979. Gill sphaerosporosis in the common carp and grasscarp. Acta Veterinari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27 : 99~133.

Morrison, C.M. 1981. Microsporidian parasites in the gills of salmonid fishes. Journal of

Fish Desease, 4 : 371~386.

Pacha, R.E. and E.J. Ordal. 1970. Myxobacterial diseases of salmonids. In: S. F.

Snieszko(ed), A Symposium on Diseases of Fishes and Shellfishes. Special

publication no. 5. Washington, D.C. : American Fisheries Society, p. 243-257.

Pantle, R. & H. Buck, 1955. Die biologische Uberwachung der Gewasser and die

Darstellung der Ergebnisse. Gas and Wasserfach, 96:60.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Roberts, R.J. 1989. Fish Pathology. 2nd ed., Bailliere Tindall. London. pp. 318

Takemon, Y. & K. Tanida, 1993. Environmental elements for recovery and conservation

of riverine nature. Proc. int. Symp. Univ. Osaka Pref. on Global Amenity (ISGA

Osaka "92): 349-356.

Sanaullah, M. and A.T.A. Ahmed. 1980. Gill myxoboliasis of major carps in Bangladesh.

Journal of Fish Diseases, 3 : 349~354.

Shannon, C. 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Skidmore, J.F. and P.W.A. Tovell. 1972. Toxic effects of zinc sulphate on the gills of

rainbow trout. Water Res., 6 : 217~230.

Smith, C.E. and R.G. Piper. 1975. Lesions associated with chronic exposure to ammonia. In:

Ribelin, W.E. and G. Migaki(ed.), The Pathology of Fishes. Madison, Wi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497~514.

Vannote, R.L.,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 J. Fish. Aquatic Sci., 37:

130-137.

Wilhm, J. I, 1972.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 Ann. Rev. Ent., 17: 223 ~ 252.

谷田一三, 1997. 河川環境生態學. 關西環境管理技術, 85(6): 1-16.

木元新作, 1976. 動物群集硏究法Ⅰ. 共立出版, pp. 192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 I). 문교부, pp. 446.

Page 15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49 -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pp. 401.

김익수, 김선영, 박종영, 2002. 만경강 오염수에서 서식하는 붕어의 아가미와 신장의 비정상

적인 조직. Korean J. Ichthyol. 14(1), 70~75.

김좌관, 2003. 수질오염개론. 신광문화사, pp. 51.

김순환, 이지연, 서을원, 이종은. 2003. 안동주변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동 및 생

물학적 수질평가. 국립7개대학 환경논문집, 3(1): 89~97.

김창환, 윤일병, 이종욱, 1980. 한강 본류의 대형 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

판정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 2 : 147~156.

배연재, 원두희, 이웅재, 승현우. 2003a. 하천생태계에 대한 환경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

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3):223-233.

배연재, 원두희, 황득휘, 진영헌, 황정미. 2003b. 경기도 가평천의 하순에 따른 수서곤충 군집조

성과 섭식기능군. 한국육수학회지. 36(1): 21-28.

배연재, 진영헌, 황정미, 원빈, 황득휘, 김도희. 2003c. 경기도 가평천의 수서곤충 분포와 서식환

경 및 보전. 한국자연보전연구지. 1(1): 1-25.

배연재, 이병훈. 2001. 한국 하천생태계의 환경 훼손과 담수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피해 및 보

전. 한국곤충학회지. 31(2): 63-76.

배연재, 노태호, 원두희, 박선진, 황정미, 허준미. 1998. 제12장 수서곤충 및 기타 저서생물. 한

강생태계 조사연구. 서울시. pp. 305-354.

손진상, 이종은. 1999. 안동시 상수원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안동지역사회개발 연구소논문집,

10: 105-159.

신미영, 최동림. 정준기, 전세규, 1993. 과망간산칼리에 의한 어류 아가미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와 수질에 따른 영향. J. Fish Pathol., 6(1), 21-55(1993).

이종은, 권순직. 박진영. 구담 背後濕地의 水棲昆蟲相. 한국생물상연구지. KACN, 2000a. 5:

56-61.

이종은, 김재수, 김상대. 청량산 계곡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안동대 환경연구소 연구논

문집, 2000b. 1: 257-260.

이종은, 김재수. 2001. 구담습지(경북 안동)의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변동. 한국습지학회. 3(1):

19-28.

이종은, 김재수. 2001. 산불지역과 비산불지역 계류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동에 관한

연구. 환경연구논문집 1(1): 87-93.

이종은, 송기선. 2001. 갈라산 수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동 및 생물학적 수질분석.

환경연구논문집 1(1): 94-102.

이종은, 김상대. 2002. 낙동강상류 안동지역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환경연구논문집. 2(1): 72-79.

Page 15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0 -

이종은, 2003. 길안천에 대한 생태계조사 및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pp. 33.

이종욱 류성만, 정동기, 1997. 회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영남대

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 17: 175-184.

이종욱, 최원영, 정동기, 정종철, 1998. 삼천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생물학

적 수질평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 18:

151-167.

이종욱, 류성만, 정동기, 1999. 11. 20. 덕천강 상류수계의 수서곤충 군집구조. The Journal of

Korean. Biora 4 259-273.

이종욱, 신재호, 정종철, 강효정, 2000. 12. 30.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in a

Mountain Stream of Mt. Myungji Area. 명지산 일대 산간 계류의 수서곤충 군집구조.

기초과학연구 20, 153-164.

이종욱, 김기범, 김정한. 2003. 12. 30 오십천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한국

자연보존연구지. 1(4): 111 - 130.

윤일병, 변종욱, 1982a. 한강 본류의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분석에 관한 비교연구. 자

연보존연구보고서. 3:391~411.

윤일병, 변종욱, 1982b. 한강 본류의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분석에 관한 비교연구(Ⅱ).

자연보존연구보고서. 4:297~31.

윤일병, 배경석, 어성준, 김기홍, 1986. 영산강 하구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군집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43~51.

윤일병, 공동수, 1987. 민통선 북방지역의 수서곤충상에 관한 연구(Ⅰ). 강원도. 599~648.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pp. 840.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이상욱, 1990. 팔당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과 현존량

의 계절적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23(1):43~68.

윤일병, 공동수, 이상협, 1992a.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금호강 수계의 생물학적 수

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25(3):177~183.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b.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Ⅰ)­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 산정을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10(1):24~39.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c.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Ⅱ)­생물군집에 대한 환경요인 영향을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10(1):40~55.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d.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Ⅲ). 환경생물학회지. 10(1):77~84.

Page 15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1 -

윤일병, 배연재, 노태호, 이성진, 박재흥. 1998. 수서곤충 군집분석에 있어서 최적표본크기의 결

정 - 방태천 모형. 한국생태학회지. 21(5-1): 409-418.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pp. 262.

전동준, 2004. 하천생태계의 특성과 생물다양성 보전. 자연보존연구지. 126(7-14): 8-10.

정명규 외, 2003. 환경공학개론. 신광문화사, p. 222~223.

최기철, 이원규, 199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민물고기 백가지. 현암사. p. 30~36.

탁병오, 2002. 도시환경론. 형설출판사, p. 178~179.

한국곤충학회, 1984. 일반곤충학. 법문사, p. 178~180.

허민도, 정현도, 1993. 어류의 아가미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J. Fish Pathol., 6(1),

65~70.

허준미, 진영헌, 박선진, 원두희, 배연재, 2000. 줄날도래(날도래목: 줄날도래과)의 우화 양상. 한

국육수학회지. 33(3): 267-273.

환경부, 2001.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 p. 49~116.

Page 15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2 -

※ 부록

표. 전체 조사 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대조수계 6지점 및 실험수계 10지점)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1. Dugesia japonica 플라나리아 ◯ ● ◯ ◯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과 2. Cipangopaludina chinensis 논우렁이 ● ● 3. Cipangopaludina japonica 큰논우렁이 ●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4. Assiminea japonica 기수우렁이 ●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5. Semisulcospira libertina 다슬기 ◯ ● ◯ ◯ ◯ 6. Semisulcospira tegulata 좀주름다슬기 ◯ ◯ 7. Semisulcospira forticosta 주름다슬기 ● 8. Koreanomelania nodifila 염주다슬기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9. Lymnaea auricularia 물달팽이 ● ◯ ● ◯ ● ●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과 10.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 ● ◯ ● ◯ ● ◯ ●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11. Gyraulus chinensis 또아리물달팽이 ● ● ●

Class Pelecypoda 부족강 Order Mytiloida 담치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12. Limnoperna fortunei 민물담치 ●

Order Unionoida 석패목 Family Unionidae 석패과 13. Cristaria plicata 대칭이 ●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Oligochae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ae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14.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3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15. Alboglossiphonia lata 조개넙적거머리 ● 16. Batracobdella paludosa 연두넙적거머리 ● ◯ ● ◯ ● 17. Glossiphonia complanata 갈색넙적거머리 ◯ 18. Hemiclepsis marginata 녹색넙적거머리 ◯ 19. Toryx tagoi 개구리넙적거머리 ◯ ◯ ● ●

Order Arhynchobdellidae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20. Hirudo nipponica 참거머리 ◯ ◯ ● 21. Whitmania pigra 말거머리 ◯ ●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 22. Erpobdella lineata 돌거머리 ◯ ● ◯ ●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Asellidae 물벌레과 23. Asellus hilgendorfii 물벌레 ● ● ●

Order Amphipoda 단가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24. Gammarus sp. 1 옆새우류 ◯ ◯ ◯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Atyidae 새뱅이과 25. Caridina denticulata 새뱅이 ● ● ● ●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26. Palaemon modestus 각시흰새우 ● 27.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28. Ameletus costalis 피라미하루살이 ◯ ●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29. Acentrella sibirica 콩알하루살이 ● 30. Baetiella tuberculata 애호랑하루살이 ◯ ◯ ● ● ◯ ● 31. Baetiella japonica 애하루살이 ◯ ● ◯ ◯ ◯ 32. Alainites muticus 길쭉하루살이 ◯ ● ◯ ● ◯ ● ◯ ● 33.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 ● ◯ ● ◯ ● ◯ ● 34. Baetis thermicus 꼬마하루살이 ◯ ◯ ●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4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35. Baetis pseudothermicus 나도꼬마하루살이 ● ● ● 36. Baetis ursinus 방울하루살이 ● ● 37. Cloeon dipterum 두날개하루살이 ● ● ◯ ● 38. Labiobaetis atrebatinus 입술하루살이 ● ● ● ● 39. Nigrobaetis acinaciger 흰줄깜장하루살이 ● ● ● 40. Procloeon pennulatum 갈고리하루살이 ● ● Family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 41. Caeni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 ◯ ● ◯ ● ◯ ●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42. 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하루살이 ● 43. Drunella triacantha 삼지창하루살이 ◯ ◯ 44. Ephemerella dentata 알락하루살이 ◯ ◯ ◯ ◯ 45. Ephemerella kozhovi 흰등하루살이 ● ● 46. Serratella setigera 범꼬리하루살이 ◯ ◯ 47. Uracanthella rufa 등줄하루살이 ◯ ● ◯ ● ◯ ● ◯ ●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48. Ephemera orientalis 동양하루살이 ● ◯ ● ● ◯ ● 49.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 ◯ ● ◯ ●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50. Cinygmula grandifplia 봄처녀하루살이 ◯ ◯ ● 51. Ecdyonurus bajkovae 몽땅하루살이 ◯ ◯ ◯ ◯ 52. Ecdyonurus dracon 참납작하루살이 ◯ ● ◯ ● ◯ ● 53. Ecdyonurus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 ● ◯ ● ◯ ● ◯ ● 54. Ecdyonurus levis 네점하루살이 ◯ ● ◯ ● ◯ ● ◯ ● 55. Epeorus latifolium 점박이부채하루살이 ◯ ◯ ◯ ◯ ● 56. Iron aesculus 중부채하루살이 ●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57. Choroterpes altioculus 세갈래하루살이 ◯ ● ◯ ● ◯ ● ◯ ● 58. Paraleptophlebia chocolata 두갈래하루살이 ◯ ● ◯ ● ◯ ● Family Neoephemeridae 방패하루살이과 59. Potamanthellus chinensis 방패하루살이 ● Family Potamanthidae 강하루살이과 60. Potamanthus formosus 작은강하루살이 ● 61. Rhoenanthus coreanus 강하루살이 ● Family Siphlonuridae 옛하루살이과 62. Siphlonurus chankae 옛하루살이 ◯ ● ◯ ●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oidae 실잠자리과 63. Ceriagrion melanurum 노란실잠자리 ● 64. 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 ● 65. Cercion hieroglyphicum 등줄실잠자리 ● ● 66. Enallagma cyathigerum 아시아실잠자리 ●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5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67. Coenagrion sp. 1 실잠자리속 ◯ Family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과 68. Platycnemis foliacea 방패실잠자리 ● ● 69. Platycnemis phillopoda 방울실잠자리 ● ● ● 70. Copera annulata 자실잠자리 ● Family Calopterygidae 물잠자리과 71. Calopteryx atrata 검은물잠자리 ● 72. Calopteryx japonica 물잠자리 ● ● ●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73. Sieboldius albardae 어리장수잠자리 ● 74.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 ● 75. Stylurus annulata 호리측범잠자리 ● 76. Anisogomphus maacki 마이키측범잠자리 ◯ 77. Anisogomphus melanopsoides 산측범잠자리 ● 78. Gomphus postacularis 어리측범잠자리 ● Family Corduliidae 북방잠자리과 79. Epitheca marginata 언저리잠자리 ●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80. Tramea virginia 날개잠자리 ● 81. Crocothemis servilia 고추잠자리 ●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82. Nemoura jezoensis 꼬마민강도래 ◯ ● Family Perlodidae 그물강도래과 83. Perlodes stigmata 점등무늬강도래 ◯ ● 84. Perlodes KUa 점등그물강도래 KUa ● 85. Stavsolus japonicus 그물강도래붙이 ●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86. Neoperla coreensis 두눈강도래 ◯ ◯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87.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Corixidae 물벌레과 88. Hesperocorixa distanti 물벌레 ● 89. Hesperocorixa kolthoffi 왕물벌레 ● 90. Sigara substriata 방물벌레 ● 91. Micronecta sedula 꼬마물벌레 ◯ ● ◯ Family Naucoridae 물둥구리과 92. Ilyocoris exclamationis 물둥구리 ●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6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 93. Muljarus japonicus 물자라 ●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94. Laccotrephes japonensis 장구애비 ● ● Family Ochteridae 딱부리물벌레과 95. Ochterus marginatus 딱부리물벌레 ● ● Family Veliidae 깨알소금쟁이과 96. Pseudovelia tibialis 털깨알소금쟁이 ●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97. Gerris latiabdominis 애소금쟁이 ● ◯ ● ◯ ● ● 98. Rhyacobates esaki 어리광대소금쟁이 ●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과 99. Protohermes grandis 뱀잠자리 ●100.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대륙뱀잠자리 ● ●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101. Laccophilus difficilis 깨알물방개 ● ●102. Potamonectes sp. 1 외줄물방개속 ●103. Potamonectes hostilis 혹외줄물방개 ●104. Rhantus pulverosus 애기물방개 ●105. Neonectes natrix 노랑무늬물방개 ◯ ◯ ● ◯ ●106. Platambus fimbriatus 노랑테콩알물방개 ◯ ●107. Platambus pictipennis 콩알물방개 ● Family Haliplidae 물진드기과 108. Haliplidae sp. 1 물진드기류 ●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109. Laccobius bedeli 점물땡땡이 ●110. Helochares striatus 좀물땡땡이 ● ● ●111. Cercyon sp. 1 모래톱물땡땡이류 ●112. Hydrophilidae sp. 1 물땡땡이류 ●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113. Elmidae sp. 1 여울벌레류 ◯ ● ● ● ◯ ●114. Stenelmis vulgaris 긴다리여울벌레 ◯ ◯ ◯ ● ◯ ●115. Stenelmis nipponica 곰보긴다리여울벌레 ◯ ●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116. Psephenoides KUa 물삿갓벌레 KUa ● ◯117. Mataeopsephu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 ● ◯ ● ◯118.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과119. Galerucella sp. 1 잎벌레류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7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120. Galerucella KUa 딸기잎벌레 KUa ●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121. Tipula KUa 각다귀 KUa ◯122. Tipula KUb 각다귀 KUb ◯ ●123. Tipula KUg 각다귀 KUg ●124. Tipula KUh 각다귀 KUh ◯ ◯125.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 ● ◯ ● ◯ ● ◯ ●126.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 Family Psychodidae 나방파리과127. Psychodidae sp. 1 나방파리류 ● ●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128. Simulium sp. 1 먹파리류 ◯ ● ◯ ● ● ●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과129. Ceratopogonidae sp. 1 등에모기류 ◯ ◯ ● ● Family Chironomidae 깔다구과130. Chironominae sp. 1 깔따구아과 ◯ ● ◯ ● ◯ ● ◯ ●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과131. Suragina KUb 긴개울등에 KUb ● Family Stratiomyiidae 동애등에과132. Stratiomyia sp. 1 동애등에류 ● Family Empididae 춤파리과133. Empididae sp. 1 춤파리류 ●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과134. Dolichopodidae sp. 1 장다리파리류 ● ● ●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과135. Ephydridae sp. 1 물가파리류 ● ● Famiy Muscidae 집파리과136. Muscidae sp. 1 집파리류 ● Famiy Culicidae 모기과137. Culex sp. 1 집모기류 ●138. Culicidae sp. 1 모기류 ●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Psychomyiidae 통날도래과139. Psychomyia KUa 통날도래 KUa ◯ ● Family Ecnomidae 별날도래과140. Ecnomus tenellus 별날도래 ●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141. Macronema radiatum 큰줄날도래 ◯142. Aethaloptera KUa 흰줄날도래 KUa ●143. Hydropsyche KUa 줄날도래 KUa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5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8 -

표 계속

학 명 국 명조사시기

1차 2차 3차 4차144. 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b ◯ ● ◯ ● ◯ ●145. Hydropsyche KUc 줄날도래 KUc ● ◯ ◯ ●146. Hydropsyche KUd 줄날도래 KUd ◯ ● ◯ ●147. Hydropsyche KUe 줄날도래 KUe ◯ ● ◯148.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 ● ◯ ◯ ◯ ●149.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a ◯ ● ◯ ◯ ● ◯ ●150. Cheumatopsyche KUb 꼬마줄날도래 KUb ◯ ● ◯ ● ◯ ● ◯ ● Family Rhycophilidae 물날도래과151.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 ●152.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153. Rhyacophila articulata 주름물날도래 ◯154. Rhyacophila brevicephala 넓은머리물날도래 ◯ ◯ ◯155. Rhyacophila shikotsuensis 민무늬물날도래 ◯ Family Glossososmatidae 광택날도래과156.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 ◯ Family Hydroptilidae 애날도래과157. Hydroptila KUa 애날도래 KUa ◯ ● ◯ ● ◯ ●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158. Goera japonica 가시날도래 ◯ ◯ ◯159. Apatania KUa 애우묵날도래 KUa ◯ ◯ ◯160. Apatania KUb 애우묵날도래 KUb ◯161.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 ● ◯ ◯162. Nothopsyche KUb 갈색우묵날도래 KUb ●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163.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 ● Family Leptoceridae 나비날도래과164. Mystacides KUa 청나비날도래 KUa ◯ ●165. Ceraclea KUa 나비날도래 KUa ●166. Ceraclea KUb 나비날도래 KUb ◯ ● ●

Order Lepidoptera 나비목 Family Pyralidae 명나방과167. Pyralidae sp. 1 명나방류 ●

◯ 대조수계 출현종 ● 실험수계 출현종

Page 16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59 -

표. 월별, 지점별 전체 종 목록(3월)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1. Dugesia japonica 1 5 3 6 1 5 8

2. Semisulcospira libertina 1 3 3

3. Semisulcospira tegulata 1

4. Lymnaea auricularia 1

5. Physa acuta 1 2 1 2 12

6. Limnodrilus gotoi 1

7. Batracobdella paludosa 1

8. Toryx tagoi 2

9. Erpobdella lineata 1 2

10. Asellus hilgendorfii 1 1

11. Gammarus sp. 1 3 2 2

12. Caridina denticulata 1 2

13. Ameletus costalis 7 1 2

14. Baetiella tuberculata 2 5

15. Baetiella japonica 7 4 1

16. Alainites muticus 2 14 11

17. Baetis fuscatus 1 1 16 8 11 95 39 10 3

18. Baetis thermicus 3 2

19. Cloeon dipterum 1

20. Labiobaetis atrebatinus 2 1

21. Caenis KUa 6 4

22. Cincticostella levanidovae 2

23. Drunella triacantha 1

24. Ephemerella dentata 2

25. Ephemerella kozhovi 8

26. Uracanthella rufa 44 10 5 12 21 81 10 45 2 1

27. Ephemera orientalis 1 1

28. Ephemera strigata 14 2 1 9

29. Cinygmula grandifplia 20

30. Ecdyonurus bajkovae 141 37 10 15

31. Ecdyonurus dracon 1 1 18 2 9 1

32. Ecdyonurus kibunensis 4 12 282 410 7 273 66

33. Ecdyonurus levis 1 5 12 15 30 57 35 28

34. Epeorus latifolium 2 115 4 26 2

35. Iron aesculus 1

36. Choroterpes altioculus 1 24 41 2 4

37. Paraleptophlebia chocolata 18 1 102 4 2 226

38. Siphlonurus chankae 13 64 31 108 50 276 32 1 64 1

39. Cercion calamorum 1

40. Platycnemis phillopoda 1 3 1

41. Calopteryx japonica 6 4

42. Nemoura jezoensis 1 19 3 4 2 1

43. Perlodes stigmata 5 3 20 3 3

44. Perlodes KUa 1

Page 161: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0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45. Stavsolus japonicus 10 33 4 4

46. Neoperla coreensis 1

47. Sweltsa nikkoensis 2 1 2

48. Hesperocorixa distanti 1

49. Gerris latiabdominis 1

50. Protohermes grandis 2

51. Cercyon sp. 1 1

52. Elmidae sp. 1 1 25 1 3

53. Stenelmis vulgaris 2

54. Stenelmis nipponica 5 1 2

55. Psephenoides KUa 2

56. Mataeopsephus KUa 2 17 1

57. Eubrianax KUa 1

58. Galerucella KUa 1

59. Tipula KUb 1

60. Tipula KUh 1

61. Antocha KUa 13 28 300 4 78 7

62. Simulium sp. 1 1 1 1 2 27 3 49

63. Ceratopogonidae sp. 1 1

64. Chironominae sp. 1 152 2439 1852 494 15 1 201 108 150 1 1995 1949 4100 1722 2053 919

65. Psychomyia KUa 6 4

66. Hydropsyche KUb 27 7 2 16 20 5 17

67. Hydropsyche KUc 9

68. Hydropsyche KUd 22 7 2 2 1 5

69. Hydropsyche KUe 5 1 1

70. Cheumatopsyche brevilineata 27 4 15 91 27 77 5

71. Cheumatopsyche KUa 10 3

72. Cheumatopsyche KUb 17 5 1

73. Apsilochorema KUa 1

74. Rhyacophila brevicephala 1 13

75. Glossosoma KUa 1

76. Hydroptila KUa 9 1 67 27 8

77. Goera japonica 2 2 4 2 1

78. Apatania KUa 1 5

79. Nothopsyche KUa 1 1 1

80. Nothopsyche KUb 1

81. Goerodes KUa 2

82. Mystacides KUa 1 2

83. Ceraclea KUb 1 5 30 11 2

개체수(No. of Ind.) 170 2673 2000 587 140 104 528 179 165 2 2880 3292 4215 2683 2262 952

우점도(DI) 0.971 0.936 0.942 0.876 0.879 0.798 0.903 0.782 0.976 1.000 0.791 0.717 0.979 0.744 0.937 0.978

종다양도(H') 0.646 0.707 0.623 1.185 1.180 1.954 1.638 1.915 0.564 1.000 1.899 2.321 0.280 2.144 0.725 0.299

종수(No. of Sp.) 7 20 15 19 6 11 17 10 6 2 34 33 21 33 21 9

Page 162: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1 -

표. 월별, 지점별 전체 종 목록(5월)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1. Dugesia japonica 2 8 13 1

2. Assiminea japonica 1 28

3. Semisulcospira libertina 7 5

4. Koreanomelania nodifila 1

5. Lymnaea auricularia 1 1

6. Physa acuta 1 2 12 13

7. Gyraulus chinensis 1

8. Limnodrilus gotoi 1

9. Toryx tagoi 1 1

10. Hirudo nipponica 1 2

11. Erpobdella lineata 1

12. Gammarus sp. 1 14 1

13. Caridina denticulata 1

14. Acentrella sibirica

15. Baetiella tuberculata 2 44 50 13

16. Baetiella japonica 12 1 2

17. Alainites muticus 2 2 23 16 10 9

18. Baetis fuscatus 4 5 1 58 8 2 116 100 103 152 61

19. Baetis pseudothermicus 6 13 1

20. Baetis ursinus 1 4

21. Labiobaetis atrebatinus 3 2

22. Nigrobaetis acinaciger 1

23. Caenis KUa 1 41 7 5 1

24. Drunella triacantha 1

25. Ephemerella dentata 2 24

26. Ephemerella kozhovi 1

27. Serratella setigera 2

28. Uracanthella rufa 1 13 4 1 2

29. Ephemera orientalis 1 8 4 3 2

30. Cinygmula grandifplia 1 1

31. Ecdyonurus bajkovae 2

32. Ecdyonurus dracon 16

33. Ecdyonurus kibunensis 5 7 1 122 407 139 329 131

34. Ecdyonurus levis 5 1 3 17 31 1 72 7

35. Epeorus latifolium 6 124 87 73 121

36. Choroterpes altioculus 3 19 73 145 63 296 84

37. Potamanthellus chinensis 1 1

38. Potamanthus formosus 1 23

39. Rhoenanthus coreanus 1

40. Siphlonurus chankae 1 15 41 1 31 1 3

41. Neoperla coreensis 1

42. Micronecta sedula 2 1 2

43. Gerris latiabdominis 3 5 1 1 1 2

44. Neonectes natrix 1 1

Page 163: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2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45. Platambus fimbriatus 1

46. Helochares striatus 1

47. Elmidae sp. 1 2 1

48. Stenelmis vulgaris 1 1

49. Galerucella sp. 1 1

50. Tipula KUb 1 13

51. Tipula KUg 7

52. Antocha KUa 3 5 46 58 36 46 242

53. Psychodidae sp. 1 1

54. Simulium sp. 1 1 2 19 53 1 4

55. Ceratopogonidae sp. 1 3 1 1 1 1 1 2

56. Chironominae sp. 1 3 6 571 877 139 171 49 20 2 37 569 235 212 242 423 443

57. Suragina KUb 1

58. Stratiomyia sp. 1 1

59. Dolichopodidae sp. 1 2

60. Ephydridae sp. 1 1

61. Muscidae sp. 1 2 23

62. Macronema radiatum 1

63. Hydropsyche KUb 48 28 11 57 13

64. Hydropsyche KUc 1

65. Hydropsyche KUd 2

66. Cheumatopsyche brevilineata 38 71 1 11

67. Cheumatopsyche KUa 21 11 16

68. Cheumatopsyche KUb 4 1 11

69. Rhyacophila nigrocephala 4

70. Glossosoma KUa 1 28

71. Hydroptila KUa 5 3

72. Goera japonica 2 3

73. Apatania KUb 1

74. Nothopsyche KUa 2

75. Pyralidae sp. 1 1

개체수(No. of Ind.) 10 44 644 917 195 237 160 33 17 42 972 1377 935 1257 993 752

우점도(DI) 0.600 0.477 0.950 0.977 0.872 0.819 0.669 0.848 0.824 0.929 0.711 0.466 0.375 0.497 0.558 0.911

종다양도(H') 2.171 2.756 2.790 0.381 1.212 1.628 2.228 1.637 1.439 0.755 2.052 3.423 3.436 2.800 2.759 1.528

종수(No. of Sp.) 5 9 15 18 5 13 9 6 5 5 18 29 20 23 20 14

Page 164: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3 -

표. 월별, 지점별 전체 종 목록(8월)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1. Dugesia japonica 5 1 1 2

2. Cipangopaludina chinensis 1

3. Semisulcospira libertina 13 5 6 2

4. Semisulcospira tegulata 1

5. Semisulcospira forticosta 43

6. Lymnaea auricularia 2 2 4 2 3 1

7. Physa acuta 21 2 2 9 32 48 8 2

8. Gyraulus chinensis 1 2 1 1 1

9. Cristaria plicata 1 1

10. Alboglossiphonia lata 2

11. Batracobdella paludosa 1 1

12. Toryx tagoi 5 1

13. Whitmania pigra 1 1

14. Erpobdella lineata 1 1 3 6 4

15. Asellus hilgendorfii 1 1 1

16. Gammarus sp. 1 1

17. Caridina denticulata 1 22 22 6 124 2

18. Palaemon paucidens 5 8 5 2 6

19. Acentrella sibirica 2

20. Baetiella tuberculata 2

21. Baetiella japonica 1 1

22. Alainites muticus 2 56 1

23. Baetis fuscatus 1 11 1 6 9 2 2 10 27 37 3 3

24. Baetis thermicus 26 2 2 1

25. Baetis pseudothermicus 9 44 15 8 11 3

26. Baetis ursinus 6 18 4

27. Cloeon dipterum 26 2 1

28. Labiobaetis atrebatinus 43 110 38 5 7 4

29. Nigrobaetis acinaciger 12 78 20 2

30. Procloeon pennulatum 33 120 35 11 1 1

31. Caenis KUa 2 20 75 47 3 4 1 47 2

32. Ephemerella dentata 11

33. Serratella setigera 4 4 1

34. Uracanthella rufa 1 5 4 2 1 10 1 2 1

35. Ephemera orientalis 3 4 17 1 1

36. Ephemera strigata 1 7 1 5

37. Cinygmula grandifplia 1

38. Ecdyonurus bajkovae 3 24

39. Ecdyonurus dracon 2

40. Ecdyonurus kibunensis 2 10 12 87 143 44 139

41. Ecdyonurus levis 3 1 1 2 13 77 76 46 206 57

42. Epeorus latifolium 34 2 37 7

43. Choroterpes altioculus 1 2 3 3 10 1 1 37 188 211 9 8

44. Paraleptophlebia chocolata 2 7 5 1

Page 16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4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45. Ceriagrion melanurum 2

46. Cercion calamorum 2 1 1

47. Cercion hieroglyphicum 5 2 5 3

48. Enallagma cyathigerum 4 11

49. Platycnemis foliacea 1

50. Platycnemis phillopoda 2 7 6 2

51. Copera annulata 2

52. Calopteryx atrata 4

53. Calopteryx japonica 2 4 4 1

54. Sieboldius albardae 1

55. Davidius lunatus 1 1

56. Epitheca marginata 1 2

57. Tramea virginia 1 3

58. Hesperocorixa distanti

59. Hesperocorixa kolthoffi 1

60. Sigara substriata 1

61. Micronecta sedula 3 1

62. Ilyocoris exclamationis 2

63. Muljarus japonicus 1

64. Laccotrephes japonensis 1 1 1 2

65. Ochterus marginatus 2 1

66. Pseudovelia tibialis 5

67. Gerris latiabdominis 1 1 3 1 5 1 1

68. Rhyacobates esaki 1 3 2

69.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1

70. Laccophilus difficilis 1

71. Potamonectes sp. 1 1

72. Potamonectes hostilis 1

73. Rhantus pulverosus 1

74. Neonectes natrix 1 2 2

75. Platambus pictipennis 1

76. Helochares striatus 1 1 1

77. Hydrophilidae sp. 1 1 1

78. Elmidae sp. 1 1 1 1 2

79. Stenelmis vulgaris 4 1 1 1 2

80. Psephenoides KUa 6

81. Mataeopsephus KUa 1 1 1 1

82. Galerucella KUa 1

83. Antocha KUa 1 212

84. Dicranota KUa 2 9 2 2 5

85. Psychodidae sp. 1 1 4 1

86. Simulium sp. 1 10

87. Chironominae sp. 1 9 18 196 63 296 125 107 43 134 49 160 108 150 7 3 304

88. Dolichopodidae sp. 1 4

89. Ephydridae sp. 1 22

Page 166: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5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90. Culex sp. 1 1

91. Ecnomus tenellus 1

92. Aethaloptera KUa 6

93. Hydropsyche KUb 17 43 2 2

9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4 2 4

95. Cheumatopsyche KUa 57 1 2 5

96. Cheumatopsyche KUb 4 5 20 3 8

97. Apsilochorema KUa 1

98. Rhyacophila articulata 1 2

99. Rhyacophila brevicephala 2 4 2

100. Hydroptila KUa 1

101. Goera japonica 1 1

102. Apatania KUa 3

103. Nothopsyche KUa 2

104. Ceraclea KUb 1

개체수(No. of Ind.) 33 31 337 88 527 666 384 186 438 93 410 650 647 331 220 528

우점도(DI) 0.909 0.677 0.751 0.830 0.643 0.368 0.401 0.403 0.589 0.613 0.578 0.455 0.558 0.755 0.891 0.977

종다양도(H') 1.385 2.186 2.122 1.594 2.687 3.397 3.667 3.887 3.075 2.860 2.936 3.139 2.611 1.998 1.552 1.167

종수(No. of Sp.) 5 9 15 10 35 32 32 30 33 21 22 22 20 17 11 8

Page 167: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6 -

표. 월별, 지점별 전체 종 목록(9월)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1. Dugesia japonica 2 1 9

2. Cipangopaludina chinensis 1

3. Cipangopaludina japonica 20

4. Semisulcospira libertina 8 5 1 1

5. Lymnaea auricularia 1 1

6. Physa acuta 7 9 11 1 4

7. Gyraulus chinensis 1 1

8. Limnoperna fortunei 4

9. Cristaria plicata 1

10. Batracobdella paludosa 1 1

11. Glossiphonia complanata 1 2

12. Hemiclepsis marginata 1

13. Hirudo nipponica 1 1 1

14. Whitmania pigra 1

15. Erpobdella lineata 1 1 1

16. Asellus hilgendorfii 2

17. Gammarus sp. 1 3

18. Caridina denticulata 4 26 8 3

19. Palaemon modestus 1

20. Palaemon paucidens 9 1 1

21. Acentrella sibirica

22. Baetiella tuberculata 1 1 16 1

23. Baetiella japonica 58 12

24. Alainites muticus 1 1 8 2 2

25. Baetis fuscatus 1 21 16 1 7 17 58 17 7 16 29

26. Baetis thermicus 1 1 2 3 1

27. Baetis pseudothermicus 9 17 38

28. Cloeon dipterum 1 13 4

29. Labiobaetis atrebatinus 9 3 4 16 10

30. Nigrobaetis acinaciger 3 11

31. Procloeon pennulatum 1

32. Caenis KUa 2 2 25 8 68 17 18 15 6 34 7 1

33. Ephemerella dentata 3

34. Uracanthella rufa 2 5 2 6 1 2 7 4 12 15 22

35. Ephemera orientalis 2 3 66 5 7 2 9 1 3

36. Ephemera strigata 1 1 6 1 2

37. Ecdyonurus bajkovae 1 2

38. Ecdyonurus dracon 7 1 1 1

39. Ecdyonurus kibunensis 10 2 57 19 43 36 67 1

40. Ecdyonurus levis 7 3 1 3 72 16 71 63 5 1

41. Epeorus latifolium 3 22 7 11 34

42. Choroterpes altioculus 6 37 37 12 10 44 63 18 33 25 2

43. Paraleptophlebia chocolata 2 14 5 1 1 4

44. Cercion calamorum 1

45. Cercion hieroglyphicum 1

Page 168: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7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46. Enallagma cyathigerum 1

47. Coenagrion sp. 1 2

48. Platycnemis foliacea 1 1

49. Platycnemis phillopoda 2 1 1 2 1 1

50. Calopteryx japonica 3 3

51. Davidius lunatus 1 3 2

52. Stylurus annulata 2

53. Anisogomphus maacki 1 2

54. Anisogomphus melanopsoides 1

55. Gomphus postacularis 1

56. Crocothemis servilia 1

57. Laccotrephes japonensis 3 1

58. Ochterus marginatus 1

59. Gerris latiabdominis 1 1 1

60.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1

61. Laccophilus difficilis 2

62. Neonectes natrix 1 1 1 1 1

63. Platambus fimbriatus 1

64. Haliplidae sp. 1 1

65. Laccobius bedeli 2

66. Helochares striatus 1 2

67. Elmidae sp. 1 3 1 2 4 2 1

68. Stenelmis vulgaris 1 1 2 1 1

69. Mataeopsephus KUa 2 1

70. Tipula KUa 1

71. Tipula KUh 3

72. Antocha KUa 6 4 258

73. Simulium sp. 1 1

74. Ceratopogonidae sp. 1 1

75. Chironominae sp. 1 2 2 28 30 16 9 12 49 22 10 40 131 56 23 19 574

76. Empididae sp. 1 1

77. Dolichopodidae sp. 1 2

78. Culicidae sp. 1 2 1

79. Hydropsyche KUa 2

80. Hydropsyche KUb 3 1 30 4 1 35 1 2 26 1

81. Hydropsyche KUc 4 1 2 6

82. Hydropsyche KUd 1 1

83. Hydropsyche KUe 2

8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13 4 1 2 1 1 3 29 18 28 99 1

85. Cheumatopsyche KUa 2 3 5 1 28 4 4

86. Cheumatopsyche KUb 6 53 7 1 2 13 8 1

87. Rhyacophila brevicephala 17 1 4

88. Rhyacophila shikotsuensis 1

89. Hydroptila KUa 2 8 1 2

90. Apatania KUa 1 1

Page 169: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 168 -

표 계속

지점

학명

실험수계 대조수계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91. Goerodes KUa 1

92. Ceraclea KUa 1

개체수(No. of Ind.) 10 42 100 173 149 43 230 182 151 24 292 541 303 260 362 896

우점도(DI) 0.900 0.452 0.810 0.387 0.416 0.395 0.583 0.412 0.397 0.583 0.442 0.359 0.419 0.381 0.459 0.929

종다양도(H') 1.157 3.139 2.034 3.403 3.556 3.286 3.084 3.726 3.353 2.669 3.186 3.702 3.329 3.469 3.421 1.414

종수(No. of Sp.) 3 13 12 22 23 14 22 30 19 10 23 26 23 21 24 20

Page 170: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webbook.me.go.kr/DLi-File/F002/000/132898.pdf · 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습성에 유의하여 채집하였다

2003년도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보고서

□ 대행역무기관 : 국립환경연구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총괄책임자 : 소 장 양상용

- 전담관리자 : 연구관(사) 서정관

□ 주 소 : 경북 고령군 다산면 평리 239-3

□ 전 화 : 054) 956-9705

□ 팩 스 : 054) 956-9707

주 의

1. 이 보고서는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시행한 환경

기초조사 사업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낙동수계관리위원회․국립환경

연구원에서 시행한 환경기초조사 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

해서는 아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