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166
LMO 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2012. 12. 환경건강연구부 바이오안전연구팀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Ⅰ)

최종보고서

2012. 12.

환경건강연구부 바이오안전연구팀

Page 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Ⅰ)」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년 12월

연 구 수 행 기 관 :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 준 호

연 구 원 : 이 시 혁

이 수 연

김 승 태

김 영 호

정 종 국

임 재 성

Page 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i -

목 차

목차 ······································································································································ ⅰ

표 목차 ································································································································ ⅲ

그림 목차 ···························································································································· ⅳ

요약문 ··································································································································ⅶ

I. 사업 개요 ························································································································ 1

1. 배경 및 필요성 ·········································································································· 3

2. 사업 목표 및 범위 ···································································································· 6

II. 연구내용 및 방법 ·········································································································· 7

1. 해외 유전자변형생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 9

2. 위해성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한 작물별 절지동물군집 조사 및 분석 ············ 9

3.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준마련 ··········· 13

4.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해유형 분석 ·············· 21

5. 연구체계도 ·················································································································· 22

III. 연구결과 ····················································································································· 23

1. 해외 유전자변형생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 25

가. USDA와 EFSA 및 호주의 위해성평가 유형 ································································· 25

나. USDA의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영향평가 심사

············································································································································ 27

2. 위해성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한 작물별 절지동물군집 조사 및 분석 ·········· 29

가. 국내 옥수수 및 콩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류 ······························································· 29

나. 옥수수 및 콩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 36

3.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준마련 ·········· 49

Page 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ii -

가.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

············································································································································ 49

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포장조사 기준 ········································································· 65

다.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Bt 독소 단백질 확보 및 인공발현

············································································································································ 82

4.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해유형 분석 ·············· 88

가. 외래침입식물 및 생태계 교란식물 현황과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 89

나.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유형 ···························································································· 92

다. 유전자변형작물과 외래침입식물 및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분석 ··················· 95

IV. 결론 ····························································································································· 97

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101

VI. 참고문헌 ·················································································································· 105

별첨 ································································································································· 117

별첨 1. 유전자변형옥수수 개발사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 심사자료

분석 ··········································································································································· 119

별첨 2. 유전자변형콩 개발사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 심사자료 분석

··················································································································································· 125

별첨 3.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주요 후보종 ······························································ 126

별첨 4-1. 옥수수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 127

별첨 4-2. 콩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 132

별첨 4-3. 옥수수와 콩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공통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 136

Page 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iii -

표 목차

표 1. 옥수수와 콩 포장 현황 및 조사일정 ··············································································· 10

표 2. 조사표본 동정 전문가 목록 ································································································· 12

표 3. 본 연구에 이용된 primer 정보 ···························································································· 15

표 4. pIB/V5 TOPO vector cloning을 위한 Cry 유전자의 PCR 조건 ····································· 18

표 5. USDA와 EFSA의 해충저항성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심사 요약 ··············································································································· 25

표 6. 유전자변형옥수수의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분석 종합 ··················································· 27

표 7. 유전자변형콩의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분석 종합 ··························································· 28

표 8. 국내 옥수수 포장에 발생하는 곤충군집 목록 ································································· 29

표 9. 국내 콩 포장에 발생하는 곤충군집 목록 ········································································· 30

표 10. 옥수수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 35

표 11. 조사지역별 옥수수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성 ······························································· 38

표 12. 콩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 41

표 13. 조사지역별 콩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성 ······································································· 44

표 14. 옥수수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분석에 필요한 최소 분류군 목록 ································· 49

표 15. 콩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분석에 필요한 최소 분류군 목록 ········································· 50

표 16. 옥수수에 대한 실내실험 후보종 ························································································· 62

표 17. 콩에 대한 실내실험 후보종 ································································································· 63

표 18.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별 모니터링 결과 ············································· 67

표 19. 옥수수 포장에서 채집된 절지동물군의 채집법간 유사도 분석(%) ····························· 70

표 20. 옥수수 포장에서 특정 트랩에만 유인되는 절지동물 ····················································· 70

표 21.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별 모니터링 결과 ····················································· 72

표 22. 콩 포장에서 채집된 절지동물군의 채집법간 유사도 분석(%) ····································· 75

표 23. 콩 포장에서 특정 트랩에만 유인되는 절지동물 목록 ··················································· 75

표 24. 국내 외래침입식물 현황 ······································································································· 89

표 25.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생태환경별 분포현황 ······································································ 90

표 26.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 ···························································································· 91

표 27. 일반잡초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 ························································································ 92

표 28. LMO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 ······························································································· 95

표 29. 외래침입식물과 잡초 및 LMO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의 비교 ··································· 96

Page 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iv -

그림 목차

그림 1. 지역별 옥수수 조사포장 전경 ····················································································· 10

그림 2. 지역별 콩 조사포장 전경 ····························································································· 11

그림 3. 주요 절지동물 샘플링 방법 ························································································· 12

그림 4. pKK223-3 vector map ····································································································· 14

그림 5. Cry1Ac 유전자 서열 확보를 위한 primer walking sequencing ······························· 16

그림 6. Cry3Aa 유전자 서열 확보를 위한 primer walking sequencing ······························· 16

그림 7. Cry toxin DNA 서열 확보를 위한 실험 방법 ·························································· 16

그림 8. pIB/V5-His TOPO vector map ······················································································· 18

그림 9. pIB/V5 TOPO vector cloning과정 ················································································· 18

그림 10. Positive control expression 발현 예비 실험 ································································ 20

그림 11. Cry1Ac, Cry3Aa의 인공 발현 과정 ············································································· 21

그림 12. 연구체계도 ······················································································································· 22

그림 13. 국내 옥수수 및 콩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군의 구성 ············································· 34

그림 14. 각 지역별 옥수수 포장에서의 종 구성 공통성 ······················································· 38

그림 15. 옥수수 포장에서 분류군별 군집구성 ········································································· 39

그림 16. 옥수수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 ········································································· 40

그림 17. 각 지역별 콩 포장에서의 종 구성 공통성 ······························································· 44

그림 18. 콩 포장에서 분류군별 군집구성 ················································································· 46

그림 19. 콩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 ················································································· 47

그림 20. 옥수수와 콩에서 선발된 조사대상 후보종의 구성 ················································· 51

그림 21. 옥수수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A) ······················································ 52

그림 22. 옥수수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B) ······················································ 53

그림 23. 옥수수 포장에서 일반군의 계절적 변동 ··································································· 53

그림 24. 옥수수 포장에서 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 54

그림 25. 옥수수 포장에서 수분곤충군 및 초식/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 55

그림 26. 옥수수 포장에서 기생천적군의 계절적 변동 ··························································· 55

그림 27. 옥수수 포장에서 분해자군의 계절적 변동 ······························································· 56

그림 28. 콩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A) ······························································ 57

그림 29. 콩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B) ······························································ 58

그림 30. 콩 포장에서 일반군의 계절적 변동 ··········································································· 58

그림 31. 콩 포장에서 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 59

Page 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v -

그림 32. 콩 포장에서 수분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 60

그림 33. 콩 포장에서 기생천적군의 계절적 변동 ··································································· 60

그림 34. 콩 포장에서 분해자군의 계절적 변동 ······································································· 61

그림 35. 옥수수와 콩에서 선발된 실내실험 후보종의 구성 ················································· 63

그림 36. 옥수수 포장에서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 ································································· 64

그림 37. 콩 포장에서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 ········································································· 65

그림 38. 절지동물군집 모니터링 기본원칙 ··············································································· 66

그림 39. 옥수수 포장에서 트랩별 포획능력 ············································································· 70

그림 40. 콩 포장에서 트랩별 포획능력 ····················································································· 75

그림 41. 콩 포장에서 황색점착트랩과 예취조사의 포획효율 비교 ····································· 77

그림 42. 콩 포장에서 토양샘플링과 피트폴트랩의 포획효율 비교 ····································· 78

그림 43. 옥수수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 79

그림 44. 지역별 옥수수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 79

그림 45. 콩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 80

그림 46. 지역별 콩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 81

그림 47. pKK223-3 vector에 cloning되어 있는 Cry1Ac 유전자의 Blast N 결과 ················ 82

그림 48. pKK223-3 vector에 cloning되어 있는 Cry3Aa 전자의 Blast N 결과 ···················· 82

그림 49. 발현을 위해 증폭한 Cry1Ac(A) 및 Cry3Aa(B) 유전자 ··········································· 83

그림 50.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1Ac 유전자 sequencing을 통해 확인한 TATA

box, Kozak sequence와 His-tag ····················································································· 83

그림 51.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3Aa 유전자 sequencing을 통해 확인한 TATA

box, Kozak sequence와 His-tag ····················································································· 84

그림 52.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1Ac 유전자의 sequencing 결과 ···················· 84

그림 53.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3Aa 유전자의 sequencing 결과 ···················· 85

그림 54. Positive control을 이용한 발현 예비실험 결과 ························································· 86

그림 55. 인공발현 한 Cry1Ac 및 Cry3Aa 단백질의 SDS-PAGE (A)와 Native-PAGE (B) 후

실시한 Western blotting 결과 ························································································ 87

그림 56.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구성 ··························································································· 89

그림 57.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 비중 ·········································································· 91

Page 1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vi -

Page 1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vii -

요 약 문

1983년 최초의 생명공학 식물이 개발된 후 다양한 유전자변형작물의 상업화가

진행되어 2006년에는 세계적으로 24개 작물에서 184종의 유전자변형작물이 승인

되었다. 2011년 현재 유전자변형작물은 29개국 1억 6000만 ha에서 재배 중이며 그

교역 규모는 160억 달러에 이르고 이는 세계 종자시장의 36%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식량 자급률이 낮아 많은 양의 유전자변형작물이 식용․사료용․가공용으로

수입되고 있다.

해충저항성과 관련하여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는 유전자변형작물은 Bacillus

thuringiensis (Bt)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은 해충의 밀도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해충과 관련된 먹이그물 및 영양단계 안에 있는 모든

비표적생물(non-target organism)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 및 천적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자연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작물 또는 도입 유전자 산물(독소단백질)이 비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평가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체개발된 유전자변형작물

(제초제저항성잔디, 혹병나방저항성벼 등)이 상업화를 위해 위해성 심사 중에 있거나

심사를 위한 평가자료 확보를 위해 환경방출 시험 중에 있다.

현재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심사는 과학적 근거에 의해, 사례별, 단계별

원칙에 근거하여 큰 항목은 정해져 있으나 분야별 세부항목은 국제적으로도 아직까지

표준화되지 못한 실정이며, 국내에서도 세부항목 결정을 위한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2012년 10월에 개최된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총회에서

위해성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안)이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포괄적인 수준이었다.

그러므로 국내 법률의 감독 하에 국내 실정에 맞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인 안전성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유전자변형작물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한 유전자변형작물을

개발·보급함에 있어 필수적인 사안이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생물 심사시 국내

자연생태계 위해성을 고려한 농작물 생산과 정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곤충상에 미치는

Page 1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viii -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및 관련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전자변형생물 심사의 객관성을 높이고 국제조화를 고려한 세부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로 도입되는 주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비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환경위해성 평가단계 및

평가항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및 연구동향과 국내 작물재배 현황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에 대한 위해성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그 범위는 크게 4가지로 다음과 같다.

가. 해외 유전자변형생물과 관련된 환경위해성 평가/심사 자료 수집 및 분석

나. 국내 곤충상 영향평가 지표종 선정을 위한 옥수수와 콩의 곤충군집 조사 및 분석

다.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검토 및 분석

라.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료 수집 및 외래침입종의

관리 현황을 비교분석

1. 해외 유전자변형생물과 관련된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미농무부(USDA)/동식물검역청(APHIS)은 유전자변형작물의 개발사가 실시한

환경위해성 평가자료를 통해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부정적 영향 여부를 심사하며,

유럽연합(EU)은 LM작물 도입국의 입장에서 유럽식품안전청(EFSA)에서

유전자변형작물이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해 부정적 영향과 관련된 환경위해성을

관련문헌이나 연구결과를 통해 평가한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옥수수는 현재까지 12종의 표적해충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실험용 비표적절지동물은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딱정벌레목,

풀잠자리목, 노린재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톡토기목 7개 목을 주요 실험종으로

선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옥수수 이삭의 피해, 유충의 발육/중량,

포식량과 평균 생체중, 개체군의 크기 및 생존율과 생식능력 등이었다.

Page 1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ix -

유전자변형콩의 경우 현재까지 3종의 해충을 표적으로 하고 있으며 비표적절지동물

실험종의 선발은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벌목, 톡토기목 등 4개 목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생존율, 생체중, 발육기간, 생식능력 및 산란율 등이었다.

2. 위해성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한 작물별 절지동물군집 조사 및 분석

현재까지 기록된 국내 옥수수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은 7목 25과 34속 53종이며,

콩에서는 9목 47과 141속 158종이었다. 옥수수에서의 해충군 구성은 나비목,

매미목, 딱정벌레목 및 노린재목의 순으로 높았고 콩에서의 해충군 구성은 나비목,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및 매미목의 순이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 군집현황 파악을 위해 강원 홍천, 충북 괴산 및 전남

곡성지역에서 채집된 32,191개체의 절지동물은 15목 65과 103종으로 동정되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분류군별 종 구성은 딱정벌레목(22%), 거미목(20%), 벌목(13%) 및

노린재목과 파리목(각각 11%)의 순이었으나 발생밀도는 톡토기목, 총채벌레목,

파리목 및 벌목의 순이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은 포식천적군이

35%로 가장 풍부하였고 초식곤충군(33%), 분해자군(13%) 및 기생천적군(11%)의

순이었다.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 군집현황 파악을 위해 경기 파주, 충북 괴산 및 전남

곡성지역에서 채집된 235,000개체의 절지동물은 13목 66과 110종으로 동정되었다.

콩 포장에서 분류군별 종 구성은 딱정벌레목(23%), 거미목(20%), 노린재목과

벌목(각각 14%) 및 파리목(10%)의 순이었으나 발생밀도는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톡토기목, 총채벌레목, 파리목 및 벌목의 순이었다. 콩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은 포식천적군이 36%로 가장 풍부하였고 초식곤충군(33%), 분해자군(12%)

및 기생천적군(10%)의 순이었다.

Page 1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x -

3.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준

가.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은 섭식부위에 따른 독성에 대한 노출가능성, 발생밀도, 먹이그물에 의한

연쇄반응 및 광지역 분포성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였다.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또는

개체군 변동을 조사할 때 동정이 비교적 가능하고 발생밀도가 높으며 광지역적

발생을 하는 분류군을 대상으로 군집구조를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되며,

옥수수에서 전체의 39.8%인 총 41종이었으며 콩에서는 전체의 34.5%인 총 38종을

선발하였다.

실내실험 대상종은 포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LMO의 독소단백질에 대한

노출가능성과 먹이그물에 의한 먹이연쇄 반응, 사육의 용이성 및 control 가능성

등을 고려하였으며 옥수수에서 23종, 콩에서 21종을 선발하였다.

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포장조사 기준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은 지역별로 시기별

다소간 변동에 있어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포장 모니터링 시기는 6월 말부터 7월 초가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콩 포장에서는 종다양성의 조사시기는 8월 말과 9월

말, 종수의 조사시기는 8월 말부터 9월 말까지가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태계에 서식하는 절지동물은 군집을 구성하는 개별종은 생물학적․생태학적

특성 및 행동습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해야 군집 및

개체군의 야외변동을 해석할 수 있다. 옥수수 포장에서 종수는 피트폴트랩과

황색점착트랩이 유사하였고 종다양성은 황색점착트랩에서 높았으며, 페로몬트랩의

Page 1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xi -

경우 종특이성이 있기 때문에 성페로몬에 반응하는 표적곤충 단 한 종만을

포획하였다. 콩 포장에서 종수와 종다양성은 모두 황색점착트랩에서 높았으며,

페로몬트랩의 경우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종특이성을 지녀 집합페로몬에 반응하는

표적곤충 단 한 종만을 포획하였다.

작물의 생육시기와 절지동물 군집의 계절발생에 따른 조사시기 및 조사횟수는

옥수수에서 생육시기에 따라 3~4회의 조사가 필요하며 옥수수의 재배기간을

고려하면 정식 후 포장생태계가 안정되는 10일 이후부터 조사를 할 경우 약 10일

정도의 조사간격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콩에서는 생육시기에 따라

최소한 3~4회의 조사가 필요하며 콩의 재배기간을 고려하면 정식 후

포장생태계가 안정되는 10일 이후부터 조사를 할 경우 약 15일 정도의

조사간격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Bt 독소 단백질 확보 및 인공발현

Bt 유전자는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Biochemistry의

Bacillus Genetic Stock Center에서 구입한 Cry1(BGSC no. ECE53)과 Cry3(BGSC no.

ECE131) E. coli clone을 배양한 후, plasmid preparation과 DNA 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cloning으로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Cry1Ac와 Cry3Aa의 in vitro expression을 위해 두 유전자를 Pfu Turbo

polymerase를 이용해 증폭한 결과, 약 2kb 크기의 높은 purify의 product를

확보하였다.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해 발현 준비가 완료된 Cry1Ac와

Cry3Aa E. coli clone은 50% glycerol stock solution에 의해 –75℃에서 보관중이다.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positive control 예비 발현실험을 실시하였고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Cry 단백질과 같은 외래단백질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Cry1Ac와 Cry3Aa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해 발현 vector가 transfection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배양하기 위해 blasticid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

Page 1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xii -

vector의 특징을 이용하여 blasticidin 처리를 실시하였다. Blasticidin 선별 후 대량

배양된 세포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대상으로 SDS-PAGE와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예상된 Cry 단백질의 active domain의 분자크기인 약 70 kDa 수준의

single band가 확인되어 Cry 단백질이 성공적으로 인공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4.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해유형 분석

국립식물검역원(2010)은 현재 국내 외래침입식물로 돌소리쟁이 등 30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애기수영 등 12종을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하고 있다.

외래침입식물은 현재 국내 농업생태계 등 6개 생태환경에 분포하며

피해유형으로는 축산피해와 농업피해 등 5개의 피해분야로 구분되었고 피해유형

중 농업과 축산피해 및 생태계교란 등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는데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은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과 비슷하였다.

미국의 환경보호국 및 환경보호규정은 병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을 살충제로

분류한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전공학적으로 개발된 식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유전자 전이, 잡초화, 고유독성, 유전 및 표현형질적 변이,

병원균의 생물학적 매개체 혹은 유전물질로서의 역할 및 사람에 대한 안전성 등

6가지를 제시하였다. 유전자변형작물 자체의 잡초화는 외래침입식물이 유입되어

잡초화하여 일반잡초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과 유사하지만 천적이나 척추동물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온다거나 유전자 전이 및 유전자 전이로 인한 근연종의 슈퍼 잡초화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따라서 현재까지 LMO의 환경위해는 유전자변형식물체로서

잡초가 갖는 일부 속성만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Page 1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I. 사업 개요

Page 1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1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 -

1. 배경 및 필요성

1970년대 중반 미국의 스탠리 코헨 박사 연구팀에 의해 생물 종간 유전자 이동이

최초로 성공한 이후 생명공학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특히 생명공학 기술은

농업에 적용되어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를 변형한 생물(LMO, living modified

organisms)을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식물에 도입하는 특성유전자도

제초제 내성, 해충 저항성, 웅성불임, 저장성 개선, 유지함량 개선, 바이러스 저항성

등의 형질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상업화되어 재배되는 유전자변형작물이 없지만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서 18개 작물에서 제초제내성벼, 고추, 들깨와 해충저항성벼,

배추, 감자를 비롯한 45개 유전자변형 품종을 개발 중에 있다(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2006).

1983년 최초의 생명공학 식물이 개발된 후, 1994년과 1995년에 각각 저장성이 개선된

토마토 및 제초제저항성 콩의 상업화가 최초로 성공하였고, 이후 2006년에 이르러서는

세계적으로 24개 작물에서 184종의 유전자변형작물이 승인되어 2011년 현재 29개국

1억 6000만 ha에서 1,670만 명에 의해 재배 중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ISAAA, 2011).

이들의 교역 규모는 16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세계 종자시장의 36%에 해당한다

(ISAAA, 2011).

우리나라의 경우도 식량 자급률이 낮아 2011년 현재 많은 양(약 785만 톤/년)의

유전자변형작물이 식용․사료용․가공용으로 수입되고 있다. 2011년 현재 우리나라로

수입된 유전자변형작물의 대부분은 옥수수와 대두로 옥수수 599만 톤과 대두 29만 톤

이상이 수입하여, 2010년 대비 수입량은 약 8% 감소하였으나 총 수입액은 27억 달러로

약 28% 증가하였다(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12).

해충저항성과 관련하여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는 작물은 옥수수, 감자, 목화

등을 대상으로 Bacillus thuringiensis (Bt)를 적용한 유전자변형작물이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은 대상작물의 해충의 밀도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대상해충과 관련된

먹이그물 및 영양단계 안에 있는 모든 비표적생물(non-target organism)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

Page 2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 -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 및 천적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그들 상호간의 관계를

통해서 자연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작물 또는 도입 유전자 산물

(독소단백질)이 비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평가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전자변형작물의 식식성 곤충 및 그 천적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해 많은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일부의 연구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Bacillus thuringiensis(Bt)

독소에 감수성인 종을 제외한 대다수의 종들은 포장에서의 밀도, 분포 및 군집구조나

실내실험을 통한 발육, 생식능력 및 생존율 등의 형질에 있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측면(Romeis 등, 2006;김 등, 2008)과 포식자의 30%와 기생포식자의 39.8%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측면(Lövei and Arpaia, 200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Naranjo

(2009)는 meta-analysis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한 바 있는데, 연구 결과 천적의

발육속도가 지연되기는 하였지만 생존 및 생식능력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비표적

해충은 B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처럼 유전자변형작물이 비표적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자에 따라 평가방법 및

생물학적 형질이 다른 경우가 많아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식품안전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등과 관련된

바이오안전성 확보노력이 국제기구와 유전자변형작물의 주요 생산 및 수출국인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에서 체계화되고 과학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2000년 몬트리올 ‘바이오안전성의정서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가 채택되어

2003년 발효됨에 따라 미국, 일본, 영국 등 5개국에서는 각국의 실정에 맞는 생명공학

생물체의 규제와 관련된 법 및 지침을 운영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지식경제부

주관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2001년 제정, 2008년

발효되었다. 이 법에 따라 유전자변형작물을 식품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2004년부터

시행중인 식약청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평가 심사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유전자변형작물의 국내 생산, 수출입 및 식품으로 사용

등에 관한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국내에서도 유전자변형작물 심사 건수가 증가되고 있으며(2012년 1월 기준,

Page 2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 -

농촌진흥청 심사 103건, 국립환경과학원 39건) 국내에서 개발된 유전자변형작물

(제초제저항성잔디, 혹병나방저항성벼 등)이 상업화를 위해 위해성 심사 중에 있거나

심사를 위한 평가자료 확보를 위해 환경방출 시험 중에 있다.

현재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심사는 과학적 근거에 의해, 사례별, 단계별

원칙에 근거하여 큰 항목은 정해져 있으나 분야별 세부항목은 국제적으로도 아직까지

표준화되지 못한 실정이며, 국내에서도 세부항목 결정을 위한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2012년 10월에 개최된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총회에서 위해성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안)이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포괄적인 수준이었다. 그러므로 국내 법률의

감독 하에 국내 실정에 맞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인 안전성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유전자변형작물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한 유전자변형작물을 개발·보급함에

있어 필수적인 사안이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작물 심사시 국내 자연생태계 위해성을 고려한 농작물

생산과정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곤충상에 미치는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및 관련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전자변형작물 심사의

객관성을 높이고 국제조화를 고려한 세부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이 개발된다면 사전예방을

통해 유전자변형작물의 위해성으로부터 국내 자연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안전관리를

제고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현재 외국에서 전량 수입되는 유전자변형작물의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방출에 의한 위해성 관리에 있어 외래침입종 등 이와 유사한 생물관리를 비교하여

과학적 근거 및 효율성을 제고한 관리방안의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로 도입되는 주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비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환경위해성 평가단계 및

평가항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및 연구동향과 국내 작물재배 현황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에 대한 위해성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age 2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 -

2. 사업 목표 및 범위

본 사업의 범위는 크게 4가지로 다음과 같다.

가. 해외 유전자변형생물과 관련된 환경위해성 평가/심사 자료 수집 및 분석

나. 국내 곤충상 영향평가 지표종 선정을 위한 유전자변형작물별 곤충군집 조사 및

분석

다.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검토 및 분석

라.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료 수집 및 외래침입종의

관리 현황을 비교분석

Page 2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II. 연구내용 및 방법

Page 2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2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 -

1. 해외 유전자변형생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가. USDA와 EFSA 및 호주의 위해성평가 유형 분석

USDA와 EFSA의 유전자변형생물의 위해성평가와 관련된 위해성평가규정을

수집하여 평가근거, 평가항목, 평가형식 및 평가범위를 종합분석하고 호주의

유전자변형생물의 위해성평가 규정 및 범위를 검토하였다.

나. USDA의 해충저항성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영향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국내에서 유전자변형작물의 위해성평가 체계 구축시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기술적으로 가능한 평가요소를 도입하기 위해 USDA에 의해 2012년까지 승인된

유전자변형옥수수와 콩에서 위해성평가 심사자료를 수집하여 세부심사항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2. 위해성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한 작물별 절지동물군집 조사 및 분석

가. 조사지역 포장현황

국내 옥수수 및 콩 포장에서의 과거 곤충군집 조사기록을 종합하여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현황 파악을 위해 조사한 곤충군집의 결과가 해당 작물을 대표할

수 있도록 전국에서 옥수수와 콩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지역을 선발하였고 조사는

최소 3,300m2(약 1,000평) 이상 확보된 포장을 대상으로 곤충군집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포장의 현황 및 조사일정은 표 1과 같고 각 포장의 전경은

그림 2와 3과 같다.

Page 2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 -

표 1. 옥수수와 콩 포장 현황 및 조사일정

작 물 지 역 농 법 면 적 정식일 조사기간 조사차수

옥수수

강원 홍천 무방제 3,300m2 5월 20일 6/12 ~ 7/16

6충북 괴산친환경 4,500m2 5월 15일 5/30 ~ 7/13유 기 6,700m2 5월 18일 5/30 ~ 7/13

전남 곡성 친환경 4,800m2 5월 25일 6/1 ~ 7/24

경기 파주 관 행 6,600m2 7월 15일 8/8 ~ 10/10

10충북 괴산친환경 4,500m2 7월 15일 8/8 ~ 10/11유 기 6,600m2 7월 10일 8/8 ~ 10/11

전남 곡성 친환경 4,800m2 7월 15일 8/7 ~ 10/10

작 물 지 역 농 법조사차수 및 조사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10차

옥수수

강원 홍천 무방제 6/12 6/21 6/27 7/3 7/11 7/16 - - - -

충북 괴산친환경 6/5 6/11 6/20 6/29 7/4 7/11 - - - -

유 기 6/5 6/11 6/20 6/29 7/4 7/11 - - - -

전남 곡성 친환경 6/19 6/26 7/2 7/10 7/18 7/24 - - - -

경기 파주 관 행 8/8 8/14 8/23 9/1 9/9 9/14 9/23 9/27 10/6 10/10

충북 괴산친환경 8/8 8/15 8/26 8/31 9/4 9/12 9/20 9/26 10/3 10/11

유 기 8/8 8/15 8/26 8/31 9/4 9/12 9/20 9/26 10/3 10/11

전남 곡성 친환경 8/7 8/15 8/20 8/27 9/6 9/13 9/19 9/27 10/2 10/10

그림 1. 지역별 옥수수 조사포장 전경

Page 2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 -

그림 2. 지역별 콩 조사포장 전경

나.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조사항목으로는 옥수수와 콩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곤충과 거미류 등의

절지동물의 계절발생과 먹이그물을 고려하여 절지동물 군집구조, 생물다양성,

발생밀도 및 생태학적 기능군의 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분류군의

다양한 서식특성과 행동양식을 고려하여 성페로몬트랩, 집합페로몬트랩,

피트폴트랩 및 황색점착트랩을 주로 사용하였고(그림 3), 트랩의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예취 및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그림 3). 채집된 절지동물은 각 분류군별

국내 전문가에게 동정을 의뢰하였으며(표 2) 한국곤충명집의 분류체계에 따라

목록을 작성하였다(한국곤충학회 1994).

Page 2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 -

그림 3. 주요 절지동물 샘플링 방법

표 2. 조사표본 동정 전문가 목록

목 분류군 동정자 소 속

총채벌레목 총채벌레류 전반 이관석 연구사 국립농업과학원

메뚜기목/집게벌레목 메뚜기목/집게벌레목 전반 김태우 박사 국립생물자원관

딱정벌레목

나무좀류/딱정벌레류 일부 박상욱 소장 (주)산림곤충다양성연구소

풍뎅이류 김아영 박사 성신여자대학교

반날개류 안기정 교수 충남대학교

딱정벌레과 박종균 교수 상주대학교

잎벌레/무당벌레류 박해철 박사 국립농업과학원

톡토기목 톡토기류 전반 박경화 교수 전북대학교

응애목 응애류 전반 이원구 교수 전북대학교

벌목벌/기생벌류 임종옥 박사 국립수목원

개미류 유동표 교수 상지대학교

노린재목 장님노린재류Ram Keshari Duwal 박사

서울대학교

다. 생물다양성 분석

생물다양성(biodiversity) 분석을 위해 종수(species richness)와 종다양도지수(H',

Shannon index)를 산출하였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Shannon과 Weaver, 1949).

log

Pi는 ni/N이며, N은 전체 종의 개체수이고 ni는 i번째 종의 개체수이다.

Page 2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 -

절지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조사자료는 제곱근변환을 한 후, 변형된

Sørensen index(QS)를 이용하여 각 조사지점 간 또는 채집방법 간 Bray-Curtis

similarity를 산출하였으며 그 식은 아래와 같다(Bray and Curtis, 1957).

A와 B는 각 조사방법에 의해 채집된 종의 수이며, C는 두 채집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채집된 종의 수를 의미한다.

Bray-Curtis similarity를 산출한 후 Group averaging cluster 분석을 실시하였다.

Cluster 분석은 SIMPROF test(similarity profile test)를 통해 그룹간 유의성을

검정하였는데, 이 방법은 샘플에 관여하는 요소(조사지점, 방법, 시기 등)들이

유사도에 의해 그룹화가 되면 생성된 그룹 간 유사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Clarke et al., 2008).

생물다양성 분석, Bray-Curtis similarity 분석, Group averaging cluster 및

SIMPROF test는 군집분석 프로그램인 PRIMER v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Clarke

and Gorley, 2005).

3.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준마련

가.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 선발

옥수수와 콩에서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주요 조사종 및

실험종 선발은 독성의 종류에 따른 노출가능성 및 먹이그물에 의한 연쇄반응 및

포장에서 실제 발생밀도를 고려하였으며 선발된 종들의 생물·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age 3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 -

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포장조사 기준 개발

옥수수와 콩에서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포장조사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절지동물군집의 생물다양성 및 종수를 분석하여 활용하였고 샘플링 방법 및

작물의 생육시기에 따른 절지동물군집의 조사시기 및 조사횟수를 제시하였다.

다.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위한 Bt 독소 단백질 확보

1) Bt 유전자 확보

Bt 유전자는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Biochemistry의 Bacillus

Genetic Stock Center에서 pKK223-3 vector(그림 4)에 의해 E. coli JM103 strain에

cloning되어 있는 Cry1Ac(BGSC no. ECE53)와 Cry3Aa(BGSC no. ECE131)를

구입하였다.

그림 4. pKK223-3 vector map

Page 3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5 -

각 E. coli strain을 LB agar plate에 spreading한 후 37oC에서 16 시간 배양하였고,

single colony pick up 후 LB broth(50 μl/ml of ampicillin) 배지에 37oC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각 E. coli 배양액에서 plasmid를 purification한 후(Bioneer,

Korea), pKK223-3 vector에서 양쪽(forward, Reverse) primer(표 3)를 시작으로 primer

walking(그림 5 와 6)을 통해 Cry1과 Cry3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그림

7). 분석된 염기서열은 NCBI protein blast tool(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을

이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와 비교 분석하였고, 이들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여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발현을 위해 2차 cloning 지점을

탐색하였다.

표 3. 본 연구에 이용된 primer 정보

Name Sequence Tm(oC) Purpose

pKK223-3_F GTTCTGATTTAATCTGTATCAGGCT 60.9pKK223 sequencing

pKK223-3_R AGCGGATAACAATTTCACACAGG 61.1

OpIE2_F CGCAACGATCTGGTAAACAC 58.4pIB/V5 sequencing

OpIE2_R GACAATACAAACTAAGATTTAGTCAG 60.1

5Cry1Ac_Kozak GAGATGGTTATGGATAACAATCCGAACATCAA 69

PCR for Cry1Ac toxin domain

3Cry1Ac_dom3end ATCCGATAAATACGTAACTAAATTGGACACT 65.7

3Cry1Ac_Ne GAAATGGCTTGGTTCCTAGC 58.4 Sequencing for Cry1Ac5Cry1Ac_Ne2 TCACTTCCCATCGACATCTA 56.4

5Cry3Aa_Kozak GAGATGGTTATGATAAGAAAGGGAGGAAGAAAAATG 70.9

PCR for Cry3Aa toxin domain

3Cry3Aa_dom3end ATTCACTGGAATAAATTCAATTTTGTCTATATAAACTTT 66.5

3Cry3Aa-Ne1 AAACGAAACAAGCGCTCCAC 58.5 Sequencing for Cry3Aa5Cry3Aa-Ne1 CAGGGTAGTAGAGGAACAAT 56.4

Page 3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6 -

그림 5. Cry1Ac 유전자 서열 확보를 위한 primer walking sequencing

그림 6. Cry3Aa 유전자 서열 확보를 위한 primer walking sequencing

그림 7. Cry toxin DNA 서열 확보를 위한 실험 방법

Page 3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7 -

2)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clon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Bt 독소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해 상용

키트를 조사한 결과, 표적단백질의 발현량과 발현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Invitrogen에서 판매하는 pIB/V5-His TOPO® TA expression Kit(Cat no. 890-20,

Invitrogen, Calsbad. CA. USA)를 선정하여 구입하였다.

Baculovirus system을 이용한 발현을 위해 발현 vector인 pIB/V5-His TOPO(그림

8)에 확보한 Cry1Ac와 Cry3Aa 유전자를 cloning하였으며 Cloning을 위해 각 Cry

유전자에서 toxin domain 3개를 포함하는 지점에 primers(표 3)를 제작하였고,

5’primer에는 Kozak sequence를 포함하여 진핵생물체인 곤충 세포(Sf9 cell)에서

발현이 가능하도록 Kozak sequence를 포함하였다.

pKK233-3에 cloning되어 있는 두 Cry toxin 유전자를 template로 하여 pIB/V5

vector cloning을 위해 준비한 primer로 Pfu Turbo DNA polymerase(stratagene,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증폭하고(표 4), PCR product는 전기영동을

통해 product의 size를 확인하였다.

PCR product는 pIB/V5 vector와의 ligation reaction 후 TOP 10 E. coli cell로

transformation을 실시하였고, LB broth liquid culture 후에 plasmid preparation

(Bioneer)을 통해 cloned plasmid를 확보하였다. 이들 plasmid는 다시 DNA

sequencing을 통해 발현을 위한 유전자 서열 및 vector 서열 확보 후 glycerol cell

stock으로 –75℃에서 보관중이다(그림 9).

Page 3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8 -

그림 8. pIB/V5-His TOPO vector map

표 4. pIB/V5 TOPO vector cloning을 위한 Cry 유전자의 PCR 조건

95℃ / 30 sec 1 cycle

95℃ / 30 sec 

18 cycle 

60℃ / 1 min

68℃ / 5 min

⇒ putonice for 2 min  

그림 9. pIB/V5 TOPO vector cloning과정

Page 3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9 -

3)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positive control 예비 발현실험

Sf9 cell에서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한 in vitro expression을 위한

조건 확립을 위해 먼저 pIB/V5-His TOPO® TA expression Kit에서 제공하는 positive

control을 이용하여 예비발현 실시하였다.

2×106 개의 Sf9 cell을 60 mm dish에 seeding한 후 1, 3, 10 μg의 vector를 Cell

fectin(invitrogen) 20 μl, Serum Free media(SF900, Gibco, invitrogen) 1 ml와 함께

섞어준 후 cell에 접종하였고, 접종한 cell에 antimicrobacteria mixture(Sigma)를 넣어

준 후 3-4일 동안 27℃에서 배양하였다.

4일 간 배양 후 500× g, 15 분 동안 원심분리 후 cell과 상등액을 분리하여

cell은 0.5% Triton X-100가 포함되어 있는 Tri-HCl, pH 7.8 buffer에서 homoganize

하였고, 상등액은 Amicon Unltra YM-30(Millipre, Bedford, MA, USA)로 농축하였다.

확보된 단백질은 bradford 정량법으로 정량하여 20 ㎍의 단백질을 native-PAGE

(7.5% acrylamide gel)에 loading 한 후 냉장(4℃) 조건에서 3 시간동안 120 V로

running하였다.

단백질 전기영동 후 gel은 40 V, 200 A 조건에서 Hybond-N nitrocellulose

membrane(GE Healthcare, Pittsburgh, PA, USA)로 75분 동안 transfer하였다.

Membrane은 5% skim milk로 blocking을 실시한 후 anti-His antibody(Pierce

Bio-Technology, Rockford, IL, USA)와의 반응을 위해 4℃에서 over-night incubation

하였다. 다음으로 10분간 3회 washing(with PBST)을 하고 anti-mouse IgG-HRP

antibody(Pierce)로 2시간 반응시켰으며 이들 membrane은 암조건에서

chemiluminescence kit를 이용하여 detection을 실시하였다(그림 10).

Page 3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0 -

그림 10. Positive control expression 예비 발현실험

4) Cry1Ac와 Cry3Aa 단백질의 인공발현

positive control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Cry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없어 Cry 유전자가 cloning 되어있는 발현 vector가 transfection된 세포만

선별하기 위한 blasticidin을 처리하였다. Positive control 발현과 동일하게 2×106

개의 Sf9 cell을 60mm dish에 seeding 한 후 발현 vector를 Cell fectin(invitrogen) 20

μl, Serum Free media(SF900, Gibco, invitrogen) 1 ml와 함께 섞어준 후 cell에

접종하였다. 이후 접종한 cell에 antimicrobacteria mixture(Sigma)를 넣어 준 후

24시간 동안 27℃에서 배양 후 blasticidin (invitorgen)을 100 μl/ml 농도로 처리하여

blasticidin으로 인해 죽은 세포(transfection 안된 세포)는 3~4일 간격으로 media를

갈아주면서 제거하였다. 최종 10일 동안 40 ml까지 세포수를 늘린 후 positive

control과 동일하게 단백질을 확보하고 PAGE와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그림

11).

Page 3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1 -

그림 11. Cry1Ac, Cry3Aa의 인공발현 과정

4.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해유형 분석

자연생태계 내 유전자변형작물의 방출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구축하기

위하여 현재 국내에 정착한 외래침입식물의 실태와 피해를 유형화하는 한편,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과 함께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상호

피해유형을 분석하였다.

가. 외래침입식물 및 생태계 교란식물 현황과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분석

나.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유형 분석

다. 유전자변형작물과 외래침입식물 및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비교

Page 3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2 -

5. 연구체계도

본 연구는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 개발을

위해 연구내용의 특성상 2개 세부연구팀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환경위해성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Tier system을 보완하는 동시에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유형을

분석하여 국내 자연생태계 안전관리 제고를 위한 유전자변형작물의 황경위해성

평가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그 체계는 그림 12와 같다.

그림 12. 연구체계도

Page 3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3. 연구결과

Page 4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4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5 -

1. 해외 유전자변형생물과 관련된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자료 종합분석

가. USDA와 EFSA 및 호주의 위해성평가 유형

미농무부(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동식물검역청(APHI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은 유전자변형작물의 개발사가 실시한

환경위해성 평가자료를 통해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부정적 영향 여부를

심사한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환경위해성평가는

해당 유전자변형작물의 생물학적·유전적 정보와 표적 및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은 크게 나방류를 표적으로 하는 경우와

딱정벌레류를 표적으로 하는 경우로 나뉜다. 나방류를 표적으로 하는 독소에는

Bt(Bacillus thuringiensis Berliner)에서 유래한 Cry1Ab, Cry1Ac, Cry2Ab, Cry9C,

Cry1F, PS811과 Vip3Aa가 있으며 딱정벌레류를 표적으로 하는 독소에는 Cry3A,

Cry3Bb와 PS149B1(Cry34Ab1+Cry35Ab1)이 있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환경위해성평가는 표적절지동물을 제외한 비표적생물체에

대한 위해성평가, 멸종위기야생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와 토양성 생물체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LM작물 도입국의 입장에서 유럽식품안전청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에서 Directive 2001/18/EC에 근거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이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해 부정적 영향과 관련된 환경위해성을

평가한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식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 심사는

직접적인 위해성 평가는 실시하지 않고 개발사가 제출하는 위해성 평가자료와

연구기관 및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원용하여 위해성 심사를 진행한다. 위해성 평가

시 비표적절지동물은 비표적 초식곤충군(Non-target herbivores), 천적군(Natural

Page 4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6 -

enemies), 화분매개곤충군(Pollinating insects), 토양 절지동물군(Soil organisms)으로

구분하여 위해성을 평가함으로써 기존에 진행된 위해성 평가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심사하는 시스템이다.

USDA와 EFSA의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심사내용을 요약하면 표 5와 같다.

표 5. USDA와 EFSA의 해충저항성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심사 요약

구 분 USDA EFSA

평가근거APHIS Biotechnology Regulation 7 CFR Part 340 Directive 2001/18/EC

평가항목실험장소, Bt toxin의 특성과 적용범위, 노출방법, 대상종 선정(생태학적 특성을 고려) LM작물의 수입국 입장에서 LM작물의

영향과 관련하여 개발사의 위해성평가자료와 연구기관 및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원용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며 직접적인 위해도 평가는 실시하지 않음평가형식

LM작물의 주요 개발국으로 개발사는 주로 유해성평가 실내실험에 집중되어 있으며 주로 포장에서의 위해도 평가는 연구기관 및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평가범위

천적을 포함한 지표절지동물(Above ground arthropods), 토양절지동물(Soil dwellers), 화분매개절지동물(Pollinators)에서 대상종을 선정

비표적 초식곤충군(Non-target herbivores), 천적군(Natural enemies), 화분매개곤충(Pollinating insects), 토양절지동물(Soil organisms)로 구분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독자적인 유해성평가 기준을 갖추고 있는 호주는

2000년에 유전공학의 산물에 의해 야기되는 위해를 파악하고 유전자변형작물과

관련된 규제를 통해 위해를 관리하여 인간에 대한 안전성과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유전공학법(GENE TECHNOLOGY ACT 2000)을 제정하였다.

유전공학법 SECT 38에서는 인간에 대한 안전성과 건강 및 환경에 대한 심각한

피해를 다루고 있으며, 여기서 말하는 환경에 대한 심각한 피해는 (2)/(a)에

Page 4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7 -

생태계와 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공학법(2000)을 근거로 만들어진

유전공학규정(GENE TECHNOLOGY REGULATIONS 2001)에는 유전자변형작물의

방출 허가 이전에 위해성평가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규정하고 있으며, REG

10/(1)/(b)의 (i)에 다른 생물에 유해한지 여부, (ii)에 생태계에 부정적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명시하고 있다.

나. USDA의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영향평가

심사

USDA/APHIS는 1992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유전자변형옥수수를 포함하여 총

91품목을 승인하였고 20품목은 심사 중이거나 승인이 보류된 상태이다. 이 중

유전자변형옥수수는 24품목이 개발·승인되었고 해충저항성과 관련하여 승인된

것은 15품목이다(별첨 1). 유전자변형콩의 경우 9품목이 개발·승인되었고

해충저항성과 관련하여서는 현재까지 단 한 품목만이 승인된 상태이다(별첨 2).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옥수수는 현재까지 12종의 표적해충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실험용 비표적절지동물은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딱정벌레목,

풀잠자리목, 노린재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톡토기목 7개 목을 주요 실험종으로

선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옥수수 이삭의 피해, 유충의

발육/중량, 포식량과 평균 생체중, 개체군의 크기 및 생존율과 생식능력

등이었다(표 6). 유전자변형콩의 경우 현재까지 3종의 해충을 표적으로 하고

있으며 비표적절지동물 실험종의 선발은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벌목, 톡토기목 등 4개 목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생존율, 생체중, 발육기간, 생식능력 및

산란율 등이었다(표 7).

Page 4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8 -

표 6. 유전자변형옥수수의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분석 종합

학 명

(일반명) 기능군학 명

(목: 과)실험

연령실험물질

실험

장소평가항목

Agrotis ipsilon (Black cutworm)

Corn rootworm

Diabrotica longicornis barberi (Northern corn rootworm)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Western corn rootworm)

Diabrotica virgifera zeae (Mexican corn rootworm)

Diatraea grandiosella (Southwestern corn borer)

Helicoverpa zea (corn earworm)

Lepidopteran larvae

Ostrinia furnacalis (Asian corn borer)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Spodoptera frugiperda (Fall armyworm)

Striacosta albicosta (Western bean cutworm)

포식천적군

Coleomegilla maculata(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유충(약충)

~성충

고농도 Bt 옥수수(잎, 종실, 화분)

Bt 독소

실험실

포장

Ear damage

Larval growth/weight

Leaf feeding rate/damage

Average biomass/weight

Population density

Survival

Reproduction

Coccinella septempunctata(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Hippodamia convergens(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Beneficial predator orders

Aleochara bilineata(딱정벌레목: 반날개과)

Poecilus cupreus(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Chrysoperla carnea(풀잠자리목: 풀잠자리과)

Orius insidious(노린재목: 꽃노린재과)

기생천적군

Ichneumon promissorius(벌목: 맵시벌과)

Brachymeria intermedia(벌목: 수중다리좀벌과)

Beneficial predator orders

Nasonia vitripennis(벌목: 금좀벌과)

해 충 군

Spodoptera frugiperda(나비목: 밤나방과)

Helicoverpa zea(나비목: 밤나방과)

Diatraea grandiosella(나비목: 포충나방아과)

분해자군Folsomia candida(톡토기목: 마디톡토기과)

수분곤충군Apis mellifera(벌목: 꿀벌과)

Page 4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29 -

표 7. 유전자변형콩의 환경위해성 평가자료 분석 종합

학 명

(일반명) 기능군학 명

(목: 과)실험

연령

실험

물질

실험

장소평가항목

Anticarsia gemmatalis (Velvet bean caterpillar)

Pseudoplusia includens (Soybean looper)

Lepidopteran pests

수분곤충군Apis mellifera(벌목: 꿀벌과)

유충(약충)

~성충

Bt 독소  실험실

Survival

Mortality

Biomass

Development time

Fecundity

Egg hatching

포식천적군

Coleomegilla maculata(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Orius albidipennis(노린재목: 꽃노린재과)

Orius albidipennis(노린재목: 꽃노린재과)

기생천적군Pediobius foveolatus(벌목: 좀벌과)

분해자군

Folsomia candida(톡토기목: 마디톡토기과)

Xenylla grisea(톡토기목: 가시톡톡기과)

절지동물군 집

Aphid, Whitefly, Leafhopper, Stink bug,

Three-cornered alfalfa hopper, Grasshopper, Thrips,

Armyworm, Corn earworm, Cabbage looper, Green

cloverworm, Soybean looper, Thistle caterpillar,

Velvetbean caterpillar, Yellow woolybear caterpillar,

Blister beetle, Bean leaf beetle, Japanese beetle,

Spotted cucumber beetle, Spider mite

Bt 콩 포장

Damage

Abundance

유 용절지동물

Spiders, Big-eyed bug, Carabids, Lacewing,

Ladybird beetle

2. 위해성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한 작물별 절지동물군집 조사 및 분석

가. 국내 옥수수 및 콩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류

현재까지 기록된 국내 옥수수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은 7목 25과 34속

53종이며(고 등 1970, 한국식물보호협회 1986, 김 등 2010)(표 8), 콩에서는 9목

47과 141속 158종이었다(고 등 1970, 손 등 1974, 박 등 1978, 한국식물보호협회

1986, 백 등 2007)(표 9).

옥수수에서의 해충군 구성은 나비목의 종수(species richness)가 28%로 가장

Page 4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0 -

높았고 매미목, 딱정벌레목 및 노린재목의 순이었다. 콩에서의 해충군 구성은

나비목의 종수가 51%로 월등히 높았고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및

매미목의 순이었다(그림 11).

표 8. 국내 옥수수 포장에 발생하는 곤충군집 목록

목 과 종 명 학 명

나비목

명나방과

복숭아명나방 Dichocrocis punctiferalis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흰띠명나방 Hymenia recurvalis

박쥐나방과 박쥐나방 Endoclyta excrescens

밤나방과

개미자리밤나방 Heliothis maritima

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

검거세미나방 Agrotisipsilon

노랑담배나방 Pyrrhia umbra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멸강나방 Mythimna separata

벼밤나방 Sesamia inferens

숯검은밤나방 Agrotistokionis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불나방과 앞붉은흰불나방 Aloa lactinea

뿔나방과 보리나방 Sitotroga cerealella

노린재목

노린재과먹노린재 Scotinophara lurida

풀색노린재 Nezara antennata

장님노린재과탈장님노린재 Eurystylus coelestialium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딱정벌레목

검정풍뎅이과 애우단풍뎅이 Maladera orientalis

꽃무지과 흰점박이꽃무지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바구미과 뽕나무바구미 Scepticus insularis

방아벌레과

갈색방아벌레 Agrypnus binodulus

누런방아벌레 Ectinus sericeus

애방아벌레붙이 Anadastus menetriesi

주둥이방아벌레 Silesis musculus

왕바구미과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잎벌레과 외잎벌레붙이 Atrachya menetriesi

풍뎅이과

벚나무애풍뎅이 AnomalaGeniculata

별줄풍뎅이 Mimela testaceipes

부산풍뎅이 Mimela fusania

Page 4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1 -

표 8.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매미목

매미충과

꼬마매미충 Macrosteles brunnescens

끝검은말매미충 Bothrogonia japonica

남방매미충 Alobaldia tobae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벼알락매미충 Recilia oryzae

알락매미충 Psammotettix striatus

초록애매미충 Empoasca vitis

멸구과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흰등멸구붙이 Sogatellakolophon

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padi

보리두갈래진딧물 Schizaphis graminum

옥수수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maidis

메뚜기목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메뚜기과벼메뚜기 Oxya japonica japonica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섬서구메뚜기과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벌목각다귀과 아이노각다귀 Tipula aino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총채벌레목관총채벌레과 벼관총채벌레 Haplothrips aculeatus

총채벌레과 벼총채벌레 Stenchaetothrips biformis

표 9. 국내 콩 포장에 발생하는 곤충군집 목록

목 과 종 명 학 명

나비목

곡식좀나방과 곡식좀나방 Nemapogon granellus

네발나비과부처나비 Myclesis gotama

부처사촌나비 Mycalesis francisca perdiccas

독나방과

독나방 Euproctis subflava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차독나방 Euprictis pseudoconspersa

콩독나방 Cifuna locuples

흰독나방 Euproctis similis

명나방과

곧은띠비단명나방 Orthopygia glaucinalis

등심무늬들명나방 Nomophila noctuella

석줄노랑명나방 Pagida amphialis

세점노랑들명나방 Mabra charonialis

세줄콩들명나방 Omiodes indicata

Page 4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2 -

표 9.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나비목

명나방과

앞붉은명나방 Oncocera semirubella

얼룩애기물명나방 Elophila turbata

연물명나방 Nymphula interruptalis

왕부채명나방 Lamoria anella

주홍날개들명나방 Udea ferrugalis

콩명나방 Maruca vitrata

콩잎말이명나방 Pleuroptya ruralis

콩줄기명나방 Ostrinia scapulalis

팥알락명나방 Etiella zinckenella

화랑곡나방 Plodia interpunctella

흰띠뾰족명나방 Endotricha kuznetzovi

박각시과

뱀눈박각시 Smerinthus planus

세줄박각시 Theretra oldenlandiae

콩박각시 Clanis bilineata

탈박각시 Acherontia styx

박쥐나방과 박쥐나방 Endoclyta excrescens

밤나방과

개미자리밤나방 Heliothis maritima

거세미나방 Agrotis segetum

검거세미나방 Agrotis ipsilon

검은무늬수염나방 Hypena tristalis

구리밤나방 Euplexia lucipara

노랑담배나방 Pyrrhia umbra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뒤흰도둑나방 Sarcopolia illoba

멸강나방 Mythimna separata

물결밤나방 Diarsia canescens

배저녁나방 Acronicta rumicis

붉은금무늬밤나방 Chrysodeixis eriosoma

숯검은밤나방 Agrotistokionis

씨자무늬거세미나방 Xestia c-nigrum

왕흰줄태극나방 Erebus ephesperis

잔디밤나방 Spodoptera depravata

줄까마귀밤나방 Apopestes indica

콩은무늬밤나방 Ctenoplusia agnata

큰구름무늬큰밤나방 Mocis undata

회색밤나방 Actebia praecox

흰점갈색밤나방 Diarsia brunnea

흰점도둑나방 Melanchra persicariae

Page 4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3 -

표 9.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나비목

부전나비과

물결부전나비 Lampides boeticus

부전나비 Lycaeides argyronomon ussurica

암먹부전나비 Everes argiades hellotia

불나방과

미국흰불나방 Hyphanria cunea

배붉은흰불나방 Spilarctia subcarnea

불나방 Arctia caja

앞붉은흰불나방 Aloa lactinea

쐐기나방과꼬마쐐기나방 Microleon longipalpis

배나무쐐기나방 Narosoideus flavidorsalis

잎말이나방과

갈색잎말이나방 Pandemis heparana

검모무늬잎말이나방 Archips fuscocupreanus

도깨비잎말이나방 Sparganothis pilleriana

사과무늬잎말이나방 Archips breviplicanus

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orana

자두가는잎말이나방 Phalonidia vectisana

자두갈색잎말이나방 Pandemis dumetana

줄회색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transversana

콩나방 Leguminivora glycinivorella

팥나방 Matsumuraeses phaseoli

자나방과

꼬마점줄흰애기자나방 Scopula emissaria

끝갈색가지나방 Bizia aexaria

끝무늬애기자나방 Pylargosceles steganioides

네눈쑥가지나방 Ascotis selenaria

분홍애기자나방 Idaea muricata

줄노랑흰애기자나방 Scopula superior

홍띠애기자나방 Timandra comptaria

흰띠겨울자나방 Alsophila japonensis

주머니나방과 차주머니나방 Eumeta minuscula

흰나비과 노랑나비 Colias erate poliographus

노린재목

노린재과

남쪽풀색노린재 Nezara viridula

네점박이노린재 Homalogonia obtusa

메추리노린재 Aelia fieberi

비단노린재 Euridema rugosa

풀색노린재 Nezara antennata

홍다리노린재 Pentatoma rufipes

홍보라노린재 Carpocoris purpureipennis

뽕나무노린재과 게눈긴노린재 Chauliops fallax

알노린재과눈박이알노린재 Coptosoma biguttulum

무당알노린재 Megacopta punctatissima

Page 5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4 -

표 9.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

변색장님노린재 Adelphocoris suturalis

연리초장님노린재 Adelphocoris lineolatus

초록장님노린재 Lygocoris lucorum

탈장님노린재 Eurystylus coelestialium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흑점초록장님노린재 Lygocoris viridis

허리노린재과녹두허리노린재 Homoeocerus marginiventris

큰허리노린재 Melypteryx fuliginosa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딱정벌레목

가뢰과 먹가뢰 Epicauta chinensis

거저리과 외미거저리 Alphitobius diaperinus

검정풍뎅이과

밤색우단풍뎅이 Maladera castanea

애우단풍뎅이 Maladera orientalis

우단풍뎅이 Maladerajaponica

큰검정풍뎅이 Holotrichia parallela

무당벌레과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Ancylopus pictus asiaticus

바구미과 뽕나무바구미 Scepticus insularis

방아벌레과 빗살방아벌레 Melanotus legatus

잎벌레과

검오이잎벌레 Luperodes pracustus

오이잎벌레 Aulacophora indica

외잎벌레붙이 Atrachya menetriesi

크로바잎벌레 Monolepta quadriguttata

콩바구미과잠두콩바구미 Bruchus rufimanus

팥바구미 Callosobruchus chinensis

풍뎅이과

벚나무애풍뎅이 Anomala geniculata

부산풍뎅이 Mimela fusania

우찌다풍뎅이 Popillia uchidai

콩풍뎅이 Popillia mutans

매미목

깍지벌레과 뽕나무깍지벌레 Pseudaulacaspis pentagona

매미충과

끝검은말매미충 Bothrogonia japonica

끝동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남방매미충 Alobaldia tobae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벼알락매미충 Recilia (Togacephalus) oryzae

알락매미충 Psammotettix striatus

줄친말매미충 Kolla atramentaria

초록애매미충 Empoasca vitis

선녀벌레과 선녀벌레 Geisha distinctissima

Page 5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5 -

표 9.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매미목

장삼벌레과 장삼벌레 Pentastiridius apicalis

진딧물과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보리수염진딧물 Sitobion avenae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싸리수염진딧물 Acyrthosiphon solani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raccivora

완두수염진딧물 Acyrthosiphon pisum

콩진딧물 Aphis glycines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알락귀뚜라미 Loxoblemmus arietulus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긴꼬리과 긴꼬리 Oecanthus indicus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메뚜기과

방아깨비 Acrida cinerea cinerea

벼메뚜기 Oxya japonica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모메뚜기과 모메뚜기 Tetrix japonica

섬서구메뚜기과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여치과

여치 Gampsocleis sedakovi abscura

좀쌕쌔기 Conocephalus melas

철써기 Macroscopa elongata

응애목 잎응애과 사과응애 Panonychusulmi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중국관총채벌레 Haplothrips chinensis

콩관총채벌레 Liothrips glycinicola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꽁무늬알톡토기 bourletiella hortensis

파리목굴파리과

콩잎굴파리 Liriomyza congesta

콩줄기굴파리 Melanagromyza sojae

꽃파리과 씨고자리파리 Delia platura

그림 13. 국내 옥수수 및 콩 포장에 발생하는 해충군의 구성

Page 5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6 -

나. 옥수수 및 콩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1) 옥수수

강원 홍천, 충북 괴산 및 전남 곡성지역의 옥수수 포장에서 채집된 32,191개체의

절지동물은 15목 65과 103종으로 동정되었으며(표 10), 각 지역별 군집구성은 표

11과 같다.

표 10. 옥수수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유기)

괴산(친환경) 홍천

거미목 갈거미과 민갈거미 Tetragnatha maxillosa Pre 1

게거미과 불짜게거미 Synema globosum Pre 1

대륙게거미 Xysticus ephippiatus Pre 2

멍게거미 Xysticus saganus Pre 3

깡충거미과 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canestrinii Pre 2 10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Chrysso octomaculata Pre 1

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abrupta Pre 1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Anahita fauna Pre 2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11 35 5 16

가시늑대거미 Pardosa laura Pre 1

좀늑대거미 Pirata procurvus Pre 2 1

황산적거미 Pirata subpiraticus Pre 1 11

무당거미과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Pre 18 10

염낭거미과 각시염낭거미 Clubiona kurilensis Pre 1 2 1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Nurscia albofasciata Pre 3 1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Bathyphantes gracilis Pre 1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14 7 7 16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Pre 6 5

꼬마접시거미 Meioneta rurestris Pre 1

발톱꼬마접시거미 Nippononeta ungulata Pre 2

쌍코뿔애접시거미 Paikiniana vulgaris Pre 1

나비목 명나방과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Her 15 10 29 18

밤나방과 검거세미나방 Agrotis ipsilon Her 47 2 9

벼밤나방 Sesamia inferens Her 3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er 15 19 16 35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Her 86 37 69 19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Her 7 1

Page 5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7 -

표 10.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유기)

괴산(친환경) 홍천

날애응애목 나비응애붙이과 나비응애붙이류 Galumnelidae spp. D 50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 Pre 35 119 7 24

장님노린재과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Lygocoris spinolae Pre 3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4 2 1 27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Her 1

딱정벌레목 검정풍뎅이과 부산우단풍뎅이 Maladera fusania Her 1 1

나무좀과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inus saxeseni Her 11 14 9 3

붉은목나무좀 Xyleborus rubricollis Her 2 1 2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31 3 14 3

중국머리먼지벌레 Harpalus sinicus sinicus Her/Pre 1 1

잔머리먼지벌레 Pterostichus microcephalus Pre 4

긴조롱박먼지벌레 Scarites terricola pacificus Pre 1

꼬마강변먼지벌레류 Tachyura spp. Pre 12 20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2 1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Her/Pre 17 4 7 4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Ancylopus pictus asiaticus Her 1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류 Anotylus spp. D 11 5 15 198

우리바수염반날개류 Athetini spp. D 4 66 35 19

홍딱지긴반날개류 Othius spp. Pre 7

방아벌레과 꼬마방아벌레 Aeoloderma agnata Her 5 1 5

배줄벌레과 배줄벌레류 Biphyllidae spp. D 1 4 2

뿔벌레과 뿔벌레류 Anthicidae spp. D 2 2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1 9 13 6

크로바잎벌레 Monolepta quadriguttata Her 1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71 3 4 1

풍뎅이과 카멜레온줄풍뎅이 Anomala chamaeleon Her 17

하이덴갈색줄풍뎅이 Sophrops heydeni Her 2 2

하늘소과 아무르하늘소붙이 Oedemara amurensis Her 3

매미목 매미충과 매미충류 Aphrodinae spp. Her 17 2 4 15

잡초매미충 Recilia coronifera Her 10

번개매미충 Recilia dorsalis Her 1

멸구과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Her 25 3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er 21 3 4 5

진딧물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maidis Her 50 10 16 73

기장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padi Her 105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33 6 7 67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africana Her 1

벌목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Her/Pre 148 25 5 6

Page 5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8 -

표 10.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유기)

괴산(친환경) 홍천

벌목 개미과 스미스개미 Paratrechina flavipes Pre 1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Pre 112 24 7 10

고치벌과 고치벌류 Braconidae spp. Par 12 12

굼벵이벌과 굼벵이벌류 Tiphiidae spp. Par 1

대모벌과 대모벌류 Pompilidae spp. Par 2

말벌과 말벌류 Vespidae spp. Pre 3

맵시벌과 맵시벌류 Ichneumonidae spp. Par 1 15 16

애꽃벌과 애꽃벌류 Andrenidae spp. Par 3

잎벌과 무잎벌 Athalia rosae ruficornis Pol 6 1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174 69 25 55

혹벌과 혹벌류 Cynipidae spp. Par 1 1 24

Diapriidae Diapriidae spp. Diapriidae spp. Par 3

벌목 기생벌류 Parasitic wasps Par 1 6

응애목 응애과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 Her 70 389 591

잠자리목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Pre 4

전기문목 Erithraeidae Abrolophus sp. Abrolophus sp. Par 1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Pre 3 2 24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류 Phlaeothripidae spp. Her 6 1 5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608 2739 104 240

대만총채벌레 Frankliniella intonsa Her 9 1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464 1193 20 348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Her 190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류 Sminthuridae spp. D 2 2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류 Isotomidae spp. D 15342 545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61 40

털보톡토기류 Entomobryidae spp. D 139 827

Homidia socia Homidia socia D 1 1 109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류 Sciaridae spp. Her 44 344 377 115

깔따구과 깔다구류 Chironomidae spp. G 527 615 643 285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17 9 14 23

나방파리과 나방파리류 Psychodidae spp. D 61 3 8 16

동애등에과 동애등에류 Stratiomyidae spp. G 2 2

먹파리과 먹파리류 Simuliidae spp. D 6 4 32

벼룩파리과 벼룩파리류 Phoridae spp. Par 35 16 2 49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류 Dolichopodidae spp. D 2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 112 18 120 26

파리목 파리류 Diptera spp. G 439 277 394 442

기생파리류 Parasiticflies spp. Par 19 22 49 97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Page 5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39 -

표 11. 조사지역별 옥수수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성

조사지역 구 성 발생밀도

강원 홍천 10목 48과 64종 4,011개체

괴산(유기농) 12목 41과 56종 6,420개체

괴산(친환경) 14목 44과 62종 2,856개체

전남 곡성 13목 44과 61종 18,904개체

각 지역별 옥수수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조의 유사성은 종 구성(species

composition)에서 전체 종수의 33.4%인 35종이 공통종이었다(그림 14).

그림 14. 각 지역별 옥수수 포장에서의 종 구성 공통성

옥수수 포장에서 분류군별 종수(species richness) 구성은 그림 15와 같으며,

딱정벌레목(22%), 거미목(20%), 벌목(13%) 및 노린재목과 파리목(각각 11%)의

순이었다. 그러나 발생밀도(abundance)는 톡토기목, 총채벌레목, 파리목 및 벌목의

순이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은 그림 16과 같으며, 포식천적군이 35%로

가장 풍부하였고 초식곤충군(33%), 분해자군(13%) 및 기생천적군(11%)의

순이었다.

Page 5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0 -

그림 15. 옥수수 포장에서 분류군별 군집구성

Page 5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1 -

그림 16. 옥수수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

Page 5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2 -

2) 콩

경기 파주, 충북 괴산 및 전남 곡성지역의 콩 포장에서 채집된 235,000개체의

절지동물은 13목 66과 110종으로 동정되었으며(표 12), 각 지역별 군집구성은 표

13과 같다.

표 12. 콩 포장의 절지동물군집 현황

목 과 종 명 학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관행)

괴산(유기)

파주(관행)

거미목 갈거미과 턱거미 Pachygnatha clercki Pre 8 2 2

점박이가랑갈거미 Pachygnatha quadrimaculata Pre 4

민갈거미 Tetragnatha maxillosa Pre 4 4 8

게거미과 꽃게거미 Ebrechtella tricuspidata Pre 2 2

깡충거미과 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canestrinii Pre 22 4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Chrysso octomaculata Pre 4

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abrupta Pre 6

회색꼬마거미 Paidiscura subpallens Pre 2 4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Anahita fauna Pre 2 3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44 46 156 68

가시늑대거미 Pardosa laura Pre 2 2

황산적거미 Pirata subpiraticus Pre 1

촌티늑대거미 Trochosa ruricola Pre 4

수리거미과 톱수리거미 Drassodes serratidens Pre 2 2

감숙넓적니거미 Gnaphosa kansuensis Pre 3

염낭거미과 각시염낭거미 Clubiona kurilensis Pre 2 6

왕거미과 기생왕거미 Larinioides cornutus Pre 2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Nurscia albofasciata Pre 2 2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Bathyphantes gracilis Pre 30 4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22 94 6 38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Pre 32 10 38

발톱꼬마접시거미 Nippononeta ungulata Pre 4

나비목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Her 2 2 2

콩나방 Leguminivore glycinivorella Her 2 2 28 9

콩은무늬밤나방 Macdunnoughia purissima Her 18 2 9

팥나방 Matsumuraeses phaseoli Her 8 2 10 12

날애응애목 나비응애붙이과 나비응애붙이과 일종 Galumnelidae sp. D 2 2 30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p. Pre 38 24 45 90

Page 5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3 -

표 12. 계속

목 과 종 명 학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관행)

괴산(유기)

파주(관행)

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Lygocoris spinolae Pre 2

각시장님노린재 Polymerus cognatus Pre 2 14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4 36 2 26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Her 4816 476 1838 5109

딱정벌레목 가는납작벌레과 Psammoecus sp. Psammoecus sp. - 4

나무좀과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inus saxeseni Her 2 6 2

붉은목나무좀 Xyleborus rubricollis Her 4 2 4

딱정벌레과 큰명주딱정벌레 Campalita chinense Pre 20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17 6 35 42

중국머리먼지벌레 Harpalus sinicus sinicus Her/Pre 2

금빛먼지벌레 Pterostichus coerulescensencopoleus Pre 24

잔머리먼지벌레 Pterostichus microcephalus Pre 14 6 58

꼬마강변먼지벌레류 Tachyura spp. Pre 2 6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24 8 55 13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Her/Pre 4 4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Ancylopus pictus asiaticus Her 14 12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류 Anotylus spp. Pre 44 150 86 52

우리바수염반날개류 Athetini spp. D 146 38 57 119

홍딱지긴반날개류 Othius spp. Pre 6 2 40

방아벌레과 꼬마방아벌레 Aeoloderma agnata Her 6 6 14 10

배줄벌레과 배줄벌레류 Biphyllidae spp. D 20 34 28 30

뿔벌레과 뿔벌레류 Anthicidae spp. D 2 6 26 5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79 53 51 125

두줄박이애잎벌레 Medythia nigrobilineata Her 18 4 6 28

크로바잎벌레 Monolepta quadriguttata Her 2

돼지풀잎벌레 Ophraella communa Her 21

좁은가슴잎벌레 Phaedon brassicae Her 2 4 4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6 4 8 139

풍뎅이과 하이덴갈색줄풍뎅이 Sophrops heydeni Her 4

매미목 긴날개멸구과 주홍긴날개멸구 Diostrombus politus Her 2 2

매미충과 매미충류 Aphrodinae spp. Her 226 198 240 146

말매미충 Cicadellaviridis Her 2

끝동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Her 10

잡초매미충 Recilia coronifera Her 12 21

번개매미충 Recilia dorsalis Her 40 4 1

멸구과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Her 2 2 14

Page 6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4 -

표 12. 계속

목 과 종 명 학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관행)

괴산(유기)

파주(관행)

매미목 멸구과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er 46 70 2 64

진딧물과 콩진딧물 Aphis glycines Her 332 479

목화진딧물 Aphis gossipi Her 2 231

싸리수염진딧물 Aulacorthum solani Her 112 24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50 108 108 54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africana Her 4 4

여치과 등줄어리쌕쌔기 Xizicuz coreanus Her 4 2

벌목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Her/Pre 74 2 122 2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Pre 402 140 214 16

고치벌과 고치벌류 Braconidae spp. Par 8 22 18 6

굼벵이벌과 굼벵이벌류 Tiphiidae spp. Par 4 4

꿀벌과 꿀벌 Apis mellifera Pol 10 2 19

대모벌과 대모벌류 Pompilidae spp. Par 8

말벌과 말벌류 Vespidae spp. Pre 8 4 2

맵시벌과 맵시벌류 Ichneumonidae spp. Par 22 8 12 22

애꽃벌과 애꽃벌류 Andrenidae spp. Par 2

잎벌과 무잎벌 Athaliaros aeruficornis Pol 4 8 32 151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1116 54 118 10052

총채벌과 총채벌류 Mymaridae spp. Par 2 2

혹벌과 혹벌류 Cynipidae spp. Par 12 26 38 2

Diapriidae Diapriidae sp. Diapriidae spp. Par 6 42 32 2

벌목 기생벌류 Parasitic wasps Par 12 6 20 2

잠자리목 실잠자리과 아시아실잠자리 Ischnura asiatica Pre 2 2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Pre 2 10 14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Pre 14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류 Phlaeothripidae spp. Her 28 3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7534 7907 4785 9353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3894 1586 1443 7397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Her 1370 2050 386 807

파총채벌레 Thrips tobaci Her 1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류 Ptenothrix spp. D 24

둥근톡토기류 Sminthuridae spp. D 202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류 Isotomidae spp. D 1330 76 58 107346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15716 2742 3178

Homidia socia Homidia socia D 68 1698 372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류 Sciaridae spp. Her 32 78 23 642

Page 6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5 -

표 12. 계속

목 과 종 명 학명 기능군

조사지역

곡성 괴산(관행)

괴산(유기)

파주(관행)

파리목 깔따구과 깔다구류 Chironomidae spp. G 508 504 1557 172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10 28 25 14

나방파리과 나방파리류 Psychodidae spp. D 310 3418 4084 1199

동애등에과 동애등에류 Stratiomyidae spp. G 2 30

먹파리과 먹파리류 Simuliidae spp. D 10 82 4 44

벼룩파리과 벼룩파리류 Phoridae spp. Par 18 2 8 73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류 Dolichopodidae spp. D 4 62 2 57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 940 1394 406 404

파리목 파리류 Diptera spp. G 664 3572 1081 1136

기생파리류 Parasitic flies Par 49 31 14 155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각 지역별 콩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조의 유사성은 종 구성(species

composition)에서 전체 종수의 46.4%인 51종이 공통종이었다(그림 17).

표 13. 조사지역별 콩 포장의 절지동물 군집구성

조사지역 구 성 발생밀도

경기 파주 11목 46과 71종 146,308개체

괴산(유기농) 11목 50과 74종 21,197개체

괴산(친환경) 12목 55과 79종 27,214개체

전남 곡성 13목 55과 76종 40,281개체

그림 17. 각 지역별 콩 포장에서의 종 구성 공통성

Page 6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6 -

콩 포장에서 분류군별 종수(species richness) 구성은 그림 18과 같으며,

딱정벌레목(23%), 거미목(20%), 노린재목과 벌목(각각 14%) 및 파리목(10%)의

순이었다. 그러나 발생밀도(abundance)는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톡토기목,

총채벌레목, 파리목 및 벌목의 순이었다.

콩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은 그림 19와 같으며, 포식천적군이 36%로 가장

풍부하였고 초식곤충군(33%), 분해자군(12%) 및 기생천적군(10%)의 순이었다.

Page 6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7 -

그림 18. 콩 포장에서 분류군별 군집구성

Page 6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8 -

그림 19. 콩 포장에서 기능군별 군집구성

Page 6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49 -

3.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한 기준

가.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당 작물별 포장조사종 및

실험종은 섭식부위에 따른 독성에 대한 노출가능성, 발생밀도, 먹이그물에 의한

연쇄반응 및 광지역 분포성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였다.

1) 포장조사종

옥수수와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생물다양성 또는 개체군 변동 조사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은 특정 절지동물의 경우 전문적인 분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며, 일부 분류군은 전문가일지라도 과 또는 속 수준에서만 동정이

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또는 개체군 변동을 조사할

때 동정이 비교적 가능하고 발생밀도가 높으며 광지역적 발생을 하는 분류군을

대상으로 군집구조를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되며, 본 조사결과 상기한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분류군은 옥수수에서 전체의 39.8%인 총 41종이었으며

콩에서는 전체의 34.5%인 총 38종이었다. 해당 곤충의 목록은 표 14 및 15와 같고

그 구성은 그림 20과 같다. 옥수수 포장에서 조사 대상종의 기능군별 지역적

계절적 변동은 그림 21~27과 같고 콩 포장에서 조사 대상종의 기능군별 지역적

계절적 변동은 그림 28~34와 같다. 옥수수와 콩에서 주요 조사 대상종들의 사진은

별첨 3에, 생물학적 특성은 4-1~4-3에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Page 6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0 -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거미목 무당거미과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Pre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접시거미과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나비목 명나방과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Her

밤나방과 검거세미나방 Agrotis ipsilon Her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er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Her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 Pre

장님노린재과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매미목 매미충과 매미충류 Aphrodinae spp. Her

멸구과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er

진딧물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maidis Her

딱정벌레목 나무좀과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inus saxeseni Her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Her/Pre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류 Anotylus spp. D

우리바수염반날개류 Athetini spp. D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벌목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Her/Pre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Pre

고치벌과 고치벌류 Braconidae spp. Par

맵시벌과 맵시벌류 Ichneumonidae spp. Par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응애목 응애과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 Her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Pre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Her

톡토기목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류 Isotomidae spp. D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털보톡토기류 Entomobryidae spp. D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류 Sciaridae spp. Her

깔따구과 깔다구류 Chironomidae spp. G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나방파리과 나방파리류 Psychodidae spp. D

표 14. 옥수수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분석에 필요한 최소 분류군 목록

Page 6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1 -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거미목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접시거미과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Pre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p. Pre

장님노린재과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Her

매미목 매미충과 매미충류 Aphrodinae spp. Her

진딧물과 콩진딧물 Aphis glycines Her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Her/Pre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류 Anotylus spp. Pre

우리바수염반날개류 Athetini spp. D

배줄벌레과 배줄벌레류 Biphyllidae spp. D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두줄박이애잎벌레 Medythia nigrobilineata Her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벌목 개미과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Pre

곰개미 Formica japonica

고치벌과 고치벌류 Braconidae spp. Par

꿀벌과 꿀벌 Apis mellifera Pol

맵시벌과 맵시벌류 Ichneumonidae spp. Par

잎벌과 무잎벌 Athaliaros aeruficornis Pol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혹벌과 혹벌류 Cynipidae spp. Par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Her

표 14.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먹파리과 먹파리류 Simuliidae spp. D

벼룩파리과 벼룩파리류 Phoridae spp. Par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표 15. 콩 포장에서 생물다양성 분석에 필요한 최소 분류군 목록

Page 6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2 -

표 15.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톡토기목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류 Isotomidae spp. D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파리목 깔따구과 깔다구류 Chironomidae spp. G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나방파리과 나방파리류 Psychodidae spp. D

먹파리과 먹파리류 Simuliidae spp. D

벼룩파리과 벼룩파리류 Phoridae spp. Par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류 Dolichopodidae spp. D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그림 20. 옥수수와 콩에서 선발된 조사대상 후보종의 구성

Page 6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3 -

그림 21. 옥수수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A)

Page 7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4 -

그림 22. 옥수수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B)

그림 23. 옥수수 포장에서 일반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5 -

그림 24. 옥수수 포장에서 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6 -

그림 25. 옥수수 포장에서 수분곤충군 및 초식/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그림 26. 옥수수 포장에서 기생천적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7 -

그림 27. 옥수수 포장에서 분해자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8 -

그림 28. 콩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A)

Page 7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59 -

그림 29. 콩 포장에서 초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B)

그림 30. 콩 포장에서 일반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0 -

그림 31. 콩 포장에서 포식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1 -

그림 32. 콩 포장에서 수분곤충군의 계절적 변동

그림 33. 콩 포장에서 기생천적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2 -

그림 34. 콩 포장에서 분해자군의 계절적 변동

Page 7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3 -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거미목 무당거미과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Pre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접시거미과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나비목 밤나방과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er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Her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 Pre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Her/Pre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류 Anotylus spp. D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매미목 장님노린재과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멸구과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er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벌목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꿀벌과 꿀벌 Aphis melifera Pol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Pre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톡토기목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파리목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2) 실내실험종

실내실험 대상종은 포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LMO의 독소단백질에 대한

노출가능성과 먹이그물에 의한 먹이연쇄 반응, 사육의 용이성 및 control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였으며 옥수수에서 23종(표 16), 콩에서 21종(표 17)을 각각

선발하였으며 그 구성은 그림 35와 같다.

표 16. 옥수수에 대한 실내실험 후보종

Page 8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4 -

표 17. 콩에 대한 실내실험 후보종

목 과 종 명 학 명 기능군

거미목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Pre

접시거미과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Pre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류 Orius spp. Pre

장님노린재과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Pre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Her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Pre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Pre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Her

두줄박이애잎벌레 Medythia nigrobilineata Her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Her

매미목 멸구과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er

진딧물과 콩진딧물 Aphis glycines Her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D

벌목 꿀벌과 꿀벌 Apis mellifera Pol

잎벌과 무잎벌 Athaliaros aeruficornis Pol

좀벌과 좀벌류 Eulophidae spp. Her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Her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Her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Her

톡토기목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D

파리목 꽃등에과 꽃등에류 Syrphidae spp. Pol

초파리과 초파리류 Drosophilidae spp. G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그림 35. 옥수수와 콩에서 선발된 실내실험 후보종의 구성

Page 8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5 -

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포장조사 기준

1) 절지동물군집의 종다양성 및 종수 모니터링 기준

A. 옥수수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은 그림 36과 같으며

지역별로 시기별 다소간 변동에 있어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포장 모니터링을 할 때에는

종다양성과 종수 모두 정식 후 35일 내외가 경과된 시기에 정점에 도달하며

지역별로는 6월 20일부터 7월 3일에 해당한다. 따라서 옥수수 포장에서

종다양성과 종수의 조사시기는 6월 말부터 7월 초가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36. 옥수수 포장에서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

Page 8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6 -

B. 콩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은 그림 37과 같으며

지역별로 시기별 다소간 변동에 있어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포장 모니터링을 할 때에는

종수인 경우 정식 후 45일 내외에서 정점에 도달한다. 전반적으로 이 경향은

정식 후 75일 내외까지 유지되는데 지역별로는 8월 27일부터 9월 23일에

해당한다. 종다양성의 경우, 계절적인 변동을 보이면서 대체로 정식 후 20일

내외와 80일 내외에서 2번의 정점이 나타나는데 지역별로는 8월 27일부터 9월

1일, 9월 26일부터 27일이다. 따라서 콩 포장에서 종다양성의 조사시기는 8월

말과 9월 말, 종수의 조사시기는 8월 말부터 9월 말까지가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37. 콩 포장에서 종다양성 및 종수 변동

Page 8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7 -

2) 절지동물군집 모니터링 방법

생태계에 서식하는 절지동물은 군집을 구성하는 개별종(individual species)은

생물학적․생태학적 특성 및 행동습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해야 군집 및 개체군의 야외변동을 해석할 수 있다(그림 38). 따라서

절지동물군집을 구성하는 개별종들의 적절한 모니터링 방법을 구축은 모니터링

방법간 상호 비교를 통해 가능하다.

그림 38. 절지동물군집 모니터링 기본원칙

A. 옥수수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는 표 18과 같다.

종수는 피트폴트랩과 황색점착트랩이 유사하였고 종다양성은 황색점착트랩에서

높았으며, 페로몬트랩의 경우 종특이성(species specificity)이 있기 때문에

성페로몬에 반응하는 표적곤충 단 한 종만을 포획하였다(그림 37). 주요 트랩의

포획능력은 그림 39와 같으며 트랩간 유사도는 피트폴트랩과 황색점착트랩이

33.33%로 가장 높았다(표 19). 한편 특정 분류군은 옥수수 포장에서 특정

Page 8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8 -

트랩에만 유인되었으며, 그 목록은 표 20과 같다.

표 18. 옥수수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별 모니터링 결과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h Pit E YS

거미목 갈거미과 민갈거미 Tetragnatha maxillosa       1

게거미과 불짜게거미 Synema globosum 1

대륙게거미 Xysticus ephippiatus 2

멍게거미 Xysticus saganus 3

깡충거미과 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canestrinii 2 10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Chrysso octomaculata 1

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abrupta 1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Anahita fauna 2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67

가시늑대거미 Pardosa laura 1

좀늑대거미 Pirata procurvus 3

황산적거미 Pirata subpiraticus 12

무당거미과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25 3

염낭거미과 각시염낭거미 Clubiona kurilensis 1 3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Nurscia albofasciata 4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Bathyphantes gracilis 1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44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11

꼬마접시거미 Meioneta rurestris 1

발톱꼬마접시거미 Nippononeta ungulata 2

쌍코뿔애접시거미 Paikiniana vulgaris 1

나비목 명나방과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72      밤나방과 검거세미나방 Agrotis ipsilon 55 3

벼밤나방 Sesamia inferens 3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85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211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8

날애응애목 나비응애붙이과 나비응애붙이과 일종 Galumnelidae sp.   49   1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속 일종 Orius sp.       185

장님노린재과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Lygocoris spinolae 3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34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1

딱정벌레목 검정풍뎅이과 부산우단풍뎅이 Maladera fusania 1 1

Page 8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69 -

표 18.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h Pit E YS

딱정벌레목 나무좀과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inus saxeseni 37

붉은목나무좀 Xyleborus rubricollis 5

딱정벌레과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51

중국머리먼지벌레 Harpalus sinicus sinicus 2

잔머리먼지벌레 P t e r o s t i c h u s microcephalus 4

긴조롱박먼지벌레 Scarites terricola pacificus 1

꼬마강변먼지벌레속 일종 Tachyura sp. 32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3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32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Ancylopus pictus asiaticus 1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속 일종 Anotylus sp. 9 220

우리바수염반날개족 Athetini sp. 121 3

홍딱지긴반날개속 일종 Othius sp. 7

방아벌레과 꼬마방아벌레 Aeoloderma agnata 10 1

배줄벌레과 배줄벌레과 Biphyllidae sp. 7

뿔벌레과 뿔벌레과 일종 Anthicidae sp. 4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13 16

크로바잎벌레 Monolepta quadriguttata 1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striolata 60 19

풍뎅이과 카멜레온줄풍뎅이 Anomala chamaeleon 12 5

하이덴갈색줄풍뎅이 Sophrops heydeni 3 1

하늘소과 아무르하늘소붙이 Oedemara amurensis 3

매미목 매미충과 매미충과 일종 Aphrodinae sp. 38

잡초매미충 Recilia coronifera 10

번개매미충 Recilia dorsalis 1

멸구과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28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33

진딧물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maidis 149

기장테두리진딧물 Rhopalosiphum padi 105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113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africana 1

벌목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184    스미스개미 Paratrechina flavipes 1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153

고치벌과 고치벌과 일종 Braconidae sp. 2 22

굼벵이벌과 굼벵이벌과 일종 Tiphiidae sp. 1

Page 8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0 -

표 18.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h Pit E YS

벌목 대모벌과 대모벌과 일종 pompilidaesp. 1 1

말벌과 말벌과 일종 Vespidae sp. 3

맵시벌과 맵시벌과 일종 Ichneumonidae sp. 32

벌목 기생벌 일종 Parasitic wasps 1 6

애꽃벌과 애꽃벌과 일종 Andrenidae sp. 3

잎벌과 무잎벌 Athalia rosae ruficornis 7

좀벌과 좀벌과 일종 Eulophidae sp. 323

혹벌과 혹벌과 일종 Cynipidae sp. 10 16

Diapriidae Diapriidae sp. Diapriidae sp. 2 1

응애목 응애과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   717   333

잠자리목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4

전기문목 Erithraeidae Abrolophus sp. Abrolophus sp.   1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29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과 일종 Phlaeothripidae sp.       12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10 3681

대만총채벌레 Frankliniella intonsa 10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2025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190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과 일종 Sminthuridae sp.   4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과 일종 Isotomidae sp. 15887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101

털보톡토기과 일종 Entomobryidae sp. 966

Homidia socia Homidia socia 111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 일종 Sciaridae sp.   880    깔따구과 깔다구과 일종 Chironomidae sp. 2070

꽃등에과 꽃등에과 일종 Syrphidae sp. 63

나방파리과 나방파리과 일종 Psychodidae sp. 88

동애등에과 동애등에과 일종 Stratiomyidae sp. 4

먹파리과 먹파리과 일종 Simuliidae sp. 42

벼룩파리과 벼룩파리과 일종 Phoridae sp. 102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과 일종 Dolichopodidae sp. 2

초파리과 초파리과 일종 Drosophilidae sp. 276

파리목 파리목 일종 Diptera sp. 1 1551

    기생파리 일종 Parasitic flies   1   186

Ph페로몬트랩

Pit피트폴트랩

E육안조사

YS황색점착트랩

Page 8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1 -

그림 39. 옥수수 포장에서 트랩당 포획능력

표 19. 옥수수 포장에서 채집된 절지동물군의 채집법간 유사도 분석(%)

트 랩 페로몬 피트폴 육 안 황색점착

페로몬 1.00      

피트폴 0.00 1.00    

육 안 0.00 0.00 1.00  

황색점착 3.33 33.33 3.51 1.00

표 20. 옥수수 포장에서 특정 트랩에만 유인되는 절지동물

조사방법 목 과 종 명  조사방법 목 과 종 명

피트폴 10목 25과 44종 황색점착 8목 30과 35종

거미목 게거미과 대륙게거미 거미목 갈거미과 민갈거미

멍게거미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불짜게거미 무당거미과 무당거미

꼬마거미과 가랑잎꼬마거미 나비목 밤나방과 벼밤나방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늑대거미과 가시늑대거미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속 일종

별늑대거미 장님노린재과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좀늑대거미 홍색얼룩장님노린재

황산적거미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매미목 매미충과 매미충과 일종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번개매미충

꼬마접시거미 잡초매미충

발톱꼬마접시거미 멸구과 애멸구

쌍코뿔애접시거미 흰등멸구

톱날애접시거미 진딧물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황갈애접시거미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매미목 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 무당벌레

Page 8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2 -

표 20. 계속

조사방법 목 과 종 명  조사방법 목 과 종 명

피트폴 10목 25과 44종 황색점착 8목 30과 35종

딱정벌레목 나무좀과 붉은목나무좀 딱정벌레목 배줄벌레과 배줄벌레과

암브로시아나무좀 뿔벌레과 뿔벌레과 일종

딱정벌레과 긴조롱박먼지벌레 하늘소과 아무르하늘소붙이

꼬마강변먼지벌레속 일종 벌목 굼벵이벌과 굼벵이벌과 일종

끝무늬녹색먼지벌레 말벌과 말벌과 일종

잔머리먼지벌레 맵시벌과 맵시벌과 일종

중국머리먼지벌레 애꽃벌과 애꽃벌과 일종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잎벌과 무잎벌

반날개과 홍딱지긴반날개속 일종 좀벌과 좀벌과 일종

잎벌레과 크로바잎벌레 잠자리목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과 일종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총채벌레과 꽃노랑총채벌레

벌목 개미과 곰개미 총채벌레과 싸리총채벌레

스미스개미 파리목 깔따구과 깔다구과 일종

주름개미 꽃등에과 꽃등에과 일종

전기문목 Erithraeidae Abrolophus sp. 나방파리과 나방파리과 일종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벼룩파리과 벼룩파리과 일종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대만총채벌레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과 일종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과 일종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과 일종 페로몬 1목 2과 3종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나비목 명나방과 조명나방

털보톡토기과 일종 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Homidia socia 파밤나방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 일종

동애등에과 동애등에과 일종

먹파리과 먹파리과 일종

    초파리과 초파리과 일종          

B. 콩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는 표 21와 같다.

종수와 종다양성은 모두 황색점착트랩에서 높았으며, 페로몬트랩의 경우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종특이성(species specificity)을 지녀 집합페로몬에 반응하는

표적곤충 단 한 종만을 포획하였다(그림 40). 트랩간 유사도는 토양과 예취에서

52.17%로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표 22). 한편 특정 분류군은 콩 포장에서 특정

트랩에만 유인되었으며, 그 목록은 표 23과 같다.

Page 8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3 -

표 21. 콩 포장에서 절지동물군집의 트랩별 모니터링 결과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r So Ph Pit YS

거미목 갈거미과 턱거미 Pachygnatha clercki       12  점박이가랑갈거미 Pachygnatha quadrimaculata 4

민갈거미 Tetragnatha maxillosa 1 16

게거미과 꽃게거미 Ebrechtella tricuspidata 4

깡충거미과 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canestrinii 26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Chrysso octomaculata 4

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abrupta 2 4

회색꼬마거미 Paidiscura subpallens 6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Anahita fauna 5

늑대거미과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1 314

가시늑대거미 Pardosa laura 4

황산적거미 Pirata subpiraticus 1

촌티늑대거미 Trochosa ruricola 4

수리거미과 톱수리거미 Drassodes serratidens 4

감숙넓적니거미 Gnaphosa kansuensis 3

염낭거미과 각시염낭거미 Clubiona kurilensis 1 8

왕거미과 기생왕거미 Larinioides cornutus 2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Nurscia albofasciata 4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Bathyphantes gracilis 34

톱날애접시거미 Erigone koshiensis 156 4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74 6

꼬마접시거미 Meioneta rurestris 2 2

발톱꼬마접시거미 Nippononeta ungulata 4

나비목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6

콩나방 Leguminivore glycinivorella 41

콩은무늬밤나방 Macdunnoughia purissima 29

팥나방 Matsumuraeses phaseoli 32

날개응애목 나비응애붙이과 나비응애붙이과 일종 Galumnelidae sp. 1 3   12 22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속 일종 Orius sp. 4 197

장님노린재과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Lygocoris spinolae 2

각시장님노린재 Polymerus cognatus 16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68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12234 5

딱정벌레목 가는납작벌레과 Psammoecus sp. Psammoecus sp.         4

나무좀과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inus saxeseni 8 2

붉은목나무좀 Xyleborus rubricollis 10

딱정벌레과 큰명주딱정벌레 Campalita chinense 20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micans 84 16

중국머리먼지벌레 Harpalus sinicus sinicus 2

Page 9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4 -

표 21. 계속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r So Ph Pit YS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금빛먼지벌레 Pterostichus coerulescens encopoleus 24

잔머리먼지벌레 Pterostichus microcephalus 78

꼬마강변먼지벌레속 일종 Tachyura sp. 2 8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100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8

무당벌레붙이과 무당벌레붙이 Ancylopus pictus asiaticus 14 12

반날개과 주름뿔반날개속 일종 Anotylus sp. 24 308

우리바수염반날개족 Athetini sp. 292 68

홍딱지긴반날개속 일종 Othius sp. 48

방아벌레과 꼬마방아벌레 Aeoloderma agnata 30 6

배줄벌레과 배줄벌레과 Biphyllidae sp. 112

뿔벌레과 뿔벌레과 일종 Anthicidae sp. 39

잎벌레과 딸기잎벌레 Galerucella grisescens 22 286

두줄박이애잎벌레 Medythia nigrobilineata 56

크로바잎벌레 Monolepta quadriguttata 2

돼지풀잎벌레 Ophraella communa 21

좁은가슴잎벌레 Phaedon brassicae 6 4

배추벼룩잎벌레 Phyllotreta striolata 96 61

풍뎅이과 하이덴갈색줄풍뎅이 Sophrops heydeni 4

매미목 긴날개멸구과 주홍긴날개멸구 Diostrombus politus         4

매미충과 매미충과 일종 Aphrodinae sp. 810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2

끝동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10

잡초매미충 Recilia coronifera 33

번개매미충 Recilia dorsalis 45

멸구과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18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182

진딧물과 콩진딧물 Aphis glycines 1 811

목화진딧물 Aphis gossipi 86 233

싸리수염진딧물 Aulacorthum solani 2 1 136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320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Gryllotalpa africana 8

여치과 등줄어리쌕쌔기 Xizicuz coreanus 6

벌목 개미과 곰개미 Formica japonica 1     200  주름개미 Tetramorium caespitum 772

고치벌과 고치벌과 일종 Braconidae sp. 32 22

굼벵이벌과 굼벵이벌과 일종 Tiphiidae sp. 8

꿀벌과 꿀벌 Apis mellifera 2 29

대모벌과 대모벌과 일종 pompilidae sp. 2 6

Page 9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5 -

목 과 종 명 학 명조사방법

Pr So Ph Pit YS

벌목 말벌과 말벌과 일종 Vespidae sp. 14

맵시벌과 맵시벌과 일종 Ichneumonidae sp. 2 62

벌목 기생벌 일종 Parasitic wasps 20 20

애꽃벌과 애꽃벌과 일종 Andrenidae sp. 2

잎벌과 무잎벌 Athalia rosae ruficornis 195

좀벌과 좀벌과 일종 Eulophidae sp. 1 11340

총채벌과 총채벌과 일종 Mymaridae sp. 4

혹벌과 혹벌과 일종 Cynipidae sp. 48 30

Diapriidae Diapriidae sp. Diapriidae sp. 18 64

잠자리목 실잠자리과 아시아실잠자리 Ischnura asiatica         4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26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14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과 일종 Phlaeothripidae sp.         31

총채벌레과 대관령총채벌레 Anaphothrips obscurus 3 29576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1 14320

싸리총채벌레 Megalurothrips distalis 4613

파총채벌레 Thrips tobaci 1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속 일종 Ptenothrix sp.       24  둥근톡토기과 일종 Sminthuridae sp. 202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과 일종 Isotomidae sp. 108810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Entomobrya vigintiseta 1 27 21636

Homidia socia Homidia socia 7 2138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 일종 Sciaridae sp.       775  깔따구과 깔다구과 일종 Chironomidae sp. 2741

꽃등에과 꽃등에과 일종 Syrphidae sp. 77

나방파리과 나방파리과 일종 Psychodidae sp. 9011

동애등에과 동애등에과 일종 Stratiomyidae sp. 32

먹파리과 먹파리과 일종 Simuliidae sp. 2 9 140

벼룩파리과 벼룩파리과 일종 Phoridae sp. 2 3 101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과 일종 Dolichopodidae sp. 125

초파리과 초파리과 일종 Drosophilidae sp. 3106 38

파리목 파리목 일종 Diptera sp. 6453

    기생파리 일종 Parasitic flies       20 229

Pr예취 So토양 Ph페로몬트랩 Pit피트폴트랩 YS황색점착트랩

표 21. 계속

Page 9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6 -

그림 40. 콩 포장에서 트랩별 포획능력

표 22. 콩 포장에서 채집된 절지동물군의 채집법간 유사도 분석(%)

트 랩 예 취 토 양 페로몬 피트폴 황색점착

예 취 1.00        

토 양 52.17 1.00      

페로몬 0.00 0.00 1.00    

피트폴 13.16 14.49 0.00 1.00  

황색점착 22.99 7.50 2.74 34.59 1.00

표 23. 콩 포장에서 특정 트랩에만 유인되는 절지동물 목록

조사방법 목 과 종 조사방법 목 과 종

피트폴 8목 24과 38종 황색점착 9목 35과 48종

거미목 갈거미과 점박이가랑갈거미 거미목 갈거미과 민갈거미

갈거미과 턱거미 게거미과 꽃게거미

꼬마거미과 여덟점꼬마거미 깡충거미과 수검은깡충거미

회색꼬마거미 염낭거미과 각시염낭거미

너구리거미과 너구리거미 왕거미과 기생왕거미

늑대거미과 가시늑대거미 나비목 흰나비과 배추흰나비

별늑대거미 나비목 나방1

촌티늑대거미 나방2

황산적거미 나방3

수리거미과 감숙넓적니거미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애꽃노린재속 일종

톱수리거미 장님노린재과 각시장님노린재

자갈거미과 살깃자갈거미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접시거미과 각시긴손접시거미 홍색얼룩장님노린재

발톱꼬마접시거미 매미목 긴날개멸구과 주홍긴날개멸구

딱정벌레목 나무좀과 붉은목나무좀 매미충과 끝동매미충

딱정벌레과 금빛먼지벌레 말매미충

꼬마강변먼지벌레속 일종 매미충과 일종

Page 9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7 -

표 23. 계속

조사방법 목 과 종 조사방법 목 과 종

피트폴 8목 24과 38종 황색점착 9목 35과 48종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잔머리먼지벌레 매미목 매미충과 번개매미충

중국머리먼지벌레 잡초매미충

큰명주딱정벌레 멸구과 애멸구

반날개과 홍딱지긴반날개속 일종 흰등멸구

잎벌레과 두줄박이애잎벌레 진딧물과 진딧물1

크로바잎벌레 진딧물2

풍뎅이과 하이덴갈색줄풍뎅이 콩진딧물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왕귀뚜라미 딱정벌레목 가는납작벌레과 Psammoecus sp.

땅강아지과 땅강아지 무당벌레과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벌목 개미과 곰개미 무당벌레

주름개미 배줄벌레과 배줄벌레과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 뿔벌레과 뿔벌레과 일종

총채벌레목 총채벌레과 파총채벌레 잎벌레과 돼지풀잎벌레

톡토기목 둥근톡토기과 둥근톡토기과 일종 메뚜기목 여치과 등줄어리쌕쌔기

둥근톡토기속 일종 벌목 굼벵이벌과 굼벵이벌과 일종

마디톡토기과 마디톡토기과 일종 말벌과 말벌과 일종

털보톡토기과 스무털보톡토기 애꽃벌과 애꽃벌과 일종

Homidia socia 잎벌과 무잎벌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 검정날개버섯파리 일종 좀벌과 좀벌과 일종

동애등에과 동애등에과 일종 총채벌과 총채벌과 일종

먹파리과 먹파리과 일종 잠자리목 실잠자리과 아시아실잠자리

페로몬 1목 1과 1종 잠자리과 된장잠자리

노린재목 호리허리노린재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총채벌레목 관총채벌레과 관총채벌레과 일종

총채벌레과 꽃노랑총채벌레

싸리총채벌레

파리목 깔따구과 깔다구과 일종

꽃등에과 꽃등에과 일종

나방파리과 나방파리과 일종

벼룩파리과 벼룩파리과 일종

장다리파리과 장다리파리과 일종

            파리목 파리목 일종

한편, 모니터링 방법은 트랩의 종류나 방법에 따라 샘플링 효율이나 결과가

달라질 개연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작물(upland crops)의 지상 부위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류의 모니터링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황색점착트랩과

예취조사를 콩 포장에서 비교한 결과는 종수와 종다양성 모두 황색점착트랩에서

포획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한의 시간과 노동력’이라는 모니터링의

기본원칙에 따라 지상부 절지동물군집은 황색점착트랩만으로도 충분한

Page 9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8 -

모니터링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그림 41).

또한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의 모니터링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샘플링과 피트폴트랩을 비교한 결과는 종수는 피트폴트랩이

높았지만 종다양성은 토양샘플링이 높았으며 종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그림

42). 그러나 조사환경이 자연생태계의 개방되고 다양한 식생이 자라는 지표면과

달리 비닐이나 기타 인공제조물로 멀칭된 전작물이 재배되는 농업생태계의 경우

토양의 수분함유 상태에 따라 토양샘플링은 변이의 폭이 클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절지동물의 자체 활동력에 의존하는 피트폴트랩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특정 표적곤충이 아닌 일반적인 토양생물

채집에는 피트폴트랩이 보편적으로 권장되고 있다(Ruiz 등 2008).

그림 41. 콩 포장에서 황색점착트랩과 예취조사의 포획효율 비교

Page 9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79 -

그림 42. 콩 포장에서 토양샘플링과 피트폴트랩의 포획효율 비교

3) 작물의 생육시기와 절지동물 군집의 계절발생에 따른 조사시기 및 조사횟수

A. 옥수수

전체 옥수수 포장 조사결과를 cluster 분석한 결과, 절지동물 군집의

지역성으로 인하여 조사시기를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그림 43). 따라서 각

지역별 cluster 분석을 통해 적정 조사시기 및 횟수를 추정하였다(그림 44).

SIMPROF test 결과에 의해 유의수준 5% 미만에서 그룹화가 된 시기를 통해

적정 조사횟수를 살펴보면, 곡성이 3회(유사도 52.11%), 괴산(유기농)이

2회(유사도 25.73%), 괴산(친환경)이 4회(유사도 61.94%), 그리고 홍천이

4회(유사도 51.04%)로 나타났다.

SIMPROF test 결과 유사도가 낮게 나타난 괴산(유기농) 지역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유사도 51~62% 수준에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군집 전체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고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소한 옥수수의 생육시기에

따라 3~4회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옥수수의 재배기간을 고려하면

정식 후 포장생태계가 안정되는 10일 이후부터 조사를 할 경우 약 10일 정도의

조사간격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9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0 -

그림 43. 옥수수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그림 44. 지역별 옥수수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B. 콩

콩 포장 조사 결과 역시 cluster 분석에서 절지동물 군집의 지역성으로 인하여

조사시기를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그림 45). 따라서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각 지역별 cluster 분석을 통해 적정 조사시기 및 횟수를 추정하였다(그림 46).

Page 9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1 -

SIMPROF test 결과에 의해 유의수준 5% 미만에서 그룹화가 된 시기를 통해

적정 조사 횟수를 살펴보면 곡성이 3회(유사도 55.05%), 괴산(관행)이 4회(유사도

66.28%), 괴산(유기농)이 4회(유사도 64.67%), 그리고 파주가 3회(유사도

57.98%)로 나타났다.

옥수수 포장에서의 경우와 달리 콩 포장에서의 SIMPROF test 결과 대체적으로

유사도 55~67% 수준에서 구분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군집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콩의 생육시기에 따라 최소한 3~4회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콩의 재배기간을 고려하면 정식 후 포장생태계가 안정되는 10일

이후부터 조사를 할 경우 약 15일 정도의 조사간격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45. 콩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Page 9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2 -

그림 46. 지역별 콩 포장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cluster 분석 결과

다.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Bt 독소 단백질 확보 및 인공발현

1) Bt 유전자 확보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Biochemistry의 Bacillus Genetic

Stock Center에서 구입한 Cry1(BGSC no. ECE53)과 Cry3(BGSC no. ECE131) E. coli

clone을 배양한 후, plasmid preparation과 DNA 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이들

서열을 Blast N을 통해 유전자 유사도를 확인한 결과 두 Cry toxin 모두 99%

수준으로 각각 Cry1Ac와 Cry3A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두 유전자는 Cry

toxin에 필수적인 서열인 3개의 endotoxin domain(N, M, C)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47과 48).

Page 9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3 -

그림 47. pKK223-3 vector에 cloning되어 있는 Cry1Ac 유전자의 Blast N 결과

그림 48. pKK223-3 vector에 cloning되어 있는 Cry3Aa 전자의 Blast N 결과

2)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clon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Cry1Ac와 Cry3Aa의 in vitro expression을

위해 두 유전자를 Pfu Turbo polymerase를 이용해 증폭한 결과, 약 2kb 크기의

높은 purify의 product를 확보하였다(그림 49).

Page 10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4 -

그림 49. 발현을 위해 증폭한 Cry1Ac(A) 및 Cry3Aa(B) 유전자

두 Cry toxin 유전자의 5’에 Kozak sequence를 포함하여 증폭한 product를 발현

vector인 pIB/V5-His TOPO® TA에 cloning을 실시하였고, 이들 유전자의 발현

vector으로의 성공적 삽입 여부와 Cry 유전자 서열 확인을 위해 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유전자 모두 TATA box, Kozak sequence와 His tag 모두

확인되었고(그림 50과 51), 3개의 toxin domain 서열이 모두 확인되었다(그림 52와

53).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해 발현 준비가 완료된 Cry1Ac와 Cry3Aa E.

coli clone은 50% glycerol stock solution에 의해 –75℃에서 보관중이다.

그림 50.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1Ac 유전자 sequencing을 통해 확인한

TATA box, Kozak sequence와 His-tag

Page 10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5 -

그림 51.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3Aa 유전자 sequencing을 통해 확인한

TATA box, Kozak sequence와 His-tag

그림 52.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1Ac 유전자의 sequencing 결과

Page 10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6 -

그림 53. pIB/V5 발현 vector에 cloning된 Cry3Aa 유전자의 sequencing 결과

3)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positive control 예비 발현실험

Invitrogen에서 구입한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해 외래단백질의 발현이

본 연구실에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kit에서 제공한 positive control을

이용하여 발현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Sf9 cell에서 positive control을 발현시킨

후 확보한 단백질에서 His-tag 항체를 이용한 native-PAGE 후 실시한 western

blotting 결과, vector를 제외한 cell fectin만 접종한 negative control에서는 단백질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positive control에서는 His-tag 항체와 반응하는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접종한 positive control vector의 농도는 1 μg에서 10 μg까지 발현량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그림 54) 이는 추후 실험에서 고농도의

발현 vector의 접종이 필수적이지 않음을 시사한다. Positive control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 예비 실험 결과, 본 연구실에서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통한

Cry 단백질과 같은 외래단백질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Page 10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7 -

그림 54. Positive control을 이용한 발현 예비실험 결과

4) Cry1Ac와 Cry3Aa 단백질의 인공발현

Positive control과 동일한 조건으로 Cry 단백질을 발현한 결과, SDS-PAGE 또는

native-PAGE 후에 실시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서 인공 발현된 Cry 단백질을

확인 할 수가 없었다. 이는 낮은 transfection의 효율에 의해 발현 vector가 전이된

세포의 수가 transfection에 실패한 세포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예상되어 발현된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으로 검출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발현 vector가 transfection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배양하기 위해 blasticid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 vector의 특징을 이용하여 blasticidin 처리를

실시하였다. Transfection된 세포의 안정화를 위해 transfection 24시간 후

blasticidin을 처리한 결과, blasticidin을 처리하고 2일 이내에 어떠한 vector도

처리하지 않았던 negative control 세포의 100% 사멸이 관찰되었고, 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 발현 vector가 transfection된 세포주들에서는 생존한 세포와 사멸한

세포가 공존하였다.

사멸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10일 동안 3차례 배양배지(blasticidin 포함)를

교환해준 결과, 생존세포(transfection 성공 세포)는 대량으로 배양되었다. Blasticidin

선별 후 대량 배양된 세포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대상으로 SDS-PAGE와 Western

Page 10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8 -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예상된 Cry 단백질의 active domain의 분자크기인 약 70

kDa 수준의 single band가 확인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Cry 단백질이

성공적으로 인공발현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그림 55A). Native-PAGE 실시 후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Cry1Ac, Cry3Aa 모두 his-tag 항체와

반응하였다(그림 55B). 이는 단백질을 변성하지 않고도 his-tag 항체와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본 결과는 추후 Cry 단백질의 인공 대량 발현 시 분리, 정제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림 55. 인공발현 한 Cry1Ac 및 Cry3Aa 단백질의 SDS-PAGE (A)와 Native-PAGE

(B) 후 실시한 Western blotting 결과

4.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해유형 분석

유전자변형작물의 관리와 관련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방출에 따르는 피해유형은 외래침입식물의 전파에 따르는 피해유형이나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과 기본적으로는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0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89 -

가. 외래침입식물 및 생태계 교란식물 현황과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국립식물검역원(2010)은 현재 국내 외래침입식물(Invasive alien plants)로

돌소리쟁이(Rumex obtusifolius) 등 30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국화과가

13종으로 가장 많고 화본과, 마디풀과, 비름과, 십자화과가 각 2종 등이었다(그림

56). 환경부령 제491호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2에는

애기수영(R. acetosella) 등 12종을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하고 있다(표 24).

그림 56.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구성

표 24. 국내 외래침입식물 현황

종 명 학 명 비 고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생태계교란종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가는털비름 Amaranthus patulus

가시비름 Amaranthus spinosus

재쑥 Descurainia sophia

유럽장대 Sisymbrium officinale

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

가시박 Sicyos angulatus 생태계교란종

미국좀부처꽃 Ammannia coccinea

Page 10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0 -

표 24. 계속

종 명 학 명 비 고

나도독미나리 Conium maculatum

미국실새삼 Cuscuta pentagona

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생태계교란종

미국외풀 Lindernia dubia

돼지풀 Ambrosia artemisiaefolia 생태계교란종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생태계교란종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생태계교란종

큰비자루국화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지느러미엉겅퀴 Carduus crispus

망초 Conyza canadensis

서양등골나물 Eupato riumrugosum 생태계교란종

서양금혼초 Hypochaeris radicata 생태계교란종

가시상추(가시상치) Lactuca serriola 생태계교란종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생태계교란종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큰도꼬마리 Xanthium canadense

미국개기장 Panicum dichotomiflorum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생태계교란종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생태계교란종

외래침입식물은 현재 국내 농업생태계 등 6개 생태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표 25) 피해유형으로는 축산피해와 농업피해 등 5개의 피해분야로

구분되었고(표 26), 피해유형 중 농업과 축산피해 및 생태계교란 등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립식물검역원 2010)(그림 57).

표 25.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생태환경별 분포현황

생태환경 장 소

농업생태계 과수원, 논, 논둑, 농수로, 밭, 밭둑, 습전, 휴경논, 휴경밭

축산생태계 목장 주변, 목초지

산림생태계 산기슭

수변생태계 습지, 저수지, 제방, 하천변

공공생태계 공원, 길가, 도로변

기타 건조지, 공한지, 잔디밭, 조경지

Page 10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1 -

표 26.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

피해분야 피해유형

축산피해질병 유발, 중독사, 가축의 섭식 기피로 확산촉진, 목초류의 생육과 발생

억제, 우유의 품질 저하 및 유량 감소, 조사료 생산에 피해

공공위생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치명적 독성

농업피해자생생태계 교란, 경합해와 상호대립억제작용으로 인한 수량감소, 농수로

에 유입되면서 물의 흐름 방해, 농작업 방해

생태계교란생물다양성 감소, 경관 변화 및 단순화, 하계일년생 자생식물의 출현을 억

제하여 생태계를 교란

기타도로변 광엽작물 재배지 및 화훼류에 피해, 방제작업 곤란, 잔디의 생육

방해, 제초제 저항성으로 방제에 어려움

그림 57. 국내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 비중

외래침입식물의 피해유형은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에는 구한말 개항(1876) 이후 유입된 잡초를 외래잡초로

구분하고 있으며 총 37과 315종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 외래잡초는 원산지가 다른

나라인 잡초로 천적이 없는 상태이므로 기후조건만 맞으면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농경지 뿐 아니라 도로나 시설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태환경에 적응․서식하고 있으며 그 피해유형은 표 27과 같다(구 등 2006, 이 등

2012).

Page 10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2 -

표 27. 일반잡초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

생태환경 피해유형

농업생태계

․ 작물의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 수분, 광, 양분 등의 경합해, 혼입과

부착해

․ 유해물질 분비: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 기생(paratisism)․ 병해충의 매개: 병해충의 월동처 및 서식처 제공

․ 농작업 환경의 악화

․ 물 관리피해: 유속 및 유량저하

축산생태계

․ 독성물질의 사료 혼입

․ 줄기나 열매의 가시에 의한 상처

․ 가축이 먹으면 중독이 되어 발육에 지장

공공시설물 ․ 고속도로나 철로 등의 시설에 발생하는 잡초 제거비용 증가

경관악화 ․ 조경관리상 비용증가

사람에 피해․ 줄기나 열매의 가시에 의한 상처

․ 꽃가루 알레르기

나.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유형

미국의 환경보호국(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해충을 기피,

박멸, 방제하기 위한 목적의 유전공학적으로 생산된 식물은 살충제로 분류하며

연방 살충제, 살균제 및 살서제법(FIFRA, 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에 의해 규제하고 있고 유전자변형작물은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환경보호규정 40 CFR § 174.3에는 병해충의 피해로부터 식물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산하는 농약성분 또는 농약성분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유전물질을 식물기원농약(PIPs, plant-incorporated protectants)으로 정의하고

살충제로 규정하고 있으며 병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도 이 범주에 속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1993)는 유전공학적으로 개발된 식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6가지로

제시하였다(유전자 전이, 잡초화, 고유독성, 유전 및 표현형질적 변이, 병원균의

Page 10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3 -

생물학적 매개체 혹은 유전물질로서의 역할 및 사람에 대한 안전성). 또한 주요

OECD 회원국들은 LMO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생태계 내에서 다른 생물체와의

잠재적 상호작용, 특히 인간이나 동물 및 다른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가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으로는

생물의 진화 교란, 생물다양성의 파괴, 유전자변형식물의 잡초화, 유전자변형식물

저항성 병해충 및 잡초의 출현, 유사 분류군 혹은 비표적생물체로의 유전자 전이,

2차적 또는 비표적생물체에 대한 부작용 등이 과거부터 거론되어 왔다(Agbios

2001).

국내에서는 농촌진흥청(2006)이 외국에서 일어난 유전자변형식물의 몇 가지

부정적인 사례를 보고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료용 승인용도를 넘어서

식용으로 이용함으로써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한 ‘스타링크옥수수 사건’,

안전성 심사를 거치지 않은 유전자변형옥수수의 혼입(Bt 11과 Bt 10), 멕시코에서

발생하였던 유전자변형옥수수의 유전자 전이에 의한 토종옥수수 오염,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변형애기장대(Arabidopsis thallana)의 유전자 이동,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옥수수의 풀잠자리와 제왕나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제초제저항성

사탕무우가 종달새 개체군의 감소를 유발, 유전자변형작물의 유전자 전이로 인한

잡초종의 슈퍼 잡초화, 유전자변형유채로부터 꿀벌로의 유전자 전이,

유전자변형감자의 독성으로 인한 쥐들의 면역기관의 손상 등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LMO의 안전성 심사와 유통관리를 강화하면 사용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전자변형작물의 유전자 전이로 인한

슈퍼 잡초화 등의 문제는 아직 불확실성이 많아 현재 상태에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여전히 논쟁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LMO 또는 도입유전자산물(독소단백질)이 비표적곤충 및 천적

곤충에 미치는 영향 평가가 여전히 진행 중이며 LMO의 종류와 대상 곤충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으나, 그 결과는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Page 11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4 -

있다. 작물별로 살펴보면, Bt옥수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표적해충의

기생률이 낮아졌다거나(Bourguet 등, 2002), 발생밀도가 Bt옥수수 포장에서 낮다고

보고된 경우가 있으나(Wold 등, 2001; Jasinski 등, 2003), 이를 제외한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비표적 절지동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Orr and Landis, 1997; Pilcher 등, 1997; Hilbeck 등, 1998; Bourguet 등, 2002;

Dutton 등, 2002; Musser and Shelton 2003; Pons and Stary 2003; Candolfi 등, 2004;

Romeis 등, 2004; Meissle and Lang 2005; Pons 등, 2005; Farinós 등, 2008; Li 등,

2008). Bt목화의 경우에서도 일부 연구에서 곤충군집의 다양성이 더 낮아졌다는

보고가 있지만(Cui and Xia, 2000) 천적 노린재류의 개체군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Torres and Ruberson, 2006; Torres and Ruberson, 2008), Bt목화의 화분을

섭식한 유용곤충인 꿀벌(일벌)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iu 등, 2005). 또한 국내에서도 개발된 바 있는 Bt 독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변형배추가 비표적 곤충인 도둑나방과 그 천적인 기생봉에 미치는

영향평가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omeis 등, 2006; Kim

등, 2008).

다만 유전자 전이와 관련된 우려와 경고에 대한 보고가 시작된 이래(Williamson

1992, 1993, Darmency 1994, Mikkelsen 등 1996, Nickson and Head 1999, Beringer

2000, Barton and Dracup 2000, Raybould 2001, Conner 등 2003, Arnaud 등 2003,

Desplanque and Cuguen 2003, Chen 등 2004, Ervin and Welsh 2006) 유전자의 흐름

및 그 현상에 대한 고찰이 있었으며(Wiliamson 1994, Desplanque 등 2002, Viard 등

2002, Stewart 등 2003, Singh 등 2006, Sanvido 등 2007, Warwick 등 2009, Kawata

등 2009), 실제로 고추(김 등 2009), 벼(Shivrai 등 2007), 옥수수(Porta 등 2008, Van

de Wiel 등 2009), 유채(Hüsken과 Dietz-Pfeilstetter 2007, Colbach 등 2009, Sausse

등 2012), 콩(Mizuguti 등 2010, Yoshimura 2011) 및 해바라기(Ureta 등 2008) 등

이미 많은 작물에서 유전자 변이가 보고되어 왔다. LMO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을 구분하면 표 28과 같다.

Page 11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5 -

표 28. LMO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

생태환경 피해유형

농업생태계

․ 잡초화를 통한 작물과의 경쟁

․ 병원균의 생물학적 매개체 혹은 유전물질로서의 역할

․ 유전자변형식물의 잡초화

․ 유전자변형식물저항성 병해충 및 잡초의 출현

․ 토종작물 오염

․ 천적에 부정적 영향

․ 근연 잡초종의 슈퍼 잡초화

축산생태계 ․ 고유독성

경관악화 ․ 생물다양성의 파괴

사람에 피해

․ 고유독성

․ 사람에 대한 안전성

․ 알레르기를 유발

유전환경

․ 비표적생물체로의 유전자 전이

․ 유전 및 표현형질적 변이

․ 생물의 진화 교란

다. 유전자변형작물과 외래침입식물 및 일반 자생잡초의 피해유형 분석

외래침입식물과 일반잡초 및 LMO의 피해유형을 구분하여 비교하면 표 29와

같으며(OECD 1993, Agbios 2001, 구 등 2006, 국립식물검역원 2010, 이 등 2012), LMO

자체의 잡초화는 외래침입식물이 유입되어 잡초화하여 일반잡초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과

유사하지만 천적이나 척추동물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온다거나 유전자 전이 및 유전자

전이로 인한 근연종의 슈퍼 잡초화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따라서 현재까지

LMO의 환경위해는 유전자변형식물체로서 잡초가 갖는 일부 속성만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향후 LMO의 자연생태계 및 농업생태계에서의 안전성 관리정책 수립시

다양한 LMO에서 보고되고 있는 유전자 전이에 대한 위해성 및 생물․생태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age 11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6 -

표 29. 외래침입식물과 잡초 및 LMO의 생태환경별 피해유형의 비교

피해분야 피해유형 일반잡초 침입외래식물 LMO

농업피해

자생생태계 교란 ○

경합해와 타감작용으로 인한 수량감소 ○ ○ ○

농수로에 유입되면서 물의 흐름 방해 ○ ○

농작업 방해 ○ ○

잡초화 ○

축산피해

질병 유발 ○ ○

중독사 ○

가축의 섭식 기피로 확산촉진 ○

목초류의 생육과 발생 억제 ○ ○

우유의 품질 저하 및 유량 감소 ○ ○

조사료 생산에 피해 ○

공공위생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 ○

치명적 독성 ○

생태계교란

생물다양성 감소 ○ ○

경관 변화 및 단순화 ○

하계일년생 자생식물의 출현을 억제하여 생태계를 교란

기타

도로변 광엽작물 재배지 및 화훼류에 피해

○ ○

방제작업 곤란 ○ ○ ○

잔디의 생육 방해 ○

제초제 저항성으로 방제에 어려움 ○ ○

유전환경유전자 전이 ○

근연종의 슈퍼 잡초화

Page 11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IV. 결 론

Page 11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11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99 -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작물은 표적해충의 밀도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해충과 관련된

먹이그물 및 영양단계 안에 있는 모든 비표적생물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여전히 우려되고 있어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 및 천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있는 위해성평가 기술의 개발은 국가적으로나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작물의 생산물에 대한 안전성의 증명이나 소비자의 신뢰제고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심사는 과학적 근거에 의해, 사례별, 단계별

원칙에 근거하여 큰 항목은 정해져 있으나 분야별 세부항목은 국제적으로도 아직까지

표준화되지 못한 실정이며, 국내에서도 세부항목 결정을 위한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생물 심사시 국내 자연생태계 위해성을 고려한

농작물 생산과정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절지동물군집에 미치는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및 관련자료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전자변형생물 심사의 객관성을 높이고 국제조화를 고려한 세부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로 도입되는 주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해 평가단계 및 평가항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및 연구동향과 국내 작물재배 현황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에 대한

위해성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유전자변형생물과 관련된 환경위해성 평가/심사자료를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평가요소 및 평가대상 분류군을 파악하였고 국내 곤충상

영향평가 대상종 선정을 위해 옥수수와 콩에서 작물별 곤충군집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미국 EPA 독성평가시스템(Tier system)의 국내적용을 위해 작물별

섭식부위에 따른 독성에 대한 노출가능성, 발생밀도, 먹이그물에 의한 연쇄반응 및

광지역 분포성 등을 고려하여 포장조사종을, LMO의 독소단백질에 대한 노출가능성과

먹이그물에 의한 먹이연쇄 반응, 사육의 용이성 및 control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실내실험 대상종을 선발하였다. 또한 비표적절지동물의 포장조사 기준으로 모니터링

시기와 방법을 제시하였고 작물의 생육시기와 절지동물 군집의 계절발생에 따른

조사시기 및 조사횟수를 제시하였다.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Bt

유전자를 확보하였으며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cloning을 실시하였다. 또한

Page 11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0 -

Bt 독소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위한 positive control 예비 발현실험과 Cry1Ac와 Cry3Aa

단백질의 인공발현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내 외래침입식물과

일반 자생잡초 및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를 유형화하여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유전자변형작물의 피해사례는 보고된 바 없지만 향후 유전자변형작물의

자연생태계 및 농업생태계에서의 안전성 관리정책 수립시 과학계에서 여전히 우려하고 있는

유전자 전이에 대한 결과에 대해서는 그에 따른 위해성 및 생물․생태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유전자변형작물의 위해성평가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포장

및 실험실에서의 평가단계, 평가항목, 평가방법 등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과학적

근거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11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Page 11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11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3 -

본 연구는 국내로 도입되는 주요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비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환경위해성 평가단계 및

평가항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및 연구동향과 국내 작물재배 현황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작물의 비표적곤충에 대한 위해성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이 기대된다.

가. 국내 옥수수와 콩에서의 절지동물군집 현황자료로 활용

나.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의 일환으로 LM작물을 섭식한 비표적곤충과 천적

곤충과의 상호 관계를 통해 LM작물이 자연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생태학적 기초 정보 제공

다. 국내로 도입되는 유전자변형농산물의 수입이 증가추세에 있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한 유전자변형작물을 개발 중에 있어 이를 평가하거나 심사할

수 있는 위해성평가 기준의 마련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

라. 환경부에서 유전자변형작물의 위해성 심사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자연생태계의

안전한 보존과 생명공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건전한 생태환경을 유지하는데 기여

마. 국내 LMO의 수입과 개발에 수반되는 각종 규제와 행정절차에 대한 안전관리관련 규제

지침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

바.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작물의 위해성평가 기술 개발시 선행 protocol로 활용 가능

사. 유전자변형작물의 수입과 개발 및 상업화에 따라 적절한 안전성평가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투명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소비자에게 제공

Page 12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4 -

Page 12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VI. 참고문헌

Page 12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12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7 -

Agbios, 2001. Essential Biosafety. Vol. 1 No. 1. Merkville, Canada.

Arnaud JF, Viard F, Desplanque B and J Cuguen, 2003. Evidence for gene flow via seed

dispersal from crop to wild relatives in Beta vulgaris (Chenopodiaceae): consequences

for the release of genetically modified crop species with weedy lineag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0: 1565-1571.

Barton JE and M Dracup, 2000.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the environment.

Agronomy Journal 92: 797-803.

Beringer JE, 2000. Releas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ill any harm outweigh any

advantag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 207-214.

Bourguet D, Chaufaux J, Micoud A, Delos M, Naibo B, Bombarde F, Marque G, Eychenne

N and C Pagliari. 2002. Ostrinia nubilalis parasitism and the field abundance of

non-target insects in transgenic Bacillus thuringiensis corn (Zea mays). Environ.

Biosafety Res. 1: 49-60.

Bray JR and C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Candolfi MP, Brown K, Grimm C, Reber B and H Schmidli. 2004. A faunistic approach to

assess potential side-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Bt-corn on non-target arthropods

under field conditions. Biocontrol Sci. Technol. 14: 129-170.

Chen LJ, Lee DS, Song ZP, Suh HS and BR Lu, 2004. Gene Flow from Cultivated Rice

(Oryza sativa) to its Weedy and Wild Relatives. Annals of Botany 93: 67-73.

Clarke KR, Somerfield PJ and RN Gorley, 2008. Testing of null hypotheses in exploratory

community analyses: Similarity profiles and biota-environment linkage. J. Exp. Mar.

Biol. Ecol. 366: 56-69.

Clarke, KR and RN Gorley, 2005. Primer-E version 6.0.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Colbach N, Devaux C and F Angevin, 2009.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iency of buffer

zones and harvest discarding on gene flow containment in oilseed rape. A modelling

approach. Europ. J. Agronomy 30: 187-198.

Page 12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8 -

Conner AJ, Glare TR and JP Nap, 2003. The release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to the

environment. The Plant Journal 33: 19-46.

Croon KA, 1995.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Insect protected Corn

(Zea mays L.) with the CryIA(b)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enebrionis.

467pp.

Croon KA, 1996.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Insect-protected

Roundup ready Corn Line Mon802. 293pp.

Croon TA, 1996. Addition of Two Genetically Engineered Insect Resistant Corn Lines to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83pp.

Cui JJ, Xia JY 2000. Effects of transgenic Bt cotton R93-6 on the insect community. Acta

Entomol. Sinica. 43:43-51.

Darmency H. 1994. The impact of hybrids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crop plants and

their related species: introgression and weediness. Molecular Ecology 3: 37-40.

Desplanque B, Hautekèete N and H Van Dijk, 2002. Transgenic weed beets: possible,

probable, avoidabl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9(4): 561-571.

Dutton A, Klein H, Romeis J and F Bigler. 2002. Uptake of Bt-toxin by herbivores feeding

on transgenic maize and consequences for the predator Chrysoperla carnea. Ecol.

Entomol. 27: 441-447.

Emlay D, 1997.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BXN with Bt Cotton.

61pp.

Ervin DE and R Welsh, 2006. Environmental 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differentiated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Just, RE, Alston, JM, Zilberman,

D (Eds.). Regulating Agricultural Biotechnology: Economics and Policy Series Vol.

30. pp301-326.

Farinós GP, Poza M, Hernandez-Crespo P, Ortego F and P Castañera. 2008. Diversity and

seasonal phenology of aboveground arthropods in conventional and transgenic maize

crops in Central Spain. BioControl 44: 362-371.

Faudin AS, 1995.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Insect Protected

Page 12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09 -

Corn (Zea mays L) Expressing the CryIA(b) Gen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192pp.

Hilbeck A, Baumgartner M, Fried PM and F Bigler. 1998. Effects of transgenic Bacillus

thuringiensis corn-fed prey on mortality and development time of immature

Chrysoperla carnea (Neuroptera: Chrysopidae). Environ. Entomol. 27: 480-487.

Hoffman NE, 2006. Pet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MON 89034.

314pp.

Hunst PL, 2003. Application for an Extension of the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B.t. Cry1F Insect-Resistant, Glufosinate-Tolerant Maize (00-136-01p): Maize

Line 6275. 128pp.

Hunst PL, 2003. Applic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B.t.

Cry34/35Ab1 Insect-Resistant, Glufosinate-Tolerant Corn: Corn Line 59122. 237pp.

Hüsken A and A Dietz-Pfeilstetter, 2007. Pollen-mediated intraspecific gene flow from

herbicide resistant oilseed rape(Brassica napus L.). Transgenic Res. 16: 557-569.

ISAAA. 2011. Executive summary: Brief 43,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36pp.

James, Clive. 2010.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0. ISAAA

Brief No. 42. ISAAA: Ithaca, NY.

Jasinski JR, Eisley JB, Young CE, Kovach J and H Willson. 2003. Select nontarget

arthropod abundance i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field crops in Ohio. Environ.

Entomol. 32: 407-413.

Kawata M, Murakami K and T Ishikawa, 2009. Dispersal and persistence of genetically

modified oilseed rape around Japanese harbor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16: 120-126.

Kim CG, Park KW, Lee BK, Kim DI, Park JY, Kim HJ, Park JE, An JH, Cho KH, Jeong

SC, Choi KH, Harn CH and HM Kim, 2009.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to conventional chili pepper(Capsicum annuum L.). Plant Science. 176: 406-412.

Kim YH, Kang JS, Kim JI, Kwon M, Lee SH, Cho HS and SH Lee, 2008. Effects of Bt

Page 12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0 -

Transgenic Chinese Cabbage on the Herbivore Mamestra brassicae (Lepidoptea:

Noctuidae) and Its Parasitoid Microplitis mediator (Hymenoptera: Braconidae). J.

Econ. Entomol. 101(4): 1134-1139.

Li YH, Meissle M, Romeis J 2008. Consumption of Bt maize pollen expressing Cry1Ab or

Cry3Bb1 does not harm adult green lacewings, Chrysoperla carnea (Neuroptera:

Chrysopidae). PLoS One 3, e2909.

Liu B, Xu C, Yan F and R Gong. 2005. The impacts of the pollen of insect-resistant

transgenic cotton on honeybees. Biodiv. Conserv. 14: 3487-3496.

Liu XX, Zhang QW, Zhao JZ, Li HC, Xu BL and XM Ma, 2005 Effects of Bt transgenic

cotton lines on the cotton bollworm parasitoid Microplitis mediator in the laboratory.

Biol. Control 35: 134–141. (doi:10.1016/j.biocontrol.2005.08.006)

Lotstein R, 1994.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of Ciba seed's corn

genetically engineered to express the CryIA(B) Prote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ecies kurstaki. 279pp.

Lövei GL and S Arpaia. 2005. The impact of transgenic plants on natural enemies: a

critical review of laboratory studies. Entomol. Exp. Appl., 114: 1-14.

MacIntosh SC, 1997.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BTCry9C Insect

Resistant, Glufosinate Tolerant Corn Transformation Event CBH-351. 228pp.

Meissle M and A Lang. 2005. Comparing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t maize and

insecticide on spider assemblages. Agric. Ecosyst. Environ. 107: 359-370.

Mikkelsen TR, Andersen B and RB Joergensen, 1996. The risk of crop transgene spread.

Nature 380(6569): 31.

Mizuguti A, Ohigashi K, Yoshimura Y, Kaga A, Kuroda Y, K and Matsuo, 2010.

Hybridization between GM soybean (Glycine max (L.) Merr.) and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et Zucc.) under field conditions in Japan. Environ. Biosafety Res.

9: 13-23.

Musser FR and AM Shelton. 2003. Bt sweet corn and selective insecticides: impacts on

pests and predators. J. Econ. Entomol. 96: 71-80.

Page 12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1 -

Naranjo SE. 2009. Impacts of Bt crops on non-target invertebrates and insecticideuse

patterns. Perspect. Agric. Vet. Sci. Nutrit. Nat. Resour 4(11): 1-23.

Nickson TE and GP Head, 1999. Environmental monitoring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1: 101-105.

OECD, 1993. Safety considerations for Biotechnology: Scale-up of Crop plants. OECD,

France.

Orr DB and DA Landis. 1997. Oviposition of European corn borer (Lepidoptera: Pyralidae)

and impact of natural enemy populations in transgenic versus isogenic corn. J. Econ.

Entomol. 90: 905-909.

Payne J, 2000.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B.t. Cry1F

Insect-resistant, Glufosinate-Tolerant Maize Line 1507. 94pp.

Pilcher CD, Obrycki JJ, Rice ME and LC Lewis. 1997. Preimaginal development, survival,

and field abundance of insect predators on transgenic Bacillus thuringinesis corn.

Environ. Entomol. 26: 446-454.

Pons X and P Stary. 2003. Spring aphid-parasitoid (Hom., Aphididae, Hym., Braconidae)

associations and interactions in a Mediterranean arable crop ecosystem, including Bt

maize. J. Pest Sci. 76: 133-138

Pons X, Lumbierres B, Lopez C and R Albajes. 2005. Abundance of nontarget pests in

transgenic Bt-maize: A farm scale study. Eur. J. Entomol. 102: 73-79.

Porta GD, Ederle D, Bucchini L, Prandi M, Verderio A and C Pozzi, 2008. Maize pollen

mediated gene flow in the Po valley (Italy): Source-recipient distance and effert of

flowering time. Europ. J. Agronomy. 28: 255-265.

Raybould A. 2001.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crops. Pesticide Outlook 12(5):

177-180.

Romeis J, Meissle M and F Bigler. 2004. Bacillus thuringiensis toxin (Cry1AB) has no

direct effect on larvae of the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 (Stephens)

(Neuroptera: Chrysopidae). J. Insect Physiol 50: 175-183.

Romies J, Meissle M and F. Bigler, 2006. Transgenic crops expressing Bacillus

Page 12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2 -

thuringiensis toxins and biological control. Nat. biotechnol. 24: 749-751.

Romies J, Meissle M and F Bigler, 2006. Transgenic crops expressing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and biological control. Nat. biotechnol. 24: 749-751.

Ruiz N, Lavelle P and J Jimenez, 2008. Soil Macrofauna Field Manual/Technical level.

FAO, Rome. 113pp.

Sanvido O, Romeis J and F Bigler, 2007. Ecological impac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ten years of field research and commercial cultivation. Advances in Biochemical

Engineering / Biotechnology 107: 235-278.

Sausse C, Colbach N, Young MW and GR Squire, 2012. How to manage the impact gene

flow on oilseed rape grain quality? Simulation case studies of three contrasted

landscapes. Europ. J. Agronomy 38: 32-42.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Recent contributions to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6pp.

Shivrain VK, Burgos NR, Anders MM, Rajguru SN, Moore J and MA Sales, 2007. Gene

flow between ClearfieldTM and red rice. Crop protection 26: 349-356.

Sidhu RS, 2004. Pet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MON 88017

Corn. 278pp.

Singh OV, Ghai S, Paul D and RK Jain, 2006. Genetically modified crops: success, safety

assessment, and public concern.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71: 598–

607.

Spencer TM, 1996.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Insect protected Corn

(Zea mays L.) with the CryIA(c) Gen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124pp.

Steiner HY, 2006. Peti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_Corn Rootworm

protected Transformation Event MIR604 Revised. 475pp.

Stewart Jr. CN, Halfhill M and SI Warwick, 2003. Transgene introgression from genetically

modified crops to their wild relatives. Nature Reviews Genetics 4: 806-817.

Torres JB and JR Ruberson. 2006. Interactions of Bt-cotton and the omnivorous big-eyed

Page 12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3 -

bug Geocoris punctipes (Say), a key predator in cotton fields. Biol. Control 39:

47-57.

Torres JB and JR Ruberson. 2008. Interactions of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toxin in

genetically engineered cotton with predatory heteropterans. Trans Res. 17: 345-54.

Ureta MS, Carrera AD, Cantamutto MA and MM Poverene, 2008. Gene flow among wild

and cultivated sunflower, Helianthus annuus in Argentina. Agric. Ecosyst. Environ.

123: 343-349.

Van De Wiel CCM, Groeneveld RMW, Dolstra O, Kok EJ, Scholtens IMJ, Thissen JTNM,

Smulders MJM, LAP Lotz, 2009 Pollen-mediated gene flow in maize tested for

coexistence of GM and non-GM crops in the Netherlands: effect of isolation

distances between fields. NJAS-Wageningen Journal of Life Sciences 56(4): 405-423.

Viard F, Bernard J and B Desplanque, 2002. Crop-weed interactions in the Beta vulgaris

complex at a local scale: allelic diversity and gene flow within sugar beet fields.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104: 688-697.

Vojtech E, Meissle M and GM Poppy, 2005. Effects of Bt maize on the herbivore

Spodoptera littoralis (Lepidoptera: Noctuidae) and the parasitoid Cotesia

marginiventris (Hymenoptera: Braconidae). Trans. Res. 14(2): 133-144.

Ward DP, 2007.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Insect-Resistant

MIR162 Maize. 271pp.

Warwick SI, Beckie HJ and LM Hall, 2009. Gene flow, invasiveness, and ecological impact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68:

72-99.

Williamson M, 1992. Environmental risks from the releas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the need for molecular ecology. Molecular Ecology 1: 3-8.

Williamson M, 1993. Invaders, weeds and the risk from genetically manipulated organisms.

Experientia 49: 219-224.

Williamson M, 1994. Community response to transgenic plant release: predictions from

British experience of invasive plants and feral crop plants. Molecular Ecology 3:

Page 13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4 -

75-79.

Wold SJ, Burkness EC, Hutchison WD and RC Venette. 2001. In-field monitoring of

beneficial insect populations in transgenic corn expressing a Bacillus thuringiensis

toxin. J. Entomol. Sci. 36: 117-187.

Yoshimura Y, 2011. Wind tunnel and field assessment of pollen dispersal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Plant Res. 124: 109-114.

Zhu Q, 2009. Petition for the Determo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for MON87701.

366pp.

고자원, 한의동, 노준철, 허만호, 1970. 전작해충의 생태와 방제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농촌진흥원 사업보고서. pp. 737-750.

구자옥 외, 2006. 신고 잡초방제학. 향문사 314pp.

국립식물검역원, 2010. 식물외래병해충도감. 292pp.

김길하, 김동순, 박정규, 조수원, 윤영남, 이경열, 2012. 삼고 해충학. 향문사.

김용헌, 김정환, 변영웅, 최병렬, 2005. 천적이용가이드. 농업과학기술원.

김정순, 고병대, 곽재균, 이명철, 김창영, 김정곤, 심창기, 2010. 유기농 찰옥수수 종자생

산지의 병해충 발생 소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1): 93-104.

김정환, 2008. 농촌진흥청. 애꽃노린재류의 생태적 특성과 이용.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2006. 유전자변형작물 개발 : GMO안정성 2. 32pp.

농촌진흥청, 2006. 유전자변형작물의 안전성 논란 사례. 농촌진흥청, 수원.

박규택, 황창연, 최귀문, 1978. 콩의 나방류 해충에 관한 조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7(1): 1-5.

백운하, 1999. 신고 해충학. 향문사.

백채훈, 이건휘, 최만영, 서홍렬, 김두호, 황창연, 김상수, 2007 . 호남지역 콩

재배지 주요해충 및 천적류.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6(2): 275-280.

손준수, 권종락, 1974. 콩해충에 대한 약제방제 시기시험.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사업보고

서. 333-335pp.

이인용, 김창석, 이정란, 2012. 두 얼굴의 잡초. RDA Interrobang (54호).

임문순, 김승태, 2000. 한국거미 생태도감. 건국대학교출판부.

Page 13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5 -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744pp.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12.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주요 통계. 26pp.

한국식물보호협회, 1986. 한국식물병해충잡초명감. 633pp.

Page 13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6 -

Page 13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별 첨

Page 13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Page 13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19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1 Syngenta MIR162maize Vip3Aa20 protein is a variant of the native insecticidal Vip3Aa prote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AB88

Agrotis ipsilon (black cutworm)Helicoverpa zea (corn earworm)Striacosta albicosta (Western bean cutworm)Spodoptera frugiperda (fall armyworm)

Corn earworm Helicoverpa armigera(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Australian bollworm Helicoverpa punctifera(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Tobacco budworm Heliothis virescens(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Beet armyworm Spodo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Oriental leaf worm moth Spodoptera litura(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Cabbage looper Trichoplusia ni(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Potato tuber moth Phthorimea operculella(Lepidoptera: Gelechidae)

P.     Laboratory Mortality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Lepidoptera: Sphingidae)

P.     Laboratory Mortality

Spotted stalk borer Chilo partellus(Lepidoptera: Pyralidae)

P.     Laboratory Mortality

European corn borer Ostrinia nubilalis(Lepidoptera: Pyralidae)

P.     Laboratory Mortality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Lepidoptera: Plutellidae)

P.     Laboratory Mortality

Monarch butterfly Danaus plexippus(Lepidoptera: Danaidae)

P.     Laboratory Mortality

Cabbage butterfly Pieris brassicae(Lepidoptera: Pieridae)

P.     Laboratory Mortality

Silk worm Bombyx mori(Lepidoptera: Bombicidae)

Eco.     Laboratory Mortality

Spotted bollworm Earias vittella(Lepidoptera: Noctuidae)

P.     Laboratory Mortality

Mill moth Ephestia kuehniella(Lepidoptera: Pyralidae)

P.     Laboratory Mortality

Common house mosquito Culex pipiens(Diptera: Culicidae)

San.t     Laboratory Mortality

Common fruit fly Drosophila melanogaster(Diptera: Drosophilidae)

Eco.     Laboratory Mortality

별첨 1. 유전자변형옥수수 개발사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 심사자료 분석

Page 13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0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Southern house mosquito Culex quinquefasciatus(Diptera: Culicidae)

San.t     Laboratory Mortality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Maize pollen

Laboratory Mortality

Western corn rootworm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Coleoptera: Chrysomelidae)

P.     Laboratory Mortality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Coleoptera: Chrysomelidae)

P.     Laboratory Mortality

Mealworm Tenebrio molitor(Coleoptera: Tenebrionidae)

FS.     Laboratory Mortality

Boll weevil Anthonomus grandis grandis(Coleoptera: Curculionidae)

P.     Laboratory Mortality

Rove beetle Aleochara bilineata(Coleoptera: Staphylin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Insidious flower bug Orius insidious(Hemiptera: Anthocor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Thysanoptera: Thripidae)

P.     Laboratory Mortality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Maize leaf Laboratory Mortality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Maizepollen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Seven-spot ladybird Coccinella septempunct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2 Monsanto MON89034 MON 89034 produces the Cry1A.105 and Cry2Ab2 proteins derived from Bacillus thuringiensis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Ostrinia furnacalis (Asian corn borer)Diatraea grandiosella (Southwestern corn borer)

Collembola not specified(Collembola)

Det.   Maize leaf Laboratory Mortality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LarvaeAdult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Insidious flower bug Orius insidiosus(Hemiptera: Anthocor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Parasitic wasp Ichneumon promissorius(Hymenoptera: Ichneumonidae)

Par.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3 Syngenta MIR604 MIR604 produces a modified Cry3A (mCry3A) insect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Western corn rootworm)Diabrotica longicornis barberi

Insidious flower bug Orius insidious(Hemiptera: Anthocoridae)

Pre. E a r l y instar to a d u l t

Bt toxin Laboratory Pre-imaginal mortality

Page 13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1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control protein. The P.icidal mCry3A protein is related to a class of insecticidal proteins that are produced in Crystalline inclusions during sporulation of the gram- positiv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Northern corn rootworm)Diabrotica virgifera zeae (Mexican corn rootworm)

emergenceSeven-spot ladybird Coccinella septempunctata

(Coleoptera: Coccinellidae)Pre. E a r l y

instar to a d u l t emergence

Bt toxin Laboratory Pre-imaginal mortalityDevelopmentAdult mortality

Rove beetle Aleochara bilineata(Coleoptera: Staphylinidae)

Pre.   Bt toxin Laboratory Fecundity

Ground beetle Poecilus cupreus(Coleoptera: Carabidae)

Pre. E a r l y instar to a d u l t emergence

Bt toxin Laboratory Pre-imaginal mortality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E a r l y instar to a d u l t emergence

Bt toxin Laboratory Brood developmentMortality (Adult and Larva)

4 Monsanto MON88017 MON 88017 produces a 5-enolpyruvylshikimate - 3 - p h o s p h a t e synthase protein from Agrobacterium sp. strain CP4 (CP4 EPSPS), which confers tolerance to glyphosate, the active ingredient in Roundup agricultural herbicides, and a modified Bacillus t h u r i n g i e n s i s ( s u b s p e c i e s k u m a m o t o e n s i s ) Cry3Bb1 protein.

Corn rootworm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High doses of corn leaf, grainor pollen tissue

Laboratory Effect concentration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LarvaeAdult

High doses of corn leaf, grainor pollen tissue

Laboratory Effect concentration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High doses of corn leaf, grainor pollen tissue

Laboratory Effect concentration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High doses of corn leaf, grainor pollen tissue

Laboratory Effect concentration

Pteromalid parasitic wasp Nasonia vitripennis(Hymenoptera: Pteromalidae)

Par.   High doses of corn leaf, grainor pollen tissue

Laboratory Effect concentration

5 Dow AgroSciences

59122 59122 corn plants have been genetically

Corn rootworm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Bt toxin Laboratory Survival Reproduction

Page 13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2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modified, via recombinant DNA techniques, to express insecticidal Crystal protein (ICP)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PS149B1.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Larva Bt toxin Laboratory Mean survival toemergence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Pteromalid parasitic wasp Nasonia vitripennis(Hymenoptera: Pteromalidae)

Par.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Adult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linical signs of toxicity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Larva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and weight

6 Dow AgroSciences

TC-6275 DAS-06275-8 event contains a synthetic truncated Cry1F gene optimized for maize expression (moCry1F) which was transformed into maize plants using A g r o b a c t e r i u m transformation.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Agrostis ipsilon (Black cutworm)Spodoptera frugiperda (Fall armyworm) Diatraea grandiosella (Southwestern corn borer)

Citation: Shanahan, D. and Stauffer, C. 2000.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B.t. Cry1F insect-resistant, glufosinate tolerant maize line 1507. 67p.        

7 Dow AgroSciences

Line 1507 T C 1 5 0 7 transformation event was produced by Pioneer using Mycogen's optimizea (po) Cry1F truncated gene derived from the Bacillus thuringiensis var. aizawai strain PS811.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Agrostis ipsilon (Black cutworm)Diatraea grandiosella (Southwestern corn borer)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Bt toxin Laboratory SurvivalReproduction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Pteromalid parasitic wasp Nasonia vitripennis(Hymenoptera: Pteromalidae)

Par.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Monarch butterfly Danaus plexippus(Lepidoptera: Danaidae)

P. Larva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8 AgrEvo CBH-351 CBH-351 contains a modified Cry9C gene derived from an insecticidal Crystal gen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lworthi, and the bar gene, derived from S t r e p t o m y c e s

Lepidoptera larvae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Page 13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3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hygroscopicus.9 Calgene 31807/31808 BXN contains

CryIA(c) with Bt cotton lines derived from transformation events 31807 and 31808.

Lepidoptera larvae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Bt toxin Laboratory A receptor for the CryLA(c) protein has never been identified in beneficial invertebrate organisms.

10 Monsanto MON 802 MON 802 produce an insect control protein (CryIA(b)) derived from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B.t.k.).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LarvaAdult

Bt toxin Mortality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Larva Bt toxin Mortality

Chalcidoid parasites Brachymeria intermedia(Hymenoptera: Chalcididae)

Par.   Bt toxin Mortality

House fly Musca domestica(Diptera: Muscidae)

Par.   Bt toxin Mortality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Mortality

11 Dekalb DBT418 DBT418 produce an insect control protein, CryIA(c), derived from the common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B.t.).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Adult Bt toxin Mortality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Mortality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Larva Bt toxin Mortality

Pteromalid parasitic wasp Nasonia vitripennis(Hymenoptera: Pteromalidae)

Par.   Bt toxin Mortality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Bt toxin Chronic toxicity

12 Monsanto MON 809/810 MON 809 was produced by particle a c c e l e r a t i o n technology with two p l a s m i d s P V - Z M B K 0 7 [CryIA9(b) gene] and PV-ZMGT10 [CP4 EPSPS and gox genes].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Safety assessment of the CryIA(b) protein to non-target insects previously presented in USDA Petition 95-093-01p.

13 Northrup King

Bt11 Bt11 expresses a modified from of the CryIA(b) Gen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Lepidoptera: Noctuidae)

P.   Bt plant Laboratory Leaf feeding rate and damageAverage biomass and weight

Page 14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4 -

No.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

Test type Endpoint

var. kurstaki (BTK corn).

Larval growth and weightSouthwestern corn borer Diatraea grandiosella

(Lepidoptera: Crambidae)P.   Bt plant Field Leaf feeding rate and

damageAverage biomass and weightLarval growth and weight

Cotton bollworm Helicoverpa zea(Lepidoptera: Noctuidae)

P.   Bt toxin Laboratory Ear damage

European Corn Borer Ostrinia nubilalis(Lepidoptera: Crambidae)

P.   Bt toxin Laboratory Plant damage

14 Monsanto MON80100 MON80100 produce an insect control protein (CryIA(b)) derived from the common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B.t.k.).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AdultLarva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ommon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Neuroptera: Chrysop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halcidoid parasites Brachymeria intermedia(Hymenoptera: Chalcididae)

Par.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Convergent lady beetle Hippodamia convergens(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toxin Laboratory Mortality

15 Ciba seeds Event176 Ciba seed genetically engineered to produce an insect control protein representing an active portion of the CryIA(b) protein that occurs naturally in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B.t.k.).

Ostrinia nubilalis (European corn borer)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Larva Bt toxin Laboratory Development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AdultLarva

Bt toxin Laboratory Development

Beneficial predator orders not specified(Diptera)

Par.   Bt corn Field Population(No. of individuals)

Beneficial predator orders not specified(Hymenoptera)

Par.   Bt corn Field Population(No. of individuals)

Beneficial predator orders not specified(Coleoptera: Coccinellidae)

Pre.   Bt corn Field Population(No. of individuals)

D분해자군,

G일반군,

P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Page 14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5 -

별첨 2. 유전자변형콩 개발사의 비표적절지동물에 대한 위해성평가 심사자료 분석

Company

GM plant Target Pests Risk assessment on NTOs

Event TraitScientific name

(Common name)Nontarget species

Scientific name(Order: Family)

Functional group

Test ageTest

substancesTest type Endpoint

Monsanto MON87701 Cry1Ac derived from (Bt) subsp. Kurstaki

Anticarsia gemmatalis (velvetbean caterpillar)Pseudoplusia includens (soybean looper)

Honeybee Apis mellifera(Hymenoptera: Apidae)

Pol.   Bt toxin Laboratory Survival

Spotted ladybird beetle Coleomegilla maculata(Coleoptera: Coccinellidae)

Pre. Adult Bt toxin Laboratory Biomass Survival

Insidious flower bug Orius albidipennis(Hemiptera: Anthocoridae)

Pre. Nymph Bt toxin Laboratory Development timeSurvival FecundityEgg hatching

Parasitic wasp Pediobius foveolatus(Hymenoptera: Eulophidae)

Par. Adult Bt toxin Laboratory Survival

Springtail Folsomia candida(Collembola: Isotomidae)

Det.   Bt toxin Laboratory SurvivalReproduction

Springtail Xenylla grisea(Collembola: Hypogastruridae)

Det.     Laboratory SurvivalReproduction

D분해자군,

G일반군,

Her초식곤충군,

Par기생천적군,

Pol수분곤충군

Pre포식천적군

Page 14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6 -

별첨 3.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주요 후보종

Page 14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7 -

별첨 4-1. 옥수수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국명 (학명) 검거세미나방(Rhyacia ypsilon)

분류학적 위치 나비목(Lepidoptera), 밤나방과(Noctu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형 태

몸길이 약 20㎜, 날개를 편 길이는 약 47㎜이며, 몸빛깔은 짙은 회색이다. 알은 반구형

에 가깝고 겉에 방사상 무늬가 있다. 유충은 처음에 녹색이나, 자라면서 갈색을 띤다.

번데기는 길이가 약 20 ㎜이고 갈색이다.

기 주 감자, 토마토, 고추, 담배 등

생 태

연 2∼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발생은 규칙적이 아니며 월동유충의 크기도 다

르다. 이듬해 봄에 번데기가 되고 성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6월과 8∼9월이다.

알은 기주(寄主)의 줄기와 잎에 1∼2개씩 낳는데, 한 마리가 200∼450개를 낳는다. 유충

은 어린 작물의 지상부의 뿌리 근처를 잘라 땅속으로 끌어들이는데, 늦은 봄에서 초여

름에 걸쳐 특히 감자, 토마토, 고추, 담배 등에 피해가 심하다.

국명 (학명)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분류학적 위치 나비목(Lepidoptera), 밤나방과(Noctuidae)

분 포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 솔로몬 제도 등

형 태

성충은 길이가 17~22㎜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38~40㎜인 회갈색의 나방으로서 앞날개

의 밑부에 회백색 선이 몇 줄 있다. 알은 지름 6㎜의 납작한 구형으로, 백색을 띠고 진

주광택이 있지만 부화 직전에는 암색으로 변한다. 유충은 길이가 40~45㎜로, 등면은 암

자색이고 배면은 회황색이며, 머리는 흑색이다. 등선은 그 빛깔이 엷고, 기문상선은 황

갈색이며, 등면에는 작은 은백색 반점이 산재하며, 다리는 흑색이다. 번데기는 적갈색이

고, 배 끝에 2개의 센털이 있으며, 길이가 15~20㎜이다.

기 주 담배, 배추, 고추, 파, 양파, 오이, 토마토, 시금치, 밀, 보리 등

생 태

성충의 발생시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중․하순으로, 최성기

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다. 나방은 밤에 활동하면서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한꺼

번에 200여 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는데, 그 위를 암컷의 인편으로 덮는다. 암컷 한 마리

당 평균 산란수는 2~5일에 걸쳐 1,000~2,000개로 4일간의 알기간을 거쳐 부화한다. 유충

기간은 20일로 3령까지 군집생활을 하고 4령부터 분산하여 생활한다. 노숙유충은 식물

체 주변의 토양 내에 흙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7~9일 정도의 번데기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며, 성충의 수명은 7~8일이다.

Page 14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8 -

국명 (학명)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분류학적 위치 나비목(Lepidoptera), 명나방과(Pyra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인도, 북아메리카

형 태

성충의 몸길이는 13~15㎜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25~35㎜이며, 대체로 머리․가슴․앞날개

는 황갈색이고, 배는 암갈색이며, 뒷날개는 담갈색이고 한 줄의 황색 띠가 있다. 알은

납작한 타원형이며, 크기가 0.9㎜로 잎의 뒷면에 고기 비닐모양의 알을 낳고, 빛깔이 유

백색-담황색-암갈색으로 변한다. 유충은 길이가 25㎜ 정도이고 담회황색이며, 머리와 앞

가슴 피부판이 흑갈색이고, 각 마디에 담갈색의 육질 돌기가 많이 있다. 번데기는 길이

가 12~13㎜이고, 흑갈색이며, 얇은 고치 속에 들어 있다.

기 주 옥수수, 조, 수수, 생강, 목화, 토마토, 글라디올러스, 국화 등

생 태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2~3회(북부지방에서는 2회)발생하고, 유충으로 기주의 대 속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번데기가 된다. 제1회 성충은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에 걸쳐 우

화하고 주로 볏과식물에 알을 낳으며, 제2회 성충은 7월 중순~8월 중순에 우화하고, 조․옥수수 등에 알을 낳는다. 부화유충은 잎 뒷면의 주맥을 따라 먹어 들어가 계속하여 옥

수수 속을 식해한다. 제3회 발생시기는 8월 하순~9월 상순이다. 제2회 성충 이후에는

작물의 잎 뒷면에 2~3열로 알을 낳는데, 알기간은 4~6일, 유충기간은 25~35일(월동유충

은 300일 정도), 번데기기간은 1주일 정도이다. 각종 작물 줄기의 중심부를 먹어 들어

가므로 줄기가 부러지기 쉽고, 먹어 들어간 부분의 위쪽이 말라죽게 되며, 먹어 들어간

곳에서 담갈색의 똥을 배출한다. 성충은 주광성이 있으며, 암시간대 시작 한 시간 이전

부터 한두 시간 이후까지 우화한다. 교미는 암시간대 시작 후 4~7시간에 가장 활발하

다.

국명 (학명) 검정날개버섯파리(Phorodonta flavipes)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검정날개버섯파리과(Sciaridae)

분 포 정보 없음

형 태성충은 5~7㎜ 크기로 몸빛깔은 회색 또는 검정색이다. 유충은 최대 5.5㎜까지 자라며

흰색을 띤다.

기 주 식물 뿌리

생 태암컷은 100~300개의 알을 산란하며 4~6일 후 부화한다. 유충시기는 12~14일, 번데기 시

기는 6일, 성충은 7~10일을 산다. 유충은 식물의 뿌리를 가해한다.

Page 14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29 -

국명 (학명) 옥수수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maidis)

분류학적 위치 매미목(Homoptera), 진딧물과(Aphididae)

분 포 온대, 열대, 아열대 지역

형 태

몸길이 유시충 약 2.1㎜, 무시충 약 2.4㎜이다. 몸빛깔은 대체로 검은빛을 띤 녹색이다. 유

시충의 머리는 검은색이고 겹눈은 어두운 붉은색이며 촉각(더듬이)도 검다. 배등판 양 옆

에 3개의 짙은 색 옆무늬가 있고 뿔관은 검은색, 끝조각은 흑록색, 끝판은 어두운 녹색

또는 흑록색이다. 다리도 넓적다리마디 밑부만 연한 색이고 나머지는 검은색이다. 머리에

작은 이마혹이 있다. 더듬이는 6마디이고 제3더듬이마디에 17∼29개의 작고 둥근 2차감각

기가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다. 제4더듬이마디에는 2∼14개, 제5더듬이마디에는 1∼4개의

2차감각기가 있고 더듬이길이는 약 1.5㎜이다. 몸은 길쭉하고 옆돌기는 앞가슴과 제1·7배

마디 양 옆에 있으며 제2∼5배마디의 양쪽 옆무늬에도 각각 작은 것이 있다. 뿔관은 원기

둥 모양이고 그 끝부에는 비늘무늬가 있다. 다리의 종아리마디는 검은색이고 끝이 매우

가늘어 다른 종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끝조각은 원뿔 모양이고 중앙부가 잘록하며 4개

의 센털이 2개씩 양쪽에 배치되었는데 비늘무늬가 뚜렷하다. 밑판에는 15∼21개의 털이

있다. 무시충은 머리가 흑록색이고 겹눈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더듬이는 거무스름하지만

제3마디 밑반부는 연한 빛깔이다. 뿔관·끝조각·끝판은 검은색이고 다리도 대체로 검다. 머

리에는 조그만 이마혹이 있고 더듬이에는 2차감각기가 없다. 몸은 길쭉하고 가슴과 배의

등판에 그물무늬가 있으며 옆돌기는 앞가슴과 제1·7배마디의 양 옆에 있다. 뿔관은 원기

둥 모양이지만 중앙부가 약간 잘록하고 밑판에는 11∼17개의 센털이 있다.

기 주 화본과식물, 밀, 보리, 옥수수 등

생 태 정보 없음.

국명 (학명)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aea japonica)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무당벌레과(Coccinel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등

형 태

몸길이가 3~4.5㎜이다. 머리는 작고 검정색의 눈을 가지고 있다. 어른벌레의 등에는 주황

색의 십자가 모양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검정색이다. 등판 체색은 베이지색, 진한 주홍

색, 검은색 등 다양하다.

먹 이 원 진딧물류, 깍지벌레류, 응애류, 잎벌레 유충 등

생 태들과 야산의 잡초 지역에서 살며, 봄에서 가을까지 활동한다. 유충, 성충 모두 진딧물류

등 농업해충을 포식하는 주요 천적이다.

Page 14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0 -

국명 (학명) 암브로시아나무좀(Xyleborinus saxeseni)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나무좀과(Scolytidae)

분 포 아시아, 북미, 유럽, 아프리카

형 태

소형 원통 모양의 곤충으로서 몸길이는 6∼8㎜ 미만이고 몸빛깔은 검은색에서 갈색까지

다양하다. 유충은 성충이 마련한 갱도(坑道)에서 직각으로 갱도를 파며 먹어들어간다. 나

무의 형성층 또는 재목을 먹어 산림과 과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나무좀의 가해방식

중 형성층을 먹는 것은 나무껍질 밑부분만 먹고 목질부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어미가 만

든 갱도는 종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어미의 갱도는 1쌍의 암수가 만들기도 하고 수컷 1

마리와 2∼3마리의 암컷이 공동으로 만들기도 한다. 새끼가 만든 갱도는 차차 넓어지며

다 자란 유충은 나무부스러기로 고치를 만들고 번데기가 되어 성충이 되면 나무껍질에

원형의 구멍을 뚫고 탈출한다. 한국에는 17속 64종이 분포한다.

기 주 과수류, 목본류 식물 등

생 태

노숙 유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을 한다. 월동이 끝나면 암컷 성충이 과수, 수목 등을 가해

하여 터널을 뚫고 산란을 한다. 부화한 유충은 터널을 더 깊숙이 뚫고 기주식물 세포벽에

자라난 ambrosia 곰팡이를 먹고 성장한다. 알~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2개월이다.

국명 (학명)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분류학적 위치 응애목(Acarina), 응애과(Tetranych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형 태

암컷은 몸길이가 0.39~0.56㎜이고, 몸너비가 0.25~0.39㎜이며, 난형이고 황록색 또는 적색

이며, 몸의 등 쪽 양쪽에 담흑색의 반점이 있다. 수컷은 몸길이가 0.28~0.35㎜이고, 몸너비

가 0.18~0.22㎜이며, 암컷보다 작고 납작하며 배 끝이 뾰족하다. 알, 유충, 제1약충, 제2약

충, 성충의 발육단계를 거친다. 알에서 부화한 약충은 유백색으로 다리가 3쌍이나, 탈피하

여 약충이 되면 4쌍으로 변한다.

기 주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과수류, 채소류, 화훼류 등

생 태

성충의 형태로 대부분이 나무의 거친 껍질 밑에서 월동하나, 일부분은 지면 잡초나 낙엽

에서도 월동한다. 월동 중인 성충은 3월 중순경 평균온도가 5~6℃ 되면 활동하기 시작하

여 잡초 등에 알을 낳고 증식하기 시작하며, 5월 상순경에 새로운 성충(여름형 성충)이

출현한다. 일반적으로 잡초에서 새로운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인 5월 중순경부터 과수 잎

으로 이동한다. 5~6월에는 수관 내부의 주간 또는 주지로부터 가까운 잎에 정착하고, 7~8

월 생육 중․후기에는 수관 외부로 분산한다. 연 8~10세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온도조건에 따라 다르다. 연중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7~8월이고, 발생최성기는 8월 상순

인 경우가 많다. 보통 고온건조한 해에 많이 발생하며, 나무가 한발 또는 침수 피해를 받

았을 때 발생이 급증하는 경우가 있다. 9월 하순경부터는 월동형 성충이 출현하여 월동처

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10월 상순까지 50%정도의 성충이 월동처로 이동하며, 10월 중순경

에는 대부분 이동을 완료한다. 온도가 높아지면 급속히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산란수가 증

가하여 대발생을 하게 된다. 30℃ 전후의 고온상태에서는 알기간이 1.7일, 약충기간이 5.9

일로 약 1주일이면 한세대가 완성되고, 암컷 한 마리가 수명기간인 12일 동안 120여 개의

알을 낳는다.

Page 14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1 -

국명 (학명) 무당거미(Nephila clavata)

분류학적 위치 거미목(Araneae), 왕거미과(Arane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형 태

암컷의 몸길이는 20~27㎜이고, 수컷은 6~8㎜이다. 배갑은 은백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

을 띤다. 복부는 긴 난형이고 복부 등면은 진한 황색에 중앙을 중심으로 양 옆으로 기

울어 나가는 3~4개의 은회색 띠무늬가 있다. 옆에서 보면 황색 바탕에 2쌍의 붉은 띠무

늬와 검은색 무늬가 조화를 이루어 마치 무당의 팔소매를 연상시킨다. 다리가 길고 강

하며 황색에 검은색 고리무늬가 선명하다. 수컷의 몸집은 암컷의 1/3도 되지 않는다.

먹 이 원 곤충류

생 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정원의 나무나 처마 끝에 크고 복잡한 말굽형의 3중 둥근 그물을

친다. 성숙기에는 보통 3~4마리의 수컷을 거느리며 가을에는 나무껍질, 건물의 벽이나

나뭇잎에 흰색의 알집을 만든다. 알로 월동하여 다음해 5월에 부화한다. 환경오염에 매

우 강한 지표성 거미이다.

국명 (학명) 큰집게벌레(Labidura riparia japonica)

분류학적 위치 집게벌레목(Dermaptera), 큰집게벌레과(Labiduridae)

분 포 한국, 일본, 대만

형 태

몸길이 25∼30㎜이다. 몸빛깔은 적갈색·암갈색·황갈색이다. 몸은 퉁퉁한 편이며 머리는

나비가 넓다. 촉각(더듬이)은 노란색 또는 연한 황갈색인데 30∼32마디로 되어 있다. 앞

가슴등판의 옆가두리는 평행하고 뒷가두리는 약간 둥글다. 작은방패판은 없으며, 다리는

가늘고 연한 노란색이다. 수컷의 배는 뒤쪽으로 갈수록 굵어진다. 집게는 좌우가 뚜렷하

게 떨어져 있다. 암컷의 집게는 가늘고 길며, 좌우가 같은 모양이고 그 안가두리에 작은

이빨 모양 돌기가 줄지어 있다. 수컷의 집게는 가운데에 1개의 짧은 가시가 있다.

먹 이 원 미소 곤충류

생 태

강가나 호수, 연못 등과 같이 지표가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들은

모래에 굴을 파고 산란하며 작은 곤충들을 잡아먹고 산다. 시멘트나 보도블록으로 포장

된 곳이지만 그 지반이 모래인 곳이면 이 종을 관찰할 수 있다.

Page 14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2 -

별첨 4-2. 콩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국명 (학명) 혹벌과(Cynipidae)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혹벌과(Cynipidae)

분 포 한국, 일본 등

형 태

몸길이 1~6㎜이고, 몸빛깔이 흑색 ·갈색 ·담갈색 등으로 광택이 있거나 부분적으로 털

이 났다. 더듬이는 11~16마디이다. 앞가슴등판은 가운뎃가슴등판과 유합되었으며 옆의

어깨판에 이른다. 배의 제2마디등판이 크고 배의 전면을 덮고 있다. 주로 너도밤나무

과 ·장미과 ·국화과 등의 식물에 기생하여 벌레혹을 만드는 것과 그것에 기식(寄食)하

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은 자루가 있고 휴면아(休眠芽)나 발육중인 눈 ·줄기 ·잎

·뿌리의 조직 속에 낳는다. 유충은 구더기 모양인데, 12마디와 작은 머리로 되어 있고

9쌍의 기문이 있으며 더듬이나 입틀부속기는 퇴화되었으나 튼튼한 큰턱이 있다.

기 주 너도밤나무과, 장미과, 국화과 식물 등

생 태

유충이 즙을 빨아먹기 시작하면 조직이 비대하여 혹을 형성한다. 이 벌레혹은 종류에

따라 특수한 형태를 만들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분류되어 왔는데, 같은 종이라도 세

대에 따라 기생부위나 혹 모양이 다른 일이 있어 동종이명(同種異名)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세대교번을 하는 종이 많고 봄 ·여름에 양성생식을 하고, 가을 ·겨울에는 단성생

식을 한다. 성숙 유충은 고치를 만들지 않고 혹 속에서 용화 ·우화한다. 또 어떤 종은

계속 단성생식을 하는 것도 있다. 한국에는 4속 6종이 분포한다.

국명 (학명) 배줄벌레과(Biphyllidae)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배줄벌레과(Biphyllidae)

분 포 정보 없음.

형 태 성충의 배 부위가 길게 늘어뜨러진 모양이며 더듬이는 11마디로 되어 있다.

먹 이 원 부식물, 곰팡이류 등

생 태

세계적으로 약 200여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균류를 섭식하며 살아간다. Cryptostroma,

Daldinia, Hypoxylon, Na㎜ularia, Tubercularia, Xylaria 와 같은 곰팡이가 자라는 곳에

주로 서식한다.

Page 14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3 -

국명 (학명) 장다리파리과(Dolichopod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장다리파리과(Dolichopod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전세계적으로 230속, 약 7천여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Dolichopus 속은 600종이 있다 .

일반적으로 성충은 큰 눈을 가진 작은 파리로 긴 다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유충의 몸 길이는 10~11㎜로 투명한 흰색이다. 두부는 일부분을 제외하고 가슴부 내

로 함몰되어 있다. 특히 투명한 몸체 내부로 경화된 검은색의 metacephalic rod가 비쳐

보인다. 복부에는 톱니가 돋아난 헛다리가 출현한다.

기 주 부유 유기물 등

생 태 장다리파리과의 유충은 주로 하천경사가 완만한 맑은 계류하천의 물가층에 서식한다.

국명 (학명) 매미충과(Cicadellidae)

분류학적 위치 매미목(Homoptera), 매미충과(Cicadel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곤충류 중에서 가장 큰 과이며 그 진화 양상도 매우 복잡하다. 매미과에 비해 작고

더 활동적인 것이 특징이다. 좀매미과에 비해서는 등쪽에서 봤을 때 더 길고 가늘다.

촉각은 겹눈 사이의 앞쪽에서 나오며, 짧고 센털처럼 생겼다. 날개가 긴 형과 날개가

짧은 형이 있는 것도 있다. 뒷다리는 뛰기에 알맞게 적응되어 있다.

기 주 화본과, 장미과, 수목 등 모든 식물

생 태

통 유충은 5∼6번의 영기(齡期)를 거쳐 성충이 된다. 한국에서는 알로 월동하나 성충

으로 겨울을 지내는 종류도 많다. 거의 대부분이 식물체에 기생하고 특히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다. 현재까지 1만 2000여 종이 알려져 있어서 단일과로

서는 최대 규모이다. 한국에는 25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나 각 종의 구별이 쉽지 않

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Page 15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4 -

국명 (학명) 콩진딧물(Aphis glycines)

분류학적 위치 매미목(Homoptera), 진딧물과(Aphid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무시충은 난형이고, 황록색이며 옆돌기가 현저하다. 더듬이는 65마디이고, 몸 길이보

다 훨씬 짧으며 제 4~5마디의 끝과 제 6마디는 흑색이다. 가슴의 옆 돌기도 현저하다.

뿔관은 준원통형이고 흑색이며, 밑편도 준원통형이고 흑색이며 3쌍의 털이 나 있다.

유시충은 황색․담록색 또는 녹색이고, 옆돌기가 현저하다. 머리는 흑색이고, 더듬이는

6마디이며 흑색이고, 제 3마디에 5~8개의 감각기가 있다. 가슴은 흑색이며, 뿔관은 준

원통형이고 흑색이다. 밑편은 준원추형이고 혹록색이며, 약 3쌍의 긴털이 나 있다.

기 주 콩, 팥, 완두, 아카시아 등

생 태

1년에 10~15회 발생하며, 콩이 여름숙주가 되고 겨울에는 쇠무릎의 뿌리에서 알로 월

동하였다가 다음해 봄에 간모로 부화하여 증식한다. 6월 하순부터 콩밭에 날아들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다가 점차 밀도가 줄어든다.

국명 (학명)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분류학적 위치 노린재목(Hemiptera), 호리허리노린재과(Alydidae)

분 포 온대지방, 아열대지방 지역의 광범위 분포

형 태

성충의 몸길이는 14~17㎜이고, 몸 색깔은 대체로 암갈색을 띤다. 몸의 허리는 잘록하

며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 안쪽에 톱니 같은 가시가 있다. 알은 암갈색으로 팥알모양

이고, 부화약충은 흑갈색으로 개미와 유사한 모양이며 자라면서 5회 탈피 후 성충이

된다.

기 주 팥, 자운영, 알팔파 등의 콩과작물 및 사과, 단감 등의 과실, 수도작류 등

생 태

연 3회 정도 발생하며 암컷 성충 한 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55~90개로, 알기간은 6일

이다. 제1,2세대의 최성기는 각각 6월 하순~7월 하순과 8월~9월 중순경이지만 연중 발

생하기 때문에 세대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몸체가 날렵하여 비행성과 이동성이 강하

다. 수컷이 집합페로몬을 분비하며, 집합페로몬의 분비량은 우화 후 일수가 경과할수

록 많아지는데 11월 이후에는 분비하지 않는다. 경남지역의 경우 제1세대 성충은 7월

상순부터 8월 상순까지 발생하고, 제2세대 성충은 8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한

다. 그리고 제3세대 성충은 10월 상순~11월 중순에 발생하는데, 이들 성충이 휴면에

들어가 이듬해 3월 하순부터 활동을 재개한다.

Page 15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5 -

국명 (학명) 두줄박이애잎벌레(Medythia nigrobilineata)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잎벌레과(Chrysome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형 태몸길이는 3.0~3.4㎜이다. 다리는 황갈색이며 종아리마디는 암갈색이다. 더듬이는 가늘

고 길며 몸 색깔은 적갈색이다. 앞날개가 가늘다.

기 주 콩과식물

생 태성충은 5월에 보이며 이 시기에 산란을 한다. 주로 콩과식물을 가해하며 유충은 뿌리

를 가해한다.

국명 (학명) 무잎벌(Athalia rosae)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잎벌과(Tenthredinidae)

분 포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 유럽 등

형 태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12~14㎜ 내외이다. 머리는 흑색이고, 가슴은 등황색이며, 날

개는 약간 어두운 회색이다. 알은 지름이 0.7㎜이고, 옅은 녹색이며, 성충이 잎의 조직

속에 산란한다. 유충의 길이가 15~20㎜이고, 몸 전체가 탁한 남색에 가는 가로주름이

많다.

기 주 무, 배추 등 십자화과 식물

생 태

1년에 2~3회 발생하며, 다 자란 유충은 땅속에서 흙 사이에 고치를 짓고 그대로 월동

하며, 4월 하순경부터 번데기가 된다. 5월 상순경부터 제1회 성충이 나타나는데, 알을

배추과 채소의 잎조직 중에 하나씩 낳는다. 산란부위는 약간 부풀어 오르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1령 유충은 잎에 작은 구멍을 뚫으면서 섭식하며, 성장하면 잎의 가장자

리부터 불규칙하게 갉아먹는다. 제2회 성충은 6월 중순~7월 상순에 출현하고, 제3회

성충은 10월 하순에 발생한다. 통풍이 나쁜 곳이나 솎아주기가 안되어 작물이 연약한

포장에서 피해가 많다. 유충은 놀라면 몸을 둥글게 말고 지상으로 떨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Page 15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6 -

국명 (학명) 싸리총채벌레(Megalurothrips distalis)

분류학적 위치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총채벌레과(Thripidae)

분 포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말레이제도, 태국 등

형 태

몸길이 약 1.5㎜이다. 체색은 전체가 흑갈색이다. 머리는 짧은 편으로 앞가슴 길이의

3분의 2 정도이다. 촉각(더듬이)은 8마디인데 제6마디가 가장 길며 제7∼제8마디는 작

은 편이다. 앞날개의 밑부분 근처에 희미한 흰색의 띠가 있다. 제8배마디의 뒷가장자

리에 이빨 모양의 돌기가 있다. 배마디는 끝이 가늘어져서 원뿔 모양이다.

기 주 콩, 싸리 등의 콩과식물

생 태

1년에 여러 회에 걸쳐 발생하고, 주로 콩·싸리 등의 콩과식물에 기생해 수액을 빨아먹

는다. 개화기에는 꽃에 날아와서 꽃잎 등을 먹는다. 암컷은 산란관을 식물조직 속에

꽂고 산란한다. 낙엽·나무껍질이나 땅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국명 (학명) 황갈애접시거미(Gnathonarium dentatum)

분류학적 위치 거미목(Araneae), 접시거미과(Linyphi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구북구)

형 태

암컷의 몸길이는 2.0~2.3㎜이며 수컷은 1.5~1.8㎜이다. 배갑은 밝은 등적색이며 목홈과

방사홈은 더 어두우나 뚜렷하지 않다. 위턱은 배갑과 색깔이 유사하며 암컷은 5개의

상당히 큰 앞엄니두덩니를 가지며 수컷은 앞쪽에 강한 옆혹을 가지며 많은 수의 혹을

갖는다. 다리는 등황색이며 복부는 긴 난형에 창백한 다리와 마찬가지로 등황색이다.

실젖 주변은 검다. 수컷은 복부 등면에 1쌍의 큰 검은색 세로무늬를 갖고, 암컷은 이

무늬와 유사한 1쌍의 무늬가 복부 등면에 더 있다. 또한 암․수 모두 복부 아랫면에 1

쌍의 어두운 세로무늬가 있으나 뚜렷하지 않다.

먹 이 원 멸구, 매미충 등의 벼 해충

생 태보통 습한 곳을 좋아하여 논의 벼 사이나 풀 사이에 많이 서식하며 벼 해충의 중요한

천적이다. 1년에 여러 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보인다.

Page 15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7 -

별첨 4-3. 옥수수와 콩 포장조사 및 실내실험 대상 공통후보종의 생물학적

특성/생태

국명 (학명) 고치벌과(Braconidae)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고치벌과(Bracon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몸길이는 3~4 ㎜이고, 수컷은 암컷보다 작다. 암컷의 몸빛깔은 적황색이고 배가 불룩

하다. 더듬이는 흑색이고 염주 모양이다. 겹눈은 암갈색이나 홑눈은 흑색이다. 가슴은

적등색이며 백색 털이 촘촘히 있다. 다리도 적등색이나 발목마디의 끝마디는 흑갈색이

다. 날개는 암색이고 반투명하며 가장자리의 무늬와 날개맥은 흑색이다.

기 주 나비목 유충, 무당벌레 유충, 하늘소 유충 등

생 태

몸이 작은 기생벌로 나방이나 하늘소 등의 유충의 몸속에 많은 알을 낳는다. 성숙한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 전에 숙주의 몸 밖으로 나와, 그 체표에 고치를 만든다. 한국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국명 (학명) 맵시벌과(Ichneumonidae)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맵시벌과(Ichneumon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세계에 6만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3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나 조

사가 진행되면 그 수는 많이 늘어날 것이다.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한다. 암컷의

배는 보통 8마디로 밑부분은 배자루가 되며 등배 또는 좌우가 편평하다. 더듬이와 산

란관은 일반적으로 길다. 다리의 고리마디는 2마디이다.

기 주 나비목 유충 및 번데기, 파리목, 뿔잠자리목, 날도래목, 딱정벌레목, 거미류 등

생 태

좀벌류에 비하여 몸이 일반적으로 크고 대부분의 종이 단기생으로 한 마리의 숙주로

부터 한 마리만 나온다. 체내기생의 것보다 체외기생의 것이 원시적이다. 맵시벌의 숙

주는 나비목의 유충 또는 번데기가 많고 파리목 ·뿔잠자리목 ·날도래목 ·거미류를 선택

하는 것도 있다. 개개의 종에 대한 숙주선택은 범위가 넓은 것이 많다. 암컷의 산란능

력은 내부기생종을 빼고는 적고 또 단기생이므로 농업해충의 천적(天敵)으로서 인공증

식하여 이용하기에 알맞지 않다. 그러나 자연계에서는 다양한 종이 있어 중요한 역할

을 하므로 자연보호, 특히 임업상 보호할 곤충이다. 밤나방살이납작맵시벌(Itoplectis

naranyae)은 논에 많고 벼를 해치는 나비목뿐만 아니라 딱정벌레목의 번데기에까지 기

생하는 익충이다.

Page 15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8 -

국명 (학명) 꿀벌(Apis mellifera)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꿀벌과(Ap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몸길이는 12㎜내외이다. 암컷은 암갈회황색 털이 많고 배는 흑갈색이며 제 1, 2 배

마디는 적갈색이나 그 뒷가두리는 흑갈색이며 각 마디의 뒷가두리에 회황색의 띠

가 있다. 날개는 투명하고 약간 황색이며 맥은 흑갈색이고 발목마디는 황갈색이다.

수컷은 일벌보다 크고 겹눈은 정수리에서 서로 붙어 있고, 주둥이는 퇴화되어 있

다. 배는 흑갈색이며 각 마디는 뒷가두리와 배면은 황갈색이다. 암컷(여왕벌)과 일

벌은 더듬이와 머리방패의 가장자리가 황갈색인 점이 다르다. 배는 길어서 가슴의

두 배나 되며, 황갈색이나 각 마디의 뒷가두리에 암갈색 띠가 있고 다리는 배와

같은 색이나 종아리마디와 발목마디의 기부는 흑갈색이다.

먹 이 원 밀원식물

생 태

1개의 집 구성은 한 마리의 여왕벌과 다수의 일벌, 그리고 약간의 수벌로 되어

있는데, 큰 집단이 되면 5∼8만 마리에 달한 다. 여왕벌의 수명은 수년이지만 다

른 벌의 수명은 비교적 짧다. 일벌의 경우 가을에 우화한 것은 다음해 봄까지 살

지만, 여름에 우화한 것은 50일밖에 못 산다. 한 벌집 안에 벌이 많아지면 왕대(王

臺)에서 새 여왕벌이 키워지고 먼저의 여왕벌은 새 여왕벌이 우화하기 전에 일벌

에 둘러싸여 분봉을 한다. 새로 우화한 여왕벌이 이 수벌을 거느리고 혼인비행을

하며, 공중에서 교미한 후에 집에 돌아와서 산란한다. 꿀벌의 난기(卵期) 3일, 유

충기 5.5일, 용기(蛹期) 7.5일 합계 16일 만에 성충이 된다. 일벌은 유충기 6일 동안

4일만 로열젤리를 받아먹고 이후에는 꽃가루에 꿀을 섞은 경단을 받아먹게 되어

용기 12일을 합하여 21일이 필요하다. 수벌은 유충기 6.5일, 용기 14.5일 합계 24일

이다.

국명 (학명) 좀벌과(Eulophidae)

분류학적 위치 벌목(Hymenoptera), 좀벌과(Euloph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형 태 크기는 약 3㎜정도로 상대적으로 짧은 다리와 더듬이를 갖고 있다.

기 주 거미알, 벌목 유충, 딱정벌레목 유충, 나비목 유충, 파리목 유충 등

생 태

전 세계적으로 약 4,000여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일부 종들은 식물을 섭식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종이 기생을 하며 살아간다.기생된 숙주는 머미가 되는데 약 8일 후 성충이

되어 나오게 된다.

Page 15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39 -

국명 (학명) 벼룩파리과(Phoro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벼룩파리과(Phoro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벼룩파리는 약 0.5-6㎜의 체장을 가지며 측면에서 봤을 때 현저히 구부러진 흉부를 가

지며 대략 검정 또는 황갈색을 띠며 특유의 시맥을 가진다.

먹 이 원 개미, 꿀벌, 부식물, 배설물, 곰팡이류 등

생 태

벼룩파리 암컷은 유충 먹이원 위에 1~100개의 아주 작은 알을 산란하며 일생 동안

약 75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에서 성충이 되는 발육기간은 종에 따라 다르나 대

게 약 25일 정도이다. 24시간 안에 알에서 유충으로 부화하고 8~16일정도의 섭식활동

을 한 후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로 기어서 이동한다. 벼룩파리류의 생활환은

14일정도로 짧아질 수도 있고, 37일정도로 길어질지 수도 있다. 벼룩파리류의 많은 종

들은 개미에 대한 노련한 포식기생자이며 열대지방의 벼룩파리류의 경우 꿀벌의 포식

기생자이다. 감염된 꿀벌들은 흔히 하나 이상의 파리유충을 가지며, 간혹 12마리의 벼

룩파리유충을 가지는 개체도 발견된다. 개미 및 꿀벌 체내에서 유충의 이동은 흉부에

서 부화하여 두부로 이동하여 발육 후 2주 후 우화하며, 숙주인 개미는 산산이 부서진

다.

국명 (학명)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a)

분류학적 위치 메뚜기목(Orthoptera), 귀뚜라미과(Gryllidae)

분 포 한국, 중국, 일본 등

형 태

왕귀뚜라미는 몸길이가 26∼40㎜ 정도로, 다른 귀뚜라미 종류보다 2배 정도 큰 편이

다. 몸 색깔은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고, 머리와 등의 색깔은 더 진한 색으로 광택이

나며, 머리 부위에는 눈썹처럼 생긴 흰 무늬가 나타난다. 진한 갈색의 큰 겹눈은 머리

의 양 옆을 향해 있고, 더듬이는 갈색이며 실 모양으로 길다. 앞날개는 옅은 가로줄무

늬가 있고, 다 자란 수컷의 날개는 배의 끝을 가린다.

먹 이 원 농작물, 부식물, 곤충사체 등

생 태

주로 풀줄기나 나뭇가지 위에서 생활하며, 잡식성으로 애벌레 시기에는 식물을 먹고

살아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1년에 1번 발생하여 8∼11월에 나타나고 땅이나

식물에 알을 낳으며,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낸 후, 봄에 부화한다.

Page 15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0 -

국명 (학명) 마디톡토기과(Isotomidae)

분류학적 위치 톡토기목(Collembola), 마디톡토기과(Isotomidae)

분 포 정보 없음.

형 태

몸통의 마디들은 보통 비슷하지 않고 앞가슴은 다소 퇴화되어 있다. 앞가슴은 가운데

등판 밑으로 가려져 있으며 등 쪽에 털이 나 있지 않다. 촉각은 대체로 길고 촉각후

기가 있다. 비늘은 있거나 없고 큐티글은 밋밋하다.

먹 이 원 토양 내 부식물, 유기물 등

생 태 정보 없음.

국명 (학명) 스무털보톡토기(Entomobrya vigintiseta)

분류학적 위치 톡토기목(Collembola), 털보톡토기과(Entomobryidae)

분 포 정보 없음.

형 태

몸길이 2.3㎜. 몸빛깔은 살아있을 때나 알코올 속에서 밝은 노랑색이며 몸에는 특징적

인 무늬가 있다. 촉각 첫째마디의 끝부분과 둘째마다와 셋째마디의 중간 부위에는 검

은색 띠가 있다. 뒷가슴, 배 셋째마디 전체, 배 넷째마디의 중간 뒷부분은 검다. 둘째

다리와 셋째다리의 경절의 끝에는 검은색 띠가 있다. 촉각은 두부보다 약 3.2배정도

길다. 촉각 넷째마디는 고리모양이 아니다.

먹 이 원 부식물, 유기물 등

생 태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주로 낙엽 및 나무 조피 속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명 (학명) 우리바수염반날개족(Athetini)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바수염반날개아과(Aleocharin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바수염날개아과에 속하는 종은 1~10㎜의 크기로 상당히 작다. 몸 빛깔은 어두운 갈색,

적갈색 또는 검은색을 띤다.

먹 이 원 토양 내 미소곤충

생 태대부분의 바수염날개아과 종은 낙엽, 토양, 썩은 나무 등에 서식하며 미소곤충을 먹이

로 하는 포식자이다. 최근 일부 종은 화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age 157: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1 -

국명 (학명) 딸기잎벌레(Galerucella grisescens)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잎벌레과(Chrysomelidae)

분 포 한국 (중부, 남부, 제주도), 중국, 시베리아, 유럽

형 태

종령 유충의 몸길이는 5.8㎜, 머리폭은 0.75㎜ 정도이며 황백색으로 다소 납작하고

가느다란 체형이다. 머리는 암갈색으로 둥글며 약하게 경화되어있고 두개봉합선은

명확한 Y-형이다. 두개의 뒷가두리각은 돌출되었으며, 홑눈은 1개씩, 더듬이는 1마

디, 이마엔 3쌍의 센털이 있다. 앞가슴등판은 암갈색로 약하게 경화되었고 19쌍의

센털이, 측판에는 4개의 센털이 있다. 다리는 다소 짧고 종아리마디엔 8개의 센털이

있으며 백색의 욕반이 있다. 각 배마디는 2개의 주름이 있으며, 밑판에는 10개의 센

털이 있고, 꼬리다리가 잘 발달되었다. 몸길이는 3.7~5.2㎜이며 몸은 일반적으로 암

갈색이고, 앞가슴, 뒷가슴복면은 흑갈색이다. 더듬이는 흑색으로 길이는 몸의 3분의

2, 1마디는 길고 크며 제2마디는 짧고 작고 제3마디가 가장 길다. 앞가슴등판의 중

앙에는 역삼각형이고 흑갈색인 좁은 평탄부가 있으며 그 양쪽은 오목 들어가 있는

데 가운데 가슴등판은 윗끝이 절단되었다. 딱지날개는 앞가슴등판보다 폭이 넓고 측

연이 거의 평행하며 측연의 평탄부는 좁다.

기 주 딸기, 소리쟁이

생 태

성충은 딸기의 마른 포기, 마른 잎, 지피물 등의 아래에서 잠복하여 월동을 하며 봄

기온이 7∼8℃가 되면 활동을 시작하여 2개월 정도까지도 계속된다. 월동 성충은 4

월 하순에 잎 뒷면에 약 10~30개의 황색알을 산란한다. 알은 1∼2주면 깨어나며, 애

벌레는 잎 뒷면에서 갉아먹지만 나중에는 표면까지 먹어치워 구멍이 뚫린다. 약 1개

월 정도면 다 자란 애벌레가 되고 잎 뒷면에서 번데기가 되어 5일 후 새로운 어른

벌레는 7∼8월까지 살아남으므로 늦봄 이후의 경과는 일정하지 않다. 따뜻한 곳에서

는 3∼4세대를 경과한다.

국명 (학명) 배추벼룩잎벌레(Phyllotreta vittata)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잎벌레과(Chrysomelidae)

분 포 한국, 일본, 아프리카, 시베리아, 유럽

형 태

성충은 길이가 3㎜ 정도의 조그만 갑충으로서 흑색이고, 앞날개에 황백색의 큰 반문

이 있다. 더듬이는 길고 실모양이며, 뒷다리의 넓적마디가 발달되어 있으므로 잘 뛴

다. 알은 길이가 1㎜ 미만이고 타원형으로서 담황색이다. 유충은 길이가 5㎜ 정도이

고 담황색이며 머리는 담갈색이다. 번데기는 길이가 2.5㎜ 정도이고 담황색이다.

기 주 무, 배추, 십자화과 및 오이과 작물

생 태

성충으로 월동하고 연 3~5회 발생한다. 낙엽, 풀뿌리, 흙덩이 틈에서 월동한 성충은

3월 중하순부터 출현한다. 4월에 성충이 작물의 뿌리나 얕은 흙 속에 1개씩 산란하

여 30여 일간 한 마리가 150~200개를 낳는다. 성충은 5~6월에 증가하며, 여름철에

다소 줄어든다.

Page 158: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2 -

국명 (학명) 끝무늬녹색먼지벌레(Chlaenius micans)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딱정벌레과(Carabidae)

분 포 한국, 중국, 일본 등

형 태몸길이는 15~17.5㎜이며 두부와 전흉배판은 녹동색의 광택이 강하고 점각과 작은

털이 밀생한다. 딱지날개의 후반부에는 고리형태의 황갈색 대가 있다.

먹 이 원 줄점팔랑나비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음.

생 태 정보 없음.

국명 (학명) 주름뿔반날개류(Anotylus)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반날개과(Staphylin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몸길이는 0.7∼25㎜로서 몸이 가늘고 긴 종이 많다. 배는 길고 등면은 10마디, 배

쪽은 7∼8마디이며, 표피는 각질(케라틴)이다. 머리의 모양은 여러 가지인데 암수에

따라 서로 다르다. 촉각(더듬이)은 모양과 삽입부에 변화가 많고 10∼11마디로 되

었으며 실 모양, 반곤봉 모양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앞가슴등판에도 변화가 많다.

기절와(基節窩)는 항상 뒤쪽에서 열렸다. 딱지날개(굳은날개)는 매우 짧아 배의 대

부분은 밖으로 드러나 있다. 발목마디는 5마디, 4마디 또는 3마디이다. 뒷날개에는

세로맥 또는 고리무늬맥이 없다.

먹 이 원 곤충 사체, 부식물 등

생 태

사는 곳이나 습성이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 청소부곤충이며 오말리엄(Omalium)속

처럼 동물의 시체를 먹어 치우는 종류가 있는 반면, 옥시텔루스(Oxytelus)속처럼 말

똥을 먹거나 리스피누스(Lispinus)속처럼 썩은 것을 먹는 종류도 있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유럽 등 전세계에는 4만 3000여 종이 분포하며, 지상의 동물 중 바구

미 다음으로 큰 과이다. 지금도 세계 각지에서 새로운 종이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

한국에는 150여 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Page 159: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3 -

국명 (학명)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분류학적 위치 딱정벌레목(Coleoptera), 무당벌레과(Coccinel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몸은 반구형의 약 7㎜ 크기이며 곁눈을 제외한 머리의 등면은 노란색에서 검은

색까지 매우 다양하다. 등판은 광택이 나고 배면은 검은색이다. 앞가슴등판은 노

란색 바탕의 중앙에 4∼5개의 검은색 점무늬 또는 M자 모양의 무늬가 있다. 딱

지날개(굳은날개)에는 9쌍의 작은 점무늬가 있는 것이 정상이나 변이가 심하다.

무늬가 전혀 없는 개체도 있고 검은색 날개에 1쌍·2쌍·6쌍의 커다란 주황색 점무

늬만 있는 개체도 있으며 노란색인 것, 황갈색 바탕에 2∼19개의 검은색 무늬가

있는 것 등 다양하다.

먹 이 원포식성: 진딧물, 온실가루이 약충, 응애류, 나방류의 알 등 / 식식성: 고추, 토마

토, 가지, 감자 등

생 태

무당벌레는 유충과 성충기간 모두 진딧물을 포식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당

벌레류는 약 90여종 이상이며 대부분 포식성이다. 하지만 28점박이무당벌레, 큰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가지, 감자 등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성충으로 월동을

하며 10월 중하순 경부터 남향으로 위치한 바위나 담 같이 양지 바른 곳에 수천

마리씩 모여드는 특성이 있다. 성충으로 방사하였을 경우 진딧물을 포식한 다음

날부터 하루에 3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 산란된 알은 노란색으로 3∼4일 휴면

유충으로 부화되어 유충들이 진딧물 포식을 한다. 진딧물을 주로 포식하지만 온

실가루이 약충, 응애류, 나방류의 알 등도 포식하며, 유충 과 성충기간에 약

1,000마리의 진딧물을 포식한다. 성충이 일생 동안 산란하는 알의 수는 약 600∼

800개를 낳는다. 알-유충-번데기-성충의 단계를 거치며, 봄과 가을철의 경우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약 21∼25일이 걸린다. 성충 수명은 약 2∼3개월 정도다.

Page 160: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4 -

국명 (학명) 주름개미(Tetramorium caespitum)

분류학적 위치 벌목(Coleoptera), 두마디개미아과(Myrmicinae)

분 포 한국, 일본, 대만 등

형 태

몸길이는 3~3.5㎜이며 몸은 흑갈색으로 개체에 따라 옅고 짙은 차이가 있다.

다리는 다소 담색이며 담갈색 털이 나있다. 머리에는 세로 주름줄이 뚜렷하

고 가슴도 역시 세로 주름이 있다. 배는 넓고 광택이 있으며 머리는 타원형,

큰턱은 폭이 넓은 삼각형이다. 가슴은 앞쪽이 폭이 넓은 삼각형이고 모가 졌

으며 뒤쪽 양옆에 이 모양의 돌기가 나있다. 배는 공모양이며 날개맥은 비

교적 많다. 배자루마디는 2개이며 제1마디는 길고 제2마디는 동그랗고 크기

가 더 크다. 배는 머리보다 크기가 약간 작거나 비슷해 보이며 군데군데 흑

갈색의 털들이 있다. 여왕개미의 전체적인 모습은 일개미를 닮았으나 몸집이

더 크고 가슴과 배가 크게 발달하여 있다. 수개미는 더듬이가 10마디이고 자

루마디와 제2채찍마디는 길이가 거의 같아 여왕개미와 일개미의 'ㄱ'형 더듬

이와는 모습이 달라 보인다.

먹 이 원 곤충 사체, 각종 유기물, 진딧물 감로, 식물의 꿀 등

생 태

3~11월에 활동하는 일개미들을 볼 수 있으며 겨울을 땅속 집에서 어른벌레로

보낸다. 여러 마리의 여왕개미를 중심으로 일개미가 함께 군체를 이루고 사

는 '복수 여왕제' 사회 구조를 가진 사회성 곤충이다. 한 군집에 수십 마리의

여왕과 3,000~4,000마리의 일개미가 함께 사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인가의 정

원과 공원 보도블록, 들과 산지의 건조한 풀밭에서 많이 서식하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개미종이다. 진딧물의 감로와 식물의 꿀에 모이고 작은 곤충이나

동물들을 사냥한다. 인가 주변에서는 쓰레기나 떨어진 과자에도 많이 모인다.

주로 낮에 활동하지만 더운 여름에는 하루 종일 활동해서 밤에도 돌아다니는

일개미들을 볼 수 있다. 가끔씩 집안이나 건물 외곽의 벽 틈에서도 사는 것

을 볼 수 있다.

Page 161: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5 -

국명 (학명) 나방파리과(Psychod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나방파리과(Psychodidae)

분 포한국, 중국, 일본,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미크로네시아, 오스트레

일리아 등

형 태

몸은 전제적으로 회갈색이며 매우 긴 회색의 털들이 전체 표면을 빽빽이 덮고 있다.

머리는 작고 앞으로 휘어있으며 회색 털이 많고 작은 겹눈은 가로로 길며 짙은 갈

색이다. 더듬이는 염주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각 마디마다 긴 털이 많이 있어 마치

깃털처럼 보인다. 주둥이는 길이가 짧고 작은턱수염은 4마디이며 회색이다. 가슴의

윗면은 회갈색이며 긴 회색 센털들이 빽빽하고, 배는 짙은 갈색이며 가슴의 센털보

다는 길이가 짧은 털들이 있다. 양 날개는 커서 전체적으로 세모꼴처럼 보이며, 날

개 색은 전체적으로 회백색으로 반투명하고 날개 맥 위에는 회색의 긴 센털이 있으

며 짙은 갈색의 센털도 섞여 있다. 날개 맥의 끝부분에는 6~7개의 짙은 갈색의 무늬

가 있다. 3쌍의 다리와 가슴 옆에 달린 평균곤은 연한 회갈색이다.

먹 이 원 배설물, 부식물 등

생 태

정확한 생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성충은 집안에서는 일년 내내 볼 수 있으며 집안

의 축축한 곳에 무리 지어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애벌레는 집안의 습기가 많

은 곳과 하수도의 고인 물, 수채 구멍 주위에서 살며 화장실 바닥을 기어 다니며 오

물을 먹고 산다.

국명 (학명) 먹파리과(Simuli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먹파리과(Simuli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유충의 몸길이는 약 1~5㎜로 작으며 원통형이다. 뒤쪽 배의 3마디가 부풀어 곤봉 모

양을 하고 있다. 머리는 크고 경화되어 있으며 부채 모양의 구조물이 있다. 앞가슴

의 배면에는 헛발이 있고 배의 끝에는 원형의 후흡반이 있다. 몸빛깔은 보통 검은색

을 띄나 일부 황색 또는 오렌지색을 띄는 종도 있다. 검은색 또는 회색의 짧은 다리

와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먹 이 원 유기물, 부식물 등

생 태

대부분의 먹파리과 종은 유기물, 부식물을 먹고 살거나 식물성 즙을 먹고 산다. 암

컷은 강물 속에 묻힌 돌, 수초 등에 100-500개 정도 산란하는데 점착성 물질로 덮여

진다. 알의 부화기간은 온대지방의 경우 2-3주이고 유충은 흐르는 맑은 물속에서 서

식한다. 유충은 복부 후단에 위치한 흡반으로 돌이나 수초 등에 붙여서 머리를 물이

흐르는 쪽으로 향한 채 미세한 유기물을 섭취하며 생활한다. 자리를 이동 할 때는

진흉각의 흡반과 미절흡반을 교대로 부착시켜 마치 자벌레처럼 움직이지만 유충이

자극을 받으면 타액을 내서 만든 실에 매달려 50-60cm까지 흘러 내려갔다가 자극이

사라지면 실을 삼켜 본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유충의 탈피 횟수는 평균7회이고 온대

지방에서는 유충기간이 3-4주, 번데기 기간은 1주일 정도 소요된다. 우리나라와 같이

겨울 이 추운 지방에서는 1년에 1세대 발생하고 알, 유충 및 번데기 시기에 월동한

다.

Page 162: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6 -

국명 (학명) 꽃등에과(Syrph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꽃등에과(Syrph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성충의 몸길이는 9~21㎜다양하며 종에 따라 벌과 유사한 모습을 가진 종도 있으며

몸 전체가 검정색 몸빛깔을 갖고 있기도 하다. 가슴에 황색 또는 오렌지색, 그 밖

의 무늬가 있으며 등판은 약간 뚜렷한 백색·황색 또는 오렌지색 반달무늬·점무늬·

띠무늬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먹 이 원 유충 : 진딧물, 배설물 등 / 성충 : 꽃가루

생 태

전세계적으로 약 188속 6,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습성이 방랑자(放浪者)이지만,

이따금 공중에 떠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방해를 받았을 때에는 매

우 빠르게 운동한다. 꽃등에는 나비나 벌처럼 꽃의 꿀을 먹으면서 꽃가루를 옮기

기 때문에, 농업에 이로운 곤충이다. 애벌레는 진딧물의 천적이어서 진딧물들이 밀

집한 풀이나 나무에서 꽃등에의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다. 일부 종은 유충이 서식

하는 오물에 모여들어 전염병을 매개하는 경우도 있다.

국명 (학명) 깔다구과(Chironom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깔다구과(Chironom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유충의 형태는 머리, 가슴3마디, 배 9마디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체모

는 비교적 적고 머리는 완전히 경화되어 가슴과 분리된다. 앞가슴에 헛다리를 1쌍

가진다. 유충의 시기는 4령까지 지속되는데 종에 따라, 온도와 먹이에 따라 2주~4

년까지 지속되며 4령기에서는 유충의 가슴이 팽대된다. 번데기는 자유생활이거나

보호구조물 안에 들어 있고, 머리, 가슴, 배의 3구분이 된다. 번데기의 끝에는 종마

다 발달 정도가 다른 유영편이 있고 거기에 긴털이나 털과 같은 강모 모양의 가시

가 있다. 몸의 형태는 끝이 강하게 굽는 경우는 거의 없고, 종에 따랄 가슴에 총채

모양, 뿔모양, 곤봉모양 등의 호흡기관을 갖는다.

먹 이 원 수중 내 유기물(유충)

생 태

파리목 중 상당히 중요한 분류군의 하나로 유충은 육생, 반수서성도 있지만 대다

수가 수서곤충으로 수중생활을 하고 있다.

흐르는 물, 고인 물, 깨끗한 물, 더러운 물의 구별 없이 거의 모든 수역에서 생활

하고 온도에 대한 내성의 범위도 넓어 40℃ 온천수부터 아주 찬 호수에서 살며 수

직적으로는 3,000m이상의 고온에서도 발견된다. 유속, 염분농도, 화학성분 등일 극

단적인 조건이 곳에서도 널리 분포하고 오염된 수질에도 적응하여 도시지역 부근

에 다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하루살이, 강도래, 뱀잠자리 등과 공생하는 종류도 있

고 바닥에서 자유로이 사는 종류, 수중식물 속에 구멍을 뚫고 사는 종류도 있다.

Page 163: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7 -

국명 (학명) 초파리과(Drosophilidae)

분류학적 위치 파리목(Diptera), 초파리과(Drosophil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몸 크기는 작아서 대체로 2~5㎜ 정도이며 대체로 암컷이 수컷에 비해 크다. 겹눈

은 붉은 빛, 더듬이는 어두운 색을 띠는 경우가 많으며, 몸 색깔은 노란색, 갈색,

검은색 등으로 다양하다.

먹 이 원 부식물, 과실 등

생 태

초파리는 세계 전 지역에서 발견된다. 보통 열대지역에 사는 종류가 많지만, 북

극에 가까운 추운 지역이나 사막지역과 같이 건조한 곳에서 사는 초파리 종류도

있다. 사는 곳이 다양한 만큼 살아가는 방식 또한 다양하다. 주로 애벌레가 성장

하는 환경이 중요한데, 애벌레는 꽃, 나무의 수액을 먹거나 썩은 과일과 줄기, 나

뭇잎 등을 먹는 종류부터 다른 생물에 기생하거나 잡아먹는 것도 있다. 우리 주

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초파리는 노랑초파리로 3~11월 사이에 활동하는데, 주로

상한 과일 주변에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컷은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여러 마리가 모여 경쟁하며,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상한 음식물 위에 몇 개의 알

을 낳는다. 알은 하루 정도 지나면 부화하여 애벌레가 되고, 3단계의 애벌레 시

기를 지나면 번데기를 거쳐 어른벌레인 초파리가 된다. 알이 깨어나고 자라서 짝

짓기를 할 수 있는 어른벌레가 될 때까지 약 12일 정도밖에 걸리지 않아서 한

세대가 매우 짧다.

국명 (학명) 대관령총채벌레(Anaphothrips obscurus)

분류학적 위치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총채벌레과(Thrip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성충의 길이는 약 1.5㎜이고 노란색의 심하지 않은 그물방사형을 갖고 있다. 더

듬이는 9마디이며 6~7번째 더듬이 사이의 봉ㄹ합선은 완벽하지 않다. 3,4번째 더

듬이 마디는 두갈래의 감각기관이 존재한다. 전흉배판은 뚜렷한 강모가 없다. 장

시형이 대부분이나 단시형도 존재한다. 앞날개는 회색빛이 도는 노란색이다.

기 주귀리, 마늘, 밀, 보리, 복숭아, 옥수수, 호밀, 개피, 금강아지풀, 둑새풀, 섬포아풀,

클로버 등

생 태일반적으로 잎의 엽액에서 서식하며 암컷 장시형과 단시형 성충 모두 잡초 등에

서 월동을 한다.

Page 164: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8 -

국명 (학명)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분류학적 위치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총채벌레과(Thrip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1.4~1.7㎜ 내외이며 더듬이는 8마디이고 8째마디가 7째마

디보다 약간 길다. 더듬이의 1째마디는 황색, 2째마디는 갈색, 3~5째마디는 황/

갈색, 나머지는 갈색이다. 홑눈앞자모는 2쌍이며 홑눈사이자모는 매우 길고 홑

눈삼각형 안에 위치한다. 겹눈뒷자모는 6쌍이며 안쪽 4번째자모는 뚜렷하게 길

다. 앞가습 긴자모는 5쌍으로 전연에 2쌍, 후연모서리에 2쌍, 후연에 1쌍이 있

다. 뒷가슴등순판 무늬는 엉성항 그물모양이며 2개의 종상감각기가 있다. 수컷

성충은 1.0~1.2㎜ 내외이고 날렵하며 몸색은 황색-복부 8째등판 빗살돌기는 완

전하고 3~7째 배판에 분비샘이 있다. 암컷,수컷의 몸색깔은 황색~갈색으로 변

이가 많다. 온실에서는 연 12~15세대 경과할 수 있으며, 1세대기간은 25℃에서

18일, 30℃에서 15일 정도이다.

기 주오이, 수박, 참외, 가지, 딸기, 국화, 거베라, 시클라멘, 자두, 배, 복숭아, 강낭콩,

피망, 카네이션, 장미, 백합 등

생 태

이른 봄부터 시작하여 연중 가해하고 제주도에서는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성충은 식물조직 속에 20~40개의 알을 낳으며, 2령을 경과한 약충은 땅속에서

제1,.2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으로 우화한다. 알에서 우화하기까지의 기간은 약

18일(25℃)이고, 성충의 수명은 60일(20℃)정도이다.

국명 (학명) 애꽃노린재류(Orius)

분류학적 위치 노린재목(Hemiptera), 꽃노린재과(Anthocor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호주, 아프리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

형 태

약충의 경우, 1령은 몸빛깔이 담황색으로 3,4,5절 등면에 각 1개씩의 홍점반점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3령이 되면 몸빛깔이 황색으로 변하고 등면의 반점이 진

해진다. 4령의 몸빛깔은 담황갈색으로 등면에 날개부위가 형성되기 시작하며, 5

령은 몸빛깔이 담갈색이나 말기가 되면 암갈색으로 변하고 등면에 날개모양을

형성한 성충에 가까운 형태로 변한다. 성충의 몸빛깔은 초기에는 황백색을 띠고

이후 곧 광택이 있는 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변하며 눈은 적색을 띠고 체장은

암컷이 2.12㎜, 수컷이 1.72㎜로 암컷이 크고 강한 것처럼 보인다.

먹 이 원 총채벌레류, 응애류, 진딧물류 등 미소해충

생 태

애꽃노린재류의 월동은 교미한 암컷 성충으로 낙엽 또는 잡초의 지피물 사이나

감나무, 산수유, 배나무, 사과나무, 느티나무 등 고령목 밑부분의 수피 틈사이에

서 월동한 후 4~5월부터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멸구, 매미충 등이 서식하는 잡

초로 이동한다. 대부분 5월 하순경부터 작물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류, 응애류, 진

딧물류 등을 포식하기 위해 이동하는데 주로 식물의 개화기에 발생이 많다. 애

꽃노린재류 성충의 경우 하루에 25마리 정도를 포식하여 일생동안 약 400여 마

리를 포식한다.

Page 165: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49 -

국명 (학명)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분류학적 위치 매미목(Homoptera), 멸구과(Delphac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인도지나, 인도, 스리랑카, 필리핀, 피지(열대 공통종)

형 태

성충의 길이(날개 포함)는 장시형의 경우 4.0~4.5㎜, 단시형의 경우 2.5㎜정도이다.

몸은 담황색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엷으며 대개 암색의 반점이 산재해 있다. 머리

는 황백색이고, 융기선 사이는 흑색이며, 얼굴은 수컷의 경우 흑색, 암컷의 경우

암흑색~담갈색이고, 융기선은 담황색이며, 겹눈은 흑색이고 홑눈은 암갈색이다.

정수리는 돌출하여 나비의 1.5배에 달하며 방패판의 중앙부는 긴 육각형으로서

황백색이고 양쪽이 흑색이다. 앞날개는 반투명하고, 그 끝이 암갈색이며, 날개의

무늬는 흑색이고, 날개맥은 담황색이다. 배는 암컷의 경우 황백색이고 수컷의 경

우 흑갈색이다. 다리는 담황백색이고, 뒷다리 발마디의 제1마디가 제 2마디 및

제3마디를 합한 것보다 길다. 알은 길이가 0.97㎜정도인 유백색의 바나나모양이

다. 약충은 유백색 또는 흑갈색으로서 제 3 ․ 4배마디의 중앙은 외관상 큰 백색

무늬를 띠고 있으며 마디 사이막에는 많은 백색 밀랍가루가 붙어 있다.

기 주벼, 보리, 밀, 조,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바랭이, 피, 포아풀, 줄 및 기타 벼과식

물, 일부 사초과식물

생 태

우리나라에서는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6월 중순~7월 중순에 동남아시아 및 중

국 양자강유역으로부터 저기압기류를 타고 비래하여 발생원이 된다. 비례개체수

는 벼멸구에 비해 현저하게 많으며 본답에서의 증식력은 초기의 밀도에 비해 말

기의 최고 약 25배가 많다. 낮은 이유는 출수 후인 8월 하순경에 다른 기주식물

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비래 후 3~4회 발생하지만 본답에서는 보통 2~3세대 경과

한다. 본답에 비래한 멸구는 상당수가 죽고 적은 수가 산란하여 1세대를 경과하

게 되는데, 밀도가 높거나 벼의 영양상태가 좋지 않으면 다시 분산하여 집중 피

해의 위험성이 없어진다. 야외에서 성충의 수명은 10일 정도이며 알은 10여개씩

무더기로 잎의 주맥 또는 잎집조직 속에 산란하는데 암컷은 보통 25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여름에는 알기간이 약 8일, 약충 약 10일이며 4회 탈피 후 성충이

된다.

국명 (학명)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분류학적 위치 노린재목(Hemiptera), 장님노린재과(Miridae)

분 포 정보 없음.

형 태

몸길이 4.5∼5㎜이다. 몸빛깔은 광택이 강한 흑갈색 또는 암갈색이고 몸에 가는

털이 촘촘히 나 있다. 반딱지날개 위의 털은 회백색인 것이 많다. 정수리 기부에

는 가로융기선이 있고 앞가슴등판·조상부(爪狀部)·가죽질부의 기부에는 뚜렷한 점

각이 있다. 주둥이의 끝은 뒷다리의 밑마디에 달한다.

기 주 벼, 수수, 조, 둑새풀 등

생 태 정보 없음.

Page 166: LMO가 국내 곤충상에 미치는 영향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webbook.me.go.kr/DLi-File/NIER/06/016/5528011.pdf · 2015-11-03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 150 -

국명 (학명)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분류학적 위치 거미목(Araneae), 늑대거미과(Lycosidae)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형 태

암컷의 몸길이는 7.0~10.0㎜, 수컷은 6.0~10.0㎜이다. 두흉부에 폭 넓은 흑갈색

세로줄무늬와 중앙에 회백색의 'T'자형의 중앙을 가르는 세로줄무늬가 있는 것

이 특징이다. 복부는 난형이며 복부 등면은 흑갈색이고 황갈색과 회색 털로 덮

혀 있어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다. 다리는 황갈색이며 암갈색의 고리무늬가 있

다.

먹 이 원 곤충류, 거미류 등

생 태

배회성 거미로 시각과 촉각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거미줄을 치지 않는다.

산란한 암컷은 실젖에 백색의 알주머니를 달고 다닌다. 인가의 마당으로부터 평

지와 산야에 이르기까지 어디서나 항상 많은 개체수를 볼 수 있는 종이다.

국명 (학명) 톱날애접시거미(Pardosa astrigera)

분류학적 위치 거미목(Araneae), 애접시거미과(Erigonidae)

분 포 한국, 일본, 대만

형 태

몸길이는 암컷 약 1.5㎜, 수컷 약 1.8㎜이다. 머리가슴은 광택이 나는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이며 머리가 불룩하나 머리혹은 없다. 가슴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돌기가 여러 개 있고 목홈과 거미줄홈은 검다. 눈은 8개의 홑눈이 두 줄로 늘어

서는데, 각 눈의 간격은 같고 앞줄 가운뎃눈이 가장 작다. 큰턱 앞면에는 6∼7

개의 톱니모양 돌기가 있으며 앞두덩니는 5개, 뒷두덩니는 4개이다. 작은턱 안

쪽에는 작은 사마귀돌기가 여러 개가 있으며 가슴판은 검정색 심장모양인데 세

로로 약간 길고 넷째다리 밑마디 사이는 그 지름 길이만큼 떨어져 있다. 수컷은

더듬이다리 넓적마디가 강하고 크며 그 아랫면에 8쌍의 센털이 늘어선다. 무릎

마디 끝쪽에는 길고 큰 칼모양 돌기가 있으며 다리는 흐리고 누런 갈색이다. 종

아리마디 윗면의 센털은 첫째∼셋째다리에 2개씩 있고 넷째다리에는 1개씩 있

으며 넷째다리가 가장 길다. 배는 달걀모양으로 불룩하며 검은 갈색 바탕에 4∼

5개의 누런 갈색 가로점줄이 있고 배의 아랫면은 검정색이다.

먹 이 원 곤충류, 거미류 등

생 태

점성이 없는 그물을 친 뒤 그물 윗면에 걸린 먹이를 그물 아랫면에서 공격하여

잡아먹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월 하순~7월 또는 9~10월이고 알을 낳는 횟수

는 5~10회, 알주머니 1개에 2~7개의 알이 들어 있다. 여름 세대는 약 4회 탈피

하고 겨울을 나는 세대는 약 5회 탈피한 뒤 성체가 되며 낙엽에서 가끔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