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121
s1 © Copyright 2015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www.krspine.org J Korean Soc Spine Surg. 2015 May;22(S1):s1-121. http://dx.doi.org/10.4184/jkss.2015.22.S1.s1 pISSN 2093-4378 eISSN 2093-4386 Lumbar spine 15S-052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of Interbody Fusion And Affecting Factors in Degenerative Lumbar Disease Eung-Ha Kim, Jung-Moo Seo, Jung-Hyun Ahn Soonchunhyang University Jung-Dong, Wonmi-Gu, Bucheon-Si, Gyeonggi- Do,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of segmental lordosis restored with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ddressing the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of ALIF and PLIF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44 patients (15 males, 29 females; age range: 52-84 year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treated with ALIF or PLIF and posterior fixation between 2011 and 2013 were review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ALIF by using a metal cage (SynCage<font face=‘MS Mincho’>® ) with a lordotic angle of 10° or PLIF using a metal cage (Neo-IC<font face=‘MS Mincho’>®) with a lordotic angle of 8°. We analyzed segmental lordosis o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standing radiography. Segmental flexibility, disc height, osteophyte, endplate violation, and bony union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affected the segmental lordotic angle correction. Results: ALIF was performed at 49 segments, and PLIF was performed at 80 segments. The segmental lordosis was 3.78° before surgery, improved to 12.89°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11.92° at the final follow-up of ALIF surgery; it was 5.24° before surgery, improved to 10.44°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9.76° at the final follow-up of PLIF surgery. The segmental lordosis in the case of ALIF surgery was more restored after surgery. The disc height was 7.24° before surgery, improved to 13.81°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12.50° at the final follow-up. Satisfactory bony fusion was achieved in 93% of the patients. Flexibility of less than 3°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mitation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p=0.0029). Conclusions: ALIF using a 10° lordotic cage for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resulted in the restoration of segmental lordosis along with decreased flexibility of the flexion and extension limits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Further, to restore global lumbar lordosis,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seemed to be a useful surgical option in cases of trapezoid vertebra body shape and decreased flexibility. 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mitation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p=0.0029). Keywords: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 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 Inter- nter- segmental lordosis, Cage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추체간 유합술을 통한 분절 전만각 의 복원 및 관여한는 인자에 대한 분석 김응하, 서정무, 안중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추 체간 유합술의 분절 전만각 교정을 비교 분석하고, 복원에 미치 는 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추체 간 유합술의 분절 전만각 복원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전방 추체간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 되고 최소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 찰된 44명(남자 15예, 여자 29예, 52-84세)의 환자를 대상으 로 하였다. 전방 추체간 유합술에는 전만각 10°인 금속 케이 지(SynCage<font face=MS Mincho>® )를 사용하였으며, 후 방 추체간 유합술에는 전만각8°의 금속 케이지(Neo-IC<font face=MS Mincho>® )를 사용하였다. 술 전, 술 후, 최종 추시 기립 X-ray에서 각 분절 및 유합 분절 전체의 전만각을 측정하 였으며, 분절 전만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 인자 들인 분절 유연성, 추간판 높이, 골극 정도, 골단판 손상, 그리고 골유합율을 영상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방 추체간 유합술은 49분절에서 시행되었고, 분절 전만 각이 수술 전 3.78°, 수술 후 12.89°, 최종 추시시 11.92°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 각 분절 별로는 1-2요추가 2.85°-11.5°- 9.02°, 2-3요추가 2.67°-11.88°-10.7°, 3-4요추가 3.96°-12.53°- 12.22° 보였고, 후방 추체간 유합술은 80분절에서 시행되었

Upload: others

Post on 18-Ju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s1© Copyright 2015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www.krspine.org

J Korean Soc Spine Surg. 2015 May;22(S1):s1-121. http://dx.doi.org/10.4184/jkss.2015.22.S1.s1

pISSN 2093-4378 eISSN 2093-4386

Lumbar spine

15S-052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of Interbody Fusion And Affecting Factors in Degenerative Lumbar Disease

Eung-Ha Kim, Jung-Moo Seo, Jung-Hyun AhnSoonchunhyang University Jung-Dong, Wonmi-Gu, Bucheon-Si, Gyeonggi-Do,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of segmental lordosis restored with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ddressing the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of ALIF and PLIF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44 patients (15 males, 29 females; age range: 52-84 year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treated with ALIF or PLIF and posterior fixation between 2011 and 2013 were review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ALIF by using a metal cage (SynCage<font face=‘MS Mincho’>®) with a lordotic angle of 10° or PLIF using a metal cage (Neo-IC<font face=‘MS Mincho’>®) with a lordotic angle of 8°. We analyzed segmental lordosis o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standing radiography. Segmental flexibility, disc height, osteophyte, endplate violation, and bony union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affected the segmental lordotic angle correction.Results: ALIF was performed at 49 segments, and PLIF was performed at 80 segments. The segmental lordosis was 3.78° before surgery, improved to 12.89°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11.92° at the final follow-up of ALIF surgery; it was 5.24° before surgery, improved to 10.44°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9.76° at the final follow-up of PLIF surgery. The segmental lordosis in the case of ALIF surgery was more restored after surgery. The disc height was 7.24° before surgery, improved to 13.81°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12.50° at the final follow-up. Satisfactory bony fusion was achieved in 93% of the patients. Flexibility of less

than 3°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mitation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p=0.0029).Conclusions: ALIF using a 10° lordotic cage for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resulted in the restoration of segmental lordosis along with decreased flexibility of the flexion and extension limits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Further, to restore global lumbar lordosis,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seemed to be a useful surgical option in cases of trapezoid vertebra body shape and decreased flexibility.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mitation of segmental lordosis restoration (p=0.0029). Keywords: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ter-Inter-nter-segmental lordosis, Cage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추체간 유합술을 통한 분절 전만각

의 복원 및 관여한는 인자에 대한 분석

김응하, 서정무, 안중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추

체간 유합술의 분절 전만각 교정을 비교 분석하고, 복원에 미치

는 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추체

간 유합술의 분절 전만각 복원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전방 추체간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 되고 최소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

찰된 44명(남자 15예, 여자 29예, 52-84세)의 환자를 대상으

로 하였다. 전방 추체간 유합술에는 전만각 10°인 금속 케이

지(SynCage<font face=‘MS Mincho’>®)를 사용하였으며, 후

방 추체간 유합술에는 전만각8°의 금속 케이지(Neo-IC<font

face=‘MS Mincho’>®)를 사용하였다. 술 전, 술 후, 최종 추시

기립 X-ray에서 각 분절 및 유합 분절 전체의 전만각을 측정하

였으며, 분절 전만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 인자

들인 분절 유연성, 추간판 높이, 골극 정도, 골단판 손상, 그리고

골유합율을 영상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방 추체간 유합술은 49분절에서 시행되었고, 분절 전만

각이 수술 전 3.78°, 수술 후 12.89°, 최종 추시시 11.92°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 각 분절 별로는 1-2요추가 2.85°-11.5°-9.02°, 2-3요추가 2.67°-11.88°-10.7°, 3-4요추가 3.96°-12.53°-12.22° 보였고, 후방 추체간 유합술은 80분절에서 시행되었

Page 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 각 분절 별로는 2-3요추

가 4.86°-5.91°-4.7°, 3-4요추가 2.31°-7.48°-7.18°, 4-5 요추가

4.13°-8.73°-7.78°, 5요추-1천추가 8.26°-14.62°-14.12°를 보였

다. 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수술 후 분절각이

더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추간판의 높이는 수술 전7.24°에서

13.81°로 회복 되었으나 최종 추시때 12.50°으로 감소 하였고,

골유합률은 93%였다. 전만각 교정 제한 인자로는 굴곡, 신전시

분절각 차이가 3도 이하인 경우 분절각 회복 정도와 유의한 상

관 관계(p=0.0029)를 보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전만각 10° 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추체간 유합술이 분절 전만각 교정효과가 크고, 굴곡 신전시 유

연성 저하시 분절 전만각 교정이 제한 되었다. 또한 요추 전체의

전만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척추체 모양이나 분절 운동각을 감안

하여 추가적인 절골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색인단어: 퇴행성 요추 질환, 전방 추체간 유합술, 후방 추체간

유합술, 분절각, 케이지

15S-020

Effects of Lordotic Angle of Cage on Sagittal Alignment and Clinical Outcomes in One-level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Pedicle Screw Fixation

Ji-Ho Lee, Dong-Oh Lee, Jae Hyup Lee, Hee Jong Shim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n prospectively collected patient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including segmental lordosis and total lumbar lordosis depending on the lordotic angles of cage i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PLIF,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increases the fusion rate and maintains the disc height and lumbar lordosis by securing stability in the initial stage.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PLIF between the first sacrum and the third lumbar using two different lordotic angles of 4° and 8° of PEEK cage on the degenerative lumbar spine between March 2006 and April 2012. The segmental lordosis and total lumbar lordosis of the 4°- and 8°-cage insertion grou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preoperatively, at postoperative day

1, at postoperative 6 months, and at postoperative 1 year on the basis of the lateral plane radiographs.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of low back pain.Results: Among the 148 subjects (171 segments), there were 115 segments in the 4° group and 56 segments in the 8°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age, gender, preoperative diagnosis, or operative segments in both groups. The preoperative and immediate postoperative segmental lordosis were 12.9° and 12.6° in the 4° group, and 12° and 12.0° in the 8° group,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 or of time. The total lumbar lordosis during the preoperative days and postoperative year 1 were 38.9° and 39.6° in the 4° group, and 39.7° and 41.0° in the 8° group,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otal lumbar lordosis of each group during the preoperative hospi-tal days, at postoperative month 6, and at postoperative year 1. However, the total lumbar lordosis significantly increased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 with the immediate postoperatively day in the 8° group (p=0.002). No statisti-° group (p=0.002). No statisti- group (p=0.002).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otal lumbar lordosis in the sixth postoperative month and the first postop-erative year. The ODI and the VAS of low back pain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Conclusion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segmental lordotic angles and total lumbar lordosis of all surgical seg-ments in the 4° cage and 8° cag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adiological and clinical differences in both groups.Keywords: Lumbar lordosis, Cag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단분절 후방추체간 유합술에서 케

이지의 전만각이 시상면 정렬 및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지호, 이동오, 이재협, 심희종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연속적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후방추체간 유합수술에서 케이지의 전

만각 차이에 따라 분절 전만각과 총 요추부 전만각 등 방사선학

Page 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

적 결과와 임상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후방추체간 유합술에서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EEK) 케이지는 초기에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유합률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추간판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요추부 전만

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본 병원에서 퇴

행성 요추질환에 대해 전만각이 4도와 8도인 PEEK 케이지를 이

용해 요추 제 3번에서 천추 1번 사이에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

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4도 케이지 삽입군과 8도 케이

지 삽입군 사이에 분절 전만각과 총 요추 전만각을 측면 단순 방

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6개월, 수술

후 1년째에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와 하부 요통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결과: 148명의 환자(171분절) 중 4도 군은 115분절, 8도 군은

56 분절이었고, 양 군간에 나이, 성별, 수술 전 진단명, 수술 분

절의 차이는 없었다. 수술 전 및 수술 후 1년 째 분절 전만각

은 4도 군이 12.9도와 12.6도, 8도 군이 12도와 12.0도로 양 군

간에 각 시기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

술 전 및 수술 후 1년 째 총 요추전만각은 4도 군이 각각 38.9도

와 39.6도, 8도 군이 각각 39.7도와 41.0도로 수술 전, 수술 후 2

주째, 수술 후 6개월째 및 수술 후 1년째 각 군 사이에 총 요추

전만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도 군에서는 수술 직후에 비

해 수술 후 6개월째 총 요추전만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02), 6개월째와 1년째의 총 요추전만각 사이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ODI 점수와 하부요통에 대한 VAS는 양 군 모두

수술 전에 비해 수술 직후, 수술 후 6개월, 수술 후 1년째 유의하

게 개선되었으나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4도 케이지와 8도 케이지 모두 수술 분절의

분절 전만각을 유지시키고 총 요추전만각을 유지시키면서 임상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양 군간에 방사선

학적 및 임상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인단어: lumbar lordosis, Cag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15S-019

The Correlation Between Cage Subsidence with Bone Mineral Density and Clinical Results fo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Kyu Won Oh, Jae Hyup Lee, Ji-Ho Lee, Do-Yoon Lee, Hee Jong Shim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review of prospectively col-lected radiographic and clinical data.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ge subsidenc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o reveal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cage subsidence.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age subsidence might result in recurrent foraminal stenosis and deteriorate the clinical results. Furthermore, as the population is aging, the number of osteoporosis patients who undergo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procedures using cage is increasing.Materials and Methods: 139 segments (10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Plain standing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 were taken pre- and postoperative-ly and during follow-up. Preoperative BMD and subsidence were measured by 1-year postoperativ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and their correlation was assessed. We examined the functional rating index values (vi-sual analog scale (VAS) for pain,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SF36 score) preoperatively, and investigated their changes 1 year after surgery. The correlation between cage subsidence and clinical scores was investigated.Results: All postoperative clinical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as compared to preoperative ones (pain VAS, ODI, SF-36, all p values <0.001). BMD at the preoperative PLIF site and T-score showed a significantly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sidence measured by postoperative 1-year 3D CT (BMD r=-0.285, p<0.001, T-score r=-0.252, p=0.003). In the subgroup analysis, it was demonstrated that segments with subsidence of >3 mm showed a significantly high prevalence of severe osteoporosis (T<-3.0) compared with the segments with subsidence of <3 mm (p=0.012, odds ratio (OR=8.444). The mean BMD of segments with subsidence of >3 m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BMD of segments with subsidence of <1 mm and segments with subsidence of 1–3 mm (p<0.001 and p=0.049). Subsidence on postoperative 1-year 3D C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 improvement of pain VAS, ODI score, and SF-36 score.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cage subsidenc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hat subsidence is not related to clinical deterioration. Therefore, a carefully conducted PLIF procedure using PEEK cage can be a good surgical option to treat lumbar degenerative disease in osteoporotic patients.

Page 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

Keywords: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Cage, Bone mineral density, Subsidence

후방추체간 유합술에서 골밀도와 케이지 침강 및 임상 결

과와의 상관관계

오규원, 이재협, 이지호, 이도윤, 심희종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으로 수집된 방사선학적, 임상 자료에 대한 후

향적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골밀도와 케이지 침강과의 상관관계를 평

가하고, 케이지 침강이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케이지 침강은 추간공 협착증을 유발

할 수 있으며, 고령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에 대

해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추체간 유합술도 증가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퇴행성 요

추질환으로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

톤 케이지(PEEK 케이지)를 삽입하여 후방 추체간유합술

을 시행한 102명의 연속적인 환자(139 분절)를 대상으로 방

사선학적 결과와 임상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 및 수

술 후 및 추시 기간 동안에 전후면 및 측면 단순방사선 사

진을 촬영하였다. 수술 전 골밀도와 수술 후 1년째에 3차

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골밀도와 케이지 침강과

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또한, 수술 전 및 수술 후 1년째

에 통증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F-36 점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리고, 케이지 침강과 임상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후 환자의 임상 결과에 대한 점수는 통증 VAS,

ODI 점수, SF-36 점수 등 모든 영역에서 수술 전에 비해 유의

하게 호전되었다(모두 p<0.001). 수술 전에 후방추체간 유합

술을 시행한 부위의 골밀도 및 T 점수는 수술 후 1년째 촬영

한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측정한 케이지 침강과 약한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골밀도 r=-

0.285, p<0.001, T 점수 r=-0.252, p=0.003). 세부 그룹 분석

에서, 3 mm 이상의 케이지 침강이 발생한 분절에서 심한 골

다공증(T점수<-3.0)의 유병률이 3 mm 이하의 케이지 침강 분

절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2, OR=8.444). 또한, 3 mm

이상의 케이지 침강이 발생한 분절의 골밀도는 1 mm 이하

와 1 mm에서 3 mm의 케이지 침강이 발생한 분절에 비해 유

의하게 낮았다(p는 각각 <0.001, 0.049). 수술 후 1년째 3차

원 컴퓨터단층촬영상의 케이지 침강은 통증 VAS, ODI 점

수, SF-36 점수의 개선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케이지 침강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

었다. 그러나, 케이지의 침강이임상 결과를 악화시키지는 않

았다. 따라서, 골다공증이 동반되어 있는 퇴행성 요추질환 환

자에게도 PEEK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주의하

여 시행할 경우 좋은 수술 방법의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색인단어: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Cage, Bone

mineral density, Subsidence

15S-042

Impact of Knee Osteoarthritis on Spinal Sagittal Alignment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Patients Undergoing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Minimum 5-Year Follow-Up.

Ki-Han You1, Yong-Chan Kim1, Tae-Hwan Kim1, Jae-Keun Oh2, Moon-Soo Park1, Seok-Woo Kim1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1,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analysis with radiographs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and knee osteoarthritis. Objectives: To evaluate how an osteoarthritic knee affects the spinal sagittal alignment of degenerative lumbar disease in patients undergoing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knee and spine, it is well known that spinal sagittal imbalance leads to adaptive changes in the pelvis, hip, and knee joint through a compensatory mechanism.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4 patients who underwent pedicle screw fixation and fu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between 2006 and 2009,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5 years, and were assessed by 36-inch whole spine lateral radiography preoperatively, 2-month postoperatively, and at the final follow-up and teleradiography of lower extremities preopera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ho had a Kellgren-Lawrence Grading (KLG) score of 1 or 2 (Group I, n=39) and patients who had a KLG score of 3 or 4 (Group II, n=35). The radiographic outcomes were analyzed.Results: In Group I, the C2 sagittal vertical axis (SVA) (p=0.315), cervical lordosis (CL) (p=0.760), C7 SVA (p=0.840), thoracic kyphosis (TK) (p=0.052), thoracolumbar angle (TL) (p=0.113), lumbar lordosis (LL) (p=0.111), and

Page 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

pelvic tilt (PT) (p=0.120) achieved by surgical treatment were maintained until the final follow-up. In Group II, C7 SVA (p<0.001), CL (p<0.001), TL (p=0.006), LL (p=0.005), and PT (p<0.001)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at the final follow-up, but not C2 SVA (p=0.324) and TK (p=0.38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7 SVA (p<0.001), CL (p<0.001), LL (p=0.015), and PT (p<0.001)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at the final follow-up.Conclusions: Osteoarthritic knees with KLG of 3 or 4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aintenance of spinal sagittal alignment achieved by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for lumbar degenerative disease. Hence, when we plan to perform spinal surgery, we need to consider the KLG score of knee osteoarthritis.Keywords: Lumbar degenerative disease, Posterior fusion, Sagittal alignment, Knee osteoarthritis

후방 기기고정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요추부 퇴행성 질환

환자들의 척추 시상면 정렬에 대한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의 영향. 최소 5년간 추시.

유기한1, 김용찬1, 김태환1, 오재근2, 박문수1, 김석우1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형외과1,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신경외과2

연구계획: 요추부 퇴행성 질환 및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후향적 방사선 분석

연구목적: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이 후방 기기고정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요추부 퇴행성 질환 환자들의 척추 시상면 정렬에 어

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슬관절과 척추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였을

때, 척추 시상면의 불균형이 보상기전을 통하여 골반, 고관절 및

슬관절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슬관

절 퇴행성 관절염이 척추경 나사 고정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

자들의 척추 시상면 정렬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09년 사이에 요추부 척추관 협착

증으로 척추경 나사 고정 및 유합술을 시행 받고 최소 5년 이

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

선적으로 36인치 전 척추 측면 방사선 사진을 수술 전, 수술 2

개월 후, 최종 추시 시 촬영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하지 슬관

절을 수술 전에 촬영하였다. 환자들은 2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Kellgren-Lawrence Grading (KLG)이 1 또는 2인 39명의 환자

를 제 1군, KLG가 3 또는 4인 35명의 환자들을 제 2군으로 하였

다. 방사선적 결과에 대한 분석이 시행되었다.

결과: 제 1군에서 C2 sagittal vertical axis (SVA) (p=0.315), cer-

vical lordosis (CL) (p=0.760), C7 SVA (p=0.840), thoracic ky-

phosis (TK) (p=0.052), thoracolumbar angle (TL) (p=0.113),

lumbar lordosis (LL) (p=0.111) 및 pelvic tilt (PT) (p=0.120)는

수술적 치료 후의 결과가 최종 추시시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제 2군에서는 C7 SVA (p<0.001), CL (p<0.001), TL (p=0.006),

LL (P=0.005) 및 PT (P<0.001)는 최종 추시시 악화되었다. 최종

추시 시 C7 SVA (p<0.001), CL (p<0.001), LL (p=0.015) 및 PT

(p<0.001)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결론: KLG 3, 4의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은 후방기기 고정 및 유

합술을 시행 받은 요추부 퇴행성 질환 환자들의 척추 시상면 정

렬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척추 수

술을 계획할 때, 우리는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의 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색인단어: 요추부 퇴행성 질환, 후방 유합술, 시상면 정렬, 슬관

절 퇴행성 관절염

15S-055

Efficiency and Safety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for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Jae-Sung Ahn, Hojin Lee, Eugene Park, Chang-Kyun No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effect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by comparing the bone fusion rate of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that included the use of the de-mineralized bone matrix with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with autogenous posterior iliac bone graft.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a demineralized bone matrix is a common bone graft substitute,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uneven clinical results and fusion rates.Materials and Methods: 6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o-lateral fusion of the lumbar spine between 2009 and 2012 were enrolled for the study. After screening patients in the age group of 20–75 years by using preoperativ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3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olat-eral fusion with a demineralized bone matrix (group A) and 30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with autogenous posterior iliac bone graft (Group B) were inves-tigated. Bone union was determined by taking serial simple lumbar radiographs during 12 months after surgery. Accord-ing to Lenke’s scale, bone union was classified as “union” for Grades A and B and “nonunion” for Grades C and D. For further evaluation of the relevance of clinical symptoms and

Page 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

radiographic study, the authors classified the simple lumbar radiographs taken 12 months after surgery depending on the periscrew halo sign and pain.Results: In Group A, 21 cases (70.0%) showed union and 9 cases (30.0%) showed nonunion, and in Group B, 23 cases (76.7%) showed union and 7 cases (23.3%) showed nonunion. For group A, an average of 27.73 weeks was required for the union, and for group B, an average of 25.28 weeks was necessary for the un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Lenke’s Scale, in Group A, 11 cases (36.7%) were classified as grade A, 10 cases (33.4%) as grade B, and 9 cases (30.0%) as grade C. No case was classified as grade D. In Group B, 14 cases (46.7%) were classified as grade A, 9 cases (30.0%) as grade B, 7 cases (23.3%) as grade C, and no case as grade D. According to the periscrew halo sign and pain scale, in Group A, 17 cases (56.7%) were classified as grade I, 7 cases (23.3%) as grade II, 6 cases (20.0%) as grade III, and no cases as grade IV. In Group B, 20 cases (66.6%) were classified as grade I, 5 cases (16.7%) as grade II, 5 cases (16.7%) as grade III, and no case as grade IV.Conclusions: Demineralized bone matrix usage shows similar bone fusion rate as and can prevent the morbidity of autogenous bone graft, so it is considered an effective bone graft substitute for posterolateral fusion surgery.Keywords: Lumbar spine, Posterolateral fusion, Demineralized bone matrix, Bone fusion rate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탈무기질화 골기질을 적용한 경

우의 유효성과 안정성

안재성, 이호진, 박유진재진, 노창균

충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비교연구

연구목적: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탈무기질화 골기질을 이용

한 환자군과 자가 후방 장골을 이용한 환자군을 비교하여 탈무

기질화 골기질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탈무기질화 골기질은 후측방 유합술 시 흔

하게 사용되는 골유합 대체재이지만, 임상적으로 유합율 및 임

상 결과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본원에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요

추부의 후측방 유합술을 받은 60예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만 20세 이상 75세 미만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술 전 선정 및 제

외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를 선별하여 탈무기질화 골기질을 사

용하여 유합술을 시행받은 30예(A군)와 자가 후방 장골을 사용

하여 유합술을 시행받은 30예(B군)를 조사하였다. 수술 후 12개

월(최종 추시기)동안에 주기적 단순 방사선 사진을 통해 골유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골유합 여부는 Lenke’s scale의 기준에 따

랐으며, A, B인 경우를 유합, C, D인 경우를 불유합으로 정의하

였다. 추가적으로 환자의 임상 증상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

해 수술 후 12개월에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척추경 나사

못 선투과 소견과 동통 정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A군과 B군 간의 연령, 성별, 흡연 유무, 그리고 수술을 시

행받은 분절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A군 30명 중 21예

(70.0%)는 유합되었고, 9예(30.0%)는 불유합되었으며, B군 30

명 중 23예(76.7%)는 유합되었고, 7예(23.3%)는 불유합되었다.

A군에서 수술 후 골유합까지는 평균 27.73주가 소요되었으며 B

군은 평균 25.28주가 소요되었고 두 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enke’s Scale에 따라 grade A가 11

명(36.7%), grade B가 10명(33.4%), grade C가 9명(30.0%) 그

리고 grade D는 없었다. B군에서는 grade A가 14명(46.7%),

grade B가 9명(30.0%), grade C가 7명(23.3%)이고 grade D

는 없었다. 척추경 선투과 소견 및 동통의 분류에 따라 A군에서

Grade I가 17명(56.7%), Grade II가 7명(23.3%), Grade III가 6

명(20.0%), Grade IV의 경우는 없었다. B군에서는 Grade I가

20명(66.6%), Grade II가 5명(16.7%), Grade III가 5명(16.7%)

이었고 Grade IV의 경우는 없었다.

결론: 요추 후측방 유합술 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사용은 자가

골을 이용한 경우와 유사한 골유합율을 보이며, 자가골 이식에

따른 합병증 등을 피할 수 있어 효과적인 골대체재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요추, 후측방 유합술, 탈무기질화 골기질, 골유합율

15S-066

Robot-assisted vs. Freehand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Lumbar Spine -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A Perspective for Early Radiological and Perioperative Outcomes

Ho-Joong Kim1, Bong-Soon Chang2, Choon-Ki Lee2, Jin S. Yeom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and safety of single-level instrumente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performed using a robot-

Page 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

assisted minimally invasive PLIF (Rom-PLIF) approach or a conventional open PLIF (Cop-PLIF) approach.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the application of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IS) approaches for instrumented spine surgery, robot-assisted MIS has been proposed to further improve surgical outcomes whil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MIS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n=20/cohort) due to undergo a single-level PLIF procedure were randomly assigned to be treated using a robot-assisted MIS PLIF (Rom-PLIF) approach or a conventional open PLIF (Cop-PLIF) approach. Radiological accuracy and perioperative outcomes including surgical time from skin to skin, length of hospital stay, complication rates, time to return to ambulation, and radiation exposure were analyzed. For intra-pedicular accuracy of the pedicle screw, the screw positions were classified using the Gertzbein and Robbins criteria.Results: In the Rom-PLIF group, the four inserted screws were categorized as grade B, breaching the pedicle by <2 mm. In the Cop-PLIF group, 6 screws were classified as grade B violation and one screw as grade C. None of the 40 screws in the Rom-PLIF group violated the proximal facet joint, while 5 of 40 in the Cop-PLIF group violated the proximal facet joint (p=0.021). The average distance of the screws from the facets was 4.7±2.2 mm and 2.8±1.5 mm in the Rom-PLIF and Cop-PLIF groups, respectively (p<0.001). The total operating time, time to ambulation,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cohorts.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robotic-assisted pedicle screw insertion in MIS can ensure accuracy, greater patient safety, and a potential advantage with respect to a decrease in the stress at the adjacent segment.Keywords: Robot-assisted pedicle screw fixation, Proximal facet joint violation, Free-hand techniqu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요추 유합술에서 로봇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못 삽입과 프

리 핸드 테크닉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못 삽입의 전향적 무

작위 배정 연구 - 초기 방사선학적 결과와 수술 결과에 대

한 비교

김호중1, 장봉순2, 이춘기2, 염진섭1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1,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

연구목적: 단분절 요추 유합술에서 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

술과 프리 핸드 테크닉을 이용한 고식적 방법의 수술의 정확성

과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비교를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최소 침습 요추 유합술에 있어서, 로봇을 이

용한 경우 기존의 최소 침습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향상된 수

술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의 한 무작위 배정 연구는 이와 상반되게 로봇을 이용한 경우,

오히려 부정확한 나사못 삽입 결과를 보이고, 임상적 결과에서

는 차이가 없다고 한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 요추 유합술에 받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

로 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 유합술군(Rom-PLIF)과 고식적 방

법을 이용하는 군(Cop-PLIF)으로 무작위 배정 하였다. 방사선

학적 정확성과 수술 시간, 총 재원기간, 합병증 발생율, 수술 후

보행까지 걸린 시간, 수술 중 방사선 노출시간을 포함하는 초기

수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나사못의 척추경 내의 정확성에 대해

서는 Gertzbein and Robbins criteria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로봇을 이용한 군(Rom-PLIF)은 4예의 척추경 나사못이 B

등급(척추경 피질 침범 <2 mm) 이었고, 고식적 프리 핸드 술기

를 이용한 군(Cop-PLIF)은 6예의 척추경 나사못이 B 등급이였

고, 한 례는 C 등급이었다. 근위부 후관절 침범여부에 대해서,

로봇을 이용한 군에서는 전례(40예의 척추경 나사못) 에서 후관

절 침범이 없었다. 하지만, 고식적 프리핸드 술기를 이용한 군에

서는 40예 중 5예에서 후관절의 침범이 있었다(p=0.021). 척추

경 나사못과 후관절면과의 평균적 거리는 로봇군 과 고식적 군

에서 각각 4.7±2.2 mm와 2.8±1.5 mm 이었다(p<0.001). 수술

후 혈액량을 제외한 다른 초기 수술 결과는 두군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로봇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못 삽입은 고식적 방법에 비해

유의한 정확성의 향상을 보이고, 근위부 후관절의 스트레스에

있어서 잠재적인 잇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로봇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못 삽입, 근위부 후관절면

침범, 프리핸드 술기, 요추 유합술

15S-090

The Cost Effectiveness of Recycling Pedicle Screws During Extension Revision Surgery for Adjacent Segmental Disease Following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Ji-Hoon Shim, Young-Hoon Jo, Chang-Nam Kang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cost effectiveness of

Page 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

patients who underwent extension revision surgery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using the recycled pedicle screws extracted from the fused segments with that of patients who underwent the traditional extension techniqu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Between 1998 and 2008, the frequency, utilization, and hospital charges of spinal fusion increased at a higher rate than other notable inpatient procedures.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32 patients who had previously undergone posterolateral spinal fusion using pedicle screws, and developed adjacent segment disease and underwent extension revision surgery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12.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14 patients who received underwent surgery using the recycled pedicle screws extracted from the fused segments (Group I) and a group of 1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s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Clin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for lumbago and leg pain, and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The radiolo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for the degree of bone fus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time, transfusion amount, and the cost of surgery were evaluated.Results: The mean improvements for VAS for lumbago and leg pain and K-ODI were 4.6, 4.8, and 31.1 at a mean follow-up of 23.3 months (range: 12-82 months), respectively, in Group I, and 4.0, 3.9, and 29.6 at a mean follow-up of 27.5 months (range: 12-84), respectively, in Group II.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319, p=0.107, and p=0.135 m respectively). Radiological bone fusion was determined from a simple radiograph an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conducted at postoperative 6 months, 1 year, and 2 years. Bone fus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in Group I; however, there was 1 case of fusion failure in Group II (p=1.000). The mean operation time and transfusion amount was 379 min and 2196 cc, respectively, in Group I and 344 min and 1690 cc, respectively, in Group II (p=0.301, p=0.442). The operation cost was 4,780,000 Korean Won in Group I and 5,710,000 Korean Won in in Group II (p=0.029).Conclusions: Recycling the pedicle screws during the extension revision surgery for adjacent segmental disease following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seems to be more cost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chnique, while producing similar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Keywords: Adjacent segmental disease, Extension operation, Recycling pedicle screws, Cost effectiveness analysis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인접 분절 척추관 협착증에

대하여 연장 수술시에 기존의 척추경 나사못 재사용의 비

용-효과 분석

심지훈, 조영훈, 강창남

한양대학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척추관 협착증에 대

하여 연장 수술시에 기존의 유합된 분절의 척추경 나사못을 제

거하고 인접 분절에 재사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술

식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용-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 유합술의 빈도 및 환자 부담 비용이 증

가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기기

고정 요추 후외방 유합술후 인접 분절 척추관 협착증으로 연장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에서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

던 3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유합된 분절의 척

추경 나사못을 제거하고 인접 분절에 재사용한 환자들(group I)

이 14예었으며 전통적인 술식을 시행한 환자들(group II)이 18

예였다. 임상적 결과는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대한 Visual ana-

logue scale (VAS),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하여 골 유합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외에 두 군 간에 수술 시간, 수혈량 및 수

술 비용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Group I(14명)에서 술 후 평균 23.3개월(12-82개월)에 측

정한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대한 VAS, K-ODI 호전 정도는 각

각 평균 4.6, 4.8, 31.1이었으며, group II(18명)에서는 술 후 평

균 27.5개월(12-84개월)에 각각 4.0, 3.9, 29.6의 호전 정도를 보

여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19,

p=0.107, p=0.135). 방사선학적 유합의 판정은 수술 후 6개월,

1년, 2년의 단순 방사선 사진과 삼차원의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으며, group I의 경우 모두 유합되

었고 group II의 경우 1예의 불유합 있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p=1.000). Group I과 group II의 수술 시간과 수

혈량은 각각 평균 379분과 344분, 2196cc와 1690cc로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301, p=0.442), 수술

비용은 group I에서 평균 478만원, group II에서 571만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29).

결론: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척추관 협착증에 대하여

연장 수술시에 기존의 유합된 분절의 척추경 나사못을 제거하

고 인접 분절에 재사용한 경우에는 수술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

Page 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

서도 기존의 술식과 유사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색인단어: 인접 분절 척추관 협착증, 연장 수술, 척추경 나사못

재사용, 비용-효과 분석

15S-062

Outcome of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in Single-Level Lumbar Interbody Fusion

Joonghyun Ahn2, Jae Chul Lee1, Sung-Woo Choi1, Hae-Dong Jang1, Byung-Joon Shin1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EPCO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level lumbar interbody fu-sion surgery using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lumbar interbody fusion surgery using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for treating single-level lumbar pathology. Howeve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still remains.Materials and Methods: Thirty out of 39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level lumbar interbody fusion surgery using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ith regular follow-ups of more than 1 yea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 and the VAS score of back and leg pain before and after surgery. In the radiological evaluation, fusion rate, period for fusion, subsidence of grafted material, lumbar lordosis, and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SD) were ob-served and analyzed with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lain radiographs.Results: The average patient age was 49.6 years; 17 of the considered patients were males, and 13 were female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0 months. The VAS scores of back pain and leg pain significnatly decreased from preop-erative 4.1±2.5 to 1.4±1.8 (p<0.001) and 8.0±1.3 to 1.2±1.8 (p<0.001), respectively. ODI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preoperative 26.4±9.7 to 9.2±7.2 at the final follow-up (p<0.001). One of the three radiologic nonunion patients

and the two adjacent segment disease (ASD) patients were required to undergo a reoperation. Conclusions: The use of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good option for the treatment of single-level lumbar interbody fusion if applied to properly selected patients.Keywords: Unilater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Interbody fusion, Lumbar

편측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단분절의 요추 추체

간 유합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안중현2, 이재철1, 최성우1, 장해동1, 신병준1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형외과1, 한전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편측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단분절 요추

추체간 유합술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장기적으

로 추시하여 그 예후 및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편측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요추

추체간 유합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지 않고, 생역학적으로

양측 나사못 고정술에 비하여 고정력이 약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유합율 및 임상결과에서 동등하다는 결과도 보고 되는

등, 장기 추시 결과 및 유용성에 대하여 아직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3년 4월까지 편측 척추경 나

사못 고정술을 이용하여 단분절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받

은 39명의 환자중 1년이상 정기적으로 추시가 가능하였던 30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과 술후 추

시시의 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수술전후로 비교 하였다. 방사선학적인 평가는

술 후 추시시 요추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

용하여 유합 여부 및 유합에 소요된 기간을 평가하였다. 합병증

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9.6세로 남자는 17명, 여자는 13

명이었다. 추시 기간은 평균 50개월이었다. 수술 전 하지 증상

이 편측인 환자가 27명, 양측이 3명이었다. 수술 전 요통 및 하

지 방사통의 VAS점수는 각각 4.1±2.5, 8.0±1.3에서 최종 추시

시 1.4±1.8, 1.2±1.8로(p<0.001), ODI는 술 전 26.4±9.7에서

술 후 최종 추시시 9.2±7.2로 술전에 비하여 38% 유의하게 호

전된 소견을 나타내었다(p<0.001). 수술 후 나사못의 이탈이나

추체간 이식물의 전위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3례의 방사선

학적인 불유합이 발생하여, 그 중에 증상이 심한 1 명과, 인접분

절 질환이 발생한 2명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단일 분절 요추 추체간 유합술 시행시, 편측 척추경 나사

못 고정술은 적절한 환자에서 적용될 경우 좋은 치료 방법이 될

Page 1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

수 있다.

색인단어: 편측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추체간 유합술, 요추

15S-024

Clinical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Motor Weakness Recovery after Lumbar Disc Herniation Surgery

Dae Moo Shim, Tae Kyun Kim, Chang Hyun Shin, Min Su Joo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ere are various ind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for lumbar disc herni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ide which patient should undergo surgical treatment when the motor weakness of the lower limb is the main concern. Furth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factors that affect postoperative recovery.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related to motor weakness recovery, after discectomy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mainly complaining of the motor weakness of the lower limb.Summary of Literature Review: We nee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trength recove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ho mainly complain of the motor weakness of the lower limb.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targeted 109 patients who had lumbar disc herniation of a single segment in which motor weakness was the major symptom,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discectomy at our hospital between March 2007 and June 2013. We excluded the patients who had an underlying disease that could affect their muscular strength. We divided all cases into three groups, namely the early recovery group, the gradual recovery group, and the group that remained constant, and analyzed the patients’ age, sex, period of morbidity before operation, severity of motor weakness before operation, and location of disc herniation. Phys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RC grade in every considered case before the operation, right after the operation, 6 weeks after the operation, and 1 year after the operation.Results: Among the 109 patients, 61 patients showed meaningful recovery of strength within 6 weeks after the operation, 20 patients showed meaningful recovery of

strength within 6 weeks to 1 year after the operation, and 28 patients did not show any recovery of strength. The younger the patient was (r=0.77, p<0.05) the shorter was the period of morbidity before the operation (r=-0.53, p=0.01). Male patients showed a shorter period of morbidity before the operation than the female patients (p<0.05). Further, patients in whom the herniation site was the central zone showed a relatively short was the period of morbidity. These factors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motor weakness recovery.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motor weakness and the level of disc herniation.Conclusions: Since patient age, sex, period of morbidity, and herniation site are factors that affect treatment outcome in cases of lumbar disk herniation with the main symptom of lower limb motor weakness,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are young and male, has a short period of morbidity or who suffer from central zone herniation. Further, there i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recovery of strength and preoperative motor weakness or level of disc herniation.Keywords: Lumbar disc herniation, Motor weakness in lower limb, Discectomy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인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 후

근력 회복 관련 인자 분석

심대무, 김태균, 신창현, 주민수

원광대학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은 다

양하다. 그러나 하지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일 경우 수술적 치료의

대상을 정하기 어려우며,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인자에 대한 연

구가 많지 않다.

연구목적: 하지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인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추간판 절제술 후, 근력 회복과 관련된 인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하지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인 경우 수술적 치

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회복 관련 인자에 대한 분석이 필요

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추간

판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인 단일 분절

의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0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행 전

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는 대상에서 배

제하였다. 전체 환자 군을 대상으로 근력이 조기 회복된 군, 느

리게 회복된 군, 변화 없는 군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수술 전

이환 기간, 수술 전 근력 약화 정도, 추간판 탈출 부위와 위치

Page 1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

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6주, 1년 시에 이학적 검사를 이용하여 도수근력측정(MRC

grade)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109명의 환자 중 수술 후 6주이내 유의수준의 근

력 회복을 보인 환자는 61명, 수술 후 6주에서 1년이내 근력 회

복을 보인 환자는 20명, 근력 회복을 보이지 않은 환자는 28

명이었다 근력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상관관계는 환

자의 연령이 젊을수록(R=0.77, p<0.05), 성별이 남자인 경우

(p<0.05), 수술 전 이환 기간이 짧은 경우(R=-0.53 p=0.01), 추

간판 탈출 부위가 central zone 인 경우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수술 전 근력 약화 정도와 추간판 탈출 마디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하지 근력 약화가 주 증상인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나이가 젊을 수록, 남성일 때, 수술 전 이환 기간이 짧을 수

록, central zone 탈출일 경우 근력회복과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어 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

료되며, 수술 전 근력 약화 정도와 수술 전 추간판 탈출 마디

와는 근력 회복과 유의한 연관성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요추 추간판 탈출증, 하지 근력 약화, 추간판 절제술

15S-034

Clinical Outcome of Simple Discectomy for the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Dong Jun Kim, Young Do Koh, Jong Oh Kim, Hyung Mook Lim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of simple discectomy in patients with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two kinds of studies on the treatment of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The first type of study considers fusion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postoperative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nd persistent back pain.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ho underwent simple discectomy for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were followed-up over 3 years. The mean patient age was 52.8 years (38-68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5.4 months (36-144 months). Pre- and postoperativ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of back pain and lower

leg radiating pain were compared. Pre- and postoperativ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s were us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Modified MacNab’s outcome was used to evaluate patient satisfaction. Subjective survey data from the Delphi checklist was reviewed to verify the clinical lumbar instability. Results: The mean back pain VAS score showed 87.5% improvement, pre-operative score of 8, and post-operative score of 1 (p<0.001). The mean lower leg radiating VAS scores showed 89% improvement, pre-operative score of 7.3, and post-operative score of 0.8 (p<0.001). The mean pre-operative ODI score was 29.9, and the mean post-operative score checked at the last follow-up was 3.5. It showed 88.3% improvement (p<0.001). Excellent and good satisfaction was reported by fourteen patients (87.5%), and clinical lumbar instability was observed in one patient (6.3%). Conclusions: The clinical outcome of simple discectomy for recurrent disc herniation was satisfactory. Simple discectomy without fusion is recommended for managing recurrent disc herniation without instability. Keywords: Lumbar, Recurrent disc herniation, Discectomy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에서 단순 추간판 절제술의 임상

결과

김동준, 고영도, 김종오, 임형묵

이화여자대학교 정형외과

연구계획: 본 연구는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단순 추

간판 절제술 후 추시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목적: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

증 환자의 수술시, 단순 추간판 절제술만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

과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재수술시

요추부 불안정성과 지속적인 요통이 합병증으로 고려되어 유합

술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와 단순 추간판 절제술로

도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단순 추간판 절

제술을 시행한 45명의 환자 중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2.8세(38-68세)였고 평

균 추시 기간은 75.4개월(36-144개월)이었다. 이환 부위는 요추

제 4-5번이 13예(81.3%), 요추 제 5번~천추 제 1번이 3예(18.7%)

였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시 요통과 하지 방사통의 visual ana-

logue scale (VAS) 점수를 측정하여 통증 호전 정도를 비교하였

고,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여 임상적 결과를

Page 1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2

분석하였다. Modified MacNab’s outcome을 이용하여 환자 만

족도를 평가하였으며, Delphi check list의 주관적 설문 중 13개

문항을 이용하여 임상적 요추 불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평균 재발 기간은 43.1개월(6-120개월) 이었으며, 2예에

서 수술 중 경막 손상이 발생하였다. 요통의 VA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8점에서 최종 추시시 평균 1점으로 87.5% 호전되었으

며, 하지 방사통의 VAS 점수는 평균 7.3점 에서 0.8점으로 89%

호전되었다. 수술 전 평균 ODI는 29.9였으며 최종 추시시 3.5

로 평균 88.3%호전 되었다. 총 14예(87.5%)에서 우수 이상의 환

자 만족도를 보였으며, 2예에서 양호한 만족도를 보였다. 1례

(6.3%)에서 임상적 요추 불안정성을 보였다.

결론: 재발성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재수술시 단순 추

간판 절제술을 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색인단어: 요추부,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 절제

15S-058

Direction of Migration in Lumbar Extruded Disc

Chul Hyung Kang1, Eun Seok Son1, Du Whan Kim2, Suk Joong Lee1, Jae Won Jung1 Keimyung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eimyung University Rehabilitation Medicine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of migrated lumbar disc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nly a few comprehensive studies on the direction of a migrated lumbar disc have been reported thus far.Materials and Methods: Lumbar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of 164 patients with a symptomatic extruded disc were reviewed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2.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81 men and 83 women, with a mean age of 59.95±15.37 years. We evaluated the level,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migrated disc.Results: Migration was observed in 9 cases (5%) at the L1-2 level, in 21 cases (13%) at the L2-3 level, in 29 cases (17%) at the L3-4 level, in 72 cases (44%) at the L4-5 level, and in 33 cases (20%) at the L5-S1 level. In the horizontal plane, we observed 10 cases (6%) with central migration, 110 cases (67%) with paracentral migration, 30 cases (18%) with subarticular migration, and 14 cases (9%) with foraminal migr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foraminal extrusions with increasing age (p=0.010). In the vertical plane, rostral and caudal migrations were observed in 45 and 119 cases, respective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rostral migrations with increasing age (p=0.048). Foraminal herniation always migrated cranially (p=0.000).Conclusions: Paracentral disc herniation is the most common in the horizontal plane. Caudal migration is more frequent in the vertical plan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foraminal extrusion with increasing 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rostral migration with increasing age. Foraminal herniation always migrated cranially.Keywords: Lumbar, Extruded disc, Migration

탈출된 요추 추간판의 전위 방향

강철형1, 손은석1, 김두환2, 이석중1, 정재원1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정형외과1,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재활의학과2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탈출된 요추 추간판의 전위 방향 및 이와 연관된 요인

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위된 추간판 탈출의 방향 및 특징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

산병원에서 요추의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 중 탈출된 추

간판(extruded disc)의 전위(migration)를 보였던 164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81명, 여자가 83명 이었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9세(20-92세)였다.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탈출

된 추간판의 분절(level)과 방향(중심성, 우측, 좌측), 위치(중심

성, 후외측, 관절하, 추간공) 및 전위의 방향(상, 하)을 조사하였

고 이를 환자의 나이와 함께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추간판 탈

출은 빠져나온 수핵의 길이가 수핵이 빠져나온 경계부의 길이

보다 크거나 수핵의 연속성이 소실된 경우로 정의하였고, 탈출

된 추간판의 전위는 추간판의 유리(sequestration) 유무와 상관

없이 수핵이 추간판 돌출부에서 이동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탈출된 추간판의 분절은 L1-2가 9예(5%), L2-3가 21예

(13%), L3-4가 29예(17%), L4-5가 72예(44%), L5-S1이 33예

(20%)였다. 탈출된 추간판의 방향은 중심성이 10예, 우측이 58

예, 좌측이 96예였다.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는 중심성이 10예

(6%), 후외측이 110예(67%), 관절하가 30예(18%), 추간공이

14예(9%)였으며 환자의 연령이 고령일수록 추간공 탈출의 빈

도가 높아졌다(p=0.010). 전위의 방향은 상부로의 전위가 45예

(27%), 하부로의 전위가 119예(73%)로 하부로의 전위가 많았

Page 1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3

으나 환자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상부로 전위되는 빈도가 의

미있게 높았다(p=0.048).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에 따른 전위의

방향은 추간공 탈출에서 상부로의 전위가 많았다(p=0.000).

결론: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는 후외측이 가장 많았으며 하부로

의 전위가 많았다.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추간공 탈출이 많았

다.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상부로 전위되는 비율이 높아졌다.

추간공으로 탈출된 추간판은 상부로의 전위가 많았다.

색인단어: 요추, 추간판 탈출, 전위

15S-081

Anterior Fusion and Additional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for Infective Discitis - Comparison with Anterior Debridement and Fusion Alone -

Seo Hyoung-Yeon, Chung Jae-Yoon, Kim Sung-Kyu, Choi Jun-Ik, Woo Seong-Hwa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s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assessment of the treatment ef-fect of anterior fusion and additional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for infective discitis. Objectives: To investigate whether additional percutaneous pedicle screw for a stronger fixation brings about better re-sults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infective discit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nterior fusion with strut bone graft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could be a favorabl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infective discitis.Materials and Methods: 22 infective discitis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fter medical treatment fail-ure between 2009 and 2014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rgery was performed by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and exposure of the infected disk through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followed by debride-ment and anterior fusion with autologous iliac graft. The control group had 19 cases of infectious discitis that were treated with anterior debridement and fusion with au-tologous iliac graft.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adiologic results, type and period of external support, dura-tion of antibiotics administration,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Results: The postoperative ODI in the study group decreased from preoperative 66.1 points to 11.3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53.6 to 16.6 points. The postoperative lordotic angle of the lesion

was 10.5° (mean) and 7.6° (mean) at the final follow-up,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6.3° and -1.2°, respec-° and -1.2°, respec- and -1.2°, respec-°, respec-, respec-tively (p<0.05). The post-operative height of the anterior disc was 18.9 mm and 14.5 mm at the final follow-up in the study group,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7.3 mm and 10.7 mm, respectively (p<0.05). The study group showed bony union in all cases at the final follow-up,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n-unions in 5 cases. The dur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s administr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study (5.7 weeks) and the control (6.2 weeks) group (p>0.05).No reoperation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Neither infec-tious spread due to metallic fixation nor metallic loosening was observed in the study group.Conclusions: The addition of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to the treatment of infective discitis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use of anterior fusion alone in terms of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nd radiologic results. Neither infec-tious spread nor treatment delay was observed. Therefore, we suggest that additional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be considered as an op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infec-tious discitis.Keywords: Infectious discitis,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Anterior debridement and fusion

전방유합술에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추가한 감

염성 추간판염의 수술적 치료

- 단독 전방 소파 및 유합술과의 비교 -

서형연, 정재윤, 김성규, 최준익, 우성환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감염성 추간판염의 수술적 치료를 위해 경피적 척추

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고 동시에 전방 소파 및 유합술을 시

행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목적: 최근에는 경피적으로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할 수 있

으며 우수한 항생제 치료등이 도입되어 척추경 나사못을 추가

로 시행함으로서 강한 고정력을 확보하여 좋은 치료 결과를 얻

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방유합술 및 골이식술과 동시에 시행한

후방기기 고정술은 조기보행과, 후만각의 교정의 장점으로 화

농성 척추체염의 치료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내과적 치료에 실패하였

던 감염성 추간판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고 1년간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감염성 추간판염

의 분절을 후방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을 먼저 고정한후 후

Page 1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4

복막강 도발법을 통해 감염된 추간판을 노출시킨뒤 소파 및 자

가장골을 이용한 전방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비교군은 2007년부

터 2013년까지 감염성 추간판염으로 후복막강 도발법으로 소

파 및 자가장골을 이용한 전방유합술을 시행한 19례를 대상으

로 하여 연구군과 비교하였다. 수술후 임상 결과(ODI), 방사선

학적 결과, 외부고정의 종류와 기간, 항생제 투여기간, 합병증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후 임상결과는 연구군은 수술전 ODI 66.1점에서 최

종추시상 11.3점으로 감소하였고, 비교군은 53.6점에서 16.6점

으로 감소하였다(p<0.05). 방사선학적 결과상 수술후 연구군의

수술부위 전만은 수술직후 평균 10.5도로 회복되었고, 최종 추

시상 전만각은 평균 7.6도로 유지되었다. 비교군의 전만각은 수

술직후 평균 6.3도, 최종 추시상 평균 -1.2도이었다(p<0.05). 전

방 추간판 높이는 연구군에서 수술 직후 18.9 mm, 최종 추시상

14.5 mm이었으며, 비교군에서는 각각 17.3 mm, 10.7 mm이었

다(p<0.05). 연구군은 최종 추시상 전례에서 골유합을 보였으

며, 비교군은 5례에서 방사선학적 불유합을 보였다. 수술후에

연구군은 TLSO 보조기를 평균 6.1주 착용하였으며, 비교군은

body jacket cast를 수술후 4주 착용하다가 TLSO 보조기를 추

가로 5.8주간 착용하였다. 수술후 정맥 항생제 투여기간은 연구

군 5.7주, 비교군 6.2주로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p>0.05). 두

군 모두 재수술을 시행한 예는 없었다. 연구군에서 금속 고정으

로 인한 감염의 파급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금속 해리가 관찰된

예도 없었다.

결론: 감염성 추간판염의 수술적 치료를 위하여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추가하는 술식은 전방유합술 단독과 비교하여 수

술후 재활, 방사선학적 결과의 측면에서 더 우수하였다. 금속 고

정으로 인한 감염의 파급이나 치료가 지연된 예는 관찰되지 않

았다. 따라서 감염성 추간판염의 수술적 치료에 선택적으로 경

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감염성 추간판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전방

소파 및 유합술

15S-031

The Effect of Pedicle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Fusion for Lumbar Degenerative Diseases on Individual Paraspinal Muscle and Lower Back Pain

Yong-Chan Kim1, Hyung-Joon Kim1, Tae-Hwan Kim1, Jae-Keun Oh2, Woo-Kyoung Yoo3, Moon-Soo Park1, Seok-Woo Kim1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1,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2,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3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analysis with prospectively collected electromyographic and clinical data. Objectives: To confirm denervation and reinnervation of the paraspinal muscle by pedicle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fusion and to determine the aggravation or improvement in the lower back pain (LBP) in these patient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erior spinal fusion, followed by instrumented spinal fusion, is the main treatment strategy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However, i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lower back pain,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Materials and Methods: 67 patients who had improved leg pain but complained of lower back pain at 3 months after pedicle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fusion at the L3-4-5 leve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4-5, I and L3-4-5, II). The paraspinal mapping score was recorded before surgery and at 3, 6, 12, and 18 months after surgery. The Oswestry disablity index (ODI) and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were calculated. We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and a mixed model analysis.Results: Pedicle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fusion significantly denervated not only multifidus and erector spinae in the surgical segment but also those in the adjacent segment. In Group I, there was reinnervation in the denervated erector spinae and multifidus at postoperative 12 months and 18 months, respectively. In Group II, there was reinnervation in only the denervated erector spinae of the upper segment at postoperative 18 months, but there was no reinnervation in the other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operative lower back pain at postoperative 12 months in Group I and at postoperative 18 months in Group II.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BP at postoperative 6 months or prior to the reinnervation in multifidus.Conclusions: The denervated multifidus and erector spinae by pedicle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fusion at L4-5 were significantly reinnervated at postoperative 18 months and those of L3-4-5 had a tendency to be reinnervated at the follow-ups. Postoperative LBP in these patients improved significantly prior to the reinnervation.Keywords: Posterior fusion, Paraspinal muscle, Denervation, Reinnervation, Lower back pain

Page 1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5

척추경 나사못 고정과 후방 유합술이 척추주위근육과 요

통에 미치는 영향

김용찬1, 김형준1, 김태환1, 오재근2, 유우경3, 박문수1, 김석우1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형외과1, 한림대학 교성심병원 신경외과2,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재활의학과3

연구계획: 전향적으로 시행된 근전도 검사 결과 및 임상 결과의

후향적 분석.

연구목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과 후방 유합술에 의한 척추주

위근육의 탈신경화 및 재신경화를 확인하고 이런 환자에서 요

통의 악화 및 개선의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후방기기고정 및 유합술은 요추부 퇴

행성 질환의 주요한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 후 합병증중의

하나로 요통이 흔하게 보고 되고있다. 요추부 퇴행성 질환에 대

한 척추 경 나사못 고정술 및 후방 유합술에 의한 다열근 및 천

극근의 탈신경화 및 재신경화에 대한 보고는 없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연구로써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치료로

제 3-4-5요추간 척추경 나사못 고정 및 후방 유합술 후 3개월째

하지의 증상은 호전되었지만 요통을 호소하는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두 군으로 나뉘었다(제 4-5요추간,

제 1군; 제 3-4-5요추간, 제 2군). 근전도 검사가 수술 전, 술 후

3, 6, 12, 및 18개월에 시행되었고, Oswestry Disablity Index

(ODI) 와 Visual Analogue Scale (VAS)이 기록되었다. 통계적

으로 일반선형모델과 혼합모델분석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

행하였다.

결과: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후방 유합술은 수술분절의 다열

근 및 천극근 뿐만 아니라 인접분절의 근육도 유의하게 탈신경

화 시켰다. 제1군에서는 탈신경화된 천극근과 다열근이 각각 수

술 후 12개월 및 18개월에 재신경화 되었다. 제 2군에서는 상부

인접부의 천극근이 술 후 18개월째 재신경화 되는 것을 제외하

고는 18개월째까지 재신경화되는 근육은 없었다. 임상적으로

제 1군에서는 12개월째, 제 2군에서는 18개월째 술 후 발생된

요통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통의 개선은 다열

근의 재신경화보다 6개월 이전에 보였다.

결론: 제 4-5요추간 척추경 나사못 고정 및 후방 유합술에 의해

탈신경화된 다열근과 천극근은 술 후 18개월째 재신경화 되었

고, 제 3-4-5요추간에서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추시 기간 동안

재신경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요통의 개선은 재신

경화보다 이른 시점에 일어났다.

색인단어: 후방 유합술, 척추주위근육, 탈신경화, 재신경화, 요통

15S-060

Risk Factor Analysis of Residual Low Back Pain after Decompressive Surgery for Lumbar Spinal Stenosis

Jae Chul Lee, Hae-Dong Jang, Sung-Woo Choi, Soo-Jin Yoon, Byung-Joon Shin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Objectives: To verify the effect of decompression on low back pain (LBP) and analyze the risk factors of residual LBP after decompressive surgery for treating lumbar spinal sten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primary goal of decompressive surgery for lumbar spinal stenosis is the improvement of leg pain. LBP also usually decreases after surger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report the risk factors for residual LBP after decompressive surgery.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and seventy-seven patients underwent decompressive surgery to treat lumbar spinal stenosis. Two hundred and seventy-seven patients underwent simple decompressive surgery to treat lumbar spinal stenosis. The average age was 67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8 months. The number of operated segments ranged between 1 and 4.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with a visual analog scale (VAS) for LBP and leg pain,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idual LBP was defined as a VAS score of more than 5 at the final follow-up. Radiologic evaluation included disc degeneration on plain radiograph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Lumbar lordosis was measured on plain radiographs. The presence of a compression fracture, grade 1 spondylolisthesis, and mild segmental instability was also reviewed. For detecting the risk factors of residual LBP after decompressive surgery, patients who had an LBP VAS score of more than 5 at the final visit were compared to those who had a VAS score of 5 or less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Results: The mean VAS score of LB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8 preoperatively to 2.0 at the final follow-up, and leg pain from 6.7 to 2.1. In the univariate analysis, patients who had LBP VAS score >5 at the final follow-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operative VAS score of LBP (p<0.0001) and leg pain (p=0.010), and borderline

Page 1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6

significance for a higher preoperative disc degeneration grade (p=0.051), when they were compared to those who had LBP <5.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operative VAS scores of LBP (p=0.002) and leg pain (p=0.036)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However, patients’ gender, age, symptom duration, number of operated segments, Pfirrmann grade, preoperative lumbar lordosis, and presence of compression fracture, spondylolisthesis, or insta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Conclusions: Decompressive surgery effectively decreased LBP in spinal stenosis patients as well as leg pain. Greater preoperative LBP and leg pain may predispose to residual LBP after decompressive surgery. These fac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ring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surgical option and patient counseling.Keywords: Spinal stenosis, Decompression, Low back pain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의 단순 감압술 시행 후 중등도 이상

잔여 요통이 남는 경우에 대한 위험인자 분석

이재철, 장해동, 최성우, 윤수진, 신병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의무 기록과 영상 검토에 의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단순 감압술의 요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의 감압술 시행후 중등

도 이상의 요통이 남는 경우에 대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

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 대한 단순 감압술

은 1차적인 목적은 하지 방사통의 호전이지만, 일반적으로 술

후 요통도 감소시키는 유용한 술식이다. 그러나 단순 감압술 시

행 후 중등도 이상 요통이 남게되는 위험인자를 찾고자 하는 연

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단순 감압술을 시행

받은 2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7세 였으며 평

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수술분절의 수는 1-4 분절이었다.

환자의 요통과 하지방사통은 VAS 점수를 이용하였고, ODI 점

수도 조사하였다. 최종 추시 시점에 VAS 5점 이상을 잔여요통

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추간판 퇴행 정도에 대한 영상의학

적 분석은 단순 방사선 촬영과 MRI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요추

부 전만은 단순방사선촬영에서 측정하였고, 압박골절, 척추전방

전위증, 경도의 분절 불안정성의 유무도 관찰하였다. 감압술 시

행후 잔여요통이 5점 이상인 환자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 이외에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도 이용하여 비교

하였다.

결과: 요통의 평균 통증평가척도는 술전 3.8에서 최종추시 2.0

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하지 방사통도 6.7에서 2.1로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최종추시 통증평가척도 5이

상의 요통을 호소한 환자는 5미만의 환자에 비해 술전 요통, 하

지 방사통의 VAS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술전 단순 사진상 추

간판퇴행등급도 경계성 유의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도 술전 요통과 하지 방사통의

VAS 점수가 유의한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별, 나이,

증상 기간, 수술시행 분절의 수, MRI상 추간판퇴행등급, 술전 요

추부 전만의 정도 등과 압박골절, 척추전방전위증, 분절불안정

성의 유무는 유의하지 않은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감압술은 하지 방사통뿐만 아니

라 요통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술전 요통과 하지 방사통이

심한 환자는 단순 감압술 시행후 요통이 잔존할 수 있으며, 이는

수술방법의 선택과 환자와의 면담에서 주의깊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척추관 협착증, 단순감압술, 요통

15S-056

Does Tranexamic Acid Increase the Incidence of Thromboembolism after Lumbar Fusion Surgery?

Young-Tae, Kim, Kyu-Jung, Cho, Sung-Jo, Yang, Nak-Chul, Kim Inha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We conduct a prospective data analysis to clarify the incid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TXA).Objectives: Although TXA has been shown to reduce blood loss after lumbar fusion surgery, it may increase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VTE in patients using TXA postoperatively who had undergone lumbar fusion surgery.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incid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spinal fusion varies from 0.3% to 15.5%.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anexamic acid and venous thromboembolism.Materials and Methods: In a single center, 93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fusion surgery were enrolled p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administered TXA 10 mg/kg intravenously for 48 h after the surgery. Lower extremity duplex ultrasonography was checked 7 days after surgery. Further study was conduct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Page 1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7

pulmonary angiogram in cases with abnormal findings. The D-dimer levels were measured twice: 1) on admission and 2) 7 days after surgery.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61.2 years, and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was 2.1±1.3. No patients showed clinical symptoms or signs of VTE, but 5 (6.2%) patients’ duplex ultrasonography showed suspicious findings of deep vein thrombosis (DVT). Among the 5 patients, 1 patient (1.2%) was confirmed to have DVT in bilateral calf veins by computed tomography (CT), and pulmonary embolism (PE) was found through pulmonary angiogram in 1 patient. They were treated successfully by anticoagulant therapy. A high D-dimer level was not detected in the 5 patients with suspi-cious findings of DVT, compared with the remaining patients (2.4±1.2 �g/ml vs. 2.1±0.8 �g/ml; p=0.72, respectively). Pa-�g/ml vs. 2.1±0.8 �g/ml; p=0.72, respectively). Pa-g/ml vs. 2.1±0.8 �g/ml; p=0.72, respectively). Pa-�g/ml; p=0.72, respectively). Pa-g/ml; p=0.72, respectively). Pa-tients with suspicious findings of DVT had higher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blood los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297).Conclusions: The incidence of VTE after lumbar fusion sur-gery in patients using tranexamic acid was 2.4%. This study found that the D-dimer level was not useful for the early de-tection of thromboembolism after lumbar fusion surgery.Keywords: Spinal fusion, Tranexamic acid, Thromboembo-lism, Bleeding, Duplex ultrasonography

요추유합술 후에 트라넥삼산을 투여하면 혈전색전증의 빈

도가 증가하는가?

김영태, 조규정, 양성조, 김낙철

인하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트라넥삼산(TXA)의 투여 후 발생하는 정맥 혈전색전

증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인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목적: 요추 유합술 후에 트라넥삼산(TXA)을 투여하면 출

혈량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있지만, 정맥 혈전색전증(VTE)의

위험성은 커질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요추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에게 수술 후 TXA를 투여했을 때 VTE의 빈도가 어느 정

도인지 알고자 하여 시행했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 유합술 이후 발생하는 정맥 혈전 색전

증의 빈도는 0.3%에서 15,5%로 다양하며, 트라넥삼산 투여 후

발생하는 정맥 혈전 색전증의 빈도에 대한 연구는 많지않다.

대상 및 방법: 단일 의료기관에서 요추유합술을 받은 환자 93명

을 연속적으로 등록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했다. 모든 환자들에

게 수술 후 48시간 동안 TXA를 10 mg/kg의 용량으로 정맥내로

투여했다. 수술 후 7일에 하지 혈관 초음파(duplex ultrasonog-

raphy)검사를 하였으며, 이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난 환자

들에게는 추가로 전산화단층촬영 및 폐동맥조영술을 시행했다.

D-dimer 수치는 두 번 측정했는데, 즉 1) 입원한 날, 2) 수술 후

7일째에 측정했다.

결과: 평균 연령은 61.2세였고, 유합된 분절의 개수는 2.1±1.3

개였다. VTE의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나타낸 환자는 없었지만,

5명(6.2%)에서는 혈관 초음파 검사에서 심부정맥혈전증(DVT)

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나타났다. 이 5명 중 1명은 CT에서 양측

종아리 정맥에 DVT가 있다고 확진되었고, 다른 1명의 경우에

는 폐동맥조영술에서 폐색전증이 발견되었는데, 이 환자들에게

는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완치할 수 있었다. DVT가 의심된 소견

을 보인 환자 5명의 경우 나머지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 D-dimer

수치는 높게 측정되지 않았다(2.4±1.2 ㎍/㎖ 및 2.1±0.8 ㎍/

㎖; p=0.72). DVT가 의심된 소견을 보인 환자들에게서 수술 중

및 수술 후 혈액 소실이 더 많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297, 0.062).

결론: 요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게 TXA를 투여했을 때

VTE의 발생빈도는 2.4%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요추유합술 후

혈전색전증을 조기에 발견하려 하는 경우에 D-dimer 수치는 유

용하지 않았다.

색인단어: 척추 유합술, Tranexamic acid, Thromboembolism,

Bleeding, Duplex ultrasonography

15S-111

Prevalence of Fibromyalgia and its Characteristics in Lumbar Spinal Stenosis

Chul-Hyun Ki1, Jae-Ho Yang1, Sun-Young Kim1, Byung-Ho Lee2, Jee-Hye Kim1, Kyung-Soo Suk1, Hak-Sun Kim1, Seong-Hwan Moon1, Hwan-Mo Lee1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Orthopaedic Surgery1,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International St. Mary’s Hospital Orthopa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Prospective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fibromyalgia in lumbar spinal sten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umbar spinal stenosis (LS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chronic pain in older patients. Some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with LSS often complain about not only symptoms of LSS; back pain, radiculopathy and claudication but also symptoms meetin.Materials and Methods: Prospective cross-sectional observation survey was performed. This study included

Page 1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8

total of 81 patients (M:F 25:51) diagnosed with LSS, who had pharmacological treatment at least over 3 months in outpatient clinic. The FM criteria and severity scales rely on the completion of a validated self-report questionnaire, modified vers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CR) preliminary diagnostic criteria introduced in 2010. Also, Visual analog pain scale (VAS), symptom duration, Simplified Nutrition Appetite Questionnaire (SNAQ) and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were measured in outpatient clinic. Additionally, prescription pattern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was surveyed retrospectively.Results: Of 81 patients, 37 (45.7%) were FM positive according to the FM criteria and severity scales. Compared to FM-negative patients, FM-positive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ain of a longer duration (p=0.007) and had higher scores on measures of pain severity (p<0.0001). Lower nutritional status (MNA p=0.017) was reported in FM-positive patients although appetite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M-positive patients, 23 (65.7%) patients were prescribed FM medications, such as gabapentin, pregabalin and duloxetine,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However this rate of prescrip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M-negative patients (p>0.05).Conclusions: This is first report regarding prevalence of FM (45.7%) in LSS patients. Patients having LSS and FM simultaneously suffer from more severe pain in longer duration. This chronic status can lead to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and might eventually devastate the patients because of “centralized” pain mechanism of fibromyalgia. Therefore, notice of FM components in LSS patients and proper pharmacological treatment are required.Keywords: Lumbar spinal stenosis, Fibromyalgia, Prevalence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 섬유근통 증후군의 유병율과 임

상적 특징

기철현1, 양재호1, 김선용1, 이병호2, 김지혜1, 석경수1, 김학선1, 문성환1, 이환모1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1,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요추 척추관관 협착증 환자에서 섬유근통 증후근의

유병율과 임상적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추 척추관 협착증은 고령 환자에서 만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만성통증

을 호소하는 요추 척추관 협작증 환자 중 요통, 신경근병증 및

파행 등과 같은 협착증 증상 이외에도 만성피로, 수면장애 그리

고 인지장애 등과 같은 섬유근통 증후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

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존재한다.

대상 및 방법: 요추관 협착증으로 진단받고 외래에서 적어도 3

개월 이상 약물 치료를 받은 총 81명(남자 25명, 여자 56명)의

환자에서 전향적 단면 연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섬유근통 증후

군 진단기준과 중증도 척도는 환자 설문지와 2010년도에 소개

된 미국 류마티스 학회의 진단기준을 사용하였다. 또한, Visual

analog scale (VAS), 증상 유병 기간, Simplified Nutrition

Appetite Questionnaire (SNAQ) 그리고 간이영양평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을 외래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약물치료의 처방 양상은 차트 리뷰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

였다.

결과: 81명의 환자 중, 37명(45.7%)이 섬유근통 증후군의 진단

기준과 중증도 척도에 양성이었다. 섬유근통 증후군에 음성군

과 비교하여 양성군은 증상기간이 길었으며(p=0.007) 더 강한

통증을 호소하였다(p<0.0001). MNA로 평가한 영양상태는 섬

유근통 양성군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7). 그러

나 SNAQ로 평가한 식욕의 정도는 섬유근통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섬유근통 증후

군 양성군 중에서 23명(65.7%)은 gabapentin, pregabalin and

duloxetine과 같은 섬유근통 증후군 약물을 처방받았으나 이러

한 처방율은 섬유근통 증후군 음성군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섬유근통 증후군 유병율

은 45.7%로 나타났다. 요추 척추관 협착증과 섬유근통 증

후군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은 통증을 호소하는 기간

이 더 길며, 통증의 강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만성적인 통증상태로 인해 환자는 영양 섭취가 부족

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종국에는 섬유근통 증후군의 중심

성 통증 기전 때문에 환자가 더욱 고통 받을 수 있다. 따라

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섬유근통 증후군의 유무를 인

자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약물 치료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색인단어: 요추관 협착증, 섬유근통 증후군, 유병률

Page 1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9

Invited lecture

Severe Rigid Scoliosis – Management Strategies

Khandwal P, Vijayaraghvan G, Goswami A, Subhash KR, Upendra BN, Jayaswal ADepartment of Orthopaedics, Al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NewDelhi, India

Introdu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large chunk of scoliosis & other spinal deformity patients present late. Social beliefs & misconceptions, lack of awareness and lack of organized School screening programmes are some of the reasons. About 40% of spinal deformity patients, in our practice, present late with severe rigid deformities (>90O and <30% correction on bending films). Long standing curves become rigid (little or no flexibility), have increased cobbs angle and are grossly rotated at the apex. The Surgical Correction of these severe curves can potentially carry significant risk, especially with respect to blood loss, neurologic deficit and pulmonary compromise. However, the benefit of surgical correction is far reaching from a cosmetic, pulmonary, and general health viewpoint which may prolong

many of these patient’s lives and give tremendous confidence & psychological boost to their personality. The presentation discusses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 our own experience of surgical correction in this challenging group of patients. The Key to good surgical correction, is an extensive release of contracted anterior & posterior soft tissues as well as bony resection (osteotomies if required ) along with judicious use of instrumentation. Thus a combined anterior & Posterior approach – either in one or two stages, is what is preferred by us.Our Study: 21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14.4y (range 11-17) having a rounded severe rigid scoliosis (Cobb’s >90°)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6 patients had congenital scoliosis, 13 Idiopathic scoliosis and 2 syndromic children. All patients underwent Anterior release in Stage I and an asymmetric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with one or more Ponte’s Osteotomies, in Stage II with al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Patients were assessed for deformity correction, operative time, blood loss and any complications. Results: The Pre-op Cobb’s of 116.62º (101-124º) improved to 74.05° (range54°-86°) after anterior release: 29.46 % correction and the final Post-op Cobb’s after posterior

14/M Rtsided Severe Kvpho-Sc olios is (116°) - corrected with Screws - Rod Construct

Page 2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0

instrumentation was 26.57º (22º-32º), with final 76% correction. The average blood loss in anterior release was 585.95 ml (range 400-980ml), while mean operative time was 223 min (165-315 min). The mean operative time for the posterior procedure was 340 min (range 280-420 min) and average blood loss was 2066 ml (1200-3200 ml). The mean apical axial rotation of 56° (26-79°) improved to 28° (9-42°) p-value<0.05. There was loss of MEP signal in one and one patient had local skin necrosi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image/appearance (mean 4.4) with a high satisfaction rate (mean 4.6) according to SRS-30 questionnaire.Conclusion: Anterior release as a first stage procedure helps in partially correcting the deformity and reduces the need for a more extensive osteotomy from the back during the second stage of correction. Risks and morbidity are potentially there, but with cautious and judicious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osteotomy and spinal cord monitoring, the risks can be minimized to get a gratifying outcome.

REFERENCES 1. Kao-Wha Chang Cantilever Bending Technique for Treat-

ment of Large and Rigid Scoliosis. Spine 2003 28:2452–

2458.

2. Daniel J. Sucato Management of Severe Spinal Deformity

Scoliosis and Kyphosis. Spine 2010 35:2186–2192.

3. Suk S-I, Chung E-R, Kim J-H, Kim S-S, Lee J-S, Choi

W-K (2005)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for severe

rigid scoliosis. Spine 30:1682–1687.

4. Lenke LG, Sides BA, Koester LA, Hensley M, Blanke KM

(2010) Vertebral column resection for the treatment of se-

vere spinal deformity. Clin Orthop Relat Res 468:687–699.

5. Viola Bullmann Henry F. H. Halm Tobias Schulte Thomas

Lerner Thomas P. Weber Ulf R. Liljenqvist Combined ante-

rior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in severe and rigid idio-

pathic scoliosis. Eur Spine J (2006) 15:440–448.

6. Qiu Y, Liu Z, Zhu F, Wang B, Yu Y, Zhu Z, Qian B, Ma

W (2007)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Halo-femoral

traction after anterior spinal release in severe idiopathic and

congenital scoliosis: a retrospective study. J Orthop Surg

Res 2:23.

7. Rinella A, Lenke L, Whitaker C, Kim Y, Park S, Peelle M,

Edwards C, Edwards C, Bridwell K (2005) Perioperative

halo-gravity traction in the treatment of severe scoliosis and

Page 2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21

kyphosis. Spine 30:475–482.

8. Hamzaoglu A, Ozturk C, Aydogan M, Tezer M, Aksu

N, Bruno MB (2008) Posterior only pedicle screw instru-

mentation with intraoperative halo-femoral trac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evere scoliosis (>100 degrees). Spine

33:979–983.

9. Bouchoucha S, Khelifi A, Saied W, Ammar C, Nessib MN,

Ben Ghachem M (2011) Progressive correction of severe

spinal deformities with halo-gravity traction. Acta Orthop

Belg 77:529–534.

10. Yamin S, Li L, Xing W, Tianjun G, Yupeng Z (2008) Staged

surgical treatment for severe and rigid scoliosis. J Orthop

Surg Res 3:26.

11. Charles T. Mehlman, Mohammed J. Al-Sayyad, and Al-

vin H. Crawford Effectiveness of Spinal Release and Halo-

Femoral Traction in the Management of Severe Spinal De-

formity. J Pediatr Orthop, Nov/Dec 2004:24.

12. Tokunaga M, Minami S, Kitahara H, Isobe K, Nakata Y,

Moriya H (2000) Vertebral decancellation for severe scolio-

sis. Spine 25:469–474.

13. Suk S-I, Kim J-H, Kim W-J, Lee S-M, Chung E-R, Nah

K-H (2002)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for severe

spinal deformities. Spine 27:2374–2382.

14. Bradford DS, Tribus CB (1997) Vertebral column resection

for the treatment of rigid coronal decompensation. Spine

22:1590–1599.

Management of Tuberculous Infection of the Spine

Vijayaraghvan G, Goswami A, Khandwal P, Garg B, Upendra BN, Jayaswal A Department of Orthopaedics, Al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NewDelhi, India

Tuberculous infection is still rampant in man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Vertebral Tuberculosis constitutes about 50 percent of all cases of Osteoarticular Tuberculosis. The management of Spinal Tuberculosis is principally multi drug chemotherapy (ATT) for prolong duration and surgical intervention is essentially reserved for complications arising from the disease intrinsically. Surgical decompression and stabilization is required only when the patient either has deteriorating neurology or a new neurological deficit on ATT treatment or when there is no improvement in the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 with at least 4-6 wk of

ATT. Instability (involvement of more than three contiguous vertebra, kyphosis >60°, pan vertebral involvement) is a separate indication for operative stabilization of the vertebral column.Surgical debridement of Tuberculous foci in spine has evolved in the past few decades and a whole gamut of surgical procedures are available at present. Transthoracic anterior debridement & instrumentation,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with posterior instrumentation, thoracoscopic assisted drainage of abscess, debridement & decompression of cord±anterior instrumentation,and more recently posterior percutaneous pedicular screw system with tubular retactor aided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and grafting are some of the options.We present our experience of surgical management of Tubercular Spondylodiscitis.Our Study: 70 patients with spinal tuberculosis treated surgically at AIIMS between Jan 2001 to Dec 2006 were part of the study. 34 patients (Group I) (mean age 34.9yrs) underwent anterior debridement, decompression and instrumentation by anterior transthoracic, transpleural and/or retroperitoneal diaphragm cutting approach. 36 patients (Group II) (mean age 33.6yrs) were operated by posterolateral (extracavitary) decompression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Various parameters like blood loss, surgical time, levels of instrumentation, neurological recovery, kyphosis improvement were compared. Fusion assessment and Funtional outcomes were looked at . Mean follow-up was 26 months. Results: Mean surgical time in Group I (Anterior surgery) was 5 hr 10 min vs 4 hr 50 min in Group II (Posterior surgery); p>0.05. Average blood loss in Group I was 900 ml vs. 1100 ml in Group II; p>0.05. In group I, the percentage immediate correction in kyphosis was 52.27% vs. 72.80% in group II. Satisfactory bony fusion (Gr. I and II) was seen in 100% patients in group I vs. 97.22% in group II. Three patients in Group I needed prolonged immediate postoperative ICU support vs. one in Group II. Injury to lung parenchyma was seen in 1 patient in Group I while the anterior procedure had to be abandoned in one case due to pleural adhesions. Functional outcome (Prolo Scale) in Group II was good in 94.4% patients vs. 88.23% in Group I. Conclusion: The surgical management of active Tuberculosis of Spine predominantly involves debridement of

Page 2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2

Page 2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23

diseased vertebra along with sequestrated unhealthy disc, decompression of neural structures and stabilization of vertebral column. The choice of approach (Anterior Vs Posterior ) in TB spine is still debatable. Though both the approaches are equally good for debridement and stabilization, the kyphus correction is better with posterior instrumentation , and posterior approach is associated with less morbidity and complications.

Early Onset Scoliosis (EOS): What do we know in 2015

Behrooz A. Akbarnia Univ. of California, San Diego

Early Onset Scoliosis (EOS) is now defined as spine deformity, with any etiology, diagnosed before the age of 10 years.1 In the past two decades much has been learned in understanding the natural history and means to improve quality of care for these children. However, the treatment of EOS remains challenging and presents as one of the most complex fields for pediatric spine surgeons to engage.We now understand that if untreated, a child with progressive EOS will develop a significant morbidity, pulmonary complications leading to possible premature demise. We have made progress in early non-operative treatment with casting or bracing2 but in most cases, the natural history, including progression cannot be predicted at presentation. We also cannot fully identify the indications for non-operative treatment and if the natural history of progressive EOS will be affected by this intervention. Since the definitive fusion in early age will halt the growth of the spine and thorax, causing significant pulmonary compromise, non-operative treatment may help to halt the progression of the deformity and allow some growth until a growth friendly surgical treatment is initiated. Skaggs classified growth friendly procedures to 1. Distraction based (traditional growing rods, VEPTR and MCGR) 2. Growth guided (Shilla, Luque trolley) 3. Compression based (staple and tether)3 each having different indications and expected outcomes including long term outcomes once the treatment is completed.There still remain many important questions to be answered including:

1. What is the normal spinal growth in different ages and in different diseases?

2. How to minimize the complications; reduce the number of surgeries and anesthesia required for distractions in growth friendly techniques?

3. How to evaluate and monitor the pulmonary function in small children?

There are still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approach to spine deformity in growing child, long term and large multicenter studies including prospective data collection is essential for providing answers to these questions.

Surgical Management of Dropped Head Syndrome

Kuniyoshi AbumiProfessor Emeritus, Hokkaido University Sapporo Orthopaedic Hospital-Center for Spinal Disorders

Dropped head syndrome (DHS) is relatively rare condition caused by posterior neck muscle insufficiency and/or dysfunction of posterior cervical stabilizers. DHS significantly affects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sometimes results in chin-on-chest deformity.Surgical intervention for DHS caused by neuromuscular disorders had been considered difficult and sometimes non-effective. However, sufficient correction can be expected by combined use of multilevel cervical osteotomy and rigid instrumentation for selected patients. Surgeons must consider choice of posterior or combined anterior/posterior osteotomy, the spinal levels of osteotomy and length of fixation. Nine patients with DHS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were reviewed. There were 6 men and 3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65.1 years (range 32-78). Causes of DHS were idiopathic in 4 patients, post-laminectomy or post-laminoplasty in 2 and posttraumatic, ankylosing spondyl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in each 1. All patients were suffered from horizontal gaze disturbance, and 7 patients had dysphagia preoperatively. 3 patients had cervical myelopathy preoperatively. Deformity had progressed to chin-on-chest deformity in 3 of 9 patients. 7 patients underwent single posterior osteotomy: multi-level Smith-Peterson osteotomy in 6 and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at C7 in 1. Remaining 2 patients underwent combined anterior and posterior osteotomy. Cervical pedicle screw fixation utilized in all patients. Cervicothoracic fixation for 8 patients and

Page 2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4

occipitothoracic fixation were performed for one patient of DHS caused by rheumatoid arthritis.Sagittal vertical axis (SVA) on standing lateral projection X-ray picture was preoperatively had shifted to anterior of the sternum in all patients. SVA was transferred by surgical correction to posterior of the sternum in all patients. 76 degree of preoperative cervical or cervicothoracic kyphosis in average (range: 46-105) was corrected to 17 degree (range: 5-43). Regarding complication by surgery, transient C5 nerve palsy in 2 patients and loss of correction requiring caudal extension of fusion levels in one were observed.For surgical correction of cervical kyphosis, osteotomy at the apex of deformity is effective. However, osteotomy at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must be considered for correction of DHS considering reposition of anteriorly shifted loading axis and global spinal balanceIn addition, spinal cord decompression by anterior or posterior approach must be needed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compression.

Total En-Block Spondylectomy for Thoracic and Lumbar Spinal Tumors

Kuniyoshi AbumiProfessor Emeritus, Hokkaido University Sapporo Orthopaedic Hospital-Center for Spinal Disorders

Total spondylectomy for thoracic and lumbar spinal tumors was started by Sterner on early 1970’s, and Roy-Camille developed it as total en bloc spondylectomy (TES). Introduction of T-thaw by Prof Tomita for total spondylectomy generalized this procedure, and spread universally on 1990’s. 10 patients underwent TES surgery in Hokkaido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2 and 2012. Affected vertebrae were T3, T8, T10, T 11 and L2 in one patient, T12 and L1 in two, and contiguous T2-4 in one. Original tumor were metastatic tumor in three patients (Renal cell cancer: 2, breast cancer: 1) and primary spinal tumor in 7 patients (GCT: 5, hemangioma: 1, osteosarcoma: 1). One stage single posterior approach was utilized in all. Vertebral body replacement by titanium cage and strut fibula grafting ware performed for all patientsBony un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Recurrence of tumor developed in one patient with GCT, and salvage surgery of

excision of the tumor was conducted. Late infection occurred in one patients of breast cancer, and the patient by lung metastasis 5 years postoperatively. Metastasis to the pelvic cavity occurred in one patient with renal cell cancer, and the patient survived 7 years postoperatively. Remaining 8 patient are still surviving Total en bloc spondylectomy provides long term stability to reconstructed spine affected by thoracic and lumbar spinal tumor. Intervertebral cage and additional bone strut grafting must be required for long term spinal stability of the reconstructed spine. Preoperative strict evaluation of tumor geometry is essential for proper patient selection.

English

Pro-active vs. Reactive Treatment of CP Scoliosis: the 90 Degree Threshold.

Burt YaszayRady Children’s Hospital, San Diego, California

Summary: The range of magnitude for the treatment of CP scoliosis varies considerably (40-144°).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advantage to operating on patients with CP scoliosis less than 70° (proactive) compared to 70-90°; however, operating on curves greater than 90° (reactive) increased the risks. 70-90° is an acceptable

Page 2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25

“trigger” for surgery in the absence of problems earlier. Introduction: There are 2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CP scoliosis: a proactive one similar to AIS where surgery is recommended once there is a risk of progression (Cobb >50o) and a reactive one where surgery is recommended after the patient/caregiver may have significant challenges secondary to a large deform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se different management styles and to delineate a curve threshold where further del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surgery.Methods: A prospectively collected CP scoliosis surgical registry was queried for patients with a minimum f/u of 2 yrs. Three groups were delinea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curve magnitudes: <70o (proactive), 70-90o, and >90o (reactive). Radiographic, surgical, and quality of life outcome data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groups using ANOVA and chi-square analyses.Results: There were 38 patients in the <70o group, 44 in the 70-90o group, and 42 in the >90o group. They were similar in age. The >90o group had significantly longer operative time (p<0.001) likely secondary to the increased percentage of anterior/posterior procedures (31%)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5%; Table). The % blood volume loss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90o group compared to the <70o. The infection rate requiring 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90o group (16.7%) than the <70o (5.3%, p=0.03) and the 70-90o (6.8%, p<0.05). Preop, the CPchild QO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70o group. Interestingly, at 2 years postop the <70o and 70-90o group reached similar QOL scores (72 and 71, respectively), while the >90o trended toward a lower postop QOL (63.5).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ngth of hospitalization or ICU stay.Conclusion: When recommending surgery for CP scoliosis, being proactive (Cobb <70o) has no advantage in terms of decreasing risks or improving outcomes compared to curves 70-90°. However, delaying surgery to a curve greater than 90° increases the risk of infection, blood loss, and the need for anterior/posterior procedures. Ideally, we should be recommending surgery for our CP patients below 90°.

Finite Element Modeling of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Etiology and Treatment

Patrick CahillShriners Hospital For Children, Philadelphia, Pennsylvania

Objective: Via finite element analysis: 1) to demonstrate the abnormal forces present at the top of a scoliosis construct, 2)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n intact interspinous and supraspinous ligament (ISL/SSL) complex, and 3) to evaluate a transition rod (a rod that has a short taper to a smaller diameter at one end) as an implant solution to diminish these pathomechanics, regardless of the integrity of the ISL/SSL complex. Via clinical study: evaluate the efficacy of utilizing hooks at the cephalad end of a scoliosis fusion.Summary of Background Data: The pathophysiology of increased nucleus pressure and increased angular displacement may contribute to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Furthermore, high implant stress can be demonst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struct, possibly leading to risk of implant failure.Methods: A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tructed to simulate a thoracic spinal fusion. The model was altered to remove the ISL/SSL complex at the level above the construct. Lastly, the model was altered again by extending the construct one level superior with a transition rod. Also, a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A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utilizing hooks at the cephalad level to prevent PJK.Results: Pressure in the nucleus and angular displacement are all increased when the ISL/SSL complex is removed immediately above the instrumented levels, while the screw pull-out force and maximum stress within the screw is decreased. The nucleus pressure increases by over 50%. The angular displacement increases 19-26%. This absence of the ISL/SSL complex simulates the clinical scenario that occurs when these structures are iatrogenically detached. Abnormal mechanics can be restored to normal level by extending the construct rostral one level with a transition rod. Furthermore, the elevated nucleus pressure and angular displacement noted even when the ISL/SSL complex is intact can be avoided with the use of a transition rod. A comparaison of two groups of AIS patients using pedicle screws or hooks at the cephalad end of a scoliosis fusion revealed that the hook construct had 1.4 degrees less junctional kyphosis (p=0.027).

Page 2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6

Conclusions: Finite element modeling suggests that the pathomechanics at the proximal end of a scoliosis construct may be diminished by preserving the ISL/SSL complex and possibly completely eliminated with the use of rods with a diameter transition at the most proximal level. A clinical study demonstrated that utilizing hooks only decreased the junctional kyphosis slightly.

A Predictive Model of Progression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Based on 3D Spine Parameters of First and Second Visit

Wenzhen Zuo1, Marie-Lyne Nault1, Marjolaine Roy-Beaudry2, Jean-Marc Mac-Thiong1, Jacques de Guise3, Hubert Labelle4, Stefan Parent5

CHU Sainte-Justine1,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Sainte-Justine2, École de technologie supérieure3, Hospital, Sainte-Justine Ortho Dept4, Orthopaedics, Hôpital Sainte-Justine5

Summary: A predictive model was refined to predict the Cobb angle at skeletal maturity in AIS by adding the second visit.Analyses were based on a prospective cohort of 149 AIS patient from initial and second visits’ 3D spinal reconstruction. The predictive factors include skeletal maturity stage and 3D predictors such as angle of plane of maximal curvature and 3D wedging of T8-T9 from 1st visit, frontal Cobb angle, mechanical torsion and sum of the disk wedging from the 2nd visit.Hypothesis: Prediction of scoliosis progression can be better predicted from 3D information gathered at the first and second visit than current prediction models.Design: Predictive model of scoliosis at maturity based on a prospective cohort of 195 patients of which 149 had at least 2 visits prior to maturity.Introduction: Our group developed a linear predictive model based on 3D parameters of the spine, at the patient’s first visi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d to refine the 1st visit’s predictive model of the final Cobb angle byusing new 3D parameters obtained on the 2nd visit for the same cohort.Methods: From a prospective cohort of 195 AIS patients followed from initial presentation to maturity, 149 could be included for analysis. There were 6 categories of measurements: 3D wedging of vertebra and disks, angle of plane of maximum curvature (PMC), Cobb angles, disk

rotation and mechanical torsion. Skeletal maturity and curve type were also included. All the parameters from the 1st and 2nd visit were first correlated with the final Cobb angle. Those with a r>0,4 and p<0,1 were used as predictors for a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ith Cobb final as the dependant variable. A backward step-by-step approach was used to build the model.Results: Our original model with predictors only from the first visit was applied to the cohort of 149 patients and a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of 0,720 was found. A new predictive model was obtained with a R2 of 0,763. It included skeletal maturity and 3D predictors of 1st and 2nd visit such as the angle of PMC and 3D wedging (T8-T9) from the first visit, and the frontal Cobb, the torsion and the sum of disk wedging from the 2nd visit. The model predicts the final Cobb within 5°.Conclusion: The new linear predictive model had an improved R2 compared to the first predictive model. With this stronger predictive model, this will help physicians to validate their prediction at the 2nd visit and tailor a more appropriate and earlier treatment for the patient.

15S-029

Is the C7 Sagittal Vertical Axis (SVA) the Best Radiographic Measure to Predict Clinical Outcomes in Adult Spinal Deformity?

Yong-Chan Kim1, Cheol-Jung Yang1, Ho-Geun Chang1, Young-Woo Kim1, Tae-Hwan Kim1, Jae-Keun Oh2, Moon-Soo Park1, Seok-Woo Kim1, Lawrence G. Lenke3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1,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2,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3

Study Design: Retrospective review of ASD patients’ X-rays and clinical outcomes. Objectives: Our goal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orrelation of the sagittal vertical axis from the center of the head (hSVA) measures and compare them to the C7 sagittal vertical axis (C7 SV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7 SVA has been one of the most reliable radiographic parameters to predict clinical outcomes in adult spinal deformity (ASD). However, the C7 SVA does not include the cervical spine or the lower

Page 2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27

extremities. Materials and Methods: 108 consecutive ASD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EOS® 2D/3D radioimaging device. A vertical plumb line from the head center of gravity was utilized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posterior corner of S1 (hSVA-S), to the hip center (hSVA-H), to the knee center (hSVA-K), and to the ankle center (hSVA-A), as well as measuring the standard C7 SVA.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SVA parameter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Scoliosis Research Society form (SRS-22)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n the HRQOL scores. We also compared the relationship of each hSVA measure and C7 SVA with the ODI and SRS-22r by using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Results: All the four hSVA measure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ODI (r=0.331 to 0.514), SRS-22 subscores (pain, r=-0.331 to -0.436; self-image, r=-0.290 to -0.363; function, r=-0.299 to -0.550), and the total score (r=-0.382 to -0.499). Of note, hSVA-A (global SVA) also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SRS satisfaction subscore (r=-0.429).Further,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showed similar result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outcomes was hSVA, not C7 SVA; (hSVA-H for ODI, SRS total score, and the pain and self-image subscores; hSVA-S for function; global SVA for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clinical correlation and effect on the outcome scores of hSVA measures are validated. Global SVA has a particularly strong correlation with ODI and all the SRS subscores except for mental health. Our study confirms that hSVA is a stronger predictor of clinical outcomes than the C7 SVA in adult deformity patients.Keywords: Adult spinal deformity, Clinical result, C7 sagittal vertical axis, Head sagittal vertical axis

제 7경추 시상면 중심축이 성인형 척추변형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예측하는데 가장 좋은 방사선적 지표인가?

김용찬1, 양철중1, 장호근1, 김영우1, 김태환1, 오재근2, 박문수1, 김석우1, Lawrence G. Lenke3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1,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경외과2, 워싱턴대학교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성인형 척추변형환자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결과의

후향적 분석

연구목적: 머리의 무게중심에서 내린 시상면 중심축 (hSVA)의

임상적 연관성을 분석하고 제 7경추 시상면 중심축의 결과와 비

교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제 7경추 시상면 중심축은 성인형 척추변형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예측하는데 가장 관련성이 큰 방사선적

지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 7경추 시상면 중심축은 경추와

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저자는 성인형 척추변형 환

자에서 머리 시상면 중심축이 제 7경추 시상면 중심축보다 임상

적 결과를 더 잘 반영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8명의 성인형 척추변형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머리의 무게중심에서 내린 시상면 수

직선으로부터 제1천추의 후방 모서리까지의 거리(hSVA-S),

고관절 중심까지의 거리(hSVA-H), 슬관절 중심까지의 거리

(hSVA-K), 족관절 중심까지의 거리(hSVA-A) 및 제 7경추 시

상면 중심축(C7 SVA)을 측정하였다. 각 머리 시상면 중심축

(hSVA)과 Oswestry Diability Index (ODI), Scoliosis Research

Society (SRS-22)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임상적 결과에 대한 각 지표의 영향력 결정하

는데 단변량 선형회귀를 사용하였으며, 제7경추 시상면 중심축

과 비교하기 위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를 이용하였다.

결과: 모든 4개의 머리 시상면 중심축은 ODI (r=-0.331 to

-0.514)와 SRS-22 세부 항목 점수(pain, r=-0.331 to -0.436; self-

image, r=-0.290 to -0.363; function, r=-0.299 to -0.550) 및 총

점수(r=-0.382 to -0.499)에서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들 중

머리 시상면 중심축과 족관절 중심과의 지표 (hSVA-A=Global

SVA)는 SRS-22 satisfaction 세부 항목점수와도 강한 상관관계

가 있었다(r=-0.429). 단변량 선형 회귀 역시 유사한 결과를 보

여주었다.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상 각 임상적 세부항목들을 예

측하는 강한 인자는 머리 시상면 중심축 이었다(hSVA-H, ODI,

SRS total score, pain, and self-image; hSVA-S, function;

Global SVA, Satisfaction).

결론: 머리의 무게중심에서 내린 시상면 중심축 (hSVA)의 임상

적 관련성이 입증되었다. 특히 Global SVA는 mental health 세

부항목을 제외한SRS-22의 모든 항목 및 ODI와 강한 상관관계

를 보였다. 성인형 척추변형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hSVA가 C7 SVA보다 강하였다.

색인단어: 성인형 척추변형, 임상적 결과, 제 7경추 시상면 중심

축, 머리 시상면 중심축

Page 2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28

15S-087

Alteration of the Cervical 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ICR)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ervical Fusion Patient Using a Novel Computer Assisted Method -Preliminary Report-

Shaobai Wang1, Jae-Hyuk Shin2, Moon-Soo Park2, Ho-Guen Chang2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raduate Student1, Hallym Univ.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Dep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Conventional methods focus on the evaluation of the range of motion (ROM) during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cervical spine. However, this information only provides the quantity of the intervertebral ROM and fails to characterize the quality of the motion. In addition, ROM has a large inter-subject variation, which limits its clinical value. Objectives: In this study, we use a novel computer-assisted method to investigate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ICR) in normal subjects,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ease, and the same group of patients after surgery. We hypothesized that pathology changes the ICR location not only at the index level but also at the adjacent levels, while fusion alters the ICR location close to normal at both the index level and the adjacent level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ervical motion consists of rotation and transition. Center of rotation of the cervical spine differs biomechanically among normal and pathological patients. It is also a stable parameter that barely changes with the environment.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51 cases of healthy radiographically normal subjects and 15 cases of single-segment fusion, including 4 cases of C4-5 fusion, 6 cases of C5-6 fusion, and 5 cases of C6-7 fusion. By cervical image feature extraction and the selection of region of interest analysis, we calculated the center of rotation using the image registration of the corresponding segments on neutral, flexion, and extension plain radiographs (ICR Tracer® Innomotion INC, Shanghai, China). The local coordinate system for each vertebral segment was established for each subject. Results from each subject were integrated with the local coordinate system after standardization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vertebral body. A multiway Gaussian

distribution model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CR distribution in normal subjects was concentrated and stable at the adjacent distal level. The distribution shifted from anterior to posterior from C3 to C6. The ICR in the fusion candidates was relatively dispersed and was not similar to the normal range data. Postoperative ICR was closer to normal at both the index level and the adjacent levels.Conclusions: Feasibil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perioperative ICR alteration was observed. ICR distribution of the fusion candidates appeared to be irregular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group. ICR after cervical fusion in the subjects appeared to increase convergence to the normal distribution. Further investigation with a larger study popul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assessment of the aberrations in ICR after ACDF. Keywords: Cervical spine, ICR, ACDF,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경추 유합술 전후 환자에서의 경추 ICR 의 변화

Shaobai Wang1, 신재혁2, 박문수2, 장호근2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raduate Student1,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경추의 움직임을 표현함에 있어서 그 운동 범위의 각

도(ROM)가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운동 보존을 양적으로 표시

해왔으나, 그 운동의 질 적인 측면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

였다. 또한 ROM의 개체간 차이의 존재는 그 수치의 임상적 의

의 부여에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연구목적: 개발된 컴퓨터를 이용한 ICR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경추 유합 수술이 요하는 환자군의 각 분절에서 그 ICR이 정상

분포와 차이 나는지 관찰하고자 하였고, 수술 후 또한 ICR이 어

떻게 변화하는 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의 움직임은 회전과 전이로 구분되며,

경추의 ICR은 경추의 운동을 전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으로 표

현한다. 생역학적으로 정상 경추 움직임을 대변하는 것은 경추

ICR 이 정상 분포에 위치한다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51명의 영상의학적으로 정상 판정된 환자를 대상

으로 ICR의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C4-5, C5-6, C6-7 유합술을 시

행한 4명, 6명, 그리고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CR의 수술전 후

상태를 각 분절별로 관찰하였다. 영상은 경추 측면 촬영, 굴곡

촬영, 그리고 신전 촬영 이미지를 사용하여 개발된 컴퓨터 프로

그램(ICR Tracer® Innomotion INC, Shanghai, China)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ICR 의 분포를 경추체에 표준 좌표화 하였다.

Page 2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29

결과: 정상 환자에서의 ICR은 C3에서 C6으로 가면서 점차로 앞

에서 뒤로 분포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경추 유합 예정 환자군

에서는 ICR 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었으며, 수술 후 정상분포로

회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수술 전후 ICR 분포의 차이를 전산화로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경추 유합 예정 환자군의 ICR 분포는 보

다 불규칙적 분포로 관찰된 반면, 수술 후에는 정상 분포로 회

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경추 유합술 후 ICR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보다 확장된 환자 수에서의 분석이 강하게 권

장된다.

색인단어: 경추, ICR, ACDF, 인접분절퇴행증

15S-050

Prevalence and Etiology of Hip, Knee, or Spinal Osteoarthritis with Risk Factors - Analysis in 8976 Aged Population with Nationwide Health Survey

Jae-Young Hong1, Yoon-Gwang Bae1, Seung-Woo Suh2, Jae-Hyuk Yang2, Si-Young Park3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1,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2,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3

Stud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with a nationwide survey.Objective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symptomatic hip, knee, and spine osteoarthrit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al patients were observed to suffer from osteoarthritis symptoms originating from multiple parts of the bo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involved data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5; 2010–2012); after excluding the ineligible subjects, we determin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to be 8976, including 3830 males and 5146 females. All participants reported the existence of symptoms related to osteoarthritis. In addition, plain radiographs of the spine, hip, and knee were taken for all participants. Results: Overall, 9.3% of the male participants and 28.5% of the female participants were diagnosed to have osteoarthritis with symptoms according to the nationwide survey. The femal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in all age groups (p<0.05).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oncomitant diseases, 89.2% of the male osteoarthritis

patients and 77.2% of the female osteoarthritis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ingle-joint disease, whereas 10.8% of the male patients and 22.8% of the femal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ultiple-joint disease. Age, drinking habits, living conditions, and regular exercise were related to osteoarthritis morbidity. In addition, ment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steoarthritis. We found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s for these factors in females with a higher prevalence of concomitant disease. Conclusions: We foun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single- or multiple-joint osteoarthritis with a variety of pain origins to b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Further, osteoarthriti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veral risk factors as well as ment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Keywords: Osteoarthritis, Spine disease, Hip disease, Knee disease, Prevalence, Etiology

고관절, 슬관절 및 척추 관절염의 복합 유병률 및 위험인자

에 대한 연구 -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한 8,976

명의 고령 인구에 대한 연구

홍재영1, 배윤광1, 서승우2, 양재혁2, 박시영3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형외과2,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골관점염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군에서, 서로 다

른 여러 관절의 통증 및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목적: 고관절, 슬관절 및 척추 관절염의 복합 유병률 및 위

험인자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최근 국민 건강 영양 조사 결과를 이용한 연

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big data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

한 학문 분야에서의 화두로 제시되어지고 있다. 이에 내과등의

분야에서는 수십편의 관련 논문이 발표된 바 있으며, 정형외과

에서도 대규모 big data를 이용한 연구들이 시행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제 5차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KNHANES V-5: 2010~2012) 단면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국

민 건강 영양 조사는 고령의 국민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되어지

고 있는 검진 프로그램이며, 그에 대한 자료들을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총 연구 대상은 8,976명이었으며, 3,850의 남성

과 5,146명의 여성을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관절, 슬

관절, 척추관절 단순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고, 관절염과 관련

된 통증의 정도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자료들을 바탕으로 여

러가지 인자들의 상관관계 및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남성 9.3%, 여성

Page 3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30

28.5%로 조사되었다. 여성군의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군보다 유

의하게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었다(p<0.05). 2관절이상의 관

절염으로 진단받은 다발성 관절염의 유병률은 골관절염 유병군

중, 남성 10.8% 여성 22.8%로 조사되었다. 고령, 음주력, 거주지,

운동력등이 다발성 골관절염의 유병률과 연관되어 있었고, 이러

한 인자들은 여성군에서 더 명확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를 바탕

으로, 다발성 골관절염에 대한 유병률 및 그와 관련된 위험 인자

들을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골관

절염은 정신적 문제 및 삶의 질과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

었다.

색인단어: 골 관절염,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유병률, 위험 인자

15S-030

Do All Adult Spinal Deformity Patients with Possible Pseudarthrosis at a Minimum 5-year Follow-up Need Revision Surgery?

Yong-Chan Kim1, Chan-Hyeok Kim1, Ho-Geun Chang1, Young-Woo Kim1, Lawrence G. Lenke3, Tae-Hwan Kim1, Jae-Keun Oh2, Moon-Soo Park1, Seok-Woo Kim1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1,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2,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3

Study Design: Retrospective review of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PSO) case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at a minimum of 5 years after the detection of nonoperative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ssible pseudarthrosis after PSO.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seudarthrosis after PSO is one of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revision surgery and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pain and disability. There is little data regarding the non-operative management of possible pseudarthros.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consecutive patients with implant breakage indicating probable pseudarthrosis after PSO surgery (13 women/6 men; average age at surgery: 58 years) without severe pain and disability treated with nonoperative management were identified (average follow-up duration: 5.8 years; range: 5–10 years). Non-operative management included medication, intermittent brace

wearing, and avoidance of excessive back strain.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 sagittal vertical axis (SVA) (p=0.608), proximal junctional angle (p=0.388), and thoracic kyphosis (p=0.771) in the cases of PSO were maintained after the detection of pseudarthrosis to the final follow-up. Lumbar lordosis (LL) (p=0.042) and PSO angle (p=0.044) decreased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s (36 vs. 40.3, p=0.103) and the Scoliosis Research Society (SRS) total score (67.4 vs. 62.9, p=0.104) or subscores of pain (2.9 vs. 2.7, p=0.061), self-image (3.3 vs. 3.0, p=0.190), function (3.0 vs. 2.8, p=0.053), satisfaction (3.9 vs. 3.8, p=0.604), and mental health (3.7 vs. 3.6, p=0.272) between the detection of pseudarthrosis and the final follow-up. SVA greater than 11 cm showed relatively poor ODI and SRS total score, as well as the pain, self-image, and function subscores (p<0.05). Conclusions: Non-operative management of possible pseudarthrosis after PSO offers acceptable outcomes even at 5 years after the detection of implant breakage, provided SVA is maintained. The outcome scor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SVA.Keywords: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Pseudarthrosis, Conservative management, Minimum 5-year follow-up.

잠재적 가관절증을 보이는 성인형 척추변형환자가 모두

재수술을 필요로 하는가? - 최소 5년 이상 추시 -

김용찬1, 김찬혁1, 장호근1, 김영우1, Lawerence G. Lenke3, 김태환1, 오재근2, 박문수1, 김석우1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형외과1,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신경외과2, 워싱턴대학교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척추경 제거 절골술을 받은 환자들의 후향적 분석

연구목적: 척추경 제거 절골술 후 잠재적 가관절증을 보이는 환

자에 대해 최소 5년 이상의 비수술적 치료의 방사선 및 임상결

과를 보고하고, 잠재적 가관절증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경 제거 절골술 후 가관절증은 재수술

이 필요한 가장 흔한 적응증 중 하나이며, 흔하게 통증 및 장애

를 유발한다. 그러나 척추경 제거 절골술 후 잠재적 가관절에 대

한 비수술적 치료의 장기 추시 결과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 제거 절골술이후 삽입된 기기등의 파

손으로 잠재적 가관절증이 확인된 19명(여자 13명, 남

자 6명, 수술시 평균 연령 58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

였고, 이들은 심한 통증과 장애가 없어 비수술적인 치료

Page 3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1

를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년(5~10년) 이었다.

비수술적 치료는 약물치료, 간헐적인 보조기 착용, 과도한 근육

의 사용을 피하도록 하였고,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인 결과 분석

을 시행하였다.

결과: C7 Sagittal Vertical Axis(SVA)(p=0.608), proximal

Junctional Angle (p=0.388) 및 thoracic kyphosis (p=0.771)

는 척추경 제거 절골술로 얻은 결과가 가관절증이 확인된 이

후 최종 추시 까지 유지되었다. lumbar lordosis (p=0.042) 와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angle (p=0.044)은 최종 추

시에서 감소하였다. 가관절증이 확인된 시점과 최종 추시 사

이의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s (36 vs. 40.3,

p=0.103), Scoliosis Research Society (SRS-22) total score

(67.4 vs. 62.9, p=0.104), pain (2.9 vs. 2.7, p=0.061), self-

image (3.3 vs. 3.0, p=0.190), function (3.0 vs. 2.8, p=0.053),

satisfaction (3.9 vs. 3.8, p=0.604) 및 mental health (3.7 vs.

3.6, p=0.272) 항목 점수는 통계적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C7

SVA가 11 cm 이상인 경우에는 ODI와 SRS total score, pain,

self-image, function 항목 점수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불량하였

다(p<0.05).

결론: 척추경 제거 절골술 후 발생된 잠재적 가관절은 발견 시점

이후 최소 5년간 추시 결과시 재수술이 필요 없었으며, C7 SVA

는 유지되었다. C7 SVA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적 결과는 상대적

으로 불량하였다.

색인단어: 척추경 제거 절골술, 가관절증, 비수술적 치료, 최소

5년 이상 추시

15S-092

ACDF with Total En Bloc Resection of Uncinate in Foraminal Stenosis of the Cervical Spine: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ACDF

Pierre Mella1, Hak-Sun Kim1, Seong-Hwan Moon2, Hwan-Mo Lee2, Jin-O Park4, Joong-Won Ha3, Sung-Yup Jin1, Hyuk Jun1, Kyung-Soo Suk1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angnam Severance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verance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Orthopedic Surgery3,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gin Severance Hospital Orthopedic Surgery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f 606 patients who underwent ACDF due to foraminal stenosis. Objectives: To find out any differences in the clinical outcomes of ACDF depending on whether uncinate resection was performed or no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mparing ACDF with and without uncinate resection.Materials and Methods: 606 patients who underwent ACDF due to foraminal stenosi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inimum follow-up duration was 2 years. ACDF due to soft disc herniation or myelopathy was excluded in this study. Group U consisted of 275 patients who underwent uncinate resection, and Group N consisted of 331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uncinate resection. Total en bloc resection of the uncinate was performed using the osteotome technique. After resection of the uncinate, we observed the nerve root and completely released any compression.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preoperative and follow-up neck pain visual analog scale (VAS), arm pain VAS,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subjective improvement rate. Follow-up was performed at postoperative 6 weeks and 3, 6, 9, 12, 18, and 24 month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 sample t-test. Results: Neck pain VAS, arm pain VAS, NDI, and subjective improvement rat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surgery (at the 6-week follow-up) in both groups, and the outcomes did not change during the later follow-ups (3–24-month follow-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verall clinical outcomes including neck pain VAS, NDI, and subjective improvement rate. In contra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arm pain at almost all times. Arm pain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uncinate resection group at all times. Conclusions: The overall clinical outcomes significantly improved at 6 weeks after the ACDF depending on whether uncinate resection was performed or not. After 6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neck pain, NDI, and subjective improvement rate. However, arm pain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uncinate resection group at all times. Keywords: Foraminal stenosis, ACDF, Uncinate resection

Page 3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32

경추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전방 추간판제거술 및 유합

술시 구상돌기 제거술 시행 유무에 따른 임상결과의 비교

피에리 멜라1, 김학선1, 문성환2, 이환모2, 박진오4, 하중원3, 진성엽1, 전 혁1, 석경수1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1,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3,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4

연구계획: 경추 추간공 협착증으로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은 6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

행하였다.

연구목적: 전방 경추 추간판제거술 및 유합술 시 구상돌기 제거

술 유무에 따른 임상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아직 전방 추간판제거술 및 유합술시 구상

돌기 제거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추간공협착증으로 전방 경추 추간판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고 2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06명의 환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성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

수증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275명의 환자가 구

상돌기 제거술을 시행한 1군이었고 331명의 환자가 구상돌기

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은 2군이었다. 구상돌기제거술은 절골기

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술전 및 추시시 경부통,

상지 방사통의 시각적 통증 척도, 경부장애지수, 주관적 호전

정도로 평가하였다. 추시는 술후 6주, 3, 6, 9, 12, 18, 24개월에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independent sample t-test 및 paired

sample t-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경부통, 상지방사통, 경부장애지수, 주관적 호전 정도는

두군 모두에서 술전에 비하여 술후 6주에 유의하게 호전되었으

며 이후 추시기간에 유의한 더 이상의 호전은 없었다. 두 군간에

경부통, 경부장애지수, 주관적 호전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 그러나 상지 방사통은 모든 시기에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즉, 모든 시기에 구상돌기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상지방사통이 적었다.

결론: 구상돌기 제거술 유무에 관계 없이 전반적인 임상 결과는

술후 6주 추시시에 술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 6주

이후에는 더 이상의 호전은 없었다. 경부통, 경부장애지수, 주관

적 호전정도에 있어서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

지방사통은 모든 시기에서 구상돌기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적었다.

색인단어: 경추 추간공 협착증,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

합술, 구상돌기 제거술

15S-021

Improving Pedicle Screw Fixation Strength Using Hydroxyapatite Stick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Osteopenia

Sung Joon Shin, Jae Hyup Lee, Hee Jong Shim, Guang Bin Zheng, Yuan Zhe Jin, Ji-Ho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prospective, within-patient, left-right compara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ydroxyapatite (HA) sticks on pedicle screw fixation strength by comparing osteoporotic and non-osteoporotic patient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steolysis and loosening of pedicle screws have been reported in the osteoporosis patients after posterior lumbar instrum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09 to December 2010, among patients suffering from degenerative lumbar disease, who underwent bilateral pedicle screw fixation with unilateral HA stick insertion, 22 patients were enrolled; they underwent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measurement of intraoperative torque values in each pedicle screw. Two HA sticks were inserted in each pedicle screw fixation for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one HA stick was inserted in each pedicle screw fixation for healthy and osteopenia patients. Pedicle screw loosening was assessed in postoperative 1-year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and follow-up radiographs. Result: The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at the lumbar spine was 0.843 g/cm2 with an average T-score of -2.3, and the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at the proximal femur was 0.741 g/cm2 with an average T-score of -1.8. Groups with HA stick insertion (experimental groups) showed an average torque value of 1.39 (±0.51, n=56) Nm, and the control groups, 1.13 (±0.51, n=56) Nm (p<0.0001). Among patients with osteoporo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average torque value of 1.08 (±0.34, n=15) Nm, and the control group, 0.808 (±0.33, n=15) Nm (p=0.009).In the case of healthy and osteopenia patients,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average torque values of 1.50 (±0.52, n=41) Nm and 1.27 (±0.50, n=41) Nm, respectively (p=0.0004).

Page 3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3

The rate of pedicle screw loosening was 5.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9%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Conclusions: Overall, pedicle screw fixation with hydroxyapatite sticks showed increased fixation strength, including in groups with osteoporosis. There was no radiographic loosening during the 2-year postoperative period. Decrease in pedicle screw loosening in osteoporotic patients is expected because of the increased pedicle fixation strength obtained using hydroxyapatite sticks. Keywords: Pedicle screw fixation, Torque, Loosening, Osteoporosis, Hydroxyapatite stick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환자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스

틱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못 고정력 증가 효과

신승준, 이재협, 심희종, 정광빈, 김원철, 이지호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동일환자 좌우 대조 연구

연구목적: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스틱이 척추경 나사못의 고정

력을 증가시키는지를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골다공증 환자에게 요추 후방고정술을 시

행할 경우 척추경 나사못의 이완이나 해리가 발생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2월 사이에 퇴행성 요

추 질환으로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면서 일측에는 HA

스틱을 삽입한 후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하고 반대측에는 통상

적인 방법으로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한 환자 중 수술 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면서 토크게이지로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시 토크

를 측정한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환자

에게는 척추경 나사못 1개당 HA 스틱 2개를 삽입하였고, 그 외

환자에게는 척추경나사못 1개당 HA 스틱 1개를 삽입하였다. 양

군간의 척추경 나사못 삽입시의 토크값을 비교하였고, 수술 후

1년째 CT와 방사선 사진 상 척추경 나사못의 해리와 이완 소견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요추부 평균 골밀도는 0.843 g/cm2, 평균 T-

score는 -2.3, 대퇴부 평균 골밀도는 0.741 g/cm2, 평균 T-score

는 -1.8이었다. 시험군의 평균 토크값은 1.39(±0.51, n=56) Nm

였고, 대조군의 평균 토크값은 1.13(± 0.51, n=56) Nm로 시험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01) 높았다. 골다공증 환

자 중 시험군의 평균 토크값은 1.08(±0.34, n=15) Nm였고, 대

조군의 평균 토크값은 0.808(±0.33, n=15) Nm로 시험군이 대

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9) 높았다. 정상 및 골감소증 환자

중 시험군의 평균 토크값은 1.50(±0.52, n=41) Nm였고, 대조

군의 평균 토크값은 1.27(±0.50, n=41) Nm로 시험군이 대조군

에 비해 유의하게(p=0.0004) 높았다. 방사선 사진상 척추경 나

사못 해리는 스틱 삽입군에서 5.4%, 스틱을 삽입하지 않은 군에

서는 8.9%가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스틱은 척추경 나사못 고정력을

유의하게 강화시켰으며,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에도 고정력이

증가하였고, 1년 이상의 추시상 척추경 나사못의 이완이나 해리

는 발생하지 않았다. 골다공증 환자에게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할 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스틱을 이용할 경우 척추경 나사

못의 고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척추경 나사못의 이완이나 해리

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색인단어: Pedicle screw fixation, Torque, Loosening, Osteo-

porosis, Hydroxyapatite stick

Basic

15S-079

The Neurological Alteratio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Lumber Facet Joint Osteoarthritic Animal Model with Chronic Low Back Pain

Hong-Moon Sohn1, Jae-won You1, Sung Jung1, Su-Gwan Kim2, Jae-Sung Kim2 Chosun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ion2

Study Design: In the osteoarthritic animal model lumber facet joint, the alteration of the neurobiological response associated with pain modulation in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s was investigated using biochemical evaluations. Objectives: To determine whether lumber facet joint osteoarthritis (OA) without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can act as the primary cause of chronic low back pai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little research on facet arthritis pain has been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Lumber facet joint osteoarthritis in the study animals was generated by a percutaneous injury on the capsular tissues of ipsilateral (right side) L4/L5, L5/L6, and L6/S1; these animal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the OA stage as follows: early stage of OA (2 weeks later, naive n=5; sham n=5; FJ-OA n=5), middle stage of OA (4 weeks later, naive n=5; sham n=5; FJ-OA n=5), and end stage of OA (8 weeks later, naive n=5; sham n=5; FJ-OA n=5). The

Page 3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34

symptomatic pain behavior tests were performed every week for defined periods. At the end of each defined housing period,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spinal dorsal horns dissected to extract the total RNA and total protein for performing biochemical evaluations such as quantitative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 and cytokine array. Results: The inflammatory pain modulators such as interlue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and toll-like receptor (TRL)-2 and TRL-4,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early stage of OA compared with both middle and end stage of OA.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metalloproteinase (MMP-9)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OA, while MMP-2 increased in both middle and end stages of OA. In particular, Ca2+ channel subunit α2δ1, a marker gene of neuropathy, was up-regulated in all the stages of OA compared with naive and sham groups. Cytokine array results showed that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ferron-γ, IL-1α, IL-1β, IL-13, IL-17, RNATES,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spinal dorsal horns dissected from the end stage of OA group. As the alteration of neurobiological signaling in the spinal dorsal horn,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uch as ERK1/2, p38 and JNK were significantly phosporylated in the spinal dorsal horn of experimental animals at all the stages of O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terestingly, the phosporylation of protein kinase C (PKC) isoforms such as PKCδ and PKCε were gradually increased in a stage-dependent manner in the spinal dorsal horn of the experimental animals.Conclusions: Lumber facet joint osteoarthritis may act as primary chronic back pain caused by the multi-factorial type of pain such as neuropathy and inflammatory pain. Keywords: Osteoarthritis; Lumber facet joint; Chronic low back pain; Inflammtory pain; Neuropathy

만성요추통증을 가진 요추 후관절염동물의 중추신경계에

서 신경학적 변화

손홍문1, 유재원1, 김수관2, 김재성2, 정 성1

조선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연구소2

연구계획: 만성 요추통증을 가진 퇴행성 후관절염 동물모델의

중추신경계에서 통증과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반응의 변화를 생

화학적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요추 후관절염이 만성요추통증의 1차적 원인으로 작

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후관절 퇴행에 의한 통증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대상 및 방법: SD rat을 이용하여 L4/L5, L5/L6 및 L6/S1에 위치

된 요추 후관절낭 조직에 비침습적으로 손상을 유도하여 초기

관절염 실험군(2주, naive n=5, sham n=5, FJ-OA n=5), 중기

관절염 실험군(4주, naive n=5, sham n=5, FJ-OA naive n=5,

sham n=5, FJ-OA n=5) 및 말기 관절염 실험군(8주, n=5)으로

분류하여 정의된 사육기간 동안 매주 1회 요추통증측정을 실시

하였다. 각 실험군의 동물들은 정의된 사육기간 종료 후 희생하

여 quantitative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

및 cytokine array 등의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척수

의 후각을 적출하고 이로부터 RNA 및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결과: 인터루킨-1β,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toll-

like recceptor (TRL)-2 및 TRL-4 등 염증성 통증전달인자들의

mRNA는 초기 요추 후관절염 동물군의 중추신경계에서 증가되

었다. 특별히 신경통증의 지표유전자인 Ca2+channel subunit

α2δ1 mRNA는 모든 단계의 요추 후관절염 동물 중추신경

계에서 증가되었다. 또한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발현 및 활성화는 초기 요추 후관

절염 동물군의 중추신경계에서 증가된 반면 MMP-2의 발현 및

활성화는 중기와 후기 요추 후관절염 동물군의 중추신경계에서

증가되었다. 말기 요추 후관절염 동물군의 중추신경계를 대상

으로 한 cytokine array 수행결과 interferron-γ, IL-1α, IL-1β,

IL-13, IL-17, RNATES 및 TNFα 등의 염증성 통증전달과 밀접

하게 관련된 통증전달인자들이 높은 수준으로 발현됨을 확인하

였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생물학적 신호전달 변화를 분석한 결

과 ERK1/2, p38 및 JNK 등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와

protein kinase C δ (PKCδ) 및 PKCε의 인산화가 요추 후관

절 퇴행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론: 요추 추간판 퇴행성이 동반되지 않은 요추 후관절염은 신

경통증 및 염증성통증으로 구성된 복합적 통증증상을 동반하는

1차적 만성요추통증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퇴행성관절염, 요추 후관절, 만성 요추통증, 염증성통

증, 신경통증

Page 3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5

15S-037

Associa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gene Polymorphism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Dong-Eun Shin, Tae-Keun Ahn, Sun-Tae Bong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Orthopedic

Study Design: Case-control study.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PAI-1 -844A>G, -675 4G>5G, 43G>A, 9785A>G, and 11053T>G polymorphism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VCF), detected by a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steoporotic fractures are a leading cause of disability and indirectly, death in the elderly. Osteoporosis, a skeletal disease characterized by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micro-architectural deterioration of bone tissue, leads to decreased skeletal bone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5 to 2008, we performed a case-control study on polymorphic genes including the PAI-1 -844A>G, -675 4G>5G, 43G>A, 9785A>G, and 11053T>G in postmenopausal women.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consisting of 158 postmenopasal women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s the patient group and 198 postmenopausal women as the control group. We analyzed the expressions of the polymorphic gene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Results: The PAI-1 -844A>G, -6754G>5G, and 43G>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ccurence of postmenopausal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p<0.05). The lower the folate level in serum was, the more the mobility rate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that occurred, and th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In conclusion, we identified genetic associations between PAI-1 polymorphisms and the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Keywords: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Postmenopausal,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olymorphism

폐경 후 여성에서의 골 다공성 척추 압박 골절환자에서의

플라스미노겐 활성 억제인자-1의 유전적 다형의 연관성

연구

신동은, 안태근, 봉선태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환자-대조군 연구

연구목적: PAI-1 유전자와 폐경후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과

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골 다공성 압박 골절은 노년의 많이 발병하

는 질병으로써 골밀도가 정상보다 낮아져 발병하는 질환이다.

이에 따른 뼈의 지지능력과 재생능력이 감소하여 골절이 발생

하는 질환이다. 골 다공성 압박골절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 없이 많이 발병하는 질환이며, 특히 폐경을 겪는 여성에게

발병한다. 이는 여성의 폐경 후 급격한 호르몬 변화로 인하여 발

생하는 것으로, 에스트로겐 감소에 따른 결과이며 노화와 골 재

생능력의 감소에 따른다. 플라스미노겐 활성 억제인자-1

대상 및 방법: 2005년 부터 2008년까지 본원 정형외과와 신경외

과에 내원하였던 폐경후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있었던 158명

여성으로 이루어진 환자군과 198명의 폐경여성으로 이루어진

대조군에 대하여 PAI-1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인 -844A>G, -675

4G>5G, 43G>A, 9785A>G, and 11053T>G를 선정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유전적 다형 중 PAI-1 -844A>G, -6754G>5G 와 43G>A

이 골 다공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의 발병과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연관성(p<0.05)이 있었으며 이외에도 혈장 엽산이 낮을 수록

골절 발병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유전적 다형 중 PAI-1 -844A>G, -6754G>5G와 43G>A

은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에서 골절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며

혈장 엽산 또한 골절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

색인단어: 골 다공성 척추 압박 골절, 폐경 후 여성 질환, 플라스

미노겐 활성 억제인자-1, 다형성

Page 3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36

15S-038

A Comparative in Vivo and in Vitro Study of Osteoinduction in Activin A/BMP-2 Chimera and rhBMP-2

Jae Hyup Lee1, Byung-Hak Yoon2, Guang Bin Zheng1, Guang Bin Zheng1, Kyung Mee Lee1, Hee Jong Shim1, Yuan Zhe Jin1, Sung Joon Shin1, Ji-Ho Lee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oramae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Joint Center for Biosciences Protein Engineering Laboratory2

Study Design: An in vitro study with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nd an in vivo study using beagle dogs.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ctivin A/BMP-2 chimera (AB204) as a new osteoinductive material compared to the proven rhBMP-2.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contrast to the type-I receptor binding BMP-2, AB204 binds to type I and II receptors and activates Smad pathways 1,5,8 and 2,3, which results in enhanced osteoindu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with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was facilitated with AB204 and rhBMP-2 in the dosages of 25, 100, 250, and 500 ng/ml and cultured for 1, 3, 7, and 14 days. The evaluation included ALP stain, ALP reactivity, AR-S stain, and amount of calcium deposit. Transverse processes of T12-L1 L2-3 L4-5, in 3 male beagle dogs were exposed on both sides. AB204, which was contained in the Osteon carrier, was applied on one side in doses of 20, 50, and 200 μg, and the same procedure was carried out with rhBMP-2 on the other side. Manual palpation test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including computed tomography (CT) and histology were carried out at 8 weeks after harvesting the specimen.Results: ALP reactivity on days 7 and 1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B-204 250 ng/ml group than in the rhBMP-2 250 ng/ml group. The AB204 500 ng/ml group also showed higher ALP reactivity than the rhBMP-2 500 ng/ml group on day 7. In between, the AB204 500 ng/m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P reactivity than the 25 ng/ml group. The AB204 group also showed more AR-S staining and calcium deposits, which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an the rhBMP-2 group. In the beagle dog study,

the manual palpation test and CT scan revealed 100% fusion rate in the AB204 50 and 200 μg groups. No complete fusion was observed in the rhBMP-2 group. All the AB204 groups showed a higher fusion mass volume than the rhBMP-2 groups, with significance in the 50 μg dosage group. Histology also revealed that new bone formation was dominant in the AB204 groups. Conclusions: Osteoblastic mesenchymeal stem cell differentiation showed higher stimulation in the AB204 group than in the rhBMP-2 group. For each dosage, higher fusion rate and fusion mass volume were observed in posterolateral spinal fusion in the beagle dog study. Keywords: Activin a, Bone morphogenetic protein-2, Osteoinducti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Posterolateral fusion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을 통한 Activin A/BMP-2 키메라와 rhBMP-2의 골유도 비교

이재협1, 윤병학2, 정광빈1, 백해리1, 이경미1, 심희종1, 김원철1, 신승준1, 이지호1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정형외과1, Joint Center for Biosciences Protein Engineering Laboratory2

연구계획: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 실험과 비글 견을 이용한

생체 내 실험

연구목적: Activin A/BMP-2 키메라 (AB204)와 골유도 특성이

입증된 rhBMP-2를 비교함으로써 AB204가 새로운 골유도 물질

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BMP-2는 1형 수용체에만 결합하지만

AB204는 1, 2형 수용체에 모두 결합함으로써 Smads 1, 5, 8 뿐

만 아니라 2, 3 경로도 활성화 시킴으로써 BMP-2보다 향상된

골유도 특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인간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AB204와

rhBMP-2를 각각 25, 100, 250, 500 ng/ml 씩 골분화 시킨 후 1,

3, 7, 14일까지 분화 배양하였다. ALP 염색과 ALP 활성, AR-S

염색 및 칼슘량을 평가하였다. 수컷 비글견 3마리를 대상으로

한 마리의 흉추 12-요추 1, 요추 2-3, 요추 4-5분절의 양측 횡

돌기를 노출시킨 후, 일측 횡돌기에 AB204 20, 50, 200 μg을

Osteon을 담체로 해서 이식하고, 반대쪽 횡돌기에는 동일 용량

의 rhBMP-2 20, 50, 200 μg을 Osteon을 담체로 해서 이식하였

다. 8주간 생육한 후 시편을 체취하여 도수촉진검사, 방사선검

사 및 컴퓨터 단층촬영, 조직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ALP 활성은 분화 7일과 14일 모두 AB-204 250 ng/ml를

처리한 군이 rhBMP-2 250 ng/ml를 처리한 군보다 유의하게 높

았고, 분화 7일째 AB204 500 ng/ml군도 rhBMP-2군에 비해 유

Page 3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7

의하게 높았다. 또한, AB204 500 ng/ml를 처리한 군의 ALP 활

성이 AB204 25 ng/ml를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AR-S 염색에서 AB204군이 rhBMP-2군에 비해 염색 양이 증

가하였고, 칼슘 양도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AB204군은 용량

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AR-S 염색양 및 칼슘 양도 증가하

였다. 비글견 실험에서, 도수촉진검사 및 컴퓨터 단층촬영 결과

AB204는 50, 200 μg에서 100% 유합되었으나 rhBMP-2는 완

전유합된 시편이 없었다. 유합체의 부피는 AB204군이 전 용량

에서 모두 rhBMP-2군보다 컸고, AB204 50 μg에서는 유의하

였다. 조직학에서도 AB204의 신생골 및 재형성이 rhBMP-2에

비해 뚜렷하였다.

결론: AB204는 rhBMP-2에 비해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더

욱 촉진시켰고, 비글견 척추 후외방 유합술에서 동일 용량의

rhBMP-2보다 유합률 및 유합체의 부피를 향상시켰다.

색인단어: Activin a, Bone morphogenetic protein-2,

Osteoinducti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Posterolateral

fusion

15S-027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the Biocompatibility and Bone Regeneration of Nano-whitlockite

Guang Bin Zheng1, Hae Lin Jang2, Kyung Mee Lee3, Hae-Ri Baek3, Hee Jong Shim3, Yuan Zhe Jin3, Sung Joon Shin3, Bong-Soon Chang1, Choon-Ki Lee1, Jae Hyup Lee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2,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An in vitro experiment with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nd an in vivo experiment using rats. Objectives: To evaluate the biocompatibility and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whitlockite (WH) compared with hydroxyapatite (HA) and β-tricalcium phosphate (β-TCP).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bone and dentin contain a calcium phosphate compound named whitlockite (Ca9Mg(HPO4)(PO4)6). Recently, WH was synthesized successfully with high purity in an aqueous system, making mass production possible.Materials and Methods: WH, which has neutral pH, was synthesized using a precipitation method in a water-based system. Cylindrical pellets for the in vitro study and multi-porous granules for animal experiments were prepared.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were subcultured and seeded on the pellets for the MTS and ALP assays. As for the animal experiment, multi-porous granules were implanted in the calvarial defect and abdominal intramuscular pouches of the rat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6 weeks in the calvarial defect model and 8 weeks in the abdominal intramuscular pouch model;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by micro-CT and histology. Results: All three pellets of the MTS assay showed time-dependant growth. In the MTS and ALP ass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rat calvarial defect model, the resorbability of WH was between that of HA and that of β-TCP in the micro-CT analysis (β-TCP>WH>HA). WH showed a slight increas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terms of the percentage bone volume, which represents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H>TCP>HA). WH also showed a higher trabecular number than in the other groups (WH>HA>TCP). New bone form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rat abdominal implant model in any group. Conclusions: WH showed no inferiority i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capacity, compared to HA and β-TCP. In the rat calvarial defect model, WH showed appropriate resorbability between HA and β-TCP, and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of WH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A or that of β-TCP.Keywords: Whitlockite, Hydroxyapatite, Tricalcium phosphate, Biocampatibility, Human mesenchymal stem cell, Rat calvarial defect

나노-휘트라카이트의 생체적합성 및 골형성 연구

정광빈1, 장해린2, 이경미3, 백해리3, 심희종3, 김원철1, 신승준3, 장봉순1, 이춘기1, 이재협1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2,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 실험과 랫드를 이용한 생

체 내 실험

연구목적: 휘트라카이트(WH)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및 산인산 칼슘(β-TCP)과 비교함으로써 WH 의 생체적합성 및

골형성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생체 내의 뼈와 치아에는 휘트라카이트

(WH:Whitlockite Ca9Mg(HPO4)(PO4)6)라는 칼슘 포스페이트

화합물이 존재한다. 최근 순도가 높은 WH를 수계에서 성공적

으로 합성하였으며 WH의 다량 생산이 가능해 졌다.

Page 3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38

대상 및 방법: 침전법을 통해 수계에서 pH 중성인 WH를 합성

한다. 생체내 실험에 적합한 원기둥 형태 및 동물실험에 적합한

다공성 형태의 시편을 제작한다. 인간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계

대배양 하여 시편에 분주하여 MTS assay, ALP assay를 시행한

다. 동물실험으로는 다공성 시편을 랫드 두개골 결손부위 및 복

부에 이식하고 6주 생육 뒤 희생시키고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

영(micto-CT) 및 조직검사를 통해 골형성 정도를 분석한다.

결과: MTS 결과상 줄기세포가 세가지 시편에서 모두 time-

dependant하게 증식하였으며 각 군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 ALP 결과도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랫드 두개골 결손모델에서 micro-CT 분석 결과 WH가 HA 보

다는 잘 흡수되나 β-TCP 보다는 덜 흡수되었다. 신생골 생성

량을 나타내는percent bone volume은 WH>TCP>HA 순으로

WH 이 다른 군에 비해 조금 증가 되였고 trabecular number도

WH>HA>TCP 순으로 WH가 다른 군에 비해 조금 많았다. 복부

이식에서는 세 군 모두 신생골이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WH가 HA 및 β-TCP에 비해 세포증식 및 분화 능력이 뒤

떨어지지 않으며 랫드 두개골 결손모델에서 WH의 생체 내 흡

수 정도가 HA와 β-TCP 사이에 있어서 적합한 생체 내 흡수

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생골의 량도 WH 가 기존의 HA나 β

-TCP 보다 조금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색인단어: Whitlockite, Hydroxyapatite, Tricalcium

phosphate, Biocampatibility, Human mesenchymal stem

cell, Rat calvarial defect

15S-033

The Location of Instant Center of Rotation in the Cervical Spine During In Vivo Dynamic Flexion-Extension

Kwang-Sup Song1, Seong Hwan Kim2, Seung Bum Koo3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Busan Kookun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Chung-Ang University Mechanical Engineering3

Study Design: This study has an in vivo design by using biplanar X-ray fluoroscopy.Objectives: The locations of the instant center of rotation (ICR) in the cervical spine were conventionally measured using plain lateral radiographs collected at the ends of the ROM, as single static locations. This study is to find the locations of the dynamic ICR at each cervical motion segment in dynamic flexion-exten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ull-flexion and full-extension

radiographs have previously been manually digitized to determine the ICR in asymptomatic or surgical subjects (Amevo et al., 1992; Barrey et al., 2012). Materials and Methods: Three asymptomatic controls performed full ROM during the biplane fluoroscopy evaluation. The evaluated protocols were used with previously validated methods (Anderst et al., 2011). Dynamic images were collected from two oblique views aligned horizontally and angled at approximately 55°. The minimum change in degree to detect the significant movement was set as 2°. The anterior-posterior (AP) and superior-inferior (SI) locations of each ICR were defined as the inferior vertebral body, and the zero setting was the center of the upper endplate of the lower cervical segment (Fig. 1). The ROM was started at the neutral position, moving to the flexion, to the full extension, and finally back at the neutral position.Results: The mean AP and SI locations of the ICR were -5.81 mm (SD:5.9) and -8.31 mm (SD:4.5) in C2/3, -4.47 mm (SD:8.7 ) and -8.03 mm (SD:7.5) in C3/4, -2.61 mm (SD:8.1) and -4.24 mm (SD:8.8) in C4/5, -2.19 mm (SD:5.3) and -6.34 mm (SD:4.0) in C5/6, and -1.76 mm (SD:10.5) and -3.15 mm (SD:6.9) in C6/7 (Fig. 2). Conclusions: The mean location of the ICR became progressively more superior and anterior from the C2/C3 motion segment to the C6/C7 motion segment. Keywords: Biplanar fluoroscopy, Instant center of rotation, Cervical spine

양방향 방사선기를 이용한 경추의 순간회전중심점

(Instanat Center of Rotation)의 생체 내 측정

송광섭1, 김성환2, 구승범3

중앙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부산국군병원 정형외과2,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3

연구계획: 양방향 방사선기를 이용한 경추 움직임의 체내측정

실험이다.

연구목적: 기존의 경추의 순간회전중심점은 일반적으로 가동범

위의 최대 굴곡, 신전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측정하였는데,

이는 정적인 측정이었다. 이 연구는 경추의 동적인 움직임에 맞

는 순간회전 중심점을 찾아보려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기존의 연구에서는 최대굴곡, 신전사진에

서 단순한 정적인 순간회전중심점을 찾았다. 이런 연구에서 그

중심점은 특정 병변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지만, 일

상 생활에서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동적인 측정의 필요

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동적인 움직임에 따라 순간회전 중심점

Page 3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39

이 변화한다는 보고도 있었다(Amevo et al., 1992; Barrey et

al., 2012, Bogduk et al., 1995, Bible et al., 2010, A).

대상 및 방법: 세명의 건강한 실험군으로 양방향 방사선기를 55

도 각도로 평행하게 위치시켜 경추의 동적인 움직임을 촬영하

였다(Anderst et al., 2011). 경추가 2도가 움직일때를 의미있는

움직임으로 측정하였으며, 전후방(AP) 위치와 위아래(SI) 위치

를 하부 경추체에 나타내었으며, 영점은 하부 경추체의 상부연

의 중심으로 하였다(Fig. 1). 실험군은 중립위, 최대굴곡, 이후

최대 신전, 마지막으로 중립위로 돌아오는 움직임을 연속적으

로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AP와 SI의 위치는 경추 2/3에서 -5.81 mm(SD:5.9)

와 -8.31 mm(SD:4.5), 경추 3/4에서 -4.47 mm(SD:8.7) 와

-8.03 mm(SD:7.5), 경추 4/5에서 -2.61 mm(SD:8.1) 와

-4.24 mm(SD:8.8), 경추 5/6에서 -2.19 mm(SD:5.3)와 -6.34

mm(SD:4.0), 경추 6/7에서 -1.76 mm(SD:10.5)와 -3.15

mm(SD:6.9)로 측정되었다(Fig. 2).

결론: 순간회전중심점의 평균적인 위치는 C2/3에서 C6/7로 내

려갈수록 위쪽(추간판쪽)과 앞쪽으로 움직이며 위치하는 양상

이었다.

색인단어: 양방향 방사선기, 순간회전중심점, 경추

Page 4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0

Osteoporosis

15S-011

Does Anti-osteoporosis Medication Affect Fracture Healing for Osteoporotic Spinal Fractures?

Kee-Yong Ha, Young-Hoon Kim, Kwang-Sun Park, Sang-Il Kim Seoul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Even though anti-osteoporotic medic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in clinical situations, there is concern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these medications on fracture healing.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affect fracture healing and the clinical outcomes of conservatively treated osteoporotic spinal fractures (OSFs).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ive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cute OSFs between July 2013 and September 2014 were prospectively enrolled for this study. Pathologic fractures, secondary osteoporosis, and operable cases that required vertebroplasty or kyphoplasty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ir previous medication history,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I (n=39, with no history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 or Group II (n=66, with a history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 During standard conservative treatment for at least 3 months post-injury,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ing the changes in height loss and Cobb’s kyphotic angle at the index vertebra were measured, and radiographic findings suggesting impaired fracture healing such as intravertebral cleft sign (IVC) and fracture instability were evaluated for a fracture healing assessmen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parameters, and other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suggested as related factors. Results: In the clinical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st VAS (Group I: 3.6±1.5, Group II: 3.6±1.1) and ODI (Group I: 28.9±8.8, Group II:

26.4±6.2).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diographic parameters of height loss and kyphotic angle at the index vertebra. Even though the presence of IVC was higher in Group II (20/66, 30.3%) than that in Group I (8/39, 20.5%), fracture instability combined with IVC was noted in the same number of cases in both group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cation histor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clinical parameters. However, the presence of IVC was related to medication history (odds ratio (OR): 4.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22.69).Conclusions: During conservative treatment of acute OSFs, anti-osteoporosis med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However, the presence of IVC was related to the anti-osteoporosis medication history. In the case of OSFs, we recommend ceasing anti-osteoporosis medication during the fracture healing period. Keywords: Osteoporosis, Osteoporotic spinal fractures, Bisphosphonates, Nonunion

골다공증 치료 약제가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치유에 영

향을 미치는가?

하기용, 김영훈, 박광선, 김상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골다공증 치료약제의 사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러나, 이의 골절의 치유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관심도 증가

하고 있다.

연구목적: 골다공증 약제가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을 보존적으

로 치료할 때 골유합과 임상적인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전

향적 연구로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7월부터 2014년 9월까지 급성 골다공증

성 척추 골절을 진단받은 환자 중에, 병적 골절이거나 이차성 골

다공증으로 인한 경우, 추체성형설 또는 풍선척추성형술이 필

요한 경우들을 제외한 10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

사하였다. 골다공증 치료약제를 복용한 적이 없는 39예를 1군,

복용한 적이 있는 66예를 2군으로 분류하고 골절 발생 후 최소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하며 visual analogue scale (VAS) 와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사

선학 검사를 통해 추체 높이와 Cobb 각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추체 내 cleft 징후(intravertebral cleft sign, IVC)와 같은 골유합

실패나 골절 불안정성을 의미하는 방사선학적 소견도 함께 평

Page 4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41

가하였다. 단변량 및 다변량 회귀 분석을 통해 연관인자라고 알

려진 임상적 지표 및 방사선학적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VAS와 ODI 점수와, 추체 높이 및 후만각 등

의 방사선학적 지표 모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C

는 1군(8/39, 20.5%)보다 2군(20/66, 30.3%)에서 더 많았지만,

IVC와 함께 골절 부위의 불안정성은 두 군에서 같은 수로 관찰

되었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약제 복용력은 임상적 지표와 유

의한 관계가 없었지만, IVC 는 약제 복용력과 연관성을 보였다

(OR 4.8, 95% CI 1.02-22.69).

결론: 급성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을 보존적으로 치료할 때, 골다

공증 치료약제는 임상적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

만, 추시 상 IVC의 발생에 있어서는 약제의 사용 군에서 의미 있

는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우리는 급성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의 골유합 기간 동안에는 골다공증 치료 약제를 중단하도록 권

유하는 바이다.

색인단어: 골다공증,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비스포스포네이트,

불유합

15S-026

Efficacy of BMD Value for the Fracture Risk Prediction in Korean FRAX model

Jin-Sung Park, Jaewon Lee, Ki-Chul Park, Chung-Il Lee, Ye-Soo Park Guri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changes in osteoporotic fracture risk prediction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values of the lumbar spine and hip.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ly using the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 develop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n osteoporosis treatment target.Materials and Methods: Osteoporotic fractures occurred in 531 of the 4556 patients who underwent hip and lumbar spine BMD measurement at our hospital between April 2003 and March 2013. Of the 531 patients, we excluded those who had no BMD measurements within 2 weeks of fracture, those who had no risk factor data needed to calculate the FRAX value, and those who were already undergoing osteoporosis

treatment. Finally, we analyzed the FRAX value in 445 patients by inputting the BMD values of the lumbar spine and hip.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NOF), FRAX values greater than 20% for major osteoporotic fractures or 3% for hip fractures were considered high risk.Results: The high-risk group consisted of 330 patients (74%) when the lumbar spine BMD was used to calculate the FRAX value, 281 patients (63%) when hip BMD was used, and 258 patients (58%) when no BMD values were used. For the 84 patients with osteopenia, the use of the lumbar spine BMD in the model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FRAX value compared to when the hip BMD was used. However, the average FRAX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no BMD values were used in the model (p<0.001). For the osteopenia patients, the high-risk group consisted of 39 patients (46%) when BMD was not used, 19 patients (23%) when hip BMD was used, and 14 patients (17%) when lumbar spine BMD was used. The highest osteoporotic fracture probabilities occurred when BMD was not used.Conclusions: Clinicians using the FRAX model to determine osteoporosis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penia may be able to improve clinical efficacy by excluding BMD values from the model.Keywords: FRAX, Osteoporosis, Osteopenia, Osteoporotic fracture

한국FRAX® 모델에서 골절 위험도 예측을 위한 골밀도의

효용성

박진성, 이재원, 박기철, 이정일, 박예수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골밀도(BMD) 적용에 따른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

예측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골다공증 치료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으로서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는 임상적으로 유의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본원에서 고관

절 및 요추부 골밀도(BMD) 검사를 시행받은 4,556명의 환자들

에서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한 531명 중 골절 시기로부터 2주 이내 골밀도 검

사가 없는 경우, FRAX® 값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위험인자에

Page 4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2

대한 자료가 부족한 경우, 이미 골다공증 치료 중인 경우를 제외

한 445명을 대상으로 골밀도(BMD) 적용에 따른 FRAX® 값을

분석하였다. 미국골다공증협회(NOF,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의 기준에 따라 FRAX® 값이 주요 골절에 대해

20% 이상이거나 고관절 골절에 대해 3% 이상인 경우에 고위험

군으로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 중 FRAX® 값에 따른 고위험군은 요추부 골

밀도를 적용하였을 경우 330명(74%), 고관절 골밀도를 적용

하였을 경우 281명(63%), 골밀도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258명

(58%)이었다. 골감소증 환자 84명의 경우 요추부 골밀도와 고

관절 골밀도를 입력하였을 때 FRAX®의 평균 값은 의미 있는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골밀도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FRAX® 평

균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FRAX® 값에 따른 고위험군

은 골밀도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39명(46%), 고관절 골밀도를

적용하였을 경우 19명(23%), 요추부 골밀도를 적용하였을 경우

14명(17%)으로 골밀도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가장 높은 골절

예측률을 보였다.

결론: 골감소증 환자에서 FRAX®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치료 여

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골밀도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임상적

효용성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FRAX®, 골다공증, 골감소증, 골다공증성 골절

15S-063

Bone Union Rate of PLIF Using Local Bone Graft in Long-term Bisphosphonates Users

Si Young Park1, Seung Woo Suh2, Jae Young Hong3, Jae Hyuck Yang2, Hyun Min Lee1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f data collected pro-spectively. Objectives: We compared bony union rates of long-term bisphosphonates (BP) users and non-users after they under-went PLI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BPs are the most popular drugs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However, long-term use of BPs may cause several complications such as atypical fracture of hip, osteonecrosis of the jaw, and de-layed fracture heal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95 postmenopausal women whose course could be observed for at least 2 years

after surgery. Single-interbody PLIF was performed by us-ing a local bone graft from laminectom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re were 62 patients in the long-term BP users group and 33 in the non-users group. Serum C-terminal cross-linking telopeptide levels were checked for bone resorption markers, which could be extremely de-creased in long-term BP users. Bone fusion rates were cal-culated 2 years after the surgery by using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ic scans.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The serum CTX level decreased sharply in the long-term BP user group (p<0.05). However, fusion rates turned out to be 82% in the long-term BP users group and 87% in the non-users group (p>0.05,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DI and VAS.Conclusions: At the two-year postoperative follow-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ne fusion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Long-term BP users showed fusion rates greater than 80% and clinical outcome improvements that were compatible with those in non-users.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after long-term BP use on the fusion rate of PLIF. Keywords: Lumbar spine, Fusion, Bisphopsphonate, CTX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행된 후방

척추간 유합술의 결과

박시영1, 서승우2, 홍재영3, 양재혁2, 이현민1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형외과2,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단분절 후방 요추 추체

간 유합술이 시행된 환자의 골다공증치료 약제 중 하나인 비스

포스포네이트의 사용 여부에 따른 골유합율 정도 및 임상적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행된

단분절 후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골유합정도를 알아보자 하

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의 치료 약

제로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장기간의 약제 사용의 필요

성과 그 위험성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후방 요추 추체간 유

합술은 고령의 환자에서 동반되는 퇴행성 척추 질환의 치료 방

법 중 흔히 사용되며, 감압술 이후 안정화 및 교정을 위해 시행

Page 4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43

된다. 골유합의 성공 여부가 수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

성이 있으며, 장기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이 골절의 유합

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듯이 척추 유합술의 유합율 및 결과에

대상 및 방법: 단분절 후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9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3년이상 장기간의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62명과 약

제를 사용하지 않은 33명으로 나누어 졌으며, 두군 간의 방사선

학적 유합율 및 임상적 결과(ODI & VAS)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혈청 CTX의 정도를 골흡수의 표지자로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CTX의 정도는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한

환자군에서 심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5). 하지만, 술 후 2

년째 방사선학적 골유합의 정도는 두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

았으며(82%, 87%: p>0.05) 임상적 결과 역시 두 군간이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단분절 후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경우 장기간의 비

스포스포네이트사용군에서 약 82%에서 골유합이 발생하였

기에,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 사용이 척추 유합술에

임상적 방사선학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요추, 유합, 비스포스포네이트, CTX

15S-061

How Much Does Bone Mineral Density Increase After Short-term Teriparatide Treatment (≤12 month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Ki-Tack Kim1, Sang-Hun Lee1, Jung-Hee Lee2, Kyung-Chung Kang2, Young-Wan Ko2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Kangdong Orthopedic Department1, KyungHee Medical Center Orthopedic Department2

Study Design: Among various osteoporosis medications, to date, a bone forming agent such as teriparatid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otent medications for increa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because of the discomfort with respect to its use and its high cost, it was used only for a short period in the clinical field with a lack of evidence.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hort-term teriparatide use on the increase in BMD.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are no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short-term teriparatide treatment.Materials and Methods: 116 patients (mean age: 74 years;

female: 108) that underwent short-term teriparatide treatment (less than 12 months; range: 1-12 months) for osteoporosis at our orthopedic department were reviewed. Both spine and hip BMD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1 year after the teriparatide treat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teriparatide usage and BMD chang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eriparatide treatment, changes in the BMD were also analyzed.Results: The mean duration of the teriparatide treatment was 3.5 months (range: 1-12 months). The mean spine and hip BMD were 0.638±0.111 and 0.660±0.104 g/cm2 at the baseline, respectively. After the teriparatide treatment, the mean total increments of spine and hip BMD were 8.1%±8.4% and 0.6%±5.2% at 1 year after the treatment, respectively. Although the increment in hip BMD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teriparatide usage, the increments of spine BM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 duration of teriparatide treatment (r=0.329, p=0.002). The amount of increment in spine BMD was 8.79%±8.07%, 8.63%±8.48%, 10.76%±9.09%, 12.8%±9.4%, 13.4%±9.84% when the teriparatide treatment was continued for more than 1, 2, 3, 4, and 5 months, respectively.Conclusions: After short-term teriparatide treatment (≤12 months), although hip BMD did not show any changes, significant increments in spine BMD were observed. The amounts of BMD increments were proportional to the duration of teriparatide usage.Keywords: Osteoporosis, Teriparatide, Bone mineral density, Short term

골다공증 환자에서 Teriparatide의 단기 사용시(12개월 이

하) 골밀도는 얼마나 증가하는가?

김기택1, 이상훈1, 이정희2, 강경중2, 고영완2

강동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경희의료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현재까지 여러 골다공증 치료제 중, teriparatid와 같

은 골형성 골다공증 약제는 골밀도를 높이는데 가장 강력한 약

제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용상의 불편감과 높은 비

용 때문에 실제 임상적용에서는 충분한 근거 없이 단기간적으

로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연구목적: 이번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teripara-

tide를 12개월 이하의 단기간 동안 사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이후에 골밀도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여, 과연 teriparatide

Page 4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4

의 단기가 사용하였을때 골밀도 증가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저자들이 아는 한도 내에서는 기존에 terip-

aratide의 단기간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의 정형외과에서 12개월 이하(범위, 1-12

개월)로 teriparatide를 사용한 총 116명의 환자(평균나이 74

세, 여성 108명, 남성 8명)를 리뷰하였다. 척추와 고관절의 골

밀도 검사를 teriparatide 사용전과 사용후 1년에 측정하였다.

Teriparatide 사용기간과 골밀도 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으며, teriparatide를 얼마 이상 사용하였는지를 구분하여, 사용

기간의 정도에 따라 골밀도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환자들에게 평균 3.5개월 동안 teriparatide를

사용하였다. 사용전 평균 척추와 고관절의 골밀도는 각각0.638

±0.111와 0.660±0.104 g/cm2이었다. 치료 1년후 평균 척추와

고관절의 골밀도 상승률은 각각8.1±8.4 과 0.6±5.2 %로 나타

났다. 상관분석상 teriparatide의 사용 기간과 고관절 골밀도 증

가와의 연관성이 없었으나 척추의 골밀도 상승과는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r=0.329, p=0.002). Teriparatide를 2개월, 3개

월, 4개월, 5개월, 6개월이상 사용하였을 때, 척추 골밀도의 증

가률은 각각 8.79±8.07, 8.63±8.48, 10.76±9.09, 12.8±9.4,

13.4±9.84 % 이었다.

결론: Teriparatide를 12개월 이하의 단기간으로 사용하

였을 때, 비록 고관절의 골밀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

나, 척추의 골밀도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골밀

도의 증가률은 teriparatide의 사용 기간의 비례하였다.

색인단어: 골다공증, Teriparatide, 골밀도, 단기간

15S-041

Determining Prognostic Factors and Treatment Modality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Ji Eun Kwon, Young Joon Ahn, Jong Min Kim, Bo Kyu Yang, Seung Rim Yi, Se Hyuk Im, Ye Hyun Lee National Police Hospital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among conservative treatment, early vertebroplasty (EVP) and delayed VP (DVP) on osteoporotic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patients. The study includes bone mineral density (BMD), vertebral body height change, adjacent ver-(BMD), vertebral body height change, adjacent ver-, vertebral body height change, adjac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nd pain score.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ercutaneous VP is regarded as effective treatment for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that compare the results of each of the following treatment modalities: conservative treatment, EVP, and DVP.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3, 202 patients with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ere treated and followed-up at our institutio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follow-ing groups: Group I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II (VP within 3 weeks), and Group III (VP after 3 weeks). We com-pared the height of the vertebral body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immediately after trauma and at 1-week, 3-week, 6-week, and 1-year follow-ups after VP. DEXA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rauma. We hav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adjacent/non-adjac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ithin 1 year of follow-up.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d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s.Results: Group I consisted of 89 patients (M:24/F:65). The mean duration from onset of symptoms to VP was 22.7±6.9 days in 113 patients who had undergone VP. The majority of patients had undergone VP at 2–3 weeks or 4–6 weeks. Therefore, we have set the standard point as 3 weeks, dividing these patients into two separate groups. Group II was composed of 60 patients (M:7/F:50) and Group II of 53 patients (M:5/F:48). The duration from on-set of symptoms to VP was 14.2±3.4 and 32.2±6.2 days, respectively. BMD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group: Group I (2.9±1.4), Group II (-4.2±1.2), and Group III (-3.7±1.6). The BMD score of Group I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II, which correlates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verage VAS score at immediately after trauma was 5.19±0.92, 6.72±0.98, and 5.57±0.72 and that at the 1-year follow-up was 2.28±0.61, 1.38±0.61, and 1.89±0.64 for Groups I, II, and III, respectively. Only Group II showed a statistical correlation in the difference in VA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cidence of adjacent and non-adjac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The vertebral body height at immediately after trauma and at the 1-year follow-up showed hig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II than in Group I.Conclusions: We have concluded that EVP is necessary if the patient has low BMD, severe collapse in the vertebral body, and high VAS. With the use of BMD, the amount of col-lapse, and the VAS score, we can decide the proper treatment

Page 4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45

method for the patient.Keywords: Thoracolumbar spine, Osteoporosis, Compression fracture, Vertebroplasty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서 예후 예측 및 치료 방법 결

정 인자

권지은, 안영준, 김종민, 양보규, 이승림, 임세혁, 이예현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서 보존적 치료, 조기 추

체성형술 및 지연 추체성형술을 시행한 환자에서의 골밀도, 추

체 높이 변화, 인접 분절 골절 및 임상 결과 확인

선행연구문헌 요약: 추체성형술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왔으나 보존적 치료, 조기 추체

성형술과 지연 추체성형술을 비교한 이전 연구는 미비한 실정

이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흉요추부 골다

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로 치료받고 추시가 된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I군, 추체 성형술을 3주 이내에

시행한 II군과 3주 이후에 시행한 III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상 직

후, 시술 1주, 3주, 6주와 1년 째에 단순 방사선 검사의 시상면상

추체의 높이와 VAS값을 조사하였다. 수상 직후 DEXA와 1년 추

시 이내에 발생한 인접 및 비인접 분절 골절의 발생에 대해 조사

하였다. 통계 분석은 chi-square test와 분산 분석을 이용하였고

p<0.05를 통계적 유의 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I군은 89명(M:24/F:65)이었으며 추체성형술은 2~3

주와 4~6주에 시행한 환자군이 주를 이루어 3주를 기준으

로 나누었다. II군은 60명(M:7/F:50), III군은 53명(M:5/

F:48) 이었으며 시술 시기는 각각 14.2±3.4일, 32.2±6.2일

이었다. BMD는 평균 I군은 -2.9±1.4, II군은 -4.2±1.2, III

군은 -3.7±1.6이었으며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II군에서 낮고 I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AS값

의 평균은 수상 직후 I군은 5.19±0.92, II군은 6.72±0.98, III

군은 5.57±0.72였으며 추시 1년 째 I군은 2.28±0.61, II군

은 1.38±0.61, III군은 1.89±0.64를 보였으며 VAS값의 변화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II군에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추시 이내 인접 및 비인접 분절 골절 발생은 I, II, III군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체의 높이는 수

상 직후 I군은 23.80±2.68, II군은 18.13±3.9, III군은 21.51±

4.8(mm)였으며, 추시 1년째 I군은 16.03±3.05, II군은 20.49±

3.77, III군은 20.46±4.16(mm)로 추체 높이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II군에서 높고 I군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낮은 골밀도, 추체 붕괴가 심하고 VAS값이 높을수록 조

기에 추체성형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골

밀도, 추체의 붕괴 정도와 VAS값을 이용하면 예후를 예측

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흉요추, 골다공증, 압박골절, 추체성형술

15S-068

Risk Factor for the Failure of Acute Pain Control in Vertebroplasty

Tae-Hwan Kim, Moon Soo Park, Seok Woo Kim, Yong-Chan Kim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Spine Center

Study Design: Prospective cohort study. Objectives: To identify preoperativ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acute pain control after vertebroplasty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ccording to previous articles, vertebroplasty sometimes fails to relieve acute pain in some patients and did not show a superior outcome as compared to the conservativ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Consecutive patients aged over 65 years with an acute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OVCF) at the thoracolumbar junction (T10-L2) were initially selected. Preoperative factors such as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medical history, arthritis of a lower extremity, lumbar spinal stenosis, bone mineral density, severity of body compression, canal encroachment, local kyphotic angle, and sagittal alignment including the sagittal-vertebral axis, were evaluated.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at 3 weeks after the diagnosis for patients with persistent pain. The treatment effect on acute pain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3, 4, 6, and 12 weeks after diagnosis was compared between the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 vertebroplasty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factors, and adjusted for the preoperative pain visual analog scale score.Results: 484 patients were enrolled in our study, and 102 of these patients underwent vertebroplasty (21.1%). The patients who underwent vertebroplasty were older and had a larger local kyphotic angle than the patients who underwent the conservative treatment. Lumbar spinal stenosis, osteoarthritis of a lower extremity, and positive sagittal imbalance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ho underwent vertebroplasty. The overall treatment effect of the vertebroplasty on acute pain was superior to that of

Page 4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6

the conservative treatment. However, the treatment effect on acute pain (conservative treatment vs. vertebroplas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and positive sagittal imbalance (>5 cm).Conclusions: Vertebroplasty was more effective for acute pain control than the conservative treatment in the overall analysis. However, the superior treatment effect of a vertebroplasty on acute pain was not observed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osteoarthritis of a lower extremity, and positive sagittal imbalance (5 cm).Keywords: Vertebroplasty,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Conservative treatment, Acute pain control, Failure

척추성형술 후 급성통증 조절의 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

김태환, 박문수, 김석우, 김용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척추센터

연구계획: 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목적: 척추성형술 이후 급성 통증조절의 실패와 연관된 술

전 인자를 파악하여, 보존적 치료를 포기하고 척추성형술을 선

택함에 있어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이전 연구결과에 의하면, 척추성형술도 골

다공증성 척추골절의 급성 통증조절에 효과가 없거나 보존적

치료와 비교하여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보존적 치료를 포기하고 척추성형술을 결정할 때 이처럼 척추

성형술 이후 급성 통증조절의 실패와 연관된 술전 인자를 파악

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술전인자를 찾기 위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만 65세 이상 흉요추부(T10-L2)의 급성 골다공증

성 압박성 골절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자

료 및 내과적 병력, 골절 진단이전의 통증 기간, 이전 골절의 과

거력, 하지의 관절염 및 척추관 협착증의 유무, 골절부의 압박

률, 척추관 침범 정도 및 후만각, sagittal vertical axis 등을 술전

인자로서 조사하였다. 척추성형술은 보존적 치료이후 지속적으

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로서 시술을 원하는 경우에 한해 진

단 3-4주 사이에 시행하였다. 진단 당시 및 진단 3, 4, 6, 12주에

통증 VAS score를 측정하여, 보존적 치료군과 척추성형술의 치

료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치료효과는 척추성형술 직전 통증점수

(진단 3주후의 통증 VAS score)에 따라 조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484명의 환자 중 102명의 환자에서 척추성형술을 시행

하였다(21.1%). 다중 로지스틱 분석결과 고령의 환자일수록 골

절부의 후만각이 클수록 척추성형술을 받게 될 확률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전체군의 분석에서는 척추성형술의 통증 VAS

score에 대한 치료효과가 보존적 치료에 비해 진단 4주, 6주 점

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척추성형술 이

후 급성 통증조절의 실패와 연관된 술전 인자를 찾기 위한 하위

군의 분석에서는 척추관 협착증 및 하지 관절염의 존재하거나,

5 cm 이상의 양성 sagittal vertical axis를 가진 환자의 경우 척

추성형술의 치료효과가 보존적 치료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전체군 분석에서 척추성형술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군

에 비해 급성 통증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척

추관 협착증 및 5 cm 이상의 양성 sagittal vertical axis를 가

진 환자군에서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군과 차이가 없었다.

색인단어: 척추성형술,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보존적 치료, 급성

통증 조절, 실패

15S-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in Cushing Syndrome

Sang-Yoon Im, Byeong-Mun Park, Kyung-Sub Song, Su-Keon Lee, Sang-Phil Yoon, Seung-Hwan Lee Kwang-Myeong Sung-Ae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ere are many studies that evaluate the mechanism of bone loss and the prevalence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VFs) in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but there is little literature on th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OVFs in patients the Cushing syndrome.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VFs an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OVFs in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Materials and Methods: 32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who visited our orthopedic department complaining of back pai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tanding lateral X-rays were checked for the evaluation of the vertebral fractur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measured.Results: Of all 32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8 patients (25%) were diagnosed with OVFs using morphometric criteria. The average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e vertebral fracture group (V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vertebral fracture group (non-VF group) (p=0.004, 0.018). Further, lumbar BMD (L-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F group (p=0.006). The risk factor of OVFs in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was osteoporosis (odds ratio: 18.56, 95%

Page 4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47

confidence interval (CI) 1.72-200.21, p=0.016) irrespective of gender, obesity, menopause, and urine-free cortisol level.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OVFs in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was 25%. Patients with OVFs along with the Cushing syndrome had increased BMI and weight and lower L-BMD. The risk factor of vertebral fractures was osteoporosis. Weight reduction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the Cushing syndrome for prevention of OVFs.Keywords: Cushing syndrome, Vertebral fracture, Osteoporosis

쿠싱 증후군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

임상윤, 박병문, 송경섭, 이수건, 윤상필, 이승환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쿠싱 증후군은 뇌하수체 종양이나 부신의 종양, 또한

스테로이드의 과다 사용으로 생길 수 있다. 부신 피질 호르몬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골흡수를 증가시키고 골형성을 감소시

켜 골소실을 일으킨다. 또한 골소실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은

부신 피질 호르몬의 양과 노출된 기간에 비례하여 발생한다. 쿠

싱 증후군에서의 골소실을 일으키는 기전 및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유병율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임상적인 위험 요인

인자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연구목적: 쿠싱 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성 척추 골절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이러한 척추 골절의 위험인

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쿠싱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요통으로 정

형외과 외래에 내원한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요추

부 기립위 측면 방사선을 촬영하여 척추 골절의 형태학적 분석

기준(morphometric vertebral fracture criteria)에 따른 골절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척추와 대퇴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척추 골절 그룹과 비골절 그룹의 통계학적 차이를 paired t-test

를 이용해 비교하였고,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

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중 8명(25%)의 환자에서 골다공증성 척

추 골절이 확인되었다. 척추 골절군의 평균 체중과 체질량 지수

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4, p=0.018), 척

추 골절군의 요추부 골밀도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

다(p=0.006). 쿠싱 증후군에서 척추 골절의 유의한 위험 인자는

골다공증으로 나타났다(odds ratio 18.56, 95%CI 1.72-200.21,

p=0.016).

결론: 쿠싱 증후군 환자들에서 척추 골절 있는 환자들은 골절이

없는 환자들 보다 요추부 골밀도가 낮았으며, 체중과 체질량 지

수는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 지수가 높을수록 요

추부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골다공

증은 척추 골절의 위험성을 약 18.6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인단어: 쿠싱 증후군, 척추 골절, 골다공증

15S-084

Osteoporotic Spinal Fracture and Sagittal Balance in Traditional Women Divers on Jeju Island

Jun-Yeong Seo1, Shin-Il Kim1, Yong-Suk Kwon1, Kee-Yong Ha2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Seoul St. Mary’s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Retrospective cohort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steoporosis and sagittal alignment in traditional women divers on the Jeju island.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hysical activity is beneficial to bone mineral density (BMD). Participants in weight-bearing activities are individuals who have greater BMDs than non-athletic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women including traditional divers called haenyeo in Korean, who were under 80 years of age and who visited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0 and 2014, were investigated.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he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group and non-fracture groups. The patients’ hip and spine BMD values measured at their initial visit were investigated. The considered radiological parameters included sagittal balance, spinosacral angle, sacrofemoral distance, and C7 plumb line to sacrofemoral distance ratio.Results: Thirty women divers and thirty-three non-diver wom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women divers was 72.1± 4.7 years and that of control was 72.7±4.0 years. The average t-score of the femur was -2.26±0.77 and -2.38±0.81 for both the groups,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56). The average t-score of the spine was -2.43±1.18 and -2.60±1.01 for the two groups,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4). In the case of osteoporotic fractures, the mean sagittal balance of the women divers was 80.12±31.64 and that of the control was

Page 4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48

43.67±39.5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observed in this cas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pinosacral angle, C7PL/SFD, sacral slope, and pelvic tilt (p=0.958, p=0.147, p=0.174, and p=0.335, respectively).Conclusions: The BMD of traditional women divers was similar to that of non-diver women on the Jeju island. The sagittal balance of the non-fractured women diver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n-diver women, but it increased in the women diver group as compared to the non-diver group whe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ccurred.Keywords: Heanyeo, Bone mineral density, Osteoporosis, Spinal fracture, Sagittal balance

제주도 해녀의 골다공증성 척추골절과 시상정렬

서준영1, 김신일1, 하기용2, 권용석1

제주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서가톨릭대학교 울성모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목적: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중 해녀와 일반여성의

골다공증과 시상정렬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활발한 신체활동은 뼈의 건강에 효과적이

다. 역도선수나, 야구선수들은 일반인에 비해 골밀도가 더 증가

되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반대로 중력이 감소된 상태인 좌

식생활을 하는 상태나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들 또는 장시간 비

행하는 사람들에서는 골소실이 촉진된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

나 다이버들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많지 않다. 제주도 해녀들에

서 대퇴골의 골밀도가 일반여성에 비해 높다는 연구가 있었으

나 척추골의 골밀도에 대한 연구나 시상정렬에 대한 연구는 아

직 없다.

대상 및 방법: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제주대 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80세 이하 여성들중 해녀와 해녀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

으로 하였다. 이들 중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이 있는 군과 없는 군

으로 나누어 내원후 최초로 시행한 고관절과 척추의 골밀도 검

사결과를 조사하였고 경추부 전만, 흉추부 후만, 요추부전만,

pelvic tilt, sacral slope, pelvic incidence를 조사하였고 Sagital

balance, spinosacral angle, sacrofemoral distance (SFD), C7

plumbline to sacrofemoral distance ratio (C7PL/SFD)를 계측

하였다.

결과: 해녀 30명, 일반인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

은 해녀군 72.1±4.7, 대조군 72.7±4.0이었다. 고관절의 골밀

도 t-score는 해녀군 -2.26±0.77, 대조군 -2.38±0.81로 통계

학적 차이는 없었다(p=0.56). 척추의 골밀도 t-score는 해녀군

-2.43±1.18, 대조군은 -2.60±1.01으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

다(p=0.54).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은 해녀군 14명, 대조군 17명

에서 관찰되었다. 골절군에서 sagittal balance는 해녀군에서

80.12±31.64, 대조군에서 43.67±39.53이었고 통계학적인 차

이가 있었다(p=0.009). 그러나 spinosacral angle (p=0.958)과

C7PL/SFD (p=0.147)는 해녀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Sacral slope (p=0.174)과 pelvic tilt (p=0.335)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제주도에 거주하는 해녀는 비해녀 여성들과 비교하여 고

관절과 척추골의 골밀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척추골절이

없는 상태에서는 척주의 시상정렬에 있어서 해녀군과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척추의 골절이 발생한 해녀에서 대조

군에 비해 sagittal balance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색인단어: 해녀, 골밀도, 골다공증, 척추골절, 시상정렬

Trauma

15S-083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in Patients with Low Cervical Spine Injury -Comparison Between Patients of Trauma and Non-trauma-

Heui Jeon Park, Ki Youn Kwon, Kyeng Jin Hong, Jun Pyo Le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Objectives: To investigate and compare differences in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betwee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patients divided into trauma and non-trauma group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comparisons between trauma and non-trauma patients with pre-vertebral tissue swelling in patients who underwent ACDF because of cervical spine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between June 2006 and June 2014, 94 patients who underwent ACDF (50 trauma and 44 non-trauma)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y was done to measure PSTS at the center of C3 and C6 pre-operation and on day 1, 2, 3, and 7 after the op-

Page 4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49

eration. Further, PSTS comparisons were done between post-operation patients who complained about complications such as dysphagia, dyspnea, and dysphonia due to swelling and patients who did not complain about these complications.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PSTS in the C3 trauma group was 8.3±3.7 mm; in the C3 non-trauma group, 4.5±1.3 mm; in the C6 trauma group, 14.1±3.4 mm; in the C6 non-trauma group was 12.9±1.9 mm. Swelling in the trauma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non-trauma group (p=0.000, 0.035). PSTS of the C3 trauma group was measured 2 days after surgery and had a mean of 16.4±6.7 mm; in the non-trauma group, it was 12.1±7.0 mm. PSTS of the C6 trauma group was 18.6±3.3 mm and 16.3±3.7 mm in the non-trauma group. The PSTS values of the trauma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trauma group (p=0.007, 0.004). The rate of increase in PSTS after 2 days of surgery in the C3 trauma and non-trauma groups was 271% and 200%, respectively, and in the C6 groups, it was 134% and 127%, respectively. The swelling in the C3 trauma group C3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non-trauma group (p=0.050), but in the C6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p=0.127). The groups with clinical complications and with-out clinical complications had PSTS values of 15.3±9.6 mm and 13.4±6.5 mm, respectively, 2 days after surgery in the C3; in the case of C6, the values were 17.9±4.1 mm and 17.9±3.6 mm,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209, 0.989). Patients who exhibited clinical complications ap-peared to have 347% increased swelling, the group that did not exhibit these complications had an increase of 263%, and both groups showed some differences (p=0.025). The soft tissue swelling of the C6 was 136% and 133%, respectively, and did not show much change (p=0.719). Conclusions: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ACDF be-cause of trauma had more swelling than non-trauma patients. Complications caused by this operation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welling on the C3 level. In conclusion,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ACDF and had a two times increase in the anterior C3 swelling require careful attention with respect to airway management. Keywords: Cervical spine, Trauma,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하부 경추 손상 환자에서 전방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후

경추부 연부 조직 부종의 변화

- 외상 환자와 비외상 환자의 비교 -

박희전, 권기연, 홍경진, 이준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형외과

연구계획: 하경추부 외상 및 퇴행성 병변(비외상)으로 전방 추

간판 제거 및 유합술을 시행한 94명의 환자에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하경추부 외상과 퇴행성 병변(비외상)으로 전방 추간

판 제거 및 유합술을 받은 환자들 간의 연부조직의 부종의 차이

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하경추부의 전방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외상 환자와 퇴행성 병변으로 인해 수술 받은 환자들

간의 술후 경추부 전방 연부 조직의 부종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

는 없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본원에서 전방

도달법으로 하부 경추 추간판 제거술을 시행하고 추체간 전방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94명(외상50명, 비외상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1, 2, 3, 7일에 경추

부 측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제 3경추와 제 6경추 전

방 직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후 환자의 전방 연부 조직 부

종으로 인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와의 경

추부 연부조직의 직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제 3경추에서 외

상군이 평균 8.3±3.7 mm, 비외상군이 4.5±1.3 mm, 제 6경추

는 외상군이 14.1±3.4 mm, 비외상군이 12.9±1.9 mm로 외상

군이 비외상군보다 부종이 컸다(p=0.000, 0.035). 수술 후 2일

에 측정한 제 3경추의 연부조직 부종은 외상군에서 평균 16.4

±6.7 mm, 비외상군에서 12.1±7.0 mm였고, 제 6경추는 각

각 18.6±3.3 mm, 16.3±3.7 mm로 외상군이 비외상군 보다

연부조직 부종이 심했다(p=0.007, 0.004). 수술 전과 수술 후

2일의 연부조직 부종의 증가률은 외상군과 비외상군이 제 3

경추에서 각각 271%, 200%, 제 6경추에서 각각134%, 127%

로 제 3경추에서는 외상군이 비외상군보다 부종이 더 증가하

였으나(p=0.050) 제 6경추에서는 부종 증가의 차이는 없었다

(p=0.127). 임상증상이 있던 군과 없었던 군의 연부조직 부종은

술후 2일에 제 3경추에서 15.3±9.6 mm, 13.4±6.5 mm, 제 6

경추에서 17.9±4.1 mm, 17.9±3.6 mm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

었으나(p=0.209, 0.989) 임상증상을 호소하였던 환자군에서의

부종의 증가률은 제 3경추에서 347%,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던

군에서는 263%로 양군간의 차이를 보였으나(p=0.025), 제 6경

추에서는 부종의 증가률이 각각 136%, 133%로 양군간의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p=0.719).

Page 5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50

결론: 경추부 단분절의 전방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에서 외상군

에서의 부종은 비외상군에 비해 심하였으며 이로 인한 증상 발

생은 제 3경추 부종과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외상환자에서

전방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시행한 환자에서 제 3경추부 전방

부종의 증가률이 2배 이상인 경우, 기도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추부 외상, 전방연부조직 부종, 전방추간판제거 및

유합술

15S-103

The Comparisons of the Recovery Rate and Amount of Postoperative Muscle Weakness Between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and Non-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Kyu Yeol Lee, Jeong Ho Seo, Min Woo Kim, Dong Ryul Kim Dong-A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recovery rate and amount of postoperative muscle weakness between patients with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and those with non-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by using a manual muscle tes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less favorable results may be anticipated in patients with trauma, operative decompression could improve motor power and protect further deterio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performed with 70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cervical myelopathy between January 2005 and January 2014.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those with trauma or those without trauma. 18 patients had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and 52 patients had the non-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cervical spondylosis 31, OPLL 16, and cervical disc herniation 5). A manual muscl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muscle weakness in the upper extremities at initial and postoperative 3 days, 14 days, 1 month, 3 month, 6 months, and 12 months. We studied the rate and amount of recovery from muscle weakness according to the follow-up period. Results: The manual muscle test scores in patients with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were mean values of 2.38±1.68 at initial, 3.07±0.84 at postop. 3 days, 3.80±0.56 at postop. 7 days, 3.88±0.52 at postop. 1 month, 3.95±0.43 at postop. 3 months, 4.06±0.33 at postop. 6 months, and 4.11±0.24 at postop. 12 months. In patients with non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the mean manual muscle test scores were 2.89±1.45 at initial, 2.96±0.74 at postop. 3 days, 3.23±0.36 at postop. 7 days, 3.34±0.40 at postop. 1 month, 3.44±0.48 at postop. 3 months, 3.55±0.30 at postop. 6 months, and 3.67±0.21 at postop. 12 month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group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recovery of muscle strength at last follow-up (p=0.037). In patients with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the recovery rate of muscle strength was higher at postop. 7 days. Conclusions: The surgery for 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exhibited better recovery rate and amount of muscle strength than the surgery for non-traumatic cervical myelopathy. Keywords: Cervical spine, Myelopathy, Trauma, Paralysis

외상성 경추 척수병증 환자와 비외상성 경추 척수병증 환

자의 술후 기간별 근력 호전 정도 비교

이규열, 서정호, 김민우, 김동률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외상성 하부 경추 척수병증과 비외상성 경추 척수병

증 환자에서 술후 근력 회복 정도를 도수근력검사를 이용하여

추시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외상에 의한 경추 척수병증 환자에서 수술

적 치료는 신경학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고 더 이상의 손상에 대

한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경추의 척수병

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70명을 1년간 추시 관찰

하였다. 이중 외상에 의한 경추 척수병증 18명, 비외상성 경추

척수병증 52명(경추증 31명, 후방 종인대 골화증 16명, 경추 추

간판 탈출증 5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수술 전후 환자의 상지

운동신경 마비를 도수근력검사로 완전마비인 Grade 0에서부터

정상인 Grade 5로 분류한 후 운동마비의 호전 정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술후 3일, 2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간의 도수근

력검사를 조사하여 추시 기간에 따른 회복률과 회복 정도를 외

상 및 비외상성 경추 척추병증의 두 그룹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외상과 관련된 환자의 근육 운동력은 평균 2.38±

1.68였으며, 수술 3일째 평균 3.07±0.84, 수술 1주째 평균 3.80

Page 5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1

±0.56, 수술 1개월째 3.88±0.52, 평균 수술 3개월째 평균 3.95

±0.43, 수술 6개월째 평균 4.06±0.33, 수술 1년째 평균 4.11

±0.24 이었으며, 비외상성 경추 척수병증 환자의 근육 운동력

은 평균 2.89±1.45였으며, 수술 3일째 평균 2.96±0.74, 수술 1

주째 평균 3.23.±0.36, 수술 1개월째 3.34±0.40, 수술 3개월

째 평균 3.44±0.48, 수술 6개월째 3.55±0.30, 수술 1년째 평균

3.67±0.21 이었다. 최종 추시 1년의 두 그룹간의 회복 정도는

외상성 경추 척수병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37), 외상성 경추 척추병증의 회복 속도는 술후 1주째 가

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외상에 의한 경추 척수병증의 수술은 비외성성 경추 척수

병증에 비해 운동마비의 신경학적 회복 속도 및 회복 정도가 더

크며, 외상으로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었을지라도 수술

적 치료를 통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단어: 경추, 척수병증, 외상, 마비

15S-073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Vertebral Body Fracture with a Apinous Process Fracture: Its Clinical and Radiologic Significance

Tae-Hwan Kim, Moon Soo Park, Seok Woo Kim, Yong-Chan Kim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Spine Center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bjectives: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patients with an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vertebral body fracture with a spinous process fracture (SP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vertebral body fracture with a spinous process fracture (SPF) have been reported thus far;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the mechanism or the prognosis of this medical condition.Materials and Methods: 391 patients with an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T10L2) fragility fractu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consisted of 332 patients with only a vertebral body fracture, and Group II consisted of 59 patients with a vertebral body fracture and an SPF. The clinical and radiologic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Results: In all cases of Group II, the SPF was located just one level above the fractured vertebral body and a posterior

ligament injury was not found. The direction of the SPF was vertical or obliquely vertical (relatively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spinous process). At the time of injury, Group II patients showed worse outcomes in terms of the anterior vertebral body compression percentage, cranial disc injury, kyphotic Cobb’s angle, and degree of initial neurological injur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nal encroachm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12 months after diagnosis, Group II patients showed more severe post-traumatic kyphotic changes despite the similar changes in the anterior body compression percentage.Conclusions: Morphologically, the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vertebral body fracture with an SPF represents a high-energy injury mechanism with flexion forces on the anterior column and tensile forces on the posterior column.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osteoporotic thoracolumbar junctional vertebral body fracture with an SPF is related to a poor prognosis.Keywords: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Thoracolumbar junction, Spinous process fracture, Prognosis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이행부 추체 골

절: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의의

김태환, 박문수, 김석우, 김용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척추센터

연구계획: 후향적 비교 연구

연구목적: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이행부 골

절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선행연구문헌 요약: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이행부 추체 골절의 경우, 극돌기 골절은 항상 추체 골절의 한분

절 위에 위치하며, 골절의 방향은 극돌기의 종축에 비교적 직각

방향을 한 일관적인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특

징으로 보아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이행부

골절은 공통적인 발생기전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

상적인 예후에서도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흉요추 이행부(T10L2)의 골다공증성 취약골절을

가진 391명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자료를 다음 두 군으로 나

누어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추체골절만을 가진 경우를 제 1군

(332명), 추체골절 및 극돌기 골절을 모두 가진 경우를 제 2군

(59명)으로 분류하였다. 골절부의 전방 추체 압박률, 후만각, 척

추관 침범 정도, 상위분절의 추간판 손상, 신경학적 손상여부를

비교하였다.

Page 5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52

결과: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추체골절에 해당되는 제 2군에서,

극돌기 골절은 모두에서 추체골절의 한분절 위에 위치하고 있

었으며, 후방인대 복합체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극돌기 골

절의 방향은 모두 종축에 비교적 직각방향을 하고 있었다. 수상

당시 방사선학적 자료 분석 결과, 제 2군에서 제 1군에 비해 전

방 추체 압박률, 골절 후만각, 상위분절의 추간판 손상, 신경학

적 손상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 침범의 정도는

두군간 차이가 없었다. 진단 12개월 후 방사선학적 자료 분석 결

과, 제 2군의 경우 제 1군에 비해 압박률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

지만, 골절부 후만각의 변화는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형태학적으로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흉요추

이행부 추체 골절은 전주의 압박력 및 후주의 신연력과 관련된

고에너지 손상(high-energy injury mechanism)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좋지 않은 예후를 보였다. 이러한 골절양상은

골다공증성 척추골절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증가된 후만변형

으로 인해 추체와 극돌기가 이루는 각이 작아지면서(Fig. 1), 후

주의 신연력이 후방인대 복합체가 아닌 극돌기에 집중이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Fig. 2).

색인단어: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흉요추 이행부, 극돌기 골절,

예후

15S-048

Three-column Reconstruction Through Single-Stage Posterior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Myung-Guk Cho1, Ki-Tack Kim2, Dae-Jean Jo3, Eun-Min Seo1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Spine Center,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pine Center,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Seoul, Korea Department of neurosurgery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llustrate the technique of three-column reconstruction using a single-stage posterior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and to evaluate the radiographical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treated using this technique.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al burst fractures are compression fractures of the anterior and middle portions of the spinal column in which vertebral body fragments shift into the spinal canal. These fractures can cause neurological

Page 5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3

complications and kyphotic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16 consecutive patients with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were treated with three-column reconstruction using a single-stage posterior approach. The mean patient age was 54.8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 months. Five patients suffered from T12 fractures, 10 from L1, and 1 from L2. The segmental kyphosis, neurological status, visual analog scale for back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at follow-up. Results: The segmental kyphotic angle improved from 18.7° before surgery to -9.2°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cor-°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cor-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cor-rection angle was 29.0°. The mean surgical time was 255 min, and the mean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1073 mL.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two dural tears and one superficial wound infection. There were no other severe complications. The mean score of the visual analog scale of back pain decreased from 6.6 to 2 at the last follow-up,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changed from a mean value of 57.3 to 22.1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s: The three-column reconstruction using a single-stage posterior approach achieves satisfactory kyphosis cor-rection with a direct visualization of the circumferentially decompressed spinal cord, as well as good fusion with less blood loss and fewer complication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a safe and reliable surgical treatment option for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Keywords: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Three-column re-construction, Single-stage posterior approach

흉요추 방출성 골절 치료 시 단일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삼

주 재건술

조명국1, 김기택2, 조대진3, 서은민1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정형외과1, 강동경희대병원 척추센터 정형외과2, 강동경희대병원 척추센터 신경외과3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흉요추 방출성 골절 치료 시 단일 후방 접근법을 이용

한 삼주 재건술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 보고 그 유용

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의 방출성 골절이란 전주와 중주의 손

상으로 척추체 골절편이 척추관내로 전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방출성 골절 시 신경학적 증상 및 후만 변형이 자주 동반

된다. 가동성이 큰 요추와 가동성이 작은 흉추가 만나는 흉요추

이행부위는 특히 외력에 취약하여 방출성 골절이 빈번하다. 불

안정한 흉요추 방출성 골절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통해 신경 증

상 회복과 골절부위 안정성을 확보한다.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전방 접근법, 후방 접근법, 전-후방 접근법이 있다

대상 및 방법: 16명의 흉요추 방출성 골절 환자에게 단일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삼주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남녀 비는 9:7였고,

평균 나이는 54.8세(23-73)였다. 평균 추기 기간은 25(12-32)

개월 이었다. 흉추 12번 골절이 5예, 요추 1번 골절이 10예, 요

추2번 골절이 1예 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후 후만각을 측

정하였고, 수술시간, 실혈량, 수술 관련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ASIA (Asia Spinal Injury Association grading system), ODI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를 이용 임상 결과를 평가하

였고, 요통에 대해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255분(185-300)이였고, 평균 실혈량은

1073ml(700-2300)였다. 술 전 평균 후만각은 18.7도 였고, 술

후 평균 후만각은 -9.2도 였다. 평균 교정각은 29도 였다. 요통

에 대한 평균 VAS는 술 전 6.6에서 최종 추시시 2으로 향상 되었

고, ODI 는 술 전 평균 57.3에서 최종 추시시 22.1로 향상 되었

다. 술 전 ASIA E: 6예, ASIA D: 4예, ASIA C: 3예, ASIA B: 2예,

ASIA A: 1예에서 최종 추시시 ASIA E: 9예, ASIA D: 4예, ASIA

C 1례, ASIA B: 1예, ASIA A: 1예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경막 손상이 2예, 표층 창상 감염이 1예있었다.

결론: 흉요추 방출성 골절 치료 시 단일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삼주 재건술은 만족할만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여 유

용한 수술적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흉요추 방출성 골절, 삼주 재건, 단일 후방 접근법

Miscellaneous

15S-070

Risk Factor and Prognostic Factor of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Hwan Jung Kim1, Kun Young Park2, Kyung Hun Park1, Won Sik Choy1, Sang Wook Jeung1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1, Daejeon Veterans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2

Study Design: We analyze variables to find out which ones affect the clinical result and prognosis of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SEH).Objectives: SSEH is a rare disease associated with various neu-rological deficits. As far as we know, the most important factors

Page 5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54

affecting this condition are the degree of neurological deficit at admission and how fast the operative management was done.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between 2010 and 2014 at Eulji Medical Center to determine w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and prognosis of SSEH.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cidence of SSEH is estimat-ed to be 0.1 per 1000,000 per year. The clinical presentation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acute onset of back or neck pain with rapidly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s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spinal cord or spinal nerve.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12 patients diagnos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e-tween 2102 and 2014. We profiled the underlying disease of these patients and evaluated the neurological deficit at admission by using the ASIA impairment scale (AIS). We classified the degree of cord compression by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largest hematoma seen on the sagittal view of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 We checked whether cord edema existed or not. We also assessed how fast the operative management was done. Then, we verified statistical figure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and these factors.Results: 8 of the 12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ok as-participated in this study took as- in this study took as-pirin. Taking aspirin affects the incidence rate of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and this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gree of neurological deficit strongly affects the result of recovery; this effect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the subjects underwent MRI for the dorsal epidural hematoma. The degree of cord compression and the range of the affected segm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cord edem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ervi-cal spine (4 cases) and thoracic spine (5 cases) were com-mon points of origin but the region did not affect the clinical result. However, the duration from symptom occurrence to surgical trea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utcomes.Conclusions: Anticoagulant therapy has been associated with SSEH, and an increased use of anticoagulants tends to increas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The initial neurological deficit level and the time to surgical treatment strong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of SSEH. Early treatment is very important.Keywords: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Risk fac-

tor, Anticoagulant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의 위험 요인과 예후 인자

김환정1, 박건영2, 박경훈1, 최원식1, 정상욱1

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대전보훈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의 원인 및 임상결과에 영향

을 끼치는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드문 질환으로 신경학적

결손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들 간에 다양한 임상결과

를 보인다.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는 내원 당시의 신경결손 정도

와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

를 받은 12사례를 분석하여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드문 질환으로

10만명당 1명정도 발생한다. 임상증상은 갑자기 발생하는 척추

부위의 통증 및 빠르게 진행하는 신경 결손이다. 심각한 신경 결

손을 동반하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수술적

감압이 일반적 치료로 추천된다. 중요한 예후 인자는 수술전의

신경결손 정도와 치료까지의 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

막외 혈종으로 진단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환자의 기저질환 및 약물복용 여부, 내원 당시의 신경결

손 정도와 임상결과는 ASIA impairment scale (AIS)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MRI 시상면에서 혈종의 위치, 이환된 분절의 범위

를, 축상면에서 혈종의 가장 큰 지름을 측정하여 척수압박의 정

도를 분석하였고 척수부종 여부를 함께 조사하였다. 또한 수술

적 치료를 받기까지 걸린 시간을 분석하여 임상적 결과와의 상

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12명중 8명이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원 당시의

신경결손 정도는 치료후의 신경 회복 정도에 강하게 영향을 끼

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RI 검사상 모든 환자의 경우에서 경

막외 혈종은 척수의 배측에 위치하였고 유의하진 않았지만 이

환된 분절의 범위 및 혈종의 척수압박 정도는 임상 결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척수 부종과 임상 결과간에는 유

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발생 부위는 경추부와 흉추부가 4례 , 5

례로 가장 많았으나 임상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유의하게 임상결과에 영향을

끼쳤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외 출혈과 항응고제 복용은 높은 상관관

계를 보였다. 향후 항응고제의 사용 증가와 더불어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Page 5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5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 결과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내원 당시의 신경결손 정도 및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며

빠른 수술적 치료가 중요하다

색인단어: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위험요인, 항응고제

15S-059

Efficacy and Safety of Prophylactic Tranexamic Acid in Single-Level Posterior Spinal Fusion

Ki-Tack Kim1, Sang-Hun Lee1, Jung-Hee Lee2, Kyung-Chung Kang2, Sang-Phil Hwang1, Soo-Jin Jang1, Jung-Suk Lee1, Ju-Hyun Nam1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 Dong,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1

KyungHee Medical Center,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2

Study Design: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safety, and optimal dose of tranexamic acid with respect to blood loss during spinal operation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ranexamic acid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erioperative blood loss in patients undergoing heart surgery and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ty. However, only a limited number of spine surgery trials have been conducted.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preliminary report of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31 patients scheduled to undergo 1-level PLIF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high dose (HD), low dose (LD), and placebo controlled (PC). Patients in HD were administered 10 mg/kg of tranexamic acid before skin incision, followed by an infusion of 2 mg/kg/h during the operation and afterward for up to 5 hours. The LD patients were administered 5 mg/kg and 1 mg/kg/h, respectively, of tranexamine acid in the same manner in LD group. Patients in the PC group received normal saline. Perioperative Hb, Hct, fibrinogen, PT/PTT, AST/ALT, and BUN/Cr were measured.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according to a routine protocol.Results: Perioperative blood los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D group compared with the PC group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D and the PC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b, Hct, fibrinogen, PT/PTT, AST/ALT, and BUN/Cr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Administration of a high dose of prophylactic tranexamic acid is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for reducing blood loss during spinal operations.Keywords: Tranexamic acid, Antifibrinolytic agent, Perioperative blood loss, Spinal surgery, Randomized trials

단분절 척추 후방 유합술에서 Tranexamic Acid의 효용성

및 안정성

김기택1, 이상훈1, 이정희2, 강경중2, 황상필1, 장수진1, 이정석1, 남주현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경희의료원 정형외과학 2

연구계획: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 환자 대조군 비교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척추 분절에서 같은 술식으

로 시행한 척추 수술에서 Tranexamic Acid의 효용성을 알아보

고 저용량 군과 고용량 군, 대조 군으로 나누어 적절한 용량과

안정성을 확인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Tranexamic acid는 섬유소 용해를 억제하

는 약물로 심장 수술및 인공 고관절 및 슬관절 치환술시에 출혈

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입증 되었다. 하지만 척추 수술 에서는 연

구가 아직 제한적인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 후방 척추 유합술을 시행한 31명의 환자들

을 고용량, 저용량, 대조군 등, 3그룹으로 나누었다. 고용량 군

은 피부 절개전 10 mg /kg를 투여 후, 수술 시와 수술 후 5시간

까지 2 mg /kg로 지속 투여 하였다. 저용량 군은 같은 방법으로

피부 절개전 5 mg /kg를 투여 후, 수술 시와 수술 후 5시간까지

1 mg /kg로 투여 하였고,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만 투여 하였다.

수술 전 후 Hb, Hct, Fibrinogen, PT/PTT, AST/ALT, BUN/Cr

을 측정 하였고,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술자가 시행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출혈량과 수술 후 배액관을 통한 출혈량은 고용량

군이 저용량 군과 대조 군에 비교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p-

value<o.o5) 하지만 저용량군과 대조군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

는 없었다. 수술 후 시행한 Hb, Hct, Fibrinogen, PT/PTT, AST/

ALT, BUN/Cr 에서는 세 군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단분절 후방 척추 유합술시 Tranexamic acid의 고용량 투

여는 수술 전 후 출혈량은 감소 시키는데 효과적 이었다.

색인단어: Tranexamic acid, Antifibrinolytic agent,

Perioperative blood loss, Spinal surgery, Randomized trials

Page 5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56

15S-098

The Effects of Anticoagulation or Antiplatelet Agents in Spine Surgery Patients

Ju-Rang Lee, Dong-Hun Ham, Jong-Hyun Ko, Kyung-Jin So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blood loss after the use of anticoagulation or antiplatelet agents in cardiac disease or hypertension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surgery i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agents on the progn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ontribution of antiplatelet or anticoagulation agents to increased perioperative risk of bleeding during spine surgery is known. However, discontinuation of drugs before surgery and their specific effect on blood loss are still under debate.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49 patients who underwent segment 1 or segment 2 cervical surgery and 490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surgery at the authors’ hospital between January 2009 and July 2014. The patients who took warfarin were assigned to Group A, Plavix to Group B, aspirin to Group C, and both aspirin and Plavix to Group D. Group C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ake aspirin. Further, Group 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preoperative aspirin-discontinued group and continued group.Results: The sum of the saline solution and transfused blood amounts during cervical surgery was the largest in Group B (3.3 L) (p=0.099), and during lumbar surgery in Group D (4.7 L) (p=0.575). Group B had the largest amounts of postoperatively drained blood during cervical surgery, and Group A had the largest amounts during lumbar surgery (p=0.038). In the comparison of Group C and the control group, the amount of postoperatively drained blo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C during both cervical and lumbar surgery. In Group C, when the aspirin intake was discontinued preoperatively, both the cervical and the lumbar surgery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nly in the amount of postoperatively drained blood. A comparison of the preoperative aspirin discontinu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cervical surgery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eeding (p=0.023), but in the case of lumbar surger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p=0.292). The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in the case of lumbar spinal surgery between the aspirin-continued group (17.6 days) and the control group (13.8 day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Conclusions: Considering the significant postoperative blood loss in the aspirin-intake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orough preoperative management is necessary. In addition, more than seven days of discontinuation may reduce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encourage early rehabilitation, and shorte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Keywords: Spine surgery, Anticoagulation, Antiplatelet, Postoperative blood loss, Hospital stay

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 사용이 척추수술에 미치는

영향

이주랑, 함동훈, 고종현, 송경진

전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비교 분석

연구목적: 척추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심장질환이나 고혈압으로

항 혈소판제 또는 항 응고제를 복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출혈량

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항 응고제와 항 혈소판제의 사용은 척추수

술 전후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술 전 중단시

기와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2009년에서 2014년 사이에 본원에서 1분절 또는

2분절 경추 수술(전방경추 추간판절제술 및 유합술) 449예와 요

추 수술(후방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490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와파린을 복용했던 환자를 A(N=9), 플라빅스 복

용한 환자군을 B(N=32), 아스피린 복용한 군을 C(N=193), 아

스피린과 플라빅스를 동시에 복용한 군을 D(N=54)로 정하였다.

C군은 다시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N=188)과 비교

하였다. 또한 C군 중 술 전 아스피린을 복용을 중단한 군(N=82)

과 중단하지 않은 군(N=111)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중 투여된 수액과 수혈량은 경추 수술을 받은 환자

군에서 B군이 3.3 L로 가장 많았고(p=0.099) 요추 수술을 받은

환자 군에서 D군이 4.7 L로 가장 많았다(p=0.575). 수술 후 배

액량은 경추 수술에서는 B군이 가장 많았고 요추수술에서는 A

군에서 수술 후 배액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p=0.038). 수

술 후 배액량은 C군에서 대조 군보다 요추와 경추 수술 모두에

Page 5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7

서 수술 후 배액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에서 수술 전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한 경우 경추와 요추 수술

환자 모두에서 수술 후 배액량에서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

소하였다. 아스피린을 중단한 군과 복용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

였을 때 경추에서는 배액량에 차이가 있었지만(p=0.023) 요추

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p=0.292). 입원기간은 요추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아스피린 복용을 수술 전 중단하지 않은 군(17.6

일)과 대조군(13.8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p=0.005).

결론: 수술 후 항 혈소판제인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에서 복용하

지 않은 대조 군보다 출혈량이 더 많으므로 술 전에 철저한 관리

가 필요하다. 또한 7일 이상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수술 후

출혈을 줄여 환자의 재활 치료 시기를 앞당길 수 있고 재원기간

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척추수술, 항 응고제, 항 혈소판제, 수술 중 출혈량,

입원 기간

15S-093

The Analysis of Sacrococcygeal Morphology in Koreans by using CT

Yoon Min Geun, Moon Myung-Sang, Lee Sang-Min, Kwon Ki-Tea, Kim Dong-Hyun Cheju Halla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ntrolled study. Objectives: To analyze Korean sacrococcygeal anatomical morphology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and to compare the morphology among decades and between males and female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some reports on the sacrococcygeal morphology of Arabs and Europeans determined using CT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o find the cause of coccydynia. However, there are no pub-lished data on the CT of the Korean sacrococcygeal anatomy.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341 pelvic CT scans taken between 2009 and 2014 at our hospital was conducted. More than 30 cases in each decade of life were considered, and fractures of the sacrum or coccyx were ex-cluded. The difference in sacrococcygeal morphology among decades and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was analyzed using the sagittal plane view of the pelvic CT scan. The mor-phology factors considered in the analysis were the sacral and coccygeal curved index, sacrococcygeal angle, intercoc-

cygeal angle, coccygeal type, coccygeal segmental number, and sacrococcygeal fusion.Results: The sacral and coccygeal curved index values were 5.96 and 6.88, respectively. The average sacrococcygeal and intercoccygeal angles were 108° and 48°,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type of coccyx was II, and the rate of sacro-coccygeal fusion was 26%. There was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age and the sacral curved index (r=0.5, p=0.000), an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age and the coccyx curved index (r=-0.27, p=0.000). Further, there w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age and the intercoccygeal angle (r=-0.13, p=0.047). The intercoccygeal angles of the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52° and 46°.Conclusions: The sacrococcygeal morphology of Koreans wa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races. The sacrum and coccyx become curved and straight, respectively, with an increase in age. The coccyx of the female patients was straighter than that of the male patients.Keywords: Coccyx, Sacrum, Morphology, Korean, CT

CT를 이용한 한국인의 천골과 미골 형태의 분석

윤민근, 문명상, 이상민, 권기태, 김동현

제주 한라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대조군 연구

연구목적: 한국인의 천골과 미골의 해부학적 형태를 CT를 이용

하여 분석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형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미골통의 원인 분석을 위해 천골과 미골의

형태에 대하여 CT 또는 MRI를 이용한 분석이 아랍 및 유럽등에

서 보고되고 있으나, 한국인의 천골과 미골의 해부학적 형태의

분석이 이루진 문헌은 없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본원에서 촬영된 골반

CT중 천골 및 미골의 골절 환자를 제외하였으며, 각 연령군당

30명 이상 선정하여 341명에 대해 천골과 미골의 형태를 분석

하였다.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형태 차이를 골반 CT의 시상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형태의 해부학적 분석 요소는 천골과

미골의 굴곡 지수(Sacral and coccygeal curved index), 천골

미골간 각도(Sacrococcygeal angle), 미골 분절간 각도 (Inter-

coccygeal anlge), 미골 유형(Coccygeal type), 미골 분절 개수

(Coccygeal segmental number) 및 천골 미골간 유합(Sacro-

coccygeal fusion)로 하였다.

결과: 천골과 미골의 굴곡 지수는 각각 5.96과 6.88 이었으며, 천

Page 5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58

골 미골간 각도는 평균 108도, 미골 분절간 각도는 48도 였으며,

미골 유형은 2형이 가장 많았고 천골 미골간 유합은 26%에서

관찰되었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천골 굴곡 지수가 증가하고

(r=0.5, p=0.000) 미골 굴곡 지수가 감소되는(r=-0.27, p=0.000)

상간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미골 분절간 각도도 감소하는(r=-

0.13, p=0.047) 약한 상간관계를 보였다. 남성의 미골 분절간 각

도는 52도였으며, 여성의 미골 분절간 각도는 46도였다.

결론: 한국인의 천골과 미골의 형태는 타 종족과 비슷하였으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천골은 굴곡, 미골은 신전되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미골이 더 신전되어 있었다.

색인단어: 미골, 천골, 형태, 한국인, CT

MISS

15S-071

Usefulness of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Cervical Radiculopathy

Myun-Whan Ahn, Sung-Jun Lee, Whee-Sung So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prospective explora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cervical radiculopathy.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cervical radicu-lopathy.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using lidocaine and steroids is successful a method for pain relief, but there is little literature about its role and meaning.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35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nd we observed them for more than one year of follow-up telephone survey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4.5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3 months. We used the provocation test for confirming the diagnosis and then, performed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The pain was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after injection, after 1 week, after 3 weeks, and at the last follow-up.Results: The average VAS scores immediately before treat-ment, after 1 week, after 3 weeks, and at the last follow-up were 6.11, 3.29, 2.89, and 1.37, respectivel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atisfaction level in 13 patients was

very high; in 2 patients, moderate; in 17 patients, somewhat poor; and in 3 patients, poor. The early effect of the pain control was associated with the immediate 3-week response. Satisfaction for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was related to the early successful reduction in the pain.Conclusions: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was effective in early and long-term pain reduction in the case of cervical radiculopathy. In particular, the pain relief of early 3 weeks after the nerve root block enabled the patients to return to their daily activities. It was useful for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Keywords: Selective nerve root block, Cervical radiculopathy

경추부 신경근병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안면환, 이성준, 손휘승

영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경추부 신경근 병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장

단기 효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부 신경근 병증에서 선택적 신경 차단술의 장단

기간 통증 완화 효능을 평가하고 관여하는 인자를 탐색하여 경

추부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부 신경병증에서 국소 마취제를 이용

한 신경근 차단술에 대해 다양한 이견이 있으며,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 주사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있지만, 이것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서는 잘 정리되어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경추부 신경근병증에 의한 상지 방사통 치료를 위

해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경과하고, 최종 전

화상담에 응답한 35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5±11.6세(29-54.5세)이었으며, 남자가 20명 여자가 15명이

었고, 추적기간은 평균 31.3±10.2개월이었다.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신경근을 선택하여 확진을 위한 통증 유발 검

사 후에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하여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차단술 직후에 통증의 회복의 여부를 확

인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차단술 전 및 술후 1주, 3주 및 매 추시

시에 VAS를 이용한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차단술 전, 술후 1주, 3주 및 최종 추시시의 VAS에 의한

평균 통증점수는 6.11, 3.29, 2.89, 및 1.37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차단술 전과 3주 후와

의 비교에서는 초기 통증이 심한 군에서 통증 회복이 적게 회복

되는 경향이 있었다(p=0.023). 차단술 후 1주의 통증점수에 관

여하는 인자 중 술전 통증점수와 척수증의 징후 여부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3주 후의 통증점수는 차단술

후 통증 점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Page 5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59

결과 통증 완화 기간은 장기적인 병력 기간이 길면 길수록, 환

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짧다고 응답하였고, 초기 통증 점수나 기

타 인자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00). 차단술에 대한 만족

의 정도는 총 35명 중 13명은 매우 만족, 2명 중등도의 만족, 17

명에서는 경도의 만족하였으나 3명은 만족하지 못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차단술에 대한 만족의 정도는 차단술 후 3주의 통증

점수가 낮을수록 만족하였고, 초기 반응의 정도나 다른 시기의

통증점수 등의 다른 인자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443, R-

square=0.196, ß;VAS 3 wk=-0.443, p=0.011).

결론: 경추부 신경근병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성공적

으로 장단기간 상지 방사통을 완화시킬 수 있고, 특히 초기 3주

간의 통증 완화를 통한 조기 일상생활로 복귀시킴으로 환자의

만족도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단어: 경추부 신경근병증,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15S-075

The Effective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Lower Cervical Spine with Use of Ultrasonic Device in Outpatient

Chang Su Kim1, Tae Kyun Kim2, Dae Moo Shim2, Sang Hyo Kim1 Kosin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ultrasonography (US)-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performed on a cervical spine of an outpatient who complained of radiating pain in the upper extremiti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literature on surgical treatment and conservati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disc herniation, but very little that discusses the results of a selective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und.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57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radiating pain who underwent cervic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etween March 2013 and October 2014. Preoperative examination included the use of visual analog scale (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postoperative examination included VAS and NDI measured from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were used to classify the condition as flexible or rigid herniation, and the location of protrusion was

used to classify the condition as medial, posterior, or lateral disc herniation. We applied these classifications to follow-up the changes in postoperative symptoms.Results: Out of 57 patients, 10 patients were not followed-up after the primary procedure, and 18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VAS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7.8 to 3.4 points after the procedure, and at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the average VAS score was 4.2 point, which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mprovement. NDI improved from 17.8 before the procedure to 13.3 at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11 of the 20 patients with rigid disc herniation and 7 of the 27 patients with flexible disc herniation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The average VAS score of hard disc herniation reduced from 7.67 before the procedure to 3.5 after the procedure and the VAS score at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was 5.7 in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ical treatment, which showed meaningful symptomatic improvement. The average VAS of flexible disc herniation decreased from 7.83 before the procedure to an average of 3.7 after the procedure and the VAS score at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was 4.3 in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ical treatment, which also showed meaningful symptomatic improve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locations of the protrusion. Further, there were no complications during the procedure. Conclusions: The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und in the case of cervical disc herniation with upper extremity radiating pain, is a relatively a safe procedur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aused by the loc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protrusion were observed. Therefore, a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und is estimated to be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radiating pain, who do not want to undergo surgical treatment. Keywords: Selective nerve root block, Ultrasound, Cervical spine

초음파를 이용한 경추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김창수1, 김태균2, 심대무2, 김상효1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1, 원광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상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외래에서 시행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여

그 경과에 대해 추시하였다.

Page 6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0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로 보존적 치료

와 고식적 수술적 치료에 대한문헌은 많이 있으나, 초음파를 이

용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결과를 발표한 문헌은 흔치 않은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상지 방사통을

주소로 본원 외래 내원하여 경추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 한

5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술 전 VAS (visual analogue scale)

과 NDI (Neck disablility index)를 검사하였으며, 시술 후 VAS

및 시술 후 3개월에 NDI를 검사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컴

퓨터 단층촬영 상 연성 수핵 탈출증과 경성 추간판 탈출증을 분

류하였으며, 추간판 탈출의 위치에 따라서 정중앙, 후외방, 외측

추간공 탈출로 나누어 시술 후 증상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총 57명의 환자 중, 1차 시술 후 10명의 환자에서 추시가

되지 않았으며, 18명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시술

전 VAS는 평균 7.8점에서 시술 후 3.4점으로 감소하였으며, 3개

월 추시 상 평균 4.2점으로 호전 관찰 되었다. NDI에서 시술 전

17.8 에서 3개월 추시 평균 13.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

명의 경성 추간판 탈출 환자 중 11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

였으며, 27명의 연성 수핵 탈출 환자 중 7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경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시술 전 평균 VAS 는

평균 7.67점에서 시술 후 평균 3.5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수술한

환자를 제외한 환자 중 3개월 추시 상 평균 5.7점으로 증상호전

이 있었다.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시술 전 VAS 평균 7.83

점에서 시술 후 평균 3.7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수술한 환자를 제

외하고 3개월 추시 상 평균 4.3점으로 증상호전이 있었다. 탈출

의 위치에 따른 호전 정도의 비교에서 유의할만한 차이는 보이

지 않았다. 시술 중 합병증 발생은 없었다.

결론: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발생한 상지 방사통에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 차단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며, 추간판의 탈

출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수술을 원치 않는 상지 방사통

환자에 대해 외래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 차단술은 유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초음파, 경추

15S-078

Comparison of the Accuracy Between Open and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Same Patient

Choi Jun Ik, Chung Jae Yoon, Seo Hyoung Yeon, Kim Sung Kyu, Na Bo Ra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

Study Design: Comparison of the accuracy between open and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same patient. Objectives: To compare the accuracy of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PPF) with that of open pedicle screw fixation (OPF).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edicle wall penetration during screw fix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OPF and PPF groups in cases of lumbosacral fusion.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ive patients who underwent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ipsilateral open pedicle screw fixation (PSF) and contralateral percutaneous PSF between April 2012 and December 2013 at a single institut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e hundred and fourteen pedicle screws were inserted (PPF: 57, OPF: 57).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mputerized tomography (CT) postoperatively, including sagittal and coronal reformatted images. CT imag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pedicle wall penetration and the maximum proximal facet joint violation. The severity of pedicle wall penetration was classified as mild (<3 mm), moderate (3-6 mm), or severe (≥6 mm). A facet joint was considered to have one of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violations: pedicle screw clearly within the facet joint; pedicle screw head clearly within the facet joint; or pedicle screw and/or screw head within 1 mm from or abutting the facet joint, without clear joint involvement.Results: Pedicle wall penetration occurred in 4 screws (7.0%) in the OPF group and 9 screws (15.8%) in the PPF group and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238). The maximum proximal facet joint violation occurred in 6 screws (10.5%) in each group. A change of screw because of nerve root injury was carried out in 2 patients in the PPF group.Conclusions: Pedicle wall penetration and facet joint violation of pedicle screw fix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OPF group and the PPF group. However, nerve root injuries caused by malposition of the pedicle screw occurred only in the PPF group,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remains a demanding technique and has to be performed with extreme attention to detail.Keywords: Pedicle screw, Pedicle wall, Facet joint violation

Page 6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61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관혈적 척추경 나사못과 경피적 척

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비교 분석

최준익, 정재윤, 서형연, 김성규, 나보람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척추경 나사못의 정확한 삽입은 신경 손상을 피하고

척추 안정성을 위하여 중요하다. 최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

정술이 널리 쓰이고 있으며, 그 효용성 및 안정성 또한 입증되었

다. 하지만,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에 있어서 관혈적인 방법과 경

피적인 방법을 비교한 논문은 적은 상태이다.

연구목적: 이에 저자들은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관혈적 척추경

나사못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천추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척추

경 벽의 침범은 관혈적 척추경 나사못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으로 고정한 그룹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

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감압 및 유합술의 동측은 관혈적 척

추경 나사못 고정술을(관혈적군), 반대측은 경피적 척추경 나사

못 고정술을(경피적군) 시행 받고 술후 전산화 단층 촬영(CT)을

시행한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114개의 척추경 나

사못이 삽입되었으며(관혈적군 57개, 경피적군 57개), CT 사진

을 이용하여 척추경 벽의 관통 여부 및 상위 후관절 침범 여부를

관찰하였다. 척추경 벽의 관통 여부는 관통 방향 및 관통 정도에

따라 경도(<3 mm), 중등고(3~6 mm), 고도(>6 mm)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후관절의 침법은 척추경 나사못이 후관절 안에 있

는 경우, 척추경 나사 머리가 후관절 안에 있는 경우, 척추경 나

사못이나 나사 머리가 후관절의 1 mm 이하에 있는 경우로 나누

어 평가하였다.

결과: 척추경 벽의 관통은 관혈적군에서 4개(7%), 경피적

군에서 9개(15.8%) 발생하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

다(p=0.238). 상위 후관절의 침범은 두 군에서 각각 6개씩

(10.5%) 발생하였다. 경피적군에서만 나사못의 잘못된 삽입으

로 인한 신경 손상이 2개 발생하였으며, 나사못을 변경하였다

결론: 척추경 벽의 관통 및 후관절 침범의 발생은 관혈적군과 경

피적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경피적군에만

척추경 나사못의 잘못된 삽입으로 인하여 신경 손상이 발생하

였다. 따라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색인단어: 척추경 나사못, 척추경 벽, 후관절 침범

15S-109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Lumbar Spondylolisthesis and Spondylos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mparative Safety and Efficacy with Conventional Open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Yung Park1, Sang-Ok Soek1, Soo-Bin Lee1, Hyun-Sun Lim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Department of Policy Research Affairs2

Study Desig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arativ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 percutaneous pedicle screw with a conventional open pedicle screw when used for stabilizing the lumbar spine for spondylolisthesis and spondyl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has become a standard method of minimally invasive lumbar spinal arthrodesis for the treatment of spondylolisthesis and other types of spondylosis. Materials and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prospective studies compar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pedicle screws with conventional open pedicle screws in the PubMed, Ovid MEDLINE, and the Cochrane Library databases. Two independent reviewers selected all articles satisfying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extracted the relevant data of complications, subsequent surgical intervention, fusion success, and pain and function along with the perioperative surgical data for adult patients undergoing lumbar spine fusion utilizing percutaneous versus open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for spondylolisthesis and spondylosis.Results: Nine prospective comparative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ates of complications (including neurological, hardware related, surgical-site complications, and pseudarthrosis) and subsequent surgical intervention (including revision, removal, reoperation, and supplemental fix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ercutaneous group showed a fusion rate and pain score improvement equivalent to the outcomes of the open group. However, the percutaneous

Page 6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2

group revealed a greater improvement of the function score as compared to the open group (range: 5.0-1.5, p<0.0001). The percutaneous group significantly exhibited less blood loss (292.9-246.2 ml, p<0.0001), less postoperative analgesic need (40.2-21.9 mg, p<0.0001), earlier ambulation (1.4-1.1 days, p<0.0001), and shorter hospital stay (1.5-1.1 days, p<0.0001) than the open group. The percutaneous group significantly needed longer operation time (26.2-15.9 min, p<0.0001) and radiation exposure time (28.8-22.0 s, p<0.0001) than the open group.Conclusions: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showed similar safety and effectiveness to conventional open screw instrumentation when used for stabilizing the lumbar spine for spondylolisthesis and spondylosis. Further,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wa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blood loss, perioperative recovery, hospital stay, and functional improvement, bu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operation and radiation exposure times over the open procedure.Keywords: Percutaneous, Pedicle screw, Safety, Effectiveness, Systematic review.

척추전방전위증과 퇴행성 요추질환 치료를 위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고식적 술기와 안전 및 유효성 비교

검증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박 융1, 석상옥1, 이수빈1, 임현선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1,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책연구팀2

연구계획: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목적: 척추전방전위증과 퇴행성 요추질환 치료에서 사용되

는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과 유효성을 고식적 척

추경 나사못 고정술과 비교 연구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

고 메타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은 최소침습

적 요추유합술의 필수적인 척추고정 술기로서 그 사용이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고식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만큼의 경

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과 유효성에 대한 충분한 검

증이 없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두명의 독립적 연구자가 PubMed, ovid MED-

LINE, Cochrane Library database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문

헌을 검색하였다. 정해진 선택기준에 맞추어 전향적 비교 연구

한 문헌만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문헌들로부터 안전과 유효성

을 검증하기 위한 수술후 합병증, 이차수술, 골유합, 임상적 통

증 및 기능 호전점수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메타분석을 시행하

였다.

결과: 총 9개의 전향적 비교연구 문헌이 메타분석에 선택되었

다. 수술후 합병증(신경학적, 내고정물 및 수술창상과 관련된 합

병증 등)과 이차수술(재수술, 내고정물 제거 등)의 빈도는 두 비

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율과 수술후 통증 호전정도도

두 군간에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수술후 기능점수는 고

식적 수술군에 비해 경피적 고정술군에서 더 큰 호전을 보였다

(range, 5.0-1.5, p<0.0001). 또한 경피적 고정술군에서 상대적

으로 적은 실혈양(292.9-246.2 ml, p<0.0001) 및 술후 진통제

사용양(40.2-21.9 mg, p<0.0001), 보다 빠른 보행시작(1.4-1.1

days, p<0.0001) 및 짧은 입원기간(1.5-1.1 days, p<0.0001)을

보였다. 수술시간(26.2-15.9 minutes, p<0.0001)과 수술 중 방

사선 노출시간(28.8-22.0 seconds, p<0.0001)은 경피적 고정술

군이 고식적 고정술군에 비해 길었다.

결론: 척추전방전위증과 퇴행성 요추질환 치료를 위한 요추 유

합술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은 고식적 고정술에 견

줄만한 안전과 유효성을 보였다. 반면에 경피적 고정술은 고식

적 술기에 비해 술중 실혈양, 술후 재활, 입원기간 및 술후 기능

호전 면에서 유리하였고, 수술시간 및 방사선 노출시간에서는

불리했다.

색인단어: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안전성, 효용성, 체계적 문헌

고찰

15S-076

Comparison Analysis and Efficacy of Minimally Invasive DLIF and TLIF in Surgical Treatment of Degenarive Scoliosis

Sang-Hyuk Min, Sung-Hyun Yoon, Chang-Hwan Hwang, Jeong-Sang Kim Dankook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and minimally invasive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degenerative scoliosis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utility of minimally invasive DLIF in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scoli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few comparative studies on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degenerative sco-liosis and on established surgery and minimally invasive sur-

Page 6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63

ger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40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because of degenerative scoliosis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were considered.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26 patients (mean follow-up duration: 24.53 months) un-mean follow-up duration: 24.53 months) un-24.53 months)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TLIF, and the other group of 14 patients (mean follow-up duration: 15.86 months)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DLIF. Radiological results were based on X-rays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erect position. Further, we measured the minimal 1-year follow-up correction degree of the anterior-posterior (AP) lumbar erect position and compared the lateral scoliotic angle with the lordotic angle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the disap-pearance of the correction degree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of lumbar and radiating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e investig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injury of the nerve root, infection or hematoma, and wound problems. Further, alteration of the hemoglobin level, estimated blood loss (EBL), postoperative drainage, and the amount of total transfusion were evaluated. Finally, hospital stay and period to ambulation were analyzed comparatively.Results: A comparison analysis of VAS of preoperative lum-bar and radiating pain, ODI, age, sex, angle of scoliosis and lordosis before surgery, time of surger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emoglobin level alteration, EBL, an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drainage and total transfusion revealed re-sults tha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Further, when we consider the postoperative correction degree of the two groups, we find that the correction degree of the mini-mally invasive DLIF group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minimally invasive TLIF group.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radiological images of the first stand after surgery and at the 1-year follow-up shows less collapse of correction in the minimally invasive DLIF group than in the TLIF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Conclusions: Minimally invasive DLIF as the surgical treat-ment of degenerative scoliosis is as good as minimally inva-sive TLIF from the viewpoint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linical results, and correction degree of postoperative scoliotic angle. In particular, minimally invasive DLIF is believed to be good for maintenance correction.Keywords: Minimally invasive DLIF, Minimally invasive

TLIF, Scoliotic angle, Correction loss

퇴행성 척추측만증의 치료에 있어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

체 유합술과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의 비교분

석 및 효용성

민상혁, 윤성현, 김정상

단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퇴행성 척추측만증 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최소침

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 과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

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퇴행성 척추측

만증에서의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퇴행성 척추 측만증의 치료방법으로 고식

적 치료법과 최소 침습적 치료의 비교가 아닌, 초소 칩습적 수술

방법에 따른 비교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척추 측만증으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된 환자 총 40명중에서 최소침습

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울 시행받은 26명의 환자(평균 추시

24.53개월)와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술을 시행 받은 14

명의 환자를(평균 추시 15.86개월)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

적 결과는 수술 직전과 수술 후 촬영한 요추부 직립위 전후, 측

면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측만각 및 전만각을 측정하여 교정정

도를 비교하였고,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과 비교하여 교정의 소

실 정도를 분석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요통 및 방사통에 대한 통

증 지수(VAS) 및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ODI)를 측정하였고,

여러 주술기 합병증, 수술 전후의 혈색소치의 변화정도, 수술 당

시의 출혈량(EBL), 수술 후 배액량, 총 수혈량, 재원기간, 보행

까지의 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군간 술후 요통 및 방사통에 대한 통증 지수(VAS) 및 오

스웨스트리 장애 지수(ODI), 수술전후 시상면에서의 전만각,

수술시간 및 수술후 합병증, 수술 전후의 혈색소치의 변화정도,

수술 당시의 출혈량(EBL)과 수술 후 배액량, 총 수혈량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두군에서

수술 후 교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최소침습적 측방경유 척추체

유합술 군에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군 에 비해

교정 정도가 더 크게 측정되었고 또한 수술 후 와 최종추시 방사

선 사진을 비교한 결과,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술 환자군

에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 환자군보다 교정 소

실의 정도가 적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 퇴행성 척추 측만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술은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 만큼 술

Page 6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4

후 합병증 및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측만각의

교정 정도에 있어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 유합술보다

좋은 결과를 보이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교정

소실이 더 적어 교정의 유지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술식으로 생

각되어진다.

색인단어: 최소침습적 측방 척추체 유합술, 최소침습적 경추간

공 척추체 유합술, 측만각, 교정 소실

15S-077

Comparison of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and open Lumbar Microscopic Discectomy for Single-level Lumba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ang-Hyuk Min, Sung-Hyun Yoon, Chang-Hwan Hwang, Suk-Hyung Yi Dankook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ntrolled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PELD) with those of open lumbar microdiscectomy (OLM) for lumbar disc herniation. Further-more, we looked for possible risk factors of reherniation in both surgical procedure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s a form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both PELD and OLM showed favorable clinical outcomes. Recently, these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for the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Materials and Methods: 256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PELD (95 patients; mean follow-up duration: 37.68 months) or OLM (161 patients; mean follow-up duration: 55.56 months) because of single-level lumbar disc herni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 used. The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 follow-up duration of less than 2 years and additional posterior instrumentation.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adiological variables were assessed using plain radiography and/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also examined the expected blood loss and the operating time for each procedure. Furthermore, we had the patients complete surveys regarding their social history and trauma history.

Results: The mean operating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PELD group than in the OLM group (p=0.008). The estimated blood loss was lower in the PELD group (p=0.02). Patients who underwent PELD showed significantly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back pain than those who underwent OLM. Postoperative radiating pain, ODI, and reherniation ratio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groups. The disc height ratio did not change after both surgical proce-dures. The preoperative disc height ratio, the degree of disc degeneration, and the extent of disc had no definite influence on the rate of reherniation. Further, the smoking habits and the occupation of the patient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d risk of reherniation. However, the annular defect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reherniation patients, and we found the foll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any pa-tients who suffered from reherniation had a specific history of trauma.Conclusions: PELD has advantages in terms of shorter operat-ing time, lesser postoperative back pain, and lower estimated blood los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ize of the annular defect and specific trauma history work as risk fac-tors for rehernation. These results presumab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n accurate preoperative assessment, patient education, and lifestyle modification.Keywords: Lumbar disc herniation,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Open lumbar microscopic discectomy

단분절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치료에 있어 경피적 내시경

하 디스크 절제술과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의 비교

분석: 후향적 사례 조절 연구

민상혁, 윤성현, 황창환, 이형석

단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사례 조절 연구

연구목적: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경피

적 내시경하 디스크 절제술 및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각 수술의 유용성 및

재발 위험 인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비침습적인 수술의 범주 안에서 경피적 내

시경하 디스크 절제술과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 모두 만

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치료

에 있어 두 수술 방법 모두 최근 광범위하게 시행 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의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으로 2006년 1

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최소 2년이

Page 6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65

상 추시된 환자 총 256명 중 경피적 내시경하 디스크 절제술 시

행 환자군 95명(평균 추시37.68개월) 및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 시행 환자군 161명(평균 추시 55.56개월)을 대상으로 하

였다. 전체 환자군의 인구통계학적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시각

통증척도(VAS) 및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ODI)등을 이용하여

두 군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 하였고, 단순방사선 소견과 자기공

명영상 등을 토대로 영상의학적 지표를 평가 하였다. 또한 수술

중 출혈량, 수술 시간, 특이 외상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경피적 내시경하 디스크 절제술 시행 환자군에서 미세현

미경하 디스크 절제술 환자군에 비해 수술 직후 요통 통증지수

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술 시간이 유의하게

짧았으며, 출혈량 역시 유의하게 적었다(p<0.05). 반면 수술 3

개월 후 방사통,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추간판 높이 분율의 변

화, 술 후 디스크 재발률 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흡

연력, 직업군, 비만도, 추간판 높이 분율, 퇴행 정도, 탈출 정도

는 재파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재

발 환자군에서 술 전 환상 결함 크기 및 특이 외상력에서 통계학

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p<0.05).

결론: 경피적 내시경하 디스크 절제술은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에 대하여 수술 시간 및 수술 직 후 요통, 수술 중 실혈량

등에서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에 대하여 비교 우위를 보

였으나, 술식에 따른 디스크 재발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술 전

환상 결함 크기가 클수록 재발율이 유의하게 높은 바 술 전 정확

한 평가 및 수술 후 환자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될 것으로 보

이며, 또한 재발군에서 특이 외상력이 유의하게 많아, 술 후 환

자 교육 및 퇴원 후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경피적 내시경하 디스크 절제

술, 미세현미경하 디스크 절제술

15S-043

The Effectiveness of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for Lumbar Disc Herniation

Young Dae Jeon, Chang Su Kim, Jae Do Kim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piduroscopic laser deural decompression (ELND) in cases of lumbar disc herniation.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literature regarding conservative treatment and operative treatment for lumbar disc herniation but only limited infor-

mation regarding the clinical results of ELND.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83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ower leg radiating pain who under-went ELND between October 2008 and March 2013 because of the failure of other conservative treatments. The median patient age was 58 years (range: 22-72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2 months (range: 24-47 months). Treatment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Korea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index (K-MODI), and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MDQ). These scores were calculated preoperatively and at postoperative 1, 6, 12, and 24 months.Results: 71 patients (85%) reported symptom improvement after ELND. VAS improved from 8.1±0.4 preoperatively to 5.2±0.3 at 1 month after surgery and 4.4±0.6 at the final follow-up (p<0.05). K-MODI improved from 75.9±10.9 pre-operatively to 56±6.7 at 1 month after surgery and 47.3±8.7 at the final follow-up (p<0.05). RMDQ also improved from 14.2±1.3 preoperatively to 11.1±3.2 at 1 month after surgery and 8.2±0.2 at the final follow-up (p<0.05). 6 patients exhib-ited paresthesia at the ipsilateral foot dorsum, but all cases returned to normal at the final follow-up. 12 patients who exhibited no improvement of the symptoms underwent mi-croscopic lumbar discectomy at an average of 5 months after surgery.Conclusions: ELND, with its considerably high percentage of positive outcomes, is judged to be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inationKeywords: Low back pain, Lumbar disc herniation,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Clinical outcome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

술의 치료 효과

전영대, 김창수, 김재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호소 하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

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치료로 보존적

치료와 고식적 수술적 치료에 대한문헌은 많이 있으나,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의 결과를 발표한 문헌은 흔치 않은 실정

이다.

Page 6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6

대상 및 방법: 2008년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하부 요통 및

하지 방사통으로 본원 정형외과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

단 받고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지만 증상의 호전

이 없었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최소 2년 이상 추

적이 가능하였던 83명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균 나이 58

세(22~72)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2개월(24-47)이었다. 효과

판정으로 통증 정도는 VAS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술 후 예후

는 Korean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Index (K-MODI), 와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MDQ)를 이용하였

으며, 수술 전, 수술 후 1, 6, 12, 24개월에 시행하였다.

결과: 71예(85%)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VAS 점수는 수

술 전 8.1±0.4점이었고 수술 1개월 후 5.2±0.3, 최종 추시상

4.4±0.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K-MODI 점수도 수

술 전 75.9±10.9점이었고, 수술 1개월 후 56±6.7, 최종 추시

상 47.3±8.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RMDQ 점수도 수술 전

14.2±1.3, 수술 1개월 후 11.1±3.2, 최종 추시상 8.2±0.2로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6예에서 수술 후 환측 족배부 감각

이상 소견이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 시행 후 최종 추시에서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수술 후 증상의 호전이 없었던 12예에서

술 후 평균 5개월에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경막외 내시경적 신경감압

술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고, 은 효과적은 치료 방법으로 사

료된다.

색인단어: 요통, 요추 추간판 탈출증, 경막외 내시경 감압술, 임

상적 결과

15S-089

A surgical Navigation System for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Sangseo Jeon1, Young Dae Jeon2, Chang Su Kim2, Jaesung Hong1, Jae Do Kim2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Robotics Engineering1,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roposed navigation system aims at providing surgeons with accurate image guidance for the internal location of the catheter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anatomy in real time and reducing the use of fluoroscopy to avoi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lated to radiation exposure.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t surgical navigation systems using an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 to assist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such as brachytherapy and bronchoscopy. Materials and Methods: An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 and a catheter-type electromagnetic sensor were use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video-guided catheter relative to the patient’s anatomy. The movement of the patient was compensated by tracking the reference sensor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Patient-to-image registr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point-based registr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transformation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patient and that of the medical images.Results: We applied the proposed system in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procedures to assess its effectiveness; the clinical outcomes confirmed its clinical feasibility.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relative to the patient’s anatomy was displayed in real time in both three anatomical planes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The navigation error was qualitatively estimated by the surgeon to be ~1.0 mm. Real-time image guidance by the proposed navigation system considerably reduced the use of fluoroscopy.Conclusions: In this paper, a surgical navigation system to assist in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is proposed; its clinical feasibility was confirmed by a clinical application.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anatomy was provided in real time, which could considerably reduce the use of fluoroscopy. Although increased surgical time due to the setup of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tracking inaccuracy of the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 should be addressed for a routine use of the proposed system in clinical environments, the proposed system showed promise as an alternative modality for the fluoroscopy-guided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procedur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pplication of surgical navigation to epiduroscop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procedures.Keywords: Epidurospoic laser neural decompression, Fluoroscopy, Radiation dose,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 Surgical navigation

Page 6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67

수술 내비게이션 기반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

전상서1, 전영대2, 김창수2, 홍재성1, 김재도2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전공1,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종래의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에 수술 내비게

이션을 도입함으로써 시술자에게 체내 수술도구의 위치를 실시

간 제공함과 동시에 형광투시영상 사용 빈도수를 최소화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기관지 내시경 검사(bronchoscopy), 근접

치료(brachytherapy)에 적용된 자기장센서 기반 수술 내비게이

션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왔지만, 수술 내비게이

션의 영상 유도 하에 진행된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에 대

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대상 및 방법: 작은 절개창을 통해 삽입되는 카테터 말단의 위치

를 추적하기 위해 자기장 위치추적 장치 및 카테터 타입 자기장

센서를 사용하였다. 해당 센서는 멸균가능하며 카테터의 채널

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환자의 호흡 및 움직임은 엎드린 자세의

환자 체표에 부착된 레퍼런스 센서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실

시간 보상하였다. 환자로 대변되는 실세계와 의료영상 간 좌표

계 정합을 위해 point-based registr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제안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실제 경막외 내시경 레이

저 감압술 시술에 사용하여 임상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환

자의 위치에 대한 카테터의 상대적 위치가 해부학적 3단면 및 3

차원 가상공간으로 구성된 내비게이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

되었다. 시술자의 정성적 평가에 의해 추정된 내비게이션의 오

차는 약 1 mm 였으며, 내비게이션의 사용을 통해 형광투시영상

의 사용 빈도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을 위한 자기

장센서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체내 수술 도구의 상대적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

함으로써, 형광투시영상의 사용 빈도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제안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실제 임상환경에서 활발하게 사용

되기 위해서는 시스템 가동 준비로 인한 시술시간 증가 및 낮은

재현성을 가지는 자기장 센서의 정확도와 같은 한계점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술 내비게이션을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에 적용하고 임상적용가능성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색인단어: 경막외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 형광투시법, 방사선 피

폭량, 자기장 위치추적장치, 수술 내비게이션

15S-108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Between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and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Soo-An Park, Jae-Jong Jung, Jai-Ho Lee Uije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Prospec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compare clinical results of lumbar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TFESI) and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PE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TFESI and the PEN are commonly used as non-surgical treatments for improving symptoms of the lumbar degenerative diseases.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difference of clinical results between these two.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ho underwent TFESI or PEN and followed more than 6 months were included. Twenty-one patients (46.8+/-6.9 years) were in TFESI and 22 (59.8+/-14.8 years) were in PEN groups. In both procedures, combinations of 5mg dexamethasone, 2% lidocaine and 0.9% normal saline were used as therapeutic mixture. Each patient answered the questionnaire for the VAS of low back pain (LBP) and leg pain,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before and a week after the procedure. The numbers of additional ESI and conversion to the surgery within 6 months following the index procedure were counted as well. Results: Younger patients preferred the TFESI and the grade of preprocedural LB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FESI than in PEN groups (6.8+/-1.2 vs. 4.9+/-3.0, P=0.49). Both procedures significantly improved in VAS for LBP and leg pain and ODI scores. In TFESI group, VAS for LBP was from 6.8+/-1.2 to.3.3+/-2.4, VAS for leg pain was from 3.2+/-2.3 to 0.6+/-0.8, ODI was from 33.3+/-16.1 to 13.6+/-10.6. In PEN group, VAS for LBP was from 4.9+/-3.0 to 2.1+/-2.3, VAS for leg pain was from 4.3+/-2.0 to 1.7-2.2, ODI was from 37.7+/-16.6 to 17.7-15.5. However, grades of improve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Number of addition ESI procedures following the index proced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FESI (1.5+/-0.5) than in PEN groups (0.2+/-0.4) (P=0.45). Conversion to

Page 6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68

surge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EN (mean of 14%) than in TFESI group (0%) (P=0.29). Conclusions: Both procedures were effective in treating symptoms of the lumbar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grades of improvement in pain and disability were not different in two groups. Older patients with severe disease who may need the surgery preferred the PEN, and younger patients with LBP as a main complaint preferred the TFESI. Patients who underwent TFESI requested additional procedures in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may be the weakness of TFESI in comparison with the PEN. Keywords: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VAS, ODI

요추부 경추간공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술과 경피적 경

막외 신경성형술의 임상 결과 비교

박수안, 정재종, 이재호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임상 연구

연구목적: 요추부 경추간공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술 (trans-

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TFESI)과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PEN)의 임상

결과 분석

선행연구문헌 요약: TFESI와 PEN은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인

한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흔히 시행 되

고 있지만, 각각의 술식에 따른 임상 결과의 차이에 대한 보고는

드믈다.

대상 및 방법: 6개월 이상 추시된 요추부 퇴행성 질환 환자 중

각 시술에 대하여 환자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하였던 43명

이 포함 되었다. TFESI군에는 21명(46.8+/-6.9세), PEN 군에는

22명(59.8+/-14.8 세)이 포함 되었다. 두 개의 술식에는 5 mg

Dexamethasone, 2% Lidocine과 0.9% Normal saline 의 조합

이 therapeutic mixture로 사용 되었다. 각각의 시술 전 및 1주

후에 시행한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대한 VAS scor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 했고, 시술 이

후 6개월 이내에 몇 번의 ESI를 추가 했는지 몇 예의 환자에서

수술로 전환 했는지를 통계 분석 후 비교 하였다.

결과: TFESI는 PEN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환자들이 선호

했고, 양 군간 시술전 요통의 정도는 TFESI 군(6.8+/-1.2 vs.

4.9+/-3.0, P=0.49)이 유의하게 더 심했다. 두 개의 술식은 모

두 시술 전에 비해 시술 후 요통과 하지 방사통, ODI 측면에

서 유의하게 개선 되었다. TFESI 시행군에서 요통은 6.8+/-1.2

에서 3.3+/-2.4, 하지 방사통은 3.2+/-2.3 에서 0.6+/-0.8, ODI

는 33.3+/-16.1에서 13.6+/-10.6으로 개선 되었고, PEN군에서

요통은 4.9+/-3.0 에서 2.1+/-2.3, 하지 방사통은 4.3+/-2.0 에

서 1.7+/-2.2, ODI는 37.7+/-16.6에서 17.7+/-15.5로 개선 되

었다. 하지만, 각 항목의 시술 전후 개선된 정도의 두 군간 차이

는 없었다. 시술 6개월 이내 추가 시행했던 ESI 는 TFESI군에서

1.5+/-0.5회, PEN군은 0.2+/-0.4회로 유의한 차이(p=0.45)를 보

였고, 수술로 전환한 예는 PEN군은 평균 14%, TFESI군은 0%로

역시 유의한 차이(P=0.29)를 보였다.

결론: 두 개의 술식 모두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증상을 개선시

키는 유용한 방법이지만, 통증 및 생활 기능을 개선 시키는 정

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고령,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심한 질환

자들이 PEN을 선호하였고, 젊은 연령의 요통이 주증상인 환자

들은 TFESI를 선호 하였다. 한차례의 시술로 환자에게 만족감

을 주지 못하고 수차례의 시술이 필요한 측면은 TFESI의 단점

이 될 것이다.

색인단어: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VAS, ODI

15S-091

The Efficacy of the Caudal Epidural Block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Neuropathic Pain Component

An Ki Chan, Park Dae Hyun, Baik Jong Min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Orthopedic Department

Study Design: A controlled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caudal epidural block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neuropathic pain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dal epidural block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leg radiating pain, but ineffective in relieving low back pain. About 30% pa-tients complained by chronic low back pain are knwon neu-ropathic component dominant and research of such patients is rare.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controlled prospective study, 98 patients in the age group of 50-70 years who complained of chronic low back pain for more than 3 months were con-sidered. The patients received a caudal epidural block and measured the back and leg symptoms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fter 2, 4, and 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fined to meet both Leeds Assessment of Neuropathic

Page 6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69

Symptoms and Signs (LANSS) questionnaire score of ≥12 and Douleur Neuropathique en 4 (DN4) score of ≥4.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3 patients whose mean age was 67.3±10.4 years, sex ratio was 3:20 (male:female), body mass index (BMI) was 26.5±4.5, back VAS (BVAS) was 6.4±3.2, and leg VAS (LVAS) was 6.8±2.9 before the procedur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75 patients whose mean age was 61.1±9.8 years, sex ratio was 10:65, BMI was 25.7±3.9, back BVAS was 6.8±2.9, and LVAS was 6.4±3.1 before the procedur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ex ratio, BMI, BVAS, and LVAS (p>0.05). However, the parameter of age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nd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wo weeks after the procedure, BVAS was 2.6±1.3 and LVAS was 3.0±1.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VAS was 4.7±1.1 and LVAS was 3.2±1.9 in the control group. Four weeks after the procedure, BVAS was 2.3±1.1 and LVAS was 3.1±1.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VAS was 4.5±1.2 and LVAS was 3.3±1.3 in the control group. Six weeks after the procedure, BVAS was 4.9±1.9 and LVAS was 3.5±2.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VAS was 5.5±1.7 and LVAS was 5.1±1.9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BVAS values at 2 weeks and 4 weeks (p=0.01, 0.01),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VAS were observ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VAS and LVAS at 6 weeks.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dominated by neuropathic components, caudal epidural block treatment is considered; however, this treatment was found to be effective only for a short duration.Keywords: Chronic low back pain, Neuropathic pain, Caudal epidural block

만성 요통 환자에서 신경병증성 통증 정도에 따른 경막 외

주사 치료 효과 비교

안기찬, 박대현, 백종민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만성 요통 환자에 caudal epidural block을 시행한

후 신경병증성 통증 정도에 따른 요통호전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caudal epidural

block은 하지 방사통에는 효과적이나 요통에는 효과가 없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만성 요통 호소 환자 중 약 30% 정도는 신

경병증성 요소가 우세하다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런 환자에 대

한 caudal epidural block의 만성 요통 호전 정도에 대한 연구

는 드물다

대상 및 방법: 개월 이상 만성적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50-70

세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caudal epidural block을 2주 간격

으로 2회를 시행하고 첫 주사 치료 시행 2, 4, 6주 후 요통과 하

지 증상에 대한 VAS (visual analogue score)를 측정하였다. 실

험군의 경우 신경병증성 통증 요소가 우세한 군으로서 LANSS

(Leeds Assessment of Neuropathic Symptoms and Signs)

questionnaire >-12, DN4 (Douleur Neuropathique en 4)>-4

모두를 충족하는것으로 정의하였고 대조군과 VAS 차이를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경우 23명으로 평균 나이 67.3+/-10.4세, 남녀

비율 3:20, BMI(Body Mass Index) 26.5+/-4.5, 술식 전 Back

VAS(BVAS) 6.4+/-3.2, Leg VAS(LVAS) 6.8+/-2.9 였고 대조군

의 경우 75명으로 평균 나이 61.1+/-9.8세, 남녀 비율 10:65,

BMI 25.7+/-3.9, 술식 전 BVAS 6.8+/-2.9, LVAS 6.4+/-3.1였다.

양군 간 남녀 비율, BMI, BVAS 및 LVAS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

으나(p>0.05) 나이의 경우 실험군이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p=0.01). 시술 후 2주째 실험군 BVAS는 2.6+/-1.3 LVAS

는 3.0+/-1.4 대조군 BVAS는 4.7+/-1.1 LVAS는 3.2+/-1.9 4주

째 실험군 BVAS는 2.3+/-1.1 LVAS는 3.1+/-1.6 대조군 BVAS는

4.5+/-1.2 LVAS는 3.3+/-1.3 6주째 실험군 BVAS는 4.9+/-1.9

LVAS는 3.5+/-2.1 대조군 BVAS는 5.5+/-1.7 LVAS는 5.1+/-1.9

이었고 시술 후 2주 및 4주째 BVAS는 양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0.01) LVAS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 시술 후 6주째에는 BVAS, LVAS 모두 양 군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만성 요통 환자 중 신경 병증성 통증 요소가 우세할 경우

caudal epidural block에 허리 통증 또한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

지만 그 효과는 단기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인단어: 만성 요통, 신경병증성 통증, 경막 외 주사

Page 7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70

Miscellaneous

15S-067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iatric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Dysphagia After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Jung Sub Lee1, Sung Shik Kang2, Jong Ki Shin1, Tae Sik Goh1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cohort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psychiatric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dysphagia in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influence of psychiatric factors on chronic dysphagia after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prospectively examined 72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c disease of the cervical spine who were treated by single-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Demographic data including age, gender, body mass index, and smoking status were collected. Short-form 36 (SF-36), mental component scores (MCS), physical component scores (PCS), neck disability indices (NDI), and the neck pain and disability scale (NPDS) were assessed before surgery and at final follow-up. Psychiatric conditions were evaluated using the Zung depression scale and the Zung anxiety scale. One year postoperatively, patients were contacted by telephone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dysphagia. For statistical analys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those with no/mild dysphagia, and group II, those with moderate/severe dysphagia at one year after surgery. The potential risk factors of chronic dysphagia were evaluated us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22 women and 50 men with an overall average age of 47.1±7.8 years. The prevalences of no/mild (Group I) and moderate/evere (Group II) dysphagia were 69.4% (50 patients) and 30.6% (22 patients), respectively. The mean preoperative NDI, NPDS,

PCS, and MCS scores of 34.2, 44.8, 33.7, and 46.2 in the 72 study subjects improved to 9.9, 16.1, 55.1, and 56.2, respectively, at one year after surgery. The mean preoperative ZDS and ZAS scores were 35.2 and 34.2, respectively. The two study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presence of a psychiatric problem, preoperative NDI, and MCS scores. However,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presence of a psychiatric problem prior to surgery (p=0.005)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hronic dysphagia.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 psychiatric problem seems to be an important risk factor of chronic dysphagia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tion. The study shows that psychiatric factors should be evaluated prior to surgery in order to determine the risk of chronic dysphagia. Keywords: Cervical disc herniation, Chronic dysphagia, Psychiatric factor

전방 경추 수술후 발생한 만성 연하곤란과 정신의학적 요

인과의 관련성

이정섭1, 강성식2, 신종기1, 고태식1

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 코호트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 의학적 요인과 전방 경추 수술 후

환자의 만성 연하곤란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

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방 경추 수술 후 발생한 만성 연하 곤란에

대한 정신의학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퇴행성 경추 질환으로 단분절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은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흡연

상태 등의 인구 통계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술 전과 최종 추

시시에 Short form 36 (SF-36), Neck Disability Indicies (NDI),

Neck Pain and Disability Scale (NPDS) 등의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정신 건강 상태는 Zung 우울 척도와 Zung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술 후 1년째에 환자들의 연

하곤란 증상의 유무와 정도를 유선상으로 확인하였다. 통계 분

석을 위해 환자들을 I군(연하곤란이 없거나 경한 경우)과 II군

(술 후 1년째에 상당한 혹은 심한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으로 나

누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만성 연하곤란의 잠재적 위

험 요소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여자 22명, 남자 50명 이었고, 평균 연령은 47.1

±7.8세 이었다. 연하곤란이 없거나 경한 환자(I군)가 69.4%(50

Page 7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1

명), 연하곤란이 상당하거나 심한 환자(II군)가 30.6%(22명)

이었다. 72명의 연구 대상자의 평균 술전 NDI, NPDS, PCS,

MCS 점수가 각각 34.2, 44.8, 33.7, 46.2에서 술 후 1년째에 9.9,

16.1, 55.1, 56.2로 호전되었다. 술 전 평균 ZDS와 ZAS 점수

는 각각 35.2, 34.2 이었다. 두 연구군 사이에 정신의학적 문제

의 존재, 술 전 NDI와 MCS 점수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술 전 정신의학적 문제의 존재

만이 만성 연하곤란의 중요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정신의학적 문제의 존재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만성 연하곤란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보인다. 본 연구는 만

성 연하곤란의 위험성을 알기 위해 수술 전에 정신의학적 평가

가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색인단어: 경추 추간판 탈출증, 만성 연하곤란, 정신의학적 요인

15S-064

Influence of Pain Sensitivity on Surgical Outcomes After Lumbar Spine Surgery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Ho-Joong Kim1, Bong-Soon Chang2, Choon-Ki Lee2, Ruth Ruscheweyh3, Sung Shik Kang4, Jin S. Yeom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University of Munich Department of Neurology3,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4

Study Design: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bjectives: We ai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pain sensitivity on surgical outcomes after lumbar spine surgery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LS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o previou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gical outcomes for LSS and pain sensitivity questionnaire (PSQ) sco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171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pine surgery for LSS. Based on their PSQ scores, patie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low PSQ score (<6.5, n=87) group or the high PSQ score group (≥6.5, n=84). The primary outcome was the Oswestry

Page 7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72

disability index (ODI) at 12 months after surgery (Fig. 1). Results: The ODI at 12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PSQ score group than in the high PSQ score group (Fig. 2). Twelve months after surgery, the mean ODI scores (95% confidence interval [CI]) in the low and high PSQ score groups were 21.1 (16.8-25.5) and 29.6 (25.0-34.1), respectively. The difference (95% CI) in the ODI between the two groups was 3.2 (-14.7 to -2.2) (p=0.00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condary endpoints, including the ODI and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for back and leg pain, in the follow-up assessments over a 12-month period after surgery, between the two groups (PSQ group; p<0.001 for the ODI, VAS score for back pain, and VAS score for leg pain). However, the patterns of changes in the ODI and VAS scores for back pain and leg pain in the follow-up assessments over a 12-month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action between the PSQ group and follow-up assessment time; p=0.757, 0.126, and 0.950, respectively) (Fig.2). Conclusions: Patients with high pain sensitivity may display less improvement in back pain, leg pain, and disability after surgery for LSS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low pain sensitivity. Furthermore, the PSQ can be used to predict surgical outcomes after spine surgery for LSS. Keywords: Pain sensitivity, Pain sensitivity questionnaire, Surgical outcomes, Lumbar spinal stenosis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통증 민감도가 수술 후 결과

에 미치는 영향

김호중1, 장봉순2, 이춘기2, Ruth Ruscheweyh3, 강성식4, 염진섭1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1,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University of Munich Department of Neurology3,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정형외과4

연구계획: 전향적 관찰 연구

연구목적: 요추관 협착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에서, 통증의 민감

도가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환자의 통증에 대한 민감도가 척추관 협착

증의 수술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

려진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요추 척추관 협착증으로 수술을 받은 171명의 환

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Fig. 1). 수술 전 통증 민감도 지수가

6.5 미만인 군(통증 저 민감도 군)과 6.5 이상인 군(통증 고 민감

도 군)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다. 일차 유효성 변수는 수술 후

12개월째 ODI 지수였다.

결과: 수술 후 12개월째 ODI는 통증 저 민감도 군에서 통증 고

민감도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그림 2). 수술 후

12 개월째, 평균적으로 ODI 지수(95% 신뢰구간)는 저 민감도

군과 고 민감도 군에서 각각 21.1(16.8-25.5)와 29.6(25.0-34.1)

이었다. 두 군 사이 ODI 지수의 평균의 차이(95% 신뢰구간)

는 (-14.7 to -2.2) (P=0.009). 또한, 이차 유효성 변수인 12 개

월 추시관찰 기간동안 전체적인 ODI, 요추 통증과 하지 통증에

대한 통증 시각 점수 역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SQ group; p<0.001 for the ODI, VAS score for back pain,

and VAS score for leg pain). 하지만, 12 개월 추시 관찰 기간

동안 ODI, 요통과 하지 통증에 대한 시각 통증 점수의 전체적인

변화의 패턴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teraction

between the PSQ group and follow-up assessment time;

p=0.757, 0.126, and 0.950, respectively) (Fig. 2).

결론: 통증 고 민감도 군의 환자는 저 민감도 군에 비해 수술 후

12개월 추시 관찰 기간 동안 요추 통증, 하지 통증, ODI 지수에

Page 7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3

서 더 적은 정도의 호전을 보인다. 또한, 통증 민감도에 대한 설

문 조사는 요추 수술 후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색인단어: 통증 민감도, 통증 민감도 설문 조사, 수술 결과, 요추

척추관 협착증

15S-110

Vitamin D Level and Hand Grip Strength as Risk Factors of Actual Fall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Jae-Ho Yang1, Sun-Young Kim1, Chul-Hyun Ki1, Byoung-Ho Lee2, Jee-Hye Kim1, Kyung-Soo Suk1, Hak-Sun Kim1, Hwan-Mo Lee1, Seong-Hwan Moon1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Orthopaedic Surgery1,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International St. Mary’s Hospital Orthopa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risk factors correlated with actual falls associated with actual falls were assessed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alls occur in thirty percent or more of people aged over sixty years old annually. And falls risk i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ing. Falls result in serious consequences affecting morbidity and mortality and socioeconomic burden. So, for falls preve Materials and Methods: In 201 patients (M:F 65:136) with symptomatic lumbar spinal stenosis, falls history within recent one year was investigated. The factors which were expected correlation with actual falls were evaluated together. Blood chemistry was performed to evaluate serum Vitamin D level and the nutritional marker (transferrin, albumin) and hemoglobin level.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EQ5D-VAS score also were investigated. Handgrip strength was measured as the muscle strength using dynamometer. And knee osteoarthritis as comorbidities were examined using the Kellgren-Lawrence Grading Scale. Falls were assessed to occur if there is more than two times within recent one year. Patients were divided two groups; Group A (Actual falls≥2), Group B (Actual falls≤1). First, univariate analysis was done by independent t-test to find out which factor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llow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risk factors with actual falls. Results: Average age of patients was 70.7. Actual falls occurred 36 patients in total 201 patients (18.0%). In univariate analysis, serum vitamin D level, transferrin level, ODI, EQ5D-VAS, hand grip strength, and knee osteoarthritis with Kellgren-Lawrence grade scale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0.05). For these factors, logistic regression was done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with actual falls. Serum vitamin D level (p-value 0.01, odds ratio 0.89) and hand grip strength (p-value 0.003 odds ratio 0.83) were revealed as risk factors of actual fall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over 60 years old, serum Vitamin D level and handgrip strength are associated with actual falls. Patients with weaker handgrip strength and lower serum vitamin D level tend to fall more frequently. These two tests which can be performed easily in out-patients clinic can be useful in prognosis prediction and patient care. Keywords: Lumbar spinal stenosis, Hand grip strength, Vitamin D, Actual falls

요추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실제 낙상 예측인자로서의 비

타민 D 레벨과 도수근력

양재호1, 김선용1, 기철현1, 이병호2, 김지혜1, 석경수1, 김학선1, 이환모1, 문성환1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1,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연구

연구목적: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실제 낙상과 연관되는

인자를 확인하여 실제 낙상의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매년 60세 이상의 인구 중 30% 이상에서 낙

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낙상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증

가한다. 낙상은 질병률, 사망률과 사회경제적으로 심각한 영향

을 초래한다. 그래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 도구

를 사용하였고 이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최근 혈액화학

적 검사, 근력, 기능적 이동성 검사와 낙상률의 연관성에 대하여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낙상율에 대한 보고는 없으며

실제 낙상과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고찰은

대상 및 방법: 2011년 5월부터 2014년 3월까지, 60세 이상의 증

상이 있어 수술 예정인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 201명을 대상

으로(남:여 65:136) 최근 1년내에 실제 낙상한 횟수를 조사 하

였다. 또한 낙상의 정도와 관계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의 나이,

성별,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혈청 비타민 D레

Page 7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74

벨, 영양 상태 지표(혈청 트렌스페린, 알부민), 혈색소 레벨, 요

통기능장애척도(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통증 척도

(EQ5D-VAS), 도수근력(Hand grip strength), 슬관절염 정도

(Kellgren-lawrence grade)를 조사하였다. 최근 1년내에 2회이

상 낙상한 환자군과 1회 이하로 낙상한 환자군, 두 그룹으로 나

누어 서로 비교하였다. 단변량 분석(independent t-test)을 통해

낙상과 관련성이 예상되는 인자를 확인 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 70.8세 였으며, 2회 이상의 실제 낙상은

총 201명 환자에서 36명에서 발생하였다(18.0%). 단변량 분석

에서 비타민 D레벨, 트렌스페린 레벨, 요통기능장애척도, 통증

척도, 도수근력, 슬관절염 정도가 두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 항목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로지스

틱 회귀분석상 비타민 D 레벨(P-value 0.01, odds ratio 0.89)과

도수근력(p-value 0.003 odds ratio 0.83)이 실제 낙상과 유의한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성별을 포함한 다른 인자들, 혈청 비타민

D레벨, 영양 상태(혈청 트렌스페린, 알부민), 혈색소 레벨, 요통

기능장애척도(ODI), 통증 척도(EQ5D-VAS), 슬관절염 정도는

실제 낙상과 연관성이 없었다(p-value>0.05).

결론: 60세 이상의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실제 낙상과 관

계되는 위험 인자는 비타민 D레벨과 도수근력으로 나타났다.

도수근력이 약할수록, 비타민 D레벨이 낮을수록 실제 낙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검사 모두 외래에서 간

단히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 환자 상태 및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

여 환자의 예후 예측과 환자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요추 척추관협착증, 도수근력, 비타민 D, 실제 낙상

15S-102

Clinical Application of SINS (Spinal Instability Neoplastic Score) System in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for Metastatic Spinal Tumor

SeJun Park, Chong Suh Lee, Sung Soo Chung, Sang Soo Kang, Wan Soek Kim, Jun Young Lee Samsung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s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spinal instability neoplastic score (SINS system by using a patient cohort who underwent radiotherapy as the initial treatment.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INS system was intro-duced recently by Spinal Oncology Study Group to present the widely accepted definition of instability in spinal neo-

plasm.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6 patients who had spinal oligo-metastases and underwent radiotherapy as the initial treatment between October 2012 and March 2014. 95 segments from 46 patients were evaluated. For all the treated segments, 6 elements were scored and the sum of the SINS was calculated. After six months since the radiotherapy, each treated segment was divided into success and failure groups. The success group was defined as <50% collapse and no need for other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failure group as ≥50% collapse or need for further treatments such as ad-ditional radiotherapy, surgery, or vertebroplasty. SINS values of the success and failure groups were then compared.Results: The 46 patients consider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2 men and 14 women with a mean age of 56.9 years. The site of primary tumor was the lung in 16 patients, liver in 8, kidney in 7, colorectal in 10, and breast in 2. The average number of metastases per patient was 2.1 segments. 60 seg-ments were defined as the success group, and 35 segments as the failure group. The mean SINS value was 6.2 points in the success group, and 9.3 in the failure group (p<0.001, independent t-test). With respect to each element, the score of pain, collapse, and posterolateral involvemen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all p<0.001, independent t-test). In the univariate analysis, pain, collapse, and postero-lateral involvem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nstability (p=0.002, p=0.047, p=0.008, respectively).Conclusions: The SINS system is useful in making treatment decisions such as “radiotherapy versus surgery” for meta-static spinal tumor patients. Segments having a sum of SINS values of less than 6 points can be regarded as stable seg-ments. However, segments having the sum of SINS values of more than 9 points should be regarded as possible unstable segments, for which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itial treatment.Keywords: SINS system, Radiotherapy, Failure, Success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에서의 SINS system의 임상 적용

박세준, 이종서, 정성수, 강상수, 김완석, 이준영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치료의 성공 여부를

Page 7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5

SINS scoring system을 이용해 살펴봄으로써 SINS scoring sys-

tem의 검증하고자 함.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이성 척추 종양의 치료는 크게 방사선 치

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척수 압박이 있는 경우 응급

치료가 필요하게 되나 증상이 거의 없는 매우 작은 전이의 경우

에는 치료가 급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그 중간단계의 환자들,

즉 통증만 있거나 서서히 진행하는 마비가 있는 경우 방사선 치

료와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는 것은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치료의 성

공 여부를 SINS scoring system을 이용해 살펴보므로서 SINS

scoring system에 실질적임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본원에서 시행

된 spine tumor board에서 논의된 전이성 척추 종양환자 46명

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46명의 환자는 모두 방

사선 치료를 우선 시행받았던 환자들이었으며 총 95 분절에 대

하여 방사선 치료의 성공 여부를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와 대상

분절에 대하여 방사선 선량을 조사하였으며 SINS system의 6가

지 항목 및 총합계를 구하였다. 방사선 치료의 실패는 병변의 악

화로 인하여 6개월 이내에 다른 치료법(수술, 척추성형술, 방사

선재치료)을 고려하는 경우로 하였으며 6개월 이상 증상 호전이

유지는 경우를 성공으로 정의하였다. 방사선 치료의 성공군과

실패군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 전의 SINS 세부항목 및 총점수의

평균값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46명 중 남자가 32명, 여자는 14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나이는 56.9세였다.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95분절 중 6개월

치료 성공군은 60분절이었으며 35분절은 다른 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방사선 치료 실패 후의 치료는 22분절에서 수술적 치료

를, 5분절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4분절에서는 척추성형술을 시

행하였으며 나머지 4분절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었지만

전신 상태의 악화로 추가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

성공군의 평균 SINS 점수는 6.2점이었으며 실패군의 평균 SINS

점수는 9.3점이었다(p<0.001, t-test). SINS system의 세부 항목

에서는 통증, 추체의 압박, 후외측구조물의 침범 정도가 두 군간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01, p<0.001, p<0.001).

결론: SINS system은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

정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INS

system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였을 때 6점 이하는 안정성이 있다

고 판단되며 9점 이상은 잠재적인 불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색인단어: SINS system, Radiotherapy, Failure, Success

15S-100

Does the Surgery Have Benefit for the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in Patients with Poor Prognosis Expected?

SeJun Park, Chong Suh Lee, Sung Soo Chung, Sang Soo Kang, Wan Soek Kim, Jun Young Lee Samsung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f prospectively collected data.Objectives: To evaluate the surgical results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MSCC) in patients with expected poor progn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SCC is one of the most common medical conditions that require surgical treatment. It has been reported that in patients with MSCC, the result of early surgical treatment is superior to that of radiotherapy alon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using the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MSCC between April 2012 and September 2014. In the study group, we included pati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a poor prognosis (Tokuhashi score of ≤8 or Tomita score of ≥8). 23 males and 12 femal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their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59.4 years. We calculated the postoperative survival time by using the Kaplan-Meyer analysis and compared the ambulatory status, pain (VAS), and ECOG scor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Results: The sites of primary tumor were the lung (19), liver

(4), kidney (3), colorectal (3), gallbladder (2), and prostate

(1), and of unknown origin (2). The mean preoperative

Tokuhashi score was 5.6 and Tomita score was 7.7. After

surgery, ambulatory status improved from 3.7±1.0 to 2.9

±1.3, pain improved from VAS of 7.2±2.0 to 3.3±1.7,

ECOG score improved from 3.5±0.8 to 2.6±1.1 (Paired t-

test, p<0.001 for all parameters). The Kaplan-Meyer analysis

showed postoperative median survival time of 148.0±24.9

days [95% CI, 99.2-196.8]. Paraplegia developed in 2 cases,

which did not recover. Ten patients (28.6%) experienced

new MSCC after surgery due to disease progression. Among

them, 2 patients underwent revision surgery at index levels

and 4 patients underwent additional surgery at other levels.

Page 7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76

Conclusions: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about 5 months, which was longer than expected. Although the pain improved substantially after surgery, there was little improvement in terms of ambulatory capacity or performance status. 28.6% of the patients experienced new MSCC due to disease progression.Keywords: Met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Surgical treatment, Prognosis

나쁜 예후가 예측되는 전이성 척수 압박 환자에게 수술적

치료가 이득이 있는가?

박세준, 이종서, 정성수, 강상수, 김완석, 이준영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나쁜 예후가 예측되는 전이성 척수 압박 환자에서 수

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함.

선행연구문헌 요약: 전이성 척추 종양으로 인한 척수의 압박은

조기 감압술을 요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기존의 문헌에 의하

면 이러한 경우 조기 감압술을 시행하는 것이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하는 것보다 그 결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예측

모델에서 불량한 예후가 예측된 경우라도 환자의 전신 상태만

허락된다면 수술적 치료가 종종 요구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환자군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대상 및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전이성 척수 압

박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중 예후가 불량

할 것으로 예측된 Tokuhashi 점수 8점 이하 혹은 Tomita 점수

8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총 35명이었

다. 남자는 23명, 여자는 12명이었으며 이들의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59.4세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보행 정도, 통증의 정도

(VAS), ECOG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생존기간을 산출하

였다.

결과: 원발암은 폐암이 19예로 가장 많았으며 간암이 4예, 신장

암이 3예, 대장/직장암이 3예, 담낭암이 2예, 전립선암이 1예였

으며 수술 당시 원발암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2예였다. 이들

의 수술 전 Tokuhashi 점수는 평균 5.6점이었으며 Tomita 점

수는 평균 7.7점이었다. 보행 정도는 수술 전 3.7±1.0에서 수술

후 2.9±1.3으로 호전되었으며, 통증은 VAS 7.2±2.0에서 3.3

±1.7점으로 호전되었고 ECOG 점수는 3.5±0.8에서 2.6±1.1

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aired t-test, p-value<0.001 for all

parameters). Kaplan-Meyer 생존 분석에서 수술 후 중위 생존

기간은 148.0±24.9일 [95% CI, 99.2-196.8] 이었다. 수술 직후

하지의 완전 마비가 2예에서 발생하였으며 추시 기간 동안 회복

되지 않았다. 10예에서 수술 부위 혹은 다른 부위의 척수 압박의

진행으로 새로운 마비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 중 2예에서는 동일

부위의 재수술을, 4예에서는 다른 부위의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예측 모델에서 좋지 않은 예후가 예측된 경우라 하더라도

수술 후 생존 기간은 5개월 정도로 그리 낮게 나타나지는 않았

다. 수술 후 통증의 정도는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보행

능력이나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는 그리 큰 호전은 보

이지 않았으며 상당수에서 병의 진행으로 새로운 척수 압박이

발생하였다.

색인단어: 전이성 척수 압박, 수술적 치료, 예후

Cervical spine

15S-040

The Impact of Fat Infiltration in Cervical Extensor Muscle on the Cervical Lordosis and Clinical Scales

Yongsoo Choi, Daehee Kim, Choongyoung Kim Kwangju Christian Hospital Orthopedics

Stud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at infiltration in the cervical extensor muscle on the cervical lordosis and clinical scal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Weakness of the cervical ex-tensor muscle can cause a loss of cervical lordosis. This loss of cervical lordosis is associated with neck pain and the qual-ity of lif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extensor muscle and cervical lordosis as well as clinical functional disability.Materials and Methods: 56 patients who complained of neck pain and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ervical lordosis was measured using a simple lateral radiograph. The fat infiltration in the cervical extensor muscle was measured using MRI at the levels of C2-3 and C6-7. The disc pathology was assessed using the cervical disc degeneration grade in the MRI.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hort-form 12 (SF-12),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were used for assessing the clinical scales. Results: The mean fat infiltration was 260.05 mm3 in C2-3

Page 7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7

and 300.72 mm3 in C6-7. The fat infiltration in the cervical extensor muscle was associated with a high VAS score (p=0.047 in C2-3, p=0.009 in C6-7). In the case of C2-3,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 infiltration in the cervical muscle and cervical lordosis (r=-0.216, p=0.020). In the case of C6-7, the fat infiltration in the cervical extensor muscle was closely related to NDI (p=0.003) and SF-12 (p=0.04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ervical lordosis and the clinical scales (VAS, p=0.112, NDI, p=0.087, SF-12, p=0.365).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t infiltration in the upper cervical extensor muscle is related to a loss of cervical lordosis and fat infiltration in the lower cervical extensor muscle is associated with a cervical functional dis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exercise for the cervical extensor muscles to patients with neck pain. Keywords: Cervical spine, Cervical lordosis, Cervical extensor muscle

경추 신전근 지방 침윤이 경추 전만각과 임상 척도에 미치

는 영향

최용수, 김대희, 김충영

광주기독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횡단적 단면 연구

연구목적: 경추 신전근 지방 침윤이 경추 전만각과 임상 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신전근의 약화는 경추 전만각의 감소

를 유발할 수 있고, 경추 전만각의 감소는 경추부 동통을 유발하

고 삶의 질 저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최근 경추 신전근과 경

추 전만각 및 임상 기능 장애의 상호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

고 있다.

대상 및 방법: 경추부 동통으로 본원에서 경추부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시행한 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면 방사선 사

진을 통해 경추 전만각을 측정하였고,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제

2-3번 및 제 6-7번 추간판 중심위치에서 경추 신전근 지방 침윤

정도를 측정하였다. 추간판 질환에 대한 평가는 경추 추간판 퇴

행성 등급을 측정하였고, 임상적 척도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Short-Form 12 (SF-12), Neck Disability Index (NDI)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경추 신전근의 평균 지방 침윤은 제 2-3번에서 260.05

mm3, 제 6-7번에서 300.72 mm3 였으며, 경추 신전근의 지

방 침윤이 많을수록 VAS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제 2-3번,

p=0.047, 제 6-7번, p=0.009). 경추 전만각은 제 2-3번(r=-0.216,

p=0.020) 경추 신전근의 지방 침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 6-7번 경추 신전근에 지방 침윤이 많을수록 NDI(p=0.003)

및 SF-12(p=0.049)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경추 전만

각과 임상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VAS, p=0.112, NDI, p=0.087, SF-12, p=0.365).

결론: 상위 경추 분절의 신전근 지방 침윤은 경추 전만각 소실

과 하위 분절의 신전근 지방 침윤은 경추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경추부 동통 환자에서 경추 신전근

강화 운동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색인단어: 경추, 경추 전만각, 경추 신전근

15S-054

The Kyphotic Curvature of the Spinal Cord After Laminoplasty

Dae Geun Kim1, Jung Ki Ha2, Jae Hyun Kim2, Jae Hwan Cho2, Chang Ju Hwang2, Choon Sung Lee2, Dong-Ho Lee2

Chungju Medical Center of Chungcheongbuk-d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A radiographic analysi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vature and posterior migration of the spinal cord following cervical laminoplas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ervical laminoplasty is one of the indirect decompression procedures for shifting the spinal cord posteriorly by opening the laminae. Theoretically, the spinal cord should be routed straight to maintain the shortest distance; however, it is not a ra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open-door laminoplasty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The K-line on the MRI (a line that connects the midpoints of the spinal canal at the C2 and C7 levels) was drawn on the postoperative T2W mid-sagittal image. Then, the distances from this line to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margins of the spinal cord were measured at each disc level from C3-4 to C5-6. If the center-to-posterior margin distance is longer than the center-to-anterior margin distance, the spinal cord is inferred to have a kyphotic curva-tur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operative

Page 7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78

spinal cord curvature and the preoperative parameters. Results: Among 33 patients, 13 patients (39.4%) showed a kyphotic spinal cord curvature. Preoperative Cobb’s angle between C2 and C7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obtained by linear regression (β±SE=-0.570±0.159, partial R2=0.294, p=0.001) in this study. In the regression model, the threshold preoperative Cobb’s angle that predicted the kyphotic spinal cord curvature was 1.7°.Conclusions: In the kyphotic cervical spine, the spinal cord tends to have a kyphotic curvature rather than a straight pathway after laminoplasty, which results in more posterior shifting of the cord than expected. This phenomenon could explain why laminoplasty is feasible even for the cervical spinal stenosis with a mild kyphosis. Keywords: In the kyphotic cervical spine, the spinal cord tends to have a kyphotic curvature rather than a straight pathway after laminoplasty, which results in more posterior shifting of the cord than expected. This phenomenon could explain why laminoplasty is feasible even for the cervical spinal stenosis with a mild kyphosis

후궁성형술 후 척수의 후만 주행

김대근1, 하정기2, 김재현2, 조재환2, 황창주2, 이춘성2, 이동호2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정형외과1,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MRI를 이용한 척수 신경의 주행에 대한 영상학적 분

석 및 술 전 환자 요인들과의 관계 분석

연구목적: 경추 후궁성형술에 따른 척수 신경의 후방 전위 및 만

곡을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후궁성형술은 후궁부를 개방하여

척수를 뒤쪽으로 이동시켜주는 일종의 간접 감압법이다. 이

론적으로는 후궁성형술 후 척수는 가장 짧은 거리를 유지

하기 위해 직선으로 주행하지만, 실제로는 척수의 후만주

행을 종종 관찰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척수의 후만주

행 현상이 어떠한 조건에서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궁성형술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3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2와 C7 부위에서 척수 중간을 연

결한 선을 K-line이라고 하며 이는 수술 후 T2W 시상면 정중앙

에서 얻었다. C3-4 및 C5-6에서 K-line으로부터 척수의 앞, 뒤까

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K-line에서 척수 뒤까지의 거리가 앞

쪽까지의 거리보다 길면, 이는 척수의 주행이 후만임을 의미한

다. 수술 전 여러 요인들과 수술 후 척수 신경의 주행간의 관계

를 분석하였다.

결과: 33명의 환자들 중 13명의 환자들(39.4%)에서 척수의 후

만 주행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선형 회귀분석상으로 술 전 C2-7

의 Cobb’s angle만이 후만 주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β±SE=-0.570±0.159, partial R2=0.294, p=0.001). 또한 선형

회귀분석에서 후만 주행이 예상되는 Cobb’s angle은 후만 1.7° 이상이었다.

결론: 경추부 후만 변형이 있는 환자에서는 후궁성형술 후 척수

신경은 직선 주행보다는 후만 주행의 경향이 있으며, 이는 예상

했던 것보다 더 많이 후방 이동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미약한 후

만변형이 있는 경추부 척수증 환자에게서 후궁성형술이 왜 적

합한지를 충분히 설명 가능하다.

색인단어: 경추부 척수증, 후궁성형술, 척수 주행

15S-012

Radiographic Dimensional Analysis of open Door Laminoplasty with Plate in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Chang-Wha Lee, Woo-Kie Mi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South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Many surgeons perform open-door laminoplas-t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by using various tech-niques and instruments. Recently, a cervical spondylotic my- Recently, a cervical spondylotic my-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using a pre-contoured plate, in particular, is gaining popularity as an effective means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hinge closure and restenosis. A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dimension, diameter, hinge angle, and those of relation via computerized tomography (CT) in single-door cervical laminoplasty with a pre-contoured plate. Objective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dimensional change of single-door cervical laminoplasty with a pre-contoured plate by using CT scans.Materials and Methods: 23 patients with multilevel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who underwent cervical open laminoplas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81 laminae were evaluated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T performed to measure the dimension, diameter, and hinge angle of the laminae. Both the hinge and the open-side dimensions and the changes in the dimensions and diameter caused by the hinge angle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of the increase in dimensions with a change in the hinge angle, the laminae were categorized into Group A (0°-10°), B (10°-20°), and C (20°-30°) according to the hinge angle; the laminae

Page 7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79

were also divided into a group of laminae with the hinge an-gle < 10° (Group I) and that with the hinge angle > 10° (Group II). Results: Both sides of the laminae demonstrated different in-crease rates. The side of the opening increased to 162.2±27.6 mm², which means a 62.5% rate of increase, whereas the hinge side increased to 141.1±21.8 mm², which is a compar-atively low rate of 44.4% (p=0.000). The mean hinge angle in postoperative CT was 17.2°±8.8°. Group C exhibited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56.3%) in dimensions among Groups A, B, and C (p=0.001). In contrast,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in the increase rate of diameter between Group B and Group C (p=0.081). The increase rate of diam-eter was 38.8% for Group I and 46.5% for Group II (p=0.039). The dimensions of the spinal canal increased by 41.2% in Group I and 53.1% in Group II (p=0.033). Conclusions: Single-door cervical laminoplasty with a pre-contoured plate enables the spinal cord to be properly de-compressed while increasing the dimensions (50.5%) and the diameter of the spinal canal (4.46 mm). Laminoplasty is recommended in the hinge angle range of 10° to 20°. The increase in dimensions on the symptomatic side (open side) is higher than that o the non-symptomatic side (hinge side), and the opening on the symptomatic side seems to have an advantage as compared to the opposite side in terms of di-mensions and decompression.Keywords: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Open-door laminoplasty

경추 척수병증의 금속판을 이용한 후궁성형술 치료시 경

첩각 및 개방 위치에 따른 방사선학적 면적에 대한 차이

분석

이창화, 민우기

경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많은 수술의사들이 경추 척수증 환자에서 다양한 술

기와 기구를 이용하여 경추후궁성형술을 행하고 있으며 최근에

는 금속판을 이용한 경추후궁성형술이 경첩 폐쇄 및 재협착의

가능성을 줄이는 효용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술전 및

술후 경첩각 및 개방 위치에 따른 방사선학적 면적에 대한 차이

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연구목적: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경추후궁성형술시 경

첩각 및 개방위치에 따른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다분절 경추척수증에서 후궁성형술을 시행받고

술전 술후 전산화 단층사진을 가진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

였다. 81개의 lamina가 술전 술후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척

수관의 면적 및 직경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전산화 단층 촬영상 척수관의 직경은 술전 10.11±1.01

mm에서 14.57±1.61 mm로 약 44.8% 증가하였다. 척수관의

면적은 202.4 mm2에서 303.7 mm2로 50.5%의 증가를 보였다.

술전 전산화 단층 촬영상 개방측과 경첩측의 면적은 유의할만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술후 전산화 단층 촬영상 개방측은

162.2±27.6 mm2로 62.5%의 증가를 보였는데 반해 경첩측은

141.1±21.8 mm2로 44.4%의 증가를 보여 상대적으로 적게 증

가하였다. 경첩각도에 따른 척수관 면적 증가를 분석하였을 때,

20-30°가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0-10°, 10-20°과 비교) 역시

개방측에서 경첩각에 증가에 따라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

체 척수관 면적의 증가율 또한 척수관의 직경의 증가율의 비율

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경첩각의 증가에 따라 직경의 차

이가 증가하더라도 경첩각 10-20°와 20-30° 사이에서 척수관

직경의 증가율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금속판을 이용한 후궁성형술은 척수관의 평균면적의

50.5%, 직경 4.46 mm 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

측(개방)에서의 면적 증가가 비증상측(경첩)에서의 면적 증가

에 비해 1.5배 크기 때문에 감압시 증상측에서 개방을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후궁성형술은 10-20°의 경첩각 및 11 mm 후궁

개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실질적으로 경첩각 10-20°와 20-

30°의 면적 확장의 차이는 없었다.

색인단어: 경추척수증, 경추 후궁 성형술

15S-036

Laminectomy Versus Laminoplasty on C3 in the Cervical Laminoplast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Jung-Ki Ha, Dong-Ho Lee, Jae Hwan Cho, Choon Sung Lee, Chang Ju Hwang, Sunghun Choi, Chul Gie Hong, Jaehyoun Kim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C23 interlaminar bony fusion after cervical laminoplasty is commonly observed and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R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outcomes of C3 laminectomy as compared to C3 laminoplasty in the case of laminoplasty.

Page 8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0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izuka et al. noted that interalminar bony fusion was observed in 53% of the considered cases after cervical laminoplasty and mainly affected at C23. Few studies have shown that interlaminar bony fusion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ROM.Materials and Methods: Fifty-nine patients who were avail-able for at least 3 years of follow-up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cervical laminoplasty including C3 between 2005 and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nd compared: Group I. C3 laminectomy with laminoplasty (14 patients); Group IIa. Negative C2-3 interlaminar bony fusion after laminoplasty (26 patients); Group IIb. Positive C2-3 interlaminar bony fu-sion after laminoplasty (19 patients). To evaluate the effect of C3 laminectomy,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outcomes were investigated both preoperatively and during the latest follow-up.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using the following: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ing system; JOA recovery rate; Visual Analog Scale (VAS) of neck pain. The radiographical outcomes were measured using the following: ROM on flex-ion-extension images and C2-C7 lordosis. Further, in Group I, the slippage and angulation of the C3 adjacent segment were analyzed using the pre- and post-operative images to deter-mine the instability caused by C3 laminectomy.Results: Compared with Groups IIa and IIb, Group I showed similar improvement of the NDI score, the JOA score, the JOA recovery rate, and the VAS score of neck pain. The ROM of neck decreased in all groups: Group I: From 44.24±9.13 to 34.74±6.04; Group IIa: From 46.41±8.52 to 30.34±7.39; and Group IIb: From 39.58±9.26 to 21.37±10.26. However, Group I showed the smallest reduc-tion in ROM among the three groups. Since no increases in the slippage and angulation of the C2-3 or C3-4 segment were observed between the preoperative analysis and the latest follow-up, we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egmental instability after C3 laminectomy.Conclusions: In the case of laminoplasty, C3 laminectomy that did not induce focal instability and kyphotic deformity is an effective method to obtain clinical outcomes similar to those of C3 laminoplasty and to preserve the ROM of the neck. Therefore, C3 laminectomy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the C2-3 interlaminar bony fusion when cervical laminoplasty including the C3 segment is to be performed.

Keywords: Cervical, Laminoplasty, C3 laminectomy, Interalaminar bony fusion, Range of motion

경추부 척수병증에서 후궁성형술 시 C3에 대한 후궁절제

술과 후궁성형술의 비교

하정기, 이동호, 조재환, 이춘성, 황창주, 최성훈, 홍철기, 김재현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부 후궁성형술 후 C23 후궁간 골유합은 흔히 관

찰되며, 이는 수술 후 경추부 운동범위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궁성형술 시 C3 대한 후

궁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 후궁성형술과 비교하여 임상적, 방

사선학적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Lizuka 등에 의하면 경추부 후궁성형술 후

후궁간 골유합은 약 53%에서 일어나며 그 중 C2-3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후궁간 골유합은 후궁성형술 후 운

동범위의 감소와 관련성이 일부 보고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2년 사이에 C3를 포함한 후궁성

형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최소 3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각각 C3 후궁절제술을 시

행한 I군(14명) 및 C3 후궁성형술 후 C2-3 후궁간 골유합이 발

생하지 않은 IIa군(26명), 발생한 IIb군 (19명)으로 나누어 비교

하였다. C3 후궁절제술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군 간의 수

술 전과 최종 추시상, 임상적 결과로써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ing sys-

tem, JOA recovery rate, 경부통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 방사선학적 결과로써 굴곡-신전 상 경부의 운동범위

(ROM) , C2-C7 전만각을 비교하였다. 또한 I군에 대해서는 C3

laminectomy로 인한 불안정성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인접 분

절의 전위 정도 및 분절각을 수술 전, 후로 분석하였다.

결과: C3 후궁절제술을 시행한 I군은 IIa, IIb군과 비교하여

NDI, JOA, JOA recovery rate, 경부통에 대한 VAS 모두 비슷

한 정도의 호전을 보였다. 굴곡-신전상 경부의 운동 범위는 I군

(44.24±9.13 -> 34.74±6.04), IIa군(46.41±8.52 -> 30.34±

7.39), IIb군 (39.58±9.26 -> 21.37±10.26) 에서 모두 감소하였

지만, 1군에서 가장 작은 운동범위의 감소 정도를 유의하게 나

타냈다. 또한, I군에서 C2-3, C3-4분절의 전위나 분절각의 증가

는 수술 전, 후로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C3 후궁절제술 후 분

절 불안정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후궁성형술 시 C3에 대한 후궁절제술은 분절의 불안정성

이나 후만 변형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임상적 결과에 있어서 후

궁성형술과 비슷한 효과를 보이며 운동범위를 가능한 보존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술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C3를 포함한 후

Page 8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81

궁성형술을 할 경우 C2-3 후궁간 골유합을 예방하기 위하여 C3

분절에 대한 후궁절제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경추, 후궁성형술, 제 3경추 후궁절제술, 후궁간 유

합, 운동범위

15S-096

Efficacy of Plain Lateral Cervical Spine Radiography for the Diagnosis of Single Level Cervical Disc Disease

Heo In Sung, Ko Jong Hyun, Ham Dong Hun, Song Kyung J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d comparatively reviewed 10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isc her-niation of the cervical spine and underwent surgery for the same.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icacy of lateral cervical spine plain radiography for the early diagnosis of single-level cervical disc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disc height decreased at the pathological level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disease.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0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or total cervical disc replacement (TDR) for single-level cervical disc disease between April 2004 and May 2014. Another 100 age- and sex-matched patients with normal imaging findings on cervical spine plain radiography were also included as the control group. We compared the intervertebral disc height of the diseased disc with the adja-cent level by using a Student’s t-test. Further, we compared the intervertebral disc height of the lesion in the case group and that of the equivalent level in the control group. Lordotic curve loss, spur formation, and end-plate sclerosis were com-pared using the Student’s t-test.Results: The mean intervertebral disc height in the normal segment of the male patients was 8.88 mm (6.52–9.72 mm), and that of the diseased disc level was 8.33 mm (5.62–9.40 mm, p=0.01). The mean intervertebral disc height in the nor-mal segment of the female patients was 7.47 mm (5.32–9.42 mm), and that of the diseased disc level was 6.61 mm (4.65–8.91 mm, p=0.01). A comparison of the case and the control group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at the C5-

6, C6-7, and C7-T1 levels, in both male (p=0.01, p=0.01, and p=0.29, respectively) and female patients (p=0.01, p=0.01, and p=0.2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ss of the lordotic curve or the severity of end-plate sclerosis between the case and the control groups (p=0.824, p=0.657). Conclusions: Narrowed intervertebral disc space observed us-ing plain lateral cervical spine radiography can be used as a unique diagnostic clue for the early detection of single-level cervical disc disease. Further,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safety, plain radiography could be used as an easily appli-cable initial diagnostic tool for cervical disc disease. Keywords: Cervical disc disease, Plain lateral cervical spine radiography, Initial diagnostic tool

단일 분절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조기 진단을 위한 단순 경

추 측면 방사선 사진의 유용성

허인성, 고종현, 함동훈, 송경진

전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단일분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받고 수술 받

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목적: 단순 경추 측면 방사선 사진으로 단일 분절 경추 추간

판 탈출증 환자의 초기 진단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소견을 분석

하고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몇몇의 연구에서 추간판 거리 감소가 추간

판 탈출증 환자들에게서 나타남을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 21일부터 2014년 5월 21일까지 제 3

경추부터 제 1흉추 사이의 단일 분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받고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또는 인공디스크 치

환술을 시행한 100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하였으며 대조 군

으로 정상인 100명을 비교하였다.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추체

중심을 기준으로 추체간 거리를 측정하였고 병변과 양 인접분

절의 평균간의 거리의 차, 환자 군의 병변 분절과 대조 군에서

같은 분절 거리의 차, 시상면상 각도와 퇴행성 변화 정도를 대응

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남자의 평균 추체간 거리는 인접 정

상 분절에서 8.88 mm (6.52-9.72 mm), 병변 분절에서 8.33 mm

(5.62-9.40 mm, p=0.01)로 평균 6.18%의 거리 감소가 있었다.

여자의 평균 추체간 거리는 인접 정상 분절에서 7.47 mm (5.32-

9.42 mm), 병변 분절에서 6.61 mm (4.65-8.91 mm, p=0.01)로

평균 11.45%의 거리 감소가 있었다. 전체에서 평균 추체간 거리

는 인접 정상 분절에서 7.89 mm (5.32-9.72 mm), 병변 분절에

서 6.88 mm (4.65-9.40 mm)로 평균 87.54%의 거리 감소를 보

Page 8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2

였다. 정상 대조 군과의 거리 비교에서 남자와 여자 모두 C5-6,

C6-7, C7-T1에서 유의한 거리 감소를 보였다(p=0.01, p=0.01,

p=0.29) (p=0.01, p=0.01, p=0.21). 시상면 정렬이나 추체 말단

의 경화성 변화, 골극 형성과는 특별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p=0.824, p=0.657).

결론: 단일 분절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단순 경추 측면 방

사선 사진에서 초기 진단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소견은

병변 분절 및 인접 정상 분절의 추체간 거리의 감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은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경추

추간판 질환의 초기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경추 추간판 질환, 단순 방사선 측면상, 초기 진단

15S-010

The use of T1 Sagittal Angle in Predicting Cervical Disc Degeneration

Seung-Hwan Lee, Byeong-Mun Park, Kyung-Sub Song, Su-Keon Lee, Sang-Phil Yoon Kwang-Myeong Sung-Ae Hospital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e T1 slope is known as a parameter that may be ver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sagittal balance. There is no literature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1 slope and cervical disc degenera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T1 slope can affect the degree of cervical degenera-tion. Objective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1 slope on the de-gree of degener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d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60 patients who underwent cervical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our orthopedic clinic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1 slope. Radiological param-eters obtained from radiography and cervical spine MRI were compared between the low T1 slope group (≤25) and the high T1 slope group (>25).Results: In the low T1 slope group, the average degeneration grade of each cervical segment was 2.65 in C2-3, 2.50 in C3-4, 2.62 in C4-5, 3.23 in C5-6, and 2.81 in C6-7; that in the high T1 group was 2.35 in C2-3, 2.32 in C3-4, 2.59 in C4-5, 2.79 in C5-6, and 2.32 in C6-7. The grade of degeneration in the low T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the C5-6 (p=0.028) and C6-7 (p=0.009) levels in the high T1 group. The percentage of high-grade degeneration of more

than grade III was 65.4% in the low T1 group and 32.4% in the high T1 group (p=0.018). The risk of high-grade degen-eration of C6-7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T1 group (odds ratio: 5.63, 95% confidence interval: 1.665–19.057, p=0.005). Conclusions: Patients with a low T1 slope had a higher grade of degeneration irrespective of age and gender.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 low T1 slope i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cervical spondylosis, particularly in the C6-7 cervical seg-ment. Keywords: Cervical disc degeneration, T1 slope, MRI

경추 추간판 퇴행성 변화와 대한 T1 시상각의 영향

이승환, 박병문, 송경섭, 이수건, 윤상필

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T1 시상각은 신체의 시상 균형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

용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T1 시상각과 경추 추간판 퇴행성 변화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T1 시상

각이 경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가정하

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경추부 MRI를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경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T1 시상각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통이나 상지 통증으로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

하여 경추부 MRI를 촬영한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

자는 T1 시상각에 따라 낮은 T1 시상각군(≤25)과 높은 T1 시

상각군(>25)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에서 방사선 사진과 경추부

MRI에서 측정한 방사선학적 인자를 비교하였다.

결과: 낮은 T1 시상각군에서 평균 퇴행 등급은 C2-3에서 2.65,

C3-4에서 2.50, C4-5에서 2.62, C5-6에서 3.23, C6-7에서 2.81

로 나타났다. 높은 T1 시상각군에서 평균 퇴행 등급은 C2-3에서

2.35, C3-4에서 2.32, C4-5에서 2.59, C5-6에서 2.79, C6-7에서

2.32로 나타났다. C5-6과 C6-7간 경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는 낮

은 T1 시상각군이 높은 T1은 시상각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한 것

으로 나타났다(p=0.028,0.009). C6-7간 경추간판의 경우 3등급

이상의 심한 퇴행 등급의 비율이 낮은 T1 시상각군에서 65.4%

로 높은 시상각군의 32.4%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p=0.018). C6-7간 경추간판에서 3등급 이상 심한 퇴행

변화의 위험도는 5.6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OR 5.63, 95%CI

1.665-19.057, p=0.005).

결론: T1 시상각이 낮은 환자는 T1 시상각이 높은 환자에 비해

C5-6, C6-7간 추간판에서 퇴행성 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시상각은 특히 C6-7간 경추간판에서 심한 퇴행성 변화의

유의한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Page 8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83

색인단어: 경추간판 퇴행성 변화, T1 시상각, MRI

15S-046

Cervical Spine Sagittal Alignment in 241 OPLL Ptients: Does it Affect the Spinal Cord Compression and Clinical Findings?

Byung-Wan Choi1, Sung-Soo Kim1, Dong-Hyun Lee1, Han Chang2 Inje University Haeundae Paik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Busan Korea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 analysis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git-tal alignment parameters in the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patients,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rameters and spinal cord compression and clinical finding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owadays, increased interest in cervical spine sagittal alignment has led to several analy-cervical spine sagittal alignment has led to several analy-sagittal alignment has led to several analy-alignment has led to several analy- has led to several analy-ses of cervical kyphotic deformity patients. However, we still need more studies on cervical spine sagittal alignment and the related clin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and forty-one patients who underwent simple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radiographical parameters, the OPLL occupying ratio and the occupied area were measured on the CT images. Sagittal parameters of C2 tilt, C2 slope, C7 slope, C2-7 selective vagotomy and antrectomy (SVA), C2-7 Cobb’s angle were measured using simple lateral radiographs. As radiographical parameters, the OPLL occupying ratio and the occupied area were measured on the CT images. The visual analog scale (VAS) for neck and arm pain, an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ing system were used for the clinical analysis. The differences in radiographical and clinical findings were assessed between patients with lordotic alignment (Group A) and patients without kyphotic align-ment (Group B) divided according to C2-7 Cobb’s angle.Results: The sagittal alignment parameters were C2 tilt of 3.40°, C2 slope of 12.80°, C7 slope of 21.30°, C2-7 SVA of 19.30 mm, and C2-7 Cobb’s angle of 11.80°.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se parame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gittal parameters and spinal

cord compression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s, except cord compression in the axial imaging and the C7 slope.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2-7 Cobb’s angle and JOA scores (r=0.127, p=0.04). However,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other parameters and the clinical findings. Positive sagittal alignment or the lordotic group consisted of 212 patients (13.65°), and the kyphotic alignment group con-sisted of 29 patients (-3.65°).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2 tilt (p < 0.001), C2 slope (p < 0.001), and C7 slope (p < 0.001) between the two groups. The JOA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Group A: 15.17, Group B: 13.2, p=0.03).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spinal cord compression and neck or arm VAS scores.Conclusions: Cervical kyphosis in the sagittal alignment was related to the manifestation of myelopathic symptoms in the cervical OPLL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agittal alignment and spinal cord compression. Clinical findings of neck or arm pain also showed no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ervical sagittal alignment.Keywords: Cervical spine, OPLL, Sagittal alignment, Kyphosis

경추 시상면 정렬 지표는 척수 압박 정도 및 임상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 -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241명 분석 -

최병완1, 김성수1, 이동현1, 장 한2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정형외과1, 부산고려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성 증례 분석

연구목적: 경추의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에서 방사선학적인 시

상면 정렬 지표들을 분석하고 이와 척수 압박 정도 및 임상적 증

상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최근 경추의 시상면 정렬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면서 경추 시상면 상 후만 변형이 목 통증이나 척수증 발현

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 연구 자체가 부족하고 후

종인대 골화증에 따른 분석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으로 진단되고 단순 방

사선, CT, MRI를 시행한 2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

행하였다. 평균연령은 55세, 남자 146명, 여자 95명이었다.

단순 방사선 측면도를 이용하여 시상면 정렬 지표들로 C2 tilt, C2

slope, C7 slope, C2-7 SVA, C2-7 Cobb angle을 측정하였다. 척

수 압박 정도는 CT상 시상면, 횡단면에서 골화증의 occupying

ratio를 측정하였으며, 최대 신경 압박을 보인 횡단면에서 면적에

대한 occupying ratio를 측정을 하였다. 임상적 분석을 위해 진단

당시 목 통증과 방사통에 대한 VAS와 JOA score를 이용하였다.

Page 8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4

C2-7 Cobb angle을 기준으로 경추 전만군(Group A)과 후만군

(Group B)으로 나누어 방사선, 임상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시상면 정렬 지표 상 C2 tilt 3.40°, C2 slope 12.80°, C7

slope 21.30°, C2-7 SVA 19.30 mm, C2-7 Cobb angle 11.80°이었으며 모든 시상면 정렬 지표들 간 서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

를 보였다. 시상면 상 계측치와 척수 압박 정도 간의 상관 관계

에서는 횡단면 상 압박 정도와 C7 slope 외에 의미 있는 상관 관

계를 보이지 않았다. 시상면 상 계측치와 임상증상과의 상관 관

계에서 C2-7 Cobb angle과 JOA score만 양의 상관 관계를 보

였다(r=0.127, p=0.04). C2-7 Cobb angle을 기준으로 전만군은

212명(13.65°)이었으며, 후만군은 29명(-3.65°)를 보였다. 양 군

간 시상면 상 C2 tilt (p<0.001), C2 slope (p<0.001), C7 slope

(p<0.001)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JOA score는 차이를

보였으나(Group A: 15.17, Group B: 13.2, p=0.03), 척수 압박

정도나 VAS score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에서 시상면 상 후만증 정도는 척

수증 증상 발현과 관련이 있었으나 척수의 압박 정도와 상관 관

계는 없었다. 경추의 후만 여부는 방사선학적인 시상면 정렬 지

표들과 JOA score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척수의 압박 정도, 목

통증이나 방사통 정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색인단어: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시상 정렬, 후만증

15S-080

540° Cervical Realignment Procedure for Extensive Cervical OPLL with Kyphotic Deformity

Sang-Hun Lee1, Ki-Tack Kim1, Jung-Hee Lee2, Kyung-Chung Kang2, Sang-Phil Hwang1, Soo-Jin Jang1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Orthopedic Surgery1,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present the outcomes and feasibility of a novel, two-stage posterior-anterior-posterior (540°) procedure for extensive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with kyphotic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surgical treatment option for extensive cervical OPLL with kyphotic deformity is a controversial issue.Neurological injuries and dural defects would be complications of anterior surgery, and incomplete decompression and poor clinical outcomes would be expected.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consecutive cases who underwent a two-stage 540° cervical realignment procedure

for OPLL of more than three vertebral body levels with ky-photic deformity. The surgical procedures included the fol-procedures included the fol-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stage (posterior):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acet joint release with segmental screw fixation only, and second stage (anterior-posterior): anterior osteotomy of the OPLL mass without decompression at the intervertebral disc level(s) and fusion using the strut graft, and posterior rod assembly with fusion, one week after initial surgery. In the assessment, radiographical parameters including the extent of OPLL, maximal canal occupying ratio (%), distance from the maximal compression to K-line, and C2-7 angle were analyzed. Clinically, we analyzed intraoperative estimated blood loss (EBL), hospitalization period, VAS of neck and arm pain, NDI, JOA score, and complications. Results: 15 patients (M:F=12:3, mean age: 65.2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range: 6-68 months). The mean extent of the cervi-cal OPLL was 3.8 vertebral body levels. Posterior fusion was performed on an average of 4.4 segments, and anterior fu-sion was performed on 2.3 segments.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19.1 days. The average EBL was 75 mL in the first stage and 55 mL in the second stage of surgery. The K-line distance to the maximal compression and the canal occupying ratio were improved from 3.3 mm and 73.5% to -3.8 mm and 38.4%, respectively. The VAS of the neck or arm pain, NDI, and JOA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As a complication, there was one case of postoperative cerebral spinal fluid (CSF) leakage and one asymptomatic C7 screw fracture. Conclusions: The 540° procedure could provide safe decompression, cervical realignment, and favorable outcomes for extensive cervical OPLL with kyphotic deformity. Although there may be disadvantages of the staged surgery, this procedure could avoid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anterior and/or posterior surgery for extensive OPLL. Keywords: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Cervical kyphosis, 540° procedure, Anterior-posterior surgery

Page 8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85

경추 후만변형을 동반한 광범위 후종인대골화증에 대한

540도 재배열 술식

이상훈1, 김기택1, 이정희2, 강경중2, 황상필1, 장수진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 후만변형을 동반한 광범위한 후종인대골화증

환자에서 시행한 저자들은 새로운 2단계의 540도 술식(후-전-후

방)의 임상결과와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후종인대골화증은 단분절이거나 후만

배열일 경우 전방수술, 전만배열일 경우 후방 수술이 선호되나,

다분절에 후만변형을 동반한 경우 전방수술은 신경손상이나 경

막 결손등의 합병증이, 후방수술은 불충분한 감압이라는 문제

점이 있다. 저자들은 새로운 2단계의 540도 술식으로 경추의 재

배열을 통한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여 전, 후방 수술의 단점을 극

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후종인대골화증이 3추체 분절 이상 존재하

면서 후만변형이 동반된 예에서 후방-전방-후방 술식을 시행한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방법은 1단계(후방): 후방의 기기

고정술 및 감압술을 시행한 후 강봉을 연결하지 않고, 2단계(전

방-후방): 1주일 후 후만변형의 첨부에서 골화된 후종인대를 감

압하지는 않고 연결성을 절골시킨 후 지주형골이식을 이용한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한 후 다시 후방의 강봉연

결 및 유합술을 시행하여 경추의 전만을 회복하는 술식을 시행

하였다. 후방유합술 및 전방유합술 범위, CT에서 후종인대골화

증의 범위, 시상면에서 K-line과 최대압박부위의 거리, 최대 신

경압박율(%), 단순방사선에서 C2-7 Cobb angle, 임상적으로는

입원기간, 실혈량, 수술 전 후의 경부 및 상지 통증의 VAS, NDI,

JOA점수 및 합병증 발생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15명(남:여=12:3, 평균연령 66.7세)에서 본 술식이 시

행되었다. 평균 추시기간은 24개월(6-68개월)이었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평균 3.8추체분절로 평균 4.4분절에서 후방유합술을,

2.3분절에서 전방유합술을 시행하였고 평균 입원기간은 19.1일

이었다. 수술 중 평균 실혈량은 1차 수술 시 75 mL, 2차 수술 시

55 mL였다. C2-7 Cobb angle은 수술 전 9.5도에서 최종 추시시

-12.6도로 호전되었다. K-line과 최대압박부위의 거리는 수술

전 전방 3.3 mm에서 수술 후 후방 3.8 mm로, 최대 신경압박율

은 73.5%에서 38.4%로 호전되었다. 경부 및 하지 통증의 VAS,

NDI, JOA점수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예에

서 뇌척수액의 누출이 있었으며, 무증상의 C7척추경나사못 파

손이 1예 있었다.

결론: 540도 재배열 술식은 수술을 두 단계로 시행하고 입원기

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기존 전, 후방 수술의 단점을 피

할 수 있고, 우수한 임상결과를 나타내었다. 광범위한 분절의 후

종인대골화증이 후만변형을 동반한 경우 합병증을 최소화하면

서 신경을 감압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판단된다.

색인단어: 후종인대골화증, 경추 후만변형, 540도 술식, 전-후방

수술

15S-014 Stenosis in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s of Patients with Cervical Myelopathy

Moon Soo Park, Ki Han You, Kyung Won Song, Jin Young Lee, Ho Guen Chang, Young Woo Kim, Yong Chan Kim, Kook Jin Chung, Jae Hyuk Shin, Tae-Hwan Kim Medical College of Hallym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radiological study.Objectives: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cervical myelopat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thoracic or lumbar spine has to be conducted to rule out thoracic myelopathy and lumbar stenosis. If we have a clue about the radiological features of the MRI of the cervical spine that might predict thoracic or lumbar stenosis, we could save the treatment time and cost. However, there is no literature elucidating the predictable radiological features of cervical stenosis that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oracic or lumbar stenosis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cervical myelopat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adiological features of cervical MRI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that can be used for predicting concurrent thoracic or lumbar sten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radiological features of cervical MRI for predicting tho-racic stenosis in patients without symptoms correlated to the cervical pathology. Materials and Methods: Whole spine T2 sagittal MRI images of 71 patients who underwent cervical surgery upon the di-agnosis of cervical myelopathy between February 2004 and December 2013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group consisted of 26 females and 45 males, aged between 29 and 86 years (mean: 59.2±12.6 years). We measured the anterior-posterior diameters of the vertebral body, bony spinal canal and spinal cord, and anterior or posterior epidural stenosis at the disc level in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regions. We also compared the radiological parameters obtained through an MRI of the cervical spine between the subgroups

Page 8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6

with and without thoracic stenosis and between the sub-groups with and without lumbar stenosis. Results: Of the study population, 30 patients (42.3%) had concurrent radiological thoracic stenosis and 37 (52.1%) had concurrent radiological lumbar stenosis. Anterior epidural stenosis at C2-C3 and posterior epidural stenosis at C4-C5 were associated with a high prevalence of thoracic stenosis. Anterior epidural stenosis at C7-T1 was associated with a high prevalence of lumbar stenosi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2-C3 anterior epidural stenosis, it might be better to take the MRI of the thoracic spine to rule out thoracic myelopathy. In patients with C7-T1 anterior epidural stenosis, it might be better to take the MRI of the lumbar spine to rule out lumbar stenosis. Keywords: Cervical spine, Thoracic spine, Lumbar spine, Concurrent stenosis

경추 척수증 환자에서 발생한 흉추 또는 요추 협착증

박문수, 유기한, 송경원, 이진영, 장호근, 김영우, 김용찬, 정국진, 신재혁, 김태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연구계획: 방사선학적 영상 고찰에 대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 척수증 환자에서 흉추 또는 요추 협착증이 의심

되어서 이을 확인하기 위하여 흉추 또는 요추 자기공명영상검

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다. 경추 척수증 환자에서 흉추 또는 요

추 협착증을 시사하는 경추 자기공명영상검사 상의 방사선 소

견을 알 수 있다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

추 척수증 환자에서 흉추 또는 요추 협착증을 시사하는 경추 자

기공명영상검사의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본 교실에서는 요추 척추관 협착증 또는 요

추 추간판 탈출증 진단하에 요추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전척추 T2 시상면 영상을 이용하여 흉추 협착증을 시사

하는 경추 자기공명영상의 방사선 소견을 보고하였으나, 경추

증상이 없는 환자를 대상한 것이 단점이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경추

척수증 진단하에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71명의 전척추 T2 시상

면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자는 26명이며 남자는 45명이며

평균 연령은 59.2±12.6세였다(29-86세). 전척추 T2 시상면 영

상에서 경추, 흉추, 요추의 각 척추분절에 대하여 척추체의 전후

길이, 골성 척추관의 전후길이, 척수의 전후길이, 추간판에서의

거미막밑 공간이 소실된 전방 또는 후방 경막하 척추관 협착증

의 유무를 측정하였다. 흉추 또는 요추 협착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비교하여 경추의 방사선 소견을 알아보았다.

결과: 71명 중 30명 (42.3%)에서는 흉추 협착증이 있었으며 37

명 (52.1%)에서는 요추 협착증이 있었다. 흉추 협착증이 있는

군에서는 제 2/3경추간 전방 또는 제 4/5경추간 후방 경막하 척

추관 협착증이 관찰되었다. 요추 협착증이 있는 군에서는 제 7

경추/제 1흉추간 전방 경막하 척추관 협착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제 2/3경추간 전방 경막하 척추관 협착증이 관찰되면 흉

추 협착증을 확인하는 것이 좋고 제 7경추/제 1흉추간 전방 경

막하 척추관 협착증이 관찰되면 요추 협착증을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추, 흉추, 요추, 병발성 척추관 협착증

15S-101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in Cervical Myelopathy

Kyu Yeol Lee, Jeong Ho Seo, Min Woo Kim, Young Hun Jung Dong-A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de-f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f surgery for cervical myelopath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CSM, factor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mplica-tions include greater age, increased operative time, and the use of a combination of anterior-posterior procedures.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per-formed with 70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cervi-cal myelopathy between January 2005 and January 2014.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uses of cervi-cal myelopathy as follows: 31, spondylosis; 18, trauma; 16,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and 5, cervical disc herniation. We analyzed complications that occurred within a month after the operations and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age, gender, symptom duration, smok-ing, involved cervical levels, operative approach, fusion or not, operative time, the compression ratio at the level of the maximal cord compressi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e cord signal changes on the MRI.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the Krus-kal–Wallis test. Results: Among the 70 patients, 12 (17.1%) experienced peri-

Page 8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87

operative complications: Four (33.3%) experienced residual myelopathy; three (25.0%), reperfusion injury; three (25.0%),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one (8.3%), dysphagia; and one (8.3%), superficial wound infe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for the involved level (p=0.037), the compression ratio at the level of the maximal cord compres-sion on the MRI (p=0.045), and the cord signal changes on the MRI (p=0.026) between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 group and the no perioperative complication group. Re-sidual myelopath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rauma (p=0.041), and reperfusion inju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PLL and multi-level myelopathy (p=0.033).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or cervical myelopathy are the involved level, the compression ratio at the level of the maximal cord compression on the MRI, and the cord signal changes on the MRI. Keywords: Cervical spine, Myelopathy, Perioperative, Com-plication

경추 척수병증 환자에서 수술주위기간 합병증(Perioper-

ative Complications)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

이규열, 서정호, 김민우, 정영훈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 척수병증의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에 영향을 미

치는 수술 전 환자 요인 및 수술적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척수병증의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환자의 나이, 수술 시간, 전-후방 접근법

을 동시에 시행 경우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경추의 척수병

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인 중 경추증이 31명, 외상 18명, 후방 종인대 골화증 16명,

경추 추간판 탈출증 5명이었다. 술후 1달 이내 발생한 합병증

을 조사하였으며, 유병 기간, 환자의 나이, 성별, 흡연 유무, 병

변 범위, 수술 접근법, 유합술의 유무, 수술 시간, 자기 공명 영

상에서 측정한 최대 압박 부위의 압박 비율, 신호 강도 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

Wallis method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총 70명의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서 수술주위기간 합병증

이 발생하였으며(17.1%), 잔류 척수병증 4명(33.3%), 재관류 손

상 3명(25.0%), 심폐 합병증 3명(25.0%), 연하 곤란 1명(8.3%),

표재성 창상 감염 1명(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에서 환자의

나이, 성별, 흡연 유무, 수술 접근법, 유합술의 유무, 수술 시간

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병변 범위(p=0.037),

자기 공명 영상에서의 압박 부위 비율(p=0.045) 및 신호 강도

변화(p=0.026)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잔류 척수병

증의 경우 외상에 의한 손상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졌으며

(p=0.041), 재관류 손상의 경우 후방 종인대골화증, 다분절의

척수병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33).

결론: 경추 척수병증 환자에서 병변 범위, 자기 공명 영상에서의

압박 부위 비율 및 신호 강도 변화가 수술 후 수술주위기간 합병

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술전 고려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경추, 척수병증, 수술주위기간, 합병증

15S-047

Is it “in” or “out”? The Optimal Fluoroscopic Views for Intraoperative Determination of Proper Lateral Mass Screw Placement

Sang Bum Kim1, Ki-Hyoung Koo2, Kun Young Park3, John Rhee4, William C. Hutton4, Yougun Won1, Chulmin Kim5 Kony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Daejeon Veterans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Emory Spine Center, School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4, University of West Georgia Department of Mathematics5

Study Design: Radiological analysis of lateral mass screws us-ing fresh cadaveric cervical spines. Objectives: To suggest the best angle of oblique view for de-tecting nerve root violation and facet violation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cervical lateral mass screw (LMS) on fluoroscop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tential complications of LMS include subjacent facet joint and exiting nerve root violation. Single-plane intraoperative X-rays are commonly used but are frequently inadequate for determining screw malposition due to the complex trajectory of LMS. Materials and Methods: LMSes were inserted from C3-6 bi-laterally by using the Magerl technique in three cadavers. In order to evaluate potential nerve root violation, LMSes wer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iting nerve root with the tip penetrating the anterior cortex by 0 mm, then 2 mm, and

Page 8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88

then 4 mm. In order to assess facet joint violation, LMSes were inserted toward the subjacent facet joint with the tip penetrating the anterior cortex by 0 mm and then by 2 mm. Fluoroscopic views were taken at angles of 0° (i.e., neutral lateral), 10°, 20°, 30°, and 40° to the lateral plane. The views were then evaluated for screw violation by three fellowship-trained spine surgeons.Results: With screws directed toward the nerve root, the 20° oblique view correctly identified a 2-mm penetration of the anterior cortex in 79% of the cases, and a 4-mm penetration in 86% of the cases, at a sensitivity of 83% and a specific-ity of 90%. The 30° view had a lower sensitivity (76%) but a slightly higher specificity (93%). The 20° and 30° views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han the 0°, 10°, and 40° views,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20° and 30° views. With respect to facet violation, the 0° neutral lateral view correctly identified a 2-mm penetration into the facet joint 93% of the time, at a sensitivity of 93% and specificity of 92%. The 10° view had a lower sensitivity (72%) but a high-° view had a lower sensitivity (72%) but a high- view had a lower sensitivity (72%) but a high-er specificity (100%). The neutral lateral view was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han the 10°, 20°, 30°, and 40° views.Conclusions: The 20° and 30° oblique views significantly provided the most sensitive assessment of LMS potentially violating the nerve root, whereas the 0° neutral lateral view significantly provided the most sensitive assessment of facet violations. Therefore, we recommend the use of these views intraoperatively when assessing the proper placement of LMS. Keywords: Cervical spine, Lateral mass screw, Trajectory angle

경추 외측괴 나사못의 수술중 적정 위치에 대한 사체 연구

김상범1, 박건영2, 구기형3, John Rhee4, William C. Hutton4, 원유건1, 김철민5

건양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대전보훈병원 정형외과2, 동국대학교일산병원 정형외과3, Emory Spine Center, School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4, University of West Georgia Department of Mathematics5

연구계획: 본 연구는 경추 외측괴 나사못의 위치를 연구한 방사

선학적 연구이다.

연구목적: 수술 중 신경 손상이나 후관절 손상을 발생할 수 있

는 외측괴 나사못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 투사 각도를 알아 보고

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외측괴 나사못은 인접 분절의 손상이

나 척추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손상을 유발할 수 있

는 외측괴 나사못은 수술중에 시행하는 전방 또는 측방의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는 알아내기는 어렵다. 수술중 이동형 투시 촬

영 장치는 나사못 위치에 대한 수술중 feedback을 줄 수 있으

나, 최적의 투사 각도는 보고된 바 없다.

대상 및 방법: 6구의 사체에서 얻은 24분절(제 3-7경추)를 대상

으로, 3구는 신경근 방향으로 나사못의 끝을 위치하여, 육안으

로 관찰하여 외측괴의 피질골을 관통하지 않은 경우, 2 mm, 4

mm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나머지 3구는 후관절 방향으로 관통

하지 않는 경우와 2 mm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이동현 투과 장

치로 0도(정측면), 10도, 20도, 30도, 40도로 촬영하여 저장하였

고, 3명의 척추 전문의에 의해 판단하였다.

결과: 신경근을 향한 경우, 20도 경사각에서 2 mm 관통한 경우

79 %, 4 mm 관통한 경우 86 % 가장 많이 측정되었고, 다른 각

도보다 20도 와 30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후관절 침범의 경우에는, 정측면인 0도에서 2 mm 관통한 경우

93 %를 보였으며, 이각도에서 다른 각도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신경근을 손상 시킬 수 있는 외측괴 나사못은 20도와 30

도 경사각에서 가장 민감도가 높았고, 후관절을 손상 시킬 수 있

는 경우에는 정측면인 0도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수술중 외

측괴 나사못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이 각도에서의 촬

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추, 외측괴 나사못, 투사각도

15S-044

The Effect of Hubbing on the Pull-Out Strength of Lateral Mass Screws in the Cervical Spine: A Biomechanical Experiment

Ki-Hyoung Koo1, Sang Bum Kim2, S. Tim Yoon3, William C. Hutton3, Jae Jun Yang1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ony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Emory Spine Center, School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This is a cadaveric biomechanical experiment to compare the pull-out strength of polyaxial screws that are either hubbed or not hubbed in a cervical lateral mass screw. Objectives: We compared the pull-out strength of polyaxial screws that are either hubbed or not hubbed when inserted into a lateral mas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ome surgeons try to insert screws deeply toincrease the pull-out strength of the lateral

Page 8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89

mass screw in the cervical spine.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segments of the human cervi-cal spine (from C3 to C7) were prepared. Polyaxial screws 3.5 mm in diameter were used. On one side, 12-mm-long screws were inserted until the screw head touched the lateral mass; they were then turned 2.5 more times until they were fully hubbed (hubbed screws). On the other side, 14-mm-long screws were inserted until the screw head just touched the lateral mass (non-hubbed screws). The 2-mm difference in length was to ensure that the screws were buried to the same length. All screws inserted into the lateral masses underwent tensile pull-out upon the application of a tensile force down the long axis of the screw. The difference in the pull-out strength between the two groups was evaluated using a non-parametric paired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which compared the strength side to side on each vertebra. Results: One specimen was excluded because of cement breakage during the biomechanical test. Fourteen vertebrae were tested. Four vertebrae in the hubbed group showed small fractures or cracks around the screw hole after screw insertion. In a side-to-side comparison, the hubbed screws had significantly lower pull-out strengths than the non-hubbed screws (p=0.033). Conclusions: Hubbing of lateral mass screws lowers the potential pull-out strength of the screws as compared to the pull-out strength of non-hubbed screws. Thus, hubbing of lateral mass screws, on the basis of the parameters applied in this study, is not recommended. Keywords: Cervical spine, Hubbing, Lateral mass screw, Biomechanics, Pull-out strength

깊게 삽입한 경추 외측괴 나사못이 pull-out strength에 미

치는 영향: 생역학적 사체 연구

구기형1, 김상범2, S. Tim Yoon3, William C. Hutton3, 양재준1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정형외과1, 건양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Emory Spine Center, School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연구계획: 본 연구는 나사못의 Hubbing과 관련한 뽐힘 강도를

연구한 생역학적 사체 연구이다.

연구목적: 경추 외측괴 나사못을 삽입할 때 다축성 나사못 머리

(polyaxial screw head)를 외측괴에 깊게 삽입하는 “Hubbing”을 한 군과 하지 않은 군과의 나사못 뽐힘 강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외측괴 나사못을 삽입할 때 나사못의

뽐힘 강도(pull-out strength)를 높이려고 나사못을 깊게 삽입하

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나사못 머리가 외측괴 또는 후궁판에 닿

은 후에도 삽입을 하면 강한 고정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과

강한 삽입 토크를 얻을 수 있는데 흉추에서 나사못의 “Hubbing”은 유의하게 나사못의 뽐힘 강도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대상 및 방법: 사체에서 얻은 15분절의 경추(제 3-7경추)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각 분절은 연부 조직을 제거한 상태로 준비하였으

며 직경 3.5 mm의 다축성 나사못이 사용되었다. 각 경추 분절의

한쪽에는 길이 12 mm의 나사못을 사용하여 나사못 머리가 외

측괴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였으며 이후 추가로 2.5회전 더 삽입

하여 나사못 머리가 외측괴에 깊게 삽입되도록 하였다(Hubbed

screws). 반대쪽은 길이 14 mm의 나사못을 사용하여 나사못

머리가 외측괴에 닿는 시점까지만 삽입하였다(non-hubbed

screws). 동일한 길이의 나사선이 골내에 위치하도록 2 mm의

길이 차이가 있는 나사못을 사용하였다. 모든 나사못은 나사못

의 장축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뽐힘 강도를 측정하고자 하

였다. 두 군간의 뽐힘 강도의 차이는 non-parametric paired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 개의 검체가 생역학적 검사 중 검체를 고정한 cement

의 파괴가 있어 제외되었다. 모두 14개의 검체가 연구되었으며

Hubbed screws 중에서 4개의 검체에서 나사못을 삽입한 후 나

사못 삽입공 주위로 미세한 골절이나 틈이 발견되었다. 양 군간

의 비교에서 Hubbed screws는 non-hubbed screws에 비하여

유의하게 뽐힘 강도가 낮았다(p=0.033).

결론: 외측괴 나사못을 삽입할 때 나사못 머리의 Hubbing은

nonhubbing과 비교하여 뽐힘 강도를 낮추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면 나사못 머리가 골내에 위치

할 정도로 나사못을 깊게 삽입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

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경추, Hubbing, 외측괴 나사못, 생역학, 뽐힘 강도

15S-049

Comparison of Efficacy Between L-ASR Allo-bone Cage and Auto-graft in ACDF

Jae-Young Hong1, Yoon-Gwang Bae1, Seung-Woo Suh2, Jae-Hyuk Yang2, Si-Young Park3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1,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2,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s3

Study Design: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ante-

Page 9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90

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with or without a freeze-dried lordotic cortical/cancellous composite allograft (cornerstone L-ASR cag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no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L-ASR cage have been reported.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 outcomes after ACDF with or without cornerstone L-ASR cage (Medtronic, USA).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sis who underwent ACDF with or without cornerstone L-ASR cage were included in the study. Clinical evaluations were performed pre- and postoperatively. Patients were followed-up at regular intervals for 2 years after surgery.Results: In this study, 55 patients with a minimum of 1 year of follow-up data we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There were 28 patients in the L-ASR cage group and 27 in the auto-graft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operative NDI, ROM, and VAS, of arm pain and neck pain between the two groups (p>0.05). Both group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NDI, ROM, and VAS of arm pain and neck pain from the preoperative means (p<0.05). However, the L-ASR cag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sidence rate as compared to the auto-graft group at the last follow-up (p<0.05).Conclusions: The midterm outcomes demonstrated that both the L-ASR cage and the auto-graft groups showed favorable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sis, who received L-ASR cage and have significantly better maintenance of the disc height than the auto-graft group. Keywords: L-ASR cage, ACDF, Allograft, Auto-graft

전방 경추간 감압 및 유합술시 L-ASR cage의 임상적 유

용성에 대한 연구

홍재영1, 배윤광1, 서승우2, 양재혁2, 박시영3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형외과2,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전방 경추간 감압 및 유합술시 L-ASR cage의 임상적

유용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방 경추간 감압 및

유합술 시행시 L-ASR cage를 이용한 환자군에서의 임상 결과를

자가골 이식 환자군과 비교 평가하려고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많은 선행 연구 논문이 있으나, L-ASR cage

에 대한 논문은 아직 발표된 바가 없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au-

tograft등의 이식재와 인공 디스크 치환술의 임상적 결과를 비

교하였다. 그러나, 자가골 채취 없이 수술시 사용할 수 있는 동

종이식골 cage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전방 경추간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임상 자

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L-ASR cage 환자군과 자가골 이

식군의 수술 전후 VAS score및 NDI score를 비교하였고, 방사

선학적 유합등도 평가하였다. 술후 3개월부터 최대 2년까지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이용하여 두 군다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는 술후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5명의 환

자가 연구대상으로 포함 되었다. L-ASR군에 28명의 환자가 포

함되었고, 자가골 이식군에는 27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수

술 전 후 NDI, VAS, 운동범위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다(p>0.05). 또한, 수술 후 추시 X-ray상 골유합의 정

도 또한 두 군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그러나,

L-ASR 군에서 수술후 subsidence 정도가 자가골 이식군보다 작

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결론: L-ASR 이식군에서 자가골 이식군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

로 차이 없는 임상적 결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더 우수한 수술후

척추체간 간격의 유지를 보이고 있었다. L-ASR cage는 전방 추

체간 감압 및 유합술시 유용한 대체재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L-ASR cage, ACDF, Allograft, Auto-graft

15S-074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Harms Cage Versus Iliac Bone Block: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Seong Hwan Woo, Jae Yoon Chung, Hyoung Yeon Seo, Sung Kyu Kim, Jun Ik Choi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in Harms cage versus an iliac bone block graf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no current consensus regarding the optimal material for anterior cervical fusion.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single-center study of 107 patients who either underwent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an iliac bone block graft (n=56, Group A) or a cancellous bone graft within the cervical Harms titanium cage (n=51, Group B). Anterior plating occurred in all cases.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Page 9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1

analog scale (VAS) scores and Odom’s criteria. Radiolo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height of vertebral bodies, sagittal lordosis, the rate of bony union, and the subsidence of cage.Results: The VAS of donor site p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at the final follow-up. Sagittal lordosis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The rate of bony union was 95% and 91% for the two groups, respectively, 6 months after surgery and reached 100% for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up. In terms of cage subsidence, the highest point of subsidence was at the inferior and posterior aspects of the cage and the average amount of subsidence was approximately 1.3 mm at the final follow-up.Conclusions: Anterior cervical fusion using a cancellous bone graft within Harms titanium cage is a good method for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an iliac bone block. Keywords: Anterior cervical fusion, Harms titanium cage, Iliac bone block

경추 전방 유합술에서 Harms 케이지와 장골 블록 이식술

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

우성환, 정재윤, 서형연, 김성규, 최준익

전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경추 전방 추체 간 유합술에서 Harms 티타늄 케이지

내 자가 해면골 이식술과 장골 블록 자가 삼면 피질골 이식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전방 추체 간 유합술에서 유합물

에 대한 최선의 대체재에 대해서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전방 추체 간 유합술을 시행한 107명의 환자

에 대하여, 장골 블록 자가 삼면 피질골 이식술을 받은 56명을

A군으로, 경추용 Harms 티타늄 케이지 내 자가 해면골 이식술

을 받은 51명은 B군으로 구분하였다. 양 군에서 모두 금속판 고

정술을 동반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경추부 및 상지, 골이

식 공여부위에 대한 통증과 합병증의 평가 지표로 Visual Ana-

logue Scale(VAS)과 Odom의 기준을 사용하였다. 방사선적으

로는 수술 분절의 높이 변화와 시상면 전만각, 골유합률을 측정

하였고, 추가적으로 B군에서 케이지의 침강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공여부 통증 지표로서 VAS 점수는 A군에서 최종 추시 상

B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분절 시상면 전만각의 변

화는 단 분절과 두 분절에서 모두 유의하게 B군이 A군보다 높은

증가를 보였다. 골유합률은 두 군에서 수술 후 6개월에 각각 95

%와 91 %였고, 최종 추시 상 양 군의 전 예에서 골유합을 보였

다. B군의 Harms 티타늄 케이지의 침강은 주로 후하방에서 발

생하였으며, 최종 추시에서 후하방의 침강 정도는 평균 1.3 mm

로 측정되었다.

결론: Harms 티타늄 케이지 내 자가 해면골 이식술 및 금속판

고정술은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보였으며, 장골

블록 자가골 이식술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추 전방 유합술, Harms 티타늄 케이지, 장골 블록

15S-097

Prognosis of Hardware-related Problems i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with Cage and Plate Constructs

Dong-Hun Ham, Jong-Hyun Ko, Kyung-Jin So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ardware-related problems with their prognosis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with a cage and plate for de-generative and traumatic cervical disc disease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many papers report-ing the indications, techniques, and results of the anterior cervical plate.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mplications of anterior cervical plates, screws, and cages.Materials and Methods: Eight hundred and eight patients who underwent ACDF for degenerative and traumatic disc disea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follow-up were included. We investigated the time of beginning and progression of prob-lems associated with instrumentation and the cag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4 years. The type of plate, range and levels of fusion, patient factors such as age, gender, body mass index (BMI),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lo-BMI),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lo-),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lo-,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lo-bone mineral density (BMD) and lo-BMD) and lo-cal kyphosis were evaluated. Results: Complications in 132 cases (16.5%) included plate migration in 74 cases, screw migration in 30 cases, cage subsidence in 11 cases, screw breakage in 1 case, and multiple complications in 16 cases. In three cases, additional posterior cervical surgery was performed. Only 10 patients with metal loosening and migration progression were found in the two months after surgery. Esophagus, trachea, and neurovascular structure injuries due to metal failure were not found and fusion was exhibited in all cases finally. There

Page 9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92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plate, levels of surgery, patient factors (disease vs. trauma, BMD, age, gender, and preoperative kyphosis) (p>0.05). However, more than three levels in ACDF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metal-related complications (p=0.043). Conclusions: Most hardware-related complications were minor with no symptoms and could be treated conservatively. Only a few of them needed revision surgery. A precise surgical technique is needed in multilevel ACDF of more than three levels because of their increased complication rate. An additional posterior augmentation procedure would be another surgical option that could prevent metal-related problems in multilevel anterior cervical fusion.Keywords: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Cage and plate, Hardware problem, Prognosis

케이지와 금속판을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 후 발생되는

금속 관련 합병증

함동훈, 고종현, 송경진

전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방사선학적 검사와 임상 결과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퇴행성 또는 외상성 경추 질환에 대한 치료로 케이지

와 금속판을 이용한 전방추체간 유합술 후 고정기기와 관련된

합병증을 확인하고 진행경과를 관찰하여 기기 사용시 문제점과

대책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 수술시 사용하는 전방 금속판에 대한

사용 적응증, 술기,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

만, 이와 관련된 합병증들에 대해서 자세히 분석한 연구들은 아

직까지 많지 않고 특히 케이지와 전방금속판 관련 합병증에 대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외상성 경추 질환에 대해 전방 경추 추간

판 절제술 후 케이지와 전방금속판을 이용하여 전방유합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되었던 80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금속판, 나사못, 케이지와 관련된 합병증들의 발

견 시점, 이후 진행 경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4년이었다. 금속판의 종류, 유합 범위, 국소 후만증, 환자 요소

들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금속판 이동 74예, 나사못 이동 30예, 케이지 침강 11예,

나사못 파손 1예, 두 가지 이상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가 16예

로 총 132예(16.5%)에서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이중에서 단지

10예에서만 수술 후 2개월이 지나서도 이동이 진행되는 소견을

보였다. 고정 실패로 인한 추가 후방수술은 3예에서 시행되었

다. 금속기기 문제로 인한 식도, 기도 및 신경혈관 구조물의 손

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최종 추시에서는 모두 유합 소견을 보였

다. 금속판 종류, 수술 분절 위치, 환자 요소(수술 원인, 골 밀도,

나이, 성별, 술 전 후만증 여부)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하지만 세 분절 이상 고정술시에는 금속이완 발생률

이 의미있게 높았다(P= 0.043).

결론: 유합시 사용된 기기와 관련된 합병증은 대부분 증상이 경

미하여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였으며 극히 소수에서만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세 분절 이상의 다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 시에는 기

기 관련 문제점이 많이 발생됨으로 수술시 세심한 조작이 필요

하며, 필요 한 경우에는 전후방 유합술도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색인단어: 전방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케이지, 금속판,

합병증, 예후

15S-045

Subsidence of PEEK Cage After Anterior Cervical Fusion

Yong-Min Kim, Seung-Myung Choi, Hyung-Ki Le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Study Design: We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idence and prognostic factors observed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by using a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ate and direction of subsidence that occurred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by using a PEEK cage an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subsidence.Summary of Literature Review: Yang et al. reported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ge and the vertebral body, and the anterior intraoperative distraction was confirmed as the risk factor for cage subsidenc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36 segm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using a PEEK cage and an autologous cancellous iliac bone graft between July 2003 and November 201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terior segmental height (ASH), posterior segmental height (PSH), and cage corner distance (CCD) were measured on the plain radiographs. Subsidence was defined as a ≥2-mm decrease in the average of ASH and PSH at the final follow-up as compared to that measured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 decrease of more than 3

Page 9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3

mm was defined as severe subsidence for further statistical analysis.Results: Subsidence of more than 2 mm was observed in 14 segments (38.9%), and severe subsidence (≥3 mm) was observed in 7 segments (19.4%). The direction of subsidence was examined by a comparison of the means of decreased ASH and PSH; further, the anterior subsidence outweighed the posterior subsidence (p<0.001). An examination of CCD revealed that inferior subsidence was more frequent than superior subsidence (p<0.001, p=0.047). Among the suspicious risk factors for subsidence, intraoperative disc space distraction (anterior distraction: p=0.031, posterior distraction: p=0.007) and the height of the inserted cage (p=0.032)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Conclusions: There is considerable incidence of subsidence after the use of the cage. Using a cage of appropriate height and preventing intraoperative over-distraction of disc space will be helpful to prevent the subsidence of the cage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by using the PEEK cage.Keywords: Subsidence, Anterior cervical discetomy and fusion,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Segmental height, Cage corner distance

PEEK 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경추 유합술 후 발생한 침강

에 대한 분석

김용민, 최승명, 이형기

충북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방 감압술 및 PEEK 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척추 유

합술 시행 후 종판내 침강의 발생률 및 특징, 이에 관여하는 위

험인자를 MRI 및 단순 방사선 촬영을 통해 후항적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목적: 침강의 발생률 및 방향을 평가하고, 침강의 유발 요인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Yang 등은 케이지의 직경이 클수록, 즉 종

판과 케이지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침강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전방 신연이 적었을 때 종판면에 가해지는 압박

력이 감소하므로 침강의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 또한 몇몇 연구에서는 종판의 연골하골 파괴가 심각한 종

판 골 강도의 저하를 야기하므로 골종판의 강도와 수술 시 소

파 정도가 침강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

였다. Mohammad 등은 케이지가 종판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Mohammad 등은 케이지가 종판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삽입될

수록 침강이 증가한다고 하였고, Lemcke등은 삽입된 케이지가

두꺼울수록 종판면에 가하는 압박력이 늘어나 침강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전방 감압술 및

PEEK 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유합술을 시행받은 32 명(36 분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 분절 높이, 후방 분절 높이와 케이지

모서리 거리를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하였다. 2 mm 이상

감소를 침강으로 정의하였으며, 3 mm 이상을 중등도 침강으로

구분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4개의 분절(38.9%)에서 침강이 발생하였으며, 중등도 침

강은 7개 분절(19.4%)에서 발생하였다. 전, 후방 분절 높이를 이

용하여 전방과 후방의 침강을 비교하였으며, 전방에서의 침강

이 후방에서보다 많이 발생하였다(p<0.001). 전, 후방에서 모두

하방으로 침강이 많이 발생하였다(p<0.001, p=0.047). 침강의

위험 요소로는 추간판 간격의 신연 및 삽입된 케이지의 높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0.05).

결론: 케이지 사용 후 침강이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으며, 수술

중 추간판 간격의 과도한 신연을 방지하고, 적절한 높이의 케

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침강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경추, 전방 유합술, 침강, PEEK 케이지, 분절 높이

Deformity

15S-069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Posterior Instrumented Fusion Combined with Vertebroplasty in Old Aged Patients who Have Post-traumatic Kyphosis Due to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with Intravertebral Cleft

Jun-Seok Lee, Sung-Wook Cho, Ki-Won Kim Yeouido St. Mar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prospective cas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the corrective effects and the sustainability of posterior instrumentation fusion combined with vertebroplasty in old aged patients who have post-traumatic kyphosis due to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VFs) with intravertebral cleft.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Page 9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94

a TLSO brace is used for patients with stable thoracolumbar OVF. However, when unstable or accompanied with neurological deficits,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Osteoporosis is common in old aged patients and osteoporotic fracture.Materials and Methods: Posterior instrumentation accompanied by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in 10 patients who have post-traumatic kyphosis due to thoracolumbar OVF with intravertebral cleft. The average age was 77 years (range: 59 to 85 years). The deformity angle and the kyphotic angle were measured for the radiologic evaluation.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cores were measured for the clinical assessment. Bone mineral density, operation time, total blood loss, and operation-related complications were checked for all patients.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total operation time, total blood loss,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16 months, 231 min (range: 185 to 280 min), 531 ml (range: 350 to 700 ml), and -3.7±0.8, respectively. Although operation-related complications were not found, loosening of distal pedicular screws was found in 2 cases. The average pre- and post-operative deformity angles were 23.7°±5.7° and 11.5°±7.3° (p=0.006). The average pre-operative kyphotic angle, 38.9°±9.1°, was post-operatively improved to 17.2°± 7.8°(p=0.001). The average deformity angle and kyphotic angle at the latest follow-up were 15.7°±7.4° and 19.3°± 8.7° (p=0.24, p=0.63), repectively. The average pre- and post-operative back pain (VAS) scores were 7.7±1.1 and 3.0±1.6 (p=0.0001), respectively. The average pre-operative lower extremity pain (VAS) score, 5.5±3.3, was clinically improved to 3.0±1.9 (p=0.02). The average back pain (VAS) and lower extremity pain (VAS) scores at the latest follow-up were 2.3±1.4 and 2.3±1.1 (p=0.15, p=0.13),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ODI score of 90.3±8.9 improved to 49.6±22.7 post-operatively (p=0.0003) and to 44.6±20.3 at the latest follow-up (p=0.03). Conclusions: Our surgical method was effective in correcting a kyphotic deformity and was able to decrease pain and increase the daily activity level for old aged patients with a kyphotic deformity caused by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Keywords: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Intra-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Intra-Intra-ntra-vertebral cleft, Kyphotic deformity, Vertebroplasty, Posterior instrumentation

추체 내 균열로 인해 후만 변형이 발생한 고령의 골다공증

성 척추골절 환자에서 후방기구고정술과 척추성형술을 병

행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

이준석, 조성욱, 김기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고령의 흉요추부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환자에서 추

체 내 균열로 인한 후만 변형의 치료를 위해 후방기구고정술과

척추성형술을 병행 시행하였을 때 후만 교정 및 교정 유지 정도

를 확인하고임상 결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흉요추 골절 시 안정성 골절인 경우 보조기

를 통한 치료를 시행하나, 불안정성 골절이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고령의 환자의 경우 골

다공증이 흔하게 동반되며, 추체 내 균열을 동반하는 골다공증

성 척추골절 후 후만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흉요추부

후만 변형이 진행하면 통증 및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게 되고

변형 교정을 위한 수술이 필요하다. 변형 교정의 방법에는 후방

기구고정과 함께 척추 절골술 및 척추성형술이 병행

대상 및 방법: 추체 내 균열로 인해 후만 변형이 발생한 고령의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환자 10례를 대상으로 후방기구고정술과

척추성형술을 병행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77세(59-85)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를 위해 수술 전, 후, 최종추시에서 Cobb angle

측정 방법에 의해 설상각(deformity angle), 후만각(kyphotic

angle)을 계산하였다. 임상적 평가를 위해 수술 전, 후, 최종

추시에서 visual analog scale(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score를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골밀도, 수술

시간, 실혈량, 수술 관련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6개월, 수술 시간은 231분(185-280),

실혈량은 531 ml(350-700), 골밀도는 -3.7±0.8였다.수술과 관

련된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고, 최종추시에서 2례의 원위부 척

추경 나사의 이완 소견이 확인되었다.평균설상각은 수술 전 후

각각 23.7°±5.7°에서 11.5°±7.3°으로(p=0.006), 평균 후만각

은 수술 전 후 각각 38.9°±9.1°에서 17.2°±7.8°로(p=0.001)

수술 후 호전되었다. 평균 설상각 및 후만각은 최종 추시에서각

각 15.7°±7.4° 및 19.3°±8.7°로 측정되어 수술 후 와 비교 시

교정 정도가 잘 유지되었다(p=0.24, p=0.63). 평균 요통 점수

는 수술 전 후 7.7±1.1에서 3.0±1.6로(p=0.0001), 평균 하지통

증 점수는 수술 전 후 5.5±3.3에서 3.0±1.9로(p=0.02)로 임상

적 호전이 확인되었다. 최종 추시에서 평균 요통 점수 및 하지

통증 점수는 2.3±1.4와 2.3±1.1로 측정되어(p=0.15, p=0.13)

수술 후와 비교 시 임상호전 정도가 잘 유지되었다. ODI 점

수는 수술 전90.3±8.9에서 수술 후 49.6±22.7로 호전되었

으며(p=0.0003), 최종추시에서 44.6±20.3로 잘 유지되었다

Page 9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5

(p=0.03).

결론: 추체 내 균열로 인해 후만 변형이 발생한 고령의 골다공증

성 척추골절 환자에서 후방기구고정술과 척추성형술을 병행 시

행하는 방법은 후만변형 교정에 효과적이며, 환자의 통증감소

및 일상생활정도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색인단어: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추체 내 균열, 후만 변형,

척추성형술, 후방기구고정술

15S-095

Risk Factors of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After Adult Deformity Correction: Survivalship Analysis of 49 Patients

Chong Suh Lee, Sung Soo Chung, Se Jun Park, Sang Soo Kang, Wan Soek Kim, Jun Young Lee Samsung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PJK) after adult deformity correction by using a survivalship analy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JK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7%-39% of the cases after adult deformity correction. Its risk factors have been proposed by several authors, but thus far, a universal consensus is lack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cohort consisted of patients who underwent deformity correction between 2006 and 2014 and could be followed-up for a minimum of 6 months. All surgeries were performed from the S1 level to a minimum of L1 level with the use of iliac screws. PJK was defined as follows: 1) an increase of more than 15° in the proximal junctional angle, or 2) fracture at the UIV or UIV+1 level, or 3) pullout of the most proximal screw. We analyzed the survivalship by using the Kaplan-Meyer method according to age (<70 vs. ≥70), BMD (≤-2.5 vs. >-2.5), BMI (≤25.0 vs >25.0), level of UIV (L1 and T12 vs. above T11), preoperative diagnosis (flat back vs. kyphoscoliosis), change in LL (≥30° vs. <30°), difference in PI and postoperative LL (within vs. beyond ±9°), and change in C7 plumb line (≥60 mm vs. <60 mm). Results: 49 patien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67.5. Most of the patients were female (47).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8.0±25.4 months. PJF occurred in 22 out of 49 patients (44.9%). The mean survival

time was 41.2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time according to age, BMI, preoperative diagnosis, change in LL, difference in PI and postoperative LL, and change in C7 plumb line. However, the survival time according to BMD and the level of UIV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47.8 vs. 29.6 months, p=0.030, 34.6 vs. 47.3 months, p=0.048).Conclusions: PJK after adult deformity correction occurred in 45% of the cases with a mean follow-up duration of 3 years. Most of the risk facto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time except the presence of osteoporosis and the level of UIV. Keywords: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Adult deformity correction, Survival analysis, Risk factor

성인 변형 교정술 후 근위분절 후만증의 생존 분석을 통한

위험 요소 고찰

이종서, 정성수, 박세준, 강상수, 김완석, 이준영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생존 분석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성인 변형 교정술 후

의 근위분절 후만증의 위험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성인 변형 교정술 후 근위분절 후만증은 비

교적 흔하게 관찰되는 합병증으로서 그 빈도는 17~39%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근위분절 후만증은 추시 기간이 길어짐

에 따라 그 빈도가 증가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단순 비교를 통한 분석을 시행하였을 뿐, 추시 기간

까지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그 위험인자 또한 각 저자마

다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4년 9월까지 변형 교정술을 시행

받고 최소 6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를 연구 대상으

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최소 요추 제1번에서 천골까지 유합술

을 시행하였고 장골 나사를 삽입하였다. 근위분절 후만증은 다

음과 같은 경우에 정의하였다: 1) 근위분절 후만각의 15’이상 증

가, or 2) 근위분절의 골절, or 3) 근위 나사의 빠짐. 분석에 이용

된 위험 요소로는 나이, 골밀도, 체질량지수, 유합 분절, 수술전

진단, 수술전후 요추 전만각, 골반 입사각과 수술 후 전만각의

차이, 제 7경추 수선의 변화 등이었다. 상기 위험 요소에 대하여

근위분절 후만증의 발생 유무를 Kaplan-Meyer 방법을 이용하

여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49명의 환자 중 남자는 2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67.5세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0±25.4 개월이었다. 추시 기간동안

22명(44.9%)의 환자에서 근위분절 후만증이 발생하였으며 생

Page 9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96

존 기간은 평균 41.2개월이었다. Kaplan-Meyer 생존 분석을 시

행하였을 때 나이(70세 기준), 체질량지수(25기준), 수술전 진

단(후만증 vs 측후만증), 요추 전만각의 변화(30도 기준), 골반

입사각과 수술 후 전만각의 차이(9’이내 기준), 제 7경추 수선의

변화(60 mm 기준) 등은 생존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골다공증 유무와 유합 분절(6 분절 이하 vs 7분

절 이상)에 대하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7.8 vs 29.6 개월,

p=0.030, 34.6 vs 47.3 개월, p=0.048).

결론: 성인 변형 교정술 후 근위분절 후만증은 평균 3년 추시 기

간 동안 약 45%의 빈도로 발생하였지만 대부분의 위험 요소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위 분절이 요추 제1번과 흉추

제 12번인 경우에 생존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색인단어: 근위분절후만증, 성인변형 교정술, 생존 분석, 위험

요소

15S-065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Following Combined Short Anterior and Posterior Fusion to Sacrum Without Osteotomy in Degenerative Lumbar Kyphosis

Jung-Hee Lee1, Kyung-Chung Kang1, Ki-Tack Kim2, Sang-Hun Lee2, Ho-Yeon Jeong1, Won-Ju Shin1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Gangdong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minimize complications as well as maintain the optimal SVA, combined short anterior and posterior fusion to the sacrum might be an alternative surgical strategy. In this study, we try to define the ideal patients for this method.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operative optimal SVA following surgery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successful treatment of an adult spinal sagittal deformity. Although PSO is a powerful method to achieve a predictive formula, many related complications have been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7 subjects with degenerative lumbar kyphosis (average age: 66.6 years)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by posterior fusion from L2 or L3 to the sacrum following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a minimum 2-year follow-up was analyz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optimal SVA group (<50 mm) and the suboptimal SVA group (≥50 mm)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In the optimal SVA group (n=16), the preoperative mean pelvic incidence, sacral slope, and pelvic tilt were 47.4°, 18.5°, and 28.9°, respectively, while they were 53.3°, 10.8°, and 42.5°, respectively, in the suboptimal SVA group (n=11). The mean preoperative lumbar lordosis was +1.2° in the optimal group and +4.2° in the suboptimal group, which was corrected to -51.8° and -35° after surgery, and reduced to -47.5° and -20.7°, re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15 patients in the optimal group (93.75%) and no patients in the suboptimal group who had postoperative lumbar lordosis greater than the pelvic incidence. The mean SVA was 117 mm in the optimal group and 150 mm in the suboptimal group, which was corrected to -5 mm and 19 mm after surgery; it was 25 mm and 89 mm, re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up. Interestingly, progressive PJK, which is our main interest, was revea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ogressive in the suboptim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optimal group. The mean value of PJK in the suboptimal group was -2.8° preoperatively, +1.3° postoperatively, and +13.5° at the final follow-up. Revision surgery by proximally extended fusion to T10 was performed for one patient in each group. Conclusions: Despite the combined short anterior and posterior fusion extended to the sacrum as a limitation of the lumbar lordosis correction,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cedure might be an alternative surgical strategy for corrective spinal procedures other than long fusions or complex osteotomies such as PSO. However, the ideal patients should have a preoperative low pelvic incidence (less than 50°) to protect against progressive PJK. Keywords: Degenerative lumbar kyphosis, Pelvic incidence,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에서 전후방 요추 유합술 시행 후

에 발생한 근위 인접 후만변화

이정희1, 강경중1, 김기택2, 이상훈2, 정호연1, 신원주1

경희의료원 정형외과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전방 및 후방 요추부 유합술로 적절한 시상면 교정을

얻을 수 있는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의 적응증을 분석하고자

Page 9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7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시상면 불균형이 동반된 성인 척추 변형 환

자에서 환자에서 시상면의 교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수술 방법

에서 절골술은 예측되는 교정각을 얻기 위한 방법 중에 가장 확

실하지만 많은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는 술기이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후만증으로 전방 및 후방 요추 유합

술을 시행받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7예를 대상으로 하

였다. 평균 연령 66.6세였고, 근위 유합 범위는 제 2요추 또는 제

3요추였고 원위 유합 범위는 전례에서 천추까지 시행하였다. 최

종 추시 시상면이 50 mm 이내 (1군 )와 50 mm 이상(2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상면 균형이 유지된1군(n=16)의 술전 골

반지수 47.4°, 천추 경사 18.5° 및 골반경사 28.9° 였으나, 2군

(n=11)에서는 53.3°, 10.8° 및42.5°였다. 술 전 요추 전만은 1

군 +1.2°, 2군 +4.2°에서 술 후 -51.8° 및 -35°로 교정되었고 최

종 추시 -47.5° 및 -20.7°였다. 1군에서 15예(94%)는 술 후 요추

전만이 골반지수 보다 크게 교정되었으나 2군에서는 술 후 요

추 전만이 골반지수보다 전예에서 작았다. 시상면 균형은 1군에

서 술 전 117 mm, 술 후5 mm 및 최종추시 25 mm 였고, 2군에

서 술 전 150 mm, 술 후 19 mm 및 최종추시 89 mm 였다. 근

위 인접 후만각은 2군에서 술 전 -2.8°, 술 후 +1.3° 및 최종추시

+13.5°로 증가하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에서 전방 및 후방 요추부 유합

술은 교정각이 제한적이지만 절골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술전 계획에서 골반지수가 50° 이내의 환자에서 시행되어야 근위 인접 후만 변형의 진행이 발

생하지 않고 최종추시 시상면 균형을 얻을 수 있다.

색인단어: 퇴행성 요추 후만증, 골반지수, 근위 인접 후만

15S-057

Correlation of Lumbar Paraspinal Muscle Degeneration and Kyphosis :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MRI

Shin Hunkyu, Jung Hwajae, Kim Eugene, Park Jaihyung, Park Sejin, Lee Jino Kangbuk Samsung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tudy Design: Quantitative analysis of degenerative change in paraspinal muscle at the L2-3 level and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of paraspinal muscle degenerative change and spinal kyphotic chang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enerative change in the paraspinal muscle and spinal kyphosis by using quantitative data obtained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Summary of Literature Review: Kyphosis is a sagittal deformity associated with decreased thoracic kyphosis and lumbar lordosis. It is partialy compentated by the pelvis, hip, and knee joint movements and the contraction of the paraspinal muscl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patients who underwent whole spine x-ray and lumbar MRI between March 2013 and Feburary 2015. All pati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sex, BMI, and BMD. A ra-compared in terms of age, sex, BMI, and BMD. A ra-d in terms of age, sex, BMI, and BMD. A ra- age, sex, BMI, and BMD. A ra- and BMD. A ra- BMD. A ra-A ra-a-diographic evaluation considering the whole sagittal X-ray view was conducted to find the degree of sagittal imbalance, thoracic kyphotic angle, lumbar lordotic ankle, sacral slope, and spinal inclination. We measured the volume of the paraspinal muscle and the percentage of fat infiltration at the L2-3 level by using a pseudo-coloring technique in a PACS program We then quantitatively analyzed the paraspinal muscle volume and the percentage of fat infi ltration and at-the percentage of fat infi ltration and at-percentage of fat infiltration and at-at-temp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between the paraspinal muscle degeneration and the kyphotic deformity.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age and spinal imbalance (p=0.007), between paraspinal muscle volume (p=0.047), and percentage of fat infiltration (p=0.048) and lumbar lordotic angle.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paraspinal muscle volume and the percentage of fat infiltration and spinal kyphotic change revealed that only the lumbar lordotic angle has a correlation. The percentage of fat infiltration (beta=-0.306) is dependent more on the lumbar lordotic angle than the muscle volume (p=0.063, beta=0.282) (p=0.044).Conclusion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enerative change in the lumbar paraspinal muscle and the decrease in the lumbar lordotic angle. This implies that the degenerative change in the lumbar paraspinal muscle influences the spinal kyphotic change. We need to further study whether spinal extension exercises and the restoration of the muscle volume prevent the spinal kyphotic change.Keywords: Paraspinal muscle, Degenerative change, Quanti-araspinal muscle, Degenerative change, Quanti-Degenerative change, Quanti-egenerative change, Quanti-Quanti-uanti-tative analysis, Spinal kyphotic deformity

Page 9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98

요추부 척추주위근육의 퇴행성 변화와 척추 후만변형과의

관계 : MRI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

신헌규, 정화재, 김유진, 박재형, 박세진, 이진호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제 2-3요추간 척추주위근육의 퇴행성 변화를 MRI를

통해 정량적인 분석을 시행하고, 시상면에서 척추 후만변형과

의 연관성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한다.

연구목적: MRI를 이용하여 척추주위근육의 퇴행성 변화의 정

량적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척추후만증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 후만증은 척추의 시상면 형태와 연관

된 기형으로 흉추 및 요추의 후만 변형과 골반과 고관절 및 척추

주위근육의 근 수축 운동에 의해 일부 보상이 된다. 연령이 증가

하면 이러한 척추주위근육 및 골반 신전근의 수축 기능이 저하

됨에 따라 후만증의 보상작용 또한 저하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체가 앞으로 굽어지는 자세(stooping position)이 발생하게

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병적, 생리학적인 기전에 따라 척추

후만증이 발생하게 되나, 이러한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2년 간 Whole

spine x-ray view와 요추부 MRI를 촬영한 41명의 환자를 대

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나이

와 성별, 체질량지수 및 골밀도를 비교하였고 Whole spine

x-ray view를 이용해 시상면 불균형(Sagittal imbanace), 흉

추 후만각(Thoracic kyphosis angle), 요추 전만각(Lumbar

kyphposis ankle), 골반 경사(Sacral slope), 척추 경사도

(Spinal inclination)를 측정하였다. 요추부 MRI를 촬영하였고,

PACS의 Program을 이용하여 L2-3 level에서 우측의 척추주위

근육(paraspinal muscle)의 부피와 지방 침윤을 비교하였다. 척

추주위근육의 부피 및 지방 침윤의 정도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

을 시행하고, X-ray상 관찰되는 척추 후만 변형 사이의 연관성

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시행한 상관분석(correlation)결과상 나이와 시상면 불균

형의 정도(p=0.007)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척추주위근육의 부피(p=0.047)와 지방 침윤(p=0.048)과 요추

전만곡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주위근육

의 부피와 지방 침윤과 시상면에서 척추의 변형과의 연관성 및

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회귀분석 상에서는 요추 전만

곡에서만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척추주위근육

의 부피(p=0.063, beta=0.282)보다 지방침윤의 정도(p=0.044,

beta=-0.306)가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MRI를 통해 분석한 요추부 척추주위근육의 퇴행성 변화

는 요추 전만곡의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척추 후만변형

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후 척추 신전 근력운동을

통한 근육량 회복이 척추 후만변형을 예방하는지에 대한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척추주위근육, 퇴행성 변화, 척추 후만 변형, 정량적

분석

15S-086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Scoliosis: More than 10-year Follow-up

Dong-Gune Chang, Jin-Hyok Kim, Dong-Ju Lim, Se-Il Suk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udy Design: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scoliosis: More than 10-year follow-up. Objectives: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of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and fusion using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case of congenital scoli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is is the first long-term follow-up on surgical outcomes of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and fusion using segmental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case of congenital scoliosis. Materials and Methods: Congenital scoliosis patients (n=25) were treated by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Their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11.3 years. They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with a mean follow-up of 12.7 years. Results: The mean Cobb’s angle of the main curve was 46.3° before surgery, 13.9° after surgery, and 18.5° at the last follow-up. In the compensatory cranial curve, the preoperative Cobb’s angle of 21.3° was corrected to 9° postoperatively and was 11.6° at the last follow-up. In the compensatory caudal curve, the preoperative Cobb’s angle of 23.6° improved to 8.1° postoperatively and 10.7° at the last follow-up. There were two cases of screw pull-out, which was treated by extended posterior fusion, but no major vascular or neurological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edicle screws were observed. Conclusions: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following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case of congenital scoliosis is an effective procedure that can achieve rigid fixation and deformity correction, and restore spinal balance with long-term follow-up therapy. Keywords: Congenital scoliosis, Posterior vertebral column

Page 9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99

resection, Pedicle screw fixation, Long-term follow-up

선천성 척추 측만증에서 후방 도달 척주 절제술 이용한 치

료 결과: 10년 이상 추시 관찰

장동균, 김진혁, 임동주, 석세일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후방 도달 척주 절제술

로 치료한 환자에서 10년 이상 장기 추시 결과에 대해 분석 하

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선천성 척추 측만증에서 각각의 환자에게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연령, 기형의

종류와 부위, 기형의 자연경과, 만곡의 종류, 척추외 기형의 존

재 여부등을 모두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선천성 척추 즉만

증의 수술 방법은 매우 다양하나 최근에는 후방도달 척주 절제

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또한 좋은 수술적 치료 결과를 보이

고 있다. 하지만 선천성 척추 측만증에서 후방 도달 척주 절제술

로 치료한 10년 이상의 장기 추시 결과의 수

대상 및 방법: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로 후방 도달 척주 절제

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유합술을 시행받고 10년 이상 추

기가 가능한 25예를 후향적으로 조사 하였다. 방사선학적 계측

으로 주만곡과 근위 및 원위 보상 만곡의 Cobb 각도를 측정하

였고, C7 plumb line과 시상면 중심축(SVA), 분절 후만각, 흉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주만곡의 만곡 교정은 수술전 46.3°에서 수술후 13.9°, 최종 추시시 18.5°로 호전 되었다. 근위 보상 만곡은 수술전 21.3°에서 수술후 9.0°, 최종 추시시 11.6°였고, 원위 보상 만곡은 수

술전 23.6°에서 수술후 8.1°, 최종 추시시 10.7°였다. 나사못과

관련된 주요 혈관 및 신경학적 합병증은 관찰 되지 않았으나, 2

예에서 척추경 나사못 인장 소견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치료에서 후방 도달 척주 절제

술을 이용한 유합술은 반척추 병변 부위를 제거하면서 만족스

러운 만곡의 교정력을 보였으며, 장기 추시 관찰에서도 만곡의

교정이 잘 유지되는 효과적인 술식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선천성 척추 측만증, 후방 도달 척주 절제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장기 추시

15S-032

A comparative Study of Surgical Outcomes by the ASge at the Time of Surgery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Scoliosis in Children Under Age 10 years

Dong-Gune Chang, Jin-Hyok Kim, Dong-Ju Lim, Se-Il Suk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for congenital scoliosis in children 6 years or older but less than 10 years of ag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e surgical outcomes for congenital scoliosis, with a long term follow-up, with respect to the timing of surgery in children under 10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congenital scoliosis patients (N=18) under the age of 10 years at the time of surgery were treated by posterior hemivertebra resection and bilateral pedicle screw fixation. These cases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and had a minimum of 7 years of follow-up. We di- of follow-up. We di- follow-up. We di-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Group 1 (N=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before they were 6 years of age, and Group 2 (N=9) those who underwent surgery after they turned 6. We evaluated the radiological outcomes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the complication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ve time, blood loss, and follow-up period were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In Group 1, the mean Cobb’s angle of the main curve was 32.4° before surgery, 6.4° after surgery, and 9.1° at the last follow-up. In Group 2, the mean Cobb’s angle of the main curve was 36.5° before surgery, 10.4° after surgery, and 14.5°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significantly better deformity correction of the main curve immediate after the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in Group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rate of the vertebral body and spinal canal parameter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at the vertebra with or without screws. No crankshaft phenomena, no clinical or radiographic features suggestive of spinal stenosis during follow-up, and no major vascular or neurological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edicle screws were observed in

Page 10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0

either group. Conclusions: In congenital scoliosis patients, posterior hemivertebra resection following pedicle screw fixation before the age of 6 years led to significantly better deformity correction and did not cause a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vertebral body or the spinal canal than in the group treated after 6 years of age. Therefore, early surgical correction of a congenital hemivertebra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before structural changes occur, effectively achieves a more satisfactory correction without causing iatrogenic spinal stenosis or neurologic complications than in children older than 6 years but under 10 years of age. Keywords: Congenital scoliosis; Hemivertebra resection; Pedicle screw fixation; Growing spine; Immature spine

10세 이하의 선천성 척추 측만증에서 후방 도달 반척추 절

제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단분절 유합술후 나이에

따른 치료 결과 비교

장동균, 김진혁 임동주, 석세일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10세 이하의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후방 도달

반척추 절제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단분절 유합술후 수술

당시 나이에 따른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선천성 척추 측만증은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이고, 그 자연 경과를 예측 하기가 어려워 수술적 치료 시기

및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0세 이하의 선천성 척추 측

만증 환자에서 후방 도달 반척추 절제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

용한 단분절 유합술후 수술 당시 나이에 따른 수술적 치료결과

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보고 된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10세 이하의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로 후방 도

달 반척추 절제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단분절 유합술을

시행받고 7년 이상 추기가 가능한 20예를 후향적으로 조사 하였

다. 수술당시 나이가 6세이하인 군을 Group 1, 6세 이상인 군을

Group 2로 나누고 두 그룹간 방사선학적 지표 및 합병증을 비

교 분석 하였다.

결과: 주만곡의 교정은 Group 1에서는 수술전 32.4°에서 수술

후 6.4°, 최종 추시시 9.1°로 호전 되었고, Group 2에서는 수

술전 36.5°에서 수술후 10.4°, 최종 추시시 14.5°로 호전 되었

다. Group 1에서 Group 2에 비해서 수술후, 최종 추시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주만곡이 교정 되었다. 하지만 척추체 성장

(growth rate of vertebral body) 이나 척추관 지표(spinal canal

parameters) 에서는 두 수술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최종 추시 관찰 기간 동안 의인성 척추관 협착증

소견을 시사하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척추경 나사못과 관련된 주요 혈관 및 신경학적 합병증도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10세 이하의 선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치료에서 후방 도

달 반척추 절제술과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단분절 유합술은

의인성 척추관 협착증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지 않으면서, 유합

범위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이다. 6세 이전에 수술한 군

(Group 1)에서 주만곡의 유의한 교정 소견을 보였으나, 척추체

성장이나 척추관 치표과 관련된 부정적 영향은 관찰 되지 않았

다. 따라서 6세 이전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6세 이후에

수술하는 군보다 조기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가능성을 높이지

않으면서, 만곡의 변형을 좀 더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선천성 척추 측만증, 반척추 절제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미성숙 척추, 의인성 척추관 협착증

15S-082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Growing Rod Technique in Pediatric Scoliosis Patients

Hwan Mo Lee1, Hak Sun Kim2, Seong Hwan Moon1, Kyung Soo Suk2, Sung Yub Jin2, Pierre Mella2, Hyuk Jeon2, Jin Hee Baik2 Severance Hospital Seo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Gangnam Severance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a dual growing rod system through a prospective analysis by observing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nges and patient satisfaction in the case of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cent cases of rapidly progressing pediatric spinal deformity that do not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are treated with the growing rod system. This treatment is known to preserve the movement and growth of the spine while promoting curve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ediatric patients whose spinal deformities were treated with dual growing rods between 2010 and 2012, 11 subjects who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2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 age at the time of surgery, gender, diagnosis, follow-up period, and number; the extent of rods lengthening;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as clinical indicators.

Page 10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01

Radiological evaluations included measurements of the changes in the Cobb’s angle of the major curve, kyphotic and lordosis angles, and T1-S1 leng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urgery was assessed during the final follow-up. Results: A total of 11 subjects were observed including 8 males and 3 females whose average age at initial surgery was 10.9 years (7-14.9 years). There were 3 cases of neuromuscular scoliosis, 2 cases of idiopathic juvenile scoliosis, 2 cases of neurofibromatosis scoliosis, 1 case of spondyloepiphyseal dysplasia, 1 case of idiopathic juvenile osteoporosis, 1 case of scoliosis caused by spinal dysraphism, and 1 case of congenital scoliosis. The average number of lengthenings was 4 (1-9) with an average interval of 5.7 months (3-9 months) between lengthenings. The aver- months) between lengthenings. The aver-) between lengthenings. The aver-The aver-ver-age follow-up period was 43.5 months (25-58 months), and the growing rods were lengthened by 31 mm (7-55 mm) on average. Complications included 2 cases of rod breakage, 1 case of screw loosening, and 3 cases of deep and superficial soft tissue infection. 8 additional operations were performed. The average Cobb’s angle of the major curve was 71.3° (45°-144.3°) before the initial surgery or 34.0° (5.1°-93.4°)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kyphotic and lordotic angles were 32.6° (4.5°-79.1°) and 39.5° (11.4°-59.8°), respectively, before the initial surgery, and 15.7° (2.1-37.8) and 32.7° (17.2-54.2) at the final follow-up. T1-S1 was lengthened by 116 mm (67-165 mm) on averag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surgery in all 11 cases. Conclusions: All patients considered in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 in deformity and spinal growth, but additional surgery was performed because of the complications. The growing rod technique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achieving adequate stability and sustained spinal growth and correction at the same time, but improvement is necessary as it involves several operations and may cause certain complications. Keywords: Spinal deformity, Scoliosis, Dual growing rods

소아 척추 측만증 환아에서 성장형 금속봉 기법의 장기 추

시 결과

이환모1, 김학선2, 문성환1, 석경수2, 진성엽2, Pierre Mella2, 전 혁2, 백진희2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1, 연세대학교 강남 세브란스 정형외과2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이중 성장형 금속봉 기법을 이용하여 수술한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아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 방사선학 변

화, 환자 만족도를 관찰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최근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아에서 보존

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급격한 진행을 보이는 경우 성장형 금

속봉 기법을 사용한다. 이는 척추의 성장, 운동 등의 기능을 보

존하면서 교정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에서 장기 추시 후 보고한 경우는 없다.

대상 및 방법: 2010년~2012년까지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에 대

하여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환아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환아의 나

이, 성별, 진단명, 추시 기간, 금속봉의 연장 횟수, 연장 길이, 합

병증 및 추가수술 횟수, 척추 전장의 전후면, 측면 사진을 촬영

하여 주만곡의 cobbs각 변화 및 전만각과 후만각의 변화, 흉추

1번에서 천추 1번까지의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최종 추

시 시 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 8명, 여자 3명, 총 11명이었으며 최초 수술 시 평균

연령은 10.9세(7~14.9)였고, 진단은 신경근육병성 척추 측만증

이 3예, 특발성 연소기 척추 측만증 2예, 신경섬유종에 의한 척

추 측만증 2예, 척추 골단 이형성 1예, 특발성 연소기 골다공증

1예, 척추 유합 부전에 의한 척추 측만증 1예, 선천적 척추 측만

증 1예였다. 평균 금속봉 연장 횟수는 4회(1-9), 연장 간격은 평

균 5.7개월(3-9)이었다. 평균 추시기간은 43.5개월(25-58)이었

으며, 연장기간 동안 성장형 금속봉은 평균 31 mm(7-55)연장되

었다. 합병증은 금속봉 파손 2예, 금속나사 이완 1예, 심부 및 표

재 연부조직 감염 각 3예가 있었으며, 추가 수술은 총 8회 시행

하였다. 최초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주만곡의 Cobb 각의 평균은

각각 71.3°(45-144.3°), 34.0°(5.1-93.4)였으며, 최초 수술 전 및

최종 추시시의 전만각과 후만각의 평균은 각각 32.6°(4.5-79.1),

39.5°(11.4-59.8), 15.7°(2.1-37.8) 32.7(17.2-54.2)였다. 흉추1

번-천추1번의 길이는 평균 116 mm(67-165)연장 되었다. 환자

는 11예에서 모두 수술에 만족하였다.

결론: 성장형 금속봉 기법으로 수술 받은 모든 환아에서 기형의

호전 및 척추의 성장이 이루어졌지만 합병증으로 인한 추가적

인 수술이 필요하였다. 이중 성장형 금속봉 기법은 교정을 얻는

동시에 성장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며 적절한 안정성을 제공해

주는 유용한 치료법이나 수술 횟수가 많고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색인단어: 척추기형, 측만증, 이중 성장형 금속봉

Page 10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2

15S-106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rrection Rate Between Titanium-alloy and Cobalt-chrome-alloy Rod After Surgical Correction and Fusion Using Posterior Only Pedicle Screw Construct in Neuromuscular Scoliosis

Jae Hyuk Yang1, Seung-Woo Suh1, Si Young Park2, Jae Young Hong2, Jin Ho Hwang3, Hee Dong Lee1, Jung Woo Choi1, Soo Hyun Kim1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Guro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Yonsei University Shinchon Severance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In neuromuscular scoliosis correction surgery, we plann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rod materials. Objectives: To study the effect of rods made of titanium or cobalt chrome on neuromuscular scoliosis surgery (correction and posterior fusion).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us f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rod materials on scoliosis correction.Materials and Methods: 6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o have neuromuscular scoliosis and underwent surgery (cor- neuromuscular scoliosis and underwent surgery (cor-underwent surgery (cor-went surgery (cor-surgery (cor-(cor-cor-or-rection and posterior fusion) for the same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between 2011 and 2013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mong them, we performed correction and posterior fusion using rods made of cobalt chrome in 25 patients (CCM group) and using titanium rods in 36 patients (Ti group). Post-operatively, we measured the Cobb’s angle, coronal balance, clavicle angle, T1 tilt angle, thoracic angle, lumbar angle, and spinal vertical axis to compar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and to evaluate the amount of correction.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ex, age, type of scoliosis, fusion level, pelvic fixation, body-mass index (BMI), preoperative Cobb’s angle, coronal balance, clavicle angle, T1 tilt angle, thoracic angle, lumbar angle, and spinal vertical axis. The CCM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postoperative infection as compared to the Ti group. Conclusions: In the correction and posterior fusion using rods made of titanium or cobalt chrom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ion rate of the axial and coronal axes, but we notic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ostoperative infec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rod material used. Keywords: Neuromuscular scoliosis, Rod, Titanium, Cobalt chrome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단일 후방 접근법 및 척

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 변형 교정 후 Titanium 강봉과

Cobalt Chrome 합금 강봉이 교정에 미치는 영향

양재혁1, 서승우1, 박시영2, 홍재영2, 황진호3, 이희동1, 최정우1, 김수현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형외과1,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2,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의 수술에 있어, 단일 후방 접근

법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교정 술기 시에 강봉의 재

질(강도)이 측만 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강봉의 재질(강도)이 측만 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는 많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단일 후방 접근법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교정 수술 후 강봉의 재질이 척추 측만 교정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강봉의 재질(강도)이 측만 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본원에서 신경 근육성

척추 측만증 환자로 진단 후 척추 교정 수술을 받은 61명의 환

자를 대상, 이중 25명의 환자에서 Cobalt Chrome 합금 강봉

을 이용하여 교정을 시행하였고(CCM 그룹), 36명의 환자에서

Titanium 강봉을 이용하여 교정을 시행하였다(Ti 그룹). 전 환

자에서 단일 후방접근법 및 mono-axial 척추경 나사못을 사용

하였으며, 강봉회전술을 이용하여 교정을 시도하였다. 수술 전

후 교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관상면상 인자로 Cobb 각, 관

상면 균형, 쇄골각, 흉추 1번각을 측정하였으며, 시상면상 인자

로 흉추각, 요추각, 시상면 척추 균형를 측정하였다.

결과: 각 그룹의 교정율 비교을 하기 전 성별, 연령, 질환의 유

형, 유합 범위, 골반 고정의 유무, 신체 용적 지수(BMI, body

mass index) 및 수술전 Cobb’s 각에 대하여 비교를 하였으며,

비교상 두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P values of all factors>0.05).

두 그룹간 Cobb 각 교정율에서 차이는 없었다(p= 0.392). 이외

에 두 그룹간 관상면 균형, 쇄골각, 흉추 1번각 측정상 수술 전

후 차이는 없었다(p= 0.234, 0.373, 0.216). 시상면상 인자로 측

정한 흉추각, 요추각, 시상면 척추 균형에서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p= 0.208, 0.29. 0.471) 측정하였다. 술 감염의 비교에

있어서 CCM 그룹(0/25)의 경우 Ti 그룹(6/36)에 비하여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감염의 감소 소견을 보였다(p= 0.035).

결론: 단일 후방 접금법 및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교정시

Page 10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03

Titanium 및 Cobalt Chrome 합금 강봉간에 시상면 및 관상면

상 교정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사용하는 강봉의 종류에 따라 술

후 감염율의 차이를 보였다.

색인단어: 신경근육병증 척추측만증, 단일 후방 접근법, 합금 강

봉, Titanium, Cobalt Chrome

15S-022

Analysis of Scoliosis Surgeries: Experience of More Than 1,000 Cases at a Single Center

Choon Sung Lee, Jung Ki Ha, Dae Geun Kim, Jaehyoun Kim, Sunghun Choi, Chulgie Hong, Yoonsuk Joo, Chang Ju Hwang, Dong-Ho Lee, Jae Hwan Cho Asan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review of radiograph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the outcomes of surgical treatment for more than 1,000 cases of scoliosis at a single center, and (2) to reveal risk factors for poor outcom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urgical correction of scoliosis has been suggested as a useful techniqu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risk of decompensation or adding on phenomena if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urve characteristics or if it is failed to selection of levels of fusion.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262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scoliosis at a single center. All operations were conducted by a single surgeon (CS Lee). Specific diagnosis and the annual number of scoliosis operations were analyzed. For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the demographic data, curve types, changes in the scoliosis angle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periods, range of fusion, sacral slanting, shoulder height difference and coronal balance were assessed. Further, the adding on phenomena and decompensation were analyzed postoperatively and the related risk factors were revealed with a Student’s t-test. Revision surgery and complications were also analyzed.Results: The annual number of scoliosis operations has a continuously increasing trend. The number of AIS cases was 945. Of the patients with AIS, 807 (85.4%)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15.52 years, and the mean height was 159.31 cm. Type II was the most common (280 cases, 29.6%) in

King’s Classification, and 1AN, 1A-, 3CN, and 5CN were frequent in Lenke’s Classification. Most of the operations were posterior correction and fusion (934/945=98.3%). The mean preoperative scoliosis angle for the major curves was 57.34° (maximum 142°); it decreased to 11.89° postoperatively (correction rate: 79.2%). The T4-L3 level was most frequent range of surgery (23.9%). The mean sacral slanting was 1.58°, and the proportion of preoperative decompensation was 8.5%. The adding on phenomena occurred in 24 cases (2.8%) and correlated with the lowest instrumented vertebra. Postoperative decompensation was developed in 28 cases (3.2%). This correlated with taller height and higher upper instrumented vertebra. There were three cases of revision surgery. The complications were deep wound infection (1 case), lumbar radiculopathy (2 cases), pleural injury (2 cases), and SMA syndrome (2 cases). Conclusions: The overall outcome of AIS operations was good. Howeve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could be a risk of adding on phenomena or decompensation if the upper or lower fusion level selection was not appropriate, and there could be complications such as lumbar radiculopathy by a breach of pedicle screws.Keywords: Scoliosis; AIS;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Surgery; Outcome

단일 기관에서의 1,000예 이상의 척추 측만증 수술 분석

이춘성, 하정기, 김대근, 김재현, 최성훈, 홍철기, 주윤석, 황창주, 이동호, 조재환

서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단일 기관에서의 1,000예 이상의 측만증 수술의 결과

를 분석하고,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 인자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척추 측만증의 치료로서 수술적 교정은 매

우 유용한 방법이나, 만곡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정

확한 유합 범위 선택에 실패한다면, 대상 실조나 추체 추가 현상

의 위험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 2015년 2월까지 측만증으로 진단 받

고 수술 받은 환자 1,26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모두 단

일 술자(CS Lee)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진단명, 연간 수술 건수

를 분석하였고, 가장 흔한 청소년기 특발성 측만증(AIS) 환자 대

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및 만곡 형태(King분류, Lenke분류), 수

술 전후 각도 변화, 수술 범위, sacral slating, 어깨 높이 차이, 대

Page 10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4

상 실조 정도 등을 기술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결과로서, 추적

관찰 중 추체 추가 현상과 대상 실조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연관된 위험 인자를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한, 재수술과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척추 측만증 수술 건수는 연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

세를 보였으며, AIS로 진단된 945명 중 여자가 807명(85.4%)

였으며, 평균 나이는 15.52세, 평균 키는 159.31센티미터였다.

King 분류는 제 2형이 280예(29.6%)로 가장 흔했으며, Lenke

분류는 1AN, 1A-, 3CN, 5CN이 가장 흔하였다. 수술은 대부

분(934/945=98.8%) 후방 교정 및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주만

곡 기준 수술전 각도는 평균 57.34도(최대 142도), 수술후 각도

는 11.89도로 79.2%의 교정률을 보였다. 수술 범위는 T4-L3가

23.9%로 가장 흔하였고, sacral slanting은 평균 1.58도, 수술전

대상실조는 8.5%였다. 추체 추가 현상은 24예(2.8%)에서 있었

으며, 하위 유합 추체와 연관이 있었다. 술후 대상실조는 28예

(3.2%)에서 있었으며, 키가 클수록, 상위 유합 추체가 더 높을수

록 잘 오는 경향이 있었다. 재수술은 3예(0.4%)에서 있었으며,

합병증은 심부 감염 1예, 요추 신경근증 2예, 늑막 손상 2예, 상

장간막 동맥증후군 2예 등이 있었다.

결론: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수술적 치료는, 유합 범위

를 적절히 선택한다면 대부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하지

만, 상위나 하위 유합 추체 결정과 관련하여, 술후 추체 추가 현

상이나 대상실조의 위험성이 있고, 드물지만 척추경 나사에 의

한 요추 신경근증 등의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색인단어: 측만증; 청소년기 특발성 측만증; 수술; 결과

15S-107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xial Rotation Correction Rate Between Titanium-alloy and Cobalt-chrome-alloy Rod After Surgical Correction and Fusion Using Posterior Only Pedicle Screw Construct in Idiopathic Scoliosis with Double Curve

Jae Hyuk Yang1, Seung-Woo Suh1, Si Young Park2, Jae Young Hong2, Jin Ho Hwang3, Hee Dong Lee1, Jung Woo Choi1, Soo Hyun Kim1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Guro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1,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2, Yonsei University Shinchon Severance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rod material on the axial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 in idiopathic scoliosis patients with double scoliosi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usion.

Objectives: Recently, cobalt chrome-based instruments have been widely used, but there are not many clinical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ir use. Therefore,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rod material on the axial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cently, cobalt chrome-based instruments have been widely used,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clinical reports on the effects of their u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patients diagnosed with and treated for idiopathic scoliosis between 2011 and 2013, we chose those who had double scoliosis according to Suk’s classification for this study. 4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se patients, we tried posterior fusion followed by mono-axial screw fixation to correct the deformity only by axial rotation. Cobalt chrome rods were used in 16 patients and titanium rods in 29 patients. We checked the axial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 by computed tomography (CT). Axial rotation in the cases of thoracic and lumbar scoliosis was measured by using the methods developed by Aaro and Dahlborn, Krismer et al., and Gocen et al. Results: We compared the sex, age, preoperative Risser score, height, body weight, body-mass index (BMI), preopera-body-mass index (BMI), preopera-BMI), preopera-), preopera-, preopera-preopera-tive Cobb’s angle, range of fusion, and thoracoplasty and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oracic apical vertebra except when Krismer’s method was used (p=0.529, p<0.001, p=0.349), the same was true for the lumbar vertebra (p=0.101, 0.216, 0.125).Conclusions: There was no effect of the rod material on the axial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 in idiopathic scoliosis patients with double scoliosi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usion. Keywords: Idiopathic scoliosis, Double curve, Titanium, Cobalt chrome, Axial rotation

2중 만곡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단일 후방 접근법

및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 변형 교정 후 Titanium 강

봉과 Cobalt Chrome 합금 강봉이 만곡의 측방향 회전에

미치는 영향

양재혁1, 서승우1, 박시영2, 홍재영2, 황진호3, 이희동1, 최정우1, 김수현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형외과1,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2,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2중 만곡이 있는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단일

Page 10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05

후방 접근법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교정후 강봉의

재질이 만곡 첨부 척추체의 축상 회전 (axial rot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교정에 있어서 사용된 기

기는 측만 교정에 많은 영향을 준다. 그럼에도 최근 각광받는 코

발트 크롬 재질의 수술기구의 결과에 대한 임상보고가 많지 않

아 본원에서 교정수술 후 강봉의 재질이 만곡 첨부 척추체의 축

상 회전 (axial rot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최근 코발트 크롬을 재질로 이용한 다양한

수술 기구들이 개발되어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

결과에 관련한 선생 임상 보고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특발성 척추 측만증 진단

하에 치료를 받은 환자 중, Suk 분류상 2중 만곡인 환자를 대상

으로 하였다. 총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 환자에서

후방 단일 접근법 후 mono-axial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후 강봉

회전술만으로 교정을 시도 하였다. 이때 16의 환자에서 Cobalt

Chrome 합금 강봉을(CCM 그룹), 29의 환자에서 Titanium 강

봉을(Ti 그룹) 이용하여 교정을 하였다. 첨부 척추체(vertebrae

of apex)의 축상 회전의 교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술 전

후 CT 촬영을 시행하였다. 흉추 만곡 및 요추 만곡의 첨부 척추

체의 축상 회전을 측정법으로 Aaro and Dahlborn, Krismer et

al 및 Gocen et al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각 그룹의 교정율 비교을 하기 전 성별, 연령, 수술전

Risser 단계, 키, 몸무게, 신체 용적 지수(BMI, body mass

index), 수술전 Cobb’s 각, 유합 범위 및 늑골절제술 유무에

동질성 비교를 하였으며, 비교상 두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P

values of all factors >0.05). 흉부 첨부 척추체는 Krismer의 방

법을 제외하고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29, p<

0.001, p=0.349). 요추 첨부 척추체는 두 그룹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1, 0.216, 0.125).

결론: 2중 만곡을 가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강봉의 재

질에 따른 첨부 척추체의 축상 회전의 교정 차이는 발생하지 않

는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특발성 척추 측만증, 2중 만곡, Titanium, Cobalt

Chrome, 합금 강봉

15S-035

Selective Lumbar Fusion in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of Lenke Type 6C: Can it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Just as in Lenke Type 5C?

Choon-Ki Lee, Hyoungmin Kim, Guang Bin Zheng, Jae Hong Ha, Bong-Soon Chang, Doohyun Kwon, Jong- Hun Ju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review and comparison of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in 15 Lenke 5C and 11 Lenke 6C patients, treated with selective lumbar fusion. The minimum follow-up duration was 2 years with 84.6% of patients fulfilling this criter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selective lumbar fusion in patients with Lenke 6C with those of patients with Lenke 5C.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s the thoracic curve in Lenke 6C is considered to be a structural curve, it has been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fusion level with a lumbar curve. The response of the thoracic curve in Lenke 6C following selective lumbar fusion has not been studied.Materials and Methods: Thoracic and lumbar Cobb’s angles, tilt angle of the upper and lowermost instrumented vertebra (UIV and LIV), wedging angle of the intervertebral disc just distal to LIV, global coronal/sagittal balance, apical vertebral translation (AVT) of thoracic/lumbar curves, and shoulder height differences were measured. The SRS-22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t the most recent follow-up. Result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13.1 years and 14.7 years, with a mean follow-up duration of 5.5 years and 4.2 years in patients with Lenke 5C and 6C, respectively. The mean preoperative Cobb’s angle of the lumbar curves of 53.0° (5C)/60.4° (6C) was reduced to 14.4° (5C)/19.6° (6C) postoperatively and maintained at this value at the last follow-up. Thoracic Cobb’s angles also decreased from pre--up. Thoracic Cobb’s angles also decreased from pre-up. Thoracic Cobb’s angles also decreased from pre-’s angles also decreased from pre- angles also decreased from pre-pre-operative 26.4° (5C)/47.1° (6C) to 12.3° (5C)/29.9° (6C) postoperatively, but increased slightly to 14.4° (5C)/34.7° (6C) at the last follow-up. The UIV til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nke 6C group,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and was well maintained upon follow-up. Although thoracic AVT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Lenke 6C group pre- and postoperatively, the global coronal balance

Page 10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6

was well maintained in both groups. All other radiographic parameter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RS-22 scores at the final follow-up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patients of Lenke 6C, the unfused thoracic curv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selective lumbar fusion with comparabl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to those of the Lenke 5C patients. Considering its less invasiveness, selective lumbar fusion could be an alternative option to double curve fusion for the treatment of Lenke 6C scoliosis. Keywords: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Selective lumbar fusion, Lenke 5C, Lenke 6C

Lenke 분류 6C형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서 선택적 요추 유

합술은 Lenke 분류 5C형처럼 효과적인가?

이춘기, 김형민, 정광빈, 하재홍, 장봉순, 권두현, 정종훈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 중 선택정 요추 유합술을 시

행한 Lenke 분류 5C 형 15명과 Lenke 분류 6C형 11명의 최소 2

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한다.

연구목적: Lenke 분류 6C형에서 선택적 요추 유합술이 5C형과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와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Lenke 분류 6C형의 흉추 만곡은 구조적 만

곡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요추까지 유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

되어왔다. 하지만 선택적 요추 유합술 후 흉추 만곡의 변화에 대

해서는 아직 연구 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흉추 및 요추의 Cobb 각, 가장 위, 아래 고정 분절

의 tilt 각(UIV, LIV), 가장 아래 고정 분절 추간판의 wedge 각,

척추의 관상각 및 시상각, 요추 및 흉추 첨부 추체의 평행이동,

양측 어깨 높이를 측정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SRS-22를 사용하

였다.

결과: Lenke 분류 5C형과 6C형 두 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13.1

세, 14.7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각각 5.5년과 4.2년 이었다.

평균 수술 전 요추의 Cobb 각은 53와 60.4도 였으며 수술 후 최

종 추시시 14.4도와 19.6도로 감소하였다. 흉추 Cobb 각은 수술

전 26.4도와 47.1도에서 수술 후 12.3도, 29.9도로 감소하였으

나 최종 추시시 다시 14.4도 34.7도로 약간 증가 하였다. UIV tilt

각은 6C형에서 더 높았으나 수술 후 감소하여 최종 추시시까지

유지 되었다. 흉추 첨부 추체 이동 정도는 6C형에서 수술 전 후

모두 더 높았으나 척추 관상면 균형은 잘 유지 되었다. 모든 측

정 각은 5C형과 6C형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종 추시시 SRS-22 점수도 양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Lenke 분류 6C형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서의 선택적 요

추 유합술은 5C형에서의 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임상적 및 방

사선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선택적 요추 유합술은 6C형

에서 비교적 덜 침습적인 대안적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특발성 척추 측만증, 선택적 요추 유합술, Lenke 5C,

Lenke 6C

15S-023

Clinical Application of Smart Band In Diagnosis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Jae Hwan Cho, Jung Ki Ha, Chang Ju Hwang, Dong-Ho Lee, Mi Young Lee, So Jung Yoon, Han Bit Lee, Choon Sung Lee Asan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A prospective case control study.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smart bands in the diagnosis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ovement in patients with AIS has been studied using gait analysis. However, this requires specific equipment with a gait lab and manpower, which leads to high cost,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clinical settings. Materials and Methods: 20 patients with AIS who underwent surgery at our institution and 20 healthy volunte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for arm movement were collected using accelerator and gyro sensors in the smart b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walk naturally while wearing a smart band on the left and right wrist simultaneously. The velocity index (VI) and the gravity index (GI)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side-to-side difference of velocity and swing plane angle with respect to gravity. Both indic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each index and the other radiological parameters.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13.7 years (control: 14.3 years), and the mean scoliosis angle was 55.8°. Differences in both indi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p< 0.001).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both indices and the scoliosis angles (R=0.698 and R=0.795). Conclusions: Movement analyses using the smart band could be useful for diagnosing AIS because it is an easy, cheap, and

Page 10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07

noninvasive modality. Notably, it could have practical value for use in assessments of curve severity because the degree of asymmetric arm move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coliosis angle. Further studies of postoperative changes in a large population will be required to elucidate its diagnostic efficacy for AIS. Keywords: Smart band, Scoliosis, Accelerator, Sensor, Diag-mart band, Scoliosis, Accelerator, Sensor, Diag-Scoliosis, Accelerator, Sensor, Diag-coliosis, Accelerator, Sensor, Diag-Accelerator, Sensor, Diag-ccelerator, Sensor, Diag-Sensor, Diag-ensor, Diag-Diag-iag-nostic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진단에 있어서 스마트 밴

드의 임상적 활용

조재환, 하정기, 황창주, 이동호, 이미영, 윤소정, 이한빛, 이춘성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

연구목적: 최근 스마트 밴드의 출시로 보행시 손목의 움직임 정

보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저자들은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진단

에 어떤 도움이 될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청소년기 측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 있어

서 실제 움직임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보행 분석을 통해 이루어

져 왔다. 하지만 보행 분석은 넓은 공간과 많은 장비, 인력을 필

요로 하며 이로 인해 검사비 자체가 고가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

에 제한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보행 분석의 진단적 가치에 있

어서는 논란이 있어서 임상적 적용에 있어 그 한계가 있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7월 1일부터 2014년 8월 31일까지 본원에

서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으로 수술받은 환아 20명과 비

슷한 연령대의 건강한 자원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스마트 밴드는 Zikto㈜에서 개발한 모션 분석 알고리즘을 삼성

의 갤럭시 기어에 부착한 것이며, 이를 양측 손목에 동시에 차고

자연스럽게 20 m 가량 보행한 후,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에서

나온 결과값을 분석하여 좌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

은 가속도, 각속도계를 적분하는 과정을 통하여 얻은 속도 및 중

력방향에 대한 팔 움직임 면의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좌우

의 차이값인 velocity index (VI)와 gravity index (GI)를 계산하

였으며, 두 군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

서 각각의 index와 측만각, 대상실조 정도, 어깨 높이 차이와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군의 평균 나이는 13.7세, 수술 전 평균 측만각은

55.8도 (45~74도)였다. 20 mm 이상의 대상실조를 보인 경우는

3예에서 있었으며, 어깨 높이는 9.7 mm 우측이 높았다. 이상점

(Outlier) 2예를 제외한 결과,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VI와 GI

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VI/GI와 측

만각은 강한 양의 상관 관계(R=0.698, 0.795)를 보였으나, 다른

방사선학적 인자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청소년기 특발성 측만증에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동작

분석은 간편하고, 저렴하며, 비침습적이고 보행시 좌우 팔의 동

작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특히 좌우 비대칭 정도

를 나타내는 점수(VI, GI)는 측만각, 어깨 높이 차이와 비례 관

계에 있어 척추 측만증의 진단에 있어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추후 스마트 밴드의 임상적 가치 평가를 위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를 검증하고, 수술 후 변화 정도를 연구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스마트 밴드, 측만증, 가속도, 센서, 진단

15S-016

Quantitative Analysis of a Spine Surgeon’s Learning Curve for Scoliosis Surgery in a Single Surgeon’s Practice

Jin Ho Hwang, Hwan Mo Lee, Seong Hwan Moon, Jae Ho Yang, Keun Jung Ryu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h time taken for scoliosis surgery is usually very long and can increase the risk of wound infection and pulmonary complications from general anesthesia. Although it may considerably depend on the surgeon’s experience, thus far, a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surgeon’s learning curve for scoliosis surgery has not been documented well in the literature.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1) whether the time taken for scoliosis surgery has a significant decreasing tendency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such cases handled by the surgeon and (2) at what point in time it would stabilize.Materials and Methods: 47 consecutive scoliosis surgeries performed by a single spine surgeon between April 2011 and June 2014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overall surgical time was recorded for all cases. The surgical time of each case was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regression to deter-was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regression to deter-deter-mine whether it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 whether it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whether it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 it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 the total num-total num-ber of such cases handled by the surgeon, whether this tre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hether the surgical time gets stabilized at a certain time point. Results: The overall surgical time was 345.8±102.5 min. I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such cases

Page 10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08

handled by the surgeon, and this trend was significant (p< 0.001, r=-0.75). It continued to decrease and was stabilized when the surgeon operated on about 24 cases of scoliosis surgery (we defined “stabilized” as the most sharp change point in the nonparametric regression smoothing curve with a span of 100%). Conclusions: We found the spine surgeon’s learning curve in which the surgical time exhibi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cases handled by the surgeon and is stabilized when the surgeon operated on about 24 cases of scoliosis surgery. Keywords: Scoliosis, Surgical time, Learning curve, Spine surgery

척추측만증 수술에 대한 척추외과 의사의 학습곡선에 대

한 정량적 분석

황진호, 이환모, 문성환, 양재호, 류근정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척추 측만증 수술은 매우 긴 수술 시간을 요하며, 이

로 인한 창상 감염, 긴 마취로 인한 폐 합병증 등, 수술로 인한

합병증이 적지 않다. 척추 측만증의 수술 시간은 상당히 수술 의

사의 경험에 의존하는데, 이에 대한 수술 의사의 학습곡선에 대

한 연구는 문헌에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척추 외과학을 전공한 의사에서 측만

증 수술 시 (1) 수술 케이스가 늘어감에 따라 수술 시간이 어떠

한 유의한 추이를 가지고 감소하는지, 그리고 (2) 어느 시점에서

감소하는 추이가 일정하게 안정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본원에서 시행

한 척추 측만증 수술 4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척

추외과학을 전공한 단일 수술의사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매 수

술시 수술 시간을 측정하였다. 비모수적 회귀분석법을 이용하

여 수술 시간이 수술 케이스가 늘어감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지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수술 시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측만증 수술에 대한 집도의의 학습곡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척추 측만증 수술 시간은 평균 345.8±102.5 분이었다. 수

술 케이스가 증가함에 따라 수술 시간은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

으며, 이러한 추이는 유의하였다(p<0.001, r=-0.75). 수술 시간

은 감소하다가 수술 의사가 약 24케이스 정도를 수술 했을 때부

터, 그 시간이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저평부를 이루었다.

결론: 척추 외과학을 전공한 의사에서 척추 측만증 수술 시 수술

시간은 집도의의 학습곡선이 존재하였으며, 이는 수술 케이스

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약 24케이스 정도의 척추 측만증

수술을 했을 때부터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추이를 보였다.

색인단어: 척추 측만증, 수술 시간, 학습 곡선, 척추 외과학

15S-025

Comparison of Prediction Methods for Postoperative Sagittal Alignment in Spinal Deformity Patients

Jaewon Lee, Ye-Soo Park Guri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 different methods to predict the degree of spine alignment correction for adult patients who have spine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the case of a sagittal plane imbalanced patient who underwent surgery, the Lafage method has a high predictive value using a segment compensation mechanism and pelvis indices including pelvic til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7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spine deformity correction 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07. The par-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07. The par- January 2007 and July 2007. The par-and July 2007. The par- July 2007. The par-The par-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ankylosing spondylitis (AS) group and the non-AS group. Patients who also had scoliosis, those who did not undergo correction surgery, and those who did had whole spine lateral X-ray results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measurement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s a result, 24 AS patients and 8 non-AS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hole spine lateral X-ray was taken before and 1 month after surgery, and the thoracic kyphotic angle, sacral lordotic angle, sagittal plane, and pelvic indices were measured. When predicting the degree of correction, by using a computer stimulator program called Surgimap Spine (Nemaris Inc., USA) and Lafage-supported methods, we found that one directly show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X-ray images and the other calculated the numerical postoperative chang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analyzed for each method.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45.6 years (37.7 years for AS patients and 69.4 for non-AS patients). There were 22 male patients and 10 female patients. In the AS group, there were 21 males and 3 females, and in the non-

Page 10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09

AS group, there were 1 male and 7 females. In the AS patient group, when the degree of correction was predicted with the Surgimap and Lafage method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15.4% and 20%, respectively,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90.9% and 100%, respectively. In the non-AS patient group,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0% and 0% for the Surgimap and Lafage methods respectively,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3.3% and 85.7%,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Lafage method and Surgimap showed low positive predictive values and appeared to be inappropriate for a postoperative prediction in both AS patients and non-AS patients. Surgimap performed better than the Lafage method; it improved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a preliminary showing of the postural change. Keywords: Spine deformity, Sagittal plane, Surgimap, Lafage

척추 변형 환자에서 수술 후시상면 정렬의 예측 방법의 비교

이재원, 박예수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척추 변형을 가진 성인 환자를 교정 수술 시 수술 전

교정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방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Lafage의 방법은 시상면 불균형 환자의 수

술 시 비유합 분절의 보상기전과 골반기울기를 포함한 골반지

표들을 이용하여 높은 예측도를 가진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척추 변형으로

수술을 시행한 성인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강직성 척추염(AS)

환자군과 비 강직성 척추염(non-AS)환자군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 측만증이 동반된 경우, 교정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전

척추 측면 단순방사선영상이 계측에 부적합한 경우를 모두 제

외하였다. 이로써 AS 환자군은 24명, non-AS 환자군은 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술전, 수술 1개월 후 전척추 측면 단순방

사선촬영을 시행하였고 수술 전후 각각 흉추후만각, 요추 전만

각, 시상수직축, 골반지표를 측정하였다. 교정 예측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Surgimap Spine (Nemarisinc.,USA)과

Lafage가 주장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urgimap은 교정

수술 전후의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Lafage방법은 수

술 후의 각변화를 수치로 나타내어 준다. 각각의 결과에 대하여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와 음성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를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45.6세 이었으며 AS 환자군은 37.7

세, non-AS 환자군은 69.4세이었다. 남자는 22명, 여자는 10명

이었으며 AS 환자군은 남자 21명, 여자 3명, nonAS 환자군은

남자 1명, 여자 7명이었다. AS 환자군에서 Surgimap과 Lafage

의 방법을 이용한 교정 예측 시 각각 PPV는 15.4%, 20% 였으며

NPV는 90.9%, 100% 이었다. Non-AS 환자군에서 Surgimap과

Lafage의 방법을 이용한 교정 예측 시 각각 PPV는 0%, 0% 였으

며 NPV는 83.3%, 85.7% 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lafage의 방법과 surgimap을 이용한 예측

이 AS 환자군 및 nonAS 환자군 모두에서 낮은 양성 예측도를

보이며 예측 방법으로서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surgimap은 환자에게 수술 전후의 교정 변화를 보여주고 환자

의 수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lafage의 방법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색인단어: 척추 변형, 시상수직축, Surgimap, Lafage

15S-009

Late Onset of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 in Severe Angular Kyphosis Related to Tuberculosis Spondylitis Late Onset of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 in Severe Angular Kyphosis Related to Tuberculosis Spondylitis

Kee-Yong Ha, Young-Hoon Kim, Sang-Il Kim Seoul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Tuberculosis (TB) of the spine is still a common disease, and conservative treatment with chemotherapy is mainstay treatment. However, kyphosis and delayed neurological compromises are recognized as challenging problems in cases of TB spondylitis.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late onset of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 and surgical outcomes in severe angular kyphosis related to TB spondylit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0 and 2011, 36 patients who presented with severe angular kyphosis due to post-TB spondylit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suffered from a late onset of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s. The causes of these neurological deficits were classified with respect to the levels of the responsible lesions. Group A (n=25, 69.4%) included patients who developed neurological deficits at the lesion of severe angular kyphosis. Group B (n=11, 30.6%) included patients who developed neurological symptoms at the extra-lesion, which was cephalad or caudal in nature, caused by severe angular kyphosis. Surgical

Page 11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10

intervention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and conservative treatments in 13 patients.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ASIA) impairment scale. Results: The late onset of neurological deficits was related to various causes including cord compression, pure cord distraction, and stenosis and instability above or below the level of angular kyphosis such as clinical adjacent segment pathology (CASP) and nonunion. Neurological symptoms recovered from a non-ambulatory (ASIA impairment scale A/C) to ambulatory (ASIA D/E) status in 4 of 9 (44.4%) patients at the cord level after surgical intervention. However, 2 of 10 (20.0%) patients displayed improved ASIA impairment scale at the cord level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was noted in two patients and postoperative mortality in one patient as complications related to surgical intervention. Conclusions: The causes of neurological deficits in healed TB varied. Spine surgeons should be aware that the causes of paraplegia should be precisely evaluated to avoid unnecessary surgery. Surgeons can use this study to help select a less complex treatment if equivalent results can be expected.Keywords: Healed tuberculosis, Angular kyphosis, Neurological deficit, Causes

결핵성 척추 후만변형 후 지연성 신경학적 합병증

하기용, 김영훈, 김상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척추결핵은 아직까지 드믈지 않은 질환으로 내과적

치료가 우선적 치료이나 후만변형 및 지연성 신경학적 합병증

의 발생은 중요한 합병증으로 인식되고 있다.

연구목적: 척추 결핵으로 인한 심한 각 후만 변형 환자에서 진행

성 신경 증상이 지연 발현되는 원인과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척추 결핵 후 심한 각 후

만 변형 및 신경학적 합병증이 발생한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소견 및 영상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하였다. 신경 증

상의 원인이 되는 분절에 따라, 각 후만 변형이 나타난 분절에

서 신경 증상이 발생한 경우(25예, 69.4%)를 A군, 각 후만 변

형 분절이 아닌 분절에서 신경 증상이 나타난 경우를 B군(11예,

30.6%)으로 분류하였다. 23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13예에서

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 결과는 미국척수손상학회

(ASIA)의 장애 척도 및 영상학적 지표로 평가하였다.

결과: 신경 증상의 지연 발현은 후만변형의 첨부에서의 척수 압

박이나 신연에 의한 경우 및 후만변형 첨부의 인접 분절 질환 및

불유합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병변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임상

적 결과로는 보행이 불가능했던 환자(ASIA 장애 척도 AC)가 보

행이 가능하도록 회복된 경우(ASIA 장애 척도 D, E)는, 수술적

치료를 받은 9예 중 4예에서(44.4%), 보존적 치료를 받은 10예

중 2예(20.0%)에서 관찰되었다. 수술적 치료에 의한 합병증은

신경학적 소견의 악화 2예 및 사망이 1예 이었다.

결론: 척추 결핵 후 발생하는 신경 증상의 원인은 다양한데, 불

필요한 수술을 피하기 위해 하지 마비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

하여야 하며, 여러 가지 치료 방법들이 비슷한 결과가 예상될 때

덜 복잡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야한다.

색인단어 : 결핵, 각 후만 변형, 신경 증상, 원인

15S-018

Posterior-only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ith Perioperative Halo-Pelvic Sling Traction in the Treatment of Severe Scoliosis and Kyphosis

Jung-Ki Ha, Choon Sung Lee, Jae Hwan Cho, Chang Ju Hwang, Dong-Ho Lee, Jaehyoun Kim, Sunghun Choi, Chul Gie Hong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posterior-only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ith perioperative halo-pelvic sling traction (HPST)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for severe scoliosis and kypho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e scoliosis and kyphosis can increase the risk of neurologic deficit by rapid correction and can require several operations including an anterior-posterior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view of 18 patients with severe scoliosis and kyphosis (average: 121.3°; range: 102°-139°). Patients were operated using posterior-only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ith perioperative HPST. Patients who used the traction for at least two weeks (mean: 3.2 weeks; range: 2.0-3.8 week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adiograph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traction,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the last follow-up were

Page 11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1

compared; these parameters included the major coronal curve magnitude, apical vertebral translation, T1-S1 length, and major sagittal curve magnitude. Short- and long-term complications and HPST-related complications were noted in each case. Results: Radiographic outcomes after surgery were compared to before the traction.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major coronal curve (82.2°±21.3°, 69.2%), in the apical vertebral translation (54.3±12.8 mm, 53.8%), in T1-S1 length (76.6±23.6 mm, 24.0%), and in the major sagittal curve (30.6°±12.1°, 60.8%). These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at the final follow-up, and there were no revision surgery. Traction-related complications included 1 skull penetration and 1 cranial nerve palsy (abducens nerve). None of them were permanent neurological complications. Conclusions: The use of perioperative HPST can provide good correction and balance by one-staged posterior-only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and permanent neurologic deficit in patients suffering from severe scoliosis and kyphosis. Keywords: Scoliosis, Kyphosis, Halo traction, Pelvic sling, Pedicle screw

중등도 척추 측만 및 후만증의 치료로서 Halo-Pelvic Sling

견인을 이용한 단일 후방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하정기, 이춘성, 조재환, 황창주, 이동호, 김재현, 최성훈, 홍철기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척추 측만 및 후만증에서 Halo-Pelvic Sling 견인을

이용한 단일 후방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분석을 통해 안전성 및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중등도 척추 측만 및 후만증에 대한 수술 시

급속 교정은 신경학적 이상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경

우에 따라서는 전후방 접근을 통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

다. 견인의 효과에 대해서는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Halo-Pelvic

Sling 견인을 이용한 단일 후방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에 대한 연

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중등도 측만 및 후만증(평균 측만각 121.3°; 범위

102-139°)을 가진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환자

는 수술 전과 수술 중에 Halo-Pelvic Sling 견인 시행 후 단일 후

방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견인 기간은 평균 3.2주

(2.0~3.8 주) 였으며 최소한 2주이상 견인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포함하였다. 견인 전후, 수술 후 및 마지막 추시 상 방사선학적

지표로서 관상면상 주곡선 각도, 첨부 추체의 전이 정도, 흉추 1

번- 천추 1번간 거리, 시상면상 주곡선 각도를 측정하였고, 급

성, 만성 및 Halo-Pelvic Sling 견인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과: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를 견인 전과 비교하였다. 관상

면상 주곡선의 각도는 평균 82.2±21.3° 감소하였으며, 견인 전

과 비교하여 69.2% 교정되었다. 첨부 추체의 전이 정도(54.3±

12.8 mm, 53.8%), 흉추 1번-천추 1번간 거리(76.6±23.6 mm,

24.0%), 시상면상 주곡선 각도 (30.6±12.1°, 60.8%)도 견인 전

과 비교하여 교정된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마지막 추시까지 유

지되었고 재수술이 필요하였던 환자는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Halo 나사못 삽입시 발생한 두개골 관통 1예, 견인 중 발생한 뇌

신경(외전 신경) 마비 1예가 있었으나, 영구적인 신경학적 합병

증은 없었다.

결론: Halo-Pelvic Sling 견인은 중등도 척추 측만 및 후만증 환

자에서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 등의 중요 합병증 없이 1단계

단일 후방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만으로도 기대할만한 교정 및

균형울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측만증, 후만증, 할로 견인, 골반 슬링, 척추경 나사못

POSTER

15S-088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from Sequestrated and Sontained Disc Materials in Patients with Sequestrated Lumbar Disc Herniation

Young-Yul Kim1, Han-Vit Kang1, Dojoon Park2, Kee-Won Rhyu2

Daej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Orthopedic Surgery1, St. Vincent’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Orthopedic Surgery2

Study design: In vitro laboratory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from sequestrated and contained disc materials in patients with sequestrated lumbar disc herni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MPs have been known to play major roles in disc degeneration by changing collagens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MMP9, MMP12, etc.).

Page 112: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12

Materials and Methods: The sequestrated and contained disc materials were removed in seven patients with sequestrated lumbar disc herniation and neurologic deficits. The materials from the contained discs were categorized as Group 1, and those of the sequestrated discs were categorized as Group 2. Immunochemistry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tissues of both groups. The expressions of MMP 2, 3, 9, and 12 were check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amount of expression of each MMP was estimat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expressed cells in high-power fields. The estimated expressions in both group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In the histologic study, the definit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of MMP2 and MMP3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ressions of MMP9 and MMP12 clearly increased in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stimated expressions of MMP2 and MMP3 between the two groups (p>0.05). In the cases of MMP9 and MMP12, the estimated expression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2 (p<0.05).Conclusions: No definit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xpressions of MMP2 and MMP3 between the two group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autoresorptions were not processed actively at the time of surgery.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of MMP9 and MMP12 in the sequestrated disc materials imply that the degeneration and inflammation processes in the early stage of disc herniation were more active in the sequestrated disc materials than in the contained disc materials. Keyword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Lumbar, Disc herniation, Sequestrated disc

격리형 추간판 탈출증에서 격리된 수핵 조직과 섬유륜 내

부의 수핵 조직간에 Metrix Metalloproteinase 발현정도

의 차이

김영율1, 강한빛1, 박도준2, 유기원2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정형외과1,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2

연구계획: In vitro 실험 연구

연구목적: 격리형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섬유륜 내부의 수핵

과 외부로 격리된 수핵의 MMP 발현량의 차이와 그 의미를 알아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추간

판을 구성하고 있는 교원질 및 세포외 기질의 변화에 관여하

여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 인자로 알려져 있으

며(MMP9, MMP12 등), 추간판의 자연소실 기전에서도 주위의

cytokine등을 동원하여 추간판의 apoptosis와 자연소실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MP2, MMP3 등).

대상 및 방법: 7예의 신경증상을 동반한 격리형 추간판 탈출

증 환자에 대해, 수핵 제거술 시에 섬유륜 내부의 수핵과 외

부로 격리된 수핵을 제거하였다. 섬유륜내 수핵조직을 1

군, 격리된 수핵을 2군으로 정하여 각 군의 수핵조직에 대해

immunohistochemistry 검사를 시행하여 MMP2, 3, 9, 12의 발

현을 측정하였다. 발현 측정은 일차로 형광현미경 검사를 시행

하여 발현정도를 비교하였고, 고배율 조직검사에서 각 MMP의

발현이 양성으로 보이는 세포의 비율을 %로 표기하여 정량화한

뒤 각 군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검사 결과 두 군간에 MMP2와 MMP3은 발현에 큰 차

이가 없었으며, MMP9와 MMP12는 제 2군에서 발현이 크게 증

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군에 대한 MMP의 발현량을 정량화

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MMP2와 MMP3은 두 군간에 의

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MMP9와 MMP12는 제 2군에

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추간판의 자연소실에 관여하는 MMP2와 MMP3은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증상발현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고

려할 때 아직 자연소실 과정이 활발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측

된다. 격리 수핵조직에서 MMP9과 MMP12가 증가하는 것은 추

간판 탈출 후 초기에 주위 조직에 의해 염증 및 퇴행과정이 활성

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단어: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요추, 추간판 탈출

증, 격리형 탈출

15S-013

Cervical Spondylolisthesis Combined with Lumbar Spondylolisthesis

Moon Soo Park, Jae-Hoo Lee, Kyung Won Song, Jin Young Lee, Ho Guen Chang, Young Woo Kim, Yong Chan Kim, Kook Jin Chung, Jae Hyuk Shin, Tae-Hwan Kim Medical College of Hallym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Retrospective radiologic study.

Objectives: The spondylolistheses in the lumbar and cervical spine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degeneration of discs. However, the incidence of spondylolistheses in the lumbar and cervical spine might be different because of the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the lumbar and the cervical spine.

Page 113: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3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co-existence of cervical and lumbar spondylosi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 co-existence of cervical and lumbar spondylolisthesis. The purpose is to identify concurrent cervical spondylolisthesis in patients with lumbar spondylolisthesi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co-existence of cervical and lumbar spondylosis.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2,529 pa-tients over 50 years of age who had both cervical and lumbar lateral radiographs taken with the patients in the standing posture as part of their workup for neck or back pain, or ra-diating arm or leg pain, between February 2006 and August 2012. Patients with a non-degenerative disease (trauma, in-fection, tumor, deformity, or inflammation) or with a history of previous spine surgery in the lumbar and cervical spine were excluded.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1,410 females and 1,119 males. They were composed of 1,172 patients in their 50s, 675 in their 60s, 512 in their 70s, 155 in their 80s, and 15 in their 90s. The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defined with more than one grade of the Meyerding method in the lateral radiograph taken with the patient in the standing posture, and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defined with greater than 2 mm of displacement in the lateral radio-graph with the patient in the standing posture.Results: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found in 148 patients (5.9%), and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found in 202 patients (8.0%). Twenty-one patients had both cervical and lumbar spondylolisthesis (0.8%). The lumbar spondylolisthe-sis is a risk factor for the co-existence of cervical spondylo-lithesis (odds ratio of 1.933).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the female patients than in the male patients with an odds ratio of 2.297. In contrast, in the case of cervi-cal spondylolisthesis, no gender-depende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urther, in the case of lumbar spondylolisthesis, no age-depende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ntrast,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older patients. Conclusions: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cervical spon-dylolithesis in patients with lumbar spondylolisthesis.Keywords: Spondylolisthesis, Lumbar spine, Cervical spine

요추전방전위증과 동반된 경추전방전위증

박문수, 이재후, 송경원, 이진영, 장호근, 김영우, 김용찬, 정국진, 신재혁, 김태환

한림대학교 정형외과

연구계획: 방사선학적 영상 고찰에 대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요추전방전위증과 경추전방전위증은 추간판의 퇴행

성 변화에 의하여 시발되는 것으로 추정되나, 요추와 경추의 해

부학적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두 질환의 진행이 동일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추의 퇴행성 척추염과 경추의 퇴행성 척추

염이 같이 동반되어 발생하였다는 연구는 과거에 보고된 바가

있다. 그러나, 요추전방전위증을 가진 환자에서 경추전방전위

증이 동반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

은 요추 전방전위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 경추 전방

전위증이 동반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추의 퇴행성 척추염과 경추의 퇴행성 척

추염이 같이 동반되어 발생하였다는 연구는 과거에 보고된 바

가 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 1일부터 2012년 8월 10일까지 본원

에서 경추통, 요추통, 상하지의 방사통에 진단 목적으로 요추

및 경추 부위에 기립위 단순방사선 검사를 둘다 시행한 50세 이

상의 환자 2,5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추와 경추 부위에 퇴

행성 질환이 아닌 외상, 감염, 종양, 변형, 염증, 척추 수술의 과

거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남자는 1,119명이며 여자는

1,410명이었다. 50대는 1,172명, 60대는 675명, 70대는 512명,

80대는 155명, 90대는 15명이었다. 요추전방전위증은 기립위

단순방사선영상에서 Meyerding 방법을 사용하여 grade 1이상

인 경우 진단하였으며 경추전방전위증은 기립위 단순방사선영

상에서 2 mm 이상의 전위가 보이는 경우 진단하였다.

결과: 요추전방전위증은 148명에서 관찰되었으며(5.9%) 경추

전방전위증은 202명에서 관찰되었다(8.0%). 요추전방전위증

과 경추전방전위증은 21명에서 같이 관찰되었다(0.8%). 요추전

방전위증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하여 경추전방전위증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odd ratio: 1.933). 요추전방전위증은 남자

보다 여자에서 더 흔하였으나(odd ratio: 2.297), 경추전방전위

증은 남녀의 발생 비율이 비슷하였다. 요추전방전위증은 각 연

령군에서 비슷하게 발생하였으나, 경추전방전위증은 고령의 연

령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 요추전방전위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경추

전방전위증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색인단어: 전방전위증, 요추, 경추

Page 114: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14

15S-085

A novel Comprehensive MRI Classification System for Cervical Foraminal Stenosis

Sang-Hun Lee1, So-Young Park2, Kyung-Chung Kang3, Sang-Phil Hwang1, Soo-Jin Jang1, Jung-Hee Lee3, Ki-Tack Kim1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Orthopedic surgery1,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Radiology2,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3

Study design: A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To propose a novel, comprehens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lassification system for cervical foraminal stenosis (CF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cervical radiculopa-thy originating from CFS is very common,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on hot to describe the shape and degree of CF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50 con-secutive patients (400 cervical foramina, from C3/4 to C6/7) who had cervical radiculopathy with CFS and underwent MRI including T2 axial (T2Ax) and T2 oblique sagittal imaging (T2Obl-sag). Two independent reviewers blindly classified the CFS by using the authors’ classification system. (1)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T2Ax were divided into A: no stenosis, B: focal type (compression area < 50% of foramen length), or C: diffuse type (compression area > 50% of foramen length). (2) Degree of nerve root compres-sion was graded on both T2Ax and T2Obl-sag. On T2Ax, the grade was 0 (no compression), 1 (compression of the nerve root<50% of the extraforaminal root diameter), or 2 (>50% compression). On T2Obl-sag, the grade was 0, 1 (compres-sion does not pass the midline of interpedicular space), or 2 (compression passes over the midline or severe nerve root deformation). The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two set-tings on the same foramen: setting 1-T2Ax only (both mor-phology and degree of compression) and setting 2-using both T2Ax (morphology) and T2Obl-sag (degree of compression) separately. Inter- and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morphology (A, B, or C), degree of nerve root compression (0, 1, or 2), and classified types (A0�C2) were analyzed using kappa sta-–C2) were analyzed using kappa sta-C2) were analyzed using kappa sta-tistics. Results: Morphological grade on T2Ax: the intraobserver re-liability is perfect (κ=0.81-0.92)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is substantial (κ=0.67�0.88). The degree of the nerve root compression showed almost perfect intraobserver reliability on T2Ax (κ=0.79-0.91) and perfect on T2Obl-sag (κ=0.89�0.94).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the degree of nerve root compression was higher for T2Obl-sag (κ=0.69-86) than for T2Ax (κ=0.55-0.80). Based on the authors’ classification system, a total of five types of CFS were classified (A0, B1, B2, C1, and C2). Intraobserver reliability between the clas-sification using settings 1 and 2 was almost perfect (κ=0.92-0.94). However,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higher for the classification using setting 2 than for that using setting 1 (κ=0.83:0.63).Conclusions: The authors’ novel classification system could be a simple and reliable system to evaluate both the shape and the degree of CFS by using T2 axial images with/without OS images. The use of T2 OS images in combination with T2 axial images showed better results for grading the degree of nerve root compression than the use of axial images only. The relevance of this system with clinical findings and treat-ment strategy needs to be studied further. Keywords: Cervical foraminal stenosis, Classification system, MRI, Oblique sagittal image

경추 추간공 협착의 새로운 포괄적 MRI 분류

이상훈1, 박소영2, 강경중3, 황상필1, 장수진1, 이정희3, 김기택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2,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3

연구계획: 경추 MRI 영상을 이용한 단면연구

연구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의 새로운 신뢰성 있는 포괄적 MRI

분류법을 제시하며, 임상가 및 연구자 간의 정보교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경추의 신경근병증을 유발하는 추간공 협

착은 임상적으로 흔하지만 형태와 신경압박의 정도를 명확히

기술하는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경추의 신경근병증으로 MRI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T2 축상면(T2Ax) 및 사위시상면영상(T2Obl-sag)을 얻은 50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3/4부터 C6/7까지 총 400 경추

추간공을 10년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는 두 명의 독립적

인 측정자 (척추외과의 및 척추영상의학 전문의)가 임상정보 없

이 저자들의 분류방법에 따라 분류를 시행하였다. 저자들의 분

류법은 (1) 형태학적 분류를 T2Ax에서 추간공 길이를 구추관절

내측에서 척추동맥까지로 하여, A: 협착이 없슴, B: 국소형(추

간공 길이의 50% 미만의 압박), C: 미만형(추간공 길이 50% 이

Page 115: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5

상의 압박)로 (2) 신경근 압박 정도는 T2Ax와 T2Obl-sag 두 영

상에서 분류하였는데 T2Ax에서는 척추동맥 후방의 신경근 직

경을 기준으로 0: 압박이 없슴, 1: 50% 이하의 압박, 2: 50% 이

상의 압박으로 하였고, T2Obl-sag에서는 상하 척추경의 중앙을

지나는 선을 기준으로 0: 신경근 압박이 않음, 1: 신경근을 압박

하지만 중앙선을 지나지 않음, 2: 중앙선을 지나거나 전, 후방의

심한 압박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동일한 추간공에 T2Ax에서만

판정한 setting 1과 형태는 T2Ax, 압박정도는 T2Obl-sag을 사

용하여 분류한 setting 2로 두 번 분류하였다. 관찰자 간 및 관찰

자 내 신뢰도를 kappa 통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 T2Ax에서의 형태학적 분류: 관찰자 내 신뢰도는 per-

fect perfect (κ=0.81-0.92), 관찰자간 신뢰도는 substantial (κ

=0.67-0.88)을 나타내었다. (2) 신경근압박의 정도의 관찰자내

신뢰도는 T2Ax(κ=0.79-0.91)과 T2Obl-sag(κ=0.89-0.94)에서

perfect를 나타내었고, 관찰자간 신뢰도는 T2Ax(κ=0.55- 0.80)

보다 T2Obl-sag(κ=0.69-86)에서 더 높았다. 저자들의 분류방

법으로 A0, B1, B2, C1, C2의 5가지 형태가 분류되었고, 관찰자

내 신뢰도는 setting 1과 2 모두 perfect (κ=0.92-0.94) 였으나

관찰자간 신뢰도는 setting 1 보다 2가 높았다(κ=0.83:0.63).

결론: 저자들의 새로운 경추 추간공 협착의 분류방법은 단순하

고 신뢰성이 높았으며, 축상영상만 있는 MR에서도 분류가 가능

하였지만, 사위시상면을 이용하는 경우 더 신뢰도가 높았다. 추

간공협착 형태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

다.

색인단어: 경추 추간공 협착, 분류법, MRI, 사위시상면

15S-028

Expanded Indication and Application of Minimally Invasive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Jaewan Soh1, Jae Chul Lee2, Chang-Hwa Hong1, Eung-Ha Kim3, Byung-Joon Shin2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Orthopedic Surgery1,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Orthopedic Surgery2,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Orthopedic Surgery3

Abstract: Spinal fusion is useful a treatment for lumbar degenerative disc diseas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representative methods of anterior and posterior surgery.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has the disadvantages of the occurrence of vascular, visceral, or sympathetic chain injury during the surgery. In contrast, posterior surgery could lead to paraspinal muscle denervation, dural tears, and neural complications by the

retraction caused by screw malposition or cage inser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a lateral retroperitoneal transpsoas approach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both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surgery, this technique has thus far been continuously evolv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minimally invasive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which is a lateral retroperitoneal transpsoas approach, and discuss its applications and indications.Case 1: A 78-year-old female presented at our hospital complaining of lower back pain with bilateral buttock pain. The radiologic findings revealed narrow disc space on L2-3,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on L3-4-5, and severe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on L2-3-4-5. First, DLIF was performed from L2 to L5. Then, only posterior fixation was performed.Case 2: An 86-year-old female presented at our hospital complaining of lower back pain with radiating pain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ies. The radiologic findings revealed collapsed disc space on L3-4 with coronal imbalance, degenerative scoliosis, and severe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on L3-4-5. First, DLIF was performed from L3 to L5. Then, posterior decompression and posterior fixation were carried out.Case 3: A 70-year-old male present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lower back pain. On the basis of past history, we performed posterior fusion from T12 to L3 because of an L2 burst fracture. Four months later, the patient had to undergo revision surgery; he underwent L2 anterior corpectomy and mesh cage insertion and posterior fusion from T12 to L5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L2 body. Eight months later, the patient visited the hospital complaining of severe lower back pain. The flexion-extension simple lateral radiologic findings revealed the segmental instability of L4-5. This led to the diagnosis of pseudoarthrosis on L4-5, and DLIF was performed on L4-5. The application and indication of DLIF has been expanded to degenerative disc disease, spinal stenosis, degenerative scoliosis, nonunion, trauma, infection, spondylolisthesis, etc. on the basis of certain technical developments. DLIF merges the advantages and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anterior and posterior surgery. Further, DLIF can minimize bleeding by the use of a relatively small incision and lessen the postoperative pain. However, approach-related complications and the L5-S1 approach were remained obstacles despite many efforts

Page 116: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16

including surgical exploration of the passage of lumbar plexus in psoas muscle with neuromonitoring.Keywords: Lumbar, Degenerative lumbar disease,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최소 침습 직접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의 확장된 적응증 및

적용례

소재완1, 이재철2, 김응하3, 신병준2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정형외과1,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형외과2,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형외과3

초록: 척추 유합술은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 유용한 치료법으로,

크게 전방 및 후방 유합술로 나뉘어진다. 전방유합술은 수술적

접근 과정에서 혈관, 내장 및 교감 신경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

다는 단점이 있다. 후방유합술은 후방 요추부 근육 손상을 주고,

기기 삽입과정에서 경막 파열이나 신경 손상을 초래할수 있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수술의 단점을 보완한 측방복막후방 요근

측접근술이 소개된 이래, 현재까지 이 수술법은 지속적으로 발

전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인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의 확장

된 적응증과 그 적용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1: 78세 여자 환자로, 하부 요통 및 양측 둔부 통증을 주소

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제 2-3요추부의 추간판 높

이 저하 및 제 3-4-5요추부의 척추전방전위증과 함께 심한 중심

성 및 추간공의 척추관협착증이 관찰되었다. 먼저 전방으로, 제

2-3-4-5요추부에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다음, 후방

에서 고정술만 추가로 시행하였다.

증례2: 86세 여자 환자로, 하부 요통 및 양측 하지로의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제 3-4요추부의 추간판

높이 저하 및 퇴행성 척추측만증이 관찰되었으며, 제 3-4-5요추

부의 심한 중심성 및 추간공의 척추관협착증이 관찰되었다. 먼

저 전방으로, 제 3-4-5요추부에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을 시

행한 다음, 후방감압술 및 고정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증례3: 70세 남자 환자로, 하부 요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

력상, 내원 2년전 제 2요추체 방출성골절로, 제 12흉추부터 제

3요추체까지 후방고정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았다. 내원 1년전,

제 2요추체의 재압박으로 인하여 제 2요추체는 전방 접근으로

추체제거술 및 mesh 케이지삽입술 시행한다음, 제 12흉추부터

제 5요추까지 후방고정술 시행받았었다. 내원후 시행한 방사선

학적 소견상 요추부 굴곡-신전 측면단순방사선상에서, 제 4-5요

추부가 유합되지않고 분절 불안정성 소견 관찰되어, 불유합 진

단하에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을 이용하여 전방유합술을 시

행하였다.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은 술기가 발달되면서 퇴행

성 추간판 질환, 척추관협착증, 퇴행성 척추측만증, 불유합, 외

상, 감염, 척추 전방전위증 등으로 그 적응증과 적용례가 확장되

었다.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술은 전방 및 후방유합술의 장점

을 취합하고, 단점을 보완한 수술법이며, 최소침습 수술이라 출

혈량이 적고, 수술후 통증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신경감

시 시행 등으로 요근내 요근신경총의 주행을 확인하며 수술하

는 등 노력을 하고있지만 아직까지 수술 접근시 발생하는 신경

합병증과 제 5요추-제 1천추간의 접근은 해결해야할 숙제로 남

아있다.

색인단어: 요추부, 퇴행성 요추부 질환, 직접측방요추체간 유합

15S-099

A Case of Epidural Lipomatosis with Cauda Equina Syndrome in Chronic Alcoholism Patient - Case Report -

Dong-Ju, Lim, Jin-Hyok, Kim, Dong-Gune, Jang, Se-Il, Suk, Seung-Joo, Lee Seoul Spine Institute,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eoul Spine Institute, Department of Orthopedics

Abstract: Epidural lipomatosis of the lumbar spine is a rare condition that is described as accumulation of fat in the extradural territory. This is usually secondary to an uncommon complication of long-term iatrogenic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or endocrinologic disorder or obesity. If neurological deficits develop, they are usually in the thoracic spine as compared to the lumbar spine. Spinal epidural lipomatosis with the cauda equina syndrome is not a common clinical condition. A severe case of spinal epidural lipomatosis with lumbar canal stenosis and the cauda equina syndrome is presented. Epidural lipomatosis may cause neurological complications and deficits such as neurogenic claudication or radicular symptoms. Weight reduction should be attempted for symptomatic relief. Symptoms and neurological findings should determine the therapeutic paradigm. A 60-year-old non-obese alcoholic man was transferred to our spine department with a 4-month duration of progressive lower extremity weakness, neurogenic claudication with bladder bowel dysfunction and hypoesthesia in the perineal region. He had a history of 30 years of alcohol consumption,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did not receive any steroid medications for other chronic illnesses. The patient was evaluated using plain radiography, computed

Page 117: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7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results of the MRI demonstrated a pathologic overgrowth of the fat tissue in the spinal canal with a marked impingement of the dural sac, which showed severe central canal stenosis with space-occupying epidural fat in the lumbar lesion. L2/3 and L3/4 underwent decompression and fat debulking with partial laminectomy, and L4/5 and L5/S1 underwent total laminectomy with posterolateral fusion with pedicle screw fixation. Exhibiting a gradual improvement in the symptoms and signs, the patient returned to his daily activities and recovered to be neurologically normal. MRI is a useful tool to confirm the diagnosis. This rare symptom may be a sign of severe cauda equina compression, and we recommend decompression in such cases with predictable good results. Keywords: Epidural lipomatosis, Cauda equina syndrome, Chronic alcoholism patient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에서 발생한 경막외 지방종증에 의

한 마미 증후군 - 증례보고 -

임동주, 김진혁, 장동균, 석세일, 이승주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척추센터

초록: 경막외 지방종증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경막외 부위에

지방의 침착으로 발생된다. 이 질환은 주로 지속적인 스테로이

드 복용이나 내분비학적 질환 또는 비만에서 2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다. 신경학적 증상은 주로 요추부 보다는 흉추부

에 의해 발생한다. 마미 증후군을 동반한 경막외 지방종은 임상

적으로 흔하지 않다. 이에 본 교실에서 치료한 경막외 지방종증

에 의해 심한 요추부 협착증이 마미 증후군과 발생한 사례를 보

고하고자 한다. 경막외 지방종증에서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

킬수 있는데 이는 신경인성 파행, 방사통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체중의 감소가 증상의 호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

한 환자의 증상 또는 신경학적 증상이 치료를 결정하는 이정표

가 될 수 있다. 60세 남자 환자로 비만이지 않은, 알콜 중독의 환

자로 본원 척추센터로 재활의학과에서 전과된 환자로 4개월간

진행하는 하지의 위약감, 신경인성 파행, 방광 대장의 기능 장애

와 회음부 주위의 감각저하를 호소하였다. 환자는 30년간 매일

소주 4병을 음용 하였고, 혈압과 제 2형 당뇨가 있었지만 스테

로이드를 복용하는 다른 만성 질환은 없었다. 일반 엑스레이 검

사 및 CT, MRI를 이용하여 진단이 되었다. 검사 결과 신경관내

의 지방이 병적으로 과성장되어 있는 소견 및 척추 신경막을 심

하게 압박된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심한 척추관 협착 소견 및 경

막외 지방이 대부분의 척추관 공간을 차지하는 소견이 관찰 되

었다. 제 2-3, 3-4요추는 부분적 추궁판 절제술 및 경막외 지방

제거를 시행하였으며 제 4-5, 5-천추 1번은 완전 추궁판 절제술

및 경막외 지방 제거, 후외측 척추경 나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점진적인 증상의 호전으로 일상생활로 복귀하였으며 신경학적

증상도 정상으로 호전 되었다. 진단에는 자기공명영상이 유용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마미 증후군을 동반한 드문 병적 증

상에 대해 본 교실에서는 감압술을 통하여 얻은 좋은 결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색인단어: 경막외 지방종증, 마미 증후군, 만성 알코올 중독

15S-072

Motor Weakness of Right Ankle Dorsiflexion Caused by Increasing Size of Sacroiliac Joint Cyst After Performing Spinal Fusion in Patient with Spinal Stenosis – Case Report -

Ji-Eun Kwon, Young-Joon Ahn, Hae-min Kim, Bo-Kyu Yang, Seung-Rim Yi, Se-Hyuk Im, Ye-Hyun Lee National Police Hospital Orthopedic Department

Study Design: A case study. Objective: We report a case of motor weakness of right ankle dorsiflexion caused by increasing size of sacroiliac joint cyst after performing posterior fusion in patients diagnosed with spinal stenosis L4-5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many clinical studies on the degeneration of discs, instability, listhesis or degenera-tive arthritis adjacent to the instrumented fusion segement.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a postoperative in-crease in the size of a sacroiliac joint cyst.Material and Methods: A 63-year-old female was admitted with intermittent claudication, radiating pain i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xtremity, and motor weakness (Gr. 5- of Rt. ankle dorsiflex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showed spinal canal narrowing of L4-5 and a cystic le-sion measuring 1.6 cm x 1.0 cm x 1.0 cm on the Rt. sacroiliac joint. The surgery was executed with posterior decompres-sion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the cage. After the operation, intermittent claudication and radiating pain were relived; however, motor weakness exhibited no improvement.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 the motor weakness of ankle dorsiflexion worsened from Gr. 5- to Gr. 4. From the follow-up MRI image, we found that the cystic lesion has increased in size to 3.3 cm x 2.2 cm x 1.6 cm.

Page 118: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18

Results: Based on the consultation with general surgeons and gynecologists, operative excision of the cystic lesion was considered first, but we decided not to go ahead with the operation because of the difficulty with the approach to the lesion. Therefore, we decided to closely observe the patient and perform conservative management. Selective nerve root blocks to S2-3 were performed twice 1 and 2 months after the worsening of motor weakness. Three months after the worsening of motor weakness, there was a gradual improve-ment in the symptoms and the motor grade finally reached Gr. 5. Follow-up MRI taken 3 years after the operation showed a further increase in the lesion size to 4.9 cm x 2.6 cm x 1.8 cm.Conclusion: A change in biomechanics on the sacroiliac joint afte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may affect the size of a cystic lesion. It is assumed that a rapidly grown cystic lesion may have caused the motor weakness of the ankle dorsiflexion by compressing the lumbosacral plexus in this patient. We think that an adaptation process may result in a relief from symptoms, but if there is no improvement, we should consider operative treatement. In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surgeons evaluate the sacroiliac lesion on an MRI image before performing spinal fusion. Keywords: Spinal stenosis,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cage, Sacroiliac joint cystic lesion

척추관 협착증에서 후방 유합술 시행 후 우측 천장관절부

위 낭종 크기 증가로 인한 우측 족관절 배측 굴곡 근력 약

화의 증례

권지은, 안영준, 김해민, 양보규, 이승림, 임세혁, 이예현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증례보고

연구목적: 제 4-5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유합술 시행

후 천장관절부위 낭종의 크기 증가에 의한 우측 족관절 배측 굴

곡 근력 약화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요추부 후방 유합술 시행 후 인접부위 생체

역학 변화에 따른 디스크 퇴행성 변화, 불안정성, 전위 및 관절

염 등의 문제에 대하여는 여러 차례 보고 되었으나 천장관절부

위 낭종 및 크기 증가에 따른 근력 약화에 대한 증례는 보고된

바 없다.

대상 및 방법: 간헐적 파행 및 우측 둔부에서부터 장딴지까지 좌

골신경통과 우측 족관절 배측 굴곡 근력이 5- 로 감소된 증상을

호소하는 63세 여자환자가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제 4-5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소견 보이고 있었으며, 우측 천장

관절부위에 1.6x1.0x1.0 cm의 낭종 소견 관찰되었다. 상기 환자

에 대해 후방 감압술 및 cage 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행한 이후 간헐적 파행 및 좌골신경통은 호전되었고 우측 족관

절 배측 굴곡 근력은 5-로 감소된 양상 지속되던 중 수술 1개월

후부터 근력이 4로 감소되어 재시행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낭

종의 크기가 3.3x2.2x1.6 cm으로 증가된 소견 관찰되었다.

결과: 우측 천장관절 부위 낭종에 대한 수술적 제거를 위해 외

과,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의하였으나 낭종 부위로의 수술적 접

근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보존적 치료 시행하며 경과관찰 하였

다. 증상 악화 1, 2개월 후 제 2, 3천추에 대한 선택적 신경근 차

단술 총 2회 시행하였고, 증상 악화 후 3개월 지난 시점부터 근

력약화는 호전되기 시작하여 수술 후 7개월에 근력은 5로 회복

되는 경과를 보였다. 수술 3년 후에 재시행한 자기공명영상 검

사상 낭종의 크기는 4.9x2.6x1.8 cm으로 증가된 소견 보였으나

추가적인 근력 약화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술 전 존재하던 낭종이 후방유합술 시행 이후 인접분절

인 천장관절에 가해진 생체역학적 변화의 영향으로 크기가 커

지며 요천골신경총을 압박하여 우측 족관절 배측 굴곡 근력 약

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압박된 신경이 적응하며

증상이 호전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근력 약화가 지속

되었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

로 후방유합술 시행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천장관절 부

위 병변을 미리 평가하는 것이 수술 후 근력 약화시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천장관

절부위 낭종

15S-039

Patient-specific Drill Template for Thoracic Pedicle Screw Fixation: A Pilot Clinical Trial

Sang Bum Kim, Yougun Won, Hyun Jin Yoo, Sang Jin Jung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Prospective non-randomized pilot study. Objectives: Nowadays, a pedicle screw system is most frequently used for posterior instrumentation to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 However, complications due to screw mal-position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 exact screw positioning needs radiologic confirmation with fluoroscopy, which is a hazard for not only the surgeon but also the patient. Therefore, the rapidly emerging technology involving the use of three dimensional (3D) rapid prototyping (RP) is

Page 119: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19

preferred for analyzing the patient vertebra for an accurate trajectory; good cadeveric and clinic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for the use of this technology on the cervical spine and the lumbar spine.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is to confirm the accurate position of a thoracic pedicle screw placed by a patient-specific navigation template made using RP.Materials and Methods: A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y (CT) scan was performed on the thoracic vertebra of a patient, and a 3D image was reconstructed with MIMICS 10.1. The accurate trajectory and the screw diameter and length were calculated with Imageware 12.1. The drill guide template was produced using the reverse mirror image technique by RP. The guide template was sterilized and used intra-operatively to assist with the placement of thoracic pedicle screws. After all the pedicle screws were inserted, a fluoroscopic scan was performed once. Results: The drill guide template was fit to the lamina of the vertebra. We performed the CT scan postoperatively to evaluate the positions of the thoracic pedicle screws. There was no violation of the spinal canal or the pedicle cortex. The screw size and length were suitable. Conclusions: The use of a patient-specific drill guide template made by RP provided us the accurate trajectory for the thoracic vertebra, and less radiation exposure was expected to both the surgeon and the patient.Keywords: Drill template, Thoracic pedicle screw, Computer-assisted image, Rapid Prototyping, Posterior instrumentation

환자 특이 드릴 유도 형판을 이용한 흉추 고정 : 예비 임상

연구

김상범, 원유건, 유현진, 정상진

건양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선행 예비 임상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환자 특이 드릴 유도

형판을 이용한 흉추 고정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예비 연구의 정

확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흉추부와 요추부의 후방 기기 고정술에 척

추경 나사 삽입술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나사의 잘못

된 삽입으로 인한 합병증이 보고 되고 있다. 정확한 나사위치 확

인에 방사선학적 확인을 필요로 하며 방사선의 노출은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유해하다. 최근 3D 기술을 이용한 Rapid Protyp-

ing (RP)를 이용한 정확한 경로 분석을 이용한 고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요추와 경추부에 대하여 좋은 임상적 연구 결

과와 사체 연구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흉추부를 CT scan을 이용하여 삼차원 영

상으로 MIMICS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구성 하였다. 정확

한 나사 경로와 나사의 길이 및 직경은 Imageware 12.1을 이용

하여 계산되었으며 환자 특이 유도 형판은 RP를 이용하여 거울

상으로 제작 되었다. 소독된 형판을 수술 중에 사용하여 흉추부

나사삽입에 사용하였다. Fluoroscopy를 이용한 확인은 수술 후

한 번 시행되었다.

결과: 척추의 후궁과 형판은 거울상으로 잘 접촉되어 비교적 견

고한 접촉을 유지되었다. 수술 후 CT scan을 시행하여 삽입된

나사의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모두 척추경에서 원했던 처음에

계산하였던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치의 확인은 Im-

ageware 12.1을 이용하여 처음에 계산되었던 경로와 겹쳐서 비

교하여 어긋나있는지 확인하였다.

결론: RP 기술로 만들어진 환자 특이 유도 형판을 이용한 흉추

고정 방법은 정확한 경로를 제공해 주며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해로운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색인단어: 드릴 형판, 흉추 척추경 나사, 컴퓨터 영상, Rapid

Prototyping. 후방 기기고정술

15S-015

Pulmonary and Renal Cement Embolism During Balloon Kyphoplasty

Kim Tae Ho, Choi Byeong YeolPresbyterian Medical Center, Chonju Orthopedics

Abstract: Vertebral augmentation with bone cement is a popular procedure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because it provides prompt pain relief and is minimally invasive. However, va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this procedure had been reported and they are usually due to cement leakage. Most of them are asymptomatic, but in severe cases, they can cause permanent neurological deficit or pulmonary embolism. An 84-year-old female patient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in L2 and L4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the L4 fracture and balloon kyphoplasty for the L2 fracture. During kyphoplasty, the C-arm image showed that the bone cement leaked into the inferior vena cava via the segmental vein and the procedure was immediately stopped. The plain radiograph taken postoperatively showed cement emboli in the right lung, and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Page 120: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www.krspine.orgs120

confirmed that it was located in a branch of the right posterior pulmonary artery. The CT scan revealed fragments of the bone cement in the right kidney through renal vein although no bone cement was observed in the plain radiograph. The patient was asymptomatic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The patient’s pulmonary and renal functions were normal. Therefore, we treated the patient conservatively. During her stay in the hospital, the patient’s vital signs were stable and she did not complain of dyspnea. Further, there were no symptoms of renal dysfunction. The results of the follow-up blood test (BUN/Cr) were normal. A follow-up ultrasound 6 months later showed minimal renal atrophy due to senile changes but no difference between both kidneys. One year after the procedure, the patient complained of mild back pain but had no funtional impairment related to pulmonary or renal embolism. Keywords: Spine, Compression fracture, Pulmonary embolism, Renal embolism, Kyphoplasty

풍선 후만 성형술 중 발생한 폐 및 신장 색전

김태호, 최병열

전주예수병원 정형외과

초록: 골시멘트를 이용한 척추 보강술은 고령의 골다공증성 척

추 골절 환자에게 있어 통증 완화 효과가 빠르고 시술이 최소 침

습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

련된 다양한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시멘트 누출

과 관련되어 있다. 대부분은 증상이 없지만 심한 경우 영구적인

신경 손상이나 폐 색전등 을 일으킬 수도 있다. 84세 여자 환자

로 제 2, 4요추의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 대하여 국소 마취하

에 제 4요추는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제 2요추에 대해서는 풍선

후만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풍선 성형술 도중 시멘트가 분절 정

맥을 통하여 하대 정맥으로 유출되는 것이 관찰되어 즉각 시술

을 중지 하였다. 수술 직후 촬영한 단순 방사선 검사상 시멘트 폐

색전이 관찰되었으며 컴퓨터 단층 촬영상 우측 폐의 후방으로

가는 폐동맥내에서 골 시멘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방

사선 사진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골시멘트가 우측 신장에서

도 신정맥을 따라 존재하였다. 시술 중, 그리고 시술 후 환자는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고 폐기능이나 신기능도 정상이어

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입원 기간 중 환자의 생명 활력

징후는 안정적이었고 호흡 곤란이나 신기능 이상을 의심할 만

한 증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추시 혈액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술 후 6개월 후 시행한 신장 초음파 상에서 노

인성 변화에 따른 경미한 신장의 위축은 있었으나 양측의 차이

는 보이지 않았다. 1년 추시중 환자는 경미한 요통은 남아있었

으나 폐 및 신장의 색전에 의한 기능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색인단어: 척추, 압박 골절, 폐 색전, 신장 색전, 풍선 후만 성형술

15S-105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in Spine Surgeons

Sung-Woo Choi, Jae-Chul Lee, Min-Chul Jeon, Byung-Joon Shin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udy Design: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bjectives: To analyze the prevalence, common diagnosis, causes, and resolu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spine surgeons.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s societies develop, interest and research on occupational diseases is becoming increasingly active. However, studies on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spine surgeons are relatively rare. Materials and Methods: Questionnaires about musculoskeletal disorders based on a modified physical discomfort survery were sent to members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through e-mail, letters, etc., twice. This survey contained questions on anthropological elements, workload, the site and degre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tc. Diagnosi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sections were made up of short-answer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each element were confirmed.Results: 54 (13%) of the 420 people sent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49.6 years, and the mean number of spinal operations was 258 cases/year. Further, musculoskeletal pain was caused by performing surgery during the last year in 78% of the respondents. The common diagnosis based on a self-test was cervical sprain (40.7%, 22/54), lumbar sprain (27.8%, 15/54), cervical disc (16.7%, 9/54), and epicondylitis of elbow (9.3%, 5/54). The number of pain sites was 0 in 9 respondents (16.7%), 1 in 14 respondents (25.9%), 2 in 14 respondents (25.9%), 3 in 9 respondents (16.7%), 4 in 5 respondents (9.3%), and 5 in 3 respondents (5.6%).Conclusion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in spine

Page 121: Lumbar spine · Volume 22 • Number S1 • May 2015 s2 고, 분절 전만각이 수술 전 5.24°, 수술 후 10.44°, 최종 추시시 9.76°로 수술 전에 비해 증가 하였다.각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Specials

www.krspine.org s121

surgeons, musculoskeletal disorders had a high prevalence. Therefore, we first require accurate recognition and sharing of experience. Then, various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pine surgeons should be studied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Keywords: Spine surgeon, Musculoskeletal disorder, Disorder-related overuse, Occupational disease

척추외과 의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최성우, 이재철, 전민철, 신병준

순천향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계획: 설문지를 통한 통계 분석 연구

연구목적: 척추 외과 의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유병율, 흔

한 진단, 발생 원인, 해결 방안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문헌 요약: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직업성 질환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척추 외과 의사들의 근

골격계 질환의 연구는 비교적 드물다.

대상 및 방법: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수정된 physical discom-

fort survery를 사용한 설문지를 대한 척추 외과 학회 회원들에

게 e-mail, 서면 등을 통하여 2회에 걸쳐 발송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류학적 요소, 업무량, 근골격계 질환의 부위 및 강도,

개선안의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골격계 질환명과 개선

안은 주관식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빈

도 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420명 중 54명(13%)이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평균 나이는 49.6세, 평균 척추 수술 건수는 258건/년이었다.

78%에서 최근 1년 동안 수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있었다고

하였고, 응답한 흔한 자가 진단은 경추부 염좌(40.7%, 22/54),

요추부 염좌(27.8%, 15/54), 경추부 디스크(16.7%, 9/54), 주관

절 상과염(9.3%, 5/54)등이었다. 통증 부위 개수는 통증이 없다

고 응답한 경우가 9명(16.7%), 한 부위라고 응답한 경우가 14명

(25.9%), 두 부위가 14명(25.9%), 세 부위가 9명(16.7%), 네 부

위가 5명(9.3%), 다섯 부위가 3명(5.6%)이었다.

결론: 일반인과 비교하였을 때 척추 외과 의사의 근골격계 질환

은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이런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경험의 공유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추후 척추외과 의사들

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기를 바

란다.

색인단어: 척추 외과 의사, 근골격계 질환, 과사용 증후군, 직업

성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