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4
2015년 5월 28일 - 제 15호 -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permet de bénir les couples homosexuels 프랑스 개신교, 동성 결혼 사실상 인정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EPUdF) a adopté dimanche 17 mai la possibilité de bénir les couples homosexuels, une quasi-première en France, a expliqué le porte-parole de la principale Eglise protestante du pays. Sur la centaine de délégués de l’EPUdF réunis à Sète et ayant pris part au vote, 94 ont voté pour la possibilité d’offrir une bénédiction religieuse aux couples homosexuels, et trois contre, a-t-il précisé. Ce vote donne la possibilité aux 500 pasteurs de l’EPUdF de bénir des couples homosexuels, sans pour autant obliger ceux des pasteurs qui sont opposés à un tel geste. Le mariage n’est pas un sacrement pour les protestants, mais les couples hétérosexuels unis en mairie peuvent être bénis au temple. En France, seule la Mission populaire évangélique (MPEF), une Eglise beaucoup plus petite que l’EPUdF, autorise un « geste liturgique d’accueil et de prière » pour les homosexuels. Cette décision intervient deux ans après la légalisation par la France du mariage homosexuel, principale réforme de société du président socialiste François Hollande à laquelle s'opposent toujours les catholiques conservateurs. 지난 17일, 프랑스 개신교 연합(EPUdF)은 대변인을 통 해 프랑스 개신교가 동성 커플의 결혼을 최초로 축복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고 밝혔다. 이 연합은 세트(프랑스 남부 도시)에서 대의원 총회를 열어 찬성 94표, 반대 3표로 동성 커플 축복을 허용하기 로 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EPUdF 소속 500여 명의 목사는 행 사 등을 통해 동성 커플을 축복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것이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교회 내의 반대 여론을 고려해 원하지 않는 목사는 반드시 따르지 않아도 되도 록 했다. 개신교 신자들에게 결혼식이 성스러운 종교 행사는 아 니지만 원하는 이성 커플은 교회당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목사의 축도를 받을 수 있다. 개신교의 교리에 따라 동 성 커플에게는 이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프랑스 개신교 연합보다 규모가 훨씬 작은 복음주의 개신교(MPEF)만이 동성 커플들을 인정해왔다. 프랑스 개신교 연합의 이러한 결정은 사회당 소속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프랑스 카톨릭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동성 결혼법을 통과시킨지 2년만의 일이다. 13 임혜림 <[email protected] > 참고 : Le Monde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permet désormais de bénir les couples homosexuel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Valls opposé aux quotas migratoires dans l'Union européenne 발스 총리 “EU회원국 난민 할당 반대” Manuel Valls est à son tour monté au créneau, samedi 16 mai, contre la proposition de la Commission européenne d'instaurer des quotas migratoires à l'échelle communautaire. « Ceci n'a jamais correspondu aux propositions françaises », a insisté le premier ministre, à l'occasion d'une visite près de la frontière franco-italienne, où plusieurs centaines de migrants ont été arrêtés ces derniers jours. Pour assurer une distribution équitable des réfugiés en Europe, le plan d'action de la Commission, présenté 13 mercredi, prévoit d'instaurer des quotas d'accueil obligatoires par pays en cas d'afflux massif de migrants, comme c'est le cas actuellement. L'opposition du gouvernement français tient, selon M. Valls, à ce que « la France a déjà fait beaucoup : ainsi 5,000 réfugiés syriens et 4,500 irakiens ont déjà été accueillis en France depuis 2012 ». Aujourd'hui, la France, l'Italie, l'Allemagne, le Royaume-Uni et la Suède accueillent 75 % des réfugiés, des demandeurs d'asile en Europe. « En revanche, l'Europe doit avoir une politique de l'asile et la France a entrepris de réformer la sienne pour la rendre plus efficace », a rappelé le premier ministre. Il a également appelé à une meilleure politique aux frontières : « il faut créer un système européen de garde-frontières », a-t-il ainsi déclaré. « Il faut ensuite lutter sans relâche contre les filières criminelles de passeurs ». 지난 16일, 마뉴엘 발스 총리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제안한 공동체 규모에 따른 난민 쿼터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놓았다. 최근 수백여 명의 난민들이 붙잡힌 프랑스 남부 니스 부근의 이탈리아 국경 지역을 방문한 발스 총리는 “유럽연 합의 이러한 결정은 프랑스의 입장과 전혀 상통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EU 집행위원회는 5월 13일 발표한 액션플랜을 통해 현재와 같은 난민 대량 유입으로 일부 국가에 편중된 난민 수용 부 담을 보다 공평하게 분배하고자 EU 회원국에 난민을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발스 총리는 프랑스가 이미 2012년부터 수천 명의 시리아인들과 이라크인들을 수용하고 있다며 이 제안에 반대했다. 현재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스웨덴이 유럽으로 유입되는 난민과 망명자들의 75%를 수용하고 있다. 발스 총리는 유럽이 구체적인 망명 정책을 필요로 하며, 프랑스는 보다 효과적인 난민 수용을 위해 프랑스의 관련 정책 개정에 착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불법 난민 통제를 위한 국경 통제 강화를 요구하면서 “국경 통제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난민 밀입국조직 퇴 치 군사작전을 항시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 참고 : Le Monde "Valls opposé aux quotas migratoires dans l'Union européenne"

Upload: hufsfrance

Post on 07-Aug-2015

53 views

Category:

Education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2015년 5월 28일 - 제 15호 -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permet de bénirles couples homosexuels

프랑스 개신교, 동성 결혼 사실상 인정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EPUdF) a adopté

dimanche 17 mai la possibilité de bénir les couples

homosexuels, une quasi-première en France, a expliqué

le porte-parole de la principale Eglise protestante du

pays.

Sur la centaine de délégués de l’EPUdF réunis à Sète

et ayant pris part au vote, 94 ont voté pour la

possibilité d’offrir une bénédiction religieuse aux couples

homosexuels, et trois contre, a-t-il précisé.

Ce vote donne la possibilité aux 500 pasteurs de

l’EPUdF de bénir des couples homosexuels, sans pour

autant obliger ceux des pasteurs qui sont opposés à un

tel geste.

Le mariage n’est pas un sacrement pour les

protestants, mais les couples hétérosexuels unis en

mairie peuvent être bénis au temple. En France, seule la

Mission populaire évangélique (MPEF), une Eglise

beaucoup plus petite que l’EPUdF, autorise un « geste

liturgique d’accueil et de prière » pour les homosexuels.

Cette décision intervient deux ans après la légalisation

par la France du mariage homosexuel, principale

réforme de société du président socialiste François

Hollande à laquelle s'opposent toujours les catholiques

conservateurs.

지난 17일, 프랑스 개신교 연합(EPUdF)은 대변인을 통

해 프랑스 개신교가 동성 커플의 결혼을 최초로 축복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고 밝혔다.

이 연합은 세트(프랑스 남부 도시)에서 대의원 총회를

열어 찬성 94표, 반대 3표로 동성 커플 축복을 허용하기

로 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EPUdF 소속 500여 명의 목사는 행

사 등을 통해 동성 커플을 축복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것이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교회 내의 반대 여론을

고려해 원하지 않는 목사는 반드시 따르지 않아도 되도

록 했다.

개신교 신자들에게 결혼식이 성스러운 종교 행사는 아

니지만 원하는 이성 커플은 교회당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목사의 축도를 받을 수 있다. 개신교의 교리에 따라 동

성 커플에게는 이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프랑스 개신교

연합보다 규모가 훨씬 작은 복음주의 개신교(MPEF)만이

동성 커플들을 인정해왔다.

프랑스 개신교 연합의 이러한 결정은 사회당 소속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프랑스 카톨릭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동성 결혼법을 통과시킨지 2년만의 일이다.

13 임혜림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L’Eglise protestante unie de France permet

désormais de bénir les couples homosexuel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Valls opposé aux quotas migratoires dans l'Union européenne

발스 총리 “EU회원국 난민 할당 반대”

Manuel Valls est à son tour monté au créneau, samedi 16 mai, contre la proposition de la Commission européenne

d'instaurer des quotas migratoires à l'échelle communautaire. « Ceci n'a jamais correspondu aux propositions

françaises », a insisté le premier ministre, à l'occasion d'une visite près de la frontière franco-italienne, où plusieurs

centaines de migrants ont été arrêtés ces derniers jours.

Pour assurer une distribution équitable des réfugiés en Europe, le plan d'action de la Commission, présenté 13

mercredi, prévoit d'instaurer des quotas d'accueil obligatoires par pays en cas d'afflux massif de migrants, comme

c'est le cas actuellement. L'opposition du gouvernement français tient, selon M. Valls, à ce que « la France a déjà fait

beaucoup : ainsi 5,000 réfugiés syriens et 4,500 irakiens ont déjà été accueillis en France depuis 2012 ».

Aujourd'hui, la France, l'Italie, l'Allemagne, le Royaume-Uni et la Suède accueillent 75 % des réfugiés, des

demandeurs d'asile en Europe.

« En revanche, l'Europe doit avoir une politique de l'asile et la France a entrepris de réformer la sienne pour la

rendre plus efficace », a rappelé le premier ministre. Il a également appelé à une meilleure politique aux frontières :

« il faut créer un système européen de garde-frontières », a-t-il ainsi déclaré. « Il faut ensuite lutter sans relâche

contre les filières criminelles de passeurs ».

지난 16일, 마뉴엘 발스 총리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제안한 공동체 규모에 따른 난민 쿼터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놓았다. 최근 수백여 명의 난민들이 붙잡힌 프랑스 남부 니스 부근의 이탈리아 국경 지역을 방문한 발스 총리는 “유럽연

합의 이러한 결정은 프랑스의 입장과 전혀 상통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EU 집행위원회는 5월 13일 발표한 액션플랜을 통해 현재와 같은 난민 대량 유입으로 일부 국가에 편중된 난민 수용 부

담을 보다 공평하게 분배하고자 EU 회원국에 난민을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발스 총리는 프랑스가

이미 2012년부터 수천 명의 시리아인들과 이라크인들을 수용하고 있다며 이 제안에 반대했다.

현재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스웨덴이 유럽으로 유입되는 난민과 망명자들의 75%를 수용하고 있다.

발스 총리는 유럽이 구체적인 망명 정책을 필요로 하며, 프랑스는 보다 효과적인 난민 수용을 위해 프랑스의 관련 정책

개정에 착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불법 난민 통제를 위한 국경 통제 강화를 요구하면서 “국경 통제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난민 밀입국조직 퇴

치 군사작전을 항시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Valls opposé aux quotas migratoires dans l'Union européenne"

Page 2: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2015년 5월 28일 - 제 15호 -

L’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nouveau sujet de bisbille en Belgique

플랑드르 지역 총리, 벨기에 프랑스어권 국제 기구 탈퇴 요구

Flamands et francophones belges se sont trouvé

un nouveau motif de dispute depuis que le

ministre-président de la Flandre a estimé que l’Etat

fédéral devrait quitter l’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IF).

L’OIF regroupe, quant à elle, 80 pays ou

gouvernements, dont 54 membres de plein droit. Des

Etats multilingues, comme le Canada ou la Suisse, en

font partie, ainsi que certaines de leurs composantes

(le Québec, le Nouveau-Brunswick ou les cantons

helvétiques). Ils y côtoient la Bulgarie, la Macédoine,

le Qatar et la Fédération Wallonie-Bruxelles.

Comme la défense de la langue est une

compétence des entités fédérées, Geert Bourgeois

estime que seule la Communauté française doit en

faire partie. Quand la Flandre a signé un traité

culturel avec les Pays-Bas – la Nederlandse Taalunie

– la Belgique ne s’en est pas mêlée, explique le

ministre-président.

La fureur de la N-VA(en français, Alliance

néo-flamande) est partie du constat de l’un de ses

députés : il a remarqué que le site de l’OIF affirmait

qu’en Belgique, 72% de la population est

francophone. Or, Wallons et francophones de

Bruxelles ne forment que quelque 40% de la

population. L’organisation évoque, en réalité, les «

locuteurs francophones » en y incluant les

(nombreux) Flamands qui maîtrisent la langue de

Voltaire, l’un des trois idiomes officiels, avec le

flamand et l’allemand.

Le premier ministre (francophone), Charles Michel,

et le ministre (francophone) des affaires étrangères,

Didier Reynders, n’ont, cette fois, pas hésité à

répliquer aux nationalistes flamands : « Pas question

de se retirer de l’OIF », ont-ils immédiatement

répondu. « Le rayonnement de l’organisation n’est

pas seulement culturel, il est aussi diplomatique et

économique », a expliqué le chef du gouvernement

au journal Le Soir. En promettant qu’il allait, au

contraire, renforcer le rôle de la Belgique au sein de

la francophonie.

벨기에의 네덜란드어권인 플랑드르 지역과 프랑스어권

인 왈롱 지역이 새로운 갈등에 부딪혔다. 플랑드르 지역

대표 기어트 부르주아 총리가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

에서 벨기에가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는 정회원 54개국을 포함해

총 80개 가입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나다와 스위스처

럼 두 개 이상의 언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국가들도

이 기구에 가입되어 있다. OIF 회원국(정회원)과 참관국

(준회원)은 대개 프랑스어 사용국 및 과거 프랑스의 지배

를 받은 나라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불가리아, 마케도니

아, 카타르 등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도 참관국

으로 가입되어 있고 벨기에 역시 왈롱 지역이 프랑스어

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기구에 가입되어 있다.

연방 내에서 자신의 언어를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부르주아 시장은 벨기에 내 프랑스어권 지역만

프랑스어권 국제 기구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르

주아 총리는 플랑드르 지역이 네덜란드와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네덜란드어 협회(1968년 3월에 출범한 네덜란

드어와 관련된 모든 분야를 관장하는 언어기구)에 가입

할 때, 벨기에 전체가 가입하지는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

다.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플랑드르 지역은 또한 OIF

홈페이지에 벨기에 인구의 72%가 프랑코폰

(francophone)이라고 명시되어 있는 것에 반발한다. 벨기

에 내 프랑스어권인 왈롱 지역의 인구는 사실 벨기에 총

인구의 40%만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OIF 홈페이지에 기

록된 벨기에의 “프랑스어 사용자“에는 플랑드르어, 독일

어와 함께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인구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한 프랑스어권 인구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왈롱 지역 대표 샤를 미셸 총리와 역시 프랑스어

권 출신 인 디디에 레인더스 외무부 장관은 “벨기에가

프랑스어권 국제기구에서 탈퇴해야 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즉각 반박했다. 미셸 총리는 한 일간지와의 인터

뷰에서 “OIF의 영향력은 문화 부문에 그치는 것이 아니

라 외교적, 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오

히려 벨기에가 프랑스어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L'Organisation de la francophonie, nouveau

sujet de bisbille en Belgique"

Polémique autour de tweets du maire de Venellessur le culte musulman

프랑스 시장 "이슬람 금지해야" 발언 물의… 제명 위기

Dans un tweet publié jeudi 14 mai, le maire de

Venelles, une petite ville du sud de la France, a

déclaré que “le 18 octobre 2027, le culte de l’islam

sera interdit en France.” Chardon ajoute que « celui

qui pratique [l’islam doit être] immédiatement

reconduit à la frontière ».

Pourquoi le 18, personne ne le sait, car Robert

Chardon a été hospitalisé d’office à la « demande

d’un tiers » compte tenu de « l’incohérence de ses

propos ».

Robert Chardon dément tout piratage de son

compte et confirme être l'auteur de ces messages:

"C'est la seule solution pour résoudre les problèmes

que connaît la France. Et j'attends la réponse de

Nicolas Sarkozy à cette proposition".

Le maire UMP raconte "avoir beaucoup réfléchi" et

en être arrivé à la conclusion suivante: "Il faut

interdire l'islam en France, mais aussi déclencher un

plan Marshall pour permettre à ceux qui veulent

pratiquer la religion musulmane de le faire dans leurs

pays d'origine".

Robert Chardon, qui n’a publié sur son compte

twitter qu’un seul message en 2014, le 22 octobre, a

envoyé une onde de choc à l’ensemble des médias

français, jeudi 14 mai, en publiant 6 tweets d’affilée,

un indiscutable danger pour l’ordre public.

En réaction, L’UMP a lancé une procédure

d’exclusion. « J'ai demandé qu'une procédure

d'exclusion soit engagée pour des propos absurdes

qui ne correspondent en aucune manière aux valeurs

et au projet de l'UMP », avait auparavant déclaré à

l'AFP la vice-présidente de l'UMP Nathalie

Kosciusko-Morizet.

프랑스의 한 우파 시장이 프랑스에서 이슬람교를 금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가 소속 정당에서 제명당할 처지에 놓

였다.

우파 제1야당인 대중운동연합(UMP) 소속 로베르 샤르

동 브넬시 시장은 지난 14일 목요일 자신의 트위터에 "프

랑스에서 이슬람교를 금지해야 한다"는 글을 썼다. 샤르동

시장은 "이슬람교를 열심히 믿는 신자는 즉각 국외로 추

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후 샤르동 시장은 가족의 요청으로 정신병원에 입원

했기 때문에 그가 왜 하필 2027년 10월 18일이라는 날짜

를 지정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한편 트위터를 해킹당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는 자

신이 쓴 글이 맞다고 확인했다. 그는 "(무슬림 추방이) 프

랑스가 겪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다. 니

콜라 사르코지 UMP 당수에게 이러한 의견을 제시하고

그의 답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이러한 발언이 “신중하게 고민한 끝

에” 나온 결론임을 강조했다. "프랑스 내 이슬람교를 금지

할 뿐 아니라 이슬람 국가에 대한 지원과 원조를 동원해

서 무슬림들이 그들의 나라에서 종교 활동을 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 동안 그의 트위터 계정에는 작년 가을에 올린 트윗

단 하나 뿐이었는데 올해 5월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이슬

람 금지 맥락의 트윗 6개를 연달아 올려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 발언이 알려지고 나서 UMP는 샤르동 시장의

제명을 진행 중이다. 나탈리 코쉬스코 모리제 UMP 부대

표는 “샤르동 시장의 발언은 당의 가치에 어긋난다“며 ”제

명 절차를 밟겠다“고 말했다.

12 김소연 <[email protected]>

참고 : 20minutes.fr "Polémique autour de tweets du maire

de Venelles sur le culte musulman"

Ouest France "UMP. Le maire qui veut interdire le culte

musulman hospitalisé d'office"

Page 3: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2015년 5월 28일 - 제 15호 -

Réforme du collège프랑스 정부, 중등교육 개혁 추진

Malgré les critiques et les polémiques, la réforme du collège s'appliquera bien comme prévu à la rentrée 2016, a

confirmé la ministre de l'Education.

1. Les classes bilangues vont être supprimées.

Les classes bilangues, qui concernent 16% des élèves, permettent l’apprentissage de deux langues vivantes

étrangères dès la 6e. Elles vont quasiment disparaître à la rentrée 2016, maintenues seulement pour les enfants initiés

au primaire à une autre langue que l’anglais. Même sort pour les sections européennes qui offrent aux collégiens de

4e et 3e des heures supplémentaires en langue. A la place, le ministère de l’Education rend obligatoire l’enseignement

d’une seconde langue pour tous un an plus tôt, c’est-à-dire dès la 5e.

2. Le latin restera une matière à part entière.

Dans la première mouture de la réforme, l’option latin s’effaçait au profit d’un Enseignement pratique

interdisciplinaire (EPI) consacré aux « langues et cultures de l’Antiquité ». Face à la levée de boucliers des enseignants

de langues anciennes, le ministère a finalement décidé de maintenir une option light latin, en plus de l’EPI, appelé «

enseignement de complément ».

3. L'enseignement de l'islam est et restera obligatoire.

Les adversaires des futurs programmes comparent le caractère facultatif en classe de 5e du thème « Histoire de la

chrétienté au Moyen Age » avec celui, obligatoire, de la naissance de l’islam. Sauf que l’enseignement de ce dernier

item est déjà au menu des élèves de 5e depuis des années. L’actuel programme s’ouvre par « la découverte et la

naissance de l’islam » et « l’islam médiéval ». Sur ce point, ce sera le statu quo. Le programme de 4e aussi est la

cible de critiques : tandis que le thème « Un monde dominé par l’Europe : empires coloniaux, échanges commerciaux

et traites négrières » est obligatoire, « Sociétés et cultures au temps des lumières » est facultatif.

4. Il y aura des cours où plusieurs matières seront mélangées.

Les professeurs des différentes matières vont travailler ensemble pour faire plancher leurs élèves (à partir de la 5e)

lors des EPI, les enseignements pratiques interdisciplinaires croisant plusieurs matières. Six thèmes sur huit imposés («

sciences, technologie et société », « information, communication, citoyenneté », « corps, santé, bien-être et sécurité »,

« transition écologique et développement durable»…) devront être abordés. Ce sera aux établissements scolaires

eux-mêmes de gérer ces ateliers qui, avec l’accompagnement personnalisé généralisé (qui concernera tous les

collégiens contre une partie des 6e actuellement) représenteront 20% de l’emploi du temps des élèves.

Les enseignants s'apprêtent à cesser le travail et à descendre dans la rue, mardi 19 mai, à l'appel d'une

intersyndicale majoritaire parmi les professeurs du collège, remontés contre la réforme de Najat Vallaud-Belkacem. Un

baptème du feu pour la ministre de l’éducation nationale, en poste depuis moins d'un an.

Les professeurs de latin et de grec craignent un effritement de leurs horaires avec la suppression de ces options,

remplacées par un enseignement pratique interdisciplinaire consacré aux langues et cultures de l'Antiquité. Même

inquiétude chez les professeurs d'allemand, dont la discipline pâtira, selon eux, de la suppression des classes bilangues

(deux langues étrangères dès la 6e, des classes suivies par 16% des élèves de 6e). La réforme propose à la place

deux langues étrangères pour tous en 5e.

Ces mesures ont suscité de très vives réactions au sein de la droite et auprès de quelques personnalités de gauche.

Mais c'est l'autonomie accrue accordée aux établissements et l'interdisciplinarité (croiser deux disciplines lors d'un

même cours) qui mécontentent le plus les syndicats anti-réforme. Ils redoutent que la première donne trop de

pouvoir aux chefs d'établissement et que la seconde grignote les horaires de chaque matière, dans un pays où le

corps professoral est très attaché à ses disciplines.

최근 논란과 비판의 중심에 있는 프랑스 정부의 중등교육 개편안이 2016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이중 언어수업 폐지

현재 프랑스 학생의 16%는 6학년부터 이중 언어 수업을 듣고 있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이 교육과정이 사라지고, 영어

수업 같은 일반적인 외국어 수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중학교 3학년과 4학년 학생들이 듣는 유럽관련 학과 보충 언어

수업 시수도 줄어든다. 그 대신에 교육부는 의무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5학년부터 제 2외국어 수업을 듣도록 한다.

2. 라틴어 과목 유지

라틴어 선택과목은 EPI(학제간 실용 교육) 내 개설된 ‘고대 언어와 문화’ 과목이 생긴 관계로 없애기로 했었다. 하지만 고

대 언어 교사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한 교육부 장관은 EPI에 ‘보충 교육’ 항목을 추가함으로서 라틴어 선택과목을 유지하기

로 했다.

3. 이슬람교 교육 필수과목 유지

교육과정 개혁 반대자들은 5학년 과정의 ‘중세 기독교 역사’는 선택이면서, ‘이슬람교의 탄생’은 왜 필수냐고 반발한다.

그런데 이 이슬람교 수업은 이미 지난 몇 년간 5학년 수업 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실제 수업은 ‘이슬람교 탄생과 발견’

그리고 ‘중세 이슬람교’로 개설된다. 4학년 수업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유럽에 지배된 세계 : 식민지 제국, 무

역, 그리고 노예 제도’는 필수과목이며, ‘계몽주의 시대의 사회와 문화’는 임의 선택 과목이다.

4. 다양한 과목이 섞인 통합 수업 신설

각기 다른 과목의 선생님들은 EPI 수업 때 함께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8개 중 6개 과목이 필수로 지정될 것이다. (‘과

학, 기술, 그리고 사회’, ‘정보, 커뮤니케이션, 시민권’, ‘몸, 건강, 복지와 안전’, ‘생태계 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등) 이는 학

교 자체에서 모든 학년의 시간표 중 20%를 할애해 관리하기로 한다.

프랑스 정부가 이처럼 교육 개혁에 나선 이유는 중등 교육의 국제 경쟁력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

발기구(OECD)가 2012년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65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프랑스 학생의 수학 성적은 25위,

과학은 26위, 읽기는 21위로 중위권에 머물렀다. 프랑스 교육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3세 학생 5명 가운데 1명꼴로 기

초 수학 문제도 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정부는 라틴어나 중세 기독교 등 보통의 중학생이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 교과 과정을 좀 더 실용적이고 실

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과목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대 프랑스 교육부 장관 가운데 37세로 최연소인 나자트 발로

벨카셈 교육부 장관이 이 개혁에 앞장섰다.

그러나 라틴어와 그리스어 교사는 해당 과목 선택을 없애고 EPI과목으로 통합하면서 수업시수가 줄어드는 것을 두려워

하고 있으며 독일어 교사 또한 이중 언어 수업이 줄어들면서 같은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또한 이 조치는 우파 내부와 좌파의 몇몇 인사들에게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개혁에 반대하는 이들

이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부분은, 교육기관의 독단적 결정과 학제 간 통합 교육이다. 전자의 경우, 학교 교장에게 지나치게

많은 권한이 주어진 것, 후자의 경우엔 과목 시수 축소로 인해 수업 시간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프랑스 교수진이 입을 타격

을 염려한다.

현재 교사들은 길거리에서 대규모 시위를 도모하였으며, 이는 이번에 새로 임명된 교육부 장관이 처음으로 직면하는 거

센 항의이기도 하다. 최근 한 여론조사 결과 프랑스인의 61%는 이번 교육 개혁에 반대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 Parisien "Réforme du collège : distinguer le vrai du faux"

Le Monde "Réforme du collège : le gouvernement face à la fronde des enseignants”

연합뉴스 “거리로 나선 프랑스 교사들…교육개혁 반대 파업”

Page 4: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2015년 5월 28일 - 제 15호 -

8-Mai 1945, 8-Mai 2015, commémoration à Paris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 행사 파리에서 열려

8-Mai 1945, 8-Mai 2015, 70 ans après la capitulation

de l'Allemagne nazie, des commémorations ont lieu un

peu partout à travers l'Europe, notamment en Pologne,

et sur les Champs Elysées à Paris.

Le 8-Mai 1945, c’était il y a soixante-dix ans. Une

immense foule dans les rues de Paris pour fêter la

capitulation de l’Allemagne. . Il faisait beau ce jour-là.

70 ans plus tard, ce sont la grisaille et la pluie qui sont

au rendez-vous sur les Champs-Elysées, ce 8 mai 2015.

Une cérémonie a lieu en plein coeur de Paris pour se

souvenir du bonheur des Parisiens de 1945, dans une

Europe libérée mais dans une France meurtrie par

l’épuration qui débute dès 1944 et un désir de

vengeance.

Dans les tribunes, des lycéens et des collégiens sont

mêlés aux anciens combattants. Les jeunes sont à

l’honneur cette année, gardiens de la mémoire, et

associés à cette cérémonie des 70 ans de la

capitulation de l’Allemagne.

Le Concours national de la résistance et de la

déportation a récompensé une quarantaine de lycéens

et de collégiens pour leurs travaux sur la Seconde

Guerre mondiale. Un concours qui a lieu chaque année

mais dont l'édition 2015 s'est déroulée à l'Elysée, en

présence de François Hollande. L'occasion de rappeler

aux élèves, le devoir de mémoire.

Devant un public silencieux, Louis Cortot s'avance sur

l'estrade. Cet ancien résistant de 90 ans raconte

comment et pourquoi il s'est engagé durant la guerre.

« Réfléchissez, n’acceptez pas les injustices,

interessez-vous à ce qui se passe en France, en Europe,

dans le monde. Tout vous concerne. Agissez ».

지난 8일, 독일 나치군의 항복을 기념하는 승전기념일

70주년 행사가 유럽 전역에서 거행되었다. 특히 폴란드와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에서는 2차대전 전사자들의

추도식이 열렸다.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1945년 5월 8일, 독일의 항복을

축하하기 위해 파리의 거리로 엄청난 군중이 몰려들었다.

맑은 날이었다. 70년 후, 2015년 5월 8일의 샹젤리제 거

리는 흐리고 비가 왔다. 자유를 되찾은 유럽을 축복함과

동시에 1944년부터 시행된 나치 협력자 처벌 작업 등으

로 인한 프랑스의 아픔을 기억하고자 기념식이 열렸다.

행사에는 중고등학생들과 퇴역병사들이 함께 했다. 프

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에게 초청받은 100여명의 학생들은

전쟁의 아픔과 종전의 기쁨을 보존하는 역할로서 종전

70주년 행사에 참석하는 영광을 얻게 됐다.

이 날, 전쟁포로 강제 수용과 저항정신을 주제로 하는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 백일장에서 40여명의 학생들

이 수상했다. 매년 이 대회는 올해 특별히 엘리제궁(프랑

스의 청와대)에서 개최되었다.

이 날 연설을 맡은 루이스 코르토 씨는 연단으로 나와

고요한 대중 앞에 섰다. 전 레지스탕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점령에 저항하여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일

어난 지하운동 및 단체) 대원이었던 90세의 그는 젊은이

들에게 자신이 어떻게, 그리고 왜 전쟁에 지원했었는지

말했다. “곰곰이 생각하세요. 불의에 대항하세요. 프랑스,

유럽, 그리고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심을 가지

세요. 이 모든 것들이 당신과 관계가 있습니다. 행동으로

옮기세요”

13 김세경 <[email protected]>

참고 : RFI “8-Mai 1945, 8-Mai 2015, commémoration à Paris

sur les Champs-Elysées”

5 bonnes raisons des internautes d'aimer le Festival de Cannes프랑스 네티즌들이 칸 국제 영화제를 사랑하는 5가지 이유

La 68ème édition du Festival de Cannes est démarré

le 13 mai. Vous détestez Cannes? Tant pis pour vous!

Nos internautes l'adorent et pourraient bien vous faire

changer d'avis.

1. Pour rêver

Ju l'explique : « C'est toujours sympa de vivre à un

autre rythme pendant 10 jours, malgré la circulation

difficile et la gêne occasionnée. Le Festival, c'est un peu

le début de l'été! »

2. Pour guetter les « people »

Nina liste: « Tout m'amuse! Croiser de drôles de gens

ou compter les escabeaux devant le Palais des Festival

s… » Sylvie aime croiser du beau monde. « les stars se

baladent toute la journée. »

3. Pour aider la ville

Annie voit grand. Selon elle, « c'est le monde entier

qui y vient! Les films, les acteurs, la mode, les voitures,

Cela fait travailler beaucoup de monde, des kilomètres

aux alentours. »

4. ... et le cinéma aussi

« C'est parfois une obligation, pour les acteurs, d'y

aller. Mais ce n'est pas méchant, au contraire, c'est

indispensable, explique Tristan. Ça permet de faire

rentrer de l'argent, pour eux, mais aussi pour les

producteurs et les distributeurs, .»

5. Pour le neveu de notre internaute

Quelle chance pour Sylvie de se retrouver impliquée dans

une des sélections du Festival! « Mon neveu est

sélectionné pour un court métrage! Bonne chance à lui! »

지난 13일 제 68회 칸 국제 영화제가 막을 올렸다. 이

영화제를 좋아하지 않는 이들에게 르 피가로지가 이 축제

를 즐겨야 할 이유 5가지를 소개한다.

1. 일상에서 벗어나자

“축제 기간 동안 교통상황이 불편하지만 10일 동안 평상

시와 다른 날을 살아볼 수 있어서 좋아요. 칸 영화제는 여

름을 알리는 신호 같아요!” 네티즌 쥬 씨는 말한다.

2. “사람들”을 구경하기 위해

“모든 것이 재밌어요! 특이한 사람들 사이로 지나가는 것

도, 영화제가 진행되는 페스티발 궁 앞에 있는 사진기자들

의 의자 갯수를 세는 것도요.” 니나 씨가 말했다. 실비 씨

는 영화계, 사교계 인사들을 마주치는 것을 즐긴다. “스타

들이 길거리를 걸어다녀요!”

3. 마을을 돕기 위해

안니 씨는 큰 그림을 본다. “사람들이 세계 각지에서 이

곳으로 와요! 영화 작품, 배우들, 유행, 자동차... 이는 근방

수 킬로미터의 사람들에게까지도 일자리를 주죠.”

4. 영화계를 위해

“배우들은 때때로 이 곳에 의무적으로 오게 돼요. 나쁜 의

미가 아니라, 그들에게 이 영화제가 필수적이라는거죠. 칸

영화제는 배우들 뿐 아니라 영화 제작자, 배급사에도 수익

을 안겨줘요”

5. 개인적인 이유도 있다!

칸 영화제를 좋아하는 이유를 밝힌 네티즌 중 하나인 실

비 씨에게는 이 축제를 더욱 특별하게 생각할만한 이유가

있다. 바로 사랑하는 가족이 이 축제에 관련되어 있기 때

문이다. “제 조카가 이번에 단편영화 부문에서 수상했어요!

정말 행운이에요!”

14 박소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 Figaro "5 bonnes raisons des internautes d'aimer le Festival de Can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