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25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Upload: others

Post on 04-Mar-2020

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2015년 11월

보 건 복 지 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제 출 문

보건복지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과제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년 11월

■ 주관 연구 기관명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관 연구 책임자 이진석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연 구 원 강영호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연 구 보 조 원 김연용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배재경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Page 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 -

요 약

1. 사회의학의 개념과 범위

□ 사회의학의 개념

◦ 사회의학의 개념은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연구자와 문헌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음. 그러나 이런 역사적 변화 과정과

개념 정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다음 세 가지의 특성을 공통 요소로 포함하고 있

음. 첫째, 사회적, 경제적 조건이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 기술 등에 깊은 영향을

미침. 둘째, 인구집단의 건강은 사회적 관심사임. 셋째, 사회는 개인적 수단과 사회

적 수단 모두를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켜야 함.

◦ 기존 사회의학 개념 정의의 공통된 특성을 종합하면,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에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측면과 관련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건강 향상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과학적 방법론과 함께 사회학, 인류학, 경제

학, 행정학, 법학, 윤리학 등의 인문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를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로 이해할 수 있음.

□ 사회의학의 범위

◦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의 다양성만큼 사회의학의 범위에 대해서도 다양한 내용이 제

시되고 있음.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의학의 연구 범위를 다음과 같이 분

류할 수 있음. (1) 역학과 통계학을 기본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건강과 불건강 상태

를 측정하고, 관련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연구, (2) 개인 수준의 건강 향상을 위한 예

방의료 서비스와 인구집단의 건강 향상을 위한 공중보건 서비스 관련 연구, (3) 재

정과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보건의료체계 관련 연구, (4)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의학 관련 연구, (5) 보건의료전문직과 보건의료조직의 행태와 문화, 윤리

관련 연구, (6) 환자와 보건의료전문직의 관계와 의사소통, 환자의 믿음과 행태, 경

험 관련 연구

Page 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 -

2.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현황 진단 및 우선순위 과제

□ 특정 연구주제에 편중

◦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보건의료재정과 건강행태요인 관련 주제에 집중되어 있음.

건강행태요인도 흡연, 음주, 운동 등 특정 위험요인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임.

◦ 국가보건의료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보건의료시설과 조직,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함. 의사(의료기관)와 환자 간의 직접 대면 관계를 다루는 의

사-환자 관계, 의사소통, 환자중심의료, 환자안전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

정임.

□ 문제발견형 연구에 치중, 문제해결형 연구는 미미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62%는 문제발견형 연구로서 단순 현상을 분석하는데 대부분

의 연구가 치중되어 있음.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는 연구는 21%를 차지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혹은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를 분석하거나 대안을 제시하는 문제

해결형 연구는 4%에 불과했음(외국은 문제해결형 연구의 비중이 11%).

□ 연구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 국민의 인식 차이

◦ 사회의학 연구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전문가 집단과 일반 국민 간의 인식 차이가 매

우 큰 것으로 나타났음.

­ 전문가 집단은 경제적 측면에 연구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경향: 경제적 접근성, 안

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보험료 부담 등

­ 일반 인구는 집단은 서비스 공급자와의 대면관계 측면에 연구의 우선순위를 부여하

는 경향: 의사-환자 신뢰, 충분한 정보 제공, 친절한 의료

◦ 기존의 사회의학 연구는 전문가 집단의 우선순위 주제 중심으로 진행, 수요자 관점

의 연구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함.

□ 사회의학 연구의 우선순위 연구주제

◦ 보건의료인력의 생산, 활용, 분포에 대한 기반 연구

­ 의과대학생의 진로 선택(전공, 기관, 지역)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보건의료계열 전공 학생의 진로 선택 결정요인 연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

사, 의료기사 등

Page 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 -

­ 보건의료 직역 간의 영역 갈등 양상과 원인 분석 연구

­ 보건의료인력의 전문직업주의 형성과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보건의료 전문직 추적 관찰 연구(건강, 행태, 근로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보건의료정

책에 대한 인식, 사회인식 등)

◦ 보건의료기관의 생애주기(설립, 분포, 운영, 성장, 폐쇄)를 추적 관찰하는 의료공급체

계 기반 연구

­ 보건의료기관의 설립, 분포, 운영, 폐쇄 양상과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보건의료산업의 설립, 분포, 운영, 폐쇄 양상과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국민의 의료이용 관련 행동 추적 관찰 연구

­ 환자의 대형병원 선호와 지역 이동의 특성과 관련 요인: 상병·중증도·계층별 분석,

지역 특성, 국민의 의료기관 선택 요인(정보 습득,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 문화적 요

인 등)

­ 사회환경 변화와 국민의 의료이용: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교통의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 국민의 건강과 의료 관련 인식과 의료이용: 건강과 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

(건강, 웰빙, 비만, 연명치료 등), 건강믿음과 질병관, 의료전문직과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과 신뢰

◦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의료서비스 근거 생산 및 개입 연구

­ 정부 정책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

적이고 지속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정책 결정의 근거를 생산하는 기반 연구

­ 지역사회 개입 프로그램을 기획, 수행함으로써 근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연구

◦ 환자중심의료를 위한 기반연구

­ 의료전문직과 환자, 국민의 신뢰 관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의료전문직과 환자의 의사소통

­ 환자중심의료의 개념과 현황, 발전방안

◦ 보건의료인문학 육성을 위한 기반연구

­ 보건의료인문학 육성사업: 의철학, 보건의료역사학, 의료윤리학, 의료법학, 의료인류

학, 의료사회학

◦ 건강수준-건강관련행동-사회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환경-보건의료 및 사회정책의 관

계 분석을 위한 기반 구축

Page 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 -

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 조사 문항의 구성

◦ 문항 구성은 기존 조사(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한국의료패널 등)의 문

항(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및 행태,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관련 문항)을 활용·수정하

였으며, 기존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아래의 변수들을 추가하였음.

­ 환자의 물리적/사회적 환경 및 사회적 지지 등

­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자가평가 기대여명

­ 의사에 대한 신뢰도(의사-환자 관계)

­ 의료기관 선택 요인

□ 주요 결과

◦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요인이 건강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의 조사결과와

유사함. 본 조사의 특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주관적 건강수준: 사회적 관계가 풍부하고, 양호한 물리적 환경을 가진 경우에 높은

주관적 건강수준을 보임. 또한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주관적 건강수준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짐.

­ 자가평가 기대여명: 사회적 관계가 풍부하고, 사회적 참여가 활발할수록 높은 자가

평가 기대여명을 보임.

­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사회적 참여가 활발하고, 양호한 물리적 환경을 가진 경우에

높은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를 보임. 질병 이환, 의료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은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를 보이며,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보건의료체계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 의사에 대한 신뢰도: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으며, 연령이 높

을수록 의사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임.

­ 의료기관 선택: 기존의 만성질환자는 동네의원을 선호하지만 무질환자는 병원을 선

호하는 경향을 보임. 또한 이전에 어떤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지가 미래의

경증질환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동일 유형

의 의료기관 선택).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신 시설과 장비 > 의

료비 수준 > 주위 평판 > 거리와 소요시간 > 의료진의 친절 > 청결 정도 > 질 평

가 결과 > 대기시간 > 행정적 편의성’ 순으로 응답함.

Page 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 -

4.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발전과제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

◦ 연구기획 및 과정관리 개선

­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 구성·운영

­ 연구주제 발굴 및 과제 선정, 결과 평가에 이해당사자, 일반인 참여 기전 마련

­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비율 기준을 설정하여 사회의학 연

구 발주에 반영

­ 문제발견형 연구가 아닌, 문제해결형 연구(지역사회 개입연구)에 대한 가산점 부과

­ 장기과제가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도록 기준 설정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관리와 지원을 위한 전담체계 마련

◦ 결과 활용 및 환류

­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연구결과의 공유 활성화를 위해 사회의학 연구 포

털을 구축하여 운영

­ 비전문가 집단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 자료 작성

­ 다양한 연구결과물(칼럼, 뉴스레터, 강의 등)을 사회의학 분야 연구실적으로 인정하

는 체계 마련

­ 연구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결과 공개

□ 사회의학 분야의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

◦ 조사방법론 개선

­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양질의 2차 자료원(건강보험통계, 통계청 자료, 국민건강영

양조사, 한국의료패널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큰 장점

­ 그러나 기존 2차 자료원이 건강결정요인이 포괄적으로 포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한계(심리적·문화적 요인, 사회적 지지체계, 사회적·물리적 환경, 의료이용의 대면관

계 측면 등)

­ 새로운 사회의학 연구 자료원을 구축하는 것보다 기존의 자료원을 보완하는 방향이

효과적임. 연구자의 자료 활용을 위한 정보제공 및 활용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연구방법론 개선

­ 사회의학 연구에서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지만, 보건의료 계열과 비보건의료 계

열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의 비중은 10% 수준에 불과함(외국은 다학제적

접근 연구의 비중이 26%).

Page 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 -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99%가 양적 연구이고, 질적 연구는 1%에 불과했음(외국은 질

적 연구의 비중이 14%).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총 8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고 있

는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연구방법

론을 활용함.

­ 일반 학술지 게재가 힘든 사례연구와 질적 연구 등을 게재할 수 있는 Bulletin 형태

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 등의 방

안을 통해 다양한 연구방법론 적용과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Page 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목 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가. 연구의 필요성 ························································································1

나. 연구목적 ·································································································6

2. 연구수행체계 ································································································7

3. 연구내용 및 방법 ·························································································7

가. 사회의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 현황 진단 ············································ 7

나.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 11

다.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과제 ··································· 12

제2장. 사회의학의 개념과 국내외 연구동향 ································ 15

1. 사회의학의 개념과 범위 ············································································ 15

가. 건강과 질병 문제에 대한 사회의학적 접근의 필요성 ······················· 15

나. 사회의학의 개념 ·················································································· 16

다. 사회의학의 범위 ·················································································· 21

2. 사회의학 국·내외 연구 동향분석 ···························································· 25

가. 연구 배경 ····························································································· 25

나. 연구 방법 ····························································································· 29

다. 연구 결과: 비교항목별 결과 ······························································· 46

라. 연구 결과: 교차분석 결과 ··································································· 62

마. 국내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현황 진단 요약 ····································· 63

제3장.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 69

1. 이론적 배경 및 문항 설계 ········································································ 69

2.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 72

가. 이론적 배경 ························································································· 72

나. 주관적 건강수준 ·················································································· 73

다. 질병이환 ······························································································· 75

Page 1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 -

라. 자가평가 기대여명 ··············································································· 79

마.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81

바. 의사에 대한 신뢰도 ············································································· 83

사. 미충족 의료필요 및 이유 ···································································· 85

아.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물리적 환경 ················································· 88

3.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 92

가. 주관적 건강수준 ·················································································· 92

나. 질병이환 ······························································································· 94

다. 자가평가 기대여명 ··············································································· 97

라.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98

마. 의사에 대한 신뢰도 ············································································· 99

바.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00

4. 질병이환 상태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103

가. 주관적 건강수준 ················································································103

나. 자가평가 기대여명 ·············································································104

다.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05

라. 의사에 대한 신뢰도 ···········································································106

마.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07

5. 물리적·사회적 환경과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110

가. 이론적 배경 및 문항 설계 ································································110

나. 주관적 건강수준 ················································································116

다. 질병이환 ·····························································································117

라. 자가평가 기대여명 ·············································································119

마.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20

바. 의사에 대한 신뢰도 ···········································································122

사.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23

6. 의사-환자 관계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125

가. 주관적 건강수준 ················································································125

나. 질병이환 ·····························································································126

다. 자가평가 기대여명 ·············································································127

라.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27

Page 1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 -

마.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28

7.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9

가. 의료기관 선택 영향 요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129

나. 사회경제적 수준/질병 이환/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료기

관 선택 ····································································································137

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선택 영향 요인 ············································142

라. 영향 요인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3

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 ········································148

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148

나. 만성질환에 대한 종합적 분석 ···························································150

다. 주관적 건강수준과 질병이환 상태에 대한 분석 비교 ·····················153

제4장. 사회의학 분야 연구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 155

1.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 ························································155

가. 연구주제 설정 및 발굴의 필요성 ·····················································155

나. 연구 우선순위 설정방법 ····································································156

다. 사회의학 분야 구성요소 및 주요 가치 ············································157

2. 일반인 대상 우선순위 설정 ·····································································166

3.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177

4. 사회의학 분야의 우선순위 연구과제 ······················································183

가. 보건의료인력의 생산, 활용, 분포에 대한 기반 연구 ·······················183

나. 보건의료기관의 생애주기(설립, 분포, 운영, 성장, 폐쇄)를 추적 관찰

하는 의료공급체계 기반 연구 ······························································184

다. 국민의 의료이용 관련 행동 추적 관찰 연구 ··································· 185

라.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의료서비스 근거 생산 및 개입 연구 ············ 186

마. 환자중심의료를 위한 기반연구 ·························································187

바. 보건의료인문학 육성을 위한 기반연구 ············································188

사. ‘건강수준-건강관련행동-사회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환경-보건의료 및

사회정책’의 관계 분석을 위한 기반 구축 ·············································188

아. 우선순위 연구과제의 추진 방안 ·······················································190

Page 1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 -

제5장.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과제 ··············· 191

1.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 ···············································191

가. 체계적 연구 지원 및 관리의 필요성 ················································191

나.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현황 ·········································193

다.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을 위한 과제 ··················· 195

2. 사회의학 분야의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 ············································202

가. 사회의학 연구방법론의 개선 필요성 ················································202

나.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 조사 및 연구방법론 비교분석 ·····················206

다. 사회의학 분야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을 위한 과제 ··················· 206

제6장. 참고문헌 ············································································· 210

제7장. 부록 ····················································································· 214

1. 대국민 설문조사 ·······················································································214

2. 전문가 의견조사(1차) ···············································································225

3. 전문가 의견조사(2차) ···············································································229

Page 1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표 목차

표 1. 보건의료의 중분류별 연구개발 투자 비중 ········································································3

표 2. 사회의학의 다양한 주제들(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 예시) ···········································9

표 3.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주제 분류 틀과 구분 예시 ··························································11

표 4. 사회의학 입문의 목차 구성 ······························································································22

표 5. 연구 동향 분석의 선행연구 ······························································································28

표 6. 국내·외 저널 예상 논문 수 비교 ·····················································································30

표 7. 예방의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영역별 주제에 따른 분류 ···········································31

표 8. 연구 주제 분류 ·················································································································32

표 9. MeSH term : N. Health care ··························································································33

표 10. 연구주제에 따른 분류 ·····································································································35

표 11. 연구방법론 분류 ············································································································38

표 12.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39

표 13. Criteria for the levels of statistical methods ·······························································40

표 14. 자료 분석 방법에 따른 분류 ··························································································41

표 15. 자료원에 따른 분류 ········································································································42

표 16. 건강행태 모형 ················································································································42

표 17. 사회생태적 모형에 따른 분류 ······················································································44

표 18. 분석단위 Ⅰ에 따른 분류 ·······························································································44

표 19. 분석단위 Ⅱ에 따른 분류 ·······························································································44

표 20. 연구성격에 따른 분류 ·····································································································45

표 21. 연구기간에 따른 분류 ·····································································································45

표 22. 저자 전공분야에 따른 분류 ····························································································46

표 23.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 양적 현황 ················································································47

표 24. 연구주제에 따른 국내·외 사회의학 분야 연구 분석 ·····················································48

표 25.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1 ······························································································50

표 26.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2 ······························································································50

표 27. 자료분석방법에 따른 분류 ······························································································52

표 28. 자료원에 따른 분류 ········································································································54

표 29. 분석단위Ⅰ에 따른 분류 ·································································································56

표 30. 분석단위Ⅱ에 따른 분류 ·································································································56

표 31. 연구성격에 따른 분류 ·····································································································57

표 32. 연구기간에 따른 분류 ·····································································································58

표 33.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분류 ······························································································60

표 34. 다학제간 연구에 따른 분류 ····························································································60

Page 1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 -

표 35. 연구주제와 분석단위Ⅰ에 따른 분석 결과 ····································································62

표 36. 사회의학 분야의 주제별 연구 동향(2004, 2009, 2014) ··················································65

표 37.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연구성격 비교 ········································································67

표 38.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74

표 39.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질병이환 ·················································································77

표 40.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80

표 41.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81

표 42. 외국(common wealth fund) 조사 결과와의 비교 ·························································82

표 43.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84

표 44.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미충족 의료필요 및 이유 ······················································86

표 45.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물리적 환경 ····································90

표 46. 건강행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93

표 47. 건강행태에 따른 질병이환 ······························································································95

표 48. 건강행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97

표 49. 건강행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98

표 50. 건강행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99

표 51.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01

표 52.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103

표 53.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104

표 54.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05

표 55.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106

표 56.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08

표 57. 사회적 네트워크 문항의 예 ······················································································110

표 58. 사회적 지지 문항 ········································································································111

표 59.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116

표 60.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질병이환 ···············································································118

표 61.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119

표 62.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21

표 63.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122

표 64.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24

표 65.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125

표 66.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질병이환 ·································································126

표 67.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127

표 68.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127

표 69.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128

표 70.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3

표 71. 보건복지부 약가 본인부담률 차등 52개 만성질환 ······················································134

Page 1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표 72.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38

표 73. 질병 이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39

표 74. 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1

표 75.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선택 영향 요인 ········································································142

표 76. 거리 및 소요시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3

표 77. 청결 정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3

표 78. 최신 시설 및 장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4

표 79. 주위 평판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4

표 80.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5

표 81. 의료비 수준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5

표 82. 의료진 친절성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6

표 83. 진료/검사 대기시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6

표 84. 의료서비스 공식 평가 결과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47

표 85.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 ·································································149

표 86.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 ···················································151

표 87. 만성질환(전체)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 ····································································152

표 89. 보건의료 성과평가 지표의 국가별 비교 ······································································160

표 90. 반응성 측정 지표의 각 국 비교 ·················································································162

표 88.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개념 및 지표 설정 ·········································164

표 89.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166

표 90.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요인별 분석1] ···· 169

표 91.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요인별 분석2] ···· 170

표 92.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 조사 결과(일반인 조사와의 비교) ··············177

표 93.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2차 전문가 조사 결과(일반인 조사와의 비교) ·······179

표 94. 사회의학 연구 주제별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 조사 ·················································181

표 95. 사회의학 연구과정의 각 단계별 활동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194

표 96. 사회의학 분야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연구관리

및 지원 ·························································································································197

표 97.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특성 ·····················································································203

표 98.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특성 ···················································································204

표 99. 보건의료 관련 설문 조사 현황 ·····················································································205

표 100. 사회의학 연구체계 및 연구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조사 및 연구방

법론 ·······························································································································207

Page 1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그림 목차

그림 1. 건강의 장 모형 ················································································································2

그림 2. 생활양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4

그림 3. 미국 연방정부 연구개발 기능별 예산(2011) ································································5

그림 4. 연구수행체계 ···················································································································7

그림 5. 사회의학의 영역 ··············································································································8

그림 6. 건강의 주요 결정 요인 ·······························································································10

그림 9. 건강의 장 모형 ··············································································································20

그림 8. 사회의학과 관련 학문 분야와의 관계 ··········································································24

그림 9.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udy types ··················································38

그림 10. 사회 네트워크 크기에 따른 분류 ·············································································43

그림 11. 연구주제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49

그림 12. 연구주제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49

그림 13. 연구방법론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1

그림 14. 연구방법론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51

그림 15. 분석방법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3

그림 16. 분석방법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3

그림 17. 자료원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5

그림 18. 자료원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55

그림 19. 분석단위Ⅰ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6

그림 20. 분석단위Ⅰ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56

그림 21. 분석단위Ⅱ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7

그림 22. 분석단위Ⅱ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7

그림 23. 연구성격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8

그림 24. 연구성격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58

그림 25. 연구기간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59

그림 26. 연구기간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59

그림 27.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61

그림 28.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61

그림 29. 건강행태에 대한 국내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63

그림 30. 건강행태에 대한 해외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63

그림 31.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국내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63

그림 32.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해외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63

그림 33.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의료체계 개념 ·······························································69

Page 1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 -

그림 34.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개념 모식도 ························································70

그림 35. 통계청 사회조사의 사회적 관계 및 단체 참여 조사 문항 ······································112

그림 36.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1

그림 37. 우리나라 보건관련연구의 연구 영역별 빈도 ··························································155

그림 38. 연구 우선순위 설정의 3가지 범주 ············································································156

그림 39. 사회의학의 영역 ········································································································157

그림 40. 국가보건의료체계의 모형: 구조와 기능적 상호관계 ················································158

그림 41. 보건의료체계 감시 지표 ····························································································158

그림 42.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소와 목표 ·············································································159

그림 43. 국가 보건의료 분야 감시 및 평가(Monitoring and evaluation) 전략 주요 지표 ··159

그림 44. 한국의료패널의 보건의료체계 관련 문항 ·································································161

그림 45.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 ·········································168

그림 46.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성별) ································171

그림 47.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연령) ································172

그림 48.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학력) ································173

그림 49.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소득수준) ·························174

그림 50.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만성질환) ·························175

그림 51.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지역) ································176

그림 52. Cochrane Collaboration의 Knowledge Translation의 개념도 ·································192

그림 53. Knowledge Translation의 구성요소와 순환 과정 ····················································192

Page 1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 -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의 필요성

1) 건강에 대한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요인의 중요성

◦ 생의학적 모형(Biomedical model)은 질병의 발생이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으로 설명

된다는 모형이며 19세기 전부터 현대의학의 기본모형으로 사용되어 왔음. 하지만 20

세기 후반부터 생의학적 모형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물질적인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심리학적·행태적인 요소가 질병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기 시작

함(Engel, 1977).

◦ 서구사회의 사망률 감소 또한 예방접종이나 치료 등의 의학적 개입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영양, 위생, 경제발전과 같은 사회현상들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가

나타났으며(McKeown, 1976), 의인성 질환이나 약의 부작용 등 생의학적 모형의 부

정적인 영향도 밝혀지게 됨(Illich, 1976).

◦ 1974년 캐나다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보고서(Lalonde report)에서는 건강의 장 모

형(Health field concept)을 제시하였는데 숙주와 병원체로 구성된 기존 질병 병인론

으로부터 벗어나 건강·질병·사망을 결정하는 요인을 인체 생리, 환경, 보건의료조직,

그리고 생활양식의 4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음

(Lalonde, 1974).

◦ 생의학적 모형에서는 주로 인체 생리의 측면에서만 건강을 다루었지만 사회의학 영

역에서는 환경과 함께, 보건의료조직, 생활양식이 중요하게 다루어짐.

Page 1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 -

그림 1. 건강의 장 모형

2) 특정 영역과 주제에 편중된 기존의 사회의학 연구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의학의 주된 관심사와 관련된 분야는 공급자의

영역인 보건의료 재정, 보건의료 자원과 보건의료 제공 체계, 보건의료 서비스가 있

고, 수요자의 영역인 건강과 건강행태가 있음. 또한 공급자와 수요자가 공유하는 보

건의료 정책 및 관리와 보건의료 정보 분야가 있음(신영수와 김용익, 2013).

◦ 국내 보건관련 학술지의 연구 양상을 보면, 주로 보건의료 사업과 보건의료 재정과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고, 보건의료 정보 및 인력, 행태와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

로 적게 수행되었음(최용준, 2001).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 양상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주로 의약품 및 의생명과학

및 임상의학, 치료에 관련된 연구가 많음(박은자 등, 2013). 이는 인체 생리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환경, 보건의료조직, 생활양식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줌.

Page 2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 -

표 1. 보건의료의 중분류별 연구개발 투자 비중

◦ 생활습관, 환경, 의료제도에 대한 연구에서도 인체 생리나 의학적으로 건강과 밀접

한 관련이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음. 건강증진기금의 지원을 받는

건강증진연구사업에 건강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도 있지만, 인체 생리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편임.

◦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에서 보면, 공급자 영역의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된 반면, 수요

자 입장에서의 연구는 부족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서는 1999년 발간된 보고서를 통해, 보건의료체계의 목표(health system goals)를 건

강수준, 재원 기여에서의 공정성과 함께 보건의료체계 반응도(health system

responsiveness)를 높이는 것으로 정의하여 의료체계가 수요자, 즉 환자의 기대에 부

응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함(Murray 등, 1999).

3) 사회의학 연구 우선순위 설정의 필요성

◦ 생활습관이 조기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조기 사망의 약 50% 이상

이 생활습관과 관련 있으며, 인체 생리의 영향은 16.4%라고 보고함(Corbin 등,

1999). 하지만 국내 수행되고 있는 연구는 주로 인체 생리에 대한 연구이며 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합리적인 근거도 마련되어 있지 않음.

Page 2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 -

건강환경

인체생리

의료제도

생활습관

• 조기사망: 16.4%

• 비용: 1.6%

• 조기사망: 9.8%

• 비용: 94.9%

• 조기사망: 53.5%

• 비용: 1.9%

• 조기사망: 21.8%

• 비용: 1.6%

건강환경

인체생리

의료제도

생활습관

• 조기사망: 16.4%

• 비용: 1.6%

• 조기사망: 9.8%

• 비용: 94.9%

• 조기사망: 53.5%

• 비용: 1.9%

• 조기사망: 21.8%

• 비용: 1.6%

그림 2. 생활양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Corbin 등, 1999)

◦ 근거에 기반한 연구 우선순위설정(research priority setting) 방법은 WHO를 비롯하

여 각 국에서 실제 연구 지원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건강문제의 규모, 분포, 그리고

비용에 따라 보건관련 연구의 형태를 분류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Feachem 등,

1989).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의 및 연구가 부족한 편임.

4) 체계적 연구 지원 및 관리의 필요성

◦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예산 중 보건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3%이며 1998년부터 2003년까지는 약 두 배 가량 증가하였음.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이 주로 관리하는 보건분야 예산은 국방 예산 다음으

로 크며 2011년 기준 322억 달러(약 35조원)에 해당함.

Page 2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 -

그림 3. 미국 연방정부 연구개발 기능별 예산(2011)

◦ 영국은 연구에 있어 불간섭주의인 홀데인 원칙(Haldane principle), 즉 ‘연구기금은

정치가가 아닌 연구기관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는

원칙을 적용하고 있음. 또한 이중 지원 구조(dual funding structure)를 가지고 있어,

고등교육재정지원위원회(HEFC,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s)와 연구회(RC,

Research Council)로부터 대학이 연구 지원을 받도록 함. 1920년 연구회 중 최초로

세워진 의학연구회(MRC, the Medical Research Council)에서는 주로 기초의학 분야

의 연구 지원을 하며 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투자도 활발함.

◦ 한국의 연구지원체계의 문제점은, 분야별 예산 배분 방식이 아닌 사업 중심(개인연

구자지원사업, 집단연구지원사업 등)의 예산 배분 지원을 하고 있으며 연구자 중심

이 아닌 부처 중심의 연구비 지원 및 수행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음(조현대 등,

2014).

◦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건강의 사회적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주제 선정·지원·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이 요구되고 있음.

5) 사회의학 연구 방법론 제시의 필요성

◦ 기존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는 주로 역학, 통계학 방법론에 의존하였음. 이 같은 방

법론은 문제의 전반적인 현황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문제 발생의 원인

과 해법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Page 2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 -

◦ 이에 심리학, 사회복지학, 인류학, 정치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분야의 다양한 방법

론을 활용한 사회의학 연구가 필요함.

6) 합리적 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사회의학 근거 마련의 필요성

◦ 건강에 대한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은 커져 가고 있으나 기존의 사회

의학 연구는 특정 영역과 주제에 편중되어 있어, 우선순위 설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이와 더불어 체계적 연구 지원 및 관리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음.

◦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국민건강과 의료이용에 관련된 사회의학 관련 연구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근거에 기반한 정책 수립이 어려웠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합리적

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증가함.

나. 연구목적

◦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국내외 연구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통하여 국내 연구의 한계

와 문제점을 진단함.

◦ 사회의학 영역별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함.

◦ 사회의학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실질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사회의학 연구의 정책적 활용가능

성을 높임.

Page 2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 -

2. 연구수행체계

그림 4. 연구수행체계

3.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사회의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 현황 진단

1)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개념과 영역 정의

가)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

◦ 의학에 있어 사회적인 영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회학과 의학의 접점에서 현상

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증가함. 이에 따라 위생학(hygiene),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지역사회의학(community health), 사회의학(social medicine), 의료사회학

(medical sociology),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 등

유사한 개념이 등장함. 의료사회학 내에서도 의료와 관련된 환경에서 야기되는 여러

과정(조직, 역할관계, 규범, 가치 등)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분석하는 의료의 사

회학(sociology of medicine)과 의료문제를 사회학적 변수를 동원하여 분석하려는

응용연구적인 성격을 가진 의료 내 사회학(sociology in medicine)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Straus, 1957).

◦ 사회의학은 의학사전들마다 다양하게 정의됨. 사회의학의 몇 가지 정의에 대한 예

는 다음과 같음. ‘인간의 유전, 환경, 사회구조, 문화적 가치 등의 연구에 기반한 질

병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접근법(Mosby, 2009)’, '조직화된 사회의 집단적인 행태

Page 2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 -

(collective behavior)가 사회 내 다양한 하위 집단의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Segen, 2002)’, ‘의학적 현상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영향력에 초

점을 둔 의학적 지식의 특별한 분야(Farlex, 2012)’.

◦ 사회의학에 대한 개념에서 공통적인 요소로 등장하는 것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

음(Anderson 등, 2005). 첫째, 사회적·경제적 조건이 건강, 질병, 의료 기술 등에 깊

은 영향을 미침. 둘째, 인구집단의 건강은 사회적 관심사임. 셋째, 사회는 개인적 수

단과 사회적 수단 모두를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켜야 함.

◦ 이와 같이 ‘사회의학’의 개념은 다양하며 상이한 해석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의학

의 영역 및 주제 설정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음. 따라서 사회의학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사회의학 연구의 지속성을 위해 필수적이며 어떤 분야의 연

구가 필요한지도 파악할 수 있는 초석이 됨.

나)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영역 설정

◦ 사회의학의 연구 영역은 다양하며 다음의 영역별로 다양한 주제를 가질 수 있음.

그림 5. 사회의학의 영역

­ A 보건의료재정

Ÿ 누가,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부담할 것인가?

Ÿ 보건의료 재정의 부담에 대해 국민들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Ÿ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대가는 어떻게, 얼마나 부담해야 하는가?

Ÿ 보건의료 재정의 총액과 보건의료 재정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되나?

­ B 보건의료 자원과 보건의료 제공 체계

Ÿ 어떤 인력을, 어떤 능력을 가지도록 양성해서, 어디에 배치, 활용할 것인가? (인적

자본)

Page 2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 -

Ÿ 어떤 시설, 기기, 재료를, 어떤 품질로 만들어서, 어디에 배치, 활용할 것인가? (물

적자본)

Ÿ 이들 보건의료 자원(인력과 시설)의 역할을 어떻게 분담하고, 어떻게 조직할 것인

가? (조직)

­ C 보건의료서비스

Ÿ 어떤 서비스를, 어느 곳에서 만들어서, 누구에게 어떻게, 어떤 비용으로 제공할 것

인가? (service-mix)

Ÿ 보건의료 서비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이며, 어떤 수준의 품질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

가? (질)

­ D 건강 및 건강 관련 행태

Ÿ 건강 수준이 어떤 인구 집단에 어떻게 분포하는가? (건강 형평성)

Ÿ 불건강의 내용은 무엇이며, 건강/불건강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주로 역학)

Ÿ 건강 관련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E 보건의료 정책 및 관리

Ÿ 건강 상태, 건강 관련 행태, 보건의료의 제공과 이용을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바꿀

것인가? 경우에 따라서는 현 상태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Ÿ 누가 어떤 과정으로 이를 만드는가? 또는 만들 것인가?

­ F 보건의료 정보

Ÿ 어떤 정보를 누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 G 보건의료의 의미

Ÿ 보건의료가 사회에서 또는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 역할, 의미를 파악하려는 영역

◦ 사회의학의 다양한 분야 중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

도 가능함(Berkman 등, 2000).

대주제 소주제

사회경제적 지위사회경제적 지위의 측정(교육, 직업, 소득 등)

이웃효과(neighborhood effect)

차별과 건강 차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소득불평등과 건강 소득분포와 사망률의 관계

작업조건과 건강 작업조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실업과 퇴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경기변동과 실직·직업불안정성의 건강 영향

사회통합·사회네트워크·사회적 지지와 건강 사회네트워크와 사망, 상병, 장애

사회응집력·사회적 자본과 건강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와 개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을증과 신체질환 우울증과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

정동상태와 건강 스트레스와 정서, 그리고 암

사회적 맥락에서의 건강행동 건강행동변화와 사회생태적 모형, 의사-환자 관계

사회심리적 중재 사회심리적 중재의 설계 방법

사회 생물학 사회생물학적 건강의 이해-신경내분비경로 등

생태학적 접근(물리적·사회적 환경의 역할) 생태학적 오류, 구성효과·맥락효과 등

사회적 결정요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모형, 영향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 Health in All Policies, 보건의료 연구와 정책의 역할 등

표 2. 사회의학의 다양한 주제들(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 예시)

Page 2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 -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1990년대 연구에서는 연령, 성, 유전적 요인 및 개

인 생활양식 등 개인적 요인과 함께 사회적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농산물과 식량생

산, 교육, 근로환경, 생활 및 근로조건, 실업, 물과 위생, 보건의료서비스, 주거 등을

비롯한 일반적인 사회·경제적·문화적·환경적 조건이 강조되었음(Dahlgren 등, 1991).

◦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2008년 “건강의 사회적 결

정요인 위원회”의 보고서를 통해 몇 가지 정책적 권고를 하였음. 첫째, 일상적 삶의

조건을 개선하고, 둘째, 권력·돈·자원의 불평등 분포를 개선하며, 셋째, 문제를 측정

하고 이해하며 개입활동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임. 이를 통하여 건강의 격차를 줄이

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함(WHO, 2008). 즉, 건강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접근이

아닌 국가와 사회의 적극적 개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일반적인 사회, 경제적,문화적 및 환경적 조건

생활 및 근로조건

사회적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개인 생활양식 요인

연령, 성,유전적 요인

농산물과식량 생산

교육

근로환경실업

물과 위생

보건의료서비스

주거

일반적인 사회, 경제적,문화적 및 환경적 조건

생활 및 근로조건

사회적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개인 생활양식 요인

연령, 성,유전적 요인

농산물과식량 생산

교육

근로환경실업

물과 위생

보건의료서비스

주거

그림 6. 건강의 주요 결정 요인 (Dahlgren 등, 1991)

2) 사회의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현황 진단

◦ 최근의 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현황을 정리한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다양

한 영역 연구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특정 분야의 연구 필요성을 제고할 수

있음. 국외 사회의학 주요 학술지와의 비교를 통해 사회의학 영역별 주제 중 어떤

주제가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부족한 연구인지 파악할 필요성이 있음.

Page 2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 -

3) 사회의학 분야 국내연구의 한계와 문제점 진단

◦ 사회의학 분야의 가능한 연구 주제는 다양하지만 국내에서는 인체 생리에 기반한

의학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고 사회의학 분야에서도 보건의료재정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연구 분야가 편중되어 있으며 건강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

치는 건강행태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임.

◦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에서도 특정 정책 위주의 연구가 단기적인 양상으로 진행되었

고, 하나의 주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연구가 부족하여 연구의 안정성을 확

보하지 못함.

나.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1) 사회의학 영역별 연구주제 설정

◦ 사회의학의 연구영역은 질병의 개인과 가족에 대한 의미, 신체적 사회현상, 의사들

의 의료행위, 문화적 현상과 의료와의 연관, 사회적 문제와 의료와의 연관, 의학교육

등 광범위함.

◦ 연구주제는 공급자 중심의 연구와 더불어 수요자(이용자) 중심의 연구주제가 제시될

필요가 있음. 또한 다양한 연구의 주제를 특정한 프레임에 근거하여 분류할 수 있

음. 가령, 연구를 성격에 따라 문제발견형 연구, 문제진단형 연구, 문제해결형 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이와 같은 구분을 통해 ‘취약한 연구분야 및 연구성격’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 문제발견형 연구: 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

­ 문제진단형 연구: 발견된 문제를 종합하여 원인을 진단하는 연구

­ 문제해결형 연구: 문제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연구

연구분야

연구성격건강수준 행태 보건의료서비스 보건의료재정 …

문제발견형 연구 2013년 A 연구 2014년 B 연구

문제진단형 연구 2015년 C 연구

문제해결형 연구

표 3.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주제 분류 틀과 구분 예시

Page 2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 -

◦ 국내외 연구현황을 기초로, 보건의료행태 및 의사-환자 관계 등 직접적인 인체 생리

와의 연관성을 적지만 건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연구

주제들이 부각될 수 있음. 이런 연구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함.

2)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우선순위 설정

◦ 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기준에 있어서도 국외에서 활발한 연구 및 실질적 정

책이 집행된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논의가 부족함. 또한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이 서

로 달라질 수밖에 없어 국가의 보건의료 및 건강수준을 개선하는 데 있어 장기적인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먼저 설정할 필요성이 있음.

◦ 우선순위 설정의 방법은 합의(consensus)에 의한 방법과 지표(metrics)에 의한 방법

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합의에 의한 방법에는 전문가 의견조사, 지표에 의한 방법

에는 질병부담(disease burden)의 측정 등을 기반으로 평가할 수 있음.

다.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과제

1)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관리 및 지원 개선

◦ 연구활용성 증대를 위한 외국의 활동 현황 중 하나로 Knowledge Translation(KT)이

라는 개념이 있음. Knowledge translation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

과정과 성과를 향상시킴으로써 해당 연구가 국민건강과 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음. Knowledge Translation은

‘Evidence'와 ’Practice' 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음.

◦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CIHR)는 Knowledge Translation을 다음과

같은 6단계의 활동으로 구분하고 있음.

- KT1: 연구주제(우선순위)와 방법론의 결정

- KT2: 연구 진행

- KT3: 평이한 언어와 활용 가능한 형태로 연구결과를 공개

- KT4: 다른 연구와 사회문화적 규범의 맥락에서 연구결과를 재구성

- KT5: 연구결과에 기초한 의사결정과 실행

- KT6: 새로운 지식을 활용한 활동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연구 수행

Page 3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 -

◦ 또한, 외국에서는 건강의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이 활발함. 영국 의학

연구위원회(MRC, Medical Research Council)에서는 ‘건강의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s on health)’이라는 단일 연구과제에 1989년부터 2010년까지 약 1,200만 파

운드(약 200억 원)를 지원하였음. 미국에서는 1996년 의회의 결정에 따라 국립보건

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내에 별도의 사무소(OBSSR, Office of basic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를 신설하였고 이를 통해 기초 행태학 및 사

회과학적 연구(b-BSSR, basic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음.

◦ 국내에는 연구지원이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연구 지원

을 하는 경우가 드물어 안정적인 연구가 수행되는 데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음.

특히 연구 주제 선정, 성과 관리 및 평가 등에 있어 연구자 중심이 아닌 부처 또는

연구수행기관 중심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음.

◦ 지속가능성이 높은 연구방법론과 연구지원체계를 제시하여 사회의학의 다양한 연구

가 보다 더 직접적으로 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함.

2)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

◦ 기존에 행해지고 있는 사회의학 관련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

법으로 구분할 수 있음. 질적연구방법에는 설문 연구, 초점 집단 토론, 전문가 의견

조사 등이 존재하는데 기존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는 주로 양적연구방법론에 의존한

연구가 많으나 환자 중심의 의료 등이 부각되면서 질적연구방법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음(Sofaer, 1999)

◦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

어졌던 분석방법인 역학, 통계학 방법론에 의존한 경향이 있음. 심리학, 사회복지학,

인류학, 정치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분야 방법론을 활용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가

필요함.

Page 3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 -

Page 3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 -

제2장. 사회의학의 개념과 국내외 연구동향

1. 사회의학의 개념과 범위

가. 건강과 질병 문제에 대한 사회의학적 접근의 필요성

◦ 의학에 있어 사회적인 영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회학과 의학의 접점에서 현상

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증가함. 이에 따라 위생학(hygiene),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지역사회의학(community health), 사회의학(social medicine), 의료사회학

(medical sociology),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 등

유사한 개념이 등장함. 의료사회학 내에서도 의료와 관련된 환경에서 야기되는 여러

과정(조직, 역할관계, 규범, 가치 등)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분석하는 의료의 사

회학(sociology of medicine)과 의료문제를 사회학적 변수를 동원하여 분석하려는

응용연구적인 성격을 가진 의료 내 사회학(sociology in medicine)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Straus, 1957).

◦ 현대에 들어서면서 의학과 사회학은 단순히 질병이나 질환 뿐 아니라 전체적 보건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최근 들어 정교하고 포괄적인 보건증진운동이 급증하는

것이 이 사실을 입증해 줌.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제도화된 병원의 울타리를 넘어

지역 사회 내에서 돌보아야 한다는 움직임이 점점 더 사회적 합의를 얻고 있음

(Jacobus et al., 1990; Scott and Morgan, 1993; Shilling, 1993). 이러한 변화가 전체

적으로 생의학적 모형을 대체할 보건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나타낼 수 있게 됨.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은 ‘현대 사회학이론의 최선봉에 설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

(Turner, 1992).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이 급속도로 발전한 이유 중의 하나는 (의료사회학은 영국과

미국의 사회학계에서 가장 큰 분과학회를 이루고 있음), 의료내 사회학(sociology in

medicine)과 의료의 사회학(sociology of medicine) 사이의 긴장임(Strauss, 1957). 의

료내 사회학은 의료의 요구와 관심에 봉사하는 사회학적 연구로 연구과제는 의학이

전문적이고 제도적으로 결정하며, 사회학자는 의학적으로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할 뿐임. 이러한 점들은 질환의 사회적 원인을 찾기 위해 의학이 노력하는

1950년대와 60년대 의료사회학의 특징임. 의료의 사회학은 보다 비판적인 방향 선회

를 보여주며, 일반인의 건강과 질병관이 더 중요시되고, 의료의 지배가 문제시되는

한편 의료전문직의 영역에 의문이 제기되어 의료조직의 기능이 검토대상으로 떠오

르는 것 등의 과정을 보여줌.

◦ 오늘날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과 의학의 관심사는 20년 전과 비교해 여러 면에서 다

름. 사회학과 의학은 이제 서로 간에 비슷한 점이 훨씬 더 많은 학문임. 의학이 변

Page 3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 -

화한 것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사회과학의 도전 때문이라 할 수 있으며 질병에 대

한 사회의 반응이 달라지고 질병의 성격 자체가 달라진 이유도 있을 것임. 20세기

후반기에는 질환부담(disease burden)의 양상이 크게 바뀜. 주로 급성·전염성 질환에

서, 암이나 순환계 질환, 또 심장문제,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질환부담이 변해

가고 있음. 평균수명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만성질환이 고령인구에 더욱 많이 발생

함. 따라서 개입보다는 감시, 치료보다는 병간호의 필요성이 높아짐. 흡연, 스트레스,

운동과 같은 라이프 스타일 요인은 이제 개인적 차원의 건강결정인자로 생각되며,

주거상태나 수입, 실업과 빈곤은 구조적 차원의 건강결정인자로 생각됨(Sarah

Mettleton, 1995).

질환 건강

병원 지역사회

급성 만성

치료 예방

개입 감시

치료 간호

환자 인간

[Box] 보건과 의료의 현대적 변천

나. 사회의학의 개념

◦ 사회의학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음. 대표적인 의학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의학의 개념은 다음과 같음.

­ 인간의 유전, 환경, 사회구조, 문화적 가치 등의 연구에 기반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

료에 대한 접근법(Mosby, 2009)

­ 조직화된 사회의 집단적인 행태(collective behavior)가 사회 내 다양한 하위 집단의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Segen, 2002)

­ 의학적 현상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영향력에 초점을 둔 의학적 지식의 특별한

분야(Farlex, 2012)

◦ 의학사전 외에도 많은 연구자와 문헌에서 사회의학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음.

­ 전우택(1999)은 사회의학의 개념을 ‘의학과 연관된 사회, 문화적 측면을 때로는 의학

내부에서, 때로는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행정학, 법학, 윤리학, 언론학, 역사학, 예

술 등의 타 학문과의 연결을 통하여 연구하고 교육하고 진료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

하는 의학으로 정의하면서, 의학을 객관적 입장에서 인문 사회과학적 시각을 가지고

평가하고 연구하여 의학으로 하여금 그 본연의 역할을 효율적이고 종합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의학의 한 분야라고 설명함.

Page 3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 -

­ 각종 의료현상의 생물학적-사회학적 상호작용(Biosocial interaction)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의학의 한 분야(Farmer et al., 2006)

­ Straus(1957)는 사회의학을 ‘의료의 사회학(sociology of medicine)’과 ‘의료내 사회학

(sociology in medicine)’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음. ‘의료의 사회학’은 의료와 관

­ 련된 환경에서 야기되는 여러 과정(조직, 역할 관계, 규범, 가치 등)을 사회학적 관점

으로 연구하는 것인 반면, ‘의료내 사회학’은 의료문제를 사회학적 변수를 동원하여

분석하려는 응용연구적인 분야로 설명하고 있음.

­ Anderson 등(2005)은 사회와 질병, 그리고 의료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분야

로 사회의학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음.

­ 한편, 인문사회의학이라는 용어도 흔히 사용되고 있음. 하버드 의대의 정의를 인용

한 양은배(2003)의 설명에 따르면, 인문사회의학은 ‘인간의 질병 및 건강에 관련된

제반 측면을 생물학적 관점 뿐만이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 등에서 설

명하려는 시도’임.

◦ 기초의학, 임상의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의학의 개념을 정의할 수도 있음.

­ 기초의학: 인간의 생명 현상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해부학, 생리학, 생화

학, 면역학, 기생충학, 미생물학, 약리학 등의 분야가 이에 해당함.

­ 임상의학: 환자의 질병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응용학문 분야로서 내과학, 외과학, 산부

인과학, 소아과학 등의 진료 분야와 영상의학, 진단검사의학, 마취과학 등 진료지원

분야로 구성됨.

­ 사회의학: 건강과 질병, 의료의 사회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심리적 측면과 관련 요

인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예방의학, 의료윤리학, 의사학, 법의학, 의학교육학 등

이 이에 해당하며, 통계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법학, 행정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관점과 방법론을 활용함.

◦ 사회의학과 유사한 분야로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지역사회의학 혹은 지역보건(Community medicine or community

health) 등이 있음. 이들 분야는 상충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분야에서 다루는 주제

의 범위와 접근법의 차이를 가지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공중보건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연구하는 분야

­ 예방의학: 개인과 인구집단을 질병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해, ‘질병 발생 이전 단계’에

대한 의학적, 사회적 개입에 초점을 맞춘 연구 분야

­ 지역사회의학 혹은 지역보건: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접근법’에 초점을 맞

춘 연구 분야

­ 사회의학: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과 경제적, 심리적,

문화적 요인 등 건강 문제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결정요인’을 연구하는 분야

Page 3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 -

◦ 사회의학의 개념을 사회의학의 역사적 연원과 형성과정을 통해 유추할 수도 있음

(신영전과 윤호정, 2005; 이종찬, 1994).

­ 사회의학은 19세기 중반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사상적, 학문적 분파를 일컫는 것

으로 독일의 비르효(Virchow), 노이만(Neumann) 등에 의해서 제기되었음. 비르효는

1847년 발진티푸스 대유행의 원인을 사회경제적인 요인으로 진단하며, 의학적인 치

료방법보다 주민의 복지가 향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음. 그리고 교육, 민주주의의

확립, 지방자치제, 공평한 과세를 근본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였음.

­ 노이만은 1847년 출판한 「공중보건과 위생」에서 ‘의학은 본질적으로 진정한 사회

과학’이라고 강조하며, 공중보건의 임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1) 잘 훈련된

의료인력의 충분한 공급, 2) 의료인력의 적절한 조직화, 3) 공중보건을 위한 적절한

제도의 수립

­ 비르효, 노이만, 로이부셔 등에 의해 주도된 19세기 중반의 의학개혁운동을 통해 사

회의학은 몇 가지의 원칙들을 확립하였음. 1) 국가와 사회는 시민의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2) 사회경제적 상태는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인과관계는 과학적으로 규명되어야 한다. 3)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의학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대책도 마련되어

야 한다.

­ 19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사회의학은 좁은 의미의 행정적인 개념으로 점차 변모

했지만, 사회경제적 요인을 질병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판단하는 전통은 계승되었음.

위생학을 사회의학이라는 용어로 부른 페텐코퍼(Pettenkofer)는 도시 지역 주민의 건

강 향상에 필요한 요소로 상하수도, 주민이 섭취하는 음식의 양과 질, 식료품 가격,

주거환경, 일반적인 생활습관 등을 제시하였음. 그로티얀(Grotjahn)은 사회의학의 역

할을 설명과학과 규범과학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음. 설명과학으로서의 사회의학의

역할은 위생 문화의 전반적인 상태를 묘사하는 것인 반면, 규범과학으로서의 사회의

학의 역할은 위생학적 조치들을 전파하는 목적의식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하였음. 그

리고 사회의학이 도움을 받아야 할 인접 학문으로 의학통계학, 인구통계학, 인류학,

경제학, 사회학 등을 열거하였음.

­ 비르효로 대변되는 사회의학의 전통은 20세기에는 구 소련과 중국 등 사회주의 국

가를 거쳐 중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음. 이 국가들은 예방적 의료를 치료적

의료보다 중시하고, 의학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총체적인 작업을 통해

개체의 건강을 보장한다는 관점을 견지하였음. 이런 관점은 19세기 중반의 초기 위

생개혁운동의 전통을 잇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에 형성된 사회의학의 개념은 포괄 범위와 접근법 측면에

서 전통적인 사회의학과는 큰 차이를 가지게 되었음.

­ 세계보건기구는 1948년 세계보건기구 헌장에서 건강의 개념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

적으로 웰빙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음. 세계보건기구의 건강 개념은 건강을

규범적인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규정한 선언으로서 의미가 있지만, 건강 개념에 보편

Page 3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 -

적인 인간의 가치를 모두 포함하여, 다른 사회, 문화적 분야와의 역할 구분이 모호

하다는 일부의 비판도 받고 있음.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의 건강 개념은 건강 문제에

대한 총체적 접근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규범으로 이후 사회의학의 포괄 범위와

접근법에 큰 영향을 미쳤음.

­ 캐나다의 Lalonde(1974)는 인간의 건강 수준은 인체의 생리적 조건, 보건의료제도,

환경요인, 생활습관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결정된다는 건강의 장 모형을 제시하였음.

건강의 장 모형은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생의학적 관점에 치중된 접근에서

탈피하여, 환경, 생활습관(행태), 보건의료제도를 포괄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 건강의 장 모형에 따르면, 광의의 사회의학 개념은

보건의료제도, 환경, 생활습관과 건강 수준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개선 대안을 마련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의학의 개념 정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 중의 한 명이

McKeown(1979)임. 그는 보건의료의 개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음. 1) 의료

의 기본 전제의 전환: 현재의 보건의료는 질병 발생 이후의 진단 및 치료 기술의 개

발에 치중하고 있으나, 이보다는 질병 발생의 예방과 건강증진을 강화할 수 있는 방

향으로 나가야 함. 즉 의료는 ‘질병’이 아닌 ‘건강’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해야 함. 2)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관련 분야의 강화: 작업장이나 환경오염 등의 환경문제, 흡연

이나 음주 등 생활행태 및 과잉 영양이나 영양 부족 등 영양문제 등은 지금까지의

의료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왔음. 그러나 이들은 질병의 발생과 건강 유

지와 밀접히 관련된 분야이기에 의료의 중요한 영역으로 취급되어야 함. 3) 임상의

료의 적정화와 역할 변화: 전통적으로 진료 행위는 각 의사들에게 맡겨져 왔으나,

최근 들어 가속화된 각종 의학기술의 개발은 의료비 상승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수반하였음. 따라서 진료 내용의 효과와 효율성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통하여 사회

적 적정성(social optimum)에 관한 검증이 필요함. 또한 노령인구와 만성질환이 증

가함에 따라 요양이나 재활의료 등을 강화할 필요성이 증가되어 왔음. 이에 따라 임

상의료의 역할은 치유(cure)만이 아닌 돌보기(care)와 재활 등으로 넓게 인식되어야

하며 이 분야에 대한 자원 배분이 필요함.

Page 3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 -

내부구조

성숙노화 인체생리 유전

사회적 재활

심리적 환경 건강 의료제도 치료

물리적 예방

직업요인 생활습관 여가선용

기호섭취

그림 9. 건강의 장 모형

◦ 20세기 중반 이후, 건강 문제에 대한 총체적 접근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생활습관

요인 등 기존에는 강조되지 않는 건강 결정요인이 중요하게 제기되었지만, 사회의학

이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음.

­ 그 중요한 이유는 체제 대립이 극심했던 상황에서 사회의학이라는 용어가 사회주의

의료를 연상시켰기 때문임. 그러나 냉전체제 붕괴 이후, 서구 사회에서 사회의학이

라는 용어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음. 외국의 많은 의과대학과 보건대학원에서 사회

의학교실(Department of Social Medicine)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그러나 각 사

회의학교실이 다루는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매우 넒은 스펙트럼을 가지는 사실을 알

수 있음.

◦ 한편, 비교적 최근에 Anderson 등(2005)이 제시하여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

는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음.

­ Anderson 등은 기존의 사회의학 개념 정의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음. 첫째, 사회적, 경제적 조건이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 기술 등에

깊은 영향을 미침. 둘째, 인구집단의 건강은 사회적 관심사임. 셋째, 사회는 개인적

수단과 사회적 수단 모두를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켜야 함. 즉, 어떤 고정된 개념

정의가 아니라, 이런 세 가지의 요소를 충족하는 학문 분야를 사회의학으로 정의하

고 있음.

Page 3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 -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세기 중반 이후 사회의학의 개념은 지속적으로 변화·

확장되어 왔으며, 현재도 연구자와 문헌에 따라 다양한 개념 정의가 제기되고 있다

는 사실을 알 수 있음.

­ 그러나 이 같은 변화 과정과 개념 정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생의학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건강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정요인에 관심을 두는 총체적 관점

은 공통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음.

­ 기존 사회의학 개념 정의의 공통된 특성을 종합하면,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에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측면과 관련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건강 향상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과학적 방법론과 함께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행정학, 법학, 윤리학 등의 인문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

요하다.’를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로 제시할 수 있음.

다. 사회의학의 범위

◦ 사회의학의 개념 정의의 다양성만큼 사회의학의 범위에 대해서도 다양한 내용이 제

시되고 있음.

­ 전우택(1999)은 사회의학의 연구 영역을 크게 1) 질병, 2) 신체적 사회 현상

(sociosomatic phenomenon), 3) 의사들의 의료 행위, 4) 문화적 현상과 의료와의 연

관, 5) 사회적 문제와 의료의 연관, 6) 의학 교육 등으로 분류하고 있음.

­ 신영수와 김용익(2013)은 기존 의과대학 학문 분야 중에서 의료관리학, 법의학, 의사

학, 의료윤리학 등을 ‘사회의학’군(群)으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주제 영역을 1) 보건

의료재정, 2) 보건의료자원과 보건의료제공체계, 3) 보건의료서비스, 4) 건강 및 건강

관련 행태, 5) 보건의료정책 및 관리, 6) 보건의료정보, 7) 보건의료가 사회 혹은 경

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 등으로 제시하고 있음.

­ Stonington와 Holmes(2006)는 임상 현장에서 제기되는 사회의학의 중요한 네 가지

연구 분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1) 환자와 의료전문직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환자와 의료전문직의 관계에 관련된 문

화적, 사회적 측면과 의사소통 2) 환자의 믿음과 행동, 그리고 경험(Patiens’ beliefs,

practices, and experiences): 고통에 대한 환자의 경험과 반응은 매우 다양함. 이런

환자의 경험과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일상적인 삶과 질병에 대한 이해

가 필요함. 3) 의료문화(The culture of medicine): 의료전문직과 의료기관은 그들 나

름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환자 진료에 영향을 미치고 선입견과 편견으로

도 작용하고 있음. 의료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질병과 환자, 그리고 치료에 대한 의

료전문직의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는 것임. 4)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결정요인(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Page 3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 -

◦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의학의 개념 정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McKeown(1966)은

자신의 저서인 「사회의학 입문(An Introduction to Social Medicine)」에서 사회의

학의 연구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 사회의학의 영역을 크게 문제 확인, 개입의 방법론, 개입 서비스로 구분함.

­ 문제 확인 영역에서는 건강과 불건강 상태에 대한 측정과 평가(역학과 통계학)를 주

된 주제로 다루고 있음.

­ 개입의 방법론 영역은 유전적 요인에 대한 통제, 환경적 요인에 대한 통제를 위한

개입 수준의 개입(개인 단위의 예방의료 서비스)과 공중보건학적 개입(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공중보건 서비스)을 주제로 포함하고 있음.

­ 개입 서비스 영역은 보건의료서비스의 개발(보건의료체계), 일반 인구집단과 장애인

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지역사회의학)를 주제로 포함하고 있음.

영역 주제 세부 주제

문제 확인

(Problems)

건강 향상의 평가

불건강의 측정

방법론

(Method)

유전적 요인에 대한 통제

환경적 요인에 대한 통제를 위한 개인 수준의 개입

예방접종

건강검진

생활습관 개선

환경적 요인에 대한 통제를 위한 공중보건학적 개입

영양

식품 매개성 질환

수인성 질환

동물 매개성 질환

공기 매개성 질환

환경오염

가정

작업장

서비스

(Services)

보건의료서비스의 개발

병원

환경 관련 서비스

정부 제공 개인 보건의료서비스

일차의료서비스

포괄적인 의료서비스

관련 사회서비스

국제보건

일반 인구집단을 위한 서비스

모성 서비스

학령 전기 어린이 대상 서비스

학교보건

성인 대상 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신체 장애 어린이

신체 장애 성인

정신 장애

표 4. 사회의학 입문의 목차 구성

Page 4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 -

◦ 외국 대학의 사회의학교실(Department of Social Medicine)에서 다루는 연구주제 구

성을 살펴보면, 매우 다양한 특성을 알 수 있음. 역학과 보건통계는 방법론 측면에

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의료윤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건강 불평등), 보

건의료체계와 정책, 의료와 문화 등의 주제를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음. 그러나 개별

대학의 특성에 따라 이들 주제 외에도 다양한 연구주제를 다루고 있음.

- 의료윤리, 건강 불평등, 보건의료정책과 조직, 의사소통(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UNC School of Medicine)

- 건강행태, 보건의료체계, 역학, 직업환경의학(Department of Preventive & Social

Medicine, OTAGO School of Medicine)

- 임상예방의학, 보건통계, 근거중심의료, 의료윤리, 의료와 문화, 보건의료정책, 의학

교육, 기후 변화 등(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Ohio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 의료와 문화, 보건의료체계, 의사학, 의료인류학, 의료윤리(Department of Global

Health & Social Medicine, Harvard School of Medicine)

- 의료윤리, 의료와 문화, 공공정책, 고령화와 의료(Department of Social Science,

Health & Medicine, King’s College)

- 환자안전, 공중보건재난대응, 취약지 의료체계, 공중보건정책(Department of

Behavioral Sciences and Social Medicine, Florid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지역사회보건, 보건의료정책, 병원관리, 의학교육(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

Health Education, Nanjing Medical University)

- 지역사회보건, 건강 불평등, 완화의료, 일차의료,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비만, 웰

빙(Department of Family and Social Medicine,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종합하여, 사회의학이 다루는 연구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음.

­ 역학과 통계학을 기본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건강과 불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관련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연구

­ 개인 수준의 건강 향상을 위한 예방의료 서비스와 인구집단의 건강 향상을 위한 공

중보건 서비스 관련 연구

­ 재정과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보건의료체계 관련 연구

­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의학 관련 연구

­ 보건의료전문직과 보건의료조직의 행태와 문화, 윤리 관련 연구

­ 환자와 보건의료전문직의 관계와 의사소통, 환자의 믿음과 행태, 경험 관련 연구

Page 4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4 -

◦ 보건사회학, 보건경제학, 의료인류학, 보건행정학 등의 학문 분야와 사회의학의 관

계를 혼동하는 경우가 흔함. 이런 혼동은 다학제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사회의학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임.

­ 전우택 등(2001)은 사회의학 관련 교과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의사학, 행

동과학, 의학철학, 의학과 예술, 의학과 문화, 의료인류학, 의사소통, 복지사회 이해,

사회봉사, 의료와 법학, 의료정보학, 경영학, 의료관리학, 지역사회의학, 인문사회과

학 특강, 의학 윤리, 의료와 사회 등

­ 보건사회학, 보건경제학, 의료인류학, 보건행정학 등은 각각 자신의 고유한 학문 분

야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고유한 지식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제반 사회 현상을 해

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보건의료 관련 현상을 연구주제로 다루는 이들 학문 분야는 사회의학과 대치되는

관계를 가진 것이 아님. 사회의학의 주된 관심 주제인 건강과 질병, 그리고 의료 관

련 현상을 총체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활용하

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신영수와 김용익(2013)은 사회의학 연구주제별로 관련성이 깊은 학문 분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1) 보건의료재정: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보험학, 재정학, 사회

복지학 등, 2) 보건의료자원과 보건의료 제공체계: 행정학, 경영학, 임상의학 등, 3)

보건의료 서비스: 임상의학, 경영학, 정보학, 사회복지학 등, 4) 건강 및 건강 관련

행태: 임상의학, 생물역학, 사회역학, 사회학, 인류학, 통계학, 교육학 등, 5) 보건의료

정책 및 관리: 임상의학, 역학, 정치학, 정책학, 행정학,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등,

6) 보건의료정보: 정보학, 7) 보건의료가 사회 혹은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

철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윤리학 등

그림 8. 사회의학과 관련 학문 분야와의 관계

Page 4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5 -

2. 사회의학 국·내외 연구 동향분석

가. 연구 배경

◦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이란 최근 혹은 연구자가 원하는 기

간의 연구들을 모아서 그 기간 동안의 연구가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는가를

분석하는 작업임.

◦ 연구 동향 분석은 과거 연구의 진단, 미래의 예측이라는 면에서 강력한 설득력을

가지는데 그 기전은 4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

­ 엄격한 통찰 : 동향 분석은 과거의 변화의 잠재적인 원동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함. 이성에 근거한 분석은 통계와 결합하여 더욱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함.

­ 넓은 곳에서 좁은 곳으로 :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동향 연구부터 학교·나라와

같은 집단, 개개인의 건강 연구 등 동향 분석이 다룰 수 있는 범위는 다양함.

­ 여러 갈래로 뻗을 수 있는 길 : 동향 분석은 그 자체로 여러 가지 다른 문제를 제시

함. ‘고령사회’의 동향 연구는 그 사회의 노인 인구의 문화적 필요, 교육을 위해 어

떠한 교육이 필요한가, 연금은 교육 예산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까 등 사회의 발전을

위한 상황의 요약을 보여줌.

­ 미래 발전 계획의 열쇠 : 동향 분석은 가능한 모든 구상에 대해 필수적인 요소를 충

족시켜 줌으로써 현실적인 발전 계획으로 바꾸어줌. 여기에서 필수적인 요소란 타당

한(plausible), 적절한(relevant), 대립하는(divergent), 도전적인(challenging)의 4가지를

말함. (OECD.org)

◦ 의학·보건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은 공공의 건강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시계열적인 동향 분석으로 공공의 보건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잘 알 수 있기 때문임.

또한 동향 분석은 단순한 사실 나열 뿐 아니라 새로운 가설 생성에도 유용함. 동향

분석은 질병, 사망, 흡연과 같은 행동양식의 요인을 알기 위해서 많이 수행되었는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의료 수요를 예측하고,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을 발전시킬 수 있

기 때문임. 보통 동향 분석은 관심 있는 내용(plot)을 연도마다 관찰하여 ‘동향’을 분

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데이터는 공공, 집단을 대상으로 모집된 경우가 많음.

(Baily L et al.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의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황을 진단

하고 사회의학 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개선영역과 과제를 도출하도록 함.

Page 4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6 -

◦ 먼저,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분류 방법과 선정 기준을 살펴봄.

장혜란 등. (2011)에서는 1차로 1960~2008까지 KMbase의 모든 저널 목록 723개 참

조하였는데, 이 중 의학 분야 저널만 추출하여 초록을 갖춘 논문 50%이상인 논문만

선정하였음. 그 결과 488개 저널, 314,559 저널이 최종 분석대상이 됨. 분석 대상 제

외한 논문은 의학 분야 아닌 것, 의학 관련 학회에서 발간하지 않는 것, 초록을 갖

춘 논문이 50% 미만인 저널임. 분석한 총 논문 수는 367,982 (국내314,559+해외

53,423)이고, 세부분야 분류는 의사1인, 간호사 1인, 도서관 사서 1인이 수행하였고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학문분야 분류기준을 일부 수정하여 분야를 분류하였음. 분류

상 문제점으로는 KMbase가 학술지 성격이 아닌 일부 저널이 포함되어 있어 국내발

표 논문 수가 과다하게 추계될 여지가 있음.

◦ 강보승 등 (2006)의 연구에서는 연구기간은 1980~2001년까지로 하였고, 충북대, 전

남대 연구정보 센터에서 소장하고 있는 500여종의 학술지에서 검색하여 진행함. 대

상 논문 수는 총 483 (원저297+증례186)편이고, 분석 대상 제외된 논문은 종설 및

학술대회 발표 자료, 치료 목적으로 의료기관에서 사용한 의약물의 독성과 관련된

연구, 무증상 혹은 비응급증상 상태에서 중독물 모니터링, 에탄올과 세균성 식중독

연구 등이 있음. 대상 저널 선정의 근거는 CD-10의 19번째 대분류인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결과’ 내의 2가지 중분류를 이용하여 논문 검색, 30가지 소분류와

224가지 세분류로 나누어 여기에 명시된 중독물 215개의 명칭을 검색단어로 사용하

였고, 응급의학 교과서와 중독백과 이용하여 검색 단어를 추가하였음. 세부분야 분

류는 응급의학 전문의 2인이 논문 초록을 검토한 후, 논의를 거쳐 분류함.

◦ 또 다른 국내 선행 연구로는 대한비만학회지의 탁양주 등. (2008)이 있음. 이 연구에

서는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와 대한비만학회지와의 적절한 비교

를 위해 2001~2006까지 실린 논문 중 6호와 12호에 실린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함. 분석한 저널은 3개이며 이 3편을 선정한 이유는 비만 관련 국내 의학 논문

의 1/5이 대한비만학회지 통해 발표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저널을 선택 하였고 미국

의 학회지는 대한비만학회의 대응되는 미국비만학회의 대표저널인 Obesity(미국비만

학회지) 선택함. 유럽 포함 세계 쪽으로는 세계비만학회의 공식학술지로 세계적인

비만 관련 의학논문이 많이 실리는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세계비만학회

지) 또한 선택함. 분석한 총 논문 수는 484 (대한비만학회지 124 + Obesity 172 +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88)편이고 특징으로는 초록과 원문 수집에서 저자

수, 주저자의 전공 분야, 연구 방법(기술vs 분석,관찰vs실험,단면vs추적)연구대상의

특성, 연구 대상자 수, 연구 기간, 연구주제, 중심단어 수집(모든 논문의 중심단어를

모두 조사한 후 각 학술지별로 가장 많이 사용된 중심단어를 조사)을 조사 대상으

로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 실험유무에 따른 분류, 시간적 순서에 따른

분류의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함. 세부분야 분류는 세부 영역에 관해서는 공

식적으로 통용되는 분류기준이 존재하지 않지만 미국비만학회지인 Obesity에서 원

Page 4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7 -

저를 10가지 주제별로 분류하여 게재하고 있어서 그 세부 분류기준을 차용하여 사

용함. 이 연구의 결론은 우리나라 비만 분야의 연구는 국외 연구에 비해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이 상이한 점이 많았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비만에 참여하는 외국에

비하여 특정분야의 사람들이 주로 비만 연구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여왔다는 것에

있음.

◦ 안경주 등 (2001)의 연구에서는 1989~2001 사이의 서울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논문

을 전수 조사 (전반부1989~1995, 후반부1996~2001로 나누어 경향 파악)하였음. 박사

학위 논문을 선정한 이유는 간호학문의 지표(김미자, 2000)이자 간호학적 지식체라

고 할 수 있기 때문임(김의숙 등, 2004). 분석한 총 논문 수는 69편이고, 분석 방법

으로는 서술적 기술(descriptive study)을 사용함. 내용적 분석은 주요어 분석,

James&Dickoff의 분류에 따른 이론수준, Carper의 지식체유형에 따른 논문주제를

대상으로 함.

◦ 조성열 등 (2006)은 1991~2005년 사이의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 논문을 분석함. 3개

의 저널을 분석하였고, 엄격한 심사과정을 통하여 작성되거나 게재가 결정되어 비교

적 논문의 질이 담보된 저널을 대상으로 한다고 기술됨. 분석한 총 논문 수는 793

(석·박사 논문 255+직업재활연구 게재 논문165+장애인고용 게재 논문373)편이고, 세

부분야 분류로는 선행연구(나운환, 1999)와 장애인직업재활및고용촉진법의 용어에

기초하여 구분하였음.

◦ 최용준 (2001)의 최근 우리나라 보건관리 연구의 경향 분석에서는 선정된 저널의 창

간호부터 (1968~현재) 4편의 저널을 분석함(분석 대상 제외 : 학술지 게재 논문 외

에 각종 연구보고서 등은 제외). 대상 저널을 선정한 근거로는 학술지 발간하는 학

회가 주로 보건관리 전공자들로 구성되거나 상당수가 학회에 참여하고 있어 보건관

리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기에 적합. 분석한 총 논문 수는 1,335 (예방의학회지 971 +

보건행정학회지 157 + 사회보장연구 171 + 보건경제연구 36)편이고, 보건관리 전공

자 2인이 대상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초록과 원문을 검토하고 미국 보건관리연구

학회(AHSR)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본부 자문위원회의 정의와 미국 AHSR

의 보건관리연구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의 포함 및 배제 기준, 우리나라 의과대학

예방의학 학습목표 <보건관리>편(대한의학회, 1999)을 참고하여 묵시적 방식으로 선

별함. 우선순위 선정은 보건관리 전공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동향

분석 결과, 각 저널의 보건관리 논문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는

40% 이상 증가하고 있음.

Page 4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8 -

기간 저널수총 논문

수세부분야 분류

연구

방법

1.장혜란 등 1960~2008 (49년) 723 367,982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학문분야분류기준을 일부 수정하여

분야 분류

시계열적

분석

2.강보승 등 1980~2001 (22년) 483응급의학 전문의 2인이 논문 초록을

검토한 후, 논의를 거쳐 분류

시계열적

, 양적

분석

3.탁양주 등 2001~2006 (6년) 3 484

미국비만학회지인 Obesity에서

원저를 10가지 주제별로 분류하여

게재하고 있어서 그 세부 분류기준을

차용하여 사용

양적

분석

4.안경주 등. 1989~2001 (12년) 1 69

시계열적

, 양적

분석

5.조성열 등 1991~2005 (15년) 3 793

선행연구(나운환, 1999)와

장애인직업재활및고용촉진법의

용어에 기초하여 구분

양적

분석

6.최용준 등 1968~현재 (46년) 4 1,335

미국 보건관리연구학회(AHSR)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본부

자문위원회의 정의, 미국 AHSR의

보건관리연구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의 포함 및 배제 기준,

우리나라 의과대학 예방의학 학습목표

<보건관리>편(대한의학회, 1999)을

참고하여 묵시적 방식으로 선별

시계열적

, 양적

분석

표 5. 연구 동향 분석의 선행연구

◦ 사회의학 분야의 가능한 연구 주제는 다양하지만 국내에서는 인체 생리에 기반한

의학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음. 십여 년 전부터는 국내에서도 사회의학 분야에 관심

을 갖기 시작하여 건강의 지역·경제·교육수준 등에 따른 형평성 연구, 금연과 절주

등 건강 관련 행태 연구, 보건의료의 재정 연구 등의 연구를 진행함.

◦ 이러한 추세를 이어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의

학의 개선영역을 도출하여 문제점을 진단·수정·보완하여야 하고, 사회의학 분야의

과제를 모색하여 제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양적 현황을 비교,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자료원, 분석방법, 타 분야와의 협력 수준, 연구 성격 등을

비교하여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개선영역과 과제를 제시할

것임.

Page 4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9 -

나.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 연구 동향 분석의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대상을 제시하였고, 각 연구대상마다 선

행연구 고찰, 분석·토의 후 연구대상의 세 분류를 정함. 연구대상 선정의 과정은 국

내와 해외의 주요 사회의학 분야 저널 선정 -> 연구주제 선정 -> 연구방법론, 자료

분석방법, 자료원, 연구성격, 연구기간, 저자전공분야 선정의 순서로 진행함.

◦ 주요 사회의학 분야 학회지 선정 : KCI, SCI 학회지들 중, 사회의학 분야에 해당하

는 학회지를 Impact factor가 높은 순서로 분류 후 전문가 논의를 통해 선정함.

­ 대한예방의학회지: 1968년 창간되었고 대한예방의학회에서 발행함. 연간 6회 발행하

고 Impact factor 0.44임. 전반적으로 예방의학, 공중보건 분야의 연구, 정책, 교육과

관련된 원저, 단신, 종설, 특집, 사례보고, 편집인의 글, 논평을 게재함.

­ JKMS: 1986년 창간되었고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함. 매달 발행하고 Impact factor 1.4

로 사회의학 계열이 비중이 적고 특정주제에 편중되어 있음.

­ 보건과 사회과학: 1997년 창간되었고 한국보건사회학회에서 발행함. 연 3회 발행하

고 Impacct factor는 1.97임. 사회복지, 통계학, 기타 사회과학, 학제간 연구 등의 논

문을 많이 게재함.

­ 보건행정학회지: 창간한 연도는 1991년이고 한국보건행정학회에서 발행함. 연 4회

발행하고 Impact factor는 0.46임. Impact factor는 다소 낮지만 신생 학회지라는 점

을 감안하고 사회보건과학 분야에서 많은 수의 논문이 꾸준히 게재된다는 점이 선

정한 이유가 됨.

­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85년 창간되었고 Elsevier on behalf of

the American College of Preventive Medicine and the Association for Prevention

Teaching and Research (United States)에서 발행함. 매달 발행하며 Impact factor

4.52임. 미국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예방의학회지이며 예방의학, 환경, 보건분야, 연

구, 정책, 교육 등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게재함.

­ BMJ: 1840년 창간되었고 BMJ (United Kiongdom)에서 발행함. 매주 발행하고

Impact factor는 17.44임. 임상 논문 외에 Health, welfare, social medicine관련

category 5개, 총 1413편 (1998~현재)이 있어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

어짐.

­ Social Science & Medicine: 1967년 창간되었고 Elsevier에서 발행함. 2주마다 발행하

고 Impact factor는 2.73임. 사회과학, 건강, 경제학, 심리학, 사회역학, 사회학, 보건

등의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선정함.

­ Health Policy: 2003년 창간되었고 Elsevier Ireland LTD.에서 발행함. Impact factor

는 1.90, Health care category내 37위로 다소 낮은 편이나 건강에 관한 포괄적인 주

제를 두루 다루고 있음. 대부분 health policy와 health system issues,

Page 4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0 -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legislators 등에 관한 연구를 많이 게재하

여 본 연구의 성격에 부합함.

­ PLOS MED: 2003년 창간되었고 Public Library Science에서 발행함. 매주 발행하고

Impact factor가 14.43임. 건강·보건에 대한 사회 이슈들 등의 최신 지견을 많이 싣

고 있으며 건강과 기업, Global health 등 다른 학회지에서 잘 다루지 않는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기에 분석할 가치가 있음.

2004 2009 2014 Total

국내

저널

대한예방의학회지 50 58 40

1,000JKMS 146 261 290

보건과 사회과학 17 13 28

한국보건행정학회 25 30 42

해외

저널

AJPM 149 212 249

3,366BMJ 280 255 147

Social Sci&Med 474 556 557

Health Policy 127 182 178

표 6. 국내·외 저널 예상 논문 수 비교

◦ 연구동향 분석의 기간은 변화폭이 심한 때를 기준으로 나누어 기간을 끊는 연구가

많았음.

­ Song C (2003) : 1997-2003까지 분석 중 1990년에서 2000년 사이에 severe burn

patient가 60%에서 30%로 감소하였다는 사실을 토대로 1997-1999, 2000-2003년으로

끊어서 연구 진행.

­ 안경주 등 (2001) : 전반부 1989-1995, 후반부 1996-2001로 나누어 경향을 파악하였는

데, 이것은 갑자기 급증한 논문 수 때문임.

◦ 증감 폭이 없을 경우 5년이나 10년을 단위로 끊음.

­ Cvetanovich GL1 et al. (2011)에서는 AJSM의 1996, 2001, 2006, 2011 의 모든 논문

795편을 분석.

­ Arnold LD1 et al.(2010) 은 1900, 2000, 2010의 JAMA의 매달 저널 중 한 논문을

random selection하여 361편 분석.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논의를 토대로 5년을 단위로 하여 선정한 학회지

의 모든 논문을 분석하기로 결정함. 단, 국내 학회지와 해외 학회지의 양적 비교를

위해 국내는 3개년(2004, 2009, 2014), 해외는 1개년(2014)을 대상으로 함. 단, 논문이

아닌 News, Editorial, Letters, Review, Features 등은 제외하였고 각 논문 중에서도

초록이 없거나 분석할 항목의 50%이상이 누락되어 있는 논문은 제외하였음.

Page 4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1 -

2) 비교항목

가) 연구주제 분류

◦ 김춘배 등 (1999)은 예방의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예방의학 연구의 동향과 연관된 논

문의 질적 메타분석에서 연구영역 주제 분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음.

­ 환경 및 산업보건 영역에서는 금속중독, 화학물질, 대기오염, 산업보건사업, 진폐증,

소음과 진동, 산업생리, 수질오염, 기타의 하위분류를 제시함.

­ 역학 영역은 우리나라의 주요 감염성 질병관리, 주요 만성 비감염성 질병의 역학적

특성과 기타로 이루어짐.

­ 보건관리 영역은 모자보건, 학교보건, 의료이용, 의료이용, 의료보험제도, 의료인력,

건강관련행태와 환자-의료인 관계, 국민영양, 병원관리, 가족계획의 하위분류가 있음.

영역 소주제

환경 및 산업보건

금속중독

그 밖의 화학물질(유기용제, 농약)

대기오염

산업보건사업

진폐증

소음과 진동

산업생리

수질오염

역학우리나라의 주요 감염성 질병관리

주요 만성 비감염성 질병의 역학적 특성

보건관리

모자보건

학교보건

의료이용

의료보험제도

의료인력

건강관련행태와 환자-의료인 관계

국민영양

병원관리

가족계획

표 7. 예방의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영역별 주제에 따른 분류

◦ 최용준 (2001)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보건관리 연구의 경향 분석 연구에서 보건관리

분야 연구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음.

­ 대분류로 보건의료의 필요와 이용, 건강 및 보건의료 수준, 보건의료 기획과 평가,

보건의료 사업, 보건의료 정책과 행정, 보건의료 인력, 보건의료 시설, 장비 및 기술,

지식, 보건의료 조직과 관리, 보건의료 재정, 보건의료 제공, 건강 및 보건의료 행태,

보건의료의 질, 보건의료 정보, 보건의료 연구, 보건의료 법률과 분쟁, 보건의료 산

업의 영역으로 나누었고, 각 분류에 따른 세부 분류를 제시함.

Page 4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2 -

대분류 소분류 대분류 소분류

보건의료 필요와

이용

필요 평가미충족 필요

이용 양상

치료자 선택 및 이용 경로의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 재정

국민의료비

서비스 비용진료비 지불제도

비용분담

의료보험의료보호

건강 및 보건의료수준

건강 문제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보건 통계

질병 비용

보건의료 제공

제공 목적

제공 단계

서비스 유형치과의료

한방의료

보완대체요법의약분업

오양서비스

응급의료스스로 돌보기

장기 이식

혈액 관리

보건의료 기획과

평가

보건의료 정책보건의료 사업

보건의료 인력

보건의료 시설 및 장비보건의료 조직

보건의료 연구

건강 및 보건의료

행태

지식 및 태도

건강관련 행태

의료이용 행태제공자 행태

보건의료 사업

건강증진

보건교육예방접종

모자보건

아동보건 및 학교보건가족보건 및 생식보건

노인보건

장애인보건구강보건

정신보건

산업보건만성질환 관리

전염성질환 관리

보건의료의 질

질 지표 및 성과 지표

결과 평가

임상진료지침주임상경로

이용도 조사

의료기관 신임제도의료기관 QA활동

일차의료 QA

의료과오환자 만족도

보건의료 정책과

행정

보건의료 제도 개혁

보건의료 정책보건의료 행정

보건의료 정보

표준화 및 분류체계

의료기관 정보지역보건의료 정보

공공보건의료 정보

의사결정 지원원격의료

정보 보호

보건의료 정보체계 평가

보건의료 인력

의사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조산사의료보조인력

전문주의

보건의료 연구연구방법론

연구경향평가

보건의료 시설/장비및 기술/지식

보건의료 시설

보건의료 장비보건의료 기술 및 지식

보건의료 법률과분쟁

보건의료 관련 법률

의료사고의료분쟁

보건의료 조직과

관리

민간의료 조직

공공보건의료 조직보건의료 산업

병원 산업

의료기 산업

제약 산업

표 8. 연구 주제 분류

Page 5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3 -

◦ 한편 국제 연구에서 사용하는 MeSH term(Medical Subject Headings term) 분류는

미국 국립의학 도서관(NLM)이 정하는 의학분야의 주제명표목임. NLM이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관리하는 문헌의 내용을 나타내는 직절한 용어

를 10-15개 정도 문헌에 부여하고, 이 용어는 문헌을 검색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 특징으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위로 갈수록 정확한 디스크립터가 됨.

MeSH는 매년 개정되어 새로운 개념이나 단어가 추가되어 수정된 최신 생명 공학

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대분류 소분류

Population characteristicsHealth

Population

Health care facilities, Manpower, and services

Capacity building

Health communication

Health facilities

Health manpower

Health personnel

Health promotion

Health services

Housekeeping

Maintenance

Religious missions

Senior centers

Health care economics and organization

Economics

Health planning

Organization

Policy

Social control, formal

State dentistry

State medicine

Technology assessment, biomedic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Patient care management

Quality of health care

Health care quality, accesss, and evaluation

Delivery of health care

Ethics

Health services research

Quality assurance, health care

Quality of health car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Environment

Public health

Public health dentistry

표 9. MeSH term : N. Health care

Page 5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4 -

◦ 위의 선행 연구의 주제 분류를 참고하여 파일럿 스터디 진행 후, 필요한 MeSH

term 분류를 더 차용함. 본 연구의 분류체계는 아래와 같음.

­ 대분류 15개, 중분류 76개, 소분류 47개로 제시

­ 대분류는 보건의료시설, 보건의료조직, 보건의료인력, 보건의료서비스, 보건의료의

제공, 의료의 질과 안전, 보건의료정책과 행정, 의료윤리와 법, 보건경제, 보건의료정

보와 기술, 보건의료산업, 국제보건, 공중보건 및 환경, 건강 수준의 측정과 통계, 건

강 관련 행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제시함.

◦ 중분류와 소분류의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음.

­ 보건의료시설 : 시설의 성과 관리 및 평가, 시설 기획, 시설 분포 등, 보건의료조직

에서 민간보건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공사협력 등

­ 보건의료인력 : 인력의 성과 관리 및 평가, 인력 양성 및 교육, 인력 기획, 전문주의,

직무만족도

­ 보건의료 서비스 : 건강증진 및 예방, 어린이 건강, 응급의료, 정신건강, 장애인건강,

완화의료, 만성질환관리, 급성질환관리, 직장건강, 환경성질환, 보완대체의학, 모자건

강, 장기요양서비스 등

­ 보건의료의 제공 : 보건의료의 필요와 수요, 전달체계, 도시-농촌의료체계, 의료기관

선택,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접근성, 의사-환자 관계, 의사소통

­ 의료의 질과 안전 : 환자안전, 의료의 질, 환자 중심 의료, 환자 만족도

­ 보건의료정책과 행정 : 보건의료정책, 보건의료행정

­ 의료윤리와 법

­ 보건경제 : 측정과 평가(경제성 평가, 질병부담 등), 보건의료재정(건강보험, 재원조

달, 국민의료비, 지불제도 등)

­ 보건의료정보와 기술 : 보건의료정보, 보건의료기술, e-Health, 근거기반의료, 연구개

­ 보건의료산업 : 병원산업, 의료기기산업, 제약산업, 의료관광 등

­ 국제보건

­ 공중보건 및 환경 : 공중보건(손상, 질병감염, 위생), 환경(자연환경, 사회환경 등)

­ 건강 수준의 측정과 통계 : 건강 수준 측정, 건강 통계(사망률, 이환율 등)

­ 건강 관련 행태 : 건강행태(건강행태요인-흡연, 음주, 운동, 수면, 비만, 스트레스 등),

질병행태(치료자 고르기, 스스로 돌보기 등), 의료이용행태(환자행태, 공급자행태 등)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지역, 인종, 산업 활동, 사회정

책, 기타

※ 각 논문별로 1개의 주제로 분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여러 주제를 다룬 경우에

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를 2개까지 인정하여 분류함.

Page 5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5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Health care Facilities

performanceplanning

administration

distribution

others

Manpower

performance

education

planning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others

Health care services

health promotion services

immunization

screening

others preventive services

child care

emergencymental health services

health services for the disabled

palliative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acute disease management

occupational health services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Alternative medicine

Maternal&Reproductive health service

Longterm care

others services

Organization & Management

Private organizationPublic organization

PPP, HCPO

Others

Health care quality & safety

patient safety

quality of healthcare

patient-centered carepatient satisfaction

Others

Delivery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Urban-Rural health care

Delivery of health care, integrated

Health services needs&demandPatient selection

Determinant of service use

Educational status

Income

Occupations

Regional

Racialothers

Accessibility

patient-doctors relationship

Health communication

Others

Information & Technology Health information

표 10. 연구주제에 따른 분류

Page 5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6 -

Health technology

e-health

ebmR&D

Health care policy &

Administration

Health policy reform

Healthcare policy

Healthcare administration

Regulation

Ethics & Law

Ethics

Research EthicsClinical Ethics

Prejudice

Education of Ethics

Law

Human rights

Others

Health care economics

Measurement&Evaluation

Cost&Cost analysis

CEA, CBA, etc.

Disease of burden

others

Health care Expenditure

Payment systemService charge

Medical insurance

system

Medical aid

Revenue generationTotal health

expenditure

Others

Health behavior

Heath related behavior

Smoking

DrinkingExercise, Physical

activity

Sleep

Diet, nutrition

obesityStress

Suicide

Others

Illness behavior

Utilization behaviorPatient behavior

Provider behaviorAttitude to health

Health industry

Hospital

Medical device

Pharmacy

Medical tourism

OthersGlobal health

Environment & Public health

Environment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social

Public health

Accident&injury

Disease transmission,

infectious

Hygiene

Health status Social determinant

Educational status

Income

Occupations

Page 5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7 -

Regional

Racial

Industry activitiesGlobalization

Social policy

Others

Health statistics

Mortality

Morbidity

OthersMeasurement

나) 연구방법론 분류

◦ Blois 등(1988)은 의·과학 연구 방법을 크게 하부·중간·상부 수준의 자료 사용에 따

라 3단계로 분류하였는데, 의학연구는 2단계 이상의 방법이 사용된다고 하였음.

­ 하부수준 : 원자나 분자와 같은 자료가 사용되는 수학적 방법

­ 중간수준 : 약리학, 생리학 등에서 사용하며 사용예측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님

­ 상부수준 : 임상적 수준 자료가 사용되며 의학에서 주로 사용함. 인과관계를 분리

하는 것이 어려움

◦ Feinstein(1985)은 경성·연성 자료의 사용에 따른 연구방법을 분류하였음.

­ 경성 자료 (hard data) 연구방법 : 임상검사, 계량화 (quantification)를 주로 하는 연

구, 실험실 연구, Clinical trial 등에서 사용

­ 연성 자료 (soft data) 연구방법 : 삶의 질, 임상 정보 (clinical information) 등 환자

가 호소하는 증상의 변화와 같은 오랜 추적관찰이 요구되는 연구에서 주로 사용. 비

교할 양 집단의 동질성을 보장하기가 어려움.

◦ 신영수 등(1997)에서는 의학 연구를 분류하는 기준을 3가지로 나누고 있음.

­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 : 기술연구(descriptive study), 분석연구(analytic study), 과

정연구(process study)

­ 실험유무에 따른 분류 :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y), 비실험연구, 관찰연구

(non-experimental study)

­ 시간적 순서에 따른 분류 : 단면연구(cross-sectional study), 추적연구(longitudinal

study)

◦ Jaeki Song(2014)은 의학 연구를 양적, 질적으로 분류하고 양적 연구에서는 기술적,

분석적, 메타분석의 3가지 세부분류로 나누었고 질적 연구는 담화분석, 상호작용분

석, 대화분석, 내용분석, 이야기식 분석, 복합데이터분석, 코푸스분석, 기록분석, 전기

분석, 근거 이론, 문화기술지, 현상학, 주제 분석으로 세부 분류 하였음.

Page 5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8 -

양적분석 질적분석

Observation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Discourse analysis

Interaction analysis

Conversation analysis

Content analysis

Narrative analysis

Analysis of composite data

Corpus analysis

Documentary analysis

Biographical emthods

Grounded theory

Ethnography

Phenomenology

Thematic analysis

Other qualitative analysis

Analytic research

Meta analysis

Experimental research

Radomized controlled trial

Non-RCT

표 11. 연구방법론 분류 (Jaeki Song, 2014)

◦ Katz(2001)는 의학연구에서 특정 연구 설계 방법을 노출, 결과, 대조군 사이의 관계

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제시하였음.

그림 9.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udy types

Page 5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39 -

◦ 위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방법론 분류체계를 제시함.

대분류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나누었고 양적연구에서는 실험연구(RCT, Non

RCT), 관찰연구(코호트, 환자-대조군연구), 기술연구(케이스연구, 생태연구, 단면연

구), 편집자 의견, 메타분석으로, 질적연구에서는 Jaeki Song(2014)의 연구 분류를 차

용하였음.

연구방법론 (대분류) 연구방법론 (중분류) 연구방법론 (소분류)

Quantative method

Experimental researchRCT

Non RCT

Observational researchCohort

Case-control

Descriptive research

Case study

Ecological

Cross sectional

Editorial expert opinion

Systematic review (Meta analysis)

Qualitative method

Discourse analysis

Interaction analysis

Conversation analysis

Content analysis

Narrative analysis

Analysis of composite data

Corpus analysis

Documentary analysis

Biographical methods

Grounded theory

Ethnography

Phenomenology

Thematic analysis

Others

표 12.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다) 자료분석 방법 분류

◦ Jaeki Song et al.(2014), 이훈재 등(2011)에서는 자료분석 방법을 기술적 통계와 추

론적 통계의 2가지로 분류함.

◦ 기술적 통계 : 측정이나 실험에서 수집한 자료 정리, 표현, 요약, 해석 등을 통해 자

료의 특성을 규명하는 통계적 방법

­ 단변량 분석 :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 이변량 분석 :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 다변량 분석 :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MANOVA, 주성분 분석, 인분

석, 정준상관분석, 군집분석(다차원척도법), 판별분석(정준 판별분석, 로지스틱 판별

분석, 다수준 분석)

Page 5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0 -

◦ 추론적 통계 : 기술통계로 구한 표본정보를 가지고 모집단의 특성 및 가능성을 추

론해내는 통계적 방법

◦ 이유진(2004)에서는 자료분석 방법을 통계 미사용, 기술적 통계, t-test, 분할표, 연관

성 검정, 분산검정, 선형회기, 로지스틱회기, 역학적 통계, Nonparametric test, 생존

분석, 기타의 13개 대분류로 나누었음. 또한 분석방법의 수준을 통계 미사용, 기초적

방법, 중간수준 방법, 고급 방법의 4가지로 제시함. 본 연구에서는 아래 표14의 분륯

계를 사용함.

no statisticsbasic statistical

method

intermediate statistical

method

advanced statistical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ntingency tables

correlation

Wilcoson’s

signed-rank test

ANOVA

linear regression

epidemiologic statistics

Kruskal-Wallis’ test

ANCOVA

logistic regression

survival analysis

others

표 13. Criteria for the levels of statistical methods

Page 5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1 -

자료분석방법 (대분류) 자료분석방법 (소분류)

No statistical method -

Descriptive statistics mean, median, mode, SD, SE, histogram

T-test

one-sample

matched-pair

two-sample

Contingency table

chi square-test

Fisher’s exact test

Mc Nemar’s test

Correlation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Spearman’s rank correlation

Kendall’s tau

Analysis of variance (ANOVA)

one-way

multiple-way

ANCOVA

MANOVA

Regressionsimple linear

multiple linear

Logistic regressionmultiple

variable selection

Epidemiologic statistics RR, OR, sensitivity, specificity, ROC curve

Nonparametric test

Wilcoxon’s signed–rank test,

Mann-Whitney’s U-test(Wilcoxon’s rank wum test),

Kruskal-Wallis’ test

Life table, survival analysisKaplan-Meier’s estimate of survival time

log-rank test

Others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etc.

표 14. 자료 분석 방법에 따른 분류

라) 자료원 분류

◦ 자료의 종류는 1차 자료와 2차 자료로 크게 구성됨. 1차 자료는 조사자가 현재 수

행중인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접 수집한 자료이고 수집 비용, 인력, 시간이

많이 듦. 2차 자료는 수행중인 조사목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자료를

말함. 정부자료, 조사기관 간행물, 학술지 자료 등 다른 조사목적을 위해 수집된 모

든 자료들이 여기에 포함됨. 2차 자료는 수집비용이 저렴하고 얻기가 쉬우며 연속적

인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음(홍승표, 1998).

◦ 본 연구에서는 자료원의 분류체계를 대분류로 1차와 2차 2가지로 나누고, 각각 설

문조사, 패널, 실험자료, 인터뷰, 병원기록의 소분류로 제시함. 2차 자료의 경우 국가

자료와 메타분석의 항이 추가됨.

Page 5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2 -

자료원 (대분류) 자료원 (소분류)

1차 자료원

Survey

Panel

Experimental Data

Interview

Medical Record

2차 자료원

Survey

Panel

Experimental Data

Interview

Medical Record

Administrative Data

Meta Analysis

표 15. 자료원에 따른 분류

마) 분석단위 Ⅰ 분류(개인/개인간/조직/지역사회/정책)

◦ Glanz(2015)는 Health behavior에서 건강행태 모형을 개인과 사회·문화·환경의 2가

지로 분류한 바 있음. 사회·문화·환경에서는 개인 간과 지역사회·집단은 2가지 하분

류로 나누어 모형을 제시함.

개인 건강행태이론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건강행태이론

건강 믿음 모형

합리적 행동이론 및 계획된 행태이론

범이론적 모형

예방적 채택 과정 모형

보호동기이론

보건 서비스 이용 모형

개인 간 건강행태이론건강 행태 변화의 지역사회 및 집단

중재 모형

사회인지이론

사회 연결망 및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와 건강 행태

혁신확산이론

지역사회 및 조직변화이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PRECEDE-PROCEED 모형

사회 마케팅

표 16. 건강행태 모형 (Glanz, K.Lewi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Lisa Berkman(2003)은 사회역학에서 사회네트워크와 사회지지의 척도가 신체적·정

신적 건강을 연결 짓는 방대한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고 밝힘. 일반적으로 사회네

트워크와 사회지지 척도는 내적 타당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음.

Page 6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3 -

사회구조적

(Macro)

정도,형

태, 본성

결정

사회네트워크

(Mezzo)

사회심리적 기전

(Micro)경로

기회제

이를

통해

건강에

영향

문화 :

규범과 가치

사회응집력

인종주의

성차별주의

경쟁/협동

사회경제적 요인

:

생산관계

불평등

차별

갈등

노동시장구조

빈곤

정책 :

공공정책

차별적 참정권

부여/참가

정치적 문화

사회적 변화:

도시화

전쟁/사회불안

경제적 ‘불황’

사회네트워크 구조 :

크기

범위

한계성

근접성

동질성

도달성

네트워크유대의

특성 :

대면접촉 빈도

비시각접촉 빈도

조직참가 빈도

유대의 상호관계

중첩성

기간

친밀성

사회적 지지 :

도구적, 금전적

정보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영향 :

건강행동에 대한

억압적/긍정적 영향

도움추구/순응도에 대한

규범

동료압력

사회적 비교과정

사회참여 :

신체적/인지적 훈련

의미있는 사회적 역할의

재강화

유대/개인간 애착

‘보살핌’효과(어린이)

‘손보기’효과(성인)

개인간 접촉 :

밀접한 개인접촉

긴밀한 접촉(성적,

마약주사기 등)

자원과 물질적 재화에의

접근 :

직업/경제적 기회

보건의료에의 접근성

주거

인적 자본

의뢰/공적 접촉

구체적 요인

건강행동경로

:

흡연

음주

식이

운동

치료순응도

도움추구행위

심리적 경로

:

자기효증감

자존감

대응효과성

우울/고통

안녕감

생리적 경로

:

HPA축 반응

이항상성

부하

면역계 기능

심혈관

반응성

심폐적 합성

감염질환의

전파

그림 10. 사회 네트워크 크기에 따른 분류 (Lisa Berkman, 2003)

◦ 사회생태적 모형은 다층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행동에 대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함. 생태적 틀은 개인적인 요인들, 개인들 사이의 과정, 제도적 요

인, 지역사회 요인, 공공정책 등 여러 수준에서의 작용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봄. 이러한 접근방법들로 건강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보건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Page 6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4 -

분류체계는 아래와 같음.

개인수준 개인간 수준 조직/환경 수준 지역사회 수준 정책 수준

동기를 부여하는 사업

기술개발의 기회

맞춤화된 교육자료

사회적 규범과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보건의료체계에서의

사업

작업장에서의 사업

학교에서의 사업

지역사회자원관의

연계

사회서비스 지원

지역사회구조/환경변

화사업

지역, 주, 연방법률

연방규제기구와의

사업

표 17. 사회생태적 모형에 따른 분류 (Lisa Berkman, 2003)

◦ 본 연구는 연구의 분석단위를 위 모형을 참고하여 개인, 계층·집단, 지역단위(국가)

로 나누었는데 세부 분류는 개인, 개인 간, 조직/환경, 지역사회, 정책 수준의 5가지

로 제시하였음.

분석단위 Ⅰ(상위) 연구성격Ⅰ(하위)

개인개인수준

개인 간 수준

계층, 집단조직/환경 수준

지역사회 수준

지역단위 (국가) 정책 수준

표 18. 분석단위 Ⅰ에 따른 분류

바) 분석단위 Ⅱ 분류(구성효과/맥락효과)

◦ 사망률, 건강, 건강 위험, 건강행위 같은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 대해 구성적

설명을 하느냐 혹은 맥락적 설명을 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

구성효과는 개인들의 차이 때문에 지역간 차이가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맥락 효과는

사회적·물리적 환경에 폭로된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어떤 특성이 존재한다

고 설명하고 있음(Lisa Berkman et al., 2003).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배경으로 구성

효과를 사용하였는지, 맥락효과를 사용하였는지의 여부를 분류함.

분석단위 Ⅱ 설명

구성효과 (Compositional effect) 인구 집단 특성의 영향

맥락효과 (Contextual effect) 지역적 분포의 영향

표 19. 분석단위 Ⅱ에 따른 분류

사) 연구성격 분류

◦ 본 연구에서는 문제를 다루는 방향에 따라 연구성격 분류를 시행함. 문제 발견형,

문제 진단형, 문제 해결형의 3가지로 제시하였으며 문제 발견형은 문제를 단순히 제

Page 6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5 -

시하고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임. 문제 진단형은 문제의 원인·효과·결정요인을 제시

하는 연구이며 문제 해결형은 개인이나 지역사회에의 intervention을 시행하여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는 성격의 연구를 말함.

연구성격 설명

문제 발견형 finding을 제시하는 연구

문제 진단형 문제의 원인 진단, 결정요인 제시

문제 해결형 개인과 지역사회의 intervention 시행, 정책적 해법

표 20. 연구성격에 따른 분류

아) 연구기간 분류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는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 지역사회, 국가를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범위도 다문화·다국가적인 넓은 연구가 가능함. 따라서 연구기간의 분포가 국

내와 해외에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보고자 함. 일반적으로 큰 코호트 연구는 오랜

시간 지속되는 특성이 있기에 그 사회의 연구 기반이 얼마나 탄탄하게 갖춰졌는지

를 판단할 수 있음.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기타 연구 기간이 의미 없는 연구로 분류함.

연구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기타 (연구기간이 의미 없는 연구)

표 21. 연구기간에 따른 분류

자) 저자 전공분야 분류

◦ 최근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는 의학, 보건학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공 분야의 연구자

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사회 속의 의학을 바라보는 경향이 높음. 본 연구는

저자 전공분야를 분석하여 어떤 분야의 저자가 활발하게 사회의학에 참여하고 있는

지, 다학제간 연구는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

◦ 저자의 전공분야는 Jaeki Song(2014)의 분류를 참고하여 분류함. 대분류로 의과대학,

보건계열 대학, 병원, 보건계열 연구기관, 비보건계열 연구기관, 비보건계열 대학, 기

타로 분류하였고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음.

­ 본 연구에서는 논문에 게재된 모든 저자(제1저자, 교신저자, 공저자)를 분석 대상으

로 포함하였음.

Page 6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6 -

전공분야 (대분류) 전공분야 (중분류) 전공분야 (소분류)

의과대학(원)

보건계열 대학(원)

병원(의료기관)

연구기관(보건계열)

자연과학

인문·사회과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기타

기타

연구기관(보건계열 제외)

자연과학

인문·사회과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기타

기타

대학(의학, 보건계열 제외)

기타

표 22. 저자 전공분야에 따른 분류

다. 연구 결과: 비교항목별 결과

1)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양적 현황

◦ 국내·외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양적 현황을 살펴보면, 대한예방의학회지는 매년

30~40편, JKMS는 2014년에만 occupational health의 특집으로 8편의 논문 게재함.

보건과 사회과학은 15~30편 정도, 한국보건행정학회는 매년 30~40편의 논문이 있음.

반면 해외에서는 AJPM은 매년 70편정도, BMJ는 90편, Social science and Medicine

에선 250여편, Health Policy는 160편, PLOS MED는 60여편의 사회의학 분야 논문

이 매년 게재됨.

Page 6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7 -

2004 2009 2014 Total

국내 학회지

대한예방의학회지 34 44 24

274JKMS 0 0 8

보건과 사회과학 15 14 27

한국보건행정학회 28 32 48

해외 학회지

AJPM 69

636

BMJ 88

Social Sci&Med 257

Health Policy 159

PLOS MED 63

표 23.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 양적 현황(단위: 개)

2) 연구주제

◦ 국내·외 학술지의 사회의학 분야 주요 연구주제는 건강행태연구, 건강수준, 보건의

료서비스임. 금연, 절주 등 건강행태연구는 국내 22.3%, 해외 23.3%, 건강 불평등 등

의 건강의 수준 연구는 국내 18.8%, 해외 19.3%, 건강증진 활동, 스크리닝, 예방주사

등과 같은 보건의료서비스는 국내 17.4%, 해외 15.1%임. 이 외에 보건의료환경 &

공공의료 분류에서는 국내 7.3%, 해외 7.4%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임.

◦ 해외에 비해 국내 사회의학의 연구의 비중이 높은 주제는 보건의료재정, 보건의료

의 질이며 특히 보건의료 재정은 국내 16.4%, 해외 5%로 격차가 큼. 반면 국내 사

회의학 연구에서 해외에 비해 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는 보건의료관리, 보건의료정

책 & 행정, 보건의료인력, 보건의료시설, 보건의료산업에 관한 연구임. 보건의료 관

리에서는 국내 0.7%, 해외 4.1%의 차이를 보였으며 보건의료정책 & 행정은 국내

3.6%, 해외 9.1%의 결과를 보임. 보건의료인력과 시설에서는 각각 국내 1.7%, 0.8%,

해외 4.1%, 1.1%의 연구가 수행됨. 보건의료산업에서는 해외에서 2.5%, 국내에서는

단 한건의 연구도 수행되지 않았음. 의료윤리 & 법에서는 국내와 해외 모두 거의

수행되지 않았으나 국내에서는 3개년 학회지에서 2건, 해외에서는 1개년 학회지에서

5건으로 국내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임을 알 수 있음. 또한 의료정보 & 기술의 분야

에서 해외학회지에서는 실험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2.5% 진행되었으

나 국내에서는 1.8%로 한정적인 방법의 연구로 수행됨.

Page 6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8 -

연구주제 (대분류) 논문수(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해외) 백분율 (해외)

Health care Facilities 3 1.1% 17 3.2%

Manpower 12 4.4% 32 6.0%

Health care services 54 19.7% 59 11.1%

Organization & Management 2 0.7% 15 2.8%

Health care quality & safety 13 4.7% 12 2.3%

Delivery of health care 9 3.3% 34 6.4%

Information & Technology 5 1.8% 23 4.3%

Health care policy & Administration 10 3.6% 46 8.7%

Ethics & Law 2 0.7% 11 2.1%

Health care economics 47 17.2% 44 8.3%

Health behavior 53 19.3% 85 16.0%

Health industry 1 0.4% 13 2.5%

Global health 1 0.4% 10 1.9%

Environment & Public health 10 3.6% 22 4.2%

Health status 52 19.0% 106 20.0%

표 24. 연구주제에 따른 국내·외 사회의학 분야 연구 분석

Page 6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49 -

그림 11. 연구주제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그림 12. 연구주제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Page 6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0 -

3) 연구방법론

◦ 국내학술지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는 주로 단면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국내

88.0%로 대부분을 차지함. 이 외에 메타분석 5.8%의 방법이 작은 비중이지만 사용

됨. 반면 해외에서는 단면연구가 35.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코호트

20.0%, RCT 5.5%, 케이스 연구 5.0%, 환자-대조군 연구 3.6%, Non RCT 2.3%로 다

양한 방법의 양적 연구가 진행됨. 국내에서는 RCT나 대규모 코호트 연구의 비중이

적은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연구방법임을 감안할 때 국

내에서는 연구 환경의 제약이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됨.

◦ 질적 연구의 경우 국내 0.4%, 해외 14.0%로 국내에서 질적 연구가 부족한 편임. 해

외의 사회의학 연구에서는 thematic analysis, interview analysis, conversation

analysis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됨.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해외저널 396 (86%) 66 (14%)

국내저널 273 (99%) 1 (0%)

표 25.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1

연구 방법론 (소분류)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Quantative analysis

Cross-sectional 231 88.0% 161 35.0%

Meta analysis 16 5.8% 45 10.0%

Editorial expert

opinion2 0.7% 9 1.7%

Cohort 6 2.2% 98 20.0%

RCT 3 1.1% 29 5.5%

Non-RCT 2 0.7% 12 2.3%

Case-Control 2 0.7% 19 3.6%

Case study 0 0.0% 21 5.0%

Ecological study 0 0.0% 2 0.4%

Qualitative analysis 1 0.4% 66 14.0%

표 26.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2

Page 6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1 -

그림 13. 연구방법론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그림 14. 연구방법론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Page 6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2 -

4) 자료분석방법

◦ 국내·해외 학술지 모두 Logistic regression이 34.8%, 44.0%로 가장 많이 사용됨. 국

내학술지에서는 t-test, chi-test, ANOVA, linear regression 등의 순서로 자료분석이

시행되었고, descriptive statistics 9.0%, 자료분석이 시행되지 않은 연구 12.5%로 다

양한 분석방법이 사용됨. 해외학술지의 경우에는 초록에 자료분석방법이 기재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여서 분석의 한계는 있었지만, 국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사용

됨을 확인할 수 있음. 해외학회지가 국내에 비해 Life table, survival analysis의 비

중이 높은 것이 특이할 만한 점임.

자료분석방법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No statistical method 32 12.5% 75 15.6%

Descriptive statistics 23 9.0% 16 3.3%

T-test 32 12.5% 11 2.3%

Contingency table 25 9.8% 5 1.0%

Correlation 8 3.1% 12 2.5%

ANOVA 15 5.9% 21 4.4%

Regression 7 2.7% 33 6.9%

Logistic regression 89 34.8% 196 44.0%

Epidemiologic statistics 3 1.2% 15 3.1%

Nonparametric test 6 2.3% 2 0.4%

Life table, Survival analysis 4 1.6% 22 4.6%

Others 12 4.7% 35 7.3%

표 27. 자료분석방법에 따른 분류

Page 7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3 -

그림 15. 분석방법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16. 분석방법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Page 7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4 -

5) 자료원

◦ 국내학술지는 1차자료 54.2%, 2차자료 46.8%의 사용 양상을 보임. 1차자료 중에서는

설문 33.2%, 병원 기록 6.2%, 인터뷰 3.6%로 설문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2차자료

중에서는 국가자료 35.0%, 패널자료 6.9% 순으로 사용량이 많음. 해외학술지는 1차

자료의 사용이 73%로 국내에 비해 비중이 높았으며 세부 항목으로는 설문이 40.4%,

인터뷰 13.2%, 실험자료 5.1%, 병원기록 3.8%를 차지하였고 국가자료는 17.0%의 연

구에서 사용하였음.

◦ 대부분의 패널자료가 국가 기관에서 시행·관리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국가자료의 사용량이 해외에 비해 비중이 큼. 반면 대규모 1차자료의 사용이

해외에 비해 낮은 편이고, 특히 실험자료는 국내학술지에서 0.4%밖에 사용되지 않

아 해외에 비해 많이 부족함.

자료원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1차 자료원

Survey 91 33.2% 214 40.4%

Panel 2 0.7% 2 0.4%

Experimental data 1 0.4% 27 5.1%

Interview 10 3.6% 70 13.2%

Medical record 17 6.2% 20 3.8%

2차 자료원

Survey 12 4.4% 38 7.2%

Panel 19 6.9% 29 5.5%

Medical record 5 1.8% 2 0.4%

Administrative data 96 35.0% 9 1.7%

Meta analysis 21 7.7% 8 1.5%

표 28. 자료원에 따른 분류

Page 7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5 -

그림 17. 자료원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18. 자료원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Page 7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6 -

6) 분석단위Ⅰ(개인/개인간/조직/지역사회/정책)

◦ 국내·해외 학술지 모두 분석단위는 주로 개인이었고, 국내 학술지에서 4.0%가 정책

을 대상으로, 2.6%가 지역환경을 분석단위로 하여 수행됨.

분석단위Ⅰ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개인 단위 218 79.6% 318 60.0%

개인 간 단위 0 0.0% 20 3.8%

조직/환경 단위 0 0.0% 15 5.3%

지역사회 단위 7 2.6% 28 2.5%

정책 단위 11 4.0% 13 2.8%

표 29. 분석단위Ⅰ에 따른 분류

그림 19. 분석단위Ⅰ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20. 분석단위Ⅰ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7) 분석단위Ⅱ(구성효과/맥락효과)

◦ 국내학술지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 배경으로 구성효과가 60%, 맥락효과가 24.4%, 이

러한 효과와 상관없는 연구가 15.6%를 차지함. 해외의 경우 구성효과 14.5%, 맥락효

과 34.1%로 국내 연구에 비해 맥락효과의 비중이 큼.

분석단위Ⅱ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구성효과 160 55.1% 226 42.6%

맥락효과 54 21.9% 183 34.5%

표 30. 분석단위Ⅱ에 따른 분류

Page 7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7 -

그림 21. 분석단위Ⅱ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22. 분석단위Ⅱ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8) 연구성격

◦ 국내학술지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 성격으로 문제발견형이 62.4%, 문제진단형이

21.2%, 문제해결형이 4.0%임. 해외의 경우 문제발견형이 42.8%, 문제진단형이 22.5%,

문제해결형이 11.1%로 문제해결형의 비중이 국내보다 높음.

연구성격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문제발견형 171 62.4% 227 42.8%

문제진단형 58 21.2% 119 22.5%

문제해결형 11 4.0% 59 11.1%

표 31. 연구성격에 따른 분류

Page 7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8 -

그림 23. 연구성격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24. 연구성격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9) 연구기간

◦ 국내학술지는 1년 미만의 기간으로 진행된 연구가 48.6%, 1년이상 3년미만 19.9%, 5

년이상 8.2%의 단기간으로 수행된 연구가 많은 특징이 있으며 해외학술지에서는 1

년미만 25.8%, 1년이상 3년미만 14.5%, 3년이상 5년미만 3.8%, 5년이상 20.4% 으로

연구기간의 고른 분포를 보임. 특히 국내에서 설문조사로 진행한 연구는 100% 1년

미만의 기간 내 수행되었고, 해외의 사회의학 연구는 이와는 반대로 모집단을 장기

간 관찰하는 연구가 많았음.

연구기간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1년 미만 137 48.6% 137 25.8%

1년 이상 3년 미만 56 19.9% 77 14.5%

3년 이상 5년 미만 4 1.4% 20 3.8%

5년 이상 23 8.2% 108 20.4%

기타 52 21.3% 51 9.6%

표 32. 연구기간에 따른 분류

Page 7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59 -

그림 25. 연구기간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26. 연구기간에 따른 해외 사회의학 연구

분석

10) 저자전공분야

◦ 국내학술지는 의과대학 소속의 저자가 172건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계열 연구기간과

보건계열 대학, 병원 소속의 저자가 각각 98건, 56건, 31건 순으로 많음. 나머지 인

문대, 자연과학대, 기타 대학 및 기관 소속의 저자는 합하여 43건으로 국내 사회의

학을 연구하는 저자의 전공분야는 의학과 보건계통에 치우쳐 있음. 반면 해외학술지

는 보건계열 대학, 연구기관과 의과대학 소속의 저자가 각각 261건, 232건, 182건 순

으로 많고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소속의 저자가 101건, 32건을 차지하여 국내에

비해 저자전공분야의 고른 분포를 보임. 특히, 해외학술지는 국내에 비해 의학, 보건

학, 인문학, 자연과학 전공자들의 협업이 활발함. (저자전공분야는 중복기술하여 분

석함.)

Page 7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0 -

저자전공분야 논문수 (국내) 논문수 (해외)

의과대학 172 261

보건계열 대학 98 232

병원 31 41

보건계열 연구기관 56 182

자연과학 계열 연구기관 0 5

심리학계열 연구기관 0 4

사회학계열 연구기관 0 7

경제학계열 연구기관 0 8

기타 인문·사회계열 연구기관 0 3

기타 연구기관 0 5

자연과학계열 대학 12 32

심리학계열 대학 3 8

사회학계열 대학 8 46

경제학계열 대학 15 34

기타 인문·사회계열 대학 3 21

기타 대학 2 3

기타 0 22

표 33.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분류

논문수 (국내) 백분율 (국내) 논문수 (해외) 백분율 (해외)

다학제간 연구 29 11% 139 26%

표 34. 다학제간 연구에 따른 분류

Page 7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1 -

그림 27.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그림 28. 저자전공분야에 따른 국내 사회의학 연구 분석

Page 7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2 -

라. 연구 결과: 교차분석 결과

◦ 연구주제와 분석단위Ⅰ의 교차분석결과 건강행태 영역과 건강결정요인 모두 해외

학회지에 비해 국내에서 문제해결형이 부족한 면을 보임. 건강행태에서는 국내에서

문제발견형이 54.7%, 문제진단형이 37.7%, 문제해결형이 7.5%로 문제발견형이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문제발견형이 45.9%, 문제진단형이 31.8%, 문제해

결형이 10.6%임. 건강결정요인 영역은 국내에서 문제발견형이 69.2%, 문제진단형이

23.1%, 문제해결형이 5.8%, 해외에서 문제발견형이 36.2%, 문제진단형이 51.4%, 문

제해결형이 8.6%로 국내에서 문제해결형의 연구는 적게 수행되었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식이, 운동 등의 개인 행태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실험, intervention 등

으로 어떻게 하면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밝혀내는 연구는 해외에 비해

적음. 건강결정요인도 마찬가지로 소득, 사회·경제적 요인, 지역 간, 계층 등에 의해

건강 격차가 벌어지는 문제를 나열하는 연구는 해외보다 많이 수행되었으나, 건강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임.

분석단위Ⅰ문제발견형 문제진단형 문제해결형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건강행태 29 (54.7%) 39 (45.9%) 20 (37.7%) 27 (31.8%) 4 (7.5%) 9 (10.6%)

건강결정요인 36 (69.2%) 38 (36.2%) 12 (23.1%) 54 (51.4%) 3 (5.8%) 9 (8.6%)

표 35. 연구주제와 분석단위Ⅰ에 따른 분석 결과

Page 8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그림 31.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국내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 63 -

그림 30. 건강행태에 대한 해외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그림 32.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해외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그림 29. 건강행태에 대한

국내 사회의학 교차 연구 분석

마. 국내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현황 진단 요약

◦ 국내 사회의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대한예방의학회지, 보건과 사회과학, 한국보

건행정학회지, 그리고 임상과 사회의학 연구를 망라한 한국의 대표 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s(JKMS)에 게재된 사회의학 분야 논문 전수(2004,

2009, 2014년 게재 논문)를 대상으로 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 국가보건의료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보건의료시설과 조직, 보건의료인력에 대

한 연구가 매우 부족함.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연구가 일부 존재하지만, 이들 연구의

다수는 의료전문주의와 직무 만족도를 다룬 것임.

Page 8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4 -

<보건의료시설 관련 국내 연구>

◦ 미국 병원의 네트워크 유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보건행정학회지,

2004)

◦ 의료기관 특성별 지역환자 구성비(보건행정학회지, 2009)

==> 보건의료시설 관련 연구는 연구의 절대량 자체가 부족한 상황임.

<보건의료인력 관련 국내 연구>

◦ 병원 행정인력이 인지하는 조직·직무특성,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 몰

입 간의 관련성(보건행정학회지, 2004)

◦ 보건사업전담 공중보건의사 직무만족도 및 제도개선방안(보건행정학회지,

2004)

◦ 교육요구도 변화와 만족도에 근거한 전염병관리 전문요원 교육과정의 효과

평가(예방의학회지, 2004)

◦ 개원의사와 개원한의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스트레스 및 직업만족도(예방의학

회지, 2004)

◦ 한국 의료제도 내의 여성의사의 지위(보건과 사회과학, 2004)

◦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직업교육 경험과

진로태도 성숙의 관계(보건행정학회지, 2009)

◦ 일 종합병원 종사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보건행정학회지, 2009)

◦ Influence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JPMP, 2014)

◦ 약국약사들의 사회적 역할 실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보건과 사회과학,

2014)

◦ 병원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과 조직효과성 관계 연구(보건행정학회지, 2014)

==> 보건의료인력 관련 연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정 주제(직무만족도,

의료전문주의, 조직몰입, 스트레스 등)에 치중된 경향을 보임. 보건의료인력의

양성과 배출, 지역 및 전공 선택 등 국가 차원의 보건의료인력정책을 뒷받침

하기 위한 근거 생산을 위한 연구는 부재함.

­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다수 있지만,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음. 대다수 연구

가 흡연, 음주, 운동 등 건강행태요인, 소득수준과 지역에 따른 건강 격차를 다루고

있음. 이에 반해, 질병행태(스스로 돌보기, 치료자 고르기, 의사쇼핑 등), 의료이용 결

정요인과 행태요인, 사회정책이 건강 관련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

한 상태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중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으며, 외국 사회의학 분야의 주요

한 연구주제인 심리적, 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Page 8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5 -

주제 내용 빈도 구성 비율보건의료시설 시설의 성과 관리 및 평가, 시설 기획, 시설 분포 등 2 0.7%보건의료조직 민간보건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공사협력 등 1 0.4%

보건의료인력소계 12 4.4%

인력의 성과 관리 및 평가, 인력 양성 및 교육, 인력 기획 3 1.1%전문주의, 직무만족도 9 3.3%

보건의료서비스

소계 54 19.7%건강증진 및 예방: 건강증진, 예방접종, 건강검진 등 12 4.4%

어린이 건강 4 1.5%응급의료 3 1.1%정신건강 4 1.4%장애인건강 1 0.4%완화의료 0 0.0%만성질환관리 8 3.0%급성질환관리 0 0.0%직장건강 8 3.0%

환경성질환 0 0.0%

보완대체의학 3 1.1%모자보건 2 0.7%

장기요양서비스 9 3.3%

보건의료의 제공

소계 9 3.8%보건의료의 필요와 수요 2 0.7%

전달체계 3 1.3%

도시-농촌의료체계 1 0.4%

표 36. 사회의학 분야의 주제별 연구 동향(2004, 2009, 2014)

의료윤리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임.

<건강행태 및 건강결정요인 관련 국내 연구>

◦ 국내 사회의학 연구 중에서 상대적 비중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주제가 건강

관련 행태와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것임. 이 두 주제의 연구가 전체 사회의학

연구의 약 35%를 차지하고 있음.

◦ 그러나 이들 주제에 대한 대다수 연구들은 음주, 흡연 등의 건강위험요인과

소득수준, 지역, 교육수준 등의 사회적 요인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면

적인 결론을 반복적으로 도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 기존의 연구들은 일부 특정 주제에 국한되어, 심리적, 문화적 측면과 사회정

책 등의 주제를 연구범위로 포괄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내용도 심층적인

원 분석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발굴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

음.

­ 의사(의료기관)와 환자 간의 직접적인 대면 관계를 다루는 의사-환자 관계, 의사소통,

환자 중심 의료, 환자안전 등은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국민의 반응성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보건의료의 산업적 측면이 강조되고, 사회적인 쟁점으로도 부각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사회의학 측면의 연구(보건의료정보와 기술, 보건의료산업의 사회적 영향,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연구 등)는 매우 부족함.

­ 국제보건 분야의 사업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활동도 다양하

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구 측면의 성과는 아직 미흡한 상태임.

Page 8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6 -

의료기관 선택 1 0.4%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1 0.4%

접근성 0 0.0%의사-환자 관계 0 0.0%의사소통 1 0.4%

의료의 질과 안전

소계  13 4.8%환자안전 1 0.4%의료의 질 6 2.2%

환자 중심 의료 0 0.0%환자 만족도 6 2.2%

보건의료정책과 행정

소계 10 4.0%보건의료정책 4 1.5%보건의료행정 4 1.5%

규제 2 0.7%의료윤리와 법 2 0.7%

보건경제소계 47 17.2%

측정과 평가: 경제성 평가, 질병부담 등 17 6.2%보건의료재정: 건강보험, 재원조달, 국민의료비, 지불제도 등 30 11.0%

보건의료정보와 기술

소계 5 1.8%보건의료정보 1 0.4%보건의료기술 2 0.7%e-Health 0 0.0%근거기반의료 0 0.0%연구개발 2 0.7%

보건의료산업 병원산업, 의료기기산업, 제약산업, 의료관광 등 1 0.4%국제보건 1 0.4%

공중보건 및 환경소계 10 3.7%

공중보건: 손상, 질병 감염, 위생 6 2.2%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 등 4 1.5%

건강 수준의 측정과

통계

소계 12 4.5%건강 수준 측정 4 1.5%

건강 통계: 사망률, 이환율 등 8 3.0%

건강 관련 행태

소계 53 19.5%건강행태: 건강행태요인(흡연, 음주, 운동, 수면, 비만, 스트레스 등) 47 17.3%

질병행태(치료자 고르기, 스스로 돌보기 등) 0 0.0%의료이용행태: 환자행태, 공급자행태 등 6 2.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소계 40 14.8%교육수준 1 0.4%소득수준 18 6.6%직업 2 0.7%지역 7 2.6%인종 2 0.7%

산업 활동 5 1.8%사회정책 0 0.0%기타 5 1.8%

* 본 표의 주제 분류는 국내외 연구동향 비교분석 결과에서 빈도수가 매우 적거나 유사한

주제를 재분류하여 제시한 것임.

◦ 연구성격 측면에서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중요한 한계를 가지고 있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62%는 문제발견형 연구로서 단순 현상을 분석하는데 대부분

의 연구가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음.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는 문제진단형

연구는 21%를 차지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혹은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를 분

석하거나 대안을 제시하는 문제해결형 연구는 4%에 불과했음. 이에 반해 외국 사회

의학 연구는 문제발견형 연구가 43%, 문제진단형 연구가 22% 문제해결형 연구가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강 관련 행태 연구

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연구의 경우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이처럼 문

Page 8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7 -

<사회정책 분야의 문제해결형 연구 사례>

(1) 소득보장과 건강

◦ Lundberg O., et al. The role of welfare state principles and generosity in social

policy programmes for public health: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e

Lancet, 2008;372(9650):1633-1640.

- OECD 18개국을 대상으로 소득보장정책이 영아사망률, 고령인구의 초과사망률에 미

치는 효과를 분석

- 맞벌이 가정의 소득을 1% 늘리면, 천명 당 영아사망률이 0.04명 감소하는 효과

- 기초노령연금을 1%를 늘리면, 고령인구의 초과사망률을 0.02명 감소하는 효과

◦ Forget EL. New questions, new data, old interventions: The health effects of a

quaranteed annual income. Preventive Medicine, 2013;57:925-928

- 캐나다에서 기본소득을 제공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추적관찬하여 건강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

- 기본소득을 제공한 지역은 입원율이 감소하였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이 깊은 사

고 및 손상, 정신건강 관련 의료이용이 감소

(2) 주거환경과 건강

◦ Howden-Chapman et al. Effects of improved home heating on asthma in

community dwelling childre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8;23(337):a1411

- 뉴질랜드의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내 난방 시설 개선 여부에 따른 어린이 천식 증

상 개선 효과를 분석

- 실내 난방 시설을 개선한 가정의 경우, 폐기능 개선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천

식 증상과 천식으로 인한 결석, 의료이용량은 모두 감소

◦ Angela C., et 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following housing

improvements: evidence from the GoWell study. J Epi Community Health,

2015;69(1):12-19

- 영국의 15개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개선에 따른 건강 영향을 추적 관찰하

여 분석

제해결형 연구의 비중이 낮은 것은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활용성이 낮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임.

합계 건강 관련 행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내 외국 국내 외국 국내 외국

문제발견형 연구 62% 43% 55% 46% 69% 36%

문제진단형 연구 21% 22% 38% 32% 23% 51%

문제해결형 연구 4% 11% 0% 12% 2% 4%

표 37.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연구성격 비교

Page 8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8 -

- 주거환경 개선에 따른 건강 향상. 4가지의 주거환경 개선 항목에 따라 건강 향상 효

과는 차이가 존재

==> 우리나라는 위의 외국 연구와 같은 사회정책과 건강의 관계를 다룬 문제해결형 연

구는 전무한 상황임. 문제해결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국내 연구는 보건의료사업과 정

책의 성과를 평가한 일부 연구에 불과한 상황임(예: 절주사업 이후의 효과 평가, 암

질환 산정특례제도가 의료이용 및 의료비 부담의 형평성에 미친 영향 평가 등).

◦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도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99%가 양적 연구이고, 질적 연구는 1%에 불과했음. 이에 반

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양적 연구가 86%, 질적 연구가 14%를 차지하고 있었음.

세부 방법론 측면에서는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84%가 단면 연구이고, 2.2%만이 코

호트 연구인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단면 연구가 30%, 코호트 연구가 19%를

차지하고 있음.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총 8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44%가 1차 자료원을 활용했고, 56%가 2차 자료원을 활용한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1차 자료원을 활용한 연구가 65%, 2차 자료원을 활용한

연구가 35%를 차지하였음. 국내 사회의학 연구에서의 높은 2차 자료원의 활용 비율

은 비교적 양질의 행정자료(건강보험, 통계청 등)가 구축되어 있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그러나 연구의 고유한 목적 달성을 위해 자체적

으로 구축한 1차 자료원 활용 비율이 낮은 것은 또 다른 측면의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연구내용이 2차 자료원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과 범위에 규정받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 이런 점이 외국에 비해 다양한 주제의 사회의학 연구가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 논문 저자들의 소속기관을 기준으로 다학제적 연구 수준을 평가한 결과, 국내 사회

의학 연구의 96%가 보건의료계열 연구자들을이 저자로 포함한 연구였으며, 보건의

료계열 연구자들과 비보건의료 계열 연구자들이 함께 저자로 포함된 연구는 11%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26%가 보건의료 계열과 비보건

의료 계열의 연구자들이 함께 저자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음.

Page 8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69 -

제3장.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1. 이론적 배경 및 문항 설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강에 영향을 미침.

­ Dahlgren 등(1991)은 개인관련요인(연령, 성, 유전적 요인, 개인생활양식 요인)과 함

께 사회적/경제적/문화적/환경적 요인(사회적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농산물과 식량

생산, 교육, 근로환경, 생활 및 근로조건, 실업, 물과 위생, 보건의료서비스, 주거 등)

이 건강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음.

­ 세계보건기구(2000)는 보건의료체계(재정, 자원 등)를 통하여 반응성(responsiveness)

과 공평한 부담(fair contribution)이라는 중간 단계의 목표와 함께 궁극적 목표인 건

강(health) 향상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음.

그림 33.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의료체계 개념 (WHO, 2000)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

여 설문조사를 수행함. 설문조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가능한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인체생리 측면이 아닌 환경, 생

활습관, 보건의료조직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하기 위함.

­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이 실제적으로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음.

Page 8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0 -

◦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개념도는 다음

과 같음. 개인적/사회적 결정요인을 통해 중간단계 결과를 거쳐 궁극적으로 최종

결과인 건강 향상에 이르는 경로를 파악하고자 함.

그림 34.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개념 모식도

◦ 문항 구성은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조사(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한국

의료패널 등)의 문항(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및 행태,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관련 문

항)을 활용·수정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은 변수들을 추가하

였음.

­ 본 연구에서 추가된 조사항목(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은 항목)

의사에 대한 신뢰도(의사-환자 관계)

환자의 물리적/사회적 환경 및 사회적 지지 등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자가평가 기대여명

­ 기존 조사별 변수 및 장단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전략’ 중 ‘사회의학 분야의 조사 및 연구방법론 제시’ 에 기술되어 있음..

Page 8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1 -

◦ 설문조사는 다음과 같이 시행되었음.

­ 조사 기간: 2015년 8월 28일 - 9월 4일

­ 조사 대상: 일반 국민(성인 남녀 만 19세-59세)

­ 표본크기: 1,000명

­ 표본추출방법: 성/연령/지역에 따른 인구비례할당

­ 조사 방법: 온라인 조사

­ 조사 업체: (주) 리서치앤리서치

­ 문항구성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주거형태,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직업 및 직위, 보험종별

생활습관 및 행태: 주관적 건강상태, 자가평가 기대여명, 키·체중, 흡연, 음주, 신체활동,

스트레스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및 신뢰도, 질환 진단여부, 입원경험, 외래경

험, 미충족필요

사회·물리적 환경: 사회적 관계 및 네트워크, 주변 시설 접근성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 설정

의료기관 선택 요인

­ 분석 결과는 인구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음.

Page 8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2 -

2.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가. 이론적 배경

◦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상병과 사망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건강에 대한 연구

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며(Antonovsky, 1967), 사회경제적 수준의 측정은 다양한

척도를 이용할 수 있음.

­ 개인수준 척도 : 직업, 소득, 교육, 부

­ 지역기반 척도 : 직업구조, 교육구조, 경제구조, 경제적 착취, 주거 특성, 자원기반,

빈곤지역, 물질적 곤경, 박탈지역

◦ 각 척도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교육수준: ‘교육기회’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반영, ‘교육수준’은 부모의 지위로부

터 성인이 된 후 본인이 획득한 지위로의 이행

(특히, 저개발국에서 여성의 교육수준은 인구집단 건강의 중요한 결정요인)

* 향후 인생에서의 성공 가능성 암시 : 더 나은 직업, 소득, 주거, 거주지 가질 수

있음

* 제한점 : 교육성취는 그것이 이루어진 시기나 문화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의미와 결과 가짐,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측면을 직접적으로 알기 어려움(전생애

모두 파악 어려움).

­ 직업: 교육과 소득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로서 어떤 교육을 받았느냐에 따라 직업

의 종류 결정되고, 직업은 경제적 보상의 양 결정함.

* 물리적인 작업환경 : 주로 교육수준이 낮은 이들이 유해환경에 노출

*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 심리적 요구(psychological demand), 의사결정지위

(decision latitude),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파악 → 의사결정지위와 사회적 지

지는 낮으면서 심리적 요구는 높은 작업환경이 건강에 가장 나쁨.

­ 소득: 소득과 건강이 정비례 관계는 아니지만 건강과 관련된 물질적 조건의 차이는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남.

* ‘신물질적(neo-material)’ : 소득과 건강의 관계는 소득수준에 따라 단계적인 차

이를 보임(소득 사다리를 하나씩 올라설 때마다 건강에 유익한 새로운 물질적 편

익을 얻을 수 있음). 신물질적 조건은 심리적 상태, 건강행동, 사회적 환경과 밀

접하게 관련됨.

* 적절한 소득은 일상생활의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작용을 함(예상치 못한 사건

발생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소득과 건강을 연관성 조사시 제한점 : 성인기의 단 한 지점에서만 소득을 측

정했다는 점(평생에 걸친 소득수준의 변화의 폭은 큼) → 여러 시점에서 측정하

여 소득상태의 변화를 평가해야 함.

Page 9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3 -

나. 주관적 건강수준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강원/제주(3.56)가 가장 높고, 광주/전라(3.55), 서울(3.44), 대구/경북

(3.42), 부산/울산/경남(3.36), 인천/경기(3.36), 대전/충청(3.35)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3.45)이 여성(3.3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20대(3.69)가 가장 높고, 30대(3.44), 40대(3.28), 50대(3.26)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3.48)이 가장 높고, 의료급여(3.34), 지역건강보험

(3.32)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3.45)가 가장 높고, 전세(3.40), 무상 제공(3.32), 월세(3.27)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이상(3.55)이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3.43), 고졸이

하(3.26)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학생(3.74)이 가장 높고, 일반작업직(3.61), 경영관리직(3.54), 사무기술직

(3.49), 기능/숙련공(3.42), 자영업(3.37), 농/임/어/축산업(3.36), 가정주부(3.30), 판매/

서비스직(3.29), 전문/자유직(3.29), 무직/기타(2.87)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600만원 이상(3.58)이 가장 높고, 400-600만원(3.49), 200-400만원

(3.37), 200만원 미만(3.11)의 순으로 나타남.

Page 9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4 -

사례수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보통이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하지

않다

평균

(5점

만점)

% % % % % 점

전체 (1000) 6.1 42.9 37.2 12.6 1.2 3.40

거주지

서울 (207) 7.6 44.4 34.4 11.9 1.8 3.44

인천/경기 (307) 5.1 41.0 40.8 11.2 1.9 3.36

대전/충청 (99) 5.1 38.4 42.4 14.1 0.0 3.35

광주/전라 (95) 11.6 44.6 30.5 13.3 0.0 3.55

대구/경북 (97) 4.7 44.9 39.0 10.3 1.0 3.42

부산/울산/경남 (156) 6.3 42.2 33.7 17.2 0.6 3.36

강원/제주 (39) 5.1 56.2 28.5 10.3 0.0 3.56

성별남성 (514) 7.5 45.2 33.8 11.8 1.7 3.45

여성 (486) 5.1 40.6 40.1 13.5 0.6 3.36

연령

20대 (229) 11.6 54.0 26.1 7.9 0.4 3.69

30대 (240) 6.1 43.2 39.5 10.7 0.4 3.44

40대 (275) 3.2 38.1 43.0 15.0 0.7 3.28

50대 (256) 5.3 38.0 37.5 16.2 3.0 3.26

건강보험

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5.8 37.7 40.4 14.6 1.6 3.32

직장건강보험 (564) 6.1 47.3 35.4 10.5 0.7 3.48

의료급여 (76) 11.5 35.3 31.1 19.6 2.6 3.34

주택거주

형태

자가 (634) 6.5 43.9 37.7 11.4 0.6 3.45

전세 (201) 5.9 41.6 39.2 13.2 0.0 3.40

월세 (139) 5.6 43.1 27.9 19.3 4.1 3.27

무상 제공 (26) 11.0 29.6 47.8 3.9 7.7 3.32

학력

고졸이하 (178) 4.4 39.7 35.7 17.9 2.2 3.26

대학교재학/졸업 (730) 6.5 43.3 37.6 11.6 1.0 3.43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9.6 46.3 33.5 10.7 0.0 3.55

직업

농/임/어/축산업 (3) 0.0 35.7 64.3 0.0 0.0 3.36

자영업 (99) 4.0 43.5 38.5 13.1 0.9 3.37

판매/서비스직 (59) 3.4 42.5 35.6 16.8 1.7 3.29

기능/숙련공 (19) 0.0 52.5 37.2 10.3 0.0 3.42

일반작업직 (42) 11.1 44.1 40.0 4.7 0.0 3.61

사무기술직 (335) 7.7 45.8 35.4 10.0 1.1 3.49

경영관리직 (46) 10.3 41.2 40.2 8.3 0.0 3.54

전문/자유직 (65) 3.1 37.7 44.1 15.1 0.0 3.29

가정주부 (145) 2.8 40.9 40.7 14.3 1.4 3.30

학생 (108) 11.9 58.4 21.4 8.4 0.0 3.74

무직/기타 (80) 4.8 16.2 45.5 28.5 5.0 2.87

월평균

소득

200만원미만 (133) 3.0 33.0 40.0 20.2 3.7 3.11

200~400만원미만 (382) 4.4 42.3 40.0 12.3 1.0 3.37

400~600만원미만 (333) 8.0 45.7 34.7 10.7 0.9 3.49

600만원이상 (153) 10.8 47.0 31.2 11.0 0.0 3.58

표 38.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Page 9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5 -

다. 질병이환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진단받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대구/경북(63.9)이 가장 높고, 부산/울산/경남(55.0), 인천/경기(53.1),

광주/전라(50.2), 강원/제주(49.2), 대전/충청(48.5), 서울(46.5)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여성(59.2)이 남성(45.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20대(69.4)가 가장 높고, 30대(57.5), 40대(49.4), 50대(34.7)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의료급여(61.0)가 가장 높고, 지역건강보험(51.5), 직장건강보험

(51.4)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무상 제공(54.1)이 가장 높고, 자가(53.5), 전세(53.2), 월세(44.3)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교재학/졸업(55.4)이 가장 높고, 고졸이하(46.4), 대학원재학/졸업이

상(37.5)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학생(73.1)이 가장 높고, 농/임/어/축산업(64.3), 가정주부(56.3), 사무기술

직(55.7), 일반작업직(50.8) 판매/서비스직(45.8), 무직/기타(43.0), 자영업(41.4), 전문/

자유직(41.0), 기능/숙련공(37.2), 경영관리직(34.6)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200-400만원 미만(55.3)이 가장 높고, 200만원 미만(53.6), 600만원 이

상(50.0), 400-600만원 이상(49.0)의 순으로 나타남.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고혈압 이환 상태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대전/충청(16.2)이 가장 높고, 광주/전라(15.8), 서울(15.8), 인천/경기

(14.3), 부산/울산/경남(14.0), 강원/제주(12.8), 대구/경북(12.4)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23.3)이 여성(5.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50대(25.6)가 가장 높고, 40대(14.8), 30대(11.1), 20대(6.1)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16.2), 지역건강보험(13.5), 의료급여(9.1)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월세(15.6)가 가장 높고, 무상 제공(15.2), 자가(14.8), 전세(13.6)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고졸이하(16.0)가 가장 높고, 대학원재학/졸업이상(15.1), 대학교재학/졸

업(14.3)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경영관리직(33.9)이 가장 높고, 기능/숙련공(31.9), 전문/자유직(21.2), 자

영업(20.8), 일반작업직(18.7), 사무기술직(15.5), 무직/기타(13.6), 판매/서비스직(10.1),

학생(6.5), 가정주부(4.8), 농/임/어/축산업(0.0)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600만원 이상(16.7)이 가장 높고, 200만원 미만(14.9), 400-600만원

(14.7), 200-400만원(13.7)의 순으로 나타남.

Page 9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6 -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함.

­ 본 결과는 자가응답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이므로 실제 질병이환 상태와는 다를 수

있음.

­ 일부 고소득층, 직장건강보험 가입자, 남성 등은 건강검진을 통해 본인이 질병이 있

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반면, 저소득층 및 여성 등은 본인이 질병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음.

­ 위의 결과는 연령과 소득계층 등을 각각의 요인으로 구분한 것으로 설문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요인만이 아닌 여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 여러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 분석은 ‘만성질환에 대한 종합적 분석’ 의 별도 장

으로 기술되어 있음.

­ 이 결과는 인구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이지만 설문 대상자의 특성이 전체 인구집단

과는 다를 수도 있음.

Page 9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7 -

사례수

진단받

은적

없음

고혈압고지

혈증

기타

질환

우울증

정신

질환

당뇨

갑상선

장애천식 폐결핵

골관

절염·

류마

티스성

관절염

협심증·

심근

경색증

간경

변증암 뇌졸중 신부전

% % % % % % % % % % % % % % %

전체 (1000) 52.2 14.7 13.5 13.3 6.1 4.3 3.8 3.5 3.5 3.1 2.1 1.3 0.8 0.8 0.5

거주지

서울 (207) 46.5 15.8 15.9 16.7 7.2 4.7 5.3 4.2 2.8 4.8 1.0 0.9 1.0 0.9 0.0

인천/경기 (307) 53.1 14.3 12.1 15.4 7.0 3.2 2.9 4.2 3.8 3.2 0.6 0.3 0.9 0.6 0.3

대전/충청 (99) 48.5 16.2 16.2 13.1 4.0 8.1 2.0 4.0 4.0 1.0 3.0 1.0 0.0 0.0 1.0

광주/전라 (95) 50.2 15.8 11.6 11.6 5.3 8.8 3.2 4.2 2.5 1.1 5.3 1.1 3.2 4.2 1.1

대구/경북 (97) 63.9 12.4 11.3 9.3 5.2 3.1 2.1 1.0 5.2 2.1 2.1 0.0 0.0 0.0 1.0

부산/울산/경남 (156) 55.0 14.0 14.6 9.6 6.3 2.4 5.7 2.4 2.6 4.4 4.4 2.6 0.0 0.0 0.6

강원/제주 (39) 49.2 12.8 12.3 7.7 2.6 0.0 5.1 2.6 5.1 0.0 0.0 10.3 0.0 0.0 0.0

성별남성 (514) 45.6 23.3 17.8 13.0 5.1 5.7 1.5 3.4 3.6 3.2 3.3 1.9 1.0 1.1 0.9

여성 (486) 59.2 5.6 9.1 13.6 7.2 2.7 6.2 3.7 3.4 2.9 0.8 0.6 0.6 0.4 0.0

연령

20대 (229) 69.4 6.1 3.1 12.7 3.9 1.3 0.9 4.8 1.7 1.7 1.3 2.2 0.9 0.9 0.4

30대 (240) 57.5 11.1 7.4 12.4 9.9 2.9 5.0 2.9 3.7 2.1 2.9 0.0 0.8 0.8 0.4

40대 (275) 49.4 14.8 16.4 12.9 5.3 6.2 4.3 3.2 3.4 2.1 1.1 0.7 0.7 0.4 1.0

50대 (256) 34.7 25.6 25.6 15.0 5.4 6.1 4.7 3.4 5.0 6.2 3.1 2.3 0.8 1.1 0.0

건강보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51.5 13.5 9.9 14.6 9.6 4.1 3.3 4.7 4.1 4.4 1.7 1.9 0.3 0.6 1.1

직장건강보험 (564) 51.4 16.2 16.0 11.6 4.2 4.4 4.0 2.4 3.4 1.9 2.5 1.0 1.2 0.7 0.2

의료급여 (76) 61.0 9.1 12.9 19.6 3.8 3.8 3.9 6.4 1.3 5.1 1.2 0.0 0.0 2.6 0.0

주택거주형태

자가 (634) 53.5 14.8 13.3 13.0 5.9 4.4 3.4 3.1 2.7 2.3 1.7 1.4 0.6 0.6 0.5

전세 (201) 53.2 13.6 11.5 12.8 5.9 2.9 3.9 5.8 4.4 3.4 2.9 0.9 1.5 0.5 0.9

월세 (139) 44.3 15.6 17.8 14.4 6.5 5.7 5.0 2.2 6.4 5.7 2.9 1.4 0.7 2.1 0.0

무상 제공 (26) 54.1 15.2 11.6 19.1 11.6 3.7 3.9 3.9 0.0 3.9 0.0 0.0 0.0 0.0 0.0

학력

고졸이하 (178) 46.4 16.0 17.8 12.3 8.9 4.9 6.2 5.1 4.5 1.1 1.7 0.0 0.6 0.5 0.6

대학교재학/졸업 (730) 55.4 14.3 12.7 12.4 5.3 3.7 3.5 2.8 3.2 3.4 2.0 1.1 0.8 0.8 0.5

표 39.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질병이환

Page 9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8 -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37.5 15.1 11.8 22.5 7.5 7.6 1.1 6.4 4.3 4.2 3.2 5.4 1.1 1.1 0.0

직업

농/임/어/축산업 (3) 64.3 0.0 0.0 0.0 0.0 0.0 0.0 0.0 35.7 0.0 0.0 0.0 0.0 0.0 0.0

자영업 (99) 41.4 20.8 14.7 17.9 6.0 3.9 4.0 0.0 3.9 5.8 5.0 6.0 1.0 0.0 1.0

판매/서비스직 (59) 45.8 10.1 18.7 10.2 5.1 3.4 1.7 3.4 3.4 8.5 1.7 1.7 1.7 3.4 1.5

기능/숙련공 (19) 37.2 31.9 20.9 15.6 10.3 5.3 0.0 0.0 0.0 0.0 0.0 0.0 0.0 0.0 0.0

일반작업직 (42) 50.8 18.7 2.4 14.2 7.1 0.0 2.4 7.1 2.4 2.4 0.0 0.0 0.0 2.1 0.0

사무기술직 (335) 55.7 15.5 15.1 11.0 7.1 4.7 2.7 2.4 3.6 1.2 2.4 0.6 1.2 0.6 0.6

경영관리직 (46) 34.6 33.9 27.3 6.3 0.0 10.5 1.9 6.2 4.2 2.2 0.0 4.3 0.0 0.0 0.0

전문/자유직 (65) 41.0 21.2 15.2 15.1 10.5 6.1 3.1 1.4 1.5 3.1 3.1 2.9 0.0 0.0 1.5

가정주부 (145) 56.3 4.8 13.8 11.0 4.1 3.0 10.3 4.1 4.4 2.1 0.7 0.0 0.7 0.7 0.0

학생 (108) 73.1 6.5 0.0 14.9 0.9 1.9 1.9 4.6 1.9 2.8 0.0 0.0 0.0 0.0 0.0

무직/기타 (80) 43.0 13.6 14.8 23.6 12.3 6.1 3.7 9.8 5.0 7.4 4.8 0.0 1.2 2.5 0.0

월평균소득

200만원미만 (133) 53.6 14.9 13.4 18.8 6.7 5.2 3.0 5.2 3.0 4.4 2.9 0.0 0.7 1.5 0.0

200~400만원미만 (382) 55.3 13.7 10.5 14.0 5.7 2.6 3.1 4.7 5.2 2.6 1.3 0.8 0.8 1.0 0.5

400~600만원미만 (333) 49.0 14.7 15.3 11.9 5.7 5.0 5.4 1.8 2.1 3.3 2.4 1.5 1.2 0.6 0.9

600만원이상 (153) 50.0 16.7 17.5 9.7 7.7 6.1 2.6 3.2 2.8 2.6 2.6 3.2 0.0 0.0 0.0

Page 9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79 -

라. 자가평가 기대여명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대구/경북(83.73)이 가장 높고, 광주/전라(82.87), 인천/경기(82.81), 대

전/충청(82.53), 서울(82.45), 부산/울산/경남(82.19), 강원/제주(80.42)의 순으로 나타

남.

­ 성별로는 여성(83.43)이 남성(81.8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50대(86.49)가 가장 높고, 40대(82.14), 20대(81.21), 30대(80.36)의 순으로

나타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83.17)이 가장 높고, 의료급여(82.67), 지역건강보

험(81.72)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83.27)가 가장 높고, 무상 제공(82.34), 전세(82.05), 월세

(80.49)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교재학/졸업(82.95)이 가장 높고, 고졸이하(81.83), 대학원재학/졸업

이상(81.49)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학생(84.47)이 가장 높고, 경영관리직(84.41), 가정주부(84.36), 농/임/어/

축산업(83.57), 판매/서비스직(82.95), 사무기술직(82.49), 무직/기타(82.08), 일반작업직

(81.96), 기능/숙련공(81.67), 전문/자유직(80.64), 자영업(79.57)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600만원 이상(83.96)이 가장 높고, 400-600만원(83.67), 200만원 미만

(82.51), 200-400만원(81.19)의 순으로 나타남.

Page 9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0 -

사례수 평균

전체 (1000) 82.61

거주지

서울 (207) 82.45

인천/경기 (307) 82.81

대전/충청 (99) 82.53

광주/전라 (95) 82.87

대구/경북 (97) 83.73

부산/울산/경남 (156) 82.19

강원/제주 (39) 80.42

성별남성 (514) 81.84

여성 (486) 83.43

연령

20대 (229) 81.21

30대 (240) 80.36

40대 (275) 82.14

50대 (256) 86.49

건강보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81.72

직장건강보험 (564) 83.17

의료급여 (76) 82.67

주택거주형태

자가 (634) 83.27

전세 (201) 82.05

월세 (139) 80.49

무상 제공 (26) 82.34

학력

고졸이하 (178) 81.83

대학교재학/졸업 (730) 82.95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81.49

직업

농/임/어/축산업 (3) 83.57

자영업 (99) 79.57

판매/서비스직 (59) 82.95

기능/숙련공 (19) 81.67

일반작업직 (42) 81.96

사무기술직 (335) 82.49

경영관리직 (46) 84.41

전문/자유직 (65) 80.64

가정주부 (145) 84.36

학생 (108) 84.47

무직/기타 (80) 82.08

월평균소득

200 만원미만 (133) 82.51

200~400만원미만 (382) 81.19

400~600만원미만 (333) 83.67

600만원이상 (153) 83.96

표 40.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

Page 9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1 -

마.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미국의 Commonwealth fund(Mossialos 등, 2015)에서는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국가

별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그 중 보건의료체계의 개선 가능성을 묻는 문항은 한국의

료패널에서도 사용되고 있는데, 원문과 해석은 다음과 같음.

1) 전반적으로 잘 작동되고 있으며 약간의 수정으로 개선 가능(On the whole, the system

works pretty well and only minor changes are necessary to make it work better)

2) 현재의 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 있지만 대대적인 수정 필요(There are some good things

in our health care system, but fundamental changes are needed to make it work better)

3) 현재의 의료시스템은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한다(Our health care system has so much

wrong with it that we need to completely rebuild it)

사례수

전반적으로 잘작동되고 있으며약간의 수정으로개선 가능

현재의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

있지만 대대적인수정 필요

현재의의료시스템은완전히 새로만들어야 한다

평균(3점만점)

% % % 점전체 (1000) 39.6 54.4 6.1 2.34

거주지

서울 (207) 34.1 57.3 8.5 2.25인천/경기 (307) 41.7 53.5 4.8 2.37대전/충청 (99) 41.4 55.6 3.0 2.38광주/전라 (95) 36.8 57.9 5.3 2.32대구/경북 (97) 44.9 49.9 5.2 2.40

부산/울산/경남 (156) 40.1 52.2 7.6 2.32강원/제주 (39) 37.4 53.6 9.0 2.28

성별남성 (514) 41.7 52.8 5.4 2.36여성 (486) 37.2 56.0 6.8 2.30

연령

20대 (229) 41.3 53.5 5.2 2.3630대 (240) 31.4 62.2 6.4 2.2540대 (275) 40.1 52.7 7.2 2.3350대 (256) 45.0 49.7 5.3 2.40

건강보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43.8 50.0 6.2 2.38직장건강보험 (564) 36.5 57.6 5.9 2.31의료급여 (76) 42.6 50.8 6.6 2.36

주택거주형태

자가 (634) 39.0 54.6 6.4 2.33전세 (201) 39.3 55.9 4.9 2.35월세 (139) 42.9 51.4 5.7 2.37

무상 제공 (26) 37.3 53.1 9.7 2.28

학력고졸이하 (178) 39.7 52.5 7.9 2.32

대학교재학/졸업 (730) 38.8 55.4 5.7 2.33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45.1 49.5 5.4 2.40

직업

농/임/어/축산업 (3) 64.3 35.7 0.0 2.64자영업 (99) 42.5 53.4 4.1 2.38

판매/서비스직 (59) 39.0 54.2 6.8 2.32기능/숙련공 (19) 47.5 52.5 0.0 2.48일반작업직 (42) 27.8 63.0 9.2 2.19사무기술직 (335) 36.9 57.2 5.9 2.31경영관리직 (46) 50.2 45.8 4.0 2.46전문/자유직 (65) 34.9 59.0 6.1 2.29가정주부 (145) 40.7 52.4 6.9 2.34학생 (108) 46.3 50.0 3.7 2.43

무직/기타 (80) 37.2 50.9 11.9 2.25

월평균소득

200 만원미만 (133) 38.8 51.0 10.2 2.29200~400만원미만 (382) 38.8 55.7 5.4 2.33400~600만원미만 (333) 39.3 54.7 5.9 2.33600만원이상 (153) 42.5 53.0 4.5 2.38

표 41.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Page 9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2 -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대구/경북(2.40)이 가장 높고, 대전/충청(2.38), 인천/경기(2.37), 부산/

울산/경남(2.32), 광주/전라(2.32), 강원/제주(2.28), 서울(2.25)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2.36)이 여성(2.3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50대(2.40)가 가장 높고, 20대(2.36), 40대(2.33), 30대(2.25)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지역건강보험(2.38)이 가장 높고, 의료급여(2.36), 직장건강보험

(2.31)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월세(2.37)가 가장 높고, 전세(2.35), 자가(2.33), 무상 제공(2.28)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 이상(2.40)이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2.33), 고졸이

하(2.32)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농/임/어/축산업(2.64), 기능/숙련공(2.48), 경영관리직(2.46), 학생(2.43),

자영업(2.38), 가정주부(2.34), 판매/서비스직(2.32), 사무기술직(2.31), 전문/자유직

(2.29), 무직/기타(2.25), 일반작업직(2.19)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600만원 이상(2.38)이 가장 높고, 400-600만원(2.33), 200-400만원

(2.33), 200만원 미만(2.29)의 순으로 나타남.

◦ 외국(common wealth fund) 조사 결과와의 비교는 다음과 같음.

­ 한국의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영국(2.59), 스위스(2.49), 네덜란드(2.46), 뉴질랜드

(2.39), 호주(2.39) 보다는 낮고, 독일(2.32), 프랑스(2.29), 미국(1.98)보다는 높은 것으

로 나타남. 캐나다(2.34), 노르웨이(2.34), 스웨덴(2.34)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전반적으로 잘

작동되고 있으며

약간의 수정으로

개선 가능

현재의

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 있지만

대대적인 수정 필요

현재의

의료시스템은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한다

평균

(3점 만점)

% % % 점

호주 48 43 9 2.39

캐나다 42 50 8 2.34

프랑스 40 49 11 2.29

독일 42 48 10 2.32

네덜란드 51 44 5 2.46

뉴질랜드 47 45 8 2.39

노르웨이 46 42 12 2.34

스웨덴 44 46 10 2.34

스위스 54 40 7 2.49

영국 63 33 4 2.59

미국 25 48 27 1.98

본 연구

(한국)39.6 54.4 6.1 2.34

표 42. 외국(common wealth fund) 조사 결과와의 비교

Page 10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3 -

바. 의사에 대한 신뢰도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광주/전라(3.37)가 가장 높고, 대전/충청(3.31), 부산/울산/경남(3.30),

인천/경기(3.30), 대구/경북(3.27), 서울(3.27), 강원/제주(3.23)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3.37)이 여성(3.3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50대(3.34)가 가장 높고, 40대(3.32), 20대(3.31), 30대(3.21)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3.30)이 가장 높고, 의료급여(3.30), 지역건강보험

(3.29)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3.33)가 가장 높고, 무상 제공(3.30), 전세(3.26), 월세(3.20)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 이상(3.31)이 가장 높고, 고졸이하(3.30), 대학교재학/졸

업(3.29)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경영관리직(3.52)이 가장 높고, 학생(3.42), 전문/자유직(3.41), 자영업

(3.37), 판매/서비스직(3.32), 사무기술직((3.27), 가정주부(3.26), 기능/숙련공(3.16), 일

반작업직(3.12), 무직/기타(3.11), 농/임/어/축산업(2.71)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400-600만원(3.37)이 가장 높고, 600만원 이상(3.32), 200-400만원

(3.27), 200만원 미만(3.16)의 순으로 나타남.

Page 10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4 -

사례수

매우

신뢰신뢰 보통

신뢰

하지

않음

전혀

신뢰하

지 않음

*신뢰

하는편

*

*비신

뢰하는

편평균

% % % % % % %

전체 (1000) 1.1 38.3 51.6 7.3 1.8 39.3 9.1 3.30

거주지

서울 (207) 0.5 40.3 48.7 6.7 3.8 40.8 10.5 3.27

인천/경기 (307) 0.9 37.1 53.9 7.1 1.0 38.0 8.0 3.30

대전/충청 (99) 2.0 40.4 47.5 7.1 3.0 42.4 10.1 3.31

광주/전라 (95) 1.1 42.5 50.2 5.3 1.1 43.5 6.3 3.37

대구/경북 (97) 3.1 32.8 52.9 10.2 1.0 35.9 11.2 3.27

부산/울산/경남 (156) 0.6 38.7 51.7 7.7 1.3 39.4 9.0 3.30

강원/제주 (39) 0.0 32.3 57.9 9.7 0.0 32.3 9.7 3.23

성별남성 (514) 1.3 40.5 50.0 5.5 2.7 41.8 8.2 3.32

여성 (486) 0.8 35.9 53.2 9.3 0.8 36.7 10.1 3.27

연령

20대 (229) 0.9 38.4 53.0 6.1 1.7 39.2 7.8 3.31

30대 (240) 1.2 33.0 54.6 7.9 3.3 34.2 11.2 3.21

40대 (275) 0.7 38.8 53.0 7.2 0.4 39.5 7.5 3.32

50대 (256) 1.6 42.6 45.9 8.1 1.9 44.1 10.0 3.34

건강보

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1.9 35.1 55.2 5.3 2.5 37.0 7.7 3.29

직장건강보험 (564) 0.5 40.2 49.5 8.4 1.4 40.7 9.8 3.30

의료급여 (76) 1.3 39.0 49.6 8.8 1.3 40.3 10.1 3.30

주택거

주형태

자가 (634) 1.3 40.1 49.7 7.8 1.1 41.4 8.9 3.33

전세 (201) 0.5 36.6 54.6 5.4 3.0 37.1 8.4 3.26

월세 (139) 1.4 32.1 55.0 7.9 3.5 33.5 11.4 3.20

무상 제공 (26) 0.0 37.8 54.5 7.7 0.0 37.8 7.7 3.30

학력

고졸이하 (178) 2.2 39.0 47.5 9.0 2.2 41.3 11.2 3.30

대학교재학/졸업 (730) 0.8 37.3 53.5 7.0 1.3 38.2 8.4 3.29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1.0 44.0 44.1 6.5 4.3 45.0 10.9 3.31

직업

농/임/어/축산업 (3) 0.0 35.7 0.0 64.3 0.0 35.7 64.3 2.71

자영업 (99) 3.0 34.5 60.5 1.0 1.0 37.4 2.0 3.37

판매/서비스직 (59) 3.4 40.5 42.5 11.9 1.7 43.9 13.6 3.32

기능/숙련공 (19) 0.0 31.9 52.5 15.6 0.0 31.9 15.6 3.16

일반작업직 (42) 0.0 25.4 63.0 9.5 2.1 25.4 11.6 3.12

사무기술직 (335) 0.6 38.5 50.2 8.6 2.1 39.1 10.6 3.27

경영관리직 (46) 0.0 56.5 39.2 4.3 0.0 56.5 4.3 3.52

전문/자유직 (65) 1.4 41.1 55.9 0.0 1.5 42.6 1.5 3.41

가정주부 (145) 0.7 34.7 54.3 10.3 0.0 35.4 10.3 3.26

학생 (108) 0.9 47.3 45.4 5.4 0.9 48.3 6.4 3.42

무직/기타 (80) 1.3 29.7 55.3 6.2 7.5 31.0 13.7 3.11

월평균

소득

200 만원미만 (133) 1.5 30.0 55.1 9.6 3.8 31.5 13.4 3.16

200~400만원미만 (382) 1.0 35.0 56.2 5.5 2.3 36.0 7.8 3.27

400~600만원미만 (333) 0.9 43.6 47.5 7.7 0.3 44.5 8.0 3.37

600만원이상 (153) 1.3 42.0 45.6 9.1 2.0 43.3 11.0 3.32

표 43.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

Page 10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5 -

사. 미충족 의료필요 및 이유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미충족 필요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광주/전라(33.0)가 가장 높고, 서울(31.4), 대전/충청(27.3), 인천/경기

(26.0), 부산/울산/경남(23.5), 대구/경북(22.4), 강원/제주(15.4)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여성(30.1)이 남성(23.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30대(30.7)가 가장 높고, 40대(27.4), 50대(26.1), 20대(22.6)의 순으로 나타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의료급여(30.0)가 가장 높고, 직장건강보험(27.5), 지역건강보험

(24.9)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월세(37.0)가 가장 높고, 전세(28.5), 자가(24.1), 무상 제공(23.0)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고졸이하(29.0)가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26.6), 대학원재학/졸업 이상

(23.7)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사무기술직(31.0)이 가장 높고, 일반작업직(30.1), 자영업(29.1), 판매/서비스

직(28.9), 전문/자유직(27.3), 가정주부(26.4), 기능/숙련공(26.3), 학생(19.5), 무직/기타

(18.6), 경영관리직(18.5)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200만원 미만(31.0)이 가장 높고, 600만원 이상(29.4), 200-400만원(27.6),

400-600만원(22.9)의 순으로 나타남.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미충족 필요의 이유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서울, 인천/경기,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았고, 대전/충청은 ‘경제적

인 이유로’, 대구/경북은 ‘교통편이 불편하고 멀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여성 모두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연령별로는 20대, 30대, 40대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대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에서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

지 않아서’, 지역건강보험과 의료급여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 전세에서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월세, 무상 제공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학력별로는 고졸이하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대학교재학/졸업, 대학원재학/졸업이상

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직업별로는 판매/서비스직, 일반작업직, 가정주부, 무직/기타에서 ‘경제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았고, 기능/숙련공에서는 ‘증상이 가벼워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다른 직업에

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200만원 미만에서 ‘경제적인 이유로’ 가, 200-400만원, 400-600만원, 600

만원 이상에서는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Page 10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6 -

사례수없다 있다

‘있다’(26.8%)고 답한 응답자 중 중복응답

내가 갈 수있는시간에

병의원 등이문을 열지않아서

경제적인이유로

증상이가벼워서

교통편이불편하고멀어서

병의원등에서 오래기다리기싫어서

어디로가야할 지몰라서(정보부족)

병의원 등에예약을하기가힘들어서

기타

% % % % % % % % % %

전체 (1000) 73.2 26.8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거주지

서울 (207) 68.6 31.4 36.2 34.5 32.1 13.7 7.5 20.7 7.7 6.2

인천/경기 (307) 74.0 26.0 43.0 32.1 32.0 5.0 14.9 11.3 11.2 8.6

대전/충청 (99) 72.7 27.3 25.9 40.7 37.0 11.1 18.5 3.7 18.5 0.0

광주/전라 (95) 67.0 33.0 31.9 22.3 17.0 41.5 19.1 6.4 19.1 0.0

대구/경북 (97) 77.6 22.4 40.8 31.6 27.0 9.2 9.2 18.4 9.2 9.2

부산/울산/경남 (156) 76.5 23.5 38.1 27.0 21.3 16.3 10.9 13.4 16.3 13.6

강원/제주 (39) 84.6 15.4 66.7 16.7 50.0 33.3 16.7 0.0 16.7 0.0

성별남성 (514) 76.4 23.6 37.7 31.2 28.9 13.9 8.1 7.7 15.6 7.3

여성 (486) 69.9 30.1 38.3 31.4 29.6 15.0 17.1 17.1 10.3 6.2

연령

20대 (229) 77.4 22.6 44.2 28.7 21.0 17.4 3.9 9.7 15.5 9.7

30대 (240) 69.3 30.7 47.2 29.9 26.9 17.7 12.2 12.2 15.0 8.1

40대 (275) 72.6 27.4 40.7 26.1 39.8 9.3 15.8 11.8 11.9 3.9

50대 (256) 73.9 26.1 20.3 40.9 26.6 14.8 17.8 17.1 8.9 6.0

건강보

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75.1 24.9 35.5 43.2 18.8 10.1 10.1 15.7 12.3 6.7

직장건강보험 (564) 72.5 27.5 40.5 23.4 36.5 16.7 14.7 11.9 14.8 7.0

의료급여 (76) 70.0 30.0 30.7 39.0 21.5 17.5 13.2 8.3 0.0 4.4

주택거

주형태

자가 (634) 75.9 24.1 36.2 25.8 33.8 18.2 16.3 14.8 15.0 4.5

전세 (201) 71.5 28.5 42.8 29.3 24.1 12.2 10.5 12.0 13.9 8.7

월세 (139) 63.0 37.0 40.5 48.0 21.3 7.8 5.6 9.3 5.8 7.8

무상 제공 (26) 77.0 23.0 16.8 49.6 33.6 0.0 16.8 0.0 0.0 33.6

학력

고졸이하 (178) 71.0 29.0 25.1 42.0 30.8 9.7 11.6 17.4 5.8 9.7

대학교재학/졸업 (730) 73.4 26.6 40.7 30.5 29.2 16.4 13.3 11.6 15.4 5.6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76.3 23.7 45.4 13.8 26.8 9.2 13.8 13.3 4.6 9.2

표 44.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미충족 의료필요 및 이유

Page 10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7 -

직업

농/임/어/축산업 (3) 100.0 0.0 - - - - - - - -

자영업 (99) 70.9 29.1 41.4 30.8 24.4 20.9 13.9 13.9 20.9 3.5

판매/서비스직 (59) 71.1 28.9 35.3 47.1 23.5 17.6 11.8 17.6 11.8 0.0

기능/숙련공 (19) 73.7 26.3 20.2 39.4 59.6 0.0 0.0 0.0 20.2 40.4

일반작업직 (42) 69.9 30.1 15.8 45.7 22.5 0.0 15.8 7.0 7.9 7.9

사무기술직 (335) 69.0 31.0 46.5 23.6 34.2 11.5 14.3 9.3 14.4 8.6

경영관리직 (46) 81.5 18.5 32.4 10.4 22.2 23.3 11.7 22.0 11.7 0.0

전문/자유직 (65) 72.7 27.3 60.8 28.0 33.6 16.8 5.6 11.2 22.4 0.0

가정주부 (145) 73.6 26.4 13.0 41.7 32.2 18.3 20.9 26.1 2.6 7.8

학생 (108) 80.5 19.5 47.6 28.6 19.0 19.0 4.8 4.8 9.5 4.8

무직/기타 (80) 81.4 18.6 27.0 46.6 12.8 13.5 6.8 12.8 6.8 6.8

월평균

소득

200 만원미만 (133) 69.2 30.8 24.5 51.2 36.5 9.8 7.4 16.9 7.3 7.4

200~400만원미만 (382) 72.4 27.6 41.1 31.6 28.0 14.2 8.4 10.2 16.1 7.5

400~600만원미만 (333) 77.1 22.9 32.2 29.7 23.4 18.2 19.5 12.8 14.4 7.8

600만원이상 (153) 70.6 29.4 52.9 15.6 36.0 13.4 17.8 15.3 6.7 2.2

Page 10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8 -

아.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물리적 환경

◦ 근린(neighborhood)과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음.

­ 많은 연구들이 지역(area)나 지역사회(community)수준의 척도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건강상태와의 관계 검토함.

­ 지역사회나 지역수준에서 나타나는 사회경제적 격차는 어떤 특징을 가진 개인들의

분포, 그 이상의 것을 반영함.

­ 지역수준척도 : 소득의 중앙값, 1인당 평균소득, 박탈지수, 지역 내 빈곤층의 비율,

실업, 교육의 중간수준, 화이트칼라의 백분율, 실직률 등

­ 앨러메다카운티 연구(Kaplan et al, 1987) : 빈곤지역에 산다는 것은 향후 9년간의 사

망률을 약 50% 높임.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대전/충청(74.7)이 가장 높고, 강원/제주(71.5), 부산/울산/경남(71.3),

인천/경기(69.0), 광주/전라(67.4), 서울(64.8), 대구/경북(63.0)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여성(70.8)이 남성(66.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20대(76.5)가 가장 높고, 50대(68.6), 40대(68.1), 30대(60.9)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69.1)이 가장 높고, 지역건강보험(67.7), 의료급여

(66.4)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전세(71.1)가 가장 높고, 자가(69.7), 월세(60.0), 무상 제공(60.0)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 이상(78.4)이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68.6), 고졸이

하(62.6)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학생(82.4)이 가장 높고, 전문/자유직(77.1), 경영관리직(74.6), 자영업

(71.4), 가정주부(68.3), 판매/서비스직(67.8), 사무기술직(67.0), 일반작업직(57.7), 무직/

기타(53.5), 기능/숙련공(47.2), 농/임/어/축산업(35.7)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400-600만원(73.3)이 가장 높고, 600만원 이상(72.2), 200-400만원

(67.9), 200만원 미만(53.2)의 순으로 나타남.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참여)는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부산/울산/경남(62.3)이 가장 높고, 서울(59.6), 대전/충청(56.6), 광주/

전라(54.0), 인천/경기(50.8), 강원/제주(47.2), 대구/경북(43.7)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남성(60.4)이 여성(48.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50대(69.0)가 가장 높고, 40대(54.5), 30대(49.5), 20대(43.4)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57.8)이 가장 높고, 지역건강보험(50.7), 의료급여

Page 10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89 -

(48.1)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56.4)가 가장 높고, 전세(53.7), 무상 제공(53.1), 월세(46.9)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 이상(72.0)이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54.5), 고졸이

하(45.2)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경영관리직(75.1)이 가장 높고, 자영업(64.4), 전문/자유직(61.9), 판매/서

비스직(57.6), 사무기술직(54.7), 가정주부(52.0), 학생(50.9), 일반작업직(48.4), 기능/숙

련공(42.5), 무직/기타(38.3)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600만원 이상(64.5)이 가장 높고, 400-600만원(61.1), 200-400만원

(51.5), 200만원 미만(35.0)의 순으로 나타남.

◦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물리적 환경(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음.

­ 거주지별로는 인천/경기 및 서울(96.2)이 가장 높고, 부산/울산/경남(94.9), 대구/경

북(94.0), 대전/충청(91.9), 광주/전라(91.6), 강원/제주(89.0)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는 여성(94.9)이 남성(94.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로는 40대(96.8)가 가장 높고, 50대(96.1), 20대(93.5), 30대(91.5)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보험 형태별로는 직장건강보험(95.5)이 가장 높고, 지역건강보험(94.6), 의료급여

(88.4)의 순으로 나타남.

­ 주택거주 형태별로는 자가(95.0)가 가장 높고, 전세(94.5), 월세(92.9), 무상 제공(83.2)

의 순으로 나타남.

­ 학력별로는 대학원재학/졸업 이상(98.9)이 가장 높고, 대학교재학/졸업(95.4), 고졸이

하(89.4)의 순으로 나타남.

­ 직업별로는 경영관리직(100.0)이 가장 높고, 전문/자유직(98.5), 자영업(97.0), 사무기

술직(95.9), 학생(95.4), 가정주부(95.2), 무직/기타(90.7), 판매/서비스직(89.8), 일반작

업직(88.4), 기능/숙련공(84.4)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수준별로는 400-600만원(99.4)이 가장 높고, 600만원 이상(99.3), 200-400만원

(93.2), 200만원 미만(81.1)의 순으로 나타남.

Page 10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0 -

사례수

사회적 지지

사회적 네트워크

(참여)

물리적 환경

(주변 시설)

물질적 지지1

(집안일 부탁 시 도움

받을 사람)

물질적 지지2

(돈을 빌릴 때 도움 받을

사람)

정서적 지지

(우울할 때 도움 받을

사람)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안 한다 한다 없다 있다

% % % % % % % % % %

전체 (1000) 56.4 43.6 43.8 56.2 68.4 31.6 45.5 54.5 5.4 94.6

거주지

서울 (207) 51.5 48.5 41.6 58.4 64.8 35.2 40.4 59.6 3.8 96.2

인천/경기 (307) 55.9 44.1 43.1 56.9 69.0 31.0 49.2 50.8 3.8 96.2

대전/충청 (99) 62.6 37.4 47.5 52.5 74.7 25.3 43.4 56.6 8.1 91.9

광주/전라 (95) 50.9 49.1 43.9 56.1 67.4 32.6 46.0 54.0 8.4 91.6

대구/경북 (97) 51.0 49.0 40.4 59.6 63.0 37.0 56.3 43.7 6.0 94.0

부산/울산/경남 (156) 62.4 37.6 44.6 55.4 71.3 28.7 37.7 62.3 5.1 94.9

강원/제주 (39) 73.6 26.4 56.7 43.3 71.5 28.5 52.8 47.2 11.0 89.0

성별남성 (514) 61.2 38.8 43.8 56.2 66.2 33.8 39.6 60.4 5.6 94.4

여성 (486) 51.3 48.7 43.8 56.2 70.8 29.2 51.8 48.2 5.1 94.9

연령

20대 (229) 67.9 32.1 51.2 48.8 76.5 23.5 56.6 43.4 6.5 93.5

30대 (240) 58.0 42.0 44.5 55.5 60.9 39.1 50.5 49.5 8.5 91.5

40대 (275) 51.1 48.9 43.2 56.8 68.1 31.9 45.5 54.5 3.2 96.8

50대 (256) 50.4 49.6 37.1 62.9 68.6 31.4 31.0 69.0 3.9 96.1

건강보험형태

지역건강보험 (360) 55.8 44.2 43.9 56.1 67.7 32.3 49.3 50.7 5.4 94.6

직장건강보험 (564) 55.2 44.8 44.0 56.0 69.1 30.9 42.2 57.8 4.5 95.5

의료급여 (76) 67.8 32.2 41.7 58.3 66.4 33.6 51.9 48.1 11.6 88.4

주택거주형태

자가 (634) 56.7 43.3 44.7 55.3 69.7 30.3 43.6 56.4 4.5 95.5

전세 (201) 54.7 45.3 50.2 49.8 71.1 28.9 46.3 53.7 5.5 94.5

월세 (139) 54.4 45.6 30.0 70.0 60.0 40.0 53.1 46.9 7.1 92.9

무상 제공 (26) 74.9 25.1 44.5 55.5 60.0 40.0 46.9 53.1 16.8 83.2

학력

고졸이하 (178) 53.0 47.0 38.0 62.0 62.6 37.4 54.8 45.2 10.6 89.4

대학교재학/졸업 (730) 56.4 43.6 44.2 55.8 68.6 31.4 45.5 54.5 4.6 95.4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63.3 36.7 51.7 48.3 78.4 21.6 28.0 72.0 1.1 98.9

직업 농/임/어/축산업 (3) 0.0 100.0 0.0 100.0 35.7 64.3 100.0 0.0 100.0 0.0

표 45.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물리적 환경

Page 10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1 -

자영업 (99) 67.1 32.9 47.5 52.5 71.4 28.6 35.6 64.4 3.0 97.0

판매/서비스직 (59) 54.2 45.8 37.3 62.7 67.8 32.2 42.4 57.6 10.2 89.8

기능/숙련공 (19) 57.8 42.2 31.6 68.4 47.2 52.8 57.5 42.5 15.6 84.4

일반작업직 (42) 58.6 41.4 41.7 58.3 57.7 42.3 51.6 48.4 11.6 88.4

사무기술직 (335) 56.8 43.2 45.1 54.9 67.0 33.0 45.3 54.7 4.1 95.9

경영관리직 (46) 66.7 33.3 41.7 58.3 74.6 25.4 24.9 75.1 0.0 100.0

전문/자유직 (65) 60.8 39.2 45.5 54.5 77.1 22.9 38.1 61.9 1.5 98.5

가정주부 (145) 32.6 67.4 39.8 60.2 68.3 31.7 48.0 52.0 4.8 95.2

학생 (108) 72.3 27.7 56.5 43.5 82.4 17.6 49.1 50.9 4.6 95.4

무직/기타 (80) 55.7 44.3 33.7 66.3 53.5 46.5 61.7 38.3 9.3 90.7

월평균소득

200만원미만 (133) 47.9 52.1 33.0 67.0 53.2 46.8 65.0 35.0 18.9 81.1

200~400만원미만 (382) 56.3 43.7 42.2 57.8 67.9 32.1 48.5 51.5 6.8 93.2

400~600만원미만 (333) 56.3 43.7 44.8 55.2 73.3 26.7 38.9 61.1 0.6 99.4

600만원이상 (153) 64.2 35.8 54.8 45.2 72.2 27.8 35.5 64.5 0.7 99.3

Page 10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2 -

3.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가. 주관적 건강수준

◦ 건강행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정상(3.42)이 가장 높고, 비만(3.37), 저체중(3.35)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가끔 피우는 편이다’(3.49)가 가장 높고, ‘피운 적 없다’(3.46), ‘매일

피운다’(3.34),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3.32)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한 달에 2-4번 정도’(3.51)가 가장 높고, ‘일주일에 2-3번 정도’(3.45),

‘한 달에 1번 정도’(3.41),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3.26), ‘평생 술을 한 잔

도 마시지 않음’(3.22), ‘일주일에 4번 이상’(3.17)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7일(3.50)이 가장 높았고, 주2일(3.49), 주5일(3.48), 주4

일(3.47), 주6일(3.47), 주3일(3.43), 주1일(3.36), 주0일(3.26)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거의 느끼지 않는다’(3.70)가 가장 높고, ‘별로 느끼지 않

는 편이다’(3.58), ‘많이 느끼는 편이다’(3.37), ‘매우 많이 느낀다’(2.99)의 순으로 나타

남.

Page 11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3 -

사례수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보통이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하지

않다

평균

(5점

만점)

% % % % % 점

전체 (1000) 6.4 42.9 36.9 12.6 1.2 3.40

체질량

지수

저체중(BMI<18.5) (84) 5.9 44.3 32.1 14.1 3.5 3.35

정상 (719) 6.3 43.2 37.9 11.8 0.8 3.42

비만(BMI>25) (197) 6.8 41.3 35.3 15.1 1.5 3.37

흡연

여부

매일 피운다 (217) 5.0 43.8 33.2 15.8 2.2 3.34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8.8 44.3 34.7 11.2 1.0 3.49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187) 6.2 36.2 41.6 15.0 1.1 3.32

피운 적 없다 (507) 6.6 44.8 37.1 10.7 0.8 3.46

음주

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49) 6.1 33.5 38.4 20.2 1.8 3.22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107) 4.7 31.8 49.0 13.7 0.8 3.26

한 달에 1번 정도 (288) 6.2 43.7 35.5 13.9 0.7 3.41

한 달에 2-4번 정도 (317) 7.7 46.4 36.0 8.9 0.9 3.51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6.0 47.9 32.3 12.2 1.7 3.45

일주일에 4번 이상 (61) 4.6 33.9 38.8 19.4 3.2 3.17

중등도

신체활동

일수

주 0일 (213) 5.1 35.1 43.5 13.5 2.8 3.26

주 1일 (165) 3.5 45.6 35.0 15.2 0.6 3.36

주 2일 (203) 8.4 44.2 35.6 11.4 0.4 3.49

주 3일 (167) 5.4 44.3 39.7 9.5 1.1 3.43

주 4일 (79) 7.2 48.9 29.0 13.6 1.3 3.47

주 5일 (88) 8.8 43.6 35.3 11.3 1.0 3.48

주 6일 (30) 3.4 50.0 36.8 9.8 3.47

주 7일 (55) 12.3 43.3 26.6 17.8 3.50

일상

생활

스트

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15) 7.7 21.4 39.6 25.2 6.0 2.99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5.3 41.6 38.8 13.8 0.5 3.37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345) 6.5 52.8 33.0 7.5 0.3 3.58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22.9 32.8 39.8 4.5 3.70

표 46. 건강행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Page 11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4 -

나. 질병이환

◦ 건강행태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진단받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정상(55.6)이 가장 높고, 저체중(49.9), 비만(40.9)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피운 적 없다’(61.0)가 가장 높고, ’가끔 피우는 편이다’(45.8)가 가장

높고, ‘매일 피운다’(45.7),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38.8)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한 달에 1번 정도’(56.2)가 가장 높고,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55.9), ’한 달에 2-4번 정도’(53.3),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51.8), ‘일주

일에 2-3번 정도’(49.7), ‘일주일에 4번 이상’(32.2)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0일(60.6)이 가장 높았고, 주2일(53.2), 주3일(52.2), 주1

일(51.6), 주7일(47.9), 주4일(47.3), 주6일(43.8), 주5일(40.4)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거의 느끼지 않는다’(76.7)가 가장 높고, ‘별로 느끼지 않

는 편이다’(56.0), ‘많이 느끼는 편이다’(50.7), ‘매우 많이 느낀다’(42.5)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행태에 따른 고혈압 이환 상태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비만(27.7)이 가장 높고, 정상(12.0), 저체중(7.1)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24.0)가 가장 높고, ‘가

끔 피우는 편이다’(20.0), ’매일 피운다‘(19.9), ’피운 적 없다’(8.0)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일주일에 4번 이상’(28.8)이 가장 높고, ‘일주일에 2-3번 정도’(19.3),

’한 달에 2-4번 정도’(16.1), ‘한 달에 1번 정도’(11.3),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

음’(8.1),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6.6)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6일(26.6)이 가장 높았고, 주2일(18.4), 주1일(16.7), 주4

일(15.0), 주0일(12.9), 주5일(12.5), 주3일(11.7), 주7일(7.2)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매우 많이 느낀다’(16.2)가 가장 높고,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14.8), ‘많이 느끼는 편이다’(14.7), ‘거의 느끼지 않는다’(4.7)의 순으로 나타남.

◦ 건강행태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함.

­ 본 결과는 자가응답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이므로 실제 질병이환 상태와는 다를 수

있음.

­ 질병이 있기 때문에 금연을 하였거나, 신체활동을 더 할 수도 있어 일부 변수의 경

우에는 ‘역인과관계’를 고려하여야 함.

­ 여러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 분석은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의 별도

장으로 기술되어 있음.

­ 이 결과는 인구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이지만 설문 대상자의 특성이 전체 인구집단

과는 다를 수도 있음.

Page 11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5 -

사례수

진단받

은적

없음

고혈압고지

혈증

기타

질환

우울증

정신

질환

당뇨병갑상선

장애천식 폐결핵

골관

절염·

류마

티스성

관절염

협심증·

심근

경색증

간경

변증암 뇌졸중 신부전

% % % % % % % % % % % % % % %

전체 (1000) 52.2 14.7 13.5 13.3 6.1 4.3 3.8 3.5 3.5 3.1 2.1 1.3 0.8 0.8 0.5

체질량지수

저체중(BMI<18.5) (84) 49.9 7.1 7.1 15.4 15.4 6.3 7.1 4.8 6.3 2.4 1.2 1.2 3.6 2.4 2.2

정상 (719) 55.6 12.0 12.4 13.0 5.4 3.4 3.3 3.2 3.7 2.9 2.2 0.8 0.4 0.8 0.4

비만(BMI>25) (197) 40.9 27.7 20.3 13.5 5.0 6.4 4.0 4.4 1.5 3.9 2.0 2.9 1.0

흡연여부

매일 피운다 (217) 45.7 19.9 14.4 11.7 7.2 8.2 1.8 4.9 3.2 3.2 3.6 3.6 1.4 0.9 0.9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45.8 20.0 14.3 14.5 10.0 1.1 6.6 6.6 3.3 4.5 5.6 1.1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187) 38.8 24.0 20.9 14.8 5.9 6.9 4.3 1.6 6.1 3.6 2.7 1.6 2.1 0.5

피운 적 없다 (507) 61.0 8.0 10.3 13.2 5.1 2.1 3.9 3.1 2.7 2.5 0.6 1.0 0.4 0.2 0.4

음주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49) 55.9 8.1 11.9 14.2 4.1 2.0 6.1 4.1 1.8 5.9 7.9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107) 51.8 6.6 17.5 12.1 10.2 1.9 6.6 5.5 2.8 3.6 1.8 0.9 0.8

한 달에 1번 정도 (288) 56.2 11.3 7.5 16.6 6.9 1.7 3.8 3.0 4.5 2.7 1.4 0.3 0.3 0.3

한 달에 2-4번 정도 (317) 53.3 16.1 13.4 13.4 4.4 5.3 3.5 3.4 3.2 2.2 1.3 0.9 1.5 0.3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49.7 19.3 19.2 10.6 5.5 6.6 1.1 3.9 2.7 2.2 3.4 1.7 1.1 1.1 1.1

일주일에 4번 이상 (61) 32.2 28.8 20.8 6.4 8.1 9.7 6.5 1.6 4.9 8.2 8.2 6.5 3.3 1.6

중등도

신체활동일수

주 0일 (213) 60.6 12.9 12.0 13.0 6.5 3.7 3.7 2.8 2.3 1.8 1.4 0.5 0.9 0.9

주 1일 (165) 51.6 16.7 14.3 12.1 6.0 4.7 5.9 5.3 4.2 3.6 2.4 1.2 0.6 0.6

주 2일 (203) 53.2 18.4 17.9 10.3 4.4 3.1 2.0 3.9 4.1 2.5 2.5 0.4 0.5 0.5

주 3일 (167) 52.2 11.7 9.4 12.4 5.4 5.2 4.2 2.4 3.5 2.9 0.6 3.5 1.8 2.3

주 4일 (79) 47.3 15.0 12.4 18.8 6.3 2.5 3.8 2.5 3.7 2.5 2.5 1.3 1.3

주 5일 (88) 40.4 12.5 12.2 20.3 6.6 3.4 2.3 3.2 3.4 5.6 4.5 2.3 1.1 1.1

주 6일 (30) 43.8 26.6 30.1 6.4 6.8 10.0 3.4 3.4 3.3

주 7일 (55) 47.9 7.2 9.0 16.3 12.6 7.2 7.2 5.4 3.6 7.2 1.8 1.8 1.8 1.6

일상생활 매우 많이 느낀다 (115) 42.5 16.2 20.7 15.5 15.6 6.9 3.5 8.5 1.7 4.3 3.5 2.5 1.6

표 47. 건강행태에 따른 질병이환

Page 11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6 -

스트레스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50.7 14.7 13.0 13.6 6.7 4.1 4.0 3.4 4.3 2.5 1.9 1.9 0.8 0.8 0.7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345) 56.0 14.8 12.2 12.9 2.6 3.9 3.5 2.0 2.9 3.7 2.0 0.8 0.3 0.3 0.3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76.7 4.7 9.4 4.7 4.7 4.7 4.5

Page 11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7 -

다. 자가평가 기대여명

◦ 건강행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정상(82.86)이 가장 높고, 비만(82.22), 저체중(81.41)의 순으로 나타

남.

­ 흡연여부별로는 ‘피운 적 없다’(83.81)가 가장 높고, ’가끔 피우는 편이다’(82.34), ‘과

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81.97), ‘매일 피운다’(80.49)의 순으로 나타

남.

­ 음주빈도별로는 ‘한 달에 1번 정도’(84.09)가 가장 높고, ’한 달에 2-4번 정도’(83.45),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82.03), ‘일주일에 2-3번 정도’(81.73),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81.43), ‘일주일에 4번 이상’(76.41)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4일(87.18)이 가장 높았고, 주7일(85.71), 주6일(84.26),

주5일(83.25), 주1일(82.49), 주2일(82.31), 주3일(81.25), 주0일(81.07)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거의 느끼지 않는다’(89.52)가 가장 높고, ‘별로 느끼지 않

는 편이다’(84.28), ‘많이 느끼는 편이다’(81.97), ‘매우 많이 느낀다’(79.26)의 순으로

나타남.

사례수 평균

전체 (1000) 82.61

체질량지수

저체중(BMI<18.5) (84) 81.41

정상 (719) 82.86

비만(BMI>25) (197) 82.22

흡연여부

매일 피운다 (217) 80.49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82.34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 (187) 81.97

피운 적 없다 (507) 83.81

음주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49) 82.03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107) 81.43

한 달에 1번 정도 (288) 84.09

한 달에 2-4번 정도 (317) 83.45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81.73

일주일에 4번 이상 (61) 76.41

중등도

신체활동일수

주 0일 (213) 81.07

주 1일 (165) 82.49

주 2일 (203) 82.31

주 3일 (167) 81.25

주 4일 (79) 87.18

주 5일 (88) 83.25

주 6일 (30) 84.26

주 7일 (55) 85.71

일상생활

스트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15) 79.26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81.97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345) 84.28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89.52

표 48. 건강행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Page 11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8 -

사례수

전반적으로 잘작동되고있으며약간의

수정으로 개선가능

현재의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있지만

대대적인 수정필요

현재의의료시스템은완전히 새로만들어야 한다

평균(3점 만점)

% % % 점

전체 (1000) 39.6 54.4 6.1 2.34

체질

량지

저체중(BMI<18.5) (84) 36.0 54.5 9.5 2.27

정상 (719) 38.6 55.3 6.1 2.33

비만(BMI>25) (197) 44.5 51.0 4.4 2.40

흡연

여부

매일 피운다 (217) 36.1 58.2 5.7 2.30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26.5 64.5 9.0 2.18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187) 44.5 50.2 5.3 2.39

피운 적 없다 (507) 41.5 52.5 6.0 2.36

음주

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49) 44.2 45.6 10.2 2.34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107) 43.8 48.3 7.9 2.36

한 달에 1번 정도 (288) 42.1 52.4 5.5 2.37

한 달에 2-4번 정도 (317) 34.9 58.9 6.2 2.29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38.0 57.6 4.4 2.34

일주일에 4번 이상 (61) 45.1 48.5 6.4 2.39

중등도

신체

활동

일수

주 0일 (213) 38.5 54.2 7.3 2.31

주 1일 (165) 43.2 50.2 6.6 2.37

주 2일 (203) 40.9 55.2 3.9 2.37

주 3일 (167) 33.3 61.4 5.4 2.28

주 4일 (79) 37.2 60.3 2.5 2.35

주 5일 (88) 45.1 45.9 9.0 2.36

주 6일 (30) 46.4 47.2 6.4 2.40

주 7일 (55) 37.9 51.7 10.4 2.28

일상

생활

스트

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15) 35.4 55.9 8.7 2.27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36.8 57.8 5.4 2.31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345) 45.2 49.7 5.1 2.40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37.5 37.3 25.2 2.12

표 49. 건강행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라.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건강행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저체중(2.34)이 가장 높고, 비만(2.33), 정상(2.27)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2.39)‘가 가장 높고, ’피운

적 없다’(2.36), ‘매일 피운다’(2.30)’, ‘가끔 피우는 편이다’(2.18)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일주일에 4번 이상’(2.39)이 가장 높고, ‘한 달에 1번 정도’(2.37), ‘최

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2.36),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2.34), ‘일주일

에 2-3번 정도’(2.34), ’한 달에 2-4번 정도’(2.29)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6일(2.40)이 가장 높았고, 주1일(2.37), 주2일(2.37), 주5

일(2.36), 주4일(2.35), 주0일(2.31), 주3일(2.28), 주7일(2.28)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2.40)가 가장 높고, ‘많이 느끼

는 편이다’(2.31), ‘매우 많이 느낀다’(2.27), ‘거의 느끼지 않는다’(2.12)의 순임.

Page 11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99 -

마. 의사에 대한 신뢰도

◦ 건강행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비만(3.34)이 가장 높고, 정상(3.29), 저체중(3.20)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3.34)‘가 가장 높고, ’피운

적 없다’(3.32), ‘가끔 피우는 편이다’(3.25), ‘매일 피운다’(3.21)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3.33)이 가장 높고,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3.30), ’한 달에 2-4번 정도’(3.30), ‘일주일에 2-3번 정도’(3.30), ‘한

달에 1번 정도’(3.29), ‘일주일에 4번 이상’(3.26)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2일(3.38)이 가장 높았고, 주6일(3.34), 주5일(3.34), 주3

일(3.32), 주4일(3.31), 주1일(3.29), 주0일(3.20), 주7일(3.18)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3.44)가 가장 높고, ‘많이 느끼

는 편이다’(3.27), ‘거의 느끼지 않는다’(3.25), ‘매우 많이 느낀다’(3.00)의 순임.

사례수

매우

신뢰신뢰 보통

신뢰

하지

않음

전혀

신뢰

하지

않음

*신뢰

하는

편*

*비신

뢰하

는편 평균

% % % % % % %

전체 (1000) 1.1 38.3 51.6 7.3 1.8 39.3 9.1 3.30

체질량

지수

저체중(BMI<18.5) (84) 1.2 33.1 52.7 10.6 2.4 34.3 13.0 3.20

정상 (719) 1.1 38.3 51.3 7.4 1.8 39.4 9.2 3.29

비만(BMI>25) (197) 1.0 40.1 51.9 5.5 1.5 41.1 7.0 3.34

흡연

여부

매일 피운다 (217) 1.8 32.4 53.6 9.5 2.7 34.2 12.2 3.21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2.1 40.8 42.4 9.0 5.6 42.9 14.6 3.25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187) 41.0 53.1 4.8 1.1 41.0 5.9 3.34

피운 적 없다 (507) 1.0 39.3 51.7 7.0 1.0 40.3 8.0 3.32

음주

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49) 2.0 38.3 51.6 4.1 4.1 40.3 8.2 3.30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107) 44.6 46.2 6.4 2.8 44.6 9.2 3.33

한 달에 1번 정도 (288) 2.1 35.9 52.0 8.6 1.4 38.0 10.0 3.29

한 달에 2-4번 정도 (317) 0.3 38.7 52.9 6.6 1.5 39.0 8.1 3.30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1.1 37.9 52.1 7.7 1.1 39.0 8.8 3.30

일주일에 4번 이상 (61) 1.6 36.9 50.2 8.1 3.1 38.5 11.2 3.26

신체

활동

일수

주 0일 (213) 33.8 55.0 8.9 2.3 33.8 11.2 3.20

주 1일 (165) 38.9 52.2 8.3 0.6 38.9 8.9 3.29

주 2일 (203) 2.0 40.2 52.0 5.4 0.5 42.2 5.9 3.38

주 3일 (167) 1.2 39.0 52.0 5.9 1.8 40.2 7.7 3.32

주 4일 (79) 1.3 41.0 47.8 7.4 2.5 42.3 9.9 3.31

주 5일 (88) 1.1 40.4 50.6 6.9 1.0 41.5 7.9 3.34

주 6일 (30) 6.8 36.2 43.9 9.8 3.4 43.0 13.2 3.34

주 7일 (55) 1.7 37.7 44.6 9.0 7.0 39.4 16.0 3.18

일상

생활

스트

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15) 1.7 26.8 49.2 14.5 7.7 28.5 22.2 3.00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0.6 36.5 53.6 8.0 1.4 37.1 9.4 3.27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345) 1.4 44.6 50.3 3.8 46.0 3.8 3.44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4.7 42.1 35.0 9.4 8.8 46.8 18.2 3.25

표 50. 건강행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Page 11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0 -

바. 미충족 필요 및 사유

◦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저체중(34.8)이 가장 높고, 비만(27.3), 정상(25.7)의 순으로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가끔 피우는 편이다’(34.3)가 가장 높고,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29.3), ‘매일 피운다’(27.6), ’피운 적 없다’(24.1)의 순으로 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한 달에 1번 정도’(31.3), ‘일주일에 2-3번 정도’(27.8), ‘한 달에 2-4번

정도’(24.8),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24.1),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

음’(24.0), ‘일주일에 4번 이상’(19.3)의 순으로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3일(31.8)이 가장 높았고, 주1일(31.1), 주7일(30.5), 주5

일(30.4), 주2일(26.5), 주4일(22.7), 주0일(20.5), 주6일(13.5)의 순으로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매우 많이 느낀다’(35.2)가 가장 높고, ‘많이 느끼는 편이

다’(30.6),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19.2), ‘거의 느끼지 않는다’(9.4)의 순으로 나타

남.

◦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의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체질량지수별로는 저체중은 ‘경제적인 이유로’, 정상은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

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비만은 ‘증상이 가벼워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흡연여부별로는 ‘매일 피운다’, ‘가끔 피우는 편이다’, ‘피운 적 없다’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거에는 피웠

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는 ‘경제적인 이유로’가 가장 높게나타남.

­ 음주빈도별로는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은 ‘경제적인 이유로’,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은 ‘경제적인 이유로’ 와 ‘증상이 가벼워서’, ‘한 달에 1번 정

도’, ‘한 달에 2-4번 정도’, ‘일주일에 2-3번 정도’, ‘일주일에 4번 이상’ 은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중등도 신체활동일수별로는 주1일은 ‘경제적인 이유로’, 주5일은 ‘증상이 가벼워서’,

주0일, 주2일, 주3일, 주4일, 주7일은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

지 않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주6일은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와 ‘경제적인 이유로’ 가 모두 높게 나타남.

­ 일상생활 스트레스별로는 ‘매우 많이 느낀다’는 ‘경제적인 이유로’, ‘많이 느끼는 편

이다’ 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별로 느끼지 않

는 편이다’는 ‘증상이 가벼워서’, ‘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증상이 가벼워서’와 ‘병의원

등에서 오래 기다리기 싫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Page 11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1 -

사례수없다 있다

‘있다’(26.8%)고 답한 응답자 중 중복응답

내가 갈 수있는시간에

병의원 등이문을 열지않아서

경제적인이유로

증상이가벼워서

교통편이불편하고멀어서

병의원등에서 오래기다리기싫어서

어디로가야할 지몰라서(정보 부족)

병의원 등에예약을하기가힘들어서

기타

% % % % % % % % % %

전체 (1000) 73.2 26.8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체질량

지수

저체중(BMI<18.5) (84) 65.2 34.8 27.3 40.9 31.8 13.6 6.8 17.0 10.2 10.2

정상 (719) 74.3 25.7 40.8 30.0 25.7 16.3 15.6 12.9 14.1 6.4

비만(BMI>25) (197) 72.7 27.3 34.4 30.8 40.2 9.1 7.3 10.4 9.2 5.6

흡연

여부

매일 피운다 (217) 72.4 27.6 45.9 29.4 31.0 16.5 9.9 9.5 11.7 8.2

가끔 피우는 편이다 (89) 65.7 34.3 48.2 32.1 29.0 23.0 9.5 9.5 23.0 6.6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피우지 않는다(187) 70.7 29.3 26.9 36.1 35.1 12.8 16.4 14.2 21.9

피운 적 없다 (507) 75.9 24.1 36.6 30.0 25.9 12.2 13.9 14.7 6.5 8.9

음주

빈도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49) 76.0 24.0 24.9 49.8 25.3 8.4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107) 75.9 24.1 31.0 34.5 34.5 7.8 19.0 30.2 11.6 3.9

한 달에 1번 정도 (288) 68.7 31.3 36.2 26.4 33.8 15.5 12.2 12.2 9.9 7.8

한 달에 2-4번 정도 (317) 75.2 24.8 42.8 32.8 28.1 19.1 12.6 9.9 16.6 5.0

일주일에 2-3번 정도 (178) 72.2 27.8 39.8 31.9 26.1 8.1 12.1 7.9 14.2 8.1

일주일에 4번 이상 (61) 80.7 19.3 41.5 32.1 8.5 33.0 25.4 33.0 17.0 8.5

신체

활동

일수

주 0일 (213) 79.5 20.5 54.3 36.5 29.4 11.5 13.6 15.8 11.4 9.2

주 1일 (165) 68.9 31.1 32.8 34.7 32.5 13.6 11.6 9.5 7.8 5.8

주 2일 (203) 73.5 26.5 36.7 32.9 24.6 16.7 16.5 12.8 13.0 5.5

주 3일 (167) 68.2 31.8 35.1 25.5 31.6 24.2 7.5 12.7 18.8 3.8

주 4일 (79) 77.3 22.7 33.1 27.9 16.7 5.6 11.1 11.1 5.6 11.1

주 5일 (88) 69.6 30.4 33.3 25.7 36.8 7.5 18.8 10.9 11.3 7.5

주 6일 (30) 86.5 13.5 50.0 50.0 25.0

주 7일 (55) 69.5 30.5 35.2 29.6 11.6 11.8 17.8 17.8 23.7 11.5

표 51.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Page 11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2 -

일상

생활

스트

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15) 64.8 35.2 34.2 43.7 21.9 9.6 4.9 19.1 12.3 7.4

많이 느끼는 편이다 (518) 69.4 30.6 41.1 26.7 27.0 18.3 16.3 11.8 15.7 6.3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345) 80.8 19.2 34.1 35.8 38.9 9.1 9.0 11.8 4.5 7.5

거의 느끼지 않는다 (21) 90.6 9.4 50.0 50.0 50.0

Page 12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3 -

4. 질병이환 상태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가. 주관적 건강수준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없는 경우(3.65)가 진단받은 적 있는 경우(3.15)보다

높게 나타남.

­ 질병별로는 뇌졸중(3.65), 간경변증(3.19), 고지혈증(3.15), 협심증·심근경색증(3.15), 고

혈압(3.14), 기타 질환(3.11), 우을증 등 정신질환(2.95), 천식(2.92), 갑상선 장애(2.92),

폐결핵(2.90), 당뇨병(2.89), 암(2.88),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2.68), 신부전(2.22)의

순으로 나타남.

사례수

매우

건강

하다

건강한

편이다

보통

이다

건강

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

하지

않다

평균

(5점

만점)

% % % % % 점

전체 (1000) 6.4 42.9 36.9 12.6 1.2 3.41

고혈압없음 (853) 7.2 44.3 35.8 11.7 0.9 3.45

있음 (147) 1.3 34.9 42.9 18.1 2.7 3.14

고지혈증없음 (865) 7.0 43.7 36.9 11.7 0.8 3.45

있음 (135) 2.2 38.4 37.0 18.1 3.6 3.15

뇌졸중없음 (992) 6.3 42.9 37.1 12.7 1.0 3.41

있음 (8) 12.7 49.5 12.7 0.0 25.1 3.25

협심증·심근경색증없음 (979) 6.4 43.0 37.2 12.1 1.2 3.41

있음 (21) 4.8 38.3 23.7 33.2 0.0 3.15

골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없음 (969) 6.6 43.7 36.9 11.8 1.0 3.43

있음 (31) 0.0 19.5 35.5 38.8 6.2 2.68

폐결핵없음 (965) 6.6 43.4 36.9 12.1 1.0 3.43

있음 (35) 0.0 29.5 36.7 28.4 5.4 2.90

천식없음 (965) 6.5 43.7 36.7 12.0 1.1 3.43

있음 (35) 2.8 22.4 41.8 30.4 2.5 2.92

당뇨병없음 (957) 6.7 43.8 36.5 12.1 1.0 3.43

있음 (43) 0.0 23.8 45.7 25.8 4.7 2.89

갑상선 장애없음 (962) 6.6 43.8 36.4 12.0 1.2 3.43

있음 (38) 0.0 21.2 49.7 29.1 0.0 2.92

암없음 (992) 6.3 43.2 36.9 12.5 1.1 3.41

있음 (8) 12.6 12.6 37.9 24.1 12.6 2.88

우울증 등

정신질환

없음 (939) 6.6 44.4 36.3 11.6 1.1 3.44

있음 (61) 3.3 20.8 45.3 29.0 1.6 2.95

신부전없음 (995) 6.4 43.1 37.1 12.4 1.1 3.42

있음 (5) 0.0 20.6 0.0 59.8 19.5 2.22

간경변증없음 (987) 6.5 42.9 37.0 12.6 1.1 3.41

있음 (13) 0.0 47.0 31.3 14.8 7.0 3.19

기타 질환없음 (867) 6.8 44.4 37.4 10.3 1.1 3.46

있음 (133) 3.7 33.7 33.5 27.7 1.4 3.11

진단받은 적 있음 (478) 2.9 33.7 40.7 20.5 2.2 3.15

진단받은 적 없음 (522) 9.6 51.4 33.4 5.5 0.2 3.65

표 52.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Page 12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4 -

나. 자가평가 기대여명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없는 경우(83.03)가 진단받은 적 있는 경우(82.16)보다

높게 나타남.

­ 질병별로는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83.35), 고혈압(83.29), 당뇨병(83.25), 우울증

등 정신질환(82.28), 기타 질환(81.90), 고지혈증(81.63), 협심증·심근경색증(81.39), 폐

결핵(81.31), 갑상선 장애(80.36), 천식(80.32), 뇌졸중(78.30), 간경변증(74.60), 암(73.18),

신부전(67.84)의 순으로 나타남.

사례수 평균

전체 (1000) 82.61

고혈압없음 (853) 82.50

있음 (147) 83.29

고지혈증없음 (865) 82.77

있음 (135) 81.63

뇌졸중없음 (992) 82.65

있음 (8) 78.30

협심증· 심근경색증없음 (979) 82.64

있음 (21) 81.39

골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없음 (969) 82.59

있음 (31) 83.35

폐결핵없음 (965) 82.66

있음 (35) 81.31

천식없음 (965) 82.70

있음 (35) 80.32

당뇨병없음 (957) 82.58

있음 (43) 83.25

갑상선 장애없음 (962) 82.70

있음 (38) 80.36

암없음 (992) 82.69

있음 (8) 73.18

우울증 등 정신질환없음 (939) 82.63

있음 (61) 82.28

신부전없음 (995) 82.68

있음 (5) 67.84

간경변증없음 (987) 82.72

있음 (13) 74.60

기타 질환없음 (867) 82.72

있음 (133) 81.90

진단받은 적 있음 (478) 82.16

진단받은 적 없음 (522) 83.03

표 53.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Page 12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5 -

다.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2.35)가 진단받은 적 없는 경우(2.32)보다

높게 나타남.

­ 질병별로는 간경변증(2.62), 암(2.50), 폐결핵(2.46), 고혈압(2.42), 신부전(2.41), 뇌졸중

(2.38), 갑상선 장애(2.37), 천식(2.36), 고지혈증(2.35), 기타 질환(2.33), 당뇨병(2.31), 협

심증·심근경색증(2.28),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2.28), 우울증 등 정신질환(2.27)의

순으로 나타남.

사례수

전반적으로 잘작동되고

있으며 약간의수정으로 개선

가능

현재의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있지만

대대적인 수정필요

현재의의료시스템은완전히 새로만들어야 한다

평균(3점 만점)

% % % 점

전체 (1000) 39.6 54.4 6.1 2.34

고혈압없음 (853) 38.6 54.8 6.6 2.32

있음 (147) 45.1 51.5 3.4 2.42

고지혈증없음 (865) 39.6 54.0 6.4 2.33

있음 (135) 39.2 56.4 4.3 2.35

뇌졸중없음 (992) 39.6 54.3 6.1 2.34

있음 (8) 38.2 61.8 0.0 2.38

협심증· 심근경색증없음 (979) 39.8 54.0 6.2 2.34

있음 (21) 28.4 71.6 0.0 2.28

골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없음 (969) 39.6 54.4 6.0 2.34

있음 (31) 38.1 52.1 9.8 2.28

폐결핵없음 (965) 39.0 55.0 6.0 2.33

있음 (35) 54.5 37.0 8.6 2.46

천식없음 (965) 39.5 54.4 6.1 2.33

있음 (35) 41.8 52.6 5.6 2.36

당뇨병없음 (957) 39.6 54.3 6.1 2.34

있음 (43) 38.2 55.0 6.8 2.31

갑상선 장애없음 (962) 39.4 54.6 6.0 2.33

있음 (38) 44.6 47.5 7.9 2.37

암없음 (992) 39.4 54.6 6.0 2.33

있음 (8) 62.1 25.3 12.6 2.50

우울증 등 정신질환없음 (939) 39.6 54.6 5.7 2.34

있음 (61) 38.6 50.0 11.3 2.27

신부전없음 (995) 39.5 54.3 6.1 2.33

있음 (5) 41.3 58.7 0.0 2.41

간경변증없음 (987) 39.3 54.6 6.2 2.33

있음 (13) 61.7 38.3 0.0 2.62

기타 질환없음 (867) 39.3 54.9 5.8 2.34

있음 (133) 41.0 50.7 8.3 2.33

진단받은 적 있음 (478) 41.2 52.8 6.0 2.35

진단받은 적 없음 (522) 38.1 55.8 6.2 2.32

표 54.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Page 12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6 -

라. 의사에 대한 신뢰도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3.32)가 진단받은 적 없는 경우(3.28)보다

높게 나타남.

­ 질병별로는 협심증·심근경색증(3.43), 고혈압(3.41), 고지혈증(3.41), 간경변증(3.38), 갑

상선 장애(3.29), 당뇨병(3.28), 폐결핵(3.25), 천식(3.23),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

(3.22), 신부전(3.20), 기타 질환(3.20), 우울증 등 정신질환(3.17), 뇌졸중(3.11), 암(3.00)

의 순으로 나타남.

사례수

매우

신뢰신뢰 보통

신뢰

하지

않음

전혀

신뢰

하지

않음

*신뢰

하는

편*

*비신

뢰하

는편평균

% % % % % % %

전체 (1000) 1.1 38.3 51.6 7.3 1.8 39.3 9.1 3.30

고혈압없음 (853) 1.0 36.6 53.3 7.3 1.8 37.6 9.1 3.28

있음 (147) 1.4 48.2 41.6 7.5 1.4 49.6 8.9 3.41

고지혈증없음 (865) 0.8 36.8 53.6 7.1 1.7 37.6 8.8 3.28

있음 (135) 3.0 47.7 38.4 8.7 2.2 50.7 10.9 3.41

뇌졸중없음 (992) 1.1 38.4 51.5 7.3 1.8 39.5 9.1 3.30

있음 (8) 0.0 24.0 63.2 12.7 0.0 24.0 12.7 3.11

협심증·

심근경색증

없음 (979) 1.0 38.1 51.8 7.4 1.7 39.1 9.1 3.29

있음 (21) 4.8 47.3 38.3 4.8 4.8 52.1 9.6 3.43

골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없음 (969) 1.1 38.2 51.8 7.1 1.7 39.3 8.8 3.30

있음 (31) 0.0 41.4 42.4 13.1 3.3 41.4 16.4 3.22

폐결핵없음 (965) 1.1 38.2 51.5 7.5 1.6 39.3 9.1 3.29

있음 (35) 0.0 39.4 52.0 2.9 5.7 39.4 8.6 3.25

천식없음 (965) 1.0 38.2 51.9 7.2 1.6 39.2 8.8 3.30

있음 (35) 2.8 38.8 41.8 11.3 5.3 41.6 16.6 3.23

당뇨병없음 (957) 0.9 38.4 51.9 6.9 1.9 39.3 8.8 3.30

있음 (43) 4.7 34.5 44.4 16.4 0.0 39.2 16.4 3.28

갑상선 장애없음 (962) 1.1 38.1 51.8 7.1 1.8 39.2 8.9 3.29

있음 (38) 0.0 41.8 45.0 13.2 0.0 41.8 13.2 3.29

암없음 (992) 1.1 38.5 51.4 7.3 1.8 39.6 9.1 3.30

있음 (8) 0.0 12.6 74.7 12.6 0.0 12.6 12.6 3.00

우울증 등

정신질환

없음 (939) 0.7 38.9 52.1 6.6 1.7 39.6 8.3 3.30

있음 (61) 6.4 28.8 43.7 17.8 3.3 35.2 21.1 3.17

신부전없음 (995) 1.1 38.3 51.6 7.3 1.8 39.4 9.1 3.30

있음 (5) 0.0 39.2 41.3 19.5 0.0 39.2 19.5 3.20

간경변증없음 (987) 1.1 38.3 51.4 7.4 1.8 39.4 9.2 3.30

있음 (13) 0.0 38.3 61.7 0.0 0.0 38.3 0.0 3.38

기타 질환없음 (867) 1.1 39.4 50.4 7.4 1.6 40.5 9.0 3.31

있음 (133) 0.8 30.6 59.0 6.7 2.9 31.4 9.6 3.20

진단받은 적 있음 (478) 1.7 40.9 46.6 8.9 1.9 42.6 10.8 3.32

진단받은 적 없음 (522) 0.6 35.8 56.1 5.9 1.7 36.4 7.6 3.28

표 55.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Page 12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7 -

마. 미충족 필요 및 사유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는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10.7)가 진단받은 적 없는 경우(6.3)보다 높

게 나타남.

­ 질병별로는 뇌졸중(25.5), 암(24.9),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22.4), 우울증 등 정신

질환(17.8), 갑상선 장애(13.2), 고혈압(11.9), 폐결핵(11.1), 천식(11.0), 협심증·심근경색

증(9.6), 당뇨병(9.0), 간경변증(7.0), 신부전(0.0)의 순으로 나타남.

◦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의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질병을 한 번도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와 진단받은 적 없는 경우 모두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고혈압, 뇌졸중,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 천식,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서는 ‘경제

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협심증·심근경색증, 폐결핵, 갑상선 장애, 기타질환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당뇨병에서는 ‘증상이 가벼워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고지혈증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병의원 등에 예약을 하기가 힘들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암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증상이 가벼워서’, ‘병의원 등에 예약을 하기가 힘들어

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간경변증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병의원

등에 예약을 하기가 힘들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신부전에서는 ‘교통편이 불편하고 멀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Page 12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8 -

사례수없다 있다

‘있다’(26.8%)고 답한 응답자 중 중복응답

내가 갈 수있는시간에

병의원 등이문을 열지않아서

경제적인이유로

증상이가벼워서

교통편이불편하고멀어서

병의원등에서 오래기다리기싫어서

어디로가야할 지몰라서(정보 부족)

병의원 등에예약을하기가힘들어서

기타

% % % % % % % % % %

전체 (1000) 73.2 26.8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고혈압없음 (853) 92.2 7.8 39.2 29.8 29.5 12.1 13.4 12.0 11.2 6.7

있음 (147) 88.1 11.9 32.2 38.9 28.3 26.4 10.9 17.0 19.9 6.7

고지혈증없음 (865) 92.1 7.9 38.8 29.8 29.0 13.9 12.2 10.8 29.8 7.4

있음 (135) 88.4 11.6 33.4 40.8 31.0 18.3 17.8 25.2 40.8 2.6

뇌졸중없음 (992) 91.8 8.2 38.4 30.9 29.6 14.3 13.1 12.6 2.1 6.8

있음 (8) 74.5 25.5 69.2 34.6 30.8

협심증·

심근경색증

없음 (979) 91.6 8.4 37.8 31.6 29.2 13.9 12.7 12.5 12.0 6.5

있음 (21) 90.4 9.6 44.9 22.5 32.6 33.7 22.5 21.3 33.7 11.2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없음 (969) 92.1 7.9 37.6 30.2 29.2 14.9 13.7 12.3 12.2 6.6

있음 (31) 77.6 22.4 47.1 53.7 30.6 7.9 22.8 23.6 7.9

폐결핵없음 (965) 91.7 8.3 37.9 31.3 29.0 14.8 12.8 13.4 13.3 6.6

있음 (35) 88.9 11.1 40.3 32.1 35.3 8.3 16.5 0.0 8.3

천식없음 (965) 91.7 8.3 38.7 31.4 29.3 14.9 13.3 12.7 12.9 6.6

있음 (35) 89.0 11.0 23.6 30.6 29.1 7.9 7.9 15.0 7.9 7.9

당뇨병없음 (957) 91.6 8.4 39.9 31.7 28.5 14.6 12.6 12.5 12.3 6.7

있음 (43) 91.0 9.0 5.9 25.5 42.0 13.3 19.9 19.2 19.9 6.6

갑상선 장애없음 (962) 91.8 8.2 37.7 31.1 29.4 14.5 13.3 12.8 12.6 1.6

있음 (38) 86.8 13.2 43.2 36.0 28.1 14.4 7.2 14.4 14.4

암없음 (992) 91.7 8.3 38.1 30.9 28.9 14.3 12.8 12.6 12.1 6.8

있음 (8) 75.1 24.9 33.7 66.3 66.3 33.7 33.7 33.7 66.3

우울증 등

정신질환

없음 (939) 92.2 7.8 37.7 29.9 28.9 15.1 13.0 10.8 12.7 6.5

있음 (61) 82.2 17.8 41.7 46.0 33.0 8.4 12.7 33.3 12.7

신부전 없음 (995) 91.6 8.4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표 56. 질병이환 상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Page 12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09 -

있음 (5) 100.0 0.0 14.5

간경변증없음 (987) 91.6 8.4 37.9 31.2 29.5 14.6 13.1 12.9 12.4 6.7

있음 (13) 93.0 7.0 52.9 47.1 52.9

기타 질환없음 (867) 92/2 7.8 37.8 31.3 28.1 13.2 13.6 13.4 13.7 5.4

있음 (133) 88.1 11.9 38.9 32.4 34.6 20.5 10.3 10.3 8.1 12.3

진단받은 적 있음 (478) 89.3 10.7 38.7 32.9 32.6 18.6 14.0 15.7 12.2 6.4

진단받은 적 없음 (522) 93.7 6.3 37.0 29.2 24.7 8.9 11.6 8.9 13.4 7.0

Page 12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0 -

5. 물리적·사회적 환경과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가. 이론적 배경 및 문항 설계

◦ 사회적 환경의 개념은 다음과 같음.

­ 사회적 환경 중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다양한 개념 정의와 조사항목을 통해 측정할 수 있음.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

지 문항의 예는 다음과 같음.

표 57. 사회적 네트워크 문항의 예 (출처: 김수진 등, 2013; 장서진, 2014)

Page 12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1 -

표 58. 사회적 지지 문항 (출처: 박지원,1985; 김민정,2006; 장서진,2014)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조사항목, 통계청 사회조사의 사회적 관계 문

항, 그리고 신연섭(2006)의 연구에서 활용한 운동 시설 등 주변 시설 접근성 문항을

토대로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 문항을 선정하였음.

Page 12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2 -

그림 35. 통계청 사회조사의 사회적 관계 및 단체 참여 조사 문항

◦ 건강도시 개념에서의 물리적 환경(built environment) 개념은 다음과 같음.

­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도시를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새

롭게 창출하여 시민들이 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고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자원을 증대시켜 나가는 도시’ 로 정의하였음(Green,

1998).

­ 건강도시의 특성으로 1) 물리적인 환경이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 2) 안정적이며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보전하는 도시, 3) 상호협력이 잘 이루어지며, 자연자원을 절약하는

도시, 4)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와 통제기능이 원활한 도시, 5) 모든 시민에게

의식주를 비롯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는 도시, 7) 다양하고 활기 넘치는 혁신적

경제구조를 가진 도시, 8)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 보존되는 도시, 9) 건강도시의 제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행정체계가 갖추어진 도시, 10) 모든 시민에게 공중보건과

의료서비스가 공평하게 보장되는 도시, 11) 시민의 건강수준의 높은 도시의 11가지

요소를 제시하였음.

­ 그 중 첫째로 제시된 물리적인 환경의 경우 공원녹지, 공공공간, 주거환경, 의료환경,

식품환경, 대기환경, 소음환경, 교통환경을 제시하고 있음.

­ 주변 시설 접근성: 이 연구에서는 주요 물리적 환경 시설 등에 대한 인지된 접근성

을 설문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문헌(Hester, 1984) 등을 토대로 도보 10분 이내 거리

를 근린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있다고 설정하였음.

­ 백인길(1998) 등은 지역사회시설(커뮤니티 시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함

Page 13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3 -

1) 학교교육시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등

2) 사회교육시설: 도서관, 이동도서관, 미술관, 시민회관, 청소년회관, 자료실, 집회시

설, 부인회관 등

3) 사회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심신장애자 복지시설 등의 복지시설),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등의 공원녹지시설, 운동시설 등

4) 의료보건시설: 병원, 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보건소 등

5) 행정관리시설: 동사무소, 소방서, 우체국, 파출소, 관리사무소 등

6) 상업업무시설: 소점포(소매,음식), 슈퍼마켓 등의 상업시설, 은행, 회사 등의 업무

시설, 기원 등의 오락시설, 서비스 시설 등

◦ 이 연구에서는 위의 분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파악하고

자 함.

시설 종류

학교시설(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등)

사회교육시설(도서관, 시민회관, 평생교육시설 등)

사회복지시설(아동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등)

운동시설(근린 공원 등 공원녹지시설, 체육시설 등)

보건의료시설(병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보건소 등)

행정관리시설(주민센터, 소방서, 우체국, 파출소 등)

대형마트, 백화점

패스트푸드점

문화시설(영화관, 미술관 등)

◦ 사회적 지지체계와 관계된 문항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항을 선정하였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사람(물질적지지)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사람(물질적지지)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경우 도움 받을 사람(정서적지지)

◦ 각각의 지지체계에 대해 복수 응답한 후 관계(종류)의 수를 바탕으로 분석함.

­ ①배우자, ②부모, ③시부모/처부모, ④자녀, ⑤친척, ⑥이웃, ⑦친구, ⑧직장동료,

⑨학교동료, ⑩봉사단체동료, ⑪종교단체 구성원, ⑫기타단체 구성원

◦ 사회적 지지 각각의 항목에 따른 도움 받을 사람(관계의 수)의 빈도는 다음과 같음.

­ 분석에서는 관계의 수에 따라 총 4개 집단(0, 1, 2, 3 이상)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Page 13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4 -

물질적지지 1: 몸이 아파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사람 (관계의 수)

물질적 지지2: 큰 돈을 빌릴

경우 도움 받을 사람 (관계의

수)

정서적지지: 우울할 때 도움

받을 사람

(관계의 수)

관계의 수

빈도

(가중치

미적용)

백분율 관계의 수

빈도

(가중치

미적용)

백분율 관계의 수

빈도

(가중치

미적용)

백분율

0 433 43.30 0 562 56.20 0 318 31.80

1 315 31.50 1 194 19.40 1 263 26.30

2 191 19.10 2 163 16.30 2 258 25.80

3 35 3.50 3 53 5.30 3 99 9.90

4 13 1.30 4 17 1.70 4 30 3.00

5 7 0.70 5 7 0.70 5 17 1.706 4 0.40 6 2 0.20 6 10 1.00

7 1 0.10 7 2 0.20 7 2 0.20

8 0 0.00 8 2 0.20

9 1 0.10 9 1 0.10

◦ 사회단체 활동 참여 여부는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문항으로 포함되었음. 마찬가

지로 참여한 단체의 종류의 수로 분석함.

­ ① 친목 및 사교단체(계, 동창회 등) ② 종교단체(자비원, 선교회, 교리연구회 등)

③ 취미, 스포츠 및 레저단체 ④ 시민사회단체(환경단체, 봉사단체 등)

⑤ 학술단체 ⑥ 이익단체(노조, 의사회, 약사회 등) ⑦ 정치단체

⑧ 지역사회모임(반상회, 입주자 대표회 등) ⑨ 기타( )

⑩ 참여하거나 활동한 적 없다

­ 단체 활동 참여여부의 빈도는 다음과 같음.

단체 활동 참여 여부

(참여 단체 종류)

빈도

(가중치 부여 전)백분율

0 456 45.60

1 282 28.20

2 190 19.00

3 56 5.60

4 8 0.80

5 7 0.707 1 0.10

Page 13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5 -

◦ 물리적 환경에 대한 문항은 기존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설에 대해 설

문함. 마찬가지로 종류의 수로 분석함.

­ ① 학교시설(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등)

② 사회교육시설(도서관, 시민회관, 평생교육시설 등)

③ 사회복지시설(아동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등)

④ 운동시설(근린공원 등 공원녹지시설, 체육시설 등)

⑤ 보건의료시설(병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보건소 등)

⑥ 행정관리시설(주민센터, 소방서, 우체국, 파출소 등)

⑦ 대형마트, 백화점

⑧ 패스트푸드점

⑨ 문화시설(영화관, 미술관 등)

⑩ 모두 없음

­ 물리적 환경에 대한 빈도는 다음과 같음.

인근 시설 빈도(가중치 부여 전) 백분율

0 54 5.4

1 115 11.50

2 86 8.60

3 101 10.104 110 11.00

5 135 13.50

6 144 14.40

7 116 11.60

8 79 7.90

9 60 6.00

Page 13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6 -

나. 주관적 건강수준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3.66), 2

개(3.55), 1개(3.46), 없음(3.27)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

(3.63), 2개(3.61), 1개(3.51), 없음(3.28)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3.62), 2개(3.56), 1개(3.41), 없음(3.17)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2개(3.55), 3개 이상(3.46), 1개(3.45), 없음(3.32)의 순임.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1개(3.53), 4개(3.50), 5개 이상(3.41), 3개(3.39), 2개(3.26),

없음(3.15)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적 관계가 풍부

할수록, 참여단체와 근린시설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게 나타남. 단 종류

의 수에 따라 주관적 건강수준이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 근린시

설의 ‘수’ 가 아닌 ‘성격’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 있음.

사례수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보통이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하지

않다

평균

(5점

만점)

% % % % % 점

전체 (1000) 6.4 42.9 36.9 12.6 1.2 3.41

도움

받을

사람

(관

수)

몸이아파

집안일을

부탁할경우

0 (434) 5.2 36.2 41.0 15.9 1.8 3.27

1 (312) 7.2 44.8 36.0 10.7 1.3 3.46

2 (194) 8.7 48.1 32.8 10.4 3.55

3 이상 (60) 3.2 65.8 24.7 6.4 3.66

갑자기많은

돈을빌릴일이

생길경우

0 (561) 5.2 37.0 39.9 16.1 1.7 3.28

1 (193) 7.1 48.1 34.4 9.9 0.5 3.51

2 (164) 8.4 50.6 34.4 6.6 3.61

3 이상 (81) 8.5 56.0 26.9 7.4 1.2 3.63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상대가

필요한경우

0 (315) 4.3 29.4 47.5 16.4 2.4 3.17

1 (261) 6.8 42.5 36.4 13.5 0.8 3.41

2 (263) 7.9 51.7 29.5 10.2 0.7 3.56

3 이상 (162) 7.3 55.8 28.9 7.9 3.62

참여단체종류

0 (455) 5.2 38.4 41.1 13.8 1.5 3.32

1 (285) 8.7 44.6 30.8 14.3 1.6 3.45

2 (189) 7.7 46.2 39.3 6.8 3.55

3 이상 (71) 1.4 56.7 27.9 14.0 3.46

근린시설종류

0 (54) 3.4 31.1 48.7 11.1 5.6 3.15

1 (115) 8.4 47.0 35.1 7.8 1.7 3.53

2 (85) 4.6 37.1 39.6 17.6 1.0 3.26

3 (100) 48.5 42.5 8.9 3.39

4 (113) 13.1 36.7 37.6 11.8 0.8 3.50

5 이상 (533) 6.3 44.5 34.4 13.9 0.9 3.41

표 59.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Page 13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7 -

다. 질병이환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진단받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1개(55.2), 2개

(52.5), 없음(51.2), 3개 이상(42.7)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 (57.8),

1개(56.8), 3개 이상(49.8), 없음(49.2)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58.5), 1개(52.4), 없음(48.9), 3개 이상(47.9)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없음(61.6), 1개(48.3), 2개(45.0), 3개 이상(26.5)의 순임.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없음(64.9), 3개(55.7), 4개(54.7), 1개(53.5), 5개 이상(50.9),

2개(42.8)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고혈압 이환 상태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27.8), 2

개(16.8), 1개(14.9), 없음(11.7)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없음(15.5),

3개 이상(14.8), 1개(13.4), 2개(13.2)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없음(15.6), 1개(15.6), 2개(13.7), 3개 이상(12.9)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3개 이상(28.8), 2개(20.4), 1개(13.1), 없음(11.1)의 순임.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2개(18.8), 4개(16.5), 5개 이상(15.3), 1개(12.9), 3개(12.6),

없음(5.6)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 결과를 요약하면 질병이 있는 경우, 오히려

사회적 관계가 풍부하고 물리적 환경이 나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다음 몇 가지를 고

려하여야 함.

­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질병이 먼저 선행하고 그에 따라 물리사회적 환경을 필요로

할 수 있음.

­ 사회경제적 상태별로 봤을 때, 일부 고소득층, 직장건강보험 가입자, 남성 등은 건강

검진을 통해 본인이 질병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반면, 저소득층 및 여성 등은

본인이 질병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음. 이런 경우 고소득층에서 물리사회적 환경이 더 좋다면, 물리사회적 환경이 좋

은 것보다는 사회경제적 상태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위의 결과는 연령과 소득계층 등을 각각의 요인으로 구분한 것으로 여러 변수(요인)

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 종합적 분석은 ‘질병 이환에 대한 종합

적 분석’ 의 별도 장으로 기술되어 있음.

­ 인구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지만 설문 대상자 특성이 전체 인구집단과 다를 수 있음.

Page 13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8 -

사례수

진단받

은적

없음

고혈압고지

혈증

기타

질환

우울증

정신

질환

당뇨병갑상선

장애천식 폐결핵

골관

절염·

류마

티스성

관절염

협심증·

심근

경색증

간경

변증암 뇌졸중 신부전

% % % % % % % % % % % % % % %

전체 (1000) 52.2 14.7 13.5 13.3 6.1 4.3 3.8 3.5 3.5 3.1 2.1 1.3 0.8 0.8 0.5

도움

받을

사람

(관계

의수)

몸이아파집안일을

부탁할경우

0 (434) 51.2 11.7 14.7 14.2 7.1 4.3 3.9 5.0 4.0 3.0 1.6 1.6 0.9 1.1 0.2

1 (312) 55.2 14.9 9.7 13.3 4.7 2.5 3.2 2.5 2.5 3.8 1.2 0.6 0.6 0.6 1.2

2 (194) 52.5 16.8 15.8 12.3 4.5 5.6 4.6 2.1 2.1 2.1 2.6 2.1 0.5

3 이상 (60) 42.7 27.8 18.1 9.8 4.1 8.2 3.2 3.2 9.9 3.3 8.2 1.7 1.7

갑자기많은돈을

빌릴일이생길경우

0 (561) 49.2 15.5 15.9 13.8 6.5 4.9 3.9 4.2 3.3 3.1 2.1 1.4 0.9 1.1 0.5

1 (193) 56.9 13.4 10.6 14.4 6.1 3.2 1.6 2.1 3.8 2.6 1.0 1.0 1.0 0.5

2 (164) 57.8 13.2 10.1 9.1 4.2 2.4 6.1 3.7 3.0 2.4 3.0 2.4 0.6

3 이상 (81) 49.8 14.8 11.1 15.9 7.4 6.1 3.6 2.3 4.9 4.9 2.5 1.2 1.2

낙심하거나

우울해서이야기

상대가필요한경우

0 (315) 48.9 15.6 16.9 13.5 9.5 4.3 2.9 5.4 4.4 3.1 2.5 1.2 0.6 1.3 0.6

1 (261) 52.4 15.6 11.3 12.9 5.4 4.7 3.8 2.3 2.8 3.0 1.2 0.4 1.2 1.1 0.3

2 (263) 58.5 13.7 10.7 10.2 3.7 3.0 4.1 2.6 2.3 2.6 2.2 2.3 0.7 0.7

3 이상 (162) 47.9 12.9 15.4 18.5 4.8 5.5 4.9 3.6 4.9 3.7 2.4 1.2 0.6 0.6

참여단체종류

0 (455) 61.6 11.1 9.8 12.0 6.3 3.1 2.6 2.6 2.5 2.2 1.1 0.4 0.7 0.2 0.6

1 (285) 48.3 13.1 14.3 16.7 4.5 3.5 6.3 2.7 3.8 3.4 1.1 2.1 0.7 1.4 0.7

2 (189) 45.0 20.4 16.2 10.0 5.2 5.1 3.1 4.1 5.2 2.6 3.2 2.1 1.1

3 이상 (71) 26.5 28,8 27.7 16.8 13.8 12.6 2.7 11.1 4.2 8.3 9.7 1.4 4.2 1.4

근린시설종류

0 (54) 64.9 5.6 11.0 11.0 9.3 3.7 1.9 3.7 1.9 1.9 1.9 1.9

1 (115) 53.5 12.9 13.6 6.9 3.5 7.7 3.5 4.3 1.7 3.5 0.9 1.7 4.3

2 (85) 42.8 18.8 13.9 13.7 9.3 6.2 2.4 3.4 2.7 3.5 4.7

3 (100) 55.7 12.6 11.8 15.9 6.9 5.7 0.9 3.9 2.0 3.0 4.9 1.0 1.0 1.0

4 (113) 54.7 16.5 12.0 14.0 8.7 2.7 5.3 3.5 1.7 3.5 0.9 0.8

5 이상 (533) 50.9 15.3 14.4 14.2 5.2 3.3 4.5 3.3 4.1 3.3 1.3 1.8 0.9 0.2 0.5

표 60.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질병이환

Page 13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19 -

라. 자가평가 기대여명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85.67),

2개(83.58), 없음(82.18), 1개(82.02)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

(85.26), 2개(83.86), 1개(83.10), 없음(81.69)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84.11), 2개(84.02), 1개(82.94), 없음(80.40)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3개 이상(85.17), 2개(84.42), 1개(83.39), 없음(80.98)의 순으

로 나타남.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4개(84.00), 1개(83.19), 5개 이상(82.88), 2개(81.75), 없음

(81.67), 3개(80.20)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의 결과롤 종합하면, 사회적 관계가 풍

부할수록, 참여단체가 많을수록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단 근린

시설의 종류에 따라서는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데 근린시설의 성격에 따라

다를 것이므로 추가적 분석이 필요함.

사례수 평균

전체 (1000) 82.61

도움

받을

사람

(관계

의수)

몸이아파집안일을부탁할

경우

0 (434) 82.18

1 (312) 82.02

2 (194) 83.58

3 이상 (60) 85.67

갑자기많은돈을빌릴일이

생길경우

0 (561) 81.69

1 (193) 83.10

2 (164) 83.86

3 이상 (81) 85.26

낙심하거나우울해서이야기

상대가필요한경우

0 (315) 80.40

1 (261) 82.94

2 (263) 84.02

3 이상 (162) 84.11

참여단체종류

0 (455) 80.98

1 (285) 83.39

2 (189) 84.42

3 이상 (71) 85.17

근린시설종류

0 (54) 81.67

1 (115) 83.19

2 (85) 81.75

3 (100) 80.20

4 (113) 84.00

5 이상 (533) 82.88

표 61.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Page 13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0 -

마.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2.45), 1개

(2.36), 3개 이상(2.31), 없음(2.27)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1개(2.48),

2개(2.35), 3개 이상(2.34), 없음(2.28)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2.48), 3개 이상(2.36), 1개(2.36), 없음(2.19)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3개 이상(2.40), 2개(2.35), 1개(2.34), 없음(2.32)의 순으로

나타남.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5개 이상(2.41), 4개(2.39), 3개(2.34), 1개(2.22), 2개(2.16),

없음(2.05)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결과롤 종합하면, 참여단체가 많고

근린시설의 종류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사회적 지지에 따라서

는 명확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질병이환 경험이 있고 의료이용 경험이 있는 경

우 오히려 보건의료체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적지지 뿐 아니라 여

러 변수를 같이 고려해야 정확한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음.

Page 13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1 -

사례수

전반적으로 잘작동되고

있으며 약간의수정으로 개선

가능

현재의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있지만

대대적인 수정필요

현재의의료시스템은완전히 새로만들어야 한다

평균(3점 만점)

% % % 점

전체 (1000) 39.6 54.4 6.1 2.34

도움

받을

사람

(관계

의수)

몸이아파집안일을

부탁할경우

0 (434) 34.6 57.9 7.4 2.27

1 (312) 40.9 53.7 5.4 2.36

2 (194) 48.5 47.9 3.6 2.45

3 이상 (60) 39.2 52.5 8.2 2.31

갑자기많은돈을

빌릴일이생길경우

0 (561) 35.3 57.6 7.1 2.28

1 (193) 51.6 44.3 4.1 2.48

2 (164) 40.2 54.3 5.5 2.35

3 이상 (81) 38.8 56.3 4.9 2.34

낙심하거나우울해서

이야기상대가

필요한경우

0 (315) 29.8 59.4 10.8 2.19

1 (261) 40.9 53.8 5.3 2.36

2 (263) 49.8 47.9 2.3 2.48

3 이상 (162) 39.8 55.9 4.3 2.36

참여단체종류

0 (455) 39.4 52.7 8.0 2.32

1 (285) 38.5 57.0 4.5 2.34

2 (189) 39.9 55.4 4.7 2.35

3 이상 (71) 44.2 51.6 4.2 2.40

근린시설종류

0 (54) 23.8 57.0 19.2 2.05

1 (115) 29.3 63.8 6.9 2.22

2 (85) 24.8 65.9 9.3 2.16

3 (100) 39.7 54.3 5.9 2.34

4 (113) 41.1 56.3 2.6 2.39

5 이상 (533) 45.4 49.8 4.8 2.41

표 62.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Page 13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2 -

바. 의사에 대한 신뢰도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3.62), 2

개(3.39), 1개(3.36), 없음(3.16)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

(3.46), 1개(3.39), 2개(3.34), 없음(3.23)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3개 이상(3.49), 2개(3.38), 1개(3.34), 없음(3.08)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3개 이상(3.45), 2개(3.40), 1개(3.32), 없음(3.21)의 순으로

나타남.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4개(3.39), 5개(3.35), 3개(3.29), 1개(3.28), 2개(3.17), 없음

(2.84)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결과를 종합하면 물리사회적 환경이

풍부할수록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사례수

매우

신뢰신뢰 보통

신뢰

하지

않음

전혀

신뢰

하지

않음

*신뢰

하는

편*

*비신

뢰하

는편평균

% % % % % % %

전체 (1000) 1.1 38.3 51.6 7.3 1.8 39.3 9.1 3.30

도움

받을

사람

(관계

의수)

몸이아파집안일을

부탁할경우

0 (434) 0.9 30.1 56.4 9.1 3.4 31.0 12.5 3.16

1 (312) 1.0 42.4 49.3 6.3 1.0 43.4 7.3 3.36

2 (194) 0.5 43.9 50.0 5.6 44.4 5.6 3.39

3 이상 (60) 4.9 56.9 33.2 5.0 61.8 5.0 3.62

갑자기많은돈을

빌릴일이생길경우

0 (561) 0.9 34.7 52.8 9.3 2.3 35.6 11.6 3.23

1 (193) 1.0 44.6 48.2 4.6 1.6 45.6 6.2 3.39

2 (164) 1.2 38.5 54.2 5.4 0.6 39.7 6.0 3.34

3 이상 (81) 2.5 47.3 45.3 3.7 1.2 49.8 4.9 3.46

낙심하거나

우울해서이야기

상대가필요한경우

0 (315) 0.3 27.3 57.3 10.7 4.4 27.6 15.1 3.08

1 (261) 1.9 38.8 51.7 6.8 0.8 40.7 7.6 3.34

2 (263) 0.7 43.9 48.5 6.8 44.6 6.8 3.38

3 이상 (162) 1.9 49.6 44.9 2.4 1.2 51.5 3.6 3.49

참여단체종류

0 (455) 0.9 34.3 52.9 8.9 3.1 35.2 12.0 3.21

1 (285) 0.7 40.0 51.0 7.6 0.7 40.7 8.3 3.32

2 (189) 1.6 40.9 53.3 4.2 42.5 4.2 3.40

3 이상 (71) 2.8 49.5 40.6 4.2 2.8 52.3 7.0 3.45

근린시설종류

0 (54) 18.4 58.1 12.5 10.9 18.4 23.4 2.84

1 (115) 38.1 54.3 5.1 2.6 38.1 7.7 3.28

2 (85) 2.3 25.5 61.7 8.2 2.2 27.8 10.4 3.17

3 (100) 37.5 55.6 5.0 2.0 37.5 7.0 3.29

4 (113) 2.6 47.3 37.7 11.4 0.9 49.9 12.3 3.39

5 이상 (533) 1.1 40.6 50.9 6.7 0.8 41.7 7.5 3.35

표 63.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의사에 대한 신뢰도

Page 14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3 -

사. 미충족 필요 및 사유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미충족 필요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28.2), 없음

(27.9), 1개(25.4), 3개 이상(21.3)의 순으로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27.6),

없음(27.2), 1개(25.8), 3개 이상(24.5)의 순으로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없음(30.8), 2개(26.3), 1개(24.5), 3개 이상(23.4)의 순으로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2개(34.1), 3개 이상(27.9), 없음(25.1), 1개(24.2)의 순으로

나타남.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2개(36.5), 1개(33.6), 4개(27.3), 3개(24.8), 5개 이상(24.3),

없음(24.0)의 순으로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미충족 필요의 이유는 다음과 같음.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없음일 때 ‘경제

적인 이유로’, 1개, 2개, 3개 이상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1개일 때

‘경제적인 이유로’, 없음, 2개, 3개 이상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 받을 관계의 수에 따라서는

2개일 때 ‘증상이 가벼워서’, 없음, 2개, 3개 이상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

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참여단체 종류에 따라서는 1개일 때 ‘경제적인 이유로’, 없음, 2개, 3개 이상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근린시설 종류에 따라서는 1개일 때 ‘경제적인 이유로’, 3개일 때 ‘증상이 가벼워서’,

없음, 2개, 4개, 5개 이상에서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

아서’, 없음일 때 ‘경제적인 이유로’와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

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미충족 필요의 결과를 종합하면 양상이 뚜렷하진 않지만

사회적 지지가 풍부할수록 미충족 필요는 적게 나타나며, 물리적 환경은 ‘수’ 와 직

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보다는 ‘성격’ 에 따라 다를 것임.

Page 14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4 -

사례수없다 있다

‘있다’(26.8%)고 답한 응답자 중 중복응답

내가 갈 수있는시간에

병의원 등이문을 열지않아서

경제적인이유로

증상이가벼워서

교통편이불편하고멀어서

병의원등에서 오래기다리기싫어서

어디로가야할 지몰라서(정보 부족)

병의원 등에예약을하기가힘들어서

기타

% % % % % % % % % %

전체 (1000) 73.2 26.8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도움

받을

사람

(관계

의수)

몸이아파집안일을

부탁할경우

0 (434) 72.1 27.9 34.3 35.7 29.7 13.2 13.9 18.0 9.9 6.6

1 (312) 74.6 25.4 34.9 30.1 28.6 13.9 11.4 8.6 15.2 8.8

2 (194) 71.8 28.2 48.9 25.3 27.2 16.3 10.9 7.1 12.8 5.5

3 이상 (60) 78.7 21.3 46.3 23.4 39.0 23.4 23.4 14.7 23.4

갑자기많은돈을

빌릴일이생길경우

0 (561) 72.8 27.2 35.7 34.8 29.2 15.0 13.7 15.5 11.1 7.2

1 (193) 74.2 25.8 31.6 36.0 30.4 12.0 10.0 9.6 12.0 7.9

2 (164) 72.4 27.6 45.5 19.5 28.2 17.6 8.7 8.6 19.8 6.6

3 이상 (81) 75.5 24.5 55.3 20.1 29.6 10.1 25.1 10.1 10.1

낙심하거나

우울해서이야기

상대가필요한경우

0 (315) 69.2 30.8 37.6 32.5 28.5 12.4 16.3 16.3 9.3 9.2

1 (261) 75.5 24.5 35.8 35.7 28.5 17.2 11.0 12.4 14.1 3.1

2 (263) 73.7 26.3 32.7 31.3 34.1 15.8 8.6 8.2 14.5 10.1

3 이상 (162) 76.6 23.4 52.6 21.0 23.8 13.2 15.9 13.2 15.9

참여단체종류

0 (455) 74.9 25.1 40.6 35.5 31.5 12.2 11.3 13.0 9.6 7.8

1 (285) 75.8 24.2 25.8 35.4 31.4 15.8 14.3 12.4 7.2 7.2

2 (189) 65.9 34.1 41.4 21.6 19.9 17.1 14.0 10.9 23.3 3.0

3 이상 (71) 72.1 27.9 54.9 24.8 39.7 15.2 15.2 19.8 15.2 10.1

근린시설종류

0 (54) 76.0 24.0 38.6 38.6 30.9 15.5 7.7 15.5 7.7 7.3

1 (115) 66.4 33.6 20.6 27.7 22.8 20.7 10.3 2.6 15.4 7.8

2 (85) 63.5 36.5 44.5 19.0 33.0 19.3 12.9 16.1 12.9 3.2

3 (100) 75.2 24.8 31.6 24.2 40.3 20.1 12.1 11.6 20.1 20.1

4 (113) 72.7 27.3 51.5 25.8 32.3 16.2 12.8 9.7 22.7

5 이상 (533) 75.7 24.3 39.7 37.3 27.4 10.0 14.6 15.8 8.5 6.2

표 64. 물리사회적 환경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Page 14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5 -

6. 의사-환자 관계와 건강관련 요인의 관계

가. 주관적 건강수준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은 다음과 같음.

­ 매우 신뢰(3.81)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신뢰(3.60), 보통(3.34), 신뢰하지 않음

(3.03), 전혀 신뢰하지 않음(2.78)의 순으로 나타남.

­ 결과를 종합하면,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사례수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보통이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하지

않다

평균

(5점

만점)

% % % % % 점

전체 (1000) 6.4 42.9 36.9 12.6 1.2 3.41

의사전반에

대한신뢰도

매우 신뢰 (11) 17.8 54.6 18.4 9.2 3.81

신뢰 (383) 10.1 49.9 30.2 9.1 0.7 3.60

보통 (516) 3.6 40.9 42.0 12.6 1.0 3.34

신뢰하지 않음 (73) 5.2 24.6 40.5 27.0 2.7 3.03

전혀 신뢰하지 않음 (18) 5.0 22.5 28.1 33.8 10.6 2.78

표 65.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Page 14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6 -

나. 질병이환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질병이환 상태는 다음과 같음.

­ [진단받지 않은 경우] 보통(56.8)일 때 가장 높고, 전혀 신뢰하지 않음(50.0), 신뢰(48.8), 신뢰하지 않음(41.7), 매우 신뢰(27.0)의 순으로 나타

남.

­ [고혈압] 신뢰(18.5)일 때 가장 높고, 매우 신뢰(18.4), 신뢰하지 않음(15.0), 보통(11.8), 전혀 신뢰하지 않음(11.2)의 순으로 나타남.

­ 결과를 종합하면, 질환 전체에서는 신뢰도에 따른 질병 이환 양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으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만성질환에서

는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사람이 질병에 많이 이환된 것이 아니라 만성질환에 대한 치

료를 하는 사람일수록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함.

사례수

진단받

은적

없음

고혈압고지

혈증

기타

질환

우울증

정신

질환

당뇨병갑상선

장애천식 폐결핵

골관

절염·

류마

티스성

관절염

협심증·

심근

경색증

간경

변증암 뇌졸중 신부전

% % % % % % % % % % % % % % %

전체 (1000) 52.2 14.7 13.5 13.3 6.1 4.3 3.8 3.5 3.5 3.1 2.1 1.3 0.8 0.8 0.5

의사전반에

대한신뢰도

매우 신뢰 (11) 27.0 18.4 36.7 9.2 36.3 18.4 9.2 9.2

신뢰 (383) 48.8 18.5 16.9 10.6 4.6 3.8 4.1 3.6 3.6 3.3 2.6 1.3 0.3 0.5 0.5

보통 (516) 56.8 11.8 10.1 15.2 5.2 3.7 3.3 2.9 3.5 2.5 1.5 1.5 1.1 1.0 0.4

신뢰하지 않음 (73) 41.7 15.0 16.2 12.2 14.9 9.5 6.8 5.5 1.4 5.5 1.4 1.4 1.4 1.3

전혀 신뢰하지 않음 (18) 50.0 11.2 16.9 21.9 11.2 10.6 11.2 5.6 5.6

표 66.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질병이환

Page 14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7 -

다. 자가평가 기대여명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은 다음과 같음.

­ 매우 신뢰(87.63)일 때 가장 높고, 신뢰(83.32), 보통(82.28), 신뢰하지 않음(82.22), 전

혀 신뢰하지 않음(75.59)의 순으로 나타남.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의 결과를 종합하면 신뢰도가

높을수록 자가평가 기대여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사례수 평균

전체 (1000) 82.61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

매우 신뢰 (11) 87.63

신뢰 (383) 83.32

보통 (516) 82.28

신뢰하지 않음 (73) 82.22

전혀 신뢰하지 않음 (18) 75.59

표 67.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

라.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다음과 같음.

­ 매우 신뢰(2.64)일 때 가장 높고, 신뢰(2.52), 보통(2.26), 신뢰하지 않음(2.04), 전혀 신

뢰하지 않음(1.67)의 순으로 나타남.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자가평가 기대여명의 결과를 종합하면 신뢰도가

높을수록 보건의료체계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사례수

전반적으로 잘작동되고있으며약간의

수정으로 개선가능

현재의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있지만

대대적인 수정필요

현재의의료시스템은완전히 새로만들어야 한다

평균(3점 만점)

% % % 점

전체 (1000) 39.6 54.4 6.1 2.34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

매우 신뢰 (11) 63.8 36.2 2.64

신뢰 (383) 53.0 45.8 1.3 2.52

보통 (516) 32.2 61.3 6.4 2.26

신뢰하지 않음 (73) 22.9 58.2 18.9 2.04

전혀 신뢰하지 않음 (18) 16.9 33.1 50.0 1.67

표 68.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보건의료체계 만족도

Page 14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8 -

마. 미충족 필요 및 사유

◦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미충족 필요는 다음과 같음.

­ 매우 신뢰(36.3)일 때 가장 높고, 신뢰하지 않음(32.7), 보통(28.0), 전혀 신뢰하지 않음(27.5), 신뢰(23.7)의 순으로 나타남.

­ 매우 신뢰일 때는 ‘경제적인 이유로’, ‘증상이 가벼워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서’, ‘병의원 등에 예약을 하기가 힘들어서’ 가 동일하게 높

게 나타났고, 신뢰, 보통일 때는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신뢰하지 않음일 때는 ‘경

제적인 이유로’ 와 ‘증상이 가벼워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전혀 신뢰하지 않음일 때는 ‘경제적인 이유로’ 가 가장 높게 나타남.

­ 결과를 종합하면, 신뢰도와 미충족 필요 사이에 뚜렷한 관계는 찾을 수 없음. 질병 이환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하여야 함.

사례수없다 있다

‘있다’(26.8%)고 답한 응답자 중 중복응답

내가 갈 수있는시간에

병의원 등이문을 열지않아서

경제적인이유로

증상이가벼워서

교통편이불편하고멀어서

병의원등에서 오래기다리기싫어서

어디로가야할 지몰라서(정보 부족)

병의원 등에예약을하기가힘들어서

기타

% % % % % % % % % %

전체 (1000) 73.2 26.8 38.0 31.3 29.3 14.5 13.0 12.8 12.7 6.7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

매우 신뢰 (11) 63.7 36.3 24.0 25.3 25.3 25.3 25.3

신뢰 (383) 76.3 23.7 39.2 29.2 27.2 14.2 7.5 13.6 13.2 7.6

보통 (516) 72.0 28.0 40.4 30.9 29.8 13.9 14.5 9.7 11.8 4.9

신뢰하지 않음 (73) 67.3 32.7 25.1 37.3 37.3 16.7 20.9 29.3 12.5 12.5

전혀 신뢰하지 않음 (18) 72.5 27.5 20.5 59.1 18.2 40.9 40.9 20.5 20.5

표 69. 건강행태에 따른 미충족 필요 및 사유

Page 14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29 -

7.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 의료기관 선택 영향 요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 환자 의뢰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한국에서는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 의

사보다는 환자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이런 제도적인 환경은 환자

로 하여금 원하는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효율적인

의료자원의 활용을 어렵게 하며, 신종 전염병(메르스 등)의 출현 시 질병의 통제를

어렵게 하는 측면도 있음.

◦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 및 의료이용 행태와 관련된 연구는 충분치 않으며 행태가 건

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더더욱 부족함.

­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던 ‘의료기관 선택에 관련된 요인’ 이라

는 주제에 대해 일반인 대상 조사를 시행하여 보건의료 및 의료이용 행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함.

­ 기존 국내의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관련 연구는 주로 행정학 및 경

영학 분야에서 수행되었음. 마케팅에서의 소비자 입장에서 의료기관 선택에 큰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음.

­ 영국 등 외국에서는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 등에서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음. 대표적인 예로 London patient choice

project(Burge et al, 2005)와 Patient choice(Dixon et al, 2010) 이 있음.

◦ 기존 국내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의 성격 방향에 따라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며 구체적인 국내 연구 목록은 다음 [Box]와 같

음.

­ 조사 대상자의 수가 부족한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의 문제도 있으며 의료

기관 이용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선택 편견(selection bias)의 문제도 존재

함.

Page 14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0 -

- 행정학

1. 탁국필(2011,학위) - 신뢰성, 이용의 간편성, 친숙성, 병원의 전문성, 이용의 편리성, 병원친절성, 병원이용

만족성

2. 박민향(2010,학위) - 선택이유, 접근성, 담당의사, 담당간호사, 병원직원, 내부시설, 이용절차의 편리성,

병원평판, 고객만족도 <구조방정식>

3. 윤서중(2003) - 시설장비, 친절관리, 의료신뢰 및 접근용이, 지인추천 [노인병원, 종합병원]

4. 노정석(2002,학위) - 병원행정, 친절도, 의료수준, 의료시설, 이용편의, 의료선택

5. 최용환(2001,학위) - 병원의 유형, 접근성, 의사추천, 대기시간, 의료진, 첨단장비

<컨조인트분석>

- 보건 및 간호학

1. 심규범 등(2014) - 외부환경, 내부환경, 의료진서비스, 의료서비스만족도, 환자만족도, 재이용의사

2. 민혜진(2005,학위) - 의료이용특성, 병원선택요인, 상황적요인

3. 한옥진(2005,학위) - 구전영향유무, 시설장비, 책임감, 신뢰감, 친밀감, 시설장비 [고객충성도]

4. 이근연(2005,학위) - 외형적요인, 의사서비스, 간호사서비스, 종교요인, 관리요인, 사무요인, 검사요인

5. 최숙희(2004,학위) - 시설 및 환경, 이용의 편리성, 진료의 전문성, 직원의 친절성, 관심과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향, 추천의향]

6. 이인경(1996) - 의사의 실력과 자신감, 의사의 친절도, 의사의 명성, 의료시설

7. 박군제(1994) - 진료비, 대기시간, 인적서비스, 시설 및 장비, 연령, 이용 소요시간, 질병상태

- 경영학

1. 김양균(2009) - 기능적 가치(서비스의 신뢰성, 만족도, 적정성, 명성 및 규모), 지식적 가치(이용편의성,

신뢰성, 참신성)

2. 김미교(2008) - 물리적 외부환경, 물리적 내부환경, 인적서비스품질, 의료행정서비스품질, 병원의 평판

<구조방정식>

3. 임병훈(2006) - 시설 및 환경, 커뮤니케이션(상담시간), 프로세스, 신뢰성, 접근성, 경제성

<컨조인트 분석>

4. 최문희(2006) - 신뢰성, 봉사서비스, 절차의 신속 및 간편성, 친숙성, 전문성, 이용편리성, 친절성

5. 한덕열(2005,학위) - 대면서비스, 이용품질, 금전적 가격, 노력비용, 시간비용, 심리적 비용, 명성

6. 박창균(1985) - 의술의 신뢰성, 병원시설의 편리성, 진료절차의 신속성, 진료비의 적절성, 접근의 용이성,

의사의 실력, 환자상태에 대한 의료진의 설명, 의료장비의 현대성

[Box]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국내 문헌

Page 14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1 -

◦ London patient choice project(RAND Europe)에서는 대기시간이 문제가 되었던 영

국의 상황에서 더 빠른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의 선택 유인 요인에 대해 조사하

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다른 특성이 있는지도 확인함.

­ 선택 실험(choice experiment-Conjoint method)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

­ home hospital 과 alternative hospital 에서 대기 시간(waiting time), 의료기관까지

의 이동 시간(travel time), 운송 수단(transport), 명성(reputation), 지속적인 치료

(follow-up care)의 차이에 따라 선택을 하도록 함.

­ 30%는 home hospital 선택, 5%는 alternative hospital 선택. 55%는 조건에 따라 선

택 병원이 달라짐. 결과적으로는 35%의 환자가 home hospital. 65%의 환자가

alternative hospital 선택함.

­ 고령, 낮은 교육수준, 낮은 수입일수록 병원을 옮기지 않으려고 함.

그림 36.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출처: Patient choice(2010)]

◦ Patient choice(King's fund, RAND Europe) 에서는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이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지, 공급자들은 환자의 선택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에

대해 공급자, 소비자 등 다양한 집단에 대해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시행함.

­ 의사를 방문하기 전 의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인지하는지 여부에서는 고령일수록,

여자보다 남자가, 도시보다 시골지역이,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더 인지를 하는 것으

로 나타남.

­ 의사로부터 또는 본인이 직접 선택에 대한 기회가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함.

­ 자신의 지역을 벗어나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경향은 51-65세에서, 시골지역에서, 이전

병원에서의 진료경험이 안 좋았을수록(Odds ratio=24.9) 높았음.

­ 병원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청결성(cleanliness), 의료의 질(quality of care), 표

준적인 시설(standard of facilities), 진료의 조직화(organisation of clinic), 병원 명성

(hospital reputation), 직원의 친절도(Friendliness of staff), 대기 기간(length of

waiting list), 개인적 경험(personal experience) 등의 순으로 나타남.

Page 14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2 -

◦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관련 요인을 구조(structure), 과정(process), 결과(outcome)의 요소로 구

분하여 제시하였음(Aafke 등, 2012).

[Structure] - 7 factor

1. Availability ex. language difficulties, insurance plan 여성, 저소득층 민감

2. Accessibility - location (travel time, transport, parking) 연령과 거리 연관, 고학력 - 이동 많음

3. Type and size of the institution - ownership, affiliation (교육병원, 미 private, non-profit / 영

public 선호), clean hospital/ complex, high-quality service, 작은 volume

4. Staff : medical qualification/expertise

5. Organization of healthcare : convenient time or place, action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efficiency, accessible by phone and internet

6. Costs : 산부인과 - 고려하지 않음/ 치과-고려 함.

7. Socio-demographic factors : gender/age of the provider

[Process] - 5 factor

1. Interpersonal factors : physician's communication style, 연령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 교육수준은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게 함.

2. Information provision : relevant information

3. Continuity

4. Waiting time

5. Quality of treatment

[Outcome]

사망률, 욕창 발생 등에서 연관성이 있었다는 연구가 있으나 많은 연구에서 연관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남.

[Box]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내용

◦ 최근 환자중심성에 대한 국내 연구(도영경 등, 2015)에서는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경

증과 중증 환자에 따라 의료기관 선택 시 고려요인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음. 경

증 환자에서는 접근성(이용 편리성), 전문성(경험자 구전, 의료계 지인 소개) 그리고

시설/환경(청결성/친절성)이, 중증 환자에서는 해당분야 권위자(병원보다 의사 중

심), 유명/대형 병원 등 주로 명성에 관련된 요인이 고려요인으로 작용하였음.

◦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토대로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음.

­ 접근성 (accessibility), 의료기관 규모/형태(type and size of institution), 의료진

(staff), 조직화(organization of healthcare), 비용 (costs), 대인관계(interpersonal

factor), 대기 시간 (waiting time), 질 (quality of treatment)

Page 15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3 -

요인 구체적 요인 (예시)

접근성 (accessibility) 의료기관까지 거리(소요시간)

의료기관 규모/형태(type and size ofinstitution)

의료기관 시설/환경(종별, 청결성 등)

의료진 (staff) 전문성/명성

조직화(organization ofhealthcare)

당일 검사 대기시간,예약 편리성 등

비용 (costs) 가격

대인관계(iInterpersonal factor)

친절성, 상담시간 등

대기 시간 (waiting time) 예약대기 기간

질 (quality of treatment)서비스 수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 평가 등

표 70.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age 15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4 -

구분 대 상 구분 대 상

1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A09.0∼A09.9)

30

변비(K59.0)

2

손 백선(B35.2) 기능성 설사(K59.1)

발 백선(B35.3)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경성 장(K59.2)

체부 백선(B35.4) 항문연축(K59.4)

와상 백선(B35.5) 기타 명시된 기능성 장장애(K59.8)

사타구니 백선증(B35.6) 상세불명의 기능성 장장애(K59.9)

기타 피부사상균증(B35.8)31

달리 분류되지 않은 지방간(K76.0)

상세불명의 피부사상균증(B35.9) 상세불명의 간질환(K76.9)

3

신장 합병증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2)32

기타 아토피피부염(L20.8)

눈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3) 상세불명의 아토피피부염(L20.9)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4)33

기타 요인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L23.8)

순환기계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5) 상세불명 원인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L23.9)

기타 명시된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6) 34 두드러기(L50.0∼L50.9)

다발성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7) 35 기타 관절염(M13.0∼M13.9)

상세불명의 합병증을 동반한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8)36

기타 척추증(M47.8)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인슐린-비의존 당뇨병(E11.9) 상세불명의 척추증(M47.9)

4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E78.0∼E78.9) 37 상세불명의 경추간판장애(M50.9)

5 다래끼 및 콩다래끼(H00.0∼H00.1)

38

기타 명시된 추간판변성(M51.3)

6 눈물계통의 장애(H04.0∼H04.9) 쉬몰결절(M51.4)

7 결막염(H10.0∼H10.9) 기타 명시된 추간판 장애(M51.8)

8 노년성 백내장(H25.0∼H25.9) 상세불명의 추간판 장애(M51.9)

9 굴절 및 조절의 장애(H52.0∼H52.7)39

기타 등통증(M54.8)

10

외이의 연조직염(H60.1) 상세불명의 등통증(M54.9)

기타 감염성 외이도염(H60.3)

40

석회성 힘줄염(M65.2)

비감염성 급성 외이도염(H60.5) 방아쇠 손가락(M65.3)

기타 외이도염(H60.8) 기타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M65.8)

상세불명의 외이도염(H60.9) 상세불명의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M65.9)

11양성 고혈압(I10.0)

41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M75.0)

상세불명의 고혈압(I10.9) 이두근 힘줄염(M75.2)

12 급성 비인두염[감기](J00) 상세불명의 어깨병변(M75.9)

13 급성 부비동염(J01.0∼J01.9) 42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골부착부병증(M77.8)

표 71. 보건복지부 약가 본인부담률 차등 52개 만성질환

1) 일차의료 관련 질환

◦ 이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선택 중에서도 일반 국민이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일

차의료 관련 질환에 대해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함. 일차의료

질환을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분류 방법을 고

려할 수 있음.

­ ICPC(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Primary Care)

◦ 일차의료의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정의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

는 기준은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를 이용하여 분류한

ICPC(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Primary Care) 이 있음. 이 기준은 WHO에서

체택하여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음.

◦ 하지만 ICD에서 다루는 거의 모든 질병을 포괄하고 있는 분류체계여서 일차의료에

관련된 질환과 아닌 것을 구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

­ 보건복지부에서는 의료기관 기능재정립을 위해 2011년 10월부터 상급종합병원과 종

합병원을 이용할 경우 약제비 본인부담률을 병·의원보다 높게 적용하는 약국 본인부

담 차등제를 시행하고 있음.

Page 15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5 -

구분 대 상 구분 대 상

14 급성 인두염(J02.0∼J02.9) 상세불명의 골부착부병증(M77.9)

15 급성 편도염(J03.0∼J03.9)

43

근통(M79.1)

16 급성 후두염 및 기관염(J04.0∼J04.2) 지방대의 비대(M79.4)

17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J06.0∼J06.9) 사지의 통증(M79.6)

18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J20.9) 기타 명시된 연조직 장애(M79.8)

19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0∼J30.4) 상세불명의 연조직 장애(M79.9)

20만성 비인두염(J31.1) 44 병적골절이 없는 골다공증(M81.0∼M81.9)

만성 인두염(J31.2)45

급성 방광염(N30.0)

21 만성 부비동염(J32.0∼J32.9) 상세불명의 방광염(N30.9)

22 천식(J45.0∼J45.9) 46 만성전립선염(N41.1)

23 위-식도역류병(K21.0∼K21.9)47

급성 질염(N76.0)

24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 위궤양(K25.3) 급성 외음염(N76.2)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만성위궤양(K25.7)

48

폐경기 및 여성의 갱년기 상태(N95.1)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상세불명인 위궤양(K25.9) 폐경기후 위축성 질염(N95.2)

25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3) 상세불명의 폐경기 및 폐경기전후 장애(N95.9)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만성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7)

49

요추의 염좌 및 긴장(S33.5)

출혈 또는 천공이 없는 급성인지 만성인지 상세불명인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K27.9) 천골장골관절의 염좌 및 긴장(S33.6)

26 위염 및 십이지장염(K29.0∼K29.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요추 및 골반부분의 염좌 및 긴장(S33.7)

27 소화불량(K30)50

손가락의 염좌 및 긴장(S63.6)

28

알레르기성 또는 식사성의 위장염 및 결장염(K52.2)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 부분의 염좌 및 긴장(S63.7)

불확정 결장염(K52.3) 51 기타 및 상세불명의 무릎 부분의 염좌 및 긴장(S83.6)

기타 명시된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K52.8)52

발가락의 염좌 및 긴장(S93.5)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K52.9) 기타 및 상세불명의 발 부분의 염좌 및 긴장(S93.6)

29 자극성 장증후군(K58.0∼K58.9)

◦ 비교적 가벼운 질환으로 의원이 아닌 3차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을 분석한 이

진용 등(2014)의 연구에서는 경증 질환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의 3가지로 구분

하고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기도 하였음.

◦ 이 연구에서는 일차의료의 모든 질환보다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일반 국민이 의

료이용 하는 양상을 알고자 하는 것이므로 고혈압, 당뇨병을 대표적인 일차의료 관

련 질환으로 정의하고 의료기관 선택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

Page 15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6 -

2) 문항 구성

◦ 다음 문항은 의료기관 선택과 관련된 문항임.

­ 고혈압, 당뇨병 등 일상적인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어떤 의료기관을 이용하시겠습

니까? (질환을 앓고 있다면 실제 이용하신 기관을, 앓고 있지 않다면 실제 이용한

다고 가정하시고 답해주십시오)

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②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③ 대학(종합)병원 ④ Big 5병원(서울대/삼성/아산/세브란스/성모 등)

­ 귀하께서 선택하신 의료기관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습니까?

예 아니오

1 병의원까지 거리나 소요시간

2 병의원의 청결한 정도

3 병의원이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있는 것

4 주변 사람들의 평판

5 접수나 이용절차가 편리한 것

6 병의원의 의료비 수준

7 의료진이 친절한 것

8 진료 혹은 검사를 위해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것

9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공식적인 기관의 평가 결과

Page 15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7 -

나. 사회경제적 수준/질병 이환/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 고혈압과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을 때, 대부분의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

처의 중소병원’ 을 선호한다고 하였음. ‘서울’ 지역, ‘50대’, ‘판매/서비스직’ 에서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을 선호하였음. ‘농/임/어/축산업’ 에서는 ‘대학병원’

을 선호하였으나 표본 크기가 적어 그대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Page 15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8 -

사례수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 % % %

전체 (999) 31.1 37.4 23.0 8.5

거주

서울 (207) 32.6 31.0 24.5 11.9

인천/경기 (306) 27.6 38.3 23.5 10.7

대전/충청 (99) 34.3 35.4 26.3 4.0

광주/전라 (95) 25.6 44.6 23.5 6.3

대구/경북 (97) 34.8 44.8 17.5 2.9

부산/울산/경남 (156) 35.1 36.2 24.3 4.4

강원/제주 (39) 31.5 39.2 9.7 19.5

성별남성 (513) 30.3 36.5 23.5 9.7

여성 (486) 32.0 38.3 22.5 7.2

연령

20대 (229) 18.2 36.4 31.9 13.5

30대 (240) 25.0 38.6 26.5 9.9

40대 (275) 38.6 36.7 18.7 6.0

50대 (255) 40.4 37.9 16.3 5.3

건강

보험

형태

지역건강보험 (359) 29.2 38.1 21.5 11.3

직장건강보험 (564) 33.2 37.2 22.8 6.8

의료급여 (76) 24.6 36.3 31.2 7.9

주택

거주

형태

자가 (634) 33.5 35.5 23.2 7.8

전세 (201) 25.4 40.7 25.3 8.7

월세 (138) 29.4 40.2 18.9 11.4

무상 제공 (26) 26.5 43.1 22.7 7.7

학력

고졸이하 (177) 35.3 35.4 24.3 5.0

대학교재학/졸업 (730) 30.8 38.3 22.9 8.1

대학원재학/졸업이상 (92) 25.7 34.5 21.5 18.3

직업

농/임/어/축산업 (3) 35.7 0.0 64.3 0.0

자영업 (99) 31.2 37.8 20.1 10.8

판매/서비스직 (59) 39.1 35.5 18.5 6.8

기능/숙련공 (19) 36.6 47.8 15.6 0.0

일반작업직 (41) 25.5 48.2 21.8 4.5

사무기술직 (335) 32.1 34.6 25.1 8.2

경영관리직 (46) 37.5 43.6 14.6 4.3

전문/자유직 (65) 28.8 31.7 26.0 13.5

가정주부 (145) 36.1 38.9 18.2 6.9

학생 (108) 15.8 38.7 31.6 13.9

무직/기타 (80) 32.1 40.3 21.3 6.3

월평

균소

200 만원미만 (132) 34.7 35.9 22.6 6.8

200~400만원미만 (382) 28.8 39.4 24.6 7.2

400~600만원미만 (333) 31.1 36.9 22.3 9.8

600만원이상 (153) 33.9 34.9 20.8 10.4

표 72.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2) 질병 이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 고혈압과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을 때, 실제로 고혈압과 고지혈증,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을 선호한다고 응

답한 반면, ‘진단받은 적 없음’ 또는 ‘기타 질환’ 에서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

병원’ 을 선호한다고 하였음. 암, 간경변증과 같이 중증도가 높은 질환에서는 ‘대학

Page 15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39 -

병원’, ‘Big 5 병원’을 선호하여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선호하는 의료기관이 달라지

는 것을 알 수 있음.

사례수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 % % %

전체 (999) 31.1 37.4 23.0 8.5

고혈압 (146) 45.1 35.3 15.0 4.7

고지혈증 (135) 44.9 35.6 15.3 4.2

뇌졸중 (8) 36.4 38.2 25.5

협심증· 심근경색증 (21) 23.5 43.0 28.7 4.8

골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31) 32.1 35.7 19.5 12.7

폐결핵 (35) 20.8 42.5 28.5 8.2

천식 (35) 19.2 41.8 30.9 8.2

당뇨병 (43) 37.7 32.3 20.8 9.2

갑상선 장애 (38) 44.9 15.5 21.2 18.5

암 (8) 25.3 11.9 37.5 25.3

우울증 등 정신질환 (61) 15.9 38.7 29.3 16.1

신부전 (5) 58.7 20.6 20.6

간경변증 (13) 15.7 15.7 7.8 60.9

기타 질환 (133) 20.8 42.7 28.3 8.3

진단받은 적 없음 (522) 28.9 38.5 24.6 7.9

표 73. 질병 이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5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0 -

3) 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 고혈압과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을 때, 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

료기관 선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남.

­ 입원/외래 경험의 유무에 따라서는 모두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을 선호한

다고 응답하였음.

­ 입원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라서는, 동네의원 또는 중소병원에 입원했던 경우 중소병

원을, 대학병원에 입원했던 경우 대학병원을, Big 5 병원에 입원했던 경우 Big 5 병

원을 선호하였음.

­ 외래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라서는, 동네의원을 이용했던 경우 동네의원을, 중소병원

을 이용했던 경우 중소병원을, 대학병원을 이용헀던 경우 대학병원을, Big 5 병원을

이용했던 경우 Big 5 병원을 선호하였음.

­ 전체적으로는 이전에 이용했던 입원/외래 기관을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양상이

크게 나타나 의료기관의 선택이 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음.

◦ 이용했던 의료기관에 따른 만족도 및 의사 신뢰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남.

­ 입원은 Big 5 병원, 외래는 대학병원이 가장 높게 나타남. 동네의원은 입원 만족도와

신뢰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종합병원은 외래 만족도, 중소병원은 외래 의사 신뢰

도가 가장 낮게 나타남.

­ 동네의원 외래를 이용했던 경우, 만족도와 의사 신뢰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대

학병원에 이어 2위) 향후 만성질환 관리에서도 동네의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고혈압과 당뇨병, 고지혈증 환자에서도 동네의원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난 것을

고려할 때 동네의원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실제보다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음. 즉, 동네의원을 이용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동네의원보다는 중소병원에 대한

선호를 하는 반면, 동네의원을 이용한 사람들은 동네의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책적인 개입을 통해 1차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면 오히려 1차 의료기관

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함.

Page 15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1 -

사례수

집 혹은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만족도(5점만점)

의사신뢰도(5점만점)

% % % %

전체 (999) 31.1 37.4 23.0 8.5

입원 경험

없음 (836) 34.6 35.5 22.5 7.4

1회 (127) 13.2 49.6 24.1 13.1

2회 이상 (36) 13.9 39.6 30.4 16.2

외래 경험없음 (637) 31.1 38.2 21.6 9.1

있음 (362) 31.2 36.0 25.4 7.4

입원

의료기관

동네의원 (29) 10.4 41.5 30.9 17.2 3.03 3.20

중소병원 (85) 15.1 60.5 17.6 6.8 3.41 3.38

대학병원 (40) 12.6 32.9 44.6 9.9 3.50 3.52

Big5병원 (10) 10.2 9.5 80.3 3.60 3.60

외래

의료기관

동네의원 (217) 44.0 26.6 22.6 6.8 3.48 3.43

중소병원 (97) 9.2 65.2 20.5 5.1 3.40 3.39

대학병원 (37) 16.3 21.5 59.4 2.7 3.67 3.57

Big5병원 (10) 20.0 10.0 10.0 60.0 3.20 3.50

표 74. 이전 의료기관 이용 경험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5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2 -

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선택 영향 요인

◦ Big 5 병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한 요인은 다음과 같음.

­ 최신 시설 및 장비 > 주위 평판 > 의료서비스 평가 결과 > 청결 정도 > 의료비 수

준 > 거리 및 소요시간 > 의료진 친절성 >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 > 진료/검사

대기시간

◦ 종합(대학)병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한 요인은 다음과 같음.

­ 최신 시설 및 장비 > 주위 평판 > 의료비 수준 = 의료서비스 평가 결과 > 의료진

친절성 > 청결 정도 > 거리 및 소요시간 > 진료/검사 대기시간 > 접수 및 이용절

차 간편성

◦ 중소병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한 요인은 다음과 같음.

­ 최신 시설 및 장비 > 의료비 수준 > 거리 및 소요시간 > 의료진 친절성 > 청결 정

도 > 주위 평판 > 진료/검사 대기시간 >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 > 의료서비스

평가 결과

◦ 동네의원을 선택한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한 요인은 다음과 같음.

­ 거리 및 소요시간 > 의료진 친절성 > 의료비 수준 > 진료/검사 대기시간 > 최신

시설 및 장비 > 주위 평판 >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 > 청결 정도

◦ 전체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한 요인은 다음과 같음.

­ 최신 시설 및 장비 > 의료비 수준 > 주위 평판 > 거리 및 소요시간 > 의료진 친절

성 > 청결 정도 > 의료서비스 평가 결과 > 진료/검사 대기시간 > 접수 및 이용절

차 간편성

의료기관 (3점 만점)

거리 및

소요

시간

청결

정도

최신

시설

및 장비

주위

평판

접수 및

이용

절차

간편성

의료비

수준

의료진

친절성

진료

검사

대기

시간

의료

서비스

평가

결과

동네의원 평균 2.26 2.04 2.11 2.08 2.07 2.17 2.20 2.15 1.99N 311 311 311 311 311 311 311 311 311

중소병원 평균 2.13 2.07 2.17 2.04 1.93 2.14 2.08 2.00 1.91

N 374 374 374 374 374 374 374 374 374

대학병원 평균 1.96 2.04 2.40 2.22 1.87 2.16 2.06 1.92 2.16

N 230 230 230 230 230 230 230 230 230

Big 5

병원

평균 1.81 2.00 2.53 2.33 1.74 1.92 1.80 1.67 2.24N 85 85 85 85 85 85 85 85 85

전체 평균 2.10 2.05 2.24 2.12 1.94 2.13 2.09 2.00 2.02

N 999 999 999 999 999 999 999 999 999

표 75.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선택 영향 요인

Page 16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3 -

라. 영향 요인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1) 거리 및 소요시간

◦ 거리 및 소요시간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41.2%),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5.5%), 대학병원(16.9%), Big 5 병원(6.4%)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114 98 47 18 277

41.2% 35.5% 16.9% 6.4%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66 230 131 37 56429.5% 40.8% 23.2% 6.6%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8 41 49 26 143

19.3% 28.6% 34.2% 17.9%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4 3 4 14

20.6% 30.8% 20.8% 27.8%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31.1% 37.4% 23.0% 8.5% 100.0%

표 76. 거리 및 소요시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2) 청결 정도

◦ 청결 정도를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41.7%),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29.4%), 대학병원(21.0%), Big 5 병원(8.0%)의 순으로 응

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65 93 47 18 223

29.4% 41.7% 21.0% 8.0%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95 218 149 51 614

31.8% 35.6% 24.3% 8.3%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6 59 30 14 149

30.9% 39.8% 20.0% 9.3% 100.0%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3 4 2 13

28.9% 25.9% 30.1% 15.1%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77. 청결 정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6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4 -

3) 최신 시설 및 장비

◦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33.2%), 대학병원(28.7%),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24.8%), Big 5 병원(13.3%)

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

의 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96 128 110 51 38524.8% 33.2% 28.7% 13.3%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57 188 103 29 478

32.9% 39.4% 21.7% 6.0%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4 52 13 4 123

43.8% 42.6% 10.4% 3.2%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5 3 1 1329.7% 40.3% 22.5% 7.5%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78. 최신 시설 및 장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4) 주위 평판

◦ 주위 평판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30.5%),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0.3%), 대학병원(26.4%), Big 5 병원(12.9%)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96 95 83 40 314

30.5% 30.3% 26.4% 12.9%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52 207 120 34 513

29.6% 40.4% 23.5% 6.6% 100.0%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6 63 22 9 149

37.4% 42.3% 14.6% 5.8%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8 9 5 2 23

33.6% 36.4% 21.4% 8.6%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79. 주위 평판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6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5 -

5)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

◦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

의원(39.0%),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3.9%), 대학병원(21.2%), Big 5 병원

(5.9%)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78 68 43 12 201

39.0% 33.9% 21.2% 5.9%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81 218 117 44 560

32.4% 38.9% 20.8% 7.9%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6 81 68 24 21921.1% 37.2% 30.9% 10.9%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7 3 5 19

25.3% 33.5% 15.5% 25.8%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80. 접수 및 이용절차 간편성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6) 의료비 수준

◦ 의료비 수준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6.3%),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30.9%), 대학병원(25.5%), Big 5 병원(7.3%)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대학병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100 118 83 24 325

30.9% 36.3% 25.5% 7.3% 100.0%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66 192 105 36 499

33.2% 38.5% 21.1% 7.2%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2 62 37 19 159

26.5% 38.6% 23.1% 11.8%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3 5 6 16

17.7% 15.2% 30.5% 36.6% 100.0%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81. 의료비 수준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6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6 -

7) 의료진 친절성

◦ 의료진 친절성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37.3%),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5.0%), 대학병원(21.4%), Big 5 병원(6.3%)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104 98 60 18 279

37.3% 35.0% 21.4% 6.3%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66 211 125 39 542

30.7% 38.9% 23.1% 7.3%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7 63 43 21 16422.9% 38.4% 26.1% 12.6%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3 2 7 11

20.0% 17.4% 13.9% 48.7%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82. 의료진 친절성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8) 진료, 검사 대기시간

◦ 진료/검사 대기시간을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39.6%),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6.7%), 대학병원(18.8%), Big 5 병원(4.9%)

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96 89 46 12 243

39.6% 36.7% 18.8% 4.9%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70 205 125 38 538

31.6% 38.0% 23.3% 7.1%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1 72 53 30 196

20.7% 37.0% 27.0% 15.3% 100.0%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8 6 5 22

17.7% 33.4% 26.7% 22.3%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

31.1% 37.4% 23.0% 8.5% 100.0%

표 83. 진료/검사 대기시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6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7 -

9) 의료서비스 공식 평가 결과

◦ 의료 서비스 공식 평가 결과를 가장 크게 고려한 응답자는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

네의원(31.0%),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30.2%), 대학병원(26.5%), Big 5 병원

(12.3%)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전체 선택과 비교하면 대학병원, Big 5 병원은 평균보다 높았고, 집 혹은 직장 근처

의 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은 평균보다 낮았음.

집 혹은 직장근처의동네의원

집 혹은 직장근처의중소병원 대학병원 Big5병원 전체

큰 영향을 미쳤다 85 83 73 34 275

31.0% 30.2% 26.5% 12.3% 100.0%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49 189 125 39 50229.7% 37.6% 24.9% 7.8% 100.0%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5 87 27 10 189

34.3% 46.3% 14.1% 5.2% 100.0%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2 15 5 2 33

35.8% 43.3% 14.9% 6.0% 100.0%

전체 311 374 230 85 99931.1% 37.4% 23.0% 8.5% 100.0%

표 84. 의료서비스 공식 평가 결과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

Page 16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8 -

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

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음.

­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고 통계 패키지는 SPSS 22.0을 이

용하였음.

­ 주관적 건강수준의 5단계 중 ‘매우 건강하다’와 ‘건강한 편이다’ 를 1, ‘보통이다’, ‘건

강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건강하지 않다’를 0으로 코딩하여 이분형 변수를 생성한

후 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함.

◦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 주관적 건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

과만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음.

­ 스트레스에 따라서는,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거

의 느끼지 않는 사람보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약 0.34배로 낮음.

­ 만성질환에 따라서는, 만성질환을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주관

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0.37배로 낮음. 당뇨병과 갑상선 장애, 암이 없는 경우,

있는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각각 2.54배, 3.19배, 9.84배 높음.

단, 뇌졸중은 진단 받았을 때보다 진단 받지 않았을 때 주관적 건강수준이 0.06배로

낮음.

­ 의사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전혀 신뢰하지 않는 경우보다 주관적 건

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7.25배 높음.

­ 직장건강보험 가입자는 의료급여 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2.48배 높음.

­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에 비해서 중졸이하인 경우 주관적 건강수

준이 좋을 가능성이 9.90배 높게 나타남.

­ 직업에 따라서는 기타 직업에 비해 자영업(4.98배), 기능/숙련공(7.12배), 일반작업직

(5.04배), 사무기술직(4.16배), 가정주부(4.81배), 학생(6.03배)이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

을 가능성이 높음.

­ 소득에 따라서는 300-400만원 미만인 경우 600만원 이상에 비해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0.47배로 낮음.

­ 지역에 따라서는 강원/제주에 비해 인천/경기(0.36배), 대전/충청(0.28배)이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낮음.

­ 연령에 따라서는 50대에 비해 20대(2.89배), 30대(1.70배)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

을 가능성이 높음.

­ 비만도에 따라서는 비만에 비해 저체중이 2.12배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높음.

­ 사회적 관계에 따라서는 정서적 지지가 가장 많은 집단에 비해 하나도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0.43배로 낮음.

Page 16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49 -

­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는 참여단체 종류가 가장 많은 집단에 비해 하나도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 가능성이 0.48배로 낮음.

 OddsRatio

95% 신뢰구간 OddsRatio

95% 신뢰구간하한 상한 하한 상한

흡연여부

매일흡연 1.06 0.65 1.75

학력

중졸이하 9.90 2.07 47.36가끔흡연 1.03 0.55 1.95 고졸 0.94 0.45 1.95과거흡연 0.67 0.42 1.06 대학교재학/졸업 0.62 0.34 1.13

흡연하지않음 1.00     대학원재학/졸업이상 1.00    

음주여부

평생술마시지않음 0.75 0.28 2.04

직업

농업/임업/어업/축산업 6.27 0.51 76.49최근1년마시지않음 0.86 0.35 2.13 자영업 4.98 1.17 21.15한달에1번정도 1.25 0.57 2.72 판매/서비스직 3.95 0.91 17.09한달에2-4번 1.43 0.66 3.09 기능/숙련공 7.12 1.27 39.91일주일에2-3번 1.47 0.67 3.25 일반작업직 5.04 1.15 21.98일주일에4번이상 1.00     사무기술직 4.16 1.07 16.13

신체적활동(중등도)

0일 0.49 0.23 1.04 경영/관리직 3.16 0.71 14.111일 0.63 0.29 1.35 전문/자유직 2.21 0.52 9.392일 0.68 0.32 1.44 가정주부 4.81 1.20 19.283일 0.50 0.23 1.11 학생 6.03 1.36 26.724일 0.75 0.30 1.86 무직 1.94 0.41 9.085일 0.76 0.33 1.77 기타 1.00    6일 0.79 0.24 2.63

소득

100만원이하 0.34 0.11 1.017일 1.00     100~200만원미만 0.65 0.34 1.24

스트레스

매우많이느낀다 0.34 0.13 0.89 200~300만원미만 0.67 0.37 1.19많이느끼는편이다 0.64 0.27 1.53 300~400만원미만 0.47 0.27 0.81별로느끼지않는편이다 1.01 0.42 2.43 400~500만원미만 0.75 0.45 1.27거의느끼지않는다 1.00     500~600만원미만 0.93 0.53 1.64

만성질환

고혈압없음 1.30 0.76 2.24 600만원이상 1.00    있음 1.00    

지역

서 울 0.49 0.19 1.30

고지혈증 없음 0.67 0.39 1.18 인천/ 경기 0.36 0.14 0.93있음 1.00     대전 / 충청 0.28 0.10 0.79

뇌졸중 없음 0.06 0.01 0.29 광주 / 전라 0.74 0.26 2.06있음 1.00     대구 / 경북 0.40 0.14 1.12

협심증· 심근경색증없음 1.09 0.37 3.19 부산/울산/경남 0.43 0.16 1.12있음 1.00     강원 / 제주 1.00    

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

없음 2.56 0.72 9.07 성별 남 성 1.52 0.99 2.32있음 1.00     여 성 1.00  

폐결핵 없음 1.32 0.48 3.64

연령

2 0 대 2.89 1.55 5.39있음 1.00     3 0 대 1.70 1.03 2.81

천식없음 1.80 0.71 4.58 4 0 대 0.87 0.55 1.35있음 1.00     5 0 대 1.00    

당뇨병 없음 2.54 1.03 6.24비만도

저체중 2.12 1.02 4.40있음 1.00     정상체중 0.94 0.63 1.39

갑상선장애 없음 3.19 1.22 8.35 비만 1.00    있음 1.00    

사회적관계

물질적지지1

0 0.55 0.26 1.16

암없음 9.84 2.02 47.82 1 0.56 0.27 1.18있음 1.00     2 0.69 0.32 1.47

우울증등정신질환 없음 1.63 0.70 3.80 3 이상 1.00    있음 1.00    

물질적지지2

0 0.71 0.39 1.30

신부전 없음 2.45 0.31 19.63 1 0.84 0.43 1.65있음 1.00     2 0.72 0.37 1.42

간경변증없음 1.19 0.23 6.10 3 이상 1.00    있음 1.00    

정서적지지

0 0.43 0.25 0.74

기타질환 없음 0.91 0.49 1.70 1 0.70 0.41 1.19있음 1.00     2 0.81 0.48 1.34

진단받은적있음 0.37 0.21 0.66 3 이상 1.00    진단받은적없음 1.00    

물리적환경

참여단체종류

0 0.48 0.25 0.93

의사신뢰도

매우신뢰 7.25 1.23 42.73 1 0.72 0.37 1.39신뢰 2.18 0.61 7.85 2 0.67 0.34 1.31보통 1.22 0.34 4.34 3 이상 1.00    

신뢰하지않음 0.77 0.20 3.03

근린시설종류

0 0.87 0.43 1.79전혀신뢰하지않음 1.00     1 1.35 0.79 2.29

건강보험

지역건강보험 1.40 0.76 2.57 2 0.74 0.41 1.33직장건강보험 2.48 1.30 4.72 3 0.97 0.55 1.71의료급여(1, 2종) 1.00     4 0.96 0.60 1.56

5 이상 1.00

표 85.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로지스틱 회귀분석)

Page 16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0 -

나. 만성질환에 대한 종합적 분석

◦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음.

­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고 통계 패키지는 SPSS 22.0을 이

용하였음.

­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를 0으로 코딩하여 이

분형 변수를 생성한 후 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함.

◦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결과만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음.

­ 음주 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4번 이상 술을 마시는 경우에 비해 평생 술을 마시

지 않은 경우(0.23배), 최근 1년간 술을 마시지 않은 경우(0.22배) 고혈압 또는 당뇨

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스트레스에 따라서는,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는 경우 거의 느끼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10.8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의사에 대한 신뢰도에 따라서는, 전혀 신뢰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신뢰하지 않는 경

우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4.86배 높게 나타남.

­ 의료급여 수급자에 비해 지역건강보험 가입자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2.6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소득에 따라서는 600만원 이상에 비해 100만원 이하인 경우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5.8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2.9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에 따라서는 50대에 비해 20대(0.16배), 30대(0.31배), 40대(0.47배)가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비만도에 따라서는 비만에 비해 정상체중인 경우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0.43배로 낮

은 것으로 나타남.

­ 사회적 관계에 따라서는 물질적 지지 수준이 낮은 경우, 높은 경우보다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낮은(0.27배, 0.41배) 것으로 나타남. 역인과관계 가능성 배제할 수 없음.

­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는 참여단체 종류가 낮은 경우 가장 많은 경우에 비해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낮은(0.34배, 0.27배) 것으로 나타남. 역인과관계 가능성 배제할 수 없

음.

Page 16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1 -

 OddsRatio

95% 신뢰구간 OddsRatio

95% 신뢰구간하한 상한 하한 상한

흡연여부

매일흡연 0.98 0.51 1.89

소득

100만원 이하 5.85 1.65 20.77가끔흡연 1.18 0.57 2.46 100~200만원 미만 1.37 0.54 3.48과거흡연 1.26 0.68 2.35 200~300만원 미만 1.46 0.68 3.12

흡연하지 않음 1.00     300~400만원 미만 1.10 0.54 2.26

음주여부

평생 술 마시지 않음 0.23 0.06 0.83 400~500만원 미만 1.48 0.74 2.96최근 1년 마시지 않음 0.22 0.07 0.67 500~600만원 미만 0.79 0.36 1.75한 달에 1번 정도 0.47 0.21 1.04 600만원 이상 1.00    한 달에 2-4번 0.78 0.35 1.72

지역

서 울 1.51 0.44 5.18일주일에 2-3번 0.67 0.30 1.48 인 천 / 경기 1.62 0.48 5.47일주일에 4번 이상 1.00     대 전 / 충청 1.48 0.41 5.38

신체적활동(중등도)

0일 1.24 0.46 3.29 광 주 / 전라 1.91 0.53 6.821일 1.51 0.55 4.15 대 구 / 경북 1.11 0.29 4.182일 1.54 0.57 4.12 부산/울산/경남 1.12 0.32 3.903일 1.21 0.41 3.58 강 원 / 제주 1.00    4일 1.20 0.37 3.93 성별 남 성 2.99 1.61 5.545일 0.95 0.31 2.88 여 성 1.00    6일 1.27 0.35 4.61

연령

2 0 대 0.16 0.07 0.367일 1.00     3 0 대 0.31 0.17 0.56

스트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10.86 1.19 99.44 4 0 대 0.47 0.28 0.78많이 느끼는 편이다 7.58 0.84 68.68 5 0 대 1.00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5.26 0.58 47.97비만도

저체중 0.75 0.32 1.76거의 느끼지 않는다 1.00     정상체중 0.43 0.27 0.68

의사신뢰도

매우 신뢰 4.06 0.49 33.89 비만 1.00    신뢰 3.23 0.79 13.21

사회적관계

물질적지지1

0 0.27 0.12 0.62보통 2.18 0.54 8.78 1 0.41 0.18 0.92

신뢰하지 않음 4.86 1.06 22.30 2 0.45 0.19 1.04전혀 신뢰하지 않음 1.00     3 이상 1.00    

건강보험

지역 건강보험 2.69 1.04 6.97

물질적지지2

0 2.11 0.90 4.92직장 건강보험 2.23 0.81 6.09 1 1.75 0.68 4.50의료급여(1, 2종) 1.00     2 1.46 0.56 3.77

학력

중졸이하 0.59 0.01 30.05 3 이상 1.00    고졸 1.29 0.58 2.88

정서적지지

0 1.41 0.69 2.87대학교 재학/졸업 1.10 0.56 2.15 1 1.68 0.82 3.46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00     2 0.99 0.49 1.98

직업

농업/임업/어업/축산업 - - - 3 이상 1.00    자영업 1.14 0.27 4.79

물리적환경

참여단체종류

0 0.34 0.17 0.68판매/서비스직 0.83 0.18 3.87 1 0.27 0.13 0.55기능/숙련공 3.42 0.63 18.53 2 0.54 0.26 1.10일반작업직 1.70 0.36 8.13 3 이상 1.00    사무기술직 1.15 0.31 4.30

근린시설종류

0 0.52 0.14 1.96경영/관리직 1.70 0.39 7.48 1 1.59 0.83 3.04전문/자유직 3.15 0.75 13.12 2 1.53 0.74 3.15가정주부 0.87 0.19 3.92 3 1.05 0.53 2.06학생 1.81 0.33 9.88 4 0.80 0.44 1.47무직 0.61 0.12 3.20 5 이상 1.00    기타 1.00    

표 86.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로지스틱 회귀분석)

◦ 만성질환 전체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음.

­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고 통계 패키지는 SPSS 22.0을 이

용하였음.

­ 만성질환을 하나라도 가지고 있는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를 0으로 코딩하여 이분

형 변수를 생성한 후 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함.

◦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 만성질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만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음.

­ 흡연 여부에 따라서는 흡연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과거 흡연의 경우 만성질환이

1.77배 높게 나타남.

­ 스트레스에 따라서는 거의 느끼지 않는 경우에 비해 매우 많이 느끼는 경우 7.48배,

많이 느끼는 경우 5.41배, 별로 느끼지 않는 경우 3.32배로 만성질환이 높게 나타남.

­ 연령에 따라서는 50대에 비해, 20대(0.25배), 30대(0.39배), 40대(0.58배)에서 만성질환

이 낮게 나타남.

­ 비만도에 따라서는 비만에 비해 정상체중인 경우 만성질환 이환이 0.66배로 낮게 나

Page 16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2 -

타남.

­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는 참여단체 종류가 가장 많은 경우에 비해 없는 경우 0.25배,

1개인 경우 0.40배, 2개인 경우 0.48배로 만성질환이 낮게 나타남. 역인과관계 배제

할 수 없음.

 OddsRatio

95% 신뢰구간 OddsRatio

95% 신뢰구간하한 상한 하한 상한

흡연여부

매일흡연 1.01 0.64 1.60

소득

100만원 이하 1.30 0.48 3.51가끔흡연 1.19 0.68 2.08 100~200만원 미만 1.10 0.56 2.19과거흡연 1.77 1.14 2.77 200~300만원 미만 1.32 0.77 2.25

흡연하지 않음 1.00     300~400만원 미만 1.05 0.63 1.75

음주여부

평생 술 마시지 않음 0.56 0.22 1.44 400~500만원 미만 1.28 0.78 2.11최근 1년 마시지 않음 0.70 0.31 1.59 500~600만원 미만 1.06 0.61 1.85한 달에 1번 정도 0.58 0.28 1.18 600만원 이상 1.00    한 달에 2-4번 0.66 0.33 1.32

지역

서 울 0.92 0.38 2.26일주일에 2-3번 0.55 0.27 1.14 인 천 / 경기 0.74 0.31 1.77일주일에 4번 이상 1.00     대 전 / 충청 0.74 0.29 1.89

신체적활동(중등도)

0일 0.53 0.25 1.12 광 주 / 전라 0.67 0.25 1.761일 0.70 0.33 1.51 대 구 / 경북 0.39 0.15 1.032일 0.64 0.30 1.34 부산/울산/경남 0.55 0.22 1.363일 0.77 0.36 1.66 강 원 / 제주 1.00    4일 0.81 0.34 1.89 성별 남 성 1.43 0.97 2.115일 1.02 0.43 2.40 여 성 1.00    6일 0.74 0.26 2.08

연령

2 0 대 0.25 0.14 0.447일 1.00     3 0 대 0.39 0.25 0.62

스트레스

매우 많이 느낀다 7.48 2.65 21.14 4 0 대 0.58 0.39 0.87많이 느끼는 편이다 5.41 2.07 14.14 5 0 대 1.00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3.32 1.25 8.81비만도

저체중 1.20 0.64 2.23거의 느끼지 않는다 1.00     정상체중 0.66 0.45 0.98

의사신뢰도

매우 신뢰 4.78 0.76 30.15 비만 1.00    신뢰 1.69 0.49 5.89

사회적관계

물질적지지1

0 0.84 0.43 1.63보통 1.17 0.34 4.02 1 0.89 0.45 1.75

신뢰하지 않음 2.73 0.73 10.17 2 0.91 0.46 1.79전혀 신뢰하지 않음 1.00     3 이상 1.00    

건강보험

지역 건강보험 1.42 0.77 2.64

물질적지지2

0 1.45 0.80 2.61직장 건강보험 1.23 0.66 2.30 1 1.26 0.66 2.41의료급여(1, 2종) 1.00     2 1.18 0.62 2.25

학력

중졸이하 3.30 0.53 20.75 3 이상 1.00    고졸 0.75 0.38 1.49

정서적지지

0 1.10 0.62 1.93대학교 재학/졸업 0.63 0.36 1.12 1 1.02 0.60 1.72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1.00     2 0.72 0.44 1.20

직업

농업/임업/어업/축산업 0.37 0.01 20.91 3 이상 1.00    자영업 1.40 0.48 4.05

물리적환경

참여단체종류

0 0.25 0.13 0.48판매/서비스직 1.17 0.38 3.55 1 0.40 0.20 0.79기능/숙련공 2.16 0.52 8.91 2 0.48 0.24 0.95일반작업직 1.38 0.44 4.32 3 이상 1.00    사무기술직 1.00 0.37 2.71

근린시설종류

0 0.80 0.36 1.79경영/관리직 1.22 0.36 4.15 1 0.93 0.57 1.52전문/자유직 1.87 0.62 5.59 2 1.57 0.91 2.70가정주부 1.05 0.38 2.93 3 0.95 0.58 1.55학생 1.09 0.34 3.45 4 0.77 0.49 1.22무직 2.29 0.73 7.22 5 이상 1.00    기타 1.00    

표 87. 만성질환(전체)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로지스틱 회귀분석)

Page 17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3 -

다. 주관적 건강수준과 질병이환 상태에 대한 분석 비교

◦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 신뢰도가 낮은 경우, 의료급여인

경우, 학력이 낮은 경우, 소득이 높은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체중이 낮은 경우, 사

회물리적 환경이 안 좋은 경우

◦ 객관적 건강수준(전체 만성질환)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 과거 흡연의 경우,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비만인 경우, 물리적 환경이 풍부한 경우

◦ 건강의 주관적 상태인 ‘주관적 건강수준’ 과 객관적 상태 ‘질병 이환’을 비교하면 다

음과 같음.

­ 스트레스는 건강의 주관적 및 객관적 상태 모두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스

트레스의 정도가 심할수록 건강수준이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남.

­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건강의 주관적 상태와 더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음.

­ 연령이 낮은 경우는, 주관적 및 객관적 상태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남.

­ 사회적 및 물리적 환경이 충분한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객관적 건강수준인 질병 이환은 안 좋은 방향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

과관계의 규명이 필요함. 설문조사가 단면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사회물리적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음.

Page 17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4 -

Page 17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5 -

제4장. 사회의학 분야 연구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1.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

가. 연구주제 설정 및 발굴의 필요성

◦ 국내 보건관련 학술지의 연구 양상을 보면, 주로 보건의료 사업과 보건의료 재정과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고, 보건의료 정보 및 인력, 행태와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

로 적게 수행되었음(최용준, 2001).

그림 37. 우리나라 보건관련연구의 연구 영역별 빈도 (최용준, 2001)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 양상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주로 의약품 및 의생명과학

및 임상의학, 치료에 관련된 연구가 많음(박은자 등, 2013). 이는 인체 생리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환경, 보건의료조직, 생활양식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줌.

­ 생활습관, 환경, 의료제도에 대한 연구 중에서도 인체 생리나 의학적으로 건강과 밀

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음. 건강증진기금의 지원을 받

는 건강증진연구사업에 건강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도 있지만, 인체 생리와의 직접적

인 관련성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편임.

◦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에서 보면, 공급자 영역의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된 반면, 수요

자 입장에서의 연구는 부족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서는 1999년 발간된 보고서를 통해, 보건의료체계의 목표(health system goals)를 건

Page 17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6 -

강수준, 재원 기여에서의 공정성과 함께 보건의료체계 반응도(health system

responsiveness)를 높이는 것으로 정의하여 의료체계가 수요자, 즉 환자의 기대에 부

응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함(Murray 등, 1999).

◦ 생활습관이 조기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조기 사망의 약 50% 이상

이 생활습관과 관련 있으며, 인체 생리의 영향은 16.4%라고 보고함(Corbin 등,

1999). 하지만 국내 수행되고 있는 연구는 주로 인체 생리에 대한 연구이며 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합리적인 근거도 마련되어 있지 않음.

­ 국내외 연구현황을 기초로 보건의료행태 및 의사-환자 관계 등 건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주제들이 부각될 수 있음.

◦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연구기간 및 재원마련 등의 문제로 수행되지 못하

고 간과되는 주제들을 발굴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현실적인 문제가 아닌 국민의 건

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우선순위 설정과 그에 따른 사회의학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

나. 연구 우선순위 설정방법

◦ 연구 우선순위 설정에는 ‘연구 우선순위 설정방법(research priority setting method)’

이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WHO에서도 이와 관련된 자료를 발간함. 연구 우선

순위 설정에는 다음 3가지 범주가 고려됨.

­ 1) 공공의 건강 이익(public health benefit)

­ 2) 비용(cost)

­ 3) 타당성(feasibility)

그림 38. 연구 우선순위 설정의 3가지 범주(Roderik FV et al, 2010)

◦ 기존의 사회의학 연구 우선순위 설정은, '공공의 건강 이익(public health benefit)'

보다는 '비용(cost)' 과 '타당성(feasibility)' 위주로 이루어졌음.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제껏 충분히 파악되지 않았던 공공의 건강 이익을 중심으로 연구 우선순위 설정

Page 17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7 -

에 대해 우선적으로 접근하고자 함.

◦ 공공의 건강 이익(public health benefit)은 일반국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평가하고자 함.

­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연구 우선순위를 직접 조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보건의

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일반 국민 관점에서 중요하

게 생각하는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음. 보건의료체계 구

성요소와 건강 관련 가치를 활용하여 도출한 개념과 지표를 이용하여, 사회의학 영

역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함.

다. 사회의학 분야 구성요소 및 주요 가치

◦ 사회의학을 구성하는 영역인 주요 구성요소는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소(A, B, C, E,

F)와 건강 및 건강 관련 행태(D)로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음.

그림 39. 사회의학의 영역

­ 보건의료체계의 5가지 구성요소는 의료자원의 개발(development of health

resources), 자원의 조직화(organized arrangement of resources), 의료서비스의 제공

(delivery of health care), 재정적 지원(economic support), 정책 및 관리

(management)로 이루어져 있음. 구성요소는 위험 집단을 구성하는 인구 및 물리적·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됨.

Page 17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8 -

그림 40. 국가보건의료체계의 모형: 구조와 기능적 상호관계(Kleczkowski, 1984)

◦ 사회의학 분야 주요 가치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등의 지표는 다음과 같음.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투입 및 과정(input and

process), 산출(output), 결과(outcome), 영향(impact) 등의 지표를 이용하여 보건의료

체계를 감시하고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음.

그림 41. 보건의료체계 감시 지표(WHO, 2010)

Page 17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59 -

그림 42.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소와 목표(WHO, 2010)

그림 43. 국가 보건의료 분야 감시 및 평가(Monitoring and evaluation) 전략 주요 지표(WHO, 2011)

Page 17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0 -

◦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및 각 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건의료 성과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음.

­ 수용성(acceptability)

­ 접근성(accessibility)

­ 적절성(appropriateness)

­ 치료시설 및 환경(care environment and amenities)

­ 역량(competence or capability)

­ 연속성(continuity)

­ 효과성 또는 건강증진(effectiveness or improving health or clinical focus)

­ 비용(expenditure or cost)

­ 효율성(efficiency)

­ 형평성(equity)

­ 거버넌스(governance)

­ 반응성 또는 환자중심성(responsiveness or patient-centeredness or patient focus)

­ 안전성(safety)

­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 즉시성(timeliness)

표 89. 보건의료 성과평가 지표의 국가별 비교(Onyebuchi et al, 2006)

Page 17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1 -

◦ 한국의료패널 조사에는 보건의료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설문에서 다음 6가지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문항과 연결할 수 있는 가치는 다음과 같음.

① 본인부담: 수용성(acceptability), 접근성(accessibility), 비용(expenditure), 지속가능

성(sustainability)

② 대기시간: 접근성(accessibility), 치료환경(care environment), 연속성(continuity),

효율성(efficiency), 거버넌스(governance), 반응성(responsiveness), 즉시성(timeliness)

③ 질적 수준: 적절성(appropriateness), 역량(competence), 효과성(effectiveness), 지

속가능성(sustainability)

④ 친절성: 반응성(responsiveness)

⑤ 국가 의료비: 비용(expenditure), 효율성(efficienc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⑥ 불평등: 접근성(accessibility), 형평성(equity), 거버넌스(governance)

그림 44. 한국의료패널의 보건의료체계 관련 문항

◦ 최근 건강에 있어 반응성(responsiveness) 개념이 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음.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00년 세계보건 보고서(world health report)에서 보건

의료체계 반응도(health system responsiveness)를 보건의료체계의 세 가지 목표로

포함함(WHO, 2000).

­ 미국 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 IOM)은 이상적인 보건의료가 갖추어야 할 요건

의 하나로 환자 중심성(patient-centeredness)을 안전성(safety), 효과성(effectiveness),

적시성(timeliness), 효율성(efficiency), 형평성(equity)과 함께 제시함(IOM, 2001).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보건의료 성과 영역을 의료의 질(quality), 접근성

(access), 비용(cost)으로 구분하였고, 질을 구성하는 요소로 효과성, 안전성, 반응성/

환자중심성(responsiveness/patient-centeredness)로 구분함(OECD, 2006).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반응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다음과 같은 속성을 제시함

(WHO, 2000).

­ 개인에 대한 존중(respect for persons)·존엄성(dignity)·보안성(confidentiality)·자율성

(autonomy)

­ 이용자 지향(client orientation)

Page 17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2 -

· 신속한 관심(prompt attention) · 기본 시설의 질(quality of basic amenities)

·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의 접근성(access to social support networks)

· 의료제공자 선택(choice of provider)

표 90. 반응성 측정 지표의 각 국 비교 (출처: De silva, 2000. WHO)

­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과 세계보건기구(WHO)에

서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등을 통해 강조되고 있음.

특히 개발도상국과 같이 의료비 지출이 증가되고 있는 국가에서 중요시되고 있는데

한국은 총 의료비 지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로 인한 수가제도의 개편

등도 논의되고 있어 국내 의료상황을 고려하면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음.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검토를 통하여, 사회의학 영역에서 건강 향상을 위해 추

구해야 할 주요 가치를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함.

­ 1) 효과성(effectiveness)

­ 2) 형평성(equity)

­ 3) 반응성(responsiveness)

­ 4)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Page 18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3 -

◦ 보건의료체계의 5가지 구성요소와 건강 향상을 위해 추구해야 할 4가지 가치를 결

합하여 사회의학 영역에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구분으로 사용함. 궁극적 목표인

건강수준의 향상은 이 가치들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14가지의

주제를 도출함.

­ 효과성(effectiveness)

1)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2)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3) 건강 증진과 질병예방을 포함한 포괄적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4)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있어야 한다.

­ 형평성(equity)

5)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7) 경제적 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비용이 부담되어야 한다.

­ 반응성(responsiveness)

8) 친절한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9)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10)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환자 관계가 바로 서야 한다.

­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11)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 유지되어야 한다.

12)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양성되고 유지되어야 한

다.

13) 국민의료비가 제대로 관리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14)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Page 18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4 -

가치

구성 요소

효과성(effectiveness)

형평성(equity)

반응성(responsiveness)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의료자원의개발

(developmentof healthresources)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있어야 한다.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 유지되어야 한다.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양성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자원의 조직화(organizedarrangementof resources)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의료서비스의제공

(delivery ofhealth care)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친절한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환자 관계가 바로 서야 한다.

건강 증진과 질병예방을 포함한 포괄적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재정적 지원(economicsupport)

경제적 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비용이 부담되어야 한다.

국민의료비가 제대로 관리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정책 및 관리(management)

표 88.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개념 및 지표 설정

참고문헌: De Silva A and N Valentine. A framework for measuring responsiveness. 2000.

신영수, 김용익 등. 의료관리. 2013.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2000.

Hurst J and Melissa J.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OECD

health systems. 2001.

WHO. Everybody's business-strengthening health systems to improve health

outcomes: WHO's framework for action. 2007.

Page 18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5 -

◦ 사회의학 주요 구성요소와 가치로 도출한 지표 이용하여 설문조사 문항을 개발함.

­ 다음은 의료 환경에 대한 항목들입니다. 귀하께서 판단하시기에 어느 정도 중요한지

생각하시고 5점부터 1점까지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5점은 ‘매우 중

요하다’, 4점은 ‘중요하다’, 3점은 ‘보통이다’, 2점은 ‘중요하지 않다’, 1점은 ‘전혀 중

요하지 않다’ 를 나타냅니다.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5 4 3 2 1

1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

다.

2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

되어야 한다.

3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

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5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6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7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8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

어야 한다.

9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10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1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12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13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

14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Page 18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6 -

2. 일반인 대상 우선순위 설정

◦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대해 전문가 관점이 아닌,

일반 국민 관점에서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 우선순위 설정을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남.

5점 4점 3점 2점 1점

평균매우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보통

이다

중요

하지

않다

전혀

중요

하지

않다

% % % % % 점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37.4 49.0 12.0 1.4 0.2 4.22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53.7 35.6 8.0 2.6 0.2 4.40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33.6 49.3 14.8 2.1 0.2 4.14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42.9 42.1 12.9 1.5 0.6 4.25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41.0 46.0 11.4 1.3 0.3 4.26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49.0 39.7 9.5 1.6 0.2 4.36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40.3 45.9 12.0 1.3 0.5 4.24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43.5 43.6 11.5 1.0 0.5 4.29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51.5 36.6 10.3 1.3 0.4 4.37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44.3 44.0 10.0 1.4 0.3 4.31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39.9 48.4 10.1 1.4 0.3 4.26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40.7 46.0 11.8 1.2 0.3 4.26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42.8 42.8 12.3 1.6 0.5 4.26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41.3 45.9 11.1 1.4 0.3 4.27

표 89.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Page 18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7 -

◦ 설문 조사 결과, 일반 국민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중요성을 평가하였음.

- 동점의 경우에는 매우 중요하다가 많은 순

1)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40점) -효과성

2)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4.37점) -지속가능성

3)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4.36점) -반응성

4)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31점) -효과성

5)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4.29점) -반응성

6)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4.27점) -지속가능성

7)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 (4.26점)

-형평성

8)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26점) -반응성

9)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4.26점) -지속가능성

10)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4.26점) -지속가능성

11)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25점) -

형평성

12)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24점) -형평성

13)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4.22점) -효과성

14)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14

점) -효과성

◦ 일반인 인식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가치에 대한 동

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같은 인식은 올해 발생한 메르스 사태의 영

향도 개입된 것으로 판단됨.

­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충족되어야 한다.’는 가치에 대한 동의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이들 가치에 대한 국민의 높은 동의는 의사(의료기관)와 환자 간의 직접적인 대면

관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과

크게 대조됨. 즉 일반 국민이 기대하는 보건의료체계의 가치와 기존 국내 사회의학

연구 현황과는 큰 괴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음.

­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가치에 대한 동의율도 높은 것

으로 나타났음. 기존 사회의학 연구에서 보건의료재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치에 대한 국민의 동의가 높은 것은

의료비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국민의 불만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의학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치에 대한 동의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가치는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가 아니라 임상의학 분야의

Page 18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8 -

연구를 통해서 충족될 수 있지만,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크다

는 사실은 확인할 수 있음.

그림 45.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

Page 18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69 -

단위: 점 평균

성별 연령 학력 경제적 수준

남성 여성 20대 30대 40대 50대고졸

이하

대학교

재학/

졸업

대학원

재학/

졸업

이상

200만원

미만

200-

400만원

미만

400-

600만원

미만

600만원

이상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4.22 4.16 4.28 4.17 4.12 4.29 4.28 4.33 4.19 4.26 4.18 4.19 4.27 4.21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40 4.33 4.47 4.41 4.29 4.42 4.47 4.52 4.37 4.37 4.45 4.34 4.44 4.41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4.14 4.09 4.19 4.09 4.05 4.14 4.27 4.24 4.11 4.17 4.23 4.10 4.13 4.19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4.25 4.23 4.27 4.20 4.16 4.33 4.31 4.39 4.22 4.29 4.32 4.24 4.25 4.24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26 4.23 4.29 4.29 4.15 4.26 4.33 4.30 4.24 4.34 4.17 4.25 4.30 4.29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4.36 4.32 4.40 4.34 4.26 4.34 4.48 4.43 4.34 4.38 4.31 4.31 4.42 4.38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24 4.20 4.29 4.28 4.12 4.28 4.28 4.38 4.21 4.19 4.30 4.22 4.28 4.17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4.29 4.23 4.34 4.30 4.21 4.30 4.32 4.39 4.26 4.27 4.27 4.27 4.28 4.35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4.37 4.32 4.43 4.39 4.32 4.36 4.43 4.45 4.36 4.32 4.35 4.37 4.38 4.40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31 4.26 4.35 4.30 4.24 4.29 4.40 4.38 4.29 4.33 4.31 4.26 4.32 4.39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4.26 4.21 4.32 4.27 4.23 4.26 4.29 4.35 4.24 4.27 4.36 4.22 4.25 4.29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4.26 4.24 4.27 4.29 4.21 4.24 4.28 4.32 4.24 4.25 4.28 4.22 4.27 4.30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4.26 4.21 4.30 4.22 4.22 4.27 4.31 4.34 4.24 4.22 4.23 4.25 4.26 4.29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4.27 4.19 4.35 4.30 4.21 4.28 4.28 4.33 4.25 4.25 4.27 4.25 4.28 4.27

표 90.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요인별 분석1]

Page 18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0 -

단위: 점 평균

만성질환 지역

전체

고혈압고지

혈증당뇨병 우울증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충청

광주/

전라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만성

질환

있음

만성

질환

없음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4.22 4.25 4.19 4.14 4.22 4.24 4.21 4.21 4.25 4.29 4.14 4.23 4.15 4.36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40 4.45 4.36 4.36 4.38 4.54 4.42 4.41 4.44 4.49 4.17 4.41 4.32 4.63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4.14 4.18 4.11 4.06 4.18 4.23 4.15 4.18 4.11 4.19 4.01 4.19 4.12 4.29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4.25 4.29 4.22 4.21 4.25 4.40 4.39 4.13 4.30 4.30 4.23 4.26 4.25 4.39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26 4.28 4.24 4.15 4.27 4.14 4.35 4.24 4.26 4.34 4.13 4.28 4.27 4.39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4.36 4.39 4.32 4.32 4.38 4.30 4.39 4.37 4.43 4.33 4.18 4.31 4.31 4.50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24 4.24 4.25 4.10 4.19 4.23 4.22 4.25 4.22 4.26 4.19 4.32 4.16 4.58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4.29 4.32 4.25 4.18 4.33 4.36 4.48 4.28 4.31 4.27 4.20 4.32 4.24 4.47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4.37 4.41 4.34 4.27 4.40 4.36 4.47 4.40 4.42 4.38 4.21 4.37 4.33 4.43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31 4.35 4.27 4.26 4.36 4.32 4.37 4.31 4.29 4.41 4.19 4.29 4.31 4.39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4.26 4.27 4.25 4.11 4.24 4.31 4.44 4.20 4.28 4.31 4.18 4.20 4.29 4.53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4.26 4.28 4.24 4.15 4.23 4.26 4.34 4.26 4.25 4.29 4.10 4.22 4.28 4.52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4.26 4.28 4.23 4.22 4.25 4.15 4.24 4.24 4.26 4.25 4.13 4.25 4.30 4.48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4.27 4.28 4.25 4.07 4.24 4.21 4.37 4.26 4.26 4.27 4.20 4.24 4.29 4.47

표 91.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대국민 설문 결과(전체 대상자) [요인별 분석2]

Page 18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1 -

◦ 성별에 따른 차이

­ 전체 순위와 비교하면 남성에서는 의료인력, 여성에서는 의료시설, 지역적 형평성,

양질의 의료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음(2순위 이상 차이 항목).

­ 남성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33), 의사 환자 신뢰(4.32), 효율적 의료비 사용(4.32),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26), 의료인력(4.24), 경제적 형평성(4.23), 충분한 정보제공

(4.23), 친절한 의료(4.23), 공평한 부담(4.21), 의료시설(4.21), 지역적 형평성(4.20), 안

정적 재정 확보(4.19), 양질의 의료(4.16), 폭 넓은 서비스(4.09)의 순

­ 여성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7), 효율적 의료비 사용(4.43), 의사 환자 신뢰(4.40),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5), 안정적 재정 확보(4.35), 충분한 정보 제공(4.34), 의료시

설(4.32), 공평한 부담(4.30), 지역적 형평성(4.29), 친절한 의료(4.29), 양질의 의료

(4.28), 경제적 형평성(4.27), 의료인력(4.27), 폭 넓은 서비스(4.19)의 순

그림 46.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성별)

Page 18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2 -

◦ 연령에 따른 차이(상위 5개 항목)

­ 전체 순위와 비교하면 30대에서는 의료시설, 40대에서는 경제적 형평성, 50대에서는

의사 환자 신뢰, 친절한 의료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음. 30대에서는 효율적 의료

비 사용이 1순위로 나타남.

­ 20대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1), 효율적 의료비 사용(4.39), 의사 환자 신뢰(4.34),

충분한 정보 제공(4.30), 안정적 재정 확보(4.30)의 순

­ 30대에서는 효율적 의료비 사용(4.32), 안전한 의료서비스(4.29), 의사 환자 신뢰(4.26),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24), 의료시설(4.23)의 순

­ 40대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2), 효율적 의료비 사용(4.36), 의사 환자 신뢰(4.34),

경제적 형평성(4.33), 충분한 정보 제공(4.30)의 순

­ 50대에서는 의사 환자 신뢰(4.48), 안전한 의료서비스(4.47), 효율적 의료비 사용(4.43),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40), 친절한 의료(4.33)의 순

그림 47.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연령)

Page 19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3 -

◦ 학력에 따른 차이(상위 5개 항목)

­ 전체 순위와 비교하면 고졸 이하에서는 경제적 형평성,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에서

는 의사 환자 신뢰, 친절한 의료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음.

­ 고졸 이하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52), 효율적 의료비 사용(4.45) 의사 환자 신뢰

(4.43), 충분한 정보 제공(4.39), 경제적 형평성(4.39)의 순

­ 대학교 재학/졸업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37), 효율적 의료비 사용(4.36), 의사 환

자 신뢰(4.34),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29), 충분한 정보 제공(4.26)의 순

­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에서는 의사 환자 신뢰(4.38), 안전한 의료서비스(4.37), 친절한

의료(4.34),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3), 효율적 의료비 사용(4.32)의 순

그림 48.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학력)

Page 19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4 -

◦ 소득에 따른 차이(상위 5개 항목)

­ 전체 순위와 비교하면 200만원 이하에서는 의료시설, 경제적 형평성, 400~600만원

이하에서는 친절한 의료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였고, 200~400만원 이하에서는 효율

적 의료비 사용이 1순위로 나타남.

­ 200만원 이하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5), 의료시설(4.36), 효율적 의료비 사용

(4.35), 경제적 형평성(4.32), 의사 환자 신뢰(4.31)의 순

­ 200~400만원 이하에서는 효율적 의료비 사용(4.37), 안전한 의료서비스(4.34), 의사 환

자 신뢰(4.31), 충분한 정보 제공(4.27),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26)의 순

­ 400~600만원 이하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4), 의사 환자 신뢰(4.42), 효율적 의료

비 사용(4.38),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2), 친절한 의료(4.30)의 순

­ 600만원 이상에서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1), 효율적 의료비 사용(4.40),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9), 의사 환자 신뢰(4.38), 충분한 정보 제공(4.35)의 순

그림 49.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소득수준)

Page 19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5 -

◦ 만성질환에 따른 차이(상위 5개 항목)

­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40), 효율적 의료비 사용(4.37), 의사

환자 신뢰(4.36),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1), 충분한 정보 제공(4.29)의 순으로 나타

남.

­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안전한 의료서비스(4.36), 효율적 의료비 사용(4.34), 의사

환자 신뢰(4.32),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27), 충분한 정보 제공(4.25)의 순으로 나타

남.

그림 50.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만성질환)

Page 19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6 -

◦ 지역에 따른 차이(상위 5개 항목)

­ 서울 지역은 안전한 의료서비스(4.41), 효율적 의료비 사용(4.40), 의사 환자 신뢰

(4.37),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1), 충분한 정보 제공(4.28)의 순으로 나타남.

­ 인천/경기 지역은 안전한 의료서비스(4.44), 의사 환자 신뢰(4.43), 효율적 의료비 사

용(4.42), 충분한 정보 제공(4.31), 경제적 형평성(4.30)의 순으로 나타남.

­ 대전/충청 지역은 안전한 의료서비스(4.49),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41), 효율적 의료

비 사용(4.38), 친절한 의료(4.34), 의사 환자 신뢰(4.33)의 순으로 나타남.

­ 광주/전라 지역은 경제적 형평성(4.23), 효율적 의료비 사용(4.21), 충분한 정보 제공

(4.20), 안정적 재정 확보(4.20),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19)의 순으로 나타남.

­ 대구/경북 지역은 안전한 의료서비스(4.41), 효율적 의료비 사용(4.37), 충분한 정보

제공(4.32), 지역적 형평성(4.32), 의사 환자 신뢰(4.31)의 순으로 나타남.

­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효율적 의료비 사용(4.33), 안전한 의료서비스(4.32), 의사 환

자 신뢰(4.31),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4.31), 공평한 부담(4.30)의 순으로 나타남.

­ 강원/제주 지역은 안전한 의료서비스(4.63), 지역적 형평성(4.58), 의료시설(4.53), 의

료인력(4.52), 의사 환자 신뢰(4.50)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51.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가치에 대한 국민의 인식(지역)

Page 19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7 -

3.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 사회의학 분야 전문가 총 19명에게 일반인이 평가한 것과 동일한 항목들에 대해 의

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전문가들은 경제적 형평성을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고, 폭 넓은 서비스를 2위,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3위로 평가하였음. 4위부터는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보험료 부담, 양질의 의료, 의료인력 적정 공급, 지역적 형평성, 의료시설 적정 공급,

의사-환자 신뢰, 효율적 의료비 사용, 충분한 정보제공,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 친절

한 의료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남.

5점 4점 3점 2점 1점

순위매우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보통

이다

중요

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

% % % % % 일반인 전문가

질높은의료서비스(양질의의료)가

제공되어야한다.

전문가 47.4 42.1 10.513 6

일반인 37.4 49.0 12.0 1.4 0.2

의료사고나부작용없는안전한

의료서비스가제공되어야한다.

전문가 57.9 31.6 10.51 3

일반인 53.7 35.6 8.0 2.6 0.2

치료뿐만아니라예방·상담·재활등폭넓은

서비스가제공되어야한다.

전문가 57.9 36.8 5.314 2

일반인 33.6 49.3 14.8 2.1 0.2

경제적능력에상관없이필요한

의료서비스를이용할수있어야한다.

전문가 73.7 21.1 5.311 1

일반인 42.9 42.1 12.9 1.5 0.6

환자에게친절한의료서비스가제공되어야

한다.

전문가 10.5 42.1 47.48 14

일반인 41.0 46.0 11.4 1.3 0.3

의사와환자사이에신뢰가형성되어야한다.전문가 21.1 73.7 5.3

3 10일반인 49.0 39.7 9.5 1.6 0.2

지역에상관없이필요한의료서비스를

이용할수있어야한다.

전문가 52.6 21.1 21.1 5.312 8

일반인 40.3 45.9 12.0 1.3 0.5

충분한정보제공을통해환자의알권리가

보장되어야한다.

전문가 31.6 52.6 15.85 12

일반인 43.5 43.6 11.5 1.0 0.5

의료비가낭비없이효율적으로사용되어야

한다.

전문가 21.1 73.7 5.32 11

일반인 51.5 36.6 10.3 1.3 0.4

의학지식과기술의발전이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전문가 10.5 68.4 21.14 13

일반인 44.3 44.0 10.0 1.4 0.3

국민의의료이용을보장하기위해

의료시설이적정하게공급·유지되어야한다.

전문가 26.3 68.4 5.36 9

일반인 39.9 48.4 10.1 1.4 0.3

국민의의료이용을보장하기위해

의료인력이적정하게공급·유지되어야한다.

전문가 31.6 63.2 5.310 7

일반인 40.7 46.0 11.8 1.2 0.3

경제적능력에맞게공평하게건강보험료등

의료재정을부담해야한다.

전문가 52.6 36.8 10.59 5

일반인 42.8 42.8 12.3 1.6 0.5

의료를위한재정이안정적으로확보되어야

한다.

전문가 52.6 42.1 5.37 4

일반인 41.3 45.9 11.1 1.4 0.3

표 92.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 조사 결과(일반인 조사와의 비교)

Page 19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8 -

◦ 전문가와 일반인이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 위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전문가는 경제적 형평성, 폭 넓은 서비스,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보험료 부

담, 양질의 의료, 의료인력 확보, 지역적 형평성을 일반인보다 높게 평가함.

­ 일반인은 안전한 의료서비스, 효율적 의료비 사용, 의사-환자 신뢰,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 충분한 정보제공, 의료시설 확보, 친절한 의료서비스를 전문가보다 높게 평가

함.

◦ 1차로 시행한 전문가와 일반인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전문가에게 제시하고, 그 결과

를 바탕으로 2차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

과 같음.

­ 1차 전문가 조사에서 1위와 2위로 나타났던 경제적 형평성과 폭 넓은 의료가 공동

1위로 나타남. 1차 전문가 조사와 비교할 때 순위가 올라간 항목은 공평함 보험료

부담, 의료시설 적정 공급, 지역적 형평성, 의사-환자 신뢰, 충분한 정보제공이었고

순위가 내려간 항목은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양질의 의료, 의료인력 적정 공급이었

음.

◦ 2차 전문가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반인이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은 다음과 같음.

­ 전문가는 경제적 형평성, 폭 넓은 서비스,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보험료 부

담, 양질의 의료, 지역적 형평성을 일반인보다 높게 평가함.

­ 일반인은 안전한 의료서비스, 효율적 의료비 사용, 의사-환자 신뢰, 의학지식과 기술

발전, 충분한 정보제공, 친절한 의료서비스를 전문가보다 높게 평가함.

­ 의료시설 확보는 1차 조사에서는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는데

2차 조사에서는 우선순위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남.

­ 의료인력 확보는 1차 조사에서는 전문가가 일반인보다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는데

2차 조사에서는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우선순위를 높게 평가함.

Page 19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79 -

5점 4점 3점 2점 1점

순위매우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보통

이다

중요

하지

않다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일반인전문가

1차

전문가

2차% % % % %

질높은의료서비스(양질의의료)가

제공되어야한다.

일반인 37.4 49.0 12.0 1.4 0.2

13 6 9전문가 1차 47.4 42.1 10.5

전문가 2차 35.7 42.9 21.4

의료사고나부작용없는안전한

의료서비스가제공되어야한다.

일반인 53.7 35.6 8.0 2.6 0.2

1 3 3전문가 1차 57.9 31.6 10.5

전문가 2차 71.4 21.4 7.1

치료뿐만아니라예방·상담·재활등

폭넓은서비스가제공되어야한다.

일반인 33.6 49.3 14.8 2.1 0.2

14 2 1전문가 1차 57.9 36.8 5.3

전문가 2차 35.7 42.9 21.4

경제적능력에상관없이필요한

의료서비스를이용할수있어야한다.

일반인 42.9 42.1 12.9 1.5 0.6

11 1 1전문가 1차 73.7 21.1 5.3

전문가 2차 78.6 14.3 7.1

환자에게친절한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한다.

일반인 41.0 46.0 11.4 1.3 0.3

8 14 14전문가 1차 10.5 42.1 47.4

전문가 2차 7.1 35.7 42.9 14.3

의사와환자사이에신뢰가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인 49.0 39.7 9.5 1.6 0.2

3 10 8전문가 1차 21.1 73.7 5.3

전문가 2차 50.0 28.6 7.1 14.3

지역에상관없이필요한의료서비스를

이용할수있어야한다.

일반인 40.3 45.9 12.0 1.3 0.5

12 8 7전문가 1차 52.6 21.1 21.1 5.3

전문가 2차 50.0 28.6 14.3 7.1

충분한정보제공을통해환자의알

권리가보장되어야한다.

일반인 43.5 43.6 11.5 1.0 0.5

5 12 10전문가 1차 31.6 52.6 15.8

전문가 2차 21.4 50.0 28.6

의료비가낭비없이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한다.

일반인 51.5 36.6 10.3 1.3 0.4

2 11 11전문가 1차 21.1 73.7 5.3

전문가 2차 28.6 42.9 14.3 14.3

의학지식과기술의발전이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일반인 44.3 44.0 10.0 1.4 0.3

4 13 13전문가 1차 10.5 68.4 21.1

전문가 2차 7.7 38.5 38.5 15.4

국민의의료이용을보장하기위해

의료시설이적정하게공급·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인 39.9 48.4 10.1 1.4 0.3

6 9 6전문가 1차 26.3 68.4 5.3

전문가 2차 30.8 53.9 15.4

국민의의료이용을보장하기위해

의료인력이적정하게공급·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인 40.7 46.0 11.8 1.2 0.3

10 7 12전문가 1차 31.6 63.2 5.3

전문가 2차 14.3 57.1 28.6

경제적능력에맞게공평하게

건강보험료등의료재정을부담해야

한다.

일반인 42.8 42.8 12.3 1.6 0.5

9 5 4전문가 1차 52.6 36.8 10.5

전문가 2차 53.9 46.2

의료를위한재정이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한다.

일반인 41.3 45.9 11.1 1.4 0.3

7 4 5전문가 1차 52.6 42.1 5.3

전문가 2차 28.6 64.3 7.1 0.0 0.0

표 93. 사회의학 분야 우선순위에 대한 2차 전문가 조사 결과(일반인 조사와의 비교)

Page 19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0 -

◦ 국민 건강에 큰 영향은 미치지만 그 간의 사회의학 연구에서 간과된 주제나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다음과 같음.

ü 우선, 과거 우리국민의 건강수준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둘째, 건강수준의 향상

을 가져온 건강의 사회적결정요인의 변화와 정부의 보건정책의 변화를 함께 모니터링한 후,

셋째, 건강수준과 건강의 사회적결정요인 그리고, 정부의 보건정책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정

리하는 연구

ü 도시(지역사회)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연구(다학제 연구) 및 개입 연구

ü 사회 갈등 조정, 이해 당사자의 참여와 상호 타협. 건강한 사회, 안전한 사회의 조건, 지표

개발, 적용

ü 건강행태 변화에 대한 구체적 방법, 의료체계 수준에서의 의료의 질 향상, 병원 외 지역사

회 환경에서의 의료이용, 한국 의사집단에 대한 이해 심화

ü 개인과 집단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요인을 인구집단건강의 맥락에서 파

악할 수 있는 multi-area, multi-level prospecitve cohort 연구기반의 구축

ü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의 세대 이전 연구

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건강과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단골관계, 의사에 대한 신뢰도 등) -국

민(환자)이 바라는 의료와 의사(의료인)가 바라는 의료의 차이와 이의 극복 방안 -사회보장

으로서 보장하여야 할 적정의료의 범위와 수준(무엇을 어디까지) -의료기술의 사회적 수용

조건

ü 의료현안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청취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전문가와 일반 국민사이

에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예: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제, 한의사의 의료기기사용, 원격의료 등). 또

한 일부 이런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해도 공정성과 대표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음.

특히, 계량적 연구방법론에 집착하여 질적 연구방법론을 소홀히 여긴 측면이 있음.

ü 유전체 역학 연구와 연계한 유전 환경 상호작용 평가 및 성장 곡선 모형 연구, 지역사회 기

반 군집 개입 시험 연구, 사회의학 분야 변수와 다른 분야 변수를 포함한 위험 인식/인지

비교 연구 등

ü 다부문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거버넌스

ü 고용의 형태에 따른 정규직/비정규직 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코호트 연구

Page 19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1 -

주제 내용연구동향분석 결과 중요주제

(응답빈도)

간과주제

(응답빈도)빈도 구성비율

보건의료시설 시설의성과관리및평가, 시설 기획, 시설분포등 2 0.7% 2

보건의료조직 민간보건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공사협력등 1 0.4% 3 1

보건의료인력

소계 15 5.5% 3 6

인력의성과관리및평가, 인력양성 및교육, 인력기획 6 2.2% 1 2

전문주의, 직무만족도 9 3.3% 2 4

보건의료서비스

소계 41 15.1% 17 20건강증진및예방:건강증진, 예방접종, 건강검진등 9 3.3% 6 1

어린이 건강 4 1.5% 1

응급의료 3 1.1% 1 1

정신건강 2 0.7% 1 2

장애인건강 1 0.4% 1 5

완화의료 0 0.0% 5만성질환관리 7 2.6% 7 1

급성질환관리 0 0.0%

직장건강 4 1.5% 1

환경성질환 0 0.0% 1

보완대체의학 3 1.1%

모자보건 2 0.7% 1장기요양서비스 6 2.2% 2

보건의료의 제공

소계 11 4.0% 13 16

보건의료의 필요와 수요 2 0.7% 1

전달체계 4 1.5% 5 3

도시-농촌의료체계 1 0.4%

의료기관 선택 2 0.7% 1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1 0.4% 2 3

접근성 0 0.0% 2 3

의사-환자 관계 0 0.0% 2 3

의사소통 1 0.4% 1 3

의료의 질과 안전

소계  13 4.8% 9 6

환자안전 1 0.4% 3 3의료의 질 6 2.2% 5 1

환자 중심 의료 0 0.0% 1 1

환자 만족도 6 2.2% 1

보건의료정책과

행정

소계 11 4.0% 7 2

보건의료정책 5 1.8% 5

보건의료행정 4 1.5% 1규제 2 0.7% 1 2

의료윤리와 법 1 0.4% 1 1

보건경제소계 53 19.5% 9 2

측정과 평가: 경제성 평가, 질병부담 등 23 8.5% 2 1

표 94. 사회의학 연구 주제별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 조사

◦ 국내 사회의학 연구동향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와 ‘필요

성은 있지만 간과된 주제’에 대해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동향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전문가들이 가장 중요한 주제로 꼽은

것은 ‘만성질환 관리’, ‘보건의료재정: 건강보험, 재원조달, 국민의료비, 지불제도 등’,

‘건강증진 및 예방서비스’, ‘의료전달체계’, ‘의료의 질’, ‘보건의료정책’ 분야였음.

­ 연구의 필요성은 있지만, 그 동안 간과되었던 주제로 꼽은 것은 ‘사회정책’, ‘장애인

건강‘, ’완화의료‘, ’의료이용행태, 환자행태, 공급자행태’, ‘전문주의, 직무만족도’ 등이

었음.

Page 19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2 -

보건의료재정:건강보험, 재원조달, 국민의료비, 지불제도등 30 11.0% 7 1

보건의료정보와

기술

소계 6 2.2% 3 4

보건의료정보 1 0.4% 2보건의료기술 3 1.1%

e-Health 0 0.0% 1

근거기반의료 0 0.0% 2 2

연구개발 2 0.7%

보건의료산업 병원산업, 의료기기산업, 제약산업, 의료관광 등 1 0.4% 1

국제보건 1 0.4% 1

공중보건 및 환경

소계 10 3.7% 6 3

공중보건: 손상, 질병 감염, 위생 6 2.2% 4 1

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 등 4 1.5% 2 2

건강 수준의

측정과 통계

소계 17 6.3% 3 1

건강 수준 측정 4 1.5% 2 1

건강 통계: 사망률, 이환율 등 13 4.8% 1

건강 관련 행태

소계 49 18.0% 4 6

건강행태:건강행태요인(흡연,음주, 운동, 수면, 비만, 스트레스

등)43 15.8%

질병행태(치료자 고르기, 스스로 돌보기 등) 0 0.0% 1 2

의료이용행태: 환자행태, 공급자행태 등 6 2.2% 3 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소계 40 14.7% 5 8

교육수준 1 0.4%

소득수준 18 6.6% 1

직업 2 0.7% 1 1

지역 7 2.6%

인종 2 0.7% 1산업 활동 5 1.8%

사회정책 0 0.0% 3 6

기타 5 1.8%

Page 20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3 -

<정책 근거 생산이 필요한 보건의료인력 관련 연구 사례>

◦ 의사, 치과의사, 약사, 간호사, 한의사 등의 보건의료인 외에도 매년 3만 2천 여명 이

상의 보건의료 분야 인력(의료기사, 의무기록사, 안경사, 간호조무사)이 배출되고 있으

며, 취업의 용이성으로 인해 이들 인력을 배출하는 대학 학과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보건의료 분야 인력의 취업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보건의료를 일자리 유망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보건의료 분야 인력

의 배출과 취업 양상,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임.

4. 사회의학 분야의 우선순위 연구과제

가. 보건의료인력의 생산, 활용, 분포에 대한 기반 연구

◦ 보건의료 분야의 각종 면허 소지자는 120여 만 명에 이름. 연간 배출되는 신규 인

력도 4만 6천 여 명에 이름. 그러나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정부 정책은 대학 입학정

원 관리와 면허·자격갱신 업무에 국한되어 있으며,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연구 역시

특정 직종의 수급 관련 연구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

음.

◦ 한국 보건의료 전문직의 개업주의와 전문직업주의, 보건의료 직역 간의 영역 갈등,

보건의료 전문직의 직장·전공·지역 선택 등 보건의료인력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

한 근거를 제공할 연구가 사실상 전무한 상황임. 이로 인해 보건의료인력에 관련된

각종 정부 정책이 해당 집단의 이해관계에 좌우되는 상황이 빈발하고 있음.

◦ 국민이 이용하는 보건의료서비스의 내용은 보건의료인력의 양, 질, 분포에 의해서

결정됨. 따라서 보건의료인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생산, 활용, 분포 현황을

추적 관찰하면서, 이에 관련된 요인과 영향을 분석하는 기반 연구가 필요함.

◦ 이 분야의 연구에서 다룰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음.

­ 의과대학생의 진로 선택(전공, 기관, 지역)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보건의료계열 전공 학생의 진로 선택 결정요인 연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

사, 의료기사 등

­ 보건의료 직역 간의 영역 갈등 양상과 원인 분석 연구

­ 보건의료인력의 전문직업주의 형성과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보건의료 전문직 추적 관찰 연구(건강, 행태, 근로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보건의료정

책에 대한 인식, 사회인식 등)

Page 20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4 -

◦ 농어촌 지역 의료접근성 문제의 원인으로 이들 지역에 대한 의사인력의 공급 부족이

지적되고 있음. 그러나 지난 20년 사이에 농어촌 지역의 의사인력은 2.6배가 증가해서

도시 지역(2.8배)과 비슷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단위 인구당 의사수 증가율은 5.5

배로 도시 지역(1.9배)을 크게 상회하고 있음. 이 같은 의사인력의 지속적인 공급 증가

에도 불구하고, 농어촌 지역의 의료접근성 문제가 제기되는 원인에 대한 분석, 그리고

의사인력이 농어촌 지역 근무를 꺼려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부재한 상황임.

나. 보건의료기관의 생애주기(설립, 분포, 운영, 성장, 폐쇄)를 추

적 관찰하는 의료공급체계 기반 연구

◦ 동네의원, 병원, 한의원(병원), 치과의원(병원), 보건소 등 보건의료기관은 국민의 의

료이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보건의료자원임. 그러나 이들 보건의료자원

의 설립, 분포, 운영, 성장, 폐쇄의 양상과 특성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는 연구는

부재함.

◦ 우리나라는 보건의료기관의 설립과 분포가 전적으로 서비스 공급자의 자유 선택에

맡겨져 있음. 이로 인해 보건의료기관 설립과 분포의 거시적 비효율성과 무계획성이

매우 큼. 그리고 이것이 보건의료기관의 합리적 관리와 조정을 저해하는 중요한 원

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또한 제약, 의료기기, 소재 등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연구 역

시 시장 점유 현황, 기술경쟁력 국제비교 등에 대한 단발성 연구가 대부분임.

◦ 또한 의학기술, 정보통신기술, 교통의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등이 보건의료기관의

설립과 분포, 운영에 큰 영향을 끼치지만, 이 같은 사회환경 변화와 보건의료기관의

설립, 분포, 운영 간의 관계와 양상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연구 역시 부재함. 이에

보건의료기관(보건산업 포함)의 설립, 분포, 운영, 성장, 폐쇄의 양상과 특성을 지속

적으로 추적 관찰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기반 연구가 필요함.

◦ 이 분야의 연구는 보건의료기관과 보건의료산업을 구분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

­ 보건의료기관의 설립, 분포, 운영, 폐쇄 양상과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보건의료산업의 설립, 분포, 운영, 폐쇄 양상과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Page 20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5 -

<정책 근거 생산이 필요한 의료공급체계 관련 연구 사례>

◦ 2000년 이후 우리나라 병상 수는 공급 과잉 상태로 전환되었지만 현재까지 가파른 증

가세를 지속하고 있음.

- 1990~2000년: 124,619개의 급성기 병상 증가

- 2000~2014년: 184,272개의 급성기 병상 증가, 225,029개의 요양 병상 증가(‘15년 기준)

◦ 특히, 2000년 이후에 증가한 급성기 병상의 약 70%를 평균 130병상 내외의 중소형 병

원이 차지. 이들 병원의 평균 재원기간은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의 2배에 이르는 반

면, 병상 이용률은 60% 수준에 불과

◦ 중소형 병원 중심의 병상 공급 구조는 의료공급체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하락시키고,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공급 과잉과 경영 여건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중소형 병원 중심의 병상 공급이

지속되는 원인과 양상에 대한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경영상의 어려움

을 드러내는 병원계의 통계 수치(병원 폐업률, 경영수지 등)만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

임.

다. 국민의 의료이용 관련 행동 추적 관찰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비합리적인 의료이용 행태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

도임. 약에 대한 과도한 의존, OECD 평균의 2배에 달하는 의료이용량, 서울 대형병

원으로의 쏠림 현상, 한 개의 질병으로 여러 의료기관을 전전하는 의사 쇼핑, 의사-

환자 간의 극심한 불신, 의사-환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 양·한방 혼재, 근거 없는 보

완대체요법, 과도한 미용성형 문화, 인터넷의 왜곡된 건강정보 이용 등. 이 같은 비

합리적인 의료이용 행태는 국민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보건의료재정도 낭비

하는 결과를 낳고 있음.

◦ 그러나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비합리적인 의료이용 행태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의료이용 행태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해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부재한 상

황임. 국민의 의료이용 행태에는 의료제도의 특성 외에도 개인과 집단의 인식과 경

험, 습관, 문화, 사회경제적 환경 등이 영향을 미침. 국민의 바람직한 의료이용을 위

해서는 이 같은 다양한 요인에 대한 포괄적 연구가 필요함.

◦ 또한 의학기술, 정보통신기술, 교통의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건강과 의료에 대한

인식 변화(예: 임종치료에 대한 최근의 국민 인식 변화) 등이 국민의 의료이용 행태

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들 요인으로 인한 의료이용 행태의 변화

방향과 내용,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적, 사회적 대응방안을 개발하는 연구 역시 부

Page 20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6 -

<정책 근거 생산이 필요한 의료이용행태 관련 연구 사례>

◦ 대형병원의 경증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수차례 환자의 본인부담금을

조정하는 정책을 시행하였음.

- 2009년, 상급종합병원 외래진료 본인부담비율 인상

- 2011년,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약제비 본인부담비율 인상

- 2012년, 동네의원의 지속관리를 받는 고혈압, 당뇨 환자의 본인부담비율 인사

◦ 그러나 이 같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물리적 접근성,

의료서비스의 질, 의료기관의 환경, 의료진에 대한 평판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함. 따

라서 경제적 요인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 접근으로 경증환자의 불필요한 대형병원 이

용을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함.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임.

재한 상황임.

◦ 국민의 의료이용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임. 지금까지

국민의 의료이용에 대한 연구는 경제적 요인(소득계층)에 따른 차이를 설명하는데

치중되어 있었음. 그러나 경증질환에 대한 상급병원 본인부담 인상 정책의 경험에서

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경제적 요인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임.

◦ 이 분야의 연구는 각 주제별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의료이용 관

련 행동 추적 관찰 연구’라는 단일 연구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이

연구에서 다룰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음.

­ 환자의 대형병원 선호와 지역 이동의 특성과 관련 요인: 상병·중증도·계층별 분석,

지역 특성, 국민의 의료기관 선택 요인(정보 습득,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 문화적 요

인 등)

­ 사회환경 변화와 국민의 의료이용: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교통의 발전, 인구구조의

변화

­ 국민의 건강과 의료 관련 인식과 의료이용: 건강과 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

(건강, 웰빙, 비만, 연명치료 등), 건강믿음과 질병관, 의료전문직과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과 신뢰

라.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의료서비스 근거 생산 및 개입 연구

◦ 2015년 현재 국민건강증진기금의 경상사업비 규모는 1조2천억원에 달함. 건강증진

Page 20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7 -

기금 이외의 일반회계, 기금 사업 규모를 포함하면, 정부 정책을 통해 국민에게 제

공하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프로그램 규모는 수조원에 이름.

◦ 그러나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들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체계는 전무함. 건강행태요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

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보건의료서비스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연구는 매우 부족함. 이로 인해, 해당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효과

성 여부와 상관없이 기존 사업을 관행적으로 반복하고 있음.

◦ 이에 정부 정책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정책 결정의 근거를 생산하는 기반 연구가

필요함. 또한 지역사회 개입 프로그램을 기획, 수행함으로써 근거를 자체적으로 생

산하는 연구 활동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이 분야의 연구는 개별 과제 방식이 아니라, ‘사업단’ 형태의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이 체계를 통해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마. 환자중심의료를 위한 기반연구

◦ 사회의학 연구 주제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일반 국민과 전문가 집단 간의 인식 차이

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음.

­ 전문가 집단은 경제적 접근성, 포괄적 서비스,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보험료

부담, 질 높은 의료, 의료인력의 적정 확충, 지리적 접근성을 일반인보다 높게 평가

하였음

­ 이에 반해, 일반 인구집단은 안전한 서비스, 효율적 의료비 사용, 의사-환자 신뢰, 의

학지식과 기술 발전, 충분한 정보제공, 의료시설의 적정 공급, 친절한 의료서비스를

전문가 집단보다 높게 평가하였음.

­ 즉, 전문가 집단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측면(경제적 접근성, 안정적 의료재정 확보,

공평한 부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일반 국민은 서비스 공급자와의

대면관계 측면(의사-환자 신뢰, 충분한 정보 제공, 친절한 의료)에 초점을 맞추는 경

향이 있음.

◦ 그러나 국내 사회의학 연구동향 분석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의사(의료기관)와 환자

간의 직접적인 대면 관계를 다루는 의사-환자 관계, 의사소통, 환자중심의료 등은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국민의 반응성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대한 연

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Page 20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8 -

◦ 이 분야의 연구에 포함되어야 할 주제는 다음과 같음.

­ 의료전문직과 환자, 국민의 신뢰 관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의료전문직과 환자의 의사소통: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문제는 더욱 중

요한 연구주제로 제기될 것임.

­ 환자중심의료의 개념과 현황, 발전방안: ‘평가’ 위주에서 탈피한 접근전략이 필요함.

환자중심의료는 ‘환자 개인의 선호와 필요, 가치를 존중하면서, 이에 적극적으로 반

응하고, 환자의 가치가 모든 임상적 의사결정에 반영되도록 보장하는 의료’를 의미

한다. 환자중심의료의 핵심 키워드는 ‘환자의 선호와 가치에 대한 존중’, ‘치료계획

수립과 진료과정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참여’, ‘충분한 정보 제공과 의사소통, 교육’,

‘통합적인 진료’ 등이다(IOM, 2001).

바. 보건의료인문학 육성을 위한 기반연구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열악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보건의료인문학

분야의 취약성이 두드러짐.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들조차 상대적으로 실용적 성격이

강한 주제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임.

◦ 사회의학 중에서도 기초학문 분야에 해당하는 의철학, 의사학, 의료윤리학, 의료법

학, 의료인류학, 의료사회학에 대한 연구재원은 사실상 전무하고, 이를 다루는 연구

역량도 거의 축적되어 있지 못한 실정임. 이로 인해 연구수요조사에서조차 이들 분

야의 연구수요는 파악되지 않고 있음.

◦ 우리나라 보건의료가 철학적, 윤리적, 역사적 성찰 기반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이 보건의료 분야의 갈등과 혼란을 야기하는 근본 배경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보건의료 분야 기초학문 육성사업의 형태로 보건의료인문학 육

성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육성사업에 포함될 분야는 의철학, 보건의료역사학, 의료윤리학, 의료법학, 의료인류

학, 의료사회학 등임.

­ 육성사업은 일회성 연구비 지원이 아닌, 지속과제 형태로 진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연

구경험과 역량을 축적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음.

사. ‘건강수준-건강관련행동-사회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환경-보

건의료 및 사회정책’의 관계 분석을 위한 기반 구축

Page 20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89 -

<정책 근거 생산이 필요한 사회정책 관련 연구 사례>

◦ Global payment 도입으로 인한 지역사회 개입 활동

- 미국의 진료비 지불제도가 Global payment(총액계약제) 형태로 전환되고 있음. 이에

따라 기존에는 서비스 제공자 유형별(병원, 일차의료기관, 가정진료, 전문의진료 등)로

지급하던 진료비를 서비스 제공자 그룹에게 총액방식으로 지급하게 되었음.

- Global payment 도입 이후, 미국의 보험사들은 잠재적 의료수요를 줄이기 위한 지역

사회 개입(Community intervention)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음. 미국의 대표적인 비

◦ 건강수준과 분포(불평등)에는 생물학적 요인 뿐 아니라 개인과 집단의 심리, 사회경

제적, 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침. 그간 건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단발성으로

이루어져서, 해당 시점의 현황과 특성은 파악할 수 있었지만,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건강수준과 분포를 추적 관찰하여, 변화 추이와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는 부재

하였음.

◦ 영국,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건강수준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수

십 년 동안 추적 관찰하는 연구체계를 구축하고, 이 연구결과를 보건의료정책 수립

에 활용하고 있음. 이에 ‘건강수준 - 건강 관련 행동 - 사회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환경 -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간의 관계를 장기간 추적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함.

◦ 이 연구는 신규 연구가 아니라, 기존의 한국의료패널(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보험공단 공동 수행 조사)을 보완·개선하는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한국의료패널은 이미 풍부한 건강 관련 결정요인을 문항으로 포함하고 있음. 그러나

문화적, 심리적 환경, 지역사회 건강 관련 환경(물리적, 정서적), 그리고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이 건강과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포함하지 못

하고 있음. 따라서 한국의료패널이 이 같은 문항을 포함하도록 보완·개선할 필요가

있음.

Page 20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0 -

영리 보험회사인 Kaiser Permanente에서는 보험가입자들을 위한 영양상태 개선, 주거

환경 개선,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환경 개선 등의 사업(Community Health Initiatives)

을 적극적으로 시행 중임.

==> 미국 보험사들의 적극적인 지역사회 개입활동은 진료비 지불제도 개편으로 인한 인

센티브 구조의 변화와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이 의료비 지출을 절감시킨다는 선행 연

구결과에 근거한 것임.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책 아이디어의 부재와 함께 정책 결정의

근거 부재로 인해, 이 같은 정책적 시도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임.

아. 우선순위 연구과제의 추진 방안

◦ 일회성 연구가 아니라 지속 과제로 진행

­ 국내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53.5%가 1년 미만을 분석 대상 기간으로 한 것이며, 5년

이상을 분석 대상 기간으로 한 연구는 12.3%에 불과함.

­ 우선순위 연구과제로 제안한 내용들은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거나 사회의학

분야의 기반 연구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일회성 연구가 아니라 지속 과제로 진행하

는 것이 바람직함.

◦ 대형 연구과제 하에 세부 주제별 연구를 배치하여, 각 연구들이 상호 통합성을 유

지할 수 있는 체계로 진행

­ 각 연구과제에 속한 주제들을 개별 연구로 진행할 경우, 연구내용의 중복과 사각지

대, 상호 연계성 부족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 따라서 컨소시엄 형태의 대형 연구과

제 하에 세부 주제별 연구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예: ‘국민의 의료이용 관련 행동 추적 관찰 연구’를 단일 연구과제로 발주하고, 이

연구과제의 세부 과제를 배치하는 방식

◦ 각 연구과제별로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인류학 등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를 포함하여, 융합적 연구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의학 분야에

치중되지 않고, 간호학, 치과학, 한의학 등 보건의료 전 분야의 주제가 포괄될 수 있

도록 연구내용을 구성하고, 연구진도 이에 부응하도록 구성

­ 연구 논문의 저자 소속 기준으로 보건의료 계열 이외의 분야와 다학제적 연구로 이

루어진 사회의학 연구의 비중은 9.6% 수준에 불과함.

◦ 연구비 규모는 대규모 추적 관찰 연구는 과제당 3~5억원 내외, 단일 과제는 과제당

5천만원~1억원 규모가 소요될 것임.

­ 예: 의과대학생의 진로 선택(전공, 기관, 지역) 결정요인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 –

총 41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을 포괄하는 형태로 연구체계를 구성. 1개 대학당

연구비(500~1,000만원), 총괄연구비 5,000만원을 적용하면 연구비 규모는 2억 5천만

원 ~ 4억 5천만원 규모로 추정

Page 20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1 -

제5장.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과제

1.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

가. 체계적 연구 지원 및 관리의 필요성

◦ 연구결과가 효과적으로 생산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연구 기획 단계에서부터 최종

마무리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관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연구 관리 성과와

결과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접근전략으로 최근 Knowledge Translation(KT)의 개념

이 강조되고 있음. Knowledge translation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

과정과 성과를 향상시킴으로써 해당 연구가 국민건강과 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음. Knowledge Translation은

‘Evidence'와 ’Practice' 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음.

◦ Cochrane Collaboration은 Knowledge Translation을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제시하고 있음.

­ 일차 연구결과를 취합․분석하여 과학적 근거를 추출하는 과정 - 이렇게 생성된 근

거를 전파하는 과정 - 해당 근거를 정책결정자, 임상전문가, 소비자 등이 수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 - 해당 근거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

­ 즉, Knowledge Translation은 단지 연구결과를 전파하고 직접적으로 활용하는데 그

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의 생성에서부터 이런 지식에 근거한 최종적인 의사

결정에 이르는 전 과정에 적용되는 활동이라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음.

◦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CIHR)는 Knowledge Translation을 다음과

같은 6단계의 활동으로 구분하고 있음.

- KT1: 연구주제(우선순위)와 방법론의 결정

- KT2: 연구 진행

- KT3: 평이한 언어와 활용 가능한 형태로 연구결과를 공개

- KT4: 다른 연구와 사회문화적 규범의 맥락에서 연구결과를 재구성

- KT5: 연구결과에 기초한 의사결정과 실행

- KT6: 새로운 지식을 활용한 활동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연구 수행

Page 20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2 -

그림 52. Cochrane Collaboration의 Knowledge Translation의 개념도

그림 53. Knowledge Translation의 구성요소와 순환 과정(자료: CIHR, 2007)

◦ 외국에서는 건강의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이 활발함. 영국은 연구에

있어 불간섭주의인 홀데인 원칙(Haldane principle), 즉 ‘연구기금은 정치가가 아닌

연구기관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는 원칙을 적용하

Page 21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3 -

고 있음. 또한 이중 지원 구조(dual funding structure)를 가지고 있어, 고등교육재정

지원위원회(HEFC,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s)와 연구회(RC, Research

Council)로부터 대학이 연구 지원을 받도록 함. 1920년 연구회 중 최초로 세워진 의

학연구회(MRC, the Medical Research Council)에서는 주로 기초의학 분야의 연구

지원을 하며 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투자도 활발함.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Medical Research Council)에서는 ‘건강의 사회적 영향(social influences on health)’

이라는 단일 연구과제에 1989년부터 2010년까지 약 1,200만 파운드(약 200억 원)를

지원하였음.

◦ 미국에서는 1996년 의회의 결정에 따라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내에 별도의 사무소(OBSSR, Office of basic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를 신설하였고 이를 통해 기초 행태학 및 사회과학적 연구(b-BSSR, basic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음.

◦ 한편, 한국의 경우에는 분야별 예산 배분 방식이 아닌 사업 중심(개인연구자지원사

업, 집단연구지원사업 등)의 예산 배분 지원을 하고 있으며 연구자 중심이 아닌 부

처 중심의 연구비 지원 및 수행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음(조현대 등, 2014).

­ 국내에는 연구지원이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연구 지원

을 하는 경우가 드물어 안정적인 연구가 수행되는 데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음.

­ 특히 연구 주제 선정, 성과 관리 및 평가 등에 있어 연구자 중심이 아닌 부처 또는

연구수행기관 중심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성과가 기존에는 부처 중심으로 관리되었고 도출된 성과도

정책으로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함. 또한 합리적 근거에 기반한 주제 및 우선

순위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책에 반영되는 경우에도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었음.

◦ 사회의학 연구는 다른 실용분야 연구와는 달리,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실물화된 연

구결과물을 통해 성과를 관리하기가 힘든 특성이 있음. 따라서 초기 기획 단계에서

결과 활용에 이르는 과정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체계의 필요성이 더욱 큰 것으로 평

가할 수 있음.

나.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현황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수준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

음. 이에 Knowledge Translation의 개념에 따라, 연구 기획에서 결과 환류에 이르는

각 단계별 활동 내용을 구분하고,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해당 단계의 활동 수준에

Page 21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4 -

대한 현황 진단을 하였음.

◦ 연구 기획에서 결과 환류에 이르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음.

­ 연구기획: 연구주제 및 방법론의 결정

­ 과정관리: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

­ 결과활용: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

­ 결과활용: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결정 혹은 사업수행

­ 결과환류: 정책 및 사업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 평가한 각 단계별 현황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전체 단계별로 관리와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긍정적 응답비율은 낮은 것으

로 나타났음.

­ 연구주제와 방법론을 결정하는 연구기획 단계,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하는 과정관리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고 활용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하거나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 결정 혹은 사업 수행이라는 결과 활용 측면에 대한 평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해당 연구와 관련된 정책이나 사업 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에

해당하는 결과 환류 측면에 대한 평가는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음.

매우

잘 되고

있다

잘 되고

있다

보통

이다

미흡

하다

매우 미흡

하다평균

5 4 3 2 1

연구기획: 연구주제 및 방법론의 결정 15.8% 47.4% 26.3% 10.5% 2.68

과정관리: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10.5% 57.9% 31.6% 2.79

결과활용: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26.3% 57.9% 15.8% 2.11

결과활용: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결정 혹은

사업수행10.5% 15.8% 57.9% 15.8% 2.21

결과환류: 정책 및 사업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5.3% 15.8% 57.9% 21.1% 2.05

표95. 사회의학 연구과정의 각 단계별 활동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Page 21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5 -

1연구기획: 연구주제 및

방법론의 결정

ü 연구주제 선정 및 예산배분을 위한 사회적 합의 과정 필요, 성과향상 관점의 지표

개발 및 실행

ü 전문가 지속적인 토론, 의견 교환. 상설 및 특별 위원회 구성하여 논의 지속

ü 정책 활용과 직접 관련이 없더라도 중요한 사회의학 기초 분야 지원

ü 건강과 보건의료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

ü 주제의 선정과 우선순위 설정의 공론화로 지속성과 일관성 유지

ü 의학 보건학 전공자 이외 사회과학 전공자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

ü 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정의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다른 영역과 독립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ü 기존의 RFP모집 방식의 다양화,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집단적

논의방식 도입, 연구비 소스의 다양화.

ü 지역보건사업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례 연구(현재 사례연구는 연구로

인정받지 못함)

ü 폭 넓은 의견 수렴과 사회 변화를 고려한 사회의학 연구 주제군, 세부 연구주제

마스트 플랜 수립

2

과정관리: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

ü 연구진행과정을 외부전문가들에게만 위탁하지말고, 연구과정관리 전담조직을 크게

확충하고, 일부 연구는 직접 수행하는 것이 좋겠음.

ü 연구과정 중 목적 충족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ü 담당자의 지속적 전문적 배치

ü 과제의 내용과 수행방법에 알맞는 실질적인 점검(평가) 과정 도입 : 중도 탈락 방안도

고려

ü 연구자의 자율성 강화,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은 외부참여강화

ü 연구 진행 관리 주체 및 방법론 개발

3

결과활용: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

ü 연구결과를 보고서형식으로 보고하는 것 이외에도 칼럼과 뉴스레터형식으로

제공하게 함.

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성과물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마련(강의, 웹사이트 등)

ü 결과 활용의 공개화 과정 존재

ü 정책 연구들을 수집하여 분야별로 분류하고 공개하는 역할을 맡는 기관 설립

ü 과제의 내용에 따라 결과활용 평가에 일반인참여방안고려 : 이해도, 필요성 등 평가

ü (가칭) 사회의학 포털과 같이 국내외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사이트 개발 필요

ü 연구 결과를 지역별, 연도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DB 를 구축하고, 이를

전문가와 일반인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ü WHO bulletin 과 같은 보건사업의 사례 논문집 발간(저자도 보건소 직원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엄밀한 연구방법이 아닌 확산가능한 사례에 대한 수록)

ü 일반인들의 사회의학 연구 결과를 쉽게 공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포털과 같은 형태의

접근성 제고

ü 연구 결과에 직간접 영향 받을 일반인/관련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public agenda

committee (PAC) 운영

ü 인포그래픽 등을 이용한 요약본 제공

4

결과활용: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결정 혹은

사업수행

ü 연구결과가 관련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발표형식 또는

강의형식으로 전달함.

ü 연구 시작 시 정책반영 방안 검토하고, 결과 미활용 시 사유와 책임 추궁

ü 쉽지 않겠지만 정부정책연구의 경우 연구결과로 보고서를 받은 후 6개월이나 1년이

지난 시점에서 해당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했는지 혹은 반영하지 않았는지 반영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공개하는 과정이 필요함 물론 현재

www.prism.go.kr에 그와 유사한 과정이 있지만 형식적이어서 이에 대한 실질적

다.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을 위한 과제

◦ 각 단계별로 사회의학 연구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방안 혹은 정책

제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음.

Page 21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6 -

보완이 필요함

ü 정책결정자들에 대한 감독, 교육, 홍보 강화

ü 사회의학 관련 연구가 미흡하지만, 이것이 구체적인 정책이나 사업으로 이어진 바는

거의 없음. 구체적인 영역의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소규모라도 정책이나 사업으로

이어져야 함.

ü 사회의학 연구결과가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구 결과에 실현가능성에 바탕을

둔 정책 제안 포함

5

결과환류: 정책 및

사업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

ü 장기연구과제에 대한 예산 지원(적어도 3~5년 이상의 과제)

ü 결과 활용도 평가, 전문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ü 평가의 제도화 및 평가에 실질적인 이해관계 당사자 참여도 제도화

ü 사회의학 연구 성과를 전향적이고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개입

연구 수행 필요

ü 과정(산출) 중심의 획일적 평가 제도로 모든 보건소는 단지 의미없는 실적만 채우고

있으므로, 제대로된 결과의 모니터링과 모니터링으로 걸러진 소수에 대한 1:1

컨설팅식의 과정평가 도입관련 연구 또는 조직 필요

ü 사회의학 연구 주제의 DB화 및 중장기적 수행 계획 수립

ü 정책 및 사업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술연구의 국제학술지 게재 강조

ü 지표중심의 모니터링 체계구축

ü 연구자애 대한 평가정보 활용도 제고

◦ 사회의학 연구체계 및 연구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도출된 방안에

대해 2차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는 조사를 시행하였음.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남.

­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 구성’은 ‘중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4.07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동 1위로 나타남.

­ ‘문제발견형 연구가 아닌, 문제해결형 연구(지역사회 개입연구)에 대한 가산점 부과’

는 ‘중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4.07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동 1위로

나타남.

­ ‘장기과제가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도록 기준 설정’은 ‘중요하다’

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3.93점으로 10개 방안 중 3위로 나타남.

­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연구결과의 공유 활성화를 위해 사회의학 연구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은 ‘보통이다’ 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3.71점으로 10개

방안 중 4위로 나타남.

­ ‘비전문가 집단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 요약자료 작성’

은 ‘중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3.64점으로 10개 방안 중 5위로 나타남.

­ ‘연구주제 발굴 및 과제 선정, 결과 평가에 이해당사자, 일반 국민의 참여보장’은 ‘매

우 중요하다’ 부터 ‘중요하지 않다’까지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3.57점으

로 10개 방안 중 공동 6위로 나타남.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를 위한 전담체계 마련’은 ‘보통이다’ 는 의견이 가

장 많았으며 평균 3.57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동 6위로 나타남.

­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비율 기준을 설정하여 사회의학 연

구 발주에 반영’는 ‘중요하다’ 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3.36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

동 8위로 나타남.

­ ‘다양한 연구결과물(칼럼, 뉴스레터, 강의 등)을 사회의학 분야 연구실적으로 인정하

는 체계 마련’은 ‘중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3.36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동

Page 21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7 -

8위로 나타남.

­ ‘연구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결과 공개’는 ‘중요하다’는 의견

이 가장 많았으며 3.36점으로 10개 방안 중 공동 8위로 나타남.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평균

5 4 3 2 1 점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21.4% 64.3% 14.3% 0.0% 0.0%4.07

3 9 2 0 0

연구주제 발굴 및 과제 선정, 결과 평가에 이해당사자,

일반 국민의 참여 보장

28.6% 21.4% 28.6% 21.4% 0.0%3.57

4 3 4 3 0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비율

기준을 설정하여 사회의학 연구 발주에 반영

14.3% 42.9% 14.3% 21.4% 7.1%3.36

2 6 2 3 1

문제발견형 연구가 아닌, 문제해결형 연구(지역사회

개입연구)에 대한 가산점 부과

28.6% 50.0% 21.4% 0.0% 0.0%4.07

4 7 3 0 0

장기과제가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도록

기준 설정

28.6% 42.9% 21.4% 7.1% 0.0%3.93

4 6 3 1 0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를 위한 전담체계 마련14.3% 35.7% 42.9% 7.1% 0.0%

3.572 5 6 1 0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연구결과의 공유

활성화를 위해 사회의학 연구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

21.4% 28.6% 50.0% 0.0% 0.0%3.71

3 4 7 0 0

비전문가 집단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 요약자료 작성

21.4% 35.7% 28.6% 14.3% 0.0%3.64

3 5 4 2 0

다양한 연구결과물(칼럼, 뉴스레터, 강의 등)을 사회의학

분야 연구실적으로 인정하는 체계 마련

7.1% 50.0% 21.4% 14.3% 7.1%3.36

1 7 3 2 1

연구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결과

공개

14.3% 35.7% 28.6% 14.3% 7.1%3.36

2 5 4 2 1

표 96. 사회의학 분야 연구체계 및 연구 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연구관리

및 지원

◦ 사회의학 분야 연구 발전전략에 대한 기타 의견으로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

음.

­ 정부의 용역 연구가 아닌 연구자 주도 연구 장려, 단기적 정책 함의가 없는 기초 연

구라도 학술적 가치가 있으면 장려: 선정과 평가의 질과 엄정성 보장, 신진연구자(박

사후과정 등) 학술 경력 지원 트랙 설치

­ 사회의학 분야의 대규모 장기과제에 대한 기획 및 지원 필요

­ 사회의학 분야를 반영할 수 있는 SCI(E) 논문지 창간

◦ ‘문제해결형’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제시되었음.

­ 정책공동체 내 인식 개선

Page 21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8 -

­ 방법론적인 개선을 통한 접근

­ 규모가 작은 실험연구라도 꾸준한 발표와 피드백 장려

­ 정책 중재 후 효과 평가 연구 필요

­ 제도적 지원(연구비, 연구기간 등)

­ 장기과제에 대한 지원 확대

◦ ‘지역사회’, ‘정책’ 단위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

안이 제시되었음.

­ 개방적인 관점에서 연구계획서 심사할 수 있는 공정한 평가진 구성

­ ‘의료(기관)’ 의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맥락화’ 작업이 필요

­ 적극적인 투자 및 지원(건강증진기금, 국가 R&D 펀드 등)

­ 지역사회 지표를 활용한 다수준 연구 확대

­ 지역 또는 정책단위 연구에 필요한 지역단위 자료구축 및 제공(포털 사이트 등)

­ 연구자와 실무자의 연계

­ 지역사회 또는 행정구역단위 연구에 우선권 부여

­ 연구에 참여하는 지역사회나 행정구역에 인센티브 부여

1) 연구기획 및 과정관리

가)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 전문가 의견조사에서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관리 및 지원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개선과제로 제시된 것이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임. 국내

사회의학 연구 동향 분석결과에서도 확인한 것처럼,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특정 주

제에 대한 편중 현상이 심각함. 또한 수요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가 아니라,

전문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도 확인

할 수 있음.

◦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는 국내 사회의학 연구 주제의 편중

과 전문가 중심의 연구 주제 선정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그

동안 간과되었지만 연구의 필요성이 있는 연구주제, 보건의료인문학 관련 연구주제

를 발굴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 우선적으로는 건강증진연구사업에 대해서 다학제적

연구 기획위원회를 구성해서 운영하고, 향후 이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임.

나) 연구주제 발굴 및 과제 선정, 결과 평가에 이해당사자, 일반 국민

의 참여 보장

Page 21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199 -

◦ 공급자 중심, 전문가 중심의 사회의학 연구주제 선정을 극복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의 연구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회의학 연구 기획의 전 과정에 이해당사자, 일반

국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전문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를 연구 기획에 참여토록 하는 방안에 대해 꺼려하는 인

식이 존재함. 그러나 일반 국민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면, 상식에 기초한 올바

른 판단을 한다는 것이 그간의 경험을 통해 입증되었음. 예컨대, 시민위원회를 구성

해서,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국내외의 경험이 이미 축적되어

있음. 따라서 사회의학 연구 기획 과정에 일반 국민, 환자, 소비자 등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 수요자를 참여시키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함. 이들의 참여 보장은 사회의

학 연구가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국민의 반응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다)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비율 기준을 설정

하여 사회의학 연구 발주에 반영

◦ 국내 사회의학 연구동향 분석 결과,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음. 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

안으로 각 항목별 비율 기준을 설정하여, 특정 주제와 방법론 등에 사회의학 연구가

편중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라) 문제발견형 연구가 아닌, 문제해결형 연구(개입 효과 평가 연구,

지역사회 개입연구)에 대한 가산점 부과

◦ 국내 사회의학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점이 문제해결형 연구의 부족임. 사회의학 분

야 연구의 압도적 다수는 보건의료 분야의 현상을 파악하는 문제발견형에 치중되어

있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혹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대안을 제시하는

문제해결형 연구는 전체 사회의학 연구의 4%에 불과했음.

◦ 사회의학 연구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문제해결형 연구의 비중을 큰 폭으로 늘

려야 함. 이를 위해서는 연구 기획 단계에서부터 문제발견형, 문제진단형, 문제해결

형으로 연구의 성격을 구분하여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계획서 심사 단계에서도

연구의 성격을 평가 항목으로 포함하여 문제해결형이 높은 가중치를 두는 방안을

추진해야 함.

마) 장기과제가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도록 기준

설정

Page 21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0 -

◦ 장기과제의 비중 증가도 전문가 의견조사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음. 그 동안 이루어진 대부분의 사회의학 연구는 짧은 연구기간 동안의 일회성 연

구였음. 이런 형식으로는 연구 성과와 역량의 체계적인 축적에 한계가 있음.

◦ 특히, 사회의학 분야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연구주제인 보건의료인력과 시설, 의료이

용 행태, 의사-환자 관계 등은 일회성 연구가 아닌, 장기과제의 형태로 연구를 진행

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바)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와 지원을 위한 전담체계 마련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와 지원을 위한 전담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

전담체계는 연구 관련 행정 업무만이 아니라, 다학제적 사회의학 연구 기획과 연구

성과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해야 함. 또한 사회의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

는 자료원 관리를 통해 사회의학 연구자들의 수월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함.

2) 결과 활용 및 환류

가)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연구결과의 공유 활성화를 위해

사회의학 연구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

◦ 다양한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구자들이 이런 연구의 현황

과 결과를 파악하고 자신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는 부재

한 상황임. 이로 인해 사회의학 연구주제와 방법론의 중복과 사각지대가 반복되고

있음.

◦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의 동향과 결과, 그리고 자료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활성화와 연구자 간의 교류 확대에도 크게 기

여할 것으로 기대됨.

나) 비전문가 집단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

요약자료 작성

◦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연구는 보고서 외에도 특허, 기술이전, 사업화 등 다양한 결과

물을 산출할 수 있음. 그러나 사회의학 연구의 결과물은 보고서로 집약되는 경우가

Page 21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1 -

대부분임. 그러나 두꺼운 분량과 전문용어, 복잡한 이론적 고찰 등으로 인해 보고서

에 대한 비전문가 집단(행정 공무원, 일반 국민, 환자, 언론 등)의 가독성은 매우 낮

고, 이것이 사회의학 연구의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함.

◦ 사회의학 연구의 결과물이 정부의 정책 혹은 사업의 근거로 활용되고, 정부 이외에

도 다양한 보건의료 현상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활동에 활용되도록 하기 위

해서는 기존의 발주기관 납품용 보고서 이외의 비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물 자료를 생산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다) 다양한 연구결과물(칼럼, 뉴스레터, 강의 등)을 사회의학 분야 연

구실적으로 인정하는 체계 마련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는 다양한 보건의료 관련 현상을 발견하고, 원인을 진단하며,

이에 대한 대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함. 또한 이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연

구결과의 사회적 공론화도 필요함. 단순히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만으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사회의학 연구의 목적을 충족할 수 없을 것임. 따라서 사회의학 연구의 결과

물 범위를 폭넓게 인정할 필요가 있음.

라) 연구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결과 공개

◦ 사회의학 연구 결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연구 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

적인 모니터링과 결과 공개·환류가 필요함. 지금도 연구자의 자가 보고 형태로 활용

실적을 조사하는 체계는 갖추어져 있음. 그러나 자가 보고 방식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편차가 크고, 보고율도 낮은 실정임.

◦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와 지원을 위한 전담체계가 만들어진다면, 연구자

본인의 자가 보고 방식이 아니라, 전담체계가 직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연구결과의

활용실적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 활용실적은 논문 게재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

회적 공론화 성과, 정부 정책 혹은 사업의 근거 활용 여부도 포함되어야 할 것임.

Page 21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2 -

2. 사회의학 분야의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

가. 사회의학 연구방법론의 개선 필요성

1) 기존 연구방법론의 특성 및 한계

◦ 기존에 행해지고 있는 사회의학 관련 연구방법은 크게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

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질적연구방법에는 설문 연구, 초점 집단 토론, 전문가 의견조사 등이 존재하는데 기

존의 사회의학 분야 연구는 주로 양적연구방법론에 의존한 연구가 많으나 환자 중

심의 의료 등이 부각되면서 질적연구방법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음(Sofaer, 1999).

◦ 연구 디자인 및 연구 유형은 크게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구분되며(김윤옥, 2001),

그 밖에 종합적/집중적 연구, 미시/거시 연구, 전향적/후향적 연구, 참여적/비참여

적 연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음(전우택, 1999).

­ 양적/질적 연구 : 양적 연구는 신뢰성, 반복 가능한 경성적 자료를 강조하는 반면,

질적 연구는 타당성을 강조함. 타당성이란 연구하고 있는 것에 대한 진정한 모습을

완전하고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연구주제를 보다 철저하고 풍부

하게 심층적으로 이해하도록 함.

­ 종합적 연구/집중적 연구 : 종합적 연구(comprehensive study)란 연구 문제의 거시

적인 사회 경제적, 문화적 상황(context)부터 연구 주제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자세

한 연구를 하는 것으로, 민족지 연구(ethnography)가 그 대표적 예임. 이에 비하여

집중적 연구(focused study)란 연구의 관심 대상이 좁아져서 핵심 문제와 관련 상황

정보(relevant contextual information)로 국한되는 것으로, 미리 그 지역의 문화 등,

연구 대상에 대한 기존의 많은 지식이 있을 경우 연구 주제만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연구로서 이 방법으로도 필요로 되는 충분한 연구를 할 수 있음.

­ 미시/거시 연구 : 미시 연구란 개인 또는 가정 단위의 연구를 말하고 거시 연구란

국가 단위의 연구를 말함. 지역 사회를 단위로 하는 연구는 그 중간 정도(meso

level)라고 할 수 있음. 같은 연구 주제에 대하여 여러 연구 단위에서 연구를 실시하

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 다단계 시각 연구(multi level perspective study)도 중요한

연구 방법 중 하나임.

­ 전향적/후향적 연구 : 연구의 관찰 시점 방향을 과거로 하였을 때 후향적 연구가 되

고, 미래로 하였을 때 전향적 연구가 됨.

­ 참여적/비참여적 연구 : 연구 대상(subject)이 연구 계획의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을 때 참여적이라고 하며 참여가 불가능 하다면 비참여적 연구가 됨. 예를 들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참여적 연구가 대부분이겠지만 쥐 실험 연구는 쥐들과

상의하거나 대화가 불가능 하므로 비참여적이라고 할 수 있음.

Page 22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3 -

양적 연구 질적 연구

1. 기본가정

객관적 실재

연구방법에 대한 우선권

변인에 대한 측정 및 통제 가능

외부인의 관점

사회적으로 구성된 실재 연구내용에 대한

우선권

변인에 대한 통제 불가능

내부인의 관점

2. 목적

일반화

예측

인과관계 설명

상황성

해석

연구대상자의 관점 이해

3. 접근방법

가설과 이론이 선행됨

조작, 통재

형식적 도구 사용

실험적

연역적

요소의 분석

규준의 탐색

수량화

추상적 언어

가설과 기초이론의 발견

묘사(기술)

도구로서의 연구자

자연적

귀납적

패턴의 탐색

다원성과 복합성의 탐색

비 수량화

구체적 언어

4. 연구자의 역할공정성

객관적 기술

개인적 관여와 편파성

공감적 이해

표 97.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특성

* 출처 : Glesne 등, 1992

◦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분석방법인 역학, 통계학 방법론에 의존한 경향이 있음. 심리학, 사

회복지학, 인류학, 정치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분야 방법론을 활용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가 필요함.

2) 국내 조사자료 현황 및 한계

◦ 한국에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이차자료원(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한국의료패널,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등)이 많으며 각 자료마다 장단점이 존

재함. 각 자료마다 건강에 대한 변수 외에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포함되어 있

어 이를 바탕으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음.

­ 국민건강영양조사: 기존에 알려진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 이

외에도 의료기관 이용 만족도, 직업과 종사상 지위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음. 하

지만 사회적 환경, 사회적 네트워크 및 자본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음.

­ 지역사회건강조사: 직업에 대한 문항이 간단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음.

사회적 환경 및 네트워크 관련 문항은 조사 초기에 문항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후

제외되었음.

­ 한국의료패널: 다른 조사와 달리 한국의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정도를

묻는 문항이 있으며 의료이용 만족도 등도 포함되어 있음. 하지만 사회적·물리적 환

경에 대한 문항은 한계가 있으며 사회적 관계 및 네트워크 관련 문항은 없음.

­ 통계청 사회조사: 사회적 관계 및 네트워크 관련 문항이 있으나 분석에 사용하기에

Page 22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4 -

충분하지 못한 점이 있으며 건강 관련 변수들이 부족함.

◦ 영국의 Whitehall cohort와 같이 인과적 측면에서 활용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요인과

관련된 코호트는 필요성은 있으나 높은 비용 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구축되지 않

고 있음.

◦ 거의 모든 조사에서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변수는 충분한 편이지만, 사

회적 지지 및 사회적 자본,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변수는 충분하지 못함. 또한 의료인

에 대한 신뢰 및 의료기관 선택 동기 등도 충분히 다루고 있지 못함. 이는 다양한

사회적 결정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

자료원명 자료수집 목적

건강보험 청구자료 건강보험법 제55조에 의해 요양급여심사 및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를 위하여 청구된 자료

중앙암등록자료 전국단위의 암발생 자료를 구축하는 등록자료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 공공건강검진 자료

사회조사 국민 삶의 수준과 사회적 변동을 파악

통계청 사망원인자료 국민의 정확한 사망원인 구조 파악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구강보건 사업목표 개발과 사업계획 및 구강보건사업 우선순위

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

국민건강영양조사국민의 건강수준, 건강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통계 산출

지역사회건강조사 근거 중심의 보건사업 수행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비교 가능한 조사체계 수립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통계를 산출하고, 청소년 건강증진사업의 기획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

퇴원손상심층조사 의료기관 퇴원환자에 대한 국가 단위의 보건의료 통계 생산

노인실태조사 노인생활현황과 건강 및 복지상태의 변화추이 관찰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베이비부머의 다양한 특성과 욕구실태를 파악하여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성 모색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

장애인실태조사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 욕구 등을 파악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다문화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 욕구 파악, 정부의 다문화가족 특성별 맞춤형 정책개발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함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인구 및 가족보건복지 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영아모성사망조사 모성사망의 수준 및 원인에 대한 통계를 생산함으로써 모자보건증진을 위한 기초정보 제공

차상위계층 실태조사 차상위계층의 기준선·규모 추정 및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파악하기 위한 자료

환자조사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의료기관을 이용한 환자의 질병, 상해 양상과

의료 이용 실태, 보건의료시설 및 인력을 파악하여 보건의료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제공과

보건의료통계 생산

한국복지패널 인구집단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등을 파악하고 정책 평가 및 형성에 필요한 자료

한국의료패널 동일한 개인 및 가구(전국의 8,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의료이용과 의료비지출 파악

고령화연구패널고령자에 관한 미시자료를 패널로 확보하여 정부의 중고령층 고용정책 수립을 지원하도록

종단면 자료 생산 및 제공

한국노동패널단편적인 조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노동시장에 관한 미시자료들을 패널로 얻기 위해

실시하는 종단조사

표 98.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특성

*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2

Page 22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5 -

조사항목 사회조사국민건강

영양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노인

실태조사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

복지패널

한국

의료패널

한국

노동패널

인구

사회

학적

특성

성별 ○ ○ ○ ○ ○ ○ ○ ○ ○연령 ○ ○ ○ ○ ○ ○ ○ ○ ○

교육수준/학력 ○ ○ ○ ○ ○ ○ ○ ○ ○경제상태 ○ ○ ○ ○ ○ ○ ○ ○ ○의료보장 ○ ○ ○ ○ ○경제활동 ○ ○ ○ ○ ○ ○ ○ ○가구정보 ○ ○ ○ ○ ○ ○ ○ ○ ○혼인상태 ○ ○ ○ ○ ○ ○ ○ ○종교 ○ ○ ○ ○ ○거주지역 ○ ○ ○ ○ ○ ○ ○ ○

의료

이용의료기관이용 ○ ○ ○ ○ ○ ○ ○의료비용 ○ ○ ○ ○ ○ ○

질병

이환

검진결과 ○신체계측 ○ ○ ○정신보건 ○ ○ ○ ○ ○ ○ ○구강보건 ○ ○ ○ ○ ○사고/중독 ○ ○ ○ ○ ○ ○만성질환 ○ ○ ○ ○ ○ ○ ○ ○장애 ○ ○ ○ ○기타질환 ○ ○ ○질병코드 ○ ○ ○사망 ○

생활

습관

행태

흡연 ○ ○ ○ ○ ○ ○ ○ ○음주 ○ ○ ○ ○ ○ ○ ○ ○약물 ○비만 ○ ○ ○

운동 및 신체활동 ○ ○ ○ ○ ○ ○식생활 ○ ○ ○ ○

안전의식/손상예방 ○ ○ ○ ○성행태 ○

인터넷 중독 ○여가 및 사회활동 ○ ○ ○ ○ ○ ○ ○생활환경 ○ ○ ○ ○ ○개인위생 ○

삶의

삶의 질 ○ ○ ○ ○ ○활동제한 ○ ○ ○ ○ ○주관적 건강 ○ ○ ○ ○ ○ ○ ○

복지

장애인 ○ ○ ○아동 ○노인 ○ ○ ○기타 ○

표 99. 보건의료 관련 설문 조사 현황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2012)

Page 22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6 -

나. 국내외 사회의학 연구 조사 및 연구방법론 비교분석

◦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99%가 양적 연구이고, 질적 연구는 1%에 불과했음. 이에 반

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양적 연구가 86%, 질적 연구가 14%를 차지하고 있었음.

세부 방법론 측면에서는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84%가 단면 연구이고, 2.2%만이 코

호트 연구인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단면 연구가 30%, 코호트 연구가 19%를

차지하고 있음.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총 8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44%가 1차 자료원을 활용했고, 56%가 2차 자료원을 활용한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1차 자료원을 활용한 연구가 65%, 2차 자료원을 활용한

연구가 35%를 차지하였음. 국내 사회의학 연구에서의 높은 2차 자료원의 활용 비율

은 비교적 양질의 행정자료(건강보험, 통계청 등)가 구축되어 있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그러나 연구의 고유한 목적 달성을 위해 자체적

으로 구축한 1차 자료원 활용 비율이 낮은 것은 또 다른 측면의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 연구내용이 2차 자료원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과 범위에 규정받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 이런 점이 외국에 비해 다양한 주제의 사회의학 연구가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 논문 저자들의 소속기관을 기준으로 다학제적 연구 수준을 평가한 결과, 국내 사회

의학 연구의 96%가 보건의료계열 연구자들을이 저자로 포함한 연구였으며, 보건의

료계열 연구자들과 비보건의료 계열 연구자들이 함께 저자로 포함된 연구는 11%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26%가 보건의료 계열과 비보건

의료 계열의 연구자들이 함께 저자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음.

다. 사회의학 분야 조사 및 연구방법론 개선을 위한 과제

◦ 사회의학 연구체계 및 연구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도출된 몇 가

지 방안에 대해 2차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는 조사를 시행하였음. 결과는 다음과 같

이 나타남.

­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는 ‘중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

며, Bulletin 형태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은 ‘보통이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음.

Page 22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7 -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평균

5 4 3 2 1 점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7.1% 50.0% 35.7% 7.1% 0.0%

3.571 7 5 1 0

일반 학술지 게재가 힘든 사례연구, 질적 연구 등을 게재할

수 있는 Bulletin 형태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

21.4% 14.3% 35.7% 21.4% 7.1%3.21

3 2 5 3 1

표 100. 사회의학 연구체계 및 연구발전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조사 및 연구

방법론

◦ ‘이차자료원의 구축 및 보완’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제

시되었음.

­ 자료 간 연계에 대한 각 부처 및 기관의 투명한 절차 확보

­ 공공재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국가 귀속과 일종 기간 후 공개 의무화

­ 데이터 융합센터 또는 사회역학 조사 감시기구 등의 통합적 자료원 운영 기관 필요

­ 한국형 도구 개발 및 공유

◦ ‘질적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제시되

었음.

­ 문헌연구 등 비계량적 연구에 대한 지원 필요.

­ 정규 교육 수준의 향상(학술공동체 활동 통한 지속적 교육 훈련 강화)

­ 질적연구 분야 교육인력 및 체계 지원 확대

­ 연구성과물에 대한 평가 개선

­ 일반인들에 대한 칼럼기고 또는 종설형태의 학술지게재여부를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에 반영하는 제도도입

­ 생태학적 연구와 인류문화학적 접근 지원 강화

­ 연구자 평가기준 완화(SCI 학술지)

1) 사회의학 분야의 조사방법론 개선

가) 2차 자료원의 활용성 증대

◦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양질의 2차 자료원(건강보험통계, 통계청 자료, 국민건강영

양조사, 한국의료패널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큰 장점임. 그러나 기존 2차 자료원

이 건강결정요인이 포괄적으로 포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한계임(심리적·문화적 요

인, 사회적 지지체계, 사회적·물리적 환경, 의료이용의 대면관계 측면 등). 새로운 사

회의학 연구 자료원을 구축하는 것보다 기존의 자료원을 보완하는 방향이 효과적.

연구자의 자료 활용을 위한 정보제공 및 활용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특히

다양한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변수들이 융합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원 간의 연

Page 22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8 -

계를 위한 논의 기구 및 기술적 방안이 마련될 필요 있음.

나) 조사문항의 개발과 선별

◦ 각종 설문조사와 패널조사 등은 사회의학 연구의 기초재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

원임. 이들 조사의 항목에 포함되는 인구학적 변수, 사회경제적 변수, 건강관련행태,

유병 현황과 의료이용 양상 등은 이미 표준화가 이루어져서 대부분의 조사에서 동

일한 문항으로 포함되어 있음. 그러나 본 연구에서 포함하여 조사를 시행한 물리적

환경, 사회적 지지, 사회적 네트워크, 의사-환자 간의 신뢰, 의료기관 선택 요인 등

은 연구자마다 매우 다양한 문항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또한 본 연구에 포함하

지 못한 사회규범에 대한 인식, 사회적 연대감, 사회적 응집력 등에 대해서는 조사

문항의 개발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임. 따라서 향후 이들 조사문항을 개발하고 선별

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음.

2)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방법론 개선

가)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

◦ 사회의학 연구에서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지만, 보건의료 계열과 비보건의료 계

열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의 비중은 10% 수준에 불과함(외국은 다학제적

접근 연구의 비중이 26%).

◦ 다학제적인 접근은 임상의료가 아닌 사회의학적 접근에서는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연구과제별로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인류학 등 사회과

학 분야의 연구자를 포함하여, 융합적 연구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가산점

부과 등의 방안을 통해 다학제적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또한 연구내용도 의

학 분야에 치중되지 않고, 간호학, 치과학, 한의학 등 보건의료 전 분야의 주제가 포

괄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구진도 이에 부응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음.

나) 질적 연구 교육인력 및 체계에 대한 지원

◦ 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99%가 양적 연구이고, 질적 연구는 1%에 불과했음(외국은

질적 연구의 비중이 14%).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총 8개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사회의학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연구방

법론을 활용함.

Page 22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09 -

◦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질적 연구 분야 방법론을 전문적

으로 교육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문 인력과 체계에 대한 지원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음.

다) 일반 학술지 게재가 힘든 사례연구, 질적 연구 등을 게재할 수 있

는 Bulletin 형태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

◦ 일반 학술지 게재가 힘든 사례연구와 질적 연구 등을 게재할 수 있는 Bulletin 형태

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 등의 방

안을 통해 다양한 연구방법론 적용과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Page 22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0 -

제6장. 참고문헌

Aafke V, Diana MD, Roland DF, Jany JR. Determinants of patient choice of healthcare providers: a scoping review.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2. 12:272.

Anderson MR, Sidel VW. What is social medicine. Monthly Review. 2005. 56(8):27-34.

Antonovsky. Social class, life expectancy and overall mortality.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1967. 31-73.

Berkman LF, Kawachi I et al. Soci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Burge P, Devlin N, Appleby J, Rohr C, Grant J. London patient choice project evaluation. A model of patients' choices of hospital from stated and revealed preference choice data. London Patient Choice Project Team, Department of Health. 2005.

Corbin CB, Lindsey R et al. Concepts of Fitness and wellness. McGraw-Hill. 1999.

Dahlgren G, Whitehead M.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Stockholm: Institute of Futures Studies. 1991.

De Silva A and N Valentine. A framework for measuring responsiveness. 2000.

Dixon A, Robertson R, Appleby J, Burge P, Devlin NJ. Patient choice: How patients choose and how providers respond. The King's Fund. 2010.

Engel GL.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 Science. 1977. 196(4286):129-136.

Farlex.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Farlex. 2012.

Farmer, Paul E., Bruce Nizeye, Sara Stulac, and Salmaan Keshavjee. Structural Violence and Clinical Medicine. PLoS Medicine, 2006;1686-1691

Feachem RG, Graham WJ et al. Identifying health problems and health research prior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1989. 92(3):133-191.

Glesne C, Peshkin A.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White Plains, NY: Longman. 1992.

Green G. Health and governance in European cities: a compendium of

Page 22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1 -

trends and responsibilities for public health in 46 member states of the WHO European Region.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1998.

Hester RT. Planning neighborhood space with people. Van Nostrand Reinhold. 1984.

Hurst J and Melissa J.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OECD health systems. 2001.

Illich, I. Limits to medicine. Marion Boyars. 1976.Kaplan GA, Seeman TE, Cohen RD, Knudsen LP, Guralnik J. Mortality

among the elderly in the Alameda County Study: behavioral and demographic risk facto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7. 77(3). 307-312.

Kleczkowski BM, Elling RH, Smith DL. Health system support for primary health care. Geneva:WHO. 1984.

Lalonde M.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care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Ottawa: Department of National Health and Welfare. 1974.

Lalonde M. A new perspective on health of Canadians. CMNHW, 1974.; Dever A. Community health analysis(2nd ed.). Aspen Publication, 1991

Lee JY, Jo MW, Yoo WS, Kim HJ, Eun SJ. Evidence of a broken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Korea: Unnecessary hospital outpatient utilization among patients with a single chronic disease without complications. J Korean Med Sci. 2014. 29:1590-1596.

McKeown T. The modern rise of population. Arnold. 1976.McKeown T. The role of medicine. Basic Blackwell, 1979 McKeown T, Lowe CR. An Introduction to Social Medicine. F.A. Davis

Company, 1966Mosby.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Elsevier. 2009.Mossialos E, Wenzl M, Osborn R, Anderson C. International profiles of

health care systems. 2014. New York, NY: The Commonwealth Fund. 2015.

Murray CJ, Frenk J. A WHO framework for health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Evidence and Information for policy,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

Rosen G. From medical police to social medicine. 1974.Segen JC.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medicine. McGraw-Hill. 2006.Sofaer S. Qualitative methods: what are they and why use them? Health

Serv Res. 1999. 34(5): 1101-1118.

Page 22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2 -

Stonington S, Holmes SM. Social medicine in the twenty-first century. PLoS Med, 2006;3(10):e445. DOI: 10.1371/journal.pmed.0030445

Straus R. The nature and status of medical sociolog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57. 200-204.

World Health Organization. Basic Documents. 1985;35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2000.WHO. Everybody's business-strengthening health systems to improve

health outcomes: WHO's framework for action. 2007.WHO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김민정.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김수진, 차희원. 결속형, 교량형 사회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특성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보. 2013. 57(1): 187-215.

김윤옥 등.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2001.도영경 등. 환자중심성 평가모형 개발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대학교산학

협력단. 2015.박은자, 김진수 등. 보건의료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한

국보건사회연구원. 2013.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

문. 1985.백인길, 양승우. 공동주택유형별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998. 33(2):135-147.신연섭, 연태경. 가족생활주기별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거주자 요구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6. 22(6):57-64.신영전, 윤효정. 보건운동가로서 춘곡 양봉근의 생애. 의사학, 2005;14(1):1-31신용수, 김용익 등. 의료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양은배. 새로운 학문: 인문사회의학. 교수신문, 2003.11.21.이종찬. 19세기 독일사회의학의 역사적 발전. 의사학, 1994;3(1):21-29장서진. 사회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수준이 치매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 문화적 특성인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전우택. 사회의학 연구방법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Page 23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3 -

전우택, 김선, 양은배. 사회의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2001.조현대, 윤문섭 등. 선도현 R&D 전환을 위한 기초연구사업 지원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최용준. 최근 우리나라 보건관리연구의 경향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01.

11(4):129-152.한국보건의료연구원.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활용. 2012.

Page 23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4 -

제7장. 부록

1. 대국민 설문조사

의료 관련 설문조사

안녕하세요? 본 조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의뢰로 일반 국민들의 건강 분야 및 사

회, 의학 분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목적이니 바쁘시더라도 잠시

만 시간을 내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응답하신 모든 내용은 통계법 33조 및

34조에 따라 연구 목적 외에는 절대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2015. 08

(주)리서치앤리서치(R&R)

SQ1. 선생님께서는 현재 어느 지역에 살고 계십니까?

01) 서울 02) 부산 03) 대구 04) 인천 05) 광주 06) 대전

07) 울산 08) 경기 09) 강원 10) 충북 11) 충남 12) 전북

13) 전남 14) 경북 15) 경남 16) 제주

SQ2. 성별

1. 남자 2. 여자

SQ3. 선생님의 연령은 올해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만 ( ) 세

1. 만19~29세 2. 30대 3. 40대 4. 50대 5. 60세 이상

● 지금부터 생활 습관 및 행태와 관련하여 여쭙겠습니다.

Q01. 평소 귀하의 건강 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건강하다 ② 건강한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⑤ 전혀 건강하지 않다

Q02. 귀하께서는 몇 세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Page 23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5 -

( ) 세

Q03. 귀하의 키와 체중은 얼마입니까?

Q03-1. 키 Q03-2. 몸무게

cm kg

Page 23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6 -

Q04. 귀하께서는 현재 담배를 피우십니까?

① 매일 피운다 ② 가끔 피우는 편이다

③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 ④ 피운 적 없다

Q05. 귀하께서는 술을 얼마나 자주 마십니까?

① 평생 술을 한 잔도 마시지 않음(☞Q06으로 이동)

② 최근 1년간 한 잔도 마시지 않음

③ 한 달에 1번 정도

④ 한 달에 2~4번 정도

⑤ 일주일에 2~3번 정도

⑥ 일주일에 4번 이상

Q5_1. 귀하께서 술을 드실 때, 한번에 술을 얼마나 마십니까?

① 1~2잔 ② 3~4잔 ③ 5~6잔 ④ 7~9잔 ⑤ 10잔 이상

Q06. 귀하께서는 지난 1주일 동안 아래 보기와 같이 평소보다 숨이 조금 가쁘고 심장박동

이 증가하는 정도의 신체활동을 10분 이상 한 날은 며칠입니까?

예시

● 배구, 배드민턴, 탁구, 복식테니스, 요가, 미용체조 등

● 가벼운 물건 나르기 등 직업활동 포함

● 수영 및 자전거 타기

● 조금 빠르게 걷기

① 0일(전혀 하지 않음)(☞Q07로 이동)

② 1일 ③ 2일 ④ 3일 ⑤ 4일 ⑥ 5일 ⑦ 6일 ⑧ 7일

Q6_1. 이러한 신체활동은 보통 하루에 몇 분 정도 하십니까?

하루 평균 ( ) 분

Q07. 귀하께서는 평소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느끼고 있습니까?

① 매우 많이 느낀다 ② 많이 느끼는 편이다

③ 별로 느끼지 않는 편이다 ④ 거의 느끼지 않는다

Page 23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7 -

● 지금부터는 의료 이용 및 보건 의료 제도에 관해 여쭙겠습니다.

Q08. 우리나라의 의료 서비스체계를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 한국의 의료서비스제도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① 전반적으로 잘 작동되고 있으며 약간의 수정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② 현재의 의료서비스체계는 장점이 있지만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③ 현재의 의료시스템은 너무 문제가 많아서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한다.

Q09. 귀하께서는 다음 질환을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적이 있습니까? (복수 응답)

①고혈압 ②고지혈증 ③뇌졸중(중풍) ④협심증·심근경색증

⑤골관절염·류마티스성관절염 ⑥폐결핵 ⑦천식 ⑧당뇨병

⑨갑상선 장애(항진증, 저하증 등) ⑩암 ⑪우울증 등 정신질환 ⑫신부전

⑬간경변증 ⑭기타 질환 ⑮진단받은 적 없음

Q10. 귀하께서는 최근 1년동안 입원하신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있다 ② 없다(☞Q11로 이동)

Q10_1. 최근 1년 동안 몇 번 입원 하셨습니까?

최근 1년 동안 ( ) 번

Q10_2. 귀하께서 가장 최근 입원한 의료기관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단수 응답)

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②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③ 대학(종합)병원 ④ Big 5 병원(서울대/삼성/아산/세브란스/성모)

Q10_3. 가장 최근에 입원하여 이용하셨던 의료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

까?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③ 보통 ④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Q10_4. 가장 최근에 입원하여 이용하셨던 의료기관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 정도입

니까?

① 매우 신뢰 ② 신뢰 ③ 보통 ④ 신뢰하지 않음 ⑤ 전혀 신뢰하지 않음

Q11. 귀하께서는 최근 2주간 입원하지 않고, 병의원 외래에서 치료를 받으신 경험이 있으십

니까?

① 있다 ② 없다(☞Q12로 이동)

Page 23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8 -

Q11_1. 귀하께서 가장 최근 외래로 이용한 의료기관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단수 응답)

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②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③ 대학(종합)병원 ④ Big 5 병원(서울대/삼성/아산/세브란스/성모)

Q11_2. 가장 최근에 외래로 이용하셨던 의료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

까?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③ 보통 ④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Q11_3. 가장 최근에 외래로 이용하셨던 의료기관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 정도입니

까?

① 매우 신뢰 ② 신뢰 ③ 보통 ④ 신뢰하지 않음 ⑤ 전혀 신뢰하지 않음

Q12. 우리나라의 의사 전반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① 매우 신뢰 ② 신뢰 ③ 보통 ④ 신뢰하지 않음 ⑤ 전혀 신뢰하지 않음

Q13. 귀하께서는 최근 1년 동안 본인이 병의원(치과 제외)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한 경험

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Q14로 이동)

Q13_1.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복수 응답)

① 경제적인 이유로

② 병의원 등에 예약을 하기가 힘들어서

③ 교통편이 불편하고 멀어서

④ 내가 갈 수 있는 시간에 병의원 등이 문을 열지 않아서

⑤ 병의원 등에서 오래 기다리기 싫어서

⑥ 증상이 가벼워서

⑦ 어디로 가야할 지 몰라서(정보 부족)

⑧ 기타( )

● 지금부터는 사회/물리적 환경에 관해 여쭙겠습니다.

Q14_1. 귀하께서는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

까?

① 있다 ② 없다(☞Q14_2로 이동)

Q14_1_1. 있다면, 몇 명입니까?

( )명

Page 23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19 -

Q14_1_2. 있다면, 다음 중 해당되는 관계를 모두 응답해주세요.(복수 응답)

①배우자 ②부모③시부모/처부

모④자녀 ⑤친척 ⑥이웃

⑦친구⑧직장동

료⑨학교동료 ⑩봉사단체동료 ⑪종교단체 구성원

⑫기타단체

구성원

Q14_2. 귀하께서는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

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Q14_3으로 이동)

Q14_2_1. 있다면, 몇 명입니까?

( )명

Q14_2_2. 있다면, 다음 중 해당되는 관계를 모두 응답해주세요.(복수 응답)

①배우자 ②부모③시부모/처

부모④자녀 ⑤친척 ⑥이웃

⑦친구⑧직장동

료⑨학교동료

⑩봉사단체동

⑪종교단체

구성원⑫기타단체 구성원

Q14_3. 귀하께서는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Q15로 이동)

Q14_3_1. 있다면, 몇 명입니까?

( )명

Q14_3_2. 있다면, 다음 중 해당되는 관계를 모두 응답해주세요.(복수 응답)

①배우자 ②부모 ③시부모/처부모 ④자녀 ⑤친척 ⑥이웃

⑦친구⑧직장

동료⑨학교동료 ⑩봉사단체동료

⑪종교단체

구성원

⑫기타단체

구성원

Q15. 귀하께서는 지난 1년 동안 아래의 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한 적이 있습니까? 있으시다면,

모두 응답 해주세요.

① 친목 및 사교단체(계, 동창회 등) ② 종교단체(자비원, 선교회, 교리연구회 등)

③ 취미, 스포츠 및 레저단체 ④ 시민사회단체(환경단체, 봉사단체 등)

⑤ 학술단체 ⑥ 이익단체(노조, 의사회, 약사회 등) ⑦ 정치단체

⑧ 지역사회모임(반상회, 입주자 대표회 등) ⑨ 기타( )

Page 23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0 -

⑩ 참여하거나 활동한 적 없다

Q16. 귀하가 주로 생활하시는 곳으로부터 걸어서 10분 이내 거리에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

습니까?(복수응답)

① 학교시설(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등)

② 사회교육시설(도서관, 시민회관, 평생교육시설 등)

③ 사회복지시설(아동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등)

④ 운동시설(근린공원 등 공원녹지시설, 체육시설 등)

⑤ 보건의료시설(병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보건소 등)

⑥ 행정관리시설(주민센터, 소방서, 우체국, 파출소 등)

⑦ 대형마트, 백화점

⑧ 패스트푸드점

⑨ 문화시설(영화관, 미술관 등)

⑩ 모두 없음

Page 23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1 -

● 지금부터는 사회의학분야 우선 순위에 관해 여쭙겠습니다.

● 다음은 의료 환경에 대한 항목입니다. 귀하께서 판단하시기에 각 항목 대해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응답해주십시오.

매우

중요하다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

Q17_1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2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3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4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5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Q17_6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Q17_7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8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9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Q17_1

0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1

1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1

2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1

3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① ② ③ ④ ⑤

Q17_1

4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① ② ③ ④ ⑤

Page 23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2 -

● 지금부터는 의료 기관 선택과 관련하여 여쭙겠습니다.

Q18. 고혈압, 당뇨병 등 일상적인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어떤 의료기관을 이용하시겠습니

까? (질환을 앓고 있다면 실제 이용하신 기관을, 앓고 있지 않다면 실제 이용한다고

가정하시고 답해주십시오)

① 집 혹은 직장 근처의 동네의원 ② 집 혹은 직장 근처의 중소병원

③ 대학(종합)병원 ④ Big 5병원(서울대/삼성/아산/세브란스/성모 등)

Q19. 귀하께서 아래의 요인이 위 응답하신 의료기관을 선택하실 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

습니까?

영향 요인큰 영향을

미쳤다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Q19_1 병의원까지 거리나 소요시간 ① ② ③ ④

Q19_2 병의원의 청결한 정도 ① ② ③ ④

Q19_3 병의원이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있는 것 ① ② ③ ④

Q19_4 주변 사람들의 평판 ① ② ③ ④

Q19_5 접수나 이용절차가 편리한 것 ① ② ③ ④

Q19_6 병의원의 의료비 수준 ① ② ③ ④

Q19_7 의료진이 친절한 것 ① ② ③ ④

Q19_8진료 혹은 검사를 위해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것① ② ③ ④

Q19_9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공식적인 기관의

평가 결과① ② ③ ④

Q19_1

0기타( ) ① ② ③ ④

Page 24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3 -

※ 이제 끝으로 통계처리를 위해 몇 가지 여쭙겠습니다 ※

DQ1. 귀하께서는 어떤 종류의 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까?

① 지역 건강보험

② 직장 건강보험

③ 의료급여(1, 2종)

DQ2. 귀하께서 살고 계신 집은 자가입니까? 전세나 월세입니까?

① 자가

② 전세

③ 월세

④ 무상 제공 또는 타인 소유(관사, 사택, 친인척의 실소유 등)

DQ3. 실례지만 학교는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① 중졸이하

② 고졸

③ 대학교 재학/졸업

④ 대학원 재학/졸업 이상

⑤ (불러주지 말 것) 없음/모름/무응답

DQ3. 선생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농업/임업/어업/축산업

② 자영업 (상업, 소규모 장사, 개인택시운전사 등)

③ 판매/서비스직 (상점 점원, 세일즈맨, 방문 판매원, 미용사 등)

④ 기능/숙련공 (운전기사, 세탁, 선반, 목공, 기능공 등)

⑤ 일반작업직 (제조업 생산직, 현장직업, 일용노무직, 청소관리, 경비원 등)

⑥ 사무기술직 (차장이하 사무직, 초중고 교사, 6급이하 공무원)

⑦ 경영/관리직 (5급이상 공무원, 기업체 부장 이상)

⑧ 전문/자유직 (변호사, 의사, 건축사, 교수, 예술가, 종교지도자 등)

⑨ 가정주부 (가사와 육아만 하는 전업주부)

⑩ 학생

⑪ 무직

⑫ 기타( )

⑬ 모름/무응답

DQ4. 선생님 댁 가족 전체의 보너스를 포함한 월평균 소득은 얼마입니까?

① 100만원 이하 ② 100~200만원 미만

Page 24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4 -

③ 200~300만원 미만

④ 300~400만원 미만 ⑤ 400~500만원 미만 ⑥ 500~600만원 미만

⑦ 600만원 이상

⑧ 모름/무응답

♣ 감사합니다. ♣

Page 24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5 -

2. 전문가 의견조사(1차)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연구소입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용역과제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

한 사회의학 기초연구” 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사회의학 연

구 현황 진단, 사회의학 영역별 연구주제와 우선순위 설정, 사회의학 분야 연구에 대

한 체계적 지원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연구주제와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속성을 중심으로 사회의학 분야 연구주제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합니다. 이와 아울러 사회의학 분야 연구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필요성은 있으

나 간과되고 있는 사회의학 연구주제 등에 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조사결과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본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잠시 시간 내셔서 조사에 참여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책임연구원: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연구소)

연 구 원: 강영호(서울대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보조원: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배재경(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각 문항에 따라 응답란에 ✔ 로 표시하시거나 단답식으로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

본 조사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아래로 연락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의과학관 5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담당자: 배재경 전화: (02) 740-8362 팩스: (02) 743-2009 이메일: [email protected]

Page 24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6 -

◦ 사회의학 분야 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1.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의 주요 가치를 효과성, 형평성, 반응성, 지속가능성의 4가

지로 도출하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이 가치를 기초하여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을 열거한 것입니다. 각 항목별 중요도를 판단해 주십시오.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5 4 3 2 1

1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

어야 한다.

2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

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3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4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

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5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6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

다.

7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8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의 알 권리

가 보장되어야 한다.

9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야 한다.

10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11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12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13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

14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Page 24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7 -

◦ 사회의학 연구 활용 증대 방안

­ 외국에서는 연구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Knowledge Translation(KT) 개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nowledge Translation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

이고, 연구 과정과 성과를 향상시킴으로써 해당 연구가 국민 건강과 보건의

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 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근거(evidence)와 실행(practice) 간의 격차를 줄이려는 목적이 있습니

다.

2. 아래는 Knowledge Translation의 각 단계별 활동내용을 기술한 것입니다. 선생님

께서는 연구 성과관리 측면에서 기존 사회의학 연구의 각 단계별 활동이 어느 정도라

고 판단하십니까?

매우잘되고있다

잘되고있다

보통이다

미흡하다

매우미흡하다

5 4 3 2 1

1연구기획: 연구주제 및 방법론의 결정

2과정관리: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

3결과활용: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

4결과활용: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결정 혹은 사업수행

5결과환류: 정책 및 사업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

3. 각 단계별로 사회의학 연구의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방안 혹은

정책이 있다면 제안해 주십시오.

1연구기획: 연구주제 및 방법론의 결정

2과정관리: 애초의 목적을 충족하도록 연구 진행 과정을 관리

3결과활용: 일반인과 전문가 등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과 형식으로 공개

4결과활용: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결정 혹은 사업수행

5결과환류: 정책 및 사업수행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후속 연구

Page 24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8 -

◦ 사회의학 연구 주제 발굴

4. 국민 건강에 큰 영향은 미치지만 그 간의 사회의학 연구에서 간과된 주제나 영역

이 있다면 제안해 주십시오.

(예. 건강의 사회적 측면을 추적 관찰하는 코호트 연구, 의사-환자 관계, 건강위해물질

규제 관련 정책 등)

- 의견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age 246: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29 -

3. 전문가 의견조사(2차)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연구소입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용역과제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

한 사회의학 기초연구” 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사회의학 연

구 현황 진단, 사회의학 영역별 연구주제와 우선순위 설정, 사회의학 분야 연구에 대

한 체계적 지원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올해 9-10월에 걸쳐 연구주제와 우선순위 설정, 사회의학 분야 연구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1차적으로 취합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결과를 알려드리고 추가적인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조사결과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본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잠시 시간 내셔서 조사에 참여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책임연구원: 이진석(서울대 의료관리학연구소)

연 구 원: 강영호(서울대 의료관리학연구소)

연구보조원: 김연용(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배재경(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각 문항에 따라 응답란에 ✔ 로 표시하시거나 단답식으로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

본 조사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아래로 연락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의과학관 5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담당자: 배재경 전화: (02) 740-8362 팩스: (02) 743-2009 이메일: [email protected]

Page 247: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0 -

◦ 사회의학 분야 주제 및 우선순위 설정

1.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의 주요 가치를 효과성, 형평성, 반응성, 지속가능성의 4가

지로 도출한 후 보건의료체계가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별 중요도를 조사하였습니다.

전문가 및 일반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일부 차이가 나타나는 항목이 있습니다.

지난 번 조사에서 중요도를 평가해주셨지만 아래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평가하신다면

어떻게 평가하시겠습니까?

Page 248: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1 -

일반인우선순위

전문가우선순위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5 4 3 2 1

의료사고나 부작용 없는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1 3

의료비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2 11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3 10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이 지

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4 13

충분한 정보 제공을 통해 환자

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5 12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시설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6 9

의료를 위한 재정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7 4

환자에게 친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8 14

경제적 능력에 맞게 공평하게 건강보험료 등 의료재정을 부담해야 한다.

9 5

국민의 의료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인력이 적정하게 공급·유지되어야 한다.

10 7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11 1

지역에 상관없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야 한다.12 8

질 높은 의료서비스(양질의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13 6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상담·재활 등 폭 넓은 서비스

가 제공되어야 한다.14 2

Page 24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2 -

2. 본 연구에서 시행한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주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 세부주제내용 비율 내용 비율 중요주제 간과주제

보건의료시설 0.7% 시설의성과관리및평가, 시설 기획, 시설분포등 0.7%보건의료조직 0.4% 민간보건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공사협력등 0.4%

보건의료인력 5.5% 인력의성과관리및평가, 인력양성 및교육, 인력기획 2.2%전문주의, 직무만족도 3.3%

보건의료서비스 15.1%

건강증진및예방: 건강증진, 예방접종, 건강검진등 3.3%어린이건강 1.5%응급의료 1.1%정신건강 0.7%장애인건강 0.4%완화의료 0.0%만성질환관리 2.6%급성질환관리 0.0%직장건강 1.5%환경성질환 0.0%보완대체의학 1.1%모자보건 0.7%

장기요양서비스 2.2%

보건의료의제공 4.0%

보건의료의필요와수요 0.7%전달체계 1.5%

도시-농촌의료체계 0.4%의료기관선택 0.7%

보건의료서비스이용의결정요인 0.4%접근성 0.0%

의사-환자관계 0.0%의사소통 0.4%

의료의 질과

안전4.8%

환자안전 0.4%의료의질 2.2%

환자중심의료 0.0%환자만족도 2.2%

보건의료정책과

행정4.0%

보건의료정책 1.8%보건의료행정 1.5%

규제 0.7%의료윤리와 법 0.4% 0.4%

보건경제 19.5%측정과평가: 경제성평가, 질병부담 등 8.5%

보건의료재정: 건강보험, 재원조달, 국민의료비, 지불제도등 11.0%

보건의료정보와

기술2.2%

보건의료정보 0.4%보건의료기술 1.1%e-Health 0.0%근거기반의료 0.0%연구개발 0.7%

보건의료산업 0.4% 병원산업, 의료기기산업, 제약산업, 의료관광등 0.4%국제보건 0.7% 0.4%공중보건 및

환경3.7%

공중보건: 손상, 질병감염, 위생 2.2%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등 1.5%

건강 수준의

측정과 통계6.3%

건강수준측정 1.5%건강통계: 사망률, 이환율등 4.8%

건강 관련 행태 18.0%건강행태: 건강행태요인(흡연, 음주, 운동, 수면, 비만, 스트레스등) 15.8%

질병행태(치료자고르기, 스스로돌보기등) 0.0%의료이용행태: 환자행태, 공급자행태등 2.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14.7%

교육수준 0.4%소득수준 6.6%직업 0.7%지역 2.6%인종 0.7%

산업활동 1.8%사회정책 0.0%기타 1.8%

Page 250: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3 -

매우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않다

전혀중요하지않다

5 4 3 2 1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사회의학 연구 기획위원회를 구성하

여 운영연구주제 발굴 및 과제 선정, 결과 평가에 이해당사자, 일반 국민의 참여 보장연구주제와 방법론 등의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비율 기준

을 설정하여 사회의학 연구 발주에 반영

다학제적 연구진 구성 과제에 대한 가산점 부과

문제발견형 연구가 아닌, 문제해결형 연구(지역사회 개입연구)에 대한 가산점 부과장기과제가 사회의학 분야 연구의 일정 비율을 차지하도록 기준 설정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과제 관리를 위한 전담체계 마련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연구결과의 공유 활성화를 위해 사회의학 연구 포털을 구축하여 운영비전문가 집단이 연구결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 요약자료 작성일반 학술지 게재가 힘든 사례연구, 질적 연구 등을 게재

할 수 있는 Bulletin 형태의 사회의학 학술지 발간다양한 연구결과물(칼럼, 뉴스레터, 강의 등)을 사회의학

분야 연구실적으로 인정하는 체계 마련연구결과의 활용실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결과 공개

사회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라고 생각하시는 항목과 필요성은 있지만 간과되고

있다고 판단하시는 항목을 각각 5개씩 표시해 주십시오.

3. 다음은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관리와 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안해 주신 내용을 정

리한 것입니다. 이들 방안에 대해서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들 방안 외에 사회의학 분야의 연구 관리와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시

는 내용이 있으면 기술해 주십시오.

Page 25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위한 사회의학 기초 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분석 등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

- 234 -

4. 본 연구에서 시행한 연구동향분석 결과, 국내외 연구의 방법론에 따른 차이는 다음

과 같이 나타났습니다.

4.1.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계량 분석에 치중(국내 사회의학 연구의 96%는 양적 연

구, 4%는 질적 연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시기에 계량

분석 이외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4.2.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문제해결형’ 연구(4%)가 아니라 ‘문제발견형’(62%), ‘문

제진단형’(21%)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원인을 파악하는 ‘문제발견형/진단형’ 연

구가 아닌 실질적인 정책적 개입에 대한 ‘문제해결형’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방

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4.3. 국내 사회의학 연구는 분석 단위가 개인 단위 연구(80%)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지역사회 단위, 정책 단위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

까?

( )

4.4. 사회의학 연구를 위한 이차자료원은 다양한 편이지만 각각의 조사자료에는 일

정 부분 한계가 존재합니다. (예. 사회적지지/자본 등 변수 부족, 자료 간 연계 불가

등) 선생님께서는 기존 조사 자료를 구축·보완하는 방법으로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 의견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