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4
행동이론 정의와 원인론 평가절차 교육적 적용 생각해 볼 문제 행동이론의 주요 가정은 무엇인가? 외현적 혹은 상황적 변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응용행동분석 의 정의는 무엇인가 (ABA) ? 어떤 것이 어떤 사람에게 강화인이 되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행동기능평가 는 무엇이며 학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FBA) , 무엇인가? 행동주의 모델 측면에서 정서장애 가 있을 수 있는가? 행동주의자는 교육과 학습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도입 문제의 근원이 개인 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신체생리학적 모델이나 심리역동적 , 모델 인지적 모델과는 달리 행동주의 모델은 일탈행동이 환경적 영향과 과거 경험의 , ,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장애는 일반적으로 강화와 벌의 결과로 학습되어 온 부 . 적절한 행동의 레퍼토리로 파악된다 행동주의자들은 그러한 부적절한 행동이 중단될 . 수 있고 새로운 행동이 습득될 수 있다고 믿는다 많은 교육적 전략들은 응용행동분 , . 이라고도 하는 행동주의에 기초하고 있다 (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 . chapter 07 행동주의 모델

Upload: others

Post on 28-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행동이론

정의와 원인론

평가절차

교육적 적용

생각해 볼 문제

■ 행동이론의 주요 가정은 무엇인가?

■ 외현적 혹은 상황적 변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응용행동분석 의 정의는 무엇인가(ABA) ?

■ 어떤 것이 어떤 사람에게 강화인이 되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행동기능평가 는 무엇이며 학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이유는(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FBA) ,

무엇인가?

■ 행동주의 모델 측면에서 정서장애가 있을 수 있는가?

■ 행동주의자는 교육과 학습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도입

문제의 근원이 개인 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신체생리학적 모델이나 심리역동적,

모델 인지적 모델과는 달리 행동주의 모델은 일탈행동이 환경적 영향과 과거 경험의, ,

기능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장애는 일반적으로 강화와 벌의 결과로 학습되어 온 부.

적절한 행동의 레퍼토리로 파악된다 행동주의자들은 그러한 부적절한 행동이 중단될.

수 있고 새로운 행동이 습득될 수 있다고 믿는다 많은 교육적 전략들은 응용행동분, .

석 이라고도 하는 행동주의에 기초하고 있다(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 .

chapter07행동주의 모델

Page 2: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04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개관

행동주의 혹은 응용행동분석에서는 일탈행동을 잘못된 학습에서 초래되는 것으로 본

다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사람이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행동하는.

가에 주목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관찰이 불가능한 인간의 내적 요소는 거의 없고. , ,

또한 관찰될 수 있는 행동만이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행동주의. ,

모델을 따르는 전문가들은 특수교육적 명칭을 심한 정서장애에서 행동장애로 바꾸려

는 시도를 해왔다 일탈행동을 특별한 환경적 영향의 결과로 보기 때문에 평가와 치료.

는 상황적 변인의 파악을 우선적 목표로 삼는다 파악된 상황적 변인이 변하면 인간.

행동도 변할 것이라고 본다.

정의와 기본적 관점

정서장애는 부적응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서(Ullman & Krasner, cited in, Russ, 1974).

장애는 다른 모든 행동들처럼 학습된 행동으로 발달되고 유지되는 것이다(Russ, 1974,

p. 102).

이 정의는 행동주의자들이 장애를 학습된 반응으로 파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행동.

주의자들은 일탈행동과 정상행동 간의 유일한 차이는 행동의 빈도와 강도 그리고 사

회적 적응성이라고 주장한다 즉 어떤 행동이 덜 나타나고 덜 심하며 더 적응적이면. , ,

장애라고 명칭 붙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문제행동은 내적인 일탈이 아닌 사회적.

기대의 범위에서 일탈된 것이며 타인에 의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하였다.

행동주의 이론은 초기에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실 연구에서 밝혀진 학습의 원칙

에 기초하고 있다 행동주의 이론은 결코 일원적이지 않고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을 더. ,

많이 가지고 있다 비록 차이점이 일치되지 않고 주요 이론적 학파들 내에 또 다른. ,

학파가 있지만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공통된 가정을 가지고 있다.

1. 행동은 관찰 분석 측정될 수 있는 반응 혹은 행위로 정의된다, , .

2. 예외가 있긴 하지만 모든 행동은 학습될 수 있다, .

3. 사람들은 외적 변인과의 함수관계로 행동한다 예 선행사건과 결과( ).:

Page 3: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05

4. 행동은 강화 보상 와 벌의 결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행동은 학습을 통해( ) .

수정 가능하며 이것을, 행동수정 이라고 한다(behavior modification) .

이러한 가정은 행동주의 모델이 가지고 있는 많은 특성의 기초가 되고 있다 첫째는.

부적응 행동이 학습될 수 있다는 바로 그 기초적 전제이다 둘째는 환경이 행동을 유.

도하고 유지하는 데에 중립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행동주의자들은 행동이.

발생하는 장면과 행동의 바로 이전 및 이후의 사건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셋째 행동. ,

주의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강조하므로 심리적인 힘이나 다른 개인의 내적 변인을 설

명하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행동주의 모델은 성격의 성장과.

행동을 결정하는 무의식적 힘의 개념에 관심을 갖는 역동적 모델과 정반대이다.

원인론과 일탈행동의 발달

행동주의 모델을 이해하는 가장 간단하고 실제적인 방법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 개념

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수동적 혹은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그리고 사회 학습. , ,

혹은 모델링이 그것이다.

수동적고전적 조건화( )

행동발달의 원칙에 대한 기초로 그리고 이 원칙을 중재에 적용하는 기초로 항상 인용

되는 세 가지 고전적 실험이 있다 년에 러시아 물리학자인 는 실험실. 1902 Ivan Pavlov

의 개가 식사시간이라는 단서 즉 음식접시를 보는 것 혹은 사람이 먹이를 주기 위해( ,

다가오는 소리를 듣는 것 에 침을 흘리기 시작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조건 하에) .

서 는 중성적 자극인 벨소리를 무조건 자극인 고깃가루에 짝지음으로써 개가, Pavlov

침을 흘리도록 조건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무조건 자극은 무의식적인 반응.

이 경우에는 침 흘리는 것 을 유도하는 사건이나 대상이다 무조건 자극인 음식물과( ) .

중성자극인 벨소리를 몇 번 짝지은 후에는 벨소리만으로 개가 침을 흘린다 이와 같이.

고전적 조건화 패러다임이 입증되었다 무조건 자극고깃가루은 조건 반응침흘리기. ( ) ( )

을 유도하는 이전의 중성적 혹은 조건 자극벨소리과 짝지어질 수 있다 학습은 조건( ) .

화 과정 혹은 벨소리와 음식의 연합으로 정의된다.

두 번째 고전적 실험은 과 가Watson Raynor(1920) ‘어린 앨버트’라고 알려진 아동

Page 4: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06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을 대상으로 실행한 것이었다 생후 개월의 어린 앨버. 11 트는 큰 소리에만 공포 반응을

나타내었고 달리 공포를 나타내는 것은 없었다 큰 소리무조건 자극와 동시에 흰 쥐. ( )

중성 혹은 조건 자극 를 보여 줌으로써 쥐만으로도 아동이 공포 반응 조건 반응 을( ) ( )

느끼게 되었다 공포 반응은 단지 일곱 차례의 짝짓기만으로 나타났고 토끼나 개 털. ,

코트 그리고 산타클로스 가면과 같은 대상에게도 일반화되었다 공포 반응은 한 달이.

넘게 다양한 장면에서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학습이란 조건화 혹은 쥐와 큰 소리의.

연합으로 정의되었다.

세 번째 고전적 실험은 앨버트가 조건화되었던 같은 대상 토끼 쥐 그리고 털 코( ,

트 에 이미 공포를 가지고 있었던 세 된 피터를 대상으로 연구한 의 연구) 2 Jones(1924)

이다 연구자는 즐겁게 먹는 활동과 토끼의 제시를 짝짓는 조건화 기법을 사용하여.

일정기간 후에 피터가 공포 반응에서 벗어나도록 가르쳤다.

이 실험들은 침 흘리기나 깜짝 놀라는 반응과 같은 인간이나 동물이 통제력을 가,

지지 못하는 반사 혹은 무의식적 반응에 관한 것이다 와 은 모든 학습이. Pavlov Watson

이미 반사적 반응을 유발하여 왔던 자극과 새로운 자극이 동시에 발생하는 고전적 조

건화를 통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수많은 짝짓기 후에 새로운 자극만으로 원하는 반. ,

응을 유도하게 될 것이고 이때 유기체는 새로운 자극 혹은 새로운 상황에 반응하는

것을 학습하였다고 말한다.

조작적 조건화

와 는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세우고 발달시키는 데에 특E. L. Thorndike B. F. Skinner

별한 역할을 해왔다 세기가 바뀔 무렵에 는 조작적 학습의 기본적 원리를. Thorndike

세운 일련의 실험실 동물검사를 시작하였다 는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망가. Thorndike

는 것을 배울 수 있는 ‘퍼즐 상자’에 배고픈 닭과 개 그리고 고양이를 넣었다 동물들.

이 일단 도망가면 그들은 음식으로 보상을 받았다 는 동물들의 성공적 시. Thorndike

도에 대한 학습을 관찰하고 기록하여 행동은 보상적 결과가 따르면 재발생하기가,

쉽고 보상 없는 결과 혹은 벌이 따르면 재발생하기가 어렵다는 효과의 법칙, (law of

을 공식화하였다 는 후에 이 법칙의 벌 부분을 받아들이지 않effect) . Thorndike(1932)

고 긍정적 부분만을 인정하였다, .

하버드 심리학자인 는 의 초기 공식을 발달시켜 라B. F. Skinner Thorndike Skinner

는 이름이 조작적 조건화 라는 용어와 거의 동의어로 인식될 만(operant conditioning)

Page 5: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07

큼 많은 업적을 남겼다 는 학습된 행동에 있어서 수동적 조건화의 역할을 인. Skinner

정하였지만 대부분의 행동은 강화의 결과가 새로운 행동을 발생시킨다는 조작적 조,

건화를 통해 발달된다고 생각하였다 조작적 행동은 어떤 환경에서 바람직한 후속결.

과 강화 를 가져오고 혐오적인 결과를 회피 혹은 도피하려는 자발적인 반응이다( ) .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강조되는 것은 행동의 후속결과이다 대조적으로 반응적 행. ,

동은 비자발적이고 그 행동 이전의 어떤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강화와 벌은 조작적, .

조건화 이론의 중심 개념이다 학파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반응의 강도가. Skinner

강화로 증가되고 강화가 없거나 벌 조건하에서는 감소된다는 것이다 의 효(Thorndike

과의 법칙과 같음 에 의하면 강화란 미래의 반응가능성을 증가시키는). Skinner(1953) ,

사건을 더하거나 예 음식 주기 불쾌한 것 전기충격 을 제거하는 것이다 벌은 반응( ), ( ) .:

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부정적 사건 예 전기충격 을 더하거나 긍정적 사건을 철회( ) ,:

음식 제거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학습에서 말하는 행동변화는 환경 내 강화인자와( ) .

벌 인자의 조작적 결과이다.

는 가상적이며 증명될 수도 없고 증명이 안 될 수도 없는 행동의 내적 원Skinner ,

인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그러한 내적 상태의 존재를 부정한 것은 아니지.

만 그러한 것들이 행동변화에 유용하지 않은 개념이라고 생각했다 더 나아가 그는, .

대부분의 일탈행동은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간단히 학습되며 사회가 그것을 병리적,

인 것으로 본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중재는 이러한 일탈적 행동을 유지하는 강화.

인을 규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는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단순히. ABA B. F. Skinner

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을 적용한 것이다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BA .

특정행동의 향상을 위하여 행동의 잠정적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이며 동시에 어떤 변화가,

정말로 그 적용과정에 의한 것인지를 평가하는 것(Baer, Wolf, & Risley, 1968, p. 91).

이 정의는 다음의 세 가지 중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행동원칙의 적용 이 적용이 행동을 향상시킨다는 윤리적 위임 치료효과의(1) , (2) , (3)

즉각적 평가를 요구하는 책무성 중재효과의 철저한 점검과 평가는 와 행동주의. ABA

모델의 특징이다 행동주의자들은 종종 엄격한 측정절차와 평가절차가 부족한 다른.

모델들을 비판한다 기법은 의 조작적 조건화 개념에 기초해 있고 심리. ABA Skinner ,

학 경제학 산업 동물관리 교육 특수교육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를 교, , , , , . ABA

Page 6: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08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육적 장면에 적용하는 것은 이 장의 교육적 적용에서 논의될 것이다.

사회 학습모델링( )

사회 학습 혹은 모델링은 행동주의자들이 제안한 세 번째 학습 패러다임이다 이 학습.

이론에서는 다른 사람이 강화를 받거나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반응을

획득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여 자신의 유사한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

다는 것이다 사회 학습은 개인이 스스로 행동을 수행하지 않고 학습이 일어나는 데.

에 직접적 강화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조작적 조건화나 수동적 조건화와 다르다

(Bandura, 1965a, 1965b).

모델을 본 후 관찰자는 세 가지 방법 중의 한 가지로 영향을 받는다 즉 새로운. ,

반응이 습득되거나 행동이 억제되거나 혹은 억제가 풀리거나 이전에 학습된 반응이, ,

촉진된다 예를 들어 정서행동장애 학생에게 수업 중 크게 말하기 전에 손드는 것과. ,

같은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모델링이 자주 사용된다 학생이 이러한 행동을.

학습한 후 수업 중 교사가 크게 말하기 전에 손을 드는 다른 학생들에게 비일관적이거

나 부정적으로 반응한다면 학습된 손드는 행동은 억제될 수도 있다 혹은 이전에 손드.

는 행동을 배웠던 학생이 수업에서 그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 교사가 다른 학생의 손,

드는 행동에 대하여 일관적이고 긍정적 반응을 보이면 그 학생은 다시 손드는 행동을

사용하게 될 수도 있다.

관찰자가 영향을 받는 범위는 모델에 대한 동일시 범위에 달려 있다 이러한 동일.

시 과정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로는 모델의 연령 성역할 성 그리고 지위 혹은 권위, ,

등이 있다 사회 학습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은 모델이 실제 인(Bandura, 1965a).

물인지 혹은 영화나 텔레비전 속 인물인지 하나 이상의 모델들이 관(Bandura, 1965a),

찰되는지 그리고 모델이 벌을 받는지 강화를 받는지 등이다 사회 학(Bandura, 1977b).

습 이론가들에 의하면 긍정적 행동뿐만 아니라 부정적 혹은 부적응적 행동도 모델의,

노출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두려움 공포 그리고 공격적인 행동도 대리. , ,

로 학습될 수 있다.

공격행동과 사회 학습의 관계는 특히 텔레비전 보기와 비디오게임이 아동의 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에서 잘 알려져 있다 아동은 실제인 것과 텔레비전 상.

의 실제가 아닌 것을 쉽게 구분하지 못하고 행동과 동기를 방송상의 후속결과에 연결,

하지 못하기 때문에 텔레비전에서 본 것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 오전(Berk, 2005).

Page 7: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09

시에서 오후 시 사이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약 가 폭력적 장면을6 11 57%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 사이(Center for Communication and Social Policy, 1998),

에 폭력행동에 대한 모방이 많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종단연구에서는 아동.

기와 청소년기에 텔레비전을 보며 보낸 시간을 통해 초기 성인기에 공격적 행동을 예

측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Huesmann, Moise-Titus, Podolski, & Eron, 2003; Johnson,

비공격적인 아동들조차 텔레비전 폭력물을Cohen, Smailes, Kasen, & Brook, 2002). ,

통해 적대감과 적대적 행동을 일으킨다고 하였고 공격적인 아동들은 더 강하게 영향,

을 받는다고 하였다(Bushman & Huesmann, 2001). “폭력적 매체 영상은 아동의 사회

적 현실에 대한 태도를 바꾸기 때문에 폭력적 태도는 아동이 텔레비전에서 보는 것만

큼 증가한다.”(Berk, 2005, p. 379).

사회 학습에 속하는 또 다른 영역은 개인이 자신의 태도와 행동에 대하여 긍정적

인 방식으로 생각할 때 강화가 일어나는 자기강화 영역이다 그러므로(Bandura, 1968).

가치에 대한 개인의 판정과 개인적 느낌은 환경이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강화되지

않는 행동을 지속시키는 데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실제로 는 개인의 생각과. , Bandura

느낌이 사회적 환경 내의 많은 강화를 무시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진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의 이론은 행동주의 모델과 인지적 모델을 연결시키고 있다Bandura .

제 장에서 본 것과 같이 자기강화는 행동주의적 자기통제 기법으로서 학생에게 체계6 ,

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Kanfer & Gaelick-Buys, 1991).

요약하면 사회 학습 이론에서는 관찰과 대리적 벌에 의해 행동이 억압될 수 있는,

반면 새로운 행동은 관찰과 대리적 강화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

개념을 대리적 학습과 자기강화로 통합시킴으로써 행동주의에 새로운 차원이 추가된

다 이러한 개념들은 개인의 내적 매개과정에 기초를 둔다 그러므로 행동을 이끌어. .

내는 환경적 사건은 조작적 및 수동적 조건화에서만큼 쉽게 규정되지 않는다.

평가절차

신체생리학적 모델에서는 의료진이 그리고 심리역동적 모델에서는 임상가가 주로 장

애진단에 대한 책임을 맡는 것과는 달리 행동주의 모델에서는 교사나 학교 심리학자,

가 평가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는 그 상황을 다음과 같이 쉽게 기. Bower(1980)

술했다.

Page 8: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10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행동 혹은 정신건강이 부정적인지 긍정적인지 좋은지 나쁜지 건강한지 건강하지 않은지, ,

를 평가하는 방법을 누군가가 알고 있고 어딘가에 존재하며 어떻게든 할 수 있다는 믿음, ,

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학교에서 교사가 아동의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평.

가하는 경우가 사무실에서 어떤 검사를 통해 평가하는 경우보다 정신건강의 실제에 더 가

깝다 교사가 판정하는 것은 최초의 사회체계인 학교에서 특정한 행동이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아동이 학교에서 학생의 역할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p. 124).

체크리스트와 행동평정척도

교사는 학생이 보다 구체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선별절차에 관여하게

된다 직접 관찰과 행동 기록 외에 행동평정척도와 질문지 제 장에서 상세하게 개관. ( 3

됨가 그러한 판단을 하는 교사를 돕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법은 학생) .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정하도록 도움을 주며 교실에서 간과되기 쉬운 위축되거나 우울

한 혹은 수동적인 아동을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 장에서 본 바와 같이 비교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 몇3 ,

가지가 출판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원점수는 정상범위와 비교가 가능한 표준점수로 변.

환된다 예를 들면 제 장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 3 데브룩스정신장애척도(Devereux Scales

가 있다 는of Mental Disorders, DSMD)(Naglieri, LeBuffe, & Pfeiffer, 1994) . DSMD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점 척도로 평정되고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5 , 111 .

또한 아동 세과 청소년 세을 평정하기 위한 서로 다른 척도가 있다(5 12 ) (13 18 ) . DSMD∼ ∼

는 내재화나 외현화의 넓은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하위척도 예 우울 불( ,:

안 주의 품행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 분류인 임상적 병리척도에서는 자폐증, , ) .

과 심각한 문제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림 은 청소년용 프로파일이다. 7.1 .

행동 기록

행동의 관찰과 기록은 행동주의자들이 정서행동장애를 확인하고 가장 좋은 치료와,

중재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다 이러한 기록은 비형식적 및 형식적 검사과정.

에 부가적인 정보로 흔히 사용된다 교사는 일화를 계속 기록해야 하는 반면 감독관. ,

이나 평가자는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는 행동에 대한 관찰과 기록을 책임진다 기록은.

부적응 행동이 발생하는 환경 일반적으로는 교실장면에서의 학생을 직접 관찰하는,

Page 9: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11

척도 합성 총합

그림 7.1 청소년용 프로파일DSMD

출처 Devereux DSMD Answer Sheet, by J. A. Naglieri, P. A. LeBuffee, & S. I. Pfeiffer(1994). San Antonio::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것이다 시간 표집법을 이용하는 경우 관찰자는 관찰할 시간을 선택하고 목표행동의. ,

발생을 기록한다 짧은 기간 혹은 간격 내에 발생하는 모든 행동을 기록하려고 하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떨어진다.

기록은 명백하게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빈도 지. ,

속시간 형태 등과 같은 행동의 특성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학생의, . ,

행동에 대하여 불만을 나타낸다면 그것은 행동이 발생한 빈도보다는 부적응적이거나

90

80

70

60

50

40

90

80

70

60

50

40

매우

높음

평균

경계선

높음

Page 10: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12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일탈적인 형태 예 얼굴에 침 뱉는 행위 에 대한 불만일 것이다 반대로 분 동( ) . 20 30: ∼

안 지속되는 발작이나 분 동안 지속되는 발작과 같이 행동의 형태보다는 지속시4 5 ,∼

간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도 있다 빈도 지속시간 그리고 행동의 형태 외에. ,

부적응성을 판단하는 데에 고려되어야 할 점은 행동이 연령에 맞느냐의 여부와 행동

이 특정한 상황에서 일어나느냐 혹은 모든 장면에 걸쳐서 일어나느냐의 여부이다.

행동주의자들이 특히 관심을 가지는 것은 행동과 상황변인의 관계이다 행동 기록은.

측정치 외에도 그러한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Heckaman,

Corroy, Fox, & Chait, 2000).

행동기능평가와 분석(FBA)

행동평가절차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일탈행동이 어떤 기능 혹은 목적을 가진다는

것이다 자해행동과 같은(Durand & Carr, 1985; Gresham, Watson, & Skinner, 2001).

극심한 문제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심한 지체를 가진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의 행동은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위한 기능을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무언가를 얻기 위하여 정적 강화 가설 무언가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부적, (1) ( ), (2) (

강화 가설 감각자극을 얻기 위하여 자동 강화 가설 이다), (3) ( ) (Iwata, Dorsey, Slifer,

많은 문제행동들은 이러한 기능 중 한 가지에 관하여 의Baumna, & Richman, 1982).

사소통하기 위한 방법이다 문제행동을 특정한 상황적(Carr & Durand, 1985a, 1985b).

변인에 직접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자료를 모으는 과정인 구체적인 평가절차행동기(

능평가로 알려진 와 가설 검증의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는 자료분석 기능분석으로 알) (

려진 을 통해 행동의 정확한 목적이 밝혀질 수 있다) .

선행사건 및 후속결과와 기능에 대하여 알게 되면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으며(Gable, Quinn, Rutherford, Howell, & Hoffman, 2000; Lane, Umbreit, &

Beebe-Frankenberger, 1999; Newcomer & Lewis, 2004; Sugai, Horner, & Sprague,

그것은 없이 설계된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를 나타낸다 기능에 기초한1999), FBAs .

중재는 보통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적절한 대체행동 교육 선행사건의 제거(1) , (2)

나 대체 대체행동에 대한 강화와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비강화를 포함한다, (3) (Gable

다른 말로 하면 기능평가와 분석에서는et al., 2000). , “가설로부터 나온 처치”를 하는

데(Dunlap, Ferro, & Deperxzel, 1996, p. 그것은 행동과 정확하게 관련되어 있는126),

상황에 근거하여 설계된 중재를 의미한다.

Page 11: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13

행동기능평가와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정보에 기초한 방법 예 면접 평(1) ( ,:

정척도 질문지 기록점검 기술적 분석이나 직접적 관찰 예 와 분포도 분, , ), (2) ( ABC:

석 실험적 분석 환경적 조작과 실험설계 이 포함된다), (3) ( ) (Alberto & Troutman, 2006;

Dunlap et al., 1996; O’Neill et al., 1997).

정보에 기초한 방법은 평정척도나 면접 면접양식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FBA ,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평정척도는 동기사정척도FBA (Motivation Assessment

와 문제행동질문지Scale; MAS; Delaney & Durant, 1986)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이다 는 문항의 점 리커트 척도로 특정행동PBQ; Lewis, Scott, & Sugai, 1994) . MAS 16 7 ,

이 수행하는 네 가지 가능한 기능을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장 높은 점수의 범.

주를 가려내기 위해 총점과 평균점수로 상대적인 순위를 결정한다 이 척도는 발달장.

애나 심각한 도전적 행동을 나타내는 사람들 그리고 평정자 간의 신뢰도를 위해 개발

되었으나 학교에서 가벼운 행동문제를 가진 사(Conroy, Fox, Bucklin, & Good, 1996),

람들을 위해서도 자주 사용된다(Barton-Arwood, Wehby, Gunter, & Lane, 2003).

는 가벼운 행동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가지의 특정 상PBQ , 15

황에 대해 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하는 것이다 평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7 .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또래 관심 끌기 교사 관심 끌기. (1) , (2) ,

또래 관심으로부터의 도피 교사 관심으로부터의 도피 배경사건 이 도구(3) , (4) , (5) .

의 기술적 적합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Barton-Arwood et al., 2003).

부모 교사 보조교사 때로는 학생 자신이 수행하는 혹은 그들과 함께 수행하는, , , ( )

면담은 다음과 같은 내용에 관한 것으로 이루어진다FBA .

1. 특정 문제행동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행동에 대한 빈도와 강도를 기술할 것

2. 문제행동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수면 혹은 섭식 패턴 약물 등과 같은,

‘배경사건’ 행동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 발생 오래 전의 일들 을 기술( , )

할 것

3. 행동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함께 잘 발생하는지를 말할 것, ,

4. 행동이 가장 잘 그리고 가장 덜 발생하는 조건을 기술할 것 예 어떤 활동 교수( ,:

형태 교재교구, )

5. 행동이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후속결과의 목록을 작성할 것 즉 학생이( ,

무엇을 얻고 무엇을 빼앗기는지, )

Page 12: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14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6. 행동이 의사소통적인지를 고려할 것

7. 효과적인 강화인의 목록을 작성할 것(O’Neill et al., 1997)

이러한 폭넓은 면접은 행동이 왜 발생하는지즉 어떤 상황변인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 ,

며 어떤 목적으로 작용하는지 에 대한 가설의 기초를 제공한다) .

또한 행동기능평가는 행동 기록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 이.

러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도표이다 이것은 행동란 에 표적ABC . (B)

행동을 기록하고 그 행동에 대한 선행사건 과 후속결과 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 (A) (C) .

러한 형태의 자료는 행동과 특정 환경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특별하게 설명하여 준다.

분포도 혹은 보다 구체적인 관찰양식도 기술적 평가에 유용하다(Alberto & Troutman,

2006; O’ 그림 는 분포도의 예이다 이 예에서Neill et al., 1997; Sugai et al., 1999). 7.2 .

레이먼드의 행동이 영어시간에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명히 부적절한.

행동을 촉진하는 무언가 시간 과목 혹은 이 수업의 다른 요인가 있다 행동기능평가( , ) .

에서는 이점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인 자료영어시간에 행동과 관련된 활동를 수집하( )

게 된다.

기능평가의 주요 과제는 무엇이 행동의 단서이고 무엇이 행동을 강화하는지 즉( ,

기능이나 목적 에 대한 가설을 세우기 위한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가설을) .

세운 후에는 실험적 분석 을 사용하여 그것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FA) .

로 이러한 형태의 분석은 행동이 발생하는 조건을 조작하고 표적행동에 끼치는 영향,

학생 레이먼드:

행동 악담 뒤돌아 잡담하기/:

날짜 월 일 일12 1 5: ∼

활동 시간 일

1 2 3 4 5

수학 8~9 00: ///

영어 9~10 00: /// //// //

체육 10~11 00:

과학 1~2 00:

그림 7.2 기능평가에 사용되는 분포도의 예

Page 13: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제 장7 행동주의 모델 • 215

을 기록하는 것이다 분석은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단일(Alberto & Troutman, 2006).

대상 연구설계로 부적절한 행동의 기능을 정확하게 집어내어 매우 상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행동기능평가의 분석요소는 일반적인 학급교사가 가지지 못하는 정보를 필.

요로 하므로 교사들은 흔히 포기하게 되는데 이것은 가장 큰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Nelson, Roberts, Mathur, & Rutherford, 1999; Scott & Nelson, 1999).

흔히 임상장면에서 수행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확장형 기능분석(Extended-

은 학교에서 사용하기에는 실질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Functional Analyses)

다행히도 좀 더 효율적인(Alberto & Troutman, 2006). , 간편기능분석 이 개발(Brief-FA)

되었다 분 소요 간편 기능분석은 효율성이 크면서도(90 )(Broussard & Northup, 1995).

확장형 기능분석과 유사하고 타당한 기능적 자료를 산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학교 상황에서의 행동기능분석에 필(Wallace & Iwata, 1999; Wallace & Knight, 2003)

요한 가설 검증이 더 많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절차는 학교수행 규칙을 위반하거나 수용 가능한 사회적 행동의 기준을 벗FBA ,

어나는 학생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조항과 관련하여 장애인교육법 에(IDEA)

위임되어 있다 그러나 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도 제시되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FBA ,

연구도 충분하지 않다 연구자들은 다음의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Nelson et al., 1999). .

1. 기능평가를 적절하게 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일치된 견해가 거의 없다.

2. 문헌을 검토해 볼 때 기능평가의 외적 타당도 특히 표본의 특성 대부분의 연구들, (

은 중도장애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장면 대부분의 연구들은 학교장면보다는), (

임상장면에서 수행되었음 그리고 전문가적 특성 몇 안 되는 교사만이 연구의 기) (

능평가에 참여하였음 에 있어 제한적임이 드러났다) .

3. 행동기능평가가 광범위한 응용행동분석 지식을 필요로 하고 대부분의 교사들에,

게 허용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교실 내에서의 일반적인

실천이 의문시된다.

각 교육청에서는 를 수행하는 권한을 위임받은 후 경험적으로 정의된 절차에 관FBA ,

심을 보이지 않고 다양한 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대부FBA (Watson & Steege., 2003).

분의 교사와 학교 심리학자들은 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훈련을 받지 못했다FBA (Fox

& Conroy, 2000; Scott et al., 2004).

그럼에도 불구하고 는Sasso, Conroy, Peck-Stichter, Fox(2001) “이론 및 개념적 측

Page 14: chapter 행동주의모델sigmapress.co.kr/shop/shop_image/g65229_1405324130.pdf학파가있지만행동주의이론가들은다음과같은공통된가정을가지고있다 . 1.행동은관찰분석측정될수있는반응혹은행위로정의된다,,

216 • 정서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면에서 볼 때 체계적인 행동기능분석은 행동 및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해 가장

실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p. 라고 하였다 따라서 행동기능평가가 정서행동283) .

장애 학생을 교육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가 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왜냐.

하면 그것은 많은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직 간접적 평가절차를 포함하고·

있고 학생문제를 상황에 관련시키며 중재설계를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 ,

학생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학술지의 논문과 저서를 통해 다양한.

기능평가 기법들이 소개되었다(O’ 앞으로는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Neill et al., 1997).

하여 사전훈련과 적절한 지원 기법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Scott & Nelson, 1999; Scott et al., 2004).

교육적 적용

행동 기법은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위하여 교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재이

다 행동 기법들은 다른 방법들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역동적. . ,

혹은 인지적 성향이 강한 프로그램조차도 흔히 학업 및 사회적 수행을 개선하기 위한

토큰 경제나 계약을 사용한다 행동중재의 보편성은 아마도 그것이 가지는 융통성과.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긍정적인 결과 때문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 행동 기법과 중재에.

관한 방대한 문헌을 검토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교실에서 정서행동장애 학생에,

게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행동적 원칙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

행동 기법은 교실에서 교육적 목적과 행동관리 둘 다를 위하여 사용된다 어떤 경.

우이든 행동적 적용은 일정한 요소를 포함한다.

1. 목표설정 행동주의 모델은 학생보다는 교사가 감독하고 지시하는 것을 요구한다.:

교사는 학생이 배워야 할 것과 지식의 수준 혹은 숙달해야 할 능력들을 결정한다.

이것은 지지적인 환경이 제공되면 개인이 숙달할 것을 선택하고 실행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심리역동적 모델과는 다르다 그러나 자기목표 설정을 조장하는 인지행.

동적 모델과는 유사하다제 장 참조 응용행동분석 모델에서는 교사는 먼저 총괄( 6 ).

적인 학업적 사회적 목적을 규정해야 한다, .

2. 현재의 기능수준 평가 일단 교사가 학생이 숙달할 필요가 있는 것을 결정하면 이,:

교육과정 중 학생이 이미 어떤 부분을 갖추고 있는지와 선수조건에 도달되었는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