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14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수도법 제31조 규정에 따라 양평군 수돗물 “물맑은 양평수” 사용하는 군민 여러분께 수돗물 수질상태 및 관련정보를 알려드리고자 발간되었습니다 양평군수도사업소 www.yp21.go.kr/water/

Upload: others

Post on 31-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2019 수 돗 물 품 질 보 고 서(기 준 년 도 : 2018년 )

수도법 제31조 규정에 따라 양평군 수돗물 “물맑은 양평수”를

사용하는 군민 여러분께

수돗물 수질상태 및 관련정보를 알려드리고자

발간되었습니다

양평군수도사업소

www.yp21.go.kr/water/

Page 2: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상수도 시설현황

정수장 및 배수지 현황

시 설 명 위 치 시설용량(톤) 취수원 비 고

합 계 3개소 32,000

양평통합상수도

• 통합취수장

• 통합정수장

• 배수지 5개소(통합,국수,단월,지평,개군)

• 가압장 6개소(중간,국수1·2,단월,지평,개군)

26,000흑 천 복류수

양서상수도

• 취수장 1개소

• 정수장 1개소

• 배수지 1개소

5,000 북한강 표류수

양동상수도

• 취수장 1개소

• 정수장 1개소

• 배수지 1개소

1,000 계정천 복류수

상수도 보급현황

※ 양평군 상수도 보급률 : 93.3% (지방상수도 : 77.9%, 소규모수도시설 : 15.4%(18,136명)

구 분 단 위 현 황 비 고

1) 총 인 구 명 117,670

2) 급수인구 명 91,702

3) 보 급 율 % 77.9

4) 유 수 율 % 81.4

5) 1인 1일 평균 급수량 1/인.일 279

Page 3: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과정

착수정 : 정수장에 처음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균등하게 조정 배분하는 시설

약품주입 : 원수 중 각종 탁질을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원수량과수질상태에 따라 적정 농도의 약품(PAC, 황산알루미늄, 소석회, 활성탄 등)을 자동적으로 혼화지에 투입하는 시설

혼화지 : 원수에 정수약품을 투입하여 교반기로 균일하게 섞어주는 시설

응집지 : 혼화지에서 균일하게 섞인 탁질을 가라 앉기쉬운 큰 덩어리로 뭉치게 하는 시설

침전지 : 응집지에서 뭉쳐진 큰 덩어리(FLOC)를 가라앉혀 제거하는 시설

여과지 : 침전지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입자를 자갈, 모래층 등을 통과시켜 걸러 내는곳

정수지 : 정수처리시설을 거친 수돗물을 염소 소독 후 일시 저장하는 시설

송수펌프 : 정수처리된 수돗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지로 이송

배수지 : 자연유하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 가정에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높은 지역에 설치한 물탱크

Page 4: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돗물 원·정수 수질관리

관련법규 : 수도법 제26조, 상수원관리규칙 제24조, 25조

수돗물 원·정수 수질검사 항목 및 주기

수질검사 결과 공개 - 인테넷 공개

·양평군수도사업소(www.yp21.go.kr/water/) ⇨ 수질검사 ⇨ 수질검사 결과

·대 상 : 정수 및 일반·노후수도꼭지 수질검사 결과

구 분 검사종류 측정주기 검사항목

지방상수도

원수

월1회(6항목)

수소이온농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량, 용존산소량,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분기1회(25항목)

카드뮴,비소,시안,수은,납,크롬,음이온계면활성제,유기인,

폴리크로리네이티드비페닐,불소,셀레늄,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카바릴,1,1,1-트리클로로에탄,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페놀,사염화탄소,1,2-디클로로에탄,디클로로메

탄,벤젠,클로로포름,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안티몬

매일검사(6항목)

냄새,맛,색도,탁도,수소이온농도,잔류염소

정수

주간검사(8항목)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또는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과망간산칼륨소비량,증발잔류물

매월검사(60항목)

먹는물 수질기준에 의한 60개 전 항목

일반관수도꼭지

월간검사(5항목)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또는분원성대장균군,잔류염소

노후관수도꼭지

월간검사(11항목)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또는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

철,동,아연,망간,염소이온,잔류염소

급수과정별분기검사(12항목)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또는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

총트리할로메탄,동,pH,아연,철,탁도,잔류염소

Page 5: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18년 지방상수도 (원수) 수질검사 결과

검사항목양평통합정수장 양서정수장 양동정수장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수소이온농도 7.4 7.6 7 7.5 8.1 6.9 7.4 7.7 7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0.3 1.1 0.1 0.8 24.7 0.3 0.3 1 0.1

부유물질량 1.9 3.4 0.5 7.1 24.7 1.3 0.5 1.7 0

용존산소량 8.9 11.3 6.8 9.0 96 6.3 8.7 11 7.1

대장균군총대장균군 9 89 0 39 96 6 25 140 0

분원성대장균군 0 4 0 14 63 1 5 44 0

카드뮴 0 0 0 0 0 0 0 0 0

비소 0 0 0 0 0 0 0 0 0

시안 0 0 0 0 0 0 0 0 0

수은 0 0 0 0 0 0 0 0 0

납 0 0 0 0 0 0 0 0 0

크롬 0 0 0 0 0 0 0 0 0

유기인 0 0 0 0 0 0 0 0 0

폴리크로리네이티드비페닐 0 0 0 0 0 0 0 0 0

음이온계면활성제 0 0 0 0 0 0 0 0 0

불소 0 0 0 0 0 0 0 0 0

셀레늄 0 0 0 0 0 0 0 0 0

암모니아성 질소 0 0 0 0 2.1 0 0 0 0

질산성 질소 2.3 3.2 1.7 1.5 2.1 1.2 4.9 6.5 3.6

카바릴 0 0 0 0 0 0 0 0 0

1,1,1-트리클로로에탄 0 0 0 0 0 0 0 0 0

테트라클로로에틸렌 0 0 0 0 0 0 0 0 0

트리클로로에틸렌 0 0 0 0 0 0 0 0 0

페놀 0 0 0 0 0 0 0 0 0

사염화 탄소 0 0.001 0 0 0 0 0 0 0

1,2-디클로로에탄 0 0 0 0 0 0 0 0 0

디클로로메탄 0 0 0 0 0 0 0 0 0

벤젠 0 0 0 0 0.002 0 0 0 0

클로로포름 0.008 0.016 0 0 0.002 0 0.001 0.002 0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0 0 0 0 0.001 0 0 0 0

안티몬 0 0 0 0 0.001 0 0 0.001 0

Page 6: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질검사 결과(2-1)

검사항목 수질기준양평통합정수장 양서정수장 양동정수장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일반세균 100 (CFU/mL) 0 0 0 0 0 0 0 0 0

총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납 0.01 (mg/L) 0 0 0 0 0 0 0 0 0

불소 1.5 (mg/L) 0.078 0.93 0 0 0 0 0.02 0.22 0

비소 0.01 (mg/L) 0 0 0 0 0 0 0 0 0

셀레늄 0.01 (mg/L) 0 0 0 0 0 0 0 0 0

수은 0.001 (mg/L) 0 0 0 0 0 0 0 0 0

시안 0.01 (mg/L) 0 0 0 0 0 0 0 0 0

크롬 0.05 (mg/L) 0 0 0 0 0 0 0 0 0

암모니아성질소 0.5 (mg/L) 0 0 0 0.1 0.2 0 0 0 0

질산성질소 10 (mg/L) 2.2 3 0.6 1.8 5.5 1 4.3 6.8 2.4

카드뮴 0.005 (mg/L) 0 0 0 0 0 0 0 0 0

페놀 0.005 (mg/L) 0 0 0 0 0 0 0 0 0

총트리할로메탄 0.1 (mg/L) 0.031 0.05 0 0.016 0.045 0 0.031 0.052 0

다이아지논 0.02 (mg/L) 0 0 0 0 0 0 0 0 0

파라티온 0.06 (mg/L) 0 0 0 0 0 0 0 0 0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0.003 (mg/L) 0 0.001 0 0 0 0 0 0 0

페니트로티온 0.04 (mg/L) 0 0 0 0 0 0 0 0 0

카바릴 0.07 (mg/L) 0 0 0 0 0 0 0 0 0

1,1,1-트리클로로에탄 0.1 (mg/L) 0 0.001 0 0 0.001 0 0 0.001 0

테트라클로로에틸렌 0.01 (mg/L) 0 0.001 0 0 0 0 0 0 0

트리클로로에틸렌 0.03 (mg/L) 0 0 0 0 0 0 0 0 0

디클로로메탄 0.02 (mg/L) 0 0 0 0 0 0 0 0 0

벤젠 0.01 (mg/L) 0 0 0 0 0 0 0 0 0

톨루엔 0.7 (mg/L) 0.0002 0.002 0 0 0 0 0 0 0

에틸벤젠 0.3 (mg/L) 0 0.001 0 0 0 0 0 0 0

크실렌 0.5 (mg/L) 0.0003 0.003 0 0 0.001 0 0 0.001 0

1,1-디클로로에틸렌 0.03 (mg/L) 0 0 0 0 0 0 0 0 0

사염화탄소 0.002 (mg/L) 0.0002 0.001 0 0 0.001 0 0 0.001 0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Page 7: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질검사 결과(2-2)

검사항목 수질기준양평통합정수장 양서정수장 양동정수장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경도 300(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과망간산칼륨소비량 10(mg/L) 1.7 3.8 0.7 1.5 2.4 0.5 2.0 3.4 0.8

냄새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맛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동 1(mg/L) 0.01 0.028 0 0.001 0.014 0 0.002 0.023 0

색도 5(도) 1 1 1 1 1 1 1 1 1

세제 0.5(mg/L) 0 0.1 0 0 0 0 0 0 0

수소이온농도 5.8~8.5 7.4 7.8 7 7.5 7.8 7.2 7.4 7.6 7.2

아연 3(mg/L) 0.01 0.028 0.004 0.02 0.149 0 0.01 0.03 0.003

염소이온 250(mg/L) 22.5 31.8 15.5 15.2 38 7 15.4 20.9 11.6

증발잔류물 500(mg/L) 83 145 0 67 133 0 92 148 0

철 0.3(mg/L) 0 0 0 0 0 0 0 0 0

망간 0.05(mg/L) 0 0 0 0 0.004 0 0 0 0

탁도 0.5(NTU) 0.07 0.18 0.03 0.08 0.18 0.03 0.08 0.22 0.04

황산이온 200(mg/L) 11 13 9 8 15 6 10 13 8

알루미늄 0.2(mg/L) 0 0 0 0.01 0.04 0 0.002 0.02 0

잔류염소 4(mg/L) 0.82 0.9 0.71 0.74 0.80 0.68 0.91 1.08 0.75

붕소 1(mg/L) 0.002 0.01 0 0.002 0.01 0 0.003 0.01 0

클로로포름 0.08(mg/L) 0.022 0.039 0 0.011 0.036 0 0.021 0.046 0.0

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클로랄하이드레이트 0.03(mg/L) 0.0055 0.0105 0.0007 0.0021 0.0056 0 0.0038 0.009 0

디브모아세토니트릴 0.1(mg/L) 0.0005 0.0021 0 0.0002 0.0014 0 0.0003 0.0015 0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9(mg/L) 0.0021 0.0037 0 0.0009 0.002 0 0.0023 0.0054 0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04(mg/L) 0.0001 0.0012 0 0.0002 0.0015 0 0.0001 0.0009 0

할로아세틱에시드 0.1(mg/L) 0.035 0.082 0.017 0.019 0.034 0.009 0.032 0.058 0.022

브로모디클로로메탄 0.03(mg/L) 0.006 0.012 0 0.004 0.009 0 0.006 0.009 0

디브로모클로로메탄 0.1(mg/L) 0.002 0.003 0 0.001 0.004 0 0.002 0.014 0

1,4-다이옥산 0.05(mg/L) 0 0 0 0 0 0 0 0 0

포름알데히드 0.5(mg/L) 0.006 0.03 0 0.002 0.02 0 0 0 0

브롬산염 0.01(mg/L) 0.0005 0.0014 0 0 0.0005 0 0.0002 0.0016 0

Page 8: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18년 지방상수도 수도꼭지수 수질검사 결과

일반관 : 21개소(양평 15, 양서, 4, 양동 2)

노후관 : 8개소(양평 5, 양서 2, 양동 1)

검사명 수질기준

양평통합정수장 구역 양서통합정수장 구역 양동정수장 구역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일반세균 100 (CFU/mL) 0 5 5 0 0 0 0 0 0

총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잔류염소 0.1~4~4(mg/L) 0.48 0.86 0.1 0.51 0.56 0.28 0.65 0.81 0.35

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사명 수질기준양평통합정수장 구역 양서통합정수장 구역 양동정수장 구역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일반세균 100 (CFU/mL) 0 0 0 0 0 0 6 66 0

총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암모니아성질소 0.5(mg/L) 0.004 0.05 0 0.002 0.03 0 0 0 0

동 1(mg/L) 0.008 0.044 0 0.007 0.065 0 0 0.14 0

아연 3(mg/L) 0.025 0.151 0.005 0.019 0.088 0.006 0 0.042 0.009

염소이온 250(mg/L) 17.8 45.8 2.6 13.3 28.2 6.3 14 25.3 5.9

철 0.3(mg/L) 0.003 0.11 0 0 0 0 0.004 0.05 0

망간 0.05(mg/L) 0.0003 0.006 0 0.0003 0.004 0 0 0.018 0

잔류염소 0.1~4~ 4 (mg/L) 0.49 0.63 0.18 0.52 0.65 0.28 0.57 0.84 0.32

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Page 9: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질관련 용어 정의

수소이온농도(pH)

용액의 산성,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PH는 0에서 14까지 있으며,

용액이 pH 7보다 작으면 산성이고, PH 7보다 크면 알칼리성입니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산소를 소비하는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산소의 양을 말합니다. 유기물의 오염도가 높으면 이 수치도 높아지게 됩니다.

잔류염소 물을 염소로 소독했을 때 물 속에 남아있는 염소이며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혹시 일어날 수 있는 미생물 오염에 대한 방어력의 정도를 뜻합니다.

수질기준 단위 해설

㎎/L : 물 1L에 들어있는 물질의 양을 ㎎으로 표시

CFU/㎖(Colony Forming Unit) 1㎖의 시료배양시 형성된 미생물 집락수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물의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단위

수돗물을 맛있게 드시려면

수돗물은 2시간 냉장 후 마시면 가장 맛있습니다

수돗물이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온도는 4~10℃로 차갑지도 미지근하지도

않아 몸에 부담을 주지 않습니다.

저수조 청소 및 수짐검사(6개월마다 1회 이상)

대상시설

▶ 연면적 5,000㎡ 이상 건축물(건축물 또는 시설 내에 주차장 면적 제외)

▶ 연면적 3,000㎡ 이상 업무시설

▶ 연면적 2,000㎡ 이상 건축물(2이상의 용도)

▶ 5층 이상 아파트 등

Page 10: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돗물 관련 상식

소독약 냄새가 너무 강하다

수돗물 소독약 냄새인 염소 냄새는 수돗물을 직접 음용할 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우리 인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미량이며(기준 농도 4㎎/L),

일반 세균 등 병원 미생물로부터의 안전성을 입증합니다

갑자기 발생하는 소독약 냄새의 원인은?

수도꼭지에 연결하는 호스를 가정용이 아닌 공업용 호스를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에

수돗물과 조리한 음식물에서 염소 냄새와 유사한 역한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호스에서 용출되는 페놀 성분과 수돗물의 염소가 반응하여 염소 냄새와 유사하고

자극성이 강한 클로로페놀 (Chlorophenol)류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호스 냄새는 물을 끓인 후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염소 냄새와 구별됩니다.

염소 냄새와 호스 냄새 구별법 - 물을 5분정도 끓인 다음 냄새 확인

▶ 냄새제거 - 염소 냄새, 이상 없음

▶ 냄새 발생 - 호스 냄새, 호스(공업용) 사용중지 · 교체

호스는 반드시 식품 전용(가정용)을 사용해야 하고, 새로운 호스 사용 시에는 반드시

냄새 발생 유무를 확인한 다음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김장기간 동안 공업용 호스

사용으로 인한 냄새를 호소하는 민원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김장재료

전체를 버려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확인 후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욕조나 세면대에 받아둔 물이 파랗게 변한다(?)

수돗물 청수현상은 동관을 급수관이나 부품으로 사용한 신규 아파트에서 입주 초기

또는 장기간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자주 발생합니다.

동관에서 용출된 미량의 동(Cu) 성분이 욕조나 세면대에 남아있는 세제의 지방산과

반응하여 물색이 푸른빛을 띠게 됩니다.

급수관으로부터 용출되는 동성분은 아주 미량이기 때문에 수돗물 품질에는 이상이

없으나 청수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수질검사가 필요합니다.

Page 11: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세면대 주변에 분홍색 물때가 생긴다(?)

분홍색 물때는 보통 건물 내부의 습도가 높은 욕실 바닥, 세면대, 싱크대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도기 제조시에 첨가되는 코발트 성분이 용출되거나 분홍색을 띠는 곰팡이

번식으로 착색되는 등 복잡한 환경요인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돗물

품질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집안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므로 용기 주변에 세제나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깨끗이 닦아 주고 자주 환기를 시켜 주어야 합니다.

수돗물에서 하얀 거품이 남다(?)

수돗물이 우윳빛처럼 하얗게 나오는 ‘백수현상’은 소독약품이 아니라 수도관에

유입된 공기가 수압의 영향으로 녹아들어 갔다가 압력의 변동으로 매우 작은 기포로

나타나는 단순한 물리적인 현상으로서 수돗물 단수 작업 후에 자주 발생하며 수돗물

품질과는 무관합니다.

백수현상이 나타난 수돗물을 유리컵과 같은 투명한 용기에 2~3분 정도 받아두면

아래층에서부터 물이 맑아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집 수돗물 안심확인제 실시

대 상 : 지방상수도 급수지역내 수용가

내 용 : 수돗물 수질이상 등에 대해 수질검사를 신청하시면 우리군에서 수질검사

기관에 채수 및 수질검사를 의뢰하여 결과를 알려줌

검사항목

- 6개항목 : 탁도, pH, 철, 구리, 잔류염소, 아연

- (선택 1) : 망간, 색도, 경도 등

신청방법

- (전 화) : 양평군수도사업소(수도운영팀) 031-770-3716

- (인터넷) : 물사랑(www.ilovewater.or.kr)

검사비용 : 무료(주민부담 없음)

Page 12: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유해영향 무기물질

납, 불소, 비소 등을 포함한 11개 물질은 고농도로 장기간 섭취하였을 때 간, 신장 및

신체적 장기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물질로 이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 농도값을

설정합니다.

유해영향 유기물질

페놀,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등을 포함한 16개 물질은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섭취하였을 때 중추계, 순환계 손상등의 신체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로 이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 농도값을 설정합니다

미생물

음용수내에서 미생물 존재는 인체감염을 일으켜 설사,복통을 유발하는 식중독 등의

경미한 증사에서부터 장티푸스, 이질 등과 같이 중증감염을 야기하는 미생물로써

매우다양하고 그 종류도 많아서 통제가 어렵지만, 일반세균과 대장균군과 같은 지표

미생물을 활용하여 미생물에 의한 수질오염 가능여부를 검사합니다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총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을 포함한 8개 물질은 정수처리 공정중 미생물 살균을

목적으로 투입된 염소와 물속의 잔존한 여러물질과 반응하여 생성된 물질로 장기간

기준치 이상을 섭취하였을 때 암을 유발하는 인자로 알려진 물질입니다. 이 역시,

정수처리 공정의 과학화를 통하여 적정 소독,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염소투입량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심미적 영향물질

염소이온,pH,철,색도,탁도 등을 포함한 16개 물질은 인체에 대한 해는 없고 단지

음용수의 맛과 냄새 등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돗물의 안잔성

보다는 품질에 중점을 두어 기준값이 설정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먹는

김치국의 염소이온 농도는 1,000~4,000㎎/ℓ로서 음용수 염소 수질기준 250㎎/L보다

무려 4배 이상 높습니다

Page 13: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군민과 함께하는 수질검사

수돗물수질평가위원참여 수질검사

수돗물수질평가위원회 회의

·수돗물 수질평가위원과 합동으로 원·정수부터

수도꼭지까지 수질관리를 철저히 하여 가뭄 및 조류

발생에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

공급 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수돗물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수돗물수질평가

위원회를 개최하여 수돗물에 대한 자문 및 토론회

를 통해 민・관합동 수돗물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Page 14: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 yp21.go.kr · 2019 수돗물 품질보고서 (기준년도 : 2018년) ... 경도 300 (mg/L) 71 110 50 55 98 37 65 92 55 ‘18년 지방상수도 (정수)

수돗물 관련 문의 전화

인터넷 주소 (www.yp21.go.kr/water/)

찾아오시는 길 : 양평군 양평읍 충신로189번길 81(회현리 306-1)

부 서 명 민원내용 전화번호

수도행정팀

·수도요금 031-770-3695

·수도요금 감면 031-770-3696

·원인자부담금, 비상급수 031-770-3692

수도시설

·개인급수공사 031-770-3702,3705

·노후수도관 정비 및 누수복구 031-770-3704

·급수취약 지역사업 031-770-3703

수도운영·수질민원 및 안심확인제 신청 031-770-3716

·정수장 견학신청 031-770-3712

야간 민원접수 031-770-3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