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user.kotiti.re.kr/technic/keit-3.pdf · 92...

20
SUMMARY 목적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 필요한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상품개발 방향과 산업발전 방안을 제시 주요현황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은 일반 섬유제품보다 다기능·고성능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고 산업규모는 사회발전과 연동하여 성장 유통 사용 의무를 강제하는 법규가 산업을 성장시키는 동인이었으나 재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보호 섬유산업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됨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의 2013국내시장 규모는 180억원, 지난 6년간 연평균 성장률 10.3%, 세계시장 규모는 2013195$, 2020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7.3%전망되는 유망산업임 제품 다양성, 품질 신뢰성, Total Solution 제공 능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 미흡한 안전보호 규제환경에서 고객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의 로컬기업들이 경쟁 산업근로자 10만명당 산업재해 사망자 (2012기준, ILO)OECD 평균이 2.6, 영국 0.6, 독일 1.9, 일본 2.0, 미국 3.2, 터키 4.8명인데 반해 한국은 7.3명으로 매우 높음 우리나라는 안전보호 섬유제품과 관련하여 고성능 섬유소재, 직편물, 염가공, 디자인·봉제에 대한 기술경쟁력은 갖추고 있으나 안전보호 제도와 시험평가 인증 인프라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흡 시사점 정책제안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 인프라 정비, 손해보험 보상규정과 연계한 안전의식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발전과 수출시장 개척을 기대할 있음 산업안전 보호섬유 제품에 관한 법규를 유럽의 EC Directive 89/656/EEC 수준으로 구축하는 것과 EUCE 인증을 국내에서도 가능하도록 상호인증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 안전보호 섬유의 기술개발 방향은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소재와 제품개발, 작업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멋진 디자인, 세분시장과 용도에 대응한 다양한 제품개발임 l저자l 김익수 PD / KEIT 섬유의류 PD박훈 연구위원 / 산업연구원 주력산업연구실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Upload: hoangtuyen

Post on 02-Sep-2018

22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SUMMARY

목적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 필요한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상품개발 방향과 산업발전 방안을 제시

주요현황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은 일반 섬유제품보다 다기능·고성능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고 산업규모는 사회발전과 연동하여 성장

유통 및 사용 의무를 강제하는 법규가 산업을 성장시키는 동인이었으나 재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보호 섬유산업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됨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의 2013년 국내시장 규모는 약 1조 80억원, 지난 6년간 연평균 성장률 10.3%, 세계시장 규모는 2013년 195억$, 2020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7.3%로 전망되는 유망산업임

제품 다양성, 품질 신뢰성, Total Solution 제공 능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 미흡한 안전보호 규제환경에서 고객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의 로컬기업들이 경쟁

산업근로자 10만명당 산업재해 사망자 수(‘2012년 기준, ILO)는 OECD 평균이 2.6명, 영국 0.6, 독일 1.9, 일본 2.0, 미국 3.2, 터키 4.8명인데 반해 한국은 7.3명으로 매우 높음

우리나라는 안전보호 섬유제품과 관련하여 고성능 섬유소재, 직편물, 염가공, 디자인·봉제에 대한 기술경쟁력은 갖추고 있으나 안전보호 제도와 시험평가 및 인증 인프라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흡

시사점 및 정책제안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 인프라 정비, 손해보험 보상규정과 연계한 안전의식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발전과 수출시장 개척을 기대할 수 있음

산업안전 보호섬유 제품에 관한 법규를 유럽의 EC Directive 89/656/EEC 수준으로 구축하는 것과 EU의 CE 인증을 국내에서도 가능하도록 상호인증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

안전보호 섬유의 기술개발 방향은 ①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소재와 제품개발, ② 작업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멋진 디자인, ③ 세분시장과 용도에 대응한 다양한 제품개발임

l저자l 김익수 PD / KEIT 섬유의류 PD실

박훈 연구위원 / 산업연구원 주력산업연구실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9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1. 안전보호 섬유의 개요

안전보호 섬유는 재해, 전쟁, 산업현장, 스포츠레저, 일상생활 등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섬유제품과 섬유부품으로 구성됨

안전보호 섬유제품은 소방복, 방탄복, 전투복, 작업복, 장갑, 신발, 추락방지 로프, 마스크, 커튼, 안전벨트, 필터 등 사람과 재화의 안전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안전보호 섬유부품은 호흡보호구, 헬멧, 청각보호구 등에 안전대, 조임 끈, 충격방지 보호대 등 섬유소재로 된 안전보호 장구의 부품

산업안전보호 섬유는 건설, 제조, 스포츠레저, 식품, 유통, 엔터테인먼트, 발전과 전력, 의료, 자원채굴, 연구개발, 소방방재 등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보호 섬유제품과 부품을 일컬음

산업현장에서 위험요인별 피해발생 빈도는 충격, 추락, 끼임, 베임, 찔림 등 기계적 위험요소가 가장 많으나 최근 메르스 사태에서 경험하였듯이 화학·생물학적 요소가 증가 추세

| 그림 1 위험요소별 인적피해 빈도1) |

1)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e Global Manufacturing Industry - Outlook and Trenfs, Frost & Sullivan, 2014

Mechanical Hazards

Physical Hazards

Freq

uenc

y of

Inju

ries

Heavy and falling objects; slips, trips, and falls. The manufacturingenvironment involves the use sharp tools, heavy machinery andobjects, and the frequent lifting of objects and metals.

Chemical Hazards

High

Low

Biological Hazards

Electrical Hazards

Fire Hazards

Noise hazards, exposure to mechanical vibrations, extremeconditions of heat and cold.

Exposure to toxic chemicals, solvents, gases, metal fumes, spillage,and splash.

Exposure to highly flammable environments (flammable chemicalsand materials) and fires due to electrical short circuits.

Exposure to bacteria, viruses, and other infectious microbes.

Contact with live-wire circuits and exposure to electrical shocks inwet and damp environments.

Source: Frost & Sullivan

9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산업현장에서 개인보호 장구 착용은 부상과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대책이며 안전사회 구현을 위한 첫걸음임

산업근로자 10만명당 산업재해 사망자 수(‘2012년 기준, ILO)는 OECD 평균이 2.6명, 영국 0.6, 독일 1.9, 일본 2.0, 미국 3.2, 터키 4.8명인데 반해 한국은 7.3명으로 매우 높은 수준

특히,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 산업안전 보호섬유의 보급 확대는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안전사회 구현 과정에서 관련 섬유제품의 내수 기반이 형성된다면 섬유기업들은 기술개발과 사업화 투자를 확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수출시장 개척이 기대됨

안전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환경은 시장을 형성하는 Driving Force이며 선진국으로 발전할수록 안전보호를 위한 투자 대비 효과가 큼

| 표 1 안전보호복 관련 법령 및 기준 |

관련부처 법령 또는 기준 인증기관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46(보호구 안전인증 고시) 산업안전보건공단

환경부환경부고시 제2014-259(‘14.12.1 제정)(유해화학물질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관한 규정)

산업안전보건공단

국민

안전처

소방산업

기술원

기술기준 제173호(2014.12.01.)(소방용 화학보호복의 KFI인정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소방

방재청

소방방재청고시 제2006-2호

(소방용 특수보호복 등의 성능과 유지

관리 기준)

산업부

(기술표준원)기술표준원 2007년 고시

(섬유제품의 품질안전 표시규정)국가기술표준원

안전보호복, 안전장갑, 안전화, 추락방지 장구로 쓰이는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안전보호복, 안전장갑, 안전화, 추락방지 장구는 주로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나 호흡보호구, 머리·눈·얼굴 보호구, 청각보호구는 부품으로써 섬유소재가 활용됨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이 안전보호 섬유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 진출 할 수 있는 기술과 상품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9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 그림 2 개인보호 장구 제품의 분류2) |

| 그림 3 위험요인별 안전보호복 |

2)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dustry; Outlook for North America 2014, Frost & Sullivan, 2014

벌목작업복

방탄복

방화복

방열복 용접복보드복 오토바이복

심해잠수복

해난사고 구조복

전기감전 보호복 전자파 차단복

방진복

벌레 보호복

생화학복

세균감염 보호복

고휘도 작업복

방검복 전기/전자고시인성

생물/화학

레저불/열

물위험도구안전보호제품

안전화안전장갑

안전

보호복

청각

보호구

머리·눈·얼굴

보호구

추락방지

장구

호흡

보호구

개인보호장구

9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2. 국내 산업재해 및 화재발생 현황 분석

. 우리나라 산업재해는 근로자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 들어 소득수준 향상과 안전의식의 확산, 정부의 안전기준 강화 등에 힘입어 감소하는 추세

산업재해 대상 근로자 수는 2010년 1,420만명에서 2014년 1,706만명으로 연평균 4.7% 증가

반면, 산업재해자 수는 같은 기간에 9만 8,645명에서 9만 0,910명으로 연평균 2.0%감소하였으며, 사망자수는 연평균

4.2% 감소하여 2014년 1,850명을 기록

업재해자 수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제조업은 감소하는 반면 건설업, 광업은 증가하는 추세

제조업 재해자 수는 2010년 3만 4,071명에서 2014년 현재 2만 8,649명으로 연평균 4.2% 감소하는 추세이나 산업 전체 재해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31.5%를 차지

건설업의 재해자 수는 2010년 2만 2,504명에서 2014년 2만 3,600명으로 연평균 1.6% 증가하여 산업 전체 재해자 수에서 2014년 22.8%를 차지

광업은 근로자 수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재해자 수는 가장 많이 증가하였는데 2010년 1,082명에서 2014년

1,235명으로 연평균 3.4% 증가

| 표 2 국내 산업재해에 따른 손실 현황3) |

연 도대 상

근로자수

(천명)

재해자수(천명) 경제적 손실 추정액(십억원) 근로 손실

일수

(천일)계 사 망 부 상 질병자 계산 재보상금

간 접손실액

2005 11,059 85.41 2.49 76.52 6.40 15,129 3,026 12,103 69,188

2010 14,199 98.65 2.20 89.46 6.99 17,619 3,524 14,095 56,708

2013 15,449 91.82 1.93 82.80 6.79 18,977 3,795 15,182 52,757

2014 17,062 90.91 1.85 - - - - - -

연평균

증가율

(%)

‘05∼’10 5.1 2.9 -2.5 3.2 1.8 3.1 3.1 3.1 -3.9

‘10∼’13 4.7 -2.0 -4.2 -2.5 -1.0 2.5 2.5 2.5 -2.4

3) 노동고용부, 산업재해 현황 분석, 각연도, 근로자수, 재해자수 전체 및 사망자수의 연평균증가율은 2010∼2014년 기준

9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제조업과 건설업은 감소하는 반면, 광업은 증가 추세

제조업의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2010년 618명에서 2014년 453명으로 연평균 7.5% 감소하였으나 전체 사망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24.5%로 높음

건설업의 재해 사망자 수는 2014년 486명으로 2010년 대비 1.5% 감소하였으며 추락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음

광업의 재해 사망자 수는 2014년 401명으로 전체의 21.7%로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근로자 비중이 0.1%임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준

제조업에서 근로자 수 천명당 산업재해자 수는 2013년 비금속광물제품·금속제품·금속가공이 16.8명, 일반기계 15.3%명, 수송기계 10.4명, 화학제품 8.9명, 식료품 7.7명, 조선 5.4명, 목재·나무제품 4명

근로자 수 만명당 사망자 수는 2013년 비금속광물제품·금속제품·금속가공이 13.9명, 일반기계 11.5명, 화학제품 10.2명,

수송기계 9.8명, 조선 8.0명, 식료품 6.4명 순으로 발생

위험요소별 재해자 수는 2013년 전체 91,824명이며 이 가운데 넘어짐 19.2%, 끼임 16.0%, 추락 15.0%, 절단·베임·찔림 8.4%, 물체에 맞음 8.2%를 차지하였고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많이 발생

제조업의 경우 끼임으로 발생하는 재해가 9,898명으로 전체 재해자 수의 33.4%로 절대적으로 많으며 넘어짐 10.3%, 떨어짐 8.9%, 물체에 맞음 8.8%, 부딪힘 6.5%

건설업은 추락으로 발생하는 재해자 수가 7,682건으로 전체 재해자 수의 32.6%에 달하며 그 다음으로 넘어짐 15.2%, 물체에 맞음 12.8%, 절단·베임·찔림 8.9%, 끼임 8.5%, 부딪힘 7.5%로 구성

9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 표 3 제조업의 산업재해 현황(2013년)4) |

사업장수

(개)근로자수

(명)재해자수

(명)재해율

(천명당)사망자수

사망률

(만명당)

식료품 19,335 239,592 2,265 9.45 29 1.21

담 배 18 2,597 4 1.54 0 0.00

섬유·섬유제품 23,602 198,917 1,148 5.77 22 1.11

목재·나무제품 9,800 51,174 1,180 23.06 5 0.98

펄프·제지 5,471 57,312 609 10.63 12 2.09

신문·출판·인쇄 17,235 124,554 427 3.43 4 0.32

화학제품 29,777 341,641 2,618 7.66 47 1.38

의약품 및 화장품 1,914 52,039 119 2.29 2 0.38

고무제품 3,612 61,142 686 11.22 6 0.98

유 리 1,867 33,197 256 7.71 2 0.60

도자기·기타요업제품 3,582 44,508 484 10.87 19 4.27

시멘트 233 7,103 42 5.91 2 2.82

비금속광물제품·금속제품·금속가공 38,936 265,398 4,934 18.59 64 2.41

금속제련 264 38,726 116 3.00 9 2.32

금속재료품 3,652 65,311 905 13.86 30 4.59

도 금 4,439 48,138 429 8.91 5 1.04

일반기계 59,931 487,772 4,508 9.24 53 1.09

전기기계 17,284 194,261 773 3.98 7 0.36

전자제품 18,040 572,860 734 1.28 12 0.21

조 선 6,773 186,226 1,596 8.57 37 1.99

수송용기계 12,285 366,738 3,068 8.37 45 1.23

광학·정밀기기 9,013 98,169 288 2.93 4 0.41

수제품 5,405 31,596 186 5.89 4 1.27

기타제조업 17,813 118,203 1,392 11.78 24 2.03

자동차·모터사이클수리업 17,423 77,913 608 7.80 10 1.28

코크스·연탄·석유정제품 369 11,526 57 4.95 6 5.21

제조업 전체 328,073 3,776,613 29,432 7.79 460 1.22

4) 노동고용부, 산업재해 현황 분석, 재해율 = 재해자수/근로자수×1,000, 사망률 = 사망자수/근로자수×10,000

9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 표 4 업종별·발생형태별 산업재해자 수 현황(2013년)4] |

(단위 : 명, %)

농림

어업광 업 제조업 건설업 사회간접시설

운수·창고

·통신업전 체 구성비

넘어짐 486 16 3,045 3,583 11 715 17,588 19.2

끼 임 127 40 9,898 2,006 10 457 14,706 16.0

떨어짐 206 28 2,631 7,682 12 622 13,756 15.0

절단·베임·찔림 613 4 2,247 2,106 1 61 7,684 8.4

업무상 질병 91 723 3206 708 8 353 7,627 8.3

물체에 맞음 333 53 2,583 3,024 4 260 7,537 8.2

부딪힘 229 18 1,923 1,763 2 390 5,875 6.4

사업장외교통사고 60 4 398 200 3 830 3,961 4.3

깔림·뒤집힘 369 8 954 848 5 105 2,837 3.1

불균형·무리한 동작 50 5 603 528 0 189 2,723 3.0

이상온도 접촉 5 1 534 120 3 23 2,408 2.6

체육행사 5 0 460 15 9 76 1,739 1.9

무너짐 3 5 123 468 1 27 708 0.8

감 전 4 1 103 176 3 9 394 0.4

폭발 파열 5 4 189 77 1 8 388 0.4

화 재 9 4 177 62 1 6 356 0.4

화학물질누출접촉 7 0 137 67 1 10 350 0.4

기 타 63 7 221 167 2 99 1,187 1.3

총 계 2,665 921 29,432 23,600 77 4,240 91,824 100

| 표 5 종사자 규모별 산업재해 현황4] |

(단위 : 명)

2014년근로자수 재해자수 사망자수 재해율

(천명당)사망률

(만명당)근로자수 구성비 재해자수 구성비 사망자수 구성비

5인 미만 2,472,723 14.5 29,439 32.4 422 22.8 1.19 1.71

5인∼49인 7,245,048 42.5 44,160 48.6 656 35.5 0.61 0.91

50인∼99인 1,849,030 10.8 6,438 7.1 174 9.4 0.35 0.94

100인∼299인 2,405,186 14.1 5,586 6.1 239 12.9 0.23 0.99

300인∼999인 1,634,757 9.6 2,554 2.8 253 13.7 0.16 1.55

1,000인 이상 1,455,564 8.5 2,732 3.0 106 5.7 0.19 0.73

총 계 17,062,308 100.0 90,909 100.0 1,850 100.0 0.53 1.08

9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재해율은 영세 사업장일수록 높아 종사자 5인 미만의 사업장이 천명당 1.19명, 5~49인의 사업장이 0.61명으로 평균값 이상을 나타냄

우리나라의 산업 재해율이 높은 것은 근로자와 기업들의 안전 의식 부족, 고성능 안전보호복과 장구의 보급 부족이 원인

이처럼 화재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방공무원의 부족, 소방장비의 부족과 노후화로 인해 소방 공무원들의 인명피해도 줄어들지 않고 있음

화재발생시 국민의 생명에 큰 위협이 되는 특정소방 대상물인 건축물과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화재발생 건수의 증가율에 비해 인명피해가 더 크게 발생

특히, 최근 5년 동안 순직자 33명 중 42.4%(14명) 및 30.3%(10명)이 구조 및 화재진압 과정에서 발생

우리나라 소방 공무원 사망률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으로 최근 5년 동안 소방 공무원 1만명당 순직자가 2.12명으로 미국(1.03명)의 2배, 일본(0.42명)의 5배

| 표 6 국내 화재발생 및 인명피해 현황5) |

년도화재발생

(건수)

인명피해

사 망(명) 부 상(명) 계(명)

2010 41,863 304 1,588 1,892

2011 43,875 263 1,599 1,862

2012 43,247 257 1,964 2,221

2013 40,932 307 1,877 2,184

2014 42,135 325 1,856 2,181

연평균 증가율(2010~2014년) 0.2 2.2 4.5 4.0

5) 국민안전처, 최근10년간 화재현황 정보, 2015.10.16

10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 표 7 국내 소방 공무원의 사상자 현황6) | (단위 : 명)

2010 2011 2012 2013 2014 합 계 구성비(%)

화재진압 90 75 64 64 69 362 22.2

구 조 41 31 24 24 43 163 10.0

구 급 79 89 61 67 80 376 23.1

교육훈련 29 28 31 29 36 153 9.4

기 타 109 140 112 110 104 575 35.3

합 계 348 363 292 294 332 1,629 100.0

(순직자) 8 8 7 3 7 33 -

2014년 현재 소방 공무원의 개인안전장비 부족율은 4.5%이지만, 방화두건 및 안전화는 각각 11.3% 및 7.4%로 높음

- 특히, 서울시의 경우 개인안전장비 부족률이 21.9%로 심각한 수준인데 방화두건 47.8%, 안전장갑 22.1%, 안전화 16.7%, 방화복 13.2%가 부족

개인안전장비의 노후화율도 16.5%로 높은 수준인데 방화복, 헬멧 및 공기호흡기는 각각 43.5%, 38.9% 및 20.0%로

매우 높음

/ 화학 화재 및 폭발사고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화학사고에 대비한 보호복의 대다수가 화학 누출용 장비이고 화재

및 폭발사고용 화학사고 보호복은 전체의 8%에 불과7)

- 높은 방화열을 차단하는 화학복(내열온도 600˚C)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구형 방화복(내열온도

280˚C)을 입고 화재를 진압하는 실정8)

| 표 8 국내 소방 공무원의 개인안전장비 현황9) | (단위 : 점)

공기호흡기 방화복 헬멧 안전화 안전장갑 방화두건 계

1인당 보유기준 1 2 1 2 2 2 6종, 10점

보유기준 38,842 68,220 38,842 68,220 68,220 68,220 350,564

보유수량 39,817 71,462 43,614 63,166 65,218 60,533 343,810

내용연수 10년 3년 5년 소모품 소모품 소모품 -

노후수량 (노후율 %) 8,728(20.0) 31,119(43.5) 16,959(38.9) - - - 56,806(16.5%)

부족수량(부족률 %) - - - 5,054(7.4) 3,002(4.4) 7,687(11.3) 15,743(4.5)

6) 국민안전처

7) 2014 국정감사(노웅래의원)8) 2014년 6월 MBC 시사매거진 2580 9) 국민안전처

10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3. 산업안전보호 섬유시장의 현황과 전망

. 산업안전보호 제품의 세계시장은 2013년 약 340억$에서 2020년 555억$로 연평균 성장률이 7.3%로 예측되는 유망 분야임

| 표 9 산업안전보호 제품의 세계시장 전망10) |

(단위 : 백만 달러, %)

품목 2013 2020 연평균 성장률(2013∼2020) 품목 2013 2020 연평균 성장률

(2013∼2020)

머리·눈·얼굴 보호장비

5,900 9,203 6.6 안전화 7,006 10,731 6.3

방음 귀마개 2,819 4,656 7.4 추락방지장비 2,790 5,039 8.8

안전보호복 2,210 3,688 7.6 안전장갑 5,018 8,502 7.8

호흡 보호구 3,158 5,391 7.9 기타 5,053 8,298 7.3

전 체 33,953 55,508 7.3

앞서 우리나라의 재해요인 구성비에서도 예상할 수 있듯이 발, 손, 머리·눈·얼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호 제품의 시장규모가 큼

안전보호 의식이 높고 제도가 잘 갖추어진 북미와 유럽이 2013년 전체 시장의 각각 31.5%, 및 28.8%를 차지하는 가운데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역이 높은 성장률로 세계시장 확대를 견인할 전망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의 급성장 및 인프라 건설투자 확대와 한국, 대만, 인도네시아의 안전의식 제고와 정부의 안전규제 강화에 따라 안전보호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은 오일·가스 산업의 발전 및 인프라 건설의 증가에 따라 안전보호 제품의 시장 성장률 전망치가

높음

10)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Glob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rket 2014~2020, 2015

10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 표 10 산업안전보호 제품의 지역별 시장 전망10) |

(단위 : 백만 달러, %)

지역 2013 2020연평균 성장률

(2013∼2020)지역 2013 2020

연평균 성장률

(2013∼2020)

북 미 10,706 16,889 6.7 러시아 1,621 2,578 6.9

유 럽 9,788 15,557 6.8 중 동 1,392 2,358 7.8

아시아/태평양 6,118 10,756 8.4 아프리카 248 746 17.0

남 미 4,080 6,625 7.2 전 체 33,954 55,508 7.3

| 표 11 산업안전보호 제품의 수요산업별 시장 전망10) |

(단위 : 백만 달러, %)

수요산업 2013 2020연평균 성장률

(2013∼2020)수요산업 2013 2020

연평균 성장률

(2013∼2020)

제조업 6,714 10,948 7.2 제 약 2,893 4,857 7.7

건설업 5,142 8,323 7.1 식 품 2,794 4,595 7.4

오일/가스 4,740 7,582 6.9 수 송 2,605 4,392 7.8

화 학 3,171 5,157 7.2 기 타 5,895 9,655 7.3

전 체 33,953 55,509 7.3

산업안전보호 제품시장을 수요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이 2013년 전체의 각각 19.8% 및 15.0%로 가장 큰 규모를 형성한 가운데 수송, 제약 및 식품산업이 시장 확대를 주도할 전망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3년 약 195억$, 전체 산업안전 보호제품의 57%로 추정됨11)

2013년 세계시장은 안전화가 70억$, 안전장갑이 50억$, 추락방지장비가 28억$, 안전보호복이 22억$, 기타 25억$로 구성됨

2020년까지 연평균 시장 성장률은 추락방지장비 8.8%, 안전장갑 7.8%, 안전보호복 7.6%, 안전화 6.3% 순으로 매우 높음

11) /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Glob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rket 2014~2020, 2015의 산업안전 보호제품 가운데 안전화, 안전장갑, 추락방지장비, 안전보호복, 기타 제품의 50%를 섬유제품으로 가정

10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 표 12 섬유소재별 안전보호 의류제품의 시장 전망12) |

(단위 : 백만 달러, %)

섬유소재 2013 2018연평균 성장률

(2013∼2018)섬유소재 2013 2018

연평균 성장률

(2013∼2018)

아라미드섬유 2,033 2,820 6.8라미네이트

폴리에스터섬유338 412 4.0

PBI 섬유 1,055 1,532 7.7폴리올레핀계

섬유332 401 3.8

나일론섬유 993 1,271 5.1초고분자량PE

섬유198 260 5.6

면섬유 664 892 6.1 기 타 365 411 2.4

전 체 5,980 8,000 6.0

소재별 산업안전보호 섬유시장은 아라미드섬유가 전체시장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PBI(Polybenzimidazole)섬유의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 높아 성장률 전망이 유보적임

아라미드섬유, 초고분자량PE섬유, 난연 모다크릴섬유, 라미네이트 폴리에스터섬유, 난연 폴리아마이드섬유, 산화PAN섬유, 난연 Rayon섬유, 멜라민섬유 등이 주요 섬유소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소방복을 구성하는 투습방수 중간층과 안감은 대부분 메타아라미드섬유이므로 소방복 섬유소재 전체에서 메타아라미드가 약 70%를 차지하며 NFPA 1971, 1977, 2112 표준으로 평가

- 소방복 겉감 소재들로는 메타아라미드/파라아미드/도전사(93/5/2)의 평직, 메타아라미드/파라아미드(40/60), 메타아라미드/파라아미드/PBO섬유(20/60/20), 멜라민/파라아라미드섬유(40/60), PBI/파라아라미드섬유(40/60) 등의 Rip-stop직물, PBO/파라아라미드섬유(40/60) Twill직물 등을 사용

화학복 및 방사선 분진 보호복 섬유소재 가운데 아라미드 혼방섬유가 34%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폴리올레핀섬유 부직포에 다양한 방호수지를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한 원단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NFPA 1991, 2113 규격으로 평가

산업용 작업복은 위험도가 높은 경우 소방복과 유사한 소재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는 난연 Rayon섬유 또는 방염 Cotton과 나일론섬유 12%를 혼방한 직물이 쓰이며 NFPA 2112, 2113, 70E 및 ASTM F 1506 표준으로 평가

안전장갑에는 칼, 톱, 송곳 등을 다루는 경우 파라아라미드섬유 또는 초고분자량PE섬유가 쓰이며 작업환경에 따라 Cotton, 나일론섬유, Stainless steel 섬유를 혼용하며, 장갑표면에 수지를 코팅하거나 도트 형태로 프린트한 미끄러짐 방지 기능성 및 항균성을 부여

- 섬세한 작업용 안전장갑은 초고분자량PE섬유 또는 폴리에스터섬유에 나이트릴 폼 또는 우레탄 수지를 코팅하여 사용

- 내열, 내화염이 요구되는 용접용 안전장갑은 아라미드섬유 및 PBI섬유를 사용

12) / Market and Market, Protective clothing market by application, end-use industry & material – Global trends & forecast to 2018, 2013

10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PBI섬유는 미국의 PBI Performance사가 제조·공급을 독점하고 있으며 200$/kg 내외의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PBI/파라아라미드 40/60 혼방사가 미국의 내열 소방복 겉감 규격으로 채택되면서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사용량이 증가13)

- 1,000˚C 화염을 8초간 방사하였을 때 소방복 겉감이 메타아라미드섬유 또는 메타아라미드섬유와 이미드섬유로 된 혼방직물의 경우 부스러져 내부가 노출되나 PBI섬유로 만든 겉감은 일부 탄화는 발생하나 본래의 견고하고도 유연한 물성을 유지

- PBI/파라아라미드섬유(33/67) 혼방사로 된 Rip조직 편물에 알루미나이즈 처리한 방열복, PBI/파라아라미드 섬유(40/60)로 만든 석유화학 및 전력 산업용 내열방화복, PBI/난연 Rayon섬유(20/80) 내의 등의 소비량이 증가 추세

- PBI/메타아라미드섬유(20/80) 혼방사로 만든 150g/m2 직물은 미국, 나토 및 유럽 각국의 전투기 조종사용 항공복 규격으로 채택됨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의 세계시장은 제품 다양성, 품질 신뢰성, Total Solution 제공 능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 미흡한 안전보호 규제환경에서 고객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의 로컬기업들이 경쟁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은 용도, 목적, 해당 국가의 사회적 환경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디자인, 섬유소재, 직편물, 봉제품으로 최적화됨

건설, 수송, 제조, 자원산업 분야에서는 고성능 직편물 제품, 의료, 식품 분야에서는 저가의 부직포 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됨

글로벌 안전보호 섬유소재 기업으로는 아라미드섬유의 DuPont, Teijin, 초고분자량PE섬유의 DSM, Honeywell, Toyobo, Teijin, 난연 Rayon의 Lenzing, PBI섬유의 PBI Performance, PAI섬유의 Kermel, 멜라민섬유의 Basofil, PBO섬유의 Toyobo, 난연 모다크릴섬유의 Kaneka, Novoloid섬유의 Gun Ei Chemical, 알루미노실리카섬유의 3M 등

안전보호 직편물 기업으로는 Tencate, Milliken, Mount Vernon, Glen Raven, Burrington, Carrington, Klopman, Teijin, Lincoln Fabric, Sioen Industries, Allied Textiles, Gun Ei Chemical, W. L. Gore & Associates, Tex Tech Industries, Marina Textil, Honeywell, Toyobo, 3M, Precision Fabric, Southern Mill, Product, FMS Israel, BGF, Warwick, Hexel 등

안전보호 부직포 기업의 경우 DuPont, Kimberly Clark, Tencate, Freudenberg, Norofin, Featherfeel Nonwoven, Asahikasei, Cardinal 등

안전보호 섬유제품 기업으로는 Ansell, Lakeland, 3M, Bulwark, Lion, MSA, Respirex, Kappler, Sioen Industries, International Enviroguard, Delta Plus Group, Springfield, Lion Apparel, Workrite Uniform, Cardinal, Point Blank Solution, Standard Textile, Medline, Aramark, Cintas, Featherfeel Nonwoven, Edana, Avon Rubber, Rock Fall 등

13)/ PBI섬유는 탁월한 내열성(장시간 310˚C, 단시간 500˚C)과 내화학성, 화염에 노출 되었을 때 안정된 탄화구조를 형성하며 낮은 연소가스와 발열량을 나타내고, 가벼우며 흡습성이 높고, 직편물 제조가 용이하고 염색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장점이 있음, www.pbiproducts.com

10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Market Driver는 ① 산업안전 규제의 확산과 안전의식의 증대, ② 기술의 발전, ③ 개도국의 경제성장

Market Restraint는 ① 제조 자동화, ② 북미와 EU를 제외한 지역의 미흡한 산업안전 규제, ③ 높은 가격 민감도

국내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은 생산액이 2013년 약 1조원, 2007∼2013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0.3%로 매우 높으며 일반제품 위주에서 고성능 제품으로 변화하는 단계

국내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은 소방복과 특수 작업복을 제외하고 대부분 일반 섬유소재이며 향후 산업안전 규제가 강화된다면 고성능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성장이 예상됨

파라아라미드섬유는 코오롱인더스트리와 효성, 메타아라미드는 휴비스와 도레이케미칼이 소방복을 타깃으로 일본 및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저렴한 제품들과 경쟁 중

초고분자량PE섬유는 동양제강이 생산하고 있으나 고품질의 선진기업과 저렴한 가격의 중국기업들과의 경쟁에서 고전 중

PPS(Polyphenylenesulfide)섬유, 모다크릴섬유에 대한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

소재, 제직, 편직, 부직포, 염가공, 디자인 등에 대한 요소기술과 제조기반을 보유

안전보호복, 의료산업용 섬유제품, 추락방지 섬유제품, 안전장갑, 안전화, 안전장구 등에 대한 디자인 및 상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수요가 작아 수출시장 개발이 필요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의 수출과 내수판매를 위한 시험평가와 인증기반이 미흡하여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EU의 CE 인증을 국내에서 받을 수 있도록 상호인증 협정 체결을 위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

| 표 13 국내 안전보호 제품 생산 현황14) |

 

 

사업체 수(개) 생산액(십억원) 연평균성장률(%)(2007∼2013,생산액)2007 2011 2013 2007 2011 2013

안전보호복 127 133 126 266 439 461 9.6

안전장갑 32 23 20 92 81 77 -3.1

안전화 30 30 32 125 174 363 19.5

안전모자 44 42 33 74 136 108 6.5

합계 233 228 211 557 830 1,008 10.3

14) /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보고서

10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4. 산업안전보호 섬유제품 개발 방향

소방용 특수방화복의 개발 방향은 ① PBO 또는 PBI 혼방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한 소재, ② 가볍고 활동성이 향상된 제품, ③ 안전성과 편의성을 개선한 디자인 개발임

특수방화복의 제조원가에서 순간적인 고온 화염 조건에서 견딜 수 있는 PBO섬유(250$/kg 내외)와 PBI섬유(200$/kg 내외)가 크게 차지하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또는 내염가공기술의 개발이 필요

소방보호 개인장구의 총 중량은 20.4kg로 무거워 소방공무원의 피로도 증가와 소방 활동의 효율 저하의 요인이므로 경량화 기술개발이 필요

- 공기호흡기 12kg, 특수 방화복 3.7kg, 소방안전화 2.8kg, 헬멧 1.2kg을 차지

또한, 화재현장의 고열과 고강도 작업으로 인해 열사병, 화상, 체력고갈 등의 위험이 우려되므로 경량성과 함께 방열성, 신축성, 투습방수성, 시인성 향상 기술개발이 요구됨

안전과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하절기용과 동절기용으로 구분하여 제작해야 하며,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 포켓, 지퍼, 착·탈의성, 화염차단, 쾌적성, 활동성 등을 고려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

| 그림 4 소방용 특수방화복의 개선요구 조사 결과 |

* 경기, 인천 소방본부 소방공무원 1,029명15)

15) / 소방방재청 특수재난구축사업보고서를 인용한 윤병선, “안전보호복에 대한 동향”, 최신산업용섬유 기술개발동향 세미나, 섬유산업연합회, 2015.11.6을 재인용

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활동성

응답자수(명)

소방특수복의 개선 항목

방열성 방수성 땀 배출성

10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산업용 또는 소방방재용 화학·생물학 보호복의 개발 방향은 ① 예상 가능한 다양한 위험물질과 재난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소재, ②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저렴한 제품, ③ 유연성, 활동성, 편의성이 향상된 디자인 개발임

2015년 5월부터 화학물질관리법의 시행으로 취급자의 개인보호구 착용 의무가 강화되었으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유통실적이 있는 약 4만4천개의 화학물질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화학복의 개발이 필요

국내 산업현장 및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난에 대응하여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저렴한 화학복의 개발이 필요

내화학성이 높을수록 원단이 뻣뻣하고 구김과 크랙의 발생이 쉬우며 신축성이 부족하여 활동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개선한 소재, 원단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

| 그림 5 미국, EU 및 한국의 화학보호복 규격16) |

16) / 윤병선, “안전보호복에 대한 동향”, 최신산업용섬유 기술개발동향 세미나, 섬유산업연합회, 2015.11.6

레벨 A/B/C/D로 구분

- 개인보호장구 착용 및 신체 유해 정도에 따라 구분

작업환경에 따라 형식으로 구분

- Type 1/2/3/4/5/6

소방산업기술원 KFI (Level A/B/C)안전보건공단 KOSHA (Type 1/2/3/4/5/6)

사용 목적에 따라 규격별로 분류

- Ernergency responese- Chemical flash fire- CBRN terrorism

EPA, OSAH (미국/산업)

NFPA (미국/소방)

EN (유럽연합)

대한민국

화학보호복

Type 6EN 13034

액체 분무에 대한

제한적인 보호복

Type 5EN ISO13982-2

공기중의 고체 입자 화학물질에대한 보호복

Type 4EN 14605

액체 에어로졸에대한 보호복

Type 3EN 14605

액체 화학물의

압착 침투에 대한 보호복

Type 2EN 943-1

화학물 액체, 증기와 독성

입자에대한 보호복

Type 1EN 943-1/EN 943-2

화학물 액체, 증기와 독성 입자에 대한

완전 기밀보호복

Class 4(Level D)NFPA 1994

Class 3(Level C)NFPA 1994

Class 2(Level B)NFPA 1994

Class 1(Level A)NFPA 1991

Protection lowlevels of vapors or

liquid hazards

Protection for firstresponder, require

an SCBA

Gas and vaportight ensemble(Highest level)

Protection forparticulates and

biological aerosols

A B C D

10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EN(유럽연합) 분류

NFPA(미국/소방) 분류

Type 6EN 13034

액체 분무에 대한

제한적인 보호복

Type 5EN ISO13982-2

공기중의 고체

입자 화학물질에

대한 보호복

Type 4EN 14605

액체 에어로졸에

대한 보호복

Type 3EN 14605

액체 화학물의 압착 침투에 대한

보호복

Type 2EN 943-1

화학물 액체, 증기와 독성 입자에

대한 보호복

Type 1EN 943-1/EN 943-2

화학물 액체, 증기와 독성 입자에

대한 완전 기밀보호복

Class 4(Level D)NFPA 1994

Class 3(Level C)NFPA 1994

Class 2(Level B)NFPA 1994

Class 1(Level A)NFPA 1991

Protection lowlevels of vapors or

liquid hazards

낮은 수준의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보호

Protection for firstresponder, require

an SCBA

사건 발생 후 최초진압

요원을 위한, 보호 공기호흡기 착용

Gas and vaportight ensemble(Highest level)

가스와 증기 보호 완전 기밀복, 공기호흡기

착용(최고 수준의 보호)

Protection forparticulates and

biological aerosols

입자 및 생물학적

에어로졸로부터 보호

10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6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동향과 발전방안

| 그림 6 미국, EU 및 한국의 화학보호복 종류16) |

산업용 안전보호 섬유제품의 개발 방향은 ① 저렴한 다기능·고성능성 제품, ② 고시인성 제품, ③ 활동성, 편의성, 패션성이 향상된 디자인 개발임

국내 산업용 일반 작업복은 대부분 1벌당 약 3만5천원~7만5천원의 저렴한 해외 수입품이며 사고에 노출되었을 때 안전보호 기능을 기대하기 곤란

약 380만명의 국내 제조업 근로자들을 산업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최소한 대전방지성, 고시인성, 투습방수성, 액체상의 산, 알칼리,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 난연성과 용융물 발생이 없는 1벌당 8만원 이하의 보급형 다기능성 안전보호복 개발이 시급

제조업의 재해요인 가운데 비중이 높은 절단·베임·찔림에 대처하면서 작업성을 저해하지 않는 유연한 안전장갑 및 팔·다리용 토시의 개발

건설업에서 재해빈도가 가장 높은 넘어짐과 추락을 줄이기 위해 가볍고, 착용이 편리하며 시인성이 우수하고 하네스 체결이 간단한 디자인의 추락방지 섬유제품의 개발

의료현장에서 교차감염, 환자의 혈액, 분비물, 생물학적 폐기물 등으로부터 근무자를 보호하기 위해 MRSA17)에 대응할 수 있는 광범위한 항균성, 발수·발유성, 방오성, 투습방수성, 대전방지성과 함께 활동성과 편의성을 갖춘 의료용 안전보호 근무복 개발

신체치수에 맞는 활동성, 편의성, 시인성, 패션성이 향상된 안전보호복 디자인 개발

17)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즉 β-락탐계 항생물질에 내성이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국내 화학보호복 분류(안전보건공단:KOSAH)

SCA 1800ET-RK1형식(긴급용)

가스차단보호복

(난연성 추가)

SCA 40003형식

액체차단보호복

SCA 3000T4형식

스프레이차단

보호복

SCA 2000T5형식

분진차단보호복

SCA 1000L6형식

미스트차단보호복

SCA 1800ET-LK1형식(일반용)

가스차단보호복

Dangerous Spot Safe Spot

11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PD ISSUE REPORT NOVEMBER 2015 VOL 15-11

5. 산업안전보호 섬유산업의 발전방안

안전사회 구현과 산업발전을 연계시키기 위해 산업안전 보호섬유 제품에 관한 법규를 유럽의 EC Directive 89/656/EEC 수준으로 구축

산업안전 법규의 관리감독 강화, 안전의식의 제고, 안전법규 준수 여부에 따른 손해보험 보상액의 연계 등을 통한 안전사회 구축 실행환경 조성

EU의 CE 인증시험을 국내에서도 시행할 수 있도록 시험평가 인프라 정비와 상호인증 협정 체결 필요

가성비가 높은 산업안전 보호섬유 소재, 제품 및 디자인 개발 지원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중동, 브라질, 터키 등 경제 성장률이 높은 지역의 다양한 세분시장을 타깃으로 디자인 개발 및 시장개척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