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16
인도철학 24(2008), 167197도취제로서의 소마 (Soma) 연구의 의의 심준보 * Ⅰ 서론. Ⅱ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Ⅴ 결론. 요약문 [주요어: 리그베다, 소마, 도취제, 광대버섯, 에페드라, 신비체험] 지난 150년간 소마의 식물적 정체성을 두고 서구에는 적지 않은 연 구가 있었다. 아직 결론은 없으나 에페드라설과 광대버섯설이 주류를 이룬다. 이런 도취를 가져오는 식물의 사용은 인간의식의 변성을 가져 와 신비체험을 발생시킨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신비체험은 베다의 우주관 뿐 아니라 후대의 수행법들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 . 그러나 이 주제의 연구는 그간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리그베다의 소마 관련 내용과 소마와 도취제의 기존 연구를 간 략히 소개하였다. 또 소마 체험이 후대 인도 형이상학과 수행에 끼친 영향이라는 향후의 연구를 염두에 두고 그 기초 연구로서 도취제의 생 리적 효과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Ⅰ. 서론 오플래허티(W. D. O'Flaherty)는 소마제의를 베다 신앙의 핵심 으로 보면서 우파니샤드에서 아주 기계적인 요가에 이르기까지 신비적인 인도의 관행은 전부 그 소마 식물에 의한 비젼(vision) 을 대신하려는 시도일 뿐1) 이라며 이것이 전체 인도종교의 바탕 이 된다고까지 주장하였다. 이런 주장은 과하다고 생각되지만 소 마에 의한 도취적 신비체험이 인도종교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 * 광주 가톨릭대학교 강사. [email protected] 1) 퍼스트(1992) pp. 135-6. 재인용.

Upload: buiminh

Post on 07-May-2018

224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985172인도철학985173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심 보1)

Ⅰ 서론 Ⅱ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Ⅴ 결론

요약문 [주요어 리그베다 소마 도취제 버섯 에페드라 신비체험]

지난 150년간 소마의 식물 정체성을 두고 서구에는 지 않은 연

구가 있었다 아직 결론은 없으나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 주류를

이룬다 이런 도취를 가져오는 식물의 사용은 인간의식의 변성을 가져

와 신비체험을 발생시킨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신비체험은 베다의

우주 뿐 아니라 후 의 수행법들에도 일정한 향을 주었다고 주장한

다 그러나 이 주제의 연구는 그간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리그베다의 소마 련 내용과 소마와 도취제의 기존 연구를 간

략히 소개하 다 소마 체험이 후 인도 형이상학과 수행에 끼친

향이라는 향후의 연구를 염두에 두고 그 기 연구로서 도취제의 생

리 효과도 간략히 고찰하 다

Ⅰ 서론

오 래허티(W D OFlaherty)는 소마제의를 베다 신앙의 핵심

으로 보면서 ldquo우 니샤드에서 아주 기계 인 요가에 이르기까지

신비 인 인도의 행은 부 그 소마 식물에 의한 비젼(vision)

을 신하려는 시도일 뿐rdquo1)이라며 이것이 체 인도종교의 바탕

이 된다고까지 주장하 다 이런 주장은 과하다고 생각되지만 소

마에 의한 도취 신비체험이 인도종교에 많은 향을 끼쳤던 것

주 가톨릭 학교 강사 nirodha7navercom

1) 퍼스트(1992) pp 135-6 재인용

1 6 8 ∙ 印度哲學 제24집

은 사실로 생각된다

이런 도취제2)를 통한 신비체험이라는 고 유습은 요가수트

라의 4장 1송3)을 볼 때 고 요가에도 알려져 있었으며 이런 은

요가수트라의 집성 당시에도 이런 방식의 유습이 남아있었을 것

이라는 짐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 때문인지 이 주제는 국내에는 거

의 소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앞서의 오 래허티의 입장이 과하다

하더라도 소마에 의한 신비체험이 베다의 우주 등에 일정한

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4)을 고려해 볼 때 이 주제는 단순한 흥

거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도취제의 종교 사용

은 특히 샤머니즘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베다 내에서도 샤머

니즘 인 형태를 찾아볼 수 있고 이런 통은 후 탄트라의 수

행법들과도 연 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5) 따라서 이 주

제의 연구는 신비체험과 연 된 종교의 본질에 한 통찰을 통해

고 종교의 기원을 고찰할 수 있고 이런 특징들과 후 인도사

상들 사이의 계를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의 소마 연구는 이미 150년 이상의 연구사를 가지고 있다

주로 소마찬가로 이루어진 리그베다 제9 만달라(maṇḍala)와 사타

타 라흐마나의 주석을 주로 문헌 으로 연구되거나 인류학

이거나 민족식물학(ethnobotany) 측면에서도 연구되었다

정신병리약학 인 측면에서도 고찰되었다

2)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도취제의 의미는 본 논문의 Ⅲ장 2 앞부분 참조

3) YS 41 janma-oṣadhi-mantra-tapaḥ-sam dhi-j ḥ siddhayaḥ

ldquo 능력(siddhi)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

4)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5) Bharati(1992) p 287 이 책 9장은 탄트라의 제례집 자가 소

5마사(pantildecamak ra)를 행할 때 vijay (Cannabis Indica)의 역할에 한

흥미로운 내용을 다루고 있다 5마사의 의례는 아니지만 비슈 의

일 인 Namadhari들이 술과 마약을 먹고 난교 제의를 행하는 내용이

듀보이스의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에 나온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6 9

특히 논자의 심은 소마의 정체 규명보다는 도취제로서 소마

의 효과가 베다종교와 후 의 인도사상에 미친 향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본격 인 문헌 연구보다는 소마에 한 기존 연구의

소개 정리를 주요내용으로 다루며 인도사상 종교연구에서

이 주제가 가지는 의의를 도출하기 한 기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첫째 국내에 베다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둘째

이 주제의 국내연구의 희소함은 물론 기존 서구학계의 연구자료

를 국내에서 입수하기 힘든 셋째로 이 주제의 연구는 학제간

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온 에서 시간과 지면이 제한된 본 논

문의 자료선택이 제한 이 으며 한 베다는 논자의 문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은 먼 리그베다에 나타나는 소마에 한 내용을 고찰

하고 다음으로 서구의 소마 도취제 연구사를 약술할 것이다

일반 으로 소마는 환각을 일으키는 염기를 가진 도취제로 인정

되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도취제의 신비체험 인 의의와 기타 연

된 문제들을 고찰할 것이다

Ⅱ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

리그베다 제9 만달라 체는 소마와 그 제의에 한 내용이며

기타 여러 곳에서 언 되고 있다 소마는 도취 상태를 가져오는

식물로 그 즙이나 신격화된 소마신을 역시 의미한다 소마는 나무

로 된 용기에 압석(gr van)6)으로 러서 즙을 내어 다시 체(pavit

ra)7)로 걸러 곡물이나 우유에 혼합해 음용된 듯하다 이 소마는

6) 압석은 소마를 러서 소마즙을 만들 때 쓰는 祭具의 일종으로 hellip 소마를

르는 도구로는 압석 외에도 구(ulūkhala) 막자그릇(manth )이

사용되기도 했다 심재 (1995) p 45 재인용

1 7 0 ∙ 印度哲學 제24집

술과는 달리 악 향을 주기보다는 신비체험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오 래허티는 자신의 리그베다 선집(The Rig Veda)8)에서 소

마에 한 장을 두고 있다 그녀는 첫째 소마의 비 과정(974 1

094)과 그 상징 표 (458) 둘째 소마의 효과 특히 험성(87

97-8 84810) 그리고 무한한 힘을 주는 효과(10119) 불사의 효

과(9113 848) 환각 도취효과(10136) 마지막으로 소마의 신화

(426-7)를 선집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도 효과 인 논지 개

를 해 략 의 순서에 따라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고찰

해본다

소마의 비 과정을 다룬 리그베다의 927과 1094의 내용은 소

마그릇 속에서 소마를 압착하는 것과 체로 소마즙을 거르는 과정

에 한 은유와(974) 압석에 한 찬가(1094)이다 자에서 소마

의 압착과 거르는 과정들은 구름 밖으로 비를 짜내어 지에 비

를 내리는 것과 출산을 해 정자를 자궁에 뿌리는 것 그리고 경

주에서 승리하는 것으로 은유된다 오 래허티에 따르면 이는 소

마제의를 통해 이루려는 강우 풍요 다산을 말한다고 한다9)

숲 속에서 막 태어난 것처럼 태양에 도달하려 긴장한 색 경주마

7) 이외에도 양(羊) 양모를 의미하는 avi라는 단어가 사용되는데 아마

소마를 거르는 체로 양모가 사용되지 않았는가 한다 손으로도 걸러진

듯하다 심재 앞의 논문 p 46 고든 왓슨(Gorden Wasson)이 소마를

버섯(Amanita muscaria)으로 주장하는 이유 의 하나는 인체가

소마를 거르는 도구라는 것이다 고 유라시아의 통에는 버섯을

먹고 그 오 을 받아 주 의 사람들과 같이 다시 음용했다 인체를 통한

버섯은 그 도취효과가 지 않고 오히려 더 안 해진다고 한다

고든 왓슨은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거르는 구 들을 고찰하면 이런

이 암시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수의 베다학자들은 소마의

오 음용설은 문헌 인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는 뒤에서

조 더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 각주 16) 47) 참조

8) OFlaherty(1981)

9) OFlaherty(1981) pp 121-122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1

처럼 그는 크게 운다 그는 우유와 더불어 크게 자라는 하늘의 종자와

결합한다10)

오 래허티에 따르면 하늘의 종자(divo retas )는 구름(우유 pa

yas)과 섞여 있는 비로 이것은 소마가 우유와 혼합되는 것을 표

하며 색 경주마는 소마가 색(aruṣa) 혹은 황갈색임을 암시하

고 있다 일반 으로 소마는 물과 우유 곡물 등에 혼합되어 음용

된다11) 소마가 황갈색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리그베다 109

412의 구 ldquo불멸의 황갈색의 동반자는 샤 란나무와 같[아진]다

(ajury so hariṣ co haridrava)rdquo라는 구 에서 알 수 있는데 여기

서 황갈색(hari)은 소마의 색깔이고 그 동반자는 압석으로 소마와

닿음으로써 노란 샤 란(haridr 薑黃 呵梨勒)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12)

소마는 하늘을 받치는 기둥(divo skambho)으로 상징된다

그는 하늘의 기둥 잘 장식된 지지 모든 방향을 둘러막는 충만한

기 그는 통 제식으로 이 두개의 큰 세계(즉 하늘과 지 rodas

)를 [가져오는] 자이다13)

이 구 은 소마가 기를 가진 식물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

다14) 그리고 소마의 음용이 가져 오는 몸이 거 하게 느껴지는

환각 도취작용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는 도와 결합되어 포효한다 인간을 하여 그는 신들도 매

10) RV 9741 śiśur na j to va cakradad vane svar yad v jy aruṣaḥ

siṣ sati divo retas sacate payovṛdh tam mahe sumat śarma

saprathaḥ

11) OFlaherty(1981) p 122 심재 (1995) p 43

12) OFlaherty(1981) p 126

13) RV 9742 divo ya skambho dharuṇah sv tata pūrṇo aṃśuḥ paryeti

viśvataḥ seme mah rodas

14) OFlaherty(1981) p 122

1 7 2 ∙ 印度哲學 제24집

혹할 피부를 부풀린다 그는 아디티(Aditi)의 산골짜기(혹은 방목장)에

치한다 그 씨에 의해 우리는 아들과 손자를 얻는다15)

이 구 은 아디티의 산골짜기(aditer upastha)로 표 된 소마그

릇에서 소마 기가 도로 표 된 물이나 우유 등과 혼합되어 부

풀어 오르는 것을 말한다16) 아마도 부풀어 오른 소마 기는 정액

을 품은 것으로 암시되어 다산과 연결되는 상징으로 나타난 구

로 악된다

소마를 압착하는 돌에 한 찬가인 1094는 소마를 압착하는 소

리와 섬유질 등을 건져내는 작업들이 짐승이 울부짖거나 물마시

는 행 와 소리로 은유되고 있다17) 소마는 리그베다에서 다양

한 것으로 은유되지만 특히 458에서는 버터로 은유되고 있다

소마의 부정 효과를 피하려는 내용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우리에게 친 하고 자비로우소서 소마여 당신의 회오리바람에 우

15) RV 9745 ar v d aṃśuḥ sacam na ūrmiṇ dev vyam manuṣe pinvati

tvacam dadh ti garbham aditer upastha yena tokaṃ ca tanayaṃ ca

dh mahe

16) 오 래허티는 아디티의 산골짜기를 소마를 압착하는 그릇으로 본다

OFlaherty(1981) p 122 아직 왓슨의 책을 구하지 못했기에 그의 오

음용설을 구체 으로 알 수 없으나 upastha는 무릎이나 평평한 장소도

의미하지만 생식기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오 음용설과 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특히 바로 앞 구 인 9744의 ldquo버터와

크는 살아있는 구름에서 짜낸다 ṛta의 배꼽 불사주가 태어난다 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과 함께 부풀어오른 사람들은 액체를

배설하여 움직이게 한다rdquo를 ldquo살아있는 구름rdquo은 제 의 성기로 ldquo버터와

크rdquo는 소마와 오 으로 ldquo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rdquo은

제 에게 제사를 부탁한 祭主 ldquo부풀어 오른 사람rdquo은 소마를 순화시키는

체로서 이미 소마즙을 마셔 도취한 제 이 소변을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다면 이 구 의 ldquo 기와 도가 결합하여

포효한다rdquo는 것은 소변이 나오는 모습 아디티의 산골짜기는 자연스럽게

생식기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수 베다학자들의

의견처럼 문헌 근거가 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17) OFlaherty(1981) p 12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3

리의 힘들이 혼란되지 않고 우리의 가슴에 선하게 있으소서18)

왕 소마여 우리를 분노 마소서 우리를 공포스럽게 하지 마소서

우리의 가슴을 부신 빛으로 상처입히지 마소서19)

를 자비로운 친구와 히 결합 하소서 그래서 내가 그를 마

셨을 때 그가 날 다치게 하지 마소서20)

구 들은 소마의 음용이 격렬한 감정 변화를 가져와 이것

이 부정 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이런 은 L

SD같은 도취제에서도 나타나는 것인데 의식의 혼란 강렬한 공포

등이 나타나는 이런 상을 ldquopsychedelic crisisrdquo21)라고 한다

소마의 도취효과는 자기 자신이 가벼워져 하늘을 날고 매우 거

해진 느낌을 다

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

았던가22)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3)

18) RV 8797 suśevo no mṛḍay kur adṛptakratur av taḥ bhav naḥ

sama śaṃ hṛde

19) RV 8798 m naḥ soma saṃ v vijo m vi b bhiṣath r jan m no

h rdi tvis vadh h

20) RV 84810 ṛdūdareṇa sakhy saceya yo m na riṣyed dharyaśva

p taḥ ayaṃ yaḥ somo ny adh yy asme tasm indram pratiram

21) 속어로 lsquobad triprsquo이라고도 한다 들어맞는 역어는 없으나 lsquo무서운

환각체험rsquo 정도로 새길 수 있을 것이다

22) RV 101192 pra v t iva dodhata un m p t ayaṃsata kuvit

somasy p m iti

23) RV 101193 un m p t ayaṃsata ratham aśv iv śavaḥ kuvit

somasy p m iti

1 7 4 ∙ 印度哲學 제24집

다섯 부족(pantildeca kṛṣṭayaḥ)24)은 더 이상 나에게 속의 티끌만도

못한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5)

나의 함 속에서 나는 하늘과 한 지를 뛰어 넘는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6)

그 다 나는 지 여기에 혹은 아마도 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7)

내 날개의 한 쪽은 하늘에 있고 다른 쪽은 아래에 끌린다 나는 소

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8)

나는 거 하고 거 하다 구름으로 날아오른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9)

네가 내면을 통할 때 는 제한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는 신들의 격노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30)

이 구 들은 소마의 음용으로 인해 자신이 거 해진 도취 상태

의 체험에 한 찬가로 오 래허티에 따르면 화자는 인드라이겠

지만 아그니나 혹은 그 신이 음용자에게 化身하여 나타난 상태의

찬가라고 한다31) 이런 상태의 체험은 신비체험의 일종으로 간주

24) 베다 아리안의 체 부족 OFlaherty(1981) p 132

25) RV 101196 nahi me akṣipac can ch ntsuḥ pantildeca kṛṣṭayaḥ kuvit

somasy p m iti

26) RV 101198 abhi dy m mahin bhuvam abh m m pṛthiv m mah m

kuvit somasy p m iti

27) RV 101199 hant ham pṛthiv m im ṃ ni dadh n ha veha v kuvit

somasy p m iti

28) RV 1011911 divi me anyaḥ pakṣo dho anyam ac kṛṣam kuvit

somasy p m iti

29) RV 1011912 aham asmi mah maho bhinabhyam ud ṣitaḥ kuvit

somasy p m iti

30) RV 8482 antaś ca pr g aditir bhav sy avay t haraso daivyasya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5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ldquo내가 동시에 여기에도 기에도 있을

것rdquo이라는 사고는 분명히 일상 공간지각이 변형된 상태의 체험

으로 개체와 체 사이의 경계가 무 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오 래허티는 의 마지막 인용문의 ldquo제한없음(aditi)rdquo를 설명하면

서 이는 환각제(psychedelic drug)의 특징 인 느낌이라고 주장한

다32)

소마의 다른 효과는 불사의 느낌이다

우리는 소마를 마셨다 우리는 불사가 되었다 우리는 빛에 도달했

다 우리는 신들을 발견했다 지 무엇이 우리를 해칠 수 있고 유한

한 운명의 의가 우리에게 [무엇을]하겠는가 오 불사하는 자여33)

오 래허티는 ldquo우리는 불사가 되었다rdquo는 구 을 설명하면서 이

찬가의 시인이 천상의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처럼 일종의

어렴풋하며 일시 인 불사성의 비젼을 가진 상태에서 읊은 찬가

로 해설하고 있다34) 앞에서 본 신체가 거 해지는 느낌은 개체와

우주의 동일성이라는 느낌을 가져오고 이는 우주와 같은 길이

의 수명을 가진 자로서의 느낌을 가져올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

이와 같이 소마는 그 구체 인 신경생리학 작용은 알 수 없

31) OFlaherty(1981) p 132

32) OFlaherty(1981) p 136 여기서 오 래허티는 aditi가 아디티여신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소마는 아디티의 막내아들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ldquo소마 아디티의 아들은 내부를

정화하고 화난 신들을 진정시킨다rdquo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랄 T H

그리피스(Ralph T H Griffith)는 ldquo네가 내부(심장)로 들어와 는 Aditi

하늘의 분노를 진정시키는 자가 될 것이다rdquo로 번역해 aditi를 신의

고유명사로 번역했다 Griffith(1986) p 435

33) RV 8483 ap ma somam amṛta abhūma ṛganma jyotir avid ma

dev n kin nūnam asm n krnavad ar tiḥ kim u dhūrtir amṛta

martyasya

34) OFlaherty(1981) p 136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2: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6 8 ∙ 印度哲學 제24집

은 사실로 생각된다

이런 도취제2)를 통한 신비체험이라는 고 유습은 요가수트

라의 4장 1송3)을 볼 때 고 요가에도 알려져 있었으며 이런 은

요가수트라의 집성 당시에도 이런 방식의 유습이 남아있었을 것

이라는 짐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 때문인지 이 주제는 국내에는 거

의 소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앞서의 오 래허티의 입장이 과하다

하더라도 소마에 의한 신비체험이 베다의 우주 등에 일정한

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4)을 고려해 볼 때 이 주제는 단순한 흥

거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도취제의 종교 사용

은 특히 샤머니즘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베다 내에서도 샤머

니즘 인 형태를 찾아볼 수 있고 이런 통은 후 탄트라의 수

행법들과도 연 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5) 따라서 이 주

제의 연구는 신비체험과 연 된 종교의 본질에 한 통찰을 통해

고 종교의 기원을 고찰할 수 있고 이런 특징들과 후 인도사

상들 사이의 계를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수 있을 것이다

서구의 소마 연구는 이미 150년 이상의 연구사를 가지고 있다

주로 소마찬가로 이루어진 리그베다 제9 만달라(maṇḍala)와 사타

타 라흐마나의 주석을 주로 문헌 으로 연구되거나 인류학

이거나 민족식물학(ethnobotany) 측면에서도 연구되었다

정신병리약학 인 측면에서도 고찰되었다

2)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도취제의 의미는 본 논문의 Ⅲ장 2 앞부분 참조

3) YS 41 janma-oṣadhi-mantra-tapaḥ-sam dhi-j ḥ siddhayaḥ

ldquo 능력(siddhi)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

4)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5) Bharati(1992) p 287 이 책 9장은 탄트라의 제례집 자가 소

5마사(pantildecamak ra)를 행할 때 vijay (Cannabis Indica)의 역할에 한

흥미로운 내용을 다루고 있다 5마사의 의례는 아니지만 비슈 의

일 인 Namadhari들이 술과 마약을 먹고 난교 제의를 행하는 내용이

듀보이스의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에 나온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6 9

특히 논자의 심은 소마의 정체 규명보다는 도취제로서 소마

의 효과가 베다종교와 후 의 인도사상에 미친 향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본격 인 문헌 연구보다는 소마에 한 기존 연구의

소개 정리를 주요내용으로 다루며 인도사상 종교연구에서

이 주제가 가지는 의의를 도출하기 한 기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첫째 국내에 베다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둘째

이 주제의 국내연구의 희소함은 물론 기존 서구학계의 연구자료

를 국내에서 입수하기 힘든 셋째로 이 주제의 연구는 학제간

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온 에서 시간과 지면이 제한된 본 논

문의 자료선택이 제한 이 으며 한 베다는 논자의 문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은 먼 리그베다에 나타나는 소마에 한 내용을 고찰

하고 다음으로 서구의 소마 도취제 연구사를 약술할 것이다

일반 으로 소마는 환각을 일으키는 염기를 가진 도취제로 인정

되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도취제의 신비체험 인 의의와 기타 연

된 문제들을 고찰할 것이다

Ⅱ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

리그베다 제9 만달라 체는 소마와 그 제의에 한 내용이며

기타 여러 곳에서 언 되고 있다 소마는 도취 상태를 가져오는

식물로 그 즙이나 신격화된 소마신을 역시 의미한다 소마는 나무

로 된 용기에 압석(gr van)6)으로 러서 즙을 내어 다시 체(pavit

ra)7)로 걸러 곡물이나 우유에 혼합해 음용된 듯하다 이 소마는

6) 압석은 소마를 러서 소마즙을 만들 때 쓰는 祭具의 일종으로 hellip 소마를

르는 도구로는 압석 외에도 구(ulūkhala) 막자그릇(manth )이

사용되기도 했다 심재 (1995) p 45 재인용

1 7 0 ∙ 印度哲學 제24집

술과는 달리 악 향을 주기보다는 신비체험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오 래허티는 자신의 리그베다 선집(The Rig Veda)8)에서 소

마에 한 장을 두고 있다 그녀는 첫째 소마의 비 과정(974 1

094)과 그 상징 표 (458) 둘째 소마의 효과 특히 험성(87

97-8 84810) 그리고 무한한 힘을 주는 효과(10119) 불사의 효

과(9113 848) 환각 도취효과(10136) 마지막으로 소마의 신화

(426-7)를 선집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도 효과 인 논지 개

를 해 략 의 순서에 따라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고찰

해본다

소마의 비 과정을 다룬 리그베다의 927과 1094의 내용은 소

마그릇 속에서 소마를 압착하는 것과 체로 소마즙을 거르는 과정

에 한 은유와(974) 압석에 한 찬가(1094)이다 자에서 소마

의 압착과 거르는 과정들은 구름 밖으로 비를 짜내어 지에 비

를 내리는 것과 출산을 해 정자를 자궁에 뿌리는 것 그리고 경

주에서 승리하는 것으로 은유된다 오 래허티에 따르면 이는 소

마제의를 통해 이루려는 강우 풍요 다산을 말한다고 한다9)

숲 속에서 막 태어난 것처럼 태양에 도달하려 긴장한 색 경주마

7) 이외에도 양(羊) 양모를 의미하는 avi라는 단어가 사용되는데 아마

소마를 거르는 체로 양모가 사용되지 않았는가 한다 손으로도 걸러진

듯하다 심재 앞의 논문 p 46 고든 왓슨(Gorden Wasson)이 소마를

버섯(Amanita muscaria)으로 주장하는 이유 의 하나는 인체가

소마를 거르는 도구라는 것이다 고 유라시아의 통에는 버섯을

먹고 그 오 을 받아 주 의 사람들과 같이 다시 음용했다 인체를 통한

버섯은 그 도취효과가 지 않고 오히려 더 안 해진다고 한다

고든 왓슨은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거르는 구 들을 고찰하면 이런

이 암시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수의 베다학자들은 소마의

오 음용설은 문헌 인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는 뒤에서

조 더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 각주 16) 47) 참조

8) OFlaherty(1981)

9) OFlaherty(1981) pp 121-122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1

처럼 그는 크게 운다 그는 우유와 더불어 크게 자라는 하늘의 종자와

결합한다10)

오 래허티에 따르면 하늘의 종자(divo retas )는 구름(우유 pa

yas)과 섞여 있는 비로 이것은 소마가 우유와 혼합되는 것을 표

하며 색 경주마는 소마가 색(aruṣa) 혹은 황갈색임을 암시하

고 있다 일반 으로 소마는 물과 우유 곡물 등에 혼합되어 음용

된다11) 소마가 황갈색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리그베다 109

412의 구 ldquo불멸의 황갈색의 동반자는 샤 란나무와 같[아진]다

(ajury so hariṣ co haridrava)rdquo라는 구 에서 알 수 있는데 여기

서 황갈색(hari)은 소마의 색깔이고 그 동반자는 압석으로 소마와

닿음으로써 노란 샤 란(haridr 薑黃 呵梨勒)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12)

소마는 하늘을 받치는 기둥(divo skambho)으로 상징된다

그는 하늘의 기둥 잘 장식된 지지 모든 방향을 둘러막는 충만한

기 그는 통 제식으로 이 두개의 큰 세계(즉 하늘과 지 rodas

)를 [가져오는] 자이다13)

이 구 은 소마가 기를 가진 식물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

다14) 그리고 소마의 음용이 가져 오는 몸이 거 하게 느껴지는

환각 도취작용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는 도와 결합되어 포효한다 인간을 하여 그는 신들도 매

10) RV 9741 śiśur na j to va cakradad vane svar yad v jy aruṣaḥ

siṣ sati divo retas sacate payovṛdh tam mahe sumat śarma

saprathaḥ

11) OFlaherty(1981) p 122 심재 (1995) p 43

12) OFlaherty(1981) p 126

13) RV 9742 divo ya skambho dharuṇah sv tata pūrṇo aṃśuḥ paryeti

viśvataḥ seme mah rodas

14) OFlaherty(1981) p 122

1 7 2 ∙ 印度哲學 제24집

혹할 피부를 부풀린다 그는 아디티(Aditi)의 산골짜기(혹은 방목장)에

치한다 그 씨에 의해 우리는 아들과 손자를 얻는다15)

이 구 은 아디티의 산골짜기(aditer upastha)로 표 된 소마그

릇에서 소마 기가 도로 표 된 물이나 우유 등과 혼합되어 부

풀어 오르는 것을 말한다16) 아마도 부풀어 오른 소마 기는 정액

을 품은 것으로 암시되어 다산과 연결되는 상징으로 나타난 구

로 악된다

소마를 압착하는 돌에 한 찬가인 1094는 소마를 압착하는 소

리와 섬유질 등을 건져내는 작업들이 짐승이 울부짖거나 물마시

는 행 와 소리로 은유되고 있다17) 소마는 리그베다에서 다양

한 것으로 은유되지만 특히 458에서는 버터로 은유되고 있다

소마의 부정 효과를 피하려는 내용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우리에게 친 하고 자비로우소서 소마여 당신의 회오리바람에 우

15) RV 9745 ar v d aṃśuḥ sacam na ūrmiṇ dev vyam manuṣe pinvati

tvacam dadh ti garbham aditer upastha yena tokaṃ ca tanayaṃ ca

dh mahe

16) 오 래허티는 아디티의 산골짜기를 소마를 압착하는 그릇으로 본다

OFlaherty(1981) p 122 아직 왓슨의 책을 구하지 못했기에 그의 오

음용설을 구체 으로 알 수 없으나 upastha는 무릎이나 평평한 장소도

의미하지만 생식기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오 음용설과 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특히 바로 앞 구 인 9744의 ldquo버터와

크는 살아있는 구름에서 짜낸다 ṛta의 배꼽 불사주가 태어난다 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과 함께 부풀어오른 사람들은 액체를

배설하여 움직이게 한다rdquo를 ldquo살아있는 구름rdquo은 제 의 성기로 ldquo버터와

크rdquo는 소마와 오 으로 ldquo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rdquo은

제 에게 제사를 부탁한 祭主 ldquo부풀어 오른 사람rdquo은 소마를 순화시키는

체로서 이미 소마즙을 마셔 도취한 제 이 소변을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다면 이 구 의 ldquo 기와 도가 결합하여

포효한다rdquo는 것은 소변이 나오는 모습 아디티의 산골짜기는 자연스럽게

생식기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수 베다학자들의

의견처럼 문헌 근거가 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17) OFlaherty(1981) p 12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3

리의 힘들이 혼란되지 않고 우리의 가슴에 선하게 있으소서18)

왕 소마여 우리를 분노 마소서 우리를 공포스럽게 하지 마소서

우리의 가슴을 부신 빛으로 상처입히지 마소서19)

를 자비로운 친구와 히 결합 하소서 그래서 내가 그를 마

셨을 때 그가 날 다치게 하지 마소서20)

구 들은 소마의 음용이 격렬한 감정 변화를 가져와 이것

이 부정 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이런 은 L

SD같은 도취제에서도 나타나는 것인데 의식의 혼란 강렬한 공포

등이 나타나는 이런 상을 ldquopsychedelic crisisrdquo21)라고 한다

소마의 도취효과는 자기 자신이 가벼워져 하늘을 날고 매우 거

해진 느낌을 다

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

았던가22)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3)

18) RV 8797 suśevo no mṛḍay kur adṛptakratur av taḥ bhav naḥ

sama śaṃ hṛde

19) RV 8798 m naḥ soma saṃ v vijo m vi b bhiṣath r jan m no

h rdi tvis vadh h

20) RV 84810 ṛdūdareṇa sakhy saceya yo m na riṣyed dharyaśva

p taḥ ayaṃ yaḥ somo ny adh yy asme tasm indram pratiram

21) 속어로 lsquobad triprsquo이라고도 한다 들어맞는 역어는 없으나 lsquo무서운

환각체험rsquo 정도로 새길 수 있을 것이다

22) RV 101192 pra v t iva dodhata un m p t ayaṃsata kuvit

somasy p m iti

23) RV 101193 un m p t ayaṃsata ratham aśv iv śavaḥ kuvit

somasy p m iti

1 7 4 ∙ 印度哲學 제24집

다섯 부족(pantildeca kṛṣṭayaḥ)24)은 더 이상 나에게 속의 티끌만도

못한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5)

나의 함 속에서 나는 하늘과 한 지를 뛰어 넘는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6)

그 다 나는 지 여기에 혹은 아마도 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7)

내 날개의 한 쪽은 하늘에 있고 다른 쪽은 아래에 끌린다 나는 소

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8)

나는 거 하고 거 하다 구름으로 날아오른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9)

네가 내면을 통할 때 는 제한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는 신들의 격노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30)

이 구 들은 소마의 음용으로 인해 자신이 거 해진 도취 상태

의 체험에 한 찬가로 오 래허티에 따르면 화자는 인드라이겠

지만 아그니나 혹은 그 신이 음용자에게 化身하여 나타난 상태의

찬가라고 한다31) 이런 상태의 체험은 신비체험의 일종으로 간주

24) 베다 아리안의 체 부족 OFlaherty(1981) p 132

25) RV 101196 nahi me akṣipac can ch ntsuḥ pantildeca kṛṣṭayaḥ kuvit

somasy p m iti

26) RV 101198 abhi dy m mahin bhuvam abh m m pṛthiv m mah m

kuvit somasy p m iti

27) RV 101199 hant ham pṛthiv m im ṃ ni dadh n ha veha v kuvit

somasy p m iti

28) RV 1011911 divi me anyaḥ pakṣo dho anyam ac kṛṣam kuvit

somasy p m iti

29) RV 1011912 aham asmi mah maho bhinabhyam ud ṣitaḥ kuvit

somasy p m iti

30) RV 8482 antaś ca pr g aditir bhav sy avay t haraso daivyasya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5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ldquo내가 동시에 여기에도 기에도 있을

것rdquo이라는 사고는 분명히 일상 공간지각이 변형된 상태의 체험

으로 개체와 체 사이의 경계가 무 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오 래허티는 의 마지막 인용문의 ldquo제한없음(aditi)rdquo를 설명하면

서 이는 환각제(psychedelic drug)의 특징 인 느낌이라고 주장한

다32)

소마의 다른 효과는 불사의 느낌이다

우리는 소마를 마셨다 우리는 불사가 되었다 우리는 빛에 도달했

다 우리는 신들을 발견했다 지 무엇이 우리를 해칠 수 있고 유한

한 운명의 의가 우리에게 [무엇을]하겠는가 오 불사하는 자여33)

오 래허티는 ldquo우리는 불사가 되었다rdquo는 구 을 설명하면서 이

찬가의 시인이 천상의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처럼 일종의

어렴풋하며 일시 인 불사성의 비젼을 가진 상태에서 읊은 찬가

로 해설하고 있다34) 앞에서 본 신체가 거 해지는 느낌은 개체와

우주의 동일성이라는 느낌을 가져오고 이는 우주와 같은 길이

의 수명을 가진 자로서의 느낌을 가져올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

이와 같이 소마는 그 구체 인 신경생리학 작용은 알 수 없

31) OFlaherty(1981) p 132

32) OFlaherty(1981) p 136 여기서 오 래허티는 aditi가 아디티여신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소마는 아디티의 막내아들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ldquo소마 아디티의 아들은 내부를

정화하고 화난 신들을 진정시킨다rdquo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랄 T H

그리피스(Ralph T H Griffith)는 ldquo네가 내부(심장)로 들어와 는 Aditi

하늘의 분노를 진정시키는 자가 될 것이다rdquo로 번역해 aditi를 신의

고유명사로 번역했다 Griffith(1986) p 435

33) RV 8483 ap ma somam amṛta abhūma ṛganma jyotir avid ma

dev n kin nūnam asm n krnavad ar tiḥ kim u dhūrtir amṛta

martyasya

34) OFlaherty(1981) p 136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3: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7 0 ∙ 印度哲學 제24집

술과는 달리 악 향을 주기보다는 신비체험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오 래허티는 자신의 리그베다 선집(The Rig Veda)8)에서 소

마에 한 장을 두고 있다 그녀는 첫째 소마의 비 과정(974 1

094)과 그 상징 표 (458) 둘째 소마의 효과 특히 험성(87

97-8 84810) 그리고 무한한 힘을 주는 효과(10119) 불사의 효

과(9113 848) 환각 도취효과(10136) 마지막으로 소마의 신화

(426-7)를 선집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도 효과 인 논지 개

를 해 략 의 순서에 따라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고찰

해본다

소마의 비 과정을 다룬 리그베다의 927과 1094의 내용은 소

마그릇 속에서 소마를 압착하는 것과 체로 소마즙을 거르는 과정

에 한 은유와(974) 압석에 한 찬가(1094)이다 자에서 소마

의 압착과 거르는 과정들은 구름 밖으로 비를 짜내어 지에 비

를 내리는 것과 출산을 해 정자를 자궁에 뿌리는 것 그리고 경

주에서 승리하는 것으로 은유된다 오 래허티에 따르면 이는 소

마제의를 통해 이루려는 강우 풍요 다산을 말한다고 한다9)

숲 속에서 막 태어난 것처럼 태양에 도달하려 긴장한 색 경주마

7) 이외에도 양(羊) 양모를 의미하는 avi라는 단어가 사용되는데 아마

소마를 거르는 체로 양모가 사용되지 않았는가 한다 손으로도 걸러진

듯하다 심재 앞의 논문 p 46 고든 왓슨(Gorden Wasson)이 소마를

버섯(Amanita muscaria)으로 주장하는 이유 의 하나는 인체가

소마를 거르는 도구라는 것이다 고 유라시아의 통에는 버섯을

먹고 그 오 을 받아 주 의 사람들과 같이 다시 음용했다 인체를 통한

버섯은 그 도취효과가 지 않고 오히려 더 안 해진다고 한다

고든 왓슨은 리그베다에 나타난 소마를 거르는 구 들을 고찰하면 이런

이 암시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수의 베다학자들은 소마의

오 음용설은 문헌 인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는 뒤에서

조 더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 각주 16) 47) 참조

8) OFlaherty(1981)

9) OFlaherty(1981) pp 121-122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1

처럼 그는 크게 운다 그는 우유와 더불어 크게 자라는 하늘의 종자와

결합한다10)

오 래허티에 따르면 하늘의 종자(divo retas )는 구름(우유 pa

yas)과 섞여 있는 비로 이것은 소마가 우유와 혼합되는 것을 표

하며 색 경주마는 소마가 색(aruṣa) 혹은 황갈색임을 암시하

고 있다 일반 으로 소마는 물과 우유 곡물 등에 혼합되어 음용

된다11) 소마가 황갈색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리그베다 109

412의 구 ldquo불멸의 황갈색의 동반자는 샤 란나무와 같[아진]다

(ajury so hariṣ co haridrava)rdquo라는 구 에서 알 수 있는데 여기

서 황갈색(hari)은 소마의 색깔이고 그 동반자는 압석으로 소마와

닿음으로써 노란 샤 란(haridr 薑黃 呵梨勒)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12)

소마는 하늘을 받치는 기둥(divo skambho)으로 상징된다

그는 하늘의 기둥 잘 장식된 지지 모든 방향을 둘러막는 충만한

기 그는 통 제식으로 이 두개의 큰 세계(즉 하늘과 지 rodas

)를 [가져오는] 자이다13)

이 구 은 소마가 기를 가진 식물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

다14) 그리고 소마의 음용이 가져 오는 몸이 거 하게 느껴지는

환각 도취작용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는 도와 결합되어 포효한다 인간을 하여 그는 신들도 매

10) RV 9741 śiśur na j to va cakradad vane svar yad v jy aruṣaḥ

siṣ sati divo retas sacate payovṛdh tam mahe sumat śarma

saprathaḥ

11) OFlaherty(1981) p 122 심재 (1995) p 43

12) OFlaherty(1981) p 126

13) RV 9742 divo ya skambho dharuṇah sv tata pūrṇo aṃśuḥ paryeti

viśvataḥ seme mah rodas

14) OFlaherty(1981) p 122

1 7 2 ∙ 印度哲學 제24집

혹할 피부를 부풀린다 그는 아디티(Aditi)의 산골짜기(혹은 방목장)에

치한다 그 씨에 의해 우리는 아들과 손자를 얻는다15)

이 구 은 아디티의 산골짜기(aditer upastha)로 표 된 소마그

릇에서 소마 기가 도로 표 된 물이나 우유 등과 혼합되어 부

풀어 오르는 것을 말한다16) 아마도 부풀어 오른 소마 기는 정액

을 품은 것으로 암시되어 다산과 연결되는 상징으로 나타난 구

로 악된다

소마를 압착하는 돌에 한 찬가인 1094는 소마를 압착하는 소

리와 섬유질 등을 건져내는 작업들이 짐승이 울부짖거나 물마시

는 행 와 소리로 은유되고 있다17) 소마는 리그베다에서 다양

한 것으로 은유되지만 특히 458에서는 버터로 은유되고 있다

소마의 부정 효과를 피하려는 내용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우리에게 친 하고 자비로우소서 소마여 당신의 회오리바람에 우

15) RV 9745 ar v d aṃśuḥ sacam na ūrmiṇ dev vyam manuṣe pinvati

tvacam dadh ti garbham aditer upastha yena tokaṃ ca tanayaṃ ca

dh mahe

16) 오 래허티는 아디티의 산골짜기를 소마를 압착하는 그릇으로 본다

OFlaherty(1981) p 122 아직 왓슨의 책을 구하지 못했기에 그의 오

음용설을 구체 으로 알 수 없으나 upastha는 무릎이나 평평한 장소도

의미하지만 생식기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오 음용설과 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특히 바로 앞 구 인 9744의 ldquo버터와

크는 살아있는 구름에서 짜낸다 ṛta의 배꼽 불사주가 태어난다 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과 함께 부풀어오른 사람들은 액체를

배설하여 움직이게 한다rdquo를 ldquo살아있는 구름rdquo은 제 의 성기로 ldquo버터와

크rdquo는 소마와 오 으로 ldquo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rdquo은

제 에게 제사를 부탁한 祭主 ldquo부풀어 오른 사람rdquo은 소마를 순화시키는

체로서 이미 소마즙을 마셔 도취한 제 이 소변을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다면 이 구 의 ldquo 기와 도가 결합하여

포효한다rdquo는 것은 소변이 나오는 모습 아디티의 산골짜기는 자연스럽게

생식기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수 베다학자들의

의견처럼 문헌 근거가 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17) OFlaherty(1981) p 12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3

리의 힘들이 혼란되지 않고 우리의 가슴에 선하게 있으소서18)

왕 소마여 우리를 분노 마소서 우리를 공포스럽게 하지 마소서

우리의 가슴을 부신 빛으로 상처입히지 마소서19)

를 자비로운 친구와 히 결합 하소서 그래서 내가 그를 마

셨을 때 그가 날 다치게 하지 마소서20)

구 들은 소마의 음용이 격렬한 감정 변화를 가져와 이것

이 부정 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이런 은 L

SD같은 도취제에서도 나타나는 것인데 의식의 혼란 강렬한 공포

등이 나타나는 이런 상을 ldquopsychedelic crisisrdquo21)라고 한다

소마의 도취효과는 자기 자신이 가벼워져 하늘을 날고 매우 거

해진 느낌을 다

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

았던가22)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3)

18) RV 8797 suśevo no mṛḍay kur adṛptakratur av taḥ bhav naḥ

sama śaṃ hṛde

19) RV 8798 m naḥ soma saṃ v vijo m vi b bhiṣath r jan m no

h rdi tvis vadh h

20) RV 84810 ṛdūdareṇa sakhy saceya yo m na riṣyed dharyaśva

p taḥ ayaṃ yaḥ somo ny adh yy asme tasm indram pratiram

21) 속어로 lsquobad triprsquo이라고도 한다 들어맞는 역어는 없으나 lsquo무서운

환각체험rsquo 정도로 새길 수 있을 것이다

22) RV 101192 pra v t iva dodhata un m p t ayaṃsata kuvit

somasy p m iti

23) RV 101193 un m p t ayaṃsata ratham aśv iv śavaḥ kuvit

somasy p m iti

1 7 4 ∙ 印度哲學 제24집

다섯 부족(pantildeca kṛṣṭayaḥ)24)은 더 이상 나에게 속의 티끌만도

못한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5)

나의 함 속에서 나는 하늘과 한 지를 뛰어 넘는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6)

그 다 나는 지 여기에 혹은 아마도 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7)

내 날개의 한 쪽은 하늘에 있고 다른 쪽은 아래에 끌린다 나는 소

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8)

나는 거 하고 거 하다 구름으로 날아오른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9)

네가 내면을 통할 때 는 제한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는 신들의 격노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30)

이 구 들은 소마의 음용으로 인해 자신이 거 해진 도취 상태

의 체험에 한 찬가로 오 래허티에 따르면 화자는 인드라이겠

지만 아그니나 혹은 그 신이 음용자에게 化身하여 나타난 상태의

찬가라고 한다31) 이런 상태의 체험은 신비체험의 일종으로 간주

24) 베다 아리안의 체 부족 OFlaherty(1981) p 132

25) RV 101196 nahi me akṣipac can ch ntsuḥ pantildeca kṛṣṭayaḥ kuvit

somasy p m iti

26) RV 101198 abhi dy m mahin bhuvam abh m m pṛthiv m mah m

kuvit somasy p m iti

27) RV 101199 hant ham pṛthiv m im ṃ ni dadh n ha veha v kuvit

somasy p m iti

28) RV 1011911 divi me anyaḥ pakṣo dho anyam ac kṛṣam kuvit

somasy p m iti

29) RV 1011912 aham asmi mah maho bhinabhyam ud ṣitaḥ kuvit

somasy p m iti

30) RV 8482 antaś ca pr g aditir bhav sy avay t haraso daivyasya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5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ldquo내가 동시에 여기에도 기에도 있을

것rdquo이라는 사고는 분명히 일상 공간지각이 변형된 상태의 체험

으로 개체와 체 사이의 경계가 무 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오 래허티는 의 마지막 인용문의 ldquo제한없음(aditi)rdquo를 설명하면

서 이는 환각제(psychedelic drug)의 특징 인 느낌이라고 주장한

다32)

소마의 다른 효과는 불사의 느낌이다

우리는 소마를 마셨다 우리는 불사가 되었다 우리는 빛에 도달했

다 우리는 신들을 발견했다 지 무엇이 우리를 해칠 수 있고 유한

한 운명의 의가 우리에게 [무엇을]하겠는가 오 불사하는 자여33)

오 래허티는 ldquo우리는 불사가 되었다rdquo는 구 을 설명하면서 이

찬가의 시인이 천상의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처럼 일종의

어렴풋하며 일시 인 불사성의 비젼을 가진 상태에서 읊은 찬가

로 해설하고 있다34) 앞에서 본 신체가 거 해지는 느낌은 개체와

우주의 동일성이라는 느낌을 가져오고 이는 우주와 같은 길이

의 수명을 가진 자로서의 느낌을 가져올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

이와 같이 소마는 그 구체 인 신경생리학 작용은 알 수 없

31) OFlaherty(1981) p 132

32) OFlaherty(1981) p 136 여기서 오 래허티는 aditi가 아디티여신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소마는 아디티의 막내아들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ldquo소마 아디티의 아들은 내부를

정화하고 화난 신들을 진정시킨다rdquo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랄 T H

그리피스(Ralph T H Griffith)는 ldquo네가 내부(심장)로 들어와 는 Aditi

하늘의 분노를 진정시키는 자가 될 것이다rdquo로 번역해 aditi를 신의

고유명사로 번역했다 Griffith(1986) p 435

33) RV 8483 ap ma somam amṛta abhūma ṛganma jyotir avid ma

dev n kin nūnam asm n krnavad ar tiḥ kim u dhūrtir amṛta

martyasya

34) OFlaherty(1981) p 136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7 2 ∙ 印度哲學 제24집

혹할 피부를 부풀린다 그는 아디티(Aditi)의 산골짜기(혹은 방목장)에

치한다 그 씨에 의해 우리는 아들과 손자를 얻는다15)

이 구 은 아디티의 산골짜기(aditer upastha)로 표 된 소마그

릇에서 소마 기가 도로 표 된 물이나 우유 등과 혼합되어 부

풀어 오르는 것을 말한다16) 아마도 부풀어 오른 소마 기는 정액

을 품은 것으로 암시되어 다산과 연결되는 상징으로 나타난 구

로 악된다

소마를 압착하는 돌에 한 찬가인 1094는 소마를 압착하는 소

리와 섬유질 등을 건져내는 작업들이 짐승이 울부짖거나 물마시

는 행 와 소리로 은유되고 있다17) 소마는 리그베다에서 다양

한 것으로 은유되지만 특히 458에서는 버터로 은유되고 있다

소마의 부정 효과를 피하려는 내용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우리에게 친 하고 자비로우소서 소마여 당신의 회오리바람에 우

15) RV 9745 ar v d aṃśuḥ sacam na ūrmiṇ dev vyam manuṣe pinvati

tvacam dadh ti garbham aditer upastha yena tokaṃ ca tanayaṃ ca

dh mahe

16) 오 래허티는 아디티의 산골짜기를 소마를 압착하는 그릇으로 본다

OFlaherty(1981) p 122 아직 왓슨의 책을 구하지 못했기에 그의 오

음용설을 구체 으로 알 수 없으나 upastha는 무릎이나 평평한 장소도

의미하지만 생식기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오 음용설과 련해서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특히 바로 앞 구 인 9744의 ldquo버터와

크는 살아있는 구름에서 짜낸다 ṛta의 배꼽 불사주가 태어난다 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과 함께 부풀어오른 사람들은 액체를

배설하여 움직이게 한다rdquo를 ldquo살아있는 구름rdquo은 제 의 성기로 ldquo버터와

크rdquo는 소마와 오 으로 ldquo그를 만족시키는 선물을 가져온 그들rdquo은

제 에게 제사를 부탁한 祭主 ldquo부풀어 오른 사람rdquo은 소마를 순화시키는

체로서 이미 소마즙을 마셔 도취한 제 이 소변을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다면 이 구 의 ldquo 기와 도가 결합하여

포효한다rdquo는 것은 소변이 나오는 모습 아디티의 산골짜기는 자연스럽게

생식기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수 베다학자들의

의견처럼 문헌 근거가 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17) OFlaherty(1981) p 12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3

리의 힘들이 혼란되지 않고 우리의 가슴에 선하게 있으소서18)

왕 소마여 우리를 분노 마소서 우리를 공포스럽게 하지 마소서

우리의 가슴을 부신 빛으로 상처입히지 마소서19)

를 자비로운 친구와 히 결합 하소서 그래서 내가 그를 마

셨을 때 그가 날 다치게 하지 마소서20)

구 들은 소마의 음용이 격렬한 감정 변화를 가져와 이것

이 부정 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이런 은 L

SD같은 도취제에서도 나타나는 것인데 의식의 혼란 강렬한 공포

등이 나타나는 이런 상을 ldquopsychedelic crisisrdquo21)라고 한다

소마의 도취효과는 자기 자신이 가벼워져 하늘을 날고 매우 거

해진 느낌을 다

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

았던가22)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3)

18) RV 8797 suśevo no mṛḍay kur adṛptakratur av taḥ bhav naḥ

sama śaṃ hṛde

19) RV 8798 m naḥ soma saṃ v vijo m vi b bhiṣath r jan m no

h rdi tvis vadh h

20) RV 84810 ṛdūdareṇa sakhy saceya yo m na riṣyed dharyaśva

p taḥ ayaṃ yaḥ somo ny adh yy asme tasm indram pratiram

21) 속어로 lsquobad triprsquo이라고도 한다 들어맞는 역어는 없으나 lsquo무서운

환각체험rsquo 정도로 새길 수 있을 것이다

22) RV 101192 pra v t iva dodhata un m p t ayaṃsata kuvit

somasy p m iti

23) RV 101193 un m p t ayaṃsata ratham aśv iv śavaḥ kuvit

somasy p m iti

1 7 4 ∙ 印度哲學 제24집

다섯 부족(pantildeca kṛṣṭayaḥ)24)은 더 이상 나에게 속의 티끌만도

못한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5)

나의 함 속에서 나는 하늘과 한 지를 뛰어 넘는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6)

그 다 나는 지 여기에 혹은 아마도 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7)

내 날개의 한 쪽은 하늘에 있고 다른 쪽은 아래에 끌린다 나는 소

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8)

나는 거 하고 거 하다 구름으로 날아오른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9)

네가 내면을 통할 때 는 제한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는 신들의 격노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30)

이 구 들은 소마의 음용으로 인해 자신이 거 해진 도취 상태

의 체험에 한 찬가로 오 래허티에 따르면 화자는 인드라이겠

지만 아그니나 혹은 그 신이 음용자에게 化身하여 나타난 상태의

찬가라고 한다31) 이런 상태의 체험은 신비체험의 일종으로 간주

24) 베다 아리안의 체 부족 OFlaherty(1981) p 132

25) RV 101196 nahi me akṣipac can ch ntsuḥ pantildeca kṛṣṭayaḥ kuvit

somasy p m iti

26) RV 101198 abhi dy m mahin bhuvam abh m m pṛthiv m mah m

kuvit somasy p m iti

27) RV 101199 hant ham pṛthiv m im ṃ ni dadh n ha veha v kuvit

somasy p m iti

28) RV 1011911 divi me anyaḥ pakṣo dho anyam ac kṛṣam kuvit

somasy p m iti

29) RV 1011912 aham asmi mah maho bhinabhyam ud ṣitaḥ kuvit

somasy p m iti

30) RV 8482 antaś ca pr g aditir bhav sy avay t haraso daivyasya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5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ldquo내가 동시에 여기에도 기에도 있을

것rdquo이라는 사고는 분명히 일상 공간지각이 변형된 상태의 체험

으로 개체와 체 사이의 경계가 무 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오 래허티는 의 마지막 인용문의 ldquo제한없음(aditi)rdquo를 설명하면

서 이는 환각제(psychedelic drug)의 특징 인 느낌이라고 주장한

다32)

소마의 다른 효과는 불사의 느낌이다

우리는 소마를 마셨다 우리는 불사가 되었다 우리는 빛에 도달했

다 우리는 신들을 발견했다 지 무엇이 우리를 해칠 수 있고 유한

한 운명의 의가 우리에게 [무엇을]하겠는가 오 불사하는 자여33)

오 래허티는 ldquo우리는 불사가 되었다rdquo는 구 을 설명하면서 이

찬가의 시인이 천상의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처럼 일종의

어렴풋하며 일시 인 불사성의 비젼을 가진 상태에서 읊은 찬가

로 해설하고 있다34) 앞에서 본 신체가 거 해지는 느낌은 개체와

우주의 동일성이라는 느낌을 가져오고 이는 우주와 같은 길이

의 수명을 가진 자로서의 느낌을 가져올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

이와 같이 소마는 그 구체 인 신경생리학 작용은 알 수 없

31) OFlaherty(1981) p 132

32) OFlaherty(1981) p 136 여기서 오 래허티는 aditi가 아디티여신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소마는 아디티의 막내아들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ldquo소마 아디티의 아들은 내부를

정화하고 화난 신들을 진정시킨다rdquo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랄 T H

그리피스(Ralph T H Griffith)는 ldquo네가 내부(심장)로 들어와 는 Aditi

하늘의 분노를 진정시키는 자가 될 것이다rdquo로 번역해 aditi를 신의

고유명사로 번역했다 Griffith(1986) p 435

33) RV 8483 ap ma somam amṛta abhūma ṛganma jyotir avid ma

dev n kin nūnam asm n krnavad ar tiḥ kim u dhūrtir amṛta

martyasya

34) OFlaherty(1981) p 136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7 4 ∙ 印度哲學 제24집

다섯 부족(pantildeca kṛṣṭayaḥ)24)은 더 이상 나에게 속의 티끌만도

못한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5)

나의 함 속에서 나는 하늘과 한 지를 뛰어 넘는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6)

그 다 나는 지 여기에 혹은 아마도 기에 있을 것이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7)

내 날개의 한 쪽은 하늘에 있고 다른 쪽은 아래에 끌린다 나는 소

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8)

나는 거 하고 거 하다 구름으로 날아오른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29)

네가 내면을 통할 때 는 제한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는 신들의 격노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30)

이 구 들은 소마의 음용으로 인해 자신이 거 해진 도취 상태

의 체험에 한 찬가로 오 래허티에 따르면 화자는 인드라이겠

지만 아그니나 혹은 그 신이 음용자에게 化身하여 나타난 상태의

찬가라고 한다31) 이런 상태의 체험은 신비체험의 일종으로 간주

24) 베다 아리안의 체 부족 OFlaherty(1981) p 132

25) RV 101196 nahi me akṣipac can ch ntsuḥ pantildeca kṛṣṭayaḥ kuvit

somasy p m iti

26) RV 101198 abhi dy m mahin bhuvam abh m m pṛthiv m mah m

kuvit somasy p m iti

27) RV 101199 hant ham pṛthiv m im ṃ ni dadh n ha veha v kuvit

somasy p m iti

28) RV 1011911 divi me anyaḥ pakṣo dho anyam ac kṛṣam kuvit

somasy p m iti

29) RV 1011912 aham asmi mah maho bhinabhyam ud ṣitaḥ kuvit

somasy p m iti

30) RV 8482 antaś ca pr g aditir bhav sy avay t haraso daivyasya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5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ldquo내가 동시에 여기에도 기에도 있을

것rdquo이라는 사고는 분명히 일상 공간지각이 변형된 상태의 체험

으로 개체와 체 사이의 경계가 무 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오 래허티는 의 마지막 인용문의 ldquo제한없음(aditi)rdquo를 설명하면

서 이는 환각제(psychedelic drug)의 특징 인 느낌이라고 주장한

다32)

소마의 다른 효과는 불사의 느낌이다

우리는 소마를 마셨다 우리는 불사가 되었다 우리는 빛에 도달했

다 우리는 신들을 발견했다 지 무엇이 우리를 해칠 수 있고 유한

한 운명의 의가 우리에게 [무엇을]하겠는가 오 불사하는 자여33)

오 래허티는 ldquo우리는 불사가 되었다rdquo는 구 을 설명하면서 이

찬가의 시인이 천상의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처럼 일종의

어렴풋하며 일시 인 불사성의 비젼을 가진 상태에서 읊은 찬가

로 해설하고 있다34) 앞에서 본 신체가 거 해지는 느낌은 개체와

우주의 동일성이라는 느낌을 가져오고 이는 우주와 같은 길이

의 수명을 가진 자로서의 느낌을 가져올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

이와 같이 소마는 그 구체 인 신경생리학 작용은 알 수 없

31) OFlaherty(1981) p 132

32) OFlaherty(1981) p 136 여기서 오 래허티는 aditi가 아디티여신의

고유명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소마는 아디티의 막내아들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엔 ldquo소마 아디티의 아들은 내부를

정화하고 화난 신들을 진정시킨다rdquo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랄 T H

그리피스(Ralph T H Griffith)는 ldquo네가 내부(심장)로 들어와 는 Aditi

하늘의 분노를 진정시키는 자가 될 것이다rdquo로 번역해 aditi를 신의

고유명사로 번역했다 Griffith(1986) p 435

33) RV 8483 ap ma somam amṛta abhūma ṛganma jyotir avid ma

dev n kin nūnam asm n krnavad ar tiḥ kim u dhūrtir amṛta

martyasya

34) OFlaherty(1981) p 136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6: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7 6 ∙ 印度哲學 제24집

지만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

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大)시간 체험35)을 주

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

이다

리그베다 10136에는 신(keśin)으로 불리는 장발고행자가 나

온다 후 의 시바인 루드라를 신앙했던 이들 역시 도취제로 생각

되는 음료를 마시고 체험한 도취상태의 찬가를 남겼다

신은 불을 가지고 약 를 가지고 하늘과 땅을 가지고36)

신들이 그들 속에 들어갈 때 그들은 바람을 타고 질주한다37)

그는 바람을 타고 아래의 모든 형상을 바라보며 항해한다38)

아마도 이 도취제는 신체가 높이 상승되어 하늘을 나는 느낌을

듯하다 오 래허티는 리그베다의 9112 10119 등에 나타난

소마의 효과와 비교할 때 이 도취제는 소마와는 다른 도취제일

것으로 주장한다39) 그러나 이미 보았던 리그베다 101192-3에서

35) 본 논문에서 이 용어는 우주 길이의 수명을 가진 자가 느끼는 시간

의식 다시 말하자면 신 인 시간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시간의식에

해서는 엘리아데(1998) pp 67-106 특히 이 책의 lsquo시간이탈의 기법rsquo의

장(pp 99-106)을 참조 엘리아데는 여기서 일상 시간의식을 월하는

가장 범인도 보편 기법으로 호흡법을 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소마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더 이상의

설명은 본고의 범 를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역시 침머(1995) pp 13-36

참조

36) RV 101361 keśy agniṃ keś viṣaṃ keś bibharti rodas

37) RV 101362 v tasy nu dhr jiṃ yanti yad dev so avikṣata

38) RV 101364 antarikṣeṇa patati viśv rūp vac kaśt 이 구 을

오 래허티는 유체이탈하여 날아다니는 느낌으로 해설한다

OFlaherty(1981) p 138

39) OFlaherty(1981) p 137 오 래허티는 신들이 소마제의에서 배제된

루드라를 신앙하 다거나 기타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이런 을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7

ldquo맹렬한 바람처럼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 음료는 나를 끌어 올린다 벼락을 치는 날쌘 차의 말

같이 나는 소마를 마시지 않았던가rdquo 라는 소마의 효과 역시 상

승하는 느낌을 표 하고 있다 오 래허티가 어떤 에서 이 둘이

다른 도취제라고 주장하는지 의문이다40)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다루지 않지만 도취제가 라마

나뿐 아니라 비 라마나 통들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은 고 인

도의 도취제사용의 기원과 종교 사상의 향 계라는 문제에서

심을 끈다41)

Ⅲ 소마와 도취제의 선행연구사

1 소마 연구사

서구는 소마의 정체규명을 하여 오랜 세월의 연구를 축 해

왔다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ldquo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주장하 겠지만 여기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40) 만약 단순히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이 둘이 다른 것으로

단하 다면 리그베다 내의 자료만으로 소마의 정체를 밝힐 수 없다고

주장한 존 로(John Brough)의 입장과 련하여 과연 이 게 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41) 왓슨은 버섯의 도취 효과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세계에 리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하 다 그 다면 소마제의와 고 유라시아의

샤머니즘의 향 계는 어떠한가 비 라마나 통의 신들이

사용한 도취제는 라마나의 통에서 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인도

토착 샤머니즘이나 여타의 고 토착종교들에 향 받은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주제의 연구는 고 의 인도종교들의

사상 특징을 밝히고 향 계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7: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7 8 ∙ 印度哲學 제24집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도취제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는rdquo 효과를 지닌 소마에 한 연구사를 장 E M 하우

벤(Jan E M Houben)의 연구42)를 요약하며 간략히 고찰한다

서구에 소마라는 단어를 처음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세기의 네

덜란드 선교사 던 아 라함 로자리우스(Abraham Rogerius)가

범어 소마는 달을 의미하다고 그의 책에 기술하면서 부터이다 에

이 J A 듀보이스(Abbe J A Dubois)는 그의 책 985172힌두의 방식

과 습 그리고 985172의례(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

s)985173에서 수회 신부 던 코덕스(Coeurdoux)의 책을 소개하며 그

가 소마를 제의 제주와 제 이 마셔야만 하는 일종의 술이라

고 한 것을 기술했다 1842년 존 스티 슨(Jhon Stevenson)은 사

마베다번역본의 서문에서 소마를 사코스템마(Sarcostemma vimin

alis)43)라고 하 다 1844년 유진 버노 (Eugen Burnouf)는 아베

스타(Avesta)의 하오마(Haoma)를 연구한 에서 하오마는 어떤

식물과 그 식물에서 나온 즙을 동시에 일컽는 말이며 이는 베다

제례의 소마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하 다 1846년도에 디슈만

(Windischmann)은 소마와 하오마의 언어 제의 유사성을 더

욱 정교하게 연구한 그의 에서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유사

한 아스클 피아스(Asclepias acida Sarcostemma acidm Voig

t)44)이며 그것의 최면마취 (nacrotic-intoxicating)효과를 이야기

했다 소마-하오마가 아리안이 인도와 이란으로 헤어지기 이

시 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1855년도에 막스 뮬러(Max Muumlller)는 당시 인도의 소마 제의에

42) Houben(2003)

43) 잎 없이 땅에 퍼지는 풀로 유액을 내며 인도 민간요법에서 구토제로

사용되었다 리그베다는 소마가 잎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소마는 꽃도

뿌리도 없다고 하 으나 이 식물은 빨간 꽃을 피운다 사스코템마는

환각성분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특히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의

환각효과는 더욱 없다 퍼스트(1992) p 137

44)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사스코템마와 유사한 유액을 내는 식물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7 9

사용되던 사코스템마가 과연 진짜 고 의 소마와 동일한가하는

의문을 표명했다 1881년에 로트(Roth)는 소마식물이 베다인에게

시간이 지날수록 구하기 어려워 졌기 때문에 후기 베다서들은

체물을 허용했다고 주장하 다 그는 소마는 사코스템마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식물일 것이나 지 사용되는 것과는 같은 것이

아니라고 하 다

막스 뮬러의 소마에 한 심은 소마식물의 정체 규명 자체보

다는 그를 통해 아리안의 원래 고향이 어딘가를 밝 내는데 있었

다 이런 주제와 련하여 1927년 힐 란트(Hillebrandt)는 소마-

하오마가 동일한 것으로 아리안이 이란과 인도로 헤어지기 이

에 성행하 다는 앞서의 디슈만의 결론을 확신하지 못하면서

당시 소마의 정체에 해 여러 학자들이 술 맥주 인도 마 등으

로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소개하 다

1960년 까지 소마로 거론되었던 식물들은 에페드라(Epedr

a)45) Sarcostemma brevistigma 황(Rhubarb) 인도 마 등이었

는데 특히 이 에서도 에페드라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

러나 뉴욕 모건은행의 부행장 출신의 민족식물학자 R 고든 왓슨

(R Gorden Wasson)은 1969년도에 소마가 고 유라시아의 샤먼

세계에서 리 쓰이던 버섯(Amanita muscaria)46)이라는 설

을 내놓아 베다학계에 란을 일으켰다 그는 문 인 베다학자

가 아니었기 때문에 베다의 문헌 근거보다는 민족지(民族誌)

자료와 식물학 자료를 통해 소마와 버섯의 일치 에 한

인상 인 증거들을 제출했다47)

45) 에페드라의 종류 하나인 국 식물 마황(Epedra vulg)에서

활성물질인 에페드린이 1885년 일본인 야마나시(Yamnashi)에 의해

발견되고 역시 일본학자 나가이(Nagai)에 의해 1887년도에 추출되었다

양차 사이의 시기에 에페드린의 인공합성물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2차세계 리 사용되었다 이것이 필로폰으로 알려진

암페타민(amphetamines)이다

46) 미국에서는 리버섯(Fly Agaric)으로도 불림

47) ldquoRenou의 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시인들이 말하던 그 식물이 뿌리도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8: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8 0 ∙ 印度哲學 제24집

그는 리그베다에 묘사된 소마와 버섯의 생리 일치 을

설명하면서 리그베다에 표 되어 있는 강력한 도취 상태는 기존

에 거론된 여타의 식물로는 이룰 수 없다는 것과 버섯을 사

용하는 법은 직 먹는 것(즙을 먹는 것을 포함하여)과 일단 먹은

후 오 으로 배출된 것을 다시 먹는 법이 있는데 리그베다나 아

베스타에 이와 같은 오 의 음용이 은연 드러나 있다고 주장했

다48)

그리고 이런 버섯이 후베다 시기에 다른 식물로 체된 것

은 식물의 기생식물 특성은 유라시아의 소나무 나무 특

히 자작나무가 필요한 것인데 후베다시 이후 차 인도인의 생

활권이 이런 환경을 지닌 인도 북부의 침엽수 지 를 벗어남으로

없으며 잎도 없고 더구나 가지나 꽃 열매도 갖지 않는 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hellip 소마는 고산 지 에서 난다는 것으로 미루어 카시미르나

인더스평야에서 볼 때 히말라야 구릉지 나 힌두쿠시 산맥을 말하며 그

야생버섯은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견된다 hellip 이 버섯이 구든지

버섯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버섯은 우랄지역의

우그리아(Ugria)인 는 사모에드(samoyed)인들의 종교 인 삶에서

요한 역할을 해왔다rdquo 심재 (1995) p 42 재인용

48) 퍼스트(1992) pp 136-141 참조 논자가 하타요가를 연구하면서 가졌던

의문이 소 3종의 올리무드라(ol mudra vajol amalol sahajol )

하나인 아마롤리무드라(amarol mudra)의 문제이다

Gheraṇḍasaṃhit (Vasu 1996)나 인도 로나발의 카이발리야다마

요가연구소(Kaivalyadhama SMYM Samiti in Lonavla India)에서

1970년도에 출간된 5권본 Haṭhaprad pik (Digambaraji 1998)에서는

이것을 바즈롤리무드라와 유사한 복부와 회음 부 를 조여 정액을

회수하는 기술로 이야기하지만 4권본

Haṭhayogaprad pik (Muktibodhananda 1998)와 10권본

Haṭhaprad pik (Gharote amp Devnath 2001)에서는 오 을 마시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amar는 불사의 의미로 만약 이 행법이 오 을 마시는

것이라면 오 과 불사(amṛta 소마의 효과 하나는 불사의 느낌이다)는

어떤 연 이 있음을 암시한다 원래 이 행법은 쉬바 의 하나인

카팔리카 (K p lika)에서 행해지던 것이 하타요가에 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카팔리카 가 고 의 유습을 많이 유지하고 있던 일 임을

생각할 때 왓슨의 소마의 오 음용설과 련하여 모종의 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1

써 더 이상 버섯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 다

왓슨의 이론은 민족지 식물학 으로 매우 그럴듯하여 오

래허티 릿츠 스딸(Frits Staal)과 다니엘 H 잉걸스(Daniel H I

ngalls)같은 베다연구자들의 부분 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존

로(John Brough)의 경우는 베다에 한 문헌 연구의 부정확

함과 베다 외 인 자료를 이용해 소마의 정체를 규명하려한

사계 에 사용된 이 식물이 버섯이라면 환각효과가 무

크기 때문에 투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서 이 이론

을 거부하 다 신 그는 흥분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진 에페드라

를 소마로 주장하 다 이론의 가부를 떠나서 왓슨의 이론은 최소

한 소마가 술 종류가 아닌 환각효과를 가진 식물이라는 은 증

명하 다

1985년에 라이 슈트만(Rainer Stuhrmann)은 왓슨의 버

섯 이론 이후의 소마 연구사를 정리하면서 가) 라마나서들을 통

해 볼 때 원래의 소마는 몇 종의 식물로 체되었고 이것들은 이

미 리그베다 10권에 나타나고 있으며 나) 소마의 압착 이후에 수

액의 발효를 한 시간이 없고 베다와 아베스타에 소마-하오마와

수라(sur 술)의 효과를 비교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에서 소마

는 술이 아니며 다)소마는 산에서 자란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버섯설을 거부하 으나 환각을 유도하는 염기를 가진 식물인

은 인정하 다

이런 등으로 지 까지는 소마의 에페드라설이 학계의 세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라이 슈트만은 2006년 5월에 발표된 최근의 논문49)에

서 에페드라설은 식물학 으로 유용하며 약리학 인 도취효과를

설명하는 문헌 실마리에 한 분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비

하며 소마는 버섯이거나 혹은 마귀 버섯(Amanita panther

ina)일 것이라는 설을 다시 지지하 다 그는 도취시의 강렬한 빛

49) Stuhrmann(2006) abstract in English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9: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8 2 ∙ 印度哲學 제24집

은 소마신에 의한 빛의 창조로 해석되었으며 도취상태에서 유발

된 지각 상의 크기의 변화는 소마제의 내에서 감각 으로 묘사

되는 세계로 발 하 으며 시 인 호방함은 불명료한 소마찬가와

그들의 기괴한 우주론에 한 열쇠가 되는 외 상의 환상 인 그

림들의 그물망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베다 시기에 베

다인들이 강유역과 인도동부로 팽창해가면서 다른 효과를 지닌

체물로 바 며 소마도취시의 체험은 차 사라지고 희생제의의

이론에 유용한 패턴과 세계에 한 우주론 인 설명 모델로서

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 까지 고찰한 것처럼 개의 소마 연구는 그 식물 정체성

을 규명하기 한 것이었으나 이 시도는 아직까지는 성공하지 못

했다 그러나 소마가 강력한 도취제의 일종임은 확실하다 이런

도취 상태의 체험은 종교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본 논

문의 서두에 밝힌 오 래허티의 입장처럼 이것이 모든 인도 행

의 핵심은 아니라 하더라도 인도인의 우주 (개체와 우주의 동

일시를 통해) 해탈 (시공이라는 제한 조건을 월한 느낌을 통

해)등에 향을 미쳤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에서

향후의 소마 연구는 그 정체성의 규명보다는 소마 체험이 어떻게

인도종교에 수용되어 갔는가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더 유

용할 것이다 이것은 신비체험이 어떻게 종교사상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를 구체화시켜 종교의 본질을 더욱 과학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것이다 의 라이 슈트만의 논문은 이런

에서 향후 소마를 통한 인도종교와 사상연구의 한 방향을 보여

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향의 연구는 향후과제로 하고 다음 에서 향후

연구의 기 로서 먼 서구의 도취제 연구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도취제나 여타의 방법들로 얻어지는 신비체험의 생리학 의의를

고찰해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3

2 도취제 연구사

본 논문은 선입견을 피하기 해 도취제(陶醉劑)라는 용어를 사

용하는데 일반 으로 어에서는 ldquohallucinogenrdquo ldquopsychedelic dr

ugrdquo ldquoentheogenrdquo 등이 사용된다 hallucinogen은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가 1953년도에 자신의 서 985172지각의 문(The Doo

rs of Perception)985173에서 사용한 후로 가장 일반 인 용어로 사용

되었다 psychedelic은 정신병학자 던 험 리 오스몬드(Humphry

Osmond)50)가 창안한 신조어로 고 희랍어로 ldquo마음을 확장시키

다rdquo 정도의 의미를 가진 용어이다 그러나 1979년도에 일군의 민

족식물학자들과 신화학자들은 hallucinogen의 어원이 기라는 의

미와 연 이 있고 psychedelic은 정신병과 연 을 가지기 때문에

ldquo내면의 신을 발 시키다rdquo라는 의미를 가진 entheogen라는 신조

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고 희랍어 entheos(내면의 신)과 gen

esthe(발생시키다)의 합성어이다 종교학자들 에서는 이 용어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본 논문의 도취제는 enthe

ogen의 의미로 사용한다

인류는 수천년 이상 도취제를 사용해왔지만 서구의 과학 연

구는 1800년 말 독일의 약리학자 스 (Lewis Lewin)이

페요테 선인장(Peyote Lophophora williamsii)51)의 도취효과를

50) 험 리 오스몬드는 메스칼린과 정신분열증의 계를 연구하던 스 스의

정신과의사 는데 당 의 최고 지성이던 올더스 헉슬리가 그의

메스칼린(Mscaline)실험에 자원하자 크게 놀랐다고 한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헉슬리의 연설문과 서한집을 모은 책인 헉슬리(2006)에

두 사람이 주고받은 많은 서신들이 있다

51) 1897년 의 경쟁자 던 아더 헤 터(Arther Heffter)는 페요테

선인장의 주성분인 메스칼린을 처음 추출하여 사용하 다

Mckenna(2003) p 428 일반 으로 페요테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메스칼린은 페요테 선인장이 가진 수십 종의 염기 하나일 뿐이며

페요테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다른 종류의 도취효과를 가진

선인장들도 많다고 한다 퍼스트(1992) p 156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8 4 ∙ 印度哲學 제24집

연구하면서 시작하 다 을 시하여 1920년 까지는 주로 독

일을 심으로 한 유럽에서 도취효과의 정신약리학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다 1920년 에는 아마존 유역의 인디언들이 사용

하는 표 도취제인 아야후아스카(Ayahuasca)52)의 주재료인

카아피(Banisteriopsis cappi)53) 등이 발견되어 연구되었다 이 시

기의 표 인 학자로는 의 제자로 헤르만 헷세 칼 융 등과

친구 던 도취제를 이용한 정신병학 연구의 아버지인 커트 베링

거(Kurt Beringer)등이 있다 개의 도취제들은 신 륙의 인디언

들이 제의 으로 사용하는 식물이었으므로 이 연구들에는 인디언

들을 연구하는 민족학자 인류학자와 민족식물학자들이 연 하게

되었다 1930년 이 분야의 연구자로는 오늘날 민족식물학계와

인류학 종교심리학계의 가로 인정받는 리처드 에반스 슐츠

(Richard Evans Schultes)와 라 바르(Weston La Barre) 등이

다54)

1943년도에는 20세기 주요한 과학 발견 의 하나로 알려진 L

SD-25가 스 스 바젤의 산도스(Sandoz) 의학연구소 연구원이었

던 앨버트 호 만(Albert Hoffmann)박사에 의해 합성되었다 원

래 이것은 다양한 화학 실험 에 이미 1938년도에 합성된 것이

52) 고 잉카어로 아마존 북서부에서는 야헤(Yah ) 혹은 야게라고도 한다

53) 이 도취제는 텔 시 능력을 다고 하는데 1927년에 화학자 E 페럿과

M 이먼드 하멧이 요 염기를 추출하여 텔 틴(telepatine)이라고

명명했다 1957년도에 동의 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한 때 소마의 후보식물이기도 하던 하말라약 (Peganum

harmala)의 요 염기인 하말린(hamaline)과 동일한 것으로 밝 졌다

54) 1936년 당시 하바드의 생물학과 졸업반이던 슐츠는 일의 인류학

박사과정에 있던 라 바르를 따라 오클라호마의

키이호와인디언(Kiowa)의 페요테 의식을 연구했는데 라 바르는 이를

통해 그의 박사논문과 주 의 하나인 985172페요테 의식(The Peyote

Cult)985173을 술하게 된다 슐츠는 훗날 고 아즈텍의 도취제로 나팔꽃의

일종인 올로로우키(학명 Rivea corymbosa)를 연구하여 민족식물학

연구에 생애를 바친다 학제간의 결합이 큰 학문 발 을 가져온

표 의 하나이다 퍼스트(1992) pp 13-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5

었으나 그 효능을 모르다 우연한 기회에 호 만 박사가 소량을

섭취하며 그 도취 효과를 인지하게 되었다 LSD 합성의 의미를

피터 T 퍼스트(Peter T Purst)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LSD-25의 발견으로 형이상학 사회 체계의 유지와 진화라는 측면

에서 환각제가 차지한 역사 역할과 무의식 상태의 본질에 한 새

로운 연구의 시 가 개막되었다 한 이른바 lsquo내 우주rsquo에 한 교차

문화 학제 연구의 길을 열었던 것이다55)

메스칼린 연구와 LSD의 합성은 서구의 많은 지성들에게 향

을 미쳐 40년 말 50년 에 이르는 미국의 비트문화 형성에 큰

향을 끼쳤고 당 유럽의 최고지성 일인이었던 올더스 헉슬

리는 자신의 도취체험을 기반으로 985172지각의 문985173을 술함으로써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56년도에는 체코의 화학자 스티 스짜라(Steven Szara)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도취제로 알려진 디메틸 트립타민(dime

thyl-tryptamine DMT)을 합성했다 1957년도에는 고든 왓슨(Gor

den Wasson)과 그의 부인이 라이 지(Life)에 실로시빈 버섯합성

물에 한 논문을 실었다

1960년 는 히피문화와 맞물려 도취제는 하나의 문화형태이며

정치투쟁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표 인물이 하바드의 심리학

강사로 LSD를 이용한 심리실험으로 강사직을 박탈당 한 후 히피

운동의 부가 된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이다 66년도에

LSD는 불법약물로 규정되었고 70-80년 를 거치면서 약물남용은

미국 사회의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하바드는 한 편으로는 리차드

슐츠를 심으로 80년 말까지 도취제의 분류 민족지(民族誌)

연구 정신약리학 등의 분야에서 도취제의 학문 연구의 메카가

되었다56) 이런 결과로 1951년에는 LSD 련 논문이 의학잡지에

55) 퍼스트(1992) p 91

56) Mckenna(2003) p 437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1: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8 6 ∙ 印度哲學 제24집

만 100편 이상이 발표되고 1961년에는 1000편 이상이 발표되었

다57)

Ⅳ 도취제의 효과와 신비체험의 의의

70년 의 인류학자들은 자진해서 환각성 물질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려는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그에 한 상당한 보고서가 있

다58) 인류학자이며 샤머니즘 연구가인 마이클 하 (Michael J H

arner)는 아야후아스카를 통한 경험59)을 가) 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는 기분 나) 표범이나 뱀의 환상 다) 자연 존재나 악

마와의 감 라) 멀리 있는 사람이나 풍경에 한 환상 소

천리안의 경험 마) 언의 능력 등 다섯 가지로 열거한다60) 이런

체험은 샤머니즘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엘리아데가 주장한 샤머

니즘의 구성요소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61)

57) Stafford(2003) 1966년도에 미국에서 LSD가 불법화된 이후 지 은

제한 인 범 에서만 연구되고 있다

58) 나카자와(2005) p 38

59) 아야후아스카에 의한 도취상태의 체험을 비쥬얼하게 잘 처리한 국

러셀 감독의 화 ldquoAlterd Staterdquo 랑스 얀 쿠냉 감독의 ldquoBlueberry가

있다 도서자료로는 나카자와(2005) pp 40-43 나비(2002) pp 19-22에

인류학자들의 아야후아스카 체험에 한 보고가 있다

60) Harner(1973) pp 154-194 퍼스트(1992) p 79에서 재인용

61) 가) 천계상승(ascent to Heaven)과 지하계 하강을 의미하는 입무자의

상징 인 지체분할 죽음 부활을 포함하는 입문식 나) 치료자

승으로의 천도자의 역할 속에서 엑스타시 여행을 하는 능력(악령에

의해 도난당한 환자의 혼을 되찾는 것) 다) 불에 한

지배력(시뻘겋게 단 쇠막 기를 아무 지도 않게 쥐기도 하고 불타는

석탄 를 걷는 등의 능력) 라) 동물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을

보이게 하지 않는 능력 Eliade(1958) p 320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7

올더스 헉슬리도 1961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심리학

자들의 모임에서 도취시의 경험(꼭 도취제를 통한 체험만은 아니

다)에 해 강연을 했는데 빛 만다라 다른 존재 외부세계의 변

형들을 말하고 있다62)

이런 변성의식 상태의 체험들은 비단 도취제에 의해서만 이루

어지는 것은 아니며 감각의 차단 극심한 고통이나 열 단식 수피

스와 같은 빙빙돌기 호흡조 최면 명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3) 이런 경우 액 내의 이산화타소의 함량이 증가하

며 이것은 산소 결핍으로 인한 뇌활동의 지 상태를 가져와 변

성의식 상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64) 명상 상태

에서도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할 때는 개 기증과 더불어 호흡

이 길게 늘어지거나 아 멈추는 상이 발생한다65)이것은 변성

의식 상태와 생리 상 특히 두뇌 신경생리 사이의 깊은 연

성을 암시한다

펜실베니아 학교의 핵의학부 방사선학과 교수이며 종교연구학

과 임강사직을 맡고 있는 앤드류 뉴버그(Andrew Newberg)와

그의 동료 교수인 유진 다킬리(Eugene dAquili)는 명상체험에

한 흥미로운 실험을 행하고 가설을 내놓았다66)

그들은 명상법을 수동 근 방법과 능동 근 방법의 2종

으로 분류하 다 수동 근 방법은 주로 불교종 들에서 사용

되는 명상법으로 마음을 없애려는 의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의도

62) 헉슬리(2006) pp 257-283

63) 심 보(2006) pp 117-148 참조

64) 헉슬리(2006) p 266 참조

65) 아비나바굽타(Abhinavagupta)의 Tantr loka의 제5장에는

지반묵타(jivam-mukta)를 성취하는 뚜리야(turya)의 7단계 혹은

환희(ananda)의 7단계를 설하고 있다 두번째 단계인

니라난다(nir nanda)는 변성의식 상태가 발생하는 경계인 제감상태

직 에 발생하는 호흡이 길어지고 기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Lakshman Jee(1991) pp 110-111

66) 이하의 내용은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p 172-179의 내용에 한

요약이다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2: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8 8 ∙ 印度哲學 제24집

는 의지 행동을 담당하는 우뇌의 주의 역에서 시작하여 뇌의 정

보 교환센터 역할을 하는 해마회로 하여 신경 입력 정보의 차

단하게 한다 차단된 신경 정보의 흐름은 차단된 주의 역에서 자

율신경계를 제어하는 시상하부로 내려가고 이 자극으로 신체기능

을 억제하는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역으로 돌려져 더욱 고요

함이 강화된다 그런데 자율신경계는 길항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교감계가 최 한 자극되면 교감신경계 역시 자극되어 최고의

흥분 상태가 야기된다 이 자극은 주의 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순

간 으로 완 한 신경정보 흐름의 차단이 발생한다 우뇌는 3차원

시공개념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체험은 마치 시공이

사라진 텅 빈 진공을 체험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좌뇌는 자

아감각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주의 역에 의한 신경 흐름의 완

한 차단에 의해 자아라는 감각 역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 상

태는 시공의 흐름이나 자신과 우주 사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앤드류 뉴버그는 ldquo주객을 월한 인식 상태인 이러한

순수한 마음을 궁극 인 일체의 상태라는 뜻으로 lsquo 일체 상

태rsquo라는 이름을rdquo67) 붙 다

반면 능동 근 방법은 사물에 정신을 집 하는 방식으로 이

를 통해 기독교 월 자를 체험하는 상이 설명된다

를 들어 수나 만트라에 집 하려는 의도는 우뇌 주의 역에서

신경 정보를 방출하여 시상하부를 통해 흥분을 담당하는 교감신

경계를 자극한다 명상이 진행될 수록 이 자극은 강해져 흥분이

최고조에 이르 을 때 자율신경계의 길항작용에 의하여 부교감신

경계의 억제 작용이 순간 으로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 억제와

흥분이 공존하는 자극은 신경 자극의 달을 담당하는 변연계에

의해 양 뇌에 동시에 달되는데 좌뇌에는 수동 근 방법처럼

억제에 의한 신경정보 차단에 의해 자아 개념이 소실되는 반면

일정한 상에 집 하고 있던 우뇌에서는 집 상이 아닌 상

67)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8 9

에 해서만 신경 정보 차단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집 상만

남게 되는데 이 때 좌뇌는 신경 정보 차단에 의해서 자아감각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것은 수나 만트라 같은 월 실체 속으로

흡수되는 지각으로 느껴지게 된다 뉴버그는 이를 통해 기독교 신

비주의자들의 하느님과의 합일을 신경학 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68) 그러나 이 상태는 앞서의 lsquo 일체 상태rsquo와는 다른 것

으로 만약 우뇌의 집 을 잃게 되면 이 상태를 넘어서 비로서

일체 상태가 된다고 한다69)

뉴버그는 은연 에 수동 근 방법을 통해 발생하는

일체 상태가 더 완 한 체험임을 말하고 있는데 비록 동일한 체

험이라 하더라도 종교 신념 같은 체험 후의 주 해석에 의

해 이 체험에 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과 연 하여 도취제나 기타 방법에 의하여 발생한 변성

의식에 의해 체험된 사실들이 환각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언 하

고 싶다 비상한 의식상태이긴 하지만 lsquo 일체상태rsquo와 같은

상태를 단순한 환각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거

부한다면 종교의 신비체험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다 명상이나

기타의 의식변형기법들은 늘 존재함에도 우리의 일상의식 상태에

서는 알려지지 않는 이 상태가 되도록 일상 인식방식을 비

상하게 변형하는 기술이다 단지 도취제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70)

가 통 명상방식으로 발생한 변형의식상태와 동일한 것인가

68) 앤드류 뉴버그 외(2001) p 178

69) 간화선자들은 화두에 집 하여 화두가 성성 한 상태에서 돌연한

스승의 방과 할이나 나무에 돌 부딪히는 소리 등 집 이 순간 으로

무 지는 경우에 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과 연 하여 흥미있는

내용으로 생각된다

70) lsquo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ASC)rsquo의 역어이다 변형의식 혹은

변성의식은 일상의식 상태가 아닌 꿈 최면 혼수 분열 명상 황홀경

등의 의식 상태를 말한다 하바드 학의 정신의학자 앤드류

웨일(Andrew Weil)은 ldquo의식을 정기 으로 변화시키려는 욕구는

배고픔이나 성충동과 유사한 고유의 정상 인 욕구rdquo라고 주장하 다

메도우 외(1992) p 287 재인용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3: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9 0 ∙ 印度哲學 제24집

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사실 주의깊은 경험자나 샤먼의 지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도취제 체험들은 일상 지각의 왜곡된 변형이거나 무의식 으로

유도된 체험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71) 하지만 이것은 통 명상

방식으로 발생한 다양한 체험들에도 마찬가지로 용될 것이다

요가수트라 41은 ldquo 능력(siddhi)72)은 출생이나 약 (oṣadhi)나

주문이나 고행이나 삼매로부터 발생한다rdquo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요가수트라의 궁극목 은 인도의 다른 사상들과 마찬가지로 해탈

에 있다 논자는 해탈은 시간성의 극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시간성의 극으로서 변화 없는 푸루샤의 독존이 요가수트

라의 궁극목 이고 이것은 선정으로 달성된다고 보는 것이 요가

수트라의 입장으로 보인다73)

이미 앞에서 보았지만 소마는 불사의 체험을 다 그러나 이런

체험은 순간 이다 불사의 체험이라도 이것이 원히 지속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만약 통 명상방식을 통해 앞에서 말한 lsquo 일체

상태rsquo와 같은 시공의 개념이 철폐된 비상한 체험이 있더라도 이

71) ldquo1960년 반 환각제는 서양에서 불법이 되었다 그 이 20년 동안

그토록 넘쳐났던 LSD의 과학 연구가 세계 으로 단되었다

역설 으로 과학의 엄정한 기 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LSD가 종종

이미지들이 실재와 혼동되는 진정한 환각 상태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것을 지 한 것은 이즈음이다 LSD의 향 아래 있던 사람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이 지각하는 색채와 들의 류와 시각 왜곡이 실제가

아니라 환각제의 작용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LSD는 lsquo사이비환각제rsquo이다 hellip 인간의 뇌가 아야후아스까의 활성물질인

디메틸트립트아민을 분비할지 모른다는 사실이 밝 졌다 hellip 가 그

를 밟고 넘어가면서 죄송하다고 했던 다채로운 색의 뱀들과 같은

진정한 환각을 일으킨다 불행히도 디메틸트립트아민에 한 과학

연구는 드물다 나비(2002) pp 89-91

72) 성취로도 번역된다 의식변형기법들에 의해 발생한 비상한 능력이나

의식 상태 혹은 그의 획득을 말한다

73) YS 46 tatra dhy najam an ṡyam ldquo그 에서 선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은 잠재력을 갖지 않는다rdquo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1

체험이 지속되지 못한다면 역시 진정한 시간성의 극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선가의 돈 론과도 같은 맥락의 문제이며 인

도사상사에도 끊임없는 논쟁거리 지만 본 논문의 범 를 넘어서

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 미룬다

아직 논증이 더 필요한 문제이지만 도취제가 비록 원한 시간

성의 극은 아니더라도 순간 으로 시간성을 월한 느낌을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도취제가 주는 선입견으로 이의

종교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 간혹 사람들은 통 명상

방식 자체를 요시하여 다른 방식들에 의해 발생한 의미있는 의

식 상태와 진리를 인정하지 않거나 격렬히 반 하는 경우가 있다

종교가 독단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태도 때문일 것이다 통

은 요하지만 이로 인해 본질을 잃어버리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소마의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지만 도취제임은 확실하다 약 150

년에 이르는 서구 소마 연구사의 재의 결론은 에페드라설과

버섯설이다 그러나 소마 연구의 요성은 소마의 정체 규명이

기 보다는 시공개념을 벗어나게 하여 제한된 개체성에서 벗어나

우주와 합일한 거 한 신체의 느낌 우주의 시간 체험을 주는

소마가 인도 종교에 어떤 향을 주었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는

생각이다

도취제는 오랜 세월 종교를 비롯한 인류문화에 많은 향을 끼

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무분별한 남용으로 백안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런 때문에 고 종교의 요한 연구소재인

도취제 연구의 의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본론에서 보았듯 소마의 정체에 한 연구는 아리안의 기원 문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4: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9 2 ∙ 印度哲學 제24집

제 베다의 해석 문제 등의 인도학 연구에 많은 동력을 주었다 향

후의 소마 연구는 이런 소마 체험이 인도사상에 어떤 식으로 수

용되고 발 해갔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상징 인 베다제례의

여러 요소들에 한 새로운 은 물론 특히 고 문화의 유습

을 많이 지닌 탄트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고 종교의 생동감을 잃은 기성종교의 독단

을 보완하는데도 도움을 것이다

한 소마 연구는 인류학이나 식물학 정신병학 등과 련하여

학제간의 연구를 계발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인도학 연구 내지

인문학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 수 에서 인

도사상 연구는 원 을 심으로 한 문헌 연구가 더욱 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왓슨이 소마의 버섯설로 베다학계에 신선

한 충격과 새로운 동력을 부여한 것처럼 창조 인 시각으로 기존

의 인도사상에 근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문

헌연구를 기반으로 창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무도 당연

한 일일 것이다

본문 에 남겨둔 여러 가지 의문들이 명확한 원 근거에

입각한 결론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약해 본다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3

참고 문헌

약호

RV Ṛg Veda Rig Veda Mantra Samhita - Complete Text in

Devanagari Introductory Essay in English Commentary

on Selected Verses ed Kashyap R L amp Sadagopan S

Bangalore India Sri Aurobindo Kapali Sastry Institute of

Vedic Culture 2005(2nd ed)

httpwwwsanskritwebnetrigvedarvfinderpdf 2008 1월

5일 검색

YS Yoga Sūtra Yoga Philosophy of Patantildejali ed amp trans

Sw mi Harihar nanda raṇta NY SUNY Press 1983

1 원전류

정승석(1984) 985172리그베다--신 자연 인간의 화음985173 서울 김 사

Gharote M L amp Devnath Parimal(2001)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10 Chapters) Lonavla India The Lonavla

Yoga Institute

Griffith Ralph T H(1986) The Hymns of The Ṛgveda Delhi

Motilal Banarsidass reprinted in Delhi

OFlaherty W D(1981) The Rig Veda - An Anthology Penguin

Books

Digambaraji Swami(1998) Haṭhaprad pik of Sv tm r ma

Lonavla India Kaivalyadhama SMYM Samiti 2nd ed

Muktibodhananda Swami(1998) Hatha Yoga Pradipika Munger

Bihar India Bihar School of Yoga

Vasu Rai Bahadur Srisa Chandra(1996) The Gheranda Samhita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5: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9 4 ∙ 印度哲學 제24집

2 단행본류

나비 제 미(2002) 985172우주뱀=DNA-샤머니즘과 분자생물학의 만남985173 김지 역 서울 들녘

나카자와 신이치(2005) 985172신의 발명 인류의 知와 종교의 기원985173 김옥희 역 서울 동아시아메도우 메리 조 외(1992)

985172종교심리학 상985173 최 식 역 서울 민족사

앤드류 뉴버그 외(2001) 985172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985173 이충호

역 서울 한울림

엘리아데 머르치아(1998) 985172이미지와 상징985173 이재실 역 서울 까치

퍼스트 피터 T(1992) 985172환각제와 문화985173 김병 역 서울 원사

헉슬리 아놀드(2006) 985172Moksha985173 이양 김희선 역 서울 싸이북스

침머 하인리히(1995) 985172인도의 신화와 술985173 이숙종 역 서울

원사

Bharati Agehanada(1992) The Tantric Tradition London Random

Dubois J A(1990)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Eliade Mircea(1958)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NY

Routledge amp Kegan Paul

Stafford Peter(2003) Psychedlics Oakland California Ronin

Publishing

httpenwikipediaorgwikiHallucinogen_note-dyck

2007년 10월 10일 검색

Lakshman Jee(1991) Kashmir Shaivism-the Secret Supreme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3 논문류

심재 (1995) 「Rig Veda Mandala 2의 제례형태 연구」 서울

동국 학교 석사학 논문

심 보(2006) 「샤머니즘의 의식변형기법들과 비교한 고 요가삼매의

의의」 985172인도연구985173 11권 1호 경남 진주 한국인도학회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5

Houben Jan E M(2003) The Soma Haoma Problem Introductry

Overview and Observations on the Discussion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9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0901ejvs0901at

xt 2007년 10월 10일 검색

Mckenna Terence(2003) A Brief History of Psychedelics

Shamanism--A Reader Graham Harvey ed NY

Routledge

Stuhrmann Rainer(2006) Ṛgvedische Lichtautnahmen Soma

Botanisch Pharmakologisch in den Augen der Kavis in

the Electronic Journal of Vedic Studies 13 no 1

httpwwwejvslaurasianacademycomejvs1301ejvs1301art

iclepdf 2007년 10월 10일 검색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

Page 16: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krindology.com/db/docs/2008_24_167-197_SJB.pdf · 인도철학 제24집(2008), 167~197쪽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1 9 6 ∙ 印度哲學 제24집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Sim Junbo

(Gwangju Catholic University)

We can not ascertain the botanic identity of soma but

it is sure that soma is a kind of entheogen the conclusion

for 150 year and more in the West is that soma may be

ephedra or fly agaric mushroom But we think that the tru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depends upon the

influence of soma to the metaphysic in ṛgveda and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afterward than upon the identity

of soma

Although entheogens have influenced spiritually human

society and culture especially as like religion for a long

time nowaday almost people take a prejudiced view of

them because they have abused as a kind of drug But in

spite of the public problem as like a drug addict we must

not under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because soma may be important source in the

research field on the ancient Indian religions

In chapter Ⅲ 1 we can see that the study of soma

gave many advantages to the problems as like the origin of

the Aryan and the interpretation of ṛgveda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soma in future will be focus

on how the soma experience(or mystic experience produced

by soma) did accepted and developed in the Indian

philosophies and religions later The study of soma helps to

supply new light to the interpretation on many symbolic

도취제로서의 소마(soma) 연구의 의의 ∙ 1 9 7

factors in the vedic sacrifice especially soma sacrifice and

the study of tantric practices which be thought to involve

many ancient customs Beside it may helps to cure the

dogmatic view of the modern religions which lost the

vitality of the ancient religions

Key words Rgveda soma entheogen fly agaric

mushroom ephedra mystic experience

심사 기간 2008년 1월 30일~2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2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