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23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8, No. 2, pp. 115~137, 2009. < 요 약 > 본 연구는 만성통증환자를 대상으로 흉추 가동술과 윌리암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운동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K병원에서 만성요통으로 치료를 받는 22명으로 선정하였으며, 흉추 가동술군 11명과 윌리암 운동 군 11명으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시각적 통증척도,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 척추운동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분산분석과 짝비교-t 검 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윌리암 운동군에 비해 흉추 가동술군에서 통증의 유의한 감소,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의 유의한 감소, 척추의 운동성의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다(p<05).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의 관리를 위해 흉추 가동술을 적용하 는 것이 통증과 장애지수, 척추의 운동성에 효과가 있으며, 요통환자의 관리에 있어 흉 추의 가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 만성요통, 흉추 가동술, 윌리암 운동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oracic Mobilization on Pain, Disability Index and Spinal Mo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고 태 성 * ㆍ 정 호 발 ** ㆍ 김 정 아 *** Ko, Tae Sung ㆍ Jung Ho Bal ㆍ Kim, Jeong Ah * 대원대학 물리치료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won University College ** 광주보건대학 물리치료과 교수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College *** 대전 계룡병원 물리치료실 실장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Gyeryong Hospital

Upload: others

Post on 05-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8, No. 2, pp. 115~137, 2009.

< 요 약 >

본 연구는 만성통증환자를 대상으로 흉추 가동술과 윌리암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운동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K병원에서 만성요통으로 치료를 받는 22명으로 선정하였으며, 흉추 가동술군 11명과 윌리암 운동군 11명으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시각적 통증척도,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척추운동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분산분석과 짝비교-t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윌리암 운동군에 비해 흉추 가동술군에서 통증의 유의한 감소,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의 유의한 감소, 척추의 운동성의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다(p<05).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의 관리를 위해 흉추 가동술을 적용하는 것이 통증과 장애지수, 척추의 운동성에 효과가 있으며, 요통환자의 관리에 있어 흉추의 가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 만성요통, 흉추 가동술, 윌리암 운동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oracic Mobilization on Pain, Disability Index

and Spinal Mo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고 태 성* ㆍ 정 호 발** ㆍ 김 정 아***Ko, Tae Sung ㆍ Jung Ho Bal ㆍ Kim, Jeong Ah

* 대원대학 물리치료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won University College

** 광주보건대학 물리치료과 교수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College

*** 대전 계룡병원 물리치료실 실장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Gyeryong Hospital

Page 2: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16 -

Ⅰ. 서 론현대 산업사회의 발달과 생활의 편리함이 신체활동이 감소로 이어져 신체기능

및 구조의 변화를 일으키고, 근력약화와 운동량의 부족, 장시간에 걸친 나쁜 자

세에서의 작업등은 허리 부하의 가중시키고 지나친 긴장을 유발하여 요통을 일

으킨다(이문영, 2000; Jensen등, 1994). 이러한 요통의 원인은 다양하여 구조

적, 생체 역학적, 기능적, 사회 심리적 요인 등으로 단순한 통증의 치료만이 아

닌 통증 유발 요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다면적 접근과 자세 및 생활훈련 등의

교육을 통한 치료로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Foster와 Fulton, 1991;

Graves 등, 1990).

요통(low back pain)은 요추를 포함하는 구조에 관련된 모든 통증을 표현하

는 용어로서, 현대인이 겪는 가장 보편적이고 흔한 의학적 문제의 하나이다

(Jensen 등, 1994). Merksey와 Bogduk(1994)에 의하면 만성통증은 3개월

동안 지속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이라고 정의 하였고(Loeser

와 Melzack, 1999), 12주 이상 요부의 통증이 지속되는 것을 만성통증이라고

하였다(Wheelwr, 1995). 만성요통은 일상적인 활동을 제한시키는 질환으로,

만성질환 중 심혈관 질환을 제외하고는 가장 흔히 병원을 방문하게 되는 원인

중의 하나이며(Carpenter와 Nelson, 1999), 45세 이하에서 불편(disability)을

호소하는 많은 이유 중의 하나는 만성요통이라고 보고하고 있다(Kelsey와

White, 1980; Valkenburg와 Haanen, 1982). 또한 산업사회(industrialized

world)에서 만성요통의 평생 유병률(lifetime prevalence)은 60% 에서 80%를

보이고 있으며(Frymoyer와 Cats-Baril, 1991), 만성요통환자의 90%에서

95%는 6주에서 12주 이내에 직장으로 복귀하지만(Frymoyer, 1992; Reid 등,

1997), 5%에서 10%는 3개월 이후에도 지속적인 통증과 불편(disability)을 호

소한다고 보고되었다(Nachemson, 1992). 또한 근골격계 통증은 많은 수의 환

자들이 경험하는 만성적 증상이며 전통적인 방법으로 잘 해결되지 않는다고 하

였다(Troup 등, 1987).

척추의 배열 이상은 자세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척추

에 비정상적인 부하를 초래하며(Stokes, 1997),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의 경우

불균형에 의한 비대칭적인 척추의 성장을 일으킬 수 있다(Stokes 등, 1996).

요통 환자들은 정상인과 비교해 체간 굴곡이나 신전 시 척추의 움직임이 불균형

적으로 일어날 수 있고, 체간 측방 굴곡 시에는 비정상적인 짝운동(coupling

motion)이 일어날 수 있으며(Lund 등, 2002), 흉추부의 경직이 크면 클수록, 이

Page 3: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17 -

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요추부와 경추부에 더욱 더 많은 움직임이 일어난다

(Edmondston과 Singer, 1997).

자세 교정이란 측면에서 흉추의 운동성 증가 없이 무리하게 자세의 변화를 요구

하면 경추와 요추에서의 과도한 움직임을 통하여 자세교정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Rizzi 등, 1979). 장시간 동안 앉은 자세로 있거나, 노화로 인해 흉추 후만

이 증가되며(Fon, Pitt와 Thies, 1980; Singer와 Giles, 1990) 이와 관련된

흉추의 운동성 감소는 요추 추체간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증가시켜 통증이 발

생하게 된다(Edmondstone과 Singer, 1997; Panjabi, 1992). 또한 다양한 원

인에 대해 요추부의 운동성 증가로 인한 척추 면관절(facet joint)의 불안정성이 요

통을 유발시킨다(Panjabi, 1992). 이러한 연구들은 요추부의 불안정성에 의한

통증은 흉추부의 움직임 개선이 중요한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근력강화나 근조절 운동들이 소개되어왔다

(Manniche 등, 1993; Panjabi 등, 1994). 그리고 기능부전이 있는 척추관절에 대

해서 가동범위를 증가시키고 통증을 감소와 움직임에 대한 척추의 기능부전을 관리

하기 위하여 관절 가동술의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다(Anderson 등, 1992;

Mennell, 1990).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요통이 있는 환자에서 요통이 없는 사람에 비해 흉추의 과

소 움직임이 나타나며(김선엽과 백인협, 2003), 흉추의 관절 가동술을 통한 가동범

위의 증가는 만성요통근로자의 요추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허진강,

2005). 그리고 흉추의 가동술은 경부손상환자에 대해 단기간에 통증과 장애지수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Cleland 등, 2007), 경부손상환자에게 흉추

가동술을 시행하면 대조군에 비해 통증에 대해 유의한 감소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Cleland 등, 2005; Fernandez 등, 2004). 또한 흉추의 가동술은 경추 또는 요추

에 직접 가동술을 실시하는 것보다 부작용(side effects)이 적다고 하였으며

(Cleland 등, 2007), 흉추의 운동성 감소는 요추 분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증가

시켜 요추의 불안정성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흉추의 운동성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보

고하고 있다(Singer와 Giles, 1990).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흉추부의 가동성 회복이 인접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바꾸어 생각해 보면 흉추부의 가동성 개선이 없는 상태에서 요추부의 안전

성을 확보는 어려운 일이며, 또한 요추부의 과도한 운동성은 흉추부의 저운동성을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흉추 가동술에 대한 필요성을 밝히

고 있으나 아직 많지 않은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요통환자에 대해 흉추 가

동술을 적용하여 통증, 척추가동성, 장애지수 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

행하였다.

Page 4: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18 -

Ⅱ. 연구 방법1. 연구 대상

대전 K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담당의사로부터 X-ray, CT 및 MRI를 이용

하여 요통 및 신경학적 이상과 관련된 만성요통으로 진단받고 3개월 이상 2년

이내 동안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 40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중 지속적인 심한

통증, 시각적 통증 척도(VAS, Visual Analog Scale)에서 8 이상, 임산부, 심한

골다공증, X-ray 상 척추변형이 심한 자, 류마티스 질환을 가진 환자, 척추 고

정수술을 받은 환자, 신경계 이상이 있는 환자, 협조성이 부족한 환자 그리고 견

관절에 이상 증후가 있는 환자 14명을 제외하고,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

하고 자발적인 동의를 받은 환자 26명 중 연구를 끝까지 마친 환자 22명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측정 방법 및 측정 도구통증의 변화와 척추의 기능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통증척도, 양손머리위

로 올리기, 흉곽확장, 척추운동분석기(Spinal mouse1))를 이용하여 척추의 운동

성을 치료 전, 3주차 그리고 6주차 3회에 걸쳐 변화를 측정하였고, 오스웨스트

리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는 실험 전, 실험 후 2회 측정하였다.*

1) 시각적 통증 척도(Visual Analog Scale)시각적 통증 척도는 높은 재현성을 보이는 통증 척도법으로 통증강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통증이 없는 상태를 0으로 하였고, 참을 수

없는 통증의 정도를 10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평가 점수가 낮을수록 통증의 완화

를 의미하는 것이다.

2)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장애지수에 대한 타당도, 민감도, 신뢰도 연구도 등은 이미 여러 논문에서 시행되

어 흔히 쓰이고 있는 평가방법으로(Fairbank와 Pynsent, 1980), 지수는 참여자의

수행정도에 따라 통증이 없는 상태를 1점에서 통증으로 인한 최악의 상태를 6점까

1) Spinal mouseⓇ, idiag, Volketswil, Switzerland.

Page 5: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19 -

지 부여하였다. 총 점수를 항목의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장애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3) 양손 머리위로 올리기(Maximal stretching with both hands in the over head direction)

자연스럽게 벽에 기대어 서 있는 자세에서 발뒤꿈치, 둔부, 흉부가 벽에 닿아 있

는 상태를 유지한 채 양쪽 팔꿈치를 귀 근처에 닿게 하면서 양손을 머리위로 최대한

올린다. 이때 평가자는 발뒤꿈치에서 3번째 손가락 끝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

(Kisner와 Colby, 2002)으로,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4) 흉곽확장(Chest expension)자연스럽게 서 있는 자세에서 남성은 유두에서, 여성은 가슴 밑에서 줄자를 이용

하여 최대 흡기와 최대 호기 상태의 가슴둘레를 각각 측정하여 그 차이를 보는 방법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 2004)으로,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5) 척추운동성(Spinal mobility)척추분절의 운동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척추운동 분석기인 SpinalMouse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 기구는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척추의 형태와 운동성

을 측정하는 장비이며, 이 기구의 측정 신뢰도는 굴곡과 신전에서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s)는 각각 r=0.90, r=0.85,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fficient)는 각각 r=0.95, r=0.92로 입증되었다(Post와 Leferink, 2004).

측정 방법은 척추가 편안하게 느끼는 중립자세를 찾고, 고관절과 슬관절이 각

각 90°굴곡한 상태로 앉는 자세를 유지하게 한 다음 척추자세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체간부를 완전히 능동 굴곡자세와 능동 신전자세에서 척추운동분석기

를 이용하여 척추굴곡, 척추신전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과정은 3회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치로 이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척추 운동 분석기를 경추 7번에서

시작하여 천추 3번까지 긁어내리는(drag) 방법(김선엽과 백인협, 2003;

Mannion 등, 2004; Post와 Leferink, 2004)으로 실시하였다<그림 2-1>.

Page 6: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20 -

<그림 2-1> 척추운동분석기와 시상면에서 척추의 굴곡과 신전

3. 연구 방법연구에 동의한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20 ~ 30대 환자 중 22명을 대상으로 무

작위로 11명씩 흉추 가동술군과 월리암 운동군으로 나누어 총 6주간 주 3회 실

시하였다. 두 군 모두에게 온습포를 이용한 온열치료 20분, 고빈도-저강도 경

피신경자극을 15분간 적용하였다.

1) 흉추 가동술 방법Kalternborn-Evjenth식 관절 가동술로서 엎드려 있는 자세에서 가슴 아래에

베게(pillow)를 받쳐 실제적 이완자세(actual reating position)를 유지한 다음,

흉추의 면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이 적은 분절을 선택한 후 선택한 흉추의

아래분절의 횡돌기에 쐐기(wedge)의 가장 높은 부분(peck)이 닿을 수 있도록

쐐기를 적용한 다음 왼손 검지(index finger)를 이용하여 선택한 분절의 극돌기

사이를 촉진하여 움직임을 관찰하고, 오른손은 쐐기를 앞쪽(anterior)으로 밀어

Page 7: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21 -

서 면관절(facet jt)이 뒤에서 앞쪽으로(posterior-anterior) 움직여 관절주위

조직이 충분히 신장될 수 있도록 3단계 견인(traction)을 적용하였다. 가동술을

실시하는 분절에서 대상자에게 불편감이 있는지 확인하였고, 불편감이 없는 상

태에서 30초간 3회 실시하였으며 중간 쉬는 시간은 3초로 하였다(박광묵,

2008; Cleland 등, 2007; Donovans 등, 2007; Kaltenborn, 1993; Krauss,

등 2006; Powers 등, 2008).

2) 월리암 운동 방법윌리암 운동 구성은 6가지 방법으로 골반 후방경사 운동, 윗몸 일으키기 운

동, 무릎을 구부리고 가슴에 대기 운동, 무릎 펴고 앉아 허리 구부리기 운동, 엎

드려 한 다리 뻗치기 운동, 쪼그려 앉고 일어서기 운동이다(민경옥, 1993). 이

6가지 운동을 각각 7회에서 10회 실시하였다.

4. 분석 방법측정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통계학적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analysis of variance)과 짝비교-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각 군에서 측정시기간의 차이와 집단 내 차이를 분석하였다

(p<.05).

Ⅲ. 결 과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22명으로 흉추 가동술군 11명, 윌리암 운동군 11명으로

나이는 흉추 가동술군에서 29.54±2.11세, 윌리암 운동군에서 29.73±3.06세 이

였고, 키는 흉추 가동술군에서 168.91±6.25cm, 윌리암 운동군에서

168.63±6.99cm이였고, 몸무게는 흉추 가동술군에서 65.27±10.54kg, 윌리암

운동군에서 65.00± 8.94kg 이였고, 체질량지수는 흉추 가동술군에서

22.18±2.48kg/m2, 윌리암운동군에서 022.45±2.29kg/m2이였다. 나이, 키, 몸

무게, 체질량지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1>.

Page 8: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22 -

<표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22)

흉추 가동술(n=11) 윌리암 운동(n=11)t p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나이(yr)  29.54±2.11 29.73±3.06 -.162 .873

키(cm) 168.91±6.250 168.63±6.990 .096 .924

몸무게(kg) 65.27±10.54 65.00±8.94 .065 .948

체질량지수(kg/m2)

22.18±2.480 22.45±2.29 -.267 .792

2. 측정시기에 따른 각 변수들의 변화시각적 통증 척도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

로 측정시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양손머리위로 올리기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

이를 보였고(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

단별로 측정시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05).

흉곽확장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

시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척추굴곡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

시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05).

척추신전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

시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p<.05).

Page 9: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23 -

<표 3-2> 측정시기에 따른 각 변수들의 변화

변수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통증척도 집단 간 효과검정

집단 746.727 1 746.727 408.657 .000

오차 18.273 10 1.827

집단 내 효과검정

시기 177.545 2 88.773 142.555 .000

시기×집단 10.091 2 5.045 8.976 .002

오차 11.242 20 .562

양손머리위로올리기

집단 간 효과검정

집단 2832797.004 12832797.00

411085.657 .000

오차 2555.371 10 255.537

집단 내 효과검정

시기 38.576 2 19288 38.870 .000

시기×집단 27.030 2 13.515 46.580 .000

오차 5.803 20 .290

흉곽확장 집단 간 효과검정

집단 1327.515 1 1327.515 620.290 .000

오차 21.402 10 2.140

이러한 결과는 통증, 양손머리위로 올리기, 흉곽확장, 척추의 굴곡과 신전에 대하

여 흉추 가동술과 윌리암 운동군의 치료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표 3-2>.

Page 10: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24 -

집단 내 효과검정

시기 10.553 2 5.277 32.171 .000

시기×집단 7.871 2 3.936 25.157 .000

오차 3.129 20 .156

척추굴곡 집단 간 효과검정

집단 403574.6 1 403574.6 1050.354 .000

오차 3842.273 10 384.227

집단 내 효과검정

시기 1461.939 2 730.970 20.657 .000

시기×집단 598.909 2 299.455 12.597 .000

오차 475.424 20 23.771

척추신전 집단 간 효과검정

집단 22960.015 1 22960.015 1560.298 .000

오차 147.152 10 14.715

집단 내 효과검정

시기 107.758 2 53.879 43.847 .000

시기×집단 33.818 2 16.909 15.020 .000

오차 22.515 20 1.126

Page 11: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25 -

3. 운동방법에 대한 각 변수들의 변화통증지수는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변화량은 흉추 가동

술군에서 -4.91점, 윌리암 운동군에서 -3점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감

소를 보였다.

양손머리위로 올리기는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변화량

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3.41cm, 윌리암 운동군에서 0.32cm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흉곽확장은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변화량은 흉추 가동

술군에서 1.81cm, 윌리암 운동군에서 0.14cm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척추굴곡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윌리암 운동군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18.72도의 유의

한 증가를 보였다.

척추신전은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변화량은 흉추 가동

술군에서 4.64도, 윌리암 운동군에서 1.4도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

를 보였다.

장애지수는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변화량은 흉추 가동

술군에서 -18.85점, 윌리암 운동군에서 -6.73점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증, 양손머리위로 올리기, 흉곽확장, 척추의 굴곡과 신전에 대하

여 흉추 가동술과 윌리암 운동군의 치료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표 3-3>.

Page 12: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26 -

<표 3-3> 운동방법에 대한 각 변수들의 변화 (N=22)

변수 측정기간 흉추가동술(n=11) 윌리암운동(n=11)

통증지수(점수) 0 5.55±1.04 5.55±0.823주 2.55±1.51 3.36±1.126주 0.64±0.50 2.55±0.82F 134.737 273.724p .000 .000

양손머리위로 올리기(cm)

0 207.27±7.27 205.32±10.36

3주 208.59±7.07 205.55±10.486주 210.68±7.32 205.64±10.39F 9300.894 4286.895p .000 .000

흉곽확장(cm) 0 4.05±1.17 3.91±1.203주 5.09±0.89 3.95±1.176주 5.86±1.03 4.05±1.25F 315.287 119.631p .000 .000

척추굴곡(각도) 0 70.18±4.29 73.72±3.79 3주 81.63±3.99 77.00±4.54 6주 88.90±3.85 77.72±3.89 F 40.601 2.266 p .000 .130

척추신전(각도) 0 18.36±0.62 16.45±0.413주 19.36±0.82 16.90±0.41 6주 23.00±0.88 17.85±0.46 F 31.920 17.50 p .000 .000

장애지수(점수) 0 37.88±5.10 35.34±4.996주 19.02±2.36 28.60±2.40

전후차 18.85±5.89 6.73±3.79t 10.609 5.879p .000 .000

Page 13: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27 -

Ⅳ. 고 찰 만성요통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임상에서 주로 시행

되고 있는 윌리암 운동과 흉추 가동술을 만성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흉추 가동술이

만성요통 환자의 통증과 척추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통증척도,

장애지수, 흉추운동성 평가, 척추 운동성 등을 평가하여 알아보았다.

시각적 통증 척도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사이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

였고,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시

기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증지수의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4.91점, 윌리암 운동군에서 -3점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Hoeksma 등(2005)은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비교한 연구에서

도수치료가 저항운동에 비해 통증, 관절가동범위에서 더 많은 개선을 보고하였고,

Falconer 등(1992)에 의하면 관절가동성과 신장, 근력 강화운동을 포함하는 4

주 에서 6주 동안의 도수치료가 통증에서 33%의 개선을 보였다고 하였다.

Deyle 등(2000)은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시행하여 경직, 통증에서 대상자의

52%에서 개선을 보고하였고, 근력강화운동과 병행된 도수치료에서 통증의 11%

감소하였다는 보고(Falconer, Hayes와 Chang, 1992), 그리고 저항운동과 병행된

도수치료에서 통증이 감소하였다는 연구(Deyle 등, 2000)도 보고되었다. 선행연

구에서 보듯이 통증에 대한 효과가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으며 변화량의 차이는 대

상자, 처치방법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다른 연구를 살펴보면

퇴행성 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는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이 함

께 수행되면 근력, 통증, 기능이 저항운동만 한 군보다 더 크게 개선된다고 하였

고(Bang & Deyle, 2000; Deyle 등, 2000), Bang과 Deyle(2000)는 견관절

충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의 병행과 저항운동을 비교한 결

과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함께 한 군에서 더 많은 근력의 증진을 볼 수 있었다고

하였으며 그 이유는 도수치료를 통해 통증의 감소와 운동성이 회복되었기 때문이라

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도수치료가 통증에 대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손머리위로 올리기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

고,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시기

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손머리위로 올리기의 변화량

Page 14: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28 -

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3.41cm, 윌리암 운동군에서 0.32cm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요통군이 비요통군보다 흉추의 움직임이

적었다고 보고한 결과(Norkin과 Levangie, 1992) 그리고 VDT 작업자와 만성요

통환자에게 흉추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흉부 운동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양영애, 2003; 허진강, 2005)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은 일반적인 운동

보다 도수치료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보고(Hoeksma 등,

2005)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결합조직의 운동성 또는 길이가

변화되면 관절의 운동성에 제한이 오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한 결합조직

다발사이의 연결을 끊어서 결합조직의 운동성을 변화시켜야 하며, 결합조직 내

부의 간질액의 회복으로 운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Bogduk와 Engle, 1984).

흉곽확장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시

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시기에 따라 효

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흉곽확장의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1.81cm, 윌리암 운동군에서 0.14cm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를 보

였다. Hsu, Ho, Ho, Hedman(2000)은 사체 연구에서 하방으로 적용된 관절가

동운동은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킨다고 하였고, Falconer 등(1992)에 의하면

관절가동성과 신장, 근력 강화운동을 포함하는 4주에서 6주 동안의 도수치료가

가동성에서 11%의 개선을 보였다고 하였다. Hoeksma 등(2005)의 퇴행성 고관

절염 환자에 대한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비교한 연구에서 도수치료가 저항운동에

비해 통증, 관절가동범위에서 더 많은 개선을 보고하였다. 또한 Hsu 등(2002)은

도수치료 중 전방병진운동과 후방병진운동을 견관절에 적용하여 견관절 외전각도

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선행연구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흉추 가동술을 시행한 군에

서 윌리암 운동군 보다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이유는 인대의 신장에 의

해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다는 연구(Debski 등, 1999),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관절낭과 관절 주변의 연부조직에 대한 운동을 증가시켜 관절 내 압력의 감소와 관

절가동범위의 증가시킨다는 연구(Hoeksma 등, 2004), 결합조직의 운동성 또는

길이가 변화되면 관절의 운동성에 제한이 오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한

결합조직 다발사이의 연결을 끊어서 결합조직의 운동성을 변화시켜야 하며, 결

합조직 내부의 간질액의 회복으로 운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Bogduk와

Engle, 1984)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흉추 가동술로 인

한 움직임의 개선이 흉곽의 확장에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Page 15: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29 -

척추굴곡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시

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시기에 따라 효

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척추 굴곡의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만 18.72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관절 가동술이 면관절의 미끄

러짐을 회복시키고, 관절낭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연구(Harris와 Lundgren,

1991)와 인체의 관절과 관절이 서로 연계되어 있어 한 관절의 운동은 연접한 관절

의 운동을 일으킨다는 보고(Norkin과 Levangie, 1992)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

리고 관절의 가동성이 제한되어 활주가 나타나지 않으면 관절의 기능부전이 발생하

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부전은 관절 가동술을 통해 관절면의 미끄러짐을 개선하여

가동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연구(Kaltenborn과 Evjenth, 1989)를 통해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척추신전에서 집단 간 효과검정은 흉추 가동술군과 윌리암 운동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은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시

기와 집단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서 각 집단별로 측정시기에 따라 효

과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척추신전의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서

4.64도, 윌리암 운동군에서 1.4도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선 자세에서 중력선이 흉추 앞으로 지나가고 생리학적인 부하작용에 의해 흉추

후만이 증가되며 이러한 힘에 대항하여 흉추의 인대와 신전근이 과긴장

(hypertone)된다(Macintosh와 Bogduk, 1991). 이러한 경우 자세 교정은 요추

와 경추 그리고 어깨대(shoulder girdle)의 보상적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Edmondston와 Singer 1997). 특히 흉추 운동성 감소로 인한 유연성

(flexibility) 상실은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흉추유연성이 떨어진 사람은 효과적인

운동이 제한되어 더 많은 에너지 소비가 필요하며, 심지어 단순한일을 수행하는

데도 비정상적인 근육이 대상작용을 한다(Flynn, 1996). 젊은 사람에 있어서

증가된 후만은 구조적 변화와 관절의 운동성 감소보다는 습관적인 나쁜 자세가

원인이 된다고 하며, 나이 증가로 인한 흉추 후만 증가(Fon 등, 1980; Singer

와 Glip, 1990)와 관련된 해부학적 변화와 운동성 감소는 현저하게 흉추신전을

제한한다. 이러한 제한이 흉추의 움직임이 개선되어 가동범위가 증가해서 본 연

구에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통증의 감소와 증가된 가

동범위가 척추의 움직임의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장애지수는 각 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변화량은 흉추 가동술군에

서 -18.85점, 윌리암 운동군에서 -6.73점으로 흉추 가동술군에서 더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 Deyle 등(2000)은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병행하여 걷는 거리, 장애지

Page 16: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30 -

수를 비교하여 8주후에 거리와 장애지수의 개선을 보고하였으며, Deyle 등(2005)

은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병행하여 저항운동과 비교한 연구에서 6분 동안 보행 거

리, 장애지수를 비교한 결과 도수치료와 저항운동을 병행한 군에서 더 높은 개선을

보고하였다. Hoeksma 등(2005)의 퇴행성 고관절염 환자에 대한 도수치료와 저항

운동을 비교한 연구에서 도수치료가 저항운동에 비해 고관절 기능(harris hip

score), 통증, 관절가동범위에서 더 많은 개선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도수치

료를 통해 통증과 가동범위의 획득이 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관

절가동범위의 제한이 많으면 장애지수가 높아진다는 연구(Dunlop 등, 1998)를

통해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통증에서의 효과와 흉곽확장, 가동범위의 개선

에 대한 효과가 흉추 가동술군에서 윌리암 운동군과 비교하여 더 많은 감소를

보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만성 요통으로 인한 신체적 장애는 일상생활에 대한 반

응과 관심에 기초한 자기 기입식 설문지인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를 사용하여 평가

할 수 있다는 연구(Fairbank과 Pynsent, 2000)와 만성 요통환자에게 흉추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 한 결과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연구

(허진강, 2005)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박광묵(2008)의 연구에서 흉추 가동

술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기능개선을 통한 가동성의 확보와 통증의 감소 때문이라고 한 연

구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흉추의 움직임 증가가 요통의 기능개

선에 영향을 주어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요통은 근 골격계의 역학적 요인 때문에 발생되며 치료는 역학적 장

애를 교정하는 방향으로 수행 되어야 한다. 흉추의 운동성 감소는 다른 주위관

절의 과도한 부하주어 요추와 경추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통증이 발생하며,

이러한 불안정성은 흉추의 움직임 증가를 통해 요추와 경추의 안정성을 향상시

킬 수 있다(박광묵, 2008). 이러한 역학적 장애를 교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

지는 관절 가동술은 통증, 움직임의 제한, 비정상적인 자세를 치료하는 기술이다

(Fabio, 1992).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인 흉추 면관절 견인(traction of

thoracic facet joint)을 만성 요통환자에게 적용해 본 결과, 흉부 운동성 증가

는 통증의 감소와 척주의 운동성을 개선하는데 있어 윌리암 운동군 보다 더 좋

은 효과를 보여 만성 요통을 치료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본 연구에서는 만성 요통환자에게 흉추 가동술과 윌리암 운동을 적용하여 통

Page 17: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31 -

증의 감소와 척추의 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흉

추 가동술군에서는 윌리암 운동군보다 통증의 감소,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의 개

선, 척추의 굴곡, 신전등의 변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요통환자에게

흉추 가동술을 통해 흉추의 움직임을 증가시킨다면 통증의 감소와 척추 운동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김선엽, 백인협 (2003).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 척추 분절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1), 63-76.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 (2004). 정형도수치료진단학. 개정 4판. 서울: 현문사.

민경옥 (1997). 요통. 서울: 현문사.

박광묵 (2008).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이 요통과 요추전만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이문영 (2000). 체간굴신운동시 요부신전근의 활동양상 및 피로에 관한 근전도

학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허진강 (2005). 만성요통근로자의 능동적 운동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양영애 (2004). VDT 작업자의 흉추운동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Anderson, R., Meeker, W. C., Wirick, B. E., Mootz, R. D., Kirk, D. H., &

Adams, A. (1992). A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of spinal

manipulation.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15(3), 181-194.

Bang, M. D., & Deyle, G. D. (2000). Comparison of supervised exercise

with and without manual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0(3), 126-137.

Bogduk, N., & Engel, R. (1984). The menisci of the lumbar zygapophyseal

joints. A review of their anatomy and clinical significance. Spine,

9(5), 454-460.

Carpenter, D. M., & Nelson, B. W. (1999). Low back strengthening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Medicine & Science

Page 18: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32 -

in Sports & Exercise, 31(1), 18-24.

Cleland, J. A., Childs, J. D., McRae, M., Palmer, J. A., & Stowell, T.

(2005). Immediate effects of thoracic manipulation in pa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anual Therapy, 10,

127-135.

Cleland, J. A., Glynn, P., Whitman, J. M., Eberhart, S. L., MacDonald, C.,

& Childs, J. D. (2007). Short-term effects of thrust versus

nonthrust mobilization/manipulation directed at the thoracic spine

in pa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hysical

therapy, 87(4), 431-440.

Debski, R. E., Sakone, M., Woo, S. L., Wong, E. K., Fu, F. H., &

Warner, J. J. (1999). Contribution of the passive properties of the

rotator cuff to glenohumeral stability during anterior-posterior

loading.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8(4), 324-329.

Deyle, G. D., Henderson, N. E., Matekel, R. L., Ryder, M. G., & Garber,

M. B., & Allison, S. C. (2000). Effectiveness of manual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3), 173-181.

Deyle, G. D., Allison, S. C., Matekel, R. L., Ryder, M. G., Stang, J. M.,

Gohdes, D. D., Hutton, J. P., Henderson, N. E., & Garber, M. B.

(2005). Physical therapy treatment effectiveness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omparison of supervised clinical

exercise and manual therapy procedures versus a home exercise

program. Physical therapy, 85(12), 1301-1317.

Donovan, J. S., Kerber, C. W., Donovan, W. H., & Marshall, L. F. (2007).

Development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concurrent

with grade IV mobiliza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a

case repor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11), 1472-1473.

Dunlop, D. D., Hughes, S. L., Edelman, P., Singer, R. M., & Chang, R. W.

(1998). Impact of joint impairment on disability-specific domains at

four year.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1, 1253-1261.

Edmondston, S. J., & Singer, K. P. (1997). Thoracic spine: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manual therapy. Manual Therapy,

Page 19: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33 -

2(3), 132-143.

Fabio, R. D. (1992). Efficacy of Manual Therapy. Phys Ther, 72(12),

853-864.

Fairbank, J. C., & Pynsent, P. B. (2000).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5(22), 2940-2952.

Fairbank, J. C., Couper, J., Davies, J. B., & O’Brien, J. P. (1980).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66(8), 271-273.

Falconer, J., Hayes, K. W., & Chang, R. W. (1992). Effect of ultrasound on

mobility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thritis Care & Research, 5, 29-35.

Fernandez-de-las-Penas, C., Fernandez-Carnero, J., Fernandez, A. P.,

Lomas-Vega, R., & Miangolarra-Page J. C. (2004). Dorsal

manipulation in whiplash injury treat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Whiplash and Related Disorders, 3, 55–72.

Flynn, T. W. (1996). The Thoracic Spine and Ribcage -Musculoskeletal

Evaluation & Treatment. Editor, 14 contributing authors. Newton,

MA: Butterworth-Hienemann.

Fon, G. T., Pitt, M. J., & Thies, A. C. Jr. (1980). Thoracic kyphosis: range

in normal subjects.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34(5),

979-983.

Foster, D. N., & Fulton, M. N. (1991). Back pain and the exercise

prescription.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0(1), 197-209.

Frymoyer, J. W., & Cats-Baril, W. L. (1991). An overview of the

incidences and causes of low back pain. Orthop Clin North Am. 22,

263-271.

Frymoyer, J. W. (1992). Predicting disability from low back pain.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79, 101-109.

Graves, J. E., Pollock, M. L., Carpenter, D. M., Leggett, S. H., Jones,

A., MacMillan, M., & Fulton, M. (1990). Quantitative assessment

of full range-of-motion isometric lumbar extension strength.

Spine, 15(4), 289-294.

Harris, S. R., & Lundgren, B. D. (1991). Joint mobilization for children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indications and precautions.

Page 20: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34 -

Physical therapy, 71(12), 890-896.

Hoeksma, H. L., Dekker, J., Ronday, H. K., Heering, A., van der Lubbe,

N., Vel C., et al. (2004). Comparison of manual therapy and

exercise therapy in osteoarthritis of the hip: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thritis & Rheumatism, 51(5), 722-729.

Hoeksma, H. L., Dekker, J., Ronday, H. K., Breedveld, F. C., & Van den

Ende, C. H. (2005). Manual therapy in osteoathritis of the hip:

outcome in subgroup of patients. Rhumatology, 44, 461-464.

Hsu, A. T., Hedman, T., Chang, J. H., Vo, C., Ho, L., Ho, S., & Chang,

G. L. (2002). Changes in abduction and rotation range of motion in

response to simulated dorsal and ventral translational mobilization

of the glenohumeral joint. Physical therapy, 82(6), 544-556.

Hsu, A. T., Ho, S., Ho, L., & Hedman, T. (2000). Immediate response

of glenohumeral abduction range of motion to a caudally directed

translational mobilization: a fresh cadaver simul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 1511-1516.

Jensen, M. C., Brant-Zawadzki, M. N., Obuchowski, N., Modic, M. T.,

Malkasian, D., & Ross, J. S. (1994).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umbar spine in people without back pai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1(2), 69-73.

Kalternborn, F. M. (1993). The Spinal Basic: evaluation and mobilization

techniques. 3nd ed. Minnesota: OPTP.

Kaltenborn, F. M., & Evjenth, O. (1989). Manual Mobilization of the

Extrimity Joints: Basic Examination and Treatment Techniques.

4th ed. Oslo, Norway : Olaf Norlis Bokhandel Universitatsgaten.

Kelsey, J. L., & White, A. A. III. (1980). Epidemiology and impact of

low back pain. Spine. 5, 13-142.

Kisner, C., & Colby, L. A. (2002). Theraputic Exercise: Fundations and

technigues. 4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Krauss, J. R., Evjenth, O., & Creighton, D. (2006). Translation Spinal

Manipulation for Physical Therapists. Minneapolis, MN: Lakevew

Media LLC.

Loeser, J. D., & Melzack, R. (1999). Pain: an overview. Lancet. 353,

1607-1609.

Page 21: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35 -

Lund, T., Nydegger, T., Schlenzka, D., & Oxland, T. R. (2002).

Three-dimensional motion patterns during active bend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Spine, 27(17), 1865-1874.

Macintosh, J. E., & Bogduk, N. (1991). The attachments of the lumbar

erector spinae. Spine, 16(7), 783-792.

Manniche, C., Asmussen, K., Lauritsen, B., Vinterberg, H., Karbo, H.,

Abildstrup, S., Fischer-Nielsen, K., Krebs, R., & Ibsen, K. (1993).

Intensive dynamic back exercises with or without hyperextension

in chronic back pain after surgery for lumbar disc protrusion. A

clinical trial. Spine, 18(5), 560-567.

Mannion, A. F., Knecht, K., Balaban, G., Dvorak, J., & Grob, D. (2004).

A new skin-surface device for measuring the curvature and

global and segmental ranges of motion of the spine: reliability of

measurements and comparison with data reviewed from the

literature. European Spine Journal, 13(2), 122-136.

Mennell, J. M. (1990). The validation of the diagnosis“joint dysfunction”in

the synovial joints of the cervical spin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13(1), 7-12.

Merksey. H., & Bogduk, N. (1994).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Descriptions of Chronic Pain Syndromes and Definitions of Pain

Terms. Seattle, Wash: IASP Press.

Nachemson, A. L. (1992). Newest knowledge of low back pain: a critical

look.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79, 8-20.

Norkin, C. C., & Levangie, P. K. (1992). Joint Structure &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Co.

Panjabi, M. M. (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ournal of Spinal

Disorders & Techniques, 5(4), 383-389.

Panjabi, M. M., Lydon, C., Vasavada, A., Grob, D., Crisco, J. J., & Dvorak,

J. (1994). On the understanding of clinical instability. Spine, 19(23),

2642-2650.

Post, R. B., & Leferink, V. J. (2004). Spinal mobility: sagittal range of

motion measured with the SpinalMouse, a new non-invasive

device.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 124(3),

Page 22: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8倦 第2號)

- 136 -

187-192.

Powers, C. M., Beneck, G. J., Kulig, K., Landel, R. F., & Fredericson,

M. (2008). Effects of a single session of posterior-to-anterior

spinal mobilization and press-up exercise on pain response and

lumbar spine extension in people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88(4), 485-493.

Reid, S., Haugh, L. D., Hazard, R. G., & Tripathi, M. (1997). Occupational

low back pain: recovery curv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isability.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 1-14.

Rizzi, B., Lodigiani, F., Terni, E., & Chiavenna, F. (1979). A double-blind,

proctoscopic and clinical comparison of flurbiprofen suppositories

and ibuprofen suppositories in osteoarthrosis. Panminerva Medica,

21(4), 173-180.

Singer, K. P., & Giles, L. G. (1990). Manual therapy considerations at the

thoracolumbar junction: an anatom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13(2),

83-88.

Stokes, I. A. F. (1997). Analysis of symmetry of vertebral body loading

consequent to lateral spinal curvature. Spine, 22(21), 2495-2503.

Stokes, I. A. F., Spence, H, Aronsson, D. D., & Kilmer, N. (1996).

Mechanical modulation of vertebral body growth implications for

scoliosis progression. Spine, 21, 1162-1167.

Threlkeld, A. J. (1992).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on connective

tissue. Physical Therapy, 72(12), 893-902.

Troup, J. D. G., Foreman, T. K., Baxter, C. E., & Brown, D. (1987).

The perception of back pain and the role of psychophysical tests

of lifting capacity. Spine. 12, 645-657.

Valkenburg, H. A., & Haanen, H. C. M. (1982). The epidemiology of

low back pain. In: White AA Jr, Gordon SL, eds. Symposium on

Idiopathic Low Back Pain. St Louis, Mo: Mosby.

Wheeler, A. H. (199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erican Family Physician, 52(5), 1333-1341.

Page 23: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6-%B0%ED%C5%C2%BC%BA%20… · 시각적

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및 척추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 137 -

논문접수 : 2009. 3. 20 / 수정본 접수 : 2009. 6. 11 / 게재 승인 : 2009. 6. 18

<Abstract>

The Effects of Thoracic Mobilization on Pain, Disability Index

and Spinal Mo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Ko, Tae Sung ㆍ Jung, Ho Bal ㆍ Kim, Jeong Ah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changes in low back pain and

spine function when thoracic mobilization and William’s exercise was

applied to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he subjects(n=22) were

selected from chronic low back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K

hospit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to two groups: 11 subjects for

thoracic mobilization group, 11 subjects for william’s exercise group.

Treatment was provided for 6weeks. The subjects were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e Scale(VAS), Oswestry disability scale, spinal mobility.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Window (version 12.0) to

ensures the data collection. Repeated ANOVA analytic method and

paired-t test was us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reatment(p<.05).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thoracic mobilization group

compared to the William’s exercise group demonstrated decreased low

back pain, decreased Oswestry disability scale, increased spinal

mobility. The study proved that the thoracic mobilization group

compared to the william’s exercise group demonstrated decreased low

back pain and improved spine function. Therefore, Improving thoracic

spine mobility may be effective in decreasing low back pain and

improving lumbar func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Key Words : chronic low back pain, thoracic mobilization, williams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