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44
T T A Technical Report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제정일: 2008년 11월 18일 TTAR-06.0042 RFID를 활용한 공군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 (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for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Upload: others

Post on 31-Dec-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 T

A T

echnic

al R

eport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제정일: 2008년 11월 18일

TTAR-06.0042

RFID를 활용한 공군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for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Page 2: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제정일 : 2008년 11월 18일

TTAR-06.0042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

(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for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본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TTA에 있으며, 이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업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s(2008). All Rights Reserved.

Page 3: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i

서 문

1. 표준의 목적

본 ARP의 목적은 RFID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공군 군수물자 관리를 위한 공군

RIFD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의 신규 구축에 관한 것으로, BMT(Bench Making Test)를 통해

RFID 기술 기반의 군수물자 관리를 위한 세부 사항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한 본 ARP는 향후 진행되는 군수물자 관리 사업에 적용할 경우, 국방 RFID 태그 표준

준수에 대한 참조 자료로서 역할이 본 ARP의 목적이다.

2. 주요 내용 요약

본 ARP는 기존 수작업 위주의 물자관리 시스템에 RFID 기술을 활용한 Web 기반의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을 신규 개발한 내용으로 군수 업무 8개 기능(수령, 불출, 저장, 수

송, 재물조사, 장비, 정비, 현황관리)과 시스템 2개 기능(태그, 시스템 관리)으로 구성된다.

장비 관리 중 태그 종류별에 따른 인식률을 파악하고 응용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실험을

수행한 내용과 그 결과 및 제안사항, 그리고 결론을 포함한다. 또한 응용 요구사항 도출 시

수행된 모의실험 및 세부적인 실증실험의 내용, 그리고 연구 수행을 통한 의견을 제시한다.

3.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공군의 군수물자에 대하여 RFID 기술을 적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함

으로써 공군의 작전 수행을 원활하게 지원하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계획 및 집행할 수 있도

록 하며, 향후 육․해군의 군수물자 관리업무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

여, 민간 RFID 시장 수요 창출을 유도하고 군내 u-군수 체계 기반을 확립하고 국방부 중

심의 RFID 태그 표준을 정립하여 향후 추진하는 국방 군수 관련 물자에 부착되는 태그의 표

준을 사용함으로써 상호 운용성 증대 등 RFID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이다.

4. 참조 표준(권고)

4.1 국외표준(권고)

MIL-STD129-P, 미 국방부 납품업체 가이드라인

4.2 국내표준

- 국방 RFID 태그 코드 표준 : EPC <SGTIN-96K>, 국방 CBD 개발 방법론

Page 4: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TAR-06.0042ii

5. 참조표준(권고)과의 비교

5.1 참조표준(권고)과의 관련성

해당사항 없음

5.2 참조한 표준(권고)과 본 표준의 비교표

해당사항 없음

6. 지적재산권 관련사항

- 본 표준의 '지적재산권 확약서' 제출 현황은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적합인증 관련사항

해당사항 없음

7.1 적합인증 대상 여부

해당사항 없음

7.2 시험표준제정여부(해당 시험표준번호)

해당사항 없음

8. 표준의 이력

판수 제/개정일 제․개정내역

제1판 2008.11. 제정

Page 5: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TAR-06.0042iii

Preface

1. The Purpose of Standard

This standard defines an 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about a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2. The summary of contents

This standard arranges application requirements for applying RFID technology

to Korea Air Force's Assets Management System in the web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manual manage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RF-ASIS consists of 8 logistics service functions (receipt management, export

management, storage management, proper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and status management) and 2 system

functions (tag management and system management). This standard presents

the detailed contents about the simulation test, the field experiment, and

opinions from the study.

3. Applicable fields of industry and its effect

RF-ASIS for logistics assets management will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Korea Air Force by enabling efficient planning and execution of budget. The

system can also be widely used in the army and navy, further to the

non-governmental sector and industry markets. This standard provides the

guideline for using Military defense tag codes. It presents principal

considerations and relevant solutions, thus hoping to facilitate the related

industry an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utilizing RFID technology.

4.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4.1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 MIL-STD129-P, Guide to MIL-STD 129P

4.2 Domestic Standards

- Standards for Military Defense RFID TAG : EPC <SGTIN-96K>

- Defense CBD Methodology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Korea

5. Relationship to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Page 6: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TAR-06.0042iv

5.1 The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 N/A

5.2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recommendation) and this standard

- N/A

6. The Stat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related to the present document may have been declared to TTA.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IPRs, if any, is available on the TTA Website.

7. The Statement of Conformance Testing and Certification

- N/A

8. The History of Standard

Edition Issued date Contents

The 1st edition 2008.11. Established

Page 7: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TAR-06.0042v

목 차

1. 개 요 ···········································································································································1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1

3. 용어 정의 ···································································································································1

4. 응용 서비스 요구사항 ·············································································································2

5. 결론 ·············································································································································9

부속서 A. 사업 정보 ···················································································································11

부속서 B. 연구 수행을 통한 의견 ···························································································20

부속서 C. 실증 실험 ··················································································································21

Page 8: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TTAR-06.0042vi

Contents

1. Introduction ·······························································································································1

2. Constitution and Scope ········································································································1

3. Terms and Definitions ···········································································································1

4. Application Service Requirements ···················································································2

5. Conclusion ································································································································9

Annex A. Project Information ·································································································11

Annex B. Opinions from the Study ······················································································20

Annex C. Field Experiment ·····································································································21

Page 9: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 -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

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for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1. 개요

본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ARP)은 국방 분야의 군수물자를 대상으로 RFID 기술을 이

용하여 효율적으로 군수물자를 관리하기 위한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구축에 관

한 것으로서, 본 ARP는 국방 RFID 태그 코드 표준을 준수하여 개발된 공군 RFID 군수

물자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타군(육군, 해군, 해병대)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실증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여 RFID 기술 기반의 군수물자 관리를 위한 세부 사항을

기술한다.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o ARP 구성

국방부 및 각 군에서 물자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구사항, 환경적 요구사항, 기

술적 요구사항과 관련 실증실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o ARP 적용 범위

국방부 및 각 군에서 물자관리 및 기타 민간에서 유사한 자산관리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3. 용어정의

o 보급창 : 보급품의 수령, 저장 중 정비, 발송, 검사 분류, 정비수리 및 조달과 기타

특별 기능을 수행하는 분배 계통의 기본적인 저장 분배소

o 불출(拂出) : 필요한 용도에 맞게 정해진 규약에 따라 물건 또는 군수품을 주거나 받는

행위

o 수불 : 수령과 불출의 줄임말

o ASIS2000(Airforce Supply Information System 2000, 공군 보급 정보체계) : 현 공군에

서 운용중인 체계로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

o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o CPL(Consolidated Packing List, 통합포장목록) : 물자의 포장된 상태 명세서로서 포

장단위, 총중량, 실중량, 용적 등이 상세히 기술된 서류

o DELIIS/F(DEfense Logistics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irForce, 공군 장비정

Page 10: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 -

비 정보체계) : 현재 공군에서 ‘09년 1월 전력화 목표로 개발중인 웹기반의 시스템으

로 향후 개발 완료시, 공군보급정보체계를 대체할 시스템

o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방식)

o RF-ASIS(RFid-Airforce Supply Information System,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

공군 보급 정보체계(ASIS2000)와 연동되어 운영토록 RFID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

4. 응용 서비스 요구사항

4.1. 모델

4.1.1. 서비스 요구사항

가. 적용 산업에서 필요한 서비스 요소

1) 국방 또는 물류 관련 유사 사업시 업무 담당자에 의한 실시간 수령/저장/불출 관

리에 따른 업무 효율성 향상 여부

2) 업무 담당자에 의한 군수 물자 재고 관리의 용이성

나. 적용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요소

1) 창고 담당자의 업무처리

가) 수령, 저장, 불출, 수송, 재물조사, 장비, 정비관리 업무

2) 작업 담당자의 업무프로세스 지원

가) 현장중심의 군수업무 자동화

나) 군수품의 도입부터 소모처리까지(물류흐름) 이력관리

다) 저장 및 이동 중인 군수품의 현장식별

4.1.2. 환경적 요구사항

가. 적용 산업에서 필요한 환경적 요소

1)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적용 군수 물자나 지역 확대시에도 서비스 모델의

변경이나 추가적인 비용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사업 확대 및 확장이 가능해

야 한다.

나. 적용 현장에서 필요한 환경적 요소

1) 태그 부착 위치에 따른 인식률(5cm~80cm 이내 요구사항 적합 여부)

가) 비닐 포장, 플라스틱, 종일박스, 금속형 부착시 각각의 태그 부착 위치 변경

후 실험

나) 태그 위치를 상단 좌측, 정중앙, 하단 우측으로 위치 변경하여 실험

Page 11: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 -

2) 태그 부착 재질에 따른 인식률(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금속형 부착시 적합

여부)

다. 적용 장비의 현장 환경요소

1) 태그 종류(라벨형, 메탈형, 카드 타입)에 따른 인식률(5cm~80cm 이내 요구사항

적합 여부)

2) 기타 외부 환경의 영향 : 무선랜 AP 설치 시 음영지역 고려 설치

4.1.3. 기술적 요구사항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업무 절차는 3군이 공통으로 해당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유사 사업 진행 시, 공통 모듈은 국

방 CBD 개발 방법론에 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각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와

서로간의 관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본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은 군수물자관리 업무 처리를 제공

하는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운영서버와 데이터 저장 및 백업을 위한 DB 서버,

Page 12: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4 -

보안 서버 및 RFID 미들웨어 서버가 있다. 각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나.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도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네트워크 구성은 국

방망, LAN 및 무선랜 AP 등으로 구성된다. 세부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다.

Page 13: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5 -

[그림 3] 하드웨어 장비 구성도

[그림 4] 네트워크 구성도

다. 장비 규격 및 적용

본 서비스 모델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장비들은 고정형 리더(안테나 포함), 휴대형

리더, 태그, 태그 발행기 등이 있다. 각 장비의 역할 및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Page 14: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6 -

장비 요구사항

고정형 리더기

900MHz 대역

최소 3미터 이상 인식 가능(태그에 따라 다름)

4채널 안테나 지원

주파수변조방식 FHSS

초당 40장까지 RFID Tag 정보 인식

EPCglobal Class1 Gen2 지원

Anti-collision 기술을 통한 인접한 Tag의 정보 중첩 방지

고정형 안테나

900MHz 대역

최대출력 : 4W

안테나 모양 : Two Circuit polarized patch array

3dB Beam width : 60°

휴대형RFID

리더기

900MHz 대역

인식거리 : 3미터 이내(인식거리 조절가능)

RF Power : 0.5w~1w(30 dBm) * 파워 조절 가능

인식각도 : 좌우 45도 이상

인식속도 : 50태그 이상/Sec(태그에 따라 다름)

Air Interface Protocol : EPCglobal Class1 Gen2

Windows CE.NET * Window CE 4.2)

메모리 : 64Mb Nand Flash Rom(256Mb Expandable)

- 고정형 리더/안테나 : 군수물자관리를 위해 창고 출입구에 고정형 리더를 설치하여 게

이트를 통과하는 물자 인식 후 불입/불출 여부 확인

- 휴대형 리더 : 군수물자의 수령에서 소모처리까지 생명주기 관리를 위해 담당자가

리더기를 휴대하여 물자를 인식

- 태그 : 재고번호, 저장위치, 부분품 번호 태그ID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군수물자에

부착 (R/W 태그인 경우 증빙서번호, 포장일자, 물품번호, 태그ID 정보 저장)

- 태그발행기: 태그ID, 저장위치, 재고번호를 인코딩하고, 겉면에 관련정보를 인쇄한 후

발행

- 휴대형 리더를 이용한 재물조사 시 사용자가 리더를 휴대한 상태에서 보통 걸음의 이

동 속도(약 0.7m/s)로 이동 시 물자 태그에 대한 95% 이상의 인식률을 보장해야 함

- 다양한 종류의 물자에 부착된 다수의 태그를 이동하면서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물자의 정보를 실물과 대조할 수 있도록 정보를 인식하여야 함

Page 15: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7 -

RFID 일반형태그

900MHz 대역 수동형 태그

Protocol : EPCglobal Class1 Gen2

동작온도 : -20℃ ~ +50℃

동작습도 : 95% 이내에서 사용 가능

Lock, Kill 기능 제공

메모리 : 96bit

이상

구분 태그 사양 태그 모양

라벨형

태그

주파수 910~914MHz 대역

크기(mm) 93 X 50 X 7

동작거리 2m 이상

용도 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부착

메탈형

태그

표면 재질 메탈 재질

크기(mm) 115 X 25 X 2.3

동작거리 50Cm 이상

용도 금속물질 부착용

리라이터블

태그

주파수 910~914MHz

메모리 96bit 이상

프로토콜 EPCglobal Class1 Gen2

리라이트

횟수최소 300번 이상

태그 발행기

인쇄방식 : 열전사/감열 방식

속도 : 10IPS(254mm/sec) 이상

해상도 : 300DPI

프로토콜 : EPCglobal Class1 Gen2

인쇄폭 : 4.1inch(104mm)

[표 1] 장비 규격 및 요구사항

Page 16: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8 -

4.2. 특징

4.2.1. 기존 모델과 비교

다음 표는 물자관리 주요업무인 수령(인수, 입고), 재물조사 등에 대해 기존 방식과

RFID를 활용한 본 서비스 모델과 비교한 것이다. 본 서비스 모델은 기존 서비스 모델에

비하여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 감소 및 작업 소요 시간 등의 측면에서 개선될 수 있다.

업무 기존 모델 응용 서비스 모델 개선효과

수기식 업무

자동화

- CPL과 현물 대조 후

인수 수령 예정

품목철 미수록 품목

입력, 수령 완결

입력

- 휴대형 리더기의 수령 예정

품목철과 현물 대조 후

인수 수령완결 입력 자동

처리

- 품목식별 용이

- 보급창 수령반과

저장반이 입고

증빙서에 의해 서명

후 인수인계

- 보급창 수령반과 저장반이

현물 인수인계시 고정형

리더기에 의해 자동 처리

- 수동 입력

불필요

입고

증빙서 관리

- 입고증빙서에 의거

입고 처리

- 휴대형리더기에 의해

현장에서 저장위치 및 저장

품목 식별에 의한 입고로

착오입고 사전 방지

- 입고증빙서

불필요

현황 파악

용이

- 보급창 인수 후

입고까지 단계별

현황 파악 애로

- 보급창의 인수,

검수태그발행, 검수/검사,

하자등록, 창고인계 각

단계별 현황정보 제공

- 각 단계별 현황

정보를 Web을

통해 확인

[표 2] 기존 모델과 비교

Page 17: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9 -

4.2.2. 실증 실험을 통한 제안

ㅇ AP 음영지역 및 네트워크 단절(Off-line)시 처리에 대한 제안

군수물자의 반출입시 휴대형 리더기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는 주변 환경적인

요인 큰 것으로 철제 캐비닛이 많은 창고나 사무실의 경우, 전파의 간섭에 의하여

인식률이 떨어지고, 창고안 AP 설치 위치는 창고 천장에 설치되어 창고안 및 창고

밖에서도 인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AP 또는 네트워크 단절시 휴대형 리더기에 Flat File 형태로 자체 저장하

는 기능을 이용하여, AP 음영 지역을 벗어나 휴대형 리더기를 재 조작 또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정형 단말기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로

그 파일도 함께 고정형 단말기의 폴더에 백업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활용할 것을 제

안한다.

5. 결론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은 향후 단계적으로 소모부대(서)까지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공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자산은 항공기를 제외하고 7조여원, 32만

여 품목에 이르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가 요구된다.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자동 객체식별 기술인 RFID는 업무 프로세스 설계 및 동작 환경 구성에 따라서

물자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업무에 많은 편의를 제공 할 수 있는 기술로 보인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군수물자관리 업무가 RFID 기반의 자동화된 업무로 전환된다면

물자관리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군수물자 관리의 정확도 향상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과

예산 낭비 방지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ARP에서는 RFID 기술을 적용하여 국방 물자관리 업무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휴대형 리더기, 태그 발행기, RFID 태그로 구분하여 적합성 여부를 다루고

있다. 첫 번째 휴대형 리더기는 최대 인식거리, 좌우 인식각도, 배터리 수명시간을 다루

었고, 두 번째 태그 발행기는 인쇄 해상도, 속도, 폭을 다루었다. 세 번째 RFID 태그의

경우 태그 메모리 지원 여부, Lock, Kill 기능, 재질에 따른 부착 용이성 등을 중심으로

실증실험을 진행하였다.

휴대형 리더기, 태그발행기, RFID 태그에 관한 실증실험 결과, 휴대형 리더기는 최대

인식거리, 좌우 인식각도, 배터리 수명시간 등이 적합하였고, 태그 발행기의 경우 인쇄

해상도, 속도, 폭에서는 적합하였으나, 인쇄 에러율은 다소 미흡하였다. 이는 태그 자체

의 불량 또는 태그 발행기 인쇄 시 라벨 태그의 용지 걸림 현상으로, 태그 발행기 생산

Page 18: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0 -

업체에서 문제점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RFID 태그의 경우 태

그 메모리 지원 여부, Lock, Kill 기능, 재질에 따른 부착 용이성 등에서 적합하였으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ID의 보안 취약성을 위한 암호화 기능의 추가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고정형 리더기의 경우, 보급 창고 입구에 안테나 2개 그리고 개별 박스 단위 반출을 위

해 창고 안쪽에 안테나 2개를 한 개의 리더기와 연결되어 설치되었다. 이렇게 설치 할

경우,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서, 인식률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실험을 해보았다. 안

테나 개수와 위치에 대한 실험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 4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가장 인

식률이 높았고, 그 다음은 기둥 양쪽에 설치 한 경우, 그리고 가운데 안테나를 2개 설치

한 경우가 가장 낮게 나왔다. 4개 안테나를 동시에 쓸 경우 가장 인식률이 좋지만 기지

별 전파환경 및 건물의 특성, 주위의 전자파 영향, 전파간섭 등을 고려하여 안테나 배치

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ARP에서는 고정형 리더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현재 설치된 검수장 인근에서 창고반 입구로 이동하여 설치,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휴대형 리더기의 경우, 실제 인식률이 98% ~ 100%로 일부 미 인식 사례가 발생하였

고, 이는 최대 인식거리(3m이내)는 만족하나, 박스 적재 시 가운데를 비우거나 2열씩 적

재해 반출 및 반입을 하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ARP에서는 휴대형 리더기의 인식률 향상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AP 음영 지역 및 네

트워크 단절에 대비하여, 휴대형 리더기의 저장 매체를 통한 Flat File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 후 AP 음영 지역을 벗어나 휴대형 리더기를 재 조작 또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

여 고정형 단말기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끝으로, 향후 ARP에서 다루어야 할 부분은 휴대형 리더기에 대한 무선 주파수 구간 암

호화 및 유선 구간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보안 측정 관련 부분이라 판단된다.

Page 19: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1 -

부속서 A. 사업 정보

[사업 1]

A.1 사업 요약

A.1.1 사업명

2007년도 u-IT 선도사업(“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확산사업”)

A.1.2 사업기간

2007년 5월 28일 ~ 2007년 12월 14일

A.1.3 주관기관 및 이용기관

가. 주관기관

o 공군 군수사령부

나. 이용기관

o 군수사, 13개 비행단, 8개 보급/정비창, 1개 수송전대

A.1.4 사업자

o SKC&C컨소시엄(SKC&C, KT, SK텔레콤)

A.1.5 사업예산

o 2,093,000,000원

A.1.6 사업범위

가. H/W 장비 도입

Page 20: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2 -

구 분 RFP 제안서 최종 비고(업체, 모델명)

1. 휴대형 RFID 리더기 180 180 182 인트정보, INT-900H

2. RFID 메탈형 태그 3만장 3만장 3만장 알에프링크, 220X

3. RFID 일반형 태그 100만장 100만장 100만장 알에프링크, RF302BA

4. RFID 태그발행기 40 40 51 KIC시스템즈, SL4M

5. 리라이터블 태그 78,705개 78,705개 36,905개 유비에스, UB-UV04N

6. 리라이터블 프린터 3 3 4 CX-One,CP2 Clearjet

7. PVC 플레이트 20만개 20만개 20만개 태그부수자재

8. 철사끈 20만개 20만개 232,556개 태그부수자재

9. 아이솔레이터 15만개 15만개 15만개 태그부수자재

10. 허브(HUB) 90 90 80 Linksys, SD208

11. 무선랜 AP 180 180 177 Cisco, 1242AG

12. RFID 서버 1 1 3 SUN X2200, 2100

13. RFID 미들웨어 서버 8 8 8 DELL, SC440

[표 A-1] H/W 장비 도입

나. S/W 도입

구분 주요 기능 수량 비고(업체, 모델명)

1. DBMS

○ 데이터 관리 및 저장 기능

○ 프로그램 기능

○ 공군운영 DB와 호환성

1식 Oracle, Oracle 10g

2. WAS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능 1식Oracle, Oracle 10g

AS

3. 보안툴

○ 체계 운용시 국방인증체계와

통합 기능

○ DB 보안 기능 제공

1식 Warevalley, Chakra

4. 보고서 생성툴 ○ 다양한 형태로 보고서 파일

자동생성1식

M2Soft,

Report Designer

5. RFID 미들웨어 ○ EPCglobal ALE(Application

Level Event) 규격 만족8식

MetaRights,

iTAG Ver 1.0

[표 A-2] S/W 장비 도입

Page 21: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3 -

다.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신규 개발

1) 시스템 개발 범위

가) Web 기반의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개발

(1) 업무 8개 기능(수령, 불출, 저장, 수송, 재물조사, 장비, 정비, 현황 관리)

및 시스템 2개 기능(태그, 시스템 관리)

나) 공군 장비정비 정보체계 아키텍처 적용, 시범체계 재개발

2) RFID 하드웨어 확산 구축

가) 군수사, 13개 비행단, 8개 보급/정비창, 1개 수송전대 대상 확대 설치

나) RFID 서버, RFID 미들웨어 서버, AP, 허브, 휴대형 RFID 리더기,

태그 발행기, 리라이터블 프린터(신규설치)

다) 고정형 RFID 리더기('05 ~ '06년 장비 이전 설치)

3) 공군 보급정보체계 및 공군 장비정비 정보체계(향후)와 정보 연계

가) 공군 보급정보체계와 연계 구축

나) 개발중인 공군 장비정비 정보체계와 연계토록 데이터 일관성, 유지 보수성

제고

[그림 A-1] 사업 범위

Page 22: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4 -

라. RFID 적용 범위 확대

1) ’05년~’06년 시범사업 및 ’07년 확산사업과의 연계성

구분 ’05년 ’06년 ’07년

사 업 명

RFID 기술적용

신무기체계(F-15K)

자산관리시스템 구축

공군 RFID

자산관리시스템

장비도입사업

RFID를 활용한 군수

물자관리시스템

적용 부대 40, 41 보급창,

60 수송전대, 11비

40, 42 보급창,

19/20비, 38전대

군수사, 13개 비행단,

8개 보급/정비창,

수송전대

적용 대상 F-15K 수리부속 F-16 수리부속

전 군수물자

(유류, 피복 등 일부

품목 제외)

소요 예산 6.25억원(정통부) 6억원(공군)

20.93억원

(정통부 16억,

공군 4.93억)

주요 내용

장비, 수리부속 등 전투지원물자,

일부 부대 대상으로 제한 적용 및

고정형 리더기 위주 사용

전 군수물품으로 확대,

휴대형 리더기 신규도입

[표 A-3] 시범사업과 확산사업의 연계성

2) ’05년 시범사업 및 ’06년 공군 자체사업에서 예산확보 애로로 F-15K 및 F-16

항공기 수리부속과 일부 부대에만 RFID 기술 적용으로 사업효과 극대화 미흡

⇒ 적용 대상부대 및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 및 시스템 도입

효과 극대화

3) 수령, 불출, 저장 기능에 국한된 업무 영역을 이관, 반납, 소모처리 등을 포함

하여 군수업무 전반에 RFID 기술 적용

마. 국방 RFID 태그 코드 표준 적용

1) EPCglobal Class1 Gen2, UID(96bit) 및 미 국방성(DoD) 표준 준수 개발

2) 국방부에서 RFID 태그 코드 표준(표준명 : EPC <SGTIN-96K>)을 공군 사업 종료

후 하달하여, 유지보수 또는 확산/안정화 사업 기간 중 개발 필요

Page 23: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5 -

바.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확산사업에 사용된 주요 RFID 기술

구분 주요 내용

RFID 무선인터페이스 방식 EPCglobal Class1 Gen2

User memory 존재 여부 휴대형 리더기(64Mb)

User memory 활용 여부 휴대형 리더기(64Mb)

태그

Memory

size

전체 메모리 크기 96bit

코드 저장용 UII

영역 크기 96bit

User memory size

사용 코드 종류 국방 태그 코드 <SGTIN-96K>

데이터 인코딩 방식

코드

레졸루션

사용

사용 여부 미사용

사용 프로토콜

Page 24: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6 -

A.1.7 사업추진체계

[그림 A-2] 사업추진체계

Page 25: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7 -

A.2 사업 진행시 고려사항

A.2.1 사업 수행상의 애로사항

가. 법/제도적 측면

1) RFID 조기 적용 및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군수품 획득시 태그부착 의무화 조항 추가 필요

2) RFID 시스템 확산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정보통신 및 군사보안 분야 규정 제한

조항 완화 필요

가) 공군내 규정 개정 추진 필요 목록

(1) 공규 6-21(’05. 6.1) 장비획득 및 관리

(2) 공규 6-75(’04.12.1) 군수품 조달관리

나) 국방부내 규정 개정 추진 필요 목록

업무명 관련법률 개선 대책 관련기관

국방

전산망/

전산업무

군사보안업무

시행규칙

○ 형태 및 보안등급별 이용허가 및 절차

개발을 건의, 협의

○ RFID 개념을 적용한 장비 및 정보의 수발 명시

○ 입출력 관리에 대한 Log 파일기록 인정

국방부

정보통신

서비스망

보안지침

○ 사용자 권한의 상세 규정 및 통신망 접근

절차, 방법의 통일화 및 개선국방부

무기체계

획득관리

규정

○ RFID 태그를 적용한 물자의 획득, 관리

방법 등 보완 및 명문화

○ 무기체계 획득을 담당하는 부대/서에 RFID 관

련 업무 명시

○ RFID 근거 조항 추가

국방부

국방정보체계

관리규정

○ RFID 관련 데이터관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산 통신망 및 관련 정보체계에 RFID를 적용

하기 위한 조항 명시

국방부

[그림 A-4] 법/제도적 측면

Page 26: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8 -

A.2.2 기술적 애로사항

가. 휴대형 RFID 리더기 인식율 향상 방안 필요

- 태그 자체를 미인식 또는 동일 태그를 수회 반복 체크해야 인식

- 대상 태그 외 인접 태그도 동시에 체크되는 현상 발생

나. 태그 발행시 불량률 축소 방안 필요

- 태그발행기에서 태그 발행시 불량률 발생(태그 재질 및 태그발행기 동시 문제일

가능성으로 요약되나, 기술적인 확인 필요

다. 주파수 사용에 따른 인체 무해성 검증 기준 및 전자기적 영향 수준에 대한 적용

기준 정립 필요

라. 국방부 RFID 태그 코드 표준 준수 및 정착화 지연

- 국방부에서 제시한 국방 RFID 태그 코드 표준은 공군 사업 종료 후 하달되어

공군 사업 적용시 애로 발생하였으며, 향후 확대사업 기간 중 수정 사항으로

타군과 태그 코드 표준 적용 시기 조절 필요

마. 연계시스템 관련 이해관계자 이해 상충

- 본 사업을 통해 구축된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의 경우 현재 운용중인

공군 보급정보체계인 ASIS2000 시스템과 연계되어 개발 및 운용되고, 향후 개

발 완료 예정인 공군 장비정비정보체계인 DELIIS/F와 연계하는 확대 사업이 필

요한 이슈가 제기되었음

A.3 사업 확장시 고려사항

A.3.1 사업 수행 절차의 개선

가. 일시에 대량의 태그 부착시 효율적 부착 방안 및 오류 발생 최소화 방안 필요

- 기지별 대량 태그 부착시 기지내 운영 요원 협조 필요

나. 최종 소모부대(서)에 대한 RFID 장비 보급 여부 결정 필요

- 현재와 같이 보급대대까지만 RFID를 적용하고, 최종 소모부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는 공군 장비정비 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처리할 것인지 아니면, 최종 소모부

대(서)까지 RFID를 장비를 보급하여 소모처리 등도 휴대형 RFID 리더기에 의해

처리하도록 개발할 것인지 판단 필요

Page 27: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19 -

A.4 사업 프로파일

Item 세부 Item 설명 / 예제 비고

ARP 정보

분야 국방

대상 군수물자

RFID 적용 유형 자산관리

내부 ARP ID u_IT-2007-

요구사항

기술 요구 사항

휴대형 RFID 리더기의 사용으로 인한

인식률 향상(고정형 리더기 대체)

- 공군 보급정보체계와 연계 구현

환경 요구 사항

-현장 설치시 전파 간섭 최소화

-물자에 부착된 모든 태그의 인식거리는

2m 이상(고리형 태그 제외)

-휴대형 리더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상하

좌우 인식각 45도 이상에서도 인식이

가능

-태그의 인식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오류없이 작동되어야 함

서비스 요구 사항 업무 효율성 향상 및 시간 단축

외부 환경

유사(참조) 표준 국방 RFID 태그 표준<SGTIN-96K>

관련 법 군수품 관리규정

관련 시스템 공군 보급정보체계

(향후 공군 장비정비정보체계)

기타 관련 사항 무선랜 AP 설치시 음영지역 고려

프로젝트 정보

프로젝트 명

2007년도 u-IT선도사업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확산사업“)

주관기관 공군 군수사령부

주사업자 SK C&C 컨소시엄

담당자 및 연락처

주관기관 담당자 :

공군 군수사령부 RFID 추진팀

심재욱 서기관(053-989-7153)

[표 A-5] 사업 프로파일

Page 28: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0 -

부속서 B. 연구 수행을 통한 의견

B.1 경제적 분석

RFID기반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은 단계적으로 방공포 및 레이더 사이트에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공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자산은 항공기를 제외하고 7조여원, 32만

여 품목에 이르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가 요구된다.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자동 객체식별 기술인 RFID는 업무 프로세스 설계 및 동작 환경 구성에 따라서

물자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업무에 많은 편의를 제공 할 수 있는 기술로 보인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군수물자관리 업무가 RFID기반의 자동화된 업무로 전환된다면

물자관리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군수물자 관리의 정확도 향상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과

예산 낭비 방지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분 장 비 수리부속 기 타 계

금액 33,620(43%) 28,881(38%) 14,935(19%) 77,436(100%)

품목 13,692 235,720 69,334 318,746

[표 B-1] 공군 자산 현황(금액단위 : 억원)

B.2 기술적 분석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수작업방식으로 진행되던 군수물자관리의 자동화를 위해 RFID

기술 도입 타당성을 검토해보았으며 UHF 대역의 EPC Class 1 Gen 2 프로토콜을 바탕

으로 진행하였다.

군수물자의 반출입시 휴대형 리더기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는 주변 환경적인 요인

큰 것으로 철제 캐비닛이 많은 사무실의 경우, 전파의 간섭에 의하여 인식률이 떨어지고,

창고안 AP 설치 위치는 창고 천장에 설치되어 창고안 및 창고 밖에서도 인식이 가능하

였다. 그러나 AP 또는 네트워크 단절시 휴대형 리더기에 Flat File 형태로 자체 저장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AP 음영 지역을 벗어나 휴대형 리더기를 재 조작 또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정형 단말기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로그 파일도 함께

고정형 단말기의 폴더에 백업하는 방법을 병행하여야 한다.

B.3 정책적 분석

RFID 기술의 조기 적용 및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군수품 획득시 태그부착 의무화 조항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Page 29: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1 -

부속서 C. 실증 실험

C.1 BMT(Bench Marking Test) 시험

가. 실험 목적 : ‘07년 RFID 확산사업 기반체계 장비 BMT를 통해서 납품되어질

장비들의 성능 실험

나. 대상 장비 : 휴대형 RFID 리더기, 태그 발행기, RFID 태그(메탈형, 일반형)

- 휴대형 RFID 리더기 규격 : 본문 [표 1] 장비 규격 및 요구사항 참조

- 태그 발행기 규격 : 본문 [표 1] 장비 규격 및 요구사항 참조

- 태그 규격 : 본문 [표 1] 장비 규격 및 요구사항 참조

다. 실험 일시 : ‘07년 5월 12일

라. 실험 장소 : SK C&C 본사 테스트 룸

마. 참가 인원 : SK C&C 김민보 대리 외 5명

바. 주요 실험내용

- 기반체계 장비들의 BMT 시험을 통한 우수한 성능의 제품 검증

- 제안요청서의 내용을 참조해 구성내역에 대한 기능 요건을 중점 시험

- 기반체계 장비들 중 휴대형 RFID 리더기, 태그 발행기, 태그에 한함

C.2 실증 실험

가. 목적 : ‘07년도 u-IT 선도사업 “RFID를 활용한 군수물자관리시스템 확산사업”의

실제 구축 장소에서 현장 실증 실험을 통하여 최종 검사 확인 및 전력화

가능 여부 판단에 그 목적이 있다.

나. 실증 실험 장소 : 대구 공군 군수사 보급창 및 대구 비행단 보급대대 창고

다. 실증 실험 기간 : 2007.11.26(월) ~ 2007.12.7(금)

  라. 실증 실험 기반 네트워크 : IPv4 기반 유무선 네트워크(국방망)

  마. 실증 실험 장비 : C.3.1 실증 실험 환경 구축 참조

C.3.1 실증 실험 환경 구축

가. RFID 서버 2대

1) DBMS

2) WAS

※ H/W : SUN Fire X2100 M2, O/S : Solaris 10

나. RFID 미들웨어 서버 1대

※ H/W : Dell PowerEdge SC440, O/S : Windows XP

다. 고정형 WEB 단말기 1대

라. 휴대형 RFID 리더기 1대

Page 30: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2 -

마. 태그 발행기 1대

바. AP 1대

사. HUB 1대

아. 태그

- 라벨형, 메탈형, 리라이터블 태그

C.3.2 실증 실험 장비 구성도 및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 C-1]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도

C.3.3 고려 사항

실증 실험 시, 제안요청서에서 요구한 규격을 충족하는지 적합 여부를 제시하고, 시범 운

영 및 전력화 이후 해당 업무 절차의 개선 사항은 추후 성능 평가 작업을 실시하여 제시

한다.

C.3.4 실험 실시

실증 실험 항목 및 실험 목적은 아래 표와 같다.

Page 31: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3 -

실험 항목 상세 항목 실험 목적

휴대형 RFID

리더기

최대 인식거리 태그의 인식거리가 3m 이내 인지 성능 실험

좌우 인식각도 태그의 인식각도가 좌우 45도 이상인지 성능 실험

배터리 수명시간 지속 운용시 4시간 이상 가능한 지 실험

태그 발행기

인쇄 해상도 해상도 300 DPI 지원 여부

인쇄 속도 태그 발행 시 10 ips 속도 이상 출력 여부

인쇄 폭 프린터 인쇄 폭이 4.1 inch 지원 여부

인쇄 에러율 태그 발행 시 인쇄 에러율 1% 미만에 관한 실험

RFID 태그

태그 메모리 지원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Lock, Kill 기능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재질에 따른 부착

용이성

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금속형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표 C-1] 실험 리스트

C.3.4.1 휴대형 RFID 리더기

가. 목적

휴대형 RFID 리더기의 최대 인식거리, 좌우 인식각도, 배터리 수명시간이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실험한다.

1) 성능 실험 내용

가) 태그의 인식거리가 3m 이내 인지 성능 실험한다.

나) 태그의 인식각도가 좌우 45도 이상인지 성능 실험한다.

다) 지속 운용시 배터리 수명이 4시간 이상 사용 가능한지 실험한다.

나. 실험 장비 및 비품

1) 실험 장비 : 휴대형 RFID 리더기, RFID 태그

2) 비품 : 책상, 줄자, 각도기, 시계

Page 32: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4 -

다. 실험 환경 구성

1) 최대 인식거리 실험

- 태그의 인식거리가 3m 이내 인지는 1.5m 높이의 책상에 휴대형 리더를 고정

한 후 고정판에다가 태그를 부착한 후 인식하여서 거리를 측정한다.

[그림 C-2] 최대 인식거리 실험

2) 좌우 인식각도 실험

- 인식각도 측정은 좌우 45도 이내에 휴대형 리더기를 고정한 후 고정한 후 태

그 고정판은 가운데에다가 고정시킨 후 좌우 45도로 측정한다.

[그림 C-3] 좌우 인식각도 실험

3)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 지속 운용을 위한 화면보호기 해제 및 전원을 ON한 후 배터리 수명시간이 4시

간 이상인지를 측정한다.

라. 실험 방법을 위 그림 방법처럼 선정한 이유

1) 최대 인식거리 실험

- 최대 인식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인식거리 3m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

여 1.5m 높이의 책상 위에 휴대형 RFID 리더기를 두고, 고정판에도 1.5m 높

이에 태그를 부착하여 직선거리가 3m가 되는지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 방법처

럼 선정

2) 좌우 인식각도 실험

Page 33: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5 -

- 좌우 인식각도가 45도 이내인지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3m 거리 떨어진 곳과

각도가 45도를 이루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중심에서 좌우 3m 떨

어진 거리에 태그 고정판을 이동하여 인식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 방법처

럼 선정

3)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 배터리 수명시간은 휴대형 RFID 리더기의 전원을 ON한 후 지속 운용 시간이

4시간 이내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화면 보호기를 해제하여 측정토록 선정

마. 실험 항목

[표 C-1] 실험 리스트 참조

바. 실험 진행

1) 최대 인식거리 실험

- 태그의 인식거리가 3m 이내 인지는 1.5m 높이에 휴대형 리더를 고정한 후 고

정판에다가 태그를 부착한 후 인식하여서 거리를 측정한다.

2) 좌우 인식각도 실험

- 인식각도 측정은 좌우 45도 이내에 휴대형 리더기를 고정한 후 태그 고정판은

가운데에다가 고정시킨 후 각도별로 측정한다.

3)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 4시간 이상의 연속사용 측정은 휴대형 리더기에 전원을 연결 후 4시간 이상

사용한다.

사. 실험 결과 데이터

1) 최대 인식거리 실험

내용

리더3m 이내 인식거리

INT-900HM 적합

UCT-2300 적합

IP4 적합

[표 C-2] 최대 인식거리 실험 결과

2) 좌우 인식각도 실험

Page 34: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6 -

내용

휴대형리더좌우 45도 측정

INT-900HM 적합

UCT-2300 적합

IP4 적합

[표 C-3] 좌우 인식각도 실험 결과

3)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내용

휴대형리더배터리 4시간 지속 운용

INT-900HM 적합

UCT-2300 적합

IP4 적합

[표 C-4]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결과

아. 실험 결과 분석

1) 최대 인식거리 실험

- 최대 인식거리를 실험을 위한 장소로 실내와 실외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실

내는 컨테이너 건물 안에 철제 캐비닛이 다수 비치된 장소로 전파의 간섭으로

으로 인하여 최대 인식거리가 3m를 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실외에서

는 이런 전파의 간섭이 적을 것으로 판단하여 실외에서 실시해 본 결과, 10개

의 태그를 가지고 20회의 실험에서 모두 3m 이상의 인식거리가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개별 실험의 환경적 요소로 휴대형 RFID 리더기와 태그의 인식거리

실험은 실제 설치 장소가 아닌 장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로 신뢰성의 문제가 있

을 것으로 판단이 되나, 실제 설치 장소는 천장이 약 15m가 넘는 대형 창고

건물로 전파의 간섭이 적고, 고정형 RFID 리더기가 아닌 휴대형 RFID 리더기

를 통해 측정해 본 결과, 실제 운용시에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최종 검수 실험시 설치 현장에서 진행한 인식거리에

대한 검수 위원들이 직접 확인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2) 좌우 인식각도 실험

- 좌우 인식각도에 대한 실험을 위한 장소 또는 최대 인식거리 실험시 진행한 실

내와 실외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최종 검수 실험시 설치 현장에서 진행한

좌우 인식각도에 대한 검수 위원들이 직접 확인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측

정되었다.

Page 35: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7 -

3) 배터리 수명시간 실험

- 배터리 수명시간은 실증 실험시에는 실내에서 진행하였고, 최종 검수 실험시에

는 설치 현장에서 진행하여 검수 위원들이 직접 확인한 결과, 모두 적합한 것

으로 측정되었다.

C.3.4.2 태그 발행기

가. 목적

태그 발행기의 인쇄해상도, 속도, 폭 및 에러율이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실험한다.

1) 성능 실험 내용

가) 태그 발행기의 인쇄 해상도가 300 DPI(Dot Per Inch)인지 실험한다.

나) 태그 발행시 인쇄 속도가 10 ips 실험한다.

다) 태그 발행시 프린터 인쇄 폭이 4.1 Inch 지원여부를 실험한다.

라) 태그 발행 시 인쇄 에러율 1% 미만인지 실험한다.

나. 실험 장비 및 비품

1) 실험 장비 : 태그 발행기, 고정형 단말기

2) 태그, 자, 시계

다. 실험 환경 구성

1) 인쇄 해상도

- 300 DPI 데이터를 만들어서 태그 발행기에 출력하여 실험한다.

[그림 C-4] 인쇄 해상도 실험

2) 인쇄 속도

- 다량의 데이터를 만들어서 스톱워치로 1분 동안 출력을 한 후 계산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3) 인쇄 폭

- 프린터 인쇄 폭이 4.1 inch 지원 여부

Page 36: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8 -

4.1 inch

[그림 C-5] 인쇄 폭 실험

4) 인쇄 에러율

- 태그 발행기에 태그 2,000장을 장착하여 연속 출력을 보낸 후 에러율을 측정한

다.

라. 실험 방법을 위 그림 방법처럼 선정한 이유

1) 인쇄 해상도 : 특이사항 없음

2) 인쇄 속도 : 특이사항 없음

3) 인쇄 폭 : 특이사항 없음

4) 인쇄 에러율 : 인쇄 에러율이 1% 미만의 의미는 100장을 인쇄하였을 경우 1장의

에러가 발행한 경우를 말한다. 본 개별 실험에서는 다량의 태그를 걸어 두고, 연

속 출력을 통한 에러율을 측정하므로, 1% 미만이라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위 방법처러 선정하였다.

마. 실험 항목

[표 C-1] 실험 리스트 참조

바. 실험 진행

1) 인쇄 해상도

- 태그 발행기의 해상도 실험은 300 DPI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태그 발행기에 출

력을 보내서 해상도를 실험한다.

2) 인쇄 속도

- 태그 발행기의 속도 측정은 다량의 데이터를 태그 발행기에 보내어 출력 속도

를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그 값을 속도로 환산해서 측정한다.

3) 인쇄 폭

Page 37: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29 -

- 4.1 inch에 해당하는 라벨을 태그 발행기에서 출력한다.

4) 인쇄 에러율

- 인쇄시 에러율 측정은 다량의 태그(약 2000장)를 출력해서 결과물 중에 에러율

을 측정한다.

사. 실험 결과 데이터

1) 인쇄 해상도

DPI

발행기 300 DPI

SLT4M 적합

BT-002 적합

PM4i 적합

[표 C-5] 인쇄 해상도 실험 결과

2) 인쇄 속도

속도

발행기 10 ips 이상

SLT4M 적합

BT-002 적합

PM4i 적합

[표 C-6] 인쇄 속도 실험 결과

3) 인쇄 폭

라벨폭

발행기4.1 inch 지원

SLT4M 적합

BT-002 적합

PM4i 적합

[표 C-7] 인쇄 폭 실험 결과

Page 38: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0 -

4) 인쇄 에러율

내용

발행기에러율1%미만여부

SLT4M 적합

BT-002 적합

PM4i 적합

[표 C-8] 인쇄 에러율 실험 결과

아. 실험 결과 분석

1) 인쇄 해상도

-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특이사항 없음)

2) 인쇄 속도

-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특이사항 없음)

3) 인쇄 폭

-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특이사항 없음)

4) 인쇄 에러율

- 요구사항은 만족하였으나, 태그 발행기에 걸린 원통형 태그의 이송장치 걸림으

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였으나, 발생 빈도는 1% 미만이었다. 향후 공급자 또는

제조자 A/S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태그 걸이 장치의 보완이 필요한

사항으로 발견되었다.

C.3.4.3 RFID 태그

가. 목적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포장 재질

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한다.

나. 실험 장비 및 비품

1) 실험 장비 : 휴대형 RFID 리더기

2) 비품 : 일반형(라벨형) 태그, 메탈형 태그

Page 39: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1 -

다. 실험 환경 구성

1)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 96bit 데이터를 만들어서 휴대형 RFID 리더기를 이용해 쓰기(Write) 실험한다.

[그림 C-6] 태그의 메모리가 96bit를 지원하는지 실험

2)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 Lock, Kill 명령어가 들어있는 데이터를 만들어서 쓰기, 읽기 한다.

3) 포장 재질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 다양한 재질의 포장 형태에 대한 부착용 적합한지 실험한다.

- 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금속 물질 판을 준비해서 라벨형 및 메탈형 태그

를 부착 후 인식되는지 실험

라. 실험 방법을 위 그림 방법처럼 선정한 이유

1)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 96bit 데이터를 만들어서 휴대형 RFID 리더기를 이용해 쓰기(Write) 실험한다.

이 실험은 EPC 규격이 적용 가능한지, 또한 국방 RFID 태그 코드 표준을 만족

하는지에 대한 실험으로 태그의 메모리 용량이 96bit를 지원하는지 실험하기

위하여 위 그림 방법을 선정하였다.

2)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 특이사항 없음

3) 포장 재질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 다양한 포장 형태에 대하여 부착이 적합한지, 쉽게 떨어지거나 훼손되지는 않

는지에 대한 실험으로 위 방법을 선정하였다.

마. 실험 항목

[표 C-1] 실험 리스트 참조

바. 실험 진행

Page 40: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2 -

1)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 태그의 메모리 테스트는 96bit 데이터를 만들어서 휴대형리더를 이용해 쓰기를

해서 실험한다.

- EPC Class1 Gen2 데이터를 만들어서 휴대형리더를 이용해서 쓰기 한 다음 휴

대형 리더로 읽기를 해서 저장되어진 값을 본다.

2)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 Lock, Kill 명령어가 들어있는 데이터를 만들어서 쓰기, 읽기 한다.

3) 포장 재질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 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금속 물질 판을 준비해서 라벨형 및 메탈형 태그

를 부착 후 인식되는지 실험한다.

사. 실험 결과 데이터

1)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내용

태그메모리 96bit

RF LINK 적합

RF CAMP 적합

LS 산전 적합

[표 C-9] 태그 메모리 실험 결과

2)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내용

태그Lock, Kill

RF LINK 적합

RF CAMP 적합

LS 산전 적합

[표 C-10] Lock, Kill 실험 결과

3) 포장 재질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Page 41: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3 -

내용

태그포장 재질별 부착용 적합

RF LINK 적합

RF CAMP 적합

LS 산전 적합

[표 C-11] 포장 재질병 부착용 적합 실험 결과

아. 실험 결과 분석

1)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실험

- EPC Class1 Gen2 데이터를 만들어서 휴대형리더를 이용해서 쓰기 한 다음 휴

대형 RFID 리더기로 읽기를 해서 저장되어진 값을 분석한 결과, 요구사항을 만

족하였다.

2) Lock, Kill 기능이 제공되는지 실험

- 태그의 Lock 및 Kill 기능은 보안에 취약한 점은 없는지에 대한 실험으로 태그

에 Lock 기능을 이용시 다른 데이터를 더 이상 쓰기할 수 없었으며, Kill 기능

으로 통해 태그의 기능을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군수 물자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3) 포장 재질별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실험

- 다양한 포장 재질에 따라 부착용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으로, 비닐포장, 플

라스틱, 종이박스, 금속 물질 판을 준비해서 라벨형 및 메탈형 태그를 부착한 결

과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였다. 다만, 태그 훼손에 따른 보완책으로 태그를 재

발행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므로, 향후 훼손된 태그에 대한 재발행 시

여분의 태그를 추가 보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42: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4 -

C.4. 실험 결과 분석 요약

실험 항목 상세 항목 실험 결과 요약

휴대형 RFID

리더기

최대 인식거리 태그의 인식거리가 3m 이내 요구사항 적합

좌우 인식각도 태그의 인식각도가 좌우 45도 요구사항 적합

배터리 수명시간 지속 운용시 4시간 이상 요구사항 적합

태그 발행기

인쇄 해상도 해상도 300 DPI 지원 요구사항 적합

인쇄 속도 태그 발행 시 10 ips 속도 출력 요구사항 적합

인쇄 폭 프린터 인쇄 폭이 4.1 inch 지원 요구사항 적합

인쇄 에러율 태그 발행 시 인쇄 에러율 1% 미만에 관한 요구

사항 적합

RFID 태그

태그 메모리 지원 태그의 메모리가 96bit 이상인지 요구사항 적합

Lock, Kill 기능 Lock, Kill 기능이 제공 여부 요구사항 적합

재질에 따른 부착

용이성

비닐포장, 플라스틱, 종이박스, 금속형 부착용으로

적합한지 요구사항 적합

[표 C-16] 실험 결과 분석 요약

Page 43: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5 -

구분 성명 위원회 및 직위 연락처 소속사

과제 제안 황순철 IT 신기술사업팀 018-420-5166 한국정보사회진흥원

표준초안

제출이성현 차장 011-353-9258 디비비전(주)

표준초안

검토

이재근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의장

02-2131-0176

[email protected]한국정보사회진흥원

이창열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부의장

051-890-1726

[email protected]동의대학교

김유정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위원

041-560-8354

[email protected]호서대학교

염창열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간사

02-2131-0251

[email protected]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이광범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위원

02-3443-7255

[email protected](주)유브릿지

정재숙응용및정보보호실무반

위원

02-2131-0098

[email protected]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외 RFID/USN 프로젝트그룹 위원

표준안 심의

채종석전파통신기술위원회

의장042-860-1600

[email protected]

외 전파통신기술위원회 위원 등

사무국 담당

김대중 -031-724-0090

[email protected]

김수학RFID/USN PG

간사

070-7780-0096

[email protected]

표준작성 공헌자

기술보고서 번호 : TTAR-06.0042

이 기술보고서의 제정 및 발간을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분들이 공헌하였습니다.

Page 44: T T A Technical Report 가. 응용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와 관련된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축한다. 군수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TTAR-06.0042- 36 -

=====================================================================================

정보통신단체표준(기술보고서)

공군 RFID 군수물자관리시스템 확산 사업을 위한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

(Application Requirement Profile for Development of Korea Air Force's

Logistics Asset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발행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63-82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7-2

Tel : 031-724-0114, Fax : 031-724-0019

발행일 : 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