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12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년 58권 2호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서재민 김인주 배민수 이정진 안승근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방현지 심현아 조영은 박은진 CBCT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근관형태의 분석 이태용 김미연 김선호 김정희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류승범 허성주 곽재영 김성균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김창환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장주호 최연조 류재준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김현아 윤귀덕 조유진 양홍서 박상원 박찬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Locator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김지현 정창모 윤미정 허중보 이현종 이소현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인호 김성아 김나홍 이용상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정지아 방주혁 이용상 김성용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진승리 정창모 윤미정 허중보 이현종 이소현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김진완 정창모 윤미정 이소현 이현종 허중보 Erratum: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 2 -diatom microbubbler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이은혁 서용범 권호범 임영준 공현준 김명주 77 86 95 103 110 121 130 137 145 153 161 169 176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olume 58 Number 2 April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vailable online from https://jkap.or.kr Volume 58 Number 2 April 2020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대한치과보철학회지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년 58권 2호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서재민 �김인주 �배민수 �이정진 �안승근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방현지 �심현아 �조영은 �박은진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이태용 �김미연 �김선호 �김정희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류승범 �허성주 �곽재영 �김성균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김창환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장주호 �최연조 �류재준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김현아 �윤귀덕 �조유진 �양홍서 �박상원 �박찬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김지현 �정창모 �윤미정 �허중보 �이현종 �이소현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최인호 �김성아 �김나홍 �이용상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전악 수복 증례정지아 �방주혁 �이용상 �김성용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진승리 �정창모 �윤미정 �허중보 �이현종 �이소현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김진완 �정창모 �윤미정 �이소현 �이현종 �허중보

Erratum: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이은혁 �서용범 �권호범 �임영준 �공현준 �김명주

77

8695

103110121130137145

153

161169176

TH

E JO

UR

NA

L OF K

OR

EA

N A

CA

DEM

Y O

F PR

OST

HO

DO

NTIC

SV

olu

me 5

8 N

um

ber 2

Ap

ril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Available online from https://jkap.or.kr

Volume 58Number 2April 2020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대한치과보철학회지

pISSN 0301-2875eISSN 2005-3789

Page 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Volume 58 ▲ Number 2 ▲ April 2020

The Journal of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Page 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I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1959년 9월 16일에 창립된 대한치과보철학회의 기관지

입니다. 대한민국에서 보철 수복과 임플란트 치의학의 전문인들을 이끌어 가

는 저널로서 치과보철학 및 그와 관련된 분야의 교육, 연구, 임상에서 이룩한

과학적 진보를 한국의 많은 임상가, 교육 및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학문적, 임상적, 과학적으로 양질의 논문을 1년에 4회

(1월 말일, 4월 말일, 7월 말일, 10월 말일) 발간하고 있습니다.

■ 발행 목적과 범위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치과보철학 및 제반 영역에서 이룩된 과학적, 임상적 발전을

기능과 심미 수복, 교합, 치과보철학 재료 등에 관심이 있는 많은 치의학 관련인들에

게 제공함을 목적으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본 학술지는 치과보철학적 수복에 관한 진단, 심미, 악구강계의 생리와, 교합에 관한 생리 및 역학, 그리고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한 치과보철학 재료들의 역학적, 생물학적 측면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을 다루는

연구 논문과, 치과보철학에서 새로운 발전과 논쟁들에 대해 전문가가 정리한 종설, 새로운 기본 지식을 알려주는 임상 증례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 발행 형태

본 학회지는 비매품이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수령을 원하는 대한치과보철학회 회원 및 국내외 관련 교육 연구 기관에 무료로 배포되고 있으며 온라인 상으로도 열람 가능합니다. 문의 사항은 대한치

과보철학회 사무실(02-569-1604, [email protected])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검색 서비스

본 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이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누리집(https://jkap.or.kr), 한국과학기술학회 누리집(http://society.kisti.re.kr),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Google Scholar, DOI/Crossref, KOMCI, KoreaMed, KoreaMed Synapse에서 무료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년 4월58권 2호

pISSN 0301-2875eISSN 2005-3789

편집장

배아란 (경희대)

부편집장

박지만 (연세대)

편집위원

김선재 (연세대)

김성균 (서울대)

김유리 (원광대)

김형섭 (경희대)

박상원 (전남대)

박찬진 (강릉원주대)

안승근 (전북대)

윤미정 (부산대)

이경제 (조선대)

이준석 (단국대)

이청희 (경북대)

사무원

이연정

발행인

권긍록

발행처대한치과보철학회06130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705호Tel. 02 569 1604, Fax.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https://jkap.or.kr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이 학회지의 저작권은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있으며, 글과 사진은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이 종이는 KS X ISO 9706, ISO 9706-1994 and ANSI/NISO Z.39.48-1992 (Permanence of Paper) 규격을 충족합니다.

ccc

Page 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is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KAP) founded on September 16, 1959. Abbreviated title is ‘J Korean Acad Prosthodont’. It is the leading professional journal in Korea, devoted to prosthetic, restorative and implant dentistry. This journal provides many Korean clinicians, teachers and researchers with scientific progress on patient care, education and research in prosthodontics and interrelated disciplines. The journal continues to publish the English version of clinically, or scientifically well-organized articles. The journal is published 4 times (the last day of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 Aim and Scope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ims to convey scientific and clinicalprogress in the field of prosthodontics and its related areas to many dental communitiesconcerned with functional and aesthetic restoration, occlusion or prosthodontic dentalmaterials. This journal publishes * Original research data of high scientific merit in the field of diagnosis, function, esthetics and stomatognathic physiology related to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physiology andmechanics of occlusion, mechanical and biologic aspects of prosthodontic materialsincluding dental implants.

* Review articles by experts on controversies and new developments in prosthodontics * Case reports if they provide or document new fundamental knowledge.

● Subscriptions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is not for sale. This journal was suppor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KOFST)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ST, BasicResearch Promotion Fund). Full text is freely abailable from https://jkap.or.kr. This journal is distributed to the KAP members and relevant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For further inquiries, contact KAP office at +82 2 569 1604, [email protected].

● Customers’ serv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is the main journal of Korea ResearchFoundation (KSCIE), could be reread on The Journal’s website (https://jkap.or.kr), Korea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website (http://society.kisti.re.kr),Korea Citation Index (KCI),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Google Scholar, DOI/Crossref, KOMCI,KoreaMed, KoreaMed Synap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April 2020Vol. 58, No. 2

pISSN 0301-2875eISSN 2005-3789

EDITOR-IN-CHIEFAhran Pae (KyungHee University, Korea)

DEPUTY EDITORJi-Man Park (Yonsei University, Korea)

EDITORIAL BOARDSun Jai Kim (Yonsei University, Korea)Seong-Kyun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Yu-Lee Kim (Wonkwang University, Korea)Hyeong-Seob Kim (KyungHee University, Korea)Sang-Won Park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Chan-Jin Park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Seung-Geun Ah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Mi-Jung Yu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Gyeong-Je Lee (Chosun University, Korea)Joon-Seok Lee (Dankook University, Korea)Cheong-Hee L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MANUSCRIPT EDITORYeon-Jung Lee

PUBLISHERKung-Rock Kwon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705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22 Teheranno 7 gil, Gangnam-gu, Seoul06130, Republic of KoreaTel. +82 (0)2 569 1604, Fax. +82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https://jkap.or.kr

II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It is identical to Creative Commons Non-Commercial License.This paper meets the requirements of KS X ISO 9706, ISO 9706-1994 and ANS/NISO Z.39.48-1992 (Permanence of Paper).

ccc

Page 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III

원 저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서재민 � 김인주 � 배민수 � 이정진 � 안승근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방현지 � 심현아 � 조영은 � 박은진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이태용 � 김미연 � 김선호 � 김정희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류승범 � 허성주 � 곽재영 � 김성균

증 례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김창환 � 고경호 � 허윤혁 � 박찬진 � 조리라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장주호 � 최연조 � 류재준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김현아 � 윤귀덕 � 조유진 � 양홍서 � 박상원 � 박찬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김지현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인호 � 김성아 � 김나홍 � 이용상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정지아 � 방주혁 � 이용상 � 김성용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진승리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김진완 � 정창모 � 윤미정 � 이소현 � 이현종 � 허중보

Erratum: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이은혁 � 서용범 � 권호범 � 임영준 � 공현준 � 김명주

목 차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년 4월 58권 2호

77

8695

103

110121130137145

153

161169176

Page 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IV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olume 58 Number 2 April 2020

Contents

Original ArticleThe Effect of N-acetyl cysteine (NAC) loading on the bone formation surrounding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implants in the dog: A pilot studyJae-Min Seo, In-Ju Kim, Min-Soo Bae, Jung-Jin Lee, Seung-Geun Ahn

Effect of mixing method and storage time on dimensional stability of alginate impressions materialsHyun-Ji Bang, Hyun-Ah Shim, Young-Eun Cho, Eun-Jin Park

Evaluation of root and root canal morphology of elderly Korean patients maxillary molar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Tae-Yong Lee, Mi-Yeon Kim, Sun-Ho Kim, Jeong-Hee Kim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preload maintenance of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with surface of screwsSeung-Beom Ryu, Seong-Joo Heo, Jai-Young Koak, Seong-Kyun Kim

Case ReportsA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with the Dahl concept applied to a patient with a deep biteChang-Hwan Kim, Kyung-Ho Ko, Yoon-Hyuk Huh, Chan-Jin Park, Lee-Ra Cho

Oral rehabilitation of excessive tooth wear patient using zirconia fixed prosthesis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Ju-Ho Jang, Yeon-Jo Choi, Jae-Jun Ryu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using suction mechanism: A case reportHyun-Ah Kim, Kwi-Dug Yun, Yu-Jin Jo, Hongso Yang, Sang-Won Park, Chan Park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and Locator in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condyle fracture using gothic arch tracing and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 case reportIn-Ho Choi, Seong-A Kim, Na-Hong Kim, Yong-Sang Lee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gaining in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due to loss of posterior support Ji-Ah Jung, Joo-Hyuk Bang, Yong-Sang Lee, Sung-Yong Kim

A conversion to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A case reportSeung-Lee Jin,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linical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digital superimposition of customized abutment with subgingival margin: A case reportJin-Wa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So-Hyoun Lee, Hyeonjong Lee, Jung-Bo Huh

Erratum: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Eun-Hyuk Lee, Yongbeom Seo, Ho‐Beom Kwon, Young‐Jun Lim, Hyunjoon Kong, Myung-Joo Kim

77

8695

103

110121

130

137

145

153

161

169

176

Page 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age 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77

서론

완전 혹은 부분 무치악 환자에 대한 임플란트 치료는 지난 40년 동안 성공적인 결과를 낳아 예지성 있는 치과치료로 받아들

여진다.1-4 이것은 연조직 개재 없이 골조직이 임플란트 표면과 직접 구조적,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골유착이라는 생물학적 개념

에 근거한다.5-7 악골 내에서의 임플란트 안정은 임플란트 치료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는 임플란트 식립 후 나타나는 초기 고정과 골유착 후 나타나는 이차 고정에 의해 얻어진다.8 우수

한 임플란트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재료 및 디자인

과 표면 거칠기, 환자 변수 등을 고려해야 한다.9 초기 고정은 환자의 골질, 수술 방법, 임플란트 매식체의 디자인 등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 반면 이차 고정은 임플란트와 새로 형성된 골과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골유착에 의해 얻어지며 임플란트 표면은 골유

https://doi.org/10.4047/jkap.2020.58.2.77ORIGINAL ARTICLE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서재민1,2 � 김인주1 � 배민수1 � 이정진1,2 � 안승근1,2*

1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2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The Effect of N-acetyl cysteine (NAC) loading on the bone formation surrounding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implants in the dog: A pilot study

Jae-Min Seo1,2, In-Ju Kim1, Min-Soo Bae1, Jung-Jin Lee1,2, Seung-Geun Ahn1,2*1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Jeonbuk National Universty Hospital, Jeonju, Republic of Korea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cetyl cysteine (NAC) loading on the bone formation surrounding 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Implantation of NAC loaded SLA implants (NSI group) and SLA implants (SI group) was performed bilaterally in the mandible of 4 adult beagle dogs (each group, n = 8).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a healing period of 3 and 6 weeks, respectively (n = 2 animal each). Dissected blocks were processed for histomorphometrical analysis. 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BIC%) and bone volume (BV%) were assessed histomorphometrically. Results: BIC% of NAC loaded SLA implants were about 50% higher than that of SLA implants at 3 weeks of bone healing, but not significantly (51.79 vs 35.43%; P=.185). BV% of NAC loaded SLA impl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LA implants at 3 weeks of bone healing (45.09 vs 37.57 %; P=.044). At 6 weeks of bone healing, BIC% and BV% of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similar (P>.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NAC loading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early bone forma-tion surrounding SLA implants. So, it might be concluded that NAC loading enhance the osseointegration and shorten the healing time after implantation of the SLA impla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77-85)

Keywords: Implant; N-acetyl cysteine (NAC);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Corresponding Author: Seung-Geun Ahn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Republic of Korea+82 (0)63 250 2032: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11, 2019 / Last Revision December 24, 2019 / Accepted January 13, 2020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This paper was supported by Fund of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ge 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7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착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0 최근에는 이 골유착 기간을 줄여 이차 고정 시기를 앞당기고 임플란트 치료 기간을 단축시

키기 위해 새로운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11 오래 전부터 ‘거친(rough)’ 임플란트 표면은 기계 절삭(machined)되었거나 ‘부드러운(smooth)’ 임플란트 표면보다 골유착 기간

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12,13 또한 거친 임플란트 표면은 더 많은 골유착과 골-임플란트 접촉(bone to implant contact; BIC)을 보여 생체역학적 고정에 유리하다고 하였다.14-22 거친 임플란

트 표면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 중에 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표면처리 방법은 예지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

는 검증된 표면처리방법이다.12,23-25 SLA 표면처리는 이산화 티타

늄(TiO2)이나 알루미나(Al2O3)를 분사하는 방법과 산 부식하는 방법의 장점을 조합하여 거친 표면과 미세 소와를 모두 얻는 방법이다.26 많은 문헌에서 SLA 표면처리는 티타늄 플라즈마 스프

레이(titamium plasma spray; TPS)보다 더 많은 골-임플란트 접촉과 더 작은 골 흡수를 보이는 조직학적 특성과 더 강한 생역학

적 결과를 보였다.14,24,27-30 임상적으로도 SLA 표면을 가진 임플

란트는 많은 장점을 가지며 기존의 일반적인 12주의 골유착 치유기간을 6주까지 줄였다.23,31 최근에는 화학적으로 수정된 SLA 표면이 소개되면서 임플란트 표면의 습윤성이 획기적으로 증가

되고 골유착 치유기간을 3주까지 줄였다는 보고도 있다.32,33 이렇듯 안정적인 2차 고정을 빠른 시간 내에 도달하려는 임

플란트 표면처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 식립은 외과적인 수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무리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더라도 환자에게

는 일정 부분 침습적일 수밖에 없다. 임플란트 식립 시에 발생

하는 골 삭제나 골 절제 등의 외과적 스트레스나 임플란트 표면에 잔존되어 있는 화학 성분은 식립 부위의 세포 내 반응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쉽게 증가시킨다. 증가

된 ROS는 골 무기질 밀도를 감소시켜 골 흡수를 유발한다.34 왜냐하면 ROS가 골모세포의 분화나 알카리성 인산가수 분해효

소(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기질의 무기질화(matrix mineralization)와 같은 골모세포의 기능은 저해시키고 파골세

포의 분화는 촉진시켜 만성 염증을 유발하거나 골재생을 감소시

키기 때문이다.35-37 따라서 임플란트 표면에 항산화제와 같은 약리적 성분을 처리한다면 주위 골조직의 치유 및 재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N-acetyl cysteine (NAC)은 cysteine의 유사체이며 주로 아세

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에 의한 간 독성이나 호흡 장애에 사용되

는 약물이다.38 항산화물질로서 NAC는 세포의 글루타티온 산화환원 사이클(glutathione redox cycle)을 촉진시켜 세포 글루

타티온 수준을 높이는데, 이것이 외과적 스트레스나 생체재료의 화학적 성분에 의해 증가된 ROS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39,40 이미 NAC를 탑재한 순수한 티타늄이 ROS를 감소시킬 수 있다

는 in vitro 연구 결과가 있다.41 따라서 NAC를 ROS 스캐빈저

(scavenger)로서 임플란트 표면에 직접 탑재하면 임플란트 주위 골 재생 및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

료된다. 최근, NAC를 탑재한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의 in vitro 실험과 쥐를 이용한 in vivo 실험을 진행한 Lee 등42의 연구에 의하면 NAC는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의 생체적합성과 골유착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조직형태

학적 관찰을 정량화하지 않았고 소형 동물 모델 내에서 시행한

in vivo 실험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보다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임플란트보다는 기계절삭 임플란트와 TiO2 나노

튜브 임플란트에만 NAC를 적용했다는 한계도 있다. 현재 SLA를 비롯한 다양한 표편을 가진 임플란트에 NAC를 적용하고 대형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조직형태학적 관찰을 진행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

를 성체 비글 견에 식립한 후, NAC가 SLA 임플란트 주위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형태학적 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군의 구성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2개의 실험군으로 구성하였

다. SI 군은 SLA 임플란트로, NSI 군은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로 설정하였다 (Table 1).

2. 임플란트 매식체의 준비

총 16개의 직경 3.6 mm, 길이 7 mm 나사형태의 SLA 표면

을 가진 임플란트 매식체(Superline, Dentium, Seoul, Korea)를 준비하였다. 이 중 8개의 임플란트 매식체는 10 mM의 NAC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에 담가 배양기안에

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임플란트 표면으로의 NAC 탑재

를 시행하였다. 모든 임플란트 표면은 불활성 기체인 질소 가스

로 추가 건조하고 에틸렌옥사이드 가스로 멸균하였다.

3. 성체 비글 견의 발치

평균 몸무게 15.5 kg의 전신적으로 건강하고 모든 영구치 맹출이 완료되었으며 치주질환이 없는 총 4마리의 성체 비글 견을 이용하였다. Atropine sulfate 0.02 mg/kg, Cefazolin 25 mg/kg, Tramadol 2 mg/kg을 술 전 1회 경구투약하였다. Propofol을 이

Table 1. Experimental groups in this study

Group Surface treatment Healing period (weeks) N

SI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3 46 4

NSI N-acetyl cysteine loaded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3 46 4

Page 1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79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용하여 2 mg/kg 용량으로 정맥 주사하여 마취 유도하였다. 멸균

된 수술방에서 2% Isoflurane을 이용한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진행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심전도를 감시하였다. 수술 부위의 협측 및 설측 점막에 1:10만 에피네프린을 포함하는 2% 리도카인으

로 부가적인 국소마취를 시행하였다. 양측 하악 제 3, 4 소구치

와 제 1대구치 주위의 전층 판막을 거상하고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풍부한 주수 하에 치아를 분할하였다. 발치기자와 발치

겸자를 이용하여 양측 하악 제 3, 4 소구치와 제 1대구치를 최소 침습적으로 발거하였으며 판막을 재위치시키고 단순단속 봉합

하였다. 술 후, Cefazolin 25 mg/kg과 Tramadol 2 mg/kg을 하루 3회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4. 임플란트 식립

발치 5개월 후에 발치 과정과 동일한 술 전, 후 프로토콜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하악 양측 무치악부위에 치조제정 절개를 가한 후 전층 판막을 거상하고 임플란트가 식립될 부위

의 치조골을 노출시켰다. 풍부한 주수 하에 최소 침습적인 방법

으로 임플란트 사이가 최소 5 mm 이상 떨어지도록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임플란트 협, 설측으로 최소 1.5 mm 이상의 피질골

이 잔존하도록 치조골의 정중앙에 매식하였으며 수술 외상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술 후 수직적 치조골 소실을 예상

하여 치조정 0.5 mm 하방에 임플란트 플랫폼이 정확하게 위치

되도록 약간 깊게 식립하였다 (Fig. 1). 비글 견의 하악 편측 무치

악부위는 각 실험군의 임플란트를 골고루 1개씩, 총 2개의 매식

체가 식립되도록 하였다. 4마리의 비글 견에 좌, 우측 하악에 각 군의 임플란트가 1개씩 식립됨으로써 한 군당 8개의 표본크기를 가지게 되었다. 각 군 임플란트의 전, 후방적 식립 위치는 무작위

로 선정하였다. 식립이 완료된 후, 피개 스크류를 연결하고 판막

을 재위치시키고 단순단속 봉합하였다. 술 후, Cefazolin 25 mg/

kg과 Tramadol 2 mg/kg을 하루 3회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5. 조직 시편의 제작 및 조직형태학적 검사

임플란트 식립 3주 후에 2마리의 비글 견을 희생하여 조직 표본(각 실험군당 n = 4)을 채취하고 임플란트 식립 6주 후에 나머지 2마리의 비글 견을 희생하여 조직 표본(각 실험군당 n = 4)을 채취하였다. 임플란트와 주위 골조직을 함께 채취하여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Accustain Sigma-Aldrich Inc., Stein-heim, Germany)에 5일간 담가 고정하였다. 이후 모든 표본은 최소 6시간 이상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알코올의 농도를 높여가며 탈수를 시행하였다. 석회질을 제거하지 않은 절편을 만들기 위해 메타크릴산메틸에 포매하였다. 절단 및 연마 시스템(Exakt 310 CP series, Exakt Apparatebau, Norderstedt, Germany)을 이용

하여 임플란트의 장축을 따라 매식체의 중앙이 포함되도록 20-50 μm 두께의 석회질을 제거하지 않은 절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절편은 Goldner Trichrome 염색하였으며 광학 현미경(Leica DM2700M,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과 영상분

석 프로그램(LAS software V 4.3, Leica Microsystems, Heer-brugg,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조직형태학적 검사를 시행하였

다(×12.5, 40, 100 배율). 현미경이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Leica DFC295,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Fig. 2). 광학현미경의 접안렌즈를 통한 100배 확대 영상에서 골 영역과 신생골 양을 직접 측정하였다 (Fig. 3). 치근단 부위의 cutting edge 부위를 제외하고 왼쪽과 오른쪽의 모든 나사산의 골-임플란트 접촉률(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BIC%)을 측정하고 평균을 산출하였다. 마찬가지로 치근단 부위의 cutting edge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나사산 내에 존재하는 광화된 골조직의 양을 측정하여 골면적 비율(percentage of bone volume; BV%)을 계산하고 평균을 산출하였다.

Fig. 1. Clinical photograph illustrating im-plant site after each implant of experimental groups insertion.

Fig. 2. Captured image of NAC loaded SLA implant sample at week 3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A) original magnification × 12.5, (B) original magnification × 40 (image demonstrating high magnifi-cation of box in Fig. 2A), (C) original magnification × 100 (image demonstrating high magnification of box in Fig. 2B).

Page 1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8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6. 통계분석

각 실험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통계분석을 하기 위해 SPSS ver. 18.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의 정규성 검정 결과 모든 실험군은 정규분포를 하고 있었다. NAC탑재 여부

에 따른 각 실험군간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 비율의 유의

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시행

하였다 (α = .05).

결과

광학현미경하에서 조직학적 검사 결과, 모든 시편은 연조직 개재 없이 임플란트 나사선 주위에 골형성이 되어 있음이 관찰되

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매식체 주위에는 어떠한 염증성 징후도 관찰되지 않았다. NAC탑재 여부에 따른 각 실험군의 골-임플란트 접촉률(BIC%)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2과 Fig. 4에 나타내었다. 3주차에서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

(NSI 군)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SI 군)보다 높은 골-임플란트 접촉률을 보였다 (51.79 ± 18.67% vs 35.43 ± 11.40%).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SI 군)보다 1.5배 가량 높은 골-임플

란트 접촉률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P > .05). 6주차에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SI 군)가 비슷한 골-임플란트 접촉률을 보였다 (52.90 ± 11.77% vs 50.33 ± 13.84%)(P> .05).

NAC 탑재 여부에 따른 각 실험군의 골면적 비율(BV%)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3과 Fig. 5에 나타내었다. 3주차에서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SI 군)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골면적 비율을 보였다 (45.09 ± 1.26% vs 37.57 ± 5.78%) (P < .05). 6주차에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와 NAC를 탑재하지 않

Table 3. The bone volume percentage (BV%) of the experimental groups expressed as mean (SD)

GroupMean (SD)

Week 3 (n = 4) Week 6 (n = 4)SI 37.57 (5.78) 45.74 (12.57)

NSI 45.09 (1.26) 47.35 (9.78)Group SI: SLA implant, group NSI: NAC-loaded implant

Table 2. The 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BIC%) of the experimental groups expressed as mean (SD)

GroupMean (SD)

Week 3 (n = 4) Week 6 (n = 4)SI 35.43 (11.40) 50.33 (13.84)

NSI 51.79 (18.67) 52.90 (11.77)Group SI: SLA implant, group NSI: NAC-loaded implant

Fig. 4. Bone to implant contact percentage (BIC%) of SLA implant (SI), NAC-loaded SLA implant (NS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60

50

40

30

20

10

0

BIC

%

Week 3

Week 6

Surface characterSI NSI

Fig. 5. Bone volume percentage (BV%) of SLA implant (SI), NAC-loaded SLA implant (NSI).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rmined (P < .05).

50

40

30

20

10

0

BV% Week 3

Week 6

Surface characterSI NSI

Fig. 3. Drawing on captured image for bone to implant contact (BIC)% analysis (original magnification × 100).

39.470 µm

572.017 µm

357.980 µm

Page 1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81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은 SLA 임플란트(SI 군)가 비슷한 골면적비율을 보였다(47.35 ± 9.78% vs 45.74 ± 12.57%)(P > .05).

고찰

임플란트 매식체를 악골에 식립하면 임플란트 주위 조직은

일련의 3가지 명확한 골치유단계인 골전도, 신생골 형성, 골개

조 과정을 거친다.43,44 골전도 단계는 임플란트 식립 직후 임플

란트와 골 사이에 혈병이 차고 이로 인해 발생한 섬유소 그물망

(fibrin network)이 골모세포 등의 골원성 세포의 부착을 증진시

켜 임플란트 표면에 직접골화를 일으키는 과정이다. 신생골 형성 단계는 골전도 단계에서 생성된 약한 무층골이 층판골로 치환되

는 과정이다. 최근 치과임플란트학에서는 이런 골 치유단계 중 골 전도와 신생골 형성 능력을 향상시켜 임플란트의 골유착 기간을 단축시키고 하중 부담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화두이다.

SLA 표면처리가 처음 소개된 이후, SLA 임플란트는 높은 표면에너지와 생체 적합성, 그리고 골세포에 친화적인(osteophilic) 표면지형을 가져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SLA 표면처리

는 250 - 500 µm의 알루미나 입자로 분사한 후, 염산과 황산의 혼합용액(HCl/H2SO4 solution)에 담가 수 분간 부식시키는 방법

이다. 이 방법으로 생성된 표면의 거칠기(Ra)는 대략 1.5 µm이

다.26 Wennerberg 등45에 의하면 표면 거칠기가 1.4 µm를 보인 임플란트 군이 0.7 - 1.2 µm의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거

나 2.2 µm의 더 거친 표면을 가진 임플란트보다 더 많은 골-임플

란트 접촉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SLA 표면의 특징적인

거칠기와 미세 소와는 표면적을 늘리고 섬유소 골격과 골원성 세포의 유착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46-49 Perrin 등50도 SLA 표면

의 골친화적 특성은 표면의 성분보다는 지형학적(topographic)특성에서 기인하다고 하였다. SLA 임플란트는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하중부담시기를 6주까지 앞당기고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23-25 따라서 SLA 임플란트가 여러 가지 임플란

트 종류 중 가장 골유착을 앞당길 수 있는 표면 특성을 가졌으

며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적당한 표면거칠기(Ra)를 가져 NAC를 탑재하기 용이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의 주요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Lee 등42의 연구에 의하면 순수한 티타늄

임플란트와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에 NAC를 탑재한 후 용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에서는 5일 째까

지, 순수한 티타늄 임플란트에서도 2일 째까지 NAC가 용출되

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NAC가 탑재된 순수 티타늄 임플란트

와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 모두에서 NAC가 탑재되지 않은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표면 습윤성 및 골모세포의 생존율이 확연하

게 증가되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 검사 결과, 임플

란트 식립 4주차의 NAC를 탑재한 TiO2 나노튜브 임플란트에서 확연하게 높은 무기질 침착과 골형성을 보였다고 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체 비글 견에 식립된 SLA 임플란트에서 NAC가 초기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종류의 SLA 임플란트의 주변 골 형성에 관한 조직형태학

적 연구를 성견에서 시행한 Lai 등10의 연구를 보면 2주, 4주, 8주 후에 각각 조직표본을 채취하였는데, 2주와 4주 후에는 BIC%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8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SLA 임플란트에서 NAC가 초기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조금 더빠른 시기인 3주와 6주로 조직표본 채취시기를 정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3주차의 경우,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

(NSI군)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NI 군)보다 약 1.5배 높은 골-임플란트 접촉률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Fig. 4)(P > .05). 결과 값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3주차 골-임플란트 접촉률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이유는 적은 표본크기(n = 4)내에서 평균의 표준편차가 크게 도출되었기 때문

이다. Shalabi 등51은 동일한 실험개체 내에서도 악골 내의 임플

란트 매식체의 위치에 따라 피질골과 해면골 비율이 다르기 때문

에 임플란트 주위 골반응이 다양한 값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

였다. 본 연구에서도 실험군 간의 동등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한 실험군 내의 4개의 임플란트를 다른 비글 개체의 다양한 악골 위치에 골고루 식립하였다. 이는 분명 실험군 간의 공정한 비교에 기여했을 것이라 사료되나 동일 군내 표본이 악골의 다양

한 위치에 분산 식립됨으로써 결과값의 표준편차가 커지는 결과

를 가져왔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주차 골면

적 비율에서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SI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 (Fig. 5)(P < .05). 이는 NAC의 탑재

가 SLA 임플란트의 초기 골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6주차의 경우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 비율

모두에서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NSI 군)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NAC 탑재에 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Fig. 4,Fig. 5)(P > .05). 비교적 초기 치유시기라고 할 수 있는 3주차의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는 후기 치유시기라 할 수 있는 6주차의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와 비슷한 골-임플

란트 접촉률과 골면적 비율을 보였다. 이는 NAC의 탑재가 임플

란트의 골유착기간을 줄일 수 있는 약리학적 표면처리방법 중의

하나라는 것을 뒷받침한다.여러 연구에서 티타늄 표면에 적용된 NAC는 골전도와 골

유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물학적 능력이 있다고 하였

다.41,52,53 또한 NAC는 TNF-α, IL-1β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 및 반응 산소 종과 RANKL를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물질인 Cu/Zn SOD, Mn SOD, heme oxygenase-1(HO-1)과 골 형성 단백질인 BMP-2, BMP-7, SPARC 발현을 증가시켰다.42 RANKL은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는 특성을 가지며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염증반응과 골 흡수를 유발

시키는 물질이다.54,55 반대로 SPARC는 무기질화를 조절하는 세포 외 기질 단백질이다.56 세포 내의 증가된 반응 산소 종은 세포 내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 like 2 (Nrf2) 활성을 매개로 HO-1을 활성화시키고,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2

Page 1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8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Runx2)를 저해시켜 골모세포의 골형성 능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Lee 등의 최근 연구에서는 골모세포 내 반응 산소 종이 Nrf2를 활성시키는 과정을 NAC가 차단 및 억제함으로

써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변화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킨다고 하였다.57 본 연구에서 NAC가 탑재된 SLA 임플란트가 초기 골 형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 이유도 NAC가 항산화 작용을 동반

하여 골모세포의 기능을 촉진시키고 파골세포의 기능과 염증반

응은 감소시켰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첫째, 각 실험군

당 작은 표본 크기이며 둘째, NAC를 SLA 임플란트에만 적용했

다는 것이다. NAC를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에 적용

하는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제한된 치유시점에

서만 조직학적 관찰이 이루어졌다는 한계도 있다. 골유착이 비교적 빠르게 일어나는 SLA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을 고려했을 때, 더 이른 다양한 시기(3일, 1주, 2주 등)에 조직학적 분석을 하였다면 NAC의 효과를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NAC는 SLA 임플란트 주위의 초기 골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착기간을 단축시키고 하중 부담시기를 앞당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ORCID

Jae-Min Seo https://orcid.org/0000-0001-5095-4046In-Ju Kim https://orcid.org/0000-0002-3235-3826Min-Soo Bae https://orcid.org/0000-0002-6078-3639Jung-Jin Lee https://orcid.org/0000-0002-7381-5230Seung-Geun Ahn https://orcid.org/0000-0002-9105-931X

References

1. Buser D, Mericske-Stern R, Bernard JP, Behneke A, BehnekeN, Hirt HP, Belser UC, Lang NP. Long-term evaluation ofnon-submerged ITI implants. Part 1: 8-year life table analysis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Oral Implants Res 1997;8:161-72.

2. Jemt T, Chai J, Harnett J, Heath MR, Hutton JE, Johns RB,McKenna S, McNamara DC, van Steenberghe D, Taylor R,Watson RM, Herrmann I. A 5-year prospective multicenterfollow-up report on overdentures supported by osseointegrat-ed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291-8.

3. Lambrecht JT, Filippi A, Künzel AR, Schiel HJ. Long-termevaluation of submerged and nonsubmerged ITI solid-screwtitanium implants: a 10-year life table analysis of 468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826-34.

4. Lindquist LW1, Carlsson GE, Jemt T. A prospective 15-yearfollow-up study of mandibular fixed prostheses supported byosseointegrated implants. Clinical results and marginal boneloss. Clin Oral Implants Res 1996;7:329-36.

5. Brånemark PI, Adell R, Breine U, Hansson BO, Lindström J,Ohlsson A. Intra-osseous anchorage of dental prostheses. I.Experimental studie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1969;3:81-100.

6. Albrektsson T. Direct bone anchorage of dental implants. JProsthet Dent 1983;50:255-61.

7. Davies JE. Mechanisms of endosseous integration. Int JProsthodont 1998;11:391-401.

8. Raghavendra S, Wood MC, Taylor TD. Early wound healingaround endosseous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425-31.

9. Puleo DA, Nanci A.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the bone-implant interface. Biomaterials 1999;20:2311-21.

10. Lai HC, Zhuang LF, Zhang ZY, Wieland M, Liu X. Bone ap-position around two different 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implant surfaces at sites with coronal circumferentialdefects: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Clin Oral ImplantsRes 2009;20:247-53.

11. Binon PP. Implants and components: entering the new millen-nium.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76-94.

12. Buser D, Schenk RK, Steinemann S, Fiorellini JP, Fox CH,Stich H. Influence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bone 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s.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min-iature pigs. J Biomed Mater Res 1991;25:889-902.

13. Cooper LF. A role for surface topography in creating andmaintaining bone at titanium endosseous implants. J ProsthetDent 2000;84:522-34.

14. Cochran DL, Schenk RK, Lussi A, Higginbottom FL, Buser D.Bone response to unloaded and loaded titanium implants with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a histometric study inthe canine mandible. J Biomed Mater Res 1998;40:1-11.

15. Wennerberg A, Hallgren C, Johansson C, Danelli S. A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screw-shaped implants each pre-pared with two surface roughnesses. Clin Oral Implants Res1998;9:11-9.

16. Akimoto K1, Becker W, Persson R, Baker DA, Rohrer MD,O’Neal RB. Evaluation of titanium implants placed into simu-lated extraction sockets: a study in dogs. Int J Oral MaxillofacImplants 1999;14:351-60.

17. Botticelli D, Berglundh T, Buser D, Lindhe J. Appositionalbone formation in marginal defects at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1-9.

18. Botticelli D, Berglundh T, Buser D, Lindhe J. The jumpingdistance revisited: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ClinOral Implants Res 2003;14:35-42.

19. Botticelli D, Berglundh T, Lindhe J. The influence of a bio-material on the closure of a marginal hard tissue defect adja-cent to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Clin OralImplants Res 2004;15:285-92.

Page 1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83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20. Botticelli D, Persson LG, Lindhe J, Berglundh T. Bone tis-sue formation adjacent to implants placed in fresh extraction sockets: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Clin Oral Implants Res 2006;17:351-8.

21. Jung UW, Kim CS, Choi SH, Cho KS, Inoue T, Kim CK. Healing of surgically created circumferential gap around non-submerged-type implants in dogs: a histomorphometric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2007;18:171-8.

22. Schwarz F, Ferrari D, Herten M, Mihatovic I, Wieland M, Sager M, Becker J. Effects of surface hydrophilicity and mi-crotopography on early stages of soft and hard tissue integra-tion at non-submerged titanium implant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dogs. J Periodontol 2007;78:2171-84.

23. Roccuzzo M, Bunino M, Prioglio F, Bianchi SD. Early load-ing of sandblasted and acid-etched (SLA) implants: a pro-spective split-mouth comparative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2001;12:572-8.

24. Cochran DL, Buser D, ten Bruggenkate CM, Weingart D, Taylor TM, Bernard JP, Peters F, Simpson JP. The use of re-duced healing times on ITI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LA) surface: early results from clinical trials on ITI SLA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2;13:144-53.

25. Bornstein MM, Lussi A, Schmid B, Belser UC, Buser D. Early loading of nonsubmerg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LA) surface: 3-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659-66.

26. Szmukler-Moncler S1, Perrin D, Ahossi V, Magnin G, Ber-nard JP. Biological properties of acid etched titanium im-plants: effect of sandblasting on bone anchorage.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04;68:149-59.

27. Trisi P, Marcato C, Todisco M. Bone-to-implant apposition with machined and MTX microtextured implant surfaces in human sinus graf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3;23:427-37.

28. Boyan BD, Batzer R, Kieswetter K, Liu Y, Cochran DL, Szmuckler-Moncler S, Dean DD, Schwartz Z. Titanium sur-face roughness alters responsiveness of MG63 osteoblast-like cells to 1 alpha,25-(OH)2D3. J Biomed Mater Res 1998;39:77-85.

29. Cochran DL, Hermann JS, Schenk RK, Higginbottom FL, Buser D. Biologic width around titanium implants. A his-tometric analysis of the implanto-gingival junction around unloaded and loaded nonsubmerged implants in the canine mandible. J Periodontol 1997;68:186-98.

30. Kieswetter K, Schwartz Z, Hummert TW, Cochran DL, Simp-son J, Dean DD, Boyan BD. Surface roughness modulates the local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by osteo-blast‐like MG‐63 cells. J Biomed Mater Res 1996;32:55-63.

31. Cochran DL. The scientific basis for and clinical experi-ences with Straumann implants including the ITI Dental Implant System: a consensus report. Clin Oral Implants Res 2000;11:33-58.

32. Buser D, Broggini N, Wieland M, Schenk RK, Denzer AJ, Cochran DL, Hoffmann B, Lussi A, Steinemann SG. En-hanced bone apposition to a chemically modified SLA tita-nium surface. J Dent Res 2004;83:529-33.

33. Zhao G, Schwartz Z, Wieland M, Rupp F, Geis-Gerstorfer J, Cochran DL, Boyan BD. High surface energy enhances cell response to titanium substrate microstructure. J Biomed Ma-ter Res A 2005;74:49-58.

34. Basu S, Michaëlsson K, Olofsson H, Johansson S, Melhus H. Association between oxidative str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288:275-9.

35. Lee DH, Lim BS, Lee YK, Yang HC.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H2O2)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matrix mineralization of odontoblast and osteoblast cell lines. Cell Biol Toxicol 2006;22:39-46.

36. Mody N1, Parhami F, Sarafian TA, Demer LL. Oxidative stress modulates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vascular and bone cells. Free Radic Biol Med 2001;31:509-19.

37. Eckhardt A, Gerstmayr N, Hiller KA, Bolay C, Waha C, Spagnuolo G, Camargo C, Schmalz G, Schweikl H. TEGD-MA-induced oxidative DNA damage and activation of ATM and MAP kinases. Biomaterials 2009;30:2006-14.

38. Ziment I. Acetylcysteine: a drug with an interesting past and a fascinating future. Respiration 1986;50:26-30.

39. Schweikl H, Spagnuolo G, Schmalz G. Genetic and cel-lular toxicology of dental resin monomers. J Dent Res 2006;85:870-7.

40. Meister A, Anderson ME. Glutathione. Annu Rev Biochem 1983;52:711-60.

41. Lee YH, Lee NH, Bhattarai G, Oh YT, Yu MK, Yoo ID, Jhee EC, Yi HK. Enhancement of osteoblast biocompatibility on titanium surface with Terrein treatment. Cell Biochem Funct 2010;28:678-85.

42. Lee YH, Bhattarai G, Park IS, Kim GR, Kim GE, Lee MH, Yi HK. Bone regeneration around N-acetyl cysteine-loaded nanotube titanium dental implant in rat mandible. Biomateri-als 2013;34:10199-208.

43. Davies JE. Understanding peri-implant endosseous healing. J Dent Educ 2003;67:932-49.

44. Davies JE. Bone bonding at natural and biomaterial surfaces. Biomaterials 2007;28:5058-67.

45. Wennerberg A, Albrektsson T, Andersson B. Desig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13 commercially available oral implant system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622-33.

46. Park JY, Davies JE. Red blood cell and platelet interac-tions with titanium implant surfaces. Clin Oral Implants Res 2000;11:530-9.

47. Trisi P, Lazzara R, Rebaudi A, Rao W, Testori T, Porter SS. Bone-implant contact on machined and dual acid-etched sur-faces after 2 months of healing in the human maxilla. J Peri-odontol 2003;74:945-56.

48. Davies JE. Mechanisms of endosseous integration. Int J Prosthodont 1998;11:391-401.

Page 1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8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49. Trisi P, Lazzara R, Rao W, Rebaudi A. Bone-implant contactand bone quality: evaluation of expected and actual bone con-tact on machined and osseotite implant surface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2;22:535-45.

50. Perrin D, Szmukler-Moncler S, Echikou C, Pointaire P, Ber-nard JP. Bone response to alteration of surface topographyand surface composition of sandblasted and acid etched (SLA)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2;13:465-9.

51. Shalabi MM, Gortemaker A, Van’t Hof MA, Jansen JA,Creugers NH. Implant surface roughness and bone healing: asystematic review. J Dent Res 2006;85:496-500.

52. Feng YF, Wang L, Zhang Y, Li X, Ma ZS, Zou JW, Lei W,Zhang ZY.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verproductionon osteogenesis of porous titanium implant in the present ofdiabetes mellitus. Biomaterials 2013;34:2234-43.

53. Yamada M, Minamikawa H, Ueno T, Sakurai K, Ogawa T. N-acetyl cysteine improves affinity of beta-tricalcium phosphategranules for cultured osteoblast-like cells. J Biomater Appl2012;27:27-36.

54. Mayahara K, Yamaguchi A, Takenouchi H, Kariya T, TaguchiH, Shimizu N. Osteoblasts stimulate osteoclastogenesis viaRANKL expression more strongly than periodontal ligamentcells do in response to PGE(2). Arch Oral Biol 2012;57:1377-84.

55. Tripuwabhrut P, Mustafa M, Gjerde CG, Brudvik P, MustafaK. Effect of compressive force on human osteoblast-likecells and bone remodelling: an in vitro study. Arch Oral Biol2013;58:826-36.

56. Barker TH, Baneyx G, Cardó-Vila M, Workman GA, WeaverM, Menon PM, Dedhar S, Rempel SA, Arap W, PasqualiniR, Vogel V, Sage EH. SPARC regulates extracellular matrixorganization through its modulation of integrin-linked kinaseactivity. J Biol Chem 2005;280:36483-93.

57. Lee DW, Kook SH, Ji H, Lee SA, Choi KC, Lee KY, Lee JC.N-acetyl cysteine inhibits H2O2-mediated reduction in themineralization of MC3T3-E1 cells by down-regulating Nrf2/HO-1 pathway. BMB Rep 2015;48:636-41.

Page 1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85

ORIGINAL ARTICLE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서재민1,2 � 김인주1 � 배민수1 � 이정진1,2 � 안승근1,2*

1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2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목적: N-acetyl cysteine (NAC)를 탑재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임플란트를 성견에 식립한 후, 조직형태학적 분석을 통하

여 NAC가 SLA 임플란트 주위의 초기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NAC 탑재 여부에 따라 2개의 실험군으로 구성하였으며, SI 군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로, NSI 군은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로 설정하였다. 4마리의 성체 비글 견에 두 실험군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각 군당 n = 8) 술 후 3주와 6주에 각각 2마리의 비글 견을 희생하여 식립된 임플란트 매식체와 주위 골 조직을 채취하였다.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조직형태학적 검사를 통해 골-임플란트 접촉률 및 골면적비율을 계산하였다. NAC 탑재 여부에 따른 각 실험군간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비율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α = .05). 결과: 3주차의 경우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가 일반 SLA 임플란트보다 약 1.5배 높은 골-임플란트 접촉률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1.79 vs 35.43%; P = .185). 골면적 비율에서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가 일반 SLA 임플란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45.09 vs 37.57 %; P = .044). 6주차의 경우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 비율 모두에서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와 일반 SLA 임플란트가 비슷한 결과 값을 보였다(P > .05). 결론: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NAC는 SLA 임플란트 주위의 초기 골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임플란트의 골유착기간을 단축시키고 하중 부담시기를 앞당기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77-85)

주요단어: 임플란트; N-acetyl cysteine (NAC);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교신저자: 안승근

54896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063 250 2032: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9월 11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2월 25일 / 원고채택일: 2020년 1월 13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이 논문은 전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의 학술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Page 1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86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서론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인 알지네이트는 치과영역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며, 알지네이트 인상으

로 제작된 석고 모형은 치료 계획단계에서 필수적이다.1-3 알지네

이트 인상재는 취급이 쉽고 믿을만한 재현성을 가지며 경제적이

라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 흡수(imbibition)로 인한 팽창 및 수분 증발과 이액현상(syneresis)으로 인한 수축으로 변형되기 쉬워 체적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4 여러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알지네이트 인상체를 100% 습도 환경에서 보관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인 인상체 내부에서의 수축과 표면

에서의 지속적인 수분 흡수, 이액현상으로 인해 체적 안정성은 감소하게 된다.5-7 이전 연구들에서 인상체 보관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는데, 전통적인(conventional) 알지네이트는 인상채득 후 즉시 석고를 주입하는 것이 가장 좋고, 늦어도 30분 이내에 석고 주입을 추천했다.8-11 Davies12도 알지네이트는 인장 강도가 낮고, 이수 현상으로 인해 보관 시 체적 안정성이 감소

하기 때문에, 즉시 석고를 주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으며, Sawyer 등13 또한 폴리이써 인상재와 비교하여, 하이드로콜로이

드 인상재는 석고 주입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률이 높으며 적절한 보관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인상 채득 후 즉시 모형 제작을 권하였다.

https://doi.org/10.4047/jkap.2020.58.2.86ORIGINAL ARTICLE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방현지1 � 심현아2 � 조영은1 � 박은진1*

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2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Effect of mixing method and storage time on dimensional stability of alginate impressions materials

Hyun-Ji Bang1, Hyun-Ah Shim2, Young-Eun Cho1, Eun-Jin Park1*1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Th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olume stability depending on the mixing methods and storage time for the conventional alginate and extended-pour alginate. Materials and methods: An arch-shaped metal model was fabricated, and one conventional alginate and two extended-pour alginates were used to take impressions using different mixing methods (hand and automatic). 120 impressions were taken (40 per each alginate) and stone models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stor-age times (immediate, 2 days, 5 days, and 6 days). The models were scanned with a 3D table scanner and dimensional change was measured by superimposing the scan data. Using 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the general linear model and Tukey’s post hoc test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1).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mensional accuracy between two mixing methods, and the volume change was minimum when the stone was poured immedi-ately in all groups. Dimensional accur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2 days of storage, and extended-pour alginate showed higher accu-racy after 5 days of storage comparing to conventional one. Large amounts of volume change were showed at 2 - 5 days for conventional alginate and at 5 - 6 days for extended pour alginate. Conclusion: The mixing method of alginate does not affect volume stability. Although extended-pour alginate has better volume stability than con-ventional alginate for a long time, it is recommended to pour stone as soon as possible.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86-94)

Keywords: Alginate; Dimensional stability; Extended-pour alginate; Mixing method; Storage time

*Corresponding Author: Eun-Jin Park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1071 Anyangcheon-ro, Yangcheon-gu, Seoul 07985, Republic of Korea+82 (0)2 2650 5042: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December 19, 2019 / Last Revision February 13, 2020 / Accepted February 17, 2020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1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87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의 경우 석고의 즉시 주입이 추천되나 실제 임상에서는 즉시 주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며, 제조사 지시대로 정확하게 사용할 경우 최대 48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고는 하지만, 이때 모델의 정확도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시간이 경과해도 우수한 체적 안정성을 가지

는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개발을 위해 알지네이트 파우더의 조성

을 달리하여 체적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어왔

다. Fellow와 Thomas7은 나트륨에 대한 칼슘의 비가 높은 알지

네이트에서 체적안정성이 높고, 높은 필러함량을 가진 경우 저분

자 폴리머 사슬이 있는 경우가 높은 체적안정성을 보임을 보고

했다. 현재는 이러한 연구들의 성과로, 많은 제조사에서 필러와

기타 성분을 추가하여 체적안정성을 개선한 새로운 알지네이트

(extended-pour alginate)를 출시했다. 여러 연구에서 이 새로운

인상재는 120시간까지도 안정성 있게 체적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4,14,15 알지네이트 인상과정에서 혼수비, 혼합 시간, 혼합 방법(수동,

자동) 등 다양한 요소가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 알지네

이트 자동 혼합기는 혼합의 일관성과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어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혼합 방법이 모형의 정확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존재한다.16,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2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모형 스캔 및 중첩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금속 주모형 제작

Kaiser와 Nicholls18가 고안한 방법에 따라, 악궁 형태와 유사

한 주모형의 중심부에 기준이 되는 중심점(centric point)을 표시

하고 5개의 지대치를 동일한 평면상에 좌우 대칭이 되도록 위치

시켰다. 지대치는 중절치 중간 부위, 양쪽 제1소구치와 제2대구

치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였고, 각 지대치 중앙에 중심점을 형성

하여 중첩 시 참고점이 되도록 하였다. 모형의 측면은 3°의 경사

를, 지대치 축면은 치아 장축에 대하여 7°의 경사를 갖도록 하고 치경부에서 치면에 대해 3°의 언더컷을 부여하였다 (Fig. 1A).19

2.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및 모형 제작

기성 금속트레이를 아크릴판에 고정하였고, 트레이와 아크릴

판 사이에는 3 mm의 인상재가 빠져나올 공간을 부여하였다. 주모형에 수직적 위치를 고정하는 3개의 기둥(positioning rod)을 설치하여 지대치와 트레이 사이에 3 - 5 mm의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하였다 (Fig. 1B, 1C).

한가지의 전통적인 알지네이트(A: Cavex Impressional, Cavex Holland, Haarlem, The Netherlands)와 두가지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B: Cavex ColorChange, Cavex Holland, Haarlem, The Netherlands, C: SSS New Algistar, SAN EUS GYPSU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각 재료당 40개씩(수동 혼합 20개, 자동 혼합 20개) 총 120개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군 당 인상

체의 수는 검정력 90% 수준에서 규모를 산출하여 결정하였다

(G*Power version 3.1.9.4 software, 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Düsseldorf, Germany). 수동 혼합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제조사 지시에 따라 30초 동안 혼합 시행하였고, 자동 혼합

은 자동 혼합기(ShinMax GS350, Monitex Industrial Co. LTD., New Taipei City, Taiwan)를 이용하여 8초간 혼합하였다. 실내

온도 24 ± 1°C, 100% 상대 습도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알지네

이트 인상체를 물이 담긴 밀폐용기에 넣어 자외선 소독기(KRS-600T, Karis, Gimpo, Korea)에 보관하였다.

즉시, 2일, 5일, 6일의 보관 기간에 따라, 군당 5개씩의 인상체

에 제III형 치과용 석고(New Gypstone, SAN EUS GYPSUM CO, Tokyo, Japan)를 주입하여 석고모델을 제작하였다.

Fig. 1. (A) Master model, (B, C) Master model and impression tray in the positioning equipment

A B C

Page 1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8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3. 체적 변화량 측정

3D 테이블 스캐너(Freedom HD, DOF Inc., Seoul, Korea)로 석고모형을 스캔하여 STL (surface tessellation language) 파일

을 얻었다. 얻은 3차원 이미지의 스캔영상은 Geomagic Control X software (3D Systems, Santa Ana, CA, USA)를 이용하여, 금속 주모형과 중심점(centric point)를 기준으로 중첩하였다 (Fig. 2). 색지도(Color map)를 통해 변형이 일어난 부위를 1차적으로 확인하고, RMS (Root mean square)-value를 구하여 체적 변화

량을 측정하여, 혼합 방법과 석고 주입 시간에 따른 체적변화를 관찰하였다.20 RMS-value는 중첩된 모델간의 차이를 평균으로 나타낸 값으로 주모형 스캔 데이터 파일(x1,i)과 알지네이트 인상

을 통해 얻은 석고 모형 스캔 데이터 파일(x2,i)을 동일한 좌표계

에서 직접 비교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체적의 차이를 보여준

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4. 통계분석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였다. 참고점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얻은 RMS-value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잔차의 정규 확률도(P-P Plots)와 잔차 대 적합치 그래프를 통해 잔차가 정규 분포와 등분산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각 군간의 혼합 방법과 석고 주입 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선형모형(General Linear Model)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Tukey의 방법으로 사후 검정 시행하였다 (P < .001).

결과

1. 혼합 방법에 따른 체적 변화

각 실험 군에서 측정한 RMS-value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

과 같다 (Table 1, Fig. 3). A군에서 즉시, 2일, 5일, 6일 보관한 경우 모두에서 혼합방법(자동혼합/수동혼합)에 따른 RMS-value

Fig. 2. Model scan and Superimposition.

Fig. 3. RMS-value for each alginate (A, B, C) depending on mixing method and stone pouring tim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age 2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89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B군과 C군에서

도 각 보관 기간 모두에서 혼합방법에 따른 RMS-value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보관 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

모든 재료에서 혼합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각 군내의 혼합방법차이는 배제하고 보관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Table 2). 보관 시간에 따라 A군은 즉시 50.46 ± 5.88 µm, 2일 91.43 ± 7.98 µm, 5일 235.63 ± 6.94 µm, 6일 283.95 ± 7.55 µm, B군은 즉시 48.82 ± 6.53 µm, 2일 77.50 ± 5.56 µm, 5일 118.15 ± 4.02 µm, 6일 181.29 ± 8.06 µm, C군은 즉시 48.06 ± 6.54 µm, 2일 78.21 ±4.65 µm, 5일 130.14 ± 4.27 µm, 6일 192.64 ± 8.66 µm의 RMS-value를 보였다.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적 안정성이 감소하였으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B, C)에 비해 전통적인 알지네이트(A)에서 부피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알지네이트 종류에 따른 체적 안정성을 비교하였을 때, 보관 후 2일 이후 A군과 B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Table 2. RMS-value of each group regardless of mixing methodGroup Time n Mean SD

A 0 10 50.46 5.882 10 91.43 7.985 10 235.63 6.946 10 283.95 7.55

B 0 10 48.82 6.532 10 77.50 5.565 10 118.15 4.026 10 181.29 8.06

C 0 10 48.06 6.542 10 78.21 4.655 10 130.14 4.276 10 192.64 8.66

Table 1. RMS-value for each alginate (A, B, C) depending on mixing method and stone pouring timeGroup Time (days) Method N Mean ± SD P-value

A 0 hand mix 5 50.44 ± 6.34 1.000 auto 5 50.48 ± 6.13

2 hand mix 5 92.46 ± 9.33 1.000 auto 5 90.40 ± 7.32

5 hand mix 5 236.28 ± 5.82 1.000 auto 5 234.98 ± 8.57

6 hand mix 5 280.98 ± 8.63 0.999 auto 5 286.92 ± 5.64

B 0 hand mix 5 49.32 ± 7.20 1.000 auto 5 48.32 ± 6.59

2 hand mix 5 78.76 ± 6.43 1.000 auto 5 76.24 ± 4.93

5 hand mix 5 118.60 ± 3.63 1.000 auto 5 117.70 ± 4.76

6 hand mix 5 179.94 ± 7.62 0.999 auto 5 182.64 ± 9.14

C 0 hand mix 5 47.96 ± 6.43 1.000 auto 5 48.16 ± 7.40

2 hand mix 5 78.20 ± 5.62 1.000 auto 5 78.20 ± 4.14

5 hand mix 5 128.82 ± 3.62 1.000 auto 5 131.46 ± 4.86

6 hand mix 5 197.22 ± 5.33 0.999 auto 5 188.06 ± 9.37

Page 2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9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5일 이후에는 extended-pour 알지네이

트 인상체가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P < .001). 전통적인 알지

네이트 인상체는 2일부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인상체의 경우 5일 이후에서 급격한 부피 변화를 보였다 (Table 3, Fig. 4).

각 알지네이트 재료에서 석고 주입 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를 색지도(color map)로 나타내었는데, 체적 변화가 가장 작은 부위

는 모형의 중심 부위였고 큰 부위는 구치부 후방부와 치아의 언더컷 부위였다 (Fig. 5).

Table 3. Comparison of each group to investigate whether if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Time Effect P-value0 A*B 1.000

B*C 1.000C*A 1.000

2 A*B < .001B*C 1.000C*A 0.001

5 A*B < .001B*C .005C*A < .001

6 A*B < .001B*C .010C*A < .001

Fig. 5. The volume change by storage time (0, 2, 5, 6 days) in a color map.

Fig. 4. Dimensional change in accordance with storage time (*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 < .001).

300

250

200

150

100

50

00 1 2 3 4 5 6

Days

A. Impressional

B. Color Change

C. New Algistar

Page 2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91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고찰

알지네이트 인상재는 치과영역에서 교정장치 제작이나 진단

모형제작을 위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21 알지네이트 인상재 혼합방법이 알지네이트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체적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있다. Inoue 등22은 자동 혼합기를 사용한 경우, 반자동 혼합기를 사용

한 경우에 비해 작업 시간과 경화 시간이 현저하게 짧다고 하였

고, 자동 혼합기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 혼합보다 균일하게 혼합

되며 기포 발생이 적어 임상에서 선호된다고 하였다. Dreesen 등23

은 수동 혼합과 자동 혼합기를 사용한 경우 모두에서 50 µm까

지 미세 재현성을 보였지만, 자동 혼합에 비해 수동 혼합한 경우

에서 인상재의 탄성회복과 인장강도가 낮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Frey 등24은 자동 혼합기를 사용한 경우 수동혼합에 비해 탄성 복원력과 압축강도가 우수하며, 자동혼합기의 사용이 알지네

이트 인상재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고 하였다. 알지네이트 혼합 방법이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

은 다양한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데, Eriksson 등16은 자동 혼합

한 경우 열 수축과 이액 현상이 촉진되어 수동혼합에 비해 체적

안정성이 감소된다고 보고하였으나, Culhaoglu 등17은 자동 혼합한 경우가 더 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모든 군에서 자동 혼합기를 이용한 경우와 수동으로 혼합한 경우, 혼합 방법에 따른 체적 안정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제조사의 지시대로만 사용한다면 수동 혼합

도 충분히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정확한 모형을 얻기 위해서는 채득한 알지네이트 인상체 내

로 석고 주입을 가급적 빨리 시행하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

하다. 본 연구에서 즉시 석고를 주입했을 때, 알지네이트 재료와 혼합 방법에 따른 모형의 정확성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세가지 종류의 모든 알지네이트에서 50 µm 이하의 차이를 보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적 변화량

이 증가하였다.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경우 즉시 석고를 주입하

지 못하는 경우 100% 상대 습도 상태에 보관하며, 보관 시간은

최소한으로 해야한다.25-27 그렇지만, 실제 임상 에서는 즉시 석고

주입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제조사의 지시 시간을

지나서 석고를 주입하는 경우도 있다. Nassar 등28은 즉시 석고를

주입하는 것은 임상에서 어려우며, 4시간의 지연은 일반적이라

고 하였고 즉시 석고를 주입한 경우와 4시간 뒤에 석고를 주입한

경우 변형률은 0.5%미만이라고 하였다.Walker 등의 연구에서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를 비교한 연구에서, 보관시간 경과에 따른 이액현

상의 결과로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보관 기간 동안 수축이 지속된 반면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는 처음 30분간의 수축 이후 팽창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재료의 높은 필러 대 폴리머 비율과 칼슘 대 나트륨 비율과 관련

한 차이로 인한 것으로 보고되었다.7,29 과거 연구에서는 정확하

게 인상체를 보관한다면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모두 최대 24시간 까지 정확한 모형을 얻을 수 있으

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120시간까지 보관이 가능하

다고 보고하였다.30 Nassar 등28은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는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보다 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적절히 보관

되면 5일 뒤에도 진단 캐스팅 및 아크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2일까지 일정

한 변화를 보이다가 2일 이후부터 급격히 변했고,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는 5일까지 일정한 변화를 보이다가 5일 이후부터 급격히 변했다. 또한, 보관 2일 뒤부터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제조사 지침에 따르면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도 2일까지는 체적 안정성이 유지된다고 하나, 실제 임상 환경에서 2일 동안 보관해야 하면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볼 수 있겠다.

현재,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의 임상적 허용 한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이전의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를 대상으로 한 24시간 연구에서 0.6 - 3.4%의 체적 변화를 보고한 바 있다.9,31 ADA specification No. 19에 따르면 탄성인상재는 0.5% 미만의 체적 변화를 보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대부분의 알지네

이트 재료는 이 기준을 만족시키지는 못했다.32 본 연구에서 2일 뒤 석고를 주입했을 때, A군 91.43 ± 7.89 µm, B군 77.50 ± 5.56 µm, C군 78.21 ± 4.65 µm, 5일에서는 A군 235.63 ± 6.94 µm, B군 118.15 ± 4.02 µm, C군 130.14 ± 4.27 µm의 결과를 보였다. 제조사가 권장하는 최대 체적 안정성 기간은 A에서 2일, B, C에

서 5일이라고 하였는데 보관 2일 뒤 모든 군에서 100 µm 이하, 보관 5일 뒤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130 µm 이하의 오차

를 보여 진단 모형 또는 임시치아 제작 등의 용도로는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체적 안정성이 개선된

2종류의 알지네이트에서,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의 차이를 모형 스캔과 중첩을 통해 비교하였다. 기준이 되는 주모형과 알지네이트 인상을 통해 얻은 석고 모형의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여, 색지도를 통해 보다 정확한 변형 부위와 변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체적 변화가 가장 작은 부위는 모형

의 중심부였고, 큰 부위는 구치부 후방 부위와 치아의 언더컷 부위였다. 전방부보다 후방부에서 변위가 더 큰 경향은 Ender와 Mehl33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는 사람이 직접 모형 상의 참고점에서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으

로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는데, 이 방법은 사람의 주관이 들어가기 쉽고, 변형이 발생된 부위와 크기는 확인이 어렵

다는 제한점이 있었다.30,34 본 연구에서는 체적변화를 정량적으

로 나타내기 위해 표면 평균 변위량인 RMS-value을 사용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Geomagic Control X (3D system Inc., Rock Hill, SC, USA)는 삼차원 모형 스캐너로부터 얻은 데이터

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며, 변형 부위를 색지도로 표현할 수 있어, 변형 부위와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Page 2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9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하지만, 아직까지 디지털 스캐너가 완벽히 오차 없이 스캔을 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의 변형량은 알지네이트 재료 자체의 변화뿐 아니라 디지털 스캐너의 오차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전통적인 알지네이트 1개와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2개의 세 종류만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고, 한 군당 제작한 모델 수가 적었으며, 석고를 주입한 시기를 0일부터 6일까지 24시간 단위로 하지 않고, 0, 2, 5, 6일에서

만 관찰을 시행하여 가장 큰 체적 변화를 보이는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기에, 추후 이를 보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결론

알지네이트 종류에 따른 혼합 방법(수동, 자동)과 석고 주입 시간(즉시, 2일 5일, 6일)이 모델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

여, 3D 스캐너와 디지털 중첩을 이용하여 체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알지네이트의 혼합 방법에 따른 체적 안정성은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2. 전통적인 알지네이트 및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모두 즉

시 제작한 모형에서 정확도가 가장 우수했다.3. RMS-value와 색지도(color map)로 분석 시, extend-pour

알지네이트가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비교해서 상대적으

로 오랜 기간 동안 체적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있다.

4.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진단 모형의 임상적 허용 한계를 고려

하였을 때,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2일까지, extended pour알지네이트는 최대 5일까지 보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ORCID

Hyun-Ji Bang https://orcid.org/0000-0002-3008-6170Hyun-Ah Shim https://orcid.org/0000-0002-7153-6860Young-Eun Cho https://orcid.org/0000-0003-0341-2150Eun-Jin Park https://orcid.org/0000-0001-6383-449X

References

1. Cook W. Alginate dental impression materials: chemistry,structure, and properties. J Biomed Mater Res 1986;20:1-24.

2. Giordano R 2nd. Impression materials: basic properties. GenDent 2000;48:510-2, 514, 516.

3. Stevens DR, Flores-Mir C, Nebbe B, Raboud DW, Heo G,Major PW. Val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plastervs digital study models: comparison of peer assessment ratingand Bolton analysis and their constituent measurements. Am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794-803.

4. Imbery TA, Nehring J, Janus C, Moon PC. Accurac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extended-pour and conventional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J Am Dent Assoc 2010;141:32-9.

5. Santoro M, Galkin S, Teredesai M, Nicolay OF, CangialosiTJ. Comparison of measurements made on digital and plastermodel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4:101-5.

6. Nallamuthu N, Braden M, Patel MP. Dimensional changes ofalginate dental impression materials. J Mater Sci Mater Med2006;17:1205-10.

7. Fellows CM, Thomas GA. Determination of bound andunbound water in dental alginate irreversible hydrocolloid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Dent Mater2009;25:486-93.

8. Cohen BI, Pagnillo M, Deutsch AS, Musikant BL. Dimen-sional accuracy of three different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odont 1995;4:195-9.

9. Chen SY, Liang WM, Chen FN.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elastometric impression materials. J Dent 2004;32:603-9.

10. Sedda M, Casarotto A, Raustia A, Borracchini A. Effect ofstorage time on the accuracy of casts made from different ir-reversible hydrocolloids. J Contemp Dent Pract 2008;9:59-66.

11. Alcan T, Ceylanoğlu C, Baysal B. The relationship betweendigital model accuracy and time-dependent deformation ofalginate impressions. Angle Orthod 2009;79:30-6.

12. Davies C. Orthodontic products update. Cross infection con-trol and elastomeric module delivery systems. Br J Orthod1998;25:301-3.

13. Sawyer HF, Sandrik JL, Neiman R. Accuracy of casts pro-duced from alginate and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JAm Dent Assoc 1976;93:806-8.

14. Todd JA, Oesterle LJ, Newman SM, Shellhart WC. Dimen-sional changes of extended-pour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3;143:S55-63.

15. Wadhwa SS, Mehta R, Duggal N, Vasudeva K. The effect ofpouring time o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casts made fromdifferent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Con-temp Clin Dent 2013;4:313-8.

16. Eriksson A, Ockert-Eriksson G, Lockowandt P. Accuracy ofirreversible hydrocolloids (alginates) for fixed prosthodontics.A comparison between irreversible hydrocolloid, reversiblehydrocolloid, and addition silicone for use in the syringe-traytechnique. Eur J Oral Sci 1998;106:651-60.

17. Kursad A, Zaimoğlu A, Dogan E, Özkır S. The influenceof different mixing methods on the dimensional stabilityand surface detail reproduction of two different brands ofirreversible hydrocolloids. Eur J Gen Dent 2014;3:17-21.

18. Kaiser DA, Nicholls JI. A study of distortion and surfacehardness of improved artificial stone casts. J Prosthet Dent1976;36:373-81.

19. Kulkarni MM, Thombare RU. Dimensional changes of al-ginate dental impression materials-An invitro study. J ClinDiagn Res 2015;9:ZC98-ZC102.

Page 2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93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20. Cho SH, Schaefer O, Thompson GA, Guentsch A. Compari-son of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casts made by digital and conventional methods. J Prosthet Dent 2015;113:310-5.

21. Anusavice KJ, Shen C, Rawls HR. Phillip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22. Inoue K, Song YX, Kamiunten O, Oku J, Terao T, Fujii K. Effect of mixing metho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J Oral Rehabil 2002;29:615-9.

23. Dreesen K, Kellens A, Wevers M, Thilakarathne PJ, Willems G. The influence of mixing methods and disinfecta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Eur J Or-thod 2013;35:381-7.

24. Frey G, Lu H, Powers J. Effect of mixing method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odont 2005;14:221-5.

25. Dalstra M, Melsen B. From alginate impressions to digi-tal virtual models: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J Orthod 2009;36:36-41; discussion 14.

26. Torassian G, Kau CH, English JD, Powers J, Bussa HI, Marie Salas-Lopez A, Corbett JA. Digital models vs plaster models using alginate and alginate substitute materials. Angle Orthod 2010;80:474-81.

27. White AJ, Fallis DW, Vandewalle KS. Analysis of intra-arch and interarch measurements from digital models with 2 impression materials and a modeling process based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

thop 2010;137:456.e1-9; discussion 456-7. 28. Nassar U, Hussein B, Oko A, Carey JP, Flores-Mir C. Di-

mensional accuracy of 2 irreversible hydrocolloid alternative impression materials with immediate and delayed pouring. J Can Dent Assoc 2012;78:c2.

29. Walker MP, Burckhard J, Mitts DA, Williams KB. Dimen-sional change over time of extended-storage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Angle Orthod 2010;80:1110-5.

30. Gümüş HÖ, Dinçel M, Büyük SK, Kilinç Hİ, Bilgin MS, Zor-tuk M. The effect of pouring time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casts made from conventional and extended-pour irrevers-ible hydrocolloids by 3D modelling. J Dent Sci 2015;10:275-81.

31. Coleman RM, Hembree JH, Weber FN. Dimensional stability of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 Am J Orthod 1979;75:438-46.

32. Revised American Dental Association Specification no.19 for Non-Aqueous, Elastomeric dental impression materials. J Am Dent Assoc 1977;94:733-41.

33. Ender A, Mehl A. Accuracy of complete-arch dental impres-sions: a new method of measuring trueness and precision. J Prosthet Dent 2013;109:121-8.

34. Schaefer O, Decker M, Wittstock F, Kuepper H, Guentsch A. Impact of digital impression techniques on the adaption of ceramic partial crowns in vitro. J Dent 2014;42:677-83.

Page 2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9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ORIGINAL ARTICLE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방현지1 � 심현아2 � 조영은1 � 박은진1*

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2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목적: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체적 안정성을 개선한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 차이를 평가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여 한 종류의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로 군 당 40개 씩(수동 혼합 20개, 자동 혼합 20개) 인상 채득 후 즉시, 2일, 5일, 6일 보관 기간에 따라 군당 5개씩의 석고 모형 제작하였고, 3D 테이블 스캐너로 모델 스캔 후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여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으로 일반선형모형을 사용하였고 Tukey의 방법으로 사후검정 시행하였다 (P < .001).결과: 혼합 방법에 따른 정확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모든 군에서 즉시 석고 주입한 경우 가장 적은 부피 변화를 보였다. 2일 보관 후 석고 주입 시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보관 5일 후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의 경우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2 - 5일에서, extended pour alginate의 경우 5 - 6일에서 급격한 부피 변화를 보였다.결론: 알지네이트의 혼합 방법은 체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가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보다 장시간 체적 안정성이 우수하나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석고를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86-94)

주요단어: 알지네이트; 체적안정성; Extended-pour 알지네이트; 인상재 혼합 방법; 인상재 보관 시간

*교신저자: 박은진

07985 서울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02 2650 5042: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12월 19일 / 원고최종수정일: 2020년 2월 13일 / 원고채택일: 2020년 2월 17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2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95

서론

근관치료의 주요한 목적은 근관와동의 형성과 근관계의 모든

치수공간의 완전한 세정 및 형성을 통하여, 근관계를 삼차원적

으로 완벽하게 충전하는 것이다.1 따라서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서는 치근 및 근관 형태의 완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악 대구치는 상악 치열에서 가장 복잡한 치근 및 근관 형태

를 가진다.2,3 따라서 가장 높은 근관치료 실패율이 상악 대구치

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근관치료 시 임상가들에게 끊임없는 도전

에 직면하게 한다.4

여러 연구들이 상악 대구치의 해부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도를 해왔다.상악 대구치 근심협측 치근에서의 제2근심협측(Second

mesiobuccal; MB2) 근관의 존재는 상악 대구치의 광범위한 변이에 기여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2,4-19

또한 해부학적 변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C형 근관

형태이다. 대부분의 C형 근관은 하악 제2대구치에서 발견되나,20 하악 제1대구치,21 상악 제1, 2대구치,14,22-26 하악 제1, 2소구치27

https://doi.org/10.4047/jkap.2020.58.2.95ORIGINAL ARTICLE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이태용 � 김미연* � 김선호 � 김정희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Evaluation of root and root canal morphology of elderly Korean patients maxillary molar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Tae-Yong Lee, Mi-Yeon Kim*, Sun-Ho Kim, Jeong-Hee Kim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VHS Medical Center Dental Hospital, Seoul, Republic of Korea

Purpose: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the second mesiobuccal (MB2) canal, root fusion, and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the Korean maxillary first (MM1) and second (MM2) molars by analyz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undergoing presurgi-cal CBCT examination wer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The CBCT images of 1498 MM1 and 1742 MM2 from 1658 Korean patient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a MB2 canal, the types of canal configurations, root fusion, and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s. Furth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cidence of MB2 canal and age, gender, and tooth posi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was relatively old (mean age: 66.1 years). The percentage of MB2 canals in MB roots was 60.1% and 28.0% in MM1 and MM2, respectively, with the most common configurations being Weine type III in MM1 and Weine type II in MM2.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a MB2 canal decreased with age in both molars and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in the MM1 only. Furthermore, root fusion was present in 2.3% and 26.2% of the MM1 and MM2, respectively, whereas C-shaped root canals were observed in 0.4% and 2.7% of the MM1 and MM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B2 canal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MM1, whereas root fusion and C-shaped root canals were both seen more frequently in the MM2.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95-102)

Keywor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shaped root canal; Maxillary molars; Root fusion; Second mesiobuccal canal

*Corresponding Author: Mi-Yeon Kim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VHS Medical Center Dental Hospital,53, Jinhwangdo-ro 61-gil, Gangdong-gu, Seoul 05368, Republic of Korea+82 (0)2 2225 1925: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February 17, 2020 / Last Revision March 31, 2020 / AcceptedApril 2, 2020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이 논문은 2018년도 중앙보훈병원 연구개발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과제임(VHSMC 18009).

Page 2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9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에서도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두 명의 연구자가 상악 대구

치에서 C형 근관을 보이는 증례를 처음 보고 하였다.26 하악 대구치의 C형 근관에 대한 분류방법 및 해부학적 형태는 여러 문헌

들에서 연구되어 왔다.20 하지만 아직까지 상악 대구치의 C형 근관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 않고, 분류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한국인 상악 제1대구치, 제2대구치에서 연령, 성별, 치아위치에 따른 근십협측 치근에서 MB2 근관의 발생

률,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의 발생률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번 연구는 중앙보훈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았다(BOHUN 2018-02-021).

2014년에서 2016년까지 총 3년간 임플란트 수술, 매복치의 수술적 제거를 위해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에 방문한 환자의 CBCT 영상 가운데서, 총 1658명의 환자(남자 1471명, 여자 187명)가 기준을 만족하였고, 상악 제1대구치 1498개와 상악 제2대구치 1742개가 후향적으로 평가되었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66.1세였고, 19세 - 92세의 연령이 포함되었다. 상악 제1대구치

는 1349명이 양측 모두 존재하였고, 상악 제2대구치는 453명

이 양측 모두 존재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 및 상악 제2대구치의 CBCT 영상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1) 포함기준: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본원 치과병원에서 진단용으로 CBCT 촬영한 환자 중 상악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가 존재하는 환자

2) 제외기준: 완전하게 근심협측 치근이 형성되지 않은 치아, 근관치료, 포스트 및 크라운 치료가 된 치아, 상이 흐릿하여 근관형태 식별이 불가능한 치아

CBCT는 KaVo 3D exam (KaVo Dental, Biberach, Germany)를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16 cm × 13 cm field of view, 0.3 mm voxel size, 120 kVp로 설정하였다. Axial, coronal, sagittal 방향

의 이차원적 절편 영상을 On Demand 3D (CyberMed Interna-tiona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치근 및 근관 관찰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영상의 대조도와 밝기가 조정되었다. 두명의 치과의사가 모든 영상을 독립적으로 각각 관찰하였으며 만일 두 명의 의견 일치가 되지 않는 영상의 경우, 충분한 토의를 통해 최종적인 결론을 냈다. 1개

월 후 다시 한번 영상을 판독하였다. 관찰자 간 및 관찰자 내 일치도는 cohen’s kappa test를 통해 평가하였고, 모두 거의 완벽한 일치를 보였다.

MB2 근관의 형태는 Weine의 분류법28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Weine (1969)은 치근의 근관계를 다음과 같은 4가

지 형태로 분류하였다.1) Type I: 치수강으로부터 한개의 근관

2) Type II: 치수강으로부터 두개의 근관으로 분류되나 근단

에서 하나로 합쳐짐

3) Type III: 치수강으로부터 분리된 두개의 근관

4) Type IV: 치수강에서 한개의 근관으로 시작하여 근단에서 두개로 나눠짐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의 분류방법은 Martins22 및 Jo23의 분류

법을 참고했으며, 이번 실험결과에 맞게 변형하였다. 3개의 치근

을 가지는 치아는 2개의 치근이 서로 융합된 경우와 3개의 치근

이 모두 융합된 경우를 구분하였으며, 치근이 2개나 4개인 경우

는 기타 형태로 구분하였다. 치근과 근관은 약어로 표기하였고

(B: buccal, P: palatal, MB: mesiobuccal, DB: distobuccal, MP: mesiopalatal, DP: distopalatal), 치근 혹은 근관이 융합된 순서에 따라 하이픈(-)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나타내었다. 치근융합과 C형 근관의 분류에 대한 예시 CBCT 영상(axial section)이 Fig. 1과 Fig. 2에 각각 나타나있다.

Fig. 2. Representative CBCT image of a C-shaped canal in the maxillary molars (axial section).

Fig. 1. Representative CBCT image of a root fusion in the maxillary molars (axial section).

Page 2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97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통계적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1) 상악 대구치에서 연령에 따른 MB2 근관 발생에 대한 경향

성: Chi squared test for proportion2) 성별 및 치아위치에 따른 MB2 근관의 발생률: Fisher exact

test3)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간 MB2 근관, 치근융합 및 C

형 근관 발생률 비교: Fisher exact test4) 추가근관이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성: exact Mcnemar

test

결과

CBCT를 이용한 분석에서 상악 제1대구치는 근심 협측 치근

의 39.9%에서 한 개의 근관, 60.1%에서 두 개의 근관이 관찰

되었다. 근심협측 치근이 두 개의 근관을 가지는 경우, Type III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상악 제2구치는 근심협측 치근의 72.0%에서 한 개의 근관, 28.0%에서 두 개의 근관이 관찰되었

다. 근심협측 치근이 두 개의 근관을 가지는 경우 Type II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Table 1). 상악 제1대구치에서 상악 제2대

구치에서보다 MB2 근관의 발생률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 < .001).

상악 대구치에서 연령에 따라 근심협측 치근에서 추가적인 근관이 나타날 확률은 Table 2에 정리되어 있다. 상악 제1대구치 및 상악 제2대구치 모두 Chi squared test for proportion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추가 근관이 발견될 확률이 낮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P < .001).Table 3은 성별 및 치아위치에 따른 상악 대구치에서 추가 근

관이 나타날 확률에 대해 보여준다. 치아 위치에 대해서는 상악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

만 성별에 대해서 는 상악 제1대구치만 남성에서 61.6%, 여성에

서 53.3%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5)한쪽 치아에서 추가 근관의 유무가 반대편 치아에서도 똑같

이 나타날 가능성(양측성)은 exact Mcnemar test에서(MM1에서 0.79, MM2에서 0.87; P > .05) 높은 대칭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4는 상악 대구치의 치근융합 형태 및 발생률에 대해 나

타낸다.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융합 발생률은 15.2%로 나타났

다. 상악 제1대구치에서는 DB-P형태가, 상악 제2대구치에서는 MB-P형태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치근융합 발생률은 상악 제2대구치(26.2%) 에서 상악 제1대구치(2.3%)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 < .001).

Table 5은 상악 대구치의 C형 근관의 형태 및 발생률을 보여준

Table 3. Number and incidence rate of the MB2 canal by gender and tooth positionGender Tooth position

Male Female Right LeftMaxillary first molar Total (n) 1311 184 739 756

teeth with MB2 canal (n) 801 98 448 451Frequency (%) 61.1%* 53.3% 60.6% 59.7%

Maxillary second molar Total (n) 1483 183 879 787teeth with MB2 canal (n) 421 46 245 222Frequency (%) 28.4% 25.1% 27.9% 28.2%

*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Table 1. Canal configurations and number and percentage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 mesiobuccal rootsType Ⅰ Type Ⅱ Type Ⅲ Type Ⅳ

No. of teeth (%)Maxillary first molar 596 (39.9%) 373 (24.9%) 506 (33.8%) 20 (1.3%)Maxillary second molar 1199 (72.0%) 274 (16.4%) 156 (9.4%) 37 (2.2%)

Table 2. Number and incidence rate of the MB2 canal by ageAge (y)

≤ 39 40 - 49 50 - 59 60 - 69 70 - 79 ≥ 80

No. of teeth (%)Maxillary first molar 81/103 (78.6%) 61/87 (70.1%) 128/192 (66.7%) 310/531 (58.4%) 288/516 (55.8%) 31/66 (47.0%)Maxillary second molar 52/122 (42.6%) 31/75 (41.3%) 56/190 (29.5%) 152/563 (27.0%) 163/637 (25.6%) 13/79 (16.5%)

Page 2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9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다. 상악 대구치에서 C형 근관의 발생률은 0.02%로 나타났다. 상악 제1대구치에서는 MB-DB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상악 제2대구치에서는 MB-DB와 MB-P-DB 형태가 같은 확률로 많이 나타났다.

상악 제2대구치(2.7%)에서 상악 제1대구치(0.4%)보다 C형근

관의 발생률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 < .001).

고찰

1. 상악대구치에서 MB2 근관의 발생률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MB2 근관 발생률은 60.1% 였다. 이와 유사한 결과를 발표한 이전 연구결과가 존재하며,6,14 이보다 더 낮거나, 높은 발생률(52% - 90.5%)을 보고한 논문들

도 존재하였다.2,4,5,7-13,15,16-18 상악 제1대구치에서 MB2 근관이 존재할 때 가장 우세한 형태는 Type III 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이번 결과와 같이 Type III가 우세하다고 보고한 논문이 있는 반면, 4-7,9-11,13,14,16 어떤 연구에서는 Type II가 우세하다고 보고하기도

했다.2,8,12,17

반면 상악 제2대구치의 MB2 근관 발생률은 28.0% 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한 이전 연구결과가 존재하며,15 이보다 더 낮거나, 높은 발생률(22% - 72.9%)을 보고한 논문들도 존재하

였다.4,8,11-14,16,18 상악 제2대구치에서 MB2 근관이 존재할 때 가장 우세한 형태는 Type II 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이번 결과와 같은 Type III가 우세하다고 보고한 논문이 있는 반면,12,14,16,17 어떤 연구에서는 Type III가 우세하다고 보고하기도 했다.4,8,13 여러 연구간의 이러한 차이는 인종, 표본 수, 피험자의 연령, 연구방법과 같은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 Type and number of root fusion i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Type of root fusion Total (n = 3,240)

Maxillary first molar (n = 1,498)

Maxillary second molar (n = 1,742)

Fusion of 2 roots MB-P 289 (8.9%) 179 (5.5%) 3 (0.2%) 176 (10.1%)DB-P 51 (1.6%) 16 (1.1%) 35 (2.0%)MB-DB 59 (1.8%) 9 (0.6%) 50 (2.9%)

Fusion of 3 roots MB-DB-P 152 (4.7%) 9 (0.3%) 2 (0.1%) 7 (0.4%)DB-MB-P 39 (1.2%) 1 (0.1%) 38 (2.2%)MB-P-DB 54 (1.7%) 2 (0.1%) 52 (3.0%)All root 50 (1.5%) 0 (0.0%) 50 (2.9%)

Other types B-P(2 root) 50 (1.5%) 30 (0.9%) 1 (0.1%) 29 (1.7%)MB-MP/DB-DP 7 (0.2%) 0 (0.0%) 7 (0.4%)MB-MP 10 (0.3%) 0 (0.0%) 10 (0.6%)MB-MP-DP 2 (0.1%) 0 (0.0%) 2 (0.1%)DB-MB-MP-DP 1 (0.03%) 1 (0.1%) 0 (0.0%)

Total 491 (15.2%) 35 (2.3%) 456 (26.2%)**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Table 5. Type and number of C-shaped root canal i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Type of C-shaped root canal Total (n = 3,240) Maxillary first molar(n = 1,498)

Maxillary second molar (n = 1,742)

Fusion of 2 roots MB-P 34 (0.01) 6 (0.2%) 0 (0.0%) 6 (0.3%)DB-P 9 (0.3%) 1 (0.1%) 8 (0.5%)MB-DB 19 (0.6%) 4 (0.3%) 15 (0.9%)

Fusion of 3 roots DB-MB-P 16 (0.005%) 1 (0.03%) 0 (0.0%) 1 (0.1%)MB-P-DB 15 (0.5%) 0 (0.0%) 15 (0.9%)

Other types MB-MP/DB-DP 3 (0.001%) 1 (0.03%) 0 (0.0%) 1 (0.1%)MP-DP 2 (0.1%) 1 (0.1%) 1 (0.1%)

Total 53 (0.02%) 6 (0.4%) 47 (2.7%)**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Page 3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99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이번 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상악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 MB2 근관의 발생률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경향은 이전 연구에서도 보고되었다.2,16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MB2 근관의 발생률

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도 존재했다.15

상악 대구치에서 연령에 따라 MB2 근관이 덜 관찰되는 이유는 실제로 고령의 환자에서 MB2근관이 없다기 보다는 50세 이상에서 골량 감소에 의한 피질골의 다공성이 증가하여 치조골의 방사선 투과성이 증가함으로써 골과 MB2 근관 간 대비

(contrast)의 부재로 인해 CBCT를 통한 가시성이 현저하게 감소

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29 고려해야 할 다른 요소는 우식, 치아 외상 혹은 수복과정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한 치아의 노출로 생성되는 삼차상아질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년의 치아에서는 대게 근관 석회화가 진행되고, 주요한 근관 보다 직경

이 훨씬 작은 추가적인 근관은 CBCT 영상으로 명확하게 찾기

힘들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표본 평균은 66.1세로 연구를 시행

한 병원의 특성상 다른 유사한 연구에 비해 연령층이 높은 편이

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상악 대구치에서 다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MB2 근관의 발생률은 위와 같은 원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1대구치에서는 남성(66.1%)이 여성

(53.3%)에 비해서 근심협측 치근에서 추가적인 근관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상악 제2대구치에서는 두 성별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MB2 근관의 발생률에 대한 다른 연구들을 보면,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관찰한 경우도 있고,16-18 차이가 없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2 여성에서 MB2 근관의 더 낮은 탐지는 탈회 및 골밀

도의 감소를 하나의 이유로 들 수 있으며, 이는 치아와 골의 대비

(contrast)의 부족으로 인해 CT를 통한 근관의 관찰을 어렵게 할 수 있다.30

또한 이번 연구에서 한쪽 악궁에서 상악 대구치가 추가적인

근관을 가지는 경우 반대측 악궁에서도 추가 근관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MB2 근관의 양측성 존재에 대해 보고한 이전의 논문 역시 이를 뒷받침 한다.2,14,16 따라서 근관

치료의 진단 단계에서 반대편 치아의 근관상태를 알아보는 것도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2. 상악대구치에서 치근융합의 발생률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1대구치에서 치근융합의 발생률은 2.3%으로 나타났다. 한국인(3.2%)25과 중국인(2.7%)2을 대상으

로 한 두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비슷한 발생률을 보고했

다.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보다 더 낮거나 훨씬 더 높은 발생률(0.73 - 11.0%)이 나타나기도 했다.14,23,25,31,32,34 치근의 융합이 없다고 보고한 논문도 존재했다.4,13

반면 상악 제2대구치에서 치근융합의 발생률은 26.2%로 나타

났다. 이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슷한 값(23.9%)14이

었다.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보다 더 낮거나 훨씬 더 높은 발생률(10.7 - 52.9%)이 나타나기도 했다.23,25,31-34 치근의 융합이 없다고 보고한 논문도 존재했다.13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2대구치에서 상악 제1대구치보다 치근

융합의 발생률이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23,25,31,32,34 이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보다 상악 제2대구치가 치근이 서로 더 모여있으며, 치근융합과 같은 해부학적 변이가 더 다양함을 유추할 수 있다.

위에서 나타난 여러 연구간의 이러한 차이는 인종, 표본 수, 피험자의 연령, 연구방법 및 치근융합을 정의하는 기준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상악대구치에서 C형 근관의 발생률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1대구치에서 C형 근관의 발생률은 0.4%로 나타났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0.8%의 유사한 발생률이 보고되었다.23 이전의 연구에서 De moor (2002)은 상악 제1대구치에서 0.09%의 C형 근관의 발생률을 보고했으

며,24 최근에 중국인14과 포르투갈인22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각각 0.07%, 1.1%의 발생률이 보고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상악 제2대구치에서 C형근관의 발생률은 2.7%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2.7%의 같은 발생률이 보고되었다.23 이전의 연구에서 Yang (1998)은 상악 제2대구치에서 4.9%의 C형 근관의 발생률을 보고했으며,25 최근에 중국인14과 포르투갈인22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각각 3.2%, 3.8%의 발생률이 보고되었다.

상악 대구치의 C형 근관의 대한 연구의 수는 제한적이지만, 본 연구와 다른 연구를 종합해보면, 상악 대구치에서 C형 근관의 발생률은 매우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상악 제1대구치

에서는 제2대구치에 비해서 더욱 더 발생률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연구 간의 발생률의 차이는 인종, 표본 수, 피험자의 연령, 연구방법 및 C형근관을 정의하는 기준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CBCT를 이용하여 상악 대구치의 치근 및 근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관찰하였다.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실험실 적으로는 치아 염색 및 투명화,9-13,25 절편 형성20,21,24,28 및 방사선 촬영6을 하는 방법이 존재하고, 임상적으로는 근관치료 중 현미경5,17이나

방사선 사진19,21,24,34 단층촬영(micro computed tomography),7

CBCT72,4,14-16,18,22,31,33를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CBCT는 치근 및근관계를 관찰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라는 것이 이전 연구를

통하여 증명되었으며, 특히 비교적 대량의 표본을 관찰하기 위한 이번 연구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CBCT가 기존

의 표준촬영술보다 삼차원적인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를 확인하

는데 더 정확하고 비침습적이며 기존의 전산화 단층촬영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및 방사선 조사량에 대한 장점을 가지

Page 3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0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지만, 환자에게 가능한 방사선 노출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는(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CBCT는 해상도가 낮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35 더 자세한 근관계의 해부학적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서는 실험실적인 방법을 이용해야 할 수도 있다.이번 연구는 고령의 남자 환자가 많은 본 병원의 특성상 표본

이 편향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한국인의 연령 및 성별 분포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높은 평균연령

을 가진 표본의 특성은 고령환자에서 치근 및 근관계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질 것이다.

결론

비교적 고령(평균연령: 66.1세)의 한국인 성인 표본의 CBCT 자료를 이용한 이번 후향적인 연구는 상악 제1대구치 및 제2대

구치를 CBCT로 분석하여 근심협측 치근에서 MB2근관의 발생

률, 성별, 치아위치, 연령과 관련된 연관성, 대칭성,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의 발생률 및 형태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MB2가 있는 경우 상악 제1대구치에서는 Type III, 상악 제2대

구치에서는 Type II가 가장 많았다. 또한 상악 제1대구치가 제2대구치에 비해 MB2 근관의 발생률이 높았다. 연령에 따라 MB2 근관은 상악 대구치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악 제1대

구치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MB2 근관의 발생률이 높았다.치근융합 및 C형근관과 같은 변이는 상악 제2대구치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C형 근관은 상악 대구치에서 낮은 확률

로 관찰되었다.비외과적 및 외과적 근관치료 시 이런 상악 대구치의 해부학적

변이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치료 중 이러한 변이가 의심될 경우 CBCT를 이용하여 치근 및 근관의 형태를 확인한다면, 좀 더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

라 생각한다.

ORCID

Tae-Yong Lee https://orcid.org/0000-0002-3742-6318Mi-Yeon Kim https://orcid.org/0000-0001-5795-978XSun-Ho Kim https://orcid.org/0000-0002-4316-895XJeong-Hee Kim https://orcid.org/0000-0003-2290-8602

References

1. Vertucci FJ. Root canal anatomy of the human permanent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8:589-99.

2. Zheng QH, Wang Y, Zhou XD, Wang Q, Zheng GN, HuangDM.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root and canal morphology in a Chinese population. J Endod 2010;36:1480-4.

3. Badole GP, Bahadure RN, Warhadpande MM, Kubde R. Arare root canal configuration of maxillary second molar: acase report. Case Rep Dent 2012;2012:767582.

4. Zhang R, Yang H, Yu X, Wang H, Hu T, Dummer PM. Useof CBCT to identify the morphology of maxillary perma-nent molar teeth in a Chinese subpopulation. Int Endod J2011;44:162-9.

5. Stropko JJ. Canal morphology of maxillary molars: clinicalobservations of canal configurations. J Endod 1999;25:446-50.

6. Weine FS, Hayami S, Hata G, Toda T. Canal configuration of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of a Japanese sub-population. Int Endod J 1999;32:79-87.

7. Park JW, Lee JK, Ha BH, Choi JH, Perinpanayagam H.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first molar mesio-buccal root canal configuration and curvatur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Radiol Endod 2009;108:437-42.

8. Gilles J, Reader A. An SEM investigation of the mesiolingualcanal in human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Oral SurgOral Med Oral Pathol 1990;70:638-43.

9. Wasti F, Shearer AC, Wilson NH. Root canal systems of themandibular and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teeth of south Asian Pakistanis. Int Endod J 2001;34:263-6.

10. Smadi L, Khraisat A. Detection of a second mesiobuccalcanal in the mesiobuccal roots of maxillary first molar teeth.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e77-81.

11. Imura N, Hata GI, Toda T, Otani SM, Fagundes MI. Twocanals in mesiobuccal roots of maxillary molars. Int Endod J1998;31:410-4.

12. Calişkan MK, Pehlivan Y, Sepetçioğlu F, Türkün M, TuncerSS.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permanent teeth in aTurkish population. J Endod 1995;21:200-4.

13. Alavi AM, Opasanon A, Ng YL, Gulabivala K. Root and ca-nal morphology of Thai maxillary molars. Int Endod J 2002;35:478-85.

14. Tian XM, Yang XW, Qian L, Wei B, Gong Y. Analysis of theroot and canal morphologies in maxillary first and secondmolars in a chinese population using cone-beam computedtomography. J Endod 2016;42:696-701.

15. Wang H, Ci B, Zhang Xuanning, Ning T, Yan Y, Ma DD, WuBL. Analysis of patients with a second canal in mesiobuccalroot of maxillary molars in Southern China: A retrospectivestudy. Int J Clin Exp Med 2017;10:13678-86.

16. Lee JH, Kim KD, Lee JK, Park W, Jeong JS, Lee Y, Gu Y,Chang SW, Son WJ, Lee WC, Baek SH, Bae KS, Kum KY.Mesiobuccal root canal anatomy of Korean maxillary firstand second molars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Oral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1;111:785-91.

Page 3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01

이태용�김미연�김선호�김정희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17. Fogel HM, Peikoff MD, Christie WH. Canal configuration in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 clinical study. J Endod 1994;20:135-7.

18. Betancourt P, Navarro P, Muñoz G, Fuentes R. Prevalence and location of the secondary mesiobuccal canal in 1,100 maxillary molar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BMC Med Imaging 2016;16:66.

19. Eskoz N, Weine FS. Canal configuration of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J Endod 1995;21:38-42.

20. Melton DC, Krell KV, Fuller MW. Anatom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C-shaped canals in mandibular second molars. J Endod 1991;17:384-8.

21. Bolger WL, Schindler WG. A mandibular first molar with a C-shaped root configuration. J Endod 1988;14:515-9.

22. Martins JN, Mata A, Marques D, Anderson C, Caramês J.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ry c-shaped mo-lar. J Endod 2016;42:383-9.

23. Jo HH, Min JB, Hwang HK. Analysis of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molars in a Korean popul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stor Dent Endod 2016;41:55-62.

24. De Moor RJ. C-shaped root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first molars. Int Endod J 2002;35:200-8.

25. Yang ZP, Yang SF, Lee G. The root and root canal anatomy of maxillary molars in a Chinese population. Endod Dent Trau-matol 1988;4:215-8.

26. Newton CW, McDonald S. A C-shaped canal configuration in maxillary first molar. J Endod 1984;10;397.

27. Kottoor J, Albuquerque D, Velmurugan N, Kuruvilla J. Root

anatomy and root canal configuration of human permanent mandibular premolars: A systematic review. Anat Res Int 2013;2013:254250.

28. Weine FS, Healey HJ, Gerstein H, Evanson L. Canal configu-ration in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its endodontic significanc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9;28:419-25.

29. Hildebolt CF. Osteoporosis and oral bone loss. Dentomaxil-lofac Radiol 1997;26:3-15.

30. Benson BW, Prihoda TJ, Glass BJ. Variations in adult cortical bone mass as measured by a panoramic mandibular index.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349-56.

31. Kim Y, Lee SJ, Woo J. Morphology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analyzed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a korean population: variations in the number of roots and canals and the incidence of fusion. J Endod 2012;38:1063-8.

32. al Shalabi RM, Omer OE, Glennon J, Jennings M, Claffey NM. Root canal anatomy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per-manent molars. Int Endod J 2000;33:405-14.

33. Wu D, Zhang G, Liang R, Zhou G, Wu Y, Sun C, Fan W. Root and canal morphology of maxillary second molars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a native Chinese popu-lation. J Int Med Res 2017;45:830-842.

34. Ross IF, Evanchik PA. Root fusion in molars: incidence and sex linkage. J Periodontol 1981;52:663-7.

35. Tachibana H, Matsumoto K. Applicability of X-ray comput-erized tomography in endodontics. Endod Dent Traumatol 1990;6:16-20.

Page 3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0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ORIGINAL ARTICLE

CBCT를 이용한 한국인 고령환자의 상악 대구치에서 치근 및 근관형태의 분석

이태용 � 김미연* � 김선호 � 김정희

한국의료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목적: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상악 제1대구치(MM1), 제2대구치(MM2)에서 제2근심협측(MB2) 근관, 치근

융합 및 C형 근관의 발생률에 대해 평가하였다.재료 및 방법: 술 전 평가를 위해 CBCT 촬영을 한 환자를 선택했다. 1658명의 환자로부터 1498개의 MM1과 1742개의 MM2의 CBCT 영상이 획득되

었고, MB2 근관, 치근융합 및 C형 근관을 분석했다. 연령, 성별 및 치아위치와 MB2 근관 발생률간의 관계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표본은 비교적 고령(평균연령: 66.1세)이었다. MB2 근관의 발생률은 MM1, MM2 각각 60.1%, 28.0% 였고, MM1, MM2에서 각각 Weine Type III, Type II가 우세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MB2 근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M1에서는 남성에서 MB2 근관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 치근융합은 MM1에서 2.3%, MM2에서 26.2%, C형 근관은 MM1에서 0.4%, MM2에서 2.7%로 모두 MM2에서 발생률이 더 높았다. 결론: MB2 근관은 MM2보다 MM1에서 더 발생률이 높았다. 치근융합과 C형 근관은 모두 MM2에서 더 발생률이 높았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95-102)

주요단어: 상악대구치; 제2근심협측 근관; 치근융합; C형 근관;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교신저자: 김미연

(05368) 서울특별시 강동구 진황도로61길 53 중앙보훈병원 보존과 02 2225 1925: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20년 2월 17일 / 원고최종수정일: 2020년 3월 31일 / 원고채택일: 2020년 4월 2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이 논문은 2018년도 중앙보훈병원 연구개발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과제임(VHSMC 18009).

Page 3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03

서론

임플란트 고정체와 지대주는 지대주 나사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서 유지된다.1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에서 나사는 지대주와 고정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나사가 조여지면 고정체 내부의 나사산과 지대주 나사의 나사산 사이에서 장력이

발생한다.2 이러한 장력은 전하중이라 정의되며 체결 토크, 나사 구성요소, 나사의 디자인, 나사 계면의 마찰계수 등에 영향을 받

는다.3

임플란트 나사의 풀림은 두 단계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먼저, 구강내에서 저작력에 의해 나사에 측방력이나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임플란트의 내부 나사산과 지대주 나사 사이의 장력이 감소하고 따라서 전하중이 감소하게

된다. 두번째로, 역치 값 이하로 전하중의 감소가 일어나면 외력

이나 진동에 의해 나사의 나사산 부위가 돌아가 결론적으로 나사의 풀림이 발생하고 이러한 나사의 풀림은 나사의 파절, 보철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03ORIGINAL ARTICLE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류승범 � 허성주* � 곽재영 � 김성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preload maintenance of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with surface of screws

Seung-Beom Ryu, Seong-Joo Heo*, Jai-Young Koak, Seong-Kyun Kim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load maintenance of the retaining screw when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in implant fixture and abutment components.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different types of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External hexagon implants made of titanium and anti-rotational abutments were used. Titanium abutment screws and ebony abutment screws from the same manufacturer were used.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n = 10 in each group). In the control group, no sealing agent was used at the implant fixture and abutment screw interface. All abutment screws were tighten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ed torque (30 N.cm). After 24 hours, the removal torque (detorque) of each screw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torque gauge dev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test according to normality distribution satisfaction. Results: Looking at the results for each group, titanium screws and no treatment showed detorque values of 20.3 ± 1.6 N.cm. titanium screws and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showed detorque values of 32.4 ± 6.7 N.cm. Ebony screws and no treatment showed detorque values of 20.2 ± 1.5 N.cm. ebony screws and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showed detorque values of 30.4 ± 4.5 N.cm. Conclusion: The detorque value was higher in the case of using anaerobic sealing agents in both the titanium screw and ebony screw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rew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03-9)

Keywords: Anaerobic sealing agent; Implant; Removal torque; Screw

*Corresponding Author: Seong-Joo Heo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Republic of Korea+82 (0)2 2072 2661: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March 2, 2020 / Last Revision March 30, 2020 / Accepted April 7, 2020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3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0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물의 파절, 고정체 골유착의 소실 그리고 임플란트 고정체의 파절을 야기 시킬 수 있다.2 과도한 외력에 의해 나사 풀림이 발생

할 뿐만 아니라 나사 풀림은 진동으로 인해 나사 체결부의 체결

이 약화되었을 경우 발생한다.4-6 그러므로 나사 표면의 마찰계

수와 전하중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4,7,8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지대주 나사 길이의 변형, 나사산의 모양변형, 나사산 수와 위치의 변형, 나사 표면의 거칠기의 변형 등 다양한 방법이 고안

되었다.9 또한 구강내 임플란트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고정체의 수를 늘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을 적합하게 만들고, 교합면의 크기를 감소 시키거나, 인접 치아와 접촉면을 늘리는 방법 또한 존재한다.10

윤활제와 고정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면 나사의 표면과 고정제 내부 나사산의 표면에 적용하여 전하중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11 다양한 논문에서 고정체

의 내부 나사산과 지대주 나사 사이를 메우는 밀봉제 또는 고정

제(sealing agent)에 대해서 실리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cyanoacrylate-base bond), 항균제, 혐기성 나사고정제 등이 언급되었다.12-14 고정제와 관련된 논문들에서 혐기성 나사고정제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의 차이를 살펴보거나14 고정제를 사용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체 내부에서 세균이 침투하지 않는다

는 보고를 하였다.15 혐기성 나사고정제(anaerobic sealing agent)는 고효율, 고분자

혐기성 고정제로서 1953년 부터 기계 공업 분야에서 기계 부품

들 사이에 적용하는 화학물질로 사용되었다.16 이 물질은 공업용 접착제로서 혐기성 환경, 즉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활성화된다. 아크릴레이트(acrylate)와 메타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의 에스테르(ester)가 주 성분을 이룬다.16 혐기성 조건이 되면 활성

을 시작하여 재료의 표면에 따라 활성화되는 정도는 다르다. 혐기성 나사고정제 제조사에서 강철, 동, 아연 등 금속에 대하여 경화 시간과 정도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지만, 치과에서 많이 사용되는 티타늄 표면이나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에서의 활성

화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17 일반적으로 나사의 마찰계수는 금속학적 성질, 기하학적 형

태, 표면연마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18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텅스텐 카바이드를 탄소와 혼합하여 만든 무정형의 초경합금 코팅으로 텅스텐 카바

이드 층과 탄소 층이 원자 두께로 교차하여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내열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절삭공구 및 기계부품에 이용되고 있다.19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은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에서 나사의 마찰계수를 낮추어 압축력과 회전각

을 증가시켜 주지만 동시에 초기 풀림토크 값의 감소가 나타나

는데,20 혐기성 나사 고정제와 관련하여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 나사에서의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에서 동일한 체결 토크에서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사용하였을 때 티타늄과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 나사의 풀림 토크와 전하중의 유지에 대해 관찰해보고,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치의학 분야에서의 사

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직경 4.0 mm에 길이 11.5 mm의 티타늄 재질의 외부 육각 형태(USII, Osstem, Busan, Korea)의 고정체가 사용되었다. 지대

주는 직경 5.0 mm, 치은 높이 2.0 mm, 상부 높이 4.0 mm 의 총 높이 6 mm의 비 회전형 육각(hex) 구조의 지대주가 사용되었다. 지대주 나사는 동일한 제조사 제품으로 두 종류의 나사가 사용

되었다. 티타늄 재질의 지대주 나사(티타늄 나사)와 Ebony 지대

주 나사(Ebony 나사)가 사용되었다. Ebony 나사는 티타늄 재질

의 나사를 가공한 후 텅스텐 카바이드/탄소 코팅을 하여 나사의 마찰계수를 낮추고 내마모성을 보다 높인 나사이다.20,21

임플란트 고정체는 개별주문 제작된 기구(Nikken kosakusho works, Osaka, Japan)에 고정하여서 체결하였다. 콜릿(collet)구조로 6등분되어 있는 기구 내부에 고정체를 넣고 상부 너트를 조여 고정체를 고정시켰다 (Fig. 1). 지대주 나사는 제조사 권장 사항에 따라 30 N.cm로 체결하였다. 지대주 나사의 체결에는 콘트라 앵글 토크 장치(Torq Control Ref. 15000, Anthogyr, Sal-lanches, France)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혐기성 나사 고정제가 사용되었다. 제조사

(Loctite, Henkel, Düsseldorf, Germany) 분류 중 손 공구를 이용해 체결을 풀 수 있는 중강도 제품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혐기성 나사 고정제(Loctite 243 Threadlocker, Loctite, Henkel, Düsseldorf, Germany)의 주 성분은 테트라메틸렌 다이

메트아크릴레이트(tetramethylene dimethacrylate)로 전체 성분

의 10-30%를 차지한다. 추가적으로 1-5% 비정형 형태의 실리카

(amorphous fumed silica), 1-5% 에틴(ethene, homopolymer), 프로판-1,2-다이올(propane-1,2-diol)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색상은 청색이며, 사용온도는 영하 54℃ - 영상 150℃, 25℃에서 강철(steel)기준으로 초기경화시간 5분에서 완전경화 24시간이

다.17 풀림 토크는 지대주 나사 초기 체결 후 24시간 후에 측정하

였으며, 측정에는 디지털 토크 측정장비(MGT50, Mark-10 Co.,

Fig. 1. (A) Implant-abutment assembly was clamped into implant holder. (B) Detailed internal structure of clamping tool (Nut, Collet).

A B

Page 3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05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Hicksville,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 2). 디지털 토크 게이지 상부에 나사 제조사와 동일 한 제조사의 1.2 육각 드라이버를 체결하여 사용하였다. 측정은 한 사람이 진행하였

다. 티타늄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TI군)과 티타늄 나사

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TI_AS군), Ebony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EB군)과 Ebony 나사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EB_AS군)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4가지 군에서 각 10개씩의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가 사용되었다 (Table 1).

통계적 처리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 소프트웨어 버전 26.0 (SPSS Inc., Chicago, IL, USA)과 R 프로그램(The R Projec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을 사용하였다. Shapiro-Wilk로 정규성 검정 및 Bartlett의 등분산성 검정을 시행

하였다. 모든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고 등분산성을 만족하여 Two-way ANOVA test (α = .05) 를 이용하여 각 군의 유의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결과

각 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TI 군은 20.3 ± 1.6 N.cm, TI_AS 군에서 32.4 ± 6.7 N.cm, EB 군은 20.2 ± 1.5 N.cm, EB_AS

군에서 30.4 ± 4.5 N.cm 로 풀림토크 평균값이 나왔다 (Table 2). Two-way ANOVA 검정 시행하였다. 주효과 검정을 통해 나사

의 종류와 나사 고정제의 처리 유무를 독립변수로 풀림토크 값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나사의 종류는 풀림토크 값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P > .05), 나사 고정제의 처리 유무에 관해서는 풀림토크 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P < .05). 나사의 종류와 나사 고정제 처리 유무의 상호작

용효과에 대해서는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P > .05) (Fig. 3).

Table 2.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 of detorque values (N.cm) according to screw type and use of anaerobic sealing agents

Group Mean (SD)TI 20.3 (1.6)

TI_AS 32.4 (6.7)EB 20.2 (1.5)

EB_AS 30.4 (4.5)TI = titanium screw, TI_AS = titanium screw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EB = ebony screw, EB_AS = ebony screw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Fig. 2. Digital torque gauge.

Table 1. Materials and methods tested in this study

Group Screw material Process N Manufacturer Initial tighteningtorque

TITitanium

Control 10

Osstem, Busan, Korea 30 N.cmTI_AS Anaerobic sealing agent 10

EB Titanium based tungsten-carbide/carbon coating

Control 10EB_AS Anaerobic sealing agent 10

Fig. 3. Removal Torque (N.cm) of ebony screw (ebony) or titanium screw (ti) (24-hours).TI = titanium screw, TI_AS = titanium screw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EB = ebony screw, EB_AS = ebony screw applied anaerobic sealing agent

Page 3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각 나사에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도포한 군에서 풀림토크 값의 증가는 다음과 같았다. TI군과 TI_AS군에서 풀림토크 평균

값의 증가는 12.1 N.cm였고, EB군과 EB_AS군의 경우 풀림토

크 평균값의 증가는 10.2 N.cm로 각 나사에서 혐기성 나사고정

제를 처리한 경우는 티타늄 나사에서 59.6%, Ebony 나사를 사용한 경우에서 50.5%의 풀림 토크 값의 증가가 있었다.

고찰

전하중은 나사의 탄성한계 내에서 나사의 체결 토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지대주의 나사는 탄성회복 구간내에서 힘을 받는데 이 구간을 넘어선 힘을 받는 경우 나사는 탄성 한계 지점

을 지나 소성변형을 일으킨다. 따라서 나사와 고정체 내부 나사

산의 탄성한계를 벗어나는 더 큰 체결 토크로 조였다고 해서 전하중이 증가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전하중은 대게 나사나 고정체 재료의 항복 강도의 60% - 80%로 나타난

다.22-25 또한 나사 체결 시 체결 토크의 일부는 마찰력을 극복하

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모든 토크가 전하중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 토크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지대

주 나사의 상부와 지대주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그리고 나머지는 나사산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극복하는데 소모되며, 그리고 남은 에너지가 나사의 신장에 사용된다.26,27 본 연구에서는 나사의 탄성 한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풀림토크 값과 전하중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혐기

성 나사 고정제를 사용하였다.결과를 보면 혐기성 나사 고정제는 나사 연결부의 풀림토크

값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풀림토크 값의 증가는 나사의 안정

성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에 사용된 나사의 전하중 감소가 줄었다는 것을 나타낸다.28 이 연구에서 풀림 토크의 측정은 고정체와 나사의 표면에 적용된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풀림 토크는 또한 제거 토크 라고도 불리우며 나사에 적용된 전하중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4,28-30

제조사의 기술 데이터 문서17를 참고하여 보면 동, 강철, 스테

인리스 강, 아연 유기물, 중크롬산아연에 대해 재료에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적용하였을 때 경화 시간이 알려져 있다. M10 강철 볼트와 너트를 기준으로 24시간 후 강철에 비해 동은 약 60%의 고정 강도를 보였다. 이외에 다른 재료들도 75% 이하의 고정 강도를 보였고 다양한 고정 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재료의 성질과 표면에 따라 활성화 정도가 다양할 것으로 예측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연결에 많이 사용되는 티타늄 나사와 Ebony 나사를 사용하여 실험 진행하였고, 본 실험에서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처리한 경우, 두 나사 중 티타늄 나사가 풀림 토크 값에서 더 큰 평균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고, 두 나사의 풀림 토크의 평균값이 모두 30 N.cm 이상으로 체결 시 토크와 유사

한 값을 나타내거나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임플란트 고정체-지대

주 복합체에서 Ebony 나사와 티타늄 나사의 비교 연구에 관한

논문20을 살펴보면 실험 조건에 따라 Ebony 나사의 경우 나사의 압축력과 회전력이 티타늄 나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풀림 토크

값은 낮게 나타났는데,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사용하면 이러한 점을 보완해 초기 체결 토크보다 높은 풀림 토크 값을 나타내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혐기성 나사고정제는 고정체 내부의 나사산과 지대주 나사의

나사산 사이에서 나사 체결 후 혐기성 환경이 되었을 때 경화 작용을 시작하여 두 나사산 사이에서 굳어 고정된다. 그 결과 나사

의 풀림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풀림 토크의 증가는 전하중 유지

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31 나사의 풀림 토크를 측정하였을 때 체결 토크보다 풀림 토크의 값이 더 높거나 유사하면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는 더 나은 예후를 보인다.28,32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로 나사의 손상없이 높은 풀림 토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나사의 전하중의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임플란트 고정

체와 지대주 나사 복합체의 합병증인 나사 풀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혐기성 나사고정제를 바르는 양에 대해 나사 고정제 제조사의

권장사항에 따르면 “적절한 양을 나사의 스레드에 몇 방울 도포 할 것”이라고 나와있고, 미 국방성 자료에 따르면 “나사의 연결

부에 완전히 적용 할 것”이라고 되어 있다.17,33 하지만 이렇게 도포할 경우 과도하게 적용되어 나사의 나사산에서의 적용에 의한

영향 뿐만 아니라 나사의 상부에서 지대주와 닿는 부분의 영향

과 고정체와 지대주 사이 공간에서의 영향까지 더해져 나사 표면에서의 영향과 효과를 보기 어렵고 일정한 영향을 평가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34를 바탕으로 나사의 최상부 2 - 3개의 나사산을 제외하고 도포하여 나사 체결 시 상부

로 새어 나오는 고정제의 양을 최소로 하여 지대주 나사의 나사

산에 고정제를 적용한 영향만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Fig. 4).

Fig. 4. Anaerobic sealing agent applied screws (A) Ebony screw, (B) Tita-nium screw.

A B

Page 3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07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임플란트에 적용된 혐기성 고정제는 임플란트 고정체와 지대

주 나사 사이의 미세한 기계적 오차를 물리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누출과 미세 동요도를 감소시켜 이로서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이나 임플란트 주위염 등의 생물학적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1,35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구강내의 습기가 많은 환경이나 구강내 저작력에 관해서는 고려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대한 추가 실험이 고려된다. 또한 구강내에서 안전성 검증 및 구강 내에서의 연구가 추후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혐기

성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경우 티타늄 나사와 ebony 나사 모두

에서 풀림 토크 값이 나사 고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전하중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두 나사 군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ORCID

Seung-Beom Ryu https://orcid.org/0000-0003-0991-4792 Seong-Joo Heo https://orcid.org/0000-0003-0699-4141 Jai-Young Koak https://orcid.org/0000-0002-0190-0778 Seong-Kyun Kim https://orcid.org/0000-0002-4697-1334

References

1. Yousef H, Luke A, Ricci J, Weiner S. Analysis of changes in implant screws subject to occlusal loading: a preliminary analysis. Implant Dent 2005;14:378-82.

2. Bickford JH. An introduction to the design and behavior of bolted joints. Marcel Decker: Inc.; 1995.

3. Binon PP, Binon P. The external hexagonal interface and screw-joint stability: A primer on threaded fasteners in im-plant dentistry. Quint Dent Technol 2000;23:91-104.

4. Jorge JR, Barao VA, Delben JA, Assuncao WG. The role of implant/abutment system on torque maintenance of retention screws and vertical misfit of implant-supported crowns before and after mechanical cycling.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3;28:415-22.

5. Michalakis KX, Calvani PL, Muftu S, Pissiotis A, Hirayama H. The effect of different implant-abutment connections on screw joint stability. J Oral Implantol 2014;40:146-52.

6. Sesma N, Pannuti C, Cardaropoli G.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988 dual acid-etched implants placed in grafted and native bone for single-tooth replac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2;27:1243-8.

7. Breeding LC, Dixon DL, Nelson EW, Tietge JD. Torque re-quired to loosen single-tooth implant abutment screws before

and after simulated function. Int J Prosthodont 1993;6:435-9. 8. Jörn D, Kohorst P, Besdo S, Rücker M, Stiesch M, Borch-

ers L. Influence of lubricant on screw preload and stresses in a finite element model for a dental implant. J Prosthet Dent 2014;112:340-8.

9. Martin WC, Woody RD, Miller BH, Miller AW. Implant abut-ment screw rotations and preloads for four different screw materials and surfaces. J Prosthet Dent 2001;86:24-32.

10. Lang LA, May KB, Wang RF. The effect of the use of a counter-torque device on the abutment-implant complex. J Prosthet Dent 1999;81:411-7.

11. Theoharidou A, Petridis HP, Tzannas K, Garefis P. Abutment screw loosening in single-implant restorations: a systematic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681-90.

12. Persson LG, Lekholm U, Leonhardt A, Dahlén G, Lindhe J. Bacterial colonization on internal surfaces of Brånemark sys-tem implant compone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6;7:90-5.

13. Piattelli A, Vrespa G, Petrone G, Iezzi G, Annibali S, Scarano A. Role of the microgap between implant and abutment: a retrospective histologic evaluation in monkeys. J Periodontol 2003;74:346-52.

14. Seloto CB, Strazzi Sahyon HB, Dos Santos PH, Delben JA, Assunção WG. Efficacy of sealing agents on preload mainte-nance of screw-retain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8;33:123-6.

15. Ozdiler A, Bakir-Topcuoglu N, Kulekci G, Isik-Ozkol G. Effects of taper angle and sealant agents on bacterial leak-age along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An in vitro study under loaded condi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8;33:1071-7.

16. Mathias CG, Maibach HI. Allergic contact dermatitis from anaerobic acrylic sealants. Arch Dermatol 1984;120:1202-5.

17. Henkel. Loctite 243 Technical Data Sheet and Safety Data Sheet. 2019;007.1. Available at: https://www.henkel-adhe-sives.com/kr/ko/product/threadlockers/loctite_243.html

18. Burguete RL, Johns RB, King T, Patterson EA. Tightening characteristics for screwed joints in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J Prosthet Dent 1994;71:592-9.

19. Gubisch M, Liu Y, Spiess L, Romanus H, Krischok S, Ecke G, Schaefer JA, Knedlik Ch. Nanoscale multilayer WC/C coat-ings developed for nanopositioning: Part I.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Thin Solid Films 2005;488:132-9.

20. Choi JU, Jeong CM, Jeon YC, Lim JS, Jeong HC. Influence of tungsten carbide/carbon coating on the preload of implant abutment screw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229-42.

21. Yoon KJ, Park YB, Choi H, Cho Y, Lee JH, Lee KW. Evalu-ation of stability of interface between CCM (Co-Cr-Mo) UCLA abutment and external hex implant. J Adv Prosthodont 2016;8:465-471.

22. Haack JE, Sakaguchi RL, Sun T, Coffey JP. Elongation and preload stress in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s. Int J Oral

Page 3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Maxillofac Implants 1995;10:529-36.23. McGlumphy EA, Mendel DA, Holloway JA. Implant screw

mechanics. Dent Clin North Am 1998;42:71-89.24. Piermatti J, Yousef H, Luke A, Mahevich R, Weiner S. An

in vitro analysis of implant screw torque loss with externalhex and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s. Implant Dent2006;15:427-35.

25. Siamos G, Winkler S, Boberick KG. Relationship betweenimplant preload and screw loosening on implant-supportedprostheses. J Oral Implantol 2002;28:67-73.

26. Shigley JE.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3rd ed. NewYork: McGraw Hill; 1985.

27. Motosh N. Development of design charts for bolts preloadedup to the plastic range. J Eng Ind Aug 1976;98:849-51.

28. Assunção WG, Delben JA, Tabata LF, Barão VA, Gomes EA,Garcia IR Jr. Preload evaluation of different screws in exter-nal hexagon joint. Implant Dent 2012;21:46-50.

29. Assunção WG, Barão VA, Delben JA, Gomes ÉA, Garcia IRJr. Effect of unilateral misfit on preload of retention screwsof implant-supported prostheses submitted to mechanical cy-cling. J Prosthodont Res 2011;55:12-8.

30. Delben JA, Barão VA, Dos Santos PH, Assunção WG. In-fluence of abutment type and esthetic veneering on preloadmaintenance of abutment screw of implant-supported crowns.J Prosthodont 2014;23:134-9.

31. Sakaguchi RL, Borgersen SE. Nonlinear finite element con-tact analysis of dental implant compon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655-61.

32. Steinebrunner L, Wolfart S, Ludwig K, Kern M. Implant-abutment interface design affects fatigue and fracture strengthof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8;19:1276-84.

33. MIL-S-46163A. Compounds: Thread-locking, anaerobic,Single-component. US-defense standard. 1974. Available at:http://everyspec.com/MIL-SPECS/MIL-SPECS-MIL-S/MIL-S-46163A_16063/

34. Ham YU, Jo KH, Jeon HH, Kim SI. Design and analysis ofoptimum application of thread-locker. Korean Soc PrecisionEng 2017;5:343-4.

35. Broggini N, McManus LM, Hermann JS, Medina RU, OatesTW, Schenk RK, Buser D, Mellonig JT, Cochran DL. Persis-tent acute inflammation at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JDent Res 2003;82:232-7.

Page 4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09

ORIGINAL ARTICLE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류승범 � 허성주* � 곽재영 � 김성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에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적용 유무와 나사 종류에 따른 풀림 토크 값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재료 및 방법: 외부 육각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사용하였고, 동일한 제조사의 지대주와 지대주 나사가 사용되었다. 지대주 나사는 두 종류로 티타늄 재질의 나사(티타늄 나사)와 텅스텐 카바이드 코팅된 나사(Ebony 나사)가 사용되었다. 티타늄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TI군)과 티타늄 나사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TI_AS군), Ebony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EB군)과 Ebony 나사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EB_AS군)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4가지 군에서 각 10개씩의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가 사용되었다. 디지털 토크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풀림 토크 값을 측정한 뒤 통계 처리하여 각 군별 비교하였다. 정규성 분포를 만족하여 Two-way ANOVA test (α = .05)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결과: 각 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TI 군은 20.3 ± 1.6 N.cm, TI_AS 군에서 32.4 ± 6.7 N.cm, EB 군은 20.2 ± 1.5 N.cm, EB_AS 군에서 30.4 ± 4.5 N.cm 의 풀림 토크 값을 나타냈다.결론: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경우 티타늄 나사와 ebony 나사 모두에서 고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풀림 토크 값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

만 두 나사 군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03-9)

주요단어: 혐기성 나사고정제; 임플란트; 풀림토크; 나사

*교신저자: 허성주

03080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02 2072 2661: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20년 3월 2일 / 원고최종수정일: 2020년 3월 30일 / 원고채택일: 2020년 4월 7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4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10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서론

과개교합(deep bite)이란 최대 교두간 접촉위 상태에서 하악 전치에 대한 상악 전치 절단연의 수직피개량이 과도한 교합상태

를 말한다.1 과개교합에서 불안정한 교합, 부적절한 보철물 등의 마모 요인이 있으면 치아는 마모, 정출하게 되어 수복 공간의 부족을 야기하기 때문에 수복을 위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하

다.2 Dawson1은 중심위에서 안정된 전치 접촉을 가진 과개교합 환자는 대부분 악관계에 있어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그 자체로

병적인 상태가 아니라고 하였다. 하지만 교합에서 수직적인 정지점이 되는 안정적인 교합접촉을 가지지 않는 과개교합 환자는

치아마모, 연조직 외상, 수복공간 부족과 같은 문제를 가진다.3 과개교합 환자를 진단할 때 교합접촉이 안정적인지 판단해야 하

고, 안정적인 전치부 정지점이 없다면 전치의 정출과 마모가 나타날 수 있어 전치부의 교합접촉을 형성해주거나, 가철성 보철물

로 수복, 또는 연결 고정하여 과도한 정출을 방지하여야 한다.1

Dahl concept는 1975년 Dahl과 Krogtad가 처음으로 고안하

였다. Dahl appliance는 전치부가 교합접촉되는 설면에 국소장

치 혹은 수복물을 위치시켜 치아의 정출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교합이 재설정되므로 국소적인 마모 및수직고경 상실로 인한 수복공간 부족 시 수복공간 확보가 가능

하다.4-6 Poyser 등7은 dahl concept의 효율을 평가하는 연구에서 94 - 100%의 성공률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성공에 대한 명확

한 기준의 부재를 한계점으로 언급하였고, 실패를 한 요인으로

는 장치의 불편감, Angle Class III 부정교합 환자, 안면 비대칭 환자의 경우 안정적인 교합접촉의 부족, 맹출 가능성의 부족 등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10CASE REPORT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김창환 � 고경호* � 허윤혁 � 박찬진 � 조리라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A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with the Dahl concept applied to

a patient with a deep bite

Chang-Hwan Kim, Kyung-Ho Ko*, Yoon-Hyuk Huh, Chan-Jin Park, Lee-Ra Cho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Although not all kinds of deep bite occlusions are considered pathological states, they can cause persistent wear and eruption of the anterior mandibular teeth if the anterior occlusal contact is unstable or accompanied by an occlusal disharmony. The patient was a 72-year-old man with no occlusal contact of the remaining anterior teeth in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because of a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and loss of occlusal support. If the vertical dimension needs to be increased for prosthetic restoration in a patient with a deep bite, the amount of vertical dimension increase must be determined through precise diagnosis. This is because the overjet may increase and cause an unstable occlusion. In this review,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a stable occlusion and good treatment results achieved by using a removable partial denture prosthesis and applying the Dahl concep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10-20)

Keywords: Dahl concept; Deep bite; Removable partial denture; Vertical dimension

*Corresponding Author: Kyung-Ho Ko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do 25457, Republic of Korea+82 (0)33 640 2230: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July 22, 2019 / Last Revision February 27, 2020 / Accepted February 27, 2020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4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11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을 언급하였다.7 과개교합의 경우 치료 시 전치부에서 안정적인 교합과 전치유

도를 부여해야 한다. 하지만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 심한 과개교

합이 나타난다면 수직고경을 증가시킨 상황에서 안정적인 전치

부 교합을 얻기 어렵다.3 특히 환자의 조건 때문에 가철성 보철

물을 이용한 수복이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를 동반한 전악수복

의 경우보다 안정적인 교합을 부여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악 가철성 보철물에 Dahl concept를 적용하여 수직교합고경

을 증가시키고 주연결장치 및 부연결장치의 금속부분에 전치부

교합을 안정적으로 설계한다면 과개교합을 보이는 수직고경이

부족한 환자의 치료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고 예상되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전치부의 수직적 정지점을 부여하여 안정

적인 교합을 형성하여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키고 dahl concept를 응용하여 전반적인 교합형성 및 교합력 분산을 통해 골격성

과개교합 및 불안정한 교합관계를 가진 환자의 보철적 수복을

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본 환자는 72세 남성으로 ‘틀니에 구멍이 나서 다시 만들고 싶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전신병력으로는 만성 신부전

증이 있고 주기적으로 주 3회 투석을 받고 있었다.

초진 시 우식 혹은 잔존치근으로 인해 발거를 진행하였고 발거 부위 회복 후 보철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방사선 검사 시, 상악 우측 중절치는 심한 수직적 골소실로 예후가 불량한 상태

였다 (Fig. 1). 구내 및 모형상 분석에서 하악 전치부의 마모가 관찰되며 하악 전치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큰 수직피개량이 관찰

되었다. 양측 구치부는 대합측 치은에 닿을 정도로 수복공간이 부족한 상태였으며 하악 좌측 치은에는 교흔으로 보이는 외상이

존재하였다 (Fig. 2, Fig. 3).

Fig. 1. Radiographic examination before treatment. Vertical bone loss at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Fig. 2. Diagnostic cast. (A) Maxillary occlusal view, (B) Right lateral view, (C) Frontal view, (D) Left lateral view, (E) Right lateral view on anterior teeth, (F) Mandibular occlusal view, (G) Left lateral view on anterior teeth.

A

CB D

FE G

Page 4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구외사진상 처진 구각부가 관찰되어 수직고경의 감소가 의심

되고 정면에서 비대한 교근을 가진 사각형의 안면 형태가 관찰되

어 강한 교합력을 가질 것으로 추측되었다 (Fig. 4).골격적인 분석을 위해 두부규격방사선분석을 시행했다. 분석

시 Angle Class II의 특징을 보이고 하악이 후퇴되어 SNB는 정상치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면,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는 정상치에 가까워 하악은 정상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Gonion angle, 하악 평면, 전후방 안면고경 비율을 보았을 때 단

안모에 전후방으로 긴 형태가 관찰되었다 (Fig. 5).종합적으로 볼 때 비대한 교근을 가진 사각형 안모로 강한 교

합력이 예상되고 큰 수직, 수평피개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하였

다.8 실제 모형상 분석에서도 수평피개 11 mm, 수직피개 9 mm로 큰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 보철물의 천공양상을 볼 때, 위치는 수복공간이 부족한 부분과 일치하였다. 모형 분석 시 수직, 수평

피개가 크고 최대감합 상태에서 하악 전치는 상악 구개측 치은

에 접촉하고 있다. 이는 Akerly Classification I에 해당한다.3,9

Fig. 3. Intraoral examination before treatment. (A) Maxillary occlusal view, (B) Right lateral view, (C) Frontal view, (D) Left lateral view, (E) Mandibular occlu-sal view, (F) Biting injury on left mandibular edentulous area.

A

CB D

FE

Fig. 4. Extraoral examination before treatment. (A) Square facial profile in frontal view, (B) Drooping of labial commissure at smiling, (C) Convex facial profile in sagittal view.

A B C

Page 4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13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하악 전치는 마모와 함께 짧은 치관 형태를 보였다. 교합지지 상실과 상악 전치부의 도재 교합면 때문에 나타난 마모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하악 전치는 치관이 2.5 mm 정도로 짧으나 치근은 약 10 mm 정도로 충분하여 치관연장술을 고려할 수 있다. 교합지지는 큰 수평피개량으로 실제로 교합되는 치아가 없어 Eichner category C로 분류할 수 있다.10 종합적으로 평가하였

을 때, 수직교합고경이 상실되었고 수복공간도 부족한 Turner-Missirlian category I으로 분류된다.11

환자는 하악의 정상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후퇴된 위치로 인해 심한 수직, 수평피개와 함께 하악 전치부의 심한 마모가 관찰

되었다. 또한 교합지지가 완전히 상실되고 강한 교합력을 보이

며 대합하는 치아가 없는 엇갈린 교합 상태로 판단된다. 환자의 수직고경은 상실되고 수복공간은 부족하지만 과도한 수직고경

증가는 수평피개량이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수직고

경 회복량 결정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본 환자의 경우 전신병력으로 만성 신부전을 가지고 있어 임플란트 수술을

강하게 거부하여 Dahl concept를 적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방법을 결정하였다.

치료목표는 수직고경 증가를 통해 수복공간을 확보하여 모든

치아에 교합접촉을 부여하고 적절한 전방유도를 형성하는 것이

다. 본 증례의 경우 큰 수평피개가 존재하므로, 가철성 보철물의 금속구조물 및 의치상에 전치부 교합접촉과 전방유도를 형성해

야 한다. 가능하다면 하악 좌측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상악의

자연치와 대합되는 부위의 교합지지를 회복하겠지만 임플란트

를 선택할 수 없었기에 전악 서베이드 보철물 수복 후 가철성 보철 치료를 계획하였고 전악에 걸친 교합접촉을 형성하여 가철성

보철물의 한계를 최대한 극복하고자 하였다.Leaf gauge를 이용하여 2 mm 정도 수직고경을 증가시킨 상태

로 교합기(PROTARevo,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에 모형을 부착하여 관찰하였을 때, 수복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진단납형을 제작하였다 (Fig. 6). 진단 시 큰 수평피개량을 보이는 상태였으므로 가급적 수직고경 증가량

은 수복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도로 결정하고자 하였다. 진단납형 형성 결과, 절치유도핀을 기준으로 2 mm 증가만

으로 충분한 수복공간이 확보되었고, 4 mm 증가 시엔 수평피개

량만 더 과도해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증가량을 2 mm로 결정하

였다 (Fig. 7). 치료에 필요한 상악 우측 중절치 발거와 치관연장술을 시행하

였다. 그 후 기존 보철물을 제거하고, 지대치 삭제 후 진단납형을 이용하여 제작한 임시수복물과 임시의치를 장착한 채로 2개월 간 관찰 및 적응 기간을 거친 후 적응된 수직고경 및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Fig. 8). 완성된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에 대한 최종 기능인상을 채득하였다.

부가중합형 실리콘 고무 인상재인 Exadenture (GC Corp., To-kyo, Japan)와 Examixfine light body (GC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기능인상 채득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금속구조물

Fig. 5.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analysis. Comparison of patient’s profiles and normal profiles.

Units Patient Normal

Convexity (deg) 11.4 0

SNB (deg) 77.1 80.0Mand. Body Length /

Ant. Cranial base(%) 110 106

Gonion angle (deg) 110.5 130.0

Mn. plane (deg) 16.4 22.7

Post.FH/Ant.FH (%) 75.1 62.0

Page 4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을 제작하였는데 악궁의 비대칭이 심하여 하악 전치가 금속구조

물에 적절하게 교합되지 않았다 (Fig. 9A, 9B). 이에 전치부 치아 배열 후 전방유도 jig를 제작하여 전치부 교합 및 전방유도를 부여하기 위한 금속구조물의 재제작 과정을 진행하였다. 제작된 전방유도 jig를 이용해 전치유도판을 만들고, 금속구조물 납형 제작 시 jig를 따라 전치 유도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Fig. 9C, 9D).

최종 금속구조물을 제작하여 구강내에서 전방유도가 잘 이루

어짐을 확인하고 최종악간관계를 기록하였다. 납의치를 시적하

여 의치상에서의 전방유도를 확인하였다 (Fig. 10, Fig. 11). 최종 보철물을 시적하여 교합조정을 시행하고 악간관계기록을 채득

한 후 픽업(pick-up) 인상을 채득하여 금속교합면으로의 교체 과정을 진행하였다. 금속교합면 제작을 위한 납형을 제작하여 교합을 확인한 후 금속교합면을 가진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Fig. 12, Fig. 13). 최종보철물 장착 후 3개월, 1년까지 큰 문제점

은 발견되지 않았다 (Fig. 14, Fig. 15).

Fig. 6. Diagnostic wax-up with 2 mm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verjet will be 3 mm in sagittal view.

Fig. 7. Diagnostic wax-up with 4 mm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verjet will be 5 mm in sagittal view.

Page 4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15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Fig. 8. (A) Provisional restorations of fixed dental prostheses, (B) Provi-sional restoration of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B

Fig. 9. (A) Unstable anterior occlusion can be observed in try-in stage, (B) Asymmetry can be observed in maxillary arch, (C, D) Anterior jig for adjust-able anterior guidance.

A B

CD

Fig. 10. (A, B, C) Adjustable anterior guidance, (D, E) Remake of framework wax pattern.

A B C

C D

Page 4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Fig. 11. Framework and wax denture try-in. (A) Frontal view with occlusal rim, (B, C) Occlusion in the metal framework using Dahl concept, (D) Frontal view with wax denture, (E) Occlusion in the denture base using Dahl concept.

A B C

D E

Fig. 12. (A, B, C) Fabrication of metal occlusal surface. (D, E, F) Placement of definitive prosthesis.

A B C

D E F

Page 4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17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Fig. 13. Panoramic radiograph after treatment.

Fig. 14. Intraoral photographs at 3-month follow-up. (A) Maxillary occlusal view, (B) Right lateral view, (C) Frontal view, (D) Left lateral view, (E) Mandibular occlusal view.

A

B C D

E

Page 4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Fig. 15. Extraoral photographs at 1-year follow-up. (A) Facial profile in frontal view, (B) Smiling, (C) Sagittal facial profile.

A B C

고찰

심한 과개교합을 보이는 소수 잔존치를 가진 환자를 수직고경

증가와 함께 Dahl concept를 응용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양악 또는 편악의 구치부가 상실된 경우 하악은 적절한 구치

부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고 하악과두는 후상방으로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수직교합고경이 감소하며 전치부를 비롯한 잔존치아가 교합력을 부담함에 따라 잔존치아에도 과도

한 마모가 발생하여 수직고경이 더욱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

게 된다.11,12

Dahl concept를 이용한 치료는 하악 전치부 정출로 인한 과개

교합 치료 시 침습적인 치아삭제를 최소화하여 보존적으로 수복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치부의 경우 심한 과개교합을 나타내었지만 상악 치아가 잔존하는 부위는 금속구조

물에, 잔존하지 않는 부위는 의치상에 교합시켜 전악 교합접촉

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골격적인 분석 및 안모 분석 시 강한 교합력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기에 지속적인 관리를 시행하지 않는다면 구보철물과 마찬가지로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

로 강한 교합력의 적절한 분산을 위해 지속적인 교합조정 및 금속 교합면으로 교체가 추천된다.3,8 증가시킨 수직고경이 적응되

는 것은 치아-치조골의 변화와 저작근의 증가, 안정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국소의치를 이용한 본 증례의 경우 대합하는 구치

가 없으므로 치아-치조골의 변화를 통한 적응은 불가능하고 밤에 가급적 장착하지 않는 의치의 특성상 저작근의 적응도 증가

와 안정도의 달성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충분한 기간 동안 임시

의치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의 증가상태를 유지하여 저작근의 적응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2,3 Abduo와 Lyons2는 수직고경 증가량 4 - 5 mm까지는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정

위에서 악간거리가 2 mm보다 크다면 수직고경 증가는 안전하

게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비록 수직고경이 너무 높을 경우 의치 상하 점막의 만성적인 염증과 동통, 치조제의 흡수, 저작력의 저하, 교합음, 악관절 이상, 부자연스러운 외모 등이 야기될 수 있지만13 이는 충분한 기간 동안 임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과도

하게 높은 수직고경을 확인하고 조정해 증상을 방지할 수 있다.2 본 증례에서는 충분한 기간 동안 임시의치를 사용하여 안정적으

로 유지됨을 확인하였고, 수직고경 증가량이 2 mm, 안정위에서 악간거리는 6 mm였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2

Dahl appliance를 사용하는 경우 발음 문제, 전치부의 약한 통증 발생, 구치부 이개로 인한 저작의 불편감, 불안전한 교합 접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발음 및 전치부의 약한 통증 등은 시간

이 경과함에 따라 해소된다. 하지만 불완전한 교합접촉의 경우,일부 증례에서 불완전한 정출로 인한 완전한 교합접촉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 관찰되지만 이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는 환자는 없다고 한다.14-16 하지만 이러한 증상에 대해서는 환자에게 미리 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

본 증례의 환자는 비대한 교근과 사각형의 안모가 관찰되어

강한 교합력이 예상되고, 기존보철물의 천공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추후 교합면의 마모 및 천공 등의 문제가 재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보철물의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추적관

찰 및 교합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RCID

Chang-Hwan Kim https://orcid.org/0000-0002-7416-8127Kyung-Ho Ko https://orcid.org/0000-0002-1260-8844

Page 5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19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Yoon-Hyuk Huh https://orcid.org/0000-0003-4072-5199Chan-Jin Park https://orcid.org/0000-0003-4734-214XLee-Ra Cho https://orcid.org/0000-0003-3989-2870

References

1.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Mosby; Elsevier Health Sciences, 2006. p. 49.

2.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3. Beddis HP, Durey K, Alhilou A, Chan MF. The restorativemanagement of the deep overbite. Br Dent J 2014;217:509-15.

4. Dahl BL, Krogstad O. The effect of a partial bite raising splint on the occlusal face height:An x-ray cephalometric study inhuman adults. Acta Odontol Scand 1982;40:17-24.

5. Dahl BL, Krogstad O. The effect of a partial bite-raising splinton the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front teeth. Acta Odon-tol Scand 1983;41:311-4.

6. Dahl BL, Krogstad O. Long-term observations of an in-creased occlusal face height obtained by a combined orth-odontic/prosthetic approach. J Oral Rehabil 1985;12:173-6.

7. Poyser NJ, Porter RW, Briggs PF, Chana HS, KelleherMG. The Dahl Concept: past, present and future. Br Dent J

2005;198:669-76; quiz 720.8. Pepicelli A, Woods M, Briggs C. The mandibular muscles

and their importance in orthodontics: a contemporary review.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5;128:774-80.

9. Akerly WB. Prosthodontic treatment of traumatic overlap ofthe an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77;38:26-34.

10. Nakatsuka Y, Yamashita S, Nimura H, Mizoue S, Tsuchiya S,Hashii K. Location of main occluding areas and masticatoryability in patients with reduced occlusal support. Aust Dent J2010;55:45-50.

11.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12. Geerts GA, Stuhlinger ME, Nel DG.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two methods used by pre-doctoral students to mea-sure vertical dimension. J Prosthet Dent 2004;91:59-66.

13. McCord JF, Grant AA. Prosthetics: Identification of completedenture problems: a summary. Br Dent J 2000;189:128-34.

14. Gough MB, Setchell DJ. A retrospective study of 50 treat-ments using an appliance to produce localised occlusal spaceby relative axial tooth movement. Br Dent J 1999;187:134-9.

15. Saha S, Summerwill AJ. Reviewing the concept of Dahl.Dent Update 2004;31:442-4, 446-7.

16. Mizrahi B. The Dahl principle: creating space and improvingthe biomechanical prognosis of anterior crowns. QuintessenceInt 2006;37:245-51.

Page 5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김창환 � 고경호* � 허윤혁 � 박찬진 � 조리라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모든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를 병적인 상태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전치부에 교합접촉이 불안정하거나, 전반적인 교합 부조화가 동반된다면 과개교합은 하악 전치에 대한 지속적인 마모와 정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증례는 72세 남성환자로 상악과 하악의 전치가 잔존해 있지만 골격성 2급 부정교합으로 인하여 안정위 상태에서 교합접촉이 불가능하고 교합지지가 완전히 상실되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한 환자였다. 이 증례는 보철 수복을 위해 수직고

경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로 수평피개를 더욱 심화시켜 교합의 부조화를 유발할 수 있기에 정밀한 진단을 통한 수직고경 증가량 결정이 필요하였다. 이 증례에서는 Dahl concept를 응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보철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을 완성하였으며 적절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10-20)

주요단어: Dahl concept; 과개교합; 가철성 국소의치 보철물; 수직고경

*교신저자: 고경호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033 640 2230: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7월 22일 / 원고최종수정일: 2020년 2월 27일 / 원고채택일: 2020년 2월 27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5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21

서론

고령화 사회에서 치아의 마모는 점차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1 일반적인 치아의 마모는 생리적이고 정상적인 과정이지만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치수의 병적 상태, 교합의 부조화, 기능의 저하 등을 유발한다.2 Dahl과 Carlsson 등3은 과도한 치아 마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시간, 성별, 교합 상태, 근육 활성화의 정도, 비기능적인 구강 악습관 등을 제시하였고, Xhonga4는 이갈

이 환자에서 치아의 마모가 3 - 4배 더 진행된다고 보고하였다.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종종 광범위한 수복 치료를 필요로 한

다.2 일반적으로 생리적인 치아 마모로 인한 수직 교합 고경의 소

실은 지속적인 치아의 맹출과 치조골의 성장에 의해 보상된다. 하지만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되는 양이 보상기전 보다 더 현저한

경우 수직 교합 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5 Turner와 Missirlian2과 Dawson6은 치아의 마모를 수복하기 위한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는 근육의 피로, 두통, 수복 재료의 파절 및 교합 불안정 등의 술 후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피하거나 최소로

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광범위

한 수복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생리적, 기계적인 합병증을 최소

로 하기 위하여, 현재 치아와 교합 상태를 파악한 후, 치료해야 하는 치아의 개수, 하악 과두의 위치, 수직 교합 고경, 수복 재료 등을 고려하여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3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21CASE REPORT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장주호 � 최연조 � 류재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보철학교실

Oral rehabilitation of excessive tooth wear patient using

zirconia fixed prosthesis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Ju-Ho Jang, Yeon-Jo Choi, Jae-Jun Ryu* Division of Prosthodontics, Department of Dentistry, Anam Hospital,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oral rehabilitation, the treatment of extensive tooth wear requires a prosthetic approach. Physiological tooth wear is considered as a normal process and generally does not require treatment, but excessive tooth wear causes problems like inadequate occlusion and esthetics. Change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made through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Also, the patient’s adaptation to the chang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assessed over time. This case was a 60-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a decrease in chewing function and esthetics due to severe tooth wear. Full-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with a tooth sup-ported fixed prosthesis. An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and provisional restor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adaptation to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induce a stable centric relation position. After that,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was delivered. We report this as a satisfactory functional recovery and esthetic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21-9)

Keywords: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ral rehabilitation; Tooth wear

*Corresponding Author: Jae-Jun Ryu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am Hospital Korea University, Anam-dong 5-ga, Seongbuk-gu, Seoul, 136-705, Republic of Korea+82 (0)2 920 5423: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19, 2019 / Last Revision October 21, 2019 / Accepted October 22,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5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시스템을 이용

하여 제작된다.7 CAD/CAM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milling machine을 이용하여 여러 재료의 block을 보철물로 가공하기 때문에 보철물 제작의 비용과 시간

이 절감된다. 또한 CAD/CAM 시스템은 통상적인 도재 제작 시스템에 비하여 보철물 내부 시멘트 공간과 보철물의 두께를 정확하게 부여할 수 있고, 강도가 높은 치과용 재료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8 McLean과 von Fraunhofer9는 CAD/CAM 시스

템과 주조관으로 제작된 수복물의 수용가능한 변연 간격을 120µm로 제시하였는데, Kim 등8은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기반 완전 도재관과 전통적인 주조 금속도재관과의

변연 간격은 120 µm 이내이고, 변연 적합도와 내면 적합도 모두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발표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는 평소 이 악물기와 이갈이가 심하여 치아가

짧아졌고, 저작 시 앞니가 닿고 씹기가 불편하다는 주소로 내원

하였다. 환자는 전치부의 치간 공극이나 절단 교합의 해소를 통한 심미성의 회복 또한 원하였다. 이에 전악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계획하였고, 교합안정장치의 사용을 선행하였다. 이후 지

대치를 삭제한 후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였다. 정밀 인상 후 단계적인 악간 관계 채득을 통하여 최종 보철물을 고려해서

제작한 두번째 임시보철물을 사용하였고,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

였다. 이에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

하는 바이다.

증례

상기 환자는 60세 남성으로 상악과 하악의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와 저작 시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결과, 하악 양측 중절치의 상실과 이로 인한 하악 치아의 근심 경사, 상·하악 치아의 전반적인 마모가 관찰되었다. 상·하악 전치부의 치간 공극으로 발음 시 불편 및 심미적인 불만족을 호소하였고, 절단교합의 상태로 저작 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하악 양측 제2대구치의 교합면 법랑질 우식이 관찰되었으며, 탐침 시 출혈, 치은 퇴축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 1). 임상 진단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치주 상태는 양호하였다 (Fig. 2). 특이한 전신병력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심한 이갈이와 이 악물기 습관이 관찰되었

다. 측두하악관절장애는 관찰되지 않았다.

Fig. 1. Intraoral status in the initial examination. (A) Maxillary occlusal view, (B) Right lateral view, (C) Frontal view at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D) Left lateral view, (E) Mandibular occlusal view.

A

C

E

DB

Page 5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23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환자는 전악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통하여 정상적인 저작 기능

의 회복과 마모된 치아와 치간 공극을 회복하는 심미적인 수복을 원하였다. 이에 진단과 환자의 요구를 종합하여 상악 좌측 제3대

구치의 발치와 수직 교합 고경의 거상을 동반한 전악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을 계획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통한 적응기간을 거친 후, 지르코니아로 제작한 최종보철물의 수복을 계획하였다.

진단 모형 제작을 위해서 상·하악 알지네이트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반조절성 교합기(Protar evo5,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에 마운팅하여 교합관계를 분석하였다. 환자

의 악간 공극, 구치부 지지, 치아의 마모 형태, 안모분석을 통하

여 6 mm 정도로 증가된 악간 공극, 부적절한 구치부 지지와 저작기능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Willis 분석법을 시행하여 계

측 시 동공간선에서 구각까지의 거리와 코끝에서 턱끝까지의 거리 비율이 평균치와 다름을 확인하였다10 이에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이 감소되었다고 평가하여 정상적인 안모 및 적절한 치아 형태 회복을 위한 보철 수복을 위해 3 mm의 수직 교합 고경의 거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거상된 수직 교합 고경에서 적절

한 하악위를 확인하고, 측두 하악 관절 부위의 안정적인 적응을 확인하기 위해 수직 교합 고경을 3 mm 증가시킨 교합안정장치

를 제작하였다. 약 12주 간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한 후, 교합안정

장치 사용 시 설정한 거상량에 근거하여 치료위를 기록하였다. 안궁 이전 후 환자의 진단 모형을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하

여 수직 교합 고경이 증가된 상태에서 진단 왁스업을 시행하였

다 (Fig. 3).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량은 초기 계획한 3 mm로 설정하였고, 진단 왁스업의 형태를 실제 환자 구강 내 최대한 반영

할 수 있는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진단 왁스업 모형을 알지네이트로 복제하여 0.5mm 두께의

vacuum former sheet (Easy-vac gasket 3A GS020 0.5 mm, 3A Medes, Go-yang, Korea)를 이용하여 상·하악 치아 삭제를 위한 가이드를 제작하였다. 가이드를 이용하여 치아 삭제를 시행한 후, 미리 제작된 임시 보철물을 자가 중합 레진(Alike, GC Co, Tokyo, Japan)으로 조정 후 임시접착하였다 (Fig. 4). 교합지와 T-Scan III (Software version 7.0.1, Tekscan Inc., Boston, MA, USA)을 이용해 교합조정을 시행하여 구치부 교합력을 양측으

로 균등하게 분배하였고, 편심 운동 시 견치유도교합을 부여하

였다. 치아 삭제 후, 상악 좌측 제3대구치의 단순 발치를 시행하

였다. 12주의 관찰 기간 동안 임시 보철물을 정기적으로 점검하

였고, 교합조정을 시행하였다.

Fig. 2. Initial panoramic radiographic image.

Fig. 4. First provisional restoration delivery.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Fig. 3. Diagnostic wax up.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Page 5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2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임시 보철물 장착 후 교합이 안정됨을 확인하고, 알지네이트 일차 인상을 채득하여 개인 트레이 형성용 모델을 제작하였다. 개인트레이용 광중합 레진(Lightplast, Dreve dentamid GmbH, Unna, Germany)을 이용하여 상·하악 개인 트레이를 제작한 후, polyvinyl siloxane (Delikit, Happiden, Seoul, Korea)을 이용

하여 정밀 인상 채득을 시행하였다 (Fig. 5). 제4형 경석고(GC Fujirock EP, GC Europe N.V., Leuven, Belgium)를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제작하였다. Facebow (Facial bow 750 arcus,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를 이용해 안궁이전을 시행

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상악 모형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환자

가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에 잘 적응하였고, 개선된 저작, 발음, 심미성에 만족감을 표하였기 때문에 임시 보철물로 설정된 치료

위에서 수직 교합 고경을 유지하여 하악 모형 마운팅을 시행하

였다. 현재 수직 교합 고경을 유지한 채로 정확한 악간 관계를 재확인 하기 위하여 repositioning jig (Pattern resin LS, GC Ameri-ca, IL, USA)를 제작하여 (Fig. 6) 환자의 악간 관계를 polyvinyl siloxane (O-Bite, DMG, Hamburg, Germany)를 이용하여 기록

하고 (Fig. 7), 반조절성 교합기에 다시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Wax mock up을 환자 구내에 시적 하여 최종 보철물의 형태

와 안모와의 조화,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 환자의 안정위 공간, 교합평면 등을 확인하였고 (Fig. 8), 이를 복제하여 Poly methyl methacrylate (Vipi block monocolor, VIPI, Säo Paulo, Brazil)를 milling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Fig. 9). 두 임시보철물 간 수직 교합 고경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고, wax mock up의 형태를 최종 보철물에 반영하기 전 기능과 심미

를 확인하기 위해 두번째 임시보철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8주 동안 사용하여 저작 기능과 형태를 확인하고, 생리적, 심미적

인 측면에서 구강 내에 적응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교합조정량은 최소량이었다. 두번째 임시 보철물 사용 기간 동안 기능과 심미

성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추가적인 인상채득이나 교합의 인기 없이 wax mock up 형태를 복제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블록(rainbow Shade Block, Dentium, Seoul, Korea)을 이용해 최종 보철물을 제작한 후, 환자 구내에 장착하였다 (Fig. 10).

T-scan과 교합지를 이용하여 양측의 균등한 교합을 부여하

Fig. 5. Final abutment preparation and impression taking (A) Maxillary abutment preparation, (B) Mandibular abutment preparation, (C) Maxillary abutment impression using individual tray, (D) Mandibular abutment impression using individual tray, (E) Facebow transfer.

A B C D E

Fig. 6. Fabrication of repositioning jig.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Fig. 7. (A) Registration of interocclusal relationship using repositioning jig, (B) Anterior bite registration with interpupillary line and midline.

A B

Page 5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25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Fig. 8. Wax mock up try in.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Fig. 9. Second provisional restoration delivery.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Fig. 10. Definitive prosthesis. (A) Maxillary occlusal view, (B) Right lateral view, (C) Frontal view at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D) Left lateral view, (E) Mandibular occlusal view.

A

C

E

DB

Page 5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2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였고, 8주 간의 임시 접착 기간을 거쳐 안정적이고 균일한 교합

을 확인하였다. 그 후 지르코니아의 내면에 보철물 프라이머(G-Multi Primer, GC Co, Tokyo, Japan)를 적용 후, 레진 시멘트

(G-cem one, GC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최종 접착하였

다 (Fig. 11). 보철물 장착 후 이갈이 및 이악물기 방지를 위하여

night guard를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Fig. 12), 12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악관절의 증상이나 기계적, 생물학적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기능적, 심미적으로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고찰

치아의 마모가 진행되면서 전치부 교합 상태는 정상 overjet에서 절단 교합 상태로 변할 수 있다.11 Murphy5는 치아의 생리적

인 마모율이 보상적인 치아의 맹출 정도를 넘어서면 수직 교합

고경의 감소가 발생하고, 하악이 전상방으로 회전하며 절단교합

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Turner와 Missirlian2은 부적절하고 불안

정한 구치부의 지지는 상당한 양의 전치부 마모를 발생시킬 수있고 수직 교합 고경의 감소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Moslehifard 등1은 구치부 교합에서의 조기 접촉이 전치부 교합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전치부 치아의 마모가 증가된다고 발표하였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저작 시 앞니로 씹힌다는 불편감

을 호소하였고 임상 검사 시 상·하악 전치부에서 상당한 양의 마모가 관찰되었고 교합 접촉점이 확인되었다. 안정된 치료위에서

진단 왁스업을 통하여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켜 수복한 결과,overjet과 overbite의 정상 범위로 여겨지는 2 - 4 mm를 확보할

수 있었고 상하악 전치의 올바른 관계를 통해 전방유도를 적절

하게 수복하였다. 환자는 이에 적응하여 생리적 합병증을 보이

지 않았다. Turner와 Missirlian2은 수직 교합 고경의 평가 방법으로 구치

부 지지의 평가, 치아의 마모 병력, 발음을 통한 평가, 악간 거리

의 측정, 안모평가를 제시하였다. 구치부 지지의 상실은 수직 교합 고경 상실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될 수 있고, 교합면 마모의 병

력 또한 수직 교합 고경의 상실을 의미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고

발표하였다. 2 - 4 mm보다 큰 악간공극 또한 치아 마모로 인한 수직 교합 고경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S’ 발음 시 하악 중절

치의 절단연이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보다 1 mm 내하방에 위치

되어야 정상 수직 교합 고경 상태로 정의 내릴 수 있고, 그 이상

일 시 수직 교합 고경의 상실을 의심해야 한다고 하였다. Willis10

는 동공간선에서 구각까지의 거리와 코끝에서 턱끝 까지의 거리 비율 1:1을 정상 수직 교합 고경 환자의 평균치로 제시하였다.Park 등12은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평균 수직고경에 대해 제시하

였는데, 상하악 순측 전정 최저점간 수직거리를 남성 35.1 mm,여성 34.9 mm로 발표하였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구치부 지지의

상실이 일어나 저작의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교합면과 절단연의

치아 마모의 병력이 관찰되었다. ‘S’ 발음 평가 시 하악 중절치의

절단연이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보다 3 mm가량 내하방에 위치하

는 것을 확인하였고, 환자 또한 발음의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악간공극은 6 mm로 관찰되었고, Willis 분석법에서 동공간선에서

구각까지의 거리와 코끝에서 턱끝 까지의 거리 비율이 1:0.9로

측정되었다. 상하악 순측전정 최저점간 수직거리 또한 평균치보

다 작음이 관찰되었다. 평가들을 바탕으로 수직 교합 고경 거상

량은 3 mm로 계획하고 치료를 시작하였고,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양을 유지한 채 최종보철물 수복까지 완료되었다.

Dawson6은 광범위한 마모가 일어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으

로 핀-유지형 전부 금관 수복물, 치관 연장 술식, 발수와 근관내 포스트와 코핑 제작,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통한 구강 완전 회복술을 제시하였다. 이 중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켜 전악 보철 수복을 통한 구강 완전 회복술은 치관 연장술이나 의도적인

근관 치료 등의 침습적인 치료방법을 피할 수 있고, 수복 재료에 적당량의 두께를 부여하여 수복물 자체의 기계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13 Abudo와 Lyons14는 facial morphology 및 수직 교합 고경의 소실양의 분석이 아닌 환자의 적응 정도와 기능적

만족도, 심미성에 대한 충분한 평가를 바탕으로 수직 교합 고경

의 증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최소한의 증가가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진단을 통하여 3 mm의 수직 교

Fig. 11. Panoramic radiographic image after definitive prosthesis delivery. Fig. 12. Delivery of night guard.

Page 5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27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합 고경 증가를 계획하였고, 환자의 충분한 적응기간을 거쳐서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전악 보철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는 저작계의 생리와 환자의 적응 능력

을 통하여 평가되어야 한다.14,15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에 대한 환자의 적응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acrylic resin 등을 이용한 교합안정장치, provisional restoration, base metal onlay 등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16 이 방법들 중 교합 안정장치는 가역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제작과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선호된다.15 Turner와 Missirlian2은 수직 교합 고경의 변화

가 필요한 경우 가역적인 가철성 교합 안정 장치를 먼저 사용 후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통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Dawson6은 광범위한 보철 수복 전 관절과 치아가 불안정하다

면 최소한 12주동안 교합 안정 장치를 사용하여 안정화를 재평

가하고 교합의 변화를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Carlsson 등17

은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은 근신경계의 적응 여부를 4주 - 12주

의 기간 동안 평가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측두 하악 관절의 안정화를 도모하며 안정된 하악위를 치료위로

설정하고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에 적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

여 약 12주 간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하였다. 또한 임시 보철물에

대한 환자의 적응 평가는 총 20주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관찰

기간 동안 불편감이나 근육의 피로도, 교합의 불안정 등은 관찰

되지 않았다. Levartovsky 등13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을 이갈이 환

자의 구치부에 장착한 후 평가하였을 때, 수복물의 높은 성공

률과 생존률을 보고하였다.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는 하중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치과용 수복 재료로,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갈이 환자의 보철 수복 재료로 선택되고 있다.7 이는 900 - 1200 MPa에 달하는 굽힘 강도와 7 - 10 MPam-1의 파괴 인성을 갖는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TZP)구조와 연관된다.18 또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접착 시 dual cure resin cement를 사용하였을 때 자가중합 되었을 때 보다 광중합 되었을 때 유의미하게 낮은 피로 손상을 보였기 때문에,19 본 증례에서도 최종 접착 시 각 수복물에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T-Scan III (Software version 7.0.1, Tekscan Inc., Boston, MA,USA)은 교합접촉점의 위치와 교합 시간, 각 교합점 간의 상대적

인 교합력을 정확하고 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고안된 시스템

이다.20 T-scan과 교합지를 이용하여 임시 보철물과 최종 보철물

을 내원 시마다 하악 운동과 교합을 평가하여 조정하였다. 따라

서 중심교합에서 좌우 구치부의 균등한 교합을 부여할 수 있었

고, 하악의 편심 운동 시 견치 유도 교합 양식을 형성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심한 마모로 인해 심미, 저작 기능의 일부를 상실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치아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전악 구강

수복을 시행하였다.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에 대한 환자의 적응 여부를 평가하고 안정된 치료위로 유도하기 위해 교합안정장치

의 이용을 3개월 간 선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통하여 5개월 동안 환자의 적응 정도와 기능, 심미를 평가하였으며 이에 기초하

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치아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였

다. 최종 보철물 장착 후 12개월의 관찰 기간 동안 생물학적이나 기계적인 합병증은 보고 되지 않았고, 환자 또한 심미적, 기능적

으로 만족하였다.

ORCID

Ju-Ho Jang https://orcid.org/0000-0002-9534-0600Yeon-Jo Choi https://orcid.org/0000-0002-8831-5909Jae-Jun Ryu https://orcid.org/0000-0001-6903-5955

References

1. Moslehifard E, Nikzad S, Geraminpanah F, Mahboub F.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and uneven occlusal plane: a clinical report. J Prosthodont2012;21:56-64.

2.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3. Dahl BL, Carlsson GE, Ekfeldt A. Occlusal wear of teethand restorative materials. A review of classification, etiology,mechanisms of wear, and some aspects of restorative proce-dures. Acta Odontol Scand 1993;51:299-311.

4. Xhonga FA. Bruxism and its effect on the teeth. J Oral Reha-bil 1977;4:65-76.

5. Murphy T. Mandibular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ralian Dent J 1958;3:171-8

6.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St. Louis; Mosby, 2007. p. 429-52, 595-602.

7. Manicone PF, Rossi Iommetti P, Raffaelli L. An overview ofzirconia ceramics: bas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Dent 2007;35:819-26.

8. Kim SJ, Jo KH, Lee KB. A comparison of the fidelity of vari-ous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system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9;47:148-55.

9. McLean JW, von Fraunhofer JA. The estimation of cementfilm thickness by an in vivo technique. Br Dent J 1971;131:107-11.

10.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11. Reinhardt GA. Attrition and the edge-to-edge bite. Angle Or-thod 1983;53:157-64.

12.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13. Levartovsky S, Pilo R, Shadur A, Matalon S, Winocur E.Complet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ruxism by veneered

Page 5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2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장주호�최연조�류재준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and non-veneered zirconia restorations with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 observational case-series study. J Prosthodont Res 2019 Mar 20.

14.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15. Karakıs D, Kaymak D, Dogan A. The evaluation of maxi-mum bite force in the occlusal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Angle Class III malocclusion: a case report. J Adv Prostho-dont 2013;5:364-8.

16. Song MY, Park JM, Park EJ. Full mouth rehabilitation of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ase report. J AdvProsthodont 2010;2:106-10.

17.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18. Piconi C, Maccauro G. Zirconia as a ceramic biomaterial.Biomaterials 1999;20:1-25.

19. Schlenz MA, Schmidt A, Rehmann P, Wöstmann B. Fatiguedamage of monolithic posterior computer aided designed/computer aided manufactured crowns. J Prosthodont Res2019;63:368-73.

20. Pyakurel U, Long H, Jian F, Sun J, Zhu Y, Jha H, Lai W.Mechanism, accuracy and application of T-scan system indentistry-A review. J Nepal Dent Assoc 2013;13:52-6.

Page 6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29

CASE REPORT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장주호 � 최연조 � 류재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보철학교실

구강의 교합 재건의 관점에서 광범위한 치아 마모의 치료는 보철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생리적인 치아의 마모는 정상적인 과정으로 간주되어 일반적

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부적절하고 불안정한 교합상태, 심미성의 감소, 저작 기능의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보철적인 수복을 필요로 한다. 마모된 치아의 전악 구강 회복 시 수직 교합 고경의 변화는 정확한 진단 및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변화된 수직 교합 고경

에 대한 환자의 적응 여부를 일정기간 평가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60세 남성 환자로 전체적인 치아의 심한 마모로 인해 저작 기능과 심미성의 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치아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 구강 수복을 시행하였다.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의 적응 여부를 평가하고 안정된 하악위를 유도하기 위해 교합안정장치

를 사용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여 증가된 수직 교합 고경과 교합상태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였다. 이후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여

최종 접착하였고, 만족스러운 기능의 회복과 심미성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21-9)

주요단어: 수직 교합 고경; 구강 회복; 치아 마모

*교신저자: 류재준

136-705 서울 성북구 안암동 5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보철학교실

02 920 5423: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9월 19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0월 21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0월 22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6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30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서론

총의치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기능, 안모 회복, 건강의 유지

를 위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이지만 임플란트의 등장으

로 총의치 제작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들에 대해 새로운

옵션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전신 건강의 제한이나 경제적인 어려움, 임플란트에 부적합한 치조제 등에 의해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환자가 많으며, 이들에게는 여전히 총의치 수복이 첫번째 치료옵션이 될 것이다.1

총의치 제작 시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개구 인상은 근육 부착

부의 명시화를 목적으로 하며 압력을 가해 점막면을 신장시키고

근육의 부착부를 명료하게 한다.2 하지만 악제 흡수를 동반한 난 증례에서는 술자가 개인 트레이를 악제상의 올바른 위치에 두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며, 변연 형성 시 반복해 위치시키는 가운데 정확한 변연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변형이 쉬운 후구

치 융기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조직의 움직임에 의한 유지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3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Abe3가 소개한 흡착원리(suction mechanism)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방법은 의치상연 주변을 가동 점막으로 봉쇄하고 연하, 교합 등의 조직의 움직임에 의치상 내면의 음압이 형성되며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강화하는 방식이

다.4

본 증례에서는 특히 하악의 심한 골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

악 환자에서 흡착 의치를 사용하여 향상된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및 환자의 만족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30CASE REPORT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김현아 � 윤귀덕* � 조유진 � 양홍서 � 박상원 � 박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using suction mechanism: A case report

Hyun-Ah Kim, Kwi-Dug Yun*, Yu-Jin Jo, Hongso Yang, Sang-Won Park, Chan Park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 with suction mechanism was introduced to enhance the retention and stability of denture by sealing around the denture border by forming negative pressure on the inner side of denture base during functional movement such as swallowing or masticating. Mandibular suction dentures reduce denture dislodging force during opening by taking preliminary impression without pressure on retromolar pad area in rest position. In this case,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 using suction mechanism for an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llowed us to clinically enhance retention and stability of denture and improve satisfaction of patien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30-6)

Keywords: Complete denture; Edentulous patient; Suction mechanism

*Corresponding Author: Gwi-Dug Yun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33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82 (0)62 530 5638: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23, 2019 / Last Revision November 13, 2019 / Accepted November 14,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6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31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증례

본 증례는 83세의 여자 환자로 의치를 새로 제작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신 병력으로는 고혈압으로 항응고제가 포함된 약제를 18년간 복용 중이셨다. 6년 전 제작한 기존 의치의 유지력 부족으로 인한 불편감 호소하셨고 특히 하악의 경우 #43 지대치 한 개로 유지하던 국소의치 사용 중 #43 발거로 의치 수리해 사용 중이셨으나 잘 맞지 않는 상태였다.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시 심한 치조제 흡수 양상 보였고 특히 하악이 심한 양상으로, 기존의 총의치 제작 방법으로는 환자

가 요구하는 유지와 안정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

되었다 (Fig. 1, Fig. 2). 환자의 심한 치조제 흡수, 의치의 유지력

에 대한 환자의 요구와 고령의 나이, 경제적인 문제 등을 고려하

여 흡착의치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을 계획하였다. 먼저, 후구치삼각융기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Biofunc-

tional prosthetic system (BPS)에 의해 제작된 Frame Cut Back Tray (Accu Tray,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를 이용하여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Cavex Impressional, Cavex Holland, Haarlem, The Netherlands)를 이용한 예비인상을 채득

하였다. “Frame Cut Back Tray”는 구후융기와 협붕 부위를 제거

하여 조직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설측 공간을 부여해 폐구 안정

위에서의 설하주름부를 더 넓게 채득하기 위해 디자인된 트레이

이다 (Fig. 3).일차 악간관계기록 채득을 위해 고안된 트레이(Centric Tray,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및 silicone putty (Su-flex putty, Hiossen, Germany)로 일차 교합고경을 채득하였다

(Fig. 4). 채득된 bite 및 Horizontal guide를 이용하여 진단 모형

을 교합기에 마운팅하였다 (Fig. 5). 진단모형 상에 교합 위치 결정용 구내 인기 장치(Gnathometer

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가 장착된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였다 (Fig. 6).

개인트레이 시적 및 환자에게 사전의 충분한 기능운동을 교육

하였다. 순소대와 협점막의 운동 및 환자에게 ‘우,이’ 발음 지시, 술자의 손가락 흡인 등의 기능운동을 시행하게 하여 근육의 움

Fig. 1. Initial panoramic radiograph.

Fig. 2. Initial intraoral photographs. (A) Frontal view, (B) Maxillary occlusal view, (C) Mandibular occlusal view.

A B C

Fig. 3. Preliminary impression taking. (A) Frame Cut Back Tray, (B) Mandibular alginate impression, (C) Maxillary alginate impression.

A B C

Page 6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3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직임을 기록하였다. 특히 하악 인상채득 시에는 개구 시 혀의 좌,우 움직임과 폐구 시 혀로 트레이 안쪽을 밀기, 연하운동을 추가하였다 (Fig. 7). 기능운동 하에 Heavy body로 변연 형성 시행

하였고, light body 이용해 폐구법으로 최종 인상을 채득하였다 (Fig. 8).

Fig. 4. Preliminary vertical dimension taking with Centric tray.

Fig. 5. Mounting the diagnostic cast with Centric tray and Horizontal guide.

A B

Fig. 6. Fabricating individual tray and Gnathometer M Placement. (A), (B) Bite rim mount application on individual tray, (C) Articulator mounting.

A B C

최적의 교합고경 결정을 위해 환자로 하여금 발음연습을 시켜 plate 사이 공간이 2 - 3 mm가 되는 위치를 확인하고 높이를 조정하였다. 그 후 교합 위치 결정용 구내 인기 장치를 제거하고 Gothic arch tracer를 설치하여 중심위에서 악간관계기록 채득을 시행하였다 (Fig. 8E).5 최종모형 제작 및 안궁(UTS, Universal Transfer-Bow System,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이용해 안궁이전한 후 교합기 부착을 시행하였다 (Fig. 9).

교합양식은 양측성 균형교합 및 설측교합을 적용하였고, 수직피개량이 과도하지 않도록 하여 전후방적 안정을 얻고자 하였

다. 납의치 시적하여 확인 후 (Fig. 10),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으

며, 치료실재부착을 통해 양측성 균형교합을 통한 안정 확인 및 최종 의치 장착하여 변연 봉쇄를 확인하였다 (Fig. 11).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고, 특히 환자의 주소였

던 하악 의치의 유지력이 향상되어 환자의 높은 만족을 얻을 수있었다 (Fig. 12).

Page 6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33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Fig. 7. Functional movement.

Fig. 9. (A), (B) Definitive cast fabrication, (C) Face-bow transfer with UTS.

A B C

Fig. 10. Wax denture try in.

Fig. 8. Definitive impression. (A), (B) Bordermolding with heavy body, (C), (D) Definitive impression with light body, (E) Gothic arch tracing.

A

B

C

D

E

Page 6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3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고찰

본 증례 환자의 경우 하악 설하주름부(sublingual fold) 조직의 부족 및 후악설골근와부의 공간 부족이 관찰되고 후구치삼각융

기의 형태와 위치가 분명치 않은 상태였으며, 하악위는 유도위

와 습관성 교합위가 일치하는 상태였다. 유지, 지지 측면에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고령의 나이,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통상적인 총의치 제작을 원하

셨다. 따라서 환자에게 의치의 유지와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흡착의치를 이용한 총의치를 제작하였다.

하악 안정위 상태의 후구치삼각융기 형태를 채득하는 것이 개인트레이 적합 정밀도의 향상 및 후방부 봉쇄에 중요하므로, 예비인상 채득에 “frame cut back tray”를 사용하여 구후융기 부위

에 압력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조직이 변형 후 다시 회복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탈락력을 최소화하여 유지력을 높이도록 하였다.6

Centric tray를 이용한 일차 교합고경 계측 및 정밀인상 후 환자의 발음을 이용해 교합고경의 수정 시행하여 최종 교합고경을 결정하였다. 교합제 단계의 생략으로 환자의 내원 횟수가 감소

하였으며 두 단계의 교합고경 채득으로 보다 오차 범위가 감소

한 교합고경 채득이 가능하였다.7

흡착이란, 교합력이 발생하면 의치가 치조제 점막을 눌러 타액이 배출되고 의치상과 치조제 점막 사이가 음압 상태가 되어 얻는 유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흡착은 변연봉쇄를 통해 공기유

입을 차단하여 얻을 수 있다.4 이를 위해 정밀인상 시 시행한 기능운동에서, ‘우,이’동작을 통해 협소대의 움직임을 포함한 순협

측 인상형태를 형성하였다. 또한 혀의 운동에서, 전치부 설측 트레이를 미는 동작을 통해 악설골근의 움직임이 반영된 구강저

의 인상채득을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하운동을 통해 구후

융기 상부에서 협점막이 내방으로 들어가 봉쇄를 이루고 이근의 수축으로 하순부의 변연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무치악자의 교합양식에 있어서, 안정 시의 편심위에서의 교합

접촉, 즉 작업측과 평형측 또는 전치와 구치가 동시에 접촉하는 양측성 균형교합을 부여하게 되면 원활한 접촉 활주운동이 가능하여 의치의 안정에 도움이 된다.8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본 증례와 같이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는 상악 설측 교두만 접촉시키는 양측성 균형교합을 적용하여 교합력이 하악 치조정에 가깝게 적용됨으로써 교합력을 설측화하여 의치의 안정

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적은 절치유

도 경사를 갖도록 수평피개량을 부여하면서 수직피개량이 과도

하지 않도록 하여 의치의 전후방적 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Fig. 11).

결론

본 증례는 하악 심한 치조제 흡수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흡착의치 제작을 통해 하악 총의치의 향상된 유지력 및 안정을 얻었다. 양측성 균형교합 및 의치 안정을 위한 교합을 형성하고자 하였으며, 유지 및 관리를 위한 주기적인 내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12. Definitive denture delivery. (A) Right view, (B) Frontal view, (C) Left view.

A B C

Fig. 11. (A) Clinical remounting, (B) Overjet.

A B

Page 6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35

김현아�윤귀덕�조유진�양홍서�박상원�박찬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ORCID

Hyun-Ah Kim https://orcid.org/0000-0002-6677-0337Kwi-Dug Yun https://orcid.org/0000-0002-2965-3967Chan Park https://orcid.org/0000-0001-5729-5127Sang-Won Park https://orcid.org/0000-0002-9376-9104Hongso Yang https://orcid.org/0000-0002-9138-4817Yu-Jin Jo https://orcid.org/0000-0002-4096-9137

References

1.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3rd ed. Mosby, 2008. p. 295-7.

2. Collett HA. Final impressions for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70;23:250-64.

3. Abe J. Challenge to lower complete denture suction. J Nippon Dent Rev 2007;67:50-89.

4. Abe J, Kokubo K, Sato K. Mandibular suction-effective den-ture and BPS: A complete guide. Quintessence Pub Co.; 2012. p. 44-9.

5. el-Aramany MA, George WA, Scott RH. Evaluation of the needle point tracing as a method for determining centric rela-tion. J Prosthet Dent 1965;15:1043-54.

6. Abe J. Difference of preliminary impression takings between conventional mandibular complete denture and the mandibu-lar complete denture intended with effective suction. Pract Prosthodont 2010;43:510-24.

7. Abe J, Kokubo K, Sato K. Mandibular suction-effective den-ture and BPS: A complete guide. Quintessence Pub Co.; 2012. p. 125-6.

8. 총의치학교수협의회 공저.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2nd ed. Dentalwisdom; Seoul; 2014. p. 322-42.

Page 6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3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치조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김현아 � 윤귀덕* � 조유진 � 양홍서 � 박상원 � 박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흡착원리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은 연하나 저작 등의 운동 시 의치 내면의 음압이 형성되어 의치연 주변의 봉쇄를 이루어 유지와 안정을 향상시키고자

소개된 방식이다. 하악 흡착의치는 특히 변형되기 쉬운 후구치융기를 안정 상태에서 채득하여 개구 시 탈락력을 감소시킨다. 이 증례에서는 하악 치조

제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에서 흡착원리를 통한 총의치 제작을 통해 의치의 향상된 유지력과 안정 및 환자의 만족도를 얻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30-6)

주요단어: 총의치; 무치악 환자; 흡착원리

*교신저자: 윤귀덕

61186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062 530 5638: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9월 23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1월 13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1월 14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6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37

서론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전통적인

치료방법이 선택되어 왔다.1 이와 함께 근래에는 소수의 임플란

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

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4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골 결손부가 크거나 생역학적으로

불리한 경우, 임플란트에서 추가적인 지지와 유지를 얻어 환자

가 좀 더 안정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치료 방법으로 소

개되고 있다.2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임상 적용 방식은 다음

과 같다. 임플란트 지지 상부 보철물을 지대치로 활용하여 그 위에 통상적인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서베이드 금관 활용 술식’, 또는 임플란트를 의치 하방에 두고 부착 장치를 통해 이를 활용

하는 -‘의치 하방 연결 술식’이 주로 사용된다.5 이 중 의치 하방 연결 술식은 solitary 또는 bar type의 attachment를 이용하는 방법이다.6,7 Solitary type attachment는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bar type에 비해 적은 악간 공간이 필요하지만 상대적

으로 지지와 안정이 부족하여 유지관리를 위해 잦은 내원이 요구된다.8 Bar type attachment는 임플란트간의 일차적인 스플린

팅 효과에 의한 높은 의치 유지력과 안정성이 관찰되지만 기공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37CASE REPORT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김지현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and Locator

in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Republic of Korea

Implant-fixed prosthese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treatment method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o have lost multiple teeth.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which additionally obtains retention and support using a small number of implants. The IARPDs have higher retention, stability, and aesthetics than conventional removable dentures.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as well as the burden of surgery by placing a small number of implants at the edentulous site.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a partial edentulous state that has multiple numbers of tooth loss in maxilla initially planned to be treated with implant fixed prosthesis. However, the treatment plan was changed to IARPD using Bar and Locator due to several factors.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on the aspect of esthetic and masticatory func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37-44)

Keywords: Dental implant;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Locator; Milled bar

*Corresponding Author: So-Hyoun Lee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20, Geumo-ro, Mulgeum-eup, Yangsan 50612, Republic of Korea+82 (0)55 360 5130: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26, 2019 / Last Revision October 29, 2019 / Accepted November 4,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grant of clinical research funding of the Dental Hospit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8.

Page 6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3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과정이 복잡하며, 제작을 위해 더 많은 악간 공간이 요구된다.9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식립된 임플란트간의 각도가 불량한

경우 bar type attachment를 이용하면 국소의치 삽입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여 치료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lip, magnet, O-ring, Locator 등을 bar type attachment에 연결하면 부가적인 유지를 얻고 의치의 유지력과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해

질 수 있다.10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에서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초기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보철물의 예후, 심미성, 구강위생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milled bar와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과 심미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61세 남성으로, 20번대 고정성 보철물의 지대치 파절을 주소로 보철 상담을 위해 본과에 내원하였다. 전신 병력 상 Hepatitis B virus (HBV)로 인해 약물복용 중이었다. 임상 검사 상 10년 이상 경과한 상악 좌측의 #22=26 고정성 보철

물의 측절치(#22)에서 치관 및 치근의 파절이 관찰되었다. 이와

함께 2012년 발거된 상악 우측 제2대구치(#17)의 소실로 인해 하악 우측 제3대구치(#48)의 정출이 있고, 제1대구치(#26), 제2대구치(#27) 부위의 치주 질환 및 치아 동요도 관찰되었다. 방사

선 검사상 상악 전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전반적으로 심한 치조골 소실이 나타났다 (Fig. 1).

환자는 치료를 통해 심미성과 저작 기능을 회복하고 가철성 치료의 불편함이 없기를 희망하였다. 이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으로 치료를 계획하였다. 예후 불량한 #22,26,27 치아 및 매복된 #28 치아의 발거가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좌측 전치부의 구순 지지와 구치부의 협측부 지지 부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

하였다. 발거 후 구강의 심미와 기능적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최종 보철물 장착 전까지 임시 의치를 사용하기로 계획하였다.

알지네이트(Aroma Fine Plus, G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예비 인상 채득하고 진단 모형을 제작하였다. 진단 왁스업 과정

에서 길어진 Crown height space (CHS)가 관찰되었고, 환자분

께 고정성 보철물로 최종 보철물 제작이 어려울 수 있음을 고지

하였다. 그러나 환자가 심미적인 요인과 더불어 의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었기에 임플란트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 형태의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여 재 평가 시행하기로 하였다. 진단 왁스업 된 모형을 복제하여 방사선 스탠트(radiographic stent)를 제작하였다. 이후,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 파노라마와 치과용 컴퓨터 단층촬영(Dental Computered Tomography)을 통한 방사선

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원 구강외과에서 #22,26,27,28 발거 후, #17,22,23,25,26 위

치에 임플란트(#17i: Ø5.0 × 11.5 mm, #22i,23i,25i,26i: Ø4.0 × 11.5 mm, Osstem US II SA, Osstem, Seoul, Korea)를 식립하고 임시 의치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Fig. 2).

6개월 간 임시 의치 사용을 통해 구강 안정화 도모하였다. 2차 수술 완료 후, 방사선학적 평가 및 Implant Stability Quotient(ISQ) 측정을 통해 임플란트의 안정화 확인하였다. 상악에 오픈

형 개인트레이를 제작하고 실리콘 인상재(Imprint II, 3M ESPE,St. Paul, MN, USA) 이용하여 implant level의 pick up 인상 채득

후 주 모형을 제작하였다. 상, 하악 모형을 마운팅하고 디지털

왁스 업 과정을 통해 최종 보철물의 형태를 예상해 본 결과, 임플Fig. 1. Initial panoramic radiograph.

Fig. 2. (A) Panoramic radiograph and (B) intraoral photograph after implant surgery.

A B

Page 7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39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란트 식립 위치와 골량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상부 보철물의 임상적 치관 길이가 비 이상적으로 길어져 심미성이 감소 될 것으

로 예상되었다 (Fig. 3A, 3B, 3C). 환자분과 상의하에 고정성 보철물 형태의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여 구강 내에서 사용 후, 재 평가 시행하기로 하였다. (Fig. 3D, 3E, 3F). Misch 등11에 따르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이상적인 CHS는 구치부에서 8 - 12mm이며, 15 mm 이상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어 다른

형태의 보철 수복이 추천된다고 하였다. 상기 환자의 경우 구치

부에서 15 mm이상의 CHS관찰되어 고정성 보철물의 형태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 역학적인 측면에서 불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3C).1개월 간의 임시 보철물 사용 후, 환자와 최종 보철물 형태에

대한 재평가 시행하였다. 환자는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

면서 임시 의치 장착 시에 비해 구순과 협측부의 지지도가 감소

하여 안모의 비심미성이 증가하는 것에 대한 불만족을 호소하였

다. 또한 치은 경계부가 전정쪽에 위치하여 치실이나 치간 칫솔

등의 구강위생 용품을 쉽게 접근시킬 수 없어 구강 위생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음 확인되었다. 그리고 처음 치료계획 시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환자가 임시 의치에 편안함을 느끼며 잘 적응 하였기에 역학적, 위생적인 부분과 더불어 심미적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 환자와 상의하여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계획을 변경하였다.

상악 자연치에 유도면과 rest를 형성하고 implant level의 pick up인상 채득하여 최종 모형을 제작하였다. Temporary cylinder로 bite table 제작하여 악간 관계를 채득하고 반 조절성 교합기

(Hanau Modular Articulator, Whip Mix, Louisville, KY, USA)에 마운팅 시행하였다 (Fig. 4).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맞춤형 지대

주(customized abutment) 제작을 통해 식립 각도를 보상 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경우 #22i의 labioversion한 식립으로 인해 milled bar 제작시 착탈의 어려움 예상되었다. 이에 장착 될 milled bar의 형태를 고려하여 내관으로써 식립 각도를 보상한

Fig. 3. Fabrication for temporary fixed prosthesis. (A) Master cast, (B) Bite registration, (C) Predicted crown height space, Intraoral view after temporary fixed prosthesis try in, (D) Occlusal view of maxilla, (E) Frontal view, (F) Left view.

A B C

D E F

Fig. 4. Fabrication of milled bar and locator. (A) Final impression of maxilla, (B) Master cast, (C) Bite registration.

A B C

Page 7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4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22i 맞춤형 티타늄 지대주를 제작하였다. 또한 의치의 탈거 후에도 전치부의 심미성을 확보하기 위해 milled bar의 전치부 위치

에 고정성 보철물 형태를 재현하기로 계획하였다. Gold cylinder를 이용하여 #22i,23i 위치에 맞춤형 지대주를 가진 milled bar를 제작하였다 (Fig. 5A, 5B, 5C). 구강 내에서 #22i 맞춤형 티타늄 지대주와 milled bar의 적합을 확인하고, 임플란트 보철물 합착용 레진계 시멘트(Premier implant cement,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Plymouth Meeting, PA, USA)로 임시 접착 시행하였다 (Fig. 5D).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ely X Unicem, 3M ESPE, St. Paul, MN, USA)를 이용하여 milled bar의 #22i,23i 맞춤형 지대주 위에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Luxen E2, DentalMax, Cheonan, Korea) 블록을 밀링하여 제작

한 #22=23 splinted crowns을 접착하였다 (Fig. 5E). 국소의치의 부가적인 유지를 위해서 #17i와 bar 상부에 Locator를 연결하였

다 (Fig. 5F, Fig. 6).상기 환자의 milled bar는 #22i 외관과 #23i의 내관으로 작용

하는 전방부의 지대주 부분과 후방부의 통상적인 milled bar 로 구성된다. 그리고 milled bar 의 전방 지대주 부분에 지르코니아

로 제작된 splinted crowns를 접착함으로써 #22i는 삼중관, #23i는 이중관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milled bar 설계를 통해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보상하여 milled bar의 착탈을 용이하

게 한다. 상기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 각도의 문제로 인해서 #22i,

23i에 일반적인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제작하고 이를 지대치

로 활용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할 경우 임플란트의 안정성이 문제

가 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보철물이 cement type으로 제작될 수 밖에 없어서 국소의치의 반복적인 착탈시 clasp에 의해 지대치로 사용된 임플란트의 지대주와 상부 보철물 간의 탈락 가능성이

Fig. 5. Fabrication of milled bar and locator. (A) #22i customized titanium abutment, (B) Milled bar pattern, (C) Milled bar, (D) Intraoral photographs after milled bar delivery, (E) Cementation of milled bar and #22=23 splinted crowns, (F) Intraoral photographs after milled bar and locator delivery; #22i customized titanium abutment (Inner crown), milled bar (Outer crown).

A B C

D E F

Fig. 6. Illustration of milled bar fabrication. (A) #22i customized titanium abutment, (B) Cementation of milled bar and #22i customized titanium abutment, (C) Cementation of milled bar and #22=23 splinted crowns; a. Inner crown, b. Outer crown, c. Locator.

A B C

Page 7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41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증가한다. 그러므로 상악 좌측에 식립된 #23i,25i,26i를 milled bar로 연결하고, milled bar 상에서 고정성 보철물의 형태를 재현

함으로써 의치 탈거 후에도 전치부의 심미성을 유지하고 스플린

팅에 의한 임플란트의 예후 향상과 함께 추가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Milled bar와 Locator를 장착한 뒤, 최종 인상을 채득하고 최종 모형과 framework를 제작하였다. Locator만으로는 유지력이 불충분하고, 교합력이 Locator상에 집중되어 유지력 약화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재료의 빠른 변형과 임플란트 약화가 예상

되었기에 clasp 형성을 통해 추가적인 유지를 부여하였다. 악간 관계를 채득하고 인공치아 배열 후, 구강 내에서 납형의치를 시적하여 교합 관계와 심미성을 평가하였다. 이 후 통법에 따라 최종 의치를 제작하고 의치상 첨상재(Tokuso Rebase Normal-set, Tokuyama Corp., Tokyo, Japan) 이용하여 Laocator attachment를 부착하였다 (Fig. 7). 최종 보철물의 구강 내 장착 후, 자연치 교합에 따라 교합 조정을 시행하였다 (Fig. 8). 환자에게 잔존 자연치아와 임플란트 지대주에 대한 구강위생 관리 및 의치 관리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

Fig. 7. Definitive prosthesis delivery.

A B

Fig. 8. Intraoral photographs after definitive prosthesis delivery. (A), (D) Right view, (B), (C) Occlusal view of maxilla, (E) Frontal view, (F) Left view, (G) Oc-clusal view of Mandible.

A B C

D E F

G

Page 7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4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환자는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의치 장착 후 1일, 2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정기적인 재 내원을 통해 구강위생 관리의 정도, 의치 유지력, 교합 상태의 변화 유무를 평가하고, 잔존치와 임플란트에 대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다 (Fig. 9).

고찰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에 다수의 치아 상실을 동반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초기에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 변경되었다.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서 보철물 높이의 증가는 각 구

성요소에서의 파절 가능성을 증가시켜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된다.11 Bulaqi 등12은 임플란트의 CHS가 증가

함에 따라 screw loosening과 임플란트 주변 골의 stress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다. 상기 환자의 경우 구치부에서 15 mm 이상의 CHS를 가져 전체 보철물을 고정성 보철물로 제작하는 것이 불리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Zitzmann과 Marinello7는 피개 의치가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고 하였고, Krennmair 등8은 milled bar 피개의치는 고정성 보철물에 상응하는 기능 및 가철성 보철물의 장점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milled bar를 이용한 IARPD로 환자의 최종 치료 계획을 변경하

였다.IARPD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의 한 형태로 높은 임

플란트 성공률을 가지며,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비교하여 높은 환자 만족도 보인다.4 또한 잔존치의 예후를 증가시키며, 클라스

프의 생략을 통해 심미성을 향상 시킨다.2-4,13 이런 이유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서 IARPD의 치료 선택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Chikunov 등14이 제시한 임플란트와 국소의치의 결합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1) 편측으로 치아가 잔존하는 경우, 2) 전치가 존재하면서 하나 혹은 양측의 견치가 결손 된 경우, 3) 소수의 전치와 구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와 함께 IARPD의 제작시, 전통적인 국소의치에 준하여 치료를 계획하고 식립 할 임플란트의 수와 위치, 연결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한다.

Milled bar attachment는 단일 임플란트간의 스플린팅에 의한 기계적인 이점을 가지며, 힘을 분산시켜 단일 임플란트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과대 하중을 피할 수 있다. 또 국소의치 삽입로 대해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며, 의치의 회전

을 방지한다.9,15 Milled bar의 사용시 의치는 bar와 의치 금속 구조물 사이의 마찰에서 의치 유지력이 얻어지는데 시간이 지나며

접촉면의 마모가 발생하여 유지력이 떨어진다. 이에 부가적인 유지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16

임플란트 유지 장치의 한 종류인 Locator는 수직적인 탄성을 통해 응력을 완화시켜주고, 수직 평면과 회전축에서의 움직임을 허용한다.17 또 셀프 얼라이닝(self-aligning)을 통해 환자가 쉽고 정확하게 의치를 착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bar에 Locator를 부착하면 임플란트의 스플린팅 효과와 함께 운동을 허용하는 등각 각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유지 장치들처럼 반복적인 의치의 착탈과 기능 시 하중에 의해 유지 장치의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유지력의 상실과 나일론 부품의 교체, 지대주 함요부의 치태 축적과 이로 인한 피개의치의 완전한 장착

방해, 지대주의 풀림, 의치의 재이장, 인공치 또는 의치의 파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8

국소의치에서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임플란트의 생존

률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최근 들어 소수 잔존치에 bar와 Locator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제작 증례

가 증가하고 있으나 제한적이며, 장기간의 관찰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본 증례의 환자는 치료가 완료된 이후 8개월 동안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였다. 상기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

였으나 최종 보철 치료는 IARPD 진행되었다. 이처럼 환자의 최종 보철에 대한 판단이 어려울 경우, 임시 보철물 제작을 통한 평가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술자는 임상적 평가를 시행할 수 있고, 더불어 환자의 평가를 보철 계획에 반영할 수 있어 최종 보철 계획의 확립에 더욱 유용 할 것이다.

결론

중등도 이상의 골흡수와 잔존치를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제작을 통한 치료방법은 의치의 유지와 지지를 증가시키고 잔존 지대치의 예후를 향상시켜 환자에게 기능적이며

심미적으로 안정된 치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

는 상악에서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초기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milled bar와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IARPD로 치료 계획

을 변경하였다. 이처럼 치료 계획의 변경이 요구되는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단 과정을 통한 치료 계획의

수립과 함께 중간 평가과정을 통해 다양한 요소가 고려된 최종

보철물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주기적인 경과 관찰

을 통해 국소의치와 임플란트의 평가 및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

Fig. 9. Panoramic radiograph after 6 month.

Page 7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43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으로 사료된다.

ORCID

Ji-Hyun Kim https://orcid.org/0000-0002-4384-7565Chang-Mo Jeong https://orcid.org/0000-0001-5009-9799Mi-Jung Yun https://orcid.org/0000-0003-3093-8406Jung-Bo Huh https://orcid.org/0000-0001-7578-1989Hyeon-jong Lee https://orcid.org/0000-0002-1669-2975So-Hyoun Lee https://orcid.org/0000-0003-3094-6086

References

1. DeBoer J. Edentulous implants: overdenture versus fixed. J Prosthet Dent 1993;69:386-90.

2. Ohkubo C, Kobayashi M, Suzuki Y, Hosoi T.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vivo assess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1095-101.

3. Lee JH, Kim DG, Park CJ, Cho LR. A literature review on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J Dent Rehabil Appl Sci 2012;28:179-90.

4. Mijiritsky E, Karas S.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involving teeth and implants as an alternative to unsuc-cessful fixed implant therapy: a case report. Implant Dent 2004;13:218-22.

5. Park JM, Koak JY, Kim SK, Joo JH, Heo SJ.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Implantol 2015;19:104-11.

6. Trakas T, Michalakis K, Kang K, Hirayama H. Attachment systems for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 a literature review. Implant Dent 2006;15:24-34.

7. Zitzmann NU, Marinello CP. Treatment plan for restoring the edentulous maxilla with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removable overdenture versus fixed partial denture design. J Prosthet Dent 1999;82:188-96.

8. van Kampen F, Cune M, van der Bilt A, Bosman F. Retention and postinsertion maintenance of bar-clip, ball and magnet attachments i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an in vivo comparison after 3 months of func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720-6.

9. Kim MS, Yoon MJ, Huh JB, Jeon YC, Jeong CM. Implant overdenture using a locator bar system by drill and tapping technique in a mandible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J Adv Prosthodont 2012;4:116-20.

10. Walton JN, MacEntee MI, Glick N. One-year prosthetic out-comes with implant overdentur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391-8.

11. Misch CE, Goodacre CJ, Finley JM, Misch CM, Marinbach M, Dabrowsky T, English CE, Kois JC, Cronin RJ Jr. Consen-sus conference panel report: crown-height space guidelines for implant dentistry-part 2. Implant Dent 2006;15:113-21.

12. Bulaqi HA, Mousavi Mashhadi M, Safari H, Samandari MM, Geramipanah F. Effect of increased crown height on stress distribution in short dental implant components and their surrounding bone: A finite element analysis. J Prosthet Dent 2015;113:548-57.

13. Bortolini S, Natali A, Franchi M, Coggiola A, Consolo U. Implant-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 8-year retro-spective study. J Prosthodont 2011;20:168-72.

14. Chikunov I, Doan P, Vahidi F. Implant-retained partial overdenture with resilient attachments. J Prosthodont 2008;17:141-8.

15. Krennmair G, Krainhöfner M, Piehslinger E. Implant-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s retained with a milled bar: a ret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987-94.

16. Zarb GA, Bolender CL, Eckert SE, Fenton AH, Jacob RF, Mericske-Stern R.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 complete dentures an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12th ed. St. Louis: Mosby; 2004.

17. Schneider AL, Kurtzman GM. Bar overdentures utilizing the Locator attachment. Gen Dent 2001;49:210-4.

18. Cha MS, Kim DG, Park CJ, Cho LR. A literature review on locator attachment for implant overdenture. J Dent Rehabil Appl Sci 2013;29:127-40.

Page 7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4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김지현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전통적인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국소의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가지며 심미적이다. 또한 소수의 임플

란트 식립을 통해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며,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에서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

로 초기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milled bar와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과 심미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37-44)

주요단어: 임플란트;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Locator; Milled bar

*교신저자: 이소현

50612 경남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 20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055 360 5130: e-mail, rom�[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9월 26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0월 29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1월 4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본 연구는 2018년도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Page 7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45

서론

하악 과두 골절은 하악골 골절 가운데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중부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1 과두 골절환자에

서 과두 골편의 전위가 심하거나 교합이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재건이 필요할 수 있으나 전신적 문제나 환자가 원치 않는

경우, 또는 수술적 재건이 예후가 불명확할 경우 보존적 치료를 추천하기도 한다.2 이 때, 많은 경우에서 중심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인 과두-관절원판 복합체가 손상되기 때문에, 기록상과 왁스 교합제를 이용한 통상적인 악간관계 채득방법으로 적절한 하악위치를 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정형적 과두 재위치를 나타내는 무치악 환자에서 가철성 보철을

위한 하악위치 설정 가이드라인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하악은 상악과 비교하였을 때 혀가 존재하고, 의치상이 접하

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으며, 가동점막의 움직임이 더 크기 때문에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얻기가 쉽지 않다.3 특히 하악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심하고 하악골에 수술적 치료를 받았을 경우

전정부가 얕아져 있어 총의치 제작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런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치료가 치료 과정의 편의성

및 치료예후에 유리하며, 전통적 총의치로는 환자의 높은 만족

도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전통적 총의치의 치료결과

를 향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악간관

계 기록법인 고딕아치 묘기법과 총의치 인상법인 폐구인상법이

알려져 있다.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45CASE REPORT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인호 � 김성아 � 김나홍 � 이용상*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condyle fracture using gothic arch tracing and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 case report

In-Ho Choi, Seong-A Kim, Na-Hong Kim, Yong-Sang Le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It is essential to record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accurately for the harmony of esthetic and function in complete denture. Gothic arch tracing visually demonstrates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is useful to establish accurate and reproducible centric relation. Proper retention and stability of complete denture in patients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s difficult to attain. In such case,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might be recommended. The denture border and impression are determined by patient’s physiologic movement in the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nd, denture peripheral border is entirely closed with oral mucous membrane. This report presents satisfactory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using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nd gothic arch tracing in patients with mandibular condyle fracture and severe absorption of mandibular alveolar ridge.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45-52)

Keywords: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Complete denture; Condyle fracture; Gothic arch tracing

*Corresponding Author: Yong-Sang LeeDepartment of Prosthodontics,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53, Jinhwangdo-ro 61-gil, Gangdong-gu, Seoul 05368, Republic of Korea+82 (0)2 2225 3956: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October 1, 2019 / Last Revision October 23, 2019 / AcceptedOctober 24,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7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4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고딕아치 묘기법은 구내 트레이싱을 통해 중심위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교합고경과 하악위치 결정에서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 중심위의 시각적 위치확인, 교합력에 의한 교합상의 안정성 증가, 그리고 반복재현성의 특징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리고 고딕아치 묘기법은 무치악 환자에서 의치제작시 가동조직

(flabby tissue)이 없다면 하악 잔존치조제의 흡수가 심한 경우에

도 중심위 채득에 유리하다.5 폐구 인상법은 의치상 변연을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도록 하고,

교합 시 내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지와 안정을 강화 하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3 하악 잔존치조골이 흡수된 경우 만족

스러운 치료결과를 얻기 쉽지 않은데,6 이러한 경우 총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강화하고자 하는 폐구인상법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

킬 수 있다.본 증례에서는 우측 과두골절 및 하악체 골절 병력을 갖는 완

전 무치악 환자에서 전통적 총의치의 충분한 안정성 및 유지를 얻기 위해 폐구 인상법을 적용하였으며 고딕아치 묘기법을 통해 적절한 교합고경 및 생리적 하악위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총의치 제작 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 75세의 남환으로 위아래 이를 해넣고 싶다

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총의치는 분실

한 상태로 내원하였으며 진단을 위해 파노라마 및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하악

정중부 골절 및 우측 과두 골절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환자는 타병원에서 하악 정중부 골절치료를 위해 관혈적정복

및 내고정술을 받았으며 우측 하악과두골절 치료를 위해 악간 고정 및 물리치료를 받았다. 내원당시 수술 후 4개월 정도 경과

한 시점이었으며 개폐구시 통증이나 불편감은 없었다. 그러나 개구시 우측 편향을 보였고 반복 재현성이 없는 악간관계가 관찰

되었는데 이는 우측 하악과두의 골절 및 변위에 의한 것으로 보였다. 하악 잔존 치조제는 심한 흡수 상태였으며, Cawood 등의 무치악 악골 분류7에 따르면 전방부 좌측 치조제 일부는 Class IV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Class V에 해당하였다. 또한 하악 순측 전정부가 매우 얕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환자는 심리적, 경제적 이유로 수술적 치료는 원치 않아 임플란트 치료

를 배제하고 전통적 총의치 제작을 계획하였다. 우측 하악과두의 골절 및 변위로 인해 통상적인 치료과정으로

는 안정적인 하악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치료의치를 제작하고 경과를 관찰하기로 하였다. 치료의치 제작시 수직고경

은 Willis법, 발음, 연하법을 활용하여 결정하였으며, 하악의 수평적 위치는 chin-point guidance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약 4개월 동안 치료의치를 사용하면서 주기적인 경과 관찰 및 교합

조정을 시행하였으며, 저작시 교합력의 측방성분을 최소화하도

록 하여 의치상의 안착과 저작력의 중앙화를 도모하였다 (Fig. 3). 초기에는 통증과 불편감이 있었으나 지속적인 조절 후 턱관

절 부위와 구강 주변 근육에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어느 정도 안정된 교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환자는 치료의치에 잘 적응하였다.

이후 최종 의치 제작을 위해 알지네이트(Cavex Impressional,

Fig. 1. Radiographic at the initial visit. (A) Panorama, (B) Cone beam CT.

A B

Fig. 2. Intraoral photo at the initial visit. (A) Upper, (B) Lower.

A B

Fig. 3. Treatment denture. (A) Upper, (B) Lower.

A B

Page 7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47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AVEX, Netherlands)를 사용한 예비인상을 채득하였다. 상악

은 적절한 크기의 무치악 트레이(CDG tray, GC, Tokyo, Japan)를 선택하여 개구상태에서 예비인상을 채득하였고 하악은 폐구 인상용 트레이(frame cut back tray, Ivoclar Vivadent AG,Schaan, Liechtenstein)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환자가 혀를 위로

올리도록 지시하였고, 입술에 긴장이 없는 상태에서 자연스럽

게 트레이의 손잡이를 물도록 지시하여 예비인상을 채득하였다

(Fig. 4).상하악의 대략적인 악간관계를 채득하기 위해 일차교합고

경 인기용 트레이(centric tra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퍼티(Express STD putty, 3M ESPE, St. Paul, MN, USA)를 이용하였다. 이때 치료의치의 수직고경을 최종의

치의 잠정적 교합고경으로 설정하였다 (Fig. 5). 이후, 하악 진단

모형을 horizontal guide (horizontal guide,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를 사용하여 반조절성교합기(Artex, Gir-

Fig. 4. Preliminary impression. (A) Upper, (B) Lower.

A B

Fig. 5. (A) Determining vertical dimension, (B) Bite registration with Cen-tric tray.

A B

Fig. 6. (A) Mounting on articulator with horizontal guide, (B) Lateral view.

A B

rbach, Pforzheim, Germany)에 부착후 centric tray에 의해 채득

된 관계를 토대로 상악 진단모형을 교합기에 부착하였다 (Fig. 6). frame cut back tray system에 기초한 흡착의치를 위한 개인 트레이 외형선8을 참고하여 상하악 진단모형상에서 적절한 트레이선을 설계하였다. 자가중합 레진(Vertex Trayplast, Vertex dental B.V, Zeist, Netherlands)을 사용하여 개인트레이를 제작

하였으며 Gnathometer M (Gnathometer 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을 설치하였다 (Fig. 7).

두 번째 내원시 미리 제작한 개인트레이를 시적하여 확인하고, Gnathometer M의 위치를 검사하였으며 특히 교합제 간에 균등한 접촉이 형성되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흐름성이 낮은 폴리

비닐실록산(Virtual heavy bod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을 사용하여 변연형성을 시행하였다. 폐구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에게 입술을 움직여 ‘우’, ’이’ 등의 발음을 하도

록 지시하였고 침을 삼키는 동작, 술자의 손가락을 빠는 동작 등

Page 7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4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Fig. 7. Gnathometer M placement on individual tray. (A) Upper, (B) Lower, (C) Frontal view.

A B C

을 지시하였으며, 잠시 개구하여 혀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였

다. 다음으로 흐름성이 높은 폴리비닐실록산(Virtual light body,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인상재로 변연형성

시의 운동을 반복하면서 최종인상을 채득하였다 (Fig. 8).이후 후방에서 교합하도록 지시하여 tapping point를 확인하

고 고딕아치 묘기법을 시행하였다. Tapping point는 묘기도의 첨단부(apex)에 대해 약 0.8 mm 전방위치로 확인되었고 tapping

point를 최종적 하악위로 결정하였다. Gnathometer M상에 자가중합 레진을 사용하여 교합제를 형성해준 후 폴리비닐실록산

(polyvinyl siloxane) 교합인기재(O-Bite, DMG, Hamburg, Ger-many)로 악간관계채득을 완료하였다 (Fig. 9). 최종인상체를 통해 주모형을 제작하였고 안궁이전(Artex Facebow; Girrbach Dental, Pforzheim, Germany) 시행 후 반조절성 교합기(Artex, Girrbach, Pforzheim, Germany)에 부착하였다 (Fig. 10).

Fig. 8. Final impression taking. (A) Upper, (B) Lower, (C) Frontal view.

A B C

Fig. 9. (A)(B) Gothic arch tracing, (C) Bite registration.

A B C

Page 8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49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전치부 인공치 크기는 양 구각부 사이의 거리가 6전치 폭경

임을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모양은 bold type을 사용하였다. 구치부 인공치는 normal type (SR Orthosit PE N-type mould,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을 사용하여 배열하였으며 양측성 균형교합을 이루도록 하였

다. 이후 납의치를 시적하고 구순지지, 발음, 연하 등을 평가하였

다 (Fig. 11). 주입식 의치상 레진(SR Ivo-cap injection system,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을 이용하여 의치온

성을 시행하였으며 기공실 재부착 과정을 통해 의치온성과정의 오차를 수정하였고, 진료실 재부착 과정 시행 후 환자에게 최종 의치를 장착하였다 (Fig. 12).

Fig. 11. (A) Maxillary Wax denture, (B) Frontal view, (C) Mandibular wax denture.

A B C

Fig. 12. Complete denture delivery. (A) Right lateral view, (B) Frontal view, (C) Left lateral view.

A B C

Fig. 10. (A) Facebow transfer, (B) Mounting on articulator.

A B

Page 8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5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고찰

Mobilio와 Catapano9는 5%의 고장 식염수를 사용하여 실험적

으로 근 동통을 유도하였고, 이는 근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구치

부 교합접촉의 수는 변화시키지 않지만 교합접촉의 위치를 변화

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Obrez와 Stohler10는 중심위 기록시에 존재하는 동통, 스트레스 등이 중심위 기록을 방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치료의치를 사용하면서 주기적으로 경과를 관찰하였고, 턱관절이나 구강안면근육에 동통이나 불편감이 없도록 치료의치를 조정하였다. 어느 정도의 안정된 교합관계를 보이고, 동통이나 스트레스가 없을 때 최종 의치를 위한 고딕아치 묘기법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리적 하악위치를 확립하고

자 하였다.Nielsen 등11은 단지 근동통(muscle pain)만 존재하는 경우

는 측방운동요소의 비대칭적 양상을 보이며 전방운동요소는 정상적이라고 하였다. Okeson12은 좌우측방운동 요소의 길이 차이를 dysfunctional disorder의 진단기준으로 제시하기도 하였

다. Todić 등13은 고딕아치 기록의 변화 정도는 dysfunctional disorder의 정도와 연관이 있다고 하였으며, 건강한 피험자에 비해 두개하악질환(craniomandibular disorder)이 있는 경우 고딕

아치 기록의 측방운동요소 및 전방운동요소가 작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본 증례에서 고딕아치 기록을 살펴보면 전방운동요소

는 11 mm, 우측방운동요소는 5 mm, 좌측방운동요소는 6 mm 로 나타났으며 전방운동은 정상범위, 측방운동은 두개하악질환

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측방운동요소간의 각도

에서는 두개하악질환이 있는 경우 10.6 ± 9.61이고 정상에서는 116.7 ± 15.4로 나타났는데 본 증례에서는 측정결과 약 118.7도

로 정상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존 개구인상법을 통해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의치 내면을 가

능한 넓게 제작하여 의치의 유지 및 안정을 얻어내는 것이 목적

인데 반해, 폐구인상법은 의치상 변연을 가동점막으로 봉쇄하고

자 하며 특히 폐구 및 연하 시에 의치상 내면에 음압이 형성되도

록 하여 의치의 유지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방법이다.3 폐구인

상법의 경우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연 형성이 이루어지게 되어, 구강조직의 생리적 움직임과 조화로운 의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의 폐구인상에서 사용한 Gnathometer M은 상하악 최종 인상채득과 악간관계 채득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폐구인상법을 통해 의치상연이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는 것의

중요 부위는 설하주름부 및 후구치삼각융기(retromolar pad)주변 부위이다. Lawson14은 하악 총의치의 유지에 대한 설하주름부의 영향에 대해 의치전방부 설측에서의 봉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하였다. 설하 주름부에 스펀지상 조직이 충분

한 경우 깊고 넓은 형태의 변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의치 유지에 유리하다.15 본 증례에서는 하악 순측 전정부가 얕고 치조제 흡수가 심하였으나 설하주름부가 비교적 충분하였고, 최종인상

채득 단계에서 설하주름부에 형성된 변연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e8에 따르면 개폐구시 구강점막 및 후구치삼각융기의 모양

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폐구상태를 유지하며 알지네

이트 인상 채득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후구치삼각융기의 변형

을 피하고 협붕(buccal shelf)의 과도한 연장을 막기 위해 framecut back tray를 사용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트레이는 협측점막과 혀 측면의 접촉(buccal mucosa andtongue side wall contact point)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본 증례에서는 frame cut back tray를 사용하여 알지네이트 인상을 채득하였고 이후 과정은 Abe의 흡착의치 방식과 융합된 biofunc-tional prosthetic system (BPS)방식을 토대로 하였다. 최종의치

제작 완료 후 retromolar pad 상부에 폴리비닐실록산(Imprint IIGarant, Light Body, 3M ESPE, St. Paul, MN, USA)을 통해 협측점막과 혀의 접촉을 허용하는 형태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Fig. 13).

결론

본 증례에서는 우측하악과두 골절과 정중부 골절 병력이 있고,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의치

를 통해 안정된 하악 위치를 찾고자 하였으며 이후 고딕아치 묘기법 및 폐구 인상법을 시행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환자

는 새로 제작한 총의치에 대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으

며, 추후 지속적인 경과 관찰 및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ORCID

In-Ho Choi https://orcid.org/0000-0001-9842-559XSeong-A Kim https://orcid.org/0000-0002-5980-7875Na-Hong Kim https://orcid.org/0000-0002-0747-3770Yong-Sang Lee https://orcid.org/0000-0002-0707-6177

Fig. 13. Buccal mucosa and tongue side wall contact point (BTC).

Page 8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51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References

1. Lim HS, Kim SG, Oh JS, Jeong MA. Clinical evaluation ofmandibular condyle fractures.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2012;34:53-57.

2. Choi KY, Yang JD, Chung HY, Cho BC. Current concepts in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 management part I: overviewof condylar fracture. Arch Plast Surg 2012;39:291-300.

3. Abe J, Kokubo K, Sato K. Mandibular Suction-effective den-ture and BPS: A complete guide. Tokyo; Quintessence Pub-lishing Co.; 2012.

4. Rubel B, Hill EE. Intraoral gothic arch tracing. N Y StateDent J 2011;77:40-3.

5. Kapur KK, Yurkstas AA. An evaluation of centric relation re-cords obtained by various techniques. J Prosthet Dent 1957;7:770-86.

6. Critchlow SB, Ellis JS. Prognostic indicators for conventionalcomplete denture therap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2010;38:2-9.

7. Cawood JI, Howell RA. A classification of the edentulousjaw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8;17:232-6.

8. Abe J. Difference of preliminary impression takings between

conventional mandibular complete denture and the mandibu-lar complete denture intended with effective suction. Pract Prosthodont 2010;43:510-24.

9. Mobilio N, Catapano S. Effect of experimental jaw musclepain on occlusal contacts. J Oral Rehabil 2011;38:404-9.

10. Obrez A, Stohler CS. Jaw muscle pain and its effect on gothicarch tracings. J Prosthet Dent 1996;75:393-8.

11. Nielsen IL, Marcel T, Chun D, Miller AJ.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s in subjec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J Prosthet Dent 1990;63:202-17.

12.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occlusion. 4th ed. St. Louis: Mosby; 1998.

13. Todić J, Lazić D, Radosavljević R. Correlation analysis ofcraniomandibular index and gothic arch tracing in patients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Vojnosanit Pregl 2011;68:594-601.

14. Lawson WA. Influence of the sublingual fold on retention ofcomplete lower dentures. J Prosthet Dent. 1961;11:1038-44.

15. Chang JJ, Chen JH, Lee HE, Chang HP, Chen HS, Yang YH,Chou TM. Maximizing mandibular denture retention in thesublingual space. Int J Prosthodont 2011;24:460-4.

Page 8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5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인호 � 김성아 � 김나홍 � 이용상*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심미와 기능이 조화를 이루는 총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상하악 관계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딕아치 묘기법은 하악의 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정확하고 반복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확립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고도의 치조제 흡수를 갖는 환자에서는 총의치의 적절한 유지 및 안정을 얻기가 어려운데, 이런 경우 환자의 생리적인 동작으로 변연을 형성하여 의치상연 주위가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도록 하는 폐구 인상법이 유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우측 하악과두골절 병력과 고도의 하악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 폐구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로 수복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45-52)

주요단어: 폐구 인상법; 총의치; 과두골절; 고딕아치 묘기법

*교신저자: 이용상

05368 서울 강동구 진황도로 61길 53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02 2225 3956: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10월 1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0월 23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0월 24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8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53

서론

치아 교합면의 마모는 일생에 걸쳐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으로 이는 생리적인 마모와 병적인 마모로 나눌 수 있다. 생리적

인 마모는 치조골의 성장과 치아의 정출을 통해 치아 마모가 보상되어 수직 고경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병적 마모

는 이러한 보상성 기전보다 마모가 더 빠르게 진행되며, 특히 구치부 지지가 상실되면 수직 고경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전치부 치아의 마모, 교합면의 병적 손상, 교합 이상, 저작 효율의 감소, 치수질환, 턱관절 질환 및 비심미적인 안모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1,2

Turner와 Missirlian3은 심하게 마모된 치열을 다음과 같이 I.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의 상실이 있는 경우, II.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지만 수직 고경의 상실이 없고 수복을 위한 공간

이 존재하는 경우, III.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지만 수직 고경

의 상실이 없으며 수복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의 세 가지 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계획 수립에 반영하였다. 수직 고경이 감소

하여 보철물 수복 공간이 부족한 경우 기능과 심미 회복을 위해

수직 고경 증가와 함께 전악 수복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 때 근신

경계와 조화를 이루면서도 심미적인 고경을 결정해야 한다. 수직 고경의 변화를 위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데, Willis 안면계측

법,4 발음과 연하를 이용하는 방법,5 치아의 통계적 길이를 이용

하는 방법,5,6 교합 안정 공극(interocclusal rest space)7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한 가지 방법만으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53CASE REPORT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정지아 � 방주혁 � 이용상 � 김성용*

한국보훈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gaining in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due to loss of posterior support

Ji-Ah Jung, Joo-Hyuk Bang, Yong-Sang Lee, Sung-Yong Kim*Department of Prosthodontic Dentistry,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Gradual tooth wear is a natural process of aging, but pathological wear over physiologic ranges leads to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The loss of posterior support may cause pathological wear of anterior teeth, which results in reduction of vertical dimension and disharmony of occlusal plane. To solve this problem, determination of proper vertical dimension considering centric relation is necessary. This case report presented 71-year-old male, who had the severe wear of lower anterior teeth due to loss of poste-rior support. By meticulous evaluation, a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elevation of vertical dimension was planned. After 8 months of follow-up, stable occlusal scheme is maintained and patient was satisfied with clinical outcome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53-60)

Keywords: Full mouth rehabilitation; Posterior support; Tooth wear; Vertical dimension

*Corresponding Author: Sung-Yong KimDepartment of Prosthodontics,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53, Jinhwangdo-ro 61-gil, Gangdong-gu, Seoul 05368, Republic of Korea+82 (0)2 2225 1926: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October 2, 2019 / Last Revision October 23, 2019 / AcceptedOctober 24,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Page 8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5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로는 수직 고경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여러 방법들을 통해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를 통해 새로 설정된 수직고경에 대한 근신경계의 적응 여부를 1 - 3개월 동안 확인한 후8 최종적인 수직 고경을 결정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실 치아의 수복과 마모된 치아의 심미적인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고경 감소 여부를 다양한 방법

을 통해 평가하여 새로운 수직 고경을 결정한 후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위한 12주의 관찰 기간 동안 임시 보철물에 대한 환자의 적응도를 평가하였다. 이상 소견이 없음을 확인한 후 최종적으

로 상악은 가철성 국소의치와 고정성 보철물, 하악은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 71세의 남환으로 윗니가 부러지고 앞니가 닳았으며 씌운 치아가 빠져서 위 틀니를 다시 만들고 잃어버린 아래 틀니는 임플란트로 교체하고 싶다는 주소로 본원 보존과

에서 의뢰되었다. 당뇨 합병증으로 발생한 만성 신부전증으로 인해 10여년전부터 신장 투석중이었다. 턱관절 질환이나 비기능

적인 구강악습관은 없었다. 상악 우측 제1,2소구치, 상악 우측 제1,2대구치, 상악 좌측 제

2소구치, 상악 좌측 제1,2대구치, 하악 좌측 제1,2대구치는 상실

되었고, 상악 좌측 중절치와 견치는 파절되어 치근만 잔존했으

며 상악 좌측 제1소구치는 보철물이 탈락한 상태였다. 상악 좌측 중절치, 하악 좌측 견치, 하악 좌측 제1,2소구치, 하악 우측 제2소구치 및 제1대구치는 금속 도재관으로 수복되어 있었고, 하악 우측 제1대구치는 이차 우식이 원심 치근과 치근이개부까지 진행되었다 (Fig. 1).

방사선 검사에서 하악 좌측 측절치에 치근단 병소가 발견되었

고,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잔존 치근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치주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Fig. 2).

측두 하악 관절 방사선 검사에서 과두의 위치는 정상이었다. 환자의 수직 고경 상실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였

다. Willis 안면계측법4으로 평가하였을 때 동공간선에서 구각까

지의 거리와 콧날개 아래(alar)에서 턱끝까지의 거리 사이에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구각부의 처짐이나 비순구의 깊어짐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교합 안정 공극은 약 6 mm로 평균치인 2 - 4 mm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순측 전정에서 중절

치 절단연까지의 거리는 상악 20 mm, 하악 14 mm로 한국 성인

의 평균값인 상악 20.8 mm, 하악 17.3 mm와 비교했을 때 하악

에서 평균값보다 약 3 mm가량 작았다. 상, 하악 견치부 순측 전정간의 수직거리는 30 mm로 평균값인 35 mm보다 작게 측정되

었다. 상악 전치의 길이는 10 mm, 하악 전치의 길이는 약 3 mm

Fig. 1. Intraoral view before treatment. (A) Upper, (B) Right, (C) Frontal, (D) Left, (E) Lower.

A

C

E

DB

Page 8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55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ig. 2. Panoramic radiograph before treatment.

로 상악 전치는 평균값인 10 - 12 mm에 해당하였으나 하악 전치

는 평균값인 8 - 10 mm보다 작았고,6 전치부 금속 도재관 수복

을 위한 최소 occlusocervical dimension인 3 mm와 유사하였다.9

이상의 구내, 구외 검사 결과를 통해 본 증례의 환자는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이 상실을 보이는 Turner 분류 I3에 해당되며

수복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로 진단되었다.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예비 인상을 채득한 후 진단 모형을

제작하고 안궁이전을 시행하였다. 양손유도조작법(bimanual manipula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하악을 중심위로 유도하

여 악간 관계를 채득한 후에 반조절성 교합기(Artex, Girrbach, Pforzheim, Germany)에 진단 모형을 부착(mounting)하였다. 부착한 진단 모형상에서 수직 고경을 평가한 결과 하악 전치부 길이의 평균값과 인접치 길이를 참고하여 전치부의 심미성을 회복

하고 교합평면의 부조화를 개선하며 수복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교합기의 전방 유도핀을 기준으로 3 mm의 수직고경 거상을 결정하였다. 이에 맞추어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고 양측성 균형 교합 양식을 부여하여 상악 임시의치를 포함하는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Fig. 3, Fig. 4).

Fig. 3. Diagnostic wax-up. (A) Upper, (B) Right, (C) Frontal, (D) Left, (E) Lower.

A

C

E

DB

Fig. 4. Provisional restoration. (A) Upper, (B) Frontal, (C) Lower.

A B C

Page 8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5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상악 좌측 측절치, 견치, 제1대구치 잔존치근과 예후가 불량한 하악 우측 제1대구치를 발치하기로 하였고, 하악 좌측 측절치는 근관치료를 진행하였다. 전신질환과 경제적인 이유로 최소한의 관혈적 처치와 건강 보험 의치, 건강 보험 임플란트 및 금속 도재

관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상악은 금속 도재관으로 제작된 서베

이드 금관(surveyed crown)으로 잔존치를 수복하고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하악은 우측 제2소구치와 제2대

구치를 지대치로 하는 3본 고정성 보철물을 포함하는 금속 도재

관으로 수복하며, 결손된 하악 좌측 제1,2대구치는 임플란트로 수복하기로 결정하였다.

기존 보철물을 모두 제거한 뒤, 진단 납형의 복제 모형과 퍼티

(Express STD putty, 3M ESPE, USA)로 적절한 치아 삭제를 위한 인덱스를 제작하여 이를 기준으로 치아를 삭제한 후 미리 제작해놓은 임시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하악 좌측 제1,2대구치 결손부에 임플란트 (Osstem TSIII SA, Osstem, Busan, Korea; #36i: Ø4.5 × 10 mm, #37i: Ø4.5 × 7 mm)를 식립하였고, 동종골

(Allo-oss, CGBio, Sungnam, Korea)과 교차결합 콜라겐 차단막

(Ossix plus, Datum, Telrad, Israel)으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12주 후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체결하였다.

환자는 임시 수복물 장착 후에 큰 불편감을 보이지 않았고 12주의 관찰 기간 동안 환자의 적응도를 평가하였다. 관찰 기간 동안 임시 수복물의 파절이나 악관절 장애 등의 이상 소견이 관찰

되지 않았으므로 최종적인 수직 고경 거상량을 3 mm로 결정하

였다. 최종 치아 삭제 후 임플란트에 인상용 코핑(GSPIS4511, Os-

stem, Busan, Korea)을 연결하여 코핑 픽업 인상(coping pick-up impression)을 채득하기로 하였다. 상, 하악은 각각 기성 트레

이와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고무 인상재((Express STD putty, 3M ESPE, St. Paul, MN, USA), (ImprintII Regular body, 3M ESPE, St. Paul, MN, USA), (ImprintII light body, 3M ESPE, St. Paul, MN, USA))로 정밀 인상을 채득하여 작업모형과 다이

모형을 제작하였다 (Fig. 5). 임시 수복 기간 동안에 환자가 적응한 수직 고경과 악간관계를 최종 수복물에 반영하기 위해 안궁 이전을 시행한 뒤 임시 수복물 모형과 작업 모형을 교차 부착(cross mounting) 하였다. 임플란트 지대주는 기성 지대주

(GSTAS4741, Osstem, Busan, Korea)를 절삭하여 사용하였다. 최종 수복물은 양측성 균형 교합으로 납형을 형성한 후 금속 도재관 제작을 위한 되깎이(cut-back)를 시행하였다. 교합면 도재 파절을 방지하고 인공치의 마모를 줄이며 안정적인 교합을 형성

하기 위해 금속 교합면으로 결정하였다. 가철성 국소의치에 포함되는 상악 우측 견치, 측절치 및 중절치와 상악 좌측 중절치에 설면결절 레스트 시트(cingulum rest seat), 상악 좌측 제1소구

치에 근심 레스트 시트를 설계하였다. 주조된 코핑을 구내에 시적하여 적합도와 악간 관계를 확인하고 패턴 레진(Pattern resin, GC Corporation, Tokyo, Japan)으로 이를 기록한 뒤 부착된 모형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Fig. 6) 상악 금속 도재관을 임시 합착(RelyX TempNE, 3M ESPE, Neuss, Germany)한 후 의치 제작을 위해 개인 트레이(Vertex Trayplast, Vertex, Zeist, Netherlands)에 모델링 콤파운드(Pericompound, GC Co., Tokyo, Japan)로 변연 형성을 시행한 후 폴리비닐실록산(Exa-denture, Light bodied, GC Co., Tokyo, Japan)으로 인상을 채득

하였다. 상악 국소의치의 주연결장치는 구개판형 연결장치(pal-atal plate-type connector)로, 지대치인 상악 우측 견치와 상악 좌측 제1소구치의 직접유지장치는 치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

Fig. 5. (A) Tooth preparation, (B) Final impression, (C) Die preparation.

A B C

Page 8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57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화하기 위해 가공선 조합형 클라스프(wrought wire combination clasp)로 설계하였다. 금속구조물(metal framework)의 적합도

를 확인하고 중심위를 다시 채득한 후 고강도 다중중합 레진 인공치(Endura teeth, Premiere dental, Kuala Lumpur, Malaysia)를 배열하였다 (Fig. 7). 의치상용 레진을 중합하여 상악 국소의

치를 완성하였다. 압력지시제(pressure indicating paste)로 의치 조직면의 균일한 내면적합도를 확인하고 중심위와 최대 교두간 접촉위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보철물이 처음 계획했던 임시 수복물과 동일한 교합 양식을 재현함을 확인하고 균일한 교합 접촉을 위해 교합을 조정하였다 (Fig. 8). 레진 강화형 GI시멘트를 이용하여 최종 합착(RelyX Luting 2, 3M, St. Paul, MN, USA)을 시행하였고, 검진 시 방사선 사진상 특이할 만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Fig. 9) 측두 하악 관절 방사선 사진

에서 과두의 위치가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Fig. 10). 8개월

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수복물이 유지되었고 환자가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고찰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구치부 지지가 상실되어 전치부에 교합력이 집중되어 하악 치아의 교모가 절단 1/3 이상 진행된 상태

에서 악간 관계 및 수직 고경의 회복없이 2년전에 의치를 제작한 상태였다. 이로 인해 교합평면의 부조화가 발생하고 전치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면서 상악 좌측 측절치와 견치가 파절되

어 치근만 잔존했으며, 상악 좌측 제1소구치는 기존의 surveyed crown이 탈락하였다.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수직 고경을 평가하

였으며 본 환자는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며 수직 고경이 상실

된 Turner 분류 I로 진단되어 보철 수복 공간을 확보하여 조화로

운 교합평면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키기로 결정하

였다. 이러한 환자에서 전악 보철수복을 계획하는 경우 적절한 수직

고경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지켜야 할 원칙은 하악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10 중심위는 하악이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반복재현되는 위치로 치열이 아닌 턱관절 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수직 고경을 증가시킬 때 하악 위치의 기준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Dawson은 턱끝 유도 방법(chin point guidance technique)으로는 정확한 중심위를 채득할 수 없으며, 양손조작술(bimanual manipulation)로 중심위를 채득할 것을 주장하였다.11 Ramfjord와 Ash12는 구치부 지지가 상실되면 중심위 활주(slide in centric)가 커지고 전치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여 근활성과 저작 습관의 변화에 의해 교합 관계가 변한다고 하였다.

수직 고경 거상량에 관해 Dahl 등13은 수직 고경이 적절하게 증가되면 저작계가 적응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Dawson14은 치아의 정출, 치조골의 보상성 성장으로 인해 수직 고경이 일정하

게 유지되지만 필요하다면 가능한 한 최소로 수직 고경을 증가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Rivera-Morales와 Mohl7은 수직 고경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다면 근신경계의 적응을 통하여 악관절

Fig. 6. (A) Full contour wax-up, (B) Cut-back, (C) Metal coping try-in and pattern resin for bite registration.

A B C

Fig. 7. Upper removable partial denture. (A) Final impression, (B) Master cast, (C) Wax denture.

A B C

Page 8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5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ig. 8. Final prosthesis. (A) Upper, (B) Right, (C) Frontal, (D) Left, (E) Lower.

A

C

E

DB

Fig. 9. Panoramic radiograph after treatment. Fig. 10. TMJ series after treatment.

계가 새로운 수직 고경에 잘 적응할 수 있으며, 적절하게 증가된 수직 고경은 악관절계에 해롭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하였

다. Carlsson 등8은 유치악 환자의 전치부에서 수직 고경을 4 mm 거상시킨 결과 근활성도에 큰 변화가 없다고 하였으며, Abduo와 Lyons10는 전치부에서 수직 고경을 5 mm 증가시키는 것은 환자

의 적응에 문제가 없다고 하였다. 본 증례의 경우 위의 원칙에 따라 중심위와 최대 교두 감합위

를 일치시키면서 수직 고경을 회복하여 조화로운 교합평면과 안

정적인 교합 접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였다. 위의 원칙에 따라 전방 프로그래밍 기구(programming device)로써 코튼 롤(cotton roll)을 30분 정도 사용하여 고유수용기전을 차단한 뒤 양손유도조작법으로 중심위를 채득하였다.15 그리고 Willis 안면계측법과 안모 검사, 교합면간 거리, 치관 길이 평가, 구강 전정에서 전치 절단연까지의 거리 평가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직 고경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보철 수복 공간 확보와 심미성 증진을 위해 반조절성 교합기의 전방 유도핀을 기준으로 3 mm

Page 9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59

정지아�방주혁�이용상�김성용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를 거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수직 고경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면 이갈이나 치아의 함입, 근육과 관절의 통증, 두통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수직 고경에 맞추어 제작된 임시 수복

물 상태로 12주동안 환자의 적응 여부를 평가하였고 기능적, 생리적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수직 고경의 최종 거상량

을 3 mm로 결정하고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상악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는 의치상의 적합이 양호하고 대합되는 하악의 고정성 보철물보다 기능적으로 열악한 국소의치에 대하여 안정을 도모하고자 인공치 배열 시 양측성 균형교합이 이루어지

도록 하였다. 상,하악의 역학적인 균형을 위해 무치악 부위를 임플란트로

수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환자의 전신 질환과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이차적으로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를 선택하였다. 또한 환자의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보험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여 하악의 모든 고정성 보철물을 금속 도재관으로 제작

하였다. 인공치의 마모를 줄이고 안정적인 교합의 유지를 위해 의치의 금속 구조물에 금속 교합면을 매입할 수 없었던 부분에 대해 아쉬움이 남았다. 고강도 다중중합 레진 인공치인 Endura는 도재교합면과 대합 시 마찰성 (abrasion type) 마모에 의해 교두정 높이가 크게 감소한다.16 그래서 하악 고정성 보철물의 금속 교합면의 비심미적인 부분에 대한 환자의 동의를 얻고서 치료

를 진행하였다. 교합평면을 재구성하고 양측의 균등한 교합을 설정함으로써 약 8개월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럽게 유지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위해 지속

적인 경과관찰 및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본 증례에서는 구치부 지지가 상실되고 이에 의한 과도한 전치

부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직 고경을 평가하였으며 수직 고경을 전방 유도핀을 기준으로 3 mm 거상하

기로 결정하였다. 12주간의 임시 수복 단계에서 새롭게 설정된 악간관계와 수직 고경에 대한 환자의 적응여부를 확인한 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보철물을 장착한 후 8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환자는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장기

적인 예후를 위해 지속적인 관찰과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

다.

ORCID

Ji-Ah Jung https://orcid.org/0000-0002-3891-4815Joo-Hyuk Bang https://orcid.org/0000-0002-1333-8655Yong-Sang Lee https://orcid.org/0000-0002-0707-6177Sung-Yong Kim https://orcid.org/0000-0002-0926-2862

References

1. Murphy T. Compensatory mechanisms in facial height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ralian Dent J 1959;4: 312-23.

2. Hemmings KW, Howlett JA, Woodley NJ, Griffiths BM. Partial dentures for patients with advanced tooth wear. Dent Update 1995;22:52-9.

3.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4.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al Cosmos 1935;77:851-4.

5. Thompson JR.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its sig-nificance to dental science. J Am Dent Assoc 1946;33:151-80.

6.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7. Rivera-Morales WC, Mohl ND. Restora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the severely worn dentition. Dent Clin North Am 1992;36:651-64.

8.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9. Goodacre CJ, Campagni WV, Aquilino SA. Tooth prepara-tions for complete crowns: an art form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J Prosthet Dent 2001;85:363-76.

10.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11. Dawson PE. Centric relation. Its effect on occluso-muscle harmony. Dent Clin North Am 1979;23:169-80.

12. Ramfjord SP, Ash MM. Occlusion. WB Saunders Co., Phila-delphia; 1966. p. 115.

13. Dahl BL, Carlsson GE, Ekfeldt A. Occlusal wear of teeth and restorative materials. A review of classification, etiology, mechanisms of wear, and some aspects of restorative proce-dures. Acta Odontol Scand 1993;51:299-311.

14.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 Louis; MO; Elsevier Health Sciences; 2007. p. 430-52.

15. Rosenstiel SF, Land MF, Junhei F.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St. Louis; MO; Elsevier Health Sciences; 2008. p. 55-7.

16. Lee CY, Chung MK. Comparison of wear resistance among resin denture teeth opposing various restorative material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9;37:313-27.

Page 9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6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구치부 지지의 상실로 인해 과도한 치아 마모와 수직 고경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정지아 � 방주혁 � 이용상 � 김성용*

한국보훈복지공단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증령에 따라 진행되는 치아의 마모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생리적인 범위를 초과하여 나타나는 병적 마모는 기능 및 심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구치부 지지가 상실되면 전치부의 병적 마모로 인해 수직 고경의 감소와 교합평면의 부조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심위를 고려한 적절한 수직 고경 설정이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구치부 상실에 의한 하악 전치부의 심한 마모를 보이는 71세 남환으로 보철 수복 공간을 위해 수직 고경을 거상하여 전악 수복을 시행하였다. 8개월간의 평가 결과 안정적인 교합을 확인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53-60)

주요단어: 완전 구강 회복술; 구치부 지지; 치아 마모; 수직 고경

*교신저자: 김성용

05368 서울 강동구 진황도로 61길 53 중앙보훈병원 치과보철과

02 2225 1926: e-mail, ksungy@hotma�l.com원고접수일: 2019년 10월 2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0월 23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0월 24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Page 9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61

서론

임플란트는 1969년 Brånemark이 소개한 이래로 지속적인 재료와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매우 높은 성공률을 보여 왔으며, 현재 임상에서 무치악부의 구강회복을 위한 보편적인 치료방법

으로서 환자의 특이한 소견이 없는 경우 치아 상실 부위의 일차

치료계획으로 선택되고 있다.1,2 하지만 임플란트의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 불리한 역학적 조

건을 가지거나 구강위생과 같은 유지 관리에 소홀해 지는 경우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임플란트 실패가

일어나기도 한다.3,4 Esposito 등5은 임플란트의 실패를 기계적 실패, 생물학적 실패 및 의원성 실패와 환자의 부적응으로 분류하

였다. 이 중 생물학적 실패는 실패 시기에 따라 조기실패와 지연

실패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연실패의 경우 과도한 부하와 감염

이 원인이 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실패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고 보고하였다.6 또한 임플란트 실패율은 하악보다 상악에서 높고 단일 임플란트보다 multiple한 고정성 보철물에서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7

임플란트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악화되어 심한 골흡수가 일어난 임플란트는 제거되어야 한다. 다수의 임플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61CASE REPORT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진승리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A conversion to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A case report

Seung-Lee Jin,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Republic of Korea

Failure of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is caused by biomechanical factors such as excessive occlusal stress and biological factors such as bacterial infections and inflammation. Implants with severe bone resorption that have worsened without being resolved due to implant complications should be removed and then new treatments should be planned, taking into account remaining teeth, remaining implants, and residual alveolar. The patient of this case removed some of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The condition of the remaining alveolar bone was reassessed for further implant replacement and a few implants were placed. Then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PRD)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implant surveyed bridge as abutment. Through this treat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on aspect of masticatory function recovery and oral hygiene managemen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61-8)

Keywords: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mplant failure;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Corresponding Author: So-Hyoun Lee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20, Geumo-ro, Mulgeum-eup, Yangsan 50612, Republic of Korea+82 (0)55 360 5130: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October 4, 2019 / Last Revision October 29, 2019 / AcceptedOctober 30,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grant of clinical research funding of the Dental Hospit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8.

Page 9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6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란트가 식립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하여도 실패하지 않은 소수의 임플란트가 구내에 잔존하게 된다. 이렇

게 잔존한 임플란트를 활용한 재치료를 위해 임상의는 좀 더 면밀한 진단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예후가 양호한 치료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임플란트 수복 치료에 대한 임상 증례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8,9 실패한 임플란트의 재치료를 통해 성공적인 구강 회복

을 이끌어낸 임상 증례는 부족한 실정이다.10 이에 본 증례에서는 하악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의 장

기간 사용 후 실패한 환자에게서 실패한 임플란트 제거 후 잔존

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가철성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하였으며 임플란트 제거 후에도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치료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본 증례의 환자는 71세 남자 환자로 하악 좌측부 임플란트의 움직임과 하악 우측부의 감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약 10년 전 본원에서 하악 전악에 거쳐 임플란트를 순차적으로 식립하고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를 받은 치과병력이 있었다.

구강 내 소견상 상악은 치조골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많이 흡수된 완전무치악 상태이며 17년 이상 총의치를 사용해 왔고 그 동안 유지관리를 위한 내원을 하지 않아 인공치가 전반적으로 마모되어 있는 상태였다. 하악에서는 좌측의 제1소구치, 제1대

구치, 제2대구치 부위를 연결한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2도의 동요도가 확인되었다. 하악 우측의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를 연결

한 임플란트는 움직임은 없었으나 심한 치은염증이 관찰되었고, 환자는 하악 우측 안면부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다. 전치부의 7본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은 순측 pink porcelain이 부분 파절

되어 있었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하악 좌측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

치 임플란트 주위로 골흡수가 심하게 진행되어있는 상태였으며, 하악 우측 제1대구치 임플란트 주위의 골흡수와 염증은 하악관

을 침범할 정도로 진행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Fig. 1). 임상 소견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하악 좌측 제1소구

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와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부위의 임플란

트를 중증의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진단한 후, 제거하기로 결정

하였다. 임플란트 제거 후 기존의 상악 총의치와 안정된 수직적, 수평적 악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가철성 임시 국소의치를 사용하면서 연조직 및 경조직의 치유를 도모하였다. 4개월의 치유 기간 후 환자의 진단모형을 안궁이전 하여 중심위 상태로 교합

기에 부착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 전 생리적 안정위시 상하악 교합면간 거리, 발음, 안모, 연하 및 환자의 편안감 등을 종합적

으로 평가하여 임시보철물 상에서의 교합 수직고경을 유지하기

로 하였다. 하악의 운동은 정상적인 범주 안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악은 전체적인 골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경제적

인 사정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총의치를 재제작하기로 하였다. 실패한 구치부 임플란트를 제거한 하악의 치료 방법으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또는 잔존 임플란

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고려할 수 있었다. 먼저 하악 양측 후방 무치악 부위에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위한 추가

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진단 왁스업 후, 치과용 컴퓨터 단층촬영(Dental Computed Tomography) 통해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하악 좌측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하악 우측 제1소구치 부위에만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였다. 이 부위에만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성 보철물을 진행할 경우, 하악 우측 제1소구치와 제2대구치 임플란트를 연결하는 4-unit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수복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지지

하기에 하악 우측 제2대구치 임플란트의 치관-임플란트 비율

(Crown/Implant ratio)이 2 이상이며, 치관부의 길이가 16mm로 예상되어 임플란트의 예후가 불량하다 판단하고 4-unit 고정성 보철물로 진행하는 것은 치료계획에서 배제하였다. 하악 좌측의 경우 하악 좌측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부위에 임플

란트를 식립하고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할 수 있지만, 환자가 경제적인 사정 상 최소한의 비용을 들여 치료하시기를 원하셨기 때문에 좌측 고정성 보철 수복도 치료계획에서 배제하였다. 국민

건강보험 적용하여 하악 좌측 제1소구치, 제2소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하고 케네디 I급(Kennedy Class I)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계획을 세웠다. 또한 상악 총의치, 하악 케네디 I급 국소의치로 진행하게 될 경우 발생하는 combination syndrome을 예방하기 위해 하악 좌측 제2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잔존해 있는 하악 우측 제2대구치 임플란트와 함께 국소의치 후방연장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지대주를 제작 하기로 계획하였다. 부분 파절된

(porcelain chipping) 하악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은 환자의 미소 시 노출되지 않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였다.

Fig. 1. Initial panoramic radiograph.

Page 9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63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진단 모형 이용하여 하악 임플란트 식립 위한 스텐트 제작하

고, 하악 좌측 제1소구치, 제2소구치(Osstem USII SA Ø4.5 × 8.5 mm, Osstem Implant, Seoul, Korea), 제2대구치(Osstem USII SA Ø5.0 × 8.5 mm, Osstem Implant, Seoul, Korea) 위치에 임플란트 식립하였다 (Fig. 2, Fig. 3). 임플란트의 골유착이 일어

나는 동안 상악은 기존의치, 하악은 가철성 임시 의치를 이용해 조직의 치유를 도모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5개월 경과 후 최종 보철물 제작을 진행하였

다. 하악 국소의치의 주연결장치는 구강저로부터 설측 유리치은

연까지의 공간이 설측바를 제작할 수 있는 8 mm 이상이 확보되

지 않아 설측판으로 계획하였다. 또한 직접유지장치는 협측 치은연 하방 연조직 최대풍융부에서 치은연까지 4 mm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I -bar 적용에 제한이 있음을 확인하고 RPA system을 사용 하기로 계획하였다. 임플란트 인상채득 전, 잔존 하악 전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surveying 하여 #44 원심

측 유도면 형성 및 근심 레스트시트 형성하고 #43=33 cingulum rest seat 형성하였다. 개인트레이 이용하여 implant level에서 임플란트 및 잔존 지대치 최종인상 채득하여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Fig. 4).

교합제를 이용해 기존의 수직고경과 환자의 중심위 상태로 수직 및 수평 악간관계를 기록하였다. 안궁이전 시행하여 악간관

계 기록과 함께 주모형을 반조절성 교합기(Hanau Modular Ar-

ticulator, Whip Mix, Louisville, KY, USA)에 부착하였다. 상악 납의치 제작하고, 제작한 납의치와 하악 주모형을 스캔하였다. Computer aided design (CAD) software (Exocad Dental CAD 2.2, Exocad, Darmstadt, Germany)상에서 하악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의 삽입 철거로에 맞춰 하악 좌측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의 맞춤형 지대주와 implant surveyed bridge를 디자인 하였다 (Fig. 5A). 임플란트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은 hole이 없는 cement type으로 수복 하게 될 경우, 유지역할을 하는 클라스프로 인하

여 의치의 착탈력이 지속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접착시멘트 소실 우려가 있어, Screw-cemented retained prosthesis (SCRP) type으로 진행하였으며, 국민건강보험 임플란트의 재료 기준에 따라 금속도재관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하악 양측 제2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 식립 방향이 의치의 삽입철거로와 평행하지 않아, 설정한 삽입 철거로에 맞는 맞춤형 지대주로 제작하기로 계획하고 디자

인 한 후 밀링 머신(Trione Z, Dio, Busan, Korea)을 이용하여 각각의 티타늄 맞춤형 지대주(Pre-milled bar, Dio, Busan, Korea)를 제작하였다 (Fig. 5B). 맞춤형 제대주와 임플란트 서베이드 브릿지를 구강 내 장착하여 적합도 확인하였다 (Fig. 5C, D).

주모형상에 임플란트 보철물 다시 위치시키고 국소의치를 위한 금속구조물을 제작 하였고, 구내 시적하여 framework의 적합

도 및 안정성 확인하였다 (Fig. 6). Metal framework 상에 교합제 제작하여 악간관계 다시 채득하고 양측 구치부 인공치 배열하여 납의치 제작하였다. 구강 내 장착하여 최종적으로 교합, 치아배

열 및 구순지지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상악 납의치 내면에 tissue conditioner 적용하여 기능인상 채득하

였다 (Fig. 7). 통법에 따라 최종 상악 총의치, 하악 국소의치 온성한 후 상악 총의치의 안정성을 위하여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여 완성하였다. 임플란트 서베이트 브릿지는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Rely X U200, 3M ESPE, St. Paul, MN, USA)로 최종 접착 하였다. 최종의치 내면과 변역 적합 및 교합 확인하고 환자 구강내 장착하였다 (Fig. 8). 장착 이후 3개월, 6개월, 1년 정기 검사 시 방사선 및 임상소견 상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 및 염증

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환자 교육으로 인해 구강위생 관리 능력 향상되어 구강 내 상태와 의치의 관리 상태 또한 양호하였다. Fig. 2. Panoramic radiograph after implant surgery.

Fig. 3. Intraoral photograph after implant surgery on #34,35,37,47 site

Fig. 4. (A) Final impression of maxilla for complete denture, (B) Final impression of implant surveyed bridge on mandible.

A B

Page 9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6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Fig. 5. (A) Computer aided design (CAD) for fabrication of #34=35 implant surveyed bridge, (B) Computer aided design (CAD) for fabrication of #37,47 customized abutment, (C) Intraoral view after try in frontal view, (D) Oc-clusal view.

A B

C D

Fig. 6. (A, B) Fabrication of metal framework, (C) Intraoral view after try in frontal view, (D)Occlusal view.

A B

C D

Fig. 7. (A, B) Functional impression of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tissue conditioner.

A B

Page 9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65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고찰

임플란트의 실패에 관여하는 요인에는 생물학적 요인과 생역

학적인 요인이 있으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실패를 야기

하기도 한다. 임플란트가 기능을 하기 전 조기 실패하는 경우에

는 골융합을 방해하는 불량한 초기 치유, 수술 시의 과도한 외상, 불량한 골질, 술 후 감염 및 염증, 조기 부하가 원인이다.11,12 반면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이 기능 후 실패하는 지연실패의 경우에는 만성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 혹은 과도한 교합스트레스가 주 요인으로 작용한다.13,14

본 증례의 환자는 약 10년 전 식립한 양측 하악 구치부 임플란

트가 다발성으로 실패하여 제거하는 치료를 받게 되었다. 대합

치는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과도한 교합스트레스 보다는 세균성 감염에 의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해 임플란트가 실패한 것으로 사료된다. 환자는 흡연자이며, 임플란트 최종 수복 후 십년 동안 유지관리를 위해 병원을 내원하지 않았으며, 구강위생 관리에 소홀하였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하여 만성 임플

란트 주위염까지 진행되어 좌측 임플란트의 주위골은 모두 흡수

되어 동요도를 나타내었고, 하악 우측부의 경우 하악관 신경까

지 침범하여 지각이상을 야기하였다. 환자에게 새롭게 제공된 치료는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기존의 전악 고정성 보철물보다 관리가 유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환자에게 구강위생의 중요성 강조와 임플란트와 의치의 관리방법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주기적인 내원을 통하여 정기 점검을 받도록 안내하

였다.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사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보다 수술적, 경제적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골 결손부가 큰 경우나 역학적으로 불리한 경우에는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보다 유지력과 안정

성을 증진 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5,16 또한 보험 임플란트 혜택이 확대되어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최근 임상에서 긍적적인 결과를 보이며 사용되고 있다.17-19 Bae 등19에 의하면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하는 국소의치

가 의치 하방에 attachment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피개의치보다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가 더 적고, 피개의치의 attachment 마모

로 인한 유지력 감소보다 서베이드 크라운을 사용했을 때의 유지력 감소가 더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건강보험 임플란트를 이용하면서 임플란트 서베이

드 크라운과 clasp유지력을 활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로 계획하였다. 하지만 의치 착탈 시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

이 탈락하는 방향으로 clasp의 유지력이 가해져 임시 접착제를 사용하는 시멘트 유지형을 사용할 경우 탈락 위험성이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20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증례에서

는 screw-cemented retained prosthesis type으로 진행하였으나 hole 방향이 협측으로 노출되어 비심미적인 결과를 보이게 되었

다. Zancopé 등21은 하악 케네디 I급 국소의치를 후방 연장부위에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하여 케네디 III급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

로 전환하는 방법이 임플란트의 생존률 감소 없이 환자의 저작

능력과 만족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국소의치의 안정

을 증가시키고 잔존치조제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22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케네디 I급 국소의치와 상악 총의치를 계

Fig. 8. Intraoral photographs after definitive prosthesis delivery. (A) Right view, (B) Frontal view, (C) Left view, (D) Occlusal view (maxilla), (E) Occlusal view (mandible).

A B C

D E

Page 9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6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획하였기 때문에 의치의 안정성 도모 및 하악 후방 무치악부의

치조제 흡수 및 그로 인한 combination syndrome 방지를 위하여 #37,47 부위의 임플란트를 통해 지지를 부여 하였다. 또한 이를 치유 지대주로 마무리 했을 경우 임플란트 축의 방향이 교합력

방향과 어긋나 있어 치유 지대주의 잦은 풀림 가능성을 우려하

여 맞춤형 지대주로 제작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감소시켰다.본 증례의 한계 중 하나는 환자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국

민건강보험 임플란트로 진행하면서 크라운의 재료가 금속도재

관으로 한정되었고 이로 인해 비심미적인 외형을 가지게 되었다

는 점이다. 국민건강보험 보철의 재료에 좀 더 넓은 선택의 폭이 있었다면 더 심미적인 결과가 있었을 것이다.

결론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한 위치에 재식립한 경우, 임플란트 생존률이 비교적 감소하지만,23,24 Oh 등11에 의하면 첫 임플란트 실패에 기여했던 감염, 임플란트 형태, 과도한 교합력과 같은 수정 가능한 요인들을 재치료시 보완한다면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이전에 임플란트가 실패한 원인을 자세히 살펴 재치료시 그 부분을 보완하며, 환자의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와 치과의사 주기적인 정기 점검 및 관리를 병행한다면 장기적

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ORCID

Seung-Lee Jin https://orcid.org/0000-0002-7809-2086Chang-Mo Jeong https://orcid.org/0000-0001-5009-9799Mi-Jung Yun https://orcid.org/0000-0003-3093-8406Jung-Bo Huh https://orcid.org/0000-0001-7578-1989Hyeon-jong Lee https://orcid.org/0000-0002-1669-2975So-Hyoun Lee https://orcid.org/0000-0003-3094-6086

References

1. Jung RE, Zembic A, Pjetursson BE, Zwahlen M, Thoma DS.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rate and the incidence ofbiological, technical, and aesthetic complications of singlecrowns on implants reported in longitudinal studies with amean follow-up of 5 years. Clin Oral Implants Res 2012;23:2-21.

2. Jung RE, Pjetursson BE, Glauser R, Zembic A, Zwahlen M,Lang NP. A systematic review of the 5-year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Clin OralImplants Res 2008;19:119-30.

3. Berglundh T, Persson L, Klinge B. A systematic review of theincidence of biological and technical complications in implantdentistry reported in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of atleast 5 years. J Clin Periodontol 2002;29:197-212.

4. Misch K, Wang HL. Implant surgery complications: etiologyand treatment. Implant Dent 2008;17:159-68.

5. Esposito M, Hirsch JM, Lekholm U, Thomsen P. Biologicalfactors contributing to failure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I). Etiopathogenesis. Eur J Oral Sci 1998;106:721-64.

6. Sakka S, Baroudi K, Nassani MZ. Factors associated withearly and late failure of dental implants. J Investig Clin Dent2012;3:258-61.

7. Goodacre CJ, Bernal G, Rungcharassaeng K, Kan JY.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JProsthet Dent 2003;90:121-32.

8. Maló P, Rangert B, Nobre M. All-on-4 immediate-functionconcept with Brånemark System implants for completelyedentulous maxillae: a 1-year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ClinImplant Dent Relat Res 2005;7:S88-94.

9. Jaffin RA, Kumar A, Berman CL.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in partially and fully edentulous jaws: a series of 27case reports. J Periodontol 2000;71:833-8.

10. Kang JK, Nam GH.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J KoreanAcad Esthet Dent 2014;23:34-40.

11. Oh SL, Shiau HJ, Reynolds MA. Survival of dental implantsat sites after implan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J ProsthetDent 2019 Apr 23. pii: S0022-3913(18)30849-7.

12. Urban T, Kostopoulos L, Wenzel A.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n molar regions: risk factors for early failure. Clin OralImplants Res 2012;23:220-7.

13. Esposito M, Hirsch JM, Lekholm U, Thomsen P. Biologicalfactors contributing to failure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I). Etiopathogenesis. Eur J Oral Sci 1998;106:721-64.

14. Sakka S, Coulthard P. Implant failure: etiology and complica-tion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1;16:e42-4.

15. Keltjens HM, Kayser AF, Hertel R, Battistuzzi PG.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supported by implantsand residual teeth: considerations and case reports. Int J OralMaxillofac Implants 1993;8:208-13.

16. de Freitas RF, de Carvalho Dias K, da Fonte Porto CarreiroA, Barbosa GA, Ferreira MA. Mandibular implant-supported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distal extension: a systematicreview. J Oral Rehabil 2012;39:791-8.

17. Cho YJ, Suh BH. The use of an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as abutment teeth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inedentulous patient: A cases report. Korean Acad Oral Maxil-lofac Implantol 2017;21:96-108.

18. Lee YJ, Bae EB, Jeong CM, Lee JJ, Kim JY, Huh JB.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nterior implant-supported fixedprostheses for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J KoreanDent Sci 2017;10:87-95.

19. Bae EB, Kim SJ, Choi JW, Jeon YC, Jeong CM, Yun MJ, LeeSH, Huh JB.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distal extension

Page 9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67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bridge or stud type attachment. Biomed Res Int 2017;2017:7140870.

20. Hebel KS, Gajjar RC. Cement-retained versus screw-retainedimplant restorations: achieving optimal occlusion and esthet-ics in implant dentistry. J Prosthet Dent 1997;77:28-35.

21. Zancopé K, Abrão GM, Karam FK, Neves FD. Placementof a distal implant to convert a mandibular removable Ken-nedy class I to an implant-supported partial removable ClassIII dental prosthesis: A systematic review. J Prosthet Dent2015;113:528-33.

22. Keltjens HM, Kayser AF, Hertel R, Battistuzzi PG.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supported by implants and residual teeth: considerations and case repor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208-13.

23. Machtei EE, Mahler D, Oettinger-Barak O, Zuabi O, HorwitzJ. Dental implants placed in previously failed sites: survivalrate and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Clin Oral Implants Res2008;19:259-64.

24. Grossmann Y, Levin L. Success and survival of single dentalimplants placed in sites of previously failed implants. J Peri-odontol 2007;78:1670-4.

Page 9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6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CASE REPORT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진승리 � 정창모 � 윤미정 � 허중보 � 이현종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실패는 과도한 교합스트레스와 같은 생역학적인 요인과 세균 감염, 염증과 같은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임플란트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악화되어 심한 골흡수가 일어난 임플란트는 제거되어야 하며, 제거 후 잔존 치아와 잔존 임플란트 및 잔존 치조제를 고려하여 새로운 치료를 계획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무치악부에 약 10년 전 식립한 하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중 일부를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하여 제거하게 되었다. 추가 임플란트 재식립을 위한 잔존 치조골의 상태를 재평가 하고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임플란

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지대치로 하는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최종 치료하였다. 이를 통해 실패 이후 저작기능을 다시 회복하고 구강위생 관리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61-8)

주요단어: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실패; 하악 부분 무치악

*교신저자: 이소현

50612 경남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 20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055 360 5130: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10월 4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0월 29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0월 30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이 논문은 2018년도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Page 10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69

서론

디지털 치의학과 광학 인상채득 방식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인상채득 방식을 대체하고 있다.1,2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광학 인상채득 방식은 개인트레이 제작, 인상채득, 그리고 모형 제작의 과정을 디지털화 하여 전체

적인 과정이 효율적이다.1,3 또한 환자의 구토반사, 개구장애, 통증 등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고 진료실과 기공실에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과정이 인상체 및 석고 모형 없이 진행되므로 치과의사와 기공사가 환자의 타액이나 혈액에 노출될 위험이 줄

어든다.4 스크린을 통해 치과의사와 기공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

통이 가능하며, 스캔한 데이터를 재사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5 이러한 흐름에 따라 광학 인상채득의 정확도 및 보철물의 적합도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신뢰할

수 있는 수준임이 보고되고 있다.6 광학 인상채득은 임플란트에

서 더욱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디지털 인상용 코핑(Scanbody, Dio implant, Busan, Korea)은 임플란트의 위치와 각도를 인식할 수 있어 임플란트 수준에서의 광학 인상채득에 사용된다. 디지털 인상용 코핑에는 매끄러운 평면을 형성하여 구내 스캔 데이터와 디지털 인상용 코핑 라이브러리의 정밀한 중첩이 가능하다.7 지난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69CASE REPORT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김진완 � 정창모 � 윤미정 � 이소현 � 이현종 � 허중보*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Clinical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digital superimposition of

customized abutment with subgingival margin: A case report

Jin-Wa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So-Hyoun Lee, Hyeonjong Lee, Jung-Bo Huh*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Republic of Korea

Traditionally, gingival retraction has been performed to obtain customized abutment impressions with subgingival margins of the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However, gin-gival retraction may have side effects such as gingival recession and bleed, leading to an inaccurate impression.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in this case, the new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a customized abutment which is designed for superimposition is used. Before the connection of the abutment to the implant fixture, pre-scanned shape data are stored, and then the optical impression without gingival retraction is obtained after connecting to the fixture. The suprastructure is fabricated by superimposing the two data. This technique showed the clinical efficacy of fabricating the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with subgingival margin, which satisfied the aesthetics, convenience, and clinically acceptable marginal and internal fi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69-75)

Keywords: Customized abutment; Intraoral scanner; Subgingival margin; Superimposition

*Corresponding Author: Jung-Bo Huh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20, Geumo-ro, Mulgeum-eup, Yangsan 50612, Republic of Korea+82 (0)55 360 5146: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October 24, 2019 / Last Revision Decmeber 2, 2019 / AcceptedDecember 12,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grant of clinical research funding of the Dental Hospit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8.

Page 10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7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진완�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광학 인상채득방식

의 정확도는 전통적인 인상채득 방식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8 최근에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할 때 맞춤형 지대주가 널리

사용된다. 맞춤형 지대주는 생역학적으로 유리하며 해부학적 요구에 따라 치은연하변연으로 제작하거나 출현 윤곽 설정을 통해 보다 심미적인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9 변연의 정확한 인기를 위해 광학 인상채득은 전통적인 인상채득 방식에 비해 더 큰 치은 열구 공간을 필요로 한다.10 따라서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 시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지대주의 인상채득을 위해 전통

적으로 치은 압배술이 실시되어 왔다.11 하지만 임플란트에는 결합조직 내에 세균에 대한 방어막으로 작용할 수 있는 치은 및 치주 섬유가 부족하므로 치은 압배시 자연치에 비해 치주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10,12 또한 치은 압배술로 인한 환자의 통증 유발, 진료 시간 증가, 치은 퇴축 등은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

며, 이 술식 동안 발생한 출혈이나 치은열구액은 부정확한 인상 채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많은 보고가 있었다.10,11 이러한 문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증례에서는 중첩 가능한 flat surface 부위를 인위적으로 형성한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하였다. 지대주를 미리 스캔하여 형상 데이터를 획득한 뒤,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고 치은 압배 과정 없이 광학 인상채득한 데이터와 중첩

하여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

도를 확인하고 새로운 디지털 중첩 인상채득 방법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본 증례의 61세 남자 환자는 본원 보존과에서 상악 좌측 제1 소구치의 파절을 진단받고 구강악안면외과에서 발치 및 임플

란트 식립 후 보철 수복을 위해 보철과로 의뢰되었다. 상악 좌측 제1 소구치 발거 후 직경 5.0 mm, 높이 10.0 mm의 내부 육각 연결형 임플란트(TS III SA, Osstem Co., Busan, Korea) 식립

을 계획 하였으나 수술 시 초기 고정력이 부족하여 식립하지 않았다. 발치 6개월 후 직경 4.5 mm, 높이 10.0 mm의 내부 육각

연결형 임플란트(TS III SA, Osstem Co., Busan, Korea)를 식립

하였다. 초기 고정력이 우수하여 치유 지대주(TS healing abut-ment, 5 × 4 mm, Osstem Co., Busan, Korea)를 바로 연결하였다 (Fig. 1). 임플란트 식립 4개월 후 보철과에 내원하였을 때 임상

검사를 통해 미소 시 해당부위의 치은이 노출되는 것을 관찰하

였고, thin gingival biotype으로 치은변연부에서 퇴축에 의한 금속의 노출 및 금속색의 비침이 우려되었다. 임플란트 주변 연조

직의 치유를 유도하기 위해 먼저 맞춤형 지대주(DOOWON ID, Daejeon, Korea)와 임시치아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디지털 인상

용 코핑을 치유 지대주 대신 연결하고 구강스캐너(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로 구강 내 광학 인상채득을 시행하였다 (Fig. 2). 이후 원내 기공소에서 design software (Exocad GmbH, Darmstadt, Germany)를 이용하여 진단 납형을 제작하고 치은 형태에 맞춰 치은 변연 1 mm 하방에 변연이 존재하도록 맞춤

형 지대주를 디자인하였다. 지대주에는 정밀한 중첩을 위해 평면 구조의 매끄러운 flat surface를 부여하였는데, 광학 인상채

득 시 편의를 위해 flat surface는 지대주의 bucco-occlusal 1/3에 위치시켰다.13 4축 밀링 기계(ARUM 4X-100, DOOWON ID, Daejeon, Korea)로 맞춤형 지대주를 밀링한 후, 후가공 과정을 거쳐 완성된 중첩가능한 맞춤형 지대주를 스캔하여 라이브러리

를 형성하였다 (Fig. 3). 임시치관은 동일한 스캔 데이터와 밀링

기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맞춤형 지대주와 임시치관 시적 1

Fig. 1. Initial panoramic radiograph.

Fig. 2. (A) Digital impression coping and adjacent teeth scanned using intraoral scanner, (B) Digital impression coping can be matched with correct implant analog using CAD software.

A B

Page 10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71

김진완�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개월 후 특이소견 없었으므로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지대주

수준에서 치은 압배 과정 없이 구강 내 광학 인상채득을 시행한

후, 저장한 라이브러리와 flat surface 부위의 중첩을 통해 지대주

의 위치 및 형태를 디지털로 구현하였다 (Fig. 4). 내면의 합착 공간을 균일하게 부여하고 5축 밀링 기계(Trione M, Dio implant, Busan, Korea)을 이용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상부 보철물

을 제작하였다. 변연 및 내면 간극 평가를 위해, 제작된 보철물

을 Fit checker advanced blue (GC Cor., Tokyo, Japan)를 이용한 replica technique을 통해 복제14하고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샌드

블라스팅(50 μm glass bead at 1 bar pressure) 후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G-CEM LinkAce, G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구강

내 접착하였다 (Fig. 5).

복제된 시편을 고정 및 절단하기 위해 3D 프린터 NextDent 5100 (3D SYSTEMS, Rock Hill, SC, USA)를 이용하여 적당

한 크기의 틀을 제작하였다. 이 틀은 meshmixer (Autodesk, San Rafael, CA, USA)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는데 시편을 균일하

게 절단하기 위해 blade 두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0.7 mm의 공간을 부여하였다. Fit checker advanced blue 내면에 부가 중합

형 실리콘 인상재(Imprint II, 3M-ESPE., St, Paul, MN, USA)를 넣고 틀에 포매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시편을 고정하고 절단 시 Fit checker advanced blue 와 실리콘 인상재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복제된 시편의 중앙을 협설, 근원심으로 절단하고 협측, 설측, 근심측, 원심측에서 각각 5개씩, 총 20개의 reference point를 정하였다 (Fig. 6). 변연부에서는 변연오차(absolute marginal

Fig. 3. (A) Customized abutment with subgingival margin showing flat surface on top of the buccal surface was designed using CAD software, (B) Analog com-ponent of customized abutment was scanned using die scanning jig of model scanner, (C) Library data was generated with scanned data in CAD software.

A B C

Fig. 4. Matching intraoral scan data to the library file in CAD. (A) Intraoral scan data with unclear abutment margin, (B) Superimposition of library data on intraoral scan data, (C) Replaced data showing clear abutment margin, (D) Designing definitive prosthesis on the super-imposed data.

A

C

B

D

Page 10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7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진완�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discrepancy, AMD), 변연간극(marginal gap, MG), 내면부에서

는 변연부 내면간극(marginal internal gap, MIG), 축벽부 내면간

극(axial internal gap, AIG), 선각부 내면간극(line angle internal gap, LIG)을 reference point로 하였다. 변연오차는 지대주의 변연 끝에서 보철물 변연 끝까지의 거리, 변연간극은 지대주의 변연 끝에서 보철물의 내면 까지의 수직 거리, 변연부 내면간극은 변연과 축벽의 이행부위의 지대주면에서 보철물 내면까지의 수직거리, 축벽부 내면간극은 지대주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지대

주의 축벽과 보철물 내면 간의 수직거리, 선각부 내면간극은 축벽과 교합면의 이행부위의 지대주면에서 보철물 내면까지의 수직거리로 정의하였다.15 Measuring microscope을 이용하여 100배 확대하여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solution, IMT i-solution, Vancouver, BC, Canada)을 이용하여 변연 및 내면 간극을 측정하였다 (Fig. 7). Reference point의 간극 측정 결과 협측, 설측, 근심측, 원심측의 AMD, MG, MIG, AIG, 그리고 LIG는 각각 29.16 ± 1.08 μm, 22.58 ± 9.14 μm, 21.44 ± 19.59 μm, 9.08 ± 4.47 μm, 23.36 ± 40.88 μm이었다.

고찰

본 증례에서는 중첩 가능하도록 제작한 맞춤형 지대주를 치은 압배 과정 없이 광학 인상채득하여 제작한 보철물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의 상부에 중첩 기준이 될 수 있는 flat suface를 부여하고 임플란트

에 연결하기 전 미리 스캔하여 라이브러리를 형성하였다. 그 후 지대주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고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지대주 수준에서 스캔한 데이터를 미리 형성한 라이브러리와 중첩하여 상부 보철물을 제작했다. 레플리카 테크닉을 이용한 절단분석을 시행한 결과 변연 및 내면 적합도가 임상적으로 허용범위 내에 있었다. 본 증례에서 사용한 방법의 장점은 치은 압배술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통증과 출혈이 발생하지 않았고, 기존 방법 보다 짧은 시간에 인상을 채득할 수 있었다. 또한 치은 압배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치은 퇴축의 위험이 없었다. 따라서 중첩방법을 이용한 맞춤형 지대주의 인상채득방법은 치은연하 변연을 가진 지대주의 인상채득에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또한 구강스캐

Fig. 5. Intraoral photographs and periapical radiograph after definitive prosthesis delivery.

A B C

Fig. 6. Reference points to measure the thickness. (A, J) Absolute marginal discrepancy (AMD), (B, I) Marginal gap (MG), (C, H) Marginal internal gap (MIG), (D, G) Axial internal gap (AIG), (E, F) line angle internal gap (LIG).

Fig. 7. Sectioned silicone replica, showing AMD, MG, and MIG.

Page 10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73

김진완�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너의 부피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해 구강스캐너의 접근이 어려운 지대주의 인접면 부위를 정확히 스캔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다.

본 증례의 한계점은 기존의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광학인상채

득과 CAD-CAM 제작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이외에도 맞춤형 지대주의 라이브러리 형성을 위한 스캔 과정이나 지대주 수준에서 스캔한 데이터와 라이브러리의 중첩 과정에서도 오차

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16 따라서 보철물의 디자인 및 제작

을 한 명의 숙련된 기공사가 시행하도록 하여 오차를 최소화하

였다. 본 증례의 간극 측정 결과는 실리콘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

적인 인상채득 방식과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광학인상채득 방식

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17,18 보다 정밀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중첩 기준의 위치와 형태의 변화에 따라 더 효율적인 중첩 방법

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9 교합은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교합 접촉이 양측으로 동시에 균일하게 닿고 편심위에서는 교합 접촉

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하였다. 이외에도 라이브러리 생성을 위한 부가적인 스캔 과정이 요구된다는 단점도 있다. 임플란트 수준에서 인상 채득 후 임시수복물의 시적 과정 없이 지대주와 함께 최종 보철물을 바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의 사용이 제한된다. 하지만 지대주 수준에서 인상을 채득하면 임플란트 수준에서 인상을 채득하는 것보다 인접 치아와 대합 치아와의 관계를 식별하기 용이하다. 또한 Kim 등20은 내부 육각 연결형 임플란트와 연결된 지대주에서 수직적인 침하 현상(settling effect)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임시치아를 사용함으로써 이러

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이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

는 적합도 평가를 위해 더 많은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flat surface 형성이 맞춤형 지대주의 기계적 강도와 보철물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본 증례에서는 보철물을 제작할 때 중첩 가능하도록 제작된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대주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전 형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임플란트에 연결 후 치은 압배 과정 없이 광학 인상채득한 뒤 두 데이터를 중첩

하여 상부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 방법은 치은 연하 변연을 가지는 보철물에서 심미성을 만족시키면서 기존의 인상채득 방식

보다 빠르고 간편하며, 치은 압배의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롭다. 또한 레플리카 테크닉을 이용한 절단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상적

으로 수용될 수 있는 변연 적합도를 보였으므로 임상에서 임플

란트 지대주 수준의 인상 채득시 적절히 적용 가능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ORCID

Jin-Wan Kim https://orcid.org/0000-0001-8609-9029

Chang-Mo Jeong https://orcid.org/0000-0001-5009-9799Mi-Jung Yun https://orcid.org/0000-0003-3093-8406So-Hyoun Lee https://orcid.org/0000-0003-3094-6086Hyeonjong Lee https://orcid.org/0000-0002-1669-2975Jung-Bo Huh https://orcid.org/0000-0001-7578-1989

References

1. Ting-Shu S, Jian S. Intraoral digital impression technique: A review. J Prosthodont 2015;24:313-21.

2. Joda T, Brägger U. Patient-centered outcomes comparing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 procedure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Clin Oral Implants Res 2016; 27:e185-9.

3. Lee SJ, Gallucci GO. Digital vs.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efficiency outcomes. Clin Oral Implants Res 2013;24: 111-5.

4. Seo KS, Kim SJ, Kwon JH, Chang JS. Implant digital impres-sion with intraoral scanners: A literature review. The Korean Acad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ology 2017;21:2-13.

5. Christensen GJ. Impressions are changing: deciding on con-ventional, digital or digital plus in-office milling. J Am Dent Assoc 2009;140:1301-4.

6. Tsirogiannis P, Reissmann DR, Heydecke G. Evaluation of the marginal fit of single-unit, complete-coverage ceramic restorations fabricated after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rosthet Dent 2016;116:328-35.e2.

7. Lin WS, Harris BT, Morton D. The use of a scannable im-pression coping and digital impression technique to fabricate a customized anatomic abutment and zirconia restoration in the esthetic zone. J Prosthet Dent 2013;109:187-91.

8. Lee SJ, Betensky RA, Gianneschi GE, Gallucci GO. Accu-racy of digital versus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Clin Oral Implants Res 2015;26:715-9.

9. Kutkut A, Abu-Hammad O, Mitchell R. Esthetic consider-ations for reconstructing implant emergence profile using titanium and zirconia custom implant abutments: Fifty case series report. J Oral Implantol 2015;41:554-61.

10. Bennani V, Schwass D, Chandler N. Gingival retraction tech-niques for implants versus teeth: current status. J Am Dent Assoc 2008;139:1354-63.

11. Azer SS. A simplified technique for creating a customized gingival emergence profile for implant-supported crowns. J Prosthodont 2010;19:497-501.

12. Ericsson I, Lindhe J. Probing depth at implants and teeth.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J Clin Periodontol 1993;20: 623-7.

13. Mizumoto RM, Yilmaz B. Intraoral scan bodies in implant dentistry: A systematic review. J Prosthet Dent 2018;120:343-52.

14. Molin M, Karlsson S. The fit of gold inlays and three ceramic

Page 10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7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김진완�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inlay systems. A clinical and in vitro study. Acta Odontol Scand 1993;51:201-6.

15. Lee JW, Park JM.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under model-free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fabricatedby digital intraoral scanner.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6;54:210-7.

16. Miller RJ, Kuo E, Choi W. Validation of align technology’streat III digital model superimposition tool and its case appli-cation. Orthod Craniofac Res 2003;6:143-9.

17. Ender A, Zimmermann M, Attin T, Mehl A. In vivo precisionof conventional and digital methods for obtaining quadrantdental impressions. Clin Oral Investig 2016;20:1495-504.

18. Güth JF, Runkel C, Beuer F, Stimmelmayr M, Edelhoff D,Keul C. Accuracy of five intraoral scanners compared to indi-rect digitalization. Clin Oral Investig 2017;21:1445-55.

19. Fluegge T, Att W, Metzger M, Nelson K. A Novel Method toEvaluate Precision of Optical Implant Impressions with Com-mercial Scan Bodies-An Experimental Approach. J Prostho-dont 2017;26:34-41.

20. Kim KS, Lim YJ, Kim MJ, Kwon HB, Yang JH, Lee JB, YimSH. Variation in the total lengths of abutment/implant assem-blies generated with a function of applied tightening torque inexternal and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 Clin OralImplants Res 2011;22:834-9.

Page 10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175

CASE REPORT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에서

디지털 중첩기술을 이용한 인상채득술의 임상 적용 증례

김진완 � 정창모 � 윤미정 � 이소현 � 이현종 � 허중보*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 시 치은연하 변연을 가지는 맞춤형 지대주의 인상채득을 위해 전통적으로 치은 압배술이 실시되어 왔다. 하지만 치은 압배

술은 치은 퇴축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출혈은 부정확한 인상채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철물을 제작

할 때 중첩 가능하도록 제작된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대주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전 형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임플

란트에 연결 후 치은 압배 과정 없이 광학 인상채득한 뒤 두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부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치은 연하 변연을 가지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시 심미성을 만족시키면서 기존의 인상채득 방식보다 빠르고 간편하며 우수한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보였기에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58:169-75)

주요단어: 맞춤형 지대주; 구강스캐너; 치은 연하 변연; 중첩

*교신저자: 허중보

50612 경남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 20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055 360 5146: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9년 10월 24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9년 12월 2일 / 원고채택일: 2019년 12월 12일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

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cc

※본 연구는 2018년도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

Page 10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176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Corresponding Author: Myung-Joo Kim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Republic of Korea+82 (0)2 2072 2661: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16, 2019 / Last Revision October 1, 2019 / AcceptedOctober 7, 2019

2020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

cc

Erratum to: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0;58:14-22(https://doi.org/10.4047/jkap.2020.58.1.14)

The article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authored by Eun-Hyuk Lee, Yongbeom Seo, Ho-Bum Kwon, Young-Jun Yim, Hyunjoon Kong, Myung-Joo Kim, published in April issue [Vol 58, No 1]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erratum.The author names were mistakenly given as Ho-Bum Kwon, Young-Jun Yim. It should be corrected as Ho‐Beom Kwon, Young‐Jun Li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pologizes to the readers for this error.

https://doi.org/10.4047/jkap.2020.58.2.176ERRATUM

Erratum: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Eun-Hyuk Lee1, Yongbeom Seo2, Ho‐Beom Kwon1, Young‐Jun Lim1, Hyunjoon Kong2, Myung-Joo Kim1*1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Urbana, IL, USA

Page 10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대한치과보철학회

제91호

2020.4.30발행인: 권 긍 록

편집인: 김 종 엽

학회사무실 : 우)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역삼1동 635-4)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705호 ☎ (02)569-1604 / 편집실 : ☎ (02)3443-2828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보철학회소식

이사회 소식1

이사회

일시 및 장소

참석인원

제3차(상임)

2/4(화) 오후 7시, 학회 사무실

총 16명

제4차(상임)

3/3(화) 오후 6시, 화상회의

총 19명

총무부 회원 승인 (총 11명), 2020년 신년인사회 성료, 제84회 대한치과

보철학회 학술대회(2020년 추계학술대회) 개최 신청 안내, 치협-2019 회계연도 학술위원회 참석, 2020년도 대한치과보철학회 지부 정기총회 및 학술집담회 계획서 제출 요청, 한국과총-제 55회 정기총회 대의원 명단 제출, 2021년 학술대회 장소 답사 및 견적 보고, 2020년 부서별 사업계획 및 예산 수정

회원 승인 (총 24명), 대한치의학회, 보건의료기술

정책심의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 추천

학술부 치협-보수교육 결과 보고서 제출, 각 지부-2020년도 지부 정기총회 및 학술집담회 계획서 제출 안내, 네오 미팅, 제 83회 학술대회 준비 사항 보고, 치협-2020년 대한치과보철학회 보수교육 계획 추가 승인 요청, 세종대 1차 답사

네오 미팅 완료, 제 83회 학술대회 관련, 제 2차 학술위원회 개최

재무부 2020년 1월 재무보고, 1월 31일(금) 현재 연회비 입금 현황, 2020년 연회비 납부 요청 1차 안내문 발송 완료, 세금 납부 완료

2020년 3월 재무보고, 2월 29일(토) 현재 연회비 입금 현황, 총무부-재무부위원회 완료

공보부 보철 관련 신문 광고자료 (2020.1.1. ~ 2020.1.31. 치의신보, 치과

신문, 치과임상, 덴포라인, 치학신문), 2020년 광고 진행 예정 사항

정회원 스티커 디자인 작업 완료, 제 82회 학술대

회 신문광고 일정 보류

섭외부 2020년 스폰서 업체 신청 안내 공문 발송 2020년 스폰서 업체 신청 안내 공문 발송

국제부 2019 해외연자, CPS, JPS 회장 및 국제이사 연하장 발송 완료 2020 AAP 교육지도의 회람, 13TH Biennial Conference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안내

연구부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한국정책방송원-KTV(국민방송) 메디컬다

큐 ‘건강+더하기 행복’ 시즌 2 촬영 협조 및 촬영 내용 방송 완료, 2019-20년도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제2교육 성료, 2019-20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교육 일정, 연구부위원회 완료, 2019-20 우수보철치과의사과정 회원수첩 제작 및 발송 완료, 우수보철의 보수교육 이수 현황 안내문 우편 발송 완료, 2020년 대한치과보철학회 연구과제 실행 응모 안내, 우수보철의사 갱신 승인 심사

2019-20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교육 일정, 우수보철의사 갱신 승인 심사, 틀니의 날 TFT 1차 회의 완료

Page 10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편집부 과편협 2020년도 Preconference workshop 및 정기총회 참석, CrossRef Resolution Report 보철학회지 웹사이트 게시 [국문] 58권 1호 발행 및 공공기관 업로드, 투고규

정(저자 및 기여권) 수정 [영문] 과총-2019년 국제학술지 지원금 관련 결과보고서, 정산보고서 제출

CrossRef Resolution Report 보철학회지 웹사이트 게시 [영문] 12권 1호 발행 및 공공기관 업로드 완료, 과총-2019년 국제 학술지 지원금 관련 정보공시 완료

법제부 치협 치과 의료분쟁백서 발간 관련 의견서 송부 대한치과의사협회-사실조회 의견 요청에 따른 회신, 진료

기록 감정 촉탁의견요청에 따른 회신

보험부 치의학회-제 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불류(안)에 대한 의견 회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장-신의료기술평가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완전 틀니 제작법 관련 전문가 추천, 대한

치과의사협회-산재보험 요양급여 산정기준 개선 관련 의견 회신, 보건복지부-‘광중합형 복합레진 등 급여 기준 개선 관련 고시 일부개정(안)’ 관련 의견 회신

정보통신부 웨인테크놀로지, KCP 카드결제 시스템 SSL 설정 변경 작업 완료

학회 서버 방화벽 교체 작업 진행 완료

수련부 치과의료정책연구원-인턴제 폐지 및 수련기간 연한 자율

제에 대한 의견 조회 회신, 치의학회-‘인턴제 폐지, 그후 치과전문의제도 개선 방향’ 공청회 설문 회신, 치협-치과

의사전문의의 다른 전문과목 수련과정 인정기준 관련 의견 회신, 인정의 보수교육 이수 현황 안내문 우편 발송 완료, 12~1월 인정의 갱신 완료

인정의 자격 갱신 심사 결과 안내 우편 발송 완료, 치과보

철과 2년차 전공의 교육 연기 안내, 교육지도의 자격 승인 통보 완료, 치과보철과 해외파견 계획 승인, 치과의사국가

시험연구소, 치과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 문항출제기준 관련 의견 요청 회신 완료, 국군수도병원, 2020년 군 전공

의(레지던트) 파견수련 동의 의뢰에 대한 회신 완료, 치과

의사전문의의 다른 전문과목 수련과정 인정기준 고시 일부개정안 행정예고에 대한 의견 조회, 2020년 보철과 전공의 임용, 수련 수료자 및 교육지도의 현황 파악 완료

고시부 2020년 제 13회 치과의사전문의자격시험 출제 및 채점 완료, 치협-2020년도 제 13회 치과의사전문의자격시험 관련 명단 요청, 2020년도 제13회 치과의사전문의자격시험 결과

2020년 전공의 1년차 적용 신규 필독문헌 리스트 공지 완료, 치협-2020년도 치과의사전문의자격시험 1차 문항개

발 및 심사 작업 위원 추천 회신

이사회

일시 및 장소

참석인원

제5차(상임)

4/7(화) 오후 6시 30분, 화상회의

18명

총무부 회원 승인 (총 29명),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 지원금 기부 완료, 2020년 학회 정회원 스티커 발송 완료, 한국과

학기술단체총연합회-2020년도 학술대회 지원사업 ‘학술대회’ 지원 신청 완료, 치협-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의료사

고감정단 자문위원 추천, 대한치의학회, 2019 회계연도 대한치의학회 분과학회 학술활동 평가 최우수상 수상, 학술대

회 준비 연석회의

학술부 제 83회 학술대회 일정 변경, 학술대회 준비 연석회의

재무부 2020년 3월 재무보고, 3월 31일(화) 현재 연회비 입금 현황, 2020년 연회비 안내문 2차 발송 완료

Page 11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공보부 보철 관련 신문 광고자료 (2020.3.1. ~ 2020.3.31. 치의신보, 덴탈아리랑, 치과인, 치과신문, 세미나비즈, 치학신문), 대한치의학회-2020년 1분기 분과학회 분기보고서 제출

섭외부 2020년 스폰서 업체 신청 현황, 제 83회 학술대회 연기 및 장소 변경 공지

국제부 해외연자 제 83회 학술대회 변경 (7/25(토)~7/26(일) 연대 백양누리) 안내

연구부 2019-20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교육 일정 연기, 2020년 학회 지원 신규 연구 과제 심의 완료, 2019년 학회 지원 연구과제 진행사항 보고, 2019-20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교육, 졸업식 연기 안내, 우수보철치과의사 오프라인 교육을 온라인 교육으로 시행 논의, 틀니의 날 TFT 2차 회의 완료

편집부 EBSCO Full Text Royalty 입금, 윤리규정 개정 보완, CrossRef Resolution Report 보철학회지 웹사이트 게시 [국문] 과총-2020년도 국내학술지 지원사업 신청완료, 보철학회지 홈페이지(jkap.or.kr) 구축 완료 [영문] 과총-2020년도 국제학

술지 지원사업 신청완료, 한국연구재단-해외DB등재지 유지 증빙자료 제출(사유 - 최소요건 평가 위함)

법제부 치의학회-치과 진료 관련 학회 자문 회신, 치협-수사협조 의견요청에 따른 회신, 치협-사실조회 의견 요청에 따른 회신

보험부 치협-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 여부 확인 관련 HIV, C형간염 항체 동시 검출 의견 회신, 치협-요양급여대상 비급여대

상 여부 확인 관련 (VacuaSonicⓡ System을 통해 가공된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이용한 골 이식술 관련) 의견 회신

정보통신부 학회 홈페이지에 위원명단 업데이트 완료, 학회 홈페이지 학회 심볼 다운로드 권한 변경 설정 완료, 학회 홈페이지 배너 변경, 학회 홈페이지 SSL 모듈 설치 작업 완료

수련부 치과보철과 신임 전공의 오리엔테이션 일정 연기, 2020년 신임 전공의 학회 정회원 가입과 온라인 전공의 수련기록부 작성법 안내 완료, 치협-치과의사국가시험연구소, 치과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 문항출제기준 관련 의견 재요청

고시부 3월 25~26일 치협, 치과의사전문의자격시험 문항 개발 및 심사

학술활동 계획2

학술집담회 전북지부 경북지부 대구지부

일시 및 장소 5/22(금) 18:30~21:00,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양이재

6/24(수) 19:30~21:30, 포항 포스코 국제관

6/26(금) 19:00~21:40, 대구 그랜드호텔

연자 및 연제 이종엽(강북삼성병원) -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술 후 과민증 해결

허중보(부산대) - 소수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전략

조진현(경북대) - 보철과적인 관점에서 본 occlusion & TMD therapy허윤경(조인트치과) - 구강내과적인 관점에서 본 occlusion & TMD therapy

보수교육 점수 학회 2점, 치협 2점 학회 2점, 치협 2점 학회 2점, 치협 2점

Page 11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학술집담회 대전충청지부 춘계학술대회 대구지부

일시 및 장소 7/2(목) 19:00~21:30, 원광대 대전

치과병원 2층 세미나실

7/25 (토)~26(일), 서울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10/23(금) 19:00~21:40, 대구 그랜드호텔

연자 및 연제 이현종(부산대) - 탈없이 오래가는 임플란트 보철을 위한 비밀

허중보(부산대) - 소수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전략

이양진(분당서울대병원) - 치열 변화에

서 깨닫는 임플란트 교합 잃지 않기

김소연(부산대) - 진료실에서의 디지털 도입과 실제적 활용

보수교육 점수 학회 2점, 치협 2점 학회 10점, 치협 2점 학회 2점, 치협 2점

학술집담회 경남울산지부 전북지부 경북지부

일시 및 장소 10/23(금) 18:30~21:30, 경남 진주 동방호텔

10/23(금) 19:00~21:00,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제2치학관 손외수홀

11/24(화) 19:30~21:30, 대구 그랜드호텔

연자 및 연제 노관태(경희대) - 총의치 난증례 극복

김종은(연세대) - 컴퓨터 기반 임플

란트 계획 및 수술: 유용성과 한계점 이해하기

김성언(세종치과(부산)) - 수직적 치조

골 이식술 시 고려사항(using I-Gem & LT6 membrane)

보수교육 점수 학회 2점, 치협 2점 학회 2점, 치협 2점 학회 2점, 치협 2점

학술집담회 추계학술대회 대전충청지부

일시 및 장소 11/28(토)~29(일), 서울 세종대 광개토관 12/3(목) 19:00~21:30, 원광대 대전치과병원 2층 세미나실

연자 및 연제 김석규(삼성서울병원) - 1. Periimplantitis - its predisposing factors / 2. Mechanical stability of zirconia abutment

보수교육 점수 학회 10점, 치협 4점 학회 2점, 치협 2점

Page 11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대학소식3

◆ 강릉원주대학교

* 2/14~15 - 3년간 수련기간을 마치는 김창환 선생과 김종회 선생

의 퇴국 MT를 휘닉스평창에서 진행하였다.* 3/8 - 강릉원주대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2020 1학기 1차 석,박

사 연구일이 개최되어 석사과정의 이예진, 이혜선 선생과 박사과

정의 추승식 선생의 논문 진행 사항 및 결과에 대한 보고가 있었

다.* 3/8~9 - 2020 춘계 의국세미나가 양일 간 열려 보철학교실 의국원

들이 각자 선정한 주제에 대한 발표 및 토의가 있었다.

◆ 경북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7 - 이규복 교수가 서울에서 대한치과보철학회 신년인사회에 참석하였다.

* 1/10 - 이규복, 이두형 교수가 서울에서 대한턱관절교합학회 신년

하례식에 참석하였다.* 1/17 - 새해를 맞이하여 경철회(경북대학교보철과OB회)와 전공

의들이 수성구 자금성에서 신년회를 가졌다.* 1/20 - 이두형 교수가 서울에서 디지털 기반 치과 보철학 임상 교

육 과정 개발 연구모임에 참석하였다.* 1/22 - 2020년 제13차 대한치과보철학회 전문의 고시에 김성민,

박종훈, 오세목, 채민정 선생이 최종 합격하였다.* 2/4 - 이규복 교수가 보철학회 제 2차 전문의위원회에 참석하였

다.* 2/17 - 경북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 모든 교수님들과 전공의들,

직원들이 올해 졸업하는 3년차 전공의들을 축하하며 함께 기념 사진을 찍었다(사진1).

* 2/18 - 경북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 3년차 전공의(김성민, 박종훈, 오세목, 채민정 전공의)를 위한 환송회가 삼덕동 어청도에서 열렸

다.* 2/18 - 이규복 교수가 대한치과보철학회 틀니의날 TFT 1차 회의

에 참석하였다.* 3/18 - 이규복 교수가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레이저 활용 수요자

맞춤 멀티형 핸드피스 시스템 개발) 2차 회의에 참석하였다.

◆ 경희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11 - 경희대학교 보철과 신년하례식이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렸다(권긍록, 김형섭, 배아란, 노관태, 홍성진, 이준석 교수 및 의국원 참석)(사진2).

* 3/5 - 보철과 의국원 3월 생일파티가 의국에서 진행되었다(전 교수 및 전 의국원이 참석).

◆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1/2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2020년 시무식 행사가 치과

병원 로비에서 개최되었고 이성복 교수, 이석원 교수 및 전공의 전원이 참석하였다.

* 1/9 - 이성복 교수가 소공동롯데호텔에서 개최된 제72차 미얀마 건국기념일에 미얀마 대사관 초청으로 참석하였다(사진3).

* 1/10 - 이성복 교수(대한턱관절교합학회 고문)가 코엑스인터콘티

넨탈 30층에서 개최된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0 신년식에 참석

하였다. * 1/10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2020년 신년회 행사가 치과

병원 로비에서 개최되었고 이석원 교수 및 전공의 전원이 참석하

였다.* 1/18 - 이성복 교수(대한스포츠치의학회 고문)가 스위스 로잔에

서 개최된 2020 유스올림픽게임에 옵저버로 초청받아 참석하였

다.

사진1

사진3사진2

Page 11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 1/23~27 - 이성복 교수가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개최된 ICOI 국제임플란트학회에서 ‘Top-Down Implant Dentistry’에 대하여 Keynote 강연을 하였다.

* 1/29 - 이성복 교수가 그랜드 엠베서더호텔에서 개최된 ITI국제임

플란트학회 리더쉽팀 미팅에 한국지부회장으로 참석하여 2020년 학술계획 등 일년행사 및 예산배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2/28 - 2019학년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전공의(레지던

트) 및 인턴 수료식이 병원 지하 1층 강당에서 개최되었고 이성복, 이석원 교수 및 전공의 전원이 참석하였고 3년차 전공의 박광만 선생, 이석환 선생이 수료하였다(사진4).

◆ 단국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22 - 2020년 전문의 시험에 김형준, 박혜정, 오미주, 조성윤 선생

이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2/5 - 천안 천진에서 박수정 교수 및 전공의를 수료한 31기 김형

준, 박혜정, 오미주, 조성윤 선생의 환송회 모임이 있었다.* 2/10 - 전공의를 수료한 31기 김형준, 박혜정, 오미주, 조성윤 선생

의 전공의 수료식이 있었다.* 2/20 - 치과보철과 수련의 김성호, 김예지, 이동형, 임나경, 조성윤

선생의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석사학위 수여식이 있었다.* 3/1 - 김현휘, 박세직, 안세준, 정진우 선생이 1년차 전공의로 발령

받았다.* 4/1 - 이동형 선생이 김예지 선생에 이어 의국장으로 임명되었다.

◆ 부산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2 - 2020학년도 일반대학원 필기고사 및 면접고사가 치의학 전문대학원에서 치러졌다.

* 1/2 - 전문의 1차 고시에 김대성, 김지현, 오유경, 진승리 선생이 응시하였다.

* 1/17 - 전문의 2차 고시에 김대성, 김지현, 오유경, 진승리 선생이 응시하였다.

* 1/18~19 - 부산 오스템 AIC center에서 오스템 implant advanced course가 있었으며, 이소현 교수, 김민정, 김영규, 박소형, 조용범 선생이 참석하였다.

* 1/30 - 양산 M컨벤션뷔페에서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총입탈국식

이 있었으며 전 의국원이 참석하였다(사진5).* 1/31 - 부산 서면 헤리움뷔페에서 부산대 보철과 동문회 보람회

신년회가 있었으며 전 의국원이 참석하였다.* 2/3 - 부산대 보철과 의국장이 김진완 선생에서 김태훈 선생으로

교체되었다.* 2/8~9 - 부산 오스템 AIC center에서 오스템 implant advanced

course가 있었으며, 이소현 교수, 김민정, 김영규, 박소형, 조용범 선생이 참석하였다.

* 2/10 -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강당에서 전공의 수료식이 있었으며, 김대성, 김지현, 오유경, 진승리 선생이 수료하였다(사진6).

* 2/15 - 부산 오스템 AIC center에서 오스템 implant advanced course가 있었으며, 이소현 교수, 김민정, 김영규, 박소형, 조용범 선생이 참석하였다.

◆ 서울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1 - 한중석 교수는 유럽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2019년 세계치

과보철학회 (International College of Prosthodontists) 에서 미국 Dr. Sreenivas Koka와 함께 임기 2년의 공동 회장으로 취임하였

다. 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신상완 고대명예 교수가 최초로 ICP공동회장을 맡은 후 두번째로 회장을 배출한 나라가 되었다. 격년

으로 열리는 학술대회는 2021년 가을에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사진4 사진5

사진6

Page 11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 1/2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2020년 신년을 맞이하여 치과보

철학교실 및 보철과 신년하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1/8~13 - 권호범 교수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Canadian

Dental Student Conference 2020에 참석하여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prosthodontic treatment’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 1/29~2/1 - 권호범 교수는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 일환으로 라오스 비엔티안의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를 방문하여 치과

대학 대상 강의를 시행하였다. 강의내용은 ‘근관치료 및 의치보

철치료에 대한 preclinical course설계에 대한 자문‘, ’근관치료 임상전단계 강의 및 실습‘으로 구성되었다.

* 2/25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대학원 석,박사 학위 수여식과 전공의 수료식이 진행되었다(사진7~8).

◆ 연세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7 - 대한치과보철학회 신년하례식에 참석하였다.* 1/10 - 대한턱관절교합학회 신년하례식에 참석하였다.* 1/10~15 - 심준성 교수가 치과의사 국가고시 문항 출제 회의에 참

석하였다.* 1/11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수 수양회에 참석하였다.* 1/15~17 - 김종은 교수가 연세대 종합관에서 열린 2020 의생명 데

이터 사이언스 워크샵에 참석하였다.

* 1/16~17 - 김지환 교수가 치과의사 전문의자격시험 2차 고시 출제에 참여하였다.

* 1/17 - 박지만 교수가 ㈜푸른기술이 주최한 로봇산업핵심기술개

발사업 킥오프 미팅에 참석하였다.* 1/20~23 - 이재훈 교수가 Santa Clara에서 열린 Precision

Medicine World Conference 2020 학회에 참석하였다.* 1/20~22 - 심준성 교수가 일본 도호쿠대학에 방문하였다.* 1/28 - 심준성 교수가 국가고시 이의제기 문항 심의 회의에 참석

하였다.* 2/4 - 심준성, 김선재, 김지환, 박지만 교수가 대한치과보철학회

이사회에 참석하였다.* 2/6 - 박지만 교수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혁신

의료기술 대상심의위원회에 참석하였다.* 2/15 - 의국 워크샵 및 신입전공의 오리엔테이션이 치과병원 7층

강당에서 있었다. * 3/1 - 박지만 부교수, 김종은 조교수, 오경철 임상조교수, 이예찬

강사가 신규임용 되었다.* 3/17 - 박지만 교수가 ISO 표준회의에 참석하였다.* 3/19~21 - 심준성 교수가 치과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준비 위원

회에 참석하였다.

◆ 원광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2/4~10 - 류지은 선생이 미국 LA에서 열리는 SCCS 학회에 참석

하였다(익산).* 2/11 - 원광대학교 제2치학관 손외수홀에서 열린 전공의 학술대

회 및 레지던트 수료식에 정승진 선생 및 의국원들이 참석하였다

(익산).* 2/20 - 임상전임의 공현준 선생이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대전).* 2/29 - 임상전임의 공현준 선생의 계약이 만료되었다(대전).* 3/2 - 공현준 선생이 신임 임상전임의로 임명되었다(익산).* 3/2 - 익산병원 김다인 선생, 대전병원 강소미, 김민선 선생이 신규

전공의로 충원되었다.* 4/8 - 김효성 선생이 류지은 선생에 이어 의국장으로 임명되었다

(익산).

◆ 이화의대 치과학교실 치과보철과

* 1/2,17 - 전문의1-2차 고시에 최낙현 선생이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1/17 - 이대목동병원 의학관 A동 212호에서 열린 3M 제품설명회

에 박은진, 조영은 교수 및 전공의들이 참석하였다.* 1/30~2/1 - Boston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에서 열린

Yankee Dental Congress 2020에 최낙현 선생이 참석하였다(사진

9).* 2/3~7 - 하버드 치과대학 보철과에 최낙현 선생이 파견되었다

* 2/15 - 경복궁 목동점에서 이대목동병원 치과보철과 워크샵이 진행되었다.

* 2/17 - 이대목동병원 의학관 B동 705호에서 열린 덴티움 설명회

사진7 서울대학교 보철학교실 석, 박사 학위 수여식

사진8 서울대학교 보철과 전공의 수료식

Page 11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및 핸즈온 세미나에 박은진 교수 및 전공의들이 참석하였다.* 2/20 - 이대목동병원 별관 2층 세미나실에서 열린 Grand Round

및 수료기념식에 박은진, 조영은 교수 및 전공의들과 치과진료부 직원들이 참석하였고 최낙현 선생이 수료하였다(사진10).

* 3/2 - 이대목동병원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대목동병원 신입 전공의 오리엔테이션 및 임용식에 박은진 교수 및 신입전공의 참석하였으며 김승한 선생이 보철과 1년차 전공의로 임명되었다.

◆ 전북대학교 치과보철학교실

* 1/21 - 올해를 마지막으로 수련을 마친 3년차(박진용, 전보슬, 채현석 선생)을 환송하기 위해 보철학교실 의국원 일동이 기념 단체

사진 촬영 후 전주 ‘터존뷔페’에서 3년차 환송식을 가졌다 (사진

11).* 1/22 - 설날을 맞이하여 보철학교실 의국원 일동 및 OB회(보우회)

가 전주 ‘신토불이’에서 오랜만에 모여 즐거운 신년회를 가졌다.* 2/2 - 전국 치과대학 재경동문학술대회가 세종대학교 컨벤션센

터에서 열렸다.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Denture”라는 주제로 이정진 교수가 연자로 강연하였다. 배민수 선생이 “Digital approach for fabrication of surveyed restoration to fit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라는 주제로 포스터상을 수상하였다.

* 2/5 - 1학기 workshop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9 사진10

사진11

Page 11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대한치과보철학회지 투고 규정

저자는 원고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반드시 다음과 같은 규정을 준수

해야 한다. 본 규정을 따르지 않을 시에는 심사과정 및 게재가 지연 또는 거부될 수 있다.

I. 학회지 출판 방침 및 절차

원고준비에 관한 지침서는 다음과 같다.

1. 저자 및 기여권

모든 저자들은 논문을 읽고 내용을 승인하며, 본 학회지에 투고한

다는 것에 동의한 후,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저자”를 출판물 내용의 모든 부분에 책임을 지는 데에 충분하게 참여

한 사람으로 정의한다.특히, 모든 저자들은 아래 4가지 조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여야 한다:1) 연구의 구상이나 설계에 실질적인 기여 또는 자료의 획득, 분석,

해석

2) 연구 결과에 대한 논문 작성 또는 중요한 학술적 부분에 대한 비평적 수정

3) 출판되기 전 최종본에 대한 승인

4) 연구의 정확성 또는 진실성에 관련된 문제를 적절히 조사하고 해결하는 것을 보증하고 연구의 모든 부분에 책임을 진다는 점에 동의

저자가 특정 단체일 경우 단체에 소속된 모든 저자들은 위와 같은 저자 자격을 만족해야 하며 원고의 수준과 정확성 및 윤리성에 대해서

도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저자 순서를 정할 시에도 모든 저자가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윤리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 국제의학학술지편집위원회)에서 마련

한 생의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 양식(the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전문은 웹사이트 http://www. icmje.org에

서 확인할 수 있다.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투고하기 위해서는 헬싱키 선언의 원칙과

인간 주체를 연구하는 생의학 관련 연구자들에 대한 권고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1964년 6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제 18회 세계의료협의회 및 1975년 10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 29회 세계의료

협의회, 1989년 10월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개최된 제 35회 세계의료

협의회 및 1989년 9월 홍콩에서 열린 제 41회 세계의료협의회에서 채택됨) 이러한 권고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저자는 연구 대상에 대한 적합한 사전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시험용 프로토콜은 반드시 인체 대상연구를 위해 구성된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검토 및 승인을 받아야 하고 저자들은 반드시 재료 및 방법란에 연구가 임상시

험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는지 혹은 임상시험심사위원회로부터 승인이 불필요하다는 성명을 받았는지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동물 실

험 결과를 보고할 경우에는, 실험실 동물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한 기관 및 국가별 지침을 따랐는지 여부를 명시해야 한다. 중복출판, 표절, 날조 또는 변조된 데이터, 저자 변경, 이해관계 문제, 연구윤리 문제, 저자의 자료나 아이디어 도용한 심사자 등 연구출판윤리 위반 사항

이 있으면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COPE) flowchart (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flowcharts)를 따른다.

3. 개인 정보 보호 및 사전동의

저자는 원고 제출시 환자의 이름, 이니셜, 주민등록번호 및 병원 전화번호를 포함한 모든 환자 및 연구 참가자 관련 세부사항들을 철저

히 보호해야 한다. 환자에 관한 세부사항 공개는 과학적 목적에 비추

어 보아 반드시 필요할 경우에만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환자 본인, 부모 또는 보호자의 서면 사전동의를 받은 후에만 포함할 수 있다.

4. 중복 및 분할출판

이미 다른 학술지 및 기타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원고는 대한치과보

철학회지에 투고 할 수 없으며 내용이 흡사하거나 유사한 가설, 샘플 특성, 방법론, 결과 및 결론으로 쓰여진 원고 또한 투고가 금지되어 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연구 과정에 대해 부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하나의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조각내어 각 원고에 사용해 다른 학회지나 같은 학회지에 출판하는 분할 출판을 금지한다. 제출과 관련된 어떠한 내용(간단한 초록을 제외)이라도 준비

과정 또는 특정 매체로 제출 또는 출판 되었다면, 저자는 관련된 모든 원고 및 기타 자료의 사본을 제출해야 될 뿐만 아니라 관련 자료와의 관계를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5. 이해 상충에 대한 공시

각 저자는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 Form을 작성함으로써 관련된 모든 잠재적 이익 충돌을 공시한다. 이익 충돌은 금전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에 의해 저자의 판단, 행동 또는 원고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저자는 실제로 저자가 처한 상황이 원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

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라도 이익 충돌을 공시해야 하며 대한치과

보철학회지에 원고 게재가 확정되면, 편집위원회에서는 저자가 공시

한 내용에 대한 부분공개 여부를 결정한다.

6. 저작권

저자가 저작권에 동의함으로써 대한치과보철학회는 게재된 원고를 학회지나 다른 매체에 출판, 매도, 인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되며 원고의 투고를 확인하는 e-mail과 함께 학회지 출판 계약 양식이 해당 교신 저자에게 발송되게 된다. 게재가 확정되면 저자는 학회지 출판 동의서에 (학회지의 출판 및 저작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저작권 양도 양식을 참조) 서명해야 하며, 게재가 확정된 원고의 저작권은 대한

치과보철학회에 귀속되게 되고, 게재 예정 원고는 편집을 위하여 간격 등을 편집위원회에서 새롭게 조정할 수 있다.

Page 11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7. 윤리 조사: 임상 시험 등록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임상시험에 관한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를 채택하였으며 이는 “사람(혹은 그룹)을 대상으로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중재 혹은 치료(약물, 수술 기구, 행동 치료, 식이 요법, 시술

법)를 시행하여 건강 관련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인 연구”를 의미한다. 저자는 임상시험등록 번호와 등록 장소를 초록의 마지막 문장에 기재해야 된다.

II. 원고 제출

모든 원고는 온라인 논문 투고 관리시스템(https://jkap.or.kr)을 이용하여 전자 투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치과보철학과 관련 있는 원저, 증례보고, 종설 모두 투고 가능하다.

원고의 게재 여부는 대한치과보철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 후 최종 결정하며, 편집위원회는 투고 원고의 학문적 의의, 논리성, 창의성, 독창성 및 윤리성 등을 심사하여 게재 여부 및 필요한 수정, 보완이나 삭제를 저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수정된 논문은 재심사하여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저자가 수정을 거부한 경우에는 게재를 하지 않는다. 편집위원회에서는 투고 원고 중에서 게재가 불가능한 것을 선별해 사유서와 함께 원고를 저자에게 반송한다.

원고는 한글로 작성한다. 한글로 표현하기 곤란한 것은 영문으로 기록하며, 번역어인 경우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첫 인용에는 영어를 병기할 수 있다. 온라인 논문 투고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자 투고된 원고

만 검토용으로 고려되며 제출시, 책임저자는 이름, 학위, 소속, 주소

(우편번호 포함), 전화 및 팩스번호, e-mail 주소를 반드시 표기한다.원본 파일 원고는 Microsoft Word로 작성하며 글씨체는 신명조체, 글

씨크기는 10 point, 줄 간격은 150으로 작성한다. 페이지 여백은 위 4 cm, 좌, 우, 그리고 아래 3 cm 부여한다. 또한 모든 페이지는 연속적으로 번호가 있어야 하며 제목 페이지로부터 ‘1 페이지’로 시작되어야 한다.

원고의 양은 원저인 경우에는 12 페이지, 증례 보고 등 기타 원고는 7 페이지 전후로 한다. 원고의 분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편집위

원회에서 이에 대한 수정을 저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원고의 구성은 본 학회지의 편집 방향에 따라서 편집위원회에서 이를 조정할 수 있다. 원고에 사용되는 표와 그림의 수는 총 10개 미만이어야 한다.

또한, 원고 제출시 저자 점검표와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

하도록 한다. 자료는 학회지 누리집(https://jkap.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고제출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대한치과보철학회 편집부에 e-mail ([email protected]) 문의한다.

1. 원저

원고의 작성 순서는 1) 표지, 2) 국문, 영문 초록 및 주요 단어,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고찰, 7) 결론, 8) 참고문헌 순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지

원고의 첫 장에는 원고의 제목, 저자 이름과 각 저자의 소속을 정확

하게 기록한다. 원고의 제목은 간결하고도 논리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원고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소속의 저자들은, 각 저자의 성과 해당 소속 이름 앞에 위 첨자로 아랍어 숫자를 추가해

서 표시하고 교신저자의 경우 이름 뒤에 참조부호(*)로 표기하여 첫 장 밑에 교신저자의 이름, 학위, 주소 (소속 기관, 도시, 도, 우편번호

및 국가) 전화 및 팩스 번호, e-mail 주소를 따로 기입한다. 저자는 가능한 총 5명 이내로 하며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논문인 경우에

는 첫 장의 초록 하단(각주)에 그 내용을 상세히 기록한다.

초록 및 주요 단어

초록은 국문 600자, 영문 250 단어 이내로 작성한다. 국문 초록은 영문 초록과 내용이 동일하여야 한다.

목적(Purpose),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 주요 단어(Keywords)를 굵게 표기하여 4 항목으로 나누어 작성하되 한 문단으로 연결하여 작성한다.

- 목적(Purpose): 본 연구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를 1 - 2 문장으로 간단명료하게 기술한다. 여기에 기록된 목적은 원고의 제목 그리고 서론에 개진되는 내용과 일치하여야 한다.

- 재료(대상)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첫 문단에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어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를 어떻게 분석하였는

지를 기술한다.- 결과(Results): 전 문단에 기술된 방법으로 관찰 및 분석한 결과가

어떠하였다는 내용을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번호로 항목을 나누지 않고 문장으로 연결해서 기술한다.

- 결론(Conclusion):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달된 결론을 1 - 2 문장으로 기술하며, 이는 첫 문단에 기술된 연구의 목적에 부합된 것이어야 한다.

초록 하단에 주요단어(Keywords)를 알파벳 순으로 기입한다. 이것

은 원고의 내용에 부합하는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http://www.nlm.nih.gov/mesh/meshhome.html)에 등재된 주요어로 3 - 6개 기입한다.

서론(Introduction)

연구의 의의와 배경, 가설 및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이를 위해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논문이 참고문헌으로 인용될 수 있으며 학계

에서 인정되고 있는 필수적인 논문으로 가급적 제한하여 인용한다.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실험방법의 설명은 간결해야 하지만 동시에 같은 결과를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피험자, 재료, 술식 및 과정을 기술하며, 독창적이거나 필수적인 것을 주로 기록한다. 피험자의 모집 시 대표성이 있는 집단을 선정하고, 나이, 성별, 인종 등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제공하며 피험자의 포함과 제외 기준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 성별의 정보에

서 생물학적 성(sex)과 사회적 성(gender)의 용어를 분리하여 사용하

고, 연구참여자 혹은 실험동물의 성별을 보고한다.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일 성별로 연구가 행해진 경우 적절한 근거를 기술해야 한다. 통상적인 술식 및 과정은 참고문헌을 제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 연구에 이용된 상품의 상품명을 인용할 경우에는 처음 인용

시에 상품의 이름, 제조 회사명, 도시, 국가 순으로 ( ) 안에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충분한 세부 내용과 함께 통계 방법을 기술하고 통계 용어, 약어 및 사용된 기호를 반드시 정의해야 한다.

결과(Results)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텍스트, 표, 삽화를 이용하여 명확한 결과

만을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표나 그림 내용의 과도한 반복은 피해야 하며 단위와 확대율 등 또한 정확하게 표기한다. 인간 대

Page 11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상 연구에서 나이와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결과

를 분리하여 보고한다. 결과를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경우 이유를 설명한다.

고찰(Discussion)

서론 또는 결과와 반복되지 않고 간결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결과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기술한다. 추측은 허용되지만 제시된 데이터

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 해석 시 성별이 미치는 영향 혹은 관련

성을 기술한다.

결론(Conclusion)

전체적인 결론을 간략하고 명확하게 정리하고 필요한 경우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다.

감사의 표시(Acknowledgement)

연구의 수행에 실질적인 공헌을 하였지만 저자에 포함되지 않은 대상에 대한 감사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단한 기술적인 도움이나 원고 작성에 도움을 제공했던 대상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할 수 있다. 다만 연구비 수혜 내용은 첫 장의 초록하단에 기록하되 자세

한 보조금과 기타 재정 지원, 지원 조직 및 일련 번호를 꼭 명시해야 한다.

참고문헌(References)

참고문헌은 50개를 초과할 수 없으며 영문으로만 표기한다. 증례보

고의 경우 20개를 초과할 수 없다. 기록 순서는 본문의 인용 순으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차례대로 작성한다. 기록 순서는 저자명(모두 표기), 제목, 잡지명(책명), 발행년도, 권, 페이지 순으로 기록한다. 잡지

명은 Cumulative Index Medicus와 Pubmed 의 요약 형태를 따른다.참고문헌 양식 예:1) 학술지

Sorenson JA, Engleman MJ, Torres TJ, Avera SP.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porcelain. Int J Prosthodont 1991;4:17-23.

2) 책 Hickey JC, Zarb GA, Bolender C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

ment for edentulous patients. 9th ed. St. Louis; CV Mosby; 1985. p. 312-23.

3) 책의 장 Meltzer PS, Kallioniemi A, Trent JM. Chromosome alterations in

human solid tumors. In: Vogelstein B, Kinzler KW, editors. The genetic basis of human cancer. New York; McGraw-Hill; 2002. p. 93-113.

4) 초록 또는 부록

Lofwall MR, Strain EC, Brooner RK, Kindbom KA, Bigelow GE. Characteristics of older methadone maintenance (MM) patients [abstract]. Drug Alcohol Depend 2002;66 Suppl 1:S105.

기록된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반드시 인용되어야 하며 학술지에 게재된 원저, 단행본, abstract, review article 등에 한하며, unpublished, in press, personal communication 등은 인용할 수 없다.

본문에서는 저자가 2명인 경우는 모두 명기하고 3명 이상인 경우에

는 1명만을 명기하고 나머지는 ‘~등’으로 표기한다.

본문 중에서 인용 문헌이 3개 이상 인용될 경우에는 처음 문헌 번호

와 마지막 문헌 번호를 “-”로서 표시한다. 또한 본문 중에 문헌 번호는 위 첨자로 표시한다.

예) 1, 2-7

2. 종설

종설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고찰로서 대개 편집장으로부터 위촉 요청된다. 저자는 사전에 내용의 적합성을 편집장에게 문의해야 하며 제목 페이지, 초록, 주요단어, 본문, 참고 문헌, 표 및 그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저자 제한은 3명 이하이며 자유 형식으로 작성한다.

3. 증례보고

증례보고의 형식은 초록, 주요단어, 서론, 증례보고, 고찰 그리고 참고문헌(20개 이하)로 하며 전체 분량이 7 페이지 이내로 작성한다. 이때 초록은 항목 구분 없이 국문 400자, 영문 150 단어 이내로 하며 고찰은 증례가 강조하고 있는 특정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장황한 문헌 고찰은 피하도록 한다.

4. 표와 그림

표는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가 있어야 하며 간결하게 표를 설명하는 제목을 절 혹은 구의 형태로 기술하여야 한다. 표는 그 자체로서 이해될 수 있어야 하고, 단순히 내용을 반복하지는 않아야 한다. 또한 문장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하고 마침표는 붙이지 않는다. 표 내부의 가로 및 세로 선을 생략하고 약어를 사용할 때에는 하단에 알파벳 순으로 풀어서 설명한다. 기호를 사용할 때에는 알파벳 소문자 순, 위 첨자로 하며 이를 하단 각주에 설명한다. 기호는 다음의 순서대

로 사용되어야 한다. *, †, ‡, §, ‖, ¶, **, ††, ‡‡, 등. 적절한 통계 분석

을 통해서 결과의 유의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미 출간된 논문의 표가 사용되었다면 출처를 꼭 표시해야 한다.

그림은 영문과 아라비아 숫자 (Fig. 1, 2와 같이)로 본문에서 인용되

는 순서대로 기록하며 그림의 설명을 문장 형태로 기술한다. 동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대문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Fig. 1A, B, C.사진은 고해상도(7.4 × 10 cm, 3 × 4 inch, 300 dpi 이상)로 스캔해서

그림 하나씩 첨부 파일로 올린다.현미경 사진의 경우에는 배율, 염색 방법 등을 반드시 기록한다. 방

사선 사진의 경우 환자를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나 인적 사항이 표기

된 부분은 모자이크 처리하도록 한다. 그림을 인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를 표기하도록 한다. 그림 설명은 본문의 내용을 읽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작성하고 반드시 영문으로 작성한다.

그림에 있는 글자, 숫자, 화살표, 상징은 명확해야 하며, 축소되어 출판되었을 경우에도 잘 보이도록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그림에 상징

이나 화살표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설명하여야 한다. 그림의 축척을 알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기술한다.

학회지 발행 시 그림은 보통 흑백으로 인쇄하고, 저자의 요청으로 칼라 인쇄할 경우 발생되는 추가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5. 약어

약어 사용은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약어는 제목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초록에는 약어를 포함할 수 있지만 각각의 약어가 처음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어 정의가 꼭 필요하다.

Page 11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6. 측정 단위

길이, 높이, 무게 및 부피의 측정은 미터법을 원칙으로 하며 온도는 섭씨(°C)로 표시한다.

7. 재검토/원고 편집

투고된 모든 원고는 게재 적합성에 대하여 3인의 해당분야 전문가

에게 심사를 의뢰하고, 심사 후 심사의견을 참조하여 편집위원회는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게재, 수정 후 재심사, 게재 불가를 결정하여 저자

에게 통보한다.수정 원고를 받은 저자는 심사 의견을 참고하여 수정을 마친 후 수

정본을 온라인으로 회신한다. 회신할 때 수정된 논문 파일과 심사위원

이 지적한 사항을 어떻게 수정하였는가를 함께 기술하여 회신한다.본 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 후 결정하며, 편집위원회는 투고예정

원고의 학문적 의의, 논리성, 창의성, 독창성 및 윤리성 등을 심사하여 게재 여부 및 필요한 수정, 보완이나 삭제를 저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수정된 논문은 재심사하여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저자가 수정을 거부

한 경우에는 게재하지 않는다. 편집위원회에서는 투고 원고 중에서 게재가 불가능한 것은 그 이유서와 함께 원고를 저자에게 반송한다. 게재 예정 원고는 편집을 위하여 간격 등을 편집위원회에서 새롭게 조정

할 수 있다.

8. 게재료

원고 편집 및 인쇄 등에 필요한 비용은 학회에서 부담한다. 단, 칼라 인쇄, 별책 제작 등 저자의 추가 요청으로 발생한 비용은 저자가 부담

하여야 한다.

III. 편집 방침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원고 제출시 나열된 모든 저자는 대한치과

보철학회지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한다.타지에 이미 게재되었거나 게재가 고려된 동일 내용의 원고는 출판

을 불허하며 심사위원의 신원은 어떤 상황에서도 공개될 수 없다.저자를 추가하거나 저자 수정이 필요할 경우 모든 관련 저자들이 인

지하고 동의해야 하며 상응하는 모든 책임은 해당 저자에게 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는 이러한 수정과 관련된 책임이 없다. 게재가 확정

된 원고의 저작권은 대한치과보철학회에 영구적으로 귀속되고, 승인 없이 다른 곳에서 출판될 수 없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대한치과보철학회 편집부로 문의하거나, 학회

지 누리집(https://jkap.or.kr)을 참고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 편집부

06130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705호

Tel. 02 569 1604, Fax.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Page 120: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Author Form □ 원저 □ 증례보고 □ 종설 □ 기타

원고제목:

저자는 다음의 진술을 읽고 서명해야 합니다. 1. 저작권 책임 2. 이해 충돌의 공개(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 3. 저작권 양도 계약 4. 연구비 수혜 여부 5. 감사의 표시

1. 저작권 책임

1) 저작물과 관련된 원고는 타지에서 출판되거나 출판 고려되지 않은 원고로서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게재 최종 결정전까지 다른 곳에 출판을 요청하지 않겠습니다.(웹 사이트에 제출된 자료는 사전 출판으로 간주 될 수 있으니 cover letter에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

2) 저작물과 관련된 원고는 위조, 날조, 표절된 것이 없는 독창적인 창작물 입니다.3) 나(저자)는 연구에 상당한 과학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에 서술되어 있는 주요 자료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4) 나(저자)는 원고 전체를 읽어 보았으며 내용과 최종적으로 제출된 원고에 책임을 집니다. 만약 원고 내용 일부 또는 전체의 거짓이 밝혀진다

면 다른 저자와 함께 책임을 지겠습니다.5) 저작물과 관련된 원고의 다른 저작권이나 도덕적인 권리 또는 제 삼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습니다. 모든 그림, 사진 영상 등은 저작권 소유

주의 동의 하에 사용되었습니다.6) 나(저자)는 본 계약의 위반 시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모든 청구 및 비용(법률 비용 및 경비 포함)을 배상하겠습니다.

2. 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아래의 해당 확인란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본 원고와 관련하여 재정적인 이해관계는 없습니다.□ 특정단체 및 재정적인 이해관계에 있는 대상에 관한 모든 요소들(취업관련, 자문회사, 사례비, 주식 소유권이나 주식옵션, 전문가의 증언, 보

조금 또는 특허보유와 출원 로열티 등)은 본 원고를 통해 공개하였습니다.

3. 저작권 양도 계약

나(저자)는 대한치과보철학회에 위와 같은 원고의 출판을 위해 제출된 모든 자료(본문, 표, 그림, 저자 연락처, 관련 자료) 의 저작권을 양도합니다.(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 서명하는 저자 한 명이 모든 참여 저자들을 대표해 대리인의 역할로서 서명 한다는 것을 모든 참여 저자가 동의한 경우 서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원고를 제출한 후에 저자에 변동(저자의 순서, 삭제, 추가) 가 있을 경우, 대한치과보철학회에 반드시 모든 저자들의 서명이 들어있는 문서화 된 동의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저자의 삭제는 본인의 요청시 삭제될 수 있습니다. )

4. 연구비 수혜 여부

아래의 해당 확인란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이 원고는 일부 또는 전체에서 연구비 지원을 받지 않았습니다. □ 이 원고는 일부 또는 전체에서 연구비 지원을 받았습니다.연구비 지원을 받은 경우 해당기관과 내용에 대해서 제시하시오. ( )

5. 감사의 표시

나(저자)는 감사의 표시란에 기록된 모든 대상의 허가를 받았습니다.- 공저자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본 원고에 공헌한 모든 대상(예: 데이터 수집, 분석, 작성 또는 편집 지원)들은 감사의 표시란에 기여 내용과

함께 기록되었음을 보증합니다.- 감사의 표시란에 있는 모든 대상들은 사전 서면 동의를 받았음을 보증합니다.

20 . . 제1저자 (이름) (서명)

제2저자 (이름) (서명)

제3저자 (이름) (서명)

제4저자 (이름) (서명)

제5저자 (이름) (서명)

제6저자 (이름) (서명)

Page 121: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

전반적 사항

□ 표지, 초록,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의 순서로 배열되어야 합니다..□ 원저는 12쪽, 증례보고는 7쪽 이내이어야 합니다.□ 원고 수정 및 기타 진행사항에 필요한 연락처(전화, 이메일)를 기입하여야 합니다.□ 저자 선언문을 작성하여야 합니다.

표지

□ 원고의 성격(원저, 임상원저, 증례보고, 종설 등)을 표지의 우상단에 표기하여야 합니다.□ 제목은 영어 15단어 이내이어야 합니다.□ 제목, 저자명, 소속이 기입되어야 합니다.□ 교신저자의 연락처(우편번호, 주소, 전화 및 팩스 번호, 이메일)를 기재하여야 합니다.□ 연구비 수혜사항이 있다면 표기해야 합니다.

초록

□ 초록은 국문과 영문이 모두 동일하여야 합니다.□ 초록은 원저일 경우, 국문 600자 이내, 영문 250단어 이내, 증례보고일 경우, 국문 400자 이내, 영문 150단어 이내어야 합니다.□ 각 항목별(목적, 재료 및 방법, 결과, 결론)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주요어는 6단어 이내로 미국 국립의학도서관 제작의 MeSH 용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http://www.ncbi.nlm.nih.gov/mesh 에서 단어를 입력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

□ 상품명을 처음 인용 시에 상품명, 제조회사명, 도시명, 국가 순으로 기입하여야 합니다.□ 피험자의 선정과 연구결과 기술 시 성별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고려하여 보고해야 합니다. □ 모든 표나 그림(사진, 그래프)은 본문에 언급되어야 합니다.□ 그림은 해상도가 높은 (7.4 × 10 cm, 3 × 4 inch, 300 dpi 이상) 파일로 제출하셔야 합니다.□ 조직이나 현미경 사진의 경우 배율, 염색 방법 등을 기록하여야 합니다.□ 한 번호의 그림 설명 내에 2개 이상의 그림이 있는 경우 (A), (B) 등으로 나누어 설명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 순서대로 인용이 되어야 합니다.□ 참고문헌의 수는 원저는 50개, 증례보고는 20개 미만이어야 합니다.□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기재되어야 하며 투고 규정에 맞는 형식이어야 합니다.

Page 122: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Guide for Authors)

Authors must adhere to the following guidelines, which are provided to ensure the expeditious processing of manuscripts. Failure to follow these guidelines can result in delays in the review process and publication, or possibly rejection.

I. Journal Publication Policies and Procedures

A. Authorship and Contributorship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defines an “author” as a person whose participation in the work is sufficient for taking public responsibility for all portions of the content. Specifically, all authors should have mad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all of the following: (1) conception and design of the study, acquisition of the data, 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and (2) drafting of the article or critical revision of the article for important intellectual content; and (3) final approval of the version to be published; and 4) agreement to be accountable for all aspects of the work in ensuring that questions related to the accuracy or integrity of any part of the work are appropriately investigated and resolved. Authors should meet conditions of 1, 2, 3, and 4.When authorship is attributed to a group, all authors must meet the listed criteria and must be responsible for the quality, accuracy, and ethics of the work. All authors must participate in determining the order of authorship.

B. Ethics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has agreed to follow the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the “Uniform Requirements”)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 the full text of which is available at http://www. icmje.org. Each author is responsible for fully understanding all requirements listed below.For submission t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studies on human beings must comply with the principles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its recommendations guiding physicians in bio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dopted by the 18th World Medical Assembly, Helsinki, Finland, June 1964 and amended by the 29th World Medical Assembly, Tokyo, Japan, October 1975; the 35th World Medical Assembly, Venice, Italy, October 1983; and the 41st World Medical Assembly, Hong Kong, September 1989). To satisfy this requirement, authors must obtain appropriate informed consent from the study subjects. Investigational protocols must have been reviewed and approved by a formally constituted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human studies. Authors must state in the Methods section that they have received IRB approval for their study or have received a statement from the IRB that IRB approval was unnecessary. In the submission of selected series such as case reports that have no Methods section, authors must address IRB approval in the cover letter t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When

reporting experiments in animals, authors should indicate whether institutional and national guides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were followed. When the Journal faces suspected cases of research and publication misconduct such as duplicate publication, plagiarism, fraudulent or fabricated data, changes in authorship, undisclosed conflict of interest, ethical problem with a submitted manuscript, a reviewer who has appropriated an author’s idea or data, complaints against editors, and etc., the resolving process will follow the flowchart provided by the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flowcharts).

C. Privacy and Informed ConsentAuthors must omit from their manuscripts any identifying details regarding patients and study participants, including patient names, initials, social security numbers, and hospital numbers. Patient details may be included only if they are essential for scientific purposes and the authors obtain written informed consent for publication from the patient, parent, or guardian.

D. Duplicate and “Salami” PublicationSubmissions will be considered for publication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only if they are submitted solely t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nd do not overlap substantially with a published article. Any manuscript that has similar or near similar hypothesis, sample characteristics, methodology, results, and conclusions to a published article is a duplicate article and is prohibite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lso prohibits so-called “salami” publishing that involves slicing of data collected from a single research process or during a single study period, into different pieces, that form the basis of individual manuscripts published in different journals or the same journal. If any material related to the submission (other than a brief abstract or meeting abstract) has been published in any medium, is in preparation, or has been submitted or accepted for publication elsewhere, authors must provide copies of all such manuscripts and other materials, as well as outline the relationship of all materials to one another to avoid any possibility of duplicate publication.

E. Author Disclosure of Conflict of InterestEach author must disclose all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by complet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 Form. A conflict of interest (COI) is a financial relationship or other set of circumstances that may affect or may reasonably be thought by others to affect an author’s judgment, conduct, or manuscript. A COI exists based on the author’s circumstances; the author’s behavior, subjective beliefs, and outcomes are irrelevant. In other words, the author must disclose a COI even when the circumstances have not actually influenced the author’s actions or manuscript, and even whe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ircumstances cannot or will not affect the actions or manuscript. When

Page 123: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a manuscript is accepted for publi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will determine the part(s) of an author’s disclosure that will be published with the manuscript.

F. CopyrightAcceptance of a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will ensure the widest possible dissemination of an article. An e-mail (or letter) confirming receipt of the manuscript will be sent to the corresponding author, along with a Journal Publishing Agreement form. Upon acceptance of their article, the authors will be asked to sign the Journal Publishing Agreement (for more information on publishing and copyrights, see the Transfer of Copyright form).Papers are accepted on the understanding that no substantial part has been or will be published elsewhere, in whole or part, and that after papers have been accepted, they remain the copyright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If papers closely related to the submitted manuscript have been published or submitted for publication elsewhere, the author must state this in the cover letter.

G. Ethics of Investigation: Registration of Clinical Trials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requires investigators to register their clinical trials (other than phase 1 or small device feasibility trials) in a public trials registr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has adopted the WHO’s definition of a clinical trial: “any research study that prospectively assigns human participants or groups of humans to one or more health-related interventions to evaluate the effects on health outcom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reserves the right to decline consideration or publication of papers if, in its discretion, it deems the disclosure to the registry to be incomplete or inadequate. The clinical trial registration number and place of registry should appear as the last sentence of the Abstract.

II. Manuscript Submission

All manuscripts must be submitted at th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e-submission website (https://jkap.or.kr). All materials must be written in Korean or English. Only manuscripts submitted through the web site will be considered for review.At the time of submission, complete contact information (mailing address, telephone number, fax number and e-mail address) for the corresponding author is required. First and last names, abbreviated-highest academic degrees, e-mail addresses, and institutional affiliations of all co-authors are also required. The following items are required at the time of submission: a cover letter, title page, main text, image file. Manuscripts should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Writing and Editing for Biomedical Publication” (http://www.icmje.org/) updated October 2008. Microsoft Word file format (.docx) with standard A4 paper size must be used. The entire manuscript should be in a standard font such as Times New Roman, size 10. Each manuscript component should be attached as a separate submission item, be double spaced and have 4 cm margin for the top and 3 cm for right, left and bottom margins. All pages should be numbered consecutively, starting with the title page as page 1. The last name of the

first author and the page number should appear in the lower center of each pag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the journal editorial office directly: e-mail: [email protected]

A. Original Article< Text >The text must contain the following sections: (1) Title page, (2) Abstracts, Keywords (3) Introduction, (4) Materials and Methods, (5) Results, (6) Discussion, (7) Conclusion, (8) References. The total text should not exceed 5,000 words (excluding the Abstract, References, and Figure/Table Legends).

< Title page >This should contain the title of the article and each author’s full names, academic degrees, affiliations of all authors, and locations. The title should be concise, specific and descriptive, and identif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manuscript.This should comprise fewer than 100 characters, and should appear in bold font with the initial letter of the first word capitalized.A running title of fewer than 50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For authors with different affiliations, place an Arabic number as a superscript after each author’s last name and before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affiliation. Place an asterisk (*) after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author and provide this author’s name, degree, address (institutional affiliation, city, state/province, zip code, and country), telephone and fax numbers, and e-mail address at the bottom of the title page. Information concerning sources of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laced as a footnote.

< Abstract >The abstract should be concise, the Korean abstract should contain less than 600 words and the English abstract should contain less than 250 words. And should be organized in a structured format: (1) Purpose,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4) Conclusion. Abbreviations should be kept to an absolute minimum. No abstract is required for editorials or correspondence.(1) Purpose: Write the purpose you want to achieve throughout this study in

one or two sentences. The purpose written here must correspond to the title and introduction of the article.

(2) Materials and methods: Write in detail what you did and how you did in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written in the first paragraph. Write what kind of data was collected and how they were analyzed.

(3) Results: Write the result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perform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revious section in a logical way while suggesting specific data at the same time. Do not divide the heads by number but write in sentences.

(4) Conclusion: Writ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ne or two sentences, which should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ritten in the first paragraph.

< Keywords >List three to six keywords from the list provided by Index Medicus or the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http://www.nlm.nih.gov/mesh/MBrowser.html). Keywords shall be written in alphabetical order.

Page 124: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 Introduction >This should state the specific purpose, research objective, or hypothesis of the study and should provide a context or background for the study. Paper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under study may be mentioned.

<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lanation of the experimental methods should be concise but sufficient to allow other workers to reproduce the results.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populations should be clearly described, includ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and race. The sex and/or gender of study participants or the sex of animals should be reported and the correct use of sex (biological factors) and gender (identity, psychosocial, or cultural factors) should be ensured. If only one sex is used in the study, authors should justify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exclusive population, except in obvious cases. A product trade name must be accompanied by a generic term, and followed by the manufacturer, city, and state/country in parentheses. Provide references and brief descriptions for previously published methods. Describe statistical methods with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 reader with access to the original data to verify the reported results. Define statistical terms, abbreviations, and most symbols.

< Results >The results should be presented logically, using text, tables, and illustrations. Excessive repetition of table or figure content should be avoided. In the study including human participants, the results should be repor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gender. If the results cannot be separated by demographic variables, the reason should be explained.

< Discussion >The data should be interpreted concisely, without repeating data already presented in the results section. Speculation is permitted but must be supported by the presented data and be well founded. In the analysis of results, the influence or relevance of gender should be discussed.

< Conclusion >This should be concise and clear.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y can also be suggested if necessary.

< Acknowledgments >All persons who have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but are not eligible as authors are named in the acknowledgments. Examples of those who may be acknowledged include persons who provided purely technical help or writing assistance, or a department chair who provided only general support. Authors should disclose whether they had any writing assistance and identify the entity that paid for this assistance. All sources of funding should be declared in the acknowledgements. Authors should declare the role of study sponsors, if any, in the study design; the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e writing of the manuscript; and the decision to submit the manuscript for publication. If the study sponsors had no such involvement, the authors should state this. Authors must also declare any interests. Specify grant or other financial support, citing the name of the

supporting organization and grant number.

< References >References should not exceed 50. In case of case report, references should not exceed 20.All references must be cited in the text, numbered in order of appearance. The reference list should appear at the end of the article in numeric sequence as they are cited in the text. Do not include unpublished data or personal communications in the reference list. Authors are responsible for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their references and the correct text citations. List all author names. Abbreviate journal names according to the examples used in Index Medicus and PubMed.References should follow the styles shown below, according to the sequence: authors, title of paper, journal name, year published, volume, inclusive page numbers. For citations from sources not listed below, refer to the NLM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2007), 2nd e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Bethesda, MD, USA, (http://www.nlm.nih.gov/citingmedicine). Papers in press may be listed among the references with the journal name and tentative year of publication. Unpublished data or personal communications can be listed only with the author’s written permission. Examples of reference format:1) Journal Sorenson JA, Engleman MJ, Torres TJ, Avera SP.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porcelain. Int J Prosthodont 1991;4:17-23.2) Book Hickey JC, Zarb GA, Bolender CL.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9th ed. St. Louis; CV Mosby; 1985. p. 312-23.3) Chapter in a book Meltzer PS, Kallioniemi A, Trent JM. Chromosome alterations in

human solid tumors. In: Vogelstein B, Kinzler KW, editors. The genetic basis of human cancer. New York; McGraw-Hill; 2002. p. 93-113.

4) Abstract or supplement Lofwall MR, Strain EC, Brooner RK, Kindbom KA, Bigelow GE.

Characteristics of older methadone maintenance (MM) patients [abstract]. Drug Alcohol Depend 2002;66 Suppl 1:S105.

B. Review ArticleReview articles are usually solicited by the Editor-in-Chief. Authors should contact the Editor-in-Chief in advanc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any proposed review. A review article should include a Title page (with a running head), an Abstract, Keywords, Text, References, Tables, and Figures. A review article is limited to 5,000 - 8,000 words, with a maximum of 100 references. It should have no more than three authors and should be written in free style.

C. Case ReportA Case Report should comprise an Abstract, Keywords, Introduction, Case Report, Discussion, and References (not more than 20). A Case Report should have fewer than nine authors, should not exceed 1,000 words (excluding Abstract, References, and Figure/Table Legends), and should have no more than three tables or figures. The abstract should be concise. The Korean abstract should contain less than 400 words and the English

Page 125: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abstract should contain less than 150 words. A fully structured abstract is not necessary for a Case Report.

D. Tables and FiguresTables should be numbered according to their order of mention in the text. Each table should fit within a single page.Tables should have a title that is concise and describes the table’s contents. The table should be self-explanatory and supplement, not duplicate the text. Omit internal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The table legend may include any pertinent notes and must include definitions of all abbreviations and acronyms used in the Table. The table should list all abbreviations in the table in footnotes at the end.For footnotes, the following symbols should be used in this order:*, †, ‡, §,‖, ¶, **, ††, ‡‡, etc. The significance of observations must be indicated by appropriate statistical analyses. If the table or any data therein have been published, a footnote to the table must give full credit to the original source.Figures are to be cited consecutively, using Arabic numerals (Fig. 1, Fig. 2, etc.). Recommended fonts within figures are Times New Roman. All figures must be scanned in high resolution image (7.4 × 10 cm, 3 × 4 inch, 300 dpi or higher) and saved as an electronic file. Any part of photographs which can reveal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blurred.The files should be numbered and cited in the text in order of appearance.Original artwork must be provided with original submission.■ Color - May be submitted in situations where their use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value of the manuscript. A maximum of two pages of color, each page containing a maximum 8 photographs and each photograph will be reproduced free of cost to the authors for all articles appearing in other than the clinical reports. Clinical reports are limited to one page of color (8 photographs).

■ Drawings - Figures, charts, and graphs should be professionally drawn and lettered large enough to read after reduction

■ Legends for Tables and Illustrations Legends should be double-spaced and should begin on a separate page,

with Arabic numerals corresponding to the Tables or Illustrations. When symbols, arrows, numbers, or letters are used to identify parts of a Table or Illustration, they should be individually identified and clearly explained in the legend.

E. AbbreviationsAuthors should limit the use of abbreviations to an absolute minimum.Abbreviations are not to be used in titles. Abstracts may contain abbreviations for terms mentioned many times in the Abstract, but each abbreviation must be defined the first time it is used.

F. Units of MeasurementMeasurements of length, height, weight, and volume should be reported in metric units (meter, kilogram, or liter, or their decimal multiples). Temperature should be in degrees Celsius.

G. Review/Editing of ManuscriptsManuscripts will be reviewed by the editor-in-chief and at least three

reviewers or consultants with expertise within the scope of the article. The publisher reserves the right to edit accepted manuscripts to fit the space available and to ensure conciseness, clarity, and stylistic consistency, subject to the author’s final approval.On upon receiving revised manuscripts, the author must refer to the comments made by reviewer and revised manuscripts should be submitted online with the comments regarding how you revised the parts pointed out by reviewer.

H. Publication FeeAll expenses for editing and printing of the manuscript are supported b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However, for color publication, the additional expense must be paid by the author and supplements are produced only at the request of the author and supplied with actual expenses.

III. Editorial Policy

The Editor assumes that on submission of a manuscript, all listed authors have agreed with the follow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policies: Except for negotiated secondary publication, a manuscript submitted t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must not have been previously published and must not be under consideration for publication elsewhere. Under no circumstance will the identities of referees be revealed. If a new author should be added or an author should be deleted after submission,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corresponding author to ensure that all concerned authors are aware of and agree with the change in authorshi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has no responsibility for such changes. All published manuscripts become the permanent property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nd may not be published elsewhere without written permission.For submission instructions, subscription and all other information visit journal’s website. For enquires relating to the submission of articles,please contac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Editorial Office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705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22 Teheranno 7 gil, Gangnam-gu, Seoul 06130, Rep. of KoreaTel. +82 (0)2 569 1604, Fax. +82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website: https://jkap.or.kr

Page 126: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Author Form

□ Original Article □ Case Report □ Review Article □ Brief Communication □ Letter to the Editor

• Manuscript number • Manuscript title

Each author must read and sign the statements on 1. Authorship Responsibility, 2. 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 and 3.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author must sign statement on 4. NIH Funding and 5. Acknowledgment Statement. If necessary, photocopy this document to distribute to coauthors. This form is available at http://journal.kap.

1. Authorship Responsibility

The authors attest that:

1) The manuscript has not been previously published and is not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for publication elsewhere, nor will the research reported be submitted for publication elsewhere until a final decision has been made as to its acceptability b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N.B. Posting of submitted material on a website may be considered prior publication and should be noted in your cover letter).

2) The manuscript represents truthful and original work without fabrication, fraud, or plagiarism.3) All authors have made an important scientific contribution to the study and are thoroughly familiar with the primary data.4) All authors have read the complete manuscript, take responsibility for the content and completeness of the manuscript, and

understand that they share responsibility if the paper, or part of the paper, were found to be faulty or fraudulent.5) Permission has been obtained from the copyright holder to reproduce in the work (in all media, including print and electronic

form) material not owned by the authors, and the source has been acknowledged.6) This manuscript contains no violation of any existing copyright or other third-party right or any material of an obscene,

indecent, libelous, or otherwise unlawful nature, and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work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others.

7) Any formula or dosage given is accurate and will not, if properly followed, injure any person.8) All authors will indemnify and keep indemnified the Editors/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gainst all claims and

expenses (including legal costs and expenses) arising from any breach of this warranty and the other warranties on their behalf in this agreement.

2. Conflict of Interest Disclosure

Please check the appropriate box(es) below:

□ I have no relevant financial interests in this manuscript.□ I certify that all my affiliations with or financial involvement (e.g., employment, consultancies, honoraria, stock ownership or

options, expert testimony, grants or patents received or pending, royalties) with any organization or entity with a financial interest in or financial conflict with the subject matter or materials discussed in the manuscript are disclosed in the manuscript or disclosed here:

3. Copyright Transfer Agre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acceptance of the above work for publication, the undersigned assign(s) and transfer(s) to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ll rights, title, and interest in and to the copyright in the above-titled work. This includes all material submitted for publication, with the exception of letters, and includes the text, figures, tables, author contact details, and all supplementary material accompanying the work.

Page 127: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In the case of an article having more than one author, the signature of one of the authors is sufficient, provided that the signing author understands that he or she is signing on behalf of all of the authors and that all the other authors understand that the signing author is acting as their proxy in signing the manuscript submission form.If there are any changes in authorship (e.g., order, deletion, addition) after the manuscript has been submitted,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must be notified in writing that all authors are in agreement with said changes. An author’s name may be removed only at his/her own request.

4.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Funding

Please check the appropriate box(es) below:

□ This manuscript was not supported in part, or in whole, by the NIH.□ This manuscript was supported in part, or in whole, by the NIH.

5. Acknowledgment Statement

Authors should obtain written permission from all individuals named in an Acknowledgment.

• I certify that all persons who do not meet authorship criteria but have contributed to the work reported in the manuscript (e.g., data collection, analysis, writing or editing assistance) are named with their specific contribution in an Acknowledgment in the manuscript.

• I certify that all persons named in the Acknowledgment have provided me with written permission to be named.

20 . .

1st author Print name (Signature)

2nd author Print name (Signature)

3rd author Print name (Signature)

4th author Print name (Signature)

5th author Print name (Signature)

6th author Print name (Signature)

Page 128: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58권 2호, 2020년 4월

Author's Checklist

General□ Please arrange manuscript in the order of the title page,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and references. □ The original article and case report must be limited to 12 pages and 7 pages, respectively. □ Please write the contact details (phone, email address) required for revision.□ Please complete author form.

Cover page□ Please indicate the type of the article (Original article, Review article, Case report, etc.) on the right top of the cover.□ The title should be less than 15 words.□ Please make sure to write the title, author’s name, and organization.□ Please write the contact details (post code, address, phone, fax and email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author. □ Please indicate if this manuscript was funded in part or in whole.

Abstract □ The abstract should be less than 250 words. □ Please write accordingly in an appropriate section (Purpose,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Conclusion).□ Keywords must be six words or less. MeSH terms made by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hould be used.□ Please check the keywords at http://www.ncbi.nlm.nih.gov/mesh.

Text□ For the first reference of a used product, please write in the order of the product name, manufacturer, city (state), and country.□ In the description of participant selection and study results, relevant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should be

considered.□ Tables or figures (photograph, graph) must be cited in the text. □ All figures should be in higher resolution (7.4 × 10 cm, 3 × 4 inch, 300 dpi or higher).□ For histologic figures, please indicate the magnification and dying method.□ In case of description containing more than 2 figures, please describe by dividing into (A), (B), etc.

References □ References must be quoted in the text and numbered in order. □ References should NOT exceed 50 (In case of case report, references should not exceed 20). □ Please revise the references as indicated by the submission guidelines.□ All references must be written in English and all authors must be written.

Article Title:

Page 129: Prosthodontics · 2020-05-19 · Ji-Hyun Kim, Chang-Mo Jeong, Mi-Jung Yun, Jung-Bo Huh, Hyeon-Jong Lee, So-Hyoun Lee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0년 4월58권 2호

pISSN 0301-2875eISSN 2005-3789

2020년 4월 27일 인쇄2020년 4월 30일 발행

발행인 : 권 긍 록

발행처 : 대한치과보철학회

06130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705호

Tel. 02 569 1604, Fax.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https://jkap.or.k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April 2020Volume 58, Number 2

pISSN 0301-2875eISSN 2005-3789

Publisher: Kung-Rock Kwon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705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22 Teheranno 7 gil, Gangnam-gu, Seoul 06130,Republic of KoreaTel. +82 (0)2 569 1604, Fax. +82 (0)2 569 1605E-mail: [email protected]: https://jkap.or.kr

편집 : 의치학사

07225 서울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8길 5서울시의사회관 2층

Tel. 02 2635 3948, Fax. 02 2631 3929Website: http://dentistrymag.co.kr

<비매품>

역대 회장 명단 장완식, 이선형, 김영수, 양재호, 최대균, 조인호, 정문규, 신상완, 이재봉,

임순호, 한동후, 허성주, 한중석

회장 권긍록 (경희대)

차기회장 심준성 (연세대)

부회장 곽재영 (서울대), 김성균 (서울대)

총무이사 김선재 (연세대)

학술이사 이규복 (경북대)

재무이사 백상현 (에스플란트치과병원)

공보이사 김종엽 (보스톤스마일치과의원)

섭외이사 김우식 (에비뉴치과의원), 허중보 (부산대)

국제이사 박은진 (이대목동병원)

연구이사 김지환 (연세대)

편집(영문)이사 신수연 (단국대)

편집(국문)이사 박지만 (연세대)

법제이사 임현필 (전남대)

보험이사 노관태 (경희대)

정보통신이사 안수진 (강동경희대병원)

수련이사 이진한 (원광대)

고시이사 윤형인 (서울대)

감사 조혜원 (원광대), 안승근 (전북대)

평이사

권호범 (서울대) 김명주 (서울대)

김유리 (원광대) 김정호 (서초부부치과의원)

김형섭 (경희대) 김희중 (조선대)

류재준 (고대안암병원) 맹명호 (가온치과병원)

문영환 (베스트치과의원) 박영범 (연세대)

박원희 (한양대구리병원) 박주미 (전북대)

박찬진 (강릉원주대) 박현식 (하임치과의원)

백장현 (경희대) 서재민 (전북대)

손미경 (조선대) 여인성 (서울대)

오남식 (인하대병원) 오상천 (원광대)

유동기 (유동기치과의원) 윤준호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윤홍철 (강남베스트덴치과의원) 이경제 (조선대)

이동환 (삼성서울병원) 이두형 (경북대)

이석원 (강동경희대병원) 이양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용상 (서울보훈병원) 이원섭 (서울성모병원)

이재훈 (연세대) 이정열 (고대구로병원)

이준석 (단국대) 이철영 (연세치과의원)

임영준 (서울대) 장재승 (강남세브란스병원)

조리라 (강릉원주대) 조영은 (이대목동병원)

조진현 (경북대) 차현석 (서울아산병원)

하승룡 (단국대) 한 영 (청아치과병원)

[전문의위원회]

위원장 수련 교육 소위원회 위원장 곽재영 (서울대)

심준성 (연세대) 고시소위원회(고시문항관리위원회 TFT 겸임) 위원장 김성균 (서울대)

회원관리소위원회 위원장 김형섭 (경희대)

편집장 배아란 (경희대)

대의원 의장 박상원 (전남대)

대의원 부의장 이청희 (경북대)

지부회장

부산 : 신규학 대구 : 김소진 대전·충청 : 김성훈 광주·전남 : 조신석

경남·울산 : 김재휘 전북 : 김문영 강원 : 지정호 경북 : 김경탁

31대 임원진(2020-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