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98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10 제 16권 제1호 2010년 Volume16, Number 1, 2010

Upload: others

Post on 19-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10

제 16권 제1호 2010년 Volume16, Number 1, 2010

Page 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QA학회의 책무 _ 김세철 3

특집 기획 5●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_ 김남순 7

●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_ 조민우 15

●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_ 문소영, 이정희, 김형호 27

●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_ 이은정, 박종혁 41

QA 병원 탐방 | 의정부성모병원 53

QA 동향 | 근거 중심 보건의료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_ 이희영 57

질 향상 사례 보고 63●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_ 이현정, 박승혜 65

원저 77●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_ 이정은, 남문희 79

저자 투고규정 91투고규정에 대한 저자 점검표 95

제 16권 제1호 2010년 Volume16, Number 1, 2010

Page 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reface _ Sae Chul Kim 3

Special topics 5●Defining and Applying Clinical Indicator for Quality Improvement _ Nam Soon Kim 7

●Current status of Clinical Quality Indicator _ Min Woo Jo 15

●The Confidentiality of Patient Information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_ So Young Moon, Jeong Hee Lee, Hyung Ho Kim 27

●Clinical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Cancer Care : Toward Better

Performance _ Eun Jung Lee, Jong Hyock Park 41

Interview with Best QA Hospital | Uijeongbu St. Mary’s Hospital 53

QA Trends | Evidence-based Healthcare and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_ Heeyoung Lee 57 Quality Improvement Reports 63●Improvement of Nurse/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tandard Manual on Telephone

Inquiry Response _ Hyun Jung Lee, Seung Hye Park 65

The Original Work 77● Effects of a Video CD Rehabilitation Program for Total Knee Replacement on Range of

Knee Angl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_ Jung Eun Lee, Mun Hee Nam 79

Information for Authors 91Check List for Authors 95

CONTENTS

Page 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해 12월 부산 임시

총회에서 6대 학회장으로 선임된 김세철입니다. 미력

한 저에게 학회장이라는 무거운 소임을 맡겨주신 회원

여러분께 지면을 빌어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올립

니다. 신임회장 선출은 5월 춘계학술대회 정기총회에

서 이루어져 왔습니다만 지훈상 전임 회장님께서 임

기를 5개월 앞당기면서 회무연도와 회계연도가 맞지

않는 어려움을 해결하였습니다. 용단에 깊이 감사드

립니다.

의료의 QA업무란 교육과 연구 그리고 증거에 근거

한 지식의 교류를 통해서 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

선시키는 것입니다. 돌이켜보면 QA학회는 1990년대

초반 QA에 관심있는 몇분이 모여 만든 의료QA연구

회가 초석이 되었습니다만, 1995년 정부주도의 ‘의료

기관서비스평가’에 대비하여 1994년 2월 학회로 창립

되었습니다. 초창기에는 ‘QA’라는 단어조차 생소하였

으며, ‘의료기관서비스평가’ 준비를 위하여 병원마다

QA 활동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라 많은 어려움

을 겪을 때, QA 학회는 학문적 실제적 지원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으며 우리나라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한 바 크다고 자부합니다. QA 학회는 그 동안 비

약적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기관회원 65개 기관, 개인

회원 총 5,302명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학회로 자리 잡

았으며, 이와 같은 학회의 발전에는 전임회장단을 비

롯하여 설립초기부터 학회와 의료계 일선에서 물심양

면으로 노력해준 회원 여러분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

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의료계는 양적팽창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지역

간, 의료기관간 계층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

료시장의 경쟁적 환경은 각종 규제의 완화와 함께 더

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환자의 안전, 소비자보호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QA학회의 책무

권두언

■ 김 세 철 / 한국의료QA학회 회장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QA학회의 책무 | 권두언

Page 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관련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때문에 의료

의 질 향상 활동은 경쟁적 의료환경에서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수단이 될 것이며, 최근 학회주관

연수교육에 ‘환자안전관리’가 주 메뉴로 오른 것도 이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정부주도로 해외환자 유치 활

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책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그러

나 유치를 위한 제도개선에만 관심을 가졌지 외국인

환자진료의 질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마

련되지 않은 실정이므로 QA학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또 가파른 고령화에 따른 만성노인성

질환의 증가, 고가의 치료법에 대한 무분별한 선호, 보

완대체의학, 요양서비스, 방문간호, 호스피스 등 전통

적인 의료 이외 영역에 대한 수요증가 등에 따라 건강

보험료 인상은 제한적이나 의료비 지출은 가파르게 상

승하고 있으므로 의료재원 충당구조와 지출구조 전

반의 개편 불가피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 같은 우

려가 현실화되면 비용절감과 효율적 경영을 위해 QA

는 병원의 사활이 걸린 활동으로 더욱 중요성이 부각

될 것입니다.

국내 의료기관평가는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지난

2004년에 시작되어 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의 병원

을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진료 및 운영체계, 업무성과,

임상의 질, 환자 만족도 등 4대 영역에 대한 평가 결과

가 등급별로 공표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2주기 평가를

마친 상황에서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비판이 계속되자

정부는 ‘의료기관평가 개선’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정부의 추진안에는 정부 주도의 평가를 ‘독립적 평가

전담기구 설치’ 후 각종 평가의 통합평가체제 구축, 대

학병원 위주에서 중소병원으로 점진적 확대, 인증제

전환, 의료기관평가제도에 대한 국제인증 추진 등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인증제에 대해서는 2010

년 도입 목표로 의료기관인정추진단을 구성하여 그

동안 한국형 인정제도를 마련해 왔으며 지금 거의 완

성단계에 있으므로 현재 의료계에서는 ‘의료기관평가

개선’이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

습니다. QA 학회는 중소병원과 1차 의료기관까지 인

정제의 대상을 확대할 경우에 대비하여 자체적 방안

을 마련하여야 하겠습니다.

이 같은 급변하는 새로운 의료환경에서 QA학회 집

행진은 1) 회원들의 바램을 이해하고 기대에 부응하도

록 지속적으로 회원서비스 개선에 노력할 것이며 2) 새

로운 개념과 기회에 대한 지속적 연구 조사를 통해 쇄

신하고, 3) 각기 전문성이 다른 분야의 집합체인 학회

회원들의 파트너쉽, 팀워크를 통한 학회발전에 노력할

것이며, 4) 사심이 없는 자세와 윤리적 접근으로 봉사

하며, 책임있는 자세로 위임받은 책무를 다 할 수 있도

록 노력할 것입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을 부탁드립니다.

Page 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특집기획●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 김남순

●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조민우

●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문소영, 이정희, 김형호

●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박종혁

Page 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

Vol 16, Number1, 2010_ 7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Defining and Applying Clinical Indicator for Quality Improvement - 김남순 -

교신저자 김 남 순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email protected]

Ⅰ. 들어가는 말

의료의 질이 보건의료분야의 중요한 정책 의제로 등

장하고 있다. 의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

비자의 의료의 질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 속

에서 의료의 질 관리 활동이 발전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의료의 질 혹은 성과(performance)에 인센티브를 부여

하는 제도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더 많은 정

보가 요구되면서 임상질지표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의료의 질에 대한 정보는 소비자에게 양질의 의료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의료서비스 공급자는 질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나 보

험자는 의료서비스 질을 모니터링하면서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증진하고, 비효과적이고 안전하지 못한

서비스는 규제하는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서비스 질을 측정하기 위해 임상질지

표를 사용한다. 전 세계적으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서

임상질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질 개선에 적용해왔다. 우

리나라에서도 국내에서도 우리 고유한 질 문제를 진단

하고, 변이를 밝혀내 개선하기 위한 작업들이 수행되고

있는 만큼 임상질지표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할 시점이

다. 이 글에서는 임상질지표의 개념과 그 활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Ⅱ. 임상질지표의 정의

의료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일컫는 용어는 질

지표(quality indicator), 임상질지표(clinical indicator)

가 있으며 혹은 성과 측정(performance measure)이라

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 지표는 특별한

정의된 바는 없지만, 의료의 질을 측정하는 계량적 도구

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임상질지표와 동

일한 개념으로 간주할 수 있다(김남순과 김철규, 2007).

Mainz(2003)는 임상질지표를 보건 의료의 성과 및 결

과에 초점을 맞추어 정의하였다. 즉, 임상질지표는 3가

지로 정의할 수 있는데, 1) 특정한 보건 의료 과정이나 결

과를 평가하는 측정수단, 2)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관리활동, 임상서비스, 지원서비스 기능 등을 모

니터링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량적 측정 수

단, 3) 환자의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진료, 임상 지

원 서비스, 의료조직의 기능을 모니터링하며, 평가하고

Page 1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개선하는데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는 측정 도구라고 볼

수 있다. Schoenbaum 등(1995)은 임상질지표는 성과와

질을 측정하고 향상하는데 사용하는 계량적 측정치로

성과 측정치와 같은 개념이라고 하였다. 또한 의료의 질

은 접근성, 적시성, 효과성, 효율성, 적합성, 지속성, 개

인 사생활 보장 및 비밀 보장, 환자 및 가족의 참여, 안전

성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며, 지표는 이들 영역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데 이용된다고 하였다(JCAHO,

1989). 미국의학원(2006)에서 출간한「질 향상을 촉진하

는 성과측정」보고서에서는 성과를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 관점에서 평가, 임상적 질, 건강 결과를 모두 포함

한 개념으로 보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자면, 임상질지표는 의료 공급자

개인이나 의료기관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질을 정

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질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개선

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질 향상을 성취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임상질지표가 다루는 분야는 진료

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의 시설 및 관리 시스템,

진료 과정 및 결과 측면은 물론 환자관점도 포함하는 것

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Ⅲ. 임상질지표의 속성

임상질지표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속성에 대해서

Mainz(2003)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임상질

지표는 합의된 정의에 기초해야 하며, 명확하게 기술되

어야 한다. 둘째, 지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야 한다.

셋째, 임상질지표는 특이적이고 민감해야 하는데, 위양

성 및 위음성 사례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임상

질지표는 타당성과 함께 신뢰성을 갖추어야 한다. 다섯

째, 임상질지표는 변별력이 있어서 양질의 의료서비스

와 그렇지 못한 의료서비스를 잘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사용자가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

내용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 일곱째, 임상질지표는 비교

성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타당도는 어떤 지표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측정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타당한 임상질

지표는 우수한 의료서비스의 그렇지 못한 경우를 구분

할 수 있어야 한다. 신뢰도는 다른 자료, 시기, 장소에서

반복해서 측정해도 유사한 결과를 얻는 정도를 말하는

데, 특히 동일 대상을 시간을 두고 비교할 때 중요하다.

한편,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1994)은 임상질지표가 균일하게 적

용될 수 있도록 자세한 설명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는 측정대상의 정의, 비율에 사용하는 분자와 분모, 분

자와 분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자료 수집과 자료 분

석 절차 등을 일정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임상질지표는 구체적 측정 단위로 제시되어야

하며, 가급적이면 각 측정치에 대한 신뢰 구간을 제시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 임상질지표의 구분

Mainz 등(2003)은 임상 지표를 유형별로 구분 하였

는데, 이에 따르면 1) 비율 지표와 적신호 지표, 2) 구조,

과정, 결과 지표, 3) 일반 지표와 질병 특이 지표, 4) 진

료 형태, 5) 진료의 기능, 6) 중재 방법에 따라 구분한 지

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부분은 Mainz(2003)가 분

류한 임상질지표와 그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

다(표 1).

Page 1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9

1. 비율 지표와 적신호 지표

비율 지표는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 사건에 대한 자료

를 사용한다. 이 지표는 비율(proportion or rates), 비

(ratio) 혹은 평균 값 등으로 제시된다. 보건의료제공자

간 비교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세를 비교하기 위해

서 비율 지표는 분자와 분모를 필요로 한다. 측정하려고

하는 임상질지표의 내용에 따라서 분자와 분모가 특이

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적신호 지표(sentinel indica-

tor)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사건이 발생한 개별

적 사건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는 심층 분석과 조사를 필

요로 한다. 적신호 사건은 의료의 질이 매우 불량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위기관리 대상이 된다. 적신호 지

비율 지표와 적신호 지표 구조, 과정, 결과 지표일반 지표, 질병 특이적 지표진료 형태 예방

급성기 치료

만성질환 관리

기능

스크리닝

진단

치료

추적 관찰

중재 유형 병력

이학적 검진

실험실 검사/방사선 검사

투약

기타 중재

자료원: Mainz J. Defining and classifying clinical indicators for quality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6):523-530.

표의 예로서 수술과정에 사망한 환자의 수, 주산기에 사

망한 환자의 수 등이 있다. 비율 지표, 혹은 적신호 지표

는 일반 지표 혹은 질병 특이 지표 모두 가능하며, 구조,

과정 및 결과 지표와 연계되어 있다.

2. 구조, 과정 및 결과 지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Donabedian(1988)은 의료의 질

평가를 위해서 구조, 과정, 결과 영역을 제시하였다. 구

조는 진료가 제공되는 환경적 속성(시설, 장비, 재정, 인

력, 조직 구조 등)을 말한다. 과정은 실제 어떤 진료가 제

공되고 있는가에 대한 것으로, 의료인의 활동(진단, 권

고, 치료 실행 등)을 사례로 들 수 있다. 결과는 건강 결

과에 미치는 중재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

적으로 제시하면 <표 2>와 같다.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 특집기획

<표 1> 임상질지표의 구분

<표 2> 구조, 과정 및 결과 지표 사례

구조 일반의사와 대비한 전문의사의 비

특정 기술에 대한 접근성(예: MRI scan)

특정 진료센타에 대한 접근성(예: stroke units)

매 2년마다 진료지침 개정

특정 진료센타에 할당된 물리치료사

과정 정기적으로 족부 진료를 받은 당뇨환자의 비율

혈전용해제를 투여받은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비율

의뢰받은 한자 중 24시간 이내 진찰받은 환자의

비율

진료지침에 따라 치료받은 환자의 비율 결과 중간결과 당뇨환자의 HbA1c 측정 결과

고지혈증 환자의 혈중 지질 상태

고혈압 환자의 혈압 상태

Page 1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1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1) 구조지표

일반적으로 구조는 개인 혹은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의료서비스 필요에 대해서 의료기관 혹은 보건의료시스

템이 적적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속성이다. 구

조 지표는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얼마나

조성되어 있는 가를 평가한다. 구조지표 중에서는 병원

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

병상 대비 간호사 수”와 같은 사례가 있다.

구조 지표의 강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수술 혹

은 처치의 제공량과 같은 지표는 비교적 건강결과와 관

련성이 높은 편이며, 식도절제술이나 췌장절제술 같은

경우, 수술을 많이 하는 병원이 수술사망률이 낮다고 보

고되었다(Dudely 등, 2000; Halm 등, 2002). 두 번째 장

점으로는 효율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구조 지표

는 다양한 건강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암수술인 경우에, 특정 병원 혹은 외과의사

의 수술량은 수술사망률, 수술후사망률, 후기사망률과

연관성이 있다(Bach 등, 2001, Finlayson과 Birkmeyer,

2003). 셋째, 구조지표는 측정이 쉬운데, 대부분이 행정

자료에서 산출 가능하다. 일부 구조지표는 병원 혹은 공

급자 조사를 통해서 산출되지만, 이 경우에도 환자 기

반 정보를 수집하는 것보다는 비용이 적게 드는 편이다.

구조 지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앞서 언급

한 특정 수술이나 처치량에 대한 지표는 비교적 건강결

과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모든 구조

지표가 건강결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둘째,

질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 지표의 수는 많지 않으

며, 특히 외래 진료에 대한 구조 지표는 매우 적은 편이

다. 셋째, 대부분의 구조지표는 개선 과정이 즉각적으로

수행되기 어렵다.

2) 과정지표

과정 지표는 실제 의료인이 제공하고 있는 진료 내용

과 방법이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과정지표는 보

건의료제공자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

이며, 질 개선에 필요한 내용을 파악하는데 좋다.

과정지표는 거의 모든 진료 영역을 평가하는데 사용

할 수 있는 실용적 도구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진료과

정에 대한 평가는 건강결과 측정보다 다루기 쉬우며, 흔

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의사가 제공하는 진료의 내용

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쉽게 수용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과정지표에서는 결과지표를 제시

하는데 필요한 위험도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과정

지표로 질을 평가하는 것은 흔히 “spillover effect”와 같

은 긍정적 효과를 내기도 한다.

일부 과정지표의 신뢰도는 평가 대상 규모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특히 개별 의사의 진료를 평가할

때 그렇다. 예를 들면, 의사들의 당뇨관리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 모든 의사들이 많은 당뇨 환자를 진료하

는 것은 아니므로, “혈당 조절에 필요한 검사율”과 같은

지표 등이 안정된 측정 값을 내지 못할 수 있다. 과정지

<표 2> 구조, 과정 및 결과 지표 사례 (계속)

최종결과(각 질병 정의에 맞게 구체화 되어야 한다.) 사망

이환

기능 상태

건강상태 측정

업무 수행 정도

삶의 질

환자 만족도

자료원: Mainz J. Defining and classifying clinical indicators for quality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6):523-530.

Page 1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11

표는 때때로 비임상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

를 다루기도 한다. 즉, 환자가 재정적 문제 등과 같은 이

유로 의사를 방문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당뇨환자의

지속관리율 같은 지표는 의사들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

하지 못할 수 있다. 때로는 과정지표의 타당성이 측정되

는 방식(예: 평가 대상자 포함기준)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조사자료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3)결과 지표

결과 지표는 의료서비스가 제공된 이후에 발생하였으

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건 혹은 건강상태

혹은 환자가 평가한 결과를 지표로 만든 것이다. 사망

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결과지표이며, 중간 결과는 건

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 상태의 변화를 반

영한다. 보건의료의 목표가 건강 결과의 개선이므로 당

연히 결과지표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하지만 건강결과

에 보건의료서비스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환자

의 진료 전 질병 상태, 행태를 포함한 많은 요인이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결과 지표를 가지고 보

건의료서비스 제공자간 성과를 비교하려면 위험도 보

정이 필요하다.

결과지표의 강점은 두가지가 있다. 첫째, 결과지표,

특히 최종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는 명백한 표면 타당

도를 갖고 있으며, 이는 의료서비스제공자를 포함한 모

든 이해당사자에게 수용성이 높다. 둘째, 결과 측정 자

체 만으로 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의심할 여지가

없이 결과 측정은 의료제공자의 리더로 하여금 의료서

비스 제공과정을 효율적으로 조직하는데 관심을 기울

이게 한다는 것이다.

결과 측정에 있어 부정적 측면은 외래 진료에 적용하

기 어렵다는 점이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사망과 같은 지

표는 외래 환자에게는 드물게 발생하는 사건이다. 또한

외래 환자에 있어서 결과지표는 수집하기 어려울 뿐 아

니라 의료서비스 공급자의 질보다 질병의 중증도를 반

영하는 측면이 강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망률과 같

은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대상자 수가

필요한데, 환자수가 적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부정적 사

건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다른 문제는 결과 측정을 행정

자료로 할 것인가 혹은 임상기록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

한 것이다. 행정자료를 사용하면 비교적 측정이 용이하

지만, 위험도 보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반면에, 임상기

록을 이용해서 결과를 측정하는 것은 고비용이 들어가

는 문제가 있다.

3. 일반 지표와 질병 특이 지표

임상질지표 중 일반 지표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

한 진료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며, 질병 특이적 지표는 특

정 질병에게 제공되는 진료 내용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

지표의 예로서는 전문의 비중, 응급실에 6시간 이상 체

류하는 환자의 비율, 입원환자의 사망률 등을 들 수 있

다. 일반지표는 다른 의료제공자와 비교할 때 해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어떤 의료기관의 질을 전체적

으로 파악할 때는 사용될 수 있다. 질병 특이 지표는 의

료기관 혹은 의료시스템의 질을 비교할 때 사용할 수 있

으며, 질병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표 3).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 특집기획

<표 3> 일반지표 및 질병 특이 지표 사례

일반 지표 일반의사와 대비한 전문의사의 비

Page 1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1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4. 진료유형, 기능, 중재 방법에 대한 지표

임상질지표는 진료 유형, 기능 및 중재 유형에 대한 지

표로 구분될 수 있다. 진료 유형은 급성기, 만성질환, 예

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진료기능적 측면에서는 스크

리닝, 진단, 치료, 추적관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밖

에도 의료서비스 제공되는 방법(이학적 검사, 방사선 검

사, 의약품 처방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Ⅴ. 임상질지표의 활용

Berwick 등(2003)은 의료의 질 측정를 통하여 질 개선

을 이룩하는 두 개의 경로를 제시한 바 있다. 첫 번째 경

로는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정보를 의료소비자, 보험자

등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주로 정부나 보험자가 임상질

지표를 적용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의료

기관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의료의 질

에 문제가 있고 자원 소모가 많은 분야에 대해서 인센티

브를 통한 관리를 할 수 있다. 두 번째 경로는 임상질지

표를 사용하여 질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서비

스 제공자 스스로 의료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두 경로

모두 의료의 질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임상질지표를

적용할 때 생산 가능하다.

특정 보건의료분야 질 평가에 임상질지표를 적용하

기 위해서 고려해야 될 요소들이 있다. 첫째, 질 평가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질을 측정하는 목적 혹은 관점

에 따라서 필요한 지표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

다. 예를 들면 의료기관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와

정부 혹은 보험자가 시행하는 평가에 활용되는 임상질

지표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제 3자가 시행하

는 평가는 질 측정 결과가 공개되어 의료기관을 비교하

게 되며 질을 규제하는 제도와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따

라서 이러한 평가에 활용되는 임상질지표에는 보다 엄격

한 기준이 적용된다. 둘째, 질 평가의 목적이 정해지고

나면, 다음으로는 진료의 어떤 측면을 평가할 것인지 정

해야 한다. 이는 Donabedian(1988)이 제안한 평가 영역

(구조, 과정, 결과) 설정에 대한 문제일 수도 있고, 질 측

정이 필요한 임상적 내용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평가 대상자가 수용할 수 있으며, 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

는 영역을 다루는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

째, 임상질지표의 실행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질 측정에 필요한 자료의 존재 유무와 함께 조사방법 및

데이터시스템 등을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임상질

지표를 적용한 질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에 있어서 신

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측정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 혹은

다른 영역에서 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

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임상질

지표의 속성과 함께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측정 결과의

<표 3> 일반지표 및 질병 특이 지표 사례

응급실에 6시간 이상 체류한 환자의 비율

예정에 없는 수술방 귀환

입원환자 사망률 질병 특이적 지표 심장내과 전문의에게 치료받은 심부전

환자의 비율

고관절 골절로 이차 수술을 받은 환자의 비율

입원 후 24시간 이내 항혈소판제제를 투여받은

뇌졸중 환자의 비율

수술 후 30일 동안 생존한 폐암 환자의 비율

입원 후 24시간 이내 베타차단제를 투여받은

급성심근경색환자의 비율

매년 망막검사를 받은 당뇨 환자의 비율

Page 1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13

활용 방향을 신중히 설정해야 할 것이다.

Ⅵ. 맺음말

임상질지표는 보건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구조,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한다. 보건의료서비스 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임상질지표 없이 불가능하므로 의료의 질 개선에

필요한 기본 인프라로 간주할 수 있다. 임상질지표를 질

평가 및 관련 정책에 활용함에 있어서 지표의 속성과

함께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신중히 접근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 의료의 질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임상질지표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과학적으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임상질지표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임상질지표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서 의료의 질

개선 활동이 증진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김남순, 김철규. 의료의 질 지표 개발과 활용.

한국의료QA학회지 2007;57-65.

2. Bach PB, Cramer LD, Schrag D, Downey RJ,

Gelfand SE, Begg CB. The influence of

hospital volume on survival after resection of

lung cancer. NEJM 2001;345(3):181-188.

3. Berwick DM, Brent J, Coye MJ. Connections

between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MED CARE. 2003; 41(1): Supp I-30-I-38.

4. Donabedian A. The Quality of care. How can it

be assessed? JAMA 1988;260(12):174 3-1748.

5. Dudely RA, Johansen KL, Brand R, Rennie DJ,

Milstein A. Selective referral to hihg volume

hospitals: estimating potentially avoidable

deaths. JAMA 2000;283(9):1159-1166.

6. Finlayson EV, Birkmeyer JD. Effects of hospital

volume on life expectancy after selected cancer

operations in older adults: a decision analysis.

JAM Coll Surg 2003;19693):410-417.

7. Halm EA, Lee C, Cassin MR. Is volume related

to outcome in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hodologic critique of the literature. Ann

Intern Med 2002;.137(6):511-520.

8. JCAHO. Characteristics of clinical indicators.

Quality Review Bulletin 1989;330-339.

9.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Framework for Improving

Performance. Oakbrook Terrace, 1994.

10. IOM(Institute of Medicine). Performance

Measurement; Accelerating improve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6.

11. Mainz J. Defining and classifying clinical

indicators for quality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6):523-530.

12. Schoenbaum SC, Sundwall DN, Bergman D,

Buckle JM, Chernov A, Gerorge J et al.: U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Evaluate

Quality of Care. AHCPR pub. No. 95-0046.

임상질지표의 정의와 활용 | 특집기획

Page 1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1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

Vol 16, Number1, 2010_ 15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Current Status of Clinical Quality Indicator- 조민우 -

교신저자 조 민 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email protected]

Ⅰ. 들어가는 말

미국의학원에서 2000년에 발간한 “사람은 누구나 잘

못 할 수 있다(To Err is Human 2000).”의 머리말에서 “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라고 역설

한 것은 의료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그 문제점을

인식한 순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1)

의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결과

는 만족할만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율성의 측면에서 의

료의 질에 대한 담보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잘못을 발견하면 그것을 수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

요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너무나 당연한 명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질 향상은 잘못을 인지하는 시점부터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의료의

질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Berwick(2003)

이 주장한 바와 같이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개선할 수 없

기 때문이다.2) 의료의 질 수준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게

됨으로써 의료서비스 공급자 측면에서는 그들이 행하

는 의료서비스 전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

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소비자 측면에

서는 적절한 의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됨과 동

시에 그들이 치료와 관련된 적절한 선택을 하는데 도움

을 받을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이러한 의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표들

을 일컬을 때에는 질지표(quality indicator), 임상지표

(clinical indicator), 혹은 성과지표(performance in-

dicator)와 같은 다양한 표현을 쓴다. 이처럼 다양하게

표현하지만 그 의미는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데,

Schoenbaum 등(1995)은 성과와 질을 평가하고 향상시

키는데 사용하는 계량적인 측정치라고 정의한 바 있고

3), Mainz(2003)는 특정한 보건의료 과정이나 결과를 평

가하거나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관리 및 임

상적이고 지지적인 기능을 모니터하고 평가하는데 사용

될 수 있는 혹은 환자 진료의 질, 임상지원서비스,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의 기능을 모니터링 평

가, 개선하는데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는 지표라고 정의

하기도 하였다.4) 이렇게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연구자

혹은 기관에서 이러한 질지표에 대해 정의하였지만, 정

리하자면 의료 공급자 개인이나 의료기관의 의료의 질

Page 1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1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질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찾아 질 향상을 성취하는데

사용하는 도구(김남순, 2007)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5)

미국, 호주 등 외국에서도 많은 임상질지표가 개발되

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

여 적정성 평가, 의료기관 평가에서 질지표가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의 기본

이 되는 임상질지표의 국내외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보

고자 한다.

Ⅱ. 외국의 임상질지표 현황

1.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질지표(Quality Indicators, QIs)

AHRQ의 질지표는 1998년부터 2002년에 걸쳐서 근

거바탕진료센터(Evidence-based Practice Centers,

EPC) 팀이 개발하였다.6) EPC는 AHRQ와 계약을 맺

고, 행정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질 측정과 관련한 근거

를 검토하였고, 문헌이나 웹 검색을 통해 수집한 자료

를 검토하여 후보 지표들을 찾아내었다. 문헌검토, 경

<표 1> AHRQ의 질지표7)

● 입원환자 질 지표

시술량 - 식도 절제술 , 췌장 절제술, 복부대동맥류 재건술, 관상동

맥우회로술, 경피적관상동맥성형술, 경동맥내막절제술

사망률 - 식도절제술, 췌장절제술, 복부대동맥류 재건술, 관상동맥

우회로술, 개두술, 고관절치환술, 급성심근경색증, 울혈성심부전

증, 급성 뇌졸중, 위장관 출혈, 고관절 골절, 폐렴

제왕절개 분만율, 제왕절개 후 질식분만율,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

술률, 노인의 급성맹장수술, 양측심도자술 시술률,

지역지표 - 관상동맥우회로술 시술률, 경피적관상동맥성형술 시술

률, 자궁절제술 시술률, 척추후궁절제술 혹은 척추고정술 시술률

전원을 제외한 급성심근경색증 사망률, 일차 제왕절개분만율, 전체

제왕절개 후 질식분만율

● 예방 질 지표

당뇨 단기합병증, 충수돌기 천공 입원율, 당뇨 장기합병증 입원율,

만성폐쇄성폐질환 입원율, 고혈압 입원율, 울혈성심부전증 입원율,

저체중출생아율, 탈수 입원율, 세균성 폐렴 입원율, 요로감염 입원

율, 시술을 하지 않는 협심증 입원율, 관리되지 않은 당뇨 입원율, 성

인 천식 입원율, 하지절단율

● 환자 안전 지표

낮은 사망률의 DRGs에서의 사망, 욕창,

수술 받은 입원환자 중 사망, 수술 중 이물질 남김, 의원성 기흉, 중

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수술 후 문제 - 고관절 골절, 출혈 혹은 혈종, 생리학적 및 대사성

장애, 호흡부전, 폐색전증 혹은 심부정맥혈전증, 폐혈증, 창상개열

사고로 인한 천공 혹은 열상, 수혈반응, 출생시 외상-신생아 손상

산과적 외상-기구를 이용한 질식 분만시, 기구를 이용하지 않은 질

식 분만시

지역지표 - 수술 중 이물질 남김, 의원성 기흉, 중심정맥관 관련 혈

류감염, 수술 후 창상개열, 사고로 인한 천공 혹은 열상, 수혈반응,

수술 후 출혈 혹은 혈종

● 소아 질 지표

신생아 - 의원성 기흉, 사망률, 혈류감염

사고로 인한 천공 혹은 열상, 욕창, 수술 중 이물질 남김, 의원성 기흉,

소아 심장 수술 - 사망률, 시술건수

수술 후 문제 - 출혈 혹은 혈종, 호흡부전, 폐혈증, 창상개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수혈반응

입원율 - 천식, 당뇨 단기 합병증, 위장관염, 충수돌기 천공, 요로

감염

Page 1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17

험 분석, 그리고 환자 안전 지표의 경우에는 구조화된

임상진료의 패널 검토를 통해 후보 지표에 대한 정보

를 모아 평가하였으며, 정리한 근거자료는 두 가지 다

른 보고서를 통해 제시하였다: 1) 입원환자 질지표(the

Inpatient Quality Indicators, IQI)와 예방 질지표(the

Preventive Quality INdicators, PQI)에 대한 근거를 요

약한 “HCUP 질지표 개선(Refinement of the HCUP

Quality Indicators”와 2) “행정자료를 기반으로 한 환

자 안전 측정지표: 환자 안전 지표(Measures of Patient

Safety Based on Administrative Data: The Patient

Safety Indicators)”

AHRQ QI는 외래환자나 입원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

는 진료 과정과 관련한 질을 측정하는 질지표로 4가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4가지 모듈은 독립적으로

병원 입원 행정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예방 질지표(Prevention Quality Indicators,

PQIs): 양질의 외래 환자 진료를 함으로써 근거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병원입원을 하지 않은 건을 규

명하는 지표

2) 입원환자 질지표(Inpatient Quality Indicators,

IQIs): 병원 내부 진료의 질을 반영하는 지표로 질

환에 따른 입원환자의 사망률, 수술 처치에 따른

입원환자의 사망률, 과다진료(overuse), 과소진료

(underuse) 혹은 과오진료(misuse)에 대한 의제로

서의 처치의 이용, 보다 많은 양의 시술을 하는 것이

사망률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근거

에 따른 처치의 양을 반영하는 지표

3) 환자 안전 지표(Patient Safety Indicators, PSIs):

병원 내 진료의 질을 반영하는데, 잠재적으로 회피

할 수 있었던 합병증과 의원성 사건에 초점을 두고

있는 지표

4) 소아 질지표(Pediatric Quality Indicators, PDIs):

병원 내부 진료의 질을 반영하면서도 잠재적으로

회피할 수 있었던 어린이들의 입원건을 규명하는

지표

2. Joint Commission의 ORYX 지표

1997년 2월 Joint Commission은 성과와 다른 성과 측

정 자료를 병원신임 평가 과정을 통합하여 Joint Com-

mission ORYX 계획을 수립하였다. ORYX는 Joint

Commission이 신임한 기관이 그들의 질 개선 노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

보건의료기관의 어떤 평가 활동에 대해 신뢰성을 주기

위해서는 성과 측정 지표가 필수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각 기관이 수집하여 Joint Commission에 제

출한 자료는 기관에 대한 현지 조사를 통해 다시 검토

가 이루어진다.

2002년 7월 신임을 받은 병원은 표준화된 핵심 성과

지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2004년 9월

Joint Commission과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

터(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CMS)

는 두 기관에서 공통으로 수집하는 측정지표에 대해 연

계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국가 병원 질지표(National

Hospital Quality Measures)라고 일컫는 이 표준화된

공통 측정지표를 통해 병원의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진

료의 질을 개선과정을 통합하였고 이해당사자들에게는

진료의 실제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그 결과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었다. 측정지표를 통합함으로써 같은 자료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특집기획

Page 2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1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를 이용하여 CMS와 Joint Commission의 요구를 충족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병원이 자료를 수집하고 보고함에

있어 보다 쉽게 그리고 비용을 절감하여 진행할 수 있

게 되었다. 2004년에는 국가 병원 질지표와 다른 핵심 측

정 자료를 Joint Commission이 이용하는 과정에 우선

순위를 두어 통합하여 현지 조사 평가 활동에 초점을

둘 수 있게 되었다. 또한 Joint Commission의 웹사이트

인 Quality Check (www.qualitycheck.org)에서 이러

한 자료를 대중에게 공개하고 있다. 성과 측정 자료를 대

중에게 공개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주 혹은 국가 수준에

서 병원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Joint Commission과 CMS에서 공통으로 수집하는

모든 국가 병원 질지표는 국가 질 포럼(National Qual-

ity Forum, NQF)이 도입하여 “병원 질 연합: 정보를 통

해 진료를 개선하기(Hospital quality Alliance (HQA):

Improving Care through Information” 발의안에 이용

하였다. HQA는 병원이 자발적으로 그들의 성과 자료

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하는 과정을 개발하

고자하는 목적으로 2002년에 구성된 민관협동 사업이

<표 2> Joint Commission과 CMS의 연합 질지표: 미국 병원 입원환자 질지표9)

● 급성심근경색증

도착시 아스피린 투여, 퇴원시 아스피린 처방, LVSD에서 ACEI 혹

은 ARB 투여, 성인 금연 상담, 퇴원시 베타차단제 처방, 섬유소 용

해까지의 시간 중앙값, 병원 도착 30분 이내 섬유소 용해 치료 받

음, 일차 PCI까지의 시간 중앙값, 병원 도착 90분 이내 일차 PCI 받

음, 입원환자 사망률, LDL-콜레스테롤 평가, 퇴원시 지질강하 치료

● 폐렴

폐렴구균 예방접종, 병원 도착 24시간 이내 중환자실로 전원되거

나 혹은 입원한 환자에서 전원 전 24시간 이내 혹은 병원 도착 후

24시간 이내 혈액 배양 검사 시행, 병원에서 항생제 투약 이전에 응

급실에서 혈액 배양 검사 시행, 성인 대상 금연 상담, 항생제 투약시

기, 병원 도착 6시간 이내 항생제 투여 시작 비율, 면역기능이 정상

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대한 초기 항생제 선택, 중환자실에서

면역기능이 정상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대한 초기 항생제 선

택, 일반 병실에서 면역기능이 정상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대

한 초기 항생제 선택,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비율

● 심부전증

퇴원 교육, 좌심실 수축기능 평가, LVSD에서 ACEI 혹은 ARB 투여,

성인 금연 상담

● 수술 진료 개선

수술 절개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투여율 - 전체 비율, CABG,

다른 심장수술, 고관절형성술, 슬관절형성술, 대장수술, 자궁절제

술, 혈관수술

수술 환자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선택 - 전체 비율, CABG, 다른 심

장수술, 고관절형성술, 슬관절형성술, 대장수술, 자궁절제술, 혈관

수술

수술 종료 후 24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중단-전체 비율, CABG,

다른 심장수술, 고관절형성술, 슬관절형성술, 대장수술, 자궁절제

술, 혈관수술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오전 6시 혈당 조절 비율, 적절한 모발

제거를 받은 수술환자 비율, 수술 전후 체온 관리를 받은 수술환

자 비율

도착 전 베타 차단제 복용 중인 수술환자의 수술 전후에 베타 차단

제를 받은 비율

정맥 혈전증 예방 권고를 처방받은 수술환자 비율, 수술 전후 24

시간 이내 적절한 정맥 혈전증 예방 치료를 받은 수술 환자 비율

● 소아 천식 관리

천식 입원환자에 대한 완화제 투여 비율 - 전체 비율(2~17세), 2~4

세, 5~12세, 13~17세

천식 입원환자에 대한 전신 스테로이드제 투여 비율 - 전체 비율

(2~17세), 2~4세, 5~12세, 13~17세

가정 진료관리 계획 문서를 제공한 환자/보호자 비율

Page 2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19

다. HQA는 미국병원협회, 미국의과대학협회와 미국병

원연합의 주도로 발의되었다. 그리고 HQA는 CMS, 보

건의료 연구 및 질 관리국, NQF, Joint Commission, 미

국의사협회, 미국간호협회, 어린이병원전국협회와 관련

기관, 공공병원 및 보건체계에 관한 전국연합, 소비자구

매선언프로젝트, AFL-CIO, AARP, US Chamber of

Commerce, 미국 건강보험 플랜, Blue Cross and Blue

Shield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Business Co-

alition on Health의 지원을 받고 있다.

3. 호주의 임상질지표

(Australian clinical quality indicators)

호주 보건의료 표준에 관한 평의회(Australian Coun-

cil on Healthcare Standards, ACHS)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내용을 담은 호주의 임상질지표 보고서

10판을 발표하였다.11) ACHS 임상 지표 프로그램은 보

건 서비스의 중요한 측면을 평가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

해 보건의료 기관에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의학 분야 전반에 걸쳐 자료를 검토하는 유일한 전국의

임상 지표 프로그램이다. 이 보고서는 2001년에서 2008

년까지의 기간 동안 전체 900개의 보건의료 기관으로부

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보건의료기관의 수는 2001년에 582개 기

관에서 2008년에 689개 기관으로 18%정도 증가하였다.

보건의료기관이 매년 보고하는 임상지표의 평균 개수

가 2001년에 21개에서 2008년에 30.2개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보건의료기관들이 그들의 성과를 모니터하는 것

에 대한 관심과 능력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중 80%의 보건의료기관은 6개에서 65

개 지표를 보고하고 있다.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특집기획

<표 3> Joint Commission 질지표10)

<표 4> 호주의 임상질지표 각 세트별 내용과 항목수11)

● 병원의 정신과 입원환자 서비스

폭력위험, 약물남용, 심리적 외상 병력 및 환자의 근력 등에 대한

입원시 선별검사 완료율, 신체적 강박 시간, 격리 시간, 복수의 항

정신병 약물 처방 퇴원환자 비율, 적절한 근거하의 복수의 항정신

병 약물 처방 퇴원환자 비율, 퇴원 후 지속적인 진료 계획 작성률,

퇴원시 차기 단계의 진료 제공자에 대한 퇴원 후 지속적인 진료계

획 제공 비율

● 이상 약물 반응에 대한 지표 2판

이상 약물 반응 지표(2), 항혈전제, 와파린 관련 지표(6)

● 마취 관련 지표 4판

마취전 시기(11), 수술 중 시기(4), 환자 회복 시기(9), 수술 후 시기

(2), 급성 통증 관리(10), 당일 수술 마취 관리(4), 산과 영역의 마취

관리(4)

● 주산기 관리

선택적인 분만비율, 제왕절개분만율, 출산전 스테로이드 사용비율,

보건의료와 관련한 신생아 혈류감염률

● 지역사회 정신보건 지표 2판

이용 및 입원 횟수(3), 진료계획(2)

● 내과 지표 3판

심혈관질환(3), 내분비질환(2), 위장관질환(3), 노령환자 관리(2), 신장

질환(1), 신경질환(1), 종양(1), 호흡기질환(3)

Page 2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2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Ⅲ. 우리나라 현황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는 2007

년 7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과 함께 시작하였는데, 의

료의 질을 구조, 과정, 그리고 결과 측면에서 진단하여

평가하여 건강보험에서 제공된 의료서비스의 타당성과

<표 4> 호주의 임상질지표 각 세트별 내용과 항목수11) (계속)

● 당일 수술 지표 4판

수술 예약 취소(4), 계획되지 않은 재수술(1), 계획되지 않은 전원(1),

환자 퇴원 지연(1)

● 부인과 지표 6판

수혈(2), 주요 장기 손상(1), 복강경 수술(3), 자궁외 임신에 대한 복

강경 치료(1), 비뇨-부인과 진료(3), 예방적 항생제(1), 항응고요법(2)

● 안과 지표 4판

백내장 수술(4), 녹내장 수술(3), 망막박리 수술(4), 굴절수술(5)

● 구강보건 지표 2판

과정지표(10), 결과지표(11)

● 응급의료 지표 4판

응급실 대기시간(5), 급성심근경색증 치료(2), 접근 블록(2)

● 위장관 내시경 지표 1판

대장내시경(4), 위내시경(3), 진정 합병증(1)

● 가정 관리에서의 병원 지표 3판

환자 안전과 선택(4), 프로그램 중단(4)

● 전체 병원 임상 지표 10판

투약오류(1), 병원 재입원 및 재수술(3), 욕창(2), 환자 낙상(4), 환자 사

후 검토(1), 수혈(3), 수술시 입원 날짜(1), 항응고요법(1)

● 소아과, 일반 병실 및 중환자실 지표 4판

면역접종 상태(2), 천식으로 인한 평균 재원기간(3), 중환자실-접근

및 출구 블록과 환자 관리(6)

● 병리과 지표 3판

응급실에서 의뢰된 병리검사의 처리시간(7), 소형 및 대형 검체에

대한 처리시간(4)

● 방사선 종양학과 지표 3판

대기 시간과 방사선치료에 대한 사전동의(2), 환자에 대한 임상시

험(1), 암치료(7)

● 재활의학 지표 4판

입원시 시의적절한 기능 평가(1), 치료 종료 전 기능 평가(1), 다학제

적 재활계획의 확립(1), 퇴원계획(1), 기능 회복 달성(1), 퇴원 양상(1)

● 외과 지표 3판

소아외과(3), 비뇨기과(5), 안과(1), 성형외과(1), 심흉부외과(3), 신경

외과(2), 일반외과(1), 혈관외과(2), 이비인후과(1)

● 방사선과 지표 4판

방사선 검사보고 처리시간(1), 방사선 검사 관련 시술 합병증(4)

● 감염관리 지표 3판

수술부위 감염(18), 중심정맥관 관련 혈액감염 감시체계(10), 혈액투

석 관련 감염 감시체계(5), 신생아 감염(6), 보건의료 관련 메티실린

내성포도상구균(4), 혈액이나 체액에 대한 직업적 노출(2)

● 중환자 진료 지표 3판

환자사정체계 이용(1), 중환자실에서의 접근 및 출구 블록(5), 중환

자실 환자 관리(1), 중환자실 환자 치료(4)

● 내과 지표 3판

심혈관질환(3), 내분비질환(2), 위장관질환(3), 노령환자 관리(2), 신

장질환(1), 신경질환(1), 종양(1), 호흡기질환(3)

● 피부과 지표 2판

과정 지표(26)

● 입원환자 정신보건 지표 5판

진단 및 진료계획(3), 환자 신체진찰(1), 처방유형(1), 전기경련요법

(2), 격리 및 강박(7), 주요 사건 발생 및 입원환자 사망(7), 병원 재입원

(1), 진료의 연속성(2), 장기간 진료, 평균 입원기간 및 입원 상태(3)

● 산과 지표 6판

선택된 초산부의 결과(4), 제왕절개 후 질식분만(1), 주요 회음부 열

상 및 회음부에 대한 수술적 재건(6), 제왕절개 관리(5), 주산기 지표

(1), 아프가 점수와 신생아 중환자실/특수진료실로의 전원(2), 중요

한 이상 반응에 대한 동료 검토(1)

Page 2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21

비용효과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의료의 질 향상 및 비용

의 적정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12)

2000년 11월 제왕절개분만, 약제급여, 사회복지법인요

양기관, 조혈모세포이식기관 평가를 시작하였고, 그 평

가 영역을 점점 확대하여 현재 질병부문 2개 영역, 특정

서비스 부문 7개 영역, 그리고 특정 기관 대상 평가 2개

영역, 총 11개 영역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요양급여 적정성평가의 평가항목별 특성은 <표 5>에 정

리하였다. 2007년부터는 급성심근경색증과 제왕절개분

만에 대해서 적정성 평가에 따른 가감지급사업시범사

업을 수행하고 있다.

질병 부문에서는 급성심근경색증과 급성기 뇌졸중에

대해서 적정성 평가 지표로 평가하고 있다. 급성심근경

색증에서는 진료량 지표 1개, 과정지표 5개, 결과지표 2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특집기획

<표 5> 요양급여 적정성평가 평가항목별 특성(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9)

부분별 평가항목

평가대상기관 진료형태 평가접근 평가자료

대상기간종합전문

요양기관

종합

병원병원 의원 입원 외래 구조 과정 결과 청구자료 조사자료

질병부문급성심근경색증 ○ ○ ○ ○ ○ ○ ○ 1년

급성기 뇌졸중 ○ ○ ○ ○ ○ ○ ○ 3개월

특정서비스

부문

제왕절개분만 ○ ○ ○ ○ ○ ○ ○ 1년

관상동맥우회로술 ○ ○ ○ ○ ○ ○ ○ 2년

진료량 자료

외과(5) ○ ○ ○ ○ ○ ○ ○ 1~2년

정형외과(1) ○ ○ ○ ○ ○ ○ ○ 1년

조혈모(1) ○ ○ ○ ○ 2년

심장내과(1) ○ ○ ○ ○ ○ ○ 1년

약제(6) ○ ○ ○ ○ ○ ○ ○ 1년

수혈 ○ ○ ○ ○ ○ 1년

혈액투석 ○ ○ ○ ○ ○ ○ ○ ○ ○ ○ 3개월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외과(3) ○ ○ ○ ○ ○ ○ ○ 3개월

정형외과(2) ○ ○ ○ ○ ○ ○ ○ 3개월

흉부와과(1) ○ ○ ○ ○ ○ ○ ○ 3개월

산부인과(2) ○ ○ ○ ○ ○ ○ ○ 3개월

기관단위요양병원 ○ ○ ○ ○ ○ ○ ○ 3개월

의료급여정신과 ○ ○ ○ ○ ○ ○ ○ ○ ○ ○ 3개월

표 5. 요양급여 적정성평가 평가항목별 특성(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9)

<표 6>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지표: 질병부문(2009)

● 급성심근경색증

AMI 입원건수,

병원도착 60분이내 혈전용해제 투여율, 병원도착 120분이내 Pri-

mary PCI 실시율, 병원도착시 아스피린 투여율, 퇴원시 아스피린

처방률, 퇴원시 베타차단제 처방률,

사망률(원내/입원30일내)

● 급성기 뇌졸중

전문인력 구성여부(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전문의),

급성기 뇌졸중 - 흡연력 조사율(의사기록), 신경학적 검사 실시율(5

개항목 모두 실시한 경우), 연하장애 선별 고려율(2일 이내), 뇌영상

검사 실시율(24시간 이내), 뇌영상 검사 실시율(1시간 이내), 조기재

활치료 고려율(3일 이내),

경색성 뇌졸중 - 지질검사 실시율(입원전 30일 이내 검사 포함), 정맥

내 혈전용해제(t-PA) 투여 고려율, 정맥내 혈전용해제(t-PA) 투여율,

항혈전제 투여율(48시간 이내), 항혈전제 퇴원처방률, 항응고제 퇴

원처방률(심방세동 환자)

Page 2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2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개로 평가하고 있고, 결과지표인 사망률은 위험도 보정

을 통해 산출하고 있다. 1년간 수행한 진료 전체건에 대

해 청구자료와 조사자료를 통합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그 외 구급차 이용률, 흉통 시작 후 병원도착까지

중앙값 등 9개 지표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급성기

뇌졸중은 증상발생 후 7일 이내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

원한 건을 대상으로 종합병원 이상 규모의 요양기관 중

전산청구기관을 대상으로 3개월 진료분에 대해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구조지표 3개, 급성기 뇌졸중 과

정지표 6개, 경색성 뇌졸중 과정지표 6개 지표로 평가

하고 있다.

관상동맥우회로술은 2008년부터 하반기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2년간 종합병원 이상 규모의 요양기관에서

시술된 건을 대상으로 하며 진료량 지표 1개, 과정지표

2개, 결과지표 5개 지표를 수집하여 적정성 평가를 수행

하고 있다. 그 외 CABG 수술 전 PCI시행률, 동반수술

률 등 10개 지표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진료량 지표

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고관절 치환술, 간암수술,

식도암 수술, 췌장암 수술, 위암 , 대장암, 조혈모 세포 이

식술이 평가대상 기간 동안 발생하여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한 기관이 대상이 되며, 평가시행 전년도 1년간의

진료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수술건수가 적

은 항목의 경우 평가시행 이전 2년간의 진료분을 대상으

로 한다. 각 수술건에 대해 수술별 기준시술량 이상/미

만, 건당 평균 진료비 및 평균 입원일수를 제공하고 있다.

제왕절개분만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입원진료비용 청

구명세서 중 분만수가코드 기재건을 대상으로 자료를

추출하며, 전체 분만 요양기관이 대상이 된다. 2010년도

평가대상 기간은 2008년 1월부터 익년도 3월까지의 심

사결정자료 대상 분만건 중 해당년도 진료분을 대상으

로 한다. 진료지표는 진료결과와 관련이 있는 5개 지표

를 포함하였다. 혈액투석은 혈액투석 청구가 발생한 전

체 요양기관의 만18세 이상의 외래투석 유지 환자에 대

해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데, 3개월간 외래 진료 자료

<표 7>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지표: 특정 서비스 부문(1)

● 관상동맥우회로술

CABG 수술량,

IMA를 이용한 CABG 수술률, 퇴원시 아스피린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후 입원일수,

CABG 사망률(입원기간내/퇴원 7일내/ 수술후 30일내)

● 진료량자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 경피적관상동맥스

텐트삽입술, 경피적관상동맥죽상반절제술), 고관절치환술

간암수술(간부분절제술, 간구역절제술, 간엽절제술, 간3구역절제

술), 식도암수술(식도악성종양근치수술), 췌장암수술(췌절제술, 췌

십이지장절제술, 간췌십이지장절제술), 위암수술(위전절제술, 위아

전절제술), 대장암수술(결장절제술, 직장 및 에스장 절제술, 결장 및

직장전절제술), 조혈모세포이식술(동종골수조혈모세포이식,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제대혈조혈모세포이식)

● 제왕절개분만

전체 요양기관 제왕절개분만율, 초산 제왕절개분만율,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율, 개별 요양기관 제왕절개분만율, 예측되는 제왕절개분

만율

● 혈액투석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 비율, 의사1인당 1일 평균 투석횟

수, 2년 이상 혈액투석 경력을 가진 간호사 비율, 간호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횟수, B형 간염 환자용 격리 혈액투석기 최소 보유대수

충족률, 혈액투석실 응급장비 보유여부, 수질검사 실시주기 충족여

부,

혈액투석 적절도 검사 실시주기 충족률, 동정맥루 협착증 모니터링

충족률, 정기검사 실시주기 충족률, 철분제 투여율,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Hb<10g/dL 환자비율, 철저장능 충족률,

투석전 수축기 혈압 충족률, 투석전 이완기 혈압 충족률, 칼슘과 인

충족률, 알부민 수치

Page 2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23

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평가지표는 구조 지표에 7개 지

표, 과정 지표에 4개 지표, 그리고 결과 지표에 7개 지표

가 포함되어 있고, 과정 지표 중 철분제 투여율과 결과지

표는 현재 모니터링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약제급여는 외래에서 약제를 처방ㆍ투약한 모든 의료

기관 및 보건기관이며, 폐업기관, 전산미청구기관, 총 처

방건수가 월 30건 미만, 그리고 평가대상 특정 상병의 진

료건수가 적은 기관 등은 제외하였다. 평가대상 기간은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단위로 실시하고 있다. 평가지

표로는 항생제 관련 지표 3개 지표, 주사제 관련 지표 2

개 지표, 약품목수 관련 4개 지표, 고가약 관련 2개 지

표, 골관절염에 NSAIDsㆍ부신피질호르몬제 관련 지표

4개 지표, 그리고 투약일당 약품비에 대한 자료를 수집

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수혈은 상병별 혈액제제 사

용내역이 확인 가능한 EDI 청구기관을 평가대상으로

하며, 적혈구제제, 혈장제제, 혈소판제제로 구분하여 평

가한다. 평가대상 기간은 심사지급 결정 월 기준 전년도

1월부터 12월까지이며, 평가항목은 과정지표에 해당하

는 2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는

외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그리고 흉부외과의 4개 진료

과 영역에서 각 지표를 산출하고 있는데. 외과에서는 위

전절제술과 위아전절제술의 위수술, 결장절제술, 직장

및 에스장절제술, 결장 및 직장전절제술의 대장수술, 그

리고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이 대상이 되고, 정형외과에

서는 고관절전치환술, 고관절부분치환술, 그리고 슬관

절전치환술이 대상이 된다. 산부인과에서는 1태아 임신

의 초회 초산 및 경산, 반복, 그리고 전자궁적출술과 질

식자궁전적출술이 대상이 되며, 흉부외과에서는 관동

맥간우회로조성술, 판막성형술, 인공판막치환술의 심

장수술이 대상 수술이 된다. 평가대상 수술이 발생한 병

원급 이상 요양기관 중 평가대상 수술별로 최소 10건 이

상 발생한 기관을 대상으로 3개월간 진료건 중 표본을

추출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평가지표는 최초 투여

시기에 대한 2개 지표, 항생제 선택에 대한 3개 지표, 투

여기간에 대한 2개 지표, 그리고 기록과 관련한 2개 지

표를 평가한다.

요양병원 입원급여의 평가 대상은 개설된 모든 요양

기관이 대상이 되는데, 2010년 평가에서는 2009년 10월

1일을 기준일로 하고 있다. 평가 대상 기간은 2009년 10

월부터 12월까지 3개월이며 평가지표에는 구조지표 24

<표 8>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지표: 특정 서비스 부문(1)

● 약제

항생제(처방률, 투약일수율, 성분계열별항생제 처방비율), 주사제(

처방률, 투약일수율), 약품목수(처방건당 약품목수, 6품목 이상 처

방비율, 소화기관용약 처방률 및 약효분류별 처방비율), 고가약(성

분별 최고가약 처방비중, 처방약품비 비중), 골관절염에 NSAIDs, 부

신피질호르몬제(NSAIDs 중복처방률 및 투여경로별 처방비율, 부

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 및 투약일수율), 투약일당 약품비

● 수혈

수혈량 지표, 혈액제제별, 1단위 수혈률, 적혈구제제

●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피부절개 전 1시간 이내에 최초 예방적 항생제 투여율, Proximal

tourniquet inflation 이전 예방전 항생제 투여율(슬관절치환술 적용),

Aminoglycoside 계열 투여율, 3세대 이상 Cephalosporin 계열 투여

율, 예방적 항생제 병용 투여율

퇴원시 항생제 처방률, 예방적 항생제 총 평균 투여 일수(병원내 투

여+퇴원처방), 예방적 항생제 병용 투여율, 퇴원시 항생제 처방률,

예방적 항생제 총 평균 투여 일수(병원내 투여+퇴원처방)

항생제 알러지 기왕력 기록률, ASA class 기록률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특집기획

Page 2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2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개 지표, 과정지표 2개 지표, 결과지표 13개 지표가 포함

되어 있다. 의료급여 정신과 부문의 적정성 평가 대상은

평가대상 기간 중 의료급여 정신과 입원진료비를 청구

한 의료급여 기관이며 2010년 평가에서는 2009년 9월부

터 11월까지의 의료급여 정신과 입원 진료건이 대상이

되고, 시설의 경우에는 대상기간 중 일정 시점을 기준으

로 하고 있다. 평가지표 중 구조부분은 인력 4개 지표, 시

설 3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고, 과정부분은 정신요법 2개

지표, 입원유형 1개 지표, 약물지표 2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과부분에서는 입원일수 중앙값,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율로 평가하고 있다.

2. 의료기관 평가 임상질지표

우리나라에서 의료기관평가제도는 1994년 의료보장

개혁위원회의 건의 후 1995년 3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처음 시험평가를 수행한 후 2001년까지 시험평가를 시

행하였다.13) 02년과 2003년 의료법 및 시행령 개정에 따

라 2004년부터 3년을 주기로 전국의 종합병원과 300병

상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

였다. 하지만 1주기 평가에 대해 평가기준 및 방법, 임상

질지표의 부재 등에 대한 문제들이 지적되면서 2주기 첫

번째 평가년도인 2007년부터 임상질지표를 도입하여 평

가를 수행하고 있다.

<표 9>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지표: 기관단위 부문

● 요양병원

병상당 병실의 평균 면적, 다인실(7인실 이상) 병상의 비율, 화장실

이 있는 병실의 비율, 병상당 적정 욕실의 개수, 바닥의 턱 제거율(병

실, 욕실, 화장실), 바닥의 미끄럼 방지시설 설치율(욕실, 화장실, 계

단), 안전손잡이 설치율(욕실, 화장실, 복도, 계단), 응급호출 시스템

구비율(병상, 욕실, 화장실), 의사 1인당 병상수, 야간/휴일 당직의사

유무, 간호사 1인당 병상수, 간호인력 1인당 병상수

간호인력의 이직률, 물리치료사 1인당 병상수, 사회복지사 유무, 약

국(약사 포함) 유무, 방사선촬영실(방사선사 포함) 유무, 임상검사실

(임상병리사 포함) 유무

환자용 편의시설 구비율(휴게실, 식당), 병상당 산소공급장비 보유

대수, 병상당 흡인기 보유대수, 병상당 심전도 모니터 보유대수, 병

상당 혈중 산소포화도 감시장비 보유대수, 진료비 고가도 지표,

당뇨환자 중 HbA1c 검사실시 환자분율, 65세 이상 노인의 입원시

MMSE 검사실시 환자분율,

일상생활수행능력 감퇴 환자분율(치매군/치매제외군), 일상생활수

행능력 개선 환자분율(치매군/치매제외군), 저위험군 요실금 환자

분율,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고위험군/저위험군), 욕창이 새

로 생겼거나 악화된 환자분율(고위험군/저위험군), 폐렴 발생률, 패

혈증 발생률, 폐렴 치료기간 비율(모니터링 지표), 패혈증 치료기간

비율(모니터링 지표)

● 의료급여 정신과

정신과의사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정신과간호사 1인당 1일 입원

환자수, 정신과간호인력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정신보건전문요원

1인당 1일 입원환자수, 환자 1인당 입원실 바닥면접, 1실당 10병상

이내의 병실 비율, 병실당 정원수,

정신요법 최소기준 실시율, 개인정신치료 최소기준 실시율, 자의입

원율, 1인당 1일 약제비용(정신분열증), 비정형약물 처방률(정신분

열증),

입원일수_중앙값(정신분열증, 알코올장애), 퇴원후 30일 이내 재입

원율(정신분열증)

Page 2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25

의료기관 평가의 임상질지표는 Joint Commission,

UNICEF 등의 지표들을 활용하여 폐렴 부문 4개 지표,

수술감염 예방적 항생제 부문 6개 수술(심장수술, 고관

절 전치환술, 슬관절 전치환술, 대장수술, 자궁적출술,

위절제술) 3개 지표, 중환자실 5개 지표, 그리고 모성 및

신생아 부문 2개 지표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하

고 있다.14)

Ⅳ. 들어가는 말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임상질지표 관련 사업에서 수집

하고 지표들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지표들을 살펴보았

으나 이외에도 많은 지표들이 발표되고 있다. 외국의 경

우 AHRQ에서 운영하고 있는 National Quality Mea-

sures Clearinghouse에서 질환, 치료, 도메인, 기관 등에

따라 발표된 질지표들을 정리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

으며15), 우리나라에서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질지

표를 정리하여 질병/증상, 서비스 종류, 도메인, 그리고

구조/과정/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으니 참

조할 수 있을 것이다.16)

참고문헌

1.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사람은

누구나 잘못 할 수 있다: 보다 안전한 의료 시스템

의 구축. 이상일, 옮긴이. 서울: EPUBLIC; 2009.

xii p.

2. Berwick DM, James B, Coye MJ. Connections

between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

ment. Med care. 2003;41(1 Suppl):I30-8.

3. Schoenbaum SC, et al. U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Evaluate Quality of Care. AH-

CPR Pub. 1995.

4. Mainz J. Developing evidence-based clinical

indicators: a state of art methods primer. Int J

Qual Health Care. 2003;15(1 Suppl):i5-11

5. 김남순, 김철규. 의료의 질지표 개발 및 활용. 한국

의료QA학회지. 2007;13(1):69-77

6. Stanford-UCSF Evidence-based Practice Cen-

ter. AHRQ Quality Indicators. September 2005.

[cited 2010 Jun] Agency for Healthcare Re-

search and Quality, Rockville, MD. Available

from: URL:http://www.qualityindicators.ahrq.

gov/epc.htm

<표 10> 의료기관 평가의 임상질지표(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9)

● 폐렴

병원 도착 후 24시간 이내 혈중산소포화도 검사 시행 비율, 혈액배

양검사 시행 환자 중 첫 항생제 투여 전 검사 시행 비율, 병원 도착

후 8시간 이내에 첫 항생제를 투여받은 폐렴 환자 비율, 입원 전 1개

월 이내 흡연력이 있는 환자 대상 금연상담 시행 비율

●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

수술 절개 전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투여 비율, 수술 완료 후 예

방적 항생제 투여 중단 시간(시범문항), ‘피해야 할’수술 감염 예

방적 항생제 사용 비율

● 모성 및 신생아(시범)

분만 후 시간대별 최초 모유수유 시도 비율, 입원기간 동안 공급된

음식물 내용과 방법

● 중환자실

기계호흡 환자의 상체 거상 체위 시행 비율, 기계호흡 환자의 스트

레스성 궤양 예방 치료 비율(시범문항), 기계호흡 환자의 심부정맥

혈전 예방 치료 비율(시범문항), 환자의 통증 상태 점검, 환자의 진정

상태 점검

국내외 임상질지표 현황 | 특집기획

Page 2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2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7. Version 4.1 technical documentation AHRQ

Quality Indicators. December, 2009.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ock-

ville, MD.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http://www.qualityindicators.ahrq.gov/

TechnicalSpecs41.htm

8. The Joint Commission. Fact about ORYX for

Hospitals (National Hospital Quality Mea-

sures)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jointcommission.org/Accredita-

tionPrograms/Hospitals/ORYX/oryx_facts.

htm

9. The Joint Commission,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Specifications Manual for

National Hospital Quality Measures. version

3.1a. 2010.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jointcommission.org/NR/rdonlyres/

B7F88B1B-64A4-4077-809E-F3610C49C8D6/0/

NHQM_v31_11_6_2009.zip

10. The Joint Commission. Specifications Manual

for Joint Commission National Quality Core

Measures. 2010A2.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manual.jointcommission.org/releases/

TJC2010A/

11.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The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

dards (ACHS) 2008/2009 Annual Reports. [cit-

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

achs.org.au/pdf/ACHSAnnualReport_0809_

WebVersion.pdf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지침

서. 2009.

13. 이진석 등. 임상질지표 시범적용 결과 분석. 보

건복지부/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2007.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

snu-dhpm.ac.kr/pds/files/임상질지표시범적용

결과분석%20연구보고서.pdf

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임

상질지표 평가 입력지침. 2009.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etcsite/clinicalnotice.do

?mode=view&code=1103&menuCd=30140301&n

o=16&type=ALL&cpage=1&searchItem=0&s

earchKey=#

15.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

ity. National Quality Measures Clearinghouse.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qualitymeasures.ahrq.gov/

16. 한국보건의료연구원. NECA Quality Measure

Clearinghouse. [cited 2010 Jun] Available from:

URL: http://www.neca.re.kr/qualityindicators/

Page 2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

Vol 16, Number1, 2010_ 27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The Confidentiality of Patient Information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 문소영, 이정희, 김형호 -

교신저자 김 형 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영혁신실장, 외과교수

[email protected]

Ⅰ. 들어가는 말

임상 질 지표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임상

적, 운영적 효과성 및 효율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황지인 등, 2005). 병원에서의 진료는 의사 혼자만의 결

과가 아니고 간호사 등 다양한 직종의 의료인과 공동으

로 이뤄지는 행위이므로 이 임상 질 지표에 대한 개발 및

그 결과와 추후 지속적 추적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병원

의 운영과 수준 향상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1) 병원에서의 임상 질 지표 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국제적인 질 평가 및 신임기구에서도 임상지표에 대

한 자료 확보 및 평가를 점차적으로 확대하는 추세이고,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의료 관련 전문가 단체, 정부, 보험

자, 소비자 단체등에서 의료인, 의료기관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임상 실무에서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근거

자료로서 임상 질 지표에 대한 요구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황지인 등, 2005). 특히, 1주기 의료기관평가의 평가

기준이 핵심적인 환자 진료의 임상적 질보다는 주변적

인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데 치우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으면서(김윤, 2005), 환자 진료과정이나 결과를 계량적

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임상 질 지표 평가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대두되어, 2007년~2009년 2주기 의료

기관평가에서는 항생제 부문, 폐렴 부문, 중환자실 부

문, 모성 및 신생아 부문에 대한 임상 질 지표 평가가 이

루어진 바 있다.

의료기관평가 뿐 아니라, 심평원에서의 진료 적정성

평가에서도 지표를 통한 병원 간 진료과정이나 결과를

비교하고 등급화하여 관리하는 등 임상 질 지표의 관리

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갈수록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각종 임상 질 지표 평가 결과공표에 따라 병원

간 비교가 가능해지고, 진료비 가감지급과의 연계 등 지

표 결과가 병원 경영에 영향을 주게 되는 사회 여건들은

병원에서의 임상 질 지표 개발과 관리를 촉진하고 보편

화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2) 질 향상 사업의 범위 확장에 대한 필요성

의료기관에서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은 초기 포괄적

으로 의학외적인 환자 편의에 집중되었던데 반해 이제

는 의료인이 관심을 가져야 할 진료의 질 향상 활동 분

야까지 확대 발전하고 있으며, 이 분야가 궁극적인 병원

내 QA 대상인 의사에게 가장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인식

이 보편화 되어 있어 앞으로도 계속 발전되어 갈 것이다.

Page 3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2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3) 병원 정책 수립의 적절한 지표와 모형의 개발 필요성

개별 의료기관 단위에서 질 평가 후 우선, 또는 개선

가능한 활동 분야에 대한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병원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약 부분에 대한 개선 활동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4) 임상 질 지표 관리와 질 향상 활동의 연계

2003년 개원 이후 전 직원이 개원 병원의 성공적 정착

에 힘을 쓰던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지난 2005년, 외래

환자 수 증가, 계획보다 앞선 병동 확장 운영 등 양적 성

장이 한창이던 시점에 병원의 경영진은 지속적 성장을

위한 주요 병원경영전략의 하나로서, 진료의 질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최초로 임상 질 지표 전담

조직을 만들고, 임상 질 지표 TFT를 구성하여 집중적으

로 임상 질 관리를 시작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임상 질 지표에 대한 개념이 보편화 되지

않았던 시점이라 미국과 호주 등 해외 우수 사례를 벤치

마킹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5개년 마스터플랜을 수립하

고, 임상 전문의의 자문과 반복적인 데이터 검증을 통해

병원에 맞는 표준화된 세부 정의를 만들어 지표를 개발

하고, 관리하는데 주력하였다.

지표 개발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으로 질 지표를 평가

하는 업무에 투입되는 시간을 줄이고, 효과적인 임상

질 지표의 평가를 위해서는 의료정보시스템 속에 해당

기본 지표평가를 위한 시스템이 포함되어야 하는데(김

영랑, 2009),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세계 최초로 Full

digitalized EMR을 사용하고 있었고, 임상연구를 위

한 CDW(Clinical Data Warehouse)를 갖추고 있었다

는 점이 지표를 개발하고 전산화하여 모니터링을 효율

적으로 시행하는데 큰 기반이 되었다.

또한 병원 전반적으로 경영관리기법의 하나로서 부서

별 지표를 활용하여 부서성과평가를 시행하고, 기존의

부서별 QA 활동에 질 지표 도입을 격려하는 정책을 도

입하여 병원 전반에 지표(Indicator) 관리에 대한 개념

을 정립하고, 정기적 지표 모니터링을 통해 질 향상 활동

의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무엇보다도, 임상 질 지표 활성화를 위해서는 계속적

평가결과 및 점검체계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인데(김영랑, 2009), 분당서울대병

원의 경영진은 메일과 회의 보고를 통해 수시로 결과를

보고받고 있으며, 지표결과에 따른 즉각적 칭찬과 격려

를 통해 관심을 표현하고, 지속적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지표 결과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자율적으로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진료과를 포함한 전 부서의 문화

적 기반이 병원에서의 임상 질 지표 정착에 가장 핵심적

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Ⅱ. 임상 질 지표 개발 사례

1. 임상 질 지표 TFT 운영

2005년 분야별 전문가들 14명(진료과 교수 7명, 간호

부 팀장 1명, 수술부 1명, 의료정보팀 1명, 적정관리전담

2명, 자문위원 2명)으로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임상 질 지표의 구체적인 정의와 부서간 협의를 통해 임

상 질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각 분야별 임상 질 지표 개

발을 위한 표준화된 양식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정의

를 위해 병원 내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조사를 하면서 외

국의 임상 질 지표의 기준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진료 일정상 회의에 참석하기 힘

든 진료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lunch meeting을 이용한

Page 3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29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회의를 1회/주 시행하였다. 3차 년도에는 약제부와 보험

심사파트 위원이 추가 임명되었으며, 4차 년도에는 치과

교수, 환자안전 담당자, CP 담당자가 추가 임명 되어 병

원의 전 분야와 연계하여 지표 개발 및 관리를 할 수 있

도록 하였다. 4차년도 부터는 1회/2주 간격으로 회의를

진행하였고 지속적인 지표 개발과 함께 활발한 모니터

링을 통해 질 개선을 유도하였다.

2. 임상 질 지표 개발 과정

개발 지표 대상은 외국에서 사용 중인 지표, 의료기관

평가, 적정성평가 등의 평가 지표를 우선적으로 개발하

였다. 이외 우리병원에서 알고 싶어 하는 자체 지표 개발

도 지속하였으며 기존 부서별 QA활동에서도 추출하여

개발하였다(그림 1).

자체 지표 개발의 경우, 해당 분야의 진료과와 함께 의

미있는 주제 영역 및 지표 정의 초안을 구성하고 QA파

트 임상 질 지표 담당자가 우리병원내 자료를 이용하여

pilot study를 시행하였다. Pilot study를 통하여 지표 기

준을 정립한 후 임상 질 지표 TFT를 통해 지표를 검토

받고 재정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임상 질 지표 TFT

에서 지표로서의 적절성에 대해 승인을 받은 지표의 경

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전산화 개발 단계로 진행

한다(그림 2).

<표 1> 일반지표 및 질병 특이적 지표 사례

<표 2> 5차년도 임상 질 지표 TFT 위원 구성

No. 소속 직책

1 적정관리담당, 외과 TFT 위원장

2 신경과 임상지표 전산개발 총괄

3 소아과 감염, 소아 부문 지표담당

4 호흡기내과 호흡기질환 지표 담당

5 응급의학과응급환자, 중환자 지표

담당

6 심장센터 순환기질환 지표 담당

7 진단검사의학과 검사관련 지표 담당

8 간호부 간호 관련 지표 담당

9 수술부 수술장 관련 지표 담당

10 의료정보팀 임상지표 전산개발 지원

11 적정관리전담(1) 전체 지원

12 적정관리전담(2) 간사

13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14 보험심사평가원 책임연구원

No. 소속 직책

1QA담당보, 진단검사의

학과위원장

2 마취통증의학과 수술 및 마취 지표 담당

3 응급의학과응급환자 및 중환자

지표 담당

4 호흡기내과 호흡기관련 지표 담당

5 비뇨기과 비뇨기과 지표 담당

6 외과 외과 지표 담당

7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지표 담당

8 재활의학과신경계 질환 및 재활

지표 담당

9 소화기내과 소화기내과 지표 담당

10 치과 치과 지표 담당

11 간호부 간호 관련 지표 담당

12 약제부 약제 관련 지표 담당

13 원무팀 보험파트 보험 관련 지표 담당

14 의료정보팀(1)임상 질 지표 전산개

발 지원

15 의료정보팀(2) 의무기록 관련 자문

16 의료정보팀(3) CDW 전산개발 담당

17 QA파트(1) 전체 지원

18 QA파트(2) 간사

19 QA파트(3) 환자안전 지표 담당

20 QA파트(4)CP와 임상 질 지표

연계 지원

Page 3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3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CDW을 이용한 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은 분당서

울대학교병원 임상 질 지표의 가장 큰 특징이다(그림 3).

CDW 화면 구현은 다음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임상

질 지표 datamart 구축을 위해 먼저 EMR database

구조를 면밀히 검토 한 후 datamart에 구축하기 위한

data 정제과정을 거쳤다. 임상 질 지표 datamart를

data warehouse 시스템에 구축하였으며 부족한 data

는 서식지 보완과 새로운 서식지를 개발하여 data를 축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NUBH 임상 질 지표 선정 과정 : 임상질지표 TFT

전산화 과정 논의 및 검토전산화 과정 논의 및 검토

모니터링 및 Feedback 방법 논의모니터링 및 Feedback 방법 논의

Pilot study : 조사분석Pilot study : 조사분석

임상 질 지표로서의 적절성 논의임상 질 지표로서의 적절성 논의

지표의 상세정의 및 범위 논의지표의 상세정의 및 범위 논의

TFT에서 지표 가능한 항목 논의TFT에서 지표 가능한 항목 논의

<그림 2> 임상 질 지표 선정 과정 : 임상 질 지표 TFT

<그림 1> 임상질지표 단계별 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임상 질 지표 단계별 과정

◦ CI TFT

◦ 해당부서 협의

◦ 적정성평가, 의료기관평가, 신임평가

◦ CI TFT

◦ 해당부서 협의

◦ 적정성평가, 의료기관평가, 신임평가

CI developmentCI development

◦ 과별 분기별 핵심지표 선정

◦ CDW 활용

◦ chart review 통한 질적 관리

data mining 활용

◦ 과별 분기별 핵심지표 선정

◦ CDW 활용

◦ chart review 통한 질적 관리

data mining 활용

CI monitoringCI monitoring

◦당월 부서별관리지표 달성도 통보

◦ CI 기준 재설정

◦ feedback용 report형태 구축

◦당월 부서별관리지표 달성도 통보

◦ CI 기준 재설정

◦ feedback용 report형태 구축

CI feedbackCI feedbackCI feedbackCI feedback

◦부서관리지표활동 or 6-sigma 연계

◦ 개선활동 지원 및 교육

◦부서관리지표활동 or 6-sigma 연계

◦ 개선활동 지원 및 교육

CI improvementCI improvementCI improvementCI improvement

Page 3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1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적하였다. 임상 질 지표 전산시스템의 업무 성격상 실시

간 처리용이라기보다 분석용으로 사용되며 실제 운영

시스템과 database를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특정 합계

data에서 상세 data 조회 기능, 그래프를 통한 일별, 월

별, 분기별, 연별 조회 기능, 그리드 형태와 그래프 형태

를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계

하였다.

CDW 시스템으로의 연계는 data를 통합한 연계정보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독립적 운영시스템을 갖추고 있

어 안정적으로 정보의 정제 및 최신 정보 유지가 가능

하다.

3. 진료과별 임상 질 지표 개발 사례

임상 질 지표 관리에 있어 진료과 지표 개발의 중요성

은 임상 질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앞선 언급에

서와 같이 진료에 대한 과정이나 결과를 지표를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점과 특히나, CDW에서 조회가 되도록 시

스템화되어 있을지라도 진료과의 관심을 유도하는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의 임상 질 지표 관리의

발전을 위해서는 진료과 별 지표 개발을 소홀히 해서는

안되며, 일단 진료과에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경우에

는 좋은 성과를 가지고 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모범사례

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3> CDW 화면 예시 :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일수

Page 3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3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진료과 지표를 개발하는 경우에도 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일반적으로 지표 개발을 위

해서는 진료과와 함께 해당 분야에서 의미있고 관심있

는 주제영역 및 지표 정의의 초안을 작성하는 기간으로

부터 지표가 완성되어 CDW 전산화를 마치고 목표치

를 설정하고 모니터링 간격을 설정하는 최종 단계까지

는 약 10주 정도 소요가 된다(그림 4).

진료과에서 먼저 임상 질 지표 개발을 요청한 유방암

지표의 개발과정도 크게 다르지는 않았지만, 지표 개발

요청 단계에서 이미 개발할 지표에 대한 진료과의 명확

한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관련 자료를 검토하는 단계에

서 의무기록(EMR) 서식을 정리하는 단계가 동시에 진

행이 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그림 5).

<그림 4> 진료과 지표개발의 일반적 진행과정

<그림 5> 유방암 지표 개발 과정 모식도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진료과 지표 개발의 일반적 진행과정

지표선정지표선정해당 분야에서 의미있고 관심있는 주제 영역

및 지표 정의 초안 구성2주

• 해당분야 교수,

• 실무담당자(전임의 혹은 PA)

• 임상질지표 담당자

Pilot studyPilot study

초안 구성된 정의에 따라 의료정보팀에 기초자

료 요청하여 의무기록 조회를 통한 자료정리

및 지표 결과값 산출

2주 • 임상질지표 담당자

지표지표 재정의재정의

및및 전산화전산화 구성구성

Pilot study 결과 검토 후 지표 재정의,

CDW 전산화 위한 상세 정의,

CI TFT 검토

4주• 실무담당자(전임의 혹은 PA)

• 임상질지표 담당자

자체평가자체평가CDW 자료 검증 및 추가 보완,

목표 달성값 선정 및 모니터링 계획2주

• 해당분야 교수

• 실무담당자(전임의 혹은 PA)

• 임상질지표 담당자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유방암 지표 개발 과정 모식도

외국사례 검토

외국사례 공유

EMR 서식 분석

가능한 지표 제시

진료과 검토/보완지표 정의 확정

pilot study

pilot sutudy자료 추출

pilot sutudy결과 검토

CI TFT 보고/논의

화면 layout 작성

화면 layout검토/보완

CDW 구성 작업

CI TFT 보고

EMR 서식 정리

CDW 검증

진료과진료과((외과외과))진료과진료과((외과외과))

QAQA파트파트QAQA파트파트

의료의료정보팀정보팀의료의료

정보팀정보팀

Page 3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3

<그림 6> 유방암 지표 예시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유방암 지표 예시

지표 1 : 유방절제술시 Reexcision 시행률

지표 2 : 유방절제술 후 임파부종(lymphedema) 발생률

지표 3 : BSC(lumpectomy, WLE)후 IBTR(ipsilateral breast tumor recurrence)발생률

지표 4 : 유방절제술 후 seroma 발생률(Aspiration 필요율)

지표 5 : 유방암 수술의 초진진료~수술까지의 소요일수

지표 6 : 유방절제술시 유방재건술 동시시행율

지표 7 : 유방암 환자의 유방보존율

지표 8 : 유방암 수술 후 Disease free survival 기간

지표 9 : 유방절제술의 수술 시작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최초 투여율

지표 10 : 유방절제술의 수술 후 항생제 사용종류

지표 11 : 유방절제술의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일수

지표 12 : 유방절제술 위해 입원시 재원일수

지표 13 : 유방절제술 위해 입원시 진료비

지표 1 : 유방절제술시 Reexcision 시행률

지표 2 : 유방절제술 후 임파부종(lymphedema) 발생률

지표 3 : BSC(lumpectomy, WLE)후 IBTR(ipsilateral breast tumor recurrence)발생률

지표 4 : 유방절제술 후 seroma 발생률(Aspiration 필요율)

지표 5 : 유방암 수술의 초진진료~수술까지의 소요일수

지표 6 : 유방절제술시 유방재건술 동시시행율

지표 7 : 유방암 환자의 유방보존율

지표 8 : 유방암 수술 후 Disease free survival 기간

지표 9 : 유방절제술의 수술 시작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최초 투여율

지표 10 : 유방절제술의 수술 후 항생제 사용종류

지표 11 : 유방절제술의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일수

지표 12 : 유방절제술 위해 입원시 재원일수

지표 13 : 유방절제술 위해 입원시 진료비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은 진료과에서 자체적으로 하고

있으며, 진료 결과에 대한 추이분석과 연구 논문 등에

활용이 되고 있다.

지표 검토과정에서 1차적으로 선정된 지표는 그림 6

과 같고, 이 중 활용도가 높고, 중요한 지표 8개를 최종

선정하여 CDW화 하여 활용하고 있다(그림 7).

Ⅲ. QA활동을 통한 임상 질 지표 개선활동 사례

1.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질병관리본부의 높은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그림 7> 유방암 지표 CDW 구축 사례

Page 3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3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항생제 내성률 발표에 따라 의료기관평가의 임상 질 지

표 평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적정성평가 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수술부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 연구결과,

외국에서 권고되는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 준

수율이 외국보다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김남순,2006). 이

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는 2006년부터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관리를 위한 지표 개발 및 QA활동을 시작하

였다.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은 병원 전체차원에서 QA파트

에서 분기별로 시행하여, 각 진료과와 경영진, 진료과장

회의, 교수간담회 등 회의체에 보고하며, 그 결과는 진

료 결과에 대한 추이분석과 연구 논문 등에 활용이 되

고 있다.

1) 질 향상 활동

① 원내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

수정 보완 및 배포

외국 지침을 통해 기존의 지침을 보완하였고, 수정된

지침서는 원내 진료과장회의, 교수간담회, 전공의간담

회, 진료과별 conference에 참석하여 홍보하였고, 항생

제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시 첨부하여 발송하였다.

② 진료과별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모니터링

지표 선정

진료과별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집중 모

니터링 대상 수술 분야는 의료기관평가 임상질지표 평

가와 적정성평가의 대상인 8개 수술로 하되, 모니터링은

모든 진료과 수술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수술의 예방

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표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 대상

지표를 선정하고 원내 EMR을 활용한 data 적재를 위해

구체적 정의 개발하고 합의를 도출하였다.

③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개선활동

수술 전 항생제 투여 프로세스를 변경하였다. 2004년

까지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병실에서 병실 간

호사가 시행하던 것을 2005년부터 수술장 내 전처치실

에서 마취과 간호사가 투여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으

며 2007년 5월부서는 수술방 안에서 마취시작 시 혹은

induction 시작 시 투여하는 것으로 변경 시행하여 수

술 예방적 항생제 투여시간의 개선을 100% 달성하였다.

진료과별 6시그마, QA활동을 통해 CP를 개발하여 활

용하였다. 6시그마, QA 활동에 진료과의 참여가 확대되

면서 수술 예방적 항생제 관리를 CP개발을 통해 진행하

였다. 퇴원약으로 발행되던 경구 항생제 처방을 제한하

고 수술 후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침을 준수할 수 도록

항생제 사용을 유도하여 감염내과의 자문을 통해 최종

확정된 CP만을 원내 운영 CP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이로써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일수와 피해야 할 항생제

사용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④ 진료과별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 준수율

모니터링 및 피드백

진료과별 항생제 사용 지표 결과를 CDW를 통해 측

정 및 분석하였다. 분기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표 결

과값을 엑셀로 작성된 표준화된 양식을 이용하여 진료

과장과 수간호사 대상으로 전자우편으로 발송하였으

며, 발송 양식에는 지표별 정의와 결과값, 항생제 사용

지침, 참고화면을 포함하였다.

2) 개선효과

수술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 준수율이 높아짐에 따

Page 3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5

라 의료기관평가 대비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고

의료기관평가 임상 질 지표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받

을 수 있었다.

수술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평가 대비와 동시에

내부적으로 수술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진행된 이러한 활동은 기초자료 수집을 통

해 원내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 수정 보완, 임

상 질 지표로서 수술 예방적 항생제 지표를 선정하여

CDW 전산화를 통한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진료과별 정기적인 피드백을 통한 개선 유도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그림 8> CI와 CP의 연계

<그림 9> CP를 통한 항생제 사용 적정성 증진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CP 적용률, 완료율 모니터링• 항생제 처방시스템을 이용한 사용률• CP 적용률, 완료율 모니터링• 항생제 처방시스템을 이용한 사용률

• 분기별 해당 지표 모니터링ü 평가대상 8대 수술ü 전진료과 예방적 항생제 사용 현황

• 분기별 해당 지표 모니터링ü 평가대상 8대 수술ü 전진료과 예방적 항생제 사용 현황

CI와 CP의 연계

• 수술예방적 항생제 지표ü 절개 전 1시간이내 항생제 투여ü 수술 후 사용일수ü 피해야 할 항생제 사용

• 수술예방적 항생제 지표ü 절개 전 1시간이내 항생제 투여ü 수술 후 사용일수ü 피해야 할 항생제 사용

• CP 구성 시..ü 1세대 cephalosporin 권고ü 사용일수 제한ü 병용투여 제한

• CP 구성 시..ü 1세대 cephalosporin 권고ü 사용일수 제한ü 병용투여 제한

Clinical IndicatorClinical Indicator Clinical PathwayClinical Path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CP를 통한 항생제 사용 적정성 증진

외과외과

total gastrectomy

cefazolin 수술 후 1일 사용일수 2일 → 1일로 점차 개선distal gastrectomy

wedge resection

lapa. cholecystectomy 2세대 cefotetan cefazolin 수술 후 1회

WLE+SLNBx (cancer)

Keflin on call 1회WLE (disease)

thyroidectomy

appendectomy cefotetan 수술 후 1일

성형외과성형외과

TRAM3세대 7~10일

cefazolin on call + mesexin 5일 주사 5일 → 경구 5일로 점차 개선

nasal bone fracture cefazolin on call 1회

palatoplasty 주사-penicillin경구-3세대

cefazolin on call + mesexin 2일 CP TFT 논의 통해항생제 변경

(주사 2일 → 경구 2일로 점차개선)

cheiloplasty

BSSRO 병용투여(3세대+GM)

cefazolin 수술후 2일 + clamoxin 4일IBG

mass excision/scar revision (성인)

3세대 경구 3일cefazolin on call +mesexin 3일

CP TFT 논의 통해항생제 변경mass excision/scar

revision (소아)cefazolin on call +cephradine 3일

산부인과산부인과

자연분만 3세대 cephradine 분만 후 1일

CP TFT 논의 통해항생제 변경

제왕절개 2세대 cefazolin 수술 후 1일

복강경하 TLH 2세대 cefotetan 수술 후 1일

pelviscopy 3세대 cefazolin 수술 후 1일

Page 3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3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원내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수술 예방적 항생제

사용 지침에 대해 전사적인 홍보와 지침 준수의 필요성

을 교육한 결과, 의료진의 호응을 얻어내게 되어 지침 준

수율이 향상되었다. 기존의 다른 임상 질 지표 관리와 동

일한 방식으로 CDW를 통한 자료 관리와 지속적인 모

니터링을 통해 진료과별 항생제 사용 지표 결과를 객관

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

다. 또한 진료과별 항생제 사용 지표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는 표준화된 양식을 개발하여 피드백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09년 9월, 수술 후 예방적 항생

제 사용 기간을 5일에서 3일로 개정하였고(그림 10), 원

내 수술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침 준수율은 평

가 대상인 8개 수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수술에도 영향

을 끼쳐 항생제 사용방법에 대한 자발적인 개선이 이루

어지고 있다.

2. 수혈 지표

의료의 질을 측정하는 임상 질 지표의 선정에 있어 수

혈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안전하고 적합하며 적

정한 혈액을 환자에게 공급해야 하는 당위성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혈액의 반납률 및 폐기율을 관리하

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수혈의 현황이나 적정성 관

리를 임상 질 지표로서 선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단계에

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연구나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적정성평가 결과 등을 고려할 때, 의료의

질을 측정하는 중요한 임상 질 지표로서 수혈 지표를 선

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활

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질 향상 활동

수혈 지표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주요 관리

지표로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개발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반납/폐기율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RBC 관리

지표, 혈액처방적응증별분류 현황, 혈액병용투여,

혈액투여시간, 혈액보관후반납률에 이르기까지 많은

지표에 대한 데이터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그림 10> CP를 통한 항생제 사용 적정성 증진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CP를 통한 항생제 사용 적정성 증진

수술수술 시시 예방적예방적 항생제항생제 사용에사용에 대한대한 원칙원칙

1. 예방적 항생제는 절개 전 30~60분에 최초 투여한다.

(예외 : Vancomycin and fluroquinolones : 120분 이내 투여, 대장수술, 직장수술에서는 24시

간 동안 경구 예방항균제 투여)

2. 예방적 항생제는 1세대 cephalosporin (대장수술의 경우에는 2세대인 cefotetan)을 사용하

며 병용투여 하지 않는다.

3. 수술 후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기간은 수술 후 3일 이내로 제한한다. 특히, 3일 이후 경구항

생제를 처방하지 않는다.

* 감염 발생시 사용하는 것은 예방적 목적이 아닌 치료 목적의 항생제 사용에 해당하므로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age 3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7

지표들은 일시적인 현황 조사에 그치지 않고 CDW로

전산화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부서별 QA활동과 연계하여 집중 관리가

필요한 지표에 대해서는 병원 차원에서 지원하여

개선활동을 진행하였다.

2) 개선 효과

반납/폐기율의 경우 그 대상이 전 진료과로 방대하기

때문에, CDW를 통해서 추출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

으로 우선적으로 시급히 관리해야 할 주 관리 대상을

선정하여 부서별 QA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

다. 그 결과 QA활동 후 해당과의 혈액반납률이 10%이

상 감소하였으며, 인수과정의 업무 오류 또한 감소하고

정해진 시간에 혈액인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세

스를 개선하였다. 중앙에서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모니

터링과 피드백은 특히 RBC 수혈 전/후 Hb 검사 시행

률과, 혈액불출후 30분이내 수혈시작률에 있어서의 많

은 향상을 나타냈다.

수혈 지표 관리는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해결하는 프

로세스 개선 측면을 벗어나 환자안전측면에서도 그 중

요성이 매우 크다. 이에,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혈을 위

해서는 앞으로도 수혈과 관련된 더 많은 임상 질 지표

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증 지표

기존 간호 업무 시 사용하고 있는 임상관찰기록지의

통증평가는 2007년 의료기관평가에 대비하여 개발된

것으로 통증 평가에 대한 기록 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

아 간호사의 주관적 판단이나 능력에 따라 다르게 통증

평가 및 기록이 시행되고 있었다. 통증의 초기 사정, 통

증의 정기적 재평가 및 중재가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

지를 관리하는 지표의 부재로 통증 관리가 어느 정도 이

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정

기적, 지속적으로 통증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증

지표 개발이 요구되었다.

1) 질 향상 활동

EMR 간호기록에서 통증 관련 항목을 수정 및 보완

하였고, 통증 평가 기록을 표준화하기 위해 지침을 구

성하여 공지하였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통증 지

표 개발을 진행하였다. 입원시 통증 사정률, 통증 유병

률, 통증 재평가율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CDW 전

산화 하였다.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통증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을 고취시키기 위해 통증 평가 및 기록에 대한 인지도 조

사 및 간호사 직무 교육을 실시하였다.

2) 개선 효과

통증 관리에 대한 다각도의 요구 및 문제점을 파악하

였고, 통증 기록지침 및 통증 지표 개발을 통해 객관적

기준 및 수치에 근거하여 통증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통

증 관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였다.

4. 모성 및 신생아 지표

사회 전반적으로 모유수유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모

유수유를 원하는 산모가 증가하고 있지만, 병원의 시스

템이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여

산모의 만족도가 계속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모

유수유와 모자동실 이용 병원 평가 항목으로 포함이 되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Page 4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3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어 있어 그 필요성이 더욱더 요구되었다.

1) 질 향상 활동

QA활동을 시행하기 전에는 모자동실을 12개 병상으

로 정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산모와 부인과 환자가가

같은 병실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산모들

은 이와 관련한 모유수유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2007년 3월 5일부터 모자동실을 4개 병실 총 14병상으로

분리운영 하였으며 해당 병실은 안내문을 제작하여 부

착하였다. 모자동실에 대한 안내 및 홍보를 시행하고 모

자동실 이용을 적극 권장하였다.

완전모유수수율 증가를 위해 산전/산후 모유수유 교

육을 시행하였다. 수유쿠션 등의 필요 물품을 구입하였

으며 모유수유 전담 인력을 운영하여 모유수유율 증가

와 함께 산모의 만족도 증가를 목표로 하고 활동을 진

행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EMR을 보완하고, 완

전모유수유율과 모자동실 이용률에 대한 CDW 화면

을 구성하였다.

2) 개선효과

일반적으로 모유수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

되어 모유수유의 장점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분당

서울대병원은 모유수유 권장 사업을 다른 산부인과 병

원에 비해 늦게 시행하기는 하였지만 모자동실 분리 및

<표 3>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QA활동에 활용된 임상 질 지표 사례

QA활동 주제 임상 질 지표 활동 부서

응급실 퇴실 시간을 기준으로 48시간 이내에 동일증상 또는 연관증상으로 재방문하는 환자 분석

● 응급실 퇴실 후 48시간 이내 재방문율 응급의학과

안전한 혈액관리를 위한 혈액의 반납 회수 관리 ● 혈액 반납/폐기율 진단검사의학과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응급실 도착에서부터 재관류 치료를 받기까지의 시간 개선

● 병원도착 90분이내 Primary PCI 실시율● Door to balloon time 중간값● 병원도착 60분이내 혈전용해제 투여율

심장혈관센터

위암수술 환자에서의 CP 개발과 적용에 따른 CI 개선활동에 관한 연구

● 예방적 항생제 사용일수● 합병증율

외과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준수의 적정성평가● 수술절개 전 1시간 이내 투여율●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일수● 피해야 할 항생제 사용률

외과

완전 모유수유율 100% 달성● 완전모유수유율● 유방울혈율

간호부

금연교육 동영상을 이용한 환자 교육으로 금연교육률 향상

● 금연 교육율 폐센터

효율적인 통증관리를 위한 지표개발● 통증유병률● 입원시 통증 사정률● 통증 재평가율

간호부

영양불량 검색지표 설정● 영양불량환자 비율● 영양불량환자 5일 이내 영양평가율● 영양불량환자 5일 이내 임상영양치료율

영양실

liver Bx. CP 적용을 통한 재원일수 단축 ● liver Bx 후 합병증 발생률 소화기내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를 위한 bundle approach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발생률 감염관리실

Page 4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39

이용 권장, 모유수유교육 및 홍보, 모유수유 전담인력

운영 등의 노력들로 완전모유수유율이 획기적으로 향

상되어 산모만족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활동

시작 시점에서는 지표의 정의가 자주 바뀌어 혼란스러

웠고 병동과 신생아실에서는 변화된 업무에 적응하느라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병실의 구조 변경 없이 기존의

2인실과 5인실을 모자동실로 사용하다 보니 매우 좁고

시설이 불편하여 산모들의 민원도 발생하였다. 하지만,

가정의 건강을 책임질 산모와 이 사회를 이끌어 갈 신생

아의 건강을 위해 모유수유를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한

다는 비전을 위하여 42병동과 시생아실 간호사들의 노

력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게 되었다. 이 활동을 토

대로 앞으로 완전모유수유율 100%를 유지하기 위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획기적인 모유수유 사업을 지속적으

로 시행할 예정이다.

Ⅳ. 향 후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에 대한 제언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현재 251개의 지표가 개발되고

이 중 205개가 CDW로 전산화되어 그 결과값의 모니터

링이 가능하다. 200개가 넘는 지표를 개발하고 활용하

면서 가장 큰 어려움은 진료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개발 초기에는 진료행위를 변화

시켜야 하는 질환 중심의 복잡한 지표보다는 진료외적

요인 개선이 용이한 지표에 더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하

게 되었다.

또한 객관적인 수치를 측정해야하기 때문에 진단명,

수술명 등 기록의 정확성이 반드시 필요하나 미비기록

이나 기록 누락이 많았으며 또한 수진일별로 진단명이

match되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수정 보완 필요성이 요

구되었다. 이에 부서별 QA활동으로 연계하여 중앙에서

<그림 11> 임상 질 지표와 표준진료지침을 연계한 의료 질 향상 모식도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CP 관리 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1) CP 운영 현황 모니터링

ü 적용/완료율, 변이 분석

2) CP 적용 성과 모니터링ü재원일수, 진료비, 정규퇴원율, 약 반납률

• CP 관리 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1) CP 운영 현황 모니터링

ü 적용/완료율, 변이 분석

2) CP 적용 성과 모니터링ü재원일수, 진료비, 정규퇴원율, 약 반납률

•공통 지표 및 진료과별 지표 개발ü CP에서 도출된 질 지표 개발ü 진료과 요청에 의한 질 지표 개발

• 권고지침 활용 결과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ü 병원 공통 질 지표 모니터링ü 진료과 특성별 질 지표 모니터링

•공통 지표 및 진료과별 지표 개발ü CP에서 도출된 질 지표 개발ü 진료과 요청에 의한 질 지표 개발

• 권고지침 활용 결과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ü 병원 공통 질 지표 모니터링ü 진료과 특성별 질 지표 모니터링

임상 질 지표와 표준진료지침을 연계한 의료 질 향상 모식도

• 진료의 질적 기준 제시• 모니터링 결과 분석 및 개선 필요성 도출

ü 외부평가 대비 질 지표 관리

• 진료의 질적 기준 제시• 모니터링 결과 분석 및 개선 필요성 도출

ü 외부평가 대비 질 지표 관리

• 질 지표 기준을 진료과에 권고• 기준을 반영하여 CP 구성• CP 적용 활성화

• 질 지표 기준을 진료과에 권고• 기준을 반영하여 CP 구성• CP 적용 활성화

Clinical IndicatorClinical Indicator Clinical PathwayClinical Pathway

병원 QA 활동을 위한 임상 질 지표 활용 | 특집기획

Page 4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개선 지원을 하였으며, 현재는 수진일별 진단명 match-

ing이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지표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은 작게 시작하

는 것이 좋다. 계획이 없던 재입원/재수술/재입실 등 범

위도 넓고 진료과별 의견이 다양한 지표는 개발과 관

리가 힘들며 노력에 비해 결과가 미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표의 범위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역

이 너무 넓으면 접근도가 떨어질 수 있다. 사망률보다는

AMI 사망률로 접근하는 것이 개발도 용이하고 개선효

과도 좋은 것처럼, 한 질환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해야 target focus에 대한 개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프로세스 개선이 결과로 나와야한다. 개선할 수

없는 지표는 무의미하며 자원투입으로 개선되어도 마

찬가지이다. 지표를 개발하는 사람은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여야 한다. 개발된 지표는 지속적으

로 모니터링 되어야하며 그 결과를 진료과 및 부서가 쉽

게 사용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

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문제점을 QA, 6시그마 등의

개선방법을 적용하여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부서

성과평가 시스템에 반영하여 개인/부서 성과급제에 연

계하여 개선을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진료과

지표의 경우에는 CDW에 있는 많은 양의 data를 data

mining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각종 질환별 예측모형을

구축할 수 있으며, 개발된 진료과 지표를 통해 Clinical

Pathway를 개발하여 연계 가능하다(그림 11).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임상 지표 결과를 병원 내에

서 공개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고, 무엇 보다도

임상 질 지표는 개발과 모니터링이 중요한 게 아니라, 왜

필요하며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고민하고 개선활동을

임상의 업무 프로세스에 반영하여 실행하는 것,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임상의 표준이 향상되는 것이 가장 중요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남순 등 (2006), 항생제 사용실태 조사 및 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청(편)

2. 김영랑 (2009), 임상 질 지표 평가활동 활성화

관련요인 분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0(1), 17~33.

3. 김윤 등 (2005),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서울대학교의과대학

4. 황지인 등 (2005), 임상 질 측정 지표 개발 및 실무

적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Page 4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한국의료 QA학회지

Vol 16, Number1, 2010_ 41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Clinical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Cancer Care : Toward Better Performance

- 이은정, 박종혁 -

Ⅰ. 들어가며

우리나라는 2007년 한 해 동안 16만 명 이상의 암환자

가 발생하였으며, 2008년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약 24만

6천 명 중 6만 9천여 명이 암으로 사망하여, 암이 사망원

인 중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2010년 우리나라 암 생존

자 수는 약 68만 명으로 추산되는 등 암으로 인한 국민

부담이 매우 커서, 암은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한 우리나

라의 주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진료에 대

한 임상질을 평가함으로써 국민에게는 알 권리를 보장

하고 암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의료기관에는 임상질

의 향상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의료기관평가의 임

상질지표 평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등 우리나라 의료에 있어 임상질평가가 활발히 진

행되고 있지만, 이는 암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

료기관에는 거의 해당되지 않는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

고, 암 진료 평가에 필요한 병기, 진단, 치료, 완화의료 등

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아 암 진료 영역 평가를 위한

별도의 임상질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그림 1).

이에 우리나라보다 앞선 외국의 암 진료 영역의 임상

질지표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추진방향에 대해 모

색해보고자 한다.

<그림 1> 의료기관평가 및 암전문의료기관평가 항목

교신저자 박 종 혁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암정책지원과

[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0910191)으로 이루어 졌음.

Page 4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Ⅱ. 외국 암 진료의 임상질지표 현황

1. 미국 ASCO/NCCN의 암 진료에 대한 임상질지표

1999년 발행된 “Ensuring Quality Cancer Care” 보고

서와 암 치료의 질과 관련된 이슈들은 암 치료의 국가적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증진시켰고, 표준화된 치료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가 시작되었다. 미국 임상종양협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와 미국 21개 암전문의료

기관의 연합 단체인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은 유방암과 결장암에 대하여 의료

관련 이해당사자(소비자, 공급자, 연구자 등)가 참여하

는 NQF (National Quality Forum)에서 개발된 지표와

전문가 패널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지표를

조율하여 2007년에 최종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표 1).

2. 미국 ASCO의 Quality Oncology Practice

Initiative(QOPI)

미국 임상종양학회의 QOPI(Quality Oncology

Practice Initiative)는 종양학자가 주도하는 실무 중심

의 질 평가와 개선활동의 시초로, 자가 평가(self-as-

sessment)와 질 개선의 문화를 만들어 실무에 도움을

줌으로써 암 진료의 향상을 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평가도구 뿐만 아니라 피드백과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QOPI의 질평가는 2002

년에 시작되어 2005년까지 3번의 pilot test를 거쳐 2006

년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2007년 현재 약 130여개의 병

원이 참여하고 있다. QOPI의 질지표는 크게 핵심지표

(Core indicators), 주요 상세 모듈(Domain Specific

Modules), 암종별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표2-4).

<표 1> ASCO/NCCN와 NQF의 평가지표

●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술을 받은 70세 미만 여성 환자로 진단 후 1년 이내에 등록된 방사선요법

● 유방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 AJCC T1cN0M0 또는 Stage II, III인 호르몬 수용체 음성인 70세 미만 여성 환자로 진단 후 4개월 이내에 결

합화학요법으로 등록되거나 고려되어진 환자

● 유방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 AJCC T1cN0M0 또는 Stage II, III인 호르몬 수용체 양성으로 진단 후 1년 이내 등록되거나 고려되어진

Tamoxifen 또는 3세대 aromatase 억제제

● 대장암 환자로 AJCC Stage III(LN+)인 80세 미만이며 4개월 이내 등록되거나 고려되어진 보조 항암요법

● 대장암 절제술 후 병리학적 검사로 제거된 림프절 수가 12개 이상인 경우

● 외과적 직장암 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임상적 또는 병리학적으로 AJCC T4N0M0 또는 Stage III인 80세 미만 환자 중 진단 후 6개월 이내

등록되거나 고려되어진 방사선 요법

● 외과적 직장암 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임상적 또는 병리학적으로 AJCC T4N0M0 또는 Stage III인 80세 미만 환자 중 진단 후 9개월 이내

수술하고 등록되거나 고려되어진 항암요법

Page 4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43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특집기획

<표 2> QOPI의 핵심지표

핵심(Core)

차트에서 이용 가능한 병리학적 소견

1. 차트의 병리학적 보고서에서 악성의 확인 가능성(%)

2. 초진 한 달 안에 병기의 명확한 표기(%)

통증평가

3. 재진(second office visit)시 평가된 통증(%)

4. 재진시 확인된 통증 강도(%)

5. 중증이상 심한통증을 가진 환자의 통증이 기술된 기록(%)

마약성 진통제 평가

6. 새로운 마약 처방에 따른 통증의학의 효율성(%)

7. 새로운 마약성 진통제 처방에 따라 초진 시 변비평가(%)

항암요법 계획

8. 항암요법을 시작하기 전, 용량 및 치료간격을 포함한 항암요법을 위한 기술된 계획 (%)

9. 항암요법 목적(고식적 vs. 치료적)에 대한 기술(%)

10. 항암요법 계획 논의에 관한 기술(%)

11. 관리 전 항암주기 수에 대한 기술(%)

12. 용량, 시행날짜, 혈구수(Blood counts)등 차트에서 이용 가능한 항암요법 flow sheet(%)

차트에 명기된 항암요법 동의

13. 차트에서 항암요법에 대한 서명된 환자 동의서(%)

14. 항암요법 관리에 대한 치료 설명과 환자동의서(%)

15. 환자동의서 서식(%)

16. 차트의 항암요법 치료요약(%)

17. 환자에게 전달된 치료요약(%)

18. 제공자(들)에게 전달된 치료요약(%)

금연상담

19. 재진 시 기재된 흡연상태(%)

20. 재진 시 흡연자들에게 제공된 금연상담(%)

정신사회적 지지(시험)

21. 초진 1개월 안에 환자의 정서적 안녕(well-being)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환자 차트(%)

22. 정서적 안녕에 문제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 환자에게 초진 한 달 이내에 조치가 취해 졌는가에 대한 기재내용(%)

Page 4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표 3> QOPI의 주요상세모듈

증상/독성평가: 화학요법과 관련

지침에 따라 제공된 구토억제제

23. 구토를 크게 유발하게 되는 항암요법의 첫 시행 시 처방된 Serotonin 길항제(%)

24. Serotonin 길항제와 동시에 처방된 corticosteroids(%)

25. 구토을 크게 유발하게 되는 항암요법의 첫 시행 시 처방된 aprepitant(%)

26. 구토을 크게 유발하게 되는 항암요법의 첫 시행 시 처방된 Aprepitant, seotonin antagonist 및 corticosteroid (%)

Erythroid growth factors administered according to guideline

27. Epoetin 및 darbepoetin의 관리에 앞서 기본 철(iron) 저장 개제(%)

28. Epoetin, darbepoetin의 관리에 앞서 헤모글로빈(hemoglobin)≤10g/dL 또는 빈혈/낮은 헤모글로빈 증상에 관한 기술(%)

생식력 보존(test)

29. (치료전) 재생산 기간에 환자의 불임 가능성에 관련하여 언급된 기록(%)

30. 생식력 보존 기능 또는 환자를 위한 전문의 소개(%)

임상시험평가

31. 임상시험 시행을 위해 평가된 환자(%)

32. 환자 적격성 여부에 대한 검증된 시험(%)

33. Discussion with patient of trial for which s/he is eligible documented in the chart(%)

34. 임상시험 치료가 시작된 환자(%)

임종 관리

임종시점의 통증평가 및 기록

35. 임종 전 또는 그 바로 전 마지막 방문 시 통증평가(%)

36. 임종 전 또는 그 바로 전 마지막 방문 시 측정된 통증강도(%)

임종 전 호흡곤란 평가

37. 임종 전 또는 그 바로 전 마지막 방문 시 호흡곤란 평가(%)

38. 임종 전 또는 그 바로 전 마지막 방문 시 호흡곤란을 경감하기 위해 취한 활동(%)

호스피스 등록 시기

39. 임종 전 호스피스에 등록된 환자(%)

40. 임종 전 고식적 치료 서비스를 위해 등록되거나 위탁된 환자(%)

41. 임종 3일전에 호스피스에 등록된 환자(낮은 점수 일수록 더 좋음)(%)

42. 임종 1주일 전에 호스피스에 등록된 환자(낮은 점수 일수록 더 좋음)(%)

43. 임종 2개월 전까지 위탁되지 않은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및 고식적 치료에 관한 논의

임종 전 항암요법 시행시기(%)

44. 임종 2주안에 시행된 항암요법(낮은 점수 일수록 더 좋음)(%)

Page 4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45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특집기획

<표 4> QOPI의 암종별 지표

질병상세 모듈

유방암

유전적 상담(test)

45. 차트에 기재된 유방암 환자의 상세 병력(%)

46. 유방암환자에 적절한 유전적 상담 소개(%)

유방암 환자에게 적절히 권고된 항암요법

47. AJCC 병기 Ⅰ, Ⅱ 및 Ⅲ기 호르몬 수용체 음성인 70세 이하 여성으로 진단 4개월 이내에 권고된 조합 항암요법(%)

48.AJCC 병기 Ⅰ, Ⅱ 및 Ⅲ기 호르몬 수용체 음성인 70세 이하 여성으로 진단 4개월 이내에 받은 조합 항암요법(%)

Her2Neu 양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Trastuzumab 관리

49. Her2Neu 유전자를 확대표현하기 위한 IHC 또는 FISH 시험(%)

50. Her2Neu 양성인 항암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환자를 위해 권고된 Trastuzumab(%)

51. Her2Neu 음성이거나 불명(unknown)의 유방암 환자에게 인정되는 trastuzumab(%) (낮은 점수 일수록 더 좋음)

52. 항암요법을 받은 Her2Neu 양성 유방암환자에까지 인정되는 trastuzumab(%) (낮은 점수 일수록 더 좋음)

지침에 따라 권고된 유방암환자의 호르몬요법

53. 1년 이내에 진단받은 AJCC 병기 Ⅰc에서 Ⅲ ER까지 또는 PR 양성 환자를 위해 권고된 Tamoxifen 또는 AI(%)

54. 1년 이내에 진단받은 AJCC 병기 Ⅰc에서 Ⅲ ER까지 또는 PR 양성 환자로 받은 Tamoxifen 또는 AI(%)

55. ER/PR 상태가 음성 또는 기재 안된 때 받은 Tamoxifen 또는 AI(%)

뼈 전이가 이루어진 유방암환자를 위해 관리되는 Bisphoshonates

56. 뼈전이가 이루어진 유방암환자에게 주어지는 bisphosphonates 정맥내 주사(%)

57. 뼈전이가 이루어진 유방암환자를 위한 bisphosphonates의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관리 사이에 평가되는 신장 기능(%)

대장 및 직장암

58. 대장 및 직장암 환자 차트에 기재된 상세 병력(%)

59. 대장 및 직장암 환자에 적절한 유전 상담 의뢰

대장 및 직장암 지침 내에서 평가된 암 배아 항원(CEA)

60. 대장 및 직장암에 대한 치료적 절제 또는 보조적 항암요법 4개월 후에 측정된 CEA(%)

대장암 환자에게 적절히 권고된 항암요법

61. 임파선까지 침습한 AJCC 병기 Ⅲ기의 대장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4개월 이내에 권고된 보조적 항암요법(%)

62. 임파선까지 침습한 AJCC 병기 Ⅲ기의 대장암으로 진단된 환자가 4개월 이내에 받은 보조적 항암요법

대장암의 수술적 절제술 후 검토된 림프절

63. 대장암의 수술적 절제 후 기재된 림프절수(%)

64. 대장암의 수술적 절제 후 검토된 12 또는 그 이상의 림프절수(%)

Page 4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QOPI에 참여한 병원들은 실제로 성과가 개선되어,

2006년 봄에 측정한 결과(78.7%)와 가을에 측정한 결과

(82.3%)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대장암 환자에게 적절히 권고된 항암요법

65. 수술전 영상 또는 수술후 병리소견으로 진단된 AJCC병기 Ⅱ또는 Ⅲ의 직장암의 9개월 이내 권고된 수술후 보조적 화학

요법(%)

66. AJCC 병기 Ⅱ 또는 Ⅲ의 직장암 환자가 9개월 이내에 받은 수술 후 보조적 화학요법(%)

감시(Surveilance)

67. 수술전 또는 치료적 절제의 6개월 이내에 대장경을 통해 확인된 전체 대장(%)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종 환자에 대한 지침에 따라 관리되는 백혈구 증식 요소

68. 65이상 환자에서 CHOP 또는 R-CHOP으로 관리되는 백혈구 증식 요소(%)

림프종 환자의 rituximab의 적절한 사용

69. 양성 CD-20 항원 발현의 증거없이 관리되는 rituximab(%)(낮은점수일수록 좋음)

폐암(비-소세포)

비 소세포 폐암 환자에게 적절히 관리되는 화학요법

70. 병기 ⅡA, ⅡB, 그리고 ⅢA기인 비소세포폐암(NSCLS)으로 치료적 절제 후 60일 이내의 환자에게 권고되는 cisplatin 기반

의 보조적 화학요법(%)

71. 병기 ⅡA, ⅡB, 그리고 ⅢA기인 비소세포폐암(NSCLS)으로 치료적 절제 후 60일 이내의 환자자 받은 cisplatin 기반의 보

조적 화학요법 (%)

72. 병기 ⅠA 또는 ⅠB기인 비소세포폐암(NSCLS)으로 치료적 절제 후 권고되는 보조적 화학요법(%)

73. 병기ⅠB 그리고 Ⅱ기인 비소세포폐암(NSCLS)으로 치료적 절제한 환자를 위해 권고되는 보조적 방사선요법(%)

<그림 2> QOPI 참여병원의 성과 개선 결과

Page 4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47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특집기획

3. 미국의 기타 암진료 질평가 현황

앞서 제시한 ASCO/NCCN, QOPI이외에도 미국에서

는 암 진료의 임상질평가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

다. NICCQ(National Initiative on Cancer Care Qual-

ity Project)는 5개의 임상도메인(Diagnostic Evalu-

ation, Surgery, Adjuvant Therapy, Management of

Treatment Toxicity, Post-Treatment Surveillance)과 8

개 의료의 구성요소(Testing, Pathology, Documenta-

tion, Referral, Timing, Receipt of Treatment, Techni-

cal Quality, Respect for Patient Preferences)에 따라

질지표를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43개의 결장암 지표, 43

개의 유방암 지표, 18개의 공통지표를 개발하였고, 미국

내 주요 도시별 질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미국의학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는 Americ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

ology and Oncology (ASTR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Physician Consortiu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PCPI)와 진료과정 평가를

위해 Oncology Physician Performance Measurement

Set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총 10개 질지표 항목으로

Accountability Measures 8개 항목, Quality improve-

ment only 2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미국 보건부의 공중보건국(Public Health Ser-

vice) 산하 기관인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는 질 향상을 위해 보건 의료기

관과 의료인이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Web기반 저장

도구인 NQMC(National Quality Measures Clearing-

house)를 개발하여 새로운 질 향상 지표나 도구들을 보

급하고 있는데, 2009년 9월을 기준으로 임상질지표는 일

반질환 총 1,245개 항목, 정신 질환 총 220개 항목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이중 신생물 관련 지표는 60개로, Histo-

logic type 6개 항목, Precancerous condition 1개 항목,

Cancer Site 53개 항목이 있다.

4. 호주의 ACHS(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ACHS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질과 안

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표준개발, 수

행평가, 질 향상에 대한 연구 등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ACHS는 평가 및 질 개선 프로그램(Evaluation and

<표 5> 호주 ACHS의 암진료 질지표

● 방사선 치료를 위해 14일 이상 대기한 비율

● XRT 시작 전 동의여부 관련 정보 기록 비율

● 임상시험 참여율

● 구강, 인후두 편평세포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위해 대기한 비율

● 자궁암에 대한 근치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또는 수술 후 항암방사선치료 비율

● 다목적 시준기 MLC (Multileaf collimator)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의 비율

● CT 계획 하에서 이루어진 방사선 치료의 비율(Treatment courses where CT planning was utilized)

● 최근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를 의사(또는 일반의)에게 보낸 기록

● 성문암(Glottic cancer) (T1-2 N0 M0)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중 F/U이 완전한 환자 비율

● 유방암(T1-3 N0-1 M0)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중 F/U이 완전한 환자 비율

Page 5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4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Quality Improvement Program: EQuIP)을 통해 4년

주기로 self-assessment, organization-wide survey &

periodic reviews 등을 시행함으로써 보건의료기관의

성과를 ACHS 기준에 맞추도록 감독하고 있다. ACHS

의 임상질지표는 300여개(2009년 초)로 이 중 신생물 관

련지표가 10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표 5).

Ⅲ. 외국 암 진료의 임상질지표 평가체계 현황

1. 미국 ASCO의 QOPI(Quality Oncology Practice

Initiative) 임상질지표 평가체계

ASCO는 질평가를 받고자 하는 병원에게 평가 지표

와 평가 가이드라인 및 방법을 미리 제공하며, 해당 병

원은 2년마다 자체적인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ASCO의

웹사이트를 통해 조사 결과를 입력하게 된다. 의무기록

조사는 후향적으로 이루어지며, 웹기반의 QOPI Data

Entry와 Reporting Tool을 통해 손쉽게 입력이 가능하

도록 하고 있다(그림 3). 해당 병원 또는 의사가 평가 받

고자 하는 모듈을 2개 또는 그 이상 선택하면, 프로그램

에서 입력해야 하는 표본의 크기를 산출하여 이에 해당

하는 차트의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표본의 크기는 상

근에 상응하는(Full Time Equivalent) 해당 병원의 임

상 종양전문의 숫자에 의해 결정된다. 해당 병원에서 의

무기록의 내용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ASCO

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

를 해당병원에 피드백함으로써 질향상 노력의 근거로

활용되도록 하고 있다(그림 4).

2. 호주 ACHS(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의 PIRT(Performance Indicator

Reporting Tool)

ACHS에서 개발한 PIRT는 의료기관들이 자료

<그림 3> QOPI의 웹기반 조사표

Page 5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49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특집기획

를 전산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개발한 도구로 2005년

에 ‘Computerized Results Booklet(CRB)’으로 대체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6개월 주기로 의료기관 자료를

ACHS로 전송받고, 제출 자료를 기반으로 기관 간 비교

보고서와 시간에 따른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기관의 질

향상 정도를 검토하거나(그림 5), 호주 및 뉴질랜드 전역

의 타 의료기관 또는 타 지역과의 질적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그림 6).

<그림 4> QOPI의 웹기반 결과 보고서

<그림 5> 임상시험 등록 환자 비율 추이

Page 5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5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Ⅳ. 향후 추진 방향

임상질평가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자발적인 질향상

노력의 근거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의료기관 선택

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하게 된

다(그림 7).

<그림 6> 방사선치료를 위해 14일 이상 대기한 비율

<그림 7> Two pathways to quality improvement (Berwick et al., 2003)

Page 5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51

앞서 살펴본 외국의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암 진료 실정에 적합한 임상질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은 다른 기관과의 결과비교를

통해 각 병원들로 하여금 현재 해당 병원의 수준을

가늠하고, 시계열적 평가 결과를 통해 진료의 질 향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평가 결과를

일반인에게 공표함으로써 소비자가 평가 결과를

인터넷으로 조회하여 자신이 원하는 진료의 질적

수준을 만족하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결국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평가는 효과적인

국가암관리를 위한 유용한 방안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암 진료 영역의 임상질지표 현황과 추진방향 | 특집기획

Page 5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5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53

영화 ‘마파도’를 참 재

미있게 본 기억이 난다. 한

두시간 한바탕 웃고 난 후 영화관을 나서는 기분. 좋은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내고 헤어질 때 느끼는

그 기분. 아쉬움이랄까. 의정부성모병원 QI팀과의 짧은

만남 후 난 그랬다.

비가 온 후 눈부시게 햇살이 내리쬐던 어느날 의정부

성모병원을 찾았다. 여느 QI팀 같이 약속 날짜 잡기가

힘들었다. 어렵사리 약속한 날, 교외 드라이브 떠나는

마음으로 차를 몰았다.

병원 건물이 멀리서도 눈에 잘 띄게 보여 찾기 쉬웠다.

약간 고지대라 야외 에스컬레이터가 입구에 있다. 본관

입구에는 ‘수술예방적항생제, 심근경색, 뇌졸중 분야 급

여적정성평가 1등급’이라는 문구가 크게 적혀 있다.

QI팀의 실적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이다.

병원 건물에 들어서면서 전직원의 친절서비스를 몸소

체험했다. 문을 여닫아주는 직원과 위치를 묻

는 환자, 보호자에게 응대하는 직원들의 모습

에서 병원 문화를 읽었다.

QI팀이 자리한 곳은 원장실과 같은 층으로 경

영진의 관심 대상임을 알 수 있다.

1999년 10월 1일부터 기획팀 산하에서 QI활동을 해온

의정부성모병원 QI팀은 2004년 8월 1일 조직개편 돼 인

원 보강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시작했다.

QI활동의 결실로 2004년 복지부 주관 의료기관평가

전국 4위를 한 의정부성모병원은 이를 계기로 원내에서

QI에 대한 인식이 전환됐다고.

2007년에는 CS실이 신설돼 고객만족도 향상 업무는

이관돼, 현재 QI, RM, CI 등 세 파트로 나누어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그 해 복지부 주관 의료기관평가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A등급을 받기도 했다.

김영옥 실장(신장내과 교수), 김효선 팀장, 고승희, 정

명숙, 허 희, 김현경 등 6명으로 구성된 QI팀은 한마디

로 가족 같았다.

의정부성모병원 | QA 병원 탐방

김영옥 의정부성모병원 QI실장

Page 5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5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김 실장은 QI팀에 대한 설명은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

지만, 가식이 없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려 했

다. 솔직함에 처음엔 당황스러웠으나, 바로 적응됐다. 김

효선 팀장의 활동 소개를 함께 들으며, 유쾌한 추임새

를 넣을 뿐이다. 그에게서 팀원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엿봤다.

김효선 팀장은 다른 병원과의 차별화에 대해 ‘임상질

지표 통합관리’라고 말한다.

각 지표마다 부서를 달리하게 되면 관리에 대한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 임상과 단독보다는 팀 전체가 함께 움

직일 수 있는 CP(Critical Pathway)를 개발한다.

지표의 주기적 보고를 통해 심근경색의 경우 시술건수

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임상질지표는 대상자 선정, 데이터 수집, 의무기록 확

인, 지표산출, 지표결과 보고 및 피드백, 개선활동 연계

의 프로세스로 관리하고 있다.

임상과, 보험팀 의료정보팀, 간호부, QI 팀이 함께 사

안에 따라 TFT, QI활동, 6시그마, 위원회 등을 활용해

건강한 프로세스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좋은 평가 성적

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임상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질 지표개발 및 모

니터링의 전산화를 위한 전산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QI위원회는 여느 병원과 마찬가지로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 관한 사항, 진료평가 지침의 제정에 관한 사항,

진료행위의 평가 및 시정방안 모색에 관한 사항, 의료이

용에 관한 적합성 평가에 관한 사항, 기타 의료의 질과

관련된 사항 등을 논의한다.

Page 5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55

의정부성모병원 | QA 병원 탐방

연 4회 분기별로 개최되지만, 중요 사항이 있을 때 수

시로 개최한다고.

QI팀은 매해 진료의 질 향상, 고객만족도 향상, 업무

프로세스 개선, 표준 진료지침개발, 임상 질 지표 관리,

환자 안전 증진, 병원 경영지표 개선 등 병원 전체의 질

개선을 위해 각 부서에서 진행하는 활동을 지원한다.

상반기 중간평가를 통해 우수부서에 격려금을 전달

하고, 연말에 최종평가 후 QI 사례발표회에서 구연, 포

스터 발표로 전 직원이 공유한다.

우수 부서를 많이 선정하는 것도 의정부성모병원의

특징.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듯, 관심과 격려가 QI 활

동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있다.

또한 소식지를 발간하고 있는 의정부성모병원 QI팀은

주제공모 승인 현황, 활동방법, 활동 사례 등의 정보를

인트라넷을 통해 전 직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언제나 QI 관련 모든 질문의 상담창구 역할

을 하고 있다.

QI팀은 표준진료지침 개발, 유지 관리 및 지표산출을

통해, 진료의 표준을 도모하고, 각종 평가에 대비한다.

각 부서 또는 프로젝트마다 1명씩 코디네이터를 선정

해 QI 활동방법, 방법론, 파워포인트, 엑셀 등을 교육해

각 부서의 QI 담당자로서 역량을 배양하고 있다.

전직원을 대상으로 QI 워크숍을 진행해, 그때마다 이

슈가 되는 사항을 전직원이 함께 나누고, QI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병원 전체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해결하기 어려

운 중요과제에 대해서는 6시그마 방법을 적용해 개선하

고 있단다.

환자안전관리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2007년부터 각

부서에 환자안전 담당자를 선정해 교육하고 있다.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보고되는 사건에 대해 사례분석

및 개선활동 진행, 적신호사건 사례분석 및 동료평가 시

행, 위험관리 소위원회 운영 등의 활동을 한다.

Near Miss(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인적 실수) 보고 건

수가 많은 3개의 주제를 선정해 6시그마 프로젝트를 수

행한다.

의료기관평가, 권역응급의료센터 평가, 적정성 평가,

중증외상센터 평가 등의 임상 질 지표를 부서간 협업으

로 통합관리 한다. QI에서 관리하는 전통적인 질 지표

들은 QI팀 자체적으로 관리한다.

김효선 팀장은 “올해 임상과의 질 향상 활동을 활성화

하고, 입원환자의 중증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QI팀의 목

표”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 진료부와 진료지원부서 업무의 표준화와

환자안전 지침을 재수립함으로써 원칙을 준수하는 의

료문화를 구축하고, 더불어 의료기관 인증을 비롯한 대

외평가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얻어 고객신뢰와 만족을

얻겠다”는 것이다.

Page 5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5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각 부서에는 올해 병원경영방침과 부서의 목표가 적

힌 액자가 있다.

병원의 나아갈 방향을 알고, 자신의 부서는 어떻게 해

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QI 프로젝트를 선정할 때도 40%정도는 상명하달식의

주제를 잡는다. 보통 중요한 것보다는 쉽게 할 수 있는

내용을 주제로 잡기 때문. 꼭 필요한 과제를 진행하고 효

율적인 QI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QI팀 벽에 걸린 올해 목표는 3차병원 수준 진료의 질

확보를 위해 △의료기관평가 대응체계 수립 △환자안

전문화 지침 수립 △고객중심 질 향상 활동 수행 △임

상 질 지표의 지속적 향상 △CP 및 원스톱 프로세스 개

발 등이다.

뜬금없이 “힘든게 뭐냐”고 물었다. 책임감이란다. 다

른 부서가 잘 진행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수행하며 코디

네이터를 한 후 나타나는 결과의 부담감을 말한다.

QI는 한 부서 한 개인이 잘해서 되는 게 아니다. 비공

식 채널을 통해 서로의 도움을 주고 받아야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모든 것을 대화로 풀어간다고.

그들은 QI를 즐긴다. 딱딱함이 없다. 재미를 곁들여 자

신의 활동이 객관적인 결과물로 나올 때 보람을 느낀다.

그리고 전직원에게 그렇게 하게끔 동기부여를 해준다.

Page 5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57

Ⅰ. 근거 중심 보건의료의 개념과 현황

근거 중심 보건의료(Evidence-based Healthcare)

란 환자 그룹이나 인구집단에 대해, 현존하는 최상의

근거 뿐 아니라 수요(needs)와 가치(value)를 고려하

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말하며, 근거 중심 정책 결

정, 근거 중심 급여, 근거 중심 의료 관리 등으로 표현

되기도 한다(1). 이는 현존하는 최상의 근거를 성실하

고 명료하며 현명하게 사용하여 개개의 환자들의 치

료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근거 중심 의학(Evidence

Based Medicine)의 원리를 보건의료분야에 확대 적

용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2).

빠르게 증가하고 변화하는 의학 지식과 현장 진료

와의 간극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며 시작된 ‘근거 중심’

의 개념은, 1993년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

tion) 창립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이 확산되고

의료기술평가(Health Technology Assessment), 임

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 등에 활용

되면서 근거중심 보건의료로 확장되어 왔다.

이미 현대의 보건의료는 근거에 기반한 선택과 집중

없이는 건강 향상을 이루어내기 어려우며, 이를 위해

근거, 가치, 수요라는 세가지 축은 ‘옳은 일을 올바르게

하라’(Do the right things Right)라는 근거중심 보건

의료에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급증하는 의료비

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존 보건의료제도에 근거

중심 보건의료를 적용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최근 미국 의료보험 개혁 과정에서 도입된 비교 효

과 평가 연구(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근거 중심 보건의료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QA 동향

■ 이희영

교신저자 이 희 영

한국보건의료연구원*

[email protected]

*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근거 중심 보건의료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QA 동향

Page 6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5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CER)는 미국판 의료기술평가라 할 수 있으며, 2009

년부터 대규모 연구비가 미국경제회생법(American

Recovery Act)을 통해 지원되고 있다. 2012년에는 이

를 위한 전담기구인 환자중심 성과연구원(PCORI :

Patient Centered Outcomes Research Institute가

설립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외국과 마찬가지로 근거 중심 의학이 먼

저 소개되었으나,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

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보다는 각 학회를 중심의

임상 진료 지침 개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2004

년 이후 매년 개발된 지침 수는 2010년 현재 약 80여개

에 이르고 있다.

또한 근거 중심 보건의료는 건강 보험과 관련되어

제도화되는데, 2007년부터 의료법에 의해 진행된 신의

료기술 평가 제도와 2008년 시범 사업을 거쳐 지속되

고 있는 기등재 약품 재평가 사업은 근거 중심적 방법

론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불확실성이 있는 분야에 대

한 공익적 근거 개발을 위해, 조건부 급여 제도가 시범

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9년 부터 근거 중심 보건의료를 본격적으

로 표방하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한국 코크란 센터

의 설립, 임상 연구 지원센터 내에 임상진료지침 지원

국의 활동하기 시작되었다. 이 중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의 활동과 역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Ⅱ.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현황과 활동

1. 현황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의약품ㆍ의료기기ㆍ의료기술

의 임상적 효과와 경제적 효율성을 분석하여 과학적 근

거를 국민에게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국민건강의 질 향

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08년 12월 설립되었

다. 보건의료기술진흥법 제 15조 1항에서 한국보건의료

연구원의 설립목적을 ‘보건의료기술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제품(식품 및 화장품에 관한 기술 및 그 제품은

제외한다)에 대한 경제성 분석 및 성과 분석 업무를 수

행하기 위하여’로 정의하고 있다(3).

연구원은 2009년 3월 ‘세계적인 보건의료 근거 창출 기

관’이라는 비젼과 ‘보건의료 분야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근거 제시’라는 미션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연구 활

동을 시작하였다. 조직구성은 연구 주제 선정과 평가를

담당하는 연구기획단과 연구를 수행하는 보건의료분석

실과 임상성과분석실, 효율적 운영을 위한 사무지원국

으로 되어 있다.

보건의료분석실은 의약품·의료 기기·의료기술에 대

한 경제성 분석과 비용대비 효과분석을 맡고 있는 경제

성 분석팀, 의약품·의료기기·보건의료기술의 안전성과

임상적 효과에 대한 체계적 평가를 담당하는 의료기술

분석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대상자별 정보 제공 및 확

산을 위한 연구성과 확산팀으로 구성된다.

임상성과분석실의 보건의료성과 분석팀은 의료행위

및 이용의 양상 및 임상적 성과 및 질 향상 등에 대한 분

Page 6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59

석을 시행하고, 실용임상연구팀은 의약품·의료기기·보

건의료기술의 실제 효과를 분석하는 실용임상연구의

기획, 관리, 평가를 진행한다. 자료분석팀은 근거 생성

을 위한 보건의료 자료의 구축과 분석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기획단은 연구기획심의위원회와 분야별 전문위

원회의 운영, 연도별 연구수요 조사 및 이를 위한 각종

현황 분석, 연구기획 및 관리·평가에 관한 사항을 수행

하고 있다. 또한 2010년부터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연

구성과검토위원회를 운영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사회적

가치 판단과 합의를 이끌어 내고 있다.

2009년 2월에는 1차 연구주제 수요조사를 통해 다양

한 경로로 연구주제를 제안받아, 각계로 구성된 전문

위원회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여 연구 과제화하였다. 이

는 영국, 캐나다, 독일 등의 의료기술평가기관이 채택하

고 있는 주제 선정 방식으로, 의료계 뿐 아니라 국민, 정

책결정가 등이 직접 제안한 사회적 수요에 대해 연구기

관이 근거중심적 방법으로 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다. 연구주제 수요조사는 2010년 4월 두 번째로 진행되

었고, 하반기부터는 상시 제안이 가능하도록 개편될 예

정이다.

이러한 연구과제 선정 과정을 통해 2009년 34개, 2010

년 상반기 22개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된 분야

는 체계적 문헌고찰, 경제성 분석 평가를 통한 의료기

술평가, 성과분석연구, 임상진료지침개발, 실용임상연

구 등이다.

또한 2010년 두가지 사업이 보건의료연구원에 위탁되

면서, 보다 통합적인 연구진행이 예상된다. 2010년 4월 보

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있는 질환별 임상연구센터의 연

구 기획 및 지원을 위한 근거창출임상연구국가사업단

을 위탁 운영하기로 결정되면서, 임상연구를 통한 근거

창출 분야에서 연관성을 가지고 진행될 예정이다. 2010

년 6월부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있었던, 신의료기

술평가단이 보건의료연구원으로 이관되어 의료기술평

가 분야 업무가 함께 수행되게 되고, 공익적 임상연구 및

조건부 급여를 위한 임상연구도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

지리라 예상된다.

2. 근거중심 보건의료 활동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설립은 국내에서 근거중심 보

건의료에 필요한 일련의 경로(Pipeline)를 채웠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에서 위쪽 삼각형은 의료기술의 개발과

관련된 단계로 실험실에서 진행되는 기초 연구가 중개

연구의 과정을 거쳐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임상

시험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개발된 의

료기술은 허가를 받아 시장진입을 하게 되고, 아래 삼각

형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사회적 가치 및 경제성등을 고

려하여 평가되어 임상진료지침과 같은 형태로 권고되

는 과정을 보여준다.

근거중심 보건의료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근거, 가

치, 수요에 대해, 보건의료연구원은 타기관 및 보건의료

계와의 협력(collaboration)을 통해 역할을 수행하게 된

다.

첫째, 보건의료 관련 근거를 생성하고 평가한다. 일반

적으로 근거중심 보건의료에서 강조되어 오던 영역은

빠르게 증가하는 다양한 근거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근거 중심 보건의료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QA 동향

Page 6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6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합성(synthesis)하는 것이다. 또 연구 디자인과 질(qual-

ity)를 고려 한 근거수준(level of evidence)을 정하고 이

에 따라 권고수준(level of recommendation)을 결정하

는 과정에서 어떤 근거가 더 생성(generation)되어야하

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

는 비교효과평가연구(Comparative Effectiveness Re-

search)에서는 근거 생성을 일차 연구로 근거 평가를 이

차 연구로 구분하고 있다(4).

보건의료연구원의 두 연구실은 근거 생성과 평가를 각

각 담당하고 있다. 임상성과분석실은 국내 상황에 맞는

한국형 근거 생성을 위해, 임상연구센터 및 타연구기관

과 함께 성과분석, 공익적 임상연구 등을 진행하게 된다.

근거 평가는 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경제성 분석 방법

과 사회ㆍ경제ㆍ윤리적 측면을 포함하여 진행되며, 신의

료기술과 기존의료기술에 대해 평가한다.

둘째, 근거 평가를 마친 연구 결과에 사회적 가치(So-

cial Values)를 반영하는 가치 판단(Social Appraisal)

과정을 진행한다. 평가(assessment)가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 특정 의료기술과 관련한 근거를 체계적으로 조사

하는 작업이라면, 가치 판단은 효과(effectiveness) 및

경제성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를 통해 얻어진 자료에 대

한 추가적인 가치평가를 하는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관

련 분야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환자, 일반 시민 등 다양

한 사람들의 의견을 담게 된다(5).

보건의료연구원은 연구원이 진행한 연구결과 뿐 아니

라, 가치 판단이 필요한 보건의료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합의할 수 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2009년 무

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연속 토론회를 통해 각계

의 합의안을 도출한 바 있고, 태반주사 사용에 대한 연

구는 의료기술평가과정을 마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가치판단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그림 1> 보건의료에서의 ‘근거’ 파이프라인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Page 6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61

셋째, 상시적인 연구주제 수요조사와 결과 확산을 통

해 수요를 반영한다.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는 점점 더 다

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근거중심 보건의료가 실제 의

료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와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를 끊임없이 반영하는 것이 필

요하다.

보건의료연구원은 09.10년 수요조사를 통해 약 500여

개의 연구주제를 제안받았고, 사회적 이슈가 되는 주제

에 대해 능동적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고비용 신의료기

술에 대한 수평선 검색(Horizon Scanning) 또한 미래

예측과 대응을 위해 계획하고 있다.

Ⅲ. 근거중심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역할

최신성, 명시성, 방법론적 정확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중심 보건의료는 기존의 보건의료와 구분되는 새로

운 영역이 아니라, 운영체계(Operating System)의 변화

라고 할 수 있다. 이전의 의견 중심(Opinion-based) 의

사결정은 정보 생산의 양과 확산의 속도가 급증하고, 다

양한 수요가 존재하는 현대 보건의료에서 더 이상 작동

하기 어려운 운영체계이다. 근거중심 보건의료는 사용

자에게 친숙하고, 빠르게 대응하며, 공동작업을 원활하

게 할 수 있고, 소통되는 정보가 풍부하며, 결정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는 업그레이드된 운영체계인 것이다.

이를 위해 강력하고 안정적인 하드웨어와 다양한 활

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한국보

건의료연구원은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과 방법론을 비

롯한 인프라 구축으로 하드웨어의 기본을 갖추고, 전방

위 네트워크로 협동(collaboration)을 통한 시너지효과

를 이루어내야 한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하나의 플랫폼

이 되어 실제 진료현장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는 애플

리케이션과 콘텐츠를 담아낼 것이다.

참고문헌

1. Muir Gray. Evidence-based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3rd edition. Churchill Livingstone,

2009:11-30.

2.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1996;312(7023):71-72.

3.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홈페이지. Available from

2010.05: URL: http://www.neca.re.kr

4. Institue of Medicine. Initial National Priorities

for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5. NICE, Guide to the multiple technology

appraisal process. NICE, 2009.

근거 중심 보건의료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QA 동향

Page 6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6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질향상 사례보고

●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이현정, 박승혜

Page 6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6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65

한국의료 QA학회지

교신저자 이 현 정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81병동

[email protected]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이현정, 박승혜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81병동

Improvement of Nurse/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tandard Manual on

Telephone Inquiry Response

Lee, Hyun Jung Park, Seung Hye

Nursing Uni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질 향상 사례 보고

Page 6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6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초록

문제: 퇴원 환자의 문의 전화가 많아지면서 병동 간호사

는 이 문의에 응하는 일로 업무량 과다, 전화 상담에 대

한 자신감 저하 및 부담 등을 느끼고 있었다. 부적절한

전화문의 관리는 환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시간 소모 및

만족도 저하 등의 부정적인 경험을 남길 수 있다.

목적: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 및 활용으로 병동 간

호사 및 퇴원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의료기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질 향상 활동: 표준화된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을 개발하

였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및 지식 향상을 위해

간호사 대상 매뉴얼을 교육하여 실무에서 활용하기 쉽

도록 하였다.

개선효과: 표준화된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을 안과 병동

간호사와 전보자 및 신규 간호사 교육에 활용할 수 있었

다. 간호사의 전화문의 응대 관련 직무 만족도가 향상되

었다. 환자 역시 표준화된 매뉴얼에 따라 일치되고 일관

성 있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어 환자의 만족도와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다.

중심단어: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Ⅰ. 연구배경

정보화 사회에서 전화는 필수불가결한 의사전달수단

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퇴원 환자의 추후 관

리나 위기관리를 위해 의학적 조언을 의뢰해오는 환자

및 가족의 전화를 접하는 일은 간호 현장에서 흔히 일어

난다. 그러나 병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에게 이

미 퇴원한 환자 및 가족들로부터 의뢰해오는 전화 문의

에 응하는 일은 기초적인 병동 환자 간호에 추가되는 부

담으로 여겨질 수 있다.

최근 의료계의 재정악화와 이에 따른 포괄수가제

(DRG)의 도입으로 조기퇴원, 가정간호, 외래를 통한 의

료서비스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에 따

라 환자들의 안전한 추후관리 문제가 대두되고, 환자들

의 추후 관리 문의는 직접 방문보다는 대부분 전화로 이

루어질 것이다.

사람들은 암보다 시력 상실을 더 두려워한다는 연

구결과가 있을 정도로 시력 장애는 독립심, 자긍심을 상

실하게 되어 환자는 불안감을 느끼며 매우 당황하게 되

는데 안과의 경우 빠른 처치가 없으면 시력 손상을 되

돌릴 수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간호사의 정확하고 빠

른 대처가 요구된다(서문자 등, 2004). 그러므로 안(眼)

질환자를 정확히 사정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정

해 주는 것은 안과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중요한 임무라

고 하겠다.

이러한 문의전화응대가 전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환

자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경우 환자

의 만족도가 증가하지만, 부적절한 전화문의관리는 환

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시간 소모, 좌절, 업무량 과다, 전

화상담에 대한 자신감 저하 등의 부정적인 경험을 남길

수 있다(이현정&박현애, 2009).

Page 6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67

따라서 전화문의응대 매뉴얼 구축 및 활용으로 병동

간호사 및 퇴원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본 질 향

상 활동을 하게 되었다.

Ⅱ. 문제분석

1. 문제분석

전화응대 매뉴얼에 대한 간호사의 요구도가 많았다.

문제분석 어골도로 자세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활동 목표

1) 환자들이 병동으로 자주 문의하는 내용을 바탕으

로 표준화된 매뉴얼을 개발한다.

2) 전화문의 해결에 대한 간호사의 불만족과 스트레

스가 감소하여 만족도가 향상된다.

3. 팀 구성 및 운영

81병동 수간호사와 13명의 병동 간호사가 팀으로 구

성되었다.

4. 핵심지표

1)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접수한 전화문의 내용을 전

화상담에 소요된 시간과 문의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후, 문의 내용을 항목별로 분류한다.

2) 전화문의 응대에 대한 간호사들의 불만족 정도와

스트레스를 파악하였다.

3) 항목별로 분류된 문의내용에 따라 표준화된 전화

문의응대 매뉴얼을 구축한다.

4) 매뉴얼 사용을 통한 전화문의 해결에 대한 간호사

의 만족도를 조사한다.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질 향상 사례 보고

<그림 1> 문제 분석 어골도

간호사/환자전화문의

만족도 저하

재원 일수 단축으로 교육 기회 적어짐

표준화 되지 않음

매뉴얼 없음

전화 응대에 대한 인식 부족 환자 의료서비스 요구도 증가

지식 부족 맞춤식 교육 요구

시간 부족 환자 권리 강화

전화 응대에 대한 스트레스 정보부족으로 불안 증가

퇴원 후 관리에 대한 부담감

시스템

환자

응대 매뉴얼

간호사

Page 7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6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6. 측정 도구

1) QA 활동 전 전화문의 응대에 대한 간호사들의 불

만족 정도와 스트레스를 파악을 위한 설문도구로

전화상담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및 전화응대 시 어

려웠던 점 등 5점 척도 전화상담 관련 5문항을 구성

하였다.

2) QA 활동 후 간호사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도구

로 5점 척도 설문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설문 항목

은 전화상담에 대한 애로사항, 업무량, 병원에 도움

여부, 환자에게 도움 여부 등 5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Ⅲ. 분석결과

1. 전화상담 의뢰자의 일반적 특성

9주간 총 170명의 환자에게서 걸려온 228건의 전화문

의를 분석한 결과 전화상담 의뢰자는 대다수가 환자 본

인이었으며,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서 문의전화가 오

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담이 의뢰된 환자의 입원횟수가 1

회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6회가 가장 적었던 것은 입원

횟수가 많을수록 환자의 추후 관리나 위기관리에 대한

5. 정보수집과정

1) 2008년 9월 29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4시간 동안 안

과병동 간호사 13명이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접수

한 전화문의 내용을 전화상담에 소요된 시간, 상담

의뢰내용을 기록지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의학적 자료는 상담 시 혹은 보관

된 퇴원기록지에서 수집하였다.

2) 수집한 전화문의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내용

별로 분류하고 전화문의 내용별 표준화된 모범답

안을 찾기 위해 월 2회 컨퍼런스를 통해 자료를 수

집하였다.

3)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문헌 등의 여러 자료를 수

집하여 의료진과 협의, 검토, 수정, 보완의 단계를

거쳐 토의하였다.

4) 안과 교수님으로부터 모든 병동 간호사가 안과질

환별 강의를 듣고 간호사의 부족한 지식이 무엇인

지 파악하였다.

5) 적절한 전화문의 응답 문구를 만들기 위해 수차례

회의하였다.

6)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표준화된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구축하였다.

특성 구분 실수(명) %

의뢰자

환자본인 152 66.7

배우자 24 10.5

자녀 37 16.2

부모 15 6.6

거주지서울 140 61.4

인천 및 경기도 50 21.9

<표 1> 전화상담 의뢰자의 일반적 특성

Page 7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69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질 향상 사례 보고

거주지

경상도 15 6.6

충청도 12 5.2

전라도 5 2.2

강원도 4 1.8

제주도 2 0.9

성별남 99 43.4

여 129 56.6

연령

29세 이하 28 12.3

30-49세 26 11.4

50-59세 38 16.7

60-69세 76 33.3

70-79세 52 22.8

80-89세 7 3.1

90세 이상 1 0.4

입원 횟수

0회 24 10.5

1회 145 63.6

2회 45 19.7

3회 8 3.5

4회 3 1.3

5회 2 1.0

6회 1 0.4

안과 망막질환 96 42.1

진단명

백내장 71 31.1

녹내장 12 5.3

군날개 10 4.4

각막 질환(염증, 궤양, 혼탁) 8 3.5

각막이식수술 7 3.1

코눈물관 폐쇄 7 3.1

사시 5 2.2

각막 열상 4 1.8

안구 열상 2 0.9

안검 하수 2 0.9

안와 골절 1 0.4

누소관 열상 1 0.4

선천성 덧눈꺼풀 1 0.4

안와 이물 1 0.4

계 228 100.0

Page 7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7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환자 및 보호자의 경험 축적과 지식의 증대에 의한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병동 문의전화는 병동 퇴원환자 뿐

만 아니라 입원한 적이 없는 외래 환자(입원횟수 0회)의

전화문의도 접수되는 것을 볼 때 가중된 병동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짐작할 수 있다. 상담 의뢰된 환자의 연령

을 보면 대다수가 60세 이상이었고, 환자의 입원기간 중

의 진단명으로 망막 질환과 백내장이 가장 많았던 것으

로 볼 때 노인성 안과 질환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표 1).

2. 상담 건수

9주간 접수된 문의전화 건수는 총 228건이었으므로,

일평균 접수된 전화 문의는 3.6건으로 전화문의가 가장

많은 날은 일 10건의 문의전화가 있었다(그림 2). 전체

상담건수 228건을 처음 상담과 재 상담으로 나누어 볼

때 처음 상담을 의뢰해 온 건수가 130건(76.5%), 2회 이

상 문의 건수가 40건(23.5%)으로 나타났다(그림 3). 환자

및 보호자들이 문의를 한번으로 끝내지 않고 계속적으

로 의뢰해 오고 있는 결과는 전화상담에 대한 환자 및

보호자들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그러나 전화문의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재 전화를 요하

는 증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환자 및 보

호자의 불안을 경감시켜준다면 불필요한 재 전화문의

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의전화를 한 환자 및 보호

자의 10.1%는 전화 1건당 2개 이상의 질문을 한 경우도

있어 9주간 총 255건의 질문을 받았으며 전화 1건당 1.1

건의 질문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 전화로 1개의 질

문을 한 경우가 205건(89.9%)으로 가장 많았고, 2개의 질

문이 19건(8.3%), 3개가 4건(1.8%) 순으로 나타났다. 시

간대별로 접수한 전화문의 건수는 <그림 4>에 제시되어

있다. 가장 많이 문의 전화가 온 시간대는 17시경으로 26

건(11.4%)이었다. 23시 부터 새벽 6시경까지의 시간을 제

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97.4%의 전화가 접수되었다. 외래

의 진료가 끝난 시점 이후에 병동 문의전화가 많을 것이

라는 연구자의 예상과는 다르게, 외래에서 진료가 진행

중인 오전 9시-오후 5시에도 접수된 전화가 153건(67%)

이나 되었다. 이는 전화 상담시 안과 외래 간호사실은

통화중일 때가 많아 전화 연결이 쉽지 않다는 환자들

의 불평이 있었던 점을 볼 때, 환자들의 병동 간호사실

의 전화 접근 용이성과 자신이 입원해서 치료받았던 병

동의 간호사에 대한 신뢰 및 친숙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그림 2> 일일 전화문의 건수에 따른 일수

Page 7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71

3. 상담시간

9주간 접수된 전화상담에 소요된 시간은 총 998분

(16.6시간)이었다. 상담시간은 최저 1분에서 최고 23분이

었으며, 상담시간 3분이 81명(35.5%)으로 가장 많았고,

4분이 36명(15.8%), 2분이 32명(14%), 6분이 31명(13.6%),

5분이 20명(8.8%), 7분이 7명(3.1%), 11분이 5명(2.2%) 순

으로 나타났다. 전화문의 1건당 평균 소요시간은 4.4분

이었다. 전화문의가 가장 많은 날은 일 10건의 문의전화

가 있었으므로, 상담시간이 의뢰자당 약 5분씩이었다

면, 근무시간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게 되는 상황이므로

병동간호사 중에서 전화상담을 위한 전문가가 필요함

을 시사하고 있다.

4. 퇴원 후 재가 기간별 전화문의 건수

퇴원 후 전화상담 의뢰까지의 기간에 따른 전화 상담

건수는 입원 전에 전화문의를 한 23명을 제외하면, 1-7

일이 114건(55.6%), 8-14일이 28건(13.7%), 15-21일이 14건

(6.8%), 22-28일이 8건(3.9%), 29-56일이 27건(13.1%), 57-

365일이 11건(5.4%), 1년 이상이 3건(1.5%)으로 1-7일이

상담건수가 가장 많았고, 8-14일, 29-56일, 15-21일, 57-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질 향상 사례 보고

<그림 3> 전화문의 횟수 별 환자수

<그림 4> 시간대별 전화문의건수

Page 7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7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365일, 22-28일, 1년 이상 순이었다. 퇴원 후 전화상담 의

뢰까지의 기간에 따른 문의건수는 1-7일, 8-14일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 퇴원 후 2주 이내에 가정에서의 추후관

리 요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퇴원 후 1년 이상까

지도 전화상담을 의뢰해온 결과를 보면 안질환자 관리

는 계속적으로 문제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 상담 영역별 전화문의 건수

총 255건의 질문을 전화문의 내용 분석틀로 분석한 결

과 4개의 상담영역으로 범주화되었는데 이 중 신체 증

상이 96건(37.6%)으로 가장 많았으며, 투약이 74건(29%),

행정 절차가 45건(17.6%), 추후 관리가 40건(15.7%)으로

나타났다.

6. 상담 영역별 세부내용 전화문의 건수

상담영역별 세부내용 전화상담 건수는 <표 2>에 요

약되어 있다. 신체 증상 영역에서는 결막 충혈이 20건

(20.8%), 안구 불편감이 14건(14.6%), 시력저하와 안구통

증이 각각 12건(12.5%), 두통 7건(7.3%) 등의 순으로 나

타났고, 투약 영역에서는 투약용법에 대한 상담이 38건

(51.4%)으로 가장 많았다. 행정절차 영역에서는 외래방

문일정에 대한 상담이 11건(24.4%)으로 가장 많았고, 수

술 스케줄 확인이 10건(22.2%), 당일진료 가능성 및 진

료예약변경이 7건(1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후관

리 영역에서는 수술 후 주의사항 재확인 및 허용여부에

대한 상담이 28건(70%)으로 가장 많았다.

상담영역 세부 내용 실수(건) %

신체 증상

결막 충혈 20 20.8

안구 불편감 14 14.6

시력저하 12 12.5

안구통증 12 12.5

두통 7 7.3

시야 가림 6 6.3

비문증 5 5.2

안구 분비물 5 5.2

복시 3 3.1

오심 2 2.1

안구건조 2 2.1

수술 후 시력 호전 없음 2 2.1

눈부심 2 2.1

구토 1 1.0

안구화상 1 1.0

불안 1 1.0

변비 호소 1 1.0

소계 96 100.0

<표 2> 상담 영역별 세부내용 전화문의 건수

Page 7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73

7. 간호사의 불만족과 스트레스

QA활동 전 간호사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상담 전화는 서비스와 정보제공차원에서 환자에게

유익하다. (매우 그렇다) 70%, (그렇다) 30%

- 환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주고자 책임감을 갖게 된

다. (매우 그렇다) 92%, (그렇다) 8%

- 일관성 있는 전문적 안내 지침이 없어서 전화문의

해결이 어렵다.

(매우 그렇다) 86%, (그렇다) 14%

- 상담이 길어져 업무지장을 가져올 때 힘들다. (매우

그렇다) 91%, (그렇다) 9%

- 전문적 지식이 부족해서 힘들다. (그렇다) 84%, (보

통이다) 14%

Ⅳ. 질 향상 활동

전화문의 내용별 표준화된 모범답안과 적절한 전화문

의 응답 문구를 만들기 위해 월 2회 컨퍼런스를 통해 자

료를 수집하였다.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문헌 등의 여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질 향상 사례 보고

투약

투약용법 38 51.4

투약 기간 16 21.6

투약 부작용 8 10.8

복용 약 부족 5 6.8

수술 전, 후 항혈소판제 및 항응고제 복용 4 5.4

투약변경 3 4.1

소계 74 100.0

행정 절차

외래 방문 일정 확인 11 24.4

수술 스케줄 확인 10 22.2

당일진료 가능성 및 진료예약변경 7 15.6

퇴원비 관련 문의 5 11.1

진단서 발급 절차 5 11.1

외래 검사 3 6.7

주치의 연결 2 4.4

수술명 확인 1 2.2

레이저 치료 관련 문의 1 2.2

소계 45 100.0

추후 관리

수술 후 주의사항 재확인 및 허용여부 28 70.0

자세 유지 4 10.0

거즈 착용 3 7.5

치료용 렌즈 빠짐 3 7.5

비강 통한 실리콘관 노출 1 2.5

혈당 조절 1 2.5

소계 40 100.0

합계 255

Page 7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7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니까?

(매우 그렇다) 50%, (그렇다) 50%

- QA 활동이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

까?

(매우 그렇다) 70%, (그렇다) 30%

Ⅵ. 교훈 및 메시지

1. 의료진들 사이에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환자가 일치되고 일관성 있는 정

확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어 환자의 만족도와 이해

도가 증가할 것이다. 더 나아가 추후 전화문의가 감

소되는 결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병동에서 만

든 매뉴얼이지만 안과 외래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문의 전화 응대에 필요한 간호사의 지식과 간호 업

무의 효율성이 증가되었다.

3. 개발된 매뉴얼을 전보자 및 신규 간호사 교육에 활

용하여 환자 간호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겠

다.

4. 문의전화 응대에 대한 간호사의 불안, 스트레스 감

소로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신감 향상 효과도

가져왔다.

5. 구축된 매뉴얼을 활용하여 퇴원 후에도 간호사가

환자 집에 안부전화를 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

를 주고 궁금한 점을 잘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환자에게 다가가

는 서비스로 환자의 만족도는 향상된다.

6. 작성된 매뉴얼은 주기적으로 내용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러 자료를 수집하여 의료진과 협의, 검토, 수정, 보완의

단계를 거쳐 토의하였고 안과 교수님으로부터 모든 병

동 간호사가 안과질환별 강의를 듣고 간호사의 부족한

지식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보충하는 과정을 가졌다. 표

준화된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구축 후 교육하여 실무

에 활용하기 쉽게 하였다.

Ⅴ. 개선 효과

1. 표준화된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그림 5, 6).

<그림 5> 81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명쾌한 답변’

<그림 6> 81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목차

2. 표준화된 전화문의응대 매뉴얼을 안과 병동

간호사와 전보자 및 신규 간호사 교육에

활용하였다.

3. 안과병동 간호사의 전화문의응대 관련 직무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1) QA 활동 후 간호사대상 설문 조사는 다음과 같다.

- QA 활동 후 전화상담 관련 애로사항이 감소되었

습니까?

(매우 그렇다) 30%, (그렇다) 40%, (보통이다) 30%

- QA 활동 후 전화상담 업무량이 감소되었습니까?

(매우 그렇다) 10%, (그렇다) 60%, (보통이다) 30%

- QA 활동 후 전화상담과 관련 불안 및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습니까?

(매우 그렇다) 20%, (그렇다) 50%, (보통이다) 20%

- QA 활동이 병원 서비스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

Page 7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75

감사의 글

매뉴얼 작성을 위한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도운 최

미경, 오선경, 김지희 간호사에게 감사드리며, 병동 QA

사업 정착을 위해 많이 노력한 모든 안과 병동 간호사들

에게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참고문헌

1. 이현정, 박현애(2009). 3차 종합병원 안과병동의 전

화 상담 중 전화문의 내용 및 간호중재에 대한 조

사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15(2), 157-167.

2. 서문자, 이향련, 이정희, 박춘자, 최철자, 박오장 등

(2004). 성인간호학(5TH ed.). 서울: 수문사

안과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구축을 통한 간호사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 | 질 향상 사례 보고

Page 7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7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그림 5> 81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명쾌한 답변’

<그림 6> 81병동 전화문의 응대 매뉴얼 목차

Page 7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원 저

●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이정은, 남문희

Page 8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8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79

한국의료 QA학회지

교신저자 남 문 희 부산성모병원 QI 실 ■[email protected]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남문희*, 이정은**

*부산성모병원 QI실, **부산성모병원 간호부

Effects of a Video CD Rehabilitation Program for Total Knee Replacement on Range of Knee

Angl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Mun-Hee Nam* Jung-Eun Lee*** HN, Departmant of QI, The Busan St. Mary’s Hospital

**RN, Departmant of Nursing, The Busan St. Mary’s Hospital

원저

Page 8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0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was identified the effects of a video CD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range of

knee angl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total knee replacement

Method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 to May 31 2009 for the control group and from July 1 to

September 31 2009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ntained 19 subjects

each. A video CD Rehabilitation program configured to 8 minutes in length was shown 8 times every other

day.

Result : 1. On the day of Hemovac removal, the knee angle and CPM angl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y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on post operation day 21.

2.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 1. On the day of Hemovac removal, the knee angle and CPM angl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y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on post operation day 21.

2.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Key words : Rehabilitation, Total knee replacement, Continuous Passive Movement Therapy, angl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ge 8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81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정형외과 질환 중 약 15~30%를 차지하는 슬관절 질환

은 사회구조의 변화, 스포츠 인구증가, 교통사고 및 평

균수명의 증가 등으로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1),

방사선 검사 상으로 55세 이상의 약 80%에서, 75세 이상

에서는 거의 모든 인구에서 골관절염의 소견을 보인다

(2). 특히 골관절염이 발생하면 관절면의 유리체가 유리

되어 심한 통증을 동반하여 관절운동의 장애가 현저해

지고, 관절 내 인대가 탄력성을 상실하여 통증, 근력약

화, 관절의 굴곡변형 및 내반변형(varus deformity), 뻣

뻣함과 같은 관절 구축과 부종 등 임상적인 증상들이 나

타나게 된다(3). 이런 신체적 기능장애는 관절염 환자에

게 있어 자주 언급되어 왔는데, 대퇴사두근의 기능이 걷

기와 서기, 계단 오르기 등의 중요한 열쇠임에 따라 근육

의 약화는 기능의 손실로 직결되고 대퇴사두근의 근력

이 기능장애에 중요하게 작용한다(4). 이 처럼 대퇴사두

근의 약화가 슬관절염 환자의 무릎의 통증과 기능장애,

관절 손상의 진행 등 가장 위험한 인자이고(5), 임상에서

는 슬관절 이상 시 대퇴사두근의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

해 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1).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기능장애의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이고, 관절 가동범위와 기

능장애의 연관성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있는데, 일반적

으로 관절가동범위가 감소할수록 기능장애는 증가한

다고 하였다(3). Van Baar(1983) 등은 의자에서 일어나

기, 계단 오르기 및 보행과 같은 하지 기능을 위한 슬관

절 굴곡의 역치는 110도라고 제언하며 슬관절의 완전 가

동역이 신체적 기능의 독립된 지표라고 하였으며(5), 무

릎을 70도 정도 밖에 굴곡 시킬 수 없었던 슬관절염 환

자는 보행과 이동 등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웠다고

보고하고 있다(6).

이처럼 슬관절은 체중부하 관절로 심한 퇴행성 변화

와 굴곡, 외반(外反, valgus) 및 내반(內反, varus) 변형

이 급속히 생겨 보행에 지장이 오므로 보존적 요법이 비

효율적일 때는 수술요법이 요구되고, 관절의 양측 면이

모두 심하게 파괴되었을 때는 최소한 편측 관절의 운동

을 유지하기 위하여 슬관절 치환술을 시도한다(7).

슬관절 치환술 이후 체계적인 관리를 하지 못한 경우

회복이 지연되고 건강한 쪽과 관절을 치환한 쪽 사이의

균형이 깨어져 새로운 질환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

고하고 있고, 전치환술 후 다수의 환자들은 근육과 슬관

절 기능을 체계적으로 발달시키지 못함으로써 통증 제

거 이외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며, 환측과 건

측 슬관절의 근력이 불균형을 이룸으로서 추가적인 슬

관절 질환이 발생하는 등 수술 후 문제점이 적지 않은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8).

이에 스포츠의학 및 재활의학을 중심으로 슬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관절 운동 및 등속성 장비

를 이용한 근력 강화운동을 시행하는 재활운동 프로그

램이 대중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9). 이에 임상에서도

수술 후 조기 관절운동 및 근력운동을 실시하는 운동요

법 개발 후 효과 측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효과적인 운동요법의 교육을 위해 동영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흥미와 참여도를 높인다는(10) 선

행연구가 있었으나 동영상 CD 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관절가동 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대한 효과를 측

정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동향에 따라 동영상 운동

요법 이용하여 관절가동 범위 및 일상 활동 수행에 미치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원저

Page 8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임상에서 간호 중재로 적극 활

용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하고, 임상간호 현장에서 효율

적인 교육매체로 도입 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운동요법을 개발 및 적용하

여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관절가동 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다.

2) 동영상 재활운동요법이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슬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3) 동영상 재활운동요법이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운동요법을 실시

하여 슬관절 가동범위와 일상 활동 수행능력(뻣뻣함, 신

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

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설

계 모형은 표 1과 같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일 종합병원 정형외과 병동에 입원

한 60~85세 사이의 성인 남녀 환자 중 다음의 조건을 만

족시키며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수락한 대

상자 중 2009년 3월부터 5월 31일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을 위해 입원했던 19명을 대조군으로, 7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수술 받은 19명을 실험군으로 배정하였으며 구

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자

2) 골관절염의 진단을 받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만 60세 이상의 환자로 출혈, 감염 등의 합병

증이 없는 자

3) 관절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공관절 재치환

술 대상자가 아닌 자

3. 실험처치 : 동영상을 이용한 운동요법

본 병동에서 제작한 동영상 운동요법은 전문의와 협

의하여 수술 전일, 수술 후 2일째부터 이틀에 한번 씩 오

후 3시에서 4시경에 논문팀 담당간호사가 직접 수행하

였다. 동영상 재활교육 프로그램은 총 8분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그 내용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1일 째 : 발목펌프 운동 ->무릎 펴기 운동

(2) 수술 2일 째 : 다리 펴서 들기 운동->대퇴 사두근

수축 운동

(3) 수술 4일 째 : 무릎 구부리기 운동

<표 1> 연구설계

실험군 대조군

사전조사 처치

사후조사

사전조사 처치

사후조사

O1 X O2 O3 O1 X1 O2 O3

O1(수술 전일) : 일반적 특성, 일상활동 수행(뻣뻣함, 신체기능)X: 동영상 재활운동(수술 전, 수술 후 14일까지 총 8회 제공)X1: 통상적 재활운동(의사의 처방에 따른 지침서 설명)O2: 수술 후 배액제거 일(CPM 및 관절각도)O3: 수술 후 21일 째(CPM 및 관절각도, 일상활동 수행 기능)

Page 8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83

(4) 수술 6일 째(배액 제거 일)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CPM 기계운동) ->무릎 구부리기 운동 ->햄

스트링 수축 운동

(5) 수술 후 14일(실밥제거 일) : 계단 오르기 운동->

모래주머니 운동 ->자전거 타기 운동

4. 연구도구

1) CD ROM 재활교육 프로그램

효과적인 운동요법의 교육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

영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동영상을

활용한 교육은 대상자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

며(10),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

기를 유발시키고, 학습자는 실제로 체험하기 어려운 학

습내용을 간접적이지만, 사실적으로 체험하여 습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11).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은 환자

의 수술 후 슬관절 가동범위(굴곡)변화와 일상 활동 수

행능력 향상을 위해 슬관절 운동을 수록한 것으로 슬

관절 운동범위에 관한 문헌고찰과 정형외과 의사 1인의

자문을 얻어 본 연구팀이 관절운동 스토리 보드를 제

작, CD ROM을 개발하여 11가지 슬관절 운동으로 약 8

분 정도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지루하지 않도록 배경음악 삽입, 재활운

동 설명자막과 함께 음성을 삽입하여 만든 재활운동교

육 프로그램이다.

2) 관절가동범위

슬관절 가동범위는 CPM 각도와 관절각도로 측정하

였다. 슬관절 굴곡 측정은 복와위 자세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이 수술 후 체위에

맞게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해 관절 측각기(goniometer)

를 이용하여 축은 슬관절의 외측경골과에, 고정자는 대

퇴골의 중심선에, 가동자자는 외과를 향한 선 즉 하퇴의

외측 중앙선을 따라 배치하여 배액제거 당일과 수술 후

21일째 2회 측정하였다.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하나의 측정자를 두어 측정하였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관절의 가동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각도는 기계를 이

용하여 마이너스 5도에서 115도까지 범위에서 작동속도

는 기계 표시 상 1에서 5까지의 속도 중 보통 속도 3으로

고정 후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을 각각 3회씩 실

시하여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시점의 가장 높게 측

정된 각도를 최대 굴곡각도를 정하였다.

3) 일상활동 수행

Bellamy, Buchanan, Goldsmith, Campbell와

Stitt(1998)의해 개발된 Western Ontario and McMas-

ter University Osteoarthritis (WOMAC) Index(12)를

한국인에게 사용하기 쉽게 수정, 보완한 한국형 도구

K-WOMAC 중에 인공전치환술 후 환자의 뻣뻣함과 신

체기능에 따라 사정되는 일상활동 수행을 사정할 수 있

는 도구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상활동 수행의 하부척도로 전체 19문항으로 뻣뻣함

은 2문항, 장애는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점수는 5점 척

도로 뻣뻣함은 2-10점 범위에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관절의 뻣뻣함이 많은 것을 말하며, 일상활동의 수행은

최저 17-85점의 범위 안에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적

으로 활동하는 수행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도구개발 당

시 WOMAC Index의 Cronbach’s alpha는 .89에서 .96

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3이었다.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원저

Page 8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4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사전 조사는 연구대상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대상자

를 수술 전날 병실로 직접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전반

적인 설명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동의를 구한 후 질문지

의 내용을 연구자가 읽어주고 대상자가 답하도록 하였

으며,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에 관한 내용 및 일상

활동 수행에 대한 설문지 작성 및 조사를 하였다.

실험군은 본 연구팀이 개발한 동영상 CD 교육 프로

그램을 수술전날 연구원이 대상자를 방문하여 1차 설명

을 하였다. 그 후 수술당일은 제외하고 수술 후 2일, 4일,

6일, 8일, 10일, 12일, 실밥을 제거하고 수동적 관절가동

범위 운동을 실시하는 시점인 14일에 동영상 CD를 이용

하여 반복(총 8회)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였다. 대조군은

통상적 재활운동으로 의사의 처방에 따른 지침서를 이

용하여 설명하고 운동을 실시하였다.

사후 조사는 수술 후 배액제거 일과 수술 후 21일 째

CPM을 이용한 슬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Stainless

steel 한국산 측각기를 이용하여 슬관절 각도를 연구자

가 직접 1분간 측정하였으며, 슬관절 운동범위는 CPM

을 이용하여 굴곡과 신전의 각도를 3회씩 실시하여 대상

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시점에 가장 높게 측정된 각도를

굴곡각도로 정하였다. 조사자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

해 연구자가 직접 오후 3~4시경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에게 관절가동범위 측정 하였다. 일상활동 수행을 위

한 설문지는 21일째 조사 측정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은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

리하였다.

1)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측정하였다.

2) Kolmogorov-Smirov 검정과 P-P plot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을 분석하였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슬

관절 운동범위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χ²test, Fish-

er’s exact test 및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4) CD ROM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슬관절 운동

범위 및 측각기 각도, 일상활동 수행은 중재 전후 비

교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Ⅲ. 결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비교

1) 일반적 특성

<표 2> 연구설계

변수

구분

실험군(n=19)

대조군(n=19)

χ²또는 Fisher’s

검정t- test

pM(SD)

실수(%)M(SD)

실수(%)

나이 68(4.19) 69.53(6.22) .887 .381

성별

남 2(10.5) 1(5.3)1.0

여 17(89.5) 18(94.7)

교육

초졸이하 10(52.6) 10(52.6)

.234 .890중졸 5(26.3) 6(31.6)

고졸이상 4(21.1) 3(15.8)

시기

1년 이내 2(10.5) 7(36.8)

4.248 .121~10년

미만6(31.6) 6(31.6)

10년 이상 11(57.9) 6(31.6)

Page 8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85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조군 19명, 실험군 19명으로 총

38명으로 Kolmogorov-Smirov 검정과 P-P plot을 통해

변수의 정규분포를 확인한 후 모수 통계를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대조

군 69.0세, 실험군 68세 이었고 성별은 남자가 대조군 1명

(5.3%), 실험군 2명( 2.5%)였다. 교육은 초등졸이 대조군,

실험군 각각 2명( 2.5%)로 대부분 초등졸 많았으며. 질

병을 진단받은 시기가군 2년 이상이 대조군 6명(31.6%),

실험군 11명(57.9%)으로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어 두 집단

은 동질 하였다(표 2).

2) 일상활동 수행에 대한 동질성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인 일상활동 수행에 관한

동질성 비교에서 두 집단은 동질하였다 (표 3).

2. 대상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대한 차이 검정

동영상 운동요법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액 제거

후 실험처치 전 후 수술 후 CPM 가동범위는 숫자가 클

수록 관절의 가동성이 좋은 것이며 실험군이 75.0점으

로 대조군 65.62점 보다 CPM 각도가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 하지만 또한 수술 21일은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115도에 도달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처치 전 후 수술 후 관절가동범

위는 숫자가 작을수록 관절의 가동성이 좋은 것이며 배

액 제거 일은 실험군이 107.1점 대조군 136.84점 보다 유

의하게 관절각도가 많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00). 하지만 수술 21일째는 실험군과 대조군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4).

3. 대상자의 일상활동 수행에 대한 차이 검정

실험처치 전 후 수술 후 일상활동 수행은 점수가 높을

수록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수행이 어려움이 없음을 의

미하며 뻣뻣함 정도는 실험군 4.21점, 대조군 2.42점으로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원저

<표 3> 일상 활동 수행에 대한 동질성 비교

<표 4> 수술 후 관절가동범위

구분M(SD)

t p실험군(n=19)

대조군(n=19)

일상활동수행

뻣뻣함

7.94(2.09) 8.05(1.58) .175 .862

신체기능

71.73(8.23) 72.05(8.13) .119 .903

구분M(SD)

t p실험군(n=19)

대조군(n=19)

CPM

배액 제거 일

75.00(11.42) 65.62(8.95) -2.844 .007

POD 21일

115(0) 115(0) (0) 1.0

관절각도

배액 제거 일

107.10(8.12) 136.84(11.08) 6.1 .000

POD 21일

68.94(8.09) 70.52(11.16) .49 .621

부위

오른쪽 7(36.8) 7(36.8)

2.667 .264왼쪽 8(42.1) 4(21.1)

양쪽 4(21.1) 8(42.1)

수술

유 11(57.9) 7(36.8)1.689 .194

무 8(42.1) 12(63.2)

질환

유 13(68.4) 14(73.7).128 .721

무 6(31.6) 5(26.3)

Page 8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6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3).

또한 신체기능 정도도 실험군 31.10점 대조군 12.31점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표 5).

Ⅳ. 논 의

슬관절 수술 후 간호사는 Jone’s dressing 으로 슬관

절의 안정도를 유지하고,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으로 근

육의 힘을 유지하며, 슬관절의 신전운동으로 보행을 가

능하게 하고, CPM 기계운동으로 슬관절 구부리기 운

동을 한다. 근육은 사용하지 않으면 약해지고 신체를 지

지하거나 움직임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환

자는 자신의 슬관절에 문제가 있으면 관절주위 근육들

을 잘 사용하지 않게 되고, 필연적으로 근육의 위축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릎 관

절 수술 후 재활치료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향후 무릎관

절을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원에서는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 구

축 및 강직으로 뻣뻣해져 일상 활동 수행에 장애를 방지

하기 위하여 조기에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기계 운동을 시켜 이를 예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

영상을 이용한 운동재활프로그램 적용 후 관절가동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동영상 재활교육 프로그램 제공 후 배액제거 일은 관

절가동범위 중 CPM 각도 및 관절각도는 실험군이 대조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21일 째는 CPM

각도 및 관절각도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동영상

을 이용한 운동재활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의 조기의 관절 구축 및 강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

을 알 수 있었고, 21일 째는 CPM 각도가 115도로 한정

되어 더 큰 관절 각도를 비교 할 수 없었고 대부분의 환

자가 21일 째는 115도를 유지하고 있어 두 군 간에 차이

를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135도까지 측정할 수 있

는 CPM 기계가 나오고 있으므로 추 후 연구에서 도입

이 필요하다. 또한 관절가동 범위도 측정시간 및 간격을

좁혀 어느 시점에서 관절가동 범위가 차이가 나는지 장

기적인 관절운동의 효과를 분석하는 반복 측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영상 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여 CPM 운동 및 측각

기를 이용한 관절각도를 확인한 선행연구는 없다. 유사

개념을 중심으로 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다르지만 동영상을 이용한 선행 연구로

김영혜 등(2001)은 편도선 수술을 앞둔 아동에게 그림

을 이용하여 절차 정보를 제공하고 수술 후 단기간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13). 황연자 등(2004)은 CD ROM을 이용한 교육프로그

램이 단기입원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수술 후 자가

간호 수행정도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보고 한(14) 것은 본

연구에서 동영상 교육 실시 후 수술 후 단기간에서 관절

가동 범위에 효과가 있었음을 지지해 주고 있다.

운동요법을 적용한 연구로는 전수진 등이 인공 슬관

절 전치환술 후 재활운동을 실시한 후 근력이 좋아진다

고 보고하고 있고(1), 이상모(1998)는 퇴행성 슬관절 질

환의 재활훈련이 근력, 근파워, 근지구력이 개선되었다

고 하였으며(15), 안기만(2004)은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표 5> 수술 후 일상 활동 수행능력 뻣뻣함 정도

구분M(SD)

t p실험군(n=19)

대조군(n=19)

뻣뻣함

4.21(2.61) 2.42(1.98) -2.377 0.023

신체기능

31.10(8.96) 12.31(12.68) -5.273 0.000

Page 89: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87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원저

재활운동이 수술 후 슬관절 근 기능을 향상시키고 슬

관절 기능 지수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16). 대상은 다

르지만 장문헌(2001)은 뇌졸중 환자에게 슬관절 굴근의

등속성 운동을 실시한 결과 효과적이었다(17)고 보고하

여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이 관절가동 범

위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수술 후 일상 활동 수행능력의 뻣뻣함 정도와

신체기능장애 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환자가 느끼는 자각 증상으

로 동영상 교육 등 연구자가 동영상 재활운동프로그램

을 제공하는 동안 충분한 관계가 형성되고 관절각도 및

CPM 각도가 조기에 증가하여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으

로 해석된다.

선행연구에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일상 활동 수행능

력을 평가한 연구는 없다. 유사 연구로 홍은정(2007)은 8

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퇴행성관절염 고령 여성

환자에서 통증, 강직, 일상생활 기능면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인다고 하였고(18), 나영무(2001)의 골관절염 환자

의 운동치료 효과에서 등속성 및 등척성 운동을 포함한

운동치료는 실내보행 및 계단 오르기 등의 일상 생활기

능 수행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논문과도 밀접한 관련

이 있다(19). 또한 왕미숙(2001)은 슬관절 치환술을 받

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치

료계획 및 계속적인 재활간호를 실시함으로 자가 간호

능력 중 의자에 앉아서 무릎 구부리고 펴기, 산책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20). 또한 대상은 다르지만 이수진(2004)은 수술 후 운

동요법이 척추수술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효

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일상생활

기능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하여(21) 동영상 운동프로

그램이 일상활동 수행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지지 해 주

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동영상 운동프로그램은 조기 관절가동범

위, 일상생활 수행에 유익한 교육임이 확인되었으므로

임상에서 효율적인 간호중재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

으로 CD 재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재활운동기간

에 따른 관절가동 범위와 수술 후 일상 활동 수행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일개 종합병

원 정형외과 병동에 입원한 60~85세 사이의 성인 남녀

환자 중 2009년 3월부터 5월 31일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을 위해 입원했던 19명을 대조군으로, 7월 1일부터 9월 31

일까지 수술 받은 19명을 실험군으로 실시하였다. 재활

교육프로그램은 슬관절 가동범위와 일상 활동 수행 향

상을 위해 슬관절 운동을 수록한 것으로 슬관절 운동범

위에 관한 문헌고찰과 정형외과 의사 1인의 자문을 얻어

본 연구팀이 관절운동 스토리 보드를 제작, 동영상 CD

를 개발하여 수술 후 배액제거일, 퇴원 시점인 21일 째

에 CPM 각도, 관절각도, 일상 활동 수행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은 SPSS 14.0 program을 이용

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와 백분율, 동질성 검정은 카이제곱검정,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동영상 교육 프로

그램 중재 전과 후의 비교는 independent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액 제거 후 실험처치 전 후 수술 후 관절가동범

Page 90: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88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CPM 각도와 관

절각도가 증가하였다(p=0.007, p=0.000). 하지만 수술 21

일 째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실험처치 전 후 수술 후 일상 활동 수행 기능 중 뻣

뻣함 정도와 신체기능장애 정도도 실험군과 대조군 간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3, p=0.000).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영상을 이용한 재활교육

프로그램은 임상현장에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조기

관절가동범위 와 일상생활 수행에 효과적인 근거자료

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볼 때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빠른 일상생활 복귀를 위

해서 적극적인 재활운동프로그램으로 수행해야 할 것

으로 생각된다.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동영상 교육 후 수술 후 CPM 각도를 일정 간격을

좁혀 반복 측정 분석하여 어느 시점에 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슬관절의 기능에는 근력과 관절 각도를 동시에 측

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본 연구의 확대 적용을 위해 타 수술에 적용하는 연

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전수진, 최건식, 고성경. 인공 슬관절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재활훈련이 슬관절 근력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리서치 2005;16(4):441-

448.

2. 황윤태, 황경옥. 슬관절염 환자의 능동신장과

등척성 운동이 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6;18(2):1-4.

3. 대한 정형외과 학회. 대한정형외과학. 4판. 서울,

최신 의학사, 1994;172-176.

4. Young A, Stokes M, Crowe M. Size and strength

of the quadriceps muscles of old and young

women. Eur J Clin Invest. 1984;14(4):282-7.

5. Hettinger T, Muller EA. Muskelleistung and

muskeltraining. Arbeits Physiologie.

1965;15(1):11-126.

6. Van Baar ME, Dekker J, Oostendorp RA et

al.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or

hip:arandomized clinical trial. J Rheumatol.

1998;25:2432-9.

7. 대한 정형외과 학회. 대한정형외과학. 3판. 서울,

최신 의학사, 1991;118.

8. 김진호, 한태륜.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2.

9. 배대경, 윤경호, 송상준, 하정한. Fix bearing

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슬관절운동범위.

대한슬관절학회지 2004; 16(1):1-7.

10. 이상복. 동영상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만족도에 주는 영향

조사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이재용.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체육과 동영상

학습매체 개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Bellamy N, Buchana W, Goldsmith C;

Validation study of WOMAC : a health ststus

insturument for measuring clinically important

patient relevant outcomes following total hip or

knee arthroplasty in osteoarthritis. J Orthop

Rhematol 1998;1:95-108.

Page 91: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89

동영상 CD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원저

13. 김영혜, 이화자. 편도절제술 아동의 수술 전

절차 정보제공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002;8(4):400-413.

14. 황연자, 박연환, 박인선, 김남이, 김정미,

김진연. CD ROM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이

단기입원수술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수술 후

가가간호 수행을 위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학회지 2004;16(1)82-89.

15. 이상모. 퇴행성 골관절 질환의 재활훈련이 근

기능 및 활동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6. 안기만. 전방십자인대 수술 전 재활운동이 수술

후 슬관절 대퇴둘레, 근기능 및 슬관절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7. 장문헌. 뇌졸중 환자에서 슬관절 굴근의

등속성운동이 슬관절 근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18.

홍은정.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고려 여성으 관절의 기능상태, 근력,

유성성 및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9. 석현, 박윤길, 서정훈, 성연재, 박종율, 문재호,

나영무.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운동치료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0; 24(5):968-970.

20. 왕미숙.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1;7(1)68-80.

21. 이수진. 수술 후 운동요법이 척추수술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age 92: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93: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91

본지는 의료의 질 분야의 학술연구와 최신 의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의료QA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식 상호 심사학술지이다. 투고 원고

는 의료의 질에 관련된 의학 정보 및 의학 지식에 관한 과학적이고 독창성이

있는 원고이어야 한다. 논문의 게제 여부와 순서는 간행위원회에서 결정한다.

간행위원회는 논문을 채택함에 있어서 논문의 윤리성, 정당성, 독창성과 학

술적 의의 등을 심사하여 내용의 정정, 보완,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본지의 투고규정은 국제의학학술지 간행위원회에서 마련한「 생의학 학

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양식(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 」을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음

사항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상기 양식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른다.

1. 원고의 종류원고의 종류로는 의료의 질과 관련있는 분야의 원저, 보고, 특별기고, 종

설 등으로 한다.

2. 중복게재 및 무단게재다른 잡지에 실린 같은 내용의 원고는 싣지 않으며, 본 지에 실은 원고를

임의로 다른 잡지에 실을 수 없다. 다만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

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N Engl J Med 1997;336:309-15)

에서 규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이를 허용한다.

3. 저작권의 양도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한국의료QA학회가 소

유한다. 한국의료QA학회는 원고를 학회지나 다른 매체에 출판, 배포, 인쇄

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4. 투고자격투고자의 자격은 본 학회의 회원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간행위원회에서

위촉하거나 인정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5. 원고 게재여부 및 게재순서모든 원고는 한국의료QA학회지 심사규정에 따라 그 분야 전문가 2인 이상

의 심사를 받은 후, 간행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채택된

원고의 게재순서는 최종원고의 접수 순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원고게재료 및 별책 인쇄료원고 게재료는 받지 아니한다. 도안료, 특수인쇄 그리고 별도의 별책제작

에 소요되는 비용은 저자가 그 실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7. 환자의 인권보호사례 보고의 경우 환자의 비밀을 보호하여야 한다. 성명, 병록번호, 정확한

날짜의 기술은 피해야 하고 환자 신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8. 간행위원회의 역할원고 송부 및 편집에 관한 제반 문의는 간행위원회로 한다. 필요한 때에는

간행위원회는 편집방침에 따라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구

와 체제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모든 원고는 제출 후에 일체 반환하지 않는다.

9. 학술지 발간 및 원고 접수본지는 연 2회 발간하며, 원고는 간행위원회에서 수시로 접수한다. 원고의

접수 일은 원고가 간행위원회에 도착한 날따로 하며, 원고의 채택 일은 심사

가 완료된 날짜로 한다.

10. 언어 및 용어학술용어는 한글로 표시하여야 하며,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기할 수 있

고, 번역이 곤란할 때에만 영문을 사용한다. 학술용어는 문교부 발행 과학기

술용어집이나 의학용어집 최신판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한다. 약품명은 상품

명보다는 일반명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상품명의 표기가 결과

의 평가나 추적연구에 중요할 경우에 한해서 상품명 표기가 가능하다.

11. 고유명사, 숫자 및 측정치의 표기인명, 지명, 그 밖의 고유명사는 가급적 원자(原字)를 숫자는 아리비아숫자

를, 도량형은 미터법을 사용한다. 온도는 섭씨로, 혈압은 mmHg로 기록한다.

혈액학적 또는 임상화학적 측정치는 국제단위체계(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방식의 미터법을 사용한다.

12. 약어약어는 표준약어만 사용하며, 제목과 요약에는 약어를 쓰지 않는다. 측정

단위를 빼고는 본문에 처음 나올 때에 약어를 명기하고 이후부터 약어만으

로 표기할 수 있다.

13. 원고의 작성과 제출원고는 맞춤법,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지켜 전산인쇄로 작성한다. 원고는

A4(212mm × 297mm) 백색 용지에 상하좌우에 최소한 2.5cm(1인치) 씩의 여

백을 두며, 활자의 크기를 10포인트로 하여 용지 한쪽 면에만 선명하게 인쇄

하여야 한다. 전체원고를 모두 2행 간격(double space)으로 가로쓰기 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며, 페이지 번호는 표제지로부터 연속하여 부여한다. 원고는

원본 1부, 그리고 저자의 성명 및 소속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로 제작한 복사

본 2부 등 총 3부를 제출한다.

논문이 게재되기로 수락되면 저자는 수정, 보완되어 완성된 원고 1부와 해

당 원고 내용이 저장된 컴퓨터 디스켓 3.5인치(한글 2.0이상 또는 microsoft

투 고 규 정Information for Authors

투고규정

Page 94: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92 _ J Kor Soc Qual aSSur HealtH care

한국의료 QA학회지

word)를 같이 제출하며 디스켓 겉면에는 파일 이름, 제1 저자명, 사용된 프

로그램을 표시한다.

14. 원고의 분량원고의 분량은 인쇄면수를 기준으로 10면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15. 원저와 보고의 양식원저와 보고의 순서는 겉표지(title page)와 속표지, 요약(abstract)과 중

심단어(key words), 본문(texts), 감사의 글(acknowledgements), 참고문헌

(references), 표, 그림(table & figure), 그림설명(legends)의 순으로 각각 면

을 바꿔서 작성한다, 본문은 1) 서론,2) 방법,3) 결과,4) 고찰항목으로 나눈다.

16. 겉표지와 속표지겉표지에는 1) 간결하며, 내용을 잘 전달하는 국문 및 영문제목, 2) 국문과

full name 영문의 저자이름, 소속기관, 3) 연구비 지원 등의 후원자, 4) 교신

저자의 름과 주소 등을 적으며, 국문제목이 30자가 넘거나 영문제목이 15자

가 넘을 때는 표지에 따로 단축제목(running head 또는 running footline)을

표제지 페이지 끝에 적어 넣는다(국문의 경우 10자 이내, 영문인 경우 5자 이

내). 논문제목은 연구 목적과 연계하여 간결하고 명확하게 나타낸다. 저자

가 소속이 다른 다수인 경우에는 주 연구기관을 먼저 기록하고, 그 이외의

기관은 해당저자 이름 끝에 번호를 붙이고 소속기관을 아라비아 번호순으

로 표기한다.

속표지에는 논문의 제목만을 한글과 영문으로 기입하며 저자의 이름과 소

속을 포함하지 않는다.

17. 저자논문 저자로 원고에 나열한 사람은 1) 연구의 기본 개념 설정과 연구의 설

계,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 공헌, 2) 초고(草稿)를 작성(drafting)하거나 지적

(知的) 내용의 중요 부분을 변경 또는 개선하는데 상당한 공헌, 3) 최종원고

의 내용에 동의를 하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로 한다. 저자 각

자가 연구에서 무슨일을 맡았었는지를 편집인이 질문 할 수도있다. 저자 수가

7인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저자 수가 7인을 초과할 때에는 공동저자의 역할

분담에 대하여 진술하고 간행위원회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

저자 기준에 맞지 않는 그룹 구성원은 그 구성원의 허가를 얻은 다음 ‘감사

의 글’ 난에 나열한다.

18. 요약국문원고에는 영문요약을, 영문원고에는 국문요약을 사용하며 길이는 영

문요약은 250단어 이내, 국문요약은 400자 이내로 한다. 요약은 1) Back-

ground, 2) Methods, 3) Result, 4) Conclusion의 네 항목의 순서로 논문의 대

의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서술적으로 작성한다.

19. 중심단어요약의 하단에 논문의 중심단어(Key words) 또는 한글중심단어를 5개

이내로 표기한다. 이때 중심단어는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의학주제용어

(MeSH Medical Subject Heading)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20. 항목구분항목 구분을 위한 번호는 Ⅰ, 1., 1), 가), (1), (가).,, 순으로 한다.

21. 감사의 글필요한 경우, 연구에 기여를 한 사람으로 저자에 포함되기에는 부족한 사

람에 대한 감사의 글을 넣을 수 있다. 여기에는 어느 역할에 대해 감시하는지

명백하게 표현하여야 하며(예를 들어, 자료 수집, 재정적 보조, 통계처리, 실

험분석 등), 저자는 그 사람에게 감사의 글에 이름이 나온다는 사실을 통보하

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22. 참고문헌의 인용참고문헌의 표기 방식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이 인덱스 메디커스에서 사

용하는 체계에 따라 다음에 나열한 예를 따르며, 다음에 예시되지 않은 사

항은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N Engl J Med 1997;336:309-15)의 표기방식에 따른다.

① 참고문헌은 본문의 인용 순서대로 기재하고 본문에는 괄호번호로 표

시한다.

② 참고문헌의 저자가 6인 이하인 경우는 모두 쓰고, 7인 이상인 경우는 최

초 6인만 쓰고 ‘등’ 또는 ‘et al’로 표시한다.

③ 국내 저자는 성과 이름을 모두 쓰고, 외국 저자의 경우 성(family

name)을 앞에 쓰고, 이름(first and second name)은 성 뒤에 두문자

만 기재한다.

④ 단행본인 경우에 기재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저자, 제2저자. 저서명. 판 또는 권수. 발행지 ‘출판사명, 발행연도:

시작면-종료면.

영문보기) Donabedian A.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Vol 1. Michigan;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72:1-

32.

국문보기) 엘렌 가우쳐, 리처드 가피. 조우현, 손명세 역. 병원 경영의

혁신. 서울; 학연사, 1994:105-144.

⑤ 잡지문헌인 경우에 기재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저자, 제2저자. 논문제목. 잡지명 연도; 권호:시작면-종료면.

영문보기) Restuccia JD. The effect of concurrent feedback in re-

ducing inappropiate hospital utilization. Med Care 1982;20(1):46-

62.

국문보기) 문옥륜.의료의 질적 관리. 예방의학회지 1990;23(2):131-147

⑥ 단행본 속의 문헌을 이용하는 경우 기재방법은 다음과 같다.

저자명. 문헌명. 단행본의 저자명. 저서명. 판 또는 권수. 발행지; 출판

사명, 발행년도: 시작면-종료명

영문보기) Chu B. Quality assurance in ambulatory care. In Gra-

ham NO. Quality assurance in hospitals. 2nd ed. Rockville,

1990:238-250.

국문보기) 강진경. QA와 의무기록. 한국의료QA학회 편. 한국의료

QA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한국의료QA학회, 1994:15-25

Page 95: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Vol 16, Number1, 2010_ 93

⑦ 전자매체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따른다.

Morse SS. Factors in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Emerg

Infect Dis[serial online]1995 Jan-Mar [cited 1996 Jun];1(1):[24 sc-

rens]. Available from: URL:http://www.cdc.gov/ncidod/EID/eid.

htm

23. 표표(table)는 영문으로 작성하여야 하며, 간결하고 명료하게 작성하여 본문

의 내용을 읽지 않고도 그 자체로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단, 설문지 등 영어

표기가 적절치 않은 경우에는 한글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단 이경우 같은 논문

에서는 통일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표는 2행 간격(double space)으로 쓰며, 한

면에 하나씩 들어가도록 한다. 표 속에 약자를 사용한 경우나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하단 주석에 기재한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의 우측에 기호(*, †, ‡,

§, ||, ¶, **, ++, ‡ ‡의 순서로 함)를 상첨자로 사용하고, 주석은 표 하단에 해

당 기호의 내용을 각단정열로 기록한다. 이때 각주 별로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사용한다. P value의 P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표의 제목은 상단에 작성하며, 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정열한다.연 번호는

‘Table’이라는 표식 뒤에 1칸을 띄고,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하며 숫자 뒤

에 마침표를 찍는다. 한글로 표를 작성할 경우에는 ‘표’라고 쓰고 1칸을 띄고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하며 숫자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제목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하고 제목의 끝에 마침표를 찍는

다. 표에 사용된 단위는 가능한 표의 내부에 표시하여 표 밖에 따로 표기하

지 않도록 한다. 단위를 표시하는 기호에는 불필요한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

도록 한다.

24. 그림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량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그림과 사진에 대한 설명은 다른 용지에 따로 영문

(혹은 국문)으로 작성한다. 그림 설명문은 단순한 제목나열에 그치지 않고 그

림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일련번호는 ‘Figure’라는 표식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한글로 그림 설명문을 작성할 경우에는 ‘그림’이라고 쓰고

1칸을 띄고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하며 숫자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제목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한다. 제목의 배열은 중앙정렬로 한

다. 그림 뒷면에 연필로 번호를 매기고 위 아래를 표시한다.

25. 원고접수‘투고규정에 대한 저자점검표’를 확인하고 작성하여 원고와 함께 아래 주

소로 보낸다. ‘투고규정에 대한 저자점검표’는 매호 인쇄되어 나오며, 이를 복

사하여 사용한다.

우)136-705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6-1 고려의대 예방의학교실 내

한국의료QA학회 간행위원회

26. 위임사항기타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간행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27. 규정의 발효본 규정은 1999년 5월 1일 부터 시행한다. 본지는 의료의 질 분야의 학술연

구와 최신 의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의료QA학회에서 발행하

는 공식 상호심사학술지이다. 투고 원고는 의료의 질에 관련된 의학정보 및

의학지식에 관한 과학적이고 독창성이 있는 원고이어야 한다. 논문의 게재 여

부와 순서는 간행위원회에서 결정한다. 간행위원회는 논문을 채택함에 있어

서 논문의 윤리성, 정당성, 독창성과 학술적 의의 등을 심사하여 내용의 정정,

보완,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투고규정

Page 96: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Page 97: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접수번호 :

순번 점 검 항 목

1 접수일자

2 투고자격(회원 여부)

3 원고의 종류(원저, 질 향상 사례보고, 특별기고, 종설 등)

4 심사용 원고(원본 1부, 심사용 2부)

5 원고(A4용지, 2열 간격, 가로 쓰기, 페이지 번호 등)

6 원고의 분량(인쇄면수 10면 이내) (A4로 매)

7 겉표지와 속표지 : 교신저자(이름, 주소), 단축 제목(국문 10자 이내)

8 저자(7인 이내, 7인 초과시 역할분담 내역 진술)

9 요약(영문 250단어 이내, 1)Background, 2) Methods, 3) Result, 4) Conclusion )

10 중심단어(key words) : 5개 이내, MeSH 등 재 확인

11 본문(용어, 약어, 항목구분, 참고문헌 인용 등)

12 표, 그림

13 참고문헌 표기 : 투고규정에 맞게 일관성 있게 이뤄졌는지 확인

조합 판정(접수증 발급 / 원고 반려 / 보완요청 등)

발송일자 : 년 월 일

원고 제목 :

투고규정에 대한 저자 점검표

Page 98: 한국의료 QA학회지 · 2015-03-18 · 한국의료 QA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목 차 권두언 | 급변하는 의료환경과

발행인 _ 김세철

편집인 _ 이진석

발행소 _ 한국의료QA학회

우 : 463-82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1번지

CHA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내)

전화 _ 031-780-4892

팩스 _ 031-780-4983

디자인/인쇄 _ 한미프로세스

전화 _ 02-2279-6231

등록일자 _ 1994년 6월 28일

창간 _ 1994년 6월 28일

인쇄 _ 2010년 8월 10일

발행 _ 2010년 8월 16일

비매품

Volume16 Number 1 2010Publisher _ Sae Chul Kim

Editor in Chief _ Jin Seok Lee MD.PhD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351 Yatap-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korea

Designed by

Hanmi(www.hanmiok.com)

한국의료 QA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