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6
1995: 33( 1) : 133 -138 MR =9) 16/ 18) L- 1% vascular 11 , 12). MRI MRI 26 Aloka -SSD 7.5MHz linear O .5T( Gyroscan T5, Philips , Netherlands) surface (TR/TE=450- - 133 -

Upload: others

Post on 16-Oct-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95: 33( 1) : 133-138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 1

장혜숙·성미숙·황성수·임정익·신겸섭

목 적 :사지에 생긴 연부조직 혈관종에서의 초음파소견을 분석하고 초음파검사의 가치, 그 에코앙

상과 MRI신호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사지언부조직 혈관종으로 확진되었거나 밤사선학적 검사상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 혈

관종 환자 42여|의 초음파와 MRI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혈관종은 위치에 따라 구분하였고 초

음파및 MRI에서의 종괴의 형태, 내부에코 혹은 신호강도의 특성을 분석한후 서로 비교해 보았다. 또한

피하조직과 근육내 혈관종이 초음파및 MRI에서 각각 다른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늠지 알아 보았다.

결 과:피하조직 혈관종 16예 중 13예의 주된 초음파 소견은 균일한 무에코의 종괴로 나타났고, 내

부에 부분적인 격벽(n =9) 등이 있었다. 이중 MRI를 시행한 6예에서는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의 종괴 (n =5)로 보였고, 내부에 지방섬유성 격벽 (n =4 )등의 소견이 관찰

되었다. 근육내 혈관종 26예 중 18예는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대부분( 16/ 18) 비균일한 복합에코종괴로

써, 부분적인 관상이나 망상의 무에코 부분과 저 및 고에코가 섞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MRI를

시행한 근육내 혈관종 14여|는 T1강조영상에서 근육보다 높고. T2강조영상에서 높은 고신호강도의 종

괴로 나타났다. 초음파소견과 같이 그 내부에는 지방섬유성 격벽으로 인하여 구분되는 관상 혹은 망상

이 관찰되었다.

결 론:초음파의 에코앙상과 MRI의 신호강도는 연관관계가 있었다. 비혈관성 조직을 많이 포함한

근육내 혈관종은 초음파및 MRI검사에서 피하조직 혈관종과는 다른 소견을 보였다.

서 료르 L-

사지내 연부조직의 혈관종은 대부분이 표재성 병변이고

모든 혈관종중 1% 미만이 근육내에서 발생한다(1). 초음 파상 근육내 혈관종의 가장 흔한 소견은 고에코의 종괴라

고 Lorenzo등이 보고하였고(2) , Adam등이 보고한 2예중

l예는 저 에코, 다른 예는 혼합에코를 보인다고 하였다(3).

또한, 근육내 혈관종은 조직학적흐로 비혈관성조직 (non­

vascular tissue)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MRI상에서 진

단적 가치가 높은 특정척인 소견들이 보인다고 알려져 왔

다(1, 3 - 7, 11 , 12). 그러나, 혈관종중 피하조직 병변에 대한

초음파 및 MRI 소견을 기술한 문헌은 거의 없였으며, 근

육내 혈관종은초음파상에서 비특이적 소견을보인다고알

려져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지연부조직내 혈관종을 발생위치에

따른 초음파와 MRI 에서의 특정적인 소견을 분석하고 이

1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4년도 가톨릭 중앙의료원 학술연구 보조비로 이루어졌음 이 논문은 1995년 6월 13일 접수하여 1995년 7월 20일에 채택되었음

를 서로 비교하였으며, 또한 초음파검사의 가치를 알아보

고자한다.

대상및방법

1993년 1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사지 연부조직내 종괴

를 주소로 내원하여 병리조직상 혈관종으로 확진되거나,

방사선학적 검사상 혈관종의 특정적인 소견을 보인 42명

의 초음파와 MRI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 중 26

예는 수술 및 병리학적으로 확진되었고, 16예는 단순촬영

상정맥석이 있거나혈관조영, MRI상수술로확진된 예와

같은 특정적인 소견을 보여 대상에 포함시켰다. 총 42예중

남자가 13예, 여자가 29예였으며 연령은 1세 -66세로 평균

연령은 27.5세였다.42예중 초음파는 34예에서 시행되었으

며, 사용한 기기는 Aloka -SSD 650였고 7.5MHz linear

transducer로 스캔하였다. MRI는 20예에서 시행하였고

이중 12예는 초음파와 MRI를 함께 시행하였고, 8예는 초

음파를 시행하지 않았다. MR검사는 O.5T( Gyroscan T5,

Philips , Netherlands) 초전도형 장치로 surface coil을 이

용하여 spin ←echo기법으로 T1강조영상 (TR/TE=450-

- 133 -

Page 2: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대 한방사 선 의 학회 지 1995:33(1) : 133- 138

500 /25 ) , proton 영상 및 T2강조영상 (TR / TE=1800

2000 /25, 90 )을 얻었다. 혈관종은 발생위치에 따라피하조

직 혈관종과 근육내 혈관종으로 구분하여 각 종류에 따른

초음파 및 MRI에서의 종괴의 형태, 내부에코 혹은 신호강

도를비교하였다.

결 과

사지 연부조직내 혈관종 42예 중 피하조직 혈관종은 16

예, 근육내 혈관종은 26예였다. 초음파상 피하조직혈관종

16예중 13예는 균일한 무에코의 종괴였고(Fig . 1), 나머지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 피하조직

Table 1.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Hemangiomas (n=34)

혈관종 16예중 초음파검사와 MRI를 동시에 시행한 6예중

5예는 T1강조영상에서 균일한 저신호강도, T2 강조영상

에서 균일한 고신호 강도로 보였다(88.3% ) (Fig. 1, Table

2). 종괴의 양상은 지방섬유성 격벽 Uibrofatty septa) 에

의해 경계지워지는 관상이나 망상(lace - like pattern)이 었

다. 나머지 1예는 T1과 T2강조영상에서 주위 근육보다 약

간 높은 고신호강도의 소견을 나타냈고, 초음파검사상에

서는저에코를보였다.

근육내 혈관종 26예 중 초음파검사를 시행한 18예는 초

음파검사상 균일한 저에코로 보인 1예와 심부에 위치하여

초음파상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l예 (Fig. 2)를 제외하고는

모두 관상이나 망상의 무에코부분과 저 및 고에코가섞인

Type Echotexure Morphology

Subcutaneous (16) . anechoic (13)

. hypoechoic(3)

. multitubular(1 1l or oval(5) shape

. internal echogenic septa(9)

· smooth margin(16)

Intramuscular (18) . heterogeneous, mixed . tubular or ovoid anechoic areas & septa within the lobulated

a

c

echoic(16) mass(16)

. homogeneous, hypoechoic(1) . phlebolith (4)

. undetectable(1) . partially defined margin(15)

b

Fig. 1. Subcutaneous hemangioma in the thigh

a. Parasagital ultrasonographic scan shows an anechoic mul­

titubular-shaped mass(white arrows) with a few internal echo-

genic septae.

b. The mass demonstrates well-defined homogeneous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coronal image

c. T2-weighted image shows a high signal intensily mass with

tubul ar or I ace- I ike patterns.

134-

Page 3: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비균일한 복합 에코양상을 보였다(Fig. 3, Table 1). 근육

내 혈관종 중 초음파와 MRI를 함께 시행하였거나(n='6) ,

MRI만 겸사한(n= 8 ) 14예에서는 Tl강조영상에서 근육

보다 높은 고신호강도의 망상 종괴로 보이고, T2강조영상

에서는 지방보다 낮지만 근육보다 높은 고신호강도로 그

내부는 지방섬유성 격벽 에 의해 분리되는 비균칠성 신호

강도로 보였다(Fi g. 4, Table 2).

근육내 혈관종의 특정적 인 MR소견과 초음파소견을 비

교하면 초음파에서 저 , 고에코가 섞 인 부위는 종괴내 버혈

관성 성분으로 이는 MRI에서 매우 다양한 비균절한 신호

강도와 일치하였다. 특히 Tl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로

보이는 지방성분은 혈관종을 진단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

였다. 저류된 혈액을 포함한 혈관조직은 관상이나 망상의

무에코 부위이고 MR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로 보이

고 지방섬유성 격벽에 의해 분리되었다.

고 찰

혈관종은 정상 흑은 비정상인 혈관의 숫자가 증가되어

생긴 양성병변이며, 침범 정도에 따라국소성, 미만성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10). 국소성 혈관종은 양성 연부조직 종

괴의 약 70%정도를 차지하며 , 병 리조직학적으로 모세혈

관형, 해면동형, 동정맥형과 청맥형의 4종류로 나누어진다

장혜숙 외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읍파

(8). 발생위치에 따라 혈관종은 피부형, 피하조직형, 근육 내형과 활액막형 등으로 분류된다(9). 피부행과 피하조직

형은 조직학적으로 대부분 모세혈관형이며 경계가 분명하

고 자연적으로 퇴화한다. 골격근에 생긴 혈관종은 근육

Fig . 3. Intramuscular hemangioma 01 upper extremity. Para­

sagital ultrasonographic scan shows a heterogeneously mixed

echoic mass with lew phleboliths(open arrows). Tubular

anechoic structures(black arrows) represent dilated vascular

channels

a b

Table 2. MR Findings 01 Hemangiomas (n = 20)

Fig. 2 . In tramuscular hemangioma in the

right shoulder.

a. T1-weighted axial image shows slightly

hyperintense lesions throughout the del­

toid and supraspinatus muscles

b. The lesions are clearly delined as high

signal masses(white arrows) with tubular

。 r lace-like pattern on T2-weighted image.

Type Signal characteristics

. homogeneous

' Iow 51 on T1WI & high 51 on T2WI (5)

· sl ightly high 51 on T1 WI & T2WI (1)

Intramuscular (14) . slightly high 51 to muscle on T1W1 ,

bright high 51 to lat on T2WI(14)

5ubcutaneous (6)

I'v1orphology

. tubular(4) or oval(2) shape

. librolatty septa (4)

· well-delined margin (6)

. tubular or lace-like shape with librolatty septa (14)

. phlebolith (3)

. partially delined margin(7)

51 : signal intensity T1 ,T2WI : T1 ,T2-weighted image X

μ

Page 4: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5: 33( 1) : 133- 138

내에 깊게 위치하며 대부분 하지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

다(1 1). 특히 근육내 혈관종은 비혈관성 조직인 지방, 횡문

근, 섬유성조직, 점액성 기질, 혈철소(hemosiderin)와 뼈

등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혈관성 성분은

해변동형 혹은 큰 혈관을 가진 혈관종에서 두드러지게 나

타난다(1).

본 연구에서 피하조직 혈관종은 초음파상에서 비교적

균일한 무에코의 종괴 ( 8 1.3% ) 이며,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격벽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MRT1강조영상에서는 저신

호강도로, T2강조영 상에서 고신호강도로 나타나는 종괴 이

며, 내부에 지방섬유 격벽을 관찰할 수 있였다. 이러한 소

견들은 아마도 근육내 혈관종과 달리 피하조직 혈관종은

주로 혈관조직으로만 구성되어서 이 혈관조직내에 저류된

혈액성분, 즉 물성분이 대부분인 특정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와 MR상에서 관찰된 격 벽들에 의 해 나

누어지는 관상이나 망상의 구조물은 저류된 혈액을 가진

a

b c

각각 확장된 혈관조직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주

위조직과 종괴와의 경계면은 초음파및 MR상에서 비교적

명확하게 구별되었다(100%). 피하조직 혈관종의 1예는

T1과 T2강조영상에서 주위 근육보다 높은 고신호강도의

종괴로써 내부에 출혈이 있음을 시사하였고, 초음파상에

서 무에코보다 약간 높은 저에코소견도 종괴내 출혈때문

으로 추측하였고 수술로 확진하였다.

근육내 혈관종은 초음파상에서 대부분 관상이나 그물

모양의 무에코부분과저 및 고에코가섞인 버균일 복합에

코 종괴 (88.8% )로 보였다. 이러한 소견은 Lorenzo등이 근

육내 혈관종을 고에코 종괴로 Adam등이 저에코 혹은 혼

합에코 종괴라고 보고한 소견과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

다. 저 자들의 결과와 다른 이 유는 아마도 Lorenzo, Adam

등의 논문은 7예 흑은 2예의 혈관종을 보고하여서 증례수

가 적었고 출혈 등 합병증으로 생긴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

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 비균일성 종괴내에서

는 부분적으로 관찰되는 관상이나 망상의 무에코 부분은

격벽에 의해 나누어지는 양상으로 나타났고 이는 피하조

직 혈관종과 마찬가지로 저류된 혈액을 함유한 혈관조직

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저 및 고에코가 섞인 부위는 비혈

관성 조직이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 근육내 혈관종의 조직

학적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MR검사를 시행한 근

육내 혈관종은 T1강조영상에서 근육보다 높은 고신호강

도, T2강조영상에서는 지방보다 낮지만 근육보다 높은 고

신호강도의 종괴로써 내부에는 지방섬유성 격벽으로 분리

되는 특정적인 망상 혹은 관상형태를 보였는데 (100%)

MRI에서의 이러한 형태및 신호강도는 이미 보고된 다른

논문들(1, 3-7, 11, 12)과 일치하는 소견이었다. 초음파검

사상에서 근육과 병변이 구별되지 않았던 심부근육내 혈

관종 l예 (Fig. 2)에서는 특정적인 MRI소견을 보여 수술

Fig. 4. Intramuscular hemangioma involv-

ing the wrist.

a. Parasagital ultrasonographic scan de­

monstrates a mixed echoic mass with

anechoic tubular areas representing vas­

cular channels(black arrows).

b. T1-weighted coronal image shows a

slightly hyperintense mass with lace-like

areas 01 increased signal corresponding

to latty components(white arrows)

c. T2-weighted image shows a linear lib­

rolatty septa 01 low signal(curved arrows)

Signal voids represent phleb이 iths(arrow

heads) within the hyperintense mass‘

α ω

Page 5: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전 진단이 가능했고 MRI가 초음파검사보다 매우 유용했

던 경우였다. 그리고, 저자들은 혈관종에 대한 초음파검사

시 엄상적으로 의심되지만 병변이 잘 보이지 않을 경우에

환자의 환측 상지에 힘을 주게 하거나 기립상태에서 하지

를 검사하여 병변을잘발견할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은 초음파상 에코양

상과 신호강도에서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비혈관성 조

직을 많이 포함한 근육내 혈관종은 초음파및 MRI검사상

에서 피하조직 혈관종과는 다른 소견을 보였다. 초음파에

서 근육내에 위치한 복합에코 종괴내에 관상 혹은 망상의

무에코 부위가 있는 소견은 근육내 혈관종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소견으로 생각된다. 만약, 섬부 혈관종이 의심

된다면 MRI가 첫번째 적절한 검사방법이지만 종괴가 의

심되거나 경제적, 지역적 여건의 제한으로 인해 MRI를 시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초음파검사가 검색방법으로 도움

을줄것으로사료된다.

참 고 = L!:" 헌

장혜숙 외 :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

3. Greenspan A, Mcgahan JP, Vogelsang P, Szabo R. Imaging

strategies i'n the evaluation 01 soft tissue hemangiomas 01 the

extremitis: correlation 01 the lindings 01 plain radiography ,

angiography, CT, MRI and ultrasonography in 12 histolo­

gically proven cases. Skeletal Radiol 1992 ; 21 : 11-18

4. Hawnaur JM , Whitehouse RW, Jenkins JPR, Iserwood 1.

Musculoskeletal hemangiomas : comparison of MRI with CT

Skeletal Radiol 1990 ; 19 : 251- 258

5. Yuh TC, Kathol M. Soln MA , Ehara S, Chiu L. Hemangiomas

。1 skeletal muscle: MR lindings in live patients. AJR 1987

149 : 765-768

6. Buetow PC‘ Kransdorl MJ, Moser RP, Jelinek JS, Berry BH

Radiologic appearance 01 intramuscular hemangioma with

emphasis on MR imaging. AJR 1990 ; 154: 563-567.

7. Cohen EK , Kressel HY, Perosio T, et al. MR imaging 01 soft

tissue hemangiomas: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AJR 1988 ; 150 : 1079- 1081

8. Resnick 0 , Niwayama G. Diagnosis 0' bone and joint

disorders.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1988: 3900-3903

9. Lenchik L, Pozanski AK , Donaldson JS, Sarwark JF. Case re­

port 681. Skeletal Radio/1991 ; 20: 387-389

10. Enzinger FM , Weiss SW. Benign tumors and tumorlike

lesions 0' blood vessels . In Soft tissue tumors. 2ed. St. Louis

Mosby 1983 ‘ 379-421

1. Enzinger AP. Hemangioma 01 skeletal muscle. Cancer 1972; 11. Livine E, Wetzel LH , Neff JR. MR imaging and CT 01 extra-

29 : 8-22. hepatic cavernous hemangiomas. AJR 1986 ; 147: 1299-1304

2. Derchi LE, Balconi G, Flavjis LD, Oliva A, Rosso F. Sono- 12. Nelson MC, Stull MA, Teitelbaum GP , et a l. Magnetic reson-

graphic appearances 01 hemangiomas 01 skeletal muscle. J ance imaging 01 peripheral soft tissue hemangiomas. Ske/-

Ultrasound Med 1980; 8: 263-267 etal Radio/1990 ; 19 : 477-482

m

Page 6: New 사지 연부조직 혈관종의 초음파소견: MR 신호강도와의 상관성1 · 2019. 9. 16. · 3예는 균일한 저에코종괴로 나타났q(Table 1). 피하조직 Table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5 : 33( 1) : 133-138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5: 33( 1) : 133-138

US Characterization of Soft Tissue Hemangiomas of Extremities: Correlation with MR Signal Intensity'

Hye Suk Jang, M.D. , Mi Sook Sung , M.D., Sung Su Hwang, M.D. ,

Jung Ik Yim, M.D. , Kyung Sub Shinn, M.D.

1 Department of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Purpose: To evaluate the US findings of soft tissue hemangiomas in extremities and to correlate the

echo-pattern with MR signal characteristics of hemangi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forty-two patients either with pathologically proven

cases or with characteristic features of hemangiomas on MRI , US and plain film . Hemangioma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s;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Analytic points on US and MR

findings were gross morphology of the mass, internal echo-pattern or signal characteristics. We correlated the

echo-pattern with MR signal characteristics in hemangiomas.

Results: Subcutaneous hemangiomas revealed homogeneously anechoic mass on US, which were well

correlated with MR signal characteristics ; homogeneous low singnal intensity(SI) on T1-weighted image(WI) and

high SI on T2-WI. Intramuscular hemangiomas showed heterogeneously mixed echoic masses on US. An

anechoic component on US corresponded to dilated vascular channels on MRI. The signal intensity of

intramuscular hemangioma was less than that of subcutaneous fat on T1 -WI and greater than }hat of fat on

T2-WI. 80th types of hemangiomas had tubular or lace-like appearance with interspersed fibrofatty septa

Conclusion : The echo-patterns in US were well associated with MR signal characteristics on MR I. Regard­

ing US and MR features , intramuscular hemangiomas were different to subcutaneous hemangiomas.

Index Words: Extremities , neoplasms

Extremities, US

Extremities, M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i Sook Sung, M.D., Department of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ly Family Hospital Sosa•:l ong, Wonmi -ku, Pucheon-<:ity, Kyungki -do, 422 -050 Korea. Tel. 82-32-340-2188 Fax.82-32-340-2255

-1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