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ematics for korea s aptitude testcfs3.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6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 1 - Section 2. 복소수 1.복소평면 1) 복소평면 (가우스평면) 평면 위의 직교좌표에서 점 P(a, b)가 복소수 에 대응될 때, 이 평면을 복소평면 또는 가우스 평면이라 하고 P( ) 또는 점 라 나타낸다. 특히 x축을 실수축, y축을 허수축이라 한다. 이 때, 로 나타내고 의 절대값 이라고 한다. 2) 복소수의 합과 차 (1) 복소수의 덧셈 두 점 가 주어져 있을 때, 합 를 나타내는 점 의 작도는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하면 된다. 의 기하학적인 정의는 평행이동을 의미함 (2) 복소수의 뺄셈 두 점 가 주어져 있을 때, 차 를 나타내는 의 작도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쓰인다. (ⅰ) 의 O에 대한 대칭점을 를 구하고 를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한다. (ⅱ) 을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한다. 의 기하학적인 의미는 원점 가까이 평행이동을 의미한다 【참고】 1) 절대값의 기하학적인 의미 ; 원점에서 복소수까지의 거리을 의미 사이의 거리을 의미함. 2)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1 -

    Section 2. 복소수

    1.복소평면

    1) 복소평면 (가우스평면)

    평면 위의 직교좌표에서 점 P(a, b)가 복소수 에 대응될 때,

    이 평면을 복소평면 또는 가우스 평면이라 하고 P( ) 또는 점 라 나타낸다.

    특히 x축을 실수축, y축을 허수축이라 한다.

    이 때, 을 로 나타내고 의 절대값이라고 한다.

    2) 복소수의 합과 차

    (1) 복소수의 덧셈

    두 점 가 주어져 있을 때, 합 를 나타내는 점 의 작도는 를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하면 된다.

    ☞ 의 기하학적인 정의는 평행이동을 의미함

    (2) 복소수의 뺄셈

    두 점 가 주어져 있을 때, 차 를 나타내는 점 의 작도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쓰인다.

    (ⅰ) 의 O에 대한 대칭점을 를 구하고 를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한다.

    (ⅱ) 을 이웃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제 4의 꼭지점을 구한다.

    ☞ 의 기하학적인 의미는 원점 가까이 평행이동을 의미한다

    【참고】

    1) 절대값의 기하학적인 의미 ; 원점에서 복소수까지의 거리을 의미

    즉 는 와 사이의 거리을 의미함.

    2)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2 -

    3) 복소수 α, β의 켤레복소수를 α β라 할 때

    α β α β α β α β

    αβ

    α

    β , α α

    4) 의 켤레복소수가 (단, 는 실수) 일 때

    가 실수

    가 순허수

    5) 이동

    (ⅰ) 점 와 점 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ⅱ) 점 와 점 는 축에 대하여 대칭

    (ⅲ) 점 와 점 는 축에 대하여 대칭

    (ⅳ) 점 는 점 를 π

    만큼 회전이동 ( ; 회전연산자)

    6) 선분 의 내분점, 외분점

    ; 복소평면에서 두 점 를 잇는 선분 를 으로

    내분점 ; , 외분점 ;

    2.복소수의 극형식

    를 θ θ 꼴로 나타낼 때 이것을 z 의 복소수의 극형식이라

    하고, 를 복소수의 절대값, θ를 편각이라 한다.

    특히 편각의 표현은 또는 로 나타낸다.

    (단 , θ θ )

    【설명】복소수 에 대하여,

    θ θ 를 만족하는

    θ 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극형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θ θ

    θ θ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3 -

    【참고】 복소수 θ θ 에 대하여

    (1) θ θ π θ π θ

    (2) θ θ θ θ

    (3) 복소수 의 편각 θ 는 일반각이므로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으나 보통 θ π 또는 π θ π 의 범위에서 그 절대값이 가장 작은 각의 크기를 취한다.

    (4) 복소수 0 의 절대값은 0 이고, 편각은 임의의 각으로 본다.

    (5) arg는 argument 의 약자이다.

    3. 극형식으로 나타낸 복소수의 곱셈․나눗셈

    θ θ θ θ (단, ) 일 때

    1) 곱셈

    극형식 : θ θ θ θ , 절대값 :

    편 각 :

    2) 나눗셈

    극형식 : θ θ θ θ , 절대값 :

    편 각 :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증명】

    (1) 곱셈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2) 나눗셈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4 -

    θ θ θ θ

    θ θ -끝-

    4. 복소수의 평행이동, 회전이동

    (1) 평행이동 : 점 를 α 만큼 평행이동한 점 는 α

    (2) 회전이동 : 점 를 원점을 중심으로 θ 만큼 회전이동한 점 는 θ θ 이고,

    점 를 α를 중심으로 θ만큼 회전이동한 점 는 α α θ θ

    5. 드․무아브르의 정리

    이 정수일 때 θ θ θ θ

    【참고】 반드시 극형식일 때만 드 무아브르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

    6.복소평면 위의 선분의 길이와 각의 크기 도형의 방정식

    1) 선분의 길이: 점 가 복소평면 위에서 각각 복소수 를 나타내는 점이라 할 때,

    를 나타내는 두 점을 라 하면,

    이므로

    2) 복소평면 위에서 두 선분의 교각

    복소수 를 나타내는 점을 각각 라 할 때,

    (1) 두 선분의 교각 와 의 교각

    (2) 두 선분의 평행 (실수)

    (3) 두 선분의 수직 (순허수)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5 -

    【설명】

    (1) 두 선분의 교각 두 선분 가 양의 실수축과 이루는 각을 각각 α β 라 하고,

    두 선분 가 이루는 각을 θ 라 하면,

    θ β α 따라서, θ

    (2) 두 선분의 평행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일 때, 와 가 양의 실수축과 이루는 각은 같다. 즉, 이므로,

    따라서, 실수

    (3) 두 선분의 수직 두 선분 가 양의 실수축과 이루는 각을 각각 α β 라 할 때,

    이면, 다음 두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β απ

    이므로, π

    π

    따라서, (순허수)

    3) 복소평면 위에서 도형의 방정식

    (1) 원의 방정식 점 α 를 중심으로 하고, 실수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α

    (2) 타원의 방정식 점 α β 를 초점으로 하고, 장축의 길이를 로 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α β

    (3) 선분의 수직이등분선 점 α β 를 잇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은

    α β

  • Mathematics fo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Complex Numbers- 6 -

    7.이항방정식 의 해법

    복소수 z, α 에 대하여 α꼴의 방정식을 이항방정식이라 하고 그 해법은 드 무아브르 정리와 극형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즉, 좌변과 우변을 극형식으로 고쳐서 같다고 놓고 푸는데 우변의 편각을 일반각으로 표현해야 한다. 특히 이항방정식의

    근은 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면)

    방정식 의 해는 π α π α 단 이다.

    1. 방정식 의 한 근을 라고 하고, 이라고 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2. π

    를 모두 만족하는 복소수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3. 일 때 복소수 의 절대값과 편각을 구하여라.

    또, 극형식으로 나타내어라.

    4. 복소평면 위에서 원점과 점 를 꼭지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제 3 의 꼭지점을 나타내는 복소수를

    구하라.

    5.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이 각각 최소가 될 때의 의

    값을 구하시오.

    6. 이 순허수가 되도록 가 변할 때, 복소평면 위에서 점 는 어떤 도형을 그리는가 ?

    ① 직선 ② 원 ③ 타원 ④ 쌍곡선 ⑤ 포물선

    7. π π일 때, 를 만족하는 최소의 자연수 을 구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