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24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Components in the People with Custodial Mental Retardation 임경일 * 이완희 ** 남형천 * Lim, Kyung iI Lee, Wan Hee Nam, Hyun Cheun * 경북전문대학 물리치료과 교수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Buk College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교신저자 (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9, No. 2, pp. 195~218, 2010. < > 본 연구는 보호대상급 중증 지적 장애인 명을 대상으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을 30 실시하여 신체 조성 성분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은 중량 부하 없이 중량 부하 그룹과 동일한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고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는 발목에 킬로그램 의 중량 , 1.36 (kg) 부하를 주고 주 분씩 주간 트레드밀 걷기 실험을 통하여 얻은 유산소 5 ,1 60 12 운동 전 후 체중 신체 질량 지수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과 총 콜레스테롤 , , (BMI), (TC), 중성 지방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 (TG), (LDL-C) 과 혈중 지질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 (HDL-C) INBody 3.0 . 의 분석은 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독립 SPSS/PC ver, 12.0 t 를 하였고 -test , 룹간 처치 효과는 대응 표본 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 -test , 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중량 부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 .05 . 하게 감소하였으며(p 신체 질량 지수는 중량 부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하게 <.05), 감소하였다(p 체지방량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유의 <.05). 하게 감소하였으며(p 제지방량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 <.05), 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은 유산소 운 <.05), (HDL-C) 동전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 , . 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중성 지방은 중량 부하 운동 그룹

Upload: others

Post on 29-Sep-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Components in the People with

Custodial Mental Retardation

임 경 일* ᆞ 이 완 희** ᆞ 남 형 천*

Lim, Kyung iI ᆞ Lee, Wan Hee ᆞ Nam, Hyun Cheun

* 경북전문대학 물리치료과 교수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Buk College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9, No. 2, pp. 195~218, 2010.

요 약< >

본 연구는 보호대상급 중증 지적 장애인 명을 대상으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을30실시하여 신체 조성 성분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은 중량 부하 없이 중량 부하 그룹과 동일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고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는 발목에 킬로그램 의 중량, 1.36 (kg)부하를 주고 주 회 일 분씩 주간 트레드밀 걷기 실험을 통하여 얻은 유산소5 , 1 60 12운동 전 후 체중 신체 질량 지수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과 총 콜레스테롤, , (BMI), (TC),중성 지방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TG), (LDL-C)롤 을 과 혈중 지질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HDL-C) INBody 3.0 .의 분석은 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독립SPSS/PC ver, 12.0 t 를 하였고 그-test ,룹간 처치 효과는 대응 표본 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test ,

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중량 부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05 .하게 감소하였으며(p 신체 질량 지수는 중량 부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하게<.05),감소하였다(p 체지방량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유의<.05).하게 감소하였으며(p 제지방량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05),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은 유산소 운<.05), (HDL-C)동 전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은 유산소 운동 후 중량 부, .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중성 지방은 중량 부하 운동 그룹

Page 2: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96 -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1.

년 월 기준 보건복지 가족부의 전국 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전국 지자2007 12

체에 등록된 장애인은 총 명이라 한다 이중 지적 장애인은2,104,889 . 142,589

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약 를 차지하고 있다 보건 복지 가족부15% ( , 2008).

이들 지적 장애인의 특징을 보면 지적 기능이 낮아 행동 적응 및 협응력이 떨

어져 일반인과 다른 반응을 나타낸다 김한철 지능 발달의 장애는 운동( , 2004).

기능의 발달 장애도 동시에 수반되고 있기 때문에 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운동

기능이 열등한 특징을 보인다 전종귀 등 낮은 동기 유발과 제한된 근육( , 2004).

의 사용에 의한 신체 활동의 기피로 지적 장애인 대부분 허약하거나 비만한 체

형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인에 비해 운동 반응시간(McArdle & Magle, 1970),

이 늦고 운동 능력과 균형력이 떨어지며 최대 심박수가, 8 ~ 낮아 비만 발30%

생 확률이 더 높다고 하였다(Eichstaedt et al., 1991).

지적 장애인들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건강 장애는 좋지 못한 식습관과 신체 활

동의 제한에 의한 과체중과 비만이다 전 연령에 걸쳐(Fox & Rotatori, 1982).

지적 장애인의 비만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여성의 남성의 가 과체중, 59%, 27%

인 것으로 나타났다 명의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Rimmer et al., 1993). 1,152

비만 발생률을 조사하여 남성의 여성의 가 과체중 이상의 비만으로32%, 37%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Fox & Rotatori. 1982).

일반인 보다 움직임이 부족하고 음식을 섭취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한 중증 지

적 장애인에게 비만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비만으로 인해 야기되는 질.

병은 지적장애인의 짧은 평균 수명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중(Fernhall, 1993).

에서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은 중량 부<.05). (LDL-C)하 운동 그룹에서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므로 중증 지적 장애인의 비만 예방과 감소 운동 프로그램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한 하지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신체 조성 및 혈중지질 성분의 향상에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핵심어 : 지적장애 중량부하운동 신체조성 혈중지질, , ,

Page 3: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197 -

증 지적 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하여 활동 반경이 좁고 움직임의 기회가 일반인보

다 부족하며 상대적으로 많은 여가 시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 활동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여 의미 없이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

운동 부족 현상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비만이 발생되면 일반인 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된다 장복자 중증 지적 장애인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비( , 2005).

만 관리가 필요하나 신체 활동의 제한으로 비만에 쉽게 노출되므로 그 대책과

예방이 절실하며 김시연 섭취 에너지보다 소비 에너지의 비율 차이가( , 2007),

비만의 원인이 되므로 소비 에너지양의 증가를 강조하였다(Luc, 1999).

비만 관리에 주로 이용되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은

데 이것은 체중 감량과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

을 감소시키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근육의 협조성이 증대되어 신체 조정 능력이(Zelasko, 1995).

향상되며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성분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가장 기(Fox & Mathewa, 1981).

본이 되며 대표가 되는 것은 걷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운동 형태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으로 육체적 정신적으로 가장 편안한 움직임이며 원초적인 행,

위라고 할 수 있다 걷기 운동은 체중의. 1.1 ~ 배로 충격을 주지만 달리기는1.2

체중의 3 ~ 배의 충격을 더 받게 되어 발목 무릎 허리에 받는 충격도 걷기보4 , ,

다 3 ~ 배의 충격을 더 받게 되어 발목 무릎 허리에 받는 충격도 그만큼 크다4 ,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연령 체력수준 기술의 좋고 나쁨에 상관없이 가( , 1998). , ,

볍게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비만인들에게

유익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조현철( , 1996).

걷기 운동의 효과로서 주간 메트로놈 소리 를 운동 강도로 하여 걷기12 (beat)

운동을 실시한 결과 집단은 체지방 대퇴부의 피지후 복부와 둔부의126beat , ,

둘레 등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집단은 체중 체지방 피지후, 144beat , , ,

복부 둔부 그리고 대퇴부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육철민, ( , 1997).

이러한 걷기 운동의 속도에 대하여 걷기 속도와 보폭 대상자의 신체적 조건,

들은 상호 밀접한 관계들을 갖고 있는데 남자의 경우 부터1.3m/sec 1.5m/sec

정도이고 여자의 경우 약 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1.2m/sec (Workman & Nawaz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성인의 운동은 분당 심박수 이상 에너지1963). 100 ,

소비량 이상 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상의 걷기 운동에서 산소350Kcal , 6km/hr

섭취량이 안정시의 배 이상이고 이 속도로 시간 걸으면 가량의 에4 1 350Kcal

너지를 소비하고 피로는 전혀 없으며 회복기의 심박수가 곧 정상으로 돌아온다( ),

피로의 축척 등으로 오는 장애가 없다 하였다(Martin, Rothstein, & Larrish,

Page 4: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98 -

1992).

걷기와 달리기 간 심박수 수축기 혈압 및 심부담도 비교 연구에서, 6.9 ~

이상의 걷기 운동은 적절치 않은 운동으로 보고하였다 박평육8.9km/hr ( , 2004).

신체 질량 지수 가 이상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Body Mass Index, BMI) 25 ,

걷기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여성의 신체 질량 지수 체지방률 및 기분6km/hr ,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 신체 질량 지수 및 체지방률 감소에 효과적임을 보,

고하였다 김철식 등( , 2004).

운동과 장애인에 관련된 연구들을 보면 비만 지적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유,

산소 운동이 혈중 지질 및 지단백질 관련 요인에서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의 증가는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증가,

는 혈관막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기 때문에 관상 동맥 질환의 예방 인자

로 작용하여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박종진( ,

비만인의 체지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짧은 거리의 조깅보다 장거리의1998).

걷기가 효과적이라고 하였다(Shephard, 1990).

그러나 유산소 운동은 운동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장시간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루한 감을 갖는 단점이 있어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신체 부위에 중량

부하를 주어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인위적인 중량 부하 후 운동 시 심혈관계.

기능을 증진 시키는데 효율적이며 권양기 등 체력이 약하거나 달리기를( , 2001),

하기가 곤란한 사람 등 특히 비만자들이 중량 부하 운동으로 효과적인 생리적

반응을 얻을 수 있다 하였다 이성진( , 2006).

지금까지 중량 부하 운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동기 유발에 의한 운동 지속 시간이 짧아 효율적인 운동 방법을 필요로,

하는 중증 지적 장애인의 경우 중량 부하 운동을 통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미

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량 부하 운동을 통하여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증 지적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비만 감소와

예방을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 모색을 위해 하지에 중량을 부하 한 후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주간 운동 후 신체 조성과 혈중12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이에 따른 목적은 다음과 같다.

Page 5: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199 -

첫째 중량 부하 그룹과 비부하 그룹의 유산소 훈련 전 후 신체 조성과 혈중, ,

지질 성분의 변화를 알아본다.

둘째 중량 부하 그룹과 비부하 그룹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의 치료,

효과를 비교한다.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1.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구에 소재한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 장애인들G A

중 보호대상급 중증 급 지적 장애로 분류되며 독립 보행이 가능하고 규칙적인(1 )

운동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신체 질량 지수가 이상인 과체중 중중 지적 장23

애인 명을 선정하였으며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명 비중량 부하 유30 , 15 ,

산소 운동 그룹 명을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무선 배정하여 구성하였다15 .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인들은 실험에 참가하기 전 질병 유무를 확인하였고,

지능 검사는 생활 기록부에 기재되어 있는 기 검사한 결과를 인용하였으며 피,

험자들은 사전에 시설장과 담당 교사의 동의를 구한 후에 년 월 일에2008 3 18

서 월 일까지 시설의 물리치료실에서 실험에 참여하였다6 14 .

피검자의 신체적 특성은 다음 표 과 같다< 1-1> .

표< 1-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나이(yr) 신장(cm) 체중(kg)지능지수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비중량 부하 그룹(n=15)

42.40±8.83 151.33±9.40 62.12±10.01

25이하

중량 부하 그룹(n=15)

39.07±8.59 155.53±13.28 62.78±12.18

Page 6: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00 -

연구 도구2.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1)

피험자들을 위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은 준비 운동으로 스트레칭 및 가벼운

실내 걷기 분 본 운동은 트레드밀에서 고정된 속도에서 분간 걷10 , 4.5km/h 40

기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정리 운동은 고정 자전거 타기 분으로 일. 10 1 60

분간 주 회 주 동안 실시하였다5 , 12 .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는 트레드밀 걷기 동안에 킬로그램1.36 (kg)

의 모래주머니를 양쪽 발목에 나누어 착용한 후 운동을 하였다 비중량 그룹은.

모래주머니 없이 중량 그룹과 동일한 운동을 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이 되도록 매 운동일 마다 연구자가 운동 시간과 심박수를 측정

하고 기록하였으며 운동 수행 중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운동 프로,

그램은 시설의 치료사 인이 지도하였으며 인의 연구 보조자가 보조하였다2 4 .

측정 도구2)

피험자는 검사 일 전부터 일상적인 신체 활동 외에는 삼가 하였고 검사3 12

시간 전부터 금식하였으며 검사 시간 전에 검사실에 도착하여 충분한 안정을, 1

취한 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신체에 접촉하는 모든 금속물질을 제거하고 최소.

한의 복장으로 측정하였으며 성별 연령을 입력 후 손과 발바닥을 전해질 수건, ,

으로 닦은 뒤 선자세로 양팔은 대퇴와 약 떨어뜨려 바르게 펴고 양 다리10cm ,

는 장비 바닥 접촉 부위에 정확히 위치시켜 약 분간 측정하였다2 .

신체 조성 측정은 생체전기 임피던스법(Bio 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으로 사의 을 이용하여 운동 처방사가 측정하였다Bio-Space InBody 3.0 .

혈중 지질 성분 측정3)

피험자는 채혈 전일 시부터 시간 이상 금식하여 채혈 당일 공복을 유지18 12

한 상태로 오전 7 ~ 시 사이 병원 임상병리사와 시설의 간호사가 혈액을 채9 S

취하였다 채취는 전완 주정맥 에서 약 의 혈액을 채취하. (antecubital vein) 20ml

여 원심 분리하여 시에 소재한 임상병리센터에 검사를 의뢰하여 혈중 지질S S

성분 분석기 로 분석하였다(Hitachi-747) .

Page 7: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1 -

연구 절차3.

지적 장애인 시설 거주 보호대상급 중증 장애인 중에서 신체 질량 지수 23

이상인 과체중 성인 남자 명 여자 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피험자18 , 12 .

각각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 적응 실험을 실시한 후 차 검사를 실시하였다1 .

차 검사는 신체 조성 검사 혈액 채취를 통한 혈중 지질 성분 검사 순으로1 ,

실시하였으며 주간 유산소 운동 후에 다시 차 검사와 동일한 검사를 실시, 12 1

하여 훈련 후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자료 처리4.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자료는 윈도우용 통계 프로그램을SPSS/PC ver, 12.0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의 독립 t 검정을 하였고 각 그룹간의 처치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해 유산소 운동 전 후 대응 표본 t 검정을 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

의수준은 p 로 하였다<.05 .

Ⅲ 연구 결과.

중량부하 운동 전 후 신체 조성 성분 변화1. ㆍ

신체 질량 지수 이상인 과체중 보호대상급 지적 장애인 명을 대상으로23 30

주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의 운동12

참여 전 후의 신체 조성 성분의 평균과 표준 편차 및, t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8: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02 -

주간 실시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중증 지적 장애12 ,

인의 체중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62.78±12.18 59.44±

으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10.90 3.34 (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05),

룹은 에서 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다62.12±10.01 60.68±9.74 1.43 (p<.05).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를 보면 중량 부하 그룹이 비중량 그룹 보다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표< 3-1> 중량 부하운동 전 후 값에 따른 그룹 간 비교-

전 후 값-t p

대조군 실험군

체중의 변화 1.43±1.16 3.34±2.67 2.53 .01

체지방량의 변화 0.97±1.88 1.82±2.81 .96 .34

제 지방량의 변화 0.73±2.01 1.50±2.17 1.00 .32

의 변화BMI 0.30±1.03 1.26±1.06 2.51 .01

표< 3-2> 중량부하 유산소 운동에 따른 신체 조성 성분 변화

기 간t p

실험 전 실험 후

체중의 변화대조군 62.12±10.01 60.68±9.74 4.76 .00

실험군 62.78±12.18 59.44±10.90 4.83 .00

체지방량의 변화대조군 20.52±5.00 19.85±3.50 1.15 .26

실험군 18.88±2.84 17.00±3.78 2.62 .02

제 지방량의 변화대조군 41.59±8.30 40.85±8.66 1.42 .17

실험군 43.90±12.19 42.42±11.06 2.68 .01

의 변화BMI대조군 26.93±2.49 26.63±2.33 1.12 .28

실험군 25.76±1.84 24.50±1.75 4.59 .00

Page 9: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3 -

체지방량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18.88±2.84 17.00±

으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3.78 1.82 (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05),

은 에서 으로 약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20.52±5.00 19.85±3.50 0.97

타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에서 중량 부하 그룹과 비중량 그.

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제지방량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43.90±12.19 42.42±

으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11.06 1.50 (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05),

그룹은 에서 으로 약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41.59±8.30 40.85±8.66 0.73

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에서 중량 부하 그룹과 비중.

량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 질량 지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25.76±1.84 24.50

으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1.75 1.26 (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05),

룹은 에서 으로 약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26.93±2.49 26.63±2.33 0.3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를 보면 중량 부하 그룹이 비중.

량 그룹 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중량부하 운동 전 후 혈중 지질 성분 변화2. ㆍ

신체 질량 지수 이상인 과체중 보호대상급 지적 장애인 명을 대상으로23 30

주간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의 운동12

참여 전 후의 혈중 지질 성분의 평균과 표준 편차 및, t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3> 중량 부하운동 전 후 값에 따른 그룹 간 비교-

전 후 값-t p

대조군 실험군

의 변화TC 1.86±15.33 31.20±30.06 3.36 .00

의 변화HDL-C 10.26±19.53 20.66±30.83 1.10 .27

의 변화LDL-C 17.20±17.68 44.60±21.06 3.85 .00

의 변화TG -24.93±18.91 22.73±32.62 4.89 .00

Page 10: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04 -

총 콜레스테롤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160.93±30.19

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129.73±18.22 31.2 (p 비중량 부하 유산소<.05),

운동 그룹은 에서 로 약 감소하였으나 유의166.67±24.84 164.80±26.32 1.86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를 보면 중량 부하 그.

룹이 비중량 그룹 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51.53±

에서 로 약 증가하였고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32.64 63.40±9.25 20.66

은 에서 으로 약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44.73±14.63 55.00±12.89 10.26

는 없었다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에서 중량 부하 그룹과 비중량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변화는 중량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89.93±

에서 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41.50 58.80±21.57 44.60 (p 비중량 부<.05),

하 유산소 운동 그룹은 에서 로 약 유의하105.93±27.10 88.73±20.74 17.20

게 감소하였다(p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를 보면 중량 부하 그룹이<.05).

비중량 그룹 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중성지방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이 에서96.00±43.96 73.27

로 약 유의하게 감소하였고±32.31 22.73 (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05),

그룹은 에서 으로 약 유의하게 증가하였다79.80±30.09 104.73±25.69 24.93

표< 3-4> 중량부하 유산소 운동에 따른 혈중 지질 성분 변화

기 간t p

실험 전 실험 후

의 변화TC대조군 166.67±24.84 164.80±26.32 .47 .64

실험군 160.93±30.19 129.73±18.22 4.01 .01

의 변화HDL-C대조군 44.73±14.63 55.00±12.89 -2.03 .06

실험군 51.53±32.64 63.40±9.25 -1.29 .21

의 변화LDL-C대조군 105.93±27.10 88.73±20.74 3.76 .00

실험군 89.93±41.50 58.80±21.57 3.07 .00

의 변화TG대조군 79.80±30.09 104.73±25.69 -5.10 .00

실험군 96.00±43.96 73.27±32.31 2.69 .01

Page 11: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5 -

(p 유산소 운동 후 그룹 간 비교를 보면 중량 부하 그룹이 비중량 그룹<.05).

보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Ⅳ 논 의.

많은 연구들에서 비만으로 발생된 신체 조성의 불균형으로 뇌 순환기 질환 및

암의 위험 요인이 된다고 보고한다 운동 부족으로 발생된 비만으로 인한 신체.

조성의 불균형은 정상인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는 장애,

인들에게 있어서는 심각하다 할 수 있다 송동석 운동 능력과 균형력이( , 2003).

떨어지는 것에 의해 장시간 운동이 쉽지 않은 지적 장애인의 다양한 운동 방법

과 체중 조절을 위해 본 연구는 지적 장애 보호 대상급 장애인을 대상으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명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명으로 분류하15 15

여 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중량 부하 유 무에 따른 신체 조성 성분인12 ,

체중 체지방량 제지방량 신체 질량 지수와 혈중 지질 성분인 총 콜레스테롤, , , ,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의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체중 감량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체중 체지방량이 감소되면서 제지방량은,

유지 증가시키는 것인데 체중 감량 동안에 나타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를 최, ,

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이 제한과 낮은 체력 수준으로도 수행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강조하였다(Pavlou et al., 1985).

유산소 운동은 체중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며 제지방량의 감소를 막을 수 있,

다고 하였고 또한 미토콘드리아양의(Bouchard, Trenblay, & Nadeau, 1990),

증대 미토콘드리아 내 지질 이용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도의 증대를 통해서 지,

질 동원과 이용 능력을 향상시켜 비만인에게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Bray, 1983).

이것은 단위 체중 당 산소 섭취량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동원하기 때문에 지

방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운동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

는 골격근이 운동 수행 시 사용하는 주된 에너지인 당질과 지방의 이용이 증가

한다 김용인 이러한 유산소 운동 시 신체에 일정 중량 부하 후 걷기 운( , 2005).

동을 실시하면 운동 부하양이 증가하며 중량의 영향을 받아 산소 소모량이 동,

일 할 때 비중량 유산소 운동보다 혈압 및 심박수가 더 높다고 하였다(Walker

또한 심혈관계 기능을 증진시켜서 효과적인 생리적 반응을 얻을et al., 2000).

Page 12: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06 -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성진( , 2006).

김효찬 의 연구에 의하면 발목에 체중에 의 중량을 주고 주간 트(2004) 3% 12

레드밀 걷기를 실시하여 비중량 운동 군은 킬로그램 체중 감소가 있었고 중량5 ,

부하 운동 군은 킬로그램의 체중 감량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7.5 .

본 연구에서도 유산소 운동 전 후 체중의 변화를 보면 중량 부하 유산소 운,

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 중량 부하 운동 그룹이 비중량 유산소 운동 그룹보다 유<.05),

의하게 감소하였다(p 이러한 중량 부하 운동 시 골격근의 혈류량이 증가<.05).

하여 근 조직 내에서 요구하는 산소 수요에 의해 좌심실의 회 박출량이 증대하1

여 혈관 내에 유입된 혈액이 증가되어 동시에 혈류 속도와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어 우리 몸의 호흡 순환계가 산소를 세포의 미토(Shoemaker et al., 1996),

콘드리아까지 잘 공급할 수 있어서 지방의 산화를 촉진함으로 나타나며(Wilmore

운동을 하려는 자율적 의지가 없어 운동 부족 상태인 지적 장애et al., 1994),

인에게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통하여 체중의 조절이 가능하며 중량 부하 운,

동으로 단시간에 많은 에너지 소비를 가능하게 함으로 효율적인 체중 감량을 유

도하여 비만의 완화와 예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며 제지방량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하였고 명의 경도 비만 남성(Bouchard, Trenblay, & Nadeau, 1990), 72

을 대상으로 각기 운동을 행하거나 행하지 않는 방법을 실시한 결과 운동을 실,

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체중은 비슷한 정도로 감소되었으나 운동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체지방량이 더욱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avlou et al., 1985).

비만 정신 지체 아동 명을 대상으로 수중 운동을 실시한 연구에서 체지방량19

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박종진 본 연구에서도 운동( , 1988).

전 후 체지방량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평균치의 감소와 운,

동 전 후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는 평균치, ,

의 감소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발목에 중량을 부가하고 걷기가 대 비만 여성의 신체 조성에6km/hr 20

미치는 영향 이성진 을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동일( , 2006)

거리의 걷기 운동 시에 중량 부하 운동에서 근육의 글루코스 대사 능력과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켜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 것이다.

골격근 조직은 제지방량 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심장(Lean body mass) ,

간 신장 등의 그 밖의 다른 기관들이 포함된다 제지방량 에, . (Lean body mass)

서 운동이 체지방량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으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고 식사 제한을 하지 않더라도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Bray, 1983),

Page 13: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7 -

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제지방량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으나, (Pacy,

본 연구의 운동 전 후 제지방량의 변화는 중량Webster, & Garrow, 1986), ,

부하 운동 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도 감소하

였다 이것은 유산소 운동이 정신 지체인의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박종설. ( ,

을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체중이 감소하여도 제지방량을 증가시키2005)

기 위해서는 더 많은 훈련 시간이 필요하고 근력 운동의 비율이 증가되어야 함

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걷기 운동 속도가 이나 김철식 등 지적 장애인의 최6km/hr ( , 2004),

대 심박수가 8 ~ 낮아 운동 능력과 균형력이 떨어짐으로 장시간 운동이 곤30%

란한 것과 에서 권장하는 비만인의 운(Eichstaedt et al., 1991) ACSM(1998)

동 강도가 VO2max 50 ~ 인 것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속도의80%

강도로75% (6km/hr × 0.75 = 운동의 강도를 낮추어 장애인의 안전4.5km/hr)

을 고려하여 실시한 영향으로 사료되므로 향후 연구는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실

시하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간 트레드밀과 서어킷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20

하여 신체 질량 지수가 의 감소를 나타냈다고 한 연구 박평문 양점홍0.43 ( , ,

와 명의 지적 장애인에게 주간 실시한 유산소 운동에서 남성의 신체2002) 20 12

질량 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 박종설 등과 비교하여 본 연구( , 2005)

에서도 운동 전 후 신체 질량 지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것은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정신 지체 학생의 신체 조성.

에 미치는 효과 김도균 를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 2003) .

이러한 결과는 중량 부하 운동이 동일한 운동 기간에 더 많은 지방 지방의 산

화를 촉진하여 나타난 체중 감소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집중력이.

낮아 장시간 운동이 쉽지 않은 지적 장애인의 운동과 비만 지적 장애인의 체중

조절에 중량 부하 운동이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지질은 혈액 속에 녹아있는 지방의 총량을 말하며 운동과 총 콜레스테롤의 관

계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관상 동맥

질환이나 각종 심장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운동에 의,

해서 평균적으로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를 보인 연구(Tran et

가 있으며 비만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al., 1983) ,

한 후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황수관 최건식 는 결( , , 1994)

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산소 운동 직후 총 콜레스테롤 수준의 반응에 대.

한 변화 양상은 운동 전 수준보다 증가(Cullinane, Siconalfi, & Sarutelli, 1982)

Page 14: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08 -

한다는 보고와 유산소 운동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

았다는 연구 결과 도 보고되어 있으나 다수의 연구 결과에서 유(Toriola, 1984)

산소 운동 뒤 총 콜레스테롤 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인 하지 중량 부하 걷기 운동 김효찬 과 명의 여성을 주( , 2004) 8 16

동안 저항 운동을 시킨 결과 를 보고한 연구에서 중량(Goldberg et al., 1984)

부하 운동이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유산소 운동 전 후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 그러나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05).

에서는 평균치의 감소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규칙적인 중량 부하 운동이 지단백 지방 분해 효소(Lipoprotein lipase,

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의 활성을 저하LPL) HTGL(hepatic triglyceride lipase)

시킴으로 콜레스테롤 농도의 체내 이화 작용은 증가되고 합성율이 저하되어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된 영향일 것이다.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상치는 측정법이나 기관에 따라 조금씩 차이

가 나지만 남자는 30 ~ 여자는60, 40 ~ 으로 여자가 높고 운동선수는 일반70 ,

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고밀도 지단백질 콜(Wood et al., 1976).

레스테롤 변화에 있어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수준이 운동을 통해 증가되

는 기전은 혈장 내의 지단백 지방 분해 효소가 활성화되어 카일로마이크론 최,

저밀도 지단백질 및 저밀도 지단백질 내의 콜레스테롤이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

스테롤로 전환되는 비율이 증가되고 이 억HTGL(hepatic triglyceride lipase)

제됨으로서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유catabolism (

병강 이는 유리 지방산이 알부민과 결합해 근육 내 모세혈관을 순환하, 2005).

면서 근육 내로 유입되고 지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작용을 한다(Griffin,

운동에 의해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활Skinner, & Maughan, 1988).

성도가 증가하면 저밀도 지단백과 유미 과립에 들어있는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

성분이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로 이동하여 농도가 증가된다(Dufaux,

Muller, & Hollman, 1986).

14 ~ 세 남학생 명을 대상으로 주 회 주간 써킷 웨이트 트레이닝과17 25 4 15

유산소 운동을 복합 트레이닝 실시 한 결과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이 8.6%

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James et al., 1997) .

유산소 운동 전 후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모두에서 평균치의 증가는 있었으나 유의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age 15: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9 -

이는 선행연구에서 주간 실시한 비만 관리 프로그램이 비만 여대생의 혈중14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지만 유의성9.6

은 나타나지 않은 이강우 것과 덤벨 체조로 주간 주 회 무산소 운( , 2001) 12 3

동 후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증가 보고 오대성 등 를 통하여 고( , 1998)

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위해서는 운동의 강도를 높게 하여야 할 것

이나 본 연구에서는 중증 지적 장애인의 체력이 낮은 것과 주의 집중력이 낮은

한계로 저 강도로 실시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유산소 운동이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

면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였고 운동시간이 길수록(Hinkleman & MacDougall, 1993),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낮아지며(Gordon et al., 1994), 60 ~

의 강도에서 운동량이 많을수록 감소량은 많다고 하였다80% HRmax (Baker et

이는 명을 대상으로 주간 저항 운동을 시킨 결과 저밀도 지단백al., 1986). 25 8

질 콜레스테롤이 유의성 있게 감소한 선행8% (Ulrich, Reld, & Yeater, 1987)

연구와 주 동안의 저항 운동이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유9 26%

의성 있게 감소된 연구 결과 가 보고되었다(Fripp & Hodgson, 1987) .

본 연구에서도 유산소 운동 전 후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

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 또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더<.05).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이는 유산소 운동과 중량 부하 운동 모두가<.05).

효과가 있으며 중량 부하 운동에서 운동량과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켜 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비만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중성 지방의 수치가 높을 경우 고혈압이 발병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형국 김의수 중성 지방의 정상적 수치는( , , 1995), 25 ~

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하가 좋다고 한다 지구성으로 훈140 100 .

련된 사람들은 아주 낮은 수치를 나타내며 보통 정도이다 노성규50 ( , 1996).

중성 지방은 인체의 지방 조직의 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지질로서 장시95%

간에 걸쳐 수행되는 운동 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총 에너지 소비량이

일정한 운동에서는 낮은 강도의 운동 중 많은 지방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운동 시간이 짧은 경우 단시간 내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ullinane, Siconalfi, & Sarutelli, 1982; Hicks, MacDougall, & Muckle,

트레드밀 달리기 후 중성 지방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987). (Hughes et

는 보고와 중량 운동 후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al., 1984)

다 홍성진 는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유산소 운( , 1999)

Page 16: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10 -

동 전 후 중성 지방 변화는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

타내었고(p 비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05),

었다(p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차이가<.05).

나타났다(p 이러한 결과는 장기간 유산소 운동 같이 운동 지속 시간이<.05).

길고 운동 강도가 최대산소 섭취량의 50 ~ 일 때 지방 조85% (ACSM, 1988),

직 및 골격근의 지단백 지방 분해 효소를 활성화시켜 말초 근육 부위에서 지단,

백 지방 분해 효소 의 활동 증가가 저장 중성 지방을 가수 분해하여 생성(LPL)

된 유리 지방산이 조직에 운반됨으로써 에너지를 발생하게 되어(Despres,

골격근에서 중성 지방의 흡수와 사용이 증대되어 혈중 중성 지방의 수1997),

준이 감소하게 된 것이다.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으로 주간 트레드밀을 이12

용한 하지 중량 부하 운동을 통한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본 연구 결과 중증 지적 장애인의 운동 프로그램으로 중량 부하 유산소 운.

동의 실시가 비만 예방과 해소를 위하여 효율적이나 너무 무거운 중량 부하나

장시간 중량 부하의 경우 관절에 손상이 발생되므로 주의하여 시행 하여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보호대상급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비만 감소와 다양한 운동방법

모색을 목적으로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을 적용하여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

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신체 질량 지수 이상인 과. 23

체중 지적 장애인 명을 중량 부하 운동 그룹과 비중량 부하 운동 그룹으로30

구분하여 중량 부하 그룹에는 발목에 의 중량 부하를 주고 주간 주1.36kg 12 5

회 일 시간씩 의 속도로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1 1 4.5km/hr .

실험 전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나타난 운동 후 신체 조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으로 중량 부하군에서 체지방량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고 체중과 신체질량

지수의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으로 중량 부하군에서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량 부하 운동이 신체조성 및 혈중 지질 성분에 효과적

인 운동 방법으로 나타나 동기부여와 집중력이 낮아 장시간 운동이 어려운 중증

Page 17: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11 -

지적 장애인의 비만 치료에 효율적인 운동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지방량과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부분에 있어서는 향후 대상자와 다양

한 운동 강도를 통하여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권양기 김용규 김유섭 김동휘 강희성 고영완 서종건 송문석 장용우, , , , , , , , (2001).

인위적인 중량부하 후 걷기 운동 시 생리적 반응Treadmill . 제 회 한국39

체육학회 학술대회지. 647-654.

김도균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2003).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김시연 정신지체 학생의 비만해소를 위한 운동 중재에 관한 문헌 연구(2007).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

김용인 강도별 운동이 고지방식 후 정상인과 비만인의 식후 지혈증과 혈중(2005).

지질 지단백 인슐린 및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충북, , CRP . ,

대학교.

김철식 강순영 남지선 조민호 박진아 박종숙 남주영 안철우 차봉수 임승길, , , , , , , , , ,

김경래 빠르게 걷기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여성의 체질량지수 체지(2004). ,

방률 및 기분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3(2), 132-140.

김한철 복합운동이 정신지체 여성의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2004). Leptin, MDA

는 영향. 한국 스포츠리서치, 15(3), 1179-1192.

김효찬 하지 중량부하 걷기 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신체조성과 혈액 성분(2004).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 .

노성규 저항성으로 훈련된 운동선수들의 최대 산소섭취량 무산소성역치(1996). ,

및 혈장 과의 상관분석LDH, LDH M-Specific Type . 한국 체육학회 회34

학술발표회 논문집, 424-432.

박종설 유산소성 운동이 정신지체인의 신체조성과 체력 변화에 미치는(2005).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인제대학교. , .

박종진 수중운동이 비만 정신지체 아동의 체성분 혈중지질 및 적응행동(1998). ,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 .

박평육 걷기와 달리기간 심박수 수축기 혈압 및 심부담도 비교 미간행(2004). , .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

Page 18: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12 -

보건복지가족부 전국 등록 장애인 현황(2008). .

송동석 정신지체인의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2003).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 .

오대성 안옥희 정진혁 윤신중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 신체구성, , , (1998).

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7(3), 242-255.

육철민 걷기 운동의 강도 차이가 비만 여중생의 체중 체지방 피지후 및(1997). , ,

체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 .

유병강 강도별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체성분 심폐기능 혈중지질 및(2005). , ,

혈중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 .

이강우 비만 관리 프로그램이 비만 여대생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농도에(2001).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체육학회, 15(1), 663-669.

이성진 식이제한과 걷기 또는 달리기운동이 대 비만여성의(2006). 6km/hr 20

신체조성 유산소성 운동능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 .

논문 국민대학교, .

이형국 김의수 에어로빅스 트레이닝 디트레이닝 그리고 리트레이닝, (1995). , ,

동안의 체격 체력 심폐기능 및 혈액변인 변화에 관한 연구, , . 서울대학교 체육

연구소논집. 17(1), 1-7.

장복자 장애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자존감 신체적 자아 효능감 및(2005). ,

비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전종귀 염동삼 조병준 이상기 박희근 한동수 장학영 주간의 혼합, , , , , , (2004). 20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성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

체육학회지, 12(3), 55-62.

조현철 정상인과 비만인들의 규칙적인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호흡순환(1996). ,

신체조성 밀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5(1), 1100

-1110.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한국의 체육지표. 국민체육진흥공단.

홍성진 근력운동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혈장지단백 변화에 미치는 영향(1999).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관동대학교, .

황수관 최건식, (1994). 운동처방과 건강. 서울 도서출판 금광: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1988). Rewource Man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Philadelphia:

Lea & Febige, United State of America, (2), 358.

Baker, T., Allen, D., Lei, K. Y., & an Willcox, K. K. (1986). Alterations

in lipid and protein profiles of plasma lipoproteins in middle-aged

Page 19: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13 -

men consequent to an aerobic exercise program, Metabolism, 35(11),

1037.

Bouchard, C., Trenblay, A., & Nadeau, A. (1990). Longterm exercise training

with constant energy intake. 1: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selected metabolic vari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4(1),

57-73.

Bray, G. A. (1983). The energetics of obes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1), 32-40.

Cullinane, E., Siconalfi, S., & Sarutelli, A. (1982). Acute decrease of serum

triglycerides with exercise: Is there a threshold for an exercise

effect. Metabolism, 31(8), 844-851.

Desprse, J. P. (1998). Visceral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contribution of endurance exercise training to the treatment of the

purimetabolic syndrome. sports science review, 25(1) 271-300.

Dufaux, B., Muller, O. V., & Hollman, W. (1986). Delayed effects of prolonged

exercise on serum lipoprotenins. Metabolism, 35(2), 105-109.

Eichstaedt, C. B., Wang, P. Y., Polacek, J. J., & Dohrmann, P. F. (1991).

Physical fitness and motor skill leve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dation; Mild, moderate, and individuals with down syndromes;

Ages 6-20 Normal. Illinois state university Printing services.

Fernhall, B. (1993).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training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65(43), 442-450.

Fox, E. L., & Mathewa, D. K. (1981). The physiological basis of physical

education and athletics (3ed). New York: Saunders college publishing.

Fox, R., & Rotatori, A. F. (1982). Prevalence of obesity among mentally

retarded adults. American Joulnal of Mental Deficiency, 87(2), 228

-230.

Fripp, R. R., & Hodgson, J. L. (1987). Effect of resistive training on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in male adolescents. Journal of Pediatrics.

111(61), 26-31.

Goldberg, L., Elliot, D. L., R. W, Schutz., & F. E. Kloster. (1984). Changes

in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and weight training.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52(4), 504-506.

Page 20: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14 -

Gordon, P. M., Goss, F. L., Visich, P. S., Warty, V., Denys, B. J., Metz, K.

F., & Robertson, R. J. (1994). The acut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HDL-C metabolism. Medicine and Science Sports Exercise, 26(6),

671-677.

Griffin, B. A., Skinner, E. R., & Maughan, R. J. (1988). The acute effect

of prolonged walking and dietary changes on plasma lipoprotein

concentration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subfractions. Metbolism,

37(6), 535-541.

Hicks, A. L., MacDougall, J. D., & Muckle, T. J. (1987). Acute chang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 exercise of different

intensitie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3(5), 1956-1960.

Hinkleman, L. L., & Nieman, D. C. (1993). The effects of a walk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serun lipids and lipoproteins

over weight women.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33(1), 49-58.

Hughes, A. R., Thorland, W. G., Jonson, G. O., & Housh, J. J. (1984).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f acute serum lipoprotein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7(2), 181-294.

James, O. M., Nicholas, A. R., Bradley, C. N., Licoln, A. G., Jeff, S. V.,

Keiichiro, D., Jill, A. B., Ana, L., & Gomez, S. A. (1997). Low-

volume circuit versus high-volume periodized resistance training

in women. Medicine & Science Sports & Exercise, 33(4), 635-

643.

Luc, G. (1999). Opposable medical references of the ANDEM concerning

hyperlipidemia and its treatment. Review Medicine Interne, 20(4),

341-346.

Martin, P. E., D. E. Rothstein., & D. D. Larish. (1992). Effects of Age

and Physical Activity Status on the Speed-Aerobic Demand

Relationship of Walk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3(1), 200

-206.

McArdle, W. D., & Magle, Y. R. (1970). Physical work capacity and

maximal oxygen uptake in treadmill and bicycle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1), 118-123.

Page 21: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15 -

Pacy, P. J., Webster, J., & Garrow, J. S. (1986). Exercise and obesity.

Sports Medicine, 3(2), 89-113.

Pavlou, K. N., Steffee, W. P., Lerman, R. H., & Burrows, B. A. (1985).

Effects of dieting and exercise on lean body mass, oxygen uptake,

and strength.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7(4).

Rimmer, J. H., Braddock, D., & Fujura, G. (1993). Prevalence of obesity

in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lnal of mental

retadation, 31(2), 105-110.

Shephard, R. J. (1990). The canadian home fitness test. proceedings of

ICSPEE workshop on fitness testing. Tampere, 25-26.

Shoemaker, J. K., Phillips, S. M., Green, H. J., & Hughson, R. L.

(1996). Flaster femoral artery blood velocity kinetics at the onset

of exercise following short-term training. Cardivascular Research,

31(2), 278-286.

Toriola, A. L. (1984). Influence of 12 week jogging on body fat and

serum lipid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18(1), 13-17.

Tran, Z. V., Weltman, A., Glass, G. V., & Mood, D. P. (1983). The effects

of exercise on blood lipids and lipoproteins A meta-analysis of

studi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5), 393-

402.

Ulrich, I. H., Reld, C, M., & Yeater, R. A. (1987). Increased HDL-C

levels with a weight training orogram. Southern medical journal,

80(3), 328-331.

Walker, R. D., Nawaz, S., Wilkinson, C. H., Saton, J. M., Pockley, A. G.,

& Wood, R. F. (2000). Influence of upper-and lower-limb exercise

training cardiovascuar function and walking distances in patience

with intermittente claudication. Journal of vascular surgery, 31(4),

662-629.

Wilmore. T. h., & Costil, D. L. (1994).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champaign: Human Kinetics Books.

Workman, J. M., & Armstrong, B. W. (1963). Oxygen cost of treadmill

walk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8(4), 798-803.

Wood, P. D., Haskell, W., Klein, H., Lewis, S., Stern, M. P., & Farquha,

J. W. (1976). The distribution of plasma lipoprotein in middle-

Page 22: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16 -

aged male runners. Metabolism, 25(11), 1249-1257.

Zelasko. C. J. (1995). Exercise for weight loss: what are the fac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5(12), 1414-1417.

Page 23: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중량 부하 유산소 운동이 중증 지적 장애인의 신체 조성과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17 -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Components in the People with

Custodial Mental Retardation

Lim, Kyung iI ᆞ Lee, Wan Hee ᆞ Nam, Hyun Che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lipid blood concentration

of 30 people with custodial mental retardation.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 performed the treadmill exercise with 1.36kg weight

load on the ankle, and non-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

performed the treadmill exercise without weight load. All subjects

executed the exercise for 5 days of a week, 60 minutes of a day in 12

week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exercise, Total body weight, body mass

index(BMI), body fat, lean body mass,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

(T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were evaluated, and these were tested

by INBody 3.0 and blood concentration of lipid analysis machine.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of the exercise between two

groups, independent t-test was used,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that within each group, paired t-test was used(=.05). Total body weight

and BMI of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xercise more than that of non-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p<.05). body fat and lean body mass of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xercise(p<.05). TC,

LDL-C, and TG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xercise in the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 than that of the non-weight load aerobic

exercise group(p<.05).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HDL-C of both group after the exercise.

Page 24: 중량부하유산소운동이중증지적장애인의 …isers.org/common/fileDown.aspx?f=09-%C0%D3%B0%E6%C... · 비중량부하유산소운동그룹은중량부하없이중량부하그룹과동일한유산소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218 -

In the conclusion,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program is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body composition and lipid blood concentration

of the people with custodial mental retardation.

Key Words : mental retardation, weight load aerobic exercise, body composition,

lipid blood concentration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2010. 03. 10 / : 2010. 06. 08 / : 2010. 0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