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32
- 133 -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 오영수 (경북대학교 교수)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6-Nov-2019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33 -

우리나라 ․ ․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

오 수

(경북 학교 교수)

[email protected]

Page 2: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Page 3: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35 -

Ⅰ. 조사의 개요 ····························································································· 137

1. 조사의 필요성 목 ··································································· 137

2. 기존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 ····················································· 138

3. 조사과정 일정 ············································································· 139

4. 문제 출제 ··························································································· 142

Ⅱ. 등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14 6

Ⅲ. 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152

Ⅳ. 고등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157

목 차

Page 4: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Page 5: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37 -

Ⅰ. 조사의 개요

1. 조사의 필요성 목

□ 세계화 시 에 국내 경제주체들의 경쟁력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

하는 핵심 요인임.

◦ 특히 경제주체들의 합리 의사결정은 소비, 축, 생산, 기업 활동,

융활동 등 모든 부분에서 매우 요 요소로 작용함.

— 경제개념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있어 경제 마인드와

기 경제지식은 향후 사회생활에서 매우 요한 요소가 됨.

□ 재 학생들의 경제 학습은 등학교 3․4․5학년에 기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여, 학교 3학년에 시장원리를 심으로 한 기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역의 경제를 공부하고 있음.

◦ 보다 심화된 학습 기회는 선택 경제 는 생활경제를 선택하는 소

수의 학생들에게만 주어지고 있음.

□ 따라서 재 ․ ․고등학교에 재학 인 학생들의 경제이해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악하는 것은 향후 학교 경제교육을 어떤 내용

으로 어떻게 수행해나가야 할 것인지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에 한 차이는 향후 다른 경제 격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에서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가 어떤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악하는 것은 매우 요한

의미를 가짐.

Page 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38 -

□ 미국의 경우, 경제교육 회(CEE)를 심으로 학생들의 경제

융 이해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공식 측정도구가 개발되

지 않아 학생들의 경제이해도를 측정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음.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조사 연구는 우리나라 ․ ․고등학생들의

경제이해도를 국 인 차원에서 측정하기 하여, 국내에서는 최

로 자체 으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경제 이

해도와 그것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간의 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 으로 함.

2. 기존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

□ 지 까지 우리나라에서 실시되었던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는 다

음과 같은 연구들이 있었고 이들 부분의 연구는 미국 경제교육 회

의 경제이해도 테스트 문제를 번역하여 사용하 음.

◦ 홍렬(1993), 한국 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그 결정 변인에 한

실증 연구, 서울 학원, 박사학 청구 논문

◦ 박문규(2002), 고등학생 경제 이해력 테스트 조사결과, 경제교육연구 9

호 pp.31-61.

◦ 유정호(2003), 고등학교 경제교육과 학생들의 이해력 : 경제이해력 테

스트 결과를 심으로, 경제교육 12권 2호, pp.4-22.

◦ 서경원 외 2인(2006), 남 동부지역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에 한 실

증분석, 경제교육연구 13권 1호, pp.71-98.

◦ 김상규(2008), 한․미․일 학생들의 경제이해력 비교 연구, 경제교육

연구 15권 2호, pp.65-88.

Page 7: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39 -

◦ 최종민(2010), 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 실태와 변인 분

석, 경제교육연구 17권 1호, pp.23-48.

◦ 김경모, 한경동, 장경호(2010), 한국 학생 수 의 경제이해력 분석,

2010 한국경제교육학회 하계학술 회 발표 논문집, pp.31―51.

3. 조사 과정 일정

가. 표본 추출

(1) 2009년 국의 등학교 6학년 학생수는 641,421명, 학교 3학년

학생수는 673,513명,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수 661,416명임.

(2) 표본 규모는 각 학교 별로 16개 시도별 학생수를 기 으로 오차

의 한계가 1%가 되도록 표본을 배정하여 최소 표본수를 등학교

6학년 학생 9,462명, 학교 3학년 학생 9,469명,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469명 이상이 되도록 하 음.

(3) 표본 학교의 선정은 각 학교 별로 16개 시도별 학생수를 루트

(root)변환한 비례층화추출법을 사용하여 오차의 한계가 1%가 되

도록 표본을 추출하 음.

(4) 학교의 선정은 학교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학교의 규모를 악한

뒤, 남녀학생수를 고려하여 1개교 1학 을 기 으로 학교를 무작

선발, 표본을 안배하 음

(5) 고등학교의 경우 표본집단의 남녀 분포 외에도 계열별(일반계,

문계, 특목계 등)로 안배하여 표본을 선정하 음.

(6) 본 연구의 경제이해도 조사 상 표본은 등학교 6학년 학생은

258개 학교에 10,430명, 학교 3학년은 249개 학교에 10,168명, 고

등학교 2학년 학생은 270개 학교에 9,840명임.

Page 8: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0 -

(7) 조사에 해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유형 표본은 등학교

6학년 학생은 258개 학교에 9,500명, 학교 3학년은 249개 학교에

9,598명,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은 270개 학교에 9,443명이었음.

나. 학교 별 문제 출제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경제이해도 문제는 객 식 4지선다형 20문제

로, 국내외의 다양한 자료를 참조하여 본 연구 에서 안을 만든

후 국내 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확정하 음.

(2)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제 출제를 해 참고한 자료

① 미국경제교육 회(CEE)의 각 학교용 이해도 테스트 문제

- BET(Basic Economic Test) A형 B형

- TEK(Test of Economic knowledge) A형 B형

- TEL(Test of Economic Literacy) A형 B형

- TUCE(Test of Understanding in College Economics) 미시 거시

② 미국경제교육 회(CEE)의 20개 표 개념

③ KDI 경제교육 표 개념 (2008 2007)

④ 7차 교육과정 개정교육과정 선택 경제

⑤ 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경제 기출 문제

⑥ KDI 경제한마당 기출 문제

Page 9: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1 -

다. 이해도 조사 과정

□ 조사 일정 : 2010. 5. 24 ~ 2010. 7. 13

□ 조사 방법

◦ 학교 별로 조사 상 학교를 선정한 후, 이해도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하여 교사의 감독 하에 시험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 음.

□ 조사 경과

◦ 2010. 5. 6 ~ 2010. 5. 14에 걸쳐 ㆍ ㆍ고등학생 각각 약 100명에

해 이럿 테스트를 실시하 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문항

별로 특정 번호의 선택률이 80%가 넘는 문항에 해서는 난이도를

재조정.

◦ 본 테스트 문제지는 2010년 5월 24일부터 국의 모든 상 학교

에 등기 우편으로 발송

◦ 1차 조사 수집 결과 평균 80%의 응답률을 보여, 다시 2차로 학교

를 선정하여 6월 21일부터 추가 발송.

◦ 최종 답안지의 수령은 7월 16일까지로 하 으며, 그 후에 들어온

응답지는 분석 일정상 무효처리

Page 10: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2 -

4. 문제 출제

가. 등학생용 문제 출제 역

기본개념 내용요소 적용 문항번호

1. 희소성과 선택

1.1 희소성

○ 1, 2, 31.2 기회비용

1.3 합리적 선택

2. 교환과 특화2.1 교환(화폐의 기능)

○ 4, 52.2 특화

3. 시장과 가격

3.1 시장과 자원배분

○ 6, 7, 83.2 수요․공급

3.3 경쟁과 가격

4. 기업과 생산

4.1 생산과 생산요소(투자와 자본)

○ 10, 154.2 노동과 노동조합

4.3 기업과 기업가 정신

5. 소비와 신용5.1 소비와 신용관리 ○

11, 175.2 소비자의 권리

6. 금융과 자산관리6.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 126.2 저축과 자산관리

7. 정부의 역할

7.1 시장경제와 정부(복지, 제도적

측면) 9, 14

7.2 세금과 정부지출 ○

8. 국민소득과

경제성장

8.1 국민소득○ 13, 16

8.2 경제성장

9. 실업과 인플레이션

9.1 실업

18, 199.2 인플레이션 ○

9.3 경기 안정화 정책

10. 국제거래

10.1 무역 ○

2010.2 환율

10.3 국제수지

Page 11: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3 -

나. 학생용 문제 출제 역

기본개념 내용요소 적용 문항번호

1. 희소성과 선택

1.1 희소성 ○ 1

1.2 기회비용 ○ 2

1.3 합리적 선택 ○ 3

2. 교환과 특화2.1 교환(화폐의 기능) ○ 5

2.2 특화 ○ 4

3. 시장과 가격

3.1 시장과 자원배분 ○ 6

3.2 수요․공급 ○ 7

3.3 경쟁과 가격 ○ 8

4. 기업과 생산

4.1 생산과 생산요소(투자와 자본) ○ 9

4.2 노동과 노동조합 ○

4.3 기업과 기업가 정신 ○ 10

5. 소비와 신용5.1 소비와 신용관리 ○

115.2 소비자의 권리

6. 금융과 자산관리6.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 12

6.2 저축과 자산관리 ○ 13

7. 정부의 역할

7.1 시장경제와 정부(복지, 제도적

측면)○

14

7.2 세금과 정부지출 ○

8. 국민소득과

경제성장

8.1 국민소득 ○ 15

8.2 경제성장 ○ 16

9. 실업과 인플레이션

9.1 실업 ○ 17

9.2 인플레이션 ○ 18

9.3 경기 안정화 정책

10. 국제거래

10.1 무역 ○ 19

10.2 환율 ○ 20

10.3 국제수지

Page 12: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4 -

다. 고등학생용 문제 출제 역

기본개념 내용요소 적용 문항번호

1. 희소성과 선택

1.1 희소성 ○ 1

1.2 기회비용 ○2

1.3 합리적 선택 ○

2. 교환과 특화2.1 교환(화폐의 기능) ○ 4

2.2 특화 ○ 3

3. 시장과 가격

3.1 시장과 자원배분 ○

5*, 6, 73.2 수요․공급 ○

3.3 경쟁과 가격 ○

4. 기업과 생산

4.1 생산과 생산요소(투자와 자본) ○

84.2 노동과 노동조합 ○

4.3 기업과 기업가 정신 ○

5. 소비와 신용5.1 소비와 신용관리 ○

105.2 소비자의 권리 ○

6. 금융과 자산관리6.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 12, 13*,

14, (11*)6.2 저축과 자산관리 ○

7. 정부의 역할

7.1 시장경제와 정부(복지, 제도적

측면)○

5*

7.2 세금과 정부지출 ○

8. 국민소득과

경제성장

8.1 국민소득 ○ 9, 11*,

15 8.2 경제성장 ○

9. 실업과 인플레이션

9.1 실업 ○ 17

9.2 인플레이션 ○ 13*, 18

9.3 경기 안정화 정책 ○ 16

10. 국제거래

10.1 무역 ○ 19

10.2 환율 ○ 20

10.3 국제수지 ○

Page 13: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5 -

라. 표본 규모 (2009년 기 )

(단위: 명)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전국 학생수 641,421 673,513 661,416

오차의 한계 1% 표본수 9,462 9,469 9,469

본 연구의 조사 표본수10,430

(258개교)

10,168

(249개교)

9,840

(270개교)

최종 유효 표본수 9,500 9,598 9,443

Page 14: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6 -

Ⅱ. 등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등학교 문항별 정답률 변별도

문항 정답률 (%) 변별도

1 41.1 0.40

2 40.5 0.33

3 54.4 0.55

4 59.6 0.55

5 55.0 0.49

6 83.3 0.49

7 31.4 0.33

8 67.6 0.46

9 80.1 0.54

10 21.9 0.17

11 56.1 0.48

12 42.2 0.50

13 65.3 0.53

14 47.5 0.65

15 72.8 0.65

16 49.4 0.64

17 63.7 0.70

18 76.5 0.59

19 53.7 0.50

20 68.9 0.66

전체 평균 56.3 0.45

Page 15: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7 -

□ 등학교 수 분포

<그림 Ⅱ-1> 점수 분포 : 전체 평균 = 56.3점

□ 지역별 수 분포

0

10

20

30

40

50

60

7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총점평균

총점평균

<그림 Ⅱ-2> 지역별 총점평균

Page 1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8 -

□ 주요 집단별 수 비교.

총점 평균

도 55.20

광역시 57.17

<표 Ⅱ-1> 시도간 평균

구분 평균

아하경제 관련 학교 59.35

일반 학교 56.07

<표 Ⅱ-2> ‘아하경제’ 관련 학교 및 일반 학교 점수

구분 평균

경제교육연구학교 59.20

일반 학교 56.13

<표 Ⅱ-3> 경제교육연구학교와 일반 학교 점수

□ 경제에 한 태도별 수 차이

흥미도 N 점수 활용도 N 평균

낮다 6211(65%) 55.53 낮다 804(8%) 46.54

높다 3286(35%) 57.76 높다 8691(92%) 57.21

관심도 N 평균 난이도 N 평균

낮다 4295(45%) 54.36 높다(어렵다) 6019(63%) 54.86

높다 5202(55%) 57.91 낮다(쉽다) 3476(37%) 58.82

Page 17: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49 -

□ 남․여학생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성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평균

남 4,974 1.28 2.13 1.33 2.62 53.79

여 4,526 1.15 2.22 1.36 2.69 59.06

합계/평균 9500 1.22 2.18 1.35 2.65 56.30

□ 가장 유형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아버지 6197 1.23 2.21 1.38 2.65 58.00

어머니 3012 1.20 2.11 1.28 2.67 53.77

조부모 177 1.21 2.12 1.28 2.59 47.77

형제자매 29 1.17 2.24 1.43 2.45 48.10

기타친척 75 1.32 1.99 1.29 2.55 45.07

합계/평균 9490 1.23 2.13 1.33 2.65 56.33

□ 가장 직업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이해도

점수

화이트칼라 3891 1.25 2.21 1.42 2.65 58.01

자영업 1747 1.23 2.22 1.37 2.62 58.04

블루칼라 2381 1.19 2.15 1.28 2.67 55.22

기타 1039 1.17 2.09 1.24 2.69 51.70

무직 426 1.19 2.03 1.24 2.67 51.35

합계 9484 1.21 2.14 1.31 2.65 56.32

Page 18: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0 -

□ 가장 학력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대졸이상 5780 1.24 2.21 1.40 2.63 58.23

고졸 3078 1.20 2.13 1.27 2.68 54.21

고졸미만 579 1.14 1.99 1.23 2.69 48.87

합계 9437 1.19 2.11 1.30 2.65 56.34

□ 경제 수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평균 이상 1823 1.36 2.26 1.54 2.61 54.55

보통 7278 1.19 2.16 1.30 2.66 57.09

평균 이하 380 1.08 2.02 1.21 2.70 50.13

합계 9481 1.21 2.15 1.35 2.65 56.33

□ 학교 성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상 2367 1.35 2.36 1.54 2.48 65.72

중 5911 1.19 2.15 1.31 2.69 55.20

하 1193 1.10 1.94 1.15 2.83 43.49

합계 9471 1.21 2.15 1.33 2.65 56.35

□ 등학교 이해도 조사 결론

◦ 학생들의 가정 환경은 경제에 한 태도와 경제이해도에 요한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러한 상이 지속될 경

우, 향후 경제교육의 격차, 경제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Page 19: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1 -

◦ 등학교에서는 학교나 교사의 경제에 한 심이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가정환경이 상 으로 불우한 학생들을 상으로 하는 경제교육

기회의 확 가 요구됨. 이를 해서는 교육환경이 상 으로 환경

이 열악한 학교를 심으로 외부 경제교육기 들의 보다 다양한

경제교육 로그램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Page 20: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2 -

Ⅲ. 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학교 문항별 정답률 변별도

문항 정답률 변별도

1 43.10 0.38

2 78.80 0.41

3 62.20 0.56

4 40.70 0.26

5 3.50 -0.04

6 56.40 0.56

7 63.60 0.35

8 76.80 0.48

9 38.40 0.31

10 52.60 0.56

11 77.00 0.58

12 50.60 0.55

13 28.70 0.17

14 56.50 0.60

15 44.80 0.28

16 37.60 0.34

17 50.50 0.58

18 35.30 0.49

19 56.00 0.68

20 43.40 0.60

전체 49.83 0.43

Page 21: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3 -

□ 학교 수 분포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5 0 5 5 6 0 6 5 7 0 7 5 8 0 8 5 9 0 9 5 1 0 0

총 점

총 점 빈 도

<그림 Ⅲ-1> 총점 분포

□ 지역별 수 분포

<그림 Ⅲ-2> 지역별 점수

Page 22: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4 -

□ 경제에 한 태도별 성 차이

흥미도 N 평균 활용도 N 평균

낮다 6589(69%) 47.83 낮다 964(10%) 41.92

높다 3008(31%) 54.22 높다 8632(90%) 50.72

관심도 N 평균 난이도 N 평균

낮다 5515(57%) 48.29 높다(어렵다) 6669(69%) 48.65

높다 4082(43%) 51.91 낮다(쉽다) 2928(31%) 52.52

□ 남․여학생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성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평균

남 5,100 1.23 2.09 1.15 2.71 49.71

여 4,495 1.05 2.11 1.10 2.83 49.98

합계/평균 9,595 1.14 2.10 1.13 2.77 49.84

□ 가장 유형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아버지 6,668 1.16 2.11 1.15 2.77 50.63

어머니 2,671 1.11 2.09 1.08 2.78 48.76

조부모 129 1.13 1.85 1.05 2.91 37.79

형제자매 42 1.09 1.70 1.20 2.50 39.88

기타친척 82 1.02 1.91 1.12 2.78 43.11

합계/평균 9,592 1.10 1.93 1.12 2.77 49.83

Page 23: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5 -

□ 가장 직업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화이트칼라 3336 1.18 2.11 1.19 2.75 51.77

자영업 2455 1.18 2.14 1.15 2.75 50.81

블루칼라 2575 1.09 2.08 1.07 2.80 48.09

기타 923 1.08 2.04 1.02 2.78 47.05

무직 302 1.10 2.00 1.02 2.82 43.79

합계 9591 1.13 2.07 1.09 2.77 49.83

□ 가장 학력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대졸이상 4596 1.20 2.14 1.20 2.73 52.11

고졸 4330 1.09 2.07 1.06 2.81 48.32

고졸미만 657 1.12 1.99 1.04 2.79 43.96

합계 9583 1.14 2.07 1.10 2.77 49.84

□ 경제 수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평균 이상 1007 1.33 2.17 1.36 2.64 49.87

보통 7668 1.14 2.10 1.11 2.77 50.34

평균 이하 911 1.01 2.01 1.01 2.87 45.51

합계 9586 1.16 2.09 1.16 2.77 49.83

Page 24: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6 -

□ 학교 성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상 1859 1.41 2.28 1.34 2.60 59.56

중 5121 1.16 2.12 1.13 2.76 50.98

하 2611 0.93 1.93 0.98 2.91 40.61

합계 9591 1.17 2.11 1.15 2.77 49.82

□ 학생 이해도 조사 결론

◦ 등학생들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가정환경은 경제에 한 태도

와 경제이해도에 요한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이런 상은 향후 학생들의 경제에 한 심과 이해도의 차이를

가져오고, 그것이 다시 장래의 경제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 등학교와는 달리 학교 학생들에게 있어서는, 경제 교육과 련

된 학교 차원의 특성은 학생들의 경제 이해도에는 큰 향을 미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제에 한 태도가 이해도에 미치는 향이 등학생들에 비해

더 커진 만큼, 가정환경이 열악한 학생들을 우선으로 경제에 해

보다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는 교육기회의 확 가 요망됨.

Page 25: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7 -

Ⅳ. 고등학교 이해도 분석 결과

□ 고등학교 문항별 정답률 변별도

문항 정답률 변별도

1 74.1 0.41

2 65.3 0.60

3 37.9 0.40

4 10.7 0.19

5 72.5 0.49

6 69.0 0.50

7 23.0 0.21

8 59.1 0.57

9 41.0 0.39

10 46.9 0.53

11 53.8 0.55

12 38.9 0.29

13 56.4 0.59

14 29.3 0.32

15 68.1 0.54

16 42.7 0.56

17 28.5 0.23

18 34.4 0.43

19 73.3 0.54

20 14.5 0.66

전체 평균 48.7 0.45

<표 Ⅳ-1> 문항별 정답률 및 변별도

Page 2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8 -

□ 고등학교 수 분포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5 0 5 5 6 0 6 5 7 0 7 5 8 0 8 5 9 0 9 5 1 0 0

총 점

총 점 빈 도

<그림 Ⅳ-1> 총점 분포 : 전체 평균 = 48.69점

□ 지역별 수 분포

0

10

20

30

40

50

6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총점평균

총점평균

<그림 Ⅳ-2> 지역별 총점평균

Page 27: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59 -

□ 경제에 한 태도별 성 차이

흥미도 N 평균 활용도 N 평균

낮다 5422(57%) 44.21 낮다 1,023(11%) 42.85

높다 4020(43%) 54.74 높다 8,417(89%) 49.40

관심도 N 평균 난이도 N 평균

낮다 4789(51%) 44.98 높다(어렵다) 7,166(76%) 47.55

높다 4652(49%) 52.52 낮다(쉽다) 2,272(24%) 52.30

□ 경제 선택 여부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경제선택 및

선택예정 여부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평균

선택 2959 1.79 2.13 1.43 2.75 54.85

비선택 4750 1.14 2.05 1.15 2.97 46.54

질문과 무관 1726 1.20 2.05 1.14 2.85 44.17

합계 9435 1.38 2.08 1.24 2.88 48.71

□ 수능경제 선택 여부 집단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수능경제선택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평균

선택 1490 2.08 2.19 1.54 2.60 57.76

비선택 4648 1.07 2.01 1.12 2.97 47.07

미정 3300 1.43 2.10 1.26 2.89 46.89

합계 9438 1.53 2.10 1.31 2.88 48.69

Page 28: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60 -

□ 남․여학생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성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평균

남 4460 1.46 2.07 1.24 2.81 48.73

여 4979 1.27 2.08 1.23 2.94 48.66

합계/평균 9439 1.37 2.08 1.24 2.88 48.69

□ 학교 계열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학교계열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점수

외국어고, 국제고 172 1.85 2.07 1.51 2.87 70.61

과학고 49 1.69 2.07 1.23 2.43 60.20

일반고 인문계 5,697 1.48 2.11 1.33 2.86 53.29

일반고 자연계 749 1.17 1.92 1.16 2.75 48.18

농업계 86 1.00 2.02 1.03 2.91 33.14

공업계 1,217 1.15 2.08 1.03 2.94 37.21

상업계 1,439 1.10 2.00 1.07 2.97 38.64

가정계 33 1.21 2.32 1.11 2.97 38.94

합계/평균 9,442 1.33 2.07 1.18 2.88 48.70

Page 29: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61 -

□ 가장 유형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아버지 6706 1.38 2.08 1.26 2.87 49.52

어머니 2547 1.29 2.06 1.17 2.91 47.09

조부모 80 1.27 1.88 1.18 2.73 42.44

형제자매 49 1.13 1.99 1.22 3.00 38.16

기타친척 59 1.30 1.85 1.12 2.69 41.27

합계/평균 9441 1.27 1.97 1.19 2.88 48.70

□ 가장 직업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화이트칼라 2960 1.42 2.09 1.32 2.88 51.68

자영업 2661 1.40 2.08 1.26 2.85 49.71

블루칼라 2632 1.30 2.09 1.17 2.91 46.70

기타 900 1.24 2.00 1.09 2.89 43.77

무직 283 1.23 1.89 1.12 2.87 42.37

합계 9436 1.32 2.03 1.19 2.88 48.70

□ 고등학교 계열별 가장 직업 구성비율 (%)

구분 전체 일반계고 전문계고 국제,과학,외고

화이트칼라 31.4 36.4 18.1 52.0

자영업 28.2 29.4 24.9 35.3

블루칼라 27.9 25.1 36.2 4.1

기타 9.5 7.1 15.3 7.2

무직 3.0 2.0 5.5 1.4

합계 100.0 100.0 100.0 100.0

Page 30: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62 -

□ 가장 학력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대졸이상 4016 1.45 2.1 1.31 2.85 52.40

고졸 4657 1.29 2.06 1.19 2.91 46.51

고졸미만 766 1.22 2.04 1.11 2.89 42.60

합계 9439 1.32 2.07 1.20 2.88 48.70

□ 학교계열별 가장 학력 구성비율 (%)

구분 전체 일반계고 전문계고 국제,과학,외고

대졸이상 42.6 49.6 22.9 83.2

고졸 49.3 45.1 61.9 15.4

고졸미만 8.1 5.3 15.2 1.4

합계 100.0 100.0 100.0 100.0

□ 경제 수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평균 이상 755 1.65 2.13 1.46 2.75 52.48

보통 7201 1.35 2.07 1.24 2.89 49.05

평균 이하 1468 1.22 2.05 1.11 2.91 45.11

합계 9424 1.41 2.08 1.27 2.88 48.71

Page 31: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

- 163 -

□ 학교 성 별 경제에 한 태도 이해도 수

(매우 낮음(쉬움)=1, 낮음=2, 높음=3, 매우 높음(어려움)=4)

구분 N 흥미도 활용도 관심도 난이도 이해도 점수

상 1558 1.66 2.22 1.47 2.72 56.68

중 5439 1.38 2.09 1.26 2.88 49.69

하 2435 1.11 1.94 1.03 2.99 41.38

합계 9432 1.38 2.08 1.25 2.88 48.70

□ 고등학생 이해도 조사 결론

◦ 학교 계열별에 따라 경제이해도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일반계 학교에서는 경제 선택 여부에 따라 이해도 차이가 크게 나

타남.

◦ 학생들의 가정환경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경제에 한 태도

와 경제이해도에 요한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향은 더 커지고 있음.

◦ 가정환경이 나쁜 학생은 이미 경제에 한 심이나 이해도가 낮

은 상태에서 경제교육의 기회가 더 은 학교로 진학하게 되어, 경

제교육 기회는 보다 더 멀어지고 그에 따라 경제이해도의 격차도

확 되고 있음.

◦ 일반계 고등학교의 자연계, 문계 학생 등 경제교육 기회가 은

학생들에 한 경제교육의 기회 확 가 요망됨.

Page 32: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도 조사 연구kdi.re.kr/data/download/attach/9074_2-1.pdf · 이론, 고등학교 1학년에 거시경제학 영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