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62
工學碩士學位請求論文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대한 검증 A Verification of the MSDs Risk Assessment focused on Working Posture 2005年 2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Upload: others

Post on 09-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工學碩士學位請求論文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대한 검증

A Verification of the MSDs Risk Assessment

focused on Working Posture

2005年 2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産 業 工 學 科

金 尙 容

工學碩士學位請求論文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대한 검증

A Verification of the MSDs Risk Assessment

focused on Working Posture

2005年 2月

指導敎授 朴 東 炫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産 業 工 學 科

金 尙 容

이 論文을 金尙容의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2005년 2월

主審 李 和 基

副審 李 洪 熙

委員 朴 東 炫

- i -

요 약

근골격계질환(Muscuoloskeltal Disorders)은 1990년대 미국의 경우 직업성

10대 산업재해의 하나이고 2000년대에 이르면 전체 산업재해 보상비의 50

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근래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2003년 7월 관련

법안이 국회 통과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

우 근로조건이 선진외국보다 취약한 데에 반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

육이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은 작업자들의 건강과 산업

재해보상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인간공학적인 개선을 통한 생산성

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의 피해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자동차 제조업

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강한 노동 강도가 근골격계질환

에 원인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작업자가 느끼는 통증부위에 대한 한정적인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신체부위에 대해 작업자세 분석 프로그램인

DPMS (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부적

절한 작업자세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물론 평가 방법이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따라서 평가에 걸리는 시간

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동차회사의 모든 공정의 작업위험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높음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은 총점 뿐 만아니라 각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에 있어서도 해당 신체부위

의 증상과 높은 인과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방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증상이나 질환 발생의 결과와의 그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그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이 일반적인 경우였다 실제로 본 연구에

서 비교 대상으로 고려된 네 가지 평가 방법들(RULA REBA ANSI Z-365

CERF-2)의 경우에도 조금씩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결과들이 증상설문결

과와의 인과관계들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못 하였다

향후 작업자세 분석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 예측을 가능하

게 하여 의사결정이론을 지원하고 작업순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근골격계질

환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ii -

Abstract

MSDs(Muscuoloskeltal Disorders) is one of the major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kyrocketing medical costs

Specially medical and legal costs range from $5000 - $50000 for

single MSD case

OSHA has estimated that MSDs would account for 50 of all workers

compensation costs by the year 2000 A lot of study already lets

proceeding by seriousness of MSDs and the damage in working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 lot of advanced countries While

recent social issue anger becomes our country a related law proposal

has National Assembly back a lot of interest let going through in July for

2003 year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handle MSD problems

in industry which might b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Blue Round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MSDs in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USA and Europ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performs ergonomic environments

about how improper working posture and strong labor intensity have

influence on MSDs for workers who work at automobile manufactories

having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MSDs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this study perform hazard analysis about

inconvenient working posture of workers using DPMS(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 programming working posture analysis of all the

body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If experienced data is utilized and supports

decision marking theory and applies work circulation algorithm it can be

used for MSDs prevention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工學碩士學位請求論文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대한 검증

A Verification of the MSDs Risk Assessment

focused on Working Posture

2005年 2月

指導敎授 朴 東 炫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産 業 工 學 科

金 尙 容

이 論文을 金尙容의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2005년 2월

主審 李 和 基

副審 李 洪 熙

委員 朴 東 炫

- i -

요 약

근골격계질환(Muscuoloskeltal Disorders)은 1990년대 미국의 경우 직업성

10대 산업재해의 하나이고 2000년대에 이르면 전체 산업재해 보상비의 50

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근래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2003년 7월 관련

법안이 국회 통과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

우 근로조건이 선진외국보다 취약한 데에 반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

육이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은 작업자들의 건강과 산업

재해보상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인간공학적인 개선을 통한 생산성

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의 피해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자동차 제조업

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강한 노동 강도가 근골격계질환

에 원인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작업자가 느끼는 통증부위에 대한 한정적인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신체부위에 대해 작업자세 분석 프로그램인

DPMS (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부적

절한 작업자세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물론 평가 방법이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따라서 평가에 걸리는 시간

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동차회사의 모든 공정의 작업위험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높음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은 총점 뿐 만아니라 각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에 있어서도 해당 신체부위

의 증상과 높은 인과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방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증상이나 질환 발생의 결과와의 그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그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이 일반적인 경우였다 실제로 본 연구에

서 비교 대상으로 고려된 네 가지 평가 방법들(RULA REBA ANSI Z-365

CERF-2)의 경우에도 조금씩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결과들이 증상설문결

과와의 인과관계들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못 하였다

향후 작업자세 분석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 예측을 가능하

게 하여 의사결정이론을 지원하고 작업순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근골격계질

환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ii -

Abstract

MSDs(Muscuoloskeltal Disorders) is one of the major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kyrocketing medical costs

Specially medical and legal costs range from $5000 - $50000 for

single MSD case

OSHA has estimated that MSDs would account for 50 of all workers

compensation costs by the year 2000 A lot of study already lets

proceeding by seriousness of MSDs and the damage in working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 lot of advanced countries While

recent social issue anger becomes our country a related law proposal

has National Assembly back a lot of interest let going through in July for

2003 year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handle MSD problems

in industry which might b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Blue Round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MSDs in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USA and Europ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performs ergonomic environments

about how improper working posture and strong labor intensity have

influence on MSDs for workers who work at automobile manufactories

having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MSDs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this study perform hazard analysis about

inconvenient working posture of workers using DPMS(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 programming working posture analysis of all the

body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If experienced data is utilized and supports

decision marking theory and applies work circulation algorithm it can be

used for MSDs prevention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이 論文을 金尙容의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2005년 2월

主審 李 和 基

副審 李 洪 熙

委員 朴 東 炫

- i -

요 약

근골격계질환(Muscuoloskeltal Disorders)은 1990년대 미국의 경우 직업성

10대 산업재해의 하나이고 2000년대에 이르면 전체 산업재해 보상비의 50

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근래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2003년 7월 관련

법안이 국회 통과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

우 근로조건이 선진외국보다 취약한 데에 반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

육이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은 작업자들의 건강과 산업

재해보상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인간공학적인 개선을 통한 생산성

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의 피해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자동차 제조업

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강한 노동 강도가 근골격계질환

에 원인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작업자가 느끼는 통증부위에 대한 한정적인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신체부위에 대해 작업자세 분석 프로그램인

DPMS (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부적

절한 작업자세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물론 평가 방법이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따라서 평가에 걸리는 시간

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동차회사의 모든 공정의 작업위험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높음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은 총점 뿐 만아니라 각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에 있어서도 해당 신체부위

의 증상과 높은 인과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방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증상이나 질환 발생의 결과와의 그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그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이 일반적인 경우였다 실제로 본 연구에

서 비교 대상으로 고려된 네 가지 평가 방법들(RULA REBA ANSI Z-365

CERF-2)의 경우에도 조금씩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결과들이 증상설문결

과와의 인과관계들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못 하였다

향후 작업자세 분석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 예측을 가능하

게 하여 의사결정이론을 지원하고 작업순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근골격계질

환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ii -

Abstract

MSDs(Muscuoloskeltal Disorders) is one of the major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kyrocketing medical costs

Specially medical and legal costs range from $5000 - $50000 for

single MSD case

OSHA has estimated that MSDs would account for 50 of all workers

compensation costs by the year 2000 A lot of study already lets

proceeding by seriousness of MSDs and the damage in working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 lot of advanced countries While

recent social issue anger becomes our country a related law proposal

has National Assembly back a lot of interest let going through in July for

2003 year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handle MSD problems

in industry which might b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Blue Round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MSDs in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USA and Europ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performs ergonomic environments

about how improper working posture and strong labor intensity have

influence on MSDs for workers who work at automobile manufactories

having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MSDs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this study perform hazard analysis about

inconvenient working posture of workers using DPMS(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 programming working posture analysis of all the

body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If experienced data is utilized and supports

decision marking theory and applies work circulation algorithm it can be

used for MSDs prevention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i -

요 약

근골격계질환(Muscuoloskeltal Disorders)은 1990년대 미국의 경우 직업성

10대 산업재해의 하나이고 2000년대에 이르면 전체 산업재해 보상비의 50

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근래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2003년 7월 관련

법안이 국회 통과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

우 근로조건이 선진외국보다 취약한 데에 반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

육이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은 작업자들의 건강과 산업

재해보상에 따르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인간공학적인 개선을 통한 생산성

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의 피해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자동차 제조업

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강한 노동 강도가 근골격계질환

에 원인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작업자가 느끼는 통증부위에 대한 한정적인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신체부위에 대해 작업자세 분석 프로그램인

DPMS (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부적

절한 작업자세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물론 평가 방법이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따라서 평가에 걸리는 시간

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동차회사의 모든 공정의 작업위험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높음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은 총점 뿐 만아니라 각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에 있어서도 해당 신체부위

의 증상과 높은 인과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방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증상이나 질환 발생의 결과와의 그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그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이 일반적인 경우였다 실제로 본 연구에

서 비교 대상으로 고려된 네 가지 평가 방법들(RULA REBA ANSI Z-365

CERF-2)의 경우에도 조금씩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결과들이 증상설문결

과와의 인과관계들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못 하였다

향후 작업자세 분석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 예측을 가능하

게 하여 의사결정이론을 지원하고 작업순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근골격계질

환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ii -

Abstract

MSDs(Muscuoloskeltal Disorders) is one of the major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kyrocketing medical costs

Specially medical and legal costs range from $5000 - $50000 for

single MSD case

OSHA has estimated that MSDs would account for 50 of all workers

compensation costs by the year 2000 A lot of study already lets

proceeding by seriousness of MSDs and the damage in working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 lot of advanced countries While

recent social issue anger becomes our country a related law proposal

has National Assembly back a lot of interest let going through in July for

2003 year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handle MSD problems

in industry which might b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Blue Round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MSDs in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USA and Europ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performs ergonomic environments

about how improper working posture and strong labor intensity have

influence on MSDs for workers who work at automobile manufactories

having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MSDs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this study perform hazard analysis about

inconvenient working posture of workers using DPMS(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 programming working posture analysis of all the

body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If experienced data is utilized and supports

decision marking theory and applies work circulation algorithm it can be

used for MSDs prevention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ii -

Abstract

MSDs(Muscuoloskeltal Disorders) is one of the major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kyrocketing medical costs

Specially medical and legal costs range from $5000 - $50000 for

single MSD case

OSHA has estimated that MSDs would account for 50 of all workers

compensation costs by the year 2000 A lot of study already lets

proceeding by seriousness of MSDs and the damage in working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 lot of advanced countries While

recent social issue anger becomes our country a related law proposal

has National Assembly back a lot of interest let going through in July for

2003 year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handle MSD problems

in industry which might b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Blue Round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MSDs in industry specifically

in the USA and Europ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performs ergonomic environments

about how improper working posture and strong labor intensity have

influence on MSDs for workers who work at automobile manufactories

having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MSDs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this study perform hazard analysis about

inconvenient working posture of workers using DPMS(Dynamic Posture

Measurement System) programming working posture analysis of all the

body

Even if existed researches just studied on parts of body in which

workers felt a pain If experienced data is utilized and supports

decision marking theory and applies work circulation algorithm it can be

used for MSDs prevention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목 차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Abstrac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ⅱ

1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개발의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1 연구 대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32 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1 통계적 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5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 -

1 서론

인간공학(Ergonomics)은 ldquo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주자rdquo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작업을 인간에게 맞추어 사람들이 안전하

고 긍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과 직업성요통(Low Back Injury)과 같은 작업관련성 근골격

계질환은 바로 인간공학 분야에서 가장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산업재해

의 분야라고 사료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단편적으로 많이 제시되어왔지만 크게 보면 작업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작

업자 개인특성에 관련되는 요인들 그리고 산업현장의 변화된 기타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증가되

는 추세에 있는데 특히 미국의 경우 발생건수와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작업관련질환 중의 비율이

1991년 처음으로 60가 넘은 이후 94년부터는 줄곧 6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의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이 급격하

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관련 보고건수는 1981년

에 23000건이었던 것에 비하여 1991년에 거의 9배가 증가한 223600건으로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보상비용은 $ 8070로서 작업관련 기타질환의 평균보상

비용($ 4075)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bster and Snook 1994)

따라서 미국의 경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문제는 단순한 작업자 복지차

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업체를 경영하는 경영층 입장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총 비용 상의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 결과 미국과 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 -

계질환의 폐해를 일찌감치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연구해온 나라들에서는 현

재 환자관리 및 인간공학적인 기준 등을 포함하는 예방지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비용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인간공학이 많이 활

용되어 왔으며 이로써 작업자들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사업장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사업장 내

인간공학적 위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프로그램 및 개선 사례들이

반드시 고비용이거나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영진들이 체감하기 시작

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작업환경 등의 조건과 상황이 미국과 같은 구

미 선진국과 비슷하고 특히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그런 나라들과 매우 유사하

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

인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체계적인

관리 대책 또한 대부분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세계적

인 추세와 우리나라 산업에서의 작업특성을 고려해 볼 때 멀지 않은 시점에

미국과 같은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바로 현시점이 그와 같은

상황이라고 사료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에서도 최근 몇 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빈도는 급격하게 높아져서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 질병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미국의 60 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1998년 67에서 2002년 337

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작업주기 평행한 공정흐름(parallel flow) 등의 작업특

성으로 대변되는 자동차 조립작업은 그 동안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gstrom 등 1999) Brogmus

의 연구결과(Brogmus 등 1996)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조립업종에서

직업성 요통을 제외한 상지에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건수는 전

체 작업관련 부상 및 질환 중에 약 15를 차지하였다 자동차 조립회사의 경

우에도 제 3공장을 대상으로 1999년에 자체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결과를 살

펴보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직업성요통의 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비교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 -

2 연구 개발의 배경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요인들에 대한 원인들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일반적

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분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골격계질환과 작업부하에 대한 질문지들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요인들을 살

펴보면 작업자의 배경정보로 나이 성별 작업경력 교육수준 등이 있고 근골

격계질환의 증상과 작업 작업부하와 작업상태의 위험성(부적절한 자세포함)

동작 작업력의 정도(force exertions) 사회 심리학적 부담(psychological

workload) 기후(climate) 진동(vibration)등이 포함된다(Kuorinka 등 1987

Hildebrandt and Bongers 1991 Hildenvrandt 1992)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NIOSH(1997)에서는 위험요인들과 누적외상성질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20000개 이상의 역학조사 결과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

1) 목과 어깨 작업자세와 강한 연관성(strong evidence)이 있으며 반복성

과 힘은 연관성이(evidence) 있고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하다

2) 어깨부위 작업자세와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3) 팔꿈치 부위 작업자세 반복성과 연관성이 있고 힘과 진동은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4) 손 및 손목부위(수근관증후군)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

인은 강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진동은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는 연

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5) 손 및 손목부위(건초염)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혼합된 위험요인은 강

한 연관성이 있으며 반복성 힘 작업자세는 연관성이 있다

6) 손 및 손목부위(진동증후군) 진동만이 강한 연관성이 있다

7) 허리 부위 들기작업과 힘 전신진동이 강한 연관성이 있고 작업자세와

힘든 작업은 연관성이 있고 정적인 자세는 연관성에 대한 결론이 불충분하다

많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위험요인과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근

거로써 횟수나 지속시간과 관련된 자세 횟수와 관련된 힘 지속시간과 관련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6 -

된 반복동작 수작업 진동공구 물리적인 요인의 복합적인 요인 냉 자극 등의

여러 작업 요인이 상지관련 신체부위에 작용하는 근골격계질환의 관련성을 살

펴보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동작과 작업 자세가 가장 큰 위험요인

을 내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를 중

심으로 각 신체부위별 위험점수와 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물리적인 요소)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7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1) 작업중의 어느 한순간의 동작을 평가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일괄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2) 인체계측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 기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자세 분석은 무리

가 따르고 일선의 지도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

3) 기존 작업평가도구들의 타당도 검증은 경험적인 것에 의존한 것에 반해 본 연

구는 실제작업분석과 해당 작업자의 증상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세에 기초하여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시 신체부위별

증상부위에 따른 평가와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

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발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작업평가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8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검증에 있어서의 대상 공정은 의장 3부에 속한 공정들 중에서 샤시반

트림반 FINAL반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공정들에 대하여 네가지 종

류의 다른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214공정에 대한 소속 라

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샤시 15반 20개

16반 20개

트림 13반 41개

12반 30개

11반 28개

FINAL 18반 22개

19반 30개

20반 23개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9 -

총 214 공정에 대한 ID와 실제 작업명은 다음과 같다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0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1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2 -

32 연구 방법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공정별 작업자세 분석을 위해서 의장 3부에 속한 총 214 공정 모두에 대하

여 비디오촬영이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를 1-2초마다 capture하여 분석하였

다 이와 같이 capture된 모든 frame은 각 신체부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측

정되는데 각도측정에는 인하대학교 인간공학 실험실에서 개발한 DPMS가 이

용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capture된 사진에서 보이는 세 개의 빨간

marker를 분석자가 작업자세의 정의에 따라 위치시키면 가운데 marker에 해

당하는 관절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의 측정부위 및 각

도는 neck flexionextension(목 굴곡신전) trunk flexion(허리 굴곡) right

shoulder flexion(오른쪽 어깨 굴곡) right shoulder abduction(오른쪽 어깨

외전) right elbow flexion(오른쪽 팔꿈치 굴곡) right elbow extension(오른

쪽 팔꿈치 신전) right wrist flexion(오른쪽 손목 굴곡) right wrist

extension(오른쪽 손목 신전) right wrist radial deviation(오른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right wrist ulnar deviation(오른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left shoulder flexion(왼쪽 어깨 굴곡) left shoulder abduction(왼쪽 어깨 외

전) left elbow flexion(왼쪽 팔꿈치 굴곡) left elbow extension(왼쪽 팔꿈치

신전) left wrist flexion(왼쪽 손목 굴곡) left wrist extension(왼쪽 손목 신

전) left wrist radial deviation(왼쪽 손목 요골 방향 구부림) left wrist ulnar

deviation(왼쪽 손목 척골 방향 구부림) 이다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1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3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는 작업별로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해서 도출되었는

데 첫째는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 그리고 둘째와 셋째는 작업자세 중

점 위험도 평가 2와 3이다 위 기준들은 본 연구팀에서 고안하여 쓰고 있는

기준이며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중 작업 자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작업

강도를 유추하는 방법이다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는 1 2 3 모두 미시(微視) 동작 분석

(micromotion study)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거의 모든 checklist 형태의 작

업자세 위험도분석에서는 작업주기 동안 한두 가지 대표 작업 자세 혹은 열악

한 작업 자세 한 두개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작업 자세 위험도평가를 하는

데 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에서는 전 작업

주기 동안의 모든 작업동작을 1-2초에 1 프레임씩 캡쳐하여 각 신체부부위에

서의 평균 및 최대 변위각도를 구하게 된다 작업 자세 위험도점수는 이 각

도들을 토대로 하여 도출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1에서

는 다음과 같이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각도점수는 표

32와 표 33에 기초한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1=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1 손목위험점수 = (힘 점수 + 손목 각도점수(평균최대))

- 2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 점수(평균최대)

힘 1 각도 1 2 3 4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4 -

작업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 2에서의 점수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평가

1과 다른 점은 힘은 전혀 고려치 않고 각도 점수도 범주화 시켜서 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ull 작업자세 위험도점수 2 = 손목 및 모든 관절 위험점수의 합

- 손목 및 기타 관절 위험점수 = 관절각도최대허용관절각도

bull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손목 자세

(degree)

팔꿈치 자세

(degree)

굴곡 신전 요골 척골 굴곡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9 lt10 lt5 lt3 lt14

lt23 lt25 lt12 lt7 lt36

lt45 lt50 lt24 lt14 lt71

gt45 gt50 gt24 gt14 gt71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5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위험 정도

어깨 자세

(degree)

목 자세

(degree)

허리 자세

(degree)

외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굴곡 신전

Low(양호)

Medium(보통)

High(열악)

Extreme(매우 열악)

lt13 lt19 lt6 lt6 lt9 lt10 lt5

lt34 lt47 lt15 lt15 lt22 lt25 lt10

lt67 lt94 lt31 lt30 lt45 lt45 lt20

gt67 gt94 gt31 gt30 gt45 gt45 gt20

323 비교평가도구 선정기준

주로 문제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한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허리 부위는 NLE LI

OSHA(B) OWAS 손목 부위는 JSI 상지 위주의 작업은 OSHA(A) 그리고 포괄

적인 평가는 RULA REBA ANSI Z-365 CERF-2등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세위

험도 123과 같이 평가도구의 비교대상을 포괄적 평가도구(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하였다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6 -

4 연구 결과

41 위험도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하대학교 인간공학연구실에서 현장분석의 기본이 되

고 있는 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박동현 등 2003)에 대하여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증은 기본적으로 증상설문결과를 토대로 하였는데

증상과의 관계는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 1 2 3뿐만 아니라 기존의 많이 알려

져 있고 또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들 즉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Z-365) 그리고 원진병원에서 A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한 CERF-2(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2)도 함께 고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검증을 위해서 첫째 평가 대상을 선정하고 둘째

앞에서 언급한 평가방법 모두(작업 자세 위험도 평가 1 2 3 RULA REBA

ANSI Z-365 CERF-2)를 선정된 대상에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마지

막으로 셋째 이 모든 평가 결과와 증상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평가 방법을 A자동차의 공정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

보았다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7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1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8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19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0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2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1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2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2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3 -

총 214공정에 대한 작업자세위험도 3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4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5 -

총 214 공정에 대한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6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7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8 -

총 214 공정에 대한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29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0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1 -

총 214 공정에 대한 ANSI Z-365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표 46 ANSI 기준

에 의한 평가 결과

(계속)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2 -

총 214 공정에 대한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3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3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4 -

42 준거 타당도에 의한 검증

타당도(Validity)는 일반적으로 ldquo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

였느냐rdquo를 의미하며 다시 말하면 타당도는 정도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당도는 있다 혹은 없다 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즉

낮다 적절하다 높다 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자세 위

험도 1 2 3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총 7 종류의 평가 방법에 의한 의장 3부 214공정 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

해서 증상조사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크게 총점과 신체 부위별 점수에 대한 분석결과로 나뉘어 진다

421 통계적 배경

본 연구에서는 고려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파악하기위하

여 기본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적 배경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 100

을 이용하였다

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정의

어떠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로짓으로 연결하는 로지

스틱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값만을 취하는 자료를 적합 시킬 때에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관찰에 의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독립변수 및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5 -

종속변수가 서로 독립이고 같은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π(x)=E(Yx)로 나타내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 또는

π(x)=1

1+exp-(β 0+β 1x)

여기에서 β0와 β1은 추정되어야 할 모수이고 x는 독립변수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로짓변환(logit transformation)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g(π(x))=ln[ π(x)1-π(x) ]=β 0+β 1x

여기에서 ln은 자연대수를 나타낸다 로짓변환을 하게 되면 회귀모형이 갖

는 몇 가지 성질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g(π(x))는 독립변수 x에 관하여 선

형이며 연속이 되므로 x의 범위에 따라 -infin와 infin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6 -

나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일 Y가 ldquo0rdquo 또는 ldquo1rdquo로 표기되었다면

π(x)=exp(β 0+β 1x)

1+exp(β 0+β 1x)=P(y=1x) (i)

1-π(x)=1

1+exp(β 0+β 1x)=P(y=0x) (ii)

이 된다 그래서 y i=1인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likelihood function)의 기

여도는 π(x i)이며 y i=0이 (xiyi)에 대한 기여도는 1-π(x i)가 된다 (xiyi)에

대한 가능도함수의 기여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ξ(x i)=π(x i)y i[ 1-π(x i)]

1-y i가 되며 관측값들이 서로독립이라고 가정하였으

므로 모든 관측값에 대한 가능도함수는 식 (i) 를 곱한 형태가 된다 즉

l(β 0β 1)=prodn

1ξ(x i)이다 수학적으로 보다 쉽게 l(β 0β 1)을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

정값을 찾기 위해서는 l(β 0β 1)에 자연로그를 취한 소위 ldquo로그 가능도

(log-likelihood) L(β 0β 1)를 최대화시킬 β0β1의 추정값을 찾는 것과 동일하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7 -

다 로지스틱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로지스틱 모형에서의 관찰값과 예측값의 비교는 다음 표현에 근거를 둔다

D=-2ln [예측된모형에대한가능도포화모형에대한가능도 ]

위의 대괄호 안의 값을 가능도비(likelihood ratio)라고 부른다 -2배를 함

으로써 어떤 알려진 분포를 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설검정을 할 수 있게

된다

422 총점별 분석결과

총점별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적용된 평가 기준은 다음의 7 종류로 정리될

수 있다

T1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 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

T4 RULA

T5 REBA

T6 ANSI Z-365

T7 CERF-2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8 -

앞서 언급한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여기서 종속변수는 증상의 개수 그리고 독립변수는 각 평가 기준의 총

점들 이었는데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또한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유의도를 비교해본 결과 T1(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1)

T2(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2) T3(작업자세 위험도 점수 3)가 p=001 수준에서

그리고 T7(CERF-2)이 p=005 수준에서 증상의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생기 개발 툴들을 포함하는 나머지 기준들은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9) 즉 T1 T2 T3 T7이 근골격

계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른 평가 기준들에 비해서 그 예측력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39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위험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준들을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로 해당 신

체부위의 증상과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고려된 평가 기준은 작업 자세 위험도 1 2 3 기준

RULA REBA CERF-2 이었다

가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1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0 ~ 표 41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표 14의 왼쪽 손목

(LW_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

업 자세 위험도 1의 평가결과들은 모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1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1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1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0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1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나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15 ~ 표 41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 위험도 2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2 -

N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2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2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2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4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3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4 -

다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

작업 자세 위험도 기준 3을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

체부위별로 분석하였다 표 420 ~ 표 42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의 증상과 각 신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

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작업 자세위험도 3의 평가결과들은 모

두 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

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R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3에 근거한 오른쪽어깨(right shoulder)의 위험도

R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팔꿈치(right elbow)의 위험도

R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오른쪽 손목(right wrist)의 위험도

LS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위험도

LE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팔꿈치(left elbow)의 위험도

LW_3 작업자세 위험도 기준 3에 근거한 왼쪽 손목(left wrist)의 위험도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5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6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라 RULA

RUL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였

다 표 425 ~ 표 42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RULA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26의

몸통(TRULA)의 경우만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UL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3: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7 -

NRULA RUL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ULA RUL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ULA RUL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ULA RUL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ULA RUL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4: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8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5: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49 -

마 REBA

REBA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하

였다 표 430 ~ 표 434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체

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모든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REBA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REBA에 의한 신체부위별 위험도 점수는 해당 신체부위의 증상과

모두 다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NREBA REBA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REBA REBA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REBA REBA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REBA REBA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REBA REBA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6: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0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7: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1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바 CERF-2

CERF-2를 적용하여 평가한 위험도와 증상과의 관계를 신체부위별로 분석

하였다 표 435 ~ 표 439는 목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의 증상과 각 신

체부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CERF-2를 적용한 경우에는 표

435의 목(NCERF)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표에서 각 신체부위의 증

상과 해당되는 신체부위의 CERF-2에 의한 평가결과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Plt005의 수준에서) 여기서 각 표에 있는 독립변수에 대한 정

의는 다음과 같다

NCERF CERF-2에 근거한 목(neck)의 위험도

TCERF CERF-2에 근거한 몸통(trunk)의 위험도

SCERF CERF-2에 근거한 어깨(shoulder)의 위험도

ECERF CERF-2에 근거한 팔꿈치(elbow)의 위험도

WCERF CERF-2에 근거한 손목(wrist)의 위험도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8: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2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59: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3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60: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4 -

5 결론

국내 인간공학적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련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근시일내에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체

직업병중 근골격계질환의 비율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국내

의 현실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동차 조립 작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평가 결과 첫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는 각 신체부위(목 허리 어깨 팔꿈

치 손목)별 위험도 점수와 작업자들의 증상호소부위간의 노출-반응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작업자세 위험도 평가도구에 비해 RULA REBA ANSI-Z365는 이미 오

래전에 만들어진 작업평가도구로써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지만 실제로 자동차조

립산업에 적용해 본 결과 그 효율성이 적절치 못한 작업평가도구임을 알 수 있다

추후과제로는 첫째 거의 모든 신체부위를 판단하고 있지만 하지 즉 다리 부분

의 평가가 제외되었으며 동적인 작업 특성을 갖는 자동차 조립 라인만을 대상으

로 평가하였기 때문에 정적인 작업 특성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위험 작업 선별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자동차 조립 라인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므로 다른 사업장에 대해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고 각 사업장에서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작업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한다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61: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 55 -

참 고 문 헌

1 박동현배성규 (1998) ldquo누적외상성질환 관련작업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dquo 인하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집 pp793-798

2 박동현 한상환 송동빈 (1998) ldquoCumulative Trauma Disorders(CTDs) 관련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서 개발에 관한 연구rdquo 대한산업의학회지 Vol 10 No 2

pp251-266

3 양성환김대성 (2001) ldquo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실태조사 및 분

석rdquo 生産性논집

4 김대성양성환이인섭 (2002) ldquo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자세 평가 및 관리방안rdqu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7No4

5 이윤근 ldquo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

발 -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rdquo 노동환경 건강연구소2001

6 Drury CG Broderick RL Weidman CH and Mozrall JL (1999) A

corporate-wide ergonomics programm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rgonomics Vol 42 No 1 pp208-228

7 장세진 (1993) ldquo건강통계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연구rdquo 대한예방의학회

pp121-159

8 정충영 최이규 (200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9 허명회 (1989) SAS 범주형 데이터 분석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 강

의총서5 자유아카데미

10 httpwwwmolabgokr 노동부

11 httpwwwkoshaorkr 산업안전공단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
Page 62: 작업자세를 중심으로 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도구에 ...thesis.inha.ac.kr/Lib/upload/pdf/2005-02/22031066.pdf · 2010-08-04 · 3. 연구 대상 및 연구

감사의 글

학교생활을 하며 논문을 쓰고 이제 졸업이라는 하나의 끝과 사회로 나가

야 한다는 시작의 두가지 갈림길에서 2년이란 세월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

은 시간이지만 모든 일들이 하나 하나 감사할 뿐입니다

먼저 나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신 교수님들께 먼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모든 것에 부족한 저를 사랑과 격로로 지도해 주신 박동현 교수님 대학교 생

활 6년동안 학문적인 가르침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젊은이가 바른 길로 나

아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정수일 교수님 김영민 교수님 이창호 교수님

이화기 교수님 박승헌 교수님 이재원 교수님 김봉선 교수님 이홍희 교수님

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교육 그 이상의 열정을 보여주신 교육학과 박영신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항상 힘이 되어 주었던 선배님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

배님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를 아껴주신 석환이형 호윤이형 한신

이형 현성이형에게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맏형같은 동기 재근이형을 비롯

해서 광성이 찬식이 경욱이 은구 관호 제선이 성희에게도 고맙고 선배챙

기는 판조 태헌이 무룡이 준식이 명석이 순호 종석이에게도 감사한다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나랑 같이 방을 살았던 정인이형 현우형 승호형 동

준이형 태오형 락우 종석이 판조 영제 경섭이 그리고 윤정형수에게도 감

사의 맘을 전합니다 학교생활이외의 농구를 하면서 나에게 공부이상의 무언

가를 알게해 준 우리 농구부원 동준이형 재영이 봉수 신혁이 정근이 도형

이 민중이 주원이 태준이 자훈이 보승이 영인이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저를 항상 걱정하며 기도해 주시는 할머니 어머니 고모 귀염

둥이 내 동생 은주 그리고 말은 많이 하시진 않지만 저를 가장 많이 생각해주

는 아버지 내가 힘들때면 항상 아무말 하지않고 기다려 주는 나의 여자친구

혜미에게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바칩니다

2005년 2월

김 상 용

  • 목차
    • 요약 ⅰ
    • Abstract ⅱ
    • 1 서론
    • 2 연구개발의 배경
      •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연구 방법
            •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 4 연구 결과
                  • 41 위험도 평가 결과
                  •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 421 통계적 배경
                    • 422 총점별 분석결과
                    •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표목차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 [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 [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 [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 [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 [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 그림목차
                                • [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 [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 [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 목차요약 ⅰAbstract ⅱ1 서론 12 연구개발의 배경 4 21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4 22 신체 질환과 특별한 위험요인과의 관계 5 23 기존작업평가 도구의 문제점과 연구목적 7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2 321 작업자세 측정과정 12 322 작업 자세 중점 위험도 평가기준 13 323 비교 평가도구 선정 기준 154 연구 결과 16 41 위험도 평가 결과 16 42 준거타당도에 의한 검증 34 421 통계적 배경 34 422 총점별 분석결과 37 423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395 결론 44참고문헌 55 표목차[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 9[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0[표 31] ID에 따른 라인 및 작업명(계속) 11[표 32] 손목 및 팔꿈치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4[표 33] 어깨 목 허리 자세에 있어서의 위험영역(Drury 1987) 15[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17[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8[표 41] 작업 자세 위험도 1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19[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0[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1[표 42] 작업 자세 위험도 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2[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3[표 43] 작업 자세 위험도 3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4[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5[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6[표 44] RUL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7[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28[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29[표 45] REBA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0[표 46] ANSI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1[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 32[표 47] CERF-2 기준에 의한 평가 결과(계속) 33[표 48]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적합도(총점별 분석) 38[표 49] 각 평가기준의 유의도 38[표 41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0[표 41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1[표 41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2[표 41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1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3[표 42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5[표 42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6[표 42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7[표 42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2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8[표 430]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49[표 43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 [표 432]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3]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0[표 434]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1[표 435]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6]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몸통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7]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어깨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2[표 438]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팔꿈치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표 439]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손목 증상 vs 신체부위별 위험도) 53그림목차[그림 11] 국내의 근골격계질환(MSDs) 발생현황 2[그림 21] 근골격계질환(MSDs)의 위험요인 4[그림 22] 작업요인과 상지 근골격계질환 관련성에 대한 증거의 요약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