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11
80 KIET 산업경제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1) 산업경제분석 KIET 중국 디지털경제는 인공지능ㆍ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이 각종 산업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생겨났으며, 관련 서비스업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경제의 성장 중심에는 대기업과 유니 콘 기업이 있다. 중국 디지털기업은 중국 내 성장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디지 털 플랫폼 내수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2017년부터 중국 디지털기업들은 동남아, 인도 등의 신흥시장으 로의 진출 등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중국 디지털기업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거나 그 들을 인수해서 자신의 생태계로 편입시키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자동차 공유, 게임, 여행플랫폼 등 다양 한 분야에 지분 투자 및 인수, 스타트업 발굴 등의 방식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양국 간의 협력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 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기존 제조업에 기반한 수직적 분업구조의 형태로 형성된 한중 간의 협력모델의 전환이 필요하다. 중국의 디지털기업과 우 리가 경쟁우위를 보유한 게임, 헬스케어, 자동차,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협력수요를 찾고 새로운 협력모델 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 한중 간 디지털 분야의 정부 간 협의체 운영을 활성화하여 실무적인 협력이 가능 한 제도적 발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1) 1) 본고는 조은교, 조재한(2019),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중 산업협력방안 연구, 산업연구원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Upload: others

Post on 24-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80 K I E T 산 업 경 제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1)

산 업 경 제 분 석KIET

중국 디지털경제는 인공지능ㆍ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이 각종 산업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생겨났으며, 관련 서비스업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경제의 성장 중심에는 대기업과 유니

콘 기업이 있다. 중국 디지털기업은 중국 내 성장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디지

털 플랫폼 내수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2017년부터 중국 디지털기업들은 동남아, 인도 등의 신흥시장으

로의 진출 등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중국 디지털기업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거나 그

들을 인수해서 자신의 생태계로 편입시키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자동차 공유, 게임, 여행플랫폼 등 다양

한 분야에 지분 투자 및 인수, 스타트업 발굴 등의 방식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양국 간의 협력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

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기존 제조업에

기반한 수직적 분업구조의 형태로 형성된 한중 간의 협력모델의 전환이 필요하다. 중국의 디지털기업과 우

리가 경쟁우위를 보유한 게임, 헬스케어, 자동차,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협력수요를 찾고 새로운 협력모델

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 한중 간 디지털 분야의 정부 간 협의체 운영을 활성화하여 실무적인 협력이 가능

한 제도적 발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1)

1) 본고는 조은교, 조재한(2019),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중 산업협력방안 연구」, 산업연구원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Page 2: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2 0 2 0 0 2 81

산 업 경 제 분 석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인터넷플러스’ 전략 등

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디지털 기술·신시장 확대

에 선도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바이

두·알리바바·텐센트·징동(BATJ) 등의 디지털기

업2)들은 첨단기술과 비즈니스모델을 바탕으로 4

차 산업혁명을 이행하는 주체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이들 기업은 내수시장에서 지위를 확고히

한 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해외진출을 가

속화하면서 글로벌 시장 개척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의 한중 산업협력 패러다임은 제조업을 중

2) 디지털기업의 경우 Frederick et al. (2018)에서 정의된 디지털 서비스 기

업에 한정하였으나,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가 산업 간 경계를 허물며 확

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해당 산업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심으로 한 수직적 분업구조에 기반한 협력이라는

한계에 직면하여 있다. 따라서 중국 산업과 경제

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구조 및 비즈니스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중국시장 진출전략 및 협력방안

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분석을 통해, 디지털기업을 중심으로

한·중 양국 및 제3국에서의 한중 산업협력 방안

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제 비즈니스 사례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양국의 협력 부분에 대한

전략 수립 및 새로운 협력방안과 정책제언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1. 서론

2.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

(1) 중국 디지털 관련 산업의 발전 현황

중국은 2017년 디지털 경제발전 전략을 국가

급 전략으로 격상시키고 디지털기술의 진전과 활

용을 가장 큰 사회적, 경제적 이슈로 부상시켰으

며, 이를 위해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적극적으

로 추진하였다. 이에 중국은 디지털 플랫폼 기업

이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디지털경제3)는 중국 경

3) 중국의 디지털경제 규모는 IT 제조업, 정보통신업, 인터넷산업, 소프트

웨어 및 IT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규모와 인터넷 범용기술을 전통산업에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이 이뤄진 부가가치 부분을 합산하여 계상한다.

제의 핵심성장동력으로 부상하였다. 중국정보통

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 2019)에 따르면,

2018년 중국 디지털경제 규모는 31조 3,000억 위

안으로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8%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지난 5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인터넷과 ICT 기술이 각종 산업과

융합되어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하였고, 사

회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핀테

크, 공유경제,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경제가 크

게 성장하고 있다.

Page 3: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82 K I E T 산 업 경 제

중국은 핀테크기술을 바탕으로 한 모바일결

제 거래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에게는 현금이나 신용카드보다 효율적

인 결제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8년 기

준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7억 2,000

만명이며, 이 중 35%가 모바일결제를 이용하고

있다.

중국의 공유경제는 모바일 인터넷의 확대, 인

터넷결제의 보편화, 정부의 느슨한 규제 등에 힘

입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플랫

폼을 통해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새로운

경제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2018년 중국의 공유

경제 시장규모는 2조 9,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1.6% 상승하면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国家信息中心(2019)4)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전 세계

305개 유니콘 기업 중에 83개가 중국 기업으로 전

체에서 약 27.2%를 차지하고, 이 중 공유경제 관

련 기업은 34개로 중국 전체 유니콘 기업의 41%

를 차지한다.

4) CB Insights, 国家信息中心(2019), 「中国共享经济发展年度报告(2019)」 재인용.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모바일 이용자 수

증가와 더불어 핀테크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성

장하였다. 알리바바(阿里巴巴), 징동(京东), 쑤닝

(苏宁) 등의 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모바일결제, 스마트물류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모

델이 생겨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

한, 최근에는 알리바바의 CEO인 마윈이 신유통

(新零售)5) 전략을 발표하면서 전자상거래 디지털

기업들은 오프라인 유통기업과 협력하여 유통시

장의 혁신적인 변화를 시작하고 있다.

(2) 중국 디지털기업의 발전 현황

중국 디지털기업은 미국의 디지털 선도기업인

페이스북·아마존·넷플릭스·구글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미중 양국 간 20

대 디지털기업을 기업가치 순으로 나열하면, 중

5) 신유통은 AI, 빅데이터, IoT 등의 첨단기술을 보유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

이 유통기반을 보유한 백화점, 슈퍼마켓, 쇼핑센터 등 오프라인 유통기

업과 협력하여 소비자의 패턴을 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고객 맞춤형 서

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림 1> 중국 디지털경제 규모 및 GDP 대비 비중

자료 : 中国信通院(2019), 「中国数字经济发展与就业白皮书(2019)」.

규모 GDP대비 비중

(억 위안) (%)350,000

300,000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0

40

35

30

25

20

15

10

5

02014 2015 2016 2017 2018

161,640186,301

225,823271,737

312,934

26.1 27.530.3

32.9 34.8

Page 4: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2 0 2 0 0 2 83

산 업 경 제 분 석

국의 9개 기업이 미국의 상위 디지털 플랫폼을 빠

르게 추격 중임을 알 수 있다. 중국 디지털기업

중 BAT(바이두, 알리바바(앤트파이낸셜 포함),

텐센트)라고 불리는 대형 플랫폼 기업이 상위권

을 차지하고 있으며, TMD(바이트댄스·메이퇀디

엔핑·디디추싱)라고 불리는 유니콘 기업의 약진

이 두드러진다.

먼저, 중국의 대표적인 검색포털인 바이두

(BAIDU, 百度),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

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SNS 서비스플랫폼

인 위챗을 개발한 텐센트(Tencent, 腾讯)는 중국

의 디지털경제를 성장시킨 3대 대기업이다. 이

어 징동이 전자상거래, 유통·물류 분야에서 사

업을 확장하면서 기업가치가 상승하였고, 바이

두·알리바바·텐센트와 더불어 4대 디지털 공룡

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이들 4대 디지털기업은

초기에는 전자상거래, 검색, SNS 플랫폼을 바탕

으로 성장하였으나, 2016년부터는 ABC(AI, Big

data, Cloud) 기술을 기반으로 AI 로봇, 자율주행

차, AI 금융,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

면서 중국의 디지털경제의 성장과 혁신을 주도

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메이퇀디엔핑·디디추싱 등은 차

세대 디지털기업으로 불린다. 토우티아오(头条), 틱톡(抖音)을 보유하고 있는 바이트댄스

(Byte dance, 字节跳动)는 2018년에 미국의 우

버를 제치고 글로벌 유니콘 기업 1위 자리에 올

랐다. 바이트댄스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통

해 독자가 원하는 뉴스를 추천하는 토우티아오

(头条)라는 플랫폼, 동영상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인 틱톡(TikTok)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센서타

워(Sensortower, 2020)6)에 따르면, 틱톡은 2019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7억회 이상 다운로드되었으

며, 누적 건수로는 15억건으로 전 세계 2위를 차

지하고 있다.

2015년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투자한 메이퇀디

엔핑(Meituan-Dianping, 美团点评)은 생활 O2O

어플로 맛집리뷰, 음식 배달, 엔터테인먼트 관련

티켓 판매 등의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

국의 경제저널인 Fast Company는 2019년 세계에

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메이퇀디엔핑을 선정

하였다.7)

6) Sensortower(2020.1.16), ‘TikTok Was Installed More Than 738 Million

Times in 2019, 44% of Its All-Time Downloads’, https://sensortower.

com/blog/tiktok-revenue-downloads-2019(검색일자 2020.2.44).

7) 雷科技(2019.2.21), ‘Fast Company公布榜单:论创新, 苹果远不如美团点评’, http://www.leikeji.com/article/24528(검색일자 2019.8.13).

<표 1> 미중 20대 디지털기업 가치 순위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1 Apple 6 Alibaba 11 salesforce.com 16 Didi chuxing

2 Amazon 7 Tencent 12 Booking Holdings 17 JD.com

3 Microsoft 8 Netflix 13 Byte dance 18 Meituan-Dianping

4 Google 9 Ant Financial 14 Uber 19 Xiaomi

5 Facebook 10 Paypal 15 Baidu 20 eBay

자료 : CB Insights, BCG analysis(2019) 재인용.

주 : 색칠부분은 중국 디지털기업임.

Page 5: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84 K I E T 산 업 경 제

(1)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 투자 현황

중국 디지털기업들은 국내시장에서 거의 독점

적인 지위를 이용하여 창출한 수익을 바탕으로

2014년부터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기 시

작하였다. 바이두를 제외한 알리바바, 텐센트, 징

동 등은 주력사업인 게임과 전자상거래 분야의 해

외 진출에 조기 성공하였으며, 디지털 플랫폼 기

업 중 후발주자인 바이트댄스(토우티아오), 메이

퇀, 디디추싱 등의 유니콘 기업은 내수시장의 확

대와 함께 해외 진출을 동시에 추진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디지털 서비스

의 해외 직접투자 변화를 보면, 중국 내 디지털경

제가 확장되던 2014년을 시작으로 빠르게 증가8)

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전체투자 규모가 186

억 6,000만 달러에 달하며 전년대비 174% 상승하

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2017년에는 외환

보유고 감소를 통제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투자

제한으로 해외투자가 감소하였지만, 2014년 대비

높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8) 데이터 접근의 한계로 Information Transmission, Software and Infor-

mation Technology Service 해외투자 현황을 활용하였다.

3.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화 전략

중국판 우버라고 불리는 디디추싱(Didi chux-

ing, 滴滴出行)은 2012년 설립된 회사로 텐센트의

디디다처(滴滴打車)와 알리바바의 콰이디다처

(快的打車)가 합병되면서 탄생하였으며, 2016년

에는 우버차이나를 인수하면서 중국 차량공유 시

장을 독점하고 있다. 디디추싱은 소프트뱅크, 텐

센트, 알리바바 등의 100여 개 기업의 투자를 받

고 있으며, 이용자 수 5억 5,000만명, 하루 승차횟

수 3,000만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대의 차

량 공유업체로 성장하였다.

<표 2> 중국의 주요 디지털기업

회사명 주요 사업 영역

BATJ

바이두(BAIDU, 百度) 검색포털, AI 기술, 자율주행차 등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전자상거래, 핀테크, AI, 클라우드, 물류, 유통 등

텐센트(Tencent, 腾讯) 게임, SNS 플랫폼, 클라우드. AI, 헬스케어 등

징동(JD.com, 京东) 전자상거래, 유통 물류, AI로봇

TMD

바이트댄스(Byte dance, 字节跳动):토우티아오(头条),틱톡(抖音)

콘텐츠 미디어

메이퇀·디엔핑(Meituan-Dianping, 美团点评) 생활 O2O

디디추싱(Didi chuxing, 滴滴出行) 차량공유

자료 : 저자 정리.

Page 6: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2 0 2 0 0 2 85

산 업 경 제 분 석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 및 계

획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스턴컨설팅그

룹(BCG, 2019)9)에서 중국 디지털기업 CEO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hina Digital Globalization Sur-

vey’에 따르면, 현재 해외 진출 중이거나 3년 내 진

출 계획이 있는 지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지

역은 동남아시아(45%)였으며, 2위를 차지한 지역

은 인도(43%), 다음으로는 동북아시아지역(33%)과

북미지역(33%)이 공동 3위를 차지하였다. 10)

분야별로 보면, 중국 디지털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와 추세를 알 수 있다. 2010년에는 주

로 인터넷 보안·브라우저 분야의 진출이 확대되

었으며, 2012년에는 각종 유틸리티 애플리케이

션, 2014년에는 게임 분야, 2015년에는 핀테크,

2016년에는 뉴스·동영상·스트리밍 앱이며, 2017

년에는 차량공유 앱, 블록체인 분야가 주를 이루

9) François Candelon, Fangqi Yang, and Daniel Wu(2019), ARE CHINA’S

DIGITAL OMPANIES READY TO GO GLOBAL?, BCG

10) 跨境并购:2018中资海外并购报告,民企交易飙至85%, AGUGOU,

2019년 1월 3일(http:// www.AGUGOU.com/1/1766.html)

고 있다. Mobvista 빅데이터센터에 따르면 2017

년까지 해외에 진출한 중국의 디지털기업은 약

2,664개이며, 디지털기업의 주요 상품인 애플리

케이션의 해외출시 수는 8,560개에 달한다.

그러나 중국 디지털기업의 대한국 투자는 타

지역 대비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국내 디지털기

업 분야의 외국인투자 업체 수는 2018년 150개이

며, 이 중 중국 기업은 18개로 전체에서 12%를 차

지한다.11) 업종으로 구분하면,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래

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자료 처리·호스팅·포

털 등의 부문에서는 투자 업체 수가 연간 1~2개에

그친다.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은 대부분이

게임 관련 업종에 국한되어 있으며 중국 디지털기

업의 직접적인 진출은 텐센트의 게임사업을 제외

하면 큰 규모의 투자나 진출은 거의 없는 편이다.

11)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 직접투자 통계 중 한국산업분류 코드(KSIC)에

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자료 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

업] 등을 고려하여 계상하였다.

<그림 2> 중국 디지털 서비스 업종의 해외진출 변화 추이

<그림 3>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진출 지역 및 3년내 희망진출 지역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자료 : CEIC.

20,000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18,660

4,430

1,2401,401

3,170

6,820

304 299 278 506 7769 31 15 48

(백만 달러)

자료 : 跨境并购(2019).10)

동남아시아

인도

동북아시아

북미

중동

아프리카

남미

서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유럽 및 동유럽

호주 및 뉴질랜드

45

4333

3321

2119

19

18

178

7

(%)

Page 7: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86 K I E T 산 업 경 제

(2)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 진출 요인과 특징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에는 정치·경

제·사회·기술(PEST) 등 다양한 거시환경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먼저, 정치적인(political) 환경요인

을 보면, 2013년 일대일로 정책이 시작되면서 이에

힘입어 경쟁력을 보유한 디지털기업이 제조, 금융,

정보통신 등의 기업과 공동으로 해외에 진출하면

서 해외 이용자를 유치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2015

년 중국 정부의 ‘인터넷플러스(互联网+)’ 정책12)

이 맞물려 시행되면서 디지털 분야의 해외 진출

지원이 더해져 해외투자가 더욱 확대되었다.

경제적(economic) 환경요인 측면에서 보면, 중

12) 2015년 3월 중국 국무원은 ‘인터넷플러스(互联网+)’ 정책을 통해 인터

넷이 통신망이나 인프라를 넘어, 사회발전의 플랫폼으로 신성장동력

창출, 인터넷 경제와 실물경제의 융합 발전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발표

하였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인터넷, IoT 등의 기

술과 제조업을 결합시키고,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창출과

산업구조를 업그레이드한다고 강조하였다.

<표 3> 중국의 주요 디지털기업의 대한국 기업 투자 실적(2010~2018)

단위 : 백만 달러

한국기업 연도 투자금액 투자사

크래프톤(Krafton, 구Blue Hole ) 2018 441.8 Tencent Holdings

해긴(HAEGIN) 2018 7.45 Tencent Holdings

카카오 게임즈(Kakao Games) 2018 130.72 Tencent Holdings

카카오페이(Kakao Pay) 2017 200Alibaba Group

(Ant Financial Services)

블루홀(Blue Hole) 2017 61.2 Tencent Holdings

씨디네트웍스(CDNETWORKS) 2017 185.8 Wangsu Keji

국제 e스포츠 연맹(International e-Sports Federation)

2016 150 Alibaba Group

YG Entertainment 2016 30 Tencent Holdings

네시삼심삼분(4:33 Creative Lab) 2014 109.8 Tencent Holdings

파티게임즈(PATI Games) 2014 19.7 Tencent Holdings

넷마블(NetMarble) 2014 500 Tencent Holdings

CJ넷마블(CJ Netmarble) 2014 500 Tencent Holdings

카카오(Kakao Corporation) 2012 80 Tencent Holdings

지에이치 호프아일랜드(GH Hope Island) 2010 2.1 Tencent Holdings

아이덴티티(Eyedentity Games) 2010 3.4 Tencent Holdings

레드덕(Redduck) 2010 1.3 Tencent Holdings

넥스트플레이(Nextplay) 2010 1.3 Tencent Holdings

탑픽(Topping) 2010 1.3 Tencent Holdings

리로이드 스튜디오(Reloaded Studios) 2010 4.7 Tencent Holdings

스튜디오 혼(Studio Hon) 2010 1.2 Tencent Holdings

합계 - 2,431.77 -

자료 : CB Insights, 블룸버그, 凤凰科技, IT桔子 등 내용 취합 정리.

Page 8: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2 0 2 0 0 2 87

산 업 경 제 분 석

국의 디지털기업들은 내수기반을 바탕으로 탄탄

한 자본 기반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국내 테스트

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였다. 또

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글로벌 모바일 인

터넷 시장은 중국 디지털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

도할 수 있는 구도를 형성해 주고 있다.13)

사회적(social) 요인 측면에서는 중국의 인구증

가율 감소로 인하여 내수시장의 확장이 둔화되

고, 글로벌 인터넷 신흥시장이 동남아시아, 남아

메리카 등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의 해외

투자도 태국, 싱가포르, 인도, 멕시코, 브라질 등

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6억 5,000만명의 시장

과 3억 5,000만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보유한 동남

아의 경우, 중국 디지털기업에 굉장한 잠재력이

있는 시장이어서 이 지역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

으로 확대되고 있다.14) 특히, 차세대 중국 디지털

13) 理财知识(2019.1.15), 东南亚互联网经济蓬勃发展的3大原因, http://

cj.sharesinv.com/20190115/63011/ (검색일자 2019.8.11)

기업들은 어느 정도 중국 내에서 기반을 닦은 뒤

해외에 진출하는 기존의 방식을 버리고, 창업 초

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노린 제품과 서비스를 출

시하고 있다.

기술적(technological) 요인 측면에서 보면 전

세계적으로 5G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으며, 모바

일 인터넷의 발전 등으로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생겨나고 있고, 이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 디지털기업은 AI·빅데이터·클라우

드·5G 기술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

을 보유하고 있어, 자국의 기술변화에 따라 해외

진출 업종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텐센트와 알리

바바의 경우, 초기 비즈니스모델이었던 게임, 전

자상거래 업종에서 이제는 핀테크, 헬스케어, 클

라우드, 스마트물류 등으로 영역을 확대 중이다.

중국 디지털기업의 해외진출 방식은 업종별·

기업 규모별로 다양하지만 3가지 공통적인 특징

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림 4> 중국 디지털기업 해외진출의 거시환경(PEST) 분석

자료 : 저자 작성.

Page 9: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88 K I E T 산 업 경 제

첫째, 중국 디지털기업은 국내 사업모델을 현

지에 그대로 적용하는 ‘Copy from China’ 전략14)

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한다. 중국의 디지털기

업들은 그동안 축적된 빅데이터, AI 기술을 통해

온·오프라인 시장을 융합시켜 왔으며, 이러한 기

술을 해외시장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해외시장의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알리바바의 경우, 중국에서 성공

한 알리바바의 신유통 생태계를 지역의 특성을 고

려하여 동남아 지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동남아

지역에 알리바바의 생태계를 구축해가고 있다.

둘째, 현지 기업의 지분 투자 및 인수를 통한 현

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텐센트, 알리바바, 징

동, 바이트댄스 등 중국의 주요 디지털기업은 모

두 현지 기업 인수를 통한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현지 기업 인수를 통해 현지 정보와 언어를 기반

으로 시장에 침투하여 현지 브랜드로 인식하도록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알

14) 2017년 11월 23일 개최된 ‘한중 이노베이션 플라자’에서 레전드 캐피

털(君联资本) 신창훈 부총재 발표 내용을 일부 발췌하였다..

리바바가 동남아의 아마존이라고 불리는 라자다

(LAZADA)를 인수하여 현지 언어로 서비스하면서

철저히 현지 브랜드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최

근에는 온라인 결제 플랫폼 ‘헬로페이(Hello Pay)’

까지 인수하면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

아, 필리핀에까지 알리페이를 진출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디지털기업은 동남아시아 시

장을 주요 해외진출 타깃으로 삼고 있다. 최근에

는 미국, 유럽보다 싱가포르, 인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남아시아

시장은 중국 디지털기업의 격전지로 새롭게 부상

하고 있다. 인구 6억 5,000만명의 동남아시아 시

장은 소비자 평균 연령이 24~30세이며, 각 산업의

주요 소비자층이 20~25세로 디지털 플랫폼 서비

스 분야에서 최적의 시장으로 평가된다. 특히 동

남아 인구 중 인터넷 사용인구는 3억 4,000만명으

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

며, 모바일 보급률이 높아 디지털 시장의 잠재력

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표 4> 중국 주요 디지털기업의 해외투자 특징

텐센트 알리바바 징동 바이트댄스(틱톡)

주요 콘텐츠게임, 핀테크, 음악유통 및 영상서비스

전자상거래, 스마트물류, 알리페이 등

전자상거래, 공유서비스

동영상 SNS플랫폼

진출지역인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한국, 미국, 유럽 등동남아, 중남미, 러시아, 유럽 등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유럽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동남아, 미국, 브라질

진출방식 지분인수, 투자 지분인수, 지사설립,

업무제휴지분인수 지분인수, 지사설립

주요 경쟁사페이스북, 구글,

유튜브 등 이베이, 아마존 이베이, 아마존 유튜브, 인스타그램

투자의 특징중소 스타트업 중심으로 인수

현지 거대 업체와의 제휴 및 인수를

통해 현지시장 공략

현지 거대 업체와의 제휴 및 인수를 통해

현지시장 공략

현지 업체 인수,적극적인 마케팅

자료 : 저자작성.

Page 10: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2 0 2 0 0 2 89

산 업 경 제 분 석

중국 디지털경제는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디

지털 기술이 각종 산업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서

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기업들이 생겨났으며, 이

러한 디지털기업들은 해외진출을 확대하면서 글

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가고 있다. 최근, 미중 간의

통상분쟁이 기술패권 분쟁으로 확산되는 것도 이

러한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기업의 부

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기존의 한중 간의 협력은 제조업에 기반한 수

직적 분업구조의 형태로 이뤄져 왔으나 최근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은 양국에 새로운 협력

모델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동안 단순

비교우위에 의한 전통산업에서의 협력방안은 이

제 한계에 직면했으며, 중국과의 협력을 위한 새

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먼저, 우리도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디지털기

업에 대한 육성과 글로벌 협력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중국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투자

금액에서 BAT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에 달

한다. 디지털 대기업이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그

스타트업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디지털 분

야의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

한 글로벌 기업들은 해외 유수의 스타트업과도 협

력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협력모델을 만들어가

고 있다. 우리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

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을 확

대하고, 아울러 해외시장에서 유망한 스타트업에

대한 선별 투자를 통해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전

략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가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와 중국 디

4. 시사점

Page 11: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854|1|2020... · ø ò ¡ a ö ; # u Ø Õ d Ì º 80 kiet 산업경제 중국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90 K I E T 산 업 경 제

조은교동북아산업실·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044-287-3828<주요 저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중국산업의 발전과 협력방안(2018, 공저)•한중 신산업 발전전략과 산업협력(2017, 공저)

지털기업에서 수요가 있는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찾아야 한다. 중국 디지털기업은 국내 기

업과 비교할 때 자본력,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기술, 사업화 역량 등이 우리보다 우수하

다. 우리나라의 경우 게임,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

분야와 자동차, 반도체 등의 제조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바이두

는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와 자율주행차 부분에

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며, 바이두와 삼성전자

는 AI 반도체 생산에서 협력하고 있다. 따라서 우

리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중국 내 디지털기

업에서 수요가 있는 틈새시장을 찾아 디지털 분야

에서의 새로운 협력모델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측면에서는 한중 간 디지

털 분야의 협의체 운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기존 한중 디지털 분야 협의체의 경우 장관급 협

의체가 대부분이며 연 1회에 그치는 등 활발한 교

류를 통한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 미미하다. 기존

디지털 협의체에서 분과위를 신설하고, 개최 수

를 확대하여 디지털 분야 간 공동연구개발, 전문

인력 교류확대, 공동창업 지원 등의 실무적인 협

력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