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대한 -...

17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pp. 23-39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대한 評價準據 * 《요약》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현시킬 있는 혼합학습(Blended-Learning)과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문제 중심 혼합학습 모형의 실제 활용에 대해서는 모형의 단계별로 학습자 교수자 활동, 그리고 합학습 전략이 구체화된 세부 수업지도안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문제중심 혼합학습의 절차 주제 문제의 특성, 상황에 따라 변형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수업지도안의 작성 역시 상황에 따라 단계 활동이 부분적으로 달라질 있다. 혼합학습 수업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하여 실험집단에게 모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설문조사한 결과,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업모형이 혼합학습의 개념과 활동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본 모형을 교육현장 적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수업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충족시키면서 다양하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구현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패러다임, 혼합학습(Blended-Learning),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Ⅰ. 머리말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교육부문에 있어서도 끊임없는 혁신과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은 나날이 증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2가 2-1 용산고등학교 교장 - 23 -

Upload: others

Post on 20-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pp. 23-39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김 걸*

《요약》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 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 시킬 수 있는

혼합학습(Blended-Learning)과 문제 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결합을 시도하 다. 문제

심 혼합학습 모형의 실제 활용에 해서는 모형의 단계별로 학습자 교수자 활동, 그리고 혼

합학습 략이 구체화된 세부 수업지도안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 다. 문제 심 혼합학습의 차

는 주제 문제의 특성, 상황에 따라 변형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수업지도안의 작성 역시 상황에

따라 각 단계 활동이 부분 으로 달라질 수 있다. 혼합학습 수업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하여 실험집단에게 모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설문조사한 결과, 문제 심학습을 한 혼합학습 수

업모형이 혼합학습의 개념과 활동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 으며, 본 모형을 교육 장

에 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문제 심학습을 한 수업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충족시키면서 다양하

고 극 인 교육활동을 구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 다.

주제어: 패러다임, 혼합학습(Blended-Learning), 문제 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Ⅰ. 머리 말

사회의 격한 변화에 따라, 교육부문에 있어서도 끊임없는 신과 패러다임의 환

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은 나날이 증 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2가 2-1 용산고등학교 교장

- 23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해 각 교육청별로 다양한 교사 재교육 로그램이 도입 운 되고 있다.

직교사를 상으로 시행되는 재교육 로그램에 있어서 가장 크게 문제되는 사항 의

하나로 시간 공간 제약에 따른 문제 을 들 수 있다. 먼 시간 으로는 교사들이 학기

에는 별도로 재교육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가 단히 곤란하다. 더구나 다양한

학생지도활동, 를 들어 수련활동이나 장학습의 경우 담임교사 없이 진행되기는 어렵고

이로 인해 교사들의 수업불참 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교사 재교육이 아무리 요하다고

하더라도, 실제 진행되고 있는 교육활동을 포기하면서 까지 이루어질 수는 없다. 그 다고 방

학 에 모든 교사 재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시설문제, 교사 휴식문제 등이 야기되어 용될

수 없는 것이 실이다.

즉, 갈수록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과 재교육해야 할 로그램은 늘어나고 있는데 반하여,

시간 공간 제약에 따른 비효율성으로 인한 교사들의 물리 부담은 갈수록 증 되어 가

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교육 장의 실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물리 부담을 일 수 있는 방

안에 한 종합 이고 체계 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오늘날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의 하나인 혼합학습 방식에 의한

실제 수업을 구 하는 데 있어서 필연 으로 제기되는 혼합학습에 한 평가 거의 문제를

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새로운 학습방법인 혼합학습에 한 평가 거에 있어서 오 라인에서의 평가는 통

인 평가방법을 보완하여 시행할 수 있으나, 온라인 교육에 한 평가는 아직 평가체계가 정

립되지 않고 있다. 온라인 평가의 특성에 기인한 당면한 문제 과 한계를 탐색해보고, 온라인

교육평가가 갖고 있는 새로운 가능성에 해 고찰해 으로써 온라인 교육의 성과를 극 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의 평가 거와 평가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Ⅱ. 혼 합 학 습 의 평 가 거

1. 평 가 의 특 성 과 구 성

문제 심 혼합학습에 있어서 오 라인 학습결과에 한 평가는 기존의 통 인 학습평

가방법을 그 로 보완해서 용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결과에 한

평가는 평가의 기 , 즉 거에 한 새로운 설정이 필요하다. 문제 심 혼합학습의 교육

- 24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온라인 학습결과에 한 합리 인 평가 거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평가가 달매체를 통하여 간 으로 평가되는 온라인 공간을

배경으로 할 때는 그 특성으로 인한 새로운 가능성과 다른 한계가 공존하게 된다. 학습자

의 성장 잠재력을 진단하고 개발하는 에서는 많은 가능성으로 다가오지만, 평가의 객 성

과 공정성 측면에서는 새로운 장애에 부딪히고 마는 것이다.

온라인 교육평가의 특성은 ①온라인 공간 내에서 평가자나 피평가자 모두 원하는 시간에

평가를 하거나 받을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한다.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수시로 평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학습ㅂ자의 자율성을 증신

시킴으로서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②온라인 네트워크는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단선 계에서 이루어졌던 통 인 평가를

다수가 참여하는 복합 인 형태의 평가활동으로 바 게 된다

③온라인 평가의 주체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학생 스스로가 평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학

업성취도를 평가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④매우 다양한 평가방법을 실 할 수 있다. 동 상, 음향, 그림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행평가도 온라인 평가가 가능하다. 기존 지필평가에 비해 학습자에게 양질의 교

육 경험을 하게 해 다.

⑤연속 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많은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학습자의 변화과정을 추 하기

용이하다. 즉각 인 피드백이 가능하며, 필요한 추후 학습내용 방향을 미리 설정해서 제공

해 수 있다.

⑥평가의 기능인 교수 기능을 최 화 할 수 있으며, 평가의 최종목표인 지 측정의 수

까지 평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

⑦학습자에 한 폭넓은 정보수집과 방 한 평가결과에 한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 개

선이나 교수법에 변화를 수 있다.

이상의 특성을 살펴볼 때, 온라인 교육평가의 제는 ‘자율성’과 ‘윤리성’으로 볼 수 있

다. 자율성을 시하는 온라인 평가의 경우 윤리성이 상실되면 평가의 공정성은 결여될 수

있다. 온라인 평가는 개인존 , 자율성, 윤리성이 확보되는 상황에서만이 원활하게 실시 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교육의 기능을 극 화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평가의 한계로서 ① 리시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부담이 주어지는 평가

의 경우에는 반드시 물리 공간에서의 신분확인이 필요하다.

- 25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②컴퓨터나 네트워크의 성능에 평가가 향을 받는다. 동화상 등 용량의 문항일 경우

반응속도의 차이에 따라 향을 받을 수 있다.

③체육이나 가정․실과 교과에서의 실기시험 실시에 어려움이 있다. 학습자 자신의 신체

활동을 통한 평가나 교육 효과를 얻기는 쉽지 않다.

④ 수학교과의 경우 별도의 종이에 계산을 한다거나 국어나 어교과의 경우 긴 지문을

스크롤바를 움직여서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⑤온라인 교육평가와 제작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게 되며, 검사내용 문가뿐만 아니라

컴퓨터 서비스를 한 지원조직, 리조직 등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방법의 하나로 온라인 평가를 시행하는 경우에 평가목 은 학습자들이 모두 설정한

학습목표에 성공 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돕기 한 것이다. 평가내용은, 온라인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달된 교수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 이다. 교육평가의 주체는 교사나 학생,

는 그 이외의 구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구나 교육평가의 주체로 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평가 시기는, 교수-학습활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시간 인 제한 없이

연속 으로 실시될 수 있다. 평가시기가 미리 고정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온라인교육평가가

교육방법으로 활용될 경우에는 객 성이 공정성보다 특히 교육 성과를 극 화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를 도입해야 한다. 교육평가의 결과도 수와 같은 수량 표 보다는 교사의 질

의견을 제시하는 형태로 보고하는 것이 좋다. 교육방법으로서의 온라인 평가에서 얻을 수 있

는 정보는 교사의 교수활동 개선을 한 정보, 학생의 학업성취에 한 진단 정보, 개별화

수업 수 별 수업진행을 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성 평가 방법의 하나로 온라인 평

가를 시행하는 경우 평가목 은 학업성취도를 악하여 성 을 매기는 것이다.

평가내용은 온라인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 모두에게 공통된 내용이어야 한다. 평가주체

에서도 자유로울 수가 없다. 평가주체가 지나치게 개방 일 경우에는 평가의 공정성이나 객

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평가 시기는 학기말이나 학년말 등 일련의 교수-학습활동

이 종료된 시 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온라인 교육평가가 성 평가 방법으로 활용될

경우에는 채 자의 주 성 개입을 최 한 방지하기 해 객 인 채 기 의 개발, 실습을

통한 채 자의 채 능력제고, 2인 이상의 채 을 통한 신뢰도 제고 등 철 한 여건이 마련되

어야 한다.

교육평가의 결과인 객 인 수와 함께 교육 의견을 질 인 형태로 제시해 주는 것

도 필요하다. 이처럼 성 을 결정하기 한 수단으로 구성된 온라인 교육평가의 결과는 일차

으로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 에 한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교사의 교수활동의 효과 단

- 26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등의 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강창동, 2001).

2 . 평 가 거 와 방 향

일반 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는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에 하다고 가정하

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로 온라인 공간에서는 학교 교육상황에서보다 훨씬 다양한 평가를 시

행할 수 없다 .

학습자의 학습빈도와 련해서 보면, 온라인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얼마나 열심히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다. 그 다고 학습이 끝난 후 총 평가에만 의존하여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한다면 평가를 통한 교육 효과를 제 로 거두기 어렵다.

학습결과 평가는 학습을 통해 최종 으로 얻어진 지식 정도를 수업이 끝난 후 일제히 검사하

는 것이 아닐, 학습과정 동안 학습자의 상호작용 하나하나에 담겨진 의미를 분석하고, 학습자

가 진정으로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는가에 한 해석을 내리는 작업이다. 즉 학습자가

자신의 주 과 독창 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가, 상호 련 있는 아이디

어를 조합하고 의미있게 제시하는가, 그리고 학습 자료와 도구들을 히 사용하는가 등이

평가의 거가 되어야 한다. 한 기존의 수업에서는 교사 1명이 학 체를 평가했지만 온

라인 교육에서는 교사, 동료 학습자 상호평가, 자기평가의 방법을 히 혼합할 수 있다(김

경희, 2004). 한 학습자가 교육 시스템에 얼마나 자주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도 사용

할 필요가 있다. 이때 단순히 시스템에 속한 빈도수만을 볼 것이 아니라 정기 으로 강의

계획서에 제시된 단원별로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사는 단원에 따라 학습에 필요한 소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원별 학습을

한 속시간도 학업성 평가를 해 고려할 수 있는 평가 거가 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에서는 직 인 질문이 어렵다. 이런 경우 학습자가 언제든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질문의 빈도나 내용을 평가 거에 포함시킨다.

한 교사는 다양한 토론주제를 제기하여 학습자들의 토론을 유도한다. 교사도 함께 토론

에 참여하여 문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토론을 통한 학습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토론평가 시 요한 평가 거는 토론에의 참여빈도보다 토론내용의 질이 되어야 한다.

즉 어떤 게시물이 보다 높은 수 의 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게시

된 이 수업의 활성화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토론 내용이 주제를 벗어나지 않았는지, 다양한

정보탐색을 통해 유용한 의견을 제시했는지, 새로운 에서 근한 아이디어인지를 단하

여 게시물의 질을 어느 정도는 평가할 수 있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참여도가 평가의 요

- 27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요소가 되는 것은 학습자들의 활발한 참여, 상호작용이 그만큼 온라인 수업에서 많은 비 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질 인 요소에 한 평가는 객 인 평가에 어려움

이 따르는 만큼 무 높은 배 을 부여하기보다는 학습자 개개인의 성향이나 능력을 악하

는 참고사항으로 이용하거나, 학습 결과 평가의 가산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김경

희, 2004).

온라인 교육 실시 이나 교육 에 과제물을 부여할 수 있다. 교사들은 제출된 과제

물을 즉각 검토하여 신속하게 학습자에게 되돌려 수 있다. 과제물의 내용이 부실할 경우

에는 교사가 조언한 내용을 참조하여 다시 제출하게 하여 학습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런 과

정을 통해 과제물의 내용은 평가의 요한 거로 삼을 수 있다.

한편 온라인 교육평가가 객 인 학력을 인정하기 한 목 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국

가 수 는 장 학교와는 별도의 차원에서의 평가 거와 평가체제가 필요하다. 온라인 교

육은 다양한 선택교과의 제공과 수 별 학습자료 제공을 통하여 개별 학습자들이 자신의 요

구와 필요, 성, 수 , 환경에 따라 한 교육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

공해 다. 개별 학습자들의 자율 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학습이 공식 인 학

이수 혹은 교육과정 이수로 인정받기 해서는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진 교육에 해 객 인

학력인정을 수행하는 평가 거와 평가체제가 필요하다.

온라인 교육평가는 온라인 공간이 허용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최 로 실 하면서도 이에

부가되는 문제 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 되어야 한다. <표1> Vennett(online)은 온라인

교육평가의 발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며, 재의 교육평가 단계는 고작 1단계에 머물러 있

다고 주장했다(<표1> 참고) 온라인 교육평가 1단계는 기존의 학교교육 장에서 사용되던 지

필검사가 다만 컴퓨터라는 시스템의 지원을 받아 시행되는 단계를 말한다.

온라인 교육평가 2단계는 평가 상황에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합하고 통 인 선택형 문

항과 함께 에세이 문항, 구술시험 등까지 평가할 수 있다. 자동 인 문항출제, 자동채 등

평가과정의 효율성이 제고되며, 교수 로그램과 수행평가의 통합을 통해 기존에는 측정할 수

없었던 새로운 능력에 한 측정을 시도한다.

온라인 교육평가 3단계는 자 네트워크 기능을 최 로 활용하여 원격으로 평가를 시행

한다. 가상 실을 포함한 시뮬 이션을 활용하여 컴퓨터와 개인이 보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을 할 수 있다. 특히 교수와 평가가 완 통합되어 학습자의 수행은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장기간 반복 으로 표집․평가되며, 평가결과는 다시 교수-학습과정에 반 된다. 이 단계에서

비로소 평가를 통한 교육 성과를 극 화하는 방향으로 온라인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평가를 통해 기 의 목 만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학습자들의 목 도 달성할 수 있다.

- 28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온라인 평가는 단 1회의 평가를 통해 개인에 해 정을 내리는 통 인 교육평가의

물리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교육 인 가치를 실 할 수 있는 평가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해주고 있다.

<표 1> 온라인 교육평가의 발 단계

단 계 특 징

1 단계

컴퓨터 지원 평가

(Computer-based

tests)

1. 주로 기 의 목 을 지원한다.

2. 검사의 형태가 개별 응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검사를

통해 측정하는 능력이나 검사나 문항의 형태는 통 인 지필검사와

비슷하다.

3. 검사센터에서 1회 측정을 해 시행된다.

4. 공학기술의 일부분만을 활용한다.

2 단계

자평가

(Electronic tests)

1. 주로 기 의 목 을 지원한다.

2. 멀티미디어와 수행평가 등 새로운 문항형태를 사용한다. 자동 인

문항출제, 자동채 , 자 네트워크를 통한 수행평가와 교수 로그램의

통합; 새로운 능력을 측정한다.

3. 검사센터에서 1회 측정을 해 시행된다.

3 단계

R(reinventing) tests

1. 기 과 개인의 목 을 모두 지원한다.

2. 자툴을 통하여 교수와 평가가 통합된다. 따라서 학생의 수행은

장기간에 걸쳐 반복 으로 표집, 평가 된다; 인지 인 원리에 따라

평가가 설계된다.

3. 실제 환경을 모형화한 가상 실을 포함한 복잡한 시뮬 이션을

활용하여 컴퓨터와 개인이 보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한다.

4. 원격으로 평가가 시행된다.

5. 새로운 능력을 평가한다.

온라인 교육에서는 장기간에 걸침 반복 인 측정으로부터 얻은 통합된 정보에 의지하여

평가와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학습자에게 온라인 교육평가는 수업과는 별도로 부담되는 사

건이라기보다는 교수-학습과정에 통합된 하나의 활동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교수와 평가의

통합을 통해 학생의 능력이 지속 으로 검되고 교정되고 평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교육평가에서는 통 인 환경에서는 어려웠던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능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의 공학기술의 활용이 극 시도되

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교육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은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

는 것이다. 온라인 교육평가는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을 시하는 만큼 평가의 타당성은

- 29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다. 특히 평가결과에 따른 학습지원이 제공되기 해서는 평가를 통해

측정하려는 내용을 수 별, 단계별로 설계하는 작업도 필요한 것이다. 평가의 신뢰도 문제도

온라인 교육평가에서는 더욱 심각하게 근되어야 한다. 온라인공간에서는 구나 자유롭게

근이 가능하므로 평가의 신뢰도 확보가 더욱 어려운 문제로 부각되는 것이다. 다만 풍부한

개별정보의 획득이 용이하다는 과 컴퓨터의 계산능력이 무한하다는 을 최 로 활용하여

평가의 신뢰도를 일정 수 이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강창동, 2001).

교육평가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극 화하는 요한 요소다. 교육평가의 내용 방법이

온라인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다. 교수-학습과 평가활동의 통합, 교사와 학습자, 학습

자 상호간의 지속 인 상호작용, 즉각 인 피드백, 컴퓨터 공학기술의 목, 학습과정과 성취

결과의 동시평가 등 온라인 공간이 제공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최 로 구 하는 교육평가를

실 해냄으로써 온라인 교육성과를 극 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표 2>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연수 수요 조사 설문

본 설문은 연수(교육) 반에 걸친 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 연수원의 연수 운 에 참고하고,

나아가 교원의 문성 신장을 한 연수원 발 계획의 기 자료로 활용하기 한 것입니다. 바

쁘시더라도 설문 내용에 해 반드시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5년 6월

서울특별시교육원수원장

※ 행정문의 : ☎ 02-3019-8051~3(이호둔 장학사) / 설문문의 : ☎ 041-850-8824(공주 강신천

교수)

1. 학교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교육청/직속기

2. 교육 경력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20년 미만, 20년 이상

3. 직

교장/교감, 교사, 장학 /연구 , 장학사/연구사

4. 연수 참여회수(최근5년)

0 회, 1 회, 2 회, 3 회, 4 회 이상

5. 연수에 극 으로 참여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 학교 자체 자율연수로 충분해서

(2) 연수에 참여할 시간이 없어서

(3) 참여할 로그램이 없어서

- 30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4) 연수 장소가 무 멀어서

(5) 기타

6-1. (교사만 응답) 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 에서 가장 으로 이루어져야(개설 희망 과정

역)할 연수는 무엇입니까?) ( 요 순서 로 1, 2, 3, 4를 쓰시오.)

(1) 교수-학습 평가방법 개선 ( )

(2) 학습도구 제작 활용방법 ( )

(3) 학 경 생활·상담지도 ( )

(4) 교무행정 교육법 ( )

6-2. (교감, 교장, 문직만 응답) 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 에서 가장 으로 이루어져야(개

설 희망 과정 역) 할 연수는 무엇입니까? ( 요 순서 로 1, 2, 3, 4를 쓰시오.)

(1) 수업 장학 ( )

(2) 학교평가 컨설 과정 ( )

(3) 일반 행정 (회계/시설 등) ( )

(4) 리더십 신 문가 과정 ( )

(5) 기타 ( )

7. 우리교육청은 학력신장을 해 교사의 수업 문성 신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 우리

연수원에서는 교과장학 컨설 문가 과정을 장기연수( 견)를 개설하여 장학역량을 높이어

찾아가는 장학서비스를 구 하고자 합니다. 이를 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합니다. 이러한

장기 연수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필 요하다 (2) 필요 없다

8. 장기연수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3 개월 (2) 6 개월 (3) 9 개월 (4) 1 년

9. 장기연수 과정 연수생 상자 선발 우선순 는?

(1) 수업방법개선 지원단 등 실제 장학 경력이 있는 교사

(2) 연구 실 이 우수한 교사

(3) 수업방법개선 연수 성 우수 교사

(4) 지역 교육청 는 학교장 추천 교사

(5) 기타

10. 2006년도에는 수요자의 요청에 의한 맞춤형 연수를 운 하고 있습니다. 귀하는 맞춤형 연수

를 받아본 이 있으십니까?

(1) 있다 (2) 없다

11. 맞춤식 연수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연수과정과 강사를 우리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서 좋다.

(2) 우리학교 등 가까운 곳에서 연수를 받을 수 있어서 좋다.

(3) 학교 일정에 맞추어서 연수를 받을 수 있어서 좋다.

(4) 다른 직무연수와 다른 이 없다.

(5) 기타

12. 귀하는 2007년도에도 와 같은 맞춤형 연수를 확 하는 것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31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1) 없애거나 여야 함

(2) 행 규모가 함

(3) 확 운 해야 함

13. 우리 연수원에서는 2005년부터 「찾아가는 자율연수」를 연수원 홈페이지에 신청만 하면 지

원하는 one-stop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2007년의 학교 장의 자율연수 지원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없애거나 여야 함

(2) 행 규모가 함

(3) 확 운 해야 함

(4) 강사 인력풀을 제공하고 산은 학교에서 부담하도록 함

14. 지 까지 받았던 자율연수 강좌 기억에 남은 우수강사를 소개해 주십시오.

강사 명 :

소속 는 연락처 :

주제 :

15. 자율연수 지원단 강사로 새로 추천하고 싶은 강사는?

강사 명 :

소속 는 연락처 :

주제 :

16.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평생학습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원의

문성 향상을 해 모든 교원이 자신의 공과목에 해 주기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세계

인 추세입니다. 귀하는 이 방안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주기 연수 : 1 정교사 자격증 취득 후 5년-10년 경과한 교사를 상으로 실시하는 연

수)

(1) 매우 필요 (2) 필요 (3) 보통임 (4) 필요 없음

(5) 필요 없음

17. 생애주기별 교과심화 연수를 실시한다면 언제 실시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학기 (2) 방학 (3) 기타

18. 최근의 연수 방향은 ㉠연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 연수기회를 확 하며 ㉢ 연수비용과 시간

을 이고자 혼합학습(Blended-Learning)을 확 하고 있습니다. 혼합학습이라 함은 온라인으로

할 수 있는 자기 주도 학습과 오 라인 상에서 할 수 있는 문제해결학습, 토론학습, 체험학습

등을 하게 혼합하여 진행하는 연수방식입니다. 이러한 혼합학습 방식의 연수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매우 필요 (2) 필요 (3) 보통임 (4) 필요 없음

(5) 필요 없음

19. 혼합학습 방식의 연수에서 과정의 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온라인 : 오 라인 비율은 어느

정도가 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교육부는 5:5를 권장)

(1) 5 : 5 (2) 6 : 4 (3) 7 : 3 (4) 8 : 2

- 32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Ⅲ. 맺음 말

혼합학습은 학교 교육 장에서 교실수업에 사이버학습을 히 연계함으로써 바람직한

학습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핵심 설계 략인 것이다. 정보와 지식의 격한 증가로 인해

교육의 핵심도 단순한 지식 달에서 학습자 개인의 요구와 특성에 맞는 유용한 정보를 선택

(5) 개강식 날과 수료식 날만

20. 연수기 의 연수과정을 보완하기 하여 특정한 연구기 이나 단체를 특수 분야 연수기 으

로 지정하여 직무연수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수 연수운 이 우수하여 추천하고

싶은 연수기 과 연수과정을 2개만 기재해 주세요.

① 기 명 :

연락처 :

과정명 :

② 기 명 :

연락처 :

과정명 :

21. 특수 분야 연수기 연수 만족도가 낮았던 연수과정은?

기 명 :

연락처 :

과정명 :

이유 :

22. 교육연수원에서 추가로 설치, 운 하여 주기를 바라는 연수 과정이 있으면 우선순 에 따라

한 가지 이상 기재하여 주십시오.

① 시간

② 시간

23. 귀하가 교육연수원에서 연수를 받게 될 경우, 꼭 수강하고 싶은 우수 강사와 주제를 한 가지

이상 기재하여 주십시오.

① 강사 명 :

소 속 :

주 제 :

② 강사 명 :

소 속 :

주 제 :

24. 연수와 련하여 많은 의견이 있으리라 생각되나, 교육연수원에 가장 건의하고 싶은 사항 한

가지만 간략하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 33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하고 조직하며, 실제 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환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시 가 요구하는 인간형을 키워내는데 문제 심 혼합학습은 그 가능성과

활용가치를 새롭게 인정받고 있다(황은숙, 2005).

문제 심학습은 구성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실제 사회에서와 같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

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 주도 인 학습을 추구하는 교수 학습모형이다. 문제 심 혼합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가상공간에 능동 으로 참여하여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바

탕으로 직 인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고, 이 게 양성한 지식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능력을 능동 으로 함양하게 된다.

직교사에게 문제 심학습을 시행할 경우 교육방식에 한 총 인 인식변화를 통해

향후 교육 장에서 환된 인식에 의해 수업에 한 변화와 연구를 지속 으로 추진하게 될

것으로 기 된다.문제 심 혼합학습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에 한 한 평가는 매우 요

하다. 향후 온라인 교육에 한 평가 거는 가 네트워크 기능을 최 로 활용하여 가상 실

을 포함한 시뮬 이션을 활용하여 컴퓨터와 개인이 보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하도록 해야

한다.

교수와 평가가 완 통합되어 학습자의 수행은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장기간 반복 으로

표집평가 되어야 하며, 평가결과는 다시 교수 -학습과정에 반 되어야 한다.

학습자에게 온라인교육평가는 수업과 통합된 하나의 활동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가의 신뢰도를 높여야만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극 화시킬 수 있다.

교육평가의 내용 방법이 온라인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학습과 평가활동의 통합, 교수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지속 인 상호작

용, 즉각 인 피드백, 컴퓨터 공학기술의 목, 학습과정과 성취결과의 동시평가 등 온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최 로 구 할 수 있도록 교육평가의 거가 시 히 확

립․연구되어져야 한다.

- 34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참 고 문 헌

강병재. (1999). 하이퍼미디어 학습환경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략의 문제해결력 증진 효

과. 미출간 박사학 논문. 앙 학교.

강인애. (1998). 문제 심학습: 하나의 구성주의 교수 학습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강인애. (1999). 구성주의 인식론: 발명된 실. 문화사.

강창동. (2001). 학교교육 지원을 한 사이버교육 방안에 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권성호. (2004). 사이버교육체재 실태조사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경희. (2004). 온라인 교육을 한 학습평가 시스템 분석 개선방안. 미출간 석사학 논

문. 서원 정보통신 학원.

김민수, 이연경, 최욱. (2000). 등학교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사회과 문제 심학습 모형.

등교육연구, 14.

김 채. (1996). 사고와 문제해결 심리학-인지 이론과 용. 서울: 박 사.

김주 . (2005). 토론학습을 한 블 디드-러닝(Blended-Learning) 수업모형 개발 연구. 미

출간 석사학 논문. 서울 학교.

김호 . (1997). 학교교육정보화를 한 교사연수 로그램 : 사회과 문제 심학습(PBL)에 의

한 설계 용. 미출간 석사학 논문. 경희 학교.

나동진. (1999). 교육심리학: 인지 근. 서울: 학지사.

류문희. (2005).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성인용 어 에듀테인먼트 연구: Triple EG English 제

작사례를 심으로. 미출간 석사학 논문. 상명 학교.

박인우. (1999). 웹기반 교육의 내용 설계, 웹기반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박진옥. (2004).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병행한 체계 유아 부모교육 로그램 용 연구.

미출간 박사학 논문. 숙명여자 학교.

송해덕. (1996). 메타인지 교수유형과 통제소재가 학습 략 활용에 미치는 효과. 미출간 석사

학 논문. 서울 학교.

신상철. (2003). 비구조 문제해결을 한 웹 기반 문제 심학습환경이 개념이해 문제해

결에 미치는 향. 미출간 박사학 논문. 앙 학교.

오은 . (2003). 문제 심학습에서 구성주의 문제 설계를 한 처방 모형개발. 미출간 석

사학 논문. 숙명여자 학교.

우정한. (2003). 효율 인 통합교육을 한 웹기반 력교수 교사교육 로그램의 개발

용. 미출간 박사학 논문. 구 학교.

- 35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유 . (2001). 인스토 기법이 창의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향에 한 실험연구. 미

출간 박사학 논문. 연세 학교.

이주희. (2005). 사이버 학의 질 리를 한 핵심 역과 평가항목 규명. 미출간 박사학 논

문. 이화여자 학교.

임소인. (2004). 경도장애 학생을 한 문제 심학습 사례분석 연구. 미출간 박사학 논문. 단

국 학교.

임수기. (2005). 효율 인 문제 심 학습을 한 Blended-Learning 기법 연구. 미출간 석사학

논문. 한국교원 학교.

임정훈. (2003). 교실수업-사이버학습 연계를 한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임철일. (1999). 상호작용 웹기반 수업 설계를 한 종합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15(1), 15.

정상민. (2003). 교실수업-사이버학습 연계를 한 커뮤니티 기반 문제 심학습 사례 연구.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최상근, 인식. (2000). 사이버 고등학교의 필요성 설립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등교장회. (2005). 교원 승진제도의 문제 과 개선방안. 한국 등교장회 임원총회 주제

발표 자료.

한병 . (2005). 메타인지 모니터링의 정확성이 자기조 학습 능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향.

미출간 박사학 논문. 북 학교.

황 . (1997). 21세기형 첨단학교, 가상 학 설립 운 에 한 연구. 교육부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

황은숙. (2005).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사회과 문제 심학습이 아동의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

에 미치는 향. 미출간 석사학 논문. 진주 학교.

ASTD. (2001). A vision of e-learning for America's workforc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technology and adult learning. VA: ASTD.

Barrows, H. (1994). Practice-based learning. Th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nk, C. J., & Reynolds, T. H. (1997). Learner-centered web instruction for higher order

thinking, teamwork, and apprenticeship. In B. H. Khan (Ed.), Web 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Inc.

Cordeiro, P., & Campbell, B. (1996). Increasing the transfer of learning through problem

- 36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based learning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Culan, M. J. (1985). The dimensions of perceive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Bennett, R. Reinventing assessment: speculations on the future of large-scale

educational testing. org/research/pic/bennett.html

DeLacey, B. J., & Leonard, D. A. (2002). Case study on technology and distance in

education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Paper.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VI: ASCD.

Driscoll, M. (2002). Blended-learning: E-learning. N.Y.: New York Univ.

Ernst, G. W., & Newell, A. (1969). GPS: A case study in generality and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Hiltz, S. R. (1984). Online communities: A case study of the office of the future. Norwood,

NJ: Ablex.

Johnson, D. W., & Johnson, R. T. (1993). Cooperative learning and feedback in

technology-based instruction. New York: Macmillan Pub. Ltd.

Johnson, D. W., & Johnson, R. T. (1996). Meaningful and manageable assessmen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Edina.. MN: Interaction Book Company.

Jonassen, D. H. (2002). Learning to solve problems online in C.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Kim, Steven H. (1990). Essence of Creativ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iu, M., & Hsiao. Y. (2002). Middle school of students as multimedia designers: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Mantyla, K. (2001). Blended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STD, Toronto:

Routledge.

Moore, M. G., &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Ritchie, D. C., & Hoffman, B. (1997). In corporating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with

the Word Wide Web. In B. H. Khan (Ed.), Web 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Inc.

Rossett, A., Douglis, F., & Frazee, R. V. (2003). Strategies for building blended-learning:

- 37 -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호

Learning Circuits. New York: Jone Wiley and Sons.

Savery, J., & Duffy, T. (1994). Problem-based learning: An introductional media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Singh, H., & Reed, C. (2001).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learning. A White Paper.

Thorne, Kaye. (2003). Blended learning: How to integrate online & traditional learning.

London: Kogan Page.

<Websites 소 트웨어>

http://www.future-education.or.kr/index.php (인텔, 미래로 가는 교육)

http://www.ictadvice.edunet4u.net/intro.jsp ( 국교과교육 ICT 활용 연구회)

http://www.godsky.kongju.ac.kr (강신천교수 GCC 원격강의실)

http://www.seti.go.kr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 38 -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한 評價準據

ABSTRACT

Research int o Charact erist ic and Evaluat ion Conf ormit y

in Problem Based Blended-Learning Models

f or Teacher Training

Kim, Keul

Now it's time for a new paradigm in education. This research has combined blend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Even though re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he limited time and space prevents us from doing retraining

programs. To solve this problem, blended learning was naturally introduced. Th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to get the best educational result in learner-based

learning by emphasizing problem-solving method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s,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thinking ability. this research applied blended learning to the

problem-solving method only. It was dome for teachers, so it must be modified when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When blended learning was implemented, learners' activities, teachers' activities and

blended learning were integrated throughout specific teaching plan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model. A teaching plan for "A new proposal of Promotion System for

Principals" was made to specify the problem-solving method, which is blended learning.

The procedure of blended learning based on problem solving can be adapted according to

the topic and the trait or to the circumstances of the problem.

To prove the reliability of blended learning, the experiment group was given

questionnaires to measure validity and usefulness.

Key words: paradigm, Blended-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