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 gwang river project

6
레드안테나 기획 이수영 홍현숙 박수진 김해심 김주희 김현진 민정수 이소영 이재환 장은석 차명원 최선영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Upload: -

Post on 31-Mar-2016

226 views

Category:

Documents


8 download

DESCRIPTION

Seoul Citygallery project

TRANSCRIPT

Page 1: Bul gwang river project

64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65

레드안테나 기획

이수영

홍현숙

박수진

김해심

김주희

김현진

민정수

이소영

이재환

장은석

차명원

최선영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Page 2: Bul gwang river project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6766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불광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북한산 불광사에서 불광동과 불광천 이름이 유래했다. 위치는 은평구

불광동 424번지 불광2동 불광사에서 시작하여 북가좌동과 수색동의 경계를 이룬 후 경인 철교(수색

동)까지 이어져 홍제천과 합류하여 한강까지 흐른다. 북한산 비봉에서 발원하여, 길이 6.5Km, 면

적: 11,600m2이지만 상류 부분의 하천이 복개되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개천은 응암역에서 한강까

지이다. 불광천과 홍제천 합류지점은 최근의 복합문화공간으로 떠오르는 상암월드컵 공원으로 이어

지고 있고, 2000년 대 이후 불광천 주변은 체육시설과 조경시설 등으로 깔끔해진 편이다. 개천 주변

시설로 산책로, 자전거 대여소, 체력단련시설, 정자 등이 있고 3급수 정도에 사는 어류인 참붕어가

서식하고 있다. 불광천을 끼고 있는 은평구는 주택보급률이 72.89%, 자가주택 소유비율이 71.7%,

지역에 대한 애정이 깊은 안정적인 커뮤니티이다. 개발제한구역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 등 토지이용

규제 지역이 많고 문화서비스는 아주 낙후되어 있다. 영화관 1곳만 있을 뿐,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

문화예술시설(문화기반시설)은 전혀 없는 형편이다.

레드안테나의 초기 제안 방향은 생태적으로 놀기를 통해서 주민들이 불광천 생태에 대한 이해, 인식,

행위를 일으키는 생태-놀이-예술의 컨셉이었다. 생태예술은 생태적인 공간에 미술작품을 설치하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환경 조각이 좋은 환경에 조각품을 갖다가 놓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

것과 같다. 전체성에 대해서 바라보는 생태학은 종과 종의 관계, 에너지의 흐름, 자연과 사람의 관계

를 다루는 학문이다. 생태적으로 개천을 본다는 것은 그곳에 사는 식물, 어류, 곤충류들과 사람과의

관계를 인식하게 하거나, 주변의 경관에 대한 새로운 발견일 것이다. 청계천 이후 개천이 인간을 위

한 조경의 공간이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도 공존의 공간으로, 지구온난화 시기에 개천문화가 주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까지 나아가고 있지는 못하다. 생태+예술로 나아가기에는 서울시나 은평구

주민의 상황이 그리 녹녹치 않다고 판단하여 불광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행위를 중심으로 이용/사

용/향유 방식에 대한 문화생태 쪽으로 컨셉을 잡아나갔다.

사이트 분석

프로젝트 방향

사이트

이미지

Before

image

Page 3: Bul gwang river project

68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69

07 0228 캠페인 사업 불광천 프로젝트 공고

0309 공모설명회

0414 캠페인 사업 #5 아이디어제안 심사

(심사위원 : 원제무/박일호/박만우/최범/김혜정/류제홍/이태호)

0417 캠페인 사업 #5 아이디어제안 결과 발표

이미지행동집단 레드안테나 “불광천에 물이 오르니 미친 흥이 절로난다.” 선정

0424 퍼블릭 샤렛

이광준(도시갤러리 추진단 책임큐레이터), 윤상훈(녹색연합 녹색습지교육원 팀장),

이 섭(미술평론가, 공공미술기획자), 김태수(은평시민회), 정홍규(은평구 공원녹지과 팀장)

0515 캠페인#5 사업 최종 심사 (심사위원 원재무, 박일호, 박만우, 최범, 김혜정, 류제홍, 이태호)

0517 캠페인#5 사업 최종 당선작 발표

최종작 : 레드안테나 “불광천에 물이 오르니 미친 흥이 절로난다.”

0530 1차 큐레이팅 회의

0614 2차 큐레이팅 회의 및 현장답사

0620 3차 큐레이팅 회의(국내외 사례 발표 및 공유)

0625 4차 큐레이팅 회의(행정단위 협의)

0725 레드안테나 “불광천 프로젝트” 계약

1013 레드안테나 “불광천 프로젝트” 설치완료 및 오픈

프로젝트

진행경과

Page 4: Bul gwang river project

70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71

초충도

장소 : 라바댐 양 옆

콘크리트 계단2개소

참여프로그램 :

사생대회(1회),

공부방 미술교실(8회)

작품수 : 2점

작품 규격 :

100m x 4.8m x 2면

작품 재료 :

에코페인트, 유리타일반영구

작품 생애 : 반영구

징검다리 암각화

작가 : 차명원, 염상욱, 이수영

장소 : 불광천에 있는

징검다리 64개

참여프로그램 :

생태탐험 교실(3일)

작품수 : 9개소 64개

작품 규격 :

200x300, 200x150

작업 방식 : 음각(에어툴)

작품 생애 : 영구

공부방 미술교실(8회) | 사생대회(1회) 생태탐험

Page 5: Bul gwang river project

72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73

그림자 노래

작가 : 김주희, 김현진, 민정수

장소 : 불광천 와산교 다리 밑

참여프로그램 :

그림자 놀이(초등학교 아이들) 6회,

노래교실(주부, 인근 주민) 4회

작품수 :

벤치 3개, 샹들리에 1개

작품 규격 :

200x300, 200x150

작업 방식 :

샹들리에-900x900x450,

벤치-4,000x40,000x7,000

작품 생애 :

샹들리에는 철거, 벤치는 5년

눕는 데크

작가 : 김해심

장소 : 불광천 와산교

증산2교 사이

작품수 :

2점(불광천 좌우 안 2개)

작품 규격 :

6,000 x 2,400 x 1,200

작품 재료 : 미송, 방부목,

콘크리트, 자연 나무

작품 생애 : 3년

장기방

작가 : 최선영, 이재환

장소 : 불광천 신응교 밑

참여프로그램 :

장기바둑교실, 장기토너먼트

작품수 : 1점

작품 규격 :

평상-12,000x3,000x2,000,

간판-5,000x20,000

작품 재료 : 미송 방부목, 페인트

작품 생애 : 5년

불광천 노래무대(4회) | 그림자놀이(6회)

장기토너먼트(32강) | 장기바둑교실

Page 6: Bul gwang river project

개천에서

공공미술

나다

75

작가

소개

인간중심적 세계에서 동물권과 생물권을 변호하고, 자연의 의미를 미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존재로서

예술가의 존재가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과정에서 공동체에 관계하는 공공미술은 그 특성상 긴

장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주민들은 긴 시간동안 형성된 미적 인식, 지각틀이 있고 그것에 대한 신념

은 이데올로기, 정치적, 종교적인 것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문화예술교육 기반 공공미술은 어떻

게 가능한가? 생태적 공간에서 공공미술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가? 불광천 프로젝트 공공미술 작

품은 커뮤너티 기반 공공미술의 두가지 다른 방법론으로 전개된다. 한 방향은 참여프로그램이 선행되

고 그 결과로 작품이 완성되는 것이고, 다른 방향은 주민들의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가능한 인프라 디

자인을 먼저하고, 그 다음에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인프라 디자인을 활용한 사용법을 주민들이 인식

하게 함으로써 작품이 완성되는 방향이다. 전자인 참여 프로그램 후 작품 완성은 초충도, 징검다리 암

각화 두 작업이 해당되고, 후자인 인프라 디자인 후 프로그램 진행 결과 작품 완성은 그림자 노래, 장

기방, 눕는 데크가 해당된다.

① 징검다리 암각화(차명원, 염상욱, 이수영)은 3일 동안의 생태탐험 교실에서 아이들이 만든 그림

을 바탕으로 불광천 곳곳에 있는 징검다리를 바탕으로, 음각으로 동물, 식물 암각화를 만들었다. ②

초충도(홍현숙 외)는 은평구에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이 참여하는 사생대회와 8회의

공부방 미술교실에서 1000여장 정도의 아이들의 풀과 곤충과 새 그림을 원본을 밑그림으로 가지고

유리타일 벽화를 4개월 동안 만들어 갔다. ③ 장기방(최선영, 이재환)은 넓은 평상 및 장기방 간판 설

치한 후 장기바둑교실과 32강의 장기 토너먼트를 통해서 노년, 장년층의 자생적인 장기내기 공간을

문화적 공간으로 만들어갔다. ④ 그림자노래(김주희, 김현진, 민정수)는 와산교 다리 밑 공간에 곤충

을 재현한 전구 상들리에와 긴 벤치 3개를 제작하여 설치한 후 불광천을 이용하는 주민의 층에 따라

서 두가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아이들과는 밤에 그림자 놀이를 하고, 지역 주민분들과는 낮에

노래교실을 열었다. ⑤ 김해심은 20년간 야투 활동과 더불어서 자연미술활동을 해온 작가이다. 눕

는데크는 개천 공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조망점에 정서적 공간을 만드는 일이다. 주변의 공간과 사물

을 재인식할 수 있도록 주민들을 이끄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⑥ 라운드테이블(이수영)은 전체 기

획 차원에서는 사전준비의 성격과 불광천 주민과 예술가가 불광천의 생태적 문제, 문화적 문제에 대

해서 서로 토론을 하는 자리로 3회가 진행되었다.

공공예술에서는 어떤 컨셉이냐 보다 컨셉에 도달하는 과정과 그 방법이 사람과의 소통을 만들고, 자

발적인 표현의 과정을 형성하느냐가 중요하다. 예술가가 ‘작품’이라는 최종 콘텐츠에 모든 과정을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공공미술 작품이 기억되고, 공공의 순간의 형성

을 하고 그러한 기억의 순간을 통해서 구축된 커뮤너티의 경험이 ‘작품’을 풍부하게 하고 지속하게

한다. 작업 과정-작품 결과의 변증법. 환경미학적 접근으로 본다면 공공미술은 새로운 지각매트릭

스를 만드는 것이다.

작품

평가

및 설명

기획

이수영 기록, 기억, 아카이브에 관한 언어를 실험하고 연구하는 미술작업을 하고 있다. 개인전 <기록-증명

> (2006. 서울 인사미술공간 기획전)은 호적등본 같은 관공서의 서류, 학교 상장, 핸드폰 통화 내역 등으로 한 개인을 서술

한 작업이다. 조선 태종실록에 전해지는 양반의 딸과 사노의 슬픈 사랑이야기를 픽션으로 추적 발굴한 <검은 상처의 부르

스> (2007. 대구 삼덕동 불타 버려진 삼덕 맨션 203호. 대구광역시 <분지의 바람> ) 공터에서 배추심기, 돌탑 쌓기, 쓰레

기 발굴 등을 하면서 슈퍼, 고물상, 노인회, 소방서, 동사무소를 돌아다니며 공터 주인을 추적하는 <상상의 공간-마을공터

> (2006. 경기도 고양시 행신동 마을공터. 경기문화재단 <10개의 이웃>)가 있다. 오리의 겨울철 이주 경로, 쭈꾸미 요리

법 등을 설치한 <쭈꾸미, 오리, 그리고 전어의 書> (2006. 군산시 해망동 빈집 안방. 문화관광부 아트인 시티 <천야해일

>) 등이 있다. [email protected]

홍현숙 2000년 인사동 육교설치 프로젝트, 2002년 오두산 통일전망대 설치 프로젝트, 2006년 경기문화재

단 ‘열 개의 이웃’ <Imagine 무원삘딩> 간판 설치전 등의 공공 공간 및 지역 사회 작업 등을 했다. 2005년 ‘풀과 털전’(대

안공간 풀 초대전), 2006년 비니루 방(관훈갤러리) 개인전을 통해 작업 세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honghyunsook@

nate.com

박수진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미술학 박사를 마쳤다. 현재 2008 부산비엔날레 바다미술제

전시팀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2007년 문화관광부 아트인시티 사업 평가위원도 맡았다. 한국예술학회 사무국장, 아트스페

이스와 학고재에서 7년 정도 큐레이터로 활동을 했다.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서울시립대 환경조형과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

으며, 시각예술 작품 해석에 쟈끄 라깡의 정신분석학 적용하는 논문을 썼다. 김해심론, 이수영론, 윤석남론, 백기영과 임흥

순론, 민정수론, 김필례론, 최원석론 등 다수의 작가론을 꾸준히 써오고 있다.

참여 작가

김해심 런던대학교 첼시 미술대학원 종합매체전공 졸업했다. 다수의 개인전을 열고, 전시에 참여했다. 대

표적으로 2006 쾌적한 공포 (대안미술공간 소나무, 안성), 2006 릴리엔펠드 랜드아트 심포지엄(릴리엔펠드,오스트리아),

2005 자연으로부터의 작업전(공주, 부산, 수원, 파주), 2004 임진강 시각예술축제 (임진강, 파주 적성면), 2003 하이키 야

외미술 표현전(동경전기대학교, 동경), 2002 재건축 프로젝트 (잠실 5단지, 서울)을 들 수 있다. 단체전으로는 2001 창조

와 숲의 목소리 요코하마 야외미술전(도부수노모리공원, 동경)이 있고, 워크숍 참여는 2007-1986 사게절 야외워크샵 81

회(담양, 수원, 강원도, 공주 등 한국의 자연공간)가 있다.

김주희 상명대학교 무용과 졸업하고, 한국종합예술학교 무용원 창작과 전문사 과정에 있다. 2006년

MODAFE (Modern Dance Festival) 이경은 안무 <&quot갈증&quot> 외 다수 공연 출연했다.

김현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했다. 한중일 교류전에 참여했고, 2008년 아트팩토리 in 다대포?입

주작가로 선정되었다.

민정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했다. 2006에는 개인전으로 “터무니없는 이야기”(큐브 스페이스)를

전시했다. 1993년 이후로 다양한 그룹전과 초대전에 참여했다.

이소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과 졸업하고, 2006년 <in put out put>(대안공간M) 전시를 했다.

이재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했다. 2007년 <들 썩 展>( 동덕 갤러리) 전시에 참여했고,

장은석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학과 졸업했다. 2008 LOVE LETTER POST BOX EXHIBITION (갤러

리 마다가스카르)를 준비하고 있다.

차명원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학과 졸업했다. 2008 LOVE LETTER POST BOX EXHIBITION (갤러

리 마다가스카르)를 준비하고 있고, 2007 에피소드-제1막(갤러리 각) 전시와 아트 인 시티 2006 철산동 프로젝트에 참

여했다.

최선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했다. ‘문화도시 고양을 생각하는 문화예술인의 모임’ 활동가이

고 2004년에는 「복숭아 프로젝트 - 무릉도원」(합정동 빈 집), 「Playing展」(충무로 영상센터 ‘오!재미동), 2003년에는

홍익대학교 11회 거리미술전에서 전시를 했다.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캠페인

#5

불광천

프로젝트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