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00 권호사항 : vol.13 no.4 [2009] 발행처 : …

59
51-100 유아교사 윤리강령을 토대로 분석한 동료 관계에서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and Coping on Thei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제어번호 : 81689610 저자명 : 임정수,이완정 학술지명 :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 Vol.13 No.4 [2009] 발행처 :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529-554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09 KDC : 300 등재정보 : 등재 주제어 : 유아교사 윤리강령,동료 간 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동료관계 증진방안 본 연구는 영유아의 질 높은 교육 권리 확보를 위해서 유아기관의 교사들이 긍정적으로 협력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유아교사 윤리강령을 토대로 유아교사 관계에서 발생하 는 스트레스의 양상과 대처방식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동료교사 관계가 증진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11명이었으며, 자료는 NAEYC 유아교사 윤리강령 중 동료교사 관계의 이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척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동료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는 윤리 강령의 이념을 거스르고 있으며, 이에 대해 유아교사는 상대에게 직접 이를 고치도록 말하는 등의 적극적 대처와 참고 상대를 피하는 등의 소득적 대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윤리강령의 이념을 지키는 긍정적 행동을 동료 관계 증진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었 다.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Ⅵ.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on the teaching efficacy at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제어번호 : 82504589 저자명 : 이제화(Lee, Jea-hwa)

Upload: others

Post on 23-Oct-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51-100

유아교사 윤리강령을 토대로 분석한 동료 관계에서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and Coping on Thei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제어번호 81689610 저자명 임정수이완정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13 No4 [2009]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29-55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 윤리강령동료 간 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동료관계 증진방안

본 연구는 영유아의 질 높은 교육 권리 확보를 위해서 유아기관의 교사들이 긍정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유아교사 윤리강령을 토대로 유아교사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양상과 대처방식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동료교사 관계가 증진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11명이었으며 자료는 NAEYC 유아교사 윤리강령 중 동료교사 관계의 이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척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동료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는 윤리강령의 이념을 거스르고 있으며 이에 대해 유아교사는 상대에게 직접 이를 고치도록 말하는 등의 적극적 대처와 참고 상대를 피하는 등의 소득적 대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윤리강령의 이념을 지키는 긍정적 행동을 동료 관계 증진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Ⅰ서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Ⅵ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on the teaching efficacy at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제어번호 82504589 저자명 이제화(Lee Jea-hwa)

학술지명 유아특수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0 No4 [2010] 발행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ecse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5-133 발행년도 2010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전문성 인식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for the special childrenprofessional perceptionjob stress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보육 수행과 서비스 질의 지표가 되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특수교사 치료교사 17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성 인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사회적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으로 원아지도 및 관리 스트레스가 높았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일반적 효능감이 개인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인식과 다소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업무 및 지원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또한 개인적 효능감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일반적 효능감에는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level and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job stress and th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as well as to analyze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that is the index of nurturing special children and service quality and the influenc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171 nurturing teachers special teachers and treatment teachers working in the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located in Daegu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perception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social necessity is recognized relatively high Job stress is general level where caring for the children and instruction stress are high Teaching efficacy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general efficacy is found to be higher than individual efficacy Second teaching efficacy showed relatively high static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perception and significant improper correlation with job and application stress the lower area of

job stress Third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ower area of professional perception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individual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necessity to general efficacy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 사회정서적 행동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제어번호 99823160 저자명 신지연 ( Ji Youn Shin ) 학술지명 아시아아동복지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11] 발행처 대한아동복지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00 주제어 양육스트레스사회정서적 행동교사-유아관계parenting stresssocio-emotional behaviorsteacher-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관계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교사-유아관계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20명의 만 3세-5세 유아와 그 어머니들 그리고 12명의 교사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본인들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에 대하여 답하였으며 담임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질문지에 답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관계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별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예 쉽게 산만해지며 주의집중이 어려움) 품행문제행동(예 자주 화를 참지 못하고 분출함) 및 낮은 친사회적 행동(예 친구의 기분을 무시하고 배려하지 않음)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20 three-five year-olds (108 boys 112 girl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atings of their parenting stress and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ne another Especially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parenting tasks)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child`s conflictive relationships through negative socio-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nduct problems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a low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562060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김소양 ( So Yang Kim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6 No4 [2009]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19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지능직무스트레스보육교사Emotional IntelligenceJob StressChild 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이상(5점 만점에 338)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인식 자기동기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연령 경력 그리고 결혼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 정도(5점 만점에 228)로 나타났으

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Program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제어번호 99667700 저자명 김유진 ( Yu Jin Kim )류경희 ( Kyung Hee Ryu ) 학술지명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5 No2 [2013] 발행처 한국특수아동학회 발행처URL httpkacsnwebriss4u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1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학술지명 유아특수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0 No4 [2010] 발행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ecse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5-133 발행년도 2010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전문성 인식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for the special childrenprofessional perceptionjob stress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보육 수행과 서비스 질의 지표가 되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특수교사 치료교사 17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성 인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사회적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으로 원아지도 및 관리 스트레스가 높았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일반적 효능감이 개인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인식과 다소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업무 및 지원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또한 개인적 효능감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일반적 효능감에는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level and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job stress and th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as well as to analyze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that is the index of nurturing special children and service quality and the influenc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171 nurturing teachers special teachers and treatment teachers working in the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located in Daegu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perception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social necessity is recognized relatively high Job stress is general level where caring for the children and instruction stress are high Teaching efficacy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general efficacy is found to be higher than individual efficacy Second teaching efficacy showed relatively high static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perception and significant improper correlation with job and application stress the lower area of

job stress Third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ower area of professional perception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individual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necessity to general efficacy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 사회정서적 행동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제어번호 99823160 저자명 신지연 ( Ji Youn Shin ) 학술지명 아시아아동복지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11] 발행처 대한아동복지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00 주제어 양육스트레스사회정서적 행동교사-유아관계parenting stresssocio-emotional behaviorsteacher-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관계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교사-유아관계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20명의 만 3세-5세 유아와 그 어머니들 그리고 12명의 교사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본인들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에 대하여 답하였으며 담임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질문지에 답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관계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별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예 쉽게 산만해지며 주의집중이 어려움) 품행문제행동(예 자주 화를 참지 못하고 분출함) 및 낮은 친사회적 행동(예 친구의 기분을 무시하고 배려하지 않음)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20 three-five year-olds (108 boys 112 girl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atings of their parenting stress and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ne another Especially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parenting tasks)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child`s conflictive relationships through negative socio-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nduct problems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a low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562060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김소양 ( So Yang Kim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6 No4 [2009]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19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지능직무스트레스보육교사Emotional IntelligenceJob StressChild 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이상(5점 만점에 338)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인식 자기동기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연령 경력 그리고 결혼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 정도(5점 만점에 228)로 나타났으

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Program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제어번호 99667700 저자명 김유진 ( Yu Jin Kim )류경희 ( Kyung Hee Ryu ) 학술지명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5 No2 [2013] 발행처 한국특수아동학회 발행처URL httpkacsnwebriss4u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1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Third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ower area of professional perception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individual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necessity to general efficacy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 사회정서적 행동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제어번호 99823160 저자명 신지연 ( Ji Youn Shin ) 학술지명 아시아아동복지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11] 발행처 대한아동복지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00 주제어 양육스트레스사회정서적 행동교사-유아관계parenting stresssocio-emotional behaviorsteacher-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특성과 교사-유아관계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교사-유아관계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20명의 만 3세-5세 유아와 그 어머니들 그리고 12명의 교사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본인들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에 대하여 답하였으며 담임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질문지에 답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 사회ㆍ정서적 행동 및 교사-유아관계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별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예 쉽게 산만해지며 주의집중이 어려움) 품행문제행동(예 자주 화를 참지 못하고 분출함) 및 낮은 친사회적 행동(예 친구의 기분을 무시하고 배려하지 않음)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20 three-five year-olds (108 boys 112 girl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atings of their parenting stress and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ne another Especially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parenting tasks)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child`s conflictive relationships through negative socio-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nduct problems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a low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562060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김소양 ( So Yang Kim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6 No4 [2009]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19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지능직무스트레스보육교사Emotional IntelligenceJob StressChild 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이상(5점 만점에 338)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인식 자기동기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연령 경력 그리고 결혼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 정도(5점 만점에 228)로 나타났으

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Program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제어번호 99667700 저자명 김유진 ( Yu Jin Kim )류경희 ( Kyung Hee Ryu ) 학술지명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5 No2 [2013] 발행처 한국특수아동학회 발행처URL httpkacsnwebriss4u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1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20 three-five year-olds (108 boys 112 girl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atings of their parenting stress and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ir own recognit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child`s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ne another Especially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parenting tasks)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child`s conflictive relationships through negative socio-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nduct problems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a low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562060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김소양 ( So Yang Kim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6 No4 [2009]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19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지능직무스트레스보육교사Emotional IntelligenceJob StressChild 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이상(5점 만점에 338)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인식 자기동기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연령 경력 그리고 결혼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 정도(5점 만점에 228)로 나타났으

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Program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제어번호 99667700 저자명 김유진 ( Yu Jin Kim )류경희 ( Kyung Hee Ryu ) 학술지명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5 No2 [2013] 발행처 한국특수아동학회 발행처URL httpkacsnwebriss4u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1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Program o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 제어번호 99667700 저자명 김유진 ( Yu Jin Kim )류경희 ( Kyung Hee Ryu ) 학술지명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5 No2 [2013] 발행처 한국특수아동학회 발행처URL httpkacsnwebriss4u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9-1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주제어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특수교사직무스트레스교사효능감Enneagram group programspecial-education teacherjob stressteacher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수성에 의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교사효능감이 떨어지는 환경에 처해 있음을 볼 때 특수교사들에게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C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특수교사들이며lsquo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rsquo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를 대상으로한 에니어그램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교사 효능감은 향상되었다또한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학생지도행정적 지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교사 효능감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사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using the Enneagram on the perceived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education teachersForthispurpose we sampled 18 teachers working in ``C``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of equal size wher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job stress of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non-test) group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he students and also the job stress coming from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test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teacher efficacy including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preferred task difficulty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제어번호 82622995 저자명 이주연(Lee Ju Yeon)지명원(Ji Myung Won)김경화(Kim Kyung Hwa)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11]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57 발행년도 2011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심리적 복지감셀프리더십Job StressJob InvolvementPsychological WelfareSelf-leadership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2513770 저자명 조명주황경열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 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 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 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ㆍ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 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 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 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 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 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 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 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 Teacher Attachment Stability to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reschoolers) 제어번호 60033280 저자명 박가희정계숙 학술지명 교육혁신연구 권호사항 Vol21 No2 [2011] 발행처 교육혁신연구위원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0 주제어 애착안정성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행동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 및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정도에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고 유아 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교사 또래 학습 환경에서도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 활동영역에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낮은 유아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 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라 교사 또래 학습 환경 요인과 관련된 유아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학습활동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에 따른 유아의 능동적 수동적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양식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유아-교사 간 애착안정성 정도가 높은 집단이 능동적 대처를 더 많이 하고 유아-교사 간 애 착안정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수동적 대처와 신비적 대처를 비교적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453514 저자명 송진숙(Song Jin-Suk)김규수(Kim Kyu-Su)송진영(Song Jin-Young) 학술지명 한국영유아보육학 권호사항 Vol65 No- [2010] 발행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5-12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지교사효능감job stresssocial support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련변인관계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의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30명의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 efficacy amp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와 탈진(burn-out)에 관한 요인적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mak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ffer stresses and burnout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제어번호 99539600 저자명 변정현 학술지명 열린교육연구 권호사항 Vol20 No4 [2012] 발행처 한국열린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edu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8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초임교사사회과 수업사회과 수업 스트레스사회과 수업 탈진newly appointed teacherssocial-studies instructionstress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을 살펴보고 교직경험과 연륜이 부족한 초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와 사회과 수업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좌절 그리고 탈진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atz의 교사 발달단계 중 마지막 성숙단계 이전의 교직경력 0~5년 사이의 교사를 초임교사로 규정하고 사회과 수업에 갈등과 좌절을 겪으며 스스로 사회과 교과에 대해 상담 및 수업컨설팅 요청을 하거나 동료교사나 관리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교사 중 남교사 3명과 여교사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Strauss amp Corbin의 근거 이론적 접근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초임교사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의 개념이 53개가 도출이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중심현상으로 41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초임교사 중 4명은 행동-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과에 자신감과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지만 2명은 수업에 있어서 탈진(burn-out)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cial-studies instruc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stress frustration and burnout phenomenon of inexperienced newly appointed teachers about social studies and social-studies instruction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and didnt reach the final maturity stage among Katzs teacher development stages were defined as newly appointed teachers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male teachers and three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sought counselling or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ocial studies due to a lot of conflicts or frustrations about this subject and who were recommended by fellow teachers or school administrato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Strauss amp Corbin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53 causal condition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stress and burnout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llowing on from this 41 central phenomena were selected Out of the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eachers grew in confidence and fostered their professionalism about social studies through interaction and two teachers suffered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aradigm model for stress and burnout about social-studies instruction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99796490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저자명 姜貞三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middot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전략을 모색하였다

요 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Ⅲ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 영향 Ⅳ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 Ⅵ 결 론 lt참고문헌gt Abstract

직무스트레스 A형 성격 부적정동 강인성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 type 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on Teacher` Burnout and Somatic Symptoms) 제어번호 82697568 저자명 김희경 ( Hee Kyung Kim )김옥숙 ( Ok Suk Kim )김청송 ( Chung Song Kim ) 학술지명 청소년학연구 권호사항 Vol18 No9 [2011] 발행처 한국청소년학회 발행처URL httpwwwkyr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수록면 189-20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343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탈진신체증상job stressburn outsomatic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나 다양한 개인차 변인이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들과 어떠한 관계성을 맺고 있는지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middot고등학교 교사 166명에게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탈진 신체건강 및 성격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학생지도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 대우에 대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들의 탈진을 유발하고 신체증상들을 유의하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체증상보다도 탈진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들의 탈진 및 신체증상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스트레스원은 교권의 권위상실이었고 성격변인으로는 부적정동이었다 추후연구에는 교사 연한에 따른 발달적 변화나 직장-가정의 역할 갈등을 일으키는 기혼 및 미혼 여자교사의 비교 그리고 학교 내 직급 등의 차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stressors of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Burnout and Somatic Healths model which incorporated traits(negative affectivity hardiness A type) as well as job stress 166 teachers in Kyung-Gi-Do completed self reported measures(the questionare of traits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As a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and somatic healths The most severe stressor of teacher was educational authoritative loss Also negative affectiv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nd somatic health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 and marital status must be considered in follow up study Finally the expected role of work annuals and statu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aging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제어번호 76208316 저자명 한경진(Han Kyoung Ji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6 No1 [2007]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수록면 113-13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스트레스스트레스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stressstressorteacher job stress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변화를 가져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교사도 예외일 수 없으며 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이라는 직무수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교사용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개인적 변인 (성별 직위별 연령별 학교 규모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요 언을 파악하여 교사의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Relationship of Work Stress Career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teachers) 제어번호 99794695 저자명 윤혜미 ( Hye Mee Yoon )노필순 ( Pill Soon Noh ) 학술지명 한국아동복지학 권호사항 Vol43 No- [2013] 발행처 한국아동복지학회 발행처URL httpwwwchildwelfar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이직의도직무스트레스경력몰입소진turnover intentionburnoutcareer commitmentjob stress

본 연구는 과중한 업무 등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과 높은 이직율의 원인이라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일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몰입의 구성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력몰입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 보다 정교한 보육교사 이직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내 468명의 현직 보육교사가 작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자료 분석결과 40대 이상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의 경력몰입이 높은 반면 20대의 경력몰입이 낮았고 소진정도가 높았으며 이직 의도는 3년 이상 5년 미만 경력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성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경력몰입정도가 감소하고 소진정도가 높아졌고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보육교사의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소진이 증가하면 이직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정도가 증가하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와 소진의 매개 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을 경로하여 소진을 통해 이직의도로 영향을 미치는 중다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의 소진이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을 강화하기 위한 보육인력정책이나 선발과정의 개선 및 협력적 가치에 조직자원을 더 많이 배분하고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terature review on Korean educare system shows that the field suffers from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of educare-teachers Past research indicates work-stress as a common cause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ducare teachers We hypothesiz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ata from four hundreds and sixty eight current educare teachers in Chungcheong Area were analysed with SPSS 180 and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report that educare teachers in their forty`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 of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higher career commitment than teachers in their twenty`s with shorter period of teaching experience The SEM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job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commitment The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aning that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show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Implication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2부 동서양 심리치료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a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Life facilities) 제어번호 89505041 저자명 조명주 ( Myeong Ju Jo )황경열 ( Kyoung Ryoul Hwang ) 학술지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1 [2008] 발행처 한국동서정신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50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대처방식자의식Self-ConsciousnessThe Ways of Stress CopingJob-Stress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장애인생활시설 이라는 특정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middot경기지역 전남지역 대구middot경북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장애인생활시설 12곳에서 현재 생활재활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20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자의식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의식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조력추구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3년 이상 1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요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체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의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 보상 부적절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3년 이상의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1년 이상 근무자가 1년 미만의 근무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급여수준이 높은 집단이 급여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유형 중 정신지체를 가진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가 중복장애 가진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 보다 사회적 불안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적 환경 관계갈등 직장문화에

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 조력추구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후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를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에 따른 생활재활교사의 자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장애인생활시설의 특수한 작업환경 변인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위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The design of this study is ensuring a basic data of an actual proof to make the plan for relaxation of job-stress taken job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of specific area called disabled life facilities into account by evaluation their job-stress and related factors to rehabilitation teacher working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For this study I reviewed regarding a job-stress in theoretically and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 data collection ways and the questionnaire used question items to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y factors of a respondent self-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the ways of stress coping measurement tool and job-stress measurement tool The first task of this study was inquiry into a difference of self-conscious and a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The second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I will presen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two task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 of inquiry into the difference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job-stress along a demography characteristic was outcome that women use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the ways of wishful thinking more than men for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an unmarried person uses the ways of search for assistance more than married person As continuous service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or one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job demands In job-stress by job insecurity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the job-stress by occupational system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five years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in job-stress by organization system In the job-stress by lack of rewards workers who service over three years were highest and workers who service over a year were higher than workers who service under a yea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a wage level The group of high wage level was under the higher job-stress by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ed system lack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limates than the group of low wage level Finally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felt social anxiety less than rehabilitation teachers who providing service to the person with duplication troub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other factors Second It co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n low-ranking factors of job-stress and emotional relaxation search for assistance in low-ranking factors of the ways of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e was inquiry into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and concrete research regarding a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for disabled lif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t should research qualitatively about concrete improvement plan for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by study additionally regarding changing factors of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life facilities and fin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and job-stress of rehabilitation teachers depending on kind of disorders of rehabilitation trainees in following study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99775512 저자명 김리진홍연애 학술지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권호사항 Vol9 No4 [2013] 발행처 한국보육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5-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자아탄력성심리적 안녕감childcare teachersjob stressego-resilience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 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 이 직무스트

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제어번호 82589623 저자명 김현자문기라 학술지명 美術治療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0] 발행처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처URL httpwwwkorean-arttherap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61 발행년도 2010 KDC 512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집단미술치료자기효능감직무스트레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의 어린이집 교사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9명을 실험집단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지 않는 9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한회기 당 12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걸쳐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두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집단 미술치료가 어린이집 교사에게 실시된다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의 효율성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제어번호 45031153 저자명 김선영이지영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3 [2004]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 KDC 375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유형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유치원 교사Personality TypesJob Stress in Teaching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부산광역시에 소재 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은 선호지표별로는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였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사고형(ST)이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않은 대우 업무과다 관료적 운영 학급관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내향형이 외향형보다 업무과다에서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불화와 갈등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로는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며 기질별로는 감각판단형(SJ)이 감각인식형(SP)보다 업무과다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직관감정형(NF)이 다른 유형보다 유아지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 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체제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atter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Metropolitan Council The teachers completed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job stress in teach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The teachers personality types by preference reveal that extro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one sensing to introversion one thinking to feeling one and judgment to perception one The number of teachers of sensing-thinking type by function and sensing-judgment type by disposition were largest The teachers job stress was higher than usual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ity types was found in job stress While teachers of introversion type had more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than extraversion on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more stress from discord and conflict than feeling ones By function teachers of introversion-feeling type appeared to have less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By disposition job stress from excessive worklo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s of sensing-judgment type than in those of sensible-perceptive type In addition teachers of intuitive-feeling type appeared to experience less job stress from child guidance than any ot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ultilateral suppor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cope with job stress Further research is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types their effective teaching and stress copying styles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Self-Talk and Job Stress of Teachers) 제어번호 76505853 저자명 안병환(Ahn Byung Hwan) 학술지명 韓國敎育論壇 권호사항 Vol7 No2 [2008] 발행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9-16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370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기대화긍정적 자기대화부정적 자기대화교사의 스트레스self-talkpositive self-talknegative self-talkteacher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북부 초ㆍ중ㆍ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자기대화 요인별 평균은 사기관련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에서 긍정적 자기대화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각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시간관리 요인과 훈육과 동기부여 요인에서 스트레스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상관관계는 미미하지만 교사의 자기대화와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인 lsquo시간관리rsquo 요인 lsquo훈육동기요인rsquo 및 lsquo전문적 관여rsquo 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self-talk of teachers and job stress of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sections The first was the self-talk of Teachers a set of 31 items The second was Teacher stress scale a set of 45 item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is survey 79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male 281 female 514) of north Gyeonggi province who taught in 29 public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 analyses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teacher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Th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self-talk of teacher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job stress were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e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as a low correlation(r=-076) between the self-talk and the of teacher job stress Finally further study is to be conducted for the positive self-talk of teachers to inhibit emotional reactions such as str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school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450023 저자명 양안숙(An-Sook Yang) 학술지명 政策分析評價學會報 권호사항 Vol18 No4 [2008] 발행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a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5-477 발행년도 2008 KDC 35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직무스트레스 척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척도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 scaleTask stress scaleChild-care teacher s occupational stressstress scale

보육직무스트레스 원을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MTOSFQ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초bull중등교사와의 다른 보육교사들만의 근무환경 프로그램 질적인 서비스 제공 보육정책의 방향 등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목적을 두었다 또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과 함께 현직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원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의 개선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imitations in measuring job stres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example because the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eachers in middle andor high schools it was unable to capture some unique differences of day care teachers ie work condition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quality issues direction of nurturing service and etc The MTOSFQ scale has been criticiz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its This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scale for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o identify unique stressors in their work con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results of the new scale are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ystem and quality of day care services were also discussed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제어번호 75024760 저자명 이금섭문혜숙문현미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45 No4 [2006] 발행처 대구대학교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5-2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 및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밝힘으로써 특수보육교사에 대한 관심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제고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검증 결과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아동관련 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관련 스트레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ᆞ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시설유형 결혼유무 연령 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법인 보육시설 장애아 전담어린이집 미혼 25세 미만 4년제 대학 졸업 학력 1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조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보육관련 정책과 연계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특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Ⅱ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8 4 자료분석 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9 1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9 2 사회ㆍ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11 Ⅳ 결론 22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Job Stress) 제어번호 82565537 저자명 정선정 ( Jeong Sun Jeong ) 학술지명 職業 敎育 硏究 권호사항 Vol30 No1 [2011] 발행처 한국직업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osove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5-24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268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 요인TVET teachers` job

stress factorJob stressStress factor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middot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middot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teachers) 제어번호 82392836 저자명 송미선 ( Mi Sun Song ) 학술지명 영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 [2009] 발행처 영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105 주제어 변혁적 리더십직무스트레스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tress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 중 `성과기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이며 하위요인 별로는`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행정적 지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 요인은 `개인적 배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over mediocrity perception about their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task expectation` among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And also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teachers` job stress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제어번호 82633599 저자명 이진화 학술지명 육아지원연구 권호사항 Vol6 No1 [2011] 발행처 한국육아지원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7-144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Pre-service teachersrsquo self-leadership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스트레스 대처방식Stress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두 변인들의 하위 영역에서는 셀프리더십의 자기비판과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 간에는 부정적인 상관관계 셀프리더십의 리허설은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두 셀프리더십의 하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모두 정서지능 하위 영역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하위영역 중 자기동기화 대인관계 정서조절은 셀프리더십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각각 서로 밀접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 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방식과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셀프리더십의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 자기보상의 세 변인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대처 정서적 노력 대처 소망적사고 대처 등도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각 하위영역인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의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논의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60044921 저자명 송선화(Song Sun Hwa)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6 No1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3-151 발행년도 2012 KDC 370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인간관계Job StressJob SatisfactionHuman Relation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인간관계 및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보육활동과 보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인간관계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human relation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hildcare activity and w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human relation relation with the director relation with colleagues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rela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A Study on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제어번호 99621543 저자명 김달효 학술지명 교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52 No1 [2013] 발행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051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일제고사 공교육 학교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prime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rsquo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rsquo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prime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이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Job Stress) 제어번호 99608966 저자명 이형양이완정 학술지명 한국보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2 No4 [2012] 발행처 한국보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cec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3-86 발행년도 2012 KDC 598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성격강점 상위 덕목생활스트레스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Upper-level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Life stress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생활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206부의 자료를 성격강점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상위 덕목은 전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절제와 정의 덕목이 여유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덕목이 가정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혜와 지식 덕목이 건강스트레스 지혜와 지식 용기 덕목이 여유가 없는 생활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상위 덕목과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간에도 전체 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혜와 지식 덕목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VIA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ir effects on life and job stress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involving the childcare teachers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f 206 copi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cale of character strengths the scale of life stres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life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The virtues of self-control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and justice were observed to influence family and daily lives In addition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exhibited to largely influence health stress and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and courage largely influence the life stress resulting from lack of leisure Secondly the upper-level virtu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job stress were also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erms of overall job stress and subfactor-based stresses In particular the virtues of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Reward Perception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제어번호 82702488 저자명 이종각 ( Jong Kak Lee )문수백 ( Soo Back Moon ) 학술지명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8 No4 [2011]

발행처 미래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future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상인식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Reward Perception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middot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85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척도 직무스트레스척도 그리고 보상인식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지각된 보상인식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유의수준 01에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인식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differences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the Reward perception a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 of fit was tested between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d the parameter of regression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with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tested with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Second reward perception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war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Four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The Level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701860 저자명 김현진이해균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379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rsquo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rsquo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rsquo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rsquo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ㆍ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Ⅰ 서 론 2 Ⅱ 연구 방법 4 Ⅲ 결과 및 논의 7 Ⅳ 결론 및 제언 17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Stress amp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제어번호 76500638 저자명 구희정(Koo Hee Jung) 강정원(Kang Jeong Won) 학술지명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연구 권호사항 Vol13 No1 [2009] 발행처 한국유아교육middot보육행정학회 발행처URL httpkece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81-297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후보 주제어 자아탄력성 교수 스트레스 교사-유아 관계 resilience teaching str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유아 147명과 9명의 교사였다 대상 유아들은 3 4 5세 학급의 남아가 67명 여아가 80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교수 스트레스 검사지(Greene Abidin amp Kmetz 1997) 및 교사-유아 관계 척도(Pianta 1991)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탄

력성은 남아보다 여아가 60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60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함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사 유아간의 친밀함 유아의 낮은 지적능력학습문제 유아의 연령 교사의 교수과정의 좌절감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공격성 그리고 유아의 성의 순이었고 약 70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how childrenrsquos gender and ag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ffect on a childrenrsquos resilience Subjects were 147 children and 9 teachers of them in day care centers The children were 67 boys and 80 girls in 3 4 5-years-old The teachers responded to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LeBuffe amp Naglieri 1999) for childrenrsquos resilience the Index of Teaching Stress(Greene Abidin amp Kmetz 1997) and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Pianta 1991)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represented higher score than girls and more than 61-months-old children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less than 60- months-old children Second childrenrsquos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rsquos teaching stress Third childrenrsquos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order of affections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were closenes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low abilitylearning disabled childrenrsquos age teacherrsquos disrupts teaching process childrenrsquos ADHD and aggressiveconduct disorder and childrenrsquos sex The models were predictors of 708 on childrenrsquos resilience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CT

포스터 발표 4분과 사회 및 성격 교사와 일반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과 직업 목표 비교 (Analysis of stress coping career selecti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goals among teachers and salaries employees) 제어번호 99851055 저자명 이경란박영신한기혜 학술지명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3 No1 [2013] 발행처 한국심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5-325 [ 한국학술정보 제공논문의 수록면이 1p 이하면 초록 서평 등일 수 있습니다]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주제어 직장인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대처직업선택 이유직무만족직업 목표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사와 일반 직장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대처 직업선택의 이유 직무만족과 직업목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364명(교사 717명 일반직장인 64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9)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은 총 5문항으로 직장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과 대처방법 직업 선택 이유 직장에서 느끼는 보람 및 직업에서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09년 7월~2011년 11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교사는 과중한 업무(656)를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인간관계(304) 과중한 업무(266)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승진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은 일반직장인은 115의 반응률을 보인 반면 교사는 17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여가생활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교사는 주위사람과의 대화 자기조절 순으로 일반직장인은 술담배 주위사람과의 대화 순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직업선택의 이유로 교사와 일반직장인 모두 적성에 맞음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안정적 직업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는 원하던 직업 보람 있는 직업이라는 반응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셋째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가장 보람된 일로 교사는 업무만족감이 일반직장인은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교사는 원만한 인간관계 주위의 인정을 일반직장인은 업무만족감 안정된 생활을 지적하였다 넷째 직업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로 교사는 능력 있는 사람 사회공헌 순으로 반응하였으나 일반직장인은 승진 안정된 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예방관리전략 (A Study on Teacher Job Stress and Its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제어번호 3275719 저자명 강정삼 학술지명 敎育學硏究 권호사항 Vol31 No3 [1993] 발행처 한국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1 언어 Korean 발행년도 1993 KDC 370000 등재정보 등재

교사들이 학교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전체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유발요인들은 교사 개인의 욕구와 학교조직 및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되며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여 개인과 조직에게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하면 역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예방관리전략도 학교 조직적 차원과 교사 개인적 차원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수립하여야만 교사의 건강과 학교조직의 건강 및 효과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내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개인적 조절요인들을 파악하여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학교조직수준과 교사 개인수준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전략을 모색하였다

Teachers job stress is becoming an extremely important concern in school organization It is general1y associated with several vital individu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re are at least two reasons for studying teachers job stress First mismanaged and unprevented teachers job stress can produce the damage done to the schools human resources due to strain and distress such as low productivity or poor performance Second when teachers job stress is properly managed and prevented It can lead to improved individual heal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y study on this topic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But this teacher job stress could arise either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a source of stress or because individual teachers react to that environment differently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levels of teacher stres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sources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stressors arise from the conditions of work Environmental stressors therefore arising from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re seen to affect the stress level in the school as a whole By contrast individual level of teacher stress in a given school may vary directly wit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al source of stress These my notions about stress are generally being a type of Person - Environment fit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optimum level of stress to maximize teacher performance and think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must be emphasized on a model for action as two point of views (Person-Environment) Thus I focused my atten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job stressors its effects and develop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which teachers can most effectively manage prevent and reduce their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a greater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level as well as in individual level In conclusion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health in school organization to buffer teachers job stress school administrator must buil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y and provide teachers with guide for action of it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수준 제어번호 82748259 저자명 김현진(Kim Hyun Jin)이해균(Lee Hae Gyun) 학술지명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권호사항 Vol50 No3 [2011] 발행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risersdaeguac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47-26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 KDC 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특수학교 체육교사수업스트레스해소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classes stressessolutions of classes stresses

이 연구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밝히는 연구로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 장애영역별 등의 배경 변인별로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특수학교 체육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수업스트레스와 해소 요구수준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교육과정 교사 학생요인의 수업스트레스 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교사는 교사개인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국middot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수업운영 교사 학생 요인의 수업스트레스가 높았고 사립학교는 수업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장애영역에서는 정신지체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다 교사개인 학생개인의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수업환경요인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비해 교육과정에서 수업스트레스 해소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s the study that enlightens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pecial schools is to find ou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resses related to classes fot examp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instances genders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school establishment types handicap types that related with classes as methods the subjects are 12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survey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s of classes stresses and solu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curriculum education teachers students in case of

male teacher the stresses classes environments are high in case of female teachers the stresses of teachers personal elements are high in case of national schools and public school are higher than private schools in the factor of class managemen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ntrast in private schools the stresses of the elements of class environments are hig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in the factor of mental retardation the stress level in teaching was higher in sequence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teachers personal elements students personal elements in the solutions level of the stress in factor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in factor of curriculum solution level of the stress in teaching of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lt요약g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요인 분석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Occupational Stress on Special Daycare Center Teachers burn-out) 제어번호 60034606 저자명 김정은 학술지명 학습장애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11] 발행처 한국학습장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1-101 발행년도 2011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임파워먼트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본 연구는 부산 경남 경북 지역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 진과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의 수준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 면 먼저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은 연령이 어릴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담당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연령과 담당아동 의 연령이 낮을수록 보수가 적을수록 교사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 과 연령과 경

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장애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관련과 아동관련 요인 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는 하위요인은로 효능감과 의사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99535312 저자명 황해익김미진탁정화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권호사항 Vol32 No2 [2012]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ec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40 발행년도 2012 KDC 375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안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child care teacherwork-related stressstress reduc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조사하여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라 대처방안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대처방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및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 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와 5개 영역 45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심리적 대처방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직접적 대처 정신적 대처 물리적 대처 부정적 대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운영형태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해결방안은 정신적 대처 부정적 대처 직접적 대처 심리적 대처방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vestigates how the degree and coping ways of this stress var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findings can be used to explore varied means to relieve stress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e well-being for teachers Subjects were 175 teachers in Pusan and Gyug-nam who responded to a work-related stress survey consisting of 5 parts of 61 questions and another consisting of 5 parts and 45 questions concerning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ir work situation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reveals that in terms of the strategies to reduce work-related stress a form of psychological coping is the most favored among the many methods available Direct coping mental coping phys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are the next methods in that or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ir work (career qualification marriage children) and working conditions (the type of operation working hours) appear as work-related stress for the teachers Finally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the total marks the teachers made at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recognition are found in psychological coping negative coping and direct coping

장애아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at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76208056 저자명 강희경(Kang Heekyung)이승희(Lee Seunghee)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권호사항 Vol7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journal-spednet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3-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장애아보육시설보육교사치료교사직무스트레스대처방법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eachersoccupational stress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장애아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결혼여부 보육시설소재지 직무분야 근무경력 근무시간 월평균보수 총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지역 소재 장애아보육시설 전체 교사 176명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139부였고 이 가운데 113부가 회수되어(회수율 81) 최종분석된 설문지는 109부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세 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는 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11문항이 포함되었으며 2부에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5점척도 31문항이 7개 요인별로 포함되었고 3부에는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관련된 5점척도 35문항이 5개 요인별로 포함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악되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의 차이도 요인별 그리고 전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Comparison of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 제어번호 82491813 저자명 이상복 ( Sang Bok Lee )도명애 ( Myung Ae Do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6 No4 [2010] 발행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7-1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어린이집유치원교사통합학급일반학급직무스트레스Child Care CentersKindergarten TeacherJob Stress

이 연구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의 일반학급과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middot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모든 교사에게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고 교사 자신의 내적 갈등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 영middot유아 행동 시간 관리상의 어려움 행정적 관리자와의 관계 스트레스의 심리정서적 증상 교사 상호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ompare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o take charge of the regular and the integrated classes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the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study identifying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was proceede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stress level of the teachers in the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above the averag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job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kids shows the highest level following self-conflict of the teachers themselves physical symptoms from the stress child`s behavior hardship in time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administrator symptoms of psychologicalemotional stress out and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teachers

정서알아f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n Reducing Stress among Teachers) 제어번호 60070538 저자명 김용수 ( Yong Soo Kim ) 학술지명 정서ㆍ행동장애연구 권호사항 Vol28 No1 [2012] 발행처 한국정서middot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7-30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94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정서알아차림교사스트레스AwarenessEmotional AwarenessTeacher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정서알아차림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알아차림 자기보고서 202부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교육대학원의 수업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20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학기 동안 매 학기 첫 수업부터 마지막 수업까지 2주마다 1회씩 스트레스 상황에 정서알아차림을 실행한 자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그리고 개인생활 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둘째 정서알아차림은 교사들이 지각

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전 영역에 걸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감소효과가 나타났고 셋째 정서알아차림을 통해 교사들은 이해 및 수용 객관화 탈동일시 탈 집착 탈 중심화가 증대되는 효과를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find out whether emotional awareness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ch stresses among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stresses perceived by teacher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awareness a total of 202 entries of self-report were collected for content analysis from 26 teachers attending the education graduate program at P University Self-reports were collected during class hours over the period of September in 2010 through December in 201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on practicing emotional awareness under stressful conditions once every 2 weeks during class hours in each semeste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tegorized their perceived stress into three areas including home life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second in all three areas emotional awareness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stress in general with slight difference in degree depending on area of stress third through emotional awareness teacher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bjectification disidentification disattachment and de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tresses were reduced from these improvements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제어번호 99589891 저자명 권연희(Kwon Yeon-Hee)권영이(Kwon Young-Y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13]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통합교육(inclusion education)직무스트레스(job stress)통합교육신념(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유머감각(sense of humor)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교직경력 및 통합교육연수의 이수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신념 및 유머감각은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신념과 유머감각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교육 신념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합교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이는 이들의 유머감각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은 통합교육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 to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ense of humor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who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at kindergart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Scheffeacute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in job stres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job training about inclusion education Secondly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and sense of humor had nega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heir sense of humo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job stress in inclusive kindergarten especially for who ha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class teacher about the stress of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rs) 제어번호 345553 저자명 김정효박효정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3-25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7405

등재정보 등재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후 한 달 동안 학교생활에서 느낀 스트레스의 원인과 정도 그리고 이에 대한 담임교사의 대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학년을 처음 맞는 교사나 신규교사들에게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들의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소에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은 입학초기에 느끼는 학교 스트레스를 3점 척도 중에서 152로 중간정도로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담임교사는 5점 척도에서 297정도로 실제 아동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보다 다소 강하게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1학년 담임경력이 4-5년인 교사가 아동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처방법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정서 집중적 대처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at kinds and degree of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had at a school and how the class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recognized students stres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lso focused on preferred methods that the class teachers have used to decrease those stresses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tudents (n=278) in the first year who attending to elementary school and class teachers (n=48) who were teaching those students in Koyang city A survey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the factor and level of stress for the students the prediction of students stress for the class teachers and the role of the effective class teachers for decreasing th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serious stress is that the students were receipted the stress from their classmat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Secondly female class teachers have more specifically recognized students stress than male teachers have Thirdly the cla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with teaching in the first year for 4 - 5 years at an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e stress the same as the students felt The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11 - 15 years correctly predicted the stress that the students felt The la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for each type of stress the teacher mostly preferred educationally supporting methods building of friendship the interaction through games for promotion the teaching of using school facilities establishing accepted atmosphere building emotional stabilization and providing motive to follow the rules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제어번호 76476696 저자명 이채항(Lee Chai-hang)허진영(Huh Jin-young) 학술지명 특수교육학연구 권호사항 Vol40 No4 [2006] 발행처 한국특수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1-231 발행년도 2006 KDC 379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역할 스트레스직무 탈진사회적 지지Role StressBurnoutSocial Suppor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역할 스트레스를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탈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역할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탈진을 중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4년 교육청에 등록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정신지체 공립 특수학교 6곳에 재직 중인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순회교사 및 전공과를 포함한 비담임을 제외한 총 206명의 설문 응답자 중 201명의 최종 유효 표본을 획득한 다음 일원변량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 직무탈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이 낮은 집단은 가족지지 특히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받고 있으며 역할 갈등은 개인적 성취감 결여와 탈 인격화에 역할 과부하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서 가족과 동료의 지지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며 낮은 상사의 지지는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 stress on job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urposefully selected 2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teachers in a 6 public foundation mental retardation special education school of Kangwondo and Kyungkido All subjects completed the role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burnout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d the last 201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First teachers have less social supports with age and experience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lower role conflict have more family support expecially emotional support Third teachers have more stress due to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of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Over loaded role have influenced expecially emotional burn out Fourth low level support of superiors have influenced on emotional burn out of teachers while low level of support of family and fellow teachers have influenced on lack of individu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se teachers have experienced job burnout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detail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A Study on the Work-Related Stress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제어번호 60072869 저자명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7 No1 [2012]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3-33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장보육시설(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직무스트레스(work-related stres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middot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

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제어번호 82368850 저자명 김익환 ( Ik Hwan Kim )조건상 ( Gun Sang Cho ) 학술지명 한국체육교육학회지 권호사항 Vol15 No1 [2010] 발행처 한국체육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ksspe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71-38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46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운동부 지도교사역할스트레스직무탈진스트레스대처방식role stressjob burnoutstress coping strategy

본 연구는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middot경기지역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izzo House와 Lirtzman(1970)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태웅(2000)이 번안하여 사용한 역할스트레스 척도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Maslach(1982)의 직무탈진(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내용을 김정인(1997)이 번안한 척도를 이창희(2000)의 연구에서 학교체육현장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내용 그리고 Folkman과 Lazarus(1985)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middot수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상관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둘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정적인 관계가 있다 셋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보통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넷째 운동부 지도교사의 직무탈진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는 높은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To attain these purpose the subjects for data were 194 secondary school athletic supervisor in Seoul and Kyunggi The tool for survey study was used role stress scale which used by Kim(2000) job burnout scale which developed Maslach(1982) translated by Kim(1999) and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which developed Folkman amp Lazarus(1985) translated by Park amp Lee(1999)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5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ole stress job burnou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highly correlated Secon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job burnout Thirdly role stress of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and lastly job burnout school athletic supervisor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tress coping strategy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제어번호 81689550 저자명 허영림정선영 학술지명 생태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8 No3 [2009] 발행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5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서번트리더십보육교사의 효능감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144명의 서울지역 의 보육교사가 참여했으며 검사도구로는 Laub(1999)를 최남례(2005a)가 번안한 서번트리 더십 검사지와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성영혜(1994)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장의 서번트리더 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았으며 서 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리더십발휘였다 시설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서번트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서번트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소는 성장지원이었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s) 제어번호 40132387 저자명 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12 No4 [2003]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5-74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 스트레스건강상태여자 교사Job stressHealth statusFemale teachers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plusmn91세 158Oplusmn48cm 532plusmn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plusmn91yrs 1580plusmn48cm 532plusmn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sim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sim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제어번호 3064334 저자명 이동규이강우이병근 학술지명 운동과학 권호사항 Vol9 No2 [2000] 발행처 한국운동과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29-440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 KDC 692000 등재정보 등재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plusmn105세 1709plusmn57 678plusmn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sim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

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sim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sim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plusmn105yrs 1709plusmn53 678plusmn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sim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sim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sim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특수교육 교사의 정(情) 체면(體面)과 스트레스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Cheong(情) Chemyon(體面) and Stress of Special Teachers) 제어번호 77016112 저자명 조용태 학술지명 발달장애연구 권호사항 Vol7 No1 [2003] 발행처 발달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wwwk-add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8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3 KDC 379 등재정보 등재후보

한국문화 특유의 속성인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정 체면 스트레스는 교사 집단간에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 첫 번째 구체적인 목적이다 두 번째 목적은 교사의 정 체면 스트레스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 수준과 체면 정도는 특수교사가 초등이나 중등교사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과 체면과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의 하위요인인 인간적 연약성과 체면의 하위요인인 자괴의식성 체면과 사회격식성 체면이 스트레스와 가장 커다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특수교육의 독특한 교육 활동 수행 특성과 관련하여 더 많은 좌절감과 부정적인 경험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선행연구의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제어번호 76326880 저자명 구은미(Koo Eun-mi)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07]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발행처URL httpwwwopen33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7-113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7 KDC 37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보육교사(child care teacher)건강지각(health perception)건강증진 생활양식

(health promoting lifestyle)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본 연구는 부산시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 건강지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교사들은 현재의 건강상태에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하위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행정관련 업무와 부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건강지각이 높은 교사들이 행정관련 업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 영암 대인관계 지지 스트레스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perception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teachers desired for a healthy lives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present health state and un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improve their health Second health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Especially in administration serv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perception so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Third day care teachers who have high scores of health perception feel low levels of administrative job stress have high levels of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are very good at nutrition management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Job Stress in Childcare Center)

제어번호 77015667 저자명 신희연김명순 학술지명 아동과 권리 권호사항 Vol9 No2 [2005] 발행처 한국아동권리학회 발행처URL httpwwwkccr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97-318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5 KDC 300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무스트레스근무환경영아반 보육교사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 영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서 담당영아의 수는 만 0세의 경우 1-3명 만 1세는 4-6명 만 2세는 7-9명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보수는 80만원-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107시간이었다 교사의 건강상태는 교사근무를 하면서 나빠졌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교육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은 반면 참여했던 연수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나빠졌다고 인식할수록 시설규모가 클수록 담당영아의 수가 많을수록 휴식시간이 적을수록 연수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여길수록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수준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 제어번호 82492662 저자명 이근용 ( Kun Young Rhee )김금숙 ( Guem Sook Kim ) 학술지명 지적장애연구 권호사항 Vol12 No4 [2010] 발행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1-321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0 KDC 379205 등재정보 등재 주제어 직업담당교사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도vocational special teachers for special schoolsjob stress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특수교사들의 직장생활에서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요인 보다는 학생행동 시간관리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 자신의 내적관리 요인이 심각한 수준이다 둘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담당직무 인간관계 직업교육지원 요인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상체계 근무환경 학교행정 요인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전체 직무스트레스와 전체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s for vocation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accomplishing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vocational teachers was appeared as somewhat lower level than the standard The factors such as students` behavior and time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self-adminis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igh level of job stress Second the vo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m wer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tandar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duties human relationship supports for vocational education influenced high job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compensation system work environments and school administration were in level low satisfact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urgently need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other words it wa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