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3강

31
기기기기기 기기 기기

Upload: yong-wook-shin

Post on 19-Jun-2015

1.238 views

Category:

Education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건강식품3강

기능성식품 불가 원료

Page 2: 건강식품3강

감수 ( 甘遂 ) Euphorbia kansui Liou ex Wang 감택 ( 甘澤 ), Euphorbiae kansui Radix

견우자 ( 牽牛子 ) Pharbitis nil Choisy 흑축 ( 黑丑 ), Pharbitidis Semen, Pharbitis Seed( 나 팔 꽃 ), Pharbitis purpurea

Voigt( 둥근잎나팔꽃 )

관동 ( 款冬 ) Tussilago farfara Linné 관동화 ( 款冬花 , Farfarae flos, Colt's foot,

다투라 (Datura) Datura stramonium Linné ( 독말풀 ),

Datura metel Nees( 흰독말풀 ), 기타 동속 근연식물

만타라엽 ( 曼陀羅葉 , Datura Leaf), Daturae Folium

대극 ( 大戟 )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경 대 극 ( 京 大 戟 ), Euphorbiae pekinensis Radix

대황 ( 大黃 ) Rheum palmatum Linné( 장엽대황 ), Rheum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 탕구트대황 ), Rheum officinale

Baillon( 약용대황 )

Rhubarb, Rhei Radix et Rhizoma

디기탈리스 Digitalis purpurea Linné 디기탈리스엽 ( 洋地黃葉 , Digitalis leaf), Digi-talis folium(Digitalis)

Page 3: 건강식품3강

마두령 ( 馬兜鈴 )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 ), Aristolochia spp.

Aristolochiae fructus

마전자 ( 馬錢子 )

Strychnos nux-vomica Linné(마전자나무 )

호미카 (Nux Vomica), Strychni Semen

마편초 ( 馬鞭草 )

Verbena officinalis Linné 철마편 ( 鐵馬鞭 ), 베르베날린 (Verbenalin), Vervain

마황 ( 麻黃 ) Ephedra sinica Stapf( 초마황 , 草麻黃 ), Ephedra intermedia

Ephedra Herb, Ephedrae Herba, 마황근 ( 麻黃根 , Ephedrae Radix)

Schrenk et C.A.Meyer( 중마황 ),

Ephedra equisetina Bunge( 목적마황 )

면마 ( 綿馬 )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 관중 ( 貫衆 , Aspidium, Male Fern), Crassirhizomae Rhizoma

목단피 ( 牧丹皮 )

Paeonia suffruticosa Moutan Root Bark, Moutan Cortex

Andrews( 모란 )

목방기 ( 木防己 )

Cocculus trilobus De Candole(댕댕이덩굴 )

Cocculi radix

목통 ( 木桶 ) Akebia quinata Decaisne( 으름덩굴 ) Akebia Stem, Akebia Caulis

반하 ( 半夏 )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Pinellia Tuber

방기 ( 防己 )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청풍등 ( 淸風藤 ), Sinomenium Stem and Rhizome

방풍 ( 防風 )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 Saposhnikovia Root, Saposhnikoviae Radix

Page 4: 건강식품3강

백굴채 ( 白屈菜 )

Chelidonium majus Linné( 애기똥풀 ) Chelidonii Herba

백부자 ( 白附子 )

Aconitum koreanum Raymond Aconiti Koreani Tuber

백선피 ( 白鮮皮 )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 북선피 ( 北鮮皮 ), Dictamni Cortex

베라트룸 Veratrum nigrum Linné var. us-suriense Loes. fil.( 참여로 ), 기타 동속 근연식물

여로 ( 藜蘆 , White Hellebore), (Veratrum) 여로두 ( 藜蘆頭 ), Veratri Rhizoma et

Radix

복수초 ( 福壽草 )

Adonis amurensis Regel et Radde Adonis

부자 ( 附子 )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부자 ) 정제부자 ( 精製附子 ), 가공부자 ( 加工附子 ),

천오 , 오두 , Aconiti Tuber

빈랑자 ( 檳榔子 )

Areca catechu Linné Areca Semen, 대복자 ( 大腹子 )( 빈랑나무 )

사리풀 Hyoscyamus niger 히요스엽 (Hyoscyami Folium)(Henbane leaf)

Linné( 사리풀 )

상륙 ( 商陸 ) Phytolacca esculenta 장불로 ( 長不老 ), Phytolaccae Radix, Poke RootHouttuyn( 자리공 ), 기타 동속 근연식물

석류피 ( 石榴皮 )

Punica granatum Granate Bark, Granati Cortex

Linné( 석류나무 )

Page 5: 건강식품3강

스코폴리아 Scopolia japonica Maximowiczi( 미치광이풀 ),

Scopoliae Rhizoma( 낭탕근 )(Scopolia)

스트로판투스 (Strophanthus)

Strophanthus kombe Oliver, 기타 동속 근연식물

스트로판티자 , Strophanthi Semen, Stro-phanthus Seed

앵속 ( 罌粟 ) Papaver somniferum L. ( 양귀비 ) Papaveris semen

영란 ( 鈴蘭 ) Convallaria keiskei Miquel(은방울꽃 )

Lily of Valley Herb, Convallariae Herba

요힘베 (Yohimbe) Pausinystalia yohimbe, Coryan-the yohimbe

Yohimbe bark

원화 ( 芫花 ) Daphne genkwa Seibold et Zuc-carini

Genkwa Flos

위령선 ( 威靈仙 ) Clematis mandshurica Clematidis Radix, 으 아 리 (Clematis

mandshurica Ruprecht), 큰 꽃 으 아 리 (Clematis patens Morren & Decaisne),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De Candole)

Maximowicz

인도사목 ( 印度蛇木 ) Rauwolfia serpentina Bentham 또는 기타 근연식물 , 기타 동속 근연식물

Rauwolfia Lindians Snake Root, Rau-wolfia Radix,

저백피 ( 樗白皮 ) Ailanthus altissima Swingle(가중나무 )

저피 ( 樗皮 , Ailanthi radicis Cortex)

천남성 ( 天南星 ) Arisaema amurense Maximow-icz( 둥 근 잎 천 남 성 ), Arisaema

erubescens Schott( 천 남 성 ),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

Arisaematis Rhizoma, Arisaema Rhi-zome

Page 6: 건강식품3강

천초근 ( 茜草根 ) Rubia akane Nakai 혈견수 ( 血見愁 ), 활혈단 ( 活血丹 ), 천초 ( 茜草 ), 홍천근 ( 紅茜根 ), Madder Root( 꼭두선 ), 기타 동속 근연식물

청목향 ( 靑木香 )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ristolochiae radix

( 쥐방울 ), Aristolochia spp.

초오 ( 草烏 ) Aconitum ciliare 오훼 ( 烏喙 ), 계독 ( 鷄毒 ), 토부자 ( 土附子 ), Korean Aconite RootDecaisne( 놋젓가락나물 ), 기타 동속

근연식물카스카라사그라다 Rhamnus purshiana De canddle Cascara sagrade bark

(Cascara sagrada)

키나 (Quina) Cinchona succirubra Pavon et Klotzsch( 키 나 나 무 ), 기 타 동 속 근연식물

規邦皮 , Cinchona Bark

토근 ( 吐根 ) Cephaelis ipecacuanha A. Richard( 리오토근 ), Cephaelis acuminata Karsten(카르타게나토근 )

Ipecac, Ipecacuanhae Radix et Rhizoma

파두 (巴豆 ) Croton Tiglium Linné Croton Seed, Croton Semen

Page 7: 건강식품3강

팔각련 (八角蓮 )

Dysosma pleiantha (Hance) Woods.( 귀구 )

 

해총 (海葱 ) Urginea scilla Steinheil Squill, Scillae Bulbus(산자고와 유사 )

행인 (杏仁 ) Prunus armeniaca Linné var. ansu Maxi-mowicz(살구나무 ), Prunus mandschurica Koehne var. glabra Nakai(개살구나무 ),

Prunus sibrica Linné(시베리아살구 ),

Prunus armeniaca Linné( 아르메니아살구 )

Apricot Kernel, Armeniacae Semen

황백 ( 黃栢 )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황 백 나 무 ), Phellodendron chinense

Schneider( 향피수 )

Phellodendri Cortex, Phellodendron Bark

Page 8: 건강식품3강

알카로이드 -Tropane 계 , Harmane 계 , Piperi-

dine 계 veratrine 계 등강심배당체 구충작용 Ephedrine 사하제

Page 9: 건강식품3강

Harmaline,(C13H14ON2) 구충제 , 중추신경흥분제 , 아민산화저해제로 사용 Harmine(C13H12ON2): 종자의 주요 alkaloid 성분이며 , 독성작용으로

중추신경에 대한 흥분 ,환각작용을 나타냄 . 그 외 항말라리아작용 및 살균작용이 있음 . Peganine: 지상부의 주성분으로 설사 및 담즙분비를 야기하고 , 장관평활을 흥분시키며 , 위액분비 증가하는 작용이 있음 .

기타 . Harmane 알카로이드 : 생약인 오수유 (吳茱萸 )에 함유되어 있으며 발한 , 분만촉진작용이 있는 에보디아민 (evodiamine), 루테칼핀 (rutecarpine). yohimbe의 나무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혈관확장제인 요힘빈 (yohim-bine)이다

Peganum harmala Linne 낙타봉

Harmane alkaloid

Page 10: 건강식품3강

- Hyoscyamine 0.02%: Atropine보다 작용이 약 2배 강함 . Atropine에 비해 동공산대작용은 1.5~2배 , 심장의 콜린감수작용은 3배 , 그리고 장의 콜린감수작용은 10배 더 강하게 나타남 .- Atropine: 콜린 유사물질로 말초성 및 중추성 콜린반응을 차단함 . Atropine은 동공확대 , 땀샘 , 침샘의 분비를 억제함 .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고 , 기관지 , 위 , 장의 평활근을이완시킴 . 경련시 기관지 내강을 확대시킴 . 미주신경흥분에 의한 경련에 강하게 작용하나 중추신경계 흥분에는 약하게 작용함 .

- Scopolamine: 말초성 콜린반응작용에 atropine과 비슷하게 작용함 . 동공확대 , 조절마비 , 평활근의 이완 , 위액 , 침 , 점액 등의 분비작용이 있음 . Atropine보다 말초성작용은 약한 반면 , 중추성작용은 더 강하게 나타남 . Scopolamine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진정효과를 나타내고 운동성 저하 , 호흡억제작용 및 망양조직에서 콜린반응을 차단하는 작용을 함 .다투라의 성인 치사량 : 종자의 경우 15~25 g(atropine 100 mg에 해당)부작용 : 동공확대 , 부정맥 , 구강건조 , 피부건조 , 오심 , 구토 , 환청 , 의식장애

Datura stramonium Linne

Tropane alkaloid

Hyoscyamine

Atropine

Page 11: 건강식품3강

섬망(의식혼탁 ,망각 ) 이나 환각 상태를 유발하는 scopolamine 과 hyoscyamine을 포함하여 , 추출하여 항콜린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Atropine 과 함께 3 대 성분이 존재

구강건조 , 땀분비감소 , 배뇨장애 , 동공산대 , 시각흐림 , 심계항진 ,환각 , 경련 , 경기 , 혼수 .

6세이하 유아는 경구복용이 위험함 . 벨라돈나는 모유생산을 줄이고 , 모유를 통해 배출될수 있으므로 수유시

복용을 금함 . 1일최대복용량 : 잎분말 600mg, 뿌리분말 300mg, 추출물 150mg

Atropa belladonna L.벨라돈나

scopolamine

Page 12: 건강식품3강

-Hyoscyamine: 보관과정에서 hyocsyamine 은 atropine 으로 전환되며 , 약리작용 및 그 기전은 atropine과 비슷함 . 아트로핀의 이성체인 히오시아민은 광학적 비활성체인아트로핀보다 약 2배정도 강한 작용을 나타냄 . 동공 산대작용은 1.5~2배 , 심장의콜린감수작용은 3배 , 그리고 장의 콜린감수작용은 10배정도 더 강하게 나타남 .

중독증상 :구강건조 , 안면홍조 , 변비 , 고열 , 땀 분비 저하 소변장애 , 중추신경자극에 따른 졸음 및 불안 ; 시력장애 ,환각 ,흥분

최대 1회 복용량 : 1 g(분말상태 )

Hyoscyamus niger L. 사리풀

Page 13: 건강식품3강

디기탈리스의 모든 부분이 독성을 나타냄 . Comfrey 로 오해하여 복용해사망한 사례가 있음 .

강심작용 식물과는 함께 복용 시 부작용을 초래함 . 디기탈리스는 digitoxin 및 gitoxin 전구체인 glycoside A 와 B를 포함함 .

만성적으로 복용 시 시각이상 , 위장장애 등의 독성증상이 발생함 . Digoxin을 비롯한 디기탈리스의 배당체가 치명적인

부정맥증상유발 Digitoxin: 치사량은 정맥주사 시 0.21 mg/kg임 . 디기톡신은

다른 배당체보다 장에서 더 잘 흡수되며 다른물질로 분해되지 않음 . 디기톡신은 심장수축의 진폭을 늘리고 박동을 느리게 하며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억제작용도 함 . 디기탈리스 배당체 중 디기톡신의 부작용이 가장 강함 .

Digitalis purpurea Linne 디기탈리스

Page 14: 건강식품3강

Rohdein (C30H44O10): 만년청 뿌리의 주요 약리성분 (강심작용 )및 독성성분

디기탈리스형 강심배당체 : Rodexin A(C29H44O9), B(C29H44O9), C(C35H54O14) 로 구성됨 .

오심 , 구토 , 설사 , 심방성빈맥 ; 빈맥성부정맥 , 심근억제 , 심장마비

Rohdea japonica Roth 만년청 ,개운죽

Page 15: 건강식품3강

강심배당체 : Cymarin, Cymarol, Corchorside A, Convallatoxin, K-strophanthin-ß, Somalin( 복수초의 주요 약리작용 물질들 ). 강심배당체의 수축기작용은 심근의대사과정에 좋은 영향을 줌 . 소량의 K-trophanthin-ß는심근의 젖산함량을 저하시킴 .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에서 강심배당체는 심장의 활동을 강하게하고 글리코겐을축적하지만 과량복용 시 심장의 탄수화물 부족과 젖산의 축적을 초래하여 심근대사에 영향중독량에서는 심장의 저산소증을 일으키고 , 심장 ,신경 , 근육계통의 기능장애 , 부정맥 , 서맥그리고 가슴두근거림을 유발하며 확장기를 짧게 하고 수축폭도 좁히는 결과초래 .중독증상 : 오심 ; 구토 ; 기면

Adonis amurensis 복수초

Convallatoxin

Page 16: 건강식품3강

강심배당체 : 스트로판투스의 주요 약리 및 독성성분임 . strophathin-G(ouabain)(C30H46O12) 으로 k-strophanthoside (60-80%), erysimoside(15-

25%), 그리고 strophoside(10-15%)를 포함함 . 디기탈리스와 비슷한 작용을 함 .

경구복용 시 오심 , 구토 , 두통 , 무감각 , 부정맥 유발 (심질환자 )

칼슘 보충제 , 이뇨제와 함께 복용하면 독성증대 Quinidine,quinine와 병용하면 독성증대 , 수유부 복용금기

Strophanthus kombe 스트로판티자

Page 17: 건강식품3강

최음제로 쓰임 caffeine 이 포함된 식물 또는 제품 , 마황과 함께 복용 시 고혈압의 위험이 증가 .

고용량의 투여시 마비 , 저혈압 , 심전도 장애 , 심부전 , 사망 전립성비대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 우울증환자의 경우 요힘베 사용을 금함 . 저혈압 유발 , 저혈압환자금기

Pausinystalia yohimbe 요힘빈나무

Yohimbine

Page 18: 건강식품3강

개요: 인도사목의 과다복용은 중추신경계 기능저하, 경련, 반사적 또는 무의식적 근육긴장과 이완, 그리고 혼수상태를 일으킬 수 있음.

중독증상:소량의 인도사목을 경구복용시 코피, 설사, 오심, 구토, 식욕감퇴, 위산분비증가, 기면, 권태, 성기능부전, 및 서맥 유발.

다량복용 시 노르아드레날린과 길항작용, 신경전달을 억제하여 서서히 정신우울증 유발, 중단 후에도 수 개월간 우울증이 지속되고 극단적으로 많은 양을 복용시에는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남.

상호작용: 강심배당체가 함유된 식물과 함께 사용 시 협심증과 부정맥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알코올, digoxin, 이뇨제, 마황, levodopa,monoamine 산화효소반응 억제제, propranolol, 그리고 자극성제제 등과 함께 사용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질환별주의: 담낭질환, 위장관련질환, 과민증, 우울증이있는 경우에도 인도사목의 복용을 금함복용금기:태반을 통과하여 기형을 유발가능, 모유로 배출되어 임신기 및 수유기에 사용을 금함

Rauwollia serpentina 인도사목

Reserpine

( 印度蛇木 )

Page 19: 건강식품3강

Strychnine 46~62%, Brucine 0.5% 중추신경을 흥분시킴 . 다량복용 시 척수의 반사흥분을 항진시키고 ,

반사적으로 전신근육의 강직성경련을 일으키며 , 운동신경말단을 마비시킴 .

연수의 호흡중추를 흥분시켜 혈액운동신경 및 미주신경의 심장억제계를 흥분시키고 , 혈압을 상승시킴 . 또한 뇌의중추흥분성을 항진시켜 시각 , 미각 , 후각 및 촉각을 예민하게 함

1-2g의 보두종자 복용으로 호흡정지 , 심장마비 , 뇌의 무산소증 및 근육경련 ,질식 3-6시간 정도 지속된 다음 사망

Strychonos ignati 보두

Strychnine

Page 20: 건강식품3강

Convallaoxin (C29H42O10): 영란의 주요 alka-loids 성분 중 하나임 스트로판틴과 비슷한 작용을 하지만 체내에서 불안정하고 쉽게 파괴되어 축적되지 않음 . 영란에 함유된 배당체 중 강심작용이 가장 강하고 , 복용 시 비교적 빨리

흡수되지만 일부 위와 장에서 분해됨 24시간이 지나면 21.4% 가 남아있음 .

중추신경계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음 . 신장의 뚜렷한 조직적변화가 있음 . 경구로 복용 시 오심 , 구토 , 그리고 심부정맥의 부작용발생 .

평균 1일 복용량은 영란분말 600 mg

Convallaria keiskei 영란 , 은방울꽃

Page 21: 건강식품3강

Filmarone: 뿌리줄기의 주성분이며 , phloroglucinol 유도체 . 중추신경계 , 골격근 및 심장에 독성작용을 초래함 . 온혈동물의체내에 주입시 경련과 함께 중추신경계 마비를 초래함 . 섭취시 위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일으킴 .

면마를 달인 물은 강한 장수축작용과 자궁수축작용을 함 . Phloroglucinol 유도체와그 분해산물은 원형질독으로서 , 특히 환형동물과 연체동물의 근육세포에 강한 독성작용을 나타냄 . 뿌리줄기는 구충작용이 있어서 기생충의 근육과 신경계통을 마비시킴 .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면마 , 관중

Page 22: 건강식품3강

Piperidine alkaloids: 목피와 근피에 각각 0.4%, 0.8%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 주요약리작용 및 독성증상을 나타내는 isopelletierine (C8H15ON), N-methylisopelletierine(C9H17ON), pseudopelletierine를 포함함 .

Pelletierine : 촌충을 사멸시키는 작용 - 척수의 흥분성을 항진시키고 점차 호흡 및 운동마비를 일으킴 .

Pseudopelletierine : Pelletierine보다 구충작용은 10배나 약하고 독성이 더 강함 .

중독증상 : 구토 , 각혈 , 어지럼증 , 떨림 , 시각장애 , 호흡기능부전

Punica granatum L. 석류피

Piperidine alkaloids: pseudopelletierine

Page 23: 건강식품3강

Sinomenine(C19H23O4N): 방기의 주요 약리작용 및 독성성분 임 . 다량복용 시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고 진통작용을 약화시키며 , 골격근에 대한 마비작용이 있음 .

소량복용 시에는 소장의 연동운동 및 자궁을 수축시킴 .

증상 : 입안 쓰고 혀 마름 , 위손상

Sinomenium acutum 방기

Sinomenine

Sinomenium acutum 방기

Stephania tetrandra 분방기

Page 24: 건강식품3강

Dictamnine (C12H9O2N): Dictam-nine 은 개구리의 심장을 흥분시키고 토끼의 자궁평활근을 수축함 . 신선한 전초를 마쇄하여 피부에 붙이면 피부염이 유발됨 .

부작용 : 간독성 ; 사망 , 임산부 복용 금지

Dictamnus dasycarpus 백선피

Page 25: 건강식품3강

Jervine ( 베라트린계 유리 알칼로이드 -류마티스치료 ,친환경살충제 ):최기형성

상복부 동통 , 두통 , 구토 , 설사 , 침흘림 ,눈물 , 혈변 , 어지럼증 , 두통 , 식은땀 , 접촉 시피부 및 점막에 동통 , 재채기 , 눈물

Veratrum nigrum L. 벨라트룸 , 큰여로

Jervine

Page 26: 건강식품3강

① (C34H47O11N): Aconitine은 강한 신경독을 나타내는데 , 피부에 바르면 신경을 자극 , 흥분시켜 가려움증이 나타나고 점차 마비됨 . 소량의 정맥주사 투여시 , 호흡운동 및 혈압을 상승시키며 , 심장운동이 빨라짐 . 다량의 정맥주사 시에는 혈압강하 및 호흡마비를 일으켜 사망할 수 있음 . 소량 사용시 위장 및 자궁조직이 흥분되었음 . 집토끼를 대상으로 한 각막반사 실험에서는 눈의 충혈을 일으키고 ,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항이뇨작용이 나타남 .

② Mesaconitine(C33H45O11N): Mesaconitine은 개구리와 집토끼의 심전도에 변화를 일으키고 , 전도장애를 발생시킴 . Mesaconitine 분해물인 벤조일메스아코닌도 같은 작용이 있으며 강한 호흡 억제작용이 있음 . 혀와 각막반사 실험에서 나타난 지각마비작용은 메스아코니틴 성분이 가장 뚜렷하며 , 그 다음 벤조일메스아코닌과 메스아코닌 순으로 강하게 나타남 . 중독증상: 구역질; 구토; 근육경련; 번조; 저체온; 현기증; 불안; 허약; 마비; 이상감각(입에서 시작하여 사지로 퍼짐); 의식불명; 호흡급박; 호흡기마비; 다발성심실의 조기 수축; 가려움증; 날카로운 통증; 산통; 강한 작열감; 침분비항진; 동공축소; 혈관확장

Aconitum carmichaeli 부자

Aconitine

Page 27: 건강식품3강

Phytolaccatoxin (주요 독성 성분 ): phytolaccatoxin 은 산성 사포닌으로서 점막자극작용 , 용혈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경련 일으킴 .

중독증상 : 단기실명 ; 구강의 타는 느낌 ; 타액분비 과다 ; 구역질 ; 구토 ; 복통 ; 설사 ; 각혈 ; 혈변 ; 요실금 ; 저혈압 ; 심박급속증 ; 호흡곤란 ; 경련 ; 말초혈세포 분열이상 ; 백혈구과다 ; 혈소판감소 ; 사망

Phytolacca americna L. 상륙 ,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a( 자리공 )Phytolacca americna ( 미국자리공 )

Page 28: 건강식품3강

Morphine (C17H19O2N): 앵속의 주요 약리작용과 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임 .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 이런 작용은 하등동물보다 고등동물에서 더 강하게 나타남 .

모르핀은 중독성이 있고 신경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므로 복용시주의해야 함 .

Narcotine , Papaverine , Codein, Thebaine 중독증상 : 변비 , 수전증 , 현기증 , 두통 , 이상고열 , 동공축소 , 서맥 , 호흡장애 , 폐부종

Papaver somniferum 양귀비 , 앵속

Morphine

Page 29: 건강식품3강

Ephedrine (주성분 ) 교감신경 흥분작용이 있음 . 혈압을 높이고 발한작용이 있으며 , 기관지평활근긴장을 완화시켜 기침을 정지시킴 . 염산에페드린 10% 용액을 눈에 떨구면 40~60분 후 ,동공산대작용이 나타나고 , 5~20시간 계속됨 .

하루 32 mg 이상의 복용은 뇌졸중발작의 위험을 3배이상 증가 . 다른 부작용을 나타내는 식물에 비해 백 배정도의 부작용 사례접수됨

현기증 , 집중장애 , 구토 , 고혈압 , 오심 ,입 마름 , 심근경색 , 뇌졸중 유발

Ephedra sinica Staph 마황

(-)-Ephedrin

Page 30: 건강식품3강

Ephedrine- 덩이줄기에는 약 0.002%의 L-ephedrine 이 함유 .

부작용 : 심장마비 ; 발작

Pinellia ternata 반하

Page 31: 건강식품3강

Garcinia hanburyi Hooker. F 등황

주성분Benzophenones, Xanthones, Mucilages- 하제 (설사유발 )

부작용설사 , 복통 , 구역질 , 구토

Benzophen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