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42
1 2013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DMC REPORT 2013년의 모습과 변화

Upload: giru-jang

Post on 12-Jun-2015

3.645 views

Category:

Documents


14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DMC REPORT

2013년의 모습과 그 변화

Page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

디지털은 소셜 미디어를 포함하여 온라인 메신저, 모바일 메신저, 모바일 웹과 앱, 스마트폰, 태블

릿PC, 스마트TV 등 다양한 기기와 미디어들, 그리고 콘텐츠와 서비스도 포함한다. 우리는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들을 멀티스크린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컨버전스된 기기

하나만을 이용하기도 한다. 어느 미디어 하나의 변화는 모든 미디어의 변화를 가져오고, 다시 우

리의 삶을 변화시킨다. 이렇듯 디지털은 우리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미디어 어

느 하나에 대한 분석만으로는 디지털로 인한 삶의 변화와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이해하기는 어렵

다.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는 우리의 삶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가 필

요한 이유이다.

작년에 DMC미디어는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했고, ‘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이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시간이 흘러도

변함이 없는 상수(constant)가 아니다. 특히 온 세상이 급속하게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

서 디지털 측면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속도로 변화한다. 올해

DMC미디어는 한국인의 삶이 얼마나 더 디지털화 되었는지,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은 어떠한 방향

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추적조사(Tracking Study)를 진행했다. 이제 디지털 세

상을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적인 삶의 단면과 그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자.

Research Methodology

본 연구는 만19세 이상 5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터넷으로 조사하였다. 디지털이 삶에 미

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은 어떤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조사목적에 맞게 조사

대상자를 최근 1개월간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고, 최근 3개월간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

용한 경험이 있는 디지털 소비자를 조사대상자로 정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표본은 DMC미디어가 조사목적으로 모집하고 운영하고 있는 DMC 패널들을 대상으로 2013년 10

월 10일부터 21일까지 12일간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됐으며,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별

이용자 분포에 비례한 표본할당추출(Proportionate Quota Sampling)로 전국에서 총 560명을 조

사했다.

Table of Contents

Executive Summary

Ⅰ. 디지털과 한국인의 삶

4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6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9

Ⅱ.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대표 키워드 13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14

Ⅲ.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1.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류 21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22

3.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28

4.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29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30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36

7.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화지수 41

8.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스트레스지수 42

INTRODUCTION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문의: DMC미디어 MUD연구팀 [email protected]

DMC Media Digital Media Convergence Company

Page 3: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DMC KDI)

2013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DMC KDSI)

DMC미디어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를 개발하여 2012년부터 한국인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에 대한 태도, 활용과 적응능력 등의 디지털화 수준과 그 변화를 추적해옴.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 수준은 100점 만점 기준으로 68.4점으로 작년의 63.1점보다 5.3점 상승함. 한국인의 삶이 조금 더 디지털화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음.

작년과 비교하여 올해 더 뚜렷해진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여섯 가지로, ‘편리성 추구’, ‘혁신과 기능 추구’, ‘관계지향적’, ‘개성과 유행 추구’, ‘디지털 애착’, 그리고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임. 즉 “디지털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이고, 디지털의 혁신과 기능을 좋아하고, 개성과 유행을 위해 디지털 구매와 소비를 하고, 온오프라인의 관계형성과 유지를 위해 디지털을 이용하고, 자기개발과 목표를 위해 디지털을 활용”하려는 것이 2013년을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모습임.

DMC미디어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겪고 있는 디지털 스트레스 수준을 2012년부터 그 추적해옴. 올해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으로 52.0점으로 작년에 비해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가 다소 감소함. 이는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수용스트레스가 감소했기 때문인데 작년에 비해 올해 한국인의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감소하고, 적응력이 높아졌음을 의미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에 대한 태도와 이용행동을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6가지로 나타남. 가족을 위해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활용하는 유형이 25.0%로 한국인 4명 중 1명이 이에 해당함.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려는 유형이 16.8%,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유형이 13.2%,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유형이 10.5%로 한국인 10명 중 1명이 이러한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갖고 있음.

EXECUTIVE SUMMARY

2013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63.1 64.4 57.6

52.8

72.5 68.4 69.8 68.1 59.8

74.4

종합지수 태도지수 경험지수 이용지수 영향지수

2012 2013 (단위: 지수)

57.0 58.8 54.3 52.0 52.3 51.7

종합지수 수용스트레스지수 이용스트레스지수

2012 2013 (단위: 지수)

구분 특징

편리성 추구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활용하려는 경향

혁신과 기능 추구 •디지털 기기/미디어 자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경향

관계지향적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사람들을 이어주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

개성과 유행 추구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자신을 표현, 드러내려는 경향

디지털 애착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생활에 필요, 중요한 비중으로 인식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실질적 유용성을 추구

구분 특징

Family Guy •가족을 위해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활용

Quiet •디지털에 무관심, 특징적 니즈나 라이프스타일 없음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해 관계 구축, 개성과 유행을 추구

Convenience Seeker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

Goal-oriented Digital Lover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해 자기개발을 하고, 정서적 애착 보임

Functionals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

Page 4: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4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I. 디지털과 한국인의 삶

I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2013년의 모습과 그 변화

Page 5: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5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 차원별

DMC미디어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Korean Digitalization Index; DMC KDI)’를 개발하여 2012년부터 한국인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에 대한 태도, 활용과 적응능력 등의 디지털화 수준과 그 변화를 추적해옴.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 수준은 100점 만점 기준으로 68.4점으로 작년의 63.1점보다 5.3점 상승함. 한국인의 삶이 조금 더 디지털화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음.

디지털화에 대한 태도지수는 69.8점으로 전년 대비 5.4점 상승하여 디지털화에 대한 태도가 작년보다 더 긍정적으로 변화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이용, 디지털 상거래와 콘텐츠의 이용경험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경험지수는 68.1점으로 전년 대비 10.5점 상승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확산 추세를 보여주고 있음.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이용 정도를 의미하는 이용지수는 59.8점으로 작년보다 7.0점 상승했다. 이용경험 뿐만 아니라 이용하는 시간도 증가함. 디지털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하는 영향지수는 74.4점으로 작년보다 1.9점 상승함.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Korean Digitalization Index; DMC KDI)]

•디지털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에 대한 태도, 활용과 적응능력 등의 디지털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DMC미디어가 개발한 지수임.

•디지털에 대한 태도, 디지털 경험, 디지털 이용시간, 디지털로 인한 영향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반영함. 디지털화지수(KDI)가 높을수록 디지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며, 디지털 활용과 적응수준이 높고, 디지털이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반면 디지털 지수가 낮을수록 디지털 정보격차가 커지고, 디지털 환경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고, 디지털이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을 의미함.

•지수구성에 대한 설명

[태도지수] 디지털 기기/미디어에 대한 태도로 5개 하위항목으로 측정함.

5점척도로 측정하여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변환함.

[경험지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10개 디지털 기기, 4개 미디어(인터넷, 소셜 미디어,

메신저 등), 3개 서비스(온라인쇼핑, 소셜커머스, 온라인뱅킹), 4개 콘텐츠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TV, 영화, 음악 등의 이용) 이용경험의 평균임.

기기와 미디어는 최근 3개월 경험, 서비스는 최근 1년, 콘텐츠는 최근 6개

월 기준 경험임. 기기, 미디어, 상거래간 지수비교는 의미가 없음.

[이용지수] 최근 3개월 기준 일평균 기기 및 미디어 이용시간으로 측정했으며,

일평균 기기와 미디어를 특정 시간 이용했을 때를 100으로 환산한 수치임.

[영향지수] 디지털 적응능력과 삶에서의 비중을 의미함. 5개 하위 항목으로 측정.

5점척도로 측정하여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변환했음.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는 작년보다 5.3점 상승, 한국인의 삶이 디지털화 되고 있음을 보여줌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DMC KDI) : 차원별

(단위: 지수)

63.1 64.4

57.6 52.8

72.5 68.4 69.8 68.1

59.8

74.4

종합지수 태도지수 경험지수 이용지수 영향지수

2012 2013

Page 6: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6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 항목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DMC KDI) : 항목별 (단위: 지수)

디지털화에 대한 태도가 작년보다 더 긍정적으로 변화했는데 인지도는 75.3점(11.3점 상승), 수용도는 69.2점(7.6점 상승), 발전속도 적정성 66.5점(2.8점 상승), 사회발전기여도 72.3점(-.04점 하락), 디지털 몰입도, 집중, 애착 정도를 의미하는 인게이즈먼트(Engagement)는 65.8점으로 5.9점 상승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경험지수는 68.1점으로 전년 대비 10.5점 상승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은 35.1점(4.8점 상승),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86.9점(15.6점 상승),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80.7점(11.4점 상승), 디지털 콘텐츠 이용경험은 69.8점으로 전년대비 10.4점 상승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지수는 59.8점으로 작년보다 7.0점 상승했고, 이용경험 뿐만 아니라 이용하는 시간도 증가함.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디지털 기기 일평균 이용시간이 2.5시간에서 3.1시간으로 0.6시간 증가함.

디지털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하는 영향지수는 74.4점으로 작년보다 1.9점 상승함. 친숙성은 77.1점(5.1점 상승), 편리성은 77.3점(-1.0점 하락), 여가활동 도움성은 76.5점(2.3점 상승), 생활의 변화 68.4점(-0.2점 하락),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점 상승한 72.7점이었음.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 상거래, 디지털 콘텐츠 이용경험이 큰 폭으로 증가함

구분 2012년 2013년 2012 대비 증감

디지털화지수(KDI) 63.1 68.4 5.3

태도지수 64.4 69.8 5.4

인지도 64.0 75.3 11.3

수용도 61.6 69.2 7.6

발전속도 적정성 63.6 66.5 2.8

사회발전기여 72.7 72.3 -0.4

인게이즈먼트 59.9 65.8 5.9

경험지수 57.6 68.1 10.5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30.3 35.1 4.8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71.3 86.9 15.6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69.3 80.7 11.4

디지털 콘텐츠 이용경험 59.4 69.8 10.4

이용지수 52.8 59.8 7.0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 2.5 3.1 0.6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 1.7 1.7 -

영향지수 72.5 74.4 1.9

이용 친숙성 72.0 77.1 5.1

편리성 78.3 77.3 -1.0

여가활동 도움성 74.2 76.5 2.3

생활의 변화 68.6 68.4 -0.2

삶의 비중 69.4 72.7 3.3

주) 100점 만점 기준. 단, 이용지수의 하위 항목인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이용시간은 일평균 이용시간 기준이며, 특정 시간을 이용했을 때의 이용지수를 100점 만점으로 하여 환산함.

Page 7: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7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 : 소비자 특성별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DMC KDI) : 소비자 특성별 (단위: 지수)

디지털화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되어 있는 계층은 남자, 20대임. 남자의 디지털화지수는 69.4점으로 큰 차이는 아니지만 여자(67.3점)보다 높음.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디지털화 되어가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20대는 72.3점, 30대는 67.9점, 그리고 40대 이상은 65.3점이었음.

디지털 기기, 미디어, 상거래, 콘텐츠 이용경험인 경험지수는 남자보다 여자, 그리고 30~40대가 높음. 반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시간을 의미하는 이용지수는 남자, 20대가 높았음. 여자와 30대 이상은 이용경험은 많으나 남자, 20대보다 이용시간은 적은 것으로 나타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하는 영향지수는 남자, 40대 이상에게서 높게 나타남. 디지털화가 이들 계층의 생활에 더 큰 변화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남자와 젊은 층이 가장 디지털화 되어 있음.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40대 이상에게서 가장 큼

구분 전체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디지털화지수 (KDI) 68.4 69.4 67.3 72.3 67.9 65.3

태도지수 69.8 72.2 67.2 68.9 70.6 69.7

인지도 75.3 79.1 71.1 74.9 76.8 73.9

수용도 69.2 72.5 65.7 66.9 70.9 69.5

발전속도 적정성 66.5 68.6 64.2 66.5 65.8 67.1

사회발전기여 72.3 73.6 70.8 70.4 72.5 73.7

인게이즈먼트 65.8 67.1 64.4 66.0 67.2 64.0

경험지수 68.1 67.6 68.7 67.5 68.6 68.2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35.1 34.1 36.1 32.3 34.6 38.1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86.9 86.5 87.4 88.7 86.5 85.7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80.7 76.8 84.9 78.9 84.7 78.0

디지털 콘텐츠 이용경험 69.8 72.8 66.5 69.9 68.7 70.9

이용지수 59.8 61.5 58.0 73.5 59.3 47.8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 3.1 3.2 3.0 3.7 3.1 2.5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 1.7 1.7 1.6 2.1 1.6 1.3

영향지수 74.4 75.0 73.7 74.6 73.0 75.7

이용 친숙성 77.1 79.2 74.8 79.0 76.6 75.8

편리성 77.3 77.8 76.8 78.3 76.4 77.5

여가활동 도움성 76.5 77.8 75.0 76.7 75.4 77.5

생활의 변화 68.4 69.3 67.4 66.9 66.6 71.7

삶의 비중 72.7 71.1 74.4 72.0 70.2 76.1

주) 100점 만점 기준. 단, 이용지수의 하위 항목인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이용시간은 일평균 이용시간 기준이며, 특정 시간을 이용했을 때의 이용지수를 100점 만점으로 하여 환산함.

Page 8: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8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 차원별

DMC미디어는 ‘한국인의 디지털화지수(Korean Digitalization Index; DMC KDI)’와 더불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한국인이 경험하고 있는 디지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Korean Digital Stress Index; DMC KDSI)’라는 것을 개발하고 2012년부터 한국인의 디지털화 적응에 따른 피로도 수준과 그 변화를 추적해옴.

올해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는 100점 만점 기준으로 52.0점으로 작년에 비해 5.0점 감소함.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수용스트레스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인데 작년에 비해 올해 한국인의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감소하고, 적응력이 높아졌음을 의미함.

디지털 기기나 미디어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인 이용스트레스지수는 51.7점으로 작년의 54.3점보다 2.6점 감소함. 큰 차이는 아니지만 조금은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에 익숙해졌음을 보여주고 있음.

작년에 비해 디지털화로 인한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다소 감소. 디지털 환경과 이용에 익숙해지고 있음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DMC KDSI) : 차원별

(단위: 지수)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Korean Digital Stress Index; KDSI)]

•디지털화로 인한 한국인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DMC미디어가 개발한 지수임.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수용에 대한 스트레스와 실제 생활에 활용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용 스트레스를 함께 반영하여 지수를 구성함.

•디지털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수록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며, 디지털화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수용하기 어렵고, 디지털 기기나 미디어 이용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음.

•지수구성에 대한 설명

[수용 스트레스 지수]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의미하며, 4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하여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변환했으며, 4개 하위항목의 평균점수임.

[이용 스트레스 지수]

디지털 기기나 미디어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며, 5개 항목을 5점척도로 측정하여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변환했으며, 5개 하위항목의 평균점수임.

57.0 58.8 54.3

52.0 52.3 51.7

종합지수 수용스트레스지수 이용스트레스지수

2012 2013

Page 9: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9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DMC KDSI) : 항목별 (단위: 지수)

올해 한국인의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가 작년과 비교하여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수용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침.

수용스트레스를 살펴보면, 디지털 환경 부적응/불편함은 50.7점으로 전년 대비 8.0점 감소했고,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은 6.9점 감소한 56.2점, 디지털 디바이드(소외계층) 편입에 대한 두려움은 50.4점(5.8점 감소), 디지털 용어/트렌드 지식부족에 대한 불안함이 51.9점(5.4점 감소)으로 작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함. 수용스트레스 중에서는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디지털 기기나 미디어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인 이용스트레스지수는 51.7점으로 작년의 54.3점보다 2.6점 감소했는데 항목별로 살펴보면, 디지털 기기/미디어 사용법 이해 어려움은 11.5점 감소한 46.6점, 불필요한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유행 때문에 구입/이용한 경험 47.6점(1.3점 감소),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위에 없으면 불안함을 느끼는 정도는 58.7점(1.4점 감소), 대중적인/유행하는 디지털/기기 미디어 비사용시 느끼는 불안함은 53.4점(1.0점 감소)이었음. 이용스트레스 중에서는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위에 없으면 느끼는 불안함이 가장 컸음.

수용 차원의 스트레스는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큼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 항목별

구분 2012년 2013년 2012 대비 증감

디지털스트레스지수 (KDSI) 57.0 52.0 -5.0

수용스트레스지수 58.8 52.3 -6.5

디지털 환경 부적응/불편함 58.7 50.7 -8.0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 걱정 63.1 56.2 -6.9

디지털 소외에 대한 두려움 56.2 50.4 -5.8

디지털 용어/트렌드 지식부족 불안함 57.3 51.9 -5.4

이용스트레스지수 54.3 51.7 -2.6

디지털 사용법 이해 어려움 58.1 46.6 -11.5

유행 때문에 불필요한 디지털 구입 48.9 47.6 -1.3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위에 없으면 불안함 60.1 58.7 -1.4

과도한 디지털 사용으로 신체 불편함/문제경험 49.8 52.1 2.3

유행하는 디지털 비사용시 불안함 54.4 53.4 -1.0

Page 10: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0

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 : 소비자 특성별

한국인의 디지털스트레스지수(DMC KDSI) : 소비자 특성별 (단위: 지수)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남자보다 여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남. 여자가 수용 스트레스와 이용 스트레스 모두 남자에 비해 높지만 특히 이용 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즉 남자와 비교하여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음.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이상이 20대보다 스트레스가 더 큰데, 특히 수용 스트레스가 더 큼. 20대와 비교하여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보다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받는 스트레스가 더 큼. 디지털 환경에 대한 부적응/불편함과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걱정이 수용 스트레스의 다른 항목과 비교하여 20대보다 더 큼.

여자와 40대 이상이 디지털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고 있음

구분 전체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이상

디지털스트레스지수 (KDSI) 52.0 50.6 53.6 50.7 52.4 52.8

수용스트레스지수 52.3 51.2 53.5 50.5 53.3 52.8

디지털 환경 부적응/불편함 50.7 49.4 52.0 47.1 52.1 52.4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변화 걱정 56.2 54.4 58.1 53.8 57.2 57.3

디지털 소외에 대한 두려움 50.4 49.1 51.8 49.7 50.5 50.9

디지털 용어/트렌드 지식부족 불안함 51.9 51.8 52.0 51.6 53.3 50.7

이용스트레스지수 51.7 49.6 53.8 51.0 51.1 52.8

디지털 사용법 이해 어려움 46.6 44.7 48.6 43.6 46.8 49.0

유행 때문에 불필요한 디지털 구입 47.6 46.0 49.3 45.3 48.1 49.3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위에 없으면 불안함 58.7 57.1 60.4 59.7 56.1 60.5

과도한 디지털 사용으로 신체 불편함/문제경험 52.1 48.4 55.9 53.8 51.0 51.5

유행하는 디지털 비사용시 불안함 53.4 52.0 54.9 52.8 53.6 53.7

Page 1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1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대표 키워드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I. 디지털과 한국인의 삶

I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2013년의 모습과 그 변화

Page 1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2

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대표 키워드

작년에 DMC미디어는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키워드로 ‘편리성’, ‘혁신과 기능’, ‘관계’, ‘개성과 유행 추구’, ‘디지털 애착’, ‘가족’, 그리고 ‘자기개발’이라는 7가지 키워드를 선정함. 디지털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이고, 디지털의 혁신과 기능을 좋아하고, 개성과 유행을 위해 디지털 구매와 소비를 하고, 온오프라인의 관계형성과 유지를 위해 디지털을 이용하고, 가족의 관계 유지와 행복을 위해 이용하며, 자기개발과 목표를 위해 디지털을 활용하는 것이 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모습이었음.

작년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올해에도 여전히 유효했고, 대부분의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더 뚜렷하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경향을 보였으나 “가족의 관계 유지와 행복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가족’이라는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작년보다 퇴색됨.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가족의 여가활동에 도움이 되는 정도,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가족간의 관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해 가족과 대화를 많이 나누는 경향이 감소함.

작년과 비교하여 올해 더 뚜렷해진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여섯 가지로, ‘편리성 추구’, ‘혁신과 기능 추구’, ‘관계지향적’, ‘개성과 유행 추구’, ‘디지털 애착’, 그리고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임.

즉 “디지털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이고, 디지털의 혁신과 기능을 좋아하고, 개성과 유행을 위해 디지털 구매와 소비를 하고, 온오프라인의 관계형성과 유지를 위해 디지털을 이용하며, 자기개발과 목표를 위해 디지털을 활용”하는 것이 2013년을 살고 있는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모습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도출 과정]

•DMC미디어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관련 연구 경험과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54개의 측정 문항을 개발함.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측정 문항은 디지털 니즈, 구매, 소비, 생활과 관련된 13개 차원의 54개 문항으로 구성함.

•디지털 소비자를 대상으로 응답 받은 54개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를 실시하여 7개의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도출함.

올해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편리성 추구’, ‘혁신과 기능 추구’, ‘관계지향적’, ‘개성과 유행 추구’, ‘디지털 애착’, 그리고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혁신과 기능 추구

Innovation & Function Seeking

관계지향적 Relationship

Oriented

편리성 추구 Convenience

Seeking

개성과 유행 추구 Personality &

Trend Seeking

디지털 애착 Digital Love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 Self-development through Digital

Page 13: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3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편리성 추구’

2013년 한국인의 여섯 가지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중 하나인 ‘편리성 추구’ 키워드는 “생활의 편리성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주는 편리함”이라는 혜택 때문에 디지털을 이용함. 정보탐색, 콘텐츠, 쇼핑, 문화, 취미 등의 활동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도움이 되고 편리하기 때문에 이용하고 있음.

작년과 비교하여 편리성 추구 키워드의 변화를 살펴보면,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활용한 정보/콘텐츠의 이용,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취미생활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고,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하려는 경향이 작년보다 뚜렷하게 증가했음.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하려는 경향이 작년보다 증가

‘편리성 추구’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59.6

74.8

54.8

52.3

62.8

68.0

67.1

55.1

50.0

74.3

73.6

66.3

68.9

66.6

83.0

83.6

67.5

66.3

디지털 때문에 콘텐츠 이용이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생활이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쇼핑하기에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금융거래가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사람들과 소통하기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정보/콘텐츠를 빠르게 찾음

디지털 때문에 정보/콘텐츠를 쉽게 찾음

디지털 때문에 음악/영화/공연을 즐길 수

있음

디지털은 취미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줌

2012 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Page 14: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4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혁신과 기능 추구’

‘혁신과 기능 추구’ 키워드는 “디지털의 혁신적인 모습과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좋아하며, 기능을 탐구하며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디지털 자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함. 새로운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수용도가 높고, 혁신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추구하며 활용함.

한국인의 생활이 급속하게 디지털화 되면서 디지털 기기/미디어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고, 활용하려는 노력도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신기하거나 새로운 디지털 기기/미디어에 관심을 느끼는 수용성향이 증가하고, 새로운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경향도 증가함. 그리고 기능이 많은 디지털 기기를 좋아하는 경향도 작년보다 뚜렷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자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경향이 작년보다 크게 증가

‘혁신과 기능 추구’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32.9

46.0

35.1

38.6

46.9

33.7

54.8

56.6

48.3

51.8

65.5

47.5

디지털 기능들을 자세히 아는 편

디지털 기능들을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

타인보다 디지털 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편

새로운 디지털에 관심을 느끼는 편

디지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기능이 많은 디지털을 좋아함

2012 2013

Page 15: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5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관계지향적’

‘관계지향적’ 키워드는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해 이용하고, 사람들과 대화하고, 교류하면서 인간관계를 넓혀가려고 노력”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관계 구축과 유지에 활용’함.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일반화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가 보편화되면서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관계지향적’ 성향이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남아있음. 자신들의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구축하기 위해 이러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고, 친구나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기 위해 선호하는 수단으로 자신들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이어주는 유용한 도구라는 인식이 작년보다 더 강해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는 사람들을 이어주는 유용한 도구라는 인식이 작년보다 강해짐

‘관계지향적’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37.2

27.4

40.9

30.7

38.3

27.8

38.8

35.0

디지털을 통해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을 좋아함

디지털을 통해 인간관계를 넓혀가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

디지털을 통해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좋아하는 편

디지털은 나와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만나는데 도움을 줌

2012 2013

Page 16: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6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개성과 유행 추구’

‘개성과 유행 추구’ 키워드는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며, 패션의 일부이며, 자신의 개성과 스타일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라이프스타일임.

작년보다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려는 욕구가 더 강해진 경향이 나타났는데,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스타일/개성을 추구하고, 패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인식이 더 강해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려는 욕구가 작년보다 더 강해짐

‘개성과 유행 추구’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15.5

23.5

25.7

27.4

18.4

31.3

32.1

36.6

남들과 비슷한 디지털을 이용하는 것은

재미가 없음

디지털은 나만의 스타일/개성이 있어야 함

디지털은 패션의 일부라고 생각

디지털은 나를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생각

2012 2013

Page 17: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7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디지털 애착’

‘디지털 애착’ 키워드는 “아날로그보다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좋아하며, 생활에 반드시 필요하며, 삶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생각”하는 키워드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에 정서적 애착을 보이는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함.

올해에는 디지털에 애착을 보이는 성향이 작년보다 더 강해짐. 아날로그보다 디지털 기기/미디어 선호도가 높고, 전통적인 미디어보다 인터넷 정보 의존도가 더 높아졌음. 또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자신의 일부라는 인식과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라는 인식도 더 강해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우리들의 삶의 일부이고, 풍요롭게 살 수 있도록 해준다는 인식이 더 강해짐

‘디지털 애착’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35.5

34.2

42.8

27.1

45.1

40.3

36.6

51.4

33.4

51.4

아날로그보다는 디지털이 더 좋음

디지털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싫음

전통매체보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을 좋아함

디지털은 나의 일부라고 생각

디지털은 나의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생각

2012 2013

Page 18: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8

2.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의 의미 :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

‘디지털을 이용한 자기개발’ 키워드는 “자기개발, 과제, 목표달성 등의 실용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임.

‘디지털을 이용한 자기개발’의 라이프스타일은 자기개발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자신의 공부/업무/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며, 목표달성과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함.

디지털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주는 편리함, 개성과 유행 추구 수단, 디지털 자체에 대한 애착 외에도 실질적인 유용성을 추구하려는 성향이 올해에 더 강해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실질적인 유용성을 추구하려는 라이프스타일이 올해에 더 강해짐

‘디지털을 활용한 자기개발’ 키워드의 변화 : 2012-2013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단위: %)

42.6

49.3

34.4

48.5

58.1

38.3

자기개발에 디지털을 활용하는 편

공부/업무/과제에 디지털을 이용하는 편

목표달성/성공수단으로 디지털을 이용

2012 2013

Page 19: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19

1.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류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3.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4.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7.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화지수

8.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스트레스지수

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I. 디지털과 한국인의 삶

III.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2013년의 모습과 그 변화

Page 20: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0

1.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류

[라이프스타일 세분화 과정] DMC미디어의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연구 경험과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54개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측정 문항을 개발함. 54개 라이프스타일 항목의 요인분석(Factor Analysis)를 통해 잠재적인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발견함. 라이프스타일 요인(Factor)를 분류 변수로 사용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를 실시하여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대변할 수 있는 6가지의 유형을 도출함.

▶한국인의 6가지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

Family Guy

“가족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

•남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미디어 이용시간 많은 편.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이용경험 상대적으로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편리성 추구 니즈 큼.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가족간의 대화, 관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인식.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삶에서 중요한 비중 차지한다고 인식.

25.0%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

•상대적으로 여자, 20대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및 미디어 이용시간 가장 많음. •소셜미디어 이용경험과 이용시간 가장 많음. •온라인 쇼핑, 소셜커머스 이용경험 가장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 및 유지에 큰 관심.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개성 표현에 관심 많음.

16.8%

Goal-oriented

Digital Lover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해 자기개발을 하며,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임”

•여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 가장 적지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음악/영화감상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자기개발에 큰 관심.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 및 유지에 무관심.

11.3%

Quiet

“디지털에 무관심, 특징적 니즈, 라이프스타일 없음”

•남자, 40대 이상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 적은 편. 소셜 미디어, 모바일 메신저, 인터넷 메신저 이용경험 가장 적음. 온라인 쇼핑 이용경험 가장 적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적은 편.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편리성 추구 니즈, 혁신성과 기능에 대한 니즈 적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과 유지에 무관심.

23.2%

Convenience Seeker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

•여자,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서 많이 나타남. •정보/콘텐츠 탐색/이용, 쇼핑, 취미 등의 활동 영위에 디지털기기/미디어의 유용성과 편리성 때문에 이용.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 중간 수준, 소셜 미디어 이용시간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혁신성과 기능에 대한 관심 적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가족간의 대화, 관계 구축/유지에 활용하려는 니즈 적음.

13.2%

Functionals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지향”

•상대적으로 남자, 30대,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서 많이 나타남. •e-book 리더 이용률 높은 편. 소셜커머스 이용경험 많은 편.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이용 가장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는 혜택보다 기능 자체에 관심,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좋아하고,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

10.5%

Page 2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1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Family Guy’

“가족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유형으로 한국인의 25.0%가 이에 해당함.

상대적으로 남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기능과 편리성 추구 니즈가 큰 편으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시간이 많은 편임.

e-book 리더 이용경험이 많은 편으로,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해 독서를 많이 함.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고,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가족간의 대화, 관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인식하고 있음.

가족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활용, 남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64.3

여자 35.7

20대 32.1

40대 이상 32.1

30대 35.7

▶라이프스타일 특징

65.0

62.6

66.9

65.0

82.1

가족과 함께 디지털을 많이 이용

디지털은 가족의 여가활동에

도움이 됨

디지털은 가족의 관계유지에

중요한 역할

디지털을 통해 가족과 대화를 많이

나눔

전통매체보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을 좋아함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99.0 77.6 82.6 49.6

17.4 11.1 5.5 4.3

일평균 총 3.5시간 이용

97.1 97.2 91.0 82.2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1.9시간 이용

92.1 97.1 58.6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92.8 82.1 72.9 55.7

음악 TV 영화 독서

▶디지털 콘텐츠 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25.0%

Page 2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2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Quiet’

“디지털에 무관심하고, 특징적인 니즈를 갖고 있지 않은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한국인의 23.2%가 이에 해당되고,두 번째로 많은 유형임.

상대적으로 남자, 40대 이상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이 일평균 2.6시간으로 적은 편이고, 소셜 미디어, 모바일 메신저, 인터넷 메신저 이용경험 가장 적음. 이들의 일평균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은 1.5시간임.

온라인 쇼핑과 소셜커머스 이용경험이 가장 적고,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이용도 적은 편임.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편리성 추구,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혁신성과 기능에 대한 니즈 또한 적으며,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과 유지에 무관심함.

디지털에 무관심, 특징적 니즈, 라이프스타일 없음. 상대적으로 남자, 40대 이상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54.2

여자 45.8

20대 24.4

40대 이상 42.7

30대 32.8

▶라이프스타일 특징

22.1

25.2

9.8

6.2

12.3

15.3

14.5

디지털 때문에 생활이 편리함

새로운 디지털에 관심을 느끼는 편

디지털을 통해 인간관계를

넓혀가는 것은 매우 중요

가족과 함께 디지털을 많이 이용

디지털은 나만의 스타일이나

개성이 있어야 함

디지털은 나의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생각

목표달성과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을 이용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98.5 87.7 70.5

46.6

19.2 14.2 8.4 2.3

일평균 총 2.6시간 이용

90.9 80.4 80.9 75.3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1.5시간 이용

77.9 90.8 55.0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디지털 콘텐츠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72.5 65.6 61.8 41.2

음악 TV 영화 독서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23.2%

Page 23: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3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한국인의 16.8%가 이에 해당하며, 세 번째로 많은 유형임.

상대적으로 여자, 20대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이 일평균 3.8시간으로 가장 많고, 데스크탑PC와 태블릿PC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음.

소셜 미디어 이용경험과 이용시간이 가장 많음. 이들의 일평균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은 2.2시간이며, 소셜 미디어 주평균 이용시간은 4.7시간임.

온라인 쇼핑, 소셜커머스 이용경험 가장 많고,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 및 유지에 관심이 많고,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개성 표현에도 많은 관심을 보임.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 상대적으로 여자, 20대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34.0

여자 66.0

20대 40.9

40대 이상 28.0

30대 31.2

▶라이프스타일 특징

67.0

33.0

66.0

64.9

83.9

58.5

69.1

디지털을 통해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을 좋아함

디지털을 통해 인간관계를

넓혀가는 것은 매우 중요

디지털을 통해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좋아하는 편

디지털은 나와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만나는데 도움을 줌

디지털을 통해 지인들과 자주

연락하는 편

디지털은 패션의 일부라고 생각

디지털은 나를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생각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100.0 83.8 87.4 56.0

7.2 2.8 2.7 12.5

일평균 총 3.8시간 이용

95.7 95.8 93.6 66.1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2.2시간 이용

96.8 95.7 66.7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80.9 81.7 72.0 42.6

음악 TV 영화 독서

▶디지털 콘텐츠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16.8%

Page 24: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4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Convenience Seeker’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한국인의 13.2%가 이에 해당함.

상대적으로 여자,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이 일평균 2.5시간, 디지털 미디어 일평균 이용시간은 1.6시간으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 이용시간은 중간 수준임.

정보/콘텐츠 탐색 및 이용, 쇼핑, 취미 등의 활동 영위에 디지털기기/미디어가 도움이 되고 편리하기 때문에 이용함.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혁신성과 기능에 대한 관심은 적고,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가족간의 대화, 관계 구축과 유지에 활용하려는 니즈 역시 적은 편임.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 상대적으로 여자,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서 많음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44.6

여자 55.4

20대 35.1

40대 이상 25.7

30대 39.2

▶라이프스타일 특징

86.5

85.1

87.7

91.9

83.8

94.6

94.5

54.1

60.3

디지털 때문에 음악, 영화 등의

콘텐츠 이용이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생활이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쇼핑하기에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금융거래가 편리함

디지털 때문에 사람들과 소통하기

편리함

디지털 정보나 콘텐츠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디지털 정보나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음

디지털 음악, 영화, 공연을

즐기도록 도와줌

디지털은 취미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줌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100.0 76.6 87.6

49.2

7.4 1.6 5.3 4.6

일평균 총 2.5시간 이용

96.4 100.0 88.9 77.0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1.6시간 이용

89.2 83.8 54.1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86.3 70.3 60.8

21.9

음악 TV 영화 독서

▶디지털 콘텐츠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13.2%

Page 25: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5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Goal-oriented Digital Lover’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해 자기개발을 하며,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이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한국인의 11.3%가 이에 해당함.

상대적으로 여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에게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이 일평균 3.1시간으로 중간 수준이며, 디지털 미디어 일평균 이용시간은 1.1시간으로 가장 적지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음악감상과 영화감상은 많은 편임.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자기개발에 관심이 많고,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인식하고 있음.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관계 구축 및 유지에 무관심한 편임.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이용해 자기개발을 하며, 디지털 기기/미디어에 정서적 애착, 상대적으로 여자, 40대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에게서 많이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34.9

여자 65.1

20대 14.3

40대 이상 47.6 30대

38.1

▶라이프스타일 특징

56.3

50.8

65.1

50.8

72.6

76.2

90.5

66.7

아날로그보다는 디지털이 더 좋음

디지털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싫음

전통매체보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을 좋아함

디지털은 나의 일부라고 생각

디지털은 나의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생각

자기개발에 디지털을 활용하는 편

공부/업무/과제에 디지털을

이용하는 편

목표달성과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을 이용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100.0 89.6 72.3 58.5

2.9 6.9 3.4 3.4

일평균 총 3.1시간 이용

94.3 99.2 58.5 63.3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1.1시간 이용

93.7 96.8 58.1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95.2 74.6 87.3 48.4

음악 TV 영화 독서

▶디지털 콘텐츠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11.3%

Page 26: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6

2.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요약 : ‘Functionals’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한국인의 10.5%가 이에 해당함.

상대적으로 남자, 30대,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서 많이 나타남.

디지털 기기 이용시간이 일평균 3.0시간으로 중간 수준임. e-book 리더 이용률이 높은 편임.

디지털 미디어 일평균 이용시간은 1.5시간으로 중간 수준임.

디지털 상거래 중 소셜커머스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하고,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한 콘텐츠 이용이 가장 많음.

디지털 기기/미디어가 주는 혜택보다 기능 자체에 관심이 있고,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좋아하고,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임.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 상대적으로 남자, 30대, 월평균 가구소득 500~700만원 미만 계층에서 많이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자 69.5

여자 30.5

20대 36.2

40대 이상 19.0

30대 44.8

▶라이프스타일 특징

89.8

83.3

84.7

86.7

98.3

58.3

디지털 기능들을 자세히 아는 편

디지털 기능들을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

타인보다 디지털 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편

새로운 디지털에 관심을 느끼는

디지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기능이 많은 디지털을 좋아함

주) 5점척도로 질문하여 ‘그런 편이다+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 최근 3개월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 최근 1년간

100.0 74.6 80.1 56.1

13.5 13.2 4.2 5.6

일평균 총 3.0시간 이용

97.3 98.5 83.6 75.8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소셜 미디어 인터넷 메신저

일평균 총 1.5시간 이용

93.2 96.6 64.4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

96.6 84.7 85.0 66.1

음악 TV 영화 독서

▶디지털 콘텐츠이용 경험 : 최근 6개월간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단위: %)

10.5%

Page 27: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7

3.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최근 3개월간 디지털 기기별 이용경험을 살펴보면, 데스크탑PC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 Quiet, 그리고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의 이용경험이 다른 유형들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많았음. Goal-oriented Digital Lover의 경우 자기개발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많이 이용하고, 업무/과제 수행을 많이 하는 유형이기 때문에 데스크탑PC의 이용이 많은 것으로 보임.

태 블 릿 PC 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그 리 고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의 이용경험이 많았는데 이들은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디지털에 대한 애착이 많고, 혁신적인 성향과 기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태블릿PC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임.

일평균 이용시간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amily Guy가 상대적으로 많음.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태블릿PC 이용경험 많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디지털 기기 이용경험 및 일평균 이용시간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스마트폰 99.4 99.0 98.5 100.0 100.0 100.0 100.0

데스크탑PC 81.9 77.6 87.7 83.8 76.6 89.6 74.6

노트북/넷북 79.8 82.6 70.5 87.4 87.6 72.3 80.1

태블릿PC 51.6 49.6 46.6 56.0 49.2 58.5 56.1

MP3 플레이어 12.8 17.4 19.2 7.2 7.4 2.9 13.5

e-book 리더 8.9 11.1 14.2 2.8 1.6 6.9 13.2

휴대용 게임기 5.3 5.5 8.4 2.7 5.3 3.4 4.2

가구용 게임기 5.3 4.3 2.3 12.5 4.6 3.4 5.6

일평균 이용시간 3.1 3.5 2.6 3.8 2.5 3.1 3.0

(단위: %)

Page 28: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8

4.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최근 3개월간 디지털 미디어별 이용경험을 살펴보면 , 소셜 미디어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amily Guy의 이용경험이 다른 유형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음.

디지털 미디어 이용시간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가 2.2시간, Family Guy가 1.9시간이었음.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는 성향을 지닌 Relationship & Trend Oriented가 예상대로 소셜 미디어 이용경험이 가장 많았는데, 이들의 주평균 4.7시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음.

인터넷 메신저는 Family Guy의 이용경험이 가장 많았는데 이들의 82.2%가 최근 3개월간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amily Guy의 소셜 미디어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디지털 미디어 이용경험 및 일평균 이용시간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모바일 메신저 95.0 97.1 90.9 95.7 96.4 94.3 97.3

이메일 93.8 97.2 80.4 95.8 100.0 99.2 98.5

소셜 미디어 84.4 91.0 80.9 93.6 88.9 58.5 83.6

인터넷 메신저 74.4 82.2 75.3 66.1 77.0 63.3 75.8

일평균 이용시간 1.7 1.9 1.5 2.2 1.6 1.1 1.5

Page 29: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29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이용 경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최근 1년간 온라인 쇼핑, 온라인 뱅킹, 소셜커머스와 같은 디지털 상거래의 이용경험을 살펴보면, 큰 차이는 없었지만 온라인 쇼핑(모바일 쇼핑 포함)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의 이용경험이 다소 많았음.

온라인 뱅킹(모바일 뱅킹 포함)은 Convenience Seeker의 이용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 소셜커머스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unctionals의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의 온라인 쇼핑과 소셜커머스 이용경험 상대적으로 많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경험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온라인 쇼핑 89.6 92.1 77.9 96.8 89.2 93.7 93.2

온라인 뱅킹 93.6 97.1 90.8 95.7 83.8 96.8 96.6

소셜커머스 58.9 58.6 55.0 66.7 54.1 58.1 64.4

Page 30: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0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온라인 쇼핑 이용 기기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최근 온라인(모바일 포함) 쇼핑 시에 이용한 기기를 살펴보면 , Goal-oriented Digital Lover는 데스크탑PC, Convenience Seeker는 노트북/넷북, Functionals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모바일 기기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Functionals는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 자체에 관심이 있고,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좋아하고, 디지털 기기/미디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모바일 기기의 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임.

Functionals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모바일 기기를 온라인쇼핑에 많이 이용하고 있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온라인쇼핑(모바일 포함)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데스크탑PC 48.6 45.0 52.0 51.6 51.5 60.0 29.1

스마트폰 25.7 26.4 26.5 28.6 18.2 18.3 36.4

노트북/넷북 24.5 27.9 20.6 18.7 30.3 21.7 29.1

태블릿PC 1.2 0.8 1.0 1.1 0.0 0.0 5.5

주)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1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온라인쇼핑 품목

패션/뷰티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 도서/잡지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와 Convenience Seeker, 식료품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가전/전자제품은 Functionals가 온라인(모바일 포함)에서 상대적으로 쇼핑을 많이 하고 있음.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해 자기개발을 하며,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에 정서적으로 애착을 보이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가 패션/뷰티에도 관심이 많음.

Goal-oriented Digital Lover는 패션/뷰티, Functionals는 가전/전자제품을 상대적으로 많이 쇼핑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온라인쇼핑(모바일 포함) 품목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패션/뷰티 30.5 20.6 41.2 28.3 31.3 38.3 23.2

도서/잡지 12.0 15.3 3.9 6.5 17.9 21.7 8.9

영화 예매 10.8 13.0 11.8 12.0 10.4 1.7 8.9

식료품 7.6 8.4 2.0 16.3 9.0 5.0 1.8

스포츠/레저용품 7.2 6.1 13.7 4.3 3.0 5.0 8.9

가전/전자제품 5.8 6.9 4.9 4.3 3.0 1.7 12.5

여행 4.8 3.8 3.9 6.5 9.0 1.7 3.6

출산/유아동 3.0 3.8 1.0 2.2 3.0 6.7 1.8

컴퓨터 관련 2.8 2.3 2.9 3.3 1.5 5.0 5.4

문화공연 예매 2.6 2.3 1.0 6.5 1.5 1.7 3.6

휴대폰 관련 2.2 4.6 2.0 0.0 0.0 1.7 1.8

화장품 2.0 3.1 2.0 2.2 0.0 3.3 1.8

주) 주요 품목만 제시함. 가장 최근 구매품목으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2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소셜커머스 이용 기기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최근 소셜커머스에서 쇼핑 시에 이용한 기기를 살펴보면, Convenience Seeker와 Quiet는 데스크탑PC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했고, Functionals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모바일 기기와 노트북/넷북을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Functionals는 온라인 쇼핑에서 마찬가지로 모바일 기기 이용을 선호함.

Functionals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소셜커머스 쇼핑을 선호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소셜커머스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데스크탑PC 47.7 45.2 53.4 49.2 57.5 48.6 26.3

스마트폰 33.8 27.4 34.2 34.9 35.0 37.8 39.5

노트북/넷북 16.9 25.0 12.3 14.3 7.5 13.5 28.9

태블릿PC 0.9 1.2 0.0 0.0 0.0 0.0 5.3

주)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3: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3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소셜커머스 쇼핑 품목

소셜커머스에서 패션 /뷰티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식료품은 Functionals와 Goal-oriented Digital Lover, 여행은 Quiet와 Convenience Seeker, 스포츠/레저용품은 Quiet, 휴대폰 관련 품목은 Goal-oriented Digital Lover가 소셜커머스에서 상대적으로 쇼핑을 많이 하고 있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쇼핑 품목은 디지털 측면의 라이프스타일과 함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성, 연령대, 그리고 생애주기 등의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품목 구매행동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

Goal-oriented Digital Lover가 소셜커머스에서 휴대폰 관련 품목 쇼핑이 상대적으로 많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소셜커머스 쇼핑 품목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패션/뷰티 24.1 23.8 16.2 32.8 32.5 18.9 19.0

식료품 13.0 11.9 8.1 12.5 10.0 16.2 21.4

외식 11.4 9.5 12.2 6.3 12.5 16.2 14.3

여행 9.3 8.3 16.2 4.7 15.0 2.7 2.4

스포츠/레저용품 7.2 4.8 17.6 4.7 2.5 0.0 4.8

가구/생활 5.7 2.4 13.5 3.1 10.0 5.4 0.0

문화공연 예매 5.4 7.1 4.1 7.8 5.0 5.4 4.8

휴대폰 관련 4.5 0.0 1.4 3.1 2.5 27.0 2.4

화장품 3.9 6.0 1.4 7.8 2.5 0.0 7.1

놀이공원/테마파크 3.0 4.8 4.1 4.7 0.0 0.0 2.4

출산/유아동 2.4 3.6 1.4 0.0 5.0 0.0 2.4

영화 예매 1.8 1.2 0.0 3.1 0.0 5.4 4.8

주) 주요 품목만 제시함. 가장 최근 구매품목으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4: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4

5.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상거래 이용실태 : 온라인뱅킹 이용 기기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가장 최근 온라인뱅킹(모바일 포함) 시에 이용한 디지털 기기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Convenience Seeker, 데스크탑PC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 노트북/넷북은 Quiet와 Functionals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남.

모바일뱅킹은 생활의 편리함 때문에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Convenience Seeker)과 디지털 기기/미디어를 통해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유형(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모바일뱅킹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Convenience Seeker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온라인뱅킹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스마트폰 52.4 53.7 40.3 66.7 62.9 46.8 44.1

데스크탑PC 31.8 34.6 35.3 20.0 25.8 41.9 33.9

노트북/넷북 14.5 11.0 22.7 10.0 11.3 11.3 20.3

태블릿PC 1.0 0.7 0.0 3.3 0.0 0.0 1.7

주) 가장 최근 이용한 기기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5: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5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이용경험

최근 6개월간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경험을 살펴보면 , 음 악감상 과 영화 감상은 Goal-oriented Digital Lover 와 Functionals의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TV 수상기를 제외한 디지털 기기를 통한 TV 콘텐츠 이용은 Functionals, Family Guy, 그리고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의 이용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Functionals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 디지털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고 있음.

Functionals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 디지털 콘텐츠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경험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음악감상 85.7 92.8 72.5 80.9 86.3 95.2 96.6

TV 콘텐츠 시청 68.2 82.1 65.6 81.7 70.3 74.6 84.7

영화감상 57.8 72.9 61.8 72.0 60.8 87.3 85.0

e-book 콘텐츠 33.9 55.7 41.2 42.6 21.9 48.4 66.1

Page 36: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6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음악감상 이용 기기

최근 6개월간 음악감상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디지털 기기를 보면, Functionals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는 스마트폰, Quiet는 데스크탑PC, 노트북 /넷북은 Family Guy, 태블릿PC는 Convenience Seeker와 Goal-oriented Digital Lover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전체 디지털 소비자 기준으로 보면 음악을 듣기 위해 이용하는 기기로 스마트폰의 비중이 절대적이고, MP3 플레이어는 1.5%로 작년(10.2%)보다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스마트폰 이용이 절대적인 가운데,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unctionals이 많이 이용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음악감상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휴대폰/스마트폰 79.6 78.5 71.6 85.3 73.4 80.0 93.0

데스크탑PC 7.3 5.4 18.9 8.0 4.7 1.7 1.8

노트북/넷북 6.3 13.1 6.3 2.7 4.7 1.7 1.8

태블릿PC 5.2 0.8 1.1 1.3 17.2 16.7 1.8

MP3 플레이어 1.5 1.5 2.1 2.7 0.0 0.0 1.8

주) 주이용 기기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7: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7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TV 콘텐츠 시청 이용 기기

최근 6개월간 TV 콘텐츠 시청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디지털 기기는 Quiet와 Goal-oriented Digital Lover는 스마트폰 , 데스크탑PC는 Family Guy와 Convenience Seeker, 노트북/넷북은 Family Guy, 태블릿PC와 DMB 단말기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남.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는 성향의 Relationship & Trend Oriented는 화면이 크고,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DMB 단말기를 선호함.

Quiet와 Goal-oriented Digital Lover가 스마트폰으로 TV 콘텐츠를 상대적으로 많이 시청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TV 콘텐츠 시청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휴대폰/스마트폰 49.9 37.4 67.4 37.7 51.9 63.8 52.0

데스크탑PC 20.2 28.7 17.4 11.7 26.9 19.1 14.0

노트북/넷북 18.8 27.0 12.8 19.5 13.5 14.9 16.0

태블릿PC 8.0 7.0 1.2 18.2 7.7 2.1 14.0

DMB 단말기 2.6 0.0 1.2 13.0 0.0 0.0 0.0

주) 주이용 기기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8: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8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영화감상 이용 기기

최근 6개월간 영화감상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디지털 기기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와 Quiet는 스마트폰, 태블릿PC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unctionals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통해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는 유형(Relationship & Trend Oriented)과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유형(Functionals)이 영화감상 기기로 태블릿PC를 선호함.

디지털 소비자 전체 기준으로 PMP는 0.2%로 작년 4.3%보다 감소하여 이제는 시장에서 더 이상 의미 없는 동영상 플레이어로 전락함.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Functionals가 영화감상 기기로 태블릿PC를 선호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영화감상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휴대폰/스마트폰 31.6 28.8 39.0 19.4 31.8 43.6 27.5

데스크탑PC 30.6 34.6 26.8 28.4 34.1 34.5 23.5

노트북 26.6 27.9 26.8 29.9 25.0 18.2 29.4

태블릿PC 9.5 7.7 6.1 19.4 6.8 1.8 15.7

PMP 0.2 0.0 0.0 0.0 0.0 0.0 2.0

주) 주이용 기기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39: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39

6.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 콘텐츠 이용실태 : e-book 콘텐츠 이용 기기

최근 6개월간 e-book 콘텐츠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디지털 기기는 Goal-oriented Digital Lover와 Convenience Seeker는 스마트폰, 태블릿PC는 Relationship & Trend Oriented와 Quiet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

편리함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유형(Convenience Seeker)과 자기개발을 위해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유형(Goal-oriented Digital Lover)이 스마트폰으로 e-book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고 있음.

e-book 콘텐츠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모바일 기기 이용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디지털 소비자 전체 기준으로 e-book 리더는 1.9%로 작년의 9.7%보다 크게 감소하여 시장이 큰 폭으로 축소되고 있는 추세임.

Goal-oriented Digital Lover, Convenience Seeker, 가 스마트폰을 통해 e-book 콘텐츠를 많이 이용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e-book 콘텐츠 이용 기기 (단위: %)

전체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휴대폰/스마트폰 47.7 44.2 42.6 35.0 64.7 67.7 51.2

태블릿PC 34.5 24.7 46.3 47.5 17.6 22.6 36.6

노트북/넷북 8.9 20.8 3.7 7.5 5.9 0.0 4.9

데스크탑PC 6.6 7.8 7.4 5.0 11.8 6.5 2.4

e-book 리더 1.9 2.6 0.0 5.0 0.0 3.2 2.4

주) 주이용 기기로 단수응답 기준임.

Page 40: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40

7.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화지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화지수는 Family Guy가 75.8점으로 가장 높고, Relationship & Trend Oriented(73.7점), Functionals(69.2점), Goal-oriented Digital Lover(66.4점) 순으로 나타남. 디지털화 수준이 가장 낮은 유형은 Quiet로 60.8점임.

디지털화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유형은 Family Guy로 79.5점이었고, 디지털 기기/미디어 이용경험이 많음을 의미하는 경험지수는 Functionals(72.9점)와 Family Guy(71.4점)가 높음. 실질적으로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가 74.7점으로 가장 높았음.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삶에 미치는 영향과 비중을 의미하는 영향지수는 Family Guy가 82.9점으로 가장 높았음.

Family Guy와 Relationship & Trend Oriented가 가장 디지털화 되어 있고, Quiet는 디지털 환경 적응력이 가장 낮음

(단위: 지수)

75.8

60.8

73.7 62.1 66.4 69.2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라이프스타이별 디지털화지수(DMC KDI)

태도지수 (Attitude Index)

경험지수 (Experience Index)

이용지수 (Usage Index)

영향지수 (Impact Index)

79.5 65.4 68.1 62.8 64.7

73.3 71.4 63.0

70.0 64.9 68.0 72.9 66.7

51.6

74.7

50.8 52.9 56.3

82.9

65.1 76.5

69.2 76.5 75.9

Page 41: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41

8.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스트레스지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스트레스지수는 디지털화 수준이 가장 낮은 Quiet가 56.5점으로 가장 높음. 디지털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디지털 화경에 적응하는데 있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유형은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의 혁신과 기능을 추구하는 유형인 Functionals로 44.1점임.

디지털화 되어 가는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수용스트레스와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용스트레스 역시 Quiet가 가장 많이 받고, Functionals가 가장 적게 받고 있음.

디지털화 수준이 가장 낮은 Quiet가 디지털화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유형은 Functionals임

(단위: 지수)

50.1 56.5 54.0 50.9 53.2

44.1

Family Guy Quiet

Relationship & Trend Oriented Convenience Seeker

Goal-oriented Digital Lover Functionals

라이프스타일별 디지털스트레스지수(DMC KDSI)

47.8 57.9 54.6 52.9 53.1

45.1 53.5 54.2 53.1 47.8 53.4

42.5

수용스트레스지수 (Acceptance Stress)

이용스트레스지수 (Usage Stress)

Page 42: 2013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_DMC_2013

42

Digital Media & Marketing Intelligence Center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연구/조사/분석 미디어입니다.

국.내외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관련 종합적 전문자료를 제공하는 지식센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10여 년간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실 집행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마켓, 미디어, 컨슈머, 서베이, 글로벌 이슈 및 다양한 통계자료 등을 꾸준히 생산/제공한 결과

디지털 미디어&광고마케팅 분야 전문자료로써의 가치 및 활용도, 영향력이 꾸준하게 확대되면서

해당 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지식채널’로써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시장을 통찰함과 동시에 실무에도 즉시 반영될 수 있는 ‘DMC리포트’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DMC리포트는 디지털 미디어&마케팅 솔루션 전문기업 ‘DMC미디어’에서 제공합니다.

All About Digital Media & Marketing

AD & Marketing | Internet / Mobile / IPTV / DOOH

Solution | AD & Marketing Solution

Contents | DMC REPORT / BOXTORY

www.dmcmedia.co.kr | www.dmcreport.co.kr | www.box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