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17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 보고서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평가 보고서

Page 2: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 보고서

Page 3: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 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가. 평가목적 및 평가방향

나. 평가 역

다. 평가방법

라. 평가위원 구성

마. 평가사업 추진 절차

2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현황

가. 평가 상사업 전체현황

나. 평가 상사업 일반현황 분석

3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결과

가. 전체 평가결과

■ 연극분야(종합 장르 포함)

ㅇ 춘천인형극제 2006

ㅇ 제 6회 양여름공연예술축제

ㅇ 2006 서울국제아동청소년 공연예술축제

ㅇ 제 18회 거창국제연극제

ㅇ 제 5회 의정부음악극축제

21

23

31

35

39

43

46

50

Page 4: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ㅇ 2006 서울국제공연예술제

ㅇ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06

ㅇ 2006 수원화성국제연극제

ㅇ 경기세계야외공연예술축제 2006

ㅇ 제 19회 전국민족극한마당

ㅇ 제 7회 호남연극제

ㅇ 2006 고마나루전국향토연극제

ㅇ 제 18회 마산국제연극제

ㅇ 마일 연극의 날

ㅇ 2006 포항바다국제연극제

■ 음악분야

ㅇ 2006 구국제오페라축제

ㅇ 2006 경남국제음악콩쿠르

ㅇ 박물관가족음악회

ㅇ 제 11회 제주국제관악제

ㅇ 제 6회 탐라전국합창축제

ㅇ 국제 윤이상 음악상

ㅇ 안익태 탄생 100주년 기념음악회

ㅇ 제 9회 한민족창작음악축전

ㅇ 2006 한민국국제음악제

ㅇ 2006 부산국제합창제

■ 무용분야

ㅇ 제 9회 서울세계무용축제

ㅇ 제 25회 국제현 무용제

ㅇ 제 3회 서울국제무용콩쿠르

■ 중음악분야

ㅇ 2006 한라이브뮤직페스티벌

■ 기타유형

ㅇ 수재민을 위한 관령국제음악제

54

58

62

66

70

74

78

83

87

92

99

103

107

113

117

121

125

129

134

138

143

147

151

157

163

12

13

14

14

15

표목차

<표 1> 평가 역 및 배점

<표 2> 기획평가지표

<표 3> 관리평가지표

<표 4> 공통평가항목

<표 5> 가 유형(지역축제 사업)

<표 6> 나 유형(장르별 공연중심 사업)

<표 7> 다 유형(경연 회 사업)

<표 8> 평가위원 구성

<표 9>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 상사업

<표 10> 분야별 등급 분포

그림목차

<그림 1> 분야별 분포

<그림 2> 공연지역 분포

<그림 3> 국고지원규모

<그림 4> 국고 의존율

<그림 5> 분야별 예산 구성 비율

<그림 6> 총 관객 수

<그림 7> 유료관객 비율

15

16

17

21

32

23

24

24

25

26

27

28

Page 5: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_ 9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개요

01

가. 평가목적 및 평가방향

나. 평가 역

다. 평가방법

라. 평가위원 구성

마. 평가사업 추진 절차

Page 6: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가. 평가목적 및 평가방향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는총괄적평가(summative evaluation)로정책결정후당초의도

했던효과를성취했는지여부를판단하는사후적(ex post)인활동의내용으로평가현실에기초하여

‘제 로된평가, 신뢰성있는평가’를수행하기위해평가방향과목적, 평가방법을체계적으로구

축하고평가결과를가지고행사주최단체로하여금적극적으로평가내용(개선방안등)을활용하도

록도움을주기위해당해연도국고교부결정이이루어진공연예술행사30개사업에 해평가를

실시했다.

평가는기획평가20%(예술경 지원센터담당), 관리평가20%(문화관광부담당), 현장평가60%(전

문평가위원담당)로구성되었다.

평가위원의구성은2003년~2005년의문제점을보완하여팀제로구성하 다. 팀구성은분야별

로총4개로분류하여평가위원수는팀별3인~10인구성(연극팀10인, 무용팀3인, 음악팀5인,

중음악팀3인)하 으며, 사업특성을고려하여개별평가사업의경우개별평가위원을구성하

다. 팀제로의구성은동일분야의비교평가를가능하게하 고, 사전∙사후평가회의에서정보교

환및평가의견조율의효율성을높 으며, 일관된평가추진을가능케하 다.

현장평가의경우공통항목평가지표와사업별성격을고려한유형별평가지표를바탕으로평가하

고, 개별평가회의를통해평가위원의의견수렴과정을거쳐평가사업총평담당평가위원을선정하

여평가결과내용에 한재확인과정을통해평가결과에신중성을기하 다.

기획평가는객관적지표를활용하여사업주최측이제출한관련서면자료와센터담당자현장실

사내용을비교분석후예술경 지원센터에서평가하고팀별평가회의를통해검증과정을거쳤으

며, 관리평가는사업주최단체가제출한관련서면자료와국고지원신청서및정산보고과정을문화

관광부분야별담당자가평가를실시하 다.

나. 평가 역

1) 평가 역

평가 역은기획평가의경우‘사업운 능력’평가항목으로행사운 의효율성, 예산집행의적절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개요 _ 1110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Page 7: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 평가항목및평가지표

① 기획평가

기획평가는사업운 능력평가를위한항목으로행사운 의효율성을살펴볼수있는자원봉사

자또는운 스태프의운 인조직부문과지자체, 지역단체, 지역주민, 민간기업등과의협력관계

구성의협력관계부문, 사전∙사후행사에 한홍보가가능한지에 한홈페이지운 부문, 행사자

료관리, 결과보고서발간등의행정프로세서의파일링시스템능력부문, 행사운 비(경상비, 공연

비, 홍보비)의비율, 재원확보노력등의예산집행의명확성과적절성에 한부문, 그리고유/무료

공연에 한관객확보율에 한평가이다.

위와같은항목으로크게3개의지표에세부평가항목이17개(유료공연기준)로항목당1점또는

2점으로구성되며, 유료공연, 무료공연, 신규공연, 기존사업의기준으로평가 상에따라항목기준

을다르게설정하게된다.

② 관리평가

관리평가는사업관리능력평가를위한항목으로국고지원에따른예산관련부문을평가하게되

는정산보고서제출시기, 예산집행내역, 증빙자료투명성을검토하고, 정산보고서상실적은국고

보조금교부신청서상의계획과 비하여목표달성여부를평가한다.

성, 관객확보율의세부지표로구성된다. 관리평가의경우‘사업관리능력’평가항목으로충실성, 신

뢰성, 성과목표달성도의세부지표로구성된다. 현장평가의경우사업성격을고려하여3개의유형

으로구분하여평가항목이구성된다.

지역축제사업(‘가’유형), 장르별공연중심사업(‘나’유형), 경연 회사업(‘다’유형)으로구성하

여사업성격을고려하여평가항목의가중치를다르게한다. 국고지원사업의경우국고지원에 한

타당성과효율성에 한평가와공공성에중점을두고있기때문에평가지표가차별성이크지않은

점을고려해야한다.

12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개요 _ 13

평가유형 평가항목 평가지표수 평가배점

사업목적 2 8

사업운 4 12공통평가항목

평가유형 평가항목 평가지표수 평가배점

관리평가 사업관리능력 3 20

기획평가 사업운 능력 3 20

□ 기획평가 및 관리평가 : 2개의 평가항목, 6개의 평가지표 총 40점 만점

□ 현장평가

① 공통평가항목 : 2개의 평가항목, 6개의 평가지표 총 20점 만점

<표1> 평가 역 및 배점

평가유형 평가항목 평가지표수 평가배점

사업성과 6 28

관객서비스 4 12

예술축제

성격의 행사

사업운

능력

공연중심 행사

② 고유평가항목

- ‘가’유형(지역축제 사업) : 2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 총 40점 만점

※ 축제로서의 지역에서의 연계성, 프로그램 구성의 적절성과 다양성, 행사의 독창성, 예술적 완성도, 참여인력의 예술성 등 단일한 공연기획과는

달리 복합적 문화행사로서의 특성을 고루 살펴 볼 수 있는 지표 구성

※ 일반적인 공연기획의 측면인 공연기획 목적의 타당성, 사회적 파급효과, 공연자체의 완성도, 공연기획력, 공연장 설정의 문제, 공연홍보와

마케팅, 공연장 관객서비스 등의 특성을 살펴 볼 수 있는 지표 구성

평가유형 평가항목 평가지표수 평가배점

사업내용 6 30

관객서비스 3 10

- ‘나’유형(장르별 공연중심 사업) : 2개의 평가항목, 9개의 평가지표 총 40점 만점

경연 회 행사

※ 콩쿠르와 같은 경연 회 형식의 행사로서 심사위원 구성의 적정성, 경연 회 내용의 완성도에 중점을 두어 평가 실시

평가유형 평가항목 평가지표수 평가배점

사업내용 8 30

관객서비스 2 10

- ‘다’유형(경연 회 사업) : 2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 총 40점 만점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설명 배점

- 자원봉사자 또는 운 스태프 운 부문

- 외협력관계, 홈페이지 운 등 홍보 부문

- 파일링시스템 등 행정 프로세서 구축 여부

- 자체평가계획 마련 여부

- 사후 관리 계획 노력 여부

- 예산편성의 적정성

- 경상비, 공연비, 홍보비 비율, 경상비 절감 노력 여부

- 국고지원금 이외에 재원확보 노력

- 예산 내역의 명확성 여부

- 유료/무료 구분 집계 여부

- 유료관객비율, 전체 관객 비율

행사운 의 효율성 9

5

6예산집행의 적절성

관객확보율

<표 2> 기획평가지표

Page 8: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나’유형(장르별공연중심사업)은2개평가항목, 9개평가지표로구성되고40점에해당된다. 장르

별공연중심으로평가되는평가지표로공연기획능력, 프로그램의적절성, 예술적완성도로행사에

한내용이중점적으로평가된다. 사업내용의평가에수반되는운 과관객부문이함께구성된다.

지표로구성하여평가된다.

③ 현장평가

현장평가는공통평가항목과고유평가항목으로구성되고, 60점의비율을차지한다. 공통평가항목

은2개의평가항목, 6개의평가지표로구성되고, 20점의비율을차지한다. 국고지원행사에공통으

로적용되는사업목적과고유항목에서도평가되는사업운 중평가 상사업이준수해야하고행사

진행에필수적인요소항목으로구성되며평가위원이현장방문평가후평가된다.

고유항목의경우‘가’유형(지역축제사업)은2개평가항목, 8개평가지표로구성되고40점에해당

된다. 지역축제중심으로평가되는평가지표로지역연계성, 축제운 인력을평가하는사업운 부

분과축제의고유성을평가할수있는프로그램의다양성, 행사의독창성부분에비중을두고, 지역

주민또는축제를참여하는관객부문이중요한항목으로설정된다. 특히관객의편의성부문은세부

14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개요 _ 15

사업관리

능력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설명 배점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서(또는 사업계획서)는 적절한 시기에 제출

되었으며, 그 내용은 충실한가?

국고보조금 이외에 자부담 등 이행비율은 계획과 비하여 제

로 지켜졌는가?

정산보고서상 실적은 국고보조금 교부신청서상 계획과 비하

여 어느 정도 목표를 달성하 는가?

정산보고서는 사업 종료 후 적절한 시기에 제출되었는가?

사업비 비 경상비 집행비율 등 예산집행의 비율은 적정하고 투명

하게 이루어졌으며(입증자료 등 파악), 결산처리는 세부사항을 포함

하여 명확하게 작성되었는가?

4

4

4

4

신뢰성

성과목표

달성도

<표 3> 관리평가지표

충실성

사업목적

(8)

사업운

(12)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설명 배점

관객 중심의 문화향수권 향상의 행사 목표의 달성을 위해 적절

하게 행사가 진행되었는가?

예술적 완성도 측면의 행사 목표 달성을 위해 적절하게 행사가

진행되었는가?

이 행사는 해당 분야의 공연예술 발전에 기여하 는가?

지원금은 사업규모 및 내용에 적절하게 활용되었는가?

(전체 예산 비 행사의 규모 및 내용에 한 평가)

운 조직 구조는 안정화 되었는가?

(조직개방성, 외적 이미지 등)

사전홍보는 효과적으로 이뤄졌는가?

(정보획득을 통한 행사장 접근의 편의성, 홈페이지 활용도 등)

현장 홍보는 효과적으로 이뤄졌는가?

(기타 필요 정보의 적절한 안내체계여부)

5

5

3

4

4

2

2

예술적 기여도

예산의 적절성

운 조직

발전가능성

홍보의 적합성

<표 4> 공통평가항목

목적부합성

(두개지표 중 택1)

사업성과

(28)

관객

서비스

(12)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설명 배점

지역과의 연계성이 긴 하게 운 되어 지역사회의 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하 는가?

국제행사의 경우 참가자의 질적 수준과 사업 전체 성격에 부합

되게 구성되었는가?(국제행사가 아닌 경우 사업성격과 규모의

수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구성 여부)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변화를 시도 하 는가?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 행사 개선 의지

유사행사와 비하여프로그램의차별성및참신성이돋보 는가?

프로그램의예술적완성도는높게평가되었는가?

참여단체또는출연진의예술성은어떠하 는가?

관객의호응도(참여도)는어떠하 는가?

공연자막서비스, 홈페이지등의공연안내가불편없이되었는가?

관객의편의시설은적절하게설치되었는가?

운 스태프또는자원봉사자의친절도는어떠하 는가?

5

6

3

4

5

5

5

3

2

2

<표 5> 가 유형(지역축제 사업)

지역 연계성

프로그램 구성의

적절성

프로그램의 다양성

행사의 독창성

예술적 완성도

참여인력의 예술성

관객 참여도

관객 편의성

사업내용

(30)

관객

서비스

(10)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설명 배점

공연기획 능력은 어떠하 는가?

레퍼토리 구성은 행사목적에 부합하 는가?

공연 내용은 차별성 및 참신성이 돋보 는가?

공연 내용의 예술적 완성도는 높게 평가 되었는가?

참여단체 또는 출연진의 예술적 수준은 어떠하 는가?

공연제작 목표는 효율적으로 달성되었는가?

(지속적인 재공연 가능성, 창작품 개발 보급 등)

관객의 호응도(참여도)는 어떠하 는가?

공연자막 서비스 등의 공연안내가 불편 없이 되었는가?

운 스태프 또는 자원봉사자의 친절도는 어떠하 는가?

5

5

5

5

5

5

5

3

2

<표 6> 나 유형(장르별 공연중심 사업)

공연기획 능력

프로그램 적절성

행사의 독창성

예술적 완성도

참여인력의 예술성

사회적 파급효과

관객 참여도

관객 편의성

Page 9: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라. 평가위원 구성

평가위원구성은2005년도와동일하게개별사업당3인으로구성하되, 사업성격과장르를고려

하여팀(Team) 제로구성하며팀별성격에적합한전문지식과소양을갖춘평가위원으로구성하

다. 팀제로의구성은해당분야의비교평가가가능하며, 행사전사전회의를통해평가방향과현장

평가의중점사항들을검토하고행사에 한사전정보를습득함으로써행사기간전일정을참관하

지못하는문제점을보완할수있고, 현장평가후평가회의를통해행사에 한현장의평가와더불

어유사성격의다른행사들에 한다양한정보교환이가능하다. 또한국고지원 상의여러행사

를평가함으로서1년동안평가위원으로활동하게됨에따라책임성이강화되고, 공연예술분야에

기여도에 한자긍심이고취될수있다.

팀별평가위원구성을살펴보면연극(종합) 팀10명, 음악팀5명, 무용팀3명, 중음악팀3명, 개

별평가위원7명으로총28명의평가위원이국고지원사업평가에참여하 다. 각평가사업당평가

위원3명으로구성하 으며, 장기간진행되는행사들의경우개별평가위원을구성하여진행하 으

며, 예산규모와사업성격 비특수사업으로분류되었던(2004, 2005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는4인

으로구성하여진행하 다.

‘다’유형(경연 회사업)은2개평가항목, 10개평가지표로구성되고40점에해당된다. 경연 회

행사의경우지역축제와공연중심사업과구별되는경연 회행사의투명성부문을평가하기위한

심사항목으로심사기준, 심사과정, 심사위원에중점을두었고, 경연 회의완성도와 경연 회에

한관객참여도등이함께평가된다.

다. 평가 방법

① 점수반

- 현장평가는공통항목20점과고유항목40점총60점을기준, 반 비율은60%

- 기획평가의경우총20점기준으로하며반 비율은20%

- 관리평가의경우총20점기준으로하며반 비율은20%

② 평가척도기준

- 현장평가는개별평가지표와배점을기준으로평가

- 평가지표별평가점수를총합산한후60% 산정

o 현장평가척도기준(예시)

16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개요 _ 17

사업내용

(30)

관객 서비스

(10)

평가항목 평가지표 세부지표 배점

경연 회 진행은 원활 하 는가?

심사항목이 적정한가?

심사기준이 객관적인가?

심사절차가 공정한가?

심사과정 및 결과가 투명하게 이루어졌는가?

심사위원 구성은 적절하 는가?

경연 회 참가작(작품)의 수준은 어떠하 는가?

해당분야 발전에 기여하는가? (발전가능성이 높은 행사인가)

해당분야 관계자 외 경연 회 관심도는 어떠하 는가?

경연 회 프로그램 등 관객안내는 불편 없이 이루어졌는가?

4

2

2

2

2

4

6

8

5

5

<표 7> 다 유형(경연 회 사업)

<표 8> 평가위원 구성

현장수행능력

심사기준 및

방식의 적정성(8)

심사위원 선정의

적절성

경연 회 완성도

발전가능성

관객 참여도

관객 서비스

척도 매우 적정 적정 보통 미흡 매우미흡

가중치 100% 90% 80% 70% 60%

4 3.6 3.2 2.8 2.4(4 × 1) (4 × 0.9) (4 × 0.8) (4 × 0.7) (4 × 0.6)

예시

구분 연극∙종합 팀 음악 팀 무용 팀 중음악 팀 개별평가위원 계

평가위원 10(인) 5(인) 3(인) 3(인) 7(인) 28(인)

- 기획평가는 20%를 반 하며 개별평가지표의 배점을 기준으로 해당 항목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 산정(세부지표 설명에 해당하는 점수 체크)

- 관리평가는 20%를 반 하며 개별 평가지표와 배점을 기준으로 평가

Page 10: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_ 19

마. 평가사업 추진 절차

①평가계획수립: 2005년도 평가과정을 점검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평가종합

(Evaluation synthesis)내용검토를통해방향을재정립하고2006년평가사업

추진

②평가계획통보: 평가계획및평가지표, 평가관련제출자료양식등을행사주최단체에통보

③행사자료요청: 평가계획안내후한달전후(사업계획서, 공연안내등) 제출요청(분기별로행

사자료를취합정리)

④사전팀별회의: 평가추진관련내용협의, 사후평가를통한평가결과내용의견수렴

⑤현장평가: 전문평가위원현장방문평가실시(현장평가후10일내현장평가지표작성)

⑥서면자료요청: 행사종료한달전후결과보고서, 보도자료및기타홍보물등서면평가자료

요청

⑦팀별평가회의: 평가결과내용종합토론, 평가결과확정(자료검토및종합회의후최종현장평

가지표제출)

⑧평가결과보고: 사업별평가결과를문화관광부에보고

⑨평가결과통보: 문화관광부최종보고후문화관광부에서행사주최단체에결과통보

18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현황

02

가. 평가 상사업 전체현황

나. 평가 상사업 일반현황 분석

Page 11: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2.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현황

가. 평가 상사업 전체 현황

1) 2006년평가 상사업

연극분야(종합장르포함) 15개사업, 음악분야11개사업, 무용분야3개사업, 중음악분야1개사업

으로총30개사업이평가되었다.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현황 _ 2120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연극의 날 행사

박물관가족음악회

의정부음악극축제

마산국제연극제

국제현 무용제[Modafe]

양여름공연예술축제

서울국제아동청소년

공연예술축제

탐라전국합창제

포항바다연극제

거창국제연극제

전국민족극한마당

춘천인형극제

행사명 주최 일정 국고

4월~10월

학로

본예술기획 110

뮤직필 80

서울모테트합창단 100

서울튜티앙상블 110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5월5일~5월27일

집행위원회 의정부 예술의전당

5월20일~5월28일

마산 돝섬

5월24일~6월6일

문예회관 등

(사)전국소공연장연합회 270

4월~9월

국립중앙박물관

50

마산국제연극제집행위원회 81

(사)한국현 무용협회 250

양연극촌 50

150

제주도 100

포항바다국제연극제진흥회 100

(사)거창국제연극제 육성진흥회 99

(사)한국민족극운동협회 50

춘천인형극제조직위원회 90

7월21일~8월1일

양연극촌 내 극장 등

(사)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7월29일~8월6일

한국본부 문예회관 등

8월1일~8월4일

제주문예회관

7월21일~7월30일

포항시 일원

7월28일~8월16일

거창 수승 일원

8월3일~8월6일

성주군 일원

8월9일~8월15일

춘천 인형극장

<표 9>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 상사업

Page 12: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나. 평가 상사업 일반현황 분석

1) 평가 상사업분야별분포

2006년국고지원 상사업의분야별분포를살펴보면30개사업중연극분야(종합장르포함) 15개

사업으로50%, 음악분야11개사업으로36.7%, 무용분야3개사업10%, 중음악분야1개사업으로

3.3%를차지하 다.

2005년의경우총31개사업중연극분야(종합장르포함) 18개사업으로58%, 음악분야8개사업

으로25.8%, 무용분야4개사업12.9%, 중음악분야1개사업으로3.2%를차지하 다.

2006년도의경우2005년도와비교하여보았을때전체 상사업수의증감은없으나분야별로는연

극분야의사업비율은약간감소했고상 적으로음악분야의사업비율이증가된수치를나타냈다.

2) 공연지역

2006년평가 상사업의공연지역분포를보면 30개사업중서울∙경기(수도권지역) 16개사업으

로53.3%, 지방(중소도시) 14개사업으로46.7% 의분포를보 다. 2005년의경우(서울∙경기(수도

권지역) 58%, 지방(중소도시) 42%)에비교했을때수도권지역의분포가낮아졌으나2006년도평가

상사업에서약간의추가∙제외된부분에의한것으로큰변화는없다고볼수있다.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현황 _ 2322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경기세계야외공연축제

제주국제관악제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수원화성국제연극제

수재민을 위한

관령국제음악제

한민국라이브

뮤직페스티벌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안익태 탄생 100주년

기념음악회

한민국국제음악제

한민국국제음악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고마나루전국향토연극제

호남연극제

구국제오페라축제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부산국제합창제

경남국제음악콩쿠르

윤이상 기념음악회

한민족창작음악축전

합계

행사명 주최 일정 국고

세계야외공연축제 8월11일~8월15일

집행위원회 다판다연수원 등

제주국제관악제 8월12일~8월20일

조직위원회 제주시 해변 등

8월11일~8월27일

홍 일원

수원화성국제연극제 8월18일~8월27일

집행위원회 수원화성행궁 일원

2006년8월~2007년2월

강원도 일 , 예술의 전당

(사)한국라이브음악 10월21일~22일

문화발전협회 한강시민공원

8월22일~8월29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12월 5일

KBS홀

10월22일~10월28일

예술의 전당 등

10월23일~10월28일

예술의 전당 등

(사)서울국제공연예술제 10월7일~10월29일

집행위원회 아르코예술극장 등

9월19일~9월25일

공주

9월2일~9월7일

경상남도 문화예술회관 등

8월24일~10월1일

구오페라하우스 등

유네스코국제무용협회 10월10일~10월25일

한국본부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 등

11월15일~11월19일

부산문화회관 등

10월28일~11월4일

통 시민문화회관 극장 등

11월2일,4일

예술의전당, 헤이리

11월26일

예술의 전당

100

100

서울프린지네트워크 50

81

강원도 270

100

서울국제문화교류회 400

안익태기념재단 100

(사)한국음악협회 400

(사)한국음악협회 400

500

(사)한국연극협회 200

호남연극제 조직위원회 45

구광역시( 구오페라하우스) 200

220

한국합창조직위원회 100

경상남도, 통 시, 마산 MBC 100

윤이상평화재단 100

(사)한국음악협회 48

30개 사업 4,804

※ 아시아 1인 극제는 행사단체의 사정으로 취소되어 평가 상사업에서 제외됨에 따라 당초 31개 던 전체평가 상사업 수가 30개로 변경됨.

※ 박물관 가족음악회의 경우 4개 단체가 주관하는 1개의 사업으로 평가됨.

※ 관령국제음악제의 경우 수해로 인해 정상적인 행사 운 이 어렵게 되어 수재민을 위한 행사로 변경되었으나 국고와 도비가 계획 로 지원

됨에 따라 변경된 사업계획을 반 하여 다른 행사들과 동일하게 평가를 진행하 음.

<그림 1> 분야별 분포

18개(58%)18개

(47.4%)

14개(36.8%)

3개 (7.9%)

3개 (7.9%)

20개(58.8%)

11개(32.4%)

3개 (8.8%)

8개(25.8%)

4개 (12.9%)

1개 (3.2%)

15개(50%)

2003년 중음악 (0개, 0%)

연극 (종합포함)

음악

무용

중음악

11개(36.7%)

3개 (10%)1개 (3.3%)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Page 13: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았고, 그 다음으로는 음악분야 31.9%(18억1천만원), 무용분야 16.7%(9억5천만원), 중음악분야

1.8%(1억원) 순으로나타났다.

평가 상수에는큰변동이없었으나2005년평가결과에따라총10개의사업(연극분야6개, 음악

분야3개, 무용분야1개)이국고지원금의10~20%정도감액조치됨에따라2005년에비해전체적으

로국고지원규모가감소된수치를나타냈다. 분야별분포를살펴보면2005년도에비해연극분야의

국고지원규모가줄고상 적으로무용분야와음악분야의국고지원규모가약간늘어나면서연극분

야와음악분야의국고지원규모가같아진것을알수있다. 이것은감액조치된10개의행사중과반

수이상이연극행사이기때문인것으로볼수있다.

4) 국고의존율

국고보조금, 지방비(시∙도비), 각종기금, 협찬및후원, 자체자금과공연수입을합한전체총수입

액에서국고보조금이차지하는비율이평균적으로29.4%이며분야별로살펴보면연극분야(종합분

야포함) 24.6%, 음악분야31.9%, 무용분야37.4%, 중음악분야41.7%의비율을나타냈다.

2005년도국고의존율(연극분야28.9, 음악분야23.7%, 무용분야38.1, 중음악분야80.2%) 과비

교했을때연극분야와 중음악분야는국고의존율이낮아졌고, 상 적으로음악분야는높아졌으

며, 무용분야는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또한행사마다국고지원규모의편차가큰것으로나타났다. 국고의존율이낮은행사로는10%미

만의행사가2개, 국고의존율이높은행사로는 80%이상인행사가3개 다.

3) 국고지원규모

2006년 국고 총 지원 금액 4,804,000,000원 중 음악분야 1,918,000,000원으로 전체 국고의

39.9%, 연극분야(종합분야포함) 1,916,000,000원으로39.8%, 무용분야870,000,000원으로18.0%,

중음악분야100,000,000원으로2.0%에해당된다.

2005년도의경우평가 상사업의예산내역에서문화관광부를통해지원된총국고지원규모는

5,676,000,000원이었다. 분야별로는연극분야(종합분야포함)가49.6%(28억1천6백만원)로가장높

24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현황 _ 25

<그림 3> 국고지원규모

음악분야

19억1천8백만원

(39.9%)

2006년 총 지원 금액

4,804,000,000 (48억 4백만원)

2005년 총 지원 금액

5,676,000,000 (56억 7천 6백만원)

무용분야

8억7천만원 (18.0%)

연극분야 (종합분야포함)

19억1천6백만원

(39.8%)

중음악분야

1억원 (2%)

연극분야 (종합분야포함)

28억1천6백만원

(49.6%)

무용분야

9억5천만원 (16.7%)

음악분야

18억1천만원

(31.9%)

중음악분야

1억원 (1.8%)

서울∙경기 (수도권지역) 지방 (중∙소도시) 순회공연

16개(42.1%)

18개(58%)

16개(53.3%) 16개

(42.1%) 13개(42%)

14개(46.7%)

6개(15.8%)

<그림 2> 공인지역 분포

연극 (종합포함) 음악 무용 중음악

24.6% 28.9% 31.9% 23.7%

37.4% 38.1% 41.7%

80.2%

<그림 4> 국고 의조율

2004년

2005년

2006년

※2005~2006년순회공연 (0개, 0%)

2006년

2005년

Page 14: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12.5%(30,000,000원)로집계되었다. 분야별로예산구성비율을살펴보면경상비의비율은 중음악

분야(30.8%)가가장높았고, 공연비의비율은연극분야(66.9%)가가장높았고, 홍보비의비율은무

용분야(14.6%)가가장높았다.

예산구성비율의경우평가 상사업의평가결과와예산집행결과의통계수치를통해적절성의계

량적지표로활용되고있다.

6) 관객현황

우리나라공연예술의현실을고려할때관객집계의시스템이갖춰져있고운 인력이충분히확

보된행사가거의없는것이사실이다. 따라서본평가의 상사업들의관객집계는명확성과신빙

성이다소떨어지는실정이다.

특히무료공연이나야외공연의경우관객집계데이터에 한함의도출이다소무리가있음을고

려해야한다.

집계된총관객수는1,004,851명으로연극분야(종합분야포함)가79.1%, 음악분야17.9%, 무용분

야2.0%, 중음악분야1.0%로집계되었다.

마일연극의날행사는연중 학로일 의유동인구를 상으로관객집계가이루어지므로본데

이터에서제외하 다.

분야별로2005년도관객집계와비교했을때약간의증감이있었으나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연극분야(종합분야)의경우지역축제가많고행사기간이다른분야에비해길게진행되는특징으로

5) 예산구성비율

예산구성은크게경상비(인건비, 사무국운 비, 진행비, 활동비, 업무추진비등), 공연비(출연료, 작

품료, 관료, 국외/국내단체초청경비, 저작권료, 시설비, 장비 여비등), 홍보비(매체광고비, 각

종인쇄비, 홍보물제작비등)로구분하 다. 분야별예산집행의적절성을살펴본결과연극분야(종

합 분야 포함)는 전체 예산(7,773,207,440원)에서 경상비20.4%(1,591,924,994원), 공연비

66.9%(5,200,331,076원), 홍보비 12.6%(980,951,370원)로 집계되었고 음악분야는 전체 예산

(5,785,989,659원)에서 경상비 25.7%(1,490,754,142원), 공연비 60.7%(3,515,659,519원), 홍보비

13.4%(779,575,998원), 무용분야는 전체예산(2,291,605,675원)에서 경상비 27.5%(631,544,338원),

공연비 57.7%(1,323,678,087원), 홍보비 14.6%(336,383,250원), 중음악분야는 전체예산

(240,000,000원)에서 경상비 30.8%(74,000,000원), 공연비 56.6%(136,000,000원), 홍보비

26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현황 _ 27

연극분야 (종합분야 포함) 음악분야

무용분야 중음악분야

홍보비

13.4%

경상비

25.7%

경상비

30.8%경상비

27.5%

경상비

20.4%공연비

60.7%

공연비

56.6%공연비

57.7%

공연비

66.9%

홍보비

12.5%홍보비

14.6%

홍보비

12.6%

<그림 5> 분야별 예산 구성 비율

<그림 6> 총 관객 수

전체 1,004,851명

연극(종합분야포함)

794,958(79.1%)

음악180,077(17.9%)

무용19,816(2.0%) 중음악

10,000(1.0%)

Page 15: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올해도가장높은관객현황을보이고있다. ( 2005년도전체관객수992,685명, 연극분야(종합분야

포함) 75.6%, 음악분야20.4%, 무용분야1.9%, 중음악분야2%)

유료공연의경우총유료관객수는707,691명이며분야별로연극분야가전체유료관객의80.3%를

차지하면서가장많았고음악분야18.6%, 무용분야1.1% 순으로나타났다.

연극분야(종합분야포함) 15개의사업중4개사업, 음악분야의11개사업중5개의사업, 중음

악분야의1개사업은무료공연으로진행되었다. (단, 유/무료공연중전체관객수 비유료관객

이5%미만인경우또는부 행사및무료공연이프로그램의 부분인경우무료공연으로평가를진

행하 다.)

전년도에비해유료관객비율이큰폭으로증가했으며, 분야별로는음악분야가타분야에비해

약간의증가율을보 다.

28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_ 29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결과

03

가. 전체 평가결과

■ 연극분야(종합장르포함)

■ 음약분야

■ 무용분야

■ 중음악분야<그림 7> 유료관객 비율

전체 707,691명

연극(종합분야포함)

568,225(80.3%)

음악131,519(18.6%)

무용7,947(1.1%)

Page 16: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3.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결과

가. 2006년 전체 평가결과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에 한평가결과는총30개사업중B등급(지원해야할사

업)으로평가된사업5개(16.7%), C등급(지원타당성이있는사업)으로평가된사업16개(53.3%), D등

급(지원필요성이적은사업)으로평가된사업8개(26.7%), F등급(지원을재고해야할사업)으로평가

된사업1개(3.3%)이다. 올해는2005년도와달리A등급(적극지원해야할사업)에속한행사가없었

으며, 전반적으로C등급에해당하는행사가많았다.

분야별로살펴보면연극분야의경우전년도와유사한등급별분포를보 으며, 음악분야의경우

전년도에고르게분포되었던것에비해올해는C등급에해당하는행사수가많아졌고, 무용의경우

전년도에한사업을제외하고모두B등급을받았던것에비해올해는고른분포를보 다.

또전년도와비교하여보았을때F등급에해당하는행사수가4개에서1개로줄어국고지원의타

당성을재고해야하는사업은개선되고있는것으로평가를받았다.

2003년부터시작된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결과의평균점수추이를살펴보면2003년도

평점81.4점, 2004년도평점87.8점, 2005년도평점81.3점, 2006년도평점81.3점으로2004년을

제외하고는평점이81.0점 를유지해왔음을알수있다. 2004년도의경우평가지표설계시전년

도평가지표점수에비해높은가중치를부여함에따라평가결과점수가전체적으로상향되어변별

력이저하되는결과를초래했다.

이에2005년도에는평가 역을기획평가, 관리평가, 현장평가 역으로구분하는등평가방법을

개선하 고, 2006년도에는 분야별평가 상사업들의비교가어렵고, 객관적인평가결과를도출하

기에무리가있는문제점을보완하여, 평가위원구성및운 에있어사업성격과장르를고려하여

팀(Team) 제로구성하 으며, 두차례의회의단계(사전회의, 사후회의)를마련했다. 팀제로의구성

은해당분야의비교평가가가능하며, 행사전사전회의를통해평가의방향과현장평가의중점사항

들을검토하고행사에 한사전정보를습득함으로써행사전체일정을참관하지못하는문제점을

보완할수있고, 현장평가후평가회의를통해행사에 한현장의평가와더불어유사성격의다른

행사들에 한 다양한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좀 더 일관성 있는 평가관점을 유지할 수

있었다.

2006년도평가 상사업중가장높은점수를받은세계무용축제는2003년부터평가받아온행사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결과 _ 3130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Page 17: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arts_1.pdf ·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11 11 16 17 18 목차 1 2006년도공연예술분야국고지원사업평가개요

로2003년82.1점(B등급), 2004년90.4점(A등급), 2005년88.5점(B등급), 2006년89.9점(B등급)을

받아왔으며, 2005년평가결과에따른인센티브제도적용으로2006년국고지원시전년 비10%

증액된지원금을제공받았다.

올해로9회째진행된세계무용축제는2003년평가시에는연례행사로서매너리즘에빠져답보상

태에이를수있으므로자체점검을통해국제무용제로도약해야한다는평가를받았었으나 2004

년에는국제무용축제로서안정된운 체계를갖추어국내무용관객들을모으는데성공한것으로

평가되었고, 이후2005년과2006년에는한국춤의국제교류와세계의춤의현주소를알리는최

규모의행사로평가받았다.

32 _ 2006년도 공연예술분야 국고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표 10> 분야별 등급 분포

구분 A(최우수) B(우수) C(보통) D(미흡) F(매우미흡) 총계

연극(종합포함) - 3 8 4 15

음악 - 1 7 2 1 11

무용 - 1 1 1 3

중음악 - - - 1 1

총계 5 16 8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