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4. 1

35
2005. 4. 1 과 과 과 과 과 과과과과과과과과 과과과 과과 과과과과과 과과과과

Upload: acacia

Post on 21-Jan-2016

5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국가 연구인프라 구축사업. 2005. 4. 1. 과 학 기 술 부 기초연구지원과장 김창우. 목 차. 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Ⅱ. 기초연구 진흥 정책. Ⅲ. 국가 연구기반 ( 인프라 ) 확충. Ⅳ. 향후 추진 계획. GDP(. ). 억달러. 1. GDP(. ). 인당. 달러. Ⅰ. . 우리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그동안 선진국 Catch-up 전략에 따른 고도 성장 달성. 세계 12 위 경제대국으로 성장. GDP 6,052 억달러 1 인당 12,646 달러.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2005. 4. 1

2005. 4. 1

과 학 기 술 부 기초연구지원과장 김창우

국가 연구인프라 구축사업

Page 2: 2005. 4. 1

2

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Ⅱ. 기초연구 진흥 정책Ⅱ. 기초연구 진흥 정책

목 차목 차

Ⅲ. 국가 연구기반 ( 인프라 ) 확충Ⅲ. 국가 연구기반 ( 인프라 ) 확충

Ⅳ. 향후 추진 계획 Ⅳ. 향후 추진 계획

Page 3: 2005. 4. 1

3

. 우리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우리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ⅠⅠ

그동안 선진국 Catch-up 전략에 따른 고도 성장 달성

-

2,000

4,000

6,000

8,000

10,000

1960 1970 1980 1990 2003

GDP(억달러 )

1인당 GDP(달러 )

세계 12 위 경제대국으로 성장GDP 6,052 억달러

1 인당 12,646 달러

GDP 20 억달러1 인당 80 달러

GDP 303 배

1 인당 158 배

Page 4: 2005. 4. 1

4

우리의 현황과 당면과제

우리경제의 현황

- 국민소득 1 만불에서 9 년간 정체 - 성장률 둔화 , 제조업 공동화 급진전 , 청년실업 증가

우리경제의 당면과제

- 성장동력원인 핵심원천기술 부족 및 선진국의 견제 심화 - 중국의 급성장에 따른 위협

새로운 혁신으로 전환 필요

- 제조업 중심의 모방형에서 지식기반 중심의 창조형으로 전환 - 반도체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굴

Page 5: 2005. 4. 1

5

국가혁신체제 정립을 위한 과학기술부 기능개편

새로운 국가혁신시스템의 구심체로 재탄생

과학기술정책 조정 - 과학기술예산 사전 심의ㆍ조정권 - 인력 , 산업 , 지역혁신정책 등의 유기적 조정

국가 R&D 사업 종합조정 기획 평가체제 구축 - 부총리 부처 격상 , 집행기능 해당 부처 이관

대형복합 및 태동기 기술 발굴 연구 - 원자력 , 우주 , 태동기기술 , 목적기초 , 인프라구축

과학기술부 인력 혁신 및 확산 체제 구축 - 개방형 조직 , 직위 분류제 시범 부처로 지정

과학기술부기능

Page 6: 2005. 4. 1

6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 추이 ( 성격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 추이 ( 성격별 )

구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총연구개발비

113,366

119,218

138,485

161,105

173,251

190,687

- 기초연구비15,854 16,255 17,461 20,250 23,732 27,586

(14.0%) (13.6%) (12.6%) (12.6%) (13.7%) (14.5%)

- 응용연구비28,484 30,652 33,701 40,759 37,636 39,740

(25.1%) (25.7%) (24.3%) (25.3%) (21.7%) (20.8)

- 개발연구비69,028 72,311 87,323 100,096 111,882 123,361

(60.9%) (60.7%) (63.1%) (62.1%) (64.6%) (74.7%)

정부부담 30,518 32,031 34,518 41,874 45,484 46,632

민간부담 82,848 87,187 103,967 119,231 127,767 144,054

단위 : 억원

Page 7: 2005. 4. 1

7

19,069

17,325

16,111

13,849

11,922

11,33712,18610,878

9,441

2.642.532.59

2.39

2.25

2.34

2.482.42

2.37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

2.1

2.2

2.3

2.4

2.5

2.6

2.7

총연구개발비 GDP 대비 연구개발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 추이 (GDP 대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 추이 (GDP 대비 )

Page 8: 2005. 4. 1

8

주요국의 연구개발비 투자 비교주요국의 연구개발비 투자 비교

국가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한국81 100 122 125 138 162

(2.34) (2.25) (2.39) (2.59) (2.53) (2.63)

미국2,268 2,440 2,652 2,748 2,771 2,846

(2.60) (2.65) (2.72) (2.74) (2.67) (2.62)

일본1,159 1,320 1,420 1,279 1,240 -

(2.95) (2.96) (2.99) (3.07) (3.12) -

영국255 272 265 265 293 -

(1.80) (1.87) (1.84) (1.86) (1.88) -

독일498 512 465 465 503 600

(2.31) (2.44) (2.49) (2.51) (2.52) (2.50)

프랑스316 315 286 293 313 -

(2.17) (2.18) (2.18) (2.23) (2.20) -

카나다109 119 137 143 138 161

(1.79) (1.82) (1.92) (2.03) (1.91) (1.87)

이태리127 123 115 121 - -

(1.07) (1.04) (1.07) (1.11) - -

단위 : 억 $(GDP 대비 )

Page 9: 2005. 4. 1

9

. 기초연구진흥 정책 . 기초연구진흥 정책 IIII

21 세기 과학기술환경

창조적 과학기술혁신의 지속적 혁신을 위한 국가간 경쟁 본격화

기초과학과 산업기술의 통합

기초과학과 산업기술의 통합

과학기술 융합화에따른 응용확대

과학기술 융합화에따른 응용확대

창의성 중심의 연구활동 요구

창의성 중심의 연구활동 요구

학문성 응용성학문성 응용성

개별성 학제성개별성 학제성

모방성 창의성모방성 창의성

Page 10: 2005. 4. 1

10

과기부 기초연구사업 발전 단계

1978 년 1990 년 2000 년 년도

기초연구단

발아 단계발아 단계

연구능력 형성 - 연구능력 정착 - 일반 연구인력 양성

구축 단계 구축 단계

연구능력을 조직화 , 체계화 - 개인 / 소규모연구 - 우수연구집단 - 연구기획평가

성장 단계성장 단계 미래 창의적 기초 연구 , 대형기반구축

- 개인 / 집단연구 전략화 ※ 선도과학자 , 젊은과학자 , 지역대학 , 여성과학자

- 분야별 , 분야간 (

학제간 ) 특화연구 ※ABRL,MRC, NCRC

- 대형첨단연구기반구축 ※NMR, 질량분석기 등

Page 11: 2005. 4. 1

11

년도별 투자현황

78년 85년 90년 95년 00년 04년3 39

252

781

1,707

3,646

( 단위 : 억원 )• 1978 년 일반기초연구 착수• 1986 년 특정목적기초연구 착수• 1990 년 우수연구센터육성사업• 1995 년 특성화장려사업 , 지역협력연구센터사업• 2000 년 지역대학 , 선도과학자 , 여성과학자지원사업• 2002 년 선도기초과학연구실 , 기초의과학연구센터• 2003 년 국가핵심연구센터 , 젊은과학자연구활동지원

Page 12: 2005. 4. 1

12

2004 년 투자현황

개인 / 소규모연구 (29.6%)1,078 억원

개인 / 소규모연구 (29.6%)1,078 억원

우수연구집단육성 (32.5%)1,186 억원

우수연구집단육성 (32.5%)1,186 억원

인력양성활용(22.2%)810 억원

인력양성활용(22.2%)810 억원

기초연구기반구축 (15.7%)

572 억원

기초연구기반구축 (15.7%)

572 억원

총 3,646 억원(100%)

Page 13: 2005. 4. 1

13

우리나라 기초연구 현황

기초연구 수준 취약- 양적으로 세계 13 위 (17,785 편 ) / (’03 SCI 연구논문 기준 )- 질적으로 31 위 수준 (’02 년 피인용횟수 0.21 회 )

기초연구투자 절대규모 미약

- 정부 연구비중 기초연구비 비중 20.7%(1 조 2018 억원 ) ( 미국 24.4%, 영국 33.2%)

대학에 대한 투자 미흡

- 총 연구비 중 대학의 사용 비중 10.4% ( 미국 14.9%, 영국 21.4%, 일본 14.5%)

Page 14: 2005. 4. 1

14

세계 10 위권의 기초연구 수준 달성세계 10 위권의 기초연구 수준 달성

▶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공동개발사업 참여

▶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분소 확대 (6 개소 -> 8 개소 )

▶ 대형 연구시설 / 장비 확충 및 공동활용 촉진 (NMR, 방사광가속기 등 )

기초연구기반 확충

ZZ

대학연구의근간으로 육성

대학연구의근간으로 육성

대학부설이공계 ( 연 ) 육성

ZZ

100 여개선정 [04-08]

100 여개선정 [04-08]

▶ 개인 및 소규모 연구팀 지원▶ 학제간 연구지원 (SRC/ERC, 국가핵심 연구센터 등 )

▶ 차세대 핵심연구 주제발굴지원 신설

창의적 기초연구 지원 확대

기초연구 진흥 방향

Page 15: 2005. 4. 1

15

기초연구 추진전략

기초연구 투자의 지속적 확대기초연구 투자의 지속적 확대 - - 정부의 정부의 R&D R&D 예산의 기초연구 비율을 예산의 기초연구 비율을 20072007 년까지 년까지 25%25% 로 확대 로 확대

기초연구 투자의 지속적 확대기초연구 투자의 지속적 확대 - - 정부의 정부의 R&D R&D 예산의 기초연구 비율을 예산의 기초연구 비율을 20072007 년까지 년까지 25%25% 로 확대 로 확대

기초연구에 대한 인식 제고기초연구에 대한 인식 제고 - - 기초연구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지원의지를 확대하고 우수한기초연구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지원의지를 확대하고 우수한 연구인력들이 기초부문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연구인력들이 기초부문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

기초연구에 대한 인식 제고기초연구에 대한 인식 제고 - - 기초연구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지원의지를 확대하고 우수한기초연구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지원의지를 확대하고 우수한 연구인력들이 기초부문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연구인력들이 기초부문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

체계적 기초연구 지원체제 구축체계적 기초연구 지원체제 구축 - - 분야별분야별 , , 규모별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연구지원 효과의 극대화규모별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연구지원 효과의 극대화

- - 산업체의 기초연구지원 및 대학에 대한 투자확대 유도산업체의 기초연구지원 및 대학에 대한 투자확대 유도

체계적 기초연구 지원체제 구축체계적 기초연구 지원체제 구축 - - 분야별분야별 , , 규모별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연구지원 효과의 극대화규모별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연구지원 효과의 극대화

- - 산업체의 기초연구지원 및 대학에 대한 투자확대 유도산업체의 기초연구지원 및 대학에 대한 투자확대 유도

Page 16: 2005. 4. 1

16

기초연구 인프라 확충기초연구 인프라 확충

- - 전문적인 연구관리 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시설ㆍ장비 등전문적인 연구관리 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시설ㆍ장비 등

기초연구 인프라를 확충하여 기초연구가 효율적으로 수행ㆍ기초연구 인프라를 확충하여 기초연구가 효율적으로 수행ㆍ

관리ㆍ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여건 조성관리ㆍ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여건 조성

기초연구 인프라 확충기초연구 인프라 확충

- - 전문적인 연구관리 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시설ㆍ장비 등전문적인 연구관리 시스템 구축을 포함한 시설ㆍ장비 등

기초연구 인프라를 확충하여 기초연구가 효율적으로 수행ㆍ기초연구 인프라를 확충하여 기초연구가 효율적으로 수행ㆍ

관리ㆍ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여건 조성관리ㆍ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여건 조성

기초연구성과의 효율적 활용체제 구축기초연구성과의 효율적 활용체제 구축 - - 기초연구의 산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연구성과의 사업화 및기초연구의 산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연구성과의 사업화 및

경제적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고경제적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고 , , 기초연구 유용성에 대한기초연구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인식을 제고

- - 연구성과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및 홍보 강화연구성과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및 홍보 강화

기초연구성과의 효율적 활용체제 구축기초연구성과의 효율적 활용체제 구축 - - 기초연구의 산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연구성과의 사업화 및기초연구의 산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연구성과의 사업화 및

경제적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고경제적 효과 창출을 극대화하고 , , 기초연구 유용성에 대한기초연구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인식을 제고

- - 연구성과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및 홍보 강화연구성과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및 홍보 강화

Page 17: 2005. 4. 1

17

. 국가 연구기반 ( 인프라 ) 확충 . 국가 연구기반 ( 인프라 ) 확충 IIIIII

국가 연구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국가의 과학기술 수준국가의 과학기술 수준 , , 특히 기초과학의 경쟁력은 첨단 대형연구특히 기초과학의 경쟁력은 첨단 대형연구 장비 및 시설의 수준에 좌우장비 및 시설의 수준에 좌우

20C 20C 후반 대부분의 중요한 발견은 첨단 연구시설과 장비에 의해 후반 대부분의 중요한 발견은 첨단 연구시설과 장비에 의해 가능하였음가능하였음

대형 연구장비 및 시설의 구축은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과 첨단대형 연구장비 및 시설의 구축은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과 첨단 원천기술 개발을 촉진원천기술 개발을 촉진 - - 개별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개별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

이러한 장비 시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개별 연구주체보다∙이러한 장비 시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개별 연구주체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효율적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효율적

국가의 과학기술 수준국가의 과학기술 수준 , , 특히 기초과학의 경쟁력은 첨단 대형연구특히 기초과학의 경쟁력은 첨단 대형연구 장비 및 시설의 수준에 좌우장비 및 시설의 수준에 좌우

20C 20C 후반 대부분의 중요한 발견은 첨단 연구시설과 장비에 의해 후반 대부분의 중요한 발견은 첨단 연구시설과 장비에 의해 가능하였음가능하였음

대형 연구장비 및 시설의 구축은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과 첨단대형 연구장비 및 시설의 구축은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과 첨단 원천기술 개발을 촉진원천기술 개발을 촉진 - - 개별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개별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

이러한 장비 시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개별 연구주체보다∙이러한 장비 시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개별 연구주체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효율적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효율적

Page 18: 2005. 4. 1

18

연구기반구축사업 (1998 년 ~) – 국가 연구개발의 경쟁력과 생산력 향상에 직결되는 연구개발 하부구조 조성을

위한 공동연구시설 구축

방사광가속기 공동이용연구 지원사업 (1995 년 ~)– 방사광가속기 공동이용을 위한 성능향상 연구 및 유지보수 지원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하나로 운영 , 양성자가속장치 건설 , 권역별 싸이클로트론 구축

특성화장려사업 (1995 년 ~)– 고가특수연구기기 운영 , 특수연구소재은행 , 전문연구정보센터 운영지원

지역기술혁신센터육성사업 ( 산자부 )–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지역기술혁신센터’를 설치 , 공동활용 고가 실험장비

등 구축 지원

부품소재기반구축사업 ( 산자부 )– 부품소재분야 신뢰성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시설 , 장비 확보 지원

우리나라 연구장비∙시설확충 및 운영지원 사업

Page 19: 2005. 4. 1

19

•방사광을 이용한 해상도가 높은 X- 선 영상촬영– 건설기간 : 1991.4 ~ 1994.12– 총투자비 : 1,500 억원 ( 포항공대 600 억원 , 정부 900 억원 )– 주요설비

• 선형가속기 (160m)• 저장링 ( 둘레 280m, 2.5GeV)• 빔라인 ( 운영 23 기 , 건설중 4 기 , 계획 3 기 )

•매년 운영비 약 205 억원 지원

국내 대형 첨단연구시설 장비 구축 추진 현황∙

방사광가속기

Page 20: 2005. 4. 1

20

• 나노기술개발을 위한 핵심 나노기술 분석 / 조작장비 구축– 사업기간 : 2002.10 ~ 2011.9– 총투자비 : 2,900 억원 ( 정부 1,180,

민간 1,720 억원 )

– 설치장소 : 한국과학기술원

나노종합 Fab. 센터 구축

• 화합물반도체 중심의 비실리콘계 나노소자 산업화 장비 구축 지원– 사업기간 : 2003.9 ~ 2008.4– 총투자비 : 1,731 억원 ( 정부 500, 경기도 97

5, 민간 256 억원 )

– 설치장소 : 경기도 수원 (중소기업지원센터 )

나노소자 특화 Fab 센터 구축

Page 21: 2005. 4. 1

21

• 진공 핵심부품 , 시스템 신뢰성 제고 , 극청정 진공원천기술과 공정장비– 사업기간 : 1999.10 ~ 2007.10– 총투자비 : 203 억원– 설치장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기반 구축

• 항공기의 시험평가를 위한 전기체구조시험장비 설계와 시험연구장비 구축– 사업기간 : 1999.11 ~ 2005.5– 총투자비 : 45 억원– 설치장소 : 한국항공우주 ( 연 )

비행체핵심 시험장비 구축

Page 22: 2005. 4. 1

22

• 송전용량 격상에 따른 중전기기 연구 개발용 계측장비 성능 검교정 설비 구축– 사업기간 : 2000.6 ~ 2005.5– 총투자비 : 314 억원– 설치장소 : 한국전기 ( 연 )

중전기기 기반 구축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

• 미래 원천적 광기술 연구를 위한 차세대 Peta-watt 급 초고출력 극초단 펄스 광양자빔 시설 구축– 사업기간 : 2003.8 ~ 2009.7– 총투자비 : 480 억원– 설치장소 : 광주과학기술연구원

Page 23: 2005. 4. 1

23

• 연구로 활용 ,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 핵연료 개발 연구 등 목적– 건설기간 : 1989.2 ~ 1995.3– 총투자비 : 934 억원– 설치장소 : 한국원자력 ( 연 )

하나로

• 단백질체 및 유전체 연구의 필수 기반 장비– 사업기간 : 2003.3 ~ 2006.4– 총투자비 : 70 억원– 설치장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구축

Page 24: 2005. 4. 1

24

• 원자단위 (0.1nm) 구조까지 직접 관찰할 수 있는 1MV 급 이상 현미경 구축– 사업기간 : 1998.12~2003.10– 총투자비 : 140 억원– 설치장소 : 한국기초과학지원 ( 연 )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 단백질 구조규명의 핵심장비로서 거대생체고분자의 입체구조 규명 및 신약 후보물질 발굴 지원– 사업기간 : 2002.5~2006.4– 총투자비 : 129 억원 (800MHz, 900MHz 각 1 개 )– 설치장소 : 한국기초과학지원 ( 연 ) 오창센터

차세대 자기공명장치

Page 25: 2005. 4. 1

25

• 세계 최고수준의 핵융합연구장치를 국내기술로 개발– 사업기간 : 1995.12 ~ 2007.8– 총투자비 : 3,090 억원 ( 정부 2,103, 민간 42

3, 원자력기금 564 억원 )(*건물 , 부대장치 별도 )

– 설치장소 : 한국기초과학지원 ( 연 )

차세대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 플라즈마의 차폐 , 가열 , 진단 및 제어에 대한 기초 공동연구 시설– 사업기간 : 2003.3 ~ 2007.2– 총투자비 : 70 억원– 설치장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빛 플라즈마 공동연구 장치

Page 26: 2005. 4. 1

26

• 100MeV, 20MA 선형 양성자 가속장치 개발 사업– 사업기간 : 2002 ~ 2012.6– 총투자비 : 1,286 억원 ( 정부 1,157, 민간 129

억원 )

– 주관기관 : 한국원자력 ( 연 )

양성자가속기 구축

• 15T FT-ICR 질량분석기 원천기술 확보와 장비 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성능의 20T FT-ICR 분석기기 개발 – 사업기간 : 2004. ~ 2007– 총투자비 : 70 억원– 주관기관 : 한국기초과학지원 ( 연 )

15T FT-ICR 질량분석기 개발

Page 27: 2005. 4. 1

27

• 초고속연구망과 웹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연구자 , 연구장비 , 첨단정보의 공동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환경 구축– 사업기간 : 2005 ~ 2013– 총투자비 : 1,131 억원– 주관기관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 e-Science 구축

• 지구 전체를 고성능 (10 기가급 이상 ) 광통신망으로 연동하는 R&D 협업 벨트망 구축– 사업기간 : 2005 ~ 계속– 총투자비 : ’05: 26 억원 , 년 70 억원– 주관기관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Gloriad 구축

Page 28: 2005. 4. 1

28

• 지구환경변화 분석 및 나노소재 특성분석 (AMS 1, SHRIMP 1 대 )– 건설기간 : 2005 ~ 2008– 총투자비 : 93 억원– 주관기관 : 한국지질자원 ( 연 ), 기초지원 ( 연 )

초정밀 연대측정장비 구축

Page 29: 2005. 4. 1

29

특성화 장려사업 ( 고가 특수기기 운영지원 사업 )

학학∙∙연연∙∙산 보유기기 중 공동활용도가 높은 연구기기 대상 산 보유기기 중 공동활용도가 높은 연구기기 대상 소요경비의 소요경비의 80% 80% 이내 지원이내 지원

- ’95- ’95 년부터 ’년부터 ’ 0404 년까지 총 년까지 총 562562 개 기기에 개 기기에 13,40913,409백만원 지원백만원 지원

학학∙∙연연∙∙산 보유기기 중 공동활용도가 높은 연구기기 대상 산 보유기기 중 공동활용도가 높은 연구기기 대상 소요경비의 소요경비의 80% 80% 이내 지원이내 지원

- ’95- ’95 년부터 ’년부터 ’ 0404 년까지 총 년까지 총 562562 개 기기에 개 기기에 13,40913,409백만원 지원백만원 지원

지금까지 지원현황지금까지 지원현황

구분구분

선정선정

연구비( 백만원 )

연구비( 백만원 )

‘95‘95

2424

639639

‘96‘96

2424

550550

‘97‘97

4444

900900

‘98‘98

3939

800800

‘99‘99

3737

1,1001,100

‘00‘00

6363

1,5001,500

‘01‘01

6868

1,5001,500

‘02‘02

8585

1,9201,920

‘03‘03

9595

2,5002,500

‘04‘04

8383

2,0002,000

계계

562562

13,40913,409

Page 30: 2005. 4. 1

30

. 향후 추진 계획 . 향후 추진 계획 IVIV

기본 전략

대형연구장비 지원 전략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연구에 필요한 장비 지원

세계 최초 혹은 최고성능의 첨단 연구장비를 개발 , 그 성과를 연구장비 산업에 확산

→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미국은 국가장비지원예산 중 평균 25% 정도를

첨단장비 개발에 투자

대형사업단이나 융합연구조직을 중심으로 한 대형장비의 시설화 , 집적화 추진

예 ) 나노종합 Fab, 나노소자특화 Fab

시설화 , 집적화를 통한 활용 극대화

첨단장비 개발 지원 강화

Page 31: 2005. 4. 1

31

추진 계획

대형 연구장비 시설확충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 투자 우선순위를 반영한 단계별 대형연구장비 확충전략 수립– 지역 특성화 및 균형발전 전략에 부합하는 투자전략 수립

대형연구장비 운영시스템 개선을 통한 공동활용 촉진– Major User Group 지정 및 Advisory Committee 운영– 대형연구장비 전문지원인력의 육성을 통한 공동활용 극대화– 장비 부대시설 및 유지관리비 지원을 통한 최적 성능 유지

차세대 연구 , 분석장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사업 추진– 첨단과학과 요소기술의 집합체인 세계 최고 , 최초의 첨단 연구∙

분석장비 개발을 통한 지식기반형 신성장동력 창출– 새로운 이론이나 원리적용 또는 세계 최초의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 지원 * 최근 노벨상 수상자 중 다수는 첨단장비 개발 자체와 연관이 깊음 [ 예 , Tanaka( 일본 , ‘02), J. Fenn( 미국 , ’02)]

Page 32: 2005. 4. 1

32

• 제 3 세대보다 수백억배 밝고 빛의 방출시간이 1,000 조분의 1 인 X- 선 레이저– 건설기간 : 2006 ~ 2009– 총투자비 : 1,000 억원– 주관기관 : 포항공대

주요 추진 계획 사업

제 4 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 7T( 인체용 ), 11T( 동물용 ), 9T 급 Vertical Bore MRI 도입 등– 사업기간 : 2006 ~ 2010– 총투자비 : 450 억원– 주관기관 : 한국기초과학지원 ( 연 )

자기공명 영상연구시스템 (MRI) 구축

Page 33: 2005. 4. 1

33

• 태양에너지 발생원리와 같은 핵융합 발전의 가능성을 기술적으로 실증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장치 사업– 사업기간 : 2005 부터 10 년 건설 , 20 년 운영– 총투자비 : 105 억불 ( 건설 50, 운영 55 억 $)– 참여국 : 한 , 미 , 일 , EU, 중 , 러

국제열핵융합실험로 (ITER) 참여

• 우주의 궁극적 구성요소인 힉스입자 탐색 및 초대칭이론의 실험적 규명– 사업기간 : 건설 10 년 , 운영 10~15 년– 총투자비 : 50~70 억 $– 참여국가 : 약 30 개국

국제선형충돌가속기 (ILC) 사업 참여

Page 34: 2005. 4. 1

34

그 외 도입 계획중인 대형 장비- 정책연구결과 제안 사항

Page 35: 2005. 4. 1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