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805

4

Click here to load reader

Upload: daishinsecurities

Post on 10-May-2015

1.819 views

Category:

Economy & Finance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805

2014년 8월 5일 화요일

투자포커스

[8월 글로벌 퀀트] 역전 – 신흥 시장 선진 시장을 앞서다

- 8월 글로벌 퀀트 키워드는 ‘역전’. 7월 우리 판단 기준인 PVLT에서 신흥 시장 선호도 선진 시장보다 높아짐

- 선진 시장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신흥 시장 이익 모멘텀 개선이 확인됨에 따라 2013년 이후 확대되었던 선진 시장과 신흥 시장간 밸류에이션 차이가 축소될 전망

- 더불어 2013년 선진 시장에서 나타났던 PE 리레이팅이 신흥 시장에서도 진행될 것

- 신흥 시장 PE 리레이팅의 가장 큰 수혜 지역은 이머징 아시아. 이머징 아시아는 신흥 시장내에서 이익 안정성이 가장 높고 신흥 시장 선호 과정에서 자금 유입 강도가 컸던 지역이기 때문

김영일. 769.2176 [email protected]

Page 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805

2

투자포커스

역전 – 신흥 시장 선진

시장을 앞서다

김영일 02.769.2176 [email protected]

※ 8월 키워드 : 역전

- 2014년 4월 이후 신흥 시장 연간 상승률이 선진 시장을 앞서기 시작

- 2분기에 나타난 신흥 시장 강세는 유동성 효과 요인이 강했음. 2013년 하반기에 신흥 시장에서 유출되었던 펀드 자금이 유턴하며 주가는 반등했지만 여전히 이익 모멘텀은 여전히 했음

- 7월 우리의 판단 기준인 PVLT에서 신흥 시장 선호도가 선진 시장보다 높아짐. 이는 신흥 시장 유동성 확대와 함께 그동안 나타나지 않았던 이익 모멘텀 개선이 확인되었기 때문

※ 시장간 밸류에이션 차이 축소 본격화

-선진 시장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신흥 시장 이익 모멘텀 개선이 확인됨에 따라 2013년 이후 확대되었던 선진 시장과 신흥 시장간 밸류에이션 차이가 축소될 전망

-2분기 이후 선진 시장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짐. 7월말 선진 시장 PE(12M Fwd)는 15.1배를 기록해 미국 금융 위기 이전(2007년) 수준이자 최근 10년래 최고 수준에 도달함

- 선진 시장 PE는 절대 수준 뿐 아니라 신흥 시장과의 상대적 수준에서도 부담. 1분기에 선진 시장 PE는 신흥 시장 PE보다 45% 할증되었는데 이는 과거 10년 할증률의 +1δ 수준. 2분기 선진 시장 할증률은 빠르게 낮아지고 있음

- 2분기 신흥 시장으로의 유동성 유입과 함꼐 7월 이후 신흥 시장 이익 모멘텀 개선이 확인되고 있어 시장간 밸류에이션 차이 축소는 가속화될 전망

※ 신흥 시장 PE 리레이팅 가능성 높아

- 2013년 선진 시장에서 나타났던 PE 리레이팅이 신흥 시장에서도 진행될 것

-2013년에 나타난 선진 시장 PE 리레이팅은 이익 개선보다 유동성 효과가 컸음. 7월말 현재 신흥 시장 PE는 2013년 고점을 넘어서고 있는데 유동성 확대와 이익 모멘텀 개선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어 PE 리레이팅이 가능할 전망

-가장 큰 수혜 지역은 이머징 아시아. 이머징 아시아는 신흥 시장내에서 이익 안정성이 가장 높고 신흥 시장 선호 과정에서 자금 유입 강도가 컸던 지역이기 때문

2분기 이후 선진 시장 할증률 축소 신흥 시장 유동성 확대와 이익 모멘텀 개선

36.7

15.1 14.8 15.1

0

2

4

6

8

10

12

14

16

18

20

0

20

40

60

80

100

120

140

04.01 05.01 06.01 07.01 08.01 09.01 10.01 11.01 12.01 13.01 14.01

선진 시장 PE 할증률(%, 선진 시장/신흥 시장*100-100)

선진 시장 PE(우,12M Fwd)

신흥 시장 PE(우,12M Fwd)

할증률 10년 평균 : 26.4%

할증률 10년 +δ: 44.6%

-20

-10

0

10

20

30

40

-6

-4

-2

0

2

4

13.1

13.3

13.5

13.7

13.9

13.1

1

14.1

14.3

14.5

14.7

신흥 시장 EPS YOY%(12M Fwd)

GEM Fund Flow(우,십억달러)

자료: IBES. 대신리서치 자료: EPFR, IBES 대신리서치

Page 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805

3

매매 및 자금 동향

▶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금액) (단위: 십억원)

구분 8/04 8/01 7/31 7/30 7/29 08월 누적 14년 누적

개인 25.9 -181.7 -317.0 -575.6 -475.3 -156 -1,622

외국인 221.4 -65.0 492.7 623.5 363.2 156 6,461

기관계 -252.9 253.6 -154.2 -34.9 131.0 1 -4,233

금융투자 25.7 311.7 379.5 43.3 113.3 337 -2,444

보험 -34.2 15.5 8.4 157.6 106.9 -19 1,038

투신 -146.8 -68.6 -319.3 -186.5 -91.8 -215 -3,109

은행 -7.8 -40.3 -71.5 -27.6 -20.4 -48 -1,471

기타금융 -6.1 -4.9 -10.3 5.4 0.5 -11 -632

연기금 31.3 14.7 -70.9 2.6 52.4 46 3,501

사모펀드 -32.8 16.6 -66.4 5.8 -33.3 -16 -457

국가지자체 -82.1 9.0 -3.5 -35.5 3.2 -73 -658

자료: Bloomberg

▶ 종목 매매동향

유가증권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삼성전자 79.4 현대글로비스 6.8 기아차 35.4 삼성전자 59.8

현대차 32.8 기업은행 6.3 SK C&C 10.6 현대차 53.4

NAVER 28.3 SK 이노베이션 5.8 KT 8.9 하나금융지주 14.4

SK 하이닉스 21.4 기아차 5.6 현대글로비스 7.5 우리금융 13.7

신한지주 17.6 GKL 5.6 KT&G 5.2 신한지주 13.0

SK 텔레콤 11.1 KT&G 5.1 기업은행 5.2 현대모비스 12.0

KB 금융 10.7 아이마켓코리아 4.9 SK 하이닉스 4.6 현대로템 10.9

현대모비스 10.7 POSCO 4.7 CJ CGV 3.7 삼성물산 9.3

하나금융지주 10.0 호텔신라 4.0 CJ 3.6 SK 텔레콤 7.7

엔씨소프트 8.5 두산중공업 3.7 효성 3.0 KB 금융 6.8

자료: KOSCOM

코스닥 시장 (단위: 십억원)

외국인 기관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순매수 금액 순매도 금액 GS 홈쇼핑 2.1 다음 8.8 다음 8.6 서울반도체 6.7

포비스티앤씨 2.1 서울반도체 2.2 컴투스 7.1 인터파크 5.5

컴투스 1.6 CJ E&M 2.2 에스에프에이 4.8 파버나인 4.4

게임빌 1.4 셀트리온 1.9 게임빌 2.8 블루콤 3.5

성우하이텍 1.4 내츄럴엔도텍 1.2 파라다이스 2.4 이오테크닉스 2.9

CJ 오쇼핑 1.2 KH 바텍 1.1 성우하이텍 2.1 GS 홈쇼핑 2.1

메디톡스 1.1 이오테크닉스 0.9 동성화인텍 1.6 서부T&D 2.1

차바이오텍 1.1 세운메디칼 0.8 쎌바이오텍 1.0 메디톡스 1.8

선데이토즈 1.1 파버나인 0.7 평화정공 1.0 포스코 ICT 1.7

인터파크 1.1 아이센스 0.7 위메이드 0.9 KG 모빌리언스 1.3

자료: KOSCOM

Page 4: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805

4

▶ 최근 5일 외국인 및 기관 순매수, 순매도 상위 종목

외국인 (단위: %, 십억원) 기관 (단위: %, 십억원)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순매수 금액 수익률 순매도 금액 수익률

현대차 361.6 0.0 현대중공업 53.0 -10.7 기아차 180.7 3.0 현대차 144.0 0.0

KB 금융 120.6 1.0 SK하이닉스 39.9 7.8 KT 90.8 6.5 삼성전자 103.0 -5.0

신한지주 118.6 -0.6 기업은행 20.6 9.7 SK 하이닉스 67.8 7.8 현대중공업 71.7 -10.7

현대모비스 90.1 2.2 GKL 19.6 7.8 현대모비스 64.4 2.2 NAVER 56.1 6.7

NAVER 87.7 6.7 아모레퍼시픽 14.0 7.9 LG 디스플레이 36.2 4.7 대우조선해양 49.9 -5.0

KT 81.1 6.5 현대차우 12.3 2.8 SK 텔레콤 35.6 7.6 두산중공업 48.1 -7.6

한국전력 78.8 3.5 현대글로비스 11.9 1.1 삼성생명 33.2 4.4 삼성SDI 41.3 2.5

삼성전자 77.4 -5.0 SK이노베이션 10.3 0.0

기업은행 32.2 9.7 하나금융지주 40.3 -0.1

하나금융지주 64.6 -0.1 SK텔레콤 10.0 7.6 LG 유플러스 27.6 10.7 삼성물산 36.6 -1.6

삼성물산 37.2 -1.6 영원무역 9.9 3.0 SK 이노베이션 26.5 0.0 CJ제일제당 31.8 2.4

자료: KOSCOM 자료: KOSCOM

▶ 아시아증시의 외국인 순매수 (단위: 백만달러)

구분 8/04 8/01 7/31 7/30 7/29 08월 누적 14년 누적

한국 203.7 -41.3 419.2 595.2 332.7 162 7,084

대만 -- 68.8 -334.0 279.2 269.6 69 11,272

인도 -- -- -250.7 -45.9 -- 0 11,915

태국 -- -14.5 -34.0 -52.3 -56.1 -15 -919

인도네시아 76.6 -- -- -- -- 77 5,032

필리핀 -42.4 -6.6 -5.3 3.1 -- -49 965

베트남 1.5 1.3 -1.1 -23.0 1.9 3 277

주: 대만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현황은 TWSE(Taiwan Stock Exchange) + GTSM(Gre Tai Securities Market)의 합산 데이터임. GTSM은 우리나라의 코스닥에 해당되는 General Board와 프리보드 역할을 하는 이머징 스탁 마켓 등으로 구분. 이머징 스탁 마켓은 General Board로 건너가기 위한 가교 역할을 수행

자료: Bloomberg, 각국 증권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