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é sÚ e¶ z a j s5 - keas.or.krkeas.or.kr/0070/upload/journal_data/조동섭_1.pdf ·...

21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5, Vol. 23, No. 2, pp. 399419. 교원양성대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조 동 섭 (경인교대 교수) 요 약 이 연구는 새로운 시대적 요구와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교원양성대학의 기능 을 진단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대학의 기능을 기본 기능, 부가 기능, 확장 기능으 로 재개념화하고, 그 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그러한 기능들을 진단한 후, 에 기초하여 교원양성대학들이 강화해야 할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양성체제 전반 의 혁신방향을 논의하였다. 기능 진단에서는 본연의 기본 기능조차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부가 기능과 확장 기능 수행에 대한 새로운 요구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이어 기능 강화 방안으로는 기본 기능의 내실화하기 위한 교사자격기준의 법제화, 교사양성교육과정의 현장화전문화, 교원양성기관의 재편,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혁신방안 등을 제시하였고, 부가기능 강화를 위한 복수 및 부전공 제도 강화, 전과 및 인정학점 제도의 활성 ,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설운영 방안 등을, 그리고 확장기능 강화를 위한 교육협력, 봉사협력, 자원활용협력, 정보활용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등 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교원양성대학, 교사교육, 교육력, 교원정책 . 서론 흔히 21세기 사회를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라고 말한다. 이 지식기 반사회는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전통적인 유형자산보다 무형의 지식자산(intangible intellectual capital)이 개인이나 조직 혹은 국가 경쟁력의 기반이 되고 부가가치 생산의 핵심 요소가 되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인간의 삶이 지식정보의 생산, 저장, , 유통, 활용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지식을 생산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 , 지식기반 인재의 육성이 사회나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Upload: vucong

Post on 28-Nov-2018

21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5, Vol. 23, No. 2, pp. 399~419.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조 동 섭

(경인교 교수)

요 약

이 연구는 새로운 시 요구와 상황 변화에 응하여 교원양성 학의 기능

을 진단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기 한 방안을 탐색하기 해 수행되었다. 이를

해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학의 기능을 기본 기능, 부가 기능, 확장 기능으

로 재개념화하고, 그 실태와 문제 을 심으로 그러한 기능들을 진단한 후, 그

에 기 하여 교원양성 학들이 강화해야 할 기능을 심으로 교육양성체제 반

의 신방향을 논의하 다. 기능 진단에서는 본연의 기본 기능조차 효과 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재의 문제 을 진단하고, 부가 기능과 확장 기능 수행에

한 새로운 요구들을 집 으로 조명하 다. 이어 기능 강화 방안으로는 기본

기능의 내실화하기 한 교사자격기 의 법제화, 교사양성교육과정의 장화․

문화, 교원양성기 의 재편, 교사교육 로그램의 신방안 등을 제시하 고,

부가기능 강화를 한 복수 부 공 제도 강화, 과 인정학 제도의 활성

화, 다양한 인력양성 로그램의 개설․운 방안 등을, 그리고 확장기능 강화를

한 교육 력, 사 력, 자원활용 력, 정보활용 력을 한 구체 인 방안 등

을 제시하 다.

[주제어] 교원양성 학, 교사교육, 교육력, 교원정책

Ⅰ. 서론

흔히 21세기 사회를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라고 말한다. 이 지식기

반사회는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통 인 유형자산보다 무형의 지식자산(intangible

intellectual capital)이 개인이나 조직 혹은 국가 경쟁력의 기반이 되고 부가가치 생산의

핵심 요소가 되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인간의 삶이 지식정보의 생산, 장, 처

리, 유통, 활용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지식을 생산하고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

재, 곧 ‘지식기반 인재’의 육성이 사회나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00

이에 따라 재 세계 각국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국가경쟁력의 척도가 되는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기 한 교육 개 에 범국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가의 지도

인재들을 육성하는 학교교육의 신을 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

력들은 교육제도의 개편, 학교교육과정의 개 , 교사교육의 신, 학교 교원평가의

강화 등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식기반사회의 경쟁력 있는 인재들을 육성하기 한 다양한

교육 노력들에 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개인 차원에서, 기업과

사회, 국가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기 한 개인

의 평생학습 노력도 요하며, 지속가능한 발 을 한 기업의 학습조직화 노력, 그리고

국민의 기본역량 강화와 인 자원 개발을 한 국가 노력도 매우 요하다. 그 지만

그 에서도 핵심이 되는 것은 학교교육이고, 그 교육을 이끌어가는 교원들의 능력 개

발 노력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국가인재들을 육성하는 교사들을 양성하는

교원양성 학에 을 맞추어 지식기반사회라는 새로운 시 요청에 부응하기 해

교원양성 학들이 강화해야 할 기능과 그 역량 강화 방안들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Ⅱ. 교원양성 학의 기능 진단

1. 교원양성 학의 기능

교원양성 학은 교원 양성을 목 으로 그야말로 ‘특별히’ 설립․설치된 학이다. 고

등교육법은 그 목 을 해 교육 학 등을 다른 고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즉 학, 산

업 학, 문 학, 방송․통신 학, 기술 학, 각종학교와 구분하여 그 목 과 목표 등을

별도로 ‘특정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법 제41조에, 교육 학은 등학교의 교원을,

학의 사범 학은 등학교의 교원을 양성함을 목 으로 한다는 을 명시하고, 기타

교육과 등도 교원의 양성을 목 으로 학에 둔다는 을 명시하여 그 목 을 분명하게

규정해 두고 있다. 한 법 제44조에서는 “교육 학․사범 학․종합교원양성 학

교육과의 교육은 그 설립목 을 실 하기 하여 (1) 교육자로서의 확고한 가치 과 건

한 교직윤리를 갖추도록 함, (2) 교육의 이념과 그 구체 실천방법을 체득하게 함,

(3) 교육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생애에 걸쳐 스스로 신장시켜 나가기 한 기 를 확

립하도록 함”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을 명시하고 있다.

이 게 볼 때, 교원양성 학의 핵심 인 기능은 교원의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여기서

는 이러한 법 규정에 의해 그 설립목 으로 규정된 일차 인 기능을 교원양성 학의

‘기본 기능’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이 기본 기능은 바로 각 학교 교원을 양성하는 기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01

능이다). 이에 따라 교원양성 학에서는 등교원의 양성과 련하여 재 국의 11개

교육 학교를 포함한 13개 학에서 5,825명의 등교원 후보자를 양성하고 있으며,

등교원의 양성과 련해서는 40개의 사범 학, 56개의 일반 학 교육과, 152개의 일반

학 교직과정, 134개의 교육 학원(그 교원양성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교육 학원은 79

개임)에서 65종에 이르는 약 34,677명(교육 학원의 경우 교원연수 로그램 석사학 과

정 학생 포함)의 등교원 후보자를 양성하고 있다(표 1).

<표 1> 교원양성 학의 교원양성 황

양성기 기 수편 제 정 원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교육 학 11 5,615 5,015 4,855 4,735

교원 학 1 160 160 160 160

이화여 1 50 50 50 50

소 계 13 5,825 5,225 5,065 4,945

사범 학 40 10,778 10,778 10,718 10,729

교 육 과 56 3,391 3,086 2,586 2,257

교직과정 152 - 22,248 22,135 22,045

교육 학원 134 20,508 20,560 - -

소 계 382 34,677 56,672 35,439 35,031

합 계 395 40,502 61,897 40,504 39,976

그러나 교원의 양성이라는 교원양성 학의 기본 기능 수행은 지 큰 기를 맞이하

고 있다. 등교원 양성의 경우 양성자원의 부족으로 일부 도 단 지역에서 필요한 교

사를 제 로 충원하지 못해1) 농․산․어 지역의 교육 황폐화와 지역주민의 이농 상

등을 가속화시키고 있고, 등교원의 경우 양성자원 과다로 인 자원의 낭비와 부실을

래하고, 과다한 인원이 벌이는 임용시험 경쟁의 가열화로 교원양성 교육과정 운 의

비정상화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표 2>와 <표 3>에 제시한 최근의 교원

임용 양성인원의 불균형 상은 이러한 을 양 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1) 등교원의 공 부족은 2003년에 4,694명, 2004년에 1,247명에 이르고 있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02

<표 2> 최근 4년간 등교원 양성 임용 황

연도양 성(A) 임 용(B) 임용률

(B/A,%)교 기타 합 계 국공립교원 사립교원 합 계

2001 4,704 294 4,998 5,590 99 5,689 114

2002 5,072 210 5,282 6,187 76 6,263 112

2003 5,499 223 5,722 7,353 67 7,420 129

2004 7,381 840 8,221 9,395 79 9,474 115

평균 5,664 392 6,056 7,131 80 7,211 119

<표 3> 최근 4년간 등교원 양성 임용 황

연도

양 성(A) 임 용(B)임용률

(B/A,%)사범계

학 과

교직

과정

교 육

학원계

국공립

교 원

사 립

교 원계

2001 12,464 11,523 3,485 27,472 2,465 1,770 4,235 15.0

2002 14,972 10,289 3,649 28,910 7,077 1,770 8,847 30.0

2003 13,918 9,579 3,342 26,839 6,717 1,610 8,327 31.0

2004 15,395 8,581 3,040 27,016 5,467 1,914 7,381 27.0

평균 14,187 9,993 3,379 27,560 5,432 1,766 7,197 26.0

※ 양성인원은 자격취득자에 한정하였고 특수교사와 보건교사 등을 제외한 수치임.

이러한 상황은 교원양성 학들이 기본 기능만을 추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으로 몰아가

고 있다. 특히 등교원 양성 학의 경우는 교원이 되지 못하거나 교원이 되지 않는 학

생들이 체의 3/4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한 교육이 실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원양성 학에는 교원양성교육 외에도 교원이 되지 않을 학생에 한 교육의 필

요성이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여기서는 이를 ‘기본 기능’과 비하여 ‘부가 기

능’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교육자치 시 의 도래와 함께 교원양성 학에는 지역사회의 학으로서 여

러 가지 교육 책무가 부과되고 있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진 에 따라 지역사회의 다양

한 교육 요구가 증가되고 있고, 지역주민의 교육문화의 심센터로서의 역할 수행에

한 요구가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교원양성 학들로 하여 단순히 자신의 학

생에 한 교육이라는 한정된 역할 수행을 넘어 지역사회와 주민의 다양한 교육 욕구

를 충족시키는 극 인 역할 수행을 강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원양성 학은 그 기

본 기능과 부가 기능 외에도 지역주민의 다양한 교육 욕구 실 과 지역 인 자원 개

발 등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새로운 과제로 부과되고 있다(여기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03

서는 이를 ‘기본 기능’과 ‘부가 기능’과 구분하여 ‘확장 기능’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원양성 학의 여러 가지 기능을 그 교육의 상에 따라 크게 범주화하여 규정

해 보면 [그림 1]과 같다.

기본기본 기능기능

교원지망학생

교원비지망학생

지역주민

부가부가 기능기능

확장확장 기능기능

기본기본 기능기능

교원지망학생

교원비지망학생

지역주민

부가부가 기능기능

확장확장 기능기능

[그림 1]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교육 상

2. 기능 진단

재 교원양성 학은 이상에서 제시한 기본 기능, 부가 기능, 확장 기능의 수행과

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 을 가지고 있다. 최근 교육인 자원부에서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안을 수립․추진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행 교원양성체제는, 부가 기능이나

확장 기능 수행은 말할 것도 없고, 기본 기능 수행에 있어서조차 많은 문제 들을 가지

고 있다(정진곤 외, 2005). 우선 기본 기능의 수행과 련하여 제기되는 주요 문제 들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 학이 배출하는 교원후보자의 교사자격 취득을 한 자질 능력 기

이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아 교원양성기 들 간에 교육과정, 교수, 교육여건 등의 격

차가 극심하다는 이다.2) 이에 따라 교원양성 학의 교육에 한 신뢰 문제가 심각하

게 발생하고 있으며, 자격증 양산에 따른 자격증의 사회 공신력이 크게 하되고 있다.

둘째, 교원양성기 의 교육과정이 일선 교육 장과 유리되어 있고, 형식 인 교육실습

과 열악한 교육여건 등으로 교원양성을 목 으로 하는 학으로서의 장 과 특징을 드

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이다. 특정 교과 역의 비율이 과다 혹은 과소하거나, 선택학

2) 2003년 사범 학 평가결과, 교육과정 수업, 교수 학생, 교육여건 지원체제 역의 평

가결과 총 1,000 에서 900 이상을 받은 학이 있는가 하면 500 미만의 학도 있을

정도로 그 차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난다(유균상․홍 란, 2003).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04

수의 과소로 유연성과 개방성이 부족하고, 일선학교 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며, 교

육실습을 한 부속학교와 기간, 과정 결과 리가 미흡한 경우가 많고, 교육 기본시

설이나 지원시설도 교육활동을 효율화하는 데 미흡한 측면이 많다(유균상․홍 란,

2003: 49-81).

셋째, 교원양성기 에 한 평가․감독체제가 미흡하다는 이다. 재 교원양성기

에 한 주기 인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평가결과가 재정 지원이나 양성 인원 제한

등 행․재정 조치로 활용되지 않고 있어 실효성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교

원양성기 의 교육과정과 수업, 교수와 학생, 교육시설과 지원체제 등에 한 국가 차

원의 질 리를 도모하지 못하고 있고, 교원양성 학의 교육력을 제고하기 한 실질

인 통제 장치가 없어 교육 기능의 획기 인 개선을 도모하기가 어려운 것이 실이다.

넷째, 교원양성 학과 과정별로 특성화된 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이다.

교원양성 학은 교육기능과 련하여 일반 학과는 다른 특별한 로그램을 가지고 있

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 학 수업 주로 진행되는 교직과정 등과 비교하여 사범 학

등이 특별한 문 로그램을 가지고 있거나, 사범 학 등과 비교하여 교육 학 등이 등

교사 양성에 필요한 특별한 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일반 인 인식이다.3)

이러한 들은 목 형 교원 양성에 한 일반사회의 지속 인 회의 시각의 연원이

되고 있다. 사실 특별한 교육 로그램과 그 강 이 없는 한, 교원의 양성을 교원양성

학에서 계속 수행할 이유는 없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의 기본 기능의 강화는 그 존립

기반의 타당성을 증거하는 필연 이유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교육력이 담보되지 않은 교원양성 학의 양 팽창은 다른 심각한 문제를 야

기하고 있다. 즉, ‘기본 기능’의 강화에 주력해야 할 교원양성 학이 양 팽창에 따라

교원이 되지 않은 학생들을 다수 보유하게 됨으로써 그들에 한 별도의 교육 제공이라

는 새로운 ‘부가 기능’을 떠안게 된 것이다. 이 문제와 련하여 지 교원양성 학은

거의 ‘수수방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부 학에서는 복수 공과

부 공 제도를 활용하여 이들을 다양한 분야의 인 자원으로 활용하기 한 노력을 기

울이고 있으나, 학생들 부분이 선택하는 복수 공과 부 공 교육과정이 다른 공교

과 교사가 되기 한 교과교육에 집 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실효성은 미미한 실정이

다. 특히 교육 학 등은 등교사 이외의 다른 직업을 선택하고자 해도 그 별도의 교육

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다만 등교

원 양성 학의 경우 등교원의 부족 사태로 거의 100%가 등교원으로 임용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문제는 잠복되어 있지만, 직업 진로를 고등학교 때 선택하는 근원 문

3) 사 가산 의 폐지나 임용( 등교원자격증 소지자의 등교사 임용) 조치는 이러한 일반

인 인식의 결과로 해석된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05

제 때문에 다른 진로를 탐색하는 재학생들이 다수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그에 따른 문

제는 언제든지 심각한 문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많다는 에서 여 히 문제로 지 될 수

있다. 특히 등교원 부족 사태는 향후 10년 내에 거의 해소되는 상황이 되고(조동섭

외, 2003), 많은 등교원 지망자들도 이후에는 그 희망과 무 하게 등교원이 되지 못

하는 상황이 올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는 재는 잠복되어 있지만 조만간 떠오르게 될

심각한 문제의 하나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확장 기능’의 수행 역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재 교원양성 학을 포함한 부

분의 학에서는 평생교육원(사회교육원) 등을 설치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을 상으로

한 평생교육 로그램을 개설․운 하고 있다. 이러한 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일반인에

게 가장 인기 있는 교육기 으로서 학의 사회 사 기능과 학 확장의 일환으로 이루

어지며, 최근에는 학의 수익 증 효과를 거두는 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교육인

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4). 이에 따라 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해를 거듭하면서

매년 꾸 히 증 되고 있다(표 4). 그러나 로그램의 다양성이나 효과 측면에서 학의

평생교육 로그램은 여 히 미흡하고, 특히 교원양성기 의 평생교육 로그램은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 되고 있다(성병창 외, 2003).

<표 4> 학 부설 평생교육원 황

구분 상

학교수

부설 평생(사회)교육원 황

학교수 교육원수 설치과정수 교육인원

학교

일반 학 169 158 168 4,375 238,861

산업 학 19 16 16 136 4,595

교육 학 11 10 10 98 3,475

학원 학 25 16 16 72 2,060

방송통신 학 1 1 1 7 6,000

원격 학 15 1 1 12 360

소계 240 202 212 4,700 255,351

문 학 158 131 131 1,779 70,113

기능 학 등 28 20 20 277 7,871

합 계 426 353 363 6,756 333,335

Ⅲ.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에서 진단한 문제 은 교원양성 학의 존재 의미를 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06

한 문제 을 해결하고 교원양성 학이 치열한 학경쟁에서 살아남기 해서는 그 기능

과 역량을 획기 으로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를 한 구체 인 방안들을 탐색․제

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본 기능의 강화

교원양성 학이 교원 양성이라는 기본 기능을 효과 으로 수행하기 해서는 앞서 제

시한 문제 들을 해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다시 말해, 재 교사 양성과

련되어 제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들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 와 사회가 요구하는

문 지식과 수행능력, 그리고 교직 사명감을 갖춘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기 한 방

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한 구체 인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한 국가 차원의 교사자격 기 을 마련하고, 그 기 의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교원양성 학에서 비교사들에게

우수한 능력과 문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일은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첩경이 된다. 최근 우수한 학생들이 교직을 희망하고 교육 학과 사범 학 등에 입학하

고 있는 상은 매우 고무 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학생들을 유

능한 교사 자원으로 기르기 한 체제는 그동안의 많은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 히 미흡

하다는 것이 평이다. 따라서 비교사들에게 교직에서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 그리고

인품을 충실하게 길러주기 한 체계 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교사의 자격과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한 국가 기 을 마련하여 교사

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수행능력에 한 체계 인 질 리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재 미국의 경우 연방 차원의 평가인정 기 이 있고 각 주별로 자격증 취득을 한 교

육과정과 자격 기 이 정해져 있다. 한 국 단 의 교사교육평가인정 원회(NCATE:

National Council for the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에서는 교원을 양성하는

학교, 단과 학, 학과, 로그램 등을 상으로 자발 인 신청을 받아 평가인정을 실

시하고 있다. 지 까지 미국의 1,200여 교원양성기 가운데 약 500여개의 기 이 그러

한 평가인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의 경우에도 최근에 교사교육원(TTA:

Teacher Training Agency)을 설립하여 교사의 자격기 을 국가 차원에서 리하고 있

다. 1998년부터는 교육고용부령으로 교사자격기 을 마련하여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한 기 을 제시하고 그를 바탕으로 각 교사양성교육기 들이 교육질 리청(OFSTED)으

로부터 인정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정진곤 외, 2005).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인 자원부에서 교원양성체제 개편을 한 종합방안을 마련

하여 교사 자격에 한 국가 차원의 질 리를 도모하려 하고 있는 것은 그러한 에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07

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통해 교사자격 취득을 한 국가

기 을 제정하고, 그에 기 하여 교원양성기 들이 교육과정 편성 최소기 을 설정하여

교원의 자질과 능력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나아가 무시험검정에 의한 자격증 부

여 방식을 개선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충실한 이수와 수업실기능력의 인정, 그리고

국가자격시험의 합격 등의 조건을 포함하는 종합 인 자격 검정 체계로 환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교원양성 학의 교육과정을 수행능력 심 교육과정으로 환하여 장 응력

이 높은 교사를 양성하는 체제로 탈바꿈시켜야 한다. 사실 우리나라 교원양성 교육과정

이 학교교육과정과 유리되어 있다는 지 은 어제 오늘의 지 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러한 지 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교육과정에 한 이해 계를 둘러싼 련자들

의 갈등이 심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의 교사자격 기 을 바탕으로 교

원임용 형 등에서 수행 능력 심으로 교원을 선발하는 체제를 갖춤으로써 수요자

심의 교육과정 논의가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의 심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교사자격 기 과 교원양성 교육과정 기 을 체계화하여 국가의 최소 요

구기 으로 설정하고 각 교원양성기 들이 이를 따를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이는 교원양성 학의 교육과정 운 의 자율성과 탄력성을 축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지만, 균질의 우수한 교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따라서 교원자격과 교육

과정 기 은 최소한의 국가 기 으로 정하고 구체 인 사항은 교원양성 학별로 ‘교육

과정운 원회’를 설치하여 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회는 교원양성 학의 교

수와 학생, 장교사와 학부모 등을 참여시켜 교육 장에서 요구되는 교수능력에 한

의견을 지속 으로 수렴하고, 각 학의 교육과정의 문제 등을 지속 으로 모니터링

하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 과정에서 장 합성을 제고하는 데 실질 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한 교육실습을 내실화하여 장 응력이 높은 교사를 양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재 실시되고 있는 교육실습에 해서는 그 기간이 짧고 실습 내용이 부실하며 실습기

에 따라 격차가 크다는 문제 이 지속 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 학에서 배운 이론

과 실습시 장에서 배우는 경험을 체계 으로 목시키는 기회가 부족하다는 도 문

제 의 하나로 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해서는 실습 기간을 등의

경우 재의 8-11주에서 15주 이상으로, 그리고 등의 경우 재의 4-6주에서 8주 이상

으로 확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정진곤 외, 2005). 아울러 교육실습에 한

오리엔테이션과 교육실습 강좌, 그리고 사 ․사후평가를 강화하고 교육실습을 통해 습

득해야 할 실습경험의 내용을 체계화·구체화하며, 실습학교와의 력체제의 강화 등을

통해 실습 경험의 질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08

셋째, 교원양성교육에 한 국가 차원의 리를 해 교원양성기 평가인정제를

도입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부터 교원양성기 평가를 실시하여 교육과정의

개편, 교수인력의 확보, 그리고 교육여건의 확충을 유도함으로써 교원양성기 의 교육여

건을 반 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행 교원양성기 평가는 교원

양성기 에 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최우수, 우수, 양호, 노력요망 학 등으로

공표하고는 있으나, 그 결과에 따른 행․재정 인 지원이나 제재 없이 단순한 기 평가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에서 요구하는 수 의 우수한 교육력을 확보하는 장치로서

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기 평가가 아닌 교원양성기 에 한

평가인정제도를 도입하여 체계 인 인정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교원양성

문기 으로서의 인정 여부를 단하고 행․재정 지원과 제재 조치를 취함으로써 방만

한 교원양성기 을 구조 조정하는 동시에 교육 개선을 획기 으로 도모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해서는 재의 탁형 평가체제를 정부 주도형 평가체제로 환하고 재와

같이 사범 학, 교육 학원, 교육 학교․교육 학원, 학의 사범계학과, 학의 교직과

정의 5년 주기 평가방식을 탈피하여 모든 교원양성기 을 한 해에 일시에 평가하는 방

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한 평가인정 기 을 <교사 자격기 >을 바탕으로 교원양성

교육에 필요한 최소 필수기 과 요구 기 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외 으로

공표하여 모든 교원양성기 들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인정평가 결과에 기 하여 인정기 과 비인정기 을 정․공표하고, 인정 학에 해

서는 재정 지원 교육과정 운 의 자율성을 확 하고 비인정 학에 해서는 교원자격

증 발 기능을 제한하거나 교사양성과정을 폐지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원양성 학과 과정별로 특성화된 문 로그램을 개발․운 할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사실 교원양성 학의 존재 의의는 특성화된 문 로그램에 있다. 특별한 문

로그램이 없다면 목 형의 교원양성 학들을 둘 필요가 없으며 무시험검정에 의한 자

격 부여를 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교원 양성 교육과정 기 을 바탕으

로 양성과정별로 특성화된 교육 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체계 으로 지원하여 양성

과정별로 문화된 교사교육 로그램을 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련하여 최근 교육인 자원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사교육 로그램 개발 로

젝트는 시사하는 바 크다. 이 로젝트는 교육인 자원부에서 2003년에 교육 학 발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교육 학 발 방안은 미래의 꿈나무를 키우는 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학을 명실상부한 등교육의 산실로 발 시키기 해 5년간 2,500억원

을 투입하여 교사교육센터를 건립하고 교육정보화 환경을 획기 으로 개선하며, 교사교

육 로그램을 신시킨다는 취지를 가지고 추진된 것이다. 이 교사교육 로그램 개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09

발 로젝트는 5년간 약 60억원을 투입하여 교육 학 교육 로그램을 특성화․ 문화하

기 해 시작되었는데, 이미 2003년에 22개의 교사교육 로그램을 개발하고 2004년에는

이를 교사양성교육에 직 용․개선하는 동시에 새로운 로그램을 추가로 개발하여

2004년 재 29개의 신 인 로그램으로 발 시켜 등교원양성 학의 교육을 신

시키고 있다(송 용 외, 2004).

이러한 교육 학 발 방안 실 을 한 교사교육 로그램 개발 로젝트를 모든 교원

양성 학에 확 하여 교원양성교육을 특성화된 로그램을 개발․추진하는 방안으로 발

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로그램의 효과 인 용을 해 평가체제를

강화하고 지속 인 신을 통해 교원양성교육의 문성과 질 수월성을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

2. 부가 기능의 강화

앞서 살펴본 것처럼, 교원양성 학의 양 팽창은 필연 으로 교원양성 학에 부가

기능의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 지만 교원양성 학은 교원의 양성이라는 기본 기능

의 수행에 치 하여 부가 기능 강화를 한 특별한 로그램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 지만, 교원이 되지 않는 수많은 학생들의 등장은 이러한 로그램의 개발과 추진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으며, 그것은 이제 부담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 기능의 외연 확

라는 차원에서 극 으로 강화해야 할 교원양성 학의 필수 인 역할이 되고 있다. 교

원양성 학의 부가 기능 강화를 한 구체 인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이 되지 않을 학생들이 다양한 능력과 기능을 함양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복수 공과 부 공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 2003년 사범 학 평가결과에 따르면,

졸업생의 교사 임용률은 평균 35.8%로서 약 1/3정도의 사 졸업생만이 교사로 진출하

고 있다(유균상․홍 란, 2004). 이 임용률은 등교원양성 학의 체 임용률 31.0%를

상회하고 있는데, 이는 우수한 학생들이 사범 학에 입학하고 있는 도 한가지 이유가

되지만, 복수 공과 부 공을 이수한 학생들이 다수 교원으로 진출했기 때문이기도 하

다. 등교원의 합격률은 과목에 따라 편차가 크다(표 6). 그래서 복수 공과 부 공의

확 는 학에 따라서는 교원이 될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유용한 제도가 된다. 이에 따

라 교원양성 학에서는 부분 복수 공과 부 공제도를 교원이 될 확률이 높은 교과의

교육을 제공하는 편의 인 제도로 활용하고 있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10

과 목

2002년도 2003년도 2004년도

응시자수(A)

합격자수(B)

합격률(A/B,%)

응시자수(A)

합격자수(B)

합격률(A/B,%)

응시자수(A)

합격자수(B)

합격률(A/B,%)

국어 5,742 1,391 24.2 6,592 830 12.6 7,440 694 9.3

수학 4,286 1,303 30.4 4,635 922 19.9 4,902 804 16.4

공통과학 962 155 16.1 2,190 336 15.3 1,945 184 9.5

물리 536 112 20.9 531 149 28.1 647 95 14.7

화학 685 119 17.4 575 173 30.1 642 88 13.7

생물 958 134 14.0 1,242 217 17.5 1,303 131 10.1

지구과학 449 119 26.5 494 148 30.0 514 89 17.3

공통사회 726 118 16.3 1,580 227 14.4 1,842 194 10.5

일반사회 1,136 185 16.3 1,377 166 12.1 1,639 189 11.5

역사 1,887 299 15.8 2,012 128 6.4 1,792 89 5.0

지리 686 112 16.3 763 146 19.1 873 141 16.2

도덕,윤리 887 153 17.2 1,087 79 7.3 1,265 225 17.8

환경 114 9 7.9 184 16 8.7 215 23 10.7

체육 1,930 492 25.5 2,134 283 13.3 2,359 262 11.1

음악 814 114 14.0 1,243 214 17.2 1,478 216 14.6

미술 482 39 8.1 1,708 309 18.1 1,736 196 11.3

한문 770 200 26.0 919 172 18.7 911 73 8.0

영어 4,190 1,138 27.2 5,642 984 17.4 6,253 849 13.6

중국어 324 37 11.4 592 122 20.6 908 69 7.6

일본어 660 127 19.2 1,060 250 23.6 1,268 147 11.6

기술 227 157 69.2 312 168 53.8 316 165 52.2

가정 590 97 16.4 1,231 110 8.9 1,452 170 11.7

기타 2,121 467 - 4,108 568 - 4,825 374 -

소 계 31,162 7,077 22.7 42,211 6,717 15.9 46,525 5,467 11.8

사서 210 21 10.0 305 45 14.8 336 34 10.1

보건 950 57 6.0 2,466 149 6.0 3,046 142 4.7

특수 323 146 45.2 434 244 56.2 465 224 48.2

합 계 32,645 7,301 22.4 45,416 7,155 15.8 50,372 5,867 11.6

<표 6> 중등교원 연도별․과목별 합격률

그러나 복수 공이나 부 공제도를 활용하여 교직 입직기회를 높이는 략은 실제로

는 그 의미나 효과가 크지 않다. 오히려 그 제도를 다른 다양한 능력 개발의 수단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보다 실 이고 더 큰 의미가 있다. 그래서 희박한 가능성보

다는 다른 분야의 입직 기회를 확 하는 방향에서 이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복수 공과 부 공을 교사양성 로그램 내의 다른 교과교육

공보다는 교사양성 로그램 밖의 다른 공으로 확 하고 교사양성 로그램 내의 복

수 공이나 부 공은 최소한에 그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11

둘째, 학생들이 교사양성 로그램 외의 다양한 로그램에 쉽게 근할 수 있도록 여

건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해 복수 부 공제도뿐만 아니라 과 등의 제도를 활성

화하고 이수학 수를 감축하는 동시에 다른 다양한 인력 양성 로그램을 확 ․개설하

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사실 사범 학 학생들은 교사양성과정 외에 다른 학문

분야를 부 공이나 복수 공할 기회는 많지만, 필수 학 수의 과다와 복수 부 공

신청에 따르는 문제 등 여러 가지 실 인 어려움 때문에 그 기회를 살리기가 힘든 것

이 사실이다. 따라서 그러한 실 인 어려움을 제거하여 학생들이 언제든지 자신의 새

로운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실질 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인력양성 로그램을 확 개설하여 다른 진로를 탐색해볼 수 있는 기

회를 확 해야 한다. 사실 사범 학 등 일반 학의 교원양성과정 학생들은 다양한 경로

를 통해 교직 이외의 다른 진로를 탐색할 기회가 많지만, 교육 학 등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그러한 진로 탐색의 기회 자체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교

육 학과 같이 교사양성 로그램만을 가진 교원양성 학에서는 학 재학 진로를 바

꾸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해 다양한 인력 양성 로그램을 개설하여 다른 진로를 탐

색할 수 있는 기회를 확 해주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학의 로그램을 확 할 필요가 있다. 즉, 교사양성 로그램 외에도

다른 인력 양성 로그램을 개설하거나 다양한 다른 인력 양성 로그램을 갖추고 있는

일반 학과의 교류 력을 강화하여 그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지만 재의 상황에서 교육 학 등이 다른 인력 양성 로그램을 확장하기는 실질

으로 어렵기 때문에 다른 학과의 학 교류나 학생 교류 확 등을 통해 이를 활성화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 학들과의 교류 력을 강화하고

인 학들과의 연합 학 체제 구축 등을 통해 로그램의 다양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

다. 물론 그를 한 보다 확실한 방안은 교원양성체제를 근본 으로 개편하여 일반 학

과의 통합을 통해 로그램을 확 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방안은

기본 기능 자체를 축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심도 있는 검토를 필요로 한다.

3. 확장 기능의 강화

평생학습사회의 진 과 교육자치 시 의 도래는 교원양성 학으로 하여 단순히 기

본 기능과 부가 기능의 수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 확장 기능의 수행을 요구하고 있

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은 이러한 사회 ․시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평생학습

로그램을 개설하고, 그야말로 ‘ 학을 넘어선’(more than a college)'(Gravatt &Silver,

2000) 여러 가지 활동들을 개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평생학습 욕구들을 충족시키고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12

지역의 인 자원 개발의 심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사회와의 력 체제를 구축하여 지역의 교육발 을

한 트 십을 강화하는 일이 요하다. 사실 교원양성 학은 자체 으로 보유하고 있

는 인 ․물 자원의 한계로 인해 그 기본 기능의 수행에서조차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른 외부 체제와의 유 력을 통해 그 인 ․물 자원과 정보를 공유

함으로써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자원과 정보를 증 시키는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 때, 외부 정보와 자원의 유인은 거래 계가 성립할 때 그 지속성과 효

과가 담보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연 확장과 자원 증 효과는 서로 혜택을 ‘주고받는’

계, 즉 트 십이라는 동반자 력 계를 구축할 때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에서 교원양성 학은 지역사회와의 트 십 강화에 보다 많은 심과 노

력을 기울여 나갈 필요가 있다. 재의 상황에서 보면 이러한 트 십은 크게 두 가지

방향, 즉, 교원양성 학이 지역사회에 ‘주는’ 방향과, 지역사회로부터 ‘받는’ 방향에서 이

루어질 수 있는 트 십으로 별될 수 있다.

먼 교원양성 학이 지역사회에 ‘주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트 십 강화

방안으로는 ‘교육 력’과 ‘ 사 력’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4) 이는 교원양성 학이 보

유하고 있는 가용한 인 ․물 재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력 트 십 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력은 교원양성 학이 지역사회 교육문화의 심기 으로서

사회 책무를 수행하는 측면도 있지만, 그 가로서 지역사회의 자원을 이끌어 들이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다른 하나는 교원양성 학이 그러한 교육 력과 사 력의 가로 지역사회로부터

‘받는’ 측면에서의 력 트 십이다. 이러한 력에는 ‘자원 활용 력’과 ‘정보 활

용 력’이 있을 수 있다. 즉, 교원양성 학이 기본 기능과 부가 기능 등을 효과 으로

수행하기 해 외부의 인 ․물 자원과 정보를 활용하는 측면에서 지역사회와의 력

트 십 계를 맺는 일이다. 물론 이러한 력은 교원양성 학이 교원을 포함한

우수한 인 자원의 배출을 통해 그 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한다는 측면에서 궁극 으

로는 지역사회에 주는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은 그러한 력 트 십 계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력을 강

화함으로써 그 외연 확장과 자원 획득의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즉, 교원양성 학

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 들과 서로 ‘주고 받는’ 트 십 계를 맺음으로써 본연의

기본 기능인 양성교육을 특성화․내실화하고 지역사회 공동체 학으로서의 역할과 지

역 교육발 을 한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효과 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교

4) 이러한 교원양성 학과 지역사회의 트 십 강화를 한 력체제 구축방안은 연구자의 다른

연구(조동섭, 2004b)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13

원양성 학과 지역사회의 트 십 강화를 한 력의 유형과 그 계를 도식화해 보

면 [그림 2]과 같다.

교 육 협 력

봉 사 협 력

대 학

자 원 활 용 협 력

정 보 활 용 협 력

지 역 사 회

파 트 너 십 강 화

교 육 협 력

봉 사 협 력

대 학

자 원 활 용 협 력

정 보 활 용 협 력

지 역 사 회

파 트 너 십 강 화

[그림 2] 트 십 강화를 한 학과 지역사회의 력체제

[그림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교원양성 학의 확장 기능은 네 가지 유형, 즉 교육

력, 사 력, 자원 활용 력, 정보 활용 력을 통해 크게 강화될 수 있다. 그 구체

인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인 ‘교육 력’은 교육양성 학이 교육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교육서비

스를 제공하고 그 결과로 지역사회로부터 필요한 지원과 조를 얻어내는 력 형태이

다. 이러한 력으로는 교원양성 학이 학의 교수와 시설 등을 활용하여 지역주민들

에게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평생교육 서비스 활동이 그 표 인 방식인데,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학 부설 평생교육원 운 을 통한 력이 가장 보편 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력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역주민을 상으로 한 교양강좌나

다양한 능력개발 로그램의 운 , 그리고 지역사회 학생들을 한 다양한 특기 성교

육 로그램의 운 , 컨 학생 과학캠 , 체능 특기교육, 재 로그램 운 등이

그 좋은 가 될 수 있다. 한 학교 장의 교원들을 상으로 한 다양한 직연수

로그램 운 도 그러한 력의 좋은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로그램의

운 과정에서 교원양성 학이 지역사회와 한 력 체제를 구축하여 호혜 트

십 속에서 로그램들을 발 시키는 일이 매우 요하다. 컨 , 시청이나 도청과 약

을 체결하여 공개강좌를 운 하거나 교육청의 산 지원을 받아 직연수를 수행하는

경우 그 의미와 효과는 크게 배가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유형인 ‘ 사 력’은 교원양성 학이 지역사회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통해 상호간의 지원과 조체제를 강화하는 형태의 력을 말한다. 교원양성

학의 교수와 학생들이 사회 사와 교육 사를 통해 지역사회 활동에 동참하고 지역 발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14

에 이바지하는 방식이 그러한 가 될 것이다. 이는 교원양성 학으로서는 그 본연의

역할인 사회 사라는 책무를 의미 있게 수행할 수 있고, 지역사회는 유능한 자원 인사

의 사활동에 힘입어 지역 발 과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는 에서 그 호

혜 의미가 매우 큰 력 형태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력은 교수의 직 인 사회 사, 학생들의 사활동, 교원양성 학의 강의와

시설의 공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교수의 사회 사는 지역사회의

최고 문가로서 각종 문가 의회의 지도․조언활동, 유 기 의 활동 자문, 시험출제

나 평가활동, 지역사회 각종 단체와 기 의 다양한 원회 활동, 그리고 각종 교육활동

이나 강연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교수들의 문성을 확 하고 그 능력을

최 한 활용하는 매우 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에서는 이러한 사회

사활동의 활성화를 해 교수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홍보와 유인을 통해 이

를 극 으로 장려해 나갈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사활동을 통한 력은 더 큰 의미가 있다. 이는 학교에 한 교육 사와

지역사회에 한 사회 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원양성 학 학생들에게 생

생한 사회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 일선학교를 도와 지역교육의 일익을 담당

하도록 하는 매우 의미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학교에서도 학생들을 학교교육활동 도

우미나 보조교사, 방과 후 부진아 지도나 특기 성교육 지도 등에 활용하고, 지역사회에

서도 소외계층의 자녀나 취약계층의 지원에 활용한다면 큰 상승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인 ‘자원 활용 력’은 교원양성 학이 부족한 교수자원이나 교육시설 등

을 보완하기 해 지역사회와의 유 력을 한 트 십 계를 맺는 형태의 력을

말한다. 즉, 교원양성 학에서 교육을 다양화․내실화하기 해 지역사회 인사 등을 교

수자원으로 활용하거나 사회복지시설이나 체육시설 등을 교육시설로 활용하는 력의

방식이 그러한 좋은 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력으로는 지역 인사, 교육 문직원,

장 교원 등을 겸임교수나 빙교수 혹은 시간강사 등으로 활용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

을 다양화․ 장화하거나 학원에 등록해 있는 장교사를 견 받아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제고

하고 장 합성과 실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함께 교원양성 학의 교수능력을 크게

보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력은 한 교육여건을 크게 보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컨 , 교원양

성 학이 갖추기가 어려운 교육시설―수 장, 스키장, 골 실습장, 공연시설, 체험학습장

등―을 지역사회 유 기 과의 력을 통해 렴한 비용으로 사용하거나 기본교육시설

의 용시설로 활용한다면 비용의 약과 함께 교육을 내실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15

있을 것이다.

이와는 반 로 교원양성기 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간과 시설 등을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력도 있을 수 있다. 사실 학캠퍼스는 지역사회에

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시설과 환경을 갖춘 의미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운동장을

개방하여 지역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한 장소로 활용하도록 하거나, 세미나실이나 도

서 등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여 의미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면 지역사

회를 발 시키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유형인 ‘정보 활용 력’은 교원양성 학이 부족한 지식정보자원을 보완하기

해 지역사회와 유 력 계를 맺는 력의 형태이다. 즉, 교원양성 학에서 교육을

다양화․내실화하기 해 지역사회의 지식 정보 능력을 극 으로 활용하는 형태의

력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력으로는 교원양성 학이 교육과정의 장 합성을 제고하

기 해 교육청이나 단 학교의 교수․학습정보 네트워크를 활용하거나, 그 부가 기능

의 활성화를 해 범국가 차원의 지역인 자원개발정보망(RHRD-net)을 활용하는 방안

이 그 좋은 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력은 교원양성교육의 질 수월성을 담보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교육 역을 크게 확장하는 효과를 가져다 것이다. 특히 이

러한 력을 통해 교원양성 학과 교육청 등이 on-line이나 off-line 상에서 교육정보 네

트워크 체제를 구축하여 다양하고 유익한 지식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면 교원교육

의 질을 획기 으로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e-learning 학습 체제 구축

에도 크게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론

교원양성 학은 그 동안 각 학교의 교원을 양성하는 요한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

러나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른 평생학습 수요의 증 는 교원양성 학들에게 교원양

성 기능을 수행하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 새로운 과업과 역할을 수행하기를 요청하고 있

다. 이에 따라 교원양성 학은 탁월한 자질과 수행능력을 갖춘 우수 교원을 양성하고

그들을 최고의 교육 문가로 육성할 책임과 함께 교원이 되지 못하는 학생들을 우수한

지식기반인재들로 육성하는 일과 지역사회의 증하는 평생교육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

사회 주민들을 지역 발 을 선도하는 인 자원으로 개발해야 하는 차 한 책무를 떠

맡게 되었다.

그러나 재 교원양성 학은 교원의 양성이라는 기본 기능의 수행에도 문제가 있을

만큼 그러한 책무들을 담당할 만한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은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16

우선 으로 우수한 교원을 양성하는 일에 매진하면서 새롭게 부과되는 시 ․사회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하고 신 인 인 자원개발 로그램들을 발 시켜 국가와 지역

사회의 평생교육 수요를 효과 으로 충족시키는 다원화되고 특성화된 역할들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이를 해 교원양성 학은 그 교육체제 반을 획기 으로 신할 필요가 있다. 체제

내 차원에서 다양한 인력개발 로그램과 교육여건을 신하는 한편, 체제 밖의 지역

사회와 력 체제를 구축하여 호혜 트 십을 통해 학의 교육력을 확장해야 한다.

교육 력, 사 력, 자원 활용 력, 정보 활용 력 등은 그러한 교육 역량의 확장

과 기능 강화에 매우 의미 있고 요한 활동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활동들은 교원양성 학이 기본 기능은 물론 부가 기능과 확장 기능을 효과

으로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부족한 인 자원과 물 자원을 보강하는 효

과를 거둘 수 있고, 교수․학습에 필요한 많은 정보와 후원을 이끌어 들이는 효과를 거

둘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교원양성 학들이 교원을 양성하는 기본 책무를 다하면서

지역 주민들에게 유익한 기 이 되어 지역 발 을 선도하는 의미 있는 일들을 해 나가

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지역사회 교육․문화의 심 학으로서의 상을 정립하고 다

양하고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교원양성 학은 이제부터 그 외연을 최 한 확장하고 의미 있는 역할 수행을

통해 그 존재 가치를 증시켜 나가기 한 노력을 배가시켜야 한다. 그를 해 학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 한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사하고, 지역사회와의 트 십을

통해 자원과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교육 역량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그러한 차원에서

교원양성 학은 끊임없이 그 의미와 역할을 확 하기 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새로운 계획들을 수립․추진하는 동시에 그것을 지역사회에 알리고 그 력을 이끌어내

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가고 학습사회를 선도할 교원양성 학에

게 주어진 시 과업이며 책무인 것이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17

참 고 문 헌

교육인 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4). 교육정책 분야별 정책자료집. 교육인 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송 용․김경자․박남기․이기복․이재훈․정진곤․조동섭․허병기․허숙(2004). 교사교

육 로그램개발 심사․평가. 교육인 자원부.

성병창․김 ․부재을․정종진․하윤수(2003). 교육 학과 일반 학 사회와의 연계

강화 로그램 개발. 교육인 자원부.

유균상․홍 란(2003). 2003년도 사범 학 종합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윤정일․송기창․조동섭․김병주(2004). 한국교육정책의 쟁 . 서울: 교육과학사.

이종재(2004). 학습학습국가 건설의 방향과 과제. 학습국가로의 도약, 평생교육이 해법이

다. 연구자료 RM 2004-32. 한국교육개발원.

정진곤․황규호․조동섭(2005).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교육

인 자원부.

조동섭(2002). 등교사 양성체제의 발 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한국교육원교육

학회. 45-62.

조동섭(2004a).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와 발 방안 탐색. 등교육연구, 17(2). 한국교등

교육학회. 499-516.

조동섭(2004b). 지방교육자치시 의 등교원 양성과 교육 학의 역할. 지방자치시 의

등교원정책. 2004학년도 등교육 학술 회 논문집. 서울교육 학교 등교육

연구원. 71-94.

조동섭(2004c). 교원양성체제 구조조정의 정치학. 교육정치학연구, 11. 한국교육정치학회.

122-138.

조동섭․김 철․박남기․박 숙․장덕진(2003). 등교원 장기 수 계획 안정 인

충원방안 연구. 교육인 자원부.

조동섭․이도 ․박승규(2004). 등교육 양성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교육논총, 23. 경

인교육 학교 등교육연구소. 403-428.

Burstein, N., Kretschmer, D., Smith, C., & Gudoski, P.(1999). Redesigning teacher

education as a shared responsibility of schools and universit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NY: Macmillan Library Reference. 194-210.

Edwards, G.(2000). The changing campus. In Smithers, A. & Robinson, P.(eds.).

Further education re-formed. London & New York: Falmer Press. 103-114.

Gravatt, J. & Silver, R.(2000). Partnership with the community. In Smithers, A. &

Robinson, P.(eds.). Further education re-formed. London & New York: Falmer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敎育行政學硏究418

Press. 115-128.

Griffin, G. A.(1999). Changes in teacher education: Looking to the future. In Griffin,

G. A(ed.). The education of teach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lland, R.(2003). How to build a better teacher. In Noll, J.W(ed.). Taking sides:

Clashing views on controversial educational issues(12th ed.). NY: McGraw-Hill.

378-389.

Wilson, J. P.(ed.)(1999). Human resource development: Learning and training for indivisuals

and organization. London: Kogan Page.

Wilson, S. M.(1990). The secret garden of teacher education. Phi Delta Kappa, 72(3).

204-209.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교원양성 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419

Abstract

Reinforcing the Educational Capacities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Cho, Dong-Sup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 argued in this research new functions and tasks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y(TEU) according to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First of all, I

diagnosed education capacities of the TEU around function and problems. And then,

I suggested the new direction and tasks for reinforcing the educational capacities of

the TEU.

In a educational capacity diagnosis, I illuminated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TEU. The TED has many functions. They are divided three

functions; basic, additional, extentional function. Now the TEU has many problems in

such function execution.

Then I suggested the concrete policy measures for reinforcing the educational

capacities of the TEU.

For reinforcing the basic function of the TEUs, they must legislate the standards of

teacher's license, and develop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y must

restructur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innov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additional function, they must institutionalize a plural specialty, and

approve the free change of major study. In addition, they must open various

manpower development programs.

For the extentional function, they must strengthen the partnership between

communities for educating their students, serving the community, and obtaining

resources and informations.

[Key Words]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capacity,

teacher education policy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