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24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Stroke 송창호 * 최경우 인태성 ** Song, Chang Ho Choi, Kyoung Woo In, Tae Sung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대학원생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9, No. 2, pp. 157~179, 2010. < > 본 연구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 , 치는 효과와 일반적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 환자 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점진 18 . 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 명 과 일반적 재활훈련군 명 으로 진행하였다 재활훈련의 (10 ) (8 ) . 방법은 주 동안 주 회씩 분간의 과제지향 점진적 저항 근력 훈련과 일반적 6 5 ,1 30 재활훈련을 적용하였다 훈련 전과 후 주일 동안에는 하지근력 정적 균형 동적 균형 . 1 , , 및 보행 능력을 평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 . 통해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보행 능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 (p 일반적 재활훈련을 통해 고관절 외전근을 제외한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 <.05), , 형 및 보행 능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통계적 <.05). 으로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동적 균형과 보행 능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하여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과 일반적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보행 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점진적 과제지향 저 , , . 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과 보행 능력에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과제와 과제 난이도의 점진적 . 증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 뇌졸중 근력 균형 보행 재활 , , , ,

Upload: others

Post on 14-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Stroke

송 창 호* ᆞ 최 경 우 ᆞ 인 태 성**

Song, Chang Ho ᆞ Choi, Kyoung Woo ᆞ In, Tae Sung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대학원생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9, No. 2, pp. 157~179, 2010.

요 약< >

본 연구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와 일반적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점진18 .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 명 과 일반적 재활훈련군 명 으로 진행하였다 재활훈련의(10 ) (8 ) .방법은 주 동안 주 회씩 회 분간의 과제지향 점진적 저항 근력 훈련과 일반적6 5 , 1 30재활훈련을 적용하였다 훈련 전과 후 주일 동안에는 하지근력 정적 균형 동적 균형. 1 , ,및 보행 능력을 평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통해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및 보행 능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 일반적 재활훈련을 통해 고관절 외전근을 제외한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05), ,형 및 보행 능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통계적<.05).으로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동적 균형과 보행 능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본 연구를 통하여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과 일반적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동적 균형 보행 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점진적 과제지향 저, , .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과 보행 능력에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효과가 있음을구명하였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과제와 과제 난이도의 점진적.증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 뇌졸중 근력 균형 보행 재활, , , ,

Page 2: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58 -

Ⅰ 서 론.

연구 배경 및 필요성1.

뇌졸중은 우리나라 인구 만 명당 사망자수가 명으로 단일질환 사망10 29,277

률 의 위 질환이다 통계청 의학의 발달로 뇌졸중의 발병에도59.6% 1 ( , 2008).

불구하고 그 생존율이 증가됨에 따라 뇌졸중은 가장 흔한 장애의 원인이 되고

있다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의 양상은(Barnett, Eliasziw, & Meldrum, 1999).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지의 편마비 감각 손,

상 운동 손상 인지 장애 언어 장애 시지각 장애 연하 장애 등의 문제를 보인, , , , ,

다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에서 기능적 손상이 남(Mercier et al., 2001). 40%

게 되고, 15 ~ 에서는 심각한 정도의 장애가 지속된다30% (Duncan et al.,

2002).

뇌졸중 환자는 장기간 동안 마비된 쪽 사지보다는 건측 사지를 많이 사용하므

로 마비된 쪽 상하지의 근력 약화가 발생하며 마비된(Campbell et al., 2001),

상하지의 근력약화로 인해 기립자세에서 전체 체중의 약 61 ~ 가 건측 하80%

지로 편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뇌졸중(Sackley & Lincoln, 1997).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신체균형과 보행 체중이동 및 수의적 움직임의 결함 등이,

나타난다 특히 신체의 중심이 건측으로 이동되므로 외부의 흔들림에 대한 대칭. ,

적인 체중이동이 일어나지 않아 균형유지 능력이 감소된다(Dickstein et al.,

또한 비정상적인 근육동원을 일으키고 체중부하에 필요한 지구력도 감1984).

소되어 자세유지가 어렵다(Harburn et al., 1995).

뇌졸중 환자의 보행은 환측의 체중지지 시간이 짧고 유각기가 길기 때문에 환

측과 건측의 보폭길이 차이가 발생하고 보행의 주기와 보행속도가 느린 특징을

가진다 보행 시 균형의 문제로 신체의 각 부분에(Wagenaar & Beek, 1992).

서 보상 움직임이 나타나고 근육의 약화가 보행속도와 지구력의 감소에 영향을,

미쳐 정상인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비효율적인 보행이 된다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의 감소는 일상(Granat et al., 1996).

생활활동의 장애요소로 작용하여 개인의 독립성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사회

적 활동의 제약요소가 된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근력(Perry et al., 1995).

과 균형반응의 증진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움직임에 대한 기능 향상이 뇌졸,

중 환자의 재활에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Macko et al., 2005).

Page 3: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59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 증진을 위해 트레이드밀과 지면에서

의 보행훈련 전동기계화 보행훈련기(Ada et al., 2003), (electro-mechanical

를 통한 훈련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gait trainer) (Tong, Ng, & Li, 2006),

을 통한 훈련 뒤로 걷기훈련 점진적 과제(Wang, 1994), (Yang et al., 2005),

지향 저항훈련 등의 다양한 접근 방법들이 적용되어 그 효(Yang et al., 2006)

과가 증명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보행 속도와 지구력의 감소의 주된 원인이 되.

고 있는 근력 약화를 개선시키기 위해 점진적 저항 근력훈련에 대한 연구가 진

행되었으며 점진적 저항 근력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건측과 환측 모두에서 근력

강화에 효과적이고 이를 통한 보행기능 회복에도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

또한 과제지향(Bourbonnais et al., 2002; Morris, Dodd, & Morris, 2004).

재활훈련은 특성화된 과제를 반복 훈련하여 운동 학습을 증진시키는 재활훈련으

로 노인환자의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고 외상성(Alexander et al., 2001),

뇌손상환자의 앉고 서기능력을 향상시켰음이 보고되었다(Canning et al.,

과제지향 재활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기능적인 움직임 균형2003). , ,

지구력 증진 및 보행 증진에 효과적임이 보고되고 있다(Duncan et al., 2003;

이외에도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Salbach et al., 2004).

적용하여 스텝검사 일어서고 걷기 분 보행검사 등의 결과 값, , 6 (Yang et al.,

과 보행속도와 의자에서 일어나기의 토크 값이 좋아졌다고 보고되고 있다2006)

(Krebs et al., 2007).

이처럼 선행연구들에서 근육에 대한 저항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훈련 방법인

점진적 저항 근력훈련과 운동학습이 증가되는 기능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지향

재활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지만 점진적 저항 근력훈,

련을 과제지향 재활훈련프로그램으로 적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저항 근력훈련을 과제지향 재활

훈련프로그램으로 적용한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시행하여 점진적 과제지

향 저항훈련이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 ,

일반적 재활훈련의 효과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1.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병원에 입원한 명의 뇌졸중 환자를28○

Page 4: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60 -

대상으로 다음의 선별기준을 거쳐 선정하였다.

선별기준은 자기공명영상진단장치나 컴퓨터단층촬영으로 허혈성 뇌손상 또는

뇌내출혈의 진단은 받은 자 뇌졸중으로 유병기간이 개월 이상인 자 한국판, 6 ,

간이정신상태 검사 점수가 점 이상인 자 독립적으로 미터 이상 보행이 가21 , 10

능한 자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등을 복용하지 않는 자 시각적 장애 및 시야, ,

결손이 없는 자 하지에 정형 외과적 다른 질환이 없는 자로 하였다 선별기준에, .

의해 보행이 불가능한 자 명과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점수가 점 미만인3 21

자 명 총 명을 제외한 명을 대상으로 선정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작위1 4 24

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처치 방법에 따라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과 일반적

재활훈련군으로 배치하였다.

연구 진행 중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에서 타 병원 전원 등의 이유로 프

로그램 참여율이 미만인 자 명이 제외되었고 일반적 재활훈련군에서 자80% 2 ,

발적 탈락자 명 참여율 미달 명이 제외되어 총 명 남 명 여 명 이 주1 , 3 18 ( : 9 , : 9 ) 6

동안의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과 같다. < 2-1> .

표< 2-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8)

점진적 과제지향저항훈련군(n=10)

일반적 재활훈련군(n=8)

/t p

성별 명( )

남 5 4 .000 1.000

여 5 4

연령 세( ) 62.75±10.28a 55.17±16.13 1.077 .303

신장(cm) 162.13±7.70 164.67±9.99 -.539 .600

체중(kg) 60.38±10.95 62.17±7.96 -.338 .741

뇌졸중 유형 명( )

뇌경색 4 4 .180 .671

뇌출혈 6 4

마비 부위 명( )

좌측 6 5 .012 .914

우측 4 3

발병기간 개월( ) 34.38±15.53 41.83±30.47 -.548 .601

MMSE-Kb 점( ) 26.13±3.48 26.33±2.94 -.118 .908

주) a평균 표준편차±bMMSE-K :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 )

Page 5: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61 -

연구 방법2.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과 일반적 재활훈련군은 각각 치료실을 달리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재활훈련을 위한 연구 보조자 명과 측정을 위한 연구 보조. 2

자 명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과 일반적 재활훈련군2 .

모두 일 분간 주 회 주 동안 훈련을 실시하였다1 30 , 5 , 6 .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1)

과제 지향적 기능훈련은 기능적인 동작을 불편 없이 숙련되게 수행할 수 있도

록 근력 지구력 신체적 컨디션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훈련의 반복적인 연습을, , ,

통해 운동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중재를 위(Parry, Lincoln, & Vass, 1999).

한 과제 지향적 접근은 환자들의 움직임을 위하여 기능적 과제로 부여된 문제들

을 해결하기 위해서 활동적으로 시도하여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Farber,

점진적이란 특별한 목적을 향해 전진하는 것이고 저항훈련에서 점진적1993).

이란 목표가 성취될 때까지 다양한 시간대에서 연속된 개선이 필요한 것을 의미

한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점진적 저항 근력의 중요(Kraemer et al., 2002).

한 요소는 일반적으로 회보다 작은 회수로 근력증가와 같이 저항의 양은 점12 ,

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최소 주 이상의 충분한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의 진행으, 4

로 대상자의 피로가 오기 전에 자연적으로 근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운동의 형태

이다(Kraemer et al., 2002).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은 대상자가 워크스테이션의 연속에서 연습을 끝내

는 순환 클래스로 설계되었다 워크스테이션은 기능적으로 연관된 방법에서 양.

측 하지의 근육들을 강화시키도록 설계되었다 여섯 개의 워크스테이션의 순환.

은 첫째 선 자세에서 하지의 지지를 증진시키고 하지 근육의 활성화를 위해 팔,

길이를 넘어서는 위치의 물건을 다양한 방향으로 팔 뻗기 둘째 하지 신전근 강, ,

화를 위한 다양한 높이의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셋째 하지근육 강화를 위, ,

해 다양한 높이의 블록위로 앞뒤로 내딛기 넷째 하지근육 강화를 위해 다양한,

높이의 블록위로 옆으로 내딛기 다섯째 하지근육 강화를 위해 다양한 높이의, ,

블록위로 앞으로 올라서기 여섯째 저측굴곡근 강화를 위해 선 자세를 유지하면,

서 뒤꿈치 올리고 내리기 등으로 짜여졌다.

각각의 워크스테이션에서 각 운동 클래스의 기간은 분으로 하였다 각 대상5 .

자는 물리치료사와 일대일 치료로 훈련하였다 자격 있고 숙련된 물리치료사가.

각 대상자의 기능적 단계에 맞추어 각 스테이션에서 운동의 강도와 양을 지키도

Page 6: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62 -

록 책임지고 각 클래스를 감독하였다 대상자들은 각 워크스테이션에서 가능한.

한 어렵게 수행하도록 독려하고 구두 피드백과 수행의 증진을 목표로 교육을 제

공하였다 점진적이란 선 자세에서 더 먼 거리로 팔 뻗기 앉았다 서기 동안 의. ,

자의 높이 낮추기 그리고 블록의 높이 높이기 등 각 워크스테이션에서 운동수,

행의 난이도를 증가시켰고 워크스테이션에서 분 동안 완료하는 반복회수를 증5

가시킴을 포함하였다.

일반적 재활훈련2)

일반적 재활훈련은 자격 있고 숙련된 물리치료사가 고관절 외전근 슬관절 신,

전근 슬관절 굴곡근 족관절 배측굴곡근과 족관절 저측굴곡근을 관절가동범위, ,

안에서 등장성 운동으로 최대반복 회의 도수 저항으로 근력강화를 시키는 도10

수 저항훈련 분과 지면 보행훈련 분으로 총 분 동안 실시하여 환자의15 15 30

근력을 증가시키고 보행을 훈련시켰다.

측정 도구 및 방법3.

하지 근력1)

하지 근력은 환측의 고관절 외전근 슬관절 신전근 슬관절 굴곡근 족관절 배, , ,

측굴곡근 족관절 저측굴곡근을 도수근력검사기, (Manual Muscle Tester, Model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도수근력검사기는 고01163, Lafayette, USA, 2003) .

강도에서 단위로0.2kg 0 ~ 범위까지 측정 가능하며 저강도에서136.1kg , 0.1

단위로kg 0 ~ 범위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의 오차는 이다 각22.6kg ±1% .

근육은 최대 등척성 수축 시 나타나는 압력을 측정하였다 관절 외전 슬관절 신. ,

전과 굴곡의 측정은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고관절 외전근은 환자의 양쪽.

무릎을 모으게 하고 압력판을 무릎의 바깥 면에 댄 상태에서 무릎을 바깥으로

벌리도록 지시한 후 측정하였다 슬관절 신전근은 압력판을 발목 앞부분에 댄.

상태에서 무릎을 펴도록 지시한 후 측정하였다 슬관절 굴곡근은 발뒤꿈치에 압.

력판을 댄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도록 지시한 후 측정하였다 족관절의 측정은.

무릎을 편 앉은 자세 에서 측정하였다 족관절 배측굴곡근은 발등(long sitting) .

의 원위부 저측굴곡근은 발바닥의 원위부에 압력판을 대고 측정하였고, (Krebs

검사자내 신뢰도et al., 2007), r=.84 ~ 검사자간 신뢰도.99, r=.84 ~ 검.94,

사간 신뢰도 r=.98 ~ 이다 회 연습 후.99 (Bohannon & Andrews, 1987). 1 3

Page 7: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63 -

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정적 균형2)

정적 균형은 접촉점 분포 모형 힘판(Point Distribution Model Multifunction

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측Force Measuring Plate, Zebris, Germany, 2004) .

정 압력의 범위는 1 ~ 120N/cm2이고 정적 표본압력 추출속도는 2 ∼ 동적5Hz,

표본압력 추출속도는 약 이고 정확도는 이다 대상자는 맨발로 힘판90Hz ±5% .

위에 올라가 가장 편안한 위치에 발을 두고 서도록 하였으며 발의 위치를 확인,

해 두어 재평가 시 동일한 위치에 발을 놓도록 하였다 팔은 편안하게 내린 자.

세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눈을 뜬 상태에서의 측정 시 전방에 위치한 지름. 3m

점을 주시하도록 하였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측정은 측정 도중 눈을15cm .

뜨는 것을 막고 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안대를 착용시켰으며 측정에 집, ,

중할 수 있도록 귀마개를 사용하여 귀를 막은 상태로 초 동안 측정하였다30

회 연습 후 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Laufer et al., 2003). 1 3 .

동적 균형3)

동적 균형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를 사용하여(Timed Up and Go, TUG)

평가하였다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서 앉아. 시작“ ”이라는 구령에 따라 의자에서

일어나 전방 지점까지 보행한 후 돌아와서 의자에 앉기까지의 시간을 측정3m

하였다 회 연습 후 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측정자 내 신뢰. 1 3 .

도 r 측정자 간 신뢰도=.99, r 이다=.98 (Steffen, Hacker, & Mollinger, 2002).

보행4)

보행은 보행시간과 보행분석기10m (GAITRite, CIR system Inc, USA,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보행시간은 거리를 대상자의 최대 속2008) . 10m 10m

도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보행의 시작과 끝에 나타나는 가.

속과 감속의 시간을 제외하고자 대상자는 거리를 걷게 하고 중간 의14m 10m

시간을 측정하였다 회 연습 후 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측정. 1 3 .

자 간 측정자 내 신뢰도, r=.89 ~ 이다 보행분석기는1.00 (Dean et al., 2000).

전자식 보행판을 지나간 대상자의 보행속도 와 분속수 를 전(velocity) (cadence)

산화하여 보행을 측정하였다 대상자가 보행판 전방에 서 있도록 한 다음 검사. ,

자의 구두신호에 의하여 가장 편안한 보행 속도로 걸어서 보행판 밖까지 나오게

Page 8: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64 -

하였다 측정자 신뢰도는. r 이고 편안한 보행 속도의 모든 보행 측정 급간=.90

내 상관 계수는 이상이다.96 (van Uden & Besser, 2004).

자료 처리4.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분석은 을 이용하였다 검SPSS 15.0 . Shapori-Wilk

정을 통해 변수들의 정규성 검정을 하였다 그룹 간 사전 동질성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룹 내 재활훈련에 따른 종속변수의 전후 비교.

를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룹 간 훈련 방법에 따른 종속변수.

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

준은 이하로 하였다0.05 .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얻어진 훈련 방법에 따른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

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방법에 따른 하지 근력의 변화1.

집단별 실험 전후의 하지 근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 3-1>.

고관절 외전근력은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에서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증가되었으나(p 일반적 재활훈련군에서는 실험 전후의 차이가 유<.05),

의하지 않았다 실험 방법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슬관절 굴곡근력 슬관절 신전근력 족관절 배측굴곡근력은 실험 후에 점진적, ,

과제지향 저항훈련군과 일반적 재활훈련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

다(p 실험 방법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5). .

족관절 저측굴곡근력은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에서 실험 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일반적 재활훈련군에서도 실험 전후의 차이가<.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또한 실험 방법에 그룹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05).

유의한 근력의 증가를 보였다(p<.05).

Page 9: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65 -

표< 3-1> 실험 방법에 따른 하지 근력의 변화 단위( : kg)

측정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n=10)일반적 재활훈련군

(n=8)t p

고관절외전근환측

치료전 9.71±3.48a 16.13±8.05 -2.035 .065

치료후 15.76±5.03 22.86±11.79 -1.541 .149

전후차 6.05±3.61 6.73±10.00 -.160 .878

t -4.740 -1.649

p .002 .160

슬관절굴곡근환측

치료전 4.08±2.18 5.26±4.32 -1.710 .113

치료후 6.46±1.63 9.62±7.19 -1.057 .336

전후차 2.38±0.97 4.36±3.99 -1.193 .282

t -6.936 -2.678

p .000 .044

슬관절신전근환측

치료전 8.44±5.29 13.51±5.75 -.670 .515

치료후 11.66±7.13 18.55±4.11 -2.106 .057

전후차 3.22±2.35 5.04±4.05 -.985 .308

t -3.877 -3.047

p .006 .029

족관절배측굴곡근환측

치료전 2.62±3.32 5.79±3.32 -1.747 .140

치료후 4.78±3.89 9.16±7.46 -1.432 .178

전후차 2.16±1.57 3.37±2.95 -.991 .341

t -3.893 -2.796

p .006 .038

족관절저측굴곡근환측

치료전 3.76±0.68 7.66±5.44 -1.192 .256

치료후 6.25±1.52 11.48±6.46 -2.235 .045

전후차 2.49±1.14 3.82±2.52 -1.326 .209

t -6.192 -3.705

p .000 .014

주) a평균 표준편차±

Page 10: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66 -

실험 방법에 따른 정적 균형의 변화2.

집단별 실험 전후의 자세동요 거리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 3-2>.

총 자세동요 거리의 측정에서 눈을 뜬 상태와 눈을 감은 상태의 자세동요는

실험 후 총 자세동요 거리의 변화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과 일반적 재활

훈련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 방법에 따른 두 그룹.

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 방법에 따른 동적 균형의 변화3.

집단별 실험 전후의 동적 균형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 3-3>.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은 실험 전 초에40.41

서 실험 후 초 감소한 초이었고 일반적 재활훈련군은 실험 전5.77 34.64 , 35.10

표< 3-2> 실험 방법에 따른 정적 균형의 변화 단위( : mm)

측정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n=10)일반적 재활훈련군

(n=8)t p

눈 뜬 상태총 자세동요거리

치료전 85.78±12.84a 83.98±20.68 .201 .844

치료후 80.56±23.23 91.56±19.14 - .943 .364

전후차 -5.22±21.52 7.58±19.41 -1.147 .274

t .687 -.957

p .514 .383

눈 감은 상태총 자세동요거리

치료전 102.67±23.75 110.77±39.99 - .476 .643

치료후 92.30±22.02 106.59±33.31 - .913 .351

전후차 -10.37±21.41 -4.18±28.58 - .465 .650

t 1.371 .359

p .213 .735

주) a평균 표준편차±

Page 11: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67 -

초에서 실험 후 초 감소한 초로 나타났다 실험 전 일어나 걸어가기2.41 32.69 .

검사 시간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동질하였다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에.

서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일반적 재활훈련군에서도<.05),

실험 전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p 실험 방법에 따른 두 그룹간의 차이는<.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 방법에 따른 보행 능력의 변화4.

집단별 실험 전후의 보행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3-4>.

보행시간 보행속도 분속수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에서 실험 후10m , ,

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 일반적 재활훈련군에서도 실험 전<.05),

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실험 방법에 그룹간의 차이는 통<.05).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표< 3-3> 실험 방법에 따른 동적 균형의 변화 단위( :초)

측정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n=10)일반적 재활훈련군

(n=8)t p

TUGb

치료전 40.41±10.64a 35.10±10.34 .877 .401

치료후 34.64±10.52 32.69±9.48 .336 .744

전후차 -5.77±2.57 -2.41±2.22 -2.425 .036

t 5.490 2.652

p .003 .045

주) a평균 표준편차±bTUG :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

Page 12: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68 -

Ⅳ 논 의.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대한 점진,

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고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과 일반적,

재활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표< 3-4> 실험 방법에 따른 보행 능력의 변화 (N=18)

측정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군(n=10)일반적 재활훈련군

(n=8)t p

10m보행시간

초( )

치료전 37.37±10.47a 38.54±16.92 -.152 .882

치료후 23.31±5.13 32.98±13.39 -1.652 .148

전후차 -14.06±8.39 -5.56±4.49 -2.215 .049

t 4.432 3.033

p .004 .029

보행속도(cm/s)

치료전 20.88±7.31 26.21±19.41 -.630 .543

치료후 28.36±8.45 30.41±20.69 -.225 .827

전후차 7.48±1.78 4.20±2.59 2.559 .028

t -10.301 -3.971

p .000 .011

분속수(steps/min)

치료전 64.25±23.59 71.48±28.50 -.417 .689

치료후 83.95±27.96 78.04±28.60 .312 .764

전후차 19.70±10.05 6.56±4.14 2.670 .040

t -4.414 -3.172

p .012 .049

주) a평균 표준편차±

Page 13: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69 -

뇌졸중 환자는 아급성기를 지나면서 근섬유의 직경이 감소하고 형 근육의Ⅱ

선택적인 근위축이 발생하여 근력이 약화된다 뇌졸중 환(Kirker et al., 2000).

자들은 근력 약화로 인해 균형 능력 보행 능력과 지구력이 감소된다, (Bohannon,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향상과 보행증진을 위하여 근력의 강화는2007).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적(Ada et al., 2006).

용한 결과 고관절 외전근이 슬관절 굴곡근이 슬관절 신전근이62.3%, 58.2%,

족관절 배측굴곡근이 족관절 저측굴곡근이 의 근력증가38.2%, 82.4%, 66.2%

를 보였고 평균 의 근력증가를 보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최근 여러, 61.5% .

연구를 통해 근력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근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근력 증.

가의 효과는 초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경우가 근력의 증가율이 컸고 만성

환자일수록 효과가 적었지만 발병 후 평균 년의 뇌졸중(Ada et al., 2006), 9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근력강화 프로그램에서 주 후 환측 하지의 근력이10

증가하여 만성 환자에서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25.1% (Teixeira-Salmela

등 은 발병 후 년 이상 지난 명의 만성 뇌졸중et al., 1999). Yang (2006) 1 48

환자를 대상으로 주간 근력강화훈련을 실시한 결과 의 근력증가를 보였4 61.5%

다 이를 통해 자연적 손실이 발생하는 근력에 대한 치료적 중재의 필요성이 강.

조되었고 훈련을 통해 유의하게 근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에게 증가 된 근력을 사용하여 앉았다 서기나 걷기 등과 같은 일

상생활과 관련된 과제의 수행 학습이 필요하다 동작의 반(Weiss et al., 2004).

복적인 연습은 근력의 증가와 함께 동작을 잘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중 이득을

가진다 등 의 연구에서는 과제 지향적 기능(Rutherford, 1988). Krebs (2007)

훈련을 주당 3 ~ 회씩 주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하지 근력이 의 향상5 6 , 26%

을 보였다 등 은 주간 과제 지향적 훈련을 시킨 결과 의. Yang (2006) 4 61.5%

근력증가를 보였고 보행속도는 의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보10.1% . 10m

행시간은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에서 의 감소를 보였고 편한 속도로37.6% ,

걷게 한 보행분석기의 결과에서는 실험 전 에서 실험 후20.88cm/s 7.48cm/s

증가한 로 의 증가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점진적28.36cm/s 35.8% .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하지 근력의 강화를 위해 구성되었고 다양성 과제 환경 아

래서 반복적인 동작연습을 통해 기능회복을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주간의 보행훈련 후 눈을 뜬 상태로 측정한 결과 총8

자세동요 속도는 에서 로 로 감소하였으나 통계3.4cm/s 2.7cm/s 0.7cm/s(22%)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도 정적 균형을 평(Suzuki et al., 1999).

가하기 위해 눈을 뜬 상태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 실험 후 총 자세

동요 거리는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

Page 14: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70 -

환자들의 주요 근육들이 경직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능적 움직임의 과제

로는 정적균형의 증가에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임상적.

으로 자세 동요는 정적 균형 측정으로 사용하지만 흔들림의 범위가 기능적 안정

성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정적 균형이 요구되는 숙련된(Horak et al., 1997).

사격선수들은 자세동요가 작지만 발레 선수와 같은 동적 균형이 요구되고 훈련,

된 사람들에서는 자세동요가 크게 나타난다 등(Massion, 1992). Horak (1997)

은 노인층은 가만히 서 있는 자세에서 신체 동요의 크기는 증가하지만 기능적

자세 안정성과 연관 지을 수 없으며 실제 낙상과의 관계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

라고 하였다 또한 등은 정적균형은 주요 근육들의 조절보다는. Rietdyk (1999)

경직에 의해 영향을 더 받기 때문에 기능적인 움직임의 과제로 정적균형의 효과

를 나타내기 어렵다고 하였다.

신체 중심이 기저면 위에 안정된 상태에서 몸을 빠르게 움직이면 새로운 기저

면이 생성되며 정적균형 조절에서 동적 균형의 조절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역.

동적 과제들로 인해 균형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Flynn, Palma, & Bender,

본 연구에서는 동적균형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로 측정한 결과 운동2007).

후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역동적 과제들로 인해 동적14.3% .

균형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적으로 보행속도는 일상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독립적 보행 능력과 기

능 회복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된다 뇌졸중(Kim & Eng, 2003).

환자의 보행속도와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상관관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집에서

만 생활이 가능한 수준은 이하 제한적인 사회 활동의 수준은0.4m/s , 0.58 ~

사회생활이 가능한 보행속도는 이상이었다 또한 실제적으로0.8m/s, 0.8m/s .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 어려움 없이 생활하기에 적정한 보행속도는 1.1 ~ 1.5m/s

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거리를 빠르게 보행했을 때(Lord et al., 2004). 10m

의 보행시간은 감소하였고 보행분석기의 보행판을 편한 속도로 보행한37.6% ,

보행속도는 증가하였다 보행 훈련을 중점적으로 실시하지 않았으나 보35.8% .

행속도가 향상되어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통한 보행속도의 증가에35.8%

대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하지 근력 강화를 통해 기능회복을 증가시켜 균형능력 뿐만 아니라 보행능력 향

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 성인의 평균 분속수는 이고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게 된113 steps/min

다 보행이 불안정한 경우에 활보장 길이가 감소하고 보행 사이의 간격이 증가.

하여 분당 보폭수가 줄어든다 또한 단하지 지지시간이 감소하고 양하지 지지시.

간이 증가한다 뇌졸중 환자의 보행도 편마비의 문제로 환측의 체중지지 시간이.

Page 15: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71 -

짧아지고 양하지 지지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행 주기와 보폭수가 느려지는

특징이 있다 등 의 연구에서는 실험(Wagenaar & Beek, 1992). Yang (2006)

전 에서 실험 후 증가한97.4 steps/min 6.3 steps/min(6.5%) 103.7 steps/

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속수 변화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 후 증min . 30.7%

가한 이었고 일반적 재활훈련 후 증가한83.95 steps/min , 9.2% 78.04 steps/

이었다 본 연구에서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과 일반적 재활훈련의 결과min .

분속수의 증가로 보행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의,

분속수 증가가 일반적 재활훈련군의 분속수 증가보다 증가하였다 점진21.5% .

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보행 중에 생기는 다양한 위치변화를 역동적 과제들로

훈련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는 발병 후 개월에서 개월 사이에 대부분의 기능3 6

회복이 일어난다고 하였고 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Lehmann et al., 1975), 6

의 회복은 남은여생 동안 장기간 느리게 이어진다고 하였다(Johnson, Pearson,

하지만 집중적 재활훈련을 통해 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 McDivitt, 1997). 6

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 기능의 큰 향상을 보인 선행연구들이 있다(Dean et

본 연구에서 뇌졸중 발병 후 평균 개월al., 2000; Yang et al., 2006). 34.38

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근력 균형 보행 능력의 유의한 향상을 보여 유병기간에, ,

상관없이 기능적 호전이 나타남을 보였다 이와 같은 회복의 결과는 손상의 부.

위와 유병기간도 중요하지만 집중적 재활훈련과 재활 기간 환자의 회복 의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장기간 지속되는 재활의 과정에 환자(Forkan et al., 2006).

의 적극적인 참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기능적이고 효과적인 재활훈련 방법이어

야 하고 훈련의 방법이 지루하거나 어렵지 않고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Yavuzer

et al., 2008).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보인다 향후 뇌졸중 환자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과제와 과제의 난이도 증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좀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age 16: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72 -

Ⅴ 결 론.

본 연구는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

행에 미치는 효과와 일반적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

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을 통해 통계적으로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및 보행 능력이 유의,

하게 증가하였다(p 일반적 재활훈련을 통해 통계적으로 고관절 외전근을<.05).

제외한 환측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및 보행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통계적으로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동적<.05).

균형과 보행 능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본 연구를 통하여 점진적<.05).

과제지향 저항훈련과 일반적 재활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력 동적,

균형 및 보행 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또한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

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과 보행 능력에 일반적 재활훈련보다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점진적으로 늘리.

는 훈련 방법인 점진적 저항 근력훈련을 운동학습이 증가되는 기능적 과제를 수

행하는 과제지향 재활프로그램으로 적용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한 뇌졸중 환자의 근력을 증가시키는 보다 효율적인 과제와 과제 난이도를 점진

적으로 증가시키는 재활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통계청 (2008). 사망원인통계.

Ada, L., Dean, C. M., Hall, J. M., Bampton, J., & Crompton, S. (2003).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10), 1486-1491.

Ada, L., Dorsch, S., & Canning, C. G. (2006). Strengthening interventions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activ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2(4), 241-248.

Alexander, N. B., Galecki, A. T., Grenier, M. L., Nyquist, L. V., Hofmeyer,

M. R., & Grunawalt, J. C. (2001). Task-specific resistance training

Page 17: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73 -

to improve the 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impaired older

adults to rise from a bed and from a chair.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11), 1418-1427.

Barnett, H. J., Eliasziw, M., & Meldrum, H. E. (1999). Evidence based

cardiology: Prevention of ischaemic stroke. British Medical Journal,

318(7197), 1539- 1543.

Bohannon, R. W., & Andrews, A. W. (1987). Interrater reliability of

hand-held dynamometry. Physical Therapy, 67(6), 931-933.

Bohannon, R. W. (2007).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14-20.

Bourbonnais, D., Bilodeau, S., Lepage, Y., Beaudoin, N., Gravel, D., &

Forget, R. (2002). Effect of force-feedback treatments i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a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2), 890-897.

Campbell, F. M., Ashburn, A. M., Pickering, R. M., & Burnett, M. (2001).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2), 1655-1660.

Canning, C. G., Shepherd, R. B., Carr, J. H., Alison, J. A., Wade, L., &

White, A. (2003).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intensive sit-to-stand training after recent traumatic brain injury

on sit-to-stand performance. Clinical Rehabilitation, 17(4), 355-362.

Dean, C. M., Richards, C. L., & Malouin, F. (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4), 409-417.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 Scheer, D. (1984).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ical Therapy, 64(1), 19-23.

Duncan, P., Studenski, S., Richards, L., Gollub, S., Lai, S. M., & Reker,

D. (2003).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34(9), 2173-2180.

Duncan, P. W., Horner, R. D., Reker, D. M., Samsa, G. P., Hoenig, H., &

Hamilton, B. (2002).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Page 18: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74 -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33(1),

167-177.

Flynn, S., Palma, P., & Bender, A. (2007). Feasibility of using the Sony

PlayStation 2 gaming platform for an individual poststroke: a case

repor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1(4), 180-189.

Forkan, R., Pumper, B., Smyth, N., Wirkkala, H., Ciol, M. A., & Shumway

-Cook, A. (2006). Exercise adherence following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impaired balance. Physical Therapy,

86(3), 401-410.

Granat, M. H., Maxwell, D. J., Ferguson, A. C., Lees, K. R., & Barbenel,

J. C. (1996). Peroneal stimulator; evaluation for the correction of

spastic drop foot in hemiple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7(1), 19-24.

Harburn, K. L., Hill, K. M., Kramer, J. F., Noh, S., Vandervoort, A. A.,

& Teasell, R. (1995). Clinical applic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n external perturbation test of balance in stroke subjec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6(4), 317-323.

Horak, F. B., Henry, S. M., & Shumway-Cook, A. (1997). Postural

perturbations: new insights for treatment of balance disorders.

Physical Therapy, 77(5), 517-533.

Johnson, J., Pearson, V., & McDivitt, L. (1997). Stroke rehabilitation:

assessing stroke survivors’long-term learning needs. Rehabilitation

Nursing, 22(5), 243-248.

Kim, C. M., & Eng, J. J. (2003). The relationship of lower-extremity

muscle torque to locomotor performance in people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83(1), 49-57.

Kirker, S. G., Jenner, J. R., Simpson, D. S., & Wing, A. M. (2000).

Changing patterns of postural hip muscle activity during recovery

from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4(6), 618-626.

Krebs, D. E., Scarborough, D. M., & McGibbon, C. A. (2007).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2), 93-103.

Laufer, Y., Sivan, D., Schwarzmann, R., & Sprecher, E. (2003).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recovery of patients with right and left

Page 19: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75 -

hemiparesi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7(4), 207-213.

Lehmann, J. F., DeLateur, B. J., Fowler, R. S., Warren, C. G., Arnhold,

R., & Schertzer, G. (1975). Stroke: Does rehabilitation affect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6(9), 375-382.

Lord, S. E., McPherson, K., McNaughton, H. K., Rochester, L., &

Weatherall, M. (2004).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2), 234-239.

Macko, R. F., Ivey, F. M., Forrester, L. W., Hanley, D., Sorkin, J. D., &

Katzel, L. I. (2005). Treadmill exercise rehabilitation improves

ambul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36(10), 2206-2211.

Massion, J. (1992). Movement, posture and equilibrium: interaction and

coordination. Progress in Neurobiology, 38(1), 35-56.

Mercier, L., Audet, T., Hebert, R., Rochette, A., & Dubois, M. F.

(2001).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32(11), 2602-2608.

Morris, S. L., Dodd, K. J., & Morris, M. E. (2004). Outcomes of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18(1), 27-39.

Perry, J., Garrett, M., Gronley, J. K., & Mulroy, S. J. (1995).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26(6), 982-

989.

Rietdyk, S., Patla, A. E., Winter, D. A., Ishac, M. G., & Little, C. E.

(1999). NACOB presentation CSB New Investigator Award. Balance

recovery from medio-lateral perturbations of the upper body

during standing. North American Congress on Biomechanics. Journal

of Biomechanics, 32(11), 1149-1158.

Rutherford, O. M. (1988). Muscular coordination and strength training.

Implications for injury rehabilitation. Sports Medicine, 5(3), 196-

202.

Page 20: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76 -

Sackley, C. M., & Lincoln, N. B. (1997).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effects on stance symmetry

and func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9(12), 536-546.

Salbach, N. M., Mayo, N. E., Wood-Dauphinee, S., Hanley, J. A., Richards,

C. L., & Cote, R. (2004).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09-519.

Steffen, T. M., Hacker, T. A., & Mollinger, L. (2002). Age- and gender

-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82(2), 128-137.

Suzuki, K., Imada, G., Iwaya, T., Handa, T., & Kurogo, H. (1999).

Determinants and predictors of the maximum walking speed during

computer-assisted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80(2), 179-182.

Teixeira-Salmela, L. F., Olney, S. J., Nadeau, S., & Brouwer, B. (1999).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o reduce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10), 1211-1218.

Tong, R. K., Ng, M. F., & Li, L. S. (2006). Effectiveness of gait

training using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with and without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10), 1298-1304.

van Uden, C. J., & Besser, M. P. (2004).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way system (GAITRite). BMC Musculoskelet Disord, 5, 13.

Wagenaar, R. C., & Beek, W. J. (1992). Hemiplegic gait: a kinematic

analysis using walking speed as a basis. Journal of Biomechanics,

25(9), 1007-1015.

Wang, R. Y. (1994).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the gai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of long and short duration.

Physical Therapy, 74(12), 1108-1115.

Page 21: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77 -

Weiss, A., Suzuki, T., Bean, J., & Fielding, R. A. (2000).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4), 369-376

Yang, Y. R., Wang, R. Y., Lin, K. H., Chu, M. Y., & Chan, R. C. (2006).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10), 860-870.

Yang, Y. R., Yen, J. G., Wang, R. Y., Yen, L. L., & Lieu, F. K. (2005).

Gait outcomes after additional backward walking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9(3), 264-273.

Yavuzer, G., Senel, A., Atay, M. B., & Stam, H. J. (2008). “Playstation

eyetoy games”improve upper extremity-related motor function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4(3), 237-244.

Page 22: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 49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78 -

<Abstract>

Effects of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Stroke

Song, Chang Ho ᆞ Choi, Kyoung Woo ᆞ In, Tae Sung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and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 on functional

recovery of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stroke

subjects. Twenty-four subjects selected by inclusion criteria.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n=12) and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n=12). Two

groups trained for five session thirty minutes per week during six

weeks. Results were evaluated by lower extremity strength,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ogressive task-

oriented resistive training that the lower extremity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p<.05).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 that the lower extremity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p<.05) except hip abduc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more than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 that the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p<.05). In conclusion, the progressive task-

oriented resistive training and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 improves

lower extremity strength, dynamic balance, gait function for the stroke

patients. And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improves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 more than general rehabilitative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individuals with a stroke.

Page 23: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 179 -

Key Words : Stroke, Muscle strength, Postural balance, Gait, Rehabilitation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2010. 04. 30 / : 2010. 06. 13 / : 2010. 06. 21

Page 24: 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력 균형 및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7-%BC...점진적 과제지향 저항훈련이 뇌졸중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