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147
현장연구 2012-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가 실려있습니다.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이민영․박자경․박주리

Upload: others

Post on 13-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장연구 2012-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시각장애인을 한 음성변환용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있습니다.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이민 ․박자경․박주리

Page 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공동연구자 : 박자경 (백석 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박주리 (차의과학 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사)

자문위원(가나다순)

김근향 (차의과학 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 문가)

박미애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구지사 직업평가사)

미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일산직업능력개발원 직업평가사)

Page 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머리말

우리는 구나 크고 작은 심리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 어려움을 극복하

고 보다 행복해지기 해 노력합니다.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

램’은 체계화된 정신 훈련 과정을 통해 정신 건강 상태에 도달하도록 하는

심리 로그램입니다. 이 로그램은 직업훈련과 진로 탐색의 과정 속에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공단 산하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들이 자신의 정 인 특

성을 토 로 훈련과정과 이후의 생활을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을 두었습니다.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은 훈련생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

인 특성의 개선 보다는 정 인 특질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내

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자신의 강 과 미덕을 알고 개발하는 것이 단 이나

약 을 고치는 것보다 훨씬 더 요한 일이며 정 인 특질이 세상살이의 험

난함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될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개발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이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들의 행복과 자기실 에 이르는 길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 합니

다. 아울러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심리재활 로그램을 운 할 때 유용한 도구

가 되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자문 원과 공단 직업

능력개발원 훈련생 직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합니다.

2012년 11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원장 권 기 돈

Page 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3

Part 1. 프로그램 개발

1.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 이해 ··········································· 9

2. 장애인 훈련생을 한 로그램 개발 과정 ············································· 12

Part 2. 운영자용 매뉴얼

1. 1회기. 나와 타인을 보는 새로운 방법 찾기 - 강 탐색 ······················· 37

2. 2회기.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라보기 - 낙 성 훈련 ····························· 53

3. 3회기. 정서에 귀 기울이기 - 정서 지능(교양) ······································· 74

4. 4회기. 진심 달하기 - 정 화법 ······················································ 80

5. 5회기. 인생의 숨은 보석 찾기 - 감사 활동 ··········································· 86

6. 6회기. 행복한 활동 찾기 - 몰입의 즐거움 ············································· 91

7. 7회기. 분노는 마음의 가장자리로 - 용서 활동 ······································ 99

8. 8회기. 새로운 시작 - 변화와 선택 ······················································· 105

Page 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ii

참고문헌 ·································································································· 111

부록 ············································································································ 113

Page 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iii

표목차

<표 1-1> 욕구조사 참여 훈련생의 일반 특성 ········································· 14

<표 1-2> 욕구조사 참여 교직원의 일반 특성 ········································· 15

<표 1-3> 기존 심리 로그램에 한 훈련생 평가 의견 ··························· 16

<표 1-4> 심리 역별 지원 필요성에 한 훈련생 의견 ····························· 18

<표 1-5> 비 로그램 회기별 주제 ························································ 22

<표 1-6> 비 로그램 참가자 명단 ························································ 24

<표 1-7> 비 로그램 운 후 수정 보완 사항 ····································· 27

<표 1-8> 로그램 구성 ············································································· 31

Page 1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iv

그림목차

[그림 1-1] 로그램 개발 차 ································································· 12

[그림 1-2] 로그램 운 을 한 필요 사항 ············································ 19

[그림 1-3] 로그램 상자 선정 기 ····················································· 20

[그림 1-4] 참가자별 로그램 후 변화 ·················································· 25

[그림 2-1] 강 소개( 시) ······································································· 41

[그림 2-2] 강 설명( 시) ······································································· 42

[그림 2-3] 표 강 의 개념 활용 방법( 시) ····································· 43

[그림 2-4] 1회기 운 PPT 자료( 시) ····················································· 51

[그림 2-5] 낙 성 검사 결과 유인물( 시) ··············································· 52

[그림 2-6] 2회기 운 PPT 자료( 시) ··················································· 71

[그림 2-7] 낙 성 검사 결과 유인물( 시) ··············································· 73

[그림 2-8] 3회기 운 PPT 자료( 시) ··················································· 79

[그림 2-9] 4회기 운 PPT 자료( 시) ··················································· 85

[그림 2-10] 5회기 운 PPT 자료( 시) ··················································· 90

[그림 2-11] 6회기 운 PPT 자료( 시) ··················································· 96

[그림 2-12] 행복해지기 한 10가지 방법 유인물( 시) ···························· 98

[그림 2-13] 7회기 운 PPT 자료( 시) ·················································· 104

[그림 2-14] 8회기 운 PPT 자료( 시) ·················································· 109

Page 1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Abstract 1

Abstract

Group Mental Fitness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the Disabled Vocational Trainee

Yi, Min-young

(Research Fellow,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EAD)

Park, Ja-kyung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Park, Ju-ri

(Clinical Psychologist,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vocational trainee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s. This program is supposed to

reflect the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trainee and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Institutes. We first surveyed the needs of the

trainee and teachers and then analyzed their responses. After setting

up a provisional program based on the needs analysis, we ran a

trial project. Then we evaluated this trial project and modified the

provisional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The survey of the needs revealed that the trainee are in need of

the support for the following issues: mental stresses resulting from

career decision making and finding jobs; low self-confidence;

depression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To take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Institutes into account, the following issues

appeared to be necessary in making the program: short-term

interventions, promotion of suppor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Page 1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

experience of benefits even in the case of drop-out, reflection of the

common experiences shared by the trainee.

Following the needs analysis, we built a 'Group Mental Fitness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the Disabled Vocational

Trainee'. This program has eight sessions. The topics of each

session are as follows: Identifying Signature Strengths; Optimism

and Hope; Emotional Intelligence(Literacy); Positive Dialogues;

Gratitude; Engagement and Flow; Forgiveness; The Full Life.

This program is planned to support the participants in having

positive perspectives on their future jobs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participants are supposed to have enhanced

self-esteem,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pacity of

emotional management. The manual of this program can be a

useful guidance for the qualified staffs of the Institutes to run the

program stable at regular intervals.

Key words: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vocational training, training

support program

Page 1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연구요약 3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직업훈련을 받고 있는 장애

인 훈련생들을 한 심리재활 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 다. 그리고 직업능

력개발원 훈련생의 욕구와 직업능력개발원 환경에 부합되는 로그램 개발에

을 두었다.

장애인 훈련생들의 심리 특성과 직업능력개발원 환경에 맞춘 로그램 개

발을 하여 ⓛ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 교직원의 욕구조사, ② 욕구조사

결과 분석, ③ 비 로그램 구성, ④ 비 로그램 운 , ⑤ 비 로그램

평가 보완의 차를 거쳤다.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 교직원의 욕구 조사에 따르면 진로결정 취업

련 스트 스, 자신감 하, 우울감, 인 계 어려움에 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직업능력개발원 환경 특성에 부합하기 해서

는 단기간 개입, 정 인 경험, 부득이한 도 탈락 상황에서도 이익 경험,

훈련생의 공통 경험 반 을 필요로 하 다. 이를 근거로 장애인 훈련생을

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을 구성하 다.

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Seligman, Rashid, 그리고 Parks(2006)가 개발한

‘우울증을 한 정심리 로그램’과 ‘고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치료 로

그램(김진 ․고 건, 2009)’에 기 하여 장애인 훈련생용 로그램을 새롭게

구성하 다. 로그램의 세부 인 기법은 정신과 입원환자들을 상으로 시행

하여 응기능 향상 효과를 보 던 ‘ 정심리치료 로그램(김근향, 2010)’을

참조하 다.

장애인 훈련생을 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에서는 강

탐색, 낙 성 훈련을 통해 자신 상황에 한 정 인 망을 유도하며 정

Page 1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

서 지능(교양), 정 화법, 감사 활동, 용서 활동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의

정 인 계 형성에 유용한 경험을 해 본다. 그리고 몰입의 즐거움을 통해 직

업생활에 한 정 인 시각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로그램의 내용을 회기

별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오리엔테이션’에서는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을 소개하며

기존에 주로 했던 개인의 약 이나 단 보완 주의 로그램이 아니라

정 인 특성을 다루는 로그램임을 안내한다. 그리고 1, 2회기 운 에 필요한

단축 행동가치(강 ) 평가 척도와 낙 성 검사를 미리 실시한다.

1회기 ‘강 탐색’은 훈련생들이 미리 작성한 검사(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

도) 결과에 한 피드백을 받아 자신의 표 강 을 알게 되며 그 동안 소홀

하게 다루어 왔던 자신의 강 을 새롭게 인식하고 발 시키도록 돕는다.

2회기 ‘낙 성 훈련’에서는 훈련생들이 막연하게 는 무조건 으로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낙 으로 생각하는 것의 차이를 알고 이를 직업능

력개발원에서의 경험을 해석하는 데 용하게 한다.

3회기 ‘정서 지능(교양)’에서는 직업능력개발원 생활에서 서로의 입장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을 살펴보고 역할극(role play)을 통해 상 방

의 입장이 되어 어떠한 정서를 느끼는지, 어떻게 서로 배려하는 것이 좋을지

를 알아본다.

4회기 ‘ 정 화법’에서는 직업능력개발원에서 경험한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

상황을 돌이켜 보며 갈등 상황에서 부정 인 감정 외에 자신이 상 방에게 달

하고자 하 던 숨은 진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이를 정 인 용어로 구성하는

것을 연습해 본다.

5회기 ‘감사 활동’에서는 자신의 인생에서 감사하는 상을 찾고 그 상에게

감사 엽서를 쓰고 낭독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감사하는 상을 찾고

음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감사의 마음을 표 하 을 때에 생기는 자신의

마음 변화를 살펴보게 한다.

Page 1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연구요약 5

6회기 ‘몰입의 즐거움’에서는 평소에 몰입의 상태에서 어떠한 기분이었는지,

어떤 일에 쉽게 몰입하는지를 알아본다. 직업 생활과 련된 몰입 경험 동 상

을 보면서 몰입을 통하면 주어진 일을 하면서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

7회기 ‘용서 활동’에서는 분노와 슬픔을 립 인 감정으로(때로는 정 인

감정으로까지) 환시킬 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용서하기’를 소개하고, 갈등

계에 놓여있는 사람들과의 계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를 알아본다.

8회기 ‘변화와 선택’에서는 로그램 동안의 행동 변화를 살펴본 후 정 인

변화를 이끄는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에 해 논의하고 서로를 격려하며

마무리한다.

이 로그램은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과 교직원의 욕구조사를 토 로 훈련생

들이 원하는 상태(자아 존 , 공감, 정신 웰빙, 정서 인식과 리)에 이르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훈련생의 욕구에 부합한다는 장 을 가진다. 한 직업

능력개발원 생활에서 빈번하게 생기는 갈등 사례를 구체 으로 시함으로써

장감을 높 다. 훈련생들은 로그램 참여를 통해 직업능력개발원에서 훈련받

는 상황, 미래에 한 망, 훈련생 훈련교사와의 계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험은 이후의 직업생활에도 유용할 것이다. 한 이

로그램은 심리재활 로그램 운 자격 요건을 갖춘 직업능력개발원 교직원이

운 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이후 정기 이고 안정 인 로그램

운 의 토 가 된다는 에서 의의를 가진다.

Page 1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1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프로그램 개발

1.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이해

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

Page 1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1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9

1.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이해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은 인간의 정 인 감정에 을

두는 정심리학에 기반하며, 체력 단련을 해 휘트니스 센터에 다니듯 심리

건강을 해 체계화된 정신 훈련을 하는 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은 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신의 강 과 미덕을 악하고 자신의 강 과 미덕을 활용하여 삶

에 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들을 연습하며 이러한 방법들을 일상생활에 용

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한 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여

러 정보나 조언을 얻을 수 있으며 다른 참가자들과 계를 맺고 의사를 표 하

는 과정을 통해 친 감 경험 사회성 발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 멘탈 휘트니스

○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는 마치 신체 인 휘트니스를 통해 신체

인 건강을 획득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 체계화된 정신 훈련 과정을

통해 정 정신건강 역시 성취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이다

(McCarthy, 1964).

○ 휘트니스 클럽에서 육체 으로 더 튼튼해지기 해 체력을 단련하듯이

Page 2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

멘탈 휘트니스는 한층 더 나은 정신 번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

는 로그램이다. 심리치료, 정신치료 등의 용어와 비교할 때 ‘멘탈 휘트

니스’라는 표 은 정신 으로 건강해지고자 하는 활동이 사람들에게 부

정 인 인상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해 다는 장 을 지닌다(고

건, 김진 , 2012).

나. 긍정심리

○ 정심리학은 삶의 질을 높이고 질병을 방하기 해 개인의 정 이

고 주 인 경험, 정 인 개인 특징, 정 인 제도 장치를 연구

하는 과학이다(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이러한 정심리학

에서는 행복, 낙 성, 몰입, 사랑, 창의성, 정신건강, 역경을 이겨내는 회

복 능력(resilience) 등 인간의 미덕(美德)을 으로 연구한다(김진 ,

고 건, 2009).

○ 정심리학에서는 인간이란 근본 으로 행복과 성장을 추구하는 존재라

고 가정한다. 그리고 인간의 불행함이나 우울함, 는 스트 스와 같은

인간의 부정 인 감정보다는 즐거움, 희망, 미덕 등과 같은 정 인 감

정에 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정심리학은 삶을 불행하

게 하는 여러 심리 상태를 완화하는 데 치 해 온 통 심리학과 구분

된다.

○ 정심리학에 기반한 심리 로그램은 정신건강의 증진과 행복의 성취를

목표로 하고 개인의 강 과 정 자원에 을 두어 개인을 정서 으

로 고무시키며 실제 인 삶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강조한다. 즉 문제나

Page 2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11

증상에 을 두지 않으면서도 개인의 정 인 요소나 자원을 직 증

진시켜서 문제나 증상으로 인한 부정 인 결과들을 효과 으로 다룬다.

다. 집단 프로그램

○ 집단 로그램은 개인 상담을 집단의 형태로 시행하는 것이다. 집단 로

그램은 참가자의 심리 어려움을 덜어주고 내재된 갈등을 집단 내의

인 계 속에서 표 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게 하고

통찰을 얻게 하여 사회생활이나 인 계의 정 개선을 도모한다(민

성길, 2006). 집단 로그램에 효과를 주는 요인은 주로 정보 교환, 보편

화, 정화, 통찰이다(Yalom, 1983). 즉 집단 로그램 참여를 통해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참가자들을 보면서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

을 수 있고 자신만이 독특한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생각이 어들며 이제

까지 표 이 어려웠거나 하지 못했던 느낌을 발산하면서 편안함과 깨달

음을 얻을 수 있다는 장 이 있는 것이다.

○ 집단 로그램은 병리 문제보다는 주로 심리정서 발달이나 참가자들

의 생활 문제를 다루어 개인으로 하여 자기이해와 인 계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보다 건강하게 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다.

Page 2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

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장애인들이 장애로 인한 제약을 극복하고 자신의

잠재된 가능성을 개발하여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능력을 갖출 수 있도

록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안정된 일자리를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

록 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효과 인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이나 직업재활을

해서는 특정 기능 훈련 뿐 아니라 장애인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여러 부문

의 지원이 다각 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공단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심리

어려움을 경험하는 훈련생들을 한 지원 로그램의 필요성이 꾸 히 제기되

었다(구인순, 김철원, 이승우. 2011; 이국주, 박자경, 장우종, 2007).

이에 따라 장애인 훈련생들의 심리 특성 어려움에 맞추어 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 고 다음의 차에 따라 로그램을 개발하 다(그림 1-1 참조).

[그림 1-1] 로그램 개발 차

Page 2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13

가. 욕구조사 및 분석

○ 욕구조사 실시

2012년 5월 2일~5월 8일 동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일

산, 부산, , 구, 남) 훈련생(412명) 교직원(93명)을 상으로

심리 지원 욕구를 악하기 하여 심리 지원 로그램의 필요성,

재 각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 되고 있는 심리재활 로그램에 한

만족도 개선방안 등에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 욕구조사 참여 훈련생의 일반 특성

욕구조사에 참여한 훈련생의 일반 특성은 <표 1-1>과 같다. 성별로

는 남성장애인이 82.0%, 여성장애인이 18.0%이었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 연령층이 45.3%로 가장 많고 30 31.5%, 40 15.8%, 50세 이상

이 7.4%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고졸이 55.4%로 반 이상이며 졸

이상 20.9%, 졸 18.0%, 졸 이하 5.7%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는 지체장애인이 41.2%, 청각언어장애인이 25.2%, 뇌병변장애인 18.5%,

시각장애인이 7.4%이며, 그 외 장애유형은 비율이 낮았다. 장애원인별

로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후천성 장애인이 43.7%, 선천성 장애인이

28.6%로 나타났다.

Page 2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4

<표 1-1> 욕구조사 참여 훈련생의 일반 특성

구 분 빈도 %

성별남성

여성

338

74

82.0

18.0

연령

30세 미만

30~40세 미만

40~50세 미만

50세 이상

184

128

64

30

45.3

31.5

15.8

7.4

학력

졸이하

고졸

졸이상

23

222

72

84

5.7

55.4

18.0

20.9

장애유형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언어장애

정신장애

기타

167

75

30

102

12

19

41.2

18.5

7.4

25.2

3.0

4.7

장애원인

선천성

후천성(질병 사고)

산업재해

기타

114

174

399

71

28.6

43.7

9.8

17.8

주: 기타장애는 신장, 심장, 안면, 장루․요루, 간질장애인이 해당됨

○ 욕구조사 참여 교직원의 일반 특성

로그램 수요자 욕구조사에 참여한 교직원의 일반 특성은 <표 1-2>

와 같다. 남성이 67.7%, 여성이 32.3%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40 가

52.7%, 40세 미만 27.5%, 50세 이상이 19.8%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10~15년 미만 49.5%, 10년 미만 32.3%, 15년 이상 18.3%이다. 직렬별로

는 교사가 62.4%, 보건 련 별정직 12.9%, 생활지도사 5.4%, 평가사

Page 2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15

9.7%로 나타났다.

<표 1-2> 욕구조사 참여 교직원의 일반 특성

구 분 빈도 %

성별남성

여성

63

30

67.7

32.3

연령

40세 미만

40~50세 미만

50세 이상

25

48

18

27.5

52.7

19.8

근무기간

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년 이상

30

46

17

32.3

49.5

18.3

직렬

교사

별정직(보건 련)

생활지도사

평가사

기타

58

12

5

9

9

62.4

12.9

5.4

9.7

9.7

○ 분석 결과

1) 기존 심리 로그램에 한 훈련생 평가 의견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심리 로그램에 한 평가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기존 로그램에 해 인지하지 못한 훈

련생이 71.9%로 높게 나타났고 로그램을 알고 있었으며 참여한 훈련생

이 15.3%, 로그램을 알고 있었으나 참여하지 않은 훈련생이 12.8%로

나타났다.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실질 인 도움이 안될 것

같다는 의견이 28.0%, 참여시간 부족 26.0%, 로그램에 한 정보 부재

Page 2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6

18.0%, 심리 로그램 내용의 부 성 12.0%, 로그램 참여에 따른 주

변의 부정 인 시선이 6.0%로 나타났다.

로그램의 도움 정도에 한 평가에서는 62.5%의 훈련생이 기존 로

그램이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 다.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훈련

생들의 경우 그 사유로 운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44.4%, 로그램

의 내용 부족 22.2%, 원하는 내용 부족 19.4%, 담당자의 문성 부족이

2.8%로 나타났다.

<표 1-3> 기존 심리 로그램에 한 훈련생 평가 의견

구 분 빈도 %

인지도

참여도

인지, 참여

인지, 미참여

미인지

63

53

297

15.3

12.8

71.9

미참여 사유

참여시간 부족

심리 로그램 내용 부 합

실질 인 도움이 안될것 같음

로그램에 한 정보 부재

주변의 시선

기타

13

6

14

9

3

5

26.0

12.0

28.0

18.0

6.0

10.0

도움정도

도움이 안되었다

별로 도움이 안되었다

보통이다

조 도움이 되었다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2

7

15

23

17

3.1

10.9

23.4

35.9

26.6

미도움 사유

운 시간 부족

로그램 내용 부족

담당자 문성 부족

원하는 내용 부족

기타

16

8

1

7

4

44.4

22.2

2.8

19.4

11.1

Page 2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17

2) 심리 역별 지원 필요성에 한 훈련생 의견

심리 로그램 내용 구성을 해 훈련과정 경험하는 심리 어려움

을 도출하고자 7가지 심리 역에 한 로그램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는 <표 1-4>와 같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 스트 스에 한 지원 필요성이

56.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우울 37.7%, 훈련 스트 스 33.8%,

교우 계 스트 스 33.2%, 낮은 자존감 32.9%, 불안 32.8%, 감정 조 어

려움 32.0%의 순서로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훈련생이 경험하는 심리 어려움의 구체 인 내용을 악하고 로그

램 구성에 필요한 요소를 찾기 하여 부가 으로 실시한 심층 면 에서

도 훈련생 집단(일산직업능력개발원 4개 훈련분야에서 1명씩 참여)은

재 경험하고 있는 심리 어려움으로 불투명한 진로에 한 고민, 교우

계의 어려움, 우울감, 자신감 하, 취업 후 응에 한 걱정 등을 호소

하 다.

설문조사에 포함된 심리검사를 사용한 정서 어려움 측정 결과에서는

등도 우울(Beck 우울검사 22 이상)에 해당하는 훈련생이 108명(26%),

등도 불안(Beck 불안 검사 25 이상)에 해당하는 훈련생이 40명(9%),

거의 언제나 스트 스를 경험한다고 응답한 훈련생이 28명(6%)이었다.

☞ 훈련생 욕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진로 결정 취업 련 스트 스,

우울감, 인 계 어려움, 자신감 하를 지원할 수 있는 심리 로그

램을 필요로 함

Page 2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8

<표 1-4> 심리 역별 지원 필요성에 한 훈련생 의견

구 분 빈도 %

훈련스트 스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38

86

141

52

50

10.4

23.4

38.4

14.2

13.6

교우 계

스트 스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44

77

125

67

52

12.1

21.1

34.2

18.4

14.2

진로결정

스트 스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88

118

86

40

36

23.9

32.1

23.4

10.9

9.8

우울감정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52

85

107

55

64

14.3

23.4

29.5

15.2

17.6

불안감정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49

70

109

66

70

13.5

19.3

30.0

18.2

19.2

감정조

어려움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49

67

96

80

71

13.5

18.5

26.4

22.0

19.6

낮은 자존감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52

63

102

65

68

14.9

18.0

29.1

18.6

19.4

Page 2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19

3) 심리 로그램 운 활성화 방안에 한 교직원 의견

직업능력개발원 교직원은 심리 로그램 운 활성화를 해 우선 필

요한 사항으로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을 한 로그램 개발과 로그램

운 을 한 문 인력 배치, 로그램 참여 시간 확보를 꼽았다(그림 1-2

참조).

[그림 1-2] 로그램 운 을 한 필요 사항

(단 : 명)

4) 심리 로그램 상자 선정 기 에 한 교직원 의견

로그램 상자를 선정하는 기 을 조사한 결과 교직원들은 로그램

참여 희망 훈련생과 심리 어려움을 호소하는 훈련생을 우선해야 한다

고 하 다. 설문조사 결과와 더불어 훈련교사 집단(일산직업능력개발원 4

Page 3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0

개 훈련분야에서 각 1명씩 참여)을 상으로 한 심층 면 에서도 로그

램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훈련생을 상으로 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하다는 의견이 우세하 다(그림 1-3 참조).

[그림 1-3] 로그램 상자 선정 기

(단 : 명)

☞ 교직원 욕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의 특성에 맞

춘 심리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참여 희망자를 심으로 심리

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함

Page 3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21

나. 예비 프로그램 구성

○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을 한 로그램 구성을 해 다음과 같은 직업

능력개발원의 환경 특성을 고려하 다.

1) 훈련생들의 평균 훈련기간이 7.5개월(2010년 수료생 기 )이며 평균 훈

련기간이 더 짧아지는 추세이다.

2) 훈련기간 동안 직업기능훈련과 로그램 참여를 병행해야 한다.

3) 수시 입학, 수시 수료 시스템이어서 훈련생들의 교체가 잦다.

4) 연령 , 학력, 장애유형, 등 등에서 훈련생간 차이가 크다.

5) 훈련생들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고 직업훈련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

의 기본 인 기능을 지니고 있다.

○ 직업능력개발원의 이러한 환경 특성을 고려할 때 로그램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필요가 있다.

1) 훈련기간 단축 경향, 잦은 훈련생 교체, 직업기능훈련과의 병행에 따라

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시간에 제한이 있으므로 심리 로그램 운

기간이 상 으로 짧아야 한다.

2) 단기 심리 로그램 운 을 해서는 심층 인 문제의 분석과 해결에

을 두기 보다는 지지 이고 정 이며 건설 인 경험을 할 수 있

는 분 기를 조성해야 한다.

3) 훈련생들이 매 회기 연속 으로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 횟수가 더라

도 참여 회기 내에서는 이득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4) 훈련생간 개인차를 고려할 때 집단 로그램 참가자에게 도움이 되기

해서는 개인의 특정 문제 보다는 직업능력개발원에서의 공통 경험에

을 두어야 한다.

Page 3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2

5) 훈련생들의 기능 수 향상에 도움이 되기 해서는 병리 증상 보다

일상생활과 련된 내용 심으로 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 비 로그램 내용 구성

1)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 교직원의 욕구, 직업능력개발원 환경, 선행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장애인 훈련생을 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 8회기를 비 로그램으로 구성하 다(표 1-5 참조).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은 단기 개입, 정 인 심리기

능 강화, 훈련생의 공통 경험 반 이 가능하다는 에서 직업능력개발

원 장애인 훈련생을 한 심리 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특징에 부합되

는 근법이다.

<표 1-5> 비 로그램 회기별 주제

회 기 주 제

1 회기 강 탐색

2 회기 낙 성 훈련

3 회기 정서 지능(교양)

4 회기 정 화법

5 회기 감사 활동

6 회기 몰입의 즐거움

7 회기 용서 활동

8 회기 변화와 선택

2) 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Seligman과 그의 동료들(2006)이 개발한 ‘우울

증을 한 정심리 로그램’과 ‘고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치료

Page 3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23

로그램(김진 , 고 건, 2009)’에 기 하여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용으

로 새롭게 구성하 다. 로그램에서 다룬 세부 인 기법은 정신과 입

원환자들을 상으로 시행하여 응기능 향상 효과를 보 던 정심리

치료 로그램(김근향, 2010)을 참조하 다.

3) 정심리 집단 로그램은 등학생, 청소년, 청년, 학생, 노인, 정신

과 입원환자 등 다양한 상에게 용되어 정 변화를 가져왔다. 특

히 청년들의 목표의식, 자기효능감(정 주, 민순, 하윤주, 김은아, 나

주, 2010), 학생들의 정서변화, 자아존 감, 스트 스, 우울(이태훈,

2005), 학생의 우울(임 진, 2012)과 같이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들이

지원을 필요로 하는 심리 특성에서도 정심리 집단 로그램이 효

과가 있었다.

다. 예비 프로그램 운영

○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6명)에게 8회기로 구성된 비 로그램을 운

하 다. 운 에 로그램 참가 희망자 8명에게 로그램의 목 , 진행

방법, 녹음 사항, 로그램 결과 활용 등에 한 안내를 하 으며, 안내를

받은 후 로그램 참가자 동의서에 서명한 6명을 상으로 비 로그

램을 실시하 다(표 1-6 참조).

※ 지 능력 제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곤란, 의사표 의 어려움,

성 증상으로 집 인 심리 지원이 필요한 훈련생과 같이 집단 로

그램 참여를 통해 이득을 얻기 어려운 훈련생은 제외하 다.

Page 3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4

<표 1-6> 비 로그램 참가자 명단

연번 구분 성별 연령 장애유형 등 최종학력 훈련분야

1 A 남 39세 지체장애 2 무학 라

2 B 남 28세 지체장애 4 졸업 라

3 C 남 30세 시각장애 6 고교졸업 다

4 D 남 23세 지체장애 4 고교졸업 나

5 E 여 46세 뇌병변장애 3 고교졸업 바

6 F 여 27세 시각장애 6 졸업 바

1) 장 소 : 일산직업능력개발원 회의실

2) 일 정 : 2012년 8월 21일 ~ 9월 26일(주 1회~2회, 총 8회기)

3) 시 간 : 16:30 ~ 18:00(1회기당 90분)

4) 운 자 : 연구자 1인

(약력 :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심리치료학 석사, 심리치료 경력 2년,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로그램 련 교육 이수자)

라. 예비 프로그램 평가 및 보완

○ 운 자 1인이 비 로그램의 체 회기를 운 하 고 모든 회기를 녹

음하 다. 녹음 내용을 토 로 로그램 운 자가 자문 원(임상심리

문가) 1인으로부터 수퍼비 을 받아 로그램 내용을 수정 보완하 다.

○ 로그램 효과를 살펴보기 하여 참가자들의 로그램 후 변화를 비

교한 결과 6명의 참가자 가운데 5명은 자아존 감, 공감, 정신 웰빙, 정

서능력에서 반 인 향상을 보 다. 1명(참가자 C)은 정신 웰빙에서

는 향상이 있었으나 그 외 역에서의 변화는 미미하 다(그림 1-4 참조).

Page 3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25

[그림 1-4] 참가자별 로그램 후 변화

※ 로그램 운 상의 어려움이나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악하기 한

목 에서 시범운 을 실시하 고 시범운 참가자가 6명으로 사례수

가 어서 별도의 통계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지는 않았다.

Page 3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6

○ 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하여 로그램 후에 사용한 자기보고식

척도는 다음과 같다.

1) 자아존 감 척도(Self-Esteem Scale) :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병재(1974)가 번안한 자아존 감 척도는 자아존 감과 자아승인 양상

을 측정하기 해 고안된 것으로 수(최 10 ~최고 40 )가 높을수

록 자신을 더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기며, 자아존 감이 높음을 의미한

다. 이 척도의 내 합치도는 병재(1974)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85이었다.

2) 공감지수(Korean Empathy Quotient: K-EQ) 척도 : Baron-Cohen과

Wheelwright(2004)가 개발하고 허재홍과 이찬종(2010)이 한국 으로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 다. 이 척도는 인지공감, 정서공감, 사회기술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최 17 ~최고 68 )가 높을수록 공

감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허재홍과 이찬종(2010)의 연구에서 이 척도

의 내 합치도는 Cronbach's α=.83이었다.

3) 정신 웰빙 척도(Korean Mental Health Continuum Short Form:

MHC-SF) : Keyes, Wissing, Potgieter, Temane, Kruger과 van

Rooy(2008)가 개발하고, 임 진, 고 건, 신희천, 조용래(2012)가 한국

으로 구성한 정신 웰빙 척도를 사용하 다. 이 척도는 정서 웰빙,

심리 웰빙, 사회 웰빙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수(최

0 ~최고 60 )가 높을수록 정신 건강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척도의 내 합치도는 Cronbach's α=.93이었다.

Page 3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27

4) 특성 상 기분 척도(Trait Meta Mood Scale: TMMS) : 특성 상 기분

척도는 정서 능력을 살펴보는 척도이며 정서 주의, 정서 변별, 정서 회

복의 세 가지 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Palfai(1995)가 개발하 고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우리말

로 번안하 다. 특성 상 기분 척도는 수(최 21 ~최고 105 )가

높을수록 감정을 잘 알아차리고, 이해하고, 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체 척도에 한 Cronbach's α=.86이었다.

○ 비 로그램 운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 수정 보완 사항은 다음의

<표 1-7>과 같다.

<표 1-7> 비 로그램 운 후 수정 보완 사항

비 로그램 운 에서의

어려움수정 보완 사항

오리엔테

이션

․1회기 에 오리엔테이션

실시 시간 확보의 어려움

․개인별 오리엔테이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오리엔테이션의 일반 인 사

항을 제시

1회기

강 탐색

․교직원을 통한 안내가 있

었으나 참가자의 로그램

에 한 사 이해가 낮음

․1회기를 시작하기 에 오리엔테이

션이 충분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

여,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의 목 에 한 설명을 보충

2회기

낙 성

훈련

․집단 구성원간의 친 감이

부족하여 참가자들이 자신

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

을 불편해 함

․참가자들의 자발 이야기가 없을

경우를 비하여 운 자가 제시할

수 있는 사례를 매뉴얼에 포함

Page 3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28

<표 1-7> 비 로그램운 후 수정 보완 사항 (계속)

비 로그램 운 에서의

어려움수정 보완 사항

3회기

정서지능

(교양)

․자신과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입장이 되어보는

연습을 할 때에 말로만 하

는 것은 참가자의 집 도

나 공감을 충분히 일으키

기 어려움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불편함

을 직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사례

제시( : 음성을 제거한 상과 포

함시킨 상을 비시켜 보여 으로

써 청각 장애인이 당면 상황을 악

할 때 어려움을 겪고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는 을 직 느껴보도록 함)

4회기

화법

․ 정 화법 연습에서 세

가지 정 화 규칙에

한 연습만 강조되어 있음

․ 정 화법을 기계 으로 용하는

것 보다는 진심을 효율 으로 달

하는 것이 요하다는 을 강조

5회기

감사활동

․참가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감사할 것에 한 이야기

를 나 는 것을 힘들어 함

․일상 인 감사에 해서 다루기보다

는 각자의 삶에 있어 요하고 정

인 향을 미친 인물에 해 이야

기하는 것에 을 맞추도록 함

6회기

몰입의

즐거움

․말과 로 된 설명만으로는

몰입 개념과 특성을 참가자

들이 이해하기 어려워 함

․실제 장애인 근로자의 몰입 활동 사

례를 동 상으로 제시하여 몰입 개

념과 특성에 한 이해를 도움

7회기

용서활동

․용서활동 회기에서 참가자

들이 용서활동 보다는

단계인 분노 상처 경험

에 더 을 두는 경향을

보임

․분노나 상처 경험 자체에 을 두

기 보다는, 용서한다고 가정했을 때

어떨지 상상해보거나 용서를 한 경

험이 있는 경우 어떠했는지 등에

을 두는 것으로 변화

8회기

변화와

선택

․평생 과제 선정 버킷

리스트 작성에서 작성 방

법을 설명하는 시간이 길

어져 마무리 활동이 박

하게 진행됨

․버킷리스트 작성하기를 간단하게 넘

어가고 본 활동인 평생 과제 선정과

정 인 피드백 제공하기에 을

두어 앞으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

록 격려하고 강화

Page 3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29

마. 프로그램 개요

○ 목표 :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들의 심리 안정 응 능력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행복한 자기 실 상태에 가까워지도록 돕는다.

○ 상 :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자발 인 참가자

(집단 로그램 참여 합성을 고려할 때 기능 범 를 고려)

○ 집단 별 인원 : 6~8명

1) 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해서는 참가자들의 상호 교류와 집단

응집력이 요하며 이를 해서는 로그램이 시작될 때의 구성원들로

만 끝까지 운 하는 폐쇄집단 형태가 바람직하다.

2) 단 직업능력개발원의 잦은 훈련생 교체로 인해 구성원들의 많은 탈락

이 상되는 등의 불가피한 경우에는 집단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새

로운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개방집단 형태로도 운 할 수 있다. 개방집

단 형태로 운 할 경우에는 회기 도입 활동에 신입 참가자 소개를 추가

하고, 마무리 활동에 훈련 수료 정 참가자 작별인사를 추가한다.

○ 회기 수 시간 : 총 8회기 / 회기당 90분

훈련생 특성이나 욕구에 따라 로그램 내용을 재구성하여 6~8회기로

조정 가능하며 집단 별 인원이 6~8명보다 늘어나면 회기 당 운 시간

도 늘어나야 한다.

Page 4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30

○ 로그램 운 자

로그램 운 자는 참가자들의 정신 건강에 한 책임을 가지기 때

문에 기본 으로 심리학 기본 교육, 수련 등 일정 기 이상의 문

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자격요건을 모두 갖추거

나, 이에 상응하는 자격을 지닌 것으로 인정되는 정신보건 분야 문가

로 로그램 운 자를 제한한다.

․심리학, 사회복지학 련학과 공 석사 이상

․심리 로그램 운 경력 1년 이상

․장애인 훈련생을 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 교육

이수자

○ 로그램 사 비

운 자가 매 회기 1~2일 에 로그램 일정, 주제, 과제를 휴 화 문

자 등으로 간단하게 안내하여 참가자들이 잊지 않고 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평가 방법

1) 매 회기가 끝날 무렵 참가자들에게 각 회기를 통해 새롭게 배웠거나 느

낀 을 이야기하게 함으로써 운 자는 그 회기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

성되었는지를 악할 수 있다. 한 참가자들이 질문에 답을 하면서 스

스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요하다.

2) 행동의 변화는 단시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

를 구체 으로 검하는 것도 어려우므로 본 연구의 비 로그램 운

에서처럼 자기보고식 척도를 체 로그램 참여 후에 실시하는

차를 통해 반 인 변화를 살펴볼 수도 있다.

Page 4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31

○ 로그램 구성

장애인 훈련생을 한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집단 로그램의 구성

은 다음과 같다(표 1-8 참조).

<표 1-8> 로그램 구성

구분 내용

오리엔테이션 로그램 소개와 안내

1 회기 나와 타인을 보는 새로운 방법 찾기 - 강 탐색

2 회기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라보기 - 낙 성 훈련

3 회기 정서에 귀 기울이기 - 정서 지능(교양)

4 회기 진심 달하기 - 정 화법

5 회기 인생의 숨은 보석 찾기 - 감사 활동

6 회기 행복한 활동 찾기 - 몰입의 즐거움

7 회기 분노는 마음의 가장자리로 - 용서 활동

8 회기 새로운 시작 - 변화와 선택

1) 오리엔테이션

로그램 회기를 시작하기 에 참가자들을 상으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해서 로그램에 한 이해를 높인다. 자발 으로 로그램 참여

를 희망한 참가자이더라도 로그램에 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로그램의 일정 장소와 더불어 로그램의 특징(개인

의 강 과 미덕을 악하고 계발, 수동 인 듣기가 아닌 자기 표 과

참여 필요, 다른 참여자와 함께 하는 집단 내 활동 등)에 해 안내를

해야 한다. 그리고 1, 2회기 시 필요한 단축 행동가치(강 ) 평가 척도

와 낙 성 검사를 미리 실시한다.

Page 4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32

2) 1회기 강 탐색

훈련생들이 자신의 강 을 알고 강 이 발휘된 구체 인 경험을 찾아

서 이야기하며 자신의 강 을 새롭게 인식한다. 훈련생들은 미리 작성

한 검사(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 결과에 한 피드백을 받아 자신의

표 강 을 알게 된다. 이 회기를 통해 훈련생들은 미처 주의를 기울

이지 않고 있던 자신의 강 을 상기하고 그와 련된 구체 인 에피소

드를 이야기함으로써 자신의 강 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그 동안 소

홀하게 다 왔던 자신의 강 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극 화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잊고 있던 강 을 새롭게 인식하고 발 시키도록 돕는다.

3) 2회기 낙 성 훈련

훈련생들이 막연하게 는 무조건 으로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과 낙 으로 생각하는 것의 차이를 알고 이를 직업능력개발원에서의

경험을 해석하는 데 용하게 한다. 낙 으로 생각하기 한 암묵

지식, 즉 속성, 확산성, 개인화, 희망의 개념을 제시하고 훈련생들이

경험하는 상황을 낙 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연습하게 한다. 직업능

력개발원 훈련생들이 공통 으로 경험할 수 있는 상황을 극 으로

탐색하고, 각 상황에 해 낙 으로 생각하는 구체 인 방식을 연습

한다.

4) 3회기 정서 지능(교양)

정서 지능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정서를 효율

으로 다루는 능력, 정서 상처를 회복하는 능력, 다른 사람과 정

인 계를 맺기 해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일상생활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정서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이해하며 표 하는 것

Page 4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1. 로그램 개발 33

이다. 이러한 정서 지능은 정 인 정서 사회 인 유능성을 함양하

는 데 필수 이다. 이 회기에서는 훈련생들이 직업능력개발원 내에서

서로의 입장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을 살펴보고 역할극을

통해 상 방의 입장이 되어 어떠한 정서를 느끼는지 어떻게 서로를 배

려하는 것이 좋을지를 알아본다.

5) 4회기 정 화법

의미 있는 사람들과의 갈등을 부정 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들

에 한 자신의 숨은 진심(분노 에 있는 서운함, 바람)을 달함으로

써 그 갈등 상황을 정 으로 환시킬 수 있음을 배운다. 이 회기에

서는 최근에 직업능력개발원에서 경험한 사람들과의 갈등 상황에서 부

정 인 감정 외에 자신이 상 방에게 달하고자 하 던 숨은 진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이를 정 인 용어로 구성하는 것을 연습해 본다.

6) 5회기 감사 활동

자신의 인생에 향을 사람이나 사건을 떠올려 이야기하는 과정에

서 감사의 상을 찾고 그 상 는 그 동안 감사의 뜻을 달하지 못

하 던 상에게 감사 엽서를 쓰고 낭독하는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과

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감사의 상을 찾고 음미해보며 감사의 마음을

표 하 을 때 자신의 마음 변화를 살펴보게 한다.

7) 6회기 몰입의 즐거움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방법 하나인 몰입에 해 살펴본다. 평소에 어

떤 활동에 푹 빠져서 시간 가는 몰랐던 경험을 다루면서 몰입의 상

태에서 어떠한 기분이었는지, 어떤 일에 쉽게 몰입하는지를 알아본다.

Page 4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34

직업 생활과 련된 몰입 경험 동 상을 보면서 몰입을 통하면 주어진

일을 하면서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8) 7회기 용서 활동

용서는 고통을 완화시키고 과거의 나쁜 일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

와 다. 이 회기에서는 분노와 슬픔을 립 인 감정으로(때로는 정

인 감정으로까지) 환시킬 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용서하기를 소

개하고 갈등 계에 놓여있는 사람들과의 계를 어떻게 풀어가야 하

는지를 배운다. 자신의 용서 경험 나 기, 용서의 필요성 이해, 용서 활

동을 거치며 자신에게 맞는 용서 방법을 찾아본다.

9) 8회기 변화와 선택

마지막 회기로 로그램 동안의 행동 변화를 살펴보며, 앞으로 자신의

선택과 노력을 통해 정 변화가 계속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Page 4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영자용 매뉴얼

1회기. 나와 타인을 보는 새로운 방법 찾기 - 강점 탐색

2회기.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라보기 - 낙관성 훈련

3회기. 정서에 귀 기울이기 - 정서 지능(교양)

4회기. 진심 전달하기 - 긍정 대화법

5회기. 인생의 숨은 보석 찾기 - 감사 활동

6회기. 행복한 활동 찾기 - 몰입의 즐거움

7회기. 분노는 마음의 가장자리로 - 용서 활동

8회기. 새로운 시작 - 변화와 선택

Page 4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4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37

1회기. 나와 타인을 보는 새로운 방법 찾기 - 강점 탐색

가. 목표

○ 첫째, 정심리치료 로그램에 해 소개하고 참가자들의 동기를 강화

한다.

○ 둘째, 별칭을 소개하고 집단에 한 기 를 나눔으로써 참가자 간의 친

감을 높인다.

○ 셋째, 자신의 강 을 알아보는 활동을 통해 자기 자신에 한 정 인

시각을 형성한다.

나. 기대 효과

○ 장애로 인해 불편한 부분이나 약 에 주의를 기울이고 극 화시키기 보

다는 강 과 장 에 을 두어 이를 더욱 개발하고 강화함으로써 자신

감과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킨다.

“다른 게 뭐가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내가 갖고 있는 장애 때문

에 사람을 만날 수 없고 근데 그거는 어떻게 내가 극복을 못

할 문제고, 물론 제가 이것저것 장애를 극복할 수 있을만한 사

람이었다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그 부분은 내가 어떻

게 할 수 없는 부분이니까 건드리지 않는 게 낫겠다. 그렇죠.”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J -

Page 4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38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필기구(개별 지 ),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미소 동 상 일, 편안하고 밝은 음악, PPT 자료

○ 사 에 실시한 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 채 결과

- 회기 시작 (오리엔테이션)에 검사를 미리 시행하여 참가자의 표

강 알아두기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5분)

1. 진행자 소개

○ 진행자의 이름과 하고 있는 일, 그리고 앞으로 함께 로그램을 할 것에

한 기 감 등을 간단히 소개한다. 음성과 어조를 밝게 하여 유쾌하고

밝은 분 기를 조성하는 것이 요하다. 참가자들이 진행자에 해 질문

을 하는 경우 앞으로 더 잘 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자연스

럽게 넘어가는 것이 좋다.

2. 로그램에 한 소개

○ 본 로그램은 우울과 불안 등의 증상이나 내 인 문제를 치료하거나 약

을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정서 안정과 응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심리 웰빙(wellbeing)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임을 설명한다.

○ 로그램이 진행되는 8회기 에 회기의 분 기와 참가자들의 이해 정도

에 따라 할 때에 다음과 같이 간단한 설명을 더 할 수 있다.

Page 4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39

"일반 으로 우리는 약 에만 주의를 기울여 자책하거나, 우리에게 부족

한 것에만 몰두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 더 불행감을 느

끼고 우울해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 로그램은 나의 강 이나 내 주변에 있

는 정 인 측면들에 심을 갖고 낙 으로 사고하는 법 등을 연습할 수

있는 주제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이 원하는 바를 다 이루게 해주

거나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앞으로 더 행복해질 수 있다

는 희망을 갖게 될 수는 있을 거라고 기 됩니다."

3. 미소 동 상 보기

○ 편안하고 즐거운 분 기로 로그램이 진행될 것임을 고하면서 미소

동 상(미소를 짓는 아이와 동물들의 사진이 음악과 함께 제시됨)을 본

다.

4. 회기 구조화 안내

○ 90분씩 8회기 일정을 안내하고 진

행되는 동안 지각 결석 없이 참

석할 수 있도록 강조한다.

○ 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자유롭

게 상호작용하며 의견을 나 수

있으며 회기 동안 다룬 개인 인

정보들에 해 비 보장이 필요

하다는 것 등에 해 안내한다.

○ 로그램의 효과를 경험하려면 스스로의 극 인 노력이 필요하며 간략

한 과제 활동이 주어질 수 있음에 해 소개한다.

Page 5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0

중간 활동 (약 20분)

1. 별칭 정하기

○ 편안하고 밝은 분 기의 음악을 들으며 각자 로그램 참여 동안 사용할

자신의 별칭을 정하여 이름표에 도록 한다.

2. 자기소개 로그램에 한 기 이야기하기

○ 돌아가면서 자신의 별칭 별칭을 정한 이유를 포함한 간단한 자기소개

를 한다. 별칭 짓기를 어려워하는 참가자의 경우 다른 참가자나 진행자가

추천해 수 있으나 본인이 꼭 동의하는 별칭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로

그램 내에서는 반드시 ‘~님’으로 부르며 서로를 존 하도록 한다.

○ 자기소개를 할 때 로그램에 참여하는 목 과 기 하는 바를 함께 이야

기하도록 한다.

- 로그램 참여 목 과 기 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참가자의

선입견이나 오해에 해서는 짧게 설명해 다.

- 자기소개가 끝난 뒤에는 함께 박수를 쳐주어서 반가움을 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첫 회기이기에 간단한 자기소개도 부담스러워하는 참가자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원하는 참가자들이 자발 으로 자기소개를 하도록 하고, 끝까지

부담감을 호소하며 거부하는 경우 결정한 별칭만이라도 간단히 소개하도

록 한 후 박수로 환 해주는 것이 좋다.

Page 5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41

본 활동 (약 40분)

1. 강 에 해 소개하기

○ 강 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 일상에서 활용되고 있는 개인의 특

징들이며, 본인이 스스로 인정하고 자부심을 느끼며 날마다 발휘하는 탁

월한 특성임을 소개한다.

2. 자신의 강 찾기

○ 다양한 강 목록(그림 2-1 참조)을 제시한 후 그 각자 자신의 강 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이야기를 나 면서 참가자의 심을 유발한

다. 자신은 강 이 없다고 말하는 등 이야기하기 어려워하는 경우 평소에

는 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고 인정해주며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그림 2-1] 강 소개( 시)

Page 5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2

○ 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 결과를 토 로 한 참가자 한 명씩의 강 을

PPT 자료화면 등으로 제시한다(그림 2-2 참조). 제시된 강 이 참가자

구의 강 인지는 이야기하지 않은 채 해당 강 을 지닌 경우의 좋은

이나 일상생활에서 그 강 이 어떻게 정 인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

을지에 해 논의한다.

○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이 검사 결과가 구의 강 일지 맞추어 보도록

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한다. 이후 축하와 칭찬을 해주는 분 기에서

해당 강 을 지닌 참가자를 발표하고, 그 강 과 련된 실제 인 경험

(즉 평소에 그런 장 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에 해 이야기를 듣는다.

⇒ 모든 참가자들의 강 에 해 같은 과정을 반복하고, 한 명씩 발표가

끝날 때마다 해당 참가자에게 강 제시 화면을 출력한 유인물을 달

하며 박수로 호응해 다.

[그림 2-2] 강 설명( 시)

Page 5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43

행동가치 평가 척도 결과가 자신의 강 이 아니라고 느끼는 참가자에

게는 ‘스스로 그 강 을 의식하지 않았더라도 분명히 강 일 수 있으며,

어도 자신이 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일 수 있다’고 설명해 다. 그래도 수

할 수 없다면 평소 자신의 모습 에서 강 이라고 생각되는 특징을 한

두 가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3. 자신의 표 강 활용 방법 생각해보기

○ 표 강 의 개념 활용 방법의 를 간단히 소개한다.

○ 이후 각자 자신의 표 강 이 무엇이며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그림 2-3] 표 강 의 개념 활용 방법( 시)

Page 5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4

마무리 활동 (약 15분)

1. 소감 나 기

○ 첫 회기를 한 후의 소감에 해 각자 이야기를 나 다.

○ 특히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2. 과제 소개

○ 표 강 활용하기 :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표 강 을 활용해보기

Page 5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45

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

우리는 행복을 바라면서도 자신의 강점보다는 약점에 더 많은 관심을 기

울이고 매이기 쉽습니다. 이제 약점에 집중했던 시선을 돌려 그 동안 소홀

하게 다루어 왔던 자신의 강점에 주의를 기울여 보았으면 합니다.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다보니 어느새 잊고 있던 나의 강점을 새롭게 인

식하기 위하여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 보십시오. 각 문항들을

읽고 당신을 잘 나타내 준다고 생각하는 숫자에 O표를 하시면 됩니다.

문 항나와 매우

다르다

나와다르다

보통이다

나와비슷하다

나와매우

비슷하다

1.a. 언제나 세상에 대해 호기심이 많다. 1 2 3 4 5

b. 쉽게 싫증을 낸다. 1 2 3 4 5

2.

a.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전율을 느낀다. 1 2 3 4 5

b. 박물관이나 다른 교육적 장소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

1 2 3 4 5

3.

a. 판단력이 필요한 주제가 있을 때면, 아주 이성적으로 사고한다.

1 2 3 4 5

b. 성급하게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1 2 3 4 5

4.

a.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방법을 찾는 걸 좋아한다.

1 2 3 4 5

b. 내 친구들은 대부분 나보다 상상력이 뛰어나다.

1 2 3 4 5

5.

a. 어떤 성격의 단체에 가도 잘 적응 할 수 있다.

1 2 3 4 5

b.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아주 둔하다. 1 2 3 4 5

Page 5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6

문 항나와 매우

다르다

나와다르다

보통이다

나와비슷하다

나와매우

비슷하다

6.

a. 항상 꼼꼼히 생각하고 더 큰 것을 볼 줄 안다.

1 2 3 4 5

b. 내게 조언을 구하러 오는 사람은 거의 없다.

1 2 3 4 5

7.

a. 강력한 반대도 무릅쓰고 내 주장을 고수할 때가 많다.

1 2 3 4 5

b. 고통과 좌절 때문에 내 의지를 굽힐 때가 많다.

1 2 3 4 5

8.a. 한번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해낸다. 1 2 3 4 5

b. 일을 할 때면 딴전을 피운다. 1 2 3 4 5

9.a.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 1 2 3 4 5

b. 친구들은 내게 솔직하게 말하는 법이 없다.

1 2 3 4 5

10.a. 자발적으로 이웃을 도와준다. 1 2 3 4 5

b. 다른 사람들의 행운을 내 일처럼 좋아한 적이 거의 없다.

1 2 3 4 5

11.

a. 자신의 기분과 행복 못지않게 내 기분과 행복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 있다.

1 2 3 4 5

b. 다른 사람들이 베푸는 사랑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1 2 3 4 5

12.a. 어떤 단체에 가입하면 최선을 다한다. 1 2 3 4 5

b. 소속 집단의 이익을 위해 내 개인적인 이익을 희생시킬 생각은 없다.

1 2 3 4 5

13.a. 어떤 사람에게든 똑같이 대한다. 1 2 3 4 5

b.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기 힘들다.

1 2 3 4 5

14.a. 일일이 참견하지 않고도 사람들이 단합해 일하도록 이끌어 준다.

1 2 3 4 5

b. 단체 활동을 조직하는 데는 소질이 없다. 1 2 3 4 5

15.a. 내 정서를 다스릴 줄 안다. 1 2 3 4 5

b. 다이어트를 오래 하지 못한다. 1 2 3 4 5

Page 5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47

문 항나와 매우

다르다

나와다르다

보통이다

나와비슷하다

나와매우

비슷하다

16.

a. 다칠 위험이 있는 일은 하지 않는다. 1 2 3 4 5

b. 나쁜 친구를 사귀거나 나쁜 사람들을 만나는 경우가 있다.

1 2 3 4 5

17.

a. 다른 사람들이 나를 칭찬할 때면 슬그머니 화제를 돌린다.

1 2 3 4 5

b. 스스로 한 일을 치켜세우는 편이다. 1 2 3 4 5

18.

a. 음악, 미술, 연극, 영화, 스포츠, 과학, 수학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보고 전율한 적이 있다.

1 2 3 4 5

b. 평소에 아름다움과는 전혀 무관하게 지낸다.

1 2 3 4 5

19.

a. 아무리 하찮은 일이라도 항상 고맙다고 말한다.

1 2 3 4 5

b. 내가 받은 은혜에 대해 거의 생각하지 않는다.

1 2 3 4 5

20.

a. 항상 긍정적인 면만 본다. 1 2 3 4 5

b.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철저 하게 계획한 적이 거의 없다.

1 2 3 4 5

21.a. 삶의 목적이 뚜렷하다. 1 2 3 4 5

b. 사명감이 없다. 1 2 3 4 5

22.a. 과거의 것을 문제 삼지 않는다. 1 2 3 4 5

b. 기어코 복수하려고 애쓴다. 1 2 3 4 5

23.a. 되도록 일과 놀이를 잘 배합한다. 1 2 3 4 5

b. 우스갯소리를 거의 할 줄 모른다. 1 2 3 4 5

24.a. 무슨 일을 하든 전력투구 한다. 1 2 3 4 5

b. 의기소침할 때가 많다. 1 2 3 4 5

Page 5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48

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 채 은 Seligman(2006)이 제시한 방법에 기 함

○ 각 문항의 ‘a' 문항은 그 로, ‘b’ 문항은 역으로 채 합니다.

ex. 1번 문항의 a는 4 , b는 2 (역 채 하면 4 )이라고 체크했을 경우,

‘호기심’에 한 수는 8 이 됩니다.

○ 각 문항 번호별 해당 강

강 수 강 수

1. 호기심 13. 공정성

2. 학구열 14. 지도력

3. 단력 15. 자기통제력

4. 창의성 16. 신 함

5. 사회성 17. 겸손

6. 견력 18. 감상력

7. 용기 19. 감사

8. 끈기 20. 희망

9. 지조 21. 목 의식

10. 친 22. 용서

11. 사랑 23. 유머감각

12. 시민정신 24. 열정

제시된 ‘단축 행동가치 평가 척도’는 짧은 시간에 효과 으로

검사 결과를 얻기 한 단축형입니다. 원래 검사를 이용하고 싶다면

www.authentichappiness.org에서 검사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Page 5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49

1. 호기심 : 일어나고 있는 모든 경험과 상에 해서 흥미를 느끼는 능력

- 다양한 주제와 화제에 매혹되어 조사하고 발견하는 것을 포함

2. 학구열 : 새로운 기술, 주제, 지식을 배우고 숙달하려는 동기와 능력

3. 단력 : 사물이나 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철 하게 생각하고 검토하는 능력

- 모든 증거를 동등하게 취 하고 새로운 증거에 따라 신념을 수정

하는 태도를 포함

4. 창의성 : 어떤 일을 하면서 새롭고 생산 인 방식으로 생각하는 능력

- 참신한 사고와 생산 인 행동방식을 포함

5. 사회성 : 자신과 다른 사람의 동기와 감정을 잘 악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한지를 잘 아는 능력

6. 견력 :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헤아려 내다보고 짐작하는 능력

7. 용 기 : , 도 , 난 , 고통으로부터 축되지 않고 이를 극복하는 능력

- 항이 있더라도 무엇이 옳은지 이야기하고, 인기가 없을지라도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

8. 끈 기 : 시작한 일을 완성하는 능력

- 난 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계획된 행동을 지속하거나 과업을 성

취하는 과정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을 포함

9. 지 조 :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끝까지 지켜나가는 꿋꿋한 의지나 기개

10. 친 : 타인을 해 호의를 보이고 선한 행동을 하려는 동기와 실천력

- 다른 사람을 돕고 보살피는 행동을 포함

11. 사 랑 : 다른 사람과의 친 한 계를 소 하게 여기고 실천하는 능력

- 즉 사랑할 수 있고 타인으로부터 사랑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

Page 6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50

12. 시민정신 :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책임의식

- 사회나 조직 속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와 역할을 인식하고 부

응하려는 태도

13. 공정성 : 편향된 개인 감정의 개입 없이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하고 모두에

게 공평한 기회를 주는 태도

14. 지도력 : 집단 활동을 조직화하고 그러한 활동이 진행되는 것을 악하여

리하는 능력 - 구성원을 고무시켜 좋은 계를 창출해내고 사기를

증진시켜 각자의 일을 해내도록 지휘하는 것을 포함

15. 자기통제력 : 자신의 다양한 감정, 욕구, 행동을 하게 잘 조 하는 능력

16. 신 함 : 선택을 조심스럽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험을 래하지 않으며 나

에 후회할 일을 말하거나 행하지 않는 능력

17. 겸 손 : 자신이 이루어낸 성취에 해서 불필요하게 과장된 허세를 부리지

않는 태도 - 자신의 성취나 업 을 떠벌리지 않고, 세인의 주목을

구하지 않으며, 스스로 특권 인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 것을 포함

18. 감상력 : 다양한 삶의 역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수월성, 뛰어난 수행을 인

식하고 평가하는 능력

19. 감 사 : 좋은 일을 잘 알아차리고 그에 해 감사하는 태도

20. 희 망 : 최선을 상하고 그것을 성취하기 해 노력하는 태도

21. 목 의식 : 인생의 궁극 목 과 의미에 한 일 성 있는 신념을 가지고 살

아가는 태도

22. 용 서 : 나쁜 일을 한 사람들을 용서하는 능력으로 잘못을 행한 자를 용서하

고, 다시 기회를 주며, 앙심을 품지 않는 것을 포함

23. 유머감각 : 웃고 장난치는 것을 좋아하며 타인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능력

24. 열 정 : 활기와 에 지를 가지고 열정 으로 삶과 일에 임하는 태도 - 생기

와 생동감을 느끼고, 삶을 도 으로 사는 것을 포함

Page 6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51

[그림 2-4] 1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6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52

[그림 2-5] 낙 성 검사 결과 유인물( 시)

Page 6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53

2회기.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라보기 - 낙관성 훈련

가. 목표

○ 첫째, 진정한 낙 성이 무엇인지 바로 알고 낙 인 생각이 필요한

이유를 이해한다.

○ 둘째, 낙 으로 생각하는 구체 인 방식을 습득한다.

나. 기대 효과

○ 상황에 한 과 사고를 낙 으로 환하여 직업훈련 과정에서의

스트 스를 인다.

○ 낙 인 과 사고를 통해 문제 상황에 한 응 능력 행복감을

늘린다.

“훈련생들이 아무래도 처음 접하는 전공분야다 보니까 자신감

이 많이 결여되어 있어요. 들어왔긴 들어왔는데 실제로 내가

이거를 배워가지고 취업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 뭐 이런

것들이 있고요.”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교사 B -

Page 6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54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낙 성 련 동

상, 참가자용 작은 수첩(개별 지 )

○ 낙 성 검사 채 결과 - 참가자의 낙 성 검사 결과를 담은 유인물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5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 특히 지난 회기의 과제인 표 강 활용 경험을 상기시키고 이에 해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2. 무조건 정 으로만 생각하는 잘못된 낙 성과 련된 동 상 보기

_ex. KBS 개그콘서트 中 ‘감사합니다’

○ 동 상을 함께 본 후 참가자들이 ‘낙 성’에 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간

단하게 의견을 나 다.

‘막연하게 는 무조건 좋게’ 생각하는 것이란?

그 게 생각하는 근거가 없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한 정보도 없다. 이

경우 일시 으로 마음이 편하고 고통스러운 실로부터 잠깐 동안 회피할 수

는 있지만 실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실을 부정해서는 제 로 성장․발

할 수가 없다.

Page 6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55

중간 활동 (약 20분)

1. ‘토마토 효과’ 는 ‘피라니아 이야기’를 소개한다.

토마토 효과

16세기 유럽에 토마토가 들어왔을 때, 토마토는 큰 잎사귀, 오묘한 빛, 강렬

한 냄새 같은 특징 때문에 먹으면 열이 오르고 죽는다, 냄새만 맡아도 미친다

같은 이야기가 떠돌면서 방충식물 는 장식용 소품으로 취 되었다. 19세기

에 미국의 한 남자가 토마토에 독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하여 군 들 앞

에서 먹겠다고 선언했고 그 남자가 토마토를 베어 물었을 때 몇몇 심약한 사

람이 실신하기도 했지만 정작 그에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처럼 근

거 없는 추측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정보를 굳게 믿는 것을 ‘토마토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토마토 효과에 비유해서 ‘인생의 토마토’는 두려워하거나 좌 할

필요가 없었던 것을 두려워하거나 좌 하는 경향을 이야기할 때 쓰인다.

피라니아 이야기

‘피라니아’는 식인물고기로 알려져 있으며 닥치는 로 먹어치우는 피라니

아의 식성은 두려움과 우려를 안겨 다. 피라니아는 이빨이 날카롭고 턱이 강

하기 때문에 험한 물고기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 물고기가 실제로 사람을 공

격하여 잡아먹었다는 증거는 단 한 번도 보고되지 않았다. 아마존의 원주민들

은 피라니아가 살고 있는 물에서 일상 으로 수 을 하며 아마존 일 를 25년

간 탐험한 유명한 탐험가 헤럴드 슐츠는 피라니아에게 물렸다는 사람을 일곱

명밖에 보지 못했다고 하 다. 인생을 살다보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우리를 두

려움에 떨게 하는 피라니아와 같은 존재들을 만나게 되며 이러한 두려움은 우

리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Page 6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56

2. 내 인생의 토마토 & 피라니아

○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여겨지는 상황에서 의외로 좋은 결과가 주어지는

경우들에 해 간략히 소개한다.

_ex. 포스트잇 - 풀을 만들려다 실패하여 포스트잇을 만들게 됨

_ex. 아이보리 비 - 신제품 개발 도 실수로 비 를 섞어주는 기계를

끄지 않았고 오랜 시간 기계를 돌린 비 는 거품이

많고 매우 부드러운 비 로 탄생함

○ 의외의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경험이나 힘든 상황, 특히 장애의 불편함을

타개하고자 노력했던 경험에 해 이야기를 나 다.

_ex. 등학교 때 반에서 가장 넘기를 못했는데 여름방학 동안 열심히

연습해서 개학 후에는 제일 잘하게 됨

_ex. 장애 때문에 학교를 다니기 힘들었지만 검정고시로 정규과정을 마침

○ 직업 훈련을 받는 것과 본 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것 자체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것을 일깨워주고 희망을 고취시킨다.

본 활동 (약 40분)

1. 낙 으로 생각해야 하는 이유 생각해보기

○ 낙 으로 생각하는 것의 효과를 매사에 불만인 경우와 비교해서 생각

해보도록 한 후 의견을 나 다.

○ 참가자들의 의견을 들은 후 낙 성 련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Page 6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57

낙 성 련 연구 결과

1) 낙 인 정치인이 선거에서 승리한다.

2) 낙 인 스포츠 선수가 경기에서 승리한다.

3) 낙 인 비즈니스맨이 성공한다.

4) 낙 인 사람은 건강하며 장수한다.

5) 낙 인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호감을 다.

6) 낙 인 사람은 우울증에 빠지지 않는다.

7) 회사 분 기가 낙 이어야 회사가 발 한다.

2. 낙 성 검사 결과 확인

○ 각자의 낙 성 검사 결과를 달한다.

○ 검사 결과를 보면서 낙 성의 3가지 속성인 속성(permanence), 확산성

(pervasiveness), 개인화(personalization) 희망(hope)의 개념을 설명한

다.

a. 속성 (Permanent)

PmB (부정 인 것을 비- 속 으로) PmG ( 정 인 것을 속 으로)

[나쁜 일이 있을 때]

나쁜 일이 일시 인 것이라고 생각

[좋은 일이 있을 때]

좋은 일이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

b. 확산성 (Pervasiveness)

PvB (부정 인 일을 비-확산 으로) PvG ( 정 인 일을 확산 으로)

[나쁜 일이 있을 때]

특별히 그 상황에서만

안 좋은 것이라고 생각

[좋은 일이 있을 때]

부분의 상황이

이와 같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

Page 6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58

c. 개인화 (Personalization)

PsB (부정 인 일의 비-개인화) PsG ( 정 인 일의 개인화)

[나쁜 일이 있을 때]

내 탓만 하지 않고

외부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었던

것에 해서도 생각

[좋은 일이 있을 때]

상황 덕분에 잘 된 것 뿐 아니라,

내가 잘해서 잘 된 것에

해서도 생각

d. 희망 (Hope)

HoB (PmB+PvB)

[나쁜 일이 있을 때]

불행의 원인을 일시 이고 특수한

것으로 볼 때 희망을 가질 수 있음

○ 각자 검사 결과를 확인한 후 이 결과에 해서도 낙 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재 낙 성 정도가 낮은 것은 발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며 연습과 훈련을 통해 이러한 변

화가 가능하다는 을 설명한다.

3. 낙 성 훈련

○ 참가자들에게 공통 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로 제시하고 낙

으로 생각하는 구체 인 방법을 여러 번 연습해서 낙 인 생각에 익숙

해지도록 한다.

_ex. 같은 훈련분야에서 나보다 늦게 입학한 동료가 먼 취업해서 수료하

는 경우

* 부정 인 생각 : “내가 무 능력이 없어서 그래. 역시 나는 되는 일이 없

어. 아마 난 평생 제 로 취업을 할 수 없을 거야. 내

인생은 끝났어.” (부정 사건의 속성, 확산성, 개인화)

Page 6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59

* 낙 인 생각 : “이번에는 훈련생과 잘 맞는 일자리라서 훈련생이

취업 된 걸 거야. 나도 곧 나에게 잘 맞는 곳에 취업해

서 일하게 될 테니 문제없어!”

_ex. 능력개발원 내에서 다른 훈련생들과 친해지고 인기를 얻은 경우

* 부정 인 생각 : “여기서는 다들 비슷한 처지니까 잘 지내는 거야. 사회

에 나가면 어려울 거야.“

* 낙 인 생각 : “역시 나는 호감 가는 사람이야. 여기에서 잘 지내는

걸 보면 취업해서도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낼 거야.“( 정

사건의 개인화, 확산성)

_ex. 취업 후 아직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데 다른 직원들이 자세히 설명해주

지 않은 채 일을 맡기는 경우

* 부정 인 생각 : “다들 잘 아는 내용인 것 같은데, 난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어. 이 게 형편없는 실력으로 내가 무슨

일을 할 수 있겠어. 난 망했어.”

* 낙 인 생각 : “내가 신입인 걸 사람이 생각을 못했나 보네. 설명

해 달라고 부탁해야지. 처음에는 잘 모르는 게 당연한

거니까 물어보고 앞으로 잘 하면 되지 뭐!”

_ex. 취업 후 동료들이 나에게 말을 걸지 않고 나와 가까워지는 것을 불편

해 하는 것 같이 느껴지는 경우

* 부정 인 생각 : “내가 장애인이라고 사람들이 나랑 친해지기 싫어하나

, 기분 나쁘게. 정말 나쁜 사람들이야. 나도 사람

들이랑 상종을 하지 말아야지!”

* 낙 인 생각 :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니까 다들 어색하고 조심스러워서

그런 걸 거야. 앞으로 노력하면 친해질 수 있을 테니

내가 먼 다가가 야지.”

○ 자신의 최근 경험 가운데 함께 이야기해 보고 싶은 사례를 떠올려보도록

하고 이야기를 나 다.

Page 7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60

마무리 활동(약 15분)

1. 소감 나 기

○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2. 과제 소개

○ 하루에 좋았던 일 세 가지 생각해보고 매일 최소 하나씩은 수첩에 기록한

다.

(※ 기록을 해 참가자에게 작은 수첩을 나 어 다. 나 어 수첩

신 휴 화 메모장에 기록하는 방법도 가능함을 알려 다.)

○ 매일 그 날 있었던 정 인 사건을 떠올려보고 기록으로 남기도록 강조

한다.

Page 7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61

낙관성 검사

물 컵에 담긴 물을 보고 누군가는 ‘물이 반밖에 남지 않았구나!’ 생각하

고, 누군가는 ‘물이 아직 반이나 남았구나!’ 생각합니다. 이렇듯 세상을 살면

서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는 사람마다 차

이가 있습니다. 나는 어떤 방식으로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을까요? 아래에

있는 각 문항의 주어진 상황 묘사를 읽고 상상을 한 다음, 나라면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 떠올려 보십시오. 문항 중에는 당신이 전혀 겪어본 적이 없

는 일도 있겠지만 개의치 마시고, 자신의 생각과 더 가깝다고 여겨지는 하

나를 선택해서 V표 해주세요.

1. 내가 맡은 로젝트가 성공리에 끝났을 때

① 내가 사람들이 일하는 것을 면 히 감독했기 때문이다.

② 사람들이 모두 이 로젝트에 시간과 힘을 바쳤기 때문이다.

2. 부부 간(애인 간)에 싸운 후 화해를 했을 때

① 내가 상 방을 용서해 주었다.

② 난 원래 용서를 잘 해주는 편이다.

3. 차를 몰고 가다가 길을 잃어버렸을 때

① 내가 길을 잘못 들어섰다.

② 친구가 길을 잘못 가르쳐 줬다.

4. 아내/남편(애인)으로부터 기 하지 않았던 선물을 받았을 때

① 그(그녀)가 직장에서 좋은 일이 있었을 거야.

② 내가 지난밤에 맛있는 요리를 해주었기 때문이지.

Page 7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62

5. 아내/남편(애인)의 생일을 깜빡했을 때

① 난 원래 기념일을 잘 기억 못해.

② 요즘 일이 무 많아서 어쩔 수 없었어.

6. 몰래 사모하는 사람으로부터 꽃을 선물 받았을 때

① 그 사람이 나를 매력 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② 나는 원래 인기가 많은 사람이라서.

7. 지역구 의원에 출마해서 당선되었을 때

① 유세하느라고 쏟아 부은 시간과 노력이 얼만데.

② 나는 무슨 일이건 열심히 해.

8. 요한 약속을 잊어버렸을 때

① 기억력이 조 부족해서.

② 가끔 일정표를 체크안할 때가 있어서.

9. 지역구 의원에 출마해서 낙선되었을 때

① 난 선거운동을 충분히 하지 않았어.

② 당선된 사람이 사람들과 친분이 더 많은 것 같아.

10. 티를 성공 으로 끝마친 후

① 그날 녁에 난 정말 멋있었던 것 같아.

② 난 정말 멋진 사람이야

11. 경찰을 불러 범죄사건을 막았을 경우

① 이상한 소리가 나서 신경을 기울이고 있었지.

② 그 날 난 경계를 철 히 하고 있었지.

12. 일 년 내내 건강했을 때

① 내 주변에는 아 사람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감염될 일이 없었어.

② 잘 먹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려고 노력했어.

Page 7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63

13. 책 반납이 연체되어 도서 에 만원을 내야 했을 때

① 독서에 푹 빠져 있을 때는 종종 연체되는 것을 모를 때가 있어.

② 정신없이 리포트를 쓰다 보니 반납하는 것도 잊어버렸어.

14. 증권투자로 돈을 많이 벌었을 때

① 내 증권 로커가 뭔가 새로운 이벤트를 시도했지.

② 내 증권 로커는 투자에는 도가 트인 사람이야.

15. 운동경기에서 우승했을 때

① 난 정말 천하무 인 것 같은 기분이 들었어.

② 훈련을 열심히 했었지.

16. 요한 시험에서 불합격 했을 때

① 시험 볼 때 다른 사람들만큼 머리가 잘 안돌아 간다구.

② 시험 비를 많이 못한 탓이야.

17. 친구를 해서 특식을 비했는데 그 친구가 손도 지 않았을 때

① 난 역시 요리에 소질이 없어.

② 요리를 무 하게 했어.

18. 오랫동안 연습해왔던 스포츠 경기에서 그만 져버렸을 때

① 난 역시 운동신경이 없어.

② 난 그 종목에는 소질이 없는 것 같아.

19. 밤늦게 차를 몰고 가다가 기름이 떨어졌을 때

① 미리 살펴봤어야 했는데.

② 주유 표시 계기 에 문제가 있군.

20. 친구한테 화를 냈을 때

① 그 친구는 항상 나를 귀찮게 하거든.

② 그 친구 별로 기분이 좋지 않은 것 같아.

Page 7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64

21. 소득세 신고를 제 때 하지 않아서 벌 을 물어야 할 때

① 난 항상 세 을 늦게 내거든.

② 난 올해 세 납부를 제 때 안했어.

22. 어떤 사람에게 데이트를 신청했는데 거 당했을 때

① 그날은 최악이었어.

② 내 데이트 신청 요령이 부족했나 .

23. 오락 로그램 진행자가 날 지목하고 나오라고 했을 때

① 내가 잘 보이는 자리에 앉았군 그래.

② 내가 가장 열성 으로 보 을 거야.

24. 티장에서 춤추자는 요청을 자주 받았을 때

① 나는 원래 티 체질이야.

② 그 날 밤 내가 티에서 제일 멋진 차림을 하고 있었어.

25. 연인( 는 배우자)에게 선물을 했는데 상 가 좋아하지 않을 때

① 난 그런 일에 별로 신경을 안 써.

② 그 친구는 무 까다로워.

26. 취업 면 시험에서 최고 수를 받았을 때

① 이번 면 에서는 특별히 컨디션이 좋더라구.

② 나는 면 에 강해.

27. 내가 농담을 했을 때 사람들이 웃는다면

① 내 농담이 재미있었군.

② 내가 타이 을 잘 맞추어 이야기를 했군.

28. 직장상사가 로젝트를 끝마치는 데 시간을 빠듯하게 주었지만 해냈을 때

① 난 역시 내가 맡은 일은 잘해내.

② 난 정말 유능해.

Page 7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65

29. 요즘 컨디션이 좋지 않다고 느껴질 때

① 쉴 시간이 있어야 말이지.

② 이번 주는 특히 바빴어.

30. 군가가 춤추자는 제안을 거 했을 때

① 내가 춤을 멋들어지게 추질 못해서 그럴 거야.

② 그 사람은 춤을 싫어하나 .

31. 질식사할 뻔 한 사람을 구했을 때

① 난 질식한 사람에게 어떤 응 조치가 필요한 지 잘 알아.

② 난 한 상황에 처하는 방법을 잘 알아.

32. 로맨틱한 트 가 잠시 결별하길 원할 때

① 내가 무 자기 심 이었나 보다.

② 그 사람과 충분히 같이 있어주질 못해서 그런가 보다.

33. 어떤 친구가 내 마음을 아 게 하는 얘기를 했을 때

① 그 친구는 항상 다른 사람 생각은 하나도 하지 않고 말을 내뱉는 경향이 있어.

② 그 친구가 기분이 안 좋아서 화풀이를 했나보다.

34. 상사가 내게 조언을 구했을 때

① 그 분야에서는 내가 문가이니까.

② 난 조언을 잘 해주는 편이야.

35. 곤경에 빠진 친구를 도와주고 감사표시를 받았을 때

① 그(그녀)라면 기꺼이 즐겁게 도울 수 있어.

② 난 구에게나 잘 도와주는 편이거든.

36. 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 뒤

① 멤버들이 참 좋은 사람들이었어.

② 내 매 가 좋았지.

Page 7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66

37. 의사가 내 건강이 아주 좋다고 말했을 때

① 규칙 인 운동을 철 하게 한 것이 비결이지.

② 난 건강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지.

38. 배우자(애인)가 멋진 주말을 보내자고 했을 때

① 그(그녀)는 휴식을 취할 필요가 있었어.

② 그(그녀)는 새로운 곳을 가는 걸 좋아해.

39. 의사가 내가 설탕을 무 많이 먹는다고 얘기할 때

① 난 다이어트에 크게 신경을 안 써요.

② 설탕이 안 들어간 음식은 없기 때문에 불가피했다.

40. 요한 로젝트의 총책임자 제의를 받았을 때

① 내가 얼마 에 비슷한 로젝트를 성공 으로 마쳤거든.

② 나는 원래 감독자 체질이야.

41. 배우자와 다툰 후

① 내가 요즘 신경이 날카로워져 있었어.

② 그(그녀)가 삐딱했어.

42. 스키를 타다가 크게 넘어졌을 때

① 역시 스키는 어려워.

② 바닥이 무 미끄러웠어.

43. 상을 수상했을 때

① 내가 요한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이지.

② 난 유능한 사원이야.

44. 투자한 주식에서 손해를 본 경우

① 그 때 경기가 어떤 지 잘 몰랐어.

② 내가 주식을 잘못 골랐지.

Page 7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67

45. 복권에 당첨되었을 때

① 정말 운이 따랐군.

② 내가 번호를 잘 골랐기 때문이야.

46. 휴가 때 불어난 살이 빠지지 않을 때

① 다이어트는 해 야 소용없어.

② 내가 선택한 다이어트 방법은 효과가 없었어.

47. 병원에 입원했는데 사람들이 별로 찾아오지 않았을 때

① 난 아 때면 민해지기 때문이야.

② 내 친구들은 이런 일에 심이 없어.

48. 가게에서 내 신용카드를 받아주지 않을 때

① 나는 돈 리하는 기술이 서툴러.

② 난 종종 신용카드 결제를 잊어버릴 때가 있어.

Page 7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68

○ PmB (Permanent Bad : 늘 나쁨)

: 5, 13, 20, 21, 29, 33, 42, 46번 문항의 답이 1일 경우 1

(그 지 않으면 0 )

○ PmG (Permanent Good : 늘 좋음)

: 2, 10, 14, 15, 26, 38, 40번 문항의 답이 2일 경우 1

그리고 24번 문항의 답이 1일 경우 1

○ PvB (Pervasiveness Bad : 어디서나 나쁨)

: 8, 16, 17, 18, 22, 32, 44, 48번 문항의 답이 1일 경우 1

○ PvG (Pervasiveness Good : 어디서나 좋음)

: 6, 7, 28, 31, 34, 35, 37, 43번 문항의 답이 2일 경우 1

○ PsB (Personalization Bad : 개인 으로 나쁨)

: 3, 9, 19, 25, 30, 39, 41, 47번 문항의 답이 1일 경우 1

○ PsG (Personalization Good : 개인 으로 좋음)

: 1번 문항의 답이 1 일 경우 1

& 4, 11, 12, 23, 27, 36, 45번 문항의 답이 2일 경우 1

○ HoB (Hopeful Bad) = PmB + PvB

○ 낙 성 총 = Total Good - Total Bad

(Total Good=PmG+PvG+PsG, Total Bad=PmB+PvB+PsB)

Page 7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69

낙 성 검사 수에 한 해석은 Seligman(2008)이 제시한 낙 성의 세 가지

차원에 기 함

1. 지속성 (Permanent)

: 좋은 일 는 부정 인 사건이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해서 발생할 수 있도

록 사건을 해석하고 믿으며 그러한 단에 기 해서 행동하는 것임

PmB (Permanent Bad) PmG (Permanent Good)

수 해 석 수 해 석

0~1 단히 낙 0~1 단히 비

2~3 비교 낙 2~3 비교 비

4~5 평균 수 4 평균 수

6 비교 비 5~6 비교 낙

7~8 단히 비 7~8 단히 낙

2. 확산성 (Pervasiveness)

: 좋은 일 는 부정 인 사건이 일상생활의 다른 역에도 일반화될 수 있

도록 사건을 해석하고 믿으며 그러한 단에 기 해서 행동하는 것임

PvB (Pervasiveness Bad) PvG (Pervasiveness Good)

수 해 석 수 해 석

0~1 단히 낙 0~2 단히 비

2~3 비교 낙 3 비교 비

4~5 평균 수 4~5 평균 수

6 비교 비 6 비교 낙

7~8 단히 비 7~8 단히 낙

Page 8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70

3. 개인화 (Personalization)

: 좋은 일 는 부정 인 사건에 해서 자신에게 얼마만큼 책임이 있다고

해석하고 믿으며 그러한 단에 기 해서 행동하는가에 한 지표.

부정 사건에 해 외부귀인을 할수록, 즉 외부요인에 원인이 있다고 생

각할수록 낙 인 것이지만, 무책임성과는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음

PsB (Personalization Bad) PsG (Personalization Good)

수 해 석 수 해 석

0~1 단히 낙 0~2 단히 비

2~3 비교 낙 3 비교 비

4 평균 수 4~5 평균 수

5~6 비교 비 6 비교 낙

7~8 단히 비 7~8 단히 낙

4. 희망 (Hope) _HoB (PmB + PvB) (가장 요한 수)

: 불행의 원인을 일시 이고 특수한 것으로 볼 때 희망을 가질 수 있음

수 해 석

0~2 단히 희망찬 사람

3~6 비교 희망을 가진 사람

7~8 평균 수

9~11 비교 망 인 사람

12~16 심각할 정도로 망 인 사람

5. 낙 성 총 (Total Good - Total Bad)

수 해 석

8 이상 반 으로 단히 낙

6~8 비교 낙

3~5 평균 수

1~2 비교 비

0 단히 비 인 상태

Page 8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71

[그림 2-6] 2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8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72

[그림 2-6] 2회기 운 PPT 자료( 시) (계속)

Page 8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73

[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

2 회기.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라보기

–낙관성 훈련

O O O 님

[ 낙관성 검사 결과 ]

점수 해석

영속성부정적인 것을 영속적으로 3 비교적 낙관적

긍정적인 것을 영속적으로 4 평균 수준

확산성부정적인 일을 확산적으로 2 비교적 낙관적

긍정적인 일을 확산적으로 4 평균 수준

개인화부정적인 일의 개인화 5 평균 수준

긍정적인 일의 개인화 3 비교적 비관적

희 망 불행을 일시적이고 특수한 것으로 5 비교적 희망적으로 생각함

“ 같은 상황에 대해서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내 행복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낙관적인 희망을 갖는 것! 이것이 행복의 첫걸음 입니다. ”

[그림 2-7] 낙 성 검사 결과 유인물( 시)

Page 8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74

3회기. 정서에 귀 기울이기 - 정서 지능(교양)

가. 목표

○ 첫째, 정서 지능의 개념과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한다.

○ 둘째,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정확하게 지각하고 이해하며 리하는 것의

요성을 인식한다.

○ 셋째, 타인의 입장에서 상황을 경험해 으로써 정서 인 공감을 할 수 있

도록 한다.

나. 기대 효과

○ 다른 장애를 지닌 훈련생이나 장애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입장 감

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증진한다. 이를 통해 직업 훈련 과정

취업 후의 사회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 계 문제를 방하고

사회 능력을 향상시킨다.

“교우관계에 있어서도 서로 간에 장애에 대해서 서로 잘 모르

다 보니까 본인 장애가 굉장히 중요한 거예요. 다른 장애를 서

로 이해하지 못해서 교우들 사이에서, 어떤 생활하는 면에서

어떤 불안요소라든지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있고…”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I -

Page 8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75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정서 지능 다큐

(EBS) 동 상 일, 2~3분 정도의 드라마 상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20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하루에 좋았던 일 한 가지씩을 기록한 내용 가장 인상 이었던 내용에

해 소개한다.

○ 앞으로도 이러한 활동을 지속해보도록 격려한다.

○ 매일 정 인 사건을 돌아보는 활동을 하면서 느 던 감정에 해 이야

기를 나 고 이러한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감정을 간과하기

쉽다는 을 언 한다.

3. 자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에 해 이야기 나 기

○ 다양한 감정이 담긴 표정과 단조로운 표정의 사진들을 비해서 보여주

며 감정의 인식 표 에 한 심을 유발한다.

○ 평소에 막연히 기분이 좋지 않은데 그 이유를 알 수 없었거나 상 방의

생각 감정을 이해할 수 없어 답답했던 경험에 해 이야기를 나 다.

Page 8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76

본 활동 (약 50분)

1. 정서 지능(교양) 개념 소개

○ 정서 지능에 한 동 상(EBS '엄마도 모르는 우리 아이의 정서 지능’ 다

큐 가운데 정서 지능 검사 문항을 소개하는 장면 등)을 통해 정서 지능을

설명한다.

정서 지능/교양 (emotional intelligence/literacy)

정서를 다루는 기술에서의 유능성을 의미한다. 구체 으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정서를 효율 으로 다루는 능력, 정서 상처를 회복하

는 능력, 타인과 정 인 계를 맺기 해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2. 정서 지능의 필요성에 해 이야기 나 기

○ 재 자신의 정서 지능이 어느 정도 수 인지 생각해보고 자신 타인의

감정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며 리하는 것의 필요성에 해 논의

한다.

○ 직업능력개발원 내에서 서로의 입장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

에 해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정서 지능의 요성을 생각해본다.

3. 정서 지능 훈련

○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상 방의 입장을 이해하기 힘든 상황, 특히 다른 장

애를 지닌 훈련생과의 계에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경험을 돌아보며 상

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Page 8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77

_ex. 수화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한 청각 장애인

- 수화로 소통이 가능한 사람들과만 어울리려 함

- 으로 정보를 얻기 해 상 방을 유심히 바라보았는데,

상 가 째려보는 것으로 오해하는 일이 생김

_ex. 희미한 빛만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시각 장애인

- 룸메이트가 물건을 사용한 후 제자리에 놓지 않는 경우 불편함을

겪게 됨

-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달리 을 통해 상황을 악하지 못해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생김

_ex. 혼자서는 몸을 움직이는 것이 매우 힘든 지체 장애인

-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심하여 청결 리에 어려움을 겪음

- 식사 시간이나 체육 시간 등 자유롭게 움직이는 활동을 하는 데

불편함이 큼

_ex.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

- 원래 쉽게 하던 단순한 일들을 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쉽게 신경질을 내게 됨

- 주변 환경이 모두 못마땅하게 보이고 나를 배려해주지 않는다고

생각됨

_ex. 장애인 직장동료를 처음 한 경우

- 장애가 있는 직장 동료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스러워서 쉽게

다가가지 못함

- 도와주면 무시한다고 기분 상할까 걱정이 되고, 그냥 다른 동료들

처럼 하면 자신을 배려하지 않는다고 생각할까 걱정이 됨

○ 다른 장애를 가졌거나 장애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입장에서 역할극

을 해 볼 수도 있다. 역할극을 통해 타인의 입장을 경험해보았을 때의 정

서를 충분히 숙고해보고 이야기할 수 있도록 이끈다.

Page 8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78

○ 청각 장애인의 어려움을 직 경험해보기 해 드라마의 일부분을 음성

을 제거한 채로 보여 후 참가자들에게 내용을 악해보도록 한다. 이후

음성을 포함하여 다시 보았을 때의 차이 을 느껴볼 수 있도록 돕는다.

마무리 활동 (약 20분)

1. 소감 나 기

○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특히 정서 지능 훈련 역할극 활동을 하면서 느낀 과 생각에 해 구체

으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2. 배려의 요성

○ 지 까지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생활하면서 자신이 다른 훈련생을 배려하

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경험에 해 이야기를 나 다.

○ 정서 지능을 증진하고 인 계에서의 갈등을 방하기 한 첫 걸음은

상 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고자 하는 노력이라는 을 강조한다.

3. 과제 소개 : 배려 친 베풀기

○ 직업능력개발원 내에서 다른 장애를 지닌 훈련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

면서 배려하고 친 을 베푸는 활동을 해보도록 한다.

○ 배려와 친 은 결국 자신에게 행복감을 제공해 수 있음을 강조한다.

Page 8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79

[그림 2-8] 3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9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80

4회기. 진심 전달하기 - 긍정 대화법

가. 목표

○ 첫째, 인 계의 문제 상황에서 막연한 부정 인 감정 이외에 자기 내

면의 숨은 진심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 둘째,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내면의 진심을 악하는 것의 요성을

이해한다.

○ 셋째, 정 화법을 배우고 다양한 상황에 용해 으로써 숨은 진심을

정 인 용어로 달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나. 기대 효과

○ 장애로 인해 축된 채 서운함이나 요구사항을 표 하지 못하거나 타인

에 한 불만 불편 사항을 신경질 으로 표출할 경우, 인 계에 있

어 부 응이 래되기 쉽다. 따라서 내면의 진심을 정 인 방식으로

달함으로써 직업능력개발원 취업 후 직장에서의 인간 계에서 효

율 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고민이 있는데도, 충분히 얘기를 하고 해도 이렇게 들어줄 수

있고, 우리가 이렇게 조언을 해 줄 수도 있는데, 끙끙 앓는 사

람들이 있어요. 그랬다가 나중에 뻥 터지고, 그 때 가서 수습

못하고.”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I -

Page 9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81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미소 동 상 일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20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배려 친 베풀기 활동을 해본 경험에 해 이야기를 나 다.

- 구에게 어떤 배려나 친 을 베풀었는지 뿐 아니라 그러한 활동을

하면서 어떤 감정과 생각이 들었는지에 해 구체 으로 나 다.

- 강 의 왕(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능력)과 강 의 여왕(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는 능력) 개념을 간단하게 설명하며 본 회기에서 다룰 내용

( 인 계에서 진심 달하기)을 소개한다.

3. 미소 동 상 보기 (미소 짓는 아이와 동물의 사진이 음악과 함께 제시됨)

○ 항상 타인을 배려하고 무조건 참으며 지낼 수는 없으며 타인에 한 불만

이나 서운함이 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나눠볼 것임을

고한다. 먼 긴장을 이완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미소 동 상을

보여 다.

Page 9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82

본 활동 (약 60분)

1. 인 계에서의 문제 상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최근에 직업능력개발원 내에서 특별히 표 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훈련생

이나 훈련 교사에게 서운했던 이나 불만을 직 으로 표출해서 갈등

이 있었던 경험에 해 이야기 나 다.

○ 그러한 상황에서 부정 인 감정을 어떤 식으로 다루고 표 했었는지 살

펴본다.

2. 진심 악하기

○ 인 계의 문제 상황 내에서 자기 내면의 진심은 무엇이었는지 구체

으로 숙고해 보도록 한다.

○ 이 의 의사소통 방식을 통해서는 진심이 어느 정도로 달이 되었을지

생각해보고 진심을 효과 으로 달할 수 있는 방식에 해 의논해본다.

3. 정 화법 소개하기

정 화법의

a. “ 는 왜 매번 그러니?”

⇨ “나는 네가 다음부터는 이 게 해 주면 좋겠어.”

b. “ 는 왜 툭하면 짜증이니?”

⇨ “나는 네가 조 은 다정하게 말해주면 고맙겠어.”

c. “ 는 왜 이 게 게으르니?”

⇨ “나는 네가 조 만 더 성실하게 생활해주면 무척 기쁠 것 같아.”

Page 9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83

정 화법의 세 가지 규칙

1) ‘ 는’이 아니라 ‘나는’이라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2) ‘불만’이 아니라 ‘소망(바람)’을 이야기한다.

3) ‘ 정 인 감정’을 표 하는 단어를 사용해서 이야기한다.

○ 구체 인 를 들어가며 정 화법의 법칙을 소개한다.

_ex. 같이 약속 장소에 가기로 한 친구가 비를 늦게 해서,

나도 약속에 늦게 된 경우

- “ 는 왜 툭하면 늦장이야? 때문에 나까지 늦잖아!”

⇨ 정 화법

: “나는 약속한 시간에 맞춰 가는 게 요하다고 생각해.

그러니 앞으로는 좀 더 일 비해서 가면 좋겠어.”

_ex. 친한 훈련생 룸메이트가 기분 안 좋은 일이 있을 때면

에 있는 나에게 신경질을 내는 경우

- “ 는 자꾸 왜 나한테 그 게 짜증을 내는데!”

⇨ 정 화법

: “물론 네가 기분이 별로인 건 알지만,

나는 네가 나를 좀 배려해주면 고맙겠어.”

○ 참가자들의 실제 상황에 정 화법을 용해보고 이 의 방식과 비교

해본다.

○ 정 화법을 기계 으로 용하는 것 보다는 정 이고 효율 인 방

식으로 진심을 달하는 것이 요하다는 을 강조한다.

(※ 불만을 소망의 형태로 상 방에게 달하는 정 화법은 매우 좋은

화법이지만, 몇 가지 규칙을 융통성 없게 용하여 호의를 흉내만 내는

것은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Page 9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84

4. 진심 달하기 정 화법 용

○ 직업능력개발원 직장 생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 계의 문제 상

황에서 진심 달하기 정 화법을 어떻게 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 역할극을 통해 배운 내용들을 실제 상황에 용하는 것을 연습해본다. 좋

은 에 한 칭찬과 동료의 응원과 격려를 받으면서 연습하는 것이 효

과 이다.

마무리 활동 (약 10분)

1. 소감 나 기

○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2. 과제 소개

○ 진심 달하기 정 화법 용해보기

직업능력개발원 내에서 진심 달하기 는 정 화법을 용해보도

록 격려하고 정 화법을 사용했을 때 상 방의 반응은 어떠한지에

해서도 살펴보게 한다. 배운 을 용해보아야 변화가 있음을 강조

한다.

○ 감사를 표 하지 못했던 상 생각해오기

다음 회기에 ‘감사’에 해 다룰 것이라는 을 간단히 소개하고, 자신

의 삶에 있어 매우 정 인 향을 고마운 사람이지만 그동안 감사

를 충분히 표 하지 못했던 상을 생각해오도록 이야기한다.

Page 9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85

[그림 2-9] 4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9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86

5회기. 인생의 숨은 보석 찾기 - 감사 활동

가. 목표

○ 첫째, 삶에 있어 정 인 부분을 깨닫고 감사하는 것의 필요성에 해

인식한다.

○ 둘째, 자신에게 의미 있고 고마운 상을 떠올리고, 상 방에게 감사한

부분 나에게 미친 정 인 향에 해 구체 으로 생각해본다.

○ 셋째, 감사한 마음을 편지와 화를 통해 직 으로 표 한다.

나. 기대 효과

○ 자신의 삶에 정 인 향을 미친 고마운 상을 생각해 보는 것을 통해

다양한 기억 정 이고 감사한 측면이 부각되고 지속될 수 있다.

한 감사를 마음속에 지니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인 행동을 통해

표 함으로써 인 계의 정 인 측면이 증가하고 삶에 한 만족감과

행복감이 높아진다.

“몇몇은 그러니까 매사에 다 불만입니다. 왜 이거는 이렇게 됐

냐, 밤에 추운데 왜 여름인데도 보일러를 안 틀어 주느냐? 이

런 거부터 해가지고 생활적인 불만이 있는 학생들도 있고요”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H -

Page 9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87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편안하고 밝은

음악, 엽서와 필기구(개별 지 )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5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진심 달하기 정 화법을 용해보았던 경험에 해 이야기 나

고 격려한다. 배운 내용을 용하기 어려웠던 부분에 해서는 함께 고민

해보고 의견을 나 다.

중간 활동 (약 15분)

1. 좋았던 일 기록하기 활동 검

○ 하루에 좋았던 일 한 가지씩을 기록하는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잘 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느낀 이나 달라진 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Page 9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88

2. 감사가 미치는 향 필요성 생각해보기

○ 감사를 하는 경우와 그 지 않은 경우의 차이 에 해 생각해보고 삶에

있어 사소한 정 인 측면들을 인식하고 감사하는 것이 개인에게 어떠

한 향을 미치는지에 해 이야기 나 다.

○ 감사를 많이 하는 사람이 정 인 정서를 자주 경험하고 스트 스 수

이 낮으며 인 계 삶에 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에 해 소개한다.

본 활동 (약 50분)

1. 고마운 상에 해 이야기 나 기 (약 20분)

○ 자신의 삶에 매우 정 인 향을 고마운 존재이지만 그동안 감사를

충분히 표 하지 못했던 상에 해 이야기를 나 다.

○ 과제를 통해 미리 상을 생각해오지 못한 경우 그 자리에서 생각해 보도

록 한다.

○ 상 방에게 감사한 부분 자신에게 미친 정 인 향이 어떤 것인지

구체 으로 생각해보도록 한다. 상 방과 련된 여러 기억들 정 인

측면에 을 두고 고마운 마음이 부각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이끈다.

2. 감사 엽서 쓰기 (약 10분)

○ 편안하고 밝은 음악을 들으며 감사엽서를 는다.

○ 상 방이 자신에게 미친 정 인 향과 감사한 내용에 해 구체 으

로 도록 한다.

○ 피상 으로 감사하다는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진심을 담아 엽서에

을 수 있도록 이끈다.

Page 9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89

3. 감사 엽서 낭독 이에 한 소감 나 기 (약 20분)

○ 자원자부터 차례 로 감사 엽서를 낭독하도록 한다.

○ 엽서 낭독을 들은 다른 참가자들이 정 인 측면에 을 두어 피드백

을 제공해 다.

○ 감사 엽서를 쓰고 낭독하고 피드백을 들을 때 어떤 생각과 느낌이 들었는

지 충분히 음미하고 소감을 이야기하도록 한다.

마무리 활동 (약 10분)

1. 과제 소개

○ 감사 엽서 달하기

고마운 마음을 혼자 간직하고 있는 것 보다는 이를 직 표 하는 것

이 요하다는 을 강조하면서 엽서를 달하도록 격려한다. 우편으로

보낼 수 있는 경우 운 자가 신 보내 수 있음을 이야기해 다.

○ 하루에 좋았던 일들 수첩에 기록하기

하루 동안 있었던 좋은 일이나 감사한 을 매일 떠올리고 기록하는

활동을 지속하도록 격려한다.

Page 10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90

[그림 2-10] 5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10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91

6회기. 행복한 활동 찾기 - 몰입의 즐거움

가. 목표

○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동들을 생각해본다.

○ 둘째, 몰입의 개념을 배우고 의미 있는 정 인 여가 직업 활동에 몰

입하는 것의 요성과 효과를 이해한다.

○ 셋째, 몰입을 진하는 요인들을 배우고 이를 용하여 자신의 몰입 활동

을 정하고 개발시킨다.

나. 기대 효과

○ 일상생활에서 사소하지만 의미 있는 습 들을 증가시킴으로써 행복감과

만족감을 증진시킨다. 아울러 직업 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개발하여 일의 능률과 직장 생활의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다. 준비 사항

“그러니까 음… 저 같은 경우는, 여기 온 게 뭐랄까,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왔거든요. 어떻게 보면 딱히, 솔직히 말하면, 마

땅히 갈 곳이 없어서 온 것 같기도 해요. 도망치듯이 온 거 같

아요.”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G -

Page 10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92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몰입 활동 련

동 상( : SBS 생활의 달인 - 장애인 특별편), 행복해지기 한

10가지 방법 유인물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0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감사 엽서를 달한 경우가 있다면 상 방의 반응과 그 당시 자신의

감정 등에 해 나 도록 한다.

○ ‘감사 엽서 달’ ‘좋은 일이나 감사한 기록하기’ 활동을 하면서

삶에 있어 작지만 정 인 변화가 있었는지 이야기 나 다.

중간 활동 (약 20분)

1. 행복 지수 행복감을 주는 요인 확인하기

○ 재 행복 지수(1~100%)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한다. 한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행복 지수에 변화가 있었는지에 해 이야기 나 다.

Page 10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93

○ 각자 평소에 무엇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지 소개하도록 한다.

이 때 ‘TV 보기, 컴퓨터 게임하기, 취침’ 등 수동 이고 비효율 인 활동

이 소개된다면, 그러한 활동을 통해 지속 인 행복감이나 만족감이 증진

될 수 있는지 반문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나 다.

2. 슬라우의 ‘행복해지기 한 10가지 방법’ 소개

○ BBC 행복 원회의 연구 결과를 소개 한 후, 퀴즈 형식으로 10가지를

하나씩 살펴본다.

행복해지기 한 10가지 방법

1. 운동을 하라. 일주일에 3회, 30분이면 충분하다.

2. 좋았던 일을 떠올려 보라.

하루를 마무리할 때마다 당신이 감사해야 할 일 다섯 가지를 생각하라.

3. 화를 나 라.

매주 온 히 한 시간은 배우자나 가장 친한 친구들과 화를 나 라.

4. 식물을 가꾸라. 아주 작은 화분도 좋다. 죽이지만 말라.

5. TV 시청 시간을 반으로 이라.

6. 미소를 지으라.

어도 하루에 한 번은 낯선 사람에게 미소를 짓거나 인사를 하라.

7. 친구에게 화하라.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나 지인들에게 연락해서 만날 약속을 하라.

8. 하루에 한 번 유쾌하게 웃으라.

9. 매일 자신에게 작은 선물을 하라.

그리고 그 선물을 즐기는 시간을 가지라.

10. 매일 군가에게 친 을 베풀라.

Page 10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94

본 활동 (약 50분)

1. 몰입의 개념

○ 몰입에 해 다룰 것임을 소개하면서 평소에 시간 가는 모르고 한 가

지 활동에 빠져들었던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를 나 다.

○ PPT 자료를 통해 몰입의 정확한 개념을 설명한다.

몰입(flow)

어떤 행 에 깊게 몰입해서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서는 자신에

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되는 행복한 순간

- 강렬한 주의 집 이 일어나서 마음이 한 군데로 몰두함

- 자기 자신이나 외부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고 시간의 흐름도 망각함

- 그 활동을 장악하고 있는 듯 한 강력한 통제감을 느끼게 됨

- 그 자체가 즐거운 자기충족 속성을 지님

2. 몰입의 필요성

○ 몰입을 했을 때와 그 이후에 어떤 기분과 생각이 들었는지 이야기를 나

면서 만족감을 주는 삶 몰입의 필요성에 해 생각해본다.

○ 몰입의 효과에 해 소개하고 몰입 자체 보다는 어떤 일에 몰입하느냐가

요함을 강조한다.

몰입의 효과

- 인생을 더 즐겁고 행복하게 해주는 역할

- 다양한 활동에 한 집 도, 창의성, 정 정서 증진

- 스트 스 긴장의 완화

Page 10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95

3. 몰입 활동

○ 직업과 취미 모두 몰입 활동이 될 수 있음을 간단히 언 하고, 련 동

상( : SBS 생활의 달인 - 자폐성 장애인 우체국 편, 시각 장애인 바리스

타 편 등)을 보면서 몰입 활동의 다양한 사례와 효과를 생각해본다.

○ 각자 앞으로 실천해 볼 자신의 몰입 활동을 생각해보고 이에 해 이야기

를 나 다.

○ 몰입 활동을 정하기 어려워할 경우, 자발 으로 하고 싶은 즐거운 활동인

‘ 표 강 ’을 활용하여 즉각 이고 단기 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마무리 활동 (약 10분)

1. 소감 나 기

○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2. 과제 소개

○ 행복을 한 습 과 몰입 활동을 다음 회기 까지 실천해보도록 한다.

Page 10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96

[그림 2-11] 6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10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97

[그림 2-11] 6회기 운 PPT 자료( 시) (계속)

Page 10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98

[그림 2-12] 행복해지기 한 10가지 방법 유인물( 시)

‘행복’해지기 위한 10가지 방법 ‘행복’해지기 위한 10가지 방법

1. 운동을 하라. 일주일에 3회, 30분이면 충분하다.

2. 좋았던 일을 떠올려보라.

하루를 마무리할 때마다, 당신이 감사해야 할 일 다섯 가지를 생각하라.

3. 대화를 나눠라.

매주 온전히 한 시간은 배우자나 가장 친한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라.

4. 식물을 가꿔라. 아주 작은 화분도 좋다. 죽이지만 말라!

5. TV 시청 시간을 반으로 줄여라.

6. 미소를 지어라.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낯선 사람에게 미소를 짓거나 인사를 하라.

7. 친구에게 전화를 하라.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나 지인들에게 연락해서 만날 약속을 하라.

8. 하루에 한 번 유쾌하게 웃어라.

9. 매일 자신에게 작은 선물을 하라.

그리고 그 선물을 즐기는 시간을 가지라.

10. 매일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풀라.

- BBC 행복 위원회 -

Page 10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99

7회기. 분노는 마음의 가장자리로 - 용서 활동

가. 목표

○ 첫째, 분노나 상처 경험을 새로운 시각으로 돌아보면서 부정 인 감정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다.

○ 둘째, 문제 해결 처 략으로서의 진정한 용서를 바르게 이해한다.

○ 셋째, 용서의 필요성과 의미를 숙고하고 자신에게 맞는 용서 활동을 선택

하여 실천한다.

나. 기대 효과

○ 분노나 감 등의 부정 인 정서를 완화시키는 용서 활동이 자기 자

신의 정서 안정을 해 필요한 것임을 바르게 이해하고 용서의 필요성

을 깨닫는다. 한 작게나마 자신이 할 수 있는 용서 활동이 무엇인지 생

각해보고 실천하는 것을 통해 내재된 부정 감정의 변화를 도모한다.

“제가 진짜 좋아하는 친구가 하나 있었는데, 그 친구가 저한테

‘돈을 많이 못 벌어도 좋고, 이것저것 안 해도 좋으니까 평범

한 게 소원이다. 평범하게 사는 게 소원이다’ 얘기를 하니까

(중략) 그런 거 좀 있고 나서는 ‘여자는 만나지 말아야 되겠다’

생각도 했었어요.”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J -

Page 11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0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편안하고 차분

한 음악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0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몰입 활동을 비롯한 행복감을 주는 활동들을 해본 경험에 해 이야기 나

고, 앞으로도 이러한 활동들을 계속하여 습 화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본 활동 (약 55분)

1. 분노 상처 경험에 해 이야기 나 기 (약 10분)

○ 이 회기들에서 감사와 행복 등 정 인 측면들을 다루었지만 내면에

숨겨져 있는 분노와 상처 경험들도 있을 수 있음을 상기시키고 이에

해 이야기 나 다.

○ 지 까지 자신의 마음을 괴롭히며 용서하기 어려운 상이나 사건에

해 떠올려 보도록 하고 이에 한 고통과 슬픔을 나 면서 서로 공감과

Page 11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101

이해를 제공한다. 한 만약 용서를 한다면 어떨지 상상해 보도록 한다.

2. 용서 경험에 해 이야기 나 기 (약 10분)

○ 용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용서를 하게 되었던 경험에

해 이야기를 나 다. 용서를 한 경우 어떻게 용서를 할 수 있었는지

과정과 감정 등에 해 자세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3. 용서의 의미 필요성 이해하기 (약 15분)

○ 용서의 정의 용서를 했을 경우 얻게 되는 효과에 해 설명한다.

용서의 정의

-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그가 지은 죄나 잘못 따 를)

꾸짖거나 벌을 주지 않고 그럽게 살펴 이해하는 것

- 가해자에 한 분노나 감을 버리고

오히려 동정, 자비, 사랑을 베풀려고 노력하는 심리 과정

용서의 효과

- 만성 스트 스 감소 / 분노, 불안, 우울, 슬픔 등의 부정 감정 감소

- 손상되었던 자존감 회복 / 심리 웰빙, 삶의 만족도, 희망의 향상

○ 속으로는 힘들고 겉으로만 화해하는 거짓 용서와 비되는 진정한 용서

의 의미를 되새겨 보고 용서에 한 자신의 입장을 검해본다.

Page 11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2

진정한 용서의 3가지 속성

a. 고통, 감, 억울함, 보복하려는 마음 등

부정 인 감정 상태가 감소하는 것

b. 하나의 사건이라기보다는, 일련의 과정

c. 겉으로 표 하고 드러나는 모습 보다는,

진정한 내 인 변화와 련되는 심리 과정

3. 용서 활동 시작하기 (약 20분)

○ 역경에도 불구하고 의연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문제 해결 처 략

으로써의 ‘용서’를 이해하고, 용서 활동의 시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용서를 강요하기 보다는 용서는 한 번에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

기 인 과정이며 조 씩 용서를 해 나가고자 하는 마음을 갖는 것 자체가

용서의 시작임을 알린다.

○ 분노와 상처 경험을 상 방의 입장에서 새롭게 바라보면서 인지 인 재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때 상 방의 입장에서 자기 자신에게 이

야기를 해보도록 하고 그 게 해본 후의 감정에 해 나 다.

○ 작게나마 자신이 재 하고 있는 는 앞으로 할 수 있는 용서 활동이 무

엇인지 생각해 보고 자신만의 용서 방법을 정한다.

용서 활동의

- ‘용서’의 선택

- 분노 조 을 한 긴장 이완 활동 (숫자 세기, 심호흡하기 등)

- 새로운 시각(상 방의 입장 등)에서 분노 상처 경험 바라보기

- 상 에게 작은 호의 베풀기

Page 11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103

중간 활동 (약 10분)

1. 분노 조 을 한 긴장 이완 활동 배우기

○ 본 활동 후 시간 여유가 있는 경우 편안하고 차분한 음악을 들으면서

잠시 신체 정서 긴장을 이완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마무리 활동 (약 15분)

1. 소감 나 기

○ 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에 해 이야기하도록 한다.

부정 인 감정이 조 이라도 그러졌다면 이미 용서가 시작된 것이라고

하며 격려한다.

2. 과제 소개

○ 자신만의 용서 활동 실행해보기

상 방의 입장에서 자기 자신에게 편지 쓰기나 상 에게 작은 호의 베풀

기 등 작게나마 용서를 한 첫 걸음을 시작해보도록 격려한다.

○ 마지막 회기 비하기

1) 지 까지 진행된 회기들을 돌아보면서 그 특별히 자신이 앞으로

계속 해야 할 활동이 무엇인지 선정하기

2) 로그램 마무리를 하면서 서로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소감 생각

해오기

Page 11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4

[그림 2-13] 7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11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105

8회기. 새로운 시작 - 변화와 선택

가. 목표

○ 첫째, 지 까지 다룬 내용들을 돌아보면서 변화된 부분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행복을 해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과 지속할 활동들을 확인한다.

○ 둘째, 서로에게 정 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격려한다.

○ 셋째, 자신의 선택과 노력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정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희망을 고취한다.

나. 기대 효과

○ 앞 회기들에서 다루었던 내용들을 검하고 이후에도 배운 내용들을

용하도록 격려하여 심리 웰빙과 행복이 계속 증가되어갈 수 있도록 한

다. 한 끝까지 회기에 참여하고 변화를 해 노력해 온 서로에게 정

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로그램을 잘 마무리한 자체가 정 인 경험

이라는 을 상기시킴으로써 앞으로도 이러한 정 인 변화가 지속될

“저는 사실 여기 오기 전에 우울증 같은 게 있었어요. 제가 병

원에 안 가 본 게, 상담도 받아보고 싶고 하기는 했는데, 내가

상담을 받아도 별로 그렇게 나아질 것 같지 않아서... 애초에

기대가 없어서 아예 시도조차 안 해봤던 그런 게 많았어요.”

- 2012년 6월, 사전면담 훈련생 G -

Page 11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6

수 있다는 희망을 고취시킨다.

다. 준비 사항

○ 비물 : 이름표, 컴퓨터, 스피커, 빔 로젝터, PPT 자료, 롤링페이퍼

버킷리스트 작성할 종이와 필기구(개별 지 ), 밝은 음악,

수료증 기념 선물

라. 진행 과정

도입 활동 (약 10분)

1. 근황에 해 이야기 나 기

○ 한 주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한다.

2. 과제 검

○ 용서 활동을 실행하면서 마음의 변화나 실제 인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

하고 실행하기 어려웠던 경우가 있다면 그 이유와 실행 방안을 함께 생

각해본다.

본 활동 (약 50분)

1. 지난 회기 돌아보기 (약 20분)

○ 한 회기씩 다루었던 내용과 과제들을 살펴보면서 로그램을 통해 배운

바들을 상기시킨다.

Page 11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107

○ 로그램에 참여하기 과 비교했을 때 어떤 정 인 변화가 있었는지

나 다.

2. 평생 과제 선정하기 (약 15분)

○ 지난 회기 특별히 자신이 앞으로 계속 해야 할 활동이 무엇인지 생각

해온 내용들에 해 이야기한다(7회기 과제).

○ 지난 회기 동안의 활동들 자신이 앞으로 평생 지속하여 용할 활동을

선정하고 그 이유와 구체 인 용 방식 등에 해 나 다.

3. 정 인 피드백 제공하기 (약 25분)

○ 훈련생 한 명씩을 상으로 다른 훈련생들과 운 자의 피드백을 제공해

다. 이 때 각자의 정 인 변화와 앞으로 기 되는 부분에 을 두

어 이야기한다.

○ 롤링페이퍼를 통해 서로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는다.

이후 자신에게 다른 사람들이 어 내용을 읽은 소감을 간단히 나 다.

중간 활동 (약 10분)

1. 버킷리스트 3가지 작성하기

○ 죽기 에 하고 싶은 일 3가지를 작성하도록 한 후, ‘Do it now!’라고

힌 것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행복을 한 선택과 노력을 지속할 수 있도

록 격려한다.

Page 11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08

마무리 활동 (약 20분)

1. 소감 나 기

○ 지 까지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느 던 과 앞으로의 각오를 나 다.

2. 마무리

○ 기념 선물이 있는 경우 나 어주고 마지막까지 로그램에 참여하고 잘

마무리한 자체가 정 인 경험이라는 을 상기시킴으로써 앞으로도 이

러한 정 인 변화가 지속될 수 있다는 희망을 고취시킨다.

○ 로그램의 종료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며 지 까지 배운 내용들

을 스스로 지속해 나가는 노력이 요함을 강조하며 마무리한다.

Page 11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rt 2. 운 자용 매뉴얼 109

[그림 2-14] 8회기 운 PPT 자료( 시)

Page 12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12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참고문헌 111

참고문헌

고 건, 김진 (2012). 멘탈 휘트니스 정심리 로그램. 학지사.

구인순, 김철원, 이승우(2011). 훈련지원 로그램 표 화. 한국장애인고용공

단 고용개발원.

김근향(2010). 정신과 입원환자의 응기능 향상을 한 정심리치료

로그램의 효과. 박사학 논문, 고려 학교.

김진 , 고 건(2009). 정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정

심리치료(positive 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5(1) 특집

호, 155~168.

민성길(2006). 최신정신의학 5 . 서울: 일조각.

이국주, 박자경, 장우종(2007). 직업능력개발센터 재활 로그램 운 방안. 한

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이수정, 이훈구(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한 연구: 정서지능

의 하 요인에 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성격, 11(1), 95-116.

이태훈(2005). 정 정서함양이 자아 존 감, 스트 스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 논문, 계명 학교.

임 진(2012). 주요우울장애 학생을 상으로 한 정심리치료의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31(3), 679-692.

임 진, 고 건, 신희천, 조용래(2012). 정신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1(2), 369-386.

병재(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한 연구. 연세논총, 11. 109-129.

정 주, 민순, 하윤주, 김은아, 나 주(2010). 정심리 로그램이 청년들의 목

표의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경 학회 추계학술발표 회 발표

논문집, 398-411.

Page 12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12

허재홍, 이찬종(2010). 공감지수(EQ)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 인문과학연구,

24(3), 183~200.

Baron-Cohen, S., & Wheelwright, S.(2004).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4(2), 163-175.

Keyes, C. L. M., Wissing, M., Potgieter, J., Temane, M., Kruger, A., & van

Rooy, S.(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wets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5(3), 181-192.

McCarthy, D. (1964). Mental fitness. American Psychologist, 19, 201-20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Turvey, C., & Palfai, T.(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Pennebaker(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pp.125-1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ligman, M. E. P. (2006). 정심리학. (김인자 역). 서울: 도서출 물푸 .

(원 은 2004년에 출 ).

Seligman, M. E. P. (2008). 학습된 낙 주의. (최호 역). 서울: 21세기 북스.

(원 은 1990년에 출 ).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23.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 774-788.

Yalom, I. D.(1983). Inpatient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s.

Page 12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록

1. 심리재활 프로그램 욕구조사지(교직원용)

2. 심리 프로그램 욕구조사지(훈련생용)

3. 프로그램 참가자 동의서

4.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지

Page 12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Page 12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15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는 직업능력개발원에서 훈련생을

상으로 실시하고 있는『심리재활 로그램』을 보다 효과 으로 운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해 “심리재활 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

다. 본 조사는 심리재활 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을 결정하고 구체 인

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직업능력개발원의 교직원을 상으로

실시합니다.

응답자 내용에 한 모든 정보는 철 하게 비 이 보장되며, 조사내

용은 오직 연구목 으로만 사용되어 좋은 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긴요하

게 사용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성심껏 답변을 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조사기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연구

연 구 자 : 이민 , 박자경, 제갈은주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59(구미동)

화 : 031) 728-7141

팩 스 : 050-3470-0902

[부록 1] 심리재활 프로그램 욕구 조사지(교직원용)

심리재활 로그램 욕구 조사지

(교직원용)

Page 12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16

1

귀하의 성별은?

2

귀하의 연령은?

세 남( ) 여( )

3

직업능력개발원 근무기간

4

( )

( )

( )

( )

( )

( )

( )

( )

(1) 교사

(2) 보건 리사

(3) 물리치료사

(4) 작업치료사

(5) 생활지도사

(6) 평가사

(7) 일반직

(8) 기타( )

■ 인구사회학 특성에 한 것입니다.

■ 심리재활 로그램의 필요성에 한 사항입니다.

※ ‘심리재활 로그램’은 장애인이 겪고 있는 심리 부 응이나 스트

스, 우울, 불안 등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안정 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로그램입니다.

1. 장애인의 심리사회 응이 직업훈련이나 직업재활 성과를 높이는데

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요하지 않다 (2) 요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요하다 (5) 매우 요하다

Page 12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17

2. 귀 기 의 직업능력개발 훈련생을 상으로 장애인의 심리사회 응을

지원하는 심리재활 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필요 없다 (2) 필요 없다 (3) 보통이다

(4) 필요하다 (5) 매우 필요하다

3. 훈련생이 경험하는 여러 가지 심리 어려움에 한 지원이 어느 정도 필

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 (※ 심리 어려움에 해

추가로 기록한 후에 응답해주셔도 됩니다).

필요 없다

필요 없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훈련에 한 스트 스

교우 계에서 경험하는 스트 스

진로 결정과 련된 스트 스

우울한 감정

(무기력, 과도하게 침체된 기분 등)

불안한 감정

(지속 인 긴장, 과도한 조함 등)

감정조 의 어려움

(지나친 감정표출, 흔한 물 등)

낮은 자아존 감

( )

Page 12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18

■ 재 운 되고 있는 심리재활 로그램과 련된 사항입니다.

2011년까지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심리재활 로그램의

일환으로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

램]을 운 하여 훈련생의 심리 상태가 안정 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해 왔습니다.

4. 개별 로그램의 필요성에 해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 ․실시한 심리재활 로그램에 해서만

응답해주시면 됩니다. 운 ․실시한 심리재활 로그램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로그램 이름을 기록한 후에 응답해주셔도 됩니다)

필요 없다

필요 없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램

( )

Page 12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19

5. 개별 로그램이 훈련생의 심리 응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해 응답

해주시기 바랍니다.

필요 없다

필요 없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램

( )

6. 심리재활 로그램이 효과가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1) 심리 부 응 역 정도에 합한 다양한 로그램이 부족하다

(2) 로그램 내용이 훈련생의 문제에 부합하지 않았다

(3) 담당자의 문성이 부족하 다

(4) 로그램 운 시간이 부족하 다.

(5) 기타 ( )

Page 13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0

7. 각 심리재활 로그램에 한 의견을 자유롭게 어주시기 바랍니다.

장 , 개선방향 등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 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램

( )

Page 13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21

8. 심리재활 로그램을 운 하는 데 있어 어떤 상자를 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우선 순 로 복응답 가능)

(1) 심리 부 응을 호소하는 훈련생 구나

(2) 심리재활 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훈련생 구나

(3) 정신장애인 등 특정장애유형 훈련생만

(4) 선별검사를 통해 심리 부 응이 측되는 훈련생만

(5) 기타( )

9. 직업능력개발훈련생들의 심리사회 응에 효과 인 심리재활 로그램

을 운 하기 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우선 순

로 복응답 가능)

(1) 직업능력개발훈련생의 특성에 부합되는 심리재활 로그램의 개발

(2) 훈련생의 심리재활 로그램 참여 시간 확보

(3) 심리재활 로그램 운 을 한 문 인력 배치

(4) 훈련생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수시로 심리재활 로그램 운

(5) 기타 ( )

-응답해 주셔서 단히 감사합니다-

Page 13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2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는 공단 직업능력개발원 훈련생들이

평소 경험할 수 있는 심리 어려움을 지원하고자 심리 로그램을 개발하

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보다 효과 인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여러분

들의 의견을 듣기 해 실시됩니다.

응답자 내용에 한 모든 정보는 철 하게 비 이 보장되며, 조사내용

은 오직 연구목 으로만 사용됩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은 유익한 로그램

을 개발하는데 요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성심껏 답변을 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조사기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연구

연 구 자 : 이민 , 박자경, 제갈은주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59(구미동)

화 : 031) 728-7141

팩 스 : 050-3470-0902

[부록 2] 심리 프로그램 욕구 조사지(훈련생용)

심리 로그램 욕구 조사지

(훈련생용)

Page 13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23

1

귀하의 성별은?

3

학력

(1) 무학

(2) 등졸

(3) 졸

(4) 고졸

(5) 졸

(6) 졸

(7) 학원졸 이상

남( ) 여( )

2

출생년도

년4 구분

(1) 일반학교

(2) 특수학교

5

장애발생 원인

※해당번호를 기입하세요

6

장애

유형

주장애

복장애

※해당번호

를 기입하세

( 1) 지체장애

( 2) 뇌병변장애

( 3) 시각장애

( 4) 청각장애

( 5) 언어장애

( 6) 지 장애

( 7) 자폐성장애

( 8) 정신장애

(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장애

(15) 간질장애

(1) 선천

(3) 각종질환

(5) 산업재해

(7) 원인불명

(2) 출생시

(4) 교통사고

(6) 국가유공

(8) 기타

7

장애등

■ 인구사회학 특성

Page 13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4

심리 로그램은 장애인이 겪고 있는 심리 부 응이나 스트 스, 우

울, 불안 등의 심리 어려움을 안정 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로그램을 총칭합니다. 공단 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훈련생들에게 도움

이 되기 해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램 등

을 운 하여 왔습니다.

■ 기존 로그램에 한 만족도 평가

1.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 인 심리 로그램을 알고 계십니까?

(1) 알고 있으며 참여한 경험이 있다. ☞ 1-1, 1-2, 1-3으로

(2) 알고 있으나 참여하지는 않았다. ☞ 2로

(3) 모른다. ☞ 3으로

1-1. 귀하가 받은 심리 로그램은 귀하의 직업훈련( 는 직업훈련 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습니까?

(1) 도움이 안 되었다. (2) 별로 도움이 안 되었다.

(3) 보통이다. (4) 조 도움이 되었다.

(5)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1-2. 도움이 되지 않았다면 가장 큰 사유는 무엇입니까?

(1) 운 시간이 부족해서

(2) 로그램 내용이 충분하지 않아서

(3) 담당자의 문성이 부족해서

(4) 본인이 원하는 내용을 다루지 않아서

(5) 기타 ( )

Page 13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25

1-3. 자신이 참여한 로그램을 떠올려보고, 개선되기를 바라는 사항을 자

유롭게 기록하여 주십시오.

로그램명 선택 개선 의견

자기주장훈련을 통한 분노조 로그램

자아존 감 향상 로그램

자기사랑 로그램

음악치료 로그램

미술치료 로그램

2. 심리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1) 기능훈련시간 외에 따로 시간을 내기가 힘들어서

(2) 심리 로그램 내용( : 분노조 , 자아존 감 향상 등)이 나에게 합

하지 않아서

(3) 실질 인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4) 심리 로그램에 한 정보가 없어서

(5) 심리 로그램에 참여하면 주변에서 나를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볼 것

같아서

(6) 기타 ( )

Page 13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6

■ 심리 로그램 욕구 조사

3. 훈련생이 경험하는 각각의 심리 어려움에 대해 어느 정도 지원이 필요

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 심리 어려움에 해 추

가로 기록한 후에 응답해주셔도 됩니다).

필요 없다

필요 없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훈련에 한 스트 스

교우 계에서 경험하는 스트 스

진로 결정과 련된 스트 스

우울한 감정

(무기력, 과도하게 침체된 기분 등)

불안한 감정

(지속 인 긴장, 과도한 조함 등)

감정조 의 어려움

(지나친 감정표출, 흔한 물 등)

낮은 자아존 감

( )

4. 심리 어려움이 부 응이 있을 경우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심리

로그램에 참여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1) 참여하지 않겠다. (2) 참여하겠다.

5. 심리 어려움이나 부 응을 경험하는 동료가 있다면 그 어려움을 해소하

는 데 도움이 되는 직업능력개발원 심리 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시

겠습니까?

(1) 권유하지 않겠다. (2) 권유하겠다.

Page 13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27

6. 특별한 어려움이 있지 않더라도 정신 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자기실 을

해 도움이 되는 심리 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유받는다면 참여하시겠

습니까?

(1) 참여하지 않겠다. (2) 참여하겠다.

■ 재 상태에 한 평가

7. 다음의 질문들은 스트 스를 느끼는 정도를 묻는 설문입니다. 지난 한

달 동안의 생활에서 자신의 상태를 잘 표 한다고 생각되는 문항에 √

표하여 주십시오.

항목없었다

간혹

있었다

종종

있었다

거의

언제나

있었다

항상

있었다

지난 한 달 동안 살아가는데 정신 으로 육체 으

로 감당하기 힘든 어려움들을 느낀 이 있습니까?

지난 한 달 동안 자신의 생활신념에 따라 살아가

려고 애쓰다가 좌 을 느낀 이 있습니까?

지난 한 달 동안 자신이 처한 환경이 인간답게

살아가는데 부족하다고 느낀 이 있습니까?

지난 한 달 동안 미래에 하여 불확실하게 느끼

거나 불안해 한 이 있습니까?

지난 한 달 동안 해야 할 일이 무 많아서 정말

요한 일들을 잊은 이 있습니까?

Page 138: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28

8. 각 문항을 주의 깊게 읽고 오늘을 포함해 지난 1주 동안 자신이 느

껴온 것에 가장 합한 항목에 표시해 주십시오. 만약 문항에서 여러

항목이 동일하게 자신에게 용된다면, 가장 높은 수를 선택하십시

오. 어떤 문항이든지 1항목만 선택해서 표시하십시오.

1

나는 슬픔을 느끼지 않는다.

나는 많은 시간 슬픔을 느낀다.

나는 항상 슬 다.

나는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무 슬 거나 불행하다.

2

나는 나의 미래에 해서 용기를 잃지 않는다.

나는 미래에 해서 보다 더 의기소침하게 느낀다.

나는 내 일이 잘 되리라고 기 하지 않는다.

나는 나의 미래가 희망이 없고 더 나빠질 것이라고 느낀다.

3

나는 실패자라고 느끼지 않는다.

나는 내가 했어야 할 것 보다 더 많이 실패했다.

뒤돌아 보면 나는 많은 실패를 했다.

나는 인간으로서 완 한 실패자라고 느낀다.

4

나는 에 즐기던 일에서 여 히 즐거움을 느낀다.

나는 처럼 즐겁지 않다.

나는 에는 즐거웠던 일들이 거의 즐겁지 않다.

나는 에 즐거움을 느 던 일들에 해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

5

나는 특별히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나는 내가 해온 일이나 했어야만 했던 많은 일에 죄책감을 느낀다.

나는 부분의 시간에 죄책감을 느낀다.

나는 항상 죄책감을 느낀다.

6

나는 벌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

나는 벌을 받을 수도 있다고 느낀다.

나는 벌을 받게 될 것이라고 상한다.

나는 벌을 받고 있다고 느낀다.

7

나는 내 자신에 해 과 같이 느낀다.

나는 내 자신에 한 확신을 잃었다.

나는 내 자신에 해 실망한다.

나는 내 자신을 싫어한다.

8

나는 보다 내 자신을 비 하거나 비난하지 않는다.

나는 보다 내 자신에 해 더 비 이다.

나는 나의 모든 잘못에 해 비 한다.

나는 어떤 나쁜 일이 생기더라도 내 자신을 비난한다.

Page 139: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29

9

나는 자살에 해 어떤 생각도 해 본 이 없다.

나는 자살에 해 생각해 본 이 있으나 실제로 행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는 자살하고 싶다.

나는 기회만 있으면 자살할 것이다.

10

나는 보다 더 울지는 않는다.

나는 보다 더 많이 운다.

나는 아주 사소한 일에도 번번이 운다.

나는 울고 싶지만, 울지 못한다.

11

나는 평소보다 더 조하거나 더 상처를 받지는 않는다.

나는 평소보다 더 조하고 더 상처를 받고 있다고 느낀다.

나는 가만히 앉아 있기가 어려울 정도로 조하고 안 부 못한다.

나는 계속 움직이거나, 무엇인가를 해야만 할 정도로 무 조하고 안

부 못한다.

12

나는 다른 사람이나 활동에 한 심을 잃지 않고 있다.

나는 다른 사람이나 일에 해 보다 심이 었다.

나는 다른 사람이나 일에 한 부분의 심을 잃었다.

나는 무엇에도 흥미를 갖기가 어렵다.

13

나는 평소처럼 결정을 내린다.

나는 평소보다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에 비해 결정을 내리기가 훨씬 더 어렵다.

나는 어떤 것이든 결정을 하기가 어렵다.

14

나는 내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느끼지 않는다.

나는 보다 내 자신이 가치가 있거나 쓸모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더 가치가 없다고 느낀다.

나는 완 히 무가치하다고 느낀다.

15

나는 평상시보다 충분한 에 지가 있다.

나는 보다 에 지가 더 다.

나는 많은 것을 할 만큼 에 지가 충분하지 않다.

나는 어떤 것을 하기에도 에 지가 충분하지 않다.

16

나는 잠자는 유형에 어떤 변화도 경험하지 않는다.

나는 평소보다 잠을 다소 더 잔다.

나는 평소보다 잠을 다소 덜 잔다.

나는 평소보다 잠을 훨씬 더 많이 잔다.

나는 평소보다 잠을 훨씬 더 게 잔다.

나는 하루의 부분을 잔다.

나는 1~2시간 일 일어나고 다시 잠들기 힘들다.

Page 140: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30

17

나는 평소보다 더 짜증을 내지는 않는다.

나는 평소보다 더 짜증이 난다.

나는 평소보다 아주 많이 짜증이 난다.

나는 항상 짜증이 나 있다.

18

나는 식욕에 어떤 변화도 경험하지 않는다.

나의 식욕은 평소보다 다소 었다.

나의 식욕은 평소보다 다소 늘었다.

나의 식욕은 평소보다 훨씬 었다.

나의 식욕은 평소보다 훨씬 늘었다.

나는 식욕이 없다.

나는 항상 음식에 한 욕구가 있다.

19

나는 항상 집 할 수 있다.

나는 평소보다 집 할 수 없다.

나는 어떤 것에도 오랫동안 집 하기가 어렵다.

나는 어떤 것에도 집 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20

나는 평소보다 더 피로하거나 피곤하지 않다.

나는 평소보다 더 쉽게 피로하고 지친다.

무 피로하고 지쳐서 내가 에 했던 일들 에 많은 일들을 하지 못한다.

무 피로하고 지쳐서 내가 에 했던 일들 의 부분의 일들을 할 수가 없다.

21

나는 성(性) 심에 한 어떤 변화도 느끼지 못한다.

나는 보다 성(性)에 한 심이 었다.

나는 보다 성(性)에 한 심이 매우 었다.

나는 성(性)에 한 심이 없다.

Page 141: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31

9. 각 문장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오늘을 포함해서 지난 1주 동안 자신의 상태

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번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0 1 2 3 느끼지 않았다 조 느 다 상당히 느 다 심하게 느 다

질문 0 1 2 3

1 가끔씩 몸이 리고 쑤시며 감각이 마비된 느낌을 받는다. □ □ □ □

2 흥분된 느낌을 받는다. □ □ □ □

3 가끔씩 다리가 떨리곤 한다. □ □ □ □

4 편안하게 쉴 수가 없다. □ □ □ □

5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 □ □ □

6 어지러움( 기증)을 느낀다. □ □ □ □

7 가끔씩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뛴다. □ □ □ □

8 침착하지 못하다. □ □ □ □

9 자주 겁을 먹고 무서움을 느낀다. □ □ □ □

10 신경이 과민 되어 왔다. □ □ □ □

11 가끔씩 숨이 막히고 질식할 것 같다. □ □ □ □

12 자주 손이 떨린다. □ □ □ □

13 안 부 못해 한다. □ □ □ □

14 미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 □ □ □

15 가끔씩 숨쉬기 곤란할 때가 있다. □ □ □ □

16 죽을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 □ □ □

17 불안한 상태에 있다. □ □ □ □

18 자주 소화가 잘 안되고 뱃속이 불편하다. □ □ □ □

19 가끔씩 기 할 것 같다. □ □ □ □

20 자주 얼굴이 붉어지곤 한다. □ □ □ □

21 땀을 많이 흘린다(더 로 인한 경우는 제외). □ □ □ □

- 응답해 주셔서 단히 감사합니다 -

Page 142: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32

[부록 3] 프로그램 참가자 동의서

프로그램 참가자 동의서

․ 책 임 연 구 자 : 이 민 영 (한 국 장 애 인 고 용 공 단 고 용 개 발 원 연 구 원 ) ․ 공 동 연 구 자 : 박 자 경 (백 석 대 학 교 사 회 복 지 학 부 조 교 수 ) 박 주 리 (분 당 차 병 원 정 신 건 강 의 학 과 임 상 심 리 사 )

• 본 연 구 는 ‘멘 탈 휘 트 니 스 긍 정 심 리 집 단 프 로 그 램 ’의 효 과 를 검 증 하 기 위 한 것

입 니 다 . 따 라 서 본 연 구 에 참 여 한 다 면 한 국 장 애 인 고 용 공 단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훈 련

생 들 의 심 리 적 안 정 및 적 응 능 력 의 향 상 을 위 한 프 로 그 램 개 발 및 효 과 검 증

연 구 에 기 여 하 게 될 것 입 니 다 .

• 본 연 구 참 가 자 는 8회 기 동 안 집 단 프 로 그 램 에 참 여 하 게 되 며 , 프 로 그 램 시 작

전 과 마 지 막 회 기 이 후 에 정 서 적 능 력 및 긍 정 적 정 서 와 관 련 된 질 문 지 를 시 행

할 것 입 니 다 . 또 한 , 프 로 그 램 진 행 경 과 확 인 및 지 도 감 독 을 위 해 회 기 중 녹 음

을 하 게 될 것 입 니 다 .

• 본 연 구 에 참 가 자 의 모 든 기 록 에 대 하 여 비 밀 을 보 장 하 며 , 연 구 결 과 가 발 표 되

더 라 도 피 험 자 의 신 원 에 대 한 정 보 는 노 출 되 지 않 을 것 입 니 다 .

• 본 연 구 의 참 여 는 자 발 적 인 것 이 며 , 연 구 참 여 를 결 정 한 후 에 도 이 를 취 소 할

수 있 습 니 다 . 연 구 에 참 여 하 지 않 더 라 도 어 떠 한 불 이 익 은 없 을 것 입 니 다 .

- 귀 하 는 동 의 서 내 용 을 읽 고 이 해 하 였 으 며 본 인 이 궁 금 해 하 는 모 든 질 문 에 대

한 답 변 을 들 었 습 니 다 .

- 본 인 은 자 발 적 으 로 본 연 구 에 참 여 하 는 것 에 동 의 하 므 로 동 의 서 에 서 명 합 니 다 .

서명일 : 2012 년 월 일

성 명 : (서명)

Page 14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33

[부록 4]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지

이 름 성 별 남 / 여

연 령 세 작 성 일 2012 년 월 일

[ 자 아 존 중 감 척 도 ] 아 래 의 문 항 들 은 ‘여 러 분 이 자 신 을 어 떻 게 보 느 냐 ’라 는 자

신 에 대 한 생 각 을 나 타 내 는 문 항 입 니 다 . 여 러 분 의 생 각 을 잘 나 타 내 주 는 곳 에

O 표 를 해 주 시 기 바 랍 니 다 .

문 항 대체로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항상그렇다

1. 나 는 내 가 다 른 사 람 들 처 럼 가 치 있 는 사 람 이 라 고 생 각 한 다 . 1 2 3 4

2 . 나 는 좋 은 성 품 을 가 졌 다 고 생 각 한 다 . 1 2 3 4

3 . 나 는 대 체 로 실 패 한 사 람 이 라 는 느 낌 이 든 다 . 1 2 3 4

4 . 나 는 대 부 분 의 다 른 사 람 들 과 같 이 일 을 잘 할 수 가 있 다 . 1 2 3 4

5 . 나 는 자 랑 할 것 이 별 로 없 다 . 1 2 3 4

6 . 나 는 내 자 신 에 대 하 여 긍 정 적 인 태 도 를 가 지 고 있 다 . 1 2 3 4

7 . 나 는 내 자 신 에 대 하 여 대 체 로 만 족 한 다 . 1 2 3 4

8 . 나 는 내 자 신 을 좀 더 존 경 할 수 있 으 면 좋 겠 다 . 1 2 3 4

9 . 나 는 가 끔 내 자 신 이 쓸 모 없 는 사 람 이 라 는 느 낌 이 든 다 . 1 2 3 4

10 . 나 는 때 때 로 내 가 좋 지 않 은 사 람 이 라 고 생 각 한 다 . 1 2 3 4

Page 144: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34

[ 공 감 지 수 ] 아 래 의 문 항 들 이 여 러 분 을 얼 마 나 잘 나 타 내 는 지 를 각 문 장 의 오 른 편 에

있 는 네 개 의 항 목 중 가 장 잘 나 타 내 주 는 문 항 에 ○ 표 시 해 주 세 요 . 여 기 에 는 옳 고

그 른 답 이 없 습 니 다 . 한 문 항 도 빠 짐 없 이 솔 직 하 게 답 해 주 시 기 바 랍 니 다 .

문 항 전 혀

그 렇지않 다

그렇 지 않 다

그 렇다

매 우 그 렇다

1 . 나 는 어 떤 사 람 이 대 화 에 참 여 하 고 싶 어 하 는 지 아 닌 지 를 쉽 게

알 수 있 다 .1 2 3 4

2 .나 는 어 떤 사 람 이 말 하 는 내 용 과 그 의 미 가 다 를 때 쉽 게 알 아

차 릴 수 있 다 .1 2 3 4

3 . 나 는 다 른 사 람 들 의 입 장 이 되 어 생 각 하 는 것 이 쉽 다 고 생 각 한 다 . 1 2 3 4

4 . 나 는 다 른 사 람 들 이 어 떻 게 느 낄 것 인 가 를 잘 예 견 한 다 . 1 2 3 4

5 . 사 람 들 은 내 가 다 른 사 람 들 이 어 떻 게 느 끼 고 무 엇 을 생 각 하 는 지

잘 이 해 하 는 데 소 질 이 있 다 고 말 한 다 .1 2 3 4

6 . 나 는 내 가 말 하 고 있 는 것 에 대 해 서 누 가 관 심 을 갖 고 있 는 지

또 는 싫 증 나 있 는 지 쉽 게 알 수 있 다 .1 2 3 4

7 . 나는 상대방이 어떻게 빠르고 직관적으로 느끼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다. 1 2 3 4

8 . 나 는 다 른 사 람 이 말 하 고 자 하 는 바 를 쉽 게 끄 집 어 낼 수 있 다 . 1 2 3 4

9 . 나는 누군가가 그들의 진짜 감정을 숨기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1 2 3 4

10 . 나 는 누 군 가 가 무 엇 을 할 지 예 견 하 는 것 을 잘 한 다 . 1 2 3 4

11 . 나 는 다 른 사 람 들 을 보 살 펴 주 는 것 이 정 말 로 즐 겁 다 1 2 3 4

12 . 고 통 스 러 워 하 는 동 물 을 볼 때 나 는 마 음 이 동 요 된 다 . 1 2 3 4

13 . 나는 뉴스 프로그램에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이 동요된다. 1 2 3 4

14 . 나 는 사 회 적 상 황 에 서 무 엇 을 해 야 하 는 지 아 는 것 이 어 렵 다 고

생 각 한 다 .1 2 3 4

15 . 우 정 과 관 계 는 너 무 어 려 운 일 이 라 서 그 것 들 에 대 해 서 신 경 쓰

지 않 으 려 고 한 다 .1 2 3 4

16 . 나는 종종 어떤 것이 무례한지 공손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1 2 3 4

17 . 나 는 어 떤 것 들 이 사 람 들 을 왜 당 황 하 게 하 는 지 알 기 어 렵 다 . 1 2 3 4

Page 145: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부 록 135

[ 정 신 적 웰 빙 척 도 ] 다 음 질 문 은 지 난 한 달 동 안 귀 하 가 얼 마 나 그 렇 게 느

꼈 는 지 에 관 한 것 입 니 다 . 각 문 항 을 주 의 깊 게 읽 고 , 각 문 항 에 대 해 서 얼 마 나

자 주 그 런 경 험 을 했 거 나 느 꼈 는 지 그 정 도 를 1~ 6 사 이 의 해 당 숫 자 에 ○ 표

해 주 십 시 오 . 자 유 롭 고 솔 직 하 게 응 답 해 주 시 기 바 랍 니 다 .

문 항 전 혀없 음

한 달 에한 번혹 은두 번

대 략일 주 일

에한 번

대 략일 주 일

에두 세 번

거 의매 일

매 일

1 . 행 복 감 을 느 꼈 다 . 1 2 3 4 5 6

2 . 삶 에 흥 미 를 느 꼈 다 . 1 2 3 4 5 6

3 . 만 족 감 을 느 꼈 다 . 1 2 3 4 5 6

4 . 나는 사회에 공헌할 만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느꼈다. 1 2 3 4 5 6

5 . 공동체(사회 집단이나 이웃 같은)에 소속되어 있다고 느꼈다. 1 2 3 4 5 6

6 . 우 리 사 회 가 나 와 같 은 사 람 들 에 게 더 살 기 좋 은

곳 이 되 어 가 고 있 다 고 느 꼈 다 .1 2 3 4 5 6

7 . 사 람 들 은 기 본 적 으 로 선 하 다 고 느 꼈 다 . 1 2 3 4 5 6

8 . 우리 사회가 돌아가는 방식이 이해할 만하다고 느꼈다. 1 2 3 4 5 6

9 . 나 는 내 성 격 의 대 부 분 을 좋 아 하 고 있 다 고 느 꼈 다 . 1 2 3 4 5 6

10 .

매 일 의 생 활 에 서 내 가 해 야 할 책 임 들 을 잘 해 내 고

있 다 고 느 꼈 다 .1 2 3 4 5 6

11 . 다 른 사 람 들 과 따 뜻 하 고 신 뢰 로 운 관 계 를 맺 고 있

다 고 느 꼈 다 .1 2 3 4 5 6

12 . 나 를 성 장 시 키 고 더 나 은 사 람 이 되 도 록 자 극 을 주

는 경 험 들 을 했 다 고 느 꼈 다 .1 2 3 4 5 6

13 . 나 만 의 아 이 디 어 와 의 견 을 생 각 하 거 나 표 현 하 는 데

자 신 이 있 다 고 느 꼈 다 .1 2 3 4 5 6

14 . 내 삶 이 방 향 감 이 나 의 미 를 갖 고 있 다 고 느 꼈 다 . 1 2 3 4 5 6

Page 146: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136

[ 특 성 상 위 기 분 척 도 ] 아 래 문 장 을 읽 고 , 평 소 에 자 신 이 각 문 항 에 얼 마 나

동 의 하 는 지 에 따 라 적 절 한 숫 자 에 'O ' 표 하 여 주 십 시 오 .

문 항 매우

아니다

약간

아니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 는 늘 내 가 어 떻 게 느 끼 는 지 에 대 해 혼 란 스 럽 다 . 1 2 3 4 5

2 . 나 는 자 주 나 의 느 낌 에 대 해 생 각 한 다 . 1 2 3 4 5

3 . 나 는 내 느 낌 을 이 해 할 수 가 없 다 . 1 2 3 4 5

4 . 아 무 리 기 분 이 나 빠 도 즐 거 운 일 을 생 각 하 려 고 노 력 한 다 . 1 2 3 4 5

5 . 나 는 내 가 어 떤 느 낌 을 느 끼 는 지 에 대 해 혼 란 스 러 울 때

가 없 다 .1 2 3 4 5

6 . 나 는 별 로 내 느 낌 에 주 의 를 기 울 이 지 않 는 다 . 1 2 3 4 5

7 . 때 때 로 나 는 나 의 느 낌 이 무 엇 인 지 를 구 별 할 수 없 다 . 1 2 3 4 5

8 . 기 분 이 나 쁠 때 에 도 좋 은 생 각 을 떠 올 리 려 고 노 력 한 다 . 1 2 3 4 5

9 . 나 는 쉽 게 감 정 을 느 낀 다 . 1 2 3 4 5

10 . 나 는 내 가 어 떻 게 느 끼 는 지 에 대 해 많 은 주 의 를 기 울 인 다 . 1 2 3 4 5

11 . 나 는 대 부 분 내 가 어 떻 게 느 끼 는 지 를 안 다 . 1 2 3 4 5

12 . 때 때 로 슬 플 때 도 있 지 만 나 는 대 부 분 낙 관 적 이 다 . 1 2 3 4 5

13 . 나 는 결 코 내 가 어 떻 게 느 끼 고 있 는 지 를 알 수 없 다 . 1 2 3 4 5

14 . 나 는 보 통 내 가 무 엇 을 느 끼 는 지 에 대 해 주 의 하 지 않 는 다 . 1 2 3 4 5

15 . 나 는 거 의 늘 내 가 어 떻 게 느 끼 고 있 는 지 를 정 확 히 안 다 . 1 2 3 4 5

16 . 화 가 날 때 면 내 인 생 의 즐 거 웠 던 일 들 을 떠 올 린 다 . 1 2 3 4 5

17 . 나 는 보 통 내 느 낌 들 에 대 해 매 우 명 확 하 다 . 1 2 3 4 5

18 . 감 정 에 대 해 생 각 하 는 일 은 보 통 시 간 낭 비 이 다 . 1 2 3 4 5

19 . 나 는 대 체 로 나 의 느 낌 을 안 다 . 1 2 3 4 5

20 . 나 는 때 때 로 행 복 하 더 라 도 주 로 비 관 적 이 다 . 1 2 3 4 5

21 나 의 신 념 과 의 견 들 은 어 떻 게 느 끼 느 냐 에 따 라 늘 변 한 다 . 1 2 3 4 5

Page 147: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이민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장연구 2012-03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집단 프로그램발 행 일 2012년 12월

발 행 인 권 기 돈

발 행 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주 소 (463-93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59

화 (031) 728-7000

팩 스 (031) 728-7199

홈페이지 http://edi.kead.or.kr

자우편 [email protected]

I S B N 978-89-5813-895-2 93330

인 쇄 (주)우정디앤피 ☏ (02) 2274-4009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