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12
2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특징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 문제제기 대부분의 OECD국가에서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에도 2014년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는 10.5%로 2000년 대비 3.5%p 증가 - 2000년 대비 2014년,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가 감소한 나라는 폴란드 (-5.3%p), 아이슬란드(-3.7%p) 등 5개 국가에 불과 - 이는,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이 1990년대 이후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산을 위한 정책 및 제도를 정비한 결과 1) 일 수 있음 1)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은 전일제와 시간제 간 임금·근로조건 등에서 차별 금지 등 시간제근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질 좋은 시간제 근로(Quality part-time work)의 확산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 네덜란드 : 근로자 개인별 선호에 따른 근로시간 조정(2010년) - 독일 : 단시간 근로 및 기간제 근로에 관한 법률(2001년) - 영국 : 시간제 근로자법(2000년) 0 5 10 15 20 25 30 35 40 45 Hungary Czech Republic Slovak Republic Poland Estonia Slovenia Korea Turkey Portugal Greece Finland France Sweden Israel Spain Luxembourg Iceland OECD countries Chile Belgium Mexico Norway Italy Canada Denmark Austria New Zealand Germany Japan Ireland United Kingdom Australia Switzerland Netherlands 2014 2000 [그림 1]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 비중(2000년 vs. 2014년) (단위 : %) - 임희정* 자료 : OECD. stat *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 연구원([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8-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특징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Ⅰ. 문제제기

■ 대부분의 OECD국가에서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에도 2014년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는 10.5%로 2000년 대비 3.5%p 증가

- 2000년 대비 2014년,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가 감소한 나라는 폴란드(-5.3%p), 아이슬란드(-3.7%p) 등 5개 국가에 불과

- 이는,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이 1990년대 이후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산을 위한 정책 및 제도를 정비한 결과1) 일 수 있음

1)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은 전일제와 시간제 간 임금·근로조건 등에서 차별 금지 등 시간제근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질 좋은 시간제 근로(Quality part-time work)의 확산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 네덜란드 : 근로자 개인별 선호에 따른 근로시간 조정(2010년) - 독일 : 단시간 근로 및 기간제 근로에 관한 법률(2001년) - 영국 : 시간제 근로자법(2000년)

0

5

10

15

20

25

30

35

40

45

Hung

ary

Czec

h Re

publ

icSl

ovak

Rep

ublic

Pola

ndEs

toni

aSl

oven

iaKo

rea

Turk

eyPo

rtug

alGr

eece

Finl

and

Fran

ceSw

eden

Israe

lSp

ain

Luxe

mbo

urg

Icel

and

OECD

coun

trie

sCh

ileBe

lgiu

mM

exico

Norw

ayIta

lyCa

nada

Denm

ark

Aust

riaNe

w Z

eala

ndGe

rman

yJa

pan

Irela

ndUn

ited

King

dom

Aust

ralia

Switz

erla

ndNe

ther

land

s

2014 2000

[그림 1] 전체 고용 중 시간제 근로 비중(2000년 vs. 2014년)(단위 : %)

- 임희정*

자료 : OECD. stat

*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 연구원([email protected])

Page 2: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3

■ 2015년, 시간제 근로자수는 223만 6천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11.6%를 차지

-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2008년 7.6%에서 2015년 11.6%로 급증

▶ 비정규직근로자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2008년 33.8% → 2015년 32.5%) 비정규직 고용형태 중 시간제근로자 비중만 증가 추이를 보임

■ 최근 정부는 시간제 일자리를 양질의 일자리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정책의 일환

으로‘시간선택제 일자리’확산 노력을 하고 있음2)

-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근로자의 자발적 선택 및 필요에 의해 전일제 근로보다

짧게 일하는 시간제 근로이면서 근로조건 등에 차별이 없는 일자리를 말함

- 시간제 일자리’는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근로시간을 선택하고‘계속근로’가 가능

하다는 측면에서 양질의‘시간선택제 일자리’로의 발전 가능성이 있음

■ 따라서 본고는 육아·가사로 시간 사용에 제약이 있는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특징과 시간제 일자리의‘계속 근로 희망’여부에 주목하여 여성 시간제 근로자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함

- 이를 통해, 정부의‘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순기능적 역할을 해야함을 강조하고자 함

Ⅱ. 최근 시간제 일자리 추이

▣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

2) 최근 정부는 ‘시간선택제 일자리’확산을 위해 신규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지원 외에도 근로자가 임신기, 육아기, 장년기 등 근로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때에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전환형 시간선택제’지원 노력을 펼치고 있음

■ 2011년부터 현재까지 약 12%p로 높은 수준을 유지중인 시간제 일자리의 성별 비중 격차(여성-남성)는 남성보다는 여성 시간제 근로자수 증가에 기인

- 2008년 8월 여성 시간제 근로자수는 85만 7천명(12.7%)로 남성 시간제 근로자수 37만 2천명(4.0%)보다 48만 5천명 많았으나

- 2015년 8월 현재 여성 시간제 근로자수는 154만 8천명(18.4%)으로 남성 시간제 근로자수 68만 8천명(6.3%)보다 86만명 많음

▣ 최근 시간제 일자리 증가는 여성이 주도

Page 3: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4

고용동향

브리프

1,229 1,426

1,620 1,702 1,826 1,883

2,032 2,236

7.6 8.7 9.5 9.7 10.3 10.3 10.8 11.6

33.8 34.9 33.3 34.2 33.3 32.6 32.4 32.5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8.08 2009.08 2010.08 2011.08 2012.08 2013.08 2014.08 2015.08

시간제 근로자수

비정규직 비중 (임금근로자 대비)시간제 근로자 비중 (임금근로자 대비)

372 369 427 470 506 526 587 688

857

1,058 1,194 1,232

1,320 1,357 1,445

1,548 8.7

11.3 12.1 11.8

12.4 12.2 12.2 12.0

0.0

2.0

4.0

6.0

8.0

10.0

12.0

14.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8.08 2009.08 2010.08 2011.08 2012.08 2013.08 2014.08 2015.08

남성 시간제근로자수 여성 시간제근로자수 시간제 근로자 성별비중 격차

[그림 2] 최근 시간제 근로자수 및 비중 추이

[그림 3] 최근 성별 시간제 근로자수 추이 및 성별 비중 격차

(단위: 천명, %)

(단위: 천명, %p)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Page 4: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5

■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5세 이상 고령층에서의

증가가 두드러짐

- 55~59세 연령층은 2010년 7만 3천명으로 6.1%를 차지한 이후 여성 시간제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증가하여 2015년에는 9.2%(14만 3천명)로

2010년 대비 3.1%p, 전년동월대비 1.2%p 증가

- 특히, 60세 이상 연령층은 2010년 24만 2천명으로 20.3%를 차지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4년 27.2%(39만 3천명), 2015년 28.1%(43만 6천명)로

2010년 대비 7.8%p, 전년동월대비 0.9%p 증가

Ⅲ.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 특징

주 : ( )는 여성 시간제 근로자 대비 비중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 55세 이상 고령층에서 여성 시간제 일자리 비중 증가

<표 1> 여성 시간제 일자리 내 연령 분포 추이 (단위: 천명, %, %p)

  2010.8 2011.8 2012.8 2013.8 2014.08 2015.08변화분

(’14->’15)변화분

(’10->’15)

연령

19세 미만73 71 92 87 89 92 2 19

(6.1) (5.8) (7.0) (6.4) (6.2) (5.9) -0.3 -0.2

20~24세130 125 144 153 165 166 1 36

(10.9) (10.1) (10.9) (11.3) (11.4) (10.7) -0.7 -0.1

25~29세63 65 58 45 64 65 1 2

(5.3) (5.2) (4.4) (3.4) (4.4) (4.2) -0.3 -1.1

30~34세88 91 75 87 86 86 0 -3

(7.4) (7.4) (5.7) (6.4) (6.0) (5.5) 0.4 -1.9

35~39세126 129 116 113 120 117 -2 -9

(10.5) (10.5) (8.8) (8.3) (8.3) (7.6) -0.7 -3.0

40~44세148 142 142 148 145 149 5 1

(12.4) (11.6) (10.8) (10.9) (10.0) (9.7) -0.4 -2.8

45~49세133 138 142 139 138 148 10 15

(11.2) (11.2) (10.7) (10.2) (9.6) (9.6) 0.0 -1.6

50~54세117 135 129 126 129 147 18 29

(9.8) (11.0) (9.8) (9.3) (8.9) (9.5) 0.6 -0.3

55~59세73 86 110 122 115 143 27 70

(6.1) (7.0) (8.3) (9.0) (8.0) (9.2) 1.2 3.1

60세 이상242 249 313 336 393 436 43 193

(20.3) (20.2) (23.7) (24.7) (27.2) (28.1) 0.9 7.8

전체  1,194 1,232 1,320 1,357 1,445 1,548 103 354

Page 5: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6

고용동향

브리프

■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를 사업장 규모별로 살펴보면 5~9인 사업장을

중심으로 여성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꾸준히 증가함(2010년 18.5% →2015년

22.8%)

- 5~9인 사업장과 100인 이상 사업장을 제외한 모든 사업장에서 여성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감소 추이를 보임

■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를 주요 산업별로 살펴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I),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부문의 증가가 두드러짐

- 2010년 기준 여성 시간제 일자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

(G), 숙박 및 음식점업(I), 교육 서비스업(P),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

인데 도매 및 소매업(G)과 교육서비스업(P)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였고

숙박 및 음식점업(I)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함

- 특히,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에서 여성 시간제 일자리가 가장 많이

증가 (3.9%p, 2010년 13.2% → 2015년 17.1%)하고 있으며, 숙박 및 음식

점업(I)의 비중도 꾸준히 증가 함 (2.1%p, 2010년 16.5% → 2015년 18.5%)

■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를 주요 직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종사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판매종사자의 비중이 감소함

- 서비스종사자는 2010년 19.1%에서 2015년 22.3%로 3.2%p증가 반면,

- 판매종사자와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의 비중은 2010년 대비 각각 2.5%p,

1.6%p 감소함

▣ 5~9인 사업장,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서비스종사자에서 꾸준히 증가

Page 6: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7

<표 2> 여성 시간제 일자리 내 사업체 규모·주요 산업·주요 직종 분포 추이

(단위: 천명, %, %p)

주 : A. 농업·임업 및 어업, C. 제조업, F.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J.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 및 임대업, M.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O.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R.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S.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T.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소비 생산활동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2010.8 2011.8 2012.8 2013.8 2014.08 2015.08변화분

(’14->’15)변화분

(’10->’15)

규모

1~4인 43.3 44.6 44.8 44.2 43.2 42.0 -1.2 -1.4

5~9인 18.5 19.1 19.7 21.3 21.4 22.8 1.4 4.3

10~29인 20.6 20.0 19.9 18.7 19.8 19.2 -0.7 -1.4

30~99인 12.2 11.2 11.2 10.9 10.7 10.7 -0.1 -1.5

100인 이상 5.4 5.0 4.4 4.8 4.9 5.4 0.5 0.0

주요산업

A 1.9 1.6 1.0 1.0 1.2 1.5 0.3 -0.5

C 6.3 4.7 4.3 4.4 4.9 5.6 0.7 -0.7

F 1.0 0.8 0.8 0.8 0.7 1.0 0.3 0.0

G 16.6 16.5 18.0 15.4 13.6 13.7 0.1 -2.9

H 0.6 0.4 0.5 0.6 0.6 1.0 0.4 0.4

I 16.5 15.7 16.5 18.6 19.2 18.5 -0.7 2.1

J 0.7 0.8 0.9 1.2 1.1 1.0 -0.1 0.3

K 1.0 1.5 1.3 1.6 1.0 1.3 0.3 0.3

L 1.7 1.9 1.5 1.8 1.8 1.9 0.1 0.2

M 0.5 1.2 0.6 1.0 1.0 1.1 0.1 0.6

N 4.7 5.4 5.9 4.6 5.4 6.1 0.7 1.4

O 8.5 7.8 8.4 8.9 8.3 7.4 -0.9 -1.1

P 16.5 15.5 15.0 14.9 14.4 12.3 -2.1 -4.2

Q 13.2 13.9 13.5 14.4 16.9 17.1 0.2 3.9

R 1.5 2.7 2.5 1.8 1.8 2.8 1.0 1.3

S 3.4 4.7 4.4 4.1 6.2 5.9 -0.2 2.5

T 5.2 4.8 4.8 4.5 1.9 1.5 -0.4 -3.7

주요직종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8.7 20.0 17.5 18.4 18.3 17.1 -1.1 -1.6

사무종사자 8.1 7.8 8.3 9.0 9.4 8.5 -0.9 0.4

서비스종사자 19.1 20.4 21.9 21.3 20.5 22.3 1.8 3.2

판매종사자 15.2 13.9 15.7 14.0 13.0 12.7 -0.3 -2.5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1.1 0.8 0.8 1.2 0.8 1.1 0.3 0.0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0.7 0.5 0.6 0.7 0.9 1.0 0.1 0.4

단순노무종사자 36.9 36.4 35.2 35.4 37.0 36.9 -0.1 0.0

전체 1,194 1,232 1,320 1,357 1,445 1,548 103 354

Page 7: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8

고용동향

브리프

(단위: 천명, %)

주 : ( )는 전체 여성 시간제 근로자 대비 비중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2010.8 2011.8 2012.8 2013.8 2014.08 2015.08

③=①+②1,119 1,154 1,244 1,278 1,376 1,494

(93.7) (93.7) (94.3) (94.2) (95.2) (96.5)

Ⅳ. 계속 근로 희망 여부3)에 따른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특성 차이

■ 최근 여성 시간제 근로자는 추가 취업 및 전직을 희망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현

시간제에서 계속 근로를 원하는 형태로 증가

- 2010년‘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 시간제’는 전체 시간제의 16.5%에서 2015년

10.8%로 5.7%p 감소한 반면,

- 계속 근로 희망 시간제’는 2010년 전체 시간제의 77.2% 차지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8월, 2010년 대비 8.5%p 증가한 85.8%를 기록

<표 3> 계속 근로 희망 여부에 따른 여성 시간제 근로자 추이(단위: 천명, %, %p)

주 : 1) ( )는 시간제 근로자 대비 비중 2) ①과 ②는 36시간 미만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제 전체합과 다름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3) 본장은 경제활동인구조사의 36시간 미만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계속 근로 희망/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설문을 이용 함 ① ‘계속 근로 비희망(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 시간제)’: 현 36시간 미만 일자리의 근로 시간을 늘리고 싶거나 (‘추가 취업’) 현재 36시간 미만 일자리 외 다른 일을 하고 싶은 (‘전직 희망’) 근로자로 계속 시간제 근로를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큼 ②‘계속 근로 희망 시간제’: 현 36시간 미만 일자리에서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은 시간제 근로자로 현 시간제 근로를 자발적 으로 선택했거나 자발적으로 선택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계속 시간제 근로를 이어 갈 가능성이 큼

4) 시간제 직장에서 근무하도록 정해진 소정 근로시간이 동일 사업장에서 동일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소정 근로시간보다 1시간이라도 짧은 자로 동일 회사에 동일 업무를 하는 동료가 없는 경우에는 평소 근로시간이 주당 36시간 미만인 근로자를 뜻하기 때문에‘36시간 미만 근로자’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임. 그러나 전체 여성 시간제에서 36시간 미만 근로자가 시간제를 약 94% 이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0.8 2011.8 2012.8 2013.8 2014.08 2015.08변화분

(’14->’15)변화분

(’10->’15)

① 계속 근로 비희망 시간제(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  

197 171 160 142 137 167 27 -30

(16.5) (13.9) (12.1) (10.4) (9.5) (10.8) 1.3 -5.7

② 계속 근로 희망 시간제922 984 1084 1137 1238 1328 89 406

(77.2) (79.9) (82.1) (83.8) (85.7) (85.8) 0.1 8.5

시간제 전체4) 1,194 1,232 1,320 1,357 1,445 1,548 103 354

▣ 최근 여성 시간제 근로자는 현 시간제에서 계속 근로를 원하는 형태로 증가

Page 8: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9

■ 현 36시간 미만 일자리에서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어하는 시간제 근로자는 55세

이상 연령층의 비중이 높고 증가 추이를 보이지만, 30~40대 여성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고 매년 비중이 낮아지고 있음

- 이는 시간제 일자리가 55세 이상 비경제활동상태에 있는 여성을 노동시장으로

통합하는 순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다만, 30~40대 연령계층의 경력단절 예방효과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있음

▣ 55세 이상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증가, 30~40대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감소

[그림 4] 여성 시간제 일자리내 계속 근로 희망자 연령 분포 추이(단위 :%)

0

5

10

15

20

25

30

19세 미만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세 이상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Page 9: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10

고용동향

브리프 ■ 최근 여성 시간제 근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과

숙박 및 음식점업(I)’부문의 경우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이 증가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이 2010년

10.8%를 차지한 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15.7%로 4.9%p 증가하였으나,

추가취업 및 전직을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근로는 2010년 1.8%를 차지한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2015년 1.1%로 0.7%p 감소

- 숙박 및 음식점업(I)은 추가 취업 및 전직을 희망하는 시간제 근로가 2010년

2.5%를 차지한 후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2015년 2.2%로 0.3%p 감소한

반면, 현 시간제 근로를 계속 희망하는 비중은 2010년 12.2%에서 2015년 15.6%로

3.4%p 증가

■ 여성 시간제 근로의 거의 모든 주요 산업에서 추가 취업 및 전직을 희망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이 증가지만,

- 도매 및 소매업(G), 교육서비스업(P),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소비활동(T) 등의 부문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근로가 감소

- 상대적으로 이들 부문의 여성 시간제 근로가 전일제 근로자보다 근로조건 및

기타 처우에서 열악할 수 있음을 시사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Q) 및 숙박 및 음식점업(I) 부문을 중심으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증가

Page 10: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11

<표 4> 여성 시간제 일자리내 계속 근로 희망여부별 주요 산업 분포(단위: %, %p)

주 : A. 농업·임업 및 어업, C. 제조업, F.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J.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 및 임대업, M.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O.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R.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S.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T.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자가소비 생산활동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주요산업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변화분

(’14->’15)변화분

(’10->’15)

계속 근로 비희망

(추가취업 및 전직희망)

A 0.4 0.3 0.4 0.1 0.2 0.2 0.0 -0.2

C 1.0 0.8 0.6 0.5 0.5 0.6 0.1 -0.4

F 0.2 0.2 0.1 0.1 0.1 0.0 0.0 -0.2

G 2.3 2.1 1.7 1.7 1.5 1.4 -0.1 -0.9

H 0.3 0.2 0.2 0.0 0.2 0.2 0.0 -0.1

I 2.5 1.8 1.5 1.5 1.7 2.2 0.5 -0.3

J 0.0 0.2 0.0 0.1 0.0 0.1 0.1 0.0

K 0.3 0.1 0.0 0.2 0.1 0.1 0.0 -0.3

L 0.3 0.2 0.2 0.2 0.1 0.1 0.1 -0.2

M 0.2 0.3 0.2 0.1 0.3 0.3 0.0 0.1

N 0.9 0.7 0.6 0.4 0.4 0.9 0.5 -0.1

O 1.2 0.5 0.9 0.8 0.7 0.7 0.0 -0.4

P 3.4 2.8 2.2 2.0 1.6 1.7 0.1 -1.7

Q 1.8 1.8 1.5 0.8 1.1 1.1 0.0 -0.7

R 0.2 0.5 0.2 0.2 0.2 0.3 0.1 0.1

S 0.9 1.0 0.8 0.7 0.8 0.6 -0.2 -0.3

T 0.6 0.5 0.9 1.0 0.1 0.1 0.0 -0.5

16.5 13.9 12.1 10.4 9.5 10.8 1.3 -5.7

계속 근로 희망

(계속 그대 로 일하고 싶음)

A 1.4 1.0 0.4 0.8 0.8 1.0 0.1 -0.4

C 4.8 3.6 3.4 3.5 4.0 4.8 0.8 0.1

F 0.6 0.6 0.6 0.5 0.6 0.7 0.1 0.1

G 13.3 13.6 15.1 12.8 11.1 11.6 0.5 -1.7

H 0.3 0.2 0.3 0.5 0.4 0.8 0.4 0.5

I 12.2 12.4 13.7 15.5 16.1 15.6 -0.5 3.4

J 0.7 0.5 0.8 1.1 1.1 1.0 -0.1 0.3

K 0.7 1.4 1.1 1.3 0.9 1.2 0.3 0.5

L 1.1 1.4 1.2 1.6 1.7 1.7 0.0 0.6

M 0.3 0.8 0.3 0.8 0.7 0.8 0.0 0.4

N 3.4 4.1 5.0 3.8 4.4 4.9 0.4 1.4

O 7.2 7.2 7.3 8.0 7.5 6.6 -1.0 -0.6

P 12.4 12.1 12.1 12.5 12.6 10.4 -2.2 -2.0

Q 10.8 11.3 11.5 12.9 15.2 15.7 0.5 4.9

R 1.2 1.9 2.2 1.5 1.5 2.4 0.9 1.2

S 2.3 3.5 3.3 3.2 5.1 5.1 0.0 2.8

T 4.3 4.0 3.8 3.2 1.7 1.3 -0.3 -3.0

  77.2 79.9 82.1 83.8 85.7 85.8 0.1 8.5

Page 11: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12

고용동향

브리프

■ 최근 여성 시간제 근로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 한 서비스종사자는 현 시간제 일자리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여성 시간제 서비스종사자는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이 2010년 12.6%를 차지한 이후 하락하여 2014년, 2015년 모두 약 11%를 차지하며 2010년 대비 2015년 1.6%p 감소

-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서비스종사자의 감소는 사무종사자와 단순노무종사자의 증가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이러한 현상은 이들의 산업분포와도 연관이 있겠지만, 증가하고 있는 여성 서비스 시간제 일자리에 비해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비중은 감소하고 있어 감정노동 등의 직종 특성이 여성 시간제 일자리에서 더 크게 작용했을 수 있음

▣ 서비스종사자는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감소, 사무종사자 및 단순노무종사자를 중심으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시간제 증가

<표 5> 여성 시간제 일자리내 계속 근로 희망 여부별 주요 직종 분포(단위: %, %p)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 각년 8월

   주요 직종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변화분

(’14->’15)변화분

(’10->’15)

계속 근로 비희망(추가취업 및 전직희망)

 

관리자 3.4 3.4 2.9 2.1 2.2 2.2 0.0 -1.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6 0.8 0.3 0.4 0.6 0.7 0.1 -0.9

사무 종사자 3.3 2.4 2.5 1.6 2.1 2.7 0.6 -0.6

서비스종사자 1.8 1.1 1.4 1.6 1.0 1.2 0.2 -0.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0.2 0.2 0.1 0.0 0.0 0.2 0.2 0.0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0.1 0.2 0.0 0.0 0.2 0.0 -0.2 -0.1

단순노무종사자 6.0 5.7 4.9 4.7 3.4 3.7 0.4 -2.3

  16.5 13.9 12.1 10.4 9.5 10.8 1.3 -5.7

계속 근로 희망(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음)

관리자 14.3 15.6 13.9 15.5 15.7 14.5 -1.1 0.3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6.4 6.8 7.6 8.2 8.5 7.8 -0.7 1.4

사무 종사자 14.3 16.3 17.6 18.0 17.4 18.9 1.5 4.6

서비스종사자 12.6 11.6 13.0 11.4 10.9 11.0 0.0 -1.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0.7 0.6 0.6 1.1 0.8 0.9 0.1 0.2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0.5 0.4 0.5 0.7 0.7 1.0 0.2 0.5

단순노무종사자 28.4 28.6 28.9 29.0 31.6 31.6 0.0 3.2

  77.2 79.9 82.1 83.8 85.7 85.8 0.1 8.5

Page 12: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 추이 및 변화 ...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2-4/4.pdf · 2016-02-19 · 2 고용동향 브리프 최근

주요 고용이슈 심층 분석

www.keis.or.kr

13

Ⅴ. 결론

■ 2015년 8월 현재 여성 시간제 근로자는 임금근로자 대비 18.4%(154만 8천명)로

남성 시간제 근로자(6.4%, 688천명)보다 12.0%p 높은 수준임

- 이러한 성별 비중 격차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p대로 상승하여 꾸준히

12%p대를 유지 중으로 남성 보다는 여성 시간제 근로자 증가에 기인 함

■ 이글에서는 최근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증가 특징을 고령층, 5~9인 소규모

사업장,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서비스종사자 부문에서

인력수요 증가로 설명

■ 또한, 최근 여성 시간제 근로자는 현 36시간 미만 일자리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

하는 형태로 증가

- 특히, 55세 이상 고령층,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사무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부문은 현 시간제 일자리에서 계속 근로를

유지하고 싶은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부문은 상대적으로

정부의 시간선택제 확산 노력에 따라 양질의 시간제 근로로 발전 할 가능성이

높음

■ 그러나, 결혼 및 육아 등 여성의 생애사건에 따라 경력단절을 경험 한 30~40대

연령계층과 도매 및 소매업, 교육서비스업, 서비스종사자 부문등은 현 시간제

일자리에서 계속 근로를 원하는 비중이 매년 낮아지고 있어 30~40대 연령계층

및 이들 부문의 시간제 일자리 근로조건 개선 등의 노력이 요구됨

- 이를 통해 정부의 시간 선택제 일자리가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및 활동을 활발히 하게하는 순기능적 역할을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