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16
< 사 업 기 획 안 > - 팀명: 아트임팩트 -

Upload: others

Post on 24-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사 업 기 획 안 >

- 팀명: 아트임팩트 -

Page 2: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 -

< 제안서 요약본 (1Page Summary) >

팀명 아트 임팩트 (Art Impact)

아트임팩트는?

ㆍ사회적기업의 유통확대를 돕는 에이전시(Agency)

- 근래에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직접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시도해

보려는 “사회적기업”이 많아지고 있음

- 그러나 경험 및 전문인력 부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체가 많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지 못하는 업체가

많은 실정임

- 사회적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유통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에이전시를 기획

사업 모델

ㆍ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 전시판매(Exhibition)

-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작가의 작품과 콜라보레이션하여

디자인을 향상시키고 작가의 전시가 열리는 갤러리에서

판매하여 유통 채널 확대의 기회 부여

- 카페, 플리마켓 등의 공간을 전시 및 콜라보 제품 판매의

장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제품-작가-공간” 매칭

기대 효과

ㆍ사회적기업의 매출/이익 증가 및 공유 플랫폼 비즈니스로

발전 가능 (Impact - Social Platform Business)

- 콜라보레이션에 의한 디자인 향상과 전시공간으로의 유통망

확대를 통해 사회적기업 제품의 매출 및 수익 증가 가능

- “제품(사회적기업)-작품(작가)-공간(소유주)”의 소통에 의한

역량 및 자원을 공유를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로 발전 가능

Page 3: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2 -

S u b je c t P a g e

< 제안서 요약본 > 1

1. 사회적 배경 3

1-1. 사회적 문제

1-2. 원인분석

1-3. 기존의 문제 해결방법

2. 기업가 소개 5

2-1. 경험 및 계기

2-2. 주요 경력 및 경험

2-3. 지원동기

3. 사업개요 8

3-1. 솔루션

3-2. 수익구조

3-3. 목표 시장 분석

3-4. 고객 분석

3-5. 경쟁사 벤치마킹

4. 사업화계획 13

4-1. 조직 및 자금 조달

4-2. 추진 일정

4-3. 창업 추진 계획

5. 기대효과 15

5-1. 사회적 효과

5-2. 경제적 효과

- 목 차 -

Page 4: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3 -

111 사회적 배경 사회적 배경 사회적 배경

1-1. 사회적 문제 : 사회적기업의 영세성

- 근래에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직접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시도해 보려는 사회적기업이 많아지고 있음

- 그러나 수익을 내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적고,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기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지 못하고 도산하는 업체가 많음

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

- 원인은 분석해 보면 제품에 대한 적은 예산(Poor Budget)으로 인하여 좋은

디자인이 나오기 힘들고(Poor Design) 그 결과 적은 매출과(Poor Sales) 적은

이익(Poor Profit)이 발생하여 다시 제품 제작에는 적은 예산밖에는 쓰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음

- 또한 사회적기업 영역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연령이 20대 후반 ~ 30대 초반이

많으며 사회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마케팅(영업/유통망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기존 경쟁 제품 대비 차별화가 부족하여 판매 저조

Page 5: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4 -

1-3. 기존의 문제 해결방법 :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취지를 알리는 홍보에 집중

(시흥시에 위치한 사회적기업 제품 판매 스토어 36.5의 운영자와 인터뷰)

- 제품이 갖고 있는 진정성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전달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홍보 방법 강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전체 매출에서 커피/음료수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60%를 차지할 정도로 높고,

보유하고 있는 “공간”과 “제품”이라는 내부적인 역량을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심하고 있었음

- 외부 영업 및 제휴마케팅 활용에 대한 시도는 해보고 싶지만 스토어 운영자

(왕상민 대표, 29세)의 경험과 노하우 부족으로 자체적으로는 힘들다는 답변

받음

☞ 내부적인 역량으로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외부와의 협업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방법이 필요

Page 6: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5 -

222 기업가 소개 기업가 소개 기업가 소개

2-1. 경험 및 계기 : 복합문화공간 총괄메니저 경험 & 사회적기업과의 만남

- 합정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iSPACE”에서 2014년 7월부터 2105년 4월까지

10개월간 총괄메니저로 근무 (iSPACE 창립멤버)

- 복합문화공간 iSPACE는 7층 규모의 편집매장, 카페, 갤러리, 공연장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층별로 다양한 테마로 운영 되고 있음

- 총괄 메니저로 근무하며 전체적인 직원관리부터 시작하여 외부 협력 업체와

팝업스토어, 대관 행사 등을 기획하였고, 디자인 제품과 작가의 작품을 콜라보

하여 갤러리에서 전시 판매하는 제휴 업무 다수 (16회) 진행함

Page 7: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6 -

- 휴대폰 케이스, 에코백, 머그컵 등 다양한 아이템에 작가의 작품을 담아 제작하여

작가의 전시가 열리는 7층 갤러리에서 전시/판매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단기간

동안 높은 매출을 올림. (하단의 신동민 작가는 자폐 미술작가로 독특한 관점

으로 세계를 표현한 작품을 상품에 담아 판매하여 좋은 반응을 보임)

- 아름다운가게와의 “나눔바자회”를 계기로 사회적기업과 만나게 되었고, 좋은

취지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경험 통해 사회적기업의 가치를 알게됨

-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콜라보레이션하여 갤러리에서

전시/판매하는 비즈니스를 구상하게 되었음

Page 8: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7 -

2-2. 주요 경력 및 경험

년 도 활동내용

2006년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학사) 졸업

2006년 현대건설 건축사업본부 근무

2010년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MBA (석사) 졸업

2011년 포스코 마케팅본부 근무

2014년 복합문화공간 iSPACE 총괄메니저

2015년 소셜벤처 “아트임팩트” 사업 준비 중

2-3. 지원동기

- iSPACE(아이스페이스)의 신사업 기획부터 시작하여 TFT팀 운영, 직원 채용,

런칭, 운영까지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며 복합문화공간 사업에 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 편집매장/겔러리/카페/공연장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며,

갤러리의 전시 기간 동안 판매할 수 있을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편집매장에 입점해

있는 브랜드와 논의하여 제작하였고, 작가의 작품이 그려진 제품을 작품이 전시

되고 있는 갤러리에서 판매하였을 때 매출과 관람객들의 호응도에서 좋은 결과를

얻은 경험이 있습니다.

- 이후 아름다운가게와 바자회를 기획하였고, 자폐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등 다양한 업체들이 좋은 취지의 기획에 공감하고 동참해주는 경험을 통하여

사회적기업과의 만남이 시작되었습니다.

- 에어비앤비, 쏘카 등의 기업과도 팝업스토어 및 이벤트를 진행하며, 공유경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던 때라서, 사회적기업을 돕는 소셜벤처를 콜라보레이션 및

공유경제 개념을 도입하여 창업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Page 9: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8 -

333 사업 개요 사업 개요 사업 개요

3-1. 솔루션 : 아트 콜라보레이션 (Art Collaboration) & 전시판매 (Exhibition)

-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 트랜드에 따라 이종(異種) 산업 혹은 브랜드가 서로의

역량을 공유하여 새로운 제품을 탄생시키는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제품이

성공을 거두는 사례가 많음

- 사회적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을 작가의 작품과 콜라보레이션하여 디자인을 향상

시키고, 콜라보에 참여한 작가의 전시가 열리는 갤러리에서 판매하여 관람객이

마음에 드는 작품이 담겨 있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사회적기업 작가 관람객

유통망 확대를 통한

매출 증가의 기회

로열티를 통한

추가 소득의 기회

고가의 작품 대신

저가의 상품 선택의 기회

Page 10: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9 -

항목 Original Collabo 비고

판매단가 (A) \ 20,000 \ 26,000 30% 상승

수입원가 (B) \ 10,000 \ 10,000 동일

유통비용 (C) \ 5,000 \ 6,500 판매가의 25%

아트패키지 (D)          - \ 2,000

추가 발생 비용작가로얄티 (E)            - \ 1,000

제작진행비 (F)            - \ 1,000

매출이익 (A) - (B~F)

\ 5,000 \ 5,500 10% 상승

3-2. 수익구조 : 굿네이버스 공정무역 향초 콜라보의 예시

- 굿네이버스에서 공정무역을 통해 수입 및 국내 유통을 하고 있는 향초의 경우

디자인 및 생산이 네팔에서 진행되어 완제품이 국내에 수입되기 때문에 제품의

취지와 원료는 좋지만 소비자에게 어필하기에는 디자인 매력도가 낮음

- 작가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을 보완하고, 작가의 작품 전시가

열리는 갤러리에 전시하여 판매할 경우 아래와 같은 효과를 예상할 수 있음

- 기존의 향초는 판매단가를 위의 표와 같이 2만원으로 가정할 경우, 초 1개가

판매되었을 때 수입원가 1만원과 유통비용 5천원을 제외하면 판매수익은 5천원임

- 콜라보가 된 향초의 경우 아트패키지(2천원), 작가로얄티(1천원), 제작진행비

(1천원) 등의 비용이 추가되어 판매 단가는 2만 6천원으로 30% 상승하지만

그만큼의 상품 매력도가 증가하고, 초 1개당 판매 수익도 10% 상승 가능

Page 11: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0 -

- 전시회 예시 (제품가격 2만원, 하루 50개 판매, 20일간 전시)

: 20,000 원/ea x 50 ea/day x 20day = 총 2,000만원의 매출 발생

개당 판매가: 2만원 총 2,000만원 수익 발생

원 가 5,000원 (25%) 500만원 비용

유통비 5,000원 (25%) 500만원 갤러리

로얄티 1,000원 (5%) 100만원 작가

콜라보 2,000원 (10%) 200만원 비용

운영비 1,000원 (5%) 100만원 아트임팩트

매출이익 6,000원 (30%) 600만원 사회적기업

- 위의 표와 같이 20일간의 전시 기간 동안 발생되는 이익

: 갤러리 500만원, 작가 100만원, 아트임팩트 100만원, 사회적기업 600만원

3-3. 목표 시장 분석

- STP분석

☞ 1차 타겟 : 25세 여성 (가치있는 상품 대한 강한 욕구가 있음)

2차 타겟 : 20대 중반 ~ 30대 중반의 여성 및 커플

3차 타겟 : 가족 단위의 문화활동

☞ 포지셔닝 : ART + Culture + Design + Shopping & Collaboration

Page 12: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1 -

- SWOT 분석

내부적

요 소

ㆍS trength (강점)

-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상 Limited Edition의 가치 부여 가능

- 팝업스토어(Pop-up Store) 개념의 팝업갤러리 (Pop-up Gallery) 가능

ㆍW eakness (약점)

- 패키지, 추가디자인, 로얄티 등에 의한 제품 가격 상승

- 제품과 작가의 철학 및 스토리가 일치하지 못하면 진행 불가능

외부적

요 소

ㆍO pportunity (기회)

- 다양한 문화활동에의 참여 니즈 높아지고 있음

-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ㆍT hreat (위험)

- 규모있는 기업들의 다양한 콜라보 시도

- 메르스등 경기위축으로 인한 오프라인 시장 위축

- 3C 전략

Page 13: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2 -

3-4. 고객 분석

- 수요계층 / 수혜계층 / 비용부담자

: 매출 증대가 필요한 사회적기업과, 추가수입이 필요한 작가와, 공간 활용을

고민하는 소유주 모두가 수요계층이자 수혜계층이자 비용부담자인 모델

- Platform에 속하는 사회적기업, 작가, 공간 소유주가 Shared Value에 의해

Needs 충족 가능

3-5. 경쟁사 벤치마킹 : 10 꼬르소꼬모 (10 CORSO COMO)

- 10 Corso Como 만의 철학과 스토리에 부합하는 제품을 셀렉하여 판매하는

편집매장 (밀라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국내에도 매장이 있음)

- ART와 Product의 Collaboration을 통한 복합 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이 유사함

- 아트임팩트만의 차별화 될 수 있는 핵심역량은 사회적기업-작가-공간소유주가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며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플래폼 비즈니스로

발전 가능

Page 14: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3 -

444 사업화 계획 사업화 계획 사업화 계획

4-1. 조직 및 자금 조달

- 사회적기업/작가/공간소유주를 연결시켜 Collaboration 활동을 가능케 하는

모델이므로 디자인, 제조, 판촉 등의 활동이 콜라보에 참여하는 업체를 통해

해결 가능함 => 1인 기업으로 창업하여 프로젝트 진행 계획

- 향후 Platform 비즈니스로 발전 시킬 경우 디자이너, 개발자 등의 인력 필요

- 초기 창업자금 조달 역시 사업의 특성상 본인인건비, 판관비 이외의 제품개발비

등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저비용 창업 가능

- 향후 새로운 시도를 위해 COEX, BEXCO 등의 페어를 참여하거나 해외 시장

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한 출장 등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원금

등의 예산을 확보할 경우 비즈니스 모델 발전 가능

4-2. 추진일정

Page 15: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4 -

4-3. 창업 추진 계획

- 초기 시장 진입 계획

1단계 아트임팩트 콜라보레이션 팀 구성 (사회적 기업 제품 및 참여 작가 섭외)

2단계

콜라보레이션 제품으로 갤러리 전시 및 프리마켓, 페어 등 참가

3단계

전시 공간 (갤러리, 카페, 문화공간, 지자체의 유휴공간 등) 섭외 후

콜라보레이션 제품과 작품을 이용한 미니 전시 진행 (기존 전시의 복제)

- 사업 확장 가능성 (Impact - Sharing Platform)

: 전시를 통한 경험과 데이터가 누적되면 사회적기업-작가-공간소유주 스스로가

콜라보를 희망하는 쪽으로 컨택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성하여 능동적으로

콜라보레이션이 일어나도록 하고 아트임팩트는 지원을 해주는 구조로 확장 가능

성공 공유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제품”-“작가”-“공간”의 공유 플랫폼 제공

Page 16: < 사 업 기 획 안 >wikiseoul.sehub.net/wp-content/uploads/sites/2/2015/08...1-2. 원인분석 : 적은 예산으로 인한 마케팅/차별화 부족 및 경험부족-원인은

- 15 -

555 기대효과 기대효과 기대효과

5-1. 사회적 효과

-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의한 우수하고 감각적인 디자인 제품으로 사회적기업 매출

향상 기대

- 사회적기업의 제품은 디자인성이 떨어진다는 이미지 탈피, 영세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

- 젊은 타겟층의 라이프 스타일에 유용하며 디자인성이 우수한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로 그동안 후원 개념으로 인식된 ‘착한 소비’, ‘윤리적 소비’의 인식

변화와 발전 가능

5-2. 경제적 효과

- 사회적기업이 이익을 내지 못하는 악순환을 콜라보레이션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디자인”요소에서부터 도움을 주면 매출 증가 → 이익률 증가 → 상품 예산 증가

→ 좋은 디자인의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