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의 모형

14
교교교교교 교교 2011. 05. 11 교교교교교 교교교 , 교교교 , 교교교 , 교교교

Upload: aderes

Post on 20-Jan-2016

21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교육평가의 모형. 2011. 05. 11 유아교육과 김희정 , 임소영 , 황성경 , 오선이. 목 차. 1. 목표달성 모형 1)Tyler 의 목표달성 모형 2)Hammond 의 평가 모형 2. 가치판단 모형 1) Scriven 의 탈목표 모형 2)Stake 의 종합 실상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1) Stufflebean 의 CIPP 모형 2) Alkin 의 CSE 모형. 1. 목표달성 모형.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교육평가의 모형

교육평가의 모형2011. 05. 11 유아교육과김희정 , 임소영 , 황성경 ,

오선이

Page 2: 교육평가의 모형

목 차

1. 목표달성 모형 1)Tyler 의 목표달성 모형 2)Hammond 의 평가 모형

2. 가치판단 모형 1)Scriven 의 탈목표 모형 2)Stake 의 종합 실상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1)Stufflebean 의 CIPP 모형 2)Alkin 의 CSE 모형

Page 3: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달성 모형목표달성 모형은 교육평가를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느냐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

Tyler‘ 목표달성

모형’

Ham-mond‘ 평가 모형’

Page 4: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달성 모형

1) Tyler 의 목표달성 모형- 교육 혹은 수업목표를 평가기준으로 하여 어떤

프로그램이나 수업이 종료된 후 교육목표가 달성된 정도를 확인하는 것 . ( = ‘ 행동목표 모형’ )

- 평가 → 설정된 행동적 목표와 학생의 실제 성취 수준을 비교하는 활동 . (‘ 목표의 이원분류’를 제안 .)

- Tyler 는 교육평가가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전체 과정과 관련된다고 보고 , 이 같은 맥락에서 교육평가의 역할과 기능을 규정하려고 함 .

Page 5: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달성 모형

< 교육평가의 절차 >① 교육목표 설정② 설정된 교육목표의 분류③ 분류된 교육목표를 행동적 용어로 정의④ 교육목표의 달성이 측정될 수 있는 평가 장면의

설정⑤ 측정방법과 도구의 개발 및 선정⑥ 측정방법 및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수집⑦ 결과 해석 및 행동목표와 학생의 성취자료 비교

* 특징 : 교육목표가 평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 비판점 - 의도하지 않은 부수적인 교육효과를 평가 할 수 없는 점 .- 교육 성과에만 주로 관심을 가지므로 본질적인 교육과정의 개선에는 한계 .- 기술적인 합리성만 강조하기 하기 때문에 교육의 정치ㆍ사회적 역할이 나 윤리ㆍ도덕적 역할과 같은 복합적인 측면을 평가 할 수 없다 .- 측정하기 어려운 경험 , 태도 , 감정 변화 등과 같은 점은 평가하기 어렵다 .

Page 6: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달성 모형2) Hammond 의 평가 모형- 목표를 명세적으로 진술하고 , 그 것을 기준으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찾는다는 점에서 목표달성에 속함 .- 교육목표의 달성 여부를 결정 & 교육활동의 성패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평가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함 .- 3 차원 입방체 ( 수업 , 기관 , 행동 ) 를 도안하여 개념화 . * 수업 : 조직 , 내용 , 방법 , 시설 , 비용 * 기관 : 학생 , 교사 , 관리자 , 교육전문가 , 학부모 , 지역사회 ( 으 ) 로 분류 * 행동 : 인지적 , 정의적 심동적

Tyler → 학업성취도만을 준거 변인으로 봄 Hammond → 세 차원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미리 설정한

목표를 준거로 평가한다 .

* 주된 목적 : 일선 교육청 혹은 학교에서 현재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의 수정ㆍ보안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있다 .

* 장점 : 교육효과를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평가 할 수 있다 .* 단점 : 평가할 변인이 많고 평가결과를 수령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 며 시간과 인력이 많이 요구된다 .

< 구체적 평가절차 > 변인선정 → 방법결정 → 결과분석 → 결과보고

Page 7: 교육평가의 모형

2. 가치판단 모형

- 전문가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평가대상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판단하는 활동

- 평가 그 자체가 얼마나 유리한가 혹은 좋은가라는 전문가의 판단에 주된 관심

∴ 평가 → 목표달성도를 확인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그 목표의 질은 물론 교육활동 전체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ㆍ판단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①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를 구별하면서 , 기존의 내재적 준거 위주에서 탈피하여 외재적 준거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함 .

② Scriven 은 평가자의 역할에 따라 평가의 기능을 형성평가 , 총합평가로 구분 .

③ 목표의 질에 관한 평가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 ‣‘ 목표 그 자체의 가치’를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

④ 탈목표 평가와 목표기준 평가 차이를 제안 .

<Scriven & Stake 제시한 판단모형의 특징 >

Page 8: 교육평가의 모형

2. 가치판단 모형1)Scriven 의 탈목표 모형- 프로그램이 의도 하였던 효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포함하여 실제 효과를 평가하는 방식

- 목표자체를 중시하지 않은 것은 아니라 미리 설정된 목표 외에 다른 유용한 기준도 반영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주장

- 미리 설정된 구체적인 목표에 의한 판단 X → 어떤 기준에 근거하여 판단을 내리느냐를 결정하는 것이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 ( 전문가로서 평가자의 역할 강조됨 )

- 프로그램의 효과를 목표달성 정도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부수 효과까지 포함하여 확인해야 하는데 , 이를 확인할 때 목표 대신 표적집단의 요구를 평가의 준거로 사용한다 . 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요구 근거 평가’라고도 부른다 .

Page 9: 교육평가의 모형

2. 가치판단 모형2)Stake의 종합 실상 모형-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주장하고 , 평가대상 교육과정에 대한

기술 및 판단을 강조하는 접근방법을 고안- 교사 : 전체적 평가 국면을 정확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제안한

것- 과학적인 방법으로 , 객관적 판단을 내리는 ‘공식적평가’만을 대상으로 함 .- 모든 평가는 ‘기술행위’와 ‘판단행위’의 과정을 거친다 . ‣ 충분히 관찰해서 기술 & 이를 바탕으로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

∴ 평가과정에서는 반드시 기술과 관련된 정보 & 판단과 관련된 정보가 동시에 수집되어야 한다 .

프로그램 사용자 : 판단적 평가를 원함 프로그램 평가자 : 기술적 평가를 선호 (⇒ 판단 회피 )- Stake – “판단이 제시되지 않은 평가는 평가라고 할 수 없고 , 평가자는

어떤 형태든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판단을 제사해야 할 책임이 있다 .”

Page 10: 교육평가의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교육평가 : 교육과 관련된 의사결정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촉진하는 활동 평가자가 목표달성 여부도 결정하고 판단도 하지만 ,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은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는데 있다 .

이 관점의 평가자는 교육현상의 가치에 대해 개인적인 평가를 하지 않는다 . 다만 평가자는 가치 결정자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제시해 주려는 입장이다 .

∴ 가치를 결정하는 사람은 의사결정자이지 평가자가 아니다

대표적 모형 Stufflebeam 등이 제안한 ‘ CIPP 모형’과 ‘ Alkin 의 CSE 모형’

Page 11: 교육평가의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1)Stufflebeam의 ‘CIPP 모형’- 교육평가의 1차적인 기능 : 교육에 관한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도와주는

관리적 기능- 평가? 의사결정의 대안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술하고 제공하는 과정 . (평가자 : 의사 결정자에게 충분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해 주는 정보관리자의

역할 )- CIPP평가 모형 : 네가지 유형으로 구성된 복합적 평가 모형

* C : 상황평가 (Context evaluation)* I : 투입평가 (Input evaluation)* P : 과정평가 (Process evaluation)* P : 산출평가 (Product evaluation)

∴ 즉 , ‘계획단계의 의사결정’ , ‘구조화 단계의 의사결정’ , ‘단계의 의사결정’ , ‘순환 의사결정’으로 구분함 .

내용

성격

관심

Page 12: 교육평가의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 - 목표를 선정하고 조성하는 계획 의사결정 → 상황평가 - 설정된 목표와 사정된 요구의 성취에 필요한 수단을 구체화 → 투입평가 - 프로그램의 설계대로 실천하기 위한 실행 의사결정 → 과정평가 - 특정 프로그램의 종료 및 지속 여부 등의 순환 의사결정 → 산출평가

* 상황평가는 교육목표를 결정하는 합리적 기초나 이유를 제공 . 즉 , 교육 상황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 무엇이 충족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가를 밝혀서 .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어야 할 일반 목표와 특별 목표를 확인한다

* 투입평가는 의사결정을 구조화하기 위한 평가 . 즉 , 평가에 사용되는 인적 자원 ,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 , 전략 실행을 위한 설계 등의 활용방법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한다

* 과정평가는 의사결정을 실행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평가 .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프로그램의 운영방법과 절차를 수정ㆍ보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운영상황을 검토한다

* 산출평가는 의사결정을 순환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평가 . 즉 , 프로그램이 끝나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평가로 , 그 효과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프로그램의 질과 사용자의 요구에 비추어 프로그램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한다

Page 13: 교육평가의 모형

3. 의사결정 모형2)Alkin 의 ‘ CSE 모형’- 평가 ? 의사결정자가 여러 대안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영역을 확인하고 ,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ㆍ수집ㆍ분석하여 그 정보를 의사결정자에게 보고하는 과정이다 .

- CSE 모형에서는 stufflebem 이 말한 상화평가를 체제사정평가와 프로그램계획평가로 나누고 , 과정평가를 프로그램 실행평가와 프로그램 개선평가로 구분하였다 . CSE 모형은 CIPP 모형과는 달리 평가절차를 체제사정평가 , 프로그램 계획평가 , 프로그램 실행평가 , 프로그램 개선평가 , 프로그램 승인평가로 나눈다 .

Page 14: 교육평가의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체제사정평가 : 특정상황에 적합하거나 필요한

교육목표를 선정하기 위해 교육목표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 프로그램 계획 평가 :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 프로그램 실행평가 : 프로그램이 실제로 계획하였던 대로 실천되고 있는 가에 관심을 기울이고 ,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 프로그램 개선평가 :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 직접 개입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 그것을 수정ㆍ보완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과정

* 프로그램 승인평가 : 의사결정자에게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채택 여부를 결정하도록 도움을 주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