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22
녹녹녹녹 녹녹녹녹녹 녹녹 녹녹 녹녹녹 (KIST 녹녹녹녹녹녹 ) 녹녹녹 (KIST 녹녹녹녹녹녹 ) 녹녹녹 ( 녹녹녹녹녹 녹녹녹녹 ) 2013. 6. 19.

Upload: hanbat-national-university

Post on 25-May-2015

36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성창모 (KIST 녹색기술센터 )

염성찬 (KIST 녹색기술센터 )

권기석 ( 경일대학교 경영학부 )

2013. 6. 19.

Page 2: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연구목적

• 국내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지표개발을 통해 국내 녹색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 향후 국제적으로 적용가능 한 녹색산업 경쟁력 지수 개발

•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의 하위 개념을 도출한 뒤 지수 산출에 필요한 지표 선정

* 선정한 지표는 전문가 AHP 평가를 통한 가중치를 산정하고 , 지수로 변환예정

• 지수산출의 목적은 기술별 경쟁력을 비교하여 , 국내 녹색기술에 대한 정책적 실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

• 기술별 지표‧지수 평가를 통해 강 , 약점을 파악하여 녹색산업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Page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연구대상

• ’10 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수립되면서 녹색성장 , 녹색산업 , 녹색기술의 개념은 규범적인 정의로 명문화 되었으나 , 이후에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활용 되고 있음

• 녹색성장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으로 정의

• 녹색기술은 “온실가스 감축기술 ,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 청정생산기술 , 청정에너지 기술 ,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 ( 관련 융합기술을 포함 ) 등 사회 · 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정의

• 녹색산업은 “경제 · 금융 · 건설 · 교통물류 · 농림수산 · 관광 등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 할 수 있는 재화의 생산 및 서비스의 제공 등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모든 산업”으로 정의

Page 4: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연구대상

• 한편 , 녹색산업 기술의 학술적 정의는 다음과 같음

•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 ('08.8) 제시 이후 녹색산업 기술에 대한 정의는 주로 녹색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따른 성과 측정을 위해 활발하게 수행되기 시작 ( 이찬우 ,

2011; 정기철 a, 2011,; 정기철 b, 2011; 통계청 , 2011; 행정안전부 , 2011;

강희찬 외 , 2010; 김종호 외 , 2010; 명수정‧강민수 , 2010; 임기철 , 2009)

• 다양한 연구가 있었던 만큼 , 다양한 녹색성장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 되어 왔지만 ,

녹색성장과 녹색산업 , 녹색기술에 대한 명확한 연구기준은 정하지 않고 있으며 ,

정책적인 정의를 바탕으로 개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활용하고 있음

• 이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녹색산업과 녹색기술에 대한 정부의 집중투자가 양적인 확대 뿐 만 아니라 , 기존의 산업기술들과 차별성을 얼마나 가지고 질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기 위한 경쟁력 측정에 관한 연구가 대다수 임

Page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연구대상•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정책의 최상위 기조는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탈동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추구이며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은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임

•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들은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로 인한 국가 원천기술 확보와 고용창출 ,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려는 거시적 목적과 연계 하고 있음• 전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측정을 위한 개념적 정의를

국가가 녹색산업 기술 분야의 혁신 및 개선을 통해 최종단계에서 경제적‧사회적으로 가치가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함

• 이러한 정의는 정부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양적인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확대 확대 목표를 달성한 현 시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 정부의 성과 및 효과분석을 위한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측정 지표 개발하여 적용하기 위함임

• 그리고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 평가지표를 위한 대상기술을 정부의 정책적‧당위적 측면을 고려하여 녹색산업 기술 중 27 대 중점녹색기술을 바탕으로 지수‧지표를 적용하고자 함

Page 6: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연구대상<27 대 중점육성기술 >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개발 기술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6.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 핵주기

시스템 개발 기술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기술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14. 지능형 교통 , 물류 기술

15. 생태공간 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16.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17. 환경부하 및 에너지 소비 예측을 고려한

Green Process 기술

18. 조명용 LED ‧ 그린 IT 기술

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20. 고효율 2 차 전지기술

21. CO2 포집 , 저장 , 처리기술

22. Non-CO2 ( 이산화탄소제외 온실가스 ) 처리기술

23. 수계수질평가 및 관리기술

24. 대체수자원 확보기술

25. 폐기물 저감 , 재활용 , 에너지화 기술

26.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27. 가상현실 기술

Page 7: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 (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 네오에코즈 , 발표자료

Page 8: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1. 서 론 – 녹색산업 국내시장 동향

출처 : 김갑철 (2010), 녹색기술산업 진출 유망분야 시장 및 정책동향 , 네오에코즈 , 발표자료

Page 9: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2. 경쟁력 분석을 위한 연구의 틀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을 국가혁신체제의 기본 틀에 기초하여 , 투입 ,

활동 , 성과에 이르는 녹색산업 기술의 전주기적 활동을 포괄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지수화하여 도출하고자 함

• 1990 년대 이후 OECD 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어 온 국가혁신체제 (National Innova-

tion System) 는 크게 5 대 부문 ( 자원 , 활동 ,

과정 , 환경 , 성과 ) 으로 재구성될 수 있으며 ,

이에 대한 평가모형은 IMD, WEF, OECD

등에서 국가경쟁력 조사 , 지표개발 연구수행 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

• 국내에서는 학계 및 출연연 등에서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 국가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 혁신체계 구축 , 미래 혁신체계 구축 연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녹색산업기술경쟁력 지수‧지표 적용 NIS 기본 틀

Page 10: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NIS 의 개념적 접근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측정 범주를 5 대 부문으로 구분

• 세부 분야의 구분은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의 취합 및 활용이 용이한 12 개의 개념으로 구분하였으며 . 37 개의 후보지표들 중 중복지표들을 제외하고 29 개의 세부지표로 압축

• NIS 의 기본개념 활용은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표 측정 과정의 투입과정부터 산출과정까지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바라는 결과를 산출했는지를 보여주는 논리 (logic) 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짐

Page 11: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자원지표 (Resources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 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원에 대한 현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적자원 , 조직 , 지식자원으로 구성

- 녹색산업 기술을 수행하는 연구주체로서 인적자원과 조직현황 , 그리고 현재 까지의 연구활동의 결과가 축적된 정도를 의미하는 논문과 특허의 Knowledge Stock 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 임

• 활동지표 (Activities Indicator)

- 활동지표는 국내 녹색산업 기술개발 활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 그 의지 및 수준이 얼마나 높은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임

- 활동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물적자원의 규모와 배분 정도로 측정가능하며 ,

연구개발 투자의 활성화 정도 및 현재 창출 된 기술별 기술수준을 지표화 함

Page 12: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 네트워크지표 (Network Indicator) - 네트워크 지표는 녹색산업 기술개발 과정이 얼마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의 흐름과 기술확산 , 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산‧학‧연 협력 정도와 기업간 협력정도로 분석

• 환경지표 (Environment Indicator) - 녹색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한 여건을 파악하기 위한 환경지표는 기술개발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역할 및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이다 . 녹색산업 기술 개발을 활성화 시키고 성과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성과지표 (Performance Indicator) - 성과창출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과 주어진 환경 , 활동 주체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녹색산업

기술 개발활동으로부터 얼마나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임 - 녹색산업 기술의 성과에 대한 측정은 경제적인 성과 , 환경적인 성과 , 지식창출 정도로

측정하며 , 개발된 기술이 가져올 시장전망이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잠재적인 경제적‧환경적 능력과 논문특허 등의 직접적인 산출결과로 측정한다 .

Page 1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3.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지표체계 도출•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세부지표 및 자료원

상위 수준 분야구분 세부지표 자료원

자원

1. 인적자원1-1. 녹색기술별 R&D 참여 연구원 수 GTC

1-2. 기술별 고급 인력양성 지원 수 GTC,

2. 조직

2-1. 녹색기술별 R&D 참여 대학 수 GTC

2-2. 녹색기술별 R&D 참여 기업 수 GTC

2-3. 녹색기술별 R&D 참여 출연연 수 GTC

3. 지식자원

3-1. 타 기술과의 차별성‧혁신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 설문조사

3-2. 기술별 정부 연구투자에 따른 사업화 성공가능성 설문조사

3-3. 기술별 2 년간 SCI 논문수 (STOCK) GTC

3-4. 기술별 2 년간 국내외 특허수 (STOCK) GTC

활동4. 연구개발투자

4-1. 기술별 R&D 투자금액 GTC

4-2. ( 전체 ) 녹색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4-3. ( 전체 ) 국가 R&D 투자대비 기술별 투자금액 GTC

5. 연구개발수준 5-1. 기술별 기술수준 설문조사

네트워크

6. 산‧학‧연 협력

6-1. 기술별 산‧학‧연 공동 연구 건수 GT

6-2. 정부연구개발비투자 대비 기술별 매칭비 비중 GTC

6-3. 기술별 산‧학‧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7. 기업간 협력7-1. 기술별 산‧산 공동 연구 건수 GTC

7-2. 기술별 산‧산 공동 특허 출원‧등록 건수 GTC

환경

8. 제도적 지원 8-1. 기술별 녹색인증 기술 수 KIAT

9. 정책적 지원9-1. 정부 정책과의 부합성 설문조사

9-2. 부처 추진 우선순위 설문조사

성과

10. 경제적성과

10-1. 기술별 투자대비 부가가치 창출 인식도 설문조사

10-2. 기술별 중장기 시장전망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

10-3. 기술별 사업화 건수 GTC

11. 환경적성과

11-1.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개선 효과에 대한 기여도

11-2.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너지 절약에 대한 기여도

11-3. 기후변화 완화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기여도

설문조사

12. 지식창출12-1. 기술별 특허등록 건수 (2011 년 ) GTC

12-2. 기술별 SCI 논문건수 (2011 년 ) GTC

Page 14: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의 적용

- 지수 산출에 앞서 평가지표들의 상대적 중요성 측정하기 위해서 전문가 대상으로 AHP

설문방법을 통하여 각 평가요인별 지표의 우선순위와 가중치 도출

- AHP 설문은 5 개 부문과 12 개 부분의 범주를 평가요소로 구성하였고 선정한 평가 요소들에 대하여 AHP( 계층적 의사결정 ) 기법에 의거하여 이원비교 방식으로 설문지 작성

- AHP 는 오늘날 다목적 , 다속성 의사결정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분석기법 중의 하나로 1970 년대 초반 Saaty 에 의해서 개발되었음

-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 (또는 이원비교 , Pairwise

Comparison) 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방법론으로 , 이론의 단순성 및 명확성 , 적용의 간편성 및 범용성 이라는 특징을 가짐

Page 1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 AHP 기법을 활용 가중치 산출 결과

- 상위수준과 중위수준에 대한 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연구개발투자 (0.196), 경제적 성과(0.192), 기술수준 (0.167), 환경적 성과 (0.147), 지식창출 (0.057), 산 · 학· 연 협력 (0.052), 지식자원 (0.048),

인적자원 (0.040), 정책적 지원 (0.034),

제도적 지원 (0.028), 조직 (0.022),

기업간 협력 (0.018) 순으로 평가 됨

<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종합분석 결과 >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지표 가중치

자원

가 . 인적자원

0.110

0.040

나 . 조직 0.022

다 . 지식자원 0.048

활동가 . 연구개발투자

0.3630.196

나 .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가 .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 기업간 협력 0.018

환경가 .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 환경적 성과 0.147

다 .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Page 16: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4. 지수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출< 녹색산업기술경쟁력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결과 >

영역 지표 영역간

가중치지표 가중치

자원

가 . 인적자원

0.110

0.040

나 . 조직 0.022

다 . 지식자원 0.048

활동가 . 연구개발투자

0.3630.196

나 . 기술수준 0.167

네트워크가 . 산학연 협력

0.069 0.052

나 . 기업간 협력 0.018

환경가 . 제도적 지원

0.063 0.028

나 . 정책적 지원 0.034

성과 영역

가 . 경제적 성과

0.395 

0.192

나 . 환경적 성과 0.147

다 . 지식창출 0.057

가중치 합계 1.000 1.000

Page 17: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 ( 지수산출방식 )

• Z-Score 평가

- 평가지표의 실적치에 대하여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평균 ( ) 과 표준편차 (S) 를 산출하여 지표별 실적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

- 당해 피평가기관의 과거 실적치와 현재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 를 산출하는 방법과 당해 연도 비교대상기관을 포함한 전체 피평가기관의 실적치를 대상으로 Z-score 를 산출하는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실적치 자료가 30 개를 상회하는 경우에 정규분포를 상정함 . 이를 위해서 먼저 지표별 표준점수 (Z-Score) 를 산정하고 , 이 점수에 해당하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값을 지표별 득점으로 부여

Page 18: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 (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녹색산업 전체 기술경쟁력지수 (GTPIS)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5 점의 수치를 보이며 , 전력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0.60 점으로 1 위를 차지하였고 ,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70.49 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평균이상 기술 평균이하 기술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GreenProcess 기술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고효율 2 차 전지 기술

CO2 포집 , 저장 , 처리 기술

폐기물저감 , 재활용 , 에너지화 기술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Non-CO2 처리 기술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가상현실 기술

Page 19: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 (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 표 > 기술별 녹색산업 기술 경쟁력 지수 (GTPI) 종합 순위

No 기술명 종합지수 기술별 Rank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73.44 19

[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74.28 15

[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76.68 8

[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76.09 10

[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74.23 16

[6] 개량형 경수로설계 및 건설 기술 73.42 20

[7]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 72.63 23

[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73.09 21

[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72.57 24

[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77.31 5

[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 기술 75.06 13

[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72.75 22

[13] 고효율 저공해 차량 기술 79.95 2

[14] 지능형 교통‧물류 기술 76.78 7

[15] 생태공간조성 및 도시재생 기술 73.44 18

[16] 친환경저에너지건축 기술 75.12 12

[17] GreenProcess 기술 79.25 3

[18] 조명용 LED 그린 IT 기술  77.25 6

[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 80.60 1

[20] 고효율 2 차 전지 기술 75.77 11

[21] CO2 포집 , 저장 , 처리 기술 76.18 9

[22] Non-CO2 처리 기술 72.51 25

[23] 수계수질 평가 및 관리 기술 71.95 26

[24] 대체수자원확보 기술 74.31 14

[25] 폐기물저감 , 재활용 , 에너지화 기술 77.53 4

[26]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 70.49 27

[27] 가상현실 기술 73.60 17

종합 75.05 -

Page 20: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5.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산출 결과 ( 녹색산업 기술경쟁력지수 종합결과 )

* Z-Score 변환 및 AHP 가중치 적용•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부문별 지수 (GTPIS) 측정결과

- 자원지수 : 자원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5.00 점의 수치를 보이며 , Green Process

기술이 가장 높은 84.79 점으로 1 위를 차지하였고 , Non-CO2 처리 기술이 70.44 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활동지수 : 활동 부문에서 경쟁력 지수는 평균 75.00 점의 수치를 보이며 ,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82.26 점으로 1 위를 차지하였고 , Non-CO2 처리 기술이 71.45 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

- 네트워크지수 : 네트워크 부문의 지수 평균은 76.09 점이며 , Green Process 기술이 가장 높은 87.42

점으로 1 위를 차지하였고 , 친환경 핵비확산성 고속로 및 순환핵주기 시스템 기술이 71.30 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보임

- 환경지수 : 환경부문의 경쟁력 지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73.38 점으로 확인 되었으며 , 폐기물저감 , 재활용 ,

모니터링 기술이 85.52 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가상현실 기술이 61.43

점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성과지수 : 국내 녹색산업 기술별 경쟁력의 성과부문을 분석한 결과 평균 75.19 점의 수치를 보이며 ,

고효율저공해 차량기술이 81.22 점으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 유해성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67.76 점으로 가장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Page 21: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6.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에서 우리는 녹색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 이를 위해 먼저 국가혁신체제의 관점에서 자원 , 활동 , 과정 , 환경 , 성과의 다섯 가지 관점에서 29 개의 측정지표를 선정하였음

• 다음으로 이러한 지표의 범주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였음

• 그 결과 연구개발 투자 , 경제적 성과 , 기술 수준 등의 순서로 순위가 도출되었으며 ,

이를 바탕으로 녹색산업 기술별로 경쟁력 지수를 분석하였음

• 결과에 따르면 , “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향상 기술”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반면 , “유해성물질모니터링 및 환경정화 기술”이 가장 낮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Page 22: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참고문헌• 강희찬 외 (2010) 녹색생활혁명 : 기후변화 대응의 신 해법 . 삼성경제연구소 . GEI in-

formation. 제 768 호 .

• 김종호 외 (2010) 녹색성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녹생성장연구 .

2010-02. KEI.

• 명수정 , 강민수 (2010) 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 정책보고서 2010-03. KEI.

• 이찬우 (2011) 녹색경영과 녹색경영 평가지표의 이해 . INEPA 녹색경영추진본부 2011 년 지역순회교육 (2011.01.27~2.25).

• 임기철 외 (2009) 지역 녹색혁신역량 지수의 개발과 시사점 . 정책자료 2009-02. STEPI.

• 정기철 외 (2011a) 글로벌 녹색혁신역량 평가 및 활성화 전략 .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11-02-03. STEPI.

• 정기철 외 (2011b) 녹색혁신지수를 활용한 녹색기술 유형별 혁신전략 . STEPI insight 제65 호 .

• 통계청 (2011) 2011 녹색성장지표 작성결과 . 보도자료 2011.11.24.

• 행정안전부 (2011) 지역 녹색경쟁력 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