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철학가철성 1~25

26

Upload: -

Post on 01-Jul-2015

533 views

Category:

Education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보철학가철성 1~25
Page 2: 보철학가철성 1~25

국소의치

Page 3: 보철학가철성 1~25

1. 국소의치의 개요국소의치 정의

치열궁에서 일부 상실된 치아나 결손된 조직이 있는 환자에게 이를 수복하기 위한철거 , 장착이 가능한 보철물

잔존 구강을 건강한 상태로 보존하고 저작 , 발음 등 심미성의 회복에 있다 .

상 , 하악의 1 치 상실부터 1 치 잔존까지 다양한 상실에 대해 적용되는 가철성 의치

국소의치 제작 시 고려사항• 지지부 , 보상부 , 연결부에 대한 정적 , 동적 관계에서 잔존치와 구강점막보호에 기여해야 한다 .• 특정적 외모가 형태 , 색 , 조화 등에서 부정적으로 바뀌어서 안된

다 . 보철 장착 시 심미적이어야 한다 .• 경구개 , 상하악 설측의 장애 - 발음에 장애가 없어야 한다 .• 구조물 사이와 점막등에 위생적이어야 한다 .

Page 4: 보철학가철성 1~25

지대축조의 장점

1. 대부분 증례에 적용 가능하다 .2. 기능압의 일부를 점막에 분산 – 잔존치의 부담 최소화 .3. 잔존치의 삭제가 적다 .4. 착탈이 자유로와 소독과 수리가 용이하다 .

적응증1. 치아 결손부가 너무 커서 교의치로 수복이 어려운 경우 .2. 교의치 장착 후 치조제 흡수가 심한 경우와 치주질환으로 점막에서 지지를 얻어야 하는 경우 .3. 치아 결손부 후방에 지대치가 없는 경우 .4. 치조골 결손으로 입술과 볼의 정상적인 안모회복이 어려운 경우 .5. 치수가 크고 짧은 치관으로 교의치가 불가능 한 경우 .6. 고령으로 전신적 건강이 나쁜 경우7. 치아 삭제를 기피하는 경우와 경제적 이유로 환자의 요구 시

Page 5: 보철학가철성 1~25

국소의치의 이론적 근거지지 (Support)기능치주조직에 미치는 수직력의 전달에 대한 저항으로 지지력을 받는 부위는 잔존 지대치와 결손부 유리단 부 이다 . - 국소의치가 하중을 받으며 회전을 하는데 회전 축이 Fulcrum lin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잔존치에 레스트 등 간접유지장치 형성

F 교합력을 받을 때 A 지점에 Rest 를 둔다 .

유지기능유도기능 경사방지기능 (안정 )

지지기능

Fulcrum line 과 간접유지장치간접유지장치 : 회전축에서 수직방향으로 먼 위치

Page 6: 보철학가철성 1~25

유지 (Retention) 기능 =지대장치

교합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탈락에 저항하는 기능으로 - 잔존 지대치 , 구강점막 ( 흡착력 , 음압 ) - 지대치 재 형성 , 상악 구개 후연폐쇄

Aker’s Clasp

Embrasure Clasp

구개후연 폐쇄를 위한 Bead line 형성

Page 7: 보철학가철성 1~25

유도 (Guidance) 기능

국소의치 장착시 지대치나 잔존 유리단에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기능- 이때 외상이 없어야 지대치와 점막에 균일하게 하중 전달

RPI Clasp

경사방지 (Prevention of tilting movement) 기능

국소의치가 제 위치에서 탈락하거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안정의 기능

Page 8: 보철학가철성 1~25

문 54) 국소의치와 비교한 가공의치 (bridge) 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① 대부분의 증례에 적용가능하다 . ② 잔존치의 삭제가 적다 . ③ 청소와 수리가 용이하다 . ④ 비용이 적게든다 . ⑤ 저작능력이

우수하다 . 문 55) 가공의치 (bridge) 와 비교한 국소의치의 장점은 ?

① 가 , 나 , 다 ② 가 , 다 ③ 나 , 라 ④ 라 ⑤ 가 , 나 , 다 , 라

가 . 잔존치의 삭제가 적다 나 . 교합압의 일부를 점막이 부담함으로써 잔존치의 부담이 적다 .다 . 착탈이 자유로워 의치의 청소와 수리가 용이하다 .라 . 외형이 작아 장착감 및 심미성이 좋고 저작능력도 우수하다 .

문 56) 상 , 하악의 1 치 상실부터 1 치 잔존까지 다양한 상실에 대해 적용되는

가철성 의치로 옳은 것은 ? ① 국소의치 ② 금관 ③ 가공의치 ④ 심미보철 ⑤ 총의치

Page 9: 보철학가철성 1~25

국소 무치악을 4 가지 주형태로 분류하고그 외의 치아 결손 부위를 Modification space 로 간주한다 .

Class Ⅰ: 치아의 결손부가 양측성으로 잔존 자연치아의 최후방에 위치

Class Ⅱ: 치아의 결손부가 편측성으로 잔존 자연치아의 최후방에 위치

2. 국소의치의 분류

Class Ⅲ: 치아결손부위의 전 , 후방에 잔존 치아가 위치

Class Ⅳ: 정중선을 중심으로 생긴 결손부 후방으로 자연치가 존재 .

Page 10: 보철학가철성 1~25

Applegate( 세칙 ) : mod.1 Class Ⅳ 악에서는 modification 이 없다 . ( 만악 결손부가 생기면 이 결손부에 의해서 Class 가 결정되기 때문 )

mod.2 Class 를 변경시킬 수 있는 치아는 발치 후 Class 에 적용한다 .

mod.3 제 2 대구치가 결손되고 회복시켜주지 않을 때 Class 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Mod.4 3 대구치가 잔존하더라도 지대치로 사용할 때만 Class 에 포함 시킨다 .

Mod.5 2 대구치가 상하악 같은 쪽이 동시에 결손 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지 않으면 Class 에 포함 시키지 않는다 .

Mod.6 같은 악에 결손 부위가 여러 개 있을 때 최후방결손부위로 Class 를 결정한다 .

Mod.7 Class 를 결정하고 남은 다른 결손부위는 modification 으로 표시하고 그 수만 기록한다 .

Mod.8 결손부위의 크기는 관여하지 않고 다만 그 수만 기록한다 .

Page 11: 보철학가철성 1~25

Class Ⅰ Class Ⅰ, mod 1 Class Ⅱ , mod 1

Class Ⅱ , mod 4 Class Ⅲ Class Ⅲ, mod2 Class Ⅲ, mod1

Class Ⅳ

Page 12: 보철학가철성 1~25

문 57) 편측성 결손으로 전후에 잔존치아가 있는 편측성 중간결손은 Kennedy 분류 중 몇급에 속하는가 ?

① Ⅰ 급 ② Ⅱ급 ③ Ⅲ급 ④ Ⅳ급 ⑤ Ⅴ급

문 58) Kennedy 분류에서 우측대구치 (6,7,8) 결손과 좌측소구치(4,5) 결손이 있는 경우는 ?

① Ⅰ 급 2 류 ② Ⅱ급 1 류 ③ Ⅲ급 2 류 ④ Ⅳ급 1 류 ⑤ Ⅴ급

문 59) 케네디의 분류에 따르면 다음 그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

1) 1 급 1 류 2) 4 급 2 류 3) 2 급 2 류 4) 3 급 1 류 5 ) 1 급 2류

Page 13: 보철학가철성 1~25

지지 유형에 따른 PD 분류

치아-점막 지지 국소의치

치아 지지 국소의치

결손부 후방에 지대치가 없는 경우를 후방연장 국소의치라 하는데 교합압을 지대치와 무치악 치조제 점막에서 얻는 국소의치 . 반드시 기능인상 채득 “예” Class Ⅰ, Ⅱ

교합압이 결손부 조직에 가해지지 않고 결손부 양측 지대치에만 전달되는 국소의치 . “예” Class Ⅲ

Page 14: 보철학가철성 1~25

치아 지지 국소의치 치아 - 점막 지지 국소의치

Class Class Ⅲ 처럼 교합력이 결손부 전 , 후의 지대치에 전달

Class Ⅰ, Ⅱ 결손부 후방에 지대치가 없는 경우

지지방법 치아 치아와 점막

기능인상 불필요 필요

의치상 금속의치상으로 할 수 있다 . 레진의치상으로 할 수 있다 .

간접유지장치 불필요 필요

직접유지장치 Cast circumferential & bar type clasp

Cast bar type clasp, wrought wire clasp, combination clasp

Page 15: 보철학가철성 1~25

즉시의치 : 발치 전 제작하여 발치 당일 장착해주는 임시의치이다

치료의치 : 치주 치료나 교합수정 , 점막조정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임시의치이다 .

이행의치 : 치아의 추가상실시 또는 조직의 변화에 대하여 추가로 대치 할 것을 예상하여 제작한 임시의치이다 .

Page 16: 보철학가철성 1~25

임시국소의치인 Flipper

Page 17: 보철학가철성 1~25

문 60) 발치에 앞서 의치를 제작해 두고 발치 직후에 장착하는 의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치료의치 ② 본의치 ③ 즉시의치 ④ 이행의치 ⑤ 피개의치

문 61) 가까운 장래에 잔존치아를 발치하고 다수의 결손의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로의 개조를 예정하고 제작하는 의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치료의치 ② 본의치 ③ 즉시의치 ④ 이행의치 ⑤ 피개의치

문 62) 즉시의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발치 후를 추정해서 의치를 제작한다 ② 의치제작 중에 장착한다 ③ 발치 1 주일 후 장착한다 . ④ 보철물이 완성 될 때 까지 심미성이나ㅜ교합 장애를 피하기 위해 사용 ⑤ 환자가 사용하던 의치를 개조하여 쓰기도 한다 .

Page 18: 보철학가철성 1~25

3. 국소의치의 구성

A,B,C : 주연결장치 D : 부연결장치 E : 교합면 레스트F : 직접 유지장치H : 의치상 G : 간접유지장치I : 인공치 J : Finish line

Page 19: 보철학가철성 1~25

주연결장치 (major connector)

한쪽의 악궁과 반대쪽 악궁을 연결해 주는 국소의치의 단위 - 따라서 충분히 견고해야 한다

주연결장치의 위치 설정 시 고려사항* 가동성 있는 조직을 피한다 .* 치은 조직에 위해가 없어야 한다 .* 착탈 시 골이나 연조직의 돌출부를 피한다 .* 수술 불가능한 Torus 나 융기된 구개봉합선은 접촉을 피하며 하부에 relief 한다 .* 후방연장 국소의치 퍼럼 기능 시 회전되는 부분에 relief 한다 .* 환자가 편안해야 한다 .

Page 20: 보철학가철성 1~25

상악 주연결장치의 종류

1. 치아지지 PD 에 많이 사용2. Strap 전후방 연은 정중구개선과 수직3. 현재 임시국소의치로만 많이 사용

1. 견고성 결여2. 제한적 사용 – 구개측 Torus, 전치부 수복 시 사용3. 단점 – 지대치에 무리

Page 21: 보철학가철성 1~25

1. 잔존치로 직접유지가 곤란한 경우2. 구치부 , 전치부에 결손된 class 23. 금속 주조체로 피개 – 열전도성 좋으나 혀의 편안함4. 음압으로 유지력 증대

1. 전치부 수복이나 약한 전치를 지지2. 대부분의 상악 PD 에 사용

Page 22: 보철학가철성 1~25

하악 주연결장치의 종류

1. 치은 조직 하방으로 4mm 이상 떨어져2. 대부분의 하악 PD 에 사용

Page 23: 보철학가철성 1~25

1. Lingual bar 와 형태 동일하지만 bar 의 위치가 하후방에 위치2. 치은퇴축이나 구강저가 낮은 lingual

bar 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Page 24: 보철학가철성 1~25

1. 하방 Lingual bar 가 존재하고 치아설면 1/3 이하 까지 덮는 Apron 형태

2.

Page 25: 보철학가철성 1~25

부연결장치

• 연결기능 - 의치의 각 부분을 연결한다 .•Prosthesis to abutment function - 의치에 오는 기능압을 지대치에 전달한다•Abutment to prosthesis function - 지대치에 오는 기능압을 다른 의치 요소에 전달한다 .

Page 26: 보철학가철성 1~25

레스트 및 레스트 시트

• 교합압을 지대치 장축으로 전달하여 분산•국소의치의 수평적 지지 , 즉 안정에 기여•국소의치의 수직적 지지를 부여하여 의치의 침하를 방지

치아지지 국소의치 : 심미적인 기능과 인공치를 부착하는 기능치아 - 점막지지 국소의치 : 잔존치조제가 기능압을 수용하기 때문에 심미성및 기능성이 요구됨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와 하부구조의 조직학적 상태 ,정확한 인상에서 완벽한 국소의치의 지지가 이루어 짐 . 레진의치상이 안착되는 금속구조물을 Saddle 이라고 하는데 격자 (lattice) 형 , 그물(mesh) 형 , bead 혹은 nail head 형의치상 재료•금속의치상 : 조직과의 적합성 , 내구성 ( 내부응력이 없다 )•금속의치상 : 구강조직과의 적합성 , 밀도가 커 침착물 ( 석회질 , 점착성 ) 축적이 잘 않됨 .•금속의치상 : 열전도성이 좋다 . 두께가 얇아 이물질을 적게 느낌 .•무게와 부피감 : 금속 의치상은 무게는 있지만 두께가 얇아 이물감을 덜 느끼고 , 레진 의치상은 무게가 덜 나가기 때문에 상악에 유리 .

의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