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13
제 10 제 제제제제제 II: 제제제제 1. 제제제 제제 제제 : 제제제제 제제 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제 , 제제제제제제 제제제 제제제제 2 제 제제제 제제 . 제제제제 제 . * 제제 : 제제제제 제제제 . 30 제 제제 * 제제제 : 1 제제제제 2 제제제 . 제제 제제 . * 제제 : 제제제제 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 * 제제제 제제 :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 제제제 제제제 제제제제

Upload: elvina

Post on 09-Jan-2016

80 views

Category:

Documents


9 download

DESCRIPTION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정의 : 의미있는 어떤 것을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 상호작용하고 있다고 의식하는 2 인 이상의 모임 . 추상적인 것 . * 크기 : 대집단과 소집단 . 30 명 기준 * 친밀성 : 1 차집단과 2 차집단 . 우리 느낌 . * 기능 : 과제지향 집단과 사회정서적 집단 * 구성원 요건 : 성취집단과 귀속집단 . 멤버쉽 집단과 준거집단. 2. 집단 영향 (1) 집단과 성과의 관계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1. 집단의 유형 정의 : 의미있는 어떤 것을 공통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

상호작용하고 있다고 의식하는 2 인 이상의 모임 . 추상적인 것 .

* 크기 : 대집단과 소집단 . 30 명 기준 * 친밀성 : 1 차집단과 2 차집단 . 우리 느낌 . * 기능 : 과제지향 집단과 사회정서적 집단 * 구성원 요건 : 성취집단과 귀속집단 . 멤버쉽 집단과 준거집단

Page 2: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Page 3: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Page 4: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2. 집단 영향 (1) 집단과 성과의 관계1) 사회적 촉진 (Social facilitation)

- 원래의 의미 : 다른 사람이 단순히 존재하는 것 때문에 수행이 향상- Triplett (1898) -- 낚시줄 감기 실험 - 동물들에게서도 발견 -- 바퀴 벌레 달리기 실험 - 반대 결과 발견 (social inhibition) -- 다른 사람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려운 과제의 경우 수행 저하

통합 -- Zajonc (1965) 의 해결 : 타인의 존재 --> 생리적 흥분 (arousal) --> 주반응 (dominant response) 촉진 예 ) 홈팀 효과 : 미 월드시리즈에서 1-2 번째는 홈 승률 .602, 마지막 경기는 .408, 7 번째 경기는 .385 NBA, 1-4 경기 .701, 마지막 경기 .463, 7 번째 .385

Page 5: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2) 사회적 나태 (social loafing)

: 혼자 일할 때에 비해 집단 속에서 일할 때 개인적 노력의 감소 현상 예 ) 집단 (2 인 , 6 인 ) 속에서 소리지르기 실험

: 개인 신분확인 대 비확인 .

- 설명 : 책임감 분산 , 몰아

Page 6: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Page 7: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2) 몰아 (Deindividuation)

- 혼자 있으면 하지 않을 비이성적 / 반사회적 행동들이 집단 ( 군중 ) 속에 있으면 가능 - 개인의 책임감이 느슨해지면서 개인의 정체성이 약해지고 집단 정체성이 부각 Mann (1981) -- 자살을 부추기는 집단 (Bating crowd) - 몰아 유발 요인들 * 집단의 크기 * 익명성 : 유니폼의 효과 , 자신의 정체가 불분명할수록 더 공격적 (Zimbardo, 1969) * 알콜

Page 8: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3) 동조 (Conformity) : 집단의 압력에 의해 신념이나 행동이 변화하는 현상

- 동조에 대한 고전적 실험 2 가지 1) Sherif 의 규범 형성 실험 (1935) 자동운동 현상 이용 (the autokinetic phenomenon) 불확실하고 애매한 상황에서 타인의 판단을 준거로 삼음

2) Asch 의 동조 연구 (1955) * Sherif 의 실험보다 더 분명한 지각적 과제 : 선분 길이 판단

- 장기적 태도 ( 동조 ) 변화 : Newcomb's Bennington 여자 대학 연구 4 년 동안 Bennington 대학생 600 명 연구 교수는 대부분 젊은 급진파 , 신입생들은 대부분 보수적 ( 공화당 ) 부유층 출신 . 결과 : 상급생으로 갈수록 급진적이 됨 . 결혼 후는 남편의 성향을 따르는 경향.

Page 9: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동조의 이유 a. 규범적 영향 * 집단으로부터의 승인 욕구 & 따돌림에 (혹은 처벌 ) 대한 두려움 , 소속 욕구 * 집단의 응집력이 강할수록 & 집단에서 성공하려는 동기가 강할 수록 심함 * 일탈자 (deviant)를 색출 , 설득 , 그리고 퇴출시키는 과정이 어느 집단에나 존재

b. 정보적 영향 애매한 상황에서 "정확한 판단 "을 하기 위한 동기에서 비롯 애매하지만 정확한 답이 있을 것이라고 믿을 때 (intellective task) * 예 ) 양식을 먹을 때 나이프와 포크 사용법 cf) 순종 (compliance)

Page 10: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4) 집단의 합리성 1) 모험성 추구 또는 집단 극화 현상 :

집단결정이 모험적이거나 극단에 치우치는 현상 .

- 친숙성과 탈억제로 설명 .

Page 11: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2) 집단사고

  : 외견상 전문가 집단들이 비합리적이고 무비판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향

  : 집단 내 합의나 만장일치의 특징

: 응집성 (“ 단합” ) 이 높은 집단이 엉터리 결정

또는 성과가 더 낮은 결과를 할 가능성

Page 12: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5) 공황 (panic)

: 전통적 설명 - 정서적 흥분 , 군중 내의 정서적 감염 , 피암시성 (“ 최면성” ) (LeBon, 1896) : 현대 설명 1. (Mintz, 1951) - 상황의 보상구조가 결정 요인 유리병에서 원추 빼내기 실험 - 여러 조건 사용 ( 예 : 물이 차는 상황 , 무보상 대 보상 조건 )

현대 설명 2: 죄수 딜레마 게임으로 설명

Page 13: 제  10  강  사회심리학  II:  집단과정 집단의 유형

(6) 지도력   : 위인이론 대 상황이론 : 지도력 스타일 : 민주 , 자유방임 , 권위 ( 지시 ) 적 스타일 . 성과의 질적 측면은 민주 , 양은 권위 .    : 결론 - 수반성 이론 (Fiedler 1971). 약간 비우호적 조건에서는 친절하고 비지시적 지도자가 효율적이고 , 매우 우호적이거나 매우 비우호적인 조건에서는 지시적 지도자가 더 효율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