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0
눈앞의 궁금증을 사진 찍고 물음표 달아 간편하게 질문하는 사진 검색 서비스 ‘사진 속 모든 정보를 찾아 담는다’ ? The CLiP +

Upload: min-gyu-kim

Post on 05-Aug-2015

79 views

Category:

Internet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눈앞의 궁금증을 사진 찍고 물음표 달아 간편하게 질문하는 사진 검색 서비스

‘사진 속 모든 정보를 찾아 담는다’

?

The CLiP +

Page 2: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 궁금한 점을 콕 찝어서 질문하고, 집단 지성을 통해 실질적인 답을 얻는다.’

주어진 카테고리 안에서 빠르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답을 얻을 수 있다.

· 궁금증을 기반으로 한 사진 정보 SNS

· 기분 좋은 보상이 있는 지식 기부의 공간

· 유저들이 직접 만들어 가는 트랜드 카탈로그

The CLiP이 추구하는 핵심가치가 무엇인가?

= 사람들의 ‘원초적 호기심’ 해소

‘더 클립’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인 ‘호기심’ 에 주목하였다.

Page 3: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1. 눈 앞에 궁금한 점이 발견 되었을 때 · 직접 사진 찍기 - 카테고리 정하기 - 궁금한 부분에 물음표 달고 질문 하기 – 완성 ! 2. 모바일 상에서 궁금한 점이 발견 되었을 때 · 스크린 샷 - 업로드 하기 - 카테고리 정하기 - 궁금한 부분에 물음표 달고 질문 하기 – 완성 !

?

이 건물은 누가 만들었는지, 어떤 건물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

Page 4: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SCENARIO

1. 걸어가다가 눈앞에 궁금한 점 발견

- 카페에 친구와 앉아있는데, 눈앞에 어떤 여자가 입은 티셔츠가 너무나도 예뻐서 내 여자친구한테도 선물해주고 싶은데, 나는 여자친구가 있어서 다른 여자한테 말을 걸 수 없으므로 그 옷을 어디서 샀는지 도무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산에 올라갔는데 갑자기 너무 배가 고파왔다. 그런데 가방에 들은 것이라고는 고작 물 뿐. 내려가기에는 이미 너무 먼 길을 와버려서, 산을 미친듯이 샅샅이 뒤진 끝에 버섯을 발견! 너무 배가 고파서 먹으려는 찰나에 혹시 독버섯이 아닌지 의심이 들기 시작. 검색해보았지만, 독버섯 이미지에 없기는 한데, 도무지 의심이 멈추질 않는다. 누군가에게 확실하게 묻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2. 웹 서핑하다가 궁금한 점 발견

3. 말로 표현해서 물어보기가 너무 어려워!

- 페이스북을 보면서 마구마구 파도를 타고 있었는데, 엄청나게 맛있어 보이는 음식을 먹고 있는 사진을 발견! 그런데 모르는 사람이 올려놓은 사진인데다가, 어느 음식점에서 파는 것인지 태그도 해놓지 않았다. 하아.. 먹는 것에 빠져서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한테 저 음식 어디서 파는 거냐고 묻기엔 미친놈 취급 당할 것 같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컴퓨터로 영화를 보고 있는데 영화 속의 주인공이 타는 자동차가 너무나도 멋진데 도무지 차의 종류가 뭔지 알 수가 없다. 속도가 너무 빠르고 어느 자동차회사의 것인지도 알 수 없고.. 검색했는데도 나오지 않는데 흠.. 이 영화를 캡쳐 해서 어딘가에 물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나는 고등학교 2학년! 수-1 문제를 푸는데 이건 뭐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아. 나는 가난해서 과외선생님도 없고, 학원도 다닐 수 없고, 학교도 방학이어서 선생님들께도 물어볼 수 없는데 어쩌지. 인터넷에 검색해보려고 해도 도저히 도형의 모형을 어떻게 질문 해야 할지 모르겠고. 말로 질문하기 너무 어려운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Page 5: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사람들의 주된 궁금증 해소 방법 인터넷 검색”

인터넷 검색(검색 사이트) – 대표적

- 검색 서비스의 한계

인기도 알고리즘(popularity algorithm)을 바탕으로 한 키워드 중심의 정보가 그들이 제공 할 수 있는 최선의 정확성이다.

핵심적인 키워드를 알지 못하는 경우 그에 맞는 질문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질문하는 방식을 바꿔 보면 어떨까?”

무엇이 궁금한지 더 잘 설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원하는 답에도 더 가까워 질 것이다.

1. 시장 분석 = 검색시장(Main) + 사진 큐레이션 시장(Sub)

Page 6: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사진을 보며 그 안에서 생겨나는 궁금증

“풀리지 않는 [궁금증]이

우리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Needs다”

검색창에 글로 표현하기 힘든 궁금증

- 시장의 Needs

1. 시장 분석 = 검색시장(Main) + 사진 큐레이션 시장(Sub)

Page 7: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 경쟁 서비스 분석

구글 이미지 검색 (Goggles)

‘Object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 한 후 검색 결과를 제공 - 유명한 상품, 장소, 사진의 경우 인식률이 높음 - 일상적인 사진을 찍어서 올리는 경우 인식률이 낮음 - 검색 창에서 검색하는 결과값과 다른 점이 없는 정보

네이버 지식in

[Web 네이버 지식인] - 너무 광범위한 카테고리 (답변율 낮음) - 기본적으로 검색창에 질문을 하는 방식 - 사진검색, 영상검색, 녹음검색을 시행하였으나 너무 많은 방법이 사용되어 혼란 (사용율 및 답변율 낮음)

[App 지식IN여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 서비스 - 장소에 관련된 질문으로 제한되어 있는 한계

1. 시장 분석 = 검색시장(Main) + 사진 큐레이션 시장(Sub)

Page 8: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 왜 ‘The CLiP’ 이어야만 하는가?”

· 사진을 통한 간편하고 정확한 질문형식 · 경험에 바탕 한 실질적인 지식 우선 제공 · 질문에 대한 답변율 제고 – 철저하게 관리

+

- · 일반적인 검색 창 · 획일화된 지식 정보 · 광고성 정보

‘ 궁금한 점을 콕 찝어서 질문하고, 집단 지성을 통해 실질적인 답을 얻는다.’

주어진 카테고리 안에서 빠르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답을 얻을 수 있다.

무엇을 더했는가?

무엇을 뺏는가?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9: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자신이 얻고자 하는 답을 명확하게 질문 할 수 있다면, 지식 제공자가

빠르게 질문의 의도를 파악 할 수 있다. = 정답에 가까워질 확률이 높아짐

1. 정확하게 원하는 것을 사진 안에 표시해서 질문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 궁금증을 한번에 질문할 수 있다.

-질문형식의 새로운 변화와 기대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10: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사람들은 기업에서 주는 정보는 주관적이라고 여기는 반면,

사람들이 경험에 바탕해서 주는 정보는 객관적이고 사실에 바탕 한 정보라고 여겨 신뢰한다.

사람들이 블로그를 찾는 점에서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짧은 시간 안에 경험에 바탕한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식을 제공 할 수 있다.

-집단지성을 이용한 지식 제공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11: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Category

유저들이 만드는 카탈로그 = 궁금증은 곧 Needs와 Trend의 반영이다.

인물 정보 (facebook, LinkedIn) 연결 작가 / 작품 이름/ (Pinterest / Tumblr) 연결

GIS/LBS 기반 / 여행 정보 및 비용 /음식점, 여행지 및 데이트 코스 추천

브랜드 정보 / 가격 비교 / 소셜 장바구니

정보 / 신문 기사 해석 / 경제 그래프 해석 / 언어 번역

레시피 / 음식점 위치 / 예약 /

커머스 정보 / 메뉴 정보 및 추천 기능

인물 예술 장소

패션 음식 학술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12: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유저들이 함께 만드는 카탈로그

[좋아요]가 많은 눌리는 클립은

질문이나, 답변 혹은 이미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었다고 볼 수 있다.

Main Page화면

사람들에게 많이 이야기 되고, 사람들이 많이 찾아보는 사진이나 그 안의 내용물이 어떤 것인지 효과적으로 보여줌

“ User들이 직접 만드는 카탈로그 ”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13: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Tag (물음표 태그 + 완성 사진 태그)

1. 질문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표시

2. 사진에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직관적으로 전달

3. 선택적 정보의 노출

-Tag 기능의 잠재가능성

정확한 사진 검색 기능

새로운 모바일 광고 형식

2.The CLIP? 왜 더 클립이어야 하는가?

Page 14: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L - [Who-What Table]

역할 타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가치

사업참여 인센티브

우려사항

사업 주도자 질문에 대한 궁금증 해결

협력자와 고객간 연결

궁금증을 해결, 기업 광고의 터

광고 수익과 커미션

타 참여자들의 참여도

고객 (질문하는)

궁금한 것을 사진으로 질문

질문을 함으로서 공급자와 협력자에게 인센티브 제공

궁금증 해소 및 실질적 정보 획득

답변이 늦을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

게 될 가능성

협력자 광고를 하거나 거래를 함

자신의 비즈니스와 관련이 있을 경우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 거래 수익 증가

광고의 실효성에 대한 의심

공급자 또는 고객 (답변을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여 고객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주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

실질정보 획득에 따른 크래딧(Credit)

질문에 대한 모든 답변을

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님, 답을 해주는 것을 귀찮아할 가능성

Page 15: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L – [가치 흐름도]

협력자 공급자 (고 객)

고 객

질문

공간

제공

질 문

더 클립을 중심으로 협력자와 고객 그리고 공급자는 서로 특정한 관계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말은 The CLiP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협력자인 기업(광고주, 상품판매)은 고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으며 또한 거래 소스를 제공해줄 수 있습니다.

The CLiP

Page 16: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 – [전략 캔버스]

High

Low

질문의 편의성

The CLiP

NAVER 지식인

답변의 신뢰성 답변 속도 질문 전달 이해도 (공급자에게)

검색 포털

전략 캔버스의 결과를 통해 더 클립이 질문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고객에게 있어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지만, 답변에 있어서는 아직 미흡하다는 점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직 답변에 있어서 고객의 유인점(보상)을 제대로 해줄 수 없기 때문이고, 자신의 경험에 기반한 정보 제공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전문성은 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Page 17: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 – [ERRC TABLE]

Eliminate · 획일적인 검색 창 · 획일화된 답변(Copy&Paste)

Raise · 집단지성을 이용한 경험적 정보 제공 · 질문에 대한 편리함(간편성) · 답변 속도

Reduce · 궁금한 점을 말로 표현해야 하는 불편 광고성 정보

Create · 사진을 찍고 사진 안에 표시해서 질문하는 형식 · 질문을 기반으로 합당한 광고 제공

Page 18: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 – [Buyer Utility Map]

The CLiP

NAVER 지식인

검색 포털

구매 배달 사용 보완성 유지보수 폐기처분

생산성

간편성 편의성 정확성

전문성

개인 선호 부합성

고객이 구매와 사용을 하는데 있어서 더 클립은 ‘전문성’적인 요소에서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더 클립이 이용하는 집단 지성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경험에 바탕으로 한 일상적인 답변이 주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문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age 19: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3. VALUE MODE – [UIF]

궁극적 인간가치

도구적 가치

기능적 특성

호기심 열린 마음

즐거움 지식

편리성 공유성 사회

선순환

사진으로 질문

답 변 거 래

접근성

UIF맵을 보면 알 수 있는 것 처럼 더클립은 사진으로 간편하게 질문하고 답변을 얻고, 그리고 답변 상황에서의 거래 연결을 통해 거래를 가능케 함으로서 질문을 하고 답을 얻는데 있어 편리성과 접근성을 갖게 만들어주고, 지식을 나눈다는 측면에서 공유성과 사회 선순환이라는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 이로 인해 고객들은 질문을 던지고 답을 얻게 되는 과정에서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지식,지혜,학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식을 공유하는 측면에서 연린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맞춤 광고

Page 20: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4. CUSTOMER MODEL

혁신수용자 선각수용자 전기다수 후기다수 지각수용자

고 객 (질문자+답변자)

플레이 스토어에서 이러한 서비스가 나오길 기다려

왔던 고객

궁금증이 생겼을 때 이러한 서비스가 있는지 찾아보

는 고객

어플리케이션을 유용하게 사용할 줄 아는 고객

친구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따라서 사용해보는 고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즐기지 않는

고객들

협 력 자 (제휴사 기업)

새로운 방법으로 고객과 소통하기를 소망하고 그 방법을 찾는 기업

더 클립을 통한 브랜드 홍보를 새롭게 시도해보는 기업

더 클립의 효과를 초반에 파악하여 홍보를 하

는 기업

타 기업들이 많이 더클립 이용한 홍보를 하는 시점에서 진입하는 기업

홍보의 실효성을 느끼지 못하

는 기업

The CLiP

더 클립은 아직 시장에 진입하기 직전의 단계로, 먼저 BETA TESTER로서 혁신 수용가를 통해 그들의 요구와 개선점을 빠르게 수정하고 입맛에 맞추어 줌으로서 그들에 대한 관리를 철저하게 하여, 그 이후의 프로세스로 넘어가는데 수월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Page 21: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4. CUSTOMER MODEL – [Technographics]

테크노 그래픽스에 의한 소비자의 2차원적 분류 [광고주]

비관적 낙관적

광고주

자본규모가 큰 대기업에 The CLiP을 소개하고 반응이 낙관적이라면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좋은 사례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함.

자본의 규모가 작은 중소규모의 업체들을 대상으로 영업하여 The CLiP서비스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하면 비교적 저렴한 광고비용과 커미션 비율 수준을 강조하면서 고객의 필요에 바탕을 한 네트워크 효과와 광고효과분석 서비스를 통해 설득을 하고 전략적 제휴를 함.

자본의 규모가 작은 중소규모의 업체들을 대상으로 영업하여 The CLiP에 비관적인 전망을 하면 중소 기업체에 그동안 성공했던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현재 대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에 대한 설명을 통해 신뢰를 높이는 작업을 하면서 비교적 저렴함을 강조하여 고객화 유도.

자본의 규모가 큰 대기업에 The CLiP을 소개하고 제안서를 보었는데 비관적인 전망을 할 경우 기존 서비스와는 달리 소비자가 궁금해 하는 필요에 의한 광고이고 다른 사업체의 성공적인 광고 효과와 커미션 수익 자료를 바탕으로 설득하고 비교적 낮은 CPC비용과 커미션 비율을 제시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다른 업체에 홍보를 할 때 영업 사례로 활용하는 전략.

사진을 통한 Q&A 서비스 시장에 대한 전망

Page 22: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4. CUSTOMER MODEL – [Technographics]

Page 23: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5. PROCESS MODEL

Value Chain Value Shop Value Network

long-linked

technology

intensive

technology

mediating

technology

제품 생산

연속으로 수행되는 과업

표준 규격의 생산

조립라인, 연속적 공정

고객의 특정 문제 해결

서비스의 공급

병원, 교육기관,

전문적인 서비스 회사

상호의존적인 고객을 연결

중개서비스를 제공

운송회사, 보험회사, 은행, 전화국

The CLiP은 Thompson의 조직 기술 유형 중 고객과 고객을 이어주는 중개기술(mediating technology)을 기반으로 Stabell & Fjeldstad 의 가치 배열(value configuration)에서 가치네트워크(value network)에 속한다.

Page 24: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5. PROCESS MODEL – Value Network

네트워크 &

promotion 계약 관리

•고객의 질문 유형

과, 답변 유형에 대

한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의 특성

을 정확히 파악 제

공을 통한 ’단골’ 고

객 확보

서비스의 제공

•고객의 관심에 기

반한 질문 노출, 답

변 할 시 크레딧 제

•질문자에 대한 답

으로 구매 경로제

공 (구매 경로 사이

트 연결)

하부구조 운영

•고객의 질문과 답

변의 성향을 통해

얻은 고객의 관심

사와 관련된 정보

를 제공

•전체 고객들의 관

심사 분석을 통한

트랜드 카탈로그

•지속적인 제휴 기

업 확대

The CLiP은 고객과 고객 사이의 질문과 답변을 통한 네트워크에서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답변을 제공해주는 이가 협력자 기업의 경우가 되고, 그들이 정보를 제공해주고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광고 수익과 커미션이 발생한다.

Page 25: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1. 중개 비용 및 거래 수수료

- 상품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경우 구매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음.

질문에 대한 답으로 완성된 태그에 링크를 걸고, 가격비교 사이트로의 연결을 통해 소비자들의

실제 구매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수익 구조와 전망

2. 광고 수익 태그 (광고) - 완성된 태그는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음. 태그를 통한 광고는 무분별한 노출이 아닌, 마음에 드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광고를 노출 시킬 수 있으므로 광고주들에게 효과적인 광 고를 제공해줄 수 있음.

카탈로그 - UI구조가 사람들이 어떤 것에 관심을 갖는지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구조되어있음. 트랜드를 반영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와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트랜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광고주들에게 어필할 수 있음.

6. FINANCIAL MODEL

Page 26: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6. FINANCIAL MODEL

The CLiP

QUESTION

ENTERPRISE ANSWER

한 지점이나 한 채널을 통해

다수의 커뮤니케이션 통로(M:M)를 만들면

높은 가치 창출

구매자와 공급자 모두의 거래 비용을 줄여준다.

더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참여할 수록

더 많은 가치 소유

거래량의 증가에 따라 수익은 매우 커진다.

스위치보드(교환기) 그 자체에 강점 내재

-SWITCHBOARD MODEL

Page 27: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 수익 비용 및 비율 구조

The CLiP

광 고 주

상품거래 사

이트

고 객

(답변자)

6. FINANCIAL MODEL

광고주는 자신의 비즈니스와 관련이 있는, 1. 답변을 제공할 때 2. 거래 소스를 제공 할때 3. 광고주가 직접 질문과 답변을 하여 고객들에

게 노출하는 경우 더 클립에 광고 비용을 제공함

1번 의 경우엔 기본 50원 2번의 경우엔 150원 3번의 경우에는 700원

1. CPC – 130원 2. Trade Commission rate (의류 = 9%/ 도서,음반 = 9%그밖에 = 7% )

더클립은 답변자인 고객에게 현금이 아닌 Credit을 제공 1. 일반 답변을 제공할 때[글만 적음] Credit 80원 - (한달 4000원까지 가능) 2. 거래 소스(링크), 위치정보 제공 Credit 110원 – (한달 4000원까지 가능) 3. 직접 질문과 답변을 하여 고객들에게

노출하는 경우 Credit 150원-(한달 3000원까지 가능)

Page 28: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6. FINANCIAL MODEL

-SWITCHBOARD MODEL

1. 고객의 증가는 질문과 답변 수의 증가를 가져오고, 사람의 증가에 따라

제휴사 기업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제휴사 고객의 증가는 광고와

완련하겨 The CLiP은 이익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2. 제휴사 고객이 제공하는 상품경로와 거래를 통해 The CLiP은 중개비용과

커미션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Page 29: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집단지성의 사례2. 네이버 지식IN (무형의 보상) = 한국의 집단지성 성공사례

‘내공’과 ‘계급’ 이라는 무형의 보상 제공

[분석] 한국에서 위키피디아에 비해 네이버 지식인이 더 성장한 요인?

1. 일상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 제공 (Local화 되고 전문적이지 않은 지식)

2. 보상이 있는 지식 공유 환경

보상이 있을수록 지식 공유의 가능성도 높아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상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는 지식은 전달 가능성이 높음

-어떻게 집단지성을 모을 것인가?

집단지성의 사례1. 위키피디아 (무보상) = 세계적인 집단지성 성공사례

세계적으로 집단지성을 통한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지만,한국에서는 비교적 큰 성장을 이루지 못함 [분석] 왜 한국에서는 비교적 큰 성장을 이루지 못하였는가? 1. 보상이 없는 지식의 공유 2. 지식 공유에 대한 문화적 인식 차이 3. 위키피디아에 참여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든다는 대의 명분이 크게 어필하지 못함 4. 학술적인 내용에 제공에 대한 부담감 및 거부감

보상이 없고, 학술적으로 전문적인 지식은 공유를 유도하기 어려움

“보상을 제공 하고, 전문적인 지식 보다는 일상적인 지식 공유 유도”

7. WEAK POINT & TO-BE ANALYSIS

Page 30: The Clip Project _ Min Kyu Kim

· 웹 검색에서 모바일 검색으로의 이동

1단계 – 궁금증을 기반으로 한 ISNS (큐레이션 서비스) / 새로운 형태의 ‘검색창’ 2단계 – 자체 Mobile Commerce 3단계 – Object 인식 기능 특화 / 내장 기술

-새로운 기회

· 방대한 양의 사진 데이터 축적[현재 진행형] = SNS + 큐레이션 서비스

-전망 및 전략 3단계

7. WEAK POINT & TO-B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