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10
PART 3 행동과 건강

Upload: others

Post on 31-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PA R T 3 행동과 건강

Page 2: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Page 3: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6장

건강 유지하기:일차 예방과 긍정심리학

사라 스노드그라스가 가슴에서 혹을 발견했을 때 그녀에게 처음 떠오른 것은 유방암

으로 사망한 어머니와 이모였다. “이모는 암 진단을 받은 후 집으로 가서 모든 커

튼을 닫고 화학요법을 받으러 갈 때 외에는 외출도 거부하고 극소수의 방문만 허락했다.

그녀는 죽음을 기다렸다(Snodgrass, 1998, p. 3).” 사라는 생체 검사 후 종양절제술(악성

종양 제거)을 받았고 2개월 간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그녀와 주치의는 종양을 이겨낼 희

망을 가졌지만 1년이 안 되어 그녀의 복부에서 전이 암이 발견되었다. 그녀의 표현에 따

르면 자신은 ‘암에 침몰되었고’ 세 번의 수술과 다섯 번의 서로 다른 화학요법, 두 종류의

호르몬 치료, 3개월의 방사선 치료, 골수이식, 줄기세포이식을 받았다. 치료 과정 내내 그

녀는 월에 10∼14일을 예기치 못한 극심한 통증과 싸워야 했다.

그렇지만 이모와 달리 그녀는 수술, 방사선 치료, 화약요법을 받으면서도 대학교수로

계속 일했다. 암이 그녀의 삶을 방해할 수 없다고 마음먹고 타고난 낙관성과 극기심, 자

신감을 바탕으로 스쿠버다이빙과 스키를 즐겼다. 건강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치료

를 위한 모든 것을 배웠으며 스스로 결정했고 삶에 대한 통제감을 유지하려는 그녀를 존

중하지 않는 의사와의 치료를 거부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암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지각과 관계, 그리고 삶의 철학을 다

시 바라볼 수 있게 한 그녀의 신념이었다. 이로 인해 그녀는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는 현

재를 살아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그녀는 좋은 남자를 만날 수 있을지 학생들에 좋은 평

가를 들을 수 있을지 은퇴 후 안락한 생활을 위한 충분한 돈을 모을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걱정을 멈추었다. 또한 친구 및 가족과의 관계가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 죽음에 대해 생각할 때면 “나는 더 이상 논문을 쓰길 원하지 않으며 친구나 만나지 못

했던 지인들을 만나고 얘기를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녀는 오래된 관계를 새

롭게 하기 위해 연락하고 통화했으며 온 나라에 걸쳐 사회적 지지망을 확충하기 위해 새

로운 사람을 만났다.

건강과 행동

건강행동에 대한 이론들

예방

병적 상태의 압축

건강한 가정 및 지역사회 만들기

자료 해석하기:보험이 없거나 부족

한 사람은 누구인가

지역사회 건강 교육

메시지 프레이밍

인지행동적 개입

건강한 직장 만들기

긍정심리학과 번영

알로스테시스(생체적응) 및 신경내분

비계 건강

탄력성의 신경생물학

심리사회적 요인과 생리적 번영

심리적 번영의 특징

긍정심리학을 넘어서

Page 4: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3부 | 행동과 건강202

사라의 경우처럼 질병을 예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런 극단적인 경우에

도 인간의 강점을 수립함으로써 번영을 위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행동과 건강의 관계를 먼저 다룬 후 예방에 대한 강점 기반 접근과 긍정심리학에 초점을

둔 건강심리학의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이 개인, 가족, 지역사회 건강 수립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알아볼 것이다.

건강과 행동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활동이나 행동을 상상하는 것은 어렵다. 건강행동은 건강을 유

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한 행동을 말한다. 규칙적 운동, 선크림 사용, 건강식, 양질의 수

면, 안전한 성, 안전벨트 착용 등이 모두 질병과 상해를 예방하는 행동들이다. 반면 명

상과 웃음은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인 인생관 유지에 도움이 된다.

건강행동은 정도에 차이가 있어서 어떤 건강행동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

인 영향을 모두 가진다(Schoenborn and others, 2004). 예를 들어, 운동과 음식 조절은

체중 감소의 혜택을 가져오지만 지나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알코올 소비도 마찬가

지다. 과도한 음주는 신체 건강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강위험행동이

다. 어떤 행동들은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다른 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

친다. 예를 들어, 과도한 커피 섭취는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이는데 그 이유는 커피를 많

이 마시는 사람일수록 흡연을 비롯해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다른 위험한 행동을 많

이 하기 때문이다(Cornelis and others, 2006).

청소년▒건강위험행동▒조사(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질

병통제 및 예방센터에서는 청소년기에 시작되어 조기사망, 장애, 만성질병을 가져오는

여섯 가지 위험행동을 확인했다(YRBSS, 2013).

1. 흡연 및 다른 형태의 담배 사용

2. 고지방 저식이섬유식

3. 충분한 신체 활동을 하지 않는 것

4.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처방약 포함)

5. 질병의 조기 예방 및 진단을 위해 검증된 의학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예:독

감예방주사, 건강한 성 결정, 자궁암 검사, 결장경 검사, 유방조영술)

6. 폭력적인 행동이나 상해를 입을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것(예:취한 상태에서 운전)

어떤 행동들(안전벨트 미착용)은 건강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고 또 어떤 행동(건강식)

은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운동이나 흡연 같은 일부 행동은 건강에 즉각적인 영향과

장기적인 영향을 모두 준다. 건강행동들은 서로 상호작용하고 서로 관련되어 있다. 예

를 들어, 흡연, 음주, 커피의 병용 효과는 이 중 하나만 하는 경우보다 강하다. 마찬가지

건강행동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동 또

는 습관으로 행동적 면역원이라고도

불린다.

Page 5: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6장 | 건강 유지하기:일차 예방과 긍정심리학 203

로 규칙적 운동, 건강식, 충분한 물 섭취를 병행할 경우 긍정적인 영향이 더 강해진다.

때로 한 사람이 건강한 행동과 건강하지 못한 행동을 같이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행동이 다른 행동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행동이 건강하지 못한 행

동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연자는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니코틴을 대체할

수 있다.

보다 건강한 생활양식을 적용하는 것의 잠재적 영향은 무엇인가? 1965년에 시작된 고

전적인 역학 연구에서 리스터 브레슬로우와 노먼 브레슬로우는 캘리포니아 알라미다 지

역 남성 거주민의 건강과 생활 습관을 추적했다. 이 획기적인 연구(Breslow & Breslow,

1993)가 몇 년간 진행된 후 일곱 가지 건강한 습관이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 습관은 7~8시간 수면, 금연, 건강 체중, 적당한 음주, 규칙적 운동, 아침을 거

르지 않기, 군것질하지 않기이다(그림 6.1).

건강행동에대한이론들

건강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건강한 행동 또는 건강하지 못한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설명

하는 이론을 개발했다. 이 절에서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몇 가지의 이론을 논의할 것이다.

건강신념모형▒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에 따르면, 건강행동에 대한 결정은 건강 위협

에 대한 우리의 지각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서로 상호작용하는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Strecher & Rosenstock, 1997)(그림 6.2 참조).

건강신념모형(HBM) 건강행동에 대

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신념을 확인하는 비단계 이론으로 세

가지 신념은 다음과 같다. 건강 위협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 질병이나 상태들

의 지각 심각성, 행동의 이득과 장애요

인에 대한 지각

그래프는 각 연령대별로건강행동의 개수에 따른사망률을 보여준다.

0~3 4 5

건강행동의 수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65~74세연구

시작

후 사

망자

비율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6.1

건강행동과사망률▒ 9년▒반▒동안▒

유명한▒앨러미다▒건강▒연구▒결과▒

일곱▒가지▒건강습관(7~8시간▒수

면,▒금연,▒건강▒체중,▒적당한▒음주,▒

규칙적▒운동,▒아침▒거르지▒않기,▒군

것질하지▒않기)을▒규칙적으로▒시행

한▒남성은▒3개▒이하로▒행한▒남성▒

사망률의▒28%에▒불과했다.

출처:Bres low, L., & Bres low,

N. (1993). Health practices and

disability:Some evidence f rom

Alameda County. Preventive Medicine, 22, 86-95.

Page 6: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3부 | 행동과 건강204

▒▒ 지각된▒취약성:어떤 사람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같은 건강 위협에 대한 자신

의 취약성에 대해 항상 걱정한다. 반면 다른 사람은 자신이 위험하지 않다고 믿는다.

지각된 취약성이 클수록 건강증진행동에 참여할 동기가 강해진다. 청소년들은 특히

무적신화에 따라 살아간다. 그들은 ‘불사신’이라는 잘못된 생각에 위험한 행동을 변화

시키려는 동기가 거의 없다.

▒▒ 건강▒위협의▒지각된▒심각성:통증, 장애, 또는 죽음이 가져오는 결과뿐 아니라 가족, 친

구, 동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다.

▒▒ 지각된▒이득▒및▒치료의▒장애요인:특정한 건강행동의 장단점 평가 시 지각된 이득이 장

애요인을 넘어서는지 평가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뚱뚱해지고 매력을 잃을까

봐 금연의 큰 이점을 간과한다.

▒▒ 행동▒단서:친구의 조언, 대중매체의 건강캠페인, 연령, 사회경제적 상태, 성별 같은

요인들이 행동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요약하면 건강신념모형은 사람들이 질병유발조건을 피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행동한

다는 상식적인 이론이다. (1) 자신이 취약하다고 여기고 (2) 개인적으로 심각한 결과가

예상되며 (3) 행동 과정이 자신의 취약성이나 문제의 심각성을 낮출 수 있다고 믿고 (4)

행동의 이득이 부담보다 크다고 믿으며 (5) 환경적 영향이 변화를 장려할 때 행동하게

된다(Strecher & Rosenstock, 1997).

건강신념모형은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진 첫 번째 건강모형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그렇게 행동하지 않으면 다양한 건강 문제에 취약해진다고 믿을 때 정기적인 치과 검진

을 받고 안전한 성행동을 하며 건강하게 먹고 직장암이나 다른 암 검진을 받으며 기타

다른 건강보호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Deshpande, Basil, & Basil, 2009). 연구

들은 또한 건강신념을 바꾸는 교육적 개입이 건강보호 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

질병이나 상태의 지각된취약성/심각성

질병 또는 상태의지각된 위협

행동변화의 가능성

예방행동의 지각된이득에서 예방행동의지각된 장애요인을 뺀 값

• 연령, 성별• 민족성, 인종• 지식• 성격

행동 단서• 다른 사람의 충고• 가족의 질병• 증상• 대중매체 정보

그림6.2

건강신념모형▒ 이▒비단계▒이론은▒

건강행동에▒대한▒우리의▒결정에▒

영향을▒미치는▒상호작용하는▒요인

들을▒강조한다.▒만약▒어떤▒행동▒과

정이▒취약성이나▒심각성을▒낮출▒

수▒있다고▒믿으면▒우리는▒그▒건강

행동을▒하게▒된다.

출처:Strecher, V. J., & Rosenstock, I. W. (1997). The health belief model. In A. Baum, S. Newman, J. Weinman, R. West, & C. McManus (Eds.), Cambridge handbook of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p.

115).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7: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6장 | 건강 유지하기:일차 예방과 긍정심리학 205

주었다.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는 건강신념이 건강행동을 별로 예측하지 못하

며 건강행동의 지각된 장애요인 등 다른 요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

다(Chen and others, 2007). 예를 들어, 주요 전향적 연구에서 루스 하이만과 그녀의 동

료들(1994)은 유방암에 대한 지각된 취약성은 유방암 검진을 받는 것을 예측하지 못하며

지각된 이득과 장애요인 모두(병원과 의사의 접근성 등)가 예측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여성의 민족성이 최고의 예측인자였는데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이

유럽계보다 유방암 검진을 많이 받았다.

건강신념모형이 행동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정서 반응보다 지각된 위험에만

초점을 둔다는 비판도 있다(Lawton, Conner, & Parker, 2007). 건강신념모형은 중요하

지만 미완의 것이다. 건강행동 실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의 의도와 자기효능

감에 초점을 두고 사고의 폭을 넓혀 보도록 하자.

계획행동이론▒

건강신념모형과 마찬가지로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은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다룬다(그림 6.3 참조). 이 이론은 건강행동을 할지 여부를 가장 잘 예

측하는 것은 행동 의도, 즉 건강 관련 행동에 참여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라고 본다. 행

동 의도는 세 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첫 번째는 행동에▒대한▒태도인데 이는 행동 참

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우리의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 두 번째 요인은

주관적 규범이다. 주관적 규범이란 문제가 되는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견해에 따르

려는 동기를 반영한다. 세 번째 요소는 지각된▒행동▒통제로 우리가 숙고한 건강행동을 수

행하는 데 성공하리라는 기대를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설탕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1) 그렇게 함으로써 체중을 줄일 수 있다고 믿고 (2) 친척

이나 친구들이 그렇게 하며 (3) 우리가 건강한 재료를 사고 음식을 준비할 시간을 만들

계획행동이론(TPB) 행동에 대한 개

인의 태도, 행동에 대한 주관적 규범,

행동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 세 요인이

건강행동을 예측한다는 이론

행동 의도 건강 관련 행동에 참여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결정

주관적 규범 특정한 건강 관련 행동

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를 개인적으로

해석한 것

행동에 대한 태도(폭음은 위험하다.)

주관적 규범(누구나 그런다.)

의도(그 집단에 들어가게 되면폭음을 끊겠다.)

행동(변화 없음)

지각된 행동 통제(다른 사람이 날 좋아하게 하려면남들처럼 해야 한다.)

그림6.3

계획행동이론▒ 계획행동이론은▒

특정▒건강행동을▒할▒것인지의▒여

부가▒행동에▒대한▒개인적▒태도,▒행

동에▒대한▒주관적▒규범,▒행동에▒대

한▒지각된▒통제▒정도의▒세▒요인에▒

의해▒결정된다고▒예언한다.▒

출처:Sutton, S. (1997).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A. Baum, S. Newman, J. Weinman, R. West, & C.

McManus (Eds.), Cambridge handbook of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p.

178).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8: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3부 | 행동과 건강206

며 식사를 제한하더라도 음식의 풍미를 여전히 즐길 수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건강행동을 채택하거나 변화시키려는 특정한 의도(무엇을, 언제, 어디서)는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나게 한다(Armitage, 2009; Martin and others, 2009). 사람들이 스스로

보고한 태도와 의도는 질병 유전자 검사, 처방약 복용(Goldring and others, 2002), 10대

들의 청량음료 소비(Kassem & Lee, 2004), 건강식(Conner, Norman, & Bell, 2002), 콘

돔 사용(Bogart & Delahanty, 2004), 흡연(Van de Ven and others, 2007) 등 다양한 건

강증진행동을 예측한다.

계획을 강조하기 때문에 계획행동이론은 목표지향적이고 합리적인 틀에 들어맞는 의

도적 행동을 예측하는 데 가장 정확하다(Gibbons and others, 1998). 약물 남용(Morojele

& Stephenson, 1994), 혼전 성행동(Cha and others, 2007), 음주 운전(Stacy, Bentler, &

Flay, 1994) 같은 경우는 모형의 예측력이 떨어진다. 이런 행동들은 흔히 사회적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젊은이들은 마리화나를 피우거나 과음을

하는 파티에 가거나 성관계를 원하는 과도하게 열정적인 이성친구의 요구에 응하기 쉽다.

범이론적▒모형▒

우리가 고려하는 건강행동 이론들은 건강 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고 그들의 어떤 조합이 특정 개인을 특정 상황에서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게 할지

를 예측하려고 시도한다. 반면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 변화단계모

형이라고도 불림)에서는 행동 변화가 구분되는 단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일어난다고 본

다(Rothman, 2000).

범이론적 모형에서는 건강 관련 행동의 변화가 다섯 단계를 거친다고 본다. 각 단계

는 과거 행동과 미래 행동에 대한 의도에 따라 정의된다.

▒단계▒1:숙고▒전▒단계(Precontemplation) 이 단계에서 사람들은 행동변화에 대해 진지하

게 생각하지 않는다. 심지어 행동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조차 인정하기를 거부한다.

▒단계▒2:숙고▒단계(Contemplation) 이 단계에서 사람들은 문제(예:흡연)가 있음을 인

정하고 가까운 미래에(전형적으로는 6개월 이내)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금연)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한다.

▒단계▒3:준비▒단계(Preparation) 이 단계는 사고와 행동을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금연을 준비하면서 니코틴 패치를 처방받고 지지집단에 합류하며 가족의 지원을 구

하고 다른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단계▒4:실행▒단계(Action) 이 단계에서 사람들은 실제로 행동을 변화시키고 지속하려

노력한다.

▒단계▒5:유지▒단계(Maintenance) 이 단계에서 사람들은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노

범이론적 모형(TTM) 사람들이 건강

관련 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다섯

단계를 거친다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단

계이론으로 숙고 전 단계, 숙고 단계, 준

비 단계, 실행 단계, 유지 단계로 구성되

어 있다.

Page 9: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6장 | 건강 유지하기:일차 예방과 긍정심리학 207

력을 성공적으로 지속한다. 이 단계는 무기한 지속될 수도 있으나 통상 6개월로 한다.

변화단계모형은 사람들이 단계를 비선형 또는 나선형으로 오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

한다(Velicer & Prochska, 2008). <그림 6.4>는 금연을 하는 다섯 단계의 변화를 보여준

다. 많은 금연가들이 유지▒단계에서 준비▒단계로 재발한다. 즉, 2단계에서 5단계까지 과정

을 한 번 이상 반복하다가 행동변화를 완성한다.

비록 범이론적 모형이 여러 행동 중 일부 행동 예측에 더 성공적이지만(Bogart &

Delahanty, 2004; Rosen, 2000)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단계에 있는 사람일수록 건강

식(Armitage and others, 2004), 규칙적 운동(Hellsten and others, 2011), 자외선 차단

제 사용(Adams and others, 2009), 직장 및 유방암 검진(Champion and others, 2007;

Lauver and others, 2003; Manne and others, 2002) 같은 건강 관련 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더 성공적이었다.

다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 같은 단계이론이 이상적인 행동변화를 위한 ‘비법’을 제공

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 개입 개발을 증진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Sutton, 1996). 이는

임상건강심리학자나 다른 전문가들이 특정 단계에 ‘막혀버린’ 사람들의 구체적 욕구에

맞춰 개입을 하도록 도와준다(Perz, DiClemente, & Carbonari, 1996). 이 모형은 또한

우리가 궁극적인 건강 목표에 도달하는 분투과정에서 서로 다른 행동, 인지, 사회적 과

정이 전면에 등장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는 의식함양(예:건강을 해치

는 행동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것), 역조건형성(목표 행동을 위한 대안적 행동), 강화

“6개월 동안 금연했다.”

“담배를 끊고 2주째다.지금까진 순조롭다.”

“의사를 만나 담배를 끊겠다고 말했다.그녀는 니코틴 갈증을 줄여 줄

약을 처방해 주었다.”

“담배를 끊어야겠다.”

“금연 계획이 없다.”숙고 전

숙고

준비

실행

유지

그림6.4

범이론적모형▒ 범이론적▒모형▒▒

또는▒변화단계모형은▒새롭고▒건

강한▒행동에▒대한▒사람들의▒준비

도를▒평가한다.▒이▒모형은▒또한▒성

공적인▒행동▒변화와▒유지에▒이르

는▒단계에▒걸쳐▒사람들을▒안내하

는▒전략과▒과정을▒확인한다.▒이▒모

형에▒대한▒비판은▒단계들이▒상호▒

배타적이지▒않으며▒사람들이▒항상▒

정해진▒단계에▒따라▒건강행동을▒

변화하는▒것은▒아니라는▒점이다.

Page 10: PART 3 행동과 건강 · 2017-05-19 · 75세 이상 55~64세 45~54세 연구 시작 후 사망자 비율 65~74세 6 7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그림 6.1 건강행동과사망률

제3부 | 행동과 건강208

관리(성공에 대한 자기 또는 타인의 보상) 등이 포함된다.

고위험▒행동의▒지각된▒이득▒다루기

건강신념모형, 계획행동이론, 범이론적 모형이 모두 지각된 이득과 위험 모두를 포함

하고 있지만 이 모형들의 일차적 의도는 질병이나 상해를 피하려는 욕망을 통해 예방적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모형들은 고위험 행동의 지각된 이득보다

는 건강하지 못한 행동의 위험성에 초점을 둔다. 그렇지만 연구 결과 청소년 음주(Katz,

Fromme, & D’Amico, 2000), 흡연(Pollay, 2000), 무방비한 성관계(Parsons and others,

2000) 같은 행동에서는 지각된 이득이 중요한 예언 변인이었다.

5학년, 7학년, 9학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줄리 골드버그와 그녀의 동료들(2002)

은 참가자들에게 아래의 시나리오를 주었다.

파티에 갔다고 상상해 보라. 파티를 하는 동안 와인, 맥주 또는 위스키 두 병을 마셨다. 경험한

적이 없더라도 그렇다고 상상해 보라.

시나리오를 읽고 학생들은 파티에서 술을 마신 후 일어날 수 있는 좋은 일과 나쁜 일

에 대해 개방형 질문에 답했다. 그리고 음주의 결과에 관해 자신의 실제 경험에 대해서

도 답했다. 6개월 후 음주행동에 대해 한 번 더 질문했다.

연구자들은 음주의 지각된 이득을 물음으로써 많은 것을 배웠다. 5학년과 7학년에 비

해 9학년들은 음주의 신체적, 사회적 이득(예:술기운에 들뜨는 것이 좋다, 파티에서 좋

은 시간을 보낼 것이다.)은 더 높게 지각했고 신체적, 사회적 위험(예:아프게 될 것이

다, 후회할 짓을 할 것이다.)은 낮게 지각했다.

이 결과들은 10대를 대상으로 한 건

강교육운동에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일부 연구자들은 청소년들이 비합리적

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결론 내렸지만

이 결과는 10대들이 행동의 장단점에

가중치를 둔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

서 보다 효과적인 건강 메시지는 청소

년으로 하여금 위험한 건강행동의 지각

된 이득을 보다 안전한 방식으로 얻도

록 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파티에서

술을 마시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성숙

해지는 것을 느끼고 사교적인 분위기를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다.

사회적상황의힘▒ 많은▒10대와▒젊

은이들에게▒건강행동은▒합리적으로▒

계획된▒상황이▒아닌▒사회적▒상황에▒

대한▒반응이다.▒그들은▒의식적으로▒

결정하여▒술을▒즐기기▒위해▒마시는▒

것이▒아니고▒친구가▒마시니까▒마신

다.▒사회적▒상황은▒춤,▒운동,▒다른▒여

가활동▒등▒건강한▒행동도▒촉발할▒수▒

있다.

track5/iStockpho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