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디자인과 같은면지 · 2020-04-28 · i.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체계 07 1....

128
표지디자인과 같은면지

Upload: others

Post on 22-May-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표지디자인과 같은면지

❙인사말

2019년부터 수련기간이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되면서 외과 수련 교육 시스템이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3년제 수련교육의 핵심은 역량 중심 수련교육

시스템 구축입니다. 수련기간이 줄어든 만큼 수련교육의 질이 중요해졌고, 역량 중심의

수련 교육과 평가 시스템의 개편이 절실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외과학회에서는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수련

교육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전문역량 수련성과를 새롭게 마련하였습니다. 역량 중심에

맞추어 개편된 학습목표에 따라 E-learning, 술기 연수강좌를 강화하였으며, 책임

지도전문의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앞으로 전공의들은 새롭게 도입된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언제 어디

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E-learning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공의 술기

교육은 기존 4년동안 진행했던 내용을 3년으로 개편하여 진행합니다. 1년차에선 기본

장문합 술기 및 외상 중환자 1에 대한 교육을, 2년차에선 복강경 기본 술기 및 외상

중환자 2를 배웁니다. 이어 3년차가 되면 초음파 & 내시경 술기와 고급 복강경 술기를

익히게 됩니다. 12명의 전공의당 1명의 책임지도전문의를 선임하여 전공의의 교육 상황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였습니다. 각 전공의들은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수련 현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책임지도전문의를

통해 수련 상태를 관리 및 감독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한외과학회는 역량 중심으로 개편된 새로운 수련교육 커리큘럼과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양질의 외과 전문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대한외과학회 회 장 왕희정

이사장 윤동섭

Korean Surgical Society

Contents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I.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체계 071. 수련기간 및 수련시간 08

2. 대한외과학회 주관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 08

II.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 191. 홈페이지 20

2. 모바일 앱 22

III. 보건복지부 고시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교과 과정 251. 총 칙 26

2. 전공의 수련과정 중 필요한 공통 역량 26

3. 연차별 필수 규정 29

IV. 대한외과학회 수련규정 351. 수련 목표 36

2. 필수 수술 36

3. 분과수련 37

V. 전문역량 수련교과과정 41

VI. 책임지도전문의 671. 정의 68

2. 책임지도전문의 규정 68

VII. 지도전문의 731. 지도전문의 규정 74

2. 지도전문의 교육 목표 74

3. 외과 수련에서 지도전문의의 역할 74

부록 77

별첨 -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KoreanSurgical Society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체계

1. 수련기간 및 수련시간

2. 대한외과학회 주관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

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KSS : Training & Education System

대한외과학회

대한외과교육연구회

대한외과술기연구회

책임지도전문의 E-Learning

분기별 전공의 역량평가

술기교육연수강좌자율평가지도전문의 교육 수련실태조사

수련교육위원회

한국외과연구재단

1. 수련기간 및 수련시간

∙ 2019년 신입 1년차부터 3년간의 수련과정으로 운영한다.

∙ 매년 30일 이상의 수련기간 결손이 있는 경우 추가 수련을 하여야 한다.

∙ 수련 시간은 전공의 수련에 관한 특별법의 규정을 따른다.

2. 대한외과학회 주관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 (별첨 2019년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

※ 학회 주관 교육프로그램 이수는 전공의 연차별 수련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수 및 합격하지

못한 경우 연차 승급 및 전문의 시험 응시가 불가능하다.

Ⅰ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체계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9

1) E-learning

▮E-Learning 프로그램

간담췌외과

간담도의 해부생리 담석 담도의 양성 질환과 악성 질환

이자의 양성 질환 이자의 악성 질환 양성 간 질환

간세포암의 진단과 치료 전이성 간암 간 이식

유방외과

유방의 양성질환 유방의 악성 질환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 유방암의 전신 치료 Oncoplastic surgery

위장관외과

식도 소화성 궤양의 수술적 치료 위암의 진단과 치료

진행성 위암의 항암화학 요법 및 다학제 치료

소장 비만

당뇨환자의 수술적 치료

소아외과

소아 생리학 소아 복부 종양 소아 담도 질환

소아 탈장 신생아 위장관 질환 소아 위장관 질환과 경부 질환

대장항문외과

염증성 장 질환의 수술적 치료 대장암의 수술적 치료 대장수술 이후 합병증의 관리

대장의 응급질환

갑상선내분비외과

경부와 갑상선 갑상선 결절 갑상선 양성 질환

분화 갑상선암 갑상선 수질암과 미분화 갑상선암

부갑상선

부신 기초 부신 종양 쿠싱증후군과 일차성고알도스테론혈증

이식혈관외과

복부대동맥류의 치료 정맥의 질환 이식면역학과 면역억제제

신장 이식

1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총론

종양학 창상의 치유 수액과 전해질

패혈증 쇼크 외과 합병증

호흡부전 환자에서계환기의 실제

외과 환자의 대사 외과 환자의 영양지원

수술 전후 위험도의 평가 다발성 외상 화상

수혈 외과 감염과 항생제 급성 복증

수술 전후 통증의 관리

<구성>

∙ 간담췌외과 – 9 chapter

∙ 유방외과 – 6 chapter

∙ 위장관외과 – 7 chapter

∙ 소아외과 – 6 chapter

∙ 대장항문외과 – 4 chapter

∙ 갑상선, 내분비외과 – 9 chapter

∙ 이식혈관외과 – 4 chapter

∙ 총론(상) – 8 chapter

∙ 총론(하) – 8 chapter

① 1년차: 총론 및 1개 분과 이수 후 책임지도전문의의 확인을 받는다.

② 2년차: 3개 분과 이수 후 책임지도전문의의 확인을 받는다.

③ 3년차: 3개 분과 이수 후 책임지도전문의의 확인을 받는다.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11

2) 술기 연수강좌

- 1년차: 기본 장문합 술기, 외상 중환자 1 과정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1년차 필수교육 장문합&에너지

∙ 1년차는 외과술기의 기본이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기본적인 장문합

술기를 수기과정과 자동문합기 과정으로 나눠서 교육받고 실습한다.

∙ 실제 동물의 장기를 이용하여 실습하며, 반나절 동안 진행된다.

∙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장문합을 실시한다.

∙ Surgical energy의 이해와 안전한 사용에 대한 교육 및 실습을 실시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1년차 / 연 2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2명, 총 40개 조

총 교육 시간 3시간 (09:00-12:00)

비 고 로테이션하며, 4개 교육과정의 술기를 모두 교육받아야 함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8:00 - 09:00 등록

09:00 - 12:00

①~③ 장문합, ④~⑤ 에너지① GJ (Gastrojejunostomy, 90분)② ETE (Functional E-to-E anastomosis, 30분)③ EJ (Esophagojejunostomy, 30분)④ 에너지 모듈 1 (15분)⑤ 에너지 모듈 2 (15분)

평가, 설문조사

1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년차 필수교육 외상중환자 Ⅰ

∙ 외상중환자 치료에서 기본이 되는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기도관리, 인공

호흡기관리, 쇽환자관리 I/II로 이루어져 있다.

∙ 기도관리는 실습모형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에서 시행가능한 각종 기도 확보

방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인공호흡기관리는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기본 셋팅부터 상황 별 조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쇽환자관리 I/II는 인체모형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인별 쇽에 대해서

팀으로 치료하는 과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1년차 / 연 8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5명, 총 4개 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10:00~17:3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4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프로그램

09:30 - 10:00 등 록

10:00 - 10:10 Course Introduction

10:10 - 10:20 Pre-test & Pre-questionnaire

10:20 - 10:40 Airway & Ventilator Management

10:40 - 11:00 Shock Management

11:00 - 11:10 Break

Airway Room Ventilator Room Simulation Room 1 Simulation Room 2

11:10 - 11:20 Introduction Introduction

11:20 - 12:30 A조 B조 C조 D조

12:30 - 13:20 Lunch

13:20 - 14:30 B조 A조 D조 C조

14:30 - 14:40 Break

14:40 - 14:50 Introduction Introduction

14:50 - 16:00 C조 D조 A조 B조

16:00 - 16:10 Break

16:10 - 17:20 D조 C조 B조 A조

17:20 - 17:30 Post-test & Post-questionnaire

17:30 - 17:40 Summary & Feedback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13

- 2년차: 복강경 기본 술기, 외상 중환자 2 과정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2년차 필수교육 복강경기본

∙ 2년차는 복강경 술기의 기본이 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실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마취 후 진행된다.

∙ 오전에는 대동물에서 복강경 exploration, 복강경 봉합, 충수절제술 (난관), 담낭

절제술을 실습하고, 오후에는 모형과 대동물을 이용하여 복강경 탈장 복원술을

실습한다.

∙ 3인 1조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2년차 / 연 5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3명, 총 10개 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08:30-16:0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5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프로그램

오송 송도 교육 내용

08:00-08:30 09:00-09:30 등록

08:30-08:40 09:30-09:40 동물실험 윤리 강의

08:40-09:00 09:40-10:00 모듈 소개 및 오전실습강의

09:00-09:15 10:00-10:15 Laparoscopic exploration

09:15-09:45 10:15-10:45 Laparoscopic suturing

09:45-10:45 10:45-11:45Laparoscopic appendectomy (salpingectomy)

10:45-12:30 11:45-13:30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2:30-13:30 13:30-14:30 점심, 단체사진

13:30-13:50 14:30-14:50 오후실습강의

13:50-16:00 14:50-17:00 Laparoscopic hernia repair

평가, 설문조사

1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2년차 필수교육 외상중환자 Ⅱ

∙ 다발성 외상환자 치료에서 기본이 되는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다발성 외상

환자의 초기처치 및 소생술과 손상통제수술 두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다발성 외상환자의 초기처치 및 소생술은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팀으로 평가 및

치료하는 과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손상통제수술은 실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외상수술술기에 대해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2년차 / 연 4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40명(A팀 20명, B팀 20명) 초기처치 및 소생술 (5인 1조, 총 4개조) 손상통제수술 (4인 1조, 총 5개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50분 (10:00~17:5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2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9:30 - 10:00 30분 등 록

10:00 - 10:10 10분 교육과정 소개

10:10 - 10:20 10분 교육 전 시험 및 자기평가

10:20 - 10:50 30분 강 의

10:50 - 11:00 10분 Break

A팀 B팀

11:00 - 13:30 150분 초기 평가 및 소생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실습실 1-4) 대동물을 이용한 손상통제수술

교육 (수술실 1-5)

13:30 - 15:00 90분 Lunch

15:00 - 17:30 150분 대동물을 이용한 손상통제수술

교육 (수술실 1-5) 초기 평가 및 소생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실습실 1-4)

17:30 - 17:40 10분 교육 후 시험 및 자기평가

17:40 - 17:50 10분 토의

- 3년차: 초음파 & 내시경, 복강경 고급 술기 과정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15

▮3년차 필수교육 초음파&내시경

∙ 3년차 교육 과정은 외과 의사가 갖추어야 할 진단적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세개의 초음파 실습 과정과 두개의 내시경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초음파 실습] :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복부, 혈관, 유방 및 갑상선 초

음파로 구성되어 있다. 2인 1조로 실습한다.

∙ [내시경] :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 모형을 이용하여

2인 1조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3년차 / 연 8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18명 (대장내시경 2인 1조 x 3 set / 위내시경 2인 1조 x 3 set / 초음파 2인 1조 x 3 set)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09:30~17:00)

비 고 120분씩 3개의 subunit을 로테이션하여 교육 (순환교육)

교육 장소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1층: 대장내시경, 위내시경 2층: 초음파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9:00 - 09:30 등 록

09:30 - 10:00 초음파 이론 시험

10:00 - 12:00 로테이션 1

12:00 - 13:00 Lunch, 단체촬영 (초음파 이론 재시험)

13:00 - 15:00 로테이션 2

15:00 - 17:00 로테이션 3

평가, 설문조사 - 각 모듈에서 진행

1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3년차 필수교육 복강경고급

∙ 3년차는 복강경 술기 중 난이도가 높은 술기로 운영되며, 실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 3인 1조로 진행되며 복강경 술기를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3년차 / 연 6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27명(송도) / 30명(오송)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프로그램

오송 송도 교육 내용

08:00 - 08:40 09:00 - 09:40 등 록

08:40 - 09:00 09:40 - 10:00 Advanced Laparoscopic Surgery 소개 및 의료윤리

09:00 - 12:00 10:00 - 13:00 Lower Gastrointestinal Procedures :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Bowel Repair and Anastomosis

12:00 - 13:00 13:00 - 14:00 Lunch, 단체촬영

13:00 - 16:00 14:00 - 17:00

Upper Gastrointestinal and HBP Procedures : Laparoscopic Gastrojejunostom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aparoscopic Partial Liver Resection Other procedures (splenectomy, pancreatectomy, TEP)

평가, 설문조사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17

3) 자율평가

∙ 연 1회 진행되는 대한외과학회 주관 자율평가에 반드시 응시하여 합격해야 해당

연차의 수료가 가능하고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불가피한 사정으로 시험 응시가 불가능한 경우 각 수련병원 책임지도전문의가

확인한 사유서를 대한외과학회 수련위원회에 제출하고 정당한 사유로 인정받은

경우 재시험 응시가 가능하다.

∙ 시험에 불합격한 경우 (60점 미만) 재시험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 자율평가는 총론, 각론 및 기타로 구성되어 100문항으로 출제된다.

1년차- 총론: 50%, 각론: 30%, 기타 20%: 영상진단, 해부학, 술기, 응급상황

2년차- 총론: 40%, 각론: 50%, 기타 10%: 영상진단, 해부학, 술기, 응급상황

3년차- 총론: 20%, 각론: 80%

대한외과학회 주관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은 별도의 문서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KoreanSurgical Society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

1. 인터넷 홈페이지

2. 모바일 앱

2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과정은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2019년 이후에는 그동안 이용하던 ‘전공의 온라인 수첩’ 홈페이지는 더 이상 운영하

지 않는다. 전공의는 컴퓨터 혹은 모바일로 접속하여 필요한 기록을 기록해야 한다.

지도전문의는 본인에게 교육받은 전공의에 대한 역량평가를 이 시스템을 통해서 해야

한다. 책임지도전문의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공의 면담기록을 남기고 전공의 평

가서를 작성해야 하며 최종적으로 전문의 시험 지원 자격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매년 대한외과학회 주관의 외과 전공의 수련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수련환경 평

가결과를 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에 입력한다.

1. 인터넷 홈페이지

홈페이지 주소: www.surgery.or.kr/surgery/index.html

Ⅱ전공의 수련 통합관리 시스템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21

1) 전공의

∙ ID, PW 등록 후 e-learning, 술기교육 과정 결제

∙ 이러닝 접속하여 수강

∙ 자율평가 시행 및 점수 확인

∙ 수술기록 입력

∙ 학술대회 참석 내용 입력 – 외과학회 학술대회는 자동 입력

∙ 논문 입력

2) 지도전문의

∙ 지도전문의 자격으로 로그인하여야 한다.

∙ 이러닝 수강 정도를 확인한다.

∙ 역량평가를 해야 한다.

- 지도전문의 지도 하에 진행하는 수술 (appendectomy, cholecystectomy, herniorrhaphy)을

평가한다.

3) 책임지도전문의

∙ 책임지도전문의 자격으로 로그인한다. ‘지도전문의’ 자격으로 접속하면 안된다.

∙ 이러닝 수강 확인

∙ 술기연수강좌 평가 확인

∙ 학술대회 참석 확인

∙ 역량평가 확인: 지도전문의가 시행한 역량평가를 확인한다.

∙ 평가서 – 분기별 1회 이상의 전공의 평가서를 작성한다.

∙ 전공의 면담기록 – 책임지도전문의 규정에 따라 면담 기록을 남긴다.

2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2. 모바일 앱

앱스토어에서 ‘KSET’ 검색 ➜ 설치

<앱 실행 화면>

자격에 맞게 로그인하여 진행. 내용은 홈페이지와 같다.

KoreanSurgical Society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보건복지부 고시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교과 과정

1. 총 칙

2. 전공의 수련과정 중 필요한 공통 역량

3. 연차별 필수 규정

2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 총 칙

1)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의 수련상황은 각 수련병원등의 장이 연차별로

이를 확인하고 대한의학회 산하 수련교육위원회 및 각 전문학회가 주관하여 인

턴 및 수련전문과목별 수련내용을 지도 감독한다.

2)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을 수련함에 있어서 모자결연병원 혹은 통합수련

병원에서 인턴의 경우 1년 미만, 레지던트의 경우 6개월 미만을 수련한 경우에

는 이를 수련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3) 전공의의 수련과정 중 그 일부 또는 전 과정을 외국에서 수련한 경우에는 대한

의학회장의 추천과 보건복지부장관의 인정으로 해당기간을 전공의의 연차별 수

련 교과과정에 산입하여 수련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2. 전공의 수련과정 중 필요한 공통 역량

수련병원 등의 장은 전공의가 수련과정 중 다음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1) 존중(Respect)

가) 타인존중 (Respect for Others)

① 환자의 권리 및 보호(신체접촉, 성관계금지)

② 타 직종에 대한 존중

③ 환자차별금지

Ⅲ보건복지부 고시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교과 과정 (2019. 2. 26)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27

④ 동료의사보호

나) 자기존중 (Respect for Self)

① 신체적, 언어적, 성적 폭력방지

2) 윤리(Ethics)

가) 의료 윤리

① 생명의학 윤리원칙

② 비밀보호 및 준수의무

③ 임상연구 윤리

④ 영리보건의료회사 등과의 미해상충

⑤ 임종기 돌봄 및 연명의료의 윤리

나) 의료 법규

① 보건의료 관련법규

다) 자원관리 (Resource Management)

① 효율성(efficiency)

② 공평성 (Equity)

3) 환자안전 (patient Safety)

가) 환자 안전

① 환자 안전의 개념

② 위기관리(Managing risk)

③ 인적 요소와 체제적 접근

④ 감염 (Infection)관리

⑤ 다양한 질 개선 관리

4) 사회(Society)

가) 사회 및 보건의료 체계에 대한 이해

① 건강보험체계, 지역사회 의료자원 및 요구의 이해

2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② 다양한 의료 관리에 대한 이해

③ 지역보건의료 단체와 재원에 대한 이해

④ 의료정책에 대한 이해

⑤ 보건의료를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이해

⑥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 대한 이해

⑦ 의학과 문학, 예술, 여론, 대중매체에 대한 소양 및 이해

5) 전문성 (Professional ism)

가) 전문가적 진정성 (Professional integrity)

① 조직 프로페셔널리즘

② 사회적 책무성

나) 자기관리 (Self-management)

① 의사의 안녕 (physician wellbeing)

② 자기통제/스트레스 관리

③ 평생 경력관리

6) 수월성 (Excellence)

가) 일반 임상역량 (Generic clinical competence)

① 정확한 환자상태 평가: 병력청취와 신체검진

② 적절하고 온정적인 대도

③ 임상술기 수행능력

④ 근거중심의 진료

⑤ 전인적, 포괄적 진료 (인간심리, 행동, 가족 등에 대한 이해)

나) 자기 계발 (Self-development)

① 자기주도 학습을 통한 평생 학습 태도

② 교육자로서의 전공의

③ 연구 설계 및 논문작성기술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29

7) 의사소통 (Communication)

가) 의사소통 (Communication)

①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기술

② 동료, 보건의료팀, 지역사회 사람들과 의사소통 기술

③ 질환교육 및 정확한 정보제공

8) 팀워크 (Teamwork)

가) 협동(Collaboration)

① 동료 의사와의 팀워크

② 타 직종과의 팀워크

③ 인접의료 종사자에 대한 이해

나) 리더십 (Leadership)

① 전문가적 (professional) 리더십

② 사회적/글로벌(social/global) 리더십

3. 연차별 필수 규정

연차 구분 현 행

1

환자취급범위1. 퇴원환자 (실인원) 100명2. 외래환자 (실인원) 150명

교과내용

최소수술건수

수술참여 100예수술소견서작성 80예충수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10예 탈장교정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담낭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

지식(E-learning)

총론 및 1개 분과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간담췌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술기1년차 술기교육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기본 장문합 술기∙ 외상 중환자 1

3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연차 구분 현 행

1

교과내용수술 충수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자율평가 연1회 자율평가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학술회의참석 외부 1회 이상, 원내 80회 이상

논문제출

타과파견

기타요건

2

환자취급범위1. 퇴원환자 (실인원) 100명2. 외래환자 (실인원) 150명

교과내용

최소수술건수

수술참여 150예수술소견서작성 80예충수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 탈장교정술(지도전문의 감독) 10예담낭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

지식(E-learning)

3개 분과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간담췌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술기2년차 술기교육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복강경 기본 술기∙ 외상 중환자 2

수술 탈장교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자율평가 연1회 자율평가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학술회의참석 외부 1회 이상, 원내 80회 이상

논문제출

타과파견

기타요건

3

환자취급범위1. 퇴원환자(실인원) 100명2. 외래환자(실인원) 100명

교과내용

최소수술건수

수술참여 150예수술소견서작성 80예충수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 탈장교정술(지도전문의 감독) 5예담낭절제술(지도전문의 감독) 10예

지식(E-learning)

3개 분과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간담췌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31

연차 구분 현 행

3

교과내용술기

3년차 술기교육을 이수 후 합격하여야 한다.∙ 초음파 & 내시경 ∙ 복강경 고급 술기

수술 담낭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학술회의참석 외부 1회 이상, 원내 80회 이상

논문제출

타과파견

기타요건

총계

환자취급범위1. 퇴원환자(실인원) 300명2. 외래환자(실인원) 400명

교과내용 지식 (E-learning)은 3년동안 8개 분과 모두를 이수하여야 한다

학술회의참석외부 3회 이상, 원내 240회 이상 - 외부학술회의 참석 스티커는 대한외과학회 및 대한의학회 정회원 학회 중 외과 유관학회의 것으로 하며, 연수강좌 스티커 는 외과학회만 인정한다.

논문제출

1. 원저 단독 논문 및 공저 논문의 제1저자는 1편으로 가능함.(단, 전공의 2인 이상의 공저 논문의 경우 제1저자만 인정)(단, 전공의 2인 이상의 공동 논문의 경우 전공의 공동 제1저자는 불가함)

2. 공저 논문과 증례보고를 합산한 경우 각 1편씩 총 2편으로 가능함(단, 증례보고의 경우 전공의가 반드시 제1저자이어야 함)

3. 증례보고 2편 및 공저 논문 2편의 합산은 불가함* 공저 논문의 경우 반드시 제 1저자에 대한 표시가 있어야 함전문의 고시용 학회지(대한의학회 회원 학회지 중 외과 세부전문분과학회 학회지를 인정한다): 대한외과학회지, 대한내분비외과학회지,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지, 대한대장항문학회지, 대한소아외과학회지, 대한위암학회지, 대한종양외과학회지,대한혈관외과학회지,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한국유방암학회지, 대한화상학회지, 대한이식학회지, 대한외상학회지 ,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지,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지(JACS), Journal of Breast Disease,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지 JCN(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대한소화기학회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대한암학회지,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대한의사협회지, 대한간학회지,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지 및 SCI급(SCI, SCIE) 학회지를 인정하고 이외의 학회지에 게재할 때는 필요한 논문의 배수의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타과파견 내시경실 비롯한 2개과 이상을 적어도 1개월 이상씩 파견 수련을 권장한다.

기타요건1. 병상기록 작성 2. 응급환자 진료 3. 수술 환자의 수술전후 치료 및 관리

비고

1. 타과 파견의 경우 해당 과장을 파견확인서를 첨부하여야 한다.2. 모자병원의 경우 수련시키는 자병원의 수련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3. 수련병원 책임지도전문의는 전공의 역량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수련의 면

담 기록을 작성해야 한다.

3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 환자 취급범위

가) 퇴원환자

① 1년차 - 100명 (실 인원), 2년차 - 100명, 3년차 - 100명

나) 외래환자

① 1년차 – 150명, 2년차 – 150명, 3년차 – 100명

2) 수술

가) 수술 참여

① 1년차 최소 100례 (수술기록 작성 최소 80례)

② 2년차 최소 150례 (수술기록 작성 최소 80례)

③ 3년차 최소 150례 (수술기록 작성 최소 80례)

나) 수술 경험 및 역량

① 위에 기술한 연차별 최소 참여 수술 증례 수는 제1조수 이상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차별로 달성해야 하는 수술 성과는 지도전문의 감독 하에 다

음의 수술이 가능하여야 한다.

∙ 1년차: appendectomy 와 이에 준하는 수술

∙ 2년차: herniorrhaphy 와 이에 준하는 수술

∙ 3년차: cholecystectomy 와 이에 준하는 수술

3) 학술회의 참석

가) 매 연차 당 외부 1회 이상, 원내 80회 이상

4) 외부 학술회의 참석은 대한외과학회 및 대한의학회 정회원 학회 중 외과 유

관학회의 것으로 하며 연수강좌 스티커는 외과학회만 인정한다.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33

5) 논문

가) 원저 단독 논문 및 공저논문의 제 1저자 1편

나) 공저논문과 증례보고를 합산한 경우 각 1편씩 총 2편

(단, 증례보고의 경우 전공의가 반드시 제1저자여야 함)

다) 증례보고 2편 및 공저논문 2편의 합산은 불가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대한외과학회 수련규정

1. 수련 목표

2. 필수 수술 경험

3. 분과수련

3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 수련 목표

외과적 질환의 병태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힘을 기르고 외상성, 선천성, 후천성

외과질환, 종양 및 감염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수기를 익히며 환자와 공감할 수

있는 유능한 외과의사를 양성한다.

외과 수련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음과 같은 신뢰할 만한 전문활동(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1) 입원 환자의 수술 전, 후 전반적인 관리를 잘 할 수 있다.

2) 중환자 관리를 잘 할 수 있다.

3) 중등도의 수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4) 응급 및 외상 환자에 대한 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5) 외래에서 진단에 필요한 검사와 치료적 처치를 할 수 있다.

2. 필수 수술 경험

∙ 3년동안 최소 400례 이상의 제 1조수 이상의 수술 경험이 필요하다. 400례 중

필수수술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며 그 최소 수는 아래 표와 같다. (중심정맥관 삽

입 50례 제외 116례)

∙ 필수 수술은 독자적으로 수행 가능하여야 한다.

Ⅳ대한외과학회 수련규정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37

<필수 수술의 종류와 증례 수>

Appendectomy 20

Herniorrhaphy 20

cholecystectomy 20

central line access 50

benign mass excision 10

Incision & Drainage 10

bowel anastomosis 10

Perianal abscess drainage 2

Diagnostic laparoscopy 10

Breast mass excision 2

Sentinel node biopsy 2

Arteriovenous fistula/graft 2

Varicose vein surgery 2

Port insertion 2

Appendectomy(pediatric) 2

Hernia repair (pediatric) 2

필수 수술에 지정되지 않은 각 분과 혹은 장기별 필수 수술 술기는 뒤에 나오는 전

문역량 수련성과의 core(핵심성과)에 해당하는 수술 술기를 모두 경험하여야 한다.

이는 기록을 통해 학회에 보고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대한외과학회 수련위원회에서

지정한다.

3. 분과수련

3년간 외과 산하 아래 해당 분과의 수련을 받아야 한다. 분과별 최소 수련기간은

1개월로 한다. 해당 분과는 다음과 같다. 단, 화상 분과의 경우 선택수련 과정으로 한다.

1) 간담췌

2) 위장관

3) 대장항문

3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4) 유방

5) 갑상선-내분비

6) 소아

7) 혈관, 이식

8) 중환자, 외상

모든 분과 수련은 대한외과학회에서 분과수련을 인정한 병원에서 수련을 받아야 한

다. 해당 분과 혹은 분과전문의가 없는 경우 통합수련, 모자병원 수련 혹은 파견을 통

해 수련을 받도록한다. (대한외과학회의 인정과정 필수) 단, 유방, 갑상선-내분비는

함께 수련이 가능하다.

모든 전공의는 수련 기간 중 매월 수련 받는 분과가 지정되어야 한다. 수련분과의

지정은 각 수련병원의 책임지도전문의가 지정의 책임을 가진다.

※ 혈관·이식의 경우 혈관외과 분과전문의와 이식수술을 시행하는 외과 지도전문

의가 있어야 한다. 중환자·외상의 경우 외상중환자외과 또는 권역외상센터가 개

설되어 있거나 외과지도전문의 중 중환자 세부 전문의가 있어야 한다.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전문역량 수련교과과정

4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대한외과학회 외과 전공의 수련성과는 외과지식과 외과 술기의 두 영역으로 분리하

여 외과 전문역량을 제시한다. 외과 총론과 외과 각론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각 주제

마다 Core(핵심역량)과 Advanced(전문역량)로 나누어 제시되어 있다.

Core(핵심역량)는 필수적으로 전공의들이 알아야 하고 수행해야 하는 부분이고 이

를 달성한 이후 advanced(전문역량)를 습득하고 수행하여야 한다. 우수한 외과 전문

의가 되기 위해서는 advanced(전문역량)까지 교육하고 습득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역량은 각 수련기관에서 책임지도전문의가 관리하는 수련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하

며 관리되어야 한다.

외과 지식 교육의 경우 해당 분과의 지도전문의의 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대한외

과학회 E-learning을 전공의와 지도전문의가 같이 보면서 질문과 답변을 나누는 것

과 교과서를 함께 통독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으로도 교육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러

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은 문서로 기록되고 수련 평가 시 확인되어야 한다.

외과 술기 수련의 경우 핵심역량 (core)은 모든 전공의들이 경험해야 한다. 여기서

경험이라 함은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전문역량(advanced)의

경우 핵심역량을 만족하고 지도전문의가 충분한 역량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경험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전문역량의 경험은 약간의 도움으로 해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만약 전공의들의 기본적인 역량이 미치지 못하여 핵심역량으로 규정된 술기를 독자

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책임지도전문의 확인하에 미달 사유를 기록하고 해

당 전공의는 해당 역량을 충족하기 전까지는 전문의 시험의 응시가 불가능하다.

Ⅴ전문역량 수련교과과정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43

1. 교과과정

[외과총론]

1.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2. Nutrition and metabolism

3.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4. Surgical infection

5. Wound management & sutures

6.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7. Surgical Critical Care

8. Trauma

9.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10. Immunology

11. Endoscopy

12. Ultrasonography 

13. burn

[외과 각론]

1. Abdomen – General

2. Hernia

3. Liver

4. Biliary

5. Pancreas

6. Spleen

7. Stomach

8. Small Intestine

9. Large Intestine

10. Anorectal

11. Breast

4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2. Endocrine

13. Vascular Disease

14. Transplantation

15. Pediatric Surgery

※ 수련성과는 외과 지식 268항목(핵심-187 항목, 전문-81 항목, 외과 술기 109 항목(핵심-52

항목, 전문-57 항목)으로 구성된다.

1) 외과총론

1.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외과 지식

Core

Body fluid compartments

Fluid homeostasis

Electrolyte imbalance

Acid-base regulation

Acid-base disorders

2. Nutrition and metabolism

외과 지식

Core

Surgical metabolism and clinical impact of malnutrition

Nutritional screening and assessment

Nutritional requirement

Metabolism of macronutrients

Micronutrients and pharmaconutrition

Principles of enteral nutrition

Principles of parenteral nutrition

Advanced

Nutritional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45

Nutritional therapy in cancer patients

Complication and monitoring of EN and PN

외과 술기

Core

Central venous catheter

Advanced

Feeding jejunostomy (open & laparoscopic procedure)

3.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외과 지식

Core

Hemostasis

Coagulopathy

Acquired coagulopathy

Congenital coagulopathy

Massive transfusion

Indication of blood transfusion

Complication of transfusion

4. Surgical infection

외과 지식

Core

Surgical site infection

Intra-abdominal infections

Hospital-Acquired infections

Host defense and infection

Infection control - Avoiding risk to self and others

Infections - Diagnostic approach

4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Infections - Bacterial, Fungal, Viral, common

Pathophysiology of sepsis

Perioperative antimicrobial prophylaxis

Principl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5. Wound management & sutures

외과 지식

Core

Mechanisms of wound healing

Classification of wound

Chronic wound

Excess wound healing (hypertrophic scar, keloid)

외과 술기

Core

Various suture techniques

Surgical ties

Wound dressing – simple/complicated

Sore dressing

Advanced

Complicated wound management

6.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외과 지식

Core

Evaluation of surgical risk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ardiac risk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ulmonary risk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cute kidney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47

injury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lood sugar &

diabetes mellitus

Venous thromboembolism –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Peri-operative management of immune compromised patients

Prophylaxis for venous thrombosis

Postoperative delirium

7. Surgical critical care

외과 지식

Core

Management of shock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Cardiac arrhythmias

Renal failure

Multiple organ failure

외과 술기

Core

Line access (venous, arterial)

Paracentesis

Thoracentesis

Monitoring of abdominal pressure

Monitoring devices for hemodynamic monitoring

Airway management

Mechanical ventilation

4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8. Trauma

외과 지식

Core

Initial assessment of trauma patients (ABCDE)

Hemorrhagic shock

Damage control surgery

Management of abdominal injury

Management of pelvic injury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Advanced

Septic, Cardiogenic, Neurogenic Shock

Management of open abdomen

Management of brain injury

Management of neck injury

Management of thoracic injury

외과 술기

Core

Initial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ABCDE)

Focused Assessment by Sonogram for Trauma (FAST)

Advanced

Chest tube placementLigation of injured vessels

9.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외과 지식

Core

Principles of Surgical oncology

Principles of chemotherapy

Side effect and adverse events of chemotherapy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49

Prevention of chemotherapy induced side effects

Advanced

Background of extent of lymph node dissection,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Indication of cytotoxic drug

Indication of targeted chemotherapy

Indication of immunotherapy and perspectives

Supportive care fo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Indication of radiotherapy

Managements of terminal stage patients

외과 술기

Advanced

Chemoport insertion

10. Immunology

외과 지식

Core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Immune response to injury and infection

Advanced

Transplant Immunology

Immunosuppression

11. Endoscopy

- Colonoscopy

외과 지식

Core

Normal and Abnormal Findings on Endoscopy

5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Pathologic Results: Interpretation and Indications for Surgery

Advanced

Endoscopy Equipment

Indications, Contra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Endoscopy

Preparation for Endoscopy

Endoscopy under Conscious Sedation: Precautions and

Complications

Endoscopic Biopsy: Indications and Methods

Therapeutic Endoscopy: Types, Indications, and Methods

Intraoperative Endoscopy: Purpose and Method

Endoscopic Ultrasound: Indications and Its Reading

외과 술기

Core

Handling of Endoscope: Turning, Inflation, Suction, etc.

Advanced

Sigmoidoscopy: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Colonoscopy: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 Gastroscopy

외과 지식

Core

Normal endoscopic findings of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Description of upper endoscopic findings

Advanced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gastroscope

Standard technique of gastroscope

Premedication for gastroscopy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51

외과 술기

Core

Handling of Endoscope: Turning, Inflation, Suction, etc.

Advanced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12. Ultrasonography

외과 지식

Core

General Principles of Ultrasound Device

Ultrasound Use for Intravascular Access

Ultrasound Use in Soft Tissue Infection & Abscess

Advanced

Ultrasound Use in Breast Disease

Ultrasound Use in Recto-Anal Disease

Ultrasound Use in Endocrine Disease

Ultrasound in Diagnosis of Vascular Disease

Ultrasound Use in Thorax & Abdomen

외과 술기

Core

Ultrasound-guided Vessel Puncture

Ultrasound Technique in Soft Tissue Infection & Abscess

Advanced

Ultrasound Assessment of Breast Nodule

Ultrasound Assessment of Thyroid Nodule

Ultrasound Assessment of Lymph Nodes

Ultrasound Assessment of GB & Biliary system

5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Ultrasound-guided Paracentesis & Thoracentesis

13. Burn

외과 지식

Core

Initial burn management

Management of Burn shock, Fluid therapy

Management of Electrolyte imbalance

Burn dressing (Ointment, hydroform, hydrocolloid)

Advanced

Management of Septic shock

외과 술기

Core

Burn dressing (Ointment, hydroform, hydrocolloid)

Airway management (difficult intubation)

ICU patient management

Advanced

Tracheostomy

Escharectomy, Escharotomy, Fasciotomy

Skin graft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53

2) 외과 각론

1. Abdomen – General

외과 지식

Core

Abdominal pain, Acute

Abdominal pain, Chronic

Bacterial peritonitis-Spontaneous

Intra-abdominal abscess

Rectus sheath hematoma

Ascites

Advanced

Ascites-chylous

Mesenteric Cyst

Carcinomatosis peritonei

Pseudomyxoma peritonei

외과 술기

Core

Diagnostic laparoscopy

Advanced

Intraabdominal abscess-Drainage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Peritoneal Biopsy

2. Hernia

외과 지식

Core

Inguinal hernia

Femoral Hernia

5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Ventral hernia

Umbilical and Epigastric hernia

Advanced

Miscellaneous hernia

Prosthetic mesh infection-management

외과 술기

Core

Inguinal hernia repair - open

Inguinal hernia repair - laparoscopic

Advanced

Femoral hernia repair

laparoscopic ventral hernioplasty

3. Liver

외과 지식

Core

Anatomy and Physiology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liver masses

Screening on high risk patient of liver cancer

Selection of surgical candidates with hepatic tumors

Cirrhosis

Advanced

Mechanism of postoperative hepatic failure

Multimodal approaches to patients with liver cancers

Metastatic hepatic mass

Liver Transplantation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55

외과 술기

Core

Skin Incision and closure during of hepatectomy

Advanced

Hepatic Ultrasound - Intraoperative

Wedge resection

4. Biliary

외과 지식

Core

Surgical Anatomy and Physiology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jaundice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Cholecystitis

Cholangitis

Choledocholithiasis

Choledochal cyst

Screening on high risk patient of biliary cancer

Mechanism of bile duct injury

Advanced

Cancer staging in biliary cancers

Specif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Surgical Hepatobiliary diseases

Role of preop neoadjuvant therapy and postop adjuvant therapy

외과 술기

Cor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5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Advanced

Choledochoscopy

Common Bile Duct Exploration – Laparoscopic

Common Bile Duct Exploration – Open

5. Pancreas

외과 지식

Core

Surgical Anatomy and Physiology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jaundice

Pathophysiology of cystic neoplasm of pancreas

Pathophysiology of solid non-tumorous and tumorous lesions

Postop pancreatitis

Advanced

Cancer staging in pancreas cancers

Role of preop neoadjuvant therapy and postop adjuvant

therapy

외과 술기

Core

Advanced

Pancreatic Ultrasound - Intraoperative

Pancreatectomy – Distal

6. Spleen

외과 지식

Core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57

Pathophysiology of ITP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Concepts of post-splenectomy sepsis

Pathophysiology of hypersplenism - primary and secondary

Advanced

Screening of surgical candidates with hemolytic anemia

외과 술기

Core

Advanced

Splenectomy – laparoscopic

Splenectomy – open

7. Stomach

외과 지식

Core

Anatomy & physiology

Gastrointestinal bleeding - Uppe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Hiatal hernia

Peptic ulcer disease with complications

Postgastrectomy syndrome

Gastric cancer

Morbid obesity

Advanced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tumor (GIST etc.)

Neuroendocrine tumor

Gastric lymphoma

Bezoar

Esophageal cancer

5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Benign disease of esophagus

외과 술기

Core

Upper mid-line incision and closure

Pneumoperitoneum formation and trocar insertion for gastric

surgery

gastrojejunostomy

jejunojejunostomy

Advanced

Laparoscopic peptic ulcer surgery - primary closure

Open partial gastrectomy – wedge

Laparoscopic wedge resection of stomach

8. Small Intestine

외과 지식

Core

Anatomy & physiology

Small Intestinal Obstruction

Paralytic Ileus

Enterocutaneous Fistula

Intussusception

Mesenteric Ischemia – acute (arterial, venous, and nonocclusive)

Advanced

Enteric Infections/Blind Loop Syndrome

Short Bowel Syndrom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외과 술기

Core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59

Enterostomy maturation

Small bowel anastomosis

Advanced

Small Intestine Resection

Adhesiolysis

Ileostomy

Ileostomy closure

9. Large Intestine

외과 지식

Core

Anatomy and Physiology

Appendicitis

Appendiceal Neoplasms

Colitis – Ischemic

Surgical management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lonic Volvulus

Diverticulitis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Colon obstruction

Colon Cancer

Advanced

Colon Neoplasms – Miscellaneous

Functional Constipation

Hereditary Colon Cancer – Polyposis Syndromes

외과 술기

Core

Laparoscopic Appendectomy

6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Advanced

Colectomy – segmental

Colostomy

Colostomy Closure

10. Anorectal

외과 지식

Core

Anatomy and Physiology

Anal Fissure

Hemorrhoids

Anorectal Abscess and Fistula

Rectal Cancer

Anal Cancer

Advanced

Fecal Incontinence

Rectal Prolapse

Pruritus ani

Pilonidal sinus

외과 술기

Core

Anorectal Abscess – Drainage

Advanced

Hemorrhoidectomy

Anal Sphincterotomy - Internal

Anal Fistulotomy /Seton Placement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61

11. Breast

외과 지식

Core

Anatomy & physiology

Physical examination

Breast imaging

Benign diseases of breast

Breast cancer

Advanced

Metastatic breast cancer

Breast reconstruction

외과 술기

Core

Incision and drainage

Excision of benign breast tumor

Advanced

Sentinel lymph node biopsy

Breast conserving surgery

Total mastectomy

12. Endocrine

외과 지식

Core

Anatomy & physiology (Thyroid, parathyroid, adrenal gland)

Thyroid nodule

Benign thyroid disease

Thyroid cancer

Hyperparathyroidism

6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Adrenal tumor

Advanced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Parathyroid gland cancer

Adrenal cancer

Parotid gland

외과 술기

Core

Advanced

thyroid lobectomy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외과 지식

Core

Pathophysiology of atherosclerosis

Non-invasive vascular laboratory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Claudication and critical limb

ischemia

Acute arterial embolism/thrombosis

Abdominal aortic aneurysm

Aortic dissection

Vascular trauma (abdominal, peripheral)

Carotid artery stenosis

Mesenteric ischemia

Advanced

Vasculitis – Buerger’s disease, Takayasu’s disease

Kidney transplantation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63

외과 술기

Core

Essential vascular skill- vascular exposure, vascular anastomosis

Ultrasound in diagnosis of arterial disease

Arterial embolectomy/thrombectomy

Repair of injured vessels

Advanced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외과 지식

Core

Pathophysiology and classification of venous disorder

Acute thrombophlebitis

Varicose vein

Venous thromboembolism –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CVI)

Lymphedema and lymphangitis

Venous access for long-term therapy

Advanced

Hypercoagulable syndrome

외과 술기

Core

Varicose vein – management

Ultrasound in diagnosis of venous disease

Percutaneous vascular access

Vascular port insertion

Deep vein thrombosis – Thrombolysis, IVC filter insertion

6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Arteriovenous fistula/graft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and remove

Advanced

15. Pediatric Surgery

외과 지식

Core

Neonates

Neonatal physiology / Embryology

Assessment of surgical neonates

Resuscitation of surgical neonates

Branchial cleft anomaly

Thyroglossal duct cyst

Torticollis

Esophageal atresia / Tracheoesophageal fistula

Gastroesophageal reflux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Duodenal Atresia / Stenosis

Jejunoileal Atresia / Stenosis

Intestinal malrotation / Midgut volvulus

Omphalomesenteric remnant

Necrotizing enterocolitis

Intussusception

Acute appendicitis

Inguinal hernia

Umbilical hernia

Advanced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65

Hirschsprung’s disease

Anorectal malformation

Biliary atresia

Choledochal cyst

Omphalocele / Gastroschisis

General principles of pediatric surgical oncology

Pediatric surgical oncology (Neuroblastoma, Wilms’ tumor, Teratoma,

Hepatic tumor)

외과 술기

Core

Inguinal hernia repair

Appendectomy

Advanced

Insertion of central venous catheter in children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Pyloromyotomy

Intussusception – operation

Umbilical hernia repair

Gastrostomy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책임지도전문의

1. 정의

2. 책임지도전문의 규정

6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 정의

외과 ‘책임지도전문의’는 수련병원에서 외과 전공의 수련교육 프로그램을 총괄하여

관리하고 전공의들의 수련 상황을 감독하며 지도전문의들의 기능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하는 지도전문의이다.

∙ 각 수련기관에는 전공의 수련교육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책임지도전문의가 지정

되어야 한다.

∙ 책임지도전문의는 각 기관에서 수련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

∙ 책임지도전문의는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관리, 전공의 및 지도전문의 평가, 전공

의 면담의 책임을 진다.

∙ 책임지도전문의의 최종 평가를 통해 인정받은 전공의만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각 수련기관에서는 전공의 관리에 필요한 지원을 책임지도전문의에게 하여야 한다.

∙ 책임지도전문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책임지도전문의 규정을 따른다.

2. 책임지도전문의 규정

제 1 조 자격

1) 지도전문의 자격 취득 후 4년 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2) 수련기관에서 실질적인 전공의 담당 지도전문의 경력 즉, 수련교육위원 등

의 경력이 3년 이상 되어야 한다. 이것은 각 기관에서의 활동 경력을 문서

로 제출하는 경우에 인정된다.

3) 학회에서 진행하는 책임지도전문의 교육을 연 2회 이상 이수해야 한다.

Ⅵ책임지도전문의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69

4) 전체 근무 시간의 일정 부분 이상을 책임지도전문의 역할에 할애하여야 한다.

이 시간은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위원회 규정을 따른다. (권장 30% 이상)

5) 학회에 보고 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2 조 임기 및 정원

1) 임기는 최소 3년 이상으로 한다. 퇴직 등 부득이한 사유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 대한외과학회에 사유서를 제출하고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

우 궐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새로운 책임지도전문의를 임명하여야 한다.

2) 연임 및 중임이 가능하다.

3) 전공의 정원 12명까지는 책임지도전문의 1인을 임명하여야 한다. 전공의

정원이 13명 이상인 경우 부책임지도전문의를 추가로 임명하여야 하고 추

가 10명 당 1명의 부책임지도전문의가 임명되어야 한다.

4) 책임지도전문의가 새로 임명될 시에는 1개월 내로 학회에 보고하고 인준을

받아야 한다.

제 3 조 역할

1) 각 수련기관에서 외과 전공의 수련교육 프로그램 관리의 책임을 가진다.

가) 대한외과학회 수련교육위원회가 제공하는 기준을 충족시키는 각 기관의 수련

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문서로 작성한다.

나) 해당 프로그램을 수련위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각 수련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수련교육 프로그램의 진행과 평가를 총괄한다.

라) 매년 대한외과학회 수련위원회의 수련 프로그램 이행 평가의 수검 책임을 진다

2)) 교육프로그램 개선의 책임을 가진다.

가) 수련 프로그램 이행 평가에서 지적된 사항에 대한 해당 기관의 수련교육프로

그램 개선의 의무를 가진다.

나) 개선 사항을 3개월 내에 수련위에 보고하고 승인을 받는다.

3) 대한외과학회 주관 전공의 수련교육 프로그램에 전공의들이 참여 및 출석을

관리한다.

7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4) 전공의 근무환경을 관리한다.

5) 지도전문의 관리

6) 필수 집담회 유지 및 관리

7) 평가

제 4 조 전공의 근무환경 관리

1) 전공의 특별법에 규정한 수련규정의 준수 여부를 관리한다.

2) 전공의 면담기록을 작성한다.

가) ‘대표전공의’(의국장 등)과 월 1회 면담을 실시하고 그 기록을 남긴다.

나) 각 전공의와 분기별 1회 이상 수련과정, 개인 신상에 관한 면담을 실시하고

그 기록을 남긴다.

다) 전체 전공의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연 2회 실시하고 그 기록을 남긴다.

라) 면담 기록과 내용을 과 책임자(과장 혹은 주임교수)에게 보고하고 개선사항을

건의한다.

제 5 조 지도전문의 관리

1) 각 지도전문의의 수련교육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을 규정한다.

2) 각 지도전문의 아래에서 수련 받는 전공의에게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알리

도록 한다.

3) 연 1회 이상 지도전문의 자체 교육과정 혹은 워크숍을 진행한다.

제 6조 평가

1) 전공의 평가

가) 전공의 수련과정 중 다면평가를 분기 1회 이상 실시하고 기록한다. 이 평가에

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① 수술 역량

② 의학 지식

③ 인성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71

④ 사회성

⑤ 발전 가능성

나) 의학 지식 평가를 위한 자체 시험을 실시하고 관리한다. (연 1회 이상 권장)

다) 학회에서 지정한 필수 술기평가를 연차별로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기록한다.

2) 지도전문의 평가

가) 전공의를 통한 지도전문의 평가를 시행하고 기록을 남긴다

나) 지도전문의의 역할과 교육과정을 평가하여 교육의 질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 위의 평가 내용을 지도전문의에게 전달하고 유지, 발전시키도록 한다

제 7조 개선활동

1) 전공의 면담, 전공의 평가, 지도전문의 평가 등으로 확보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선 활동을 진행하여야 한다.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지도전문의

1. 지도전문의 규정

2. 지도전문의 교육 목표

3. 외과 수련에서 지도전문의의 역할

7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1. 지도전문의 규정

∙ 전속전문의 중 해당과목 수련병원(기관)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고 지도전문

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 전공의 수련교육을 담당하는 전문의‘ (2012년도 제1차

병원신임위원회)

∙ 교육주기 및 시간: 최초 교육을 받은 연도를 기준으로 3년마다 8시간 이상 받아

야 한다.

∙ 지도전문의 교육은 대한병원협회 교육과 지도전문의 소속 전문학회 교육을 모두

이수하여야 한다.

2. 지도전문의 교육 목표

∙ 지도전문의가 지켜야 할 윤리규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전공의들이 의사로서 갖추어야할 윤리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 소속과 전공의가 수련해야 할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소속과 전공의 교육 시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소속과 전공의에 대한 평가 및 수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전공의의 수련과 관련된 제 규정들을 설명할 수 있고, 이를 준수한다.

3. 외과 수련에서 지도전문의의 역할

1) 본인에게 소속된 전공의에게 외과 지식 교육을 할 의무가 있다.

2) 본인에게 소속된 전공의에게 외과 술기 교육을 할 의무가 있다.

3) 전공의의 역량을 평가한다.

4) 전공의의 역량 수준을 책임지도전문의에게 전달한다.

Ⅶ지도전문의

KoreanSurgical Society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요강

부 록

대한외과학회 전문역량

1. 지식

2. 술기

78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부록1. 대학외과학회 전문역량 : 지식(등급별)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1 총론 2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core Body fluid compartments

2 총론 2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core Fluid homeostasis

3 총론 2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core Electolyte imbalance

4 총론 2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core Acid-base regulation

5 총론 2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balance core Acid-base disorders

6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Surgical metabolism and clinical impact of malnutrition

7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Nutritional screening and assessment

8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Nutritional requirement

9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Metabolism of macronutrients

10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Micronutrients and pharmaconutrition

11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Principles of enteral nutrition

12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Principles of parenteral nutrition

13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advanced Nutritional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14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advanced Nutritional therapy in cancer patients

15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advanced Complication and monitoring of EN and PN

16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Coagulopathy

17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Drug-induced coagulopathy

18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Inherent coagulopathy

19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Massive transfusion

20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Indication of blood transfusion

21 총론 4 Transfusion & disorders of coagulation core Complication of transfusion

22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tra-abdominal infections

23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Hospital-Acquired infections

24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Host defense and infection

25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Infection control - Avoiding risk to self and others

26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Infections - Diagnostic approach

27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Infections - Bacterial, common

28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Infections - Fungal, common

29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Infections - Viral, common

30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Pathophysiology of sepsis

31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Perioperative antimicrobial prophylaxis

32 총론 5 Surgical infection core Principl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33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Mechanisms of wound healing

34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Conditions associated with chronic wound

35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Evaluation of surgical risk

36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re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ardiac risk

37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Interpretation of preoperative cardiac evaluation

38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re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ulmonary risk

39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Interpreta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evaluation

40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cute kidney injury

41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eri-ope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lood sugar & diabetes mellitus

42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Venous thromboembolism –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43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eri-operative management of immune compromised patients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79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44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rophylaxis for venous thrombosis

45 총론 7 Perioperative evaluation and perioperative managements core Postoperative delirium

46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Management of shock

47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48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Cardiac arrhythmias

49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Renal failure

50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Multiple organ failure

51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52 총론 9 Trauma core Initial assessment of trauma patients (ABCDE)

53 총론 9 Trauma core Hemorrhagic shock

54 총론 9 Trauma core Damage control surgery

55 총론 9 Trauma core Management of abdominal injury

56 총론 9 Trauma core Management of pelvic injury

57 총론 9 Trauma cor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58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open abdomen

59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brain injury

60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neck injury

61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thoracic injury

62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core Principles of Surgical oncology

63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core Principles of chemotherapy

64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core Side effect and adverse events of chemotherapy

65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core Prevention of chemotherapy induced side effects

66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Background of extent of lymph node dissection,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67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Indication of cytotoxic drug

68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Indication of targeted chemotherapy

69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Indication of immunotherapy and perspectives

70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Supportive care fo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71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Indication of radiotherapy

72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advanced Managements of terminal stage patients

73 총론 11 Immunology core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74 총론 11 Immunology core Immune response to injury and infection

75 총론 11 Immunology advanced Transplant Immunology

76 총론 11 Immunology advanced Immunosuppression

77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core Normal and Abnormal Findings on Endoscopy

78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core Pathologic Results: Interpretation and Indications for Surgery

79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Endoscopy Equipment

80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Indications, Contra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Endoscopy

81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Preparation for Endoscopy

82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Endoscopy under Conscious Sedation: Precautions and Complications

83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Endoscopic Biopsy: Indications and Methods

84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Therapeutic Endoscopy: Types, Indications, and Methods

85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Intraoperative Endoscopy: Purpose and Method

86 총론 12 Endoscopy (Colonoscopy) advanced Endoscopic Ultrasound: Indications and Its Reading

87 총론 12 Endoscopy (Gastroscopy) core Normal endoscopic findings of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88 총론 12 Endoscopy (Gastroscopy) core Description of upper endoscopic findings

80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89 총론 12 Endoscopy (Gastroscopy) advanced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gastroscope

90 총론 12 Endoscopy (Gastroscopy) advanced Standard technique of gsatroscope

91 총론 12 Endoscopy (Gastroscopy) advanced Premedication for gastroscopy

92 총론 13 Ultrasonography core General Principles of Ultrasound Device

93 총론 13 Ultrasonography core Ultrasound Use for Intravascular Access

94 총론 13 Ultrasonography core Ultrasound Use in Soft Tissue Infection & Abscess

95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Use in Breast Disease

96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Use in Recto-Anal Disease

97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Use in Endocrine Disease

98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in Diagnosis of Vascular Disease

99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Use in Thorax & Abdomen

100 총론 14 Burn core Initial burn management

101 총론 14 Burn core Management of Burn shock, Fluid therapy

102 총론 14 Burn core Management of Electrolyte imbalance

103 총론 14 Burn core Burn dressing (Ointment, hydroform, hydrocolloid)

104 총론 14 Burn advanced Management of Septic shock

105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Abdominal pain, Acute

106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Abdominal pain, Chronic

107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Bacterial peritonitis-Spontaneous

108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Intra-abdominal abscess

109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Rectus sheath hematoma

110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Ascites

111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Ascites-chylous

112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Mesenteric Cyst

113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Carcinomatosis peritonei

114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Pseudomyxoma peritonei

115 각론 2 Hernia core Inguinal hernia

116 각론 2 Hernia core Femoral Hernia

117 각론 2 Hernia core Ventral hernia

118 각론 2 Hernia core Umbilical and Epigastric hernia

119 각론 2 Hernia advanced Miscellaneous hernia

120 각론 2 Hernia advanced Prosthetic mesh infection-management

121 각론 3 Liver core Anatomy and Physiology

122 각론 3 Liver core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123 각론 3 Liver core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124 각론 3 Liver core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liver masses

125 각론 3 Liver core Screening on high risk patient of liver cancer

126 각론 3 Liver core Selection of surgical candidates with hepatic tumors

127 각론 3 Liver core Cirrhosis

128 각론 3 Liver advanced Mechanism of postoperative hepatic failure

129 각론 3 Liver advanced Multimodal approaches to patients with liver cancers

130 각론 3 Liver advanced Metastatic hepatic mass

131 각론 4 Liver advanced Liver transplantation

132 각론 4 Biliary core Surgical Anatomy and Physiology

133 각론 4 Biliary core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81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134 각론 4 Biliary core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jaundice

135 각론 4 Biliary core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136 각론 4 Biliary core Cholecystitis

137 각론 4 Biliary core Cholangitis

138 각론 4 Biliary core Choledocholithiasis

139 각론 4 Biliary core Choledochal cyst

140 각론 4 Biliary core Screening on high risk patient of biliary cancer

141 각론 4 Biliary core Mechanism of bile duct injury

142 각론 4 Biliary advanced Cancer staging in biliary cancers

143 각론 4 Biliary advanced Specif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Surgical Hepatobiliary diseases

144 각론 4 Biliary advanced Role of preop neoadjuvant therapy and postop adjuvant therapy

145 각론 5 Pancreas core Surgical Anatomy and Physiology

146 각론 5 Pancreas core Interpretation of laboratory examination

147 각론 5 Pancreas core Diagnostic Imaging modality application

148 각론 5 Pancreas core Diagnostic approaches to patients with jaundice

149 각론 5 Pancreas core Pathophysiology of cystic neoplasm of pancreas

150 각론 5 Pancreas core Pathophysiology of solid non-tumorous and tumorous lesions

151 각론 5 Pancreas core Postop pancreatitis

152 각론 5 Pancreas advanced Cancer staging in pancreas cancers

153 각론 5 Pancreas advanced Role of preop neoadjuvant therapy and postop adjuvant therapy

154 각론 6 Spleen core Pathophysiology of ITP (Idiopath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155 각론 6 Spleen core Concepts of post-splenectomy sepsis

156 각론 6 Spleen core Pathophysiology of hypersplenism - primary and secondary

157 각론 6 Spleen advanced Screening of surgical candidates with hemolytic anemia

158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Anatomy & physiology

159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Gastrointestinal bleeding - Upper

160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161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Hiatal hernia

162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Peptic ulcer disease with complications

163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Postgastrectomy syndrome

164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Gastric cancer

165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Morbid obesity

166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tumor (GIST etc.)

167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Neuroendocrine tumor

168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Gastric lymphoma

169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Bezoar

170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Esophageal cancer

171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Benign disease of esophagus

172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Anatomy & physiology

173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Small Intestinal Obstruction

174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Paralytic Ileus

175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Enterocutaneous Fistula

176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Intussusception

177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Mesenteric Ischemia – acute (arterial, venous, and nonocclusive)

178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Enteric Infections/Blind Loop Syndrome

82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179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Short Bowel Syndrome

180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181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Anatomy and Physiology

182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Appendicitis

183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Appendiceal Neoplasms

184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Colitis – Ischemic

185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Surgical manage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186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Colonic Volvulus

187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Diverticulitis

188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189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Colon obstruction

190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Colon Cancer

191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Colon Neoplasms – Miscellaneous

192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Functional Constipation

193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Hereditary Colon Cancer – Polyposis Syndromes

194 각론 10 Anorectal core Anatomy and Physiology

195 각론 10 Anorectal core Anal Fissure

196 각론 10 Anorectal core Hemorrhoids

197 각론 10 Anorectal core Anorectal Abscess and Fistula

198 각론 10 Anorectal core Rectal Cancer

199 각론 10 Anorectal core Anal Cancer

200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Fecal Incontinence

201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Rectal Prolapse

202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Pruritus ani

203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Pilonidal sinus

204 각론 11 Breast core Anatomy & physiology

205 각론 11 Breast core Breast imaging

206 각론 11 Breast core Benign diseases of breast

207 각론 11 Breast core Breast mass

208 각론 11 Breast core High risk patients of breast cancer

209 각론 11 Breast core Surgical treatment of breast cancer

210 각론 11 Breast core Adjuvant treatment of breast cancer

211 각론 11 Breast advanced Metastatic breast cancer

212 각론 11 Breast advanced Breast reconstruction

213 각론 12 Endocrine core Thyroid function

214 각론 12 Endocrine core Thyroid nodule

215 각론 12 Endocrine core Thyroid cancer

216 각론 12 Endocrine core Hyperparathyroidism

217 각론 12 Endocrine core Adrenal Function

218 각론 12 Endocrine core Adrenal Mass

219 각론 12 Endocrine advanced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220 각론 12 Endocrine advanced Parathyroid Cancer

221 각론 12 Endocrine advanced Adrenal Cancer

222 각론 12 Endocrine advanced Parotid Gland

223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Pathophysiology of atherosclerosis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83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224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Non-invasive vascular laboratory

225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Claudication and critical limb ischemia

226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Acute arterial embolism/thrombosis

227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Abdominal aortic aneurysm

228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Aortic dissection

229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Vascular trauma (abdominal, peripheral)

230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Carotid artery stenosis

231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Mesenteric ischemia

232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dvanced Vasculitis – Buerger’s disease, Takayasu’s disease

233 각론 14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dvanced kidney Transplantation

234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Pathophysiology and classification of venous disorder

235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Acute thrombophlebitis

236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Varicose vein

237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Venous thromboembolism –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238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Lymphedema and lymphangitis

239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CVI)

240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Venous access for long-term therapy

241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242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advanced Hypercoagulable syndrome

243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Neonatal physiology / Embryology

244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Assessment of surgical neonates

245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Resuscitation of surgical neonates

246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Branchial cleft anomaly

247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Acute appendicitis

248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Inguinal hernia

249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Umbilical hernia

250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Omphalocele / Gastroschisis

251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Gastroesophageal reflux

252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253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Duodenal Atresia/Stenosis

254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Jejunoileal Atresia/Stenosis

255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Intestinal malrotation / Midgut volvulus

256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Omphalomesenteric remnant

257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Necrotizing enterocolitis

258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Intussusception

259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Thyroglossal duct cyst

260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Torticollis

261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Esophageal atresia / Tracheoesophageal fistula

262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263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Hirschsprung’s disease

264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Anorectal malformation

265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Biliary atresia

266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Choledochal cyst

267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General principles of pediatric surgical oncology

268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Pediatric surgical oncology (Neuroblastoma, Wilms’ tumor, Teratoma, Hepatic tumor)

84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부록2. 대학외과학회 전문역량 : 술기(등급별)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1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core Central venous catheter

2 총론 3 Nutrition and metabolism advanced Feeding jejunostomy (open & laparoscopic procedure)

3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Various suture techniques

4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Surgical ties

5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Wound dressing – simple/complicated

6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core Sore dressing

7 총론 6 Wound management & sutures advanced Complicated wound management

8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Line access

9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Paracentesis

10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Thoracentesis

11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Monitoring of abdominal pressure

12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Monitoring devices for hemodynamic monitoring

13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Airway management

14 총론 8 Surgical critical care core Mechanical ventilation

15 총론 9 Trauma core Initial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ABCDE)

16 총론 9 Trauma core Focused Assessment by Sonogram for Trauma (FAST)

17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duodenal injury

18 총론 9 Trauma advanced Management of major vascular injury

19 총론 9 Trauma advanced Damage control surgery

20 총론 9 Trauma advanced Primary repair of perforated intestine by trauma

21 총론 9 Trauma advanced Emergency laparotomy for trauma

22 총론 9 Trauma advanced Splenectomy

23 총론 10 Surgical Oncology & Chemotherapy core Chemoport insertion

24 총론 12 Endoscopy(Colonoscopy) core Handling of Endoscope: Turning, Inflation, Suction, etc.

25 총론 12 Endoscopy(Colonoscopy) advanced Sigmoidoscopy: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26 총론 12 Endoscopy(Colonoscopy) advanced Colonoscopy: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27 총론 12 Endoscopy(Gastroscopy) core Handling of Endoscope: Turning, Inflation, Suction, etc.

28 총론 12 Endoscopy(Gastroscopy) advanced Insertion and Observation (Simulator -> Patients)

29 총론 13 Ultrasonography core Ultrasound-guided Vessel Puncture

30 총론 13 Ultrasonography core Ultrasound Technique in Soft Tissue Infection & Abscess

31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Assessment of Breast Nodule

32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Assessment of Thyroid Nodule

33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Assessment of Lymph Nodes

34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 Assessment of GB & Biliary system

35 총론 13 Ultrasonography advanced Ultrasound-guided Paracentesis & Thoracentesis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85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36 총론 14 Burn core Burn dressing (Ointment, hydroform, hydrocolloid)

37 총론 14 Burn core Airway management (difficult intubation)

38 총론 14 Burn core Central line insertion (6 site)

39 총론 14 Burn advanced Escharectomy, Escharotomy, Fasciotomy

40 총론 14 Burn advanced Skin graft

41 총론 14 Burn advanced ICU patients management

42 총론 14 Burn advanced Tracheostomy

43 각론 1 Abdomen – General core Diagnostic laparoscopy

44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Intraabdominal abscess-Drainage

45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46 각론 1 Abdomen – General advanced Peritoneal Biopsy

47 각론 2 Hernia core Inguinal hernia repair - open

48 각론 2 Hernia core Inguinal hernia repair - laparoscopic

49 각론 2 Hernia advanced Femoral hernia repair

50 각론 2 Hernia advanced laparoscopic ventral hernioplasty

51 각론 3 Liver core Skin Incision and closure during of hepatectomy

52 각론 3 Liver advanced Hepatic Ultrasound - Intraoperative

53 각론 3 Liver advanced Hepatic Biopsy

54 각론 4 Biliary cor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56 각론 4 Biliary advanced Choledochoscopy

57 각론 4 Biliary advanced Common Bile Duct Exploration – Laparoscopic

58 각론 4 Biliary advanced Common Bile Duct Exploration – Open

59 각론 5 Pancreas advanced Pancreatic Ultrasound - Intraoperative

60 각론 5 Pancreas advanced Pancreatectomy – Distal

61 각론 6 Spleen advanced Splenectomy – laparoscopic

62 각론 6 Spleen advanced Splenectomy – open

63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Upper mid-line incision and closure

64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Pneumoperitoneum formation and trocar insertion for gastric surgery

65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Gastrojejunostomy

66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Jejunojejunostomy

67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core omentectomy

68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Laparoscopic peptic ulcer surgery - primary closure

69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Open partial gastrectomy – wedge

70 각론 7 Stomach and Esophagus advanced Laparoscopic wedge resection of stomach

71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Enterostomy maturation

72 각론 8 Small Intestine core Small bowel anastomosis

73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Small Intestine Resection

86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No. 대분류 소분류 주제 Level 소주제

74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Adhesiolysis

75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Ileostomy

76 각론 8 Small Intestine advanced Ileostomy closure

77 각론 9 Large Intestine core Laparoscopic Appendectomy

78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Colectomy – segmental

79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Colostomy

80 각론 9 Large Intestine advanced Colostomy Closure

81 각론 10 Anorectal core Anorectal Abscess – Drainage

82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Hemorrhoidectomy

83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Anal Sphincterotomy - Internal

84 각론 10 Anorectal advanced Anal Fistulotomy /Seton Placement

85 각론 11 Breast core Incision and drainage

86 각론 11 Breast core Excision of benign breast tumor

87 각론 11 Breast core Sentinel lymph node biopsy

88 각론 11 Breast advanced Breast conserving surgery

89 각론 11 Breast advanced Total mastectomy

90 각론 12 Endocrine advanced thyroid lobectomy

91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Essential vascular skill vascular exposure, vascular anastomosis

92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Ultrasound in diagnosis of arterial disease

93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Arterial embolectomy/thrombectomy

94 각론 13 Aorta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core Repair of injured vessels (abdominal and peripheral)

95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Varicose vein – management

96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Ultrasound in diagnosis of venous disease

97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Percutaneous vascular access

98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Vascular port insertion

99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Deep vein thrombosis – Thrombolysis, IVC filter insertion

100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Arteriovenous fistula/graft

101 각론 14 Venolymphatic Disease and Vascular Access core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and remove

102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Inguinal hernia Repair

103 각론 15 Pediatric Surgery core Appendectomy

104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Intussusception

105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Malrotation

106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Omphalomesenteric remnant - Operation

107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Pyloromyotomy

108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Umbilical hernia Repair

109 각론 15 Pediatric Surgery advanced Gastrostomy

2020

대한외과학회

전공의

수련교육 요강

Surgical Resident

Training & Education Syllabus

발 행 인

편 집 인

: 대한외과학회

회 장 왕희정 아주의대

이사장 윤동섭 연세의대

: 수련교육위원회

위원장 이길연 경희의대

간 사 박민수 경희의대

위 원 김성근 가톨릭의대

김기환 가톨릭의대

김재훈 부산의대

김 진 고려의대

민선영 경희의대

박순철 가톨릭의대

박원서 경희의대

박은화 동아의대

박준석 경북의대

박지원 서울의대

송교영 가톨릭의대

이재길 연세의대

대한외과학회Korean Sugical Society

강의 및 술기www.surgeryedu.or.kr

2020외과 전공의교육프로그램

외과 전공의교육프로그램 안내

2020

CONTENTS

교육 프로그램 소개 06

Unit 안내

E-learning

장문합&에너지

외상중환자Ⅰ

복강경기본

외상중환자Ⅱ

초음파&내시경

복강경고급

09

13

14

16

18

20

22

CONTENTS

연차별 안내 25

등록 안내 34

교육 스케줄 36

오시는 길 38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6

교육 프로그램 소개

2018년도부터는 외과 전공의 연수강좌가

기존의 형태에서 변경되어

강의는 E-learning으로 대체 되었습니다.

전공의 수련기간 동안

모든 E-learning 강의와 술기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7

[E-learning] 전공의 수련기간 동안 모든 분과의 강의를 이수하여야 합니다.

장문합 &

에너지

1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교육 일정은 대한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와 추계학술대회 일정에

맞추어 진행되며, 자세한 교육내용은 장문합&에너지 안내 페이지

(p.13)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26)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외상중환자Ⅰ

1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자세한 교육 내용은 외상중환자Ⅰ안내 페이지(p.14)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26)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복강경기본

2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자세한 교육 내용은 복강경기본 안내 페이지(p.16)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28)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외상중환자Ⅱ

2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자세한 교육 내용은 외상중환자Ⅱ안내 페이지(p.18)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28)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음파&

내시경

3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자세한 교육 내용은 초음파&내시경 안내 페이지(p.20)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30)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복강경고급

4년차 전공의가 올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술기교육 입니다.

자세한 교육 내용은 복강경고급 안내 페이지(p.22)와 각 연차별

안내 페이지(p.3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9

E-Learning외과학 각론 교육 | 연 20만원

· 외과의 각 분야별 각론에 대한 강의

· 전공의 수련기간 동안 모든 분과의 강의를 이수하여야 함

· 등록 제한 인원 : 없음

· 해당 강의 내용은 사정에 의해 변경 가능

강의 안내

간담췌외과

E-Learning 교육은 전공의 수련기간 동안 모든

분과의 강의를 수강하시면 됩니다. 1년차는

총론 및 1개 분과를 필수로 이수(2년차, 3년차

각 3개분과 이수)해야하며 수련기간동안 총 8개의

분과를 이수하면 됩니다. 2~4년차는 이미 연수

강좌에서 수강한 교육이 있는 경우, 해당 분과를

제외한 나머지 분과 중에서 수강하시면 됩니다.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소아외과

대장항문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0

E-Learning 프로그램

간담췌외과

간담도의 해부생리 담석 담도의 양성 질환과 악성 질환

이자의 양성 질환 이자의 악성 질환 양성 간 질환

간세포암의 진단과 치료 전이성 간암 간 이식

위장관외과

식도 소화성 궤양의 수술적 치료 위암의 진단과 치료

진행성 위암의 항암

화학 요법 및 다학제 치료소장 비만

당뇨환자의 수술적 치료

유방외과

유방의 양성질환 유방의 악성 질환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 유방암의 전신 치료 Oncoplastic surgery

소아외과

소아 생리학 소아 복부 종양 소아 담도 질환

소아 탈장 신생아 위장관 질환 소아 위장관 질환과 경부 질환

대장항문외과

염증성 장 질환의 수술적 치료 대장암의 수술적 치료 대장수술 이후 합병증의 관리

대장의 응급질환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1

갑상선내분비외과

경부와 갑상선 갑상선 결절 갑상선 양성 질환

분화 갑상선암 갑상선 수질암과 미분화 갑상선암 부갑상선

부신 기초 부신 종양쿠싱증후군과 일차성

고알도스테론혈증

이식혈관외과

복부대동맥류의 치료 정맥의 질환 이식면역학과 면역억제제

신장 이식

총론

종양학 창상의 치유 수액과 전해질

패혈증 쇼크 외과 합병증

호흡부전 환자에서계환기의 실제

외과 환자의 대사 외과 환자의 영양지원

수술 전후 위험도의 평가 다발성 외상 화상

수혈 외과 감염과 항생제 급성 복증

수술 전후 통증의 관리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3

1년차 필수교육 장문합&에너지모듈대표 : 이상억 (건양의대), 이윤석 (가톨릭의대)

등록비 : 25만원

술기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각 회차는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26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 1년차는 외과술기의 기본이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기본적인 장문합

술기를 수기과정과 자동문합기 과정으로 나눠서 교육받고 실습한다.

· 실제 동물의 장기를 이용하여 실습하며, 반나절 동안 진행된다.

·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장문합을 실시한다.

· Surgical energy의 이해와 안전한 사용에 대한 교육 및 실습을 실시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1년차 / 연 2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2명, 총 40개 조

총 교육 시간 3시간 (09:00-12:00)

비 고 로테이션하며 4개 교육과정의 술기를 모두 교육받아야함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8:30 - 09:00 등록

09:00 - 12:00

①~③ 장문합, ④~⑤ 에너지

① GJ (Gastrojejunostomy, 90분)

② ETE (Functional E-to-E anastomosis, 30분)

③ EJ (Esophagojejunostomy, 30분)

④ 에너지 모듈 1 (15분)

⑤ 에너지 모듈 2 (15분)

평가, 설문조사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4

· 외상중환자 치료에서 기본이 되는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기도관리, 인공

호흡기관리, 쇽환자관리 I/II로 이루어져 있다.

· 기도관리는 실습모형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에서 시행가능한 각종 기도 확보 방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인공호흡기관리는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기본 셋팅부터 상황 별 조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쇽환자관리 I/II는 인체모형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인별 쇽에 대해서

팀으로 치료하는 과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1년차 / 연 8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5명, 총 4개 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10:00~17:3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4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1년차 필수교육 외상중환자Ⅰ모듈대표 : 김형원 (한림의대)

등록비 : 40만원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 센터(K-tec)에서 연 8회 진행되며 각 회차의 교육내용은

동일하게 운영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26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5

프로그램

09:30 - 10:00 등 록

10:00 - 10:10 Course Introduction

10:10 - 10:20 Pre-test & Pre-questionnaire

10:20 - 10:40 Airway & Ventilator Management

10:40 - 11:00 Shock Management

11:00 - 11:10 Break

Airway Room Ventilator RoomSimulation

Room 1Simulation

Room 2

11:10 - 11:20 Introduction Introduction

11:20 - 12:30 A조 B조 C조 D조

12:30 - 13:20 Lunch

13:20 - 14:30 B조 A조 D조 C조

14:30 - 14:40 Break

14:40 - 14:50 Introduction Introduction

14:50 - 16:00 C조 D조 A조 B조

16:00 - 16:10 Break

16:10 - 17:20 D조 C조 B조 A조

17:20 - 17:30 Post-test & Post-questionnaire

17:30 - 17:40 Summary & Feedback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6

2년차 필수교육 복강경기본모듈대표 : 이혁준 (서울의대)

등록비 : 30만원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 센터(K-tec)과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에서 연 5회

진행되며 각회차의 교육내용은 동일하게 운영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28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 2년차는 복강경 술기의 기본이 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실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마취 후 진행된다.

· 오전에는 대동물에서 복강경 exploration, 복강경 봉합, 충수절제술 (난관), 담낭

절제술을 실습하고, 오후에는 모형과 대동물을 이용하여 복강경 탈장 복원술을

실습한다.

· 3인 1조로 실습한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7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2년차 / 연 5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각 조당 3명, 총 10개 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08:30-16:0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5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프로그램

오송 송도 교육 내용

08:00-08:30 09:00-09:30 등록

08:30-08:40 09:30-09:40 동물실험 윤리 강의

08:40-09:00 09:40-10:00 모듈 소개 및 오전실습강의

09:00-09:15 10:00-10:15 Laparoscopic exploration

09:15-09:45 10:15-10:45 Laparoscopic suturing

09:45-10:45 10:45-11:45Laparoscopic appendectomy

(salpingectomy)

10:45-12:30 11:45-13:30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2:30-13:30 13:30-14:30 점심, 단체사진

13:30-13:50 14:30-14:50 오후실습강의

13:50-16:00 14:50-17:00 Laparoscopic hernia repair

평가, 설문조사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8

2년차 필수교육 외상중환자Ⅱ모듈대표 : 김재훈 (부산의대)

등록비 : 40만원

· 다발성 외상환자 치료에서 기본이 되는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다발성 외상환자의

초기처치 및 소생술과 손상통제수술 두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다발성 외상환자의 초기처치 및 소생술은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팀으로 평가 및

치료하는 과정에 대해서 실습한다.

· 손상통제수술은 실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외상수술술기에 대해서 실습한다.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2년차 / 연 4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40명(A팀 20명, B팀 20명)

초기처치 및 소생술 (5인 1조, 총 4개조)

손상통제수술 (4인 1조, 총 5개조)

총 교육 시간 6시간 50분 (10:00~17:50)

비 고 각 전공의는 로테이션하여 2개의 술기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여야 함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 센터(K-tec)와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에서 연 4회

진행되며 각 회차의 교육내용은 동일하게 운영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28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19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9:30 - 10:00 30분 등 록

10:00 - 10:10 10분 교육과정 소개

10:10 - 10:20 10분 교육 전 시험 및 자기평가

10:20 - 10:50 30분 강 의

10:50 - 11:00 10분 Break

A팀 B팀

11:00 - 13:30 150분초기 평가 및 소생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실습실 1-4)대동물을 이용한 손상통제수술

교육 (수술실 1-5)

13:30 - 15:00 90분 Lunch

15:00 - 17:30 150분대동물을 이용한 손상통제수술

교육 (수술실 1-5)초기 평가 및 소생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실습실 1-4)

17:30 - 17:40 10분 교육 후 시험 및 자기평가

17:40 - 17:50 10분 토 의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0

3년차 필수교육 초음파&내시경초음파 총괄대표 : 박해린 (차의대)

등록비 : 40만원

- 유방/갑상선 초음파 : 신혁재 (명지병원)

위내시경 : 송교영 (가톨릭의대)

- 혈관 초음파 : 김향경 (중앙의대)

대장내시경 : 손대경 (국립암센터)

- 복부 초음파 : 조항주 (가톨릭의대)

· 3년차 교육 과정은 외과 의사가 갖추어야 할 진단적 술기를 실습하는 교육으로

세개의 초음파 실습 과정과 두개의 내시경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초음파 실습] :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복부, 혈관, 유방 및 갑상선 초음파로

구성되어 있다. 2인 1조로 실습한다.

· [내시경] :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 모형을 이용하여

2인 1조로 실습한다.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 센터(K-tec)에서 연 8회 진행되며, 각 회차는 동일하게

운영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30.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1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3년차 / 연 8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18명 (대장내시경 2인 1조 x 3 set / 위내시경 2인 1조 x 3 set /

초음파 2인 1조 x 3 set)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09:30~17:00)

비 고 120분씩 3개의 subunit을 로테이션하여 교육 (순환교육)

교육 장소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1층: 대장내시경, 위내시경

2층: 초음파

프로그램

시 간 교육 내용

09:00 - 09:30 등 록

09:30 - 10:00 초음파 이론 시험

10:00 - 12:00 로테이션 1

12:00 - 13:00Lunch, 단체촬영

(초음파 이론 재시험)

13:00 - 15:00 로테이션 2

15:00 - 17:00 로테이션 3

평가, 설문조사 - 각 모듈에서 진행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2

4년차 필수교육 복강경고급모듈대표 : 이상권 (가톨릭의대)

등록비 : 30만원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 센터(K-tec)와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에서 연 6회

진행되며 각 회차의 교육내용은 동일하게 운영되므로 이 중 한 번을 선택하여

신청한다. (p.32 술기 교육 스케줄표 참조)

· 4년차는 복강경 술기 중 난이도가 높은 술기로 운영되며, 실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3인 1조로 진행되며 복강경 술기를 실습한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3

술기 내용

대상 / 교육 회수 4년차 / 연 6회 진행

회당 전공의 수 27명(송도) / 30명(오송)

총 교육 시간 6시간 30분

프로그램

오송 송도 교육 내용

08:00 - 08:40 09:00 - 09:40 등 록

08:40 - 09:00 09:40 - 10:00Advanced Laparoscopic Surgery 소개 및

의료윤리

09:00 - 12:00 10:00 - 13:00

Lower Gastrointestinal Procedures :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Bowel Repair and Anastomosis

12:00 - 13:00 13:00 - 14:00 Lunch, 단체촬영

13:00 - 16:00 14:00 - 17:00

Upper Gastrointestinal and HBP Procedures :

Laparoscopic Gastrojejunostom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aparoscopic Partial Liver Resection

Other procedures (splenectomy,

pancreatectomy, TEP)

평가, 설문조사

한눈에 알아보는

연차별 교육과정2020 외과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

www.surgueryedu.or.kr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6

1년차

· 1년차 전공의는 장문합&에너지, 외상중환자Ⅰ을 반드시 이수 하셔야 합니다.

2년차에는 복강경기본과 외상중환자Ⅱ, 3년차에는 초음파&내시경, 복강경고급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 강의 : E-learning으로 진행됩니다.

· 술기 : 반드시 장문합&에너지, 외상중환자Ⅰ를 이수하셔야 합니다. 아래 스케쥴을

참고하시어 원하시는 날짜에 교육받으시기 바랍니다.

· 술기등록비 총 65만원 (장문합&에너지 25만원 / 외상중환자 I 40만원)

· 전공의 수련기간 3년 동안 E-learning 및 술기 모든 교육을 이수하시면 됩니다.

술기 Schedule / 장문합&에너지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11. 08(추계학회 다음날)

1년차Basic Procedure

Program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각 80명 각 4시간

2020. 11. 22

술기 Schedule /외상중환자Ⅰ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06. 20

1년차Critical Care

송도 올림푸스트레이닝 센터

(K-tec)각 20명 각 6시간 30분

2020. 07. 18

2020. 08. 01

2020. 09. 19

2020. 11. 14

2020. 11. 28

2020. 12. 05

2020. 12. 19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7

장문합&에너지 (1년차) 튜터 명단

장문합 모듈 대표 : 이상억 건양의대

김민규한양의대

김성수조선의대

김지선동남권원자력의학원

김현영서울의대

김현일한양의대

박선진경희의대

박용근가톨릭관동의대

박정현가톨릭의대

서경원고신의대

손경모부산의대

송승규가톨릭관동의대

신루미서울의대

안상훈서울의대

안지영성균관의대

엄방울국립암센터

오성진인제의대

오흥권서울의대

유문원울산의대

유승범서울의대

윤홍만국립암센터

이관철한솔병원

이상억건양의대

이 솔서울의료원

이원석가천의대

이주희천안충무병원

이한홍가톨릭의대

장유진고려의대

장혜경가톨릭의대

장은영전북의대

정도현고려의대

정미란전남의대

정승필고려의대

정원범인제의대

정은주연세의대

조성우순천향의대

조 인가톨릭의대

최창인부산의대

하기원전북의대

하헌균서남의대

한동석서울의대

에너지모듈 모듈 대표 : 이윤석 가톨릭의대

강경호서울의대

강상욱연세의대

배성욱계명의대

백성규계명의대

윤홍만국립암센터

이경구명지병원

이윤석가톨릭의대

정준철순천향의대

외상중환자Ⅰ(1년차) 튜터 명단

외상중환자 I 모듈 대표 : 김형원 한림의대

강민창순천향의대

경규혁울산의대

김 건가톨릭의대

김기훈인제의대

김미경연세의대

김은영가톨릭의대

김임경가톨릭의대

김태윤서울아산병원

김형원한림의대

김호현부산의대

문성표조선의대

오승영서울의대

이길재세브란스병원

이대상가톨릭의대

이재명고려의대

이재석서울아산병원

이정우서울아산병원

이진영충북의대

장지영연세의대

정원준가톨릭의대

정필영연세의대

조진범가톨릭의대

조항주가톨릭의대

최강국가천의대

최낙준고려의대

최영운연세의대

하태순순천향의대

홍석경서울아산병원

홍태화한림의대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8

2년차

· 2년차 전공의는 복강경기본, 외상중환자Ⅱ를 올해 반드시 이수하셔야 합니다.

· 강의 : E-learning으로 진행됩니다.

· 술기 : 반드시 복강경기본, 외상중환자Ⅱ를 이수하셔야 합니다. 아래 스케줄을

참고하시어 원하시는 날짜에 교육받으시기 바랍니다.

· 술기 등록비 총 70만원 ( 복강경기본 30만원/ 외상중환자Ⅱ 40만원)

· 전공의 수련기간 4년 동안 E-learning 및 술기 모든 교육을 이수하시면 됩니다.

술기 Schedule / 복강경기본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07 . 11

2년차Laparoscopic

program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각 30명각 6시간

30분

2020. 09. 26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11. 28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12. 05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12.19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술기 Schedule / 외상중환자Ⅱ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06. 27

2년차Trauma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각 40명각 6시간

40분

2020. 08. 29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2020. 11. 14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12. 12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29

복강경기본 (2년차) 튜터 명단

복강경 기본 모듈 대표 : 이혁준 서울의대

강동백원광대학병원

강상희고대구로병원

공성호서울대병원

김기환가톨릭의대

김우람차교 분당차병원

김지훈을지의대

김진수충남의대

민석기이화의대

박동진울산대병원

박병관중앙대학교

박영석서울의대

박중민중앙의대

박평재고대구로병원

배상호순천향의대

백광열가톨릭의대

성낙송건양의대

송금종순천향천안병원

오채연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유동도가톨릭의대

윤익진건국대학교

이관철한솔병원

이상억건양의대

이상철가톨릭의대

이승은중앙의대

이혁준서울의대

정경욱강북삼성병원

정원준가톨릭의대

한형준고려의대

외상중환자 Ⅱ 모듈 대표 : 김재훈 부산의대

강병희아주의대

곽지훈가천의대

권준식아주의대

금민애울산의대

김길환부산의대

김세헌충북대학교병원

김재훈부산의대

김지훈울산의대

김형원한림의대

박성균울산대학교병원

박찬익부산의대

선현우서울아산병원

심홍진연세의대

윤종희서울아산병원

이상봉부산의대

이진석충북의대

이진영충북의대

이학재서울아산병원

임경훈경북의대

최동환아주의대

최성호

외상중환자Ⅱ (2년차) 튜터 명단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0

3년차

· 3년차 전공의는 초음파&내시경을 올해 반드시 이수하셔야 합니다.

· 강의 : E-learning으로 진행됩니다.

· 술기 : 반드시 초음파&내시경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아래 스케줄을 참고하시어

원하시는 날짜에 교육받으시기 바랍니다.

· 술기 등록비 40만원

· 전공의 수련기간 4년 동안 E-learning 및 술기 모든 교육을 이수하시면 됩니다.

술기 Schedule / 초음파&내시경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05. 30

3년차초음파&내시경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각 18명

각 6시간30분

2020. 06. 13

2020. 07. 11

2020. 08. 08

2020. 09. 26

2020. 10. 31

2020. 11. 21

2020. 12. 12

초음파&내시경 (3년차) 튜터 명단

위내시경 모듈 대표 : 송교영 가톨릭의대

김동진가톨릭의대

김성근가톨릭의대

김종원중앙의대

김창현가톨릭의대

박종민국립중앙의료원

박지호경상의대

서윤석서울의대

서호석가톨릭의대

송교영가톨릭의대

이경구명지병원

이준현가톨릭의대

이진원한림의대

이혁준서울의대

전철효가톨릭의대

정상호경상의대

최경운인제의대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1

대장내시경 모듈 대표 : 손대경 국립암센터

강원경가톨릭의대

계봉현가톨릭의대

김덕우서울의대

김주형아주대학교

김찬용이화의대

김현태OK의원

김형진가톨릭의대

문상희서울의대

박귀선보험공단일산병원

박인자울산의대

백성규계명의대

손대경국립암센터

송인호울산의대

시수민가톨릭의대

신루미서울의대

안상욱항사랑외과

안은정국립중앙의료원

윤용식울산의대

이성근신세계외과

이성대대항병원

이은정대항병원

이재범대항병원

이진권경상의대

임상우한림의대

정승규양병원

정승용서울의대

정운경계명의대

정형중대항병원

한경수국립암센터

현종희상계백병원

홍창원국립암센터

황정환전주항외과

복부초음파 모듈 대표 : 조항주 가톨릭의대

경규혁울산의대

김형원한림의대

박치민성균관의대

심홍진연세의대

이윤현국군수도병원

이재길연세의대

조대현가톨릭의대

조항주가톨릭의대

최낙준서울아산병원

최호중가톨릭의대

하태순순천향의대

유방갑상선초음파 모듈 대표 : 신혁재 명지병원

구본용유앤유의원

김재일인제의대

민준원단국의대

신혁재명지병원

안수경한림의대

윤현조전북의대

이지연경북의대

이혜윤고려의대

장영우고려의대

정재학을지의대

정지웅서울의료원

최정은영남의대

혈관초음파 모듈 대표 : 김향경 중앙의대

권유진서울의료원

김미진전주예수병원

김향경중앙의대

오행진인제의대

윤우성영남의대

이재훈대구가톨릭의대

전강웅부천성모병원

정혁재부산의대

주윤성좋은강안병원

황정기가톨릭의대

초음파 총괄 대표 박해린 차의대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2

4년차

· 4년차 전공의는 복강경고급을 올해 반드시 이수하셔야 합니다.

· 강의 : 연수강좌에서 미이수한 분과강좌는 E-learning으로 반드시 이수하셔야

합니다.

· 술기 : 반드시 복강경고급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아래 스케줄을 참고하시어 원하시는

날짜에 교육받으시기 바랍니다.

· 술기 등록비 30만원

· 전공의 수련기간 4년 동안 E-learning 및 술기 모든 교육을 이수하시면 됩니다.

술기 Schedule / Unit 8

날짜 내용 장소 제한 인원 교육시간

2020. 05. 30

4년차

Laparoscopic

program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27명 (송도)

30명 (오송)각 6시간

30분

2020. 06. 20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2020. 07 . 04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08. 08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08. 29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3

복강경고급 (4년차) 튜터 명단

복강경 고급 모듈 대표 : 이상권 가톨릭의대

강병모한림의대

강상희고대구로병원

강창무연세의대

계봉현가톨릭의대

김우람차의대

김정구가톨릭의대

김창현가톨릭의대

김형진가톨릭의대

류승완계명의대

박민수경희의대

박재우가톨릭의대

배상호순천향의대

백세진고려의대

안근수계명의대

오채연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윤영철가톨릭의대

윤익진건국대학교

이상권가톨릭의대

이상철가톨릭의대

이택구충북의대

장제호을지의대

정해일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최병조가톨릭의대

최유신중앙의대

한재현가톨릭의대

홍태호가톨릭의대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4

등록안내

Notic

· 8개의 분과강의는 E-learning으로 진행되고 6개 모듈은 술기교육으로

진행됩니다.

01 술기 등록은 www.surgeryedu.or.kr에서 선착순 등록으로 진행합니다.

03 2020년 현재 2.3.4년차 전공의들은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시면 2019년도

까지 이수하신 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4 술기교육 신청

· 1년에 32회 개최됩니다. (필수교육 33개)

· 각 교육은 연차별로 실습 내용이 달라서, 연차에 맞는 교육만 신청 가능

합니다.

· 각 연차별 교육의 일정을 확인하신 후, 해당 연도에 참석할 수 있는 회차를

선택하여 사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02 등록기간

· 1차 등록 : 2020년 3월 16일 - 3월 30일

※ 제한 인원에 따라 선착순 마감되오니, 이 점 유의하시어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5

등록 취소 및 환불 규정

모든 교육이 선착순 마감으로 진행됨에 따라, 신청한 교육을 취소하더라도

환불이 불가능함을 안내해 드립니다.

07 모든 결제는 신용 및 체크카드로만 가능합니다.

05 술기교육 신청 방법

· 술기 신청 홈페이지(www.surgeryedu.or.kr)에 안내된 연간 일정표에

따라 선착순으로 접수합니다.

· 원하는 회차를 선택하여 신청하시되, 선택한 회차에 등록 인원이 초과된

경우 다른 날짜를 다시 선택해야 합니다.

06 등록비

Unit 년 차 형 태 등 록

간담췌외과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소아외과

대장항문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1~4 E-learning 연 20만원

장문합&에너지 1 술기 25만원

외상중환자Ⅰ 1 술기 40만원

복강경기본 2 술기 30만원

외상중환자Ⅱ 2 술기 40만원

초음파&내시경 3 술기 40만원

복강경고급 4 술기 30만원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6

2020년 술기교육 일정내용

Unit 년차 회차 날짜 내용 장소제한

인원

교육

시간등록비

장문합

&

에너지

1년차1

2

2020.11.08

2020.11.22

1년차 Basic

procedure

program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80명 4시간 25만원

외상

중환자Ⅰ1년차

1

2

3

4

5

6

7

8

2020.06.20

2020.07.18

2020.08.01

2020.09.19

2020.11.14

2020.11.28

2020.12.05

2020.12.19

1년차

Critical Care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20명

6시간

30분40만원

복강경

기본2년차

LB1

LB2

LB3

LB4

LB5

2020.07.11

2020.09.26

2020.11.28

2020.12.05

2020.12.19

2년차

Laparoscopic

program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30명6시간

30분30만원

외상

중환자Ⅱ2년차

1

2

3

4

2020.06.27

2020.08.29

2020.11.14

2020.12.12

2년차

Trauma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40명6시간

40분40만원

초음파

&

내시경

3년차

UE1

UE2

UE3

UE4

UE5

UE6

UE7

UE8

2020.05.30

2020.06.13

2020.07.11

2020.08.08

2020.09.26

2020.10.31

2020.11.21

2020.12.12

3년차

US/Endoscopy

program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센터(K-tec) 18명6시간

30분40만원

복강경

고급4년차

LA1

LA2

LA3

LA4

LA5

2020.05.30

2020.06.20

2020.07.04

2020.08.08

2020.08.29

4년차

Laparoscopic

program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터(K-tec)

송도 올림푸스 트레이닝터(K-tec)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오송 메드트로닉 술기 센터

27명

~

30명

6시

30분

30만원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7

이수 현황 Check

교육 년차 형태 등록비 이수날짜

간담췌외과

1~4 E-learning 연 20만원

유방외과

위장관외과

소아외과

대장항문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이식혈관외과

총론

장문합&에너지 1 술기 25만원

외상중환자Ⅰ 1 술기 40만원

복강경기본 2 술기 30만원

외상중환자Ⅱ 2 술기 40만원

초음파&내시경 3 술기 40만원

복강경고급 4 술기 30만원

주의사항술기교육 입실 가능시간은 교육 시작 후 30분 이내입니다.

이후 도착하시는 분들은 수강이 불가하오니 반드시 시간 엄수 부탁드립니다.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8

KTX열차 시간표

서울역 출발 오송역 도착 소요시간

05:40 06:29 00:49

06:05 06:55 00:50

06:20 07:12 00:52

06:50 07:44 00:54

07:00 07:49 00:49

07:05 08:03 00:58

07:30 08:13 00:43

08:15 09:00 00:45

08:25 09:09 00:44

서울 → 오송

오송역 출발 서울역 도착 소요시간

17:12 18:06 00:54

17:47 18:42 00:55

18:08 18:55 00:47

18:14 19:02 00:48

18:48 19:41 00:53

18:56 19:46 00:50

19:16 20:11 00:55

19:24 20:20 00:56

19:34 20:27 00:53

오송 → 서울

SRT열차 시간표

수서역 출발 오송역 도착 소요시간

05:30 06:07 00:37

06:30 07:07 00:37

06:40 07:28 00:48

07:05 07:55 00:50

07:30 08:07 00:37

08:05 08:54 00:49

08:30 09:14 00:44

수서 → 오송

오송역 출발 수서역 도착 소요시간

16:19 17:07 00:48

17:18 17:55 00:37

17:38 18:27 00:49

17:54 18:40 00:46

18:24 19:08 00:44

19:29 20:16 00:47

19:38 20:25 00:47

오송 → 수서

오송 술기 센터 오시는 길

충청북도 청원군 오송읍 연제리 654-1

'메드트로닉 이노베이션 센터'

043-249-3200~4

오송KTX역 하차 후 3번 출구 오송 콜택시 이용

'메드트로닉 이노베이션 센터'로 목적지 안내

(오송역에서 택시로 10분거리/ 오송 콜택시 :

043-232-5632)

주소 :

전화 :

상세 안내

2020 외과 전공의 교육프로그램

39

서울역 출발 오송역 도착 소요시간

06:20 06:43 00:23

06:35 06:49 00:14

06:45 06:59 00:14

06:50 07:10 00:20

07:00 07:14 00:14

07:05 07:28 00:23

07:30 07:44 00:14

07:40 08:02 00:22

07:50 08:07 00:17

08:00 08:15 00:15

08:25 08:39 00:14

서울역 출발 오송역 도착 소요시간

16:18 16:34 00:16

16:48 17:10 00:22

16:55 17:12 00:17

17:20 17:37 00:17

17:33 17:48 00:15

17:38 17:53 00:15

17:45 18:06 00:21

18:07 18:23 00:16

18:26 18:42 00:16

18:41 18:55 00:14

18:47 19:02 00:15

KTX열차 시간표

서울 → 광명 광명 → 서울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13-1 '올림푸스 K-TEC'

1544-3200

광명역 KTX역 → 3002번 버스 승차 → 인천대학교공과대학 하차 → 6번 버스 승차 →

셀트리온(주) 하차 → 도보 약 300m 광명역에서 송도술기센터까지 택시로 약 30분 위치

주소 :

전화 :

상세 안내

송도 올림푸스 K-TEC 오시는 길

SURGERYEDUCATIONGUIDE BROCH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