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31

Upload: others

Post on 26-Jul-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Page 2: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Page 3: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

Ⅲ. 도전하는 학생 행복한 성장[13개 과제]

공약사업명 주관부서

1. 다양한 학습경험의

인정과 확산

① 경기꿈의학교(진로탐색형) 운영 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

② 경기꿈의학교(문화예술 집중형) 운영 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

③ 학생중심의 개별화 교육과정 적용 교육과정정책과

④ ‘진로진학센터’ 활성화 및 기능 강화 진로지원과

2. 학생인권과 학생

자치의 내실화

①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민주시민교육과

② 꿈을 만드는 학생 도전 프로젝트 지원 진로지원과

③ 학생자치의 활성화와 내실화 민주시민교육과

3. 미래형 학력 중심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실시

① ‘미래형 학력’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과정정책과

② 배움중심수업 활성화 교육과정정책과

③ 독서교육 확대와 강화 문예교육과

④ 사고・토론 중심의 역사교육 강화 민주시민교육과

⑤ 네 번의 짧은 방학을 실시하는 ‘사계절방학’ 자율 운영 교육과정정책과

⑥ 학생의 충분한 휴식을 통한 건강한 교실 수업 실현 교육과정정책과

Page 4: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11, 312 : 경기꿈의학교 운영

1 관련 근거◾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8조, 제54조◾초중등교육법 제60조의 3조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예술분야 진로선택과 심화탐색을 위한 ‘문화예술 집중형 꿈의학교’ 운영◾문화예술의 심화교육과 특기 신장을 위한 공교육 역할 증대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90 계속2차년도(2015) 95 계속3차년도(2016) 100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

3 추진 방향◾예술적 심화체험과 진로탐색, 특기신장을 위한 “꿈의학교” 운영◾방과후과정, 계절학교과정, 시범지구 위탁과정의 ‘꿈의학교’ 추진

4 전략 개요◾추진내용 : 문화예술 집중형 꿈의학교-방과후과정, 계절학교과정, 위탁과정으로 추진

- 방과후과정 : 매일, 주말을 이용한 방과후 프로그램 중심의 꿈의학교 운영- 계절학교과정 : 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방학 등을 활용한 심화형 꿈의학교 운영- 위탁과정 : 마을공동체 시범지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위탁과정 운영

Page 5: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추진일정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문화예술 집중형

꿈의학교 마을참여 방과후과정 25청 25청 25청 25청 25청심화형 계절학교과정 25청 25청 25청 25청 25청

위탁과정 2교 2교 2교 2교 2교

5 세부 추진 계획◾마을참여 방과후과정 꿈의학교

▸교육지원청(25청)과 지역 중심의 거점형 방과후 과정 운영지정▸매일 일과 후, 주말 등을 활용해 특성화된 방과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진행

◾심화형 계절학교과정 꿈의학교▸교육청 중심의 심화형 계절학교 프로그램 운영(25청)▸일주일, 10일 등 다양한 장기 프로젝트형 심화 예술프로그램 추진

◾위탁과정 꿈의학교▸마을교육공동체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위탁형 프로그램 추진▸방과후 과정, 계절학교 과정, 장기위탁 과정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5,300,00

05,300,00

05,300,00

05,300,00

0 21,200,000

7 기대되는 효과◾다양한 예술체험과 특기심화를 위한 특성화된 경기도형 “예술 꿈 학교” 운영◾문화예술 분야의 진로 지원을 위한 “한 명의 아이도 표기하지 않는 교육”의 실현◾다양한 문화예술 교육으로 인성, 지성, 감성이 조화된 전인적 인간 육성 지원

Page 6: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13 : 학생중심의 개별화 교육과정 적용 계획

1 관련 근거◾2013 경기도교육과정 2부 - Ⅱ - 5 – 다 – 1) - 바), 사), 아)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단기(3년) 목표 : 학교마다 한 학기에 1~2개 교과에서 소극적 주문형 강좌 개설◾중장기(5~8년) 목표 : 소극적 주문형 강좌의 활성화 및 한 학기 1~2개의 적극적 주

문형 강좌 개설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10 계속 학생의 선택에 따름2차년도(2015) 30 계속3차년도(2016) 50 계속4차년도(2017) 70 계속5차년도(2018) - -

3 추진 방향◾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정규 교육과정 편성・운영◾‘주문형강좌’ 개설 및 운영

Page 7: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

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소극적 주문형 강좌

학생의 교과목 선택권 보장 중고 전체

- 11월 : 계획 수립학교에 안내

- 3월-4월 : 차년도교과목 선택

- 10월 : 지원 학교 예산 및 운영방안 협의

2015년과 연계 2016년과 연계

학교별로 특성화된

교육과정 및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9개 권역(평준화지역)고등학교

- 9월 : 계획 수립학교에 안내

- 11월 : 계획 수립학교에 안내

- 3월-4월 : 운영 학교설명회

- 10월 : 운영학교 사례 공유

- 3월-4월 : 운영학교설명회

- 10월 : 운영학교 사례 공유

- 3월-4월 : 운영학교설명회

- 10월 : 운영학교 사례 공유

적극적 주문형 강좌

완전 개방형 교육과정 중고 전체

- 3월-4월 : 차년도교과목 선택

- 10월 : 지원 학교 예산 및 운영방안 협의

2016년과 연계

5 세부 추진 계획◾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보장되는 교육과정 편성 : 소극적 주문형 강좌 도입

▸과목을 기준으로 이수 학기를 제시 -> 학기에 개설되는 교과목 제시▸학생은 개설되어 있는 과목 중 하나를 선택(소수의 과목이라도 개설해 줌)

◾학교별로 특성화된 교육과정 및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학교별 특성화된 교육과정 운영

- 학교별로 전통,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의 요구 등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특성을 살린 교육과정 운영

Page 8: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 - 학교별로 특정 교과(영역)에 대한 특별한 전문성을 갖추도록 학교 여건(시설, 교

원 배치 등) 조성- 특정 분야에 심화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이 자신의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교과를 그 과목(영역)이 특화된 타 학교의 교육과정을 이수◾적극적 주문형 강좌 도입 및 운영

▸학기마다 1~2개 교과에 대하여 완전 개방형 교육과정* 편성* 완전 개방형 교육과정이란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목뿐만 아니라 학생

들이 개설하기를 희망하는 과목이나 강좌 등을 포함하여 교과목을 개설하는, 학생 선택권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말함

◾학교 운영비 예산 지원▸주문형 강좌 예산 지원: 일반고 역량강화 운영비,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비로 지원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0 0 0 300,000 300,000 300,000 900,000

7 기대되는 효과◾주문형 강좌 개설로 학생, 학부모의 학교 교육 만족도 제고◾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교육과정 편성

Page 9: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14 : ‘진로진학센터’활성화 및 기능 강화

1 관련 근거◾경기도교육청 행정기구 설치조례(2010.9.1. 조4081)◾교육감 핵심공약(38번, 경기도교육감직인수위원회 백서)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25개 지역 지자체와 협력체제 구축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진로진학지원◾진로인식(초등)-자유학기제기반구축(중학교)-진학지원(고등학교) 모델 구축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8 계속2차년도(2015) 48 계속3차년도(2016) 100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5차년도(2018) - -

3 추진 방향◾경기교육비전이 융합된 진로진학 지원의 가치 창출을 위한 전문성 강화 ◾지자체의 공간, 인력을 활용하고 교육청의 콘텐츠 결합하는 형태로 진행◾교육과정 속에서 학생의 성장에 마을이 함께 기여할 수 있도록 융합성 고도화

Page 10: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지역센터확대 지역센터구축 25개소 0 10 25 25 25

매칭시스템보급 25개소 0 10 25 25 25학생성장중심

상담 역량 강화상담지원단(교사) 연수인원 확대 5,000명 80명 300명 5,000

명5,000

명5,000

명학생성장중심전문

연수시간확대 60시간 16시간 30시간 60시간 60시간 60시간진로진학과

정보급진로융합교재개발 10교과 0 4교과 10교과 - -진로진학과정보급

(사례중심) 460개교 0 10교 100교 460교 -

5 세부 추진 계획◾지역센터확대

▸지역센터구축 : 25개 지자체와 연계하여 허브역할을 할 센터 구축 ▸매칭시스템보급 : 지자체 내의 시설과 학교, 학생을 연결할 역량과 콘텐츠 연결

- 지자체는 허브센터 구축, 교육지원청은 프로그램 지원◾구성원의 역량 강화

▸상담지원단 연수인원 확대 : 연수 연 4회 정기적으로 운영▸전문연수확대 : 학생성장중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구축

◾창의형진로진학과정 보급▸진로융합교재개발 : 경기도 실정에 맞는 진로융합교재 개발 보급▸진로진학과정보급(사례중심) : 학생성장중심 사례를 발굴하여 보급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24,420 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8,000,000

7 기대되는 효과◾성장단계별 맞춤형 진로진학 지원 체제로 공교육 신뢰도 제고◾단 한 사람도 포기하지 않는 진로과정 지원으로 사교육 의존도 약화

Page 11: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제4085호)◾경기도학생인권조례 시행규칙(경기도교육규칙 제617호)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참여와 소통, 자율과 책임으로 인권이 생동하는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자유와 권리 보장으로 민주시민 육성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50 계속2차년도(2015) 75 계속3차년도(2016) 95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

3 추진 방향◾학교공동체 학생인권교육 역량 강화◾학생인권심의위원회 및 학생참여위원회 구성・운영◾학교현장 중심 학생인권침해 상담 및 구제 활동 활성화◾학생인권 실태조사 및 학생인권 실천계획 이행

Page 12: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

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인권교육 강화 학생, 학부모, 교원, 인권교육 2회 1~12월 1~12월 1~12월 1~12월

위원회 활성화 학생인권심의위원회 운영 20명 6, 9, 12월 6, 9, 12월 6, 9, 12월 6, 9, 12월학생참여위원회 운영 100명 6, 7, 12월 6, 7, 12월 6, 9, 12월 6, 9, 12월

인권 실태조사 학생인권 실태조사 1회 11~12월 11~12월 11~12월 11~12월

학생인권 보호 인권침해 상담 및 구제 활동 3명 1~12월 1~12월 1~12월 1~12월학생인권실천계획 이행 1회 1~12월 1~12월 1~12월 1~12월

5 세부 추진 계획◾인권교육 강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인권교육 편성・운영▸학생 : 학생인권에 관한 교육을 학기당 2시간 이상 ▸교원 : 학생인권에 관한 교원연수 연 2회 이상 ▸학부모 : 학생인권에 관한 교육 또는 간담회 연 2회 이상

◾위원회 활성화▸학생인권심의위원회 구성・운영

- 위원장을 포함하여 20명 이내로 구성- 학생인권실천계획의 수립, 교육감이 제안한 사항에 대한 심의

▸학생참여위원회 구성・운영- 학생참여위원회 구성・운영지역별 학생 대표 100명 이내로 구성- 학생인권 실현 및 학생참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의견 제시

◾학생인권 실태조사▸학생인권의 실태 파악 및 학생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매년 11월~12월▸인권 관련 전문기관 연구 용역

Page 13: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학생인권 보호▸학생인권침해 상담 및 구제 활동 강화

- 학생인권옹호관 3명 배치(성남, 안산, 의정부 교육지원청 중심 3권역 배치)▸학생인권실천계획 수립

- 3년마다 수립(2013~2015년)- 학생인권 실천계획 이행 모니터링 실시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118,380 140,380 142,807 180,000 180,000 180,000 823,187

7 기대되는 효과◾학생인권 증진을 통한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자유와 권리 보장으로 민주시민 육성

Page 14: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322 : 꿈을 만드는 학생 도전 프로젝트 지원

1 관련 근거◾제3대 주민민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 중점정책 3. 도전하는 학생, 행복한성장,

22. 꿈을 만드는 학생 도전 프로젝트 지원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창의적 진로개발역량을 갖춘 미래인재 육성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학생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바탕으로 창의적 진로개발 역량 강화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10 계속2차년도(2015) 40 계속3차년도(2016) 60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5차년도(2018) - -

3 추진 방향◾학생중심 창의적 진로개발활동 프로그램 개발・운영◾다양한 체험활동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중심 현장기반학습 적용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꿈을 만드는 학생

도전 프로젝트 지원창의적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20교 4 4 4 4 4진로체험 동아리

활동 지원 250교 50 50 50 50 50

Page 15: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5 세부 추진 계획◾학생중심 창의적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

▸창의적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확산- NTTP 진로교육 교과연구회, 통합교과 진로교육 연수 강화를 통한 창의적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확산▸창의적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활동중심 현장기반학습 적용

- 다양한 체험활동기회(토론, 모의창업. 연극을 통한 꿈 찾기, 발명, 지역조사, 환경 등)제공을 통한 학생 개인별 진로・적성 자율 선택 과정 확보

- 전일제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캠프와의 연계 확대◾진로동아리 활동 지원을 통한 자기주도적인 진로설계 활성화

▸초・중・고 진로체험 동아리 공모・선정을 통한 동아리 활동 지원 - 지역사회와 연계한 진로체험 동아리 활성화- 진로체험 동아리 우수사례 보급・확산(워크숍, 자료집 개발)

▸진로활동 지원을 통한 자기주도적인 진로설계 강화- 단위학교 자율활동, 봉사활동, 동아리활동과 통합한 진로활동 운영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0 160,000 160,000 160,000 160,000 160,000 800,000

7 기대되는 효과◾창의적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창의성과 진로설계 역량 강화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프로그램 운영으로 긍정적 자아개념 강화

Page 16: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23 : 학생자치의 활성화와 내실화

1 관련 근거◾초・중등교육법(2014.04.29.) 제17조 ◾경기학생인권조례(2010.10.05.) 제17조, 18조, 19조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자율과 참여 중심의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중심 학교문화 조성◾학급-학교-지역-도 단위 학생자치활동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역량 강화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40 계속2차년도(2015) 60 계속3차년도(2016) 80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5차년도(2018) - -

3 추진 방향◾학급・학교 민주적 학생자치 문화 실현◾지역・도 단위 학생자치회 운영 활성화◾학생자치활동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Page 17: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학급・학교 민주적 학생자치 문화 실현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생참여 활동 확대

교육과정 내 회의시간

월1회 이상 확보

85% 90% 95% 100%

학생 주관 민주적 학교(급)생활 협약

제정학교자율평가 지표반영 지표반영 지표반영 지표반영 지표반영

학생 학교운영위원회 실제적 참여학교 비율

(중・고)70%

(중·고) 20% 30% 40% 70%

지역・도 단위 학생자치회 운영

활성화

학생자치회의 정례화 연 2회 이상 25청(2회) 25청(2회) 25청(2회) 25청(2회)지역사회 유관기관과

학생자치활동 협약 체결

25청 25청 25청 25청

학생자치활동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민주적 학교공동체 운영을 위한

‘학생자치활동 매뉴얼’ 개발・보급

2식 1식 1식

5 세부 추진 계획◾학급・학교 민주적 학생자치 문화 실현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생참여 활동 확대 : 교육과정 내 학급회의시간 월 1회 이상 확보▸학생 주관 민주적 학교(급)생활 협약 제정 : 초・중・고 전체 학교・학급▸학생 학교운영위원회 실제적 참여학교 비율(중・고) : 중・고 모든 학교 실제적 참여 실시

◾지역・도 단위 학생자치회 운영 활성화▸학생자치회의 정례화 : 학생자치회 정례화(연2회)▸지역사회 유관기관과 학생자치활동 협약 체결 : 25개 교육지원청 협약 체결

◾학생자치활동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민주적 학교공동체 운영을 위한 ‘학생자치활동 매뉴얼’ 개발・보급 : 2식, 초중고 전체 보급

Page 18: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투자액 890,005 360,000 170,000 170,000 170,000 1,760,005

7 기대되는 효과◾학생자치활동 활성화로 학생이 중심이 되는 학교문화 조성 ◾자율적 참여기회 확대로 민주적 학교자치공동체 형성

Page 19: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1 :‘미래형 학력’ 지표 개발 연구

1 관련 근거◾초중등교육법 제 9조(학생・기관・학교 평가) 3항 : 학교 교육능력 향상을 위한 평가◾초중등교육법 제 23조(교육과정 등) 2항 : 경기도교육과정 편성・운영

2 목표 및 완성도▣ 목표 ◾‘미래형 학력’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논리 체계 명료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한계 극복한 미래형 학력 지표 및 평가 도구 개발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

1차년도(2014) 0 02차년도(2015) 0 03차년도(2016) 50 계속4차년도(2017) 100 계속5차년도(2018) 100 계속

3 추진 방향◾‘미래형 학력’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논리 체계 명료화◾미래형 학력과 참된 학업 성취와의 관계 명료화◾다양한 평가 방법 도입한 ‘미래형 학력’ 지표 및 평가 도구 개발 ◾(재)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과제 수행을 통한 추진

Page 20: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

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2018

미래형 학력 개념 정립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연중 ○ ○

미래형 학력 지표개발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포럼 연중 ○ ○

미래형 학력 지표 질관리 질관리 시범적

적용 ○

5 세부 추진 계획◾‘미래형 학력’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논리 체계 명료화 ('16. 7월~'17. 12월)

- ‘미래형 학력’에 대한 선행 연구 및 해외 연구 사례 분석 - 미래형 학력 신장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정책연구 포럼 개최

◾‘미래형 학력’ 지표 및 평가도구 개발 ('16. 7월~'17.12월)- 미래형 학력 지표 개발- 미래형 학력 측정 도구 개발 : 평가 방법의 다양화 (설문, 선다형, 논술형, 구술 평가 등)- 학교 교육 실태 및 미래형 학력 수준 분석 연구 실행 ('16. 7월~'17. 12월)

◾ ‘미래형 학력’ 지표 및 평가도구 적용('18. 3월~'18.12월)

6 투자 계획 (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투자액 비예산 사업

7 기대되는 효과◾미래형 학력 지표 개발・적용을 통한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기혁신교육 실현◾미래형 학력 중심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실시를 통한 공교육력 제고

Page 21: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2 : 배움중심수업 활성화

1 관련 근거◾민선 3기 이재정 교육감 취임사(2014.7.1.)◾제 16대(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직 인수위원회 백서(2014.8.)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협력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실수업 지원으로 한명의 학생도 포기하지 않는 현장중심 교육 실현◾협력과 토론, 프로젝트 중심의 교실수업 개선으로 배움중심수업의 질적 심화◾경쟁보다는 협력, 성적보다는 성장을 지향하는 협력수업, 프로젝트수업, 토론수업의 활성화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30 계속2차년도(2015) 45 계속3차년도(2016) 85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

3 추진 방향◾협력학습, 토론학습, 프로젝트학습 중심의 새로운 학습 방법 적용◾현장중심의 워크숍 실시, 자료개발, 정책 연구 추진◾배움중심수업 지원을 위한 지원단,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Page 22: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새로운 수업 지원

체제 확립지원단운영 100명 30 30 20 20

홈페이지 운영(자료 탑재) 700건 100 200 200 200

구성원의 역량강화협력, 토론, 프로젝트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200팀 50 50 50 50협력, 토론, 프로젝트학습

워크숍 실시 600명 150 150 150 150새로운 수업모델

확산, 일반화자료개발 10건 2 3 2 3

정책연구 실시 4건 1 1 1 1

5 세부 추진 계획◾새로운 수업 지원 체제 확립

▸지원단 운영 : 배움중심수업 지원단,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100명) ▸홈페이지 운영 : 협력, 토론, 프로젝트 수업 자료 탑재, 집단지성 네트워크 구축

◾구성원의 역량 강화▸협력, 토론, 프로젝트 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협력, 토론, 프로젝트 수업 워크숍 실시

◾새로운 수업 모델 확산, 일반화▸배움중심수업 자료 개발(책자, 영상 자료)▸협력, 토론, 프로젝트 수업 정책 연구(실행 연구) 실시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0 0 6,850 7,850 10,000 12,000 36,700

7 기대되는 효과◾협력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실수업 지원으로 학생중심, 현장중심의 공교육 정상화 실현◾협력과 토론, 프로젝트 중심의 교실수업 지원으로 배움중심수업의 새로운 지평 확◾배움중심수업의 실제적인 방안 모색으로 현장중심 배움중심수업 지원 구체화

Page 23: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3 : 독서교육 확대와 강화

1 관련 근거◾2016 경기교육 기본계획 / 정책 1. 행복한 학교 / 독서·글쓰기·인문교양교육 활성화◾주민직선 3기 교육감 공약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교육과정 연계 독서교육 활성화로 수업 중 독서교육 확대 강화◾독서교육을 통한 학생의 종합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 향상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10 계속2차년도(2015) 25 계속3차년도(2016) 50 계속4차년도(2017) 75 계속5차년도(2018) 100 완료

3 추진 방향◾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수업 중 독서교육 활성화 지원◾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공동체가 함께하는 독서실천문화 확산 지원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교육과정 내용과 연계한 명저 목록

추출 및 안내교육과정 연계 명저

목록 활용초,중,고500교

교육과정분석 0교 200교 350교 500교

Page 24: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2018

교과별 독서지도 프로그램 개발 보급

독서·글쓰기·인문학 동아리 운영

초,중,고400팀 100팀 200팀 300팀 400팀

교과별 학생독서수업

실천 운영초,중,고100팀 30팀 50팀 80팀 100팀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협력수업 모형 개발

도서관 활용 교사 협력수업 운영

초,중,고100팀 0팀 25팀 50팀 100팀

5 세부 추진 계획◾교육과정 연계 권장도서 목록 활용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수업 중 권장도서 목록 개발 및 활용▸단위학교별 학년별, 과목별 권장도서 선정 및 공개

◾독서·글쓰기·인문학 동아리 운영▸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동아리활동으로 독서실천문화 확산 및 정착

◾교과별 학생독서수업 실천 운영▸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과별 학생 독서교육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도서관 활용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협력수업 운영▸학교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사서교사와의 협력수업 실천 지원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0 192,000

(특교금) 40,000 136,000 200,000 200,000 768,000

7 기대되는 효과◾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 지원으로 학교생활 속 독서교육 확산◾독서체험활동 기회 확대를 통한 학생의 바른 인성 함양

Page 25: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4 : 사고 ․ 토론 중심의 역사교육 강화

1 관련 근거◾역사교육 강화 방안(교육부, 203.8.12.)◾2015 민주시민교육 기본계획(2015. 1.)

2 목표 및 완성도▣ 목표

◾역사적 체험활동으로 역사에 대한 관심과 사고력 배양◾교원 역량 강화를 통한 역사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25 계속2차년도(2015) 65 계속3차년도(2016) 85 계속4차년도(2017) 100 완료5차년도(2017) - -

3 추진 방향◾사고와 토론 중심의 역사교육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올바른 역사관 확립을 위한 현장 중심 역사교육 강화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2018

교원 역량 강화 교원 직무연수 1,200명 900명 150명 150명 ․ ․

Page 26: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물량) 추진 일정2014 2015 2016 2017 2018

찾아가는 독도사랑교육 혁신공감과제 과제선택

학교수 100교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역사(독도)동아리 활동 지원 혁신공감과제 과제선택

학교수 ․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선택학교수

역사유적지 현장체험학습 지원 국토사랑체험학습 83교 20교 23교 20교 20교역사 계기교육 자료

개발교수-학습자료

개발 2책 ․ 2책 ․ ․ ․

5 세부 추진 계획◾융합 기반 교수-학습방법 지원

▸사고․토론과 배움 중심의 수업을 위한 교사 연수 지원▸유관기관과 협력한 교원역량강화 연수 지원

◾역사 체험활동 지원 강화▸역사유적지 현장 체험학습 지원 : 초, 중, 고등학교 103교 지원▸지역사회 및 유관기관과 연계한 역사체험학습 프로그램 지원 ▸독도의 날 및 독도사랑교육주간 운영 지원(10월)

◾역사계기교육 자료 보급 및 활용▸국경일 및 각종 기념일 역사 계기교육 자료 보급▸유관기관의 역사 사이버교육 안내(동북아역사넷, 경상북도 독도관 등)

6 투자 계획 (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투자액 92,200 30,000 33,000 33,000 33,000 221,200

7 기대되는 효과◾역사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으로 사고 토론 중심의 역사교육 토대 구축 ◾체험 중심의 역사교육 지원으로 역사적 사고력 증진과 올바른 역사관 확립

Page 27: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5 : 네 번의 짧은 방학을 실시하는 '사계절방학' 자율 운영

1 관련 근거◾초중등교육법 시행령 44조(학기)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적절한 학습과 휴식으로 학생의 학습 부담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삶속에서 도전을 통해 체득할 수 있는 탐구정신과 실천의지를 반영하는 실질적인 체험

학습 기회 보장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0 계속2차년도(2015) 10 계속3차년도(2016) 35 계속4차년도(2017) 70 계속5차년도(2018) 100 계속

3 추진 방향◾학기 시작 후 10주간의 수업 후 1주의 짧은 방학, 한 학기 종료 후 5주의 긴 방학의

형식 운영◾분기별로 교실 수업과 방학을 이용한 체험활동의 유기적 연계◾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돕고 정신적 활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방학기간 활용

Page 28: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교육과정

운영방법 개선교육과정 재구성

활성화 지원 초중고 전체 연중 연중 연중 연중 연중

방학기간 중 체험활동 활성화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구축 초중고 전체

1교- 1기관 연계

1교- 2기관 이상 연계

1교- 3기관 이상 연계

지속 확대

지속 확대

방학중 자유수강권 활용방안 초중고 전체 저소득

층 학생저소득층 학생

저소득층 학생

저소득층 학생

저소득층학생

사계절방학 적용지원 방안

교사 연수 초중고 전체 11월 연수

4~12월 연수

4~12월 연수

4~12월 연수 -

매뉴얼 제작 초중고 전체 12월초 제작

내용 수정보완

내용 수정보완

내용 수정보완 -

5 세부 추진 계획◾지식의 습득과 체험활동을 통한 지식의 체득을 동시에 고려한 교과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립 지원▸지원 조직 : 도단위 교육과정 혁신 지원단▸지원 내용 : 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제시▸지원 방법 : 학교 단위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

◾방학기간 중 학생체험활동 활성화▸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 문화 체험활동▸가족단위 여행 및 봉사활동을 통한 체험활동▸맞벌이 부모의 학생 보육 문제와 체험활동 격차 및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한 방학기

간 중 지원 프로그램 운영(방과 후 학교 자유수강권 활용)◾사계절방학 정착을 위한 연수 및 지원

▸지역별 학교별 연수 지원▸사계절방학 운영을 지원하는 매뉴얼 제작 보급

- 사계절방학 운영교 사례

Page 29: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 분기별 특성에 맞는 주제 테마 학습 운영 방안 소개- 방학 중 체험학습 운영 방안 소개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

운영 계획

- 현 운영교(보평초, 광덕고 총 2교)중심 운영 사례 발굴

- 매뉴얼 제작 배부

- 희망학교 발굴

- 운영교 확대- 시범운영교

운영(98교)- 지역사회 네

트워크 발굴

- 운영교확대- 매뉴얼 수정

보완- 사계절방학

을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다양화 지원

- 운영교 확대- 매뉴얼 수정

보완- 운영교 확대- 매뉴얼 수정

보완

6 투자 계획(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계본예산 추경투자액 0 0 120,000 0 0 0 120,000

7 기대되는 효과◾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한 학생중심의 주문형 교육문화 프로그램 개발◾새로운 휴가문화 개선을 통한 사회 전반의 여가문화의 선진화 주도◾가족과의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인한 학생의 행복감 제고◾자연친화적 생명감수성 교육 기회 확대

Page 30: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세부과제 336 : 학생의 충분한 휴식을 통한 건강한 교실 수업 실현

1 관련 근거◾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정책 추진 방향 -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학생 9시 등교 실현 : 2014.7.1. 취임사)◾교육기본법 제27조(보건 및 복지의 증진)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 및 복지를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실시하여야 한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 제10조(휴식을 취할 권리)

2 목표 및 완성도 ▣ 목표

◾가족과 함께하는 아침식사로 학생의 건강 증진과 화목한 가족문화 형성 ◾청소년기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수면과 휴식, 과중한 학습 부담 경감으로 학습의

효율성 제고◾‘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의 적정 시간 이상 확보로 학습의 효율성과 건강한 교실 실현◾수업일수 감축에 따른 수업시수 감축 허용으로 실질적인 휴식시간 확보

▣ 완성도

연차(년도) 완성도 비고이행율(%) 완료도1차년도(2014) 0 계속2차년도(2015) 10 계속3차년도(2016) 35 계속4차년도(2017) 70 계속5차년도(2018) 100 계속

3 추진 방향◾9시 등교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과중한 학습 부담 경감을 기본 입장으로 추진◾9시 등교의 장점을 부각시켜 교육공동체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학생의 충분한 휴식으로 수업의 질적 전환 시도◾수업시수 감축을 위한 시도교육감협의회 안건 상정과 연대 활동

Page 31: 제3대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 공약사항gmanifesto.goe.go.kr/data/plan/plan_v03.pdf · 세부과제 321 : 학생인권 보호 및 증진 1 관련 근거 경기도학생인권조례(경기도조례

4 전략 개요전략명 세부사업명 목표

(물량)추진 일정

2014 2015 2016 2017 2018

수업시수감축을 위한 연대활동

시도교육감협의회 안건 상정 연중 연중 연중

수업시수감축방안 정책연구 1회 연중 연중

타시도교육청과 공동협의체 구성

10개 시도 이상 연중 연중 연중

학생들의 충분한 휴식을 위한 교실

수업 전환교실수업의 질적

전환 시도(학생참여수업)

초중고 전체 연중 연중 연중

5 세부 추진 계획◾수업시수감축을 위한 연대활동

▸시도교육감협의회 안건 상정 - 기존 상정 내용을 분석하고 정책적인 보완 마련 - 경기도의 기본안을 만들어 시도교육감협의회 안건으로 상정(10월) ▸수업시수감축방안 정책연구 : 경기도교육연구원에 정책 연구 의뢰 - 외국 사례 연구 - 수업일수 감축과 수업시수 감축에 대한 앞선 연구 사례 분석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수업시수 축소에 대한 연구▸타시도교육청과 공동협의체 구성 : 10개 시도 이상이 참여하는 공동협의체(6월)

◾학생들의 충분한 휴식을 위한 교실 수업 전환▸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고려한 탄력적인 시간 운영▸교과연계수업, 교과통합수업 등 블록타임제 등 운영

6 기대되는 효과◾학생의 건강 증진과 화목한 가족문화 형성으로 인성 발달◾적절한 수면과 휴식, 과중한 학습 부담 경감으로 학습 효율성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