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95
- 1 - 큐블록 MSB 시리즈를 위한 레더로직 편집기 MSB LOGIC 사용설명서 MANUAL VERSION 2.1 MSB LOGIC 은 레더로직을 사용해서 시퀀스 제어정도의 기능만 지원합니다. BASIC 언어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Upload: others

Post on 05-Jun-2022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 -

큐블록 MSB 시리즈를 위한

레더로직 편집기

MSB LOGIC 사용설명서

MANUAL VERSION 2.1

MSB LOGIC은 레더로직을 사용해서 시퀀스 제어정도의 기능만 지원합니다.

BASIC언어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Page 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 -

등록상표

WINDOWS는 Microsoft Corporation의 등록상표입니다.

CUBLOC은 Comfile Technology의 등록상표입니다.

기타 다른 상표는 해당회사의 등록상표입니다.

알림

본 설명서의 내용은 사전 통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의 기능은 성능 개선을 위하여 사전 통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을 이 자료에서 설명한 용도 외에서 사용할 경우, 폐사에서는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제품은 컴파일 테크놀로지의 고유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된 제품으로 저

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제품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 및 설명서 및 기타 포함)의 어떠한

부분도 사전에 폐사와의 문서 동의 없이 복사되거나 변경, 재 생산할 수 없으며 또한 다른 언어로도 번역될 수

없습니다.

주의사항

인쇄된 설명서는 인쇄된 시점에서는 최신 버젼이지만, 인쇄된 후 시간이 경과된 뒤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거

나, 기존내용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신 버젼의 설명서는 항상 인터넷 홈페이지 (www.comfile.co.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제품 (MSB본체및 부속장치 일체) 를 사용하시다가 생긴 손해 및 손실에 대하여 저희

컴파일 테크놀로지 주식회사는 어떠한 (민,형사상의 법적 )책임과 손해 배상책임도 없음을 명시하는 바입니다.

인쇄 내역 Copyright 컴파일 테크놀로지㈜

Page 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 -

차 례

제 1 장 MSB 개요 .............................................................................................................. 5

MSB LOGIC과 CUBLOC STUDIO ..................................................................................................... 6

MSB의 메모리맵 ................................................................................................................................. 8

특수릴레이 .......................................................................................................................................... 11

A/D변환 ............................................................................................................................................... 13

다운로드 하기전에 점검할 사항 .................................................................................................. 14

다운로드와 실행 ................................................................................................................................ 16

펌웨어 다운로드 ................................................................................................................................ 17

제 2 장 기본명령어 ......................................................................................................... 18

SETOUT, RSTOUT ............................................................................................................................. 20

DF, DFN ................................................................................................................................................ 21

NOT ........................................................................................................................................................ 22

TON, TAON ......................................................................................................................................... 23

TOFF, TAOFF ....................................................................................................................................... 24

TMON, TAMON ................................................................................................................................ 25

CTU ......................................................................................................................................................... 27

KCTU ...................................................................................................................................................... 27

CTD......................................................................................................................................................... 28

KCTD ...................................................................................................................................................... 28

RSTCNT ................................................................................................................................................. 30

비교명령 ............................................................................................................................................... 31

논리회로 ............................................................................................................................................... 32

기본 명령어 응용회로 ..................................................................................................................... 33

제 3 장 응용명령어 ......................................................................................................... 36

워드와 더블워드 저장방식 ............................................................................................................ 39

16진수 표기법 ................................................................................................................................... 39

제 4 장 MODBUS 데이터 통신 ..................................................................................... 40

MODBUS 데이터 통신 .................................................................................................................... 41

Page 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 -

어드레스 ............................................................................................................................................... 42

제 5 장 MSB LOGIC 사용법 .......................................................................................... 43

MSB LOGIC의 개요 ......................................................................................................................... 44

MSB LOGIC 다운로드 ...................................................................................................................... 44

MSB LOGIC 사용법 기초 ................................................................................................................ 45

SETUP .................................................................................................................................................... 46

별명 이름짓기 .................................................................................................................................... 48

파일의 오픈 및 저장 ......................................................................................................................... 50

레더작성용 아이콘 툴바 ................................................................................................................. 52

LADDER 작성법 ................................................................................................................................. 53

LADDER 편집 ...................................................................................................................................... 54

사용할 수 없는 레더 표현 .............................................................................................................. 60

모니터링 ............................................................................................................................................... 61

WATCH POINT .................................................................................................................................. 62

강제 I/O ................................................................................................................................................ 63

MODIFY기능 ...................................................................................................................................... 64

메뉴 설명.............................................................................................................................................. 65

환경설정 ............................................................................................................................................... 66

간접 번지 지정 ................................................................................................................................... 67

D영역 비트단위 제어 ..................................................................................................................... 68

제 6 장 응용사례 ............................................................................................................. 69

AN2001 : 주차가능여부 표시등 (MSB612RA-DC) ............................................................... 70

AN2002 : 근접센서에 의한 컨베어 정역제어 (MSB612RA-DC)....................................................... 73

AN2003 : MSB를 데이터 수집장치로 사용하기 ............................................................................... 76

AN2004 : 철도 건널목 차단기 (MSB612RA-DC) ................................................................................ 81

AN2005 : 야구장 아웃 카운터 (MSB612RA-DC) ................................................................................ 85

다운로드에러시 문제 해결방법 ................................................................................................... 91

Page 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 -

제 1 장

MSB 개요

Page 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 -

MSB LOGIC 과 CUBLOC Studio

베이직과 레더로직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CUBLOC STUDIO는 MSB시리즈의

전체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베이직 언어를 잘 모르시고, 레더로직만으로 MSB시리즈를 사용하실 분들은 MSB

LOGIC을 사용하십시오. 시퀀스 로직제어정도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온도입력, 통신처리등의 기능은 MSB LOGIC에서 불가능하므로 이 경우

BASIC언어를 지원하는 CUBLOC STUDIO를 사용하세요.

Page 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 -

MSB LOGIC 으로 MSB 시리즈를 사용할때의 특징

⚫ 레더로직만 사용가능

⚫ 스캔타임은 10mS

⚫ 프로그램 용량 100KB (약 3000 렁)

⚫ PC와 RS232케이블로 연결하여 다운로드 및 모니터링 가능

⚫ 정전시 보상 지원 (K, C, T영역)

⚫ RS232C채널 1만 모드버스 통신 (RS232 MODBUS-RTU) 슬레이브로

사용가능 (HMI와 연결가능),

⚫ RS232/485채널 2,3은 사용할 수 없음

⚫ MSB764T 의 RTC는 사용할 수 없음

⚫ MSB748R, MSB764T 의 I/O확장 기능은 사용할 수 없음.

⚫ PWM, 온도입력등의 기능은 사용할 수 없음.

Page 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 -

MSB 의 메모리맵

MSB LOGIC 으로 사용할때와 CUBLOC STUDIO로 사용할때의 메모리맵이 조금

틀립니다.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MSB LOGIC사용시 더 많은 메모리가

레더로직쪽으로 할당됩니다.

비트 단위 영역 입니다. (릴레이라고 부릅니다.)

릴레이 설명 범위 총 개수 기능

P

입력 릴레이 P0-P31 32점 DC24V 입력 (20V~28V)

출력 릴레이 P32-P63 32점 출력 (릴레이)

M 내부릴레이 M0-M4095 4096점 내부 상태의 보존

F 특수기능 릴레이 F0-F127 128점 시스템 상태

K KEEP릴레이 K0-K127 128점 정전시 데이터 유지

워드 단위 영역입니다. (레지스터라고 부릅니다.)

레지스터 설명 범위 총 개수 기능

T 타이머 T0-T223 224개 타이머용

T KEEP타이머 T224-T255 32개 KEEP타이머용

C 카운터 C0-C79 80개 카운터용

C KEEP카운터 C80-C99 20개 KEEP카운터용

D 데이터 레지스터 D0-D255 256개 데이터용

Y 시스템 데이터 레지스터 Y0-Y99 100개 시스템정보 기록용

레지스터는 기본적으로 1워드 (0 ~ 65535)값을 저장합니다. 더블워드를 표현하기

위해서 2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C와 T는 접점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릴레이 영역이 존재합니다.

릴레이 설명 범위 총 개수 기능

T 타이머 T0-T255 256개 타이머 접점상태 저장

C 카운터 C0-C99 100개 카운터 접점상태 저장

KEEP 카운터 사용법

KEEP카운터 영역 (C80 ~ C99)를 사용할때에는 CTU, CTD 명령대신 KCTU, KCTD를

사용해야 합니다.

Page 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 -

P 릴레이

P0부터 P31까지는 입력포트입니다. P32부터 P63까지는 출력포트입니다.

앞에 W를 붙여주면 워드단위로 억세스가능합니다. WP0는 P0~P15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P0이 가장 아래쪽(LSB)에 P15가 가장 위쪽(MSB)에 위치합니다.

WMOV등과 같은 응용명령어 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B LSB

입력 WP0 P15 P14 P13 P12 P11 P10 P9 P8 P7 P6 P5 P4 P3 P2 P1 P0

WP1 P31 P30 P29 P28 P27 P26 P25 P24 P23 P22 P21 P20 P19 P18 P17 P16

출력 WP2 P47 P46 P45 P44 P43 P42 P41 P40 P39 P38 P37 P36 P35 P34 P33 P32

WP3 P63 P62 P61 P60 P59 P58 P57 P56 P55 P54 P53 P52 P51 P50 P49 P48

M 릴레이

내부 릴레이로 사용할 수 있는 비트 영역입니다. M0부터 M4095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응용명령어에서 16비트 씩 묶어서 WM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M255 까지 사용 가능 합니다.

MSB LSB

WM0 M15 M14 M13 M12 M11 M10 M9 M8 M7 M6 M5 M4 M3 M2 M1 M0

WM1 M16

WM2

WM3

WM255 M4095 M4080

K 릴레이

정전시 유지되는 비트 영역입니다. K0부터 K127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응용명령어에서 16비트 씩 묶어서 WK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K7 까지

사용 가능 합니다. MSB LSB

WK0 K15 K14 K13 K12 K11 K10 K9 K8 K7 K6 K5 K4 K3 K2 K1 K0

WK1 K16

WK2

WK3

WK7 K127 K120

Page 1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0 -

D 레지스터

유저가 임의대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바꿀수 있는 영역입니다. 워드단위로

되어있습니다.

총 255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터 내용

D0 0 부터 65535 사이의 값을 저장/변경 가능

D1 0 부터 65535 사이의 값을 저장/변경 가능

:

:

:

D254 0 부터 65535 사이의 값을 저장/변경 가능

D255 0 부터 65535 사이의 값을 저장/변경 가능

Y 레지스터

각종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입니다. 이중 Y20부터 Y27까지는 A/D변환

결과가 저장 됩니다.

레지스터 내용

Y0

:

:

Y20~ Y27 채널 0 ~ 7번의 AD변환 결과값

:

Y30~ Y37 채널 0 ~ 7번의 AD변환 스케일 최대값

:

Y40~ Y47 채널 0 ~ 7번의 AD변환 스케일 변환값

:

:

Y50 고속카운터 0 의 하위워드

Y51 고속카운터 0 의 상위워드

Y52 고속카운터 1 의 하위워드

Y53 고속카운터 1 의 상위워드

:

Y99

나머지는 예약된 공간입니다.

Page 1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1 -

특수릴레이 특수릴레이를 통하여 PLC의 상태나 타이밍 정보, 시스템 정보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특수릴레이 설명 별명 (Alias)

F0 상시 OFF F_OFF

F1 상시 ON F_ON

F2 최초에 1 SCAN만 ON

F_INIT

F3 파워온시 1 SCAN만 ON

F3이 먼저 ON된후, 바로뒤에 F2가 ON됩

니다.

F_POR

F4

F5

F6

F7

F8 10mS마다 1 SCAN만 On

F9 100mS마다 1SCAN만 On F_100mS

F10 1초 마다 1 SCAN만 On F_1Sec

F11

F12

F13

F14

F15

F16 1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_SCAN

F17 2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18 4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19 8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20 16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21 32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22 64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23 128스캔타임간격으로 ON/OFF를 반복

F24 10mS마다 ON/OFF를 반복 F_10MS

F25 20mS마다 ON/OFF를 반복 F_20MS

F26 40mS마다 ON/OFF를 반복 F_40MS

F27 80mS마다 ON/OFF를 반복 F_80MS

F28 160mS마다 ON/OFF를 반복 F_160MS

F29 320mS마다 ON/OFF를 반복 F_320MS

F30 640mS마다 ON/OFF를 반복 F_640MS

F31 1.28 초마다 ON/OFF를 반복 F_1.2S

F32 2.56 초마다 ON/OFF를 반복 F_2.5S

F33 5.12 초마다 ON/OFF를 반복 F_5.1S

F34 10.24 초마다 ON/OFF를 반복

Page 1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2 -

F35 20.48 초마다 ON/OFF를 반복

F36 40.96 초마다 ON/OFF를 반복

F37 81.92 초마다 ON/OFF를 반복

F38 163.84 초마다 ON/OFF를 반복

F39 327.68 초마다 ON/OFF를 반복

:

F64 STATUS LED F_LED

F65 ERROR F_ERR

F66 < F_<

F67 > F_>

F72 CARRY F_CARRY

F73 ZERO F_ZERO

F64는 CPU모듈에 있는 LED를 제어할 수 있는 특수릴레이입니다. 이 릴레이를

ON시키면 LED가 TURN ON 됩니다.

1초마다 수행할 일이 있다면 F10을 사용하십시오.

위 레더의 실행결과, 1초마다 D0값이 1씩증가됩니다.

Page 1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3 -

A/D 변환

AD0번부터 7번채널로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값으로 변환되어 Y20

부터 Y27에 저장됩니다. MSB시리즈의 A/D해상도가 10비트이므로, 결과값은

0부터 1023사이의 값입니다. 이 값을 원하는 범위로 스케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터 내용

Y20 채널 0번의 AD변환 결과값

Y21 채널 1번의 AD변환 결과값

Y22 채널 2번의 AD변환 결과값

Y23 채널 3번의 AD변환 결과값

Y24 채널 4번의 AD변환 결과값

Y25 채널 5번의 AD변환 결과값

Y26 채널 6번의 AD변환 결과값

Y27 채널 7번의 AD변환 결과값

Y30부터 37에는 각 채널의 스케일 최대값을 써넣을 수 있습니다. 파워온시

초기값은 10,000입니다.

레지스터 내용

Y30 채널 0번의 스케일 최대값

Y31 채널 1번의 스케일 최대값

Y32 채널 2번의 스케일 최대값

Y33 채널 3번의 스케일 최대값

Y34 채널 4번의 스케일 최대값

Y35 채널 5번의 스케일 최대값

Y36 채널 6번의 스케일 최대값

Y37 채널 7번의 스케일 최대값

그러면, Y40부터 Y47에는 스케일 결과값이 저장됩니다.

레지스터 내용

Y40 채널 0번의 스케일 결과값

Y41 채널 1번의 스케일 결과값

Y42 채널 2번의 스케일 결과값

Y43 채널 3번의 스케일 결과값

Y44 채널 4번의 스케일 결과값

Y45 채널 5번의 스케일 결과값

Y46 채널 6번의 스케일 결과값

Y47 채널 7번의 스케일 결과값

Page 1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4 -

다운로드 하기전에 점검할 사항

3- PIN다운로드 케이블을 사용해서 PC의 COM포트와 MSB를 연결해 주십시오.

MSB용 다운로드 케이블은 MSB제품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최초 구매시

반드시 구매하셔야 합니다. (유저가 제작한 다운로드 케이블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MSB LOGIC의 설정 메뉴의 <PC 인터페이스 설정>을 눌러서 COM 포트부터

맞춰주어야 합니다.

PC에는 보통 1개의 COM포트가 있으며, 대부분 1로 되어 있어 있습니다. 만약,

COM포트가 없는 PC또는 노트북에서는 USB-TO-RS232C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USB-TO-RS232C케이블 드라이버부터 먼저 설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age 1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5 -

대부분의 경우 USB드라이버가 자동설치됩니다 .자동설치안되면 직접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드라이버 CD를 넣고, USB케이블을 끼우면, 새로운 장치가 검색되었다고

하단에 표시됩니다.

1. 이때 드라이버 설치경로를 CD쪽으로 하시면, 드라이버 설치가 진행됩니다.

2. 설치가 끝나면, USB포트가 COM포트로 할당됩니다. (예를들면 COM 12로

할당)

드라이버 설치후, MSB LOGIC의 설정 메뉴의 <PC 인터페이스 설정>을 보면, 1번이

아닌 다른 번호가 보일 것입니다. (만약 안보인다면 드라이버 설치가 잘못된

것입니다.) 이 번호를 선택하십시오.

이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부록>에 있는 <다운로드 에러시 문제 해결방법>을

참조하셔서, PC의 COM포트 문제를 해결하신뒤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Page 1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6 -

다운로드와 실행

RUN을 누르면 (또는 단축키 CTRL-R) MSB로 다운로드 됩니다. 번역 도중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멧세지가 표시되고, 에러가 발생한 곳으로 커서가 이동합니다.

여러분이 작성한 소스내용 (레더입력상태와 SETUP상태)는 RUN을 누를 때 마다

SAVE됩니다.

MSB 는 업로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불법복제 방지를 위해 업로드 기능을 넣지

않았습니다.

이곳을 누르면 저장, 및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Page 1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7 -

펌웨어 다운로드

만약 다운로드가 잘진행되지 않는다면, 펌웨어 다운로드를 해보십시오. 펌웨어

다운로드는 설정메뉴 밑에 있습니다.

펌웨어란 MSB의 OS를 말합니다. 공장출하전에 최신버젼의 펌웨어를 다운로드한

상태로 출시됩니다.

이후 MSB LOGIC가 버전업이 되었을 때, 새로운 펌웨어를 다운로드해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새로운 펌웨어를 다운로드하라는 멧세지 창이 표시됩니다.

펌웨어 다운로드는 MSB를 공장출하시 최초상태로 돌려놓기 때문에,

멀펑션상태가된 MSB를 다시 살리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ge 1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8 -

제 2 장

기본명령어

Page 1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19 -

기본명령어

명령어 Symbol 설명

LOAD

A접점 (Normal Open)의 시작

LOADN

B접점 (Normal Close)의 시작

OUT

연산 결과 출력

NOT

NOT이전의 연산결과를 반전

MCS 마스터 콘트롤 시작

MCSCLR 마스터 콘트롤 종료

DF

입력조건 상승 시 1 스캔타임만 ON출력

DFN

입력조건 하강 시 1 스캔타임만 ON출력

SETOUT 출력을 ON상태로 유지

RSTOUT 출력을 OFF상태로 유지

END 프로그램의 종료

타이머

TON

0.01초 단위 ON 타이머

TOFF

0.01초 단위 OFF 타이머

TAON

0.1초 단위 ON 타이머

TAOFF

0.1초 단위 OFF 타이머

TMON

0.01초 단위 트리거 ON 타이머

TAMON

0.1초 단위 트리거 ON 타이머

카운터

CTU, KCTU

UP 카운터

CTD, KCTD

DOWN 카운터

RSTCNT 카운터 클리어

Page 2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0 -

SETOUT,

RSTOUT

SETOUT은 입력이 있을 때 출력을 ON하고, ON상태를 계속 유지합니다.

반대로 RSTOUT은 입력이 있을 때 출력을 OFF한 뒤 OFF상태를 계속 유지합니다.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P0

SETOUT P5

LOAD P1

RSTOUT P5

가능영역 P M F K C T D Y 상수

SETOUT O O O O

RSTOUT O O O O

위의 레더 실행결과를 타임차트로 표시한 것입니다.

P0

P1

P5

Page 2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1 -

DF, DFN

DF는 입력조건에서 상승에지 (OFF -> ON) 상황이 발생하면 출력접점을 1스캔시간

동안 ON 하는 명령입니다. 반대로, DFN은 입력조건에서 하강에지 (ON ->

OFF)상황이 발생하면 1스캔시간 동안 ON하는 명령입니다.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P0

DF

OT P5

LOAD P1

DFN

OT P6

Page 2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2 -

NOT

이전까지의 연산결과를 반전시킵니다. 화면 상단의 NOT심볼을 누르거나 슬레쉬 “/”

키를 누르면 커서위치에 NOT이 표시됩니다.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P0

NOT

OT M0

위 래더도는 B접점을 사용한 레더도와 같은 결과가 됩니다.

=

Page 2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3 -

TON, TAON TON [릴레이], 설정값

TAON [릴레이], 설정값 릴레이 : T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값 : 1에서 65535까지의 상수값 또는 D레지스터 사용가능

입력 조건이 ON이 되면 타이머 값이 증가되어, 설정 값에 도달하면 출력접점이

ON됩니다. 시간 단위가 틀린 두 종류의 ON TIMER가 있습니다.

타이머종류 분해능 최대치

TON 0.01초 655.35초

TAON 0.1초 6553.5초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START

TON T0, 100

LOAD START

TAON T1,100

TON, TAON명령에는 2개의 인수가 있습니다. 타이머번호는 T릴레이중 하나의

값을 지정하고, 설정값으로는 상수 및 데이터영역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LADDER에서 START입력이 들어오면 T0타이머가 증가됩니다. 0.01초마다

1씩 증가되어 증가치가 100 (1초경과) 이 되면 T0접점이 ON 됩니다. TAON을

사용한 T1타이머의 경우에는 0.1초마다 1씩 증가되어 10초가 경과되면 T1접점이

ON됩니다. 입력신호가 OFF되면 타이머는 초기값으로 설정되고, 타이머 접점도

OFF됩니다.

Page 2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4 -

TOFF, TAOFF TOFF [릴레이], 설정값

TAOFF [릴레이], 설정값 릴레이 : T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값 : 1에서 65535까지의 상수값 또는 D레지스터 사용가능

입력 조건이 ON이 되면 타이머접점은 바로 ON됩니다. 이후 입력이 OFF되면

타이머접점은 OFF되지 않고, 설정치 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뒤 OFF됩니다. 시간

단위가 틀린 두 종류의 OFF TIMER가 있습니다.

타이머종류 분해능 최대치

TOFF 0.01초 655.35초

TAOFF 0.1초 6553.5초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START

TOFF T0,100

LOAD START

TAOFF T1,100

위의 LADDER에서 START입력이 들어오면 T0접점은 바로 ON됩니다. 이후

START접점이 OFF된 뒤 타이머가 증가됩니다. 0.01초마다 1씩 증가되어 증가치가

100 (1초경과) 이 되면 T0접점이 OFF 됩니다. TAON을 사용한 T1타이머의

경우에는 0.1초마다 1씩 증가되어 10초가 경과되면 T1접점이 OFF됩니다.

Page 2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5 -

TMON, TAMON TMON [릴레이], 설정값

TAMON [릴레이], 설정값 릴레이 : T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값 : 1에서 65535까지의 상수값 또는 D레지스터 사용가능

입력 조건이 잠깐 ON 되도, 바로 타이머 출력 접점이 ON, 시간 경과후 OFF 되는

트리거 타이머 입니다.

짧은 입력신호에도 일정시간 출력이 유지되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십시오.

타이머종류 분해능 최대치

TMON 0.01초 655.35초

TAMON 0.1초 6553.5초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START

TMON T0, 100

LOAD START

TAMON T1,100

위 레더도의 경우 P0가 들어오면, 다음과 같이 동작됩니다.

입력 신호가 계속 들어오는 경우에라도, 타이머는 정해진 시간만큼 경과된뒤

OFF됩니다.

Page 2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6 -

이후 입력이 다시 들어온다면, 타이머는 동작됩니다.

타이머 동작구간에 중복입력이 되면, 무시합니다.

정전시 유지되는 타이머

T244부터 T255까지는 정전유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B 에서는 정전시 유지해야되는 데이터를 EEPROM에 보관하므로, 별도의 백업용

밧데리가 필요없습니다.

Page 2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7 -

CTU CTU [릴레이], 설정값

릴레이 : C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값 : 1에서 65535까지의 상수값 또는 D레지스터 사용가능

업 카운터 명령입니다. 입력이 들어오면 카운터 값을 1 증가 시킵니다. 카운터 값이

설정치와 일치하면 카운터 접점을 ON합니다. 리셋 입력이 들어오면 카운터 값은

0이 됩니다. 최대 65535까지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치에 도달하고, 접점이 ON된

이후에는 입력 시그널이 들어와도 무시합니다.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PULSE

LOAD RESET

CTU C0,100

KCTU

CTU명령을 정전보상이 되는 C80부터 C99사이에 사용하려면, KCTU명령을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Page 2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8 -

CTD CTD [릴레이], 설정값

릴레이 : C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설정값 : 1에서 65535까지의 상수값 또는 D레지스터 사용가능

다운 카운터 명령입니다. 입력이 들어오면 카운터 값을 1 감소 시킵니다. 카운터

값이 0이 되면 카운터 접점을 ON합니다. 리셋 입력이 들어오면 카운터 값은

설정치로 초기화 됩니다.

레더도 니모닉 표기

LOAD PULSE

LOAD RESET

CTD C1,100

KCTD

CTD명령을 정전보상이 되는 C80부터 C99사이에 사용하려면, KCTD명령을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Page 2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29 -

더블워드 카운터

CTU명령은 최대 65535까지만 카운트가 가능합니다. 만약 그 이상의 값을

카운트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DWINC명령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P0가 입력되면 D0,D1에 있는 더블워드값이 증가됩니다. 이 값이 100000 에

도달하면 M0가 ON됩니다. 리셋시 또는 P1이 입력되면 D0,D1이 클리어됩니다.

Page 3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0 -

RSTCNT RSTCNT [릴레이]

릴레이 : C 릴레이만 사용가능합니다.

레더도 실행결과

RSTCNT C0

C0카운터 레지스터와

C0카운터 릴레이를 모두

클리어합니다.

카운터 상태를 보관하고 있는 카운터 레지스터와 해당 카운터 릴레이를 한번에 모두

클리어하는 명령입니다.

위 레더도에서 P2입력이 들어오면 C0레지스터와 C0릴레이가 모두 클리어됩니다.

물론, P1입력이 들어와도 모두 클리어됩니다.

Page 3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1 -

비교명령

두 개의 워드(16비트), 또는 더블워드(32비트)값을 비교해서 조건을 만족하면

접점을 ON합니다. 총 12개의 비교명령이 있습니다.

비교명령 비교대상 동작설명

=, s1, s2 워드(16비트) S1 과 s2가 서로 같을 때 접점이 On됩니다.

<>, s1, s2 워드(16비트) S1 과 s2가 서로 다를 때 접점이 On 됩니다.

>, s1, s2 워드(16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 s1, s2 워드(16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 s1, s2 워드(16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 s1, s2 워드(16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과 s2가 서로 같을 때 접점이 On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과 s2가 서로 다를 때 접점이 On 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D<=, s1, s2 더블워드(32비트) S1 <= s2일 때 접점이 On됩니다.

아래와 같이 여러 개의 조건을 AND, OR접속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M을 쓰시면 16개의 M릴레이를 한꺼번에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WM0은

M0부터 M15까지를 의미합니다.

Page 3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2 -

논리회로

1. OR회로 : 입력 2개중 하나만 들어와도 출력이 ON되는 회로입니다.

2. AND 회로 : 입력 2개가 모두 들어와야 출력이 ON되는 회로입니다.

3. NOT회로 : 출력을 반전시켜 줍니다.

4. NOR 회로 : OR회로를 반전시킨 회로 입니다.

5. NAND회로 : AND회로를 반전시킨 회로입니다.

Page 3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3 -

기본 명령어 응용회로

자기유지 회로

P8이 입력되면 P32가 ON됩니다. 이후 P32는 ON상태를 계속 유지합니다. P9가

입력되면 P32는 OFF됩니다.

인터록 회로

두개의 자기유지회로가 있습니다. 위 회로가 동작중일 때 아래 회로는 동작이

금지됩니다.

반대로 아래회로가 동작중일때는 위 회로동작이 금지됩니다.

Page 3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4 -

ON / OFF 스위칭 회로

P8에 PUSH스위치를 연결하여 주십시오. PUSH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P32가

ON됩니다. 다시 한번누르면 P32가 OFF됩니다.

플리커 회로

P33이 0.5초 간격으로 ON/OFF를 반복합니다.

일정간격으로 ON/OFF를 반복하는 특수릴레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

회로는 0.64초마다 ON/OFF를 반복합니다.

Page 3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5 -

파워온시 초기화

F2 특수릴레이를 사용해서, 파워온시 특정 레지스터값을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상시 ON

F1 특수릴레이를 사용해서, 항상 동작되야 하는 회로에 사용하세요.

상시 OFF

F0 특수릴레이를 사용해서, 항상 동작되지 말아야할 회로에 사용하세요.

1 초마다 한번만 동작하는 회로

1초에 한번씩 동작하는 회로는 F10 릴레이를 사용하세요.

Page 3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6 -

제 3 장

응용명령어

Page 3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7 -

응용명령어

명령어 파라메터 설명

전 송 명 령 군

WMOV s,d 데이터 전송

WXCHG s,d 데이터 교환

FMOV s,d,n 데이터 채움 명령

GMOV s,d,n 그룹전송 명령

비 교 명 령

WCMP d1,d2 비교명령

증 감 명 령 군

WINC d 1 증가 명령

WDEC d 1 감소 명령

사 칙 연 산 명 령 군

WADD s1,s2,d 덧셈 명령

WSUB s1,s2,d 뺄셈 명령

WMUL s1,s2,d 곱셈 명령

WDIV s1,s2,d 나눗셈 명령

논 리 연 산 명 령 군

WAND s1,s2,d AND연산 명령

WOR s1,s2,d OR연산 명령

WXOR s1,s2,d XOR연산 명령

WINV d 반전명령

WNEG d 2의보수화 명령

회 전 명 령 군

WROL d 1비트 좌 회전 명령

WROR d 1비트 우 회전 명령

WRCL d 1비트 좌 회전 with CARRY 명령

WRCR d 1비트 우 회전 with CARRY 명령

Page 3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8 -

명령어 파라메터 설명

쉬 프 트 명 령 군

BSHL d,n 비트단위 좌 쉬프트

BSHR d,n 비트단위 우 쉬프트

WSHL S,d 워드단위 좌 쉬프트

WSHR S,d 워드단위 우 쉬프트

분 기 명 령 군

GOTO

LABEL

GOTO label

LABEL label

점프 명령

라벨 정의 명령

CALLS

SBRT

RET

CALLS label

SBRT label

RET

서브루틴 콜 명령

서부루틴 정의

리턴 명령

TND Label 조건부 스캔종료 명령

LOOP Label, n 반복명령

변환 명령군

WBIN s,d BCD TO BINARY 변환

WBCD s,d BINARY TO BCD변환

조합/분산명령군

DIST s,d,n 16비트값을 4비트단위로 쪼개 d에 저장

UNIT s,d,n 4개의 워드에서 하위 4비트값만 모아

1워드로 만듦

DECO s,d S의 하위 4비트를 디코드해서 d에저장

ENCO s,d 엔코드, DECO와 반대동작

기타 명령군

WBCNT s,d ON되어 있는 비트수를 카운트

DEFCON Name, value 상수선언

NOP 아무일도 안함

응용명령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큐블록 레더중심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세요.

Page 3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39 -

워드와 더블워드 저장방식

더블워드는 2개의 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 T, D 영역의 경우 1워드단위로 되어 있어, 더블워드를 기억하기 위해서 2워드의

기억장소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D0에 더블워드 값인 12345678H (16 진수) 저장하는 경우입니다. D0에

하위워드인 5678H가 저장되고, D1위치에 상위워드인 1234H가 저장됩니다.

1워드는 최대 65,535까지 저장가능하며, 더블워드는 최대 4,294,967,295까지 저장가

능합니다.

16 진수 표기법

MSB시리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16진수를 표기합니다.

16진수 표기방법 1 : 0XABCD

16진수 표기방법 2 : 0ABCDH

10진수는 100, 200, 123과 같은 식으로 표시합니다.

Page 4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0 -

제 4 장

MODBUS

데이터 통신

Page 4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1 -

MODBUS 데이터 통신

대부분의 PLC는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LC동작상태를 외부로 보내거나,

외부기기로부터 동작 명령을 전달받기 위해서 필요한 기능이 통신기능 입니다.

MSB 시리즈에서는 MODBUS-RTU 슬레이브 모드를 지원합니다. SETUP에서

설정상태만 조정하는 것으로 MODBUS-RTU SLAVE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ODBUS의 규정집에는 여러가지 펑션코드가 많이 있지만 MSB 시리즈에서는

이중 1,2,3,4,5,6,15,16만 지원합니다.

펑션코드

(10진)

동작

1 Read Coil Status

2 Read Input Status

3 Read Holding Registers

4 Read Input Registers

5 Force Single Coil

6 Preset Single Register

15 Force Multiple Coils

16 Preset Multiple Registers

이 펑션코드를 자세히 보면 레지스터나 코일(Coil) 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이

레지스터 또는 1비트 영역에 값을 쓰거나 읽는 명령들이 대부분입니다.

기억장소명 대상 비트수 읽기/ 쓰기 가능여부 관련 펑션코드

Coil 1 bit R/W 1, 5, 15

Input Status 1 bit Read only 2

Holding Register 16 bit R/W 3, 6, 16

Input Register 16 bit Read only 4

MSB에선 Coil, Input Status를 릴레이영역에 할당하고 있으며, Holding Register/

Input Register를 16비트 (레지스터)영역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Page 4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2 -

어드레스

워드 (16비트, 레지스터) 영역의 어드레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워드영역 (Holding/Input Registers)

관련평션코드 : 3,4,6,16

어드레스(10진수) 데이터 영역 (10진수)

0 ~ 255 D영역 (D0 ~ D255)

256 ~ 355 Y영역 (Y0 ~ Y99)

A/D결과가 있는

Y20~Y27은 276 ~283

1000 ~ 1255 T영역 (T0 ~ T255)

2000 ~ 2255 C영역 (C 0~ C255)

3000 ~ 3255 WM영역 (WM0 ~ WM255)

비트 (릴레이) 영역의 어드레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트영역 (Coil, Input Status)

관련 펑션코드 : 1,2,4,15

어드레스 (10진수) 데이터 영역 (10진수)

0 ~ 127 P영역 (P0 ~ P127)

4096 ~ 6143 M영역 (M0 ~ M2047)

HMI / SCADA 소프트웨어에서 30001, 40001 과 같이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MI / SCADA 에 입력하는 어드레스 참조되는 MSB 영역

40001 ~ 40255 D영역 (D0 ~ D255)

40256 ~ 40355 Y영역 (Y0 ~ Y99)

41001 ~ 41256 T영역 (T0 ~ T255)

42001 ~ 42256 C영역 (C 0~ C255)

43001 ~ 43256 WM영역 (WM0 ~ WM255)

1 ~ 128 또는

10001 ~ 10128

P영역 (P0 ~ P127)

4097 ~ 6144 또는

14097 ~ 16144

M영역 (M0 ~ M2047)

Page 4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3 -

제 5 장

MSB LOGIC

사용법

Page 4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4 -

MSB LOGIC 의 개요

MSB를 위한 통합개발환경 소프트웨어 입니다. WINDOW XP, 7, 8 운영체계와

USB또는 RS232C통신포트를 갖춘 PC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다음은 MSB LOGIC의 동작화면입니다.

MSB LOGIC 다운로드

인터넷 홈페이지 www.comfile.co.kr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MSB LOGIC는 사용상에 제한이 없는 프리웨어입니다.

Page 4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5 -

MSB LOGIC 사용법 기초

MSB LOGIC를 설치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툴바는 자주사용하는 기능들이 모여있어, 클릭하면 곧바로 실행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Page 4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6 -

SETUP

SETUP탭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모델선택]

PLC선택은 “MSB series”로 하여 주십시오. 현재는 MSB하나밖에 없습니다.

[통신설정]

통신설정은 RS232C채널 1 모드버스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모드 버스 는 주로 상위

기기와 PLC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상위기기와 보레이트, 통신비트, 패리티등을

맞추어 주십시오. 슬레이브 주소는 1부터 255까지 사용가능합니다. MSB LOGIC에서

다른 채널은 사용불가능합니다.

별명(Alias)이란?

Page 4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7 -

P0, M0과 같은 릴레이명으로 복잡한 레더를 작성하면, 어디에 연결된 입력인지, 또는

어떤 출력인지 혼동되기 쉽습니다. 그래서 릴레이명에 적당한 이름을 붙여두어, 좀더

쉽게 레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다음은 별명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레더입니다.

다음은 별명을 사용한 경우입니다. 실제 릴레이명과 함께 아랫쪽에 별명이 표시됩니다.

릴레이 이름대신 별명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 릴레이명이

아랫쪽에 표시됩니다.

Page 4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8 -

별명은 레더작성화면 오른쪽에있는 별도의 윈도우에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릴레이명 = 별명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하십시오.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P13 = LED1

P36 = BUZZ

M11 = TEST_END

별명 이름짓기

Page 4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49 -

별명을 만들 때 지켜야하는 몇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반드시 영문자로 시작해야 하며,

16 자 이내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중간에 특수문자나 공백문자를 포함하지

않아야 합니다. 한글도 사용 가능합니다.

올바른예

MOTOR

RELAY

센서 1

잘못된예

12SENSRO ‘ 숫자로 시작된 경우

RELAY 2 ‘ 중간에 공백문자가 들어간 경우

IN/OUT ‘ 중간에 특수문자가 들어간 경우

STEPOUT ‘ 명령어로 사용중인 예약어를 쓴 경우

이미 명령어로 사용중이거나, MSB LOGIC 에서 사용하는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MSB LOGIC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모든 입력을 대문자로 하십시오.

주의사항

중간에 빈 줄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Page 5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0 -

파일의 오픈 및 저장

파일 오픈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표시됩니다. 현재 선택된 폴더에

들어있는 소스파일 (확장자 .TPL)이 표시되며, 이중 하나를 선택한뒤 OPEN버튼을

누르면, 해당파일이 열립니다.

실제로 소스는 3개의 파일로 되어 있습니다.

확장자 설명

.TPL 레더정보

.TPB SCRIPT정보

.CUC SETUP정보

따라서, 소스를 다른곳으로 COPY 할 때에는 3 개 파일을 모두

COPY 해야합니다.

파일 오픈 시에는 위의 그림처럼 .TPL파일만 표시됩니다만, 실제로는 같은

폴더에 .TPB와 .CUC파일이 모두 저장되어 있습니다. 유저가 작성한 소스를

“MSB시리즈” 에 저장했다가 나중에 다시 불러오는 “소스 업로드” 기능은 지원하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소스를 잃어버렸을 경우, MSB 모듈로부터 소스를

다시 불러올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소스프로그램의 보관 및 백업에 항상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Page 5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1 -

오브젝트 파일에 대해서..

만약, 소스파일을 줄 수 없는 현장에 다운로드 가능한 실행파일만 전달하고 자

할때에는 이 오브젝트 파일만 카피해서 주면 됩니다. 오브젝트파일에는 소스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지 않으므로, 소스를 읽거나 수정할수 없습니다.

오브젝트파일은 확장자 .OBJ로 다운로드할 때마다 자동생성되어, 소스가 있는

폴더에 저장됩니다.

파일명과 폴더관리에 대해서..

최초로 저장할 때 파일명을 물어봅니다. 지금 작성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잘 알 수

있도록 파일명을 작명하는 습관을 붙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1234, TEST, ABC와 같은 무의미한 파일명보다는 MOTORDRV 라든가,

LAMPPROJECT 등의 프로젝트와 관련된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파일을 저장할 폴더관리에도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별로 폴더를

만들어 놓고, 적절하게 분리해서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십시오.

하나의 폴더나 루트폴더에 모두 섞어서 저장할 경우, 나중에 필요한 파일을 찾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기 때문입니다.

Page 5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2 -

레더작성용 아이콘 툴바

레더를 작성을 위한 아이콘 툴바의 구성입니다.

화면상에 보이는 빨간색 박스가 “커서”입니다. 커서키를 및 마우스 포인트를

사용하면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먼저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F3~F12키를 누르면 해당위치에 원하는 심볼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위에 그림에서처럼 레더도는 입력접점과 접속선 그리고 출력접점등으로

구성됩니다. MSB에서는 오른쪽의 모선 (전원선)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모선 입력접점 횡접속선 출력접점

종접속선

Page 5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3 -

LADDER 작성법

LADDER 의 가장 끝에는 반드시 END명령이 있어야 합니다. CUBLOC STUDIO는

END 명령이 위치한 곳까지 번역하고, 저장합니다. END명령 이후에 작성된 부분은

저장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5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4 -

LADDER 편집

텍스트 수정

이미 작성되어 있는 TEXT부분을 수정하려면 해당위치에 커서를 놓은 뒤,

ENTER키를 누르면, 해당부분의 TEXT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종 접속선의 추가 삭제

종 접속이 가능한 곳에 위치하면 커서가 아래모양처럼 변합니다. 이때 F6키를

누르면 해당위치에 종접속선이 표시됩니다.

F6을 누르면 이곳에 종접속선이 표시됩니다.

종 접속 선을 지우려면 해당위치에서 한번 더 F6키를 누르면 지워집니다.

횡 접속선의 추가 삭제

이미 표시되어 있는 곳에서 “-“키를 누르면 횡접속선만 지워집니다.

Page 5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5 -

셀 단위 삭제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에 있는 선과 텍스트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싶다면

“SPACE키”를 누릅니다.

라인의 삭제

지우고 싶은 라인에 커서를 위치시킨 뒤 CTRL-D 를 누르면 해당 라인이 삭제됩니다.

Page 5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6 -

복구 (UNDO)

방금전에 수정한 사항을 원래대로 복구 시키려면, CTRL-Z를 누릅니다.

셀 단위 삽입과 삭제

현재 커서의 위치에서 DEL키를 누르면 셀이 삭제되고, 뒤에 있던 부분이 당겨지게

됩니다.

INS키를 누르면 빈칸이 삽입되고, 뒷부분은 밀려납니다.

Page 5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7 -

라인 복사

같은 형태의 레더가 계속 반복될 경우 CTRL-A를 누르면, 바로 윗줄의 라인과 똑

같은 모양의 라인이 생성됩니다. 단, 텍스트 내용은 복사되지 않습니다.

빈라인 삽입

CTRL+I를 누르면 커서위치 바로위에 빈 라인이 삽입됩니다.

코멘트 표시

LADDER프로그램 중 빈 공간에 “주석문 (COMMENT)”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코멘트는 “어포스토로피” (‘) 로 시작해야 하며, 반드시 빈 공간이나, 빈 줄에

표시해야 합니다. 코멘트 사이에 세미콜론을 넣으면 행 바꿈이 되어 두 줄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Page 5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8 -

텍스트입력 도움창

1. 텍스트 입력시 도움창이 표시됩니다.

위 레더심볼에서 텍스트를 입력할 때, 릴레이 선택을

위한 도움창이 표시됩니다.

P를 누르면 P릴레이중 별명(Alias)이 있는 접점이

표시됩니다. 이중 하나를 고른뒤 TAB키를 누르면

해당 릴레이가 선택됩니다.

P로 시작하는 별명도 함께 표시됩니다. 별명을

선택해도 해당 릴레이가 선택 됩니다.

별명이 할당되진 않았지만, 다른곳에서 사용한적이

있는 릴레이는 used라고 표시됩니다. 단, 사용여부는

다운로드후 알 수 있으므로, 레더작성시에 새롭게

사용된 릴레이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2. 명령어 입력시 도움창이 표시됩니다.

펑션심볼에 텍스트를 입력할때는 명령어 선택을

위한 도움창이 표시됩니다.

이중 하나의 명령어를 고른뒤 TAB를 누르면 해당

명령어가 선택됩니다.

Page 5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59 -

3. 명령어 사용 도움창이 표시됩니다.

명령어를 고르면, 해당 명령어의

사용법을 상단에 표시합니다.

레더의 블록 이동, 복사

레더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이동 복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레그-드롭한다면 원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영역은 반전되어 표시됩니다. 이 상황에서 CTRL-C를 누르면 선택된 영역이 버퍼로

복사됩니다. 화면에는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지만, 선택된 영역이 버퍼에 저장된

것입니다. CTRL-X를 누르면 복사한 뒤, 해당영역을 모두 클리어 합니다.

복사하고자 하는 지점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뒤 CTRL-V를 누르면 버퍼에 있던

내용이 표시됩니다. CTRL-V는 넣을 공간을 확보한 뒤, 표시하고, CTRL-T는 원래

있던 내용에 겹쳐서 표시됩니다. 따라서 빈자리를 확보하고 CTRL-V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Page 6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0 -

사용할 수 없는 레더 표현

1. 레더의 흐름이 역행되어서는 안됩니다.

2. 출력심볼의 뒷부분에 다른 레더를 그릴 수 없습니다.

3. 서로 반대인 상태가 동일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되어서는 안됩니다.

이 경우 레더번역시 특별한 에러 멧세지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6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1 -

모니터링

MSB LOGIC에서는 LADDER LOGIC의 동작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모니터링”기능을 지원합니다. MSB에서는 다운로드직후 바로 모니터링 상태로가

됩니다.

만약, 소스프로그램이 없다면 모니터링이 불가능합니다.

화면상단에 있는 툴 바에서 모니터링 ON/OFF 스위치를 누르거나 “F2”키를 누르면

모니터링 상태로 들어가거나, 빠져 나올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모니터링중인 화면입니다. ON상태인 접점은 “녹색블록”이 표시되며,

타이머, 카운터, 데이터 영역등은 현재 값을 표시합니다.

LADDER 모니터링 ON/OFF 스위치 또는 F2키

Page 6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2 -

WATCH POINT

특정 릴레이나 메모리의 내용을 보고 싶을 때에는 WATCH POINT를 이용합니다.

LADDER중 빈 부분에 “어포스트로피”를 두 개 연달아 작성한 뒤 보고 싶은

릴레이번호를 적어줍니다. (쌍따옴표가 아닌, 어포스트로피 두 개입니다.) 다운로드

한 뒤, 모니터링 상태에서 와치포인트에 릴레이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P0 ‘’D0 ‘’T1

C, T, D는 16비트 값으로 표시 되며, 나머지 P, M, F는 접점형태로 표시됩니다.

주의사항 모니터링 화면의 갱신속도는 PC환경 (실행속도 등)에 따라 실제의 릴레이상태와 약간의 시간차

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etup메뉴의 Ladder Setup에서 Monitoring Speed로 모니터링 속도

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Page 6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3 -

강제 I/O

온라인 모니터링시 “강제 I/O설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지점을

더블클릭하거나 우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표시됩니다. P릴레이 영역에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인 입력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강제 I/O를 ON으로 하면 입력이 들어오는것으로

처리합니다.

출력포트도 강제로 ON 또는 OFF 할 수 있습니다.

설정방법은 모니터링상태에서 해당접점을

더블클릭 또는 우클릭하여, 팝업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뒤, ON또는 OFF를 선택하십시오.

강제모드를 해제하면, 원래의 기능대로 레더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강제 I/O로

설정된 사항은 전원 OFF 시 모두 해제됩니다.

TIPS: 강제 I/O 활용법

강제 I/O 기능은 센서 고장으로 인해 운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한 포트를 강제로 ON또는 OFF로 설정해 주는것으로

PLC의 동작여부를 계속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하드웨어 와이어링이나 입출력 조작없이 간단하게 테스트하는 용도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Page 6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4 -

MODIFY 기능

온라인 모니터링 중 아래 그림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D영역값을

표시하고 있는 지점을 더블클릭 (또는 우클릭)하면 MODIFY창이 표시됩니다.

또는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셔도 됩니다.

운영중 D영역의 내용을 임의대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레더의 다른부분에서 해당 D영역을

갱신하고 있다면, 변경된값이 계속

유지되지 않습니다.

Page 6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5 -

메뉴 설명 파일 (File) 메뉴

메뉴 설명

새로만들기 새로운 파일을 작성하기 위해 BASIC과 LADDER영역을 모두 클리어 합니다.

열기 저장해 놓은 MSB 파일을 불러옵니다.

레더 IMPORT 저장해 놓은 MSB파일 중 LADDER만 읽어서, 현재 LADDER편집영역의 커서가 있

는 부분에 삽입시킵니다. 다른 파일에서 레더만 가져올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저장하기 편집중인 내용을 파일로 저장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LADDER인쇄 LADDER영역에 있는 레더소스를 프린터로 출력합니다. 아래의 프린터 설정을 먼저

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프린터 설정 LADDER영역 프린트를 위한 프린터 설정 창을 띄웁니다.

오브젝트 다운로드 오브젝트 파일을 MSB 모듈로 다운로드 합니다.

최근 편집파일 최근에 편집한 파일 4개를 보여줍니다. 이중 하나를 선택하면, 오픈됩니다.

끝내기 MSB LOGIC를 종료합니다.

실행 (Run) 메뉴

메뉴 설명

다운로드 후 실행 컴파일하고, 에러가 없으면 MSB모듈로 다운로드 후 실행합니다.

레더로직 RUN 레더로직을 실행상태로 만듭니다.

레더로직 STOP 레더로직을 정지상태로 만듭니다.

리셋 MSB모듈을 리셋 시킵니다.

LADDER모니터링 시작 LADDER모니터링을 시작합니다.

플레쉬 메모리 지움 플레쉬 메모리의 내용을 모두 클리어 합니다.

펌웨어 다운로드 후 실행 펌웨어를 다운로드 한뒤 레더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릴레이 사용현황 보기 (컴파일 후) 레더에서 사용한 릴레이를 보여줍니다.

와치윈도우 와치 윈도우를 표시합니다.

설정(Setup)메뉴

메뉴 설명

PC인터페이스 설정 P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RS232 COM PORT를 선택하는 메뉴입니다.

레더로직 환경설정 MSB LOGIC의 세부상황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펌웨어 다운로드 MSB의 펌웨어(OS)를 다운로드 합니다. PLC가 동작불능상태에 빠져있다면, 이

메뉴를 사용하여 펌웨어를 다시 기입해주십시오.

Page 6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6 -

환경설정

셋업메뉴에 있는 환경 설정 (Envirionment Option) 창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렁 사이의 간격을 조정합니다.

(레더의 크기는 윈도우 사이즈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레더작성창의 바탕화면 색을 결정합니다.

모니터링 속도를 결정합니다.

다운로드후 자동으로 실행할것인지의 여부를 결정

합니다.

다운로드시 소스를 자동세이브 할 것인지 결정합니

다. (반드시 체크해 놓으십시오.)

기계와 연결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다운로드 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면

예기치못한 동작으로 인해 기계에 무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운로드 후 자동실행 옵션을 OFF하게 되면, MSB은 다운로드 후 정지상태로

머물러 있습니다. 이때 RESET보턴을 누르거나, MSB의 전원을 OFF – ON하게 되면

실행됩니다.

Page 6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7 -

간접 번지 지정

WMOV명령을 사용해서, 간접 번지 지정 방식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

123을 D0 레지스터가 가르키는 곳에 저장합니다. D0레지스터에 12가

들어있었다면 D12에 123이 저장됩니다.

D0 레지스터가 가르키는 곳에서 값을 가지고 와서 D2에 저장합니다.

D0레지스터에 12가 들어있었다면 D12에 들어있는 값이 D2에 저장됩니다.

D영역내에서만 사용가능하며, 대상범위 초과시 F65 (ERROR) 특수릴레이가

ON되고 WMOV명령어는 처리되지 않습니다.

간접번지지정은 WMOV명령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Page 6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8 -

D 영역 비트단위 제어

다음과 같은 표현을 쓰면 D영역을 비트단위로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D영역의 번지 비트번호

(0부터 15)

D10.1

D2.0 과 같이 표현하면 D2영역의 비트 0번을 대상으로 합니다.

위 예제를 보면 P0이 입력되었을 때, D2영역의 비트 0만 1로 만듭니다. 그 결과

D2는 1이 되었습니다.

비트표현을 입력릴레이에도 사용가능합니다.

Page 6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69 -

제 6 장

응용사례

본 응용사례의 모든자료 (소스 프로그램, 회로도등) 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본 응용 사례의 결과

에 대해서는 폐사는 어떠한 동작보증과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본 책자에 있는 소스 프로그램

에 대한 어떠한 문의전화도 받고 있지 않습니다. 이점에 양해바랍니다.

Page 7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0 -

AN2001 : 주차가능여부 표시등 (MSB612RA-DC)

개요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가 되면 근접센서(Sensor)가 작동하여 적색 램프가 점등되어

주차불가능 상태임을 표시합니다.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가 되어 있지 않을 경우, 근접센서(Sensor)가 작동되지 않아

녹색램프가 점등되어 주차가능 상태임을 표시합니다.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경우, 주차시간을 측정하여 RS232 통신 채널로

전송하여 주차관제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2(시간) : D1(분) : D0(초)] ※ MSB의 모드버스 통신 매뉴얼 참조

RS232 통신채널에 RS232 To RS485 컨버터를 사용하여 여러 주차공간을 한대의 PC

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다..

준비물

MSB612RA-DC … 1개, 주차차량 유무 검출 센서 … 1개, 파워서플라이 (24V출력) … 1개

Page 7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1 -

시스템 구성도

Page 7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2 -

레더 프로그램

Page 7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3 -

AN2002 : 근접센서에 의한 컨베어 정역제어

(MSB612RA-DC)

개요

1) F_Sensor 근접센서에 물체가 감지되면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물체가

반대편 컨베어로 이동하게 되며, R_Sensor 근접센서에 물체가 감지되면 물체의

이동이 완료되었으므로 모터는 정지됩니다.

2) F_Sensor 근접센서에 물체가 감지되고 6초 타이머(T0) 후에 R_Sensor 근접센서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의 계속적인 기동상태를 방지하고자 정지된다.

(물체는 어떠한 이유로 인해 컨베어의 반대편까지 오지 못한다고 판단)

3) 모터의 회전이후 관성에 의한 회전을 포함한 완전정지 상태가 되기까지 약 1초

타이머(T2,T3) 동안은 모터의 역기동을 방지합니다.

R_Sensor에 의한 동작은 F_Senosr에 의한 동작과 같습니다.

준비물

MSB612RA-DC … 1개, 근접센서 … 2개, 파워서플라이 (24V출력) … 1개

Page 7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4 -

시스템 구성도

Page 7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5 -

레더 프로그램

Page 7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6 -

AN2003 : MSB를 데이터 수집장치로 사용하기

개요

본 응용사례는 MSB를 데이터 수집장치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MSB의 레더프로그래밍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하게 PC에서

A/D입력결과를 받아오거나, RELAY를 ON/OFF 하는 기능으로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이런 제품은 DAQ (데이터 수집장치) 또는 필드 I/O 라는 이름으로 상용화 되어

있습니다. 이런 제품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MSB를 데이터수집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준비물

MSB612RA-DC … 1개, 파워 서플라이 (24V출력) … 1개

MSB LOGIC 프로그램 (www.comfile.co.kr 자료실 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Page 7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7 -

설명

MSB 에는 최소한의 셋업상태를 다운로드 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MSB LOGIC가

필요합니다.

1) 레더로직쪽에는 단 한줄의 End 명령이 있어야 합니다.

2) Setup 탭을 눌러서, 아래 그림과 같이 셋팅상태를 바꿔주십시오. 이때 MODBUS의 Baudrate

나 , Slave 어드레스는 여러분이 원하는 값으로 맞추어 주십시오.

3) PC와 MSB를 3-PIN 다운로드 케이블로 연결한 상태에서 다운로드해주십시오.

Page 7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8 -

4) 화면하단에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진행상황이 표시됩니다.

만약 다운로드가 잘 되지 않는다면, MSB LOGIC의 <설정>메뉴의 <PC인터페이스 설정>에서

RS232C포트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보십시오.

그래도 안된다면 부록 <다운로드시 문제해결방법> 을 참조하셔서 원인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5) 다운로드가 성공적으로 끝났다면, 이제 MSB 셋팅이 끝난것입니다. 이 작업은

최초 한번만 해주면 됩니다. 전원을 껏다 켜도, 지금 셋팅한상태가 계속 유지됩니다.

차후 보레이트나 Slave 어드레스를 바꾸고 싶다면, 위와 같은 과정을 한번더

반복해주십시오.

6) 아래와 같이 RS232 채널 1에 9핀 FEMALE D-SUB케이블을 연결하여, PC와

접속하여 주십시오. (이 케이블은 유저여러분이 직접 제작하셔야 합니다.

제품구입시 4PIN MOLEX 잭이 포함됩니다.)

만약 RS485를 사용해야한다면, RS232-TO-RS485 컨버터를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7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79 -

1 2 3 4 5

6 7 8 9

P C R S 2 3 2 C

TX

D

RX

D

GN

D

이로써, MODBUS 통신을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여러분이 PC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MODBUS 프로토콜에 맞추어 MSB쪽으로

송신한다면 MSB는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줄 것입니다.

릴레이를 ON/OFF 하고 싶다면 P32~ P35릴레이를 ON하십시오.

DC24V입력 결과를 가져오고 싶다면 P8~P31영역을 읽어오십시오.

A/D변환결과를 가져오고 싶다면 Y20~ Y27 레지스터의 값을 읽어오십시오.

Y20~Y27의 모드버스 어드레스는 276~ 283 (16진수로114 ~11B) 까지입니다.

워드영역 (Holding/Input Registers)

관련평션코드 : 3,4,6,16

어드레스(10진수) 데이터 영역 (10진수)

256 ~ 355 Y20~Y27은 276 ~283

비트영역 (Coil, Input Status)

관련 펑션코드 : 1,2,4,15

어드레스 (10진수) 데이터 영역 (10진수)

8 ~ 31 입력 P영역 (P8 ~ P31)

32~63 출력 P영역 (P32~63)

Page 8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0 -

CF-TERM 을 이용한 확인

간단하게 MODBUS통신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곳 http://www.comfile.co.kr 자료실에 오시면 CF-TER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PC상에서 모드버스 통신을 체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age 8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1 -

AN2004 : 철도 건널목 차단기 (MSB612RA-DC)

개요

철도 건널목에 전철이 다가오면, 차단기가 내려가서 차량통행을 막아줍니다.

전철이 모두 지나가면 다시 차단기가 올라갑니다.

준비물

MSB612RA-DC … 1개, 근접센서 … 4개, 파워서플라이 (24V출력) … 1개

Page 8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2 -

시스템 구성도

Page 8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3 -

레더 프로그램

Page 8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4 -

Page 8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5 -

AN2005 : 야구장 아웃 카운터 (MSB612RA-DC)

S

B

O

개요

리모콘으로 야구장의 아웃카운터 표시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리모콘의 1 번 버튼 동작]

CRFM-3KEY 리모콘의 1번버튼을 누르면 스트라이크 램프가 하나 ON됩니다.

한번 더 누르면 두개가 ON됩니다. 한번 더 누르면 스트라이크 램프는 모두 꺼지고,

아웃 카운트 램프가 하나 추가로 ON됩니다.

[리모콘의 2 번 버튼 동작]

CRFM-3KEY 리모콘의 2번버튼을 누르면 아웃 카운트 램프가 하나 ON됩니다.

한번 더 누르면 두개가 ON됩니다. 한번 더 누르면 아웃 카운트 램프가 모두

꺼집니다.

[리모콘의 3 번 버튼 동작]

CRFM-3KEY 리모콘의 3번버튼을 누르면 모든 램프가 OFF됩니다.

Page 86: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6 -

준비물

MSB612RA-DC … 1개, 근접센서 … 4개, 파워서플라이 (24V출력) … 1개

CRFM-3KEY 송수신모듈, RCB-CON 1개

<CRFM-3KEY 송수신 모듈> <RCB-CON>

주의사항

* 본 어플리케이션 노트에서 볼카운터는 없습니다. 출력점수가 더 많은 상위기종인

MSB24RA-DC를 사용하고, 로직을 추가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어플리케이션 노트는 개발 예시만을 제공해드리는 방식입니다. 실제 어플리케이션은

유저여러분의 몫입니다. 이점 양지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본 어플리케이션 노트에 대한 전화문의는 받고 있지 않습니다. 이점 양해바랍니다.

(예: 본 어플리케이션 노트에 기능을 추가해주세요. 등 등)

Page 87: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7 -

시스템 구성도

Page 88: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8 -

레더 프로그램

Page 89: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89 -

Page 90: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0 -

알 림(Notice)

1. 본 제품을 현장에 바로 설치하지 마시고, 충분히 사전 검토작업을 거쳐서 동작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현장적용을 하시기 바랍니다.

2. 인체에 유해를 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을 금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 의료용 장비, 각종 절단기)

3. 기존 타사 PLC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유저분들도 본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신 후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4. 본 제품은 특성상 열악한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원입력단에

노이즈필터를 연결하는 등, 각종 노이즈 대책에 신경써 설치하여 주십시오.

5. 문의전화가 폭주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문의전화는 본 사용설명서에 있는

내용을 물어보는 것이였습니다. 본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숙지하신뒤에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다운로드가 안된다는 문의전화가 많습니다. 본 사용설명서 맨 뒷부분에 있는

<다운로드 에러시 문제 해결방법>에 해결방법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전화주시기

전에 먼저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Page 91: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1 -

다운로드에러시 문제 해결방법

MSB제품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전화로 물어보시는 것이 바로 “다운로드가

안된다” , “RS232 통신에러가 난다.”등 입니다.

이런경우 원인은 대부분 접속불량, 세팅잘못, 컴퓨터 이상등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우선 다음 사항을 먼저 체크해보십시오.

1. 하이퍼 터미널로 PC의 RS232포트에 문제가 없는지

체크합니다.

하이퍼 터미널 (통신용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PC상의 RS232포트가 이상이

없는지를 먼저 체크합니다. 윈도우 화면 하단의 [시작] –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통신]에 가시면 “하이퍼 터미널”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실행시키면 아래화면이 표시되는데, 이름은 아무거나 입력하세요.

확인을 누르면 “연결에 사용할 모뎀” 을 지정하세요. (보통은 COM1포트입니다.)

Page 92: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2 -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설정화면이 표시됩니다. 비트/초는 115200 으로

흐름제어는 “없음”으로 하신뒤, 확인을 누르세요.

다음과 같은 화면이 됩니다. 이때 키보드의 아무키나 눌러보세요. 하이퍼

터미널화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RS232포트 에 2번 3번단자를 쇼트 시켜보세요. 3번 송신핀을 2번 수신핀으로

쇼트시키면, PC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다시 PC로 들어옵니다.

Page 93: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3 -

그리고 난뒤 다시 키보드의 아무키나 눌러보세요. 아래화면처럼 누른 키가

하이퍼터미널상에 표시되면 COM포트는 정상입니다.

하이퍼터미널이 없는 분들은 CUBLOC STUDIO / MSB LOGIC의 < PC인터페이스

설정>에 있는 <RS232 Port Echo Test>를 눌러서 같은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RS232 Port Echo Test>에서 이상 없음으로 표시된다면, PC의

RS232포트가 이상없다는 뜻입니다. MSB제품 또는 CUBLOC제품에 이상이 없다는

뜻은 아니므로 주의바랍니다.

Page 94: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4 -

특히 RS232-TO –USB 케이블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이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되어 RS232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MSB에사용하는 3PIN다운로드 케이블은 반드시 저희회사로부터 구입한 정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유저여러분께서 직접 제작한 케이블은 여러가지 이유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결선실수, 접촉불량, 너무 긴 길이등등)

2. PC의 RS232포트 통신설정을 체크합니다.

앞서의 하이퍼터미널 테스트 결과 아무응답이 없다면, PC의 COM포트를

WINDOWS에서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십시오. 내컴퓨터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킨뒤 우클릭하십시오.

아래와 같은 박스가 표시되면 상단 [하드웨어]를 클릭하세요.

그 다음 [장치관리자]를 클릭하세요.

Page 95: MANUAL VERSION 2.1 MSB LOGIC BASIC

- 95 -

그 다음 [포트(COM및 LPT)]라고 되어 있는 곳을 보면 통신포트가 나옵니다.

[통신포트(COM1)] 을 우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하면 이 장치가 문제없이

동작중인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 불가능이라고 나오면, PC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이 문제를 먼저 해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