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12
www.wooriwm.com LG화학 (051910.KS) Company Analysis 2012. 8. 3 Price Trend 0 50 100 150 200 '11.8 '11.10 '11.12 '12.2 '12.4 '12.6 '12.8 LG화학 KOSPI 내부역량 강화에 따른 고수익성 지속 가능 석유화학 수요 공백 상황에서 돋보이는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이익 창출 능력 석유화학산업의 유례 없는 수요 공백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중국의 석유화학제 품 명목수요가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10년 중 2012년이 처음. 현재와 같은 수요 부진 상황에서는 공급 증가가 제한적인 제품을 보유하고 있고, 안정적인 이 익을 시현하고 있는 LG화학이 outperform 할 전망 2분기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 영업이익률은 7.6%를 기록하여 글로벌 석유화학 업체 중 상위의 수익성을 보임. 이는 2007년 LG석유화학 합병을 통해 통합 설비 를 보유하게 된 이후 중동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C3, C4 계열 투자에 지속 적으로 집중하였기 때문 Non-ethylene계열 제품의 고수익성 지속에 따라 valuation premium 정당화 예상 LG화학 석유화학부문 매출액의 32%를 차지하는 아크릴/가소제, 고무/특수수지의 고수익성 지속 가능 전망. 이는 1) gas cracker 증설 집중에 따라 C3, C4 공급이 제한적인 가운데, 2) 미국 석유제품 수요 감소 및 다운스트림 투자 제한으로 생산 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3) 중국의 coal-to-olefin에서 PP를 제외한 기타 C3 계열의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 BASF는 LG화학과 유사하게 고부가제품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해 유럽 매출비중 이 5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도 영업이익률 11.3%를 기록. LG화학은 BASF와의 유사한 제품 생산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수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 며, 이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상황에서 valuation premium 지속 요인으로 작용 할 전망 LG 화학 실적 전망 (단위: 십억원, 원, 배, %) 2011 2012E 2013F 2014F 매출액 22,675.6 24,106.1 25,074.0 26,331.9 조정영업이익 2,816.5 2,055.6 2,413.0 2,465.4 EBITDA 3,573.2 2,886.5 3,280.3 3,406.8 순이익 2,169.7 1,572.0 1,843.5 1,881.6 EPS 31,794 22,908 26,945 27,510 PER 10.0 13.6 11.5 11.3 PBR 2.5 2.1 1.9 1.7 EV/EBITDA 6.5 8.1 7.2 7.0 ROE 24.8 15.2 15.7 14.1 : K-IFRS 연결기준 자료: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전망 업종 화학 KOSPI 1,869.40 KOSDAQ 466.63 시가총액(보통주) 20,610.3십억원 발행주식수(보통주) 66.3백만주 52최고가(’11/08/02) 471,000최저가(’12/06/04) 265,500배당수익률(2011) 1.26% 외국인지분율 32.6% Buy ( 유지) 목표주가 350,000( 유지) 현재가 (’12/08/02) 311,000Analyst 김선우 02)768-7605, [email protected] 노근우(RA) 02)768-7580,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6-Nov-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www.wooriwm.com

LG화학 (051910.KS)

Company Analysis 2012. 8. 3

Price Trend

0

50

100

150

200

'11.8 '11.10 '11.12 '12.2 '12.4 '12.6 '12.8

LG화학

KOSPI

내부역량 강화에 따른 고수익성 지속 가능

석유화학 수요 공백 상황에서 돋보이는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이익 창출 능력

− 석유화학산업의 유례 없는 수요 공백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중국의 석유화학제

품 명목수요가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10년 중 2012년이 처음. 현재와 같은

수요 부진 상황에서는 공급 증가가 제한적인 제품을 보유하고 있고, 안정적인 이

익을 시현하고 있는 LG화학이 outperform 할 전망

− 2분기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 영업이익률은 7.6%를 기록하여 글로벌 석유화학

업체 중 상위의 수익성을 보임. 이는 2007년 LG석유화학 합병을 통해 통합 설비

를 보유하게 된 이후 중동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C3, C4 계열 투자에 지속

적으로 집중하였기 때문

Non-ethylene계열 제품의 고수익성 지속에 따라 valuation premium 정당화 예상

− LG화학 석유화학부문 매출액의 32%를 차지하는 아크릴/가소제, 고무/특수수지의

고수익성 지속 가능 전망. 이는 1) gas cracker 증설 집중에 따라 C3, C4 공급이

제한적인 가운데, 2) 미국 석유제품 수요 감소 및 다운스트림 투자 제한으로 생산

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3) 중국의 coal-to-olefin에서 PP를 제외한 기타

C3 계열의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

− BASF는 LG화학과 유사하게 고부가제품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해 유럽 매출비중

이 5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도 영업이익률 11.3%를 기록. LG화학은

BASF와의 유사한 제품 생산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수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

며, 이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상황에서 valuation premium 지속 요인으로 작용

할 전망

LG 화학 실적 전망 (단위: 십억원, 원, 배, %)

2011 2012E 2013F 2014F매출액 22,675.6 24,106.1 25,074.0 26,331.9 조정영업이익 2,816.5 2,055.6 2,413.0 2,465.4 EBITDA 3,573.2 2,886.5 3,280.3 3,406.8 순이익 2,169.7 1,572.0 1,843.5 1,881.6 EPS 31,794 22,908 26,945 27,510 PER 10.0 13.6 11.5 11.3 PBR 2.5 2.1 1.9 1.7 EV/EBITDA 6.5 8.1 7.2 7.0 ROE 24.8 15.2 15.7 14.1 주: K-IFRS 연결기준 자료: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전망

업종 화학

KOSPI 1,869.40KOSDAQ 466.63시가총액(보통주) 20,610.3십억원발행주식수(보통주) 66.3백만주52주 최고가(’11/08/02) 471,000원 최저가(’12/06/04) 265,500원배당수익률(2011) 1.26%외국인지분율 32.6%

Buy (유지)

목표주가 350,000원 (유지)현재가 (’12/08/02) 311,000원

Analyst 김선우 02)768-7605, [email protected]

노근우(RA) 02)768-7580, [email protected]

Page 2: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2

LG화학 www.wooriwm.com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기록

2분기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6.9% 감소한 3,436억원을 기록

하였다. 국내 경쟁 석유화학업체들이 1) 중국發 석유화학제품 수요 부진, 2) naphtha 등 원재

료 가격 급락에 따른 부정적인 래깅 효과 등에 따라 소폭의 영업흑자를 기록한데 반해 돋보

이는 실적을 기록하였다.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고수익성은 글로벌 경쟁업체와의 영

업이익률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다. LG화학은 2분기에 7.6%의 영업이익률(vs. 1Q12 영업

이익률 8.2%)을 기록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사 대부분을 앞섰다. 글로벌 석유화학

업체 중에서 LG화학의 수익성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Sabic(EBITDA 마진 30% 수준)을 제외

한 대부분의 gas cracker 보유 업체보다 높은 수준이며, 전 세계 최고 수익률을 자랑하는 독

일의 BASF를 소폭 하회하였다.

LG석유화학 합병을

통한 수익성 개선

LG화학의 수익성이 경쟁사 대비 크게 개선된 것은 2007년 이후부터인데, LG석유화학과의

합병이 주요인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LG화학 석유화학사업은 주로 다운스트림 사업을 영위

하는 LG화학과 업스트림 사업 중심의 LG석유화학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양사의

합병을 통해 고유가 상황에서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이후에는 아

시아 지역의 석유화학제품 수요가 크게 성장한 데 힘입어 글로벌 업체 대비 고수익성을 유지

할 수 있었다. 그러나 LG화학이 기타 아시아 경쟁사 대비 높은 수익성을 보일 수 있었던 보

다 중요한 원인은 다각화된 석유화학제품 포트폴리오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2009~2011년

중동의 설비증설이 집중되었던 NCC/PO 계열 제품이 동사의 석유화학사업 매출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28%에 불과하다. 아크릴/가소제(매출 비중 12%), 고무/특수수지(20%)의 경우 1)

중동 및 중국 증설의 영향이 제한적인 데다, 2) LG화학은 통합설비를 통해 이들 제품에 대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고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석유화학업체 영업이익률 추이 LG 화학 석유화학부문 12 년 2 분기 매출 구성

0

5

10

15

20

'05 '06 '07 '08 '09 '10 '11

(%) LG화학 호남석유

Formosa BASFDow chem

아크릴/가소제

556.1(12%)

ABS/EP1324.7(29%)

PVC485.2(11%)

NCC/PO1271.9(28%)

고무/특수수지

883.4(20%)

자료: Bloomberg,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LG화학,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G화학 propylene

계열 유도품 투자 확대

LG화학은 non-ethylene 계열 제품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중동 등 gas

cracker대비 원가 경쟁력 열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국내 석유화

학업체 대비 눈에 띄는 제품군은 통합된 설비를 갖춘 C4 계열 및 C3 계열의 제품이다. LG화

학은 2-EH, SAP수지, 아크릴 산, BPA 등 프로필렌 계열 제품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해 고

수익성 확보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Page 3: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3

LG화학 www.wooriwm.com

II. Gas cracker 증설과는 먼 non-ethylene 계열의 고수익성 지속

Non-ethylene

공급부족 심화

2009~2011년 글로벌 ethylene 설비는 1,716만톤이 신규 증설되어 2008년 전체 설비 규모

대비 13.2% 증가하였다. 동기간 중동 지역의 ethylene 설비 증설규모는 1,005만톤으로 글

로벌 증설 규모의 58.5%를 차지하였다. 증설된 중동의 ethylene 설비는 gas cracker이며,

이들 중 대부분이 ethane gas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과거 수 년간의 집중적인 중동 설비 증

설은 ethylene 공급과잉, non-ethylene계열 제품(propylene, butadiene)의 공급 부족을 낳

았다. 이는 naphtha 1톤 당 propylene, butadiene 생산량은 각각 0.18, 0.05톤인 반면

ethane gas 1톤당 propylene(0.01톤), butadiene 생산량은 이에 크게 못 미치기 때문이다.

향후에도 1) gas cracker로부터의 제한적인 공급 이외에 2) 미국 휘발유 수요 약세에 따른

propylene 생산량 감소, 3) 중국의 coal-to-olefin 기술 열위에 따른 저조한 공급 증가 가능

성 등에 따라 propylene 계열 제품들의 공급 부족은 지속될 전망이다.

Propylene/ethylene 비율 개선 지속 Ethane 으로 석유화학제품 제조 시 ethylene 생산 집중

0.8

1.1

1.4

'07.1 '08.1 '09.1 '10.1 '11.1 '12.1

(배)

Propylene/Ethylene

0

20

40

60

80

100

Ethane Propane Butane Light naphtha

(%) Ethylene Propylene ButadieneBenzene Others

자료: Thomson Reuters,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LG화학,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동 설비 집중은 ethylene 공급 증가 및 propylene/butadiene 공급 부족으로 연결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06 '07 '08 '09 '10 '11 '12

('000tons)

0

20

40

60

80

(%)

글로벌 ethylene 설비 증설 규모(좌)

중동 증설 비중(우)

자료: Platts,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4: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4

LG화학 www.wooriwm.com

미국의 석유제품 수요

감소 propyelne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미국의 propylene 생산량은 2007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1) 미국의

휘발유 수요 부진에 따른 정제설비 가동률 하락(→RFCC로부터의 propylene 생산량 감축 유

도)과 2) ethane cracker로의 전환(→propylene 생산 제한) 때문이다. 미국 전체 propylene

생산량의 6%를 차지하는 on-purpose propylene 증설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석유제품

수요 감소 및 gas cracker 확대로 대체율은 낮을 전망이다.

미국 설비별 Propylene 제조 비중 (단위: 천톤) 미국 휘발유 생산량 및 Propylene 수출량 추이

Steamcrackers

5,560(40%)

FCC splitter7,506(54%)

Dehydro417(3%)

Metathesis417(3%)

050

100150200250300350400450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000tons)

8,200

8,4008,600

8,800

9,000

9,2009,400

9,600

9,800('000b/d)휘발유 소비량(우)

Propylene 수출량(좌)

자료: CMAI,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OTIS,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5: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5

LG화학 www.wooriwm.com

글로벌 메이저

석유회사 분리 추세

propylene 강세의

원인

미국의 메이저 석유회사들은 1990년대 말 저유가 상황에서 upstream(석유 개발)과

downstream(정유 사업 등)의 합병을 통해 수익성 개선 노력을 하였다. Super major 석유업

체들은 2000년 대 경기 활황에 동반한 유가 상승으로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유가 강세 지속 및 수요 부진에 따라 미국/유럽의 정제마진

약세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1년 미국의 ConocoPhillips 및 Marathon Oil은

upstream 및 downstream 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1) 미국의 shale gas, oil sand 등

unconventional oil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upstream부문)하는 한편, 2) 미국 동부, 유럽 등

수요부진 지역에 위치해 있거나 고도화비율이 낮은 비핵심 자산들을 매각하는 노력

(downstream부문)을 지속하고 있다. 미국 메이저업체들의 정유사업 부문 투자 제한은 미국

propylene 생산 비중의 54%를 차지하는 RFCC 투자 지연으로 이어져 propylene 공급 증가

가능성을 제한할 전망이다.

미국 메이저 석유업체 매출액 비교(2011) 미국 메이저 석유업체 순이익 비교(2011)

0

100

200

300

400

500

BP Exxon Mobil Shell Chevron Conoco

($bn) Upstream부문

Downstream부문

0

10

20

30

40

50

BP Exxon Mobil Shell Chevron Conoco

($bn)Upstream부문

Downstream부문

자료: Bloomberg,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미국 정제설비 매각 및 폐쇄 계획 (단위: ‘000b/d)

회사명 지역 설비규모 폐쇄시기 비고 ConocoPhillips Trainer, Pennsylvania 185 3Q11 Delta Airline 에 매각. 2012 년 3 분기 재가동 계획 ConocoPhillips Wilhelmshaven, Germany 260 4Q10 매각 실패시 물류터미널로 전환할 계획 Sunoco Marcus Hook 175 3Q12 정유사업 철수에 따른 설비폐쇄 결정 Sunoco Philadelphia 330 3Q12 정유사업 철수에 따른 설비폐쇄 결정 Hovensa Virgin Islands 350 1Q12 수익성 악화에 따른 설비폐쇄 결정 Valero Aruba 235 1Q12 수익성 악화에 따른 설비폐쇄 결정 자료: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6: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6

LG화학 www.wooriwm.com

중국의 석탄베이스

프로필렌 양산노력

한편 중국의 propylene 증설은 Coal-to-Olefin 공법이 대부분인데 이는 기술적 어려움으로

당분간 정상적인 생산이 어려울 전망이다. 중국은 석탄의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2015년

프로필렌 생산규모를 2,400만톤으로 늘리고 자급률을 77%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다(vs

2010년 생산능력 1,583만톤 자급률 63%). 중국 정부는 Coal-to-Olefin 프로젝트의 최적입

지로 1) 석탄자원이 풍부하고 2)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3) 이산화탄소 감축 잠재력과

환경 수용력이 상대적으로 높고 4) 교통운송능력 및 산업발전 능력이 강한 석탄 순수출 지역

(성)을 꼽고 있다. 만약 이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지역(성)에서 관련 프로젝트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제지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의 coal-to-olefin

기술적 어려움 지속

석탄화학산업을 발전시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석탄과 수자원의 적절한 조합이다. 중국

의 지역별 일인당 수자원 보유량과 석탄매장량(비중)을 감안하면 네이멍구, 신장, 산시(山西),

윈난 등의 지역이 석탄화학산업을 발전시키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화학제품 시장이 주로 화

동과 화남 등 연해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교통운송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또한 대규모 물 소비에 따른 환경적인 문제, 품질이 낮은 기술적인 문제로 정

상 가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Coal-to-Olefin 증설 계획 (단위:천톤)

회사명 공법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비고 Yili Meidianhua Methanol-to-Olefin 600 1Q16 Shenhua Ningmei Methanol-to-Propylene 500 500 3Q11 / 3Q14 Yulin Energy&Chem Methanol-to-Olefin 600 2Q13 Pucheng Clean Energy Methanol-to-Olefin 680 Mid-13 Shaaxi Yanchang Methanol-to-Olefin 900 Mid-14 Sinopec Zhijin Methanol-to-Olefin 600 4Q14 Zhongyuan PC Methanol-to-Olefin 163 4Q11 Ninbo Heyuan Chem Methanol-to-Olefin 600 1Q14 Ningbo Haiyue New Material Methanol-to-Propylene 600 1H14 Shanghai PC Methanol-to-Olefin 600 1Q14 Nanjing Wison Methanol-to-Olefin 590 1H13 Shanxi Coking Methanol-to-Olefin 600 4Q14 Yankuang Methanol-to-Olefin 600 Mid-14 Datang Intl Methanol-to-Propylene 500 4Q11 Shenhua Baotou Methanol-to-Olefin 600 3Q10 자료: CMAI,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7: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7

LG화학 www.wooriwm.com

PP 생산되도 고부가

specialty resin들의

수익성은 견조할 전망

향후 수년 간 중국에서 PDH공법(Propane Dehydrogenation)을 통해 양산될 것으로 예상되

는 프로필렌 규모는 약 281만톤으로 2011년 기준 중국 전체 설비의 18.7%를 차지한다. 현

재 중국의 on-purpose propylene 설비들은 기술적, 지리적, 환경적 어려움으로 정상 가동

되지 않고 있으나, 3~5년간의 test-run을 거쳐 2014년 이후에는 정상 가동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그러나, 중국 on-purpose propylene의 경우 대부분 저급의 PP(polypropylene)

를 양산할 계획이어서 LG화학의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PP가 LG

화학의 석유화학부문 기여도는 3%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의 석탄베이스 화학설비에서 양산

되기 어려운 프로필렌 계열 유도체의 매출 비중은 12%에 이른다. 추가적으로 gas cracker

및 석탄베이스 화학제품 설비에서 양산되지 않는 합성고무 체인의 매출 비중을 합할 경우 전

체 석유화학 부문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중국의 석탄베이스 화학제품의 공급 영향

은 제한적이다.

주요 석유화학제품 가격 추이 업체별 Ethylene 톤당 EBITDA(2011)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06.1 '07.1 '08.1 '09.1 '10.1 '11.1 '12.1

($/ton)Propylene PP

2-EH Acrylic Acid

0200400600800

1,0001,2001,4001,600

LG화학 호남석유 FormosaPetrochem

Dow Chem

($)

자료: Cischem, KOTIS,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8: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8

LG화학 www.wooriwm.com

III. BASF의 Verbund 전략과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 투자

BASF의 성공적인

포트폴리오 조정과

닮은 LG화학의 투자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 투자 전략은 글로벌 1위 업체인 독일의 BASF와 닮아있다. BASF는

금융위기 동안 변동성에 더욱 강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사업포트폴리오를 조정하였

다. BASF는 Verbund(수직적, 수평적으로 통합된 석유화학컴플렉스) 전략을 통해 아시아, 북

미 등지로 설비를 확장 하였다. Verbund 전략은 최근 그 의미가 크게 바뀌어 naphtha 크래

커를 통해 중동/중국 등과 동일한 중간 제품들을 만들어내고 있으나 최종제품에서는 중동/중

국 업체들과 경쟁 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BASF는 유럽의 경기 둔

화(매출 비중 50% 이상)에도 불구하고 10% 대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BASF는 PE, PP 매출 비중을 확대하기보다는 EO, 아크릴산, 알코올, PO 등 범용화되

지 않은 석유화학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하였으며, 이는 LG화학의 제품 구성과 유사하

다. 장기적으로 LG화학 역시 인도의 BPCL과의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아크릴과 SAP수지 등

에 투자하며 고수익 제품의 글로벌 생산 노력을 지속할 전망이다.

원가절감 노력 병행.

석유화학부문 프리미엄

지속 가능 전망

LG화학은 ABS 중국 설비 등의 투자를 통해 글로벌화를 진행하는 한편, 향후에는 PVC 원재

료 자급률 확대 등을 진행하고, 2016년에는 JV 설립을 통해 카자흐스탄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산 84만톤, 80만톤 규모의 ethylene, PE 설비를 갖출 카자흐스탄 프로젝트는

gas base cracker로서 장기적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LG화학의 다변

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 노력과 원가 절감 투자에 따른 안정적인 고수익성 지속은 동사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프리미엄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9: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9

LG화학 www.wooriwm.com

중동 에틸렌계열 유도품 비중(2008) BASF 에틸렌계열 유도품 비중(2008)

EG(25%)

PE(62%)

PVC(5%)

Styrene(4%)

기타(4%)

Styrene(31%)

EO(28%)

EG(20%)

PE(11%)

기타(12%)

자료: BASF,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ASF,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중동 프로필렌계열 유도품 비중(2008) BASF 프로필렌계열 유도품 비중(2008)

기타(1%)

AN(3%)

PP(91%)

Alcohol(5%)

AN(14%)

PO(24%)

Alcohol(32%)

Acrylic acid(31%)

자료: BASF,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ASF,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Page 10: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10

LG화학 www.wooriwm.com

IV. 불황에서 빛나는 LG화학의 석유화학 사업 부문

내부역량 강화를 통한

이익체력 개선

석유화학산업은 유례 없는 수요 공백에 따라 downturn을 통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석

유화학업체 중 1) gas cracker의 증설 영향이 적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2) 내부 역량 강화

를 통해 성장을 지속하는 기업의 주가가 outperform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석유화학제

품 수요 약세에 따라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 이익 개선은 더디게 진행될 것이나, 공급 부족

및 자체 성장 동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이익 실현을 가능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1) 과거 LG석유화학 합병을 통한 통합설비 구축, 2) non-ethylene

계열의 고부가제품 매출 비중 확대, 3) 정보전자소재 부문으로의 사업 다변화 등을 통해 이익

체력 강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분기당 5,000억

~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안정적으로 시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

Valuation premum

정당화

LG화학은 2012년 기준 PER 13.5배, PBR 2.1배로 경쟁업체 대비 premium에 거래되고 있

다. LG화학은 1) 2006년 이후 내부역량 강화 및 사업 다각화를 통해 고수익성을 확보하였고,

2) 글로벌 경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높은 이익 가시성 및 15% 이상의 ROE 지속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valuation premium은 정당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LG 화학 석유화학부문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및 전망

0

1,000

2,000

3,000

4,000

5,000

1Q09 3Q09 1Q10 3Q10 1Q11 3Q11 1Q12 3Q12F

(십억원)

0

5

10

15

20(%)매출액(좌)

영업이익률(우)

자료: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전망

Page 11: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11

LG화학 www.wooriwm.com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VALUATION INDEX (십억원)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매출액 22,676 24,106 25,074 26,332 PER (X) 10.0 13.6 11.5 11.3 증감률 (%) 16.5 6.3 4.0 5.0 PER (High,X) 18.3 18.9 16.1 15.8 매출원가 18,595 20,698 21,214 22,318 PER (Low,X) 8.7 11.4 9.7 9.5 매출총이익 4,081 3,408 3,860 4,014 PBR (X) 2.5 2.1 1.9 1.7 Gross 마진 (%) 18.0 14.1 15.4 15.2 PBR (High,X) 4.5 3.0 2.6 2.3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1,264 1,353 1,447 1,549 PBR (Low,X) 2.1 1.8 1.6 1.4 조정영업이익 (GP-SG&A) 2,817 2,056 2,413 2,465 PCR (X) 7.0 7.1 6.3 6.0 조정OP 마진 (%) 12.4 8.5 9.6 9.4 PSR (X) 0.9 0.9 0.8 0.8 기타영업수익(비용) 19 0 0 0 PEG (X) -2.1 9.0 13.5 2.6 EBITDA 3,573 2,887 3,280 3,407 PER/ 주당EBIT 증감률 (X) -2.3 7.8 11.5 2.6 영업이익 (reported) 2,835 2,056 2,413.0 2,465 PER/ 주당EBITDA 증감률 (X) -6.3 4.5 3.8 2.3 OP 마진 (%) 12.5 8.5 9.6 9.4 EV/EBITDA (X) 6.5 8.1 7.2 7.0 금융수익(비용) -23 -53 -63 -67 EV/EBIT (X) 8.2 11.4 9.8 9.6 기타영업외손익 -31 0 0 0 Enterprise Value 23,145 23,391 23,599 23,783 종속 및 관계기업관련손익 15 13 14 14 EPS CAGR (3년) (%) -4.7 1.5 0.9 4.4 세전계속사업이익 2,797 2,015 2,363 2,412 EBITPS CAGR (3년) (%) -4.3 1.7 1.0 4.3 법인세비용 627 443 520 531 EBITDAPS CAGR (3년) (%) -1.6 3.0 3.1 4.9 계속사업이익 2,170 1,572 1,844 1,882 주당EBIT (W) 42,500 31,018 36,412 37,201 당기순이익 2,170 1,572 1,844 1,882 주당EBITDA (W) 53,918 43,556 49,499 51,407 Net 마진 (%) 9.6 6.5 7.4 7.1 EPS (W) 31,794 22,908 26,945 27,510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2,138 1,549 1,817 1,854 BPS (W) 129,276 146,251 166,847 187,950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32 23 27 28 CFPS (W) 45,499 43,559 49,501 51,410 기타포괄이익 18 0 0 0 SPS (W) 342,164 363,750 378,355 397,336 총포괄이익 2,188 1,572 1,844 1,882 DPS (W) 4,000 4,000 4,000 4,000

CASH FLOW STATEMENT RIM & EVA (십억원)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영업활동 현금흐름 2,240 2,089 2,614 2,643 RIM 당기순이익 2,170 1,572 1,844 1,882 Spread (FROE-COE) (%) 14.9 5.2 5.7 4.1 + 유/무형자산상각비 757 831 867 941 Residual Income 1,284.6 530.9 659.6 543.0 + 종속, 관계기업관련손실(이익) 0 -13 -14 -14 12M RIM Target Price (W) 346,144 + 외화환산손실(이익) 0 0 0 0 EVA + 자산처분손실(이익) 4 0 0 0 투하자본 9,192.0 11,175.1 12,898.3 14,632.2 Gross Cash Flow 3,015 2,887 3,281 3,407 세후영업이익 2,244.3 1,587.9 1,884.7 1,926.3 - 운전자본의증가(감소) -656 -301 -83 -166 투하자본이익률 (%) 26.9 15.6 15.7 14.0 투자활동 현금흐름 -2,280 -2,530 -2,501 -2,505 투하자본이익률 - WACC (%) 19.4 8.0 8.1 6.3 + 유형자산의감소 5 0 0 0 EVA 1,786.0 891.6 1,039.5 928.6 - 유형자산의증가(CAPEX) -2,195 -2,500 -2,500 -2,500 DCF + 투자자산의매각(취득) -101 -8 -1 -5 EBIT 2,816.5 2,055.6 2,413.0 2,465.4 Free Cash Flow 45 -411 114 143 + 유/무형자산상각비 757 831 867 941 Net Cash Flow -40 -441 113 138 - CAPEX -2,195.4 -2,500.0 -2,500.0 -2,500.0 재무활동현금흐름 63 -204 -233 -214 - 운전자본증가(감소) -701.3 -312.1 -90.5 -175.3 자기자본 증가 0 0 0 0 Free Cash Flow for Firm 1,447.7 246.4 339.9 539.8 부채증감 63 -204 -233 -214 WACC 현금의증가 11 -645 -120 -76 타인자본비용 (COD) 3.2 3.1 3.2 3.3 기말현금 및 현금성자산 1,379 734 615 539 자기자본비용 (COE) 9.9 10.0 10.0 10.0 기말 순부채(순현금) 1,130 1,865 2,046 2,202 WACC(%) 7.4 7.6 7.6 7.6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PROFITABILITY & STABILITY (십억원)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 2011/12A 2012/12E 2013/12F 2014/12F현금및현금성자산 1,379 734 615 539 자기자본이익률 (ROE) (%) 24.8 15.2 15.7 14.1 매출채권 3,117 3,314 3,447 3,620 총자산이익률 (ROA) (%) 15.5 9.8 10.4 9.6 유동자산 7,256 7,106 7,200 7,460 투하자본이익률 (ROIC) (%) 26.9 15.6 15.7 14.0 유형자산 7,376 9,060 10,707 12,278 EBITDA/ 자기자본 (%) 36.8 26.3 26.2 24.1 투자자산 335 356 371 389 EBITDA/ 총자산 (%) 23.4 17.1 17.6 16.7 비유동자산 8,029 9,741 11,388 12,965 배당수익률 (%) 1.3 1.3 1.3 1.3 자산총계 15,286 16,847 18,588 20,425 배당성향 (%) 12.3 17.0 14.5 14.2 단기성부채 1,838 1,930 1,992 2,072 총현금배당금 (십억원) 295 295 295 295 매입채무 1,503 1,598 1,662 1,745 보통주 주당현금배당금(W) 4,000 4,000 4,000 4,000 유동부채 4,724 4,998 5,183 5,423 순부채(현금)/ 자기자본 (%) 11.6 17.0 16.3 15.6 장기성부채 689 689 689 689 총부채/ 자기자본 (%) 57.5 53.4 48.3 44.6 장기충당부채 63 67 70 73 순이자비용/ 매출액 (%) 0.3 0.3 0.3 0.3 비유동부채 854 864 871 880 EBIT/ 순이자비용 (X) 42.0 27.5 31.4 31.2 부채총계 5,578 5,861 6,054 6,303 유동비율 (%) 153.6 142.2 138.9 137.5 자본금 370 370 370 370 당좌비율 (%) 101.2 87.1 84.4 82.8 자본잉여금 1,158 1,158 1,158 1,158 총발행주식수 (mn) 74 74 74 74 이익잉여금 8,053 9,308 10,830 12,389 액면가 (W) 5,000 5,000 5,000 5,000 비지배주주지분 154 177 204 232 주가 (W) 317,500 311,000 311,000 311,000 자본총계 9,708 10,985 12,534 14,121 시가총액 (십억원) 21,861 21,349 21,349 21,349

Page 12: LG화학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43960355419.pdf2 LG화학 I. LG화학 석유화학사업 부문의 돋보이는 고수익성 2분기 석유화학부문 고수익성

12

LG화학 www.wooriwm.com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경내역 종목명 코드 제시일자 투자의견 목표가

LG 화학 051910.KS 2012.07.03 Buy 350,000원 (12개월) 2012.04.20 Buy 380,000원 (12개월) 2012.04.12 Buy 430,000원 (12개월) 2011.12.05 Buy 480,000원 (12개월) 2011.09.30 담당 Analyst 변경 2011.04.20 Buy 600,000원 (12개월) 2011.01.31 Buy 490,000원 (12개월) 2010.12.06 Buy 460,000원 (12개월) 2010.07.21 Buy 390,000원 (12개월)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8 '10.12 '11.4 '11.8 '11.12 '12.4 '12.8

종가 목표주가(12M)(원)

종목 투자등급 (Stock Ratings) 1. 대상기간: 12개월 2. 투자등급(Ratings): 목표주가 제시일 현재가 기준 종목의 목표수익률이

Strong Buy : Buy 등급 중 High Conviction 종목 Buy : 15% 초과 Hold : 0% ~ 15% Reduce : 0% 미만

Compliance Notice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LG화학"의 발행주식 등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동 자료의 금융투자분석사와 배우자는 자료 작성일 현재 동 자료상에 언급된 기업들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LG화학"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W의 발행회사 및 LP(유동성공급자)임을 알려드립니다. 동 자료에 게시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고지 사항

본 조사분석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센터의 금융투자분석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 분석한 결과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의 투자판단을 위해 작성된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주식 등 금융투자상품 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 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동사에 대한 조사분석자료

의 작성 및 공표가 중단되는 경우, 당사 홈페이지(www.wooriwm.com)에서 이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