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acquisition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anyang_erica/hwang... · 2016. 9....

29
언어습득 Language Acquisition

Upload: others

Post on 07-Feb-2021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언어습득

    Language Acquisition

  • Before what we’ve learned…

    1. Language is biological and genetic. 2. Language is unique to human beings. 3. Child acquires language without

    intentional efforts.4. Any normal child is capable of learning

    any language to which he or she is exposed.

    5. A person’s knowledge of their native language is implicit and sub-conscious: that is, you don’t know what you know about language.

  • However…

    • 언어는 또한 환경적/사회적 요소를 지니고있음.

    - 우리는 우리가 어렸을 때 노출된 언어를제 1 언어로 습득함.

    - 우리는 습득하는 언어가 내재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언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됨.

    Q: How can we do it?

  • The Input

    • 아이들은 다양한 레벨에서 (음운론, 음성학, 형태론, 의미론, 통사론….) 여러가지 예들을접하게 된다.

    • 흥미로운 점은 아이들은 예(example)를 접하게 될 뿐 규칙을 접하지는 않는다.

    • 그들은 여러가지 예를 통해서 규칙을 만듦. • 그러나 아이들은 규칙을 만드는 동안 많은

    error를 만들어 냄. • 그러나 이들이 만들어내는 errror도 rule-

    based임.

  • 언어습득 이론

    • Imitation Theory (모방이론) - 아이들은 그들이 듣는 말을 모방하면서 언어

    를 습득함. - 비판: 아이들이 노출되는 말은 늘 새로운 것

    임. • Behaviorism (행동이론)- 아이들은 강화 (부모가 주는 긍정/부정적 자

    극을 통해)를 통해 언어를 습득함. - 비판: 부모가 아이의 문법성을 고쳐줄 수는

    있지만 이것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님.

  • The Innateness hypothesis (내재이론)

    • 자극의 부재 (Poverty of the stimulus): 인간이 습득하는 문법은 그들이 겪게 되는 언어적 경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 아이들이 습득하는 문법의 복잡성을 설명하기에 아이들에게 주어지는 언어적 자극은 매우 불충분함(impoverished)

    • 아이들은 어떠한 특별한 도움없이도 그들이 노출되는언어 자극을 뛰어넘어 복잡한 문법을 습득함.

    •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UG를 활용할 수 있는 언어능력 (linguistic competence)를 지니고 있기 때문임.

    • 모든 인간의 언어는 추상적인 UG를 가지고 있음. • 인간의 두뇌는 인간이 언어 문법을 습득하기에 적합한

    기재임.

  • More on language input

    • 부모들이 얼만큼 아이들의 언어습득 과정을 이끄는가?- In some cultures, adults don’t talk to kids at all,

    but kids still acquire language.- Otherwise: adults only correct the truth value

    of children’s statements, not their grammatical errors.

    • Child: Robin goed to school yesterday.• Adult: No, Robin went to a BIRTHDAY PARTY

    yesterday.

  • Another example

    • Child: Want other one spoon, Daddy.• Father: You want THE OTHER SPOON.• Child: Yes, I want other one spoon, please, Daddy.• Father: Can you say “the other spoon”? Say “other”.• Child: Other.• Father: Spoon.• Child: Spoon.• Father: Other spoon.• Child: Other spoon. Now please give me other one

    spoon.

  • ANOTHER EXAMPLE: • Child: My teacher holded the baby

    rabbits.• Adult: Did you say your teacher held the

    baby rabbits?• Child: Yes.• Adult: What did you say she did?• Child: She holded the baby rabbits and

    we patted them.• Adult: Did you say she held them tightly?• Child: No, she holded them loosely.

  • 언어습득의 단계

    • 영아들은 말소리를 만들어낼 수 없음. • 이 시기 영아들은 유인원의 발성기간과 비

    슷함. • 2-3개월 쯤 영아들이 소리를 내고 (coo) 웃

    기 시작함.

  • Motherese

    • Adults often talk to infants in a stylized form of speech that was originally known as “motherese”. (“child-directed speech”)- Exaggerated pitch range- Higher pitch- Shorter utterances- Longer pauses between utterances.

  • Motherese

    •Benefits- Captures infants’ attention better- Infants prefer to listen to motherese- Evidence that it helps infants segment words

    better.• However:

    - Sentences in Motherese are not syntacticallysimplified.

    - Includes function words, inflectional affixes,transformations, etc.

  • Babbling

    • 모국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유아 초기에babbling(재잘임)을 시작한다.

    - 처음: 반복되는 말 (repeated or canonical babbling)

    [mamamamama][babababab]- 나중: 다채로운 표현 (variegated babbling)[pitidugoba]- 비록 모국어에 존재하는 소리에 대한 선호도가

    나타나지만 Babbling은 모국어에 없는 소리를발음할 수도 있음.

  • Babbling 패턴

    • 옹알이는 인간의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소리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음.

    • Common babbling sounds:[p], [b], [m][t], [d], [n][k], [g][s], [h], [w], [ j]• Atypical babbling sounds:[f], [v], [θ], [d][ʃ], [ʒ], [tʃ], [dʒ][l], [ɹ], [ŋ]

  • 언어발달 단계

  • 일어문 단계(Holophrastic stage)

    • 10-12개월 전후, 유아는 같은 사물을 의미하기 위해 같은 소리의 배열을 사용하기시작한다.

    • 이를 holophrastic stage, or one word stage라 부름.

    • 그들이 말하는 단어는 행동/요구/사물의이름/발화행위 등을 나타냄.

  • • people, food, animals, clothes, toys• ‘hot’, ‘all-gone’, ‘dirty’, ‘here’, ‘there’• ‘up’, ‘sit’, ‘go’, ‘eat’, ‘hi’, ‘yes’, ‘no’, ‘please’

  • Holophrastic lexicon

    • 일어문 단계에서 아이들은 자주 그들의 통신목적에 맞추어 각 단어의 의미를 확장 또는축소하곤 한다.

    • Overextension: semantic range of a word is extended beyond that of adult language - “doggie” for all animals.

    • Underextension: semantic range of a word is narrower than in the adult language - “doggie” for only the family dog.

  • Holophrastic phonology

    • Some common phonological processes in children’s speech:- syllable deletion ‘kangaroo’ [wu]

    ‘spaghetti’ [gɛ]• syllable simplification / reduction of clusters- ‘stop’ [tap] - deletion of [s]- ‘try’ [taɪ] - deletion of liquids- ‘sleep’ [sip] - deletion of liquids- ‘bump’ [bãp] - deletion of nasals- ‘boot’ [bu] - deletion of final consonants

  • Two-word Stage

    • 18-24 개월 전후, 유아들은 단어를 두 개 정도 합쳐서 말할 수 있다.

    • 통사적이나 형태론적으로 error가 있음.

    Ex: “mommy sock” can mean• Mommy’s sock• Mommy is putting on the sockEx: “car go” can mean• The car is going.• We are going in the car.• Get the car moving!

  • The Wug Test

    • 복수형 습득은 wug test 라 불리우는 실험으로 증명됨.

  • The Wug test

    • Wug test는 아이들이 스스로 언어 규칙을습득해 나가는 것을 증명함.

    • 언어습득의 내재이론, 언어의 창의성을 증명함.

  • Telegraphic Stage

    • 24개월 후, 아이들은 두 단어 이상 연결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음.

    • 그들이 만들어 낸 ‘문장’에는 기능어나 의존 형태소가 없으므로 ‘전문체’의 간결한표현임.

    • He play little tune• No sit down• Me want cookie

  • • The U-shaped learning curve in the acquisition of the past tense marker in English

    • Stage 1: went ran• Stage 2: goed runned• Stage 3: went ran

    언어습득은 창조적인 과정임을 보여줌.

  • Development of Syntax- 통사적 지식은 변형문법 (transformational grammar)을

    통해 습득

    Ex: Yes/No Question formation.• He is there. → Is he there?• He will be there. → Will he be there?

    - 아이들은 변형문법 이전의 기본적 문장을 습득. • Stage 1: Yes-no Qs signaled by intonation‘I ride train?’• Stage 2: Appearance of auxiliary, without

    transformation‘He can go?’• Stage 3: Auxiliary inversion‘Did you come home?’

  • After Three

    • 36개월 이후, 아이들은 하나의 절 이상의복잡한 단어를 만들어 낼 수 있음.

    • He was stuck and I got him out.• I want this doll because she’s big.• I think that she’s sick.- 남아있는 문제점들• Pronoun reference (“I” vs. “you”)•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the” vs.

    “a”)

  • Bilingual Acquisition

    • 많은 아이들이 동시에 하나 이상의 언어를습득할 수 있음.

    • 언어 습득 기간 동안, 아이들은 code switch의 기재를 사용함. (두 언어를 왔다갔다하면서 사용하는 것)

    Examples (French/English bilingual):• His nose is perdu. “His nose is lost.”• A house pink. “A pink house.”• That’s to me. “That’s mine.”

  • 이론

    • 첫 단계에서 bilingual 아이들은 두 언어를하나의 mental grammar로 합쳐서 생각함

    • 나중에 각기 다른 두 언어로 갈라짐. • 처음은 단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음• 나중엔, 두 언어가 합쳐져서 훨씬 더 많은

    단어수를 갖게 됨.

  • 언어 습득에 관한 몇 가지 생각

    • 언어 습득은 생물학적임. • Poverty of the stimulus: 주위 환경으로부

    터 배울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언어구조가 존재함.

    • 언어 습득은 어떠한 강제성 없이도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