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korcham.net/file/econ/ec01_files/news2009 1209 44.doc · web...

34
KOTRA 칭칭칭(칭칭)칭칭칭 칭칭 칭칭칭칭 QINGDAO NEWSLETTER 2009-44 2009. 12 . 09 (수 ) 1. 칭칭/칭칭/칭칭 - [칭칭] 칭, 칭칭칭칭칭칭칭 칭칭 칭칭 4칭 칭칭 - 칭칭-칭칭, 10칭 칭칭 칭칭칭칭칭 칭칭 - 칭칭, 칭칭칭칭 칭칭칭 칭칭칭 - 칭칭칭칭칭칭 칭칭칭 칭칭칭 - 칭칭칭칭칭칭칭 칭칭칭칭칭 - [칭칭칭칭 칭칭] 칭칭칭칭, 칭칭칭 칭칭칭 2. 칭칭/칭칭 - 칭, 칭칭 칭칭칭칭칭칭칭 칭칭 2009 칭 칭칭 95 칭 칭칭 - 칭칭 칭칭칭칭칭칭 3,4 칭칭 칭칭 칭칭 - 칭, 칭칭칭 칭칭, 칭칭칭 칭칭칭칭 - 칭칭, 칭칭칭칭칭 칭칭 칭칭 칭칭 칭칭칭칭 칭 칭칭 칭 - 칭, 3G 칭 칭칭 칭칭칭칭칭칭 칭칭 칭칭칭 - 칭, 칭칭칭칭칭 칭칭칭 칭칭칭칭칭칭칭 3. 칭칭칭칭 칭칭 Q&A - 12칭칭 칭칭 칭칭칭 칭칭칭칭 칭칭칭 칭칭 칭칭칭칭 칭칭 1

Upload: others

Post on 03-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

· KOTRA 칭다오(靑島)무역관

週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9-44 2009. 12 . 09 (수 )

목 차

1. 경제/무역/투자

- [정책] 中, 에너지효율라벨 부착 품목 4개 추가

- 중국-홍콩, 10년 이내 단일교통망 조성

- 일본, 바이어의 솔직한 속내는

- 친환경기술과 제품이 모였다 - 파리환경박람회 현장스케치

- [주요국가 종합] 히트상품, 컬러로 말한다

2. 상품/산업

- 中, 대형 평판디스플레이 시장 2009년 매출 95억 위앤

- 중국 페인트기업의 3,4선급 시장 공략

- 中, 에어백 시장, 초기에 공략하자

- 중국, 온라인게임 판권 관련 마찰 내년이면 답 나올 듯

- 中, 3G와 만난 스마트폰시장 열기 뜨겁다

- 中, 뜨거워지는 인덕션 전자레인지시장

3. 노무관리 중요 Q&A

- 12월말 대량 직원의 노동계약 만료에 따른 고용종료 문제

1. 경제 / 무역 / 투자

[정책] 中, 에너지효율라벨 부착 품목 4개 추가

- 전기밥솥, 선풍기, 교류접촉기, 공기압축기 등 2010년 3월 1일부 -

- 소비자들, 좀 비싸도 고등급 품목 선택 추세 -

 

 

 

□ 라벨 부착해야 생산, 판매, 수입 가능

 

 ㅇ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질량검험검역총국, 국가인증인가감독관리위원회 등 3개 부처는 최근 '에너지효율라벨 부착대상 5차 품목 리스트'(中華人民共和國實施能源效率標識的産品目錄 第五批)를 발표하고 2010년 3월 1일부로 시행에 들어감.

 

 ㅇ 이번 '목록'에는 자동전기밥솥, 선풍기, 교류식 접촉기, 용적형 공기압축기 등 4개 품목이 포함됐으며 품목별 '에너지효율라벨부착 실시세칙'도 함께 발표됨.

  - '목록'에 포함된 품목은 시행일부로 제품에 에너지효율라벨이 부착돼야 하고, 품목별 에너지효율 표준에도 적합해야 중국 내 생산, 판매, 수입이 가능함.

  - 다만 2010년 3월 1일 전 출하 또는 수입된 품목에 대해서는 시행일을 2011년 3월 1일까지 연장할 수 있음.

 

□ 정부 감독관리 강화

 

 ㅇ 중국은 2004년 8월 23일 ‘에너지효율라벨관리방법’(能源效率標識管理瓣法)을 발표해 ‘목록’ 내 품목의 경우 에너지효율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해당 품목, 생산업체, 수입업체 등도 국가표준관리위원회에 등록하도록 규정했음.

  - 같은 해 11월 29일 1차 대상목록을 발표한 후 현재까지 5회에 걸쳐 총 19개 품목에 대해 에너지효율라벨제도를 시행(발표)했으며 등록업체는 1600개사, 등록품목은 8만 개를 넘어섬.

 

 

 ㅇ 에너지효율라벨 대상품목이 늘어남에 따라 허위라벨 부착, 규정 미시행 등에 대한 정부의 단속도 엄격해짐.

  - 국가표준화연구원 산하의 에너지효율라벨 관리센터는 이미 장쑤성, 상하이, 산둥성, 쓰촨성 등 4개 성시에 대한 조사를 시범적으로 시작했고 향후 3~5년 내 중국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임.

  - 조사는 시장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기업현장에서 추출 검사하는 등 2가지 방식으로 진행됨.

 

 ㅇ 각 지방(省市) 질량감독관리부서의 비정기적인 추출검사도 점차 진행되는 추세임.

 

 ㅇ 에너지효율라벨관리센터는 또 업체 생산품목의 에너지 절감수준, 시장판매규모 등을 종합평가해 연도별 에너지효율라벨사업의 진행상황, 에너지절감 우수기업 리스트와 블랙리스트를 각각 발표할 예정임.

  - 리스트 발표시기는 이듬해 상반기 말경에 대외공개할 계획으로 2009년 상황은 2010년 6월 말에 발표될 것으로 보임.

 

□ 에너지절약지표가 가전제품의 핵심경쟁요소로

 

 ㅇ 에너지효율라벨 관리센터의 차오닝 비서에 따르면 2010년에는 평판TV(PDP, LCD 포함), 전자레인지, PC, 프린터 등이 새롭게 대상품목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함.

 

 ㅇ 에너지효율라벨 부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에너지절감 지표가 향후 가전제품의 핵심 경쟁요소가 될 전망임.

  - 시장에서 판매되는 에너지효율라벨 대상품목은 등급이 높을수록(5급→1급) 가격도 높으며, 등급별 가격대가 300위앤 정도 차이가 남.

  - 소비자들도 점차 가전제품 구입 시 에너지효율등급을 확인하는 편이며, 몇 백 위앤을 더 지불하더라도 에너지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추세임.

 

중국 에너지효율라벨 부착 대상목록

구분

품목명

에너지효율표준

시행시기

1차

가정용 냉장고

GB 2021.2-2003

가정용 냉장고 전기소모량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005.3.1

방 에어컨

GB 2021.3-2004

방 에어컨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차

전동세탁기

GB 12021.4-2004

전동세탁기 에너지소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007.3.1

단위식 공기조절기

GB 19576-2004

단위식 공기조절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3차

전구형 형광등

GB 19044-2003

조명용 전구형 형광등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008.6.1

나트륨등

GB 19573-2004

고압나트륨등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감응전동기

GB 18613-2006

중소형 감응전동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워터칠링유닛

GB 19577-2004

워터칠링유닛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가정용 가스온수기 및

가스난방보일러

GB 20665-2006

가정용 가스온수기와 가스난방보일러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4차

회전조절형

실내공기조절기

GB 21455-2008

회전조절형 실내공기조절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009.3.1

멀티 열펌프 에어컨 유닛

GB 21454-2008

멀티 열펌프 에어컨 유닛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저장형 전기온수기

GB 21519-2008

저장형 전기온수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가정용 인덕션 쿠커

GB 21456-2008

가정용 인덕션 쿠커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PC용 모니터

GB 21520-2008

PC 모니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복사기

GB 21521-2008

복사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5차

자동 전기밥솥

GB 12021.6-2008

자동 전기밥솥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2010.3.1

선풍기

GB 12021.9-2008

교류 전동기를 사용한 선풍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교류접촉기

GB 21518-2008

교류접촉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용적형 공기압축기

GB 19153-2009

용적형 공기압축기 에너지효율 제한치 및 에너지효율등급

 

 

자료원 : 국가질량검험검역총국, 節能信息網,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종합

중국-홍콩, 10년 이내 단일교통망 조성

- 광저우-심천-홍콩 고속철도건설 연내 착공 -

- 2015년에는 홍콩에서 중국 16개 도시로 논스톱 이동 가능 -

 

  

□ 개요

 

 ○ 광저우-심천-홍콩을 잇는 고속철도 공사가 연내 본격화될 전망임. 이 고속철도는 중국 내륙지역 철로와 연결돼 공사가 완공되는 2015년에는 중국과 홍콩이 단일 교통망을 이루게 됨.

 

□ 추진경과

 

 ○ 2005년 9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고속철도건설 사업타당성 검토를 끝낸 뒤 같은 해 12월 18일 정식으로 중국 내륙지역(광저우-심천) 철도건설이 착공됨. 홍콩 철도는 올 연내 착공 예정임.

  - 중국 내륙철도는 2010년 7월, 광저우난(广州南)-선전베이(深圳北)노선을 완공하고, 2012년 푸톈(福田)노선 완공으로 전 지역 철도공정이 완료될 계획임. 현재 홍콩부분 철도는 2014~15년 완공을 목표로 함.

 

철도건설 추진경과

2005년 12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비준 하에 12월 18일 중국 내륙 부분 정식착공

2006년 8월

광저우-심천-홍콩 여객선유한공사 정식설립

2007년 5월

홍콩 부분 철도 현지조사보고 완료

2008년 1월

지하터널과 서구룡(西九龍) 종점 기초설계

2009년 2월

관련 정부기관 협의 하에 2009년 내에 착공하기로 결정

자료원 : 광저우, 홍콩 정부기관 발표자료

 

 ○ 자금조달

  - 중국 내륙지역 철도는 167억 위앤으로 중국 중앙정부와 광저우시가 각 50%씩 부담하고 광저우-심천-홍콩 여객선 유한공사를 설립, 진행함. 홍콩 지역 내 철도는 6조5669억 홍콩달러가 투입되며 홍콩정부가 부담함.

 

□ 운행구간

 

 ○ 총길이 142㎞인 광저우-심천-홍콩고속철도(广深港高速鐵路)는 크게 광저우-둥관-선전-홍콩을 연결하며, 중국 내륙 주요 세 도시를 통과해 홍콩 서구룡역에 종착함.

  - 중국 내륙 부분, 홍콩 부분 철도길이는 각 116㎞, 26㎞이며 각각 시속 350㎞, 200㎞로 운행됨. 총 운행시간은 약 48분으로 요금은 180홍콩달러로 예상됨.

 

광저우-심천-홍콩 고속철도역

중국

광저(广州)

둥관(東莞)

심천(深□)

세부위치

판위

(番禺)

판위똥총진

(番禺東涌鎭)

둥관후먼

(東莞虎門)

꽝밍신취

(光明新區)

바오안

(宝安)

푸톈

(福田)

역이름

광저우난

(广州南)

똥총

(東涌)

후먼

(虎門)

꽝밍

(光明)

션전베이

(深圳北)

푸톈

(福田)

홍콩

서구룡(西九龍)지역의 서구룡 역

자료원 : 홍콩 고속도로국

 

광저우-심천-홍콩 고속 철도

자료원 : 위키피디아

주 : 붉은색-중국 내륙 지역 내 철도, 파란색-홍콩지역 내 철도, 검은색-기존 고속철도)

 

□ 기대효과

 

 ○ 육로이용 방문객 대폭 증가

  - 통계에 의하면, 육로를 통한 중국인의 홍콩방문 횟수는 1998년 7500만 명에서 2008년 1억6300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음. 앞으로 고속철도가 완성되는 2016년에는 매년 2억5000명 이상의 중국인 방문할 것으로 예상됨. 참고로 홍콩 지하철 및 고속철도 운영고문인 Systra사의 Jacques Rabouel은 고속철도를 주로 이용하는 고객은 중국 심천-홍콩(60%), 광둥성-홍콩(20%)이 될 것으로 예상함.

 

 ○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 고속철도는 교통체증 해소뿐만 아니라 녹색경제 성장에도 도움이 될 전망임. 고속철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항공기,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각각 1/3, 1/2 수준임.

 

□ 시사점 및 전망

 

 ○ 중국-홍콩 단일교통망 형성

  - 광저우-심천-홍콩 고속철도는 현재 중국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4종4횡(四縱四橫)’ 전국철도망의 한 획을 담당하게 될 것이며, 고속철도가 완공되는 2015년에는 홍콩의 서구룡(西九龍)역에서 중국 내륙 16개 주요 도시로 논스톱(non-stop) 이동이 가능해질 전망임. 이로써 홍콩과 중국은 단일 교통망을 형성하게 됨.

  - 홍콩 운수물류학회 양강예(梁剛銳) 전 회장은 광둥-심천-홍콩 고속철도 건설로 홍콩은 중국 내륙 교통망에 진입했으며, 이로써 홍콩은 중국과 세계를 연결하는 창문 역할을 지속적으로 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함.

 

 ○ 홍콩기업의 중국진출 확대

  - 홍콩 중소기업상회 옥굉빈(吳宏斌) 회장은 중국의 홍콩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점을 강조하며 중국 내륙지역과의 접근성 확대로 홍콩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이 앞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밝힘.

 

 ○ 항공이용객 감소

  - 한편 홍콩 지하철 및 고속철도 운영고문 Jacques Rabouel은 프랑스 파리의 경우 고속철도가 20%의 항공승객 수요를 흡수했다는 점을 들면서 홍콩-광저우 항공 노선 같은 경우 앞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고 언급함.

 

 

자료원 : 홍콩 언론 종합, 홍콩 출입국 관리소, 중국 언론 종합

일본, 바이어의 솔직한 속내는

     

     

□ 한일 기업간 격차 줄어

     

 ○ 삼성을 비롯한 한국 주요 대기업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 결과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면에서 일본의 동종업계를 먼발치로 따돌린 것은 일본에서 화제가 되도 있음.

     

 ○ 이러한 대기업의 성공에는 수많은 중소기업의 노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한국 중소기업에 대한 일본 바이어의 평가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음.

     

 ○ 지난 1년간 일본기업 구매 담당자를 인터뷰하여 한국기업에 대한 평가와 솔직한 속내를 글로벌 윈도우를 통해 연재하였으며,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지난 인터뷰 중에서 한국기업이 일본 시장에서 보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바이어의 조언을 종합하였음.

     

□ 전기, 기계관련 부품기업T사

     

 ○ 무엇보다도 제품 품질관리 면에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불량품이 발생한다면 양품으로 바꾸어 주면 그만 이라는 생각은 금물.

     

 ○ 고객사에 불량품이 유출되었다고 하면 LOT불량으로 대처하여 고객의 신뢰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

     

□ 종합가전 대기업 H사

     

 ○ 한국기업의 좋은 점을 적극적으로 알려 고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함.

     

 ○ 한국기업의 대부분은 생산현장에서 톱다운(Top-down)방식으로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는 공정별 작업의 연결성이 떨어지는 방식임.

     

 ○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시대로 작업하기 보다는 지시대로 제조하여 공정별 검사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응이 필요함.

     

□ 석유화학, 생활용품 K사

     

 ○ 가격면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품질위주로 시장접근이 필요함.

     

 ○ 섬유제품의 경우 중국기업은 대량 LOT만 대응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은 소량 LOT에 대응하면서 특수한 제품과 품질위주로 대응하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

     

□ 플라스틱성형용 금형제조 S제작소

 

 ○ 한국기업의 경우 종래의 마케팅 방식으로는 신규고객확보가 어려우며 자동차 개발단계에서 금형 수정제안 및 검사JIG 제공 등과 같은 부가가치를 함께 제공하여야 거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담당자의 잦은 이직은 안정적인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으로서는 거부감이 느껴지며 의사소통에도 어려움이 생김.

     

□ 건자재기업 N사

     

 ○ 일본기업은 제품품질에 대하여 본질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도 대단히 신경 쓰는 경향이 강함.

     

 ○ 한국기업으로부터 제품을 공급 받을 때는 어떤 경우라도 불량품이 섞여있으면 안되나 현실적으로는 불량품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가 서로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함.

     

 ○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산 제품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일본제품 대비 동등하게 인식되지 않음. 이런 부분을 넘지 않고는 한국산 제품의 일본판매는 어려움.

     

□ 문구관련 T사

     

 ○ 일본 국내사정이 좋지 않으므로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안 해 주기를 기대함.   

     

□ 자동차금형 F사

     

 ○ 한국기업은 기본적으로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나 기존 방식을 고집하는 느낌이 있으며  금형의 제조방법 역시 과거의 방법에서 최첨단 방법을 도입하도록 조언을 하면 신기술 도입에 따른 가격인상을 우려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음.

     

 ○ 바이어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정확하게 체크가 안 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해외영업 담당자와 현장 담당자간의 의사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음. 이러한 점을 수정한다면 일본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주방용품 전문 바이어 T사

     

 ○ 한국의 주방 용품은 예전보다 많이 향상되었으나, 무언가 눈에 띌만한 심플함과 고급감이 다소 떨어지는 느낌.

     

 ○ 좀 더 한국 제품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 상품의 기획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됨.

     

 ○ 디자인이 뛰어나고 실용성이 있는 제품이면 일본에서도 고가의 주방용품으로 판매 가능하다고 생각됨.    

     

□ 대형 유통전문업체 J사

     

 ○ 홈센터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은 무엇보다 가격경쟁력이 중요한데 가격면에서 아무래도 한국제품이 중국제품에 뒤지는 게 현실.

     

 ○ 한국 제품이 일본 홈센터에서 보다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 가격면의 불리함을 이겨낼 수 있는 우수한 디자인 제품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음.

     

□ 화장품수입 C사

     

 ○ 한국업체 중에서 한국에서 성공했으니까 일본에서도 잘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업체들이 많이 있음.

     

 ○ 그러나 실제로 판매해 본 결과 한국에서 판매가 좋은 상품이 일본에서 판매가 부진했고 한국에서 부진한 상품이 일본에서 성공한 경우도 있음.

     

 ○ 한국에서의 실적 보다는 일본의 화장품 동향과 일본사람들의 성향을 분석해서 거기에 맞는 제품을 출시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함.

     

□ 가구전문 수입 E사

 

 ○ 중국의 경우, 지역한정으로 의자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그 지역에서는 의자의 모든

    부품을 갖출 수 있으며 제품도 다양하여 생산 효율성이 좋음.

     

 ○ 한국도 중국처럼 각 상품의 전문성을 살려 나라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로 진행한다면

    좋은 상품을 보다 빨리, 보다 싸게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

     

□ 온라인 결재시스템 N사

     

 ○ 일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 단독으로는 어렵고, 반드시 협력업체를 찾아 도움을 받아서 진출해야 함.  

     

 ○ 일본에 진출해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는 M사의 경우 일본의 G사와 제휴를 한 이후 크게 성공하였음.  

     

 ○ 일본의 상황을 잘 아는 기업과 제휴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함.

     

□ 전자기기 전문업체 R사

 

 ○ 제품 개발, 생산, 납품에 이르기까지 담당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

     

 ○ 통상 한국 기업은 무조건 다 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이는데 이보다는 가능한 부분과 불가능한 부분을 파악하여 정보 교환을 하는 것이 일본적인 방식임.

     

□ 시사점

     

 ○ 인터뷰한 거의 모든 바이어는 제품 경쟁력은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에 비해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는 데에 이견이 없으나, 가격 경쟁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또한 빠른 결론보다 지속적인 협의과정을 중시하는 일본 특유의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한국기업이 이해하고 존중해 준다면 일본시장에서의 종합적인 경쟁력이 올라갈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음.

          

     

 자료원 : KOTRA 도쿄KBC 바이어와 인터뷰(2009년 6월 ~ 12월

친환경기술과 제품이 모였다 - 파리환경박람회 현장스케치

- 2009년 12월 1일부터 4일간 파리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환경 관련 전시회 -

 

 

 

□ 파리 환경박람회(POLLUTEC) 소개

 

 ㅇ 리옹과 격년제로 번갈아가며 개최되는 유럽 최대 환경 관련 박람회로 올해로 25회를 맞이함. ‘지속가능한 환경개발’과 ‘환경보호’를 슬로건으로 꾸준히 규모를 확대해 온 이 박람회는 올해 12월 1~4일 개최됐으며, 일반적인 환경오염 처리업체부터 환경보호를 위해 필요한 기술, 컨설팅, 제품, 서비스 제공기업까지 관련업계가 총망라돼 참가함.

 

 ㅇ 올해에는 28개국 1200여 업체가 참가, 자사 기술과 네트워크, 제품 등을 전시 및 홍보했으며 박람회 기간에 국제환경정책, 환경기술 등 환경분야 주요이슈에 대한 각종 심포지엄과 이벤트도 병행해 개최됨.

 

 ㅇ 전시분야는 토양, 해양, 대기, 소음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에너지 및 자원 절약기술, 정화, 예방, 감시, 재활용, 컨설팅 등이었으며 자연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기술 또한 전시됨.

 

 ㅇ 여러 국가를 대표한 업체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기술력에서 우세를 보이는 유럽지역 참여율이 높았는데, 이 업체들의 높은 기술력과 환경변화에 대한 정보수집을 위해 많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방문했음.

 

 ㅇ 상대적으로 환경이슈에 관심이 낮아 기술 측면에서 발전 정도가 낮은 국가 출신 바이어들 역시 최근 환경에 대한 중요성 탓인지 다수가 전시장을 찾아 선진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그들의 노력과 관심을 짐작케 함.

 

□ 2009년 주요 전시테마 및 관련동향

 

 ㅇ 환경오염 처리

  - 매년 신기술 개발에 따라 오염처리 관련기술에도 새로운 변화가 엿보임. 전시품은 크게 대기, 폐기물, 수질, 토양오염 관련 처리기술이 집약된 제품 및 기계, 장비들로 나뉨.

  - 또한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s)를 이용한 친환경기술도 등장. 이 기술은 일본, 캐나다, 중국, 미국 등지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기술로 폐수방지를 위해 사용했던 화약약품을 대체할 수 있어 대표적인 친환경기술로 떠오름.

  - 대기오염과 관련된 처리기술은 이번 전시회의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로 대기상태 측정 및 분석, 대기오염 처리기술분야가 중점 분야였음.

  - 폐수처리와 관련해서는 오폐수 처리, 중수도, 우수 재이용, 슬러지 처리, 정수기기 등 오폐수 정화부터 재처리, 분리, 여과, 측정, 모니터링, 분석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분야에 걸친 제품들이 전시됨.

 

 ㅇ 자원 효율화

  - 천연자원 남용에 따라 자원보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번 전시회에서는 자원 및 소재의 재활용 기술, 설비, 서비스를 특별히 다룬 업체들이 다수였으며 특히 자동차 관련부품 재활용 장비와 기계, 서비스 관련제품이 집중 조명을 받음.

  - 또한 자원의 누수 및 낭비에 따라 유통가격이 천차만별로 바뀔 수 있는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자연자원의 효과적인 수송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와 기계 역시 전시됨.

 

 ㅇ 에너지 및 기후변화

  - 환경분야 최대 이슈인 기후변화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고, 대체에너지 개발이 절실하다는 점을 모두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이 각종 포럼과 이벤트를 통해 광범위하게 다뤄지면서 많은 참가자들 사이에 정보 및 의견 교환이 가능토록 분위기가 형성됐음. 다양한 전시품 역시 등장했는데 주요 컨셉트는 크게 에너지 효율, 재생가능성, 에너지 이동, 온실효과 감축이었음.

 

 ㅇ 환경관련 리스크 관리

  -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유독가스나 바이러스와 같이 산업 및 제조현장에 도사린 수많은 위험요소에 대비한 안전장비가 주요 전시대상

  - 다수의 연구기관 및 전문가들이 위험요소 평가 및 방지, 무선 가스 모니터링 장치, 대기오염 탐색기술 등 환경관련 리스크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제품들을 주로 전시함.

 

□ 시사점

 

 ㅇ 이산화탄소가스 배출에 따른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 이를 해결키 위한 대체에너지 개발을 필두로 환경과 관련된 사안은 전 지구적인 관심사임. 이러한 가운데 환경관련 제품, 기술시장을 선점하려는 국가 및 기업 간의 경쟁과 노력이 치열해짐.

 

 ㅇ 우리나라와 기업 역시 무공해 신재생에너지 및 오염방지 기술 개발 등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면 관련 제품 및 기술 개발, 환경분야 종사 기업 수 및 규모 등에서 여타 선진국과의 격차를 최대한 빨리 따라잡아야 하는 상황임.

 

 ㅇ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최신 기술과 제품을 우선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 박람회 참가 한국기업 수가 5개사였다는 점은 아쉬우나 앞으로 지속적으로 환경분야 트렌드를 면밀히 살펴 관련 기술 및 제품 개발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임.

 

 

자료원 : 코트라 파리KBC 박람회 참가 기록

[주요국가 종합] 히트상품, 컬러로 말한다

 

 

 

 ○ 기술, 자본, 노동력의 국경 간 이동이 갈수록 자유로워지면서 제품의 핵심경쟁력이 상향표준화되고 있음.

 

 ○ 이에 따라 '기술을 파는 기술'로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한편, 일각에서는 "경영자들은 전문가들에게 디자인 업무를 전적으로 맡겨야 한다."며 'CDO(Chief Design Officer)'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함.

 

(例) 모로코 소매업계의 기본색상표

 

 ○ 이러한 동향과 관련해 디자인의 핵심요소 중 하나이며, 지역별로 비교적 고유한 특성을 보이는 색 선호도를 소개하고자 함.(국가별 리포트는 글 아래 링크 또는 ‘관련기사’ 참조)

 

국가별 전통적 선호-비선호 컬러 및 새로운 선호 컬러

국가

구분

제품군

미국

전통적

선호 컬러

냉장고, 세탁기 등

화이트, 아몬드

소형생활가전

자동차

실버(25%) : 9년간 선호도 1위

2위 화이트, 3위 블랙

전자제품(컴퓨터, 카메라 등)

블랙, 그레이

미용제품

화이트, 핑크, 베이비블루 등

실내 인테리어(침구류 등)

특별한 컬러보다 시즌 유행 컬러

새로운

선호 컬러

냉장고, 세탁기 등

스테인리스 스틸 유행으로 그레이

소형생활가전

포인트용 컬러 선택

자동차

변화 없음.

전자제품(컴퓨터, 카메라 등)

개성 표현할 수 있는 멀티플 컬러.

아이팟 영향으로 화이트 선호 증가

미용제품

그린, 베이지 등 내추럴 컬러.

또는 톡톡 튀는 원색

실내 인테리어(침구류 등)

그린, 베이지, 브라운 등

이탈리아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화이트

자동차

레드

가구

오크, 체리, 블랙

전통적

비선호 컬러

특별히 대중이 금기하거나 선호하지 않는 컬러는 없으며, 이탈리아는 세계 유행의 출발지 중 하나인 관계로 다양한 분야에서 화려한 색채의 실험이 시도되는 상황임.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연두색, 보라색, 오렌지색 등의 원색

자동차

화이트, 펄 화이트

가구

옵틱 화이트

그리스

전통적

선호 컬러

백색가전

블랙, 화이트, Inox, 그레이

가전제품

블랙, 화이트, Inox, 그레이

소형 디지털 가전제품

블랙, 화이트, Inox, 그레이

자동차

블랙, 화이트, Inox, 그레이, 레드, 블루

전통적

비선호 컬러

전통적으로 비선호 컬러 혹은 금기 컬러 없음.

새로운

선호 컬러

백색가전

진한 빨강색, 자주색

가전제품

빨강색

소형 디지털 가전제품

분홍색, 노랑색, 빨강색

자동차

보라색, 분홍색,

일반 기존 색상에 펄을 입힌 색

중국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흰색바탕에 연한 핑크

자동차

검정 또는 흰색

의류

붉은색

컬러TV

회색

냉장고

흰색

가구

적홍색, 밤색

전자, IT

흰색

전통적

비선호 컬러

검정색은 반혁명, 불법, 암흑 등을 상징하며 흰색은 사망을 의미해 꺼림.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흰색 선호도 높으나 다양화

자동차

은회색, 검정색, 회색

의류

흰색, 베이지색, 밝은 보라색, 핑크

컬러TV

검정색

냉장고

와인색

전자, IT

하늘색

가구

흰색, 검정, 커피색, 원목색 등 다양

영국

전통적

선호 컬러

백색가전

흰색, 검정, 은색

자동차

검정, 은색, 파랑, 빨강

핸드폰 케이스

검정, 흰색

의류 액세서리

검정, 곤색, 갈색

문구용품

검정, 빨강, 파랑 등

전통적

비선호 컬러

조사결과 핑크색 자동차는 전통적으로 가장 비호감인 것으로 나타남.

새로운

선호 컬러

백색가전

핑크, 퍼플 등 화려한 색

자동차

검정, 은색, 흰색, 아이보리색 등

핸드폰 케이스

빨강, 핑크,

의류 액세서리

핑크, 빨강

문구용품

다양한 색 종합

인도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흰색, 검정

자동차

화이트 솔리드, 화이트 펄

오토바이

검정

스쿠터(여성용)

흰색

핸드폰

검정

펜과 잉크

파랑

비누

핑크

전통적

비선호 컬러

전통적으로 원색계열을 피하고 한 톤 어두운 색상을 선호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흰색, 검정

자동차

화이트 솔리드, 화이트 펄, 실버, 검정, 빨강

오토바이

검정, 빨강, 노랑

스쿠터(여성용)

핑크

노트북

검정, 실버, 빨강, 흰색

비누(목욕용)

흰색

일본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흰색, 은색, 회색 등 무채색

자동차

검정, 흰색, 은색, 회색 등

의류

베이지, 그레이, 검정, 흰색, 채도가 낮은 튀지 않는 파스텔톤 컬러

전통적

비선호 컬러

도쿄를 비롯한 관동지역의 경우 골드, 채도가 선명한 색이나 호피무늬와 같은 화려한 색을 꺼리는 경향이 강했음.(오사카는 화려한 색상을 선호)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핑크, 파란색, 와인색 등 강렬한 색상이 등장

자동차

도요타 소형차인 iQ, Vits는 12~13개라는 이례적으로 많은 색상을 채용. 소형차일수록 채도가 높은 색상을 채용하는 경향이 강함.

의류

유니클로의 경우 프리즈나 히트테크(발열속옷)와 같은 주력상품 같은 모델에 10종류 이상의 색상을 채용해 인기

크로아티아

전통적

선호 컬러

자동차

black, silver, gray

텔레비전

white

홈시어터

white

세탁기

white

DVD 플레이어

black

디지털 카메라

black

오븐

black

오븐

silver

에어컨

silver

냉장고

silver

거실 및 침실가구

wood 계열

주방가구

vanilla, dark white, wood 계열

전통적

비선호 컬러

거실 및 침실가구

orange와 같은 매우 밝은 색 계열

주방가구

orange와 같은 매우 밝은 색 계열

자동차

orange, yellow

새로운

선호 컬러

핸드폰

red

자동차

white

주방가구

violet

거실 및 침실가구

plum

캐나다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흰색

자동차

흰색, 은색, 검정색

전자제품

검정색, 은색

인테리어

아이보리, 흰색, 갈색, 회색 등 단조롭고 무난한 색

전통적

비선호 컬러

무지개색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은색, 회색, 검정색

소형가전(청소기, 다리미)

노랑, 라일락, 빨강, 파랑 등 원색

전자제품

은색, 회색, 흰색, 검정색

소형전자제품

(넷북, MP3, 카메라)

핫핑크, 노랑, 연두, 진파랑 등 원색

인테리어

내추럴 : 연두, 노랑, 오렌지, 하늘색

전통적 : 카키, 커피색, 연회색

모로코

선호 컬러

가전

흰색, 검정색, 회색

자동차

- 소형차 : 원색계열의 밝고 가벼운 색상

- 중대형차 : 검정, 은색, 회색 등 보수적 생상

의류

- 춘하복 : 밝고 가벼운 색상

- 춘추복 : 흑백, 베이지 계열의 차분한 색상

독일

새로운

선호 컬러

거실가구

보라색

부엌가구 및 가전

자연색채

자동차

브라운

전통적

비선호 컬러

아이보리, 옅은 핑크, 주황색

카자흐스탄

전통적

선호 컬러

가전

어두운 계통

자동차

검정, 어두운 계통

의류

검정색, 회색

TV

검정

가구

밤색, 원목

냉장고

백색

전자, IT

검정

전통적

비선호 컬러

핑크, 노랑, 보라 등 현란한 색 기피

새로운

선호 컬러

가전

흰색

자동차

은회색, 흰색, 회색

의류

흰색, 베이지, 밝은 보라, 핑크

TV

검정

냉장고

와인

가구

흰색, 검정, 커피색, 원목 등 다양화

전자, IT

하늘색, 핑크

 

 ○ 아래에 열거한 주요국가별 “히트상품, 컬러로 말한다” 국가별 리포트 원문을 보시려면, www.globalwindow.org 초기화면 윗부분 통합검색란에 [종합] 히트상품, 컬러로 말한다 로 검색하시면, 하기 국가별 리포트 원문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 캐나다

  - 이탈리아

  - 그리스

  - 영국

  - 크로아티아

  - 독일

  - 인도

  - 일본

  - 중국

  - 모로코

  - 카자흐스탄

 

자료원 : 국별 KOTRA KBC 조사자료

2. 상품 / 산업

中, 대형 평판디스플레이 시장 2009년 매출 95억 위앤

     

     

○ FPD(Flat Panel Display) B2B 시장은 텔레비전 혹은 디스플레이 설비가 상업 및 공공 영역에 응용되고 관련 산업 사용자에게 판매되는 시장을 가리킴.

 

○ FPD B2B시장은 주로 LCD、PDP、LED、DLP/Lcos 등 평판 디스플레이기술을 위조로 7인치~100인치에 이르는 모니터가 포함됨.

     

     

□ FPD B2B시장 지속적인 발전세, 2009년 200만대 기록

     

 ○ AVC컨설팅회사의 <2009년 중국 FPD B2B시장보고>에 의하면 중국 FPD B2B시장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46% 증가한 201만대로 판매액이 95억위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 2009년 FPD B2B 시장규모는 전반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의 8%를 점유함으로써 중요역할을 발휘함.

     

중국 FPD B2B 시장규모 발전추세

(단위:만 대)

     

자료원: AVC컨설팅회사

     

□ FPD B2B 시장 세분화: 자국산&수입산 경쟁 심해

     

 ○ 주로 PID와 TV의 응용

  - TV-호텔 점유율은 34%로 가장 컸고 주로 중․고급 호텔, 별장 등에 응용됨. 최근 들어 올림픽, 엑스포, 아시안게임 등 대형 축제행사에 힘입어 중국 호텔산업은 급속한 발전단계에 처함. 2009년 호텔 텔레비전의 판매규모는 약 60만대를 초과할 것이며 향후 2,3년간 안정적인 발전세를 보일 것임.

  - 상업서비스 점유율은 17%로 제2위를 차지함. 이는 소매, 호텔, 음식 엔터테인먼트, 의약, 영화관 등 많은 산업이 포함됨.

  - 공공(대중)교통은 공항, 지하철, 철도, 고속도로 등 국가 인프라건설에 힘입어 고속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FPD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임.

  - 에너지, 은행, 전신 등 기업 서비스 영역은 독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FPD에 대한 감독, 정보 발표 등 분야의 응용이 많아짐.

     

2009년  FPD B2B 분야별 판매량 점유율 현황

     

     자료원: AVC컨설팅회사

     

 ○ FPD B2B 시장 제품 크기도 풍부해졌음. 7”~100”에 이름. TV 응용은 주로 32인치의 객실TV가 위주이고 PID 응용은 40/42인치가 위주이며 20인치 이하 제품은 주로 차체내부와 아파트에 사용됨.

 

2009년 중국  FPD B2B 크기별 제품 판매량 점유율

    

자료원: AVC컨설팅회사

     

 ○ hisense, changhong, haier 등 자국산 브랜드는 전반 B2B 시장 점유율에서 상위를 차지함. 2009년 자국산 브랜드 누계 시장 점유율은 67%에 달했고 LG, 삼성, 필립스, 파나소닉 등 외자 브랜드가 뒤를 이었으며 일부 외자 브랜드는 판매액과 대형 스크린 시장에서 경쟁 우세를 보임.  

  - 전체 PID 시장 중, 파나소닉, LG, 샤프, 삼성 등 외자 브랜드가 고급시장을 점유하고 haier, konka, hisense, TCL, changhong 등 자국산 브랜드는 중․저급 시장에서 발전함.

  - TV 시장 중, 고급호텔, 별장, 고급 아파트 등 분야에 필립스, LG, 삼성이 상위 3위를 차지했고 대바분 자국산 브랜드는 저렴한 가격우위로 저급호텔 및 오락시설 시장을 점유함.  파나소닉 외 기타 브랜드는  PID와 TV시장을 골고루 점유함.

     

 ○ FPD B2B 시장의 결정요소는 브랜드 시장 점유율 외에 전문적인 B2B 업무 시스템 보유여부가 관건 요소로 꼽힘.

     

2009년 중국 FPD B2B 시장 경쟁 브랜드별 판매 점유율 추이

                                                                                                          (단위: %)

    자료원: AVC컨설팅회사

     

□ FPD B2B시장 향후 발전추세

     

 ○ 2010년 중국 FPD B2B시장은 2009년 대비 훨씬 증가할 것이며 시장규모는 300만대로 증가율이 50%를 초과할 것임.  

  - PID는 산업 커버율이 높고 발전 잠재력이 크기에 TV에 비해 경쟁력이 있음. 2010년 PID 증가율은 63%로, 오는 2012년에는 PID의 B2B 규모는 TV시장을 초과할 것임.

     

 ○ 크기, 규격에 대한 수요가 대형화 추세로써 2010년 40인치 이상의 모니터 비중이 3%p 증가할 것임. FPD B2B시장에서 전용 모니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일부 PID 응용은 광도, 해상도, 먼지방지 등 기능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남. 오는 2010년까지 전문 모니터의 비중은 전반 B2B시장의 9%를 차지할 것임.

     

 ○ FPD B2B의 가장 큰 특징은 업무 시스템의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독립적인 기술 지원과 고객대응 시스템을 보유하는 것임. FPD B2B는 상업 및 텔레비전 방송, 광고 방송, 또한 생산 및 상업 활동 감독, 정보, 비디오 응용 등 기타 영역에 사용됨. 디스플레이 기술, 터치스크린 기술, 자동 감응 및 조사 기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함께 FPD는 끊임없이 신규 응용 영역에로 확장하며 일상생활에 편리를 도모할 것임.

     

자료원: 慧聪家电网

     

중국 페인트기업의 3,4선급 시장 공략

- 수성화 도료 인기, 친환경이 판매포인트 -

     

 

□ 페인트기업의 3,4선급 시장

     

 ○ 중국 1인당 연간 페인트 소비량은 2.5kg에 달함으로써 카타르 51.7㎏, 싱가포르 38㎏, 미국 25.8㎏에 비해 훨씬 적은 편이며 따라서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반증함.

 

 ○ 최근 브랜드 인지도와 실력을 갖춘 대형 페인트 제조업체의 수익율과 증가율이 모두 페인트 전반 산업의 평균치를 훨씬 초가함.

  - 일본 닛퐁 (Nippon) 페인트와 영국 듈럭스(Dulux) 페인트가 각각 중국 건축용 페인트시장의 41%와 25%를 점유했고 페인트시장이 빠른 속도로 대기업과 유명 브랜드로 집중됨.

  - 중국 페인트시장을 살펴보면 유명 외자 브랜드는 주로 1,2선급 시장(성소재지와 중요한 중대형 도시 및 중등도시와 중요한 소도시)에만 국한되었고 3,4선급 시장(현급 도시와 鄕鎭 및 농촌)에서는 중소 브랜드 외에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가 적음.

 

     

    

     

 ○ 현재 중국내 현(縣)급 도시는 2,100여 개, 향/진(鄕/鎭)수는 5만 여 개에 이르며 특히 농촌가구(가정)의 경우, 전국 총 가구의 67.6%를 차지함.

  - 근년 ‘사회주의 신농촌’건설을 추진하면서 경제 및 도농 일원화가 빠르게 발전되고 이에 따라 농민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각 지별 인프라, 향/진 주택 건설이 급속히 추진되면서 페인트 수요량이 갈수록 커짐.

  - 중국 농촌 및 현급도시의 소비 시장 규모와 잠재력이 상당함. 농촌의 연간 소비시장 총액은 3만억 위앤에 달했고 농촌 및 현급도시 주민의 주택 및 식품에 대한 지출은 도시 주민에 비해 각각 8%p와 7%p 높음.

     

□ 유명 외자기업의 3,4선급 도시 진출

     

 ○ 3,4선급 도시의 페인트시장 공략에 가장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로컬 페인트 제조업체는 메이투스 페인트(美涂士漆/maydos)임.

  - ‘메이투스 페인트’의 광고문은 중국의 상당수 현, 향/진에 보급됨. 쓰촨(四川)성 루저우(瀘州)시 페인트시장 조사 시 허장(合江)현 산하의 푸바오(福寶)진, 간위(甘雨)진 등 鄕村 도로 옆에 ‘메이투스’ 광고 홍보물이 붙여져 있음.

  - 이외 메이투스는 또 향/진 페인트시장을 대상으로 ‘자자메이(家佳美)’ 신제품 시리즈를 출시 예정이고 농촌시장을 향한 새로운 마케팅모델을 구사하고 있음.

  - 향/진 페인트시장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기 신제품은 포지셔닝이 분명하고 디자인이 정교하며 성능 대 가격 비가 높아 농촌시장 수요에 적합, 향/진 소비자들의 선호를 받고 있음.

  - 메이투스는 또 후난(湖南)성 류양(瀏陽)시에서 ‘자자메이’ 제품시리즈 홍보이벤트를 실시해 현지 판매대리상들로 하여금 농촌 건자재시장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 농촌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마케팅모델에 적응하도록 함.  

     

□ 수성화 도료 인기, 친환경이 판매포인트

     

 ○ 수성도료는 보통 안료와 카세인 같은 수용성 호재(水溶性糊材)의 수용액을 혼합한 도료를 말하며 이는 도료를 칠하기 쉽게 하는 데 쓰는 매체(媒體)로 물을 사용하는 도료로써 갈수록 인기가 높아짐.  

     

 ○ 소비자가 냄새제거, 저VOC도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净味120’, ‘净味全效’ 등 ‘정미(净味)’ 키워드가 판매포인트로 부상되었고 소비자가 구매시 가늠하는 주요 표준으로 인정되었고 수성도료를 포함한 친환경 도료는 도료산업 발전의 필연적 추세임.

  - Nippon, Dulux, maydos, sankeshu, jingdian, zijinghua 등 기업들도 ‘정미’ 상표를 드러내 판매함.  

     

□ 페인트 산업의 ‘저탄소경제발전패턴’

     

 ○ 중국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중국 단위 국내생산총액(GDP)의 이산화탄소배출량은 2005년 대비 40~45% 절감할 목표를 정함.

     

 ○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 후반기부터 중국 페인트산업은 과학기술을 위주로 품질개선을 토대로 한 혁신적 시스템이 점차 형성됨.

  - 화룬(華潤)은 최초로 중국시장에 미국식 도장시리즈 신제품을 출시했으며, Carpoly이 개발한 친수성 목제가구 페인트는 페인트막 경도, 풍만도, 광택도, 내수성 등 지표가 모두 크게 향상됨.

  - 한편 천광(晨光)페인트는 중국 최초로 에너 지절약형 페인트를 개발했으며, 싱관(星冠)은 나노 페인트를 개발해 소비자의 주목을 끌었음.

     

     

자료원: 慧聰塗料網訊, 中國塗料信息網 등 현지 언론

中 에어백 시장, 초기에 공략하자

- 지속적인 자동차 수요증가가 에어백 시장수요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

 

 

1. 시장동향

 

 ㅇ 중국 에어백 업계 현황

 

 

  -  에어백은 자동차 안전시스템 중 기술함량이 높은 분야로 주로 자동차 내부의 전, 후, 측면에 장착되어 있어 교통사고 발생 시 완충 역할을 하며 충격 흡수를 통해 상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영문표기SRS: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

  -  에어백시스템은 충돌감응신호장치, 컴퓨터처리기, 기체발생기, 완충에어백 등으로 구성되며 연구결과에 의하면 에어백을 장착하는 경우 교통사고 사망률을 대형 자동차 30%, 중형 자동차11%, 소형 자동차는 14% 경감 가능

  -  에어백은 미국시장에서 최초로 등장해 유럽,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80년대 말 중국시장으로 유입돼 중국의 에어백에 대한 연구와 보급은 이 시기에 맞춰 진행됨

  -  중국 에어백시장은 발전 속도는 빠르나 기술력과 생산력이 많이 부족한 편이며 핵심기술 역시 해외기술 도입에 의존함

  -  에어백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국가의 안전규정, 자동차 생산량, 에어백 적용자동차 수, 자동차 한 대당 장착 에어백 수량의 이상 4가지 요소로 나뉜다고 볼 수 있으며 국가 안전규정과 자동차 생산량이 중국 에어백시장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소

  -  최근 중국은 경제발전에 따라 자동차 생산량과 구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자동차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 에어백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음

  - 현재 자동차 안전시스템은 연평균 25%의 급성장세를 보이며 중국 자동차 관련 전자기기 영역에서 가장 많은 수요를 창출하고 있음

 

 ㅇ 에어백 시장 정책환경 분석

  - 중국정부는 자동차소비 촉진을 위해 주로 배기량이 1.6L이하 자동차 구입세 50% 면세, 자동차 구입 농민에게 일정 비용 보조, 구/신제품 교환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뚜렷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2009년1~10월 기간 동안 배기량이 1.6L 이하인 자동차 판매량은 570만 대로 동기대비 63.2% 증가했으며 2009년 현재까지 농촌의 자동차 구매량은 200만 대를 돌파해 동기대비 80% 성장률을 보임.

   

2004년~2008년 중국 자동차 생산량 추세

 

  - 특히, 2000년 중국정부는 ‘정면충돌탑승인원보호디자인법칙’이라는 법규를 발표하면서 자동차의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강화함.

  - 2006년7월에는 자동차안전에 관한 국가강제표준인 ‘자동차측면충돌시탑승인원보호’와’자동차후면충돌액체연료시스템안전요구’가 정식 시행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기본 안전강화에 대한 정책적 요구의 강화와 시행이 향후 중국 에어백 시장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에어백 시장수요 및 사용현황 분석

  - 중국 에어백시장은 아직 성장기에 있으며 관련 정책 및 법규의 시행과 더불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생산량이 에어백시장의 원동력으로 작용.

  - 2006년 자동차 안전제품의 총 수요량은 2004년 대비 두 배 규모로 증가했으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중국의 에어백 시장수요는 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임.

-      2004년 중국의 에어백 생산량은 209만 세트,2005년은 생산량 255만 세트로 동기대비 22% 성장했으며 에어백에 대한 누계 수입량 규모도 꾸준한 증가추세로 2006년 말까지131만 세트로 총 금액은 12,457만 달러에 달함.

   

2004년~2008년 중국 자동차에어백 수요추세

  - 이렇듯 에어백 시장은 이미 크게 발전했으나 보급에 있어서는 아직 성장 단계에 머물러 있음

  - 중국에 에어백이 장착되지 않거나 하나만 장착되는 배기량이 1.6L이하인 소형자동차의 비중이 매우 높고(2006년에 62.7%), 여태까지 국가의 강제적인 장착 규정이 아직 없었기 때문에 에어백 보급이 늘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

  - 향후 강제적인 안전정책 실시와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고급/ 중대형 자동차를 중심으로 에어백 보급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

 

2. 경쟁 및 수입동향

 

□ 에어백시장, 수입제품 점유율 높아

 

 ㅇ 중국은 에어백 생산 기술력이 아직 부족하고 핵심기술은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으로 기술 요구가 높은 에어백ECU,방향 및 속도 감응신호장치, 기체발생기 등은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수입하거나 기술을 도입해 생산하며 2007년까지 상기 국산제품들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10%에 못미침

  - 최근 몇 년 간 중국의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도 상승하고 있으나 외국브랜드가 중국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 중국합자업체에서 생산한 자동차는 대부분 해외브랜드 에어백을 구매,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 국산 에어백은 주로 국산 자동차에 부대 장착으로 사용됨

 

ㅇ 경쟁력 있는 해외 에어백 생산업체들이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에 독자 혹은 합자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음.

  - 일본盧森공업주식회사가 총 17억 위앤을 투자해 芦森科技(無錫)유한공사를 설립, 중국 현지에서 에어백을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 INVISTA 사는 중국에서 가장 큰 에어백 섬유생산 업체를 설립한 바 있음

 

□ 시장점유현황 및 주요 제조업체

 

 ㅇ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에어백의 경우 기술력 부족으로 국내업체와 해외업체간의차이가 있으며 2007년까지 외국브랜드제품이 중국에어백 시장의90%이상을 점유하였으나, 최근에는 중국 국산 생산업체들의 기술력과 생산력이 대폭 성장해 시장점유율도 크게 향상되며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 중국시장에 지명도가 높은 외국업체는 주로 일본TAKATA그룹, 스위스Autoliv, 미국TRW그룹,미국Key Safety Systems Ins 등

  - 대표적인 국내 생산업체는 錦州錦恒,東方久樂,沈陽和昌華寶 등

 

□ 수입통계

 

HS Code 8708.9500: Safety air-bags with inflater system; parts thereof

                                                                       (단위: 백만불, %)

순위

국가명

2007

2008

2009(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34

-

351

5.0

274

-10.7

1

Germany

76

-

71

9.6

68

9.4

2

Japan

64

-

81

5.4

64

-7.5

3

United States

56

-

58

3.8

33

-34.6

4

Mexico

27

-

39

42.6

30

-10.6

5

Korea Rep

37

-

27

-28.6

23

-0.1

6

France

15

-

23

53.3

14

-31.9

7

Thailand

9

-

9

4.5

8

-4.6

8

Romania

11

-

2

32.7

6

363.1

9

Sweden

8

-

9

8.8

6

-27.4

10

Poland

5

-

9

-15.2

5

-45.4

자료원: www.kita.net

 

 ㅇ 총 수입액은 평균 2.8%의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2009년1~10월까지 총 수입액은 274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0.7% 감소함.

 

 ㅇ 수입량이 감소 원인은 두 가지로 먼저 중국업체의 관련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국산 제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해외업체들이 중국에서 독자 혹은 합자 형식으로 생산업체를 설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 한국산 제품 사용 현황

 

 ㅇ 중국 에어백 주요 수입국가는 독일, 일본, 미국, 멕시코 등이며, 한국은 5위를 차지함.

   - 수입액은 2008년에 27백만 달러, 2009년10월까지는 23백만 달러에 달함.

 

 ㅇ 다른 외국업체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에어백 혹은 부품 생산공장을 설립해 제품을 중국시장에 공급하는 한국업체도 있음.

  -  한국현대Mobis주식회사의 경우, 심천航盛전자유한공사와 협력해 공장을 설립한 후 자동차 에어백을 생산하고 있음.

 

 

3. 진출방안 및 관세‧비관세 장벽

 

□ 진출방안

   

 ㅇ 중국 시장에 제품 생산

  - 유럽과 미국에서 수입된 에어백은 도로현황, 체형, 운전습관 등의 차이로 인해 중국 시장과 맞지 않은 경우가 있음. 중국시장에 진출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해 중국시장에 맞는 제품 생산이 요구됨

 

 ㅇ 중국에서 독자 혹은 합자공장 설립

  - 중국의 에어백 수입량은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수입에어백의 가격이 너무 높아 자동차생산업체들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국산 제품이 수입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경쟁력이 강함

  - 따라서 중국에서 공장을 설립해 생산하면 원가를 낮추고 시장점유율을 높이는데 유리할 것으로 보임

 

 ㅇ 에어백 뿐만 아니라 연관 부품인 에어백 ECU, 방향/속도 감응신호장치, 기체발생기 등 제품에 대한 중국업체의 기술력이 아직 많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부품 업계 시장에서 조기 시장진입을 고려하는 것도 시장점유율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됨

        

 □ 관세, 비관세 장벽 정보

 

  ㅇ 특별한 수입 규제정책은 없으나 중고 에어백은 수입 금지 품목임

 

제품명

자동차 에어백

HS Code

8708.9500

단위

KG

관세

10%

증치세

17%

 

 자료원: KBC자체자료종합

중국, 온라인게임 판권 관련 마찰 내년이면 답 나올 듯

- 판권국과 문화국 간 견해 차이 내년에 안정될 듯 -

- 온라인 게임시장은 여전히 성장세 -

 

 

 

□ 온라인 게임 산업동향

     

 ○ 온라인 게임시장 지속적으로 성장

  - 중국정부의 다양한 지원(세금혜택, 투자자금 지원 등)과 인터넷 보급 확산으로 중국의 온라인 게임산업은 성장 일로를 걸어왔음.

  - 2008, 2009년 중국 주요 톱5 온라인 게임사는 Tencent Holdings, Shanda Games, Net Ease, Perfect World, Changyou로 꼽히며, 이들 회사는 무술·모험·전략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PC, 모바일폰 등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제공함.

 

자료원 : South China Morning Post

 

 ○ 수입게임 비중 여전히 높음

  - 자체 R&D기반이 약하고 외국배급자의 공격적인 중국 진출로 국내 온라인 게임보다는 수입게임 비중이 높음.

  - Shanda사의 경우, 31개 온라인 게임 중 10개가 수입제품임.

 

□ 라이선스 관련 최근 이슈

 

 ○ 온라인 게임업체 인가제도와 관련, 중국정부 부처별 규제와 모순된 등록절차로 게임배급사의 서비스 운영이 불안정한 상황임. 온라인 게임업체는 중국 언론출판당국에서 온라인 게임 취급 승인을 받고 문화국에서 개별 온라인 게임 운영권 승인 및 감독을 받아야 하는데 관련 기준 및 절차가 모호하고 복잡함.

  - 현재 중국 언론출판당국이 승인하지 않은 수입게임은 언제든지 언론출판당국에 의해 서비스가 정지될 수 있음. 언론출판당국 외에 중국 문화국에서도 온라인 게임 관련 규제를 담당하는데 근래 온라인 게임이 활성화되면서 수입게임들에 대한 규제를 두고 두 정부 부처의 업무가 중복되고 승인 기준 및 권한에 모순이 발생해 게임 업체들의 혼란이 야기됨.

  - World of Warcraft의 경우 기존 배급사였던 The9에서 Net Ease사로 배급사가 바뀌면서 Net Ease사는 2009년 7월 문화국에서 온라인 게임 운영권을 승인받았으나, 언론출판당국에서는 시장규제 관행에 따라 수입된 게임의 배급사가 변경될 경우 판권등록을 다시 해야한다는 이유로 새로운 상업적 콘텐츠 서비스를 갑자기 중단함.

 

 ○ 주가하락 등 온라인 게임기업에 불안기류 형성

  - 지배권에 관한 상이한 중국 내륙 규제가 온라인 게임산업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JP Morgan은 이러한 규제 마찰이 투자심리 저하로 이어져 2009년 4분기 게임업계 주가가 하락한다고 발표함.

  - 애초에 중국시장을 대상으로 게임제조 및 배급을 진행하는 우리기업도 많아 해당 건의 귀추가 주목됨.

 

□ 향후 전망 : 내년부터 관할권 통합될 듯

 

 ○ 다행히도 규제상의 혼돈은 지속되지 않을 전망임. 2009년 말까지 중앙 정부가 두 기관의 권력 분담을 확정해 2010년부터는 각 기관의 역할이 확실해지고 온라인 게임 판권에 관한 규정 역시 통일될 것으로 예상됨.

 

 ○ 홍콩 JP Morgan, 온라인 게임시장 여전히 유망

  - 홍콩 JP Morgan에 따르면, 2009년 현재 중국 인터넷사용자는 3억3800만 명 이상이며, 온라인 게임 사용자는 1억700만 명임. 온라인 게임 사용자는 2011, 2012년에 각각 1억3900만 명, 2억7200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임. 2012년 예상 수익은 2009년(260억 위앤)의 3배 규모인 731억3000만 위앤에 달할 전망임.

 

중국 온라인게임 시장규모

      (단위 : 십억 위앤)

주 : 파란색-온라인게임 시장규모, 빨간색-연간 성장률(%)

자료원 : Analysis International, IDC, South China Morning Post

 

 ○ 국내 게임시장 포화현상, 중국시장 진출로 돌파구 마련

  - 한국은 게임업체 간 경쟁심화와 소수 인기게임의 시장독식으로 중소기업 입지가 점차 약화되는 등 내수시장이 갈수록 취약해짐.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에 수출하는 방안으로 국내 시장포화를 극복할 수 있음.

  - 참고로 Shanda사가 2005년 중국시장에 소개한 후 지속적인 인기를 얻은 아이템(주로 무기류) 중  RPG게임은 앞으로도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돼 관련 업체는 관심이 요망됨(아이템 게임은 중국 온라인 게임 수익 중 약 76% 차지).

 

 

자료원 : 홍콩 언론종합

中, 3G와 만난 스마트폰시장 열기 뜨겁다

- iPhone 진입 이후 BlackBerry, 중국시장 진입 초읽기 -

 

 

 

□ 2009년 중국 휴대폰시장 및 3G 휴대폰 판매량

 

 ○ ‘2009년 중국 휴대폰산업 수뇌 포럼’에서 중국 공업신식화부의 관계자에 따르면 2009년 중국 휴대폰 생산 및 판매량은 대폭 하락했으며, 2009년 휴대폰 생산량은 6억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수준임. 易觀國際(Enfodesk)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1~3분기 누적 휴대폰 판매량은 1억778만 대이며, 2009년 3분기에는 3907만 대로 전 분기 대비 1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최근 중국 휴대폰시장 판매현황

주 : 정식통관하지 않거나 정식 통신망 미가입 휴대폰(水貨) 미포함

자료원 : 易觀國際(Enfodesk)

 

 ○ 2009년 3분기의 경우 2세대(2G) GSM 휴대폰은 3172만 대, CDMA 휴대폰은 637만 대가 판매됐으며 3세대(3G) 휴대폰의 경우 98만3000여 대가 판매됐으며 이 중 차이나텔레콤 36만7000대, 차이나모바일 32만4000대, 차이나유니콤 29만2000대로 나타남.

  - 차이나유니콤은 지난 11월에야 정식으로 WCDMA 방식의 3G 네트워크를 상용화해 상대적으로 적은 판매를 기록했지만 불과 1개월 만에 100만 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등 빠른 성장을 함.

 

□ 3G시대 개막으로 스마트폰시장 본격화

 

 ○ 3G시대 본격 시작

  - 중국은 지난 2009년 1월 7일 차이나모바일에 TD-SCDMA, 차이나텔레콤에 CDMA2000, 차이나유니콤에 WCDMA 등 제3세대 이동통신(3G) 라이선스를 발급해 3세대 휴대폰시대가 본격 시작됨.

  - 이동통신 3대 운영업체는 3G 서비스의 적극적인 확대를 통해 통화비용 수입 외에 각종 부가서비스 제공을 통한 이익 창출이 가능해 휴대폰 보조금 지원, 저가 3G 휴대폰 보급 등을 통해 3G 휴대폰의 보급에 심혈을 기울임. 또한 아이폰, 블랙베리 등 유명 스마트폰을 도입해 휴대폰 사용자의 이목을 끌어당기는 전략을 구사함.

  - 이처럼 3G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은 과거 2G시대와는 달리 스마트폰시장의 빠른 성장을 가져옴.

 

 ○ 스마트폰 관심도 갈수록 커져

  - 인터넷 소비 조사 연구중심인 ZDC의 ‘2009년 3분기 중국 휴대폰시장 연구 보고’에 따르면 휴대폰 사용자 중 스마트폰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는 61.2%로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3G 휴대폰의 경우 24.3%의 관심도를 보여 전 분기 대비 9%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평균 판매가격은 2323위앤, 3G 휴대폰은 2417위앤으로 나타남. 3G 스마트폰(중국 3세대 이동통신 표준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관심도는 높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판매가격이 비싸고 이용자의 제품기능 이해도가 미흡한 상황으로 이는 3G 스마트폰 보급의 가장 큰 장애가 됨.

 

 ○ 차이나텔레콤, 1000위앤대 스마트폰 출시

  - 통신 전문 컨설팅사인 博思諮問의 예측에 따르면 3G 스마트폰은 2009년 상반기 22만 대 판매에 불과했으나, 2009년 7월 차이나텔레콤의 1000위앤대 휴대폰 출시로 빠른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2009년 10월 처음으로 누적판매 100만 대를 돌파했음. 2009년 중국의 3G 스마트폰 판매량은 560만 대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 중 차이나텔레콤이 280만 대로 전체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함.

 

□ iPhone, 중국시장 진입으로 더욱 뜨거워지는 스마트폰시장

 

 ○ 명품 스마트폰을 무기로

  - 중국의 이동통신 운영업체는 세계 스마트폰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RIM, APPLE사의 주력 스마트폰 모델을 도입해 3G 이용비율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

  - 차이나유니콤은 2009년 10월 30일 애플사와 협력해 500만 대의 아이폰 휴대폰을 시장에 선보였으며, 차이나텔레콤은 RIM사의 블랙베리를 내년 초에 선보일 예정임.

  - 차이나모바일은 2009년 11월 23일 OPhone 기반의 델(DELL) 스마트폰을 선보였으며, 12월 1일에는 LG전자와 오폰 기반의 LG GW880을 선보임. 이 외에도 레노보, Dopod 역시 오폰 기반의 스마트폰을 선보임

  - 삼성전자는 12월 3일 Android 기반의 차이나유니콤 휴대폰 I7500U와 차이나텔레콤 휴대폰 I899를 출시함.

 

iPhone 3GS(좌), LG GW880(중), 삼성 I7500U(우)

    

 

이동통신 운영사별 3G 경쟁동향

구분

3G 통신

라이선스

TD-SCDMA

WCDMA

CDMA2000

3G 브랜드

대표번호

188

186

189

독자개발

운영체계(OS)

오폰(OPhone)

유폰(UPhone)/개발 중

-

주요 협력

단말기 제조사

삼성, 中興(ZTE), 노키아, 酷牌(Coolpad), LG, 레노버, 모토로라, 델(Dell) 등

삼성, LG, 華爲, 애플, 노키아, 모토로라, 中興(ZTE), 소니에릭슨 등

삼성, LG, 노키아, 모토로라, RIM, HTC, 델(DELL), 레노버, Palm 등

자료원 : 코트라 청두KBC 정리

 

 ○ 3대 이동통신 운영업체는 주요 단말기 제조업체인 노키아, 삼성, LG, 모토로라, 소니에릭슨을 포함해 중국 국내 로컬 브랜드 등과 협력해 다양한 3G 스마트폰을 출시함.

 

 ○ 휴대폰 운영체계에서는 아직 노키아의 주종인 심비안(Symbian)이 대세이긴 하지만 RIM, APPLE, Microsoft 운영체계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북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끈 Android 기반의 휴대폰도 선보임.

  - 또한 차이나모바일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운영체계인 OPhone을 내놓았으며, 차이나유니콤은 현재 독자 개발한 UniPlus 기반 UPhone 출시 계획이 있음. 이는 자체 개발한 오픈형 운영체계를 통해 단말기의 단가를 인하,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임.

 

□ 시사점 및 2010년 스마트폰시장 예측

 

 ○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는 6억 명을 초과하며, 이 중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사람은 2009년 8월 기준 1억8100만 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어 3G시대의 스마트폰은 빠른 증가를 보일 것임.

 

 ○ 대부분의 단말기 제조사는 이동통신 3개사의 각기 다른 3G 표준에 맞춘 스마트폰을 출시하거나 준비하고 있고, 또한 단말기 가격은 하락추세여서 2010년은 3G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측

 

 ○ 여기서 주목할 점은 과거 노키아가 평정하던 2G시대와는 달리 현재 3G 스마트폰시장에서 우리 기업인 삼성전자와 LG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 로컬 브랜드인 中興(ZTE), 酷牌(Coolpad), 華爲, 레노버 등의 약진 또한 돋보임. 여기에 세계 스마트폰시장을 주도하는 Nokia, RIM, Apple 등이 중국 3G 스마트폰시장 판매 강화 및 진입을 준비하고 있어 중국의 스마트폰시장은 치열한 경쟁과 더불어 고가와 중저가 시장의 경쟁 또한 더욱 치열해질 것임.

 

 ○ 중국 3G시대의 스마트폰시장 경쟁은 3대 이동통신업체, 단말기 제조사, OS 플랫폼사의 합종연횡의 협력 및 경쟁 관계가 다양화되고 더욱 심화될 것이며, 이는 2010년 중국 스마트폰시장의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임.

 

자료원 : ZDC, Canalys estimate, 新華網, 手機中國, 慧聰通信網, 中關村在線 등 종합

中, 뜨거워지는 인덕션 전자레인지시장

- 200위앤 가격대 인기 -

- 블랙 크리스털 세라믹제품 대세 -

 

 

 

□ 시장전망

 

 ㅇ 시장성 있는 3, 4선 도시로 눈 돌려야

  - 시장조사 전문회사인 쭝이캉스다이(中怡康時代)에 따르면 중국 인덕션 전자레인지 시장규모는 2008년 기준으로 5500만 대, 150억 위앤에 달함.

  - 종래 인덕션 전자레인지의 판매는 주로 1, 2선 도시에서 이뤄졌으며 3, 4선 지역에 속하는 소형도시와 농촌시장은 아직 미개척 시장임.

  - 최근 2년간 중국 농촌 소비자의 소비량은 중국 전체시장의 65~70%를 차지해 농촌시장의 소비 잠재력을 보여줌.

  - ‘가전하향’ 등 내수진작정책의 효과로 농촌 소비자의 수요가 실제 구매로 이어짐.

 

 ㅇ 요식업 고속성장으로 인덕션 전자레인지 수요가 커지고 있음.

  - 중국식 샤브샤브 요리인 훠궈(火鍋)를 먹을 때 탕을 계속 끓여야 하는데, 종래엔 일반 전자레인지나 고체알코올을 사용해 안전성은 물론 냄새, 사용 편리성 등에서도 문제가 많았음.

  - 현재 고급 훠궈점은 물론 일반 훠궈점까지 인덕션 전자레인지는 필수 조리도구로 배치되는 추세임.

  - 훠궈 등 중국 전통요리점뿐만 아니라 레스토랑에서도 불꽃이 없고 냄새가 없는 인덕션 전자레인지 활용도가 커지고 있음.

 

훠궈점에서 사용하는 인덕션 전자레인지

자료원 : baidu.com

 

□ 경쟁동향

 

 ㅇ 시장잠재력으로 인해 많은 기업이 인덕션 전자레인지 생산에 뛰어듦.

  - 2006~08년 인덕션 전자레인지 연간 매출실적이 10~20%의 속도로 증가하면서 많은 가전업체들이 이 시장에 진출했음.

  - 현재 중국 내 인덕션 전자레인지 생산업체는 1000여 개사에 달함.

  - 이 가운데 메이디(美的midea) 제품이 가장 인기가 있으며 쑤버얼(蘇泊爾 supor), 거란스(格□仕 galanz), 지우양(九陽 joyoung)이 뒤를 이음.

 

중국 인덕션 전자레인지시장 브랜드 관심도 비교

자료원 : ZDC

 

 ㅇ ZDC 통계에 따르면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가격대는 200위앤 이하이고, 그 다음은 200~300위앤임.

 

중국 소비자들의 인덕션 전자레인지 가격 선호도

자료원 : ZDC

 

 ㅇ 인기 가격대의 각 브랜드 제품 비교

  

NO.

사진

가격(대당)

생산업체

브랜드

1

245위앤

Media

Midea SH2049

2

249위앤

Supor

SDHA04-190

3

248위앤

Galanz

CH206

4

249위앤

Joyoung

JYC-21CS11

5

248위앤

Povos

PC21N-E

자료원 : http://www.zol.com.cn

 

□ 유통경로

 

 ㅇ 중국의 인덕션 전자레인지 유통경로는 주로 수입상→대리상→할인마트/건자재 대형매장/전문매장→소비자로 구성됨.

 

 ㅇ 일반소비자가 인덕션 전자레인지를 구입할 때에는 전문매장을 많이 이용하고, 음식업체가 대량 구입할 때 건자재 대형매장을 즐겨 찾음.

 

□ 선호 사양

 

 ㅇ 블백 크리스털 세라믹판 제품 선호도가 높아

  - 크리스털 세라믹판의 제조기술 발전에 따라 크리스털 세라믹판으로 만든 인덕션 전자레인지의 인기가 날로 높아짐.

  - 2007년에 비해 2008년 크리스털 세라믹판 인덕션 전자레인지 시장은 30% 이상 증가했고, 특히 블랙 크리스털 세라믹판 제품이 인기상품으로 부상함.

  - 도자기판이나 화이트 컬러판으로 만든 제품은 매출이 40% 이상 감소함.

 

블랙크리스털 세라믹판 제품(좌), 화이트 크리스털 세라믹판제품(중), 도자기판 제품(우)

  

자료원 : www.baidu.com

 

□ 시사점

 

 ㅇ 중국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해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제품을 선호함.

  - 한국 기업이 중국 인덕션 전자레인지 시장에 진출할 때 우수한 성능을 부각시키고 앞선 기술력을 강조해야 함.

 

 ㅇ 디자인에 있어서 심플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살린 깔끔한 블랙 컬러를 선호함.

  - 주거공간을 고려해 슬림한 제품도 인기를 끎.

 

 

자료원 : SINA.COM, ZOL, 21CN.COM, 萬維家電網 등 종합

3. 노무관리 중요 Q&A

12월말 대량 직원의 노동계약 만료에 따른 고용종료 문제

[출처] [노동계약] 12월말 대량 직원의 노동계약 만료에 따른 고용종료 문제 ([KOTRA] 중국 비지니스 포룸) |작성자 pyungbok

(질문)

[출처] [노동계약] 12월말 대량 직원의 노동계약 만료에 따른 고용종료 문제 ([KOTRA] 중국 비지니스 포룸) |작성자 pyungbok

현재, 중국직원중 금년 12월 30일에 노동계약 만기가 되는 직원이 수백명명 정도 됩니다

2000년대 중반에 인수시 인력중의 특별한 문제가 없는 직원을 제외하고 모든직원에 대해서는 고용승계를 한다는 내용이 있으며, 몇몇직원을 제외하고 노동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2000년중반 - 2008년 까지 3년 노동계약) 그리고 2008년에 노동계약이 만기가 되어 2008년- 2009년 12월까지 노동계약을 연장한 상황입니다

이번에 계약이 만료되는 직원중에 일부직원에 대해 계약을 종료할 계획을 가지고 추진중인데, 합자회사이고 합자후 노동계약을 하였고 그리고 2008년 신노동법 적용등 여러가지 애매한 부문이 있어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 질문1

신노동법 발효후 근로계약을 1회 노동계약을 체결 하였으므로 2회 체결시에는 회사에서 노동계약을 종료할수 있다고 판단되는데 이경우 경제보상금 책정은 어떻게 하는지요(2008년 신노동법 발효기준으로 1개월분만 지급하면 되는지? 그렇지 않으면 입사시점부터 계산을 해야 되는지?)

(답변)

2008년 이후 체결회수는 1회이므로,귀사는 마음대로 고용종료할 수 있습니다.

경제보상금은 노동계약법에 의해, 계약만기 시점에 회사측 사정고용종료시도

지급하도록 신제도가 시행됨으로, 법률 불소급원칙에 따라, 2008년 1월1일부터

기간에 대해서만 지급하면 됩니다 (6개월미만은 0.5개월)

* 질문2

2000년대 중반 합자당시 10년이상 근속직원(16명)과는 무기한 노동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이직원과는 노동계약 종료를 할수 없는지, 만약 해고를 한다면 경제보상금 책정을 어떻게 하는지?

(일반적으로 12년이상 되는직원에게는 12개월분의 경제보상금을 지급하면 되는데 2배의 경제보상금을 주어야 하는지?)

(답변)

1. 법정 사유가 없이는 일방적 해고는 안됩니다. 만일, 위법해고시는 노동중재정, 법정에서 경제보상금의 2배를 판정받을 수 있으므로, 오히려 귀사에 불리하게 됩니다.

2. 유일한 방법은 협상해제입니다. 일단, 계약은 중도해제이므로, 법정 최저선은 총근속연수입니다. 즉, 12년 근무자의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12개월치를 주어야 하며, 여기다가 상대가 회사의 제의를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플러스 알파, 즉 1-2개월 정도를 더 제시하면 되겠지요.

3. 절대로 강행 해고하지 마시고, 시나리오를 잘 짜서, 상대가 몫돈 받고 회사측과 큰 마찰없이 떠나도록 하십시오.

사유로는 경제위기하 구조조정의 불가피 및 회사사정상 청도 사업장이 조업중단(이 경우, 최저임금의 80% 만 지급)에 들어 갈지 모른다는 말로, 빨리 몫돈 받아 가는게 유리하다는 협상전략이 필요합니다. 고문변호사를 끼고 하는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질문3

그리고 이번 계약대상자중 근속년수가 10년이상 되는 직원은 근로계약을

종료할수 없는지? 근로계약을 종료한다면 경제보상금 책정을 어떻게 하는지요?

그렇지 않으면 10년이상 근무를 했기 때문에 무조건 무기한 근로계약을 해야 하는지요?

(답변)

일단, 법적으로는 고용종료가 불가능합니다. 방법은 다음 2가지 입니다.

(1) 직원과 협의를 통해 경제보상금 주고 협상해제 - 2항의 답변과 동일 합니다.

(2) 10년 초과자를 대상으로한 차기 계약체결시, 어떤 인센티브를 제시하여, 고정계약체결을 본인이 스스로 서면 신청토록 합니다. 물론, 그 고정계약의 만기시점에 또다시 무고정계약을 믜무적으로 체결해야 하는 지 여부는 아직 법적으로 명확치 않습니다 (상해의 경우, 금년 3월 지방 사법해석으로 만기 종료된다고 해석함 - 하단 참고자료 참고요망)

*질문4

노동법에 따르면 근로계약 만기가 된 직원된 직원이라도 특정한 요건에 해당

되는 직원은 해고를 할수 없는데 아래의 요건이 모두 해당되는지요

1) 근속년수가 10년이상이어서 무고정 계약기간 조건에 도달한 직원

2) 현재 무고정 노동계약직원

3) 본회사에서 근속년한이 15년이상 직원 및 정년퇴직 도달시점이 5년미만인

직원

3) 질병혹은 비공상으로 인하여 규정된 치료기간내에 처해 있는 직원

4) 임신기간, 출산기간, 수유기간중에 있는 여직원

(답변)

정확합니다.

금속을 다루는 직원들이며, 특히 무고정계약자, 무고정계약 체결예정자들은 계약 갱신과 경제보상금 문제에 매우 예민할 것입니다. 잘 못다루면, 큰 분란도 예상되니, 전문가와 상의해 협상 시나리오를 잘 짜서, 가급적 직원들이 좋은 조건에 자발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노동계약] 12월말 대량 직원의 노동계약 만료에 따른 고용종료 문제 ([KOTRA] 중국 비지니스 포룸) |작성자 pyungbok

-끝-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