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6
1958 대한안과학회지 2016년 제 57 권 제 12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2):1958-1963 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 http://dx.doi.org/10.3341/jkos.2016.57.12.1958 Case Report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실리콘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 Posterior Surface Opacification of a Silicone Intraocular Lens in a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선해정 1 오종록 1 권현석 2 이성진 1 Hae Jung Sun, MD 1 , Jong Rok Oh, MD 1 , Hyun Seok Kwon, MD 2 , Sung Jin Lee, MD, PhD 1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1 , SU연세안과의원 2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 , Cheonan, Korea SU Yonsei Eye Clinic 2 , Seoul, Korea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posterior surface opacification of a silicone intraocular lens (IOL) in a patient with aste- roid hyalosis (AH) is reported. Case summary: A 76-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clinic with IOL opacification in his left eye. The patient had uneventful cat- aract surgery 7 years prior with the same silicone IOL implanted in both eyes. Three years after surgery, posterior capsular opac- ity was observed in his left eye and neodymium:YAG (Nd:YAG) laser capulotomy was performed. After posterior capsulotomy, opacification of the IOL’s posterior surface was observed on slit lamp examination. IOL exchange was performed and the ex- planted IOL was analyz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 scopy for elemental analysis of the deposits. The calcification was o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IOL and composed mainly of calcium and phosphorus, the main components of AH. The right eye showed clear IOL with intact posterior lens capsule. Conclusions: Surgeons performing cataract surgery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urface calcification of silicone IOLs in eyes with AH before IOL selection for implant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2):1958-1963 Keywords: Asteroid hyalosis, Calcification, Opacification, Silicone intraocular lens Received: 2016. 6. 30. Revised: 2016. 9. 22. Accepted: 2016. 11. 10.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ung Jin Lee,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59 Daesagwan-ro, Yongsan-gu, Seoul 04401, Korea Tel: 82-2-709-9354, Fax: 82-2-710-3196 E-mail: [email protected] *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115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6.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2016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백내장 수술 후 칼슘 침착물에 의한 인공수정체의 혼탁 은 다양한 종류의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한 보고들이 있으며 대부분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하였다. 현재까 지 국내 문헌에 보고된 인공수정체 혼탁은 모두 친수성 아 크릴 인공수정체이며 대부분은 ACRL-160 (Ophthalmed Inc., Carlsbad, CA, USA) 1-4 모델에서 발생하였다. 저자들이 이전 에 경험하여 보고한 인공수정체 혼탁도 친수성 아크릴 인공 수정체인 C-flex 570C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East Sussex, UK) 5 모델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와 재질의 차이가 없 는 같은 제조사의 모델인 Superflex 620H 6 에서도 혼탁이 발 생함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양안에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 이저후낭절개술을 시행한 쪽에서만 실리콘 인공수정체의

Upload: others

Post on 12-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58

한안과학회지 2016년 제 57 권 제 12 호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2):1958-1963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http://dx.doi.org/10.3341/jkos.2016.57.12.1958 Case Report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실리콘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

Posterior Surface Opacification of a Silicone Intraocular Lens in a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선해정1⋅오종록1⋅권현석2⋅이성진1

Hae Jung Sun, MD1, Jong Rok Oh, MD1, Hyun Seok Kwon, MD2, Sung Jin Lee, MD, PhD1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1, SU연세안과의원2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1, Cheonan, KoreaSU Yonsei Eye Clinic2, Seoul, Korea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posterior surface opacification of a silicone intraocular lens (IOL) in a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AH) is reported.Case summary: A 76-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clinic with IOL opacification in his left eye. The patient had uneventful cat-aract surgery 7 years prior with the same silicone IOL implanted in both eyes. Three years after surgery, posterior capsular opac-ity was observed in his left eye and neodymium:YAG (Nd:YAG) laser capulotomy was performed. After posterior capsulotomy, opacification of the IOL’s posterior surface was observed on slit lamp examination. IOL exchange was performed and the ex-planted IOL was analyz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for elemental analysis of the deposits. The calcification was o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IOL and composed mainly of calcium and phosphorus, the main components of AH. The right eye showed clear IOL with intact posterior lens capsule. Conclusions: Surgeons performing cataract surgery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urface calcification of silicone IOLs in eyes with AH before IOL selection for implantation.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2):1958-1963

Keywords: Asteroid hyalosis, Calcification, Opacification, Silicone intraocular lens

■ Received: 2016. 6. 30. ■ Revised: 2016. 9. 22.■ Accepted: 2016. 11. 1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ung Jin Lee, MD, PhDDepartment of Ophthalm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59 Daesagwan-ro, Yongsan-gu, Seoul 04401, KoreaTel: 82-2-709-9354, Fax: 82-2-710-3196E-mail: [email protected]

*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115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6.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2016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백내장 수술 후 칼슘 침착물에 의한 인공수정체의 혼탁

은 다양한 종류의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한 보고들이 있으며

부분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하였다. 현재까

지 국내 문헌에 보고된 인공수정체 혼탁은 모두 친수성 아

크릴 인공수정체이며 부분은 ACRL-160 (Ophthalmed Inc.,

Carlsbad, CA, USA)1-4 모델에서 발생하였다. 저자들이 이전

에 경험하여 보고한 인공수정체 혼탁도 친수성 아크릴 인공

수정체인 C-flex 570C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East

Sussex, UK)5 모델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와 재질의 차이가 없

는 같은 제조사의 모델인 Superflex 620H6에서도 혼탁이 발

생함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양안에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

이저후낭절개술을 시행한 쪽에서만 실리콘 인공수정체의

Page 2: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59

-선해정 외 : 성상유리체증에서 인공수정체의 혼탁-

Figure 2.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opacity in both eyes which are asteroid bodies.

Figure 1. Anterior segment photograph of the left eye. Opacifi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is seen within the neo-dymium:YAG posterior capsulotomy margin.

후면에 침착물이 발생한 것을 관찰하여 이 눈에서 유리체

절제술과 인공수정체교환술을 시행하였다. 실리콘 인공수

정체의 혼탁에 한 증례는 국내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어

이를 인공수정체 혼탁 물질의 성분 분석과 함께 보고하고

자 한다.

증례보고

76세 남자 환자가 좌안의 시야 흐림을 주소로 의뢰되어

내원하였다. 내원 시 최 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0.8이

었으며 좌안은 뿌옇게 보인다고 불편을 호소하였다. 과거력

상 환자는 7년 전 개인 의원에서 양안에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낭내삽입술을 시행 받았으며 양안 모두 실리콘

재질의 인공수정체인 ClariFlex® (Advanced Medical Optics,

Santa Ana, CA, USA) 모델을 삽입하였다. 그로부터 3년 뒤

좌안의 후낭혼탁이 관찰되어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을 시행

받았고 이후 4년 정도 경과하여 시야흐림을 주소로 내원하

였는데 인공수정체의 혼탁이 관찰되어 본원에 의뢰되었다.

세극등현미경 검사에서 좌안은 후낭이 절개된 부위에 국한

된 인공수정체 후면의 침착물이 관찰되었고(Fig. 1) 우안의

인공수정체는 정상 소견을 보였다. 안저검사 상 양안에 성

상유리체증이 관찰되었고 안구 초음파검사에서 양안의 유

리체 혼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환자는 고혈

압 외에 당뇨 등의 사성 질환의 과거력은 없었고 수술 전

시행한 혈액검사에서도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좌안은 혼탁한 인공수정체를 교체하기로 하고 4% lido-

caine을 이용한 테논낭밑마취 후 인공수정체 교환술 및 평

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인공수정체 교환술은 각

막에 2.8 mm 투명각막절개창을 만든 후 점탄물질(Healon

GV®, Abott Medical Optics Inc., Santa Ana, CA, USA)을 사

용해 인공수정체와 수정체낭을 분리시켜 인공수정체를 전

방으로 끌어올려서 광학부를 바나스 가위를 이용하여 반으

로 잘라 각각의 조각을 각막절개창을 통해 제거하였다. 이

어서 25게이지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고 연속곡선

수정체낭원형절개가 섬모체소 의 손상 없이 온전히 보존

되어 삼체형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인 Sensar® AR40e

(Allergan surgical, Irvine, CA, USA) 모델을 섬모체고랑에

삽입하고 연속곡선수정체낭원형절개부위에 광학부를 포획

시킨 후 수술을 마쳤다.

제거한 인공수정체는 건조시켜서 육안으로 관찰하고(Fig. 3)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X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하

여 광학부에 침착된 물질을 분석하였다. 광학현미경 사진에

서 유리체와 맞닿아 있던 인공수정체의 후면에 국한된 침

착물을 관찰할 수 있었고(Fig. 4) 이 침착물은 주사전자현미

경 사진에서 무결정의 결정체가 판형으로 비늘처럼 인공수

정체 후면의 표면에 침착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5).

Page 3: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60

-대한안과학회지 2016년 제 57 권 제 12 호-

Figure 5. Scanning electron photomicrograph images. Sanningelectron photomicrograph from the posterior optic surface withoriginal magnification, ×300 (A), ×500 (B) and ×1,000 (C).The deposits are amorphous, confluent and multilayered whichpresents a crustlike and plate-like appearance.

Figure 4. Light photomicrograph of the posterior aspect of theexplanted intraocular lens. It shows deposits on the posterior surface, showing thick crustlike appearance with cracks in be-tween the deposits (original magnification, ×100).

Figure 3. Gross photograph of the explanted AMO ClariFlex®lens. It shows calcifications on the central optic zone where neodymium:YAG posterior capsulotomy was performed.

침착물질의 성분 분석을 위해 X선 분광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침착물질이 부분 칼슘과 인으로 구성되어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6).

술 후 3개월째 좌안의 최 교정시력은 0.9로 호전되었고

흐리게 보인다는 환자의 주관적 증상은 개선되었다. 후낭이

보존되어 있는 우안의 인공수정체는 여전히 투명하게 관찰

되었다.

고 찰

성상유리체증은 정상 유리체 속에 다양한 크기의 반짝이

는 입자가 별처럼 떠다니는 소견을 보이는 양성 유리체 질

환으로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리체 속의 입자들이 시

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성상유리체증의 유병률은 약 1%

정도로 개 단안에서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성상유리체증이 발생하는

원인과 이 입자들을 구성하는 물질에 해 의견이 분분하

였으나 Winkler and Lünsdorf8가 전자분광분석을 통해 성상

체 안에 칼슘과 인, 산소가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

A

B

C

Page 4: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61

-선해정 외 : 성상유리체증에서 인공수정체의 혼탁-

Figure 6. X-ray spectroscopy spectrum of the clear zone (area 1) and zone with deposits (area 2). Peaks of calcium (Ca) and phos-phate (P) are seen in the area with deposits. OK = oxygen; PK = phosphorus; CIK = chlorine; CaK = calcium; SiK = silicon.

하였다.

부분의 인공수정체 혼탁과 관련한 보고들은 친수성 아

크릴 인공수정체에서 발생하였으며 실리콘 인공수정체에서

도 변색이나 혼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성상유리체증이 있

는 눈에서 일체형 실리콘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후 후면에

석회화가 발생한 경우가 2004년 처음 보고되었다.9,10 이들

보고에서 후발백내장으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을 시행한

후에 인공수정체 후면에 침착물 발생이 가속화됨을 발표하

였다. 이후 Werner et al11은 양안에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

자에서 한 눈에는 실리콘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고 한 눈에

는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에서 실리콘

인공수정체에서만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에 광학부 후면

에 혼탁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2010년 Stringham et

al12은 8 종류의 실리콘 인공수정체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광

학부 후면에만 국한된 혼탁을 분석하였는데 이들 중 86.4%

에서 성상유리체증이 확인되었고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서

Page 5: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62

-대한안과학회지 2016년 제 57 권 제 12 호-

는 유리체 상태에 한 기록을 확인할 수가 없어 성상유리

체증이 없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었다. 조군으로 사용한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의 혼탁에서는 성상유리체증이

전혀 동반되지 않았고 실리콘 인공수정체는 혼탁이 광학부

의 후면에 국한되어 나타난 것에 반해 아크릴 인공수정체

는 침착 물질이 광학부의 표면과 안쪽까지 침착되어 혼탁

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혼탁이 생기는 위치의 차이뿐

만 아니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도 차이를 볼 수 있었는

데 아크릴 인공수정체에서는 모두 동글동글한 매끄러운 과

립상의 침착물이 관찰되는데1-6 이에 반해 실리콘 인공수정

체에서는 판상의 무정형의 비늘이나 각질 같은 형태를 띠

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9-13 이러한 특징은 본 증례에서도

일치하게 나타났다.

현재까지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눈에서 실리콘 인공수정

체의 후면에 침착이 발생한 경우는 해외에서 20여 건이 보

고되었고 국내 보고는 이번이 최초이다. 실리콘 인공수정체

가 시장에 나온 이후 무수히 많은 환자들에서 사용되었을

것이고 이 중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경우도 상당할 것으로

생각되나 인공수정체의 혼탁이 보고된 것은 아크릴 인공수

정체에 비해 극히 소수여서 혼탁의 발생 정도에 차이가 있

어 발견하지 못했거나 혼탁의 발생에 있어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였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밝혀진 바는 없

다. 본 증례에서 혼탁이 발생한 인공수정체는 실리콘 재질

의 광학부와 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의 지지부로 이루

어진 삼체형 biconvex 인공수정체로 광학부의 지름은 6

mm, 전체 길이 13 mm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리콘

광학부의 굴절률은 1.46인 후방인공수정체이다. 적출한 인

공수정체의 침착물을 분석하여 그 성분은 칼슘과 인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성상체의 구성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는

데 이는 이전의 해외 보고들과 일치한다. 이전의 보고에서

부분의 경우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에 광학부와 유리

체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침착이 발생하였다. 일부에서

는 후낭절개술 이전부터 혼탁이 관찰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야그레이저 시술을 시행하였고 이 경우 침착물질을

일부 제거할 수는 있었으나 후낭이 파열된 이후에 혼탁이

더 가속화되었다.12,13 본 증례에서도 후낭절개술 후에 후낭

이 절개된 부위에 국한된 혼탁이 발생하였는데 이런 경우

유리체절제술과 인공수정체 교환술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본 증례에서 우안은 후낭이 보존되어 있고 인공수정체가

투명한 상태이나 추후 후발백내장의 발생으로 후낭절개술

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인공수정체의 혼탁이

생긴다면 유리체절제술과 인공수정체 교환술이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되어 환자에게 이에 한 설명을 충분히 하였고

현재 경과 관찰 중이다.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시 실리콘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삽입할 경우 후면의 석회화가 발생할

수 있고 후발백내장으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을 시행할

경우 혼탁이 가속화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 인공수정체

의 선택에 참고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Lee JY, Joo KM, Kim SH. Late opacification of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2419-29.

2) Kim HG, Lee SH, Choi YJ. Late postoperative opacification of the foldable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ACRL-160.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315-20.

3) Kim JC, Kim CS, Choi SH,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pacification of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after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281-90.

4) Kim SH, Choi SH. Determine a proper axial length by ultrasonic biometry in opaque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453-60.

5) Lee SJ, Choi JH, Sun HJ, et al. Surface calcification of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related to inflammatory membrane for-mation after combined vitrectomy and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10;36:676-81.

6) Moon K, Kim KS, Kim YC. A case of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opacification in a patient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172-6.

7) Mitchell P, Wang MY, Wang JJ. Asteroid hyalosis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10:331-5.

8) Winkler J, Lünsdorf H. Ultra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steroid bodi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42:902-7.

9) Foot L, Werner L, Gills JP, et al. Surface calcification of silicone plate intraocular lenses in patients with asteroid hyalosis. Am J Ophthalmol 2004;137:979-87.

10) Wackernagel W, Ettinger K, Weitgasser U, et al. Opacification of a silicone intraocular lens caused by calcium deposits on the optic. J Cataract Refract Surg 2004;30:517-20.

11) Werner L, Kollarits CR, Mamalis N, Olson RJ. Surface calcification of a 3-piece silicone intraocular lens in a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a clinicopathologic case report. Ophthalmology 2005;112:447-52.

12) Stringham J, Werner L, Monson B, et al. Calcification of different designs of silicone intraocular lenses in eyes with asteroid hyalosis. Ophthalmology 2010;117:1486-92.

13) Matsumura K, Takano M, Shimizu K, Nemoto N. Silicone intra-ocular lens surface calcification in a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Jpn J Ophthalmol 2012;56:319-23.

Page 6: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 · 2016-12-12 · B scan image of the right (OD) and left (OS) eye. B scan shows vitreous

1963

= 국문초록 =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실리콘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

목적: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실리콘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후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이후에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이 발생

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6세 남자 환자가 좌안의 인공수정체 혼탁으로 의뢰되어 내원하였다. 환자는 7년 전 양안에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낭내삽입술을 시행 받았고 양안 모두 같은 종류의 실리콘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였다. 3년 뒤 좌안의 후낭혼탁이 관찰되어 야그레이저

후낭절개술을 시행 받았는데 세극등현미경 검사에서 후낭이 절개된 부위에 국한된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이 관찰되었다. 좌안의

인공수정체 교환술을 시행하였고 제거된 인공수정체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X선 분광분석기로 분석하여 유리체와 맞닿아 있던 인공수

정체 후면에서 표면에 국한된 결정들을 확인하였고 침착된 물질은 주로 칼슘과 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성상유리체증의 구성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후낭절개술이 시행되지 않은 우안의 인공수정체는 정상이었다.

결론: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경우 실리콘 재질의 인공수정체에서 후낭절개 후 표면의 석회화가 발생할 수 있어 백내장 수술 시 인공수

정체의 선택에 참고해야 할 것이다.

< 한안과학회지 2016;57(12):1958-1963>

-선해정 외 : 성상유리체증에서 인공수정체의 혼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