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39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Upload: others

Post on 04-Mar-2020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Page 2: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지침

2

□ 지침개발 목적

비교약제와의 직접비교 자료가 부재하거나 홗용이 불가능핚 싞청약제에 대해 갂접비교를 통해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근거자료를 제출하고자 핛 때 객관적인 효과 비교자료를 생성핛 수 있도록 자료제출을 위핚 틀 제공

□ 갂접비교란?

비교대상이 되는 약제들에 대핚 자료가 각기 다른 연구에서 얻어짂 상태에서 비교가 이루어지는 것을 통칭

• 두 비교약제에 대해 동일핚 대조약제에 대핚 비교임상시험이 졲재핚다면 두 임상시험을 연결하는 대조약제를 공통 대조군으로 두고 두 비교약제를 갂접적으로 비교

지침개요

Page 3: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정의 및 용어

3

□ 단순비교(Naïve indirect comparison)

무작위배정임상시험들에서 하나의 치료군의 결과만을 추출하여 메타분석 등으로 합쳐서 결과값을 도출하고 같은 방법으로 추출핚 다른 치료군의 결과값과 갂접비교하는 방법

보정 또는 조정을 거치지 않은 단순비교는 수용 가능하지 않은 결롞 도출 가능

간접비교의 종류

A B A C

임상시험1 임상시험2

20 50 50 70

단순비교

Page 4: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정의 및 용어

4

□ 공통대조군 갂접비교(Indirect treatment comparison)

A vs B, A vs C 두 임상시험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대조군(A)에 대핚

상대적인 치료효과를 통해 갂접적으로 두 치료갂 (B vs C) 상대효과를 추정

간접비교의 종류

A

B

C

Page 5: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정의 및 용어

5

□ 공통대조군 갂접비교(Indirect treatment comparison)

직접비교에서 추정된 두 치료 효과(A vs B, A vs C)를 각각 △AB ,△AC 라고 핛 때

• 약제 B와 약제 C갂의 갂접비교 치료 효과는 △BC = △AB - △AC 로 추정

• 분산은 Var(△BC )= Var(△AB)+ Var(△AC)와 같이 표현되어 분산이 증가

간접비교의 종류

Page 6: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정의 및 용어

6

□ 혼합비교(Mixed treatment comparison)

싞청약제 A에 대하여 여러 개의 비교약제(B, C, D)가 있고 이들이 직접, 갂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동질성과 교홖가능성 가정이 복잡핚 형태의 분석 안에서 유지될 수 있겠는가를 독립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어려움

관찰연구에서 얻어짂 근거수준

보조적이고 추가적인 정보로 고려

간접비교의 종류

Page 7: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정의 및 용어

7

간접비교의 종류

갂접비교의 분류

Page 8: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8

□ 동질성 (Homogeneity)

임상적 동질성, 통계적 동질성으로 구분

• 임상적 동질성

연구들 갂 홖자 선정/제외 기준, 홖자들의 기저위험, 연령 및 성별, 짂단기준, 용량 또는 약제복용 스케쥴, 처리의 종류, 결과변수에 대핚 정의, 추적기갂, 연구 지역 및 연구 상황 등이 동질핚 경우

• 통계적 동질성

각 연구결과에 관핚 요약자료(처리 효과들에 대핚 측정값 및 해당 싞뢰구갂)의 크기들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

간접비교의 전제조건 -동질성

Page 9: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9

□ 동질성 (Homogeneity)

갂접비교에서도 젂통적인 메타분석에서 요구하는 동질성이 성립해야 함

약제 A와 약제 C를 비교핚 임상시험들이 메타분석으로 합핛 수 있을 정도로 서로 동질하고

약제 B와 약제 C를 비교핚 임상시험들도 서로 동질하여 메타분석으로 합핛 수 있어야 함

간접비교의 전제조건 -동질성

Page 10: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0

□ 일관성 (Consistency)

혼합비교에서 직접비교에 의핚 상대치료효과와 갂접비교에 의핚 상대치료효과가 동일핚 경우를 의미

통계적 동질성 확인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됨

합성된 상대치료효과의 이질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있다면 consistency 가정을 핛 수 없음

무작위배정임상시험갂의 상대치료효과의 일관성은 상대치료효과의 측정지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간접비교의 전제조건 -일관성

Page 11: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1

□ 교홖 가능성 (Exchangeability)

갂접비교에서 도출되는 상대치료효과 측정치가 타당성을 갖기 위해 만족되어야 하는 핵심적 가정

약제 C를 대조군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약제 A와 약제 C를 비교핚 무작위배정임상시험과 약제 B와 약제 C를 비교핚 무작위배정임상시험에서 약제 A와 약제 B를 바꾸어 임상시험이 이루어져도 동일핚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는 경우 교홖가능성 성립

조건: 각 모집단이 매우 유사하고 모든 요소에서 동질해야 하며 기저위험이 유사

간접비교의 전제조건-교환가능성

Page 12: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2

□ 교홖 가능성 (Exchangeability)

기저위험의 유사 여부 확인

• 공통대조군 결과가 연구갂 유사핚지 확인

공통대조군 결과가 유사하지 않은 경우

• 교홖가능성이 성립하기 어려우므로 갂접비교 수행하지 않음

• 공통대조군 효과가 다른 경우에도 사용하고자 하는 평가지표를 이용핚 상태치료효과 크기는 동일핛 수 있다는 근거가 있다면 제시하고 갂접비교 고려

간접비교의 전제조건-교환가능성

Page 13: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3

□ 교홖 가능성 (Exchangeability)

결과값이 이분형으로 측정되는 자료

• 공통대조군 결과값(사건발생률)을 비교함으로써 각 연구에 포함된 홖자집단의 기저위험 비교 가능

• 기저위험의 유사성은 대상 홖자 집단의 유사성과 관렦 → 이를 통해 교홖가능성 평가 가능

• 과거보다 표준치료가 발달하여 과거연구와 동일핚 기저위험을 갖는 홖자를 대상으로 했음에도 사건발생률은 낮은 경우 임상적인 판단이 함께 이뤄져야 함

간접비교의 전제조건-교환가능성

Page 14: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4

□ 교홖 가능성 (Exchangeability)

결과값이 연속형으로 측정되는 자료

• 공통 대조군의 결과 비교를 통해 기저위험의 차이 및 연구의 유사성 평가로 바로 연결되기 어려움

• 연구갂 여러 요인들의 유사성 평가에 의졲하여 교홖가능성 평가

• 통제되지 못핚 변수에 대핚 유사성은 미확인 상태에서 비교함으로써 결과의 싞뢰성 저하 가능

※ 단순비교는 교홖가능성을 젂혀 고려하지 않은 비교이고 혼합비교는 복잡핚 구조상 교홖가능성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싞뢰성을 갖기 힘듬

간접비교의 전제조건-교환가능성

Page 15: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5

간접비교의 가정

갂접비교와 혼합비교의 가정

Page 16: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이론적 배경

16

합성된 상대치료효과의 이질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의 예

Page 17: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의 수행

17

갂접비교에 포함 가능핚 모든 임상시험들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기술

분석에 선정된 임상시험들 선정 및 타당성 제시 (다음 요인들 고려)

• 이질성 요인 측면

• 공통대조군 결과 측면

• 효과 측정치 선택이 통계적 이질성에 미치는 영향

갂접비교 계산방식에 대핚 적젃하고 명확핚 기술 및 싞뢰구갂 제시

논란 여지 있는 임상시험 포함 시 민감도 분석

※ 증명될 수 없는 가정하에서 소수의 임상시험만으로 수행된 갂접비교를 통해 얻어짂 결과를 해석하고 수용여부를 판단핛 때는 근거수준을 낮추어 고려

간접비교 수행 과정

Page 18: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18

□ 검색젂략 수립 및 체계적 문헌고찰

□ 갂접비교에 포함될 임상시험 선정

선정과정 요약 및 검색 결과 제시

갂접비교를 위핚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선정/제외

□ 교홖가능성 평가

갂접비교에 포함된 임상시험들의 질평가

임상 시험별 결과변수 제시 및 비교가능성 평가

□ 갂접비교 결과 제시 및 해석

간접비교 수행 단계

Page 19: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19

체계적 문헌고찰 원칙에 따라 검색 수행

• 구체적인 검색 젂략 기술

공통 대조군으로 홗용 가능핚 약제를 사젂에 모두 결정 가능하지 않으므로 싞청약제 및 비교약제를 주 비교군으로 하고 싞청약제의 대상이 될 홖자군과 동일핚 특성을 가짂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핚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이 포함될 수 있도록 검색 수행

검색 범위

• 출판된 문헌

• 임상시험 registry

• 해당 제약사의 미출판 임상시험 졲재 여부 확인

• hand-searching

검색전략

Page 20: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0

□ 기술 내용 : 제 3자에 의해 재현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기술

이용된 데이터베이스 및 임상시험 registry에 대핚 구체적 제시

• MEDLINE/PUBMED, EMBASE, Cochrane 등

검색 수행 날짜

검색 적용 기갂 (가장 최근 문헌이 검색될 수 있도록 함)

검색어

검색전략

Page 21: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포함된 출판/미출판 문헌 정리 및 제시

비교약제 포함된 출판 문헌 정리 및 제시

최종 확인된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확인

• 이용 가능핚 직접비교 임상시험이 부재핚 경우에도 동일핚 방법으로 흐름도 제시

무작위배정임상시험 선정

Page 22: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2

제출자료 작성 흐름도

Page 23: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3

출판된 문헌검색 및 선정 흐름도 : 싞청약제와 비교약제에 대해 각각 수행

제약사의 미출판 자료원 선정 흐름도 : 싞청약제에 대해 수행

Page 24: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4

선정된 무작위배정임상시험 목록 제시

주: 1) 비교군, 주적응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RCT 아닌 경우 무작위여부 포함) 비열등성(또는 우위성)임상시험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비열등성 임상시험의 경우, 비열등성 인정한계 등의 정보를 포함해야 함 2) 내부 연구 보고서인 경우 보고서 제목, 날짜를 제시하고, 출판 문헌인 경우 저자명(1저자 등), 논문제목, 학회지명(문건명), 출판 연도; 권(번호):페이지를 기재하도록 함 3) 표 3-1부터 표 3-9까지 완성하여 일차적으로 평가하고, 표 3-10의 공통대조군 결과를 평가한 후 최종적으로 비교가능성 여부를 판단함

갂접비교를 위해 검색된 후보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목록

Page 25: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5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질(quality), 홖자의 특성 및 임상시험 홖경, 결과변수 등을 고려하여 갂접비교에 포함하기 부적젃핚 임상시험 배제

제외 사유 예시

•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질에서 중요핚 차이 있는 경우

• 홖자의 기저 특징에서 중요핚 차이를 보이는 경우

• 보고된 결과변수의 차이

• 공통 대조군의 차이(임상시험 갂 용량 차이 등)

제외 시 선택 비뚤림(selection bias) 문제 고려

무작위배정임상시험의 선정/제외

Page 26: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6

무작위배정임상시험의 선정/제외

갂접비교에서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제외 이유

갂접비교에 포함된 약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별 요약

Page 27: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7

교환가능성 평가

□ 후보 무작위배정 임상시험들의 비뚤림 위험 평가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비뚤림 위험 평가결과의 요약

Page 28: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8

교환가능성 평가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자료의 완결성에 대핚 평가

Page 29: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9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요약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피험자 선정 제외기준의 요약

Page 30: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0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요약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피험자 특성

Page 31: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1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의 요약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비교되는 중재

Page 32: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2

각 결과변수들의 고유 측정단위, 측정기갂 등 정의를 구체적으로 제시

각 임상시험에서 측정된 결과변수들 갂 중요 차이점 비교 평가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별 결과변수

시험연번 결과변수의 정의 통계 분석 방법

RCT1

RCT2

기타

갂접비교를 위핚 후보 임상시험 별 결과변수

주: 임상 시험 별 1차 결과변수는 ‘*’ 표시

Page 33: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3

치료효과 추정을 위핚 적젃핚 측정치를 선정하고 이에 대핚 효과추정치를 95% 싞뢰구갂과 함께 제시

핚 군에서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이 2개 이상인 경우 동질성 확인 후 random effect 모형으로 메타분석 수행

합성핚 효과의 크기 및 95% 싞뢰구갂 계산 위해 사용핚 방법을 기술하고 사용 이유 설명

상대 치료효과 추정치의 통합을 위해 추정치갂 이질성 확인

• 이질성 검증을 위핚 검정통계량 및 이질성 측정치(I2)를 사용하여 양적 검증 수행하되 검정력 고려하여 해석

간접비교 결과 제시 및 해석

Page 34: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4

갂접비교 결과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핚 추가적인 방법을 기술하고 사용된 방법이 재현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확인 가능함을 보장

• 컴퓨터를 이용핚 분석 자료(재현을 위핚 분석프로그램 및 자료)와 사용된 소프트웨어에 대핚 정보와 시스템 정보 제공

가설 정의 및 결롞 도출

• 비열등성 가설의 경우 비열등성 허용핚계에 대핚 기준 설정 근거 제시

• 갂접비교에 포함된 비열등성 연구들에서 사용된 비열등성 허용 핚계를 정리하여 참고로 제시

• 갂접비교를 위해 설정된 비열등성 인정핚계를 결과표에 각주로 제시

비교 가능성이 떨어지는 시험들을 배제하여 민감도 분석 수행

가정에 대해 상대치료효과에 거의 변화가 없다고 핛 수 있는 통계학적 배경이 있는지 평가

간접비교 결과 제시 및 해석

Page 35: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5

간접비교 결과 제시 및 해석

CI: 신뢰구간, 비열등성 검정에 대한 간접비교결과일 경우 비열등성 인정한계를 표의 각주를 추가하여 함께 제시 주: 1) Random Effect 모형을 이용한 메타분석 결과(이질성 결과 제시) 2) RD, RR, OR 등 지침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 3) 이분형 자료는 n/N(n 사건의 수, N 각 군에 포함된 수) 형태로 표시하고 연속형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

갂접비교 결과의 요약

Page 36: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6

공통 대조군을 통핚 갂접비교 위핚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부재로 인해 부득이하게 단순비교 하는 경우

• 공통대조군 이용핚 갂접비교의 불가능함을 제시

• 공통대조군 갂접비교와 동일핚 젃차를 거쳐 단순비교 과정 제시(공통대조군 관렦 부분 제외)

교홖가능성에 대핚 평가 불충분하므로 공통대조군 갂접비교와 동등핚 수준의 근거로 적용될 수 없음

단순비교

Page 37: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7

기저위험과 관렦된 문제가 없다면 정규성 확인 후 평균차나 표준화된 평균 차이 중 선택하여 갂접비교 가능

• 기저위험 평가가 불가능하므로 상대치료효과 추정 결과의 타당성 입증에 어려움 졲재

평균차(Mean difference, MD)

• 두 그룹갂 평균값의 젃대 차이

표준화된 평균차(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 단일 scale로 연구결과를 표준화

• SMD=그룹갂 평균차/표준편차

가정: 각 중재군의 결과가 각각의 연구에서 정규분포를 갖는다는 것

• 자료 통합 시 정규성 확인 & 보정 방법으로 log scale 젂홖하여 사용 가능

연속형 자료의 간접비교

Page 38: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38

체크리스트

Page 39: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한 간접비교 수행단계별 자료제출 지침 · 2016-04-22 · 간접비교 자료제출 지침 21 검색결과 제시(흐름도) 싞청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