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賴洞惡性睡陽의 電算化斷層擺影術에 對한 考察 · 2017. 4. 6. ·...

9
Vo l. XVID , No. 4 , 198 2 lí' zll1 - Abstract - Computed Tomography of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Kyung Hwan Koh , M. D. , Jeong 500 5uh , M.D. , Young Hwan Jun , M.D. , Kee Hyun Chang , M.D.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T was done 81 times on 63 proven malignant maxi llary sinus tumors for 3 years from February 1979 to May 1982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re-tr eatment CT we re 54 and post-treatment CT were 31 on 28 patien 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histopathologic diagnosis was 44 cases (69.8%) of squamous cel l carcinoma. Others were 5 cases (7 .9%) of adenoid cystic carc inoma , 3 cases (4.8%) of olfactory neuroblastoma , 3 cases (4.8 %) of malignant I ymphoma , 2 cases (3.2 %) of melanoma , 2 cases (3.2 %) of malignant fibrous histio cyt om a , a rhabdomyosarcoma , a basal ce ll carcinoma , a fi brosarcoma a nd a met astat ic carcinoma from thyroid follicular adenocarcinoma. 2. The CT findings in 54 untreated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were sinus opacification , soft tissue mass , and bone destruction in a ll cases. Other findings were fat plane obliteration (70%) , osteosclerosis (59 %) , bone erosion and displacement (46 %), low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27%) , and air densities within soft soft tissue mass (27%), and air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13%). 3. The value of pre-treatment CT in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were outlining the disease process especially soft tissue such as orbit , infratemporal fossa , pterygopalatine fossa , nasopharynx , pterygoid fossa and intr acran ial extension, and CT is the of diagnostic modality to d eterm ine t he pro- gnosis and the therapeutic planning in surgery and / or radiother apy. 4. Post-treatment CT is also helpful to evaluate the change in tumor size and post-treatment complica- t lO n. 7 2) 1,2) I m m

Upload: others

Post on 14-Mar-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大웹放껴、1線醫[캄會誌 Vo l. XVID , No. 4 , 1982

    上賴洞惡性睡陽의 電算化斷層擺影術에 對한 考察

    서울大學校 짧科大헬 lí'zll1 ~망μZ섣1'~ 5한/

    高京煥·徐廷守·全永煥·張基賢

    - Abstract -

    Computed Tomography of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Kyung Hwan Koh , M.D. , Jeong 500 5uh , M.D. ,

    Young Hwan Jun , M.D. , Kee Hyun Chang, M.D.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T was done 81 times on 63 proven malignant maxi llary sinus tumors for 3 years from February

    1979 to May 1982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re-treatment CT were 54 and post-treatment

    CT were 31 on 28 patien 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 he most frequent histopathologic diagnosis was 44 cases (69 .8%) of squamous cel l carcinoma. Others

    were 5 cases (7 .9%) of adenoid cystic carc inoma , 3 cases (4.8%) of olfactory neuroblastoma, 3 cases

    (4.8%) of malignant Iymphoma , 2 cases (3.2%) of melanoma, 2 cases (3.2%)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 a, a rhabdomyosarcoma , a basal ce ll carcinoma, a fi brosarcoma a nd a metastat ic carcinoma

    from thyroid follicular adenocarcinoma.

    2 . The CT findings in 54 untreated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were sinus opacification , soft tissue mass , and bone destruction in all cases. Other findings were fat plane obliteration (70%) , osteosclerosis (59%), bone erosion and displacement (46%), low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27 %), and air densities within soft soft tissue mass (27 %), and air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13%).

    3. The value of pre-treatment CT in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were outlining the disease process

    especially soft tissue such as orbit , infratemporal fossa , pterygopalatine fossa , nasopharynx , pterygoid

    fossa and intracran ial extension, and CT is the ιhoice of diagnostic modality to determ ine t he pro-

    gnosis and the therapeutic planning in surgery and /or radiotherapy.

    4 . Post-treatment CT is also helpful to evaluate the change in tumor size and post-treatment complica-

    t lOn.

    하고 全뽑 짧,탱者으I O.2~O . 7 %에 該협’되 며 1 , 2) 遠隔뺑

    移가 局所病밟가 廣範團한 함遇에 도 比較的 적어 局 所

    病벚의 f콩犯 tffi{:îi흘 檢索하는 것 이 f台續方針設定과 據後

    上領洞의 惡1'U훨陽은 副월힘1 惡i"U훨 @;의 大部分을 차지 堆定의 先行條件이 며 2) 理學的檢홉가 制限되 어 있어 1,2)

    I 績 論

    이 論文은 1 98 2 年度 서울大델校病院 臨l5R뻐究質補助호 이루어진 것임 .

    m m

  • 放射線學的檢훌가 必須的이 다.

    電쩔ft斷!협樓影術 (以下 CT로 略항) 의 登場~2료 單

    純擔影과 單純多斷層흩홉影g흉 觀察되 면 t顆t려內陰影h뽑1Jp

    와 t顆洞윌훌의 骨破慶所見뿐 아니라 上顆洞外部로의 局

    所볍犯과 周圍組織間의 關係를 알 수 있게되어 t풍~~허

    惡ft睡陽의 주術計훌U設定 放射線治癡計훌j과 據後堆定을

    容易하게 했다 3_13)

    이 에 著흉들은 t顆洞惡性睡魔愚者들의 CT 所見樣狀

    과 CT의 設홈j을 알기 위 해 最近 3 年間 서울大學校病院

    종斷放射線科에 λ1 經驗한 t륭~~司惡性R훌陽惠者들의 副흉

    洞 CT 所見을 觀察 frtfT하여 마음과 같은 結果를 얻 었

    기에 이에 報告하는 바이다.

    n. 對象과 方法

    1979 年 2 月 부터 1982 年 5 月 까지 서 울大學校病院

    캉斷放射線科에 서 副훌洞 CT를 施行하고 手術 或은 組

    織生檢으로 確용펀 63 例의 t됐洞惡性睡題思者를 對象

    으로 했다.

    CT는 모든 例에서 General Electric CψT 7800

    및 8800 으로 切片두께 5~10 mm , 切片間隔 5~ 1O mm

    로 때없位에 서 Reid fL線을 中心으로 그에 2f行하게 t

    下로 各各 8 切片以 I.의 橫斷象을 擔影하여 全副홉洞이

    ê1含되게 했고 때뻐位에서 顆部를 {申張시키고 Reid a 線에 60~85。되 게 Gantry 의 角度를 調節하여 外耳孔

    올 基點으로 前方의 흉울홈이 完全히 면含될 수 있게 8 切

    片以上의 前斷象 (Coronal Image) 을 챔흉影하되 愚者가

    協助하기 힘 든 境i볕에 는 Computer 操作에 依한 前斷象

    再造rr을 施圖했다 15) 造影增彈은 -部의 例에서만 施

    行했는데 水溶性안 76 % Telebrix 38@을 體重 1 kg 當 2 cc 씩 一時에 靜服注射하는 方'$을 使用했 다

    各愚考의 副홉洞 CT는 部m~u로 所見을 觀察記錄했

    고 病밟範圍는 American ]oint Committee 의 TNM

    病期分顆方홉 16) 에 따라 定했고 그 홉犯方向에 따라 分

    析했다.

    m. 成 *훌

    63 {9J.J.E1 ..t顆洞惡性睡屬惠者中 男子가 42 {9JJ, 女子가

    21 例로 男女比는 2: 1 로 男子가 않았고 最年少者는 6

    個月, 最高輪者는 84 歲였으며 30 代에서 16 例 ( 25. 4

    %) 로 가장 않았고 50 代 및 40 代의 順序였 다. (Table

    1 )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Age No. of Patient

    Male Female Total(%)

    0-9 0 1 ( 1.6)

    10 -19 3 2 2 ( 7.9)

    20 - 29 4 5 ( 7.9)

    30 - 39 12 4 16 (25 .4)

    40 -49 8 2 10 (159)

    50 -59 8 7 15 (23.8)

    60 - 69 4 2 6 ( 9.5)

    70 - 79 3 1 4 ( 6.3)

    over 80 0 1 1 ( 1.6)

    Total 42 21 63 (100)

    病理組織學的分類는 篇2f上皮옳이 44 i9JJ (69.8 % ) 로

    가장 않았고 臨樣훌햄이 5 例 (7.9 %) ~훌神經흉 ~ft包睡

    고} 흉、性뺑巴睡이 各 3 例 (4.8% ), 惡性黑色睡과 惡性觸

    維性組織球陣이 各 2 例 (3.2 %)였고 橫板뼈肉睡, 옮없維

    ¢영睡, 基低細8힘햄 및 甲狀願햄에서의 轉移}끓이 各 1 {9JJ

    였 다 (Table U).

    t顆n司惡性睡JI!il愚흉 63 {列다1 54t列는 治용흉歷。l 없 었

    고 이中 16 例에서는 根治手術이냐 . 放射緣f台擔後에 i를

    1Jp檢훌를 1 回施行했고 3 例에서는 2 回의 追加 CT 를

    拖行했으며 9 i9JJ에서는 治擔後에만 CT를 施行하여 總

    85 며의 副흉洞 CT가 t顆洞풍、性陣陽‘뽑、者에서 施行되

    었다.

    54 例의 治續前t顆洞惡性睡陽愚者의 CT 所見은 病

    理學的所見파 無關하게 上顆洞內陰影b뽑1Jp , 軟部組織睡塊

    Table 11. Histological Chssification

    Histopathology No. of Patient (%)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Olfactory neuro blastoma

    Lymphoma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elanoma

    Rhabdomyosarcoma

    Fibrosarcoma

    Basal cell carcinoma

    Metast~sis*

    (69.8)

    ( 7.9)

    ( 4.8)

    ( 4.8)

    ( 3.2)

    ( 3.2)

    ( 1. 6)

    ( 1.6)

    ( 1.6)

    ( 1. 6)

    63 (1 00)

    44 -、)‘‘)

    껴‘“

    2

    2

    Total

    * Metastasis from thyroid , follicular adenocarcinoma

    -690-

  • 및 骨破뺑의 所見이 54 例 全例에서 觀察되 었 고 骨硬化

    뿜防層消失 및 骨轉f立等의 11뼈으로 附隨所見이 觀察되 었

    다. (Table ill )

    Table III. CT Findings of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54 untreated cases)

    樓子L形成 및 續發性感梁에 依한 8農陽形成에 同伴되 었 다.

    (Fi g . 1)

    t 풍홉洞內外의 軟組織8뚫塊는 不規則한 骨破壞와 同伴

    되 었 고 휩뾰에서 50 f71J (95 % )가 짧見되어 가장 않았고

    節骨洞, 眼홈 , 下測頭홈 및 題굶i皮I훨等의 11업으로 觀察

    되 었고 頭蓋內 波及도 9 {JIJ (l 6%) 에 서 觀察되었다.

    CT Findings No.ofCases(%) (TableN Fi g l-7)

    Maxillary antrum opacification 54 (100)

    soft tissue mass beyond maxillary antrum 54 (1 00)

    Bone destruction 54 (1 00)

    Fat plane obliteration 38 ( 70)

    Osteosclerosis 32 ( 59)

    Bone erosion and displacement 25 ( 46)

    Low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15 ( 27)

    Air density within soft tissue mass 10 ( 13)

    t顆洞{칙陰影h뽑 1m는 軟*,E!織睡塊와 周 I휩쨌體財%훨等과

    같은 20~70 程度의 減흉系數를 보였 고 中心部에 서 약

    간 낮은 陰影을 갖고 있 던 例가 15 例 (27 % ) 였으며 空

    氣陰影도 10 {J!J (l 3 %) 에 서 觀察되 었 고 이 는 組織生檢,

    Fig. 1. Squamous cel1 carcinoma in 39-year-old man

    上顆洞前圖과 뼈ij 面의 ij iil Jltj層消失은 38 例 (70 %)에서

    觀察되 어 짧面皮I홈 êZ은 下뼈ij頭홈로의 獨홈犯。l 觀察되

    었고 에部R읍防層消失이 36 例 前方뼈防層消失이 35例로

    大部分 fPl伴되 었 다 (Fig. 4,5)

    j : .. 顆f同惡性睡陽愚휩-의 副흉洞 CT에 서 觀察된 骨所見

    은 骨破壞 , 骨硬化 및 骨轉f立안데 骨破壞는 全8거에서 觀

    察되 었고 不規則한 樣狀을 보여주었고 上뽑洞內뿔이 50

    例 ( 93 %) 로 가장 않았고 前堅 , 測後윌쫓 , 低部 , 蓋部 및

    紙板等의 11탬이 었 고 짧狀板의 骨破챙영는 22 f.列 (41 %) 에

    서 觀察되 었 다. 骨硬化所見은 32 例 (59 %) 에 서 觀察되

    었고 鍵狀板이 32 例로 가장 않았고 上顆洞 前慶 및 後

    뿔等에서도 觀察되 었 다 骨轉位도 25 例에서 짧見되 었

    A. Axial scan shows soft tissue mass with central low density involving right maxillary antrum, cheek

    skin , infratemporal fossa , pterygopalatine fossa , pterygoid fossa and nasal cavity with marked bone

    destuction of antral walls and pterygoid plate

    B. Coronal scan shows involvement of orbit floor and medial wal l.

    - 69 1 -

  • Fig. 2. Adenoid cystic carcinoma in 64-year-old woman.

    A. Axial scan shows opacification of right maxillary antrum , tumor invasion to nasal cavity, pterygo-palatine fossa and pterygoid fossa with bone destruction of antral walls and pterygoid plate

    B. Coronal scans show tumor invasion to che.ek skin, orvit, ethmoid sinus, nasal cavity with bone

    destruction and bony displacement.

    Table IV. Involved Areas beyond Maxillary Antrum

    Detected by CT of 54 Untreated Malignant

    Sinus Tumors

    Areas No. of Patient (%)

    Nasal cavity 50 (93)

    Ethmoid sinus 48 (89)

    Orbit 47 (87)

    Infratempora1 fossa 36 (68)

    Cheek skin 35 (65)

    Pterygopalatine fossa 32 (60)

    Nasopharynx 31 (57)

    Sperygoid fossa 26 (49)

    Pterygoid fossa 22 (41)

    Intracranial extension 9 (1 6)

    으며 융中隔이 15 例로 가장 않았 다. (Tab le. Y, Fig 1-7 )

    治續前에 施行한 CT 54 例에서 惡性睡1lt5을 TNM 病

    期分類法 16 )에 依하여 分類히변 T,가 5 ØJj( 9 %) 였고 T 3

    가 14 例 (26 % ), T ‘ 가 35 例 (65 % )로 大部分 進行된 樓遇였고 Ohngren 民線을 中心으로한 上層 및 下層

    橫造原짧?잃은 各各 35 옛IJ. 19 例로 下層構造原짧錫이 않

    았다

    건음廳後에 施行된 28 例의 副휩洞 CT에 서 愚삐j 上뿜

    洞內똥氣陰影이 全~IJ에서 觀察되었는데 餘他 副1뚫f同陰

    影b얽:tm가 22 例 (79 %) 에 서 觀察되 었고 睡塊減少가 15 例 (54 % ) 에서 觀察되었는데 이는 治樓前 CT가있는 19

    ~I만이 對象이었고 이中 새로운 骨破壞는 2 例 (7 % )에

    서 觀察되 었 다.k.뚫洞 I직의 쨌體水 準은 13 例 (46 % ) 에

    서 觀察되 었 고 放射綠f台廳後에 생 긴 例가 10 ~IJ 였 다.

    (Table VI . Fig . 7)

    N. 考 按

    上薦1同惡1"-1:陣陽은 局JiJr病밟가 lJll範@셈한 t¥~ i뿜어1 도 i종

    隔뺑移가 적은 惡性睡JlI;l요로 局所病벚의 f台擔와 生存率

    이 直結되는 것이 특정이다 2) 上爾洞惡性睡陽의 f台橋는

    手術續'$과 放흉j綠f台휩흉의 局所f台擔와 緊物爾'$等의 全

    • 692-

  • Fig.3.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59-year-old woman.

    A. Axial scan shows soft tissue mass involving right maxillary antrum , infratemporal fossa with bone

    destructions, medical wall of maxillary antrum shows osteosclerosis.

    B. Coronal scan shows huge soft tissue mass with bone destruction involving orbit. ethmoid sinus, nasal

    cavity and oral cavity.

    Fig. 4. Olfactory neuroblastoma in 14-year-old gir l.

    A. Axial scan shows soft tissue mass involving infratempoial fossa with obliteration of fat plane, nasal cavity and nasopharynx.

    B. Coronal scan shows soft tissue mass in right maxillary antrum , nasal cavity, ethmoid and orbit.

    693-

  • Fig.5. Rhabdomyosarcoma in 13-year-old boy.

    Axial scan shows huge soft tissue mass with

    bone destruction involving right maxillary

    antrum , nasal cavity, nasopharynx and in-fratemporal fossa.

    身續'$이 있2..나 이들 f台續方針의 快定은 正確한 病뿔

    ífllffi檢索을 前題로 한다 CT가 登場함으로써 從來의

    放射線學的檢훌로 不充分했던 下測頭홈 , 짧→口蓋홈 , 靈狀

    용, 眼홈 및 흉n버股周圍의 軟部組織과 頭蓋院內病뿔有

    無의 檢素이 容易하게 되 어 上廣洞惡性睡陽의 病期快定

    에 選擇的용斷方'$으로 便用되어 오고 있다. ‘-1 2 )

    Fig.6. Squamous cell carcinoma in 65-year-old woman.

    t顆洞惡性睡陽의 .:t펀 CT 所見은 軟部組織睡塊와 骨破壞所見인데 이와같은 CT所見은 드물게 毛園!ff (Mu

    conngcosis) 等에 서 報告되 었 ξ냐 11 , 12} 著者들은 經훌용

    하지 못했 다 . .1. 풍fj~펴惡性睡ll!J의 大部分은 扁2f上皮提이

    며 服樣짧힘이 마음으로 않고 1 ,2 ) 그밖에 m모睡 , 黑色

    睡 며올神經흉細j ~包睡 18) 橫級 !t1J 肉睡 2 0 ) 및 惡性觸維性組

    織~睡 1 ' ) 等의 행告도 았으며 轉移提으로는 賢細j g명힘

    의 轉移가 가장 않은 것으로 報告 1 , 2 } 되 고 있고 著者들

    은 甲狀願提의 局所再發과 同伴띈 轉移,폼을 經驗했 다.

    그러 냐 CT所見만으로는 病理組織學的該斷에 따른特뽕

    所見을 發見할 수 없었고 -部報告에 짜르연 EÐëtt看

    이 보이는 행遇 骨肉睡이 나 軟骨肉睡을 훌홈\l lj 해 야 하고

    11 , 12 ) 뺑神經흉細l뻐睡 18) 빛 惡性觸維性組鐵球睡 19) 에

    서 報告펀 바 있으냐 著者{들의 øu에 서는 觀察되지 않았

    다.

    上혔洞經愚者의 CT는 顧面部構造의 複合性때문에 單

    純한 橫없rr象만으로는 不充分하며 前斷象 或은 예斷象等

    이 同時에 얻 어져야 한다는 報告 10-14-2 1 ) 들이 었으며 著

    者들의 境i뽑에 도 前&야象을 直接的안 方'$ 或은 Compu-

    ter 操1'F-에 依한 再造1I으로 얻음으로써 !lN홈 ,r.뜸홉洞

    의 蓋部와 低部, 簡狀板~윷용의 檢좁에 卓越항을 經驗

    했으나 測斷象은 施멤되 지 않았다.

    造影뼈꿇의 境遇 睡塊와 副흉f허內 %훗體Itfr.월냐 #模BE

    탤等과의 훌훌 \l lj이 可能하다는 報告도 있으나 8 , 11 , 12} 著

    者들은 Forbes') 나 Parson 10) 等과 같이 特異한 差異

    A. Precontrast axial scan shows soft tissue mass invojving right orbit, ethmoid sinus, sphenoid sinus

    and intracranial extension with destruction of sphenoid wing.

    B. Post contrast scan shows more sharp delineation of intracranial involvement

    - 694 -

  • Table V. Skeletal Manifestation of 54 Untreated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by

    Paranasal Sinus cr

    Sites No. of Patient (%)

    Bone destruction Osteosclerosis Erosion and displacement

    Medial wall of antrum 50 (93) 3 ( 6) 12 (22)

    Anterior wall of antrum 36 (68) 22 (41)

    Posterior wall of antrum 36 (68) 20 (37) 7 (1 3)

    Floor of antrum 35 (65) 3 ( 6) 3 ( 6)

    Roof of antrum 33 (61)

    Lamina papyraceae 35 (65)

    Pateral wall of orbit 22 (4 1) 32 (59)

    Lateral wall of orbit 14 (26)

    NaSal septum 12 (22) 15 (28)

    Cribriform pla te 6 (11)

    Orbital foof 6 (1 1)

    Sphenoid greater wing 4 ( 7)

    Latera1 wall of olfactory fossa 3 ( 6)

    Total 54 (1 00) 32 (59) 25 (46)

    Fig.7. Squamous cell carcinoma in 45-year-old man.

    A. Axial scan shows sof tissue tumor involving, right maxillary antrum , infratemporal fossa with bone

    destruction of antral walls and pterygoid plate.

    B. Axial scan shows disappearance of soft tissue mass, air in maxillary antrum , new bone formation and osteosclerosis in antral walls and pterygoid plate, and air f1uid level in left antrum also noted after

    radiation therapy.

    -695 -

  • Table VI. CT Findings of 28 Post-thcrapy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CT l' indings No. of Pat ient (%)

    Air in involved antrum 28 (1 00)

    Other sinus opacification 22 ( 79)

    Reduced mass size * 15 ( 5 4) Air fluid levels in antra 13 ( 46)

    Osteosclerosis 12 ( 43)

    New bony destruction '" 2 ( 7)

    * Among 19 follow-up CT with pretreatment CT

    를 짧見할 수 없었고 다만 頭蓋뾰內!힘홉犯時 造影야격웰

    의 {낌뼈를 증진、定하는 報윈 8 , 13 ) 에는 ←→致된 rfr見을 얻었

    다. (Fig . 6 )

    上짧~司惡性睡 IID의 周 I펴i쫓犯은 病벚!썽發힘)ffi와 周댐組

    織의 Ilfïí:弱 j'生에 좌:右되는데 l멍짧部位플 Ohngren a線을

    웰準으로한 上層 및 下層챔造로 나누어 보연 下層橋造

    原짧;끊이 35 例로 上層橋造)J띤경~j퍼보다 2 배 가량 않았고

    이는 金웰의 報얻 17) 와 類似했고 American Joint Co.

    m i t tee 의 TNM 病期分類法 16) 에 따른 유類도 T 3 와

    T. 의 進行된 Ø1J가 49 例 (91 % )로 金等 1 7) 의 83.7 %

    와 같이 大部담임을 암 수 있었다,

    軟部뼈織睡뺏內의 陰影은 2f'均때훌系數 20~70 뭘度

    로 周탬l歐部뼈織과의 差異가 적 었고 中心樓死플 월짜할

    수 있는 不規則한 低陰影도 15 例 (27 0 (, l 에서 보였고 펌

    爾後에 만 報告되던 廳명內쁜氣陰影도 10 例 (1 8 % l 에서

    觀察되었고 이든~,í\織生檢 짧孔形成 및 續짧f牛感짧에 끼&

    한 8짧 $Hf~ 1JX과 fPJ 伴되 었 다

    Par son 等 10) 의 報告에 依하연 周 E됩軟liiH;업織R핑JJlì波

    及은 下 11HJ 효Fí~¥ , 강‘院, 題面皮5쩍‘, 眼홈, 휠q뼈脫의 1順。!

    었으나 著者들의 {列에서는 파뾰.rrIl骨 t며 , 眼홈, 下測돼

    홈, 용휠 ffiï 皮固, 짧口蓋홈 및 따n뻐뾰의 1뼈宇로 觀察되 었

    고 이러한 중쩔는 Parson 의 例는 t顆!펴싸 惡性睡Il!ð .

    즉 갖~{~며뽑睡陽품이 多쨌{9fi 면含되어 下빼頭용홉犯頻度

    가 높아지 고 9N~홉犯例가 적 게 報告되 고 著者들의 {列가

    進 f균펀 例가 더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 다‘

    眼홈內홉犯은 根f台手術 l암 3良 E求橋出如否와 放射線f台擔

    8휴 렌즈보호여부의 ì::k:fE과 直結되는 것으로 17 ) Hesse.

    l i 미〈 等에 依하면 22) 眼홈홉18經路中 紙板lV.Ii樓가 가장

    않고 眼용低部 및 %뿔쏠의 順이었는데 著考들의 {列에

    서도 類似하였으냐 眼홈低部破壞에 依한것이 33例로 紙

    板破壞經路의 35 例와 對等하게 않았고 眼홈外뿔破壞도

    19 例에서 觀察되 었 다,

    下 rWIlW1쩔의 원홉犯은 웰口蓋홈, 짧狀홈 및 副!Ã'.n얘 1헬

    !웨隔 고} 더불어 根f台手術이 不可能한 病벚도 報폼되고 있

    는데 1, 2 ,9) 上預ff펴後뺑의 쯤破용었와 그 l띄後方에 存표하

    는 fl읍 .IIh層씨失에 依한다

    행꿇땀內波及은 매 우 進行되거나 再發된 {히j에서 觀察

    펴는 것 10 , 13 , 18 ,24 )으로 著킹즉들은 9 {91j(1 6%l 에서 뺑

    察되었고 造影탬랬을 施行한 {9!J에서 더욱 確젠하게 觀

    察되 었으며 9N~겸용部, 節狀板, 嗤용外많- 및 뺑Uf~~大¥3

    等 행:홈低당ß 'i풍破챙와 同伴되 었 다 다만 頭蓋內홉犯。l

    흔한 것으로 報告된 18 ) 嗤神經흉細8명睡에서는 *쩡명용하지

    옷-했다,

    上領洞惡뼈,[훨財}의 CT所見中 骨所見은 骨破챙外에도

    협硬化와 骨轉位等이 觀察되 었는데 함硬化의 생뚫;뽑 풍선狀

    板의 骨硬化가 多폈 觀察되 었 고 이 는 Parson 等의 報告

    와 10) 一致하냐 그 頻度가 높았고 上顆洞內外많의 骨硬

    化도 뼈察되 었는데 이는 共存하는 쨌體뺨%휩나 t1íK핏 fiE~함

    等 잦lif.反應에 依한 것으로 생 각펀다움?轉ffi의 境遇 f풍

    ↑껴, ß늦惠을 쉴q未하는 所見으로 즙做하는 報告 23 , 2‘) 들도

    있으나 품쩍들의 쩡!i뽑 睡塊i횡ffiffií에서 觀察했고 웹破짧

    와 同伴펀 t햇 i훤도 있어 Parson 쏠의 젠告와 비슷했다.

    上풍휩 ifiil 깎;쩔‘者-의 i‘台續때ÍI CT 가 [태f한 病벚部{立檢索

    이 可能하여 手j;fif15針, 放딩1 綠/fì薦計판O設치f과 隊後f퓨Æ:

    의 i행擇的該없n15 'f.E 인 것처 럼 f台爾後 C’I‘도 이에 옷지 않

    게 댐뼈있는 것으로 품定되어 liH究가 進行i-tJ이 나 12) 治

    擔後 CT어1 시의 問 !펴는 殘留廳생와 :M땐llE~훔等의 훌훌 뮤U

    에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鍵떼點은 없고 다만 *ií假llE

    탤의 훤 i뽕 t領i10i 쌓般어| 걸쳐 있는 軟MI織01 ::tFfr ~이 며

    새로운 협lVIi양찾는 없고 殘留睡짧는 陣塊樣病벚로 웰生成

    을 tR l1. 시키고 새로운 骨破壞냐 ~후훨位}딴見을 보이는예

    가 많다는 것만 알려셔 었다 1 2) 著참들의 {9IJ에서는 治

    쳤흉1ÎÍ1 CT 가 있는 성형遇에는 睡塊減少냐 새로운 再發함

    或은 殘홉{廳塊有無 比較나 *1~뺑~E털等과의 용똥염U이 容易

    했으나 때로 組織檢표헨]까지 正確한 廳別이 어려웠던 j9JJ

    도 있었다. 그밖에 治擔後 副훼꺼 CT에서는 f台續後의

    骨硬化, 上顆f펴內%훗牌水準이 냐 쨌體Itril휩等의 잦 liE i’生反

    應等을 觀察할 수 있어 1펌爾經過의 觀察이 容易했 다.

    V 結 ;ιi õl!l!

    197 9 후 2 月부터 1 982 年 5 月까지 서울大쩔校病院 앓

    斷放射·짧科에 서 經驗한 63 例의 上銷얘惡jtHill찌愚者에

    서 施行한 85 回의 副파洞 CT所見을 않R察 'i1析하여 다음

    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696-

  • 1 病뿔,해織향,t B'~ 分類로는 팀2JS J-.皮 !,'b 01 44 {7IJ (69_8 % l 로 가장 많았고 服樣짧1핍이 5ØIJ (79 % l. 嗤神經뽕

    細뼈睡과 惡性財巴廳이 各 3 例, 惡性黑色睡과 惡n織維

    t'H!ì織Bj(鍾이 各 2 {씨 , 橫*íl JjjJ Ii;j硬 . ~.fl(; ~;j[훨 . ~());쩌11M댄

    J,피 및 甲狀眼펜으로 부터 의 輕移1힘이 各 1 {7iJ 였 마.

    2 . J:-.關iFnl惡、얘-핸Jlfj 의 f台擔i?íJ CT J까見은 上움fíifrij陰影

    t딴 1m. 軟部眼i맺 및 背破썽가 =t:'. JJi見으로 소{7IJ에 서 꿇g察

    되었고 짧Jtlï J촬 V혐失 , 렬Hí햇化, 합轉til., 健塊內低陰影 및 '!J!.

    %L陰影이 附짧的으로 햄씬되 었 다,

    3. J:-. 顆ifríI惡n睡 O짜의 f台願前 CT는 원흘犯의 正때:한

    ül fEl~틀 보여주고 特히 眼홈, 下쩨돼쟁, . 웰口꿇홈, 원狀

    홈 및 싫n삐 JJ5!周 달렵等의 휩A홉6組織 f끊漫犯UQ否檢索에 長點

    이 있어 根켠手術如否等의 手術方針 , 放射縮f台續時 f台續

    計뽑U設定과 接後推:a::에 i검 f월的즙?없rr 1J$이 다.

    4 . ..t.歸1同惡性睡陽의 f台훨後 CT는 펌橋씨果와 合m

    뾰有無를 lt較 觀‘썽할 수 있는 珍없li7'j$이 다

    REFERENCES

    1. Birth BD , Briant TDR The management of ma!ig-nant tumors o f the maxillary sinus. Otolaryngol

    Clin North Am 9:249-254, 7976. 2. Harrison D FN Criticalloo.k at the classification of

    maxillary sinus carc inoma. Ann Otol Rhinol Laryn-

    goI87:3-9, 79 78 3. Chernak ES , Rodriguez-Antunez A , Jelden GL :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y for radiation therapy

    treatment planning. Radiol 777:673-674, 79 75. 4. Gould LV , Cummings CW , Rabazzi DD Use of co -

    mputerized axial tomography of the head and neck

    region. Laryngoscope87:7270-7276, 7977. 5. Wortzman G , Holgate RC , Noyek AM : Otolaryngo l-

    ogic applications of computed tomography. Otol

    Clinics North Am 77 :507-5 72, 7978.

    6. Carter B, Karmody CS : Computed tomography of the face and neck. Seminars Roentgenol 73:257-

    266, 7978. 7. Mucuso AA , Hanafee WN , Winter J Extensions of

    paranasal sinus tumors and inflammatory disease as

    evaluated by CT and pleuridirectionaJ tomography.

    Neuroradiology 76:449-453, 7978. 8 . Weber AL , Tadmor R , Davis R : Malignant tumors of

    the sinuses. Radiological Evaluation, inc/uding CT scanning, with clinical and pathologic correlation. Neuroration. Neuroradiology 76: 443-448, 7978.

    9. Forbes WSC , Fawcitt RA , Isherwood I omputed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diseases of the para

    nasalsinuses. Clin RadioI29:507-S7 7, 7978. 10. Parsons C, Hodson N : Computed tomography of pι

    ranasal sinus tumors. Radiology 732:647-645, 7979.

    11 . Mancuso AA , Hanafee WN Computed tomography of the head and neck.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205-208, 7982.

    12. Bilaniuk L T , Zimmerman RA Computed tomogr

    aphy in evaluation of the paranasal sinuses. Radiol

    Clin North Am 20:57-66, 7982. 13. 이선화 : 부비동 및 안연부 종양에 대한 선산화안

    충촬영 , 대 한 방사선 의학회지 18:449-454 , 1982

    14. Byrd SE , Harwoodnash DC , Barry J F Coronal co-mputed tomography of the skull and brain in infants

    and children. Radiology 724: 705-709, 7977. 15 . 한만청 , 서흥석, 추인욱 퉁 조착에 의한전단

    상 및 측단상 재조링의 ,임상적 응용, 대한방사선의

    학회 지 15:484-492 , 1979 16. American J oint Committee for cancer Staging and

    End Results Reporting : Manual for staging of can

    cer, Chicago, Whiting Press, 7978.

    17. 검기황, 이도행, 박창윤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대한방사선의 학회지 15: 254 -262 .1 979

    18 . Rosengren J , J ing B, Wallace 5 Radiographic feat-ures of olfactory neuroblastoma. Aj R 732: 945-948, 79 79.

    19. Merrick RE , Phone DP , Chilis TJ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maxillary sinus. Arch Otolaryn-

    gol 706: 365-36 7, 7980. 20. Scotti GO , Harwood-nash DC Computed tomogra-

    phy of rhabdomyosarcomas of the slwll bass in chil

    dren. j Comput Assist Tomogr 6:33-39, 7982. 21 . Osborn AG , Anderson RE Direct sagittal comput-

    ed tomographic scans of the face and paranasal

    sinuses. Radiol 729:8787, 7978. 22. Hesselink J R, Weber A L : Pathways of orbital exten-

    sion of extraorbital neoplasms. j Of Comput Assist

    Tomogr 6:593-59 끼 7982.

    23. Dubois P j, Schultz jC , Perrin RL : Tomography in expansile l esions of the nasal and paranasal slnus.

    Radiology 725: 749-758, 7977. 24. Som PM , Shugar jMA The significance of bone ex

    pansion associalted with the diagnosis of malignant

    tumors of the paranasal sinuses. Radiology 736: 97-

    700, 1980.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