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세계관과문화교육 - 210.101.116.28210.101.116.28/w_files/kiss9/60411547_pv.pdf ·...

2
14 교육교회 2013·6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세계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져야 할지 전혀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다. 단지 아무 생각 없이 세계와 타협하며, 기독교적 신념을 나타내기 보 다는 문화적 수동성( Cultural Passivity)에 빠져있다.”- 크리스토퍼 도슨 - 문화적 수동성과 기독교세계관의 필요 기독교 역사학자인 크리스토퍼 도슨은 현대 한국의 상황을 예견이라도 한 것일까? 적지 않은 수의 그리스도인들이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우리 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 하는 기독교문화가 과연 무엇인지를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상황을 도슨은 잘도 지적 하고 있다. 그가 말한‘문화적 수동성’은 문화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한 그리스도인들 이 세상 사람과 다름없이 행동하거나 아니면 삼삼오오 모여 앉아서 세상 탓만 하는 모습을연상시킨다. 가수싸이의뮤직비디오‘강남스타일’이유튜브조회수 10억회 를 넘어서고, 최근 발표한‘젠틀맨’또한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가운데 문화에 수동적 인 그리스도인은 단지 세 가지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첫째 부류는 아무생각 없이 희희낙락거리며 말춤을 따라하기 바쁜 사람들이고, 두 번째 부류는 싸이가 과연 프리메이슨인지 여부를 놓고 인터넷에서 왈가왈부 하는 모 습이 그려지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세 번째에 속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싸이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도 모르는 채 세상 일에 전혀 무관심한 사람들이다. 이 세 가지 자세 는 문화적 수동성의 전형이다. 첫째 부류의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오류는 세상 사람들 과는 다른 그리스도인의 구별된 의식을 드러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주일에 교 회에 나가는 것만을 가지고 세상 사람과 구별된 존재로서의 모습을 보이는 것의 전부 라고 말한다면 신앙을 교회에 묶어두고 생활하는 사람이 아닐 수 없다. 즉 교회에서 의 신앙생활과 세상에서의 삶을 분리해서 보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사회문화현상에 대해서 성경적 관점을 대입할 생각은 미처 하지 못한다. 둘 째 부류의 그리스도인들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본질이나 핵심을 놓치고 있다.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그것은 앞으로 언급하게 될 기독 교세계관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사실 강진구 교수 | 고신대국제문화선교학부 교수, 영화평론가 기독교세계관과 문화 교육

Upload: others

Post on 29-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기독교세계관과문화교육 - 210.101.116.28210.101.116.28/W_files/kiss9/60411547_pv.pdf · 14 교육교회 2013·6 “오늘날그리스도인들은세계에대하여어떠한태도를가져야할지전혀지식을가

14 교육교회 2013·6

“오늘날그리스도인들은세계에대하여어떠한태도를가져야할지전혀지식을가

지고있지않다. 단지아무생각없이세계와타협하며, 기독교적신념을나타내기보

다는문화적수동성(Cultural Passivity)에빠져있다.”- 크리스토퍼도슨-

문화적수동성과기독교세계관의필요

기독교역사학자인크리스토퍼도슨은현대한국의상황을예견이라도한것일까?

적지않은수의그리스도인들이존재하지만그렇다고우리사회에서영향력을발휘

하는기독교문화가과연무엇인지를선뜻대답하기어려운상황을도슨은잘도지적

하고있다. 그가말한‘문화적수동성’은문화에대한주도권을상실한그리스도인들

이세상사람과다름없이행동하거나아니면삼삼오오모여앉아서세상탓만하는

모습을연상시킨다. 가수싸이의뮤직비디오‘강남스타일’이유튜브조회수 10억회

를넘어서고, 최근발표한‘젠틀맨’또한세계적인주목을받는가운데문화에수동적

인그리스도인은단지세가지의태도를보여주었다.

첫째부류는아무생각없이희희낙락거리며말춤을따라하기바쁜사람들이고, 두

번째부류는싸이가과연프리메이슨인지여부를놓고인터넷에서왈가왈부하는모

습이그려지는사람들이다. 그리고세번째에속하는그리스도인들은싸이에게무슨

일이벌어졌는지도모르는채세상일에전혀무관심한사람들이다. 이세가지자세

는문화적수동성의전형이다. 첫째부류의그리스도인들이갖는오류는세상사람들

과는다른그리스도인의구별된의식을드러내지못한다는점에서그렇다. 주일에교

회에나가는것만을가지고세상사람과구별된존재로서의모습을보이는것의전부

라고말한다면신앙을교회에묶어두고생활하는사람이아닐수없다. 즉교회에서

의신앙생활과세상에서의삶을분리해서보는사람들이다. 이들은자신을둘러싸고

일어나는사회문화현상에대해서성경적관점을대입할생각은미처하지못한다. 둘

째부류의그리스도인들은문화에대한관심이높지만본질이나핵심을놓치고있다.

문화에대한기독교적비판은매우필요한일이다. 그것은앞으로언급하게될기독

교세계관을적용한다는점에서중요하기도하다. 그러나우리가경험하고있는사실

강진구 교수 | 고신대국제문화선교학부 교수, 영화평론가

기독교세계관과문화교육

1306교육교회 9-86 2013.5.10 10:13 PM 페이지14 M2

Page 2: 기독교세계관과문화교육 - 210.101.116.28210.101.116.28/W_files/kiss9/60411547_pv.pdf · 14 교육교회 2013·6 “오늘날그리스도인들은세계에대하여어떠한태도를가져야할지전혀지식을가

특집 문화로 가치관을 세우는 세대를 위하여 15

에입각해서현상의핵심을파악하는일이무엇보다필요하다. 이것은판단과해석을내리는데있어

서다른사람들이동의할수있도록객관성을지닐수있어야한다. 셋째부류는세상과높은담을쌓

고지내는삶을미덕으로여긴다. TV도안보고인터넷도사용하지않는까닭에세상돌아가는일에

무관심할수밖에없다. 오히려세상에대해서모르는것을자랑스럽게생각한다. 이것은세상과역

사의주인이신하나님에대한이해가부족한결과이다. 하나님은우리를세상의방관자로부르시지

않았다. 그리스도인이라면역사에참여하고역사안에임하시는하나님을만날수있어야한다. 그러

기위해서는세상으로부터도피하거나세상문화를몰라서는곤란하다. 바르게정보를취합해서성

경적인관점으로판단하는능력이요구되는것이다. 기독교세계관을가진사람들은이세가지의특

징을십분이해함이필요하다.

기독교세계관이란문자그대로해석하자면‘성경으로세상을보는안목혹은인식의틀’로이해되

고있지만훈련과의지가개입되어야한다는점에서기독교인이되었다고해서자연스럽게일어나

는현상은아니다. 새벽기도회에빠짐없이잘나오는신앙인이라할지라도지하철에서무료로나눠

주는무료신문의오늘에운세에마음을두는것은세계관이제대로작용하지않는다는뜻이다. ‘오

늘의운세’란인간의운명은태어날때우주의모습에따라정해져있다고믿는시각에바탕을두고

있는데, 이것은하나님이역사속에서섭리하시고인도하신다는성경의관점과는다른것이다. 그런

데오늘의운세혹은점의유혹으로부터벗어나기위해서는그것이기독교인이세상을보는관점과

는다르다는지식을갖추는일이요구된다. 물론기독교세계관을배운적도들은적도없는사람가

운데는구약성서를열심히읽는바람에점을보는것이신명기 18장에언급된하나님이용납하지않

는행위임을깨달아서점에대해비판적인그리스도인들도있다. 그런데성경에서시시콜콜하게직

접언급하지않는사항들은결국습관화된우리의관점이투영될수밖에없다.

흔히‘창조-타락-구속’이라는코드를가지고세상을보는일을기독교세계관의관점으로이해하

기도하지만, 구체적인생활에적용하기위해서는그것이성경적인지를끝없이확인해나가는과정

이필요하다. 왜냐하면기독교세계계관이적용되야할세상의일들은끊임없이변화하고새로운것

들이기독교세계관이무엇인가에대한이해보다더중요한것은기독교세계관에대한논의가이루

어진배경이다. 한국에서기독교세계관연구와논쟁이일어난이유는신앙과삶의일치를실현하기

위함이었다. 즉교회에서의신앙과일상적삶을분리해서사는이중적인그리스도인의삶은한국사

회안에서하나님나라를이루려는목적을훼손시킬뿐만아니라교회가세상의근심거리가되게만

드는데결정적인요인이되었기때문이다. 어느한순간예수믿고그리스도인이되었지만자신을둘

러싼세상은여전히변하지않았다면여간고민스러운문제에봉착하지않을수없는일이다. 이때

기독교세계관의훈련이병행되지않는다면우리는편한쪽으로행동하려는경향을갖게된다. 즉예

수믿지않을때의세상적인모습으로세상을대하는대신에교회에서만큼은거룩한성도로서의역

할에더욱충성하기쉽다.

이것은결국기독교세계관은교회학교에서가르쳐야할교회교육의중요한영역이란사실을보여

준다. 교회학교에서받는교육이단지성경에국한된것이아니라성경을바탕으로피교육자의일상

적인삶을해석하고판단하며행동에이르도록통합적인기독교지식이펼쳐져야하는것이다. 교회

1306교육교회 9-86 2013.5.10 10:13 PM 페이지15 M2